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도시생태현황도...

36
서울특별시 도시생태현황도 제작 및 운영 도시계획국 도시생태팀

Upload: others

Post on 31-Aug-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서울특별시 도시생태현황도제작 및 운영

도시계획국도시생태팀

차 례

I. 만든 배경

II. 관련 규정

III. 제작 및 과정

IV. 주요 내용

V. 활 용

VI. 문제점

VII. 향후 과제

만 든 배 경

환경친화적인 도시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부족

도시계획시 도시의 자연환경 및 생태계에

대한 고려가 필요

도시녹지의 체계적인 관리

도시의 과밀개발로 인한 도시생활환경의

악화

관련 규정

서울시 도시계획조례(2000년 제정)

제4조제2항“시장은 지속가능한 도시기본계획 수립을 위해기초조사 내용에 도시생태현황조사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조례시행규칙 제28조에서“도시생태현황조사 및 평가 방법”을 규정

제 작

1차년도 1999. 3 ~2001. 2(2년)1:3000 수치지형도 이용 CD-ROM 및 종이지도 제작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및 수도권 소재 7개 대학 참여

제작비용 : 714백만원

2차년도 : 2003. 3 ~2004.12 (2년)1:1000 수치지형도 이용 CD-ROM 및 종이지도 제작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제작비용 : 370백만원

생태현황도 제작 과정

서울시 전지역에 대한 기초조사(토지이용. 토양피복. 현존식생)

비오톱 유형구분 및 평가

도시생태현황도 (6개의 주제도로 구성)

토지이용현황도. 불투수토양포장도. 현존식생도.

비오톱유형도. 비오톱 유형평가도. 개별비오톱평가도

주 요 내 용

토지이용유형 현황도시화지역 (강남 61.34%)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강남 38.66%)

불투수 토양포장 현황(49.42%)

현존식생 현황 (46.68%)

비오톱 유형

비오톱유형 평가

개별비오톱 평가

서울시의 비오톱유형은 9개 카테고리 61개 유형으로 구분됨

비오톱유형화 결과비오톱유형화비오톱유형화 결과결과

주택지 비오톱

상업 업무지 비오톱

유휴지 비오톱

공업 도시기반시설지 비오톱

교통시설 비오톱

조경녹지 비오톱

하천 습지 비오톱

경작지 비오톱

산림지 비오톱

하수처리장, 유수지, 배수지, 쓰레기매립지, 정수장, 발전소, 농수산물시장, 학교, 연구소, 병원, 행정기관등

도로, 철도, 공항등

도시공원, 고궁, 묘지, 식물원, 골프장등

연못, 하천, 계곡수, 습지

논, 밭, 과수원, 방목지, 시설경작지, 묘포장

도시유휴지

상업업무지, 혼합지

단독주택지, 공동주택지, 전통취락지

인공조림지, 자연림, 초본식생지, 벌채지, 암석노출지등

서울시 토지이용 현황도

활 용

환경성검토

국계법 제27조제2항에 근거한 “서울시환경성검토지침”에서 환경성검토 항목에 토양포장 및 비오톱 변화를 포함

하고 있어 생태현황도 활용을 규정하고 있음

토지적성평가

국계법 제27조제3항에 근거한 “서울시토지적성평가기준”에서 생태현황도의 비오톱유형 구분자료를 활용하여 평

가하고 있음

도시계획 등 각종 행정계획 수립의 기초자료

개발행위허가의 기초자료

문 제 점

제작 시 많은 비용과 기간이 소요1차년 714백만원, 2차년 370백만원

지구단위계획 등 상세계획에 있어서 자료

의 정밀성 한계(환경생태계획,환경성검토)

양서.파충류 등 동물에 대한 자료의 한계

녹지자연도, 생태자연도와의 관계

도시계획가의 이해부족

비오톱유형 및 평가에 대한 일반인들의

이해가 어려움

담당직원의 전문성 부족

실시간 테이터 관리

도시관리를 위한 환경지도로서 더 많은

자료와 정보가 필요

앞으로 과제

비용 및 제작기간을 줄이는 문제

양서.파충류 등 동물에 대한 자료 보완

실시간 정보입력 시 평가문제

도시관리계획을 위한 기후와 환경 등 더 많은

자료와 정보가 필요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통일된 규정이나

지침 필요

도시생태현황도에 대한 환경부 및 건교부의

제도적 보완

감사 합니다.

서울특별시생태면적율 도시계획 활용

도시계획국

도시의 과밀개발과 매년 증가되는 포장면적은도시열섬현상과 도시홍수를 유발하여 도시 생활환경의 질 저하를 가져오고 있어

이러한 문제를 도시계획 측면에서 효과적으로제어할 수 있는 제도적 수단을 마련하여 쾌적한도시생활환경을 만드는데 그 목적이 있음

-서울시 평균기온(1947년‾2003년)

0.02.04.06.08.010.012.014.016.0

1947 1952 1957 1962 1967 1972 1977 1982 1987 1992 1997 2002

-서울시 평균습도(1947년‾2003년)

0102030405060708090100

1947 1951 1955 1959 1963 1967 1971 1975 1979 1983 1987 1991 1995 1999 2003

-서울시 평균풍속(1947년‾2003년)

0.0

2.0

4.0

6.0

8.0

10.0

12.0

14.0

1947 1952 1957 1962 1967 1972 1977 1982 1987 1992 1997 2002

차 례

I. 개 요

Ⅱ. 공간유형 구분 및 가중치 설정

III. 생태면적율의 적용가능성 검토

IV. 생태면적율 활용 방안

Ⅴ. 적용사례 및 기대효과

개발배경

환경의 질 규정보완적 규정개발한계규정

건폐율

용적율

? 생태면적율생태면적율

토양포장율

토양투수율

우수유출율

우수침투율

녹지용적율

녹피율

녹시율

건폐율

용적율

조경면적

환경계획지표(통합형)외국사례(독,일)기존계획 지표

도시의 생활환경 질의 악화에 대한 도시계획 차원에서 환경의 질을 제어 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

생태면적율의 정의

도시공간의 생태적기능을토양기능

미기후 조절 및 대기의 질 개선기능

물순환기능

동식물의 서식처로서의 기능으로 정의하고

이것을 구체적으로 자연의 순환기능 유지와 개선을 정량적으로유도하는 율,

즉 공간계획 대상 면적 중에서 자연의 순환기능을 가진 토양의면적비

공간계획 대상 면적 중에서 자연의 순환기능을 가진 토양면적의 비

공간유형 및 가중치설정 과정

1212개개 공간유형공간유형 및및 가중치가중치 설정설정

평가기준

증발산 기능

미세분진 흡착기능

우수의 투수 및 저장기능

토양기능의 보전 및 개선

동식물 서식공간 제공 가능성

공간유형의 평가기준 설정

및 평가

서울시 기존유형 + 개발가능 유형16개 공간유형의 분류

19개 자치구 43개 블록, 20개 필지서울시 현장조사

생태도시 조성 핵심기술(건교부,건설기술원구원)

국내연구사례

독일 비오톱면적지수(BFF)외국사례연구

불투수포장공기와 물이 투과하지 않은 불투수포장0.0불투수포장12

빗물을 저장및 침투시설 연계된 옥상면적

빗물침투 및 저류시설에 연계된 옥상, 저류옥상0.2침투,저장

연계옥상11

틈새가 있는 벽돌포장,사고석포장등포장재는 불투성이나 틈새로 투수성을 확보한포장, 식생생장 불가능

0.2틈새 투수포장10

자연지반위의 마사토,자갈,모래등 투수성포장

자연골재, 투수성바닥잴를 이용한 전면투수포장, 식생생장 불가능

0.3전면 투수포장9

벽면이나 담장녹화 공간벽면, 담장의 녹화로 최대 10m까지 만 인정0.3벽면녹화8

잔디블럭, 목판 또는 판석 부분포장자연지반녹지위의 부분포장공간 식물생장0.5부분포장7

옥상녹화면토심이 10cm 이상인 옥상녹화면0.5옥상녹화>10cm6

지하시설물 상부 녹지토심이 90cm 이하인 인공지반 상부 식재면0.5인공지반녹지<90cm

5

지하시설물 상부 녹지토심이 90cm 이상인 인공지반 상부 식재면0.7인공지반녹지

>90cm4

바닥이 차수처리된 생태연못자연지반 위에 조성되고 차수된 공간0.7수공간(차수)3

투수가 되는 생태연못자연지반 위에 조성된 수공간, 투수기능1.0수공간(투수기능)2

자연상태의 녹지자연지반이 손상되지 않은 녹지, 식생피복1.0자연지반녹지1

사 례내 용1m2당가중치

공간유형연번

공간유형구분 및 가중치

산정 방법

목적• 서울시에 적합한 공간유형 구분• 생태면적율의 적용 가능성 및 수준파악

조사구역• 19개 자치구- 블럭단위 43개소

- 필지단위 20개소

생태면적율 (%) =100×전체 대상지 면적

Σ (공간유형별 면적 × 가중치)

양호,보통,불량주거,상업,공업, 공공용지필지단위

양호,보통,불량주거,상업,공업, 공공용지블럭단위

생활환경수준용 도구 분

적용가능성 조사

조사기간

2003. 5. ~ 2003.10 (6개월)

13 ~ 70%50 ~ 60%공공시설 및 건물

12 ~ 40%50 ~ 60%교육시설(초중고 대학교)

0 ~ 10%60%근린상업지역

0 ~ 30%60%일반상업지역상업업무지

15 ~ 50%60%아파트지역

10 ~ 40%60%저층연립지역공동주택지

0 ~ 15%60%준주거지역

0 ~ 40%50 ~ 60% 일반주거지역

2 ~ 30%40 ~ 50%전용주거지역

단독주택지

생태면적율건폐율지역용도건축유형

생태면적율 현황

투수블럭 포장

벽면녹화

옥상녹화

사고석 포장

0.30.5

0.7

0.5

0.5

0.2

빗물 침투도랑 판석포장

아파트 주차장 위 녹화 구조물 위 녹화

0.2

0.5

1

1

1

1

적용기준

50% 이상녹지지역 시설 및 건축물

40% 이상교육시설 (초·중·고등학교, 대학교 등)

도로 20%

공중 지하시설은 제외

30% 이상공공 시설 및 건물

환경오염배출사업장제외

20% 이상일반건축물 (업무, 판매, 공장 등)

30% 이상공동주택 (개발면적 660㎡ 이상)

20% 이상단독주택 (개발면적 660㎡ 미만)

비 고생태면적율 기준건 축 유 형

옥상녹화, 벽면녹화 , 빗물투수 및 저장을 유도하고 과도한포장을 지양하는 최소한의 행정목표

적용대상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 기반시설(지하·공중시설은 제외), 지구단위계획

도시개발법 – 도시개발사업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 – 정비사업

건축법 – 건축사업

주택법 - 주택건설사업

시행일

이 기준은사업계획이 신청되어 확정되지 않은 사업

이나

새로이 인·허가 및 결정(변경)을 신청하는사업에 적용하며

공공기관이 건설 공급하는 건축 및 시설물에

대하여서는 2004. 7월부터

민간부분에서 시행하는 건축 및 시설물은 11월

공청회 의견수렴 후 조례화로 시행

기대효과

도시홍수 예방 도시열섬 현상 예방

생물 종다양성 증진 C O 2 저감도시 미관 개선

지하수 생성

감사감사 합니다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