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음운규칙 발달 · 2012-06-21 · 비음, 활음 퉁이며 음철 구조도 간단한...

21
1. (phonemes)

Upload: others

Post on 21-Jul-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음성·음운규칙 발달 · 2012-06-21 · 비음, 활음 퉁이며 음철 구조도 간단한 CV. CVC. cvcv 둥으로 제한되어 있 다. 셋째. 태어난 후 187"월에서

I특정·언어 습득l

음성·음운규칙 발달

이기정

1. 서 론

어린아이들은 태어나자마자 소리를 내고. 첫 돌이 지날 무렵이면 주위에 있는

사람들이 알아들을 수 있는 소리를 내며 두 돌이 지날 무렵이연 간단한 문장을

만들어 내며, 다섯 살이 될 무렵이면 대부분의 어휘에 대한 정확한 발음을 할 수

있게 된다. 정확한 발음을 할 수 있다는 것은 그 나라의 모쾌 음운론을 습득하

였다는 것이다. 모쾌의 음운론을 습득하였다는 것은 그 나라 언어의 음소

(phonemes) 체계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음소 습득은 물론 목표용11 대한 정

확한 발음 지식을 습득하는 음성 습득과 형태음소(morphophonemes)의 음운

교체형에 대한 습득을 의미한다.

이러한 언어 습득과 관련된 초기의 연구는 언어학자들과 언어 병리학자들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언어학자들은 주로 어떤 음운 이론이 음소 습득 순서를 가

장 잘 예측하고 셜명할 수 있는가를 보여 주기 위해서 주로 음소 습득 순서와

Page 2: 음성·음운규칙 발달 · 2012-06-21 · 비음, 활음 퉁이며 음철 구조도 간단한 CV. CVC. cvcv 둥으로 제한되어 있 다. 셋째. 태어난 후 187"월에서

82 새국어생활 제7권 제1호(’97년 봄)

음소 대립 동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Temp1in(1957)과 같은 언어 병리학자

들은 음소 습득 시기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 이유는 습득 적정

연령에 도달해서도 그 해당 음소를 제대로 발음하지 못하는 아이들을 구별하

여 치료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음소 습득 순서에 대한

강조는 Jakobson(1941)에서 비롯되었다. 여기서 음운 발달, 음운적 보편성

(phon010gica1 universa1s). 실어증에서 비롯되는 음운 상실 (phon010gica1

10ss) 사이의 관계를 강조하였다 또한 어린아이의 발성 단계를 옹아리

(babbling) 단계와 의미 발화(meaningfu1 speech) 단계로 나누었으며, 전

자의 시기에 어린아이들이 만들어 내는 소리는 임의적인 것이어서 어떤 발전

단계의 유형을 보여 주지 못하지만, 후자의 시기 이후에는 음소 습득이 언어 보

면적인 순서와 내재적 순서를 따른다고 ~하였다.

1970년대부터는 음운 발전에 대한 다양한 이론이 나왔다. 이 시기에는 음소 습

득 단계에 대한 연구를 넘어서 보다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예를 들

어 Locke ( 1983)와 Oller et a1 (1 976)은 Jakobson의 주징어l 반박해서 어린아

이틀의 옹。}리가 그 다음 시기의 의미 발화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주장했

다. Macken(1979)은 어린아이들은 자기 지신의 음운판(output temp1ates)을

가지고 있어서 성인들의 소리를 자기 나름대로의 음운판에 맞게 발음하기도 한다

고 주장한다. 예를 들면, “첫번째 모음은 두 번째 모음 보다 고모음이다" “가운데

X냄은 성문 폐쇄음이다, 혹은 “첫번째 2댐은 。삶음에고 두 번째 2냄은 치경

음이다’와 같은 음운판에 맞게 성인들의 말소리를 바꾸어 발음한다. 자연 음운론

(Natura1 Phon010gy)에서는 어린아이들은 많은 자연 음성 제약에 지배되지만

성인의 경우에는 이러한 제약을 극복해 보다 복잡한 모쾌의 음운 체계를 습

득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이 글은 언어 습득과 관련된 여러 가지 주제 중에서 음성 ·음운 규칙 발달 측면

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Ingram(1976)을 중심으로 음성 ·음운 규칙의 5가지

Page 3: 음성·음운규칙 발달 · 2012-06-21 · 비음, 활음 퉁이며 음철 구조도 간단한 CV. CVC. cvcv 둥으로 제한되어 있 다. 셋째. 태어난 후 187"월에서

음성 ·음운규칙 발달 83

발달 단계를 살펴보고 Macken(1995)이 주장한 기저형과 음성 ·음운 규칙 발달

의 3개l 유형을 소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영어를 습득핸 과정과 한국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음성 ·음운 규칙의 예를 제시하고 비교하고

자 한다. 영어를 습득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자료는 Grunwell (982)과

Stoel-Gammon과 Dunn(1985)을 중심으로 하고 한국어를 습득하는 중에 나

타나는 자료는 배소영(1987. 1996)과 엄정회(1987)를 참고하였다.

2. 음성 ·음운 규칙 발달 단계

음운 체계는 생리학적이며 인지적인 발달과 더불어 습득된다. Ingram

(1976)은 이러한 관점에서 어린아이들의 음운 발달을 다섯 단계로 나누었다.

첫째, 어린아이가 태어나서 첫 돌이 지날 무렵 처음 첫 단어를 발음하기 전에

자신에게 필요한 생리학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울음, 웃음, 하품과 같은

여러 가지 다양한 음성적 활동을 하게 된다. 이 시기에 아이들은 일정한 소리들

을 만들어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리들의 차이도 구별할 수 있다. 이 시기 어

린아이들의 발성 활동。l 쩨 모랙의 음운 체계를 습득핸 것과 관계가 없다

고 여겨 왔지만, 최근에는 상당한 유사점이 있다는 연구가 나오고 있다. 물론 이

시기에 어린아이들이 만들어 내는 소리들에는 그들이 나중에 습득하게 될 성인들

의 음정 체계에 존재하지 않은 것들도 있다. 그렇다고 해서 우리들의 발성 기관

을 이용하여 만들어 낼 수 있는 모든 소리들을 지어 내지는 않는다. 다시 말해서

어느 정도는 자연성의 원리에 의해서 제약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만

들어 내는 소리는 일반적으로 ‘구구’하는 새 울음소리와 유사한 소리이거나 옹아

리이다. 어린아이들은 태어나서 4개월 정도 지속적으로 ‘구구’하는 소리를 낸다.

이 소리는 대략 연구개음 혹은 경구개음과 모음이 어우러져서 만들어진다. 4개월

이 지난 후부터 1살아 될 무렵까지는 용아리 소리가 많다. 주로 양순음과 모음으

Page 4: 음성·음운규칙 발달 · 2012-06-21 · 비음, 활음 퉁이며 음철 구조도 간단한 CV. CVC. cvcv 둥으로 제한되어 있 다. 셋째. 태어난 후 187"월에서

84 새국어생활 제7권 제1호('97년 봉)

로 구성되는 소리인데 ‘구구’ 소리보다는 음절 구분이 확실해진다. 이 시기의 어

린。에틀은 자신의 모후1 음운 체계와 관계없이 성문 울림 개시 시간(voice

onset time)이나 기타 음향적인 요소들을 바탕으로 허여 범주척으로 어떤 소리

를 구별한다. 예를 들연 한국어의 장애음은 모두 무성음이지만 영어의 경우는 유

성음과무성음의 구별이 있다. 따라서 한국어 모돼 화자는장애음에 대한유성

과 무정의 차이를 알지 못한다. 그러나 이 시기의 한국 어린아이들은 미국 어린

아이들과 마찬가지로 단지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유성음과 무성음을 구별할 수

있다. 이 시기의 어린。에들은 밸f는 사랍들의 업술 모양을 보고 모음의 차이를

파악하기도 한다(K버11 and Meltzoff. 1984) . 이러한 능력이 선천적인 것인지

아니면 아주 어린 시절에 습득되는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둘째, 태어나서 약 14개월 정도가 지날 무렵에 대략 507얘도의 어휘를 익힌

다. 이 시기의 어린아이들은각어휘를분절음들의 연속체로파악하는것이 아니

고 어휘 그 자체를 하나의 단위로 파악한다. 이 시기에 나타나는 음들은 파열음,

비음, 활음 퉁이며 음철 구조도 간단한 CV. CVC. cvcv 둥으로 제한되어 있 다.

셋째 . 태어난 후 187"월에서 껴l 사이에, 어린아이들의 언어에는 엄청난 변화

가 일어난다. 즉 복잡한 구조를 가진 문장들이 나타나고, 사용하는 어휘 수가 급

격히 늘어난다. 그러나발달되지 못한음성 , 음운체계를지닌채로이 시기로들

어온다. 그래서 여러 가지 다양한 오류 형태가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파열음 계

열이 비교적 일찍 습득되고, 마찰음은 비교적 늦게 습득된다. 마찰음과 파찰음의

구별은 다음 단계가 되어서야 구별이 된다. 중요한 점은 각각의 소리들이 임의적

이며 독립적으로 습득되는 것이 아니고 체계적인 대조 체계로 습득된다는 것이

다. 이러한 주요 대조 단위는 이 시기에 대부분 습득된다. 이 시기에 음소 결합

구조가 점차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된다. 따라서 음절말 자음어 규칙적으로 나타난

다. 몇몇 Z뜸군이 습득되기는 하지만 완전한 형태를 띠지는 못한다. 음절 내에

Page 5: 음성·음운규칙 발달 · 2012-06-21 · 비음, 활음 퉁이며 음철 구조도 간단한 CV. CVC. cvcv 둥으로 제한되어 있 다. 셋째. 태어난 후 187"월에서

음성·음운규칙발달 85

서 자음군의 위치와자음군을이루는분절음들에 따라서 음성 형태가다르게 나

타난다. 일반적으로 초성에 나타나는 자읍군의 첫 자음은 종종 생략된다(예,

[krim) , scream' ) . 혹은 마지막에 나오는 자음이 탈락되기도 한다(예, [밟n)

' hand' ). 또한 활음과 유음의 관계에서처럼 성인들의 음소와 일대일 대응 관계

를 보이며 나타나기도 한다(예, [fweJ) , fresh' )

넷째 , 4세에서 7세 사이가 되면 실제 발음되는 음성형에 대한 미세한 차이점

(대조)을 습득하게 된다. 예를 들면, 마찰음과 파찰램 대한 차이와, 여러 7t7.]

7.t음군의 결합에 대한 습득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시기가 지날 무렵이면 거의

성인과 유사한 발음을 하게 된다. 그러나 여전히 어떤 환경에서는 일관성 있게 발

음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vegetable, thermometer, valentine ,

pneumonia와 같은 다음절어는 여전히 성인틀의 발음과 일치하지 않는다. 이러

한 단어들에서는 이전에 나타난 오류 유형이 다시 나타난다. 따라서 valentine ,

vegetable의 경우는 단어 초의 마찰음이 파열음으로 발음된다. vegetable과 같

은 단어에서는 자음군 간소화 현상이 나타난다. pneumonia에서는 음운 도치나

초성 자음 탈락과 같은 현상이 나타난다. 이 단계에서는 형태음소 체계에 대한 초

보적 양상의 단계가 나타난다. 즉 형태소에 대한 다양한 음운 형태가 나타나기 시

작한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에 대한 지식을 단순히 암기핸 것이 아니라 원리를

지배하는 규칙에 대한 지식을 갖기 시작한다.

다섯째, 이 마지막 단계에서 문법적 요소(형태소)와 음운 교체에 대한 관계

를 습득하게 된다. 또한 복합 명사와 명사구에 따라강세의 차이를 알게 된다.

즉 어린아이들이 자기 모국어의 음성적 특성을 완전히 습득하기 전에 일반적으

로 형태론과 형태음소론에 대한 지식을 얻게 된다. 예를 들면. 복수를 나타내거

나, 3인칭 단수 어미인 /-s/의 발음은 유정음화 현상이 적용된다. 이와 같은 자

연스러운 음운 현상들을 일찍 습득하게 되고 항상 정확한 음성 형태로 발음하

게 된다. 그러나 선행하는 어간의 음절말 자음이 /s/ 혹은 /z/인 경우와 같은

Page 6: 음성·음운규칙 발달 · 2012-06-21 · 비음, 활음 퉁이며 음철 구조도 간단한 CV. CVC. cvcv 둥으로 제한되어 있 다. 셋째. 태어난 후 187"월에서

86 새국어생활 제7권 제1호(’97년 봄)

경우는 접사의 발음이 [az)로 되며 이러한 발음운 나중에 습득하게 된다. 특정

한 형태소에 적용되는 규칙의 습득에는 많은 요인들이 서로 작용한다. 이러한

요소들에는 빈도수, 의미론 혹은 음운론적으로 초건틀이 있다. 몇몇 빈번한 어

휘에 기계적으로 적용되는 규칙들은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규칙보다 먼저 적용

되지만, correct/correction , invade/invasion의 구개음화 현상과 같은 형태

음운 규칙틀은 나중에 습득된다.

3. 기저형과 음성·음운 규칙 발달

어린아이들이 가지고 있는 어휘의 기저형과 그 어휘의 음운 발달과 관련하여 3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Macken 1995). 유형1에 속하는 어휘들은 어

느 시기에는 정확하게 발음되지만 다음 시기에는 잘못 발음되는 것틀이다.

(1) a. [tJ하c)(돼me 1) , [tr하c)(’Time 2) , chalk'

[tJen)(’Time 1) , [tren)(뀐me 2) 'train'

b. [bræn) (Time 1) , [brænd) (Time 2) 'bran'

[hæn)(Time 1) , [hænd)(뀐me 2) ’hand'

위의 예에서 보듯이 유형 1에 속등}는 어휘들은 다음과 같은 특정이 있다.

(2) 서로 다른 두 개의 분절음 X, Y가 모두 y로 발음된다.

(3) 몇 달 기간에 x.9.J 변화형인 x'o1 어린아이의 어휘 목록 속으로 천천히 들

어간다.

(4) 어휘 사이에 예외적인 것들이 일관성 있게 발견된다.

(5) x까 x가 나와야 핸 환경에서 정확하게 발음되지만, y 환경에서는 정확

Page 7: 음성·음운규칙 발달 · 2012-06-21 · 비음, 활음 퉁이며 음철 구조도 간단한 CV. CVC. cvcv 둥으로 제한되어 있 다. 셋째. 태어난 후 187"월에서

음성 · 음운 규칙 발달 87

하지 않게 발음된다. 그 결과 y에 오류가 생긴다.

이러한 유형에 속하는 음운 발달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맘me 1(T1)에서 어

린아이의 기저형을 표면형과 동일하게 설정한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중화 규

칙이 필요하지 않다. 즉(1a)에서 성인의 /tr/이나 /tf/는 어린아이들에게는 기저

형이 모두 /u/이다. 돼me 2(T2)에서 [tf)-) [tr) 규칙이 서서히 적용되어

'train셰서는 정확하게 발음하고, 'chalk'와 같은 어휘에서는 툴리게 발음한다.

(lb)에서도 어린아이는 성인의 종성 /nI이나 /nd/의 기저형을 /nI으로 인식한

다. T2에서 종성 [n)-) (nd) 규칙이 적용되어 ‘bran셰서는 잘못된 발음을 하

고, 'hand에서는정확한발음을만들어 낸다. 이러한의미는 T1에서 어린아이

들이 성인들의 적절한 대립 관계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음군

(consonant clusters)과 같이 음운 구죠:7t 복잡하거나, 음운적 대립을 파악하

는 데 기음(aspiration)이나 경음(tension)과 같은 음향적 요인이 기여하지 못

하는 경우에는 2세가 지나서강}도 어느 정도의 지각적 학습。1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유형 1의 변화는 2세에서 4A11 사이에 발견되는 몇몇 음운 규칙들을 설명 할수있다.

2세에서 4세 사이에는 유형2의 변화가 유형 1의 변화 보다 자주 나타난다. 다

음예를살펴보자.

(6) a. (bat)(Time 1) , [뼈s) (Time 2) 'bus'

(bat) (뀐me 1) , (bat)(Time 2) 'but'

b. [bt.di) (Time 1) , (PrLdi) (Time 2) ’ pretty'

(btp)(’Time 1) , (ptp) (Time 2) ’ · ’ plp

c. (dein)(Time 1) , (rein)(되me 2) ’ ‘ ’ ram

(dcn)(’Time 1) , (dcn) (Time 2) 'den'

Page 8: 음성·음운규칙 발달 · 2012-06-21 · 비음, 활음 퉁이며 음철 구조도 간단한 CV. CVC. cvcv 둥으로 제한되어 있 다. 셋째. 태어난 후 187"월에서

88 새국어생활 제7권 제 1호(’97년 봄)

유형 1에 속하는 어휘틀은 다음과 같은 특정이 있다.

(7) 서로 다른 두 개의 분절음 X, Y가 모두 y로 발음된다.

(8) 몇 일 내에 x의 변화형인 x끼 어린아이의 어휘 목록 속으로 급속히 들어

간다.

(9) x’가 x가 나와야 하는 환경에서만 정확하게 발음된다.

(1이 그 결과 y에 오류가 생기지 않는다.

(7)-(10)에서처럼 변화형 x/이 올바른 환경에서만 나타난다는 것은 어린아이

들이 T1과 T2에서 정확한 기저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T2 에서 습득한 것

은 그 기저형의 분절음들을 정확하게 발음하는 법인 것이다. 예를 들어 , (6a)에

서 T1과 T2에서 'bus '의 기저형은 /뼈s/이며, 조음상의 어려움으로 T1에서 [t)

로 발음하던 것을 T2에서는 정확한 표면형으로 발음하게 된 것이다. (6b)에서

T1과 T2에서 ‘pretty'의 기저형은 /pruli/이다. 다만 T1에서 조음상의 어려움

으로 초성의 자음군을 정확하게 발음할 수 없었지만 T2에서는 정확하게 발음하

게 되었다. 이와 같이 음운 발달 중에서 조읍상의 제약과 관련이 있는 것은 유형

2로설명할수있다.

경우에 따라서 유형 1과 유형2로 셜명할 수 없는 다른 현상이 있다. 첫째 , 어린

아아들은 모든 점에서 덜 발달되어 있어서 성인과 같은 조음을 할 때는, 많은 음

성적 차이가 었다. 이러한 차이는 유형 1과 유형2로 설명할 수 없다. 또한, 어떤

단어들은 오랜 기간 예외적으로 남아 있게 된다. 예를 들어 'take'와 같은 단어

는 연구개 동화현상이 없어진 뒤에도 [keik)로 발음된다. 이러한 현상 역시 유형

1과 유형2로 설명하지 못한다.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유형 1이나 유형2보다 훨씬 복잡한 형태의

셜명이 필요해진다. 아래 예를 살펴보-^t.

Page 9: 음성·음운규칙 발달 · 2012-06-21 · 비음, 활음 퉁이며 음철 구조도 간단한 CV. CVC. cvcv 둥으로 제한되어 있 다. 셋째. 태어난 후 187"월에서

음성 ·음운규칙 발달 89

(11) a. [pLti)(Time 1) 'pretty'

b. [ti) (Time 1) ’tree'

c. [d대k) (Time 1) , dri파C

d. [kedal) (Time 1) , cradle'

위와 같은 현상을 보이는 것은 유형3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특정

을지니고 있다.

(12) x. y , (z)가 서로 다른 분절음이다

(13) x의 변화형 x'이 올바른 환경에서 어린아이의 어휘 목록 속으로 들어간

다.

(14) 얼마 시간이 지난 후(일반적으로 몇 주가 지나서) , y , (z)의 환경에서 예

외없이 부정확하게 발음된다.

(15) 결과로 y, (z)에 오류가 생긴다.

예를 틀면, T1 (1 ;6-1;10) 시기에, 어린아이들은 초성에 나오는 파열음

+/r/로 구성되어 있는 자음군을 간소화시키기 위하여 /r/을 생략시킨다.

T2 (1 ;11)에서. 초성 /tr/과 /dr/이 [f)로 바뀐다(예: [fi) 'tree'; [fiUk피〕

'dri따ing'). 이러한 이유는 이 자음군의 강한 기음과 /r!을 발음할 때의 입술

의 퉁글기 때문에 [f)가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는 어느 정도는 유형 1과

유형2와관련이 있다. 그러나만약이와같은어휘가유형1에 속한다면, 그규칙

을 습득하지 않은 시기에는, 나중에 진짜 !f!로 시작하는 어휘에 어느 정도 오류

가 발생하리라 예측된다. 만약 유형2에 속하는 어휘라면, 아무런 오류가 나타나

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다음 발전 단계인 T3(2 ; O)에서는 이러한 규칙이 일반화

되어 모든무성파열 자음군에는한꺼번에 적용되어, 이 세 개의 조음위치 [p, t ,

Page 10: 음성·음운규칙 발달 · 2012-06-21 · 비음, 활음 퉁이며 음철 구조도 간단한 CV. CVC. cvcv 둥으로 제한되어 있 다. 셋째. 태어난 후 187"월에서

90 새국어생활 제7권 제1호('97년 봉)

kJ의 대강} 없어지게 된다(예 : [fLt i) ’pretty; [fiJ 'tree'; [fed허J ' cradle').

따라서 음운 습득 적령기에 따라 정확하게 [p , t , kJ를 발음하여야 할 무렵에 어

린아이들의 음운 발달이 오히려 쇠퇴하게 된다.

이러한 [fJ-규칙이 /tr/과 /dr/뿐만 아니라 /pr/과 /kr/에도 유형2와 유사하

게 급속히 적용된디는 것은 이러한 변화가 서로 다른 기저형에 동일하게 작용한

다는 것이다. 따라서 어린아이들은 jpr/과 / p/ 혹은 /kr/과 /k/가 서로 다른 기

저 형임을 알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f/-규칙이 /tr/과 /dr/에 적용된 후 단

지 몇 주가 지나서 /pr/과 /kr/에도 예외 없이 적용되었다는 것은 어린아이들이

3개의 조음 장소- 양순, 치경, 연구개 출 기저형에서 구별할 수 있다는 증거。1

며 따라서 /f/-규칙은 유형1의 규칙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조음상의

제약과 관련이 있는 유형2와도 관련이 없다. 즉 [trJ이 [fJ로 바뀌는 것과 [prJ

이 [f)로 바뀌는 것은 어느 정도 조음 음성학적으로 자연스럽게 설명할 수 있으

나, [krJ이 [fJ로 바뀌는 것은 드문 현상이다. 따라서 유형3이 의미하는 것은 어

린아이들이 분절음들에 대한 자연 부류(natural classes)를 파악하고 있으며 ,

중간 단계의 음운 규칙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즉 어린아이들의 음운 발달 과정에

는 음운론적으로는 발달되지만 음성학적으로는 발달이 늦은 시기가 분명히 존재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음운 습득에는 반드시 음운론적인 요소와 관련되어 있으

며 , 음성학적인 요인으로만 셜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4. 음성 음운규칙 유형

어린아이들의 음성 ·음운 발달은 음운 과정 (phonological processes)을 살펴

봄으로써 알 수 있다. 즉 어린아이들의 발음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오류틀을

성인들의 발음과 비교하여 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음운 과정을 통하여 어린아

이틀의 오류를 수정하는 유형을 기술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한국어를 배우는 어

Page 11: 음성·음운규칙 발달 · 2012-06-21 · 비음, 활음 퉁이며 음철 구조도 간단한 CV. CVC. cvcv 둥으로 제한되어 있 다. 셋째. 태어난 후 187"월에서

음정 ·음운규칙 발달 91

린아이들과 영어를 배우는 어린아이들 사이에 많이 발견되는 오류 유형을 비교해

보고, 이러한 오류들을 어느 시기에 수정하며 음성·음운 규칙을 습득하는가를 살

펴보기로한다.

어린아어들이 발음할 때 나타나는 오류 형태는 대략 3가지- 음절 구조 과정.

대치 과정, 동화 과정-로 나누어 설명한다. 영어를 습득하면서 나타나는 자료는

주로 Stoel-Gammon 과 Dunn(1985) , 국어를 습득하면서 나타나는 자료는 배

소영 (1987 , 1996)과 엄정회 (1987)를 참고하였다.

4.1. 음철구조과정

음절 구조 과정이라고 하는 것은 어린아이들이 말을 할 때에 음절을 줄여서 발

음하거나, 자음이나 모음을 탈락시켜 발음하여 음절 구조를 수정하는 현상을 의

미한다. 영어는 강세 중심 언어 (stress-timed language)이며, 한국어는 음절

중심 언어 (syllable-timed language)이다. 따라서 영어를 배우손 어린아이틀

은 강세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러한 현상 중 하나가 비강세 음절 탈락

현상이다

(16) a. [medo)

b. [tcfon)

c. [e삶nt)

d. [saLd)

'tomato'

'telephone'

, elephant'

'beside'

한국어에서는 강세와 관계없이 나타난다.

(17) a. [k' ok' 0) /암lok'iJi/ '코끼 리 /

Page 12: 음성·음운규칙 발달 · 2012-06-21 · 비음, 활음 퉁이며 음철 구조도 간단한 CV. CVC. cvcv 둥으로 제한되어 있 다. 셋째. 태어난 후 187"월에서

92 새국어생활 제7권 제1호(’97년 봄)

b. (hemi:k닝〕 /heminik닙/ r혜민이꺼I

어린아이들의 음운 발달 과정 중에 음절 형태의 발달은 일반적으로 cv에서

시작한다. 따라서 cvc 형태의 음절은 어말 자음을 탈락시킴으로써 cv의 음철 형태를 유지하려고 한다.

(18) a. (da)

b. (pa)

C. (mau)

'dog'

'park'

mouse

한국어에서도 cvc로 구성된 음절은 어말의 자음을 탈락시켜 cv 형태로 유지 하려고 하거나.2개 이상의 음절로 구성된 어휘에서는 각 음절 종성을 탈락시켜

cvcv의 음절 형태를 만들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3세가 될 무렵까지 나타난

다.

(19) a. (ya:ma)

b. (CJth:>)

C. (c:lmemi)

/YaomaI/ ’양말/

/ænchaI/ '전철/

/잃ns때띠m/ '선생님r

영어에서는 어말 자음을 탈락시키고 나머지 음절을 반복하는 형태가 많이 나타

난다.

(20) a. (gogo) ’go’

b. (dada) , dog'

c. (baba) 'ball'

Page 13: 음성·음운규칙 발달 · 2012-06-21 · 비음, 활음 퉁이며 음철 구조도 간단한 CV. CVC. cvcv 둥으로 제한되어 있 다. 셋째. 태어난 후 187"월에서

음성 ·음운규칙 발달 93

어린아이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과정에서는 대략 2세 이전에 나타나는 현상이

다.

(21) a. [t' et' eJ , [neneJ /se/ ’새/

b. [k'::lk':>k'::lJ /c'와{' ac'uu/ '짝싹꿈r

그러나 이러한 음운 반복 현상은 동화 현상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나무’를 [m때uJ로 발음하거나, ‘누구’를 [nunuJ로 발음흩F는 것은 음운 반복이

아니라 자음 통화 현상이라고 해야 한다.

영어에서 어떤 명사에 모음 [i)를 첨가하면 그 명사의 의미가 작아지거나 귀엽

게 된다. 그 결과 어말에 자음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어린。]-01의

어휘에 많이 발견된다.

(22) a. [kApi) , cup'

b. [kodiJ ’coat'

c. [egiJ ’egg'

또한 (23)에서처럼 어댐11 .i뿜군이 나왜나 (24)에서처럼 어말 유정 파열

음 뒤에서 강세가 없는 모음 [aJ가 삽입되어 보다 자연스러운 음절 구조를 가지

려고한다.

(23) a. [baluJ ’blue'

b. [gdrinJ 'green'

(24) a . [b냉aJ 'big'

Page 14: 음성·음운규칙 발달 · 2012-06-21 · 비음, 활음 퉁이며 음철 구조도 간단한 CV. CVC. cvcv 둥으로 제한되어 있 다. 셋째. 태어난 후 187"월에서

94 새국어생활 제7권 제1호(’97년 봄)

b. [bæda) ’bad'

한국어와 달리 영어에서는 음절 초와 말에 자음군이 나올 수 있다. 이러한 자

음군이 나오면 어린。베들은 (23)에서처럼 자음군 사이에 모음을 삽입하거나

(25)에서처럼 자음을 탈락시킨다.

(25) a. /g잃/

b. /kod/

C. /no/

d. /:웅t/

, glass'

, co1d'

snow

'ant'

한국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는 어말에 챔이 나오면 의미론적인 이유 없이 모

음을 삽업하거나 탈락시켜 자연스러운 음절 형태를 만들려고 한다.

(26) a. [iba)

b. [ψe)

4.2. 대치 과청

/pe/ 배/

/ann때〕 ’안녕’

대치 과정이란 어떤 소리를 다른 소리로 바꾸어서 발음하는 현상을 말한다. 그

러나 특정한 한 소리가 다른 소리로 바뀌는 경우는 거의 없고 반드시 조음 장소

나 조음 방식에 있어서 동일한 특성을 지닌 자연 부류(natura1 class)에 속하는

소리들끼리 함께 행통한다.

조사 방법과 조사 대상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유음 /1/은 비교적 늦게

습득된다. Templin(1957)에 의하면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어린。에들은 파열

Page 15: 음성·음운규칙 발달 · 2012-06-21 · 비음, 활음 퉁이며 음철 구조도 간단한 CV. CVC. cvcv 둥으로 제한되어 있 다. 셋째. 태어난 후 187"월에서

음성 ·음운규칙 발달 95

음, 비음, 활음, 유음, 그리고 마찰음과 파찰음의 순서로 습득하며, 특히 이 소리

를 75% 이상 숙달하게 되는 연령은 6세 무렵이었다. 엄정희 (1996)는 한국어를

모쾌로 하는 어린아이들은 비음, 파열음, 유음 그리고 마찰음의 순서로 습득하

고. 이 중에서 /8/ , /8’/ 및 /l/이 제일 늦게 발달한다고 하였다. 일반적으로 유

음은 활음으로 대치되는 경우가 많다. (27)의 경우에서처럼 영어에서는 /r/이

[w)로 대치되고, /1/은 [w)나 [y)로 대치된다.

(27) a. [wæbLt) ' rabbit'

b. [mewi) ’ ’ merry

c. [wuk) 'look'

d. [yif) ’ lea(

한국어를 배우는 어린아이들에게도 활음으로 대치되는 현상이 많아 나타난다 .

(28) a. [powicha) / policha/ . 보리차

b. [pawiya) / paliya/ ‘발이야

c. [t 'iy:>k) / thilyak! ‘트럭’

d. [ya :rmn) / lamyan/ ‘라면’

영어나 한국어에서 마찰음은 제일 늦은 시기에 습득된다. 영어의 마찰음들은

일반적으로 조음 장소보다는 조음 방법을 변화시켜 파열음이나 파찰음으로 대치

된다. (29)는 영어에서 발견되는 마찰음의 파열음화 현상이다

(29) a. [fit) ‘pit’

b. [no8e) ‘nod’

Page 16: 음성·음운규칙 발달 · 2012-06-21 · 비음, 활음 퉁이며 음철 구조도 간단한 CV. CVC. cvcv 둥으로 제한되어 있 다. 셋째. 태어난 후 187"월에서

96 새국어생활 제7권 제1호('97년 봄)

c. [dus) "juice

한국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도 마찰음이 파열음으로 빼는 조음 방식 대치 현

상이 많이 발견된다.

(30) a. [k' ek’e)

b. [thayam)

c. [thul)

/sæ/

/sal뻐ν

/sul ~

.새’

‘사랍’

‘술’

이외에도 영어에서는 (31)에서처럼 경구개 마찰음을 치조 마찰음으로, 혹은

경구개 파찰음을 치조 파찰음으로 바꾸는 현상과 (32)와 같이 연구개음을 치경

음으로 바꾸는 조음 장소 대치 현상이 발견된다.

(31) a. . [SLp) 'ship’

b. [su) 'shoe'

c. [tsin) chin

d. [wats) watch

(32) a . [ti) 'key’

b. [tau) cow

c. [but) ‘book’

한국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발견되는 조음 장소 대치 현상은(33)에서처럼 구개

음이 치경음으로 바뀌는 현상이 일반적이다.

Page 17: 음성·음운규칙 발달 · 2012-06-21 · 비음, 활음 퉁이며 음철 구조도 간단한 CV. CVC. cvcv 둥으로 제한되어 있 다. 셋째. 태어난 후 187"월에서

(33) a. [mo:da)

b. [it' okJ

c. [kitaJ

4.3. 동화괴청

/moca/

/ic'ok/

/kicha/

음성 ·음운규칙 발달 97

‘모자’

‘이쪽’

‘기차’

동화 과정이란 어떤 소리가 이웃한 소리의 영향을 받아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

다. 이러한동화과정의 동화의 방빵’l 따라순행 통화와역행 동화로구별된다.

순행 동화란 앞소리의 영향으로 뒷소리가 변하는 것이고 역행 동화란 뒷소리의

영향으로 앞소리가 변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음 동화는 어린。에의 언어의 독특

한 특정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것은 양순음 동

화, 연구개음 동화. 비음 동화. 음절 반복 퉁이 있다. (34)에서 보여 주듯이 양순

음 통화는 양순음이 아닌 것이 이웃한 양순음의 영향으로 양순음으로 바뀌는 것

이다.

(34) a. [papapJ 'pocket'

b. [bLPJ 'zip'

c. [b1lIllpJ 'jump'

(35)는 연구개 통화, (36)는 비음 동화의 예이다.

(35) a. [kokJ 'coat’

b. [kLkJ 'kiss'

c. [gakJ 'rock'

(36) a. [rrwüJ 'bunny'

Page 18: 음성·음운규칙 발달 · 2012-06-21 · 비음, 활음 퉁이며 음철 구조도 간단한 CV. CVC. cvcv 둥으로 제한되어 있 다. 셋째. 태어난 후 187"월에서

98 새국어생활 제7권 제1호(’97년 봄)

b. [I1AI1) , done'

c. [næni) , candy'

어떤 음절이 이웃한 음절에 동화되면 그 음절이 반복되어 첩어의 형태가 된다.

(37) a. [wawa) 'water'

b. [nunu) 'noodle'

c. [titi) 'kitty'

(38)은 장애음(특히 파열음)이 모음 앞에서 유성음화되는 현상을 보여 주며

(39)는 어말에서 짱뼈아 무성음화되는 현상을 보여 준다.

(38) a. [baL) ’ ‘ ’ ple

b. [toe) 'do'

c. [gLk) ’kick'

(39) a. [밟k) 'bag'

b. [bLp) 'bib’

c. [nos) ’ ’ nose

한국어를 습득히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가장 일반적인 동화 현상은 비음화 현상

이다. (40)은 영어와 마찬가지로 장。뱀이 비음으로 발음되는 조음 방식의 동화

이며, (41)은 조음 위치가 바뀌는 경우이다.

(4이 a. [nunu) / nuku/ ‘누구’

Page 19: 음성·음운규칙 발달 · 2012-06-21 · 비음, 활음 퉁이며 음철 구조도 간단한 CV. CVC. cvcv 둥으로 제한되어 있 다. 셋째. 태어난 후 187"월에서

b. [hanrron)

(41) a. [m없nu)

b. [ænyerni)

/hanpan!

/namu/

/æns때nim/

5. 결론

음정 ·음운 규칙 발달 99

‘한번’

‘나무.

‘선생님’

언어 습득과정에서 나타난음성·음운규칙의 발달과습득연령을비교하는것

은 쉽지 않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연구가 한 명의 연구 대상자에 대한 추적적 연

구이거나 많은 어린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특정한 시기에 나타나는 현상을 연구하

였기 때문이다. Stoel-Gammon과 Dunn(1985)에서는 대략 3세를 기준으혹

하여 사라지는 음운 현상과 남아 있는 음운 현상을 비교하였다. 그들에 의하면,

3세에서 사라지는 현상에는 음절 구조 과정에 속하는 강세 없는 음철 탈락, 종성

자음 탈락, 음운 반복, 애청화 풍이 있고, 대치 과정에 속하는 것에는 치경음화가

있으며 , 통화 현상에 속하는 것에는 자음 통화, 첩어, 유성음화 퉁이 있다.3세

이후에도 남아 있는 현상에는 음절 구조 과정에 속하는 자음군 간소화, 음운 삽

엽이 있으며 , 대치 과정에 속하는 활음화, 모음화, 탈구개음화 현상이 있고, 통화

과정에 속하는 어말 무성음화 등이 있다. 이를 정리하면 대략 음절 구조 과정과

동화 과정은 3세 이전에 사라지며, 대치 과정은 3세 이후에도 광범위하게 나타난

다고 할 수 있다. 배소영 (1996)은 한국어 습득 과정에서 나타나는 연령별 음운

발달 규칙을 기술하였다. 영어와 마찬가지로 대략 3세 이전에 사라지는 음운 현

상에는 음절 구조 과정에 속하는 지음 탈락, 음절 탈락, 반복. 모음 첨가 등과. 동

화 과정에 속하는 유성음화, 무성음화, 비음화, 구개음화. 양순음화 등이다. 그러

나 3세 이후에도 존재하는 음운 현상은 주로 대치 과정으로 대기음화, 파열음화,

전셜음화. 셜단음화. 치음화 현상들이 었다.

Page 20: 음성·음운규칙 발달 · 2012-06-21 · 비음, 활음 퉁이며 음철 구조도 간단한 CV. CVC. cvcv 둥으로 제한되어 있 다. 셋째. 태어난 후 187"월에서

100 새국어생활 제7권 제1호(’97년 봄)

참고문헌

배소영 (1987) , “정상 말소리 발달(1)", 아동의 조음장애 치료. 서울: 한국 언어

병리학회.

배소영(1996) , 정상 말소리의 발달(1): 1 : 4-3 : 11세의 아동: 서울: 한국 언어

병리학회 .

엄정희(1987) , “3, 4 , 5세 아동의 말소리 발햄l 관한 연구: 자음을 중심으로”.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Grunwell , P. (1982) , Clinical Phonology, Rockville: Aspen.

I맹r없n, D. (1976) , Phonological α'sability in Children , London:

Edward Arnold.

Jakobson , R. (1941) , Child 않n밍lage, Aphasia and Phonological

Universals, Translated into English by A. Keiler , 1968, 만le

Hague: Mouton.

K따Ù , P. K. and Meltzoff, A. (1982) , πle Bimodal Perception of

Speech in Infancy, Science 218: 1138-1141.

Locke, J. L. (1983) , Phonological Acquisition and Change, New York:

Academic Press.

Macken, M. A. (1979) , "Developmental Reorganization of Phonology:

A Hierarchy of Basic Units of Acquisition" , μ·많ua 49:11-49.

Macken , M.A. (1995) , "Phonological Aquisition. In John A.

Goldsmith(ed.) , The 없ndbook of Phonolo,밍cal Theory, pp.

671-696, C없nbridge : Blackwell.

이ler , D. K., Wiem와1, L. A., Do피e , W. J . and Ross , C. (1976) , "Infan:t

Babbling and Speec}Í', Journal of Child Lm쟁UG월'e, 3:1-11.

Page 21: 음성·음운규칙 발달 · 2012-06-21 · 비음, 활음 퉁이며 음철 구조도 간단한 CV. CVC. cvcv 둥으로 제한되어 있 다. 셋째. 태어난 후 187"월에서

음성 ·음운규칙 발달 101

Stoel-Garnmon. C. and Dunn. C. (1985). Normal and Disordered

Phonology in Children. Austin. Texas: Pro-ed.

Templin. M. C. (1957). Certain Language Skills in Children: ’I'heir

Development and Interrelationships. Institute of Child

Welfare Monographs. Vol. 26. Minneapolis :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