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rn-over girder & n.c -...

23
Turn-Over Girder & N.C.P www.sampyoenc.com

Upload: lamdien

Post on 17-Feb-2018

223 views

Category:

Documents


5 download

TRANSCRIPT

Turn-Over Girder & N.C.Pwww.sampyoenc.com

목 차

TU (Turn Over Girder)TU (Turn Over Girder)

회회 사사 소소 개개11

12

13 N.C.P (Non Welding Composite Pile)N.C.P (Non Welding Composite Pile)

1. 회사소개

Turn Over Girder

N.C.P

건 축

Precast Pier

U.C.B

1952年 강원산업㈜설립 ~ 2009年 삼표E&C주식회사

2. TU (Turn over Girder)

복잡구조 단순구조 보강재생략 고성능강 강합성거더

다 주형 소수주형 시공성 개선 단면개선 강재량 절감

기존의 강거더교와 달리 거더의 자중을 강거더로만 저항하는 것이 아니라 TURN-OVER의 공정을

거쳐 만들어진 강합성거더로 저항함으로써 구조효율을 극대화시킨 신 강합성 거더이다.

TURN OVER GIRDER 개요

핵심기술 : Turn over

핵심기술 : Turn over

제작 공정 : 1일제작제작 공정공정 : 1: 1일일

가설 공정 : 1일가설가설 공정공정 : 1: 1일일

시 공 순 서 (1)

시 공 순 서 (2)

④ 스페이서 설치④ 스페이서 설치

② 구속 콘크리트 철근 조립② 구속 콘크리트 철근 조립

③ 구속 콘크리트 거푸집 설치③ 구속 콘크리트 거푸집 설치

① 강재 거치① 강재 거치

⑥ 거푸집 제거⑥ 거푸집 제거

⑤ 구속 콘크리트 타설⑤ 구속 콘크리트 타설

시 공 순 서 (3)

⑧ 가로보 설치⑧ 가로보 설치

⑪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⑪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

⑩ 바닥판 거푸집 및 철근 조립⑩ 바닥판 거푸집 및 철근 조립

⑦ 턴오버⑦ 턴오버

⑨ 거푸집 설치⑨ 거푸집 설치

⑫ 교량 완성⑫ 교량 완성

⑦ 턴오버⑦ 턴오버

거더 실험체 실험

거더 시험체 제작을 통하여 제작성능을 평가하였고

정적 재하 실험을 통하여 제작 단계별 작용하중에 대한

검토 및 거더 시험체의 극한거동을 평가하였다.

교량 실험체 실험

정적재하실험 전에 동적재하실험을 수행하여

응답진폭을 측정하였고 정적재하실험을 통하여 교량

시험체의 단계별 작용 하중에 대한 검토와 극한거동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 개요

- 제 원 : L= 20.0M B:거더시험체 8m, 교량시험체 2.8m

- 설계하중 : DB-24 / DL-24

- 시험체 제원 : 구속콘크리트(폭 1m, 두께 25cm), 강재(HSB 600)

구속콘크리트 : fck=50MPa, 바닥판 : fck=27MPa

검증 : 정적 / 동적 구조안전성 실험(1)

TURN OVER 거더 모델 TURN OVER 교량 모델

구 분 설계하중(kN) 극한하중(kN)

거더시험체 665 1277 (설계하중의 1.92배)

교량시험체 750 2129 (설계하중의 2.84배)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0 40 80 120 160 200Displacement(mm)

Load

(kN

)

Mid-span

Design Load = 665 kN

Cracking Load = 886 kN

Ultimate Load=1276.82 kN

0

500

1000

1500

2000

2500

0 50 100 150 200 250

Displacement(mm)

Load

(kN

)

Girder 1

Girder 2

Design Load = 750 kN

Cracking Load = 1248 kN

Ultimate Load=2128.71

정적 재하 실험

동적 재하 실험

일반적인 강교량 대비 형고가 낮으나 강합성 효과에 의해 동적성능 향상 (감쇠비 2.3%)

검증 : 정적 / 동적 구조안전성 실험(2)

B=12.5m , L=50m , H = 2.6mB=12.5m , L=50m , H = 2.6mB=12.5m , L=50m , H = 2.6m

Turn over Girder Steel Box Girder

바닥판: 현장타설 PSC 바닥판 바닥판 : 현장타설 RC바닥판

사용강재: HSB600 사용강재: SM 490경간구성: 50M 경간구성 : 50M

비 교 안 (1)

구분 TURN OVER GIRDER STEEL BOX GIRDER

응력/ 허용응력 (Mpa) 234 / 260 171 / 190

응력비 (%) 90 90

상부 수량 비교상부상부 수량수량 비교비교

구분 TURN OVER GIRDER STEEL BOX GIRDER

콘크리트 (m3) 309 (153%) 201 (100%)

강재중량(kg/m2) 151 (45%) 334 (100%)

도장(m2) 1504 (39%) 3886 (100%)

상부 공사비 비교상부상부 공사비공사비 비교비교

구분 TURN OVER GIRDER STEEL BOX GIRDER

상부 바닥판 (천원/m2) 315 (140%) 224 (100%)

강교 제작비 (천원/m2) 449 (52%) 864 (100%)

직접공사비 (천원/m2) 764 (70%) 1088 (100%)

응력도 비교 (중앙부 하부플랜지 기준)응력도응력도 비교비교 ((중앙부중앙부 하부플랜지하부플랜지 기준기준))

2009.042009.04기준기준

비 교 안 (2)

3. N.C.P (Non Welding Composite Pile)

1.NCP(Non welding Composite Pile) 개요

Non WeldingTechnique

Composite TechniqueNCP

Composite Technique

휨저항성휨저항성 필요구간필요구간

휨저항성휨저항성 불필요구간불필요구간

재료

재료

비절

감절

1.NCP(Non welding Composite Pile) 개요

개발 배경

• 최근 원자재 가격 급변동으로 고가의 강관말뚝에 대한 대체 재료 개발이 시급한 실정.

• 말뚝 이음시공 작업성을 개선하여 말뚝 이음시 작업시간 단축과 시공품질 향상이 필요.

복합 말뚝 (강관+PHC)

• 국내에서 강재 전량 수입으로 가격변화 민감

• 강관말뚝 기능 유지, 재료비 경감 방안 마련 필요

무용접 말뚝 이음

• 기존 용접방식은 기후조건 따라 작업품질 영향

• 작업자 숙련도에 따라 품질 상이, 별도 품질 관리 필요

말뚝 본체 이상의 내력 발휘 가능

시공품질이 일정하고 시공관리 용이

기후조건 등 주변 환경에 무관하게 작업 가능

직경이 커질수록 경제성이 높아짐

상부 큰 수평력 및 모멘트는 강관말뚝이 저항

하부 큰 압축력에 대해서는 PHC말뚝이 저항

상부 강관말뚝은 내진에 대한 저항력 강함

PHC말뚝은 두부정리에 따른 Pre-stress 손실 없음

▶무용접 복합말뚝 조립 순서

2.핵심기술 :무용접 복합 말뚝(NCP)

가이드핀가이드핀 설치설치11

상부상부 말뚝말뚝 안착안착22

접속플레이트접속플레이트 결합결합33

접속볼트접속볼트 조립조립44토크렌치로토크렌치로 체결체결55

3. 시공순서

1. 1. 하부말뚝시공완료하부말뚝시공완료 2. 가이드 핀 삽입 3. 이물질방지볼트제거 4. 접속면 청소 5. 상하말뚝 접합

6. 너트홀에 윤활유 도유 7. 접속플레이트가조립 8. 토크렌치로 1차체결 9.접속볼트에 마킹 10. 토크렌치로 본체결

11. 마킹이 어긋남 확인 12. 체결완료 확인표시 13. N.C말뚝접속완료 14. N.C말뚝항타 15.최종관입리바운드확인

4. 공법비교

구 분 강관 말뚝 용접식 복합말뚝 무용접 복합말뚝

시 공∙ 이음, 절단, 운반이 용이하고 Pile

길이에 대한 제한이 없음∙ 이음, 절단, 운반이 용이하고 Pile길이에 대한 제한이 없음

∙ N=50이상 지반 타입은 어려우나두부 파손우려 없음

∙ 장대길이 Pile도 시공가능∙ 용접이음부 연결로 날씨와 기후에영향을 받으며 작업자에 따라 상이함.

∙ 말뚝 직경이 커질수록 작업시간과비용 증가

∙ 하부 말뚝의 경우 재료부식이 없어내구성 큼

∙ PHC말뚝으로 인해 강관말뚝보다취급에 주의

자재+공사비∙ 100%(강관말뚝 대비 Ф500 20m SIP기준)

∙ 75%(강관말뚝 대비 Ф500 20m기준)

∙ 65%(강관말뚝 대비 Ф500 20m기준)

축력정항부 PHC말뚝이용으로경제성 향상용접검사 등으로 인한 공사비증가

고가(65분/개소)

∙ 무용접으로 이음, 절단, 운반이 가장용이하고 Pile길이에 대한 제한이없음

타 입∙ 단면적이 작아 타입시 배토량이

적어 타입능률 양호∙ N=50이상 지반 타입은 어려우나 두부

파손우려 없음.

연결시문제점

∙ 장대길이 Pile도 시공가능∙ 용접이음부 연결로 날씨와 기후에

영향을 받으며 작업자에 따라상이함

∙ 말뚝 직경이 커질수록 작업시간과비용 증가

∙ 장대길이 Pile도 시공가능∙ 무용접 결합방식으로 연결시 기후영향

없으며 시공성이 매우 뛰어남.∙ 말뚝 직경이 커질수록 시공성과

경제성 증대

내구성 ∙ 부식하기 쉬워 부식방지 대책수립∙ 하부 말뚝의 경우 재료부식이 없어

내구성 큼

운반및

취급

∙ 중량이 P.H.C의 1/3정도로 운반,취급이 가장 용이

∙ PHC말뚝으로 인해 강관말뚝보다 취급에 주의

경제성강재량 과다로 공사비 증가용접검사 등으로 인한 공사비증가

고가(65분/개소)

축력정항부 PHC말뚝이용으로 경제성향상

시공이 간단하여 매우 저렴

(연결시간7분/개소)

특징

※현장여건에 따라 공사비는 차이날 수 있음(Ф500 SIP공법기준)

5.검증

품질시험검사 및 휨강도 시험 성적서

• 해외에서는 토목구조물 및 건축구조물에 대한 대구경 PHC 말뚝 활용도가 높음.

• 현장타설말뚝을 일부 대체할 수 있는 대구경 무용접복합말뚝(직경 700~1,200mm)

직경 700 ~1,200mm 말뚝 생산

높은 지지력으로 말뚝 본수 절감 가능

일부 현장타설 말뚝을 대체 가능

일부 초 장대 교량 및 초 고층 빌딩에 적용성 양호

복합말뚝

무용접말뚝

대구경말뚝

대구경 무용접 복합말뚝

6. 대구경 PHC 말뚝

• 기존 PHC말뚝 최대 규격은 직경 600mm

• 대구경 말뚝 사용으로 경제성 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