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16
영재와 영재교육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2012, Vol. 11, No. 1, pp. 57-72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기술 적응 3) 이경화 * , 여종일(숭실대학교) 요 약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이 사회적 기술과 일반적 적응에서 차이가 있는지, 또한 사회적 기술이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일반적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 치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한 곳의 영 재교육원과 두 곳의 일반 초등학생들의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아동의 사회적 기술 과 적응에 대한 질문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15명 아동들에 대한 자료가 분석되 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각 측정변인의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를 통하여 각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먼저 살펴보았고, 사회적 기술과 적응변인들에 대하여 영재 아동과 일반아동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한 t-test를 실시하였고, 각 집단에서 변인들 간 의 상관분석을 하였으며, 아동의 적응에 대하여 구체적인 사회적 기술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아동의 주장성과 같은 사회적 기술과 또래문제의 적응에서, 영재아동의 부모와 교사들은 일 반아동의 부모와 교사들과 차이가 있었다.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교사들은 아동의 정서적 증상이나 품행문제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가 있었다. 한편, 아동의 사회적 기술 은 부적응과 부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 긍정적 적응지표인 친사회적 행동과 정적상관 을 나타내었으며, 아동의 사회적 기술이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은 사회적 기술의 하위 변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재아동의 인지적 특성뿐 아니라 사회적 특성을 이해해야 하며, 영재의 정신건강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시할 때 자기 통제와 같은 사회적 기술변인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주제어: 영재아동, 사회적 기술, 적응 * 교신저자 : 숭실대학교 평생교육학과 교수, [email protected]

Upload: -

Post on 19-Jun-2015

154 views

Category:

Documents


3 download

TRANSCRIPT

Page 1: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영재와 영재교육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2012, Vol. 11, No. 1, pp. 57-72

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 기술 응

3)이경화*, 여종일(숭실 학교)

〈요 약〉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이 사회적 기술과 일반적 적응에서 차이가

있는지, 또한 사회적 기술이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일반적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

치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한 곳의 영

재교육원과 두 곳의 일반 초등학생들의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아동의 사회적 기술

과 적응에 대한 질문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15명 아동들에 대한 자료가 분석되

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각 측정변인의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를 통하여 각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먼저 살펴보았고, 사회적 기술과 적응변인들에 대하여 영재

아동과 일반아동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한 t-test를 실시하였고, 각 집단에서 변인들 간

의 상관분석을 하였으며, 아동의 적응에 대하여 구체적인 사회적 기술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아동의

주장성과 같은 사회적 기술과 또래문제의 적응에서, 영재아동의 부모와 교사들은 일

반아동의 부모와 교사들과 차이가 있었다.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교사들은 아동의

정서적 증상이나 품행문제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가 있었다. 한편, 아동의 사회적 기술

은 부적응과 부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 긍정적 적응지표인 친사회적 행동과 정적상관

을 나타내었으며, 아동의 사회적 기술이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은 사회적 기술의 하위

변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재아동의 인지적 특성뿐 아니라

사회적 특성을 이해해야 하며, 영재의 정신건강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시할 때 자기

통제와 같은 사회적 기술변인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주제어: 영재아동, 사회적 기술, 적응

* 교신저자 : 숭실대학교 평생교육학과 교수, [email protected]

Page 2: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58 영재와 영재교육(제11권 제1호)

I. 서 론

영재성의 개념에 대한 정의는 학자나 시대마다 다르게 규정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초기

연구들은 영재성을 탁월한 지적능력이라는 관점에서만 보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영재성

의 개념을 다양한 의미에서 해석하고 있으며, 영재를 판별하는 방법에 대한 논의도 활발

히 계속되고 있다(이경화, 박숙희, 2010). 그러나 영재성을 새로운 관점으로 이해하려는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영재들의 인지적 특성이 영재연구의 주요 관심분

야이며 영재들의 사회적, 정의적 적응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근래에는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및 정의적 적응을 이해하고, 이를 통한 영재아동

의 학교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 및 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김현철 외,

2005; Reis & Renzulli, 2004).

Coleman과 Cross(2005)는 일반 집단보다 영재 집단에서 심각한 정서적 문제의 발생비

율이 낮을 수는 있지만, 영재들의 경우 뛰어난 능력을 발달시키는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

는 특별한 문제들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 중에서 특히 학교에서 발생하는 갈등이 영재

자신의 특성에 내재된 것이라기보다는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적

응장애 현상이라고 하였다. 즉 영재에게 주변 환경이 잘 맞지 않았을 때 스트레스, 우울

증, 좌절 및 불행을 느낀다는 것이다.

영재아동의 적응에 대하여 두 개의 상반된 견해가 존재하는데, 첫 번째 견해는 인지적

으로 우수한 영재아동은 적응의 어려움을 겪는다고 간주한다(Galloway & Porath, 1997).

영재아동의 지적능력이 사회적 성숙도와 불일치할 경우, 이러한 불균형이 영재아동의 부

적응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Piechowski(1997)는 매우 우수한 영재들은 정서적 예민

성과 과도한 흥분성을 보이는데, 영재들은 열정적이므로 말을 빨리하고 일에 집착하여 일

중독 증세를 나타내기도 하며 생생한 심상과 감각적 경험을 갖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정

서 상태로 인해 일반아동에 비해 두려움과 우울감이 더 높게 나타난다는 것이다(이경화

외, 2005). 또한 영재아동은 학업성취에 관련하여 과도한 사회적 기대와 압력을 느끼기

때문에 정서적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추측된다. 일부 연구들은 구체적으로 영재아동의

어려움을 규명했는데, 예를 들어 Porter(2005)는 과도한 흥분성, 낮은 자아개념, 불안과

스트레스, 우울, 행동의 어려움, 사회적 어려움 등과 같은 잠재적 문제영역이 영재아동에

게 나타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영재아동의 부모들은 영재아동이 일반아동보다 행동적

어려움은 보이지 않으나, 정서적 증상과 또래문제를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Morawska &

Sanders, 2008).

Page 3: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59

반면, 경험적 연구에 기초한 두 번째 견해에 따르면 영재아동은 적응력이 우수하고 정

서적으로 안정되어 있으며, 사회적 기술(social skill)이 있다고 간주된다(Galloway &

Porath, 1997). 일부 연구에서 영재아동은 일반아동보다 사회성숙도가 높다고 보고되는데,

영재아동은 일반아동보다 분명한 자기주장과 긍정적 자아개념, 합리적 경향을 나타내었

다(한선화, 유순화, 2005; 한선화, 강승희, 유순화, 2005).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최근연구에서 영재아동과 청소년은 또래와 비슷한 사회적 적응양상을 나타내었는데, 이

러한 결과를 통하여 영재아동과 청소년의 인지적 능력은 적응에 있어서 위험요인이 아니

라 보호요인으로 작용하였다고 추론하였다(Lopez & Sotillo, 2009).

사회적 기술은 개인이 사회나 또래관계에 통합되어 성공적으로 적응하는데 필요한 대

인관계와 관련된 여러 가지 행동들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사회적 기술은 다음의 4가지

성격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개인이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에서 부정적인 반응을 피하

고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 내는 사회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행동이다. 둘째, 다른 사람

에게 현재 또는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치기 위하여 표출되는 행동으로 목표 지향적이고

도구적이다. 셋째, 그 사회의 특수한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사회적 맥락에 따라 변화된다.

넷째, 관찰이 가능한 행동과 관찰되지 않는 의식적 감정적인 요소가 모두 포함된다(이철

수 외, 2009). 이와 같은 특성이 있는 사회적 기술은 아동의 원만한 적응을 위해 필수적

인 요소로 간주되어 왔다. 사회적 기술은 아동이 상대방과 조화를 유지하며 개인적 및 사

회적 목표의 달성을 가능하게 하는 사고 및 행동과 정서조절활동들로 정의할 수 있는데

(송길연 외, 2005 재인용), 이러한 사회적 기술이 결손 되었을 때에는 전반적인 부적응을

초래할 수 있다. 초등학생들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성과 충동성은 사회적 기술수준과 부

적관계가 있음을 규명한 최근 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최진오, 2011), 정서장애나 행동장

애를 가진 아동의 부적절한 행동이나 감정 등은 사회적 기술의 습득 및 수행결함과 밀접

히 관련되어 있다(허수연 외, 2010). 연구자들은 아동의 적응에서 사회적 기술의 중요성

을 규명하려는 시도로 사회적 기술의 변화를 통하여 정서 및 행동문제를 가진 아동의 어

려움을 해결하려는 중재프로그램을 꾸준히 시도하여 왔다. 한 예로 사회적 기술에 초점을

둔 중재프로그램은 수줍음이 많은 아동의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켰을 뿐 아니라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키고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켰다(이현숙, 정현희, 2004). 이렇듯 아동의 적응

에서 사회적 기술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기술과 적응을

비교하고, 이들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일반아동 뿐 아니라 영재아동

의 통합적인 적응에서 구체적인 사회적 기술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려진 바가 적

다. 또한 인식하는 대상이나 상황에 따라 아동의 사회적 특성이나 적응에 대한 평가는 차

이를 나타낼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영재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대하여 부

Page 4: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60 영재와 영재교육(제11권 제1호)

모와 교사의 견해를 비교한 연구에서 영재아동의 전체적인 사회적 능력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은 차이가 없었으나 소척도인 협동영역에서 교사는 부모보다 높은 점수를 보

고한 반면, 주장성 영역에서는 부모가 교사보다 높은 점수를 보고하였다(Galloway &

Porath, 199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특성이나 적응을 연구할 때 정보제공자 간

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을 고려하여, 교사와 부모를 정보제공자로써 상호보완적으로 활

용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구체적인 사회적 기술 및 일반적 적

응을 비교분석하고 그 관계를 알아보며, 사회적 기술과 적응의 관계가 영재아동집단과 일

반아동집단에서 유사하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재아동과 일

반아동의 사회적 기술 및 적응에 대한 기본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은 영

재아동의 특성을 이해하고 원만한 적응을 돕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

구를 통해 아동의 사회적 기술이 아동의 적응 및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게 되

면, 보다 효과적인 아동기 정신건강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위해서 사회적 기술을 고려해야

한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동의 적응 또는 부적응과 관련

된 사회적 기술의 구체적 요인들을 규명하는 연구결과들은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요인들

을 설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효과적인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을 계획하

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기술에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적응에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적응에 대하여 사회적 기술의 하위요인들의 상대

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자료는 광범위한 연구에 참여한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부모와 교사들로부

터 수집되었다. 영재아동집단은 서울에 소재한 영재교육원 한 곳의 아동들로 구성되었는

데, 이들은 영재판별과정에서 Wechsler 지능검사와 창의성검사에서 상위 10%이내에 위

Page 5: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61

치하여 영재로 판별되어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아동들이었다. 일반아동집단은 서울과 경

기도에 소재한 두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 중에서 무선선발한 후에 검사를 실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아동집단은 영재아동의 경우 영재교육원 초등학

생 1, 2, 3학년 61명이었는데, 학년 간 통합교육을 하는 영재교육원의 특성 상 전체표집

으로 이루어졌으나 응답자 대부분이 1, 2학년(1학년: 29명, 2학년 21명, 3학년 8명)이었

다. 일반아동의 경우 일반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 167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와 부모의 응답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부모와 교사 모두 아동의 특성에

대하여 응답한 경우만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영재

아동집단은 부모와 교사 모두 응답한 영재 남학생 35명, 영재 여학생 23명, 총 58명의 영

재아동으로 구성되었고, 일반아동집단은 부모와 교사 모두 응답한 남학생 78명, 여학생

79명 총 157명의 일반아동으로 구성되었다.

2. 연구도구

가. 사회적 기술

아동의 사회적 기술은 Gresham과 Elliott(1990)가 개발한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를 김향지(1996)가 국내에서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부모용 사회성 기술검사는 주장성, 협력성, 자기통제의 3개 영역에서 각 10문항으로 총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문항 예; 공평하지 못한 규칙에 적절하게 의문을 제기한다. 자

기의 활동에 다른 사람을 참여하도록 한다). 각 척도는 ‘전혀 아니다(0점)’ ‘가끔 그렇다(1

점)’ ‘매우 자주 그렇다(2점)의 3점 평정척도로 되어있다. 본 연구에서 부모용 사회성 기

술 검사의 내적 합치도는 .91이었으며, 주장성, 협력성, 자기통제의 하위요인의 내적 합치

도는 각각 .82. .78, .83이었다. 교사용 사회성 기술검사는 동일한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교사가 각 아동에 대하여 응답해야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교육전문가들의 검토를

거쳐 본 연구에서는 15문항으로 재구성하였다(문항 예; 1. 다른 사람의 감정을 배려한다.

누군가가 다치거나, 몸 상태가 나쁘거나, 아파보이면 도움을 준다). 교사용 사회적 기술

검사는 요인분석의 스크리 검사에서 2요인으로 설정되었고, 1문항을 제거하고 주장성을

나타내는 요인 1은 8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자기통제를 나타내는 요인 2는 6문항으로 구

성되었다. 교사용 사회성 기술검사의 내적 합치도는 .90이었으며, 주장성의 하위요인은

.88, 자기통제의 하위요인은 .89의 내적 합치도를 나타내었다.

Page 6: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62 영재와 영재교육(제11권 제1호)

나. 친사회적 행동

아동의 적응을 측정하는 지표로써 Goodman(1997)이 개발한 강점ㆍ난점 질문지

(Strengths & Difficulties Questionnaires: SDQ)를 안정숙과 동료들이 번안한 한국어판 강

점ㆍ난점 질문지(안정숙 외, 2003)를 사용하였다. 강점난점 질문지는 4세에서 16세 아동

의 정신건강을 선별하는 질문지로, 40개국 이상에서 번안 사용되어지고 있다. 난점의 소

척도는 정서증상, 품행문제, 과잉행동성, 또래문제에 대하여 각각 5문항씩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강점의 소척도인 친사회적 행동은 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모 또

는 교사가 응답할 수 있어 상호보완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전혀 아니

다’ ‘다소 그렇다’ ‘분명히 그렇다’의 0에서 2까지의 3점 평정척도로 응답하게 되어있다.

난점 소척도의 점수는 낮을수록, 강점 소척도 점수는 높을수록 적합한 정신건강으로 간주

된다. 선행연구에서 강점ㆍ난점 질문지는 진단평가도구로서 적합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고되었다(최영훈, 2006; Stone, Otten, Engels, Vermulst, & Janssens, 2010). 본 연구에

서 부모가 응답한 난점 척도의 내적 합치도는 .74이었고, 강점 척도의 내적 합치도는 .67

이었다. 교사가 응답한 난점 척도와 강점 척도의 내적 합치도는 동일하게 .83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교사 및 부모용 사회적 행동 및 사회적 기술 측정 문항의 내용 및

관련 변인, 총 문항 수는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사회적 행동 및 사회적 기술 측정 문항

응답자 측정내용 관련변인 총문항수

부모

아동의 강점ㆍ단점- 감정적 어려움, 품행문제, 과잉활동, 동료문제, 친사

회적25

사회적 기술 - 협력성, 주장성, 자기통제 30

부모자녀관계 - 긍정적 측면, 부정적 측면 32

교사아동의 강점ㆍ단점

- 감정적 어려움, 품행문제, 과잉활동, 동료문제, 친사

회적25

사회적 기술 - 협력성, 주장성, 자기통제 15

3. 연구절차

연구자들은 영재교육원과 해당 초등학교에서 학교장, 교사, 학부모의 협조를 구한 후

연구를 실시하였다. 참여에 동의한 교사는 아동에 대한 질문지에 응답하였고, 역시 참여

Page 7: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63

변인영재아동(n=58) 일반아동(n=157) t

M(SD) M(SD)

부모용

전체평균 1.37(.30) 1.30(.30) -1.61

주장성 1.54(.34) 1.35(.34) -3.71***

협동 1.31(.34) 1.28(.35) -.61

자기통제 1.26(.40) 1.26(.32) .03

에 동의한 해당부모에게 설문지를 배부한 후 회수하였다. 2010년 9월부터 12월에 걸쳐

자료가 수집되었다.

4. 자료처리

본 연구의 통계적 분석에는 SAS 9.1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각 측정변인의 평균, 표준

편차, 왜도, 첨도를 통하여 각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았고, 신뢰도 계수를 살펴보

았다. 사회적 기술과 난점ㆍ강점 변인에서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

기 위하여 각각의 t검증을 실시하였고, 영재아동과 일반아동 집단으로 분류하여 연구변인

들의 상관분석을 하였으며,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적응에 대하여 사회적 기술의 하위요

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및 해석

1.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기술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기술을 비교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표 2>에

따르면, 영재아동은 일반아동보다 부모와 교사가 지각한 주장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t=-3.71, p<.001; t=-2.90, p<.001). 영재아동의 부모와 교사는 일반아동의 부모와 교사보

다 아동이 가정 혹은 수업시간에 자신의 견해에 대해서 명확하게 주장하는 경향이 강하

다고 지각하였다.

<표 2>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기술 점수 차이

Page 8: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64 영재와 영재교육(제11권 제1호)

교사용

전체평균 1.41(.38) 1.24(.43) -3.80***

주장성 1.40(.43) 1.13(.55) -2.90***

자기통제 1.42(.41) 1.32(.46) -1.54

*p<.05, **p<.01, ***p<.001

2.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일반적 적응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일반적 적응을 비교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표 3>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적응 점수 차이

변인영재아동(n=58) 일반아동(n=157)

tM(SD) M(SD)

부모용

난점 총점 9.33(3.76) 8.60(4.70) -1.18

정서증상 2.45(1.72) 2.11(1.67) -1.30

품행문제 1.62(1.11) 1.77(1.37) .82

과잉행동성 2.50(2.23) 2.94(2.18) 1.30

또래문제 2.76(1.74) 1.17(1.68) -3.75***

강점-친사회적행동 7.17(2.03) 7.12(1.82) -.17

교사용

난점 총점 6.62(5.02) 6.22(5.20) -.51

정서적 증상 .69(1.20) 1.20(1.63) 2.51*

품행문제 1.40(1.36) .94(1.45) -2.13*

과잉행동성 2.24(2.60) 2.38(2.73) .33

또래문제 2.29(1.64) 1.70(1.55) -2.38*

강점-친사회적행동 6.52(2.28) 6.85(2.54) .95

*p<.05, **p<.01, ***p<.001

<표 3>에 따르면, 영재아동의 부모와 교사들은 또래문제의 적응에서 일반아동의 부모

와 교사들과 차이가 있었다(t=-3.75, p<.001; t=-2.38, p<.05). 즉, 영재아동의 부모와 교사

는 일반아동의 부모와 교사보다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 어려움이 있다고 지각하였다. 영

재아동과 일반아동의 교사들은 아동의 정서증상이나 품행문제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가

있었다(t=2.51, p<.05; t=-2.13, p<.05). 영재아동의 교사는 일반아동의 교사보다 정서증상

Page 9: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65

1 2 3 4 5 6 7 8 9

1 . 난점총점(부

모)-- -.43*** -.41*** -.55*** -.44*** .42*** -.14 -.27*** -.29***

2. 친사회적행동

(부모)-.28* -- .42*** .39*** .44*** -.26*** .27*** .18* .24**

3. 주장성(부모) -.25 .48*** -- .66*** .66*** -.34*** .09 .27*** .14

4. 협동(부모) -.58*** .37** .44*** -- .71*** -.46*** .17* .24*** .26***

5 . 자기통제(부

모)-.45*** .59*** .60*** .59*** -- -.31*** .09 .24** .16*

6 . 난점총점(교

사).38** -.21 -.36** -.40** -.37** -- -.51*** -.41** -.61***

7. 친사회적행동 -.26* .35** .27* .26* .39** -.59** -- .44*** .81***

은 낮게, 품행문제는 높게 지각하였다.

3. 사회적 기술과 일반적 적응과의 관계 및 일반적 적응에 대한 사회적

기술의 영향

사회적 기술과 일반적 적응의 하위변인들 간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 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표 4>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4>에

다르면, 먼저 영재아동집단의 경우, 부모가 인식한 사회적 기술의 협동, 자기통제는 아동

의 적응의 어려움과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r=-.58, p<.001; r=-.45, p<.001). 부모가 인식

한 사회적 기술의 요인들은 친사회적 행동과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r=.48, p<.001;

r=.37, p<.01; r=.59, p<.001). 일반아동집단의 경우, 부모가 인식한 사회적 기술의 요인들

은 적응의 어려움과 부적상관을 나타내었고 (r=-.41, p<.001), r=-.55, p<.001; r=-.44,

p<.001), 친사회적 행동과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r=.42, p<.001; r=.39, p<.001; r=.44,

p<.001).

교사가 인식한 영재아동의 사회적 기술의 주장성과 자기통제는 부적응과 부적상관을

나타내었고(r=-.63, p<.001; r=-.66, p<.001), 친사회적 행동과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r=.44, p<.001; r=.67, p<.001). 일반아동의 경우에도, 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기술의 주장

성과 자기통제는 부적응과 부적상관을 나타내었고(r=-.41, p<.001; r=-.61, p<.001), 친사

회적 행동과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r=.44, p<.001; r=.81, p<.001).

<표 4>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점수간의 상관

Page 10: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66 영재와 영재교육(제11권 제1호)

(교사)

8. 주장성(교사) -.08 -.01 .30* .10 .18 -.63*** .44*** -- .47***

9 . 자기통제(교

사)-.15 .08 .24 .32* .36** -.66*** .67*** .59*** --

note: 대각선 하단은 영재아동집단, 대각선 상단은 일반아동집단

*p<.05, **p<.01, ***p<.001

부모가 인식하는 아동의 적응에 대하여 사회적 기술의 하위변인들이 미치는 영향을 살

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는데, 그 결과는 <표 5>에 제시되어 있다. 아

동의 적응에 대한 아동의 성의 영향은 일치된 결과가 보고되어 있지 않으므로, 아동의 성

이 통제변인으로 먼저 투입된 후 구체적인 사회적 기술변인이 투입되었다. 통제변인을 고

려한 후에 사회적 기술변인들은 영재아동의 부적응 전체변량의 30%, 일반아동에서 부적

응 전체변량의 30%를 설명하였으며, 협동은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난점을 유의하게 설

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β=-.50, p<.001; β=-.46, p<.001). 사회적 기술변인들은 영재아동

의 친사회적 행동의 전체변량의 37%, 일반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의 전체변량의 22%를 설

명하였으며, 자기통제는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β=.48, p<.01; β=.26, p<.05).

교사가 인식하는 아동의 적응에 대하여 사회적 기술의 하위변인들이 미치는 영향을 살

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는데, 그 결과는 <표 6>에 제시되어 있다. 아

동의 성을 통제한 후에 사회적 기술변인들은 영재아동의 부적응 전체변량의 47%, 일반아

동에서 부적응 전체변량의 35%를 설명하였으며, 주장성과 자기통제는 영재아동과 일반

아동의 부적응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β=-.39, p<.01; β=-.39, p<.01; β

=-.15, p<.05; β=-.52, p<.001). 사회적 기술변인들은 아동의 성을 통제한 후에 영재아동

의 친사회적 행동의 전체변량의 39%, 일반아동에서 친사회적 행동의 전체변량의 61%를

설명하였으며, 자기통제는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β=.58 p<.001; β=.76, p<.001).

이와 같은 결과에서 볼 때,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에 대해 교사와 부모는 모두 사회적 기

술이 높으면 부적응 행동 수준이 낮아질 수 있으며, 또한 친사회적 행동이 높으면 적응을

잘 할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 견해를 같이 하고 있었다. 이는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은 인

지적 측면에서 차이가 있을 지라도 발달 수준이 유사한 초등학생이므로 정의적인 측면에

서 차이가 나지 않음을 설명하는 결과라고도 할 수 있다.

Page 11: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67

<표 5> 부모가 지각한 아동의 적응에 대한 사회적 기술의 예언변인

변인

영재아동집단 일반아동집단

난점 강 점 난점 강점

1단계 2단계 1단계 2단계 1단계 2단계 1단계 2단계

β β β β β β β β

성 .01 -.09 -.09 .03 .13 .06 -.13 -.11

주장성 .10 ,20 -.05 .21*

협동 -.50*** -.00 -.46*** .06

자기통제 -.23 .48** -.08 .26*

R2

.00 .36 .01 .38 .02 .32 .02 .24

△R2

.30 .37 .30 .22

F .00 7.60*** 8.07*** 2.50 17.60*** 2.63 11.92***

*p<.05, **p<.01, ***p<.001

<표 6> 교사가 지각한 아동의 적응에 대한 사회적 기술의 예언변인

변인

영재아동집단 일반아동

난점 강점 난점 강점

1단계 2단계 1단계 2단계 1단계 2단계 1단계 2단계

β β β β β β β β

성 .26 .13 -.30 -.13 .21 .09 -.23 -.06

주장성 -.39** ,09 -.15* .67

자기통제 -.39** .58*** -.52*** .76***

R2

.07 .54 .09 .47 .05 .40 .05 .66

△R2

.47 .39 .35 .61

F 3.95 21.42*** 5.45* 16.07*** 7.35** 34.00*** 8.98**100.97**

*

*p<.05, **p<.01, ***p<.001

Ⅳ. 논의 및 결론

일반적으로 영재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하여 인지적인 차이가 있으므로 이로 인해 사회

적 기술과 행동에 있어서 문제가 야기되고, 따라서 부적응 현상이 나타난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영재아동과 일반아동 간에는 인지적 차이가 있다고 할지라도 정의

적 측면에서의 발달적 특성은 의미 있게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라는 관점을 수용하는 입

Page 12: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68 영재와 영재교육(제11권 제1호)

장에서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기술과 적응을 살펴보고, 이 두 변인들 간의 관계

를 상관계수와 회귀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논의하고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기술을 비교하였을 때 영재아동집단은 일반아동

집단보다 주장성이 높다고 인식되었다. 그러나 다른 변인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양상은 교사와 부모에게서 동일하게 나타났는데, 이 결과는 영재아동이 일반아동

보다 자기주장성이 높다고 보고한 선행연구와 일치하고 있다(한선화, 유순화, 2005; 한선

화, 강승희, 유순화, 2005).

둘째,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은 일반적 적응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세부적인 영역으로 구

분하여 조사하면 영재아동의 부모와 교사는 일반아동의 부모와 교사보다 또래문제에 어

려움이 있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영재아동의 부모들은 영재아동이 또래문제를

나타낸다고 보고한 선행연구와 부분적으로 일치한다(Morawska & Sanders, 2008). 영재

아동의 교사들은 일반아동의 교사들보다 품행문제의 어려움을 높게 인식한 반면, 정서적

증상의 어려움은 낮게 보고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일반적으로 영재아동은 정서적

인 문제가 있다거나 사회적 적응력이 낮다는 부정적인 견해를 벗어나 인지적인 우월함이

정서적,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는 것은 아니라는 긍정적인 입장이 바람직한 영재교육을 위

해 필요하다고 보아진다. 특히 지금까지 영재들의 정서적 적응문제와 관련하여 부정적인

견해가 많았으나 최근 다양한 연구결과를 통해 나타난 바와 같이 (Galloway & Porath,

1997; 한선화, 유순화, 2005; 한선화, 강승희, 유순화, 2005), 이 연구의 결과는 영재아동

이 정서적으로 원만히 적응하고, 자아개념이 높다는 관점과 부합되며, 이러한 긍정적 관

점은 영재교육에 있어서 학업 및 개인적 적응을 위한 지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영재아동들이 일반적으로 원만하게 적응하는 경향이 있다고 해서 영재들에게 종

종 나타나는 문제행동이나 상담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될 것이다(이경화 외, 2005).

셋째,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에게서 사회적 기술이 높을수록 부적응이 낮게 나타난 반면,

친사회적 행동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기술의 습득 및 수행결함이 아동

의 정서장애나 행동장애와 관계된다고 밝힌 선행연구(허수연 외, 2010)에 부합되는 결과

이다. 아동의 정서 및 행동문제에서 사회적 기술의 중요성은 사회적 기술 중재프로그램의

효과를 통해서도 입증되었는데(이현숙, 정현희, 2004), 본 연구도 아동의 적응에서 사회적

기술의 중요성을 밝힌 중재프로그램의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인다. 한편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기술과 친사회적 행동이 상반된 변인이 아니라, 두 변인 모두 사회적 성숙

도의 지표로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므로, 후속연구에서는 사회적 기술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를 명확히 규명할 필요가 있겠다. 사회적 기술의 하위요인 중에서 부모들

Page 13: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69

은 협동에서의 어려움이 부적응을 예언한다고 보았으나, 교사는 주장성과 자기통제의 어

려움이 부적응을 예언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부모와 교사에게서 모두 동일하게 자기통제

가 친사회적 행동을 예언한다고 밝혀졌는데, 이러한 결과는 친사회적 행동의 발달에서 자

기통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편의표집을 사용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영재교육원과 초등학교에서 연

구대상을 선정하였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전체아동에게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

다. 후속연구에서는 무선 표집을 통하여 충분한 대상 수를 포함시킬 필요가 있겠다. 둘째,

본 연구는 횡단적 연구로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추론하는데 제한점이 있으므로, 종단연구

를 통하여 사회적 기술과 적응간의 인과관계를 추론하거나, 상호교류관계의 연구로 발달

경향을 분석해볼 수 있다. 셋째, 교사를 대상으로 한 사회적 기술의 측정도구가 재구성되

었는데, 비록 한 문항을 제외하고 본 연구의 하위변인 문항들이 원척도의 하위변인들과

동일하게 분류되었고, 연구변인들이 적합한 내적 합치도를 보였으나, 후속연구에서는 원

척도를 모두 사용하거나, 좀 더 간략한 사회적 기술척도를 선정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기술과 적응

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도모하고, 아동의 적응을 증진하기 위한 영재교육프로그램을 계획

하고 실시할 때는 자기통제와 같은 사회적 기술을 고려한다면 더 유용한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Page 14: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70 영재와 영재교육(제11권 제1호)

참 고 문 헌

김현철, 김홍원, 최인수, 이윤옥, 이정규(2005). 정의적 사회적 특성분석과 영재성 판별에서

의 시사점, 한국교육, 32(3), 206-231.

김향지(1996). 사회성기술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학회지, 17(1), 122-155.

안정숙, 한준규, 노경선(2003). 한국판 강점난점 설문지 개발, 신경정신의학, 42(1), 141-148.

이경화, 박숙희(2010). 유아영재교육. 서울: 동문사.

이경화, 최병연, 박숙희(2005). 영재교육(5판). 서울: 박학사

이현숙, 정현희(2004). 학교-기반의 사회적 기술 훈련프로그램이 수줍음 아동의 사회적 기

술, 불안, 우울,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학교. 1(1), 79.

조용태(1998). 정신지체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지각 차이. 미래유아교

육학회지, 5(2), 41-59.

최영훈(2006). 한국어판 강점난점설문지(SDQ-KR)와 아동행동조사표(K-CBCL)의 비교. 연

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최진오(2011). 초등학생들의 ADHD성향과 사회기술수준 간의 관계분석. 아동교육, 20(1),

265-278.

한선화, 유순화(2005). 중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리더십 기술, 사회성숙도 및 행위통제 분

석. 청소년학 연구, 12(3), 291-325.

한선화, 강승희, 유순화(2005).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리더십 기술과 사회성숙도의 비교분

석, 청소년학 연구, 12(1), 277-298.

허수연, 강수연, 정정은, 박지연(2010). 정서 및 행동문제를 가진 아동과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 중재에 대한 고찰. 정서행동장애연구, 26(4), 43-72.

Coleman, L. J. & Cross, T. L. (2005). Being gifted in school: An introduction to

development, guidance, and teaching(2nd ed.). Waco, TX: Prufrock Press.

Galloway, B. & Porath, M. (1997). Parent and teacher views of gifted children's social

abilities. Roeper Review, 20, 118-121.

Goodman, R. (1997). 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A research not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8, 581-586.

Lai, K., Luk, E., Leung, P., Wong, A, Law, L., & Ho, H. (2010). Validation of the

Chinese version of 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in Hong Kong.

Social Psychiatric Epidemiology, 45, 1179-1186.

Lopez, V., & Sotillo, M. (2009). Giftedness and social adjustment: Evidence supporting

the resilience approach in Spanish-speaking children and adolescents. High

Page 15: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71

Ability Studies, 20, 39-53.

Morawska, A., & Sanders, M. R. (2008). Parenting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What

are the key child behavior and parenting issues?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42, 819-827.

Piechowski, M. M. (1997). Emotional giftedness: The measure of intrapersonal

intelligence. In N. Cloangelo & G. A. Davis (2nd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pp.366-381). Boston, MA: Allyn & Bacon.

Porter, I. (2005). Gifted young children: A guide for parents and teachers (2nd ed.).

Crows Nest, Australia: Allen & Unwin.

Reis, S., M., & Renzulli, J. S. (2004). Current research on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Good news and future possibilities.

Psychology in the Schools, 41, 119-130.

Shaffer, D. R. (2005). 발달심리학. 송길연, 장유경, 이지연, 정윤경(공역). 서울: 시그마프레

스. (2002년 원저발간).

Stone, L., Otten, R., Engels, R., Vermulst, A., & Janssens, J. (2010).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arent and teacher versions of 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for 4- to 12-year-olds: A review. Clinical Child and Family

Psychological Review, 13, 254-274.

Page 16: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72 영재와 영재교육(제11권 제1호)

Abstract

A comparison of social skills and adjustment between gifted and

average children

Lee, Kyunghwa, Yuh, Jongil (Soongsil University)

Social-emotional characteristics in children have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in

educating gifted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ocial skills and

adjustment in gifted and average children perceived from parents and teachers.

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kills and adjustment

in gifted and average children. Data from a total of 215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an institute for gifted education and 2 comparabl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province were analyzed. The statistical package SAS 9.1 were used to

examine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ternal consistency for each subscale. t-test,

intercorrelations for parent and teacher ratings of social skills and adjustm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Results

indicated that ratings on assertiveness of gifted children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average children. Social skills were negatively related to adjustment difficulties and

positively related to prosocial behaviors.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sub-variables of

social skill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djustment difficulties and pro-social

behaviors, after controlling gender. The findings reveal the importance of social-

emotional as well as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The findings suggest

that social skill variables like self-control can be used as a potential target for

intervention programs for gifted children.

Key word: gifted child, social skill, adjustment

투고일자: 2012년 3월 1일, 심사일자: 2012년 3월 22일, 게재확정일자: 2012년 4월 1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