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에서 담도계의 해부학척 분지상...7_ in t-tube cholangiogram,、 t he...

8
Vol.XV, No.2 , 197 9 - Abstract - Radiologica1 Evaluation of Anatomica1 Biliary Arborization in Korean M.S. Kim , M. D. , K.O. Choe , M.D. , and C. Y. Park , M.D. Departm ent of Radiology and Nuclear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coul , Korea Th e Radiological analysis in norm al and variat ions of h epa tic du ct system were performed on the 154 'cases of surgically ex plored biliary disease pati e nt s from january , 1973 to December , 1977 for 5 years at Yonsei University Hospita l. The analytic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tube cholangiogram , norm a l var iations , of intrahe patic d uc t by OHTO class ifi cat ion , the most common type was type 1 ('66_3 %) and type 11 (7 .8 %), typ e 111 (1. 3%), t ype IV (7_8 %), type V (10 .4%) and other type (6 .4%). 2. The high est incidence of age gro up was 41-50 years (27%), yet more tha n 75% cases were belong to the g roup after t hird de cade. According to sex in cide nce , the female was slight ly prevalent than male. 3. The causative diseases of 154 ana lyzed cases are , diseases of calc ulus ; 118 cases, congenital ano malies; 6 cases, neop lasm of biliary syst em; 6 cases , and parasitic diseases; 19 cases_ 4. The T-tube cholangiogra m was perf ormed in 70% within 8-14 days after b ili ary operatio n. In chola ngiogram , aver age diam eter of C BD was measured 1.52cm during operation and was measured 1. 39cm after ope r atio n. 5_ Among 118 cases of b il iary dise ases associat ed with biliary duct stones , intrahepatic duct st ones were about 5 percent and left intrahepati c sto nes were prevalent than right intrahepat ic sto nes. 6. In oral or I. V. Cholangiogram prior to ope rat ion (87 cases f rom 1 54 cases ), of each nonvisualiza- tion of gall bladder a nd CBD was 37 cases and 27 cases , were we ll vis ua li zed in gall bladder and CBD was 18 cases , a nd gall bladder and CBD sto nes were dete ctable in 18 cases. 7_ In T-tube t he prominent findings were d il ated biliary tree , norm al biliary tree , chola ngiti c pattern , and residual stones in the intrahepat ic and CBD in order of frequency. 1. J , ( ERCJ , - 434 -

Upload: others

Post on 16-Jul-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한국인에서 담도계의 해부학척 분지상...7_ In T-tube cholangiogram,、 t he prominent findings were dilated biliary tree, normal biliary tree, cholangitic pattern,

大韓放射線짧學會옮、 Vol.XV, No.2 , 1979

- Abstract -

한국인에서 담도계의 해부학척 분지상

연세대 학교 의과대학 방사선파학교실

김명순 · 초|규옥 · 박창윤

Radiologica1 Evaluation of Anatomica1 Biliary Arborization in Korean

M.S. Kim , M.D., K.O. Choe, M.D. , and C. Y. Park , M.D.

Departm‘ent of Radiology and Nuclear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coul, Korea

The Radiological analysis in norm al and var iations of hepa tic du ct system were performed on the

154 'cases of surgically ex plored biliary disease patie nts from january , 1973 to December, 1977 for

5 years at Yonsei University Hospita l.

The analytic results are as follows:

1 . In T-tube cholangiogram , norma l var iations , of intrahe patic d uc t by OHTO class ifi cat ion , the

most common type was type 1 ('66_3 %) and type 11 (7 .8%), typ e 111 (1. 3%), type IV (7_8%),

type V (10 .4%) and other type (6 .4%).

2. The highest incidence of age g ro up was 41-50 years (2 7% ), yet more than 75% cases were belong

to the group after t hird decade. According to sex in cidence , the female was slightly prevalent

t han male .

3. The causative diseases of 154 analyzed cases are , diseases of calculus ; 118 cases, conge nital

ano malies; 6 cases, neop lasm of biliary system; 6 cases, an d parasitic diseases; 19 cases_

4. The T-tube cholangiogram was pe rformed in 70% within 8-14 days after b iliary operation. In

cholangiogram , average diam eter of CBD was measured 1.52cm during operation and was measured

1.39cm after operatio n.

5 _ Among 118 cases of b il iary dise ases associated with biliary duct stones, intrahepatic duct stones

were about 5 percent and left intrahepati c stones were prevalen t than right intrahepat ic stones.

6. In oral or I. V. Cho langiogram prior to ope rat ion (87 cases from 154 cases), of each nonvisualiza­

tion of gall bladder and CBD was 37 cases and 27 cases, were we ll vis uali zed in gall bladder and

CBD was 18 cases, and gall bladder and CBD stones were detectable in 18 cases.

7_ In T-tube cholangiogram ,、 t he prominent findings were d ilated bilia ry tree , no rm al biliary t ree,

cholangiti c pattern , and residual stones in the intrahepatic and CBD in order of frequency.

1. 서 료르 은 간단한 것으로 알려 지고 있마 2.3)

이 런 담도계 의 조영 을 위해서는 경 정액 암도조영 술,경

깐내 담도계의 분지상에 대해 Ohto 1 ) 는 마섯가지 유 피경간 담도조영 술 ( PTC J , 내시경 역행성 당관조영술

형으로 분류한 바 있A며, 비교적 잔내 담도계의 분지상 ( ERCJ , 경 T-판 담도조영술 등이 이용되고 있마.

본 논운은 1978 년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연쿠비에 의 그러나 경 T- 판 담도 조영술은 수술중 상업한 T - 판

하여 이루어졌음. 을 통해 수술후 외부와 당도 누공 유무 , T- 관과 배 액

- 434 -

Page 2: 한국인에서 담도계의 해부학척 분지상...7_ In T-tube cholangiogram,、 t he prominent findings were dilated biliary tree, normal biliary tree, cholangitic pattern,

판의 개통 유무‘ 당도계내 잔류암석 유무등을 보기 위해 사진을 찍고, 필요에 따라 측연 사진도 찍고, 약 15분

중요한 방사선학적 검사이며, 아울러 암도계의 해부학적 후에 지연사진을 찍었마.

분지상과 변화 또힌 선영히 알 수 있마.

저자들은 최근 5년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

란스영원에 당도계 질환으로 입원하여 수술을 받은 후

3 질환열 분류

외과적 담도계 질환으로 수숨을 받은 총 1 5 4예에 대

정 T. 판 담도 조영술을 시행후 임상기록과 방사신학적 한 분류는 결석을 동반한 경우가 118예로 제일 많았고

소견을 얻을 수 있었던 1 54여l 에 대하여 한국인에서의 당도내 가생충 마입증 19 예 , 그리고 선천성 당도계 가

담도계 분지의 양상을 관찰하고 또 당도계 질환의 해부 형 및 담도계 종양이 각각 6예씩 있었마(Tab l e 2)

학적 호발부위를 분석하여 보고하는 바이 마. 종 11 8예의 결석을 동반한 환자중 총수담판과 당닝써l

R 연구대상및방법

1. 연구대상

197 3 년 l 월 l 일 부터 1977 년 12월 31 일 까지 만 5

년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영원에 담도계

질환으로 입원하여 수솔후 담도계 질환으로 진단을 받은

후, 경 T - 판 담도 조영술을 시행하였고, 입상기록과 방

사선 기록을 얻을 수 있었던 총 1 5 4예를 연구대상으로하

였다.

총 154예 중 성 별 분포는 여 자가 89예 (58%) .남자가

65예 (42 %)였으며 , 연령 옐 분포는 40대와 5 0대에 각

각 41 예( 27%) 와 45예( 29 % ) 로 40. 50 대에 많은

분포를 보여 담도계 질환은 40 . 50대에서 여자에 약간

많았다(Ta bl e 1).

Table 1. Age & Sex distributions.

Years No. of Cases

Male Femal Total ( % )

1 -v 10 2 (1)

11 -v 20 5 ( 3 ) 0 5

21 -v 30 12 (8) 3 9

3 1 -v 40 22 (1 4 ) 11 11

41 -v 50 41 (2 7) 18 23

5 1 -v 60 45 (29) 19 26

61 -v 70 23 (1 5 ) 12 11

71 -v 80 4 (3 ) 3

Total 154 ( 10 0) 65 89

2 . 검 사 방법

T- 판을 통한 담도조영 술을 시행 하기 1 2 시간천에 옴

밖에 있는 고우판을 겸자시 킨 후 , 환자를 앙와위로 누

인 후에 . T-판끝에있는 고무관에 조영제가 들어있는

주사기 를 끼 운 후, 총 조영제 25~30cc 를 약 5 cc

썩 주입하면서 전후연 , 양측 사위연 그러고 마λ1 천후연

- 435 -

결 석 을 가진 경우가 각각 79예와 72 예 였으며, 깐내

결석은 좌측간내 (24예)에 발생한 경우가 우측간내( 15

예)에 발생한결석보마 많았다(Tab le 3) ‘

D isease ( or Ca use s)

Tabl e 2. lncidence of Contributing Diseases.

No.of Cases

L Congenital a nomalies(6 cases)

Biliary atresia

C hol edochal cyst

2. Infla mmatory diseases S

stones( 24 cases)

Chronic cholecystitis

Bile peri tonitis

Bi liary cirrhosis

Pancreatitis

3. Calculous disease (1l8 cases)

G. B. only

C I3 D only

IHD only

G. B. + CBD

G.B. 十 IHD

G. B. + CBD + IHD

CBD + IHD

4. Parasi t es (1 9 cases)

Ascari s

Clonorchiasis

F asio la Hepaticus

Pin wa rm

5. Trauma (6 cases)

Hemobilia

Postop. biliary strictur e

6. Tumors(6 cases )

Ampullary Ca.

Ca. of cystic duct

Ca. of G. B.

Ca. of CBD

2

4

rhV

끼J

4‘

1lA

1lA

Q“

ζu ‘4

ζu -­

qJ

1A

Q“ gu

14

2

4

3

Page 3: 한국인에서 담도계의 해부학척 분지상...7_ In T-tube cholangiogram,、 t he prominent findings were dilated biliary tree, normal biliary tree, cholangitic pattern,

Tabl e 3. Frequency of biliary duct Calcul i on Table 4. Normal Variations of Major Hepatic

Oral G. B. , IVC, Op-cholangiogram & Bile Ducts (by 0 h to Classification).

Surgical Evaluations.

(Total: 118 cases)

Locations No. of Cases

Rt. IHD 15 IHD

Lt. IHD 24

CBD 79

G. B. 72

담도계 기형 6예중 선천성 담도폐쇄가 2예였고 모

두 하부 총수당판에 폐쇄가 있었으며, 당관낭종( Chole -

dochal cy st ) 이 4예 있 었 마.

담도계 종양 6예 중 3예는 총수당판에 생긴 선암이었

고 , 담냥에 생긴 선암, 팽 대 부 종양 . 그리고 담낭의 낭

포판에 생 긴 포도상 육종 (botryoid sarcoma) 이 각각 l

예씩이였고, 소아에 서 생긴 포도상 육종 이외는 50 대

이 후에 답도계 종양이 생겼고, 낭자에서 호발했 다.

m. 성 적

1. 간내 담도계의 변화

간내 당도계의 맘도죠영술상 나타난 분포를 Ohto 1 )분

류에 의해 분류했으며 (Fig. 1). 저자들의 경우 I 형이

102 예( 66.3 %) 로 대부분을 차지했요며, n , m ,lV 그리

고 V형 이 각각 1 2 예 ( 7.8 %) , 2 예( 1. 3 %) , 12예 ( 7 .8

%) , 그리고 16 예 (10.4 %) 를 보였고 Ohto 분류에 속하

지 않윤 형이 10 예 (6. 4 %)이었다 (Tó. b le 4)(Fig. 2

-7) .

2 . 경 T- 관 담도촬영 일

수술후 시행하는 경 T.판 담도조영술은 보통 수술후

5-8일 사이에 시행하는 것으로 되어있으며 4.5 ) 이유는

외과적으로 손상을 업은 간담즙성계의 부분적인 회복을

위해서이며, 저자들의 경우는 수술후 8- 14 일 사이에

시행한 경우가 108예( 70 %) 로 가장 많이 시행했으며 ,

7 일 이 내에 시행한 정우가 35예 (22.7%) 였으며, 처l 일

빨리 시행한 정우는 수술후 6 일째 였마.

3 . 방사선학적 소견

CD 갱 구적 혹은 정 정 액 담도 • 담낭조영 촬영 수솔천 시행한 경구적 혹은 경정 액 담도 • 담낭 조영

소견 ( 87 에 )은 당낭과 총수당판이 보이 지 않은 경우가 각

- 4 36 -

Type No. of Cases ( % )

102 (6 6. 3)

n 12 (7 . 8)

m 2 (1 . 3)

W 12 (7.8)

V 16 (1 0. 4)

Others 10 (604)

Total 154 (1 00.0)

T abl e 5. Findings of Ora l or 1. V. Cholang io g ­ram before Operation(87 cases)

Findings NO.of Cases

G.B. 18 We l1 visual iza t ion

CBD 18

G.B. 20 F aint visualization

CBD 24

G. B. 37 N on-visuali zatio n

CBD 28

G. B. 18 Sto nes

CBD 6

Par asi te s (Asc aris) 2

Table 6. Findings of Postop. T-tube Cho langi ­ogram (154 cases).

Findings NO.of Cases

No rm al 2

7

4

A4i

1lA

n/

i

Residual IHD* stones Rt. IHD

L t. IHD

Residual CHD ** stones

Residual CBD ~' ** stones 26

Leakage 6

Residual di l atation of bi l iary duct 95

Intralu mi nal fill in g defect 7

Narrowing or scarring of biliary duct 20

Cho langitic pattern 40

Ascaris 5

*IHD: Intr ahepatic duct ** CHD: Common hep atic duct

***CBD : Common bile duct

Page 4: 한국인에서 담도계의 해부학척 분지상...7_ In T-tube cholangiogram,、 t he prominent findings were dilated biliary tree, normal biliary tree, cholangitic pattern,

N. 1.6% 32% 1.6%

v

Fig . 1. oh to 에 의 한 간내 당판으l 분지 상의 분류.

I 형 우측간판의 전분지 가 우측간판을 형 성 하는 아래 m형 : 우측잔관의 후분지 가 좌측간판에 결합하는 형 .

에 서 후분지 와 결 함하며 , 우측간판은 좌측간 판 W형 : 우측간판의 전분지 가 좌측간판에 결 합하는 형 .

과 결합한 형 v 형 간우엽으로 부터 부속지가 담판과 결합하는 형

R 형 : 우측간판의 전분지 가 좌우측간판의 분지 에 서 결

항하는 형

각 37 에 와 27 에 , 희 이 하게 조영 펀 경 우가 20 예 와 24

에 , 결석 을 보인 경우가 각각 18 에썩, 당도내 회충미업

을보안경우가 2 에 있었다(Tabl e 5).

@ 경 T 판 담도촬영

수술후 시행한 경 T- 판 담도 조영술은 천혜( 1 54예)에

서 시행했으며 , 소견으로는 수술후도 확장된 당도계가

95예로 제일 않았고 , 이외 도 정 상 담도계를 보인 경우

가 40예 , 총수담판에 잔류 담석이 보인 경 우 26예 였고,

간내 잔류암석을 보인 정우는 우측에서 17예 , 좌측에 서

24예를 보였으며 , 간내 잔류담석을 보인예 와 수슐중 시

행한 담도촬영 시 보인 당석의 예 가 같은 이 유는 수술중

시행한 담도촬영은 흔히 질이 충분히 좋지 뭇하기 때문

에 결석을 말견하지 뭇한 경우가 상당례 있었기 때 문인

것으로 보인다 ( Table 6).

@ 총수암판 직경

수술중( 89 예 )과 수술후(15 4예) 시행한 담도 조영슐

에서 총수암관의 직경은 lO mm 이내 가 수술중에는 30예

(33.3%) , 수술후에논 44 예 (28 .6 %)로 대부분정상보

마 확장돼 있응을 판창할 수 있었고 , 수술중에 총수담판

이 정상인 경우는 담도 조영술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가

상당수 있었으며 , 평균 직 경은 수술중이 1. 52 cm, 수술

껴 I

q 1 A 4 ‘

우측간판. 2 좌측깐판. 3 전분지

지 5 내측분지. 6 측면분지-

4 →ξ a ' -r τr

Table 7. CBD diameter ( during & after opera -

ti o n ).

Diameter ( cm ) During (%) After (%)

o -v 1.0 30 (33 . 3) 44 ( 28.6)

1 . 1γ1.4 19 (2 1 . 1) 48 ( 3 1. 2)

1. 5 -v 1 .7 15 ( 16 .7) 22 ( 14 . 3)

1. 8 -v 2 . 0 7 (7 .8) 22 ( 14. 3)

2 . 1 -v 2 .4 8 ( 8.9 ) 11 (7. 1)

2.5 -v 2 . 8 6 (6 . 4) 4 ( 2 . 6)

2 . 9 -v 4 (4.4) (0.6)

Not check 2 ( 1. 3)

Tota! 89 ( 100.0) 1 5 4 ( 100 . 0 )

후가 1. 39 cm으로 수숭후가 약간 확장된 직정 이 줄었마.

그러나 적경 측정시 환자와 필럼 거리에 의한 확대는

고려 하지 않았다(Tabl e 7).

IV_ 고 찰

정 상인에 있어 답도계의 주행 망향과 분포에는 여러

Page 5: 한국인에서 담도계의 해부학척 분지상...7_ In T-tube cholangiogram,、 t he prominent findings were dilated biliary tree, normal biliary tree, cholangitic pattern,

Fig.2. Type 1 with filling defect in CBD.

Fig.3 . Type II without filling defec t.

개 의 해 부학적 변화가 있으나 , 전후연 사진상 좌우측 간

관은 보통 결합하는 점 ( principal j unction ) 에서 둔각을

형성하며, 마수에 있어서 우엽의 전분지 (Ant erior bran­

ch) 와 후분지 (poste rior bran ch )는 결합하는 점 앞에서

결함한마 1 ) 그러나 담도계의 기 형이 가끔 발견되므로

Tabri sky6) 등은 담도계와 이 의 변화에 대 한 해 부학적

분지상의 지식은 방사선과 의사와 외과의사에게 기형으

로 분포된 판이 수술풍 본의 아니 게 절단시 담도누공을

피 하기 위 해 중요하다 했 £며 . S hoemaker 7) 냐 Neuhof 8

등운 수술중 담도조영 술의 필요성 을 강조하-고 있 마.

Fig.4. Type 1H

Fig. 5. Type N

되는 외부와 담도누공이 있는지.@ 수술후 황달의 원인

이 무엇안지.@ 수술로 담도계내 결석을 모두 제거했

는지.@) 폐쇄성 취장엽 이 없어졌는지 . @ 배액판( Dr a­

inage tube) 의 개 통( patency ) 과 잘 삽입 되 어 있는지 등

을 알기위해 중요한 방사선학적 검사이 다 4 )

경 T- 판 답도 조영숭상 나타난 간내 담판의 분지상은

O hto 1) 분류에 의 해 분류했 으며 ( Fig. 1 ). 즉 l 형은 우측 깐판의 전분지가 우측간판을 형성 하는 아래에서 후

분지와 결합하며 , 우측간관은 좌측간판과 결함한것. n 특히 수술후 경 T- 판 담도 조영술의 잇점운 @ 계속 형운 우측간판의 전분지 가 좌우측 간판의 분지에서 결함

- 08 -

Page 6: 한국인에서 담도계의 해부학척 분지상...7_ In T-tube cholangiogram,、 t he prominent findings were dilated biliary tree, normal biliary tree, cholangitic pattern,

Fig. 6. Type V

Fig.7. Other typ e( Multiple intrahepatic duct )

하는형 , m 형은 우측깐판의 후분지가 좌측간판에 결합하

는 형 • lV 형 은 우측간판의 전분지 가 좌측간판에 결합하

는 형 이 고. V 형 은 깐우엽 으로 부터 부속지 ( Accessory

branch ) 가 당판과 결합하는 형 으로 분류했 으며 , 저 자을

의 경우에는 l 형이 102예 (66 . 3 % ) 로 대부분을 차지했

으역 , Ohto 분류에 속하지 않은 형이 10 예( 6 . 4 % ) 있

었 는데 이 는 다말성 간내 담판을 가진 경 우였으며. 저자

들의 결과는 Oht o 분류에 비해 IV 형이 좀 많았으며 • 1

형 파 1I 형 이 마소 적은펀 이 었다.

Beaver 9 ) 도 Ohto 분류의 V 형에서 보이는 부속지를

기술했으며 , 부속지는 간의 우옥에서만 말견됐으나.Be

aver 가 처음으로 좌측에서도 판찰하였으여 , 부속지 가

8 .7 % 였마고 보고하고 있마. 또한 J ohn s ton & An son

10) 에 의하연 부속지가 31 %냐 있었마고 보고했으며 ,

E isendr a th ll ) 0 % , Rug e l2 ) 26% , Mentzer 131 10 %.

Thomp son l41 6 % , Michels l5 ) 1 8 % 플 각각 보고하고

있으며 , Ohto 는 4.6 % 를 보고하고 있으나 , 저자들의

’경우는 10.4 %를 나타내 저자마다 혹운 인종아마 각각

차이가 있는 듯하다.

총수암판의 분포에 대해서는 좌우간판의 접합정 이 간

내에서 혹은 간외 (外)에서 형성되느냐에 대해 여러 의

견이 있으냐 , Thompson 14 ) 운 인체의 검시상 94 % 가간

외형성이라 했고 , ]ohnston 1 0 1 등은 94 . 3 %에서 깐외에

서 형성된다고 보고해 대부분이 간외에서 형성되는 것으

로 보고하고 있으냐, 저자들의 경우는 겸시가 아니고 당

도겨1 조영술。 l므로 확실한 우분이 되지 않았다.

담도계 질환중에서 가장 많운 것은 결석을 동반한 것

이역 16 - 1 81 저자들의 경우도 동일한 양상을 보였고, 연

‘ 령별 빈도에 있어서 구미 문헌에 의하연 50대 이후 60

대에 서 가장 높은 벤도릎 보이며 연령의 증가와 더불어

발생 빈도가 증가된다고 하였 마 19) 그러 나 閔 20) 羅 21)

등은 40 대 에서 가장 높은 발생반도를 냐타낸다고 하였

으며 , 저자들의 경 우도 40 대와 50 대에 가장 높운 빈도

를 냐타냈다.

성별 빈도에서 구미에서는 1 : 2 내지 1: 4로 여자에

훨씬 많다고 하였고 18 , 221 ’ 羅 211 는 1 : 1. 5 로 여지에 많

마고 보고했으며 , 저자들의 경우에는 여자에서 약간 높

은 벤도를 냐타냈마.

질환옐(원인별) 분류를 보연 결석을 동반하지 않은담

도계의 염 증성 질환은 24예 ( 16 % ) , 결 석 을 동만한 경

우가 11 8예( 76 % ) 였 다. 특히 결 석중 간내 결석은 미국

과 유럽 인에 서는 애 우 도물게 보고펀마고 Wen 23 ) 등 은

보고하고 있으며 , 동아시 아인 특히 Hong Kong 사랑에 서 . 높은 번도를 보인마고 보고하고 있다 천례중 담도 기

생충층은 1 9예 ( 12 .3%) 로 金 241 ’ 閔 20) 등파 <1 ) 숫하였

고 , 회 충이 간 담도 흉충증보다 훨씬 많았다. 이외도 암

도계 가형이 6 혜( 4 %) 있었으역 , 이 는 金24 1 이 보고한

것과 비 숫하며 , 담도계 종양도 6예 ( 4 %) 있었 마.

또한 해 부학적 으로는 좌측간판이 우측간판보마 걸이

가 더 걸고 더 예 각을 이 루며 잔외 로 더 걸 게 뻗 어 있

기에 잔내결석중 좌측간판에 결석 이 많이 생 긴다고 Fe­

rri s 2), Wen 23 ) 등이 보고하고 있으며 , 저 자들의 경 우도

좌측간판내 결석이 24예로 우측간관내 결석 15예 보다

높은 언도를 보였마 Best잉)는 깐내결석에 대해 여러

보고자들의 데이타를 종합한 결과 간내결석 이 담도쳐l 결

석중 7.4 % 라고 보고하고 있으며 Wen 23 ) 은 7.7 % ( 동

아시아인에 서)를 보고하고 있으나 , 저자들의 정 우는 전

처l 담도계 결석중 약 5% 를 보여 주었고 , 특히 총수담

n ” ι

q u

A 4 ‘

Page 7: 한국인에서 담도계의 해부학척 분지상...7_ In T-tube cholangiogram,、 t he prominent findings were dilated biliary tree, normal biliary tree, cholangitic pattern,

판에 결석이 있을때 간내 결석이 많이 유발했다.

수술전 시행한 청구 혹은 경정액 담낭· 담도 조영 의

방사선학적 소견(총 87예)은, 결석이 보인 경우가 24 예

( 27.6%) 였 A며 • 담낭과 총수 담판이 각각 조영 되 지 않

았던 경우가 37 예 (42.5 %)와 27예 (3 1. 0%) 였고, 또

한 찰 보인 경우가 각각 18예 (20 .7 %) 씩 였£냐, 이는

金 24 ) 金 26) 등이 보고한 것 보마 훨씬 좋은 결과였다.

정 T- 판 담도조영술은 전례에서 시행했으며 방사선학

적 소견2..로는 정상소견을 나타낸 예가 42예( 27.3%) ,

확장된 당도계가 95예 (6 1. 7%)로제일 않았으며, 담도

영 유형 을 보인 경 우 40예 ( 25.9%), 회 충마 업 이 5 예

( 3.2%) 있었고, 잔류 당석이 간내에 있었던 정우가 25

예( 16.2 %), 총수당판에 있었던 경우가 26예( 16 .8%)

로 金찍’ l4.4% , Smith 27 ) 6.7% , Glen“2) 7 % , Jo -

hsto~28J ' 8 % , Thomson 29 ) 11 % , 羅 21> 10 .5% 에 비

해 저자들의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펀이었다. 그러고

stern 3 ) 등윤 갱 T - 판 담도 조영술시 반드시 측면 사진

을 찍으으로 해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보고하

고 있으역 , 저자들은 필요에 따라 측연 사진을 찍었었

다.

총수암관의 직정에 대해서는 Margulis 5 ) 는 총수당판

이 암낭절개후 확장되는 것은 혜로는 담도계내 증가된

앙력을 암시하냐, 이러한 총수담판의 수술후 확장운 물

제일 않았고, 성별로는 여자에 약간 많았마.

3. 당도계 질환의 원인별 분류를 보연, 결석을 동반

한 정우가 118예로 셰일 많았고, 이외도 선천성 담도계

기형과 당도계 종양도 각각 6 예, 담도내 기생충미 엽이

19예냐 되었 다.

4. 경 T- 판 담도 조영술은 담도계 수솔후 8-14 일

사이에 70% 의 환자에서 시행 하였다.

5. 총 118예의 결석을 동반한 담도계 질환 환자중

간내결석은 약 5% 였고, 좌측깐내에 많이 호말했다.

6. 수솔천 시행한 경구적 혹은 경정액담도 • 당낭조

영 소견은 총 87예에서 시행했고, 당낭과 총수담판이

보이지 않았던 정우가 각각 37 예와 27예였으며, 잘보

인 경우가각각 18예 였 A며, 당도내 회충 pl 업을보인경

우 2예, 결석을 보인 경우가 18예 였마.

7. 수술후 시행한 경 T- 판 담도조영술상 총 154 예

중 확정된 담도계가 95예로 제일 많았고, 이외도 당판

염 유형이 40예, 총수담판과 간내 잔류 담석이 있었던

경 우가 각각 26예와 25예 였 다.

8. 수술중과 수술후 시행한 담도조영술에서 해부학적

총수담판의 x-선상 직경은 수술중이 평균 1. 52cm , 수

술후가 1. 39 cm 로 차이 가 있었마.

리적인 폐쇄가 수술로 제거펀 후 조차 담도계가 정 상 REFERENCES

직정으로 돌아오지 않을 수 있기에 수술시 측정한 것과

비 교해 야만 한마고 했 £며 , 수술후 총수담판의 직 경 은 1. Okuda, K. and lio , M. Radio/ogical aspects of the

Margulis 는 20- , Lusted30 ) 30mm , 그리 고 Weis 31J 는 liver and biliary tract, 7st, ed. pp. 89-704, Year Book

19mm 까지 정 상벙 위 라 했으나, 저 자들의 정 우, 수술중과 Medical publishers, Inc. , Chicago, 7976.

수술후 시행한 당도조영술상 총수당판 직경이 10""" 이 2. Ferris, E.j ., jolio, j ., Shapiro , j.H. and Byrne , j.j. :

내 인 격우가 수술중에는 30예 (33 . 3 % ) , 수술후에는 44 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giogram: A.j. R. , 92:

예 (28 .6 %)로 대부분윤 lO mm 이상 확장된 정우였으냐 77 37, 7964.

이는 수술중과 수술후 시행 한 예 가 숫적 £로 차이 가 있 3. Stern , W.Z. , Schein , c. j. and jacobson , H.G. The

고, 또 수술중에 총수당관의 직경 이 정 상이거 나 결석 이 Signiηicance of the lateral view in T-tube cholangio-

없다고 판단시에 는 담도 초영술을 상당수에서 시행치 않 graphy. A.j.R. 87: 764, 7962.

했 기 에 수술중과 수술후에 펴 센 트에 차이 가 있으나, 수 4. Hicken , N.F. , McAllister, A.j. Franz , B. and Crowder ,

술후에 는 직 경 이 대 부분 줄었ξ나 정 상법 위를 넘 었 다 E. Technic, i’'ndications and vlaue of post-perative

V. 결 론

cholangiography. Arch, Surg. 60: 7702, 7950.

5. Margulis, A.R. and Burhenne, H. j. : Alimentary tract

roentgenology. 3rd ed., pp. 7303-7335. The C. B.

1. 간내 담도계 의 당도조영 술상 냐타난 분표를 Ohto Mosby Company, Saint Louis, 7973.

분류에 의해 분류하면, 1 형이 66 . 3%( 102/ 154) 로 제 6. Tabrisky , J. and P이 lack, E. L. : The aberrant divisional

일 많았고. ll ,lII ,lV 그리 고 V 형아 각각 7 .8 %( 12/ 154) bile duct, Rad. 99: 537, 79 77.

1. 3 %(2/ 154) , 7.8%( 12/154) 그리고 10.4%( 16/ 7. Shoemarker , LC.P. An extrahepatic biliary tract

154 ) 를 보였고, Ohto 분류에 속하지 않운 형 이 6.4 % anomaly, Am. j. Surg. 727: 747, 7977.

(10/154) 였 다 8. Neuhof, H. and Bloomfied , S. The surgical signifi-

2. 연령옐 분포는 40 대와 50 대에 56 %( 86/154}로 cance of an anomalous cholecystohepatic duct, Ann.

- 440 -

Page 8: 한국인에서 담도계의 해부학척 분지상...7_ In T-tube cholangiogram,、 t he prominent findings were dilated biliary tree, normal biliary tree, cholangitic pattern,

Surg. , 722: 260, 7945. ι

9. Beaver, M.G. Variations in the extrahepatic bi/iary

ηact, Arch. Surg., 79: 237, 7929.

10. johnston, E. V. and Anson , B.j . Variations in the

formation and Vascu/ar re/ationships of the bi/e ducts, Surg. Gynec, and Obst., 94: 669, 7952.

11. Eisendrath, D.N. Operative injury of the common

and hepatic ti/e duct, Surg., Gynec and Obstet., 37:

7, 7920.

12. Ruge: Quoted by Beaver9•

13. Mentzer, 5.H. Anoma/ous bi/e ducts in man.

j.A.M.A ., 93: 7273, 7929.

14. Thompson : Quoted by johnston and Anson lO .

15. Michels, N.A. The hepatic, Cystic and retroducena/

arteries and their re/ations to the bi/iary ducts. Ann.

Surg., 733: 503, 7957.

16. Inge lifinger, F.j. Oigestive disease as nationa/ pro-

b/em. ι Ga// stone gastroente r% gy 55: 702, 7968.

17. Kakos, G.B., Tompkins, P.K., Turnispsed, W. and

Zollinger, R.N. Operative Cho/angiography during

routine cho/ecystectomy. Arch. Surg. , 704: 4848, 7972.

18. Adems, R. and 5tranahan , A. Cho/ecystitis and

cho/e/ithiasis An ana/ysis report of 7704 operative

Coses, S.G.O., 85-776, 7947.

19. 5chwartz, 5. 1. Ga// b/adder and extrahepatic biliary

syste, princip/e of surgery. Schwartz, p. 7227, 7974.

20. 민병철 외 2 인 : 한국인 당도질환에 판하여 . 대한외

과학회지 . 8: 93 , 1966.

21.나성균외 4 인:한국인 성 안의 비악성 당도계 질환

에 대한 임상척 고활( 236 례). 대한외과학회지 16

: 625 , 1974 .

:2 2. Glenn, F. CBO exp/oration for stones, S.G.O., 95:

437, 7952.

23. Wen, C.C. and Lee, H.C. /ntraheptic stonesj A.

Clinicalstudy, Ann. Surg., 799: 76κ 7972.

24. 검현호 : 외과척 담도계 철환에 대한 입상척 고활. 대

한외과학회지. 17: 63 , 1975.

25. Best, R. R. The incidence of /iver stones associated

with Cho/e/ithiasis and its c/inica/significance, S.G.O., 78: 425, 7944.

26. 검용성 외 4 인 : 외과척 당도계 질환의 임상적 고활,

대한외과학회지. 19: 9, 1977.

27. 5mith , et al. Prob/ems of retained and recurrent

CBO stones, j.A.M.A. 764: 237, 7957.

28. johnston, E.D. et al. Residua/ stone in the CBO.

Ann. Surg., 739: 293, 7954.

29. Thmson, F.B. : Residua/ stone in biliary duct, S.G.O., 703: 78, 7956.

30. Lusted, L. B. and Keats, T. E. A t/as of roentgeno-

graphic measurement, 3rd, ed. pp. 237. Year Book

Medica/ Pub/ishers, 7972.

31. Weis, R.E. and 0 Brien, R.G. : /nterpretation of the

/. V. cho/angiogram, j.A.M.A. 760: 879, 7956.

- 4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