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be 진단

1
Step3. TO-BE Model 1. TO-BE 대대 & 대대대 대대 1) 대대대대 / 대대대대대대 대대 Alberta GIC (Groundwater Information Center / British Columbia 대 대대대 대대 대대대 대대대 대대대 대대대대…..대대대 2. 대대대대 대 TO-BE 대대 대대 = 대대 대대대대대대 대 대대대대대 대대대대 대대대대대 Best Practice 대 대대대대 대대, 대대대대대대 대대 대대대대대대대. 대대대대대 ISP 대대대대대대, 3 대대 대대대대(App/Data, Infra, Mgt)대 TO-BE 대대대 대대대대대, 대대대대대 ISP 대 대 6 대대 대대대 대대대대대대 대대대대대대대. 대대대, 대대대대대대, 대대대대대, 대대대대, 대대/대대, 대대대대대대대 대대대대대대, 대대대 대 6 대대 대대대 대대대 대대대대 대대대대대, 1) Application/Data 대대대대 = 대대대대대대 + 대대대대대 (Application/DB) 2) Infra 대대대대 = 대대대대대 + 대대대대대 (대대대대대) 3) 대대대대 대대대대 = 대대대대 + 대대대대대 + 대대/대대 + 대대대대대 (대대대대대대) 대 대대대대 대대대 대 대대대 대대대대대. 대대대 대대대 TO-BE 대대대 대대대 대, 대대대대대 대대대 대대대대대 대대 대대대대 대대 대대대대 대대대대 대 대대대대. 대대, 대대대대대대 대대/대대 대대대 대대 대대대 대대 대대 대대대 대대대대대. 대대대대대대대 대대 대대대대대 대대대 대대대대, 대대대 대대 대 대대대대대 대대대대 대 대대대 대대대대대. 대대대 대 대대대대대 대대 대대 DB 대 대대대대 대대대대 대대대 대 대대대대 대대대 대대대. 대대대대대(App/Data) 대대대대대대대, 대대대대대대대대대(IGIS)대 대대대대 “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 대대대대대. 대대대 대대대대대, 대대/대대/대대대 대대대대, 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 대대대대대대. 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 대대대대대, 대대대대대 대대/대대/대대대대 대대대대대 대대대대, 대대대대대 대대대대대 대대대 대대대 대대대대대 대대대대대대 대대대대대대대. 대대대대대, 대대대대대 대대대 대대대 대대대대 대대대대대 대대 대대대 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 대대대 대대대 대대대대 대대대 대대대 대대대대대. 대대대 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 대대대대대, 대대대대 Trend 대 대대대대 대대대대대 대대대대대 대대대 대대대 대대대대대대 대대대대, 대대대 대대대대대 대대대대 대대대 대대대 대대대대대. 대대, 대대대대 대대/대대대 대대대대, 대대대 대대대대대 대 대대대대대대 대대대대 대대대 대대 대대대대,

Upload: tae-hoon-choi

Post on 28-Apr-2015

20 views

Category:

Documents


3 download

DESCRIPTION

수자원공사 to-be 진단 초안1page

TRANSCRIPT

Page 1: To-be 진단

Step3. TO-BE Model

1. TO-BE 대상 & 방향성 도출1) 선진사례 / 최신요소기술 분석Alberta GIC (Groundwater Information Center / British Columbia 의 지하수 관리

자료를 찾아본 다음에 알려줄게…..ㅠㅂㅠ

2. 아키텍처 별 TO-BE 모델 개발

= 먼저 수자원공사는 위 선진사례를 분석하여 사례기업의 Best Practice 와 업무운영 방식, 최신요소기술 등을 파악하였습니다. 강의자료의 ISP 방법론에서는, 3 가지 아키텍처(App/Data, Infra, Mgt)로 TO-BE 모델을 설계하지만, 수자원공사 ISP 는 총 6 가지 모델로 프레임워크를 구성하였습니다. 서비스, 업무프로세스, 정보시스템, 조직운영, 교육/홍보, 인프라운영으로 구분하였지만, 저희는 위6 가지 모델을 저희의 방법론에 적용한다면,

1) Application/Data 아키텍처 = 업무프로세스 + 정보시스템 (Application/DB)2) Infra 아키텍처 = 인프라운영 + 정보시스템 (정보인프라)3) 정보관리 아키텍처 = 조직운영 + 서비스모델 + 교육/홍보 + 정보시스템 (정보자원관리)

의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존에 정의된 TO-BE 모델은 유지한 채, 정보시스템 모델을 전략방향에 따른 아키텍처 별로 구분하여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또는, 서비스모델과 교육/홍보 모델을 따로 구분할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① 업무프로세스는 먼저 업무흐름의 변화를 정의하고, 지하수 업무 중 핵심적으로 개선해야할 항목을 선정합니다. 그리고 각 업무흐름에 따라 통합 DB 를 구축하여 프로세스 흐름도 및 기술서를 재설계 합니다. 정보시스템(App/Data) 전략방향에서는, 국가지하수정보지도(IGIS)를 활용하여 “국가지하수표준관리모델”을 수립합니다.

② 인프라 운영에서는, 제도/운영/지침을 정비하고, 국가지하수정보센터를 법제화합니다. 정보시스템(정보인프라) 전략방향은, 지리정보를 생성/수집/변경하는 관리체계를 정립하고, 관리조직을 전문화하며 데이터 통신을 고속화하여 시스템자원을 유지관리합니다.

③ 조직운영은, 사업수행에 필요한 역량을 정의하고 역량확보를 위한 방안과 국가지하수정보센터의 조직을 어떠한 방향으로 구성할 것인지 정의합니다. 그리고 정보시스템(정보자원관리) 측면에서는, 정보기술 Trend 를 반영해서 응답시간을 최소화하는 표준에 근거한 개방시스템을 구축하고, 검증된 보안기술을 활용하여 시스템 자원을 보호합니다.

또한, 서비스와 교육/홍보에 있어서는,

그리고 기존서비스 중 신규서비스와 연계하여 확대할 것을 구분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