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kormarc) -통합서지용ksx6006-0- · 2015. 8. 27. ·...

1071
개정판 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KORMARC) - 통합서지용 KS X 6006-0 - 국립중앙도서관 국가서지과 편저

Upload: others

Post on 26-Jan-2021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개정판

    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KORMARC)

    - 통합서지용�KS� X� 6006-0� -

    국립중앙도서관�국가서지과�편저

  • 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KORMARC)

    -�통합서지용�KS� X� 6006-0� -

    개정판발�행� � � � 2014년� � 12월� � �일

    편�저 국립중앙도서관�국가서지과발�행 국립중앙도서관�국가서지과주�소 서울특별시�서초구�반포대로� 201� � � � � � � 전화� :� (02)590-6350� � � � � � � 팩스� :� (02)590-6335홈페이지 http://www.nl.go.kr/kormarc

  • 2002. 10. ~ 2003. 3. KORMARC - 통합서지용(시안) 작성 : MARC21 및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종합목록 입력지침’을

    참고자료로 KORMARC 통합서지용 시안 작성

    2003. 3. ~ 2004. 2. KORMARC 통합서지용(안) 작성: 기존의 간략형식에 대한 상세설명 및 예시 등을 추가하여

    (안) 작성

    2004. 2. ~ 2004. 4. KORMARC 통합서지용(안) 81개처 배포 및 의견 수렴

    2004. 4. ~ 2004. 5. KORMARC 통합서지용(안)에 대한 지식정보표준화 도구개발위원회의 7차에 걸친 내용 검토 및 의견 제출

    2004. 5. ~ 2004. 7. 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 통합서지용(수정안) 작성 : 각 도서관ㆍ대학 전문가 및 지식정보표준화도구개발위원회 의견을

    수렴한 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 통합서지용(수정안) 작성

    2004. 7. 22 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 통합서지용(수정안)에 대한 심의 및 토론 : 심의위원 - 지식정보표준화도구개발위원회

    2004. 10. 29 공청회 개최 : 116개관 230명 참석 및 의견 제시

    2005. 2. 공청회 의견을 반영한 KORMARC 통합서지용 KS(안) 작성

    2005. 3. ~ 2005. 5. KORMARC 통합서지용 KS(안)에 대한 지식정보표준화도구개발위원의 서면 심의 및 심의회의 개최

    2005. 6. 심의 내용을 반영한 KORMARC 통합서지용 KS(안) 작성

    2005. 8.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에 한국산업규격(KS)제정 의뢰

    2005. 9. ~ 2005. 10. 한국산업규격 제정 예고

    2005. 12. 2 기술표준원 고시 제2005-0812호로 한국산업규격 (규격번호: KSX 6006-0) 제정 완료

    차KS� 제정� 경위(2005)

  • 2010. 5. ~ 2011.9 KORMARC - 통합서지용 개정(안) 초안 작성

    2011. 9.8 ~ 10.27 KORMARC - 통합서지용 개정(안) 1차 의견 수렴

    ◦ 대 상 : 전국 공공도서관, 대학도서관 문헌정보학과,

    한국도서관협회,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등 1,100여개 기관

    2012. 8.6. ~ 8.27. KORMARC - 통합서지용 개정(안) 2차 의견 수렴

    ◦ 대 상 : 국립중앙도서관 내 의견수렴

    2012. 8.30. ~ 9.20. KORMARC - 통합서지용 개정(안) 2차 의견 수렴

    ◦ 대 상 : 전국 공공도서관, 대학도서관 문헌정보학과,

    한국도서관협회,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등 1,100여개 기관

    2012. 10.18. 제 49회 전국도서관대회 워크샵 : 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KORMARC) 개정(안) 소개 및

    의견 수렴

    2013. 7.19. KORMARC - 통합서지용 KS 개정 공청회 개최 : 사서, 도서관 및 관련기관 관계자 213명 참석

    2013. 8. KORMARC - 통합서지용 개정 최종안 작성

    2013. 10.18 ~ 12.17 KS 개정 예고 고시

    2013. 10.31 ISO/TC 46 전문위원회 검토

    2014. 4.18 기술표준원 정보통신기술 심의위원회 검토

    2014. 5.8 기술표준원 고시 제2014-193호로

    한국산업표준(표준번호 KSX6006-0) 개정 완료

    차KS� 개정� 경위(2014)

  • 목�� � �차�

    1. 설계원칙 ································································································ 1

    2. 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 서지데이터용:내용표시기호 ····························· 7

    3. 리 더 ·································································································· 19

    4. 디렉토리 ·································································································· 30

    5. 00X 제어필드·············································································· 32

    6. 01X-09X 숫자와 부호필드 ································································ 299

    7. X00-X30 표목필드 ············································································ 452

    8. 1XX 기본표목 ············································································ 497

    9. 20X-24X 표제와 표제관련필드 ························································· 508

    10. 250-28X 판차, 발행 등 필드 ··························································· 548

    11. 3XX 형태사항 등 ······································································· 583

    12. 4XX 총서사항 ············································································ 671

    13. 5XX 주기사항 ············································································ 684

    14. 6XX 주제명부출표목 ································································· 855

    15. 70X-75X 부출표목 ············································································ 914

    16. 76X-78X 연관저록 ············································································ 944

    17. 80X-830 총서부출표목··································································· 1006

    18. 841-88X 소장, 변형문자 등 ··························································· 1018

    19. 9XX 로컬에서 정의한 필드 ····················································· 1054

    - i -

  • - 1 -

    1. 설계원칙

    통합서지용 한국문헌자동화목록(KORMARC) 형식은 각종 자료에 대한 서지정보의 교환을 목적으로 도서관시스템 간의 레코드 교환에 필요한 명세(specification)를 제공한다.

    1) 형식의 범위

    통합서지용 KORMARC 형식은 인쇄 또는 필사된 도서, 계속자료, 전자자료, 지도자료, 녹음자료,시청각자료, 고서, 복합자료의 서지정보를 담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서지데이터에는 공통으로 자료의 표제, 저자명, 판사항, 발행사항, 형태사항, 주제,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자료의 형태에 따른 적용 서지형식은 다음과 같다.

    ■도서(BK) - 단행자료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인쇄물, 필사본 그리고 마이크로자료를 말한다.

    ■계속자료(CR) - 종간을 예정하지 않고 시간적 간격을 두고 발행되는 서지적 자료를 말한다.계속자료에는 연속간행물(serial)과 계속갱신자료(ongoing integrating resources)가 포함된다.계속갱신자료는 분리되지 않은 채 전체 속에 통합되어 추가 또는 변경됨으로써 갱신되는 자료를 말한다. 통합되어 갱신되는 자료는 종간이 예정되었거나 예정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여기에는 가제식자료와 갱신되는 웹사이트가 해당된다. 가제식자료(updating loose-leaf)는 페이지의 삽입이나 제거, 대체에 따라 갱신되는 하나 또는 여러 권으로 구성된 자료를 말한다. 연속간행물(serial)은 연속하여 분리된 부분으로 계속해서 발행되는 자료를 말한다. 보통 종간을 예정하지 않고 권호 표시를지닌다. 연속간행물에는 연보, 계속 발행되는 명감(directory), 전자저널, 학술지, 잡지 단행자료의시리즈물, 신문이 해당된다.

    ■전자자료(ER) - 컴퓨터 소프트웨어, 수치데이터, 컴퓨터 의존형 멀티미디어, 온라인시스템 또는 온라인서비스 등 부호화된 전자 정보원이 해당된다. 자료는 단행자료 또는 연속간행물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지도자료(MP) - 인쇄, 필사 또는 마이크로자료 등 모든 형태의 지도로서 책자지도, 낱장지도, 구체(球體) 등이 포함된다. 자료는 단행자료 또는 연속간행물적인 특성을 가진다.

    ■음악/녹음자료(MU) - 인쇄, 필사 또는 마이크로자료 등 모든 형태의 음악자료와 음악 이외의 녹음자료가 포함된다. 자료는 단행자료나 연속간행물적인 특성을 가진다.

    ■시청각자료(VM) - 평면영사자료, 평면비영사자료, 입체자료 및 실물자료와 키트가 포함된다. 자료는단행자료나 연속간행물적인 특성을 갖는다.

    - 평면영사자료 : 비디오 녹화자료, DVD, CD-I, LD(Laser Disk), 영화필름, 슬라이드, OHP자료(Over-Head Projection), 필름루프, 필름스트립, 트랜스페어런시

    - 평면비영사자료 : 그림, 도면, 복제화, 사진, 사진인쇄, 엽서, 음화사진, 차트, 콜라주, 컴퓨터그래픽출력자료, 포스터

  • - 2 -

    - 입체자료나 실물․ 입체자료 : 게임(모의실험), 모형, 조각품 등과 이들의 복제품․ 실 물 : 특정한 목적으로 수집된 표본

    - 키트 : 서로 상이한 매체에 수록된 자료들이 하나의 세트를 이룬 것으로 주로 교육용 시청각 자료

    ■고서(RB) - 대한제국(1910) 이전에 간인(刊印), 필사(筆寫)된 동장본(東裝本)를 말한다.

    ■복합자료(MX) - 주로 여러 형태가 혼합되어 수집된 문서나 필사자료에 적용한다. 문서에서는 일괄문서처럼 의도적으로 수집된 컬렉션이 대표적인 예일 수 있다. ‘흔히 ○○문고’처럼 개인이나 가족이나 문중 단위로 모은 자료를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경우 사용한다. 이 자료의 특성은 일회에 수집되어 완성된 경우도 있고 계속 수집 중에 있어 연속성을 가지는 경우도 있다.

    앞서 언급한 여덟 가지 자료 유형 즉, BK, ER, MP, MU, CR, VM, RB, MX는 자료의 유형을지칭하는 표시로 KORMARC 내에 또는 이 형식과 관련된 문헌에서 사용된다.

    서지레코드의 종류

    KORMARC의 서지레코드는 리더/06(레코드 유형)의 구분부호에 의해 아래와 같이 여러 종류의레코드로 나뉜다.

    마이크로자료는 원본이나 복제본에 관계없이 별도 종류의 레코드로 구분하지 않는다. 마이크로형태그 자체는 이차적인 것으로 원자료(예: 도서)에 따라 자료의 유형을 구분한다.마찬가지로 전자자료도 전자 형태 그 자체는 이차적인 것이다. 따라서 원자료가 있는 것은 원자료에 따라 자료유형을 구분한다. 그러나 복제의 형식이라기 보다는 원자료 자체가 전자정보원(electronic resources)인 것이 확실한 경우에는 전자자료로 구분한다.

    레코드 유형 (리더/06)

    문자자료 녹음자료(음악 이외)

    필사문자자료 녹음자료(음악)

    필사악보 이외의 악보 전자자료

    필사악보 입체자료(실물)

    지도자료(구체 포함) 고서

    필사지도 복합자료

    평면영사자료 키트

    평면비영사자료

  • - 3 -

    2) 서지레코드의 구성요소

    레코드 부문의 기술

    KORMARC 서지레코드는 리더, 디렉토리, 가변길이필드 등 세 개의 주요 구성요소로 되어 있다.KORMARC 서지레코드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리더 디렉토리가 변 길 이 필 드

    제어필드1 FT 2 3 4 ...nFT 데이터필드1 FT 2 3 4 ...FT RT

    모든 레코드는 레코드의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갖고 있는 고정길이필드인 리더로 시작된다. 리더다음에는 레코드 내에 있는 가변길이필드의 위치를 지시해 주는 디렉토리가 나온다. 그 다음으로 제어필드와 일반데이터를 갖고 있는 데이터필드들이 나온다.

    리더를 제외한 모든 필드의 끝에 필드종단기호(FT=ASCII 1E16)를 기술하며, 이 문헌에서는

    KS X 1001(전 KS C 5601)에서 지원하는 해당 문자 형태(▴)를 사용하였다. 마지막 데이터 필드의 끝에는 필드종단기호 다음에 레코드 종단기호(RT=ASCII 1D16)를 기술한다. 이 문헌에서는KS X 1001(전 KS C 5601)에서 지원하는 해당 문자 형태(↔)를 사용하였다.

    ■ 리 더(Leader)레코드 처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요소이다. 이 데이터요소는 숫자 또는 부호값을 나타내며 관련 자릿수에 의해 구분된다. 리더는 24개의 자리로 고정되어 있으며 KORMARC 레코드의첫 번째 필드이다.

    그 구조는 다음과 같다.

    레코드길 이

    레코드상 태

    레코드유 형

    서 지수 준

    제어유형

    문자부호화체계

    지시기호자 리 수

    식별기호자 리 수

    데이터기본번지

    입력수준

    목록기술형식

    다권본자원의

    레코드수준

    엔트리맵

    00-04 05 06 07 08 09 10 11 12-16 17 18 19 20-23

    ■ 디렉토리(Directory)한 레코드에서 각 가변길이 필드의 표시기호, 필드길이, 필드시작위치를 나타내는 일련의 항목이

    다. 디렉토리는 해당 레코드의 25번째 자수위치부터 시작된다. 디렉토리는 레코드 내에 있는 가변길이필드 마다 하나씩 배정된 ‘디렉토리 항목’이라는 고정길이 필드로 구성된다. 가변길이제어필드에대한 디렉토리 항목은 첫 번째로 나타나며 표시기호 순에 의해 순차대로 배열된다. 가변길이데이터필드에 대한 항목은 표시기호에 의해 순차대로 배열된다. 저장된 가변길이데이터필드의 순서는 반드시 디렉토리 항목의 순서대로 배열될 필요는 없다. 마지막 디렉토리 항목은 필드 종단기호로 끝난다.

    그 구조는 다음과 같다.

  • - 4 -

    디렉토리 항목 1 디렉토리 항목 2 ... 필드종단기호(FT)표시기호 필드길이 필드시작위치 표시기호 필드길이 필드시작위치 ...

    00-02 03-06 07-11

    ■ 가변길이필드(Variable fields)가변길이필드는 제어필드와 데이터필드로 구성되며 각각의 필드를 유형별 또는 기능별로 표시하

    는 표시기호가 부여된다. 제어필드는 00X 표시기호가 부여되며 지시기호와 식별기호 없이 데이터와 필드종단기호만으로 구성된다. 데이터필드는 00X 이외의 표시기호가 부여되며 지시기호와 식별기호, 데이터 및 필드종단기호로 구성된다. 표시기호는 디렉토리를 작성할 때 디렉토리로 옮겨지므로 가변길이필드에는 해당 필드의 지시기호부터 나오게 된다.

    데이터필드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지시기호 식별기호 1데이터내용1

    ...식별기호 n

    데이터내용n

    필드종단기호(FT)

    제1지시기호

    제2지시기호

    구분기호데이터

    식별기호구분기호

    데이터식별기호

    가변길이필드에는 가변길이제어필드와 가변길이데이터필드가 있다.

    •가변길이제어필드(Variable control fields)00X 필드를 말한다. 이 필드는 디렉토리의 필드 표시기호로 식별이 가능하지만 지시기호나

    식별기호를 갖지는 않는다. 가변길이제어필드는 가변길이데이터필드와 구조적으로 다르다. 즉단일 데이터요소이거나 각각의 상대위치에 따라 성격이 결정되는 고정길이데이터요소로 구성된다.

    •가변길이데이터필드(Variable data fields)가변길이제어필드 이외의 가변길이필드를 말한다. 이 필드는 디렉토리의 필드 표시기호로 식

    별되며, 각 필드의 시작위치에 2자리의 지시기호를 가지며, 그 필드 내에서는 데이터요소마다2자리의 식별기호를 갖는다.

    가변길이필드는 표시기호의 첫 번째 숫자에 따라 0-9까지의 블록으로 나누어지며 표시기호에 의해 레코드 내의 기능을 식별할 수 있다. 필드에서 정보의 유형은 표시기호의 첫 번째 문자를 제외한 나머지 숫자에 의해 구분된다.

    0XX 제어정보, 식별정보, 분류기호 등1XX 기본표목2XX 표제와 책임표시사항(표제, 판사항, 발행사항)3XX 형태사항4XX 총서사항5XX 주기사항6XX 주제명부출표목7XX 주제명이나 총서명 이외의 부출표목, 연관저록필드

  • - 5 -

    8XX 총서명부출표목, 소장정보 등9XX 로컬필드

    1XX, 4XX, 6XX, 7XX, 8XX 블록 내에서 표시기호의 뒷부분 2자리의 숫자에는 일반적으로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

    X00 개인명X10 단체명X11 회의명X30 통일표제

    X40 표제명X50 주제명X51 지명

    가변길이 데이터필드에는 지시기호와 식별기호 두 종류의 기호를 적용한다.

    ▷ 지시기호(Indicator positions)표시기호가 나타내는 정보 이외의 정보를 추가하여 나타내고자 사용하는 기호로서 그 필

    드의 첫 번째 2자리에 위치한다. 가변길이 데이터필드에서 처음 2자리 문자위치에 기술되며 지시기호의 2자리 값은 2자리가 함께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라 각각 독립적인 의미를가진다. 지시기호는 숫자 혹은 빈칸(ASCII Space)을 사용한다. 이 문헌에서는 빈칸 표시로 “b/”을 사용하였으며 빈칸은 지시기호가 정의되지 않은 것을 의미하거나 정의되어 있는지시기호에서는 빈칸이 어떤 의미를 가질 수도 있고 관련정보가 없음을 나타내기도 한다.

    ▷ 식별기호(Subfield codes)가변길이필드내의 각 데이터요소를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호로서, 각 데이터요소에 대하

    여 2자리로 나타내며, 구분기호(ASCII 1F16“) 1자리와 ASCII 영문소문자나 숫자 1자리를 사용한 데이터 식별기호로 구성되어 있다. 이 문헌에서는 KS X 1001(전 KS C 5601)에서 지원하는해당 문자(▾)를 사용하였다. 식별기호는 데이터요소 식별을 위해 정의된 것으로, 배열과는 무관하다. 식별기호의 순서는 일반적으로 목록규칙과 같은 기준을 따른다.

    3) 표시기호 및 식별기호의 반복성

    표시기호와 식별기호는 반복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서지레코드는 단 하나의1XX 필드를 가지며, 필드 110은 단 하나의 식별기호 ▾a(기본요소)를 갖지만 식별기호 ▾b(하위기관)는 반복될 수 있다. 표시기호와 식별기호의 반복사용 가능여부는 반복이 가능한 경우에는 “반복”, 반복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반복불가”라고 해당 필드 및 식별기호에 표시하였다.

    4) 표시기호의 적용수준

    해당 표시기호의 적용수준은 “필수”, “해당시필수”, “재량”으로 표시하였다.

    ㅇ 필수(Mandatory) - 해당되는 내용의 유무에 관계없이 반드시 적용해야 하는 표시기호ㅇ 해당시필수(Mandatory if applicable) - 해당되는 내용이 있는 경우 반드시 적용해야 하는

    표시기호ㅇ 재량(Optional) - 해당되는 내용이 있는 경우에도 적용여부를 재량으로 정할 수 있는 표시기호

  • - 6 -

    표시기호 적용수준

    반복불가 해당시필수

    표시기호 반복 여부

    5) 레코드 내용의 책임소재

    모든 기관에서 서지데이터용 KORMARC 형식을 이용하여 각종 서지데이터를 작성 할 수 있다.일반적으로 데이터의 내용, 내용표시기호, 레코드 내 서지정보의 입력정확도에 대한 기관의 책임은다음의 책임기관에서 나타내는 필드를 검토하여 결정된다. 그러나 일정 데이터 요소들의 내용은 기관이 부여하거나 각종 부호표에 데이터 요소가 있을 때 제한된다. 이는 008/32(목록전거)와 040(목록작성기관) 필드에 표시되며, 이러한 책임은 다음의 적용규칙에 따른다.

    책임을 나타내는 부문

    - 수정되지 않은 레코드: 008/32와 040필드의 ▾a(최초 목록작성기관)에 기재된 기관은 레코드내용에 대해 책임을 진다. 040필드의 ▾c(입력기관)는 데이터의 입력과 내용표시기호에 대해 책임을 진다.

    - 수정된 레코드: 040필드의 ▾a와 ▾d(수정기관)에 기재된 기관은 레코드 내용에 대하여 공동의책임을 진다. 040필드 ▾c와 ▾d의 입력기관과 수정기관은 입력된 데이터와 내용표시기호에 대해 공동의 책임을 진다.

    지정기관이 부여한 데이터요소

    ISSN센터와 같은 지정기관이 부여한 데이터요소에 대해서는 그 지정기관이 책임을 진다. 이는보통 지정된 기관에 의해 입력되는 반면 다른 기관에 의해 전사(轉寫)될 수도 있다(예, 222(표제)필드는 ISSN센터가 책임을 진다).

    각종 부호표의 데이터요소

    각종 부호표에 있는 데이터요소들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의해 유지 관리된다. 예를 들면 발행국부호표, 한국대학부호표, 언어구분부호표 등이 이에 해당된다. 각 부호는 통합서지용 KORMARC 형식의 필드 또는 식별기호에 입력하고 각 부호표에 있는 부호값만을 사용해야 한다. 만약 각 부호표를변경하거나 추가하고자 할 경우에는 국립중앙도서관에 문의해야 한다.

    6) 로컬필드

    일부 표시기호에 대해서는 로컬에서의 사용을 위해 유보한다. 일반적으로 숫자 “9”를 포함하는 표시기호(049, 090, 9xx 등)는 로컬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로컬필드로 사용된다. 도서관 시스템 간에 로컬정보를 교환할 때는 레코드를 제공하는 기관이 필드의 구조에 대한 문서화된 자료와 입력방법을 상대방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 - 7 -

    2. 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 서지데이터용 : 내용표시기호

    리 더

    자수위치 데이터 요소

    00-040506070809101112-1617181920-2320212223

    레코드 길이레코드 상태레코드 유형서지수준제어 유형문자부호화체계지시기호 자리수식별기호 자리수데이터 기본번지입력수준목록기술형식다권본 자원의 레코드 수준엔트리 맵

    ‘필드길이’의 자리수‘필드시작위치’의 자리수실행위치의 자리수미지정 엔트리맵의 자리수

    디렉토리

    가변길이 제어필드

    00X 제어필드 - 개요

    001 제어번호003 제어번호 식별기호005 최종처리일시006 부호화정보필드-부가적 자료특성007 형태기술필드-개요

    자수위치 데이터 요소00 자료범주표시지도(007/00=a)01020304050607

    특정자료종별미정의색채물리적 매체복제유형제작/복제내용감광상태

  • - 8 -

    전자자료(007/00=c)

    010203040506-080910111213

    특정자료종별미정의색채규격음향이미지의 비트 깊이파일 형식의 종수품질보증지표원시자료의 정보원압축수준재포맷의 품질

    구체(007/00=d)

    0102030405

    특정자료종별미정의색채물리적 매체복제유형

    촉감자료 (007/00=f)

    010203-040506-0809

    특정자료종별미정의점자표기의 유형축약 수준점자 악보 형식형태적 특징

    평면영사자료(007/00=g)

    0102030405060708

    특정자료종별미정의색채감광유제음향 유무음향수록 매체필름의 폭틀의 재질

    마이크로자료(007/00=h)

    010203040506-0809101112

    특정자료종별미정의감광상태규격축소비율의 범위축소비율색채감광유제복제단계필름의 기본재료

  • - 9 -

    평면비영사자료(007/00=k)

    0102030405

    특정자료종별미정의색채기본재료틀의 재질

    영화(007/00=m)

    0102030405060708091011121314151617-22

    특정자료종별미정의색채스크린 형태음향 유무음향수록 매체필름의 폭음향의 재생상태제작요소감광상태복제단계필름의 기본재료색채의 범주다채색 인화유형변질상태필름의 완전성필름검사일자

    고서(007/00=o)

    01 특정자료종별

    악보(007/00=q)

    01 특정자료종별

    원격탐사도 (007/00=r)

    010203040506070809-10

    특정자료종별미정의탐사기 고도탐사기 각도구름 비율탑재기 유형탑재기 이용 범주탐사기 유형데이터 유형

  • - 10 -

    녹음자료(007/00=s)

    01020304050607080910111213

    특정자료종별미정의속도녹음재생형태음구의 폭/높이크기테이프 폭테이프 트랙의 수음반, 실린더, 테이프의 종류재질음구의 깎임 종류특수재생장치특성녹음/저장(capture)기법

    문자자료(007/00=t)

    01 특정자료종별

    비디오녹화자료(007/00=v)0102030405060708

    특정자료종별미정의색채비디오 녹화형식음향 유무음향수록 매체필름의 폭음향의 재생상태

    키트(007/00=y)

    01 특정자료종별

    형태를 구분할 수 없는 자료(007/00=z)01 특정자료종별

    008 부호화정보필드-개요

    자수위치 데이터 요소

    공통00-050607-1011-1415-1726-27283235-3738-39

    입력일자발행년유형발행년 1발행년 2발행국명한국대학부호(단, 고서는 별도 전개)수정레코드목록전거언어한국정부기관부호(단, 고서는 별도 전개)

  • - 11 -

    자수위치 데이터 요소

    008 006 도서18-21222324-252930313334

    삽화표시이용대상자 수준개별자료 형태내용형식회의간행물기념논문집색인문학형식전기

    008 006 전자자료18-212223242529-3133-34

    미정의이용대상자수준개별자료 형태미정의전자자료의 유형미정의미정의

    008 006 지도자료18-2122-23242529303133-34

    모형도도법미정의지도자료의 유형개별자료 형태미정의색인형태상의 특징

    008 006 음악/녹음자료18-192021222324-252930-3133-34

    작곡형식악보형식음악 파트보이용대상자 수준개별자료 형태딸림자료미정의녹음자료의 내용미정의

  • - 12 -

    자수위치 데이터 요소

    008 006 계속자료18192021222324-252930-313334

    간행빈도정규성미정의계속자료의 유형원자료의 발간형식개별자료 형태내용형식회의간행물미정의표제의 언어표제․기본표목 변경시 레코드 생성 방식

    008 006 시청각자료18-20212223-252930-313334

    영화나 비디오녹화자료의 상영시간미정의이용대상자 수준미정의개별자료 형태미정의시청각자료의 유형기술수준

    008 006 고서18192021222324-2526-2729-31333438-39

    삽화표시광곽사경 및 사본의 계선판구어미개별자료 형태내용형식미정의판종문학형식전기미정의

    008 006 복합자료(Mixed materials)18-222324-34

    미정의개별자료 형태미정의

  • - 13 -

    가변길이 데이터 필드

    제어정보, 숫자, 부호

    01X-09X 가변길이 데이터 필드-개요

    010012013015016017018020022023024027028030032033034035036037040041042043044045046047048049050051052055056060066070072074080082

    미국국회도서관 제어번호국립중앙도서관 제어번호특허제어정보국가서지번호국가서지기관 제어번호저작권등록번호저작권료부호국제표준도서번호국제표준연속간행물번호출판예정도서목록제어번호기타 표준부호표준기술보고서번호녹음, 녹화, 음악관련 발행처번호코덴부호우편물등기번호사건 일시와 장소지도제작의 수치데이터 부호협력기관 제어번호컴퓨터 데이터 파일의 원연구번호입수처목록작성기관언어부호검증부호지역부호발행/제작국명 부호연대부호특별한 연도 부호작곡형식부호악기나 성악부호소장사항미국국회도서관 청구기호미국국회도서관 복사본, 발행호, 발췌 인쇄물국립중앙도서관 청구기호지리분류기호한국십진분류기호미국국립의학도서관 청구기호사용문자세트미국국립농학도서관 청구기호주제범주부호(Subject Category Code)정부간행물번호(GPRN/GPO Item Number)국제십진분류기호듀이십진분류기호

  • - 14 -

    01X-09X 가변길이 데이터 필드-개요085086088090

    기타 분류기호정부문서분류기호보고서번호자관 청구기호

    표목-공통사항X00X10X11X30

    개인명-개요단체명-개요회의명-개요통일표제-개요

    1XX 기본표목-개요100110111130

    기본표목-개인명기본표목-단체명기본표목-회의명기본표목-통일표제

    20X-24X 표제와 표제 관련 필드-개요210222240242243245246247

    축약표제등록표제통일표제목록작성기관에서 번역한 표제종합통일표제표제와 책임표시사항여러 형태의 표제변경전 표제나 표제변동

    250-28X 판차, 발행 등 필드-개요

    250254255256257260263264270

    판사항악보의 표현형식지도제작의 수치데이터컴퓨터파일특성제작국명발행, 배포, 간사사항발행예정일자생산, 발행, 배포, 제작, 저작권표시자료관련주소(Address)

    3XX 형태사항 등-개요

    300306307310321

    형태사항재생/연주시간이용시간현재 간행빈도이전 간행빈도

  • - 15 -

    3XX 형태사항 등-개요

    336337338340342343344345346347351352355357362377380381382383384

    내용유형매체유형수록매체유형물리적 매체 유형지리공간참조정보평면 좌표 정보사운드 특성영상자원의 영사 특성비디오 특성디지털파일 특성자료의 구조와 배열디지털 그래픽 표현보안분류 통제원작자의 배포 제어권․연차, 연월차 사항관련 언어저작의 형식저작 또는 표현형의 기타 구별 특성연주매체음악 저작번호 표시음조

    4XX 총서사항-개요440490

    총서사항/부출표목-표제총서사항

    5XX 주기-개요500501502504505506507508510511513514515516518520521522524

    일반주기합철주기학위논문주기서지 등 주기내용주기이용제한주기그래픽자료의 축척주기제작진주기인용/참고주기연주자와 배역진주기보고서 유형과 해당기간주기지리공간데이터 품질주기특수한 권차표시주기컴퓨터파일과 데이터유형주기촬영/녹음 일시와 장소주기요약 등 주기이용대상자 주기지리적 범위 주기인용한 자료에 관한 주기

  • - 16 -

    5XX 주기-개요525526530533534535536538540541542544545546547550552555556561562563565567580581583584585586588590

    부록주기학습프로그램주기이용가능한 다른 형태자료 주기복제주기원본주기원본/복제본 소재 주기기금정보주기시스템사항에 관한 주기이용과 복제 제한에 관한 주기입수처 주기저작권 관련 정보기록물의 기타 소재관계전기적 또는 역사적 데이터언어주기변경전 표제 설명 주기발행처주기개체와 속성 정보 주기누가색인/검색도구주기도큐멘테이션에 관한 정보 주기소유권 및 소장내력 주기사본/판본식별 주기제본정보 주기사례조사파일 특성 주기방법주기연관저록 설명 주기참조정보원 주기보존처리 주기(Action note)이용 누적 및 빈도주기전시 주기수상 주기기술(記述)의 정보원 주기소장본 주기

    6XX 주제명부출표목-개요600610611630648650651653654

    주제명부출표목-개인명주제명부출표목-단체명주제명부출표목-회의명주제명부출표목-통일표제주제명부출표목-시대주제명부출표목-일반주제명주제명부출표목-지명비통제 색인어주제명부출표목-패싯 주제어

  • - 17 -

    6XX 주제명부출표목-개요655656657658662

    색인어-장르/형식색인어-직업(콘텐츠 상에 나타난)색인어-기능색인어-교과과정 목표주제명부출표목-계층적 지명

    76X-78X 연관저록-개요760762765767770772773774775776777780

    상위총서저록하위총서저록원저저록번역저록보유판 및 특별호저록모체레코드저록기본자료저록구성단위저록이판저록기타형태저록동시발간저록선행저록

    785786787

    후속저록데이터의 정보원 저록비특정적 관계저록

    80X-83X 총서부출표목-개요800 총서부출표목-개인명810 총서부출표목-단체명811 총서부출표목-회의명830 총서부출표목-통일표제

    841-89X 소장, 변형문자 등 - 개요841842843844845850

    소장기관 부호화 데이터물리적 형태의 문장형 기술복제주기단위 자료명이용 및 복제에 관한 주기소장기관

    700-75X 부출표목-개요700710711720730740752753754

    부출표목-개인명부출표목-단체명부출표목-회의명부출표목-통제되지 않은 이름부출표목-통일표제부출표목-비통제 관련/분출 표제부출표목-계층적 지명컴퓨터파일로 접근하는 시스템 세목부출표목-분류학명

  • - 18 -

    852853854855856

    863864865866867868

    876877878

    880886887890

    소장위치권호명표기 및 형식-기본서지자료권호명표기 및 형식-부록권호명표기 및 형식-색인전자적 위치 및 접속

    권호 및 연대-기본서지자료권호 및 연대-부록권호 및 연대-색인문장형 소장표시-기본서지자료문장형 소장표시-부록문장형 소장표시-색인

    개별자료 식별정보-기본서지자료개별자료 식별정보-부록개별자료 식별정보-색인

    변형문자표시외국 MARC 정보 필드MARC가 아닌 필드 정보미입력문자표시

    9XX 로컬필드-개요

  • - 19 -

    3. 리 더 반복불가 필 수

    리더는 레코드의 첫 번째 필드로서, 24자(00~23)로 편성된 고정길이 필드이다. 리더는 숫자나 레코드의 처리에 필요한 매개변수(parameter)를 정의하는 부호값으로 구성된다. 부호값은 숫자와 영문소문자를 사용한다.

    리더는 표시기호, 지시기호, 식별기호를 기술하지 않으며, 각자의 위치에 의해 성격이 결정된다.

    레코드길 이

    레코드상 태

    레코드유 형

    서지수준 제어유형 문자부호화체계

    지시기호자 리 수

    식별기호자 리 수

    데 이 터기본번지

    00-04 05 06 07 08 09 10 11 12-16

    입력수준 목록기술형 식

    다권본자원의레코드수준

    엔트리맵

    17 18 19 20-23

    자수위치별 데이터요소의 적용수준은 다음과 같다.

    자수위치 자리수 데이터요소

    00-0405

    51

    레코드 길이레코드 상태

    a 기존레코드의 입력수준을 완전수준으로 올린 레코드c 수정된 레코드d 삭제되어야 할 레코드n 신규 레코드p CIP 레코드를 완전수준으로 올린 레코드

    06 1 레코드 유형a 문자자료c 필사악보 이외의 악보d 필사악보e 지도자료(구체 포함)f 필사지도g 평면영사자료i 녹음자료(음악 이외)j 녹음자료(음악)k 평면비영사자료

  • - 20 -

    자수위치 자리수 데이터요소

    06

    07

    08

    09

    101112-16

    1

    1

    1

    115

    m 전자자료o 키트p 복합자료r 입체자료(실물)t 필사문자자료w 고서

    서지수준a 모본에서 분리된 단행자료 성격의 구성요소b 모본에서 분리된 연속간행자료 성격의 구성요소c 집서(collection)d 집서의 하위단위i 갱신자료m 단행자료/단일자료s 연속간행물

    제어유형b/ 특정 유형이 아님a 문서

    문자부호화체계b/ KS X 1001a UCS/Unicodez KS X 1001, UCS/Unicode 이외의 문자부호

    지시기호 자리수식별기호 자리수데이터 기본번지

    17 1 입력수준b/ 완전수준1 완전수준이나 기존 목록을 근거로 입력한 경우2 중간수준3 간략수준4 핵심수준5 예비수준7 최소수준8 발행전수준u 미상z 적용불가

  • - 21 -

    자수위치 자리수 데이터요소

    18

    19

    20-23

    1

    1

    4

    목록기술형식b/ ISBD 형식이 아닌 것a AACR2c KCR3판 이상i ISBDk KORMARC 기술규칙u 미상

    다권본 자원의 레코드 수준b/ 세분하지 않거나 해당되지 않음a 세트(Set)b 독립표제를 지닌 부분c 종속표제를 지닌 부분

    엔트리 맵/20 필드 길이의 자리수/21 필드 시작위치의 자리수/22 실행위치의 자리수/23 미지정 엔트리맵 자리수

    / 00 - 04 레코드 길이

    레코드 길이는 5자리 숫자로 표시되며, 레코드 종단기호까지를 포함한 레코드 전체 길이를 나타낸다. 이 자리는 시스템으로 자동 생성된다.

    / 05 레코드 상태

    레코드 상태는 1자리 문자기호로 표시되며, 파일유지․갱신을 위하여 해당 레코드의 처리 및 기존레코드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a - 기존레코드의 입력수준을 완전수준으로 올린 레코드기존레코드의 입력수준(리더 17=1, 2, 3, 4, 5, 7)을 완전수준으로 올린 경우에 사용한다.

    c - 수정된 레코드입력수준(리더/17)의 변동 없이 레코드에 데이터의 추가나 변경이 이루어졌을 때 사용한다.

    d - 삭제되어야 할 레코드삭제되어야 할 레코드에 사용한다.

    n - 신규 레코드신규로 입력되는 레코드에 사용한다.

  • - 22 -

    p - CIP 레코드를 완전수준으로 올린 레코드출판예정도서목록(Cataloging in Publication: CIP)에 의해 작성된 레코드의 입력수준(리더 17=8)을 완전수준으로 올린 경우에 사용한다.

    / 06 레코드 유형

    레코드 유형의 자리 값은 콘텐츠나 자료의 다양한 형태에 따라 생성되는 MARC 레코드를 구분하는것으로 1자리 영문자로 표시되며 자료의 형태를 나타낸다. 이 부호는 레코드의 특정 데이터 요소의적합성과 유효성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마이크로자료는, 원본이든 복제물이든 관계없이 레코드 유형을 구별하는 요소가 아니며, 마이크로형태적 특성보다는 자료의 유형적 특성에 따라 코드를 기술한다. 전자자료는 특수한 전자적 정보원의 범주에 속할 때 레코드 유형의 특성에 따라 구분되며, 전자자료로서의 특성에 우선하여 자료의 유형적특성에 따라 코드를 기술한다.

    다중 서지자료의 부호 적용

    복합유형의 자료

    o (키트)p (복합자료)그 외의 부호

    - 단일체로 발행된 자료: 주가 되는 자료의 유형이 없음- 수집되어 만들어진 자료: 주가 되는 자료의 유형이 없음- 수집되어 만들어진 자료: 주가 되는 자료의 유형이 하나임

    단일유형의 자료

    o (키트), p (복합자료)를 제외한 부호

    a - 문자자료필사되지 않은 문자로 된 자료에 대한 레코드임을 의미한다. 부호 a는 원본을 복제하였거나 혹은 원래 그렇게 제작된 것인지는 관계없이 원본이 문자로 된 자료를 마이크로자료나 전자자료로제작한 자료에도 적용한다.

    c - 필사악보 이외의 악보(notated music)인쇄된 악보 또는 마이크로형태의 악보, 전자적으로 작성된 악보에 대한 레코드임을 나타낸다.

    d - 필사악보필사된 악보 또는 마이크로형태의 필사악보에 대한 레코드임을 나타낸다.

    e - 지도자료(구체 포함)필사되지 않은 지도자료나 필사되지 않은 지도자료의 마이크로형태물에 대한 레코드임을 나타낸다. 즉 필사지도나 필사지도의 마이크로 형태 이외의 지도자료에 적용된다. 이 부호는 낱장지도,지도책, 구체(지구의 등), 전자지도 등에 적용된다.

  • - 23 -

    f - 필사지도필사지도나 필사지도의 마이크로형태물에 대한 레코드임을 나타낸다.

    g - 평면영사자료영화, 비디오 녹화자료, 필름스트립, 슬라이드, 트랜스페어런시 등에 대한 레코드임을 나타낸다. 이러한 매체로 된 자료는 모두 영사하여 사용한다. 오버헤드 프로젝션용으로 만들어진 자료도 이 유형의 레코드에 포함된다. 자료 이용 시 재생장치가 필요하다.

    i - 녹음자료(음악 이외)음악 이외의 녹음자료(예: 연설)에 대한 레코드임을 나타낸다.

    j - 녹음자료(음악)음악을 녹음한 자료에 대한 레코드임을 나타낸다.

    k - 평면비영사자료평면비영사자료에 대한 레코드임을 나타낸다. 여기에는 활동카드, 그림, 도면, 드로잉, 복제화,사진, 사진인쇄, 엽서, 음화사진, 차트, 컴퓨터그래픽, 콜라주, 판화, 포스터, 플래시카드, 회화,사진제판재생 및 자료의 복제물 등이 포함된다. 자료이용 시 재생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m - 전자자료다음과 같은 전자정보에 속하는 자료의 레코드임을 나타낸다. 여기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프로그램, 게임, 폰트 포함), 수치데이터, 컴퓨터 의존형 멀티미디어, 온라인 시스템이나 서비스가포함된다. 그러나 이들 자료의 주 특성이 리더/06의 다른 부호의 값에 속하는 경우, 부호 m 대신에 그 주 특성에 해당하는 부호를 적용한다. 예컨대 지도제작상의 벡터데이터가 숫자로 부호화되지 않았다면 지도(e)를 적용한다. 다른 종류의 전자정보는 해당 자료의 주 특성(예: 문자자료, 영사자료, 지도자료, 소리, 음악, 활동영상)에 따라 부호를 부여한다. 주 특성이 불명확할경우에는 전자자료로 적용한다.

    예) 인터넷을 통해 읽는 한국사 책 (원본은 도서)리더/06 - a

    인터넷을 통해 읽는 “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발간 학술지(원본 잡지)리더/06 - a

    인터넷을 통해 듣는 “가고파” 가곡리더/06 - j

    o - 키트단일체로 발행된 자료 : 주가 되는 유형이 없음.주로 교육용으로 둘 이상의 매체로 구성되었으나 주된 매체가 없는 복합자료에 대한 레코드임을나타낸다. 주된 매체가 분명하게 나타나는 자료는 그 주된 매체에 해당하는 부호를 적용한다. 키트에는 패키지로 구성된 자료인 K-12세트와 같은 사회교육과정자료(도서, 학습장, 안내서, 활동기록장 등), 교육상의 시험패키지처럼 시험지, 답안지, 득점안내서, 점수표, 해설매뉴얼 등이 함께 들어있는 자료들이 해당된다.

  • - 24 -

    p - 복합자료 복합자료에 대한 레코드임을 나타낸다. 복합자료는 보통 한 개인이나 단체에 관한 자료를 모아형성된 컬렉션이나 개인 또는 단체에 의해 수집된 자료군으로서 두 가지 이상의 형태로 된 중요한 자료들을 말한다. 여기에는 개인문고 또는 가족문고, 일괄문서(fonds)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자료에는 손으로 직접 쓴 문서나 편지, 일기, 서류 그리고 사진 등으로 다양한 형태의 자료가 혼합되어 있다. 일괄문서 등 군집을 이루는 문서류로 된 자료들도 여기에 해당된다.

    r - 입체자료(실물)인조물인 모형, 디오라마, 게임, 퍼즐, 모의실험, 조각품, 전시품, 기계, 옷, 장난감, 수예품과표본 등의 레코드임을 나타낸다. 또한 자연에서 발견되는 견본도 포함된다.

    t - 필사문자자료필사문자자료나 필사문자자료의 마이크로형태물에 대한 레코드임을 나타낸다. 여기에는 육필원고와 같이 손으로 쓴 자료, 서류, 타이핑한 자료, 컴퓨터 출력물, 손이나 키보드로 완성되어 출력한 자료 등이 해당된다. 이들 자료는 유일하게 존재하는 것이어야 한다. 예를 들면 교정쇄와 교정지, 손으로 직접 쓴 책, 소송 서류, 출판되지 않은 학위논문이나 학술논문의 원고 등이 이에 해당된다.

    w - 고서대한제국(1910) 이전에 간인(刊印) 필사(筆寫)된 동장본(東裝本)에 적용한다. 다만 그 이후 간사(刊寫)된 것으로 장정의 형태가 동장본인 경우나, 고서의 영인본 또는 복제본인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 적용한다.

    / 07 서지수준

    서지수준은 레코드의 서지적 수준을 나타내는 1자리 영문자로 표시되며 사용되는 부호는 다음과같다.

    a - 모본에서 분리된 단행자료 성격의 구성요소물리적으로는 다른 서지단위(상위자료)에 포함되어 있으나 하나의 단행자료 성격의 서지단위로취급되는 자료에 적용한다. 기본자료에 대응하는 단행자료적인 구성요소에는 연속간행물 한 호의 기사, 도서의 한 장(章), 음반 중 한 개의 밴드, 여러 장으로 구성된 지도자료 중 한 장의 지도, 여러 프로그램의 합집에 들어있는 하나의 프로그램 등이 해당된다. 단행자료적 구성요소가적용되는 레코드의 기본자료에 관한 데이터는 773(기본자료저록) 필드에 기술한다.

    b - 모본에서 분리된 연속간행자료 성격의 구성요소물리적으로는 다른 서지단위(상위자료)에 포함되어 있으나 하나의 연속간행자료 성격의 서지단위로 취급되는 자료에 적용한다. 기본자료에 대응하는 연속간행자료적인 구성요소에는 연속간행물의 특정 기사가 정기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해당된다. 연속간행자료 성격의 구성요소가 적용되는 레코드의 기본자료에 관한 데이터는 773(기본자료저록) 필드에 기술한다.

    c - 집서(集書, collection) 원래 함께 출판, 배포, 제작되지 않은 자료를 인위적으로 모아 만들어진 다집(多集) 자료에 적용

  • - 25 -

    한다.기술되는 레코드 단위는 공통의 출처나 관리의 편리에 따라 정의되고, 그 레코드는 시스템 내에서 가장 포괄적으로 계획된 것이다.

    d - 집서의 하위단위(Subunit)집서의 일부분, 특히 시스템의 어딘가에 집합적으로 기술되어 있는 문서단위를 가리킨다. 하위단위자료는 해당자료, 폴더(folder), 박스(box), 시리즈로 된 문서, 하위단위의 컬렉션일 수도 있다. 이 부호는 하위단위자료의 레코드임을 나타내며 773(기본자료저록) 필드를 구별하는 데이터를 기술한다. 예컨대, 퐁(fonds)의 하위단위인 시리즈 단위의 자료 등에 대한 레코드를 작성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i - 갱신자료(integrating resources)분리되지 않은 채 전체 속에 통합되어 추가 또는 변경됨으로써 갱신되는 서지적 자료를 말한다.예로 가제식자료와 갱신되는 웹사이트를 들 수 있다.

    m - 단행자료/단일자료 한 권으로 완결(예: 단권본)되거나, 한정된 권호에 의해 완결되도록 계획된 자료(예: 다권본, 복수의 녹음자료)에 적용한다.

    s - 연속간행물연속하여 분리된 부분으로 계속해서 발행되는 자료를 말한다. 보통 종간을 예정하지 않고 권호표시를 지닌다. 연속간행물에는 연보, 연감, 계속 발행되는 명감(directory), 전자저널, 학술지,잡지, 연구보고서, 회의록, 회보, 총서도 포함될 수 있다.

    / 08 제어유형

    b/ - 특정 유형이 아님기술되는 해당자료에 특별히 적용되는 제어유형이 없음을 나타낸다.

    a - 문서자료가 문서기술규칙에 따라 기술되었음을 나타낸다. 이는 해당 자료간의 문맥 의존적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서지적 내용보다는 자료의 출처에 비중을 둔다. 기술부에 적용한 규칙에 대해서는 040 필드의 ▾e에 기술한다. 모든 유형의 자료가 문서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 09 문자부호화체계

    레코드에서 사용한 문자부호화체계를 나타낸다.

    b/ - KS X 1001레코드에서 사용한 문자부호가 KS X 1001(전 KS C 5601)임을 나타낸다.

  • - 26 -

    a - UCS/Unicode 레코드에서 사용한 문자부호가 UCS(Universal Coded Character Set) (ISO 10646)나UnicodeTM, Industry subset임을 나타낸다.

    z - KS X 1001, UCS/Unicode 이외의 문자부호레코드에서 사용한 문자부호가 KS X 1001 또는 Unicode 이외의 문자부호임을 나타낸다.

    / 10 지시기호 자리수

    지시기호 자리수는 1자리 숫자로 표시하며, 가변길이 데이터필드에서 사용되는 지시기호의 자리수를 나타낸다. 가변길이 데이터필드는 2자리의 지시기호를 가지므로 지시기호의 자리값은항상 2가 된다. 이 자리는 시스템으로 자동생성 할 수 있다.

    / 11 식별기호 자리수

    식별기호 자리수는 1자리 숫자로 표시하며, 가변길이 데이터필드에서 사용되는 식별기호의 자리수를 나타낸다. 식별기호는 1자리 구분기호(▾)와 1자리 데이터요소 식별기호를 가지므로 자리값은항상 2가 된다. 이 자리는 시스템으로 자동생성 할 수 있다.

    / 12 - 16 데이터 기본번지

    데이터 기본번지는 5자리 숫자로 표시하며, 제어필드의 시작위치(표시기호 001)를 나타낸다. 기본번지는 리더, 디렉토리항목에 소요된 자수, 필드종단기호를 합한 숫자가 된다. 이 자리는 시스템으로 자동생성 할 수 있다.

    [예시]리 더 24자디렉토리 180자 (디렉토리 항목이 15개인 경우)필드종단기호 1자

    00205자

    / 17 입력수준

    입력수준은 1자리 문자기호로 표시하며, 레코드의 서지정보 또는 서지레코드 내에 있는 내용의 완전성 여부를 나타낸다.

    b/ - 완전수준 (Full level)실물자료를 직접 보면서 작성한 완벽한 KORMARC 레코드일 때 사용된다.국가서지작성기관은 완전수준의 목록을 작성하므로 빈칸( b/ )을 적용한다.

    1 - 완전수준이나 기존 목록을 근거로 입력한 경우 (Full level, material not examined)완전수준에 버금가는 수준의 레코드. 레코드에 기술된 정보가 자료에 대한 현존 기술부 즉, 인쇄된 카드목록 등을 근거로 입력하는 경우임을 나타낸다. 현존하는 기술부문에 기초하여 정보를 입력하나 실제자료를 다시 조사하지 않은 것임을 나타낸다. 이는 특정 제어필드와 기타 데이터(예,043 지역부호)가 기술부에 명시되어 있는 정보만을 기초로 작성되었음을 의미한다. 주로 레코

  • - 27 -

    드의 소급 변환에 적용한다.

    2 - 중간수준(완전수준의 아래 수준으로 자료를 직접보고 작성하지 않은 경우) (Less-than-full level, material not examined)

    물리적으로 자료를 재조사하지 않고 해당자료의 현존 기술부문에서 추출한 것으로 레코드를 생성한 경우 적용한다. 이 부호는 다른 데이터 요소의 특정 부분만이 아니라 모든 기술부의 접근점이 그대로 옮겨지는 경우의 소급 변환 레코드에 주로 사용된다. 전거를 거친 표목이지만 통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3 - 간략수준 (Abbreviated level)국가차원의 최소수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간단한 레코드를 지칭한다. 레코드의 표목은 레코드가생성된 시점에서 이용 가능한 범위에서 설정된 형식을 반영할 수도 있다.

    4 - 핵심수준 (Core level)레코드가 완전수준 보다 아래이고 간략수준보다는 윗 수준으로 작성된 것으로 완전성에 대해서는 핵심수준의 기준을 충족시키는 수준을 말한다. 종합목록과 같은 특별한 사업에서 정하는 수준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적용한다. 예를 들면 KOLIS-NET 또는 OCLC, CONSER 등과 같은 특정 사업에서 정해진 수준을 만족시키는 경우로서 042 필드에는 이 기준을 인증하는 사업명을기술한다.

    5 - 예비수준 (Partial (preliminary) level)작성 중에 있는 레코드. 레코드가 최종 단계를 거친 것이 아님을 나타낸다. 표목이나 기술부의목록상태를 알 수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7 - 최소수준 (Minimal level)국가차원의 서지레코드의 명세를 충족시키는 레코드. 작성기관이 최종 단계를 거친 목록으로 간주하는 수준의 레코드이다. 표목이 전거파일에서 체크한 것이거나 채택표목이 반영된 것임을 나타낸다. (완전수준과 최소수준에 대한 기준은 “부속서 9. 표시기호별 적용수준”을 참조하시오.)

    8 - 발행전 수준 (Prepublication level)CIP 프로그램에 의해 작성된 레코드일 때 적용한다.

    u - 미상

    z - 적용불가입력 수준의 개념을 적용하지 않은 레코드임을 나타낸다.

    / 18 목록기술형식

    목록기술형식은 1자리로 표시하며 입력된 레코드가 어떤 목록기술규칙에 의하여 작성된 것인지를나타낸다. 적용 목록기술형식을 상세하게 나타내고자 하는 경우 040 필드의 ▾e(기술규칙)에 기술한다.

  • - 28 -

    b/ - ISBD 형식이 아닌 것공식적으로 ISBD의 기술법과 구두점을 따르지 않은 경우 적용한다. 여기에 해당하는 목록규칙으로는 KCR2, ALA목록규칙, AACR1 등이 있다.

    a - AACR2공식적으로 AACR2나 AACR2를 기본으로 한 목록규칙인 경우 적용한다.

    c - KCR3판 이상KCR 중 3판 이상(KCR3판, KCR4판 등)의 목록규칙을 따른 경우 적용한다.

    i - ISBD공식적으로 ISBD의 기술법과 구두점을 따른 경우 적용한다. 여기에는 다른 사항에 대한 적용규칙은 알 수 없지만 ISBD의 구두점을 적용한 경우에도 해당된다.

    k - KORMARC 기술규칙KORMARC기술규칙(단행자료, 연속간행물, 비도서자료, 고서)을 따른 경우 적용한다.

    u - 미상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받았을 때 리더/18에 적용한 목록기술형식이 나타나 있지 않은 경우 적용한다. 부호 u는 새로이 입력하거나 수정한 레코드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 19 다권본 자원의 레코드 수준

    자료가 적용되는 레코드 수준 및 레코드 종속성을 나타낸다. 서로 다른 상황의 레코드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레코드는 개별자료들로 구성된 한 세트로 기술될 수도, 한 세트의한 부분으로 기술될 수도 있다. 이러한 부분(part)은 식별 목적의 종속 표제만으로 이루어져 있을수 있고, 이 자료의 맥락(context)을 이해하기 위해선 부가 정보의 사용이 필요할 것이다.

    b/ - 세분하지 않거나 해당되지 않음레코드 수준의 구별을 하지 않거나 해당사항이 없는 자료유형일 경우에 사용한다.

    a - 세트(Set)여러 개의 개별자료들로 구성된 세트를 위한 레코드에 적용한다.

    b - 독립 표제를 지닌 부분(Part with independent title)세트의 부분이고 세트 레코드에서 독립할 수 있는 표제를 가진 자원을 위한 레코드에 적용한다.

    c - 종속 표제를 가진 부분(Part with dependent title)세트의 부분이지만 자료의 맥락(context)을 이해하기 위해서 세트 레코드에 종속되는 표제를 가진 레코드에 적용한다.

  • - 29 -

    / 20 필드길이의 자리수

    필드길이의 자리수는 1자리 숫자로 표시하며, 디렉토리에서 필드길이를 나타내는 자리수로 항상 4가 된다.

    4 - 디렉토리에서 각 필드의 길이를 표시하기 위해 할당된 자리수

    / 21 필드시작위치의 자리수

    시작위치의 자리수는 1자리 숫자로 표시하며, 디렉토리에서 각 필드 시작위치를 나타내는 자리수로항상 5가 된다.

    5 - 디렉토리에서 필드시작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할당된 자리수

    / 22 실행위치의 자리수

    실행위치의 자리수는 1자리 숫자로 표시하며, KORMARC에서는 정의되지 않았으므로 항상 0이된다.

    0 - 디렉토리에서 정의된 실행위치로 할당된 자리수

    / 23 미지정 엔트리 맵 자리수

    미지정 엔트리 맵 자리수는 1자리 숫자로 표시하며, KORMARC에서는 정의되지 않았으므로 항상0이 된다.

    0 - 미정의

    ━━━━━━━━━━━━━━━━━━━━━━━━━━━━━━━━━━━━━━━━━━━━━━

    입력 규칙

    시스템 생성

    다음의 리더 요소들은 시스템에서 기본설정 값으로 자동 생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00-04 레코드 길이

    05 레코드 상태09 문자부호화체계

    10 지시기호 자리수

    11 식별기호 자리수

    12-16 데이터 기본번지19 다권본자원의 레코드 수준

    20-23 엔트리 맵

    대소문자의 사용 - 부호로 쓰이는 영문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 - 30 -

    4. 디렉토리(Directory) 반복불가 필 수

    ■ 지시기호와 식별기호

    디렉토리는 지시기호나 식별기호를 갖지 않는다. 데이터 요소는 위치로 정의된다.

    자수위치 자리수 데이터요소

    00-02 3 표시기호03-06 4 필드길이07-11 5 필드시작위치

    ━━━━━━━━━━━━━━━━━━━━━━━━━━━━━━━━━━━━━━━━━━━━━━

    정의와 범위

    디렉토리는 리더 뒤에 나오는 것으로 어떤 필드가 어느 위치에 있으며 길이가 얼마인가를 지시해주는 데이터가 기재된다. 각 표시기호에 대해서 한 개씩의 디렉토리 항목(Directory Entries)이만들어지며 이 디렉토리 항목은 표시기호, 필드길이, 필드시작위치 세 부분으로 편성된다. 디렉토리 항목은 12자리를 한 단위로 하며, 한 레코드에서 디렉토리 항목의 수는 입력된 표시기호 수와동일하다. 디렉토리는 시스템이 자동 생성하는데, 자신의 표시기호, 지시기호, 식별기호를 갖지 않으며 끝에는 필드종단기호(ASCII 1E16)를 갖는다.

    ━━━━━━━━━━━━━━━━━━━━━━━━━━━━━━━━━━━━━━━━━━━━━━

    적용지침

    / 00 - 02 표시기호

    표시기호는 3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며, 각 가변길이필드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 03 - 06 필드길이

    필드길이는 4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며 해당 가변길이필드의 길이를 나타낸다. 필드길이에는 해당필드의 지시기호, 식별기호, 데이터 및 필드 종단기호가 포함한다.

    / 07 - 11 필드시작위치

    필드시작위치는 5자리 숫자로 표시하며, 해당 필드가 데이터 기본번지(리더 12-16)로부터 시작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 - 31 -

    【예시】디렉토리항목 표시기호 필드길이 시작위치

    항목1 001 0013 00000항목2 005 0015 00013항목3 008 0041 00028항목4 040 0019 00069… … … …

  • - 32 -

    5. 00X 제어필드 - 개요

    001 제어번호 [반복불가]

    003 제어번호 식별기호 [반복불가]

    005 최종 처리일시 [반복불가]

    006 부호화정보필드-부가적 자료특성 [반복]

    007 형태기술필드 [반복]

    008 부호화정보필드 [반복불가]

    ━━━━━━━━━━━━━━━━━━━━━━━━━━━━━━━━━━━━━━━━━━━━━━

    정의와 범위

    표시기호 001부터 009까지 해당되며, 제어번호와 최종처리일시, 형태기술필드, 부호화정보필드가 포함된다. 제어필드에는 지시기호와 식별기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제어필드에는 기계가 읽을 수 있는 서지레코드의 처리에 필요한 제어번호와 다른 종류의 제어 및부호화된 정보를 기술한다.

    다양한 부호로 되어 있는 고정길이필드에 있어서 각 데이터 요소는 자리별로 정의되어 있다.데이터 요소별 상세 설명은 해당 필드에서 볼 수 있다.

    009 필드는 각 기관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정되어 있으며 이 문헌에서는 기술하지않는다.

  • - 33 -

    001 제어번호(Control Number) 반복불가 필 수

    정의와 범위

    이 필드는 레코드를 작성, 사용, 또는 배포하는 기관에 의해 부여된 제어번호를 기술한다. 교환을 목적으로 할 때에는 교환을 주도하는 기관에서 제어번호의 구조와 입력 규칙에 관한 설명서를상대기관에 제공해야 한다.

    001 필드에 나타나는 시스템 제어번호가 어느 기관의 것인지 구별하기 위해 003(제어번호식별기호) 필드에 해당 부호를 기술한다. 레코드를 받는 기관은 001 필드에 기록된 제어번호(003필드의 제어번호 확인부호와 함께)를 010(미국국회도서관 제어번호), 012(국립중앙도서관 제어번호),035(협력기관 제어번호) 중 해당필드로 옮기고 자관의 제어번호를 이 필드에 입력할 수 있다.제어번호는 그 레코드에 대한 으뜸키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 필드에서는 지시기호나 식별기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예시】001 KMO199200234b/b/003 011001

    001 DM199154245100003 101113012 KDM199154245b/b/

    ━━━━━━━━━━━━━━━━━━━━━━━━━━━━━━━━━━━━━━━━━━━━━━

    입력 규칙

    001 필드는 일반적으로 시스템에서 생성된다.

  • - 34 -

    003 제어번호 식별기호(Control Number Identifier) 반복불가 필 수

    정의와 범위

    이 필드는 001(제어번호) 필드에서 제시된 시스템 제어번호를 부여한 기관의 부호를 기술한다. 국내도서관의 경우에는 “부속서 7. 한국도서관부호표”의 해당부호를 기술하고 서지유틸리티를 포함한 외국의 도서관의 경우에는 그 기관명 부호를 MARC Code List for Organizations(www.loc.gov/marc/organizations/)에 의거하여 기술한다.

    001 필드의 기호들이 바뀔 때마다 기관들은 003 필드의 도서관부호가 001 필드의 번호로 적용되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이 필드에서는 지시기호나 식별기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예시】001 b/880524405b/b/003 DLC

    001 b/b/b/86104385b/003 OCoLC

    ━━━━━━━━━━━━━━━━━━━━━━━━━━━━━━━━━━━━━━━━━━━━━━

    입력 규칙

    003 필드는 일반적으로 시스템에서 생성된다.

  • - 35 -

    005 최종처리일시(Date and Time of Latest Transaction) 반복불가 필 수

    정의와 범위

    가장 최근에 발생한 레코드 내의 데이터 변경일시를 14자리로 기술한다.일자는 8자리의 숫자로 yyyymmdd(4자리는 년, 2자리는 월, 2자리는 일)형식으로 표시하고,

    시간은 6자리의 숫자로 hhmmss(2자리는 시, 2자리는 분, 2자리는 초)형식으로 표시한다. 시간의표시는 00부터 23까지를 사용한다.최초 레코드 입력일자는 008/00-05필드에 기술하며 변경되지 않는다.이 필드에서는 지시기호나 식별기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예시】005 19990501141236

    [1999년 5월 1일 오후 2시 12분 36초]

    ━━━━━━━━━━━━━━━━━━━━━━━━━━━━━━━━━━━━━━━━━━━━━━

    입력 규칙

    005 필드는 레코드 상에 최신으로 처리된 날짜와 시간을 시스템에서 자동 생성한다.

  • - 36 -

    006 부호화정보필드-부가적 자료 특성 반 복 재 량

    (Fixed-Length Data Elements-Additional Material Characteristics)

    이 필드는 14자리(00-13)로 구성되며, 입력 대상자료가 다중의 특성을 가지거나 딸림자료가 있는 경우, 이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한다.첫 번째 자리(00)에는 형태가 다른 자료나 딸림자료의 자료형태를 표시하고, 01-13 자리에는

    표시기호 008의 18-25, 29-31, 33-34 자리의 내용을 표시한다.이 필드에서는 지시기호나 식별기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006 필드 문자위치

    도서

    00

    01-04050607-080910111213

    자료형태(Form of material)a 문자자료t 필사문자자료

    삽화표시이용대상자 수준개별자료 형태(Form of item)내용형식회의간행물기념논문집색인문학형식전기

    전자자료

    00

    01-040506070809-13

    자료형태(Form of material)m 전자자료

    미정의이용대상자 수준개별자료 형태(Form of item)미정의전자자료의 유형미정의

  • - 37 -

    지도자료

    00

    01-0405-06070809101112-13

    자료형태(Form of material)e 지도자료f 필사지도

    모형도도법미정의지도자료의 유형개별자료 형태(Form of item)미정의색인형태상의 특징

    음악/녹음자료

    00

    01-020304050607-080910-111213

    자료형태(Form of material)c 필사악보 이외의 악보d 필사악보i 녹음자료(음악 이외)j 녹음자료(음악)작곡형식악보형식음악 파트보(Music parts)이용대상자 수준개별자료 형태(Form of item)딸림자료미정의녹음자료의 내용조옮김 및 편곡미정의

    계속자료00

    01020304050607-080910-111213

    자료형태(Form of material)s 연속간행물/갱신자료

    간행빈도정규성미정의계속자료의 유형원자료의 발간형식개별자료 형태(Form of item)내용형식회의간행물미정의표제의 언어표제ㆍ기본표목 변경 시 레코드 생성 방식

  • - 38 -

    시청각자료

    00

    01-03040506-080910-111213

    자료형태(Form of material)g 평면영사자료k 평면비영사자료o 키트r 입체자료(실물)

    영화나 비디오 녹화자료의 상영시간미정의이용대상자 수준미정의개별자료 형태(Form of item)미정의시청각자료의 유형기술수준

    고서

    00

    01020304050607-0809-111213

    자료형태(Form of material)w 고서

    삽화표시광곽사경 및 사본의 계선판구어미개별자료 형태(Form of item)내용형식판종문학형식전기

    복합자료

    00

    01-050607-13

    자료형태(Form of material)p 복합자료

    미정의개별자료 형태(Form of item)미정의

  • - 39 -

    ━━━━━━━━━━━━━━━━━━━━━━━━━━━━━━━━━━━━━━━━━━━━━━

    정의와 범위

    이 필드는 14자리(00-13)로 구성되며, 008(부호화정보필드) 필드에서 부호화되지 못하는 자료

    의 특정 정보를 부호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자료의 형식이 다양할 때 이에 관한 정보를 기술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로 인쇄자료에 연속적으로 발행되는 지도나 카세트테이프가 함께 있는 경

    우, 008 필드는 반복 사용할 수 없으므로 주된 자료의 유형을 008 필드에 적용하고 부가되어 있

    는 자료에 대한 형식은 006 필드에 적용한다.

    또한 전자자료이지만 리더/06에서 m(전자자료)이 아닌 다른 부호가 적용된 경우, 해당자료의

    전자자료적인 특성을 006 필드에 적용한다. 006 필드에 정의된 고정길이 데이터 요소는 008 필드

    의 데이터 요소에 상응하며 검색과 데이터 관리 목적으로 유용하게 쓰인다.

    이 필드는 일반적인 나무 구조(generic tree structure)로 되어 있으며, 006/00(자료유형)의

    부호 값에 따라 그 다음 자리들의 데이터요소가 결정된다. 006 필드에서 s(연속간행물/갱신자료)를

    제외한 006/00의 부호는 리더/06(레코드 유형) 부호와 상응한다. 006 필드의 자수위치

    01-13에 정의된 부호들도 008(부호화정보필드)의 자수위치 008의 18-25, 29-31, 33-34에 정

    의된 부호와 같다.

    ━━━━━━━━━━━━━━━━━━━━━━━━━━━━━━━━━━━━━━━━━━━━━━

    적용지침

    006 필드의 데이터 요소들은 자리에 따라서 정의된다. 자수위치 00은 자료형태를 나타낸다. 채

    움문자(|)는 이 자리에 사용할 수 없다. 채움문자(|)는 다른 문자자리에 부호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적용한다.

    이 단원에서는 00 자리만 기술한다. 다른 자수위치들은 다음의 008 필드(고정길이 데이터 요소)에

    기술되어 있다. 006 필드의 자수위치 01-13에 기술되는 내용은 008 필드의 자수위치 18-25,

    29-31, 33-34와 관련되어 있다. 006/00(자료형태) 부호와 008 필드의 상대적인 배치는 다음과

    같다. 006 필드와 008 필드는 한 저작에 관한 서지적 정보를 기술하는 것인 반면에 007 필드는

    해당자료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기술하는 것인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006 필드는 주로 연

    속간행물이나 멀티미디어에 사용된다.

  • - 40 -

    006/00 자료 형태 008/18-25, 29-31, 33-34의 상대적인 배치

    a 문자자료 도서

    c 필사악보 이외의 악보 음악/녹음자료(악보포함)

    d 필사악보 음악/녹음자료(악보포함)

    e 지도자료 지도자료

    f 필사지도 지도자료

    g 평면영사자료 시청각자료

    i 녹음자료(음악 이외) 음악/녹음자료(악보포함)

    j 녹음자료(음악) 음악/녹음자료(악보포함)

    k 평면비영사자료 시청각자료m 전자자료 전자자료o 키트 시청각자료p 복합자료 복합자료

    r 입체자료(실물) 시청각자료

    s 연속간행물/갱신자료 계속자료

    t 필사문자자료 도서

    w 고서 고서

    ■ 006/00에 사용되는 부호들

    a - 문자자료부호 a는 006 필드의 내용이 연속간행물 이외의 문자자료에 대한 데이터 요소임을 나타낸다.

    c - 필사악보 이외의 악보부호 c는 006 필드의 내용이 필사악보 이외의 악보에 대한 데이터임을 나타낸다.

    d - 필사악보부호 d는 006 필드의 내용이 필사(筆寫)악보에 대한 데이터임을 나타낸다.

    e - 지도자료부호 e는 006 필드의 내용이 필사(筆寫)지도 이외의 지도자료에 대한 데이터임을 나타낸다.

    f - 필사지도부호 f는 006 필드의 내용이 필사(筆寫)된 지도자료에 대한 데이터임을 나타낸다.

    g - 평면영사자료부호 g는 006 필드의 내용이 영사자료에 대한 데이터임을 나타낸다.

    i - 녹음자료 (음악 이외)부호 i는 006 필드의 내용이 녹음자료(음악 이외)에 대한 데이터임을 나타낸다.

    j - 녹음자료 (음악)부호 j는 006 필드의 내용이 녹음자료(음악) 데이터임을 나타낸다.

    k - 평면비영사자료부호 k는 006 필드의 내용이 평면비영사자료에 대한 데이터임을 나타낸다.

    m - 전자자료부호 m은 006 필드의 내용이 전자자료에 대한 데이터임을 나타낸다.

  • - 41 -

    o - 키트부호 o는 006 필드의 내용이 키트에 대한 데이터임을 나타낸다.

    p - 복합자료부호 p는 006 필드의 내용이 복합자료에 대한 데이터임을 나타낸다.

    r - 입체자료(실물)부호 r은 006 필드의 내용이 입체자료 및 실물자료에 대한 데이터임을 나타낸다.

    s - 연속간행물/갱신자료부호 s는 인쇄매체가 아닌 연속성을 가진 자료의 데이터임을 나타낸다. 연속성을 지닌인쇄자료는 008 필드를 적용한다.

    t - 필사문자자료부호 t는 006 필드의 내용이 필사문자자료와 관련된 데이터임을 나타낸다.

    w - 고서부호 w는 006 필드의 내용이 고서에 대한 데이터임을 나타낸다.

    ━━━━━━━━━━━━━━━━━━━━━━━━━━━━━━━━━━━━━━━━━━━━━━

    입력 규칙

    대소문자의 사용 - 부호로 쓰이는 영문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 - 42 -

    007 형태기술필드(Physical Description Fixed Field) 반 복 재 량

    형태기술필드는 자료의 형태사항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부호로 제시하기 위한 필드이다. 자료형태에따라 그 길이가 2자리부터 23자리까지의 각기 다른 고정길이 필드로 구성되는데, 그 길이는 007 필드의 첫 번째 자리(자료범주)에 의해 정해진다.

    이 필드에서는 지시기호나 식별기호를 사용하지 않으며, 자료의 자수위치별 데이터요소는 다음과 같다.

    지도자료 (007/00 = a) 촉감자료 (007/00 = f)

    0001020304050607

    자료범주표시특정자료종별미정의색채물리적 매체복제유형제작/복제내용감광상태

    00010203-040506-0809

    자료범주표시특정자료종별미정의점자표기의 유형축약 수준점자악보 형식형태적 특징

    전자자료 (007/00 = c) 평면영사자료 (007/00 = g)

    00010203040506-080910111213

    자료범주표시특정자료종별미정의색채규격음향이미지의 비트 깊이파일 형식의 종수품질보증지표원시자료의 정보원압축수준재포맷의 품질

    000102030405060708

    자료범주표시특정자료종별미정의색채감광유제음향 유무음향수록 매체필름의 폭틀의 재질

    구체 (007/00 = d) 마이크로자료 (007/00 = h)

    000102030405

    자료범주표시특정자료종별미정의색채물리적 매체복제유형

    00010203040506-0809101112

    자료범주표시특정자료종별미정의감광상태규격축소비율의 범위축소비율색채감광유제복제단계필름의 기본재료

  • - 43 -

    평면비영사자료 (007/00 = k)0001

    0001020304050607080910111213

    0001

    000102030405060708

    0001

    0001

    악보 (007/00 = q)자료범주표시특정자료종별

    녹음자료 (007/00 = s)자료범주표시특정자료종별미정의속도녹음재생형태음구의 폭/높이크기테이프 폭테이프 트랙의 수음반, 실린더, 테이프의 종류재질음구의 깎임 종류특수재생장치특성녹음/저장(capture)기법

    문자자료 (007/00 = t)자료범주표시특정자료종별

    비디오녹화자료 (007/00 = v)자료범주표시특정자료종별미정의색채비디오 녹화형식음향 유무음향수록 매체필름의 폭음향의 재생상태

    키트 (007/00 = y)자료범주표시특정자료종별

    형태를 구분할 수 없는 자료 (007/00 = z)자료범주표시특정자료종별

    000102030405

    자료범주표시특정자료종별미정의색채기본재료틀의 재질

    영화 (007/00 = m)000102030405060708091011121314151617-22

    0001

    자료범주표시특정자료종별미정의색채스크린 형태음향 유무음향수록 매체필름의 폭음향의 재생상태제작요소감광상태복제단계필름의 기본재료색채의 범주다채색 인화유형변질상태필름의 완전성필름검사일자

    고서 (007/00 = o)자료범주표시특정자료종별

    원격탐사도 (007/00 = r)00010203040506070809-10

    자료범주표시특정자료종별미정의탐사기 고도탐사기 각도구름 비율탑재기 유형탑재기 이용 범주탐사기 유형데이터 유형

  • - 44 -

    정의와 범위

    이 필드는 해당자료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상세 정보를 부호형태로 기술한다. 정보에는 딸림자료 같은, 자료의 일부분이나 전체가 나타날 수도 있다. 물리적 특성은 한 레코드 내의 다른 부문에 있는 정보 특히, 300(형태사항) 필드나 5XX(주기사항) 필드와 관련이 있다.

    007 필드는 일반적인 나무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007/00(자료범주)에서 부여된 부호는 그 다음입력해야 할 각 자리 값의 데이터 요소를 결정한다.

    ━━━━━━━━━━━━━━━━━━━━━━━━━━━━━━━━━━━━━━━━━━━━━━━

    적용지침

    007 필드의 데이터 요소는 위치로서 결정되고, 007/00에 기술되는 부호에 따라 007 필드의 하위의 데이터 요소 값이 결정된다. 00의 자리는 자료범주를 식별하는 부호를 기술한다.

    개개 자료의 범주에 대한 007 필드의 나무 구조는 한정된 길이를 가지며, 이 필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모든 자리가 나타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007 필드는 동화상자료와 전자자료의 경우처럼 필드 길이가 다를 수 있다.

    007 필드는 각각 정의 내려진 기본 부호자리와 기본 세트 뒤에 확장 세트가 올 수 있다. 예로 동화상자료의 경우 여덟 개의 자리(007/00-07)로 기술되는 기본 세트가 항상 사용되지만 사용 기관에 따라 007/08에서 007/22 자리까지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확장세트의 자리를 부호화하는 기관에서는 확장 세트를 설정하였지만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이를 모두 채움부호(|)로 표시하여야 한다. 그러나007/00의 자리에는 채움부호를 사용할 수 없다.

    다음 리스트는 나무 구조의 하위 자리수에 적용할 값을 결정하는 007/00(자료의 범주)의 부호를나타낸다. 기타 자리에 대한 정의와 범주는 다음에 열거된 자료범주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한다. 하나의 007 필드는 하나의 특정범주자료에만 부여된다.

    007/00 자료범주

    a 지도c 전자자료d 구체f 촉감자료g 평면영사자료h 마이크로자료k 평면비영사자료m 영화

    o 고서q 악보r 원격탐사도s 녹음자료t 문자자료v 비디오녹화자료y 키트z 형태를 구분할 수 없는 자료

  • - 45 -

    ■ 007/00의 부호

    a - 지도자료구체자료를 제외한 모든 지도자료에 대하여 사용한다.

    c - 전자자료기술대상자료가 컴퓨터에 의해 사용되거나 처리되도록 만들어진 매체를 포함한 자료임을 나타낸다.

    d - 구체기술대상자료가 통상 지구의 또는 천구(天球)와 같이 구체의 표면에 묘사되어 있는 자료임을나타낸다.

    f - 촉감자료기술대상자료가 촉감으로 읽고 해석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자료임을 나타낸다. 점자악보를포함한다.

    g - 평면영사자료기술대상자료가 필름스트립, 슬라이드, 엑스레이물을 포함한 투명자료와 같이 광학기기를 통해 동적인 화면 없이 영사되어 평면에 영사되는 자료임을 나타낸다.

    h - 마이크로자료기술대상자료가 마이크로자료임을 나타낸다. 마이크로자료는 축소이미지를 지닌 투명하거나불투명한 매체를 지칭하는 범용성 있는 용어이다. 축소이미지는 아파츄어카드 또는 마이크로피시, 마이크로필름, 마이크로오패크 및 기타 마이크로형태에 기술된 원문 또는 그림, 컴퓨터출력물의 한 단위(예, 한 페이지)를 말한다. 축소이미지는 너무 작아서 확대기 없이는 읽을수 없다.마이크로자료는 이미 존재하는 원본 또는 그림자료의 복제물이거나 처음부터 마이크로자료로출판된 것도 있다.

    k - 평면비영사자료기술대상자료가 평면비영사 그래픽자료임을 나타낸다. 이들 자료는 그림, 인쇄된 사진, 도안처럼 불투명하거나 투명하거나 일반적으로 이차원 그림으로 표현된 자료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네가티브 원화와 같이 비추어 보는 것이 아닌 자료이다.

    m - 영화기술대상자료가 영화임을 나타낸다. 영화는 사운드의 유무와 관계없이 동작의 시각적 효과를만들기 위해 빠르게 투영되도록 만들어진 필름 상의 연속적인 정지화상이다.

    o - 고서기술대상자료가 고서로서 현대식 장정형태가 아닌 동장본(東裝本), 족자 등의 장정형태를 지니고 있음을 나타낸다.

  • - 46 -

    q - 악보 기술대상자료가 음표로 쓰여 있는 악보임을 나타낸다. 악보는 인쇄되었거나 디지털화되었거나 음악작품을 재표현한 것이나 그래픽으로 된 것을 모두 포함한다. 여기에는 음악적인 총보및 일부 악보, 도식적인 표현물, 태블러처악보(奏法譜), 음악적인 법칙과 상식에서 벗어난 우연성 작곡(chance compositions), 악보를 기록해 둔 노트, klavirskribo, 성가 악보 모음,중세의 악보인 네우마(neumes), 성, 기타 사성(四聲)으로 구성된 음악 소리를 표현한 것들즉, 음의 고저, 음량, 음색, 소리의 세기의 표현 등을 포함한다. 기보(記譜)된 악보는 음악작품을 어떻게 소리로 표현할 것인지에 대한 연주가와의 의사소통 수단이다. 점자악보는 007필드의 촉감자료(007/00)의 “f”를 적용한다.

    r - 원격탐사도기술대상자료가 원격탐사도 또는 원격탐사 지도임을 나타낸다. 이는 탐사대상 물체에 물리적또는 직접 접촉하지 않는 기록장치에 의해 생산된 이미지이다.

    s - 녹음자료기술대상자료가 녹음자료임을 나타낸다. 여기에는 소리가 재생될 수 있도록 음의 진동이 기록된 디스크, 테이프, 필름, 실린더, 와이어와 같은 자료가 해당된다. 또한 종이에 새긴 바늘구멍에 의해 곡이 연주되도록 되어 있는 페이퍼롤(paper roll)도 해당된다.

    t - 문자자료기술대상자료가 도서, 팜플렛, 인쇄물 등과 같이 인쇄되었거나 손으로 직접 쓴 것으로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자료임을 나타낸다.

    v - 비디오녹화자료기술대상자료가 비디오녹화자료임을 나타낸다. 이들 자료는 보통 시각적인 이미지가 소리와함께 움직이는 형태로 기록되어 있는 자료로서 텔레비전을 통해 재생되도록 제작된다.

    y - 키트기술대상자료가 키트임을 나타낸다. 키트는 여러 자료가 하나의 자료를 이루어 구성된 것으로서 주로 교육용으로 사용된다. 구성체의 여러 자료는 그 구성체를 대표할 수 있는 정도의우선적으로 취급할 자료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는 사회교육용 교육자료 세트와 같이교재, 학습장, 안내서, 활동기록장 등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자료나 시험지, 답안지, 평가지침, 점수표, 해설자료 등이 하나의 패키지를 이루어 만들어진 교육용 테스트자료들이 이에해당된다.

    z - 형태를 구분할 수 없는 자료기술대상자료가 007 필드의 부호 중 하나로 식별되지 않는 자료이거나 다중매체로 되어 있

    어 특별히 표현될 수 없는 경우의 자료임을 나타낸다.

  • - 47 -

    ━━━━━━━━━━━━━━━━━━━━━━━━━━━━━━━━━━━━━━━━━━━━━━━

    입력 규칙

    반복성 - 007 필드는 같은 목록레코드로 물리적인 형태가 다른 것을 필드를 반복 사용하여 기술할 수있다. 예를 들면 U-matic, Beta, VHS 형식으로 사용될 수 있는 비디오카세트를 기술하는 레코드에서는 세 개의 007 필드를 가지게 된다. 이 경우, 각 007 필드는 동일한 범주의 구조를 가지나 자료의 형식이 다르므로 다른 값을 가지게 된다. 목록대상자료가 지도, 카세트, 필름스트립이 함께 있는키트와 같이 자료의 범주가 다른 것이 구성체를 이룬 자료의 경우, 키트를 구성하는 각 자료의 범주를나타내는 007 필드를 반복하여 갖게 된다. 만약 목록작성기관이 007 필드를 분리하여 입력하지 않기로 결정하였다면 007/00-01에 “zm”을 사용할 수 있다. 1자리에 하나 이상의 값을 적용해야 할 경우,추가로 007 필드를 사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300 b/b/▾a지도 1매, 전망도 1매 :▾b천연색 ;▾c45 x 78 cm, 30 x 60 cm007 ajb/canzn [종이로 된 색채 지도]007 ayb/canzn [종이로 된 색채 전망도]

    대소문자의 사용 - 007 필드에서 부호로 쓰이는 영문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 - 48 -

    007 자수위치별 종합 리스트

    다음의 리스트는 자리수의 순서로 전체 007 필드의 데이터 요소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각각의자리수와 유효 값(V)으로 표시한 자료 범주 이름의 관계를 표시한 것이다.

    자수위치

    데이터 요소자 료 범 주 별 유효 값

    a c d f g h k m o q r s t v y z

    00 자료범주표시 V V V V V V V V V V V V V V V V

    01 특정자료종별 V V V V V V V V V V V V V V V V

    02 미정의 V V V V V V V V ․ ․ V V ․ V ․ ․

    0303030303

    색채점자표기의 유형 (부호1)감광상태탐사기 고도속도

    V․․․․

    V․․․․

    V․․․․

    ․V․․․

    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