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44

Upload: others

Post on 03-Apr-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 淳 東 (忠北大)

Ⅰ 序 論

Ⅱ 太祖의 宦官에 對한 理解와 政策

1 太祖의 宦官에 대한 理解

2 太祖의 宦官 統制

Ⅲ 國初 政治的 現實과 宦官 抑制의

限界

1 太祖期의 政治的 現實

2 宦官 抑制의 限界

3 宦官數의 增大와 機構의 擴大

Ⅳ 永樂帝 以後 宦官 勢力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3 東廠의 特務活動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敎育

Ⅴ 結 論

Ⅰ 序 論

중국의 전제정치는 언제나 측근정치가 뒤따랐다 그 측근정치의 주

역은 외척과 환관이었으며 특히 어린 황제가 즉위하면 외척과 환관의

발호가 심하였다

宦官이란 거세된 남자로 궁중이나 왕부공부에서 일하던 자들이다

사료에 많이 나타나 있는 명칭으로는 寺人 閹官 太監 中官 宦官 中

使 內侍 內監 등이 있다1)

이 논문은 2007년도 충북대학교 학술연구지원사업의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

구되었음

1) 史籍에서나 世俗的으로 불리는 환관이란 용어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크게 분

류하면 대체로 두 가지로 나누어 말할 수 있는데 하나는 생리적 특징상 불리

는 용어이고 다른 하나는 직임에 따라 붙여진 용어이다 생리적 특징상 붙여

진 이름이라면 그들은 거세된 남성이므로 ldquo閹人rdquoldquo腐人rdquoldquo腐夫 등으로 불린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0환관은 주나라 때부터 청 말까지 존속하였으나 중국 고유의 전유물

은 아니다 고대 서아시아 여러 나라와 그리스로마인도이슬람교

국가에도 있었고 성경2)에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고려 때 중

국의 환관제도가 들어와 조선시대로 이어졌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내시(內侍)라 불렸다

역사적으로 환관이 여러 지역에 나타나고 있었지만 중국의 환관만

큼 정치 및 사회 문화에 영향을 끼친 예는 없다

중국의 환관제도는 오랜 역사를 통하여 발달하여 왔다 중국에 황제

일원적 지배가 시작된 이후 모든 국사를 총괄하게 된 황제에게는 자연

그 업무의 보조자가 필요하였고 이로 인해 황제의 가장 측근집단인

환관이 정치에 개입하는 일이 많았다 특히 명조는 후한 당과 더불어

환관의 전횡과 발호가 심했던 시대로 이름나 있는데 명대의 경우는

재상제도 폐지와 무능한 황제들의 잇단 등극 그리고 査察과 刑獄 등

의 사법 업무를 주로 했던 특무기관의 최고 책임자로 환관이 줄곧 임

용되었다는 점이 환관의 전횡을 가져왔다고 논해지고 있다

명대에는 태조의 환관억제 정책에도 불구하고 영락제 이후 환관의

세력이 커지고 중기 이후에는 황제의 총애와 신임을 받아 정치를 좌우

하는 일이 많았다 황제의 총애와 신임으로 인한 환관의 정치개입과

권력의 남용 뇌물 수수와 경제 착취 등은 명 중기 이후 상품경제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폐정과 사회 모순을 심화시켜 마침내 왕조 멸망으

로까지 이르게 하였던 것이다

이에 본고는 명초 환관 세력 견제 정책이 취해졌음에도 불구하고

다 직임상 붙여진 칭호라면 환관은 궁정에서 일하는 사람이고 그 직책 또한

다양하므로 여러 칭호가 있는데 사료에 많이 나오는 용어로는 寺人宦官太

監黃門司宮中官中人中使中貴中涓內官內臣內侍內監 閹

寺 宦寺 등이 있다 그리고 거세된 남자를 부르는 용어로 lsquo火者rsquo라는 말이 있

는데 이는 인도 궁정에서 봉사하던 환관이나 일반 엄인을 가리키는 lsquoKhojahrsquo

라는 말이 轉訛되어 형성된 것이다 중국에서의 火者는 거세된 남성으로서 공

산가나 유력자 밑에서 주인을 섬기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그러므로 궁정에

서 일하는 환관(내신)과는 구분하여 사용해야 할 것이다

2) 마태복음 19장 12절 역대상 28장 1-2절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1어떻게 해서 환관 발호의 토양이 형성되었을까 하는 것에 착목하여 명

조 전기 환관세력의 추이와 기능을 살펴보려 한다

환관에 대한 포괄적 지식을 안겨다 주고 있는 책으로는 일본의 三

田村泰助의 宦官 -側近政治の構造-3)가 있다 이 책은 문고판이면서

도 환관이란 무엇이며 환관이 역사적으로 크게 활약하던 한대 당대

명대를 중심으로 환관과 관련된 제요소 및 특색을 지적하여 이해에 도

움을 주고 있다

중국 환관에 관한 중국 서적으로는 袁閭琨魏鑑勛의 太監史話가있다 이 책은 중국의 역사상 크게 영향을 미친 54명을 선발하여 각각

의 인물과 사건을 소개함으로써 환관제도의 존재를 설명하고 있다 그

후에 雇蓉葛金芳의 霧橫帷牆 -古代宦官群體的文化考察-4)와 余華

靑의 中國宦官制度史5)가 나왔는데 전자는 환관의 육체와 정신과 행

동 그리고 환관의 궁정생활 환관과 타 집단과의 관계 등 주로 사회

문화사인 측면에서 평이하게 서술하고 있는 일반서이고 후자는 중국

역사상 각 시기의 환관제도와 그 기능에 대하여 균형 있게 서술한 책

으로 환관 이해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명대 환관에 대한 연구서로는 丁易의 明代特務政治6)가 있다 이

책은 명대 환관의 활동을 논한 책으로 명대 정치사를 연구하는 데 반

드시 접해야 할 책이다 본서는 환관을 중심으로 한 명대의 비밀첩보

정치를 방대한 사료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기록해 놓았는데 명대 환관

3) 三田村泰助 宦官 (中央公論社 1963) p3 이 책은 한국에서 ldquo미타무라 타이

스케하혜자 역 환관(나루 1995)으로 번역되어 소개되었다

4) 雇蓉葛金芳 霧橫帷牆 -古代宦官群體的文化考察- (陝西人民敎育出版社

1992)

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3)

6) 丁易明代特務政治는 1945년에 연구를 시작하여 1948년에 완성하였다 이 연

구물은 1950년에 中外出版社에서 처음 출판되었다 다량의 역사 서적으로부터

명대 환관에 관한 사료를 인용하여 명대 환관의 실태를 소개하고 있다 이 책

은 일본 汲古書院(1971)에서 영인하여 널리 보급되었으며 최근에는 中華書局

(2006)에서 종서와 번체자로 되어 있는 원본을 횡서와 간체자로 다시 발간하

여 손쉽게 접할 수 있게 하고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2연구자의 필독서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목적은 본래 장개석의 국민

당 정부를 공격하기 위한 정치적 의도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학술적

차원에서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는 지적이 있기는 하나7) 명대 환관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그리고 명대 萬暦 연간(1573〜1620)

의 환관 劉若愚가 환관의 실상을 폭넓게 서술한 책으로 酌中志가 있

는데 이것은 명대 환관의 일반적인 생활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1980년대에 들어와 王春瑜杜婉言 양씨가 명대 환관 연구를 정력

적으로 수행하였다 그중 양씨가 함께 편저한 明代宦官與經濟史料初

探(1986년)8)은 명대 文集 奏疏 野史 筆記本 및 부분적으로 청대의

각 사료에서 환관의 경제 분야 관련의 사료를 뽑아 모아 놓은 자료로

이것은 환관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명대 환관 연구에 큰 자극을 주

었던 것이다 이어 王春瑜杜婉言 양씨가 공저한 明朝宦官(1989)9)은 명대 환관의 여러 기능 곧 정치 군사 경제 문화적 측면에 나타난

환관의 활동과 기능을 분석하여 놓았으며 명대 주요 환관도 소개하고

있는데 풍부한 사료를 동원하여 서술하고 있어 전체적 이해에 큰 도

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물들은 환관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에는 도움을 주고 있

으나 명조 전반기에 대해서는 부차적으로 언급되어 있기에 구체적 실

상을 이해하는 데는 자연 한계를 지니고 있다 할 수 있다10)

7) 王天有 有关明史地位的四個问题 (明淸論叢 제7집 2006) p7

8) 王春瑜杜婉言編著 明代宦官與經濟史料初探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86)

9)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紫禁城出版社 1989) 이 책은 다시 수정 증보하

여 2007년 1월에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간행으로 재 출판되었다 여기

에는 기존 환관 傳記에다 45명의 전기를 추가하여 넣었으며 부록으로 杜婉言

의 청대 환관을 소개하고 있어 내용이 더욱 풍성하여졌다

10) 환관에 관한 저서로서는 이 외에 杜婉言杜子明 編譯 中國歷代太監傳 (國際文化出版公司 1992) 李慕南 张林 李丽丽 主编 历代宦官 (河南大学出

版省出版 1998) 凌枫编世界文化第一大迷 -从神秘阉割到双姓同体 (汕头大学

出版社 2001) 卫建林 明代宦官政治 (花山文艺出版社 2001) Shih-shan

Henry Tsai Eunuchs in the Ming Dynast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5 Edward L Dreyer Zheng He China and the Oceans in theEarly Ming Dynasty 1405-1433 Longman 2006 등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3그렇다고 명초 환관에 대한 연구가 없는 것은 아니다 최근 1990년

후반과 2000년대에 들어와 명초 환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역사상 명대 전제정치 체제 내의 정치 무대에서 환관들이 정치 경제

군사 외교 문화 등의 여러 방면에서에서 심각한 영향을 미쳐 왔고 끝

내는 왕조를 명조 멸망으로까지 끌고 왔는데 그것의 기점을 태조와

영락제에 두면서 명초의 환관 연구가 크게 주목되었다 이를테면 田禾

의 明太祖嚴馭宦官試析 -兼及朱元璋的評價問題 11)는 태조가 행정 감

찰 군사 등 3대 영역에서 상호 견제하는 조처를 취하였으나 환관관리

의 측면은 단지 lsquo使之畏法 不使有功rsquo에만 급급하였을 뿐 이에 대한 견

제 기구가 결여 되었으며 후계자들은 도리어 태조의 유칙을 지키지

않았기 때문에 결국은 환관의 전횡이 이루어지게 되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王德金은 朱元璋馭宦之析 12)에서 명대 환관 정권의 맹아는 주

원장의 승상제 폐지에 있음을 지적하였고 施洪道 朱元璋政策失誤和

明朝宦官專權 13)은 명조 환관이 전권을 지니게 된 것은 태조의 功臣

殺戮 제왕분봉책 승상제도 폐지 등에 그 원인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喬海燕 自禁之自紊之 -朱元璋委政宦官之實 (濰坊學院學報 2005

-1)14)은 환관이 정치에 간여하는 것을 엄금하는 일과 환관에 정치를

위임하는 일은 모순하지 않은 일이며 환관에 정치 참여를 엄금함으로

써 내권을 방지하고 환관에게 정치를 위임함으로써 외환을 방지하려

하였으나 군주권 강화를 위한 승상제 폐지와 환관에 대한 신뢰가 결

국 환관의 권력과 권세를 강하게 만들었음을 언급하였다

이상의 견해를 종합하면 명태조가 환관 억제 정책을 썼으나 한편

그 시기에 환관이 세력을 펼 수 있는 요건이 배태하기 시작하였으며

명대 환관 전권의 계기는 태조의 승상제 폐지에 있음을 밝히고 있는

11) 田禾 明太祖嚴馭宦官試析 -兼及朱元璋的評價問題 (社會科學戰線 1997

-4)

12) 王德金 朱元璋馭宦之析 (天津師範大學學報 2001-6)13) 施洪道 朱元璋政策失誤和明朝宦官專權 (零陵師範高等專科學校學報 23

-4 2002)

14) 喬海燕 自禁之自紊之 -朱元璋委政宦官之實 (濰坊學院學報 2005-1)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4것이다

그렇다면 명초 환관 억제 정책에 대한 이념과 현실을 구체적으로

살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념과 현실의 모순이 영락제 이후 어떻

게 환관 세력의 증대로 나타났으며 그 추이는 어떠하였는가가 밝혀져

야 할 것이다 이것은 명 중기 이후 출현한 환관의 전횡 상품경제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弊政과 사회 모순 심화로 인한 각종 민란의 출현

등 명대 정치사회적 변화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

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명대 전기라 하지만 주로 太祖(洪武帝 1368-1398) 建

文帝(惠帝 1398-1402) 永樂帝(成祖 1402-1424)15) 洪熙帝(仁宗1424-

25)를 거쳐 宣德帝(宣宗 1425-1435) 때까지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 시기는 正統帝(英宗 1435-1449)의 재위기간에 권력을 전횡하여 土

木堡 變(1449)을 일으켰던 王振( -1449)의 출현 그리고 그 후 명조

중말기로 이어지는 成化帝(憲宗 1464년-1487년)-萬曆帝(神宗 1573-

1620)시기의 환관 발호 시대와는 구별되어진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Ⅱ 太祖의 宦官에 對한 理解와 政策

1 太祖의 宦官에 대한 理解

원조의 실정이 거듭되고 각처의 반란이 빈번하던 원말 동란기 鳳陽

빈농 출신의 朱元璋(1328-1398)은 郭子興이 이끄는 의병에 가담하여

그곳에서 혁혁한 공을 세워 차차 중국 역사무대로 나아가게 되었다

그는 李善長 徐達 尙遇春 등 능력 있는 인재와 劉基 宋濂 등 지략가

의 도움으로 점차 세력을 키워나가 최후로 鄱陽湖 전투(1363)에서 강

15) 영락제의 묘호는 처음 lsquo太宗rsquo으로 정하였으나 嘉靖 17년(1537)에 lsquo成祖rsquo로 개

정하였으며 이후 성조로 칭하고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5적 陳友諒을 물리치고 蘇州 지방을 근거로 하고 있던 張士誠을 멸하

고(1367) 천하를 얻어 마침내 1368년에 명나라를 세워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16) 그가 명 왕조를 세운 太祖 洪武帝(1368-1398)17)이다

새로 왕조를 창업한 주원장은 어렵게 얻은 천하를 유지하는 것이

그렇게 쉽지 않다는 것을 깊이 깨달았다 그리고 역대 왕조 흥망사의

역사를 거울로 삼아 국초부터 궁궐 내 환관의 폐해를 심각하게 인식

하였다

그렇기에 태조는 왕조를 개창한 이후 곧 바로 환관의 정치 간여를

금하는 조서를 발하였다 홍무 원년(1368) 4월 禁宦官预政典兵 이라

는 금령을 내렸는데 이에 대하여 청의 谷應泰가 지은 明史紀事本末

18)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4월 병진 일에 환관이 정치 사법 군사 등의 일에 간여하는 것을 금하

였다 태조는 시신들에게 이르기를 ldquo내가 사서에 기록되어 전해 오는 것

을 보니 한나라와 당나라의 말기에 환관은 모두 나라를 망하게 한 좀 벌

레였다 폐해가 많았으니 일찍이 이보다 더 한심한 때가 없었다 주역에

이르기를 나라를 열고 조정을 이어받을 때 소인은 쓰지 말라고 했다 궁

궐에서 환관이 하는 일은 다만 소제하고 심부름하는 일 뿐이다 어찌 정

치 사법 군사 등의 일에 간여하도록 해야 하는가 한당의 화 비록 환

관의 죄이기는 하나 역시 군주가 이를 총애하여 부렸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다 환관으로 하여금 정치에 간여하지 않도록 하여라 만약 그렇

게 한다면 비록 환관이 난을 일으키려 한다 하더라도 그것이 성공할 수

있겠는가19)

16) 全淳東 明王朝成立史硏究 (도서출판 개신 2000) pp103-107

17) 중국의 명청대는 一世一元 곧 한 황제가 하나의 연호를 채택하는 것이 관

행으로 되었기 때문에 황제를 호칭할 때 lsquo廟號rsquo로 부르기도 하고 lsquo年號rsquo를 사

용하여 부르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太祖 洪武帝를 호칭할 때에는 왕조를 창업

한 최초의 군주라는 개념을 살리기 위해 lsquo太祖rsquo라는 lsquo묘호rsquo를 사용하고 그 뒤를

이은 황제는 습관상 많이 부르고 있는 lsquo연호rsquo에 의한 칭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18) 1658년에 중국 청나라의 谷應泰가 지은 기사본말체의 역사서로 명조 일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이것은 明史보다 80년이나 앞선 중요한 사서로 모두

80권으로 되어 있다

19) 明史紀事本末 卷14 洪武 元年 4월 丙辰條 ldquo禁宦官预政典兵 上谓侍臣曰

吾见史传所书 汉唐末世 皆为宦官败蠹未尝不为之惋叹易稱 開國承家 小人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6

이것을 보면 태조는 한과 당의 멸망 원인이 환관의 폐해에 있다고

판단하고 아무리 환관의 폐해를 막으려 한다 해도 그렇게 쉽게 될 수

없음을 인식한 나머지 국초부터 환관을 억제하려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개국황제 주원장이 환관에 대해 내린 제1차 경고성 명령

이라 해석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과거 역사 가운데에서 환관의 폐해를 절감한 태조는 환관의 수와

직임을 제한하였다 이미 명왕조 성립 이전 吳王 원년(1367)에 lsquo內史監rsquo

이라는 환관기구를 두고 환관을 활용하였던 태조는 홍무 2년(1369) 8

월에 다시 환관의 직제를 정하였는데 이때에 환관의 수와 직임을 제

한하였다 그 내용이太祖實錄에 잘 나타나 있다

태조는 이부로 하여금 내시관제를 정하도록 하였다 이 때 이부에 이

르기를 ldquo짐이 lsquo周禮rsquo를 보니 환관의 수가 백 명도 채 되지 않았다 후세에

이르러 수천 명에 이르러 마침내 큰 환난을 불러 일으켰다 지금 아직 복

고 정책을 쓰지는 않지만 역시 잘못된 일이나 나쁜 일은 경미할 때 막아

서 더 이상 발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마땅한 일이다 이 환관들이 하는

일은 酒漿醯鹽을 나르고 복장을 관리하고 사당을 깨끗이 하는 일 등 사

소한 몇 가지에 불과하다 이제 짐도 이들이 하는 일이란 물건 나르거나

청소하는 일과 같은 사환이 하는 일에 그치도록 하고 다른 특별한 일을

맡기지 말아야 할 것이니 잘 숙고하도록 하라rdquo고 하였다20)

위의 기록을 보면 주례에는 환관이 100명도 채 안되었는데 후세에

수천 명이 되어 그 때마다 큰 환난을 가져왔다면서 환관의 수를 적게

하고 그들이 하는 일 또한 청소하고 짐 나르고 하는 단순한 허드렛일

만을 하게 함으로써 권세를 부리지 못하도록 하라는 것이었다

위에 인용한太祖實錄을 더 읽어 가보면

勿用 其在宫禁 止可使之供洒扫给使令而已 岂宜预政典兵 汉唐之祸 虽宦官之罪

亦人主宠爱之使然 向使宦官不得典兵预政 虽欲为乱 其可得乎rdquo 明通鑑에도

똑같은 내용이 보이고 있다

20)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諭之曰 朕觀周

禮 所記未及百人 後世至踰數千 卒爲大患 今雖未能復古 亦當爲防徵之計 此輩

所治 止於酒漿醯鹽司服守祧數事 今朕亦不過以備司令 非別有委任 可斟酌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7

侍臣들에게 일러 말하기를 환관들은 자고로 선량한 사람은 천 명 중에

한 두 사람 만날 정도이다 만약 그들을 耳目으로 쓴다면 耳目이 가리어

질 것이고 그들을 腹心으로 생각한다면 그 때부터 곧 내재된 화근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그들을 제어하는 방도는 항상 경계하고 삼가 하여 그들

로 하여금 법을 두렵게 여기도록 하고 功勞가 있도록 하면 안 된다 만

일 그들이 공로가 있으면 방자하게 되고 그들로 하여금 법을 두려워하게

하면 단속이 될 것이니 그렇게 되면 감히 그릇된 일을 저지를 수가 없을

것이다 이에 內使監을 두고 奉御 60인을 두었다21)

라고 하여 환관을 다스리는 방책은 항상 규율을 유지해서 법을 두렵게

여기도록 하고 공적이 있도록 하게 하면 안 된다는 것이다 공적이 있

으면 방자하게 되고 법을 두려워하게 하면 절제하며 절제하면 감히

비위를 저지를 수가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 때 더불어 환관의 수도

한정하여 두었다22)

태조는 환관의 품질도 비교적 낮게 정하였다 홍무 4년에 이부가 內

使監 품질을 정할 때에 내사감령은 정5품으로 정하였다 홍무 3년에

종3품이었던 내사감령이 그 이듬해에는 정 5품으로 강등된 것이다 이

에 따라서 다른 환관직도 전체적으로 이전보다 등급이 낮아졌던 것이

다23)

이때에 태조는 시신들에게 일러 말하기를

21) 위와 같음 ldquo又顧侍臣曰 此輩自古以來求其善良千百中不一二見 若用以爲耳目

卽 耳目蔽矣 以爲腹心卽腹心病矣 馭之之道 但 常戒勅 使之畏法 不可使之有功

有功則驕恣 畏法则检束 自不敢为非也 乃定置內使監 奉御六十人rdquo 이 때 과거

內史監을 內使監으로 개칭하였다

22) 이 때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에 나타나 있는 규정을 소개하

면 다음과 같다 ldquo定置內使監 定置内使监奉御六十人 尙寶一人 尚冠七人 尚衣

十人 尚佩九人 尚药七人 纪事二人 执膳四人 司脯二人 司香四人 太庙司香四人

涓潔二人 置尚酒 尚醋 尚面 尚染四局 局设正一人 副二人 置御马 御用二司 司

设正一人 副二人 内府库设大使一人 副使二人 内仓监设令一人 丞二人 及置东

宫典玺 典翰 典膳 典服 典药 典乘兵六局 局设局郎一人 丞一人 又置门官午门

东华门 西华门 玄武门 奉天门 左右顺门 左右红门 皇宫门 坤寧门 宫左门

宫右门 各设门正一人 副一人 东宫门官 春和门 東宮後門 宮左門 宮右門 各設門

正一人 副一人rdquo

23) 太祖實錄 卷63 洪武 4年 閏3月 乙丑條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8

옛날의 환관제도는 궁정에서 아침저녁으로 심부름을 하는 일 뿐이었

다 그런데 후한 鄧太后24)가 황후로써 천자를 대신하여 섭정할 때 公卿

과 접하지 않고 閹人을 常侍와 小黃門으로 삼아 그들을 통하여 명령하였

는데 이때부터 그들의 권력이 황제에 기울어 그 폐해가 심하여졌다 이

것은 마치 狐假虎威(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부리다)라는 말과 같이 왕의

위엄을 빌려 위세를 부리고 城狐社鼠(성곽에 사는 여우와 社壇에 사는

쥐)가 되어 황제 곁에서 간신노릇을 하였다 짐은 이들에게 궁궐에서만

일하도록 하였으니 어찌 권세를 힘입어 정사를 어지럽히는 일이 있겠는

가 내가 이것을 엄히 방지하도록 하였으니 犯法者에 대해서는 이를 질

책하여 제거함으로써 주위에 존재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履霜堅氷(서

리가 내리면 두꺼운 얼음이 얼게 된다)이라는 말이 있듯이 삼가 재앙이

나 화는 그것이 작을 때에 사전에 미리 막아야 한다는 가르침을 잊어서

는 안 되느라25)

고 하면서 환관을 명초부터 엄히 경계하여 다루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태조는 환관이 정사에 간여하는 일이 있을 때 그를 가차 없이 제거

하기도 하였다 홍무 10년(1377)에 이런 일이 있었다 오랫동안 곁에서

태조를 모시던 한 환관이 있었다 그는 부지런히 근신하며 태조를 성

실히 모셔왔다 하루는 그 환관이 침착한 태도로 정사를 언급하자 태

조는 바로 그를 파면시켜 고향으로 돌려보냈으며 평생 그를 다시 부르

지 않았다 明太祖寶训에어느 한 내시가 오래도록 내정의 일을 맡아서 봉사하여 왔는데 그가

차분히 정사에 대하여 언급하자 태조는 곧 바로 질책하여 免官하고 귀향

24) 후한 和帝(88-106)의 태후로서 105년에 후한 和帝가 죽자 등태후는 민가에

보내어 기르던 황자 劉隆을 데려다 그날 밤 즉위시켰다 그는 생후 100일밖에

되지 않는 殤帝(105-106)이다 그런데 그는 이듬해에 요절하고 말았다 그러자

등태후는 淸河王 劉慶의 아들로 13살 된 劉祜(유호)를 황제로 즉위시켰는데

이가 安帝(106-122)이다 이런 과정에서 등태후는 14년간 천자를 대신하여 수

렴청정을 하며 권력을 행사했다

25) 太祖實錄 卷63 洪武 4年 閏3月 乙丑條 ldquo上因謂侍臣曰 自古之宦竪 在宮禁

不通司晨昏供役使而已 汉邓太后 以女主稱制不接公卿乃以阉人为常侍小黄门

通命自此以来内侍权倾人主及其爲患 有如城狐社鼠 不可以去 朕谓此辈但

當服事宫禁 岂可假以权势纵其狂乱 吾所以防之极严 但犯法者 必斥去之 不令

在左右 戒履霜坚冰之意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9토록 했으며 종신토록 그를 다시 등용하지 않았다 26)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내용은 明通鑑에도 같은 내용이 언급되어 있으며 이를 더 읽

어 가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태조는 대신들에게 이르기를 ldquo환관들이 날마다 좌우에서 시중드는데

충성과 믿음이 적다면 그것은 황제의 마음을 굳어지게 한다 그것이 오

래되면 권위를 빌어 정사에 참여하게 되고 마침내 그것을 억제할 수가

없게 된다 자고로 이러한 환관들 가운데 난을 일으키는 자가 많았다 지

금 입법하여 환관에게 정치 관여를 불허하고 그들을 제거하는 것은 과

거의 실패를 교훈 삼아 장래에 같은 실패를 되풀이 하지 않도록 하려는

까닭이다rdquo27)

위의 훈계 내용을 보면 태조의 환관에 대한 엄연한 태도가 깃들어

있으며 ldquo群臣頓首稱善rdquo이라 하였으니 모든 신하들도 환관에 대한 황

제의 태도가 옳다면서 그 조처를 긍정하였던 것이다 파면된 환관이

오랫동안 성실히 군주를 시중들어 왔다고 생각한 탓인지 그를 살해하

지는 않았지만 종신토록 다시 그를 불러들이지 않음으로써 환관의 정

치 간섭이 얼마나 큰 과오인가 하는 것을 밝혔던 것이다 이것은 어디

까지나 후대의 환관을 경계시킨다는 목적이 깊게 깔려 있다고 생각된

26) 明太祖寶训 卷3 去讒佞 ldquo洪武十年五月 是月 有内侍以久事内廷 从容言及

政事 太祖即日斥遣还乡里 命终身不齿 遂谕群臣曰 自古贤明之君 凡有谋为 必

与公卿大夫谋诸朝廷 而断之于己 未闻近习嬖幸之人得与谋者 况阍寺之人 朝夕

在人君左右 出入起居之际 声音笑貌日接乎耳目 其小善小信 皆足以固结君心 而

便僻专忍 其本态也 苟一为所惑而不之省 将必假威福 窃权势 以干与政事 及其

久也 遂至于不可抑 由是而阶乱者 多矣 朕尝以是为鉴戒 故立法 寺人不过侍奉

洒扫 不许干预政事 今此宦者 虽事朕日久 不可姑息 决然去之 所以惩将来也 群

臣顿首称善rdquo

27) 明通鑑 卷6 太祖洪武 10年 5月條 ldquo有内侍以久侍内廷 从容言及政事 上(太

祖)即日斥遣歸命 终身不齿 諭諸臣曰 此辈日在左右 其小忠小信 足以固结君心

及其久也 假窃威权 以干政事 遂至于不可抑 自古以此辈乱者多矣 今立法不许寺

人干预朝政 决去之 所以惩将来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0이상 일련의 사료들은 태조 주원장이 전대에 환관전권으로 말미암

은 폐해가 얼마나 심각하였는가를 깊이 인식하고 이에 대한 경계를 강

하게 하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2 太祖의 宦官 統制

천하를 얻어 다스리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깊이 깨달은 태조는

역대 흥망의 경험과 교훈을 거울로 삼아 환관의 폐해를 심각하게 인식

하면서 일련의 환관 억제 조치를 취하였다

홍무 5년(1372) 태조는 환관에 대해 금령을 반포하였다 궁정에서

모함 다툼 상해 등 환관의 비행 및 부도덕한 행동이 있을 때 그에

대하여 엄히 다스리는 벌칙을 규정하여 발표하였다

罵詈者(상호 욕하고 꾸짖는 자)는 태형 50대 봉어를 모욕하는 자 장

60대 문관이나 감관을 모독하는 자는 장 장 70 서로 싸우는 자 장 70이

대이며 상해를 입힌 자는 한 등급 더 높여 처벌하고 본관의 제재에 불복

하고 고집하는 자 장 80대 이며 구타하여 상해를 입힌 자는 한 등급 너

높여 처벌하고 봉어를 구타한자 장 80 문관 감관을 구타한 자 장 100대

로 하며 상해가 있으면 각각 한 등급을 더 가해 벌한다28)

이처럼 환관이 궁정에서 모함하거나 다투거나 상해를 입힐 경우 그

상황을 따져서 태형이나 장형으로 벌하는 내용을 규정하였다

그런데 이 사료를 더 읽어가 보면 능지처참이나 참수의 형까지 규

정하고 있고 잘 못이 있을 때 자수하기를 권장하면서 자수하는 환관

에 대하여는 도리어 상을 내리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28) 太祖實錄 卷74 洪武 5年 6月 丙子朔條 ldquo洪武五年六月 丙子朔 定宦官禁令

凡內使于宮城內 相罵詈者先發理屈笞五十 後罵理直者不坐不服本管鈐束而抵罵者

杖六十 內使罵奉御者杖六十 罵門官監官者杖七十 內使于宮城內相鬭毆者先鬭理屈杖七十 毆傷者加一等 後應理直而無傷者笞五十 不服本管鈐束而毆之者杖八十

毆傷者加一等 毆奉御者杖八十 毆門官監官者杖一百 傷者各加一 內使等有心懷

惡逆 出不道之言者 凌遲處死 有知情而蔽之者同罪 知其事而不首者斬 首者賞銀

三百兩rdquo 欽定續通典 卷108 刑2에도 같은 기록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1

內使等이 마음이 악하여 심하게 도리를 벗어나는 행동을 하고 도리에

어긋나는 말을 하는 환관들은 능지처참 시키고 사정을 알면서도 그것을

은폐하는 자 역시 똑 같이 능지처참할 것이며 사실을 알면서도 자수하지

않는 자는 참수할 것이며 대신 자수하는 자에게는 상금으로 은 3백량을

내릴 것이다29)

라 한 것이 그것이다

홍무 6년(1373)에는 환관 기구 중에 lsquo內正司rsquo라는 환관의 위법행위를

규찰하는 전문기구를 두었다30) 이것은 환관의 불법과 부도덕을 규찰

하는 기구로 司正(정7품) 司副(9종7품) 등의 관직을 두어 운영하였으

며 환관의 위법과 부도덕한 행동을 규찰하는 책임을 맡게 되었던 것

이다31)

동시에 환관은 외정의 직을 겸할 수 없고 외정 관료들과 교류할 수

없도록 하였다 홍무 10년(1377)에 태조는 ldquo환관은 외신 文武의 직을

겸할 수 없고 외신의 관복을 착용할 수 없으며 정치에 참여하거나 군

권 행사를 할 수 없다 관품은 4품을 넘을 수가 없고 매월 지급하는

봉록은 1석이며 내정 안에서 살림을 한다rdquo32)라고 정하였던 것이다

또한 환관이 문자를 터득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하여 환관에

게는 글을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였다 明史에 보면 初 太祖制 内臣

不许读书识字 33)라고만 되어 있어 이것을 제정한 시기가 언제인지 확

실히 알 수 없으나 명초의 것으로 태조는 초기부터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환관 전권을 더욱 방지하기 위하여 홍무 17년(1384)에 금령

29) 위와 같음

30) lsquo內正司rsquo는 후에 lsquo典禮司rsquo lsquo典禮稽察司rsquo로 개칭되었다

3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六年 hellip又考前代纠劾内官之法 置内正司

设司正一人 正七品司副一人从七品 专纠内官失仪及不法者 旋改为典禮司 又改

为典禮稽察司 升其品秩 司正升正六品 司副升从六品rdquo

32) 明史 卷304 宦官1 ldquo然定制 不得兼外臣文武衔 不得御外臣冠服 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衣食于内庭rdquo

33) 明史 卷304 宦官1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2을 발하였다 그 금령은 ldquo內臣不得干預政事 犯者斬rdquo이라 하여 lsquo환관으

로서 정사에 간여하는 사람은 참수형에 처한다rsquo는 것이다 약 석자 크

기의 鐵牌를 주조하여 거기에 이 lsquo11자rsquo를 새겨 궁문 앞에 세워 두었

다34) 철폐를 제조하여 궁문 앞에 세워두었다는 것은 가장 극렬한 환

관 통제 방책의 하나로 상징성이 가장 큰 통제 방법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이 규정은 환관들로 하여금 조정의 일에 간여할 수 없게 만들

었을 뿐 아니라 명초 환관의 권력을 중국 역사상 가장 밑바닥에 처하

게 만들었던 것이다

또한 환관은 공문서를 가지고 외정을 드나들 수 없게 하였으며35)

이러한 제한으로 인해 자연히 환관은 궁정에 있는 관료들과 사귀어 정

사를 어지럽힐 수 있는 기회를 갖기가 어려웠다

생각해 보면 신왕조를 창업한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들이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왕조 창업 후 심복으로서 환관들을 활용하

지 않을 수 없었다 그렇기에 태조는 환관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그들

의 세력을 제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던 것이다

그 주된 내용은 다음의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겠다

① 환관과 외신과의 쌍방에 의한 정보교환 문서 왕래를 금한다

② 환관은 조정 관리를 겸무하는 일과 외신의 관복을 착용하는 것을

금한다

③ 4품 이상의 품계에 오르는 것을 금한다

④ 환관의 봉급은 매월 백미 1석으로 하고 후궁 내에서 생활하며 지낸

⑤ 환관에게 글을 가르치는 것을 엄금한다

태조는 이상과 같이 환관의 세력이 성장하지 못하도록 갖가지 규제

를 강구하고 나아가 환관 규제를 위한 철패를 제조하여 궁문에 세워

34)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十七年 鑄铁牌文曰 内臣不得干预政事犯

者斩 置宮門 又勅諸司 毋得與內官監文移往來rdquo

35)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十七年hellip又勅諸司 毋得與內官監文移往來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3두었는데 이것은 태조의 환관 통제 정책 중 가장 대표적이고 상징적

인 징표가 되었다 하지만 한편 극단적인 제약이 도리어 환관이 신성

한 황제의 힘을 등지고 세력을 휘두르는 화근을 배태하였던 것이다

Ⅲ 國初 政治的 現實과 宦官 抑制의 限界

1 太祖期의 政治的 現實

한 당 시대의 환관 전권의 사실과 폐해를 잘 알고 극력 환관의 세

력을 억압하려는 태조 앞에 닥친 정치적 현실은 어떠하였는가

새로이 명왕조를 세운 태조는 먼저 관계의 기강문제에 지대한 관심

을 가지고 있었다 새로운 왕조가 수립되었어도 기강이 해이해지면 전

왕조에 있었던 것과 같은 부패가 官界에 그대로 만연하게 될 것이고

그로 인하여 민심이 흉흉할 수도 있는 일이다 그렇게 되면 그 자체가

혁명의 발생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고 나아가 태조가 창건한 왕조

자체도 혁명의 객체로 부상할 수밖에 없는 일이다

그러므로 태조는 기강 확립 권신들의 전횡 견제 관리의 부정부패

방지 민심 동요 등을 경계하면서 정치사회의 안정과 중앙집권적 전

제지배체제의 확립을 꾀하였다36)

현실적으로 원 왕조가 몽골고원으로 퇴각되었다고 하지만 그들은

여전히 상당한 세력을 보유하면서 언제 어떻게 명조에 반격을 가해 올

지 모르기 때문에 결코 방심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또한 국내에서도

명조 정권에 대하여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있고 명조에

협력하지 않고 음으로 몽골 세력을 지지하면서 농민출신의 태조 및 그

정권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우까지 있었다 또한 일단 명조 정권에 협

력하고 있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반드시 본심에서 우러난 것인지 확실

36) 全淳東 明王朝成立史硏究 pp194-204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4히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태조는 황제를 중심으로

하는 강력한 중앙집권적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

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

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금의위

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였다37)

금의위라는 특무기구는 본래 황제의 거동과 행렬을 시위하는 데 불

과였으나 이것이 특무 기관으로서 기능을 갖게 된 것은 호유용의 옥사

사건 이후 정보 수집과 감시체제를 강화할 때인 홍무 15년(1382년) 금

의위의 기구가 개혁된 결과이다 이후에 금의위는 정치상의 음모를 기

도하는 행위나 반체제적인 종교비밀 결사 등을 감시하는 기능을 가지

게 되었다 곧 금의위는 황제 행렬의 시위 외에 순찰을 돌면서 체포하

는 권한까지 지니게 되었던 것이다 이들은 정보를 수집하고 감시 적

발하며 사법권에까지 개입하였던 것이다38)

하지만 국초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

의 옥을 일으키며 시의심이 강하였던 주원장은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

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많은 사가들은 명사 환관 열전의 서문에 나타나 있는 ldquo盖明世宦官

出使专徵监军分镇刺臣民隐事诸大权皆自永乐间始rdquo(명대 환관

의 출사 징세 감군 분진 신민의 은밀한 일 정탐 등의 권리는 모두

영락 연간부터 시작되었다)39) 라는 기사라든지 明史 職官志에 나타

난 ldquo顾中官四出 实始永乐时 元年 李兴等赍敕劳暹罗国王 此奉使外国之

始也rdquo(돌이켜 보면 환관의 파견은 영락제 때에 처음 실시하였다 영락

37) 山根幸夫 明帝國の形成と發展 (ゆらぐ中華帝國 11 筑摩書房 1961)

pp41-42

38) 錦衣衛의 전신은 1367년에 설립된 拱衛司로서 대도독부에 예속되어 있었는

데 洪武 3년(1370) 親軍都尉府로 개칭하고 도독부로부터 독립하여 운영하였다

39) 明史 卷304 宦官1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5원년 이흥 등을 태국의 국왕에게 보내어 위로한 것이 환관을 외국에

보낸 것의 처음이다)40) 라는 기사를 인용하여 환관 중용의 책임이 영

락제에 있는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살펴보면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

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시 경제적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2 宦官 抑制의 限界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은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국초

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의 옥을 일으

키는 등 누구보다 시의심이 강하였던 태조는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

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심복인 환관들을 억

제하기보다는 그들을 측근으로 하여 저제군주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했다 그리하여 태조는 환관들과의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외부로 나가

는 출사 군대 감시 경제적인 활동 정보 수집 등의 일을 맡겼던 것이

첫째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관계를 원만히 하려 하였다41)

환관의 외국 출사의 예는 이미 홍무 2년에 보이고 있다 홍무 2년

(1369) 4월에 고려출신 환관 金丽渊을 고려에 파견하여 중국에 머물고

있는 高麗 流寓民 160여명을 고려에 돌려보낸 일이 있다 ldquo遣內臣 送

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書賜其王rdquo42)이라는 기사가 그것이다 이 기사

40)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41) 환관이 사신으로 나가는 경우는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외

국 사신으로 나가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변경 지역의 왕부나 주변 소수 민족

집단에 나가 황제의 명을 전하고 일을 처리하는 것이다

42)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丑朔 ldquo遣內臣 送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6를 더 읽어가 보면 그 때 중국인으로서 고려에 머물러 있는 유민들이

약 160여명이 있었는데 이 때 환관 金麗淵을 보내서 그들을 고려에

돌려보내었던 것이다43) 이 사실은 高麗史에도 ldquo己酉 18년 6월 丙寅

일에 황제가 환관 金麗淵을 파견하여 칙서를 전했다rdquo44)라고 하고 있어

당시 고려와 명과의 외교관계를 엿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명조의 환

관이 외교 사절단으로 나간 최초의 예라 할 수 있다

그리고 耽羅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는데 홍무 22년(1389) 4월 ldquo옛 원

나라의 제왕 중 명조에 귀부한 자는 탐라국에 거처하도록 하였으며

더욱이 그곳에 환관을 보내어 그들이 머물 집을 지어 주고 그곳에서

거처하도록 하였다rdquo45)라고 한 것을 보면 귀부한 元의 諸王들을 제주도

에 보내어 머물게 하면서 이 때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었던 것이다

安南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1년(1378) 정월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安南國에 파견하여 국왕 陳煓의 喪을 조문하였다 당시 안남국

왕 陳煓이 죽었는데 그의 동생 陳煒가 사신 陳建璨阮士諤을 명에 보

내어 안남국왕이 죽었음을 알려오자 이미 서로 교류가 있던 차였기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안남에 파견하여 문상하도록 하고 비단도 함께 보

내었던 것이다46)

書賜其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其間有高麗流寓者百六十餘人 朕念其人豈無鄕里骨肉之思 故令有

司遣使護送東歸rdquo

43) 洪武時期에 명과 고려 사이에 여러 차례 사절의 왕래가 있었다 홍무 2년

(1369) 4月부터 홍무 29년(1396) 6月까지 모두 22차례에 걸쳐 사신이 고려와

조선에 파견되었는데 사신의 이름이 파악된 사람이 43명(환관 25인 문신 11

인 무관 7인)이다 그중 정사로 고려조선에 출사한 사람이 21명인데 그 중

환관이 11인이고 문관이 4인이며 무관이 6인이다 이를 보면 많은 환관이 사

신으로서 고려조선에 파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환관은 대개 고려나 조

선 출신의 환관이었다 고려 조선 출신 25명의 환관 중 金丽渊黄永奇金仁

甫崔渊 등은 유명한 환관이다(李新峰 明前期赴朝鲜使臣丛考 明清论丛 第4辑 紫禁城出版社2003 참고)

44) 高麗史 卷132 恭愍王 己酉 18年 6月 丙寅條 ldquo皇帝遣宦者金麗淵致書rdquo 이

기사에는 이 때 귀환한 자가 165인으로 기록되어 있다

45) 太祖實錄 卷196 洪武 22年 4月 甲寅條 ldquo詔故元諸王來降者俾居耽羅國 且遣

中使往諭其國 爲造廬舍處之rdquo

46) 太祖實錄 卷117 洪武 11年 正月 ldquo是月 安南陳煓弟煒遣其臣陳建璨阮士諤來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7琉球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6년(1383) 정월 태조는 內使監 监

丞 梁民과 尚佩监 奉御 路謙 등을 琉球에 파견하여 中山王 察度에게

鍍金銀印과 고급비단을 하사한 일이 있다47) 같은 해 9월 琉球에서 내

란이 발생하였을 때에 태조는 监丞 梁玟을 보내어 전쟁을 중단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당시 中山王 山南王 山北王이 서로 자웅

을 겨루며 싸우고 있었는데 이때 내사감승 梁民에게 칙서를 보내어

싸움을 그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칙유를 보내었던 것이며 이들 모두

태조의 칙유를 받아들였던 것이다48)

眞臘國(캄보디아) 暹羅斛國(태국)에도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사무를 보게 하였다 홍무19년(1386) 9월에 行人 劉敏 唐敬 등을 환관

들과 함께 眞臘國에 보내었는데 이 때 磁器를 가지고 가서 하사토록

했고49) 홍무 28년(1395) 12월에는 환관 趙達과 朱福 등을 暹羅斛國(태

국)에 보내어 사망한 왕 參烈寶毘嗯哩哆嗦祿을 조문하고 후사인 蘇門

邦 昭祿群膺에게 비단과 모직물을 하사하였던 것이다50)

이상의 예들은 환관이 이미 태조시기에 황제의 명을 받고 외국의

사신으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수행한 사례들이다

태조가 환관을 변경 지역에 파견한 사실도 여러 곳에 보이고 있다

告煓卒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遣中使陳能至其國弔祭rdquo 國榷 卷6 洪武 11년 正月 ldquo是月 安南

陳煓弟煒遣使告哀 命中使陳能弔祭rdquo

47) 太祖實錄 卷151 洪武 16年 正月 丁未條

48) 明史 卷323 琉球傳 ldquo時二王與山北王爭雄 互相攻伐 命내內使監丞梁玟賜

之勅 令罷兵息民 三王并奉命rdquo 당시 琉球는 中山王(察度) 山南王(承察度) 山北

王(帕尼芝) 등 3세력이 대립하고 있었다

49) 太祖實錄 卷179 洪武 19年 9月 癸未條 ldquo遣行人劉敏唐敬偕內使賚磁器往賜

眞臘等國rdquo

50) 太祖實錄 卷243 洪武 28年 12月 戊午條 ldquo詔遣內使 趙達 朱福等 使暹羅斛

國 祭故王參烈寶毘嗯哩哆嗦祿 賜嗣王蘇門邦昭祿群膺 文綺四疋羅四疋 氁絲布四

十疋rdquo 明史 卷324 暹羅傳에도 같은 내용이 보이고 있다 ldquo二十八年 昭禄群

膺遣使朝贡 且告父丧 命中官赵达等往祭 敕世子嗣王位 赐赉有加rdquo (昭祿群膺이

사신을 파견하여 조공하고 또 부친의 상을 고하였다 이에 환관 조달 등으로

하여금 섬라에 가서 조문하도록 하고 세자가 왕위를 이어받도록 하였으며 더

불어 하사품을 곁들였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8홍무 2년(1369) 4월 원 승상 納哈出에게 편지를 보내 通交를 요구할

때 內臣을 파견하여 우호를 증진하였다51)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태조가 붙잡힌 원나라의 평장 完者不花를 돌려보내는데 환관을 시켜

돌려보내었다52) 홍무 14년(1381) 12월에는 환관을 파견하여 乌蒙(지금

의 운남성의 昭通)乌撤(지금의 운남성의 镇雄귀주성의 威宁)의 여

러 추장들에게 조칙을 발하였다53) 홍무 29년(1396) 6월에는 중사(환

관)를 桂林 등지의 府市에 보내어 南丹 奉儀 등의 衛所의 둔전 군사

들에게 밭가는 소를 지급해 주도록 하였다54) 동년 10월에 安定衛의

酋长 塔孩虎都鲁가 명에 와서 말 40필을 공물로 바친 일이 있는데 안

정위의 추장이 공물을 바친 것은 태조가 行人 陳誠으로 하여금 그곳에

다시 安定衛를 세우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었으며 이때에

ldquo復命中使赍金币往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

五十兩rdquo이라 하여 환관을 보내어 추장에게 옷과 비단 및 금품을 하사

하였던 것이다55)

이상의 기록들을 보면 태조시기에 환관이 여러 차례 변경 지역에

파견되어 변경 지역의 중대 업무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환관에게 지방 군대를 감독하거나 때로 군을 지휘하는 특수

임무를 맡겼다 태조는 외지 변경 지역의 장수들을 엄격히 통제하지

51)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亥條 ldquo玆 因遣使通元君 道經營壘望 令人送

達 所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國榷 卷3 太祖洪武 2年 4月 乙亥

條 ldquo又諭元臣納哈出書曰將軍昔自江左辭還 不通問十五年矣 近聞戍守遼陽 士馬

强 玆因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52) 太祖實錄 卷120 洪武11年 10月條 ldquo山西邊將遣人送所獲故元平章完者不花至

京師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朕怒邊將以爲方遣使通好乃執其平章豈不失信於卿 今特遣內臣送之 抵

丞相營 宥之罪之放 遂之 卿自爲區處rdquo

53) 太祖實錄 卷140 洪武 14年 12月 辛未條 ldquo遣內臣 賚敕諭鳥蒙鳥撤諸酋長rdquo

54) 明史 卷205 廣西土司傳 ldquo帝命俱置屯田给耕 寻遣中使至桂林等府市牛给

南丹奉议诸卫军士rdquo

55) 太祖實錄 卷247 洪武 29年 10月 甲午條 ldquo安定卫酋长塔孩虎都鲁 來朝貢馬

四十疋 先是 上遣行人陈诚立撤里畏兀兒 爲安定卫錫 以印章 以塔孩虎都鲁等指

挥千百户 至是诚歸 塔孩虎都鲁随誠入贡上嘉其慕義 厚赉之 復命中使赍金币往

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五十兩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9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 때 황제의 이목으로서 환관을 활용하였던 것

이다

태조는 명왕조를 창건하기 이전 자신의 세력을 키워가는 과정에서

많은 부하들을 양자로 삼아 그들을 활용하였다 이들에게 여러 장수들

의 군대를 감독하게 함으로써 장수들의 배반을 사전에 막고 안전하게

통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태조가 처음 기병했을 때 많은 양자를 두

었는데 이들을 장수와 함께 여러 路를 지키도록 했다 이를 테면 周舍

를 鎭江에 道舍를 寧國에 馬兒를 婺州에 柴舍眞童을 處州에 金剛

奴를 衢州에 보내어 지키도록 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주원장의 양자들

이었다56) 양자를 심복으로 삼아 그들을 기용하여 군대를 감독하게 하

였던 것이다

이들에게 감군하는 권한을 허락한 것은 태조가 왕조를 창업하는 과

정에서 군권 장악이 최후 승자가 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고 생

각하여 취한 조처였던 것이다

그런데 왕조를 개창한 후에는 양자보다는 환관을 신임하고 그들을

군부대에 파견하였다 홍무 원년(1368) 9월에 北征에 힘쓴 將士들에게

음식을 베풀어 주면서 위로한 일이 있는데 이 때 환관 奉御를 北平에

파견하여 이 일을 담당하도록 하였다57) 홍무 9년(1376) 8월에는 환관

趙成을 군부대에 파견하여 그곳의 관리를 불러들였다 내용인즉 홍무

9년 西番의 多爾濟巴가 부락민을 이끌고 명에 귀순하여 오자 태조는

熊鼎을 岐寧衛 經歷으로 삼아 그곳을 다스리도록 하였다 웅정은 임지

에 도착한 후 귀순부대들이 거짓으로 항복했다는 것을 알고 그 사실

을 비밀리 조정에 보고하였다 태조는 그 소식을 듣고 먼저 웅정을 위

로한 후 환관 조성을 군부대에 보내어 웅정을 경사로 불러들였던 것

이다58)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환관 吳誠을 총병지휘 楊仲名에게

56) 明史 卷134 夏文輝傳 ldquo太祖初起 多蓄義子 及长命偕诸将分守诸路 周舍

守镇江 道舍守宁国 马兒守婺州 柴舍真童守处州 金刚奴守衢州 皆义子也rdquo

57) 太祖實錄 卷35 洪武 元年 9月 乙卯條 ldquo上遣中使奉御等官 至北平 犒北征將

士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0보내어 전반적인 계획과 책략을 살피도록 하였고59) 11월에는 總兵官

辰主指揮 楊仲名이 五開蠻의 반란을 평정하자 태조가 內臣 尙履奉御

呂玉을 楊仲名에게 보내어 그 군대를 검열하고 위로하게 하였다60) 홍

무 27년(1394)에는 환관을 陝西都指揮使司에게 보내어 將士들을 훈련

하게 하였고 魏國公 徐輝祖으로 하여금 섬서 연변지역을 다스리게 하

였다61)

이러한 예들은 환관이 감군으로서 군영에 파견되어 군정을 순시하

고 살피는 일을 한 사례들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태조는 환관이 군의 정황을 살피는 일 이상의 업무에는 참

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 점은 唐代의 환관들과 다른 점으로 당대

에는 환관의 감군이 정치참여로 나타났지만 태조는 환관이 국가중추

기관의 기밀을 획책하는 일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62) 그

렇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기능은 장차 환관의 위력이 점점 강해지는 결

과를 낳았음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셋째 태조는 환관을 각종 경제활동에도 참여시켰다

태조 때에 환관은 경제활동에도 빈번히 참여하였는데 최초의 예로

서는 홍무 8년(1375) 5월 태조가 환관 趙成을 河州에 보내어 거기서

말을 교역해 오도록 한 일이다 태조가 茶馬司를 설치 한 후 조정에서

는 西番에 말을 사들이는 교역장을 마련하였는데63) 서번은 본래 말의

58) 明通鑑 卷6 洪武 9年 8月條 이때에 옹정이 경사로 돌아가자 번인들이 반

란을 일으켰다고 한다

59)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0月 戊申條 ldquo遣內臣 吳誠詣總兵官指揮楊仲名行

營觀方略rdquo

60) 太祖實錄 卷121 洪武 11年 11月 庚午朔條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1

月 庚午條 ldquo五開蠻平 內臣 尙履奉御 呂玉勞指揮楊仲名rdquo 明通鑑 卷6 洪武12

年 11月條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61) 太祖實錄 卷234 洪武 27년 9月條

62) 田禾 明太祖嚴馭宦官試析 (社會科學戰線 1997-4期 1997) pp162-163

63) 茶马司는 洪武 5년1372)2月에 秦州에 처음 설치되었다 그 후 洪武 7년

(1374)다시 河州에 차마사를 설치하고 이어 또 洮州 등지에 차마사를 두었

다 이들은 四川 漢中 湖南 등지의 차와 서북 유목지역에서 나는 말을 교역하

는 임무를 띠고 있었는데 藏族지구의 말을 사들이는 일이 주된 일이었다 그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1산지였기 때문이었다 서번 사람들은 말을 가지고 와서 중국의 문물을

구입하여 갔다

그런데 서번인들의 생활용품과 중국의 용품과는 달랐고 명초에 지

폐인 보초가 발행 된 이후에는 번인들이 사용하는 화폐와 달라 말의

교역량이 줄어들게 되었다 태조는 이것을 염려하여 궁중 환관 趙成을

파견하여 말 교역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조성은 여러 종류의 비단과 사천 지방의 茶葉을 가지고 가서 말을

사오는 방책을 취하였다 조성의 노력으로 河州 수장은 서번 사람들을

위무하고 선대하면서 互市를 열었기에 점차 많은 말을 사들여 올 수

있었는데 이후 차마 무역은 점차 활발해졌던 것이다64)

또 홍무10년(1377) 3월 호부는 징세 업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곳이 178처나 있음을 알고 환관 국자감생 호부의 관원 등 각 부문에

서 각각 1명씩 차출하여 정밀 조사하기를 태조에게 주청하였다 세금

징수 업무를 담당하는 稅課司에서 할당한 세금이 제대로 걷히지 않자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환관과 국자감생들을 보내어 조사하도록 주청한

것이다 이때의 주청에 대하여 lsquo從之rsquo65)라 한 것을 보면 태조가 그것을

승인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환관이 징세 업무에도 간여하였음

을 보여주고 있는 좋은 사례인 것이다

그 외에도 홍무 16년(1383) 9월 태조는 內使 梁珉으로 하여금 돈을

가지고 琉球로 가서 말을 사들여 오도록 하였고66) 홍무 25년(1392) 3

월에는 尙膳太监 而聶과 司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소관

의 번족에게 보내어 거기서 말을 사들여오도록 하였다67) 이 때 서북

러므로 회족이 운거하고 있는 河州는 명대 茶馬互市의 중심지였다

6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5

65) 太祖實錄 卷111 洪武 10年 3月 甲申條 ldquo户部奏天下税课司局征商不如额者

一百七十八处 宜请遣中官国子生及部委官各一人往覈其實立爲定額從之rdquo

66) 太祖實錄 卷156 洪武 16年 9月 己未條 ldquo內官梁珉以貨幣往琉球易马還得马

九百八十三匹rdquo

67) 太祖實錄 卷217 洪武 25年 3月 己丑條 ldquo遣尙膳太监 而聶司禮太監 慶童

賚敕往諭陝西河州等衛所屬番族 令其輸馬 以茶給之rdquo 弇山堂別集 卷90 中官

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당시 尙膳太监 而聶과 司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2쪽의 번족으로부터 말을 사들이는 데는 중국차로서 대가를 지불하였

다 이 때 사들인 말이 10340여필에 이르고 교역한 차엽은 30여만 근

에 달하였다고 하며 구입한 말은 河南 山西 陝西의 衛所에 배치되었

던 것이다68)

넷째 환관을 민간 정보 수집요원으로 활용하였다

새로운 왕조가 성립되었다고 하지만 언제 어떻게 몽골족이 반격하

여 올지 모르고 또한 명조의 신 정권에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다시 왕조를 전복할지도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정보 수집을 중히 여기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

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錦衣衛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금의위를 운영하면서도 태조는 자신의 정권을 보전하기 위

해 환관에게 문무백관을 감시하는 권한을 맡겨 정보를 수집하였다 홍

무 12년(1379) 9월에 占城國 국왕 阿答阿者가 그 신하 陽須文旦을 파

견하여 황제에 올리는 상서와 함께 코끼리말방물 등을 진헌한 일

이 있었는데 중서성 신하는 이것을 제때에 보고하지 못하였으나 內臣

(환관)이 외출하였다가 그 사신을 만나 점성국 사신이 왔다는 정보를

얻어 그 사실을 태조에게 알렸다 태조는 환관의 정보 제공으로 곧바

로 점성국의 사신을 불러 접견할 수 있었는데 이 때 태조는 ldquo상하의

의사소통이 꽉 막히기가 여기까지 이르렀구나rdquo고 하며 탄식하며 중서

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번족에 보내어 말을 사들인 사실은 lsquo교역rsquo

이라는 경제 활동의 성격과 lsquo군마 구입과 배치rsquo라는 군사적 성격을 동시에 지

니고 있는 활동이기도 하다

68)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 ldquo尙膳太监 而聶等至河

州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於是得馬萬三千四十餘疋 以茶三十餘萬斤給之 諸族大悅 而聶遣使入奏

命以馬分给河南山西陕西卫所骑士rdquo이라 하여 교역된 마필과 차엽의 양이

언급되어 있고 당시 구매된 말이 어디로 배치되어 있는가 하는 내용이 더 언

급되어 있다 다만 같은 내용의 기사가 太祖實錄에는 洪武 25년 3月 기사로

弇山堂別集에는 2月 기사로 되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3성 관료들을 질책하자 승상 胡惟庸 汪廣洋 등 중서성의 신하들이 모

두 고개를 땅에 대고 사죄하였다고 한다69)

환관들은 황제의 이목이 되어 황제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황제와 환관들은 자연히 신뢰관계가 형성되었다 황제는

이러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환관에게 특별한 임무를 부여하였던 것

이다 특별한 임무란 황제가 직접 접할 수 없는 궁성 밖의 정세나 관

료의 동향을 알아내는 첩보 활동이었으며 京師의 禁軍도 그들의 감시

대상이었던 것이다

다섯째 환관은 친왕의 왕부에 특사로서 파견되기도 하였다 홍무 12

년(1279) 3월에 환관 陳京을 桂林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靖康王 朱守

謙에게 파견하여 황제의 유지를 전달하게 하였고 홍무 26년(1393) 2월

에 藍玉의 모반 사건이 일어났을 때 3월에 太原의 晉王 朱楓에게 사

람을 보내어 남옥의 모반 사건과 관련되어 있는 집안의 가정과 노비들

을 제거하고 재산을 몰수하라는 유지를 내렸는데 이때에 칙유를 가지

고 간 사람이 환관 而聶과 부마 梅殷였다70)

이를 보면 친왕들에게 유지를 전하는 데 환관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그렇기에 태조는祖訓錄에서

무릇 친왕이 과오를 저지르면 重한 경우 내사 감관으로 하여금 왕을

불러오게 하고 세 차례나 불러도 오지 않으면 다시 流官(황제가 임명한

관리)을 보내되 내관과 함께 동행을 하여 그를 경사로 불러들이도록 한

다71)

69) 太祖實錄 卷126 洪武 12年 9月 戊午條 ldquo占城國王 王阿答阿者遣其臣陽須文

旦進表及象馬方物中书省臣不以時奏 內臣因出外見其使者以聞 上亟召使者見之

嘆曰 壅蔽之害乃至此哉 因敕責省臣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丞相胡惟庸汪廣洋等 皆叩頭謝罪rdquo

70) 王德金 앞의 논문 朱元璋馭宦之析 pp41-42

71) 祖訓錄 法律 ldquo凡親王有過 重者 遣內使監官宣召 如三次不至 再遣流官 同監

官召之至京rdquo 태조가 창업군주로서 자손들에게 훈유를 내려 그것을 영구히 지

키도록 하기 위해 지은 책이 祖訓錄이다 太祖實錄 洪武 2年 4月 乙亥條에

ldquo詔中書編祖訓錄rdquo이라는 것을 보아 이때부터 편찬이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洪武 6年 5月에 완성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箴戒持守严祭祀谨出入慎

国政禮仪法律内令内官职制兵卫营缮供用 등 13 항목으로 되어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4

라고 규정함으로써 친왕이 문제가 있을 때에는 환관이 먼저 파견되었

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을 보면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들의 발호를 억제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정치적 현실에

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차마 무역의 담당

자로 호군 및 군대 감독자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

년 승상제가 폐지되면서 그들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

겠다 이로 인하여 환관의 권위는 점 점 높이지고 세력은 확대되어 갔

던 것이다

3 宦官數의 增大와 機構의 擴大

홍무 초년에는 태조가 환관을 통제했기에 당시의 환관들이 아직 자

금성 안에서 주로 복무했다고 한다면 그의 통치 중후기에는 환관들

이 궁궐 밖으로 나가 여러 임무를 띠고 초기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였다 태조는 이런 변화가 그렇게 나쁘다고 여기지 않았고 도리어

그들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도움이 된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리하여 태조시기에 환관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환관 기구도 확대

되어 갔다 홍무 2년 규정에는 내사감 봉어 60인 기타 각 각 사소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까지 합쳐 총수는 100명에 불과하였다72) 그러나

홍무 15년(1382)에는 환관 361인을 증설하였다73) 이것은 홍무 15년에

증가된 기록으로 당시 기존의 환관을 합치면 거의 수백 명의 환관이

있으며 태조 자신이 서문을 지었다 太祖實錄 28年 閏 9月 庚寅條에 의하면

이 때 祖訓錄을 거듭 정하여 皇明祖訓이라 명명하였다

72)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 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定置內

使監 奉御六十人 尙寶 一人 尙冠七人 尙衣 十人 尙佩九人 尙藥七人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東宮

後門 宮左宮右門 各設門正一人 副一人rdquo

73) 太祖實錄 卷149 洪武 15年 10月 丙戌條 ldquo增設內使三百六十一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5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명조는 수시로

주변 여러 나라에 엄인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사실로 홍무 24년(1391)에 태조는 환관 韓龍 黃禿蠻 등을

고려에 보내어 말 1만 필을 사오도록 하면서 閹人 200여명을 요구하였

다74) 그리고 安南國에서도 끊이지 않고 엄인들을 진공하였는데 매번

수십 명 씩 바쳤던 것이다75) 명조는 사방에 엄인을 요구하였는데 특

히 고려와 안남은 당시 엄인을 진공하는 주요 나라가 되었다76)

이리하여 환관의 수가 부단히 증가하였고 태조도 역시 환관을 심복

중의 심복으로 삼으면서 그들을 신뢰하고 있었다 이에 홍무 17년

(1384) 어느 날 대도독부 겸 국자감을 관할하고 있던 李文忠은 태조에

게 환관이 너무 많으니 그 숫자를 줄여할 것을 건의하였다

ldquo內臣이 너무 많습니다 마땅히 좀 줄이셔야 합니다rdquo라고 이문충이 건

의 하자 태조는 이를 듣고 대노 하여 ldquo자네가 나의 오른쪽 날개를 약화

시키려 하는데 그것은 무슨 의도인가 이것은 분명히 문객들이 시켰을

것이다rdquo라고 말하면서 결국 사람을 보내어 이문충의 문객을 전부 살해하

였다77)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일로 인하여 이문충은 병들어 죽게 되었는

데 이 때 이미 환관은 그 수가 적어서는 안 되는 대상이 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4) 太祖實錄 卷208 洪武 24年 3月 己丑條 ldquo詔於高麗市馬一萬疋 幷索閹人二百

人rdquo 高麗史 恭讓王 3년 辛未年條

75)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6

76) 환관의 공급원은 본래 宮刑에 처해진 죄인들이었지만 隋代 이후 궁형이 폐지

된 후부터는 ① 적의 포로 ② 외국으로부터의 進貢者 또는 변방 지역의 進獻

者 ③ 특별한 사정으로 궁형에 처해진 죄인 ④ 自宮者 곧 지원자 또는 부모의

명령으로 거세된 準自宮者 등이 있다

77) 弇山堂別集 卷20 史乘考誤 1 ldquo一日勸上内臣太多宜稍裁省 上大怒 謂若

欲弱吾羽翼何 意此必门客教之 因盡殺客 文忠驚悸得疾暴卒 上發悲 怒殺諸醫及

文忠侍者百人rdquo 이 기사는 어느 때의 기사인지 나와 있지 않아 잘 알 수 없으

나 이것은 李文忠(1339mdash1384)이 죽은 해에 발생한 사건이므로 洪武 17년

(1384)의 사건으로 볼 수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6환관의 기구 역시 확대되어 갔다 환관의 부서와 직무는 吳 원년

(1367)에 lsquo內史監rsquo이 설치된 이후 인원의 증대와 기구 관리를 위해 조

직이 신설 분리되어 가면서 확대되어 갔는데 홍무 17년(1384)에 9監

2庫 6局 체제가 되었다78) 이것은 명대 환관의 기구인 24아문(12감 4

사 8국)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어 홍무 28년(1395)에 11감 4사 9국으로

정비되어 24아문의 기구가 거의 완비되었던 것이다79) 홍무 30년(1397)

환관 조직은 12감8국4사의 24아문의 규모가 되었고 명왕조 환관

조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황종희가 말하고 있듯이 ldquo명조에 善治가

없었던 것은 태조가 재상을 폐지하면서부터이다 저 宮奴들이 재상의

정치가 땅에 떨어져 수습될 수 없음을 알고 여러 규칙과 조목을 세우

고 직무를 늘렸으며 생살권과 상벌권 등 재상으로부터 나오던 것이

이제 모두 환관들에게 돌아갔도다 (중략) 그러므로 궁노들이 재상처럼

된 것은 승상제를 폐지한 데서 온 커다란 과오이다rdquo80) 라고 하면서

환관의 발호는 재상의 폐지로 인한 것이며 이것은 명대 정치의 큰

폐단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로 재상 없는 군주 독재 지배체제에서 황제 한 사람에 의한 통치

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매일 황제 곁에 있는 환관

중 신뢰하는 환관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태조도 자신도 모르게 환관을 신뢰하고 그들을 중용을 하였으니 이념

적으로 ldquo내신은 정사에 관여하지 못한다rdquo 라는 규정을 내세우면서도

78)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九監은 内官监 神宫监 尚寶监 尚衣监 尚膳监 司

设监 司礼监 御马监 直殿监이고 二庫는 内承运库司鑰库이며 六局은 巾帽局

针工局 织染局 颜料局 司苑局 司牧局을 말한다

79) 위와 같음 十二監은 神宫监 尚寶监 孝陵神宮監 尚膳监 尚衣监 司设监 内官

监 司禮監 御马监 印綬監 直殿监이고 四司는 惜薪司 钟鼓司寶钞司 混堂司이

며 9局庫는 兵仗局 織染局 针工局 巾帽局 司苑局 酒醋麵局 內乘運庫 司鑰庫

內府供用庫인데 이것들은 후에 24아문으로 발전하였다

80) 黄宗羲 明夷待訪錄 置相 ldquo有明之无善治 自高皇帝罢丞相始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彼宫奴

者见宰相之政事坠地不收从而设为科条增其职掌 生杀予夺 出自宰相者 次

第而尽归焉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故使宫奴有宰相之实 则罢丞相之过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2: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0환관은 주나라 때부터 청 말까지 존속하였으나 중국 고유의 전유물

은 아니다 고대 서아시아 여러 나라와 그리스로마인도이슬람교

국가에도 있었고 성경2)에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고려 때 중

국의 환관제도가 들어와 조선시대로 이어졌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내시(內侍)라 불렸다

역사적으로 환관이 여러 지역에 나타나고 있었지만 중국의 환관만

큼 정치 및 사회 문화에 영향을 끼친 예는 없다

중국의 환관제도는 오랜 역사를 통하여 발달하여 왔다 중국에 황제

일원적 지배가 시작된 이후 모든 국사를 총괄하게 된 황제에게는 자연

그 업무의 보조자가 필요하였고 이로 인해 황제의 가장 측근집단인

환관이 정치에 개입하는 일이 많았다 특히 명조는 후한 당과 더불어

환관의 전횡과 발호가 심했던 시대로 이름나 있는데 명대의 경우는

재상제도 폐지와 무능한 황제들의 잇단 등극 그리고 査察과 刑獄 등

의 사법 업무를 주로 했던 특무기관의 최고 책임자로 환관이 줄곧 임

용되었다는 점이 환관의 전횡을 가져왔다고 논해지고 있다

명대에는 태조의 환관억제 정책에도 불구하고 영락제 이후 환관의

세력이 커지고 중기 이후에는 황제의 총애와 신임을 받아 정치를 좌우

하는 일이 많았다 황제의 총애와 신임으로 인한 환관의 정치개입과

권력의 남용 뇌물 수수와 경제 착취 등은 명 중기 이후 상품경제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폐정과 사회 모순을 심화시켜 마침내 왕조 멸망으

로까지 이르게 하였던 것이다

이에 본고는 명초 환관 세력 견제 정책이 취해졌음에도 불구하고

다 직임상 붙여진 칭호라면 환관은 궁정에서 일하는 사람이고 그 직책 또한

다양하므로 여러 칭호가 있는데 사료에 많이 나오는 용어로는 寺人宦官太

監黃門司宮中官中人中使中貴中涓內官內臣內侍內監 閹

寺 宦寺 등이 있다 그리고 거세된 남자를 부르는 용어로 lsquo火者rsquo라는 말이 있

는데 이는 인도 궁정에서 봉사하던 환관이나 일반 엄인을 가리키는 lsquoKhojahrsquo

라는 말이 轉訛되어 형성된 것이다 중국에서의 火者는 거세된 남성으로서 공

산가나 유력자 밑에서 주인을 섬기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그러므로 궁정에

서 일하는 환관(내신)과는 구분하여 사용해야 할 것이다

2) 마태복음 19장 12절 역대상 28장 1-2절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1어떻게 해서 환관 발호의 토양이 형성되었을까 하는 것에 착목하여 명

조 전기 환관세력의 추이와 기능을 살펴보려 한다

환관에 대한 포괄적 지식을 안겨다 주고 있는 책으로는 일본의 三

田村泰助의 宦官 -側近政治の構造-3)가 있다 이 책은 문고판이면서

도 환관이란 무엇이며 환관이 역사적으로 크게 활약하던 한대 당대

명대를 중심으로 환관과 관련된 제요소 및 특색을 지적하여 이해에 도

움을 주고 있다

중국 환관에 관한 중국 서적으로는 袁閭琨魏鑑勛의 太監史話가있다 이 책은 중국의 역사상 크게 영향을 미친 54명을 선발하여 각각

의 인물과 사건을 소개함으로써 환관제도의 존재를 설명하고 있다 그

후에 雇蓉葛金芳의 霧橫帷牆 -古代宦官群體的文化考察-4)와 余華

靑의 中國宦官制度史5)가 나왔는데 전자는 환관의 육체와 정신과 행

동 그리고 환관의 궁정생활 환관과 타 집단과의 관계 등 주로 사회

문화사인 측면에서 평이하게 서술하고 있는 일반서이고 후자는 중국

역사상 각 시기의 환관제도와 그 기능에 대하여 균형 있게 서술한 책

으로 환관 이해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명대 환관에 대한 연구서로는 丁易의 明代特務政治6)가 있다 이

책은 명대 환관의 활동을 논한 책으로 명대 정치사를 연구하는 데 반

드시 접해야 할 책이다 본서는 환관을 중심으로 한 명대의 비밀첩보

정치를 방대한 사료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기록해 놓았는데 명대 환관

3) 三田村泰助 宦官 (中央公論社 1963) p3 이 책은 한국에서 ldquo미타무라 타이

스케하혜자 역 환관(나루 1995)으로 번역되어 소개되었다

4) 雇蓉葛金芳 霧橫帷牆 -古代宦官群體的文化考察- (陝西人民敎育出版社

1992)

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3)

6) 丁易明代特務政治는 1945년에 연구를 시작하여 1948년에 완성하였다 이 연

구물은 1950년에 中外出版社에서 처음 출판되었다 다량의 역사 서적으로부터

명대 환관에 관한 사료를 인용하여 명대 환관의 실태를 소개하고 있다 이 책

은 일본 汲古書院(1971)에서 영인하여 널리 보급되었으며 최근에는 中華書局

(2006)에서 종서와 번체자로 되어 있는 원본을 횡서와 간체자로 다시 발간하

여 손쉽게 접할 수 있게 하고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2연구자의 필독서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목적은 본래 장개석의 국민

당 정부를 공격하기 위한 정치적 의도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학술적

차원에서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는 지적이 있기는 하나7) 명대 환관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그리고 명대 萬暦 연간(1573〜1620)

의 환관 劉若愚가 환관의 실상을 폭넓게 서술한 책으로 酌中志가 있

는데 이것은 명대 환관의 일반적인 생활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1980년대에 들어와 王春瑜杜婉言 양씨가 명대 환관 연구를 정력

적으로 수행하였다 그중 양씨가 함께 편저한 明代宦官與經濟史料初

探(1986년)8)은 명대 文集 奏疏 野史 筆記本 및 부분적으로 청대의

각 사료에서 환관의 경제 분야 관련의 사료를 뽑아 모아 놓은 자료로

이것은 환관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명대 환관 연구에 큰 자극을 주

었던 것이다 이어 王春瑜杜婉言 양씨가 공저한 明朝宦官(1989)9)은 명대 환관의 여러 기능 곧 정치 군사 경제 문화적 측면에 나타난

환관의 활동과 기능을 분석하여 놓았으며 명대 주요 환관도 소개하고

있는데 풍부한 사료를 동원하여 서술하고 있어 전체적 이해에 큰 도

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물들은 환관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에는 도움을 주고 있

으나 명조 전반기에 대해서는 부차적으로 언급되어 있기에 구체적 실

상을 이해하는 데는 자연 한계를 지니고 있다 할 수 있다10)

7) 王天有 有关明史地位的四個问题 (明淸論叢 제7집 2006) p7

8) 王春瑜杜婉言編著 明代宦官與經濟史料初探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86)

9)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紫禁城出版社 1989) 이 책은 다시 수정 증보하

여 2007년 1월에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간행으로 재 출판되었다 여기

에는 기존 환관 傳記에다 45명의 전기를 추가하여 넣었으며 부록으로 杜婉言

의 청대 환관을 소개하고 있어 내용이 더욱 풍성하여졌다

10) 환관에 관한 저서로서는 이 외에 杜婉言杜子明 編譯 中國歷代太監傳 (國際文化出版公司 1992) 李慕南 张林 李丽丽 主编 历代宦官 (河南大学出

版省出版 1998) 凌枫编世界文化第一大迷 -从神秘阉割到双姓同体 (汕头大学

出版社 2001) 卫建林 明代宦官政治 (花山文艺出版社 2001) Shih-shan

Henry Tsai Eunuchs in the Ming Dynast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5 Edward L Dreyer Zheng He China and the Oceans in theEarly Ming Dynasty 1405-1433 Longman 2006 등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3그렇다고 명초 환관에 대한 연구가 없는 것은 아니다 최근 1990년

후반과 2000년대에 들어와 명초 환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역사상 명대 전제정치 체제 내의 정치 무대에서 환관들이 정치 경제

군사 외교 문화 등의 여러 방면에서에서 심각한 영향을 미쳐 왔고 끝

내는 왕조를 명조 멸망으로까지 끌고 왔는데 그것의 기점을 태조와

영락제에 두면서 명초의 환관 연구가 크게 주목되었다 이를테면 田禾

의 明太祖嚴馭宦官試析 -兼及朱元璋的評價問題 11)는 태조가 행정 감

찰 군사 등 3대 영역에서 상호 견제하는 조처를 취하였으나 환관관리

의 측면은 단지 lsquo使之畏法 不使有功rsquo에만 급급하였을 뿐 이에 대한 견

제 기구가 결여 되었으며 후계자들은 도리어 태조의 유칙을 지키지

않았기 때문에 결국은 환관의 전횡이 이루어지게 되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王德金은 朱元璋馭宦之析 12)에서 명대 환관 정권의 맹아는 주

원장의 승상제 폐지에 있음을 지적하였고 施洪道 朱元璋政策失誤和

明朝宦官專權 13)은 명조 환관이 전권을 지니게 된 것은 태조의 功臣

殺戮 제왕분봉책 승상제도 폐지 등에 그 원인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喬海燕 自禁之自紊之 -朱元璋委政宦官之實 (濰坊學院學報 2005

-1)14)은 환관이 정치에 간여하는 것을 엄금하는 일과 환관에 정치를

위임하는 일은 모순하지 않은 일이며 환관에 정치 참여를 엄금함으로

써 내권을 방지하고 환관에게 정치를 위임함으로써 외환을 방지하려

하였으나 군주권 강화를 위한 승상제 폐지와 환관에 대한 신뢰가 결

국 환관의 권력과 권세를 강하게 만들었음을 언급하였다

이상의 견해를 종합하면 명태조가 환관 억제 정책을 썼으나 한편

그 시기에 환관이 세력을 펼 수 있는 요건이 배태하기 시작하였으며

명대 환관 전권의 계기는 태조의 승상제 폐지에 있음을 밝히고 있는

11) 田禾 明太祖嚴馭宦官試析 -兼及朱元璋的評價問題 (社會科學戰線 1997

-4)

12) 王德金 朱元璋馭宦之析 (天津師範大學學報 2001-6)13) 施洪道 朱元璋政策失誤和明朝宦官專權 (零陵師範高等專科學校學報 23

-4 2002)

14) 喬海燕 自禁之自紊之 -朱元璋委政宦官之實 (濰坊學院學報 2005-1)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4것이다

그렇다면 명초 환관 억제 정책에 대한 이념과 현실을 구체적으로

살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념과 현실의 모순이 영락제 이후 어떻

게 환관 세력의 증대로 나타났으며 그 추이는 어떠하였는가가 밝혀져

야 할 것이다 이것은 명 중기 이후 출현한 환관의 전횡 상품경제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弊政과 사회 모순 심화로 인한 각종 민란의 출현

등 명대 정치사회적 변화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

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명대 전기라 하지만 주로 太祖(洪武帝 1368-1398) 建

文帝(惠帝 1398-1402) 永樂帝(成祖 1402-1424)15) 洪熙帝(仁宗1424-

25)를 거쳐 宣德帝(宣宗 1425-1435) 때까지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 시기는 正統帝(英宗 1435-1449)의 재위기간에 권력을 전횡하여 土

木堡 變(1449)을 일으켰던 王振( -1449)의 출현 그리고 그 후 명조

중말기로 이어지는 成化帝(憲宗 1464년-1487년)-萬曆帝(神宗 1573-

1620)시기의 환관 발호 시대와는 구별되어진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Ⅱ 太祖의 宦官에 對한 理解와 政策

1 太祖의 宦官에 대한 理解

원조의 실정이 거듭되고 각처의 반란이 빈번하던 원말 동란기 鳳陽

빈농 출신의 朱元璋(1328-1398)은 郭子興이 이끄는 의병에 가담하여

그곳에서 혁혁한 공을 세워 차차 중국 역사무대로 나아가게 되었다

그는 李善長 徐達 尙遇春 등 능력 있는 인재와 劉基 宋濂 등 지략가

의 도움으로 점차 세력을 키워나가 최후로 鄱陽湖 전투(1363)에서 강

15) 영락제의 묘호는 처음 lsquo太宗rsquo으로 정하였으나 嘉靖 17년(1537)에 lsquo成祖rsquo로 개

정하였으며 이후 성조로 칭하고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5적 陳友諒을 물리치고 蘇州 지방을 근거로 하고 있던 張士誠을 멸하

고(1367) 천하를 얻어 마침내 1368년에 명나라를 세워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16) 그가 명 왕조를 세운 太祖 洪武帝(1368-1398)17)이다

새로 왕조를 창업한 주원장은 어렵게 얻은 천하를 유지하는 것이

그렇게 쉽지 않다는 것을 깊이 깨달았다 그리고 역대 왕조 흥망사의

역사를 거울로 삼아 국초부터 궁궐 내 환관의 폐해를 심각하게 인식

하였다

그렇기에 태조는 왕조를 개창한 이후 곧 바로 환관의 정치 간여를

금하는 조서를 발하였다 홍무 원년(1368) 4월 禁宦官预政典兵 이라

는 금령을 내렸는데 이에 대하여 청의 谷應泰가 지은 明史紀事本末

18)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4월 병진 일에 환관이 정치 사법 군사 등의 일에 간여하는 것을 금하

였다 태조는 시신들에게 이르기를 ldquo내가 사서에 기록되어 전해 오는 것

을 보니 한나라와 당나라의 말기에 환관은 모두 나라를 망하게 한 좀 벌

레였다 폐해가 많았으니 일찍이 이보다 더 한심한 때가 없었다 주역에

이르기를 나라를 열고 조정을 이어받을 때 소인은 쓰지 말라고 했다 궁

궐에서 환관이 하는 일은 다만 소제하고 심부름하는 일 뿐이다 어찌 정

치 사법 군사 등의 일에 간여하도록 해야 하는가 한당의 화 비록 환

관의 죄이기는 하나 역시 군주가 이를 총애하여 부렸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다 환관으로 하여금 정치에 간여하지 않도록 하여라 만약 그렇

게 한다면 비록 환관이 난을 일으키려 한다 하더라도 그것이 성공할 수

있겠는가19)

16) 全淳東 明王朝成立史硏究 (도서출판 개신 2000) pp103-107

17) 중국의 명청대는 一世一元 곧 한 황제가 하나의 연호를 채택하는 것이 관

행으로 되었기 때문에 황제를 호칭할 때 lsquo廟號rsquo로 부르기도 하고 lsquo年號rsquo를 사

용하여 부르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太祖 洪武帝를 호칭할 때에는 왕조를 창업

한 최초의 군주라는 개념을 살리기 위해 lsquo太祖rsquo라는 lsquo묘호rsquo를 사용하고 그 뒤를

이은 황제는 습관상 많이 부르고 있는 lsquo연호rsquo에 의한 칭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18) 1658년에 중국 청나라의 谷應泰가 지은 기사본말체의 역사서로 명조 일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이것은 明史보다 80년이나 앞선 중요한 사서로 모두

80권으로 되어 있다

19) 明史紀事本末 卷14 洪武 元年 4월 丙辰條 ldquo禁宦官预政典兵 上谓侍臣曰

吾见史传所书 汉唐末世 皆为宦官败蠹未尝不为之惋叹易稱 開國承家 小人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6

이것을 보면 태조는 한과 당의 멸망 원인이 환관의 폐해에 있다고

판단하고 아무리 환관의 폐해를 막으려 한다 해도 그렇게 쉽게 될 수

없음을 인식한 나머지 국초부터 환관을 억제하려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개국황제 주원장이 환관에 대해 내린 제1차 경고성 명령

이라 해석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과거 역사 가운데에서 환관의 폐해를 절감한 태조는 환관의 수와

직임을 제한하였다 이미 명왕조 성립 이전 吳王 원년(1367)에 lsquo內史監rsquo

이라는 환관기구를 두고 환관을 활용하였던 태조는 홍무 2년(1369) 8

월에 다시 환관의 직제를 정하였는데 이때에 환관의 수와 직임을 제

한하였다 그 내용이太祖實錄에 잘 나타나 있다

태조는 이부로 하여금 내시관제를 정하도록 하였다 이 때 이부에 이

르기를 ldquo짐이 lsquo周禮rsquo를 보니 환관의 수가 백 명도 채 되지 않았다 후세에

이르러 수천 명에 이르러 마침내 큰 환난을 불러 일으켰다 지금 아직 복

고 정책을 쓰지는 않지만 역시 잘못된 일이나 나쁜 일은 경미할 때 막아

서 더 이상 발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마땅한 일이다 이 환관들이 하는

일은 酒漿醯鹽을 나르고 복장을 관리하고 사당을 깨끗이 하는 일 등 사

소한 몇 가지에 불과하다 이제 짐도 이들이 하는 일이란 물건 나르거나

청소하는 일과 같은 사환이 하는 일에 그치도록 하고 다른 특별한 일을

맡기지 말아야 할 것이니 잘 숙고하도록 하라rdquo고 하였다20)

위의 기록을 보면 주례에는 환관이 100명도 채 안되었는데 후세에

수천 명이 되어 그 때마다 큰 환난을 가져왔다면서 환관의 수를 적게

하고 그들이 하는 일 또한 청소하고 짐 나르고 하는 단순한 허드렛일

만을 하게 함으로써 권세를 부리지 못하도록 하라는 것이었다

위에 인용한太祖實錄을 더 읽어 가보면

勿用 其在宫禁 止可使之供洒扫给使令而已 岂宜预政典兵 汉唐之祸 虽宦官之罪

亦人主宠爱之使然 向使宦官不得典兵预政 虽欲为乱 其可得乎rdquo 明通鑑에도

똑같은 내용이 보이고 있다

20)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諭之曰 朕觀周

禮 所記未及百人 後世至踰數千 卒爲大患 今雖未能復古 亦當爲防徵之計 此輩

所治 止於酒漿醯鹽司服守祧數事 今朕亦不過以備司令 非別有委任 可斟酌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7

侍臣들에게 일러 말하기를 환관들은 자고로 선량한 사람은 천 명 중에

한 두 사람 만날 정도이다 만약 그들을 耳目으로 쓴다면 耳目이 가리어

질 것이고 그들을 腹心으로 생각한다면 그 때부터 곧 내재된 화근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그들을 제어하는 방도는 항상 경계하고 삼가 하여 그들

로 하여금 법을 두렵게 여기도록 하고 功勞가 있도록 하면 안 된다 만

일 그들이 공로가 있으면 방자하게 되고 그들로 하여금 법을 두려워하게

하면 단속이 될 것이니 그렇게 되면 감히 그릇된 일을 저지를 수가 없을

것이다 이에 內使監을 두고 奉御 60인을 두었다21)

라고 하여 환관을 다스리는 방책은 항상 규율을 유지해서 법을 두렵게

여기도록 하고 공적이 있도록 하게 하면 안 된다는 것이다 공적이 있

으면 방자하게 되고 법을 두려워하게 하면 절제하며 절제하면 감히

비위를 저지를 수가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 때 더불어 환관의 수도

한정하여 두었다22)

태조는 환관의 품질도 비교적 낮게 정하였다 홍무 4년에 이부가 內

使監 품질을 정할 때에 내사감령은 정5품으로 정하였다 홍무 3년에

종3품이었던 내사감령이 그 이듬해에는 정 5품으로 강등된 것이다 이

에 따라서 다른 환관직도 전체적으로 이전보다 등급이 낮아졌던 것이

다23)

이때에 태조는 시신들에게 일러 말하기를

21) 위와 같음 ldquo又顧侍臣曰 此輩自古以來求其善良千百中不一二見 若用以爲耳目

卽 耳目蔽矣 以爲腹心卽腹心病矣 馭之之道 但 常戒勅 使之畏法 不可使之有功

有功則驕恣 畏法则检束 自不敢为非也 乃定置內使監 奉御六十人rdquo 이 때 과거

內史監을 內使監으로 개칭하였다

22) 이 때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에 나타나 있는 규정을 소개하

면 다음과 같다 ldquo定置內使監 定置内使监奉御六十人 尙寶一人 尚冠七人 尚衣

十人 尚佩九人 尚药七人 纪事二人 执膳四人 司脯二人 司香四人 太庙司香四人

涓潔二人 置尚酒 尚醋 尚面 尚染四局 局设正一人 副二人 置御马 御用二司 司

设正一人 副二人 内府库设大使一人 副使二人 内仓监设令一人 丞二人 及置东

宫典玺 典翰 典膳 典服 典药 典乘兵六局 局设局郎一人 丞一人 又置门官午门

东华门 西华门 玄武门 奉天门 左右顺门 左右红门 皇宫门 坤寧门 宫左门

宫右门 各设门正一人 副一人 东宫门官 春和门 東宮後門 宮左門 宮右門 各設門

正一人 副一人rdquo

23) 太祖實錄 卷63 洪武 4年 閏3月 乙丑條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8

옛날의 환관제도는 궁정에서 아침저녁으로 심부름을 하는 일 뿐이었

다 그런데 후한 鄧太后24)가 황후로써 천자를 대신하여 섭정할 때 公卿

과 접하지 않고 閹人을 常侍와 小黃門으로 삼아 그들을 통하여 명령하였

는데 이때부터 그들의 권력이 황제에 기울어 그 폐해가 심하여졌다 이

것은 마치 狐假虎威(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부리다)라는 말과 같이 왕의

위엄을 빌려 위세를 부리고 城狐社鼠(성곽에 사는 여우와 社壇에 사는

쥐)가 되어 황제 곁에서 간신노릇을 하였다 짐은 이들에게 궁궐에서만

일하도록 하였으니 어찌 권세를 힘입어 정사를 어지럽히는 일이 있겠는

가 내가 이것을 엄히 방지하도록 하였으니 犯法者에 대해서는 이를 질

책하여 제거함으로써 주위에 존재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履霜堅氷(서

리가 내리면 두꺼운 얼음이 얼게 된다)이라는 말이 있듯이 삼가 재앙이

나 화는 그것이 작을 때에 사전에 미리 막아야 한다는 가르침을 잊어서

는 안 되느라25)

고 하면서 환관을 명초부터 엄히 경계하여 다루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태조는 환관이 정사에 간여하는 일이 있을 때 그를 가차 없이 제거

하기도 하였다 홍무 10년(1377)에 이런 일이 있었다 오랫동안 곁에서

태조를 모시던 한 환관이 있었다 그는 부지런히 근신하며 태조를 성

실히 모셔왔다 하루는 그 환관이 침착한 태도로 정사를 언급하자 태

조는 바로 그를 파면시켜 고향으로 돌려보냈으며 평생 그를 다시 부르

지 않았다 明太祖寶训에어느 한 내시가 오래도록 내정의 일을 맡아서 봉사하여 왔는데 그가

차분히 정사에 대하여 언급하자 태조는 곧 바로 질책하여 免官하고 귀향

24) 후한 和帝(88-106)의 태후로서 105년에 후한 和帝가 죽자 등태후는 민가에

보내어 기르던 황자 劉隆을 데려다 그날 밤 즉위시켰다 그는 생후 100일밖에

되지 않는 殤帝(105-106)이다 그런데 그는 이듬해에 요절하고 말았다 그러자

등태후는 淸河王 劉慶의 아들로 13살 된 劉祜(유호)를 황제로 즉위시켰는데

이가 安帝(106-122)이다 이런 과정에서 등태후는 14년간 천자를 대신하여 수

렴청정을 하며 권력을 행사했다

25) 太祖實錄 卷63 洪武 4年 閏3月 乙丑條 ldquo上因謂侍臣曰 自古之宦竪 在宮禁

不通司晨昏供役使而已 汉邓太后 以女主稱制不接公卿乃以阉人为常侍小黄门

通命自此以来内侍权倾人主及其爲患 有如城狐社鼠 不可以去 朕谓此辈但

當服事宫禁 岂可假以权势纵其狂乱 吾所以防之极严 但犯法者 必斥去之 不令

在左右 戒履霜坚冰之意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9토록 했으며 종신토록 그를 다시 등용하지 않았다 26)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내용은 明通鑑에도 같은 내용이 언급되어 있으며 이를 더 읽

어 가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태조는 대신들에게 이르기를 ldquo환관들이 날마다 좌우에서 시중드는데

충성과 믿음이 적다면 그것은 황제의 마음을 굳어지게 한다 그것이 오

래되면 권위를 빌어 정사에 참여하게 되고 마침내 그것을 억제할 수가

없게 된다 자고로 이러한 환관들 가운데 난을 일으키는 자가 많았다 지

금 입법하여 환관에게 정치 관여를 불허하고 그들을 제거하는 것은 과

거의 실패를 교훈 삼아 장래에 같은 실패를 되풀이 하지 않도록 하려는

까닭이다rdquo27)

위의 훈계 내용을 보면 태조의 환관에 대한 엄연한 태도가 깃들어

있으며 ldquo群臣頓首稱善rdquo이라 하였으니 모든 신하들도 환관에 대한 황

제의 태도가 옳다면서 그 조처를 긍정하였던 것이다 파면된 환관이

오랫동안 성실히 군주를 시중들어 왔다고 생각한 탓인지 그를 살해하

지는 않았지만 종신토록 다시 그를 불러들이지 않음으로써 환관의 정

치 간섭이 얼마나 큰 과오인가 하는 것을 밝혔던 것이다 이것은 어디

까지나 후대의 환관을 경계시킨다는 목적이 깊게 깔려 있다고 생각된

26) 明太祖寶训 卷3 去讒佞 ldquo洪武十年五月 是月 有内侍以久事内廷 从容言及

政事 太祖即日斥遣还乡里 命终身不齿 遂谕群臣曰 自古贤明之君 凡有谋为 必

与公卿大夫谋诸朝廷 而断之于己 未闻近习嬖幸之人得与谋者 况阍寺之人 朝夕

在人君左右 出入起居之际 声音笑貌日接乎耳目 其小善小信 皆足以固结君心 而

便僻专忍 其本态也 苟一为所惑而不之省 将必假威福 窃权势 以干与政事 及其

久也 遂至于不可抑 由是而阶乱者 多矣 朕尝以是为鉴戒 故立法 寺人不过侍奉

洒扫 不许干预政事 今此宦者 虽事朕日久 不可姑息 决然去之 所以惩将来也 群

臣顿首称善rdquo

27) 明通鑑 卷6 太祖洪武 10年 5月條 ldquo有内侍以久侍内廷 从容言及政事 上(太

祖)即日斥遣歸命 终身不齿 諭諸臣曰 此辈日在左右 其小忠小信 足以固结君心

及其久也 假窃威权 以干政事 遂至于不可抑 自古以此辈乱者多矣 今立法不许寺

人干预朝政 决去之 所以惩将来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0이상 일련의 사료들은 태조 주원장이 전대에 환관전권으로 말미암

은 폐해가 얼마나 심각하였는가를 깊이 인식하고 이에 대한 경계를 강

하게 하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2 太祖의 宦官 統制

천하를 얻어 다스리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깊이 깨달은 태조는

역대 흥망의 경험과 교훈을 거울로 삼아 환관의 폐해를 심각하게 인식

하면서 일련의 환관 억제 조치를 취하였다

홍무 5년(1372) 태조는 환관에 대해 금령을 반포하였다 궁정에서

모함 다툼 상해 등 환관의 비행 및 부도덕한 행동이 있을 때 그에

대하여 엄히 다스리는 벌칙을 규정하여 발표하였다

罵詈者(상호 욕하고 꾸짖는 자)는 태형 50대 봉어를 모욕하는 자 장

60대 문관이나 감관을 모독하는 자는 장 장 70 서로 싸우는 자 장 70이

대이며 상해를 입힌 자는 한 등급 더 높여 처벌하고 본관의 제재에 불복

하고 고집하는 자 장 80대 이며 구타하여 상해를 입힌 자는 한 등급 너

높여 처벌하고 봉어를 구타한자 장 80 문관 감관을 구타한 자 장 100대

로 하며 상해가 있으면 각각 한 등급을 더 가해 벌한다28)

이처럼 환관이 궁정에서 모함하거나 다투거나 상해를 입힐 경우 그

상황을 따져서 태형이나 장형으로 벌하는 내용을 규정하였다

그런데 이 사료를 더 읽어가 보면 능지처참이나 참수의 형까지 규

정하고 있고 잘 못이 있을 때 자수하기를 권장하면서 자수하는 환관

에 대하여는 도리어 상을 내리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28) 太祖實錄 卷74 洪武 5年 6月 丙子朔條 ldquo洪武五年六月 丙子朔 定宦官禁令

凡內使于宮城內 相罵詈者先發理屈笞五十 後罵理直者不坐不服本管鈐束而抵罵者

杖六十 內使罵奉御者杖六十 罵門官監官者杖七十 內使于宮城內相鬭毆者先鬭理屈杖七十 毆傷者加一等 後應理直而無傷者笞五十 不服本管鈐束而毆之者杖八十

毆傷者加一等 毆奉御者杖八十 毆門官監官者杖一百 傷者各加一 內使等有心懷

惡逆 出不道之言者 凌遲處死 有知情而蔽之者同罪 知其事而不首者斬 首者賞銀

三百兩rdquo 欽定續通典 卷108 刑2에도 같은 기록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1

內使等이 마음이 악하여 심하게 도리를 벗어나는 행동을 하고 도리에

어긋나는 말을 하는 환관들은 능지처참 시키고 사정을 알면서도 그것을

은폐하는 자 역시 똑 같이 능지처참할 것이며 사실을 알면서도 자수하지

않는 자는 참수할 것이며 대신 자수하는 자에게는 상금으로 은 3백량을

내릴 것이다29)

라 한 것이 그것이다

홍무 6년(1373)에는 환관 기구 중에 lsquo內正司rsquo라는 환관의 위법행위를

규찰하는 전문기구를 두었다30) 이것은 환관의 불법과 부도덕을 규찰

하는 기구로 司正(정7품) 司副(9종7품) 등의 관직을 두어 운영하였으

며 환관의 위법과 부도덕한 행동을 규찰하는 책임을 맡게 되었던 것

이다31)

동시에 환관은 외정의 직을 겸할 수 없고 외정 관료들과 교류할 수

없도록 하였다 홍무 10년(1377)에 태조는 ldquo환관은 외신 文武의 직을

겸할 수 없고 외신의 관복을 착용할 수 없으며 정치에 참여하거나 군

권 행사를 할 수 없다 관품은 4품을 넘을 수가 없고 매월 지급하는

봉록은 1석이며 내정 안에서 살림을 한다rdquo32)라고 정하였던 것이다

또한 환관이 문자를 터득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하여 환관에

게는 글을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였다 明史에 보면 初 太祖制 内臣

不许读书识字 33)라고만 되어 있어 이것을 제정한 시기가 언제인지 확

실히 알 수 없으나 명초의 것으로 태조는 초기부터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환관 전권을 더욱 방지하기 위하여 홍무 17년(1384)에 금령

29) 위와 같음

30) lsquo內正司rsquo는 후에 lsquo典禮司rsquo lsquo典禮稽察司rsquo로 개칭되었다

3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六年 hellip又考前代纠劾内官之法 置内正司

设司正一人 正七品司副一人从七品 专纠内官失仪及不法者 旋改为典禮司 又改

为典禮稽察司 升其品秩 司正升正六品 司副升从六品rdquo

32) 明史 卷304 宦官1 ldquo然定制 不得兼外臣文武衔 不得御外臣冠服 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衣食于内庭rdquo

33) 明史 卷304 宦官1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2을 발하였다 그 금령은 ldquo內臣不得干預政事 犯者斬rdquo이라 하여 lsquo환관으

로서 정사에 간여하는 사람은 참수형에 처한다rsquo는 것이다 약 석자 크

기의 鐵牌를 주조하여 거기에 이 lsquo11자rsquo를 새겨 궁문 앞에 세워 두었

다34) 철폐를 제조하여 궁문 앞에 세워두었다는 것은 가장 극렬한 환

관 통제 방책의 하나로 상징성이 가장 큰 통제 방법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이 규정은 환관들로 하여금 조정의 일에 간여할 수 없게 만들

었을 뿐 아니라 명초 환관의 권력을 중국 역사상 가장 밑바닥에 처하

게 만들었던 것이다

또한 환관은 공문서를 가지고 외정을 드나들 수 없게 하였으며35)

이러한 제한으로 인해 자연히 환관은 궁정에 있는 관료들과 사귀어 정

사를 어지럽힐 수 있는 기회를 갖기가 어려웠다

생각해 보면 신왕조를 창업한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들이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왕조 창업 후 심복으로서 환관들을 활용하

지 않을 수 없었다 그렇기에 태조는 환관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그들

의 세력을 제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던 것이다

그 주된 내용은 다음의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겠다

① 환관과 외신과의 쌍방에 의한 정보교환 문서 왕래를 금한다

② 환관은 조정 관리를 겸무하는 일과 외신의 관복을 착용하는 것을

금한다

③ 4품 이상의 품계에 오르는 것을 금한다

④ 환관의 봉급은 매월 백미 1석으로 하고 후궁 내에서 생활하며 지낸

⑤ 환관에게 글을 가르치는 것을 엄금한다

태조는 이상과 같이 환관의 세력이 성장하지 못하도록 갖가지 규제

를 강구하고 나아가 환관 규제를 위한 철패를 제조하여 궁문에 세워

34)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十七年 鑄铁牌文曰 内臣不得干预政事犯

者斩 置宮門 又勅諸司 毋得與內官監文移往來rdquo

35)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十七年hellip又勅諸司 毋得與內官監文移往來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3두었는데 이것은 태조의 환관 통제 정책 중 가장 대표적이고 상징적

인 징표가 되었다 하지만 한편 극단적인 제약이 도리어 환관이 신성

한 황제의 힘을 등지고 세력을 휘두르는 화근을 배태하였던 것이다

Ⅲ 國初 政治的 現實과 宦官 抑制의 限界

1 太祖期의 政治的 現實

한 당 시대의 환관 전권의 사실과 폐해를 잘 알고 극력 환관의 세

력을 억압하려는 태조 앞에 닥친 정치적 현실은 어떠하였는가

새로이 명왕조를 세운 태조는 먼저 관계의 기강문제에 지대한 관심

을 가지고 있었다 새로운 왕조가 수립되었어도 기강이 해이해지면 전

왕조에 있었던 것과 같은 부패가 官界에 그대로 만연하게 될 것이고

그로 인하여 민심이 흉흉할 수도 있는 일이다 그렇게 되면 그 자체가

혁명의 발생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고 나아가 태조가 창건한 왕조

자체도 혁명의 객체로 부상할 수밖에 없는 일이다

그러므로 태조는 기강 확립 권신들의 전횡 견제 관리의 부정부패

방지 민심 동요 등을 경계하면서 정치사회의 안정과 중앙집권적 전

제지배체제의 확립을 꾀하였다36)

현실적으로 원 왕조가 몽골고원으로 퇴각되었다고 하지만 그들은

여전히 상당한 세력을 보유하면서 언제 어떻게 명조에 반격을 가해 올

지 모르기 때문에 결코 방심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또한 국내에서도

명조 정권에 대하여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있고 명조에

협력하지 않고 음으로 몽골 세력을 지지하면서 농민출신의 태조 및 그

정권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우까지 있었다 또한 일단 명조 정권에 협

력하고 있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반드시 본심에서 우러난 것인지 확실

36) 全淳東 明王朝成立史硏究 pp194-204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4히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태조는 황제를 중심으로

하는 강력한 중앙집권적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

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

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금의위

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였다37)

금의위라는 특무기구는 본래 황제의 거동과 행렬을 시위하는 데 불

과였으나 이것이 특무 기관으로서 기능을 갖게 된 것은 호유용의 옥사

사건 이후 정보 수집과 감시체제를 강화할 때인 홍무 15년(1382년) 금

의위의 기구가 개혁된 결과이다 이후에 금의위는 정치상의 음모를 기

도하는 행위나 반체제적인 종교비밀 결사 등을 감시하는 기능을 가지

게 되었다 곧 금의위는 황제 행렬의 시위 외에 순찰을 돌면서 체포하

는 권한까지 지니게 되었던 것이다 이들은 정보를 수집하고 감시 적

발하며 사법권에까지 개입하였던 것이다38)

하지만 국초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

의 옥을 일으키며 시의심이 강하였던 주원장은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

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많은 사가들은 명사 환관 열전의 서문에 나타나 있는 ldquo盖明世宦官

出使专徵监军分镇刺臣民隐事诸大权皆自永乐间始rdquo(명대 환관

의 출사 징세 감군 분진 신민의 은밀한 일 정탐 등의 권리는 모두

영락 연간부터 시작되었다)39) 라는 기사라든지 明史 職官志에 나타

난 ldquo顾中官四出 实始永乐时 元年 李兴等赍敕劳暹罗国王 此奉使外国之

始也rdquo(돌이켜 보면 환관의 파견은 영락제 때에 처음 실시하였다 영락

37) 山根幸夫 明帝國の形成と發展 (ゆらぐ中華帝國 11 筑摩書房 1961)

pp41-42

38) 錦衣衛의 전신은 1367년에 설립된 拱衛司로서 대도독부에 예속되어 있었는

데 洪武 3년(1370) 親軍都尉府로 개칭하고 도독부로부터 독립하여 운영하였다

39) 明史 卷304 宦官1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5원년 이흥 등을 태국의 국왕에게 보내어 위로한 것이 환관을 외국에

보낸 것의 처음이다)40) 라는 기사를 인용하여 환관 중용의 책임이 영

락제에 있는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살펴보면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

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시 경제적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2 宦官 抑制의 限界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은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국초

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의 옥을 일으

키는 등 누구보다 시의심이 강하였던 태조는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

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심복인 환관들을 억

제하기보다는 그들을 측근으로 하여 저제군주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했다 그리하여 태조는 환관들과의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외부로 나가

는 출사 군대 감시 경제적인 활동 정보 수집 등의 일을 맡겼던 것이

첫째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관계를 원만히 하려 하였다41)

환관의 외국 출사의 예는 이미 홍무 2년에 보이고 있다 홍무 2년

(1369) 4월에 고려출신 환관 金丽渊을 고려에 파견하여 중국에 머물고

있는 高麗 流寓民 160여명을 고려에 돌려보낸 일이 있다 ldquo遣內臣 送

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書賜其王rdquo42)이라는 기사가 그것이다 이 기사

40)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41) 환관이 사신으로 나가는 경우는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외

국 사신으로 나가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변경 지역의 왕부나 주변 소수 민족

집단에 나가 황제의 명을 전하고 일을 처리하는 것이다

42)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丑朔 ldquo遣內臣 送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6를 더 읽어가 보면 그 때 중국인으로서 고려에 머물러 있는 유민들이

약 160여명이 있었는데 이 때 환관 金麗淵을 보내서 그들을 고려에

돌려보내었던 것이다43) 이 사실은 高麗史에도 ldquo己酉 18년 6월 丙寅

일에 황제가 환관 金麗淵을 파견하여 칙서를 전했다rdquo44)라고 하고 있어

당시 고려와 명과의 외교관계를 엿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명조의 환

관이 외교 사절단으로 나간 최초의 예라 할 수 있다

그리고 耽羅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는데 홍무 22년(1389) 4월 ldquo옛 원

나라의 제왕 중 명조에 귀부한 자는 탐라국에 거처하도록 하였으며

더욱이 그곳에 환관을 보내어 그들이 머물 집을 지어 주고 그곳에서

거처하도록 하였다rdquo45)라고 한 것을 보면 귀부한 元의 諸王들을 제주도

에 보내어 머물게 하면서 이 때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었던 것이다

安南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1년(1378) 정월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安南國에 파견하여 국왕 陳煓의 喪을 조문하였다 당시 안남국

왕 陳煓이 죽었는데 그의 동생 陳煒가 사신 陳建璨阮士諤을 명에 보

내어 안남국왕이 죽었음을 알려오자 이미 서로 교류가 있던 차였기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안남에 파견하여 문상하도록 하고 비단도 함께 보

내었던 것이다46)

書賜其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其間有高麗流寓者百六十餘人 朕念其人豈無鄕里骨肉之思 故令有

司遣使護送東歸rdquo

43) 洪武時期에 명과 고려 사이에 여러 차례 사절의 왕래가 있었다 홍무 2년

(1369) 4月부터 홍무 29년(1396) 6月까지 모두 22차례에 걸쳐 사신이 고려와

조선에 파견되었는데 사신의 이름이 파악된 사람이 43명(환관 25인 문신 11

인 무관 7인)이다 그중 정사로 고려조선에 출사한 사람이 21명인데 그 중

환관이 11인이고 문관이 4인이며 무관이 6인이다 이를 보면 많은 환관이 사

신으로서 고려조선에 파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환관은 대개 고려나 조

선 출신의 환관이었다 고려 조선 출신 25명의 환관 중 金丽渊黄永奇金仁

甫崔渊 등은 유명한 환관이다(李新峰 明前期赴朝鲜使臣丛考 明清论丛 第4辑 紫禁城出版社2003 참고)

44) 高麗史 卷132 恭愍王 己酉 18年 6月 丙寅條 ldquo皇帝遣宦者金麗淵致書rdquo 이

기사에는 이 때 귀환한 자가 165인으로 기록되어 있다

45) 太祖實錄 卷196 洪武 22年 4月 甲寅條 ldquo詔故元諸王來降者俾居耽羅國 且遣

中使往諭其國 爲造廬舍處之rdquo

46) 太祖實錄 卷117 洪武 11年 正月 ldquo是月 安南陳煓弟煒遣其臣陳建璨阮士諤來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7琉球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6년(1383) 정월 태조는 內使監 监

丞 梁民과 尚佩监 奉御 路謙 등을 琉球에 파견하여 中山王 察度에게

鍍金銀印과 고급비단을 하사한 일이 있다47) 같은 해 9월 琉球에서 내

란이 발생하였을 때에 태조는 监丞 梁玟을 보내어 전쟁을 중단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당시 中山王 山南王 山北王이 서로 자웅

을 겨루며 싸우고 있었는데 이때 내사감승 梁民에게 칙서를 보내어

싸움을 그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칙유를 보내었던 것이며 이들 모두

태조의 칙유를 받아들였던 것이다48)

眞臘國(캄보디아) 暹羅斛國(태국)에도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사무를 보게 하였다 홍무19년(1386) 9월에 行人 劉敏 唐敬 등을 환관

들과 함께 眞臘國에 보내었는데 이 때 磁器를 가지고 가서 하사토록

했고49) 홍무 28년(1395) 12월에는 환관 趙達과 朱福 등을 暹羅斛國(태

국)에 보내어 사망한 왕 參烈寶毘嗯哩哆嗦祿을 조문하고 후사인 蘇門

邦 昭祿群膺에게 비단과 모직물을 하사하였던 것이다50)

이상의 예들은 환관이 이미 태조시기에 황제의 명을 받고 외국의

사신으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수행한 사례들이다

태조가 환관을 변경 지역에 파견한 사실도 여러 곳에 보이고 있다

告煓卒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遣中使陳能至其國弔祭rdquo 國榷 卷6 洪武 11년 正月 ldquo是月 安南

陳煓弟煒遣使告哀 命中使陳能弔祭rdquo

47) 太祖實錄 卷151 洪武 16年 正月 丁未條

48) 明史 卷323 琉球傳 ldquo時二王與山北王爭雄 互相攻伐 命내內使監丞梁玟賜

之勅 令罷兵息民 三王并奉命rdquo 당시 琉球는 中山王(察度) 山南王(承察度) 山北

王(帕尼芝) 등 3세력이 대립하고 있었다

49) 太祖實錄 卷179 洪武 19年 9月 癸未條 ldquo遣行人劉敏唐敬偕內使賚磁器往賜

眞臘等國rdquo

50) 太祖實錄 卷243 洪武 28年 12月 戊午條 ldquo詔遣內使 趙達 朱福等 使暹羅斛

國 祭故王參烈寶毘嗯哩哆嗦祿 賜嗣王蘇門邦昭祿群膺 文綺四疋羅四疋 氁絲布四

十疋rdquo 明史 卷324 暹羅傳에도 같은 내용이 보이고 있다 ldquo二十八年 昭禄群

膺遣使朝贡 且告父丧 命中官赵达等往祭 敕世子嗣王位 赐赉有加rdquo (昭祿群膺이

사신을 파견하여 조공하고 또 부친의 상을 고하였다 이에 환관 조달 등으로

하여금 섬라에 가서 조문하도록 하고 세자가 왕위를 이어받도록 하였으며 더

불어 하사품을 곁들였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8홍무 2년(1369) 4월 원 승상 納哈出에게 편지를 보내 通交를 요구할

때 內臣을 파견하여 우호를 증진하였다51)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태조가 붙잡힌 원나라의 평장 完者不花를 돌려보내는데 환관을 시켜

돌려보내었다52) 홍무 14년(1381) 12월에는 환관을 파견하여 乌蒙(지금

의 운남성의 昭通)乌撤(지금의 운남성의 镇雄귀주성의 威宁)의 여

러 추장들에게 조칙을 발하였다53) 홍무 29년(1396) 6월에는 중사(환

관)를 桂林 등지의 府市에 보내어 南丹 奉儀 등의 衛所의 둔전 군사

들에게 밭가는 소를 지급해 주도록 하였다54) 동년 10월에 安定衛의

酋长 塔孩虎都鲁가 명에 와서 말 40필을 공물로 바친 일이 있는데 안

정위의 추장이 공물을 바친 것은 태조가 行人 陳誠으로 하여금 그곳에

다시 安定衛를 세우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었으며 이때에

ldquo復命中使赍金币往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

五十兩rdquo이라 하여 환관을 보내어 추장에게 옷과 비단 및 금품을 하사

하였던 것이다55)

이상의 기록들을 보면 태조시기에 환관이 여러 차례 변경 지역에

파견되어 변경 지역의 중대 업무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환관에게 지방 군대를 감독하거나 때로 군을 지휘하는 특수

임무를 맡겼다 태조는 외지 변경 지역의 장수들을 엄격히 통제하지

51)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亥條 ldquo玆 因遣使通元君 道經營壘望 令人送

達 所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國榷 卷3 太祖洪武 2年 4月 乙亥

條 ldquo又諭元臣納哈出書曰將軍昔自江左辭還 不通問十五年矣 近聞戍守遼陽 士馬

强 玆因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52) 太祖實錄 卷120 洪武11年 10月條 ldquo山西邊將遣人送所獲故元平章完者不花至

京師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朕怒邊將以爲方遣使通好乃執其平章豈不失信於卿 今特遣內臣送之 抵

丞相營 宥之罪之放 遂之 卿自爲區處rdquo

53) 太祖實錄 卷140 洪武 14年 12月 辛未條 ldquo遣內臣 賚敕諭鳥蒙鳥撤諸酋長rdquo

54) 明史 卷205 廣西土司傳 ldquo帝命俱置屯田给耕 寻遣中使至桂林等府市牛给

南丹奉议诸卫军士rdquo

55) 太祖實錄 卷247 洪武 29年 10月 甲午條 ldquo安定卫酋长塔孩虎都鲁 來朝貢馬

四十疋 先是 上遣行人陈诚立撤里畏兀兒 爲安定卫錫 以印章 以塔孩虎都鲁等指

挥千百户 至是诚歸 塔孩虎都鲁随誠入贡上嘉其慕義 厚赉之 復命中使赍金币往

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五十兩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9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 때 황제의 이목으로서 환관을 활용하였던 것

이다

태조는 명왕조를 창건하기 이전 자신의 세력을 키워가는 과정에서

많은 부하들을 양자로 삼아 그들을 활용하였다 이들에게 여러 장수들

의 군대를 감독하게 함으로써 장수들의 배반을 사전에 막고 안전하게

통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태조가 처음 기병했을 때 많은 양자를 두

었는데 이들을 장수와 함께 여러 路를 지키도록 했다 이를 테면 周舍

를 鎭江에 道舍를 寧國에 馬兒를 婺州에 柴舍眞童을 處州에 金剛

奴를 衢州에 보내어 지키도록 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주원장의 양자들

이었다56) 양자를 심복으로 삼아 그들을 기용하여 군대를 감독하게 하

였던 것이다

이들에게 감군하는 권한을 허락한 것은 태조가 왕조를 창업하는 과

정에서 군권 장악이 최후 승자가 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고 생

각하여 취한 조처였던 것이다

그런데 왕조를 개창한 후에는 양자보다는 환관을 신임하고 그들을

군부대에 파견하였다 홍무 원년(1368) 9월에 北征에 힘쓴 將士들에게

음식을 베풀어 주면서 위로한 일이 있는데 이 때 환관 奉御를 北平에

파견하여 이 일을 담당하도록 하였다57) 홍무 9년(1376) 8월에는 환관

趙成을 군부대에 파견하여 그곳의 관리를 불러들였다 내용인즉 홍무

9년 西番의 多爾濟巴가 부락민을 이끌고 명에 귀순하여 오자 태조는

熊鼎을 岐寧衛 經歷으로 삼아 그곳을 다스리도록 하였다 웅정은 임지

에 도착한 후 귀순부대들이 거짓으로 항복했다는 것을 알고 그 사실

을 비밀리 조정에 보고하였다 태조는 그 소식을 듣고 먼저 웅정을 위

로한 후 환관 조성을 군부대에 보내어 웅정을 경사로 불러들였던 것

이다58)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환관 吳誠을 총병지휘 楊仲名에게

56) 明史 卷134 夏文輝傳 ldquo太祖初起 多蓄義子 及长命偕诸将分守诸路 周舍

守镇江 道舍守宁国 马兒守婺州 柴舍真童守处州 金刚奴守衢州 皆义子也rdquo

57) 太祖實錄 卷35 洪武 元年 9月 乙卯條 ldquo上遣中使奉御等官 至北平 犒北征將

士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0보내어 전반적인 계획과 책략을 살피도록 하였고59) 11월에는 總兵官

辰主指揮 楊仲名이 五開蠻의 반란을 평정하자 태조가 內臣 尙履奉御

呂玉을 楊仲名에게 보내어 그 군대를 검열하고 위로하게 하였다60) 홍

무 27년(1394)에는 환관을 陝西都指揮使司에게 보내어 將士들을 훈련

하게 하였고 魏國公 徐輝祖으로 하여금 섬서 연변지역을 다스리게 하

였다61)

이러한 예들은 환관이 감군으로서 군영에 파견되어 군정을 순시하

고 살피는 일을 한 사례들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태조는 환관이 군의 정황을 살피는 일 이상의 업무에는 참

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 점은 唐代의 환관들과 다른 점으로 당대

에는 환관의 감군이 정치참여로 나타났지만 태조는 환관이 국가중추

기관의 기밀을 획책하는 일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62) 그

렇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기능은 장차 환관의 위력이 점점 강해지는 결

과를 낳았음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셋째 태조는 환관을 각종 경제활동에도 참여시켰다

태조 때에 환관은 경제활동에도 빈번히 참여하였는데 최초의 예로

서는 홍무 8년(1375) 5월 태조가 환관 趙成을 河州에 보내어 거기서

말을 교역해 오도록 한 일이다 태조가 茶馬司를 설치 한 후 조정에서

는 西番에 말을 사들이는 교역장을 마련하였는데63) 서번은 본래 말의

58) 明通鑑 卷6 洪武 9年 8月條 이때에 옹정이 경사로 돌아가자 번인들이 반

란을 일으켰다고 한다

59)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0月 戊申條 ldquo遣內臣 吳誠詣總兵官指揮楊仲名行

營觀方略rdquo

60) 太祖實錄 卷121 洪武 11年 11月 庚午朔條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1

月 庚午條 ldquo五開蠻平 內臣 尙履奉御 呂玉勞指揮楊仲名rdquo 明通鑑 卷6 洪武12

年 11月條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61) 太祖實錄 卷234 洪武 27년 9月條

62) 田禾 明太祖嚴馭宦官試析 (社會科學戰線 1997-4期 1997) pp162-163

63) 茶马司는 洪武 5년1372)2月에 秦州에 처음 설치되었다 그 후 洪武 7년

(1374)다시 河州에 차마사를 설치하고 이어 또 洮州 등지에 차마사를 두었

다 이들은 四川 漢中 湖南 등지의 차와 서북 유목지역에서 나는 말을 교역하

는 임무를 띠고 있었는데 藏族지구의 말을 사들이는 일이 주된 일이었다 그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1산지였기 때문이었다 서번 사람들은 말을 가지고 와서 중국의 문물을

구입하여 갔다

그런데 서번인들의 생활용품과 중국의 용품과는 달랐고 명초에 지

폐인 보초가 발행 된 이후에는 번인들이 사용하는 화폐와 달라 말의

교역량이 줄어들게 되었다 태조는 이것을 염려하여 궁중 환관 趙成을

파견하여 말 교역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조성은 여러 종류의 비단과 사천 지방의 茶葉을 가지고 가서 말을

사오는 방책을 취하였다 조성의 노력으로 河州 수장은 서번 사람들을

위무하고 선대하면서 互市를 열었기에 점차 많은 말을 사들여 올 수

있었는데 이후 차마 무역은 점차 활발해졌던 것이다64)

또 홍무10년(1377) 3월 호부는 징세 업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곳이 178처나 있음을 알고 환관 국자감생 호부의 관원 등 각 부문에

서 각각 1명씩 차출하여 정밀 조사하기를 태조에게 주청하였다 세금

징수 업무를 담당하는 稅課司에서 할당한 세금이 제대로 걷히지 않자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환관과 국자감생들을 보내어 조사하도록 주청한

것이다 이때의 주청에 대하여 lsquo從之rsquo65)라 한 것을 보면 태조가 그것을

승인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환관이 징세 업무에도 간여하였음

을 보여주고 있는 좋은 사례인 것이다

그 외에도 홍무 16년(1383) 9월 태조는 內使 梁珉으로 하여금 돈을

가지고 琉球로 가서 말을 사들여 오도록 하였고66) 홍무 25년(1392) 3

월에는 尙膳太监 而聶과 司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소관

의 번족에게 보내어 거기서 말을 사들여오도록 하였다67) 이 때 서북

러므로 회족이 운거하고 있는 河州는 명대 茶馬互市의 중심지였다

6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5

65) 太祖實錄 卷111 洪武 10年 3月 甲申條 ldquo户部奏天下税课司局征商不如额者

一百七十八处 宜请遣中官国子生及部委官各一人往覈其實立爲定額從之rdquo

66) 太祖實錄 卷156 洪武 16年 9月 己未條 ldquo內官梁珉以貨幣往琉球易马還得马

九百八十三匹rdquo

67) 太祖實錄 卷217 洪武 25年 3月 己丑條 ldquo遣尙膳太监 而聶司禮太監 慶童

賚敕往諭陝西河州等衛所屬番族 令其輸馬 以茶給之rdquo 弇山堂別集 卷90 中官

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당시 尙膳太监 而聶과 司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2쪽의 번족으로부터 말을 사들이는 데는 중국차로서 대가를 지불하였

다 이 때 사들인 말이 10340여필에 이르고 교역한 차엽은 30여만 근

에 달하였다고 하며 구입한 말은 河南 山西 陝西의 衛所에 배치되었

던 것이다68)

넷째 환관을 민간 정보 수집요원으로 활용하였다

새로운 왕조가 성립되었다고 하지만 언제 어떻게 몽골족이 반격하

여 올지 모르고 또한 명조의 신 정권에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다시 왕조를 전복할지도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정보 수집을 중히 여기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

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錦衣衛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금의위를 운영하면서도 태조는 자신의 정권을 보전하기 위

해 환관에게 문무백관을 감시하는 권한을 맡겨 정보를 수집하였다 홍

무 12년(1379) 9월에 占城國 국왕 阿答阿者가 그 신하 陽須文旦을 파

견하여 황제에 올리는 상서와 함께 코끼리말방물 등을 진헌한 일

이 있었는데 중서성 신하는 이것을 제때에 보고하지 못하였으나 內臣

(환관)이 외출하였다가 그 사신을 만나 점성국 사신이 왔다는 정보를

얻어 그 사실을 태조에게 알렸다 태조는 환관의 정보 제공으로 곧바

로 점성국의 사신을 불러 접견할 수 있었는데 이 때 태조는 ldquo상하의

의사소통이 꽉 막히기가 여기까지 이르렀구나rdquo고 하며 탄식하며 중서

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번족에 보내어 말을 사들인 사실은 lsquo교역rsquo

이라는 경제 활동의 성격과 lsquo군마 구입과 배치rsquo라는 군사적 성격을 동시에 지

니고 있는 활동이기도 하다

68)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 ldquo尙膳太监 而聶等至河

州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於是得馬萬三千四十餘疋 以茶三十餘萬斤給之 諸族大悅 而聶遣使入奏

命以馬分给河南山西陕西卫所骑士rdquo이라 하여 교역된 마필과 차엽의 양이

언급되어 있고 당시 구매된 말이 어디로 배치되어 있는가 하는 내용이 더 언

급되어 있다 다만 같은 내용의 기사가 太祖實錄에는 洪武 25년 3月 기사로

弇山堂別集에는 2月 기사로 되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3성 관료들을 질책하자 승상 胡惟庸 汪廣洋 등 중서성의 신하들이 모

두 고개를 땅에 대고 사죄하였다고 한다69)

환관들은 황제의 이목이 되어 황제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황제와 환관들은 자연히 신뢰관계가 형성되었다 황제는

이러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환관에게 특별한 임무를 부여하였던 것

이다 특별한 임무란 황제가 직접 접할 수 없는 궁성 밖의 정세나 관

료의 동향을 알아내는 첩보 활동이었으며 京師의 禁軍도 그들의 감시

대상이었던 것이다

다섯째 환관은 친왕의 왕부에 특사로서 파견되기도 하였다 홍무 12

년(1279) 3월에 환관 陳京을 桂林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靖康王 朱守

謙에게 파견하여 황제의 유지를 전달하게 하였고 홍무 26년(1393) 2월

에 藍玉의 모반 사건이 일어났을 때 3월에 太原의 晉王 朱楓에게 사

람을 보내어 남옥의 모반 사건과 관련되어 있는 집안의 가정과 노비들

을 제거하고 재산을 몰수하라는 유지를 내렸는데 이때에 칙유를 가지

고 간 사람이 환관 而聶과 부마 梅殷였다70)

이를 보면 친왕들에게 유지를 전하는 데 환관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그렇기에 태조는祖訓錄에서

무릇 친왕이 과오를 저지르면 重한 경우 내사 감관으로 하여금 왕을

불러오게 하고 세 차례나 불러도 오지 않으면 다시 流官(황제가 임명한

관리)을 보내되 내관과 함께 동행을 하여 그를 경사로 불러들이도록 한

다71)

69) 太祖實錄 卷126 洪武 12年 9月 戊午條 ldquo占城國王 王阿答阿者遣其臣陽須文

旦進表及象馬方物中书省臣不以時奏 內臣因出外見其使者以聞 上亟召使者見之

嘆曰 壅蔽之害乃至此哉 因敕責省臣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丞相胡惟庸汪廣洋等 皆叩頭謝罪rdquo

70) 王德金 앞의 논문 朱元璋馭宦之析 pp41-42

71) 祖訓錄 法律 ldquo凡親王有過 重者 遣內使監官宣召 如三次不至 再遣流官 同監

官召之至京rdquo 태조가 창업군주로서 자손들에게 훈유를 내려 그것을 영구히 지

키도록 하기 위해 지은 책이 祖訓錄이다 太祖實錄 洪武 2年 4月 乙亥條에

ldquo詔中書編祖訓錄rdquo이라는 것을 보아 이때부터 편찬이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洪武 6年 5月에 완성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箴戒持守严祭祀谨出入慎

国政禮仪法律内令内官职制兵卫营缮供用 등 13 항목으로 되어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4

라고 규정함으로써 친왕이 문제가 있을 때에는 환관이 먼저 파견되었

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을 보면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들의 발호를 억제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정치적 현실에

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차마 무역의 담당

자로 호군 및 군대 감독자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

년 승상제가 폐지되면서 그들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

겠다 이로 인하여 환관의 권위는 점 점 높이지고 세력은 확대되어 갔

던 것이다

3 宦官數의 增大와 機構의 擴大

홍무 초년에는 태조가 환관을 통제했기에 당시의 환관들이 아직 자

금성 안에서 주로 복무했다고 한다면 그의 통치 중후기에는 환관들

이 궁궐 밖으로 나가 여러 임무를 띠고 초기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였다 태조는 이런 변화가 그렇게 나쁘다고 여기지 않았고 도리어

그들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도움이 된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리하여 태조시기에 환관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환관 기구도 확대

되어 갔다 홍무 2년 규정에는 내사감 봉어 60인 기타 각 각 사소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까지 합쳐 총수는 100명에 불과하였다72) 그러나

홍무 15년(1382)에는 환관 361인을 증설하였다73) 이것은 홍무 15년에

증가된 기록으로 당시 기존의 환관을 합치면 거의 수백 명의 환관이

있으며 태조 자신이 서문을 지었다 太祖實錄 28年 閏 9月 庚寅條에 의하면

이 때 祖訓錄을 거듭 정하여 皇明祖訓이라 명명하였다

72)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 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定置內

使監 奉御六十人 尙寶 一人 尙冠七人 尙衣 十人 尙佩九人 尙藥七人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東宮

後門 宮左宮右門 各設門正一人 副一人rdquo

73) 太祖實錄 卷149 洪武 15年 10月 丙戌條 ldquo增設內使三百六十一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5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명조는 수시로

주변 여러 나라에 엄인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사실로 홍무 24년(1391)에 태조는 환관 韓龍 黃禿蠻 등을

고려에 보내어 말 1만 필을 사오도록 하면서 閹人 200여명을 요구하였

다74) 그리고 安南國에서도 끊이지 않고 엄인들을 진공하였는데 매번

수십 명 씩 바쳤던 것이다75) 명조는 사방에 엄인을 요구하였는데 특

히 고려와 안남은 당시 엄인을 진공하는 주요 나라가 되었다76)

이리하여 환관의 수가 부단히 증가하였고 태조도 역시 환관을 심복

중의 심복으로 삼으면서 그들을 신뢰하고 있었다 이에 홍무 17년

(1384) 어느 날 대도독부 겸 국자감을 관할하고 있던 李文忠은 태조에

게 환관이 너무 많으니 그 숫자를 줄여할 것을 건의하였다

ldquo內臣이 너무 많습니다 마땅히 좀 줄이셔야 합니다rdquo라고 이문충이 건

의 하자 태조는 이를 듣고 대노 하여 ldquo자네가 나의 오른쪽 날개를 약화

시키려 하는데 그것은 무슨 의도인가 이것은 분명히 문객들이 시켰을

것이다rdquo라고 말하면서 결국 사람을 보내어 이문충의 문객을 전부 살해하

였다77)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일로 인하여 이문충은 병들어 죽게 되었는

데 이 때 이미 환관은 그 수가 적어서는 안 되는 대상이 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4) 太祖實錄 卷208 洪武 24年 3月 己丑條 ldquo詔於高麗市馬一萬疋 幷索閹人二百

人rdquo 高麗史 恭讓王 3년 辛未年條

75)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6

76) 환관의 공급원은 본래 宮刑에 처해진 죄인들이었지만 隋代 이후 궁형이 폐지

된 후부터는 ① 적의 포로 ② 외국으로부터의 進貢者 또는 변방 지역의 進獻

者 ③ 특별한 사정으로 궁형에 처해진 죄인 ④ 自宮者 곧 지원자 또는 부모의

명령으로 거세된 準自宮者 등이 있다

77) 弇山堂別集 卷20 史乘考誤 1 ldquo一日勸上内臣太多宜稍裁省 上大怒 謂若

欲弱吾羽翼何 意此必门客教之 因盡殺客 文忠驚悸得疾暴卒 上發悲 怒殺諸醫及

文忠侍者百人rdquo 이 기사는 어느 때의 기사인지 나와 있지 않아 잘 알 수 없으

나 이것은 李文忠(1339mdash1384)이 죽은 해에 발생한 사건이므로 洪武 17년

(1384)의 사건으로 볼 수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6환관의 기구 역시 확대되어 갔다 환관의 부서와 직무는 吳 원년

(1367)에 lsquo內史監rsquo이 설치된 이후 인원의 증대와 기구 관리를 위해 조

직이 신설 분리되어 가면서 확대되어 갔는데 홍무 17년(1384)에 9監

2庫 6局 체제가 되었다78) 이것은 명대 환관의 기구인 24아문(12감 4

사 8국)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어 홍무 28년(1395)에 11감 4사 9국으로

정비되어 24아문의 기구가 거의 완비되었던 것이다79) 홍무 30년(1397)

환관 조직은 12감8국4사의 24아문의 규모가 되었고 명왕조 환관

조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황종희가 말하고 있듯이 ldquo명조에 善治가

없었던 것은 태조가 재상을 폐지하면서부터이다 저 宮奴들이 재상의

정치가 땅에 떨어져 수습될 수 없음을 알고 여러 규칙과 조목을 세우

고 직무를 늘렸으며 생살권과 상벌권 등 재상으로부터 나오던 것이

이제 모두 환관들에게 돌아갔도다 (중략) 그러므로 궁노들이 재상처럼

된 것은 승상제를 폐지한 데서 온 커다란 과오이다rdquo80) 라고 하면서

환관의 발호는 재상의 폐지로 인한 것이며 이것은 명대 정치의 큰

폐단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로 재상 없는 군주 독재 지배체제에서 황제 한 사람에 의한 통치

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매일 황제 곁에 있는 환관

중 신뢰하는 환관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태조도 자신도 모르게 환관을 신뢰하고 그들을 중용을 하였으니 이념

적으로 ldquo내신은 정사에 관여하지 못한다rdquo 라는 규정을 내세우면서도

78)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九監은 内官监 神宫监 尚寶监 尚衣监 尚膳监 司

设监 司礼监 御马监 直殿监이고 二庫는 内承运库司鑰库이며 六局은 巾帽局

针工局 织染局 颜料局 司苑局 司牧局을 말한다

79) 위와 같음 十二監은 神宫监 尚寶监 孝陵神宮監 尚膳监 尚衣监 司设监 内官

监 司禮監 御马监 印綬監 直殿监이고 四司는 惜薪司 钟鼓司寶钞司 混堂司이

며 9局庫는 兵仗局 織染局 针工局 巾帽局 司苑局 酒醋麵局 內乘運庫 司鑰庫

內府供用庫인데 이것들은 후에 24아문으로 발전하였다

80) 黄宗羲 明夷待訪錄 置相 ldquo有明之无善治 自高皇帝罢丞相始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彼宫奴

者见宰相之政事坠地不收从而设为科条增其职掌 生杀予夺 出自宰相者 次

第而尽归焉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故使宫奴有宰相之实 则罢丞相之过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3: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1어떻게 해서 환관 발호의 토양이 형성되었을까 하는 것에 착목하여 명

조 전기 환관세력의 추이와 기능을 살펴보려 한다

환관에 대한 포괄적 지식을 안겨다 주고 있는 책으로는 일본의 三

田村泰助의 宦官 -側近政治の構造-3)가 있다 이 책은 문고판이면서

도 환관이란 무엇이며 환관이 역사적으로 크게 활약하던 한대 당대

명대를 중심으로 환관과 관련된 제요소 및 특색을 지적하여 이해에 도

움을 주고 있다

중국 환관에 관한 중국 서적으로는 袁閭琨魏鑑勛의 太監史話가있다 이 책은 중국의 역사상 크게 영향을 미친 54명을 선발하여 각각

의 인물과 사건을 소개함으로써 환관제도의 존재를 설명하고 있다 그

후에 雇蓉葛金芳의 霧橫帷牆 -古代宦官群體的文化考察-4)와 余華

靑의 中國宦官制度史5)가 나왔는데 전자는 환관의 육체와 정신과 행

동 그리고 환관의 궁정생활 환관과 타 집단과의 관계 등 주로 사회

문화사인 측면에서 평이하게 서술하고 있는 일반서이고 후자는 중국

역사상 각 시기의 환관제도와 그 기능에 대하여 균형 있게 서술한 책

으로 환관 이해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명대 환관에 대한 연구서로는 丁易의 明代特務政治6)가 있다 이

책은 명대 환관의 활동을 논한 책으로 명대 정치사를 연구하는 데 반

드시 접해야 할 책이다 본서는 환관을 중심으로 한 명대의 비밀첩보

정치를 방대한 사료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기록해 놓았는데 명대 환관

3) 三田村泰助 宦官 (中央公論社 1963) p3 이 책은 한국에서 ldquo미타무라 타이

스케하혜자 역 환관(나루 1995)으로 번역되어 소개되었다

4) 雇蓉葛金芳 霧橫帷牆 -古代宦官群體的文化考察- (陝西人民敎育出版社

1992)

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3)

6) 丁易明代特務政治는 1945년에 연구를 시작하여 1948년에 완성하였다 이 연

구물은 1950년에 中外出版社에서 처음 출판되었다 다량의 역사 서적으로부터

명대 환관에 관한 사료를 인용하여 명대 환관의 실태를 소개하고 있다 이 책

은 일본 汲古書院(1971)에서 영인하여 널리 보급되었으며 최근에는 中華書局

(2006)에서 종서와 번체자로 되어 있는 원본을 횡서와 간체자로 다시 발간하

여 손쉽게 접할 수 있게 하고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2연구자의 필독서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목적은 본래 장개석의 국민

당 정부를 공격하기 위한 정치적 의도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학술적

차원에서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는 지적이 있기는 하나7) 명대 환관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그리고 명대 萬暦 연간(1573〜1620)

의 환관 劉若愚가 환관의 실상을 폭넓게 서술한 책으로 酌中志가 있

는데 이것은 명대 환관의 일반적인 생활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1980년대에 들어와 王春瑜杜婉言 양씨가 명대 환관 연구를 정력

적으로 수행하였다 그중 양씨가 함께 편저한 明代宦官與經濟史料初

探(1986년)8)은 명대 文集 奏疏 野史 筆記本 및 부분적으로 청대의

각 사료에서 환관의 경제 분야 관련의 사료를 뽑아 모아 놓은 자료로

이것은 환관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명대 환관 연구에 큰 자극을 주

었던 것이다 이어 王春瑜杜婉言 양씨가 공저한 明朝宦官(1989)9)은 명대 환관의 여러 기능 곧 정치 군사 경제 문화적 측면에 나타난

환관의 활동과 기능을 분석하여 놓았으며 명대 주요 환관도 소개하고

있는데 풍부한 사료를 동원하여 서술하고 있어 전체적 이해에 큰 도

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물들은 환관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에는 도움을 주고 있

으나 명조 전반기에 대해서는 부차적으로 언급되어 있기에 구체적 실

상을 이해하는 데는 자연 한계를 지니고 있다 할 수 있다10)

7) 王天有 有关明史地位的四個问题 (明淸論叢 제7집 2006) p7

8) 王春瑜杜婉言編著 明代宦官與經濟史料初探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86)

9)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紫禁城出版社 1989) 이 책은 다시 수정 증보하

여 2007년 1월에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간행으로 재 출판되었다 여기

에는 기존 환관 傳記에다 45명의 전기를 추가하여 넣었으며 부록으로 杜婉言

의 청대 환관을 소개하고 있어 내용이 더욱 풍성하여졌다

10) 환관에 관한 저서로서는 이 외에 杜婉言杜子明 編譯 中國歷代太監傳 (國際文化出版公司 1992) 李慕南 张林 李丽丽 主编 历代宦官 (河南大学出

版省出版 1998) 凌枫编世界文化第一大迷 -从神秘阉割到双姓同体 (汕头大学

出版社 2001) 卫建林 明代宦官政治 (花山文艺出版社 2001) Shih-shan

Henry Tsai Eunuchs in the Ming Dynast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5 Edward L Dreyer Zheng He China and the Oceans in theEarly Ming Dynasty 1405-1433 Longman 2006 등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3그렇다고 명초 환관에 대한 연구가 없는 것은 아니다 최근 1990년

후반과 2000년대에 들어와 명초 환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역사상 명대 전제정치 체제 내의 정치 무대에서 환관들이 정치 경제

군사 외교 문화 등의 여러 방면에서에서 심각한 영향을 미쳐 왔고 끝

내는 왕조를 명조 멸망으로까지 끌고 왔는데 그것의 기점을 태조와

영락제에 두면서 명초의 환관 연구가 크게 주목되었다 이를테면 田禾

의 明太祖嚴馭宦官試析 -兼及朱元璋的評價問題 11)는 태조가 행정 감

찰 군사 등 3대 영역에서 상호 견제하는 조처를 취하였으나 환관관리

의 측면은 단지 lsquo使之畏法 不使有功rsquo에만 급급하였을 뿐 이에 대한 견

제 기구가 결여 되었으며 후계자들은 도리어 태조의 유칙을 지키지

않았기 때문에 결국은 환관의 전횡이 이루어지게 되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王德金은 朱元璋馭宦之析 12)에서 명대 환관 정권의 맹아는 주

원장의 승상제 폐지에 있음을 지적하였고 施洪道 朱元璋政策失誤和

明朝宦官專權 13)은 명조 환관이 전권을 지니게 된 것은 태조의 功臣

殺戮 제왕분봉책 승상제도 폐지 등에 그 원인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喬海燕 自禁之自紊之 -朱元璋委政宦官之實 (濰坊學院學報 2005

-1)14)은 환관이 정치에 간여하는 것을 엄금하는 일과 환관에 정치를

위임하는 일은 모순하지 않은 일이며 환관에 정치 참여를 엄금함으로

써 내권을 방지하고 환관에게 정치를 위임함으로써 외환을 방지하려

하였으나 군주권 강화를 위한 승상제 폐지와 환관에 대한 신뢰가 결

국 환관의 권력과 권세를 강하게 만들었음을 언급하였다

이상의 견해를 종합하면 명태조가 환관 억제 정책을 썼으나 한편

그 시기에 환관이 세력을 펼 수 있는 요건이 배태하기 시작하였으며

명대 환관 전권의 계기는 태조의 승상제 폐지에 있음을 밝히고 있는

11) 田禾 明太祖嚴馭宦官試析 -兼及朱元璋的評價問題 (社會科學戰線 1997

-4)

12) 王德金 朱元璋馭宦之析 (天津師範大學學報 2001-6)13) 施洪道 朱元璋政策失誤和明朝宦官專權 (零陵師範高等專科學校學報 23

-4 2002)

14) 喬海燕 自禁之自紊之 -朱元璋委政宦官之實 (濰坊學院學報 2005-1)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4것이다

그렇다면 명초 환관 억제 정책에 대한 이념과 현실을 구체적으로

살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념과 현실의 모순이 영락제 이후 어떻

게 환관 세력의 증대로 나타났으며 그 추이는 어떠하였는가가 밝혀져

야 할 것이다 이것은 명 중기 이후 출현한 환관의 전횡 상품경제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弊政과 사회 모순 심화로 인한 각종 민란의 출현

등 명대 정치사회적 변화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

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명대 전기라 하지만 주로 太祖(洪武帝 1368-1398) 建

文帝(惠帝 1398-1402) 永樂帝(成祖 1402-1424)15) 洪熙帝(仁宗1424-

25)를 거쳐 宣德帝(宣宗 1425-1435) 때까지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 시기는 正統帝(英宗 1435-1449)의 재위기간에 권력을 전횡하여 土

木堡 變(1449)을 일으켰던 王振( -1449)의 출현 그리고 그 후 명조

중말기로 이어지는 成化帝(憲宗 1464년-1487년)-萬曆帝(神宗 1573-

1620)시기의 환관 발호 시대와는 구별되어진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Ⅱ 太祖의 宦官에 對한 理解와 政策

1 太祖의 宦官에 대한 理解

원조의 실정이 거듭되고 각처의 반란이 빈번하던 원말 동란기 鳳陽

빈농 출신의 朱元璋(1328-1398)은 郭子興이 이끄는 의병에 가담하여

그곳에서 혁혁한 공을 세워 차차 중국 역사무대로 나아가게 되었다

그는 李善長 徐達 尙遇春 등 능력 있는 인재와 劉基 宋濂 등 지략가

의 도움으로 점차 세력을 키워나가 최후로 鄱陽湖 전투(1363)에서 강

15) 영락제의 묘호는 처음 lsquo太宗rsquo으로 정하였으나 嘉靖 17년(1537)에 lsquo成祖rsquo로 개

정하였으며 이후 성조로 칭하고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5적 陳友諒을 물리치고 蘇州 지방을 근거로 하고 있던 張士誠을 멸하

고(1367) 천하를 얻어 마침내 1368년에 명나라를 세워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16) 그가 명 왕조를 세운 太祖 洪武帝(1368-1398)17)이다

새로 왕조를 창업한 주원장은 어렵게 얻은 천하를 유지하는 것이

그렇게 쉽지 않다는 것을 깊이 깨달았다 그리고 역대 왕조 흥망사의

역사를 거울로 삼아 국초부터 궁궐 내 환관의 폐해를 심각하게 인식

하였다

그렇기에 태조는 왕조를 개창한 이후 곧 바로 환관의 정치 간여를

금하는 조서를 발하였다 홍무 원년(1368) 4월 禁宦官预政典兵 이라

는 금령을 내렸는데 이에 대하여 청의 谷應泰가 지은 明史紀事本末

18)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4월 병진 일에 환관이 정치 사법 군사 등의 일에 간여하는 것을 금하

였다 태조는 시신들에게 이르기를 ldquo내가 사서에 기록되어 전해 오는 것

을 보니 한나라와 당나라의 말기에 환관은 모두 나라를 망하게 한 좀 벌

레였다 폐해가 많았으니 일찍이 이보다 더 한심한 때가 없었다 주역에

이르기를 나라를 열고 조정을 이어받을 때 소인은 쓰지 말라고 했다 궁

궐에서 환관이 하는 일은 다만 소제하고 심부름하는 일 뿐이다 어찌 정

치 사법 군사 등의 일에 간여하도록 해야 하는가 한당의 화 비록 환

관의 죄이기는 하나 역시 군주가 이를 총애하여 부렸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다 환관으로 하여금 정치에 간여하지 않도록 하여라 만약 그렇

게 한다면 비록 환관이 난을 일으키려 한다 하더라도 그것이 성공할 수

있겠는가19)

16) 全淳東 明王朝成立史硏究 (도서출판 개신 2000) pp103-107

17) 중국의 명청대는 一世一元 곧 한 황제가 하나의 연호를 채택하는 것이 관

행으로 되었기 때문에 황제를 호칭할 때 lsquo廟號rsquo로 부르기도 하고 lsquo年號rsquo를 사

용하여 부르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太祖 洪武帝를 호칭할 때에는 왕조를 창업

한 최초의 군주라는 개념을 살리기 위해 lsquo太祖rsquo라는 lsquo묘호rsquo를 사용하고 그 뒤를

이은 황제는 습관상 많이 부르고 있는 lsquo연호rsquo에 의한 칭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18) 1658년에 중국 청나라의 谷應泰가 지은 기사본말체의 역사서로 명조 일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이것은 明史보다 80년이나 앞선 중요한 사서로 모두

80권으로 되어 있다

19) 明史紀事本末 卷14 洪武 元年 4월 丙辰條 ldquo禁宦官预政典兵 上谓侍臣曰

吾见史传所书 汉唐末世 皆为宦官败蠹未尝不为之惋叹易稱 開國承家 小人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6

이것을 보면 태조는 한과 당의 멸망 원인이 환관의 폐해에 있다고

판단하고 아무리 환관의 폐해를 막으려 한다 해도 그렇게 쉽게 될 수

없음을 인식한 나머지 국초부터 환관을 억제하려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개국황제 주원장이 환관에 대해 내린 제1차 경고성 명령

이라 해석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과거 역사 가운데에서 환관의 폐해를 절감한 태조는 환관의 수와

직임을 제한하였다 이미 명왕조 성립 이전 吳王 원년(1367)에 lsquo內史監rsquo

이라는 환관기구를 두고 환관을 활용하였던 태조는 홍무 2년(1369) 8

월에 다시 환관의 직제를 정하였는데 이때에 환관의 수와 직임을 제

한하였다 그 내용이太祖實錄에 잘 나타나 있다

태조는 이부로 하여금 내시관제를 정하도록 하였다 이 때 이부에 이

르기를 ldquo짐이 lsquo周禮rsquo를 보니 환관의 수가 백 명도 채 되지 않았다 후세에

이르러 수천 명에 이르러 마침내 큰 환난을 불러 일으켰다 지금 아직 복

고 정책을 쓰지는 않지만 역시 잘못된 일이나 나쁜 일은 경미할 때 막아

서 더 이상 발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마땅한 일이다 이 환관들이 하는

일은 酒漿醯鹽을 나르고 복장을 관리하고 사당을 깨끗이 하는 일 등 사

소한 몇 가지에 불과하다 이제 짐도 이들이 하는 일이란 물건 나르거나

청소하는 일과 같은 사환이 하는 일에 그치도록 하고 다른 특별한 일을

맡기지 말아야 할 것이니 잘 숙고하도록 하라rdquo고 하였다20)

위의 기록을 보면 주례에는 환관이 100명도 채 안되었는데 후세에

수천 명이 되어 그 때마다 큰 환난을 가져왔다면서 환관의 수를 적게

하고 그들이 하는 일 또한 청소하고 짐 나르고 하는 단순한 허드렛일

만을 하게 함으로써 권세를 부리지 못하도록 하라는 것이었다

위에 인용한太祖實錄을 더 읽어 가보면

勿用 其在宫禁 止可使之供洒扫给使令而已 岂宜预政典兵 汉唐之祸 虽宦官之罪

亦人主宠爱之使然 向使宦官不得典兵预政 虽欲为乱 其可得乎rdquo 明通鑑에도

똑같은 내용이 보이고 있다

20)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諭之曰 朕觀周

禮 所記未及百人 後世至踰數千 卒爲大患 今雖未能復古 亦當爲防徵之計 此輩

所治 止於酒漿醯鹽司服守祧數事 今朕亦不過以備司令 非別有委任 可斟酌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7

侍臣들에게 일러 말하기를 환관들은 자고로 선량한 사람은 천 명 중에

한 두 사람 만날 정도이다 만약 그들을 耳目으로 쓴다면 耳目이 가리어

질 것이고 그들을 腹心으로 생각한다면 그 때부터 곧 내재된 화근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그들을 제어하는 방도는 항상 경계하고 삼가 하여 그들

로 하여금 법을 두렵게 여기도록 하고 功勞가 있도록 하면 안 된다 만

일 그들이 공로가 있으면 방자하게 되고 그들로 하여금 법을 두려워하게

하면 단속이 될 것이니 그렇게 되면 감히 그릇된 일을 저지를 수가 없을

것이다 이에 內使監을 두고 奉御 60인을 두었다21)

라고 하여 환관을 다스리는 방책은 항상 규율을 유지해서 법을 두렵게

여기도록 하고 공적이 있도록 하게 하면 안 된다는 것이다 공적이 있

으면 방자하게 되고 법을 두려워하게 하면 절제하며 절제하면 감히

비위를 저지를 수가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 때 더불어 환관의 수도

한정하여 두었다22)

태조는 환관의 품질도 비교적 낮게 정하였다 홍무 4년에 이부가 內

使監 품질을 정할 때에 내사감령은 정5품으로 정하였다 홍무 3년에

종3품이었던 내사감령이 그 이듬해에는 정 5품으로 강등된 것이다 이

에 따라서 다른 환관직도 전체적으로 이전보다 등급이 낮아졌던 것이

다23)

이때에 태조는 시신들에게 일러 말하기를

21) 위와 같음 ldquo又顧侍臣曰 此輩自古以來求其善良千百中不一二見 若用以爲耳目

卽 耳目蔽矣 以爲腹心卽腹心病矣 馭之之道 但 常戒勅 使之畏法 不可使之有功

有功則驕恣 畏法则检束 自不敢为非也 乃定置內使監 奉御六十人rdquo 이 때 과거

內史監을 內使監으로 개칭하였다

22) 이 때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에 나타나 있는 규정을 소개하

면 다음과 같다 ldquo定置內使監 定置内使监奉御六十人 尙寶一人 尚冠七人 尚衣

十人 尚佩九人 尚药七人 纪事二人 执膳四人 司脯二人 司香四人 太庙司香四人

涓潔二人 置尚酒 尚醋 尚面 尚染四局 局设正一人 副二人 置御马 御用二司 司

设正一人 副二人 内府库设大使一人 副使二人 内仓监设令一人 丞二人 及置东

宫典玺 典翰 典膳 典服 典药 典乘兵六局 局设局郎一人 丞一人 又置门官午门

东华门 西华门 玄武门 奉天门 左右顺门 左右红门 皇宫门 坤寧门 宫左门

宫右门 各设门正一人 副一人 东宫门官 春和门 東宮後門 宮左門 宮右門 各設門

正一人 副一人rdquo

23) 太祖實錄 卷63 洪武 4年 閏3月 乙丑條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8

옛날의 환관제도는 궁정에서 아침저녁으로 심부름을 하는 일 뿐이었

다 그런데 후한 鄧太后24)가 황후로써 천자를 대신하여 섭정할 때 公卿

과 접하지 않고 閹人을 常侍와 小黃門으로 삼아 그들을 통하여 명령하였

는데 이때부터 그들의 권력이 황제에 기울어 그 폐해가 심하여졌다 이

것은 마치 狐假虎威(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부리다)라는 말과 같이 왕의

위엄을 빌려 위세를 부리고 城狐社鼠(성곽에 사는 여우와 社壇에 사는

쥐)가 되어 황제 곁에서 간신노릇을 하였다 짐은 이들에게 궁궐에서만

일하도록 하였으니 어찌 권세를 힘입어 정사를 어지럽히는 일이 있겠는

가 내가 이것을 엄히 방지하도록 하였으니 犯法者에 대해서는 이를 질

책하여 제거함으로써 주위에 존재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履霜堅氷(서

리가 내리면 두꺼운 얼음이 얼게 된다)이라는 말이 있듯이 삼가 재앙이

나 화는 그것이 작을 때에 사전에 미리 막아야 한다는 가르침을 잊어서

는 안 되느라25)

고 하면서 환관을 명초부터 엄히 경계하여 다루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태조는 환관이 정사에 간여하는 일이 있을 때 그를 가차 없이 제거

하기도 하였다 홍무 10년(1377)에 이런 일이 있었다 오랫동안 곁에서

태조를 모시던 한 환관이 있었다 그는 부지런히 근신하며 태조를 성

실히 모셔왔다 하루는 그 환관이 침착한 태도로 정사를 언급하자 태

조는 바로 그를 파면시켜 고향으로 돌려보냈으며 평생 그를 다시 부르

지 않았다 明太祖寶训에어느 한 내시가 오래도록 내정의 일을 맡아서 봉사하여 왔는데 그가

차분히 정사에 대하여 언급하자 태조는 곧 바로 질책하여 免官하고 귀향

24) 후한 和帝(88-106)의 태후로서 105년에 후한 和帝가 죽자 등태후는 민가에

보내어 기르던 황자 劉隆을 데려다 그날 밤 즉위시켰다 그는 생후 100일밖에

되지 않는 殤帝(105-106)이다 그런데 그는 이듬해에 요절하고 말았다 그러자

등태후는 淸河王 劉慶의 아들로 13살 된 劉祜(유호)를 황제로 즉위시켰는데

이가 安帝(106-122)이다 이런 과정에서 등태후는 14년간 천자를 대신하여 수

렴청정을 하며 권력을 행사했다

25) 太祖實錄 卷63 洪武 4年 閏3月 乙丑條 ldquo上因謂侍臣曰 自古之宦竪 在宮禁

不通司晨昏供役使而已 汉邓太后 以女主稱制不接公卿乃以阉人为常侍小黄门

通命自此以来内侍权倾人主及其爲患 有如城狐社鼠 不可以去 朕谓此辈但

當服事宫禁 岂可假以权势纵其狂乱 吾所以防之极严 但犯法者 必斥去之 不令

在左右 戒履霜坚冰之意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9토록 했으며 종신토록 그를 다시 등용하지 않았다 26)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내용은 明通鑑에도 같은 내용이 언급되어 있으며 이를 더 읽

어 가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태조는 대신들에게 이르기를 ldquo환관들이 날마다 좌우에서 시중드는데

충성과 믿음이 적다면 그것은 황제의 마음을 굳어지게 한다 그것이 오

래되면 권위를 빌어 정사에 참여하게 되고 마침내 그것을 억제할 수가

없게 된다 자고로 이러한 환관들 가운데 난을 일으키는 자가 많았다 지

금 입법하여 환관에게 정치 관여를 불허하고 그들을 제거하는 것은 과

거의 실패를 교훈 삼아 장래에 같은 실패를 되풀이 하지 않도록 하려는

까닭이다rdquo27)

위의 훈계 내용을 보면 태조의 환관에 대한 엄연한 태도가 깃들어

있으며 ldquo群臣頓首稱善rdquo이라 하였으니 모든 신하들도 환관에 대한 황

제의 태도가 옳다면서 그 조처를 긍정하였던 것이다 파면된 환관이

오랫동안 성실히 군주를 시중들어 왔다고 생각한 탓인지 그를 살해하

지는 않았지만 종신토록 다시 그를 불러들이지 않음으로써 환관의 정

치 간섭이 얼마나 큰 과오인가 하는 것을 밝혔던 것이다 이것은 어디

까지나 후대의 환관을 경계시킨다는 목적이 깊게 깔려 있다고 생각된

26) 明太祖寶训 卷3 去讒佞 ldquo洪武十年五月 是月 有内侍以久事内廷 从容言及

政事 太祖即日斥遣还乡里 命终身不齿 遂谕群臣曰 自古贤明之君 凡有谋为 必

与公卿大夫谋诸朝廷 而断之于己 未闻近习嬖幸之人得与谋者 况阍寺之人 朝夕

在人君左右 出入起居之际 声音笑貌日接乎耳目 其小善小信 皆足以固结君心 而

便僻专忍 其本态也 苟一为所惑而不之省 将必假威福 窃权势 以干与政事 及其

久也 遂至于不可抑 由是而阶乱者 多矣 朕尝以是为鉴戒 故立法 寺人不过侍奉

洒扫 不许干预政事 今此宦者 虽事朕日久 不可姑息 决然去之 所以惩将来也 群

臣顿首称善rdquo

27) 明通鑑 卷6 太祖洪武 10年 5月條 ldquo有内侍以久侍内廷 从容言及政事 上(太

祖)即日斥遣歸命 终身不齿 諭諸臣曰 此辈日在左右 其小忠小信 足以固结君心

及其久也 假窃威权 以干政事 遂至于不可抑 自古以此辈乱者多矣 今立法不许寺

人干预朝政 决去之 所以惩将来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0이상 일련의 사료들은 태조 주원장이 전대에 환관전권으로 말미암

은 폐해가 얼마나 심각하였는가를 깊이 인식하고 이에 대한 경계를 강

하게 하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2 太祖의 宦官 統制

천하를 얻어 다스리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깊이 깨달은 태조는

역대 흥망의 경험과 교훈을 거울로 삼아 환관의 폐해를 심각하게 인식

하면서 일련의 환관 억제 조치를 취하였다

홍무 5년(1372) 태조는 환관에 대해 금령을 반포하였다 궁정에서

모함 다툼 상해 등 환관의 비행 및 부도덕한 행동이 있을 때 그에

대하여 엄히 다스리는 벌칙을 규정하여 발표하였다

罵詈者(상호 욕하고 꾸짖는 자)는 태형 50대 봉어를 모욕하는 자 장

60대 문관이나 감관을 모독하는 자는 장 장 70 서로 싸우는 자 장 70이

대이며 상해를 입힌 자는 한 등급 더 높여 처벌하고 본관의 제재에 불복

하고 고집하는 자 장 80대 이며 구타하여 상해를 입힌 자는 한 등급 너

높여 처벌하고 봉어를 구타한자 장 80 문관 감관을 구타한 자 장 100대

로 하며 상해가 있으면 각각 한 등급을 더 가해 벌한다28)

이처럼 환관이 궁정에서 모함하거나 다투거나 상해를 입힐 경우 그

상황을 따져서 태형이나 장형으로 벌하는 내용을 규정하였다

그런데 이 사료를 더 읽어가 보면 능지처참이나 참수의 형까지 규

정하고 있고 잘 못이 있을 때 자수하기를 권장하면서 자수하는 환관

에 대하여는 도리어 상을 내리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28) 太祖實錄 卷74 洪武 5年 6月 丙子朔條 ldquo洪武五年六月 丙子朔 定宦官禁令

凡內使于宮城內 相罵詈者先發理屈笞五十 後罵理直者不坐不服本管鈐束而抵罵者

杖六十 內使罵奉御者杖六十 罵門官監官者杖七十 內使于宮城內相鬭毆者先鬭理屈杖七十 毆傷者加一等 後應理直而無傷者笞五十 不服本管鈐束而毆之者杖八十

毆傷者加一等 毆奉御者杖八十 毆門官監官者杖一百 傷者各加一 內使等有心懷

惡逆 出不道之言者 凌遲處死 有知情而蔽之者同罪 知其事而不首者斬 首者賞銀

三百兩rdquo 欽定續通典 卷108 刑2에도 같은 기록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1

內使等이 마음이 악하여 심하게 도리를 벗어나는 행동을 하고 도리에

어긋나는 말을 하는 환관들은 능지처참 시키고 사정을 알면서도 그것을

은폐하는 자 역시 똑 같이 능지처참할 것이며 사실을 알면서도 자수하지

않는 자는 참수할 것이며 대신 자수하는 자에게는 상금으로 은 3백량을

내릴 것이다29)

라 한 것이 그것이다

홍무 6년(1373)에는 환관 기구 중에 lsquo內正司rsquo라는 환관의 위법행위를

규찰하는 전문기구를 두었다30) 이것은 환관의 불법과 부도덕을 규찰

하는 기구로 司正(정7품) 司副(9종7품) 등의 관직을 두어 운영하였으

며 환관의 위법과 부도덕한 행동을 규찰하는 책임을 맡게 되었던 것

이다31)

동시에 환관은 외정의 직을 겸할 수 없고 외정 관료들과 교류할 수

없도록 하였다 홍무 10년(1377)에 태조는 ldquo환관은 외신 文武의 직을

겸할 수 없고 외신의 관복을 착용할 수 없으며 정치에 참여하거나 군

권 행사를 할 수 없다 관품은 4품을 넘을 수가 없고 매월 지급하는

봉록은 1석이며 내정 안에서 살림을 한다rdquo32)라고 정하였던 것이다

또한 환관이 문자를 터득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하여 환관에

게는 글을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였다 明史에 보면 初 太祖制 内臣

不许读书识字 33)라고만 되어 있어 이것을 제정한 시기가 언제인지 확

실히 알 수 없으나 명초의 것으로 태조는 초기부터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환관 전권을 더욱 방지하기 위하여 홍무 17년(1384)에 금령

29) 위와 같음

30) lsquo內正司rsquo는 후에 lsquo典禮司rsquo lsquo典禮稽察司rsquo로 개칭되었다

3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六年 hellip又考前代纠劾内官之法 置内正司

设司正一人 正七品司副一人从七品 专纠内官失仪及不法者 旋改为典禮司 又改

为典禮稽察司 升其品秩 司正升正六品 司副升从六品rdquo

32) 明史 卷304 宦官1 ldquo然定制 不得兼外臣文武衔 不得御外臣冠服 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衣食于内庭rdquo

33) 明史 卷304 宦官1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2을 발하였다 그 금령은 ldquo內臣不得干預政事 犯者斬rdquo이라 하여 lsquo환관으

로서 정사에 간여하는 사람은 참수형에 처한다rsquo는 것이다 약 석자 크

기의 鐵牌를 주조하여 거기에 이 lsquo11자rsquo를 새겨 궁문 앞에 세워 두었

다34) 철폐를 제조하여 궁문 앞에 세워두었다는 것은 가장 극렬한 환

관 통제 방책의 하나로 상징성이 가장 큰 통제 방법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이 규정은 환관들로 하여금 조정의 일에 간여할 수 없게 만들

었을 뿐 아니라 명초 환관의 권력을 중국 역사상 가장 밑바닥에 처하

게 만들었던 것이다

또한 환관은 공문서를 가지고 외정을 드나들 수 없게 하였으며35)

이러한 제한으로 인해 자연히 환관은 궁정에 있는 관료들과 사귀어 정

사를 어지럽힐 수 있는 기회를 갖기가 어려웠다

생각해 보면 신왕조를 창업한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들이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왕조 창업 후 심복으로서 환관들을 활용하

지 않을 수 없었다 그렇기에 태조는 환관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그들

의 세력을 제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던 것이다

그 주된 내용은 다음의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겠다

① 환관과 외신과의 쌍방에 의한 정보교환 문서 왕래를 금한다

② 환관은 조정 관리를 겸무하는 일과 외신의 관복을 착용하는 것을

금한다

③ 4품 이상의 품계에 오르는 것을 금한다

④ 환관의 봉급은 매월 백미 1석으로 하고 후궁 내에서 생활하며 지낸

⑤ 환관에게 글을 가르치는 것을 엄금한다

태조는 이상과 같이 환관의 세력이 성장하지 못하도록 갖가지 규제

를 강구하고 나아가 환관 규제를 위한 철패를 제조하여 궁문에 세워

34)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十七年 鑄铁牌文曰 内臣不得干预政事犯

者斩 置宮門 又勅諸司 毋得與內官監文移往來rdquo

35)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十七年hellip又勅諸司 毋得與內官監文移往來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3두었는데 이것은 태조의 환관 통제 정책 중 가장 대표적이고 상징적

인 징표가 되었다 하지만 한편 극단적인 제약이 도리어 환관이 신성

한 황제의 힘을 등지고 세력을 휘두르는 화근을 배태하였던 것이다

Ⅲ 國初 政治的 現實과 宦官 抑制의 限界

1 太祖期의 政治的 現實

한 당 시대의 환관 전권의 사실과 폐해를 잘 알고 극력 환관의 세

력을 억압하려는 태조 앞에 닥친 정치적 현실은 어떠하였는가

새로이 명왕조를 세운 태조는 먼저 관계의 기강문제에 지대한 관심

을 가지고 있었다 새로운 왕조가 수립되었어도 기강이 해이해지면 전

왕조에 있었던 것과 같은 부패가 官界에 그대로 만연하게 될 것이고

그로 인하여 민심이 흉흉할 수도 있는 일이다 그렇게 되면 그 자체가

혁명의 발생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고 나아가 태조가 창건한 왕조

자체도 혁명의 객체로 부상할 수밖에 없는 일이다

그러므로 태조는 기강 확립 권신들의 전횡 견제 관리의 부정부패

방지 민심 동요 등을 경계하면서 정치사회의 안정과 중앙집권적 전

제지배체제의 확립을 꾀하였다36)

현실적으로 원 왕조가 몽골고원으로 퇴각되었다고 하지만 그들은

여전히 상당한 세력을 보유하면서 언제 어떻게 명조에 반격을 가해 올

지 모르기 때문에 결코 방심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또한 국내에서도

명조 정권에 대하여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있고 명조에

협력하지 않고 음으로 몽골 세력을 지지하면서 농민출신의 태조 및 그

정권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우까지 있었다 또한 일단 명조 정권에 협

력하고 있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반드시 본심에서 우러난 것인지 확실

36) 全淳東 明王朝成立史硏究 pp194-204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4히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태조는 황제를 중심으로

하는 강력한 중앙집권적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

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

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금의위

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였다37)

금의위라는 특무기구는 본래 황제의 거동과 행렬을 시위하는 데 불

과였으나 이것이 특무 기관으로서 기능을 갖게 된 것은 호유용의 옥사

사건 이후 정보 수집과 감시체제를 강화할 때인 홍무 15년(1382년) 금

의위의 기구가 개혁된 결과이다 이후에 금의위는 정치상의 음모를 기

도하는 행위나 반체제적인 종교비밀 결사 등을 감시하는 기능을 가지

게 되었다 곧 금의위는 황제 행렬의 시위 외에 순찰을 돌면서 체포하

는 권한까지 지니게 되었던 것이다 이들은 정보를 수집하고 감시 적

발하며 사법권에까지 개입하였던 것이다38)

하지만 국초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

의 옥을 일으키며 시의심이 강하였던 주원장은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

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많은 사가들은 명사 환관 열전의 서문에 나타나 있는 ldquo盖明世宦官

出使专徵监军分镇刺臣民隐事诸大权皆自永乐间始rdquo(명대 환관

의 출사 징세 감군 분진 신민의 은밀한 일 정탐 등의 권리는 모두

영락 연간부터 시작되었다)39) 라는 기사라든지 明史 職官志에 나타

난 ldquo顾中官四出 实始永乐时 元年 李兴等赍敕劳暹罗国王 此奉使外国之

始也rdquo(돌이켜 보면 환관의 파견은 영락제 때에 처음 실시하였다 영락

37) 山根幸夫 明帝國の形成と發展 (ゆらぐ中華帝國 11 筑摩書房 1961)

pp41-42

38) 錦衣衛의 전신은 1367년에 설립된 拱衛司로서 대도독부에 예속되어 있었는

데 洪武 3년(1370) 親軍都尉府로 개칭하고 도독부로부터 독립하여 운영하였다

39) 明史 卷304 宦官1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5원년 이흥 등을 태국의 국왕에게 보내어 위로한 것이 환관을 외국에

보낸 것의 처음이다)40) 라는 기사를 인용하여 환관 중용의 책임이 영

락제에 있는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살펴보면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

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시 경제적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2 宦官 抑制의 限界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은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국초

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의 옥을 일으

키는 등 누구보다 시의심이 강하였던 태조는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

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심복인 환관들을 억

제하기보다는 그들을 측근으로 하여 저제군주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했다 그리하여 태조는 환관들과의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외부로 나가

는 출사 군대 감시 경제적인 활동 정보 수집 등의 일을 맡겼던 것이

첫째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관계를 원만히 하려 하였다41)

환관의 외국 출사의 예는 이미 홍무 2년에 보이고 있다 홍무 2년

(1369) 4월에 고려출신 환관 金丽渊을 고려에 파견하여 중국에 머물고

있는 高麗 流寓民 160여명을 고려에 돌려보낸 일이 있다 ldquo遣內臣 送

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書賜其王rdquo42)이라는 기사가 그것이다 이 기사

40)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41) 환관이 사신으로 나가는 경우는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외

국 사신으로 나가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변경 지역의 왕부나 주변 소수 민족

집단에 나가 황제의 명을 전하고 일을 처리하는 것이다

42)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丑朔 ldquo遣內臣 送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6를 더 읽어가 보면 그 때 중국인으로서 고려에 머물러 있는 유민들이

약 160여명이 있었는데 이 때 환관 金麗淵을 보내서 그들을 고려에

돌려보내었던 것이다43) 이 사실은 高麗史에도 ldquo己酉 18년 6월 丙寅

일에 황제가 환관 金麗淵을 파견하여 칙서를 전했다rdquo44)라고 하고 있어

당시 고려와 명과의 외교관계를 엿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명조의 환

관이 외교 사절단으로 나간 최초의 예라 할 수 있다

그리고 耽羅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는데 홍무 22년(1389) 4월 ldquo옛 원

나라의 제왕 중 명조에 귀부한 자는 탐라국에 거처하도록 하였으며

더욱이 그곳에 환관을 보내어 그들이 머물 집을 지어 주고 그곳에서

거처하도록 하였다rdquo45)라고 한 것을 보면 귀부한 元의 諸王들을 제주도

에 보내어 머물게 하면서 이 때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었던 것이다

安南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1년(1378) 정월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安南國에 파견하여 국왕 陳煓의 喪을 조문하였다 당시 안남국

왕 陳煓이 죽었는데 그의 동생 陳煒가 사신 陳建璨阮士諤을 명에 보

내어 안남국왕이 죽었음을 알려오자 이미 서로 교류가 있던 차였기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안남에 파견하여 문상하도록 하고 비단도 함께 보

내었던 것이다46)

書賜其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其間有高麗流寓者百六十餘人 朕念其人豈無鄕里骨肉之思 故令有

司遣使護送東歸rdquo

43) 洪武時期에 명과 고려 사이에 여러 차례 사절의 왕래가 있었다 홍무 2년

(1369) 4月부터 홍무 29년(1396) 6月까지 모두 22차례에 걸쳐 사신이 고려와

조선에 파견되었는데 사신의 이름이 파악된 사람이 43명(환관 25인 문신 11

인 무관 7인)이다 그중 정사로 고려조선에 출사한 사람이 21명인데 그 중

환관이 11인이고 문관이 4인이며 무관이 6인이다 이를 보면 많은 환관이 사

신으로서 고려조선에 파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환관은 대개 고려나 조

선 출신의 환관이었다 고려 조선 출신 25명의 환관 중 金丽渊黄永奇金仁

甫崔渊 등은 유명한 환관이다(李新峰 明前期赴朝鲜使臣丛考 明清论丛 第4辑 紫禁城出版社2003 참고)

44) 高麗史 卷132 恭愍王 己酉 18年 6月 丙寅條 ldquo皇帝遣宦者金麗淵致書rdquo 이

기사에는 이 때 귀환한 자가 165인으로 기록되어 있다

45) 太祖實錄 卷196 洪武 22年 4月 甲寅條 ldquo詔故元諸王來降者俾居耽羅國 且遣

中使往諭其國 爲造廬舍處之rdquo

46) 太祖實錄 卷117 洪武 11年 正月 ldquo是月 安南陳煓弟煒遣其臣陳建璨阮士諤來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7琉球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6년(1383) 정월 태조는 內使監 监

丞 梁民과 尚佩监 奉御 路謙 등을 琉球에 파견하여 中山王 察度에게

鍍金銀印과 고급비단을 하사한 일이 있다47) 같은 해 9월 琉球에서 내

란이 발생하였을 때에 태조는 监丞 梁玟을 보내어 전쟁을 중단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당시 中山王 山南王 山北王이 서로 자웅

을 겨루며 싸우고 있었는데 이때 내사감승 梁民에게 칙서를 보내어

싸움을 그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칙유를 보내었던 것이며 이들 모두

태조의 칙유를 받아들였던 것이다48)

眞臘國(캄보디아) 暹羅斛國(태국)에도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사무를 보게 하였다 홍무19년(1386) 9월에 行人 劉敏 唐敬 등을 환관

들과 함께 眞臘國에 보내었는데 이 때 磁器를 가지고 가서 하사토록

했고49) 홍무 28년(1395) 12월에는 환관 趙達과 朱福 등을 暹羅斛國(태

국)에 보내어 사망한 왕 參烈寶毘嗯哩哆嗦祿을 조문하고 후사인 蘇門

邦 昭祿群膺에게 비단과 모직물을 하사하였던 것이다50)

이상의 예들은 환관이 이미 태조시기에 황제의 명을 받고 외국의

사신으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수행한 사례들이다

태조가 환관을 변경 지역에 파견한 사실도 여러 곳에 보이고 있다

告煓卒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遣中使陳能至其國弔祭rdquo 國榷 卷6 洪武 11년 正月 ldquo是月 安南

陳煓弟煒遣使告哀 命中使陳能弔祭rdquo

47) 太祖實錄 卷151 洪武 16年 正月 丁未條

48) 明史 卷323 琉球傳 ldquo時二王與山北王爭雄 互相攻伐 命내內使監丞梁玟賜

之勅 令罷兵息民 三王并奉命rdquo 당시 琉球는 中山王(察度) 山南王(承察度) 山北

王(帕尼芝) 등 3세력이 대립하고 있었다

49) 太祖實錄 卷179 洪武 19年 9月 癸未條 ldquo遣行人劉敏唐敬偕內使賚磁器往賜

眞臘等國rdquo

50) 太祖實錄 卷243 洪武 28年 12月 戊午條 ldquo詔遣內使 趙達 朱福等 使暹羅斛

國 祭故王參烈寶毘嗯哩哆嗦祿 賜嗣王蘇門邦昭祿群膺 文綺四疋羅四疋 氁絲布四

十疋rdquo 明史 卷324 暹羅傳에도 같은 내용이 보이고 있다 ldquo二十八年 昭禄群

膺遣使朝贡 且告父丧 命中官赵达等往祭 敕世子嗣王位 赐赉有加rdquo (昭祿群膺이

사신을 파견하여 조공하고 또 부친의 상을 고하였다 이에 환관 조달 등으로

하여금 섬라에 가서 조문하도록 하고 세자가 왕위를 이어받도록 하였으며 더

불어 하사품을 곁들였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8홍무 2년(1369) 4월 원 승상 納哈出에게 편지를 보내 通交를 요구할

때 內臣을 파견하여 우호를 증진하였다51)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태조가 붙잡힌 원나라의 평장 完者不花를 돌려보내는데 환관을 시켜

돌려보내었다52) 홍무 14년(1381) 12월에는 환관을 파견하여 乌蒙(지금

의 운남성의 昭通)乌撤(지금의 운남성의 镇雄귀주성의 威宁)의 여

러 추장들에게 조칙을 발하였다53) 홍무 29년(1396) 6월에는 중사(환

관)를 桂林 등지의 府市에 보내어 南丹 奉儀 등의 衛所의 둔전 군사

들에게 밭가는 소를 지급해 주도록 하였다54) 동년 10월에 安定衛의

酋长 塔孩虎都鲁가 명에 와서 말 40필을 공물로 바친 일이 있는데 안

정위의 추장이 공물을 바친 것은 태조가 行人 陳誠으로 하여금 그곳에

다시 安定衛를 세우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었으며 이때에

ldquo復命中使赍金币往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

五十兩rdquo이라 하여 환관을 보내어 추장에게 옷과 비단 및 금품을 하사

하였던 것이다55)

이상의 기록들을 보면 태조시기에 환관이 여러 차례 변경 지역에

파견되어 변경 지역의 중대 업무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환관에게 지방 군대를 감독하거나 때로 군을 지휘하는 특수

임무를 맡겼다 태조는 외지 변경 지역의 장수들을 엄격히 통제하지

51)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亥條 ldquo玆 因遣使通元君 道經營壘望 令人送

達 所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國榷 卷3 太祖洪武 2年 4月 乙亥

條 ldquo又諭元臣納哈出書曰將軍昔自江左辭還 不通問十五年矣 近聞戍守遼陽 士馬

强 玆因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52) 太祖實錄 卷120 洪武11年 10月條 ldquo山西邊將遣人送所獲故元平章完者不花至

京師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朕怒邊將以爲方遣使通好乃執其平章豈不失信於卿 今特遣內臣送之 抵

丞相營 宥之罪之放 遂之 卿自爲區處rdquo

53) 太祖實錄 卷140 洪武 14年 12月 辛未條 ldquo遣內臣 賚敕諭鳥蒙鳥撤諸酋長rdquo

54) 明史 卷205 廣西土司傳 ldquo帝命俱置屯田给耕 寻遣中使至桂林等府市牛给

南丹奉议诸卫军士rdquo

55) 太祖實錄 卷247 洪武 29年 10月 甲午條 ldquo安定卫酋长塔孩虎都鲁 來朝貢馬

四十疋 先是 上遣行人陈诚立撤里畏兀兒 爲安定卫錫 以印章 以塔孩虎都鲁等指

挥千百户 至是诚歸 塔孩虎都鲁随誠入贡上嘉其慕義 厚赉之 復命中使赍金币往

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五十兩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9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 때 황제의 이목으로서 환관을 활용하였던 것

이다

태조는 명왕조를 창건하기 이전 자신의 세력을 키워가는 과정에서

많은 부하들을 양자로 삼아 그들을 활용하였다 이들에게 여러 장수들

의 군대를 감독하게 함으로써 장수들의 배반을 사전에 막고 안전하게

통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태조가 처음 기병했을 때 많은 양자를 두

었는데 이들을 장수와 함께 여러 路를 지키도록 했다 이를 테면 周舍

를 鎭江에 道舍를 寧國에 馬兒를 婺州에 柴舍眞童을 處州에 金剛

奴를 衢州에 보내어 지키도록 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주원장의 양자들

이었다56) 양자를 심복으로 삼아 그들을 기용하여 군대를 감독하게 하

였던 것이다

이들에게 감군하는 권한을 허락한 것은 태조가 왕조를 창업하는 과

정에서 군권 장악이 최후 승자가 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고 생

각하여 취한 조처였던 것이다

그런데 왕조를 개창한 후에는 양자보다는 환관을 신임하고 그들을

군부대에 파견하였다 홍무 원년(1368) 9월에 北征에 힘쓴 將士들에게

음식을 베풀어 주면서 위로한 일이 있는데 이 때 환관 奉御를 北平에

파견하여 이 일을 담당하도록 하였다57) 홍무 9년(1376) 8월에는 환관

趙成을 군부대에 파견하여 그곳의 관리를 불러들였다 내용인즉 홍무

9년 西番의 多爾濟巴가 부락민을 이끌고 명에 귀순하여 오자 태조는

熊鼎을 岐寧衛 經歷으로 삼아 그곳을 다스리도록 하였다 웅정은 임지

에 도착한 후 귀순부대들이 거짓으로 항복했다는 것을 알고 그 사실

을 비밀리 조정에 보고하였다 태조는 그 소식을 듣고 먼저 웅정을 위

로한 후 환관 조성을 군부대에 보내어 웅정을 경사로 불러들였던 것

이다58)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환관 吳誠을 총병지휘 楊仲名에게

56) 明史 卷134 夏文輝傳 ldquo太祖初起 多蓄義子 及长命偕诸将分守诸路 周舍

守镇江 道舍守宁国 马兒守婺州 柴舍真童守处州 金刚奴守衢州 皆义子也rdquo

57) 太祖實錄 卷35 洪武 元年 9月 乙卯條 ldquo上遣中使奉御等官 至北平 犒北征將

士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0보내어 전반적인 계획과 책략을 살피도록 하였고59) 11월에는 總兵官

辰主指揮 楊仲名이 五開蠻의 반란을 평정하자 태조가 內臣 尙履奉御

呂玉을 楊仲名에게 보내어 그 군대를 검열하고 위로하게 하였다60) 홍

무 27년(1394)에는 환관을 陝西都指揮使司에게 보내어 將士들을 훈련

하게 하였고 魏國公 徐輝祖으로 하여금 섬서 연변지역을 다스리게 하

였다61)

이러한 예들은 환관이 감군으로서 군영에 파견되어 군정을 순시하

고 살피는 일을 한 사례들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태조는 환관이 군의 정황을 살피는 일 이상의 업무에는 참

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 점은 唐代의 환관들과 다른 점으로 당대

에는 환관의 감군이 정치참여로 나타났지만 태조는 환관이 국가중추

기관의 기밀을 획책하는 일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62) 그

렇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기능은 장차 환관의 위력이 점점 강해지는 결

과를 낳았음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셋째 태조는 환관을 각종 경제활동에도 참여시켰다

태조 때에 환관은 경제활동에도 빈번히 참여하였는데 최초의 예로

서는 홍무 8년(1375) 5월 태조가 환관 趙成을 河州에 보내어 거기서

말을 교역해 오도록 한 일이다 태조가 茶馬司를 설치 한 후 조정에서

는 西番에 말을 사들이는 교역장을 마련하였는데63) 서번은 본래 말의

58) 明通鑑 卷6 洪武 9年 8月條 이때에 옹정이 경사로 돌아가자 번인들이 반

란을 일으켰다고 한다

59)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0月 戊申條 ldquo遣內臣 吳誠詣總兵官指揮楊仲名行

營觀方略rdquo

60) 太祖實錄 卷121 洪武 11年 11月 庚午朔條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1

月 庚午條 ldquo五開蠻平 內臣 尙履奉御 呂玉勞指揮楊仲名rdquo 明通鑑 卷6 洪武12

年 11月條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61) 太祖實錄 卷234 洪武 27년 9月條

62) 田禾 明太祖嚴馭宦官試析 (社會科學戰線 1997-4期 1997) pp162-163

63) 茶马司는 洪武 5년1372)2月에 秦州에 처음 설치되었다 그 후 洪武 7년

(1374)다시 河州에 차마사를 설치하고 이어 또 洮州 등지에 차마사를 두었

다 이들은 四川 漢中 湖南 등지의 차와 서북 유목지역에서 나는 말을 교역하

는 임무를 띠고 있었는데 藏族지구의 말을 사들이는 일이 주된 일이었다 그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1산지였기 때문이었다 서번 사람들은 말을 가지고 와서 중국의 문물을

구입하여 갔다

그런데 서번인들의 생활용품과 중국의 용품과는 달랐고 명초에 지

폐인 보초가 발행 된 이후에는 번인들이 사용하는 화폐와 달라 말의

교역량이 줄어들게 되었다 태조는 이것을 염려하여 궁중 환관 趙成을

파견하여 말 교역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조성은 여러 종류의 비단과 사천 지방의 茶葉을 가지고 가서 말을

사오는 방책을 취하였다 조성의 노력으로 河州 수장은 서번 사람들을

위무하고 선대하면서 互市를 열었기에 점차 많은 말을 사들여 올 수

있었는데 이후 차마 무역은 점차 활발해졌던 것이다64)

또 홍무10년(1377) 3월 호부는 징세 업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곳이 178처나 있음을 알고 환관 국자감생 호부의 관원 등 각 부문에

서 각각 1명씩 차출하여 정밀 조사하기를 태조에게 주청하였다 세금

징수 업무를 담당하는 稅課司에서 할당한 세금이 제대로 걷히지 않자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환관과 국자감생들을 보내어 조사하도록 주청한

것이다 이때의 주청에 대하여 lsquo從之rsquo65)라 한 것을 보면 태조가 그것을

승인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환관이 징세 업무에도 간여하였음

을 보여주고 있는 좋은 사례인 것이다

그 외에도 홍무 16년(1383) 9월 태조는 內使 梁珉으로 하여금 돈을

가지고 琉球로 가서 말을 사들여 오도록 하였고66) 홍무 25년(1392) 3

월에는 尙膳太监 而聶과 司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소관

의 번족에게 보내어 거기서 말을 사들여오도록 하였다67) 이 때 서북

러므로 회족이 운거하고 있는 河州는 명대 茶馬互市의 중심지였다

6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5

65) 太祖實錄 卷111 洪武 10年 3月 甲申條 ldquo户部奏天下税课司局征商不如额者

一百七十八处 宜请遣中官国子生及部委官各一人往覈其實立爲定額從之rdquo

66) 太祖實錄 卷156 洪武 16年 9月 己未條 ldquo內官梁珉以貨幣往琉球易马還得马

九百八十三匹rdquo

67) 太祖實錄 卷217 洪武 25年 3月 己丑條 ldquo遣尙膳太监 而聶司禮太監 慶童

賚敕往諭陝西河州等衛所屬番族 令其輸馬 以茶給之rdquo 弇山堂別集 卷90 中官

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당시 尙膳太监 而聶과 司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2쪽의 번족으로부터 말을 사들이는 데는 중국차로서 대가를 지불하였

다 이 때 사들인 말이 10340여필에 이르고 교역한 차엽은 30여만 근

에 달하였다고 하며 구입한 말은 河南 山西 陝西의 衛所에 배치되었

던 것이다68)

넷째 환관을 민간 정보 수집요원으로 활용하였다

새로운 왕조가 성립되었다고 하지만 언제 어떻게 몽골족이 반격하

여 올지 모르고 또한 명조의 신 정권에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다시 왕조를 전복할지도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정보 수집을 중히 여기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

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錦衣衛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금의위를 운영하면서도 태조는 자신의 정권을 보전하기 위

해 환관에게 문무백관을 감시하는 권한을 맡겨 정보를 수집하였다 홍

무 12년(1379) 9월에 占城國 국왕 阿答阿者가 그 신하 陽須文旦을 파

견하여 황제에 올리는 상서와 함께 코끼리말방물 등을 진헌한 일

이 있었는데 중서성 신하는 이것을 제때에 보고하지 못하였으나 內臣

(환관)이 외출하였다가 그 사신을 만나 점성국 사신이 왔다는 정보를

얻어 그 사실을 태조에게 알렸다 태조는 환관의 정보 제공으로 곧바

로 점성국의 사신을 불러 접견할 수 있었는데 이 때 태조는 ldquo상하의

의사소통이 꽉 막히기가 여기까지 이르렀구나rdquo고 하며 탄식하며 중서

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번족에 보내어 말을 사들인 사실은 lsquo교역rsquo

이라는 경제 활동의 성격과 lsquo군마 구입과 배치rsquo라는 군사적 성격을 동시에 지

니고 있는 활동이기도 하다

68)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 ldquo尙膳太监 而聶等至河

州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於是得馬萬三千四十餘疋 以茶三十餘萬斤給之 諸族大悅 而聶遣使入奏

命以馬分给河南山西陕西卫所骑士rdquo이라 하여 교역된 마필과 차엽의 양이

언급되어 있고 당시 구매된 말이 어디로 배치되어 있는가 하는 내용이 더 언

급되어 있다 다만 같은 내용의 기사가 太祖實錄에는 洪武 25년 3月 기사로

弇山堂別集에는 2月 기사로 되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3성 관료들을 질책하자 승상 胡惟庸 汪廣洋 등 중서성의 신하들이 모

두 고개를 땅에 대고 사죄하였다고 한다69)

환관들은 황제의 이목이 되어 황제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황제와 환관들은 자연히 신뢰관계가 형성되었다 황제는

이러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환관에게 특별한 임무를 부여하였던 것

이다 특별한 임무란 황제가 직접 접할 수 없는 궁성 밖의 정세나 관

료의 동향을 알아내는 첩보 활동이었으며 京師의 禁軍도 그들의 감시

대상이었던 것이다

다섯째 환관은 친왕의 왕부에 특사로서 파견되기도 하였다 홍무 12

년(1279) 3월에 환관 陳京을 桂林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靖康王 朱守

謙에게 파견하여 황제의 유지를 전달하게 하였고 홍무 26년(1393) 2월

에 藍玉의 모반 사건이 일어났을 때 3월에 太原의 晉王 朱楓에게 사

람을 보내어 남옥의 모반 사건과 관련되어 있는 집안의 가정과 노비들

을 제거하고 재산을 몰수하라는 유지를 내렸는데 이때에 칙유를 가지

고 간 사람이 환관 而聶과 부마 梅殷였다70)

이를 보면 친왕들에게 유지를 전하는 데 환관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그렇기에 태조는祖訓錄에서

무릇 친왕이 과오를 저지르면 重한 경우 내사 감관으로 하여금 왕을

불러오게 하고 세 차례나 불러도 오지 않으면 다시 流官(황제가 임명한

관리)을 보내되 내관과 함께 동행을 하여 그를 경사로 불러들이도록 한

다71)

69) 太祖實錄 卷126 洪武 12年 9月 戊午條 ldquo占城國王 王阿答阿者遣其臣陽須文

旦進表及象馬方物中书省臣不以時奏 內臣因出外見其使者以聞 上亟召使者見之

嘆曰 壅蔽之害乃至此哉 因敕責省臣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丞相胡惟庸汪廣洋等 皆叩頭謝罪rdquo

70) 王德金 앞의 논문 朱元璋馭宦之析 pp41-42

71) 祖訓錄 法律 ldquo凡親王有過 重者 遣內使監官宣召 如三次不至 再遣流官 同監

官召之至京rdquo 태조가 창업군주로서 자손들에게 훈유를 내려 그것을 영구히 지

키도록 하기 위해 지은 책이 祖訓錄이다 太祖實錄 洪武 2年 4月 乙亥條에

ldquo詔中書編祖訓錄rdquo이라는 것을 보아 이때부터 편찬이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洪武 6年 5月에 완성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箴戒持守严祭祀谨出入慎

国政禮仪法律内令内官职制兵卫营缮供用 등 13 항목으로 되어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4

라고 규정함으로써 친왕이 문제가 있을 때에는 환관이 먼저 파견되었

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을 보면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들의 발호를 억제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정치적 현실에

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차마 무역의 담당

자로 호군 및 군대 감독자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

년 승상제가 폐지되면서 그들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

겠다 이로 인하여 환관의 권위는 점 점 높이지고 세력은 확대되어 갔

던 것이다

3 宦官數의 增大와 機構의 擴大

홍무 초년에는 태조가 환관을 통제했기에 당시의 환관들이 아직 자

금성 안에서 주로 복무했다고 한다면 그의 통치 중후기에는 환관들

이 궁궐 밖으로 나가 여러 임무를 띠고 초기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였다 태조는 이런 변화가 그렇게 나쁘다고 여기지 않았고 도리어

그들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도움이 된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리하여 태조시기에 환관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환관 기구도 확대

되어 갔다 홍무 2년 규정에는 내사감 봉어 60인 기타 각 각 사소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까지 합쳐 총수는 100명에 불과하였다72) 그러나

홍무 15년(1382)에는 환관 361인을 증설하였다73) 이것은 홍무 15년에

증가된 기록으로 당시 기존의 환관을 합치면 거의 수백 명의 환관이

있으며 태조 자신이 서문을 지었다 太祖實錄 28年 閏 9月 庚寅條에 의하면

이 때 祖訓錄을 거듭 정하여 皇明祖訓이라 명명하였다

72)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 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定置內

使監 奉御六十人 尙寶 一人 尙冠七人 尙衣 十人 尙佩九人 尙藥七人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東宮

後門 宮左宮右門 各設門正一人 副一人rdquo

73) 太祖實錄 卷149 洪武 15年 10月 丙戌條 ldquo增設內使三百六十一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5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명조는 수시로

주변 여러 나라에 엄인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사실로 홍무 24년(1391)에 태조는 환관 韓龍 黃禿蠻 등을

고려에 보내어 말 1만 필을 사오도록 하면서 閹人 200여명을 요구하였

다74) 그리고 安南國에서도 끊이지 않고 엄인들을 진공하였는데 매번

수십 명 씩 바쳤던 것이다75) 명조는 사방에 엄인을 요구하였는데 특

히 고려와 안남은 당시 엄인을 진공하는 주요 나라가 되었다76)

이리하여 환관의 수가 부단히 증가하였고 태조도 역시 환관을 심복

중의 심복으로 삼으면서 그들을 신뢰하고 있었다 이에 홍무 17년

(1384) 어느 날 대도독부 겸 국자감을 관할하고 있던 李文忠은 태조에

게 환관이 너무 많으니 그 숫자를 줄여할 것을 건의하였다

ldquo內臣이 너무 많습니다 마땅히 좀 줄이셔야 합니다rdquo라고 이문충이 건

의 하자 태조는 이를 듣고 대노 하여 ldquo자네가 나의 오른쪽 날개를 약화

시키려 하는데 그것은 무슨 의도인가 이것은 분명히 문객들이 시켰을

것이다rdquo라고 말하면서 결국 사람을 보내어 이문충의 문객을 전부 살해하

였다77)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일로 인하여 이문충은 병들어 죽게 되었는

데 이 때 이미 환관은 그 수가 적어서는 안 되는 대상이 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4) 太祖實錄 卷208 洪武 24年 3月 己丑條 ldquo詔於高麗市馬一萬疋 幷索閹人二百

人rdquo 高麗史 恭讓王 3년 辛未年條

75)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6

76) 환관의 공급원은 본래 宮刑에 처해진 죄인들이었지만 隋代 이후 궁형이 폐지

된 후부터는 ① 적의 포로 ② 외국으로부터의 進貢者 또는 변방 지역의 進獻

者 ③ 특별한 사정으로 궁형에 처해진 죄인 ④ 自宮者 곧 지원자 또는 부모의

명령으로 거세된 準自宮者 등이 있다

77) 弇山堂別集 卷20 史乘考誤 1 ldquo一日勸上内臣太多宜稍裁省 上大怒 謂若

欲弱吾羽翼何 意此必门客教之 因盡殺客 文忠驚悸得疾暴卒 上發悲 怒殺諸醫及

文忠侍者百人rdquo 이 기사는 어느 때의 기사인지 나와 있지 않아 잘 알 수 없으

나 이것은 李文忠(1339mdash1384)이 죽은 해에 발생한 사건이므로 洪武 17년

(1384)의 사건으로 볼 수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6환관의 기구 역시 확대되어 갔다 환관의 부서와 직무는 吳 원년

(1367)에 lsquo內史監rsquo이 설치된 이후 인원의 증대와 기구 관리를 위해 조

직이 신설 분리되어 가면서 확대되어 갔는데 홍무 17년(1384)에 9監

2庫 6局 체제가 되었다78) 이것은 명대 환관의 기구인 24아문(12감 4

사 8국)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어 홍무 28년(1395)에 11감 4사 9국으로

정비되어 24아문의 기구가 거의 완비되었던 것이다79) 홍무 30년(1397)

환관 조직은 12감8국4사의 24아문의 규모가 되었고 명왕조 환관

조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황종희가 말하고 있듯이 ldquo명조에 善治가

없었던 것은 태조가 재상을 폐지하면서부터이다 저 宮奴들이 재상의

정치가 땅에 떨어져 수습될 수 없음을 알고 여러 규칙과 조목을 세우

고 직무를 늘렸으며 생살권과 상벌권 등 재상으로부터 나오던 것이

이제 모두 환관들에게 돌아갔도다 (중략) 그러므로 궁노들이 재상처럼

된 것은 승상제를 폐지한 데서 온 커다란 과오이다rdquo80) 라고 하면서

환관의 발호는 재상의 폐지로 인한 것이며 이것은 명대 정치의 큰

폐단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로 재상 없는 군주 독재 지배체제에서 황제 한 사람에 의한 통치

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매일 황제 곁에 있는 환관

중 신뢰하는 환관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태조도 자신도 모르게 환관을 신뢰하고 그들을 중용을 하였으니 이념

적으로 ldquo내신은 정사에 관여하지 못한다rdquo 라는 규정을 내세우면서도

78)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九監은 内官监 神宫监 尚寶监 尚衣监 尚膳监 司

设监 司礼监 御马监 直殿监이고 二庫는 内承运库司鑰库이며 六局은 巾帽局

针工局 织染局 颜料局 司苑局 司牧局을 말한다

79) 위와 같음 十二監은 神宫监 尚寶监 孝陵神宮監 尚膳监 尚衣监 司设监 内官

监 司禮監 御马监 印綬監 直殿监이고 四司는 惜薪司 钟鼓司寶钞司 混堂司이

며 9局庫는 兵仗局 織染局 针工局 巾帽局 司苑局 酒醋麵局 內乘運庫 司鑰庫

內府供用庫인데 이것들은 후에 24아문으로 발전하였다

80) 黄宗羲 明夷待訪錄 置相 ldquo有明之无善治 自高皇帝罢丞相始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彼宫奴

者见宰相之政事坠地不收从而设为科条增其职掌 生杀予夺 出自宰相者 次

第而尽归焉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故使宫奴有宰相之实 则罢丞相之过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4: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2연구자의 필독서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목적은 본래 장개석의 국민

당 정부를 공격하기 위한 정치적 의도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학술적

차원에서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는 지적이 있기는 하나7) 명대 환관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그리고 명대 萬暦 연간(1573〜1620)

의 환관 劉若愚가 환관의 실상을 폭넓게 서술한 책으로 酌中志가 있

는데 이것은 명대 환관의 일반적인 생활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1980년대에 들어와 王春瑜杜婉言 양씨가 명대 환관 연구를 정력

적으로 수행하였다 그중 양씨가 함께 편저한 明代宦官與經濟史料初

探(1986년)8)은 명대 文集 奏疏 野史 筆記本 및 부분적으로 청대의

각 사료에서 환관의 경제 분야 관련의 사료를 뽑아 모아 놓은 자료로

이것은 환관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명대 환관 연구에 큰 자극을 주

었던 것이다 이어 王春瑜杜婉言 양씨가 공저한 明朝宦官(1989)9)은 명대 환관의 여러 기능 곧 정치 군사 경제 문화적 측면에 나타난

환관의 활동과 기능을 분석하여 놓았으며 명대 주요 환관도 소개하고

있는데 풍부한 사료를 동원하여 서술하고 있어 전체적 이해에 큰 도

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물들은 환관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에는 도움을 주고 있

으나 명조 전반기에 대해서는 부차적으로 언급되어 있기에 구체적 실

상을 이해하는 데는 자연 한계를 지니고 있다 할 수 있다10)

7) 王天有 有关明史地位的四個问题 (明淸論叢 제7집 2006) p7

8) 王春瑜杜婉言編著 明代宦官與經濟史料初探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86)

9)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紫禁城出版社 1989) 이 책은 다시 수정 증보하

여 2007년 1월에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간행으로 재 출판되었다 여기

에는 기존 환관 傳記에다 45명의 전기를 추가하여 넣었으며 부록으로 杜婉言

의 청대 환관을 소개하고 있어 내용이 더욱 풍성하여졌다

10) 환관에 관한 저서로서는 이 외에 杜婉言杜子明 編譯 中國歷代太監傳 (國際文化出版公司 1992) 李慕南 张林 李丽丽 主编 历代宦官 (河南大学出

版省出版 1998) 凌枫编世界文化第一大迷 -从神秘阉割到双姓同体 (汕头大学

出版社 2001) 卫建林 明代宦官政治 (花山文艺出版社 2001) Shih-shan

Henry Tsai Eunuchs in the Ming Dynast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5 Edward L Dreyer Zheng He China and the Oceans in theEarly Ming Dynasty 1405-1433 Longman 2006 등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3그렇다고 명초 환관에 대한 연구가 없는 것은 아니다 최근 1990년

후반과 2000년대에 들어와 명초 환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역사상 명대 전제정치 체제 내의 정치 무대에서 환관들이 정치 경제

군사 외교 문화 등의 여러 방면에서에서 심각한 영향을 미쳐 왔고 끝

내는 왕조를 명조 멸망으로까지 끌고 왔는데 그것의 기점을 태조와

영락제에 두면서 명초의 환관 연구가 크게 주목되었다 이를테면 田禾

의 明太祖嚴馭宦官試析 -兼及朱元璋的評價問題 11)는 태조가 행정 감

찰 군사 등 3대 영역에서 상호 견제하는 조처를 취하였으나 환관관리

의 측면은 단지 lsquo使之畏法 不使有功rsquo에만 급급하였을 뿐 이에 대한 견

제 기구가 결여 되었으며 후계자들은 도리어 태조의 유칙을 지키지

않았기 때문에 결국은 환관의 전횡이 이루어지게 되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王德金은 朱元璋馭宦之析 12)에서 명대 환관 정권의 맹아는 주

원장의 승상제 폐지에 있음을 지적하였고 施洪道 朱元璋政策失誤和

明朝宦官專權 13)은 명조 환관이 전권을 지니게 된 것은 태조의 功臣

殺戮 제왕분봉책 승상제도 폐지 등에 그 원인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喬海燕 自禁之自紊之 -朱元璋委政宦官之實 (濰坊學院學報 2005

-1)14)은 환관이 정치에 간여하는 것을 엄금하는 일과 환관에 정치를

위임하는 일은 모순하지 않은 일이며 환관에 정치 참여를 엄금함으로

써 내권을 방지하고 환관에게 정치를 위임함으로써 외환을 방지하려

하였으나 군주권 강화를 위한 승상제 폐지와 환관에 대한 신뢰가 결

국 환관의 권력과 권세를 강하게 만들었음을 언급하였다

이상의 견해를 종합하면 명태조가 환관 억제 정책을 썼으나 한편

그 시기에 환관이 세력을 펼 수 있는 요건이 배태하기 시작하였으며

명대 환관 전권의 계기는 태조의 승상제 폐지에 있음을 밝히고 있는

11) 田禾 明太祖嚴馭宦官試析 -兼及朱元璋的評價問題 (社會科學戰線 1997

-4)

12) 王德金 朱元璋馭宦之析 (天津師範大學學報 2001-6)13) 施洪道 朱元璋政策失誤和明朝宦官專權 (零陵師範高等專科學校學報 23

-4 2002)

14) 喬海燕 自禁之自紊之 -朱元璋委政宦官之實 (濰坊學院學報 2005-1)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4것이다

그렇다면 명초 환관 억제 정책에 대한 이념과 현실을 구체적으로

살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념과 현실의 모순이 영락제 이후 어떻

게 환관 세력의 증대로 나타났으며 그 추이는 어떠하였는가가 밝혀져

야 할 것이다 이것은 명 중기 이후 출현한 환관의 전횡 상품경제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弊政과 사회 모순 심화로 인한 각종 민란의 출현

등 명대 정치사회적 변화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

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명대 전기라 하지만 주로 太祖(洪武帝 1368-1398) 建

文帝(惠帝 1398-1402) 永樂帝(成祖 1402-1424)15) 洪熙帝(仁宗1424-

25)를 거쳐 宣德帝(宣宗 1425-1435) 때까지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 시기는 正統帝(英宗 1435-1449)의 재위기간에 권력을 전횡하여 土

木堡 變(1449)을 일으켰던 王振( -1449)의 출현 그리고 그 후 명조

중말기로 이어지는 成化帝(憲宗 1464년-1487년)-萬曆帝(神宗 1573-

1620)시기의 환관 발호 시대와는 구별되어진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Ⅱ 太祖의 宦官에 對한 理解와 政策

1 太祖의 宦官에 대한 理解

원조의 실정이 거듭되고 각처의 반란이 빈번하던 원말 동란기 鳳陽

빈농 출신의 朱元璋(1328-1398)은 郭子興이 이끄는 의병에 가담하여

그곳에서 혁혁한 공을 세워 차차 중국 역사무대로 나아가게 되었다

그는 李善長 徐達 尙遇春 등 능력 있는 인재와 劉基 宋濂 등 지략가

의 도움으로 점차 세력을 키워나가 최후로 鄱陽湖 전투(1363)에서 강

15) 영락제의 묘호는 처음 lsquo太宗rsquo으로 정하였으나 嘉靖 17년(1537)에 lsquo成祖rsquo로 개

정하였으며 이후 성조로 칭하고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5적 陳友諒을 물리치고 蘇州 지방을 근거로 하고 있던 張士誠을 멸하

고(1367) 천하를 얻어 마침내 1368년에 명나라를 세워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16) 그가 명 왕조를 세운 太祖 洪武帝(1368-1398)17)이다

새로 왕조를 창업한 주원장은 어렵게 얻은 천하를 유지하는 것이

그렇게 쉽지 않다는 것을 깊이 깨달았다 그리고 역대 왕조 흥망사의

역사를 거울로 삼아 국초부터 궁궐 내 환관의 폐해를 심각하게 인식

하였다

그렇기에 태조는 왕조를 개창한 이후 곧 바로 환관의 정치 간여를

금하는 조서를 발하였다 홍무 원년(1368) 4월 禁宦官预政典兵 이라

는 금령을 내렸는데 이에 대하여 청의 谷應泰가 지은 明史紀事本末

18)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4월 병진 일에 환관이 정치 사법 군사 등의 일에 간여하는 것을 금하

였다 태조는 시신들에게 이르기를 ldquo내가 사서에 기록되어 전해 오는 것

을 보니 한나라와 당나라의 말기에 환관은 모두 나라를 망하게 한 좀 벌

레였다 폐해가 많았으니 일찍이 이보다 더 한심한 때가 없었다 주역에

이르기를 나라를 열고 조정을 이어받을 때 소인은 쓰지 말라고 했다 궁

궐에서 환관이 하는 일은 다만 소제하고 심부름하는 일 뿐이다 어찌 정

치 사법 군사 등의 일에 간여하도록 해야 하는가 한당의 화 비록 환

관의 죄이기는 하나 역시 군주가 이를 총애하여 부렸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다 환관으로 하여금 정치에 간여하지 않도록 하여라 만약 그렇

게 한다면 비록 환관이 난을 일으키려 한다 하더라도 그것이 성공할 수

있겠는가19)

16) 全淳東 明王朝成立史硏究 (도서출판 개신 2000) pp103-107

17) 중국의 명청대는 一世一元 곧 한 황제가 하나의 연호를 채택하는 것이 관

행으로 되었기 때문에 황제를 호칭할 때 lsquo廟號rsquo로 부르기도 하고 lsquo年號rsquo를 사

용하여 부르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太祖 洪武帝를 호칭할 때에는 왕조를 창업

한 최초의 군주라는 개념을 살리기 위해 lsquo太祖rsquo라는 lsquo묘호rsquo를 사용하고 그 뒤를

이은 황제는 습관상 많이 부르고 있는 lsquo연호rsquo에 의한 칭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18) 1658년에 중국 청나라의 谷應泰가 지은 기사본말체의 역사서로 명조 일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이것은 明史보다 80년이나 앞선 중요한 사서로 모두

80권으로 되어 있다

19) 明史紀事本末 卷14 洪武 元年 4월 丙辰條 ldquo禁宦官预政典兵 上谓侍臣曰

吾见史传所书 汉唐末世 皆为宦官败蠹未尝不为之惋叹易稱 開國承家 小人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6

이것을 보면 태조는 한과 당의 멸망 원인이 환관의 폐해에 있다고

판단하고 아무리 환관의 폐해를 막으려 한다 해도 그렇게 쉽게 될 수

없음을 인식한 나머지 국초부터 환관을 억제하려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개국황제 주원장이 환관에 대해 내린 제1차 경고성 명령

이라 해석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과거 역사 가운데에서 환관의 폐해를 절감한 태조는 환관의 수와

직임을 제한하였다 이미 명왕조 성립 이전 吳王 원년(1367)에 lsquo內史監rsquo

이라는 환관기구를 두고 환관을 활용하였던 태조는 홍무 2년(1369) 8

월에 다시 환관의 직제를 정하였는데 이때에 환관의 수와 직임을 제

한하였다 그 내용이太祖實錄에 잘 나타나 있다

태조는 이부로 하여금 내시관제를 정하도록 하였다 이 때 이부에 이

르기를 ldquo짐이 lsquo周禮rsquo를 보니 환관의 수가 백 명도 채 되지 않았다 후세에

이르러 수천 명에 이르러 마침내 큰 환난을 불러 일으켰다 지금 아직 복

고 정책을 쓰지는 않지만 역시 잘못된 일이나 나쁜 일은 경미할 때 막아

서 더 이상 발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마땅한 일이다 이 환관들이 하는

일은 酒漿醯鹽을 나르고 복장을 관리하고 사당을 깨끗이 하는 일 등 사

소한 몇 가지에 불과하다 이제 짐도 이들이 하는 일이란 물건 나르거나

청소하는 일과 같은 사환이 하는 일에 그치도록 하고 다른 특별한 일을

맡기지 말아야 할 것이니 잘 숙고하도록 하라rdquo고 하였다20)

위의 기록을 보면 주례에는 환관이 100명도 채 안되었는데 후세에

수천 명이 되어 그 때마다 큰 환난을 가져왔다면서 환관의 수를 적게

하고 그들이 하는 일 또한 청소하고 짐 나르고 하는 단순한 허드렛일

만을 하게 함으로써 권세를 부리지 못하도록 하라는 것이었다

위에 인용한太祖實錄을 더 읽어 가보면

勿用 其在宫禁 止可使之供洒扫给使令而已 岂宜预政典兵 汉唐之祸 虽宦官之罪

亦人主宠爱之使然 向使宦官不得典兵预政 虽欲为乱 其可得乎rdquo 明通鑑에도

똑같은 내용이 보이고 있다

20)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諭之曰 朕觀周

禮 所記未及百人 後世至踰數千 卒爲大患 今雖未能復古 亦當爲防徵之計 此輩

所治 止於酒漿醯鹽司服守祧數事 今朕亦不過以備司令 非別有委任 可斟酌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7

侍臣들에게 일러 말하기를 환관들은 자고로 선량한 사람은 천 명 중에

한 두 사람 만날 정도이다 만약 그들을 耳目으로 쓴다면 耳目이 가리어

질 것이고 그들을 腹心으로 생각한다면 그 때부터 곧 내재된 화근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그들을 제어하는 방도는 항상 경계하고 삼가 하여 그들

로 하여금 법을 두렵게 여기도록 하고 功勞가 있도록 하면 안 된다 만

일 그들이 공로가 있으면 방자하게 되고 그들로 하여금 법을 두려워하게

하면 단속이 될 것이니 그렇게 되면 감히 그릇된 일을 저지를 수가 없을

것이다 이에 內使監을 두고 奉御 60인을 두었다21)

라고 하여 환관을 다스리는 방책은 항상 규율을 유지해서 법을 두렵게

여기도록 하고 공적이 있도록 하게 하면 안 된다는 것이다 공적이 있

으면 방자하게 되고 법을 두려워하게 하면 절제하며 절제하면 감히

비위를 저지를 수가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 때 더불어 환관의 수도

한정하여 두었다22)

태조는 환관의 품질도 비교적 낮게 정하였다 홍무 4년에 이부가 內

使監 품질을 정할 때에 내사감령은 정5품으로 정하였다 홍무 3년에

종3품이었던 내사감령이 그 이듬해에는 정 5품으로 강등된 것이다 이

에 따라서 다른 환관직도 전체적으로 이전보다 등급이 낮아졌던 것이

다23)

이때에 태조는 시신들에게 일러 말하기를

21) 위와 같음 ldquo又顧侍臣曰 此輩自古以來求其善良千百中不一二見 若用以爲耳目

卽 耳目蔽矣 以爲腹心卽腹心病矣 馭之之道 但 常戒勅 使之畏法 不可使之有功

有功則驕恣 畏法则检束 自不敢为非也 乃定置內使監 奉御六十人rdquo 이 때 과거

內史監을 內使監으로 개칭하였다

22) 이 때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에 나타나 있는 규정을 소개하

면 다음과 같다 ldquo定置內使監 定置内使监奉御六十人 尙寶一人 尚冠七人 尚衣

十人 尚佩九人 尚药七人 纪事二人 执膳四人 司脯二人 司香四人 太庙司香四人

涓潔二人 置尚酒 尚醋 尚面 尚染四局 局设正一人 副二人 置御马 御用二司 司

设正一人 副二人 内府库设大使一人 副使二人 内仓监设令一人 丞二人 及置东

宫典玺 典翰 典膳 典服 典药 典乘兵六局 局设局郎一人 丞一人 又置门官午门

东华门 西华门 玄武门 奉天门 左右顺门 左右红门 皇宫门 坤寧门 宫左门

宫右门 各设门正一人 副一人 东宫门官 春和门 東宮後門 宮左門 宮右門 各設門

正一人 副一人rdquo

23) 太祖實錄 卷63 洪武 4年 閏3月 乙丑條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8

옛날의 환관제도는 궁정에서 아침저녁으로 심부름을 하는 일 뿐이었

다 그런데 후한 鄧太后24)가 황후로써 천자를 대신하여 섭정할 때 公卿

과 접하지 않고 閹人을 常侍와 小黃門으로 삼아 그들을 통하여 명령하였

는데 이때부터 그들의 권력이 황제에 기울어 그 폐해가 심하여졌다 이

것은 마치 狐假虎威(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부리다)라는 말과 같이 왕의

위엄을 빌려 위세를 부리고 城狐社鼠(성곽에 사는 여우와 社壇에 사는

쥐)가 되어 황제 곁에서 간신노릇을 하였다 짐은 이들에게 궁궐에서만

일하도록 하였으니 어찌 권세를 힘입어 정사를 어지럽히는 일이 있겠는

가 내가 이것을 엄히 방지하도록 하였으니 犯法者에 대해서는 이를 질

책하여 제거함으로써 주위에 존재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履霜堅氷(서

리가 내리면 두꺼운 얼음이 얼게 된다)이라는 말이 있듯이 삼가 재앙이

나 화는 그것이 작을 때에 사전에 미리 막아야 한다는 가르침을 잊어서

는 안 되느라25)

고 하면서 환관을 명초부터 엄히 경계하여 다루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태조는 환관이 정사에 간여하는 일이 있을 때 그를 가차 없이 제거

하기도 하였다 홍무 10년(1377)에 이런 일이 있었다 오랫동안 곁에서

태조를 모시던 한 환관이 있었다 그는 부지런히 근신하며 태조를 성

실히 모셔왔다 하루는 그 환관이 침착한 태도로 정사를 언급하자 태

조는 바로 그를 파면시켜 고향으로 돌려보냈으며 평생 그를 다시 부르

지 않았다 明太祖寶训에어느 한 내시가 오래도록 내정의 일을 맡아서 봉사하여 왔는데 그가

차분히 정사에 대하여 언급하자 태조는 곧 바로 질책하여 免官하고 귀향

24) 후한 和帝(88-106)의 태후로서 105년에 후한 和帝가 죽자 등태후는 민가에

보내어 기르던 황자 劉隆을 데려다 그날 밤 즉위시켰다 그는 생후 100일밖에

되지 않는 殤帝(105-106)이다 그런데 그는 이듬해에 요절하고 말았다 그러자

등태후는 淸河王 劉慶의 아들로 13살 된 劉祜(유호)를 황제로 즉위시켰는데

이가 安帝(106-122)이다 이런 과정에서 등태후는 14년간 천자를 대신하여 수

렴청정을 하며 권력을 행사했다

25) 太祖實錄 卷63 洪武 4年 閏3月 乙丑條 ldquo上因謂侍臣曰 自古之宦竪 在宮禁

不通司晨昏供役使而已 汉邓太后 以女主稱制不接公卿乃以阉人为常侍小黄门

通命自此以来内侍权倾人主及其爲患 有如城狐社鼠 不可以去 朕谓此辈但

當服事宫禁 岂可假以权势纵其狂乱 吾所以防之极严 但犯法者 必斥去之 不令

在左右 戒履霜坚冰之意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9토록 했으며 종신토록 그를 다시 등용하지 않았다 26)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내용은 明通鑑에도 같은 내용이 언급되어 있으며 이를 더 읽

어 가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태조는 대신들에게 이르기를 ldquo환관들이 날마다 좌우에서 시중드는데

충성과 믿음이 적다면 그것은 황제의 마음을 굳어지게 한다 그것이 오

래되면 권위를 빌어 정사에 참여하게 되고 마침내 그것을 억제할 수가

없게 된다 자고로 이러한 환관들 가운데 난을 일으키는 자가 많았다 지

금 입법하여 환관에게 정치 관여를 불허하고 그들을 제거하는 것은 과

거의 실패를 교훈 삼아 장래에 같은 실패를 되풀이 하지 않도록 하려는

까닭이다rdquo27)

위의 훈계 내용을 보면 태조의 환관에 대한 엄연한 태도가 깃들어

있으며 ldquo群臣頓首稱善rdquo이라 하였으니 모든 신하들도 환관에 대한 황

제의 태도가 옳다면서 그 조처를 긍정하였던 것이다 파면된 환관이

오랫동안 성실히 군주를 시중들어 왔다고 생각한 탓인지 그를 살해하

지는 않았지만 종신토록 다시 그를 불러들이지 않음으로써 환관의 정

치 간섭이 얼마나 큰 과오인가 하는 것을 밝혔던 것이다 이것은 어디

까지나 후대의 환관을 경계시킨다는 목적이 깊게 깔려 있다고 생각된

26) 明太祖寶训 卷3 去讒佞 ldquo洪武十年五月 是月 有内侍以久事内廷 从容言及

政事 太祖即日斥遣还乡里 命终身不齿 遂谕群臣曰 自古贤明之君 凡有谋为 必

与公卿大夫谋诸朝廷 而断之于己 未闻近习嬖幸之人得与谋者 况阍寺之人 朝夕

在人君左右 出入起居之际 声音笑貌日接乎耳目 其小善小信 皆足以固结君心 而

便僻专忍 其本态也 苟一为所惑而不之省 将必假威福 窃权势 以干与政事 及其

久也 遂至于不可抑 由是而阶乱者 多矣 朕尝以是为鉴戒 故立法 寺人不过侍奉

洒扫 不许干预政事 今此宦者 虽事朕日久 不可姑息 决然去之 所以惩将来也 群

臣顿首称善rdquo

27) 明通鑑 卷6 太祖洪武 10年 5月條 ldquo有内侍以久侍内廷 从容言及政事 上(太

祖)即日斥遣歸命 终身不齿 諭諸臣曰 此辈日在左右 其小忠小信 足以固结君心

及其久也 假窃威权 以干政事 遂至于不可抑 自古以此辈乱者多矣 今立法不许寺

人干预朝政 决去之 所以惩将来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0이상 일련의 사료들은 태조 주원장이 전대에 환관전권으로 말미암

은 폐해가 얼마나 심각하였는가를 깊이 인식하고 이에 대한 경계를 강

하게 하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2 太祖의 宦官 統制

천하를 얻어 다스리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깊이 깨달은 태조는

역대 흥망의 경험과 교훈을 거울로 삼아 환관의 폐해를 심각하게 인식

하면서 일련의 환관 억제 조치를 취하였다

홍무 5년(1372) 태조는 환관에 대해 금령을 반포하였다 궁정에서

모함 다툼 상해 등 환관의 비행 및 부도덕한 행동이 있을 때 그에

대하여 엄히 다스리는 벌칙을 규정하여 발표하였다

罵詈者(상호 욕하고 꾸짖는 자)는 태형 50대 봉어를 모욕하는 자 장

60대 문관이나 감관을 모독하는 자는 장 장 70 서로 싸우는 자 장 70이

대이며 상해를 입힌 자는 한 등급 더 높여 처벌하고 본관의 제재에 불복

하고 고집하는 자 장 80대 이며 구타하여 상해를 입힌 자는 한 등급 너

높여 처벌하고 봉어를 구타한자 장 80 문관 감관을 구타한 자 장 100대

로 하며 상해가 있으면 각각 한 등급을 더 가해 벌한다28)

이처럼 환관이 궁정에서 모함하거나 다투거나 상해를 입힐 경우 그

상황을 따져서 태형이나 장형으로 벌하는 내용을 규정하였다

그런데 이 사료를 더 읽어가 보면 능지처참이나 참수의 형까지 규

정하고 있고 잘 못이 있을 때 자수하기를 권장하면서 자수하는 환관

에 대하여는 도리어 상을 내리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28) 太祖實錄 卷74 洪武 5年 6月 丙子朔條 ldquo洪武五年六月 丙子朔 定宦官禁令

凡內使于宮城內 相罵詈者先發理屈笞五十 後罵理直者不坐不服本管鈐束而抵罵者

杖六十 內使罵奉御者杖六十 罵門官監官者杖七十 內使于宮城內相鬭毆者先鬭理屈杖七十 毆傷者加一等 後應理直而無傷者笞五十 不服本管鈐束而毆之者杖八十

毆傷者加一等 毆奉御者杖八十 毆門官監官者杖一百 傷者各加一 內使等有心懷

惡逆 出不道之言者 凌遲處死 有知情而蔽之者同罪 知其事而不首者斬 首者賞銀

三百兩rdquo 欽定續通典 卷108 刑2에도 같은 기록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1

內使等이 마음이 악하여 심하게 도리를 벗어나는 행동을 하고 도리에

어긋나는 말을 하는 환관들은 능지처참 시키고 사정을 알면서도 그것을

은폐하는 자 역시 똑 같이 능지처참할 것이며 사실을 알면서도 자수하지

않는 자는 참수할 것이며 대신 자수하는 자에게는 상금으로 은 3백량을

내릴 것이다29)

라 한 것이 그것이다

홍무 6년(1373)에는 환관 기구 중에 lsquo內正司rsquo라는 환관의 위법행위를

규찰하는 전문기구를 두었다30) 이것은 환관의 불법과 부도덕을 규찰

하는 기구로 司正(정7품) 司副(9종7품) 등의 관직을 두어 운영하였으

며 환관의 위법과 부도덕한 행동을 규찰하는 책임을 맡게 되었던 것

이다31)

동시에 환관은 외정의 직을 겸할 수 없고 외정 관료들과 교류할 수

없도록 하였다 홍무 10년(1377)에 태조는 ldquo환관은 외신 文武의 직을

겸할 수 없고 외신의 관복을 착용할 수 없으며 정치에 참여하거나 군

권 행사를 할 수 없다 관품은 4품을 넘을 수가 없고 매월 지급하는

봉록은 1석이며 내정 안에서 살림을 한다rdquo32)라고 정하였던 것이다

또한 환관이 문자를 터득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하여 환관에

게는 글을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였다 明史에 보면 初 太祖制 内臣

不许读书识字 33)라고만 되어 있어 이것을 제정한 시기가 언제인지 확

실히 알 수 없으나 명초의 것으로 태조는 초기부터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환관 전권을 더욱 방지하기 위하여 홍무 17년(1384)에 금령

29) 위와 같음

30) lsquo內正司rsquo는 후에 lsquo典禮司rsquo lsquo典禮稽察司rsquo로 개칭되었다

3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六年 hellip又考前代纠劾内官之法 置内正司

设司正一人 正七品司副一人从七品 专纠内官失仪及不法者 旋改为典禮司 又改

为典禮稽察司 升其品秩 司正升正六品 司副升从六品rdquo

32) 明史 卷304 宦官1 ldquo然定制 不得兼外臣文武衔 不得御外臣冠服 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衣食于内庭rdquo

33) 明史 卷304 宦官1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2을 발하였다 그 금령은 ldquo內臣不得干預政事 犯者斬rdquo이라 하여 lsquo환관으

로서 정사에 간여하는 사람은 참수형에 처한다rsquo는 것이다 약 석자 크

기의 鐵牌를 주조하여 거기에 이 lsquo11자rsquo를 새겨 궁문 앞에 세워 두었

다34) 철폐를 제조하여 궁문 앞에 세워두었다는 것은 가장 극렬한 환

관 통제 방책의 하나로 상징성이 가장 큰 통제 방법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이 규정은 환관들로 하여금 조정의 일에 간여할 수 없게 만들

었을 뿐 아니라 명초 환관의 권력을 중국 역사상 가장 밑바닥에 처하

게 만들었던 것이다

또한 환관은 공문서를 가지고 외정을 드나들 수 없게 하였으며35)

이러한 제한으로 인해 자연히 환관은 궁정에 있는 관료들과 사귀어 정

사를 어지럽힐 수 있는 기회를 갖기가 어려웠다

생각해 보면 신왕조를 창업한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들이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왕조 창업 후 심복으로서 환관들을 활용하

지 않을 수 없었다 그렇기에 태조는 환관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그들

의 세력을 제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던 것이다

그 주된 내용은 다음의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겠다

① 환관과 외신과의 쌍방에 의한 정보교환 문서 왕래를 금한다

② 환관은 조정 관리를 겸무하는 일과 외신의 관복을 착용하는 것을

금한다

③ 4품 이상의 품계에 오르는 것을 금한다

④ 환관의 봉급은 매월 백미 1석으로 하고 후궁 내에서 생활하며 지낸

⑤ 환관에게 글을 가르치는 것을 엄금한다

태조는 이상과 같이 환관의 세력이 성장하지 못하도록 갖가지 규제

를 강구하고 나아가 환관 규제를 위한 철패를 제조하여 궁문에 세워

34)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十七年 鑄铁牌文曰 内臣不得干预政事犯

者斩 置宮門 又勅諸司 毋得與內官監文移往來rdquo

35)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十七年hellip又勅諸司 毋得與內官監文移往來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3두었는데 이것은 태조의 환관 통제 정책 중 가장 대표적이고 상징적

인 징표가 되었다 하지만 한편 극단적인 제약이 도리어 환관이 신성

한 황제의 힘을 등지고 세력을 휘두르는 화근을 배태하였던 것이다

Ⅲ 國初 政治的 現實과 宦官 抑制의 限界

1 太祖期의 政治的 現實

한 당 시대의 환관 전권의 사실과 폐해를 잘 알고 극력 환관의 세

력을 억압하려는 태조 앞에 닥친 정치적 현실은 어떠하였는가

새로이 명왕조를 세운 태조는 먼저 관계의 기강문제에 지대한 관심

을 가지고 있었다 새로운 왕조가 수립되었어도 기강이 해이해지면 전

왕조에 있었던 것과 같은 부패가 官界에 그대로 만연하게 될 것이고

그로 인하여 민심이 흉흉할 수도 있는 일이다 그렇게 되면 그 자체가

혁명의 발생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고 나아가 태조가 창건한 왕조

자체도 혁명의 객체로 부상할 수밖에 없는 일이다

그러므로 태조는 기강 확립 권신들의 전횡 견제 관리의 부정부패

방지 민심 동요 등을 경계하면서 정치사회의 안정과 중앙집권적 전

제지배체제의 확립을 꾀하였다36)

현실적으로 원 왕조가 몽골고원으로 퇴각되었다고 하지만 그들은

여전히 상당한 세력을 보유하면서 언제 어떻게 명조에 반격을 가해 올

지 모르기 때문에 결코 방심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또한 국내에서도

명조 정권에 대하여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있고 명조에

협력하지 않고 음으로 몽골 세력을 지지하면서 농민출신의 태조 및 그

정권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우까지 있었다 또한 일단 명조 정권에 협

력하고 있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반드시 본심에서 우러난 것인지 확실

36) 全淳東 明王朝成立史硏究 pp194-204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4히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태조는 황제를 중심으로

하는 강력한 중앙집권적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

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

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금의위

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였다37)

금의위라는 특무기구는 본래 황제의 거동과 행렬을 시위하는 데 불

과였으나 이것이 특무 기관으로서 기능을 갖게 된 것은 호유용의 옥사

사건 이후 정보 수집과 감시체제를 강화할 때인 홍무 15년(1382년) 금

의위의 기구가 개혁된 결과이다 이후에 금의위는 정치상의 음모를 기

도하는 행위나 반체제적인 종교비밀 결사 등을 감시하는 기능을 가지

게 되었다 곧 금의위는 황제 행렬의 시위 외에 순찰을 돌면서 체포하

는 권한까지 지니게 되었던 것이다 이들은 정보를 수집하고 감시 적

발하며 사법권에까지 개입하였던 것이다38)

하지만 국초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

의 옥을 일으키며 시의심이 강하였던 주원장은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

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많은 사가들은 명사 환관 열전의 서문에 나타나 있는 ldquo盖明世宦官

出使专徵监军分镇刺臣民隐事诸大权皆自永乐间始rdquo(명대 환관

의 출사 징세 감군 분진 신민의 은밀한 일 정탐 등의 권리는 모두

영락 연간부터 시작되었다)39) 라는 기사라든지 明史 職官志에 나타

난 ldquo顾中官四出 实始永乐时 元年 李兴等赍敕劳暹罗国王 此奉使外国之

始也rdquo(돌이켜 보면 환관의 파견은 영락제 때에 처음 실시하였다 영락

37) 山根幸夫 明帝國の形成と發展 (ゆらぐ中華帝國 11 筑摩書房 1961)

pp41-42

38) 錦衣衛의 전신은 1367년에 설립된 拱衛司로서 대도독부에 예속되어 있었는

데 洪武 3년(1370) 親軍都尉府로 개칭하고 도독부로부터 독립하여 운영하였다

39) 明史 卷304 宦官1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5원년 이흥 등을 태국의 국왕에게 보내어 위로한 것이 환관을 외국에

보낸 것의 처음이다)40) 라는 기사를 인용하여 환관 중용의 책임이 영

락제에 있는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살펴보면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

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시 경제적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2 宦官 抑制의 限界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은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국초

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의 옥을 일으

키는 등 누구보다 시의심이 강하였던 태조는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

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심복인 환관들을 억

제하기보다는 그들을 측근으로 하여 저제군주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했다 그리하여 태조는 환관들과의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외부로 나가

는 출사 군대 감시 경제적인 활동 정보 수집 등의 일을 맡겼던 것이

첫째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관계를 원만히 하려 하였다41)

환관의 외국 출사의 예는 이미 홍무 2년에 보이고 있다 홍무 2년

(1369) 4월에 고려출신 환관 金丽渊을 고려에 파견하여 중국에 머물고

있는 高麗 流寓民 160여명을 고려에 돌려보낸 일이 있다 ldquo遣內臣 送

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書賜其王rdquo42)이라는 기사가 그것이다 이 기사

40)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41) 환관이 사신으로 나가는 경우는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외

국 사신으로 나가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변경 지역의 왕부나 주변 소수 민족

집단에 나가 황제의 명을 전하고 일을 처리하는 것이다

42)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丑朔 ldquo遣內臣 送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6를 더 읽어가 보면 그 때 중국인으로서 고려에 머물러 있는 유민들이

약 160여명이 있었는데 이 때 환관 金麗淵을 보내서 그들을 고려에

돌려보내었던 것이다43) 이 사실은 高麗史에도 ldquo己酉 18년 6월 丙寅

일에 황제가 환관 金麗淵을 파견하여 칙서를 전했다rdquo44)라고 하고 있어

당시 고려와 명과의 외교관계를 엿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명조의 환

관이 외교 사절단으로 나간 최초의 예라 할 수 있다

그리고 耽羅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는데 홍무 22년(1389) 4월 ldquo옛 원

나라의 제왕 중 명조에 귀부한 자는 탐라국에 거처하도록 하였으며

더욱이 그곳에 환관을 보내어 그들이 머물 집을 지어 주고 그곳에서

거처하도록 하였다rdquo45)라고 한 것을 보면 귀부한 元의 諸王들을 제주도

에 보내어 머물게 하면서 이 때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었던 것이다

安南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1년(1378) 정월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安南國에 파견하여 국왕 陳煓의 喪을 조문하였다 당시 안남국

왕 陳煓이 죽었는데 그의 동생 陳煒가 사신 陳建璨阮士諤을 명에 보

내어 안남국왕이 죽었음을 알려오자 이미 서로 교류가 있던 차였기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안남에 파견하여 문상하도록 하고 비단도 함께 보

내었던 것이다46)

書賜其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其間有高麗流寓者百六十餘人 朕念其人豈無鄕里骨肉之思 故令有

司遣使護送東歸rdquo

43) 洪武時期에 명과 고려 사이에 여러 차례 사절의 왕래가 있었다 홍무 2년

(1369) 4月부터 홍무 29년(1396) 6月까지 모두 22차례에 걸쳐 사신이 고려와

조선에 파견되었는데 사신의 이름이 파악된 사람이 43명(환관 25인 문신 11

인 무관 7인)이다 그중 정사로 고려조선에 출사한 사람이 21명인데 그 중

환관이 11인이고 문관이 4인이며 무관이 6인이다 이를 보면 많은 환관이 사

신으로서 고려조선에 파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환관은 대개 고려나 조

선 출신의 환관이었다 고려 조선 출신 25명의 환관 중 金丽渊黄永奇金仁

甫崔渊 등은 유명한 환관이다(李新峰 明前期赴朝鲜使臣丛考 明清论丛 第4辑 紫禁城出版社2003 참고)

44) 高麗史 卷132 恭愍王 己酉 18年 6月 丙寅條 ldquo皇帝遣宦者金麗淵致書rdquo 이

기사에는 이 때 귀환한 자가 165인으로 기록되어 있다

45) 太祖實錄 卷196 洪武 22年 4月 甲寅條 ldquo詔故元諸王來降者俾居耽羅國 且遣

中使往諭其國 爲造廬舍處之rdquo

46) 太祖實錄 卷117 洪武 11年 正月 ldquo是月 安南陳煓弟煒遣其臣陳建璨阮士諤來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7琉球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6년(1383) 정월 태조는 內使監 监

丞 梁民과 尚佩监 奉御 路謙 등을 琉球에 파견하여 中山王 察度에게

鍍金銀印과 고급비단을 하사한 일이 있다47) 같은 해 9월 琉球에서 내

란이 발생하였을 때에 태조는 监丞 梁玟을 보내어 전쟁을 중단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당시 中山王 山南王 山北王이 서로 자웅

을 겨루며 싸우고 있었는데 이때 내사감승 梁民에게 칙서를 보내어

싸움을 그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칙유를 보내었던 것이며 이들 모두

태조의 칙유를 받아들였던 것이다48)

眞臘國(캄보디아) 暹羅斛國(태국)에도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사무를 보게 하였다 홍무19년(1386) 9월에 行人 劉敏 唐敬 등을 환관

들과 함께 眞臘國에 보내었는데 이 때 磁器를 가지고 가서 하사토록

했고49) 홍무 28년(1395) 12월에는 환관 趙達과 朱福 등을 暹羅斛國(태

국)에 보내어 사망한 왕 參烈寶毘嗯哩哆嗦祿을 조문하고 후사인 蘇門

邦 昭祿群膺에게 비단과 모직물을 하사하였던 것이다50)

이상의 예들은 환관이 이미 태조시기에 황제의 명을 받고 외국의

사신으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수행한 사례들이다

태조가 환관을 변경 지역에 파견한 사실도 여러 곳에 보이고 있다

告煓卒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遣中使陳能至其國弔祭rdquo 國榷 卷6 洪武 11년 正月 ldquo是月 安南

陳煓弟煒遣使告哀 命中使陳能弔祭rdquo

47) 太祖實錄 卷151 洪武 16年 正月 丁未條

48) 明史 卷323 琉球傳 ldquo時二王與山北王爭雄 互相攻伐 命내內使監丞梁玟賜

之勅 令罷兵息民 三王并奉命rdquo 당시 琉球는 中山王(察度) 山南王(承察度) 山北

王(帕尼芝) 등 3세력이 대립하고 있었다

49) 太祖實錄 卷179 洪武 19年 9月 癸未條 ldquo遣行人劉敏唐敬偕內使賚磁器往賜

眞臘等國rdquo

50) 太祖實錄 卷243 洪武 28年 12月 戊午條 ldquo詔遣內使 趙達 朱福等 使暹羅斛

國 祭故王參烈寶毘嗯哩哆嗦祿 賜嗣王蘇門邦昭祿群膺 文綺四疋羅四疋 氁絲布四

十疋rdquo 明史 卷324 暹羅傳에도 같은 내용이 보이고 있다 ldquo二十八年 昭禄群

膺遣使朝贡 且告父丧 命中官赵达等往祭 敕世子嗣王位 赐赉有加rdquo (昭祿群膺이

사신을 파견하여 조공하고 또 부친의 상을 고하였다 이에 환관 조달 등으로

하여금 섬라에 가서 조문하도록 하고 세자가 왕위를 이어받도록 하였으며 더

불어 하사품을 곁들였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8홍무 2년(1369) 4월 원 승상 納哈出에게 편지를 보내 通交를 요구할

때 內臣을 파견하여 우호를 증진하였다51)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태조가 붙잡힌 원나라의 평장 完者不花를 돌려보내는데 환관을 시켜

돌려보내었다52) 홍무 14년(1381) 12월에는 환관을 파견하여 乌蒙(지금

의 운남성의 昭通)乌撤(지금의 운남성의 镇雄귀주성의 威宁)의 여

러 추장들에게 조칙을 발하였다53) 홍무 29년(1396) 6월에는 중사(환

관)를 桂林 등지의 府市에 보내어 南丹 奉儀 등의 衛所의 둔전 군사

들에게 밭가는 소를 지급해 주도록 하였다54) 동년 10월에 安定衛의

酋长 塔孩虎都鲁가 명에 와서 말 40필을 공물로 바친 일이 있는데 안

정위의 추장이 공물을 바친 것은 태조가 行人 陳誠으로 하여금 그곳에

다시 安定衛를 세우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었으며 이때에

ldquo復命中使赍金币往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

五十兩rdquo이라 하여 환관을 보내어 추장에게 옷과 비단 및 금품을 하사

하였던 것이다55)

이상의 기록들을 보면 태조시기에 환관이 여러 차례 변경 지역에

파견되어 변경 지역의 중대 업무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환관에게 지방 군대를 감독하거나 때로 군을 지휘하는 특수

임무를 맡겼다 태조는 외지 변경 지역의 장수들을 엄격히 통제하지

51)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亥條 ldquo玆 因遣使通元君 道經營壘望 令人送

達 所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國榷 卷3 太祖洪武 2年 4月 乙亥

條 ldquo又諭元臣納哈出書曰將軍昔自江左辭還 不通問十五年矣 近聞戍守遼陽 士馬

强 玆因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52) 太祖實錄 卷120 洪武11年 10月條 ldquo山西邊將遣人送所獲故元平章完者不花至

京師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朕怒邊將以爲方遣使通好乃執其平章豈不失信於卿 今特遣內臣送之 抵

丞相營 宥之罪之放 遂之 卿自爲區處rdquo

53) 太祖實錄 卷140 洪武 14年 12月 辛未條 ldquo遣內臣 賚敕諭鳥蒙鳥撤諸酋長rdquo

54) 明史 卷205 廣西土司傳 ldquo帝命俱置屯田给耕 寻遣中使至桂林等府市牛给

南丹奉议诸卫军士rdquo

55) 太祖實錄 卷247 洪武 29年 10月 甲午條 ldquo安定卫酋长塔孩虎都鲁 來朝貢馬

四十疋 先是 上遣行人陈诚立撤里畏兀兒 爲安定卫錫 以印章 以塔孩虎都鲁等指

挥千百户 至是诚歸 塔孩虎都鲁随誠入贡上嘉其慕義 厚赉之 復命中使赍金币往

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五十兩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9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 때 황제의 이목으로서 환관을 활용하였던 것

이다

태조는 명왕조를 창건하기 이전 자신의 세력을 키워가는 과정에서

많은 부하들을 양자로 삼아 그들을 활용하였다 이들에게 여러 장수들

의 군대를 감독하게 함으로써 장수들의 배반을 사전에 막고 안전하게

통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태조가 처음 기병했을 때 많은 양자를 두

었는데 이들을 장수와 함께 여러 路를 지키도록 했다 이를 테면 周舍

를 鎭江에 道舍를 寧國에 馬兒를 婺州에 柴舍眞童을 處州에 金剛

奴를 衢州에 보내어 지키도록 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주원장의 양자들

이었다56) 양자를 심복으로 삼아 그들을 기용하여 군대를 감독하게 하

였던 것이다

이들에게 감군하는 권한을 허락한 것은 태조가 왕조를 창업하는 과

정에서 군권 장악이 최후 승자가 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고 생

각하여 취한 조처였던 것이다

그런데 왕조를 개창한 후에는 양자보다는 환관을 신임하고 그들을

군부대에 파견하였다 홍무 원년(1368) 9월에 北征에 힘쓴 將士들에게

음식을 베풀어 주면서 위로한 일이 있는데 이 때 환관 奉御를 北平에

파견하여 이 일을 담당하도록 하였다57) 홍무 9년(1376) 8월에는 환관

趙成을 군부대에 파견하여 그곳의 관리를 불러들였다 내용인즉 홍무

9년 西番의 多爾濟巴가 부락민을 이끌고 명에 귀순하여 오자 태조는

熊鼎을 岐寧衛 經歷으로 삼아 그곳을 다스리도록 하였다 웅정은 임지

에 도착한 후 귀순부대들이 거짓으로 항복했다는 것을 알고 그 사실

을 비밀리 조정에 보고하였다 태조는 그 소식을 듣고 먼저 웅정을 위

로한 후 환관 조성을 군부대에 보내어 웅정을 경사로 불러들였던 것

이다58)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환관 吳誠을 총병지휘 楊仲名에게

56) 明史 卷134 夏文輝傳 ldquo太祖初起 多蓄義子 及长命偕诸将分守诸路 周舍

守镇江 道舍守宁国 马兒守婺州 柴舍真童守处州 金刚奴守衢州 皆义子也rdquo

57) 太祖實錄 卷35 洪武 元年 9月 乙卯條 ldquo上遣中使奉御等官 至北平 犒北征將

士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0보내어 전반적인 계획과 책략을 살피도록 하였고59) 11월에는 總兵官

辰主指揮 楊仲名이 五開蠻의 반란을 평정하자 태조가 內臣 尙履奉御

呂玉을 楊仲名에게 보내어 그 군대를 검열하고 위로하게 하였다60) 홍

무 27년(1394)에는 환관을 陝西都指揮使司에게 보내어 將士들을 훈련

하게 하였고 魏國公 徐輝祖으로 하여금 섬서 연변지역을 다스리게 하

였다61)

이러한 예들은 환관이 감군으로서 군영에 파견되어 군정을 순시하

고 살피는 일을 한 사례들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태조는 환관이 군의 정황을 살피는 일 이상의 업무에는 참

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 점은 唐代의 환관들과 다른 점으로 당대

에는 환관의 감군이 정치참여로 나타났지만 태조는 환관이 국가중추

기관의 기밀을 획책하는 일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62) 그

렇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기능은 장차 환관의 위력이 점점 강해지는 결

과를 낳았음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셋째 태조는 환관을 각종 경제활동에도 참여시켰다

태조 때에 환관은 경제활동에도 빈번히 참여하였는데 최초의 예로

서는 홍무 8년(1375) 5월 태조가 환관 趙成을 河州에 보내어 거기서

말을 교역해 오도록 한 일이다 태조가 茶馬司를 설치 한 후 조정에서

는 西番에 말을 사들이는 교역장을 마련하였는데63) 서번은 본래 말의

58) 明通鑑 卷6 洪武 9年 8月條 이때에 옹정이 경사로 돌아가자 번인들이 반

란을 일으켰다고 한다

59)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0月 戊申條 ldquo遣內臣 吳誠詣總兵官指揮楊仲名行

營觀方略rdquo

60) 太祖實錄 卷121 洪武 11年 11月 庚午朔條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1

月 庚午條 ldquo五開蠻平 內臣 尙履奉御 呂玉勞指揮楊仲名rdquo 明通鑑 卷6 洪武12

年 11月條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61) 太祖實錄 卷234 洪武 27년 9月條

62) 田禾 明太祖嚴馭宦官試析 (社會科學戰線 1997-4期 1997) pp162-163

63) 茶马司는 洪武 5년1372)2月에 秦州에 처음 설치되었다 그 후 洪武 7년

(1374)다시 河州에 차마사를 설치하고 이어 또 洮州 등지에 차마사를 두었

다 이들은 四川 漢中 湖南 등지의 차와 서북 유목지역에서 나는 말을 교역하

는 임무를 띠고 있었는데 藏族지구의 말을 사들이는 일이 주된 일이었다 그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1산지였기 때문이었다 서번 사람들은 말을 가지고 와서 중국의 문물을

구입하여 갔다

그런데 서번인들의 생활용품과 중국의 용품과는 달랐고 명초에 지

폐인 보초가 발행 된 이후에는 번인들이 사용하는 화폐와 달라 말의

교역량이 줄어들게 되었다 태조는 이것을 염려하여 궁중 환관 趙成을

파견하여 말 교역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조성은 여러 종류의 비단과 사천 지방의 茶葉을 가지고 가서 말을

사오는 방책을 취하였다 조성의 노력으로 河州 수장은 서번 사람들을

위무하고 선대하면서 互市를 열었기에 점차 많은 말을 사들여 올 수

있었는데 이후 차마 무역은 점차 활발해졌던 것이다64)

또 홍무10년(1377) 3월 호부는 징세 업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곳이 178처나 있음을 알고 환관 국자감생 호부의 관원 등 각 부문에

서 각각 1명씩 차출하여 정밀 조사하기를 태조에게 주청하였다 세금

징수 업무를 담당하는 稅課司에서 할당한 세금이 제대로 걷히지 않자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환관과 국자감생들을 보내어 조사하도록 주청한

것이다 이때의 주청에 대하여 lsquo從之rsquo65)라 한 것을 보면 태조가 그것을

승인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환관이 징세 업무에도 간여하였음

을 보여주고 있는 좋은 사례인 것이다

그 외에도 홍무 16년(1383) 9월 태조는 內使 梁珉으로 하여금 돈을

가지고 琉球로 가서 말을 사들여 오도록 하였고66) 홍무 25년(1392) 3

월에는 尙膳太监 而聶과 司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소관

의 번족에게 보내어 거기서 말을 사들여오도록 하였다67) 이 때 서북

러므로 회족이 운거하고 있는 河州는 명대 茶馬互市의 중심지였다

6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5

65) 太祖實錄 卷111 洪武 10年 3月 甲申條 ldquo户部奏天下税课司局征商不如额者

一百七十八处 宜请遣中官国子生及部委官各一人往覈其實立爲定額從之rdquo

66) 太祖實錄 卷156 洪武 16年 9月 己未條 ldquo內官梁珉以貨幣往琉球易马還得马

九百八十三匹rdquo

67) 太祖實錄 卷217 洪武 25年 3月 己丑條 ldquo遣尙膳太监 而聶司禮太監 慶童

賚敕往諭陝西河州等衛所屬番族 令其輸馬 以茶給之rdquo 弇山堂別集 卷90 中官

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당시 尙膳太监 而聶과 司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2쪽의 번족으로부터 말을 사들이는 데는 중국차로서 대가를 지불하였

다 이 때 사들인 말이 10340여필에 이르고 교역한 차엽은 30여만 근

에 달하였다고 하며 구입한 말은 河南 山西 陝西의 衛所에 배치되었

던 것이다68)

넷째 환관을 민간 정보 수집요원으로 활용하였다

새로운 왕조가 성립되었다고 하지만 언제 어떻게 몽골족이 반격하

여 올지 모르고 또한 명조의 신 정권에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다시 왕조를 전복할지도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정보 수집을 중히 여기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

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錦衣衛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금의위를 운영하면서도 태조는 자신의 정권을 보전하기 위

해 환관에게 문무백관을 감시하는 권한을 맡겨 정보를 수집하였다 홍

무 12년(1379) 9월에 占城國 국왕 阿答阿者가 그 신하 陽須文旦을 파

견하여 황제에 올리는 상서와 함께 코끼리말방물 등을 진헌한 일

이 있었는데 중서성 신하는 이것을 제때에 보고하지 못하였으나 內臣

(환관)이 외출하였다가 그 사신을 만나 점성국 사신이 왔다는 정보를

얻어 그 사실을 태조에게 알렸다 태조는 환관의 정보 제공으로 곧바

로 점성국의 사신을 불러 접견할 수 있었는데 이 때 태조는 ldquo상하의

의사소통이 꽉 막히기가 여기까지 이르렀구나rdquo고 하며 탄식하며 중서

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번족에 보내어 말을 사들인 사실은 lsquo교역rsquo

이라는 경제 활동의 성격과 lsquo군마 구입과 배치rsquo라는 군사적 성격을 동시에 지

니고 있는 활동이기도 하다

68)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 ldquo尙膳太监 而聶等至河

州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於是得馬萬三千四十餘疋 以茶三十餘萬斤給之 諸族大悅 而聶遣使入奏

命以馬分给河南山西陕西卫所骑士rdquo이라 하여 교역된 마필과 차엽의 양이

언급되어 있고 당시 구매된 말이 어디로 배치되어 있는가 하는 내용이 더 언

급되어 있다 다만 같은 내용의 기사가 太祖實錄에는 洪武 25년 3月 기사로

弇山堂別集에는 2月 기사로 되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3성 관료들을 질책하자 승상 胡惟庸 汪廣洋 등 중서성의 신하들이 모

두 고개를 땅에 대고 사죄하였다고 한다69)

환관들은 황제의 이목이 되어 황제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황제와 환관들은 자연히 신뢰관계가 형성되었다 황제는

이러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환관에게 특별한 임무를 부여하였던 것

이다 특별한 임무란 황제가 직접 접할 수 없는 궁성 밖의 정세나 관

료의 동향을 알아내는 첩보 활동이었으며 京師의 禁軍도 그들의 감시

대상이었던 것이다

다섯째 환관은 친왕의 왕부에 특사로서 파견되기도 하였다 홍무 12

년(1279) 3월에 환관 陳京을 桂林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靖康王 朱守

謙에게 파견하여 황제의 유지를 전달하게 하였고 홍무 26년(1393) 2월

에 藍玉의 모반 사건이 일어났을 때 3월에 太原의 晉王 朱楓에게 사

람을 보내어 남옥의 모반 사건과 관련되어 있는 집안의 가정과 노비들

을 제거하고 재산을 몰수하라는 유지를 내렸는데 이때에 칙유를 가지

고 간 사람이 환관 而聶과 부마 梅殷였다70)

이를 보면 친왕들에게 유지를 전하는 데 환관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그렇기에 태조는祖訓錄에서

무릇 친왕이 과오를 저지르면 重한 경우 내사 감관으로 하여금 왕을

불러오게 하고 세 차례나 불러도 오지 않으면 다시 流官(황제가 임명한

관리)을 보내되 내관과 함께 동행을 하여 그를 경사로 불러들이도록 한

다71)

69) 太祖實錄 卷126 洪武 12年 9月 戊午條 ldquo占城國王 王阿答阿者遣其臣陽須文

旦進表及象馬方物中书省臣不以時奏 內臣因出外見其使者以聞 上亟召使者見之

嘆曰 壅蔽之害乃至此哉 因敕責省臣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丞相胡惟庸汪廣洋等 皆叩頭謝罪rdquo

70) 王德金 앞의 논문 朱元璋馭宦之析 pp41-42

71) 祖訓錄 法律 ldquo凡親王有過 重者 遣內使監官宣召 如三次不至 再遣流官 同監

官召之至京rdquo 태조가 창업군주로서 자손들에게 훈유를 내려 그것을 영구히 지

키도록 하기 위해 지은 책이 祖訓錄이다 太祖實錄 洪武 2年 4月 乙亥條에

ldquo詔中書編祖訓錄rdquo이라는 것을 보아 이때부터 편찬이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洪武 6年 5月에 완성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箴戒持守严祭祀谨出入慎

国政禮仪法律内令内官职制兵卫营缮供用 등 13 항목으로 되어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4

라고 규정함으로써 친왕이 문제가 있을 때에는 환관이 먼저 파견되었

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을 보면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들의 발호를 억제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정치적 현실에

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차마 무역의 담당

자로 호군 및 군대 감독자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

년 승상제가 폐지되면서 그들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

겠다 이로 인하여 환관의 권위는 점 점 높이지고 세력은 확대되어 갔

던 것이다

3 宦官數의 增大와 機構의 擴大

홍무 초년에는 태조가 환관을 통제했기에 당시의 환관들이 아직 자

금성 안에서 주로 복무했다고 한다면 그의 통치 중후기에는 환관들

이 궁궐 밖으로 나가 여러 임무를 띠고 초기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였다 태조는 이런 변화가 그렇게 나쁘다고 여기지 않았고 도리어

그들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도움이 된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리하여 태조시기에 환관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환관 기구도 확대

되어 갔다 홍무 2년 규정에는 내사감 봉어 60인 기타 각 각 사소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까지 합쳐 총수는 100명에 불과하였다72) 그러나

홍무 15년(1382)에는 환관 361인을 증설하였다73) 이것은 홍무 15년에

증가된 기록으로 당시 기존의 환관을 합치면 거의 수백 명의 환관이

있으며 태조 자신이 서문을 지었다 太祖實錄 28年 閏 9月 庚寅條에 의하면

이 때 祖訓錄을 거듭 정하여 皇明祖訓이라 명명하였다

72)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 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定置內

使監 奉御六十人 尙寶 一人 尙冠七人 尙衣 十人 尙佩九人 尙藥七人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東宮

後門 宮左宮右門 各設門正一人 副一人rdquo

73) 太祖實錄 卷149 洪武 15年 10月 丙戌條 ldquo增設內使三百六十一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5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명조는 수시로

주변 여러 나라에 엄인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사실로 홍무 24년(1391)에 태조는 환관 韓龍 黃禿蠻 등을

고려에 보내어 말 1만 필을 사오도록 하면서 閹人 200여명을 요구하였

다74) 그리고 安南國에서도 끊이지 않고 엄인들을 진공하였는데 매번

수십 명 씩 바쳤던 것이다75) 명조는 사방에 엄인을 요구하였는데 특

히 고려와 안남은 당시 엄인을 진공하는 주요 나라가 되었다76)

이리하여 환관의 수가 부단히 증가하였고 태조도 역시 환관을 심복

중의 심복으로 삼으면서 그들을 신뢰하고 있었다 이에 홍무 17년

(1384) 어느 날 대도독부 겸 국자감을 관할하고 있던 李文忠은 태조에

게 환관이 너무 많으니 그 숫자를 줄여할 것을 건의하였다

ldquo內臣이 너무 많습니다 마땅히 좀 줄이셔야 합니다rdquo라고 이문충이 건

의 하자 태조는 이를 듣고 대노 하여 ldquo자네가 나의 오른쪽 날개를 약화

시키려 하는데 그것은 무슨 의도인가 이것은 분명히 문객들이 시켰을

것이다rdquo라고 말하면서 결국 사람을 보내어 이문충의 문객을 전부 살해하

였다77)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일로 인하여 이문충은 병들어 죽게 되었는

데 이 때 이미 환관은 그 수가 적어서는 안 되는 대상이 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4) 太祖實錄 卷208 洪武 24年 3月 己丑條 ldquo詔於高麗市馬一萬疋 幷索閹人二百

人rdquo 高麗史 恭讓王 3년 辛未年條

75)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6

76) 환관의 공급원은 본래 宮刑에 처해진 죄인들이었지만 隋代 이후 궁형이 폐지

된 후부터는 ① 적의 포로 ② 외국으로부터의 進貢者 또는 변방 지역의 進獻

者 ③ 특별한 사정으로 궁형에 처해진 죄인 ④ 自宮者 곧 지원자 또는 부모의

명령으로 거세된 準自宮者 등이 있다

77) 弇山堂別集 卷20 史乘考誤 1 ldquo一日勸上内臣太多宜稍裁省 上大怒 謂若

欲弱吾羽翼何 意此必门客教之 因盡殺客 文忠驚悸得疾暴卒 上發悲 怒殺諸醫及

文忠侍者百人rdquo 이 기사는 어느 때의 기사인지 나와 있지 않아 잘 알 수 없으

나 이것은 李文忠(1339mdash1384)이 죽은 해에 발생한 사건이므로 洪武 17년

(1384)의 사건으로 볼 수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6환관의 기구 역시 확대되어 갔다 환관의 부서와 직무는 吳 원년

(1367)에 lsquo內史監rsquo이 설치된 이후 인원의 증대와 기구 관리를 위해 조

직이 신설 분리되어 가면서 확대되어 갔는데 홍무 17년(1384)에 9監

2庫 6局 체제가 되었다78) 이것은 명대 환관의 기구인 24아문(12감 4

사 8국)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어 홍무 28년(1395)에 11감 4사 9국으로

정비되어 24아문의 기구가 거의 완비되었던 것이다79) 홍무 30년(1397)

환관 조직은 12감8국4사의 24아문의 규모가 되었고 명왕조 환관

조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황종희가 말하고 있듯이 ldquo명조에 善治가

없었던 것은 태조가 재상을 폐지하면서부터이다 저 宮奴들이 재상의

정치가 땅에 떨어져 수습될 수 없음을 알고 여러 규칙과 조목을 세우

고 직무를 늘렸으며 생살권과 상벌권 등 재상으로부터 나오던 것이

이제 모두 환관들에게 돌아갔도다 (중략) 그러므로 궁노들이 재상처럼

된 것은 승상제를 폐지한 데서 온 커다란 과오이다rdquo80) 라고 하면서

환관의 발호는 재상의 폐지로 인한 것이며 이것은 명대 정치의 큰

폐단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로 재상 없는 군주 독재 지배체제에서 황제 한 사람에 의한 통치

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매일 황제 곁에 있는 환관

중 신뢰하는 환관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태조도 자신도 모르게 환관을 신뢰하고 그들을 중용을 하였으니 이념

적으로 ldquo내신은 정사에 관여하지 못한다rdquo 라는 규정을 내세우면서도

78)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九監은 内官监 神宫监 尚寶监 尚衣监 尚膳监 司

设监 司礼监 御马监 直殿监이고 二庫는 内承运库司鑰库이며 六局은 巾帽局

针工局 织染局 颜料局 司苑局 司牧局을 말한다

79) 위와 같음 十二監은 神宫监 尚寶监 孝陵神宮監 尚膳监 尚衣监 司设监 内官

监 司禮監 御马监 印綬監 直殿监이고 四司는 惜薪司 钟鼓司寶钞司 混堂司이

며 9局庫는 兵仗局 織染局 针工局 巾帽局 司苑局 酒醋麵局 內乘運庫 司鑰庫

內府供用庫인데 이것들은 후에 24아문으로 발전하였다

80) 黄宗羲 明夷待訪錄 置相 ldquo有明之无善治 自高皇帝罢丞相始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彼宫奴

者见宰相之政事坠地不收从而设为科条增其职掌 生杀予夺 出自宰相者 次

第而尽归焉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故使宫奴有宰相之实 则罢丞相之过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5: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3그렇다고 명초 환관에 대한 연구가 없는 것은 아니다 최근 1990년

후반과 2000년대에 들어와 명초 환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역사상 명대 전제정치 체제 내의 정치 무대에서 환관들이 정치 경제

군사 외교 문화 등의 여러 방면에서에서 심각한 영향을 미쳐 왔고 끝

내는 왕조를 명조 멸망으로까지 끌고 왔는데 그것의 기점을 태조와

영락제에 두면서 명초의 환관 연구가 크게 주목되었다 이를테면 田禾

의 明太祖嚴馭宦官試析 -兼及朱元璋的評價問題 11)는 태조가 행정 감

찰 군사 등 3대 영역에서 상호 견제하는 조처를 취하였으나 환관관리

의 측면은 단지 lsquo使之畏法 不使有功rsquo에만 급급하였을 뿐 이에 대한 견

제 기구가 결여 되었으며 후계자들은 도리어 태조의 유칙을 지키지

않았기 때문에 결국은 환관의 전횡이 이루어지게 되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王德金은 朱元璋馭宦之析 12)에서 명대 환관 정권의 맹아는 주

원장의 승상제 폐지에 있음을 지적하였고 施洪道 朱元璋政策失誤和

明朝宦官專權 13)은 명조 환관이 전권을 지니게 된 것은 태조의 功臣

殺戮 제왕분봉책 승상제도 폐지 등에 그 원인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喬海燕 自禁之自紊之 -朱元璋委政宦官之實 (濰坊學院學報 2005

-1)14)은 환관이 정치에 간여하는 것을 엄금하는 일과 환관에 정치를

위임하는 일은 모순하지 않은 일이며 환관에 정치 참여를 엄금함으로

써 내권을 방지하고 환관에게 정치를 위임함으로써 외환을 방지하려

하였으나 군주권 강화를 위한 승상제 폐지와 환관에 대한 신뢰가 결

국 환관의 권력과 권세를 강하게 만들었음을 언급하였다

이상의 견해를 종합하면 명태조가 환관 억제 정책을 썼으나 한편

그 시기에 환관이 세력을 펼 수 있는 요건이 배태하기 시작하였으며

명대 환관 전권의 계기는 태조의 승상제 폐지에 있음을 밝히고 있는

11) 田禾 明太祖嚴馭宦官試析 -兼及朱元璋的評價問題 (社會科學戰線 1997

-4)

12) 王德金 朱元璋馭宦之析 (天津師範大學學報 2001-6)13) 施洪道 朱元璋政策失誤和明朝宦官專權 (零陵師範高等專科學校學報 23

-4 2002)

14) 喬海燕 自禁之自紊之 -朱元璋委政宦官之實 (濰坊學院學報 2005-1)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4것이다

그렇다면 명초 환관 억제 정책에 대한 이념과 현실을 구체적으로

살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념과 현실의 모순이 영락제 이후 어떻

게 환관 세력의 증대로 나타났으며 그 추이는 어떠하였는가가 밝혀져

야 할 것이다 이것은 명 중기 이후 출현한 환관의 전횡 상품경제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弊政과 사회 모순 심화로 인한 각종 민란의 출현

등 명대 정치사회적 변화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

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명대 전기라 하지만 주로 太祖(洪武帝 1368-1398) 建

文帝(惠帝 1398-1402) 永樂帝(成祖 1402-1424)15) 洪熙帝(仁宗1424-

25)를 거쳐 宣德帝(宣宗 1425-1435) 때까지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 시기는 正統帝(英宗 1435-1449)의 재위기간에 권력을 전횡하여 土

木堡 變(1449)을 일으켰던 王振( -1449)의 출현 그리고 그 후 명조

중말기로 이어지는 成化帝(憲宗 1464년-1487년)-萬曆帝(神宗 1573-

1620)시기의 환관 발호 시대와는 구별되어진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Ⅱ 太祖의 宦官에 對한 理解와 政策

1 太祖의 宦官에 대한 理解

원조의 실정이 거듭되고 각처의 반란이 빈번하던 원말 동란기 鳳陽

빈농 출신의 朱元璋(1328-1398)은 郭子興이 이끄는 의병에 가담하여

그곳에서 혁혁한 공을 세워 차차 중국 역사무대로 나아가게 되었다

그는 李善長 徐達 尙遇春 등 능력 있는 인재와 劉基 宋濂 등 지략가

의 도움으로 점차 세력을 키워나가 최후로 鄱陽湖 전투(1363)에서 강

15) 영락제의 묘호는 처음 lsquo太宗rsquo으로 정하였으나 嘉靖 17년(1537)에 lsquo成祖rsquo로 개

정하였으며 이후 성조로 칭하고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5적 陳友諒을 물리치고 蘇州 지방을 근거로 하고 있던 張士誠을 멸하

고(1367) 천하를 얻어 마침내 1368년에 명나라를 세워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16) 그가 명 왕조를 세운 太祖 洪武帝(1368-1398)17)이다

새로 왕조를 창업한 주원장은 어렵게 얻은 천하를 유지하는 것이

그렇게 쉽지 않다는 것을 깊이 깨달았다 그리고 역대 왕조 흥망사의

역사를 거울로 삼아 국초부터 궁궐 내 환관의 폐해를 심각하게 인식

하였다

그렇기에 태조는 왕조를 개창한 이후 곧 바로 환관의 정치 간여를

금하는 조서를 발하였다 홍무 원년(1368) 4월 禁宦官预政典兵 이라

는 금령을 내렸는데 이에 대하여 청의 谷應泰가 지은 明史紀事本末

18)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4월 병진 일에 환관이 정치 사법 군사 등의 일에 간여하는 것을 금하

였다 태조는 시신들에게 이르기를 ldquo내가 사서에 기록되어 전해 오는 것

을 보니 한나라와 당나라의 말기에 환관은 모두 나라를 망하게 한 좀 벌

레였다 폐해가 많았으니 일찍이 이보다 더 한심한 때가 없었다 주역에

이르기를 나라를 열고 조정을 이어받을 때 소인은 쓰지 말라고 했다 궁

궐에서 환관이 하는 일은 다만 소제하고 심부름하는 일 뿐이다 어찌 정

치 사법 군사 등의 일에 간여하도록 해야 하는가 한당의 화 비록 환

관의 죄이기는 하나 역시 군주가 이를 총애하여 부렸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다 환관으로 하여금 정치에 간여하지 않도록 하여라 만약 그렇

게 한다면 비록 환관이 난을 일으키려 한다 하더라도 그것이 성공할 수

있겠는가19)

16) 全淳東 明王朝成立史硏究 (도서출판 개신 2000) pp103-107

17) 중국의 명청대는 一世一元 곧 한 황제가 하나의 연호를 채택하는 것이 관

행으로 되었기 때문에 황제를 호칭할 때 lsquo廟號rsquo로 부르기도 하고 lsquo年號rsquo를 사

용하여 부르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太祖 洪武帝를 호칭할 때에는 왕조를 창업

한 최초의 군주라는 개념을 살리기 위해 lsquo太祖rsquo라는 lsquo묘호rsquo를 사용하고 그 뒤를

이은 황제는 습관상 많이 부르고 있는 lsquo연호rsquo에 의한 칭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18) 1658년에 중국 청나라의 谷應泰가 지은 기사본말체의 역사서로 명조 일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이것은 明史보다 80년이나 앞선 중요한 사서로 모두

80권으로 되어 있다

19) 明史紀事本末 卷14 洪武 元年 4월 丙辰條 ldquo禁宦官预政典兵 上谓侍臣曰

吾见史传所书 汉唐末世 皆为宦官败蠹未尝不为之惋叹易稱 開國承家 小人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6

이것을 보면 태조는 한과 당의 멸망 원인이 환관의 폐해에 있다고

판단하고 아무리 환관의 폐해를 막으려 한다 해도 그렇게 쉽게 될 수

없음을 인식한 나머지 국초부터 환관을 억제하려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개국황제 주원장이 환관에 대해 내린 제1차 경고성 명령

이라 해석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과거 역사 가운데에서 환관의 폐해를 절감한 태조는 환관의 수와

직임을 제한하였다 이미 명왕조 성립 이전 吳王 원년(1367)에 lsquo內史監rsquo

이라는 환관기구를 두고 환관을 활용하였던 태조는 홍무 2년(1369) 8

월에 다시 환관의 직제를 정하였는데 이때에 환관의 수와 직임을 제

한하였다 그 내용이太祖實錄에 잘 나타나 있다

태조는 이부로 하여금 내시관제를 정하도록 하였다 이 때 이부에 이

르기를 ldquo짐이 lsquo周禮rsquo를 보니 환관의 수가 백 명도 채 되지 않았다 후세에

이르러 수천 명에 이르러 마침내 큰 환난을 불러 일으켰다 지금 아직 복

고 정책을 쓰지는 않지만 역시 잘못된 일이나 나쁜 일은 경미할 때 막아

서 더 이상 발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마땅한 일이다 이 환관들이 하는

일은 酒漿醯鹽을 나르고 복장을 관리하고 사당을 깨끗이 하는 일 등 사

소한 몇 가지에 불과하다 이제 짐도 이들이 하는 일이란 물건 나르거나

청소하는 일과 같은 사환이 하는 일에 그치도록 하고 다른 특별한 일을

맡기지 말아야 할 것이니 잘 숙고하도록 하라rdquo고 하였다20)

위의 기록을 보면 주례에는 환관이 100명도 채 안되었는데 후세에

수천 명이 되어 그 때마다 큰 환난을 가져왔다면서 환관의 수를 적게

하고 그들이 하는 일 또한 청소하고 짐 나르고 하는 단순한 허드렛일

만을 하게 함으로써 권세를 부리지 못하도록 하라는 것이었다

위에 인용한太祖實錄을 더 읽어 가보면

勿用 其在宫禁 止可使之供洒扫给使令而已 岂宜预政典兵 汉唐之祸 虽宦官之罪

亦人主宠爱之使然 向使宦官不得典兵预政 虽欲为乱 其可得乎rdquo 明通鑑에도

똑같은 내용이 보이고 있다

20)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諭之曰 朕觀周

禮 所記未及百人 後世至踰數千 卒爲大患 今雖未能復古 亦當爲防徵之計 此輩

所治 止於酒漿醯鹽司服守祧數事 今朕亦不過以備司令 非別有委任 可斟酌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7

侍臣들에게 일러 말하기를 환관들은 자고로 선량한 사람은 천 명 중에

한 두 사람 만날 정도이다 만약 그들을 耳目으로 쓴다면 耳目이 가리어

질 것이고 그들을 腹心으로 생각한다면 그 때부터 곧 내재된 화근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그들을 제어하는 방도는 항상 경계하고 삼가 하여 그들

로 하여금 법을 두렵게 여기도록 하고 功勞가 있도록 하면 안 된다 만

일 그들이 공로가 있으면 방자하게 되고 그들로 하여금 법을 두려워하게

하면 단속이 될 것이니 그렇게 되면 감히 그릇된 일을 저지를 수가 없을

것이다 이에 內使監을 두고 奉御 60인을 두었다21)

라고 하여 환관을 다스리는 방책은 항상 규율을 유지해서 법을 두렵게

여기도록 하고 공적이 있도록 하게 하면 안 된다는 것이다 공적이 있

으면 방자하게 되고 법을 두려워하게 하면 절제하며 절제하면 감히

비위를 저지를 수가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 때 더불어 환관의 수도

한정하여 두었다22)

태조는 환관의 품질도 비교적 낮게 정하였다 홍무 4년에 이부가 內

使監 품질을 정할 때에 내사감령은 정5품으로 정하였다 홍무 3년에

종3품이었던 내사감령이 그 이듬해에는 정 5품으로 강등된 것이다 이

에 따라서 다른 환관직도 전체적으로 이전보다 등급이 낮아졌던 것이

다23)

이때에 태조는 시신들에게 일러 말하기를

21) 위와 같음 ldquo又顧侍臣曰 此輩自古以來求其善良千百中不一二見 若用以爲耳目

卽 耳目蔽矣 以爲腹心卽腹心病矣 馭之之道 但 常戒勅 使之畏法 不可使之有功

有功則驕恣 畏法则检束 自不敢为非也 乃定置內使監 奉御六十人rdquo 이 때 과거

內史監을 內使監으로 개칭하였다

22) 이 때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에 나타나 있는 규정을 소개하

면 다음과 같다 ldquo定置內使監 定置内使监奉御六十人 尙寶一人 尚冠七人 尚衣

十人 尚佩九人 尚药七人 纪事二人 执膳四人 司脯二人 司香四人 太庙司香四人

涓潔二人 置尚酒 尚醋 尚面 尚染四局 局设正一人 副二人 置御马 御用二司 司

设正一人 副二人 内府库设大使一人 副使二人 内仓监设令一人 丞二人 及置东

宫典玺 典翰 典膳 典服 典药 典乘兵六局 局设局郎一人 丞一人 又置门官午门

东华门 西华门 玄武门 奉天门 左右顺门 左右红门 皇宫门 坤寧门 宫左门

宫右门 各设门正一人 副一人 东宫门官 春和门 東宮後門 宮左門 宮右門 各設門

正一人 副一人rdquo

23) 太祖實錄 卷63 洪武 4年 閏3月 乙丑條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8

옛날의 환관제도는 궁정에서 아침저녁으로 심부름을 하는 일 뿐이었

다 그런데 후한 鄧太后24)가 황후로써 천자를 대신하여 섭정할 때 公卿

과 접하지 않고 閹人을 常侍와 小黃門으로 삼아 그들을 통하여 명령하였

는데 이때부터 그들의 권력이 황제에 기울어 그 폐해가 심하여졌다 이

것은 마치 狐假虎威(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부리다)라는 말과 같이 왕의

위엄을 빌려 위세를 부리고 城狐社鼠(성곽에 사는 여우와 社壇에 사는

쥐)가 되어 황제 곁에서 간신노릇을 하였다 짐은 이들에게 궁궐에서만

일하도록 하였으니 어찌 권세를 힘입어 정사를 어지럽히는 일이 있겠는

가 내가 이것을 엄히 방지하도록 하였으니 犯法者에 대해서는 이를 질

책하여 제거함으로써 주위에 존재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履霜堅氷(서

리가 내리면 두꺼운 얼음이 얼게 된다)이라는 말이 있듯이 삼가 재앙이

나 화는 그것이 작을 때에 사전에 미리 막아야 한다는 가르침을 잊어서

는 안 되느라25)

고 하면서 환관을 명초부터 엄히 경계하여 다루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태조는 환관이 정사에 간여하는 일이 있을 때 그를 가차 없이 제거

하기도 하였다 홍무 10년(1377)에 이런 일이 있었다 오랫동안 곁에서

태조를 모시던 한 환관이 있었다 그는 부지런히 근신하며 태조를 성

실히 모셔왔다 하루는 그 환관이 침착한 태도로 정사를 언급하자 태

조는 바로 그를 파면시켜 고향으로 돌려보냈으며 평생 그를 다시 부르

지 않았다 明太祖寶训에어느 한 내시가 오래도록 내정의 일을 맡아서 봉사하여 왔는데 그가

차분히 정사에 대하여 언급하자 태조는 곧 바로 질책하여 免官하고 귀향

24) 후한 和帝(88-106)의 태후로서 105년에 후한 和帝가 죽자 등태후는 민가에

보내어 기르던 황자 劉隆을 데려다 그날 밤 즉위시켰다 그는 생후 100일밖에

되지 않는 殤帝(105-106)이다 그런데 그는 이듬해에 요절하고 말았다 그러자

등태후는 淸河王 劉慶의 아들로 13살 된 劉祜(유호)를 황제로 즉위시켰는데

이가 安帝(106-122)이다 이런 과정에서 등태후는 14년간 천자를 대신하여 수

렴청정을 하며 권력을 행사했다

25) 太祖實錄 卷63 洪武 4年 閏3月 乙丑條 ldquo上因謂侍臣曰 自古之宦竪 在宮禁

不通司晨昏供役使而已 汉邓太后 以女主稱制不接公卿乃以阉人为常侍小黄门

通命自此以来内侍权倾人主及其爲患 有如城狐社鼠 不可以去 朕谓此辈但

當服事宫禁 岂可假以权势纵其狂乱 吾所以防之极严 但犯法者 必斥去之 不令

在左右 戒履霜坚冰之意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9토록 했으며 종신토록 그를 다시 등용하지 않았다 26)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내용은 明通鑑에도 같은 내용이 언급되어 있으며 이를 더 읽

어 가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태조는 대신들에게 이르기를 ldquo환관들이 날마다 좌우에서 시중드는데

충성과 믿음이 적다면 그것은 황제의 마음을 굳어지게 한다 그것이 오

래되면 권위를 빌어 정사에 참여하게 되고 마침내 그것을 억제할 수가

없게 된다 자고로 이러한 환관들 가운데 난을 일으키는 자가 많았다 지

금 입법하여 환관에게 정치 관여를 불허하고 그들을 제거하는 것은 과

거의 실패를 교훈 삼아 장래에 같은 실패를 되풀이 하지 않도록 하려는

까닭이다rdquo27)

위의 훈계 내용을 보면 태조의 환관에 대한 엄연한 태도가 깃들어

있으며 ldquo群臣頓首稱善rdquo이라 하였으니 모든 신하들도 환관에 대한 황

제의 태도가 옳다면서 그 조처를 긍정하였던 것이다 파면된 환관이

오랫동안 성실히 군주를 시중들어 왔다고 생각한 탓인지 그를 살해하

지는 않았지만 종신토록 다시 그를 불러들이지 않음으로써 환관의 정

치 간섭이 얼마나 큰 과오인가 하는 것을 밝혔던 것이다 이것은 어디

까지나 후대의 환관을 경계시킨다는 목적이 깊게 깔려 있다고 생각된

26) 明太祖寶训 卷3 去讒佞 ldquo洪武十年五月 是月 有内侍以久事内廷 从容言及

政事 太祖即日斥遣还乡里 命终身不齿 遂谕群臣曰 自古贤明之君 凡有谋为 必

与公卿大夫谋诸朝廷 而断之于己 未闻近习嬖幸之人得与谋者 况阍寺之人 朝夕

在人君左右 出入起居之际 声音笑貌日接乎耳目 其小善小信 皆足以固结君心 而

便僻专忍 其本态也 苟一为所惑而不之省 将必假威福 窃权势 以干与政事 及其

久也 遂至于不可抑 由是而阶乱者 多矣 朕尝以是为鉴戒 故立法 寺人不过侍奉

洒扫 不许干预政事 今此宦者 虽事朕日久 不可姑息 决然去之 所以惩将来也 群

臣顿首称善rdquo

27) 明通鑑 卷6 太祖洪武 10年 5月條 ldquo有内侍以久侍内廷 从容言及政事 上(太

祖)即日斥遣歸命 终身不齿 諭諸臣曰 此辈日在左右 其小忠小信 足以固结君心

及其久也 假窃威权 以干政事 遂至于不可抑 自古以此辈乱者多矣 今立法不许寺

人干预朝政 决去之 所以惩将来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0이상 일련의 사료들은 태조 주원장이 전대에 환관전권으로 말미암

은 폐해가 얼마나 심각하였는가를 깊이 인식하고 이에 대한 경계를 강

하게 하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2 太祖의 宦官 統制

천하를 얻어 다스리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깊이 깨달은 태조는

역대 흥망의 경험과 교훈을 거울로 삼아 환관의 폐해를 심각하게 인식

하면서 일련의 환관 억제 조치를 취하였다

홍무 5년(1372) 태조는 환관에 대해 금령을 반포하였다 궁정에서

모함 다툼 상해 등 환관의 비행 및 부도덕한 행동이 있을 때 그에

대하여 엄히 다스리는 벌칙을 규정하여 발표하였다

罵詈者(상호 욕하고 꾸짖는 자)는 태형 50대 봉어를 모욕하는 자 장

60대 문관이나 감관을 모독하는 자는 장 장 70 서로 싸우는 자 장 70이

대이며 상해를 입힌 자는 한 등급 더 높여 처벌하고 본관의 제재에 불복

하고 고집하는 자 장 80대 이며 구타하여 상해를 입힌 자는 한 등급 너

높여 처벌하고 봉어를 구타한자 장 80 문관 감관을 구타한 자 장 100대

로 하며 상해가 있으면 각각 한 등급을 더 가해 벌한다28)

이처럼 환관이 궁정에서 모함하거나 다투거나 상해를 입힐 경우 그

상황을 따져서 태형이나 장형으로 벌하는 내용을 규정하였다

그런데 이 사료를 더 읽어가 보면 능지처참이나 참수의 형까지 규

정하고 있고 잘 못이 있을 때 자수하기를 권장하면서 자수하는 환관

에 대하여는 도리어 상을 내리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28) 太祖實錄 卷74 洪武 5年 6月 丙子朔條 ldquo洪武五年六月 丙子朔 定宦官禁令

凡內使于宮城內 相罵詈者先發理屈笞五十 後罵理直者不坐不服本管鈐束而抵罵者

杖六十 內使罵奉御者杖六十 罵門官監官者杖七十 內使于宮城內相鬭毆者先鬭理屈杖七十 毆傷者加一等 後應理直而無傷者笞五十 不服本管鈐束而毆之者杖八十

毆傷者加一等 毆奉御者杖八十 毆門官監官者杖一百 傷者各加一 內使等有心懷

惡逆 出不道之言者 凌遲處死 有知情而蔽之者同罪 知其事而不首者斬 首者賞銀

三百兩rdquo 欽定續通典 卷108 刑2에도 같은 기록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1

內使等이 마음이 악하여 심하게 도리를 벗어나는 행동을 하고 도리에

어긋나는 말을 하는 환관들은 능지처참 시키고 사정을 알면서도 그것을

은폐하는 자 역시 똑 같이 능지처참할 것이며 사실을 알면서도 자수하지

않는 자는 참수할 것이며 대신 자수하는 자에게는 상금으로 은 3백량을

내릴 것이다29)

라 한 것이 그것이다

홍무 6년(1373)에는 환관 기구 중에 lsquo內正司rsquo라는 환관의 위법행위를

규찰하는 전문기구를 두었다30) 이것은 환관의 불법과 부도덕을 규찰

하는 기구로 司正(정7품) 司副(9종7품) 등의 관직을 두어 운영하였으

며 환관의 위법과 부도덕한 행동을 규찰하는 책임을 맡게 되었던 것

이다31)

동시에 환관은 외정의 직을 겸할 수 없고 외정 관료들과 교류할 수

없도록 하였다 홍무 10년(1377)에 태조는 ldquo환관은 외신 文武의 직을

겸할 수 없고 외신의 관복을 착용할 수 없으며 정치에 참여하거나 군

권 행사를 할 수 없다 관품은 4품을 넘을 수가 없고 매월 지급하는

봉록은 1석이며 내정 안에서 살림을 한다rdquo32)라고 정하였던 것이다

또한 환관이 문자를 터득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하여 환관에

게는 글을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였다 明史에 보면 初 太祖制 内臣

不许读书识字 33)라고만 되어 있어 이것을 제정한 시기가 언제인지 확

실히 알 수 없으나 명초의 것으로 태조는 초기부터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환관 전권을 더욱 방지하기 위하여 홍무 17년(1384)에 금령

29) 위와 같음

30) lsquo內正司rsquo는 후에 lsquo典禮司rsquo lsquo典禮稽察司rsquo로 개칭되었다

3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六年 hellip又考前代纠劾内官之法 置内正司

设司正一人 正七品司副一人从七品 专纠内官失仪及不法者 旋改为典禮司 又改

为典禮稽察司 升其品秩 司正升正六品 司副升从六品rdquo

32) 明史 卷304 宦官1 ldquo然定制 不得兼外臣文武衔 不得御外臣冠服 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衣食于内庭rdquo

33) 明史 卷304 宦官1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2을 발하였다 그 금령은 ldquo內臣不得干預政事 犯者斬rdquo이라 하여 lsquo환관으

로서 정사에 간여하는 사람은 참수형에 처한다rsquo는 것이다 약 석자 크

기의 鐵牌를 주조하여 거기에 이 lsquo11자rsquo를 새겨 궁문 앞에 세워 두었

다34) 철폐를 제조하여 궁문 앞에 세워두었다는 것은 가장 극렬한 환

관 통제 방책의 하나로 상징성이 가장 큰 통제 방법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이 규정은 환관들로 하여금 조정의 일에 간여할 수 없게 만들

었을 뿐 아니라 명초 환관의 권력을 중국 역사상 가장 밑바닥에 처하

게 만들었던 것이다

또한 환관은 공문서를 가지고 외정을 드나들 수 없게 하였으며35)

이러한 제한으로 인해 자연히 환관은 궁정에 있는 관료들과 사귀어 정

사를 어지럽힐 수 있는 기회를 갖기가 어려웠다

생각해 보면 신왕조를 창업한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들이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왕조 창업 후 심복으로서 환관들을 활용하

지 않을 수 없었다 그렇기에 태조는 환관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그들

의 세력을 제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던 것이다

그 주된 내용은 다음의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겠다

① 환관과 외신과의 쌍방에 의한 정보교환 문서 왕래를 금한다

② 환관은 조정 관리를 겸무하는 일과 외신의 관복을 착용하는 것을

금한다

③ 4품 이상의 품계에 오르는 것을 금한다

④ 환관의 봉급은 매월 백미 1석으로 하고 후궁 내에서 생활하며 지낸

⑤ 환관에게 글을 가르치는 것을 엄금한다

태조는 이상과 같이 환관의 세력이 성장하지 못하도록 갖가지 규제

를 강구하고 나아가 환관 규제를 위한 철패를 제조하여 궁문에 세워

34)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十七年 鑄铁牌文曰 内臣不得干预政事犯

者斩 置宮門 又勅諸司 毋得與內官監文移往來rdquo

35)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十七年hellip又勅諸司 毋得與內官監文移往來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3두었는데 이것은 태조의 환관 통제 정책 중 가장 대표적이고 상징적

인 징표가 되었다 하지만 한편 극단적인 제약이 도리어 환관이 신성

한 황제의 힘을 등지고 세력을 휘두르는 화근을 배태하였던 것이다

Ⅲ 國初 政治的 現實과 宦官 抑制의 限界

1 太祖期의 政治的 現實

한 당 시대의 환관 전권의 사실과 폐해를 잘 알고 극력 환관의 세

력을 억압하려는 태조 앞에 닥친 정치적 현실은 어떠하였는가

새로이 명왕조를 세운 태조는 먼저 관계의 기강문제에 지대한 관심

을 가지고 있었다 새로운 왕조가 수립되었어도 기강이 해이해지면 전

왕조에 있었던 것과 같은 부패가 官界에 그대로 만연하게 될 것이고

그로 인하여 민심이 흉흉할 수도 있는 일이다 그렇게 되면 그 자체가

혁명의 발생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고 나아가 태조가 창건한 왕조

자체도 혁명의 객체로 부상할 수밖에 없는 일이다

그러므로 태조는 기강 확립 권신들의 전횡 견제 관리의 부정부패

방지 민심 동요 등을 경계하면서 정치사회의 안정과 중앙집권적 전

제지배체제의 확립을 꾀하였다36)

현실적으로 원 왕조가 몽골고원으로 퇴각되었다고 하지만 그들은

여전히 상당한 세력을 보유하면서 언제 어떻게 명조에 반격을 가해 올

지 모르기 때문에 결코 방심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또한 국내에서도

명조 정권에 대하여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있고 명조에

협력하지 않고 음으로 몽골 세력을 지지하면서 농민출신의 태조 및 그

정권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우까지 있었다 또한 일단 명조 정권에 협

력하고 있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반드시 본심에서 우러난 것인지 확실

36) 全淳東 明王朝成立史硏究 pp194-204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4히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태조는 황제를 중심으로

하는 강력한 중앙집권적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

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

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금의위

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였다37)

금의위라는 특무기구는 본래 황제의 거동과 행렬을 시위하는 데 불

과였으나 이것이 특무 기관으로서 기능을 갖게 된 것은 호유용의 옥사

사건 이후 정보 수집과 감시체제를 강화할 때인 홍무 15년(1382년) 금

의위의 기구가 개혁된 결과이다 이후에 금의위는 정치상의 음모를 기

도하는 행위나 반체제적인 종교비밀 결사 등을 감시하는 기능을 가지

게 되었다 곧 금의위는 황제 행렬의 시위 외에 순찰을 돌면서 체포하

는 권한까지 지니게 되었던 것이다 이들은 정보를 수집하고 감시 적

발하며 사법권에까지 개입하였던 것이다38)

하지만 국초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

의 옥을 일으키며 시의심이 강하였던 주원장은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

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많은 사가들은 명사 환관 열전의 서문에 나타나 있는 ldquo盖明世宦官

出使专徵监军分镇刺臣民隐事诸大权皆自永乐间始rdquo(명대 환관

의 출사 징세 감군 분진 신민의 은밀한 일 정탐 등의 권리는 모두

영락 연간부터 시작되었다)39) 라는 기사라든지 明史 職官志에 나타

난 ldquo顾中官四出 实始永乐时 元年 李兴等赍敕劳暹罗国王 此奉使外国之

始也rdquo(돌이켜 보면 환관의 파견은 영락제 때에 처음 실시하였다 영락

37) 山根幸夫 明帝國の形成と發展 (ゆらぐ中華帝國 11 筑摩書房 1961)

pp41-42

38) 錦衣衛의 전신은 1367년에 설립된 拱衛司로서 대도독부에 예속되어 있었는

데 洪武 3년(1370) 親軍都尉府로 개칭하고 도독부로부터 독립하여 운영하였다

39) 明史 卷304 宦官1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5원년 이흥 등을 태국의 국왕에게 보내어 위로한 것이 환관을 외국에

보낸 것의 처음이다)40) 라는 기사를 인용하여 환관 중용의 책임이 영

락제에 있는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살펴보면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

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시 경제적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2 宦官 抑制의 限界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은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국초

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의 옥을 일으

키는 등 누구보다 시의심이 강하였던 태조는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

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심복인 환관들을 억

제하기보다는 그들을 측근으로 하여 저제군주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했다 그리하여 태조는 환관들과의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외부로 나가

는 출사 군대 감시 경제적인 활동 정보 수집 등의 일을 맡겼던 것이

첫째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관계를 원만히 하려 하였다41)

환관의 외국 출사의 예는 이미 홍무 2년에 보이고 있다 홍무 2년

(1369) 4월에 고려출신 환관 金丽渊을 고려에 파견하여 중국에 머물고

있는 高麗 流寓民 160여명을 고려에 돌려보낸 일이 있다 ldquo遣內臣 送

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書賜其王rdquo42)이라는 기사가 그것이다 이 기사

40)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41) 환관이 사신으로 나가는 경우는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외

국 사신으로 나가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변경 지역의 왕부나 주변 소수 민족

집단에 나가 황제의 명을 전하고 일을 처리하는 것이다

42)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丑朔 ldquo遣內臣 送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6를 더 읽어가 보면 그 때 중국인으로서 고려에 머물러 있는 유민들이

약 160여명이 있었는데 이 때 환관 金麗淵을 보내서 그들을 고려에

돌려보내었던 것이다43) 이 사실은 高麗史에도 ldquo己酉 18년 6월 丙寅

일에 황제가 환관 金麗淵을 파견하여 칙서를 전했다rdquo44)라고 하고 있어

당시 고려와 명과의 외교관계를 엿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명조의 환

관이 외교 사절단으로 나간 최초의 예라 할 수 있다

그리고 耽羅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는데 홍무 22년(1389) 4월 ldquo옛 원

나라의 제왕 중 명조에 귀부한 자는 탐라국에 거처하도록 하였으며

더욱이 그곳에 환관을 보내어 그들이 머물 집을 지어 주고 그곳에서

거처하도록 하였다rdquo45)라고 한 것을 보면 귀부한 元의 諸王들을 제주도

에 보내어 머물게 하면서 이 때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었던 것이다

安南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1년(1378) 정월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安南國에 파견하여 국왕 陳煓의 喪을 조문하였다 당시 안남국

왕 陳煓이 죽었는데 그의 동생 陳煒가 사신 陳建璨阮士諤을 명에 보

내어 안남국왕이 죽었음을 알려오자 이미 서로 교류가 있던 차였기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안남에 파견하여 문상하도록 하고 비단도 함께 보

내었던 것이다46)

書賜其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其間有高麗流寓者百六十餘人 朕念其人豈無鄕里骨肉之思 故令有

司遣使護送東歸rdquo

43) 洪武時期에 명과 고려 사이에 여러 차례 사절의 왕래가 있었다 홍무 2년

(1369) 4月부터 홍무 29년(1396) 6月까지 모두 22차례에 걸쳐 사신이 고려와

조선에 파견되었는데 사신의 이름이 파악된 사람이 43명(환관 25인 문신 11

인 무관 7인)이다 그중 정사로 고려조선에 출사한 사람이 21명인데 그 중

환관이 11인이고 문관이 4인이며 무관이 6인이다 이를 보면 많은 환관이 사

신으로서 고려조선에 파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환관은 대개 고려나 조

선 출신의 환관이었다 고려 조선 출신 25명의 환관 중 金丽渊黄永奇金仁

甫崔渊 등은 유명한 환관이다(李新峰 明前期赴朝鲜使臣丛考 明清论丛 第4辑 紫禁城出版社2003 참고)

44) 高麗史 卷132 恭愍王 己酉 18年 6月 丙寅條 ldquo皇帝遣宦者金麗淵致書rdquo 이

기사에는 이 때 귀환한 자가 165인으로 기록되어 있다

45) 太祖實錄 卷196 洪武 22年 4月 甲寅條 ldquo詔故元諸王來降者俾居耽羅國 且遣

中使往諭其國 爲造廬舍處之rdquo

46) 太祖實錄 卷117 洪武 11年 正月 ldquo是月 安南陳煓弟煒遣其臣陳建璨阮士諤來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7琉球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6년(1383) 정월 태조는 內使監 监

丞 梁民과 尚佩监 奉御 路謙 등을 琉球에 파견하여 中山王 察度에게

鍍金銀印과 고급비단을 하사한 일이 있다47) 같은 해 9월 琉球에서 내

란이 발생하였을 때에 태조는 监丞 梁玟을 보내어 전쟁을 중단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당시 中山王 山南王 山北王이 서로 자웅

을 겨루며 싸우고 있었는데 이때 내사감승 梁民에게 칙서를 보내어

싸움을 그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칙유를 보내었던 것이며 이들 모두

태조의 칙유를 받아들였던 것이다48)

眞臘國(캄보디아) 暹羅斛國(태국)에도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사무를 보게 하였다 홍무19년(1386) 9월에 行人 劉敏 唐敬 등을 환관

들과 함께 眞臘國에 보내었는데 이 때 磁器를 가지고 가서 하사토록

했고49) 홍무 28년(1395) 12월에는 환관 趙達과 朱福 등을 暹羅斛國(태

국)에 보내어 사망한 왕 參烈寶毘嗯哩哆嗦祿을 조문하고 후사인 蘇門

邦 昭祿群膺에게 비단과 모직물을 하사하였던 것이다50)

이상의 예들은 환관이 이미 태조시기에 황제의 명을 받고 외국의

사신으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수행한 사례들이다

태조가 환관을 변경 지역에 파견한 사실도 여러 곳에 보이고 있다

告煓卒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遣中使陳能至其國弔祭rdquo 國榷 卷6 洪武 11년 正月 ldquo是月 安南

陳煓弟煒遣使告哀 命中使陳能弔祭rdquo

47) 太祖實錄 卷151 洪武 16年 正月 丁未條

48) 明史 卷323 琉球傳 ldquo時二王與山北王爭雄 互相攻伐 命내內使監丞梁玟賜

之勅 令罷兵息民 三王并奉命rdquo 당시 琉球는 中山王(察度) 山南王(承察度) 山北

王(帕尼芝) 등 3세력이 대립하고 있었다

49) 太祖實錄 卷179 洪武 19年 9月 癸未條 ldquo遣行人劉敏唐敬偕內使賚磁器往賜

眞臘等國rdquo

50) 太祖實錄 卷243 洪武 28年 12月 戊午條 ldquo詔遣內使 趙達 朱福等 使暹羅斛

國 祭故王參烈寶毘嗯哩哆嗦祿 賜嗣王蘇門邦昭祿群膺 文綺四疋羅四疋 氁絲布四

十疋rdquo 明史 卷324 暹羅傳에도 같은 내용이 보이고 있다 ldquo二十八年 昭禄群

膺遣使朝贡 且告父丧 命中官赵达等往祭 敕世子嗣王位 赐赉有加rdquo (昭祿群膺이

사신을 파견하여 조공하고 또 부친의 상을 고하였다 이에 환관 조달 등으로

하여금 섬라에 가서 조문하도록 하고 세자가 왕위를 이어받도록 하였으며 더

불어 하사품을 곁들였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8홍무 2년(1369) 4월 원 승상 納哈出에게 편지를 보내 通交를 요구할

때 內臣을 파견하여 우호를 증진하였다51)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태조가 붙잡힌 원나라의 평장 完者不花를 돌려보내는데 환관을 시켜

돌려보내었다52) 홍무 14년(1381) 12월에는 환관을 파견하여 乌蒙(지금

의 운남성의 昭通)乌撤(지금의 운남성의 镇雄귀주성의 威宁)의 여

러 추장들에게 조칙을 발하였다53) 홍무 29년(1396) 6월에는 중사(환

관)를 桂林 등지의 府市에 보내어 南丹 奉儀 등의 衛所의 둔전 군사

들에게 밭가는 소를 지급해 주도록 하였다54) 동년 10월에 安定衛의

酋长 塔孩虎都鲁가 명에 와서 말 40필을 공물로 바친 일이 있는데 안

정위의 추장이 공물을 바친 것은 태조가 行人 陳誠으로 하여금 그곳에

다시 安定衛를 세우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었으며 이때에

ldquo復命中使赍金币往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

五十兩rdquo이라 하여 환관을 보내어 추장에게 옷과 비단 및 금품을 하사

하였던 것이다55)

이상의 기록들을 보면 태조시기에 환관이 여러 차례 변경 지역에

파견되어 변경 지역의 중대 업무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환관에게 지방 군대를 감독하거나 때로 군을 지휘하는 특수

임무를 맡겼다 태조는 외지 변경 지역의 장수들을 엄격히 통제하지

51)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亥條 ldquo玆 因遣使通元君 道經營壘望 令人送

達 所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國榷 卷3 太祖洪武 2年 4月 乙亥

條 ldquo又諭元臣納哈出書曰將軍昔自江左辭還 不通問十五年矣 近聞戍守遼陽 士馬

强 玆因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52) 太祖實錄 卷120 洪武11年 10月條 ldquo山西邊將遣人送所獲故元平章完者不花至

京師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朕怒邊將以爲方遣使通好乃執其平章豈不失信於卿 今特遣內臣送之 抵

丞相營 宥之罪之放 遂之 卿自爲區處rdquo

53) 太祖實錄 卷140 洪武 14年 12月 辛未條 ldquo遣內臣 賚敕諭鳥蒙鳥撤諸酋長rdquo

54) 明史 卷205 廣西土司傳 ldquo帝命俱置屯田给耕 寻遣中使至桂林等府市牛给

南丹奉议诸卫军士rdquo

55) 太祖實錄 卷247 洪武 29年 10月 甲午條 ldquo安定卫酋长塔孩虎都鲁 來朝貢馬

四十疋 先是 上遣行人陈诚立撤里畏兀兒 爲安定卫錫 以印章 以塔孩虎都鲁等指

挥千百户 至是诚歸 塔孩虎都鲁随誠入贡上嘉其慕義 厚赉之 復命中使赍金币往

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五十兩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9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 때 황제의 이목으로서 환관을 활용하였던 것

이다

태조는 명왕조를 창건하기 이전 자신의 세력을 키워가는 과정에서

많은 부하들을 양자로 삼아 그들을 활용하였다 이들에게 여러 장수들

의 군대를 감독하게 함으로써 장수들의 배반을 사전에 막고 안전하게

통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태조가 처음 기병했을 때 많은 양자를 두

었는데 이들을 장수와 함께 여러 路를 지키도록 했다 이를 테면 周舍

를 鎭江에 道舍를 寧國에 馬兒를 婺州에 柴舍眞童을 處州에 金剛

奴를 衢州에 보내어 지키도록 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주원장의 양자들

이었다56) 양자를 심복으로 삼아 그들을 기용하여 군대를 감독하게 하

였던 것이다

이들에게 감군하는 권한을 허락한 것은 태조가 왕조를 창업하는 과

정에서 군권 장악이 최후 승자가 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고 생

각하여 취한 조처였던 것이다

그런데 왕조를 개창한 후에는 양자보다는 환관을 신임하고 그들을

군부대에 파견하였다 홍무 원년(1368) 9월에 北征에 힘쓴 將士들에게

음식을 베풀어 주면서 위로한 일이 있는데 이 때 환관 奉御를 北平에

파견하여 이 일을 담당하도록 하였다57) 홍무 9년(1376) 8월에는 환관

趙成을 군부대에 파견하여 그곳의 관리를 불러들였다 내용인즉 홍무

9년 西番의 多爾濟巴가 부락민을 이끌고 명에 귀순하여 오자 태조는

熊鼎을 岐寧衛 經歷으로 삼아 그곳을 다스리도록 하였다 웅정은 임지

에 도착한 후 귀순부대들이 거짓으로 항복했다는 것을 알고 그 사실

을 비밀리 조정에 보고하였다 태조는 그 소식을 듣고 먼저 웅정을 위

로한 후 환관 조성을 군부대에 보내어 웅정을 경사로 불러들였던 것

이다58)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환관 吳誠을 총병지휘 楊仲名에게

56) 明史 卷134 夏文輝傳 ldquo太祖初起 多蓄義子 及长命偕诸将分守诸路 周舍

守镇江 道舍守宁国 马兒守婺州 柴舍真童守处州 金刚奴守衢州 皆义子也rdquo

57) 太祖實錄 卷35 洪武 元年 9月 乙卯條 ldquo上遣中使奉御等官 至北平 犒北征將

士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0보내어 전반적인 계획과 책략을 살피도록 하였고59) 11월에는 總兵官

辰主指揮 楊仲名이 五開蠻의 반란을 평정하자 태조가 內臣 尙履奉御

呂玉을 楊仲名에게 보내어 그 군대를 검열하고 위로하게 하였다60) 홍

무 27년(1394)에는 환관을 陝西都指揮使司에게 보내어 將士들을 훈련

하게 하였고 魏國公 徐輝祖으로 하여금 섬서 연변지역을 다스리게 하

였다61)

이러한 예들은 환관이 감군으로서 군영에 파견되어 군정을 순시하

고 살피는 일을 한 사례들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태조는 환관이 군의 정황을 살피는 일 이상의 업무에는 참

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 점은 唐代의 환관들과 다른 점으로 당대

에는 환관의 감군이 정치참여로 나타났지만 태조는 환관이 국가중추

기관의 기밀을 획책하는 일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62) 그

렇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기능은 장차 환관의 위력이 점점 강해지는 결

과를 낳았음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셋째 태조는 환관을 각종 경제활동에도 참여시켰다

태조 때에 환관은 경제활동에도 빈번히 참여하였는데 최초의 예로

서는 홍무 8년(1375) 5월 태조가 환관 趙成을 河州에 보내어 거기서

말을 교역해 오도록 한 일이다 태조가 茶馬司를 설치 한 후 조정에서

는 西番에 말을 사들이는 교역장을 마련하였는데63) 서번은 본래 말의

58) 明通鑑 卷6 洪武 9年 8月條 이때에 옹정이 경사로 돌아가자 번인들이 반

란을 일으켰다고 한다

59)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0月 戊申條 ldquo遣內臣 吳誠詣總兵官指揮楊仲名行

營觀方略rdquo

60) 太祖實錄 卷121 洪武 11年 11月 庚午朔條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1

月 庚午條 ldquo五開蠻平 內臣 尙履奉御 呂玉勞指揮楊仲名rdquo 明通鑑 卷6 洪武12

年 11月條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61) 太祖實錄 卷234 洪武 27년 9月條

62) 田禾 明太祖嚴馭宦官試析 (社會科學戰線 1997-4期 1997) pp162-163

63) 茶马司는 洪武 5년1372)2月에 秦州에 처음 설치되었다 그 후 洪武 7년

(1374)다시 河州에 차마사를 설치하고 이어 또 洮州 등지에 차마사를 두었

다 이들은 四川 漢中 湖南 등지의 차와 서북 유목지역에서 나는 말을 교역하

는 임무를 띠고 있었는데 藏族지구의 말을 사들이는 일이 주된 일이었다 그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1산지였기 때문이었다 서번 사람들은 말을 가지고 와서 중국의 문물을

구입하여 갔다

그런데 서번인들의 생활용품과 중국의 용품과는 달랐고 명초에 지

폐인 보초가 발행 된 이후에는 번인들이 사용하는 화폐와 달라 말의

교역량이 줄어들게 되었다 태조는 이것을 염려하여 궁중 환관 趙成을

파견하여 말 교역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조성은 여러 종류의 비단과 사천 지방의 茶葉을 가지고 가서 말을

사오는 방책을 취하였다 조성의 노력으로 河州 수장은 서번 사람들을

위무하고 선대하면서 互市를 열었기에 점차 많은 말을 사들여 올 수

있었는데 이후 차마 무역은 점차 활발해졌던 것이다64)

또 홍무10년(1377) 3월 호부는 징세 업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곳이 178처나 있음을 알고 환관 국자감생 호부의 관원 등 각 부문에

서 각각 1명씩 차출하여 정밀 조사하기를 태조에게 주청하였다 세금

징수 업무를 담당하는 稅課司에서 할당한 세금이 제대로 걷히지 않자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환관과 국자감생들을 보내어 조사하도록 주청한

것이다 이때의 주청에 대하여 lsquo從之rsquo65)라 한 것을 보면 태조가 그것을

승인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환관이 징세 업무에도 간여하였음

을 보여주고 있는 좋은 사례인 것이다

그 외에도 홍무 16년(1383) 9월 태조는 內使 梁珉으로 하여금 돈을

가지고 琉球로 가서 말을 사들여 오도록 하였고66) 홍무 25년(1392) 3

월에는 尙膳太监 而聶과 司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소관

의 번족에게 보내어 거기서 말을 사들여오도록 하였다67) 이 때 서북

러므로 회족이 운거하고 있는 河州는 명대 茶馬互市의 중심지였다

6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5

65) 太祖實錄 卷111 洪武 10年 3月 甲申條 ldquo户部奏天下税课司局征商不如额者

一百七十八处 宜请遣中官国子生及部委官各一人往覈其實立爲定額從之rdquo

66) 太祖實錄 卷156 洪武 16年 9月 己未條 ldquo內官梁珉以貨幣往琉球易马還得马

九百八十三匹rdquo

67) 太祖實錄 卷217 洪武 25年 3月 己丑條 ldquo遣尙膳太监 而聶司禮太監 慶童

賚敕往諭陝西河州等衛所屬番族 令其輸馬 以茶給之rdquo 弇山堂別集 卷90 中官

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당시 尙膳太监 而聶과 司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2쪽의 번족으로부터 말을 사들이는 데는 중국차로서 대가를 지불하였

다 이 때 사들인 말이 10340여필에 이르고 교역한 차엽은 30여만 근

에 달하였다고 하며 구입한 말은 河南 山西 陝西의 衛所에 배치되었

던 것이다68)

넷째 환관을 민간 정보 수집요원으로 활용하였다

새로운 왕조가 성립되었다고 하지만 언제 어떻게 몽골족이 반격하

여 올지 모르고 또한 명조의 신 정권에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다시 왕조를 전복할지도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정보 수집을 중히 여기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

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錦衣衛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금의위를 운영하면서도 태조는 자신의 정권을 보전하기 위

해 환관에게 문무백관을 감시하는 권한을 맡겨 정보를 수집하였다 홍

무 12년(1379) 9월에 占城國 국왕 阿答阿者가 그 신하 陽須文旦을 파

견하여 황제에 올리는 상서와 함께 코끼리말방물 등을 진헌한 일

이 있었는데 중서성 신하는 이것을 제때에 보고하지 못하였으나 內臣

(환관)이 외출하였다가 그 사신을 만나 점성국 사신이 왔다는 정보를

얻어 그 사실을 태조에게 알렸다 태조는 환관의 정보 제공으로 곧바

로 점성국의 사신을 불러 접견할 수 있었는데 이 때 태조는 ldquo상하의

의사소통이 꽉 막히기가 여기까지 이르렀구나rdquo고 하며 탄식하며 중서

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번족에 보내어 말을 사들인 사실은 lsquo교역rsquo

이라는 경제 활동의 성격과 lsquo군마 구입과 배치rsquo라는 군사적 성격을 동시에 지

니고 있는 활동이기도 하다

68)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 ldquo尙膳太监 而聶等至河

州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於是得馬萬三千四十餘疋 以茶三十餘萬斤給之 諸族大悅 而聶遣使入奏

命以馬分给河南山西陕西卫所骑士rdquo이라 하여 교역된 마필과 차엽의 양이

언급되어 있고 당시 구매된 말이 어디로 배치되어 있는가 하는 내용이 더 언

급되어 있다 다만 같은 내용의 기사가 太祖實錄에는 洪武 25년 3月 기사로

弇山堂別集에는 2月 기사로 되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3성 관료들을 질책하자 승상 胡惟庸 汪廣洋 등 중서성의 신하들이 모

두 고개를 땅에 대고 사죄하였다고 한다69)

환관들은 황제의 이목이 되어 황제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황제와 환관들은 자연히 신뢰관계가 형성되었다 황제는

이러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환관에게 특별한 임무를 부여하였던 것

이다 특별한 임무란 황제가 직접 접할 수 없는 궁성 밖의 정세나 관

료의 동향을 알아내는 첩보 활동이었으며 京師의 禁軍도 그들의 감시

대상이었던 것이다

다섯째 환관은 친왕의 왕부에 특사로서 파견되기도 하였다 홍무 12

년(1279) 3월에 환관 陳京을 桂林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靖康王 朱守

謙에게 파견하여 황제의 유지를 전달하게 하였고 홍무 26년(1393) 2월

에 藍玉의 모반 사건이 일어났을 때 3월에 太原의 晉王 朱楓에게 사

람을 보내어 남옥의 모반 사건과 관련되어 있는 집안의 가정과 노비들

을 제거하고 재산을 몰수하라는 유지를 내렸는데 이때에 칙유를 가지

고 간 사람이 환관 而聶과 부마 梅殷였다70)

이를 보면 친왕들에게 유지를 전하는 데 환관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그렇기에 태조는祖訓錄에서

무릇 친왕이 과오를 저지르면 重한 경우 내사 감관으로 하여금 왕을

불러오게 하고 세 차례나 불러도 오지 않으면 다시 流官(황제가 임명한

관리)을 보내되 내관과 함께 동행을 하여 그를 경사로 불러들이도록 한

다71)

69) 太祖實錄 卷126 洪武 12年 9月 戊午條 ldquo占城國王 王阿答阿者遣其臣陽須文

旦進表及象馬方物中书省臣不以時奏 內臣因出外見其使者以聞 上亟召使者見之

嘆曰 壅蔽之害乃至此哉 因敕責省臣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丞相胡惟庸汪廣洋等 皆叩頭謝罪rdquo

70) 王德金 앞의 논문 朱元璋馭宦之析 pp41-42

71) 祖訓錄 法律 ldquo凡親王有過 重者 遣內使監官宣召 如三次不至 再遣流官 同監

官召之至京rdquo 태조가 창업군주로서 자손들에게 훈유를 내려 그것을 영구히 지

키도록 하기 위해 지은 책이 祖訓錄이다 太祖實錄 洪武 2年 4月 乙亥條에

ldquo詔中書編祖訓錄rdquo이라는 것을 보아 이때부터 편찬이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洪武 6年 5月에 완성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箴戒持守严祭祀谨出入慎

国政禮仪法律内令内官职制兵卫营缮供用 등 13 항목으로 되어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4

라고 규정함으로써 친왕이 문제가 있을 때에는 환관이 먼저 파견되었

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을 보면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들의 발호를 억제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정치적 현실에

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차마 무역의 담당

자로 호군 및 군대 감독자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

년 승상제가 폐지되면서 그들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

겠다 이로 인하여 환관의 권위는 점 점 높이지고 세력은 확대되어 갔

던 것이다

3 宦官數의 增大와 機構의 擴大

홍무 초년에는 태조가 환관을 통제했기에 당시의 환관들이 아직 자

금성 안에서 주로 복무했다고 한다면 그의 통치 중후기에는 환관들

이 궁궐 밖으로 나가 여러 임무를 띠고 초기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였다 태조는 이런 변화가 그렇게 나쁘다고 여기지 않았고 도리어

그들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도움이 된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리하여 태조시기에 환관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환관 기구도 확대

되어 갔다 홍무 2년 규정에는 내사감 봉어 60인 기타 각 각 사소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까지 합쳐 총수는 100명에 불과하였다72) 그러나

홍무 15년(1382)에는 환관 361인을 증설하였다73) 이것은 홍무 15년에

증가된 기록으로 당시 기존의 환관을 합치면 거의 수백 명의 환관이

있으며 태조 자신이 서문을 지었다 太祖實錄 28年 閏 9月 庚寅條에 의하면

이 때 祖訓錄을 거듭 정하여 皇明祖訓이라 명명하였다

72)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 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定置內

使監 奉御六十人 尙寶 一人 尙冠七人 尙衣 十人 尙佩九人 尙藥七人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東宮

後門 宮左宮右門 各設門正一人 副一人rdquo

73) 太祖實錄 卷149 洪武 15年 10月 丙戌條 ldquo增設內使三百六十一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5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명조는 수시로

주변 여러 나라에 엄인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사실로 홍무 24년(1391)에 태조는 환관 韓龍 黃禿蠻 등을

고려에 보내어 말 1만 필을 사오도록 하면서 閹人 200여명을 요구하였

다74) 그리고 安南國에서도 끊이지 않고 엄인들을 진공하였는데 매번

수십 명 씩 바쳤던 것이다75) 명조는 사방에 엄인을 요구하였는데 특

히 고려와 안남은 당시 엄인을 진공하는 주요 나라가 되었다76)

이리하여 환관의 수가 부단히 증가하였고 태조도 역시 환관을 심복

중의 심복으로 삼으면서 그들을 신뢰하고 있었다 이에 홍무 17년

(1384) 어느 날 대도독부 겸 국자감을 관할하고 있던 李文忠은 태조에

게 환관이 너무 많으니 그 숫자를 줄여할 것을 건의하였다

ldquo內臣이 너무 많습니다 마땅히 좀 줄이셔야 합니다rdquo라고 이문충이 건

의 하자 태조는 이를 듣고 대노 하여 ldquo자네가 나의 오른쪽 날개를 약화

시키려 하는데 그것은 무슨 의도인가 이것은 분명히 문객들이 시켰을

것이다rdquo라고 말하면서 결국 사람을 보내어 이문충의 문객을 전부 살해하

였다77)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일로 인하여 이문충은 병들어 죽게 되었는

데 이 때 이미 환관은 그 수가 적어서는 안 되는 대상이 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4) 太祖實錄 卷208 洪武 24年 3月 己丑條 ldquo詔於高麗市馬一萬疋 幷索閹人二百

人rdquo 高麗史 恭讓王 3년 辛未年條

75)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6

76) 환관의 공급원은 본래 宮刑에 처해진 죄인들이었지만 隋代 이후 궁형이 폐지

된 후부터는 ① 적의 포로 ② 외국으로부터의 進貢者 또는 변방 지역의 進獻

者 ③ 특별한 사정으로 궁형에 처해진 죄인 ④ 自宮者 곧 지원자 또는 부모의

명령으로 거세된 準自宮者 등이 있다

77) 弇山堂別集 卷20 史乘考誤 1 ldquo一日勸上内臣太多宜稍裁省 上大怒 謂若

欲弱吾羽翼何 意此必门客教之 因盡殺客 文忠驚悸得疾暴卒 上發悲 怒殺諸醫及

文忠侍者百人rdquo 이 기사는 어느 때의 기사인지 나와 있지 않아 잘 알 수 없으

나 이것은 李文忠(1339mdash1384)이 죽은 해에 발생한 사건이므로 洪武 17년

(1384)의 사건으로 볼 수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6환관의 기구 역시 확대되어 갔다 환관의 부서와 직무는 吳 원년

(1367)에 lsquo內史監rsquo이 설치된 이후 인원의 증대와 기구 관리를 위해 조

직이 신설 분리되어 가면서 확대되어 갔는데 홍무 17년(1384)에 9監

2庫 6局 체제가 되었다78) 이것은 명대 환관의 기구인 24아문(12감 4

사 8국)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어 홍무 28년(1395)에 11감 4사 9국으로

정비되어 24아문의 기구가 거의 완비되었던 것이다79) 홍무 30년(1397)

환관 조직은 12감8국4사의 24아문의 규모가 되었고 명왕조 환관

조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황종희가 말하고 있듯이 ldquo명조에 善治가

없었던 것은 태조가 재상을 폐지하면서부터이다 저 宮奴들이 재상의

정치가 땅에 떨어져 수습될 수 없음을 알고 여러 규칙과 조목을 세우

고 직무를 늘렸으며 생살권과 상벌권 등 재상으로부터 나오던 것이

이제 모두 환관들에게 돌아갔도다 (중략) 그러므로 궁노들이 재상처럼

된 것은 승상제를 폐지한 데서 온 커다란 과오이다rdquo80) 라고 하면서

환관의 발호는 재상의 폐지로 인한 것이며 이것은 명대 정치의 큰

폐단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로 재상 없는 군주 독재 지배체제에서 황제 한 사람에 의한 통치

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매일 황제 곁에 있는 환관

중 신뢰하는 환관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태조도 자신도 모르게 환관을 신뢰하고 그들을 중용을 하였으니 이념

적으로 ldquo내신은 정사에 관여하지 못한다rdquo 라는 규정을 내세우면서도

78)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九監은 内官监 神宫监 尚寶监 尚衣监 尚膳监 司

设监 司礼监 御马监 直殿监이고 二庫는 内承运库司鑰库이며 六局은 巾帽局

针工局 织染局 颜料局 司苑局 司牧局을 말한다

79) 위와 같음 十二監은 神宫监 尚寶监 孝陵神宮監 尚膳监 尚衣监 司设监 内官

监 司禮監 御马监 印綬監 直殿监이고 四司는 惜薪司 钟鼓司寶钞司 混堂司이

며 9局庫는 兵仗局 織染局 针工局 巾帽局 司苑局 酒醋麵局 內乘運庫 司鑰庫

內府供用庫인데 이것들은 후에 24아문으로 발전하였다

80) 黄宗羲 明夷待訪錄 置相 ldquo有明之无善治 自高皇帝罢丞相始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彼宫奴

者见宰相之政事坠地不收从而设为科条增其职掌 生杀予夺 出自宰相者 次

第而尽归焉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故使宫奴有宰相之实 则罢丞相之过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6: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4것이다

그렇다면 명초 환관 억제 정책에 대한 이념과 현실을 구체적으로

살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념과 현실의 모순이 영락제 이후 어떻

게 환관 세력의 증대로 나타났으며 그 추이는 어떠하였는가가 밝혀져

야 할 것이다 이것은 명 중기 이후 출현한 환관의 전횡 상품경제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弊政과 사회 모순 심화로 인한 각종 민란의 출현

등 명대 정치사회적 변화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

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명대 전기라 하지만 주로 太祖(洪武帝 1368-1398) 建

文帝(惠帝 1398-1402) 永樂帝(成祖 1402-1424)15) 洪熙帝(仁宗1424-

25)를 거쳐 宣德帝(宣宗 1425-1435) 때까지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 시기는 正統帝(英宗 1435-1449)의 재위기간에 권력을 전횡하여 土

木堡 變(1449)을 일으켰던 王振( -1449)의 출현 그리고 그 후 명조

중말기로 이어지는 成化帝(憲宗 1464년-1487년)-萬曆帝(神宗 1573-

1620)시기의 환관 발호 시대와는 구별되어진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Ⅱ 太祖의 宦官에 對한 理解와 政策

1 太祖의 宦官에 대한 理解

원조의 실정이 거듭되고 각처의 반란이 빈번하던 원말 동란기 鳳陽

빈농 출신의 朱元璋(1328-1398)은 郭子興이 이끄는 의병에 가담하여

그곳에서 혁혁한 공을 세워 차차 중국 역사무대로 나아가게 되었다

그는 李善長 徐達 尙遇春 등 능력 있는 인재와 劉基 宋濂 등 지략가

의 도움으로 점차 세력을 키워나가 최후로 鄱陽湖 전투(1363)에서 강

15) 영락제의 묘호는 처음 lsquo太宗rsquo으로 정하였으나 嘉靖 17년(1537)에 lsquo成祖rsquo로 개

정하였으며 이후 성조로 칭하고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5적 陳友諒을 물리치고 蘇州 지방을 근거로 하고 있던 張士誠을 멸하

고(1367) 천하를 얻어 마침내 1368년에 명나라를 세워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16) 그가 명 왕조를 세운 太祖 洪武帝(1368-1398)17)이다

새로 왕조를 창업한 주원장은 어렵게 얻은 천하를 유지하는 것이

그렇게 쉽지 않다는 것을 깊이 깨달았다 그리고 역대 왕조 흥망사의

역사를 거울로 삼아 국초부터 궁궐 내 환관의 폐해를 심각하게 인식

하였다

그렇기에 태조는 왕조를 개창한 이후 곧 바로 환관의 정치 간여를

금하는 조서를 발하였다 홍무 원년(1368) 4월 禁宦官预政典兵 이라

는 금령을 내렸는데 이에 대하여 청의 谷應泰가 지은 明史紀事本末

18)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4월 병진 일에 환관이 정치 사법 군사 등의 일에 간여하는 것을 금하

였다 태조는 시신들에게 이르기를 ldquo내가 사서에 기록되어 전해 오는 것

을 보니 한나라와 당나라의 말기에 환관은 모두 나라를 망하게 한 좀 벌

레였다 폐해가 많았으니 일찍이 이보다 더 한심한 때가 없었다 주역에

이르기를 나라를 열고 조정을 이어받을 때 소인은 쓰지 말라고 했다 궁

궐에서 환관이 하는 일은 다만 소제하고 심부름하는 일 뿐이다 어찌 정

치 사법 군사 등의 일에 간여하도록 해야 하는가 한당의 화 비록 환

관의 죄이기는 하나 역시 군주가 이를 총애하여 부렸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다 환관으로 하여금 정치에 간여하지 않도록 하여라 만약 그렇

게 한다면 비록 환관이 난을 일으키려 한다 하더라도 그것이 성공할 수

있겠는가19)

16) 全淳東 明王朝成立史硏究 (도서출판 개신 2000) pp103-107

17) 중국의 명청대는 一世一元 곧 한 황제가 하나의 연호를 채택하는 것이 관

행으로 되었기 때문에 황제를 호칭할 때 lsquo廟號rsquo로 부르기도 하고 lsquo年號rsquo를 사

용하여 부르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太祖 洪武帝를 호칭할 때에는 왕조를 창업

한 최초의 군주라는 개념을 살리기 위해 lsquo太祖rsquo라는 lsquo묘호rsquo를 사용하고 그 뒤를

이은 황제는 습관상 많이 부르고 있는 lsquo연호rsquo에 의한 칭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18) 1658년에 중국 청나라의 谷應泰가 지은 기사본말체의 역사서로 명조 일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이것은 明史보다 80년이나 앞선 중요한 사서로 모두

80권으로 되어 있다

19) 明史紀事本末 卷14 洪武 元年 4월 丙辰條 ldquo禁宦官预政典兵 上谓侍臣曰

吾见史传所书 汉唐末世 皆为宦官败蠹未尝不为之惋叹易稱 開國承家 小人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6

이것을 보면 태조는 한과 당의 멸망 원인이 환관의 폐해에 있다고

판단하고 아무리 환관의 폐해를 막으려 한다 해도 그렇게 쉽게 될 수

없음을 인식한 나머지 국초부터 환관을 억제하려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개국황제 주원장이 환관에 대해 내린 제1차 경고성 명령

이라 해석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과거 역사 가운데에서 환관의 폐해를 절감한 태조는 환관의 수와

직임을 제한하였다 이미 명왕조 성립 이전 吳王 원년(1367)에 lsquo內史監rsquo

이라는 환관기구를 두고 환관을 활용하였던 태조는 홍무 2년(1369) 8

월에 다시 환관의 직제를 정하였는데 이때에 환관의 수와 직임을 제

한하였다 그 내용이太祖實錄에 잘 나타나 있다

태조는 이부로 하여금 내시관제를 정하도록 하였다 이 때 이부에 이

르기를 ldquo짐이 lsquo周禮rsquo를 보니 환관의 수가 백 명도 채 되지 않았다 후세에

이르러 수천 명에 이르러 마침내 큰 환난을 불러 일으켰다 지금 아직 복

고 정책을 쓰지는 않지만 역시 잘못된 일이나 나쁜 일은 경미할 때 막아

서 더 이상 발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마땅한 일이다 이 환관들이 하는

일은 酒漿醯鹽을 나르고 복장을 관리하고 사당을 깨끗이 하는 일 등 사

소한 몇 가지에 불과하다 이제 짐도 이들이 하는 일이란 물건 나르거나

청소하는 일과 같은 사환이 하는 일에 그치도록 하고 다른 특별한 일을

맡기지 말아야 할 것이니 잘 숙고하도록 하라rdquo고 하였다20)

위의 기록을 보면 주례에는 환관이 100명도 채 안되었는데 후세에

수천 명이 되어 그 때마다 큰 환난을 가져왔다면서 환관의 수를 적게

하고 그들이 하는 일 또한 청소하고 짐 나르고 하는 단순한 허드렛일

만을 하게 함으로써 권세를 부리지 못하도록 하라는 것이었다

위에 인용한太祖實錄을 더 읽어 가보면

勿用 其在宫禁 止可使之供洒扫给使令而已 岂宜预政典兵 汉唐之祸 虽宦官之罪

亦人主宠爱之使然 向使宦官不得典兵预政 虽欲为乱 其可得乎rdquo 明通鑑에도

똑같은 내용이 보이고 있다

20)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諭之曰 朕觀周

禮 所記未及百人 後世至踰數千 卒爲大患 今雖未能復古 亦當爲防徵之計 此輩

所治 止於酒漿醯鹽司服守祧數事 今朕亦不過以備司令 非別有委任 可斟酌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7

侍臣들에게 일러 말하기를 환관들은 자고로 선량한 사람은 천 명 중에

한 두 사람 만날 정도이다 만약 그들을 耳目으로 쓴다면 耳目이 가리어

질 것이고 그들을 腹心으로 생각한다면 그 때부터 곧 내재된 화근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그들을 제어하는 방도는 항상 경계하고 삼가 하여 그들

로 하여금 법을 두렵게 여기도록 하고 功勞가 있도록 하면 안 된다 만

일 그들이 공로가 있으면 방자하게 되고 그들로 하여금 법을 두려워하게

하면 단속이 될 것이니 그렇게 되면 감히 그릇된 일을 저지를 수가 없을

것이다 이에 內使監을 두고 奉御 60인을 두었다21)

라고 하여 환관을 다스리는 방책은 항상 규율을 유지해서 법을 두렵게

여기도록 하고 공적이 있도록 하게 하면 안 된다는 것이다 공적이 있

으면 방자하게 되고 법을 두려워하게 하면 절제하며 절제하면 감히

비위를 저지를 수가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 때 더불어 환관의 수도

한정하여 두었다22)

태조는 환관의 품질도 비교적 낮게 정하였다 홍무 4년에 이부가 內

使監 품질을 정할 때에 내사감령은 정5품으로 정하였다 홍무 3년에

종3품이었던 내사감령이 그 이듬해에는 정 5품으로 강등된 것이다 이

에 따라서 다른 환관직도 전체적으로 이전보다 등급이 낮아졌던 것이

다23)

이때에 태조는 시신들에게 일러 말하기를

21) 위와 같음 ldquo又顧侍臣曰 此輩自古以來求其善良千百中不一二見 若用以爲耳目

卽 耳目蔽矣 以爲腹心卽腹心病矣 馭之之道 但 常戒勅 使之畏法 不可使之有功

有功則驕恣 畏法则检束 自不敢为非也 乃定置內使監 奉御六十人rdquo 이 때 과거

內史監을 內使監으로 개칭하였다

22) 이 때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에 나타나 있는 규정을 소개하

면 다음과 같다 ldquo定置內使監 定置内使监奉御六十人 尙寶一人 尚冠七人 尚衣

十人 尚佩九人 尚药七人 纪事二人 执膳四人 司脯二人 司香四人 太庙司香四人

涓潔二人 置尚酒 尚醋 尚面 尚染四局 局设正一人 副二人 置御马 御用二司 司

设正一人 副二人 内府库设大使一人 副使二人 内仓监设令一人 丞二人 及置东

宫典玺 典翰 典膳 典服 典药 典乘兵六局 局设局郎一人 丞一人 又置门官午门

东华门 西华门 玄武门 奉天门 左右顺门 左右红门 皇宫门 坤寧门 宫左门

宫右门 各设门正一人 副一人 东宫门官 春和门 東宮後門 宮左門 宮右門 各設門

正一人 副一人rdquo

23) 太祖實錄 卷63 洪武 4年 閏3月 乙丑條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8

옛날의 환관제도는 궁정에서 아침저녁으로 심부름을 하는 일 뿐이었

다 그런데 후한 鄧太后24)가 황후로써 천자를 대신하여 섭정할 때 公卿

과 접하지 않고 閹人을 常侍와 小黃門으로 삼아 그들을 통하여 명령하였

는데 이때부터 그들의 권력이 황제에 기울어 그 폐해가 심하여졌다 이

것은 마치 狐假虎威(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부리다)라는 말과 같이 왕의

위엄을 빌려 위세를 부리고 城狐社鼠(성곽에 사는 여우와 社壇에 사는

쥐)가 되어 황제 곁에서 간신노릇을 하였다 짐은 이들에게 궁궐에서만

일하도록 하였으니 어찌 권세를 힘입어 정사를 어지럽히는 일이 있겠는

가 내가 이것을 엄히 방지하도록 하였으니 犯法者에 대해서는 이를 질

책하여 제거함으로써 주위에 존재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履霜堅氷(서

리가 내리면 두꺼운 얼음이 얼게 된다)이라는 말이 있듯이 삼가 재앙이

나 화는 그것이 작을 때에 사전에 미리 막아야 한다는 가르침을 잊어서

는 안 되느라25)

고 하면서 환관을 명초부터 엄히 경계하여 다루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태조는 환관이 정사에 간여하는 일이 있을 때 그를 가차 없이 제거

하기도 하였다 홍무 10년(1377)에 이런 일이 있었다 오랫동안 곁에서

태조를 모시던 한 환관이 있었다 그는 부지런히 근신하며 태조를 성

실히 모셔왔다 하루는 그 환관이 침착한 태도로 정사를 언급하자 태

조는 바로 그를 파면시켜 고향으로 돌려보냈으며 평생 그를 다시 부르

지 않았다 明太祖寶训에어느 한 내시가 오래도록 내정의 일을 맡아서 봉사하여 왔는데 그가

차분히 정사에 대하여 언급하자 태조는 곧 바로 질책하여 免官하고 귀향

24) 후한 和帝(88-106)의 태후로서 105년에 후한 和帝가 죽자 등태후는 민가에

보내어 기르던 황자 劉隆을 데려다 그날 밤 즉위시켰다 그는 생후 100일밖에

되지 않는 殤帝(105-106)이다 그런데 그는 이듬해에 요절하고 말았다 그러자

등태후는 淸河王 劉慶의 아들로 13살 된 劉祜(유호)를 황제로 즉위시켰는데

이가 安帝(106-122)이다 이런 과정에서 등태후는 14년간 천자를 대신하여 수

렴청정을 하며 권력을 행사했다

25) 太祖實錄 卷63 洪武 4年 閏3月 乙丑條 ldquo上因謂侍臣曰 自古之宦竪 在宮禁

不通司晨昏供役使而已 汉邓太后 以女主稱制不接公卿乃以阉人为常侍小黄门

通命自此以来内侍权倾人主及其爲患 有如城狐社鼠 不可以去 朕谓此辈但

當服事宫禁 岂可假以权势纵其狂乱 吾所以防之极严 但犯法者 必斥去之 不令

在左右 戒履霜坚冰之意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9토록 했으며 종신토록 그를 다시 등용하지 않았다 26)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내용은 明通鑑에도 같은 내용이 언급되어 있으며 이를 더 읽

어 가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태조는 대신들에게 이르기를 ldquo환관들이 날마다 좌우에서 시중드는데

충성과 믿음이 적다면 그것은 황제의 마음을 굳어지게 한다 그것이 오

래되면 권위를 빌어 정사에 참여하게 되고 마침내 그것을 억제할 수가

없게 된다 자고로 이러한 환관들 가운데 난을 일으키는 자가 많았다 지

금 입법하여 환관에게 정치 관여를 불허하고 그들을 제거하는 것은 과

거의 실패를 교훈 삼아 장래에 같은 실패를 되풀이 하지 않도록 하려는

까닭이다rdquo27)

위의 훈계 내용을 보면 태조의 환관에 대한 엄연한 태도가 깃들어

있으며 ldquo群臣頓首稱善rdquo이라 하였으니 모든 신하들도 환관에 대한 황

제의 태도가 옳다면서 그 조처를 긍정하였던 것이다 파면된 환관이

오랫동안 성실히 군주를 시중들어 왔다고 생각한 탓인지 그를 살해하

지는 않았지만 종신토록 다시 그를 불러들이지 않음으로써 환관의 정

치 간섭이 얼마나 큰 과오인가 하는 것을 밝혔던 것이다 이것은 어디

까지나 후대의 환관을 경계시킨다는 목적이 깊게 깔려 있다고 생각된

26) 明太祖寶训 卷3 去讒佞 ldquo洪武十年五月 是月 有内侍以久事内廷 从容言及

政事 太祖即日斥遣还乡里 命终身不齿 遂谕群臣曰 自古贤明之君 凡有谋为 必

与公卿大夫谋诸朝廷 而断之于己 未闻近习嬖幸之人得与谋者 况阍寺之人 朝夕

在人君左右 出入起居之际 声音笑貌日接乎耳目 其小善小信 皆足以固结君心 而

便僻专忍 其本态也 苟一为所惑而不之省 将必假威福 窃权势 以干与政事 及其

久也 遂至于不可抑 由是而阶乱者 多矣 朕尝以是为鉴戒 故立法 寺人不过侍奉

洒扫 不许干预政事 今此宦者 虽事朕日久 不可姑息 决然去之 所以惩将来也 群

臣顿首称善rdquo

27) 明通鑑 卷6 太祖洪武 10年 5月條 ldquo有内侍以久侍内廷 从容言及政事 上(太

祖)即日斥遣歸命 终身不齿 諭諸臣曰 此辈日在左右 其小忠小信 足以固结君心

及其久也 假窃威权 以干政事 遂至于不可抑 自古以此辈乱者多矣 今立法不许寺

人干预朝政 决去之 所以惩将来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0이상 일련의 사료들은 태조 주원장이 전대에 환관전권으로 말미암

은 폐해가 얼마나 심각하였는가를 깊이 인식하고 이에 대한 경계를 강

하게 하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2 太祖의 宦官 統制

천하를 얻어 다스리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깊이 깨달은 태조는

역대 흥망의 경험과 교훈을 거울로 삼아 환관의 폐해를 심각하게 인식

하면서 일련의 환관 억제 조치를 취하였다

홍무 5년(1372) 태조는 환관에 대해 금령을 반포하였다 궁정에서

모함 다툼 상해 등 환관의 비행 및 부도덕한 행동이 있을 때 그에

대하여 엄히 다스리는 벌칙을 규정하여 발표하였다

罵詈者(상호 욕하고 꾸짖는 자)는 태형 50대 봉어를 모욕하는 자 장

60대 문관이나 감관을 모독하는 자는 장 장 70 서로 싸우는 자 장 70이

대이며 상해를 입힌 자는 한 등급 더 높여 처벌하고 본관의 제재에 불복

하고 고집하는 자 장 80대 이며 구타하여 상해를 입힌 자는 한 등급 너

높여 처벌하고 봉어를 구타한자 장 80 문관 감관을 구타한 자 장 100대

로 하며 상해가 있으면 각각 한 등급을 더 가해 벌한다28)

이처럼 환관이 궁정에서 모함하거나 다투거나 상해를 입힐 경우 그

상황을 따져서 태형이나 장형으로 벌하는 내용을 규정하였다

그런데 이 사료를 더 읽어가 보면 능지처참이나 참수의 형까지 규

정하고 있고 잘 못이 있을 때 자수하기를 권장하면서 자수하는 환관

에 대하여는 도리어 상을 내리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28) 太祖實錄 卷74 洪武 5年 6月 丙子朔條 ldquo洪武五年六月 丙子朔 定宦官禁令

凡內使于宮城內 相罵詈者先發理屈笞五十 後罵理直者不坐不服本管鈐束而抵罵者

杖六十 內使罵奉御者杖六十 罵門官監官者杖七十 內使于宮城內相鬭毆者先鬭理屈杖七十 毆傷者加一等 後應理直而無傷者笞五十 不服本管鈐束而毆之者杖八十

毆傷者加一等 毆奉御者杖八十 毆門官監官者杖一百 傷者各加一 內使等有心懷

惡逆 出不道之言者 凌遲處死 有知情而蔽之者同罪 知其事而不首者斬 首者賞銀

三百兩rdquo 欽定續通典 卷108 刑2에도 같은 기록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1

內使等이 마음이 악하여 심하게 도리를 벗어나는 행동을 하고 도리에

어긋나는 말을 하는 환관들은 능지처참 시키고 사정을 알면서도 그것을

은폐하는 자 역시 똑 같이 능지처참할 것이며 사실을 알면서도 자수하지

않는 자는 참수할 것이며 대신 자수하는 자에게는 상금으로 은 3백량을

내릴 것이다29)

라 한 것이 그것이다

홍무 6년(1373)에는 환관 기구 중에 lsquo內正司rsquo라는 환관의 위법행위를

규찰하는 전문기구를 두었다30) 이것은 환관의 불법과 부도덕을 규찰

하는 기구로 司正(정7품) 司副(9종7품) 등의 관직을 두어 운영하였으

며 환관의 위법과 부도덕한 행동을 규찰하는 책임을 맡게 되었던 것

이다31)

동시에 환관은 외정의 직을 겸할 수 없고 외정 관료들과 교류할 수

없도록 하였다 홍무 10년(1377)에 태조는 ldquo환관은 외신 文武의 직을

겸할 수 없고 외신의 관복을 착용할 수 없으며 정치에 참여하거나 군

권 행사를 할 수 없다 관품은 4품을 넘을 수가 없고 매월 지급하는

봉록은 1석이며 내정 안에서 살림을 한다rdquo32)라고 정하였던 것이다

또한 환관이 문자를 터득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하여 환관에

게는 글을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였다 明史에 보면 初 太祖制 内臣

不许读书识字 33)라고만 되어 있어 이것을 제정한 시기가 언제인지 확

실히 알 수 없으나 명초의 것으로 태조는 초기부터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환관 전권을 더욱 방지하기 위하여 홍무 17년(1384)에 금령

29) 위와 같음

30) lsquo內正司rsquo는 후에 lsquo典禮司rsquo lsquo典禮稽察司rsquo로 개칭되었다

3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六年 hellip又考前代纠劾内官之法 置内正司

设司正一人 正七品司副一人从七品 专纠内官失仪及不法者 旋改为典禮司 又改

为典禮稽察司 升其品秩 司正升正六品 司副升从六品rdquo

32) 明史 卷304 宦官1 ldquo然定制 不得兼外臣文武衔 不得御外臣冠服 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衣食于内庭rdquo

33) 明史 卷304 宦官1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2을 발하였다 그 금령은 ldquo內臣不得干預政事 犯者斬rdquo이라 하여 lsquo환관으

로서 정사에 간여하는 사람은 참수형에 처한다rsquo는 것이다 약 석자 크

기의 鐵牌를 주조하여 거기에 이 lsquo11자rsquo를 새겨 궁문 앞에 세워 두었

다34) 철폐를 제조하여 궁문 앞에 세워두었다는 것은 가장 극렬한 환

관 통제 방책의 하나로 상징성이 가장 큰 통제 방법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이 규정은 환관들로 하여금 조정의 일에 간여할 수 없게 만들

었을 뿐 아니라 명초 환관의 권력을 중국 역사상 가장 밑바닥에 처하

게 만들었던 것이다

또한 환관은 공문서를 가지고 외정을 드나들 수 없게 하였으며35)

이러한 제한으로 인해 자연히 환관은 궁정에 있는 관료들과 사귀어 정

사를 어지럽힐 수 있는 기회를 갖기가 어려웠다

생각해 보면 신왕조를 창업한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들이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왕조 창업 후 심복으로서 환관들을 활용하

지 않을 수 없었다 그렇기에 태조는 환관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그들

의 세력을 제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던 것이다

그 주된 내용은 다음의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겠다

① 환관과 외신과의 쌍방에 의한 정보교환 문서 왕래를 금한다

② 환관은 조정 관리를 겸무하는 일과 외신의 관복을 착용하는 것을

금한다

③ 4품 이상의 품계에 오르는 것을 금한다

④ 환관의 봉급은 매월 백미 1석으로 하고 후궁 내에서 생활하며 지낸

⑤ 환관에게 글을 가르치는 것을 엄금한다

태조는 이상과 같이 환관의 세력이 성장하지 못하도록 갖가지 규제

를 강구하고 나아가 환관 규제를 위한 철패를 제조하여 궁문에 세워

34)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十七年 鑄铁牌文曰 内臣不得干预政事犯

者斩 置宮門 又勅諸司 毋得與內官監文移往來rdquo

35)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十七年hellip又勅諸司 毋得與內官監文移往來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3두었는데 이것은 태조의 환관 통제 정책 중 가장 대표적이고 상징적

인 징표가 되었다 하지만 한편 극단적인 제약이 도리어 환관이 신성

한 황제의 힘을 등지고 세력을 휘두르는 화근을 배태하였던 것이다

Ⅲ 國初 政治的 現實과 宦官 抑制의 限界

1 太祖期의 政治的 現實

한 당 시대의 환관 전권의 사실과 폐해를 잘 알고 극력 환관의 세

력을 억압하려는 태조 앞에 닥친 정치적 현실은 어떠하였는가

새로이 명왕조를 세운 태조는 먼저 관계의 기강문제에 지대한 관심

을 가지고 있었다 새로운 왕조가 수립되었어도 기강이 해이해지면 전

왕조에 있었던 것과 같은 부패가 官界에 그대로 만연하게 될 것이고

그로 인하여 민심이 흉흉할 수도 있는 일이다 그렇게 되면 그 자체가

혁명의 발생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고 나아가 태조가 창건한 왕조

자체도 혁명의 객체로 부상할 수밖에 없는 일이다

그러므로 태조는 기강 확립 권신들의 전횡 견제 관리의 부정부패

방지 민심 동요 등을 경계하면서 정치사회의 안정과 중앙집권적 전

제지배체제의 확립을 꾀하였다36)

현실적으로 원 왕조가 몽골고원으로 퇴각되었다고 하지만 그들은

여전히 상당한 세력을 보유하면서 언제 어떻게 명조에 반격을 가해 올

지 모르기 때문에 결코 방심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또한 국내에서도

명조 정권에 대하여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있고 명조에

협력하지 않고 음으로 몽골 세력을 지지하면서 농민출신의 태조 및 그

정권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우까지 있었다 또한 일단 명조 정권에 협

력하고 있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반드시 본심에서 우러난 것인지 확실

36) 全淳東 明王朝成立史硏究 pp194-204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4히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태조는 황제를 중심으로

하는 강력한 중앙집권적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

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

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금의위

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였다37)

금의위라는 특무기구는 본래 황제의 거동과 행렬을 시위하는 데 불

과였으나 이것이 특무 기관으로서 기능을 갖게 된 것은 호유용의 옥사

사건 이후 정보 수집과 감시체제를 강화할 때인 홍무 15년(1382년) 금

의위의 기구가 개혁된 결과이다 이후에 금의위는 정치상의 음모를 기

도하는 행위나 반체제적인 종교비밀 결사 등을 감시하는 기능을 가지

게 되었다 곧 금의위는 황제 행렬의 시위 외에 순찰을 돌면서 체포하

는 권한까지 지니게 되었던 것이다 이들은 정보를 수집하고 감시 적

발하며 사법권에까지 개입하였던 것이다38)

하지만 국초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

의 옥을 일으키며 시의심이 강하였던 주원장은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

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많은 사가들은 명사 환관 열전의 서문에 나타나 있는 ldquo盖明世宦官

出使专徵监军分镇刺臣民隐事诸大权皆自永乐间始rdquo(명대 환관

의 출사 징세 감군 분진 신민의 은밀한 일 정탐 등의 권리는 모두

영락 연간부터 시작되었다)39) 라는 기사라든지 明史 職官志에 나타

난 ldquo顾中官四出 实始永乐时 元年 李兴等赍敕劳暹罗国王 此奉使外国之

始也rdquo(돌이켜 보면 환관의 파견은 영락제 때에 처음 실시하였다 영락

37) 山根幸夫 明帝國の形成と發展 (ゆらぐ中華帝國 11 筑摩書房 1961)

pp41-42

38) 錦衣衛의 전신은 1367년에 설립된 拱衛司로서 대도독부에 예속되어 있었는

데 洪武 3년(1370) 親軍都尉府로 개칭하고 도독부로부터 독립하여 운영하였다

39) 明史 卷304 宦官1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5원년 이흥 등을 태국의 국왕에게 보내어 위로한 것이 환관을 외국에

보낸 것의 처음이다)40) 라는 기사를 인용하여 환관 중용의 책임이 영

락제에 있는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살펴보면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

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시 경제적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2 宦官 抑制의 限界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은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국초

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의 옥을 일으

키는 등 누구보다 시의심이 강하였던 태조는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

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심복인 환관들을 억

제하기보다는 그들을 측근으로 하여 저제군주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했다 그리하여 태조는 환관들과의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외부로 나가

는 출사 군대 감시 경제적인 활동 정보 수집 등의 일을 맡겼던 것이

첫째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관계를 원만히 하려 하였다41)

환관의 외국 출사의 예는 이미 홍무 2년에 보이고 있다 홍무 2년

(1369) 4월에 고려출신 환관 金丽渊을 고려에 파견하여 중국에 머물고

있는 高麗 流寓民 160여명을 고려에 돌려보낸 일이 있다 ldquo遣內臣 送

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書賜其王rdquo42)이라는 기사가 그것이다 이 기사

40)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41) 환관이 사신으로 나가는 경우는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외

국 사신으로 나가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변경 지역의 왕부나 주변 소수 민족

집단에 나가 황제의 명을 전하고 일을 처리하는 것이다

42)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丑朔 ldquo遣內臣 送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6를 더 읽어가 보면 그 때 중국인으로서 고려에 머물러 있는 유민들이

약 160여명이 있었는데 이 때 환관 金麗淵을 보내서 그들을 고려에

돌려보내었던 것이다43) 이 사실은 高麗史에도 ldquo己酉 18년 6월 丙寅

일에 황제가 환관 金麗淵을 파견하여 칙서를 전했다rdquo44)라고 하고 있어

당시 고려와 명과의 외교관계를 엿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명조의 환

관이 외교 사절단으로 나간 최초의 예라 할 수 있다

그리고 耽羅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는데 홍무 22년(1389) 4월 ldquo옛 원

나라의 제왕 중 명조에 귀부한 자는 탐라국에 거처하도록 하였으며

더욱이 그곳에 환관을 보내어 그들이 머물 집을 지어 주고 그곳에서

거처하도록 하였다rdquo45)라고 한 것을 보면 귀부한 元의 諸王들을 제주도

에 보내어 머물게 하면서 이 때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었던 것이다

安南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1년(1378) 정월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安南國에 파견하여 국왕 陳煓의 喪을 조문하였다 당시 안남국

왕 陳煓이 죽었는데 그의 동생 陳煒가 사신 陳建璨阮士諤을 명에 보

내어 안남국왕이 죽었음을 알려오자 이미 서로 교류가 있던 차였기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안남에 파견하여 문상하도록 하고 비단도 함께 보

내었던 것이다46)

書賜其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其間有高麗流寓者百六十餘人 朕念其人豈無鄕里骨肉之思 故令有

司遣使護送東歸rdquo

43) 洪武時期에 명과 고려 사이에 여러 차례 사절의 왕래가 있었다 홍무 2년

(1369) 4月부터 홍무 29년(1396) 6月까지 모두 22차례에 걸쳐 사신이 고려와

조선에 파견되었는데 사신의 이름이 파악된 사람이 43명(환관 25인 문신 11

인 무관 7인)이다 그중 정사로 고려조선에 출사한 사람이 21명인데 그 중

환관이 11인이고 문관이 4인이며 무관이 6인이다 이를 보면 많은 환관이 사

신으로서 고려조선에 파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환관은 대개 고려나 조

선 출신의 환관이었다 고려 조선 출신 25명의 환관 중 金丽渊黄永奇金仁

甫崔渊 등은 유명한 환관이다(李新峰 明前期赴朝鲜使臣丛考 明清论丛 第4辑 紫禁城出版社2003 참고)

44) 高麗史 卷132 恭愍王 己酉 18年 6月 丙寅條 ldquo皇帝遣宦者金麗淵致書rdquo 이

기사에는 이 때 귀환한 자가 165인으로 기록되어 있다

45) 太祖實錄 卷196 洪武 22年 4月 甲寅條 ldquo詔故元諸王來降者俾居耽羅國 且遣

中使往諭其國 爲造廬舍處之rdquo

46) 太祖實錄 卷117 洪武 11年 正月 ldquo是月 安南陳煓弟煒遣其臣陳建璨阮士諤來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7琉球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6년(1383) 정월 태조는 內使監 监

丞 梁民과 尚佩监 奉御 路謙 등을 琉球에 파견하여 中山王 察度에게

鍍金銀印과 고급비단을 하사한 일이 있다47) 같은 해 9월 琉球에서 내

란이 발생하였을 때에 태조는 监丞 梁玟을 보내어 전쟁을 중단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당시 中山王 山南王 山北王이 서로 자웅

을 겨루며 싸우고 있었는데 이때 내사감승 梁民에게 칙서를 보내어

싸움을 그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칙유를 보내었던 것이며 이들 모두

태조의 칙유를 받아들였던 것이다48)

眞臘國(캄보디아) 暹羅斛國(태국)에도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사무를 보게 하였다 홍무19년(1386) 9월에 行人 劉敏 唐敬 등을 환관

들과 함께 眞臘國에 보내었는데 이 때 磁器를 가지고 가서 하사토록

했고49) 홍무 28년(1395) 12월에는 환관 趙達과 朱福 등을 暹羅斛國(태

국)에 보내어 사망한 왕 參烈寶毘嗯哩哆嗦祿을 조문하고 후사인 蘇門

邦 昭祿群膺에게 비단과 모직물을 하사하였던 것이다50)

이상의 예들은 환관이 이미 태조시기에 황제의 명을 받고 외국의

사신으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수행한 사례들이다

태조가 환관을 변경 지역에 파견한 사실도 여러 곳에 보이고 있다

告煓卒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遣中使陳能至其國弔祭rdquo 國榷 卷6 洪武 11년 正月 ldquo是月 安南

陳煓弟煒遣使告哀 命中使陳能弔祭rdquo

47) 太祖實錄 卷151 洪武 16年 正月 丁未條

48) 明史 卷323 琉球傳 ldquo時二王與山北王爭雄 互相攻伐 命내內使監丞梁玟賜

之勅 令罷兵息民 三王并奉命rdquo 당시 琉球는 中山王(察度) 山南王(承察度) 山北

王(帕尼芝) 등 3세력이 대립하고 있었다

49) 太祖實錄 卷179 洪武 19年 9月 癸未條 ldquo遣行人劉敏唐敬偕內使賚磁器往賜

眞臘等國rdquo

50) 太祖實錄 卷243 洪武 28年 12月 戊午條 ldquo詔遣內使 趙達 朱福等 使暹羅斛

國 祭故王參烈寶毘嗯哩哆嗦祿 賜嗣王蘇門邦昭祿群膺 文綺四疋羅四疋 氁絲布四

十疋rdquo 明史 卷324 暹羅傳에도 같은 내용이 보이고 있다 ldquo二十八年 昭禄群

膺遣使朝贡 且告父丧 命中官赵达等往祭 敕世子嗣王位 赐赉有加rdquo (昭祿群膺이

사신을 파견하여 조공하고 또 부친의 상을 고하였다 이에 환관 조달 등으로

하여금 섬라에 가서 조문하도록 하고 세자가 왕위를 이어받도록 하였으며 더

불어 하사품을 곁들였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8홍무 2년(1369) 4월 원 승상 納哈出에게 편지를 보내 通交를 요구할

때 內臣을 파견하여 우호를 증진하였다51)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태조가 붙잡힌 원나라의 평장 完者不花를 돌려보내는데 환관을 시켜

돌려보내었다52) 홍무 14년(1381) 12월에는 환관을 파견하여 乌蒙(지금

의 운남성의 昭通)乌撤(지금의 운남성의 镇雄귀주성의 威宁)의 여

러 추장들에게 조칙을 발하였다53) 홍무 29년(1396) 6월에는 중사(환

관)를 桂林 등지의 府市에 보내어 南丹 奉儀 등의 衛所의 둔전 군사

들에게 밭가는 소를 지급해 주도록 하였다54) 동년 10월에 安定衛의

酋长 塔孩虎都鲁가 명에 와서 말 40필을 공물로 바친 일이 있는데 안

정위의 추장이 공물을 바친 것은 태조가 行人 陳誠으로 하여금 그곳에

다시 安定衛를 세우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었으며 이때에

ldquo復命中使赍金币往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

五十兩rdquo이라 하여 환관을 보내어 추장에게 옷과 비단 및 금품을 하사

하였던 것이다55)

이상의 기록들을 보면 태조시기에 환관이 여러 차례 변경 지역에

파견되어 변경 지역의 중대 업무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환관에게 지방 군대를 감독하거나 때로 군을 지휘하는 특수

임무를 맡겼다 태조는 외지 변경 지역의 장수들을 엄격히 통제하지

51)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亥條 ldquo玆 因遣使通元君 道經營壘望 令人送

達 所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國榷 卷3 太祖洪武 2年 4月 乙亥

條 ldquo又諭元臣納哈出書曰將軍昔自江左辭還 不通問十五年矣 近聞戍守遼陽 士馬

强 玆因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52) 太祖實錄 卷120 洪武11年 10月條 ldquo山西邊將遣人送所獲故元平章完者不花至

京師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朕怒邊將以爲方遣使通好乃執其平章豈不失信於卿 今特遣內臣送之 抵

丞相營 宥之罪之放 遂之 卿自爲區處rdquo

53) 太祖實錄 卷140 洪武 14年 12月 辛未條 ldquo遣內臣 賚敕諭鳥蒙鳥撤諸酋長rdquo

54) 明史 卷205 廣西土司傳 ldquo帝命俱置屯田给耕 寻遣中使至桂林等府市牛给

南丹奉议诸卫军士rdquo

55) 太祖實錄 卷247 洪武 29年 10月 甲午條 ldquo安定卫酋长塔孩虎都鲁 來朝貢馬

四十疋 先是 上遣行人陈诚立撤里畏兀兒 爲安定卫錫 以印章 以塔孩虎都鲁等指

挥千百户 至是诚歸 塔孩虎都鲁随誠入贡上嘉其慕義 厚赉之 復命中使赍金币往

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五十兩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9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 때 황제의 이목으로서 환관을 활용하였던 것

이다

태조는 명왕조를 창건하기 이전 자신의 세력을 키워가는 과정에서

많은 부하들을 양자로 삼아 그들을 활용하였다 이들에게 여러 장수들

의 군대를 감독하게 함으로써 장수들의 배반을 사전에 막고 안전하게

통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태조가 처음 기병했을 때 많은 양자를 두

었는데 이들을 장수와 함께 여러 路를 지키도록 했다 이를 테면 周舍

를 鎭江에 道舍를 寧國에 馬兒를 婺州에 柴舍眞童을 處州에 金剛

奴를 衢州에 보내어 지키도록 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주원장의 양자들

이었다56) 양자를 심복으로 삼아 그들을 기용하여 군대를 감독하게 하

였던 것이다

이들에게 감군하는 권한을 허락한 것은 태조가 왕조를 창업하는 과

정에서 군권 장악이 최후 승자가 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고 생

각하여 취한 조처였던 것이다

그런데 왕조를 개창한 후에는 양자보다는 환관을 신임하고 그들을

군부대에 파견하였다 홍무 원년(1368) 9월에 北征에 힘쓴 將士들에게

음식을 베풀어 주면서 위로한 일이 있는데 이 때 환관 奉御를 北平에

파견하여 이 일을 담당하도록 하였다57) 홍무 9년(1376) 8월에는 환관

趙成을 군부대에 파견하여 그곳의 관리를 불러들였다 내용인즉 홍무

9년 西番의 多爾濟巴가 부락민을 이끌고 명에 귀순하여 오자 태조는

熊鼎을 岐寧衛 經歷으로 삼아 그곳을 다스리도록 하였다 웅정은 임지

에 도착한 후 귀순부대들이 거짓으로 항복했다는 것을 알고 그 사실

을 비밀리 조정에 보고하였다 태조는 그 소식을 듣고 먼저 웅정을 위

로한 후 환관 조성을 군부대에 보내어 웅정을 경사로 불러들였던 것

이다58)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환관 吳誠을 총병지휘 楊仲名에게

56) 明史 卷134 夏文輝傳 ldquo太祖初起 多蓄義子 及长命偕诸将分守诸路 周舍

守镇江 道舍守宁国 马兒守婺州 柴舍真童守处州 金刚奴守衢州 皆义子也rdquo

57) 太祖實錄 卷35 洪武 元年 9月 乙卯條 ldquo上遣中使奉御等官 至北平 犒北征將

士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0보내어 전반적인 계획과 책략을 살피도록 하였고59) 11월에는 總兵官

辰主指揮 楊仲名이 五開蠻의 반란을 평정하자 태조가 內臣 尙履奉御

呂玉을 楊仲名에게 보내어 그 군대를 검열하고 위로하게 하였다60) 홍

무 27년(1394)에는 환관을 陝西都指揮使司에게 보내어 將士들을 훈련

하게 하였고 魏國公 徐輝祖으로 하여금 섬서 연변지역을 다스리게 하

였다61)

이러한 예들은 환관이 감군으로서 군영에 파견되어 군정을 순시하

고 살피는 일을 한 사례들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태조는 환관이 군의 정황을 살피는 일 이상의 업무에는 참

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 점은 唐代의 환관들과 다른 점으로 당대

에는 환관의 감군이 정치참여로 나타났지만 태조는 환관이 국가중추

기관의 기밀을 획책하는 일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62) 그

렇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기능은 장차 환관의 위력이 점점 강해지는 결

과를 낳았음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셋째 태조는 환관을 각종 경제활동에도 참여시켰다

태조 때에 환관은 경제활동에도 빈번히 참여하였는데 최초의 예로

서는 홍무 8년(1375) 5월 태조가 환관 趙成을 河州에 보내어 거기서

말을 교역해 오도록 한 일이다 태조가 茶馬司를 설치 한 후 조정에서

는 西番에 말을 사들이는 교역장을 마련하였는데63) 서번은 본래 말의

58) 明通鑑 卷6 洪武 9年 8月條 이때에 옹정이 경사로 돌아가자 번인들이 반

란을 일으켰다고 한다

59)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0月 戊申條 ldquo遣內臣 吳誠詣總兵官指揮楊仲名行

營觀方略rdquo

60) 太祖實錄 卷121 洪武 11年 11月 庚午朔條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1

月 庚午條 ldquo五開蠻平 內臣 尙履奉御 呂玉勞指揮楊仲名rdquo 明通鑑 卷6 洪武12

年 11月條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61) 太祖實錄 卷234 洪武 27년 9月條

62) 田禾 明太祖嚴馭宦官試析 (社會科學戰線 1997-4期 1997) pp162-163

63) 茶马司는 洪武 5년1372)2月에 秦州에 처음 설치되었다 그 후 洪武 7년

(1374)다시 河州에 차마사를 설치하고 이어 또 洮州 등지에 차마사를 두었

다 이들은 四川 漢中 湖南 등지의 차와 서북 유목지역에서 나는 말을 교역하

는 임무를 띠고 있었는데 藏族지구의 말을 사들이는 일이 주된 일이었다 그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1산지였기 때문이었다 서번 사람들은 말을 가지고 와서 중국의 문물을

구입하여 갔다

그런데 서번인들의 생활용품과 중국의 용품과는 달랐고 명초에 지

폐인 보초가 발행 된 이후에는 번인들이 사용하는 화폐와 달라 말의

교역량이 줄어들게 되었다 태조는 이것을 염려하여 궁중 환관 趙成을

파견하여 말 교역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조성은 여러 종류의 비단과 사천 지방의 茶葉을 가지고 가서 말을

사오는 방책을 취하였다 조성의 노력으로 河州 수장은 서번 사람들을

위무하고 선대하면서 互市를 열었기에 점차 많은 말을 사들여 올 수

있었는데 이후 차마 무역은 점차 활발해졌던 것이다64)

또 홍무10년(1377) 3월 호부는 징세 업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곳이 178처나 있음을 알고 환관 국자감생 호부의 관원 등 각 부문에

서 각각 1명씩 차출하여 정밀 조사하기를 태조에게 주청하였다 세금

징수 업무를 담당하는 稅課司에서 할당한 세금이 제대로 걷히지 않자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환관과 국자감생들을 보내어 조사하도록 주청한

것이다 이때의 주청에 대하여 lsquo從之rsquo65)라 한 것을 보면 태조가 그것을

승인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환관이 징세 업무에도 간여하였음

을 보여주고 있는 좋은 사례인 것이다

그 외에도 홍무 16년(1383) 9월 태조는 內使 梁珉으로 하여금 돈을

가지고 琉球로 가서 말을 사들여 오도록 하였고66) 홍무 25년(1392) 3

월에는 尙膳太监 而聶과 司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소관

의 번족에게 보내어 거기서 말을 사들여오도록 하였다67) 이 때 서북

러므로 회족이 운거하고 있는 河州는 명대 茶馬互市의 중심지였다

6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5

65) 太祖實錄 卷111 洪武 10年 3月 甲申條 ldquo户部奏天下税课司局征商不如额者

一百七十八处 宜请遣中官国子生及部委官各一人往覈其實立爲定額從之rdquo

66) 太祖實錄 卷156 洪武 16年 9月 己未條 ldquo內官梁珉以貨幣往琉球易马還得马

九百八十三匹rdquo

67) 太祖實錄 卷217 洪武 25年 3月 己丑條 ldquo遣尙膳太监 而聶司禮太監 慶童

賚敕往諭陝西河州等衛所屬番族 令其輸馬 以茶給之rdquo 弇山堂別集 卷90 中官

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당시 尙膳太监 而聶과 司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2쪽의 번족으로부터 말을 사들이는 데는 중국차로서 대가를 지불하였

다 이 때 사들인 말이 10340여필에 이르고 교역한 차엽은 30여만 근

에 달하였다고 하며 구입한 말은 河南 山西 陝西의 衛所에 배치되었

던 것이다68)

넷째 환관을 민간 정보 수집요원으로 활용하였다

새로운 왕조가 성립되었다고 하지만 언제 어떻게 몽골족이 반격하

여 올지 모르고 또한 명조의 신 정권에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다시 왕조를 전복할지도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정보 수집을 중히 여기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

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錦衣衛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금의위를 운영하면서도 태조는 자신의 정권을 보전하기 위

해 환관에게 문무백관을 감시하는 권한을 맡겨 정보를 수집하였다 홍

무 12년(1379) 9월에 占城國 국왕 阿答阿者가 그 신하 陽須文旦을 파

견하여 황제에 올리는 상서와 함께 코끼리말방물 등을 진헌한 일

이 있었는데 중서성 신하는 이것을 제때에 보고하지 못하였으나 內臣

(환관)이 외출하였다가 그 사신을 만나 점성국 사신이 왔다는 정보를

얻어 그 사실을 태조에게 알렸다 태조는 환관의 정보 제공으로 곧바

로 점성국의 사신을 불러 접견할 수 있었는데 이 때 태조는 ldquo상하의

의사소통이 꽉 막히기가 여기까지 이르렀구나rdquo고 하며 탄식하며 중서

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번족에 보내어 말을 사들인 사실은 lsquo교역rsquo

이라는 경제 활동의 성격과 lsquo군마 구입과 배치rsquo라는 군사적 성격을 동시에 지

니고 있는 활동이기도 하다

68)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 ldquo尙膳太监 而聶等至河

州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於是得馬萬三千四十餘疋 以茶三十餘萬斤給之 諸族大悅 而聶遣使入奏

命以馬分给河南山西陕西卫所骑士rdquo이라 하여 교역된 마필과 차엽의 양이

언급되어 있고 당시 구매된 말이 어디로 배치되어 있는가 하는 내용이 더 언

급되어 있다 다만 같은 내용의 기사가 太祖實錄에는 洪武 25년 3月 기사로

弇山堂別集에는 2月 기사로 되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3성 관료들을 질책하자 승상 胡惟庸 汪廣洋 등 중서성의 신하들이 모

두 고개를 땅에 대고 사죄하였다고 한다69)

환관들은 황제의 이목이 되어 황제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황제와 환관들은 자연히 신뢰관계가 형성되었다 황제는

이러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환관에게 특별한 임무를 부여하였던 것

이다 특별한 임무란 황제가 직접 접할 수 없는 궁성 밖의 정세나 관

료의 동향을 알아내는 첩보 활동이었으며 京師의 禁軍도 그들의 감시

대상이었던 것이다

다섯째 환관은 친왕의 왕부에 특사로서 파견되기도 하였다 홍무 12

년(1279) 3월에 환관 陳京을 桂林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靖康王 朱守

謙에게 파견하여 황제의 유지를 전달하게 하였고 홍무 26년(1393) 2월

에 藍玉의 모반 사건이 일어났을 때 3월에 太原의 晉王 朱楓에게 사

람을 보내어 남옥의 모반 사건과 관련되어 있는 집안의 가정과 노비들

을 제거하고 재산을 몰수하라는 유지를 내렸는데 이때에 칙유를 가지

고 간 사람이 환관 而聶과 부마 梅殷였다70)

이를 보면 친왕들에게 유지를 전하는 데 환관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그렇기에 태조는祖訓錄에서

무릇 친왕이 과오를 저지르면 重한 경우 내사 감관으로 하여금 왕을

불러오게 하고 세 차례나 불러도 오지 않으면 다시 流官(황제가 임명한

관리)을 보내되 내관과 함께 동행을 하여 그를 경사로 불러들이도록 한

다71)

69) 太祖實錄 卷126 洪武 12年 9月 戊午條 ldquo占城國王 王阿答阿者遣其臣陽須文

旦進表及象馬方物中书省臣不以時奏 內臣因出外見其使者以聞 上亟召使者見之

嘆曰 壅蔽之害乃至此哉 因敕責省臣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丞相胡惟庸汪廣洋等 皆叩頭謝罪rdquo

70) 王德金 앞의 논문 朱元璋馭宦之析 pp41-42

71) 祖訓錄 法律 ldquo凡親王有過 重者 遣內使監官宣召 如三次不至 再遣流官 同監

官召之至京rdquo 태조가 창업군주로서 자손들에게 훈유를 내려 그것을 영구히 지

키도록 하기 위해 지은 책이 祖訓錄이다 太祖實錄 洪武 2年 4月 乙亥條에

ldquo詔中書編祖訓錄rdquo이라는 것을 보아 이때부터 편찬이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洪武 6年 5月에 완성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箴戒持守严祭祀谨出入慎

国政禮仪法律内令内官职制兵卫营缮供用 등 13 항목으로 되어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4

라고 규정함으로써 친왕이 문제가 있을 때에는 환관이 먼저 파견되었

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을 보면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들의 발호를 억제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정치적 현실에

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차마 무역의 담당

자로 호군 및 군대 감독자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

년 승상제가 폐지되면서 그들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

겠다 이로 인하여 환관의 권위는 점 점 높이지고 세력은 확대되어 갔

던 것이다

3 宦官數의 增大와 機構의 擴大

홍무 초년에는 태조가 환관을 통제했기에 당시의 환관들이 아직 자

금성 안에서 주로 복무했다고 한다면 그의 통치 중후기에는 환관들

이 궁궐 밖으로 나가 여러 임무를 띠고 초기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였다 태조는 이런 변화가 그렇게 나쁘다고 여기지 않았고 도리어

그들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도움이 된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리하여 태조시기에 환관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환관 기구도 확대

되어 갔다 홍무 2년 규정에는 내사감 봉어 60인 기타 각 각 사소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까지 합쳐 총수는 100명에 불과하였다72) 그러나

홍무 15년(1382)에는 환관 361인을 증설하였다73) 이것은 홍무 15년에

증가된 기록으로 당시 기존의 환관을 합치면 거의 수백 명의 환관이

있으며 태조 자신이 서문을 지었다 太祖實錄 28年 閏 9月 庚寅條에 의하면

이 때 祖訓錄을 거듭 정하여 皇明祖訓이라 명명하였다

72)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 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定置內

使監 奉御六十人 尙寶 一人 尙冠七人 尙衣 十人 尙佩九人 尙藥七人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東宮

後門 宮左宮右門 各設門正一人 副一人rdquo

73) 太祖實錄 卷149 洪武 15年 10月 丙戌條 ldquo增設內使三百六十一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5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명조는 수시로

주변 여러 나라에 엄인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사실로 홍무 24년(1391)에 태조는 환관 韓龍 黃禿蠻 등을

고려에 보내어 말 1만 필을 사오도록 하면서 閹人 200여명을 요구하였

다74) 그리고 安南國에서도 끊이지 않고 엄인들을 진공하였는데 매번

수십 명 씩 바쳤던 것이다75) 명조는 사방에 엄인을 요구하였는데 특

히 고려와 안남은 당시 엄인을 진공하는 주요 나라가 되었다76)

이리하여 환관의 수가 부단히 증가하였고 태조도 역시 환관을 심복

중의 심복으로 삼으면서 그들을 신뢰하고 있었다 이에 홍무 17년

(1384) 어느 날 대도독부 겸 국자감을 관할하고 있던 李文忠은 태조에

게 환관이 너무 많으니 그 숫자를 줄여할 것을 건의하였다

ldquo內臣이 너무 많습니다 마땅히 좀 줄이셔야 합니다rdquo라고 이문충이 건

의 하자 태조는 이를 듣고 대노 하여 ldquo자네가 나의 오른쪽 날개를 약화

시키려 하는데 그것은 무슨 의도인가 이것은 분명히 문객들이 시켰을

것이다rdquo라고 말하면서 결국 사람을 보내어 이문충의 문객을 전부 살해하

였다77)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일로 인하여 이문충은 병들어 죽게 되었는

데 이 때 이미 환관은 그 수가 적어서는 안 되는 대상이 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4) 太祖實錄 卷208 洪武 24年 3月 己丑條 ldquo詔於高麗市馬一萬疋 幷索閹人二百

人rdquo 高麗史 恭讓王 3년 辛未年條

75)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6

76) 환관의 공급원은 본래 宮刑에 처해진 죄인들이었지만 隋代 이후 궁형이 폐지

된 후부터는 ① 적의 포로 ② 외국으로부터의 進貢者 또는 변방 지역의 進獻

者 ③ 특별한 사정으로 궁형에 처해진 죄인 ④ 自宮者 곧 지원자 또는 부모의

명령으로 거세된 準自宮者 등이 있다

77) 弇山堂別集 卷20 史乘考誤 1 ldquo一日勸上内臣太多宜稍裁省 上大怒 謂若

欲弱吾羽翼何 意此必门客教之 因盡殺客 文忠驚悸得疾暴卒 上發悲 怒殺諸醫及

文忠侍者百人rdquo 이 기사는 어느 때의 기사인지 나와 있지 않아 잘 알 수 없으

나 이것은 李文忠(1339mdash1384)이 죽은 해에 발생한 사건이므로 洪武 17년

(1384)의 사건으로 볼 수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6환관의 기구 역시 확대되어 갔다 환관의 부서와 직무는 吳 원년

(1367)에 lsquo內史監rsquo이 설치된 이후 인원의 증대와 기구 관리를 위해 조

직이 신설 분리되어 가면서 확대되어 갔는데 홍무 17년(1384)에 9監

2庫 6局 체제가 되었다78) 이것은 명대 환관의 기구인 24아문(12감 4

사 8국)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어 홍무 28년(1395)에 11감 4사 9국으로

정비되어 24아문의 기구가 거의 완비되었던 것이다79) 홍무 30년(1397)

환관 조직은 12감8국4사의 24아문의 규모가 되었고 명왕조 환관

조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황종희가 말하고 있듯이 ldquo명조에 善治가

없었던 것은 태조가 재상을 폐지하면서부터이다 저 宮奴들이 재상의

정치가 땅에 떨어져 수습될 수 없음을 알고 여러 규칙과 조목을 세우

고 직무를 늘렸으며 생살권과 상벌권 등 재상으로부터 나오던 것이

이제 모두 환관들에게 돌아갔도다 (중략) 그러므로 궁노들이 재상처럼

된 것은 승상제를 폐지한 데서 온 커다란 과오이다rdquo80) 라고 하면서

환관의 발호는 재상의 폐지로 인한 것이며 이것은 명대 정치의 큰

폐단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로 재상 없는 군주 독재 지배체제에서 황제 한 사람에 의한 통치

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매일 황제 곁에 있는 환관

중 신뢰하는 환관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태조도 자신도 모르게 환관을 신뢰하고 그들을 중용을 하였으니 이념

적으로 ldquo내신은 정사에 관여하지 못한다rdquo 라는 규정을 내세우면서도

78)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九監은 内官监 神宫监 尚寶监 尚衣监 尚膳监 司

设监 司礼监 御马监 直殿监이고 二庫는 内承运库司鑰库이며 六局은 巾帽局

针工局 织染局 颜料局 司苑局 司牧局을 말한다

79) 위와 같음 十二監은 神宫监 尚寶监 孝陵神宮監 尚膳监 尚衣监 司设监 内官

监 司禮監 御马监 印綬監 直殿监이고 四司는 惜薪司 钟鼓司寶钞司 混堂司이

며 9局庫는 兵仗局 織染局 针工局 巾帽局 司苑局 酒醋麵局 內乘運庫 司鑰庫

內府供用庫인데 이것들은 후에 24아문으로 발전하였다

80) 黄宗羲 明夷待訪錄 置相 ldquo有明之无善治 自高皇帝罢丞相始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彼宫奴

者见宰相之政事坠地不收从而设为科条增其职掌 生杀予夺 出自宰相者 次

第而尽归焉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故使宫奴有宰相之实 则罢丞相之过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7: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5적 陳友諒을 물리치고 蘇州 지방을 근거로 하고 있던 張士誠을 멸하

고(1367) 천하를 얻어 마침내 1368년에 명나라를 세워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16) 그가 명 왕조를 세운 太祖 洪武帝(1368-1398)17)이다

새로 왕조를 창업한 주원장은 어렵게 얻은 천하를 유지하는 것이

그렇게 쉽지 않다는 것을 깊이 깨달았다 그리고 역대 왕조 흥망사의

역사를 거울로 삼아 국초부터 궁궐 내 환관의 폐해를 심각하게 인식

하였다

그렇기에 태조는 왕조를 개창한 이후 곧 바로 환관의 정치 간여를

금하는 조서를 발하였다 홍무 원년(1368) 4월 禁宦官预政典兵 이라

는 금령을 내렸는데 이에 대하여 청의 谷應泰가 지은 明史紀事本末

18)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4월 병진 일에 환관이 정치 사법 군사 등의 일에 간여하는 것을 금하

였다 태조는 시신들에게 이르기를 ldquo내가 사서에 기록되어 전해 오는 것

을 보니 한나라와 당나라의 말기에 환관은 모두 나라를 망하게 한 좀 벌

레였다 폐해가 많았으니 일찍이 이보다 더 한심한 때가 없었다 주역에

이르기를 나라를 열고 조정을 이어받을 때 소인은 쓰지 말라고 했다 궁

궐에서 환관이 하는 일은 다만 소제하고 심부름하는 일 뿐이다 어찌 정

치 사법 군사 등의 일에 간여하도록 해야 하는가 한당의 화 비록 환

관의 죄이기는 하나 역시 군주가 이를 총애하여 부렸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다 환관으로 하여금 정치에 간여하지 않도록 하여라 만약 그렇

게 한다면 비록 환관이 난을 일으키려 한다 하더라도 그것이 성공할 수

있겠는가19)

16) 全淳東 明王朝成立史硏究 (도서출판 개신 2000) pp103-107

17) 중국의 명청대는 一世一元 곧 한 황제가 하나의 연호를 채택하는 것이 관

행으로 되었기 때문에 황제를 호칭할 때 lsquo廟號rsquo로 부르기도 하고 lsquo年號rsquo를 사

용하여 부르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太祖 洪武帝를 호칭할 때에는 왕조를 창업

한 최초의 군주라는 개념을 살리기 위해 lsquo太祖rsquo라는 lsquo묘호rsquo를 사용하고 그 뒤를

이은 황제는 습관상 많이 부르고 있는 lsquo연호rsquo에 의한 칭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18) 1658년에 중국 청나라의 谷應泰가 지은 기사본말체의 역사서로 명조 일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이것은 明史보다 80년이나 앞선 중요한 사서로 모두

80권으로 되어 있다

19) 明史紀事本末 卷14 洪武 元年 4월 丙辰條 ldquo禁宦官预政典兵 上谓侍臣曰

吾见史传所书 汉唐末世 皆为宦官败蠹未尝不为之惋叹易稱 開國承家 小人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6

이것을 보면 태조는 한과 당의 멸망 원인이 환관의 폐해에 있다고

판단하고 아무리 환관의 폐해를 막으려 한다 해도 그렇게 쉽게 될 수

없음을 인식한 나머지 국초부터 환관을 억제하려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개국황제 주원장이 환관에 대해 내린 제1차 경고성 명령

이라 해석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과거 역사 가운데에서 환관의 폐해를 절감한 태조는 환관의 수와

직임을 제한하였다 이미 명왕조 성립 이전 吳王 원년(1367)에 lsquo內史監rsquo

이라는 환관기구를 두고 환관을 활용하였던 태조는 홍무 2년(1369) 8

월에 다시 환관의 직제를 정하였는데 이때에 환관의 수와 직임을 제

한하였다 그 내용이太祖實錄에 잘 나타나 있다

태조는 이부로 하여금 내시관제를 정하도록 하였다 이 때 이부에 이

르기를 ldquo짐이 lsquo周禮rsquo를 보니 환관의 수가 백 명도 채 되지 않았다 후세에

이르러 수천 명에 이르러 마침내 큰 환난을 불러 일으켰다 지금 아직 복

고 정책을 쓰지는 않지만 역시 잘못된 일이나 나쁜 일은 경미할 때 막아

서 더 이상 발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마땅한 일이다 이 환관들이 하는

일은 酒漿醯鹽을 나르고 복장을 관리하고 사당을 깨끗이 하는 일 등 사

소한 몇 가지에 불과하다 이제 짐도 이들이 하는 일이란 물건 나르거나

청소하는 일과 같은 사환이 하는 일에 그치도록 하고 다른 특별한 일을

맡기지 말아야 할 것이니 잘 숙고하도록 하라rdquo고 하였다20)

위의 기록을 보면 주례에는 환관이 100명도 채 안되었는데 후세에

수천 명이 되어 그 때마다 큰 환난을 가져왔다면서 환관의 수를 적게

하고 그들이 하는 일 또한 청소하고 짐 나르고 하는 단순한 허드렛일

만을 하게 함으로써 권세를 부리지 못하도록 하라는 것이었다

위에 인용한太祖實錄을 더 읽어 가보면

勿用 其在宫禁 止可使之供洒扫给使令而已 岂宜预政典兵 汉唐之祸 虽宦官之罪

亦人主宠爱之使然 向使宦官不得典兵预政 虽欲为乱 其可得乎rdquo 明通鑑에도

똑같은 내용이 보이고 있다

20)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諭之曰 朕觀周

禮 所記未及百人 後世至踰數千 卒爲大患 今雖未能復古 亦當爲防徵之計 此輩

所治 止於酒漿醯鹽司服守祧數事 今朕亦不過以備司令 非別有委任 可斟酌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7

侍臣들에게 일러 말하기를 환관들은 자고로 선량한 사람은 천 명 중에

한 두 사람 만날 정도이다 만약 그들을 耳目으로 쓴다면 耳目이 가리어

질 것이고 그들을 腹心으로 생각한다면 그 때부터 곧 내재된 화근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그들을 제어하는 방도는 항상 경계하고 삼가 하여 그들

로 하여금 법을 두렵게 여기도록 하고 功勞가 있도록 하면 안 된다 만

일 그들이 공로가 있으면 방자하게 되고 그들로 하여금 법을 두려워하게

하면 단속이 될 것이니 그렇게 되면 감히 그릇된 일을 저지를 수가 없을

것이다 이에 內使監을 두고 奉御 60인을 두었다21)

라고 하여 환관을 다스리는 방책은 항상 규율을 유지해서 법을 두렵게

여기도록 하고 공적이 있도록 하게 하면 안 된다는 것이다 공적이 있

으면 방자하게 되고 법을 두려워하게 하면 절제하며 절제하면 감히

비위를 저지를 수가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 때 더불어 환관의 수도

한정하여 두었다22)

태조는 환관의 품질도 비교적 낮게 정하였다 홍무 4년에 이부가 內

使監 품질을 정할 때에 내사감령은 정5품으로 정하였다 홍무 3년에

종3품이었던 내사감령이 그 이듬해에는 정 5품으로 강등된 것이다 이

에 따라서 다른 환관직도 전체적으로 이전보다 등급이 낮아졌던 것이

다23)

이때에 태조는 시신들에게 일러 말하기를

21) 위와 같음 ldquo又顧侍臣曰 此輩自古以來求其善良千百中不一二見 若用以爲耳目

卽 耳目蔽矣 以爲腹心卽腹心病矣 馭之之道 但 常戒勅 使之畏法 不可使之有功

有功則驕恣 畏法则检束 自不敢为非也 乃定置內使監 奉御六十人rdquo 이 때 과거

內史監을 內使監으로 개칭하였다

22) 이 때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에 나타나 있는 규정을 소개하

면 다음과 같다 ldquo定置內使監 定置内使监奉御六十人 尙寶一人 尚冠七人 尚衣

十人 尚佩九人 尚药七人 纪事二人 执膳四人 司脯二人 司香四人 太庙司香四人

涓潔二人 置尚酒 尚醋 尚面 尚染四局 局设正一人 副二人 置御马 御用二司 司

设正一人 副二人 内府库设大使一人 副使二人 内仓监设令一人 丞二人 及置东

宫典玺 典翰 典膳 典服 典药 典乘兵六局 局设局郎一人 丞一人 又置门官午门

东华门 西华门 玄武门 奉天门 左右顺门 左右红门 皇宫门 坤寧门 宫左门

宫右门 各设门正一人 副一人 东宫门官 春和门 東宮後門 宮左門 宮右門 各設門

正一人 副一人rdquo

23) 太祖實錄 卷63 洪武 4年 閏3月 乙丑條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8

옛날의 환관제도는 궁정에서 아침저녁으로 심부름을 하는 일 뿐이었

다 그런데 후한 鄧太后24)가 황후로써 천자를 대신하여 섭정할 때 公卿

과 접하지 않고 閹人을 常侍와 小黃門으로 삼아 그들을 통하여 명령하였

는데 이때부터 그들의 권력이 황제에 기울어 그 폐해가 심하여졌다 이

것은 마치 狐假虎威(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부리다)라는 말과 같이 왕의

위엄을 빌려 위세를 부리고 城狐社鼠(성곽에 사는 여우와 社壇에 사는

쥐)가 되어 황제 곁에서 간신노릇을 하였다 짐은 이들에게 궁궐에서만

일하도록 하였으니 어찌 권세를 힘입어 정사를 어지럽히는 일이 있겠는

가 내가 이것을 엄히 방지하도록 하였으니 犯法者에 대해서는 이를 질

책하여 제거함으로써 주위에 존재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履霜堅氷(서

리가 내리면 두꺼운 얼음이 얼게 된다)이라는 말이 있듯이 삼가 재앙이

나 화는 그것이 작을 때에 사전에 미리 막아야 한다는 가르침을 잊어서

는 안 되느라25)

고 하면서 환관을 명초부터 엄히 경계하여 다루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태조는 환관이 정사에 간여하는 일이 있을 때 그를 가차 없이 제거

하기도 하였다 홍무 10년(1377)에 이런 일이 있었다 오랫동안 곁에서

태조를 모시던 한 환관이 있었다 그는 부지런히 근신하며 태조를 성

실히 모셔왔다 하루는 그 환관이 침착한 태도로 정사를 언급하자 태

조는 바로 그를 파면시켜 고향으로 돌려보냈으며 평생 그를 다시 부르

지 않았다 明太祖寶训에어느 한 내시가 오래도록 내정의 일을 맡아서 봉사하여 왔는데 그가

차분히 정사에 대하여 언급하자 태조는 곧 바로 질책하여 免官하고 귀향

24) 후한 和帝(88-106)의 태후로서 105년에 후한 和帝가 죽자 등태후는 민가에

보내어 기르던 황자 劉隆을 데려다 그날 밤 즉위시켰다 그는 생후 100일밖에

되지 않는 殤帝(105-106)이다 그런데 그는 이듬해에 요절하고 말았다 그러자

등태후는 淸河王 劉慶의 아들로 13살 된 劉祜(유호)를 황제로 즉위시켰는데

이가 安帝(106-122)이다 이런 과정에서 등태후는 14년간 천자를 대신하여 수

렴청정을 하며 권력을 행사했다

25) 太祖實錄 卷63 洪武 4年 閏3月 乙丑條 ldquo上因謂侍臣曰 自古之宦竪 在宮禁

不通司晨昏供役使而已 汉邓太后 以女主稱制不接公卿乃以阉人为常侍小黄门

通命自此以来内侍权倾人主及其爲患 有如城狐社鼠 不可以去 朕谓此辈但

當服事宫禁 岂可假以权势纵其狂乱 吾所以防之极严 但犯法者 必斥去之 不令

在左右 戒履霜坚冰之意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9토록 했으며 종신토록 그를 다시 등용하지 않았다 26)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내용은 明通鑑에도 같은 내용이 언급되어 있으며 이를 더 읽

어 가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태조는 대신들에게 이르기를 ldquo환관들이 날마다 좌우에서 시중드는데

충성과 믿음이 적다면 그것은 황제의 마음을 굳어지게 한다 그것이 오

래되면 권위를 빌어 정사에 참여하게 되고 마침내 그것을 억제할 수가

없게 된다 자고로 이러한 환관들 가운데 난을 일으키는 자가 많았다 지

금 입법하여 환관에게 정치 관여를 불허하고 그들을 제거하는 것은 과

거의 실패를 교훈 삼아 장래에 같은 실패를 되풀이 하지 않도록 하려는

까닭이다rdquo27)

위의 훈계 내용을 보면 태조의 환관에 대한 엄연한 태도가 깃들어

있으며 ldquo群臣頓首稱善rdquo이라 하였으니 모든 신하들도 환관에 대한 황

제의 태도가 옳다면서 그 조처를 긍정하였던 것이다 파면된 환관이

오랫동안 성실히 군주를 시중들어 왔다고 생각한 탓인지 그를 살해하

지는 않았지만 종신토록 다시 그를 불러들이지 않음으로써 환관의 정

치 간섭이 얼마나 큰 과오인가 하는 것을 밝혔던 것이다 이것은 어디

까지나 후대의 환관을 경계시킨다는 목적이 깊게 깔려 있다고 생각된

26) 明太祖寶训 卷3 去讒佞 ldquo洪武十年五月 是月 有内侍以久事内廷 从容言及

政事 太祖即日斥遣还乡里 命终身不齿 遂谕群臣曰 自古贤明之君 凡有谋为 必

与公卿大夫谋诸朝廷 而断之于己 未闻近习嬖幸之人得与谋者 况阍寺之人 朝夕

在人君左右 出入起居之际 声音笑貌日接乎耳目 其小善小信 皆足以固结君心 而

便僻专忍 其本态也 苟一为所惑而不之省 将必假威福 窃权势 以干与政事 及其

久也 遂至于不可抑 由是而阶乱者 多矣 朕尝以是为鉴戒 故立法 寺人不过侍奉

洒扫 不许干预政事 今此宦者 虽事朕日久 不可姑息 决然去之 所以惩将来也 群

臣顿首称善rdquo

27) 明通鑑 卷6 太祖洪武 10年 5月條 ldquo有内侍以久侍内廷 从容言及政事 上(太

祖)即日斥遣歸命 终身不齿 諭諸臣曰 此辈日在左右 其小忠小信 足以固结君心

及其久也 假窃威权 以干政事 遂至于不可抑 自古以此辈乱者多矣 今立法不许寺

人干预朝政 决去之 所以惩将来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0이상 일련의 사료들은 태조 주원장이 전대에 환관전권으로 말미암

은 폐해가 얼마나 심각하였는가를 깊이 인식하고 이에 대한 경계를 강

하게 하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2 太祖의 宦官 統制

천하를 얻어 다스리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깊이 깨달은 태조는

역대 흥망의 경험과 교훈을 거울로 삼아 환관의 폐해를 심각하게 인식

하면서 일련의 환관 억제 조치를 취하였다

홍무 5년(1372) 태조는 환관에 대해 금령을 반포하였다 궁정에서

모함 다툼 상해 등 환관의 비행 및 부도덕한 행동이 있을 때 그에

대하여 엄히 다스리는 벌칙을 규정하여 발표하였다

罵詈者(상호 욕하고 꾸짖는 자)는 태형 50대 봉어를 모욕하는 자 장

60대 문관이나 감관을 모독하는 자는 장 장 70 서로 싸우는 자 장 70이

대이며 상해를 입힌 자는 한 등급 더 높여 처벌하고 본관의 제재에 불복

하고 고집하는 자 장 80대 이며 구타하여 상해를 입힌 자는 한 등급 너

높여 처벌하고 봉어를 구타한자 장 80 문관 감관을 구타한 자 장 100대

로 하며 상해가 있으면 각각 한 등급을 더 가해 벌한다28)

이처럼 환관이 궁정에서 모함하거나 다투거나 상해를 입힐 경우 그

상황을 따져서 태형이나 장형으로 벌하는 내용을 규정하였다

그런데 이 사료를 더 읽어가 보면 능지처참이나 참수의 형까지 규

정하고 있고 잘 못이 있을 때 자수하기를 권장하면서 자수하는 환관

에 대하여는 도리어 상을 내리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28) 太祖實錄 卷74 洪武 5年 6月 丙子朔條 ldquo洪武五年六月 丙子朔 定宦官禁令

凡內使于宮城內 相罵詈者先發理屈笞五十 後罵理直者不坐不服本管鈐束而抵罵者

杖六十 內使罵奉御者杖六十 罵門官監官者杖七十 內使于宮城內相鬭毆者先鬭理屈杖七十 毆傷者加一等 後應理直而無傷者笞五十 不服本管鈐束而毆之者杖八十

毆傷者加一等 毆奉御者杖八十 毆門官監官者杖一百 傷者各加一 內使等有心懷

惡逆 出不道之言者 凌遲處死 有知情而蔽之者同罪 知其事而不首者斬 首者賞銀

三百兩rdquo 欽定續通典 卷108 刑2에도 같은 기록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1

內使等이 마음이 악하여 심하게 도리를 벗어나는 행동을 하고 도리에

어긋나는 말을 하는 환관들은 능지처참 시키고 사정을 알면서도 그것을

은폐하는 자 역시 똑 같이 능지처참할 것이며 사실을 알면서도 자수하지

않는 자는 참수할 것이며 대신 자수하는 자에게는 상금으로 은 3백량을

내릴 것이다29)

라 한 것이 그것이다

홍무 6년(1373)에는 환관 기구 중에 lsquo內正司rsquo라는 환관의 위법행위를

규찰하는 전문기구를 두었다30) 이것은 환관의 불법과 부도덕을 규찰

하는 기구로 司正(정7품) 司副(9종7품) 등의 관직을 두어 운영하였으

며 환관의 위법과 부도덕한 행동을 규찰하는 책임을 맡게 되었던 것

이다31)

동시에 환관은 외정의 직을 겸할 수 없고 외정 관료들과 교류할 수

없도록 하였다 홍무 10년(1377)에 태조는 ldquo환관은 외신 文武의 직을

겸할 수 없고 외신의 관복을 착용할 수 없으며 정치에 참여하거나 군

권 행사를 할 수 없다 관품은 4품을 넘을 수가 없고 매월 지급하는

봉록은 1석이며 내정 안에서 살림을 한다rdquo32)라고 정하였던 것이다

또한 환관이 문자를 터득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하여 환관에

게는 글을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였다 明史에 보면 初 太祖制 内臣

不许读书识字 33)라고만 되어 있어 이것을 제정한 시기가 언제인지 확

실히 알 수 없으나 명초의 것으로 태조는 초기부터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환관 전권을 더욱 방지하기 위하여 홍무 17년(1384)에 금령

29) 위와 같음

30) lsquo內正司rsquo는 후에 lsquo典禮司rsquo lsquo典禮稽察司rsquo로 개칭되었다

3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六年 hellip又考前代纠劾内官之法 置内正司

设司正一人 正七品司副一人从七品 专纠内官失仪及不法者 旋改为典禮司 又改

为典禮稽察司 升其品秩 司正升正六品 司副升从六品rdquo

32) 明史 卷304 宦官1 ldquo然定制 不得兼外臣文武衔 不得御外臣冠服 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衣食于内庭rdquo

33) 明史 卷304 宦官1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2을 발하였다 그 금령은 ldquo內臣不得干預政事 犯者斬rdquo이라 하여 lsquo환관으

로서 정사에 간여하는 사람은 참수형에 처한다rsquo는 것이다 약 석자 크

기의 鐵牌를 주조하여 거기에 이 lsquo11자rsquo를 새겨 궁문 앞에 세워 두었

다34) 철폐를 제조하여 궁문 앞에 세워두었다는 것은 가장 극렬한 환

관 통제 방책의 하나로 상징성이 가장 큰 통제 방법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이 규정은 환관들로 하여금 조정의 일에 간여할 수 없게 만들

었을 뿐 아니라 명초 환관의 권력을 중국 역사상 가장 밑바닥에 처하

게 만들었던 것이다

또한 환관은 공문서를 가지고 외정을 드나들 수 없게 하였으며35)

이러한 제한으로 인해 자연히 환관은 궁정에 있는 관료들과 사귀어 정

사를 어지럽힐 수 있는 기회를 갖기가 어려웠다

생각해 보면 신왕조를 창업한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들이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왕조 창업 후 심복으로서 환관들을 활용하

지 않을 수 없었다 그렇기에 태조는 환관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그들

의 세력을 제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던 것이다

그 주된 내용은 다음의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겠다

① 환관과 외신과의 쌍방에 의한 정보교환 문서 왕래를 금한다

② 환관은 조정 관리를 겸무하는 일과 외신의 관복을 착용하는 것을

금한다

③ 4품 이상의 품계에 오르는 것을 금한다

④ 환관의 봉급은 매월 백미 1석으로 하고 후궁 내에서 생활하며 지낸

⑤ 환관에게 글을 가르치는 것을 엄금한다

태조는 이상과 같이 환관의 세력이 성장하지 못하도록 갖가지 규제

를 강구하고 나아가 환관 규제를 위한 철패를 제조하여 궁문에 세워

34)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十七年 鑄铁牌文曰 内臣不得干预政事犯

者斩 置宮門 又勅諸司 毋得與內官監文移往來rdquo

35)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十七年hellip又勅諸司 毋得與內官監文移往來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3두었는데 이것은 태조의 환관 통제 정책 중 가장 대표적이고 상징적

인 징표가 되었다 하지만 한편 극단적인 제약이 도리어 환관이 신성

한 황제의 힘을 등지고 세력을 휘두르는 화근을 배태하였던 것이다

Ⅲ 國初 政治的 現實과 宦官 抑制의 限界

1 太祖期의 政治的 現實

한 당 시대의 환관 전권의 사실과 폐해를 잘 알고 극력 환관의 세

력을 억압하려는 태조 앞에 닥친 정치적 현실은 어떠하였는가

새로이 명왕조를 세운 태조는 먼저 관계의 기강문제에 지대한 관심

을 가지고 있었다 새로운 왕조가 수립되었어도 기강이 해이해지면 전

왕조에 있었던 것과 같은 부패가 官界에 그대로 만연하게 될 것이고

그로 인하여 민심이 흉흉할 수도 있는 일이다 그렇게 되면 그 자체가

혁명의 발생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고 나아가 태조가 창건한 왕조

자체도 혁명의 객체로 부상할 수밖에 없는 일이다

그러므로 태조는 기강 확립 권신들의 전횡 견제 관리의 부정부패

방지 민심 동요 등을 경계하면서 정치사회의 안정과 중앙집권적 전

제지배체제의 확립을 꾀하였다36)

현실적으로 원 왕조가 몽골고원으로 퇴각되었다고 하지만 그들은

여전히 상당한 세력을 보유하면서 언제 어떻게 명조에 반격을 가해 올

지 모르기 때문에 결코 방심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또한 국내에서도

명조 정권에 대하여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있고 명조에

협력하지 않고 음으로 몽골 세력을 지지하면서 농민출신의 태조 및 그

정권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우까지 있었다 또한 일단 명조 정권에 협

력하고 있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반드시 본심에서 우러난 것인지 확실

36) 全淳東 明王朝成立史硏究 pp194-204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4히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태조는 황제를 중심으로

하는 강력한 중앙집권적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

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

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금의위

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였다37)

금의위라는 특무기구는 본래 황제의 거동과 행렬을 시위하는 데 불

과였으나 이것이 특무 기관으로서 기능을 갖게 된 것은 호유용의 옥사

사건 이후 정보 수집과 감시체제를 강화할 때인 홍무 15년(1382년) 금

의위의 기구가 개혁된 결과이다 이후에 금의위는 정치상의 음모를 기

도하는 행위나 반체제적인 종교비밀 결사 등을 감시하는 기능을 가지

게 되었다 곧 금의위는 황제 행렬의 시위 외에 순찰을 돌면서 체포하

는 권한까지 지니게 되었던 것이다 이들은 정보를 수집하고 감시 적

발하며 사법권에까지 개입하였던 것이다38)

하지만 국초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

의 옥을 일으키며 시의심이 강하였던 주원장은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

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많은 사가들은 명사 환관 열전의 서문에 나타나 있는 ldquo盖明世宦官

出使专徵监军分镇刺臣民隐事诸大权皆自永乐间始rdquo(명대 환관

의 출사 징세 감군 분진 신민의 은밀한 일 정탐 등의 권리는 모두

영락 연간부터 시작되었다)39) 라는 기사라든지 明史 職官志에 나타

난 ldquo顾中官四出 实始永乐时 元年 李兴等赍敕劳暹罗国王 此奉使外国之

始也rdquo(돌이켜 보면 환관의 파견은 영락제 때에 처음 실시하였다 영락

37) 山根幸夫 明帝國の形成と發展 (ゆらぐ中華帝國 11 筑摩書房 1961)

pp41-42

38) 錦衣衛의 전신은 1367년에 설립된 拱衛司로서 대도독부에 예속되어 있었는

데 洪武 3년(1370) 親軍都尉府로 개칭하고 도독부로부터 독립하여 운영하였다

39) 明史 卷304 宦官1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5원년 이흥 등을 태국의 국왕에게 보내어 위로한 것이 환관을 외국에

보낸 것의 처음이다)40) 라는 기사를 인용하여 환관 중용의 책임이 영

락제에 있는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살펴보면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

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시 경제적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2 宦官 抑制의 限界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은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국초

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의 옥을 일으

키는 등 누구보다 시의심이 강하였던 태조는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

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심복인 환관들을 억

제하기보다는 그들을 측근으로 하여 저제군주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했다 그리하여 태조는 환관들과의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외부로 나가

는 출사 군대 감시 경제적인 활동 정보 수집 등의 일을 맡겼던 것이

첫째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관계를 원만히 하려 하였다41)

환관의 외국 출사의 예는 이미 홍무 2년에 보이고 있다 홍무 2년

(1369) 4월에 고려출신 환관 金丽渊을 고려에 파견하여 중국에 머물고

있는 高麗 流寓民 160여명을 고려에 돌려보낸 일이 있다 ldquo遣內臣 送

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書賜其王rdquo42)이라는 기사가 그것이다 이 기사

40)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41) 환관이 사신으로 나가는 경우는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외

국 사신으로 나가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변경 지역의 왕부나 주변 소수 민족

집단에 나가 황제의 명을 전하고 일을 처리하는 것이다

42)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丑朔 ldquo遣內臣 送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6를 더 읽어가 보면 그 때 중국인으로서 고려에 머물러 있는 유민들이

약 160여명이 있었는데 이 때 환관 金麗淵을 보내서 그들을 고려에

돌려보내었던 것이다43) 이 사실은 高麗史에도 ldquo己酉 18년 6월 丙寅

일에 황제가 환관 金麗淵을 파견하여 칙서를 전했다rdquo44)라고 하고 있어

당시 고려와 명과의 외교관계를 엿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명조의 환

관이 외교 사절단으로 나간 최초의 예라 할 수 있다

그리고 耽羅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는데 홍무 22년(1389) 4월 ldquo옛 원

나라의 제왕 중 명조에 귀부한 자는 탐라국에 거처하도록 하였으며

더욱이 그곳에 환관을 보내어 그들이 머물 집을 지어 주고 그곳에서

거처하도록 하였다rdquo45)라고 한 것을 보면 귀부한 元의 諸王들을 제주도

에 보내어 머물게 하면서 이 때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었던 것이다

安南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1년(1378) 정월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安南國에 파견하여 국왕 陳煓의 喪을 조문하였다 당시 안남국

왕 陳煓이 죽었는데 그의 동생 陳煒가 사신 陳建璨阮士諤을 명에 보

내어 안남국왕이 죽었음을 알려오자 이미 서로 교류가 있던 차였기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안남에 파견하여 문상하도록 하고 비단도 함께 보

내었던 것이다46)

書賜其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其間有高麗流寓者百六十餘人 朕念其人豈無鄕里骨肉之思 故令有

司遣使護送東歸rdquo

43) 洪武時期에 명과 고려 사이에 여러 차례 사절의 왕래가 있었다 홍무 2년

(1369) 4月부터 홍무 29년(1396) 6月까지 모두 22차례에 걸쳐 사신이 고려와

조선에 파견되었는데 사신의 이름이 파악된 사람이 43명(환관 25인 문신 11

인 무관 7인)이다 그중 정사로 고려조선에 출사한 사람이 21명인데 그 중

환관이 11인이고 문관이 4인이며 무관이 6인이다 이를 보면 많은 환관이 사

신으로서 고려조선에 파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환관은 대개 고려나 조

선 출신의 환관이었다 고려 조선 출신 25명의 환관 중 金丽渊黄永奇金仁

甫崔渊 등은 유명한 환관이다(李新峰 明前期赴朝鲜使臣丛考 明清论丛 第4辑 紫禁城出版社2003 참고)

44) 高麗史 卷132 恭愍王 己酉 18年 6月 丙寅條 ldquo皇帝遣宦者金麗淵致書rdquo 이

기사에는 이 때 귀환한 자가 165인으로 기록되어 있다

45) 太祖實錄 卷196 洪武 22年 4月 甲寅條 ldquo詔故元諸王來降者俾居耽羅國 且遣

中使往諭其國 爲造廬舍處之rdquo

46) 太祖實錄 卷117 洪武 11年 正月 ldquo是月 安南陳煓弟煒遣其臣陳建璨阮士諤來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7琉球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6년(1383) 정월 태조는 內使監 监

丞 梁民과 尚佩监 奉御 路謙 등을 琉球에 파견하여 中山王 察度에게

鍍金銀印과 고급비단을 하사한 일이 있다47) 같은 해 9월 琉球에서 내

란이 발생하였을 때에 태조는 监丞 梁玟을 보내어 전쟁을 중단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당시 中山王 山南王 山北王이 서로 자웅

을 겨루며 싸우고 있었는데 이때 내사감승 梁民에게 칙서를 보내어

싸움을 그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칙유를 보내었던 것이며 이들 모두

태조의 칙유를 받아들였던 것이다48)

眞臘國(캄보디아) 暹羅斛國(태국)에도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사무를 보게 하였다 홍무19년(1386) 9월에 行人 劉敏 唐敬 등을 환관

들과 함께 眞臘國에 보내었는데 이 때 磁器를 가지고 가서 하사토록

했고49) 홍무 28년(1395) 12월에는 환관 趙達과 朱福 등을 暹羅斛國(태

국)에 보내어 사망한 왕 參烈寶毘嗯哩哆嗦祿을 조문하고 후사인 蘇門

邦 昭祿群膺에게 비단과 모직물을 하사하였던 것이다50)

이상의 예들은 환관이 이미 태조시기에 황제의 명을 받고 외국의

사신으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수행한 사례들이다

태조가 환관을 변경 지역에 파견한 사실도 여러 곳에 보이고 있다

告煓卒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遣中使陳能至其國弔祭rdquo 國榷 卷6 洪武 11년 正月 ldquo是月 安南

陳煓弟煒遣使告哀 命中使陳能弔祭rdquo

47) 太祖實錄 卷151 洪武 16年 正月 丁未條

48) 明史 卷323 琉球傳 ldquo時二王與山北王爭雄 互相攻伐 命내內使監丞梁玟賜

之勅 令罷兵息民 三王并奉命rdquo 당시 琉球는 中山王(察度) 山南王(承察度) 山北

王(帕尼芝) 등 3세력이 대립하고 있었다

49) 太祖實錄 卷179 洪武 19年 9月 癸未條 ldquo遣行人劉敏唐敬偕內使賚磁器往賜

眞臘等國rdquo

50) 太祖實錄 卷243 洪武 28年 12月 戊午條 ldquo詔遣內使 趙達 朱福等 使暹羅斛

國 祭故王參烈寶毘嗯哩哆嗦祿 賜嗣王蘇門邦昭祿群膺 文綺四疋羅四疋 氁絲布四

十疋rdquo 明史 卷324 暹羅傳에도 같은 내용이 보이고 있다 ldquo二十八年 昭禄群

膺遣使朝贡 且告父丧 命中官赵达等往祭 敕世子嗣王位 赐赉有加rdquo (昭祿群膺이

사신을 파견하여 조공하고 또 부친의 상을 고하였다 이에 환관 조달 등으로

하여금 섬라에 가서 조문하도록 하고 세자가 왕위를 이어받도록 하였으며 더

불어 하사품을 곁들였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8홍무 2년(1369) 4월 원 승상 納哈出에게 편지를 보내 通交를 요구할

때 內臣을 파견하여 우호를 증진하였다51)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태조가 붙잡힌 원나라의 평장 完者不花를 돌려보내는데 환관을 시켜

돌려보내었다52) 홍무 14년(1381) 12월에는 환관을 파견하여 乌蒙(지금

의 운남성의 昭通)乌撤(지금의 운남성의 镇雄귀주성의 威宁)의 여

러 추장들에게 조칙을 발하였다53) 홍무 29년(1396) 6월에는 중사(환

관)를 桂林 등지의 府市에 보내어 南丹 奉儀 등의 衛所의 둔전 군사

들에게 밭가는 소를 지급해 주도록 하였다54) 동년 10월에 安定衛의

酋长 塔孩虎都鲁가 명에 와서 말 40필을 공물로 바친 일이 있는데 안

정위의 추장이 공물을 바친 것은 태조가 行人 陳誠으로 하여금 그곳에

다시 安定衛를 세우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었으며 이때에

ldquo復命中使赍金币往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

五十兩rdquo이라 하여 환관을 보내어 추장에게 옷과 비단 및 금품을 하사

하였던 것이다55)

이상의 기록들을 보면 태조시기에 환관이 여러 차례 변경 지역에

파견되어 변경 지역의 중대 업무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환관에게 지방 군대를 감독하거나 때로 군을 지휘하는 특수

임무를 맡겼다 태조는 외지 변경 지역의 장수들을 엄격히 통제하지

51)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亥條 ldquo玆 因遣使通元君 道經營壘望 令人送

達 所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國榷 卷3 太祖洪武 2年 4月 乙亥

條 ldquo又諭元臣納哈出書曰將軍昔自江左辭還 不通問十五年矣 近聞戍守遼陽 士馬

强 玆因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52) 太祖實錄 卷120 洪武11年 10月條 ldquo山西邊將遣人送所獲故元平章完者不花至

京師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朕怒邊將以爲方遣使通好乃執其平章豈不失信於卿 今特遣內臣送之 抵

丞相營 宥之罪之放 遂之 卿自爲區處rdquo

53) 太祖實錄 卷140 洪武 14年 12月 辛未條 ldquo遣內臣 賚敕諭鳥蒙鳥撤諸酋長rdquo

54) 明史 卷205 廣西土司傳 ldquo帝命俱置屯田给耕 寻遣中使至桂林等府市牛给

南丹奉议诸卫军士rdquo

55) 太祖實錄 卷247 洪武 29年 10月 甲午條 ldquo安定卫酋长塔孩虎都鲁 來朝貢馬

四十疋 先是 上遣行人陈诚立撤里畏兀兒 爲安定卫錫 以印章 以塔孩虎都鲁等指

挥千百户 至是诚歸 塔孩虎都鲁随誠入贡上嘉其慕義 厚赉之 復命中使赍金币往

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五十兩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9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 때 황제의 이목으로서 환관을 활용하였던 것

이다

태조는 명왕조를 창건하기 이전 자신의 세력을 키워가는 과정에서

많은 부하들을 양자로 삼아 그들을 활용하였다 이들에게 여러 장수들

의 군대를 감독하게 함으로써 장수들의 배반을 사전에 막고 안전하게

통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태조가 처음 기병했을 때 많은 양자를 두

었는데 이들을 장수와 함께 여러 路를 지키도록 했다 이를 테면 周舍

를 鎭江에 道舍를 寧國에 馬兒를 婺州에 柴舍眞童을 處州에 金剛

奴를 衢州에 보내어 지키도록 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주원장의 양자들

이었다56) 양자를 심복으로 삼아 그들을 기용하여 군대를 감독하게 하

였던 것이다

이들에게 감군하는 권한을 허락한 것은 태조가 왕조를 창업하는 과

정에서 군권 장악이 최후 승자가 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고 생

각하여 취한 조처였던 것이다

그런데 왕조를 개창한 후에는 양자보다는 환관을 신임하고 그들을

군부대에 파견하였다 홍무 원년(1368) 9월에 北征에 힘쓴 將士들에게

음식을 베풀어 주면서 위로한 일이 있는데 이 때 환관 奉御를 北平에

파견하여 이 일을 담당하도록 하였다57) 홍무 9년(1376) 8월에는 환관

趙成을 군부대에 파견하여 그곳의 관리를 불러들였다 내용인즉 홍무

9년 西番의 多爾濟巴가 부락민을 이끌고 명에 귀순하여 오자 태조는

熊鼎을 岐寧衛 經歷으로 삼아 그곳을 다스리도록 하였다 웅정은 임지

에 도착한 후 귀순부대들이 거짓으로 항복했다는 것을 알고 그 사실

을 비밀리 조정에 보고하였다 태조는 그 소식을 듣고 먼저 웅정을 위

로한 후 환관 조성을 군부대에 보내어 웅정을 경사로 불러들였던 것

이다58)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환관 吳誠을 총병지휘 楊仲名에게

56) 明史 卷134 夏文輝傳 ldquo太祖初起 多蓄義子 及长命偕诸将分守诸路 周舍

守镇江 道舍守宁国 马兒守婺州 柴舍真童守处州 金刚奴守衢州 皆义子也rdquo

57) 太祖實錄 卷35 洪武 元年 9月 乙卯條 ldquo上遣中使奉御等官 至北平 犒北征將

士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0보내어 전반적인 계획과 책략을 살피도록 하였고59) 11월에는 總兵官

辰主指揮 楊仲名이 五開蠻의 반란을 평정하자 태조가 內臣 尙履奉御

呂玉을 楊仲名에게 보내어 그 군대를 검열하고 위로하게 하였다60) 홍

무 27년(1394)에는 환관을 陝西都指揮使司에게 보내어 將士들을 훈련

하게 하였고 魏國公 徐輝祖으로 하여금 섬서 연변지역을 다스리게 하

였다61)

이러한 예들은 환관이 감군으로서 군영에 파견되어 군정을 순시하

고 살피는 일을 한 사례들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태조는 환관이 군의 정황을 살피는 일 이상의 업무에는 참

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 점은 唐代의 환관들과 다른 점으로 당대

에는 환관의 감군이 정치참여로 나타났지만 태조는 환관이 국가중추

기관의 기밀을 획책하는 일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62) 그

렇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기능은 장차 환관의 위력이 점점 강해지는 결

과를 낳았음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셋째 태조는 환관을 각종 경제활동에도 참여시켰다

태조 때에 환관은 경제활동에도 빈번히 참여하였는데 최초의 예로

서는 홍무 8년(1375) 5월 태조가 환관 趙成을 河州에 보내어 거기서

말을 교역해 오도록 한 일이다 태조가 茶馬司를 설치 한 후 조정에서

는 西番에 말을 사들이는 교역장을 마련하였는데63) 서번은 본래 말의

58) 明通鑑 卷6 洪武 9年 8月條 이때에 옹정이 경사로 돌아가자 번인들이 반

란을 일으켰다고 한다

59)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0月 戊申條 ldquo遣內臣 吳誠詣總兵官指揮楊仲名行

營觀方略rdquo

60) 太祖實錄 卷121 洪武 11年 11月 庚午朔條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1

月 庚午條 ldquo五開蠻平 內臣 尙履奉御 呂玉勞指揮楊仲名rdquo 明通鑑 卷6 洪武12

年 11月條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61) 太祖實錄 卷234 洪武 27년 9月條

62) 田禾 明太祖嚴馭宦官試析 (社會科學戰線 1997-4期 1997) pp162-163

63) 茶马司는 洪武 5년1372)2月에 秦州에 처음 설치되었다 그 후 洪武 7년

(1374)다시 河州에 차마사를 설치하고 이어 또 洮州 등지에 차마사를 두었

다 이들은 四川 漢中 湖南 등지의 차와 서북 유목지역에서 나는 말을 교역하

는 임무를 띠고 있었는데 藏族지구의 말을 사들이는 일이 주된 일이었다 그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1산지였기 때문이었다 서번 사람들은 말을 가지고 와서 중국의 문물을

구입하여 갔다

그런데 서번인들의 생활용품과 중국의 용품과는 달랐고 명초에 지

폐인 보초가 발행 된 이후에는 번인들이 사용하는 화폐와 달라 말의

교역량이 줄어들게 되었다 태조는 이것을 염려하여 궁중 환관 趙成을

파견하여 말 교역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조성은 여러 종류의 비단과 사천 지방의 茶葉을 가지고 가서 말을

사오는 방책을 취하였다 조성의 노력으로 河州 수장은 서번 사람들을

위무하고 선대하면서 互市를 열었기에 점차 많은 말을 사들여 올 수

있었는데 이후 차마 무역은 점차 활발해졌던 것이다64)

또 홍무10년(1377) 3월 호부는 징세 업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곳이 178처나 있음을 알고 환관 국자감생 호부의 관원 등 각 부문에

서 각각 1명씩 차출하여 정밀 조사하기를 태조에게 주청하였다 세금

징수 업무를 담당하는 稅課司에서 할당한 세금이 제대로 걷히지 않자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환관과 국자감생들을 보내어 조사하도록 주청한

것이다 이때의 주청에 대하여 lsquo從之rsquo65)라 한 것을 보면 태조가 그것을

승인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환관이 징세 업무에도 간여하였음

을 보여주고 있는 좋은 사례인 것이다

그 외에도 홍무 16년(1383) 9월 태조는 內使 梁珉으로 하여금 돈을

가지고 琉球로 가서 말을 사들여 오도록 하였고66) 홍무 25년(1392) 3

월에는 尙膳太监 而聶과 司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소관

의 번족에게 보내어 거기서 말을 사들여오도록 하였다67) 이 때 서북

러므로 회족이 운거하고 있는 河州는 명대 茶馬互市의 중심지였다

6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5

65) 太祖實錄 卷111 洪武 10年 3月 甲申條 ldquo户部奏天下税课司局征商不如额者

一百七十八处 宜请遣中官国子生及部委官各一人往覈其實立爲定額從之rdquo

66) 太祖實錄 卷156 洪武 16年 9月 己未條 ldquo內官梁珉以貨幣往琉球易马還得马

九百八十三匹rdquo

67) 太祖實錄 卷217 洪武 25年 3月 己丑條 ldquo遣尙膳太监 而聶司禮太監 慶童

賚敕往諭陝西河州等衛所屬番族 令其輸馬 以茶給之rdquo 弇山堂別集 卷90 中官

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당시 尙膳太监 而聶과 司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2쪽의 번족으로부터 말을 사들이는 데는 중국차로서 대가를 지불하였

다 이 때 사들인 말이 10340여필에 이르고 교역한 차엽은 30여만 근

에 달하였다고 하며 구입한 말은 河南 山西 陝西의 衛所에 배치되었

던 것이다68)

넷째 환관을 민간 정보 수집요원으로 활용하였다

새로운 왕조가 성립되었다고 하지만 언제 어떻게 몽골족이 반격하

여 올지 모르고 또한 명조의 신 정권에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다시 왕조를 전복할지도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정보 수집을 중히 여기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

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錦衣衛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금의위를 운영하면서도 태조는 자신의 정권을 보전하기 위

해 환관에게 문무백관을 감시하는 권한을 맡겨 정보를 수집하였다 홍

무 12년(1379) 9월에 占城國 국왕 阿答阿者가 그 신하 陽須文旦을 파

견하여 황제에 올리는 상서와 함께 코끼리말방물 등을 진헌한 일

이 있었는데 중서성 신하는 이것을 제때에 보고하지 못하였으나 內臣

(환관)이 외출하였다가 그 사신을 만나 점성국 사신이 왔다는 정보를

얻어 그 사실을 태조에게 알렸다 태조는 환관의 정보 제공으로 곧바

로 점성국의 사신을 불러 접견할 수 있었는데 이 때 태조는 ldquo상하의

의사소통이 꽉 막히기가 여기까지 이르렀구나rdquo고 하며 탄식하며 중서

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번족에 보내어 말을 사들인 사실은 lsquo교역rsquo

이라는 경제 활동의 성격과 lsquo군마 구입과 배치rsquo라는 군사적 성격을 동시에 지

니고 있는 활동이기도 하다

68)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 ldquo尙膳太监 而聶等至河

州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於是得馬萬三千四十餘疋 以茶三十餘萬斤給之 諸族大悅 而聶遣使入奏

命以馬分给河南山西陕西卫所骑士rdquo이라 하여 교역된 마필과 차엽의 양이

언급되어 있고 당시 구매된 말이 어디로 배치되어 있는가 하는 내용이 더 언

급되어 있다 다만 같은 내용의 기사가 太祖實錄에는 洪武 25년 3月 기사로

弇山堂別集에는 2月 기사로 되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3성 관료들을 질책하자 승상 胡惟庸 汪廣洋 등 중서성의 신하들이 모

두 고개를 땅에 대고 사죄하였다고 한다69)

환관들은 황제의 이목이 되어 황제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황제와 환관들은 자연히 신뢰관계가 형성되었다 황제는

이러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환관에게 특별한 임무를 부여하였던 것

이다 특별한 임무란 황제가 직접 접할 수 없는 궁성 밖의 정세나 관

료의 동향을 알아내는 첩보 활동이었으며 京師의 禁軍도 그들의 감시

대상이었던 것이다

다섯째 환관은 친왕의 왕부에 특사로서 파견되기도 하였다 홍무 12

년(1279) 3월에 환관 陳京을 桂林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靖康王 朱守

謙에게 파견하여 황제의 유지를 전달하게 하였고 홍무 26년(1393) 2월

에 藍玉의 모반 사건이 일어났을 때 3월에 太原의 晉王 朱楓에게 사

람을 보내어 남옥의 모반 사건과 관련되어 있는 집안의 가정과 노비들

을 제거하고 재산을 몰수하라는 유지를 내렸는데 이때에 칙유를 가지

고 간 사람이 환관 而聶과 부마 梅殷였다70)

이를 보면 친왕들에게 유지를 전하는 데 환관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그렇기에 태조는祖訓錄에서

무릇 친왕이 과오를 저지르면 重한 경우 내사 감관으로 하여금 왕을

불러오게 하고 세 차례나 불러도 오지 않으면 다시 流官(황제가 임명한

관리)을 보내되 내관과 함께 동행을 하여 그를 경사로 불러들이도록 한

다71)

69) 太祖實錄 卷126 洪武 12年 9月 戊午條 ldquo占城國王 王阿答阿者遣其臣陽須文

旦進表及象馬方物中书省臣不以時奏 內臣因出外見其使者以聞 上亟召使者見之

嘆曰 壅蔽之害乃至此哉 因敕責省臣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丞相胡惟庸汪廣洋等 皆叩頭謝罪rdquo

70) 王德金 앞의 논문 朱元璋馭宦之析 pp41-42

71) 祖訓錄 法律 ldquo凡親王有過 重者 遣內使監官宣召 如三次不至 再遣流官 同監

官召之至京rdquo 태조가 창업군주로서 자손들에게 훈유를 내려 그것을 영구히 지

키도록 하기 위해 지은 책이 祖訓錄이다 太祖實錄 洪武 2年 4月 乙亥條에

ldquo詔中書編祖訓錄rdquo이라는 것을 보아 이때부터 편찬이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洪武 6年 5月에 완성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箴戒持守严祭祀谨出入慎

国政禮仪法律内令内官职制兵卫营缮供用 등 13 항목으로 되어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4

라고 규정함으로써 친왕이 문제가 있을 때에는 환관이 먼저 파견되었

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을 보면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들의 발호를 억제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정치적 현실에

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차마 무역의 담당

자로 호군 및 군대 감독자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

년 승상제가 폐지되면서 그들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

겠다 이로 인하여 환관의 권위는 점 점 높이지고 세력은 확대되어 갔

던 것이다

3 宦官數의 增大와 機構의 擴大

홍무 초년에는 태조가 환관을 통제했기에 당시의 환관들이 아직 자

금성 안에서 주로 복무했다고 한다면 그의 통치 중후기에는 환관들

이 궁궐 밖으로 나가 여러 임무를 띠고 초기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였다 태조는 이런 변화가 그렇게 나쁘다고 여기지 않았고 도리어

그들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도움이 된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리하여 태조시기에 환관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환관 기구도 확대

되어 갔다 홍무 2년 규정에는 내사감 봉어 60인 기타 각 각 사소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까지 합쳐 총수는 100명에 불과하였다72) 그러나

홍무 15년(1382)에는 환관 361인을 증설하였다73) 이것은 홍무 15년에

증가된 기록으로 당시 기존의 환관을 합치면 거의 수백 명의 환관이

있으며 태조 자신이 서문을 지었다 太祖實錄 28年 閏 9月 庚寅條에 의하면

이 때 祖訓錄을 거듭 정하여 皇明祖訓이라 명명하였다

72)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 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定置內

使監 奉御六十人 尙寶 一人 尙冠七人 尙衣 十人 尙佩九人 尙藥七人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東宮

後門 宮左宮右門 各設門正一人 副一人rdquo

73) 太祖實錄 卷149 洪武 15年 10月 丙戌條 ldquo增設內使三百六十一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5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명조는 수시로

주변 여러 나라에 엄인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사실로 홍무 24년(1391)에 태조는 환관 韓龍 黃禿蠻 등을

고려에 보내어 말 1만 필을 사오도록 하면서 閹人 200여명을 요구하였

다74) 그리고 安南國에서도 끊이지 않고 엄인들을 진공하였는데 매번

수십 명 씩 바쳤던 것이다75) 명조는 사방에 엄인을 요구하였는데 특

히 고려와 안남은 당시 엄인을 진공하는 주요 나라가 되었다76)

이리하여 환관의 수가 부단히 증가하였고 태조도 역시 환관을 심복

중의 심복으로 삼으면서 그들을 신뢰하고 있었다 이에 홍무 17년

(1384) 어느 날 대도독부 겸 국자감을 관할하고 있던 李文忠은 태조에

게 환관이 너무 많으니 그 숫자를 줄여할 것을 건의하였다

ldquo內臣이 너무 많습니다 마땅히 좀 줄이셔야 합니다rdquo라고 이문충이 건

의 하자 태조는 이를 듣고 대노 하여 ldquo자네가 나의 오른쪽 날개를 약화

시키려 하는데 그것은 무슨 의도인가 이것은 분명히 문객들이 시켰을

것이다rdquo라고 말하면서 결국 사람을 보내어 이문충의 문객을 전부 살해하

였다77)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일로 인하여 이문충은 병들어 죽게 되었는

데 이 때 이미 환관은 그 수가 적어서는 안 되는 대상이 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4) 太祖實錄 卷208 洪武 24年 3月 己丑條 ldquo詔於高麗市馬一萬疋 幷索閹人二百

人rdquo 高麗史 恭讓王 3년 辛未年條

75)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6

76) 환관의 공급원은 본래 宮刑에 처해진 죄인들이었지만 隋代 이후 궁형이 폐지

된 후부터는 ① 적의 포로 ② 외국으로부터의 進貢者 또는 변방 지역의 進獻

者 ③ 특별한 사정으로 궁형에 처해진 죄인 ④ 自宮者 곧 지원자 또는 부모의

명령으로 거세된 準自宮者 등이 있다

77) 弇山堂別集 卷20 史乘考誤 1 ldquo一日勸上内臣太多宜稍裁省 上大怒 謂若

欲弱吾羽翼何 意此必门客教之 因盡殺客 文忠驚悸得疾暴卒 上發悲 怒殺諸醫及

文忠侍者百人rdquo 이 기사는 어느 때의 기사인지 나와 있지 않아 잘 알 수 없으

나 이것은 李文忠(1339mdash1384)이 죽은 해에 발생한 사건이므로 洪武 17년

(1384)의 사건으로 볼 수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6환관의 기구 역시 확대되어 갔다 환관의 부서와 직무는 吳 원년

(1367)에 lsquo內史監rsquo이 설치된 이후 인원의 증대와 기구 관리를 위해 조

직이 신설 분리되어 가면서 확대되어 갔는데 홍무 17년(1384)에 9監

2庫 6局 체제가 되었다78) 이것은 명대 환관의 기구인 24아문(12감 4

사 8국)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어 홍무 28년(1395)에 11감 4사 9국으로

정비되어 24아문의 기구가 거의 완비되었던 것이다79) 홍무 30년(1397)

환관 조직은 12감8국4사의 24아문의 규모가 되었고 명왕조 환관

조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황종희가 말하고 있듯이 ldquo명조에 善治가

없었던 것은 태조가 재상을 폐지하면서부터이다 저 宮奴들이 재상의

정치가 땅에 떨어져 수습될 수 없음을 알고 여러 규칙과 조목을 세우

고 직무를 늘렸으며 생살권과 상벌권 등 재상으로부터 나오던 것이

이제 모두 환관들에게 돌아갔도다 (중략) 그러므로 궁노들이 재상처럼

된 것은 승상제를 폐지한 데서 온 커다란 과오이다rdquo80) 라고 하면서

환관의 발호는 재상의 폐지로 인한 것이며 이것은 명대 정치의 큰

폐단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로 재상 없는 군주 독재 지배체제에서 황제 한 사람에 의한 통치

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매일 황제 곁에 있는 환관

중 신뢰하는 환관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태조도 자신도 모르게 환관을 신뢰하고 그들을 중용을 하였으니 이념

적으로 ldquo내신은 정사에 관여하지 못한다rdquo 라는 규정을 내세우면서도

78)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九監은 内官监 神宫监 尚寶监 尚衣监 尚膳监 司

设监 司礼监 御马监 直殿监이고 二庫는 内承运库司鑰库이며 六局은 巾帽局

针工局 织染局 颜料局 司苑局 司牧局을 말한다

79) 위와 같음 十二監은 神宫监 尚寶监 孝陵神宮監 尚膳监 尚衣监 司设监 内官

监 司禮監 御马监 印綬監 直殿监이고 四司는 惜薪司 钟鼓司寶钞司 混堂司이

며 9局庫는 兵仗局 織染局 针工局 巾帽局 司苑局 酒醋麵局 內乘運庫 司鑰庫

內府供用庫인데 이것들은 후에 24아문으로 발전하였다

80) 黄宗羲 明夷待訪錄 置相 ldquo有明之无善治 自高皇帝罢丞相始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彼宫奴

者见宰相之政事坠地不收从而设为科条增其职掌 生杀予夺 出自宰相者 次

第而尽归焉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故使宫奴有宰相之实 则罢丞相之过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8: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6

이것을 보면 태조는 한과 당의 멸망 원인이 환관의 폐해에 있다고

판단하고 아무리 환관의 폐해를 막으려 한다 해도 그렇게 쉽게 될 수

없음을 인식한 나머지 국초부터 환관을 억제하려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개국황제 주원장이 환관에 대해 내린 제1차 경고성 명령

이라 해석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과거 역사 가운데에서 환관의 폐해를 절감한 태조는 환관의 수와

직임을 제한하였다 이미 명왕조 성립 이전 吳王 원년(1367)에 lsquo內史監rsquo

이라는 환관기구를 두고 환관을 활용하였던 태조는 홍무 2년(1369) 8

월에 다시 환관의 직제를 정하였는데 이때에 환관의 수와 직임을 제

한하였다 그 내용이太祖實錄에 잘 나타나 있다

태조는 이부로 하여금 내시관제를 정하도록 하였다 이 때 이부에 이

르기를 ldquo짐이 lsquo周禮rsquo를 보니 환관의 수가 백 명도 채 되지 않았다 후세에

이르러 수천 명에 이르러 마침내 큰 환난을 불러 일으켰다 지금 아직 복

고 정책을 쓰지는 않지만 역시 잘못된 일이나 나쁜 일은 경미할 때 막아

서 더 이상 발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마땅한 일이다 이 환관들이 하는

일은 酒漿醯鹽을 나르고 복장을 관리하고 사당을 깨끗이 하는 일 등 사

소한 몇 가지에 불과하다 이제 짐도 이들이 하는 일이란 물건 나르거나

청소하는 일과 같은 사환이 하는 일에 그치도록 하고 다른 특별한 일을

맡기지 말아야 할 것이니 잘 숙고하도록 하라rdquo고 하였다20)

위의 기록을 보면 주례에는 환관이 100명도 채 안되었는데 후세에

수천 명이 되어 그 때마다 큰 환난을 가져왔다면서 환관의 수를 적게

하고 그들이 하는 일 또한 청소하고 짐 나르고 하는 단순한 허드렛일

만을 하게 함으로써 권세를 부리지 못하도록 하라는 것이었다

위에 인용한太祖實錄을 더 읽어 가보면

勿用 其在宫禁 止可使之供洒扫给使令而已 岂宜预政典兵 汉唐之祸 虽宦官之罪

亦人主宠爱之使然 向使宦官不得典兵预政 虽欲为乱 其可得乎rdquo 明通鑑에도

똑같은 내용이 보이고 있다

20)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諭之曰 朕觀周

禮 所記未及百人 後世至踰數千 卒爲大患 今雖未能復古 亦當爲防徵之計 此輩

所治 止於酒漿醯鹽司服守祧數事 今朕亦不過以備司令 非別有委任 可斟酌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7

侍臣들에게 일러 말하기를 환관들은 자고로 선량한 사람은 천 명 중에

한 두 사람 만날 정도이다 만약 그들을 耳目으로 쓴다면 耳目이 가리어

질 것이고 그들을 腹心으로 생각한다면 그 때부터 곧 내재된 화근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그들을 제어하는 방도는 항상 경계하고 삼가 하여 그들

로 하여금 법을 두렵게 여기도록 하고 功勞가 있도록 하면 안 된다 만

일 그들이 공로가 있으면 방자하게 되고 그들로 하여금 법을 두려워하게

하면 단속이 될 것이니 그렇게 되면 감히 그릇된 일을 저지를 수가 없을

것이다 이에 內使監을 두고 奉御 60인을 두었다21)

라고 하여 환관을 다스리는 방책은 항상 규율을 유지해서 법을 두렵게

여기도록 하고 공적이 있도록 하게 하면 안 된다는 것이다 공적이 있

으면 방자하게 되고 법을 두려워하게 하면 절제하며 절제하면 감히

비위를 저지를 수가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 때 더불어 환관의 수도

한정하여 두었다22)

태조는 환관의 품질도 비교적 낮게 정하였다 홍무 4년에 이부가 內

使監 품질을 정할 때에 내사감령은 정5품으로 정하였다 홍무 3년에

종3품이었던 내사감령이 그 이듬해에는 정 5품으로 강등된 것이다 이

에 따라서 다른 환관직도 전체적으로 이전보다 등급이 낮아졌던 것이

다23)

이때에 태조는 시신들에게 일러 말하기를

21) 위와 같음 ldquo又顧侍臣曰 此輩自古以來求其善良千百中不一二見 若用以爲耳目

卽 耳目蔽矣 以爲腹心卽腹心病矣 馭之之道 但 常戒勅 使之畏法 不可使之有功

有功則驕恣 畏法则检束 自不敢为非也 乃定置內使監 奉御六十人rdquo 이 때 과거

內史監을 內使監으로 개칭하였다

22) 이 때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에 나타나 있는 규정을 소개하

면 다음과 같다 ldquo定置內使監 定置内使监奉御六十人 尙寶一人 尚冠七人 尚衣

十人 尚佩九人 尚药七人 纪事二人 执膳四人 司脯二人 司香四人 太庙司香四人

涓潔二人 置尚酒 尚醋 尚面 尚染四局 局设正一人 副二人 置御马 御用二司 司

设正一人 副二人 内府库设大使一人 副使二人 内仓监设令一人 丞二人 及置东

宫典玺 典翰 典膳 典服 典药 典乘兵六局 局设局郎一人 丞一人 又置门官午门

东华门 西华门 玄武门 奉天门 左右顺门 左右红门 皇宫门 坤寧门 宫左门

宫右门 各设门正一人 副一人 东宫门官 春和门 東宮後門 宮左門 宮右門 各設門

正一人 副一人rdquo

23) 太祖實錄 卷63 洪武 4年 閏3月 乙丑條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8

옛날의 환관제도는 궁정에서 아침저녁으로 심부름을 하는 일 뿐이었

다 그런데 후한 鄧太后24)가 황후로써 천자를 대신하여 섭정할 때 公卿

과 접하지 않고 閹人을 常侍와 小黃門으로 삼아 그들을 통하여 명령하였

는데 이때부터 그들의 권력이 황제에 기울어 그 폐해가 심하여졌다 이

것은 마치 狐假虎威(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부리다)라는 말과 같이 왕의

위엄을 빌려 위세를 부리고 城狐社鼠(성곽에 사는 여우와 社壇에 사는

쥐)가 되어 황제 곁에서 간신노릇을 하였다 짐은 이들에게 궁궐에서만

일하도록 하였으니 어찌 권세를 힘입어 정사를 어지럽히는 일이 있겠는

가 내가 이것을 엄히 방지하도록 하였으니 犯法者에 대해서는 이를 질

책하여 제거함으로써 주위에 존재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履霜堅氷(서

리가 내리면 두꺼운 얼음이 얼게 된다)이라는 말이 있듯이 삼가 재앙이

나 화는 그것이 작을 때에 사전에 미리 막아야 한다는 가르침을 잊어서

는 안 되느라25)

고 하면서 환관을 명초부터 엄히 경계하여 다루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태조는 환관이 정사에 간여하는 일이 있을 때 그를 가차 없이 제거

하기도 하였다 홍무 10년(1377)에 이런 일이 있었다 오랫동안 곁에서

태조를 모시던 한 환관이 있었다 그는 부지런히 근신하며 태조를 성

실히 모셔왔다 하루는 그 환관이 침착한 태도로 정사를 언급하자 태

조는 바로 그를 파면시켜 고향으로 돌려보냈으며 평생 그를 다시 부르

지 않았다 明太祖寶训에어느 한 내시가 오래도록 내정의 일을 맡아서 봉사하여 왔는데 그가

차분히 정사에 대하여 언급하자 태조는 곧 바로 질책하여 免官하고 귀향

24) 후한 和帝(88-106)의 태후로서 105년에 후한 和帝가 죽자 등태후는 민가에

보내어 기르던 황자 劉隆을 데려다 그날 밤 즉위시켰다 그는 생후 100일밖에

되지 않는 殤帝(105-106)이다 그런데 그는 이듬해에 요절하고 말았다 그러자

등태후는 淸河王 劉慶의 아들로 13살 된 劉祜(유호)를 황제로 즉위시켰는데

이가 安帝(106-122)이다 이런 과정에서 등태후는 14년간 천자를 대신하여 수

렴청정을 하며 권력을 행사했다

25) 太祖實錄 卷63 洪武 4年 閏3月 乙丑條 ldquo上因謂侍臣曰 自古之宦竪 在宮禁

不通司晨昏供役使而已 汉邓太后 以女主稱制不接公卿乃以阉人为常侍小黄门

通命自此以来内侍权倾人主及其爲患 有如城狐社鼠 不可以去 朕谓此辈但

當服事宫禁 岂可假以权势纵其狂乱 吾所以防之极严 但犯法者 必斥去之 不令

在左右 戒履霜坚冰之意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9토록 했으며 종신토록 그를 다시 등용하지 않았다 26)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내용은 明通鑑에도 같은 내용이 언급되어 있으며 이를 더 읽

어 가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태조는 대신들에게 이르기를 ldquo환관들이 날마다 좌우에서 시중드는데

충성과 믿음이 적다면 그것은 황제의 마음을 굳어지게 한다 그것이 오

래되면 권위를 빌어 정사에 참여하게 되고 마침내 그것을 억제할 수가

없게 된다 자고로 이러한 환관들 가운데 난을 일으키는 자가 많았다 지

금 입법하여 환관에게 정치 관여를 불허하고 그들을 제거하는 것은 과

거의 실패를 교훈 삼아 장래에 같은 실패를 되풀이 하지 않도록 하려는

까닭이다rdquo27)

위의 훈계 내용을 보면 태조의 환관에 대한 엄연한 태도가 깃들어

있으며 ldquo群臣頓首稱善rdquo이라 하였으니 모든 신하들도 환관에 대한 황

제의 태도가 옳다면서 그 조처를 긍정하였던 것이다 파면된 환관이

오랫동안 성실히 군주를 시중들어 왔다고 생각한 탓인지 그를 살해하

지는 않았지만 종신토록 다시 그를 불러들이지 않음으로써 환관의 정

치 간섭이 얼마나 큰 과오인가 하는 것을 밝혔던 것이다 이것은 어디

까지나 후대의 환관을 경계시킨다는 목적이 깊게 깔려 있다고 생각된

26) 明太祖寶训 卷3 去讒佞 ldquo洪武十年五月 是月 有内侍以久事内廷 从容言及

政事 太祖即日斥遣还乡里 命终身不齿 遂谕群臣曰 自古贤明之君 凡有谋为 必

与公卿大夫谋诸朝廷 而断之于己 未闻近习嬖幸之人得与谋者 况阍寺之人 朝夕

在人君左右 出入起居之际 声音笑貌日接乎耳目 其小善小信 皆足以固结君心 而

便僻专忍 其本态也 苟一为所惑而不之省 将必假威福 窃权势 以干与政事 及其

久也 遂至于不可抑 由是而阶乱者 多矣 朕尝以是为鉴戒 故立法 寺人不过侍奉

洒扫 不许干预政事 今此宦者 虽事朕日久 不可姑息 决然去之 所以惩将来也 群

臣顿首称善rdquo

27) 明通鑑 卷6 太祖洪武 10年 5月條 ldquo有内侍以久侍内廷 从容言及政事 上(太

祖)即日斥遣歸命 终身不齿 諭諸臣曰 此辈日在左右 其小忠小信 足以固结君心

及其久也 假窃威权 以干政事 遂至于不可抑 自古以此辈乱者多矣 今立法不许寺

人干预朝政 决去之 所以惩将来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0이상 일련의 사료들은 태조 주원장이 전대에 환관전권으로 말미암

은 폐해가 얼마나 심각하였는가를 깊이 인식하고 이에 대한 경계를 강

하게 하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2 太祖의 宦官 統制

천하를 얻어 다스리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깊이 깨달은 태조는

역대 흥망의 경험과 교훈을 거울로 삼아 환관의 폐해를 심각하게 인식

하면서 일련의 환관 억제 조치를 취하였다

홍무 5년(1372) 태조는 환관에 대해 금령을 반포하였다 궁정에서

모함 다툼 상해 등 환관의 비행 및 부도덕한 행동이 있을 때 그에

대하여 엄히 다스리는 벌칙을 규정하여 발표하였다

罵詈者(상호 욕하고 꾸짖는 자)는 태형 50대 봉어를 모욕하는 자 장

60대 문관이나 감관을 모독하는 자는 장 장 70 서로 싸우는 자 장 70이

대이며 상해를 입힌 자는 한 등급 더 높여 처벌하고 본관의 제재에 불복

하고 고집하는 자 장 80대 이며 구타하여 상해를 입힌 자는 한 등급 너

높여 처벌하고 봉어를 구타한자 장 80 문관 감관을 구타한 자 장 100대

로 하며 상해가 있으면 각각 한 등급을 더 가해 벌한다28)

이처럼 환관이 궁정에서 모함하거나 다투거나 상해를 입힐 경우 그

상황을 따져서 태형이나 장형으로 벌하는 내용을 규정하였다

그런데 이 사료를 더 읽어가 보면 능지처참이나 참수의 형까지 규

정하고 있고 잘 못이 있을 때 자수하기를 권장하면서 자수하는 환관

에 대하여는 도리어 상을 내리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28) 太祖實錄 卷74 洪武 5年 6月 丙子朔條 ldquo洪武五年六月 丙子朔 定宦官禁令

凡內使于宮城內 相罵詈者先發理屈笞五十 後罵理直者不坐不服本管鈐束而抵罵者

杖六十 內使罵奉御者杖六十 罵門官監官者杖七十 內使于宮城內相鬭毆者先鬭理屈杖七十 毆傷者加一等 後應理直而無傷者笞五十 不服本管鈐束而毆之者杖八十

毆傷者加一等 毆奉御者杖八十 毆門官監官者杖一百 傷者各加一 內使等有心懷

惡逆 出不道之言者 凌遲處死 有知情而蔽之者同罪 知其事而不首者斬 首者賞銀

三百兩rdquo 欽定續通典 卷108 刑2에도 같은 기록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1

內使等이 마음이 악하여 심하게 도리를 벗어나는 행동을 하고 도리에

어긋나는 말을 하는 환관들은 능지처참 시키고 사정을 알면서도 그것을

은폐하는 자 역시 똑 같이 능지처참할 것이며 사실을 알면서도 자수하지

않는 자는 참수할 것이며 대신 자수하는 자에게는 상금으로 은 3백량을

내릴 것이다29)

라 한 것이 그것이다

홍무 6년(1373)에는 환관 기구 중에 lsquo內正司rsquo라는 환관의 위법행위를

규찰하는 전문기구를 두었다30) 이것은 환관의 불법과 부도덕을 규찰

하는 기구로 司正(정7품) 司副(9종7품) 등의 관직을 두어 운영하였으

며 환관의 위법과 부도덕한 행동을 규찰하는 책임을 맡게 되었던 것

이다31)

동시에 환관은 외정의 직을 겸할 수 없고 외정 관료들과 교류할 수

없도록 하였다 홍무 10년(1377)에 태조는 ldquo환관은 외신 文武의 직을

겸할 수 없고 외신의 관복을 착용할 수 없으며 정치에 참여하거나 군

권 행사를 할 수 없다 관품은 4품을 넘을 수가 없고 매월 지급하는

봉록은 1석이며 내정 안에서 살림을 한다rdquo32)라고 정하였던 것이다

또한 환관이 문자를 터득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하여 환관에

게는 글을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였다 明史에 보면 初 太祖制 内臣

不许读书识字 33)라고만 되어 있어 이것을 제정한 시기가 언제인지 확

실히 알 수 없으나 명초의 것으로 태조는 초기부터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환관 전권을 더욱 방지하기 위하여 홍무 17년(1384)에 금령

29) 위와 같음

30) lsquo內正司rsquo는 후에 lsquo典禮司rsquo lsquo典禮稽察司rsquo로 개칭되었다

3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六年 hellip又考前代纠劾内官之法 置内正司

设司正一人 正七品司副一人从七品 专纠内官失仪及不法者 旋改为典禮司 又改

为典禮稽察司 升其品秩 司正升正六品 司副升从六品rdquo

32) 明史 卷304 宦官1 ldquo然定制 不得兼外臣文武衔 不得御外臣冠服 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衣食于内庭rdquo

33) 明史 卷304 宦官1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2을 발하였다 그 금령은 ldquo內臣不得干預政事 犯者斬rdquo이라 하여 lsquo환관으

로서 정사에 간여하는 사람은 참수형에 처한다rsquo는 것이다 약 석자 크

기의 鐵牌를 주조하여 거기에 이 lsquo11자rsquo를 새겨 궁문 앞에 세워 두었

다34) 철폐를 제조하여 궁문 앞에 세워두었다는 것은 가장 극렬한 환

관 통제 방책의 하나로 상징성이 가장 큰 통제 방법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이 규정은 환관들로 하여금 조정의 일에 간여할 수 없게 만들

었을 뿐 아니라 명초 환관의 권력을 중국 역사상 가장 밑바닥에 처하

게 만들었던 것이다

또한 환관은 공문서를 가지고 외정을 드나들 수 없게 하였으며35)

이러한 제한으로 인해 자연히 환관은 궁정에 있는 관료들과 사귀어 정

사를 어지럽힐 수 있는 기회를 갖기가 어려웠다

생각해 보면 신왕조를 창업한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들이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왕조 창업 후 심복으로서 환관들을 활용하

지 않을 수 없었다 그렇기에 태조는 환관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그들

의 세력을 제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던 것이다

그 주된 내용은 다음의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겠다

① 환관과 외신과의 쌍방에 의한 정보교환 문서 왕래를 금한다

② 환관은 조정 관리를 겸무하는 일과 외신의 관복을 착용하는 것을

금한다

③ 4품 이상의 품계에 오르는 것을 금한다

④ 환관의 봉급은 매월 백미 1석으로 하고 후궁 내에서 생활하며 지낸

⑤ 환관에게 글을 가르치는 것을 엄금한다

태조는 이상과 같이 환관의 세력이 성장하지 못하도록 갖가지 규제

를 강구하고 나아가 환관 규제를 위한 철패를 제조하여 궁문에 세워

34)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十七年 鑄铁牌文曰 内臣不得干预政事犯

者斩 置宮門 又勅諸司 毋得與內官監文移往來rdquo

35)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十七年hellip又勅諸司 毋得與內官監文移往來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3두었는데 이것은 태조의 환관 통제 정책 중 가장 대표적이고 상징적

인 징표가 되었다 하지만 한편 극단적인 제약이 도리어 환관이 신성

한 황제의 힘을 등지고 세력을 휘두르는 화근을 배태하였던 것이다

Ⅲ 國初 政治的 現實과 宦官 抑制의 限界

1 太祖期의 政治的 現實

한 당 시대의 환관 전권의 사실과 폐해를 잘 알고 극력 환관의 세

력을 억압하려는 태조 앞에 닥친 정치적 현실은 어떠하였는가

새로이 명왕조를 세운 태조는 먼저 관계의 기강문제에 지대한 관심

을 가지고 있었다 새로운 왕조가 수립되었어도 기강이 해이해지면 전

왕조에 있었던 것과 같은 부패가 官界에 그대로 만연하게 될 것이고

그로 인하여 민심이 흉흉할 수도 있는 일이다 그렇게 되면 그 자체가

혁명의 발생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고 나아가 태조가 창건한 왕조

자체도 혁명의 객체로 부상할 수밖에 없는 일이다

그러므로 태조는 기강 확립 권신들의 전횡 견제 관리의 부정부패

방지 민심 동요 등을 경계하면서 정치사회의 안정과 중앙집권적 전

제지배체제의 확립을 꾀하였다36)

현실적으로 원 왕조가 몽골고원으로 퇴각되었다고 하지만 그들은

여전히 상당한 세력을 보유하면서 언제 어떻게 명조에 반격을 가해 올

지 모르기 때문에 결코 방심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또한 국내에서도

명조 정권에 대하여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있고 명조에

협력하지 않고 음으로 몽골 세력을 지지하면서 농민출신의 태조 및 그

정권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우까지 있었다 또한 일단 명조 정권에 협

력하고 있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반드시 본심에서 우러난 것인지 확실

36) 全淳東 明王朝成立史硏究 pp194-204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4히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태조는 황제를 중심으로

하는 강력한 중앙집권적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

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

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금의위

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였다37)

금의위라는 특무기구는 본래 황제의 거동과 행렬을 시위하는 데 불

과였으나 이것이 특무 기관으로서 기능을 갖게 된 것은 호유용의 옥사

사건 이후 정보 수집과 감시체제를 강화할 때인 홍무 15년(1382년) 금

의위의 기구가 개혁된 결과이다 이후에 금의위는 정치상의 음모를 기

도하는 행위나 반체제적인 종교비밀 결사 등을 감시하는 기능을 가지

게 되었다 곧 금의위는 황제 행렬의 시위 외에 순찰을 돌면서 체포하

는 권한까지 지니게 되었던 것이다 이들은 정보를 수집하고 감시 적

발하며 사법권에까지 개입하였던 것이다38)

하지만 국초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

의 옥을 일으키며 시의심이 강하였던 주원장은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

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많은 사가들은 명사 환관 열전의 서문에 나타나 있는 ldquo盖明世宦官

出使专徵监军分镇刺臣民隐事诸大权皆自永乐间始rdquo(명대 환관

의 출사 징세 감군 분진 신민의 은밀한 일 정탐 등의 권리는 모두

영락 연간부터 시작되었다)39) 라는 기사라든지 明史 職官志에 나타

난 ldquo顾中官四出 实始永乐时 元年 李兴等赍敕劳暹罗国王 此奉使外国之

始也rdquo(돌이켜 보면 환관의 파견은 영락제 때에 처음 실시하였다 영락

37) 山根幸夫 明帝國の形成と發展 (ゆらぐ中華帝國 11 筑摩書房 1961)

pp41-42

38) 錦衣衛의 전신은 1367년에 설립된 拱衛司로서 대도독부에 예속되어 있었는

데 洪武 3년(1370) 親軍都尉府로 개칭하고 도독부로부터 독립하여 운영하였다

39) 明史 卷304 宦官1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5원년 이흥 등을 태국의 국왕에게 보내어 위로한 것이 환관을 외국에

보낸 것의 처음이다)40) 라는 기사를 인용하여 환관 중용의 책임이 영

락제에 있는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살펴보면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

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시 경제적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2 宦官 抑制의 限界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은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국초

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의 옥을 일으

키는 등 누구보다 시의심이 강하였던 태조는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

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심복인 환관들을 억

제하기보다는 그들을 측근으로 하여 저제군주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했다 그리하여 태조는 환관들과의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외부로 나가

는 출사 군대 감시 경제적인 활동 정보 수집 등의 일을 맡겼던 것이

첫째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관계를 원만히 하려 하였다41)

환관의 외국 출사의 예는 이미 홍무 2년에 보이고 있다 홍무 2년

(1369) 4월에 고려출신 환관 金丽渊을 고려에 파견하여 중국에 머물고

있는 高麗 流寓民 160여명을 고려에 돌려보낸 일이 있다 ldquo遣內臣 送

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書賜其王rdquo42)이라는 기사가 그것이다 이 기사

40)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41) 환관이 사신으로 나가는 경우는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외

국 사신으로 나가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변경 지역의 왕부나 주변 소수 민족

집단에 나가 황제의 명을 전하고 일을 처리하는 것이다

42)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丑朔 ldquo遣內臣 送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6를 더 읽어가 보면 그 때 중국인으로서 고려에 머물러 있는 유민들이

약 160여명이 있었는데 이 때 환관 金麗淵을 보내서 그들을 고려에

돌려보내었던 것이다43) 이 사실은 高麗史에도 ldquo己酉 18년 6월 丙寅

일에 황제가 환관 金麗淵을 파견하여 칙서를 전했다rdquo44)라고 하고 있어

당시 고려와 명과의 외교관계를 엿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명조의 환

관이 외교 사절단으로 나간 최초의 예라 할 수 있다

그리고 耽羅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는데 홍무 22년(1389) 4월 ldquo옛 원

나라의 제왕 중 명조에 귀부한 자는 탐라국에 거처하도록 하였으며

더욱이 그곳에 환관을 보내어 그들이 머물 집을 지어 주고 그곳에서

거처하도록 하였다rdquo45)라고 한 것을 보면 귀부한 元의 諸王들을 제주도

에 보내어 머물게 하면서 이 때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었던 것이다

安南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1년(1378) 정월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安南國에 파견하여 국왕 陳煓의 喪을 조문하였다 당시 안남국

왕 陳煓이 죽었는데 그의 동생 陳煒가 사신 陳建璨阮士諤을 명에 보

내어 안남국왕이 죽었음을 알려오자 이미 서로 교류가 있던 차였기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안남에 파견하여 문상하도록 하고 비단도 함께 보

내었던 것이다46)

書賜其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其間有高麗流寓者百六十餘人 朕念其人豈無鄕里骨肉之思 故令有

司遣使護送東歸rdquo

43) 洪武時期에 명과 고려 사이에 여러 차례 사절의 왕래가 있었다 홍무 2년

(1369) 4月부터 홍무 29년(1396) 6月까지 모두 22차례에 걸쳐 사신이 고려와

조선에 파견되었는데 사신의 이름이 파악된 사람이 43명(환관 25인 문신 11

인 무관 7인)이다 그중 정사로 고려조선에 출사한 사람이 21명인데 그 중

환관이 11인이고 문관이 4인이며 무관이 6인이다 이를 보면 많은 환관이 사

신으로서 고려조선에 파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환관은 대개 고려나 조

선 출신의 환관이었다 고려 조선 출신 25명의 환관 중 金丽渊黄永奇金仁

甫崔渊 등은 유명한 환관이다(李新峰 明前期赴朝鲜使臣丛考 明清论丛 第4辑 紫禁城出版社2003 참고)

44) 高麗史 卷132 恭愍王 己酉 18年 6月 丙寅條 ldquo皇帝遣宦者金麗淵致書rdquo 이

기사에는 이 때 귀환한 자가 165인으로 기록되어 있다

45) 太祖實錄 卷196 洪武 22年 4月 甲寅條 ldquo詔故元諸王來降者俾居耽羅國 且遣

中使往諭其國 爲造廬舍處之rdquo

46) 太祖實錄 卷117 洪武 11年 正月 ldquo是月 安南陳煓弟煒遣其臣陳建璨阮士諤來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7琉球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6년(1383) 정월 태조는 內使監 监

丞 梁民과 尚佩监 奉御 路謙 등을 琉球에 파견하여 中山王 察度에게

鍍金銀印과 고급비단을 하사한 일이 있다47) 같은 해 9월 琉球에서 내

란이 발생하였을 때에 태조는 监丞 梁玟을 보내어 전쟁을 중단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당시 中山王 山南王 山北王이 서로 자웅

을 겨루며 싸우고 있었는데 이때 내사감승 梁民에게 칙서를 보내어

싸움을 그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칙유를 보내었던 것이며 이들 모두

태조의 칙유를 받아들였던 것이다48)

眞臘國(캄보디아) 暹羅斛國(태국)에도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사무를 보게 하였다 홍무19년(1386) 9월에 行人 劉敏 唐敬 등을 환관

들과 함께 眞臘國에 보내었는데 이 때 磁器를 가지고 가서 하사토록

했고49) 홍무 28년(1395) 12월에는 환관 趙達과 朱福 등을 暹羅斛國(태

국)에 보내어 사망한 왕 參烈寶毘嗯哩哆嗦祿을 조문하고 후사인 蘇門

邦 昭祿群膺에게 비단과 모직물을 하사하였던 것이다50)

이상의 예들은 환관이 이미 태조시기에 황제의 명을 받고 외국의

사신으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수행한 사례들이다

태조가 환관을 변경 지역에 파견한 사실도 여러 곳에 보이고 있다

告煓卒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遣中使陳能至其國弔祭rdquo 國榷 卷6 洪武 11년 正月 ldquo是月 安南

陳煓弟煒遣使告哀 命中使陳能弔祭rdquo

47) 太祖實錄 卷151 洪武 16年 正月 丁未條

48) 明史 卷323 琉球傳 ldquo時二王與山北王爭雄 互相攻伐 命내內使監丞梁玟賜

之勅 令罷兵息民 三王并奉命rdquo 당시 琉球는 中山王(察度) 山南王(承察度) 山北

王(帕尼芝) 등 3세력이 대립하고 있었다

49) 太祖實錄 卷179 洪武 19年 9月 癸未條 ldquo遣行人劉敏唐敬偕內使賚磁器往賜

眞臘等國rdquo

50) 太祖實錄 卷243 洪武 28年 12月 戊午條 ldquo詔遣內使 趙達 朱福等 使暹羅斛

國 祭故王參烈寶毘嗯哩哆嗦祿 賜嗣王蘇門邦昭祿群膺 文綺四疋羅四疋 氁絲布四

十疋rdquo 明史 卷324 暹羅傳에도 같은 내용이 보이고 있다 ldquo二十八年 昭禄群

膺遣使朝贡 且告父丧 命中官赵达等往祭 敕世子嗣王位 赐赉有加rdquo (昭祿群膺이

사신을 파견하여 조공하고 또 부친의 상을 고하였다 이에 환관 조달 등으로

하여금 섬라에 가서 조문하도록 하고 세자가 왕위를 이어받도록 하였으며 더

불어 하사품을 곁들였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8홍무 2년(1369) 4월 원 승상 納哈出에게 편지를 보내 通交를 요구할

때 內臣을 파견하여 우호를 증진하였다51)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태조가 붙잡힌 원나라의 평장 完者不花를 돌려보내는데 환관을 시켜

돌려보내었다52) 홍무 14년(1381) 12월에는 환관을 파견하여 乌蒙(지금

의 운남성의 昭通)乌撤(지금의 운남성의 镇雄귀주성의 威宁)의 여

러 추장들에게 조칙을 발하였다53) 홍무 29년(1396) 6월에는 중사(환

관)를 桂林 등지의 府市에 보내어 南丹 奉儀 등의 衛所의 둔전 군사

들에게 밭가는 소를 지급해 주도록 하였다54) 동년 10월에 安定衛의

酋长 塔孩虎都鲁가 명에 와서 말 40필을 공물로 바친 일이 있는데 안

정위의 추장이 공물을 바친 것은 태조가 行人 陳誠으로 하여금 그곳에

다시 安定衛를 세우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었으며 이때에

ldquo復命中使赍金币往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

五十兩rdquo이라 하여 환관을 보내어 추장에게 옷과 비단 및 금품을 하사

하였던 것이다55)

이상의 기록들을 보면 태조시기에 환관이 여러 차례 변경 지역에

파견되어 변경 지역의 중대 업무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환관에게 지방 군대를 감독하거나 때로 군을 지휘하는 특수

임무를 맡겼다 태조는 외지 변경 지역의 장수들을 엄격히 통제하지

51)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亥條 ldquo玆 因遣使通元君 道經營壘望 令人送

達 所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國榷 卷3 太祖洪武 2年 4月 乙亥

條 ldquo又諭元臣納哈出書曰將軍昔自江左辭還 不通問十五年矣 近聞戍守遼陽 士馬

强 玆因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52) 太祖實錄 卷120 洪武11年 10月條 ldquo山西邊將遣人送所獲故元平章完者不花至

京師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朕怒邊將以爲方遣使通好乃執其平章豈不失信於卿 今特遣內臣送之 抵

丞相營 宥之罪之放 遂之 卿自爲區處rdquo

53) 太祖實錄 卷140 洪武 14年 12月 辛未條 ldquo遣內臣 賚敕諭鳥蒙鳥撤諸酋長rdquo

54) 明史 卷205 廣西土司傳 ldquo帝命俱置屯田给耕 寻遣中使至桂林等府市牛给

南丹奉议诸卫军士rdquo

55) 太祖實錄 卷247 洪武 29年 10月 甲午條 ldquo安定卫酋长塔孩虎都鲁 來朝貢馬

四十疋 先是 上遣行人陈诚立撤里畏兀兒 爲安定卫錫 以印章 以塔孩虎都鲁等指

挥千百户 至是诚歸 塔孩虎都鲁随誠入贡上嘉其慕義 厚赉之 復命中使赍金币往

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五十兩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9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 때 황제의 이목으로서 환관을 활용하였던 것

이다

태조는 명왕조를 창건하기 이전 자신의 세력을 키워가는 과정에서

많은 부하들을 양자로 삼아 그들을 활용하였다 이들에게 여러 장수들

의 군대를 감독하게 함으로써 장수들의 배반을 사전에 막고 안전하게

통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태조가 처음 기병했을 때 많은 양자를 두

었는데 이들을 장수와 함께 여러 路를 지키도록 했다 이를 테면 周舍

를 鎭江에 道舍를 寧國에 馬兒를 婺州에 柴舍眞童을 處州에 金剛

奴를 衢州에 보내어 지키도록 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주원장의 양자들

이었다56) 양자를 심복으로 삼아 그들을 기용하여 군대를 감독하게 하

였던 것이다

이들에게 감군하는 권한을 허락한 것은 태조가 왕조를 창업하는 과

정에서 군권 장악이 최후 승자가 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고 생

각하여 취한 조처였던 것이다

그런데 왕조를 개창한 후에는 양자보다는 환관을 신임하고 그들을

군부대에 파견하였다 홍무 원년(1368) 9월에 北征에 힘쓴 將士들에게

음식을 베풀어 주면서 위로한 일이 있는데 이 때 환관 奉御를 北平에

파견하여 이 일을 담당하도록 하였다57) 홍무 9년(1376) 8월에는 환관

趙成을 군부대에 파견하여 그곳의 관리를 불러들였다 내용인즉 홍무

9년 西番의 多爾濟巴가 부락민을 이끌고 명에 귀순하여 오자 태조는

熊鼎을 岐寧衛 經歷으로 삼아 그곳을 다스리도록 하였다 웅정은 임지

에 도착한 후 귀순부대들이 거짓으로 항복했다는 것을 알고 그 사실

을 비밀리 조정에 보고하였다 태조는 그 소식을 듣고 먼저 웅정을 위

로한 후 환관 조성을 군부대에 보내어 웅정을 경사로 불러들였던 것

이다58)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환관 吳誠을 총병지휘 楊仲名에게

56) 明史 卷134 夏文輝傳 ldquo太祖初起 多蓄義子 及长命偕诸将分守诸路 周舍

守镇江 道舍守宁国 马兒守婺州 柴舍真童守处州 金刚奴守衢州 皆义子也rdquo

57) 太祖實錄 卷35 洪武 元年 9月 乙卯條 ldquo上遣中使奉御等官 至北平 犒北征將

士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0보내어 전반적인 계획과 책략을 살피도록 하였고59) 11월에는 總兵官

辰主指揮 楊仲名이 五開蠻의 반란을 평정하자 태조가 內臣 尙履奉御

呂玉을 楊仲名에게 보내어 그 군대를 검열하고 위로하게 하였다60) 홍

무 27년(1394)에는 환관을 陝西都指揮使司에게 보내어 將士들을 훈련

하게 하였고 魏國公 徐輝祖으로 하여금 섬서 연변지역을 다스리게 하

였다61)

이러한 예들은 환관이 감군으로서 군영에 파견되어 군정을 순시하

고 살피는 일을 한 사례들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태조는 환관이 군의 정황을 살피는 일 이상의 업무에는 참

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 점은 唐代의 환관들과 다른 점으로 당대

에는 환관의 감군이 정치참여로 나타났지만 태조는 환관이 국가중추

기관의 기밀을 획책하는 일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62) 그

렇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기능은 장차 환관의 위력이 점점 강해지는 결

과를 낳았음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셋째 태조는 환관을 각종 경제활동에도 참여시켰다

태조 때에 환관은 경제활동에도 빈번히 참여하였는데 최초의 예로

서는 홍무 8년(1375) 5월 태조가 환관 趙成을 河州에 보내어 거기서

말을 교역해 오도록 한 일이다 태조가 茶馬司를 설치 한 후 조정에서

는 西番에 말을 사들이는 교역장을 마련하였는데63) 서번은 본래 말의

58) 明通鑑 卷6 洪武 9年 8月條 이때에 옹정이 경사로 돌아가자 번인들이 반

란을 일으켰다고 한다

59)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0月 戊申條 ldquo遣內臣 吳誠詣總兵官指揮楊仲名行

營觀方略rdquo

60) 太祖實錄 卷121 洪武 11年 11月 庚午朔條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1

月 庚午條 ldquo五開蠻平 內臣 尙履奉御 呂玉勞指揮楊仲名rdquo 明通鑑 卷6 洪武12

年 11月條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61) 太祖實錄 卷234 洪武 27년 9月條

62) 田禾 明太祖嚴馭宦官試析 (社會科學戰線 1997-4期 1997) pp162-163

63) 茶马司는 洪武 5년1372)2月에 秦州에 처음 설치되었다 그 후 洪武 7년

(1374)다시 河州에 차마사를 설치하고 이어 또 洮州 등지에 차마사를 두었

다 이들은 四川 漢中 湖南 등지의 차와 서북 유목지역에서 나는 말을 교역하

는 임무를 띠고 있었는데 藏族지구의 말을 사들이는 일이 주된 일이었다 그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1산지였기 때문이었다 서번 사람들은 말을 가지고 와서 중국의 문물을

구입하여 갔다

그런데 서번인들의 생활용품과 중국의 용품과는 달랐고 명초에 지

폐인 보초가 발행 된 이후에는 번인들이 사용하는 화폐와 달라 말의

교역량이 줄어들게 되었다 태조는 이것을 염려하여 궁중 환관 趙成을

파견하여 말 교역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조성은 여러 종류의 비단과 사천 지방의 茶葉을 가지고 가서 말을

사오는 방책을 취하였다 조성의 노력으로 河州 수장은 서번 사람들을

위무하고 선대하면서 互市를 열었기에 점차 많은 말을 사들여 올 수

있었는데 이후 차마 무역은 점차 활발해졌던 것이다64)

또 홍무10년(1377) 3월 호부는 징세 업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곳이 178처나 있음을 알고 환관 국자감생 호부의 관원 등 각 부문에

서 각각 1명씩 차출하여 정밀 조사하기를 태조에게 주청하였다 세금

징수 업무를 담당하는 稅課司에서 할당한 세금이 제대로 걷히지 않자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환관과 국자감생들을 보내어 조사하도록 주청한

것이다 이때의 주청에 대하여 lsquo從之rsquo65)라 한 것을 보면 태조가 그것을

승인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환관이 징세 업무에도 간여하였음

을 보여주고 있는 좋은 사례인 것이다

그 외에도 홍무 16년(1383) 9월 태조는 內使 梁珉으로 하여금 돈을

가지고 琉球로 가서 말을 사들여 오도록 하였고66) 홍무 25년(1392) 3

월에는 尙膳太监 而聶과 司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소관

의 번족에게 보내어 거기서 말을 사들여오도록 하였다67) 이 때 서북

러므로 회족이 운거하고 있는 河州는 명대 茶馬互市의 중심지였다

6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5

65) 太祖實錄 卷111 洪武 10年 3月 甲申條 ldquo户部奏天下税课司局征商不如额者

一百七十八处 宜请遣中官国子生及部委官各一人往覈其實立爲定額從之rdquo

66) 太祖實錄 卷156 洪武 16年 9月 己未條 ldquo內官梁珉以貨幣往琉球易马還得马

九百八十三匹rdquo

67) 太祖實錄 卷217 洪武 25年 3月 己丑條 ldquo遣尙膳太监 而聶司禮太監 慶童

賚敕往諭陝西河州等衛所屬番族 令其輸馬 以茶給之rdquo 弇山堂別集 卷90 中官

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당시 尙膳太监 而聶과 司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2쪽의 번족으로부터 말을 사들이는 데는 중국차로서 대가를 지불하였

다 이 때 사들인 말이 10340여필에 이르고 교역한 차엽은 30여만 근

에 달하였다고 하며 구입한 말은 河南 山西 陝西의 衛所에 배치되었

던 것이다68)

넷째 환관을 민간 정보 수집요원으로 활용하였다

새로운 왕조가 성립되었다고 하지만 언제 어떻게 몽골족이 반격하

여 올지 모르고 또한 명조의 신 정권에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다시 왕조를 전복할지도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정보 수집을 중히 여기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

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錦衣衛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금의위를 운영하면서도 태조는 자신의 정권을 보전하기 위

해 환관에게 문무백관을 감시하는 권한을 맡겨 정보를 수집하였다 홍

무 12년(1379) 9월에 占城國 국왕 阿答阿者가 그 신하 陽須文旦을 파

견하여 황제에 올리는 상서와 함께 코끼리말방물 등을 진헌한 일

이 있었는데 중서성 신하는 이것을 제때에 보고하지 못하였으나 內臣

(환관)이 외출하였다가 그 사신을 만나 점성국 사신이 왔다는 정보를

얻어 그 사실을 태조에게 알렸다 태조는 환관의 정보 제공으로 곧바

로 점성국의 사신을 불러 접견할 수 있었는데 이 때 태조는 ldquo상하의

의사소통이 꽉 막히기가 여기까지 이르렀구나rdquo고 하며 탄식하며 중서

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번족에 보내어 말을 사들인 사실은 lsquo교역rsquo

이라는 경제 활동의 성격과 lsquo군마 구입과 배치rsquo라는 군사적 성격을 동시에 지

니고 있는 활동이기도 하다

68)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 ldquo尙膳太监 而聶等至河

州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於是得馬萬三千四十餘疋 以茶三十餘萬斤給之 諸族大悅 而聶遣使入奏

命以馬分给河南山西陕西卫所骑士rdquo이라 하여 교역된 마필과 차엽의 양이

언급되어 있고 당시 구매된 말이 어디로 배치되어 있는가 하는 내용이 더 언

급되어 있다 다만 같은 내용의 기사가 太祖實錄에는 洪武 25년 3月 기사로

弇山堂別集에는 2月 기사로 되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3성 관료들을 질책하자 승상 胡惟庸 汪廣洋 등 중서성의 신하들이 모

두 고개를 땅에 대고 사죄하였다고 한다69)

환관들은 황제의 이목이 되어 황제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황제와 환관들은 자연히 신뢰관계가 형성되었다 황제는

이러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환관에게 특별한 임무를 부여하였던 것

이다 특별한 임무란 황제가 직접 접할 수 없는 궁성 밖의 정세나 관

료의 동향을 알아내는 첩보 활동이었으며 京師의 禁軍도 그들의 감시

대상이었던 것이다

다섯째 환관은 친왕의 왕부에 특사로서 파견되기도 하였다 홍무 12

년(1279) 3월에 환관 陳京을 桂林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靖康王 朱守

謙에게 파견하여 황제의 유지를 전달하게 하였고 홍무 26년(1393) 2월

에 藍玉의 모반 사건이 일어났을 때 3월에 太原의 晉王 朱楓에게 사

람을 보내어 남옥의 모반 사건과 관련되어 있는 집안의 가정과 노비들

을 제거하고 재산을 몰수하라는 유지를 내렸는데 이때에 칙유를 가지

고 간 사람이 환관 而聶과 부마 梅殷였다70)

이를 보면 친왕들에게 유지를 전하는 데 환관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그렇기에 태조는祖訓錄에서

무릇 친왕이 과오를 저지르면 重한 경우 내사 감관으로 하여금 왕을

불러오게 하고 세 차례나 불러도 오지 않으면 다시 流官(황제가 임명한

관리)을 보내되 내관과 함께 동행을 하여 그를 경사로 불러들이도록 한

다71)

69) 太祖實錄 卷126 洪武 12年 9月 戊午條 ldquo占城國王 王阿答阿者遣其臣陽須文

旦進表及象馬方物中书省臣不以時奏 內臣因出外見其使者以聞 上亟召使者見之

嘆曰 壅蔽之害乃至此哉 因敕責省臣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丞相胡惟庸汪廣洋等 皆叩頭謝罪rdquo

70) 王德金 앞의 논문 朱元璋馭宦之析 pp41-42

71) 祖訓錄 法律 ldquo凡親王有過 重者 遣內使監官宣召 如三次不至 再遣流官 同監

官召之至京rdquo 태조가 창업군주로서 자손들에게 훈유를 내려 그것을 영구히 지

키도록 하기 위해 지은 책이 祖訓錄이다 太祖實錄 洪武 2年 4月 乙亥條에

ldquo詔中書編祖訓錄rdquo이라는 것을 보아 이때부터 편찬이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洪武 6年 5月에 완성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箴戒持守严祭祀谨出入慎

国政禮仪法律内令内官职制兵卫营缮供用 등 13 항목으로 되어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4

라고 규정함으로써 친왕이 문제가 있을 때에는 환관이 먼저 파견되었

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을 보면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들의 발호를 억제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정치적 현실에

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차마 무역의 담당

자로 호군 및 군대 감독자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

년 승상제가 폐지되면서 그들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

겠다 이로 인하여 환관의 권위는 점 점 높이지고 세력은 확대되어 갔

던 것이다

3 宦官數의 增大와 機構의 擴大

홍무 초년에는 태조가 환관을 통제했기에 당시의 환관들이 아직 자

금성 안에서 주로 복무했다고 한다면 그의 통치 중후기에는 환관들

이 궁궐 밖으로 나가 여러 임무를 띠고 초기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였다 태조는 이런 변화가 그렇게 나쁘다고 여기지 않았고 도리어

그들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도움이 된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리하여 태조시기에 환관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환관 기구도 확대

되어 갔다 홍무 2년 규정에는 내사감 봉어 60인 기타 각 각 사소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까지 합쳐 총수는 100명에 불과하였다72) 그러나

홍무 15년(1382)에는 환관 361인을 증설하였다73) 이것은 홍무 15년에

증가된 기록으로 당시 기존의 환관을 합치면 거의 수백 명의 환관이

있으며 태조 자신이 서문을 지었다 太祖實錄 28年 閏 9月 庚寅條에 의하면

이 때 祖訓錄을 거듭 정하여 皇明祖訓이라 명명하였다

72)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 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定置內

使監 奉御六十人 尙寶 一人 尙冠七人 尙衣 十人 尙佩九人 尙藥七人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東宮

後門 宮左宮右門 各設門正一人 副一人rdquo

73) 太祖實錄 卷149 洪武 15年 10月 丙戌條 ldquo增設內使三百六十一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5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명조는 수시로

주변 여러 나라에 엄인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사실로 홍무 24년(1391)에 태조는 환관 韓龍 黃禿蠻 등을

고려에 보내어 말 1만 필을 사오도록 하면서 閹人 200여명을 요구하였

다74) 그리고 安南國에서도 끊이지 않고 엄인들을 진공하였는데 매번

수십 명 씩 바쳤던 것이다75) 명조는 사방에 엄인을 요구하였는데 특

히 고려와 안남은 당시 엄인을 진공하는 주요 나라가 되었다76)

이리하여 환관의 수가 부단히 증가하였고 태조도 역시 환관을 심복

중의 심복으로 삼으면서 그들을 신뢰하고 있었다 이에 홍무 17년

(1384) 어느 날 대도독부 겸 국자감을 관할하고 있던 李文忠은 태조에

게 환관이 너무 많으니 그 숫자를 줄여할 것을 건의하였다

ldquo內臣이 너무 많습니다 마땅히 좀 줄이셔야 합니다rdquo라고 이문충이 건

의 하자 태조는 이를 듣고 대노 하여 ldquo자네가 나의 오른쪽 날개를 약화

시키려 하는데 그것은 무슨 의도인가 이것은 분명히 문객들이 시켰을

것이다rdquo라고 말하면서 결국 사람을 보내어 이문충의 문객을 전부 살해하

였다77)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일로 인하여 이문충은 병들어 죽게 되었는

데 이 때 이미 환관은 그 수가 적어서는 안 되는 대상이 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4) 太祖實錄 卷208 洪武 24年 3月 己丑條 ldquo詔於高麗市馬一萬疋 幷索閹人二百

人rdquo 高麗史 恭讓王 3년 辛未年條

75)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6

76) 환관의 공급원은 본래 宮刑에 처해진 죄인들이었지만 隋代 이후 궁형이 폐지

된 후부터는 ① 적의 포로 ② 외국으로부터의 進貢者 또는 변방 지역의 進獻

者 ③ 특별한 사정으로 궁형에 처해진 죄인 ④ 自宮者 곧 지원자 또는 부모의

명령으로 거세된 準自宮者 등이 있다

77) 弇山堂別集 卷20 史乘考誤 1 ldquo一日勸上内臣太多宜稍裁省 上大怒 謂若

欲弱吾羽翼何 意此必门客教之 因盡殺客 文忠驚悸得疾暴卒 上發悲 怒殺諸醫及

文忠侍者百人rdquo 이 기사는 어느 때의 기사인지 나와 있지 않아 잘 알 수 없으

나 이것은 李文忠(1339mdash1384)이 죽은 해에 발생한 사건이므로 洪武 17년

(1384)의 사건으로 볼 수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6환관의 기구 역시 확대되어 갔다 환관의 부서와 직무는 吳 원년

(1367)에 lsquo內史監rsquo이 설치된 이후 인원의 증대와 기구 관리를 위해 조

직이 신설 분리되어 가면서 확대되어 갔는데 홍무 17년(1384)에 9監

2庫 6局 체제가 되었다78) 이것은 명대 환관의 기구인 24아문(12감 4

사 8국)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어 홍무 28년(1395)에 11감 4사 9국으로

정비되어 24아문의 기구가 거의 완비되었던 것이다79) 홍무 30년(1397)

환관 조직은 12감8국4사의 24아문의 규모가 되었고 명왕조 환관

조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황종희가 말하고 있듯이 ldquo명조에 善治가

없었던 것은 태조가 재상을 폐지하면서부터이다 저 宮奴들이 재상의

정치가 땅에 떨어져 수습될 수 없음을 알고 여러 규칙과 조목을 세우

고 직무를 늘렸으며 생살권과 상벌권 등 재상으로부터 나오던 것이

이제 모두 환관들에게 돌아갔도다 (중략) 그러므로 궁노들이 재상처럼

된 것은 승상제를 폐지한 데서 온 커다란 과오이다rdquo80) 라고 하면서

환관의 발호는 재상의 폐지로 인한 것이며 이것은 명대 정치의 큰

폐단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로 재상 없는 군주 독재 지배체제에서 황제 한 사람에 의한 통치

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매일 황제 곁에 있는 환관

중 신뢰하는 환관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태조도 자신도 모르게 환관을 신뢰하고 그들을 중용을 하였으니 이념

적으로 ldquo내신은 정사에 관여하지 못한다rdquo 라는 규정을 내세우면서도

78)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九監은 内官监 神宫监 尚寶监 尚衣监 尚膳监 司

设监 司礼监 御马监 直殿监이고 二庫는 内承运库司鑰库이며 六局은 巾帽局

针工局 织染局 颜料局 司苑局 司牧局을 말한다

79) 위와 같음 十二監은 神宫监 尚寶监 孝陵神宮監 尚膳监 尚衣监 司设监 内官

监 司禮監 御马监 印綬監 直殿监이고 四司는 惜薪司 钟鼓司寶钞司 混堂司이

며 9局庫는 兵仗局 織染局 针工局 巾帽局 司苑局 酒醋麵局 內乘運庫 司鑰庫

內府供用庫인데 이것들은 후에 24아문으로 발전하였다

80) 黄宗羲 明夷待訪錄 置相 ldquo有明之无善治 自高皇帝罢丞相始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彼宫奴

者见宰相之政事坠地不收从而设为科条增其职掌 生杀予夺 出自宰相者 次

第而尽归焉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故使宫奴有宰相之实 则罢丞相之过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9: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7

侍臣들에게 일러 말하기를 환관들은 자고로 선량한 사람은 천 명 중에

한 두 사람 만날 정도이다 만약 그들을 耳目으로 쓴다면 耳目이 가리어

질 것이고 그들을 腹心으로 생각한다면 그 때부터 곧 내재된 화근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그들을 제어하는 방도는 항상 경계하고 삼가 하여 그들

로 하여금 법을 두렵게 여기도록 하고 功勞가 있도록 하면 안 된다 만

일 그들이 공로가 있으면 방자하게 되고 그들로 하여금 법을 두려워하게

하면 단속이 될 것이니 그렇게 되면 감히 그릇된 일을 저지를 수가 없을

것이다 이에 內使監을 두고 奉御 60인을 두었다21)

라고 하여 환관을 다스리는 방책은 항상 규율을 유지해서 법을 두렵게

여기도록 하고 공적이 있도록 하게 하면 안 된다는 것이다 공적이 있

으면 방자하게 되고 법을 두려워하게 하면 절제하며 절제하면 감히

비위를 저지를 수가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 때 더불어 환관의 수도

한정하여 두었다22)

태조는 환관의 품질도 비교적 낮게 정하였다 홍무 4년에 이부가 內

使監 품질을 정할 때에 내사감령은 정5품으로 정하였다 홍무 3년에

종3품이었던 내사감령이 그 이듬해에는 정 5품으로 강등된 것이다 이

에 따라서 다른 환관직도 전체적으로 이전보다 등급이 낮아졌던 것이

다23)

이때에 태조는 시신들에게 일러 말하기를

21) 위와 같음 ldquo又顧侍臣曰 此輩自古以來求其善良千百中不一二見 若用以爲耳目

卽 耳目蔽矣 以爲腹心卽腹心病矣 馭之之道 但 常戒勅 使之畏法 不可使之有功

有功則驕恣 畏法则检束 自不敢为非也 乃定置內使監 奉御六十人rdquo 이 때 과거

內史監을 內使監으로 개칭하였다

22) 이 때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에 나타나 있는 규정을 소개하

면 다음과 같다 ldquo定置內使監 定置内使监奉御六十人 尙寶一人 尚冠七人 尚衣

十人 尚佩九人 尚药七人 纪事二人 执膳四人 司脯二人 司香四人 太庙司香四人

涓潔二人 置尚酒 尚醋 尚面 尚染四局 局设正一人 副二人 置御马 御用二司 司

设正一人 副二人 内府库设大使一人 副使二人 内仓监设令一人 丞二人 及置东

宫典玺 典翰 典膳 典服 典药 典乘兵六局 局设局郎一人 丞一人 又置门官午门

东华门 西华门 玄武门 奉天门 左右顺门 左右红门 皇宫门 坤寧门 宫左门

宫右门 各设门正一人 副一人 东宫门官 春和门 東宮後門 宮左門 宮右門 各設門

正一人 副一人rdquo

23) 太祖實錄 卷63 洪武 4年 閏3月 乙丑條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8

옛날의 환관제도는 궁정에서 아침저녁으로 심부름을 하는 일 뿐이었

다 그런데 후한 鄧太后24)가 황후로써 천자를 대신하여 섭정할 때 公卿

과 접하지 않고 閹人을 常侍와 小黃門으로 삼아 그들을 통하여 명령하였

는데 이때부터 그들의 권력이 황제에 기울어 그 폐해가 심하여졌다 이

것은 마치 狐假虎威(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부리다)라는 말과 같이 왕의

위엄을 빌려 위세를 부리고 城狐社鼠(성곽에 사는 여우와 社壇에 사는

쥐)가 되어 황제 곁에서 간신노릇을 하였다 짐은 이들에게 궁궐에서만

일하도록 하였으니 어찌 권세를 힘입어 정사를 어지럽히는 일이 있겠는

가 내가 이것을 엄히 방지하도록 하였으니 犯法者에 대해서는 이를 질

책하여 제거함으로써 주위에 존재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履霜堅氷(서

리가 내리면 두꺼운 얼음이 얼게 된다)이라는 말이 있듯이 삼가 재앙이

나 화는 그것이 작을 때에 사전에 미리 막아야 한다는 가르침을 잊어서

는 안 되느라25)

고 하면서 환관을 명초부터 엄히 경계하여 다루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태조는 환관이 정사에 간여하는 일이 있을 때 그를 가차 없이 제거

하기도 하였다 홍무 10년(1377)에 이런 일이 있었다 오랫동안 곁에서

태조를 모시던 한 환관이 있었다 그는 부지런히 근신하며 태조를 성

실히 모셔왔다 하루는 그 환관이 침착한 태도로 정사를 언급하자 태

조는 바로 그를 파면시켜 고향으로 돌려보냈으며 평생 그를 다시 부르

지 않았다 明太祖寶训에어느 한 내시가 오래도록 내정의 일을 맡아서 봉사하여 왔는데 그가

차분히 정사에 대하여 언급하자 태조는 곧 바로 질책하여 免官하고 귀향

24) 후한 和帝(88-106)의 태후로서 105년에 후한 和帝가 죽자 등태후는 민가에

보내어 기르던 황자 劉隆을 데려다 그날 밤 즉위시켰다 그는 생후 100일밖에

되지 않는 殤帝(105-106)이다 그런데 그는 이듬해에 요절하고 말았다 그러자

등태후는 淸河王 劉慶의 아들로 13살 된 劉祜(유호)를 황제로 즉위시켰는데

이가 安帝(106-122)이다 이런 과정에서 등태후는 14년간 천자를 대신하여 수

렴청정을 하며 권력을 행사했다

25) 太祖實錄 卷63 洪武 4年 閏3月 乙丑條 ldquo上因謂侍臣曰 自古之宦竪 在宮禁

不通司晨昏供役使而已 汉邓太后 以女主稱制不接公卿乃以阉人为常侍小黄门

通命自此以来内侍权倾人主及其爲患 有如城狐社鼠 不可以去 朕谓此辈但

當服事宫禁 岂可假以权势纵其狂乱 吾所以防之极严 但犯法者 必斥去之 不令

在左右 戒履霜坚冰之意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9토록 했으며 종신토록 그를 다시 등용하지 않았다 26)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내용은 明通鑑에도 같은 내용이 언급되어 있으며 이를 더 읽

어 가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태조는 대신들에게 이르기를 ldquo환관들이 날마다 좌우에서 시중드는데

충성과 믿음이 적다면 그것은 황제의 마음을 굳어지게 한다 그것이 오

래되면 권위를 빌어 정사에 참여하게 되고 마침내 그것을 억제할 수가

없게 된다 자고로 이러한 환관들 가운데 난을 일으키는 자가 많았다 지

금 입법하여 환관에게 정치 관여를 불허하고 그들을 제거하는 것은 과

거의 실패를 교훈 삼아 장래에 같은 실패를 되풀이 하지 않도록 하려는

까닭이다rdquo27)

위의 훈계 내용을 보면 태조의 환관에 대한 엄연한 태도가 깃들어

있으며 ldquo群臣頓首稱善rdquo이라 하였으니 모든 신하들도 환관에 대한 황

제의 태도가 옳다면서 그 조처를 긍정하였던 것이다 파면된 환관이

오랫동안 성실히 군주를 시중들어 왔다고 생각한 탓인지 그를 살해하

지는 않았지만 종신토록 다시 그를 불러들이지 않음으로써 환관의 정

치 간섭이 얼마나 큰 과오인가 하는 것을 밝혔던 것이다 이것은 어디

까지나 후대의 환관을 경계시킨다는 목적이 깊게 깔려 있다고 생각된

26) 明太祖寶训 卷3 去讒佞 ldquo洪武十年五月 是月 有内侍以久事内廷 从容言及

政事 太祖即日斥遣还乡里 命终身不齿 遂谕群臣曰 自古贤明之君 凡有谋为 必

与公卿大夫谋诸朝廷 而断之于己 未闻近习嬖幸之人得与谋者 况阍寺之人 朝夕

在人君左右 出入起居之际 声音笑貌日接乎耳目 其小善小信 皆足以固结君心 而

便僻专忍 其本态也 苟一为所惑而不之省 将必假威福 窃权势 以干与政事 及其

久也 遂至于不可抑 由是而阶乱者 多矣 朕尝以是为鉴戒 故立法 寺人不过侍奉

洒扫 不许干预政事 今此宦者 虽事朕日久 不可姑息 决然去之 所以惩将来也 群

臣顿首称善rdquo

27) 明通鑑 卷6 太祖洪武 10年 5月條 ldquo有内侍以久侍内廷 从容言及政事 上(太

祖)即日斥遣歸命 终身不齿 諭諸臣曰 此辈日在左右 其小忠小信 足以固结君心

及其久也 假窃威权 以干政事 遂至于不可抑 自古以此辈乱者多矣 今立法不许寺

人干预朝政 决去之 所以惩将来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0이상 일련의 사료들은 태조 주원장이 전대에 환관전권으로 말미암

은 폐해가 얼마나 심각하였는가를 깊이 인식하고 이에 대한 경계를 강

하게 하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2 太祖의 宦官 統制

천하를 얻어 다스리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깊이 깨달은 태조는

역대 흥망의 경험과 교훈을 거울로 삼아 환관의 폐해를 심각하게 인식

하면서 일련의 환관 억제 조치를 취하였다

홍무 5년(1372) 태조는 환관에 대해 금령을 반포하였다 궁정에서

모함 다툼 상해 등 환관의 비행 및 부도덕한 행동이 있을 때 그에

대하여 엄히 다스리는 벌칙을 규정하여 발표하였다

罵詈者(상호 욕하고 꾸짖는 자)는 태형 50대 봉어를 모욕하는 자 장

60대 문관이나 감관을 모독하는 자는 장 장 70 서로 싸우는 자 장 70이

대이며 상해를 입힌 자는 한 등급 더 높여 처벌하고 본관의 제재에 불복

하고 고집하는 자 장 80대 이며 구타하여 상해를 입힌 자는 한 등급 너

높여 처벌하고 봉어를 구타한자 장 80 문관 감관을 구타한 자 장 100대

로 하며 상해가 있으면 각각 한 등급을 더 가해 벌한다28)

이처럼 환관이 궁정에서 모함하거나 다투거나 상해를 입힐 경우 그

상황을 따져서 태형이나 장형으로 벌하는 내용을 규정하였다

그런데 이 사료를 더 읽어가 보면 능지처참이나 참수의 형까지 규

정하고 있고 잘 못이 있을 때 자수하기를 권장하면서 자수하는 환관

에 대하여는 도리어 상을 내리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28) 太祖實錄 卷74 洪武 5年 6月 丙子朔條 ldquo洪武五年六月 丙子朔 定宦官禁令

凡內使于宮城內 相罵詈者先發理屈笞五十 後罵理直者不坐不服本管鈐束而抵罵者

杖六十 內使罵奉御者杖六十 罵門官監官者杖七十 內使于宮城內相鬭毆者先鬭理屈杖七十 毆傷者加一等 後應理直而無傷者笞五十 不服本管鈐束而毆之者杖八十

毆傷者加一等 毆奉御者杖八十 毆門官監官者杖一百 傷者各加一 內使等有心懷

惡逆 出不道之言者 凌遲處死 有知情而蔽之者同罪 知其事而不首者斬 首者賞銀

三百兩rdquo 欽定續通典 卷108 刑2에도 같은 기록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1

內使等이 마음이 악하여 심하게 도리를 벗어나는 행동을 하고 도리에

어긋나는 말을 하는 환관들은 능지처참 시키고 사정을 알면서도 그것을

은폐하는 자 역시 똑 같이 능지처참할 것이며 사실을 알면서도 자수하지

않는 자는 참수할 것이며 대신 자수하는 자에게는 상금으로 은 3백량을

내릴 것이다29)

라 한 것이 그것이다

홍무 6년(1373)에는 환관 기구 중에 lsquo內正司rsquo라는 환관의 위법행위를

규찰하는 전문기구를 두었다30) 이것은 환관의 불법과 부도덕을 규찰

하는 기구로 司正(정7품) 司副(9종7품) 등의 관직을 두어 운영하였으

며 환관의 위법과 부도덕한 행동을 규찰하는 책임을 맡게 되었던 것

이다31)

동시에 환관은 외정의 직을 겸할 수 없고 외정 관료들과 교류할 수

없도록 하였다 홍무 10년(1377)에 태조는 ldquo환관은 외신 文武의 직을

겸할 수 없고 외신의 관복을 착용할 수 없으며 정치에 참여하거나 군

권 행사를 할 수 없다 관품은 4품을 넘을 수가 없고 매월 지급하는

봉록은 1석이며 내정 안에서 살림을 한다rdquo32)라고 정하였던 것이다

또한 환관이 문자를 터득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하여 환관에

게는 글을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였다 明史에 보면 初 太祖制 内臣

不许读书识字 33)라고만 되어 있어 이것을 제정한 시기가 언제인지 확

실히 알 수 없으나 명초의 것으로 태조는 초기부터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환관 전권을 더욱 방지하기 위하여 홍무 17년(1384)에 금령

29) 위와 같음

30) lsquo內正司rsquo는 후에 lsquo典禮司rsquo lsquo典禮稽察司rsquo로 개칭되었다

3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六年 hellip又考前代纠劾内官之法 置内正司

设司正一人 正七品司副一人从七品 专纠内官失仪及不法者 旋改为典禮司 又改

为典禮稽察司 升其品秩 司正升正六品 司副升从六品rdquo

32) 明史 卷304 宦官1 ldquo然定制 不得兼外臣文武衔 不得御外臣冠服 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衣食于内庭rdquo

33) 明史 卷304 宦官1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2을 발하였다 그 금령은 ldquo內臣不得干預政事 犯者斬rdquo이라 하여 lsquo환관으

로서 정사에 간여하는 사람은 참수형에 처한다rsquo는 것이다 약 석자 크

기의 鐵牌를 주조하여 거기에 이 lsquo11자rsquo를 새겨 궁문 앞에 세워 두었

다34) 철폐를 제조하여 궁문 앞에 세워두었다는 것은 가장 극렬한 환

관 통제 방책의 하나로 상징성이 가장 큰 통제 방법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이 규정은 환관들로 하여금 조정의 일에 간여할 수 없게 만들

었을 뿐 아니라 명초 환관의 권력을 중국 역사상 가장 밑바닥에 처하

게 만들었던 것이다

또한 환관은 공문서를 가지고 외정을 드나들 수 없게 하였으며35)

이러한 제한으로 인해 자연히 환관은 궁정에 있는 관료들과 사귀어 정

사를 어지럽힐 수 있는 기회를 갖기가 어려웠다

생각해 보면 신왕조를 창업한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들이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왕조 창업 후 심복으로서 환관들을 활용하

지 않을 수 없었다 그렇기에 태조는 환관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그들

의 세력을 제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던 것이다

그 주된 내용은 다음의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겠다

① 환관과 외신과의 쌍방에 의한 정보교환 문서 왕래를 금한다

② 환관은 조정 관리를 겸무하는 일과 외신의 관복을 착용하는 것을

금한다

③ 4품 이상의 품계에 오르는 것을 금한다

④ 환관의 봉급은 매월 백미 1석으로 하고 후궁 내에서 생활하며 지낸

⑤ 환관에게 글을 가르치는 것을 엄금한다

태조는 이상과 같이 환관의 세력이 성장하지 못하도록 갖가지 규제

를 강구하고 나아가 환관 규제를 위한 철패를 제조하여 궁문에 세워

34)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十七年 鑄铁牌文曰 内臣不得干预政事犯

者斩 置宮門 又勅諸司 毋得與內官監文移往來rdquo

35)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十七年hellip又勅諸司 毋得與內官監文移往來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3두었는데 이것은 태조의 환관 통제 정책 중 가장 대표적이고 상징적

인 징표가 되었다 하지만 한편 극단적인 제약이 도리어 환관이 신성

한 황제의 힘을 등지고 세력을 휘두르는 화근을 배태하였던 것이다

Ⅲ 國初 政治的 現實과 宦官 抑制의 限界

1 太祖期의 政治的 現實

한 당 시대의 환관 전권의 사실과 폐해를 잘 알고 극력 환관의 세

력을 억압하려는 태조 앞에 닥친 정치적 현실은 어떠하였는가

새로이 명왕조를 세운 태조는 먼저 관계의 기강문제에 지대한 관심

을 가지고 있었다 새로운 왕조가 수립되었어도 기강이 해이해지면 전

왕조에 있었던 것과 같은 부패가 官界에 그대로 만연하게 될 것이고

그로 인하여 민심이 흉흉할 수도 있는 일이다 그렇게 되면 그 자체가

혁명의 발생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고 나아가 태조가 창건한 왕조

자체도 혁명의 객체로 부상할 수밖에 없는 일이다

그러므로 태조는 기강 확립 권신들의 전횡 견제 관리의 부정부패

방지 민심 동요 등을 경계하면서 정치사회의 안정과 중앙집권적 전

제지배체제의 확립을 꾀하였다36)

현실적으로 원 왕조가 몽골고원으로 퇴각되었다고 하지만 그들은

여전히 상당한 세력을 보유하면서 언제 어떻게 명조에 반격을 가해 올

지 모르기 때문에 결코 방심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또한 국내에서도

명조 정권에 대하여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있고 명조에

협력하지 않고 음으로 몽골 세력을 지지하면서 농민출신의 태조 및 그

정권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우까지 있었다 또한 일단 명조 정권에 협

력하고 있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반드시 본심에서 우러난 것인지 확실

36) 全淳東 明王朝成立史硏究 pp194-204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4히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태조는 황제를 중심으로

하는 강력한 중앙집권적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

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

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금의위

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였다37)

금의위라는 특무기구는 본래 황제의 거동과 행렬을 시위하는 데 불

과였으나 이것이 특무 기관으로서 기능을 갖게 된 것은 호유용의 옥사

사건 이후 정보 수집과 감시체제를 강화할 때인 홍무 15년(1382년) 금

의위의 기구가 개혁된 결과이다 이후에 금의위는 정치상의 음모를 기

도하는 행위나 반체제적인 종교비밀 결사 등을 감시하는 기능을 가지

게 되었다 곧 금의위는 황제 행렬의 시위 외에 순찰을 돌면서 체포하

는 권한까지 지니게 되었던 것이다 이들은 정보를 수집하고 감시 적

발하며 사법권에까지 개입하였던 것이다38)

하지만 국초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

의 옥을 일으키며 시의심이 강하였던 주원장은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

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많은 사가들은 명사 환관 열전의 서문에 나타나 있는 ldquo盖明世宦官

出使专徵监军分镇刺臣民隐事诸大权皆自永乐间始rdquo(명대 환관

의 출사 징세 감군 분진 신민의 은밀한 일 정탐 등의 권리는 모두

영락 연간부터 시작되었다)39) 라는 기사라든지 明史 職官志에 나타

난 ldquo顾中官四出 实始永乐时 元年 李兴等赍敕劳暹罗国王 此奉使外国之

始也rdquo(돌이켜 보면 환관의 파견은 영락제 때에 처음 실시하였다 영락

37) 山根幸夫 明帝國の形成と發展 (ゆらぐ中華帝國 11 筑摩書房 1961)

pp41-42

38) 錦衣衛의 전신은 1367년에 설립된 拱衛司로서 대도독부에 예속되어 있었는

데 洪武 3년(1370) 親軍都尉府로 개칭하고 도독부로부터 독립하여 운영하였다

39) 明史 卷304 宦官1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5원년 이흥 등을 태국의 국왕에게 보내어 위로한 것이 환관을 외국에

보낸 것의 처음이다)40) 라는 기사를 인용하여 환관 중용의 책임이 영

락제에 있는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살펴보면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

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시 경제적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2 宦官 抑制의 限界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은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국초

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의 옥을 일으

키는 등 누구보다 시의심이 강하였던 태조는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

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심복인 환관들을 억

제하기보다는 그들을 측근으로 하여 저제군주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했다 그리하여 태조는 환관들과의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외부로 나가

는 출사 군대 감시 경제적인 활동 정보 수집 등의 일을 맡겼던 것이

첫째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관계를 원만히 하려 하였다41)

환관의 외국 출사의 예는 이미 홍무 2년에 보이고 있다 홍무 2년

(1369) 4월에 고려출신 환관 金丽渊을 고려에 파견하여 중국에 머물고

있는 高麗 流寓民 160여명을 고려에 돌려보낸 일이 있다 ldquo遣內臣 送

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書賜其王rdquo42)이라는 기사가 그것이다 이 기사

40)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41) 환관이 사신으로 나가는 경우는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외

국 사신으로 나가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변경 지역의 왕부나 주변 소수 민족

집단에 나가 황제의 명을 전하고 일을 처리하는 것이다

42)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丑朔 ldquo遣內臣 送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6를 더 읽어가 보면 그 때 중국인으로서 고려에 머물러 있는 유민들이

약 160여명이 있었는데 이 때 환관 金麗淵을 보내서 그들을 고려에

돌려보내었던 것이다43) 이 사실은 高麗史에도 ldquo己酉 18년 6월 丙寅

일에 황제가 환관 金麗淵을 파견하여 칙서를 전했다rdquo44)라고 하고 있어

당시 고려와 명과의 외교관계를 엿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명조의 환

관이 외교 사절단으로 나간 최초의 예라 할 수 있다

그리고 耽羅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는데 홍무 22년(1389) 4월 ldquo옛 원

나라의 제왕 중 명조에 귀부한 자는 탐라국에 거처하도록 하였으며

더욱이 그곳에 환관을 보내어 그들이 머물 집을 지어 주고 그곳에서

거처하도록 하였다rdquo45)라고 한 것을 보면 귀부한 元의 諸王들을 제주도

에 보내어 머물게 하면서 이 때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었던 것이다

安南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1년(1378) 정월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安南國에 파견하여 국왕 陳煓의 喪을 조문하였다 당시 안남국

왕 陳煓이 죽었는데 그의 동생 陳煒가 사신 陳建璨阮士諤을 명에 보

내어 안남국왕이 죽었음을 알려오자 이미 서로 교류가 있던 차였기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안남에 파견하여 문상하도록 하고 비단도 함께 보

내었던 것이다46)

書賜其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其間有高麗流寓者百六十餘人 朕念其人豈無鄕里骨肉之思 故令有

司遣使護送東歸rdquo

43) 洪武時期에 명과 고려 사이에 여러 차례 사절의 왕래가 있었다 홍무 2년

(1369) 4月부터 홍무 29년(1396) 6月까지 모두 22차례에 걸쳐 사신이 고려와

조선에 파견되었는데 사신의 이름이 파악된 사람이 43명(환관 25인 문신 11

인 무관 7인)이다 그중 정사로 고려조선에 출사한 사람이 21명인데 그 중

환관이 11인이고 문관이 4인이며 무관이 6인이다 이를 보면 많은 환관이 사

신으로서 고려조선에 파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환관은 대개 고려나 조

선 출신의 환관이었다 고려 조선 출신 25명의 환관 중 金丽渊黄永奇金仁

甫崔渊 등은 유명한 환관이다(李新峰 明前期赴朝鲜使臣丛考 明清论丛 第4辑 紫禁城出版社2003 참고)

44) 高麗史 卷132 恭愍王 己酉 18年 6月 丙寅條 ldquo皇帝遣宦者金麗淵致書rdquo 이

기사에는 이 때 귀환한 자가 165인으로 기록되어 있다

45) 太祖實錄 卷196 洪武 22年 4月 甲寅條 ldquo詔故元諸王來降者俾居耽羅國 且遣

中使往諭其國 爲造廬舍處之rdquo

46) 太祖實錄 卷117 洪武 11年 正月 ldquo是月 安南陳煓弟煒遣其臣陳建璨阮士諤來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7琉球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6년(1383) 정월 태조는 內使監 监

丞 梁民과 尚佩监 奉御 路謙 등을 琉球에 파견하여 中山王 察度에게

鍍金銀印과 고급비단을 하사한 일이 있다47) 같은 해 9월 琉球에서 내

란이 발생하였을 때에 태조는 监丞 梁玟을 보내어 전쟁을 중단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당시 中山王 山南王 山北王이 서로 자웅

을 겨루며 싸우고 있었는데 이때 내사감승 梁民에게 칙서를 보내어

싸움을 그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칙유를 보내었던 것이며 이들 모두

태조의 칙유를 받아들였던 것이다48)

眞臘國(캄보디아) 暹羅斛國(태국)에도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사무를 보게 하였다 홍무19년(1386) 9월에 行人 劉敏 唐敬 등을 환관

들과 함께 眞臘國에 보내었는데 이 때 磁器를 가지고 가서 하사토록

했고49) 홍무 28년(1395) 12월에는 환관 趙達과 朱福 등을 暹羅斛國(태

국)에 보내어 사망한 왕 參烈寶毘嗯哩哆嗦祿을 조문하고 후사인 蘇門

邦 昭祿群膺에게 비단과 모직물을 하사하였던 것이다50)

이상의 예들은 환관이 이미 태조시기에 황제의 명을 받고 외국의

사신으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수행한 사례들이다

태조가 환관을 변경 지역에 파견한 사실도 여러 곳에 보이고 있다

告煓卒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遣中使陳能至其國弔祭rdquo 國榷 卷6 洪武 11년 正月 ldquo是月 安南

陳煓弟煒遣使告哀 命中使陳能弔祭rdquo

47) 太祖實錄 卷151 洪武 16年 正月 丁未條

48) 明史 卷323 琉球傳 ldquo時二王與山北王爭雄 互相攻伐 命내內使監丞梁玟賜

之勅 令罷兵息民 三王并奉命rdquo 당시 琉球는 中山王(察度) 山南王(承察度) 山北

王(帕尼芝) 등 3세력이 대립하고 있었다

49) 太祖實錄 卷179 洪武 19年 9月 癸未條 ldquo遣行人劉敏唐敬偕內使賚磁器往賜

眞臘等國rdquo

50) 太祖實錄 卷243 洪武 28年 12月 戊午條 ldquo詔遣內使 趙達 朱福等 使暹羅斛

國 祭故王參烈寶毘嗯哩哆嗦祿 賜嗣王蘇門邦昭祿群膺 文綺四疋羅四疋 氁絲布四

十疋rdquo 明史 卷324 暹羅傳에도 같은 내용이 보이고 있다 ldquo二十八年 昭禄群

膺遣使朝贡 且告父丧 命中官赵达等往祭 敕世子嗣王位 赐赉有加rdquo (昭祿群膺이

사신을 파견하여 조공하고 또 부친의 상을 고하였다 이에 환관 조달 등으로

하여금 섬라에 가서 조문하도록 하고 세자가 왕위를 이어받도록 하였으며 더

불어 하사품을 곁들였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8홍무 2년(1369) 4월 원 승상 納哈出에게 편지를 보내 通交를 요구할

때 內臣을 파견하여 우호를 증진하였다51)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태조가 붙잡힌 원나라의 평장 完者不花를 돌려보내는데 환관을 시켜

돌려보내었다52) 홍무 14년(1381) 12월에는 환관을 파견하여 乌蒙(지금

의 운남성의 昭通)乌撤(지금의 운남성의 镇雄귀주성의 威宁)의 여

러 추장들에게 조칙을 발하였다53) 홍무 29년(1396) 6월에는 중사(환

관)를 桂林 등지의 府市에 보내어 南丹 奉儀 등의 衛所의 둔전 군사

들에게 밭가는 소를 지급해 주도록 하였다54) 동년 10월에 安定衛의

酋长 塔孩虎都鲁가 명에 와서 말 40필을 공물로 바친 일이 있는데 안

정위의 추장이 공물을 바친 것은 태조가 行人 陳誠으로 하여금 그곳에

다시 安定衛를 세우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었으며 이때에

ldquo復命中使赍金币往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

五十兩rdquo이라 하여 환관을 보내어 추장에게 옷과 비단 및 금품을 하사

하였던 것이다55)

이상의 기록들을 보면 태조시기에 환관이 여러 차례 변경 지역에

파견되어 변경 지역의 중대 업무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환관에게 지방 군대를 감독하거나 때로 군을 지휘하는 특수

임무를 맡겼다 태조는 외지 변경 지역의 장수들을 엄격히 통제하지

51)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亥條 ldquo玆 因遣使通元君 道經營壘望 令人送

達 所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國榷 卷3 太祖洪武 2年 4月 乙亥

條 ldquo又諭元臣納哈出書曰將軍昔自江左辭還 不通問十五年矣 近聞戍守遼陽 士馬

强 玆因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52) 太祖實錄 卷120 洪武11年 10月條 ldquo山西邊將遣人送所獲故元平章完者不花至

京師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朕怒邊將以爲方遣使通好乃執其平章豈不失信於卿 今特遣內臣送之 抵

丞相營 宥之罪之放 遂之 卿自爲區處rdquo

53) 太祖實錄 卷140 洪武 14年 12月 辛未條 ldquo遣內臣 賚敕諭鳥蒙鳥撤諸酋長rdquo

54) 明史 卷205 廣西土司傳 ldquo帝命俱置屯田给耕 寻遣中使至桂林等府市牛给

南丹奉议诸卫军士rdquo

55) 太祖實錄 卷247 洪武 29年 10月 甲午條 ldquo安定卫酋长塔孩虎都鲁 來朝貢馬

四十疋 先是 上遣行人陈诚立撤里畏兀兒 爲安定卫錫 以印章 以塔孩虎都鲁等指

挥千百户 至是诚歸 塔孩虎都鲁随誠入贡上嘉其慕義 厚赉之 復命中使赍金币往

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五十兩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9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 때 황제의 이목으로서 환관을 활용하였던 것

이다

태조는 명왕조를 창건하기 이전 자신의 세력을 키워가는 과정에서

많은 부하들을 양자로 삼아 그들을 활용하였다 이들에게 여러 장수들

의 군대를 감독하게 함으로써 장수들의 배반을 사전에 막고 안전하게

통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태조가 처음 기병했을 때 많은 양자를 두

었는데 이들을 장수와 함께 여러 路를 지키도록 했다 이를 테면 周舍

를 鎭江에 道舍를 寧國에 馬兒를 婺州에 柴舍眞童을 處州에 金剛

奴를 衢州에 보내어 지키도록 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주원장의 양자들

이었다56) 양자를 심복으로 삼아 그들을 기용하여 군대를 감독하게 하

였던 것이다

이들에게 감군하는 권한을 허락한 것은 태조가 왕조를 창업하는 과

정에서 군권 장악이 최후 승자가 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고 생

각하여 취한 조처였던 것이다

그런데 왕조를 개창한 후에는 양자보다는 환관을 신임하고 그들을

군부대에 파견하였다 홍무 원년(1368) 9월에 北征에 힘쓴 將士들에게

음식을 베풀어 주면서 위로한 일이 있는데 이 때 환관 奉御를 北平에

파견하여 이 일을 담당하도록 하였다57) 홍무 9년(1376) 8월에는 환관

趙成을 군부대에 파견하여 그곳의 관리를 불러들였다 내용인즉 홍무

9년 西番의 多爾濟巴가 부락민을 이끌고 명에 귀순하여 오자 태조는

熊鼎을 岐寧衛 經歷으로 삼아 그곳을 다스리도록 하였다 웅정은 임지

에 도착한 후 귀순부대들이 거짓으로 항복했다는 것을 알고 그 사실

을 비밀리 조정에 보고하였다 태조는 그 소식을 듣고 먼저 웅정을 위

로한 후 환관 조성을 군부대에 보내어 웅정을 경사로 불러들였던 것

이다58)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환관 吳誠을 총병지휘 楊仲名에게

56) 明史 卷134 夏文輝傳 ldquo太祖初起 多蓄義子 及长命偕诸将分守诸路 周舍

守镇江 道舍守宁国 马兒守婺州 柴舍真童守处州 金刚奴守衢州 皆义子也rdquo

57) 太祖實錄 卷35 洪武 元年 9月 乙卯條 ldquo上遣中使奉御等官 至北平 犒北征將

士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0보내어 전반적인 계획과 책략을 살피도록 하였고59) 11월에는 總兵官

辰主指揮 楊仲名이 五開蠻의 반란을 평정하자 태조가 內臣 尙履奉御

呂玉을 楊仲名에게 보내어 그 군대를 검열하고 위로하게 하였다60) 홍

무 27년(1394)에는 환관을 陝西都指揮使司에게 보내어 將士들을 훈련

하게 하였고 魏國公 徐輝祖으로 하여금 섬서 연변지역을 다스리게 하

였다61)

이러한 예들은 환관이 감군으로서 군영에 파견되어 군정을 순시하

고 살피는 일을 한 사례들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태조는 환관이 군의 정황을 살피는 일 이상의 업무에는 참

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 점은 唐代의 환관들과 다른 점으로 당대

에는 환관의 감군이 정치참여로 나타났지만 태조는 환관이 국가중추

기관의 기밀을 획책하는 일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62) 그

렇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기능은 장차 환관의 위력이 점점 강해지는 결

과를 낳았음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셋째 태조는 환관을 각종 경제활동에도 참여시켰다

태조 때에 환관은 경제활동에도 빈번히 참여하였는데 최초의 예로

서는 홍무 8년(1375) 5월 태조가 환관 趙成을 河州에 보내어 거기서

말을 교역해 오도록 한 일이다 태조가 茶馬司를 설치 한 후 조정에서

는 西番에 말을 사들이는 교역장을 마련하였는데63) 서번은 본래 말의

58) 明通鑑 卷6 洪武 9年 8月條 이때에 옹정이 경사로 돌아가자 번인들이 반

란을 일으켰다고 한다

59)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0月 戊申條 ldquo遣內臣 吳誠詣總兵官指揮楊仲名行

營觀方略rdquo

60) 太祖實錄 卷121 洪武 11年 11月 庚午朔條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1

月 庚午條 ldquo五開蠻平 內臣 尙履奉御 呂玉勞指揮楊仲名rdquo 明通鑑 卷6 洪武12

年 11月條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61) 太祖實錄 卷234 洪武 27년 9月條

62) 田禾 明太祖嚴馭宦官試析 (社會科學戰線 1997-4期 1997) pp162-163

63) 茶马司는 洪武 5년1372)2月에 秦州에 처음 설치되었다 그 후 洪武 7년

(1374)다시 河州에 차마사를 설치하고 이어 또 洮州 등지에 차마사를 두었

다 이들은 四川 漢中 湖南 등지의 차와 서북 유목지역에서 나는 말을 교역하

는 임무를 띠고 있었는데 藏族지구의 말을 사들이는 일이 주된 일이었다 그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1산지였기 때문이었다 서번 사람들은 말을 가지고 와서 중국의 문물을

구입하여 갔다

그런데 서번인들의 생활용품과 중국의 용품과는 달랐고 명초에 지

폐인 보초가 발행 된 이후에는 번인들이 사용하는 화폐와 달라 말의

교역량이 줄어들게 되었다 태조는 이것을 염려하여 궁중 환관 趙成을

파견하여 말 교역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조성은 여러 종류의 비단과 사천 지방의 茶葉을 가지고 가서 말을

사오는 방책을 취하였다 조성의 노력으로 河州 수장은 서번 사람들을

위무하고 선대하면서 互市를 열었기에 점차 많은 말을 사들여 올 수

있었는데 이후 차마 무역은 점차 활발해졌던 것이다64)

또 홍무10년(1377) 3월 호부는 징세 업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곳이 178처나 있음을 알고 환관 국자감생 호부의 관원 등 각 부문에

서 각각 1명씩 차출하여 정밀 조사하기를 태조에게 주청하였다 세금

징수 업무를 담당하는 稅課司에서 할당한 세금이 제대로 걷히지 않자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환관과 국자감생들을 보내어 조사하도록 주청한

것이다 이때의 주청에 대하여 lsquo從之rsquo65)라 한 것을 보면 태조가 그것을

승인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환관이 징세 업무에도 간여하였음

을 보여주고 있는 좋은 사례인 것이다

그 외에도 홍무 16년(1383) 9월 태조는 內使 梁珉으로 하여금 돈을

가지고 琉球로 가서 말을 사들여 오도록 하였고66) 홍무 25년(1392) 3

월에는 尙膳太监 而聶과 司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소관

의 번족에게 보내어 거기서 말을 사들여오도록 하였다67) 이 때 서북

러므로 회족이 운거하고 있는 河州는 명대 茶馬互市의 중심지였다

6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5

65) 太祖實錄 卷111 洪武 10年 3月 甲申條 ldquo户部奏天下税课司局征商不如额者

一百七十八处 宜请遣中官国子生及部委官各一人往覈其實立爲定額從之rdquo

66) 太祖實錄 卷156 洪武 16年 9月 己未條 ldquo內官梁珉以貨幣往琉球易马還得马

九百八十三匹rdquo

67) 太祖實錄 卷217 洪武 25年 3月 己丑條 ldquo遣尙膳太监 而聶司禮太監 慶童

賚敕往諭陝西河州等衛所屬番族 令其輸馬 以茶給之rdquo 弇山堂別集 卷90 中官

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당시 尙膳太监 而聶과 司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2쪽의 번족으로부터 말을 사들이는 데는 중국차로서 대가를 지불하였

다 이 때 사들인 말이 10340여필에 이르고 교역한 차엽은 30여만 근

에 달하였다고 하며 구입한 말은 河南 山西 陝西의 衛所에 배치되었

던 것이다68)

넷째 환관을 민간 정보 수집요원으로 활용하였다

새로운 왕조가 성립되었다고 하지만 언제 어떻게 몽골족이 반격하

여 올지 모르고 또한 명조의 신 정권에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다시 왕조를 전복할지도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정보 수집을 중히 여기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

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錦衣衛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금의위를 운영하면서도 태조는 자신의 정권을 보전하기 위

해 환관에게 문무백관을 감시하는 권한을 맡겨 정보를 수집하였다 홍

무 12년(1379) 9월에 占城國 국왕 阿答阿者가 그 신하 陽須文旦을 파

견하여 황제에 올리는 상서와 함께 코끼리말방물 등을 진헌한 일

이 있었는데 중서성 신하는 이것을 제때에 보고하지 못하였으나 內臣

(환관)이 외출하였다가 그 사신을 만나 점성국 사신이 왔다는 정보를

얻어 그 사실을 태조에게 알렸다 태조는 환관의 정보 제공으로 곧바

로 점성국의 사신을 불러 접견할 수 있었는데 이 때 태조는 ldquo상하의

의사소통이 꽉 막히기가 여기까지 이르렀구나rdquo고 하며 탄식하며 중서

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번족에 보내어 말을 사들인 사실은 lsquo교역rsquo

이라는 경제 활동의 성격과 lsquo군마 구입과 배치rsquo라는 군사적 성격을 동시에 지

니고 있는 활동이기도 하다

68)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 ldquo尙膳太监 而聶等至河

州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於是得馬萬三千四十餘疋 以茶三十餘萬斤給之 諸族大悅 而聶遣使入奏

命以馬分给河南山西陕西卫所骑士rdquo이라 하여 교역된 마필과 차엽의 양이

언급되어 있고 당시 구매된 말이 어디로 배치되어 있는가 하는 내용이 더 언

급되어 있다 다만 같은 내용의 기사가 太祖實錄에는 洪武 25년 3月 기사로

弇山堂別集에는 2月 기사로 되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3성 관료들을 질책하자 승상 胡惟庸 汪廣洋 등 중서성의 신하들이 모

두 고개를 땅에 대고 사죄하였다고 한다69)

환관들은 황제의 이목이 되어 황제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황제와 환관들은 자연히 신뢰관계가 형성되었다 황제는

이러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환관에게 특별한 임무를 부여하였던 것

이다 특별한 임무란 황제가 직접 접할 수 없는 궁성 밖의 정세나 관

료의 동향을 알아내는 첩보 활동이었으며 京師의 禁軍도 그들의 감시

대상이었던 것이다

다섯째 환관은 친왕의 왕부에 특사로서 파견되기도 하였다 홍무 12

년(1279) 3월에 환관 陳京을 桂林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靖康王 朱守

謙에게 파견하여 황제의 유지를 전달하게 하였고 홍무 26년(1393) 2월

에 藍玉의 모반 사건이 일어났을 때 3월에 太原의 晉王 朱楓에게 사

람을 보내어 남옥의 모반 사건과 관련되어 있는 집안의 가정과 노비들

을 제거하고 재산을 몰수하라는 유지를 내렸는데 이때에 칙유를 가지

고 간 사람이 환관 而聶과 부마 梅殷였다70)

이를 보면 친왕들에게 유지를 전하는 데 환관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그렇기에 태조는祖訓錄에서

무릇 친왕이 과오를 저지르면 重한 경우 내사 감관으로 하여금 왕을

불러오게 하고 세 차례나 불러도 오지 않으면 다시 流官(황제가 임명한

관리)을 보내되 내관과 함께 동행을 하여 그를 경사로 불러들이도록 한

다71)

69) 太祖實錄 卷126 洪武 12年 9月 戊午條 ldquo占城國王 王阿答阿者遣其臣陽須文

旦進表及象馬方物中书省臣不以時奏 內臣因出外見其使者以聞 上亟召使者見之

嘆曰 壅蔽之害乃至此哉 因敕責省臣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丞相胡惟庸汪廣洋等 皆叩頭謝罪rdquo

70) 王德金 앞의 논문 朱元璋馭宦之析 pp41-42

71) 祖訓錄 法律 ldquo凡親王有過 重者 遣內使監官宣召 如三次不至 再遣流官 同監

官召之至京rdquo 태조가 창업군주로서 자손들에게 훈유를 내려 그것을 영구히 지

키도록 하기 위해 지은 책이 祖訓錄이다 太祖實錄 洪武 2年 4月 乙亥條에

ldquo詔中書編祖訓錄rdquo이라는 것을 보아 이때부터 편찬이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洪武 6年 5月에 완성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箴戒持守严祭祀谨出入慎

国政禮仪法律内令内官职制兵卫营缮供用 등 13 항목으로 되어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4

라고 규정함으로써 친왕이 문제가 있을 때에는 환관이 먼저 파견되었

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을 보면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들의 발호를 억제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정치적 현실에

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차마 무역의 담당

자로 호군 및 군대 감독자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

년 승상제가 폐지되면서 그들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

겠다 이로 인하여 환관의 권위는 점 점 높이지고 세력은 확대되어 갔

던 것이다

3 宦官數의 增大와 機構의 擴大

홍무 초년에는 태조가 환관을 통제했기에 당시의 환관들이 아직 자

금성 안에서 주로 복무했다고 한다면 그의 통치 중후기에는 환관들

이 궁궐 밖으로 나가 여러 임무를 띠고 초기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였다 태조는 이런 변화가 그렇게 나쁘다고 여기지 않았고 도리어

그들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도움이 된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리하여 태조시기에 환관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환관 기구도 확대

되어 갔다 홍무 2년 규정에는 내사감 봉어 60인 기타 각 각 사소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까지 합쳐 총수는 100명에 불과하였다72) 그러나

홍무 15년(1382)에는 환관 361인을 증설하였다73) 이것은 홍무 15년에

증가된 기록으로 당시 기존의 환관을 합치면 거의 수백 명의 환관이

있으며 태조 자신이 서문을 지었다 太祖實錄 28年 閏 9月 庚寅條에 의하면

이 때 祖訓錄을 거듭 정하여 皇明祖訓이라 명명하였다

72)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 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定置內

使監 奉御六十人 尙寶 一人 尙冠七人 尙衣 十人 尙佩九人 尙藥七人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東宮

後門 宮左宮右門 各設門正一人 副一人rdquo

73) 太祖實錄 卷149 洪武 15年 10月 丙戌條 ldquo增設內使三百六十一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5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명조는 수시로

주변 여러 나라에 엄인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사실로 홍무 24년(1391)에 태조는 환관 韓龍 黃禿蠻 등을

고려에 보내어 말 1만 필을 사오도록 하면서 閹人 200여명을 요구하였

다74) 그리고 安南國에서도 끊이지 않고 엄인들을 진공하였는데 매번

수십 명 씩 바쳤던 것이다75) 명조는 사방에 엄인을 요구하였는데 특

히 고려와 안남은 당시 엄인을 진공하는 주요 나라가 되었다76)

이리하여 환관의 수가 부단히 증가하였고 태조도 역시 환관을 심복

중의 심복으로 삼으면서 그들을 신뢰하고 있었다 이에 홍무 17년

(1384) 어느 날 대도독부 겸 국자감을 관할하고 있던 李文忠은 태조에

게 환관이 너무 많으니 그 숫자를 줄여할 것을 건의하였다

ldquo內臣이 너무 많습니다 마땅히 좀 줄이셔야 합니다rdquo라고 이문충이 건

의 하자 태조는 이를 듣고 대노 하여 ldquo자네가 나의 오른쪽 날개를 약화

시키려 하는데 그것은 무슨 의도인가 이것은 분명히 문객들이 시켰을

것이다rdquo라고 말하면서 결국 사람을 보내어 이문충의 문객을 전부 살해하

였다77)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일로 인하여 이문충은 병들어 죽게 되었는

데 이 때 이미 환관은 그 수가 적어서는 안 되는 대상이 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4) 太祖實錄 卷208 洪武 24年 3月 己丑條 ldquo詔於高麗市馬一萬疋 幷索閹人二百

人rdquo 高麗史 恭讓王 3년 辛未年條

75)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6

76) 환관의 공급원은 본래 宮刑에 처해진 죄인들이었지만 隋代 이후 궁형이 폐지

된 후부터는 ① 적의 포로 ② 외국으로부터의 進貢者 또는 변방 지역의 進獻

者 ③ 특별한 사정으로 궁형에 처해진 죄인 ④ 自宮者 곧 지원자 또는 부모의

명령으로 거세된 準自宮者 등이 있다

77) 弇山堂別集 卷20 史乘考誤 1 ldquo一日勸上内臣太多宜稍裁省 上大怒 謂若

欲弱吾羽翼何 意此必门客教之 因盡殺客 文忠驚悸得疾暴卒 上發悲 怒殺諸醫及

文忠侍者百人rdquo 이 기사는 어느 때의 기사인지 나와 있지 않아 잘 알 수 없으

나 이것은 李文忠(1339mdash1384)이 죽은 해에 발생한 사건이므로 洪武 17년

(1384)의 사건으로 볼 수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6환관의 기구 역시 확대되어 갔다 환관의 부서와 직무는 吳 원년

(1367)에 lsquo內史監rsquo이 설치된 이후 인원의 증대와 기구 관리를 위해 조

직이 신설 분리되어 가면서 확대되어 갔는데 홍무 17년(1384)에 9監

2庫 6局 체제가 되었다78) 이것은 명대 환관의 기구인 24아문(12감 4

사 8국)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어 홍무 28년(1395)에 11감 4사 9국으로

정비되어 24아문의 기구가 거의 완비되었던 것이다79) 홍무 30년(1397)

환관 조직은 12감8국4사의 24아문의 규모가 되었고 명왕조 환관

조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황종희가 말하고 있듯이 ldquo명조에 善治가

없었던 것은 태조가 재상을 폐지하면서부터이다 저 宮奴들이 재상의

정치가 땅에 떨어져 수습될 수 없음을 알고 여러 규칙과 조목을 세우

고 직무를 늘렸으며 생살권과 상벌권 등 재상으로부터 나오던 것이

이제 모두 환관들에게 돌아갔도다 (중략) 그러므로 궁노들이 재상처럼

된 것은 승상제를 폐지한 데서 온 커다란 과오이다rdquo80) 라고 하면서

환관의 발호는 재상의 폐지로 인한 것이며 이것은 명대 정치의 큰

폐단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로 재상 없는 군주 독재 지배체제에서 황제 한 사람에 의한 통치

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매일 황제 곁에 있는 환관

중 신뢰하는 환관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태조도 자신도 모르게 환관을 신뢰하고 그들을 중용을 하였으니 이념

적으로 ldquo내신은 정사에 관여하지 못한다rdquo 라는 규정을 내세우면서도

78)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九監은 内官监 神宫监 尚寶监 尚衣监 尚膳监 司

设监 司礼监 御马监 直殿监이고 二庫는 内承运库司鑰库이며 六局은 巾帽局

针工局 织染局 颜料局 司苑局 司牧局을 말한다

79) 위와 같음 十二監은 神宫监 尚寶监 孝陵神宮監 尚膳监 尚衣监 司设监 内官

监 司禮監 御马监 印綬監 直殿监이고 四司는 惜薪司 钟鼓司寶钞司 混堂司이

며 9局庫는 兵仗局 織染局 针工局 巾帽局 司苑局 酒醋麵局 內乘運庫 司鑰庫

內府供用庫인데 이것들은 후에 24아문으로 발전하였다

80) 黄宗羲 明夷待訪錄 置相 ldquo有明之无善治 自高皇帝罢丞相始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彼宫奴

者见宰相之政事坠地不收从而设为科条增其职掌 生杀予夺 出自宰相者 次

第而尽归焉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故使宫奴有宰相之实 则罢丞相之过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10: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48

옛날의 환관제도는 궁정에서 아침저녁으로 심부름을 하는 일 뿐이었

다 그런데 후한 鄧太后24)가 황후로써 천자를 대신하여 섭정할 때 公卿

과 접하지 않고 閹人을 常侍와 小黃門으로 삼아 그들을 통하여 명령하였

는데 이때부터 그들의 권력이 황제에 기울어 그 폐해가 심하여졌다 이

것은 마치 狐假虎威(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부리다)라는 말과 같이 왕의

위엄을 빌려 위세를 부리고 城狐社鼠(성곽에 사는 여우와 社壇에 사는

쥐)가 되어 황제 곁에서 간신노릇을 하였다 짐은 이들에게 궁궐에서만

일하도록 하였으니 어찌 권세를 힘입어 정사를 어지럽히는 일이 있겠는

가 내가 이것을 엄히 방지하도록 하였으니 犯法者에 대해서는 이를 질

책하여 제거함으로써 주위에 존재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履霜堅氷(서

리가 내리면 두꺼운 얼음이 얼게 된다)이라는 말이 있듯이 삼가 재앙이

나 화는 그것이 작을 때에 사전에 미리 막아야 한다는 가르침을 잊어서

는 안 되느라25)

고 하면서 환관을 명초부터 엄히 경계하여 다루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태조는 환관이 정사에 간여하는 일이 있을 때 그를 가차 없이 제거

하기도 하였다 홍무 10년(1377)에 이런 일이 있었다 오랫동안 곁에서

태조를 모시던 한 환관이 있었다 그는 부지런히 근신하며 태조를 성

실히 모셔왔다 하루는 그 환관이 침착한 태도로 정사를 언급하자 태

조는 바로 그를 파면시켜 고향으로 돌려보냈으며 평생 그를 다시 부르

지 않았다 明太祖寶训에어느 한 내시가 오래도록 내정의 일을 맡아서 봉사하여 왔는데 그가

차분히 정사에 대하여 언급하자 태조는 곧 바로 질책하여 免官하고 귀향

24) 후한 和帝(88-106)의 태후로서 105년에 후한 和帝가 죽자 등태후는 민가에

보내어 기르던 황자 劉隆을 데려다 그날 밤 즉위시켰다 그는 생후 100일밖에

되지 않는 殤帝(105-106)이다 그런데 그는 이듬해에 요절하고 말았다 그러자

등태후는 淸河王 劉慶의 아들로 13살 된 劉祜(유호)를 황제로 즉위시켰는데

이가 安帝(106-122)이다 이런 과정에서 등태후는 14년간 천자를 대신하여 수

렴청정을 하며 권력을 행사했다

25) 太祖實錄 卷63 洪武 4年 閏3月 乙丑條 ldquo上因謂侍臣曰 自古之宦竪 在宮禁

不通司晨昏供役使而已 汉邓太后 以女主稱制不接公卿乃以阉人为常侍小黄门

通命自此以来内侍权倾人主及其爲患 有如城狐社鼠 不可以去 朕谓此辈但

當服事宫禁 岂可假以权势纵其狂乱 吾所以防之极严 但犯法者 必斥去之 不令

在左右 戒履霜坚冰之意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9토록 했으며 종신토록 그를 다시 등용하지 않았다 26)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내용은 明通鑑에도 같은 내용이 언급되어 있으며 이를 더 읽

어 가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태조는 대신들에게 이르기를 ldquo환관들이 날마다 좌우에서 시중드는데

충성과 믿음이 적다면 그것은 황제의 마음을 굳어지게 한다 그것이 오

래되면 권위를 빌어 정사에 참여하게 되고 마침내 그것을 억제할 수가

없게 된다 자고로 이러한 환관들 가운데 난을 일으키는 자가 많았다 지

금 입법하여 환관에게 정치 관여를 불허하고 그들을 제거하는 것은 과

거의 실패를 교훈 삼아 장래에 같은 실패를 되풀이 하지 않도록 하려는

까닭이다rdquo27)

위의 훈계 내용을 보면 태조의 환관에 대한 엄연한 태도가 깃들어

있으며 ldquo群臣頓首稱善rdquo이라 하였으니 모든 신하들도 환관에 대한 황

제의 태도가 옳다면서 그 조처를 긍정하였던 것이다 파면된 환관이

오랫동안 성실히 군주를 시중들어 왔다고 생각한 탓인지 그를 살해하

지는 않았지만 종신토록 다시 그를 불러들이지 않음으로써 환관의 정

치 간섭이 얼마나 큰 과오인가 하는 것을 밝혔던 것이다 이것은 어디

까지나 후대의 환관을 경계시킨다는 목적이 깊게 깔려 있다고 생각된

26) 明太祖寶训 卷3 去讒佞 ldquo洪武十年五月 是月 有内侍以久事内廷 从容言及

政事 太祖即日斥遣还乡里 命终身不齿 遂谕群臣曰 自古贤明之君 凡有谋为 必

与公卿大夫谋诸朝廷 而断之于己 未闻近习嬖幸之人得与谋者 况阍寺之人 朝夕

在人君左右 出入起居之际 声音笑貌日接乎耳目 其小善小信 皆足以固结君心 而

便僻专忍 其本态也 苟一为所惑而不之省 将必假威福 窃权势 以干与政事 及其

久也 遂至于不可抑 由是而阶乱者 多矣 朕尝以是为鉴戒 故立法 寺人不过侍奉

洒扫 不许干预政事 今此宦者 虽事朕日久 不可姑息 决然去之 所以惩将来也 群

臣顿首称善rdquo

27) 明通鑑 卷6 太祖洪武 10年 5月條 ldquo有内侍以久侍内廷 从容言及政事 上(太

祖)即日斥遣歸命 终身不齿 諭諸臣曰 此辈日在左右 其小忠小信 足以固结君心

及其久也 假窃威权 以干政事 遂至于不可抑 自古以此辈乱者多矣 今立法不许寺

人干预朝政 决去之 所以惩将来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0이상 일련의 사료들은 태조 주원장이 전대에 환관전권으로 말미암

은 폐해가 얼마나 심각하였는가를 깊이 인식하고 이에 대한 경계를 강

하게 하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2 太祖의 宦官 統制

천하를 얻어 다스리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깊이 깨달은 태조는

역대 흥망의 경험과 교훈을 거울로 삼아 환관의 폐해를 심각하게 인식

하면서 일련의 환관 억제 조치를 취하였다

홍무 5년(1372) 태조는 환관에 대해 금령을 반포하였다 궁정에서

모함 다툼 상해 등 환관의 비행 및 부도덕한 행동이 있을 때 그에

대하여 엄히 다스리는 벌칙을 규정하여 발표하였다

罵詈者(상호 욕하고 꾸짖는 자)는 태형 50대 봉어를 모욕하는 자 장

60대 문관이나 감관을 모독하는 자는 장 장 70 서로 싸우는 자 장 70이

대이며 상해를 입힌 자는 한 등급 더 높여 처벌하고 본관의 제재에 불복

하고 고집하는 자 장 80대 이며 구타하여 상해를 입힌 자는 한 등급 너

높여 처벌하고 봉어를 구타한자 장 80 문관 감관을 구타한 자 장 100대

로 하며 상해가 있으면 각각 한 등급을 더 가해 벌한다28)

이처럼 환관이 궁정에서 모함하거나 다투거나 상해를 입힐 경우 그

상황을 따져서 태형이나 장형으로 벌하는 내용을 규정하였다

그런데 이 사료를 더 읽어가 보면 능지처참이나 참수의 형까지 규

정하고 있고 잘 못이 있을 때 자수하기를 권장하면서 자수하는 환관

에 대하여는 도리어 상을 내리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28) 太祖實錄 卷74 洪武 5年 6月 丙子朔條 ldquo洪武五年六月 丙子朔 定宦官禁令

凡內使于宮城內 相罵詈者先發理屈笞五十 後罵理直者不坐不服本管鈐束而抵罵者

杖六十 內使罵奉御者杖六十 罵門官監官者杖七十 內使于宮城內相鬭毆者先鬭理屈杖七十 毆傷者加一等 後應理直而無傷者笞五十 不服本管鈐束而毆之者杖八十

毆傷者加一等 毆奉御者杖八十 毆門官監官者杖一百 傷者各加一 內使等有心懷

惡逆 出不道之言者 凌遲處死 有知情而蔽之者同罪 知其事而不首者斬 首者賞銀

三百兩rdquo 欽定續通典 卷108 刑2에도 같은 기록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1

內使等이 마음이 악하여 심하게 도리를 벗어나는 행동을 하고 도리에

어긋나는 말을 하는 환관들은 능지처참 시키고 사정을 알면서도 그것을

은폐하는 자 역시 똑 같이 능지처참할 것이며 사실을 알면서도 자수하지

않는 자는 참수할 것이며 대신 자수하는 자에게는 상금으로 은 3백량을

내릴 것이다29)

라 한 것이 그것이다

홍무 6년(1373)에는 환관 기구 중에 lsquo內正司rsquo라는 환관의 위법행위를

규찰하는 전문기구를 두었다30) 이것은 환관의 불법과 부도덕을 규찰

하는 기구로 司正(정7품) 司副(9종7품) 등의 관직을 두어 운영하였으

며 환관의 위법과 부도덕한 행동을 규찰하는 책임을 맡게 되었던 것

이다31)

동시에 환관은 외정의 직을 겸할 수 없고 외정 관료들과 교류할 수

없도록 하였다 홍무 10년(1377)에 태조는 ldquo환관은 외신 文武의 직을

겸할 수 없고 외신의 관복을 착용할 수 없으며 정치에 참여하거나 군

권 행사를 할 수 없다 관품은 4품을 넘을 수가 없고 매월 지급하는

봉록은 1석이며 내정 안에서 살림을 한다rdquo32)라고 정하였던 것이다

또한 환관이 문자를 터득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하여 환관에

게는 글을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였다 明史에 보면 初 太祖制 内臣

不许读书识字 33)라고만 되어 있어 이것을 제정한 시기가 언제인지 확

실히 알 수 없으나 명초의 것으로 태조는 초기부터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환관 전권을 더욱 방지하기 위하여 홍무 17년(1384)에 금령

29) 위와 같음

30) lsquo內正司rsquo는 후에 lsquo典禮司rsquo lsquo典禮稽察司rsquo로 개칭되었다

3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六年 hellip又考前代纠劾内官之法 置内正司

设司正一人 正七品司副一人从七品 专纠内官失仪及不法者 旋改为典禮司 又改

为典禮稽察司 升其品秩 司正升正六品 司副升从六品rdquo

32) 明史 卷304 宦官1 ldquo然定制 不得兼外臣文武衔 不得御外臣冠服 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衣食于内庭rdquo

33) 明史 卷304 宦官1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2을 발하였다 그 금령은 ldquo內臣不得干預政事 犯者斬rdquo이라 하여 lsquo환관으

로서 정사에 간여하는 사람은 참수형에 처한다rsquo는 것이다 약 석자 크

기의 鐵牌를 주조하여 거기에 이 lsquo11자rsquo를 새겨 궁문 앞에 세워 두었

다34) 철폐를 제조하여 궁문 앞에 세워두었다는 것은 가장 극렬한 환

관 통제 방책의 하나로 상징성이 가장 큰 통제 방법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이 규정은 환관들로 하여금 조정의 일에 간여할 수 없게 만들

었을 뿐 아니라 명초 환관의 권력을 중국 역사상 가장 밑바닥에 처하

게 만들었던 것이다

또한 환관은 공문서를 가지고 외정을 드나들 수 없게 하였으며35)

이러한 제한으로 인해 자연히 환관은 궁정에 있는 관료들과 사귀어 정

사를 어지럽힐 수 있는 기회를 갖기가 어려웠다

생각해 보면 신왕조를 창업한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들이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왕조 창업 후 심복으로서 환관들을 활용하

지 않을 수 없었다 그렇기에 태조는 환관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그들

의 세력을 제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던 것이다

그 주된 내용은 다음의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겠다

① 환관과 외신과의 쌍방에 의한 정보교환 문서 왕래를 금한다

② 환관은 조정 관리를 겸무하는 일과 외신의 관복을 착용하는 것을

금한다

③ 4품 이상의 품계에 오르는 것을 금한다

④ 환관의 봉급은 매월 백미 1석으로 하고 후궁 내에서 생활하며 지낸

⑤ 환관에게 글을 가르치는 것을 엄금한다

태조는 이상과 같이 환관의 세력이 성장하지 못하도록 갖가지 규제

를 강구하고 나아가 환관 규제를 위한 철패를 제조하여 궁문에 세워

34)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十七年 鑄铁牌文曰 内臣不得干预政事犯

者斩 置宮門 又勅諸司 毋得與內官監文移往來rdquo

35)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十七年hellip又勅諸司 毋得與內官監文移往來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3두었는데 이것은 태조의 환관 통제 정책 중 가장 대표적이고 상징적

인 징표가 되었다 하지만 한편 극단적인 제약이 도리어 환관이 신성

한 황제의 힘을 등지고 세력을 휘두르는 화근을 배태하였던 것이다

Ⅲ 國初 政治的 現實과 宦官 抑制의 限界

1 太祖期의 政治的 現實

한 당 시대의 환관 전권의 사실과 폐해를 잘 알고 극력 환관의 세

력을 억압하려는 태조 앞에 닥친 정치적 현실은 어떠하였는가

새로이 명왕조를 세운 태조는 먼저 관계의 기강문제에 지대한 관심

을 가지고 있었다 새로운 왕조가 수립되었어도 기강이 해이해지면 전

왕조에 있었던 것과 같은 부패가 官界에 그대로 만연하게 될 것이고

그로 인하여 민심이 흉흉할 수도 있는 일이다 그렇게 되면 그 자체가

혁명의 발생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고 나아가 태조가 창건한 왕조

자체도 혁명의 객체로 부상할 수밖에 없는 일이다

그러므로 태조는 기강 확립 권신들의 전횡 견제 관리의 부정부패

방지 민심 동요 등을 경계하면서 정치사회의 안정과 중앙집권적 전

제지배체제의 확립을 꾀하였다36)

현실적으로 원 왕조가 몽골고원으로 퇴각되었다고 하지만 그들은

여전히 상당한 세력을 보유하면서 언제 어떻게 명조에 반격을 가해 올

지 모르기 때문에 결코 방심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또한 국내에서도

명조 정권에 대하여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있고 명조에

협력하지 않고 음으로 몽골 세력을 지지하면서 농민출신의 태조 및 그

정권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우까지 있었다 또한 일단 명조 정권에 협

력하고 있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반드시 본심에서 우러난 것인지 확실

36) 全淳東 明王朝成立史硏究 pp194-204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4히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태조는 황제를 중심으로

하는 강력한 중앙집권적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

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

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금의위

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였다37)

금의위라는 특무기구는 본래 황제의 거동과 행렬을 시위하는 데 불

과였으나 이것이 특무 기관으로서 기능을 갖게 된 것은 호유용의 옥사

사건 이후 정보 수집과 감시체제를 강화할 때인 홍무 15년(1382년) 금

의위의 기구가 개혁된 결과이다 이후에 금의위는 정치상의 음모를 기

도하는 행위나 반체제적인 종교비밀 결사 등을 감시하는 기능을 가지

게 되었다 곧 금의위는 황제 행렬의 시위 외에 순찰을 돌면서 체포하

는 권한까지 지니게 되었던 것이다 이들은 정보를 수집하고 감시 적

발하며 사법권에까지 개입하였던 것이다38)

하지만 국초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

의 옥을 일으키며 시의심이 강하였던 주원장은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

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많은 사가들은 명사 환관 열전의 서문에 나타나 있는 ldquo盖明世宦官

出使专徵监军分镇刺臣民隐事诸大权皆自永乐间始rdquo(명대 환관

의 출사 징세 감군 분진 신민의 은밀한 일 정탐 등의 권리는 모두

영락 연간부터 시작되었다)39) 라는 기사라든지 明史 職官志에 나타

난 ldquo顾中官四出 实始永乐时 元年 李兴等赍敕劳暹罗国王 此奉使外国之

始也rdquo(돌이켜 보면 환관의 파견은 영락제 때에 처음 실시하였다 영락

37) 山根幸夫 明帝國の形成と發展 (ゆらぐ中華帝國 11 筑摩書房 1961)

pp41-42

38) 錦衣衛의 전신은 1367년에 설립된 拱衛司로서 대도독부에 예속되어 있었는

데 洪武 3년(1370) 親軍都尉府로 개칭하고 도독부로부터 독립하여 운영하였다

39) 明史 卷304 宦官1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5원년 이흥 등을 태국의 국왕에게 보내어 위로한 것이 환관을 외국에

보낸 것의 처음이다)40) 라는 기사를 인용하여 환관 중용의 책임이 영

락제에 있는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살펴보면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

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시 경제적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2 宦官 抑制의 限界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은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국초

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의 옥을 일으

키는 등 누구보다 시의심이 강하였던 태조는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

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심복인 환관들을 억

제하기보다는 그들을 측근으로 하여 저제군주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했다 그리하여 태조는 환관들과의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외부로 나가

는 출사 군대 감시 경제적인 활동 정보 수집 등의 일을 맡겼던 것이

첫째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관계를 원만히 하려 하였다41)

환관의 외국 출사의 예는 이미 홍무 2년에 보이고 있다 홍무 2년

(1369) 4월에 고려출신 환관 金丽渊을 고려에 파견하여 중국에 머물고

있는 高麗 流寓民 160여명을 고려에 돌려보낸 일이 있다 ldquo遣內臣 送

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書賜其王rdquo42)이라는 기사가 그것이다 이 기사

40)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41) 환관이 사신으로 나가는 경우는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외

국 사신으로 나가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변경 지역의 왕부나 주변 소수 민족

집단에 나가 황제의 명을 전하고 일을 처리하는 것이다

42)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丑朔 ldquo遣內臣 送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6를 더 읽어가 보면 그 때 중국인으로서 고려에 머물러 있는 유민들이

약 160여명이 있었는데 이 때 환관 金麗淵을 보내서 그들을 고려에

돌려보내었던 것이다43) 이 사실은 高麗史에도 ldquo己酉 18년 6월 丙寅

일에 황제가 환관 金麗淵을 파견하여 칙서를 전했다rdquo44)라고 하고 있어

당시 고려와 명과의 외교관계를 엿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명조의 환

관이 외교 사절단으로 나간 최초의 예라 할 수 있다

그리고 耽羅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는데 홍무 22년(1389) 4월 ldquo옛 원

나라의 제왕 중 명조에 귀부한 자는 탐라국에 거처하도록 하였으며

더욱이 그곳에 환관을 보내어 그들이 머물 집을 지어 주고 그곳에서

거처하도록 하였다rdquo45)라고 한 것을 보면 귀부한 元의 諸王들을 제주도

에 보내어 머물게 하면서 이 때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었던 것이다

安南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1년(1378) 정월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安南國에 파견하여 국왕 陳煓의 喪을 조문하였다 당시 안남국

왕 陳煓이 죽었는데 그의 동생 陳煒가 사신 陳建璨阮士諤을 명에 보

내어 안남국왕이 죽었음을 알려오자 이미 서로 교류가 있던 차였기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안남에 파견하여 문상하도록 하고 비단도 함께 보

내었던 것이다46)

書賜其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其間有高麗流寓者百六十餘人 朕念其人豈無鄕里骨肉之思 故令有

司遣使護送東歸rdquo

43) 洪武時期에 명과 고려 사이에 여러 차례 사절의 왕래가 있었다 홍무 2년

(1369) 4月부터 홍무 29년(1396) 6月까지 모두 22차례에 걸쳐 사신이 고려와

조선에 파견되었는데 사신의 이름이 파악된 사람이 43명(환관 25인 문신 11

인 무관 7인)이다 그중 정사로 고려조선에 출사한 사람이 21명인데 그 중

환관이 11인이고 문관이 4인이며 무관이 6인이다 이를 보면 많은 환관이 사

신으로서 고려조선에 파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환관은 대개 고려나 조

선 출신의 환관이었다 고려 조선 출신 25명의 환관 중 金丽渊黄永奇金仁

甫崔渊 등은 유명한 환관이다(李新峰 明前期赴朝鲜使臣丛考 明清论丛 第4辑 紫禁城出版社2003 참고)

44) 高麗史 卷132 恭愍王 己酉 18年 6月 丙寅條 ldquo皇帝遣宦者金麗淵致書rdquo 이

기사에는 이 때 귀환한 자가 165인으로 기록되어 있다

45) 太祖實錄 卷196 洪武 22年 4月 甲寅條 ldquo詔故元諸王來降者俾居耽羅國 且遣

中使往諭其國 爲造廬舍處之rdquo

46) 太祖實錄 卷117 洪武 11年 正月 ldquo是月 安南陳煓弟煒遣其臣陳建璨阮士諤來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7琉球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6년(1383) 정월 태조는 內使監 监

丞 梁民과 尚佩监 奉御 路謙 등을 琉球에 파견하여 中山王 察度에게

鍍金銀印과 고급비단을 하사한 일이 있다47) 같은 해 9월 琉球에서 내

란이 발생하였을 때에 태조는 监丞 梁玟을 보내어 전쟁을 중단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당시 中山王 山南王 山北王이 서로 자웅

을 겨루며 싸우고 있었는데 이때 내사감승 梁民에게 칙서를 보내어

싸움을 그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칙유를 보내었던 것이며 이들 모두

태조의 칙유를 받아들였던 것이다48)

眞臘國(캄보디아) 暹羅斛國(태국)에도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사무를 보게 하였다 홍무19년(1386) 9월에 行人 劉敏 唐敬 등을 환관

들과 함께 眞臘國에 보내었는데 이 때 磁器를 가지고 가서 하사토록

했고49) 홍무 28년(1395) 12월에는 환관 趙達과 朱福 등을 暹羅斛國(태

국)에 보내어 사망한 왕 參烈寶毘嗯哩哆嗦祿을 조문하고 후사인 蘇門

邦 昭祿群膺에게 비단과 모직물을 하사하였던 것이다50)

이상의 예들은 환관이 이미 태조시기에 황제의 명을 받고 외국의

사신으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수행한 사례들이다

태조가 환관을 변경 지역에 파견한 사실도 여러 곳에 보이고 있다

告煓卒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遣中使陳能至其國弔祭rdquo 國榷 卷6 洪武 11년 正月 ldquo是月 安南

陳煓弟煒遣使告哀 命中使陳能弔祭rdquo

47) 太祖實錄 卷151 洪武 16年 正月 丁未條

48) 明史 卷323 琉球傳 ldquo時二王與山北王爭雄 互相攻伐 命내內使監丞梁玟賜

之勅 令罷兵息民 三王并奉命rdquo 당시 琉球는 中山王(察度) 山南王(承察度) 山北

王(帕尼芝) 등 3세력이 대립하고 있었다

49) 太祖實錄 卷179 洪武 19年 9月 癸未條 ldquo遣行人劉敏唐敬偕內使賚磁器往賜

眞臘等國rdquo

50) 太祖實錄 卷243 洪武 28年 12月 戊午條 ldquo詔遣內使 趙達 朱福等 使暹羅斛

國 祭故王參烈寶毘嗯哩哆嗦祿 賜嗣王蘇門邦昭祿群膺 文綺四疋羅四疋 氁絲布四

十疋rdquo 明史 卷324 暹羅傳에도 같은 내용이 보이고 있다 ldquo二十八年 昭禄群

膺遣使朝贡 且告父丧 命中官赵达等往祭 敕世子嗣王位 赐赉有加rdquo (昭祿群膺이

사신을 파견하여 조공하고 또 부친의 상을 고하였다 이에 환관 조달 등으로

하여금 섬라에 가서 조문하도록 하고 세자가 왕위를 이어받도록 하였으며 더

불어 하사품을 곁들였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8홍무 2년(1369) 4월 원 승상 納哈出에게 편지를 보내 通交를 요구할

때 內臣을 파견하여 우호를 증진하였다51)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태조가 붙잡힌 원나라의 평장 完者不花를 돌려보내는데 환관을 시켜

돌려보내었다52) 홍무 14년(1381) 12월에는 환관을 파견하여 乌蒙(지금

의 운남성의 昭通)乌撤(지금의 운남성의 镇雄귀주성의 威宁)의 여

러 추장들에게 조칙을 발하였다53) 홍무 29년(1396) 6월에는 중사(환

관)를 桂林 등지의 府市에 보내어 南丹 奉儀 등의 衛所의 둔전 군사

들에게 밭가는 소를 지급해 주도록 하였다54) 동년 10월에 安定衛의

酋长 塔孩虎都鲁가 명에 와서 말 40필을 공물로 바친 일이 있는데 안

정위의 추장이 공물을 바친 것은 태조가 行人 陳誠으로 하여금 그곳에

다시 安定衛를 세우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었으며 이때에

ldquo復命中使赍金币往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

五十兩rdquo이라 하여 환관을 보내어 추장에게 옷과 비단 및 금품을 하사

하였던 것이다55)

이상의 기록들을 보면 태조시기에 환관이 여러 차례 변경 지역에

파견되어 변경 지역의 중대 업무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환관에게 지방 군대를 감독하거나 때로 군을 지휘하는 특수

임무를 맡겼다 태조는 외지 변경 지역의 장수들을 엄격히 통제하지

51)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亥條 ldquo玆 因遣使通元君 道經營壘望 令人送

達 所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國榷 卷3 太祖洪武 2年 4月 乙亥

條 ldquo又諭元臣納哈出書曰將軍昔自江左辭還 不通問十五年矣 近聞戍守遼陽 士馬

强 玆因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52) 太祖實錄 卷120 洪武11年 10月條 ldquo山西邊將遣人送所獲故元平章完者不花至

京師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朕怒邊將以爲方遣使通好乃執其平章豈不失信於卿 今特遣內臣送之 抵

丞相營 宥之罪之放 遂之 卿自爲區處rdquo

53) 太祖實錄 卷140 洪武 14年 12月 辛未條 ldquo遣內臣 賚敕諭鳥蒙鳥撤諸酋長rdquo

54) 明史 卷205 廣西土司傳 ldquo帝命俱置屯田给耕 寻遣中使至桂林等府市牛给

南丹奉议诸卫军士rdquo

55) 太祖實錄 卷247 洪武 29年 10月 甲午條 ldquo安定卫酋长塔孩虎都鲁 來朝貢馬

四十疋 先是 上遣行人陈诚立撤里畏兀兒 爲安定卫錫 以印章 以塔孩虎都鲁等指

挥千百户 至是诚歸 塔孩虎都鲁随誠入贡上嘉其慕義 厚赉之 復命中使赍金币往

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五十兩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9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 때 황제의 이목으로서 환관을 활용하였던 것

이다

태조는 명왕조를 창건하기 이전 자신의 세력을 키워가는 과정에서

많은 부하들을 양자로 삼아 그들을 활용하였다 이들에게 여러 장수들

의 군대를 감독하게 함으로써 장수들의 배반을 사전에 막고 안전하게

통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태조가 처음 기병했을 때 많은 양자를 두

었는데 이들을 장수와 함께 여러 路를 지키도록 했다 이를 테면 周舍

를 鎭江에 道舍를 寧國에 馬兒를 婺州에 柴舍眞童을 處州에 金剛

奴를 衢州에 보내어 지키도록 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주원장의 양자들

이었다56) 양자를 심복으로 삼아 그들을 기용하여 군대를 감독하게 하

였던 것이다

이들에게 감군하는 권한을 허락한 것은 태조가 왕조를 창업하는 과

정에서 군권 장악이 최후 승자가 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고 생

각하여 취한 조처였던 것이다

그런데 왕조를 개창한 후에는 양자보다는 환관을 신임하고 그들을

군부대에 파견하였다 홍무 원년(1368) 9월에 北征에 힘쓴 將士들에게

음식을 베풀어 주면서 위로한 일이 있는데 이 때 환관 奉御를 北平에

파견하여 이 일을 담당하도록 하였다57) 홍무 9년(1376) 8월에는 환관

趙成을 군부대에 파견하여 그곳의 관리를 불러들였다 내용인즉 홍무

9년 西番의 多爾濟巴가 부락민을 이끌고 명에 귀순하여 오자 태조는

熊鼎을 岐寧衛 經歷으로 삼아 그곳을 다스리도록 하였다 웅정은 임지

에 도착한 후 귀순부대들이 거짓으로 항복했다는 것을 알고 그 사실

을 비밀리 조정에 보고하였다 태조는 그 소식을 듣고 먼저 웅정을 위

로한 후 환관 조성을 군부대에 보내어 웅정을 경사로 불러들였던 것

이다58)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환관 吳誠을 총병지휘 楊仲名에게

56) 明史 卷134 夏文輝傳 ldquo太祖初起 多蓄義子 及长命偕诸将分守诸路 周舍

守镇江 道舍守宁国 马兒守婺州 柴舍真童守处州 金刚奴守衢州 皆义子也rdquo

57) 太祖實錄 卷35 洪武 元年 9月 乙卯條 ldquo上遣中使奉御等官 至北平 犒北征將

士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0보내어 전반적인 계획과 책략을 살피도록 하였고59) 11월에는 總兵官

辰主指揮 楊仲名이 五開蠻의 반란을 평정하자 태조가 內臣 尙履奉御

呂玉을 楊仲名에게 보내어 그 군대를 검열하고 위로하게 하였다60) 홍

무 27년(1394)에는 환관을 陝西都指揮使司에게 보내어 將士들을 훈련

하게 하였고 魏國公 徐輝祖으로 하여금 섬서 연변지역을 다스리게 하

였다61)

이러한 예들은 환관이 감군으로서 군영에 파견되어 군정을 순시하

고 살피는 일을 한 사례들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태조는 환관이 군의 정황을 살피는 일 이상의 업무에는 참

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 점은 唐代의 환관들과 다른 점으로 당대

에는 환관의 감군이 정치참여로 나타났지만 태조는 환관이 국가중추

기관의 기밀을 획책하는 일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62) 그

렇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기능은 장차 환관의 위력이 점점 강해지는 결

과를 낳았음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셋째 태조는 환관을 각종 경제활동에도 참여시켰다

태조 때에 환관은 경제활동에도 빈번히 참여하였는데 최초의 예로

서는 홍무 8년(1375) 5월 태조가 환관 趙成을 河州에 보내어 거기서

말을 교역해 오도록 한 일이다 태조가 茶馬司를 설치 한 후 조정에서

는 西番에 말을 사들이는 교역장을 마련하였는데63) 서번은 본래 말의

58) 明通鑑 卷6 洪武 9年 8月條 이때에 옹정이 경사로 돌아가자 번인들이 반

란을 일으켰다고 한다

59)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0月 戊申條 ldquo遣內臣 吳誠詣總兵官指揮楊仲名行

營觀方略rdquo

60) 太祖實錄 卷121 洪武 11年 11月 庚午朔條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1

月 庚午條 ldquo五開蠻平 內臣 尙履奉御 呂玉勞指揮楊仲名rdquo 明通鑑 卷6 洪武12

年 11月條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61) 太祖實錄 卷234 洪武 27년 9月條

62) 田禾 明太祖嚴馭宦官試析 (社會科學戰線 1997-4期 1997) pp162-163

63) 茶马司는 洪武 5년1372)2月에 秦州에 처음 설치되었다 그 후 洪武 7년

(1374)다시 河州에 차마사를 설치하고 이어 또 洮州 등지에 차마사를 두었

다 이들은 四川 漢中 湖南 등지의 차와 서북 유목지역에서 나는 말을 교역하

는 임무를 띠고 있었는데 藏族지구의 말을 사들이는 일이 주된 일이었다 그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1산지였기 때문이었다 서번 사람들은 말을 가지고 와서 중국의 문물을

구입하여 갔다

그런데 서번인들의 생활용품과 중국의 용품과는 달랐고 명초에 지

폐인 보초가 발행 된 이후에는 번인들이 사용하는 화폐와 달라 말의

교역량이 줄어들게 되었다 태조는 이것을 염려하여 궁중 환관 趙成을

파견하여 말 교역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조성은 여러 종류의 비단과 사천 지방의 茶葉을 가지고 가서 말을

사오는 방책을 취하였다 조성의 노력으로 河州 수장은 서번 사람들을

위무하고 선대하면서 互市를 열었기에 점차 많은 말을 사들여 올 수

있었는데 이후 차마 무역은 점차 활발해졌던 것이다64)

또 홍무10년(1377) 3월 호부는 징세 업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곳이 178처나 있음을 알고 환관 국자감생 호부의 관원 등 각 부문에

서 각각 1명씩 차출하여 정밀 조사하기를 태조에게 주청하였다 세금

징수 업무를 담당하는 稅課司에서 할당한 세금이 제대로 걷히지 않자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환관과 국자감생들을 보내어 조사하도록 주청한

것이다 이때의 주청에 대하여 lsquo從之rsquo65)라 한 것을 보면 태조가 그것을

승인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환관이 징세 업무에도 간여하였음

을 보여주고 있는 좋은 사례인 것이다

그 외에도 홍무 16년(1383) 9월 태조는 內使 梁珉으로 하여금 돈을

가지고 琉球로 가서 말을 사들여 오도록 하였고66) 홍무 25년(1392) 3

월에는 尙膳太监 而聶과 司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소관

의 번족에게 보내어 거기서 말을 사들여오도록 하였다67) 이 때 서북

러므로 회족이 운거하고 있는 河州는 명대 茶馬互市의 중심지였다

6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5

65) 太祖實錄 卷111 洪武 10年 3月 甲申條 ldquo户部奏天下税课司局征商不如额者

一百七十八处 宜请遣中官国子生及部委官各一人往覈其實立爲定額從之rdquo

66) 太祖實錄 卷156 洪武 16年 9月 己未條 ldquo內官梁珉以貨幣往琉球易马還得马

九百八十三匹rdquo

67) 太祖實錄 卷217 洪武 25年 3月 己丑條 ldquo遣尙膳太监 而聶司禮太監 慶童

賚敕往諭陝西河州等衛所屬番族 令其輸馬 以茶給之rdquo 弇山堂別集 卷90 中官

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당시 尙膳太监 而聶과 司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2쪽의 번족으로부터 말을 사들이는 데는 중국차로서 대가를 지불하였

다 이 때 사들인 말이 10340여필에 이르고 교역한 차엽은 30여만 근

에 달하였다고 하며 구입한 말은 河南 山西 陝西의 衛所에 배치되었

던 것이다68)

넷째 환관을 민간 정보 수집요원으로 활용하였다

새로운 왕조가 성립되었다고 하지만 언제 어떻게 몽골족이 반격하

여 올지 모르고 또한 명조의 신 정권에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다시 왕조를 전복할지도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정보 수집을 중히 여기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

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錦衣衛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금의위를 운영하면서도 태조는 자신의 정권을 보전하기 위

해 환관에게 문무백관을 감시하는 권한을 맡겨 정보를 수집하였다 홍

무 12년(1379) 9월에 占城國 국왕 阿答阿者가 그 신하 陽須文旦을 파

견하여 황제에 올리는 상서와 함께 코끼리말방물 등을 진헌한 일

이 있었는데 중서성 신하는 이것을 제때에 보고하지 못하였으나 內臣

(환관)이 외출하였다가 그 사신을 만나 점성국 사신이 왔다는 정보를

얻어 그 사실을 태조에게 알렸다 태조는 환관의 정보 제공으로 곧바

로 점성국의 사신을 불러 접견할 수 있었는데 이 때 태조는 ldquo상하의

의사소통이 꽉 막히기가 여기까지 이르렀구나rdquo고 하며 탄식하며 중서

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번족에 보내어 말을 사들인 사실은 lsquo교역rsquo

이라는 경제 활동의 성격과 lsquo군마 구입과 배치rsquo라는 군사적 성격을 동시에 지

니고 있는 활동이기도 하다

68)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 ldquo尙膳太监 而聶等至河

州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於是得馬萬三千四十餘疋 以茶三十餘萬斤給之 諸族大悅 而聶遣使入奏

命以馬分给河南山西陕西卫所骑士rdquo이라 하여 교역된 마필과 차엽의 양이

언급되어 있고 당시 구매된 말이 어디로 배치되어 있는가 하는 내용이 더 언

급되어 있다 다만 같은 내용의 기사가 太祖實錄에는 洪武 25년 3月 기사로

弇山堂別集에는 2月 기사로 되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3성 관료들을 질책하자 승상 胡惟庸 汪廣洋 등 중서성의 신하들이 모

두 고개를 땅에 대고 사죄하였다고 한다69)

환관들은 황제의 이목이 되어 황제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황제와 환관들은 자연히 신뢰관계가 형성되었다 황제는

이러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환관에게 특별한 임무를 부여하였던 것

이다 특별한 임무란 황제가 직접 접할 수 없는 궁성 밖의 정세나 관

료의 동향을 알아내는 첩보 활동이었으며 京師의 禁軍도 그들의 감시

대상이었던 것이다

다섯째 환관은 친왕의 왕부에 특사로서 파견되기도 하였다 홍무 12

년(1279) 3월에 환관 陳京을 桂林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靖康王 朱守

謙에게 파견하여 황제의 유지를 전달하게 하였고 홍무 26년(1393) 2월

에 藍玉의 모반 사건이 일어났을 때 3월에 太原의 晉王 朱楓에게 사

람을 보내어 남옥의 모반 사건과 관련되어 있는 집안의 가정과 노비들

을 제거하고 재산을 몰수하라는 유지를 내렸는데 이때에 칙유를 가지

고 간 사람이 환관 而聶과 부마 梅殷였다70)

이를 보면 친왕들에게 유지를 전하는 데 환관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그렇기에 태조는祖訓錄에서

무릇 친왕이 과오를 저지르면 重한 경우 내사 감관으로 하여금 왕을

불러오게 하고 세 차례나 불러도 오지 않으면 다시 流官(황제가 임명한

관리)을 보내되 내관과 함께 동행을 하여 그를 경사로 불러들이도록 한

다71)

69) 太祖實錄 卷126 洪武 12年 9月 戊午條 ldquo占城國王 王阿答阿者遣其臣陽須文

旦進表及象馬方物中书省臣不以時奏 內臣因出外見其使者以聞 上亟召使者見之

嘆曰 壅蔽之害乃至此哉 因敕責省臣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丞相胡惟庸汪廣洋等 皆叩頭謝罪rdquo

70) 王德金 앞의 논문 朱元璋馭宦之析 pp41-42

71) 祖訓錄 法律 ldquo凡親王有過 重者 遣內使監官宣召 如三次不至 再遣流官 同監

官召之至京rdquo 태조가 창업군주로서 자손들에게 훈유를 내려 그것을 영구히 지

키도록 하기 위해 지은 책이 祖訓錄이다 太祖實錄 洪武 2年 4月 乙亥條에

ldquo詔中書編祖訓錄rdquo이라는 것을 보아 이때부터 편찬이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洪武 6年 5月에 완성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箴戒持守严祭祀谨出入慎

国政禮仪法律内令内官职制兵卫营缮供用 등 13 항목으로 되어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4

라고 규정함으로써 친왕이 문제가 있을 때에는 환관이 먼저 파견되었

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을 보면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들의 발호를 억제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정치적 현실에

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차마 무역의 담당

자로 호군 및 군대 감독자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

년 승상제가 폐지되면서 그들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

겠다 이로 인하여 환관의 권위는 점 점 높이지고 세력은 확대되어 갔

던 것이다

3 宦官數의 增大와 機構의 擴大

홍무 초년에는 태조가 환관을 통제했기에 당시의 환관들이 아직 자

금성 안에서 주로 복무했다고 한다면 그의 통치 중후기에는 환관들

이 궁궐 밖으로 나가 여러 임무를 띠고 초기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였다 태조는 이런 변화가 그렇게 나쁘다고 여기지 않았고 도리어

그들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도움이 된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리하여 태조시기에 환관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환관 기구도 확대

되어 갔다 홍무 2년 규정에는 내사감 봉어 60인 기타 각 각 사소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까지 합쳐 총수는 100명에 불과하였다72) 그러나

홍무 15년(1382)에는 환관 361인을 증설하였다73) 이것은 홍무 15년에

증가된 기록으로 당시 기존의 환관을 합치면 거의 수백 명의 환관이

있으며 태조 자신이 서문을 지었다 太祖實錄 28年 閏 9月 庚寅條에 의하면

이 때 祖訓錄을 거듭 정하여 皇明祖訓이라 명명하였다

72)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 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定置內

使監 奉御六十人 尙寶 一人 尙冠七人 尙衣 十人 尙佩九人 尙藥七人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東宮

後門 宮左宮右門 各設門正一人 副一人rdquo

73) 太祖實錄 卷149 洪武 15年 10月 丙戌條 ldquo增設內使三百六十一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5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명조는 수시로

주변 여러 나라에 엄인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사실로 홍무 24년(1391)에 태조는 환관 韓龍 黃禿蠻 등을

고려에 보내어 말 1만 필을 사오도록 하면서 閹人 200여명을 요구하였

다74) 그리고 安南國에서도 끊이지 않고 엄인들을 진공하였는데 매번

수십 명 씩 바쳤던 것이다75) 명조는 사방에 엄인을 요구하였는데 특

히 고려와 안남은 당시 엄인을 진공하는 주요 나라가 되었다76)

이리하여 환관의 수가 부단히 증가하였고 태조도 역시 환관을 심복

중의 심복으로 삼으면서 그들을 신뢰하고 있었다 이에 홍무 17년

(1384) 어느 날 대도독부 겸 국자감을 관할하고 있던 李文忠은 태조에

게 환관이 너무 많으니 그 숫자를 줄여할 것을 건의하였다

ldquo內臣이 너무 많습니다 마땅히 좀 줄이셔야 합니다rdquo라고 이문충이 건

의 하자 태조는 이를 듣고 대노 하여 ldquo자네가 나의 오른쪽 날개를 약화

시키려 하는데 그것은 무슨 의도인가 이것은 분명히 문객들이 시켰을

것이다rdquo라고 말하면서 결국 사람을 보내어 이문충의 문객을 전부 살해하

였다77)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일로 인하여 이문충은 병들어 죽게 되었는

데 이 때 이미 환관은 그 수가 적어서는 안 되는 대상이 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4) 太祖實錄 卷208 洪武 24年 3月 己丑條 ldquo詔於高麗市馬一萬疋 幷索閹人二百

人rdquo 高麗史 恭讓王 3년 辛未年條

75)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6

76) 환관의 공급원은 본래 宮刑에 처해진 죄인들이었지만 隋代 이후 궁형이 폐지

된 후부터는 ① 적의 포로 ② 외국으로부터의 進貢者 또는 변방 지역의 進獻

者 ③ 특별한 사정으로 궁형에 처해진 죄인 ④ 自宮者 곧 지원자 또는 부모의

명령으로 거세된 準自宮者 등이 있다

77) 弇山堂別集 卷20 史乘考誤 1 ldquo一日勸上内臣太多宜稍裁省 上大怒 謂若

欲弱吾羽翼何 意此必门客教之 因盡殺客 文忠驚悸得疾暴卒 上發悲 怒殺諸醫及

文忠侍者百人rdquo 이 기사는 어느 때의 기사인지 나와 있지 않아 잘 알 수 없으

나 이것은 李文忠(1339mdash1384)이 죽은 해에 발생한 사건이므로 洪武 17년

(1384)의 사건으로 볼 수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6환관의 기구 역시 확대되어 갔다 환관의 부서와 직무는 吳 원년

(1367)에 lsquo內史監rsquo이 설치된 이후 인원의 증대와 기구 관리를 위해 조

직이 신설 분리되어 가면서 확대되어 갔는데 홍무 17년(1384)에 9監

2庫 6局 체제가 되었다78) 이것은 명대 환관의 기구인 24아문(12감 4

사 8국)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어 홍무 28년(1395)에 11감 4사 9국으로

정비되어 24아문의 기구가 거의 완비되었던 것이다79) 홍무 30년(1397)

환관 조직은 12감8국4사의 24아문의 규모가 되었고 명왕조 환관

조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황종희가 말하고 있듯이 ldquo명조에 善治가

없었던 것은 태조가 재상을 폐지하면서부터이다 저 宮奴들이 재상의

정치가 땅에 떨어져 수습될 수 없음을 알고 여러 규칙과 조목을 세우

고 직무를 늘렸으며 생살권과 상벌권 등 재상으로부터 나오던 것이

이제 모두 환관들에게 돌아갔도다 (중략) 그러므로 궁노들이 재상처럼

된 것은 승상제를 폐지한 데서 온 커다란 과오이다rdquo80) 라고 하면서

환관의 발호는 재상의 폐지로 인한 것이며 이것은 명대 정치의 큰

폐단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로 재상 없는 군주 독재 지배체제에서 황제 한 사람에 의한 통치

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매일 황제 곁에 있는 환관

중 신뢰하는 환관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태조도 자신도 모르게 환관을 신뢰하고 그들을 중용을 하였으니 이념

적으로 ldquo내신은 정사에 관여하지 못한다rdquo 라는 규정을 내세우면서도

78)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九監은 内官监 神宫监 尚寶监 尚衣监 尚膳监 司

设监 司礼监 御马监 直殿监이고 二庫는 内承运库司鑰库이며 六局은 巾帽局

针工局 织染局 颜料局 司苑局 司牧局을 말한다

79) 위와 같음 十二監은 神宫监 尚寶监 孝陵神宮監 尚膳监 尚衣监 司设监 内官

监 司禮監 御马监 印綬監 直殿监이고 四司는 惜薪司 钟鼓司寶钞司 混堂司이

며 9局庫는 兵仗局 織染局 针工局 巾帽局 司苑局 酒醋麵局 內乘運庫 司鑰庫

內府供用庫인데 이것들은 후에 24아문으로 발전하였다

80) 黄宗羲 明夷待訪錄 置相 ldquo有明之无善治 自高皇帝罢丞相始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彼宫奴

者见宰相之政事坠地不收从而设为科条增其职掌 生杀予夺 出自宰相者 次

第而尽归焉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故使宫奴有宰相之实 则罢丞相之过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11: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49토록 했으며 종신토록 그를 다시 등용하지 않았다 26)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내용은 明通鑑에도 같은 내용이 언급되어 있으며 이를 더 읽

어 가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태조는 대신들에게 이르기를 ldquo환관들이 날마다 좌우에서 시중드는데

충성과 믿음이 적다면 그것은 황제의 마음을 굳어지게 한다 그것이 오

래되면 권위를 빌어 정사에 참여하게 되고 마침내 그것을 억제할 수가

없게 된다 자고로 이러한 환관들 가운데 난을 일으키는 자가 많았다 지

금 입법하여 환관에게 정치 관여를 불허하고 그들을 제거하는 것은 과

거의 실패를 교훈 삼아 장래에 같은 실패를 되풀이 하지 않도록 하려는

까닭이다rdquo27)

위의 훈계 내용을 보면 태조의 환관에 대한 엄연한 태도가 깃들어

있으며 ldquo群臣頓首稱善rdquo이라 하였으니 모든 신하들도 환관에 대한 황

제의 태도가 옳다면서 그 조처를 긍정하였던 것이다 파면된 환관이

오랫동안 성실히 군주를 시중들어 왔다고 생각한 탓인지 그를 살해하

지는 않았지만 종신토록 다시 그를 불러들이지 않음으로써 환관의 정

치 간섭이 얼마나 큰 과오인가 하는 것을 밝혔던 것이다 이것은 어디

까지나 후대의 환관을 경계시킨다는 목적이 깊게 깔려 있다고 생각된

26) 明太祖寶训 卷3 去讒佞 ldquo洪武十年五月 是月 有内侍以久事内廷 从容言及

政事 太祖即日斥遣还乡里 命终身不齿 遂谕群臣曰 自古贤明之君 凡有谋为 必

与公卿大夫谋诸朝廷 而断之于己 未闻近习嬖幸之人得与谋者 况阍寺之人 朝夕

在人君左右 出入起居之际 声音笑貌日接乎耳目 其小善小信 皆足以固结君心 而

便僻专忍 其本态也 苟一为所惑而不之省 将必假威福 窃权势 以干与政事 及其

久也 遂至于不可抑 由是而阶乱者 多矣 朕尝以是为鉴戒 故立法 寺人不过侍奉

洒扫 不许干预政事 今此宦者 虽事朕日久 不可姑息 决然去之 所以惩将来也 群

臣顿首称善rdquo

27) 明通鑑 卷6 太祖洪武 10年 5月條 ldquo有内侍以久侍内廷 从容言及政事 上(太

祖)即日斥遣歸命 终身不齿 諭諸臣曰 此辈日在左右 其小忠小信 足以固结君心

及其久也 假窃威权 以干政事 遂至于不可抑 自古以此辈乱者多矣 今立法不许寺

人干预朝政 决去之 所以惩将来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0이상 일련의 사료들은 태조 주원장이 전대에 환관전권으로 말미암

은 폐해가 얼마나 심각하였는가를 깊이 인식하고 이에 대한 경계를 강

하게 하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2 太祖의 宦官 統制

천하를 얻어 다스리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깊이 깨달은 태조는

역대 흥망의 경험과 교훈을 거울로 삼아 환관의 폐해를 심각하게 인식

하면서 일련의 환관 억제 조치를 취하였다

홍무 5년(1372) 태조는 환관에 대해 금령을 반포하였다 궁정에서

모함 다툼 상해 등 환관의 비행 및 부도덕한 행동이 있을 때 그에

대하여 엄히 다스리는 벌칙을 규정하여 발표하였다

罵詈者(상호 욕하고 꾸짖는 자)는 태형 50대 봉어를 모욕하는 자 장

60대 문관이나 감관을 모독하는 자는 장 장 70 서로 싸우는 자 장 70이

대이며 상해를 입힌 자는 한 등급 더 높여 처벌하고 본관의 제재에 불복

하고 고집하는 자 장 80대 이며 구타하여 상해를 입힌 자는 한 등급 너

높여 처벌하고 봉어를 구타한자 장 80 문관 감관을 구타한 자 장 100대

로 하며 상해가 있으면 각각 한 등급을 더 가해 벌한다28)

이처럼 환관이 궁정에서 모함하거나 다투거나 상해를 입힐 경우 그

상황을 따져서 태형이나 장형으로 벌하는 내용을 규정하였다

그런데 이 사료를 더 읽어가 보면 능지처참이나 참수의 형까지 규

정하고 있고 잘 못이 있을 때 자수하기를 권장하면서 자수하는 환관

에 대하여는 도리어 상을 내리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28) 太祖實錄 卷74 洪武 5年 6月 丙子朔條 ldquo洪武五年六月 丙子朔 定宦官禁令

凡內使于宮城內 相罵詈者先發理屈笞五十 後罵理直者不坐不服本管鈐束而抵罵者

杖六十 內使罵奉御者杖六十 罵門官監官者杖七十 內使于宮城內相鬭毆者先鬭理屈杖七十 毆傷者加一等 後應理直而無傷者笞五十 不服本管鈐束而毆之者杖八十

毆傷者加一等 毆奉御者杖八十 毆門官監官者杖一百 傷者各加一 內使等有心懷

惡逆 出不道之言者 凌遲處死 有知情而蔽之者同罪 知其事而不首者斬 首者賞銀

三百兩rdquo 欽定續通典 卷108 刑2에도 같은 기록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1

內使等이 마음이 악하여 심하게 도리를 벗어나는 행동을 하고 도리에

어긋나는 말을 하는 환관들은 능지처참 시키고 사정을 알면서도 그것을

은폐하는 자 역시 똑 같이 능지처참할 것이며 사실을 알면서도 자수하지

않는 자는 참수할 것이며 대신 자수하는 자에게는 상금으로 은 3백량을

내릴 것이다29)

라 한 것이 그것이다

홍무 6년(1373)에는 환관 기구 중에 lsquo內正司rsquo라는 환관의 위법행위를

규찰하는 전문기구를 두었다30) 이것은 환관의 불법과 부도덕을 규찰

하는 기구로 司正(정7품) 司副(9종7품) 등의 관직을 두어 운영하였으

며 환관의 위법과 부도덕한 행동을 규찰하는 책임을 맡게 되었던 것

이다31)

동시에 환관은 외정의 직을 겸할 수 없고 외정 관료들과 교류할 수

없도록 하였다 홍무 10년(1377)에 태조는 ldquo환관은 외신 文武의 직을

겸할 수 없고 외신의 관복을 착용할 수 없으며 정치에 참여하거나 군

권 행사를 할 수 없다 관품은 4품을 넘을 수가 없고 매월 지급하는

봉록은 1석이며 내정 안에서 살림을 한다rdquo32)라고 정하였던 것이다

또한 환관이 문자를 터득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하여 환관에

게는 글을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였다 明史에 보면 初 太祖制 内臣

不许读书识字 33)라고만 되어 있어 이것을 제정한 시기가 언제인지 확

실히 알 수 없으나 명초의 것으로 태조는 초기부터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환관 전권을 더욱 방지하기 위하여 홍무 17년(1384)에 금령

29) 위와 같음

30) lsquo內正司rsquo는 후에 lsquo典禮司rsquo lsquo典禮稽察司rsquo로 개칭되었다

3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六年 hellip又考前代纠劾内官之法 置内正司

设司正一人 正七品司副一人从七品 专纠内官失仪及不法者 旋改为典禮司 又改

为典禮稽察司 升其品秩 司正升正六品 司副升从六品rdquo

32) 明史 卷304 宦官1 ldquo然定制 不得兼外臣文武衔 不得御外臣冠服 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衣食于内庭rdquo

33) 明史 卷304 宦官1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2을 발하였다 그 금령은 ldquo內臣不得干預政事 犯者斬rdquo이라 하여 lsquo환관으

로서 정사에 간여하는 사람은 참수형에 처한다rsquo는 것이다 약 석자 크

기의 鐵牌를 주조하여 거기에 이 lsquo11자rsquo를 새겨 궁문 앞에 세워 두었

다34) 철폐를 제조하여 궁문 앞에 세워두었다는 것은 가장 극렬한 환

관 통제 방책의 하나로 상징성이 가장 큰 통제 방법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이 규정은 환관들로 하여금 조정의 일에 간여할 수 없게 만들

었을 뿐 아니라 명초 환관의 권력을 중국 역사상 가장 밑바닥에 처하

게 만들었던 것이다

또한 환관은 공문서를 가지고 외정을 드나들 수 없게 하였으며35)

이러한 제한으로 인해 자연히 환관은 궁정에 있는 관료들과 사귀어 정

사를 어지럽힐 수 있는 기회를 갖기가 어려웠다

생각해 보면 신왕조를 창업한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들이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왕조 창업 후 심복으로서 환관들을 활용하

지 않을 수 없었다 그렇기에 태조는 환관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그들

의 세력을 제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던 것이다

그 주된 내용은 다음의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겠다

① 환관과 외신과의 쌍방에 의한 정보교환 문서 왕래를 금한다

② 환관은 조정 관리를 겸무하는 일과 외신의 관복을 착용하는 것을

금한다

③ 4품 이상의 품계에 오르는 것을 금한다

④ 환관의 봉급은 매월 백미 1석으로 하고 후궁 내에서 생활하며 지낸

⑤ 환관에게 글을 가르치는 것을 엄금한다

태조는 이상과 같이 환관의 세력이 성장하지 못하도록 갖가지 규제

를 강구하고 나아가 환관 규제를 위한 철패를 제조하여 궁문에 세워

34)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十七年 鑄铁牌文曰 内臣不得干预政事犯

者斩 置宮門 又勅諸司 毋得與內官監文移往來rdquo

35)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十七年hellip又勅諸司 毋得與內官監文移往來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3두었는데 이것은 태조의 환관 통제 정책 중 가장 대표적이고 상징적

인 징표가 되었다 하지만 한편 극단적인 제약이 도리어 환관이 신성

한 황제의 힘을 등지고 세력을 휘두르는 화근을 배태하였던 것이다

Ⅲ 國初 政治的 現實과 宦官 抑制의 限界

1 太祖期의 政治的 現實

한 당 시대의 환관 전권의 사실과 폐해를 잘 알고 극력 환관의 세

력을 억압하려는 태조 앞에 닥친 정치적 현실은 어떠하였는가

새로이 명왕조를 세운 태조는 먼저 관계의 기강문제에 지대한 관심

을 가지고 있었다 새로운 왕조가 수립되었어도 기강이 해이해지면 전

왕조에 있었던 것과 같은 부패가 官界에 그대로 만연하게 될 것이고

그로 인하여 민심이 흉흉할 수도 있는 일이다 그렇게 되면 그 자체가

혁명의 발생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고 나아가 태조가 창건한 왕조

자체도 혁명의 객체로 부상할 수밖에 없는 일이다

그러므로 태조는 기강 확립 권신들의 전횡 견제 관리의 부정부패

방지 민심 동요 등을 경계하면서 정치사회의 안정과 중앙집권적 전

제지배체제의 확립을 꾀하였다36)

현실적으로 원 왕조가 몽골고원으로 퇴각되었다고 하지만 그들은

여전히 상당한 세력을 보유하면서 언제 어떻게 명조에 반격을 가해 올

지 모르기 때문에 결코 방심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또한 국내에서도

명조 정권에 대하여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있고 명조에

협력하지 않고 음으로 몽골 세력을 지지하면서 농민출신의 태조 및 그

정권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우까지 있었다 또한 일단 명조 정권에 협

력하고 있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반드시 본심에서 우러난 것인지 확실

36) 全淳東 明王朝成立史硏究 pp194-204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4히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태조는 황제를 중심으로

하는 강력한 중앙집권적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

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

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금의위

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였다37)

금의위라는 특무기구는 본래 황제의 거동과 행렬을 시위하는 데 불

과였으나 이것이 특무 기관으로서 기능을 갖게 된 것은 호유용의 옥사

사건 이후 정보 수집과 감시체제를 강화할 때인 홍무 15년(1382년) 금

의위의 기구가 개혁된 결과이다 이후에 금의위는 정치상의 음모를 기

도하는 행위나 반체제적인 종교비밀 결사 등을 감시하는 기능을 가지

게 되었다 곧 금의위는 황제 행렬의 시위 외에 순찰을 돌면서 체포하

는 권한까지 지니게 되었던 것이다 이들은 정보를 수집하고 감시 적

발하며 사법권에까지 개입하였던 것이다38)

하지만 국초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

의 옥을 일으키며 시의심이 강하였던 주원장은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

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많은 사가들은 명사 환관 열전의 서문에 나타나 있는 ldquo盖明世宦官

出使专徵监军分镇刺臣民隐事诸大权皆自永乐间始rdquo(명대 환관

의 출사 징세 감군 분진 신민의 은밀한 일 정탐 등의 권리는 모두

영락 연간부터 시작되었다)39) 라는 기사라든지 明史 職官志에 나타

난 ldquo顾中官四出 实始永乐时 元年 李兴等赍敕劳暹罗国王 此奉使外国之

始也rdquo(돌이켜 보면 환관의 파견은 영락제 때에 처음 실시하였다 영락

37) 山根幸夫 明帝國の形成と發展 (ゆらぐ中華帝國 11 筑摩書房 1961)

pp41-42

38) 錦衣衛의 전신은 1367년에 설립된 拱衛司로서 대도독부에 예속되어 있었는

데 洪武 3년(1370) 親軍都尉府로 개칭하고 도독부로부터 독립하여 운영하였다

39) 明史 卷304 宦官1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5원년 이흥 등을 태국의 국왕에게 보내어 위로한 것이 환관을 외국에

보낸 것의 처음이다)40) 라는 기사를 인용하여 환관 중용의 책임이 영

락제에 있는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살펴보면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

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시 경제적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2 宦官 抑制의 限界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은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국초

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의 옥을 일으

키는 등 누구보다 시의심이 강하였던 태조는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

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심복인 환관들을 억

제하기보다는 그들을 측근으로 하여 저제군주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했다 그리하여 태조는 환관들과의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외부로 나가

는 출사 군대 감시 경제적인 활동 정보 수집 등의 일을 맡겼던 것이

첫째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관계를 원만히 하려 하였다41)

환관의 외국 출사의 예는 이미 홍무 2년에 보이고 있다 홍무 2년

(1369) 4월에 고려출신 환관 金丽渊을 고려에 파견하여 중국에 머물고

있는 高麗 流寓民 160여명을 고려에 돌려보낸 일이 있다 ldquo遣內臣 送

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書賜其王rdquo42)이라는 기사가 그것이다 이 기사

40)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41) 환관이 사신으로 나가는 경우는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외

국 사신으로 나가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변경 지역의 왕부나 주변 소수 민족

집단에 나가 황제의 명을 전하고 일을 처리하는 것이다

42)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丑朔 ldquo遣內臣 送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6를 더 읽어가 보면 그 때 중국인으로서 고려에 머물러 있는 유민들이

약 160여명이 있었는데 이 때 환관 金麗淵을 보내서 그들을 고려에

돌려보내었던 것이다43) 이 사실은 高麗史에도 ldquo己酉 18년 6월 丙寅

일에 황제가 환관 金麗淵을 파견하여 칙서를 전했다rdquo44)라고 하고 있어

당시 고려와 명과의 외교관계를 엿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명조의 환

관이 외교 사절단으로 나간 최초의 예라 할 수 있다

그리고 耽羅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는데 홍무 22년(1389) 4월 ldquo옛 원

나라의 제왕 중 명조에 귀부한 자는 탐라국에 거처하도록 하였으며

더욱이 그곳에 환관을 보내어 그들이 머물 집을 지어 주고 그곳에서

거처하도록 하였다rdquo45)라고 한 것을 보면 귀부한 元의 諸王들을 제주도

에 보내어 머물게 하면서 이 때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었던 것이다

安南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1년(1378) 정월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安南國에 파견하여 국왕 陳煓의 喪을 조문하였다 당시 안남국

왕 陳煓이 죽었는데 그의 동생 陳煒가 사신 陳建璨阮士諤을 명에 보

내어 안남국왕이 죽었음을 알려오자 이미 서로 교류가 있던 차였기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안남에 파견하여 문상하도록 하고 비단도 함께 보

내었던 것이다46)

書賜其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其間有高麗流寓者百六十餘人 朕念其人豈無鄕里骨肉之思 故令有

司遣使護送東歸rdquo

43) 洪武時期에 명과 고려 사이에 여러 차례 사절의 왕래가 있었다 홍무 2년

(1369) 4月부터 홍무 29년(1396) 6月까지 모두 22차례에 걸쳐 사신이 고려와

조선에 파견되었는데 사신의 이름이 파악된 사람이 43명(환관 25인 문신 11

인 무관 7인)이다 그중 정사로 고려조선에 출사한 사람이 21명인데 그 중

환관이 11인이고 문관이 4인이며 무관이 6인이다 이를 보면 많은 환관이 사

신으로서 고려조선에 파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환관은 대개 고려나 조

선 출신의 환관이었다 고려 조선 출신 25명의 환관 중 金丽渊黄永奇金仁

甫崔渊 등은 유명한 환관이다(李新峰 明前期赴朝鲜使臣丛考 明清论丛 第4辑 紫禁城出版社2003 참고)

44) 高麗史 卷132 恭愍王 己酉 18年 6月 丙寅條 ldquo皇帝遣宦者金麗淵致書rdquo 이

기사에는 이 때 귀환한 자가 165인으로 기록되어 있다

45) 太祖實錄 卷196 洪武 22年 4月 甲寅條 ldquo詔故元諸王來降者俾居耽羅國 且遣

中使往諭其國 爲造廬舍處之rdquo

46) 太祖實錄 卷117 洪武 11年 正月 ldquo是月 安南陳煓弟煒遣其臣陳建璨阮士諤來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7琉球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6년(1383) 정월 태조는 內使監 监

丞 梁民과 尚佩监 奉御 路謙 등을 琉球에 파견하여 中山王 察度에게

鍍金銀印과 고급비단을 하사한 일이 있다47) 같은 해 9월 琉球에서 내

란이 발생하였을 때에 태조는 监丞 梁玟을 보내어 전쟁을 중단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당시 中山王 山南王 山北王이 서로 자웅

을 겨루며 싸우고 있었는데 이때 내사감승 梁民에게 칙서를 보내어

싸움을 그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칙유를 보내었던 것이며 이들 모두

태조의 칙유를 받아들였던 것이다48)

眞臘國(캄보디아) 暹羅斛國(태국)에도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사무를 보게 하였다 홍무19년(1386) 9월에 行人 劉敏 唐敬 등을 환관

들과 함께 眞臘國에 보내었는데 이 때 磁器를 가지고 가서 하사토록

했고49) 홍무 28년(1395) 12월에는 환관 趙達과 朱福 등을 暹羅斛國(태

국)에 보내어 사망한 왕 參烈寶毘嗯哩哆嗦祿을 조문하고 후사인 蘇門

邦 昭祿群膺에게 비단과 모직물을 하사하였던 것이다50)

이상의 예들은 환관이 이미 태조시기에 황제의 명을 받고 외국의

사신으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수행한 사례들이다

태조가 환관을 변경 지역에 파견한 사실도 여러 곳에 보이고 있다

告煓卒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遣中使陳能至其國弔祭rdquo 國榷 卷6 洪武 11년 正月 ldquo是月 安南

陳煓弟煒遣使告哀 命中使陳能弔祭rdquo

47) 太祖實錄 卷151 洪武 16年 正月 丁未條

48) 明史 卷323 琉球傳 ldquo時二王與山北王爭雄 互相攻伐 命내內使監丞梁玟賜

之勅 令罷兵息民 三王并奉命rdquo 당시 琉球는 中山王(察度) 山南王(承察度) 山北

王(帕尼芝) 등 3세력이 대립하고 있었다

49) 太祖實錄 卷179 洪武 19年 9月 癸未條 ldquo遣行人劉敏唐敬偕內使賚磁器往賜

眞臘等國rdquo

50) 太祖實錄 卷243 洪武 28年 12月 戊午條 ldquo詔遣內使 趙達 朱福等 使暹羅斛

國 祭故王參烈寶毘嗯哩哆嗦祿 賜嗣王蘇門邦昭祿群膺 文綺四疋羅四疋 氁絲布四

十疋rdquo 明史 卷324 暹羅傳에도 같은 내용이 보이고 있다 ldquo二十八年 昭禄群

膺遣使朝贡 且告父丧 命中官赵达等往祭 敕世子嗣王位 赐赉有加rdquo (昭祿群膺이

사신을 파견하여 조공하고 또 부친의 상을 고하였다 이에 환관 조달 등으로

하여금 섬라에 가서 조문하도록 하고 세자가 왕위를 이어받도록 하였으며 더

불어 하사품을 곁들였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8홍무 2년(1369) 4월 원 승상 納哈出에게 편지를 보내 通交를 요구할

때 內臣을 파견하여 우호를 증진하였다51)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태조가 붙잡힌 원나라의 평장 完者不花를 돌려보내는데 환관을 시켜

돌려보내었다52) 홍무 14년(1381) 12월에는 환관을 파견하여 乌蒙(지금

의 운남성의 昭通)乌撤(지금의 운남성의 镇雄귀주성의 威宁)의 여

러 추장들에게 조칙을 발하였다53) 홍무 29년(1396) 6월에는 중사(환

관)를 桂林 등지의 府市에 보내어 南丹 奉儀 등의 衛所의 둔전 군사

들에게 밭가는 소를 지급해 주도록 하였다54) 동년 10월에 安定衛의

酋长 塔孩虎都鲁가 명에 와서 말 40필을 공물로 바친 일이 있는데 안

정위의 추장이 공물을 바친 것은 태조가 行人 陳誠으로 하여금 그곳에

다시 安定衛를 세우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었으며 이때에

ldquo復命中使赍金币往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

五十兩rdquo이라 하여 환관을 보내어 추장에게 옷과 비단 및 금품을 하사

하였던 것이다55)

이상의 기록들을 보면 태조시기에 환관이 여러 차례 변경 지역에

파견되어 변경 지역의 중대 업무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환관에게 지방 군대를 감독하거나 때로 군을 지휘하는 특수

임무를 맡겼다 태조는 외지 변경 지역의 장수들을 엄격히 통제하지

51)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亥條 ldquo玆 因遣使通元君 道經營壘望 令人送

達 所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國榷 卷3 太祖洪武 2年 4月 乙亥

條 ldquo又諭元臣納哈出書曰將軍昔自江左辭還 不通問十五年矣 近聞戍守遼陽 士馬

强 玆因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52) 太祖實錄 卷120 洪武11年 10月條 ldquo山西邊將遣人送所獲故元平章完者不花至

京師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朕怒邊將以爲方遣使通好乃執其平章豈不失信於卿 今特遣內臣送之 抵

丞相營 宥之罪之放 遂之 卿自爲區處rdquo

53) 太祖實錄 卷140 洪武 14年 12月 辛未條 ldquo遣內臣 賚敕諭鳥蒙鳥撤諸酋長rdquo

54) 明史 卷205 廣西土司傳 ldquo帝命俱置屯田给耕 寻遣中使至桂林等府市牛给

南丹奉议诸卫军士rdquo

55) 太祖實錄 卷247 洪武 29年 10月 甲午條 ldquo安定卫酋长塔孩虎都鲁 來朝貢馬

四十疋 先是 上遣行人陈诚立撤里畏兀兒 爲安定卫錫 以印章 以塔孩虎都鲁等指

挥千百户 至是诚歸 塔孩虎都鲁随誠入贡上嘉其慕義 厚赉之 復命中使赍金币往

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五十兩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9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 때 황제의 이목으로서 환관을 활용하였던 것

이다

태조는 명왕조를 창건하기 이전 자신의 세력을 키워가는 과정에서

많은 부하들을 양자로 삼아 그들을 활용하였다 이들에게 여러 장수들

의 군대를 감독하게 함으로써 장수들의 배반을 사전에 막고 안전하게

통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태조가 처음 기병했을 때 많은 양자를 두

었는데 이들을 장수와 함께 여러 路를 지키도록 했다 이를 테면 周舍

를 鎭江에 道舍를 寧國에 馬兒를 婺州에 柴舍眞童을 處州에 金剛

奴를 衢州에 보내어 지키도록 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주원장의 양자들

이었다56) 양자를 심복으로 삼아 그들을 기용하여 군대를 감독하게 하

였던 것이다

이들에게 감군하는 권한을 허락한 것은 태조가 왕조를 창업하는 과

정에서 군권 장악이 최후 승자가 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고 생

각하여 취한 조처였던 것이다

그런데 왕조를 개창한 후에는 양자보다는 환관을 신임하고 그들을

군부대에 파견하였다 홍무 원년(1368) 9월에 北征에 힘쓴 將士들에게

음식을 베풀어 주면서 위로한 일이 있는데 이 때 환관 奉御를 北平에

파견하여 이 일을 담당하도록 하였다57) 홍무 9년(1376) 8월에는 환관

趙成을 군부대에 파견하여 그곳의 관리를 불러들였다 내용인즉 홍무

9년 西番의 多爾濟巴가 부락민을 이끌고 명에 귀순하여 오자 태조는

熊鼎을 岐寧衛 經歷으로 삼아 그곳을 다스리도록 하였다 웅정은 임지

에 도착한 후 귀순부대들이 거짓으로 항복했다는 것을 알고 그 사실

을 비밀리 조정에 보고하였다 태조는 그 소식을 듣고 먼저 웅정을 위

로한 후 환관 조성을 군부대에 보내어 웅정을 경사로 불러들였던 것

이다58)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환관 吳誠을 총병지휘 楊仲名에게

56) 明史 卷134 夏文輝傳 ldquo太祖初起 多蓄義子 及长命偕诸将分守诸路 周舍

守镇江 道舍守宁国 马兒守婺州 柴舍真童守处州 金刚奴守衢州 皆义子也rdquo

57) 太祖實錄 卷35 洪武 元年 9月 乙卯條 ldquo上遣中使奉御等官 至北平 犒北征將

士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0보내어 전반적인 계획과 책략을 살피도록 하였고59) 11월에는 總兵官

辰主指揮 楊仲名이 五開蠻의 반란을 평정하자 태조가 內臣 尙履奉御

呂玉을 楊仲名에게 보내어 그 군대를 검열하고 위로하게 하였다60) 홍

무 27년(1394)에는 환관을 陝西都指揮使司에게 보내어 將士들을 훈련

하게 하였고 魏國公 徐輝祖으로 하여금 섬서 연변지역을 다스리게 하

였다61)

이러한 예들은 환관이 감군으로서 군영에 파견되어 군정을 순시하

고 살피는 일을 한 사례들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태조는 환관이 군의 정황을 살피는 일 이상의 업무에는 참

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 점은 唐代의 환관들과 다른 점으로 당대

에는 환관의 감군이 정치참여로 나타났지만 태조는 환관이 국가중추

기관의 기밀을 획책하는 일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62) 그

렇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기능은 장차 환관의 위력이 점점 강해지는 결

과를 낳았음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셋째 태조는 환관을 각종 경제활동에도 참여시켰다

태조 때에 환관은 경제활동에도 빈번히 참여하였는데 최초의 예로

서는 홍무 8년(1375) 5월 태조가 환관 趙成을 河州에 보내어 거기서

말을 교역해 오도록 한 일이다 태조가 茶馬司를 설치 한 후 조정에서

는 西番에 말을 사들이는 교역장을 마련하였는데63) 서번은 본래 말의

58) 明通鑑 卷6 洪武 9年 8月條 이때에 옹정이 경사로 돌아가자 번인들이 반

란을 일으켰다고 한다

59)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0月 戊申條 ldquo遣內臣 吳誠詣總兵官指揮楊仲名行

營觀方略rdquo

60) 太祖實錄 卷121 洪武 11年 11月 庚午朔條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1

月 庚午條 ldquo五開蠻平 內臣 尙履奉御 呂玉勞指揮楊仲名rdquo 明通鑑 卷6 洪武12

年 11月條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61) 太祖實錄 卷234 洪武 27년 9月條

62) 田禾 明太祖嚴馭宦官試析 (社會科學戰線 1997-4期 1997) pp162-163

63) 茶马司는 洪武 5년1372)2月에 秦州에 처음 설치되었다 그 후 洪武 7년

(1374)다시 河州에 차마사를 설치하고 이어 또 洮州 등지에 차마사를 두었

다 이들은 四川 漢中 湖南 등지의 차와 서북 유목지역에서 나는 말을 교역하

는 임무를 띠고 있었는데 藏族지구의 말을 사들이는 일이 주된 일이었다 그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1산지였기 때문이었다 서번 사람들은 말을 가지고 와서 중국의 문물을

구입하여 갔다

그런데 서번인들의 생활용품과 중국의 용품과는 달랐고 명초에 지

폐인 보초가 발행 된 이후에는 번인들이 사용하는 화폐와 달라 말의

교역량이 줄어들게 되었다 태조는 이것을 염려하여 궁중 환관 趙成을

파견하여 말 교역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조성은 여러 종류의 비단과 사천 지방의 茶葉을 가지고 가서 말을

사오는 방책을 취하였다 조성의 노력으로 河州 수장은 서번 사람들을

위무하고 선대하면서 互市를 열었기에 점차 많은 말을 사들여 올 수

있었는데 이후 차마 무역은 점차 활발해졌던 것이다64)

또 홍무10년(1377) 3월 호부는 징세 업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곳이 178처나 있음을 알고 환관 국자감생 호부의 관원 등 각 부문에

서 각각 1명씩 차출하여 정밀 조사하기를 태조에게 주청하였다 세금

징수 업무를 담당하는 稅課司에서 할당한 세금이 제대로 걷히지 않자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환관과 국자감생들을 보내어 조사하도록 주청한

것이다 이때의 주청에 대하여 lsquo從之rsquo65)라 한 것을 보면 태조가 그것을

승인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환관이 징세 업무에도 간여하였음

을 보여주고 있는 좋은 사례인 것이다

그 외에도 홍무 16년(1383) 9월 태조는 內使 梁珉으로 하여금 돈을

가지고 琉球로 가서 말을 사들여 오도록 하였고66) 홍무 25년(1392) 3

월에는 尙膳太监 而聶과 司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소관

의 번족에게 보내어 거기서 말을 사들여오도록 하였다67) 이 때 서북

러므로 회족이 운거하고 있는 河州는 명대 茶馬互市의 중심지였다

6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5

65) 太祖實錄 卷111 洪武 10年 3月 甲申條 ldquo户部奏天下税课司局征商不如额者

一百七十八处 宜请遣中官国子生及部委官各一人往覈其實立爲定額從之rdquo

66) 太祖實錄 卷156 洪武 16年 9月 己未條 ldquo內官梁珉以貨幣往琉球易马還得马

九百八十三匹rdquo

67) 太祖實錄 卷217 洪武 25年 3月 己丑條 ldquo遣尙膳太监 而聶司禮太監 慶童

賚敕往諭陝西河州等衛所屬番族 令其輸馬 以茶給之rdquo 弇山堂別集 卷90 中官

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당시 尙膳太监 而聶과 司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2쪽의 번족으로부터 말을 사들이는 데는 중국차로서 대가를 지불하였

다 이 때 사들인 말이 10340여필에 이르고 교역한 차엽은 30여만 근

에 달하였다고 하며 구입한 말은 河南 山西 陝西의 衛所에 배치되었

던 것이다68)

넷째 환관을 민간 정보 수집요원으로 활용하였다

새로운 왕조가 성립되었다고 하지만 언제 어떻게 몽골족이 반격하

여 올지 모르고 또한 명조의 신 정권에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다시 왕조를 전복할지도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정보 수집을 중히 여기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

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錦衣衛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금의위를 운영하면서도 태조는 자신의 정권을 보전하기 위

해 환관에게 문무백관을 감시하는 권한을 맡겨 정보를 수집하였다 홍

무 12년(1379) 9월에 占城國 국왕 阿答阿者가 그 신하 陽須文旦을 파

견하여 황제에 올리는 상서와 함께 코끼리말방물 등을 진헌한 일

이 있었는데 중서성 신하는 이것을 제때에 보고하지 못하였으나 內臣

(환관)이 외출하였다가 그 사신을 만나 점성국 사신이 왔다는 정보를

얻어 그 사실을 태조에게 알렸다 태조는 환관의 정보 제공으로 곧바

로 점성국의 사신을 불러 접견할 수 있었는데 이 때 태조는 ldquo상하의

의사소통이 꽉 막히기가 여기까지 이르렀구나rdquo고 하며 탄식하며 중서

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번족에 보내어 말을 사들인 사실은 lsquo교역rsquo

이라는 경제 활동의 성격과 lsquo군마 구입과 배치rsquo라는 군사적 성격을 동시에 지

니고 있는 활동이기도 하다

68)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 ldquo尙膳太监 而聶等至河

州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於是得馬萬三千四十餘疋 以茶三十餘萬斤給之 諸族大悅 而聶遣使入奏

命以馬分给河南山西陕西卫所骑士rdquo이라 하여 교역된 마필과 차엽의 양이

언급되어 있고 당시 구매된 말이 어디로 배치되어 있는가 하는 내용이 더 언

급되어 있다 다만 같은 내용의 기사가 太祖實錄에는 洪武 25년 3月 기사로

弇山堂別集에는 2月 기사로 되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3성 관료들을 질책하자 승상 胡惟庸 汪廣洋 등 중서성의 신하들이 모

두 고개를 땅에 대고 사죄하였다고 한다69)

환관들은 황제의 이목이 되어 황제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황제와 환관들은 자연히 신뢰관계가 형성되었다 황제는

이러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환관에게 특별한 임무를 부여하였던 것

이다 특별한 임무란 황제가 직접 접할 수 없는 궁성 밖의 정세나 관

료의 동향을 알아내는 첩보 활동이었으며 京師의 禁軍도 그들의 감시

대상이었던 것이다

다섯째 환관은 친왕의 왕부에 특사로서 파견되기도 하였다 홍무 12

년(1279) 3월에 환관 陳京을 桂林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靖康王 朱守

謙에게 파견하여 황제의 유지를 전달하게 하였고 홍무 26년(1393) 2월

에 藍玉의 모반 사건이 일어났을 때 3월에 太原의 晉王 朱楓에게 사

람을 보내어 남옥의 모반 사건과 관련되어 있는 집안의 가정과 노비들

을 제거하고 재산을 몰수하라는 유지를 내렸는데 이때에 칙유를 가지

고 간 사람이 환관 而聶과 부마 梅殷였다70)

이를 보면 친왕들에게 유지를 전하는 데 환관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그렇기에 태조는祖訓錄에서

무릇 친왕이 과오를 저지르면 重한 경우 내사 감관으로 하여금 왕을

불러오게 하고 세 차례나 불러도 오지 않으면 다시 流官(황제가 임명한

관리)을 보내되 내관과 함께 동행을 하여 그를 경사로 불러들이도록 한

다71)

69) 太祖實錄 卷126 洪武 12年 9月 戊午條 ldquo占城國王 王阿答阿者遣其臣陽須文

旦進表及象馬方物中书省臣不以時奏 內臣因出外見其使者以聞 上亟召使者見之

嘆曰 壅蔽之害乃至此哉 因敕責省臣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丞相胡惟庸汪廣洋等 皆叩頭謝罪rdquo

70) 王德金 앞의 논문 朱元璋馭宦之析 pp41-42

71) 祖訓錄 法律 ldquo凡親王有過 重者 遣內使監官宣召 如三次不至 再遣流官 同監

官召之至京rdquo 태조가 창업군주로서 자손들에게 훈유를 내려 그것을 영구히 지

키도록 하기 위해 지은 책이 祖訓錄이다 太祖實錄 洪武 2年 4月 乙亥條에

ldquo詔中書編祖訓錄rdquo이라는 것을 보아 이때부터 편찬이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洪武 6年 5月에 완성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箴戒持守严祭祀谨出入慎

国政禮仪法律内令内官职制兵卫营缮供用 등 13 항목으로 되어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4

라고 규정함으로써 친왕이 문제가 있을 때에는 환관이 먼저 파견되었

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을 보면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들의 발호를 억제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정치적 현실에

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차마 무역의 담당

자로 호군 및 군대 감독자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

년 승상제가 폐지되면서 그들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

겠다 이로 인하여 환관의 권위는 점 점 높이지고 세력은 확대되어 갔

던 것이다

3 宦官數의 增大와 機構의 擴大

홍무 초년에는 태조가 환관을 통제했기에 당시의 환관들이 아직 자

금성 안에서 주로 복무했다고 한다면 그의 통치 중후기에는 환관들

이 궁궐 밖으로 나가 여러 임무를 띠고 초기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였다 태조는 이런 변화가 그렇게 나쁘다고 여기지 않았고 도리어

그들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도움이 된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리하여 태조시기에 환관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환관 기구도 확대

되어 갔다 홍무 2년 규정에는 내사감 봉어 60인 기타 각 각 사소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까지 합쳐 총수는 100명에 불과하였다72) 그러나

홍무 15년(1382)에는 환관 361인을 증설하였다73) 이것은 홍무 15년에

증가된 기록으로 당시 기존의 환관을 합치면 거의 수백 명의 환관이

있으며 태조 자신이 서문을 지었다 太祖實錄 28年 閏 9月 庚寅條에 의하면

이 때 祖訓錄을 거듭 정하여 皇明祖訓이라 명명하였다

72)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 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定置內

使監 奉御六十人 尙寶 一人 尙冠七人 尙衣 十人 尙佩九人 尙藥七人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東宮

後門 宮左宮右門 各設門正一人 副一人rdquo

73) 太祖實錄 卷149 洪武 15年 10月 丙戌條 ldquo增設內使三百六十一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5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명조는 수시로

주변 여러 나라에 엄인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사실로 홍무 24년(1391)에 태조는 환관 韓龍 黃禿蠻 등을

고려에 보내어 말 1만 필을 사오도록 하면서 閹人 200여명을 요구하였

다74) 그리고 安南國에서도 끊이지 않고 엄인들을 진공하였는데 매번

수십 명 씩 바쳤던 것이다75) 명조는 사방에 엄인을 요구하였는데 특

히 고려와 안남은 당시 엄인을 진공하는 주요 나라가 되었다76)

이리하여 환관의 수가 부단히 증가하였고 태조도 역시 환관을 심복

중의 심복으로 삼으면서 그들을 신뢰하고 있었다 이에 홍무 17년

(1384) 어느 날 대도독부 겸 국자감을 관할하고 있던 李文忠은 태조에

게 환관이 너무 많으니 그 숫자를 줄여할 것을 건의하였다

ldquo內臣이 너무 많습니다 마땅히 좀 줄이셔야 합니다rdquo라고 이문충이 건

의 하자 태조는 이를 듣고 대노 하여 ldquo자네가 나의 오른쪽 날개를 약화

시키려 하는데 그것은 무슨 의도인가 이것은 분명히 문객들이 시켰을

것이다rdquo라고 말하면서 결국 사람을 보내어 이문충의 문객을 전부 살해하

였다77)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일로 인하여 이문충은 병들어 죽게 되었는

데 이 때 이미 환관은 그 수가 적어서는 안 되는 대상이 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4) 太祖實錄 卷208 洪武 24年 3月 己丑條 ldquo詔於高麗市馬一萬疋 幷索閹人二百

人rdquo 高麗史 恭讓王 3년 辛未年條

75)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6

76) 환관의 공급원은 본래 宮刑에 처해진 죄인들이었지만 隋代 이후 궁형이 폐지

된 후부터는 ① 적의 포로 ② 외국으로부터의 進貢者 또는 변방 지역의 進獻

者 ③ 특별한 사정으로 궁형에 처해진 죄인 ④ 自宮者 곧 지원자 또는 부모의

명령으로 거세된 準自宮者 등이 있다

77) 弇山堂別集 卷20 史乘考誤 1 ldquo一日勸上内臣太多宜稍裁省 上大怒 謂若

欲弱吾羽翼何 意此必门客教之 因盡殺客 文忠驚悸得疾暴卒 上發悲 怒殺諸醫及

文忠侍者百人rdquo 이 기사는 어느 때의 기사인지 나와 있지 않아 잘 알 수 없으

나 이것은 李文忠(1339mdash1384)이 죽은 해에 발생한 사건이므로 洪武 17년

(1384)의 사건으로 볼 수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6환관의 기구 역시 확대되어 갔다 환관의 부서와 직무는 吳 원년

(1367)에 lsquo內史監rsquo이 설치된 이후 인원의 증대와 기구 관리를 위해 조

직이 신설 분리되어 가면서 확대되어 갔는데 홍무 17년(1384)에 9監

2庫 6局 체제가 되었다78) 이것은 명대 환관의 기구인 24아문(12감 4

사 8국)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어 홍무 28년(1395)에 11감 4사 9국으로

정비되어 24아문의 기구가 거의 완비되었던 것이다79) 홍무 30년(1397)

환관 조직은 12감8국4사의 24아문의 규모가 되었고 명왕조 환관

조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황종희가 말하고 있듯이 ldquo명조에 善治가

없었던 것은 태조가 재상을 폐지하면서부터이다 저 宮奴들이 재상의

정치가 땅에 떨어져 수습될 수 없음을 알고 여러 규칙과 조목을 세우

고 직무를 늘렸으며 생살권과 상벌권 등 재상으로부터 나오던 것이

이제 모두 환관들에게 돌아갔도다 (중략) 그러므로 궁노들이 재상처럼

된 것은 승상제를 폐지한 데서 온 커다란 과오이다rdquo80) 라고 하면서

환관의 발호는 재상의 폐지로 인한 것이며 이것은 명대 정치의 큰

폐단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로 재상 없는 군주 독재 지배체제에서 황제 한 사람에 의한 통치

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매일 황제 곁에 있는 환관

중 신뢰하는 환관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태조도 자신도 모르게 환관을 신뢰하고 그들을 중용을 하였으니 이념

적으로 ldquo내신은 정사에 관여하지 못한다rdquo 라는 규정을 내세우면서도

78)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九監은 内官监 神宫监 尚寶监 尚衣监 尚膳监 司

设监 司礼监 御马监 直殿监이고 二庫는 内承运库司鑰库이며 六局은 巾帽局

针工局 织染局 颜料局 司苑局 司牧局을 말한다

79) 위와 같음 十二監은 神宫监 尚寶监 孝陵神宮監 尚膳监 尚衣监 司设监 内官

监 司禮監 御马监 印綬監 直殿监이고 四司는 惜薪司 钟鼓司寶钞司 混堂司이

며 9局庫는 兵仗局 織染局 针工局 巾帽局 司苑局 酒醋麵局 內乘運庫 司鑰庫

內府供用庫인데 이것들은 후에 24아문으로 발전하였다

80) 黄宗羲 明夷待訪錄 置相 ldquo有明之无善治 自高皇帝罢丞相始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彼宫奴

者见宰相之政事坠地不收从而设为科条增其职掌 生杀予夺 出自宰相者 次

第而尽归焉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故使宫奴有宰相之实 则罢丞相之过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12: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0이상 일련의 사료들은 태조 주원장이 전대에 환관전권으로 말미암

은 폐해가 얼마나 심각하였는가를 깊이 인식하고 이에 대한 경계를 강

하게 하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2 太祖의 宦官 統制

천하를 얻어 다스리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깊이 깨달은 태조는

역대 흥망의 경험과 교훈을 거울로 삼아 환관의 폐해를 심각하게 인식

하면서 일련의 환관 억제 조치를 취하였다

홍무 5년(1372) 태조는 환관에 대해 금령을 반포하였다 궁정에서

모함 다툼 상해 등 환관의 비행 및 부도덕한 행동이 있을 때 그에

대하여 엄히 다스리는 벌칙을 규정하여 발표하였다

罵詈者(상호 욕하고 꾸짖는 자)는 태형 50대 봉어를 모욕하는 자 장

60대 문관이나 감관을 모독하는 자는 장 장 70 서로 싸우는 자 장 70이

대이며 상해를 입힌 자는 한 등급 더 높여 처벌하고 본관의 제재에 불복

하고 고집하는 자 장 80대 이며 구타하여 상해를 입힌 자는 한 등급 너

높여 처벌하고 봉어를 구타한자 장 80 문관 감관을 구타한 자 장 100대

로 하며 상해가 있으면 각각 한 등급을 더 가해 벌한다28)

이처럼 환관이 궁정에서 모함하거나 다투거나 상해를 입힐 경우 그

상황을 따져서 태형이나 장형으로 벌하는 내용을 규정하였다

그런데 이 사료를 더 읽어가 보면 능지처참이나 참수의 형까지 규

정하고 있고 잘 못이 있을 때 자수하기를 권장하면서 자수하는 환관

에 대하여는 도리어 상을 내리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28) 太祖實錄 卷74 洪武 5年 6月 丙子朔條 ldquo洪武五年六月 丙子朔 定宦官禁令

凡內使于宮城內 相罵詈者先發理屈笞五十 後罵理直者不坐不服本管鈐束而抵罵者

杖六十 內使罵奉御者杖六十 罵門官監官者杖七十 內使于宮城內相鬭毆者先鬭理屈杖七十 毆傷者加一等 後應理直而無傷者笞五十 不服本管鈐束而毆之者杖八十

毆傷者加一等 毆奉御者杖八十 毆門官監官者杖一百 傷者各加一 內使等有心懷

惡逆 出不道之言者 凌遲處死 有知情而蔽之者同罪 知其事而不首者斬 首者賞銀

三百兩rdquo 欽定續通典 卷108 刑2에도 같은 기록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1

內使等이 마음이 악하여 심하게 도리를 벗어나는 행동을 하고 도리에

어긋나는 말을 하는 환관들은 능지처참 시키고 사정을 알면서도 그것을

은폐하는 자 역시 똑 같이 능지처참할 것이며 사실을 알면서도 자수하지

않는 자는 참수할 것이며 대신 자수하는 자에게는 상금으로 은 3백량을

내릴 것이다29)

라 한 것이 그것이다

홍무 6년(1373)에는 환관 기구 중에 lsquo內正司rsquo라는 환관의 위법행위를

규찰하는 전문기구를 두었다30) 이것은 환관의 불법과 부도덕을 규찰

하는 기구로 司正(정7품) 司副(9종7품) 등의 관직을 두어 운영하였으

며 환관의 위법과 부도덕한 행동을 규찰하는 책임을 맡게 되었던 것

이다31)

동시에 환관은 외정의 직을 겸할 수 없고 외정 관료들과 교류할 수

없도록 하였다 홍무 10년(1377)에 태조는 ldquo환관은 외신 文武의 직을

겸할 수 없고 외신의 관복을 착용할 수 없으며 정치에 참여하거나 군

권 행사를 할 수 없다 관품은 4품을 넘을 수가 없고 매월 지급하는

봉록은 1석이며 내정 안에서 살림을 한다rdquo32)라고 정하였던 것이다

또한 환관이 문자를 터득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하여 환관에

게는 글을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였다 明史에 보면 初 太祖制 内臣

不许读书识字 33)라고만 되어 있어 이것을 제정한 시기가 언제인지 확

실히 알 수 없으나 명초의 것으로 태조는 초기부터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환관 전권을 더욱 방지하기 위하여 홍무 17년(1384)에 금령

29) 위와 같음

30) lsquo內正司rsquo는 후에 lsquo典禮司rsquo lsquo典禮稽察司rsquo로 개칭되었다

3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六年 hellip又考前代纠劾内官之法 置内正司

设司正一人 正七品司副一人从七品 专纠内官失仪及不法者 旋改为典禮司 又改

为典禮稽察司 升其品秩 司正升正六品 司副升从六品rdquo

32) 明史 卷304 宦官1 ldquo然定制 不得兼外臣文武衔 不得御外臣冠服 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衣食于内庭rdquo

33) 明史 卷304 宦官1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2을 발하였다 그 금령은 ldquo內臣不得干預政事 犯者斬rdquo이라 하여 lsquo환관으

로서 정사에 간여하는 사람은 참수형에 처한다rsquo는 것이다 약 석자 크

기의 鐵牌를 주조하여 거기에 이 lsquo11자rsquo를 새겨 궁문 앞에 세워 두었

다34) 철폐를 제조하여 궁문 앞에 세워두었다는 것은 가장 극렬한 환

관 통제 방책의 하나로 상징성이 가장 큰 통제 방법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이 규정은 환관들로 하여금 조정의 일에 간여할 수 없게 만들

었을 뿐 아니라 명초 환관의 권력을 중국 역사상 가장 밑바닥에 처하

게 만들었던 것이다

또한 환관은 공문서를 가지고 외정을 드나들 수 없게 하였으며35)

이러한 제한으로 인해 자연히 환관은 궁정에 있는 관료들과 사귀어 정

사를 어지럽힐 수 있는 기회를 갖기가 어려웠다

생각해 보면 신왕조를 창업한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들이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왕조 창업 후 심복으로서 환관들을 활용하

지 않을 수 없었다 그렇기에 태조는 환관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그들

의 세력을 제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던 것이다

그 주된 내용은 다음의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겠다

① 환관과 외신과의 쌍방에 의한 정보교환 문서 왕래를 금한다

② 환관은 조정 관리를 겸무하는 일과 외신의 관복을 착용하는 것을

금한다

③ 4품 이상의 품계에 오르는 것을 금한다

④ 환관의 봉급은 매월 백미 1석으로 하고 후궁 내에서 생활하며 지낸

⑤ 환관에게 글을 가르치는 것을 엄금한다

태조는 이상과 같이 환관의 세력이 성장하지 못하도록 갖가지 규제

를 강구하고 나아가 환관 규제를 위한 철패를 제조하여 궁문에 세워

34)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十七年 鑄铁牌文曰 内臣不得干预政事犯

者斩 置宮門 又勅諸司 毋得與內官監文移往來rdquo

35)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十七年hellip又勅諸司 毋得與內官監文移往來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3두었는데 이것은 태조의 환관 통제 정책 중 가장 대표적이고 상징적

인 징표가 되었다 하지만 한편 극단적인 제약이 도리어 환관이 신성

한 황제의 힘을 등지고 세력을 휘두르는 화근을 배태하였던 것이다

Ⅲ 國初 政治的 現實과 宦官 抑制의 限界

1 太祖期의 政治的 現實

한 당 시대의 환관 전권의 사실과 폐해를 잘 알고 극력 환관의 세

력을 억압하려는 태조 앞에 닥친 정치적 현실은 어떠하였는가

새로이 명왕조를 세운 태조는 먼저 관계의 기강문제에 지대한 관심

을 가지고 있었다 새로운 왕조가 수립되었어도 기강이 해이해지면 전

왕조에 있었던 것과 같은 부패가 官界에 그대로 만연하게 될 것이고

그로 인하여 민심이 흉흉할 수도 있는 일이다 그렇게 되면 그 자체가

혁명의 발생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고 나아가 태조가 창건한 왕조

자체도 혁명의 객체로 부상할 수밖에 없는 일이다

그러므로 태조는 기강 확립 권신들의 전횡 견제 관리의 부정부패

방지 민심 동요 등을 경계하면서 정치사회의 안정과 중앙집권적 전

제지배체제의 확립을 꾀하였다36)

현실적으로 원 왕조가 몽골고원으로 퇴각되었다고 하지만 그들은

여전히 상당한 세력을 보유하면서 언제 어떻게 명조에 반격을 가해 올

지 모르기 때문에 결코 방심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또한 국내에서도

명조 정권에 대하여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있고 명조에

협력하지 않고 음으로 몽골 세력을 지지하면서 농민출신의 태조 및 그

정권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우까지 있었다 또한 일단 명조 정권에 협

력하고 있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반드시 본심에서 우러난 것인지 확실

36) 全淳東 明王朝成立史硏究 pp194-204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4히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태조는 황제를 중심으로

하는 강력한 중앙집권적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

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

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금의위

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였다37)

금의위라는 특무기구는 본래 황제의 거동과 행렬을 시위하는 데 불

과였으나 이것이 특무 기관으로서 기능을 갖게 된 것은 호유용의 옥사

사건 이후 정보 수집과 감시체제를 강화할 때인 홍무 15년(1382년) 금

의위의 기구가 개혁된 결과이다 이후에 금의위는 정치상의 음모를 기

도하는 행위나 반체제적인 종교비밀 결사 등을 감시하는 기능을 가지

게 되었다 곧 금의위는 황제 행렬의 시위 외에 순찰을 돌면서 체포하

는 권한까지 지니게 되었던 것이다 이들은 정보를 수집하고 감시 적

발하며 사법권에까지 개입하였던 것이다38)

하지만 국초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

의 옥을 일으키며 시의심이 강하였던 주원장은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

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많은 사가들은 명사 환관 열전의 서문에 나타나 있는 ldquo盖明世宦官

出使专徵监军分镇刺臣民隐事诸大权皆自永乐间始rdquo(명대 환관

의 출사 징세 감군 분진 신민의 은밀한 일 정탐 등의 권리는 모두

영락 연간부터 시작되었다)39) 라는 기사라든지 明史 職官志에 나타

난 ldquo顾中官四出 实始永乐时 元年 李兴等赍敕劳暹罗国王 此奉使外国之

始也rdquo(돌이켜 보면 환관의 파견은 영락제 때에 처음 실시하였다 영락

37) 山根幸夫 明帝國の形成と發展 (ゆらぐ中華帝國 11 筑摩書房 1961)

pp41-42

38) 錦衣衛의 전신은 1367년에 설립된 拱衛司로서 대도독부에 예속되어 있었는

데 洪武 3년(1370) 親軍都尉府로 개칭하고 도독부로부터 독립하여 운영하였다

39) 明史 卷304 宦官1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5원년 이흥 등을 태국의 국왕에게 보내어 위로한 것이 환관을 외국에

보낸 것의 처음이다)40) 라는 기사를 인용하여 환관 중용의 책임이 영

락제에 있는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살펴보면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

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시 경제적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2 宦官 抑制의 限界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은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국초

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의 옥을 일으

키는 등 누구보다 시의심이 강하였던 태조는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

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심복인 환관들을 억

제하기보다는 그들을 측근으로 하여 저제군주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했다 그리하여 태조는 환관들과의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외부로 나가

는 출사 군대 감시 경제적인 활동 정보 수집 등의 일을 맡겼던 것이

첫째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관계를 원만히 하려 하였다41)

환관의 외국 출사의 예는 이미 홍무 2년에 보이고 있다 홍무 2년

(1369) 4월에 고려출신 환관 金丽渊을 고려에 파견하여 중국에 머물고

있는 高麗 流寓民 160여명을 고려에 돌려보낸 일이 있다 ldquo遣內臣 送

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書賜其王rdquo42)이라는 기사가 그것이다 이 기사

40)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41) 환관이 사신으로 나가는 경우는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외

국 사신으로 나가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변경 지역의 왕부나 주변 소수 민족

집단에 나가 황제의 명을 전하고 일을 처리하는 것이다

42)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丑朔 ldquo遣內臣 送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6를 더 읽어가 보면 그 때 중국인으로서 고려에 머물러 있는 유민들이

약 160여명이 있었는데 이 때 환관 金麗淵을 보내서 그들을 고려에

돌려보내었던 것이다43) 이 사실은 高麗史에도 ldquo己酉 18년 6월 丙寅

일에 황제가 환관 金麗淵을 파견하여 칙서를 전했다rdquo44)라고 하고 있어

당시 고려와 명과의 외교관계를 엿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명조의 환

관이 외교 사절단으로 나간 최초의 예라 할 수 있다

그리고 耽羅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는데 홍무 22년(1389) 4월 ldquo옛 원

나라의 제왕 중 명조에 귀부한 자는 탐라국에 거처하도록 하였으며

더욱이 그곳에 환관을 보내어 그들이 머물 집을 지어 주고 그곳에서

거처하도록 하였다rdquo45)라고 한 것을 보면 귀부한 元의 諸王들을 제주도

에 보내어 머물게 하면서 이 때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었던 것이다

安南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1년(1378) 정월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安南國에 파견하여 국왕 陳煓의 喪을 조문하였다 당시 안남국

왕 陳煓이 죽었는데 그의 동생 陳煒가 사신 陳建璨阮士諤을 명에 보

내어 안남국왕이 죽었음을 알려오자 이미 서로 교류가 있던 차였기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안남에 파견하여 문상하도록 하고 비단도 함께 보

내었던 것이다46)

書賜其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其間有高麗流寓者百六十餘人 朕念其人豈無鄕里骨肉之思 故令有

司遣使護送東歸rdquo

43) 洪武時期에 명과 고려 사이에 여러 차례 사절의 왕래가 있었다 홍무 2년

(1369) 4月부터 홍무 29년(1396) 6月까지 모두 22차례에 걸쳐 사신이 고려와

조선에 파견되었는데 사신의 이름이 파악된 사람이 43명(환관 25인 문신 11

인 무관 7인)이다 그중 정사로 고려조선에 출사한 사람이 21명인데 그 중

환관이 11인이고 문관이 4인이며 무관이 6인이다 이를 보면 많은 환관이 사

신으로서 고려조선에 파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환관은 대개 고려나 조

선 출신의 환관이었다 고려 조선 출신 25명의 환관 중 金丽渊黄永奇金仁

甫崔渊 등은 유명한 환관이다(李新峰 明前期赴朝鲜使臣丛考 明清论丛 第4辑 紫禁城出版社2003 참고)

44) 高麗史 卷132 恭愍王 己酉 18年 6月 丙寅條 ldquo皇帝遣宦者金麗淵致書rdquo 이

기사에는 이 때 귀환한 자가 165인으로 기록되어 있다

45) 太祖實錄 卷196 洪武 22年 4月 甲寅條 ldquo詔故元諸王來降者俾居耽羅國 且遣

中使往諭其國 爲造廬舍處之rdquo

46) 太祖實錄 卷117 洪武 11年 正月 ldquo是月 安南陳煓弟煒遣其臣陳建璨阮士諤來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7琉球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6년(1383) 정월 태조는 內使監 监

丞 梁民과 尚佩监 奉御 路謙 등을 琉球에 파견하여 中山王 察度에게

鍍金銀印과 고급비단을 하사한 일이 있다47) 같은 해 9월 琉球에서 내

란이 발생하였을 때에 태조는 监丞 梁玟을 보내어 전쟁을 중단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당시 中山王 山南王 山北王이 서로 자웅

을 겨루며 싸우고 있었는데 이때 내사감승 梁民에게 칙서를 보내어

싸움을 그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칙유를 보내었던 것이며 이들 모두

태조의 칙유를 받아들였던 것이다48)

眞臘國(캄보디아) 暹羅斛國(태국)에도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사무를 보게 하였다 홍무19년(1386) 9월에 行人 劉敏 唐敬 등을 환관

들과 함께 眞臘國에 보내었는데 이 때 磁器를 가지고 가서 하사토록

했고49) 홍무 28년(1395) 12월에는 환관 趙達과 朱福 등을 暹羅斛國(태

국)에 보내어 사망한 왕 參烈寶毘嗯哩哆嗦祿을 조문하고 후사인 蘇門

邦 昭祿群膺에게 비단과 모직물을 하사하였던 것이다50)

이상의 예들은 환관이 이미 태조시기에 황제의 명을 받고 외국의

사신으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수행한 사례들이다

태조가 환관을 변경 지역에 파견한 사실도 여러 곳에 보이고 있다

告煓卒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遣中使陳能至其國弔祭rdquo 國榷 卷6 洪武 11년 正月 ldquo是月 安南

陳煓弟煒遣使告哀 命中使陳能弔祭rdquo

47) 太祖實錄 卷151 洪武 16年 正月 丁未條

48) 明史 卷323 琉球傳 ldquo時二王與山北王爭雄 互相攻伐 命내內使監丞梁玟賜

之勅 令罷兵息民 三王并奉命rdquo 당시 琉球는 中山王(察度) 山南王(承察度) 山北

王(帕尼芝) 등 3세력이 대립하고 있었다

49) 太祖實錄 卷179 洪武 19年 9月 癸未條 ldquo遣行人劉敏唐敬偕內使賚磁器往賜

眞臘等國rdquo

50) 太祖實錄 卷243 洪武 28年 12月 戊午條 ldquo詔遣內使 趙達 朱福等 使暹羅斛

國 祭故王參烈寶毘嗯哩哆嗦祿 賜嗣王蘇門邦昭祿群膺 文綺四疋羅四疋 氁絲布四

十疋rdquo 明史 卷324 暹羅傳에도 같은 내용이 보이고 있다 ldquo二十八年 昭禄群

膺遣使朝贡 且告父丧 命中官赵达等往祭 敕世子嗣王位 赐赉有加rdquo (昭祿群膺이

사신을 파견하여 조공하고 또 부친의 상을 고하였다 이에 환관 조달 등으로

하여금 섬라에 가서 조문하도록 하고 세자가 왕위를 이어받도록 하였으며 더

불어 하사품을 곁들였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8홍무 2년(1369) 4월 원 승상 納哈出에게 편지를 보내 通交를 요구할

때 內臣을 파견하여 우호를 증진하였다51)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태조가 붙잡힌 원나라의 평장 完者不花를 돌려보내는데 환관을 시켜

돌려보내었다52) 홍무 14년(1381) 12월에는 환관을 파견하여 乌蒙(지금

의 운남성의 昭通)乌撤(지금의 운남성의 镇雄귀주성의 威宁)의 여

러 추장들에게 조칙을 발하였다53) 홍무 29년(1396) 6월에는 중사(환

관)를 桂林 등지의 府市에 보내어 南丹 奉儀 등의 衛所의 둔전 군사

들에게 밭가는 소를 지급해 주도록 하였다54) 동년 10월에 安定衛의

酋长 塔孩虎都鲁가 명에 와서 말 40필을 공물로 바친 일이 있는데 안

정위의 추장이 공물을 바친 것은 태조가 行人 陳誠으로 하여금 그곳에

다시 安定衛를 세우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었으며 이때에

ldquo復命中使赍金币往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

五十兩rdquo이라 하여 환관을 보내어 추장에게 옷과 비단 및 금품을 하사

하였던 것이다55)

이상의 기록들을 보면 태조시기에 환관이 여러 차례 변경 지역에

파견되어 변경 지역의 중대 업무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환관에게 지방 군대를 감독하거나 때로 군을 지휘하는 특수

임무를 맡겼다 태조는 외지 변경 지역의 장수들을 엄격히 통제하지

51)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亥條 ldquo玆 因遣使通元君 道經營壘望 令人送

達 所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國榷 卷3 太祖洪武 2年 4月 乙亥

條 ldquo又諭元臣納哈出書曰將軍昔自江左辭還 不通問十五年矣 近聞戍守遼陽 士馬

强 玆因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52) 太祖實錄 卷120 洪武11年 10月條 ldquo山西邊將遣人送所獲故元平章完者不花至

京師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朕怒邊將以爲方遣使通好乃執其平章豈不失信於卿 今特遣內臣送之 抵

丞相營 宥之罪之放 遂之 卿自爲區處rdquo

53) 太祖實錄 卷140 洪武 14年 12月 辛未條 ldquo遣內臣 賚敕諭鳥蒙鳥撤諸酋長rdquo

54) 明史 卷205 廣西土司傳 ldquo帝命俱置屯田给耕 寻遣中使至桂林等府市牛给

南丹奉议诸卫军士rdquo

55) 太祖實錄 卷247 洪武 29年 10月 甲午條 ldquo安定卫酋长塔孩虎都鲁 來朝貢馬

四十疋 先是 上遣行人陈诚立撤里畏兀兒 爲安定卫錫 以印章 以塔孩虎都鲁等指

挥千百户 至是诚歸 塔孩虎都鲁随誠入贡上嘉其慕義 厚赉之 復命中使赍金币往

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五十兩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9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 때 황제의 이목으로서 환관을 활용하였던 것

이다

태조는 명왕조를 창건하기 이전 자신의 세력을 키워가는 과정에서

많은 부하들을 양자로 삼아 그들을 활용하였다 이들에게 여러 장수들

의 군대를 감독하게 함으로써 장수들의 배반을 사전에 막고 안전하게

통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태조가 처음 기병했을 때 많은 양자를 두

었는데 이들을 장수와 함께 여러 路를 지키도록 했다 이를 테면 周舍

를 鎭江에 道舍를 寧國에 馬兒를 婺州에 柴舍眞童을 處州에 金剛

奴를 衢州에 보내어 지키도록 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주원장의 양자들

이었다56) 양자를 심복으로 삼아 그들을 기용하여 군대를 감독하게 하

였던 것이다

이들에게 감군하는 권한을 허락한 것은 태조가 왕조를 창업하는 과

정에서 군권 장악이 최후 승자가 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고 생

각하여 취한 조처였던 것이다

그런데 왕조를 개창한 후에는 양자보다는 환관을 신임하고 그들을

군부대에 파견하였다 홍무 원년(1368) 9월에 北征에 힘쓴 將士들에게

음식을 베풀어 주면서 위로한 일이 있는데 이 때 환관 奉御를 北平에

파견하여 이 일을 담당하도록 하였다57) 홍무 9년(1376) 8월에는 환관

趙成을 군부대에 파견하여 그곳의 관리를 불러들였다 내용인즉 홍무

9년 西番의 多爾濟巴가 부락민을 이끌고 명에 귀순하여 오자 태조는

熊鼎을 岐寧衛 經歷으로 삼아 그곳을 다스리도록 하였다 웅정은 임지

에 도착한 후 귀순부대들이 거짓으로 항복했다는 것을 알고 그 사실

을 비밀리 조정에 보고하였다 태조는 그 소식을 듣고 먼저 웅정을 위

로한 후 환관 조성을 군부대에 보내어 웅정을 경사로 불러들였던 것

이다58)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환관 吳誠을 총병지휘 楊仲名에게

56) 明史 卷134 夏文輝傳 ldquo太祖初起 多蓄義子 及长命偕诸将分守诸路 周舍

守镇江 道舍守宁国 马兒守婺州 柴舍真童守处州 金刚奴守衢州 皆义子也rdquo

57) 太祖實錄 卷35 洪武 元年 9月 乙卯條 ldquo上遣中使奉御等官 至北平 犒北征將

士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0보내어 전반적인 계획과 책략을 살피도록 하였고59) 11월에는 總兵官

辰主指揮 楊仲名이 五開蠻의 반란을 평정하자 태조가 內臣 尙履奉御

呂玉을 楊仲名에게 보내어 그 군대를 검열하고 위로하게 하였다60) 홍

무 27년(1394)에는 환관을 陝西都指揮使司에게 보내어 將士들을 훈련

하게 하였고 魏國公 徐輝祖으로 하여금 섬서 연변지역을 다스리게 하

였다61)

이러한 예들은 환관이 감군으로서 군영에 파견되어 군정을 순시하

고 살피는 일을 한 사례들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태조는 환관이 군의 정황을 살피는 일 이상의 업무에는 참

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 점은 唐代의 환관들과 다른 점으로 당대

에는 환관의 감군이 정치참여로 나타났지만 태조는 환관이 국가중추

기관의 기밀을 획책하는 일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62) 그

렇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기능은 장차 환관의 위력이 점점 강해지는 결

과를 낳았음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셋째 태조는 환관을 각종 경제활동에도 참여시켰다

태조 때에 환관은 경제활동에도 빈번히 참여하였는데 최초의 예로

서는 홍무 8년(1375) 5월 태조가 환관 趙成을 河州에 보내어 거기서

말을 교역해 오도록 한 일이다 태조가 茶馬司를 설치 한 후 조정에서

는 西番에 말을 사들이는 교역장을 마련하였는데63) 서번은 본래 말의

58) 明通鑑 卷6 洪武 9年 8月條 이때에 옹정이 경사로 돌아가자 번인들이 반

란을 일으켰다고 한다

59)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0月 戊申條 ldquo遣內臣 吳誠詣總兵官指揮楊仲名行

營觀方略rdquo

60) 太祖實錄 卷121 洪武 11年 11月 庚午朔條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1

月 庚午條 ldquo五開蠻平 內臣 尙履奉御 呂玉勞指揮楊仲名rdquo 明通鑑 卷6 洪武12

年 11月條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61) 太祖實錄 卷234 洪武 27년 9月條

62) 田禾 明太祖嚴馭宦官試析 (社會科學戰線 1997-4期 1997) pp162-163

63) 茶马司는 洪武 5년1372)2月에 秦州에 처음 설치되었다 그 후 洪武 7년

(1374)다시 河州에 차마사를 설치하고 이어 또 洮州 등지에 차마사를 두었

다 이들은 四川 漢中 湖南 등지의 차와 서북 유목지역에서 나는 말을 교역하

는 임무를 띠고 있었는데 藏族지구의 말을 사들이는 일이 주된 일이었다 그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1산지였기 때문이었다 서번 사람들은 말을 가지고 와서 중국의 문물을

구입하여 갔다

그런데 서번인들의 생활용품과 중국의 용품과는 달랐고 명초에 지

폐인 보초가 발행 된 이후에는 번인들이 사용하는 화폐와 달라 말의

교역량이 줄어들게 되었다 태조는 이것을 염려하여 궁중 환관 趙成을

파견하여 말 교역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조성은 여러 종류의 비단과 사천 지방의 茶葉을 가지고 가서 말을

사오는 방책을 취하였다 조성의 노력으로 河州 수장은 서번 사람들을

위무하고 선대하면서 互市를 열었기에 점차 많은 말을 사들여 올 수

있었는데 이후 차마 무역은 점차 활발해졌던 것이다64)

또 홍무10년(1377) 3월 호부는 징세 업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곳이 178처나 있음을 알고 환관 국자감생 호부의 관원 등 각 부문에

서 각각 1명씩 차출하여 정밀 조사하기를 태조에게 주청하였다 세금

징수 업무를 담당하는 稅課司에서 할당한 세금이 제대로 걷히지 않자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환관과 국자감생들을 보내어 조사하도록 주청한

것이다 이때의 주청에 대하여 lsquo從之rsquo65)라 한 것을 보면 태조가 그것을

승인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환관이 징세 업무에도 간여하였음

을 보여주고 있는 좋은 사례인 것이다

그 외에도 홍무 16년(1383) 9월 태조는 內使 梁珉으로 하여금 돈을

가지고 琉球로 가서 말을 사들여 오도록 하였고66) 홍무 25년(1392) 3

월에는 尙膳太监 而聶과 司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소관

의 번족에게 보내어 거기서 말을 사들여오도록 하였다67) 이 때 서북

러므로 회족이 운거하고 있는 河州는 명대 茶馬互市의 중심지였다

6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5

65) 太祖實錄 卷111 洪武 10年 3月 甲申條 ldquo户部奏天下税课司局征商不如额者

一百七十八处 宜请遣中官国子生及部委官各一人往覈其實立爲定額從之rdquo

66) 太祖實錄 卷156 洪武 16年 9月 己未條 ldquo內官梁珉以貨幣往琉球易马還得马

九百八十三匹rdquo

67) 太祖實錄 卷217 洪武 25年 3月 己丑條 ldquo遣尙膳太监 而聶司禮太監 慶童

賚敕往諭陝西河州等衛所屬番族 令其輸馬 以茶給之rdquo 弇山堂別集 卷90 中官

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당시 尙膳太监 而聶과 司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2쪽의 번족으로부터 말을 사들이는 데는 중국차로서 대가를 지불하였

다 이 때 사들인 말이 10340여필에 이르고 교역한 차엽은 30여만 근

에 달하였다고 하며 구입한 말은 河南 山西 陝西의 衛所에 배치되었

던 것이다68)

넷째 환관을 민간 정보 수집요원으로 활용하였다

새로운 왕조가 성립되었다고 하지만 언제 어떻게 몽골족이 반격하

여 올지 모르고 또한 명조의 신 정권에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다시 왕조를 전복할지도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정보 수집을 중히 여기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

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錦衣衛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금의위를 운영하면서도 태조는 자신의 정권을 보전하기 위

해 환관에게 문무백관을 감시하는 권한을 맡겨 정보를 수집하였다 홍

무 12년(1379) 9월에 占城國 국왕 阿答阿者가 그 신하 陽須文旦을 파

견하여 황제에 올리는 상서와 함께 코끼리말방물 등을 진헌한 일

이 있었는데 중서성 신하는 이것을 제때에 보고하지 못하였으나 內臣

(환관)이 외출하였다가 그 사신을 만나 점성국 사신이 왔다는 정보를

얻어 그 사실을 태조에게 알렸다 태조는 환관의 정보 제공으로 곧바

로 점성국의 사신을 불러 접견할 수 있었는데 이 때 태조는 ldquo상하의

의사소통이 꽉 막히기가 여기까지 이르렀구나rdquo고 하며 탄식하며 중서

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번족에 보내어 말을 사들인 사실은 lsquo교역rsquo

이라는 경제 활동의 성격과 lsquo군마 구입과 배치rsquo라는 군사적 성격을 동시에 지

니고 있는 활동이기도 하다

68)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 ldquo尙膳太监 而聶等至河

州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於是得馬萬三千四十餘疋 以茶三十餘萬斤給之 諸族大悅 而聶遣使入奏

命以馬分给河南山西陕西卫所骑士rdquo이라 하여 교역된 마필과 차엽의 양이

언급되어 있고 당시 구매된 말이 어디로 배치되어 있는가 하는 내용이 더 언

급되어 있다 다만 같은 내용의 기사가 太祖實錄에는 洪武 25년 3月 기사로

弇山堂別集에는 2月 기사로 되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3성 관료들을 질책하자 승상 胡惟庸 汪廣洋 등 중서성의 신하들이 모

두 고개를 땅에 대고 사죄하였다고 한다69)

환관들은 황제의 이목이 되어 황제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황제와 환관들은 자연히 신뢰관계가 형성되었다 황제는

이러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환관에게 특별한 임무를 부여하였던 것

이다 특별한 임무란 황제가 직접 접할 수 없는 궁성 밖의 정세나 관

료의 동향을 알아내는 첩보 활동이었으며 京師의 禁軍도 그들의 감시

대상이었던 것이다

다섯째 환관은 친왕의 왕부에 특사로서 파견되기도 하였다 홍무 12

년(1279) 3월에 환관 陳京을 桂林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靖康王 朱守

謙에게 파견하여 황제의 유지를 전달하게 하였고 홍무 26년(1393) 2월

에 藍玉의 모반 사건이 일어났을 때 3월에 太原의 晉王 朱楓에게 사

람을 보내어 남옥의 모반 사건과 관련되어 있는 집안의 가정과 노비들

을 제거하고 재산을 몰수하라는 유지를 내렸는데 이때에 칙유를 가지

고 간 사람이 환관 而聶과 부마 梅殷였다70)

이를 보면 친왕들에게 유지를 전하는 데 환관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그렇기에 태조는祖訓錄에서

무릇 친왕이 과오를 저지르면 重한 경우 내사 감관으로 하여금 왕을

불러오게 하고 세 차례나 불러도 오지 않으면 다시 流官(황제가 임명한

관리)을 보내되 내관과 함께 동행을 하여 그를 경사로 불러들이도록 한

다71)

69) 太祖實錄 卷126 洪武 12年 9月 戊午條 ldquo占城國王 王阿答阿者遣其臣陽須文

旦進表及象馬方物中书省臣不以時奏 內臣因出外見其使者以聞 上亟召使者見之

嘆曰 壅蔽之害乃至此哉 因敕責省臣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丞相胡惟庸汪廣洋等 皆叩頭謝罪rdquo

70) 王德金 앞의 논문 朱元璋馭宦之析 pp41-42

71) 祖訓錄 法律 ldquo凡親王有過 重者 遣內使監官宣召 如三次不至 再遣流官 同監

官召之至京rdquo 태조가 창업군주로서 자손들에게 훈유를 내려 그것을 영구히 지

키도록 하기 위해 지은 책이 祖訓錄이다 太祖實錄 洪武 2年 4月 乙亥條에

ldquo詔中書編祖訓錄rdquo이라는 것을 보아 이때부터 편찬이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洪武 6年 5月에 완성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箴戒持守严祭祀谨出入慎

国政禮仪法律内令内官职制兵卫营缮供用 등 13 항목으로 되어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4

라고 규정함으로써 친왕이 문제가 있을 때에는 환관이 먼저 파견되었

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을 보면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들의 발호를 억제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정치적 현실에

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차마 무역의 담당

자로 호군 및 군대 감독자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

년 승상제가 폐지되면서 그들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

겠다 이로 인하여 환관의 권위는 점 점 높이지고 세력은 확대되어 갔

던 것이다

3 宦官數의 增大와 機構의 擴大

홍무 초년에는 태조가 환관을 통제했기에 당시의 환관들이 아직 자

금성 안에서 주로 복무했다고 한다면 그의 통치 중후기에는 환관들

이 궁궐 밖으로 나가 여러 임무를 띠고 초기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였다 태조는 이런 변화가 그렇게 나쁘다고 여기지 않았고 도리어

그들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도움이 된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리하여 태조시기에 환관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환관 기구도 확대

되어 갔다 홍무 2년 규정에는 내사감 봉어 60인 기타 각 각 사소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까지 합쳐 총수는 100명에 불과하였다72) 그러나

홍무 15년(1382)에는 환관 361인을 증설하였다73) 이것은 홍무 15년에

증가된 기록으로 당시 기존의 환관을 합치면 거의 수백 명의 환관이

있으며 태조 자신이 서문을 지었다 太祖實錄 28年 閏 9月 庚寅條에 의하면

이 때 祖訓錄을 거듭 정하여 皇明祖訓이라 명명하였다

72)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 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定置內

使監 奉御六十人 尙寶 一人 尙冠七人 尙衣 十人 尙佩九人 尙藥七人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東宮

後門 宮左宮右門 各設門正一人 副一人rdquo

73) 太祖實錄 卷149 洪武 15年 10月 丙戌條 ldquo增設內使三百六十一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5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명조는 수시로

주변 여러 나라에 엄인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사실로 홍무 24년(1391)에 태조는 환관 韓龍 黃禿蠻 등을

고려에 보내어 말 1만 필을 사오도록 하면서 閹人 200여명을 요구하였

다74) 그리고 安南國에서도 끊이지 않고 엄인들을 진공하였는데 매번

수십 명 씩 바쳤던 것이다75) 명조는 사방에 엄인을 요구하였는데 특

히 고려와 안남은 당시 엄인을 진공하는 주요 나라가 되었다76)

이리하여 환관의 수가 부단히 증가하였고 태조도 역시 환관을 심복

중의 심복으로 삼으면서 그들을 신뢰하고 있었다 이에 홍무 17년

(1384) 어느 날 대도독부 겸 국자감을 관할하고 있던 李文忠은 태조에

게 환관이 너무 많으니 그 숫자를 줄여할 것을 건의하였다

ldquo內臣이 너무 많습니다 마땅히 좀 줄이셔야 합니다rdquo라고 이문충이 건

의 하자 태조는 이를 듣고 대노 하여 ldquo자네가 나의 오른쪽 날개를 약화

시키려 하는데 그것은 무슨 의도인가 이것은 분명히 문객들이 시켰을

것이다rdquo라고 말하면서 결국 사람을 보내어 이문충의 문객을 전부 살해하

였다77)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일로 인하여 이문충은 병들어 죽게 되었는

데 이 때 이미 환관은 그 수가 적어서는 안 되는 대상이 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4) 太祖實錄 卷208 洪武 24年 3月 己丑條 ldquo詔於高麗市馬一萬疋 幷索閹人二百

人rdquo 高麗史 恭讓王 3년 辛未年條

75)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6

76) 환관의 공급원은 본래 宮刑에 처해진 죄인들이었지만 隋代 이후 궁형이 폐지

된 후부터는 ① 적의 포로 ② 외국으로부터의 進貢者 또는 변방 지역의 進獻

者 ③ 특별한 사정으로 궁형에 처해진 죄인 ④ 自宮者 곧 지원자 또는 부모의

명령으로 거세된 準自宮者 등이 있다

77) 弇山堂別集 卷20 史乘考誤 1 ldquo一日勸上内臣太多宜稍裁省 上大怒 謂若

欲弱吾羽翼何 意此必门客教之 因盡殺客 文忠驚悸得疾暴卒 上發悲 怒殺諸醫及

文忠侍者百人rdquo 이 기사는 어느 때의 기사인지 나와 있지 않아 잘 알 수 없으

나 이것은 李文忠(1339mdash1384)이 죽은 해에 발생한 사건이므로 洪武 17년

(1384)의 사건으로 볼 수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6환관의 기구 역시 확대되어 갔다 환관의 부서와 직무는 吳 원년

(1367)에 lsquo內史監rsquo이 설치된 이후 인원의 증대와 기구 관리를 위해 조

직이 신설 분리되어 가면서 확대되어 갔는데 홍무 17년(1384)에 9監

2庫 6局 체제가 되었다78) 이것은 명대 환관의 기구인 24아문(12감 4

사 8국)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어 홍무 28년(1395)에 11감 4사 9국으로

정비되어 24아문의 기구가 거의 완비되었던 것이다79) 홍무 30년(1397)

환관 조직은 12감8국4사의 24아문의 규모가 되었고 명왕조 환관

조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황종희가 말하고 있듯이 ldquo명조에 善治가

없었던 것은 태조가 재상을 폐지하면서부터이다 저 宮奴들이 재상의

정치가 땅에 떨어져 수습될 수 없음을 알고 여러 규칙과 조목을 세우

고 직무를 늘렸으며 생살권과 상벌권 등 재상으로부터 나오던 것이

이제 모두 환관들에게 돌아갔도다 (중략) 그러므로 궁노들이 재상처럼

된 것은 승상제를 폐지한 데서 온 커다란 과오이다rdquo80) 라고 하면서

환관의 발호는 재상의 폐지로 인한 것이며 이것은 명대 정치의 큰

폐단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로 재상 없는 군주 독재 지배체제에서 황제 한 사람에 의한 통치

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매일 황제 곁에 있는 환관

중 신뢰하는 환관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태조도 자신도 모르게 환관을 신뢰하고 그들을 중용을 하였으니 이념

적으로 ldquo내신은 정사에 관여하지 못한다rdquo 라는 규정을 내세우면서도

78)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九監은 内官监 神宫监 尚寶监 尚衣监 尚膳监 司

设监 司礼监 御马监 直殿监이고 二庫는 内承运库司鑰库이며 六局은 巾帽局

针工局 织染局 颜料局 司苑局 司牧局을 말한다

79) 위와 같음 十二監은 神宫监 尚寶监 孝陵神宮監 尚膳监 尚衣监 司设监 内官

监 司禮監 御马监 印綬監 直殿监이고 四司는 惜薪司 钟鼓司寶钞司 混堂司이

며 9局庫는 兵仗局 織染局 针工局 巾帽局 司苑局 酒醋麵局 內乘運庫 司鑰庫

內府供用庫인데 이것들은 후에 24아문으로 발전하였다

80) 黄宗羲 明夷待訪錄 置相 ldquo有明之无善治 自高皇帝罢丞相始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彼宫奴

者见宰相之政事坠地不收从而设为科条增其职掌 生杀予夺 出自宰相者 次

第而尽归焉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故使宫奴有宰相之实 则罢丞相之过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13: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1

內使等이 마음이 악하여 심하게 도리를 벗어나는 행동을 하고 도리에

어긋나는 말을 하는 환관들은 능지처참 시키고 사정을 알면서도 그것을

은폐하는 자 역시 똑 같이 능지처참할 것이며 사실을 알면서도 자수하지

않는 자는 참수할 것이며 대신 자수하는 자에게는 상금으로 은 3백량을

내릴 것이다29)

라 한 것이 그것이다

홍무 6년(1373)에는 환관 기구 중에 lsquo內正司rsquo라는 환관의 위법행위를

규찰하는 전문기구를 두었다30) 이것은 환관의 불법과 부도덕을 규찰

하는 기구로 司正(정7품) 司副(9종7품) 등의 관직을 두어 운영하였으

며 환관의 위법과 부도덕한 행동을 규찰하는 책임을 맡게 되었던 것

이다31)

동시에 환관은 외정의 직을 겸할 수 없고 외정 관료들과 교류할 수

없도록 하였다 홍무 10년(1377)에 태조는 ldquo환관은 외신 文武의 직을

겸할 수 없고 외신의 관복을 착용할 수 없으며 정치에 참여하거나 군

권 행사를 할 수 없다 관품은 4품을 넘을 수가 없고 매월 지급하는

봉록은 1석이며 내정 안에서 살림을 한다rdquo32)라고 정하였던 것이다

또한 환관이 문자를 터득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하여 환관에

게는 글을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였다 明史에 보면 初 太祖制 内臣

不许读书识字 33)라고만 되어 있어 이것을 제정한 시기가 언제인지 확

실히 알 수 없으나 명초의 것으로 태조는 초기부터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환관 전권을 더욱 방지하기 위하여 홍무 17년(1384)에 금령

29) 위와 같음

30) lsquo內正司rsquo는 후에 lsquo典禮司rsquo lsquo典禮稽察司rsquo로 개칭되었다

3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六年 hellip又考前代纠劾内官之法 置内正司

设司正一人 正七品司副一人从七品 专纠内官失仪及不法者 旋改为典禮司 又改

为典禮稽察司 升其品秩 司正升正六品 司副升从六品rdquo

32) 明史 卷304 宦官1 ldquo然定制 不得兼外臣文武衔 不得御外臣冠服 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衣食于内庭rdquo

33) 明史 卷304 宦官1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2을 발하였다 그 금령은 ldquo內臣不得干預政事 犯者斬rdquo이라 하여 lsquo환관으

로서 정사에 간여하는 사람은 참수형에 처한다rsquo는 것이다 약 석자 크

기의 鐵牌를 주조하여 거기에 이 lsquo11자rsquo를 새겨 궁문 앞에 세워 두었

다34) 철폐를 제조하여 궁문 앞에 세워두었다는 것은 가장 극렬한 환

관 통제 방책의 하나로 상징성이 가장 큰 통제 방법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이 규정은 환관들로 하여금 조정의 일에 간여할 수 없게 만들

었을 뿐 아니라 명초 환관의 권력을 중국 역사상 가장 밑바닥에 처하

게 만들었던 것이다

또한 환관은 공문서를 가지고 외정을 드나들 수 없게 하였으며35)

이러한 제한으로 인해 자연히 환관은 궁정에 있는 관료들과 사귀어 정

사를 어지럽힐 수 있는 기회를 갖기가 어려웠다

생각해 보면 신왕조를 창업한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들이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왕조 창업 후 심복으로서 환관들을 활용하

지 않을 수 없었다 그렇기에 태조는 환관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그들

의 세력을 제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던 것이다

그 주된 내용은 다음의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겠다

① 환관과 외신과의 쌍방에 의한 정보교환 문서 왕래를 금한다

② 환관은 조정 관리를 겸무하는 일과 외신의 관복을 착용하는 것을

금한다

③ 4품 이상의 품계에 오르는 것을 금한다

④ 환관의 봉급은 매월 백미 1석으로 하고 후궁 내에서 생활하며 지낸

⑤ 환관에게 글을 가르치는 것을 엄금한다

태조는 이상과 같이 환관의 세력이 성장하지 못하도록 갖가지 규제

를 강구하고 나아가 환관 규제를 위한 철패를 제조하여 궁문에 세워

34)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十七年 鑄铁牌文曰 内臣不得干预政事犯

者斩 置宮門 又勅諸司 毋得與內官監文移往來rdquo

35)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十七年hellip又勅諸司 毋得與內官監文移往來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3두었는데 이것은 태조의 환관 통제 정책 중 가장 대표적이고 상징적

인 징표가 되었다 하지만 한편 극단적인 제약이 도리어 환관이 신성

한 황제의 힘을 등지고 세력을 휘두르는 화근을 배태하였던 것이다

Ⅲ 國初 政治的 現實과 宦官 抑制의 限界

1 太祖期의 政治的 現實

한 당 시대의 환관 전권의 사실과 폐해를 잘 알고 극력 환관의 세

력을 억압하려는 태조 앞에 닥친 정치적 현실은 어떠하였는가

새로이 명왕조를 세운 태조는 먼저 관계의 기강문제에 지대한 관심

을 가지고 있었다 새로운 왕조가 수립되었어도 기강이 해이해지면 전

왕조에 있었던 것과 같은 부패가 官界에 그대로 만연하게 될 것이고

그로 인하여 민심이 흉흉할 수도 있는 일이다 그렇게 되면 그 자체가

혁명의 발생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고 나아가 태조가 창건한 왕조

자체도 혁명의 객체로 부상할 수밖에 없는 일이다

그러므로 태조는 기강 확립 권신들의 전횡 견제 관리의 부정부패

방지 민심 동요 등을 경계하면서 정치사회의 안정과 중앙집권적 전

제지배체제의 확립을 꾀하였다36)

현실적으로 원 왕조가 몽골고원으로 퇴각되었다고 하지만 그들은

여전히 상당한 세력을 보유하면서 언제 어떻게 명조에 반격을 가해 올

지 모르기 때문에 결코 방심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또한 국내에서도

명조 정권에 대하여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있고 명조에

협력하지 않고 음으로 몽골 세력을 지지하면서 농민출신의 태조 및 그

정권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우까지 있었다 또한 일단 명조 정권에 협

력하고 있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반드시 본심에서 우러난 것인지 확실

36) 全淳東 明王朝成立史硏究 pp194-204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4히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태조는 황제를 중심으로

하는 강력한 중앙집권적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

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

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금의위

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였다37)

금의위라는 특무기구는 본래 황제의 거동과 행렬을 시위하는 데 불

과였으나 이것이 특무 기관으로서 기능을 갖게 된 것은 호유용의 옥사

사건 이후 정보 수집과 감시체제를 강화할 때인 홍무 15년(1382년) 금

의위의 기구가 개혁된 결과이다 이후에 금의위는 정치상의 음모를 기

도하는 행위나 반체제적인 종교비밀 결사 등을 감시하는 기능을 가지

게 되었다 곧 금의위는 황제 행렬의 시위 외에 순찰을 돌면서 체포하

는 권한까지 지니게 되었던 것이다 이들은 정보를 수집하고 감시 적

발하며 사법권에까지 개입하였던 것이다38)

하지만 국초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

의 옥을 일으키며 시의심이 강하였던 주원장은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

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많은 사가들은 명사 환관 열전의 서문에 나타나 있는 ldquo盖明世宦官

出使专徵监军分镇刺臣民隐事诸大权皆自永乐间始rdquo(명대 환관

의 출사 징세 감군 분진 신민의 은밀한 일 정탐 등의 권리는 모두

영락 연간부터 시작되었다)39) 라는 기사라든지 明史 職官志에 나타

난 ldquo顾中官四出 实始永乐时 元年 李兴等赍敕劳暹罗国王 此奉使外国之

始也rdquo(돌이켜 보면 환관의 파견은 영락제 때에 처음 실시하였다 영락

37) 山根幸夫 明帝國の形成と發展 (ゆらぐ中華帝國 11 筑摩書房 1961)

pp41-42

38) 錦衣衛의 전신은 1367년에 설립된 拱衛司로서 대도독부에 예속되어 있었는

데 洪武 3년(1370) 親軍都尉府로 개칭하고 도독부로부터 독립하여 운영하였다

39) 明史 卷304 宦官1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5원년 이흥 등을 태국의 국왕에게 보내어 위로한 것이 환관을 외국에

보낸 것의 처음이다)40) 라는 기사를 인용하여 환관 중용의 책임이 영

락제에 있는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살펴보면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

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시 경제적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2 宦官 抑制의 限界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은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국초

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의 옥을 일으

키는 등 누구보다 시의심이 강하였던 태조는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

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심복인 환관들을 억

제하기보다는 그들을 측근으로 하여 저제군주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했다 그리하여 태조는 환관들과의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외부로 나가

는 출사 군대 감시 경제적인 활동 정보 수집 등의 일을 맡겼던 것이

첫째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관계를 원만히 하려 하였다41)

환관의 외국 출사의 예는 이미 홍무 2년에 보이고 있다 홍무 2년

(1369) 4월에 고려출신 환관 金丽渊을 고려에 파견하여 중국에 머물고

있는 高麗 流寓民 160여명을 고려에 돌려보낸 일이 있다 ldquo遣內臣 送

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書賜其王rdquo42)이라는 기사가 그것이다 이 기사

40)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41) 환관이 사신으로 나가는 경우는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외

국 사신으로 나가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변경 지역의 왕부나 주변 소수 민족

집단에 나가 황제의 명을 전하고 일을 처리하는 것이다

42)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丑朔 ldquo遣內臣 送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6를 더 읽어가 보면 그 때 중국인으로서 고려에 머물러 있는 유민들이

약 160여명이 있었는데 이 때 환관 金麗淵을 보내서 그들을 고려에

돌려보내었던 것이다43) 이 사실은 高麗史에도 ldquo己酉 18년 6월 丙寅

일에 황제가 환관 金麗淵을 파견하여 칙서를 전했다rdquo44)라고 하고 있어

당시 고려와 명과의 외교관계를 엿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명조의 환

관이 외교 사절단으로 나간 최초의 예라 할 수 있다

그리고 耽羅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는데 홍무 22년(1389) 4월 ldquo옛 원

나라의 제왕 중 명조에 귀부한 자는 탐라국에 거처하도록 하였으며

더욱이 그곳에 환관을 보내어 그들이 머물 집을 지어 주고 그곳에서

거처하도록 하였다rdquo45)라고 한 것을 보면 귀부한 元의 諸王들을 제주도

에 보내어 머물게 하면서 이 때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었던 것이다

安南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1년(1378) 정월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安南國에 파견하여 국왕 陳煓의 喪을 조문하였다 당시 안남국

왕 陳煓이 죽었는데 그의 동생 陳煒가 사신 陳建璨阮士諤을 명에 보

내어 안남국왕이 죽었음을 알려오자 이미 서로 교류가 있던 차였기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안남에 파견하여 문상하도록 하고 비단도 함께 보

내었던 것이다46)

書賜其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其間有高麗流寓者百六十餘人 朕念其人豈無鄕里骨肉之思 故令有

司遣使護送東歸rdquo

43) 洪武時期에 명과 고려 사이에 여러 차례 사절의 왕래가 있었다 홍무 2년

(1369) 4月부터 홍무 29년(1396) 6月까지 모두 22차례에 걸쳐 사신이 고려와

조선에 파견되었는데 사신의 이름이 파악된 사람이 43명(환관 25인 문신 11

인 무관 7인)이다 그중 정사로 고려조선에 출사한 사람이 21명인데 그 중

환관이 11인이고 문관이 4인이며 무관이 6인이다 이를 보면 많은 환관이 사

신으로서 고려조선에 파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환관은 대개 고려나 조

선 출신의 환관이었다 고려 조선 출신 25명의 환관 중 金丽渊黄永奇金仁

甫崔渊 등은 유명한 환관이다(李新峰 明前期赴朝鲜使臣丛考 明清论丛 第4辑 紫禁城出版社2003 참고)

44) 高麗史 卷132 恭愍王 己酉 18年 6月 丙寅條 ldquo皇帝遣宦者金麗淵致書rdquo 이

기사에는 이 때 귀환한 자가 165인으로 기록되어 있다

45) 太祖實錄 卷196 洪武 22年 4月 甲寅條 ldquo詔故元諸王來降者俾居耽羅國 且遣

中使往諭其國 爲造廬舍處之rdquo

46) 太祖實錄 卷117 洪武 11年 正月 ldquo是月 安南陳煓弟煒遣其臣陳建璨阮士諤來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7琉球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6년(1383) 정월 태조는 內使監 监

丞 梁民과 尚佩监 奉御 路謙 등을 琉球에 파견하여 中山王 察度에게

鍍金銀印과 고급비단을 하사한 일이 있다47) 같은 해 9월 琉球에서 내

란이 발생하였을 때에 태조는 监丞 梁玟을 보내어 전쟁을 중단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당시 中山王 山南王 山北王이 서로 자웅

을 겨루며 싸우고 있었는데 이때 내사감승 梁民에게 칙서를 보내어

싸움을 그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칙유를 보내었던 것이며 이들 모두

태조의 칙유를 받아들였던 것이다48)

眞臘國(캄보디아) 暹羅斛國(태국)에도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사무를 보게 하였다 홍무19년(1386) 9월에 行人 劉敏 唐敬 등을 환관

들과 함께 眞臘國에 보내었는데 이 때 磁器를 가지고 가서 하사토록

했고49) 홍무 28년(1395) 12월에는 환관 趙達과 朱福 등을 暹羅斛國(태

국)에 보내어 사망한 왕 參烈寶毘嗯哩哆嗦祿을 조문하고 후사인 蘇門

邦 昭祿群膺에게 비단과 모직물을 하사하였던 것이다50)

이상의 예들은 환관이 이미 태조시기에 황제의 명을 받고 외국의

사신으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수행한 사례들이다

태조가 환관을 변경 지역에 파견한 사실도 여러 곳에 보이고 있다

告煓卒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遣中使陳能至其國弔祭rdquo 國榷 卷6 洪武 11년 正月 ldquo是月 安南

陳煓弟煒遣使告哀 命中使陳能弔祭rdquo

47) 太祖實錄 卷151 洪武 16年 正月 丁未條

48) 明史 卷323 琉球傳 ldquo時二王與山北王爭雄 互相攻伐 命내內使監丞梁玟賜

之勅 令罷兵息民 三王并奉命rdquo 당시 琉球는 中山王(察度) 山南王(承察度) 山北

王(帕尼芝) 등 3세력이 대립하고 있었다

49) 太祖實錄 卷179 洪武 19年 9月 癸未條 ldquo遣行人劉敏唐敬偕內使賚磁器往賜

眞臘等國rdquo

50) 太祖實錄 卷243 洪武 28年 12月 戊午條 ldquo詔遣內使 趙達 朱福等 使暹羅斛

國 祭故王參烈寶毘嗯哩哆嗦祿 賜嗣王蘇門邦昭祿群膺 文綺四疋羅四疋 氁絲布四

十疋rdquo 明史 卷324 暹羅傳에도 같은 내용이 보이고 있다 ldquo二十八年 昭禄群

膺遣使朝贡 且告父丧 命中官赵达等往祭 敕世子嗣王位 赐赉有加rdquo (昭祿群膺이

사신을 파견하여 조공하고 또 부친의 상을 고하였다 이에 환관 조달 등으로

하여금 섬라에 가서 조문하도록 하고 세자가 왕위를 이어받도록 하였으며 더

불어 하사품을 곁들였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8홍무 2년(1369) 4월 원 승상 納哈出에게 편지를 보내 通交를 요구할

때 內臣을 파견하여 우호를 증진하였다51)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태조가 붙잡힌 원나라의 평장 完者不花를 돌려보내는데 환관을 시켜

돌려보내었다52) 홍무 14년(1381) 12월에는 환관을 파견하여 乌蒙(지금

의 운남성의 昭通)乌撤(지금의 운남성의 镇雄귀주성의 威宁)의 여

러 추장들에게 조칙을 발하였다53) 홍무 29년(1396) 6월에는 중사(환

관)를 桂林 등지의 府市에 보내어 南丹 奉儀 등의 衛所의 둔전 군사

들에게 밭가는 소를 지급해 주도록 하였다54) 동년 10월에 安定衛의

酋长 塔孩虎都鲁가 명에 와서 말 40필을 공물로 바친 일이 있는데 안

정위의 추장이 공물을 바친 것은 태조가 行人 陳誠으로 하여금 그곳에

다시 安定衛를 세우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었으며 이때에

ldquo復命中使赍金币往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

五十兩rdquo이라 하여 환관을 보내어 추장에게 옷과 비단 및 금품을 하사

하였던 것이다55)

이상의 기록들을 보면 태조시기에 환관이 여러 차례 변경 지역에

파견되어 변경 지역의 중대 업무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환관에게 지방 군대를 감독하거나 때로 군을 지휘하는 특수

임무를 맡겼다 태조는 외지 변경 지역의 장수들을 엄격히 통제하지

51)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亥條 ldquo玆 因遣使通元君 道經營壘望 令人送

達 所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國榷 卷3 太祖洪武 2年 4月 乙亥

條 ldquo又諭元臣納哈出書曰將軍昔自江左辭還 不通問十五年矣 近聞戍守遼陽 士馬

强 玆因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52) 太祖實錄 卷120 洪武11年 10月條 ldquo山西邊將遣人送所獲故元平章完者不花至

京師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朕怒邊將以爲方遣使通好乃執其平章豈不失信於卿 今特遣內臣送之 抵

丞相營 宥之罪之放 遂之 卿自爲區處rdquo

53) 太祖實錄 卷140 洪武 14年 12月 辛未條 ldquo遣內臣 賚敕諭鳥蒙鳥撤諸酋長rdquo

54) 明史 卷205 廣西土司傳 ldquo帝命俱置屯田给耕 寻遣中使至桂林等府市牛给

南丹奉议诸卫军士rdquo

55) 太祖實錄 卷247 洪武 29年 10月 甲午條 ldquo安定卫酋长塔孩虎都鲁 來朝貢馬

四十疋 先是 上遣行人陈诚立撤里畏兀兒 爲安定卫錫 以印章 以塔孩虎都鲁等指

挥千百户 至是诚歸 塔孩虎都鲁随誠入贡上嘉其慕義 厚赉之 復命中使赍金币往

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五十兩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9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 때 황제의 이목으로서 환관을 활용하였던 것

이다

태조는 명왕조를 창건하기 이전 자신의 세력을 키워가는 과정에서

많은 부하들을 양자로 삼아 그들을 활용하였다 이들에게 여러 장수들

의 군대를 감독하게 함으로써 장수들의 배반을 사전에 막고 안전하게

통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태조가 처음 기병했을 때 많은 양자를 두

었는데 이들을 장수와 함께 여러 路를 지키도록 했다 이를 테면 周舍

를 鎭江에 道舍를 寧國에 馬兒를 婺州에 柴舍眞童을 處州에 金剛

奴를 衢州에 보내어 지키도록 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주원장의 양자들

이었다56) 양자를 심복으로 삼아 그들을 기용하여 군대를 감독하게 하

였던 것이다

이들에게 감군하는 권한을 허락한 것은 태조가 왕조를 창업하는 과

정에서 군권 장악이 최후 승자가 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고 생

각하여 취한 조처였던 것이다

그런데 왕조를 개창한 후에는 양자보다는 환관을 신임하고 그들을

군부대에 파견하였다 홍무 원년(1368) 9월에 北征에 힘쓴 將士들에게

음식을 베풀어 주면서 위로한 일이 있는데 이 때 환관 奉御를 北平에

파견하여 이 일을 담당하도록 하였다57) 홍무 9년(1376) 8월에는 환관

趙成을 군부대에 파견하여 그곳의 관리를 불러들였다 내용인즉 홍무

9년 西番의 多爾濟巴가 부락민을 이끌고 명에 귀순하여 오자 태조는

熊鼎을 岐寧衛 經歷으로 삼아 그곳을 다스리도록 하였다 웅정은 임지

에 도착한 후 귀순부대들이 거짓으로 항복했다는 것을 알고 그 사실

을 비밀리 조정에 보고하였다 태조는 그 소식을 듣고 먼저 웅정을 위

로한 후 환관 조성을 군부대에 보내어 웅정을 경사로 불러들였던 것

이다58)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환관 吳誠을 총병지휘 楊仲名에게

56) 明史 卷134 夏文輝傳 ldquo太祖初起 多蓄義子 及长命偕诸将分守诸路 周舍

守镇江 道舍守宁国 马兒守婺州 柴舍真童守处州 金刚奴守衢州 皆义子也rdquo

57) 太祖實錄 卷35 洪武 元年 9月 乙卯條 ldquo上遣中使奉御等官 至北平 犒北征將

士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0보내어 전반적인 계획과 책략을 살피도록 하였고59) 11월에는 總兵官

辰主指揮 楊仲名이 五開蠻의 반란을 평정하자 태조가 內臣 尙履奉御

呂玉을 楊仲名에게 보내어 그 군대를 검열하고 위로하게 하였다60) 홍

무 27년(1394)에는 환관을 陝西都指揮使司에게 보내어 將士들을 훈련

하게 하였고 魏國公 徐輝祖으로 하여금 섬서 연변지역을 다스리게 하

였다61)

이러한 예들은 환관이 감군으로서 군영에 파견되어 군정을 순시하

고 살피는 일을 한 사례들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태조는 환관이 군의 정황을 살피는 일 이상의 업무에는 참

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 점은 唐代의 환관들과 다른 점으로 당대

에는 환관의 감군이 정치참여로 나타났지만 태조는 환관이 국가중추

기관의 기밀을 획책하는 일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62) 그

렇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기능은 장차 환관의 위력이 점점 강해지는 결

과를 낳았음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셋째 태조는 환관을 각종 경제활동에도 참여시켰다

태조 때에 환관은 경제활동에도 빈번히 참여하였는데 최초의 예로

서는 홍무 8년(1375) 5월 태조가 환관 趙成을 河州에 보내어 거기서

말을 교역해 오도록 한 일이다 태조가 茶馬司를 설치 한 후 조정에서

는 西番에 말을 사들이는 교역장을 마련하였는데63) 서번은 본래 말의

58) 明通鑑 卷6 洪武 9年 8月條 이때에 옹정이 경사로 돌아가자 번인들이 반

란을 일으켰다고 한다

59)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0月 戊申條 ldquo遣內臣 吳誠詣總兵官指揮楊仲名行

營觀方略rdquo

60) 太祖實錄 卷121 洪武 11年 11月 庚午朔條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1

月 庚午條 ldquo五開蠻平 內臣 尙履奉御 呂玉勞指揮楊仲名rdquo 明通鑑 卷6 洪武12

年 11月條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61) 太祖實錄 卷234 洪武 27년 9月條

62) 田禾 明太祖嚴馭宦官試析 (社會科學戰線 1997-4期 1997) pp162-163

63) 茶马司는 洪武 5년1372)2月에 秦州에 처음 설치되었다 그 후 洪武 7년

(1374)다시 河州에 차마사를 설치하고 이어 또 洮州 등지에 차마사를 두었

다 이들은 四川 漢中 湖南 등지의 차와 서북 유목지역에서 나는 말을 교역하

는 임무를 띠고 있었는데 藏族지구의 말을 사들이는 일이 주된 일이었다 그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1산지였기 때문이었다 서번 사람들은 말을 가지고 와서 중국의 문물을

구입하여 갔다

그런데 서번인들의 생활용품과 중국의 용품과는 달랐고 명초에 지

폐인 보초가 발행 된 이후에는 번인들이 사용하는 화폐와 달라 말의

교역량이 줄어들게 되었다 태조는 이것을 염려하여 궁중 환관 趙成을

파견하여 말 교역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조성은 여러 종류의 비단과 사천 지방의 茶葉을 가지고 가서 말을

사오는 방책을 취하였다 조성의 노력으로 河州 수장은 서번 사람들을

위무하고 선대하면서 互市를 열었기에 점차 많은 말을 사들여 올 수

있었는데 이후 차마 무역은 점차 활발해졌던 것이다64)

또 홍무10년(1377) 3월 호부는 징세 업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곳이 178처나 있음을 알고 환관 국자감생 호부의 관원 등 각 부문에

서 각각 1명씩 차출하여 정밀 조사하기를 태조에게 주청하였다 세금

징수 업무를 담당하는 稅課司에서 할당한 세금이 제대로 걷히지 않자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환관과 국자감생들을 보내어 조사하도록 주청한

것이다 이때의 주청에 대하여 lsquo從之rsquo65)라 한 것을 보면 태조가 그것을

승인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환관이 징세 업무에도 간여하였음

을 보여주고 있는 좋은 사례인 것이다

그 외에도 홍무 16년(1383) 9월 태조는 內使 梁珉으로 하여금 돈을

가지고 琉球로 가서 말을 사들여 오도록 하였고66) 홍무 25년(1392) 3

월에는 尙膳太监 而聶과 司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소관

의 번족에게 보내어 거기서 말을 사들여오도록 하였다67) 이 때 서북

러므로 회족이 운거하고 있는 河州는 명대 茶馬互市의 중심지였다

6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5

65) 太祖實錄 卷111 洪武 10年 3月 甲申條 ldquo户部奏天下税课司局征商不如额者

一百七十八处 宜请遣中官国子生及部委官各一人往覈其實立爲定額從之rdquo

66) 太祖實錄 卷156 洪武 16年 9月 己未條 ldquo內官梁珉以貨幣往琉球易马還得马

九百八十三匹rdquo

67) 太祖實錄 卷217 洪武 25年 3月 己丑條 ldquo遣尙膳太监 而聶司禮太監 慶童

賚敕往諭陝西河州等衛所屬番族 令其輸馬 以茶給之rdquo 弇山堂別集 卷90 中官

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당시 尙膳太监 而聶과 司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2쪽의 번족으로부터 말을 사들이는 데는 중국차로서 대가를 지불하였

다 이 때 사들인 말이 10340여필에 이르고 교역한 차엽은 30여만 근

에 달하였다고 하며 구입한 말은 河南 山西 陝西의 衛所에 배치되었

던 것이다68)

넷째 환관을 민간 정보 수집요원으로 활용하였다

새로운 왕조가 성립되었다고 하지만 언제 어떻게 몽골족이 반격하

여 올지 모르고 또한 명조의 신 정권에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다시 왕조를 전복할지도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정보 수집을 중히 여기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

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錦衣衛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금의위를 운영하면서도 태조는 자신의 정권을 보전하기 위

해 환관에게 문무백관을 감시하는 권한을 맡겨 정보를 수집하였다 홍

무 12년(1379) 9월에 占城國 국왕 阿答阿者가 그 신하 陽須文旦을 파

견하여 황제에 올리는 상서와 함께 코끼리말방물 등을 진헌한 일

이 있었는데 중서성 신하는 이것을 제때에 보고하지 못하였으나 內臣

(환관)이 외출하였다가 그 사신을 만나 점성국 사신이 왔다는 정보를

얻어 그 사실을 태조에게 알렸다 태조는 환관의 정보 제공으로 곧바

로 점성국의 사신을 불러 접견할 수 있었는데 이 때 태조는 ldquo상하의

의사소통이 꽉 막히기가 여기까지 이르렀구나rdquo고 하며 탄식하며 중서

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번족에 보내어 말을 사들인 사실은 lsquo교역rsquo

이라는 경제 활동의 성격과 lsquo군마 구입과 배치rsquo라는 군사적 성격을 동시에 지

니고 있는 활동이기도 하다

68)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 ldquo尙膳太监 而聶等至河

州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於是得馬萬三千四十餘疋 以茶三十餘萬斤給之 諸族大悅 而聶遣使入奏

命以馬分给河南山西陕西卫所骑士rdquo이라 하여 교역된 마필과 차엽의 양이

언급되어 있고 당시 구매된 말이 어디로 배치되어 있는가 하는 내용이 더 언

급되어 있다 다만 같은 내용의 기사가 太祖實錄에는 洪武 25년 3月 기사로

弇山堂別集에는 2月 기사로 되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3성 관료들을 질책하자 승상 胡惟庸 汪廣洋 등 중서성의 신하들이 모

두 고개를 땅에 대고 사죄하였다고 한다69)

환관들은 황제의 이목이 되어 황제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황제와 환관들은 자연히 신뢰관계가 형성되었다 황제는

이러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환관에게 특별한 임무를 부여하였던 것

이다 특별한 임무란 황제가 직접 접할 수 없는 궁성 밖의 정세나 관

료의 동향을 알아내는 첩보 활동이었으며 京師의 禁軍도 그들의 감시

대상이었던 것이다

다섯째 환관은 친왕의 왕부에 특사로서 파견되기도 하였다 홍무 12

년(1279) 3월에 환관 陳京을 桂林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靖康王 朱守

謙에게 파견하여 황제의 유지를 전달하게 하였고 홍무 26년(1393) 2월

에 藍玉의 모반 사건이 일어났을 때 3월에 太原의 晉王 朱楓에게 사

람을 보내어 남옥의 모반 사건과 관련되어 있는 집안의 가정과 노비들

을 제거하고 재산을 몰수하라는 유지를 내렸는데 이때에 칙유를 가지

고 간 사람이 환관 而聶과 부마 梅殷였다70)

이를 보면 친왕들에게 유지를 전하는 데 환관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그렇기에 태조는祖訓錄에서

무릇 친왕이 과오를 저지르면 重한 경우 내사 감관으로 하여금 왕을

불러오게 하고 세 차례나 불러도 오지 않으면 다시 流官(황제가 임명한

관리)을 보내되 내관과 함께 동행을 하여 그를 경사로 불러들이도록 한

다71)

69) 太祖實錄 卷126 洪武 12年 9月 戊午條 ldquo占城國王 王阿答阿者遣其臣陽須文

旦進表及象馬方物中书省臣不以時奏 內臣因出外見其使者以聞 上亟召使者見之

嘆曰 壅蔽之害乃至此哉 因敕責省臣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丞相胡惟庸汪廣洋等 皆叩頭謝罪rdquo

70) 王德金 앞의 논문 朱元璋馭宦之析 pp41-42

71) 祖訓錄 法律 ldquo凡親王有過 重者 遣內使監官宣召 如三次不至 再遣流官 同監

官召之至京rdquo 태조가 창업군주로서 자손들에게 훈유를 내려 그것을 영구히 지

키도록 하기 위해 지은 책이 祖訓錄이다 太祖實錄 洪武 2年 4月 乙亥條에

ldquo詔中書編祖訓錄rdquo이라는 것을 보아 이때부터 편찬이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洪武 6年 5月에 완성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箴戒持守严祭祀谨出入慎

国政禮仪法律内令内官职制兵卫营缮供用 등 13 항목으로 되어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4

라고 규정함으로써 친왕이 문제가 있을 때에는 환관이 먼저 파견되었

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을 보면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들의 발호를 억제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정치적 현실에

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차마 무역의 담당

자로 호군 및 군대 감독자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

년 승상제가 폐지되면서 그들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

겠다 이로 인하여 환관의 권위는 점 점 높이지고 세력은 확대되어 갔

던 것이다

3 宦官數의 增大와 機構의 擴大

홍무 초년에는 태조가 환관을 통제했기에 당시의 환관들이 아직 자

금성 안에서 주로 복무했다고 한다면 그의 통치 중후기에는 환관들

이 궁궐 밖으로 나가 여러 임무를 띠고 초기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였다 태조는 이런 변화가 그렇게 나쁘다고 여기지 않았고 도리어

그들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도움이 된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리하여 태조시기에 환관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환관 기구도 확대

되어 갔다 홍무 2년 규정에는 내사감 봉어 60인 기타 각 각 사소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까지 합쳐 총수는 100명에 불과하였다72) 그러나

홍무 15년(1382)에는 환관 361인을 증설하였다73) 이것은 홍무 15년에

증가된 기록으로 당시 기존의 환관을 합치면 거의 수백 명의 환관이

있으며 태조 자신이 서문을 지었다 太祖實錄 28年 閏 9月 庚寅條에 의하면

이 때 祖訓錄을 거듭 정하여 皇明祖訓이라 명명하였다

72)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 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定置內

使監 奉御六十人 尙寶 一人 尙冠七人 尙衣 十人 尙佩九人 尙藥七人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東宮

後門 宮左宮右門 各設門正一人 副一人rdquo

73) 太祖實錄 卷149 洪武 15年 10月 丙戌條 ldquo增設內使三百六十一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5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명조는 수시로

주변 여러 나라에 엄인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사실로 홍무 24년(1391)에 태조는 환관 韓龍 黃禿蠻 등을

고려에 보내어 말 1만 필을 사오도록 하면서 閹人 200여명을 요구하였

다74) 그리고 安南國에서도 끊이지 않고 엄인들을 진공하였는데 매번

수십 명 씩 바쳤던 것이다75) 명조는 사방에 엄인을 요구하였는데 특

히 고려와 안남은 당시 엄인을 진공하는 주요 나라가 되었다76)

이리하여 환관의 수가 부단히 증가하였고 태조도 역시 환관을 심복

중의 심복으로 삼으면서 그들을 신뢰하고 있었다 이에 홍무 17년

(1384) 어느 날 대도독부 겸 국자감을 관할하고 있던 李文忠은 태조에

게 환관이 너무 많으니 그 숫자를 줄여할 것을 건의하였다

ldquo內臣이 너무 많습니다 마땅히 좀 줄이셔야 합니다rdquo라고 이문충이 건

의 하자 태조는 이를 듣고 대노 하여 ldquo자네가 나의 오른쪽 날개를 약화

시키려 하는데 그것은 무슨 의도인가 이것은 분명히 문객들이 시켰을

것이다rdquo라고 말하면서 결국 사람을 보내어 이문충의 문객을 전부 살해하

였다77)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일로 인하여 이문충은 병들어 죽게 되었는

데 이 때 이미 환관은 그 수가 적어서는 안 되는 대상이 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4) 太祖實錄 卷208 洪武 24年 3月 己丑條 ldquo詔於高麗市馬一萬疋 幷索閹人二百

人rdquo 高麗史 恭讓王 3년 辛未年條

75)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6

76) 환관의 공급원은 본래 宮刑에 처해진 죄인들이었지만 隋代 이후 궁형이 폐지

된 후부터는 ① 적의 포로 ② 외국으로부터의 進貢者 또는 변방 지역의 進獻

者 ③ 특별한 사정으로 궁형에 처해진 죄인 ④ 自宮者 곧 지원자 또는 부모의

명령으로 거세된 準自宮者 등이 있다

77) 弇山堂別集 卷20 史乘考誤 1 ldquo一日勸上内臣太多宜稍裁省 上大怒 謂若

欲弱吾羽翼何 意此必门客教之 因盡殺客 文忠驚悸得疾暴卒 上發悲 怒殺諸醫及

文忠侍者百人rdquo 이 기사는 어느 때의 기사인지 나와 있지 않아 잘 알 수 없으

나 이것은 李文忠(1339mdash1384)이 죽은 해에 발생한 사건이므로 洪武 17년

(1384)의 사건으로 볼 수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6환관의 기구 역시 확대되어 갔다 환관의 부서와 직무는 吳 원년

(1367)에 lsquo內史監rsquo이 설치된 이후 인원의 증대와 기구 관리를 위해 조

직이 신설 분리되어 가면서 확대되어 갔는데 홍무 17년(1384)에 9監

2庫 6局 체제가 되었다78) 이것은 명대 환관의 기구인 24아문(12감 4

사 8국)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어 홍무 28년(1395)에 11감 4사 9국으로

정비되어 24아문의 기구가 거의 완비되었던 것이다79) 홍무 30년(1397)

환관 조직은 12감8국4사의 24아문의 규모가 되었고 명왕조 환관

조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황종희가 말하고 있듯이 ldquo명조에 善治가

없었던 것은 태조가 재상을 폐지하면서부터이다 저 宮奴들이 재상의

정치가 땅에 떨어져 수습될 수 없음을 알고 여러 규칙과 조목을 세우

고 직무를 늘렸으며 생살권과 상벌권 등 재상으로부터 나오던 것이

이제 모두 환관들에게 돌아갔도다 (중략) 그러므로 궁노들이 재상처럼

된 것은 승상제를 폐지한 데서 온 커다란 과오이다rdquo80) 라고 하면서

환관의 발호는 재상의 폐지로 인한 것이며 이것은 명대 정치의 큰

폐단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로 재상 없는 군주 독재 지배체제에서 황제 한 사람에 의한 통치

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매일 황제 곁에 있는 환관

중 신뢰하는 환관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태조도 자신도 모르게 환관을 신뢰하고 그들을 중용을 하였으니 이념

적으로 ldquo내신은 정사에 관여하지 못한다rdquo 라는 규정을 내세우면서도

78)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九監은 内官监 神宫监 尚寶监 尚衣监 尚膳监 司

设监 司礼监 御马监 直殿监이고 二庫는 内承运库司鑰库이며 六局은 巾帽局

针工局 织染局 颜料局 司苑局 司牧局을 말한다

79) 위와 같음 十二監은 神宫监 尚寶监 孝陵神宮監 尚膳监 尚衣监 司设监 内官

监 司禮監 御马监 印綬監 直殿监이고 四司는 惜薪司 钟鼓司寶钞司 混堂司이

며 9局庫는 兵仗局 織染局 针工局 巾帽局 司苑局 酒醋麵局 內乘運庫 司鑰庫

內府供用庫인데 이것들은 후에 24아문으로 발전하였다

80) 黄宗羲 明夷待訪錄 置相 ldquo有明之无善治 自高皇帝罢丞相始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彼宫奴

者见宰相之政事坠地不收从而设为科条增其职掌 生杀予夺 出自宰相者 次

第而尽归焉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故使宫奴有宰相之实 则罢丞相之过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14: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2을 발하였다 그 금령은 ldquo內臣不得干預政事 犯者斬rdquo이라 하여 lsquo환관으

로서 정사에 간여하는 사람은 참수형에 처한다rsquo는 것이다 약 석자 크

기의 鐵牌를 주조하여 거기에 이 lsquo11자rsquo를 새겨 궁문 앞에 세워 두었

다34) 철폐를 제조하여 궁문 앞에 세워두었다는 것은 가장 극렬한 환

관 통제 방책의 하나로 상징성이 가장 큰 통제 방법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이 규정은 환관들로 하여금 조정의 일에 간여할 수 없게 만들

었을 뿐 아니라 명초 환관의 권력을 중국 역사상 가장 밑바닥에 처하

게 만들었던 것이다

또한 환관은 공문서를 가지고 외정을 드나들 수 없게 하였으며35)

이러한 제한으로 인해 자연히 환관은 궁정에 있는 관료들과 사귀어 정

사를 어지럽힐 수 있는 기회를 갖기가 어려웠다

생각해 보면 신왕조를 창업한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들이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왕조 창업 후 심복으로서 환관들을 활용하

지 않을 수 없었다 그렇기에 태조는 환관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그들

의 세력을 제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던 것이다

그 주된 내용은 다음의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겠다

① 환관과 외신과의 쌍방에 의한 정보교환 문서 왕래를 금한다

② 환관은 조정 관리를 겸무하는 일과 외신의 관복을 착용하는 것을

금한다

③ 4품 이상의 품계에 오르는 것을 금한다

④ 환관의 봉급은 매월 백미 1석으로 하고 후궁 내에서 생활하며 지낸

⑤ 환관에게 글을 가르치는 것을 엄금한다

태조는 이상과 같이 환관의 세력이 성장하지 못하도록 갖가지 규제

를 강구하고 나아가 환관 규제를 위한 철패를 제조하여 궁문에 세워

34)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十七年 鑄铁牌文曰 内臣不得干预政事犯

者斩 置宮門 又勅諸司 毋得與內官監文移往來rdquo

35)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洪武十七年hellip又勅諸司 毋得與內官監文移往來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3두었는데 이것은 태조의 환관 통제 정책 중 가장 대표적이고 상징적

인 징표가 되었다 하지만 한편 극단적인 제약이 도리어 환관이 신성

한 황제의 힘을 등지고 세력을 휘두르는 화근을 배태하였던 것이다

Ⅲ 國初 政治的 現實과 宦官 抑制의 限界

1 太祖期의 政治的 現實

한 당 시대의 환관 전권의 사실과 폐해를 잘 알고 극력 환관의 세

력을 억압하려는 태조 앞에 닥친 정치적 현실은 어떠하였는가

새로이 명왕조를 세운 태조는 먼저 관계의 기강문제에 지대한 관심

을 가지고 있었다 새로운 왕조가 수립되었어도 기강이 해이해지면 전

왕조에 있었던 것과 같은 부패가 官界에 그대로 만연하게 될 것이고

그로 인하여 민심이 흉흉할 수도 있는 일이다 그렇게 되면 그 자체가

혁명의 발생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고 나아가 태조가 창건한 왕조

자체도 혁명의 객체로 부상할 수밖에 없는 일이다

그러므로 태조는 기강 확립 권신들의 전횡 견제 관리의 부정부패

방지 민심 동요 등을 경계하면서 정치사회의 안정과 중앙집권적 전

제지배체제의 확립을 꾀하였다36)

현실적으로 원 왕조가 몽골고원으로 퇴각되었다고 하지만 그들은

여전히 상당한 세력을 보유하면서 언제 어떻게 명조에 반격을 가해 올

지 모르기 때문에 결코 방심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또한 국내에서도

명조 정권에 대하여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있고 명조에

협력하지 않고 음으로 몽골 세력을 지지하면서 농민출신의 태조 및 그

정권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우까지 있었다 또한 일단 명조 정권에 협

력하고 있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반드시 본심에서 우러난 것인지 확실

36) 全淳東 明王朝成立史硏究 pp194-204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4히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태조는 황제를 중심으로

하는 강력한 중앙집권적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

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

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금의위

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였다37)

금의위라는 특무기구는 본래 황제의 거동과 행렬을 시위하는 데 불

과였으나 이것이 특무 기관으로서 기능을 갖게 된 것은 호유용의 옥사

사건 이후 정보 수집과 감시체제를 강화할 때인 홍무 15년(1382년) 금

의위의 기구가 개혁된 결과이다 이후에 금의위는 정치상의 음모를 기

도하는 행위나 반체제적인 종교비밀 결사 등을 감시하는 기능을 가지

게 되었다 곧 금의위는 황제 행렬의 시위 외에 순찰을 돌면서 체포하

는 권한까지 지니게 되었던 것이다 이들은 정보를 수집하고 감시 적

발하며 사법권에까지 개입하였던 것이다38)

하지만 국초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

의 옥을 일으키며 시의심이 강하였던 주원장은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

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많은 사가들은 명사 환관 열전의 서문에 나타나 있는 ldquo盖明世宦官

出使专徵监军分镇刺臣民隐事诸大权皆自永乐间始rdquo(명대 환관

의 출사 징세 감군 분진 신민의 은밀한 일 정탐 등의 권리는 모두

영락 연간부터 시작되었다)39) 라는 기사라든지 明史 職官志에 나타

난 ldquo顾中官四出 实始永乐时 元年 李兴等赍敕劳暹罗国王 此奉使外国之

始也rdquo(돌이켜 보면 환관의 파견은 영락제 때에 처음 실시하였다 영락

37) 山根幸夫 明帝國の形成と發展 (ゆらぐ中華帝國 11 筑摩書房 1961)

pp41-42

38) 錦衣衛의 전신은 1367년에 설립된 拱衛司로서 대도독부에 예속되어 있었는

데 洪武 3년(1370) 親軍都尉府로 개칭하고 도독부로부터 독립하여 운영하였다

39) 明史 卷304 宦官1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5원년 이흥 등을 태국의 국왕에게 보내어 위로한 것이 환관을 외국에

보낸 것의 처음이다)40) 라는 기사를 인용하여 환관 중용의 책임이 영

락제에 있는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살펴보면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

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시 경제적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2 宦官 抑制의 限界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은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국초

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의 옥을 일으

키는 등 누구보다 시의심이 강하였던 태조는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

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심복인 환관들을 억

제하기보다는 그들을 측근으로 하여 저제군주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했다 그리하여 태조는 환관들과의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외부로 나가

는 출사 군대 감시 경제적인 활동 정보 수집 등의 일을 맡겼던 것이

첫째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관계를 원만히 하려 하였다41)

환관의 외국 출사의 예는 이미 홍무 2년에 보이고 있다 홍무 2년

(1369) 4월에 고려출신 환관 金丽渊을 고려에 파견하여 중국에 머물고

있는 高麗 流寓民 160여명을 고려에 돌려보낸 일이 있다 ldquo遣內臣 送

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書賜其王rdquo42)이라는 기사가 그것이다 이 기사

40)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41) 환관이 사신으로 나가는 경우는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외

국 사신으로 나가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변경 지역의 왕부나 주변 소수 민족

집단에 나가 황제의 명을 전하고 일을 처리하는 것이다

42)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丑朔 ldquo遣內臣 送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6를 더 읽어가 보면 그 때 중국인으로서 고려에 머물러 있는 유민들이

약 160여명이 있었는데 이 때 환관 金麗淵을 보내서 그들을 고려에

돌려보내었던 것이다43) 이 사실은 高麗史에도 ldquo己酉 18년 6월 丙寅

일에 황제가 환관 金麗淵을 파견하여 칙서를 전했다rdquo44)라고 하고 있어

당시 고려와 명과의 외교관계를 엿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명조의 환

관이 외교 사절단으로 나간 최초의 예라 할 수 있다

그리고 耽羅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는데 홍무 22년(1389) 4월 ldquo옛 원

나라의 제왕 중 명조에 귀부한 자는 탐라국에 거처하도록 하였으며

더욱이 그곳에 환관을 보내어 그들이 머물 집을 지어 주고 그곳에서

거처하도록 하였다rdquo45)라고 한 것을 보면 귀부한 元의 諸王들을 제주도

에 보내어 머물게 하면서 이 때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었던 것이다

安南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1년(1378) 정월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安南國에 파견하여 국왕 陳煓의 喪을 조문하였다 당시 안남국

왕 陳煓이 죽었는데 그의 동생 陳煒가 사신 陳建璨阮士諤을 명에 보

내어 안남국왕이 죽었음을 알려오자 이미 서로 교류가 있던 차였기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안남에 파견하여 문상하도록 하고 비단도 함께 보

내었던 것이다46)

書賜其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其間有高麗流寓者百六十餘人 朕念其人豈無鄕里骨肉之思 故令有

司遣使護送東歸rdquo

43) 洪武時期에 명과 고려 사이에 여러 차례 사절의 왕래가 있었다 홍무 2년

(1369) 4月부터 홍무 29년(1396) 6月까지 모두 22차례에 걸쳐 사신이 고려와

조선에 파견되었는데 사신의 이름이 파악된 사람이 43명(환관 25인 문신 11

인 무관 7인)이다 그중 정사로 고려조선에 출사한 사람이 21명인데 그 중

환관이 11인이고 문관이 4인이며 무관이 6인이다 이를 보면 많은 환관이 사

신으로서 고려조선에 파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환관은 대개 고려나 조

선 출신의 환관이었다 고려 조선 출신 25명의 환관 중 金丽渊黄永奇金仁

甫崔渊 등은 유명한 환관이다(李新峰 明前期赴朝鲜使臣丛考 明清论丛 第4辑 紫禁城出版社2003 참고)

44) 高麗史 卷132 恭愍王 己酉 18年 6月 丙寅條 ldquo皇帝遣宦者金麗淵致書rdquo 이

기사에는 이 때 귀환한 자가 165인으로 기록되어 있다

45) 太祖實錄 卷196 洪武 22年 4月 甲寅條 ldquo詔故元諸王來降者俾居耽羅國 且遣

中使往諭其國 爲造廬舍處之rdquo

46) 太祖實錄 卷117 洪武 11年 正月 ldquo是月 安南陳煓弟煒遣其臣陳建璨阮士諤來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7琉球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6년(1383) 정월 태조는 內使監 监

丞 梁民과 尚佩监 奉御 路謙 등을 琉球에 파견하여 中山王 察度에게

鍍金銀印과 고급비단을 하사한 일이 있다47) 같은 해 9월 琉球에서 내

란이 발생하였을 때에 태조는 监丞 梁玟을 보내어 전쟁을 중단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당시 中山王 山南王 山北王이 서로 자웅

을 겨루며 싸우고 있었는데 이때 내사감승 梁民에게 칙서를 보내어

싸움을 그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칙유를 보내었던 것이며 이들 모두

태조의 칙유를 받아들였던 것이다48)

眞臘國(캄보디아) 暹羅斛國(태국)에도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사무를 보게 하였다 홍무19년(1386) 9월에 行人 劉敏 唐敬 등을 환관

들과 함께 眞臘國에 보내었는데 이 때 磁器를 가지고 가서 하사토록

했고49) 홍무 28년(1395) 12월에는 환관 趙達과 朱福 등을 暹羅斛國(태

국)에 보내어 사망한 왕 參烈寶毘嗯哩哆嗦祿을 조문하고 후사인 蘇門

邦 昭祿群膺에게 비단과 모직물을 하사하였던 것이다50)

이상의 예들은 환관이 이미 태조시기에 황제의 명을 받고 외국의

사신으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수행한 사례들이다

태조가 환관을 변경 지역에 파견한 사실도 여러 곳에 보이고 있다

告煓卒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遣中使陳能至其國弔祭rdquo 國榷 卷6 洪武 11년 正月 ldquo是月 安南

陳煓弟煒遣使告哀 命中使陳能弔祭rdquo

47) 太祖實錄 卷151 洪武 16年 正月 丁未條

48) 明史 卷323 琉球傳 ldquo時二王與山北王爭雄 互相攻伐 命내內使監丞梁玟賜

之勅 令罷兵息民 三王并奉命rdquo 당시 琉球는 中山王(察度) 山南王(承察度) 山北

王(帕尼芝) 등 3세력이 대립하고 있었다

49) 太祖實錄 卷179 洪武 19年 9月 癸未條 ldquo遣行人劉敏唐敬偕內使賚磁器往賜

眞臘等國rdquo

50) 太祖實錄 卷243 洪武 28年 12月 戊午條 ldquo詔遣內使 趙達 朱福等 使暹羅斛

國 祭故王參烈寶毘嗯哩哆嗦祿 賜嗣王蘇門邦昭祿群膺 文綺四疋羅四疋 氁絲布四

十疋rdquo 明史 卷324 暹羅傳에도 같은 내용이 보이고 있다 ldquo二十八年 昭禄群

膺遣使朝贡 且告父丧 命中官赵达等往祭 敕世子嗣王位 赐赉有加rdquo (昭祿群膺이

사신을 파견하여 조공하고 또 부친의 상을 고하였다 이에 환관 조달 등으로

하여금 섬라에 가서 조문하도록 하고 세자가 왕위를 이어받도록 하였으며 더

불어 하사품을 곁들였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8홍무 2년(1369) 4월 원 승상 納哈出에게 편지를 보내 通交를 요구할

때 內臣을 파견하여 우호를 증진하였다51)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태조가 붙잡힌 원나라의 평장 完者不花를 돌려보내는데 환관을 시켜

돌려보내었다52) 홍무 14년(1381) 12월에는 환관을 파견하여 乌蒙(지금

의 운남성의 昭通)乌撤(지금의 운남성의 镇雄귀주성의 威宁)의 여

러 추장들에게 조칙을 발하였다53) 홍무 29년(1396) 6월에는 중사(환

관)를 桂林 등지의 府市에 보내어 南丹 奉儀 등의 衛所의 둔전 군사

들에게 밭가는 소를 지급해 주도록 하였다54) 동년 10월에 安定衛의

酋长 塔孩虎都鲁가 명에 와서 말 40필을 공물로 바친 일이 있는데 안

정위의 추장이 공물을 바친 것은 태조가 行人 陳誠으로 하여금 그곳에

다시 安定衛를 세우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었으며 이때에

ldquo復命中使赍金币往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

五十兩rdquo이라 하여 환관을 보내어 추장에게 옷과 비단 및 금품을 하사

하였던 것이다55)

이상의 기록들을 보면 태조시기에 환관이 여러 차례 변경 지역에

파견되어 변경 지역의 중대 업무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환관에게 지방 군대를 감독하거나 때로 군을 지휘하는 특수

임무를 맡겼다 태조는 외지 변경 지역의 장수들을 엄격히 통제하지

51)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亥條 ldquo玆 因遣使通元君 道經營壘望 令人送

達 所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國榷 卷3 太祖洪武 2年 4月 乙亥

條 ldquo又諭元臣納哈出書曰將軍昔自江左辭還 不通問十五年矣 近聞戍守遼陽 士馬

强 玆因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52) 太祖實錄 卷120 洪武11年 10月條 ldquo山西邊將遣人送所獲故元平章完者不花至

京師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朕怒邊將以爲方遣使通好乃執其平章豈不失信於卿 今特遣內臣送之 抵

丞相營 宥之罪之放 遂之 卿自爲區處rdquo

53) 太祖實錄 卷140 洪武 14年 12月 辛未條 ldquo遣內臣 賚敕諭鳥蒙鳥撤諸酋長rdquo

54) 明史 卷205 廣西土司傳 ldquo帝命俱置屯田给耕 寻遣中使至桂林等府市牛给

南丹奉议诸卫军士rdquo

55) 太祖實錄 卷247 洪武 29年 10月 甲午條 ldquo安定卫酋长塔孩虎都鲁 來朝貢馬

四十疋 先是 上遣行人陈诚立撤里畏兀兒 爲安定卫錫 以印章 以塔孩虎都鲁等指

挥千百户 至是诚歸 塔孩虎都鲁随誠入贡上嘉其慕義 厚赉之 復命中使赍金币往

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五十兩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9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 때 황제의 이목으로서 환관을 활용하였던 것

이다

태조는 명왕조를 창건하기 이전 자신의 세력을 키워가는 과정에서

많은 부하들을 양자로 삼아 그들을 활용하였다 이들에게 여러 장수들

의 군대를 감독하게 함으로써 장수들의 배반을 사전에 막고 안전하게

통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태조가 처음 기병했을 때 많은 양자를 두

었는데 이들을 장수와 함께 여러 路를 지키도록 했다 이를 테면 周舍

를 鎭江에 道舍를 寧國에 馬兒를 婺州에 柴舍眞童을 處州에 金剛

奴를 衢州에 보내어 지키도록 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주원장의 양자들

이었다56) 양자를 심복으로 삼아 그들을 기용하여 군대를 감독하게 하

였던 것이다

이들에게 감군하는 권한을 허락한 것은 태조가 왕조를 창업하는 과

정에서 군권 장악이 최후 승자가 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고 생

각하여 취한 조처였던 것이다

그런데 왕조를 개창한 후에는 양자보다는 환관을 신임하고 그들을

군부대에 파견하였다 홍무 원년(1368) 9월에 北征에 힘쓴 將士들에게

음식을 베풀어 주면서 위로한 일이 있는데 이 때 환관 奉御를 北平에

파견하여 이 일을 담당하도록 하였다57) 홍무 9년(1376) 8월에는 환관

趙成을 군부대에 파견하여 그곳의 관리를 불러들였다 내용인즉 홍무

9년 西番의 多爾濟巴가 부락민을 이끌고 명에 귀순하여 오자 태조는

熊鼎을 岐寧衛 經歷으로 삼아 그곳을 다스리도록 하였다 웅정은 임지

에 도착한 후 귀순부대들이 거짓으로 항복했다는 것을 알고 그 사실

을 비밀리 조정에 보고하였다 태조는 그 소식을 듣고 먼저 웅정을 위

로한 후 환관 조성을 군부대에 보내어 웅정을 경사로 불러들였던 것

이다58)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환관 吳誠을 총병지휘 楊仲名에게

56) 明史 卷134 夏文輝傳 ldquo太祖初起 多蓄義子 及长命偕诸将分守诸路 周舍

守镇江 道舍守宁国 马兒守婺州 柴舍真童守处州 金刚奴守衢州 皆义子也rdquo

57) 太祖實錄 卷35 洪武 元年 9月 乙卯條 ldquo上遣中使奉御等官 至北平 犒北征將

士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0보내어 전반적인 계획과 책략을 살피도록 하였고59) 11월에는 總兵官

辰主指揮 楊仲名이 五開蠻의 반란을 평정하자 태조가 內臣 尙履奉御

呂玉을 楊仲名에게 보내어 그 군대를 검열하고 위로하게 하였다60) 홍

무 27년(1394)에는 환관을 陝西都指揮使司에게 보내어 將士들을 훈련

하게 하였고 魏國公 徐輝祖으로 하여금 섬서 연변지역을 다스리게 하

였다61)

이러한 예들은 환관이 감군으로서 군영에 파견되어 군정을 순시하

고 살피는 일을 한 사례들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태조는 환관이 군의 정황을 살피는 일 이상의 업무에는 참

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 점은 唐代의 환관들과 다른 점으로 당대

에는 환관의 감군이 정치참여로 나타났지만 태조는 환관이 국가중추

기관의 기밀을 획책하는 일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62) 그

렇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기능은 장차 환관의 위력이 점점 강해지는 결

과를 낳았음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셋째 태조는 환관을 각종 경제활동에도 참여시켰다

태조 때에 환관은 경제활동에도 빈번히 참여하였는데 최초의 예로

서는 홍무 8년(1375) 5월 태조가 환관 趙成을 河州에 보내어 거기서

말을 교역해 오도록 한 일이다 태조가 茶馬司를 설치 한 후 조정에서

는 西番에 말을 사들이는 교역장을 마련하였는데63) 서번은 본래 말의

58) 明通鑑 卷6 洪武 9年 8月條 이때에 옹정이 경사로 돌아가자 번인들이 반

란을 일으켰다고 한다

59)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0月 戊申條 ldquo遣內臣 吳誠詣總兵官指揮楊仲名行

營觀方略rdquo

60) 太祖實錄 卷121 洪武 11年 11月 庚午朔條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1

月 庚午條 ldquo五開蠻平 內臣 尙履奉御 呂玉勞指揮楊仲名rdquo 明通鑑 卷6 洪武12

年 11月條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61) 太祖實錄 卷234 洪武 27년 9月條

62) 田禾 明太祖嚴馭宦官試析 (社會科學戰線 1997-4期 1997) pp162-163

63) 茶马司는 洪武 5년1372)2月에 秦州에 처음 설치되었다 그 후 洪武 7년

(1374)다시 河州에 차마사를 설치하고 이어 또 洮州 등지에 차마사를 두었

다 이들은 四川 漢中 湖南 등지의 차와 서북 유목지역에서 나는 말을 교역하

는 임무를 띠고 있었는데 藏族지구의 말을 사들이는 일이 주된 일이었다 그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1산지였기 때문이었다 서번 사람들은 말을 가지고 와서 중국의 문물을

구입하여 갔다

그런데 서번인들의 생활용품과 중국의 용품과는 달랐고 명초에 지

폐인 보초가 발행 된 이후에는 번인들이 사용하는 화폐와 달라 말의

교역량이 줄어들게 되었다 태조는 이것을 염려하여 궁중 환관 趙成을

파견하여 말 교역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조성은 여러 종류의 비단과 사천 지방의 茶葉을 가지고 가서 말을

사오는 방책을 취하였다 조성의 노력으로 河州 수장은 서번 사람들을

위무하고 선대하면서 互市를 열었기에 점차 많은 말을 사들여 올 수

있었는데 이후 차마 무역은 점차 활발해졌던 것이다64)

또 홍무10년(1377) 3월 호부는 징세 업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곳이 178처나 있음을 알고 환관 국자감생 호부의 관원 등 각 부문에

서 각각 1명씩 차출하여 정밀 조사하기를 태조에게 주청하였다 세금

징수 업무를 담당하는 稅課司에서 할당한 세금이 제대로 걷히지 않자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환관과 국자감생들을 보내어 조사하도록 주청한

것이다 이때의 주청에 대하여 lsquo從之rsquo65)라 한 것을 보면 태조가 그것을

승인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환관이 징세 업무에도 간여하였음

을 보여주고 있는 좋은 사례인 것이다

그 외에도 홍무 16년(1383) 9월 태조는 內使 梁珉으로 하여금 돈을

가지고 琉球로 가서 말을 사들여 오도록 하였고66) 홍무 25년(1392) 3

월에는 尙膳太监 而聶과 司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소관

의 번족에게 보내어 거기서 말을 사들여오도록 하였다67) 이 때 서북

러므로 회족이 운거하고 있는 河州는 명대 茶馬互市의 중심지였다

6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5

65) 太祖實錄 卷111 洪武 10年 3月 甲申條 ldquo户部奏天下税课司局征商不如额者

一百七十八处 宜请遣中官国子生及部委官各一人往覈其實立爲定額從之rdquo

66) 太祖實錄 卷156 洪武 16年 9月 己未條 ldquo內官梁珉以貨幣往琉球易马還得马

九百八十三匹rdquo

67) 太祖實錄 卷217 洪武 25年 3月 己丑條 ldquo遣尙膳太监 而聶司禮太監 慶童

賚敕往諭陝西河州等衛所屬番族 令其輸馬 以茶給之rdquo 弇山堂別集 卷90 中官

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당시 尙膳太监 而聶과 司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2쪽의 번족으로부터 말을 사들이는 데는 중국차로서 대가를 지불하였

다 이 때 사들인 말이 10340여필에 이르고 교역한 차엽은 30여만 근

에 달하였다고 하며 구입한 말은 河南 山西 陝西의 衛所에 배치되었

던 것이다68)

넷째 환관을 민간 정보 수집요원으로 활용하였다

새로운 왕조가 성립되었다고 하지만 언제 어떻게 몽골족이 반격하

여 올지 모르고 또한 명조의 신 정권에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다시 왕조를 전복할지도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정보 수집을 중히 여기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

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錦衣衛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금의위를 운영하면서도 태조는 자신의 정권을 보전하기 위

해 환관에게 문무백관을 감시하는 권한을 맡겨 정보를 수집하였다 홍

무 12년(1379) 9월에 占城國 국왕 阿答阿者가 그 신하 陽須文旦을 파

견하여 황제에 올리는 상서와 함께 코끼리말방물 등을 진헌한 일

이 있었는데 중서성 신하는 이것을 제때에 보고하지 못하였으나 內臣

(환관)이 외출하였다가 그 사신을 만나 점성국 사신이 왔다는 정보를

얻어 그 사실을 태조에게 알렸다 태조는 환관의 정보 제공으로 곧바

로 점성국의 사신을 불러 접견할 수 있었는데 이 때 태조는 ldquo상하의

의사소통이 꽉 막히기가 여기까지 이르렀구나rdquo고 하며 탄식하며 중서

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번족에 보내어 말을 사들인 사실은 lsquo교역rsquo

이라는 경제 활동의 성격과 lsquo군마 구입과 배치rsquo라는 군사적 성격을 동시에 지

니고 있는 활동이기도 하다

68)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 ldquo尙膳太监 而聶等至河

州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於是得馬萬三千四十餘疋 以茶三十餘萬斤給之 諸族大悅 而聶遣使入奏

命以馬分给河南山西陕西卫所骑士rdquo이라 하여 교역된 마필과 차엽의 양이

언급되어 있고 당시 구매된 말이 어디로 배치되어 있는가 하는 내용이 더 언

급되어 있다 다만 같은 내용의 기사가 太祖實錄에는 洪武 25년 3月 기사로

弇山堂別集에는 2月 기사로 되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3성 관료들을 질책하자 승상 胡惟庸 汪廣洋 등 중서성의 신하들이 모

두 고개를 땅에 대고 사죄하였다고 한다69)

환관들은 황제의 이목이 되어 황제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황제와 환관들은 자연히 신뢰관계가 형성되었다 황제는

이러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환관에게 특별한 임무를 부여하였던 것

이다 특별한 임무란 황제가 직접 접할 수 없는 궁성 밖의 정세나 관

료의 동향을 알아내는 첩보 활동이었으며 京師의 禁軍도 그들의 감시

대상이었던 것이다

다섯째 환관은 친왕의 왕부에 특사로서 파견되기도 하였다 홍무 12

년(1279) 3월에 환관 陳京을 桂林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靖康王 朱守

謙에게 파견하여 황제의 유지를 전달하게 하였고 홍무 26년(1393) 2월

에 藍玉의 모반 사건이 일어났을 때 3월에 太原의 晉王 朱楓에게 사

람을 보내어 남옥의 모반 사건과 관련되어 있는 집안의 가정과 노비들

을 제거하고 재산을 몰수하라는 유지를 내렸는데 이때에 칙유를 가지

고 간 사람이 환관 而聶과 부마 梅殷였다70)

이를 보면 친왕들에게 유지를 전하는 데 환관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그렇기에 태조는祖訓錄에서

무릇 친왕이 과오를 저지르면 重한 경우 내사 감관으로 하여금 왕을

불러오게 하고 세 차례나 불러도 오지 않으면 다시 流官(황제가 임명한

관리)을 보내되 내관과 함께 동행을 하여 그를 경사로 불러들이도록 한

다71)

69) 太祖實錄 卷126 洪武 12年 9月 戊午條 ldquo占城國王 王阿答阿者遣其臣陽須文

旦進表及象馬方物中书省臣不以時奏 內臣因出外見其使者以聞 上亟召使者見之

嘆曰 壅蔽之害乃至此哉 因敕責省臣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丞相胡惟庸汪廣洋等 皆叩頭謝罪rdquo

70) 王德金 앞의 논문 朱元璋馭宦之析 pp41-42

71) 祖訓錄 法律 ldquo凡親王有過 重者 遣內使監官宣召 如三次不至 再遣流官 同監

官召之至京rdquo 태조가 창업군주로서 자손들에게 훈유를 내려 그것을 영구히 지

키도록 하기 위해 지은 책이 祖訓錄이다 太祖實錄 洪武 2年 4月 乙亥條에

ldquo詔中書編祖訓錄rdquo이라는 것을 보아 이때부터 편찬이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洪武 6年 5月에 완성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箴戒持守严祭祀谨出入慎

国政禮仪法律内令内官职制兵卫营缮供用 등 13 항목으로 되어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4

라고 규정함으로써 친왕이 문제가 있을 때에는 환관이 먼저 파견되었

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을 보면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들의 발호를 억제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정치적 현실에

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차마 무역의 담당

자로 호군 및 군대 감독자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

년 승상제가 폐지되면서 그들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

겠다 이로 인하여 환관의 권위는 점 점 높이지고 세력은 확대되어 갔

던 것이다

3 宦官數의 增大와 機構의 擴大

홍무 초년에는 태조가 환관을 통제했기에 당시의 환관들이 아직 자

금성 안에서 주로 복무했다고 한다면 그의 통치 중후기에는 환관들

이 궁궐 밖으로 나가 여러 임무를 띠고 초기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였다 태조는 이런 변화가 그렇게 나쁘다고 여기지 않았고 도리어

그들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도움이 된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리하여 태조시기에 환관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환관 기구도 확대

되어 갔다 홍무 2년 규정에는 내사감 봉어 60인 기타 각 각 사소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까지 합쳐 총수는 100명에 불과하였다72) 그러나

홍무 15년(1382)에는 환관 361인을 증설하였다73) 이것은 홍무 15년에

증가된 기록으로 당시 기존의 환관을 합치면 거의 수백 명의 환관이

있으며 태조 자신이 서문을 지었다 太祖實錄 28年 閏 9月 庚寅條에 의하면

이 때 祖訓錄을 거듭 정하여 皇明祖訓이라 명명하였다

72)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 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定置內

使監 奉御六十人 尙寶 一人 尙冠七人 尙衣 十人 尙佩九人 尙藥七人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東宮

後門 宮左宮右門 各設門正一人 副一人rdquo

73) 太祖實錄 卷149 洪武 15年 10月 丙戌條 ldquo增設內使三百六十一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5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명조는 수시로

주변 여러 나라에 엄인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사실로 홍무 24년(1391)에 태조는 환관 韓龍 黃禿蠻 등을

고려에 보내어 말 1만 필을 사오도록 하면서 閹人 200여명을 요구하였

다74) 그리고 安南國에서도 끊이지 않고 엄인들을 진공하였는데 매번

수십 명 씩 바쳤던 것이다75) 명조는 사방에 엄인을 요구하였는데 특

히 고려와 안남은 당시 엄인을 진공하는 주요 나라가 되었다76)

이리하여 환관의 수가 부단히 증가하였고 태조도 역시 환관을 심복

중의 심복으로 삼으면서 그들을 신뢰하고 있었다 이에 홍무 17년

(1384) 어느 날 대도독부 겸 국자감을 관할하고 있던 李文忠은 태조에

게 환관이 너무 많으니 그 숫자를 줄여할 것을 건의하였다

ldquo內臣이 너무 많습니다 마땅히 좀 줄이셔야 합니다rdquo라고 이문충이 건

의 하자 태조는 이를 듣고 대노 하여 ldquo자네가 나의 오른쪽 날개를 약화

시키려 하는데 그것은 무슨 의도인가 이것은 분명히 문객들이 시켰을

것이다rdquo라고 말하면서 결국 사람을 보내어 이문충의 문객을 전부 살해하

였다77)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일로 인하여 이문충은 병들어 죽게 되었는

데 이 때 이미 환관은 그 수가 적어서는 안 되는 대상이 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4) 太祖實錄 卷208 洪武 24年 3月 己丑條 ldquo詔於高麗市馬一萬疋 幷索閹人二百

人rdquo 高麗史 恭讓王 3년 辛未年條

75)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6

76) 환관의 공급원은 본래 宮刑에 처해진 죄인들이었지만 隋代 이후 궁형이 폐지

된 후부터는 ① 적의 포로 ② 외국으로부터의 進貢者 또는 변방 지역의 進獻

者 ③ 특별한 사정으로 궁형에 처해진 죄인 ④ 自宮者 곧 지원자 또는 부모의

명령으로 거세된 準自宮者 등이 있다

77) 弇山堂別集 卷20 史乘考誤 1 ldquo一日勸上内臣太多宜稍裁省 上大怒 謂若

欲弱吾羽翼何 意此必门客教之 因盡殺客 文忠驚悸得疾暴卒 上發悲 怒殺諸醫及

文忠侍者百人rdquo 이 기사는 어느 때의 기사인지 나와 있지 않아 잘 알 수 없으

나 이것은 李文忠(1339mdash1384)이 죽은 해에 발생한 사건이므로 洪武 17년

(1384)의 사건으로 볼 수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6환관의 기구 역시 확대되어 갔다 환관의 부서와 직무는 吳 원년

(1367)에 lsquo內史監rsquo이 설치된 이후 인원의 증대와 기구 관리를 위해 조

직이 신설 분리되어 가면서 확대되어 갔는데 홍무 17년(1384)에 9監

2庫 6局 체제가 되었다78) 이것은 명대 환관의 기구인 24아문(12감 4

사 8국)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어 홍무 28년(1395)에 11감 4사 9국으로

정비되어 24아문의 기구가 거의 완비되었던 것이다79) 홍무 30년(1397)

환관 조직은 12감8국4사의 24아문의 규모가 되었고 명왕조 환관

조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황종희가 말하고 있듯이 ldquo명조에 善治가

없었던 것은 태조가 재상을 폐지하면서부터이다 저 宮奴들이 재상의

정치가 땅에 떨어져 수습될 수 없음을 알고 여러 규칙과 조목을 세우

고 직무를 늘렸으며 생살권과 상벌권 등 재상으로부터 나오던 것이

이제 모두 환관들에게 돌아갔도다 (중략) 그러므로 궁노들이 재상처럼

된 것은 승상제를 폐지한 데서 온 커다란 과오이다rdquo80) 라고 하면서

환관의 발호는 재상의 폐지로 인한 것이며 이것은 명대 정치의 큰

폐단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로 재상 없는 군주 독재 지배체제에서 황제 한 사람에 의한 통치

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매일 황제 곁에 있는 환관

중 신뢰하는 환관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태조도 자신도 모르게 환관을 신뢰하고 그들을 중용을 하였으니 이념

적으로 ldquo내신은 정사에 관여하지 못한다rdquo 라는 규정을 내세우면서도

78)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九監은 内官监 神宫监 尚寶监 尚衣监 尚膳监 司

设监 司礼监 御马监 直殿监이고 二庫는 内承运库司鑰库이며 六局은 巾帽局

针工局 织染局 颜料局 司苑局 司牧局을 말한다

79) 위와 같음 十二監은 神宫监 尚寶监 孝陵神宮監 尚膳监 尚衣监 司设监 内官

监 司禮監 御马监 印綬監 直殿监이고 四司는 惜薪司 钟鼓司寶钞司 混堂司이

며 9局庫는 兵仗局 織染局 针工局 巾帽局 司苑局 酒醋麵局 內乘運庫 司鑰庫

內府供用庫인데 이것들은 후에 24아문으로 발전하였다

80) 黄宗羲 明夷待訪錄 置相 ldquo有明之无善治 自高皇帝罢丞相始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彼宫奴

者见宰相之政事坠地不收从而设为科条增其职掌 生杀予夺 出自宰相者 次

第而尽归焉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故使宫奴有宰相之实 则罢丞相之过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15: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3두었는데 이것은 태조의 환관 통제 정책 중 가장 대표적이고 상징적

인 징표가 되었다 하지만 한편 극단적인 제약이 도리어 환관이 신성

한 황제의 힘을 등지고 세력을 휘두르는 화근을 배태하였던 것이다

Ⅲ 國初 政治的 現實과 宦官 抑制의 限界

1 太祖期의 政治的 現實

한 당 시대의 환관 전권의 사실과 폐해를 잘 알고 극력 환관의 세

력을 억압하려는 태조 앞에 닥친 정치적 현실은 어떠하였는가

새로이 명왕조를 세운 태조는 먼저 관계의 기강문제에 지대한 관심

을 가지고 있었다 새로운 왕조가 수립되었어도 기강이 해이해지면 전

왕조에 있었던 것과 같은 부패가 官界에 그대로 만연하게 될 것이고

그로 인하여 민심이 흉흉할 수도 있는 일이다 그렇게 되면 그 자체가

혁명의 발생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고 나아가 태조가 창건한 왕조

자체도 혁명의 객체로 부상할 수밖에 없는 일이다

그러므로 태조는 기강 확립 권신들의 전횡 견제 관리의 부정부패

방지 민심 동요 등을 경계하면서 정치사회의 안정과 중앙집권적 전

제지배체제의 확립을 꾀하였다36)

현실적으로 원 왕조가 몽골고원으로 퇴각되었다고 하지만 그들은

여전히 상당한 세력을 보유하면서 언제 어떻게 명조에 반격을 가해 올

지 모르기 때문에 결코 방심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또한 국내에서도

명조 정권에 대하여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있고 명조에

협력하지 않고 음으로 몽골 세력을 지지하면서 농민출신의 태조 및 그

정권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우까지 있었다 또한 일단 명조 정권에 협

력하고 있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반드시 본심에서 우러난 것인지 확실

36) 全淳東 明王朝成立史硏究 pp194-204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4히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태조는 황제를 중심으로

하는 강력한 중앙집권적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

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

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금의위

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였다37)

금의위라는 특무기구는 본래 황제의 거동과 행렬을 시위하는 데 불

과였으나 이것이 특무 기관으로서 기능을 갖게 된 것은 호유용의 옥사

사건 이후 정보 수집과 감시체제를 강화할 때인 홍무 15년(1382년) 금

의위의 기구가 개혁된 결과이다 이후에 금의위는 정치상의 음모를 기

도하는 행위나 반체제적인 종교비밀 결사 등을 감시하는 기능을 가지

게 되었다 곧 금의위는 황제 행렬의 시위 외에 순찰을 돌면서 체포하

는 권한까지 지니게 되었던 것이다 이들은 정보를 수집하고 감시 적

발하며 사법권에까지 개입하였던 것이다38)

하지만 국초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

의 옥을 일으키며 시의심이 강하였던 주원장은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

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많은 사가들은 명사 환관 열전의 서문에 나타나 있는 ldquo盖明世宦官

出使专徵监军分镇刺臣民隐事诸大权皆自永乐间始rdquo(명대 환관

의 출사 징세 감군 분진 신민의 은밀한 일 정탐 등의 권리는 모두

영락 연간부터 시작되었다)39) 라는 기사라든지 明史 職官志에 나타

난 ldquo顾中官四出 实始永乐时 元年 李兴等赍敕劳暹罗国王 此奉使外国之

始也rdquo(돌이켜 보면 환관의 파견은 영락제 때에 처음 실시하였다 영락

37) 山根幸夫 明帝國の形成と發展 (ゆらぐ中華帝國 11 筑摩書房 1961)

pp41-42

38) 錦衣衛의 전신은 1367년에 설립된 拱衛司로서 대도독부에 예속되어 있었는

데 洪武 3년(1370) 親軍都尉府로 개칭하고 도독부로부터 독립하여 운영하였다

39) 明史 卷304 宦官1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5원년 이흥 등을 태국의 국왕에게 보내어 위로한 것이 환관을 외국에

보낸 것의 처음이다)40) 라는 기사를 인용하여 환관 중용의 책임이 영

락제에 있는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살펴보면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

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시 경제적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2 宦官 抑制의 限界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은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국초

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의 옥을 일으

키는 등 누구보다 시의심이 강하였던 태조는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

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심복인 환관들을 억

제하기보다는 그들을 측근으로 하여 저제군주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했다 그리하여 태조는 환관들과의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외부로 나가

는 출사 군대 감시 경제적인 활동 정보 수집 등의 일을 맡겼던 것이

첫째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관계를 원만히 하려 하였다41)

환관의 외국 출사의 예는 이미 홍무 2년에 보이고 있다 홍무 2년

(1369) 4월에 고려출신 환관 金丽渊을 고려에 파견하여 중국에 머물고

있는 高麗 流寓民 160여명을 고려에 돌려보낸 일이 있다 ldquo遣內臣 送

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書賜其王rdquo42)이라는 기사가 그것이다 이 기사

40)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41) 환관이 사신으로 나가는 경우는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외

국 사신으로 나가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변경 지역의 왕부나 주변 소수 민족

집단에 나가 황제의 명을 전하고 일을 처리하는 것이다

42)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丑朔 ldquo遣內臣 送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6를 더 읽어가 보면 그 때 중국인으로서 고려에 머물러 있는 유민들이

약 160여명이 있었는데 이 때 환관 金麗淵을 보내서 그들을 고려에

돌려보내었던 것이다43) 이 사실은 高麗史에도 ldquo己酉 18년 6월 丙寅

일에 황제가 환관 金麗淵을 파견하여 칙서를 전했다rdquo44)라고 하고 있어

당시 고려와 명과의 외교관계를 엿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명조의 환

관이 외교 사절단으로 나간 최초의 예라 할 수 있다

그리고 耽羅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는데 홍무 22년(1389) 4월 ldquo옛 원

나라의 제왕 중 명조에 귀부한 자는 탐라국에 거처하도록 하였으며

더욱이 그곳에 환관을 보내어 그들이 머물 집을 지어 주고 그곳에서

거처하도록 하였다rdquo45)라고 한 것을 보면 귀부한 元의 諸王들을 제주도

에 보내어 머물게 하면서 이 때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었던 것이다

安南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1년(1378) 정월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安南國에 파견하여 국왕 陳煓의 喪을 조문하였다 당시 안남국

왕 陳煓이 죽었는데 그의 동생 陳煒가 사신 陳建璨阮士諤을 명에 보

내어 안남국왕이 죽었음을 알려오자 이미 서로 교류가 있던 차였기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안남에 파견하여 문상하도록 하고 비단도 함께 보

내었던 것이다46)

書賜其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其間有高麗流寓者百六十餘人 朕念其人豈無鄕里骨肉之思 故令有

司遣使護送東歸rdquo

43) 洪武時期에 명과 고려 사이에 여러 차례 사절의 왕래가 있었다 홍무 2년

(1369) 4月부터 홍무 29년(1396) 6月까지 모두 22차례에 걸쳐 사신이 고려와

조선에 파견되었는데 사신의 이름이 파악된 사람이 43명(환관 25인 문신 11

인 무관 7인)이다 그중 정사로 고려조선에 출사한 사람이 21명인데 그 중

환관이 11인이고 문관이 4인이며 무관이 6인이다 이를 보면 많은 환관이 사

신으로서 고려조선에 파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환관은 대개 고려나 조

선 출신의 환관이었다 고려 조선 출신 25명의 환관 중 金丽渊黄永奇金仁

甫崔渊 등은 유명한 환관이다(李新峰 明前期赴朝鲜使臣丛考 明清论丛 第4辑 紫禁城出版社2003 참고)

44) 高麗史 卷132 恭愍王 己酉 18年 6月 丙寅條 ldquo皇帝遣宦者金麗淵致書rdquo 이

기사에는 이 때 귀환한 자가 165인으로 기록되어 있다

45) 太祖實錄 卷196 洪武 22年 4月 甲寅條 ldquo詔故元諸王來降者俾居耽羅國 且遣

中使往諭其國 爲造廬舍處之rdquo

46) 太祖實錄 卷117 洪武 11年 正月 ldquo是月 安南陳煓弟煒遣其臣陳建璨阮士諤來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7琉球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6년(1383) 정월 태조는 內使監 监

丞 梁民과 尚佩监 奉御 路謙 등을 琉球에 파견하여 中山王 察度에게

鍍金銀印과 고급비단을 하사한 일이 있다47) 같은 해 9월 琉球에서 내

란이 발생하였을 때에 태조는 监丞 梁玟을 보내어 전쟁을 중단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당시 中山王 山南王 山北王이 서로 자웅

을 겨루며 싸우고 있었는데 이때 내사감승 梁民에게 칙서를 보내어

싸움을 그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칙유를 보내었던 것이며 이들 모두

태조의 칙유를 받아들였던 것이다48)

眞臘國(캄보디아) 暹羅斛國(태국)에도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사무를 보게 하였다 홍무19년(1386) 9월에 行人 劉敏 唐敬 등을 환관

들과 함께 眞臘國에 보내었는데 이 때 磁器를 가지고 가서 하사토록

했고49) 홍무 28년(1395) 12월에는 환관 趙達과 朱福 등을 暹羅斛國(태

국)에 보내어 사망한 왕 參烈寶毘嗯哩哆嗦祿을 조문하고 후사인 蘇門

邦 昭祿群膺에게 비단과 모직물을 하사하였던 것이다50)

이상의 예들은 환관이 이미 태조시기에 황제의 명을 받고 외국의

사신으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수행한 사례들이다

태조가 환관을 변경 지역에 파견한 사실도 여러 곳에 보이고 있다

告煓卒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遣中使陳能至其國弔祭rdquo 國榷 卷6 洪武 11년 正月 ldquo是月 安南

陳煓弟煒遣使告哀 命中使陳能弔祭rdquo

47) 太祖實錄 卷151 洪武 16年 正月 丁未條

48) 明史 卷323 琉球傳 ldquo時二王與山北王爭雄 互相攻伐 命내內使監丞梁玟賜

之勅 令罷兵息民 三王并奉命rdquo 당시 琉球는 中山王(察度) 山南王(承察度) 山北

王(帕尼芝) 등 3세력이 대립하고 있었다

49) 太祖實錄 卷179 洪武 19年 9月 癸未條 ldquo遣行人劉敏唐敬偕內使賚磁器往賜

眞臘等國rdquo

50) 太祖實錄 卷243 洪武 28年 12月 戊午條 ldquo詔遣內使 趙達 朱福等 使暹羅斛

國 祭故王參烈寶毘嗯哩哆嗦祿 賜嗣王蘇門邦昭祿群膺 文綺四疋羅四疋 氁絲布四

十疋rdquo 明史 卷324 暹羅傳에도 같은 내용이 보이고 있다 ldquo二十八年 昭禄群

膺遣使朝贡 且告父丧 命中官赵达等往祭 敕世子嗣王位 赐赉有加rdquo (昭祿群膺이

사신을 파견하여 조공하고 또 부친의 상을 고하였다 이에 환관 조달 등으로

하여금 섬라에 가서 조문하도록 하고 세자가 왕위를 이어받도록 하였으며 더

불어 하사품을 곁들였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8홍무 2년(1369) 4월 원 승상 納哈出에게 편지를 보내 通交를 요구할

때 內臣을 파견하여 우호를 증진하였다51)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태조가 붙잡힌 원나라의 평장 完者不花를 돌려보내는데 환관을 시켜

돌려보내었다52) 홍무 14년(1381) 12월에는 환관을 파견하여 乌蒙(지금

의 운남성의 昭通)乌撤(지금의 운남성의 镇雄귀주성의 威宁)의 여

러 추장들에게 조칙을 발하였다53) 홍무 29년(1396) 6월에는 중사(환

관)를 桂林 등지의 府市에 보내어 南丹 奉儀 등의 衛所의 둔전 군사

들에게 밭가는 소를 지급해 주도록 하였다54) 동년 10월에 安定衛의

酋长 塔孩虎都鲁가 명에 와서 말 40필을 공물로 바친 일이 있는데 안

정위의 추장이 공물을 바친 것은 태조가 行人 陳誠으로 하여금 그곳에

다시 安定衛를 세우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었으며 이때에

ldquo復命中使赍金币往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

五十兩rdquo이라 하여 환관을 보내어 추장에게 옷과 비단 및 금품을 하사

하였던 것이다55)

이상의 기록들을 보면 태조시기에 환관이 여러 차례 변경 지역에

파견되어 변경 지역의 중대 업무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환관에게 지방 군대를 감독하거나 때로 군을 지휘하는 특수

임무를 맡겼다 태조는 외지 변경 지역의 장수들을 엄격히 통제하지

51)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亥條 ldquo玆 因遣使通元君 道經營壘望 令人送

達 所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國榷 卷3 太祖洪武 2年 4月 乙亥

條 ldquo又諭元臣納哈出書曰將軍昔自江左辭還 不通問十五年矣 近聞戍守遼陽 士馬

强 玆因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52) 太祖實錄 卷120 洪武11年 10月條 ldquo山西邊將遣人送所獲故元平章完者不花至

京師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朕怒邊將以爲方遣使通好乃執其平章豈不失信於卿 今特遣內臣送之 抵

丞相營 宥之罪之放 遂之 卿自爲區處rdquo

53) 太祖實錄 卷140 洪武 14年 12月 辛未條 ldquo遣內臣 賚敕諭鳥蒙鳥撤諸酋長rdquo

54) 明史 卷205 廣西土司傳 ldquo帝命俱置屯田给耕 寻遣中使至桂林等府市牛给

南丹奉议诸卫军士rdquo

55) 太祖實錄 卷247 洪武 29年 10月 甲午條 ldquo安定卫酋长塔孩虎都鲁 來朝貢馬

四十疋 先是 上遣行人陈诚立撤里畏兀兒 爲安定卫錫 以印章 以塔孩虎都鲁等指

挥千百户 至是诚歸 塔孩虎都鲁随誠入贡上嘉其慕義 厚赉之 復命中使赍金币往

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五十兩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9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 때 황제의 이목으로서 환관을 활용하였던 것

이다

태조는 명왕조를 창건하기 이전 자신의 세력을 키워가는 과정에서

많은 부하들을 양자로 삼아 그들을 활용하였다 이들에게 여러 장수들

의 군대를 감독하게 함으로써 장수들의 배반을 사전에 막고 안전하게

통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태조가 처음 기병했을 때 많은 양자를 두

었는데 이들을 장수와 함께 여러 路를 지키도록 했다 이를 테면 周舍

를 鎭江에 道舍를 寧國에 馬兒를 婺州에 柴舍眞童을 處州에 金剛

奴를 衢州에 보내어 지키도록 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주원장의 양자들

이었다56) 양자를 심복으로 삼아 그들을 기용하여 군대를 감독하게 하

였던 것이다

이들에게 감군하는 권한을 허락한 것은 태조가 왕조를 창업하는 과

정에서 군권 장악이 최후 승자가 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고 생

각하여 취한 조처였던 것이다

그런데 왕조를 개창한 후에는 양자보다는 환관을 신임하고 그들을

군부대에 파견하였다 홍무 원년(1368) 9월에 北征에 힘쓴 將士들에게

음식을 베풀어 주면서 위로한 일이 있는데 이 때 환관 奉御를 北平에

파견하여 이 일을 담당하도록 하였다57) 홍무 9년(1376) 8월에는 환관

趙成을 군부대에 파견하여 그곳의 관리를 불러들였다 내용인즉 홍무

9년 西番의 多爾濟巴가 부락민을 이끌고 명에 귀순하여 오자 태조는

熊鼎을 岐寧衛 經歷으로 삼아 그곳을 다스리도록 하였다 웅정은 임지

에 도착한 후 귀순부대들이 거짓으로 항복했다는 것을 알고 그 사실

을 비밀리 조정에 보고하였다 태조는 그 소식을 듣고 먼저 웅정을 위

로한 후 환관 조성을 군부대에 보내어 웅정을 경사로 불러들였던 것

이다58)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환관 吳誠을 총병지휘 楊仲名에게

56) 明史 卷134 夏文輝傳 ldquo太祖初起 多蓄義子 及长命偕诸将分守诸路 周舍

守镇江 道舍守宁国 马兒守婺州 柴舍真童守处州 金刚奴守衢州 皆义子也rdquo

57) 太祖實錄 卷35 洪武 元年 9月 乙卯條 ldquo上遣中使奉御等官 至北平 犒北征將

士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0보내어 전반적인 계획과 책략을 살피도록 하였고59) 11월에는 總兵官

辰主指揮 楊仲名이 五開蠻의 반란을 평정하자 태조가 內臣 尙履奉御

呂玉을 楊仲名에게 보내어 그 군대를 검열하고 위로하게 하였다60) 홍

무 27년(1394)에는 환관을 陝西都指揮使司에게 보내어 將士들을 훈련

하게 하였고 魏國公 徐輝祖으로 하여금 섬서 연변지역을 다스리게 하

였다61)

이러한 예들은 환관이 감군으로서 군영에 파견되어 군정을 순시하

고 살피는 일을 한 사례들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태조는 환관이 군의 정황을 살피는 일 이상의 업무에는 참

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 점은 唐代의 환관들과 다른 점으로 당대

에는 환관의 감군이 정치참여로 나타났지만 태조는 환관이 국가중추

기관의 기밀을 획책하는 일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62) 그

렇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기능은 장차 환관의 위력이 점점 강해지는 결

과를 낳았음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셋째 태조는 환관을 각종 경제활동에도 참여시켰다

태조 때에 환관은 경제활동에도 빈번히 참여하였는데 최초의 예로

서는 홍무 8년(1375) 5월 태조가 환관 趙成을 河州에 보내어 거기서

말을 교역해 오도록 한 일이다 태조가 茶馬司를 설치 한 후 조정에서

는 西番에 말을 사들이는 교역장을 마련하였는데63) 서번은 본래 말의

58) 明通鑑 卷6 洪武 9年 8月條 이때에 옹정이 경사로 돌아가자 번인들이 반

란을 일으켰다고 한다

59)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0月 戊申條 ldquo遣內臣 吳誠詣總兵官指揮楊仲名行

營觀方略rdquo

60) 太祖實錄 卷121 洪武 11年 11月 庚午朔條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1

月 庚午條 ldquo五開蠻平 內臣 尙履奉御 呂玉勞指揮楊仲名rdquo 明通鑑 卷6 洪武12

年 11月條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61) 太祖實錄 卷234 洪武 27년 9月條

62) 田禾 明太祖嚴馭宦官試析 (社會科學戰線 1997-4期 1997) pp162-163

63) 茶马司는 洪武 5년1372)2月에 秦州에 처음 설치되었다 그 후 洪武 7년

(1374)다시 河州에 차마사를 설치하고 이어 또 洮州 등지에 차마사를 두었

다 이들은 四川 漢中 湖南 등지의 차와 서북 유목지역에서 나는 말을 교역하

는 임무를 띠고 있었는데 藏族지구의 말을 사들이는 일이 주된 일이었다 그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1산지였기 때문이었다 서번 사람들은 말을 가지고 와서 중국의 문물을

구입하여 갔다

그런데 서번인들의 생활용품과 중국의 용품과는 달랐고 명초에 지

폐인 보초가 발행 된 이후에는 번인들이 사용하는 화폐와 달라 말의

교역량이 줄어들게 되었다 태조는 이것을 염려하여 궁중 환관 趙成을

파견하여 말 교역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조성은 여러 종류의 비단과 사천 지방의 茶葉을 가지고 가서 말을

사오는 방책을 취하였다 조성의 노력으로 河州 수장은 서번 사람들을

위무하고 선대하면서 互市를 열었기에 점차 많은 말을 사들여 올 수

있었는데 이후 차마 무역은 점차 활발해졌던 것이다64)

또 홍무10년(1377) 3월 호부는 징세 업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곳이 178처나 있음을 알고 환관 국자감생 호부의 관원 등 각 부문에

서 각각 1명씩 차출하여 정밀 조사하기를 태조에게 주청하였다 세금

징수 업무를 담당하는 稅課司에서 할당한 세금이 제대로 걷히지 않자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환관과 국자감생들을 보내어 조사하도록 주청한

것이다 이때의 주청에 대하여 lsquo從之rsquo65)라 한 것을 보면 태조가 그것을

승인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환관이 징세 업무에도 간여하였음

을 보여주고 있는 좋은 사례인 것이다

그 외에도 홍무 16년(1383) 9월 태조는 內使 梁珉으로 하여금 돈을

가지고 琉球로 가서 말을 사들여 오도록 하였고66) 홍무 25년(1392) 3

월에는 尙膳太监 而聶과 司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소관

의 번족에게 보내어 거기서 말을 사들여오도록 하였다67) 이 때 서북

러므로 회족이 운거하고 있는 河州는 명대 茶馬互市의 중심지였다

6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5

65) 太祖實錄 卷111 洪武 10年 3月 甲申條 ldquo户部奏天下税课司局征商不如额者

一百七十八处 宜请遣中官国子生及部委官各一人往覈其實立爲定額從之rdquo

66) 太祖實錄 卷156 洪武 16年 9月 己未條 ldquo內官梁珉以貨幣往琉球易马還得马

九百八十三匹rdquo

67) 太祖實錄 卷217 洪武 25年 3月 己丑條 ldquo遣尙膳太监 而聶司禮太監 慶童

賚敕往諭陝西河州等衛所屬番族 令其輸馬 以茶給之rdquo 弇山堂別集 卷90 中官

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당시 尙膳太监 而聶과 司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2쪽의 번족으로부터 말을 사들이는 데는 중국차로서 대가를 지불하였

다 이 때 사들인 말이 10340여필에 이르고 교역한 차엽은 30여만 근

에 달하였다고 하며 구입한 말은 河南 山西 陝西의 衛所에 배치되었

던 것이다68)

넷째 환관을 민간 정보 수집요원으로 활용하였다

새로운 왕조가 성립되었다고 하지만 언제 어떻게 몽골족이 반격하

여 올지 모르고 또한 명조의 신 정권에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다시 왕조를 전복할지도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정보 수집을 중히 여기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

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錦衣衛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금의위를 운영하면서도 태조는 자신의 정권을 보전하기 위

해 환관에게 문무백관을 감시하는 권한을 맡겨 정보를 수집하였다 홍

무 12년(1379) 9월에 占城國 국왕 阿答阿者가 그 신하 陽須文旦을 파

견하여 황제에 올리는 상서와 함께 코끼리말방물 등을 진헌한 일

이 있었는데 중서성 신하는 이것을 제때에 보고하지 못하였으나 內臣

(환관)이 외출하였다가 그 사신을 만나 점성국 사신이 왔다는 정보를

얻어 그 사실을 태조에게 알렸다 태조는 환관의 정보 제공으로 곧바

로 점성국의 사신을 불러 접견할 수 있었는데 이 때 태조는 ldquo상하의

의사소통이 꽉 막히기가 여기까지 이르렀구나rdquo고 하며 탄식하며 중서

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번족에 보내어 말을 사들인 사실은 lsquo교역rsquo

이라는 경제 활동의 성격과 lsquo군마 구입과 배치rsquo라는 군사적 성격을 동시에 지

니고 있는 활동이기도 하다

68)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 ldquo尙膳太监 而聶等至河

州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於是得馬萬三千四十餘疋 以茶三十餘萬斤給之 諸族大悅 而聶遣使入奏

命以馬分给河南山西陕西卫所骑士rdquo이라 하여 교역된 마필과 차엽의 양이

언급되어 있고 당시 구매된 말이 어디로 배치되어 있는가 하는 내용이 더 언

급되어 있다 다만 같은 내용의 기사가 太祖實錄에는 洪武 25년 3月 기사로

弇山堂別集에는 2月 기사로 되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3성 관료들을 질책하자 승상 胡惟庸 汪廣洋 등 중서성의 신하들이 모

두 고개를 땅에 대고 사죄하였다고 한다69)

환관들은 황제의 이목이 되어 황제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황제와 환관들은 자연히 신뢰관계가 형성되었다 황제는

이러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환관에게 특별한 임무를 부여하였던 것

이다 특별한 임무란 황제가 직접 접할 수 없는 궁성 밖의 정세나 관

료의 동향을 알아내는 첩보 활동이었으며 京師의 禁軍도 그들의 감시

대상이었던 것이다

다섯째 환관은 친왕의 왕부에 특사로서 파견되기도 하였다 홍무 12

년(1279) 3월에 환관 陳京을 桂林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靖康王 朱守

謙에게 파견하여 황제의 유지를 전달하게 하였고 홍무 26년(1393) 2월

에 藍玉의 모반 사건이 일어났을 때 3월에 太原의 晉王 朱楓에게 사

람을 보내어 남옥의 모반 사건과 관련되어 있는 집안의 가정과 노비들

을 제거하고 재산을 몰수하라는 유지를 내렸는데 이때에 칙유를 가지

고 간 사람이 환관 而聶과 부마 梅殷였다70)

이를 보면 친왕들에게 유지를 전하는 데 환관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그렇기에 태조는祖訓錄에서

무릇 친왕이 과오를 저지르면 重한 경우 내사 감관으로 하여금 왕을

불러오게 하고 세 차례나 불러도 오지 않으면 다시 流官(황제가 임명한

관리)을 보내되 내관과 함께 동행을 하여 그를 경사로 불러들이도록 한

다71)

69) 太祖實錄 卷126 洪武 12年 9月 戊午條 ldquo占城國王 王阿答阿者遣其臣陽須文

旦進表及象馬方物中书省臣不以時奏 內臣因出外見其使者以聞 上亟召使者見之

嘆曰 壅蔽之害乃至此哉 因敕責省臣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丞相胡惟庸汪廣洋等 皆叩頭謝罪rdquo

70) 王德金 앞의 논문 朱元璋馭宦之析 pp41-42

71) 祖訓錄 法律 ldquo凡親王有過 重者 遣內使監官宣召 如三次不至 再遣流官 同監

官召之至京rdquo 태조가 창업군주로서 자손들에게 훈유를 내려 그것을 영구히 지

키도록 하기 위해 지은 책이 祖訓錄이다 太祖實錄 洪武 2年 4月 乙亥條에

ldquo詔中書編祖訓錄rdquo이라는 것을 보아 이때부터 편찬이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洪武 6年 5月에 완성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箴戒持守严祭祀谨出入慎

国政禮仪法律内令内官职制兵卫营缮供用 등 13 항목으로 되어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4

라고 규정함으로써 친왕이 문제가 있을 때에는 환관이 먼저 파견되었

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을 보면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들의 발호를 억제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정치적 현실에

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차마 무역의 담당

자로 호군 및 군대 감독자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

년 승상제가 폐지되면서 그들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

겠다 이로 인하여 환관의 권위는 점 점 높이지고 세력은 확대되어 갔

던 것이다

3 宦官數의 增大와 機構의 擴大

홍무 초년에는 태조가 환관을 통제했기에 당시의 환관들이 아직 자

금성 안에서 주로 복무했다고 한다면 그의 통치 중후기에는 환관들

이 궁궐 밖으로 나가 여러 임무를 띠고 초기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였다 태조는 이런 변화가 그렇게 나쁘다고 여기지 않았고 도리어

그들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도움이 된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리하여 태조시기에 환관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환관 기구도 확대

되어 갔다 홍무 2년 규정에는 내사감 봉어 60인 기타 각 각 사소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까지 합쳐 총수는 100명에 불과하였다72) 그러나

홍무 15년(1382)에는 환관 361인을 증설하였다73) 이것은 홍무 15년에

증가된 기록으로 당시 기존의 환관을 합치면 거의 수백 명의 환관이

있으며 태조 자신이 서문을 지었다 太祖實錄 28年 閏 9月 庚寅條에 의하면

이 때 祖訓錄을 거듭 정하여 皇明祖訓이라 명명하였다

72)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 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定置內

使監 奉御六十人 尙寶 一人 尙冠七人 尙衣 十人 尙佩九人 尙藥七人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東宮

後門 宮左宮右門 各設門正一人 副一人rdquo

73) 太祖實錄 卷149 洪武 15年 10月 丙戌條 ldquo增設內使三百六十一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5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명조는 수시로

주변 여러 나라에 엄인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사실로 홍무 24년(1391)에 태조는 환관 韓龍 黃禿蠻 등을

고려에 보내어 말 1만 필을 사오도록 하면서 閹人 200여명을 요구하였

다74) 그리고 安南國에서도 끊이지 않고 엄인들을 진공하였는데 매번

수십 명 씩 바쳤던 것이다75) 명조는 사방에 엄인을 요구하였는데 특

히 고려와 안남은 당시 엄인을 진공하는 주요 나라가 되었다76)

이리하여 환관의 수가 부단히 증가하였고 태조도 역시 환관을 심복

중의 심복으로 삼으면서 그들을 신뢰하고 있었다 이에 홍무 17년

(1384) 어느 날 대도독부 겸 국자감을 관할하고 있던 李文忠은 태조에

게 환관이 너무 많으니 그 숫자를 줄여할 것을 건의하였다

ldquo內臣이 너무 많습니다 마땅히 좀 줄이셔야 합니다rdquo라고 이문충이 건

의 하자 태조는 이를 듣고 대노 하여 ldquo자네가 나의 오른쪽 날개를 약화

시키려 하는데 그것은 무슨 의도인가 이것은 분명히 문객들이 시켰을

것이다rdquo라고 말하면서 결국 사람을 보내어 이문충의 문객을 전부 살해하

였다77)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일로 인하여 이문충은 병들어 죽게 되었는

데 이 때 이미 환관은 그 수가 적어서는 안 되는 대상이 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4) 太祖實錄 卷208 洪武 24年 3月 己丑條 ldquo詔於高麗市馬一萬疋 幷索閹人二百

人rdquo 高麗史 恭讓王 3년 辛未年條

75)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6

76) 환관의 공급원은 본래 宮刑에 처해진 죄인들이었지만 隋代 이후 궁형이 폐지

된 후부터는 ① 적의 포로 ② 외국으로부터의 進貢者 또는 변방 지역의 進獻

者 ③ 특별한 사정으로 궁형에 처해진 죄인 ④ 自宮者 곧 지원자 또는 부모의

명령으로 거세된 準自宮者 등이 있다

77) 弇山堂別集 卷20 史乘考誤 1 ldquo一日勸上内臣太多宜稍裁省 上大怒 謂若

欲弱吾羽翼何 意此必门客教之 因盡殺客 文忠驚悸得疾暴卒 上發悲 怒殺諸醫及

文忠侍者百人rdquo 이 기사는 어느 때의 기사인지 나와 있지 않아 잘 알 수 없으

나 이것은 李文忠(1339mdash1384)이 죽은 해에 발생한 사건이므로 洪武 17년

(1384)의 사건으로 볼 수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6환관의 기구 역시 확대되어 갔다 환관의 부서와 직무는 吳 원년

(1367)에 lsquo內史監rsquo이 설치된 이후 인원의 증대와 기구 관리를 위해 조

직이 신설 분리되어 가면서 확대되어 갔는데 홍무 17년(1384)에 9監

2庫 6局 체제가 되었다78) 이것은 명대 환관의 기구인 24아문(12감 4

사 8국)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어 홍무 28년(1395)에 11감 4사 9국으로

정비되어 24아문의 기구가 거의 완비되었던 것이다79) 홍무 30년(1397)

환관 조직은 12감8국4사의 24아문의 규모가 되었고 명왕조 환관

조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황종희가 말하고 있듯이 ldquo명조에 善治가

없었던 것은 태조가 재상을 폐지하면서부터이다 저 宮奴들이 재상의

정치가 땅에 떨어져 수습될 수 없음을 알고 여러 규칙과 조목을 세우

고 직무를 늘렸으며 생살권과 상벌권 등 재상으로부터 나오던 것이

이제 모두 환관들에게 돌아갔도다 (중략) 그러므로 궁노들이 재상처럼

된 것은 승상제를 폐지한 데서 온 커다란 과오이다rdquo80) 라고 하면서

환관의 발호는 재상의 폐지로 인한 것이며 이것은 명대 정치의 큰

폐단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로 재상 없는 군주 독재 지배체제에서 황제 한 사람에 의한 통치

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매일 황제 곁에 있는 환관

중 신뢰하는 환관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태조도 자신도 모르게 환관을 신뢰하고 그들을 중용을 하였으니 이념

적으로 ldquo내신은 정사에 관여하지 못한다rdquo 라는 규정을 내세우면서도

78)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九監은 内官监 神宫监 尚寶监 尚衣监 尚膳监 司

设监 司礼监 御马监 直殿监이고 二庫는 内承运库司鑰库이며 六局은 巾帽局

针工局 织染局 颜料局 司苑局 司牧局을 말한다

79) 위와 같음 十二監은 神宫监 尚寶监 孝陵神宮監 尚膳监 尚衣监 司设监 内官

监 司禮監 御马监 印綬監 直殿监이고 四司는 惜薪司 钟鼓司寶钞司 混堂司이

며 9局庫는 兵仗局 織染局 针工局 巾帽局 司苑局 酒醋麵局 內乘運庫 司鑰庫

內府供用庫인데 이것들은 후에 24아문으로 발전하였다

80) 黄宗羲 明夷待訪錄 置相 ldquo有明之无善治 自高皇帝罢丞相始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彼宫奴

者见宰相之政事坠地不收从而设为科条增其职掌 生杀予夺 出自宰相者 次

第而尽归焉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故使宫奴有宰相之实 则罢丞相之过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16: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4히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태조는 황제를 중심으로

하는 강력한 중앙집권적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

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

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금의위

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였다37)

금의위라는 특무기구는 본래 황제의 거동과 행렬을 시위하는 데 불

과였으나 이것이 특무 기관으로서 기능을 갖게 된 것은 호유용의 옥사

사건 이후 정보 수집과 감시체제를 강화할 때인 홍무 15년(1382년) 금

의위의 기구가 개혁된 결과이다 이후에 금의위는 정치상의 음모를 기

도하는 행위나 반체제적인 종교비밀 결사 등을 감시하는 기능을 가지

게 되었다 곧 금의위는 황제 행렬의 시위 외에 순찰을 돌면서 체포하

는 권한까지 지니게 되었던 것이다 이들은 정보를 수집하고 감시 적

발하며 사법권에까지 개입하였던 것이다38)

하지만 국초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

의 옥을 일으키며 시의심이 강하였던 주원장은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

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많은 사가들은 명사 환관 열전의 서문에 나타나 있는 ldquo盖明世宦官

出使专徵监军分镇刺臣民隐事诸大权皆自永乐间始rdquo(명대 환관

의 출사 징세 감군 분진 신민의 은밀한 일 정탐 등의 권리는 모두

영락 연간부터 시작되었다)39) 라는 기사라든지 明史 職官志에 나타

난 ldquo顾中官四出 实始永乐时 元年 李兴等赍敕劳暹罗国王 此奉使外国之

始也rdquo(돌이켜 보면 환관의 파견은 영락제 때에 처음 실시하였다 영락

37) 山根幸夫 明帝國の形成と發展 (ゆらぐ中華帝國 11 筑摩書房 1961)

pp41-42

38) 錦衣衛의 전신은 1367년에 설립된 拱衛司로서 대도독부에 예속되어 있었는

데 洪武 3년(1370) 親軍都尉府로 개칭하고 도독부로부터 독립하여 운영하였다

39) 明史 卷304 宦官1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5원년 이흥 등을 태국의 국왕에게 보내어 위로한 것이 환관을 외국에

보낸 것의 처음이다)40) 라는 기사를 인용하여 환관 중용의 책임이 영

락제에 있는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살펴보면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

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시 경제적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2 宦官 抑制의 限界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은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국초

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의 옥을 일으

키는 등 누구보다 시의심이 강하였던 태조는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

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심복인 환관들을 억

제하기보다는 그들을 측근으로 하여 저제군주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했다 그리하여 태조는 환관들과의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외부로 나가

는 출사 군대 감시 경제적인 활동 정보 수집 등의 일을 맡겼던 것이

첫째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관계를 원만히 하려 하였다41)

환관의 외국 출사의 예는 이미 홍무 2년에 보이고 있다 홍무 2년

(1369) 4월에 고려출신 환관 金丽渊을 고려에 파견하여 중국에 머물고

있는 高麗 流寓民 160여명을 고려에 돌려보낸 일이 있다 ldquo遣內臣 送

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書賜其王rdquo42)이라는 기사가 그것이다 이 기사

40)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41) 환관이 사신으로 나가는 경우는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외

국 사신으로 나가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변경 지역의 왕부나 주변 소수 민족

집단에 나가 황제의 명을 전하고 일을 처리하는 것이다

42)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丑朔 ldquo遣內臣 送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6를 더 읽어가 보면 그 때 중국인으로서 고려에 머물러 있는 유민들이

약 160여명이 있었는데 이 때 환관 金麗淵을 보내서 그들을 고려에

돌려보내었던 것이다43) 이 사실은 高麗史에도 ldquo己酉 18년 6월 丙寅

일에 황제가 환관 金麗淵을 파견하여 칙서를 전했다rdquo44)라고 하고 있어

당시 고려와 명과의 외교관계를 엿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명조의 환

관이 외교 사절단으로 나간 최초의 예라 할 수 있다

그리고 耽羅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는데 홍무 22년(1389) 4월 ldquo옛 원

나라의 제왕 중 명조에 귀부한 자는 탐라국에 거처하도록 하였으며

더욱이 그곳에 환관을 보내어 그들이 머물 집을 지어 주고 그곳에서

거처하도록 하였다rdquo45)라고 한 것을 보면 귀부한 元의 諸王들을 제주도

에 보내어 머물게 하면서 이 때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었던 것이다

安南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1년(1378) 정월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安南國에 파견하여 국왕 陳煓의 喪을 조문하였다 당시 안남국

왕 陳煓이 죽었는데 그의 동생 陳煒가 사신 陳建璨阮士諤을 명에 보

내어 안남국왕이 죽었음을 알려오자 이미 서로 교류가 있던 차였기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안남에 파견하여 문상하도록 하고 비단도 함께 보

내었던 것이다46)

書賜其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其間有高麗流寓者百六十餘人 朕念其人豈無鄕里骨肉之思 故令有

司遣使護送東歸rdquo

43) 洪武時期에 명과 고려 사이에 여러 차례 사절의 왕래가 있었다 홍무 2년

(1369) 4月부터 홍무 29년(1396) 6月까지 모두 22차례에 걸쳐 사신이 고려와

조선에 파견되었는데 사신의 이름이 파악된 사람이 43명(환관 25인 문신 11

인 무관 7인)이다 그중 정사로 고려조선에 출사한 사람이 21명인데 그 중

환관이 11인이고 문관이 4인이며 무관이 6인이다 이를 보면 많은 환관이 사

신으로서 고려조선에 파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환관은 대개 고려나 조

선 출신의 환관이었다 고려 조선 출신 25명의 환관 중 金丽渊黄永奇金仁

甫崔渊 등은 유명한 환관이다(李新峰 明前期赴朝鲜使臣丛考 明清论丛 第4辑 紫禁城出版社2003 참고)

44) 高麗史 卷132 恭愍王 己酉 18年 6月 丙寅條 ldquo皇帝遣宦者金麗淵致書rdquo 이

기사에는 이 때 귀환한 자가 165인으로 기록되어 있다

45) 太祖實錄 卷196 洪武 22年 4月 甲寅條 ldquo詔故元諸王來降者俾居耽羅國 且遣

中使往諭其國 爲造廬舍處之rdquo

46) 太祖實錄 卷117 洪武 11年 正月 ldquo是月 安南陳煓弟煒遣其臣陳建璨阮士諤來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7琉球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6년(1383) 정월 태조는 內使監 监

丞 梁民과 尚佩监 奉御 路謙 등을 琉球에 파견하여 中山王 察度에게

鍍金銀印과 고급비단을 하사한 일이 있다47) 같은 해 9월 琉球에서 내

란이 발생하였을 때에 태조는 监丞 梁玟을 보내어 전쟁을 중단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당시 中山王 山南王 山北王이 서로 자웅

을 겨루며 싸우고 있었는데 이때 내사감승 梁民에게 칙서를 보내어

싸움을 그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칙유를 보내었던 것이며 이들 모두

태조의 칙유를 받아들였던 것이다48)

眞臘國(캄보디아) 暹羅斛國(태국)에도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사무를 보게 하였다 홍무19년(1386) 9월에 行人 劉敏 唐敬 등을 환관

들과 함께 眞臘國에 보내었는데 이 때 磁器를 가지고 가서 하사토록

했고49) 홍무 28년(1395) 12월에는 환관 趙達과 朱福 등을 暹羅斛國(태

국)에 보내어 사망한 왕 參烈寶毘嗯哩哆嗦祿을 조문하고 후사인 蘇門

邦 昭祿群膺에게 비단과 모직물을 하사하였던 것이다50)

이상의 예들은 환관이 이미 태조시기에 황제의 명을 받고 외국의

사신으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수행한 사례들이다

태조가 환관을 변경 지역에 파견한 사실도 여러 곳에 보이고 있다

告煓卒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遣中使陳能至其國弔祭rdquo 國榷 卷6 洪武 11년 正月 ldquo是月 安南

陳煓弟煒遣使告哀 命中使陳能弔祭rdquo

47) 太祖實錄 卷151 洪武 16年 正月 丁未條

48) 明史 卷323 琉球傳 ldquo時二王與山北王爭雄 互相攻伐 命내內使監丞梁玟賜

之勅 令罷兵息民 三王并奉命rdquo 당시 琉球는 中山王(察度) 山南王(承察度) 山北

王(帕尼芝) 등 3세력이 대립하고 있었다

49) 太祖實錄 卷179 洪武 19年 9月 癸未條 ldquo遣行人劉敏唐敬偕內使賚磁器往賜

眞臘等國rdquo

50) 太祖實錄 卷243 洪武 28年 12月 戊午條 ldquo詔遣內使 趙達 朱福等 使暹羅斛

國 祭故王參烈寶毘嗯哩哆嗦祿 賜嗣王蘇門邦昭祿群膺 文綺四疋羅四疋 氁絲布四

十疋rdquo 明史 卷324 暹羅傳에도 같은 내용이 보이고 있다 ldquo二十八年 昭禄群

膺遣使朝贡 且告父丧 命中官赵达等往祭 敕世子嗣王位 赐赉有加rdquo (昭祿群膺이

사신을 파견하여 조공하고 또 부친의 상을 고하였다 이에 환관 조달 등으로

하여금 섬라에 가서 조문하도록 하고 세자가 왕위를 이어받도록 하였으며 더

불어 하사품을 곁들였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8홍무 2년(1369) 4월 원 승상 納哈出에게 편지를 보내 通交를 요구할

때 內臣을 파견하여 우호를 증진하였다51)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태조가 붙잡힌 원나라의 평장 完者不花를 돌려보내는데 환관을 시켜

돌려보내었다52) 홍무 14년(1381) 12월에는 환관을 파견하여 乌蒙(지금

의 운남성의 昭通)乌撤(지금의 운남성의 镇雄귀주성의 威宁)의 여

러 추장들에게 조칙을 발하였다53) 홍무 29년(1396) 6월에는 중사(환

관)를 桂林 등지의 府市에 보내어 南丹 奉儀 등의 衛所의 둔전 군사

들에게 밭가는 소를 지급해 주도록 하였다54) 동년 10월에 安定衛의

酋长 塔孩虎都鲁가 명에 와서 말 40필을 공물로 바친 일이 있는데 안

정위의 추장이 공물을 바친 것은 태조가 行人 陳誠으로 하여금 그곳에

다시 安定衛를 세우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었으며 이때에

ldquo復命中使赍金币往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

五十兩rdquo이라 하여 환관을 보내어 추장에게 옷과 비단 및 금품을 하사

하였던 것이다55)

이상의 기록들을 보면 태조시기에 환관이 여러 차례 변경 지역에

파견되어 변경 지역의 중대 업무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환관에게 지방 군대를 감독하거나 때로 군을 지휘하는 특수

임무를 맡겼다 태조는 외지 변경 지역의 장수들을 엄격히 통제하지

51)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亥條 ldquo玆 因遣使通元君 道經營壘望 令人送

達 所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國榷 卷3 太祖洪武 2年 4月 乙亥

條 ldquo又諭元臣納哈出書曰將軍昔自江左辭還 不通問十五年矣 近聞戍守遼陽 士馬

强 玆因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52) 太祖實錄 卷120 洪武11年 10月條 ldquo山西邊將遣人送所獲故元平章完者不花至

京師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朕怒邊將以爲方遣使通好乃執其平章豈不失信於卿 今特遣內臣送之 抵

丞相營 宥之罪之放 遂之 卿自爲區處rdquo

53) 太祖實錄 卷140 洪武 14年 12月 辛未條 ldquo遣內臣 賚敕諭鳥蒙鳥撤諸酋長rdquo

54) 明史 卷205 廣西土司傳 ldquo帝命俱置屯田给耕 寻遣中使至桂林等府市牛给

南丹奉议诸卫军士rdquo

55) 太祖實錄 卷247 洪武 29年 10月 甲午條 ldquo安定卫酋长塔孩虎都鲁 來朝貢馬

四十疋 先是 上遣行人陈诚立撤里畏兀兒 爲安定卫錫 以印章 以塔孩虎都鲁等指

挥千百户 至是诚歸 塔孩虎都鲁随誠入贡上嘉其慕義 厚赉之 復命中使赍金币往

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五十兩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9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 때 황제의 이목으로서 환관을 활용하였던 것

이다

태조는 명왕조를 창건하기 이전 자신의 세력을 키워가는 과정에서

많은 부하들을 양자로 삼아 그들을 활용하였다 이들에게 여러 장수들

의 군대를 감독하게 함으로써 장수들의 배반을 사전에 막고 안전하게

통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태조가 처음 기병했을 때 많은 양자를 두

었는데 이들을 장수와 함께 여러 路를 지키도록 했다 이를 테면 周舍

를 鎭江에 道舍를 寧國에 馬兒를 婺州에 柴舍眞童을 處州에 金剛

奴를 衢州에 보내어 지키도록 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주원장의 양자들

이었다56) 양자를 심복으로 삼아 그들을 기용하여 군대를 감독하게 하

였던 것이다

이들에게 감군하는 권한을 허락한 것은 태조가 왕조를 창업하는 과

정에서 군권 장악이 최후 승자가 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고 생

각하여 취한 조처였던 것이다

그런데 왕조를 개창한 후에는 양자보다는 환관을 신임하고 그들을

군부대에 파견하였다 홍무 원년(1368) 9월에 北征에 힘쓴 將士들에게

음식을 베풀어 주면서 위로한 일이 있는데 이 때 환관 奉御를 北平에

파견하여 이 일을 담당하도록 하였다57) 홍무 9년(1376) 8월에는 환관

趙成을 군부대에 파견하여 그곳의 관리를 불러들였다 내용인즉 홍무

9년 西番의 多爾濟巴가 부락민을 이끌고 명에 귀순하여 오자 태조는

熊鼎을 岐寧衛 經歷으로 삼아 그곳을 다스리도록 하였다 웅정은 임지

에 도착한 후 귀순부대들이 거짓으로 항복했다는 것을 알고 그 사실

을 비밀리 조정에 보고하였다 태조는 그 소식을 듣고 먼저 웅정을 위

로한 후 환관 조성을 군부대에 보내어 웅정을 경사로 불러들였던 것

이다58)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환관 吳誠을 총병지휘 楊仲名에게

56) 明史 卷134 夏文輝傳 ldquo太祖初起 多蓄義子 及长命偕诸将分守诸路 周舍

守镇江 道舍守宁国 马兒守婺州 柴舍真童守处州 金刚奴守衢州 皆义子也rdquo

57) 太祖實錄 卷35 洪武 元年 9月 乙卯條 ldquo上遣中使奉御等官 至北平 犒北征將

士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0보내어 전반적인 계획과 책략을 살피도록 하였고59) 11월에는 總兵官

辰主指揮 楊仲名이 五開蠻의 반란을 평정하자 태조가 內臣 尙履奉御

呂玉을 楊仲名에게 보내어 그 군대를 검열하고 위로하게 하였다60) 홍

무 27년(1394)에는 환관을 陝西都指揮使司에게 보내어 將士들을 훈련

하게 하였고 魏國公 徐輝祖으로 하여금 섬서 연변지역을 다스리게 하

였다61)

이러한 예들은 환관이 감군으로서 군영에 파견되어 군정을 순시하

고 살피는 일을 한 사례들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태조는 환관이 군의 정황을 살피는 일 이상의 업무에는 참

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 점은 唐代의 환관들과 다른 점으로 당대

에는 환관의 감군이 정치참여로 나타났지만 태조는 환관이 국가중추

기관의 기밀을 획책하는 일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62) 그

렇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기능은 장차 환관의 위력이 점점 강해지는 결

과를 낳았음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셋째 태조는 환관을 각종 경제활동에도 참여시켰다

태조 때에 환관은 경제활동에도 빈번히 참여하였는데 최초의 예로

서는 홍무 8년(1375) 5월 태조가 환관 趙成을 河州에 보내어 거기서

말을 교역해 오도록 한 일이다 태조가 茶馬司를 설치 한 후 조정에서

는 西番에 말을 사들이는 교역장을 마련하였는데63) 서번은 본래 말의

58) 明通鑑 卷6 洪武 9年 8月條 이때에 옹정이 경사로 돌아가자 번인들이 반

란을 일으켰다고 한다

59)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0月 戊申條 ldquo遣內臣 吳誠詣總兵官指揮楊仲名行

營觀方略rdquo

60) 太祖實錄 卷121 洪武 11年 11月 庚午朔條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1

月 庚午條 ldquo五開蠻平 內臣 尙履奉御 呂玉勞指揮楊仲名rdquo 明通鑑 卷6 洪武12

年 11月條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61) 太祖實錄 卷234 洪武 27년 9月條

62) 田禾 明太祖嚴馭宦官試析 (社會科學戰線 1997-4期 1997) pp162-163

63) 茶马司는 洪武 5년1372)2月에 秦州에 처음 설치되었다 그 후 洪武 7년

(1374)다시 河州에 차마사를 설치하고 이어 또 洮州 등지에 차마사를 두었

다 이들은 四川 漢中 湖南 등지의 차와 서북 유목지역에서 나는 말을 교역하

는 임무를 띠고 있었는데 藏族지구의 말을 사들이는 일이 주된 일이었다 그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1산지였기 때문이었다 서번 사람들은 말을 가지고 와서 중국의 문물을

구입하여 갔다

그런데 서번인들의 생활용품과 중국의 용품과는 달랐고 명초에 지

폐인 보초가 발행 된 이후에는 번인들이 사용하는 화폐와 달라 말의

교역량이 줄어들게 되었다 태조는 이것을 염려하여 궁중 환관 趙成을

파견하여 말 교역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조성은 여러 종류의 비단과 사천 지방의 茶葉을 가지고 가서 말을

사오는 방책을 취하였다 조성의 노력으로 河州 수장은 서번 사람들을

위무하고 선대하면서 互市를 열었기에 점차 많은 말을 사들여 올 수

있었는데 이후 차마 무역은 점차 활발해졌던 것이다64)

또 홍무10년(1377) 3월 호부는 징세 업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곳이 178처나 있음을 알고 환관 국자감생 호부의 관원 등 각 부문에

서 각각 1명씩 차출하여 정밀 조사하기를 태조에게 주청하였다 세금

징수 업무를 담당하는 稅課司에서 할당한 세금이 제대로 걷히지 않자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환관과 국자감생들을 보내어 조사하도록 주청한

것이다 이때의 주청에 대하여 lsquo從之rsquo65)라 한 것을 보면 태조가 그것을

승인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환관이 징세 업무에도 간여하였음

을 보여주고 있는 좋은 사례인 것이다

그 외에도 홍무 16년(1383) 9월 태조는 內使 梁珉으로 하여금 돈을

가지고 琉球로 가서 말을 사들여 오도록 하였고66) 홍무 25년(1392) 3

월에는 尙膳太监 而聶과 司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소관

의 번족에게 보내어 거기서 말을 사들여오도록 하였다67) 이 때 서북

러므로 회족이 운거하고 있는 河州는 명대 茶馬互市의 중심지였다

6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5

65) 太祖實錄 卷111 洪武 10年 3月 甲申條 ldquo户部奏天下税课司局征商不如额者

一百七十八处 宜请遣中官国子生及部委官各一人往覈其實立爲定額從之rdquo

66) 太祖實錄 卷156 洪武 16年 9月 己未條 ldquo內官梁珉以貨幣往琉球易马還得马

九百八十三匹rdquo

67) 太祖實錄 卷217 洪武 25年 3月 己丑條 ldquo遣尙膳太监 而聶司禮太監 慶童

賚敕往諭陝西河州等衛所屬番族 令其輸馬 以茶給之rdquo 弇山堂別集 卷90 中官

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당시 尙膳太监 而聶과 司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2쪽의 번족으로부터 말을 사들이는 데는 중국차로서 대가를 지불하였

다 이 때 사들인 말이 10340여필에 이르고 교역한 차엽은 30여만 근

에 달하였다고 하며 구입한 말은 河南 山西 陝西의 衛所에 배치되었

던 것이다68)

넷째 환관을 민간 정보 수집요원으로 활용하였다

새로운 왕조가 성립되었다고 하지만 언제 어떻게 몽골족이 반격하

여 올지 모르고 또한 명조의 신 정권에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다시 왕조를 전복할지도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정보 수집을 중히 여기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

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錦衣衛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금의위를 운영하면서도 태조는 자신의 정권을 보전하기 위

해 환관에게 문무백관을 감시하는 권한을 맡겨 정보를 수집하였다 홍

무 12년(1379) 9월에 占城國 국왕 阿答阿者가 그 신하 陽須文旦을 파

견하여 황제에 올리는 상서와 함께 코끼리말방물 등을 진헌한 일

이 있었는데 중서성 신하는 이것을 제때에 보고하지 못하였으나 內臣

(환관)이 외출하였다가 그 사신을 만나 점성국 사신이 왔다는 정보를

얻어 그 사실을 태조에게 알렸다 태조는 환관의 정보 제공으로 곧바

로 점성국의 사신을 불러 접견할 수 있었는데 이 때 태조는 ldquo상하의

의사소통이 꽉 막히기가 여기까지 이르렀구나rdquo고 하며 탄식하며 중서

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번족에 보내어 말을 사들인 사실은 lsquo교역rsquo

이라는 경제 활동의 성격과 lsquo군마 구입과 배치rsquo라는 군사적 성격을 동시에 지

니고 있는 활동이기도 하다

68)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 ldquo尙膳太监 而聶等至河

州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於是得馬萬三千四十餘疋 以茶三十餘萬斤給之 諸族大悅 而聶遣使入奏

命以馬分给河南山西陕西卫所骑士rdquo이라 하여 교역된 마필과 차엽의 양이

언급되어 있고 당시 구매된 말이 어디로 배치되어 있는가 하는 내용이 더 언

급되어 있다 다만 같은 내용의 기사가 太祖實錄에는 洪武 25년 3月 기사로

弇山堂別集에는 2月 기사로 되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3성 관료들을 질책하자 승상 胡惟庸 汪廣洋 등 중서성의 신하들이 모

두 고개를 땅에 대고 사죄하였다고 한다69)

환관들은 황제의 이목이 되어 황제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황제와 환관들은 자연히 신뢰관계가 형성되었다 황제는

이러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환관에게 특별한 임무를 부여하였던 것

이다 특별한 임무란 황제가 직접 접할 수 없는 궁성 밖의 정세나 관

료의 동향을 알아내는 첩보 활동이었으며 京師의 禁軍도 그들의 감시

대상이었던 것이다

다섯째 환관은 친왕의 왕부에 특사로서 파견되기도 하였다 홍무 12

년(1279) 3월에 환관 陳京을 桂林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靖康王 朱守

謙에게 파견하여 황제의 유지를 전달하게 하였고 홍무 26년(1393) 2월

에 藍玉의 모반 사건이 일어났을 때 3월에 太原의 晉王 朱楓에게 사

람을 보내어 남옥의 모반 사건과 관련되어 있는 집안의 가정과 노비들

을 제거하고 재산을 몰수하라는 유지를 내렸는데 이때에 칙유를 가지

고 간 사람이 환관 而聶과 부마 梅殷였다70)

이를 보면 친왕들에게 유지를 전하는 데 환관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그렇기에 태조는祖訓錄에서

무릇 친왕이 과오를 저지르면 重한 경우 내사 감관으로 하여금 왕을

불러오게 하고 세 차례나 불러도 오지 않으면 다시 流官(황제가 임명한

관리)을 보내되 내관과 함께 동행을 하여 그를 경사로 불러들이도록 한

다71)

69) 太祖實錄 卷126 洪武 12年 9月 戊午條 ldquo占城國王 王阿答阿者遣其臣陽須文

旦進表及象馬方物中书省臣不以時奏 內臣因出外見其使者以聞 上亟召使者見之

嘆曰 壅蔽之害乃至此哉 因敕責省臣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丞相胡惟庸汪廣洋等 皆叩頭謝罪rdquo

70) 王德金 앞의 논문 朱元璋馭宦之析 pp41-42

71) 祖訓錄 法律 ldquo凡親王有過 重者 遣內使監官宣召 如三次不至 再遣流官 同監

官召之至京rdquo 태조가 창업군주로서 자손들에게 훈유를 내려 그것을 영구히 지

키도록 하기 위해 지은 책이 祖訓錄이다 太祖實錄 洪武 2年 4月 乙亥條에

ldquo詔中書編祖訓錄rdquo이라는 것을 보아 이때부터 편찬이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洪武 6年 5月에 완성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箴戒持守严祭祀谨出入慎

国政禮仪法律内令内官职制兵卫营缮供用 등 13 항목으로 되어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4

라고 규정함으로써 친왕이 문제가 있을 때에는 환관이 먼저 파견되었

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을 보면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들의 발호를 억제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정치적 현실에

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차마 무역의 담당

자로 호군 및 군대 감독자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

년 승상제가 폐지되면서 그들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

겠다 이로 인하여 환관의 권위는 점 점 높이지고 세력은 확대되어 갔

던 것이다

3 宦官數의 增大와 機構의 擴大

홍무 초년에는 태조가 환관을 통제했기에 당시의 환관들이 아직 자

금성 안에서 주로 복무했다고 한다면 그의 통치 중후기에는 환관들

이 궁궐 밖으로 나가 여러 임무를 띠고 초기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였다 태조는 이런 변화가 그렇게 나쁘다고 여기지 않았고 도리어

그들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도움이 된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리하여 태조시기에 환관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환관 기구도 확대

되어 갔다 홍무 2년 규정에는 내사감 봉어 60인 기타 각 각 사소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까지 합쳐 총수는 100명에 불과하였다72) 그러나

홍무 15년(1382)에는 환관 361인을 증설하였다73) 이것은 홍무 15년에

증가된 기록으로 당시 기존의 환관을 합치면 거의 수백 명의 환관이

있으며 태조 자신이 서문을 지었다 太祖實錄 28年 閏 9月 庚寅條에 의하면

이 때 祖訓錄을 거듭 정하여 皇明祖訓이라 명명하였다

72)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 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定置內

使監 奉御六十人 尙寶 一人 尙冠七人 尙衣 十人 尙佩九人 尙藥七人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東宮

後門 宮左宮右門 各設門正一人 副一人rdquo

73) 太祖實錄 卷149 洪武 15年 10月 丙戌條 ldquo增設內使三百六十一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5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명조는 수시로

주변 여러 나라에 엄인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사실로 홍무 24년(1391)에 태조는 환관 韓龍 黃禿蠻 등을

고려에 보내어 말 1만 필을 사오도록 하면서 閹人 200여명을 요구하였

다74) 그리고 安南國에서도 끊이지 않고 엄인들을 진공하였는데 매번

수십 명 씩 바쳤던 것이다75) 명조는 사방에 엄인을 요구하였는데 특

히 고려와 안남은 당시 엄인을 진공하는 주요 나라가 되었다76)

이리하여 환관의 수가 부단히 증가하였고 태조도 역시 환관을 심복

중의 심복으로 삼으면서 그들을 신뢰하고 있었다 이에 홍무 17년

(1384) 어느 날 대도독부 겸 국자감을 관할하고 있던 李文忠은 태조에

게 환관이 너무 많으니 그 숫자를 줄여할 것을 건의하였다

ldquo內臣이 너무 많습니다 마땅히 좀 줄이셔야 합니다rdquo라고 이문충이 건

의 하자 태조는 이를 듣고 대노 하여 ldquo자네가 나의 오른쪽 날개를 약화

시키려 하는데 그것은 무슨 의도인가 이것은 분명히 문객들이 시켰을

것이다rdquo라고 말하면서 결국 사람을 보내어 이문충의 문객을 전부 살해하

였다77)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일로 인하여 이문충은 병들어 죽게 되었는

데 이 때 이미 환관은 그 수가 적어서는 안 되는 대상이 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4) 太祖實錄 卷208 洪武 24年 3月 己丑條 ldquo詔於高麗市馬一萬疋 幷索閹人二百

人rdquo 高麗史 恭讓王 3년 辛未年條

75)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6

76) 환관의 공급원은 본래 宮刑에 처해진 죄인들이었지만 隋代 이후 궁형이 폐지

된 후부터는 ① 적의 포로 ② 외국으로부터의 進貢者 또는 변방 지역의 進獻

者 ③ 특별한 사정으로 궁형에 처해진 죄인 ④ 自宮者 곧 지원자 또는 부모의

명령으로 거세된 準自宮者 등이 있다

77) 弇山堂別集 卷20 史乘考誤 1 ldquo一日勸上内臣太多宜稍裁省 上大怒 謂若

欲弱吾羽翼何 意此必门客教之 因盡殺客 文忠驚悸得疾暴卒 上發悲 怒殺諸醫及

文忠侍者百人rdquo 이 기사는 어느 때의 기사인지 나와 있지 않아 잘 알 수 없으

나 이것은 李文忠(1339mdash1384)이 죽은 해에 발생한 사건이므로 洪武 17년

(1384)의 사건으로 볼 수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6환관의 기구 역시 확대되어 갔다 환관의 부서와 직무는 吳 원년

(1367)에 lsquo內史監rsquo이 설치된 이후 인원의 증대와 기구 관리를 위해 조

직이 신설 분리되어 가면서 확대되어 갔는데 홍무 17년(1384)에 9監

2庫 6局 체제가 되었다78) 이것은 명대 환관의 기구인 24아문(12감 4

사 8국)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어 홍무 28년(1395)에 11감 4사 9국으로

정비되어 24아문의 기구가 거의 완비되었던 것이다79) 홍무 30년(1397)

환관 조직은 12감8국4사의 24아문의 규모가 되었고 명왕조 환관

조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황종희가 말하고 있듯이 ldquo명조에 善治가

없었던 것은 태조가 재상을 폐지하면서부터이다 저 宮奴들이 재상의

정치가 땅에 떨어져 수습될 수 없음을 알고 여러 규칙과 조목을 세우

고 직무를 늘렸으며 생살권과 상벌권 등 재상으로부터 나오던 것이

이제 모두 환관들에게 돌아갔도다 (중략) 그러므로 궁노들이 재상처럼

된 것은 승상제를 폐지한 데서 온 커다란 과오이다rdquo80) 라고 하면서

환관의 발호는 재상의 폐지로 인한 것이며 이것은 명대 정치의 큰

폐단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로 재상 없는 군주 독재 지배체제에서 황제 한 사람에 의한 통치

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매일 황제 곁에 있는 환관

중 신뢰하는 환관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태조도 자신도 모르게 환관을 신뢰하고 그들을 중용을 하였으니 이념

적으로 ldquo내신은 정사에 관여하지 못한다rdquo 라는 규정을 내세우면서도

78)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九監은 内官监 神宫监 尚寶监 尚衣监 尚膳监 司

设监 司礼监 御马监 直殿监이고 二庫는 内承运库司鑰库이며 六局은 巾帽局

针工局 织染局 颜料局 司苑局 司牧局을 말한다

79) 위와 같음 十二監은 神宫监 尚寶监 孝陵神宮監 尚膳监 尚衣监 司设监 内官

监 司禮監 御马监 印綬監 直殿监이고 四司는 惜薪司 钟鼓司寶钞司 混堂司이

며 9局庫는 兵仗局 織染局 针工局 巾帽局 司苑局 酒醋麵局 內乘運庫 司鑰庫

內府供用庫인데 이것들은 후에 24아문으로 발전하였다

80) 黄宗羲 明夷待訪錄 置相 ldquo有明之无善治 自高皇帝罢丞相始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彼宫奴

者见宰相之政事坠地不收从而设为科条增其职掌 生杀予夺 出自宰相者 次

第而尽归焉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故使宫奴有宰相之实 则罢丞相之过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17: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5원년 이흥 등을 태국의 국왕에게 보내어 위로한 것이 환관을 외국에

보낸 것의 처음이다)40) 라는 기사를 인용하여 환관 중용의 책임이 영

락제에 있는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살펴보면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

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시 경제적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2 宦官 抑制의 限界

태조는 환관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가졌으나 후궁의 비첩은 점점

증가하였기 때문에 환관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또한 국초

에 공신도 자식도 믿기 어렵고 공신들을 제거하고 문자의 옥을 일으

키는 등 누구보다 시의심이 강하였던 태조는 자연 환관의 억제라는 이

념적 처사는 한계에 부딪치고 현실적으로 가장 측근에 있는 환관들을

신임하여 중대사를 맡기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심복인 환관들을 억

제하기보다는 그들을 측근으로 하여 저제군주 지배 체제를 구축하려

했다 그리하여 태조는 환관들과의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외부로 나가

는 출사 군대 감시 경제적인 활동 정보 수집 등의 일을 맡겼던 것이

첫째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관계를 원만히 하려 하였다41)

환관의 외국 출사의 예는 이미 홍무 2년에 보이고 있다 홍무 2년

(1369) 4월에 고려출신 환관 金丽渊을 고려에 파견하여 중국에 머물고

있는 高麗 流寓民 160여명을 고려에 돌려보낸 일이 있다 ldquo遣內臣 送

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書賜其王rdquo42)이라는 기사가 그것이다 이 기사

40)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41) 환관이 사신으로 나가는 경우는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외

국 사신으로 나가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변경 지역의 왕부나 주변 소수 민족

집단에 나가 황제의 명을 전하고 일을 처리하는 것이다

42)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丑朔 ldquo遣內臣 送高麗流寓之人還其國 以璽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6를 더 읽어가 보면 그 때 중국인으로서 고려에 머물러 있는 유민들이

약 160여명이 있었는데 이 때 환관 金麗淵을 보내서 그들을 고려에

돌려보내었던 것이다43) 이 사실은 高麗史에도 ldquo己酉 18년 6월 丙寅

일에 황제가 환관 金麗淵을 파견하여 칙서를 전했다rdquo44)라고 하고 있어

당시 고려와 명과의 외교관계를 엿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명조의 환

관이 외교 사절단으로 나간 최초의 예라 할 수 있다

그리고 耽羅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는데 홍무 22년(1389) 4월 ldquo옛 원

나라의 제왕 중 명조에 귀부한 자는 탐라국에 거처하도록 하였으며

더욱이 그곳에 환관을 보내어 그들이 머물 집을 지어 주고 그곳에서

거처하도록 하였다rdquo45)라고 한 것을 보면 귀부한 元의 諸王들을 제주도

에 보내어 머물게 하면서 이 때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었던 것이다

安南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1년(1378) 정월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安南國에 파견하여 국왕 陳煓의 喪을 조문하였다 당시 안남국

왕 陳煓이 죽었는데 그의 동생 陳煒가 사신 陳建璨阮士諤을 명에 보

내어 안남국왕이 죽었음을 알려오자 이미 서로 교류가 있던 차였기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안남에 파견하여 문상하도록 하고 비단도 함께 보

내었던 것이다46)

書賜其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其間有高麗流寓者百六十餘人 朕念其人豈無鄕里骨肉之思 故令有

司遣使護送東歸rdquo

43) 洪武時期에 명과 고려 사이에 여러 차례 사절의 왕래가 있었다 홍무 2년

(1369) 4月부터 홍무 29년(1396) 6月까지 모두 22차례에 걸쳐 사신이 고려와

조선에 파견되었는데 사신의 이름이 파악된 사람이 43명(환관 25인 문신 11

인 무관 7인)이다 그중 정사로 고려조선에 출사한 사람이 21명인데 그 중

환관이 11인이고 문관이 4인이며 무관이 6인이다 이를 보면 많은 환관이 사

신으로서 고려조선에 파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환관은 대개 고려나 조

선 출신의 환관이었다 고려 조선 출신 25명의 환관 중 金丽渊黄永奇金仁

甫崔渊 등은 유명한 환관이다(李新峰 明前期赴朝鲜使臣丛考 明清论丛 第4辑 紫禁城出版社2003 참고)

44) 高麗史 卷132 恭愍王 己酉 18年 6月 丙寅條 ldquo皇帝遣宦者金麗淵致書rdquo 이

기사에는 이 때 귀환한 자가 165인으로 기록되어 있다

45) 太祖實錄 卷196 洪武 22年 4月 甲寅條 ldquo詔故元諸王來降者俾居耽羅國 且遣

中使往諭其國 爲造廬舍處之rdquo

46) 太祖實錄 卷117 洪武 11年 正月 ldquo是月 安南陳煓弟煒遣其臣陳建璨阮士諤來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7琉球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6년(1383) 정월 태조는 內使監 监

丞 梁民과 尚佩监 奉御 路謙 등을 琉球에 파견하여 中山王 察度에게

鍍金銀印과 고급비단을 하사한 일이 있다47) 같은 해 9월 琉球에서 내

란이 발생하였을 때에 태조는 监丞 梁玟을 보내어 전쟁을 중단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당시 中山王 山南王 山北王이 서로 자웅

을 겨루며 싸우고 있었는데 이때 내사감승 梁民에게 칙서를 보내어

싸움을 그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칙유를 보내었던 것이며 이들 모두

태조의 칙유를 받아들였던 것이다48)

眞臘國(캄보디아) 暹羅斛國(태국)에도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사무를 보게 하였다 홍무19년(1386) 9월에 行人 劉敏 唐敬 등을 환관

들과 함께 眞臘國에 보내었는데 이 때 磁器를 가지고 가서 하사토록

했고49) 홍무 28년(1395) 12월에는 환관 趙達과 朱福 등을 暹羅斛國(태

국)에 보내어 사망한 왕 參烈寶毘嗯哩哆嗦祿을 조문하고 후사인 蘇門

邦 昭祿群膺에게 비단과 모직물을 하사하였던 것이다50)

이상의 예들은 환관이 이미 태조시기에 황제의 명을 받고 외국의

사신으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수행한 사례들이다

태조가 환관을 변경 지역에 파견한 사실도 여러 곳에 보이고 있다

告煓卒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遣中使陳能至其國弔祭rdquo 國榷 卷6 洪武 11년 正月 ldquo是月 安南

陳煓弟煒遣使告哀 命中使陳能弔祭rdquo

47) 太祖實錄 卷151 洪武 16年 正月 丁未條

48) 明史 卷323 琉球傳 ldquo時二王與山北王爭雄 互相攻伐 命내內使監丞梁玟賜

之勅 令罷兵息民 三王并奉命rdquo 당시 琉球는 中山王(察度) 山南王(承察度) 山北

王(帕尼芝) 등 3세력이 대립하고 있었다

49) 太祖實錄 卷179 洪武 19年 9月 癸未條 ldquo遣行人劉敏唐敬偕內使賚磁器往賜

眞臘等國rdquo

50) 太祖實錄 卷243 洪武 28年 12月 戊午條 ldquo詔遣內使 趙達 朱福等 使暹羅斛

國 祭故王參烈寶毘嗯哩哆嗦祿 賜嗣王蘇門邦昭祿群膺 文綺四疋羅四疋 氁絲布四

十疋rdquo 明史 卷324 暹羅傳에도 같은 내용이 보이고 있다 ldquo二十八年 昭禄群

膺遣使朝贡 且告父丧 命中官赵达等往祭 敕世子嗣王位 赐赉有加rdquo (昭祿群膺이

사신을 파견하여 조공하고 또 부친의 상을 고하였다 이에 환관 조달 등으로

하여금 섬라에 가서 조문하도록 하고 세자가 왕위를 이어받도록 하였으며 더

불어 하사품을 곁들였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8홍무 2년(1369) 4월 원 승상 納哈出에게 편지를 보내 通交를 요구할

때 內臣을 파견하여 우호를 증진하였다51)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태조가 붙잡힌 원나라의 평장 完者不花를 돌려보내는데 환관을 시켜

돌려보내었다52) 홍무 14년(1381) 12월에는 환관을 파견하여 乌蒙(지금

의 운남성의 昭通)乌撤(지금의 운남성의 镇雄귀주성의 威宁)의 여

러 추장들에게 조칙을 발하였다53) 홍무 29년(1396) 6월에는 중사(환

관)를 桂林 등지의 府市에 보내어 南丹 奉儀 등의 衛所의 둔전 군사

들에게 밭가는 소를 지급해 주도록 하였다54) 동년 10월에 安定衛의

酋长 塔孩虎都鲁가 명에 와서 말 40필을 공물로 바친 일이 있는데 안

정위의 추장이 공물을 바친 것은 태조가 行人 陳誠으로 하여금 그곳에

다시 安定衛를 세우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었으며 이때에

ldquo復命中使赍金币往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

五十兩rdquo이라 하여 환관을 보내어 추장에게 옷과 비단 및 금품을 하사

하였던 것이다55)

이상의 기록들을 보면 태조시기에 환관이 여러 차례 변경 지역에

파견되어 변경 지역의 중대 업무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환관에게 지방 군대를 감독하거나 때로 군을 지휘하는 특수

임무를 맡겼다 태조는 외지 변경 지역의 장수들을 엄격히 통제하지

51)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亥條 ldquo玆 因遣使通元君 道經營壘望 令人送

達 所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國榷 卷3 太祖洪武 2年 4月 乙亥

條 ldquo又諭元臣納哈出書曰將軍昔自江左辭還 不通問十五年矣 近聞戍守遼陽 士馬

强 玆因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52) 太祖實錄 卷120 洪武11年 10月條 ldquo山西邊將遣人送所獲故元平章完者不花至

京師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朕怒邊將以爲方遣使通好乃執其平章豈不失信於卿 今特遣內臣送之 抵

丞相營 宥之罪之放 遂之 卿自爲區處rdquo

53) 太祖實錄 卷140 洪武 14年 12月 辛未條 ldquo遣內臣 賚敕諭鳥蒙鳥撤諸酋長rdquo

54) 明史 卷205 廣西土司傳 ldquo帝命俱置屯田给耕 寻遣中使至桂林等府市牛给

南丹奉议诸卫军士rdquo

55) 太祖實錄 卷247 洪武 29年 10月 甲午條 ldquo安定卫酋长塔孩虎都鲁 來朝貢馬

四十疋 先是 上遣行人陈诚立撤里畏兀兒 爲安定卫錫 以印章 以塔孩虎都鲁等指

挥千百户 至是诚歸 塔孩虎都鲁随誠入贡上嘉其慕義 厚赉之 復命中使赍金币往

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五十兩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9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 때 황제의 이목으로서 환관을 활용하였던 것

이다

태조는 명왕조를 창건하기 이전 자신의 세력을 키워가는 과정에서

많은 부하들을 양자로 삼아 그들을 활용하였다 이들에게 여러 장수들

의 군대를 감독하게 함으로써 장수들의 배반을 사전에 막고 안전하게

통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태조가 처음 기병했을 때 많은 양자를 두

었는데 이들을 장수와 함께 여러 路를 지키도록 했다 이를 테면 周舍

를 鎭江에 道舍를 寧國에 馬兒를 婺州에 柴舍眞童을 處州에 金剛

奴를 衢州에 보내어 지키도록 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주원장의 양자들

이었다56) 양자를 심복으로 삼아 그들을 기용하여 군대를 감독하게 하

였던 것이다

이들에게 감군하는 권한을 허락한 것은 태조가 왕조를 창업하는 과

정에서 군권 장악이 최후 승자가 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고 생

각하여 취한 조처였던 것이다

그런데 왕조를 개창한 후에는 양자보다는 환관을 신임하고 그들을

군부대에 파견하였다 홍무 원년(1368) 9월에 北征에 힘쓴 將士들에게

음식을 베풀어 주면서 위로한 일이 있는데 이 때 환관 奉御를 北平에

파견하여 이 일을 담당하도록 하였다57) 홍무 9년(1376) 8월에는 환관

趙成을 군부대에 파견하여 그곳의 관리를 불러들였다 내용인즉 홍무

9년 西番의 多爾濟巴가 부락민을 이끌고 명에 귀순하여 오자 태조는

熊鼎을 岐寧衛 經歷으로 삼아 그곳을 다스리도록 하였다 웅정은 임지

에 도착한 후 귀순부대들이 거짓으로 항복했다는 것을 알고 그 사실

을 비밀리 조정에 보고하였다 태조는 그 소식을 듣고 먼저 웅정을 위

로한 후 환관 조성을 군부대에 보내어 웅정을 경사로 불러들였던 것

이다58)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환관 吳誠을 총병지휘 楊仲名에게

56) 明史 卷134 夏文輝傳 ldquo太祖初起 多蓄義子 及长命偕诸将分守诸路 周舍

守镇江 道舍守宁国 马兒守婺州 柴舍真童守处州 金刚奴守衢州 皆义子也rdquo

57) 太祖實錄 卷35 洪武 元年 9月 乙卯條 ldquo上遣中使奉御等官 至北平 犒北征將

士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0보내어 전반적인 계획과 책략을 살피도록 하였고59) 11월에는 總兵官

辰主指揮 楊仲名이 五開蠻의 반란을 평정하자 태조가 內臣 尙履奉御

呂玉을 楊仲名에게 보내어 그 군대를 검열하고 위로하게 하였다60) 홍

무 27년(1394)에는 환관을 陝西都指揮使司에게 보내어 將士들을 훈련

하게 하였고 魏國公 徐輝祖으로 하여금 섬서 연변지역을 다스리게 하

였다61)

이러한 예들은 환관이 감군으로서 군영에 파견되어 군정을 순시하

고 살피는 일을 한 사례들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태조는 환관이 군의 정황을 살피는 일 이상의 업무에는 참

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 점은 唐代의 환관들과 다른 점으로 당대

에는 환관의 감군이 정치참여로 나타났지만 태조는 환관이 국가중추

기관의 기밀을 획책하는 일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62) 그

렇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기능은 장차 환관의 위력이 점점 강해지는 결

과를 낳았음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셋째 태조는 환관을 각종 경제활동에도 참여시켰다

태조 때에 환관은 경제활동에도 빈번히 참여하였는데 최초의 예로

서는 홍무 8년(1375) 5월 태조가 환관 趙成을 河州에 보내어 거기서

말을 교역해 오도록 한 일이다 태조가 茶馬司를 설치 한 후 조정에서

는 西番에 말을 사들이는 교역장을 마련하였는데63) 서번은 본래 말의

58) 明通鑑 卷6 洪武 9年 8月條 이때에 옹정이 경사로 돌아가자 번인들이 반

란을 일으켰다고 한다

59)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0月 戊申條 ldquo遣內臣 吳誠詣總兵官指揮楊仲名行

營觀方略rdquo

60) 太祖實錄 卷121 洪武 11年 11月 庚午朔條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1

月 庚午條 ldquo五開蠻平 內臣 尙履奉御 呂玉勞指揮楊仲名rdquo 明通鑑 卷6 洪武12

年 11月條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61) 太祖實錄 卷234 洪武 27년 9月條

62) 田禾 明太祖嚴馭宦官試析 (社會科學戰線 1997-4期 1997) pp162-163

63) 茶马司는 洪武 5년1372)2月에 秦州에 처음 설치되었다 그 후 洪武 7년

(1374)다시 河州에 차마사를 설치하고 이어 또 洮州 등지에 차마사를 두었

다 이들은 四川 漢中 湖南 등지의 차와 서북 유목지역에서 나는 말을 교역하

는 임무를 띠고 있었는데 藏族지구의 말을 사들이는 일이 주된 일이었다 그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1산지였기 때문이었다 서번 사람들은 말을 가지고 와서 중국의 문물을

구입하여 갔다

그런데 서번인들의 생활용품과 중국의 용품과는 달랐고 명초에 지

폐인 보초가 발행 된 이후에는 번인들이 사용하는 화폐와 달라 말의

교역량이 줄어들게 되었다 태조는 이것을 염려하여 궁중 환관 趙成을

파견하여 말 교역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조성은 여러 종류의 비단과 사천 지방의 茶葉을 가지고 가서 말을

사오는 방책을 취하였다 조성의 노력으로 河州 수장은 서번 사람들을

위무하고 선대하면서 互市를 열었기에 점차 많은 말을 사들여 올 수

있었는데 이후 차마 무역은 점차 활발해졌던 것이다64)

또 홍무10년(1377) 3월 호부는 징세 업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곳이 178처나 있음을 알고 환관 국자감생 호부의 관원 등 각 부문에

서 각각 1명씩 차출하여 정밀 조사하기를 태조에게 주청하였다 세금

징수 업무를 담당하는 稅課司에서 할당한 세금이 제대로 걷히지 않자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환관과 국자감생들을 보내어 조사하도록 주청한

것이다 이때의 주청에 대하여 lsquo從之rsquo65)라 한 것을 보면 태조가 그것을

승인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환관이 징세 업무에도 간여하였음

을 보여주고 있는 좋은 사례인 것이다

그 외에도 홍무 16년(1383) 9월 태조는 內使 梁珉으로 하여금 돈을

가지고 琉球로 가서 말을 사들여 오도록 하였고66) 홍무 25년(1392) 3

월에는 尙膳太监 而聶과 司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소관

의 번족에게 보내어 거기서 말을 사들여오도록 하였다67) 이 때 서북

러므로 회족이 운거하고 있는 河州는 명대 茶馬互市의 중심지였다

6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5

65) 太祖實錄 卷111 洪武 10年 3月 甲申條 ldquo户部奏天下税课司局征商不如额者

一百七十八处 宜请遣中官国子生及部委官各一人往覈其實立爲定額從之rdquo

66) 太祖實錄 卷156 洪武 16年 9月 己未條 ldquo內官梁珉以貨幣往琉球易马還得马

九百八十三匹rdquo

67) 太祖實錄 卷217 洪武 25年 3月 己丑條 ldquo遣尙膳太监 而聶司禮太監 慶童

賚敕往諭陝西河州等衛所屬番族 令其輸馬 以茶給之rdquo 弇山堂別集 卷90 中官

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당시 尙膳太监 而聶과 司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2쪽의 번족으로부터 말을 사들이는 데는 중국차로서 대가를 지불하였

다 이 때 사들인 말이 10340여필에 이르고 교역한 차엽은 30여만 근

에 달하였다고 하며 구입한 말은 河南 山西 陝西의 衛所에 배치되었

던 것이다68)

넷째 환관을 민간 정보 수집요원으로 활용하였다

새로운 왕조가 성립되었다고 하지만 언제 어떻게 몽골족이 반격하

여 올지 모르고 또한 명조의 신 정권에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다시 왕조를 전복할지도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정보 수집을 중히 여기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

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錦衣衛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금의위를 운영하면서도 태조는 자신의 정권을 보전하기 위

해 환관에게 문무백관을 감시하는 권한을 맡겨 정보를 수집하였다 홍

무 12년(1379) 9월에 占城國 국왕 阿答阿者가 그 신하 陽須文旦을 파

견하여 황제에 올리는 상서와 함께 코끼리말방물 등을 진헌한 일

이 있었는데 중서성 신하는 이것을 제때에 보고하지 못하였으나 內臣

(환관)이 외출하였다가 그 사신을 만나 점성국 사신이 왔다는 정보를

얻어 그 사실을 태조에게 알렸다 태조는 환관의 정보 제공으로 곧바

로 점성국의 사신을 불러 접견할 수 있었는데 이 때 태조는 ldquo상하의

의사소통이 꽉 막히기가 여기까지 이르렀구나rdquo고 하며 탄식하며 중서

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번족에 보내어 말을 사들인 사실은 lsquo교역rsquo

이라는 경제 활동의 성격과 lsquo군마 구입과 배치rsquo라는 군사적 성격을 동시에 지

니고 있는 활동이기도 하다

68)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 ldquo尙膳太监 而聶等至河

州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於是得馬萬三千四十餘疋 以茶三十餘萬斤給之 諸族大悅 而聶遣使入奏

命以馬分给河南山西陕西卫所骑士rdquo이라 하여 교역된 마필과 차엽의 양이

언급되어 있고 당시 구매된 말이 어디로 배치되어 있는가 하는 내용이 더 언

급되어 있다 다만 같은 내용의 기사가 太祖實錄에는 洪武 25년 3月 기사로

弇山堂別集에는 2月 기사로 되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3성 관료들을 질책하자 승상 胡惟庸 汪廣洋 등 중서성의 신하들이 모

두 고개를 땅에 대고 사죄하였다고 한다69)

환관들은 황제의 이목이 되어 황제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황제와 환관들은 자연히 신뢰관계가 형성되었다 황제는

이러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환관에게 특별한 임무를 부여하였던 것

이다 특별한 임무란 황제가 직접 접할 수 없는 궁성 밖의 정세나 관

료의 동향을 알아내는 첩보 활동이었으며 京師의 禁軍도 그들의 감시

대상이었던 것이다

다섯째 환관은 친왕의 왕부에 특사로서 파견되기도 하였다 홍무 12

년(1279) 3월에 환관 陳京을 桂林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靖康王 朱守

謙에게 파견하여 황제의 유지를 전달하게 하였고 홍무 26년(1393) 2월

에 藍玉의 모반 사건이 일어났을 때 3월에 太原의 晉王 朱楓에게 사

람을 보내어 남옥의 모반 사건과 관련되어 있는 집안의 가정과 노비들

을 제거하고 재산을 몰수하라는 유지를 내렸는데 이때에 칙유를 가지

고 간 사람이 환관 而聶과 부마 梅殷였다70)

이를 보면 친왕들에게 유지를 전하는 데 환관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그렇기에 태조는祖訓錄에서

무릇 친왕이 과오를 저지르면 重한 경우 내사 감관으로 하여금 왕을

불러오게 하고 세 차례나 불러도 오지 않으면 다시 流官(황제가 임명한

관리)을 보내되 내관과 함께 동행을 하여 그를 경사로 불러들이도록 한

다71)

69) 太祖實錄 卷126 洪武 12年 9月 戊午條 ldquo占城國王 王阿答阿者遣其臣陽須文

旦進表及象馬方物中书省臣不以時奏 內臣因出外見其使者以聞 上亟召使者見之

嘆曰 壅蔽之害乃至此哉 因敕責省臣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丞相胡惟庸汪廣洋等 皆叩頭謝罪rdquo

70) 王德金 앞의 논문 朱元璋馭宦之析 pp41-42

71) 祖訓錄 法律 ldquo凡親王有過 重者 遣內使監官宣召 如三次不至 再遣流官 同監

官召之至京rdquo 태조가 창업군주로서 자손들에게 훈유를 내려 그것을 영구히 지

키도록 하기 위해 지은 책이 祖訓錄이다 太祖實錄 洪武 2年 4月 乙亥條에

ldquo詔中書編祖訓錄rdquo이라는 것을 보아 이때부터 편찬이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洪武 6年 5月에 완성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箴戒持守严祭祀谨出入慎

国政禮仪法律内令内官职制兵卫营缮供用 등 13 항목으로 되어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4

라고 규정함으로써 친왕이 문제가 있을 때에는 환관이 먼저 파견되었

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을 보면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들의 발호를 억제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정치적 현실에

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차마 무역의 담당

자로 호군 및 군대 감독자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

년 승상제가 폐지되면서 그들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

겠다 이로 인하여 환관의 권위는 점 점 높이지고 세력은 확대되어 갔

던 것이다

3 宦官數의 增大와 機構의 擴大

홍무 초년에는 태조가 환관을 통제했기에 당시의 환관들이 아직 자

금성 안에서 주로 복무했다고 한다면 그의 통치 중후기에는 환관들

이 궁궐 밖으로 나가 여러 임무를 띠고 초기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였다 태조는 이런 변화가 그렇게 나쁘다고 여기지 않았고 도리어

그들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도움이 된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리하여 태조시기에 환관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환관 기구도 확대

되어 갔다 홍무 2년 규정에는 내사감 봉어 60인 기타 각 각 사소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까지 합쳐 총수는 100명에 불과하였다72) 그러나

홍무 15년(1382)에는 환관 361인을 증설하였다73) 이것은 홍무 15년에

증가된 기록으로 당시 기존의 환관을 합치면 거의 수백 명의 환관이

있으며 태조 자신이 서문을 지었다 太祖實錄 28年 閏 9月 庚寅條에 의하면

이 때 祖訓錄을 거듭 정하여 皇明祖訓이라 명명하였다

72)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 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定置內

使監 奉御六十人 尙寶 一人 尙冠七人 尙衣 十人 尙佩九人 尙藥七人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東宮

後門 宮左宮右門 各設門正一人 副一人rdquo

73) 太祖實錄 卷149 洪武 15年 10月 丙戌條 ldquo增設內使三百六十一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5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명조는 수시로

주변 여러 나라에 엄인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사실로 홍무 24년(1391)에 태조는 환관 韓龍 黃禿蠻 등을

고려에 보내어 말 1만 필을 사오도록 하면서 閹人 200여명을 요구하였

다74) 그리고 安南國에서도 끊이지 않고 엄인들을 진공하였는데 매번

수십 명 씩 바쳤던 것이다75) 명조는 사방에 엄인을 요구하였는데 특

히 고려와 안남은 당시 엄인을 진공하는 주요 나라가 되었다76)

이리하여 환관의 수가 부단히 증가하였고 태조도 역시 환관을 심복

중의 심복으로 삼으면서 그들을 신뢰하고 있었다 이에 홍무 17년

(1384) 어느 날 대도독부 겸 국자감을 관할하고 있던 李文忠은 태조에

게 환관이 너무 많으니 그 숫자를 줄여할 것을 건의하였다

ldquo內臣이 너무 많습니다 마땅히 좀 줄이셔야 합니다rdquo라고 이문충이 건

의 하자 태조는 이를 듣고 대노 하여 ldquo자네가 나의 오른쪽 날개를 약화

시키려 하는데 그것은 무슨 의도인가 이것은 분명히 문객들이 시켰을

것이다rdquo라고 말하면서 결국 사람을 보내어 이문충의 문객을 전부 살해하

였다77)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일로 인하여 이문충은 병들어 죽게 되었는

데 이 때 이미 환관은 그 수가 적어서는 안 되는 대상이 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4) 太祖實錄 卷208 洪武 24年 3月 己丑條 ldquo詔於高麗市馬一萬疋 幷索閹人二百

人rdquo 高麗史 恭讓王 3년 辛未年條

75)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6

76) 환관의 공급원은 본래 宮刑에 처해진 죄인들이었지만 隋代 이후 궁형이 폐지

된 후부터는 ① 적의 포로 ② 외국으로부터의 進貢者 또는 변방 지역의 進獻

者 ③ 특별한 사정으로 궁형에 처해진 죄인 ④ 自宮者 곧 지원자 또는 부모의

명령으로 거세된 準自宮者 등이 있다

77) 弇山堂別集 卷20 史乘考誤 1 ldquo一日勸上内臣太多宜稍裁省 上大怒 謂若

欲弱吾羽翼何 意此必门客教之 因盡殺客 文忠驚悸得疾暴卒 上發悲 怒殺諸醫及

文忠侍者百人rdquo 이 기사는 어느 때의 기사인지 나와 있지 않아 잘 알 수 없으

나 이것은 李文忠(1339mdash1384)이 죽은 해에 발생한 사건이므로 洪武 17년

(1384)의 사건으로 볼 수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6환관의 기구 역시 확대되어 갔다 환관의 부서와 직무는 吳 원년

(1367)에 lsquo內史監rsquo이 설치된 이후 인원의 증대와 기구 관리를 위해 조

직이 신설 분리되어 가면서 확대되어 갔는데 홍무 17년(1384)에 9監

2庫 6局 체제가 되었다78) 이것은 명대 환관의 기구인 24아문(12감 4

사 8국)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어 홍무 28년(1395)에 11감 4사 9국으로

정비되어 24아문의 기구가 거의 완비되었던 것이다79) 홍무 30년(1397)

환관 조직은 12감8국4사의 24아문의 규모가 되었고 명왕조 환관

조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황종희가 말하고 있듯이 ldquo명조에 善治가

없었던 것은 태조가 재상을 폐지하면서부터이다 저 宮奴들이 재상의

정치가 땅에 떨어져 수습될 수 없음을 알고 여러 규칙과 조목을 세우

고 직무를 늘렸으며 생살권과 상벌권 등 재상으로부터 나오던 것이

이제 모두 환관들에게 돌아갔도다 (중략) 그러므로 궁노들이 재상처럼

된 것은 승상제를 폐지한 데서 온 커다란 과오이다rdquo80) 라고 하면서

환관의 발호는 재상의 폐지로 인한 것이며 이것은 명대 정치의 큰

폐단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로 재상 없는 군주 독재 지배체제에서 황제 한 사람에 의한 통치

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매일 황제 곁에 있는 환관

중 신뢰하는 환관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태조도 자신도 모르게 환관을 신뢰하고 그들을 중용을 하였으니 이념

적으로 ldquo내신은 정사에 관여하지 못한다rdquo 라는 규정을 내세우면서도

78)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九監은 内官监 神宫监 尚寶监 尚衣监 尚膳监 司

设监 司礼监 御马监 直殿监이고 二庫는 内承运库司鑰库이며 六局은 巾帽局

针工局 织染局 颜料局 司苑局 司牧局을 말한다

79) 위와 같음 十二監은 神宫监 尚寶监 孝陵神宮監 尚膳监 尚衣监 司设监 内官

监 司禮監 御马监 印綬監 直殿监이고 四司는 惜薪司 钟鼓司寶钞司 混堂司이

며 9局庫는 兵仗局 織染局 针工局 巾帽局 司苑局 酒醋麵局 內乘運庫 司鑰庫

內府供用庫인데 이것들은 후에 24아문으로 발전하였다

80) 黄宗羲 明夷待訪錄 置相 ldquo有明之无善治 自高皇帝罢丞相始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彼宫奴

者见宰相之政事坠地不收从而设为科条增其职掌 生杀予夺 出自宰相者 次

第而尽归焉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故使宫奴有宰相之实 则罢丞相之过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18: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6를 더 읽어가 보면 그 때 중국인으로서 고려에 머물러 있는 유민들이

약 160여명이 있었는데 이 때 환관 金麗淵을 보내서 그들을 고려에

돌려보내었던 것이다43) 이 사실은 高麗史에도 ldquo己酉 18년 6월 丙寅

일에 황제가 환관 金麗淵을 파견하여 칙서를 전했다rdquo44)라고 하고 있어

당시 고려와 명과의 외교관계를 엿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명조의 환

관이 외교 사절단으로 나간 최초의 예라 할 수 있다

그리고 耽羅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는데 홍무 22년(1389) 4월 ldquo옛 원

나라의 제왕 중 명조에 귀부한 자는 탐라국에 거처하도록 하였으며

더욱이 그곳에 환관을 보내어 그들이 머물 집을 지어 주고 그곳에서

거처하도록 하였다rdquo45)라고 한 것을 보면 귀부한 元의 諸王들을 제주도

에 보내어 머물게 하면서 이 때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었던 것이다

安南國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1년(1378) 정월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安南國에 파견하여 국왕 陳煓의 喪을 조문하였다 당시 안남국

왕 陳煓이 죽었는데 그의 동생 陳煒가 사신 陳建璨阮士諤을 명에 보

내어 안남국왕이 죽었음을 알려오자 이미 서로 교류가 있던 차였기에

태조는 환관 陳能을 안남에 파견하여 문상하도록 하고 비단도 함께 보

내었던 것이다46)

書賜其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其間有高麗流寓者百六十餘人 朕念其人豈無鄕里骨肉之思 故令有

司遣使護送東歸rdquo

43) 洪武時期에 명과 고려 사이에 여러 차례 사절의 왕래가 있었다 홍무 2년

(1369) 4月부터 홍무 29년(1396) 6月까지 모두 22차례에 걸쳐 사신이 고려와

조선에 파견되었는데 사신의 이름이 파악된 사람이 43명(환관 25인 문신 11

인 무관 7인)이다 그중 정사로 고려조선에 출사한 사람이 21명인데 그 중

환관이 11인이고 문관이 4인이며 무관이 6인이다 이를 보면 많은 환관이 사

신으로서 고려조선에 파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환관은 대개 고려나 조

선 출신의 환관이었다 고려 조선 출신 25명의 환관 중 金丽渊黄永奇金仁

甫崔渊 등은 유명한 환관이다(李新峰 明前期赴朝鲜使臣丛考 明清论丛 第4辑 紫禁城出版社2003 참고)

44) 高麗史 卷132 恭愍王 己酉 18年 6月 丙寅條 ldquo皇帝遣宦者金麗淵致書rdquo 이

기사에는 이 때 귀환한 자가 165인으로 기록되어 있다

45) 太祖實錄 卷196 洪武 22年 4月 甲寅條 ldquo詔故元諸王來降者俾居耽羅國 且遣

中使往諭其國 爲造廬舍處之rdquo

46) 太祖實錄 卷117 洪武 11年 正月 ldquo是月 安南陳煓弟煒遣其臣陳建璨阮士諤來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7琉球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6년(1383) 정월 태조는 內使監 监

丞 梁民과 尚佩监 奉御 路謙 등을 琉球에 파견하여 中山王 察度에게

鍍金銀印과 고급비단을 하사한 일이 있다47) 같은 해 9월 琉球에서 내

란이 발생하였을 때에 태조는 监丞 梁玟을 보내어 전쟁을 중단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당시 中山王 山南王 山北王이 서로 자웅

을 겨루며 싸우고 있었는데 이때 내사감승 梁民에게 칙서를 보내어

싸움을 그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칙유를 보내었던 것이며 이들 모두

태조의 칙유를 받아들였던 것이다48)

眞臘國(캄보디아) 暹羅斛國(태국)에도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사무를 보게 하였다 홍무19년(1386) 9월에 行人 劉敏 唐敬 등을 환관

들과 함께 眞臘國에 보내었는데 이 때 磁器를 가지고 가서 하사토록

했고49) 홍무 28년(1395) 12월에는 환관 趙達과 朱福 등을 暹羅斛國(태

국)에 보내어 사망한 왕 參烈寶毘嗯哩哆嗦祿을 조문하고 후사인 蘇門

邦 昭祿群膺에게 비단과 모직물을 하사하였던 것이다50)

이상의 예들은 환관이 이미 태조시기에 황제의 명을 받고 외국의

사신으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수행한 사례들이다

태조가 환관을 변경 지역에 파견한 사실도 여러 곳에 보이고 있다

告煓卒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遣中使陳能至其國弔祭rdquo 國榷 卷6 洪武 11년 正月 ldquo是月 安南

陳煓弟煒遣使告哀 命中使陳能弔祭rdquo

47) 太祖實錄 卷151 洪武 16年 正月 丁未條

48) 明史 卷323 琉球傳 ldquo時二王與山北王爭雄 互相攻伐 命내內使監丞梁玟賜

之勅 令罷兵息民 三王并奉命rdquo 당시 琉球는 中山王(察度) 山南王(承察度) 山北

王(帕尼芝) 등 3세력이 대립하고 있었다

49) 太祖實錄 卷179 洪武 19年 9月 癸未條 ldquo遣行人劉敏唐敬偕內使賚磁器往賜

眞臘等國rdquo

50) 太祖實錄 卷243 洪武 28年 12月 戊午條 ldquo詔遣內使 趙達 朱福等 使暹羅斛

國 祭故王參烈寶毘嗯哩哆嗦祿 賜嗣王蘇門邦昭祿群膺 文綺四疋羅四疋 氁絲布四

十疋rdquo 明史 卷324 暹羅傳에도 같은 내용이 보이고 있다 ldquo二十八年 昭禄群

膺遣使朝贡 且告父丧 命中官赵达等往祭 敕世子嗣王位 赐赉有加rdquo (昭祿群膺이

사신을 파견하여 조공하고 또 부친의 상을 고하였다 이에 환관 조달 등으로

하여금 섬라에 가서 조문하도록 하고 세자가 왕위를 이어받도록 하였으며 더

불어 하사품을 곁들였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8홍무 2년(1369) 4월 원 승상 納哈出에게 편지를 보내 通交를 요구할

때 內臣을 파견하여 우호를 증진하였다51)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태조가 붙잡힌 원나라의 평장 完者不花를 돌려보내는데 환관을 시켜

돌려보내었다52) 홍무 14년(1381) 12월에는 환관을 파견하여 乌蒙(지금

의 운남성의 昭通)乌撤(지금의 운남성의 镇雄귀주성의 威宁)의 여

러 추장들에게 조칙을 발하였다53) 홍무 29년(1396) 6월에는 중사(환

관)를 桂林 등지의 府市에 보내어 南丹 奉儀 등의 衛所의 둔전 군사

들에게 밭가는 소를 지급해 주도록 하였다54) 동년 10월에 安定衛의

酋长 塔孩虎都鲁가 명에 와서 말 40필을 공물로 바친 일이 있는데 안

정위의 추장이 공물을 바친 것은 태조가 行人 陳誠으로 하여금 그곳에

다시 安定衛를 세우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었으며 이때에

ldquo復命中使赍金币往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

五十兩rdquo이라 하여 환관을 보내어 추장에게 옷과 비단 및 금품을 하사

하였던 것이다55)

이상의 기록들을 보면 태조시기에 환관이 여러 차례 변경 지역에

파견되어 변경 지역의 중대 업무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환관에게 지방 군대를 감독하거나 때로 군을 지휘하는 특수

임무를 맡겼다 태조는 외지 변경 지역의 장수들을 엄격히 통제하지

51)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亥條 ldquo玆 因遣使通元君 道經營壘望 令人送

達 所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國榷 卷3 太祖洪武 2年 4月 乙亥

條 ldquo又諭元臣納哈出書曰將軍昔自江左辭還 不通問十五年矣 近聞戍守遼陽 士馬

强 玆因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52) 太祖實錄 卷120 洪武11年 10月條 ldquo山西邊將遣人送所獲故元平章完者不花至

京師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朕怒邊將以爲方遣使通好乃執其平章豈不失信於卿 今特遣內臣送之 抵

丞相營 宥之罪之放 遂之 卿自爲區處rdquo

53) 太祖實錄 卷140 洪武 14年 12月 辛未條 ldquo遣內臣 賚敕諭鳥蒙鳥撤諸酋長rdquo

54) 明史 卷205 廣西土司傳 ldquo帝命俱置屯田给耕 寻遣中使至桂林等府市牛给

南丹奉议诸卫军士rdquo

55) 太祖實錄 卷247 洪武 29年 10月 甲午條 ldquo安定卫酋长塔孩虎都鲁 來朝貢馬

四十疋 先是 上遣行人陈诚立撤里畏兀兒 爲安定卫錫 以印章 以塔孩虎都鲁等指

挥千百户 至是诚歸 塔孩虎都鲁随誠入贡上嘉其慕義 厚赉之 復命中使赍金币往

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五十兩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9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 때 황제의 이목으로서 환관을 활용하였던 것

이다

태조는 명왕조를 창건하기 이전 자신의 세력을 키워가는 과정에서

많은 부하들을 양자로 삼아 그들을 활용하였다 이들에게 여러 장수들

의 군대를 감독하게 함으로써 장수들의 배반을 사전에 막고 안전하게

통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태조가 처음 기병했을 때 많은 양자를 두

었는데 이들을 장수와 함께 여러 路를 지키도록 했다 이를 테면 周舍

를 鎭江에 道舍를 寧國에 馬兒를 婺州에 柴舍眞童을 處州에 金剛

奴를 衢州에 보내어 지키도록 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주원장의 양자들

이었다56) 양자를 심복으로 삼아 그들을 기용하여 군대를 감독하게 하

였던 것이다

이들에게 감군하는 권한을 허락한 것은 태조가 왕조를 창업하는 과

정에서 군권 장악이 최후 승자가 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고 생

각하여 취한 조처였던 것이다

그런데 왕조를 개창한 후에는 양자보다는 환관을 신임하고 그들을

군부대에 파견하였다 홍무 원년(1368) 9월에 北征에 힘쓴 將士들에게

음식을 베풀어 주면서 위로한 일이 있는데 이 때 환관 奉御를 北平에

파견하여 이 일을 담당하도록 하였다57) 홍무 9년(1376) 8월에는 환관

趙成을 군부대에 파견하여 그곳의 관리를 불러들였다 내용인즉 홍무

9년 西番의 多爾濟巴가 부락민을 이끌고 명에 귀순하여 오자 태조는

熊鼎을 岐寧衛 經歷으로 삼아 그곳을 다스리도록 하였다 웅정은 임지

에 도착한 후 귀순부대들이 거짓으로 항복했다는 것을 알고 그 사실

을 비밀리 조정에 보고하였다 태조는 그 소식을 듣고 먼저 웅정을 위

로한 후 환관 조성을 군부대에 보내어 웅정을 경사로 불러들였던 것

이다58)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환관 吳誠을 총병지휘 楊仲名에게

56) 明史 卷134 夏文輝傳 ldquo太祖初起 多蓄義子 及长命偕诸将分守诸路 周舍

守镇江 道舍守宁国 马兒守婺州 柴舍真童守处州 金刚奴守衢州 皆义子也rdquo

57) 太祖實錄 卷35 洪武 元年 9月 乙卯條 ldquo上遣中使奉御等官 至北平 犒北征將

士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0보내어 전반적인 계획과 책략을 살피도록 하였고59) 11월에는 總兵官

辰主指揮 楊仲名이 五開蠻의 반란을 평정하자 태조가 內臣 尙履奉御

呂玉을 楊仲名에게 보내어 그 군대를 검열하고 위로하게 하였다60) 홍

무 27년(1394)에는 환관을 陝西都指揮使司에게 보내어 將士들을 훈련

하게 하였고 魏國公 徐輝祖으로 하여금 섬서 연변지역을 다스리게 하

였다61)

이러한 예들은 환관이 감군으로서 군영에 파견되어 군정을 순시하

고 살피는 일을 한 사례들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태조는 환관이 군의 정황을 살피는 일 이상의 업무에는 참

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 점은 唐代의 환관들과 다른 점으로 당대

에는 환관의 감군이 정치참여로 나타났지만 태조는 환관이 국가중추

기관의 기밀을 획책하는 일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62) 그

렇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기능은 장차 환관의 위력이 점점 강해지는 결

과를 낳았음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셋째 태조는 환관을 각종 경제활동에도 참여시켰다

태조 때에 환관은 경제활동에도 빈번히 참여하였는데 최초의 예로

서는 홍무 8년(1375) 5월 태조가 환관 趙成을 河州에 보내어 거기서

말을 교역해 오도록 한 일이다 태조가 茶馬司를 설치 한 후 조정에서

는 西番에 말을 사들이는 교역장을 마련하였는데63) 서번은 본래 말의

58) 明通鑑 卷6 洪武 9年 8月條 이때에 옹정이 경사로 돌아가자 번인들이 반

란을 일으켰다고 한다

59)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0月 戊申條 ldquo遣內臣 吳誠詣總兵官指揮楊仲名行

營觀方略rdquo

60) 太祖實錄 卷121 洪武 11年 11月 庚午朔條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1

月 庚午條 ldquo五開蠻平 內臣 尙履奉御 呂玉勞指揮楊仲名rdquo 明通鑑 卷6 洪武12

年 11月條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61) 太祖實錄 卷234 洪武 27년 9月條

62) 田禾 明太祖嚴馭宦官試析 (社會科學戰線 1997-4期 1997) pp162-163

63) 茶马司는 洪武 5년1372)2月에 秦州에 처음 설치되었다 그 후 洪武 7년

(1374)다시 河州에 차마사를 설치하고 이어 또 洮州 등지에 차마사를 두었

다 이들은 四川 漢中 湖南 등지의 차와 서북 유목지역에서 나는 말을 교역하

는 임무를 띠고 있었는데 藏族지구의 말을 사들이는 일이 주된 일이었다 그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1산지였기 때문이었다 서번 사람들은 말을 가지고 와서 중국의 문물을

구입하여 갔다

그런데 서번인들의 생활용품과 중국의 용품과는 달랐고 명초에 지

폐인 보초가 발행 된 이후에는 번인들이 사용하는 화폐와 달라 말의

교역량이 줄어들게 되었다 태조는 이것을 염려하여 궁중 환관 趙成을

파견하여 말 교역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조성은 여러 종류의 비단과 사천 지방의 茶葉을 가지고 가서 말을

사오는 방책을 취하였다 조성의 노력으로 河州 수장은 서번 사람들을

위무하고 선대하면서 互市를 열었기에 점차 많은 말을 사들여 올 수

있었는데 이후 차마 무역은 점차 활발해졌던 것이다64)

또 홍무10년(1377) 3월 호부는 징세 업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곳이 178처나 있음을 알고 환관 국자감생 호부의 관원 등 각 부문에

서 각각 1명씩 차출하여 정밀 조사하기를 태조에게 주청하였다 세금

징수 업무를 담당하는 稅課司에서 할당한 세금이 제대로 걷히지 않자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환관과 국자감생들을 보내어 조사하도록 주청한

것이다 이때의 주청에 대하여 lsquo從之rsquo65)라 한 것을 보면 태조가 그것을

승인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환관이 징세 업무에도 간여하였음

을 보여주고 있는 좋은 사례인 것이다

그 외에도 홍무 16년(1383) 9월 태조는 內使 梁珉으로 하여금 돈을

가지고 琉球로 가서 말을 사들여 오도록 하였고66) 홍무 25년(1392) 3

월에는 尙膳太监 而聶과 司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소관

의 번족에게 보내어 거기서 말을 사들여오도록 하였다67) 이 때 서북

러므로 회족이 운거하고 있는 河州는 명대 茶馬互市의 중심지였다

6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5

65) 太祖實錄 卷111 洪武 10年 3月 甲申條 ldquo户部奏天下税课司局征商不如额者

一百七十八处 宜请遣中官国子生及部委官各一人往覈其實立爲定額從之rdquo

66) 太祖實錄 卷156 洪武 16年 9月 己未條 ldquo內官梁珉以貨幣往琉球易马還得马

九百八十三匹rdquo

67) 太祖實錄 卷217 洪武 25年 3月 己丑條 ldquo遣尙膳太监 而聶司禮太監 慶童

賚敕往諭陝西河州等衛所屬番族 令其輸馬 以茶給之rdquo 弇山堂別集 卷90 中官

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당시 尙膳太监 而聶과 司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2쪽의 번족으로부터 말을 사들이는 데는 중국차로서 대가를 지불하였

다 이 때 사들인 말이 10340여필에 이르고 교역한 차엽은 30여만 근

에 달하였다고 하며 구입한 말은 河南 山西 陝西의 衛所에 배치되었

던 것이다68)

넷째 환관을 민간 정보 수집요원으로 활용하였다

새로운 왕조가 성립되었다고 하지만 언제 어떻게 몽골족이 반격하

여 올지 모르고 또한 명조의 신 정권에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다시 왕조를 전복할지도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정보 수집을 중히 여기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

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錦衣衛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금의위를 운영하면서도 태조는 자신의 정권을 보전하기 위

해 환관에게 문무백관을 감시하는 권한을 맡겨 정보를 수집하였다 홍

무 12년(1379) 9월에 占城國 국왕 阿答阿者가 그 신하 陽須文旦을 파

견하여 황제에 올리는 상서와 함께 코끼리말방물 등을 진헌한 일

이 있었는데 중서성 신하는 이것을 제때에 보고하지 못하였으나 內臣

(환관)이 외출하였다가 그 사신을 만나 점성국 사신이 왔다는 정보를

얻어 그 사실을 태조에게 알렸다 태조는 환관의 정보 제공으로 곧바

로 점성국의 사신을 불러 접견할 수 있었는데 이 때 태조는 ldquo상하의

의사소통이 꽉 막히기가 여기까지 이르렀구나rdquo고 하며 탄식하며 중서

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번족에 보내어 말을 사들인 사실은 lsquo교역rsquo

이라는 경제 활동의 성격과 lsquo군마 구입과 배치rsquo라는 군사적 성격을 동시에 지

니고 있는 활동이기도 하다

68)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 ldquo尙膳太监 而聶等至河

州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於是得馬萬三千四十餘疋 以茶三十餘萬斤給之 諸族大悅 而聶遣使入奏

命以馬分给河南山西陕西卫所骑士rdquo이라 하여 교역된 마필과 차엽의 양이

언급되어 있고 당시 구매된 말이 어디로 배치되어 있는가 하는 내용이 더 언

급되어 있다 다만 같은 내용의 기사가 太祖實錄에는 洪武 25년 3月 기사로

弇山堂別集에는 2月 기사로 되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3성 관료들을 질책하자 승상 胡惟庸 汪廣洋 등 중서성의 신하들이 모

두 고개를 땅에 대고 사죄하였다고 한다69)

환관들은 황제의 이목이 되어 황제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황제와 환관들은 자연히 신뢰관계가 형성되었다 황제는

이러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환관에게 특별한 임무를 부여하였던 것

이다 특별한 임무란 황제가 직접 접할 수 없는 궁성 밖의 정세나 관

료의 동향을 알아내는 첩보 활동이었으며 京師의 禁軍도 그들의 감시

대상이었던 것이다

다섯째 환관은 친왕의 왕부에 특사로서 파견되기도 하였다 홍무 12

년(1279) 3월에 환관 陳京을 桂林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靖康王 朱守

謙에게 파견하여 황제의 유지를 전달하게 하였고 홍무 26년(1393) 2월

에 藍玉의 모반 사건이 일어났을 때 3월에 太原의 晉王 朱楓에게 사

람을 보내어 남옥의 모반 사건과 관련되어 있는 집안의 가정과 노비들

을 제거하고 재산을 몰수하라는 유지를 내렸는데 이때에 칙유를 가지

고 간 사람이 환관 而聶과 부마 梅殷였다70)

이를 보면 친왕들에게 유지를 전하는 데 환관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그렇기에 태조는祖訓錄에서

무릇 친왕이 과오를 저지르면 重한 경우 내사 감관으로 하여금 왕을

불러오게 하고 세 차례나 불러도 오지 않으면 다시 流官(황제가 임명한

관리)을 보내되 내관과 함께 동행을 하여 그를 경사로 불러들이도록 한

다71)

69) 太祖實錄 卷126 洪武 12年 9月 戊午條 ldquo占城國王 王阿答阿者遣其臣陽須文

旦進表及象馬方物中书省臣不以時奏 內臣因出外見其使者以聞 上亟召使者見之

嘆曰 壅蔽之害乃至此哉 因敕責省臣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丞相胡惟庸汪廣洋等 皆叩頭謝罪rdquo

70) 王德金 앞의 논문 朱元璋馭宦之析 pp41-42

71) 祖訓錄 法律 ldquo凡親王有過 重者 遣內使監官宣召 如三次不至 再遣流官 同監

官召之至京rdquo 태조가 창업군주로서 자손들에게 훈유를 내려 그것을 영구히 지

키도록 하기 위해 지은 책이 祖訓錄이다 太祖實錄 洪武 2年 4月 乙亥條에

ldquo詔中書編祖訓錄rdquo이라는 것을 보아 이때부터 편찬이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洪武 6年 5月에 완성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箴戒持守严祭祀谨出入慎

国政禮仪法律内令内官职制兵卫营缮供用 등 13 항목으로 되어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4

라고 규정함으로써 친왕이 문제가 있을 때에는 환관이 먼저 파견되었

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을 보면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들의 발호를 억제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정치적 현실에

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차마 무역의 담당

자로 호군 및 군대 감독자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

년 승상제가 폐지되면서 그들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

겠다 이로 인하여 환관의 권위는 점 점 높이지고 세력은 확대되어 갔

던 것이다

3 宦官數의 增大와 機構의 擴大

홍무 초년에는 태조가 환관을 통제했기에 당시의 환관들이 아직 자

금성 안에서 주로 복무했다고 한다면 그의 통치 중후기에는 환관들

이 궁궐 밖으로 나가 여러 임무를 띠고 초기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였다 태조는 이런 변화가 그렇게 나쁘다고 여기지 않았고 도리어

그들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도움이 된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리하여 태조시기에 환관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환관 기구도 확대

되어 갔다 홍무 2년 규정에는 내사감 봉어 60인 기타 각 각 사소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까지 합쳐 총수는 100명에 불과하였다72) 그러나

홍무 15년(1382)에는 환관 361인을 증설하였다73) 이것은 홍무 15년에

증가된 기록으로 당시 기존의 환관을 합치면 거의 수백 명의 환관이

있으며 태조 자신이 서문을 지었다 太祖實錄 28年 閏 9月 庚寅條에 의하면

이 때 祖訓錄을 거듭 정하여 皇明祖訓이라 명명하였다

72)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 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定置內

使監 奉御六十人 尙寶 一人 尙冠七人 尙衣 十人 尙佩九人 尙藥七人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東宮

後門 宮左宮右門 各設門正一人 副一人rdquo

73) 太祖實錄 卷149 洪武 15年 10月 丙戌條 ldquo增設內使三百六十一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5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명조는 수시로

주변 여러 나라에 엄인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사실로 홍무 24년(1391)에 태조는 환관 韓龍 黃禿蠻 등을

고려에 보내어 말 1만 필을 사오도록 하면서 閹人 200여명을 요구하였

다74) 그리고 安南國에서도 끊이지 않고 엄인들을 진공하였는데 매번

수십 명 씩 바쳤던 것이다75) 명조는 사방에 엄인을 요구하였는데 특

히 고려와 안남은 당시 엄인을 진공하는 주요 나라가 되었다76)

이리하여 환관의 수가 부단히 증가하였고 태조도 역시 환관을 심복

중의 심복으로 삼으면서 그들을 신뢰하고 있었다 이에 홍무 17년

(1384) 어느 날 대도독부 겸 국자감을 관할하고 있던 李文忠은 태조에

게 환관이 너무 많으니 그 숫자를 줄여할 것을 건의하였다

ldquo內臣이 너무 많습니다 마땅히 좀 줄이셔야 합니다rdquo라고 이문충이 건

의 하자 태조는 이를 듣고 대노 하여 ldquo자네가 나의 오른쪽 날개를 약화

시키려 하는데 그것은 무슨 의도인가 이것은 분명히 문객들이 시켰을

것이다rdquo라고 말하면서 결국 사람을 보내어 이문충의 문객을 전부 살해하

였다77)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일로 인하여 이문충은 병들어 죽게 되었는

데 이 때 이미 환관은 그 수가 적어서는 안 되는 대상이 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4) 太祖實錄 卷208 洪武 24年 3月 己丑條 ldquo詔於高麗市馬一萬疋 幷索閹人二百

人rdquo 高麗史 恭讓王 3년 辛未年條

75)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6

76) 환관의 공급원은 본래 宮刑에 처해진 죄인들이었지만 隋代 이후 궁형이 폐지

된 후부터는 ① 적의 포로 ② 외국으로부터의 進貢者 또는 변방 지역의 進獻

者 ③ 특별한 사정으로 궁형에 처해진 죄인 ④ 自宮者 곧 지원자 또는 부모의

명령으로 거세된 準自宮者 등이 있다

77) 弇山堂別集 卷20 史乘考誤 1 ldquo一日勸上内臣太多宜稍裁省 上大怒 謂若

欲弱吾羽翼何 意此必门客教之 因盡殺客 文忠驚悸得疾暴卒 上發悲 怒殺諸醫及

文忠侍者百人rdquo 이 기사는 어느 때의 기사인지 나와 있지 않아 잘 알 수 없으

나 이것은 李文忠(1339mdash1384)이 죽은 해에 발생한 사건이므로 洪武 17년

(1384)의 사건으로 볼 수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6환관의 기구 역시 확대되어 갔다 환관의 부서와 직무는 吳 원년

(1367)에 lsquo內史監rsquo이 설치된 이후 인원의 증대와 기구 관리를 위해 조

직이 신설 분리되어 가면서 확대되어 갔는데 홍무 17년(1384)에 9監

2庫 6局 체제가 되었다78) 이것은 명대 환관의 기구인 24아문(12감 4

사 8국)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어 홍무 28년(1395)에 11감 4사 9국으로

정비되어 24아문의 기구가 거의 완비되었던 것이다79) 홍무 30년(1397)

환관 조직은 12감8국4사의 24아문의 규모가 되었고 명왕조 환관

조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황종희가 말하고 있듯이 ldquo명조에 善治가

없었던 것은 태조가 재상을 폐지하면서부터이다 저 宮奴들이 재상의

정치가 땅에 떨어져 수습될 수 없음을 알고 여러 규칙과 조목을 세우

고 직무를 늘렸으며 생살권과 상벌권 등 재상으로부터 나오던 것이

이제 모두 환관들에게 돌아갔도다 (중략) 그러므로 궁노들이 재상처럼

된 것은 승상제를 폐지한 데서 온 커다란 과오이다rdquo80) 라고 하면서

환관의 발호는 재상의 폐지로 인한 것이며 이것은 명대 정치의 큰

폐단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로 재상 없는 군주 독재 지배체제에서 황제 한 사람에 의한 통치

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매일 황제 곁에 있는 환관

중 신뢰하는 환관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태조도 자신도 모르게 환관을 신뢰하고 그들을 중용을 하였으니 이념

적으로 ldquo내신은 정사에 관여하지 못한다rdquo 라는 규정을 내세우면서도

78)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九監은 内官监 神宫监 尚寶监 尚衣监 尚膳监 司

设监 司礼监 御马监 直殿监이고 二庫는 内承运库司鑰库이며 六局은 巾帽局

针工局 织染局 颜料局 司苑局 司牧局을 말한다

79) 위와 같음 十二監은 神宫监 尚寶监 孝陵神宮監 尚膳监 尚衣监 司设监 内官

监 司禮監 御马监 印綬監 直殿监이고 四司는 惜薪司 钟鼓司寶钞司 混堂司이

며 9局庫는 兵仗局 織染局 针工局 巾帽局 司苑局 酒醋麵局 內乘運庫 司鑰庫

內府供用庫인데 이것들은 후에 24아문으로 발전하였다

80) 黄宗羲 明夷待訪錄 置相 ldquo有明之无善治 自高皇帝罢丞相始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彼宫奴

者见宰相之政事坠地不收从而设为科条增其职掌 生杀予夺 出自宰相者 次

第而尽归焉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故使宫奴有宰相之实 则罢丞相之过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19: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7琉球에도 사신을 보내었다 홍무 16년(1383) 정월 태조는 內使監 监

丞 梁民과 尚佩监 奉御 路謙 등을 琉球에 파견하여 中山王 察度에게

鍍金銀印과 고급비단을 하사한 일이 있다47) 같은 해 9월 琉球에서 내

란이 발생하였을 때에 태조는 监丞 梁玟을 보내어 전쟁을 중단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당시 中山王 山南王 山北王이 서로 자웅

을 겨루며 싸우고 있었는데 이때 내사감승 梁民에게 칙서를 보내어

싸움을 그치고 민생을 도모하도록 칙유를 보내었던 것이며 이들 모두

태조의 칙유를 받아들였던 것이다48)

眞臘國(캄보디아) 暹羅斛國(태국)에도 환관을 사신으로 보내어 외교

사무를 보게 하였다 홍무19년(1386) 9월에 行人 劉敏 唐敬 등을 환관

들과 함께 眞臘國에 보내었는데 이 때 磁器를 가지고 가서 하사토록

했고49) 홍무 28년(1395) 12월에는 환관 趙達과 朱福 등을 暹羅斛國(태

국)에 보내어 사망한 왕 參烈寶毘嗯哩哆嗦祿을 조문하고 후사인 蘇門

邦 昭祿群膺에게 비단과 모직물을 하사하였던 것이다50)

이상의 예들은 환관이 이미 태조시기에 황제의 명을 받고 외국의

사신으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수행한 사례들이다

태조가 환관을 변경 지역에 파견한 사실도 여러 곳에 보이고 있다

告煓卒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遣中使陳能至其國弔祭rdquo 國榷 卷6 洪武 11년 正月 ldquo是月 安南

陳煓弟煒遣使告哀 命中使陳能弔祭rdquo

47) 太祖實錄 卷151 洪武 16年 正月 丁未條

48) 明史 卷323 琉球傳 ldquo時二王與山北王爭雄 互相攻伐 命내內使監丞梁玟賜

之勅 令罷兵息民 三王并奉命rdquo 당시 琉球는 中山王(察度) 山南王(承察度) 山北

王(帕尼芝) 등 3세력이 대립하고 있었다

49) 太祖實錄 卷179 洪武 19年 9月 癸未條 ldquo遣行人劉敏唐敬偕內使賚磁器往賜

眞臘等國rdquo

50) 太祖實錄 卷243 洪武 28年 12月 戊午條 ldquo詔遣內使 趙達 朱福等 使暹羅斛

國 祭故王參烈寶毘嗯哩哆嗦祿 賜嗣王蘇門邦昭祿群膺 文綺四疋羅四疋 氁絲布四

十疋rdquo 明史 卷324 暹羅傳에도 같은 내용이 보이고 있다 ldquo二十八年 昭禄群

膺遣使朝贡 且告父丧 命中官赵达等往祭 敕世子嗣王位 赐赉有加rdquo (昭祿群膺이

사신을 파견하여 조공하고 또 부친의 상을 고하였다 이에 환관 조달 등으로

하여금 섬라에 가서 조문하도록 하고 세자가 왕위를 이어받도록 하였으며 더

불어 하사품을 곁들였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8홍무 2년(1369) 4월 원 승상 納哈出에게 편지를 보내 通交를 요구할

때 內臣을 파견하여 우호를 증진하였다51)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태조가 붙잡힌 원나라의 평장 完者不花를 돌려보내는데 환관을 시켜

돌려보내었다52) 홍무 14년(1381) 12월에는 환관을 파견하여 乌蒙(지금

의 운남성의 昭通)乌撤(지금의 운남성의 镇雄귀주성의 威宁)의 여

러 추장들에게 조칙을 발하였다53) 홍무 29년(1396) 6월에는 중사(환

관)를 桂林 등지의 府市에 보내어 南丹 奉儀 등의 衛所의 둔전 군사

들에게 밭가는 소를 지급해 주도록 하였다54) 동년 10월에 安定衛의

酋长 塔孩虎都鲁가 명에 와서 말 40필을 공물로 바친 일이 있는데 안

정위의 추장이 공물을 바친 것은 태조가 行人 陳誠으로 하여금 그곳에

다시 安定衛를 세우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었으며 이때에

ldquo復命中使赍金币往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

五十兩rdquo이라 하여 환관을 보내어 추장에게 옷과 비단 및 금품을 하사

하였던 것이다55)

이상의 기록들을 보면 태조시기에 환관이 여러 차례 변경 지역에

파견되어 변경 지역의 중대 업무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환관에게 지방 군대를 감독하거나 때로 군을 지휘하는 특수

임무를 맡겼다 태조는 외지 변경 지역의 장수들을 엄격히 통제하지

51)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亥條 ldquo玆 因遣使通元君 道經營壘望 令人送

達 所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國榷 卷3 太祖洪武 2年 4月 乙亥

條 ldquo又諭元臣納哈出書曰將軍昔自江左辭還 不通問十五年矣 近聞戍守遼陽 士馬

强 玆因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52) 太祖實錄 卷120 洪武11年 10月條 ldquo山西邊將遣人送所獲故元平章完者不花至

京師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朕怒邊將以爲方遣使通好乃執其平章豈不失信於卿 今特遣內臣送之 抵

丞相營 宥之罪之放 遂之 卿自爲區處rdquo

53) 太祖實錄 卷140 洪武 14年 12月 辛未條 ldquo遣內臣 賚敕諭鳥蒙鳥撤諸酋長rdquo

54) 明史 卷205 廣西土司傳 ldquo帝命俱置屯田给耕 寻遣中使至桂林等府市牛给

南丹奉议诸卫军士rdquo

55) 太祖實錄 卷247 洪武 29年 10月 甲午條 ldquo安定卫酋长塔孩虎都鲁 來朝貢馬

四十疋 先是 上遣行人陈诚立撤里畏兀兒 爲安定卫錫 以印章 以塔孩虎都鲁等指

挥千百户 至是诚歸 塔孩虎都鲁随誠入贡上嘉其慕義 厚赉之 復命中使赍金币往

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五十兩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9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 때 황제의 이목으로서 환관을 활용하였던 것

이다

태조는 명왕조를 창건하기 이전 자신의 세력을 키워가는 과정에서

많은 부하들을 양자로 삼아 그들을 활용하였다 이들에게 여러 장수들

의 군대를 감독하게 함으로써 장수들의 배반을 사전에 막고 안전하게

통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태조가 처음 기병했을 때 많은 양자를 두

었는데 이들을 장수와 함께 여러 路를 지키도록 했다 이를 테면 周舍

를 鎭江에 道舍를 寧國에 馬兒를 婺州에 柴舍眞童을 處州에 金剛

奴를 衢州에 보내어 지키도록 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주원장의 양자들

이었다56) 양자를 심복으로 삼아 그들을 기용하여 군대를 감독하게 하

였던 것이다

이들에게 감군하는 권한을 허락한 것은 태조가 왕조를 창업하는 과

정에서 군권 장악이 최후 승자가 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고 생

각하여 취한 조처였던 것이다

그런데 왕조를 개창한 후에는 양자보다는 환관을 신임하고 그들을

군부대에 파견하였다 홍무 원년(1368) 9월에 北征에 힘쓴 將士들에게

음식을 베풀어 주면서 위로한 일이 있는데 이 때 환관 奉御를 北平에

파견하여 이 일을 담당하도록 하였다57) 홍무 9년(1376) 8월에는 환관

趙成을 군부대에 파견하여 그곳의 관리를 불러들였다 내용인즉 홍무

9년 西番의 多爾濟巴가 부락민을 이끌고 명에 귀순하여 오자 태조는

熊鼎을 岐寧衛 經歷으로 삼아 그곳을 다스리도록 하였다 웅정은 임지

에 도착한 후 귀순부대들이 거짓으로 항복했다는 것을 알고 그 사실

을 비밀리 조정에 보고하였다 태조는 그 소식을 듣고 먼저 웅정을 위

로한 후 환관 조성을 군부대에 보내어 웅정을 경사로 불러들였던 것

이다58)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환관 吳誠을 총병지휘 楊仲名에게

56) 明史 卷134 夏文輝傳 ldquo太祖初起 多蓄義子 及长命偕诸将分守诸路 周舍

守镇江 道舍守宁国 马兒守婺州 柴舍真童守处州 金刚奴守衢州 皆义子也rdquo

57) 太祖實錄 卷35 洪武 元年 9月 乙卯條 ldquo上遣中使奉御等官 至北平 犒北征將

士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0보내어 전반적인 계획과 책략을 살피도록 하였고59) 11월에는 總兵官

辰主指揮 楊仲名이 五開蠻의 반란을 평정하자 태조가 內臣 尙履奉御

呂玉을 楊仲名에게 보내어 그 군대를 검열하고 위로하게 하였다60) 홍

무 27년(1394)에는 환관을 陝西都指揮使司에게 보내어 將士들을 훈련

하게 하였고 魏國公 徐輝祖으로 하여금 섬서 연변지역을 다스리게 하

였다61)

이러한 예들은 환관이 감군으로서 군영에 파견되어 군정을 순시하

고 살피는 일을 한 사례들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태조는 환관이 군의 정황을 살피는 일 이상의 업무에는 참

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 점은 唐代의 환관들과 다른 점으로 당대

에는 환관의 감군이 정치참여로 나타났지만 태조는 환관이 국가중추

기관의 기밀을 획책하는 일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62) 그

렇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기능은 장차 환관의 위력이 점점 강해지는 결

과를 낳았음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셋째 태조는 환관을 각종 경제활동에도 참여시켰다

태조 때에 환관은 경제활동에도 빈번히 참여하였는데 최초의 예로

서는 홍무 8년(1375) 5월 태조가 환관 趙成을 河州에 보내어 거기서

말을 교역해 오도록 한 일이다 태조가 茶馬司를 설치 한 후 조정에서

는 西番에 말을 사들이는 교역장을 마련하였는데63) 서번은 본래 말의

58) 明通鑑 卷6 洪武 9年 8月條 이때에 옹정이 경사로 돌아가자 번인들이 반

란을 일으켰다고 한다

59)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0月 戊申條 ldquo遣內臣 吳誠詣總兵官指揮楊仲名行

營觀方略rdquo

60) 太祖實錄 卷121 洪武 11年 11月 庚午朔條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1

月 庚午條 ldquo五開蠻平 內臣 尙履奉御 呂玉勞指揮楊仲名rdquo 明通鑑 卷6 洪武12

年 11月條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61) 太祖實錄 卷234 洪武 27년 9月條

62) 田禾 明太祖嚴馭宦官試析 (社會科學戰線 1997-4期 1997) pp162-163

63) 茶马司는 洪武 5년1372)2月에 秦州에 처음 설치되었다 그 후 洪武 7년

(1374)다시 河州에 차마사를 설치하고 이어 또 洮州 등지에 차마사를 두었

다 이들은 四川 漢中 湖南 등지의 차와 서북 유목지역에서 나는 말을 교역하

는 임무를 띠고 있었는데 藏族지구의 말을 사들이는 일이 주된 일이었다 그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1산지였기 때문이었다 서번 사람들은 말을 가지고 와서 중국의 문물을

구입하여 갔다

그런데 서번인들의 생활용품과 중국의 용품과는 달랐고 명초에 지

폐인 보초가 발행 된 이후에는 번인들이 사용하는 화폐와 달라 말의

교역량이 줄어들게 되었다 태조는 이것을 염려하여 궁중 환관 趙成을

파견하여 말 교역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조성은 여러 종류의 비단과 사천 지방의 茶葉을 가지고 가서 말을

사오는 방책을 취하였다 조성의 노력으로 河州 수장은 서번 사람들을

위무하고 선대하면서 互市를 열었기에 점차 많은 말을 사들여 올 수

있었는데 이후 차마 무역은 점차 활발해졌던 것이다64)

또 홍무10년(1377) 3월 호부는 징세 업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곳이 178처나 있음을 알고 환관 국자감생 호부의 관원 등 각 부문에

서 각각 1명씩 차출하여 정밀 조사하기를 태조에게 주청하였다 세금

징수 업무를 담당하는 稅課司에서 할당한 세금이 제대로 걷히지 않자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환관과 국자감생들을 보내어 조사하도록 주청한

것이다 이때의 주청에 대하여 lsquo從之rsquo65)라 한 것을 보면 태조가 그것을

승인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환관이 징세 업무에도 간여하였음

을 보여주고 있는 좋은 사례인 것이다

그 외에도 홍무 16년(1383) 9월 태조는 內使 梁珉으로 하여금 돈을

가지고 琉球로 가서 말을 사들여 오도록 하였고66) 홍무 25년(1392) 3

월에는 尙膳太监 而聶과 司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소관

의 번족에게 보내어 거기서 말을 사들여오도록 하였다67) 이 때 서북

러므로 회족이 운거하고 있는 河州는 명대 茶馬互市의 중심지였다

6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5

65) 太祖實錄 卷111 洪武 10年 3月 甲申條 ldquo户部奏天下税课司局征商不如额者

一百七十八处 宜请遣中官国子生及部委官各一人往覈其實立爲定額從之rdquo

66) 太祖實錄 卷156 洪武 16年 9月 己未條 ldquo內官梁珉以貨幣往琉球易马還得马

九百八十三匹rdquo

67) 太祖實錄 卷217 洪武 25年 3月 己丑條 ldquo遣尙膳太监 而聶司禮太監 慶童

賚敕往諭陝西河州等衛所屬番族 令其輸馬 以茶給之rdquo 弇山堂別集 卷90 中官

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당시 尙膳太监 而聶과 司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2쪽의 번족으로부터 말을 사들이는 데는 중국차로서 대가를 지불하였

다 이 때 사들인 말이 10340여필에 이르고 교역한 차엽은 30여만 근

에 달하였다고 하며 구입한 말은 河南 山西 陝西의 衛所에 배치되었

던 것이다68)

넷째 환관을 민간 정보 수집요원으로 활용하였다

새로운 왕조가 성립되었다고 하지만 언제 어떻게 몽골족이 반격하

여 올지 모르고 또한 명조의 신 정권에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다시 왕조를 전복할지도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정보 수집을 중히 여기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

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錦衣衛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금의위를 운영하면서도 태조는 자신의 정권을 보전하기 위

해 환관에게 문무백관을 감시하는 권한을 맡겨 정보를 수집하였다 홍

무 12년(1379) 9월에 占城國 국왕 阿答阿者가 그 신하 陽須文旦을 파

견하여 황제에 올리는 상서와 함께 코끼리말방물 등을 진헌한 일

이 있었는데 중서성 신하는 이것을 제때에 보고하지 못하였으나 內臣

(환관)이 외출하였다가 그 사신을 만나 점성국 사신이 왔다는 정보를

얻어 그 사실을 태조에게 알렸다 태조는 환관의 정보 제공으로 곧바

로 점성국의 사신을 불러 접견할 수 있었는데 이 때 태조는 ldquo상하의

의사소통이 꽉 막히기가 여기까지 이르렀구나rdquo고 하며 탄식하며 중서

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번족에 보내어 말을 사들인 사실은 lsquo교역rsquo

이라는 경제 활동의 성격과 lsquo군마 구입과 배치rsquo라는 군사적 성격을 동시에 지

니고 있는 활동이기도 하다

68)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 ldquo尙膳太监 而聶等至河

州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於是得馬萬三千四十餘疋 以茶三十餘萬斤給之 諸族大悅 而聶遣使入奏

命以馬分给河南山西陕西卫所骑士rdquo이라 하여 교역된 마필과 차엽의 양이

언급되어 있고 당시 구매된 말이 어디로 배치되어 있는가 하는 내용이 더 언

급되어 있다 다만 같은 내용의 기사가 太祖實錄에는 洪武 25년 3月 기사로

弇山堂別集에는 2月 기사로 되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3성 관료들을 질책하자 승상 胡惟庸 汪廣洋 등 중서성의 신하들이 모

두 고개를 땅에 대고 사죄하였다고 한다69)

환관들은 황제의 이목이 되어 황제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황제와 환관들은 자연히 신뢰관계가 형성되었다 황제는

이러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환관에게 특별한 임무를 부여하였던 것

이다 특별한 임무란 황제가 직접 접할 수 없는 궁성 밖의 정세나 관

료의 동향을 알아내는 첩보 활동이었으며 京師의 禁軍도 그들의 감시

대상이었던 것이다

다섯째 환관은 친왕의 왕부에 특사로서 파견되기도 하였다 홍무 12

년(1279) 3월에 환관 陳京을 桂林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靖康王 朱守

謙에게 파견하여 황제의 유지를 전달하게 하였고 홍무 26년(1393) 2월

에 藍玉의 모반 사건이 일어났을 때 3월에 太原의 晉王 朱楓에게 사

람을 보내어 남옥의 모반 사건과 관련되어 있는 집안의 가정과 노비들

을 제거하고 재산을 몰수하라는 유지를 내렸는데 이때에 칙유를 가지

고 간 사람이 환관 而聶과 부마 梅殷였다70)

이를 보면 친왕들에게 유지를 전하는 데 환관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그렇기에 태조는祖訓錄에서

무릇 친왕이 과오를 저지르면 重한 경우 내사 감관으로 하여금 왕을

불러오게 하고 세 차례나 불러도 오지 않으면 다시 流官(황제가 임명한

관리)을 보내되 내관과 함께 동행을 하여 그를 경사로 불러들이도록 한

다71)

69) 太祖實錄 卷126 洪武 12年 9月 戊午條 ldquo占城國王 王阿答阿者遣其臣陽須文

旦進表及象馬方物中书省臣不以時奏 內臣因出外見其使者以聞 上亟召使者見之

嘆曰 壅蔽之害乃至此哉 因敕責省臣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丞相胡惟庸汪廣洋等 皆叩頭謝罪rdquo

70) 王德金 앞의 논문 朱元璋馭宦之析 pp41-42

71) 祖訓錄 法律 ldquo凡親王有過 重者 遣內使監官宣召 如三次不至 再遣流官 同監

官召之至京rdquo 태조가 창업군주로서 자손들에게 훈유를 내려 그것을 영구히 지

키도록 하기 위해 지은 책이 祖訓錄이다 太祖實錄 洪武 2年 4月 乙亥條에

ldquo詔中書編祖訓錄rdquo이라는 것을 보아 이때부터 편찬이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洪武 6年 5月에 완성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箴戒持守严祭祀谨出入慎

国政禮仪法律内令内官职制兵卫营缮供用 등 13 항목으로 되어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4

라고 규정함으로써 친왕이 문제가 있을 때에는 환관이 먼저 파견되었

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을 보면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들의 발호를 억제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정치적 현실에

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차마 무역의 담당

자로 호군 및 군대 감독자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

년 승상제가 폐지되면서 그들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

겠다 이로 인하여 환관의 권위는 점 점 높이지고 세력은 확대되어 갔

던 것이다

3 宦官數의 增大와 機構의 擴大

홍무 초년에는 태조가 환관을 통제했기에 당시의 환관들이 아직 자

금성 안에서 주로 복무했다고 한다면 그의 통치 중후기에는 환관들

이 궁궐 밖으로 나가 여러 임무를 띠고 초기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였다 태조는 이런 변화가 그렇게 나쁘다고 여기지 않았고 도리어

그들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도움이 된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리하여 태조시기에 환관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환관 기구도 확대

되어 갔다 홍무 2년 규정에는 내사감 봉어 60인 기타 각 각 사소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까지 합쳐 총수는 100명에 불과하였다72) 그러나

홍무 15년(1382)에는 환관 361인을 증설하였다73) 이것은 홍무 15년에

증가된 기록으로 당시 기존의 환관을 합치면 거의 수백 명의 환관이

있으며 태조 자신이 서문을 지었다 太祖實錄 28年 閏 9月 庚寅條에 의하면

이 때 祖訓錄을 거듭 정하여 皇明祖訓이라 명명하였다

72)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 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定置內

使監 奉御六十人 尙寶 一人 尙冠七人 尙衣 十人 尙佩九人 尙藥七人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東宮

後門 宮左宮右門 各設門正一人 副一人rdquo

73) 太祖實錄 卷149 洪武 15年 10月 丙戌條 ldquo增設內使三百六十一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5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명조는 수시로

주변 여러 나라에 엄인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사실로 홍무 24년(1391)에 태조는 환관 韓龍 黃禿蠻 등을

고려에 보내어 말 1만 필을 사오도록 하면서 閹人 200여명을 요구하였

다74) 그리고 安南國에서도 끊이지 않고 엄인들을 진공하였는데 매번

수십 명 씩 바쳤던 것이다75) 명조는 사방에 엄인을 요구하였는데 특

히 고려와 안남은 당시 엄인을 진공하는 주요 나라가 되었다76)

이리하여 환관의 수가 부단히 증가하였고 태조도 역시 환관을 심복

중의 심복으로 삼으면서 그들을 신뢰하고 있었다 이에 홍무 17년

(1384) 어느 날 대도독부 겸 국자감을 관할하고 있던 李文忠은 태조에

게 환관이 너무 많으니 그 숫자를 줄여할 것을 건의하였다

ldquo內臣이 너무 많습니다 마땅히 좀 줄이셔야 합니다rdquo라고 이문충이 건

의 하자 태조는 이를 듣고 대노 하여 ldquo자네가 나의 오른쪽 날개를 약화

시키려 하는데 그것은 무슨 의도인가 이것은 분명히 문객들이 시켰을

것이다rdquo라고 말하면서 결국 사람을 보내어 이문충의 문객을 전부 살해하

였다77)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일로 인하여 이문충은 병들어 죽게 되었는

데 이 때 이미 환관은 그 수가 적어서는 안 되는 대상이 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4) 太祖實錄 卷208 洪武 24年 3月 己丑條 ldquo詔於高麗市馬一萬疋 幷索閹人二百

人rdquo 高麗史 恭讓王 3년 辛未年條

75)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6

76) 환관의 공급원은 본래 宮刑에 처해진 죄인들이었지만 隋代 이후 궁형이 폐지

된 후부터는 ① 적의 포로 ② 외국으로부터의 進貢者 또는 변방 지역의 進獻

者 ③ 특별한 사정으로 궁형에 처해진 죄인 ④ 自宮者 곧 지원자 또는 부모의

명령으로 거세된 準自宮者 등이 있다

77) 弇山堂別集 卷20 史乘考誤 1 ldquo一日勸上内臣太多宜稍裁省 上大怒 謂若

欲弱吾羽翼何 意此必门客教之 因盡殺客 文忠驚悸得疾暴卒 上發悲 怒殺諸醫及

文忠侍者百人rdquo 이 기사는 어느 때의 기사인지 나와 있지 않아 잘 알 수 없으

나 이것은 李文忠(1339mdash1384)이 죽은 해에 발생한 사건이므로 洪武 17년

(1384)의 사건으로 볼 수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6환관의 기구 역시 확대되어 갔다 환관의 부서와 직무는 吳 원년

(1367)에 lsquo內史監rsquo이 설치된 이후 인원의 증대와 기구 관리를 위해 조

직이 신설 분리되어 가면서 확대되어 갔는데 홍무 17년(1384)에 9監

2庫 6局 체제가 되었다78) 이것은 명대 환관의 기구인 24아문(12감 4

사 8국)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어 홍무 28년(1395)에 11감 4사 9국으로

정비되어 24아문의 기구가 거의 완비되었던 것이다79) 홍무 30년(1397)

환관 조직은 12감8국4사의 24아문의 규모가 되었고 명왕조 환관

조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황종희가 말하고 있듯이 ldquo명조에 善治가

없었던 것은 태조가 재상을 폐지하면서부터이다 저 宮奴들이 재상의

정치가 땅에 떨어져 수습될 수 없음을 알고 여러 규칙과 조목을 세우

고 직무를 늘렸으며 생살권과 상벌권 등 재상으로부터 나오던 것이

이제 모두 환관들에게 돌아갔도다 (중략) 그러므로 궁노들이 재상처럼

된 것은 승상제를 폐지한 데서 온 커다란 과오이다rdquo80) 라고 하면서

환관의 발호는 재상의 폐지로 인한 것이며 이것은 명대 정치의 큰

폐단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로 재상 없는 군주 독재 지배체제에서 황제 한 사람에 의한 통치

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매일 황제 곁에 있는 환관

중 신뢰하는 환관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태조도 자신도 모르게 환관을 신뢰하고 그들을 중용을 하였으니 이념

적으로 ldquo내신은 정사에 관여하지 못한다rdquo 라는 규정을 내세우면서도

78)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九監은 内官监 神宫监 尚寶监 尚衣监 尚膳监 司

设监 司礼监 御马监 直殿监이고 二庫는 内承运库司鑰库이며 六局은 巾帽局

针工局 织染局 颜料局 司苑局 司牧局을 말한다

79) 위와 같음 十二監은 神宫监 尚寶监 孝陵神宮監 尚膳监 尚衣监 司设监 内官

监 司禮監 御马监 印綬監 直殿监이고 四司는 惜薪司 钟鼓司寶钞司 混堂司이

며 9局庫는 兵仗局 織染局 针工局 巾帽局 司苑局 酒醋麵局 內乘運庫 司鑰庫

內府供用庫인데 이것들은 후에 24아문으로 발전하였다

80) 黄宗羲 明夷待訪錄 置相 ldquo有明之无善治 自高皇帝罢丞相始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彼宫奴

者见宰相之政事坠地不收从而设为科条增其职掌 生杀予夺 出自宰相者 次

第而尽归焉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故使宫奴有宰相之实 则罢丞相之过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20: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58홍무 2년(1369) 4월 원 승상 納哈出에게 편지를 보내 通交를 요구할

때 內臣을 파견하여 우호를 증진하였다51)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태조가 붙잡힌 원나라의 평장 完者不花를 돌려보내는데 환관을 시켜

돌려보내었다52) 홍무 14년(1381) 12월에는 환관을 파견하여 乌蒙(지금

의 운남성의 昭通)乌撤(지금의 운남성의 镇雄귀주성의 威宁)의 여

러 추장들에게 조칙을 발하였다53) 홍무 29년(1396) 6월에는 중사(환

관)를 桂林 등지의 府市에 보내어 南丹 奉儀 등의 衛所의 둔전 군사

들에게 밭가는 소를 지급해 주도록 하였다54) 동년 10월에 安定衛의

酋长 塔孩虎都鲁가 명에 와서 말 40필을 공물로 바친 일이 있는데 안

정위의 추장이 공물을 바친 것은 태조가 行人 陳誠으로 하여금 그곳에

다시 安定衛를 세우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었으며 이때에

ldquo復命中使赍金币往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

五十兩rdquo이라 하여 환관을 보내어 추장에게 옷과 비단 및 금품을 하사

하였던 것이다55)

이상의 기록들을 보면 태조시기에 환관이 여러 차례 변경 지역에

파견되어 변경 지역의 중대 업무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환관에게 지방 군대를 감독하거나 때로 군을 지휘하는 특수

임무를 맡겼다 태조는 외지 변경 지역의 장수들을 엄격히 통제하지

51) 太祖實錄 卷41 洪武 2年 4月 乙亥條 ldquo玆 因遣使通元君 道經營壘望 令人送

達 所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國榷 卷3 太祖洪武 2年 4月 乙亥

條 ldquo又諭元臣納哈出書曰將軍昔自江左辭還 不通問十五年矣 近聞戍守遼陽 士馬

强 玆因遣內臣至將軍營 卽令其還書 不多及rdquo

52) 太祖實錄 卷120 洪武11年 10月條 ldquo山西邊將遣人送所獲故元平章完者不花至

京師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朕怒邊將以爲方遣使通好乃執其平章豈不失信於卿 今特遣內臣送之 抵

丞相營 宥之罪之放 遂之 卿自爲區處rdquo

53) 太祖實錄 卷140 洪武 14年 12月 辛未條 ldquo遣內臣 賚敕諭鳥蒙鳥撤諸酋長rdquo

54) 明史 卷205 廣西土司傳 ldquo帝命俱置屯田给耕 寻遣中使至桂林等府市牛给

南丹奉议诸卫军士rdquo

55) 太祖實錄 卷247 洪武 29年 10月 甲午條 ldquo安定卫酋长塔孩虎都鲁 來朝貢馬

四十疋 先是 上遣行人陈诚立撤里畏兀兒 爲安定卫錫 以印章 以塔孩虎都鲁等指

挥千百户 至是诚歸 塔孩虎都鲁随誠入贡上嘉其慕義 厚赉之 復命中使赍金币往

赐 其酋長指揮人 織金衣一襲 文綺帛各三疋 白金一百五十兩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9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 때 황제의 이목으로서 환관을 활용하였던 것

이다

태조는 명왕조를 창건하기 이전 자신의 세력을 키워가는 과정에서

많은 부하들을 양자로 삼아 그들을 활용하였다 이들에게 여러 장수들

의 군대를 감독하게 함으로써 장수들의 배반을 사전에 막고 안전하게

통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태조가 처음 기병했을 때 많은 양자를 두

었는데 이들을 장수와 함께 여러 路를 지키도록 했다 이를 테면 周舍

를 鎭江에 道舍를 寧國에 馬兒를 婺州에 柴舍眞童을 處州에 金剛

奴를 衢州에 보내어 지키도록 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주원장의 양자들

이었다56) 양자를 심복으로 삼아 그들을 기용하여 군대를 감독하게 하

였던 것이다

이들에게 감군하는 권한을 허락한 것은 태조가 왕조를 창업하는 과

정에서 군권 장악이 최후 승자가 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고 생

각하여 취한 조처였던 것이다

그런데 왕조를 개창한 후에는 양자보다는 환관을 신임하고 그들을

군부대에 파견하였다 홍무 원년(1368) 9월에 北征에 힘쓴 將士들에게

음식을 베풀어 주면서 위로한 일이 있는데 이 때 환관 奉御를 北平에

파견하여 이 일을 담당하도록 하였다57) 홍무 9년(1376) 8월에는 환관

趙成을 군부대에 파견하여 그곳의 관리를 불러들였다 내용인즉 홍무

9년 西番의 多爾濟巴가 부락민을 이끌고 명에 귀순하여 오자 태조는

熊鼎을 岐寧衛 經歷으로 삼아 그곳을 다스리도록 하였다 웅정은 임지

에 도착한 후 귀순부대들이 거짓으로 항복했다는 것을 알고 그 사실

을 비밀리 조정에 보고하였다 태조는 그 소식을 듣고 먼저 웅정을 위

로한 후 환관 조성을 군부대에 보내어 웅정을 경사로 불러들였던 것

이다58)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환관 吳誠을 총병지휘 楊仲名에게

56) 明史 卷134 夏文輝傳 ldquo太祖初起 多蓄義子 及长命偕诸将分守诸路 周舍

守镇江 道舍守宁国 马兒守婺州 柴舍真童守处州 金刚奴守衢州 皆义子也rdquo

57) 太祖實錄 卷35 洪武 元年 9月 乙卯條 ldquo上遣中使奉御等官 至北平 犒北征將

士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0보내어 전반적인 계획과 책략을 살피도록 하였고59) 11월에는 總兵官

辰主指揮 楊仲名이 五開蠻의 반란을 평정하자 태조가 內臣 尙履奉御

呂玉을 楊仲名에게 보내어 그 군대를 검열하고 위로하게 하였다60) 홍

무 27년(1394)에는 환관을 陝西都指揮使司에게 보내어 將士들을 훈련

하게 하였고 魏國公 徐輝祖으로 하여금 섬서 연변지역을 다스리게 하

였다61)

이러한 예들은 환관이 감군으로서 군영에 파견되어 군정을 순시하

고 살피는 일을 한 사례들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태조는 환관이 군의 정황을 살피는 일 이상의 업무에는 참

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 점은 唐代의 환관들과 다른 점으로 당대

에는 환관의 감군이 정치참여로 나타났지만 태조는 환관이 국가중추

기관의 기밀을 획책하는 일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62) 그

렇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기능은 장차 환관의 위력이 점점 강해지는 결

과를 낳았음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셋째 태조는 환관을 각종 경제활동에도 참여시켰다

태조 때에 환관은 경제활동에도 빈번히 참여하였는데 최초의 예로

서는 홍무 8년(1375) 5월 태조가 환관 趙成을 河州에 보내어 거기서

말을 교역해 오도록 한 일이다 태조가 茶馬司를 설치 한 후 조정에서

는 西番에 말을 사들이는 교역장을 마련하였는데63) 서번은 본래 말의

58) 明通鑑 卷6 洪武 9年 8月條 이때에 옹정이 경사로 돌아가자 번인들이 반

란을 일으켰다고 한다

59)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0月 戊申條 ldquo遣內臣 吳誠詣總兵官指揮楊仲名行

營觀方略rdquo

60) 太祖實錄 卷121 洪武 11年 11月 庚午朔條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1

月 庚午條 ldquo五開蠻平 內臣 尙履奉御 呂玉勞指揮楊仲名rdquo 明通鑑 卷6 洪武12

年 11月條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61) 太祖實錄 卷234 洪武 27년 9月條

62) 田禾 明太祖嚴馭宦官試析 (社會科學戰線 1997-4期 1997) pp162-163

63) 茶马司는 洪武 5년1372)2月에 秦州에 처음 설치되었다 그 후 洪武 7년

(1374)다시 河州에 차마사를 설치하고 이어 또 洮州 등지에 차마사를 두었

다 이들은 四川 漢中 湖南 등지의 차와 서북 유목지역에서 나는 말을 교역하

는 임무를 띠고 있었는데 藏族지구의 말을 사들이는 일이 주된 일이었다 그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1산지였기 때문이었다 서번 사람들은 말을 가지고 와서 중국의 문물을

구입하여 갔다

그런데 서번인들의 생활용품과 중국의 용품과는 달랐고 명초에 지

폐인 보초가 발행 된 이후에는 번인들이 사용하는 화폐와 달라 말의

교역량이 줄어들게 되었다 태조는 이것을 염려하여 궁중 환관 趙成을

파견하여 말 교역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조성은 여러 종류의 비단과 사천 지방의 茶葉을 가지고 가서 말을

사오는 방책을 취하였다 조성의 노력으로 河州 수장은 서번 사람들을

위무하고 선대하면서 互市를 열었기에 점차 많은 말을 사들여 올 수

있었는데 이후 차마 무역은 점차 활발해졌던 것이다64)

또 홍무10년(1377) 3월 호부는 징세 업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곳이 178처나 있음을 알고 환관 국자감생 호부의 관원 등 각 부문에

서 각각 1명씩 차출하여 정밀 조사하기를 태조에게 주청하였다 세금

징수 업무를 담당하는 稅課司에서 할당한 세금이 제대로 걷히지 않자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환관과 국자감생들을 보내어 조사하도록 주청한

것이다 이때의 주청에 대하여 lsquo從之rsquo65)라 한 것을 보면 태조가 그것을

승인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환관이 징세 업무에도 간여하였음

을 보여주고 있는 좋은 사례인 것이다

그 외에도 홍무 16년(1383) 9월 태조는 內使 梁珉으로 하여금 돈을

가지고 琉球로 가서 말을 사들여 오도록 하였고66) 홍무 25년(1392) 3

월에는 尙膳太监 而聶과 司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소관

의 번족에게 보내어 거기서 말을 사들여오도록 하였다67) 이 때 서북

러므로 회족이 운거하고 있는 河州는 명대 茶馬互市의 중심지였다

6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5

65) 太祖實錄 卷111 洪武 10年 3月 甲申條 ldquo户部奏天下税课司局征商不如额者

一百七十八处 宜请遣中官国子生及部委官各一人往覈其實立爲定額從之rdquo

66) 太祖實錄 卷156 洪武 16年 9月 己未條 ldquo內官梁珉以貨幣往琉球易马還得马

九百八十三匹rdquo

67) 太祖實錄 卷217 洪武 25年 3月 己丑條 ldquo遣尙膳太监 而聶司禮太監 慶童

賚敕往諭陝西河州等衛所屬番族 令其輸馬 以茶給之rdquo 弇山堂別集 卷90 中官

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당시 尙膳太监 而聶과 司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2쪽의 번족으로부터 말을 사들이는 데는 중국차로서 대가를 지불하였

다 이 때 사들인 말이 10340여필에 이르고 교역한 차엽은 30여만 근

에 달하였다고 하며 구입한 말은 河南 山西 陝西의 衛所에 배치되었

던 것이다68)

넷째 환관을 민간 정보 수집요원으로 활용하였다

새로운 왕조가 성립되었다고 하지만 언제 어떻게 몽골족이 반격하

여 올지 모르고 또한 명조의 신 정권에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다시 왕조를 전복할지도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정보 수집을 중히 여기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

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錦衣衛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금의위를 운영하면서도 태조는 자신의 정권을 보전하기 위

해 환관에게 문무백관을 감시하는 권한을 맡겨 정보를 수집하였다 홍

무 12년(1379) 9월에 占城國 국왕 阿答阿者가 그 신하 陽須文旦을 파

견하여 황제에 올리는 상서와 함께 코끼리말방물 등을 진헌한 일

이 있었는데 중서성 신하는 이것을 제때에 보고하지 못하였으나 內臣

(환관)이 외출하였다가 그 사신을 만나 점성국 사신이 왔다는 정보를

얻어 그 사실을 태조에게 알렸다 태조는 환관의 정보 제공으로 곧바

로 점성국의 사신을 불러 접견할 수 있었는데 이 때 태조는 ldquo상하의

의사소통이 꽉 막히기가 여기까지 이르렀구나rdquo고 하며 탄식하며 중서

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번족에 보내어 말을 사들인 사실은 lsquo교역rsquo

이라는 경제 활동의 성격과 lsquo군마 구입과 배치rsquo라는 군사적 성격을 동시에 지

니고 있는 활동이기도 하다

68)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 ldquo尙膳太监 而聶等至河

州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於是得馬萬三千四十餘疋 以茶三十餘萬斤給之 諸族大悅 而聶遣使入奏

命以馬分给河南山西陕西卫所骑士rdquo이라 하여 교역된 마필과 차엽의 양이

언급되어 있고 당시 구매된 말이 어디로 배치되어 있는가 하는 내용이 더 언

급되어 있다 다만 같은 내용의 기사가 太祖實錄에는 洪武 25년 3月 기사로

弇山堂別集에는 2月 기사로 되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3성 관료들을 질책하자 승상 胡惟庸 汪廣洋 등 중서성의 신하들이 모

두 고개를 땅에 대고 사죄하였다고 한다69)

환관들은 황제의 이목이 되어 황제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황제와 환관들은 자연히 신뢰관계가 형성되었다 황제는

이러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환관에게 특별한 임무를 부여하였던 것

이다 특별한 임무란 황제가 직접 접할 수 없는 궁성 밖의 정세나 관

료의 동향을 알아내는 첩보 활동이었으며 京師의 禁軍도 그들의 감시

대상이었던 것이다

다섯째 환관은 친왕의 왕부에 특사로서 파견되기도 하였다 홍무 12

년(1279) 3월에 환관 陳京을 桂林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靖康王 朱守

謙에게 파견하여 황제의 유지를 전달하게 하였고 홍무 26년(1393) 2월

에 藍玉의 모반 사건이 일어났을 때 3월에 太原의 晉王 朱楓에게 사

람을 보내어 남옥의 모반 사건과 관련되어 있는 집안의 가정과 노비들

을 제거하고 재산을 몰수하라는 유지를 내렸는데 이때에 칙유를 가지

고 간 사람이 환관 而聶과 부마 梅殷였다70)

이를 보면 친왕들에게 유지를 전하는 데 환관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그렇기에 태조는祖訓錄에서

무릇 친왕이 과오를 저지르면 重한 경우 내사 감관으로 하여금 왕을

불러오게 하고 세 차례나 불러도 오지 않으면 다시 流官(황제가 임명한

관리)을 보내되 내관과 함께 동행을 하여 그를 경사로 불러들이도록 한

다71)

69) 太祖實錄 卷126 洪武 12年 9月 戊午條 ldquo占城國王 王阿答阿者遣其臣陽須文

旦進表及象馬方物中书省臣不以時奏 內臣因出外見其使者以聞 上亟召使者見之

嘆曰 壅蔽之害乃至此哉 因敕責省臣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丞相胡惟庸汪廣洋等 皆叩頭謝罪rdquo

70) 王德金 앞의 논문 朱元璋馭宦之析 pp41-42

71) 祖訓錄 法律 ldquo凡親王有過 重者 遣內使監官宣召 如三次不至 再遣流官 同監

官召之至京rdquo 태조가 창업군주로서 자손들에게 훈유를 내려 그것을 영구히 지

키도록 하기 위해 지은 책이 祖訓錄이다 太祖實錄 洪武 2年 4月 乙亥條에

ldquo詔中書編祖訓錄rdquo이라는 것을 보아 이때부터 편찬이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洪武 6年 5月에 완성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箴戒持守严祭祀谨出入慎

国政禮仪法律内令内官职制兵卫营缮供用 등 13 항목으로 되어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4

라고 규정함으로써 친왕이 문제가 있을 때에는 환관이 먼저 파견되었

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을 보면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들의 발호를 억제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정치적 현실에

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차마 무역의 담당

자로 호군 및 군대 감독자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

년 승상제가 폐지되면서 그들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

겠다 이로 인하여 환관의 권위는 점 점 높이지고 세력은 확대되어 갔

던 것이다

3 宦官數의 增大와 機構의 擴大

홍무 초년에는 태조가 환관을 통제했기에 당시의 환관들이 아직 자

금성 안에서 주로 복무했다고 한다면 그의 통치 중후기에는 환관들

이 궁궐 밖으로 나가 여러 임무를 띠고 초기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였다 태조는 이런 변화가 그렇게 나쁘다고 여기지 않았고 도리어

그들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도움이 된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리하여 태조시기에 환관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환관 기구도 확대

되어 갔다 홍무 2년 규정에는 내사감 봉어 60인 기타 각 각 사소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까지 합쳐 총수는 100명에 불과하였다72) 그러나

홍무 15년(1382)에는 환관 361인을 증설하였다73) 이것은 홍무 15년에

증가된 기록으로 당시 기존의 환관을 합치면 거의 수백 명의 환관이

있으며 태조 자신이 서문을 지었다 太祖實錄 28年 閏 9月 庚寅條에 의하면

이 때 祖訓錄을 거듭 정하여 皇明祖訓이라 명명하였다

72)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 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定置內

使監 奉御六十人 尙寶 一人 尙冠七人 尙衣 十人 尙佩九人 尙藥七人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東宮

後門 宮左宮右門 各設門正一人 副一人rdquo

73) 太祖實錄 卷149 洪武 15年 10月 丙戌條 ldquo增設內使三百六十一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5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명조는 수시로

주변 여러 나라에 엄인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사실로 홍무 24년(1391)에 태조는 환관 韓龍 黃禿蠻 등을

고려에 보내어 말 1만 필을 사오도록 하면서 閹人 200여명을 요구하였

다74) 그리고 安南國에서도 끊이지 않고 엄인들을 진공하였는데 매번

수십 명 씩 바쳤던 것이다75) 명조는 사방에 엄인을 요구하였는데 특

히 고려와 안남은 당시 엄인을 진공하는 주요 나라가 되었다76)

이리하여 환관의 수가 부단히 증가하였고 태조도 역시 환관을 심복

중의 심복으로 삼으면서 그들을 신뢰하고 있었다 이에 홍무 17년

(1384) 어느 날 대도독부 겸 국자감을 관할하고 있던 李文忠은 태조에

게 환관이 너무 많으니 그 숫자를 줄여할 것을 건의하였다

ldquo內臣이 너무 많습니다 마땅히 좀 줄이셔야 합니다rdquo라고 이문충이 건

의 하자 태조는 이를 듣고 대노 하여 ldquo자네가 나의 오른쪽 날개를 약화

시키려 하는데 그것은 무슨 의도인가 이것은 분명히 문객들이 시켰을

것이다rdquo라고 말하면서 결국 사람을 보내어 이문충의 문객을 전부 살해하

였다77)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일로 인하여 이문충은 병들어 죽게 되었는

데 이 때 이미 환관은 그 수가 적어서는 안 되는 대상이 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4) 太祖實錄 卷208 洪武 24年 3月 己丑條 ldquo詔於高麗市馬一萬疋 幷索閹人二百

人rdquo 高麗史 恭讓王 3년 辛未年條

75)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6

76) 환관의 공급원은 본래 宮刑에 처해진 죄인들이었지만 隋代 이후 궁형이 폐지

된 후부터는 ① 적의 포로 ② 외국으로부터의 進貢者 또는 변방 지역의 進獻

者 ③ 특별한 사정으로 궁형에 처해진 죄인 ④ 自宮者 곧 지원자 또는 부모의

명령으로 거세된 準自宮者 등이 있다

77) 弇山堂別集 卷20 史乘考誤 1 ldquo一日勸上内臣太多宜稍裁省 上大怒 謂若

欲弱吾羽翼何 意此必门客教之 因盡殺客 文忠驚悸得疾暴卒 上發悲 怒殺諸醫及

文忠侍者百人rdquo 이 기사는 어느 때의 기사인지 나와 있지 않아 잘 알 수 없으

나 이것은 李文忠(1339mdash1384)이 죽은 해에 발생한 사건이므로 洪武 17년

(1384)의 사건으로 볼 수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6환관의 기구 역시 확대되어 갔다 환관의 부서와 직무는 吳 원년

(1367)에 lsquo內史監rsquo이 설치된 이후 인원의 증대와 기구 관리를 위해 조

직이 신설 분리되어 가면서 확대되어 갔는데 홍무 17년(1384)에 9監

2庫 6局 체제가 되었다78) 이것은 명대 환관의 기구인 24아문(12감 4

사 8국)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어 홍무 28년(1395)에 11감 4사 9국으로

정비되어 24아문의 기구가 거의 완비되었던 것이다79) 홍무 30년(1397)

환관 조직은 12감8국4사의 24아문의 규모가 되었고 명왕조 환관

조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황종희가 말하고 있듯이 ldquo명조에 善治가

없었던 것은 태조가 재상을 폐지하면서부터이다 저 宮奴들이 재상의

정치가 땅에 떨어져 수습될 수 없음을 알고 여러 규칙과 조목을 세우

고 직무를 늘렸으며 생살권과 상벌권 등 재상으로부터 나오던 것이

이제 모두 환관들에게 돌아갔도다 (중략) 그러므로 궁노들이 재상처럼

된 것은 승상제를 폐지한 데서 온 커다란 과오이다rdquo80) 라고 하면서

환관의 발호는 재상의 폐지로 인한 것이며 이것은 명대 정치의 큰

폐단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로 재상 없는 군주 독재 지배체제에서 황제 한 사람에 의한 통치

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매일 황제 곁에 있는 환관

중 신뢰하는 환관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태조도 자신도 모르게 환관을 신뢰하고 그들을 중용을 하였으니 이념

적으로 ldquo내신은 정사에 관여하지 못한다rdquo 라는 규정을 내세우면서도

78)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九監은 内官监 神宫监 尚寶监 尚衣监 尚膳监 司

设监 司礼监 御马监 直殿监이고 二庫는 内承运库司鑰库이며 六局은 巾帽局

针工局 织染局 颜料局 司苑局 司牧局을 말한다

79) 위와 같음 十二監은 神宫监 尚寶监 孝陵神宮監 尚膳监 尚衣监 司设监 内官

监 司禮監 御马监 印綬監 直殿监이고 四司는 惜薪司 钟鼓司寶钞司 混堂司이

며 9局庫는 兵仗局 織染局 针工局 巾帽局 司苑局 酒醋麵局 內乘運庫 司鑰庫

內府供用庫인데 이것들은 후에 24아문으로 발전하였다

80) 黄宗羲 明夷待訪錄 置相 ldquo有明之无善治 自高皇帝罢丞相始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彼宫奴

者见宰相之政事坠地不收从而设为科条增其职掌 生杀予夺 出自宰相者 次

第而尽归焉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故使宫奴有宰相之实 则罢丞相之过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21: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59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 때 황제의 이목으로서 환관을 활용하였던 것

이다

태조는 명왕조를 창건하기 이전 자신의 세력을 키워가는 과정에서

많은 부하들을 양자로 삼아 그들을 활용하였다 이들에게 여러 장수들

의 군대를 감독하게 함으로써 장수들의 배반을 사전에 막고 안전하게

통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태조가 처음 기병했을 때 많은 양자를 두

었는데 이들을 장수와 함께 여러 路를 지키도록 했다 이를 테면 周舍

를 鎭江에 道舍를 寧國에 馬兒를 婺州에 柴舍眞童을 處州에 金剛

奴를 衢州에 보내어 지키도록 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주원장의 양자들

이었다56) 양자를 심복으로 삼아 그들을 기용하여 군대를 감독하게 하

였던 것이다

이들에게 감군하는 권한을 허락한 것은 태조가 왕조를 창업하는 과

정에서 군권 장악이 최후 승자가 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고 생

각하여 취한 조처였던 것이다

그런데 왕조를 개창한 후에는 양자보다는 환관을 신임하고 그들을

군부대에 파견하였다 홍무 원년(1368) 9월에 北征에 힘쓴 將士들에게

음식을 베풀어 주면서 위로한 일이 있는데 이 때 환관 奉御를 北平에

파견하여 이 일을 담당하도록 하였다57) 홍무 9년(1376) 8월에는 환관

趙成을 군부대에 파견하여 그곳의 관리를 불러들였다 내용인즉 홍무

9년 西番의 多爾濟巴가 부락민을 이끌고 명에 귀순하여 오자 태조는

熊鼎을 岐寧衛 經歷으로 삼아 그곳을 다스리도록 하였다 웅정은 임지

에 도착한 후 귀순부대들이 거짓으로 항복했다는 것을 알고 그 사실

을 비밀리 조정에 보고하였다 태조는 그 소식을 듣고 먼저 웅정을 위

로한 후 환관 조성을 군부대에 보내어 웅정을 경사로 불러들였던 것

이다58) 홍무 11년(1378) 10월에는 환관 吳誠을 총병지휘 楊仲名에게

56) 明史 卷134 夏文輝傳 ldquo太祖初起 多蓄義子 及长命偕诸将分守诸路 周舍

守镇江 道舍守宁国 马兒守婺州 柴舍真童守处州 金刚奴守衢州 皆义子也rdquo

57) 太祖實錄 卷35 洪武 元年 9月 乙卯條 ldquo上遣中使奉御等官 至北平 犒北征將

士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0보내어 전반적인 계획과 책략을 살피도록 하였고59) 11월에는 總兵官

辰主指揮 楊仲名이 五開蠻의 반란을 평정하자 태조가 內臣 尙履奉御

呂玉을 楊仲名에게 보내어 그 군대를 검열하고 위로하게 하였다60) 홍

무 27년(1394)에는 환관을 陝西都指揮使司에게 보내어 將士들을 훈련

하게 하였고 魏國公 徐輝祖으로 하여금 섬서 연변지역을 다스리게 하

였다61)

이러한 예들은 환관이 감군으로서 군영에 파견되어 군정을 순시하

고 살피는 일을 한 사례들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태조는 환관이 군의 정황을 살피는 일 이상의 업무에는 참

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 점은 唐代의 환관들과 다른 점으로 당대

에는 환관의 감군이 정치참여로 나타났지만 태조는 환관이 국가중추

기관의 기밀을 획책하는 일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62) 그

렇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기능은 장차 환관의 위력이 점점 강해지는 결

과를 낳았음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셋째 태조는 환관을 각종 경제활동에도 참여시켰다

태조 때에 환관은 경제활동에도 빈번히 참여하였는데 최초의 예로

서는 홍무 8년(1375) 5월 태조가 환관 趙成을 河州에 보내어 거기서

말을 교역해 오도록 한 일이다 태조가 茶馬司를 설치 한 후 조정에서

는 西番에 말을 사들이는 교역장을 마련하였는데63) 서번은 본래 말의

58) 明通鑑 卷6 洪武 9年 8月條 이때에 옹정이 경사로 돌아가자 번인들이 반

란을 일으켰다고 한다

59)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0月 戊申條 ldquo遣內臣 吳誠詣總兵官指揮楊仲名行

營觀方略rdquo

60) 太祖實錄 卷121 洪武 11年 11月 庚午朔條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1

月 庚午條 ldquo五開蠻平 內臣 尙履奉御 呂玉勞指揮楊仲名rdquo 明通鑑 卷6 洪武12

年 11月條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61) 太祖實錄 卷234 洪武 27년 9月條

62) 田禾 明太祖嚴馭宦官試析 (社會科學戰線 1997-4期 1997) pp162-163

63) 茶马司는 洪武 5년1372)2月에 秦州에 처음 설치되었다 그 후 洪武 7년

(1374)다시 河州에 차마사를 설치하고 이어 또 洮州 등지에 차마사를 두었

다 이들은 四川 漢中 湖南 등지의 차와 서북 유목지역에서 나는 말을 교역하

는 임무를 띠고 있었는데 藏族지구의 말을 사들이는 일이 주된 일이었다 그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1산지였기 때문이었다 서번 사람들은 말을 가지고 와서 중국의 문물을

구입하여 갔다

그런데 서번인들의 생활용품과 중국의 용품과는 달랐고 명초에 지

폐인 보초가 발행 된 이후에는 번인들이 사용하는 화폐와 달라 말의

교역량이 줄어들게 되었다 태조는 이것을 염려하여 궁중 환관 趙成을

파견하여 말 교역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조성은 여러 종류의 비단과 사천 지방의 茶葉을 가지고 가서 말을

사오는 방책을 취하였다 조성의 노력으로 河州 수장은 서번 사람들을

위무하고 선대하면서 互市를 열었기에 점차 많은 말을 사들여 올 수

있었는데 이후 차마 무역은 점차 활발해졌던 것이다64)

또 홍무10년(1377) 3월 호부는 징세 업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곳이 178처나 있음을 알고 환관 국자감생 호부의 관원 등 각 부문에

서 각각 1명씩 차출하여 정밀 조사하기를 태조에게 주청하였다 세금

징수 업무를 담당하는 稅課司에서 할당한 세금이 제대로 걷히지 않자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환관과 국자감생들을 보내어 조사하도록 주청한

것이다 이때의 주청에 대하여 lsquo從之rsquo65)라 한 것을 보면 태조가 그것을

승인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환관이 징세 업무에도 간여하였음

을 보여주고 있는 좋은 사례인 것이다

그 외에도 홍무 16년(1383) 9월 태조는 內使 梁珉으로 하여금 돈을

가지고 琉球로 가서 말을 사들여 오도록 하였고66) 홍무 25년(1392) 3

월에는 尙膳太监 而聶과 司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소관

의 번족에게 보내어 거기서 말을 사들여오도록 하였다67) 이 때 서북

러므로 회족이 운거하고 있는 河州는 명대 茶馬互市의 중심지였다

6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5

65) 太祖實錄 卷111 洪武 10年 3月 甲申條 ldquo户部奏天下税课司局征商不如额者

一百七十八处 宜请遣中官国子生及部委官各一人往覈其實立爲定額從之rdquo

66) 太祖實錄 卷156 洪武 16年 9月 己未條 ldquo內官梁珉以貨幣往琉球易马還得马

九百八十三匹rdquo

67) 太祖實錄 卷217 洪武 25年 3月 己丑條 ldquo遣尙膳太监 而聶司禮太監 慶童

賚敕往諭陝西河州等衛所屬番族 令其輸馬 以茶給之rdquo 弇山堂別集 卷90 中官

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당시 尙膳太监 而聶과 司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2쪽의 번족으로부터 말을 사들이는 데는 중국차로서 대가를 지불하였

다 이 때 사들인 말이 10340여필에 이르고 교역한 차엽은 30여만 근

에 달하였다고 하며 구입한 말은 河南 山西 陝西의 衛所에 배치되었

던 것이다68)

넷째 환관을 민간 정보 수집요원으로 활용하였다

새로운 왕조가 성립되었다고 하지만 언제 어떻게 몽골족이 반격하

여 올지 모르고 또한 명조의 신 정권에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다시 왕조를 전복할지도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정보 수집을 중히 여기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

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錦衣衛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금의위를 운영하면서도 태조는 자신의 정권을 보전하기 위

해 환관에게 문무백관을 감시하는 권한을 맡겨 정보를 수집하였다 홍

무 12년(1379) 9월에 占城國 국왕 阿答阿者가 그 신하 陽須文旦을 파

견하여 황제에 올리는 상서와 함께 코끼리말방물 등을 진헌한 일

이 있었는데 중서성 신하는 이것을 제때에 보고하지 못하였으나 內臣

(환관)이 외출하였다가 그 사신을 만나 점성국 사신이 왔다는 정보를

얻어 그 사실을 태조에게 알렸다 태조는 환관의 정보 제공으로 곧바

로 점성국의 사신을 불러 접견할 수 있었는데 이 때 태조는 ldquo상하의

의사소통이 꽉 막히기가 여기까지 이르렀구나rdquo고 하며 탄식하며 중서

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번족에 보내어 말을 사들인 사실은 lsquo교역rsquo

이라는 경제 활동의 성격과 lsquo군마 구입과 배치rsquo라는 군사적 성격을 동시에 지

니고 있는 활동이기도 하다

68)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 ldquo尙膳太监 而聶等至河

州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於是得馬萬三千四十餘疋 以茶三十餘萬斤給之 諸族大悅 而聶遣使入奏

命以馬分给河南山西陕西卫所骑士rdquo이라 하여 교역된 마필과 차엽의 양이

언급되어 있고 당시 구매된 말이 어디로 배치되어 있는가 하는 내용이 더 언

급되어 있다 다만 같은 내용의 기사가 太祖實錄에는 洪武 25년 3月 기사로

弇山堂別集에는 2月 기사로 되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3성 관료들을 질책하자 승상 胡惟庸 汪廣洋 등 중서성의 신하들이 모

두 고개를 땅에 대고 사죄하였다고 한다69)

환관들은 황제의 이목이 되어 황제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황제와 환관들은 자연히 신뢰관계가 형성되었다 황제는

이러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환관에게 특별한 임무를 부여하였던 것

이다 특별한 임무란 황제가 직접 접할 수 없는 궁성 밖의 정세나 관

료의 동향을 알아내는 첩보 활동이었으며 京師의 禁軍도 그들의 감시

대상이었던 것이다

다섯째 환관은 친왕의 왕부에 특사로서 파견되기도 하였다 홍무 12

년(1279) 3월에 환관 陳京을 桂林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靖康王 朱守

謙에게 파견하여 황제의 유지를 전달하게 하였고 홍무 26년(1393) 2월

에 藍玉의 모반 사건이 일어났을 때 3월에 太原의 晉王 朱楓에게 사

람을 보내어 남옥의 모반 사건과 관련되어 있는 집안의 가정과 노비들

을 제거하고 재산을 몰수하라는 유지를 내렸는데 이때에 칙유를 가지

고 간 사람이 환관 而聶과 부마 梅殷였다70)

이를 보면 친왕들에게 유지를 전하는 데 환관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그렇기에 태조는祖訓錄에서

무릇 친왕이 과오를 저지르면 重한 경우 내사 감관으로 하여금 왕을

불러오게 하고 세 차례나 불러도 오지 않으면 다시 流官(황제가 임명한

관리)을 보내되 내관과 함께 동행을 하여 그를 경사로 불러들이도록 한

다71)

69) 太祖實錄 卷126 洪武 12年 9月 戊午條 ldquo占城國王 王阿答阿者遣其臣陽須文

旦進表及象馬方物中书省臣不以時奏 內臣因出外見其使者以聞 上亟召使者見之

嘆曰 壅蔽之害乃至此哉 因敕責省臣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丞相胡惟庸汪廣洋等 皆叩頭謝罪rdquo

70) 王德金 앞의 논문 朱元璋馭宦之析 pp41-42

71) 祖訓錄 法律 ldquo凡親王有過 重者 遣內使監官宣召 如三次不至 再遣流官 同監

官召之至京rdquo 태조가 창업군주로서 자손들에게 훈유를 내려 그것을 영구히 지

키도록 하기 위해 지은 책이 祖訓錄이다 太祖實錄 洪武 2年 4月 乙亥條에

ldquo詔中書編祖訓錄rdquo이라는 것을 보아 이때부터 편찬이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洪武 6年 5月에 완성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箴戒持守严祭祀谨出入慎

国政禮仪法律内令内官职制兵卫营缮供用 등 13 항목으로 되어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4

라고 규정함으로써 친왕이 문제가 있을 때에는 환관이 먼저 파견되었

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을 보면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들의 발호를 억제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정치적 현실에

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차마 무역의 담당

자로 호군 및 군대 감독자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

년 승상제가 폐지되면서 그들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

겠다 이로 인하여 환관의 권위는 점 점 높이지고 세력은 확대되어 갔

던 것이다

3 宦官數의 增大와 機構의 擴大

홍무 초년에는 태조가 환관을 통제했기에 당시의 환관들이 아직 자

금성 안에서 주로 복무했다고 한다면 그의 통치 중후기에는 환관들

이 궁궐 밖으로 나가 여러 임무를 띠고 초기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였다 태조는 이런 변화가 그렇게 나쁘다고 여기지 않았고 도리어

그들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도움이 된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리하여 태조시기에 환관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환관 기구도 확대

되어 갔다 홍무 2년 규정에는 내사감 봉어 60인 기타 각 각 사소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까지 합쳐 총수는 100명에 불과하였다72) 그러나

홍무 15년(1382)에는 환관 361인을 증설하였다73) 이것은 홍무 15년에

증가된 기록으로 당시 기존의 환관을 합치면 거의 수백 명의 환관이

있으며 태조 자신이 서문을 지었다 太祖實錄 28年 閏 9月 庚寅條에 의하면

이 때 祖訓錄을 거듭 정하여 皇明祖訓이라 명명하였다

72)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 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定置內

使監 奉御六十人 尙寶 一人 尙冠七人 尙衣 十人 尙佩九人 尙藥七人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東宮

後門 宮左宮右門 各設門正一人 副一人rdquo

73) 太祖實錄 卷149 洪武 15年 10月 丙戌條 ldquo增設內使三百六十一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5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명조는 수시로

주변 여러 나라에 엄인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사실로 홍무 24년(1391)에 태조는 환관 韓龍 黃禿蠻 등을

고려에 보내어 말 1만 필을 사오도록 하면서 閹人 200여명을 요구하였

다74) 그리고 安南國에서도 끊이지 않고 엄인들을 진공하였는데 매번

수십 명 씩 바쳤던 것이다75) 명조는 사방에 엄인을 요구하였는데 특

히 고려와 안남은 당시 엄인을 진공하는 주요 나라가 되었다76)

이리하여 환관의 수가 부단히 증가하였고 태조도 역시 환관을 심복

중의 심복으로 삼으면서 그들을 신뢰하고 있었다 이에 홍무 17년

(1384) 어느 날 대도독부 겸 국자감을 관할하고 있던 李文忠은 태조에

게 환관이 너무 많으니 그 숫자를 줄여할 것을 건의하였다

ldquo內臣이 너무 많습니다 마땅히 좀 줄이셔야 합니다rdquo라고 이문충이 건

의 하자 태조는 이를 듣고 대노 하여 ldquo자네가 나의 오른쪽 날개를 약화

시키려 하는데 그것은 무슨 의도인가 이것은 분명히 문객들이 시켰을

것이다rdquo라고 말하면서 결국 사람을 보내어 이문충의 문객을 전부 살해하

였다77)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일로 인하여 이문충은 병들어 죽게 되었는

데 이 때 이미 환관은 그 수가 적어서는 안 되는 대상이 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4) 太祖實錄 卷208 洪武 24年 3月 己丑條 ldquo詔於高麗市馬一萬疋 幷索閹人二百

人rdquo 高麗史 恭讓王 3년 辛未年條

75)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6

76) 환관의 공급원은 본래 宮刑에 처해진 죄인들이었지만 隋代 이후 궁형이 폐지

된 후부터는 ① 적의 포로 ② 외국으로부터의 進貢者 또는 변방 지역의 進獻

者 ③ 특별한 사정으로 궁형에 처해진 죄인 ④ 自宮者 곧 지원자 또는 부모의

명령으로 거세된 準自宮者 등이 있다

77) 弇山堂別集 卷20 史乘考誤 1 ldquo一日勸上内臣太多宜稍裁省 上大怒 謂若

欲弱吾羽翼何 意此必门客教之 因盡殺客 文忠驚悸得疾暴卒 上發悲 怒殺諸醫及

文忠侍者百人rdquo 이 기사는 어느 때의 기사인지 나와 있지 않아 잘 알 수 없으

나 이것은 李文忠(1339mdash1384)이 죽은 해에 발생한 사건이므로 洪武 17년

(1384)의 사건으로 볼 수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6환관의 기구 역시 확대되어 갔다 환관의 부서와 직무는 吳 원년

(1367)에 lsquo內史監rsquo이 설치된 이후 인원의 증대와 기구 관리를 위해 조

직이 신설 분리되어 가면서 확대되어 갔는데 홍무 17년(1384)에 9監

2庫 6局 체제가 되었다78) 이것은 명대 환관의 기구인 24아문(12감 4

사 8국)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어 홍무 28년(1395)에 11감 4사 9국으로

정비되어 24아문의 기구가 거의 완비되었던 것이다79) 홍무 30년(1397)

환관 조직은 12감8국4사의 24아문의 규모가 되었고 명왕조 환관

조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황종희가 말하고 있듯이 ldquo명조에 善治가

없었던 것은 태조가 재상을 폐지하면서부터이다 저 宮奴들이 재상의

정치가 땅에 떨어져 수습될 수 없음을 알고 여러 규칙과 조목을 세우

고 직무를 늘렸으며 생살권과 상벌권 등 재상으로부터 나오던 것이

이제 모두 환관들에게 돌아갔도다 (중략) 그러므로 궁노들이 재상처럼

된 것은 승상제를 폐지한 데서 온 커다란 과오이다rdquo80) 라고 하면서

환관의 발호는 재상의 폐지로 인한 것이며 이것은 명대 정치의 큰

폐단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로 재상 없는 군주 독재 지배체제에서 황제 한 사람에 의한 통치

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매일 황제 곁에 있는 환관

중 신뢰하는 환관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태조도 자신도 모르게 환관을 신뢰하고 그들을 중용을 하였으니 이념

적으로 ldquo내신은 정사에 관여하지 못한다rdquo 라는 규정을 내세우면서도

78)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九監은 内官监 神宫监 尚寶监 尚衣监 尚膳监 司

设监 司礼监 御马监 直殿监이고 二庫는 内承运库司鑰库이며 六局은 巾帽局

针工局 织染局 颜料局 司苑局 司牧局을 말한다

79) 위와 같음 十二監은 神宫监 尚寶监 孝陵神宮監 尚膳监 尚衣监 司设监 内官

监 司禮監 御马监 印綬監 直殿监이고 四司는 惜薪司 钟鼓司寶钞司 混堂司이

며 9局庫는 兵仗局 織染局 针工局 巾帽局 司苑局 酒醋麵局 內乘運庫 司鑰庫

內府供用庫인데 이것들은 후에 24아문으로 발전하였다

80) 黄宗羲 明夷待訪錄 置相 ldquo有明之无善治 自高皇帝罢丞相始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彼宫奴

者见宰相之政事坠地不收从而设为科条增其职掌 生杀予夺 出自宰相者 次

第而尽归焉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故使宫奴有宰相之实 则罢丞相之过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22: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0보내어 전반적인 계획과 책략을 살피도록 하였고59) 11월에는 總兵官

辰主指揮 楊仲名이 五開蠻의 반란을 평정하자 태조가 內臣 尙履奉御

呂玉을 楊仲名에게 보내어 그 군대를 검열하고 위로하게 하였다60) 홍

무 27년(1394)에는 환관을 陝西都指揮使司에게 보내어 將士들을 훈련

하게 하였고 魏國公 徐輝祖으로 하여금 섬서 연변지역을 다스리게 하

였다61)

이러한 예들은 환관이 감군으로서 군영에 파견되어 군정을 순시하

고 살피는 일을 한 사례들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태조는 환관이 군의 정황을 살피는 일 이상의 업무에는 참

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 점은 唐代의 환관들과 다른 점으로 당대

에는 환관의 감군이 정치참여로 나타났지만 태조는 환관이 국가중추

기관의 기밀을 획책하는 일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62) 그

렇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기능은 장차 환관의 위력이 점점 강해지는 결

과를 낳았음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셋째 태조는 환관을 각종 경제활동에도 참여시켰다

태조 때에 환관은 경제활동에도 빈번히 참여하였는데 최초의 예로

서는 홍무 8년(1375) 5월 태조가 환관 趙成을 河州에 보내어 거기서

말을 교역해 오도록 한 일이다 태조가 茶馬司를 설치 한 후 조정에서

는 西番에 말을 사들이는 교역장을 마련하였는데63) 서번은 본래 말의

58) 明通鑑 卷6 洪武 9年 8月條 이때에 옹정이 경사로 돌아가자 번인들이 반

란을 일으켰다고 한다

59)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0月 戊申條 ldquo遣內臣 吳誠詣總兵官指揮楊仲名行

營觀方略rdquo

60) 太祖實錄 卷121 洪武 11年 11月 庚午朔條 國榷 卷6 太祖洪武 11年 11

月 庚午條 ldquo五開蠻平 內臣 尙履奉御 呂玉勞指揮楊仲名rdquo 明通鑑 卷6 洪武12

年 11月條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61) 太祖實錄 卷234 洪武 27년 9月條

62) 田禾 明太祖嚴馭宦官試析 (社會科學戰線 1997-4期 1997) pp162-163

63) 茶马司는 洪武 5년1372)2月에 秦州에 처음 설치되었다 그 후 洪武 7년

(1374)다시 河州에 차마사를 설치하고 이어 또 洮州 등지에 차마사를 두었

다 이들은 四川 漢中 湖南 등지의 차와 서북 유목지역에서 나는 말을 교역하

는 임무를 띠고 있었는데 藏族지구의 말을 사들이는 일이 주된 일이었다 그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1산지였기 때문이었다 서번 사람들은 말을 가지고 와서 중국의 문물을

구입하여 갔다

그런데 서번인들의 생활용품과 중국의 용품과는 달랐고 명초에 지

폐인 보초가 발행 된 이후에는 번인들이 사용하는 화폐와 달라 말의

교역량이 줄어들게 되었다 태조는 이것을 염려하여 궁중 환관 趙成을

파견하여 말 교역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조성은 여러 종류의 비단과 사천 지방의 茶葉을 가지고 가서 말을

사오는 방책을 취하였다 조성의 노력으로 河州 수장은 서번 사람들을

위무하고 선대하면서 互市를 열었기에 점차 많은 말을 사들여 올 수

있었는데 이후 차마 무역은 점차 활발해졌던 것이다64)

또 홍무10년(1377) 3월 호부는 징세 업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곳이 178처나 있음을 알고 환관 국자감생 호부의 관원 등 각 부문에

서 각각 1명씩 차출하여 정밀 조사하기를 태조에게 주청하였다 세금

징수 업무를 담당하는 稅課司에서 할당한 세금이 제대로 걷히지 않자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환관과 국자감생들을 보내어 조사하도록 주청한

것이다 이때의 주청에 대하여 lsquo從之rsquo65)라 한 것을 보면 태조가 그것을

승인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환관이 징세 업무에도 간여하였음

을 보여주고 있는 좋은 사례인 것이다

그 외에도 홍무 16년(1383) 9월 태조는 內使 梁珉으로 하여금 돈을

가지고 琉球로 가서 말을 사들여 오도록 하였고66) 홍무 25년(1392) 3

월에는 尙膳太监 而聶과 司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소관

의 번족에게 보내어 거기서 말을 사들여오도록 하였다67) 이 때 서북

러므로 회족이 운거하고 있는 河州는 명대 茶馬互市의 중심지였다

6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5

65) 太祖實錄 卷111 洪武 10年 3月 甲申條 ldquo户部奏天下税课司局征商不如额者

一百七十八处 宜请遣中官国子生及部委官各一人往覈其實立爲定額從之rdquo

66) 太祖實錄 卷156 洪武 16年 9月 己未條 ldquo內官梁珉以貨幣往琉球易马還得马

九百八十三匹rdquo

67) 太祖實錄 卷217 洪武 25年 3月 己丑條 ldquo遣尙膳太监 而聶司禮太監 慶童

賚敕往諭陝西河州等衛所屬番族 令其輸馬 以茶給之rdquo 弇山堂別集 卷90 中官

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당시 尙膳太监 而聶과 司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2쪽의 번족으로부터 말을 사들이는 데는 중국차로서 대가를 지불하였

다 이 때 사들인 말이 10340여필에 이르고 교역한 차엽은 30여만 근

에 달하였다고 하며 구입한 말은 河南 山西 陝西의 衛所에 배치되었

던 것이다68)

넷째 환관을 민간 정보 수집요원으로 활용하였다

새로운 왕조가 성립되었다고 하지만 언제 어떻게 몽골족이 반격하

여 올지 모르고 또한 명조의 신 정권에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다시 왕조를 전복할지도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정보 수집을 중히 여기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

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錦衣衛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금의위를 운영하면서도 태조는 자신의 정권을 보전하기 위

해 환관에게 문무백관을 감시하는 권한을 맡겨 정보를 수집하였다 홍

무 12년(1379) 9월에 占城國 국왕 阿答阿者가 그 신하 陽須文旦을 파

견하여 황제에 올리는 상서와 함께 코끼리말방물 등을 진헌한 일

이 있었는데 중서성 신하는 이것을 제때에 보고하지 못하였으나 內臣

(환관)이 외출하였다가 그 사신을 만나 점성국 사신이 왔다는 정보를

얻어 그 사실을 태조에게 알렸다 태조는 환관의 정보 제공으로 곧바

로 점성국의 사신을 불러 접견할 수 있었는데 이 때 태조는 ldquo상하의

의사소통이 꽉 막히기가 여기까지 이르렀구나rdquo고 하며 탄식하며 중서

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번족에 보내어 말을 사들인 사실은 lsquo교역rsquo

이라는 경제 활동의 성격과 lsquo군마 구입과 배치rsquo라는 군사적 성격을 동시에 지

니고 있는 활동이기도 하다

68)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 ldquo尙膳太监 而聶等至河

州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於是得馬萬三千四十餘疋 以茶三十餘萬斤給之 諸族大悅 而聶遣使入奏

命以馬分给河南山西陕西卫所骑士rdquo이라 하여 교역된 마필과 차엽의 양이

언급되어 있고 당시 구매된 말이 어디로 배치되어 있는가 하는 내용이 더 언

급되어 있다 다만 같은 내용의 기사가 太祖實錄에는 洪武 25년 3月 기사로

弇山堂別集에는 2月 기사로 되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3성 관료들을 질책하자 승상 胡惟庸 汪廣洋 등 중서성의 신하들이 모

두 고개를 땅에 대고 사죄하였다고 한다69)

환관들은 황제의 이목이 되어 황제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황제와 환관들은 자연히 신뢰관계가 형성되었다 황제는

이러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환관에게 특별한 임무를 부여하였던 것

이다 특별한 임무란 황제가 직접 접할 수 없는 궁성 밖의 정세나 관

료의 동향을 알아내는 첩보 활동이었으며 京師의 禁軍도 그들의 감시

대상이었던 것이다

다섯째 환관은 친왕의 왕부에 특사로서 파견되기도 하였다 홍무 12

년(1279) 3월에 환관 陳京을 桂林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靖康王 朱守

謙에게 파견하여 황제의 유지를 전달하게 하였고 홍무 26년(1393) 2월

에 藍玉의 모반 사건이 일어났을 때 3월에 太原의 晉王 朱楓에게 사

람을 보내어 남옥의 모반 사건과 관련되어 있는 집안의 가정과 노비들

을 제거하고 재산을 몰수하라는 유지를 내렸는데 이때에 칙유를 가지

고 간 사람이 환관 而聶과 부마 梅殷였다70)

이를 보면 친왕들에게 유지를 전하는 데 환관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그렇기에 태조는祖訓錄에서

무릇 친왕이 과오를 저지르면 重한 경우 내사 감관으로 하여금 왕을

불러오게 하고 세 차례나 불러도 오지 않으면 다시 流官(황제가 임명한

관리)을 보내되 내관과 함께 동행을 하여 그를 경사로 불러들이도록 한

다71)

69) 太祖實錄 卷126 洪武 12年 9月 戊午條 ldquo占城國王 王阿答阿者遣其臣陽須文

旦進表及象馬方物中书省臣不以時奏 內臣因出外見其使者以聞 上亟召使者見之

嘆曰 壅蔽之害乃至此哉 因敕責省臣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丞相胡惟庸汪廣洋等 皆叩頭謝罪rdquo

70) 王德金 앞의 논문 朱元璋馭宦之析 pp41-42

71) 祖訓錄 法律 ldquo凡親王有過 重者 遣內使監官宣召 如三次不至 再遣流官 同監

官召之至京rdquo 태조가 창업군주로서 자손들에게 훈유를 내려 그것을 영구히 지

키도록 하기 위해 지은 책이 祖訓錄이다 太祖實錄 洪武 2年 4月 乙亥條에

ldquo詔中書編祖訓錄rdquo이라는 것을 보아 이때부터 편찬이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洪武 6年 5月에 완성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箴戒持守严祭祀谨出入慎

国政禮仪法律内令内官职制兵卫营缮供用 등 13 항목으로 되어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4

라고 규정함으로써 친왕이 문제가 있을 때에는 환관이 먼저 파견되었

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을 보면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들의 발호를 억제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정치적 현실에

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차마 무역의 담당

자로 호군 및 군대 감독자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

년 승상제가 폐지되면서 그들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

겠다 이로 인하여 환관의 권위는 점 점 높이지고 세력은 확대되어 갔

던 것이다

3 宦官數의 增大와 機構의 擴大

홍무 초년에는 태조가 환관을 통제했기에 당시의 환관들이 아직 자

금성 안에서 주로 복무했다고 한다면 그의 통치 중후기에는 환관들

이 궁궐 밖으로 나가 여러 임무를 띠고 초기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였다 태조는 이런 변화가 그렇게 나쁘다고 여기지 않았고 도리어

그들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도움이 된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리하여 태조시기에 환관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환관 기구도 확대

되어 갔다 홍무 2년 규정에는 내사감 봉어 60인 기타 각 각 사소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까지 합쳐 총수는 100명에 불과하였다72) 그러나

홍무 15년(1382)에는 환관 361인을 증설하였다73) 이것은 홍무 15년에

증가된 기록으로 당시 기존의 환관을 합치면 거의 수백 명의 환관이

있으며 태조 자신이 서문을 지었다 太祖實錄 28年 閏 9月 庚寅條에 의하면

이 때 祖訓錄을 거듭 정하여 皇明祖訓이라 명명하였다

72)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 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定置內

使監 奉御六十人 尙寶 一人 尙冠七人 尙衣 十人 尙佩九人 尙藥七人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東宮

後門 宮左宮右門 各設門正一人 副一人rdquo

73) 太祖實錄 卷149 洪武 15年 10月 丙戌條 ldquo增設內使三百六十一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5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명조는 수시로

주변 여러 나라에 엄인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사실로 홍무 24년(1391)에 태조는 환관 韓龍 黃禿蠻 등을

고려에 보내어 말 1만 필을 사오도록 하면서 閹人 200여명을 요구하였

다74) 그리고 安南國에서도 끊이지 않고 엄인들을 진공하였는데 매번

수십 명 씩 바쳤던 것이다75) 명조는 사방에 엄인을 요구하였는데 특

히 고려와 안남은 당시 엄인을 진공하는 주요 나라가 되었다76)

이리하여 환관의 수가 부단히 증가하였고 태조도 역시 환관을 심복

중의 심복으로 삼으면서 그들을 신뢰하고 있었다 이에 홍무 17년

(1384) 어느 날 대도독부 겸 국자감을 관할하고 있던 李文忠은 태조에

게 환관이 너무 많으니 그 숫자를 줄여할 것을 건의하였다

ldquo內臣이 너무 많습니다 마땅히 좀 줄이셔야 합니다rdquo라고 이문충이 건

의 하자 태조는 이를 듣고 대노 하여 ldquo자네가 나의 오른쪽 날개를 약화

시키려 하는데 그것은 무슨 의도인가 이것은 분명히 문객들이 시켰을

것이다rdquo라고 말하면서 결국 사람을 보내어 이문충의 문객을 전부 살해하

였다77)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일로 인하여 이문충은 병들어 죽게 되었는

데 이 때 이미 환관은 그 수가 적어서는 안 되는 대상이 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4) 太祖實錄 卷208 洪武 24年 3月 己丑條 ldquo詔於高麗市馬一萬疋 幷索閹人二百

人rdquo 高麗史 恭讓王 3년 辛未年條

75)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6

76) 환관의 공급원은 본래 宮刑에 처해진 죄인들이었지만 隋代 이후 궁형이 폐지

된 후부터는 ① 적의 포로 ② 외국으로부터의 進貢者 또는 변방 지역의 進獻

者 ③ 특별한 사정으로 궁형에 처해진 죄인 ④ 自宮者 곧 지원자 또는 부모의

명령으로 거세된 準自宮者 등이 있다

77) 弇山堂別集 卷20 史乘考誤 1 ldquo一日勸上内臣太多宜稍裁省 上大怒 謂若

欲弱吾羽翼何 意此必门客教之 因盡殺客 文忠驚悸得疾暴卒 上發悲 怒殺諸醫及

文忠侍者百人rdquo 이 기사는 어느 때의 기사인지 나와 있지 않아 잘 알 수 없으

나 이것은 李文忠(1339mdash1384)이 죽은 해에 발생한 사건이므로 洪武 17년

(1384)의 사건으로 볼 수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6환관의 기구 역시 확대되어 갔다 환관의 부서와 직무는 吳 원년

(1367)에 lsquo內史監rsquo이 설치된 이후 인원의 증대와 기구 관리를 위해 조

직이 신설 분리되어 가면서 확대되어 갔는데 홍무 17년(1384)에 9監

2庫 6局 체제가 되었다78) 이것은 명대 환관의 기구인 24아문(12감 4

사 8국)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어 홍무 28년(1395)에 11감 4사 9국으로

정비되어 24아문의 기구가 거의 완비되었던 것이다79) 홍무 30년(1397)

환관 조직은 12감8국4사의 24아문의 규모가 되었고 명왕조 환관

조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황종희가 말하고 있듯이 ldquo명조에 善治가

없었던 것은 태조가 재상을 폐지하면서부터이다 저 宮奴들이 재상의

정치가 땅에 떨어져 수습될 수 없음을 알고 여러 규칙과 조목을 세우

고 직무를 늘렸으며 생살권과 상벌권 등 재상으로부터 나오던 것이

이제 모두 환관들에게 돌아갔도다 (중략) 그러므로 궁노들이 재상처럼

된 것은 승상제를 폐지한 데서 온 커다란 과오이다rdquo80) 라고 하면서

환관의 발호는 재상의 폐지로 인한 것이며 이것은 명대 정치의 큰

폐단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로 재상 없는 군주 독재 지배체제에서 황제 한 사람에 의한 통치

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매일 황제 곁에 있는 환관

중 신뢰하는 환관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태조도 자신도 모르게 환관을 신뢰하고 그들을 중용을 하였으니 이념

적으로 ldquo내신은 정사에 관여하지 못한다rdquo 라는 규정을 내세우면서도

78)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九監은 内官监 神宫监 尚寶监 尚衣监 尚膳监 司

设监 司礼监 御马监 直殿监이고 二庫는 内承运库司鑰库이며 六局은 巾帽局

针工局 织染局 颜料局 司苑局 司牧局을 말한다

79) 위와 같음 十二監은 神宫监 尚寶监 孝陵神宮監 尚膳监 尚衣监 司设监 内官

监 司禮監 御马监 印綬監 直殿监이고 四司는 惜薪司 钟鼓司寶钞司 混堂司이

며 9局庫는 兵仗局 織染局 针工局 巾帽局 司苑局 酒醋麵局 內乘運庫 司鑰庫

內府供用庫인데 이것들은 후에 24아문으로 발전하였다

80) 黄宗羲 明夷待訪錄 置相 ldquo有明之无善治 自高皇帝罢丞相始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彼宫奴

者见宰相之政事坠地不收从而设为科条增其职掌 生杀予夺 出自宰相者 次

第而尽归焉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故使宫奴有宰相之实 则罢丞相之过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23: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1산지였기 때문이었다 서번 사람들은 말을 가지고 와서 중국의 문물을

구입하여 갔다

그런데 서번인들의 생활용품과 중국의 용품과는 달랐고 명초에 지

폐인 보초가 발행 된 이후에는 번인들이 사용하는 화폐와 달라 말의

교역량이 줄어들게 되었다 태조는 이것을 염려하여 궁중 환관 趙成을

파견하여 말 교역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조성은 여러 종류의 비단과 사천 지방의 茶葉을 가지고 가서 말을

사오는 방책을 취하였다 조성의 노력으로 河州 수장은 서번 사람들을

위무하고 선대하면서 互市를 열었기에 점차 많은 말을 사들여 올 수

있었는데 이후 차마 무역은 점차 활발해졌던 것이다64)

또 홍무10년(1377) 3월 호부는 징세 업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곳이 178처나 있음을 알고 환관 국자감생 호부의 관원 등 각 부문에

서 각각 1명씩 차출하여 정밀 조사하기를 태조에게 주청하였다 세금

징수 업무를 담당하는 稅課司에서 할당한 세금이 제대로 걷히지 않자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환관과 국자감생들을 보내어 조사하도록 주청한

것이다 이때의 주청에 대하여 lsquo從之rsquo65)라 한 것을 보면 태조가 그것을

승인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환관이 징세 업무에도 간여하였음

을 보여주고 있는 좋은 사례인 것이다

그 외에도 홍무 16년(1383) 9월 태조는 內使 梁珉으로 하여금 돈을

가지고 琉球로 가서 말을 사들여 오도록 하였고66) 홍무 25년(1392) 3

월에는 尙膳太监 而聶과 司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소관

의 번족에게 보내어 거기서 말을 사들여오도록 하였다67) 이 때 서북

러므로 회족이 운거하고 있는 河州는 명대 茶馬互市의 중심지였다

6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5

65) 太祖實錄 卷111 洪武 10年 3月 甲申條 ldquo户部奏天下税课司局征商不如额者

一百七十八处 宜请遣中官国子生及部委官各一人往覈其實立爲定額從之rdquo

66) 太祖實錄 卷156 洪武 16年 9月 己未條 ldquo內官梁珉以貨幣往琉球易马還得马

九百八十三匹rdquo

67) 太祖實錄 卷217 洪武 25年 3月 己丑條 ldquo遣尙膳太监 而聶司禮太監 慶童

賚敕往諭陝西河州等衛所屬番族 令其輸馬 以茶給之rdquo 弇山堂別集 卷90 中官

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당시 尙膳太监 而聶과 司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2쪽의 번족으로부터 말을 사들이는 데는 중국차로서 대가를 지불하였

다 이 때 사들인 말이 10340여필에 이르고 교역한 차엽은 30여만 근

에 달하였다고 하며 구입한 말은 河南 山西 陝西의 衛所에 배치되었

던 것이다68)

넷째 환관을 민간 정보 수집요원으로 활용하였다

새로운 왕조가 성립되었다고 하지만 언제 어떻게 몽골족이 반격하

여 올지 모르고 또한 명조의 신 정권에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다시 왕조를 전복할지도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정보 수집을 중히 여기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

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錦衣衛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금의위를 운영하면서도 태조는 자신의 정권을 보전하기 위

해 환관에게 문무백관을 감시하는 권한을 맡겨 정보를 수집하였다 홍

무 12년(1379) 9월에 占城國 국왕 阿答阿者가 그 신하 陽須文旦을 파

견하여 황제에 올리는 상서와 함께 코끼리말방물 등을 진헌한 일

이 있었는데 중서성 신하는 이것을 제때에 보고하지 못하였으나 內臣

(환관)이 외출하였다가 그 사신을 만나 점성국 사신이 왔다는 정보를

얻어 그 사실을 태조에게 알렸다 태조는 환관의 정보 제공으로 곧바

로 점성국의 사신을 불러 접견할 수 있었는데 이 때 태조는 ldquo상하의

의사소통이 꽉 막히기가 여기까지 이르렀구나rdquo고 하며 탄식하며 중서

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번족에 보내어 말을 사들인 사실은 lsquo교역rsquo

이라는 경제 활동의 성격과 lsquo군마 구입과 배치rsquo라는 군사적 성격을 동시에 지

니고 있는 활동이기도 하다

68)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 ldquo尙膳太监 而聶等至河

州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於是得馬萬三千四十餘疋 以茶三十餘萬斤給之 諸族大悅 而聶遣使入奏

命以馬分给河南山西陕西卫所骑士rdquo이라 하여 교역된 마필과 차엽의 양이

언급되어 있고 당시 구매된 말이 어디로 배치되어 있는가 하는 내용이 더 언

급되어 있다 다만 같은 내용의 기사가 太祖實錄에는 洪武 25년 3月 기사로

弇山堂別集에는 2月 기사로 되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3성 관료들을 질책하자 승상 胡惟庸 汪廣洋 등 중서성의 신하들이 모

두 고개를 땅에 대고 사죄하였다고 한다69)

환관들은 황제의 이목이 되어 황제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황제와 환관들은 자연히 신뢰관계가 형성되었다 황제는

이러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환관에게 특별한 임무를 부여하였던 것

이다 특별한 임무란 황제가 직접 접할 수 없는 궁성 밖의 정세나 관

료의 동향을 알아내는 첩보 활동이었으며 京師의 禁軍도 그들의 감시

대상이었던 것이다

다섯째 환관은 친왕의 왕부에 특사로서 파견되기도 하였다 홍무 12

년(1279) 3월에 환관 陳京을 桂林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靖康王 朱守

謙에게 파견하여 황제의 유지를 전달하게 하였고 홍무 26년(1393) 2월

에 藍玉의 모반 사건이 일어났을 때 3월에 太原의 晉王 朱楓에게 사

람을 보내어 남옥의 모반 사건과 관련되어 있는 집안의 가정과 노비들

을 제거하고 재산을 몰수하라는 유지를 내렸는데 이때에 칙유를 가지

고 간 사람이 환관 而聶과 부마 梅殷였다70)

이를 보면 친왕들에게 유지를 전하는 데 환관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그렇기에 태조는祖訓錄에서

무릇 친왕이 과오를 저지르면 重한 경우 내사 감관으로 하여금 왕을

불러오게 하고 세 차례나 불러도 오지 않으면 다시 流官(황제가 임명한

관리)을 보내되 내관과 함께 동행을 하여 그를 경사로 불러들이도록 한

다71)

69) 太祖實錄 卷126 洪武 12年 9月 戊午條 ldquo占城國王 王阿答阿者遣其臣陽須文

旦進表及象馬方物中书省臣不以時奏 內臣因出外見其使者以聞 上亟召使者見之

嘆曰 壅蔽之害乃至此哉 因敕責省臣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丞相胡惟庸汪廣洋等 皆叩頭謝罪rdquo

70) 王德金 앞의 논문 朱元璋馭宦之析 pp41-42

71) 祖訓錄 法律 ldquo凡親王有過 重者 遣內使監官宣召 如三次不至 再遣流官 同監

官召之至京rdquo 태조가 창업군주로서 자손들에게 훈유를 내려 그것을 영구히 지

키도록 하기 위해 지은 책이 祖訓錄이다 太祖實錄 洪武 2年 4月 乙亥條에

ldquo詔中書編祖訓錄rdquo이라는 것을 보아 이때부터 편찬이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洪武 6年 5月에 완성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箴戒持守严祭祀谨出入慎

国政禮仪法律内令内官职制兵卫营缮供用 등 13 항목으로 되어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4

라고 규정함으로써 친왕이 문제가 있을 때에는 환관이 먼저 파견되었

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을 보면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들의 발호를 억제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정치적 현실에

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차마 무역의 담당

자로 호군 및 군대 감독자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

년 승상제가 폐지되면서 그들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

겠다 이로 인하여 환관의 권위는 점 점 높이지고 세력은 확대되어 갔

던 것이다

3 宦官數의 增大와 機構의 擴大

홍무 초년에는 태조가 환관을 통제했기에 당시의 환관들이 아직 자

금성 안에서 주로 복무했다고 한다면 그의 통치 중후기에는 환관들

이 궁궐 밖으로 나가 여러 임무를 띠고 초기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였다 태조는 이런 변화가 그렇게 나쁘다고 여기지 않았고 도리어

그들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도움이 된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리하여 태조시기에 환관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환관 기구도 확대

되어 갔다 홍무 2년 규정에는 내사감 봉어 60인 기타 각 각 사소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까지 합쳐 총수는 100명에 불과하였다72) 그러나

홍무 15년(1382)에는 환관 361인을 증설하였다73) 이것은 홍무 15년에

증가된 기록으로 당시 기존의 환관을 합치면 거의 수백 명의 환관이

있으며 태조 자신이 서문을 지었다 太祖實錄 28年 閏 9月 庚寅條에 의하면

이 때 祖訓錄을 거듭 정하여 皇明祖訓이라 명명하였다

72)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 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定置內

使監 奉御六十人 尙寶 一人 尙冠七人 尙衣 十人 尙佩九人 尙藥七人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東宮

後門 宮左宮右門 各設門正一人 副一人rdquo

73) 太祖實錄 卷149 洪武 15年 10月 丙戌條 ldquo增設內使三百六十一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5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명조는 수시로

주변 여러 나라에 엄인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사실로 홍무 24년(1391)에 태조는 환관 韓龍 黃禿蠻 등을

고려에 보내어 말 1만 필을 사오도록 하면서 閹人 200여명을 요구하였

다74) 그리고 安南國에서도 끊이지 않고 엄인들을 진공하였는데 매번

수십 명 씩 바쳤던 것이다75) 명조는 사방에 엄인을 요구하였는데 특

히 고려와 안남은 당시 엄인을 진공하는 주요 나라가 되었다76)

이리하여 환관의 수가 부단히 증가하였고 태조도 역시 환관을 심복

중의 심복으로 삼으면서 그들을 신뢰하고 있었다 이에 홍무 17년

(1384) 어느 날 대도독부 겸 국자감을 관할하고 있던 李文忠은 태조에

게 환관이 너무 많으니 그 숫자를 줄여할 것을 건의하였다

ldquo內臣이 너무 많습니다 마땅히 좀 줄이셔야 합니다rdquo라고 이문충이 건

의 하자 태조는 이를 듣고 대노 하여 ldquo자네가 나의 오른쪽 날개를 약화

시키려 하는데 그것은 무슨 의도인가 이것은 분명히 문객들이 시켰을

것이다rdquo라고 말하면서 결국 사람을 보내어 이문충의 문객을 전부 살해하

였다77)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일로 인하여 이문충은 병들어 죽게 되었는

데 이 때 이미 환관은 그 수가 적어서는 안 되는 대상이 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4) 太祖實錄 卷208 洪武 24年 3月 己丑條 ldquo詔於高麗市馬一萬疋 幷索閹人二百

人rdquo 高麗史 恭讓王 3년 辛未年條

75)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6

76) 환관의 공급원은 본래 宮刑에 처해진 죄인들이었지만 隋代 이후 궁형이 폐지

된 후부터는 ① 적의 포로 ② 외국으로부터의 進貢者 또는 변방 지역의 進獻

者 ③ 특별한 사정으로 궁형에 처해진 죄인 ④ 自宮者 곧 지원자 또는 부모의

명령으로 거세된 準自宮者 등이 있다

77) 弇山堂別集 卷20 史乘考誤 1 ldquo一日勸上内臣太多宜稍裁省 上大怒 謂若

欲弱吾羽翼何 意此必门客教之 因盡殺客 文忠驚悸得疾暴卒 上發悲 怒殺諸醫及

文忠侍者百人rdquo 이 기사는 어느 때의 기사인지 나와 있지 않아 잘 알 수 없으

나 이것은 李文忠(1339mdash1384)이 죽은 해에 발생한 사건이므로 洪武 17년

(1384)의 사건으로 볼 수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6환관의 기구 역시 확대되어 갔다 환관의 부서와 직무는 吳 원년

(1367)에 lsquo內史監rsquo이 설치된 이후 인원의 증대와 기구 관리를 위해 조

직이 신설 분리되어 가면서 확대되어 갔는데 홍무 17년(1384)에 9監

2庫 6局 체제가 되었다78) 이것은 명대 환관의 기구인 24아문(12감 4

사 8국)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어 홍무 28년(1395)에 11감 4사 9국으로

정비되어 24아문의 기구가 거의 완비되었던 것이다79) 홍무 30년(1397)

환관 조직은 12감8국4사의 24아문의 규모가 되었고 명왕조 환관

조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황종희가 말하고 있듯이 ldquo명조에 善治가

없었던 것은 태조가 재상을 폐지하면서부터이다 저 宮奴들이 재상의

정치가 땅에 떨어져 수습될 수 없음을 알고 여러 규칙과 조목을 세우

고 직무를 늘렸으며 생살권과 상벌권 등 재상으로부터 나오던 것이

이제 모두 환관들에게 돌아갔도다 (중략) 그러므로 궁노들이 재상처럼

된 것은 승상제를 폐지한 데서 온 커다란 과오이다rdquo80) 라고 하면서

환관의 발호는 재상의 폐지로 인한 것이며 이것은 명대 정치의 큰

폐단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로 재상 없는 군주 독재 지배체제에서 황제 한 사람에 의한 통치

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매일 황제 곁에 있는 환관

중 신뢰하는 환관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태조도 자신도 모르게 환관을 신뢰하고 그들을 중용을 하였으니 이념

적으로 ldquo내신은 정사에 관여하지 못한다rdquo 라는 규정을 내세우면서도

78)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九監은 内官监 神宫监 尚寶监 尚衣监 尚膳监 司

设监 司礼监 御马监 直殿监이고 二庫는 内承运库司鑰库이며 六局은 巾帽局

针工局 织染局 颜料局 司苑局 司牧局을 말한다

79) 위와 같음 十二監은 神宫监 尚寶监 孝陵神宮監 尚膳监 尚衣监 司设监 内官

监 司禮監 御马监 印綬監 直殿监이고 四司는 惜薪司 钟鼓司寶钞司 混堂司이

며 9局庫는 兵仗局 織染局 针工局 巾帽局 司苑局 酒醋麵局 內乘運庫 司鑰庫

內府供用庫인데 이것들은 후에 24아문으로 발전하였다

80) 黄宗羲 明夷待訪錄 置相 ldquo有明之无善治 自高皇帝罢丞相始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彼宫奴

者见宰相之政事坠地不收从而设为科条增其职掌 生杀予夺 出自宰相者 次

第而尽归焉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故使宫奴有宰相之实 则罢丞相之过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24: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2쪽의 번족으로부터 말을 사들이는 데는 중국차로서 대가를 지불하였

다 이 때 사들인 말이 10340여필에 이르고 교역한 차엽은 30여만 근

에 달하였다고 하며 구입한 말은 河南 山西 陝西의 衛所에 배치되었

던 것이다68)

넷째 환관을 민간 정보 수집요원으로 활용하였다

새로운 왕조가 성립되었다고 하지만 언제 어떻게 몽골족이 반격하

여 올지 모르고 또한 명조의 신 정권에 불만 및 반감을 가지고 있는

세력이 다시 왕조를 전복할지도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조는 정보 수집을 중히 여기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軍官民을 감찰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특히 관료의 행

동을 감시하는 데는 감찰기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별도로 황제

직속의 특무 기관인 錦衣衛를 신설하여 관료 및 일반 인민의 행동을

감시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금의위를 운영하면서도 태조는 자신의 정권을 보전하기 위

해 환관에게 문무백관을 감시하는 권한을 맡겨 정보를 수집하였다 홍

무 12년(1379) 9월에 占城國 국왕 阿答阿者가 그 신하 陽須文旦을 파

견하여 황제에 올리는 상서와 함께 코끼리말방물 등을 진헌한 일

이 있었는데 중서성 신하는 이것을 제때에 보고하지 못하였으나 內臣

(환관)이 외출하였다가 그 사신을 만나 점성국 사신이 왔다는 정보를

얻어 그 사실을 태조에게 알렸다 태조는 환관의 정보 제공으로 곧바

로 점성국의 사신을 불러 접견할 수 있었는데 이 때 태조는 ldquo상하의

의사소통이 꽉 막히기가 여기까지 이르렀구나rdquo고 하며 탄식하며 중서

禮太監 慶童을 陝西 河州 등의 위소 번족에 보내어 말을 사들인 사실은 lsquo교역rsquo

이라는 경제 활동의 성격과 lsquo군마 구입과 배치rsquo라는 군사적 성격을 동시에 지

니고 있는 활동이기도 하다

68)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1 洪武 25年 2月 乙丑條 ldquo尙膳太监 而聶等至河

州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於是得馬萬三千四十餘疋 以茶三十餘萬斤給之 諸族大悅 而聶遣使入奏

命以馬分给河南山西陕西卫所骑士rdquo이라 하여 교역된 마필과 차엽의 양이

언급되어 있고 당시 구매된 말이 어디로 배치되어 있는가 하는 내용이 더 언

급되어 있다 다만 같은 내용의 기사가 太祖實錄에는 洪武 25년 3月 기사로

弇山堂別集에는 2月 기사로 되어 있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3성 관료들을 질책하자 승상 胡惟庸 汪廣洋 등 중서성의 신하들이 모

두 고개를 땅에 대고 사죄하였다고 한다69)

환관들은 황제의 이목이 되어 황제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황제와 환관들은 자연히 신뢰관계가 형성되었다 황제는

이러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환관에게 특별한 임무를 부여하였던 것

이다 특별한 임무란 황제가 직접 접할 수 없는 궁성 밖의 정세나 관

료의 동향을 알아내는 첩보 활동이었으며 京師의 禁軍도 그들의 감시

대상이었던 것이다

다섯째 환관은 친왕의 왕부에 특사로서 파견되기도 하였다 홍무 12

년(1279) 3월에 환관 陳京을 桂林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靖康王 朱守

謙에게 파견하여 황제의 유지를 전달하게 하였고 홍무 26년(1393) 2월

에 藍玉의 모반 사건이 일어났을 때 3월에 太原의 晉王 朱楓에게 사

람을 보내어 남옥의 모반 사건과 관련되어 있는 집안의 가정과 노비들

을 제거하고 재산을 몰수하라는 유지를 내렸는데 이때에 칙유를 가지

고 간 사람이 환관 而聶과 부마 梅殷였다70)

이를 보면 친왕들에게 유지를 전하는 데 환관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그렇기에 태조는祖訓錄에서

무릇 친왕이 과오를 저지르면 重한 경우 내사 감관으로 하여금 왕을

불러오게 하고 세 차례나 불러도 오지 않으면 다시 流官(황제가 임명한

관리)을 보내되 내관과 함께 동행을 하여 그를 경사로 불러들이도록 한

다71)

69) 太祖實錄 卷126 洪武 12年 9月 戊午條 ldquo占城國王 王阿答阿者遣其臣陽須文

旦進表及象馬方物中书省臣不以時奏 內臣因出外見其使者以聞 上亟召使者見之

嘆曰 壅蔽之害乃至此哉 因敕責省臣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丞相胡惟庸汪廣洋等 皆叩頭謝罪rdquo

70) 王德金 앞의 논문 朱元璋馭宦之析 pp41-42

71) 祖訓錄 法律 ldquo凡親王有過 重者 遣內使監官宣召 如三次不至 再遣流官 同監

官召之至京rdquo 태조가 창업군주로서 자손들에게 훈유를 내려 그것을 영구히 지

키도록 하기 위해 지은 책이 祖訓錄이다 太祖實錄 洪武 2年 4月 乙亥條에

ldquo詔中書編祖訓錄rdquo이라는 것을 보아 이때부터 편찬이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洪武 6年 5月에 완성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箴戒持守严祭祀谨出入慎

国政禮仪法律内令内官职制兵卫营缮供用 등 13 항목으로 되어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4

라고 규정함으로써 친왕이 문제가 있을 때에는 환관이 먼저 파견되었

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을 보면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들의 발호를 억제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정치적 현실에

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차마 무역의 담당

자로 호군 및 군대 감독자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

년 승상제가 폐지되면서 그들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

겠다 이로 인하여 환관의 권위는 점 점 높이지고 세력은 확대되어 갔

던 것이다

3 宦官數의 增大와 機構의 擴大

홍무 초년에는 태조가 환관을 통제했기에 당시의 환관들이 아직 자

금성 안에서 주로 복무했다고 한다면 그의 통치 중후기에는 환관들

이 궁궐 밖으로 나가 여러 임무를 띠고 초기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였다 태조는 이런 변화가 그렇게 나쁘다고 여기지 않았고 도리어

그들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도움이 된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리하여 태조시기에 환관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환관 기구도 확대

되어 갔다 홍무 2년 규정에는 내사감 봉어 60인 기타 각 각 사소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까지 합쳐 총수는 100명에 불과하였다72) 그러나

홍무 15년(1382)에는 환관 361인을 증설하였다73) 이것은 홍무 15년에

증가된 기록으로 당시 기존의 환관을 합치면 거의 수백 명의 환관이

있으며 태조 자신이 서문을 지었다 太祖實錄 28年 閏 9月 庚寅條에 의하면

이 때 祖訓錄을 거듭 정하여 皇明祖訓이라 명명하였다

72)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 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定置內

使監 奉御六十人 尙寶 一人 尙冠七人 尙衣 十人 尙佩九人 尙藥七人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東宮

後門 宮左宮右門 各設門正一人 副一人rdquo

73) 太祖實錄 卷149 洪武 15年 10月 丙戌條 ldquo增設內使三百六十一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5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명조는 수시로

주변 여러 나라에 엄인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사실로 홍무 24년(1391)에 태조는 환관 韓龍 黃禿蠻 등을

고려에 보내어 말 1만 필을 사오도록 하면서 閹人 200여명을 요구하였

다74) 그리고 安南國에서도 끊이지 않고 엄인들을 진공하였는데 매번

수십 명 씩 바쳤던 것이다75) 명조는 사방에 엄인을 요구하였는데 특

히 고려와 안남은 당시 엄인을 진공하는 주요 나라가 되었다76)

이리하여 환관의 수가 부단히 증가하였고 태조도 역시 환관을 심복

중의 심복으로 삼으면서 그들을 신뢰하고 있었다 이에 홍무 17년

(1384) 어느 날 대도독부 겸 국자감을 관할하고 있던 李文忠은 태조에

게 환관이 너무 많으니 그 숫자를 줄여할 것을 건의하였다

ldquo內臣이 너무 많습니다 마땅히 좀 줄이셔야 합니다rdquo라고 이문충이 건

의 하자 태조는 이를 듣고 대노 하여 ldquo자네가 나의 오른쪽 날개를 약화

시키려 하는데 그것은 무슨 의도인가 이것은 분명히 문객들이 시켰을

것이다rdquo라고 말하면서 결국 사람을 보내어 이문충의 문객을 전부 살해하

였다77)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일로 인하여 이문충은 병들어 죽게 되었는

데 이 때 이미 환관은 그 수가 적어서는 안 되는 대상이 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4) 太祖實錄 卷208 洪武 24年 3月 己丑條 ldquo詔於高麗市馬一萬疋 幷索閹人二百

人rdquo 高麗史 恭讓王 3년 辛未年條

75)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6

76) 환관의 공급원은 본래 宮刑에 처해진 죄인들이었지만 隋代 이후 궁형이 폐지

된 후부터는 ① 적의 포로 ② 외국으로부터의 進貢者 또는 변방 지역의 進獻

者 ③ 특별한 사정으로 궁형에 처해진 죄인 ④ 自宮者 곧 지원자 또는 부모의

명령으로 거세된 準自宮者 등이 있다

77) 弇山堂別集 卷20 史乘考誤 1 ldquo一日勸上内臣太多宜稍裁省 上大怒 謂若

欲弱吾羽翼何 意此必门客教之 因盡殺客 文忠驚悸得疾暴卒 上發悲 怒殺諸醫及

文忠侍者百人rdquo 이 기사는 어느 때의 기사인지 나와 있지 않아 잘 알 수 없으

나 이것은 李文忠(1339mdash1384)이 죽은 해에 발생한 사건이므로 洪武 17년

(1384)의 사건으로 볼 수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6환관의 기구 역시 확대되어 갔다 환관의 부서와 직무는 吳 원년

(1367)에 lsquo內史監rsquo이 설치된 이후 인원의 증대와 기구 관리를 위해 조

직이 신설 분리되어 가면서 확대되어 갔는데 홍무 17년(1384)에 9監

2庫 6局 체제가 되었다78) 이것은 명대 환관의 기구인 24아문(12감 4

사 8국)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어 홍무 28년(1395)에 11감 4사 9국으로

정비되어 24아문의 기구가 거의 완비되었던 것이다79) 홍무 30년(1397)

환관 조직은 12감8국4사의 24아문의 규모가 되었고 명왕조 환관

조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황종희가 말하고 있듯이 ldquo명조에 善治가

없었던 것은 태조가 재상을 폐지하면서부터이다 저 宮奴들이 재상의

정치가 땅에 떨어져 수습될 수 없음을 알고 여러 규칙과 조목을 세우

고 직무를 늘렸으며 생살권과 상벌권 등 재상으로부터 나오던 것이

이제 모두 환관들에게 돌아갔도다 (중략) 그러므로 궁노들이 재상처럼

된 것은 승상제를 폐지한 데서 온 커다란 과오이다rdquo80) 라고 하면서

환관의 발호는 재상의 폐지로 인한 것이며 이것은 명대 정치의 큰

폐단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로 재상 없는 군주 독재 지배체제에서 황제 한 사람에 의한 통치

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매일 황제 곁에 있는 환관

중 신뢰하는 환관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태조도 자신도 모르게 환관을 신뢰하고 그들을 중용을 하였으니 이념

적으로 ldquo내신은 정사에 관여하지 못한다rdquo 라는 규정을 내세우면서도

78)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九監은 内官监 神宫监 尚寶监 尚衣监 尚膳监 司

设监 司礼监 御马监 直殿监이고 二庫는 内承运库司鑰库이며 六局은 巾帽局

针工局 织染局 颜料局 司苑局 司牧局을 말한다

79) 위와 같음 十二監은 神宫监 尚寶监 孝陵神宮監 尚膳监 尚衣监 司设监 内官

监 司禮監 御马监 印綬監 直殿监이고 四司는 惜薪司 钟鼓司寶钞司 混堂司이

며 9局庫는 兵仗局 織染局 针工局 巾帽局 司苑局 酒醋麵局 內乘運庫 司鑰庫

內府供用庫인데 이것들은 후에 24아문으로 발전하였다

80) 黄宗羲 明夷待訪錄 置相 ldquo有明之无善治 自高皇帝罢丞相始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彼宫奴

者见宰相之政事坠地不收从而设为科条增其职掌 生杀予夺 出自宰相者 次

第而尽归焉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故使宫奴有宰相之实 则罢丞相之过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25: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3성 관료들을 질책하자 승상 胡惟庸 汪廣洋 등 중서성의 신하들이 모

두 고개를 땅에 대고 사죄하였다고 한다69)

환관들은 황제의 이목이 되어 황제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황제와 환관들은 자연히 신뢰관계가 형성되었다 황제는

이러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환관에게 특별한 임무를 부여하였던 것

이다 특별한 임무란 황제가 직접 접할 수 없는 궁성 밖의 정세나 관

료의 동향을 알아내는 첩보 활동이었으며 京師의 禁軍도 그들의 감시

대상이었던 것이다

다섯째 환관은 친왕의 왕부에 특사로서 파견되기도 하였다 홍무 12

년(1279) 3월에 환관 陳京을 桂林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靖康王 朱守

謙에게 파견하여 황제의 유지를 전달하게 하였고 홍무 26년(1393) 2월

에 藍玉의 모반 사건이 일어났을 때 3월에 太原의 晉王 朱楓에게 사

람을 보내어 남옥의 모반 사건과 관련되어 있는 집안의 가정과 노비들

을 제거하고 재산을 몰수하라는 유지를 내렸는데 이때에 칙유를 가지

고 간 사람이 환관 而聶과 부마 梅殷였다70)

이를 보면 친왕들에게 유지를 전하는 데 환관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그렇기에 태조는祖訓錄에서

무릇 친왕이 과오를 저지르면 重한 경우 내사 감관으로 하여금 왕을

불러오게 하고 세 차례나 불러도 오지 않으면 다시 流官(황제가 임명한

관리)을 보내되 내관과 함께 동행을 하여 그를 경사로 불러들이도록 한

다71)

69) 太祖實錄 卷126 洪武 12年 9月 戊午條 ldquo占城國王 王阿答阿者遣其臣陽須文

旦進表及象馬方物中书省臣不以時奏 內臣因出外見其使者以聞 上亟召使者見之

嘆曰 壅蔽之害乃至此哉 因敕責省臣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丞相胡惟庸汪廣洋等 皆叩頭謝罪rdquo

70) 王德金 앞의 논문 朱元璋馭宦之析 pp41-42

71) 祖訓錄 法律 ldquo凡親王有過 重者 遣內使監官宣召 如三次不至 再遣流官 同監

官召之至京rdquo 태조가 창업군주로서 자손들에게 훈유를 내려 그것을 영구히 지

키도록 하기 위해 지은 책이 祖訓錄이다 太祖實錄 洪武 2年 4月 乙亥條에

ldquo詔中書編祖訓錄rdquo이라는 것을 보아 이때부터 편찬이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洪武 6年 5月에 완성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箴戒持守严祭祀谨出入慎

国政禮仪法律内令内官职制兵卫营缮供用 등 13 항목으로 되어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4

라고 규정함으로써 친왕이 문제가 있을 때에는 환관이 먼저 파견되었

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을 보면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들의 발호를 억제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정치적 현실에

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차마 무역의 담당

자로 호군 및 군대 감독자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

년 승상제가 폐지되면서 그들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

겠다 이로 인하여 환관의 권위는 점 점 높이지고 세력은 확대되어 갔

던 것이다

3 宦官數의 增大와 機構의 擴大

홍무 초년에는 태조가 환관을 통제했기에 당시의 환관들이 아직 자

금성 안에서 주로 복무했다고 한다면 그의 통치 중후기에는 환관들

이 궁궐 밖으로 나가 여러 임무를 띠고 초기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였다 태조는 이런 변화가 그렇게 나쁘다고 여기지 않았고 도리어

그들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도움이 된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리하여 태조시기에 환관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환관 기구도 확대

되어 갔다 홍무 2년 규정에는 내사감 봉어 60인 기타 각 각 사소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까지 합쳐 총수는 100명에 불과하였다72) 그러나

홍무 15년(1382)에는 환관 361인을 증설하였다73) 이것은 홍무 15년에

증가된 기록으로 당시 기존의 환관을 합치면 거의 수백 명의 환관이

있으며 태조 자신이 서문을 지었다 太祖實錄 28年 閏 9月 庚寅條에 의하면

이 때 祖訓錄을 거듭 정하여 皇明祖訓이라 명명하였다

72)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 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定置內

使監 奉御六十人 尙寶 一人 尙冠七人 尙衣 十人 尙佩九人 尙藥七人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東宮

後門 宮左宮右門 各設門正一人 副一人rdquo

73) 太祖實錄 卷149 洪武 15年 10月 丙戌條 ldquo增設內使三百六十一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5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명조는 수시로

주변 여러 나라에 엄인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사실로 홍무 24년(1391)에 태조는 환관 韓龍 黃禿蠻 등을

고려에 보내어 말 1만 필을 사오도록 하면서 閹人 200여명을 요구하였

다74) 그리고 安南國에서도 끊이지 않고 엄인들을 진공하였는데 매번

수십 명 씩 바쳤던 것이다75) 명조는 사방에 엄인을 요구하였는데 특

히 고려와 안남은 당시 엄인을 진공하는 주요 나라가 되었다76)

이리하여 환관의 수가 부단히 증가하였고 태조도 역시 환관을 심복

중의 심복으로 삼으면서 그들을 신뢰하고 있었다 이에 홍무 17년

(1384) 어느 날 대도독부 겸 국자감을 관할하고 있던 李文忠은 태조에

게 환관이 너무 많으니 그 숫자를 줄여할 것을 건의하였다

ldquo內臣이 너무 많습니다 마땅히 좀 줄이셔야 합니다rdquo라고 이문충이 건

의 하자 태조는 이를 듣고 대노 하여 ldquo자네가 나의 오른쪽 날개를 약화

시키려 하는데 그것은 무슨 의도인가 이것은 분명히 문객들이 시켰을

것이다rdquo라고 말하면서 결국 사람을 보내어 이문충의 문객을 전부 살해하

였다77)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일로 인하여 이문충은 병들어 죽게 되었는

데 이 때 이미 환관은 그 수가 적어서는 안 되는 대상이 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4) 太祖實錄 卷208 洪武 24年 3月 己丑條 ldquo詔於高麗市馬一萬疋 幷索閹人二百

人rdquo 高麗史 恭讓王 3년 辛未年條

75)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6

76) 환관의 공급원은 본래 宮刑에 처해진 죄인들이었지만 隋代 이후 궁형이 폐지

된 후부터는 ① 적의 포로 ② 외국으로부터의 進貢者 또는 변방 지역의 進獻

者 ③ 특별한 사정으로 궁형에 처해진 죄인 ④ 自宮者 곧 지원자 또는 부모의

명령으로 거세된 準自宮者 등이 있다

77) 弇山堂別集 卷20 史乘考誤 1 ldquo一日勸上内臣太多宜稍裁省 上大怒 謂若

欲弱吾羽翼何 意此必门客教之 因盡殺客 文忠驚悸得疾暴卒 上發悲 怒殺諸醫及

文忠侍者百人rdquo 이 기사는 어느 때의 기사인지 나와 있지 않아 잘 알 수 없으

나 이것은 李文忠(1339mdash1384)이 죽은 해에 발생한 사건이므로 洪武 17년

(1384)의 사건으로 볼 수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6환관의 기구 역시 확대되어 갔다 환관의 부서와 직무는 吳 원년

(1367)에 lsquo內史監rsquo이 설치된 이후 인원의 증대와 기구 관리를 위해 조

직이 신설 분리되어 가면서 확대되어 갔는데 홍무 17년(1384)에 9監

2庫 6局 체제가 되었다78) 이것은 명대 환관의 기구인 24아문(12감 4

사 8국)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어 홍무 28년(1395)에 11감 4사 9국으로

정비되어 24아문의 기구가 거의 완비되었던 것이다79) 홍무 30년(1397)

환관 조직은 12감8국4사의 24아문의 규모가 되었고 명왕조 환관

조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황종희가 말하고 있듯이 ldquo명조에 善治가

없었던 것은 태조가 재상을 폐지하면서부터이다 저 宮奴들이 재상의

정치가 땅에 떨어져 수습될 수 없음을 알고 여러 규칙과 조목을 세우

고 직무를 늘렸으며 생살권과 상벌권 등 재상으로부터 나오던 것이

이제 모두 환관들에게 돌아갔도다 (중략) 그러므로 궁노들이 재상처럼

된 것은 승상제를 폐지한 데서 온 커다란 과오이다rdquo80) 라고 하면서

환관의 발호는 재상의 폐지로 인한 것이며 이것은 명대 정치의 큰

폐단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로 재상 없는 군주 독재 지배체제에서 황제 한 사람에 의한 통치

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매일 황제 곁에 있는 환관

중 신뢰하는 환관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태조도 자신도 모르게 환관을 신뢰하고 그들을 중용을 하였으니 이념

적으로 ldquo내신은 정사에 관여하지 못한다rdquo 라는 규정을 내세우면서도

78)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九監은 内官监 神宫监 尚寶监 尚衣监 尚膳监 司

设监 司礼监 御马监 直殿监이고 二庫는 内承运库司鑰库이며 六局은 巾帽局

针工局 织染局 颜料局 司苑局 司牧局을 말한다

79) 위와 같음 十二監은 神宫监 尚寶监 孝陵神宮監 尚膳监 尚衣监 司设监 内官

监 司禮監 御马监 印綬監 直殿监이고 四司는 惜薪司 钟鼓司寶钞司 混堂司이

며 9局庫는 兵仗局 織染局 针工局 巾帽局 司苑局 酒醋麵局 內乘運庫 司鑰庫

內府供用庫인데 이것들은 후에 24아문으로 발전하였다

80) 黄宗羲 明夷待訪錄 置相 ldquo有明之无善治 自高皇帝罢丞相始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彼宫奴

者见宰相之政事坠地不收从而设为科条增其职掌 生杀予夺 出自宰相者 次

第而尽归焉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故使宫奴有宰相之实 则罢丞相之过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26: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4

라고 규정함으로써 친왕이 문제가 있을 때에는 환관이 먼저 파견되었

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을 보면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들의 발호를 억제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정치적 현실에

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차마 무역의 담당

자로 호군 및 군대 감독자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

년 승상제가 폐지되면서 그들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

겠다 이로 인하여 환관의 권위는 점 점 높이지고 세력은 확대되어 갔

던 것이다

3 宦官數의 增大와 機構의 擴大

홍무 초년에는 태조가 환관을 통제했기에 당시의 환관들이 아직 자

금성 안에서 주로 복무했다고 한다면 그의 통치 중후기에는 환관들

이 궁궐 밖으로 나가 여러 임무를 띠고 초기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였다 태조는 이런 변화가 그렇게 나쁘다고 여기지 않았고 도리어

그들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도움이 된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리하여 태조시기에 환관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환관 기구도 확대

되어 갔다 홍무 2년 규정에는 내사감 봉어 60인 기타 각 각 사소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까지 합쳐 총수는 100명에 불과하였다72) 그러나

홍무 15년(1382)에는 환관 361인을 증설하였다73) 이것은 홍무 15년에

증가된 기록으로 당시 기존의 환관을 합치면 거의 수백 명의 환관이

있으며 태조 자신이 서문을 지었다 太祖實錄 28年 閏 9月 庚寅條에 의하면

이 때 祖訓錄을 거듭 정하여 皇明祖訓이라 명명하였다

72) 太祖實錄 卷44 洪武 2年 8月 己巳條 ldquo上命吏部定内侍官制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定置內

使監 奉御六十人 尙寶 一人 尙冠七人 尙衣 十人 尙佩九人 尙藥七人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東宮

後門 宮左宮右門 各設門正一人 副一人rdquo

73) 太祖實錄 卷149 洪武 15年 10月 丙戌條 ldquo增設內使三百六十一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5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명조는 수시로

주변 여러 나라에 엄인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사실로 홍무 24년(1391)에 태조는 환관 韓龍 黃禿蠻 등을

고려에 보내어 말 1만 필을 사오도록 하면서 閹人 200여명을 요구하였

다74) 그리고 安南國에서도 끊이지 않고 엄인들을 진공하였는데 매번

수십 명 씩 바쳤던 것이다75) 명조는 사방에 엄인을 요구하였는데 특

히 고려와 안남은 당시 엄인을 진공하는 주요 나라가 되었다76)

이리하여 환관의 수가 부단히 증가하였고 태조도 역시 환관을 심복

중의 심복으로 삼으면서 그들을 신뢰하고 있었다 이에 홍무 17년

(1384) 어느 날 대도독부 겸 국자감을 관할하고 있던 李文忠은 태조에

게 환관이 너무 많으니 그 숫자를 줄여할 것을 건의하였다

ldquo內臣이 너무 많습니다 마땅히 좀 줄이셔야 합니다rdquo라고 이문충이 건

의 하자 태조는 이를 듣고 대노 하여 ldquo자네가 나의 오른쪽 날개를 약화

시키려 하는데 그것은 무슨 의도인가 이것은 분명히 문객들이 시켰을

것이다rdquo라고 말하면서 결국 사람을 보내어 이문충의 문객을 전부 살해하

였다77)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일로 인하여 이문충은 병들어 죽게 되었는

데 이 때 이미 환관은 그 수가 적어서는 안 되는 대상이 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4) 太祖實錄 卷208 洪武 24年 3月 己丑條 ldquo詔於高麗市馬一萬疋 幷索閹人二百

人rdquo 高麗史 恭讓王 3년 辛未年條

75)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6

76) 환관의 공급원은 본래 宮刑에 처해진 죄인들이었지만 隋代 이후 궁형이 폐지

된 후부터는 ① 적의 포로 ② 외국으로부터의 進貢者 또는 변방 지역의 進獻

者 ③ 특별한 사정으로 궁형에 처해진 죄인 ④ 自宮者 곧 지원자 또는 부모의

명령으로 거세된 準自宮者 등이 있다

77) 弇山堂別集 卷20 史乘考誤 1 ldquo一日勸上内臣太多宜稍裁省 上大怒 謂若

欲弱吾羽翼何 意此必门客教之 因盡殺客 文忠驚悸得疾暴卒 上發悲 怒殺諸醫及

文忠侍者百人rdquo 이 기사는 어느 때의 기사인지 나와 있지 않아 잘 알 수 없으

나 이것은 李文忠(1339mdash1384)이 죽은 해에 발생한 사건이므로 洪武 17년

(1384)의 사건으로 볼 수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6환관의 기구 역시 확대되어 갔다 환관의 부서와 직무는 吳 원년

(1367)에 lsquo內史監rsquo이 설치된 이후 인원의 증대와 기구 관리를 위해 조

직이 신설 분리되어 가면서 확대되어 갔는데 홍무 17년(1384)에 9監

2庫 6局 체제가 되었다78) 이것은 명대 환관의 기구인 24아문(12감 4

사 8국)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어 홍무 28년(1395)에 11감 4사 9국으로

정비되어 24아문의 기구가 거의 완비되었던 것이다79) 홍무 30년(1397)

환관 조직은 12감8국4사의 24아문의 규모가 되었고 명왕조 환관

조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황종희가 말하고 있듯이 ldquo명조에 善治가

없었던 것은 태조가 재상을 폐지하면서부터이다 저 宮奴들이 재상의

정치가 땅에 떨어져 수습될 수 없음을 알고 여러 규칙과 조목을 세우

고 직무를 늘렸으며 생살권과 상벌권 등 재상으로부터 나오던 것이

이제 모두 환관들에게 돌아갔도다 (중략) 그러므로 궁노들이 재상처럼

된 것은 승상제를 폐지한 데서 온 커다란 과오이다rdquo80) 라고 하면서

환관의 발호는 재상의 폐지로 인한 것이며 이것은 명대 정치의 큰

폐단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로 재상 없는 군주 독재 지배체제에서 황제 한 사람에 의한 통치

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매일 황제 곁에 있는 환관

중 신뢰하는 환관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태조도 자신도 모르게 환관을 신뢰하고 그들을 중용을 하였으니 이념

적으로 ldquo내신은 정사에 관여하지 못한다rdquo 라는 규정을 내세우면서도

78)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九監은 内官监 神宫监 尚寶监 尚衣监 尚膳监 司

设监 司礼监 御马监 直殿监이고 二庫는 内承运库司鑰库이며 六局은 巾帽局

针工局 织染局 颜料局 司苑局 司牧局을 말한다

79) 위와 같음 十二監은 神宫监 尚寶监 孝陵神宮監 尚膳监 尚衣监 司设监 内官

监 司禮監 御马监 印綬監 直殿监이고 四司는 惜薪司 钟鼓司寶钞司 混堂司이

며 9局庫는 兵仗局 織染局 针工局 巾帽局 司苑局 酒醋麵局 內乘運庫 司鑰庫

內府供用庫인데 이것들은 후에 24아문으로 발전하였다

80) 黄宗羲 明夷待訪錄 置相 ldquo有明之无善治 自高皇帝罢丞相始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彼宫奴

者见宰相之政事坠地不收从而设为科条增其职掌 生杀予夺 出自宰相者 次

第而尽归焉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故使宫奴有宰相之实 则罢丞相之过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27: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5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명조는 수시로

주변 여러 나라에 엄인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사실로 홍무 24년(1391)에 태조는 환관 韓龍 黃禿蠻 등을

고려에 보내어 말 1만 필을 사오도록 하면서 閹人 200여명을 요구하였

다74) 그리고 安南國에서도 끊이지 않고 엄인들을 진공하였는데 매번

수십 명 씩 바쳤던 것이다75) 명조는 사방에 엄인을 요구하였는데 특

히 고려와 안남은 당시 엄인을 진공하는 주요 나라가 되었다76)

이리하여 환관의 수가 부단히 증가하였고 태조도 역시 환관을 심복

중의 심복으로 삼으면서 그들을 신뢰하고 있었다 이에 홍무 17년

(1384) 어느 날 대도독부 겸 국자감을 관할하고 있던 李文忠은 태조에

게 환관이 너무 많으니 그 숫자를 줄여할 것을 건의하였다

ldquo內臣이 너무 많습니다 마땅히 좀 줄이셔야 합니다rdquo라고 이문충이 건

의 하자 태조는 이를 듣고 대노 하여 ldquo자네가 나의 오른쪽 날개를 약화

시키려 하는데 그것은 무슨 의도인가 이것은 분명히 문객들이 시켰을

것이다rdquo라고 말하면서 결국 사람을 보내어 이문충의 문객을 전부 살해하

였다77)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 일로 인하여 이문충은 병들어 죽게 되었는

데 이 때 이미 환관은 그 수가 적어서는 안 되는 대상이 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4) 太祖實錄 卷208 洪武 24年 3月 己丑條 ldquo詔於高麗市馬一萬疋 幷索閹人二百

人rdquo 高麗史 恭讓王 3년 辛未年條

75)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1988) p6

76) 환관의 공급원은 본래 宮刑에 처해진 죄인들이었지만 隋代 이후 궁형이 폐지

된 후부터는 ① 적의 포로 ② 외국으로부터의 進貢者 또는 변방 지역의 進獻

者 ③ 특별한 사정으로 궁형에 처해진 죄인 ④ 自宮者 곧 지원자 또는 부모의

명령으로 거세된 準自宮者 등이 있다

77) 弇山堂別集 卷20 史乘考誤 1 ldquo一日勸上内臣太多宜稍裁省 上大怒 謂若

欲弱吾羽翼何 意此必门客教之 因盡殺客 文忠驚悸得疾暴卒 上發悲 怒殺諸醫及

文忠侍者百人rdquo 이 기사는 어느 때의 기사인지 나와 있지 않아 잘 알 수 없으

나 이것은 李文忠(1339mdash1384)이 죽은 해에 발생한 사건이므로 洪武 17년

(1384)의 사건으로 볼 수 있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6환관의 기구 역시 확대되어 갔다 환관의 부서와 직무는 吳 원년

(1367)에 lsquo內史監rsquo이 설치된 이후 인원의 증대와 기구 관리를 위해 조

직이 신설 분리되어 가면서 확대되어 갔는데 홍무 17년(1384)에 9監

2庫 6局 체제가 되었다78) 이것은 명대 환관의 기구인 24아문(12감 4

사 8국)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어 홍무 28년(1395)에 11감 4사 9국으로

정비되어 24아문의 기구가 거의 완비되었던 것이다79) 홍무 30년(1397)

환관 조직은 12감8국4사의 24아문의 규모가 되었고 명왕조 환관

조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황종희가 말하고 있듯이 ldquo명조에 善治가

없었던 것은 태조가 재상을 폐지하면서부터이다 저 宮奴들이 재상의

정치가 땅에 떨어져 수습될 수 없음을 알고 여러 규칙과 조목을 세우

고 직무를 늘렸으며 생살권과 상벌권 등 재상으로부터 나오던 것이

이제 모두 환관들에게 돌아갔도다 (중략) 그러므로 궁노들이 재상처럼

된 것은 승상제를 폐지한 데서 온 커다란 과오이다rdquo80) 라고 하면서

환관의 발호는 재상의 폐지로 인한 것이며 이것은 명대 정치의 큰

폐단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로 재상 없는 군주 독재 지배체제에서 황제 한 사람에 의한 통치

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매일 황제 곁에 있는 환관

중 신뢰하는 환관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태조도 자신도 모르게 환관을 신뢰하고 그들을 중용을 하였으니 이념

적으로 ldquo내신은 정사에 관여하지 못한다rdquo 라는 규정을 내세우면서도

78)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九監은 内官监 神宫监 尚寶监 尚衣监 尚膳监 司

设监 司礼监 御马监 直殿监이고 二庫는 内承运库司鑰库이며 六局은 巾帽局

针工局 织染局 颜料局 司苑局 司牧局을 말한다

79) 위와 같음 十二監은 神宫监 尚寶监 孝陵神宮監 尚膳监 尚衣监 司设监 内官

监 司禮監 御马监 印綬監 直殿监이고 四司는 惜薪司 钟鼓司寶钞司 混堂司이

며 9局庫는 兵仗局 織染局 针工局 巾帽局 司苑局 酒醋麵局 內乘運庫 司鑰庫

內府供用庫인데 이것들은 후에 24아문으로 발전하였다

80) 黄宗羲 明夷待訪錄 置相 ldquo有明之无善治 自高皇帝罢丞相始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彼宫奴

者见宰相之政事坠地不收从而设为科条增其职掌 生杀予夺 出自宰相者 次

第而尽归焉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故使宫奴有宰相之实 则罢丞相之过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28: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6환관의 기구 역시 확대되어 갔다 환관의 부서와 직무는 吳 원년

(1367)에 lsquo內史監rsquo이 설치된 이후 인원의 증대와 기구 관리를 위해 조

직이 신설 분리되어 가면서 확대되어 갔는데 홍무 17년(1384)에 9監

2庫 6局 체제가 되었다78) 이것은 명대 환관의 기구인 24아문(12감 4

사 8국)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어 홍무 28년(1395)에 11감 4사 9국으로

정비되어 24아문의 기구가 거의 완비되었던 것이다79) 홍무 30년(1397)

환관 조직은 12감8국4사의 24아문의 규모가 되었고 명왕조 환관

조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 황종희가 말하고 있듯이 ldquo명조에 善治가

없었던 것은 태조가 재상을 폐지하면서부터이다 저 宮奴들이 재상의

정치가 땅에 떨어져 수습될 수 없음을 알고 여러 규칙과 조목을 세우

고 직무를 늘렸으며 생살권과 상벌권 등 재상으로부터 나오던 것이

이제 모두 환관들에게 돌아갔도다 (중략) 그러므로 궁노들이 재상처럼

된 것은 승상제를 폐지한 데서 온 커다란 과오이다rdquo80) 라고 하면서

환관의 발호는 재상의 폐지로 인한 것이며 이것은 명대 정치의 큰

폐단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로 재상 없는 군주 독재 지배체제에서 황제 한 사람에 의한 통치

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매일 황제 곁에 있는 환관

중 신뢰하는 환관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태조도 자신도 모르게 환관을 신뢰하고 그들을 중용을 하였으니 이념

적으로 ldquo내신은 정사에 관여하지 못한다rdquo 라는 규정을 내세우면서도

78)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九監은 内官监 神宫监 尚寶监 尚衣监 尚膳监 司

设监 司礼监 御马监 直殿监이고 二庫는 内承运库司鑰库이며 六局은 巾帽局

针工局 织染局 颜料局 司苑局 司牧局을 말한다

79) 위와 같음 十二監은 神宫监 尚寶监 孝陵神宮監 尚膳监 尚衣监 司设监 内官

监 司禮監 御马监 印綬監 直殿监이고 四司는 惜薪司 钟鼓司寶钞司 混堂司이

며 9局庫는 兵仗局 織染局 针工局 巾帽局 司苑局 酒醋麵局 內乘運庫 司鑰庫

內府供用庫인데 이것들은 후에 24아문으로 발전하였다

80) 黄宗羲 明夷待訪錄 置相 ldquo有明之无善治 自高皇帝罢丞相始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彼宫奴

者见宰相之政事坠地不收从而设为科条增其职掌 生杀予夺 出自宰相者 次

第而尽归焉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故使宫奴有宰相之实 则罢丞相之过也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29: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7현실적으로는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전제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더불어 태조기에 환관의 수가 증가하고 기구도 확대

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환관에게 권한을 위임한 것은 태조 개인의 의지가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군주 전제정치의 필연적인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 아닐

것이다

Ⅳ 永樂以後 宦官 勢力 發展의 推移

1 永樂期 宦官 勢力의 增大

황제의 전제권력과 帝國安泰에 온 심혈을 기울여 온 태조가 홍무 31

년(1398) 윤 5월 을유일에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태조가 죽은

지 6일 후에 태조의 유조에 따라 황태손 朱允炆이 제위를 이었는데

이 사람이 惠帝 建文帝(1399-1402)이다

건문제는 즉위 당초부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주변

諸王들의 세력이었다 주변 번왕 세력의 비대는 필연적으로 중앙의 황

제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을 잘 간

파한 건문제는 황권을 강화하기위해 삭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건문제의 諸王削藩策은 중앙정권과 제 번왕 간의 갈등을 불

러 일으켜 마침내 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을 불러일으켰다81) 숙부인

燕王 朱棣가 靖難師를 이끌고 南京을 공격하여 제위를 찬탈하였는데

이가 바로 成祖 永樂帝(1401-1424)이다

영락제를 이어 그 후에 仁宗(洪熙帝 1424-1425) 宣宗(宣德帝 1425-

1435)이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는데 이 시기에 환관의 세력은 계속

발전하여 갔다

81) 全淳東 永樂政權의 形成과 그 性格 (湖西史學 13집 1985) pp66-72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30: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68lsquo靖難의 變rsquo(1399-1402) 때에 燕王 朱棣가 조카 건문제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관의 도움이 컸다 건문제가 태조의

예를 따라 환관을 엄격히 다스린 결과 궁정의 내신들 가운데에는 연

왕의 군대로 달아나 조정의 기밀을 누설하면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관이 출현하였다 그런가 하면 연왕부의 宦官 狗儿82) 등은 연왕을

따라서 출정하여 여러 차례 군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연

왕은 환관이 주체에게 충성한다고 생각하여 환관을 총애하고 신임하였

으며 즉위 후 환관들을 신뢰하여 여러 임무를 위임하여 주었다83)

그러므로 영락제 때부터는 태조 때에 있었던 일련의 환관 억제책들

이 거의 의미를 상실한 셈이었다 그리고 환관의 숫자도 급증하였으며

환관으로 구성되는 lsquo12監 4司 8局rsquo의 소위 lsquo24衙門rsquo체제도 정비되었다

그리고 이들 환관기관은 원래 이부의 소관이었으나 영락초부터 사

례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환관세력의 대표인 사례태감은

황제권의 비호아래 그 권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

하여 그만큼 환관의 세력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을 明史 宦官傳에서는 ldquo명대 환관의 出使 專徵 監軍

分鎭 정보 수집 등의 여러 대권은 모두 영락 연간에 시작되었다rdquo84)

라고 하여 환관의 여러 권한이 영락제 때에 시작되었다고 서술하고 있

으나 출사나 감군 등은 이미 태조 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니 영락제

땡부터 시작이라고 보기보다는 그만큼 환관 세력이 비대해져 표출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런 환관세력은 이후 선덕 연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82) 宦官 狗儿(1372-1445)은 여진족 출신으로 燕王府에서 燕王을 모시던 환관이

었다 정란의 변 때에도 항상 군대 선봉에 서서 많은 전공을 세웠기 때문에 연

왕이 영락제로 즉위한 후에 그에게 lsquo王彦rsquo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상보감태

감에 이르렀고 요동진수태감으로서 30여 년 동안 요동 지역을 관할하였다

83)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1992) p368

84) 明史 卷304 환관1 ldquo盖明世宦官出使 专征 监军 分镇 刺臣民隐事 诸大权 皆

自永乐间始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31: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69영락제 이후 외교 출사 방면에서 환관의 지위와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었다 그것은 영락제가 태조기와는 달리 보다 폭 넓게 명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를 형성하려 한데 있었다85) 명사의환관열전 외국열전 서역열전 등에는 환관이 영락제의 명을 받고

출사한 사례들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李興이

칙령을 받고 暹羅國(태국)으로 출사하여 그 곳 왕을 위로하였고 尹慶

은 滿刺加(지금 말레이시아의 Malacca) 爪瓦(자바) 蘇門答臘(수마트

라) 등지에 출사하였고 馬彬은 자바 여러 나라와 瑣里(남 인도의 촐라

왕조)로 출사하였다 王進은 일본으로 출사하였고 王琮은 眞臘(캄보디

아)으로 출사하여 조칙을 내렸으며 王貴通은 占城國(참파)에 출사하여

칙령을 내리고 은화를 하사하였다 把太는 서역 別失八里(비시발리크)

哈實哈兒(서역의 소부락)에 출사하였고 李達은 서역의 撒馬兒罕(현 우

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의 貢使가 귀국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迭里

迷(사마르칸트의 서남부)에 출사했고 張謙은 渤泥(보르네오) 古麻刺朗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 출사하였고 海壽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 시

절 조선에 출사하였고 楊三保는 烏斯藏(지금의 西藏) 西天尼八刺國

(네팔) 등에 출사하였으며 魯安은 哈烈(아프칸의 서북부에 있던 옛 왕

국) 失刺思(이란 지방의 한 왕국)의 여러 나라에 출사하였다86) 이처

럼 조선 일본 동남아시아 서역 지방 등 여러 지역에 환관이 사신으

로 파견되어 외교 업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87)

위의 사례가 당시 환관 외교 출사의 모든 사례를 다 뽑아 놓은 것

은 아니지만 환관 출사의 빈번함 출사 지역의 원근 및 광활함 출사

규모의 방대함 등을 나타내 보여주면서 영락제 이후의 외교관계와 명

대 전기에 환관이 얼마나 빈번하게 적극적으로 외교 문제에 참여하고

85) 全淳東 15世紀 朝鮮과 明의 文物交流 (韓國史의 國際環境과 民族文化한국사연구회 편 경인문화사 2003) pp85-86

86) 余華靑 앞의 책 pp368-369

87) 명과 내왕하던 국가 중 조선과의 왕래가 가장 많았으며 조선에는 매년 4 5

차례의 사신이 명에 왔다(商傳 永樂皇帝 北京出版社 1989 p243)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32: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0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영락제 시대에 나타난 적극적인 환관 외교 출사와 그 역

할에 대하여 明史에서는 ldquo成祖 시기를 맞아 주변 四夷와 단호하게

통교하려 하였는데 이런 사신 파견에는 환관이 많이 이용되었다rdquo88)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락제 때에 이렇게 많은 나라들과 교역이 이루어진 것은 鄭和의

남해 원정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환관 정화89)는 영락에서 선덕

연간에 걸쳐 7차례에 걸쳐 남해 원정(1405-1433)을 추진하였는데 그

결과 명은 30여 개의 나라로부터 조공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명

조의 국위는 널리 선양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만큼 황제와 환관과의

신뢰 관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2 宦官의 地方 派遣과 鎭守太監의 設置

역대 왕조 가운데 일시적으로 환관이 지방에 파견되는 경우는 있었

지만 환관이 상주하면서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은 명대

만이 나타난 독특한 일 중의 하나이다

환관이 지방이나 군대로 나가 상주하면서 관할하였던 예들이 보인

다 鄭和는 南京守備太監으로서 南京에 상주하면서 활동하였고 福建

88) 明史 卷304 ldquo當成祖时锐意通四夷奉使多用中贵rdquo 여기서 lsquo中貴rsquo의 lsquo中rsquo은

곧 lsquo禁中rsquo을 의미하는 것으로 lsquo皇宫rsquo을 가리키며 lsquo中貴rsquo는 권세 있는 太监을 이

른다

89) 정화(鄭和 1371~1434경)는 雲南省 昆陽 출신의 환관으로 洪武 15년(1382) 3

月 운남이 평정될 때에 잡혀 南京으로 끌려 왔다 이 때 그는 거세되어 운남

평정에서 활약한 潁川侯 傅友德을 섬기게 되었다 그러나 부우덕은 정화가 총

명하고 준수하고 행동이 민첩하였기에 그를 연왕에게 헌상하였다 정난의 변

때에 연왕을 도와 무공을 세워 연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연왕이 황

제로 즉위하자 그는 영락제에 의해 내관감의 장관인 태감으로 임명되었다 그

는 이슬람교도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마(馬)씨이고 자는 삼보(三

寶)였으나 영락제로부터 정화라는 이름을 하사 받았으며 이후 남해 원정에 임

하였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33: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1廣東에는 提督市舶司太監이 있었고 蘇松지방에는 織造太監이 있었으

며 각 邊衛와 각 포정사에는 鎭守宦官이 상주하였는데 환관들은 이런

임무를 통하여 조정이 요구하는 물품을 조달하고 징세를 감독하며 군

대를 감독하고 지휘하였다90)

이런 여러 임무 중 영락제 시기 이후 환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군권의 장악이다 환관이 군대를 감시하거나 지방 군대에 출진

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갔는데 이런 사례가 영락제 때부터 점점 많아

지기 시작하였다 군사방면에도 이전보다 환관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

졌다 영락 3년(1405) 정화는 제1차 원정 때 대선 62척과 수행 사졸 2

만 7천 8백여 명을 이끌고 나갔다 이것은 환관이 대군을 이끌고 간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락 8년(1410) 환관 王安은 황제의 명을 받고 都督 譚靑 등의 군대

를 감독하였고 환관 馬靖은 甘肅을 순시하였는데 이것은 태감이 감군

하는 선례가 되었다91) 이로써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지방 군대에 출

진하는 사례가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환관은 지방군대에 출진하거나 지방을 수비하는 일을 담당

하였던 것이다

환관의 세력을 더욱 키워나가게 한 것 중의 하나는 鎭守太監의 출

현이다 lsquo鎭守rsquo라는 것은 명대 무관직의 하나로 鎭戍將校에는 五等級이

있었다 鎭守 協守 分守 守備 備倭 등이 그것으로 이들은 모두 전쟁

사안에 따라 증설하였는데 지세의 험준함과 중요성에 따라서 屯兵을

두어 군위를 지키게 하였던 것이다92) 이러한 각 지방의 진수에 환관

이 임명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환관이 정치적 세력을 키우는 데 주효하

90) 이 외에도 成化初年에는 廣东에 珠池奉御가 상주하였고 弘治 17년(1504)에는

漕運의 거점 지역에 管倉宦官을 두었으며 만력제 때에는 환관이 稅監으로 임

명되어 蘇州에 주재하게 되었다

91) 明史 卷74 職官3 宦官條 ldquo永乐八年敕王安等奉监都督谭青等军马靖巡

视甘肃此监军巡視之始rdquo

92) 明史 卷72 職官1 兵部 ldquo凡鎭戍將校五等 曰鎭守 曰協守 曰分守 曰守備 曰

備倭 皆因事增置 視地險要 設屯兵 戍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34: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2였던 것이다

진수태감은 홍희제 시기에 처음 실시되었다

홍희 원년(1425)에 환관 王安이 칙령을 받고 甘肅의 진수가 되었으며

각 성의 진은 모두 진수를 설치하였다93)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lsquo진수태감은 洪熙帝(仁宗)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英宗

1435-1449) 때에 두루 실시되었으며 각 省의 여러 진에 진수태감이

없는 곳이 없었으며 嘉靖 8년 후에 혁파되었다rsquo94) 라는 것을 보면

鎭守太監은 홍희제 때 처음 실시되었다가 선종 정통제 시기에 이미

각 지역에 두루 존재하여 지방에 세력을 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이전 곧 영락제 시기부터 진수의 예가 보이고 있다

王世貞의 弇山堂別集에 ldquo洪熙 元年 二月 敕甘肃總兵官都督費瓛 镇守

太監王安rdquo95)이라 하여 감숙 총병관에 도독 費瓛(비환)을 진수태감에

王安을 임명한 사실을 소개하고 왕세정은 이 말에 이어 ldquo計永樂末已

有之矣rdquo라 하여 영락 말기에 이미 이런 진수가 있었다고 덧붙이고 있

다 明代特務政治를 쓴 丁易도 明通鑑 卷14에 보이는 ldquo(永樂元年)

是歲始命內臣出鎭rdquo이라든지 卷20의 ldquo自文皇任宦官監軍分鎭 送之擅用

威福 激生事端 一時邊鎭總兵爲所脇制 往往畏之rdquo(영락 문황제가 환관을

분진의 감군으로 임용한 때부터 환관을 보내어 威壓 또는 福德으로 마

구 사람들을 복종시키고 심하게 소란 분규를 일으켰다 때로는 변진의

총병이 환관들에게 위협을 당하여 종종 환관을 두려워하였다)라는 기

사를 소개하면서 영락제 때에 환관이 감군으로 파견된 사례를 소개하

고 있다96)

93)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洪熙 元年 (前略) 敕王安镇守甘肃而各省镇皆

设镇守矣rdquo

94) 明史 卷73 職官3 宦官條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凡各省各镇无不

有镇守太监至嘉靖八年后始革rdquo

95)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1

96) 丁易 明代特務政治 pp292-293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35: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3이를 종합하여 생각한다면 영락제 때 환관 진수의 예가 빈번히 나

타나고 있었는데 홍희제 때에 공식적으로 lsquo진수태감rsquo으로 상주하여 다

스리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명대 환관의 군대 통솔 감군 순시 지방 진수 남경수비 등

의 여러 제도가 영락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고 이것이 환관의 정치

간여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 東廠의 特務活動

영락제 시기 환관의 세력을 더욱 강하게 만든 것은 lsquo東廠rsquo이란 기관

의 설치와 그 활동이다 동창은 영락 18년(1420) 북경 천도의 조서가

내려진 그 해에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으로 북경 천도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정치안정을 꾀하려는 데도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동창은 명대 환관이 관계한 가장 큰 규모의 첩보기관으로 여러 특

무기관 중 가장 오래 지속되면서 정치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97) 이

것은 東安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창이라 불리게 되었다

환관을 장으로 하는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謀逆 妖言 大姦

大悪 등 정치적 음모자를 적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는데 이

를 위해 탐색 체포 형옥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만이

97) 명대 환관이 관계한 특무기관으로 東廠 西廠 內行廠이 있었다 成化帝(재위

1464-1487)가 李子竜事件 후에 첩보정치의 강화가 필요함을 느껴 성화 13년

(1477)에 따로 西廠을 설립하고 宦官 汪直이 총괄하도록 하였다 5년 후 汪直

의 몰락과 함께 이 기관은 폐지되었으나 正德 원년(1506) 宦官 劉瑾이 권력을

잡자 다시 西廠을 열었다 1510年 劉瑾이 실각하고 사형을 당하자 이 기관이

폐지되고 말았다 결국 서창은 전후 10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동창과

서창은 금의위화 협력하여 성 내외의 정찰 범인 체포 심문 등을 빌미로 그 전

횡이 심하였다 內行廠은 正德(재위 1505-1521) 연간에 劉瑾이 설치하였는데

사람들은 이의 하는 일이 동창서창보다 더욱 가혹하다하여 두려워하였다고

하며 유근 피살 후에 서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이런 기관들은 황제 직속

의 錦衣衛와 협력하여 순찰 정보 수집 범인의 체포 심문 등을 감행하였는데

무모한 일을 많이 자행하여 백성들의 공포와 원성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36: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4아니라 그 외에 失火 落雷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황제에게

보고하고 있었으니98) 이 기관의 정탐과 첩보의 영역이 얼마나 폭넓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99)

환관이 군주의 이목이 되어 관리와 백성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무

활동을 발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첩보 기관으로서 이

미 태조 시기부터 특무기구인 錦衣衛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통제권이 황실과 혈연관계가 있거나 훈공이 있는 都督으로 임

명되었던 것이며 결코 환관이 장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영락제는 이와 더불어 영락 18년(1420) 처음 동창을 설치하

고 환관이 장악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100) 이른바 동창은 금의위와

같은 특무기구였지만 첩보 활동은 황제의 측근인 환관이 직접 관장하

였다는 데서 처음부터 출발이 다른 셈이다

동창은 정보 수집 형옥 등의 특무활동을 하도록 권한이 주어졌기

때문에 기능상 금의위와 상충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동창은 황제의 직

접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권력은 금의위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측근의 세력관계는 전제군주에의 거리와 알현의 빈도에 비

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창의 설치는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켰다 ldquo이때부터 환관이

더욱 전횡하여 다시 제압될 수 없었다rdquo101) 라는 것은 바로 이런 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 방면에 환관이 참여한 범위도 점점 확대되었다 명초에 강남

蘇州 지방에 방직 염색 등의 일을 담당하는 織造局이 설치되었는데

이 직조국의 감독을 처음에는 지방관이 담당하였으나 영락 연간부터

98) 丁易 明代特務政治 (汲古書院 1971) pp28-29

99) 환관의 권세는 더욱 높아만 갔는데 특히 天啓年間(1621-1627)에 魏忠賢은

이 東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조정의 반대파를 탄압하고 정치 실권을 장악

하여 공포정치를 낳았다

100) 明史 成祖本紀 3 永樂 18年條 ldquo是年 始設東廠 命中官刺事rdquo

101) 明通鑑 卷17 成祖永樂 18年 8月條 ldquo是月 置東廠于北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乃設東廠于東

安門北 自是中官益專橫不可復制rdquo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37: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5환관을 장으로 삼아 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박사 업무도

환관이 담당하게 하였다 영락 원년(1403)에 환관 齊喜가 광동 시박의

제독이 되었는데 그 후 이런 일은 일반화 되었던 것이다102) 이로 인

하여 환관은 외국과의 무역 사무를 담당하는 시박의 대권을 쥐게 됨으

로써 환관의 권력은 점점 커져갔다

영락 시기에 환관은 외부로 나가 여러 물건을 사들여 오는 일이 많

았고 이로 인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를테면 영락 4년(1406)에 환관

李進을 山西로 보내어 天花를 캐오도록 하였는데103) 이 때 이진은 황

제의 명령이라 허위로 선전하고 가짜로 감합도 작성하여 공적이라 하

면서 사적 이익을 많이 챙겼던 것이다 이 때 영락제는 어사를 산서에

보내어 이진을 국문하고 즉각 경사로 데려와 엄벌로 다스렸던 것이

다104) 영락 22년(1424)에는 환관 馬麒가 交趾(베트남 북부)에 가서 거

짓으로 어명이라면서 많은 금은 진주 향료 등을 마구 사들여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처럼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들을 구입

하여 왔는데 그 때에 환관의 물의가 많이 따랐던 것이다

宣德(1425년-1435년) 연간에도 황제는 부단히 환관들을 각지로 보내

어 물건을 사들여 왔다 환관이 지방에 내려가 많은 물건을 사들여 오

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았고 조정에서 많은 화초 나무 새 짐승 및

여러 진귀한 물품을 화관을 보내어 구하였는데 그 때 환관이 이르는

곳마다 민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물건을 구하러 나간 환관

은 종종 그런 기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챙기고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조칙을 허위로 조작하여 군민의 재물을 탈취하기도 하였

던 것이다105)

102)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3) 弇山堂別集 卷90 中官考 2 永樂 5年 6月 己亥條 ldquo上諭都察院 謂 去年

曾命內侍李進往山西採天花 此一時之過 後甚悔之 更不令採rdquo

104) 王春瑜杜婉言 明朝宦官 (陝西人民出版社 2007) p7

105) 余華靑 中國宦官制度史 p370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38: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6

4 宣德帝의 內書堂 設立과 宦官 敎育

명초의 환관은 ldquo內臣不許讀書識字rdquo라는 금령으로 인하여 왕실 내에

여러 문서와 황실 도서가 있다 하더라도 환관들은 겨우 글자만을 알

뿐 문해력이 없었다106) 그런데 영락시기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교관을

궁정에 들여보내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宣

德 원년(1436)에 정식으로 궁궐 내에 内书堂을 설치하고 환관들에게

교육하였다

궁정에는 외정의 신료들로부터 들어오는 문서를 취급하는 문서방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군주는 방대한 일을 환관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일

이 많아지고 더불어 환관의 기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환관은

어느 정도의 교육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이것이 내정에 환관학교 곧 내서당을 설립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이 내서당의 교관은 한림원 학사들이었다 처음에는 刑部主事 刘翀

을 翰林 修撰으로 임명하여 이곳에서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10세

안팎의 환관 중 2 3백 명을 선발하여 궁정 내에서 공부하도록 하였는

데 후에는 4 5백 명으로 그 수가 늘어났다 유충 이후 대학사 陳山

한림 수찬 朱祚가 함께 교관으로서 환관들에게 글을 가르쳤으며 학습

기간은 2-3년이었다 후에는 한림관 4명이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일반화 되었다rdquo107) 내서당에서는 百家姓 千字文 孝经论语 中庸 大学 孟子 千家诗 神童诗 등을 가르치면

서108) 환관들로 하여금 경서 전적에 관한 지식 시문 작법 일반교양

106) 그런 가운데서도 태조는 문장에 통하고 있는 몇 사람의 환관을 선발하여

lsquo紀事rsquo lsquo典簿rsquo 등의 저급 비서로 임명한 적이 있다 이 때 태조는 몇몇 유자들을

선발하여 거세 수술을 받게 한 후 환관의 교관으로 삼았다 이들의 임무는 환

관들에게 글을 가르쳐 경사를 읽히고 문장을 익혀 황제의 비로서로서의 능력

을 함양하도록 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훗날 內書堂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

107) 明會要 卷39 職官11 宣德元年 7月條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39: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7등을 널리 익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태조가 환관에게 글을 가르

치지 말라는 금령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 셈이다

내서당이 설립된 이후 여기에서 교육 받은 우수자들은 황제의 비서

관으로 채용되었는데 이로써 내서당은 환관이 출세하는 주요 코스가

되었으며 내서당 출신은 마치 과거출신과 맞먹었을 정도로 실력과 권

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내서당은 처음 내관감의 관할 하에 있었는데 후에 司禮監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써 司禮太監이 정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사례태감이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황제의 결재에 관계하면서부터

이다 본래 태조는 1380년에 중서성이 폐지된 후 殿閣大学士를 두고

그들을 비서격으로 삼았다 당초에는 단순한 황제 보필 고문기관으로

서 殿閣大学士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별다른 권한을 가지지는 않았다

다음의 영락제는 궁성 내의 lsquo文淵閣rsquo에 한림원의 관원을 머물게 하여

기무에 참여시키게 되었는데 이 정무기관을 lsquo内閣rsquo이라 하였다 영락제

는 한림원 출신자 중에서 각신을 선발하였지만 이때에도 아직 보필과

자문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지위 또한 낮았다

그러나 홍희제 때에는 전각대학사가 상서를 겸직하게 됨으로써 공

식적으로 발언권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선덕제 때에 内閣大学士는

황제의 측근으로서 票擬의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은 차차 정치의 중

심적 기관이 되었다

票擬라는 것은 내각이 황제를 대신하여 신료들의 上奏文에 대하여

황제의 답신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황제가 모든 상주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

건에 대하여 내각이 먼저 검토하고 그에 대한 황제의 답신의 초고를

墨書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래는 황제가 그 초고를 보고 수정을 가

하였으나 초고가 그대로 칙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각에서 올라온 표의

108) 劉若愚 明宮史 木集 內俯職掌 內書堂讀書條 ldquo至書堂之日 每給內令一冊

百家姓 千字文孝经 论语中庸大学孟子千家诗 神童诗之類 次第給之rdquo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40: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78가 황제에게 보내지는 문서는 사례감이라는 환관기구에서 담당하였는

데 이로 말미암아 사례감에 근무하는 환관은 내각의 의견도 제어할

수 있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되나보니 관료가운데에도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환관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나타났으며 이로

말미암아 환관의 정치 개입의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황제가 상주문에 결재할 때 사례감의 태감은 황제를 대신하여 朱筆

로 결재하는 lsquo批紅rsquo(황제의 결재)에 참여하면서 환관의 권한은 점점 강

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많은 정보망을 가지고 있는 동창의 발언권이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케 하였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로 말미암아 환관들은 외정과 왕래하면서 관료들과 서로 결

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환관들은 외신들과 결탁

하여 폐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ldquo문장에 능통하고 고금

에 밝으며 그 지혜와 기교를 들어내는 환관을 쓰게 되었으며 이들이

임금에 다가서면 作奸하다rdquo109)라 한 것은 바로 이런 면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선덕제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이 설치되고 태감이 황제의 비답

에 참여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환관은 정치에 더욱 깊게 간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110)

Ⅴ 結 論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ldquo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rdquo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41: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79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ldquo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rdquo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42: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0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43: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全淳東) 81(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军事经济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ldquo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rdquo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ldquo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rdquo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

Page 44: r r Cr r r rN rNC n e - KNUchina/CHR/chr2009/chr61pdf/CH61-02... · 2009-09-01 · 40 "²×ØÙÚ Û Ü Ý lmig^ÍÞ ßàÁá«âãz p^VWÉä Xäå iæçe É æè毹^Í f·é ê

中國史硏究 第61輯 (20098)82永乐帝时期设立的情报机构东厂是用来监视军情民情的机关以调查政

治谋反者为主要任务该机关拥有逮捕监禁的权限其势力范围伸长到

对市井百姓的侦探和谍报足见其势力之大因该机关直接听命于皇帝

行政地位虽较低下但极大地增强了宦官权力

后来到了宣德时期设立了宦官学校内书堂宦官参与皇帝批复奏章

对宦官势力的发展起到的重要作用

从太祖到永乐期间宦官势力经历了成长和发展到洪熙宣德时期其势

力已非常巩固为后来宦官王振的土木堡之役埋下了伏笔

总之明太祖时期从政治理念上为压制宦官势力制定了各种规定但受

到政治现实的局限不得以委托宦官处理各种事务由此宦官的活动得以

范围扩大到了永乐帝时期重用宦官使宦官的权利进一步扩大但还不足

以左右政权真正由宦官左右政权是从参与宣德帝批阅奏章开始

주제어 명조 환관 환관억제정책 명태조 영락제 출사 감군 간예경제

關鍵詞 明朝 宦官 馭閹政策 明太祖 永樂帝 出使 監軍 干預經濟

Keywords Ming Dynasty Eunuches Domination of Eunuches Zhu Yuan

zhang(Taizu Hongwu Emperor) Yongle Emperor(Zhuti) Inspecting Tour

Supervising Arm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2009년 6월 28일 원고접수 8월 5일 심사완료 8월 7일 심사결과 통보 8월 21일

수정원고 접수 8월 25일 게재 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