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남 1960~80년대 원주지역의 민간주도 협동조합운동 연구(2014 6-11)

504

Upload: seungtaek-kim

Post on 11-Aug-2015

157 views

Category:

Data & Analytics


5 download

TRANSCRIPT

  • - i -

    차 례차 례차 례차 례

    국문요약국문요약국문요약국문요약

    서론서론서론서론....ⅠⅠⅠⅠ ···································································································································1

    한국사회와 협동조합1. ····································································································1

    원주지역과 민간 주도 협동조합운동2. ········································································4

    연구내용과 사료3. ··········································································································10

    원주 지역사회의 전통과 협동조합운동의 형성원주 지역사회의 전통과 협동조합운동의 형성원주 지역사회의 전통과 협동조합운동의 형성원주 지역사회의 전통과 협동조합운동의 형성....ⅡⅡⅡⅡ ·····································16

    원주의 지역사회와 사회운동의 흐름1. ······································································17

    일제하 한국전쟁 원주지역의 사회운동1) ~ ······························································17

    년대 초 장일순의 활동과 사상2) 1950~60 ······························································22

    년대 말 년대 전반 신협운동과 협동조합교도봉사회3) 1950 ~60 ··························30

    원주그룹의 형성과 협동조합운동의 개시2. ······························································36

    제 차 바티칸공의회와 천주교 원주교구1) 2 ····························································36

    제 차 원주그룹의 형성과 신협운동의 개시2) 1 ······················································43

    재해대책사업위원회의 수해복구사업과 부락개발운동 년대재해대책사업위원회의 수해복구사업과 부락개발운동 년대재해대책사업위원회의 수해복구사업과 부락개발운동 년대재해대책사업위원회의 수해복구사업과 부락개발운동 년대. (1970 ). (1970 ). (1970 ). (1970 )ⅢⅢⅢⅢ ·········61

    새마을운동과 제 차 원주그룹1. 2 ··················································································62

    박정희정권의 농촌부흥정책과 새마을운동1) ························································62

    남한강 대홍수와 재해대책사업위원회2) ································································67

    제 차 원주그룹과 협동조합론3) 2 ··············································································78

    재해대책사업위원회의 협동조합교육과 주도층 형성4) ······································87

    농촌지역 수해복구사업과 부락개발운동2. ······························································116

    남한강유역수해복구사업1) ······················································································116

    한우지원사업2) ··········································································································186

    원주원성수해복구사업3) ··························································································202

    농촌새마을운동과 부락개발운동4) ········································································215

  • - ii -

    재해대책사업위원회의 농촌과 광산지역 신협운동 년대재해대책사업위원회의 농촌과 광산지역 신협운동 년대재해대책사업위원회의 농촌과 광산지역 신협운동 년대재해대책사업위원회의 농촌과 광산지역 신협운동 년대. (1970 ). (1970 ). (1970 ). (1970 )ⅣⅣⅣⅣ ············228

    농촌신협운동과 구판사업1. ························································································229

    농촌신협의 설립과 활동1) ······················································································229

    농촌신협의 부대사업과 구판사업2) ······································································268

    년대 광산지역의 장기구호사업과 신협운동2. 1970 ················································294

    장기구호사업1) ··········································································································294

    광산신협의 설립과 활동2) ······················································································301

    광산소비조합협의회와 광산소비조합 육성3) ······················································321

    광산지역의 협동조합운동과 노동운동4) ······························································329

    생명운동으로의 전환과 소비조합운동 년대 말 년대생명운동으로의 전환과 소비조합운동 년대 말 년대생명운동으로의 전환과 소비조합운동 년대 말 년대생명운동으로의 전환과 소비조합운동 년대 말 년대. ‘ ’ (1970 ~80 ). ‘ ’ (1970 ~80 ). ‘ ’ (1970 ~80 ). ‘ ’ (1970 ~80 )ⅤⅤⅤⅤ ············336

    유신체제의 해체와 생명운동의 전개1. ‘ ’ ··································································338

    유신체제의 해체와 제 공화국의 출범1) 5 ······························································338

    사회개발위원회의 출범과 원주그룹의 동요2) ····················································340

    원주그룹의 생명운동의 전환과 협동조합론3) ‘ ’ ··················································348

    사회개발위원회의 협동조합교육의 추진과 특징4) ············································355

    농촌지역의 소비조합운동2. ························································································370

    농촌소비조합협의회의 창립과 활동1) ··································································370

    농촌소비조합육성사업의 추진과 농촌소비조합의 발전2) ································383

    한국소협중앙회의 창립과 농촌소비조합의 독립3) ············································399

    광산지역의 소비조합운동3. ························································································406

    신협 광산지구협의회의 구성과 활동1) ································································406

    한국노총 협동사업부와 광산소비조합의 발전2) ················································410

    광산소비조합 독립 추진과 좌절3) ········································································419

    광산지역의 협동조합운동과 노동운동4) ······························································423

    유기농업운동과 한살림운동4. ····················································································427

    유기농업운동과 일본생협 연수1) ··········································································427

    원주소비조합의 창립과 활동2) ··············································································437

    한살림농산의 설립과 한살림운동3) ······································································440

    결론결론결론결론....ⅥⅥⅥⅥ ········································································································457

  • - iii -

    참고문헌참고문헌참고문헌참고문헌·······································································································469

    ABSTRACTABSTRACTABSTRACTABSTRACT·····································································································483

  • - iv -

    표 차례표 차례표 차례표 차례

    표 원주그룹의 개 사업명과 외원기관 지원내역 현황< -1> 15Ⅰ ··································15

    표 제 차 원주그룹의 분류별 현황< -1> 1Ⅱ ········································································45

    표 신우회 명단 현황< -2>Ⅱ ································································································46

    표 전국 지구평의회 설립 현황< -3> (1972.12)Ⅱ ······························································59

    표 신협 강원지구평의회 창립시 임원명단< -4>Ⅱ ··························································60

    표 년 월 일 전국 대홍수 피해 현황< -1> 1972 8 19Ⅲ ······················································69

    표 원주교구 관내 남한강유역 대홍수 피해 상황 현황< -2>Ⅲ ····································70

    표< -3>Ⅲ 재해대책사업위원회 중앙위원회 현황(1973.1) ··················································71

    표< -4Ⅲ 재해대책사업위원회 집행위원회 현황> (1973.1.22) ··················································72

    표< -5Ⅲ 상담원 구성 및 담당사업> (1973.3~1979.9) ·······························································73

    표 원주교구 내 지구위원회 설치 현황< -6>Ⅲ ································································74

    표 년대 중반 집행위원회 기구개편 및 업무 조정< -7> 1970Ⅲ ····································76

    표 년대 전반기 상담원 구성 및 담당지역 현황< -8> 1970 (1973~1976.11)Ⅲ ··············76

    표 년대 후반기 상담원 구성 및 담당지역 현황< -9> 1970 (1976.11~1979.9)Ⅲ ···········77

    표 원주그룹의 분류별 현황< -10>Ⅲ ··················································································84

    표 년도 제 차 농촌지도자교육 일정 및 참여부락< -11> 1973 1~9Ⅲ ·········································90

    표 농촌지도자교육의 과목 및 강사< -12>Ⅲ ············································································91

    표 년 한우 초청교육 현황< -13> 1973~1976Ⅲ ·································································92

    표 년도 제 차 회계실무자교육< -14> 1973 1~4Ⅲ ········································································94

    표 년 부락대표자간담회 개최 현황< -15> 1973~1976Ⅲ ·················································95

    표 신협임원교육 현황< -16> (1976.9~1979.7)Ⅲ ·································································97

    표 신협회계실무자교육 현황표< -17> (1976.9~1979.4)Ⅲ ·················································98

    표 농촌지도자교육 현황표< -18> (1977.5~1978.12)Ⅲ ·······················································99

    표 현장교육 현황표< -19> (1976.12~1979.12)Ⅲ ·······························································100

    표 부녀자교육 현황표< -20> (1976.9~1979.3)Ⅲ ·······························································102

    표 년 광산지도자교육 및 광산신협실무자교육 현황< -21> 1973~1976Ⅲ ·················104

    표 년대 하반기 광산지역 협동조합 교육 현황< -22> 1970Ⅲ ······································106

    표 제 차 신협임원교육 교과과목과 강사진 현황< -23> 3Ⅲ ··········································107

    표 년대 후반 소비조합회계실무자교육과 광산부녀교육 현황< -24> 1970Ⅲ ············109

    표 현장교육 현황표< -25> (1977.4.14~1979.10.8)Ⅲ ·························································110

    표 년대 원주그룹의 협동조합 교육사업 현황< -26> 1970Ⅲ ········································111

    표 원주교구 재건계획< -27> (1972.9)Ⅲ ············································································117

    표 수정계획 및 예산안< -28>Ⅲ ························································································120

    표 양곡지원사업장 총괄표< -29>Ⅲ ··················································································123

  • - v -

    표 아동급식사업 총괄표< -30>Ⅲ ······················································································124

    표 농번기 탁아소지원사업 총괄표< -31>Ⅲ ····································································125

    표 전답복구사업 대상지역< -32> (1973.6)Ⅲ ····································································128

    표 전답복구사업 총괄표< -33> (1975.7.31)Ⅲ ···································································129

    표< -34Ⅲ 년도 낙천 리 초청교육 참여자 현황> 1973~1974 3 ················································136

    표 개답지 내 밤수동부락민의 토지소유 현황< -35>Ⅲ ················································141

    표< -36Ⅲ 년도 밤수동협업농장 임원명단> 1975~1976 ·························································142

    표< -37Ⅲ 년 밤수동협업농장 구성원 현황표> 1974~1990 ····················································144

    표< -38Ⅲ 년도 밤수동협업농장 수도작 생산량 현황표> 1975~1979 ····································147

    표 부락개발사업 개부락 작목반 구성 현황< -39> 4 (1975.6)Ⅲ ····································152

    표 년도 대평촌 부락총회 임원 현황< -40> 1973~1975Ⅲ ·············································154

    표 년 작목반 구성 현황< -41> 1973~1976Ⅲ ···································································156

    표 작목반의 유형별 분류표< -42>Ⅲ ·······················································································158

    표 부락개발평가회 및 부락순방평가회의 부락평가표< -43> (1973~1974)Ⅲ ·············160

    표 년도 부락종합개발사업 일정표< -44> 1974Ⅲ ····························································164

    표 보통리 부락종합개발계획< -45> (1974.8)Ⅲ ································································165

    표 년 월 부락개발사업 침체부락 현황< -46> 1977 2Ⅲ ··················································169

    표 체계적 지역개발을 위한 사업계획표< -47> (1973.8)Ⅲ ············································174

    표 년도 건국후생산업연구소 직원 명단< -48> 1973Ⅲ ··················································175

    표 지역개발사업 대상부락 적성검사 및 기술교육 현황< -49>Ⅲ ······························176

    표 협동작업장과 실습교육장의 생산 현황< -50> (1974.4.1~1975.6.30)Ⅲ ···················178

    표 한우지원사업 계획안< -51>Ⅲ ······················································································187

    표 한우지원사업 추진요원 임명 현황< -52> (1973.8.25)Ⅲ ···········································189

    표 년간 한우지원사업 현황< -53> 1973~1976Ⅲ ·····························································192

    표 집행위원회 업무 조정< -54> (1976.11.18)Ⅲ 災害委 ·················································196표 년 한우지원사업 현황< -55> 1977~1979Ⅲ ·································································197

    표 원주 원성지역 사업대상 농촌공소와 관할부락 현황< -56> · (1977.12)Ⅲ ·············198

    표 공소사목부 설치 이후 사업지역 조정< -57>Ⅲ ························································201

    표 지역별 부락상비약 지원 현황< -58> (1978.6.15)Ⅲ ···················································207

    표 농토복구사업 현황표< -59> (1978.6.15)Ⅲ ···································································209

    표 원성군 수리시설사업 지원총괄표< -60>Ⅲ ································································210

    표 영농자금 지원사업 현황표< -61>Ⅲ ············································································212

    표 협동활동지원사업 현황표< -62> (1979.3.15)Ⅲ ···························································214

    표 년도 부락개발사업 대상부락 새마을사업 지원 현황< -63> 1973~1979Ⅲ ···········216

    표 년대 의 신협자금 지원 현황< -1> 1970Ⅳ 災害委 ······················································230표 년대 부락개발사업 대상지역 신협 설립 및 운영 현황< -2> 1970Ⅳ ····················232

  • - vi -

    표 년도 한우지원사업 대상지역 신협 설립 현황< -3> 1973~1979Ⅳ ·························234

    표 년 원주원성사업 대상지역 신협설립 현황< -4> 1977~1978Ⅳ ·······························235

    표 년도 의 농촌신협 단기자금 지원 현황< -5> 1975~1979Ⅳ 災害委 ·························238표 년대 개 농촌신협 임원 현황< -6> 1970 6Ⅳ ································································240

    표 년도 협산신협 대차대조표< -7> 1977~1978Ⅳ ···························································243

    표 년도 강림신협 대차대조표< -8> 1976~1978Ⅳ ···························································244

    표 년 강림신협 대부내역 현황< -9> 1975~1976Ⅳ ·························································245

    표 년 북진신협 대차대조표< -10> 1975~1978Ⅳ ·····························································246

    표 년 월 원성지역 신협의 운영 및 자산 현황< -11> 1977 7Ⅳ ····································248

    표 사기부락 내 계의 현황< -12> (1974.12)Ⅳ ··································································250

    표 삼생회 임원 현황< -13> (1977.1.13)Ⅳ ·········································································260

    표 신리지역협의회 임원 명단< -14>Ⅳ ············································································261

    표 년 의 관할지역 가톨릭농민회 분회 조직현황< -15> 1973~1978Ⅳ 災害委 ···········266표 년 월 의 가톨릭농민회 보급 현황< -16> 1978 11Ⅳ 災害委 ······································267표 년 의 구판사업 지원 현황< -17> 1973~1979Ⅳ 災害委 ·············································271표 년 부락개발사업 대상지역 구판사업 운영 현황< -18> 1973~1976Ⅳ ···················272

    표 년도 대평소비조합 결산서< -19> 1975Ⅳ ····································································275

    표 의 농촌구판매사업 조사결과 현황< -20> 1(1977.5.15)Ⅳ 災害委 ···························278표 의 농촌구판매사업 조사결과 현황< -21> 2(1977.5.15)Ⅳ 災害委 ···························279표 원주원성사업 대상지역 구판사업 지원 현황< -22> (1978~1979)Ⅳ ·······················282

    표 년대 후반 공동구판매사업의 취급물품 현황< -23> 1970Ⅳ ····································283

    표 년대 후반기 관할 농촌신협의 상비약사업 현황< -24> 1970 (1979.1)Ⅳ 災害委 ··287표 년대 후반 원성 횡성지역의 약품취급 허가지역 현황< -25> 1970 · (1977.3.24)Ⅳ 290

    표 마을건강봉사연합회 임원 현황< -26> (1977.12.27)Ⅳ ···············································291

    표 년대 말 의 농촌신협 설립과 부대사업 운영 현황< -27> 1970 (1979.1)Ⅳ 災害委 293표 년 의 광산지역 사업대상 지역 및 단체 현황< -28> 1973~1979Ⅳ 災害委 ···········297표 년 축산사업 현황표< -29> 1973~1976Ⅳ ·····································································300

    표 년 탄광지역의 노동금고와 신협사업 설립 현황< -30> 1973~1976Ⅳ ···················303

    표 어룡노동금고 대부자금 분할상환표< -31>Ⅳ ····························································304

    표 강원노동금고의 재무현황< -32> (1976.9.25)Ⅳ ···························································305

    표 년 강원탄광지부 노동금고의 용도별 대부내역< -33> 1974~1976Ⅳ ·····················306

    표 탄광지역의 노동금고사업 현황< -34> (1975.12.31)Ⅳ ···············································307

    표 년 월 동해신협 대차대조표< -35> 1976 10Ⅳ ······························································309

    표 동해신협 조합원 및 운영 현황< -36> (1976.10.25)Ⅳ ···············································310

    표 년 월 삼탄신협 대차대조표< -37> 1976 9Ⅳ ································································312

    표 년 광산지역의 소비조합사업 현황< -38> 1973~1976Ⅳ ···········································313

  • - vii -

    표 년도 삼탄 태영 동고 백운소비조합 대차대조표< -39> 1976 · · ·Ⅳ ························314

    표 년대 광산지역 신협의 설립 및 인가 현황< -40> 1970Ⅳ ········································318

    표 수정안의 자금계획표< -41> (1976.11.5)Ⅳ ···································································323

    표 년도 광산지역 소비조합협의회의 임원명단< -42> 1977~1978Ⅳ ···························325

    표 광산소비조합육성사업 현황< -43> (1977.8~1981.2)Ⅳ ···············································328

    표 사업별 담당이사제 현황< -1> (1979.11.5)Ⅴ 社 委 ·················································341표 년 체제개편 및 업무분담 현황< -2> 1982Ⅴ 社 委 ················································343표 년대 전반 농촌지도자 및 신협 관련 교육 현황< -3> 1980 (1980.2~1984.9)Ⅴ ·····356

    표 년대 전반 간담회 및 부녀자교육 관련 현황< -4> 1980 (1980.2~1983.2)Ⅴ ···········357

    표 년대 전반 농촌소비조합 관련 교육 현황< -5> 1980 (1979.9~1985.1)Ⅴ ·················358

    표 년대 전반 현장교육 현황< -6> 1980 (1980.12~1985.6)Ⅴ ···········································361

    표 년도 개 기관 소비조합교육의 추진계획 현황< -7> 1981 3Ⅴ ··································363

    표 년도 의 교육사업 실적 현황< -8> 1981 (1981.9)Ⅴ 社 委 ········································364표 년대 후반 교육사업 현황< -9> 1980 (1985.7~1989.4)Ⅴ 社會 發 ·······················365표 년대 후반 현장교육 현황< -10> 1980 (1985.7~1987.6)Ⅴ ···········································366

    표 교육사업 현황표< -11> (1979.9~1983.1)Ⅴ 社 委期 ·················································367표 초청교육 및 현장교육 현황표< -12>Ⅴ 社會 發 期 ············································368표 농촌소비조합협의회 준비위원회 명단< -13> (1979.2.17)Ⅴ ·····································372

    표 년 농촌소비조합협의회의 임원 현황< -14> 1979~1985Ⅴ ·······································373

    표 농촌소비조합협의회의 창립 당시 가입부락 및 단위신협 현황< -15>Ⅴ ············374

    표 년 농촌소비조합협의회의 운영자금 차입 현황< -16> 1979~1980Ⅴ ·····················375

    표 농촌소비조합협의회 회원조합별 운영 현황< -17> (1981.6.30)Ⅴ ···························376

    표 년도 의 구입처 및 매입액 현황< -18> 1981 (1981.6.30)Ⅴ 消協 ···························377표 년 월 밝음슈퍼 재무 현황< -19> 1985 10Ⅴ ································································382

    표 농촌소비조합육성사업 기본계획< -20> (1979.3.24)Ⅴ ···············································384

    표 농촌지역 소비조합 자금계획< -21> (1979.3.24)Ⅴ ·····················································385

    표 농촌소비조합육성계속사업 지원자금 요청 내역< -22> (1982.8)Ⅴ ························386

    표 년도 해외선진지 연수 참가자 현황< -23> 1981Ⅴ ····················································388

    표 년도 의 해외연수 현황< -24> 1981Ⅴ 社 委 ······························································389표 년 의 농촌소비조합 운영자금 지원 현황< -25> 1979~1983Ⅴ 社 委 ···················391표 년도 관할 농촌신협 발전 현황< -26> 1980~1982Ⅴ 社 委 ···································392표 년도 관할 농촌신협 변동 현황< -27> 1980~1982Ⅴ 社 委 ···································393표 년도 관할 농촌소비조합 현황< -28> 1981~1982Ⅴ 社 委 ·····································394표 년도 관할 농촌소비조합 변동 현황< -29> 1980~1982Ⅴ 社 委 ···························395표 년도 농촌신협 및 소비조합 현황< -30> 1982 (1982.5.31)Ⅴ ·····································397

    표 년도 농촌소비조합의 운영실태별 현황< -31> 1984Ⅴ ··············································398

  • - viii -

    표 년 소협중앙회 임원명단< -32> 1983~1985Ⅴ ·····························································400

    표 관할 농촌신협 중 소비조합 독립 추진계획< -33>Ⅴ 社會 發 ························401표 년 강원도지역 소비조합 창립 현황< -34> 1985~1987Ⅴ ·········································402

    표 년 월 소협중앙회 강원도지부 임원 명단< -35> 1987 7Ⅴ ········································403

    표 년 강원도지부 소속 소비조합 현황< -36> 1987~1989Ⅴ ·········································405

    표 신협 광산지구협의회 임원명단< -37> (1979.11~1983.1)Ⅴ ·······································407

    표 광산지역 신협과 소비조합의 조합원 및 재정 현황< -38> (1981.4.30)Ⅴ ·············408

    표 년 월 일본연수 참가자 현황< -39> 1982 1Ⅴ ······························································413

    표 년 월 일본연수 중 강의 현황과 강사< -40> 1982 1Ⅴ ··············································413

    표 년 월 일본연수단 방문지역 및 단체 현황< -41> 1982 1Ⅴ ······································414

    표 년 한국노동조합연합회 일본연수 명단< -42> 1983Ⅴ ··············································415

    표 년도 광산지역 신협과 소비조합 운영 현황< -43> 1983Ⅴ ······································417

    표 광산소비조합육성 년연장사업 자금계획표< -44> 3Ⅴ ··············································420

    표 광산지역 신용협동조합 및 소비협동조합 현황< -45> (1984.12.31)Ⅴ ···················421

    표 광산지역 탄광노조 지부장의 현황< -46> (1972~1987)Ⅴ ·········································426

    표 년도 농촌과 광산지역의 직거래 현황< -47> 1976Ⅴ ················································429

    표 년도 일본유기농업 연수시찰단 명단 현황< -48> 1984Ⅴ ········································434

    표 년도 일본유기농업 연수시찰단 방문지역 및 시찰내역< -49> 1984Ⅴ ··················435

    표 년도 일본유기농업 연수시찰단 수강 강의주제 및 강사 명단< -50> 1984Ⅴ ······435

    표 년도 원주소비조합 농산물 취급 현황< -51> 1986~1988Ⅴ ·····································438

    표 년도 원주소비조합 공산품 취급 현황< -52> 1986~1988Ⅴ ·····································440

    표 농산물직거래 직판장운영사업 예산계획< -53> ·Ⅴ ··················································441

    표 농산물직거래확장사업 예산계획< -54>Ⅴ ································································442

    표 미제레오의 승인예산안< -55>Ⅴ ··················································································444

    표 한살림농산 초기 실무자 명단 현황< -56> (1986.12~1987)Ⅴ ··································446

    표 한살림농산 취급농산물 및 공급처 현황< -57> (1986.12~1987.9)Ⅴ ·······················447

    표 서울한살림소비조합의 조합원 및 재정 현황< -58> (1988.4~1990.7)Ⅴ ·················450

    표 한살림모임 초창기 명단< -59>Ⅴ ················································································452

    그림 한우가격 원< 1> ( ) ·······································································································198

  • - ix -

    국문요약국문요약국문요약국문요약

    년대 원주지역의 민간 주도 협동조합운동 연구년대 원주지역의 민간 주도 협동조합운동 연구년대 원주지역의 민간 주도 협동조합운동 연구년대 원주지역의 민간 주도 협동조합운동 연구1960~801960~801960~801960~80

    일제하 원주지역의 사회운동은 지역의 사회경제적 현실을 반영하면서 당시의

    민족해방운동의 흐름과 연계되면서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해방 후 각 정치세력의.

    국가건설운동과 연계되면서 원주지역에서 다양한 정치지향을 가진 사회운동단체

    들이 족출하였으며 문막과 부론지역을 중심으로 한 사회주의세력은 우익세력의,

    탄압에 대처하면서 물밑에서 활동을 도모해 나갔으나 한국전쟁을 거치며 궤멸되

    거나 파편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일제하 이래의 사회운동세력은 거의 대부분 붕괴.

    되었고 중요인물들은 완전히 파편화되었다 그 결과 전후 원주지역은 분단구조의, .

    고착화 속에서 절대적인 우익 주도의 사회로 변모되었으며 새로운 기반 위에서,

    장일순을 중심으로 혁신세력이 점차 새롭게 규합되고 활동해 나갈 수 있었다.

    해방 이후 신협의 자발적인 설립운동이 부산과 서울지역의 가톨릭계 인사들을

    중심으로 년대 말부터 추진되었다 년대 초 태백 탄광지역에서 개의 광1950 . 1960 3

    산신협이 설립될 수 있었으나 년대 중반 년대 초 형성된 원주그룹에 의해1960 ~70

    추동될 때까지 발전적으로 전개되지 못하였다 년대 초 로마에서는 요한 세. 1960 23

    에 의해 제 차 바티칸공의회가 개최되면서 세계교회혁신운동이 전개되고 있었으2

    며 그 결과 원주를 중심으로 가톨릭 원주교구가 설정되면서 초대 주교로 지학순,

    주교가 부임하였다 이 과정에서 가톨릭 내 혁신계의 지학순주교와 혁신세력의 중.

    심인물이었던 장일순의 만남이 이루어지면서 제 차 원주그룹은 형성될 수 있었으1

    며 년대 민간 주도의 농촌개발운동이자 협동조합운동을 전개할 수 있는 새로, 1970

    운 흐름을 형성해 나갈 수 있었다.

    년대 초 박정희정권에 의해 농촌부흥정책의 일환으로 전국적으로 새마을운1970

    동이 전개되는 속에서 년 월 남한강유역 대홍수를 계기로 가 조직되1972 8 災害委면서 제 차 원주그룹은 형성되었으며 년 월의 삥땅사건과 년 월의 전2 , 1970 4 1970 11

    태일분신사건 년 월의 광주대단지사건 등을 경험하면서 민중의 생존권 실현, 1971 8

    을 위한 생명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제반활동들을 전개해 나가기 위한 방안을‘ ’

    모색하였다 원주그룹은 먼저 지학순주교의 년도 사목교서 년도 사목지침. 1972 , 1973

    및 세부지침을 통해 원주교구 내에 이를 확산시킬 교육사업의 전개 신용조합과,

    구판매조합 등의 각종 협동조합의 설립을 통해 이를 전개해 나가고자 하였다.

    년 월 남한강유역 대홍수를 계기로 조직된 는 부락개발사업의 추진1972 8 災害委을 통해 농촌부락마다 생산협동체인 작목반과 부락총회를 구성하도록 하면서 농

    민 주도의 부락개발운동을 전개하도록 추동하고 있었다 는 정부정책에 의. 災害委해 피폐화되고 있었던 농민과 광부들이 직접 신협과 소비조합의 설립 운영을 통·

    해 당시 만연해 있던 고리채문제와 중간상인의 횡포 등을 극복해 나가도록 하였

  • - x -

    다 년대 전반 가 주도한 농촌지역의 신협운동은 부락개발운동에 기반. 1970 災害委하였으며 이들의 협동조합론은 독일의 라이파이젠 계통의 신협운동에 기반한 캐,

    나다의 안티고니쉬운동에서 영향을 받았다 한편 년대 초부터 새마을운동의. , 1970

    전개에 따라 각 부락마다 구판장이 설립되고 있었다 당시 부락개발운동에 의해서.

    도 각 부락마다 작목반과 부락총회가 운영하는 부녀구판장 그리고 신협의 부대사,

    업으로 구판장이 운영되고 있었다 년대 중반 신협운동이 본격화되면서 각 부. 1970

    락의 구판장은 신협의 부대사업으로 점차 통일되어 갔으며 공산품의 파이프라인, ‘ ’

    적 성격을 가지고 운영되었다 원주그룹은 년대 후반 광산소비조합을 육성하. 1970

    면서 소비조합론에 대한 자체 인식을 심화시켜 나갔으며 년대 말 농촌소비조, 1970

    합 육성을 위한 시도로 나아갔다

    년 초 원주그룹은 구판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농촌신협을 중심으로1979 消協을 결성토록 추동하는 한편 이의 자립성에 기반해 농촌소비조합을 지도운영해 나, ․가면서 단위조합의 소비조합에 물품을 공급하도록 운영자금 등을 적극적으로 지

    원해 나갔다 그러나 은 항상적인 운영자금의 부족 등으로 자체적인 운영과. 消協단위조합에 대한 지도가 극히 어려워져 갔으며 그 결과 가 직접 그 운영에, 社 委참여하는 결과로 나아갔다 년 월 은 재정자립을 위한 숙원사업이었던. 1984 7 消協직매점인 밝음슈퍼를 개설 운영하는 한편 소협중앙회를 중심으로 농촌 광산신‘ ’ · , ·

    협에서 농촌 광산소비조합을 독립시키고자 하였다 농촌소비조합은 별도의 창립· .

    총회를 통해 독립되어 나갔으나 광산소비조합은 한국노총 소속으로 잔류하면서

    독립에 이르지 못하였다.

    년대 원주그룹은 부락개발운동과 협동조합운동을 전개하면서 성장과 개발1970

    중심의 경제정책 하에서 급속히 붕괴되어 가는 농촌지역을 지켜보고 있었으며 이,

    러한 문제들이 농민뿐만 아니라 도시민들의 삶도 황폐하게 만든다는 점과 지속적

    으로 자연환경이 파괴되면서 인간 본연의 삶의 조건이 악화된다는 점 등에 주목

    하게 되었다 그 결과 년대 후반 원주그룹은 년대 초 형성된 민중의 생존. 1970 1970

    권 실현을 위한 생명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근대성에 기반한 박정희정권의 개‘ ’

    발주의와 생산력주의에 대한 근본적 성찰 노자사상과 동학사상 등에 주목하면서‘ ’ ,

    탈근대론적인 인식론과 운동론을 모색해 나가면서 년대 초 생명운동론으로1980

    체계화되었다 원주그룹은 생명운동의 구체적 실현을 위해 년대 후반 년대. 1970 ~80

    전반 농촌과 광산지역 간 농산물직거래사업의 경험 교회를 중심으로 유기농업운,

    동에 기반한 도농농산물직거래사업의 추진 년부터 년까지 원주그룹과 협, 1981 1984

    동조합운동 지도자 가톨릭농민회 농민지도자들이 중심이 된 일본연수를 통해 생,

    명운동에 기반한 생협운동을 모색해 나갔다 년대 중후반 원주그룹은 원주소. 1980

    비조합과 한살림농산 한살림모임 등의 활동을 중심으로 새로운 방향전환을 모색,

    해 나갔으며 이를 통해 생명운동에 기반한 한살림운동을 활발히 전개해 나갔다, .

  • - xi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핵심어 원주그룹 제 차 바티칸공의회 재해대책사업위원회 새마을운동 부락개: , 2 , , ,

    발운동 협동조합운동 신협운동 소비조합운동 생협운동 광산소비조합협의회 농, , , ( ), ,

    촌소비조합협의회 생명운동 한살림운동, ,

  • - 1 -

    서론서론서론서론....ⅠⅠⅠⅠ

    한국사회와 협동조합한국사회와 협동조합한국사회와 협동조합한국사회와 협동조합1.1.1.1.

    세기에 들어 한국사회에서 협동조합은 크게 주목받고 있다 특히 년 말21 . , 2009

    유엔에서 년도를 세계협동조합의 해로 지정하고 한국에서 년 월 협동2012 ‘ ’ , 2012 1 ‘

    조합기본법이 제정되는 과정을 통해 한국사회는 상당히 짧은 시간에 협동조합이’

    사회의 보편적인 대안모델의 하나로써 주목되고 인식되어 가는 전례 없는 현상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한편으로는 세기 말 동구권 사회주의의 몰락으로. 20

    대표되는 사회주의 실험의 실패 다른 한편으로 세기를 전후한 동남아의 외환위, 21

    기와 전세계적인 금융위기를 통해 나타난 신자유주의의 범람과 그 부작용에 따른

    사회경제적 갈등의 첨예화라는 한국사회의 시대적 상황을 배경으로 한 것이다 아.

    울러 우리사회가 지나왔던 압축적인 산업화과정과 전면화된 신자유주의에 의한

    사회적 양극화의 심화 속에서 더 이상 인간과 인간 자연과 인간관계 속에서 경, ‘

    쟁과 탐욕이 아닌 협동과 공존 나눔의 방식으로 함께 살아가고자 하는 바람’ ‘ ’ ‘ ’ ‘ ’, ‘ ’

    과 지향이 급격히 분출되고 있는 현상인 것이다 한국사회에서 협동조합은 시장자.

    본주의나 국가사회주의가 아닌 새로운 경제모델이자 대안모델의 하나로써 새롭게

    주목되고 있다.1)

    근대 자본주의의 산물이자 역사적 협동조직으로의 협동조합이라는 것은 공동으

    로 소유되고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사업체를 통하여 공동의 경제 사회 문화적 필· ·

    요와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자율적 민주적 자· ·

    주적인 조직이다 협동조합의 주체는 다름 아닌 조합원 자신이고 이런 조합원은. ,

    협동조합에 자발적으로 참여해서 굳건히 결합되는 것으로 협동조합은 조합원에

    의한 조합원을 위한 조합원의 자율적 결사체인 것이다, , .2) 협동조합운동은 각양각

    색의 다양한 협동조합이 그 본래 가지는 목적과 원칙 지향점을 소속 조합원의 주,

    체적이고 자율적인 활동을 통해 실현해 나가는 것을 뜻한다 한국사회에서 협동조.

    합은 각 시기마다 특징을 가지면서 관주도 또는 민간 주도의 형태로 나타났다 협.

    동조합은 대한제국기 통감기 정부의 주도적 정책기구로써 소농민 금융을 완화할·

    목적으로 금융조합이 설립되면서 한반도에서 최초로 협동조합이라는 형식이 나타

    났으며,3) 일제통치를 경험하고 한국전쟁과 분단구조의 고착화 박정희정권의 산업,

    화 등을 경험했던 한국근현대사에서 협동조합은 일정하게 굴절왜곡되어 관 주도․

  • - 2 -

    의 협동조합적 성격이 강한 특징을 가지며 전개되었다 반면 년 운동의. , 1919 3·1

    영향을 받아 목포와 서울 등에서 소비조합이 설립됨을 계기로 민간 주도의 협동

    조합운동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으며 년대 중반 이후 일본 동경유학생들이, 1920

    중심이 된 협동조합운동사 기독교 계열의 농촌협동조합 천도교의 조선농민, YMCA ,

    사 등을 통해 년대 중반까지 커다란 흐름을 가지며 당시의 민족해방운동과1930

    결합되어 전개될 수 있었다.

    한국전쟁 후 남북 공히 가난과 빈곤에서 벗어나는 것이 지상과제였다 남한은.

    년대 박정희정권에 의한 개발독재의 흐름 속에서 한국자본주의와 한국경1960~70

    제는 유례없는 성장을 할 수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한국사회는 엄청난 정치 경, ·

    제 사회적 후유증을 유발하면서 현재까지도 이를 극복하는데 상당히 많은 기회비·

    용을 지불하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당시 한국은 위로부터의 개발독재와.

    상당히 다른 방향에서 단순한 경제성장 또는 착취성경제의 차원이 아니라 지역을,

    중심으로 민간이 주체가 되어 인간이 살아갈 수 있는 협동 공존 나눔 더 나아가, , ,

    사람들 간의 관계가 좀 더 신뢰적이고 지속가능한 경제개발을 추진하는 흐름이

    있었다 이러한 흐름은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당시 지역에서 전개된 민간 주도의.

    협동조합운동이라는 것 속에서 잘 나타나고 있었으며 이러한 민간 주도의 협동조,

    합운동은 일제하 이래 한국사회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면서 전개되고 있었다.

    이 시기 협동조합운동은 크게 두 가지 흐름을 가지고 전개되고 있었다 즉 위로. ,

    부터의 개발독재 흐름 속에서 농협과 수협 새마을금고 등 관 주도인 관제협동조,

    합운동의 전개라는 흐름과 밑으로부터의 자발적인 민간 주도 협동조합운동이라는

    흐름이 그것이다 당시 관주도의 협동조합은 박정희정권의 산업화정책의 일환에.

    의해 추진되었고 한국사회에서 만연한 고리대청산의 수단으로 활용되면서 나름대,

    로 일정한 협동조합의 역할과 의미를 지니고 있었으나 관제협동조합 그 자체는

    협동조합 원칙에 기반한 조합원의 자율성과 주체성 민주성 등을 크게 훼손하였던,

    한계가 명백히 있었다 반면 박정희정권 하 관제협동조합에 대항해서 지역단위를. ,

    중심으로 민간 주도로 자발 자율 민주성을 지니면서 협동조합운동이 전개되고· ·

    있었다 이러한 흐름은 개발독재에 의한 압축성장의 폐해와 세계적인 금융위기를.

    통해 급격히 확산된 신자유주의의 범람 및 그 부작용을 극복하고자 전개되고 있

    는 오늘날의 협동조합운동과도 연결되면서 면면히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협동조합이 가지는 본래의 가치와 원칙을 잘 반영하고 있는 민간 주도의 협동

    조합운동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를 재구성하는 것은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가

    지고 있다 즉 한국의 근현대 협동조합운동사에서 상당히 강한 관 주도의 협동조. ,

    합운동이 전개되었던 시대적 상황에서 면면히 흘렀던 민간 주도의 협동조합운동

    을 재구성 재조명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또한 위로부터의 개발독재를 통해· .

    착취성경제에 기반한 경제성장과 한국자본주의의 발전과정에서 이의 기반이 된

    관제협동조합과 질적으로 다른 협동 공존 나눔 신뢰 등을 통해 지역에서 전‘ ’, ‘ ’, ‘ ’, ‘ ’

  • - 3 -

    개된 민간의 자발적 자율적인 협동조합운동을 주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더 나아가 일제시기부터 상이한 국가건설운동으로 인해 정치.

    세력들의 상호 갈등과 대립 분단과 전쟁 독재 등으로 점철된 한국근현대사에서, ,

    지역에 기반한 민 의 자발적 자주적인 조직의 결성과 협동운동의 전개를 통해( ) ·民양극단의 정치세력을 아우르며 통합적 평화적인 길을 모색하였을 뿐만 아니라 한·

    국사회의 민주화운동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했던 제 의 흐름이자 중도파세력을3

    중심으로 다시 재조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조만간 현.

    실로 다가 올 통일한국의 미래에서 양 극단의 사회와 체제가 아니라 민 이 자( )民발적으로 결성한 민주적 자주적인 협동조합을 통해 사회를 재구성할 수 있다는·

    현실적인 대안체제로서 그 역할이 주목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근현대사에서 이

    들을 중심으로 재구성한다는 것은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 한국근현대에서 협동조합의 역사에 대한 연구는 일제하의 관 주도 금융

    조합과 민간 주도 협동조합에 대한 전체적인 개관에서 각 시기의 사회운동 등에

    참여한 각 세력들의 운동론과 협동조합의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

    으며,4) 해방 후 년대 초 종합농협의 창설로 대표되는 관제협동조합과 신협으~1960

    로 대표되는 민간 주도 협동조합의 역사를 개관하는 수준에서 검토되었다.5) 아울

    러 년대 활성화된 신용협동조합1960~80 6)과 소비자협동조합7)의 역사를 개관하는

    연구도 이루어지면서 민간 주도 협동조합운동의 역사를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하

    고 있다 아울러 년대 중반 유기농업운동에 기반한 소비조합운동 생협운동 이. 1980 ( )

    활발해지면서 이들을 중심으로 조망하는 연구가 최근 점차 나타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한국근현대사에서 민간 주도의 협동조합운동과 그 의미 등이 새롭게 주목받

    고 있다.8) 그러나 이들 연구들은 최근 일부 연구를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한국근

  • - 4 -

    현대사에서 민간 주도 협동조합운동이 차지하는 위치와 역할 의미 등이 충분히,

    주목되지 않은 채 조합단위의 개관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박정

    희정권기 신협과 소비조합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전개된 민간 주도 협동조합운동

    과 이를 통해 지역단위에서 민간 주도로 농촌개발운동이 전개되었던 역사적 특징

    이 주목되지 못한 채 이루어지고 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향후 년대. 1960~80

    군사정권 하에서 전국적으로 추진된 신협운동과 소비조합운동이 지역단위에서 어

    떻게 전개되었는지 당시 위로부터의 농촌개발운동과 관제협동조합운동에 맞서 민,

    이 어떻게 대응하면서 민간 주도의 농촌개발운동과 협동조합운동을 전개해 나갔

    는지 그리고 그 성격과 의미가 무엇인지 등을 주목하면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

    원주지역과 민간 주도 협동조합운동원주지역과 민간 주도 협동조합운동원주지역과 민간 주도 협동조합운동원주지역과 민간 주도 협동조합운동2.2.2.2.

    최근 원주지역은 민간이 주도하는 협동조합운동이 활성화된 지역으로 각계의

    조명을 받고 있으며 협동조합에 관심이 많은 청년들이 날마다 원주를 방문하도록,

    만드는 협동조합의 성지라고 할 수 있다.9) 해방 이후 민간 주도의 협동조합운동10)

    은 년대 후반 준비기를 거쳐 년 초 기에 가톨릭 내 신용협동조합운1950 1960 4·19

    동 이하 신협운동으로 약칭 의 태동에서 큰 줄기로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 .11) 현재

    10)

  • - 5 -

    한살림 등 생명운동과 유기농업운동에 기반해서 전개되고 있는 생활협동조합운‘

    동 이하 생협운동으로 약칭 이라는 것이 년대 신협의 부대사업으로 운영되’( ) 1960~70

    었던 구판사업과 소비자협동조합에서 연유된다는 점에서 신협운동의 출범이 가지

    는 역사적 의미는 한국현대사의 민간 주도 협동조합운동에 있어 결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12) 이러한 초기 협동조합운동의 흐름과 직결되어 신협운동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곳이 원주이다 원주지역은 강원도 태백의 장성과 철암 등 일부 가톨릭.

    교회를 중심으로 년대 초 신협운동이 전개되는 가운데 년 가톨릭 원주교1960 1965

    구 설정을 계기로 신협운동이 본격적으로 개시되었고 년대 신협운동과 소, 1970~80

    비자협동조합운동 이하 소비조합운동 등 부락개발운동을 통한 협동조합운동이 활( )

    발하게 전개해 왔던 곳이다 현재 원주지역에서 생명운동에 기반한 도농농산물직. ‘ ’

    거래운동인 생협운동이 어느 지역보다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것은 이와 같은

    역사적 뿌리와 경험에 기반한 것이다.

    년대 원주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었던 민간 주도 협동조합운동의1960~70

    핵심은 신협운동이었다 특히 년대 유신체제 하 원주지역에서 설립된 재해대. , 1970

    책사업위원회에 의해 전개된 신협운동이 가지는 중요한 의미는 관제농협의 민주

    화를 추동했을 뿐만 아니라 부락단위에서 관 주도의 부락정치구조가 신협을 중심

    으로 하는 민간 주도의 정치구조로 일종의 권력구조가 바뀌는 혁명적 상황을 만‘ ’

    들어갔다는 점이다 즉 당시 군사쿠테타로 출범한 군사정권 하에서 부락단위에서. ,

    신협운동을 전개한다는 것은 정부대행기관의 역할을 수행하였던 농협의 민주화를

    추동해 내면서 그 기능과 역할을 대신 수행했다는 중요한 의미와 함께 새마을운

    동의 전개에 따라 부락단위에서 위계화된 권력구조가 신협중심의 권력구조로 변

    화되어 나가는 상황을 만들어 갔다는 점이었다 이는 관 주도의 새마을운동의 전.

    개에 따라 부락단위에서 마을회의나 대동계 마을금고 등을 중심으로 부락 내 권‘ ’ ,

    력을 유지 행사하던 기존 권력구조가 부락개발사업과 신협운동의 전개에 따라 마·

    을회의를 신협임원들이 주도하고 대동계의 고리대활동 해소와 마을금고의 신협으,

    로 흡수되는 과정을 거쳐 부락민들은 마을의 주도권이 바뀌는 일종의 혁명적 경‘

    험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13) 또한 년대 농촌부락에서 신협과 소비조합을 통해1970

    협동조합운동을 전개한다는 것은 정부 주도의 새마을운동이 전개되는 기반위에서

    부락단위에 기반한 농민 주도의 농촌개발운동을 추진해 나갈 수 있는 핵심체였다

    는 점에서 그리고 소비조합운동을 통해 부락단위에서 더 넓은 범위의 지역으로,

    연합조직을 결성해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년대 원주1960~80

    지역에 의해 전개된 신협과 소비조합운동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 것이

  • - 6 -

    었다 아울러 이러한 협동조합운동의 전개과정에서 그 성찰과 전환을 거쳐 생명운.

    동에 기반한 도농농산물직거래운동인 한살림운동을 창출해 나가면서 한국형 협동

    조합운동의 전형을 만들어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 것이었다.

    년대 원주지역의 협동조합운동은 년대 전반 장일순을 중심으로1970~80 1950~60

    한 일단의 원주지역 사회운동가들이 년 가톨릭 원주교구 설정 및 지학순주교1965

    의 부임을 계기로 년대 후반의 평신도운동 및 신협운동의 전개과정에서 그1960 ‘ ’ ,

    리고 년 월 남한강유역의 대홍수를 통해 재해대책사업위원회 이하 로1972 8 ( 災害委약칭 가 조직되고 남한강유역수해복구사업 이하 남한강사업으로 약칭 이 추진되면) ( )

    서 형성된 원주그룹14)에 의해 주도되었다 를 중심으로 한 원주그룹은. 1973災害委년도 남한강사업과 한우지원사업 년도 원주원성수해복구사업 이하 원주원성, 1976 (

    사업 등의 추진을 통해 긴급구호적 사업의 틀을 벗어나 장기적인 부락개발사업에)

    기반한 농촌개발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였다 특히 년 월 착수된 남한강사. , 1973 1

    업은 그 사업 초기부터 건국대 부설 농업문제종합연구소와 고려대 부설 노동문제

    연구소 한국가톨릭농민회 본부 등 각계 전문기관이 공동으로 종합적인 농촌개발,

    의 계획을 세우고 그 운동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면서 년대 박정희정권이 추, 1970

    진한 정부 주도의 새마을운동과 대비되는 민간 주도의 부락개발운동을 전개해 왔

    던 것이다.

    원주지역의 부락개발운동에 기초한 협동조합운동은 년대 가톨릭 원주교구1960

    의 창설과 제 차 바티칸공의회의 기본정신에 따른 평신도운동과 교회일치운동 등2

    의 교회혁신운동 그리고 세기 이후 형성된 강원도지역의 강한 가톨릭의 전통과, 19

    조직기반을 바탕으로 전개되었다 가 주도한 협동조합운동은 원주교구의 지. 災害委학순주교가 직접적으로 참여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 조직이 원주교구의 소속

    으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원주교구 내 제반조직의 협조와 교구 관할.

    농촌 광산공소 등 여 개의 공소조직 등이 원주그룹의 부락개발운동에 기반· 70~80

    한 협동조합운동을 전개하는데 상당한 역할을 하였던 것이다.15) 한편 지학순주교,

  • - 7 -

    를 중심으로 한 원주교구의 역할은 초기 절대적인 것이었으나 이러한 조건과 상

    황은 년대 말 년대 전반 원주그룹의 부락개발사업에 기초한 협동조합운1970 ~1980

    동을 추진함에 있어 일정하게 질곡으로 작용하게 되는 주요 요인의 하나가 되기

    도 하였다.

    해방 후 민간 주도의 협동조합운동은 대체로 신협운동에서 출발해서 소비조합

    운동으로 나아갔다 년대 원주지역을 중심으로 한 협동조합운동도 년. 1960~80 1960

    대 후반 원주신협과 밝음신협 등의 설립을 필두로 년대에 걸쳐 부락개발사업1970

    대상부락과 광산지역의 탄광지부에서 신협운동이 본격적으로 전개되었으며 소비,

    조합운동은 부락개발사업의 하나이자 신협의 부대사업으로 소비조합의 예비단계

    적 내용을 갖는 구판장 운영에서 출발해서 년대 말 이후 점차로 소비조합의1970

    설립과 운영 그리고 년대 중반 유기농업운동에 기반한 노동농산물직거래운동, 1980

    인 생협운동으로 넘어갔던 것이다 이러한 점은 일제시기 민간 주도의 협동조합운.

    동이 소비조합운동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것과 대비되는 것이며 해방 이후 협동,

    조합운동의 주요한 특징이기도 하였다 아울러 원주지역을 중심으로 한 년. 1970~80

    대의 신협운동과 소비조합운동은 대체로 강한 협동조합적 정체성과 운동성에 기

    반해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었다 그러나 농촌신협과 광산신협은 년대. 1980~1990

    를 거치며 다양한 내외적 요인에 의해 그 발전이 정체되거나 침체되면서 일부 지

    역조합을 제외하고는 점차로 해체되어 갔다.

    한편 년대 원주그룹은 독일 천주교의 외원기관인 미제레오, 1970~80 (MISEREO

    R)16)와 카리타스 네덜란드 카리타스인 세베모 아시아인성회인(CARITAS), (CEBEMO),

    아세아인간발전협력체 일본 카리타스 등에(Asia Partnership for Human Development),

    서 여 차례의 대규모 자금지원을 기반으로 표 과 같이 개 사업의 추진20 < - 1> 15Ⅰ

    을 통해 부락개발운동에 기반한 협동조합운동을 전개하고 있었다 즉 원주교구의. ,

    자체 재정이 빈약한 관계로 대규모 재정이 필요한 이러한 활동에 원주교구는 같

    은 계통의 천주교 외원기관을 통해 대규모자금을 지원받아 원주그룹의 활동이 가

    능케 했던 것이다 이는 년대 후반 이후 북미신협운동의 영향과 지원을 받아. 1950

    한국의 신협운동이 태동되고 확산될 수 있었던 것과 같이 당시 협동조합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었던 독일과 네덜란드 그리고 일본의 협동조합운동이 가톨,

    릭이라는 국제적 종교기관의 연결망을 타고 한국의 협동조합운동을 지원하고 교

  • - 8 -

    류한 것임을 의미하였다 즉 당시 협동조합운동이 상당 수준에 이르렀던 유럽과. ,

    일본의 가톨릭 기관에서 관 주도의 협동조합적 성격이 강한 제 세계의 하나인 한3

    국에서 원주교구를 통해 민간 주도의 협동조합운동을 추진할 수 있도록 재정 이·

    론적 측면에서 지원했음을 의미하였다 이를 통해 당시 유럽과 미주 아시아의 세. ,

    계적 협동조합운동과 원주지역의 협동조합운동은 일정한 연결과 교류 협력관계를,

    가지며 전개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 시기 원주그룹에 의해 주도된 부락개발운동에 기반한 협동조합운

    동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데 이는 몇 가지 주목해야 할 중요한 의미와 특징들이,

    있기 때문이다 첫째 원주그룹에 의해 주도된 년대 협동조합운동은. , 1960~70 1960

    년대 전반 조직된 신협연합회와 협동교육연구원의 계통기구로서의 지도와 지도자

    강습회 등의 교육 참여를 통해 협동조합의 이론과 조직 교육의 내용 등에서 크게,

    영향을 받으며 전개되었다 그러나 원주그룹은 년대 생명운동의 태동과. 1970~80 ‘ ’

    형성과정에서 생명운동에 기반한 도농농산물직거래운동인 제 세대적 협동조합론3 17)

    을 보여주는 원주소비조합과 한살림농산의 설립 및 활동 등 한살림운동으로 나아

    가는 등 독창적인 협동조합운동론을 발전시키고 있었다 즉 년대 전반 형성된. , 1980

    생명운동에 기반한 원주그룹의 협동조합운동론은 한살림으로 대표되는 생협운동

    을 한국에서 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이론적 의미는 상당히 크다 요컨대 본 연구.

    를 통해 협동교육연구원의 협동조합론에 기반해서 년대 원주지역의 협동1970~80

    조합운동이 전개되었으나 부락개발운동에 기초한 조합운동의 경험과 비판적 성찰

    속에서 생명운동에 기반한 독자적인 협동조합운동론을 창출하는 과정을 살펴볼

  • - 9 -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는 크다고 본다.

    두 번째로 원주지역의 민간 주도 협동조합운동은 년대 중반 원주그룹에 의1960

    해 개시되면서 년대 전반 개도 개 시 군 여 개의 농촌부락과 여1970 3 13 · 70~80 10

    개의 탄광지부를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전개되었다 원주그룹은 이러한 민간 주도.

    의 협동조합운동을 추진하기 위해 진광중학교 부설기관인 협동교육연구소와 신협

    강원지구평의회 년 월 의 조직 등 협동조합운동을 추진할 수 있는 조, 1973 1 災害委직기반을 마련하는 한편 협동조합 관련 제반 교육사업의 활발한 추진을 통해 농,

    촌과 광산촌의 신협지도자 등 지역에서 협동조합운동을 이끌어갈 협동조합 운동

    가들을 양성하였다 이들 협동조합 지도자들이 조직한 광산소비조합협의회 이하. (

    으로 약칭 와 농촌소비조합협의회 이하 으로 약칭 등이 자체적으로) ( )消協 消協활발한 활동을 통해 수만 명에 달하는 농민과 광산노동자들이 참여하였던 명실

    공히 민간 주도의 협동조합운동이 폭넓게 전개되었던 것이다 요컨대 원주그룹과.

    이들 농촌 광산지역의 협동조합 지도자들이 전개한 협동조합운동은 한국근현대사·

    에서 하나의 모범적인 민간 주도 협동조합운동의 중요한 사례로서 위치 지워지며,

    이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지역에 기반해 광범위하게 전개된 민간 주도 협동조합운

    동의 주요한 사례를 제시할 수 있다고 본다.

    셋째 년대는 박정희정권의 새마을운동을 통한 농촌개발운동이 전개되던 시, 1970

    기였다 전국적인 규모로 근면 자조 협동이라는 농촌주민의 자조성 주체성 자. ‘ , , ’ , ,

    발성을 표방하면서 실시된 새마을운동은 철저한 정부 주도의 권위주의적 대중동

    원 방식의 농촌개발운동으로 그 추진이 이루어졌다 그런데 같은 시기 남한강사업.

    과 한우지원사업 원주원성사업 등을 통해 원주그룹에 의해 농촌 농민 지향의 부, ·

    락개발운동이 전개되고 있었다 아울러 는 남한강사업 중 단계인 지역개발. 4災害委사업을 통해 농촌수공업공장을 설치하여 농민의 항구적인 생산기반과 소득기반을

    조성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비록 실패로 끝났으나 당시 농촌새마을운동의 전개과.

    정에서 나타났던 농촌새마을공장사업과도 유사하게 비교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

    목된다 요컨대 원주그룹의 부락개발운동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정부 주도의 새마을.

    운동과 질적으로 성격이 다른 민간주도의 농촌개발운동의 실제 모형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연구사적 의미가 있으며 이를 통해 새마을운동에 대한 기,

    존연구의 구도와 외연을 크게 넓힐 수 있다는 점이다.18)

    년대 원주지역에서 전개된 민간 주도의 협동조합운동에 대한 연구는 초1960~80

    기 지역에서 조합운동에 참여하던 일부 연구자에 의해 시도되었다.19) 이를 기초로

  • - 10 -

    년대 후반부터 역사학계의 일부 연구자에 의해 원주그룹이 주도한 부락개발2000

    운동과 협동조합운동에 대해 본격적인 연구성과가 소수 제출되었으나20) 정부 주도

    의 새마을운동과 크게 대비될 수 있는 원주그룹에 의한 민간 주도의 부락개발운

    동과 협동조합운동 그리고 이를 추동한 원주그룹의 형성과 활동에 대한 연구가,

    좀 더 심도 있게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아울러 생명운동의 태동과 형성과.

    정 그리고 이를 통해 형성된 원주그룹의 독창적인 협동조합운동론에 대한 연구는,

    아직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21) 마지막으로 원주그룹의 제반활동과

    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막대한 자금지원을 하였던 외국 가톨릭 외원기관들과 이

    들의 성격 그리고 원주그룹과 외원기관과의 관계 및 사업내용 더 나아가 원주그, ,

    룹이 전개한 부락개발운동과 협동조합운동에 국내 제반 전문기관이 참여하였던

    과정은 거의 주목되지 않은 상태라고 할 수 있다.22)

    연구내용과 사료연구내용과 사료연구내용과 사료연구내용과 사료3.3.3.3.

    본 연구는 이상의 문제의식과 지향점을 가지고 년대 중반부터 년대 중1960 1980

    반까지 원주그룹이 전개했던 민간 주도의 협동조합운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제 장에서는 일제하 년대 원주 지역사회의 전통과 민간 주도 협동조합운동2 ~1960

    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일제하 해방 후 원주지역에서 전개된 사회. ~

    운동과 좌우대립 한국전쟁을 통해 좌익세력의 붕괴와 우익 중심으로 지역질서가,

    잡혀 나갔던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년대 초 원주그룹의 핵심. 1950~60

    적 인물이었던 장일순의 세계연방정부운동과 대성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운

  • - 11 -

    동 년을 전후하여 민의원 출마를 계기로 한 정치운동과 혁신계열인 진보당, 1960

    및 사회대중당의 이념에 기반해서 평화통일론 중립화통일론을 통해 분단구조를‘ ’, ‘ ’

    지양하고자 하였던 장일순의 사상과 활동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전.

    쟁을 계기로 구축된 우익주도 하의 원주지역에서 중도파이자 혁신계열이 점차 지

    역의 유지인 장일순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년. 1960

    대 초 제 차 바티칸공의회의 전개와 세계교회혁신운동을 살펴보면서 년 월2 1965 3

    원주교구의 설정과 지학순주교의 부임 그리고 지학순주교와 장일순의 만남을 계,

    기로 가톨릭의 혁신계열과 원주지역의 토착 혁신세력이 결합되어 년대 중반1960

    이후 원주교구를 중심으로 한 평신도운동과 신협운동의 전개를 통해 원주그룹이

    형성되는 과정과 관계망 그들이 공유했던 지향점과 협동조합론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년대 말 서울과 부산의 가톨릭계를 중심으로 민간 주도의 신협운. 1950

    동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강원도 태백지역에서 신협운동이 전개되고 년대 후, 1960

    반 원주교구를 기반으로 원주신협과 협동교육연구소의 설립 년대 초 밝음신, 1970

    협과 신협 강원지구평의회의 창설로 이어지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제 장에서는 년대 초 정부가 주도한 새마을운동의 전개과정에서 년3 1970 1972 8

    월 남한강유역의 대홍수를 계기로 구성된 가 추진한 부락개발운동에 대해災害委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년대 전반 박정희정권에 의해 농촌부흥정책의 일환이. 1970

    었던 마을가꾸기운동과 농촌새마을운동의 추진과정 속에서 년 월 남한강유1972 8

    역 대홍수를 계기로 서독 가톨릭 외원기관의 원조에 의해 가 출범하는 과災害委정을 살펴보겠다 그리고 가 조직되면서 제 차 원주그룹의 형성과 삥땅사. 2 ‘災害委건 등을 통해 민중의 기본적 자유권과 생존권 실현에 한정된 생명이라는 인식을’ ‘ ’

    기반으로 한 초기 생명운동이 태동되는 과정 제 차 원주그룹의 협동조합론을 살‘ ’ , 2

    펴보겠다 특히 생명운동은 년대 후반에 모색되고 태동된 것이 아니라. , ‘ ’ 1970 1970

    년 초 삥땅사건 등을 통해 원주그룹 내 민중의 생존권 실현이라는 생명의 인식‘ ’ ‘ ’

    속에서 그 맹아가 형성되면서 의 부락개발운동과 협동조합운동에 일정한災害委영향을 끼치고 있었으며 년대 후반 여러 요인에 의한 인식의 전환과정을 거, 1970

    쳐 년대 초 탈근대적 의미를 갖는 내용으로 체계화되면서 전개된 특징이 있1980

    으므로 본 장에서는 생명의 인식에 기반한 생명운동의 태동과 의 부락개‘ ’ ‘ ’ 災害委발운동과 협동조합운동에 영향을 주었던 측면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

    러 농촌 광산촌의 농민과 광부들을 중심으로 가 추진한 제반교육의 내용과· 災害委특징 이로 인해 농촌 광산지역에서 민간 주도의 협동조합운동을 전개한 지역의, ·

    주도층이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겠다 다음으로 년대 원주그룹의 부락개. 1970~80

    발운동과 협동조합운동은 외원기관의 대규모 자금지원을 기반으로 제반 사업의‘ ’

    추진을 통해 운동으로 발전해 나갔을 뿐만 아니라 사업 자체가 초기부터 원주그‘ ’

    룹에 의해 장기적인 운동에 기반해서 계획 신청되고 추진되었다는 특징이 있었‘ ’ ·

    다 이중 당시 가 서독 가톨릭 외원기관인 미제레오의 대규모 지원자금에. 災害委

  • - 12 -

    기초해서 전개된 남한강유역사업과 한우지원사업 원주원성사업 등 가지 사업의, 3

    전개과정을 통해 부락개발운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농촌지역에서 전개된 부. ,

    락개발운동은 년대 초 한국가톨릭농민회 이하 가농으로 약칭 의 농민농촌문제1970 ( ) ․에 대한 지향점이자 이의 실천이었을 뿐만 아니라 년 주석균을 중심으로 설1956

    립된 한국농업문제연구회‘ ’23)가 지향하였던 영세한 한국농촌의 구조를 극복하기 위

    한 방안으로 내세웠던 농업의 협업화의 지향과 이념이 일정하게 실현된 것이었‘ ’

    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향점이 실현되는 과정에서 당시의 전문기관이 참여하.

    게 되는 과정과 내용 그리고 단양 영춘하리의 밤수동협업농장의 설립과 운영과, ‘ ’

    정 등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가 전개한 부락개발운동의 성격. 災害委과 특징을 당시 정부에 의해 주도되었던 농촌새마을운동과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

    고자 한다.

    제 장에서는 년대 농촌과 광산지역에서 가 전개한 신협운동과 그 부4 1970 災害委대사업으로 전개된 구판사업 및 소비조합운동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원주그룹.

    의 협동조합운동은 초기 부락개발운동의 전개과정에서 부락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신협과 구판사업이 설립 운영되었다가 년대 중후반을 거치며 점차 부락개발· 1970

    운동의 중심체로 전환되어 갔으며 이 과정에서 제반사업과 운동의 중심이 부락개,

    발운동에서 협동조합운동으로 전환되어 가는 특징을 보이고 있었다 아울러 이 시.

    기 의 협동조합운동은 과 등 농촌 광산지역의 협동조합 지도·災害委 消協 消協자들에 의해 수많은 농민과 광산노동자들이 조합원으로 참여하여 광범위하게 전

    개되었다 원주그룹은 어떠한 지향점을 가지고 협동조합운동을 추진하였는지 그리. ,

    고 어떻게 부락단위와 탄광지부단위 더 나아가서 도 단위의 협동조합 지도자들을,

    조직해 내었는지 이렇게 조직된 지역의 협동조합지도자들은 어떠한 지향과 방식,

    으로 지역단위에서 수많은 농민과 광산노동자들을 조합원으로 조직해 내면서 민

    간 주도의 협동조합운동을 전개하였는지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살펴보았던 협동조합교육의 실시를 기반으로 남한강사업과 한우지원사업 원주원,

    성수해복구사업의 전개과정에서 농촌신협의 설립 운영을 통해 추진된 농촌지역의·

    신협운동과 그 부대사업이자 예비조합의 의미를 지녔던 구판장의 내용과 특징 그,

    리고 농촌지역에서 이들 운동이 가졌던 의미 등을 살펴보겠다 그리고 년대. 1970

    광산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된 장기구호사업을 통해 광산지역에서 노동금고와 광산

    신협이 활발하게 설립 운영되는 과정 년 광산소비조합육성사업을 통해 광산· , 1977

    신협의 부대사업으로 광산소비조합이 설립 운영되는 과정 광산지역 소비조합협· ,

    의회의 창립을 통해 광산소비조합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면서 이를 통해 년1979

    과 농촌소비조합이 본격적으로 육성될 수 있는 기반역할을 하였던 측면을消協

  • - 13 -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는 노동조합과 협동조합운동의 병행 발전의 이상. ‘ ’災害委을 가진 일부 탄광노조지도자들과 함께 광산지역에서 협동조합운동을 통해 탄광

    노조의 민주화와 노동운동을 추동하였던 과정 탄광지역에서의 협동조합운동과 노,

    동운동의 상관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제 장에서는 년대 말부터 년대 생명운동의 전환과 소비조합운동에 대5 1970 1980 ‘ ’

    해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년 말 유신체제의 해체와 제 공화국이 출범하는 가. 1979 5

    운데 가 사회개발위원회 이하 로 약칭 로 개편되고 년 월( ) , 1983 11災害委 社 委 社가 사회사업국 사회개발부 이하 로 약칭 로 개편되는 과정에서 원주( )委 社會 發

    그룹이 동요하는 과정을 살펴보겠다 그리고 년대부터 형성되면서 년대. 1970 1980

    초 생명의 세계관 확립과 협동적 생존의 확장으로 정리되는 년대 원주그룹‘ ’ 1980

    의 생명운동의 전환과정과 협동조합론 가 주도하였던 제반 교육사업과 일' ‘ , 社 委본연수 등을 살펴보겠다 다음으로 년대 의 농촌소비조합운동은. 1980 社 委 消協을 중심으로 전개된 특징이 있다 은 년대 전반 자립성에 기반해 독자. 1980消協적 사업추진이 가능하였던 광산지구협의회에 비해 자립성을 가지지 못하면서 운

    영되었다 그 결과 농촌지역 단위조합의 소비조합을 대상으로 한 제반 지도와 교.

    육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하지 못하였으며 가 직접 운영에 참여하여 그 역할, 社 委을 일부 대신하면서 은 독자적 운영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본 연구.消協에서는 의 독자적 역할과 운영이 이루어지지 못한 점과 가 의消協 社 委 消協운영에 참여하게 되는 과정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년 한국소비자협동. 1983

    조합중앙회의 창설과 인가과정에 의 소비조합운동이 크게 기여하였던 과정社 委과 년 신협 부대사업에서 농촌 광산소비조합이 독립하는 과정을 살펴보겠다1985 · .

    다음으로 년대 전반 광산지역에서의 소비조합운동을 년 광산지구협의1980 1979

    회의 구성과 활동을 통해 살펴보겠다 특히 광산지구협의회를 중심으로 광산소비. ,

    조합운동이 활성화되었던 과정과 년 한국노총 협동사업부가 출범한 후 한국1981

    노총 내에서의 소비조합운동에 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