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서비스업고용의 특징과개선방안 한국 서비스업... ·...

74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목차 요약 Ⅰ. 서비스업 고용의 중요성 Ⅱ.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거시적 특징 Ⅲ. 5大 서비스업 고용의 국제비교 Ⅳ. 개선방안 2009. 10. 29. 작성 : 김범식 수석연구원 손민중 연구원(3780-8235) [email protected] 박준 수석연구원(3780-8526) [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21-Mar-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특징과 개선방안

    목차

    요약

    Ⅰ. 서비스업 고용의 중요성

    Ⅱ.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거시적 특징

    Ⅲ. 5大 서비스업 고용의 국제비교

    Ⅳ. 개선방안

    2009. 10. 29.

    작성 : 김범식 수석연구원

    손민중 연구원(3780-8235)[email protected]박준 수석연구원(3780-8526)[email protected]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 Executive Summary 》

    서비스업 고용창출이 일자리 창출의 해법

    한국경제의 일자리 창출력이 지속적으로 약화되고 있다. 2007년 전 산업의 취업유

    발계수는 13.9명으로 2000년(18.1명)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고, 취업자의 장기

    추세치 증가율도 1980년대 2.6%에서 1990년대 1.8%, 2000년 이후는 1.3%로 하락했

    다. 일자리 창출력 약화는 단순히 경기침체에 따른 노동수요 위축 뿐 아니라 산업구

    조의 변화 등 구조적 문제가 작용하고 있으며, 특히 제조업에서 심각한 실정이다. 제

    조업의 고용창출력 약화, 경제의 서비스화 진전, 고령화 추이, 삶의 질에 대한 욕구

    등을 고려할 때, 향후 일자리 창출의 돌파구는 서비스업에서 모색할 필요가 있다.

    한국 서비스업의 낮은 부가가치 창출력이 가장 큰 문제

    한국 서비스업의 고용비중은 66.7%(2007년)로 OECD 30개국 중 20위로 중하위권 수

    준이다. 현재 소득수준에서 본 서비스업 고용수준은 낮은 수준은 아니지만, 소득수준과

    서비스업 고용비중 간 관계식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 향후 소득수준 향상에 따라

    서비스업 고용비중은 더 확대될 전망이다. 반면 한국 서비스업의 부가가치 창출력은

    매우 저조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2007년 한국 서비스업의 인당

    실질부가가치(PPP기준)는 35,000달러로 OECD 30개국 중 28위에 불과하다. 따라서 향

    후 서비스업 고용관련 정책은 부가가치 창출력 강화에 초점을 맞추면서 소득수준 향상

    에 맞게 양적 확대를 모색하는데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업종별 맞춤형 전략이 필요

    OECD 국가를 대상으로 5대 서비스업종(도소매ㆍ음식숙박, 금융․보험, 통신, 사업

    서비스, 사회서비스 등)을 분석한 결과, 한국은 통신서비스만 高고용․高부가가치 유형

    에 속하고, 도소매․음식숙박과 금융․보험은 低고용․低부가가치 유형에 속했으며, 사

    업서비스와 사회서비스는 高고용․低부가가치 유형에 속했다. 한국 서비스업의 高고

    용․高부가가치화를 위해서는 업종별 맞춤형 전략이 요구된다. 도소매ㆍ음식숙박업은

    투자확대를 유인하기 위한 실천적 대안이 시급하고, 금융업은 규제완화와 전문인력 양

    성으로 경쟁력을 강화하여 해외시장에 진출해야 한다. 사업서비스는 중소제조업-연구

    기관-사업서비스가 연계된 IT 및 녹색산업 클러스터를 육성해 시장을 확대해야 한다.

    또한 민간 고용서비스업도 규제완화를 통해 대형화를 촉진할 필요가 있다. 사회서비스

    업은 규제완화와 저소득층의 사회서비스 이용 지원을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 사회서비

    스 가격규제 완화는 저소득층에 부담이 되지 않도록 보완책과 병행해 추진되어야 한

    다. 또한 파트타임, 유연근무시간제 등 근로형태의 다양화로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을 촉

    진하고 이를 통해 파생되는 보육, 가사도우미 서비스 등에 대한 수요도 진작해야 한다.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1

    Ⅰ. 서비스업 고용의 중요성

    일자리 창출력 약화는 추세적 현상

    □ 2007년 중 全산업의 취업계수(산출액 10억 원 당 소요되는 취업자 수)와

    취업유발계수1)는 각각 8.2명, 13.9명으로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

    - 산업별 취업계수의 경우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하락했으나 제조업이

    서비스업보다 빠른 속도로 하락

    ․2000∼2007년 중 제조업과 서비스업 취업계수의 연평균 증가율은 각각

    -5.3%와 -3.1%

    ․제조업의 고용창출력은 미국, 일본, 독일 등 주요국과 비교하여도 열위

    주요국의 제조업 취업계수(단위: 명/100만 US달러)

    한국(2007년) 미국(2006년) 일본(2007년) 독일(2007년) 이탈리아(2007년)

    3.2 3.9 3.4 3.7 3.1

    자료 : 한국은행 (2009. 7. 7.), “2007년 고용표로 본 우리나라의 고용구조 및 노동연관효과

    - 2007년 제조업의 취업유발계수도 9.2명으로 서비스업(18.1명)에 비해 낮음

    산업별 취업계수 추이 산업별 취업유발계수 추이

    자료 : 한국은행 (2009. 07. 07.), “2007년 고용표로 본 우리나라의 고용구조 및 노동연관효과

    1) 특정 산업부문에 대한 최종수요가 10억 원 발생할 경우 해당 산업을 포함한 전 산업에서 직․간접적으

    로 유발되는 취업자 수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2

    □ 취업자의 장기 추세치 증가율도 과거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일 뿐 아니라

    2002년 이후에는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

    - 취업자의 장기 추세치 증가율 : 3.81%(1970년대) → 2.60%(1980년대) →

    1.81%(1990년대) → 1.31%(2000년 이후)

    - 특히 2009년 1∼6월 현재 취업자의 장기 추세치 증가율은 0.81%까지

    하락하였는데, 이는 2000년 이후 최고치(1.73%)의 약 1/2 수준

    취업자의 장기 추세치 증가율

    주: 1960년대 이후 전 산업 분기별 취업자 수를 U.S. Census Bureau의 X12-ARIMA로

    계절조정 후 HP 필터를 이용해 구한 분기별 취업자 추세치를 연간으로 환산

    □ 일자리 창출력 약화는 단순히 경기침체에 따른 노동수요 위축 뿐 아니라

    산업구조의 변화 등 구조적 문제가 작용

    - 산업구조의 변화 등으로 인해 고용창출 측면에서 제조업의 역할이 크게

    축소

    ․제조업의 경우 자본집약적․노동절약형 생산방식의 확산과 노동집약적

    업종의 해외이전 등이 확산되면서 제조업의 고용흡수력이 크게 약화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3

    - 특히 수출이 한국경제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나 부품소재 등 중간재의

    높은 수입의존도 등으로 인해 수출의 고용유발효과도 과거에 비해 약화

    ․수출의 취업유발계수는 9.4명으로 2000년 대비 38.6%나 하락

    일자리 부진은 특히 제조업에서 심각

    □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지속되고 있는 2009년 상반기 중 일자리 감소는

    대다수 업종에서 발생하고 있으나, 특히 제조업의 고용위축이 심각

    - 2009년 상반기 중 제조업의 일자리는 전년동기 대비 15.7만 명 감소해

    전체 일자리 감소 폭(14만 명)을 상회

    - 건설업의 일자리도 동 기간 중 전년동기 대비 7.9만 명 감소하고,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은 전년동기 대비 0.5만 명 소폭 증가

    산업별 일자리 증감(2009년 1∼6월 기준)

    주: 서비스업은 도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 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기타서비스업 등을 지칭

    자료: 통계청, KOSIS DB.

    □ 이에 비해 서비스업 일자리는 2009년 상반기 중 전년동기 대비 9.6만 명

    늘어나 전체 일자리 감소의 완충 역할을 수행

    - 서비스업 내에서는 도소매, 음식․숙박, 운수․통신․금융 등은 부진한

    반면, 사업․개인․공공서비스 등이 일자리 창출을 주도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4

    2009년 상반기 중 주요 서비스업종의 일자리 증감폭

    서비스업 계 사업․개인․공공서비스 도소매 운수․통신․금융 음식․숙박

    9.6만 명 28.8만 명 -4.5만 명 -6.7만 명 -8.1만 명

    자료: 통계청, KOSIS DB.

    이제는 서비스업에서 일자리 창출의 해법을 찾아야 할 시점

    □ 제조업의 고용창출력 약화, 경제의 서비스화 진전, 고령화 추이, 삶의 질에

    대한 욕구 등을 고려할 때, 향후 일자리 창출의 돌파구는 서비스업에서

    모색할 필요

    - 현재 한국경제는 서비스화와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 중

    ․서비스산업의 경상GDP 내 비중: 46.7%(1995년) → 51.2%(2000년) →

    54.2%(2008년)

    ․노령화지수(65세 이상 인구/0~14세 인구): 47.3%(2005년)→ 59.3%(2008년)

    → 67.7%(2010년)→ 94.8%(2015년)

    - 서비스업의 취업유발계수가 제조업의 약 2배에 해당하는 점을 고려할 때,

    서비스부문에서 일자리 창출의 해법을 심도 있게 검토할 필요

    □ 본보고서의 목적은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한 다음,

    서비스업 고용의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에 있음

    - 첫째, 양적, 질적 측면에서 서비스업 고용의 거시적 특징을 분석

    - 둘째, 국제비교 등을 통해 도소매․음식․숙박, 통신, 금융․보험, 사업서

    비스, 사회서비스 등 한국의 대표적인 5大 서비스업의 구조적인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

    - 셋째, 5大 서비스업종별로 외국의 고용활성화 사례를 분석한 후, 한국의

    서비스업 고용에 유용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5

    Ⅱ.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거시적 특징

    1. 量的 측면

    제조업을 상회하는 서비스업의 고용증가율과 고용비중

    □ 지난 20여 년간 서비스업은 제조업의 고용증가율을 상회하는 높은 고용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한국경제의 일자리 창출을 주도

    - 1990년 이후 서비스업의 고용증가율이 제조업을 하회한 경우는 2000년

    단 한 차례뿐

    ․2000년의 서비스업과 제조업의 고용증가율은 각각 4.5%와 6.6%

    - 1990∼2008년 중 서비스업의 고용증가율은 연평균 3.7%로 제조업(-0.9%)과

    全 산업(1.6%)의 고용증가율을 상회

    서비스업과 제조업의 고용증가율 추이

    자료: 통계청, KOSIS DB.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6

    □ 서비스업 고용이 전체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08년 현재 67.3%로

    1990년(46.7%) 대비 1.4배 확대

    - 이는 동 기간 중 서비스업 고용비중이 매년 1.1%p씩 상승했다는 것을 의미

    - 특히 서비스업의 고용비중은 제조업과 달리 1988년(44.5%) 이래 한 번도

    감소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확대

    ․반면, 제조업의 고용비중은 1989년(27.8%)을 정점으로 점진적으로 축소

    되는 추세(2008년 현재 17.3%)

    서비스업과 제조업의 고용비중 추이

    자료: 통계청, KOSIS DB.

    2007년 현재 한국의 서비스업 고용수준은 OECD 20위권

    □ 2007년 기준으로 본 한국의 서비스업 고용수준은 OECD 중하위권 수준

    - 2007년 한국의 서비스업 고용비중은 66.7%로 OECD 30개국 중 20위

    ․OECD 30개국 중 서비스업 고용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는 미국(78.8%)

    이며, 그 다음이 네덜란드(77.9%), 영국(76.3%) 등의 순서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7

    - 한국의 서비스업 고용비중은 서비스업 고용비중이 높은 OECD 상위 10

    개국 평균(76.0%)을 9.3%p나 하회할 뿐만 아니라 OECD 평균(68.3%)과

    비교해도 1.6%p 낮은 수준

    OECD 국가의 서비스업 고용비중과 고용증가율 (단위: %)

    고용비중

    순위국가명

    서비스업 고용비중

    (2007년 기준)

    서비스업의 고용증가율

    (1997∼2007년간 연평균)

    고용증가율

    순위

    1 미국 78.8 1.9 16

    2 네덜란드 77.9 2.1 14

    3 영국 76.3 1.7 21

    4 스웨덴 76.1 2.1 13

    5 룩셈부르크 76.1 4.4 3

    6 노르웨이 76.0 1.7 22

    7 캐나다 75.9 2.3 11

    8 오스트레일리아 75.4 2.6 8

    9 프랑스 74.2 1.8 18

    10 벨기에 73.7 1.7 19

    11 덴마크 73.6 1.0 28

    12 아이슬란드 73.4 3.3 5

    13 스위스 72.4 1.6 25

    14 뉴질랜드 71.0 2.6 9

    15 핀란드 69.7 2.0 15

    16 일본 67.9 0.8 29

    17 독일 67.8 1.5 26

    18 아일랜드 67.0 5.0 1

    19 오스트리아 66.9 1.7 20

    20 한국 66.7 2.5 10

    21 그리스 66.1 3.0 6

    22 스페인 66.0 5.0 2

    23 이탈리아 65.5 2.2 12

    24 헝가리 62.4 1.6 23

    25 멕시코 59.3 2.8 7

    26 포르투갈 57.6 1.9 17

    27 슬로바키아 56.4 1.6 24

    28 체코 56.1 0.7 30

    29 폴란드 54.5 1.4 27

    30 터키 49.8 3.5 4

    OECD 평균 68.3 2.3

    자료: OECDstats. DB.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8

    □ OECD 국가들과 비교한 한국 서비스업의 고용비중은 낮지만, 지난 10년간

    한국 서비스업의 고용증가율은 OECD 30개국 중 10위를 기록할 정도로

    높은 편

    - 1997∼2007년간 한국 서비스업의 연평균 고용증가율은 2.5%로 동기간 중

    OECD 30개국의 평균 수준(2.3%)을 상회

    - 이는 고용측면에서 본 한국 서비스업이 규모는 작지만, 아직 성장 단계로

    향후 발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시사

    소득수준 측면에서 본 서비스업 고용수준은 적정수준

    □ 서비스업 고용의 양적 수준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소득수준과

    서비스업 고용률 등을 반영해 분석할 필요

    - 서비스업의 고용수준은 그 국가의 소득수준에 따라 확대되는 경향

    ․소득수준이 높아질수록 삶의 질에 대한 욕구가 커지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산업이 출현하여 고용도 확대

    ․특히 인당 소득은 OECD (2000), Messinia (2005) 등의 선행연구에서도

    서비스업 고용비중을 결정하는 핵심변수로 규명2)

    - 주부, 구직단념자 등 비경제활동인구가 많은 현실을 고려하면, 취업자를

    베이스로 한 한국의 서비스업 고용수준 분석은 이를 과대평가할 가능성3)

    ․이를 방지하기 위해 총고용 내 서비스업 고용비중 뿐 아니라 서비스업

    고용률을 적용해 비교 분석

    ※ 서비스업 고용률 = (서비스업 취업자 / 15세 이상 인구) × 100

    2) OECD (2000), Messinia (2005) 등은 국별 서비스업 고용비중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인당 소득, 서비스

    의 상대가격, 생산물시장 규제, 여성 경제활동참가율, 정부소비 등 제반변수를 고려하고 있으나, 두 연구

    모두 핵심적인 변수로 인당 소득을 제시하고 있음

    3) 2008년 현재 한국의 비경제활동인구는 15,251천 명이며, OECD 국가간 비교기준으로 발표되는 15~64세

    고용률(취업자/ 15∼64세 인구×100)이 63.8%로 OECD 평균(66.5%)에 비해 낮은 수준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9

    □ 인당 소득수준(PPP 기준)을 이용해 서비스업 고용의 적정 수준을 추정한

    결과, 현재 수준은 적정한 것으로 분석

    - 모형에 의한 한국 서비스업 고용비중의 추정치는 65.4%로 실제치(2007년

    66.7%)와 유사4)

    - 이는 한국의 서비스업 고용수준이 소득수준에 비추어 볼 때 낮은 수준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

    ․그러나 이는 서비스업 전체 수준에 관한 것으로 도소매․음식숙박업 등

    개별 업종별로는 상이할 수 있음

    인당 소득과 서비스업 고용비중

    주: 인당 소득은 매우 높으나, 소국인 룩셈부르크를 이상치(outlier)로 가정하여 이를

    제외하고 추정한 결과도 계수, 적합도 등에 있어 유사한 결과를 보임

    4) 룩셈부르크를 제외하고 추정한 서비스업 고용비중함수에서 한국 서비스업 고용비중의 추정치는 65.8%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10

    ≪서비스업 고용률 함수의 추정식≫

    ▷ SERj = 36.4951 + 1.3763 Incomej - 0.0111 Income2j

    (9.07)*** (6.96)*** (-4.95)***

    - adj R2

    = 0.74, D-W = 1.96, n = 30,

    - ***는 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의미

    - SER : 서비스업의 취업비중(%)으로 서비스업 취업자수/총취업자수×100으로 계산

    Income : PPP(Purchasing Power Parity) 기준 인당 소득(천 달러)

    Income2

    : PPP 기준 인당 소득의 제곱항(일정 소득수준이 지날 경우 서비스업

    고용비중이 감소하는 비선형성을 반영하는 변수)

    □ 현재 소득수준, 고용증가율 등을 고려할 경우 향후 한국의 서비스업 고용

    수준은 늘어날 여지가 많은 것으로 판단

    - 소득수준과 서비스업 고용비중 간 관계식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분석 결

    과, 서비스업 고용비중은 인당 소득(PPP기준)이 늘어나면서 점차 확대되다

    가, 62,000 달러 이후부터 고용비중이 축소

    ․서비스업 고용비중은 인당 소득(PPP기준) 3만 달러 수준에서는 67.8%에

    달하다가, 4만 달러 수준에서는 70% 초반 대, 5만 달러 수준에서는 70%

    후반 대에 도달 가능

    ․인당 소득 62,000 달러에서 서비스업 고용비중은 79.1% 수준

    ․2007년 한국의 PPP 기준 인당 소득은 26,833 달러

    인당 소득(PPP기준) 수준과 서비스업 고용비중

    인당 소득 2만 달러 3만 달러 4만 달러 5만 달러 6만 달러

    서비스업

    고용비중59.6% 67.8% 73.8% 77.5% 79.0%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11

    - 소득수준이 높아질수록 한국의 서비스업 고용비중은 적정 수준 이상으로

    늘어날 가능성

    ․인당 소득과 서비스업 고용비중의 그래프에서 저소득 국가는 과소고용,

    고소득 국가는 과대고용되는 경향 → 소득이 높아지면서 서비스 수요에

    대한 욕구가 커지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고용비중도 큰 폭으로 상승

    □ 과대추정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서비스업 고용률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서비스업 고용비중의 경우와 동일 → 현재 소득수준에서 한국의 서비스업

    고용수준은 적정

    - 모형에 의한 한국의 서비스업 고용률의 추정치는 65.4%로 실제치(2007년

    66.7%)와 유사하여 과대추정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판단5)

    인당 소득과 서비스업 고용률

    5) 룩셈부르크를 제외하고 추정한 서비스업 고용비중함수에서 한국의 서비스업 고용비중의 추정치는

    65.8%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12

    ≪서비스업 고용률함수의 추정식≫

    ▷ SERTj = 13.9808 + 0.8941 Incomej - 0.0033 Income2j

    (2.74)*** (3.57)*** (-1.16)

    - adj R2 = 0.71, D-W = 1.89, n = 30,

    - ***는 10%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 SERT : 서비스업의 고용률(%)로 서비스업 취업자수/15세 이상 인구×100으로 계산

    Income : PPP(Purchasing Power Parity) 기준 인당 소득(천 달러)

    Income2 : PPP 기준 인당 소득의 제곱항

    2. 質的 측면

    서비스업의 부가가치 창출력이 2002년 이후 하락 추세

    □ 총부가가치에서 차지하는 서비스업의 실질 부가가치(원화기준) 비중은

    2000년 61.0%에서 2002년 61.3%까지 상승했으나, 그 이후 6년간 지속적

    으로 하락

    - 2008년 총부가가치에서 차지하는 서비스업의 부가가치 비중은 58.5%로

    2002년 대비 2.8%p나 하락

    ․이에 비해 제조업의 부가가치 비중은 2000년 25.1%에서 2008년 29.0%로

    3.9%p 확대

    - 이는 제조업이 지속적으로 기술혁신 등을 통해 고부가치화를 추구한 반면,

    글로벌 경쟁에 노출되지 않은 서비스업은 혁신이 미흡했다는 것을 시사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13

    총부가가치 대비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실질 부가가치(원화기준) 비중 추이

    주: 2005년 연쇄가격 기준

    자료: 한국은행, ECOS DB

    한국의 서비스업 부가가치 수준은 OECD 30개국 중 28∼29위 수준

    □ 한국 서비스업의 부가가치(PPP6)기준) 수준은 OECD 30개국 중 29위 수

    준으로 최하위권

    - 2007년 한국의 실질 총부가가치(PPP기준) 대비 서비스업 부가가치 비중은

    55.0%로 OECD 30개국 중 29위

    ․실질 총부가가치 내 서비스업 비중은 룩셈부르크(83.8%), 미국(77.6%),

    영국(75.4%)의 순으로 높고, OECD 평균은 67.4%

    6) PPP 환율은 OECD에서 작성한 2000년 기준 PPP환율(http://stats.oecd.org/Index.aspx)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14

    - 한국의 지난 10년간 실질 총부가치 내 서비스업 평균비중은 56.9%로

    OECD 30개국 중 28위 수준7)

    ․지난 10년간 OECD 30개국의 서비스업 부가가치 평균비중은 67.0%

    □ 2007년 한국 서비스업의 인당 실질부가가치(PPP기준)도 35,000달러로

    OECD 30개국 중 28위

    - 서비스업의 인당 실질부가가치는 룩셈부르크가 92,900 달러로 가장 높고,

    그 다음이 미국(71,900 달러), 이탈리아(65,700 달러), 벨기에(65,000 달러)

    등의 순(OECD 평균 52,000 달러)

    ․이는 한국의 서비스업 근로자 1명이 생산하는 부가가치 수준, 즉, 노동

    생산성이 룩셈부르크의 약 38% 수준, 미국의 49% 수준으로 절반 이하

    라는 것을 의미

    - 한국의 지난 10년간 인당 실질부가가치(PPP기준) 수준은 32,500 달러로

    OECD 30개국 중 26위

    ․1997∼2007년 중 OECD 30개국의 인당 실질부가가치 평균은 49,100 달러

    7) 1997∼2007년 평균이며, 단 캐나다, 멕시코는 1996∼2006년, 아이슬란드는 1995∼2005년 평균임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15

    OECD 국가의 총부가가치 대비 서비스업 부가가치비중과 인당 부가가치(PPP기준)

    순위

    2007년 기준 1997~2007년 기준

    부가가치 비중 인당 실질부가가치 부가가치 비중 인당 실질부가가치

    국가명 % 국가명천 달러

    /명국가명 % 국가명

    천 달러

    /명

    1 룩셈부르크 83.8 룩셈부르크 92.9 룩셈부르크 81.5 룩셈부르크 85.2

    2 미국 77.6 미국 71.9 미국 75.9 미국 67.8

    3 영국 75.4 이탈리아 65.7 프랑스 74.6 이탈리아 67.5

    4 프랑스 75.4 벨기에 65.0 그리스 73.6 벨기에 62.8

    5 그리스 75.0 프랑스 63.1 네덜란드 73.1 프랑스 60.4

    6 네덜란드 74.4 오스트리아 59.6 영국 72.8 오스트리아 58.4

    7 벨기에 73.1 그리스 59.5 벨기에 72.5 독일 56.6

    8 덴마크 73.1 아일랜드 58.6 덴마크 71.5 일본 56.1

    9 오스트레일리아 71.5 일본 57.5 스위스 70.7 그리스 54.8

    10 포르투갈 71.3 독일 56.2 오스트레일리아 70.2 아일랜드 54.0

    11 스위스 70.6 영국 55.1 포르투갈 69.5 스페인 52.5

    12 이탈리아 70.0 노르웨이 54.7 이탈리아 69.3 스위스 52.3

    13 뉴질랜드 69.2 오스트레일리아 54.5 스웨덴 69.1 오스트레일리아 51.6

    14 스페인 68.5 네덜란드 54.1 독일 68.8 네덜란드 50.9

    15 독일 67.9 스위스 54.0 일본 67.9 영국 50.3

    16 스웨덴 67.8 덴마크 52.1 뉴질랜드 67.3 스웨덴 49.7

    17 일본 67.8 스웨덴 51.4 오스트리아 67.3 노르웨이 49.6

    18 아이슬란드 67.7 캐나다 51.0 스페인 67.0 덴마크 49.2

    19 캐나다 67.0 스페인 50.0 캐나다 65.7 캐나다 47.8

    20 오스트리아 66.1 아이슬란드 49.7 아이슬란드 64.6 핀란드 47.2

    21 멕시코 64.4 핀란드 48.5 폴란드 63.5 뉴질랜드 42.3

    22 헝가리 62.8 터키 46.4 헝가리 62.9 아이슬란드 41.1

    23 폴란드 62.3 뉴질랜드 44.3 멕시코 62.4 터키 40.3

    24 터키 61.9 포르투갈 40.1 핀란드 62.3 포르투갈 39.3

    25 노르웨이 61.8 체코 39.3 터키 60.4 체코 34.0

    26 핀란드 59.2 헝가리 35.7 체코 58.8 한국 32.5

    27 아일랜드 57.2 폴란드 35.2 노르웨이 56.9 폴란드 32.4

    28 체코 56.9 한국 35.0 한국 56.9 헝가리 31.9

    29 한국 55.0 슬로바키아 29.5 아일랜드 56.4 슬로바키아 27.4

    30 슬로바키아 48.7 멕시코 29.1 슬로바키아 55.6 멕시코 27.2

    OECD평균 67.4 OECD평균 52.0 OECD평균 67.0 OECD평균 49.1

    주: 캐나다, 멕시코는 1996∼2006년, 아이슬란드는 1995∼2005년 기준

    자료: OECD.Stat DB.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16

    향후 서비스업 고용의 부가가치 확대가 시급

    □ 지난 10년간 서비스업의 고용증가율과 인당 실질부가가치의 관계를 보면,

    한국의 경우 고용증가율은 상대적으로 양호하지만, 부가가치수준이 매우

    낮음(제2사분면에 위치)

    - 1997∼2007년 중 한국 서비스업의 연평균 고용증가율은 2.5%로 OECD

    30개국의 평균 수준(2.3%)을 상회하지만, 인당 실질부가가치 수준은

    32,500 달러로 OECD 평균 수준(49,100 달러)을 크게 하회

    - 반면, 룩셈부르크, 아일랜드, 스페인, 그리스, 오스트레일리아 등은 서비스

    업의 고용증가율도 높으면서 부가가치수준도 높은 것으로 분석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선진국의 경우에는 인당 실질부가가치수준

    은 높지만 고용증가율이 낮은 것으로 규명

    ․체코, 폴란드 등 동구권 국가들은 서비스업의 고용창출력과 부가가치 창

    출력이 모두 열위

    최근 10년간 서비스업의 고용증가율과 인당 실질부가가치

    주: 좌표축은 OECD 30개국 평균 수준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17

    □ 따라서 한국의 서비스업은 고용창출력을 배가하면서 질적 개선을 모색해

    야 할 시점

    - 현재 한국 서비스업 고용비중 66.7%(2007년 기준)은 적정한 것으로 판단

    되지만, 이는 현재 소득수준(PPP기준 26,833 달러)에서 적정한 것으로

    향후 소득수준이 향상되면 서비스업 고용비중이 더 확대될 필요

    ․인당 소득(PPP기준) 3만 달러 수준에서는 67.8%, 4만 달러 수준에서는

    70% 초반 대까지, 5만 달러 수준에서는 70% 후반 대까지 상승할 필요

    - 특히 서비스업의 부가가치 창출력이 매우 저조해 이에 대한 개선방안 마

    련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

    ․인당 실질부가가치 수준은 OECD 평균을 100으로 했을 때 66.2에 불과

    □ 따라서 향후 서비스업 고용 관련 정책은 ①질적 개선에 초점을 맞추면서

    ②소득수준 향상에 맞게 양적 성장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맞출 필요

    - 즉, 현재의 ‘高고용․低고용-低부가가치’에서 ‘高고용-高부가가치’로 이동

    하는 전략이 요구

    -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서비스 업종에서 문제가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 서비스업을 대표하는 5大 업종을 선정해 제3장에서 분석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18

    Ⅲ. 5大 서비스업 고용의 국제비교

    1. 분석방법에 대한 개요

    분석대상 : 5大 업종 선정

    ⃞ 서비스업의 경우 범위가 매우 넓고 다양한 경제활동으로 구성되어 고용

    특징을 정확하게 표현하려면 이를 대표업종으로 구분해 분석할 필요

    - 대다수 선행연구에서 서비스업은 Hill(1977)8)의 방식에 기초해 ‘생산자

    서비스(producer service)’, ‘유통서비스(distributive services)’, ‘개인서비

    스(personal services)’, ‘사회서비스(social services)’ 등으로 구분

    ․국가마다 산업특성이 상이하고 구분방식도 달라 일관된 국제통계를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분류방식이 폭넓게 활용되는 경향

    - 그러나 이러한 분류방식의 경우 특성이 전혀 다른 서비스업들이 동일

    유형으로 분류되어 분석의 어려움을 초래

    ⋅가령, 유통서비스의 경우 특성이 전혀 다른 도소매업과 통신업이 동일

    유형으로 분류되고, 생산자서비스도 금융보험업과 부동산임대업 등 매우

    이질적인 산업으로 구성

    선행연구의 서비스산업 분류

    구분 생산자서비스 유통서비스 개인서비스 사회서비스

    구성 산업

    - 금융보험업

    - 부동산임대업

    - 사업서비스업

    - 도소매업

    - 운수업

    - 통신업

    - 숙박음식점업

    - 오락문화운동

    서비스업

    - 가사서비스업

    - 기타서비스업

    - 공공행정

    - 교육서비스업

    -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

    - 국제외국기관

    자료: OECD(2000). "Employment in the Service Economy: A Reassessment". Employment

    Outlook 2000, 79∼128

    8) Hill, T. P. (1997), "On Goods and Services", Review of Income and Wealth, 4 : 315∼338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19

    ⃞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업을 그 성격에 따라 도소매․음식⋅숙박, 통신,

    금융⋅보험, 사업서비스 및 사회서비스 등 5大 부문으로 구분

    - 도소매⋅음식⋅숙박업은 일반적으로 고용특성이 유사하므로 Hill(1977)이

    구분한 유통서비스업 중 도소매업과 개인서비스업 중 숙박⋅음식점업을

    통합

    ․생산자서비스의 경우 금융⋅보험업과 사업서비스업을 별도로 구분

    ․유통서비스업의 통신업도 별도로 구분하고, 사회서비스업은 Hill(1977)과

    동일한 구분을 채택

    - 5大 서비스업 취업자는 2008년 현재 1,214.8만 명으로 총 서비스업 취업

    자의 76.5%를 차지해 한국의 서비스업 고용분석에 대한 대표성을 확보

    본 연구에서의 5大 서비스업 분류

    구분 서비스업 내 고용비중 구성산업 취업자 예시

    도소매

    음식숙박업35.8

    ▷ 도소매업 (22.9)

    ▷ 음식숙박업 (12.9)

    - 자동차 판매업자, 주유소 종사자,

    도매업자, 소매업자

    - 호텔⋅여관⋅콘도업 종사자, 음식점⋅

    주점업⋅다과업종사자

    금융보험업 5.2 ▷ 금융보험업 (5.2) - 금융⋅보험⋅연금관련 기관 종사자

    통신업 1.7▷ 통신업 (1.7) - 전기⋅유무선 통신업 종사자, 우편업무

    종사자

    사업서비스업 12.1

    ▷ 사업서비스업 (12.1) - 정보처리, 컴퓨터 운영업자, 연구개발업

    종사자, 법무 세무사, 엔지니어,

    사업시설 유지관리업자, 인력공급업자

    사회서비스업 21.8

    ▷ 공공행정 (5.3)

    ▷ 교육서비스업 (11.0)

    ▷ 보건사회복지 (5.4)

    ▷ 국제외국기관 (0.1)

    - 입법⋅사법⋅중앙정부⋅지자체 종사자,

    노인⋅실업자 등 사회보장 행정종사자

    - 초⋅중⋅고 대학종사자, 특수⋅기술⋅

    교습학원 종사자

    - 의사, 한의사, 간호원, 수의사, 노인⋅

    장애인 수용시설 근무자

    - 주한 외국공관 종사자

    주: ( )안은 서비스업내 취업자 비중(2008년 기준)

    자료: 통계청, KOSIS DB.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20

    분석방법 : 고용증가율과 인당 실질부가가치

    ⃞ 각각의 5大 산업을 대상으로 고용의 量的 측면을 파악하기 위해 취업자

    증가율을, 質的 측면을 파악하기 위해 인당 실질부가가치를 분석

    - 취업자 절대 수준은 국가별 경제력 차이 등의 문제로 국제비교가 불가능

    - 5大 서비스업종별 인당 실질부가가치(실질부가가치/취업자수)를 質的지표로

    선정한 것은 인당부가가치가 업종별 노동생산성을 대표하기 때문

    ⋅업종별 실질부가가치 비중(업종별 실질부가가치/총부가가치)은 총부가가치

    내 업종별 구성의 왜곡에 따른 착시효과 발생 가능

    ․인당 실질부가가치 증가율은 부가가치의 성장세를 파악하는 유용한 지표

    이지만 노동생산성을 파악하기가 곤란

    - 취업자증가율과 인당 실질부가가치는 단년도 비교로 인한 왜곡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가능한 최근 10년 평균치를 사용했으며, 부가가치는 국제

    비교를 위해 PPP9) 기준으로 환산해 분석

    ⃞ 이 경우 업종별 서비스업 고용은 다음과 같이 4가지로 유형화가 가능

    - Ⅰ유형(高고용․高부가가치) : 지난 10년간 고용증가율과 인당 실질부가

    가치 수준이 OECD 평균 수준을 상회

    - Ⅱ유형(高고용․低부가가치) : 지난 10년간 고용증가율은 OECD 평균

    수준을 상회하나, 부가가치 창출 역량이 OECD 평균 수준보다 낮음

    - Ⅲ유형(低고용․低부가가치) : 고용 및 부가가치 창출 역량 모두 열위

    - Ⅳ유형(低고용․高부가가치) : 고용증가율은 미약하나, 부가가치 창출

    역량은 높음

    9) PPP 환율은 OECD에서 작성한 2000년 기준 PPP환율(http://stats.oecd.org/Index.aspx)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21

    2. 5大 서비스업 고용유형에 대한 국제비교 분석

    ⃞ OECD 국가들을 대상으로 5大 서비스업 고용유형에 대한 분석결과, 다음과

    같이 4가지로 유형화

    OECD 주요국의 서비스업종별 고용 유형

    업종Ⅰ유형

    (高고용․高부가가치)

    Ⅱ유형

    (高고용․低부가가치)

    Ⅲ유형

    (低고용․低부가가치)

    Ⅳ유형

    (低고용․高부가가치)

    도소매

    음식

    숙박

    (스페인), 그리스,

    핀란드, 스웨덴,

    룩셈부르크,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아이슬란드,

    뉴질랜드, 포르투갈,

    헝가리,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한국), 영국, 독일,

    덴마크, 폴란드,

    체코, 일본

    노르웨이, 미국,

    오스트리아, 벨기에,

    스위스

    통신서비스

    (한국), 그리스,

    스페인, 네덜란드,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덴마크

    (노르웨이), 벨기에,

    스웨덴, 체코, 영국,

    오스트리아, 스위스

    핀란드, 일본, 미국,

    이탈리아, 뉴질랜드

    금융

    보험

    (그리스), 스페인,

    룩셈부르크, 스웨덴,

    뉴질랜드,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네덜란드

    아이슬란드, 캐나다

    (한국), 덴마크, 영국,

    독일, 폴란드, 체코,

    오스트리아, 프랑스,

    헝가리

    이탈리아, 스위스,

    벨기에, 핀란드,

    노르웨이, 포르투갈,

    일본

    사업서비스

    (스웨덴), 룩셈부르크,

    오스트리아, 독일,

    이탈리아

    (한국), 그리스,

    핀란드, 스페인,

    노르웨이, 덴마크

    네덜란드, 캐나다,

    체코

    스위스, 일본, 미국,

    벨기에, 프랑스,

    오스트레일리아

    사회서비스

    (네덜란드), 그리스,

    스위스, 룩셈부르크,

    벨기에, 미국

    (한국)

    핀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

    체코, 폴란드

    오스트리아, 독일,

    이탈리아

    주: 굵은 글씨는 이후 각 업종별 대표적인 분석대상으로 선정한 국가

    □ 이하에서는 각 서비스업종별로 한국과 해외국가 중 성공적인 사례인 제

    Ⅰ유형(高고용․高부가가치)과 실패한 사례로 판단되는 제Ⅲ유형(低고

    용․低부가가치)에 속하는 대표적 국가를 중심으로 성공 및 실패요인을

    분석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22

    1. 도소매⋅음식숙박업

    OECD 주요국의 도소매․음식숙박업 취업자수 증가율과 인당 실질부가가치

    주: 취업자수 증가율과 인당 실질부가가치는 1997∼2007년 기준(단 오스트레일리아,

    프랑스, 헝가리, 일본, 스페인은 1996~2006년, 폴란드는 1995~2005년 기준)

    자료: OECD, STAN DB. ; 통계청, KOSIS DB. 

    ① 한국: 제Ⅲ유형(低고용․低부가가치)

    취업자증가율과 인당 실질부가가치 모두 OECD 평균 수준 이하

    □ 한국의 도소매․음식숙박업의 연평균 취업자수 증가율과 인당 실질부가

    가치 수준은 모두 OECD 평균 수준을 하회(제Ⅲ유형)

    - 동 업종의 경우 1997∼2007년 중 연평균 취업자수 증가율이 마이너스로

    취업자가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인당 실질부가가치 수준은 분석대상인

    OECD 26개국10) 중 최하위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23

    ⋅1997∼2007년 중 연평균 취업자수 증가율은 -0.25%로 OECD 평균 수준

    (1.44%)을 크게 하회

    ⋅또한 동 기간 중 인당 실질부가가치 수준은 13.62(천 달러/명)로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이고, OECD 평균의 약 38% 수준에 불과

    도소매․음식숙박업의 연평균 취업자수 증가율과 인당 실질부가가치 수준(단위: %, 천 달러/명)

    구분 연평균 취업자수 증가율 인당 실질부가가치 평균

    한국 -0.25 13.62

    OECD 평균 1.44 35.92

    주: 연평균 취업자 증가율과 인당 실질부가가치 수준은 1997∼2007년 기준

    자료: 통계청, KOSIS DB.; 한국은행, ECOS DB; OECD, STAN DB.

    - 특히 도소매․음식숙박업의 경우 2001년 이후 7년간 취업자가 19.7만 명

    감소했고, 2004년 이후로는 감소세가 지속될 정도로 고용부진이 심각

    ⋅그러나 2008년 현재 동 업종의 취업자가 567.7만 명으로 전체 서비스업

    취업자의 35.8%를 차지하는데서 알 수 있듯이 낮은 부가가치 창출력과

    맞물리면서 인력구조조정이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

    최근 도소매⋅음식숙박업의 취업자수 추이(단위: 만 명, %)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587.4

    (43.5)

    599.8

    (42.7)

    585.2

    (41.6)

    586.2

    (40.3)

    580.6

    (39.0)

    576.2

    (37.7)

    572.6

    (36.6)

    567.7

    (35.8)

    주: ( )내는 전체 서비스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자료: 통계청, KOSIS DB.

    경쟁격화로 인한 구조조정과 영세한 사업규모

    □ 최근 도소매․음식숙박업의 지속적인 취업자 감소와 낮은 부가가치 창출

    력은 경쟁격화로 인한 구조조정과 영세한 사업규모 등이 주된 이유

    10) 업종별 분석대상 국가의 수는 업종별 자료의 존재여부에 따라 상이함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24

    - 도소매업과 음식숙박업의 업체당 종사자 수(2005년 기준)는 2명에 불과

    할 정도로 영세

    주요 서비스업종별 업체당 종사자 수(단위: 명)

    도소매업 음식숙박업 통신업 금융업 사업서비스업

    2.9 2.8 15.0 17.3 12.5

    자료: 전국경제인연합회(2009), “서비스산업 전략보고서 1: 서비스산업 발전전략과 과제”

    - 또한, 업체당 매출액 규모도 0.9~6억원으로 통신과 금융업의 5~16% 수

    준에 불과

    주요 서비스업종의 업체당 매출액 규모(단위: 억 원)

    도소매업 음식숙박업 통신업 금융업

    6.0 0.9 55.9 102.6

    자료: 전국경제인연합회(2009), “서비스산업 전략보고서 1: 서비스산업 발전전략과 과제”

    - 진입규제를 강화하는 정책은 이 부문의 기업화와 대형화를 제약할 가능성

    ⋅일본의 경우 기업형 슈퍼마켓에 대한 규제완화는 단기적으로 중소 소매

    점의 상권을 위협할 수 있으나 중장기적으로 동 업종의 기업화, 고용확

    대, 소비자 후생 증대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11)

    □ 도소매․음식숙박업의 경우 투자도 부진해 인당 부가가치 즉, 노동생산성

    제고가 미흡

    - 전체 총고정자본형성에서 차지하는 도소매․음식숙박업의 투자비중이

    2000년 4.3%에서 2006년 3.5%로 축소

    ․2000~2006년 중 동 업종의 총고정자본형성의 증가율이 연평균 1.2%에

    불과(전체 총고정자본형성의 연평균 증가율은 4.3%)

    11) 노진영 (2009), “일본의 대형 소매점(SSM) 관련 정책변화 및 평가”, 『해외경제포커스 제2009-38호』,

    한국은행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25

    도소매․음식숙박업의 총고정자본형성의 비중과 증가율 추이(단위: %)

    구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전체 총고정자본형성 내

    도소매․음식숙박업 비중4.3 4.4 4.4 4.0 3.2 3.5 3.5

    증가율 9.6 2.0 6.8 -5.6 -18.5 12.3 5.1

    주: 2000년 실질가격 기준(구 국민계정 계열)

    자료: 한국은행 ECOS DB

    ② 스페인: 제Ⅰ유형(高고용․高부가가치)

    □ 스페인을 성공 사례로 선정한 이유는 스페인이 OECD 국가 중 최고의 고

    용증가율을 기록하면서도 양호한 생산성을 유지했기 때문

    1980년대 중반 이후 높은 생산성 속에 고용창출 지속

    □ 스페인의 경우 도소매ㆍ음식숙박업 고용은 1980년대 초까지 감소하다가

    이후 증가세로 반전

    - 1957~1977년 중 도소매․음식숙박업의 일자리 純增은 87만 5천 개에

    불과했으나, 1985~1991년 중에는 175만 개의 일자리가 신규 창출

    스페인 도소매․음식숙박업의 취업자 수 추이(단위: 천 명)

    1980년 1985년 1990년 1995년 2000년 2006년

    2,292 2,201 2,809 2,900 3,560 4,391

    자료: OECD STAN DB

    - 지속적인 일자리 창출에 힘입어 1996~2006년 중 스페인의 도소매․음식

    숙박업 고용증가율은 연평균 4.1%로 OECD 국가 중 1위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26

    ․지난 10년간 OECD 국가의 도소매․음식숙박업 평균 고용증가율은

    1.6%

    □ 높은 고용증가세에도 불구하고 2006년 현재 스페인 도소매․음식숙박업의

    인당 실질부가가치는 3만 8천 달러로 OECD 국가 중 상위권

    - 특히 지난 10년간 스페인 도소매․음식숙박업의 인당 실질부가가치(노동

    생산성) 수준도 4만 1천 달러로 OECD 국가 중 8위

    주요국의 도소매․음식숙박업 인당 실질부가가치 수준(단위: 천 달러/명)

    미국 벨기에 룩셈부르크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스웨덴 프랑스 스페인

    48.9 48.8 47.1 46.8 44.2 43.0 42.3 40.8

    자료: OECD, STAN DB.

    투자확대와 규제완화가 유통업의 발달을 촉진

    □ 스페인은 1980년대 중반 이후 소매업에 대한 규제를 대폭 완화

    - 프랑코 정부(1939~1975)에서는 규제를 통해 소상공인을 보호

    ㆍ이는 프랑코 정부에 대한 반체제운동이 심한 관계로 소상공인 등 도시

    쁘띠부르주아(Petit-bourgeois) 세력의 지지가 필요했기 때문

    - 1985년 좌파 사회당(PSOE) 정부는 극심한 실업률을 낮추기 위해 소매업

    진입규제 및 영업시간 규제 완화를 단행

    ㆍ1985년 당시 실업률은 17.8%로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을 기록

    □ 1980년대 중반 이후 소매업에 대한 진입 및 영업규제가 완화되면서 슈퍼

    마켓, 하이퍼마켓 등 유통산업에 대한 민간투자가 확대되고 고용도 증가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27

    - 소매업의 기업화는 해외자본이 주도하는 하이퍼마켓(hypermarket)과

    국내자본이 주도하는 슈퍼마켓(supermarket) 형태로 진행12)

    ㆍ프리카(Pryca)13), 콘티넨테(Continente)14) 등 하이퍼마켓의 수는 1979년

    14개에서 1998년 206개로 증가15)

    ㆍ메르카도나(Mercadona), 에로스키(Eroski), 디아(Dia)16) 등 스페인 국내

    유통기업들은 슈퍼마켓 사업을 주로 확대

    - 그 결과, 스페인 도소매․음식숙박업의 투자가 1980년대 중반 이후 확연

    히 증가

    ․2005년 스페인 도소매․음식숙박업의 총고정자본형성 규모는 174.1억

    유로로 1985년 대비 3.2배 확대

    스페인 도소매ㆍ음식숙박업의 총고정자본형성 추이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8,000

    20,00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백만유로)

    주: 총고정자본형성은 2000년 화폐가치 기준

    자료: OECD, STAN DB.

    12) 슈퍼마켓이 식료품을 주로 취급하는데 비해 하이퍼마켓은 의류, 가전, 잡화 등을 취급하는 초대형 마트

    13) 프랑스의 대표적 유통업체 까르푸(Carrefour)의 하이퍼마켓 브랜드

    14) 까르푸와 같은 프랑스 유통업체 프로모드(Promodès)의 하이퍼마켓 브랜드. 까르푸는 1999년에 경쟁업

    체인 프로모드를 인수.

    15) Insa-Ciriza, R. (2000). Retail Mergers: The Power Struggle in Spain. European Regional Review,25, 38-43.

    16) 1999년에 까르푸가 인수하였으며. 2004년 현재 국내에서만 4,450개의 점포에서 32,600명을 고용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28

    □ 1980년대 중반 비정규직 고용규제 완화도 도소매․음식숙박업의 고용

    활성화에 기여

    - 1980년대 초 스페인 노동시장의 고용경직성은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

    ㆍ1980년에 제정된 노동법(Workers' Statute)의 경우 정규직 근로자를

    해고할 때는 근속년수 1년 당 1.5개월 치 임금을 보상하도록 규정할 정도

    ㆍ비정규직의 경우 파견근로가 금지되었고, 기간제근로도 한시적인 업무에

    만 사용할 수 있도록 강력히 규제

    - 1984년 노동법 개정으로 비정규직 고용규제가 완화되자, 저숙련 근로에

    대한 수요가 많은 소매업 등에서 고용이 활성화

    ㆍ파견근로가 허용되었으며, 상용직도 기간제근로자를 고용할 수 있도록

    자유화

    □ 1993~2000년 중 스페인 정부는 동 업종에 대한 규제를 부분적으로 강화

    - 스페인 정부는 분리 독립 성향이 강한 까딸로니아(Catalonia)와 바스크

    (Basque) 지역에서 경제적 비중이 높은 중소유통업체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대형마트의 진입과 영업시간을 다시 규제17)

    ㆍ1993년과 1996년 총선에서 좌파 사회당, 우파 인민당(PP) 등 스페인의

    주요 정당들이 과반수 의석 획득에 실패하면서 민족주의 지역정당18)의

    정치적 영향력이 강화된 결과

    - 정부규제가 하이퍼마켓의 신규진입에 국한됨으로써 기존 하이퍼마켓의

    영업시간과 신규 슈퍼마켓 진입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음

    □ 하이퍼마켓에 대한 규제로 인해 1990년대 중반 이후 스페인 소매업은 t

    슈퍼마켓을 중심으로 성장

    17) Tompson, W. (2009). The Political Economy of Reform. Paris: OECD, p. 460.18) 까딸로니아 통일당(CiU)과 바스크국민당(PNV) 등이 대표적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29

    - 1997~2001년 중 슈퍼마켓의 식료품 시장 점유율(매출액 기준)은 37.3%

    에서 42.2%로 4.9%p 증가한 반면, 하이퍼마켓은 1.3%p 증가에 그침19)

    - 하이퍼마켓과 슈퍼마켓의 겸영 등으로 인해 소매업의 시장집중도는 더욱

    가속화

    ㆍ소매업 상위 4개사의 시장점유율은 1995년 33.8%에서 2001년 52.6%로

    상승20)

    한국과 스페인의 도소매 음식숙박업 비교

    구분 주요 내용

    한국

    특징

    ▷ 경쟁격화로 인한 지속적인 구조조정 경험

    ▷ 종사자 수와 매출액 규모로 볼 때 사업규모가 영세

    ▷ 특정부문의 높은 규제수준

    ▷ 투자증가세도 저조

    성과

    ▷ 1997∼2007년 중 전제 취업자 증가율 -0.25%로 OECD 25위

    (동기간 중 OECD 평균 취업자 증가율 1.44%)

    ▷ 1997∼2007년 중 인당 실질부가가치 평균은 1.3만 달러로 OECD 26위

    (동기간 중 OECD 실질부가가치 평균은 3.6만 달러)

    스페인

    특징

    ▷ 1985년 유통업 규제 완화 이후 하이퍼마켓과 슈퍼마켓 등으로 기업화

    ▷ 1984년 비정규직 고용규제 완화로 저숙련 노동에 대한 수요 확대

    ▷ 1990년대 중반 정부가 하이퍼마켓 진입을 규제하자 슈퍼마켓 위주로 성장

    성과

    ▷ 1996∼2006년 중 도소매ㆍ음식숙박업 고용증가율은 연평균 4.1%로 OECD

    1위

    ▷ 동기간 중 도소매ㆍ음식숙박업의 인당 실질부가가치 평균은 4만 1천 달러로

    OECD 8위

    19) Sellers-Rubio, R. & Mas-Ruiz, F. (2006). Economic Efficiency in Supermarkets: Evidences in Spain.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 istribution Management, 34(2), 155-171.20) Sellers-Rubio & Mas-Ruiz (2006).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30

    2. 통신서비스업

    OECD 주요국의 통신업 취업자 수 증가율과 인당 실질부가가치

    주: 취업자수 증가율과 인당 실질부가가치는 1997∼2007년 기준(단 오스트레일리아, 프랑스,

    독일은 1996~2006년, 한국은 2000~2007년, 일본, 스페인은 1995~2005년, 스위스는

    1995~2006년 기준)

    자료: OECD, STAN DB,; 통계청, KOSIS DB. 

    ① 한국: 제Ⅰ유형(高고용․高부가가치)

    취업자수 증가율과 생산성 모두 OECD 상위권

    □ 한국의 통신업은 2000∼2007년 중 연평균 취업자수 증가율과 인당 실질

    부가가치로 본 생산성 수준이 모두 OECD 평균 수준을 상회(제Ⅰ유형)

    - 최근 7년간 한국의 통신업은 상대적으로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고용

    증가세도 큰 폭으로 확대되는 모습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31

    ⋅동 기간 중 통신업의 고용 증가율은 연평균 5.75%로 OECD 평균 증가

    율(0.04%)을 큰 폭으로 상회(OECD 국가 중 1위)

    ⋅인당 실질부가가치 수준도 11만 1천 달러로 OECD 평균(9만 2천 달러)

    을 상회((OECD 국가 중 6위)

    통신업의 연평균 취업자수 증가율과 인당 실질부가가치 수준

    (단위: %, 천 달러/명)

    구분 연평균 취업자수 증가율 인당 실질부가가치 평균

    한국 5.75 111.25

    OECD 평균 0.04 92.42

    주: 취업자수 증가율과 인당 실질부가가치는 1997∼2007년 기준(단 오스트레일리아,

    프랑스, 독일은 1996~2006년, 한국은 2000~2007년, 일본, 스페인은 1995~2005년,

    스위스는 1995~2006년 기준)

    자료: 통계청, KOSIS DB; 한국은행, ECOS DB; OECD, STAN DB.

    경쟁도입과 IT 인프라가 취업자 확대와 생산성 향상에 기여

    □ 한국의 경우 정부가 통신서비스 부문에 지속적으로 경쟁을 도입하면서

    통신서비스 시장의 규모가 확대

    - 공공적 성격이 강한 통신업의 경우 정부가 전략적으로 법적․제도적

    진입장벽을 설정하는 경우가 많음

    ⋅통신업의 진입장벽 지수는 매출액 기준 4.3, 사업체 수 기준 3.5로 전체

    수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2005년 기준)

    업종별 진입장벽 지수

    구분 서비스업 통신업

    매출액 기준 2.3 4.3

    사업체 수 기준 1.8 3.5

    주: 1) 2005년 매출액 및 사업체 수 기준

    2) 진입장벽지수는 0~6의 값을 가지며, 0점은 완전개방, 6점은 정부독점을 의미

    자료: 이병희 외 (2007). “우리나라 서비스업의 진입장벽 현황 분석”, 한국은행.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32

    - 그러나 1990년 이후 지속적으로 추진된 정부주도의 경쟁도입 정책 등에

    힘입어 통신서비스업의 시장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

    ⋅1990년부터 통신시장 구조개편이 추진되고 1991년 국제전화 시장에 경

    쟁이 도입된 이후 1996년 시외이동, 1999년 시내전화 시장에 경쟁 도입

    ⋅이동전화 서비스 시장도 1997년 10월 PCS 사업자가 진입한 이후 요금

    수준 인하, 다양한 선택요금제, 부가서비스 도입 등에 힘입어 확대

    ⋅통신서비스 시장의 전체 매출규모는 1990년 3조 6,829억 원에서 2006년

    41조 2,745억 원으로 연평균 약 16%씩 성장

    통신서비스 시장규모의 추이

    (단위: 조 원, %)

    구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합계

    (증가율)

    26.7

    (30.6)

    30.5

    (14.2)

    33.8

    (10.7)

    34.7

    (2.5)

    38.2

    (10.2)

    40.4

    (5.9)

    41.3

    (2.0)

    43.1

    (4.5)

    주: 2006년까지는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 2007년은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추정치

    자료: 박민수 외 (2008). “2008 통신서비스 시장현황과 전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통신서비스의 경우 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기업들의 출현, IT부문의 높은

    경쟁력 등이 생산성 향상에 기여21)

    -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정보화의 진전으로 부가통신서비스, 인터넷통신,

    응용소프트웨어, 디지털 방송 등이 통신서비스 시장을 주도

    - IT 부문의 높은 경쟁력도 통신서비스업에서의 생산성 제고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

    ․브로드밴드 가입자가 인구 1,000명당 303.6명(2007년 기준)으로 세계 7위

    ⋅Telecommunications에서의 투자규모도 경상 GDP의 0.74%(2007년)로

    세계 11위22)

    21) 김동헌(1999), “주요 서비스 산업 고용창출 방안”, 한국노동연구원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33

    ․IT부문 인프라가 강하기 때문에 인터넷 콘텐츠 등 부가통신서비스 부문

    의 매출이 증가하고 WCDMA, 전용회선, 초고속인터넷 부문도 지속적으

    로 발전

    ② 노르웨이: 제Ⅲ유형(低고용․低부가가치)

    □ 노르웨이를 실패 사례로 선정한 이유는 노르웨이 통신업의 고용증가율이

    OECD 국가 중 최악인데다 인당 실질부가가치 수준도 낮기 때문

    고용부진 속에 생산성도 열위

    □ 노르웨이의 통신서비스업은 OECD 국가 중 상대적으로 고용이 부진한

    가운데 생산성도 열위(제Ⅲ유형)

    - 1997~2007년 중 노르웨이 통신서비스업의 고용증가율은 연평균 -3.3%로

    OECD 평균(0.04%)를 하회할 뿐 아니라 OECD 19개국 중 최하위 수준

    - 동 기간 중 노르웨이 통신서비스업의 인당 실질부가가치 수준도 7만 3천

    달러로 OECD 평균(9만 2천 달러)을 하회(OECD 19개국 중 15위)

    ․특히 1990년대 중반 이전에는 노르웨이 통신서비스업 생산성이 OECD

    에서 두 번째로 낮을 정도로 열위

    22) IMD (2009),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 2009.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34

    노르웨이 통신서비스업의 생산성과 일자리 추이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 1974 1978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천 달러/명)

    0

    10

    20

    30

    40

    50

    60(천명)

    인당 실질부가가치(좌축)

    취업자수(우축)

    자료: OECD, STAN DB.

    □ 1990년대 중반 이후 개선되었던 노르웨이 통신서비스업의 생산성도 투자나

    기술혁신이 아니라 주로 고용감소를 통해 달성

    - 1995년 노르웨이 정부는 정부 지분율 100%의 공기업이자 노르웨이 최대

    통신서비스 기업이었던 Televerket의 명칭을 Telenor로 변경하고 부분적

    민영화를 추진하면서 인원을 감축

    ․1995~2007년 중 연간 인당 실질부가가치와 취업자 수간 상관계수는

    -0.98로 매우 큰 負의 관계가 존재

    정부의 통신서비스업 지배, 노동시장의 경직성이 부진 원인

    □ 정부의 통신업 지배가 지속되면서 동 업종에 대한 투자가 2000년대 들어

    감소하는 추세

    - 2007년 노르웨이 통신서비스업의 총고정자본형성(실질기준) 규모는 5,095

    백만 NOK으로 2000년의 56.3% 수준으로 축소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35

    노르웨이 통신서비스업의 총고정자본형성 추이(단위: 백만 NOK, 2000년 실질가격 기준)

    2000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9,047 6,247 7,428 8,624 6,880 5,095

    자료: OECD, STAN DB.

    - 1998~1999년 중 유ㆍ무선 통신서비스 시장에 대한 진입규제가 완화되었

    지만 정부가 소유한 Telenor가 사실상 독점적 지위를 유지

    ㆍ노르웨이 통신시장의 80%를 점유한 Telenor의 정부 지분율은 2007년

    현재 54% 수준23)

    -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가입자 수가 2000년대 들어 크게 증가했으나, 서비

    스의 질은 여전히 낙후

    ㆍ2008년 기준 노르웨이의 초고속인터넷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1.5메가바

    이트로 OECD 평균 2.2메가바이트를 하회(한국→ 10.1메가바이트)24)

    □ 노르웨이 통신서비스업 노동시장의 경직성은 고용창출을 억제

    - 기간제 근로, 파견근로 등 비정규직 고용에 대한 규제가 2003년 현재

    OECD 30개국 중 6번째로 높은 수준

    ㆍ통신서비스업에서 요구되는 IT 관련 기술은 범용성이 높은 일반적 숙련

    기술이기 때문에 기업은 장기고용 보다는 다양한 고용형태를 통해 외부

    노동시장을 활용하려는 유인이 존재

    - Telenor와 노르웨이 노동총연맹(LO)간 체결되는 전국 차원의 단체협약이

    타 기업에서의 단체협상을 선도하고 있어 노동시장의 경직성이 높은 편

    ․통신서비스업의 노조가입률도 60.5%(2001년)로 높음

    23) OECD Indicators of Regulation in Telecoms

    24) OECD Broadband Portal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36

    한국과 노르웨이의 통신서비스업 비교

    구분 주요 내용

    한국

    특징

    ▷ 정부주도로 경쟁도입을 정책화하여 시장규모 확대

    ▷ 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기업들 출현

    ▷ IT 부문의 높은 경쟁력을 보유

    성과

    ▷ 2000∼2007년 7년간 전제 취업자 증가율 5.75%로 OECD 1위

    (1997∼2007년 중 OECD 평균 취업자 증가율 0.04%)

    ▷ 인당 실질부가가치가 11.1만 달러로 OECD 6위

    (1997∼2007년 중 OECD 인당 실질부가가치 평균은 9.2만 달러)

    노르웨이

    특징▷ 1990년대 후반 통신업 진입규제가 완화되었으나 공기업이 사실상 독점

    ▷ 비정규직 고용규제, 높은 노조조직률 등으로 통신업 고용시장이 경직화

    성과

    ▷ 1997∼2007년 중 연평균 고용증가율은 -3.3%로 OECD 19개국 중 최하위

    ▷ 1997∼2007년 중 인당 실질부가가치 평균은 7만 3천 달러로 OECD

    19개국 중 15위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37

    3. 금융․보험서비스업

    OECD 주요국의 금융보험업 취업자수 증가율과 인당 실질부가가치

    주: 취업자수 증가율과 인당 실질부가가치는 1997∼2007년 기준(단 오스트레일리아, 헝가리,

    일본, 포르투갈, 스위스는 1996~2006년, 한국은 2000~2007년, 폴란드는 1995~2005년 기준)

    자료: OECD, STAN DB; 통계청, KOSIS DB. 

    ① 한국: 제Ⅲ유형(低고용․低부가가치)

    취업자수 증가율과 생산성 모두 OECD 평균 수준을 하회

    □ 금융⋅보험업의 경우 2000∼2007년 중 연평균 취업자 수 증가율과 인당

    실질부가가치 수준은 OECD 평균 수준을 하회(제Ⅲ유형)

    - 2000~2007년 중 한국 금융․보험업의 연평균 취업자 증가율은 0.34%로

    OECD 평균(0.92%)을 크게 하회(OECD 26개국 중 16위)

    ⋅2008년 현재 금융․보험업 취업자 수는 82만 7천 명으로 2001년 대비 6만

    7천 명 늘어났으나, 전체 서비스업 취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1년

    5.6%에서 2008년 5.2%로 하락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38

    - 동기간 중 한국의 인당 실질부가가치 수준도 7만 5천 달러로 OECD 26

    개국 평균의 76% 수준에 불과(OECD 26개국 중 20위)

    금융․보험업 연평균 취업자수 증가율과 인당 실질부가가치 수준(단위: %, 천 달러/명)

    구분 연평균 취업자수 증가율 인당 실질부가가치 평균

    한국 0.34 75.35

    OECD 평균 0.92 96.90

    주: 취업자수 증가율과 인당 실질부가가치는 1997∼2007년 기준(단 오스트레일리아, 헝가리,

    일본, 포르투갈, 스위스는 1996~2006년, 한국은 2000~2007년, 폴란드는 1995~2005년 기준)

    자료: 통계청, KOSIS DB; 한국은행, ECOS DB; OECD, STAN DB.

    외환위기 이후 구조조정 후유증이 고용증대와 생산성 제고를 제약

    □ 금융보험업의 경우 외환위기 이후 구조조정과 M&A 등을 통해 대형화를

    추구했지만 여전히 규모가 작고 수익구조가 취약25)

    - 국내은행의 순이자마진(NIM)은 2.2∼2.9%로 미국의 절반 수준이고, 국내

    은행의 총수익 대비 비이자수익 비율도 -132.9∼18.7%로 미국에 비해 열위

    주요국과 한국은행의 수익률 비교

    (단위: %)

    구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NIM

    (순이자

    마진)

    한국 2.3 2.2 2.3 2.3 2.5 2.6 2.8 2.9

    미국 4.3 4.2 4.2 4.0 4.1 4.0 4.0 4.2

    일본 2.0 2.0 1.8 1.8 1.8 1.7 1.7 1.8

    영국 2.7 3.0 3.2 2.5 2.3 2.6 2.6 2.8

    비이자수익

    /총이익

    한국 -132.9 -7.7 2.5 18.7 17.4 14.5 18.5 12.6

    미국 40.4 43.0 43.1 42.5 42.1 43.8 42.4 42.8

    자료: IMF (2006).『Global Financial Stability Report』.

    25) 한국과 미국의 상위 4개 은행(국민은행, 우리은행, 농협, 신한금융그룹, Citigroup, JPMorgan Chase,

    Bank of America, Wells Fargo)을 대상으로 자산과 자본규모를 비교한 결과 총자산은 미국의 13.3%,

    기본자본은 13.7%에 불과(김자봉 외 (2007). “FTA와 금융산업의 경쟁력”, 한국금융연구원)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39

    - 특히 국내은행의 경우 수익원 측면에서 이자수입에 편중되어 있어 금융

    혁신 정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

    ⋅한국은 비이자이익이 전체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약 21.8%에 불과

    (2007년 기준)

    ⋅반면, 미국과 핀란드는 전체 이익에서 비이자이익이 차지하는 비중이 각

    각 39.3%, 40.7%

    은행의 전체 이익 중 비이자이익 비중(2007년 기준)(단위: %)

    핀란드 프랑스 캐나다 스웨덴 미국 네덜란드 포르투갈 스페인 이탈리아 독일 한국

    40.7 75.2 51.7 58.4 39.3 54.2 39.3 35.9 36.1 32.1 21.8

    주: 1) 전체 은행기준

    2) 이익과 비이자이익은 이익에서 비용을 차감한 순(net)기준

    자료: OECD DB.

    - 또한 국내 금융부문의 인력구성이 대부분 보조인력과 범용인력 중심으로

    구성되어 은행인력의 전문성도 매우 취약

    ⃞ 외환위기 이후의 인력 구조조정과 금융감독 강화에 따른 보수적인 경영

    기조가 인력확대 및 생산성 제고를 제약

    - 외환위기 이후 금융기관 인력의 대규모 구조조정으로 금융회사 취업자가

    급격히 감소하여 금융부문 인력확대를 크게 제약

    ⋅일반은행과 보험사 취업자의 경우 1997년 말 각각 11.4만 명과 8.3만 명

    이었지만 2002년 9월 말 각각 6.7만 명과 4.7만 명으로 크게 감소

    주요 금융기관 인원현황

    구분 1997년 말(A) 2002년 말(B) 증감률 ( = (B-A)/A)

    일반은행 11.4 6.7 -41.3

    보험사 8.3 4.7 -43.2

    자료: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월보』각호 및 DB.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40

    - 그 결과 금융보험업 분야의 투자활동도 미흡해 생산성 향상을 제약

    ⋅2006년 금융․보험업의 총고정자본형성 규모는 6.1조원으로 외환위기

    이전 수준을 하회

    ․특히, 2003년과 2004년 금융․보험업의 총고정자본형성 증감률은 각각

    -6.5%와 -24.5%로 2년 연속 마이너스

    금융․보험업 총고정자본형성 규모 및 증가율(단위: 조 원, 전년 대비 %)

    구분 1995 1997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총고정자본형성

    (증감률)

    9.9

    ( 297.1)

    6.7

    (-25.2)

    6.3

    (12.0)

    5.9

    (-6.5)

    4.5

    (-24.5)

    5.0

    (11.3)

    6.1

    (22.1)

    자료: 한국은행, ECOS DB.

    □ 국내 증권사와 보험사의 수익구조와 인력구조도 미국 증권사와 보험사에

    비해 열악한 수준

    - 국내 증권회사의 경우 위탁수수료가 총수익의 48.2%를 차지하는 반면,

    미국 증권회사는 위탁수수료 비중이 총수익의 16.5%에 불과

    ⋅M&A 등 기타 증권관련 수익의 경우 미 증권회사는 총수익의 45.8%를

    차지하나, 국내 증권회사의 경우 30.6% 수준

    한국과 미국 증권회사의 주요 영업수익 구성(2004년 기준)

    (단위: %)

    구분 위탁수수료 인수수수료유가증권

    매매와 평가

    파생상품

    거래수익

    수익증권

    판매수익

    고객계좌

    이자수입

    기타증권

    관련수입

    한국 48.2 3.7 -4.9 4.7 9.9 1.6 30.6

    미국 16.5 10.4 16.5 0.6 4.3 3.8 45.8

    자료: 금융감독원, 『조사연구 Review』2005년 겨울호; 김자봉 외 (2007). “FTA와 금융산업

    의 경쟁력”, 한국금융연구원.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41

    - 보험사의 전문인력 관련 미국은 보험사의 핵심인력 중 하나인 보험계리

    사가 전체 직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회사 당 평균 2∼5%인 반면, 국내

    보험사는 0.5% 수준

    국내 보험사와 미국 보험사간 보험계리 인력 비교

    (단위: 명, %)

    구분 보험계리사 수 보험계리사 직원 비율

    미국 22,362 3.5

    한국 342 0.5

    주: 한국은 2006년 9월말 기준, 미국은 2005년 10월말 기준.

    자료: 남상욱 (2006). “선진국의 보험전문인 운영사례와 시사점”, 삼성금융연구소.

    ② 그리스: 제Ⅰ유형(高고용․高부가가치)

    □ 그리스를 성공 사례로 선정한 이유는 현재 그리스 금융업이 생산성과 고용

    면에서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지만, 한국과 유사하게 1990년대 초까지만 해

    도 정부의 통제 하에 있었기 때문

    그리스는 서비스업이 전반적으로 강세

    □ 그리스는 도소매ㆍ음식숙박, 통신, 금융, 사회서비스 등에서 OECD 평균을

    상회하는 생산성 수준과 고용증가율을 기록

    - 그리스 경제는 전통적으로 제조업 기반이 취약한 대신 관광업이 강세

    ㆍ2006년 현재 그리스 관광업은 GDP의 15.1%, 총 고용의 15.9%를 차지26)

    □ 특히 금융산업의 경우 1990년대에 자유화를 단행한 후에도 지금까지

    단 한 차례의 금융위기도 겪지 않은 채 꾸준히 성장

    26) World Travel & Tourism Council, TSA Research 2006.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42

    - 유로 가입은 규제완화를 통한 금융업의 경쟁력 강화와 시장확대 효과를

    발휘

    1990년대 중반이후 생산성 향상과 고용창출을 동시에 달성

    □ 1990년대 중반까지 그리스 금융산업은 유럽의 변방에 불과

    - 1995년 경상GDP 대비 신용기관의 비 은행대출 비중이 EU 최하위

    - 1997년 그리스 인구 10만 명 당 은행지점 수도 24개로 EU 최하위 수준

    □ 1990년대 중반 이후 그리스의 금융ㆍ보험업은 그리스의 경제성장을 견인

    - 1997~2007년 중 금융업의 생산성은 연평균 8.3%, 취업자수는 연평균

    2.0% 성장

    ㆍ동 기간 중 그리스 경제는 연평균 4.5% 성장(EU 평균 2.6%)

    그리스 금융ㆍ보험업의 취업자수와 인당 실질부가가치 추이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천달러/명)

    0

    20

    40

    60

    80

    100

    120

    140(천 명)

    인당 실질부가가치(좌축)

    취업자수(우축)

    자료: OECD, STAN DB.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43

    규제완화, M&A, 해외시장 진출, 효율적 금융감독이 성공 배경

    □ 1990년 초반까지 그리스 정부는 금융시장과 중앙은행을 강력히 통제

    - 그리스 정부는 국영기업에 자금을 低利로 공급하기 위해 은행의 대출과

    이자율을 규제하고 은행기관에게 국⋅공채를 강제로 인수

    ㆍ정부의 은행통제로 민간대출이 위축되고 국영기업의 경영악화로 은행의

    부실채권이 누적

    - 금융산업을 은행업, 증권업, 보험업으로 구분하고, 업종 간 겸업행위와

    교차소유를 금지하며 외국인 투자도 엄격히 제한

    - 그리스 정부는 중앙은행에 국채를 강제로 인수시킴으로써 경상GDP 대비

    14.4%(1990년)에 이르는 막대한 재정적자를 충당

    ㆍ정부가 재정적자를 통화증발로 충당함에 따라 1990년 인플레이션율이

    20.7%까지 상승

    □ 그리스 정부는 1992년 마스트리히트 조약 이후 유로貨 가입의 전제 조건인

    금융산업 선진화를 위해 1993~1998년 중 규제완화를 지속적으로 추진

    - 은행대출과 이자율을 자유화하고, 국유은행의 민영화를 단행

    ㆍ1995년 당시 10개였던 국영은행 수가 2001년까지 3개로 감소

    - 비은행금융기관 및 비금융기관의 은행소유에 대한 규제를 EU 기준27)에

    맞추어 대폭 완화하고, 은행업과 증권업 간의 겸업금지도 해제

    - 중앙은행이 국채를 강제로 인수하지 못하도록 중앙은행의 독립성도 제고

    27) EU의 제2차 은행업지침(Banking Directive)은 비은행금융회사 또는 비금융회사의 은행지분소유 한도를

    제한하지 않고, 은행 주식의 일정비율(10%, 25%, 33%) 이상을 직․간접적으로 보유하고자 할 경우에는

    감독기관에 보고하고 적격성 심사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44

    □ 인수합병을 통해 금융업의 경쟁력을 제고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에 진출

    - 1997~2002년 사이 대대적인 은행 간 인수합병이 발생28)

    ㆍNational Bank of Greece, Marfin Popular Bank 등 경쟁력 있는 대형

    겸업은행(Universal Bank)이 등장

    - 대형화된 그리스 은행들은 세계 주요 증권시장에 상장하는 한편, 마케도

    니아, 불가리아, 루마니아, 터키 등 인근 국가들에 해외 영업망을 구축

    ․National Bank of Greece의 경우 1999년에 美뉴욕증시에 상장

    - 그 결과 금융업 투자는 1999년 이후 꾸준히 증가

    그리스 금융ㆍ보험업의 총고정자본형성 추이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백만유로)

    주: 2000년 실질가격 기준

    자료: OECD, STAN DB.

    □ 그리스 중앙은행은 은행에 대한 건전성 감독을 통해 금융시장이 안정적

    으로 성장하도록 기여

    28) 이 기간 중 11건의 상업은행 간 인수합병이 체결. (Mylonidis, N. & Kelnikola, I. (2005). Merging

    Activity in the Greek Banking System. South Eastern Europe Journal of Economics, 1, 121-144.)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45

    - 그리스가 유로가입에 성공한 2001년 국내 이자율이 크게 하락해 은행의

    가계대출이 급증하고 은행 재무구조의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확산

    ㆍ과거 정부의 금융기관 통제의 유산으로 1999년 당시 부실대출의 규모는

    총대출 대비 13% 수준

    - 그리스 중앙은행은 총 대출상환액이 소득의 40%를 넘지 못하도록 하는

    총부채상환비율(DTI) 제도를 도입

    - 그리스 중앙은행은 은행들에게 대출 손실에 대비해 충당금(provisions)을

    외국보다 충분히 적립하도록 지도

    ㆍ모든 대출에는 1%의 대손충당금이 적용되고 3개월 이상 연체된 대출의

    경우 7~65%의 대손충당금이 추가로 적용29)

    한국과 그리스의 금융보험업 비교

    구분 주요 내용

    한국

    특징

    ▷ 취약한 수익규모와 영세한 사업규모, 보수적 경영기조

    ▷ 외환위기 이후 단행된 급속한 인력 구조조정

    ▷ 범용 및 보조인력 중심의 인력구조

    성과

    ▷ 2000∼2007년 중 전제 취업자 증가율 0.34%로 OECD 26개국 중 16위

    (동기간 중 OECD 평균 취업자 증가율 0.92%)

    ▷ 2000∼2007년 중 인당 실질부가가치 평균은 7.5만 달러로 OECD 26개국 중

    20위 (동기간 중 OECD 인당 실질부가가치 평균은 9.7만 달러)

    그리스

    특징

    ▷ 유로화에 가입하기 위해 EU기준에 따라 각종 금융규제를 완화

    ▷ 대대적인 인수합병으로 경쟁력 강화, 적극적인 해외시장 진출

    ▷ 중앙은행의 효율적인 감독으로 금융위기 없이 지속적으로 성장

    성과▷ 1997∼2007년 중 연평균 고용증가율은 2.0%로 OECD 5위

    ▷ 1997∼2007년 중 인당 실질부가가치 평균은 110,210 달러로 OECD 9위

    29) OECD (2002). OECD Economic Surveys: Greece. OECD, p. 137.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46

    4. 사업서비스업

    OECD 주요국의 사업서비스업 취업자수 증가율과 인당 실질부가가치

    주: 취업자수 증가율과 인당 실질부가가치는 1997∼2007년 기준(단 오스트레일리아, 덴마크,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은 1996~2006년, 한국은 2000~2007년, 스페인은 1995~2005년)

    자료: OECD, STAN DB.; 통계청, KOSIS DB. 

    ① 한국: 제Ⅱ유형(高고용․低부가가치)

    취업자수 증가율은 OECD 수준을 상회하나, 생산성은 하회

    □ 2000∼2007년 중 사업서비스30)의 취업자 증가율은 OECD 평균 수준을

    상회했으나 인당 실질부가가치로 본 생산성 수준은 OECD 평균 수준을

    하회 (제Ⅱ유형)

    30) 사업서비스업은 고부가가치 지식기반서비스업이면서 제조업과 밀접하게 연관된 서비스산업으로 경영

    프로세스의 일부를 외부에서 생산 및 공급함. 수요기업의 입장에서는 핵심 분야를 제외한 모든 분야가

    아웃소싱의 대상임 (정종인 외(2007), “사업서비스업의 현황 및 발전방향”, 한국은행.)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47

    - 동 기간 중 한국 사업서비스의 취업자수 증가율은 연평균 8.99%인 반면,

    OECD 평균 취업자수 증가율은 5.19%

    ․전체 서비스업 취업자에서 사업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도 2008년 현재

    12.1%로 2001년 대비 3.6%p 확대

    최근 사업서비스 취업자수 추이

    (단위: 만 명, %)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114.9

    (8.5)

    125.1

    (8.9)

    130.3

    (9.3)

    146.1

    (10.1)

    154.0

    (10.3)

    166.9

    (10.9)

    184.5

    (11.8)

    192.0

    (12.1)

    주: ( )내는 전체 서비스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자료: 통계청, KOSIS DB.

    - 반면, 인당 실질부가가치로 본 사업서비스업 생산성은 2만 9,560달러로

    OECD 평균 수준(4만 7천 달러)의 약 63%에 불과

    사업서비스업의 연평균 취업자수 증가율과 인당 실질부가가치 수준

    (단위: %, 천 달러/명)

    구분 연평균 취업자수 증가율 인당 실질부가가치 평균

    한국 8.99 29.56

    OECD 평균 5.19 47.00

    주: 취업자수 증가율과 인당 실질부가가치는 1997∼2007년 기준(단 오스트레일리아, 덴마크,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은 1996~2006년, 한국은 2000~2007년, 스페인은 1995~2005년)

    자료: 통계청, KOSIS DB; 한국은행, ECOS DB; OECD, STAN DB.

    규모의 영세성이 생산성 부가가치 열위의 주요인

    ⃞ 사업서비스업은 진입장벽이 낮아 상대적으로 입직이 자유롭고, 제조업의

    발전 등으로 수요가 확대되면서 취업자 증가세가 OECD 평균 수준을 상회

    - 사업서비스업은 서비스업 중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낮아 입직과 창업이

    용이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48

    ⋅사업서비스업의 진입장벽 지수(매출액 기준)는 1.4로 전체 서비스업의

    진입장벽 수준(2.3)보다 낮고 사업체 수 기준으로도 본 진입장벽 지수도

    전체 서비스업 수준과 유사

    전체 서비스업과 사업서비스업의 진입장벽 지수

    구분 전체 서비스업 사업서비스업

    매출액 기준 2.3 1.4

    사업체 수 기준 1.8 1.8

    주: 1) 2005년 매출액 및 사업체 수 기준

    2) 진입장벽지수는 0~6의 값을 가지며, 0점은 완전개방, 6점은 정부독점을 의미

    자료: 이병희 외(2007), “우리나라 서비스업의 진입장벽 현황 분석”, 한국은행.

    - IT 등 제조업의 고도화 등에 힘입어 최종소비 단계보다 생산과정의 중간

    재로 활용되는 사업서비스업 수요가 확대

    ⋅사업서비스업은 기업경영 프로세스의 일부를 외부에서 생산․공급하는

    산업

    ⃞ 반면, 규모의 영세성으로 인해 부가가치 수준이 낮은 것으로 판단

    - 경영상담업(컨설팅)의 경우 한국기업의 인당 매출액 및 업체당 매출액

    등이 외국계에 비해 매우 열위

    ․한국기업의 약 87%가 20명 이하의 소규모 기업으로 구성

    한국 내 컨설팅사의 외국계 기업 및 한국기업 비교

    구분업체 수

    (개)

    매출액

    (억 원)

    종사자 수

    (명)

    1인당 매출액

    (억 원)

    업체 당

    종사자 수(명)

    업체당

    매출액(억 원)

    외국계 기업 47 3,801 1,941 1.96 41.3 80.9

    한국기업(20명 이상)

    한국기업(20명 이하)

    174

    1,184

    9,996

    6,336

    8,449

    6,399

    1.18

    0.99

    48.6

    5.4

    57.4

    5.4

    주: 외국계 기업은 액센츄어, 딜로이트 등

    자료: 산업연구원(2005), “컨설팅 산업선진화를 위한 정책방안”.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49

    - 연매출 5억 원 미만의 업체가 전체의 67.5%를 차지할 정도로 영세

    ⋅2006년 현재 10인 미만 영세 사업체가 전체의 77.5%를 차지하고 있으나

    매출액 비중은 14.7%에 불과31)

    - 인당 R&D 투자수준도 592.6달러로 세계 20위 수준에 불과(2007년 기준)

    주요국의 인당 R&D 총지출액 수준(2007년 기준)

    (단위: 달러)

    스웨덴 핀란드 덴마크 노르웨이 미국 일본 프랑스 영국 한국

    1,797.2

    (1위)

    1,617.7

    (3위)

    1,452.2

    (4위)

    1,305.6

    (6위)

    1,205.9

    (7위)

    1,161.0

    (8위)

    873.8

    (12위)

    706.2

    (19위)

    592.6

    (20위)

    주: 조사대상 국가는 전 세계 57개국

    자료: IMD (2009).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 2009.

    □ 법적인 지위나 고용 안정성이 낮은 ‘사업지원 서비스업’ 근로자 위주의

    고용확대도 생산성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

    - 2001∼2005년 중 사업서비스업 취업자가 큰 폭으로 확대되었지만, 이중

    임시․일용직 비중이 높은 사업지원 서비스업 취업자가 상대적으로 큼

    ⋅서비스업 취업자의 동기간 중 연평균 증가율이 3.1%을 기록했지만 사업

    서비스업은 11.1%. 사업지원 서비스업은 17.5%의 높은 증가세를 보임

    ․사업서비스업의 임시․일용직 비중 : 18.6%(2001년) → 21.7%(2005년)32)

    31) 중소기업청(2007). “2007 중소기업 컨설팅산업 백서”.

    32) 통계청 (2005). “서비스업 총조사”.

  •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50

    업종별 취업자수 추이 및 연평균 증가율(단위: 만 명, %)

    구분 2001년 2005년 연평균 증가율

    서비스업 804.3 909.2 3.1

    사업서비스업 69.0 105.2 11.1

    정보처리 및 컴퓨터운영관련 12.3 (17.8) 16.3 (15.5) 7.3

    연구 및 개발 4.9 (7.1) 7.9 (7.5) 12.5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 28.2 (40.9) 36.2 (34.4) 6.4

    사업지원서비스 23.6 (34.2) 44.9 (42.7) 17.5

    주: ( )는 각 서비스업이 사업서비스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자료: 통계청, KOSIS DB.

    - 컨설팅 업체들도 단가 인하경쟁으로 저임금, 장시간 근로가 일상화 되면서

    우수인력이 기피하는 등 구인난이 심각33)

    ㆍ2007년 기준 사업서비스 산업의 연평균 이직률은 3.2%로 전산업 평균

    2.3%를 상회34)

    ② 스웨덴: 제Ⅰ유형(高고용․高부가가치)

    □ 스웨덴은 사업서비스에서 OECD 국가 중 최고의 고용증가율을 기록하면

    서도 인당 실질부가가치 수준도 4번째로 높아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성

    공한 대표적 사례

    지식기반 사업서비스 발달에 힘입어 높은 부가가치 창출

    □ 스웨덴은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산업이 대표적 사업서비스로 정착

    - 각종 경영 관련 컨설팅, 마케팅 대행 등 고급 전문인력이 서비스생산의 주요

    투입요소가 되는 고부가가치 업종이 총 사업서비스 고용의 53.0%를 차지

    33) 국내 대표적 IT컨설팅 기업의 CEO는 “소프트웨어는 3D 업종이라 하는데 IT컨설팅은 4D”라고 토로

    (“IT컨설팅업계 최대 고민 구인난”.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