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화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7/kate_70_2... · 2015. 7. 7. · 표 구문...

22
133 영어교육 7022015여름 DOI: 10.15858/engtea.70.2.201506.133 통사 점화와 입력 분포 유형이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 * 신선화 (부산남천초등학교) 이상기 ** (한국교원대학교) Shin, Seon-wha, & Lee, Sang-Ki. (2015). Effects of syntactic priming and types of input distribution on grammar learning. English Teaching, 70(2), 133-15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syntactic priming on the learning of the ditransitive construction by 49 Korean elementary school English learner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yntactic priming were scrutinized more in detail by implementing it in three different input frequency conditions: Skewed-first distribution, balanced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Results indicated that syntactic priming overall had facilitative effects on the oral production performance of the participants. When it comes to the participants’ comprehension of the target construction, however, it was only in the skewed-first distribution that priming had a substantial learning effect. It is concluded that priming combined with the skewed-first type of input distribution would have generalizable and durable learning effects. Key words: 통사 점화(syntactic priming), 입력 분포(input distribution), 사용 언어 학습(usage-based language learning) 1. 서론 사용 기반 언어 습득(usage-based language learning)관점에서 Bybee(2008, 2010)문법을 다양한 맥락에서 이루어진 구체적 언어 경험의 범주화된 축적 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문법적 지식의 성공적인 발달을 위해서는 학습자에게 보다 풍부한 언어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이는 결국 * 논문은 1저자의 석사학위논문의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의 기술, 자료 제시 방식 결과 해석 등의 측면에서 내용을 전면 수정 · 보완한 것임. ** 신선화: 1저자, 이상기: 교신저자

Upload: others

Post on 16-Mar-2021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133

    영어교육 70권 2호 2015년 여름

    DOI: 10.15858/engtea.70.2.201506.133

    통사 점화와 입력 분포 유형이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

    신선화

    (부산남천초등학교)

    이상기**

    (한국교원대학교)

    Shin, Seon-wha, & Lee, Sang-Ki. (2015). Effects of syntactic priming and types of

    input distribution on grammar learning. English Teaching, 70(2), 133-15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syntactic priming on the learning of the

    ditransitive construction by 49 Korean elementary school English learner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yntactic priming were scrutinized more in detail by implementing it in

    three different input frequency conditions: Skewed-first distribution, balanced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Results indicated that syntactic priming overall had

    facilitative effects on the oral production performance of the participants. When it

    comes to the participants’ comprehension of the target construction, however, it was

    only in the skewed-first distribution that priming had a substantial learning effect. It is

    concluded that priming combined with the skewed-first type of input distribution

    would have generalizable and durable learning effects.

    Key words: 통사 점화(syntactic priming), 입력 분포(input distribution), 사용 기

    반 언어 학습(usage-based language learning)

    1. 서론

    사용 기반 언어 습득(usage-based language learning)의 관점에서 Bybee(2008,

    2010)는 문법을 다양한 맥락에서 이루어진 구체적 언어 경험의 범주화된 축적

    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문법적 지식의 성공적인 발달을 위해서는 학습자에게

    보다 풍부한 언어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이는 결국

    * 본 논문은 제1저자의 석사학위논문의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의 기술,

    자료 제시 방식 및 결과 해석 등의 측면에서 그 내용을 전면 수정 · 보완한 것임. ** 신선화: 제1저자, 이상기: 교신저자

  • 134 신선화 · 이상기

    교수자가 교수학습의 맥락에서 입력 빈도(input frequency)가 가지게 되는 중요한

    역할에 주목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자면 추상적 성격의 구문

    습득에 있어서도 해당 구문에 대한 학습자 입장에서의 구체적인 경험이 중요할

    것이며, 이때 교수자는 더욱 빈번한 학습 경험을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목

    표 구문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 습득을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는 통사 점화(syntactic priming 또는

    structural priming)는 학습자에게 맥락화된 언어 경험을 제공하는 하나의 방식으

    로서 그간 여러 학자들로부터 꾸준한 학문적 관심을 받아왔다(McDonough &

    Kim, 2009; McDonough & Mackey, 2008). 그간의 통사 점화 관련 연구들은 모국어

    (L1) 학습자보다는 제2언어(L2)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을 때(Nitschke, Serratrice,

    & Kidd, 2014), 성인 학습자보다는 아동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을 때(Messenger,

    Branigan, & McLean, 2011; Rowland, Chang, Ambridge, Pine, & Lieven, 2012), 사용 빈

    도가 낮은 구문을 목표 구문으로 하였을 때(Bock, 1986; Bock & Griffin, 2000;

    Ferreira, 2003; Hartsuiker & Kolk, 1998; Hartsuiker, Kolk, & Huiskamp, 1999; Scheepers,

    2003) 더욱 큰 통사 점화의 효과를 목격할 수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한편, L2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통사 점화가 구문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살

    펴보고자 한 연구는 지금껏 전무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영어 학

    습자를 연구의 참여자로 하여 통사 점화가 이중 목적어 구문(ditransitive

    construction)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통사 점화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입력의 빈도가 구문 습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참고: Brooks & Tomasello, 1999; Goldschneider & DeKeyser, 2001; Lee, Miyata, &

    Ortega, 2008). 이때 본 연구에서는 입력의 빈도 자체만을 단순히 높여 제시하는

    것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입력 분포(input distribution)를 왜곡 우선 분포(skewed-

    first distribution, SFD)와 균형 분포(balanced distribution, BD)의 두 가지 방식으로

    구현하고, 입력의 총 빈도는 동일한 상태에서 입력의 종류와 분포를 다르게 제

    시하는 것이 습득에 과연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자 하였다. 이에 대해 왜곡 우선 분포의 근간이 되는 왜곡 분포 및 균형 분포

    의 상대적 효과성과 관련하여 그간 이뤄진 연구들의 대강을 살펴보면, L1 학습

    자의 경우에는 균형 분포에 비해 왜곡 분포가 추상적 구문 습득에 있어 보다

    효과적이었으나(Casenhiser & Goldberg, 2005; Goldberg, Casenhiser, & Sethuraman,

    2004), L2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을 때에는 양자 간 차이가 없거나,

    혹은 오히려 균형 분포가 왜곡 분포에 비해 더욱 큰 학습의 효과를 가져온 것

    으로 보고되기도 하였다(Lee, 2008; McDonough & Nekrasova-Becker, 2014;

    McDonough & Trofimovich, 2013; Nakamura, 2012; Year & Gordon, 2009). 두 가지의

    입력 분포 방식이 가지는 상대적인 효과의 크기에 대해 아직은 명쾌한 해답을

    내놓고 있지 못한 형편이라 하겠다(참고: 이상기, 2014).

    요컨대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통사 점화가 이중 목적

  • 통사 점화와 입력 분포 유형이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 135

    어 구문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구안되었다. 또한 통사 점화를 왜곡

    우선 분포와 균형 분포라는 서로 다른 조건 하에 투입함으로써 입력 분포 유형

    이 미치는 매개 변인 효과도 함께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통사 점화는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이중 목적어 구문의 학습에 어떠

    한 영향을 미치는가?

    2. 통사 점화가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이중 목적어 구문 학습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다른 입력 분포의 유형(왜곡 우선 분포 vs. 균형 분포 vs. 통

    제 조건)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

    2. 이론적 배경

    2.1. 통사 점화와 암시적 언어 학습

    통사 점화는 화자가 발화를 할 때 최근에 노출되었던 특정 통사 구조를 자신

    의 후행 발화에서 재사용하게 되는 일반적인 경향성을 말한다(McDonough &

    Trofimovich, 2009). 이 때 화자에게 노출되는 구문을 매개 구문(prime), 화자가

    발화하게 되는 구문을 목표 구문(target)이라고 한다.

    Bock(1986)에 의해 최초 실시된 통사 점화 연구 이후로 다양한 주제 하에 많

    은 연구들이 그간 진행되어 왔다. 예를 들어 통사 점화가 일어나는 조건과 관

    련하여, Bock(1986, 1989)과 Bock, Loebell과 Morey(1992) 등은 화자가 통사 구조

    를 듣고 따라 말했을 때 비로소 통사 점화가 일어났다고 보고한 반면, 다른 일

    련의 연구에서는 따라 말하기 조건과 무관하게 매개 구문을 듣는 것만으로도

    통사 점화가 일어날 수 있음을 밝히기도 하였다(Branigan, Pickering, & Cleland,

    2000; Branigan, Pickering, Liversedge, Stewart, & Urbach, 1995). 또한 매개 구문과 목

    표 구문 사이에 내용어(content word) 측면에 있어서의 어휘적 중복이 미치는 영

    향과 관련하여, 어휘적 중복 조건과 무관하게 통사 점화 효과 자체가 발생할

    수는 있겠으나 어휘적 중복이 주어졌을 경우 그 효과가 배가될 수 있음이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지기도 하였다(Branigan et al., 2000; Cleland & Pickering, 2003;

    Hartsuiker, Bernolet, Schoonbaert, Speybroeck, & Vanderelst, 2008; Pickering & Branigan,

    1999).

    한편, 얼핏 통사 점화 효과가 일시적인 것에 그칠 것이라 예견될 수도 있겠

    으나, 실제 근래의 연구들을 통해 그 효과의 지속 가능성이 검증되기도 하였다

    (Bock & Griffin, 2000; Hartsuiker et al., 2008; Savage, Lieven, Theakston, & Tomasello,

    2006). 예를 들어, Bock과 Griffin(2000), Branigan 외(2000), Hartsuiker와 Kolk(1998),

    Huttenlocher, Vasilyeva와 Shimpi(2004) 등은 매개 구문과 목표 구문 사이에 간섭

  • 136 신선화 · 이상기

    문장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통사 점화 효과가 나타났음을 밝혔다. 특히 Bock과

    Griffin은 간섭 문장의 수가 최대 10개에 이르렀을 경우에도 여전히 통사 점화

    의 효과를 목격할 수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모두 통사 점

    화가 암시적 학습 방식의 하나로서 그 효과가 기대보다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

    음을 시사한다(Chang, Dell, Bock, & Griffin, 2000). 즉, 목표 통사 구문에의 반복적

    노출은 학습자로 하여금 목표 구문과 그 의미 간의 결합을 시도하게끔 암묵적

    으로 돕는 유의미한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암시적 언어 학습 방식으로서의 통사 점화가 이뤄지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예시하면, 예를 들어 Bob teaches a trick to his dog과 같은 NP-V-NP-PP 구문에 이

    미 익숙한 학습자의 경우 그에 대한 대용 표현이 될 수 있는 NP-V-NP-NP 구조

    의 이중 목적어 구문(예: Bob teaches his dog a trick)이 아직 학습되지 않았거나 혹

    은 완전한 내재화가 채 이뤄지지 않은 관계로 해당 구문의 사용을 회피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교수자는 통사 점화를 통해 이중 목적어 구문에

    대한 노출의 기회를 의도적으로 극대화해 볼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학습

    자들은 발화 수행에 있어 이중 목적어 구문을 실제 사용하게 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통사 점화가 구문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실제 검증해본 기존의 연구 내용의

    대강을 살펴보면, 성인에 비해서는 아동들의 경우에 있어(Messenger et al., 2011;

    Rowland et al., 2012), 그리고 L1 화자 보다는 L2 학습자의 경우에 있어(Nitschke

    et al., 2014) 통사 점화의 효과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러한 기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영어 학습자를 연구의 참

    여자로 선정하기에 이르렀다. L2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된 기존의 통사 점

    화 연구를 실제로 찾아볼 수 없었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 연구

    의 맥락에 충분히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었다.

    2.2. 입력 분포의 유형과 언어 학습

    언어 습득의 전체 과정에 있어 입력의 빈도는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Chang, Dell, & Bock, 2006; Ellis, 2002a, 2002b). 그리하여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

    한 경우 더 많은 입력이 더 높은 학습 가능성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예측은 매

    우 타당한 것이 된다. 한편, 지난 10여 년 동안 입력 기반 학습(frequency-based

    learning)을 주창하는 많은 연구자들은 입력 분포의 다양한 유형이 학습에 미치

    는 영향에 대해서도 밀도 있는 관심을 기울여왔다(참고: 이상기, 2014). 여기서

    입력 분포의 유형은 먼저 크게 왜곡 분포와 균형 분포의 두 가지로 나뉠 수 있

    다. 양자 간 전체 토큰의 빈도(token frequency)는 동일한 가운데, 균형 분포 조

    건과 달리 왜곡 분포 조건의 경우에는 목표 구문을 잘 예시할 수 있는 전형적

    인 내용의 입력을 왜곡된 빈도로 부풀려 제시하게 된다. 목표 구문 X에 대한

    예시가 A, B, C, D를 통해 가능하다 하였을 때, 예를 들어 왜곡 분포 조건에서는

  • 통사 점화와 입력 분포 유형이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 137

    A-B-A-C-A-D-A-A와 같이 A를 다섯 번, 나머지 B, C, D를 한 번씩 입력으로 제

    시하고, 이에 비해 균형 분포 조건에서는 A, B, C, D를 모두 두 번씩 균형 있게

    제시하게 된다. 한편, 본 연구에서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는 왜곡 우선 분포

    는 왜곡 분포의 변형된 예로서 왜곡된 입력을 우선하여 먼저 제시하게 되는 형

    식을 말한다. 앞선 예시를 이어가면, A-A-A-A-A-B-C-D의 순으로 입력을 제시함

    으로써 왜곡 우선 분포를 조건화할 수 있다.

    입력 분포 유형이 구문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최초로 살핀 Goldberg 외(2004)

    는 대학생 L1 화자를 대상으로 하는 실험 연구를 통해 왜곡 분포가 균형 분포

    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우수한 학습의 결과로 연결되었음을 밝

    혔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5-7세의 아동 L1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던

    Casenhiser와 Goldberg(2005)에 의해 재차 입증되기도 하였다. 이어 Goldberg,

    Casenhiser와 White(2007)는 역시 L1 학습자를 대상으로 왜곡 우선 분포를 왜곡

    임의 분포(skewed random distribution)와 상호 비교한 결과, 왜곡 우선 분포가 상

    대적으로 더욱 큰 학습 효과를 이끌었음을 보고하였다.

    그런데 L1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렇듯 비교적 일관되게 목격된 왜곡 분포의

    긍정적인 영향이 L2 학습 상황에서는 그대로 재현되지 못하였다. Lee(2008)의

    경우에는 한국인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왜곡 분포가 아닌

    균형 분포 조건만이 통제 집단에 비해 우수한 수행을 낳았음을 밝혔다. Lee의

    연구 결과와 마찬가지로 Year와 Gordon(2009) 역시 왜곡 분포와 균형 분포 사

    이의 효과의 크기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고, 지연된 사후 검사 결과를 통해

    균형 분포 조건에서만 학습과 일반화 가능성의 양 측면에서 처치의 효과가 어

    느 정도 지속되었다고 보고하였다. Casenhiser와 Goldberg(2005)에 대한 재현 연

    구를 목표로 일본인, 한국인, 중국인, 미국인, 태국인 등을 대상으로 실시된

    Nakamura(2012)의 연구 역시 목표 구문의 이해와 관련해서는 두 분포 조건 사

    이의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고, 생산 과업으로부터의 결과를 통해서 균형 분

    포가 가지는 상대적으로 더 큰 효과를 목격할 수 있었다.

    입력 분포 유형이 L2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노력들은 이후

    에도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McDonough와 Trofimovich(2013)는 L1과 L2 학습 상

    황이 교수학습 방식에 있어 차이가 있을 것이고(귀납적 학습 vs. 연역적 학습),

    그것이 실제 실험 연구에 있어 서로 다른 결과를 초래했을 것이라 추론하였다.

    그리하여 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입력 분포의 유형 및 교수학습 방식의 차

    이가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두 독립 변인 각각의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던 가운데 둘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균형 분포 조건 속에서 이루어진 연역적 교수학습만

    이 통계적으로 더 우수한 수행으로 이어졌던 것이다. 비슷한 맥락에서,

    McDonough와 Nekrasova-Becker(2014) 역시 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왜

    곡 우선 분포와 왜곡 임의 분포, 그리고 균형 분포의 상대적인 효과성을 검증

    하였다. 그 결과, 균형 분포 조건이 나머지 두 조건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 138 신선화 · 이상기

    수행으로 이어졌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Sung과 Lee(2013)는 우리나라 초등 영

    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왜곡 우선 분포, 왜곡 임의 분포, 균형 분포의 상대적인

    영향을 살펴 보고한 유일한 연구로서, 해당 연구 결과 지연된 사후 검사 단계

    에서 왜곡 우선 분포만이 통제 조건에 비해 우수한 학습의 결과로 이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L1 학습 상황에서는 비교적 일관된 내용으로 왜

    곡 분포가 균형 분포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학습을 이끌고 있는 것으로 보

    인다. 그런데, L2 학습 상황에서는 왜곡 분포의 이러한 긍정적인 역할이 잘 드

    러나지 않고 있어서, 많은 경우에 왜곡 분포와 균형 분포 사이에 효과 차이가

    목격되지 않거나, 오히려 균형 분포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보고되곤 하였다. L1과 L2 학습 과정이 근본적으로 다른 것일 수 있음을 시사

    하는 대목이라 하겠다. 한편, 이러한 상반된 연구 결과의 원인으로 McDonough

    와 Trofimovich(2013)는 성인 L2 학습자의 경우 명시적이고 연역적인 학습 전략

    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것이 왜곡 분포가 가질 수 있는 긍정적인 학습

    효과를 상쇄했을 것이라고 추론하였다. 비슷한 맥락에서 Year와 Gordon(2009)은

    암시적 학습 상황에서는 왜곡 분포가, 명시적인 학습 상황에서는 균형 분포가

    각각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 학습자를

    연구의 참여자로 하였을 때 입력에 기반한 귀납적이고 암시적 방식의 학습 조

    건이 보다 자연스럽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왜곡 분포의 효과성

    을 더욱 분명히 목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특별히 왜곡 우선 분포와 균형 분포가 학습에 미치는 효과의

    상대적인 차이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이는 L2 학습 상황에서 진행된 기존의 연

    구들을 살펴볼 때 적어도 균형 분포가 왜곡 우선 분포에 비해 보다 효과적이었

    다는 연구 결과를 살펴볼 수 없었기 때문이다. 오히려 Sung과 Lee(2013)의 경우

    에는 본 연구와 마찬가지로 초등 영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실험 연구를 진

    행하였을 때 다른 분포 유형에 비해 왜곡 우선 분포가 구문 학습에 있어 가장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밝힌 바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통사 점화의 효과

    가 왜곡 우선 분포와 균형 분포의 서로 다른 조건 하에서는 어떻게 달라지게 되

    는지 검증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입력 분포 유형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미완의 기존 연구 맥락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게 될 것이라 기대된다.

    3. 연구 방법

    3.1. 연구 참여자

    부산시 소재 A초등학교 5학년 세 개 학급의 49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세 개의 실험 참여 학급 중 두 개 학급을 왜곡 우선 분포(SFD) 집단과 균형 분

  • 통사 점화와 입력 분포 유형이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 139

    포(BD) 집단으로, 한 개 학급을 통제 집단(CG)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실험

    참여 학생들은 모두 본 실험 이전 목표 구문인 이중 목적어 구문에 대해 학습

    한 바가 전혀 없었다. 한편, 3.4절에서 소개하는 어휘 능력 검사지 및 사전 평가

    지를 활용하여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3.2. 목표 구문과 목표 어휘

    본 연구의 참여자들이 통사 점화 처치를 통해 학습의 목표로 삼았던 구문은

    이중 목적어 구문이었다. 이때 서로 다른 입력 분포의 조건 하에서 통사 점화

    를 통해 이중 목적어 구문을 예시하기 위하여 give, buy, send, pass, lend 등의 다

    섯 개 동사를 우선 선정하였다. 우선 선정된 이상의 다섯 개 동사는 통사 점화

    처치에 활용되어 학습의 정도를 파악하는데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통화 점화를 통해 학습한 바를 새로운 동사를 활용하여 일반화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함께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목적 하에 sell, bake, hand, bring, throw

    등 다섯 개의 새로운 동사를 추가로 선정하였다.

    이상의 10개 동사를 선정하는 과정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고려되었다.

    첫째, 초등 영어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연구 참여 학생들이 이미 알고 있

    는 단어들을 골랐다. 본 연구는 어휘 습득을 목표로 두는 것이 아니었으며, 그

    보다는 학습자들이 이미 알고 있는 단어를 활용하여 그들에게 아직은 친숙하지

    않은 구문을 습득하게 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둘째, 각 동사들의 전

    반적인 빈도 및 이중 목적어 구문에서의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동사 선정이 이

    뤄졌다(참고: Biber, Johansson, Leech, Conrad, & Finegan, 1999). 셋째, 의미적인 측

    면에서 소유물의 이동이라는 의미가 비교적 선명히 드러나는 동사들을 중심으

    로 목표 어휘를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중 목적어 구문을 목표 구문으로 하

    는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여 기존의 연구들에서 빈번히 활용되었던 동사들을 우

    선 고려하였다. 한편, 이상의 동사 선정 조건을 면밀히 검토한 결과, 우선 선정

    된 목표 단어 다섯 개 중에서도 특별히 give가 모든 조건을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give를 통하여 왜곡 우선 분포 조건

    을 구현하기로 결정하였다.

    3.3. 입력 분포 유형에 따른 통사 점화 처치

    본 연구에서는 Branigan 외(2000)의 컨페더레이트 스크립팅(confederate scripting)

    방식을 변형하여 적용하였다. 실험 처치는 전체 학급 학생들이 동시에 참여하

    여 그림 찾기 게임의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각기 다른 입력 분포 유형에 따라

    학습자들은 각각의 조건에 해당하는 통사 점화 매개 그림 카드 10장을 받은 후

    자신의 책상에 전체 카드를 무작위로 펼쳐 놓았다. 이어 연구자는 통사 점화

    매개 구문을 두 번 들려주었고(e.g., Nick is giving Kate an apple) 학습자 들은 매개

  • 140 신선화 · 이상기

    구문 발화를 한 번 따라 말한 뒤 자신이 가진 10장의 그림 카드 중 내용이 일

    치하는 것을 선택하였다. 다음으로 연구자는 파워포인트로 제작된 목표 구문의

    그림을 보여주었으며(e.g., Kate is giving Nick a bag) 학습자들은 제시된 파워포인

    트 그림을 묘사하는 표현을 각자 자유롭게 발화하였다. 이때 학습자들의 자유

    발화를 돕기 위해 목적어에 해당하는 표현을 파워포인트 화면에 영어로 함께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1) 매개 구문을 두 번 듣고 문장을 한 번 따라 말한 뒤 일치하는

    그림 카드를 고르기, (2) 화면으로 제시된 파워포인트 그림을 보고 목표 구문

    자유 발화하기 등으로 구성된 처치의 내용을 총 10회 반복(1회는 (1)→(2)의 과

    정을 의미)한 뒤 실험이 종료되었다. 그림 1은 연구자 발화용 통사 점화 매개

    구문 그림 및 학습자 발화용 목표 구문 파워포인트 화면의 예시이다.

    그림 1

    통사 점화 처치 예시

    매개 구문

    Nick is giving Kate an apple.

    목표 구문

    Kate is giving Nick a bag.

    한편, 왜곡 우선 분포 집단의 경우에는 동사 give를 통하여 구성된 여섯 개의

    문장을 먼저 선행하여 활용하였고, 나머지 네 개의 동사(buy, send, pass, lend) 각

    각을 통해 구성된 네 개의 문장을 후행하여 제시하였다. 균형 분포 집단에 배

    정된 학생들의 경우에는 다섯 개 동사를 각각 두 번씩 활용하여 구성한 10개의

    문장을 무작위 순서로 제시 받았다. 마지막으로 통제 집단 학생들에게는 아무

    런 처치도 제공하지 않았다.

    3.4. 검사 도구

    3.4.1. 어휘 능력 검사지

    통사 점화를 통한 추상적 구문의 습득을 목표로 하였던 본 연구의 특성상 연

    구 참여 학생들은 연구에 활용된 어휘들의 의미에 대해서 사전에 이미 충분히

  • 통사 점화와 입력 분포 유형이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 141

    인지하고 있어야 했다. 이를 위해 학습자들은 실험 처치 과정에서 다루어지는

    주요 어휘 40개의 발음과 의미를 동영상 자료를 통해 본 실험 1주일 전에 미리

    학습하였다. 그리고 40개의 목표 어휘에 대해 각각의 우리말 뜻을 적도록 구성

    된 어휘 능력 검사를 사전 검사 단계에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정

    답률이 80% 이상으로 나타난 학습자들로부터의 자료만을 본 연구의 분석에 포

    함하였다.

    3.4.2. 구술 발화 검사 자료

    연구 참여 학생들의 이중 목적어 구문에 대한 습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구술 발화 검사 자료를 구성하였다. 구술 발화 검사

    자료는 목표 문항 10개와 삽입 문항 다섯 개 등 총 15개 문항으로 이뤄졌으며,

    이때 목표 문항 구성을 위해서 실험 처치에 활용된 목표 동사 다섯 개(give, buy,

    send, pass, lend) 및 학습의 일반화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포함된 새로운 동사

    다섯 개(sell, bake, hand, bring, throw)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삽입 문항 다섯 개는

    연구 참여 학생들에게 이미 친숙했던 타동사 구문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방

    식으로 구성된 구술 발화 검사 자료는 사전 검사, 사후 검사, 지연 사후 검사

    등 세 단계에 걸쳐 동일한 내용으로 적용되었다. 다만 사전 검사 단계에서는

    새로운 동사 다섯 개로 구성된 평가 문항을 제외하여 총 10개 문항으로 구성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참여 학생들은 개별 컴퓨터 화면에 제시된 그림을 하

    나씩 보고 그림을 묘사하는 자유 발화를 수행하였다. 그림 2는 구술 발화 검사

    그림의 예시이다.

    그림 2

    구술 발화 검사 예시

    구술 발화 자료는 녹음 후 분석 처리되었으며, 그 결과에 대해서는 삽입 문

    항을 제외하고 문항 당 1점씩 배정하여 채점이 이뤄졌다. 채점 시에는 연구의

    목적을 고려하여 어순, 즉 단어 배열이 올바른지의 여부를 우선 고려하였고, 관

    사 및 수 일치 오류 등은 채점 요소에 포함하지 않았다.

  • 142 신선화 · 이상기

    3.4.3. 이해도 검사지

    연구 참여 학생들이 목표 구문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

    여 그림 선택 유형과 문장 선택 유형의 두 영역으로 구성된 이해도 검사를 사

    전 검사, 사후 검사, 지연 사후 검사의 세 단계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림 3은

    두 가지 평가 유형 중 문장 선택 유형 문항과 해당 유형에서 활용된 삽입 문항

    에 대한 예시이다.

    그림 3

    문장 선택 유형 이해도 검사 예시

    23.

    ① Kate is giving Nick a tiger.

    ② Kate is giving a tiger Nick.

    ③ Nick is giving a tiger Kate.

    ④ Nick is giving Kate a tiger.

    22.

    ① Kate is walking to school.

    ② Kate to school is walking.

    ③ School to Kate is walking.

    ④ Kate is walking school to.

    그림 선택 유형의 문항은 들려주는 문장을 두 번 듣고 검사지에 제시된 네

    개의 그림 중 해당 문장과 일치하는 것을 선택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

    다. 문장 선택 유형의 문항을 통해서는 제시된 그림을 가장 정확하게 묘사하고

    있는 문장을 학생들로 하여금 네 개의 선택지 중 고르도록 하였다. 두 가지의

    평가 유형 각각은 목표 동사 다섯 개와 새로운 동사 다섯 개를 활용한 목표 문

    항 10개 및 삽입 문항 다섯 개 등 총 15문항씩으로 구성되었다. 검사의 결과는

    삽입 문항을 제외하여 각 문항 당 1점씩을 배정하여 총 20점 만점으로 채점되

    었다.

    3.5. 연구 절차

    본 연구는 실험처치 전 사전검사와 사전설문을 실시하였고, 실험처치 후 사

    후검사 그리고 지연 사후검사와 사후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전반적인

    절차는 표 1에 요약된 바와 같다.

  • 통사 점화와 입력 분포 유형이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 143

    표 1

    연구 절차 요약

    절차 내용 진행시간 사전 검사 및 사전 설문

    안내 및 사전 설문지 작성어휘 능력 검사 사전 구술 발화 검사 사전 이해도 검사

    10분 10분 10분 10분

    실험 처치

    실험집단1 실험집단2 통제집단

    왜곡 우선 분포(SFD)균형 분포(BD) 실험 처치 없음

    20분

    사후 검사

    사후 구술 발화 검사사후 이해도 검사

    10분 10분

    지연 사후 검사 및 사후 설문

    지연 사후 구술 발화 검사지연 사후 이해도 검사

    10분 10분

    먼저, 왜곡 우선 분포 집단과 균형 분포 집단, 그리고 통제 집단으로 무작위

    배정된 학생들 전체를 대상으로 실험 전 어휘 능력 검사, 사전 구술 발화 검사,

    사전 이해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틀 후, 20여 분 동안, 실험집단1은 왜곡 우선

    분포(SFD), 실험집단2는 균형분포(BD)로 집단 별 실험 처치를 진행한 후 곧바로

    사후 구술 발화 검사와 사후 이해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통제 집단은 실험 처

    치 없이 바로 사후 구술 발화 검사와 사후 이해도 검사만을 실시하였다. 이어,

    실험 처치 하루 뒤에는 지연 사후 구술 발화 검사와 지연 사후 이해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학습된 내용의 지속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했다.

    3.6. 자료의 분석

    사전 검사, 사후 검사, 지연 사후 검사 등 총 세 단계에 걸쳐 실시된 구술 발

    화 검사 결과와 이해도 검사 결과에 대해서 목표 동사 다섯 개를 활용한 문항

    과 새로운 동사 다섯 개를 활용한 문항으로부터의 결과를 나누어 살폈으며, 이

    를 통해 학습의 효과와 일반화 가능성의 정도를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sion

    12.0을 토대로 이루어졌으며, 모든 결과는 p < 0.05의 유의도 수준에서 해석되었

    다. 한편, 필요한 경우 Cohen(1988)의 d값을 활용하여 효과의 크기를 추가로 측

    정하였다.

    4. 연구 결과

    4.1.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증 결과

    사후 검사와 지연 사후 검사에서의 결과가 실험 처치의 영향에 의한 것이었

  • 144 신선화 · 이상기

    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전 검사 단계에서 실시한 어휘 능력 검사, 구술 발화

    검사, 이해도 검사의 결과를 토대로 집단 간 동질성 여부를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을 통해 살펴보았다. 표 2는 각 검사 결과에 대한 기술통계량을 제

    시하고 있다.

    표 2

    사전 검사 결과 기술통계량

    검사ª 집단 n 평균 표준편차95% 신뢰구간

    최소값 최대값 하한값 상한값

    어휘능력 검사

    SFD 18 38.44 1.46 37.72 39.17 35.00 40.00

    BD 16 39.06 1.91 38.04 40.08 34.00 40.00

    CG 15 39.00 1.41 38.22 39.78 36.00 40.00

    합계 49 38.82 1.60 38.36 39.28 34.00 40.00 사전 구술발화 검사

    SFD 18 0.39 0.70 0.04 0.74 0.00 2.00

    BD 16 0.06 0.25 -0.07 0.20 0.00 1.00

    CG 15 0.20 0.41 -0.03 0.43 0.00 1.00

    합계 49 0.22 0.51 0.08 0.37 0.00 2.00 사전 이해도 검사

    SFD 18 14.94 4.07 12.92 16.97 9.00 20.00

    BD 16 14.31 4.54 11.89 16.73 6.00 20.00

    CG 15 12.80 4.81 10.13 15.47 3.00 19.00

    합계 49 14.08 4.46 12.80 15.36 3.00 20.00

    Note. SFD = 왜곡 우선 분포; BD = 균형 분포; CG = 통제집단 ª어휘 능력 검사, 구술 발화 검사, 이해도 검사의 총점은 각각 40점, 5점, 20점임.

    어휘 능력 검사 결과, 세 집단의 평균은 38.44~39.06점의 범위에 속했으며 각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F(2, 46) =

    0.76, p = 0.47, R² = 0.03). 사전 구술 발화 결과에 있어서는 세 집단의 평균이

    0.06~0.39점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집단 간 평

    균 차이를 발견할 수는 없었다(F(2, 46) = 1.81, p = 0.18, R² = 0.07). 마지막으로 사

    전 이해도 검사 결과, 세 집단의 평균은 12.80~14.94점의 범위에 위치했으며 마

    찬가지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평균 차이를 찾아볼 수는 없었다(F(2,

    46) = 0.98, p = 0.38, R² = 0.04). 결론적으로 세 집단은 적어도 사전 검사 단계에서

    는 동질집단으로서 연구에 참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2. 통화 점화와 입력 분포 유형이 사후 검사 결과에 미친 영향

    4.2.1. 사후 구술 발화 검사 결과

    사후 구술 발화 검사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 참여 학생들이 실험 처치를 통하

    여 이중 목적어 구문을 학습한 정도와 학습한 바를 새로운 동사를 활용한 구문

    에까지 일반화한 정도를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

    이 학습 효과와 관련하여서는 왜곡 우선 분포 집단(이하 SFD 집단)의 평균이

  • 통사 점화와 입력 분포 유형이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 145

    가장 높았고(M = 4.28, SD = 1.07), 통제 집단의 평균이 가장 낮았다(M = 0.27, SD

    = 0.80). 통제 집단과 대조하여 살펴보았을 때 SFD 집단과 균형 분포 집단(이하

    BD 집단)의 효과의 크기(각각 d = 4.22; d = 2.51)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

    준에서 집단 간 수행의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2, 46) = 41.53, p <

    0.01, R² = 0.64. 이어 실시한 Dunnett’s T3 사후 검정을 통해 SFD 집단과 통제 집

    단(평균 차이 = 4.01, p < 0.01, BD 집단과 통제 집단(평균 차이= 3.42, p < 0.01) 간

    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다음으로 학습한 바의 일반화 가능성과 관련하여서는 SFD 집단의 평균이 가

    장 높았고(M = 3.33, SD = 1.03), 통제 집단의 평균이 가장 낮았다(M = 0.07, SD =

    0.26). 효과의 크기에 있어서는, 학습 결과에서와 마찬가지로 SFD 집단과 BD

    집단에서 매우 큰 수준의 효과(각각 d = 4.79; d = 3.57)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일원분산분석 결과 앞선 학습 결과에서와 마찬가지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F(2, 46) = 48.04, p < 0.01, R² = 0.68)에서의 집단 간 수행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Dunnett’s T3 사후 검정을 실시한 결과, SFD 집단과 통제 집단

    간의 평균 차이(3.27, p < 0.01)와 BD 집단과 통제 집단 간의 평균 차이(3.18, p <

    0.00)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3

    사후 구술 발화 검사 결과 기술 통계량

    사후 구술발화

    집단 n 평균 표준편차95% 신뢰구간

    최소값 최대값 d 하한값 상한값

    학습 SFD 18 4.28 1.07 3.74 4.81 2.00 5.00 4.22 BD 16 3.69 1.89 2.68 4.69 0.00 5.00 2.51

    CG 15 0.27 0.80 -0.18 0.71 0.00 3.00

    합계 49 2.86 2.19 2.23 3.49 0.00 5.00 일반화 SFD 18 3.33 1.03 2.82 3.85 1.00 5.00 4.79

    BD 16 3.25 1.48 2.46 4.04 0.00 5.00 3.57

    CG 15 0.07 0.26 -0.08 0.21 0.00 1.00

    합계 49 2.31 1.83 1.78 2.83 0.00 5.00

    Note. SFD = 왜곡 우선 분포; BD = 균형 분포; CG = 통제집단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여 해석하자면, 학습과 일반화 가능성의 양 측면 모두

    에서, 연구 참여 학생들의 구술 발화 수행에 있어 서로 다른 입력 분포 유형이

    미치는 영향의 상대적인 차이는 없었다 하겠다. 보다 주목해야 할 점은 통사

    점화를 시행하지 않은 통제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두 실험 집단의 성취가 모두

    우수한 것으로 드러났다는 사실이다. 이는 통사 점화가 입력 분포의 유형과는

    무관하게 초등 영어 학습자로 하여금 이중 목적어 구문을 학습하고 또 학습한

    바를 일반화하여 구술 발화할 수 있게끔 도왔음을 입증하는 대목이 된다.

  • 146 신선화 · 이상기

    4.2.2. 사후 이해도 검사 결과

    사후 이해도 검사 결과를 토대로 실험 처치가 학습에 미친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표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사후 이해도 검사에서 SFD 집단

    의 평균이 가장 높았고(M = 9.33, SD = 0.77), 통제 집단의 평균이 가장 낮았다(M

    = 6.40, SD = 2.77). 통제 집단과 대조하여 살펴본 결과 SFD 집단은 매우 큰 효과

    (d = 1.75)를, BD 집단은 중간 정도의 효과(d = 0.68)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일원분산분석을 시행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F(2, 46) = 9.97, p < 0.01, R² = 0.30)에서 집단 간 수행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

    었다. 이어 Dunnett’s T3 사후 검정을 실시한 결과, SFD 집단과 BD 집단간의 평

    균 차이(1.40, p < 0.05)와 SFD 집단과 통제 집단 간의 평균 차이(2.93, p < 0.01)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실험 처치가 일반화 가능성에 미친 효과와 관련하여서도 SFD 집단의 평균이

    역시 가장 높았고(M = 9.11, SD = 1.02), 통제 집단의 평균이 가장 낮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M = 7.20, SD = 2.46). 학습에 미친 효과에서와 마찬가지로 SFD 집단의

    경우 매우 큰 효과(d = 1.14)를, BD 집단은 중간 정도의 효과(d = 0.58)를 보였다.

    일원분산분석 결과 일반화 가능성 측면에 있어서도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수행의 차이(F(2, 46) = 5.23, p < 0.01, R² = 0.19)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

    다. 그리고 Dunnett’s T3 사후 검정을 통해 SFD 집단과 통제 집단 사이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평균차이(1.91, p < 0.05)를 발견하였다.

    표 4

    사후 이해도 검사 결과 기술 통계량

    사후 이해도

    집단 n 평균 표준편차95% 신뢰구간

    최소값 최대값 d 하한값 상한값

    학습 SFD 18 9.33 0.77 8.95 9.71 8.00 10.00 1.75 BD 16 7.94 1.73 7.02 8.86 5.00 10.00 0.68

    CG 15 6.40 2.77 4.86 7.94 1.00 10.00

    합계 49 7.98 2.20 7.35 8.61 1.00 10.00 일반화 SFD 18 9.11 1.02 8.60 9.62 7.00 10.00 1.14

    BD 16 8.31 1.40 7.57 9.06 5.00 10.00 0.58

    CG 15 7.20 2.46 5.84 8.56 3.00 10.00

    합계 49 8.27 1.83 7.74 8.79 3.00 10.00

    Note. SFD = 왜곡 우선 분포; BD = 균형 분포; CG = 통제집단

    요컨대, 이중 목적어 구문에 대한 이해 측면에서는 학습과 일반화 가능성 모

    두에 있어 오로지 왜곡 우선 분포 조건 하에서만 통사 점화의 긍정적인 효과를

    목격할 수 있었다. 뒤집어 말하자면 균형 분포 조건에서 실시된 통사 점화는

    통제 집단과 비교하여 살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효과를 가져오지

    는 못하였다 하겠다.

  • 통사 점화와 입력 분포 유형이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 147

    4.3. 통화 점화와 입력 분포 유형이 지연 사후 검사 결과에 미친 영향

    4.3.1. 지연 사후 구술 발화 검사 결과

    서로 다른 입력 분포 조건 하에서 처치된 통사 점화의 효과가 실험 처치 하

    루 뒤까지 지속될 수 있는 것이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지연 사후 검사를 실

    시하였다. 먼저 학습 효과와 관련한 지연 사후 구술 발화 검사의 결과를 살펴

    보면, 표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SFD 집단의 수행(M = 4.56, SD = 0.86)이 상대적

    으로 가장 우수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통제 집단과 대조하여 보았을 때

    SFD 집단과 BD 집단 모두에서 매우 큰 수준의 효과(각각 d = 3.19; d = 1.64)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대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세 집단 간의

    수행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의 차이(F(2, 46) = 26.99, p < 0.01, R² = 0.54)

    가 나타났다. 이어 실시한 Dunnett’s T3 사후 검정 결과, SFD 집단과 통제 집단

    (평균 차이 = 3.82, p < 0.01), 그리고 BD 집단과 통제 집단 (평균 차이 = 2.95, p <

    0.01)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표 5

    지연 사후 구술 발화 검사 결과 기술 통계량

    지연사후 구술발화

    집단 n 평균 표준편차95% 신뢰구간

    최소값 최대값 d 하한값 상한값

    학습 SFD 18 4.56 0.86 4.13 4.98 2.00 5.00 3.19 BD 16 3.69 1.99 2.63 4.75 0.00 5.00 1.64

    CG 15 0.73 1.62 -0.17 1.63 0.00 5.00

    합계 49 3.10 2.22 2.46 3.74 0.00 5.00 일반화 SFD 18 4.11 0.83 3.70 4.53 2.00 5.00 3.57

    BD 16 3.19 1.47 2.40 3.97 0.00 5.00 2.01

    CG 15 0.40 1.30 -0.32 1.12 0.00 5.00

    합계 49 2.67 1.97 2.11 3.24 0.00 5.00

    Note. SFD = 왜곡 우선 분포; BD = 균형 분포; CG = 통제집단

    일반화 가능성과 관련한 지연 사후 구술 발화 검사에서도 마찬가지로 SFD

    집단의 평균이 가장 높았고(M = 4.11, SD = 0.83), 통제 집단의 평균이 가장 낮았

    다(M = 0.40, SD = 1.30). 효과의 크기 측면에서도 역시 SFD 집단과 BD 집단 모

    두 매우 큰 수준의 효과(각각 d = 3.57; d = 2.01)를 보였다.

    일원분산분석 결과, 집단 간 수행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으며,

    F(2, 46) = 40.35, p < 0.01, R² = 0.64, Scheffé 사후 검정을 통해 구체적으로 SFD 집

    단과 통제 집단간의 평균 차이(3.71, p < 0.01), 그리고 BD 집단과 통제 집단 간

    의 평균 차이(2.79, p < 0.01)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앞선 사후 검사 단계에서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초

    등 영어 학습자의 이중 목적어 구문 학습에 있어 왜곡 우선 분포와 균형 분포

  • 148 신선화 · 이상기

    가 미치는 영향은 상호 간 상대적인 차이가 없었다. 결국 두 조건 모두에서 통

    사 점화의 지연 효과가 나타났던 것으로 미루어 볼 때, 통사 점화는 입력 분포

    의 유형과 무관하게 연구 참여 학생들의 이중 목적어 구문 학습과 일반화의 양

    측면 모두에 있어 지연된 효과를 가져왔으며, 이것이 지연 사후 검사 단계에서

    의 학생들의 우수한 구술 발화 수행으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겠다.

    4.3.2. 지연 사후 이해도 검사 결과

    다음으로 학습 효과와 관련한 지연 사후 이해도 검사 결과를 살펴본 결과,

    표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SFD 집단의 평균이 가장 높았고(M = 9.61, SD = 0.70),

    통제 집단의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M = 7.00, SD = 2.59). 통제 집단과 대조

    하여 보았을 때 SFD 집단은 매우 큰 효과(d = 1.67)를, BD 집단은 중간 정도의

    효과(d = 0.45)를 보였다.

    표 6

    지연 사후 이해도 검사 결과 기술 통계량

    지연사후 이해도

    n 평균 표준편차95% 신뢰구간

    최소값 최대값 d 하한값 상한값

    학습 SFD 18 9.61 0.70 9.26 9.96 8.00 10.00 1.67 BD 16 8.13 2.39 6.85 9.40 1.00 10.00 0.45

    CG 15 7.00 2.59 5.57 8.44 3.00 10.00

    합계 49 8.33 2.26 7.68 8.98 1.00 10.00 일반화 SFD 18 9.39 0.92 8.93 9.84 7.00 10.00 1.10

    BD 16 8.25 2.14 7.11 9.39 2.00 10.00 0.26

    CG 15 7.67 2.35 6.37 8.97 3.00 10.00

    합계 49 8.49 1.97 7.92 9.06 2.00 10.00

    Note. SFD = 왜곡 우선 분포; BD = 균형 분포; CG = 통제집단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실시한 일원분산분석 결과를 통해 집단 간 수행에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2, 46) = 6.94,

    p < 0.01, R² = 0.23. 그리고 Dunnett’s T3 사후 검정을 통해 구체적으로 SFD 집단

    과 통제 집단 사이의 평균 차이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평균 차 = 2.61, p < 0.01).

    지연 사후 이해도 검사를 통해 알아본 일반화 가능성과 관련하여서도 마찬가

    지로 SFD 집단이 가장 우수한 수행(M = 9.39, SD = 0.92)을 보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 효과에서와 마찬가지로 SFD 집단은 매우 큰 효과(d = 1.10)

    를, BD 집단은 작은 정도의 효과(d = 0.26)의 크기를 보였다.

    일반화 가능성과 관련하여 집단 간 수행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일

    원분산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치(F(2, 46) = 3.67, p < 0.05, R² = 0.14)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Dunnett’s T3 사후 검정을 통해 앞선 학습 효과 결과

  • 통사 점화와 입력 분포 유형이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 149

    에서와 마찬가지로 SFD 집단과 통제 집단 사이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

    준에서의 수행의 차이(평균 차이 = 1.72, p < 0.05)를 발견할 수 있었다.

    요컨대, 앞선 사후 검사 결과에서와 마찬가지로 이중 목적어 구문에 대한 지

    연된 이해 측면에서, 학습과 일반화 가능성 모두에 있어 왜곡 우선 분포 유형

    만이 결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다만 한 가지 달라진 부분이라면

    학습 효과와 관련한 사후 검사의 결과로부터 목격되었던 왜곡 우선 분포와 균

    형 분포의 영향력의 차이가 지연 사후 검사 단계에서는 사라졌다는 사실이다.

    왜곡 우선 분포의 긍정적인 영향이 실험 처치 후 하루가 지나면서 다소나마 누

    그러졌던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통제 집단의 수행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균형

    분포 조건에서 실시된 통사 점화는 유의미한 수준의 효과를 미치지는 못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5.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49명의 초등 영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왜곡 우선 분포와 균형 분포

    의 서로 다른 입력 분포 조건 하에서 통사 점화를 실시하고, 그것이 참여 학생들

    의 이중 목적어 구문 습득에 미치게 되는 영향을 학습과 일반화 가능성의 양 측

    면에서 두루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를 알아보기 쉽게 요약하면 표 7과 같다.

    표 7

    연구 결과의 요약

    연구 단계 검사 도구 검사 영역 연구 결과사후 검사 구술 발화 학습 효과 SFD = BD > CG 일반화 가능성 SFD = BD > CG 이해도 학습 효과 SFD > BD = CG 일반화 가능성 SFD > CG, SFD = BD, BD = CG 지연 사후 검사 구술 발화 학습 효과 SFD = BD > CG 일반화 가능성 SFD = BD > CG 이해도 학습 효과 SFD > CG, SFD = BD, BD = CG 일반화 가능성 SFD > CG, SFD = BD, BD = CG

    Note. SFD = 왜곡 우선 분포; BD = 균형 분포; CG = 통제집단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통사 점화가 습득에 미치는 효과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 제기한 첫 번째 연구 문제에 대해서는 대체로 긍정적인 내용의 답변

    이 가능해 보인다. 통사 점화의 이러한 긍정적 영향은 사후 구술 검사와 지연

    사후 구술 검사에서 학습과 일반화 가능성의 양 측면 모두에서 목격된 것으로

    써, 본 연구에 참여한 초등 영어 학습자들은 학습한 내용에 대해 구술 발화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음은 물론, 새로운 동사를 활용한 구문에까지 학습한 바를

    적용하여 발화 수행을 할 수 있었던 것이다. 특히 주목할 점은 입력 분포 유형

  • 150 신선화 · 이상기

    이 가지는 매개 변인 효과와는 무관하게 통사 점화 처치가 연구 참여 학생들의

    우수한 구술 발화 과업의 수행으로 이어졌다는 사실이다. 목표 구문을 잘 예시

    할 수 있는 전형적인 동사들을 보다 빈번히 활용하여 왜곡된 분포의 형태로 입

    력을 제공하든, 그렇지 않고 다양한 동사를 균형 있게 활용, 배치하여 입력을

    제공하든, 적어도 구술 발화 수행에 있어서는 통사 점화의 효과가 비교적 선명

    히 드러났던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통사 점화의 영향은 구문 이해도 검사 결

    과에 있어서는 다소 다른 양상으로 전개된다. 입력 분포 유형이 미치는 매개

    변인 효과가 비로소 나타났던 것으로, 이는 자연스럽게 두 번째 연구 문제에

    대한 논의로 이어진다.

    본 연구에서 제기한 두 번째 연구 문제와 관련하여, 통사 점화는 특히 왜곡

    우선 분포 조건과 결합되었을 때 목표 구문에 대한 이해도 측면에서 그 효과가

    배가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왜곡 우선 분포 조건에서의 통사 점화 처치는 목표

    구문의 이해도와 관련하여 사후 검사와 지연 사후 검사 단계 모두에서, 그리고

    학습과 일반화 가능성 양 측면에 있어 균형 분포 조건 및 통제 조건에 비해 더

    욱 우수한 수행으로 이어졌던 것이다. 목표 구문에 대한 구술 발화 수행을 넘

    어 구문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제시되는 입력의 분포

    양상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고, 목표로 하는 구문의 전형적 특성을 분명히

    예시할 수 있는 입력을 선별하여 이를 비교적 높은 빈도로 우선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관련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았을 때, 비교적 일관된 내용으로 균형 분포보

    다는 왜곡 분포가 더 우수한 학습의 결과로 이어지게 된다고 보고해온 기존의

    L1 연구들(Casenhiser & Goldberg, 2005; Goldberg, Casenhiser, & White, 2007)과는 달

    리, L2 학습 상황의 경우 오히려 균형 분포가 왜곡분포에 비해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왔다(Lee, 2008; McDonough & Nekrasova-Becker, 2014;

    McDonough & Trofimovich, 2013; Nakamura, 2012; Year & Gordon, 2009). 비록 본 연

    구에서 왜곡 분포와 직접적으로 대조하여 균형 분포의 효과를 살피지는 않았음

    에도 불구하고, 구술 발화 검사 결과를 미루어 비춰볼 때 균형 분포가 L2 학습

    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본 연구를 통해서도 어느 정도 입증되었다고 본다.

    다만 균형 분포가 구문 습득에 미치는 영향은 왜곡 우선 분포와 비교하여 보

    았을 때 전반적으로 제한적 수준에 머문 것으로 해석된다. 거꾸로 왜곡 우선

    분포가 L2 학습에 미치는 긍정적인 학습 효과는 이미 Sung과 Lee(2013)을 통해

    입증된 바 있다(참고: Goldberg, Casenhiser, & White, 2007). 본 연구의 결과 역시

    이러한 기존 연구의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연구의 결과를 조금 다른 시각에서 들여다보면 통사 점화가 목표

    구문에 대한 이해보다는 연구 참여 학생들의 발화 수행에 더욱 큰 영향을 미쳤

    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적인 관점에서 이해하자면 구문에 대한 이해가 발화에

    선행한다고 기대하는 편이 타당할 것이며, 그렇다면 본 연구의 결과는 그러한

    기대에 다소 어긋난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이는 통사 점화 처치가 가지는 본

  • 통사 점화와 입력 분포 유형이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 151

    질적인 특성에 기인한 결과로 추론된다. 통사 점화는 기본적으로 학습자들에게

    매개 구문을 들려주고 이를 따라서 말하도록 설계가 이뤄진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서는 내용에 대한 충분한 이해 없이도 따라 말하기 과업의 수행이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해가 결여된 단순한 따라 말하기를 넘어 따라 말하는 내용

    에 대한 충분한 이해까지를 이끌어낼 수 있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교수자

    는 학습자에게 제시하게 될 입력의 분포 유형에 대해서도 면밀히 검토해야 할

    것이다.

    종합하면, 본 연구를 통해 초등 영어 수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이중

    목적어 구문을 교수하는데 있어 통사 점화와 같은 다소 암시적 성격의 교수학

    습 처치가 긍정적인 학습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입력의 단순 빈도를 높여 제시하는 것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입력의 빈도

    분포를 어떻게 조작하여 제시하는 것이 학습에 더욱 효과적일지 살펴보았고,

    그 결과 왜곡 우선 분포의 형식으로 입력을 제시하는 것이 구문 이해도 측면에

    서 학습 및 학습한 바의 일반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에서와 같이 영어를 외국어로 학습하게 되는 환

    경에서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가진다. 주지하듯, 영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 환

    경의 결정적인 특징 중의 하나가 바로 제한적인 입력 상황이다. 이를 극복하고

    자 하는 적극적인 방안 중의 하나가 입력을 “최적화”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일일 것이며(Ellis, 2009), 왜곡 우선 분포를 통한 입력의 제시야말로 최적화된

    입력 구현을 위한 의미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동일한 맥락에서, 더욱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초등 영어 교실에서의 언어 입력 상황을 떠올려볼 때 최

    적화된 입력의 구현 방향에 대한 본 연구의 논의는 그만큼 중요한 의의를 가지

    게 될 것임이 자명하다 하겠다.

    참고문헌

    이상기. (2014). 입력빈도와 입력분포의 유형이 제2언어습득에 미치는 영향. 권

    오량 (편), 현대 영어교육학 연구의 지평 (pp. 245-271).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Biber, D., Johansson, S., Leech, G., Conrad, S., & Finegan, E. (1999). The Longman

    grammar of spoken and written English. London: Longman.

    Bock, J. K. (1986). Syntactic persistence in language production. Cognitive Psychology, 18,

    355-387.

    Bock, J. K. (1989). Closed-class immanence in sentence production. Cognition, 31, 163-

    186.

    Bock, J. K., & Griffin, Z. M. (2000). The persistence of structural priming: Transient

    activation or implicit learning?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 152 신선화 · 이상기

    129(2), 177-192.

    Bock, J. K., Loebell, H., & Morey, R. (1992). From conceptual roles to structural relations:

    Bridging the syntactic cleft. Psychological Review, 99(1), 150-171.

    Branigan, H. P., Pickering, M. J., & Cleland, A. A. (2000). Syntactic co-ordination in

    dialogue. Cognition, 75(2), B13-25.

    Branigan, H. P., Pickering, M. J., Liversedge, S. P., Stewart, A. J., & Urbach, T. P. (1995).

    Syntactic priming: Investigating the mental representation of language. Journal of

    Psycholinguistic Research, 4(6), 489-506.

    Brooks, P. J., & Tomasello, M. (1999). How children constrain their argument structure

    constructions. Language, 75(4), 720-738.

    Bybee, J. (2008). Usage-based grammar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n P. Robinson

    & N. C. Ellis (Eds.), Handbook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pp. 216-236). New York: Routledge.

    Bybee, J. (2010). Language, usage, and cogni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senhiser, D. M., & Goldberg, A. E. (2005). Fast mapping between a phrasal form and

    meaning. Developmental Science, 8(6), 500-508.

    Chang, F., Dell, G. S., & Bock, K. (2006). Becoming syntactic. Psychological Review,

    113(2), 234-272.

    Chang, F., Dell, G. S., Bock, K., & Griffin, Z. M. (2000). Structural priming as implicit

    learning: A comparison of model of sentence production. Journal of

    Psycholinguistic Research, 29, 217-229.

    Cleland, A. A., & Pickering, M. J. (2003). The use of lexical and syntactic information in

    language production: Evidence from the priming of noun-phrase structure.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49(2), 214-230.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New York:

    Academic Press.

    Ellis, N. C. (2002a). Frequency effects in language processing: A review with implications

    for theories of implicit and explicit language acquisition.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24, 143-188.

    Ellis, N. C. (2002b). Reflections on frequency effects in language processing.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24, 297-339.

    Ellis, N. C. (2009). Optimizing the input: Frequency and sampling in usage-based and

    form-focused learning. In M. H. Long & C. J. Doughty (Eds.), The handbook of

    language teaching (pp. 139-157). Oxford: Blackwell.

    Ferreira, V. S. (2003). The persistence of optional complementizer production: Why saying

    ‘that’ is not saying ‘that’ at all.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48(2), 397-398.

    Goldberg, A. E., Casenhiser, D. M., & Sethuraman, N. (2004). Learning argument

  • 통사 점화와 입력 분포 유형이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 153

    structure generalization. Cognitive Linguistics, 15(3), 289-316.

    Goldberg, A. E., Casenhiser, D. M., & White, T. R. (2007). Constructions as categories of

    language. New Ideas in Psychology, 25, 70-86.

    Goldschneider, J. M., & DeKeyser, R. M. (2001). Explaining the “natural order of L2

    morpheme acquisition” in English: A meta-analysis of multiple determinants.

    Language Learning, 51, 1-50.

    Hartsuiker, R. J., Bernolet, S., Schoonbaert, S., Speybroeck, S., & Vanderelst, D. (2008).

    Syntactic priming persists while the lexical boost decays: Evidence from written

    and spoken dialogue.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58(2), 214-238.

    Hartsuiker, R. J., & Kolk, H. H. J. (1998). Syntactic persistence in Dutch. Language and

    Speech, 41, 143-184.

    Hartsuiker, R. J., Kolk, H. H. J., & Huiskamp, P. (1999). Priming word order in sentence

    production.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52A(1), 129-147.

    Huttenlocher, J., Vasilyeva, M., & Shimpi, P. (2004). Syntactic priming in young children.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50, 182-195.

    Lee, S.-K. (2008). Salience, frequency, and aptitude in the learning of unaccusativity in a

    second language: An input enhancement stud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Honolulu.

    Lee, S.-K., Miyata, M., & Ortega, L. (2008, October). A usage-based approach to

    overpassivization: The role of input and conceptualization biases. Paper presented

    at the 26th Second Language Research Forum, Honolulu, HI.

    McDonough, K., & Kim, Y. (2009). Syntactic priming, type frequency, and EFL learners’

    production of wh-questions. The Modern Language Journal, 93(3), 386-398.

    McDonough, K., & Mackey, A. (2008). Syntactic priming and ESL question development.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30, 31-47.

    McDonough, K., & Nekrasova-Becker, T. (2014). Comparing the effect of skewed and

    balanced input o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learners’ comprehension of the

    double-object dative construction. Applied Psycholinguistics, 35(2), 419-442.

    McDonough, K., & Trofimovich, P. (2009). Using priming methods in second language

    research. New York: Routledge.

    McDonough, K., & Trofimovich, P. (2013). Learning a novel pattern through balanced and

    skewed input. Bilingualism: Language and Cognition, 16(3), 654-662.

    Messenger, K., Branigan, H. P., & McLean, J. F. (2011). Evidence for (shared) abstract

    structure underlying children’s short and full passives. Cognition, 121(2), 268-274.

    Nakamura, D. (2012). Input skewedness, consistency, and order of frequent verbs in

    frequency-driven second language construction learning: A replication and

    extension of Casenhiser and Goldberg (2005) to adult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nternational Review of Applied Linguistics in Language Teaching, 50(1), 1-37.

  • 154 신선화 · 이상기

    Nitschke, S., Serratrice, L., & Kidd, E. (2014). The effect of linguistic nativeness on

    structural priming in comprehension. Language, Cognition and Neuroscience,

    29(5), 525-542.

    Pickering, M. J., & Branigan, H. P. (1999). Syntactic priming in language production.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3(4), 136-141.

    Rowland, C. F., Chang, F., Ambridge, B., Pine, J. M., & Lieven, E. V. M. (2012). The

    development of abstract syntax: Evidence from structural priming and the lexical

    boost. Cognition, 125(1), 49-63.

    Savage, C., Lieven, E., Theakston, A., & Tomasello, M. (2006). Structural priming as

    implicit learning in language acquisition: The persistence of lexical and structural

    priming in 4-year-olds. Language Learning and Development, 2(1), 27-49.

    Scheepers, C. (2003). Syntactic priming of relative clause attachments: Persistence of

    structural configuration in sentence production. Cognition, 89, 179-205.

    Sung, M.-J., & Lee, S.-K. (2013, July). Effect of types of input distribution on the learning

    of grammatical rules by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per presented at the

    2013 KATE International Conference, Seoul.

    Year, J., & Gordon, P. (2009). Korean speakers’ acquisition of the English ditransitive

    construction: The role of verb prototype, input distribution, and frequency. The

    Modern Language Journal, 93(3), 399-417.

    적용가능 수준(Applicable levels): 초등(Elementary)

    신선화

    부산남천초등학교

    부산 수영구 남천서로 14

    Phone: 051-610-3702

    Email: [email protected]

    이상기

    한국교원대학교 영어교육과

    충북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태성탑연로 250

    Phone: 043-230-3513

    Email: [email protected]

    Received in March 1, 2015

    Reviewed in April 15,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in May 15, 2015

    /ColorImageDict > /JPEG2000ColorACSImageDict > /JPEG2000ColorImageDict > /AntiAliasGrayImages false /CropGrayImages true /GrayImageMinResolution 300 /Gray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GrayImages true /GrayImageDownsampleType /Bicubic /GrayImageResolution 300 /GrayImageDepth -1 /GrayImageMinDownsampleDepth 2 /Gray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GrayImages true /GrayImageFilter /DCTEncode /AutoFilterGrayImages true /GrayImageAutoFilterStrategy /JPEG /GrayACSImageDict > /GrayImageDict > /JPEG2000GrayACSImageDict > /JPEG2000GrayImageDict > /AntiAliasMonoImages false /CropMonoImages true /MonoImageMinResolution 1200 /Mono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MonoImages true /MonoImageDownsampleType /Bicubic /MonoImageResolution 1200 /MonoImageDepth -1 /Mono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MonoImages true /MonoImageFilter /CCITTFaxEncode /MonoImageDict > /AllowPSXObjects false /CheckCompliance [ /None ] /PDFX1aCheck false /PDFX3Check false /PDFXCompliantPDFOnly false /PDFXNoTrimBoxError true /PDFXTrimBoxToMedia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SetBleedBoxToMediaBox true /PDFXBleedBoxToTrim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OutputIntentProfile (None) /PDFXOutputConditionIdentifier () /PDFXOutputCondition () /PDFXRegistryName () /PDFXTrapped /False

    /CreateJDFFile false /Description > /Namespace [ (Adobe) (Common) (1.0) ] /OtherNamespaces [ > /FormElements false /GenerateStructure false /IncludeBookmarks false /IncludeHyperlinks false /IncludeInteractive false /IncludeLayers false /IncludeProfiles false /MultimediaHandling /UseObjectSettings /Namespace [ (Adobe) (CreativeSuite) (2.0) ] /PDFXOutputIntentProfileSelector /DocumentCMYK /PreserveEditing true /UntaggedCMYKHandling /LeaveUntagged /UntaggedRGBHandling /UseDocumentProfile /UseDocumentBleed false >> ]>> setdistillerparams> setpage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