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리포트 263호 total

31

Upload: nasmedia

Post on 06-Jan-2017

661 views

Category:

Marketing


1 download

TRANSCRIPT

263

디지털 미디어 & 마켓 이슈

NOV

디지털 미디어 & 마켓 이슈

MEDIA ISSUE

A. 네이버, 글로벌매출성장으로3분기실적1조원돌파

B. 네이버, 조직개편단행‘네이버3.0’ 시대개막

C. 다음앱, 개인맞춤콘텐츠배달서비스출시

D. 구글, 광고사업강세로3분기매출20% 증가

E. 페이스북, 페이지에신규기능추가및‘그룹둘러보기’도입

F. 페이스북, 신규서비스플랫폼‘마켓·워크플레이스’런칭

G. 캐시슬라이드, 오토뷰와콘텐츠모아보기기능업데이트

MARKET ISSUE

H. 스마트폰을통한방송프로그램시청행태(1), (2)

디지털 미디어 & 마켓 이슈263

8,914 9,373 9,873 1조 131

2,252 2,568 2,727 2,823

2015 4Q 2016 1Q 2016 2Q 2016 3Q

매출 영업이익

www.nasmedia.co.kr Copyright ⓒ NASMEDIA Co., LTD. All Right Reserved

네이버는 국내 인터넷 기업 최초로 분기 매출 1조 원을 달성, 대표적인 네이버의 글로벌 서비스 라인은 약 3,909억 원의 매출 기록

: 네이버는’15년 3분기대비매출 약 20.5% 증가한1조 131억 원을기록하며분기실적1조 원 시대를개막

: 네이버3분기 모바일매출비중은약64%로 지속적으로확대되고있으며 해외매출비중은37%로 2분기대비2%p 상승

: 글로벌메신저서비스라인은 3분기매출약 359억 엔(한화약 3,909억 원)을기록했으며특히광고사업부분의매출이지속적으로증가를나타냄

네이버 3분기 매출 현황 라인 매출 및 이용 현황

*Source : 네이버 IR 자료 및 관련 기사 내용

57% 60% 62% 64%

33%36% 35% 37%

2015 4Q 2016 1Q 2016 2Q 2016 3Q

모바일매출비중 해외매출비중

33% 35% 37% 40%

24% 23% 22% 20%

36% 35% 34% 30%

2015 4Q 2016 1Q 2016 2Q 2016 3Q

Ads Communication Content Others

(단위: 억 원)

네이버 글로벌 메신저 서비스 ‘LINE’

2016년 3분기 매출액 약 359억 엔(한화 약 3,909억 원)

월간 실사용자 수(MAU) 2억 2,000만 명(일본/대만/태국/인도네시아 MAU 1억 6,200만 명)

라인 사업 영역별 매출 비중(2015.4Q -2016.3Q)l

263 디지털 미디어 & 마켓 이슈

www.nasmedia.co.kr Copyright ⓒ NASMEDIA Co., LTD. All Right Reserved *Source : 관련 서비스 페이지 및 기사 내용

네이버, 8년 만에 IT 서비스 전문가로 CEO 교체 단행, 유럽 및 북미 시장 진출에 집중할 전망

: 네이버는8년 간네이버를안정적으로성장시킨김상현대표를대신해서비스영역전문가인한성숙부사장을차기대표로내정

: 또한, 네이버를창설한이해진의장도의장직을사퇴하고유럽에건너가네이버의유럽진출에매진할예정

: 네이버는지속적인성장을통해 국내1위 IT 기업으로서입지를다졌던2.0 시대를지나글로벌진출을본격화하는3.0 시대를개막함

네이버 연혁 및 조직 개편 주요 인물

• 엠파스 검색 사업 본부장, 네이버 서비스 총괄 이사를 거친 서비스 영역 전문가• 네이버의 PC 중심 서비스의 축을 모바일로 변화시켰으며, 브이(V) 라이브 등미디어 트렌드에 맞춘 신규 서비스 및 사업 영역 개척에 적극적일 것으로 예상

한성숙 부사장 ‘글로벌 진출을 위한 서비스 전문가’

•네이버에 대한 시장 독점 및 지배력 남용, 고포류를 중심으로 하는 한게임의 사행성논란에도 적절한 대처를 통해 8년간 네이버의 성장을 이끌었으며 퇴임 후 경영 자문으로 네이버의 성장을 지원할 전망

김상헌 대표 ‘네이버 8년간 성장 시킨 관리형 리더’

• 네이버의 창업과 성장을 이끌어온 리더• 이해진 의장은 의장직을 사퇴하고 네이버의 미개척 지역인 유럽 및 북미 시장으로진출을 위한 교두보 마련 및 글로벌 사업 영역 확장에 집중할 예정

이해진 의장 ‘의장직 사퇴 후 유럽 및 북미 시장 개척 매진’

네이버 1.0(태동&성장)

1999년 검색포털 네이버 서비스 시작

2000년 한게임과 합병 결정

2001년 NHN으로 사명 변경

2002년 코스닥 상장으로 증시 입성

2004년 네이버 웹툰 서비스 시작

2005년 미국 법인 NHN USA 설립

네이버 2.0(안착)

2007년 일본 법인 네이버 재팬 설립

2008년 코스피로 이전 상장

2009년 NHN 기업 분할, 'NHN 비즈니스 플랫폼' 출시

2011년 메신저앱 '라인' 출시

2012년 TV캐스트 오픈

2013년 네이버로 사명 변경, 한게임 인적 분할

2015년 네이버페이, 방송 플랫폼 '브이' 출시

네이버 3.0(글로벌진출)

2016년 라인주식회사 뉴욕&도쿄 증시 상장

2017년이해진 의장, 김상헌 대표 퇴임 예정한성숙 서비스 총괄 신임 대표 취임 예정

263 디지털 미디어 & 마켓 이슈

www.nasmedia.co.kr Copyright ⓒ NASMEDIA Co., LTD. All Right Reserved *Source : 관련 기사 내용

카카오, 포털 영역 강화의 일환으로 다음앱을 통해 콘텐츠를 피드 형태로 볼 수 있는 ‘딜리버리’ 서비스 공개

: 카카오에따르면다음앱은연간 약 200만 이상의새로운주간활성이용자(WAU)를확보하며지속적인성장세를나타냄

: 카카오는다음앱에딜리버리버튼을추가하고카카오의다양한플랫폼을통해생성된콘텐츠를이용자의관심사를반영해배달및 추천해주는서비스를런칭

: 카카오는딜리버리서비스를시작으로지속적으로포털및 콘텐츠영역 강화를위해노력할것으로보임

다음 콘텐츠 배달 서비스 ‘딜리버리’

다음 ‘딜리버리’ 서비스 오픈

• 카카오는 다음앱을 통해 개인의 관심사에 따라 다양한 주제의 채널을선택해 피드 형태로 받아볼 수 있는 ‘딜리버리’ 버튼 생성

• 채널은 카카오가 보유한 플랫폼을 통해 생산되는 다양한 콘텐츠를주제별로 묶어 현재 약 150개 채널 운영• 신청한 콘텐츠 외에도 이용자의 콘텐츠 이용 패턴을 통해 추천 콘텐츠를

제공하며, 알림 설정을 통해 특정 콘텐츠는 팝업 형태로 실시간 확인 가능

• 딜리버리 서비스를 받기 위해 선택한 채널의 콘텐츠는 피드 형태로 제공

다음앱 검색창 우상단에 딜리버리 버튼 추가

채널 선택, 추천 및 알림 설정 가능

선택 콘텐츠 피드 형태로 확인

l

l

l

263 디지털 미디어 & 마켓 이슈

www.nasmedia.co.kr Copyright ⓒ NASMEDIA Co., LTD. All Right Reserved *Source : 관련 기사 내용

구글(알파벳), 모바일 광고 및 유튜브 사업 부문 호조로 3분기 매출 약 224억 5천 만 달러(한화 약 26조 1500억 원) 기록

: 구글의3분기 매출은’15년 동기 대비약 20.2% 증가한약224억 5천만 달러를기록

: 구글의3분기 광고사업매출은약 198억 2천 만 달러(한화약 23조)로총 매출의약 89.1%를 차지함

: 구글은모바일광고사업과유튜브를중심으로한 동영상영역의지속적인성장을위해다양한서비스를신규개발하고도입할것으로보임

구글 3분기 매출 및 광고 매출 현황

186억 8천 만

224억 5천 만

50억 6천 만39억 8천 만

2015 3Q 2016 3Q

매출 순이익(단위: 달러)

구글 광고 수익 약 198억 2천만 달러(한화 약 22조 7534 억 원)

구글(알파벳) 3분기 광고 사업 매출 현황

총 매출 대비 광고 매출 비중 약 89.1%(2분기 89.8%)

263 디지털 미디어 & 마켓 이슈

www.nasmedia.co.kr Copyright ⓒ NASMEDIA Co., LTD. All Right Reserved

페이스북은 페이지 기능 업데이트를 통해 기업과 고객의 연결을 강화하고, 이용자들의 관심 영역을 반영한 ‘그룹 둘러보기’ 기능 공개

: 페이스북은페이지의이벤트 기능및행동 유도버튼개선을통해전 세계 약 6,000만이넘는비즈니스와소비자들의연결을돕는개편을진행

: 또한, 이용자들이활동하는다양한그룹을주제별로쉽게검색하고이용할수 있는‘그룹 둘러보기’를도입해관심사중심의콘텐츠영역을강화함

*Source : 관련 기사 내용

페이스북 페이지 신규 기능 페이스북 ‘그룹 둘러보기’ 기능

페이지 추천 받기 기능 이벤트 북마크 기능 페이지 행동 유도 버튼

페이스북 페이지 신규 기능 추가l• 추천 받기 기능 : 맛집이나 관광명소에 대해 문의 내용을 게시하면 친구나 지인이 댓글로 추천하는

장소를 지도상에서 확인• 이벤트 북마크 기능 : 자신의 주변에서 진행되고 있는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살펴볼 수 있으며, 친구나

이벤트 주최자들로 부터 특정 이벤트에 대한 최신 소식을 받아볼 수 있음• 행동 유도 버튼 : 모바일에 최적화된 행동 유도 버튼을 통해 예약 및 문의 등 가능

페이스북 ‘그룹 둘러보기’ 기능 도입l• 페이스북은 모바일앱의 더보기 탭을 통해 전 세계 이용자들이 활동하는 다양한 그룹을주제 별로 검색 및 가입 가능• 음식, 스포츠, 취업/구직, 여행 등 총 25개 주제 별 그룹을 제공하며, 친구가 가입한 그룹이나

주변의 사람들이 활동 중인 그룹을 추천하는 기능 제공

263 디지털 미디어 & 마켓 이슈

www.nasmedia.co.kr Copyright ⓒ NASMEDIA Co., LTD. All Right Reserved

페이스북 쇼핑과 비즈니스 영역 강화를 위한 새로운 플랫폼을 공개하며 서비스 이용자의 체류 시간 확대 유도

: 페이스북은SNS를 통해주변 이용자들과상품을거래할수 있는마켓플레이스공개

: 또한, 기업전용SNS 서비스인워크플레이스를런칭하여비즈니스전문플랫폼영역에도진출

: 페이스북은다양한서비스영역으로진출을가속화하며,이용자의방문을 유도하고서비스이용시간을확대하는전략을 지속적으로유지할전망

*Source : 관련 기사 내용

페이스북 쇼핑·비즈니스 신규 플랫폼

Shopping Business

페이스북을 통한 이용자간 물품 거래 플랫폼 ‘마켓플레이스’ 공개l• 페이스북 마켓플레이스는 하단 버튼 클릭 시 알고리즘을 통해 이용자가 관심 가질만한상품을 자동으로 화면에 노출• 머신러닝을 통해 그간의 사용자 성향을 자동으로 파악한 페이스북이 물품을 자동으로선정하며, 메신저 기능을 통해 흥정도 가능

* 현재 미국, 영국, 호주, 뉴질랜드에서 만 이용 가능

페이스북 기업용 SNS ‘워크플레이스’ 출시l• 페이스북 워크플레이스는 채팅 외에 문서와 동영상을 공유하는 기능을 탑재• 그룹을 만들어 사용자 간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제공• 현재 선착순으로 1000명까지는 월 3달러의 요금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1001명 부터 1만 명

까지는 월 2달러, 그 이후부터는 월 1달러를 내면 이용 가능(비영리 기관과 학교는 무료)

263 디지털 미디어 & 마켓 이슈

www.nasmedia.co.kr Copyright ⓒ NASMEDIA Co., LTD. All Right Reserved *Source : 서비스 페이지 및 관련 기사 내용

국내 1위 모바일 잠금 화면 리워드 앱 ‘캐시슬라이드’는 신규 기능 업데이트를 통해 지속적인 이용자 유입 유도

: 2012년 런칭한캐시슬라이드는연 매출약 600억 원을돌파, 1,500만 누적다운로드를기록하는등 대표적인모바일잠금화면 서비스로자리매김함

: 캐시슬라이드는사용자의별도 조작없이잠금화면에서영상을자동시청하는‘오토뷰’ 기능과콘텐츠를캐시슬라이드앱에서모아보는기능을업데이트

: 캐시슬라이드는지속적인콘텐츠영역개선을통해단순한리워드앱에서 모바일콘텐츠플랫폼으로영역을확장하기위해꾸준히노력할것으로예상됨

캐시슬라이드 이용 현황 캐시슬라이드 신규 업데이트 기능

954,002

6,070,959

캐시슬라이드 순이용자(UV) 변화(2012-2016)

2012/11 2016/10

연 매출 약 600억 돌파 약 1500만 다운로드 일 약 2억 View 기록

캐시슬라이드 ‘오토뷰(AutoView)’와 콘텐츠 모아보기 기능 공개l• 오토뷰 기능을 통해 잠금화면에서 영상을 자동 시청하며, 시청 완료 시 포인트 적립• 콘텐츠 모아보기는 잠금화면에 노출된 6개의 카테고리 콘텐츠를 최신 순으로 확인 가능

263 디지털 미디어 & 마켓 이슈

27%

40.1%

실시간 비실시간(VOD)

26.7

35.327.4

45.1

실시간 비실시간(VOD)

남성 여성

www.nasmedia.co.kr Copyright ⓒ NASMEDIA Co., LTD. All Right Reserved *Source : 방송통신위원회 조사결과 및 관련 기사

방송통신위원회는 스마트폰 시청기록 시범조사 결과를 발표, 스마트폰을 통한 방송프로그램 시청 시 VOD 이용률이 실시간 보다 높게 나타남

: 방송통신위원회는5,059명(13세이상, 스마트폰이용패널 : 4,768명 / PC 이용패널 : 3,681 명)의스마트폰을통한 방송 프로그램시청행태조사결과를발표

: 조사내용에따르면, 스마트폰을통한방송프로그램시청시비실시간(VOD) 서비스시청비율은40.1%로 실시간시청 비율대비13.1%p 높게 나타남

: 실시간시청비율은40-50대가 젊은층대비높은반면, 비실시간(VOD) 시청은10-20대가 상대적으로높음

스마트폰을 통한 방송 프로그램 시청 이용 현황

스마트폰을 통한 실시간/비실시간(VOD) 시청비율l 연령별 스마트폰을 통한 실시간/비실시간(VOD) 시청비율l

성별 스마트폰을 통한 실시간/비실시간(VOD) 시청비율l

22.5

46.2

22

41.5

28.3

39.7

32.2

41.8

28.7

33.6

22.6

30.5

실시간

비실시간(VOD)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단위: %)

(단위: %)

263 디지털 미디어 & 마켓 이슈

www.nasmedia.co.kr Copyright ⓒ NASMEDIA Co., LTD. All Right Reserved

실시간 방송프로그램은 DMB로 시청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VOD는 앱으로 시청하는 비율이 가장 높음

: 방송프로그램시청경로는실시간의경우DMB가 17.3%로가장높은이용비중을보였으며비실시간(VOD)의경우 모바일앱이32.4%로 가장높게나타남

: 실시간을통해주로이용하는프로그램은오락(19%), 정보보도(18.8%)이며, 비실시간(VOD)은오락(34.4%),드라마(26%)로조사됨

스마트폰을 통한 방송 프로그램 시청 이용 현황

스마트폰을 통한 실시간/비실시간(VOD) 시청 경로l 프로그램별 스마트폰을 통한 실시간/비실시간(VOD) 시청비율l

15.4

32.4

17.3 0.3

20

실시간

비실시간(VOD)

App DMB Web (단위: %)

14.9

26

19

34.4

3.3

2.5

18.8

21

11.7

2.4

실시간

비실시간(VOD)

드라마 오락 어린이 정보보도 기타 (단위: %)

*Source : 방송통신위원회 조사결과 및 관련 기사

신규 매체 & 신규 광고 상품

263NOV

신규 매체 & 신규 광고 상품

1. 여행 관심 유저 타겟 매체

- 카약

2. 스팸/보이스피싱 번호 차단 매체

- 후스콜

3. SNS 바이럴 매체

- 미디언스(구, 버즈넷)

4. Wi-Fi 광고 매체

- 와플(SPC매장)

신규 매체 & 신규 광고 상품263

매체 현황

주요 상품 설명

카약최저가 항공, 숙박, 렌터카 등 여행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글로벌 여행 서비스 매체로

여행에 관심이 높은 타겟 유저를 다수 보유중이며, 국내/외 해당 타겟 캠페인 집행 시 용이

• 특징 :

1) 글로벌 매체이나, 한국 담당자가 있어 원활한 캠페인 집행 가능

2) PC/MO 모두 집행 가능하여 노출량 확보에 용이하며, 집행 시 높은 효과 기대

• 형태 : 어플리케이션(Android│iOS)

• 매체력 : 누적 다운로드 5,000만(기준: 글로벌), 기타 데이터 대외비

• 타겟팅 : 나라, 공항

• 판매방식 : CPC, CPM(태블릿만 가능)

• 주요 광고상품 : 일반 배너, 인라인 배너 등* 모든 타겟팅은 출발지 및 도착지 기준

- MO - - Tablet - - PC -

<항공권 메인 프론트 도어>PC 진입 후, 초기 화면 우측 하단 노출

<모바일 앱 항공권 인라인>검색결과 상단 노출

<태블릿 웹 DA>검색결과 우측 하단 노출

<태블릿 앱 항공권 인라인>검색결과 상단 노출

<모바일 웹 DA>검색결과 하단 배너 노출

신규 매체 & 신규 광고 상품263

매체 현황

주요 상품 설명

후스콜스팸/보이스피싱 번호 차단 앱으로, "후후" 매체와 동일한 서비스 성격 보유

유사 타 매체 대비 다양한 상품 및 타겟팅을 보유하여 효과적인 캠페인 집행 가능

• 특징 :

1) 유사 타 매체 대비 상품이 다양하며, 광고 가독성도 높아 단가는 높은 편

2) 오디언스 타겟팅이 가능하여 유사 타 매체 대비 높은 효율 기대 (타겟팅 시 모수 확인 필수)

• 형태 : 어플리케이션(Android)

• 매체력 : 누적다운로드 1,000만+, MAU 600만, 전화번호 식별 15억건/월

• 타겟팅 : 요일, 시간대, 전화번호 카테고리, 관심사

• 판매방식 : CPC, CPM

• 주요 광고상품 : 콜 다이얼로그 배너, 콜 엔드 배너, 콜 엔드 하단 배너 등

- 콜 다이얼로그 배너 - - 콜 엔드 하단 배너 - - 종료 배너 -

전화 수, 발신 시 콜카드 영역하단로고/브랜드명/하단배너 노출

- 콜 엔드 배너 -

<브랜드배너>전화 종료 팝업 정보 화면 내

광고 노출 (Only 패키지 구매)

<심플배너>전화 종료 팝업 정보

하단 배너 노출

전화 종료 시 팝업화면 하단 노출

SMS 수신 시 미리보기팝업 화면 하단 노출

신규 매체 & 신규 광고 상품263

매체 현황

주요 상품 설명

미디언스(구, 버즈넷)페이스북 인기 페이지 내 컨텐츠를 게시하여 유저에게 광고 노출이 가능한 매체로

국내 최대 규모의 페이스북 페이지 네트워크를 보유 중인 것이 특징

• 특징 :

1) 유사 매체 대비 저렴한 단가(10원~30원 수준)를 개런티하여 캠페인 집행 시 높은 효과 기대

2) 해당 매체 집행 시, 인스타그램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자체 매체를 옵션으로 집행 가능

• 형태 : 페이스북 인기페이지 애드네트워크

• 매체력 : 페이스북 인기 페이지 약 700여 개, 누적 구독자 수 1억 4천만

• 타겟팅 : 불가

• 판매방식 : CPV, CPR(Cost Per Reach)

• 주요 광고상품 : 컨텐츠바이럴

- 외식업종 - - 자동차업종 -

외식업체 신규 상품 런치 홍보 영상으로푸드 및 정보 커뮤니티 중심의 컨텐츠바이럴 진행

채널 44개

노출 570만

조회 110만

CPV 17원

채널 15개

노출 640만

조회 48만

CPV 20원

신차 출시 홍보를 위한 패러디 형식의 영상으로자동차, 직장인, 유머 커뮤니티 중심의 컨텐츠바이럴 진행

신규 매체 & 신규 광고 상품263

매체 현황

주요 상품 설명

와플(SPC매장)주요 상권 SPC 매장 이용객을 대상으로 무료 와이파이를 제공하며, 와이파이 이용 시 광고 노출

1030세대 비중이 높아 해당 타겟 캠페인 집행 시 용이

• 특징 :

1) 식/음료, 동종 프랜차이즈 업계 광고 불가

2) 타 매체대비 높은 CTR을 보유하여, 해당 KPI를 증대시키고자 할 때 용이

• 형태 : 웹사이트(WiFi 연결 시 노출)

• 매체력 : 광고 가능 매장 5,700여개(서울,경인지역 매장 다수 보유)

• 타겟팅 : 요일, 시간

• 판매방식 : CPC

• 주요 광고상품 : Wi-Fi AD

- WiFi AD 노출 프로세스 -

이용하고자 하는 와플SSID를 선택

자동으로연동 랜딩페이지 노출

<광고 유형>

배너광고전면사이즈 이미지 노출

광고 시청 후클릭을 통해 WiFi 연결

비디오광고(4Q 중 출시 예정)동영상 광고 노출

디지털 미디어 광고사례

263NOV

디지털 미디어 광고 사례

Internet : A. LG전자–트롬스타일러

IPTV : B. 소니코리아–알파7 II

263 디지털 미디어 광고 사례_Internet

www.nasmedia.co.kr Copyright ⓒ 2016 NASMEDIA Co., LTD. All Right Reserved

Campaign Result

A. LG전자–트롬 스타일러

· Target : 25-44세 남녀

· Period : 2016년 9월 12일 ~ 10월 7일

· Media : 유튜브, SMR, 페이스북, 네이버, 캐시슬라이드

Campaign Creative

- ‘옷들의 대화’를 주제로 트롬 스타일러의 특장점 및 필요성을 소개하는 영상 중심의 캠페인 집행

- 타깃 연령의 미디어 이용 행태를 고려한 캠페인 목표별 매체, 상품, 타깃팅 구사

- 영상 조회수 및 클릭 반응률 측면에서로 우수한 효과 기록

1) 1분 25초라는 상대적으로 긴 영상임에도 불구하고 참신한 소재와 내용 전개로

광고 접촉자의 주목도 확보, 유튜브 및 SMR을 통해 30초 이상 재생한 우수한 조회수 확보

2) 페이스북과 네이버는 영상 노출이 가능한 상품 활용 및 연령 타깃팅을 적용하여,

타깃 커버리지 확보와 동시에 이벤트 페이지 유입을 효과적으로 유도

3) 이벤트 참여 확대를 위해 검색 이용자 대상으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고,

캐시슬라이드 전면 배너를 통해 메시지 전달하여 제안 대비 높은 유입 달성

*Source : 나스미디어 내부 자료

트롬 스타일러의 브랜딩 강화 및 이벤트 참여 극대화를 목표로

동영상, SNS, 포털, 모바일 상품을 전략적으로 활용

263 디지털 미디어 광고 사례_Internet

www.nasmedia.co.kr Copyright ⓒ 2016 NASMEDIA Co., LTD. All Right Reserved

LG전자–트롬 스타일러

[영상 노출 최적화]

[영상 노출 & 이벤트 페이지 유입 유도]

[이벤트 페이지 유입 유도]

<유튜브> <SMR>

<네이버>

<페이스북>

<캐시슬라이드> <네이버 - 브랜드검색>

: 영상 공유수 확보를 통한 브랜딩 강화

: 연령 타깃팅 적용한 동영상 상품 집행타깃 커버리지 및 이슈화 유도

: 이벤트 정보 노출로 참여 유도

263 디지털 미디어 광고 사례_IPTV

www.nasmedia.co.kr Copyright ⓒ 2016 NASMEDIA Co., LTD. All Right Reserved

Campaign Result

B. 소니코리아 – 알파7 II

· Target : 전체

· Period : 2016년 9월 07일 ~ 9월 30일

· Media : TV PrePlay+

Campaign Creative

*Source : 나스미디어 내부 자료

- 소니코리아는 풀프레임의 초경량 카메라 알파7 II에 대한 브랜딩 광고 집행

- 타깃 도달을 높이기 위한 olleh TV 매체 선택, 타깃 선호도가 높은 프로그램을 타깃팅 할 수 있는

PrePlay+ 집행하여 효율적인 브랜드 메시지 전달

1) 소니코리아는 알파7 II의 브랜드 재인지 목적으로 제품의 고사양 기능 강조 및

자유롭고 역동적인 이미지를 전달하는 크리에이티브 제작

2) 구매력 높은 30-40대 남성 대상으로 광고 노출 극대화를 목표로

무한도전, 라디오스타, 1박 2일, 런닝맨 등 타깃 시청이 높은 프리미엄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VOD 시청 전에 광고를 노출

3) 적확한 타깃군에게 주목도 높은 광고 노출로 효과적인 브랜드 메시지 및 이미지 전달

알파7 II 카메라의 고사양 기능을 강조한 크리에이티브

구매력 높은 30-40대 남성 타깃으로 olleh tv PrePlay+ 상품 집행

263 디지털 미디어 광고 사례_IPTV

www.nasmedia.co.kr Copyright ⓒ 2016 NASMEDIA Co., LTD. All Right Reserved

소니코리아 – 알파7 II

[olleh tv PrePlay+ - 프로그램 타깃팅]

# 고사양 카메라 관심

# 경제력 有

# 30-40대 남성

• 무한도전• 라디오스타• 나혼자산다• 1박 2일• 런닝맨• 정글의 법칙

...

# 타깃 선호가 높은

프리미엄 프로그램

타깃팅

# 5축 손떨림 보정 #초경량 풀프레임 556g

# [미러리스의 추월] #α7 II

VOD 시청자 대상으로 브랜드 메시지 전달

글로벌 주요 이슈_구매에 미치는 디지털의 영향력

263NOV

글로벌 주요 이슈

구매에 미치는 디지털의 영향력

A. 오프라인 구매에 미치는 디지털 영향력

B. 구매 단계별 디지털 영향력

C. 제품 카테고리별 디지털 영향력

글로벌 주요 이슈_구매에 미치는 디지털의 영향력263

www.nasmedia.co.kr Copyright ⓒ 2016 NASMEDIA Co., LTD. All Right Reserved

• 조사 목적- 구매에 미치는 디지털의 영향력 조사

• 조사 주체- 딜로이트

• 조사 기간- 2016년 4월 25일 ~ 5월 5일

• 조사 방법- 미국 소비자 5,014명 대상- 온라인 설문조사

263

www.nasmedia.co.kr Copyright ⓒ 2016 NASMEDIA Co., LTD. All Right Reserved

딜로이트의 최근 연구에 의하면 디지털이 소비자의 오프라인 구매(in-store purchase)에 미친 영향력은 56% 수준으로

구매액 1달러 당 0.56 달러에 영향을 미침

전년 대비 증가세가 감소하기는 했지만, 디지털 특히 모바일이 오프라인 구매에 미치는 영향력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음

[오프라인 구매에 미치는 디지털 영향력]

* 출처 : The new digital divide – The future of digital influence in retail, Deloitte University Press (2016)

14%

36%

49%

56%

5%

19%

28%

37%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2013 2014 2015 2016

디지털 영향력

모바일 영향력

글로벌 주요 이슈_구매에 미치는 디지털의 영향력

263

www.nasmedia.co.kr Copyright ⓒ 2016 NASMEDIA Co., LTD. All Right Reserved

[이용자의 구매 단계별 디지털이 영향을 미치는 순간]

디지털은 이용자의 구매 전 과정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구매 카테고리별로 영향을 미치는 단계가 다름

전자제품과 홈인테리어는 제품을 조사하고, 선택하고, 구매하는 과정에서 디지털의 영향력이 높음

자동차와 육아용품은 구매 이후의 반품/환불과 같은 서비스 단계에서 디지털 의존도가 높음

발견 검색/조사 선택/확인 구매/지불 구매 후 서비스

전자제품

자동차

홈 인테리어

* 출처 : The new digital divide – The future of digital influence in retail, Deloitte University Press (2016)

육아용품

글로벌 주요 이슈_구매에 미치는 디지털의 영향력

263

www.nasmedia.co.kr Copyright ⓒ 2016 NASMEDIA Co., LTD. All Right Reserved

[카테고리별 디지털 영향력]

전자제품 구매에 디지털이 미치는 영향력은 69%로 가장 높으며, 자동차 > 홈 인테리어 > 육아용품 순

식료품이나 건강 카테고리는 상대적으로 디지털의 영향력이 낮으나, 디지털 영향력이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함

69%

59%

58%

57%

52%

51%

46%

전자제품

자동차

홈 인테리어

육아용품

건강

화장품

식료품 ▲ 15%pVs 2015

▲ 13%pVs 2015

* 출처 : The new digital divide – The future of digital influence in retail, Deloitte University Press (2016)

글로벌 주요 이슈_구매에 미치는 디지털의 영향력

미디어전략실 트렌드전략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