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38
39권 제2, 2015 여름. pp. 153~190 * 본 연구는 2013년 정부(교육부)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NRF-2013S1A3A2053683)2015년도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아시아연구기반구축사업의 지원(#SNUAC-2015-010)받아 수행되었습니다.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 * 辛 範 植朴 相 硏 Ⅰ. 문제제기 Ⅱ. 협상이론과 이론적 틀 A. 협상력과 협상수준 B. 협상전략과 협상목표 Ⅲ. 나진항을 둘러싼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과정 A. 중국-북한의 협상과 러시아-북한의 협상과정 비교 B. 중국-북한, 러시아-북한의 협상에 대한 이론적 분석 IV. 결론 한글초록 이 글은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을 둘러싸고 발생한 중국과 러시아의 경쟁에 서 러시아가 우위를 점할 수 있었던 요인을 협상이론의 견지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해 나진항 관련 협상에서 러시아의 적극인 협상전략을 채택한 배경을 유추해본 . 협상이론에 따르면 행위자수준은 협상력과 전략적 선택 범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협상전략의 선택은 협상자의 협상목표와 밀접하게 관계된다. 나진항 3부두사용권을 둘러싸고 중국과 러시아는 행위자차원과 전략차원에서 차이를 보였 . 낮은 수준의 행위자 간의 협상이 이루어진 중-북 협상에서는 협상을 통해 기대 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행위자의 협상력이 부재했고, 전략적 조정도 일어나기 힘들었다. 반면 중앙정부 최고수준에서 협상을 전개한 러시아는 협상이 교착상태 에 빠지는 경우, 자국이 고수하던 입장에서 물러나는 수용전략을 사용함으로써 협 상을 지속시켰고, 최종적으로 나진항의 부두 사용권을 확보할 수 있었다. 본 연구 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나진항을 포함한 북--러 소지역의 협력과 경쟁의 동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행위자로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및 기업이 협상에서 담당하 는 역할과 목표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주장한다. 주제어 : 나진-하산 프로젝트, 협상이론, 러시아의 대북정책, 중국

Upload: votuyen

Post on 30-Jun-2018

215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pp 153~190

본 연구는 2013년 정부(교육부)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NRF-2013S1A3A2053683)과

2015년도 서울 학교 아시아연구소 아시아연구기반구축사업의 지원(SNUAC-2015-010)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러시아와 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상 략 비교

辛 範 植朴 相 硏

Ⅰ 문제제기

Ⅱ 협상이론과 이론적 틀

A 협상력과 협상수준

B 협상전략과 협상목표

Ⅲ 나진항을 둘러싼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과정

A 중국-북한의 협상과 러시아-북한의

협상과정 비교

B 중국-북한 러시아-북한의 협상에 대한

이론적 분석

IV 결론

한글초록 이 은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을 둘러싸고 발생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에

서 러시아가 우 를 할 수 있었던 요인을 상이론의 견지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해 나진항 련 상에서 러시아의 극인 상 략을 채택한 배경을 유추해본

다 상이론에 따르면 행 자수 은 상력과 략 선택 범 에 요한 향을

미치며 상 략의 선택은 상자의 상목표와 하게 계된다 나진항 3호

부두사용권을 둘러싸고 국과 러시아는 행 자차원과 략차원에서 차이를 보

다 낮은 수 의 행 자 간의 상이 이루어진 -북 상에서는 상을 통해 기

되는 목 을 달성할 수 있는 행 자의 상력이 부재했고 략 조정도 일어나기

힘들었다 반면 앙정부 최고수 에서 상을 개한 러시아는 상이 교착상태

에 빠지는 경우 자국이 고수하던 입장에서 물러나는 수용 략을 사용함으로써

상을 지속시켰고 최종 으로 나진항의 부두 사용권을 확보할 수 있었다 본 연구

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나진항을 포함한 북- -러 소지역의 력과 경쟁의 동학을

이해하기 해서는 행 자로서 앙정부와 지방정부 기업이 상에서 담당하

는 역할과 목표에 한 정확한 분석이 필수 이라는 을 주장한다

주제어 나진-하산 로젝트 상이론 러시아의 북정책 국

15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Ⅰ 문제제기

이 은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을 두고 경합했던 국과 러시아가

북한과 진행했던 상을 상이론의 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한 러

시아가 국과의 경쟁에서 우 를 하고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을 확

보하기 해 어떤 략 선택을 했는지를 살피고 러시아의 상 략이

내포하고 있는 러시아의 의도를 밝힐 것이다

나진항에는 총 3개의 부두시설이 있는데 그 3호 부두는 북한이 외

합작으로 활용하는 부두 가장 규모가 크고 컨테이 시설로도 용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요한 외 합작시설로 여겨졌다1) 그 기 때문에

낙후된 국 동북지방의 발 을 해 북한의 항만시설을 임차하여 출해권

을 확보하고자 했던 국이 가장 먼 근한 부두시설 역시 나진항 3호

부두 다 시베리아 횡단 열차와 한반도 횡단 열차의 연결 사업의 시작

으로 북한의 나진과 러시아의 하산을 연결하고자 했던 러시아 한 부

두의 사용권을 확보하기 해 북한과 개별 상을 진행했다2) 이러한 나진

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각축은 언론보도와 연구들을 통해 리 알

려지게 되었다3) 그런 상황에서 최종 으로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을

확보한 것은 러시아 다 재 러시아는 부두시설을 개조하고 북한의

1) 북한이 합작을 진행했고 실제로 국의 촹리그룹(創力團體)과 lsquo비공식rsquo 으로 합작을 하고

있는 나진항 1호 부두의 처리능력은 연간 50만톤인데 반해 3호 부두의 처리능력은 연간

100톤 가량이다 한편 재 나진항의 부두 시설은 총 3개이며 이 외합작에 활용되고

있는 것은 1호 부두와 3호 부두로 알려져 있다 안 능력이 150만톤으로 알려진 2호 부두

는 북한이 직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사항에 해 다음을 참조 안병민 ldquo 국

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

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1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115a092711shtml

2) 나진항에 한 국과 러시아의 근은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ndash63

3)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Jungwon Cho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7ndash5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55

나진과 러시아의 하산 사이의 철도 구간을 개보수한 후 러시아의 유연탄

을 남한으로 들여오는 lsquo나진-하산 로젝트rsquo의 시범 평가를 마치고 남한

과 본격 인 사업자간 상을 앞두고 있다4)

이 연구는 나진항에 한 국과 러시아의 근을 다룬 기존연구를 몇

가지 측면에서 보완하고자 한다 첫째 이 연구는 나진항과 련한 연구들

에서는 따로 논의되었던 국과 러시아의 입장 상과정을 나진항 3호

부두에 한 개별 상사례를 심으로 비교해보고자 한다 나진항 개발

련 사업은 한국이 북- -러 경 지역의 력에 참여할 수 있는 주요 사

업 의 하나이기 때문에 국내에서도 2000년 반부터 사실 계의 추

수와 국 러시아의 략에 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5)

특히 국과 러시아가 북- -러 경 지 에서 벌이고 있는 력과 경쟁의

동학을 다루는 연구들은 나진항에서 진행되고 있는 국과 러시아의 극

4) 김호 amp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5) 나진항 부두 사용권 련 황 연구는 주로 다음을 참조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ndash31 안병민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

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sdot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ndash47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

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27 Jin Cheol Jo and C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ndash50

국의 을 심으로 분석한 연구는 주로 다음을 참조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

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 13권

1호 2011 pp43ndash73 Nick Miller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Scott Snyder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ndash12 LC Russell Hsiao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ndash14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원

2009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러시아의 을 심으로 분석한 연구는 주로 다음을 참조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

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ndash78 나희승 ldquo남북 sdot 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20ndash34 Younkyoo Kim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ndash626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

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ndash303

15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인 개발에 한 황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의 은

주로 북- -러 경지 체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나진항을 개별사례

로 다루어서 연구를 진행하지는 않았다6) 그 기 때문에 -러의 경쟁이

실재했던 나진항 3호 부두의 개별사례를 심으로 국과 러시아의 근

략을 비교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권의 향방이

명확해진 나진항 3호 부두에 해서 국과 러시아의 근 방식의 차이를

상이론의 분석 틀을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국과 러시아의 상

략 상의 차이를 비교하고 부두사용권 상이라는 단일 사례가 국제정치

으로 지니는 함의를 보이고자 한다

둘째 이 연구는 국의 입장에서 나진항 3호 부두 확보 실패 원인에

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것에 비해 상 으로 간과되었던 러시아의 행

태 성공 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2008년 국이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던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이 러시아로 넘어가게 되면서 나진항에 한

국의 극 인 근에 해 심을 주목하던 학계와 언론은 왜 국이 나

진항 3호 부두를 확보하지 못했는지에 해 다양한 설명을 시도했다 외생

인 변수로 당시 북한의 핵실험으로 안보환경 북- 계가 악화되었

던 것이 요했다고 지 되었다7) 2006년 북한의 1차 핵실험에 한 국

정부의 강경한 응이 북- 계의 악화를 불러왔고 그런 가운데 북한

앙정부가 국이 확보한 항만경 권에 한 인 을 거부했다는 것이다

8) 일부 언론보도는 이러한 논의에서 더 나아가 북한의 개 개방 노선을 두

고 국과 북한이 오랫동안 갈등을 겪어왔다고 주장하기도 했다9) 내생

6) Cho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신범식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

과 동북아시아 지역정치rdquo

7)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 54 신범식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아 지

역정치rdquo p443 황진회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8) 북핵실험 이후 국의 이례 강경 응에 해서 다음을 참조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

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pp 340ndash341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11장

9)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57

인 변수로는 국정부의 심부족과 참여기업의 역량부족이 지 되었다

실제로 나진항의 항만사용권에 한 국 앙정부의 심은 상 기에

는 제한 이었다고 평가된다10) 한 일부 연구는 나선시 인민 원회와

합작회사를 운 하고자 했던 국기업의 실력이 부족했고 그로 인해 투

자유치 실 이 조했다는 에서 국의 부두사용권 확보 실패는 lsquo사업

상의 실패rsquo라고 진단했다11)

이와 같이 여러 연구를 통해 국의 실패요인이 분석된 데 반해 실제로

부두사용권을 확보하고 실질 인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러시아의 움직임

과 략은 상 으로 간과되고 있다12) 따라서 본 연구는 러시아의 상

략을 보다 구체 으로 살핌으로써 러시아가 단순히 -북의 상실패

상황에서 어부지리로 나진항의 부두 사용권을 확보한 것이 아니라는 을

보이고 러시아의 상을 성공시키기 해 택한 략을 살피는 한편 러시

아가 그런 략을 선택한 배경을 고찰할 것이다

이 같은 분석을 하기 해 본 연구는 상이론의 이론 성과들을 활용

할 것이다 특히 상수 을 확보함으로써 상력이 강해지고 상 략의

선택지가 많아질 수 있다는 을 상이론의 논의를 통해 보일 것이며

상 략과 상목표의 상 성을 설명한 이론을 활용하여 상자가 선택한

상 략을 통해 상자의 의도와 목표를 유추할 수 있는 이론 틀을 모

색해볼 것이다

10)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의 건설을 심으

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17ndash118

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

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pp61ndash62

12) 일부 연구가 러-북 계의 맥락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다루었으나 이들은 나진항의

부두사용권 련 상이 본격화된 2000년 반부터 상과정을 추 하기보다는 러시아

와 북한이 처한 국제정치 상황을 설명하기 해 나진-하산 로젝트를 부분 으로 활용

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컨 Kim과 Blank는 러시아가 2012년의 남-북-러 가스 이

라인 사업이 무산되자 이를 체하기 해서 나진-하산 로젝트가 본격화된 것이라고

보았다 장덕 은 북러의 월 계를 2000년 후반 이후 벌어진 러시아의 서방 계

악화의 결과로 보고 있다 Younkyoo Kim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p599ndash626 장덕 ldquo최근 북

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pp271ndash303

15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이를 해 다음 Ⅱ장에서는 상이론의 이론 성과와 여기에서 도출되

는 분석 틀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III장에서는 국과 러시아의 나진

항 3호 부두 사용권 련 상 과정을 비교하고 앞 장에서 논의된 상이

론의 에서 국과 러시아의 상 략 상의 차이가 가져온 결과를 비

교해보고 러시아의 상 의도를 유추해볼 것이다 마지막 IV장에서는 나

진항 부두사용권 상에서 러시아가 보여 상 략이 북- -러 경지

의 국제정치 국면에 어떤 시사 을 가지는지를 논의할 것이다

II 협상이론과 이론적 틀

A 협상력과 협상수준

이번 장은 상수 이 상력과 상 략의 선택범 에 미치는 향에

한 상이론의 논의를 다룬다 기존의 실주의 이론이 lsquo권력rsquo(power)의

불균등한 분배 상태에 따라서 외교의 결과가 결정되는 것으로 본 데 반해

상 이론은 약한 것으로 여겨졌던 국가가 강한 국가와의 외교 상에서

승리한 사례를 통해서 구조 권력의 우 가 무조건 외교상의 승리로 이

어지지는 않는다는 을 지 하고 실제사례 연구를 통해서 lsquo구조 권력rsquo

이 어떻게 구체 인 lsquo 상력rsquo으로 발휘되는지에 한 분석을 시도했다13)

하비 (William M Habeeb)는 권력을 국제정치의 구조에 따라서 상이

일어나기 이 에 결정되는 정태 구조권력(static structural power)과

상자의 술을 통해 조정될 수 있는 행태 인 권력(behavioral power)으로

분류하고 행태 인 권력을 활용하면 구조 권력의 열세에 처한 국가도

13) Carrie Menkel-meadow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416 William Zartman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59

상을 유리하게 개할 수 있다는 고 주장했다14) 이 때 행태 인 권력

을 통해서 조정될 수 있는 구조 인 권력으로 이슈 별 권력(issue-specific

structural power)이라는 개념이 제시된다 총체 인 구조 권력(aggregate

structural power)은 행 자가 국제체제 내에서 가지고 있는 힘의 총량이므

로 개별국가의 국력과 비례하며 상과는 무 하게 주어져 있는데 반해

이슈 별 권력은 상과 련된 사안에 해 상 당사자가 가지고 있는

상 인 힘의 요소(relative component of power)를 반 한다

이러한 이슈 별 권력은 안(alternative) 의지(commitment) 통제력

(control)의 변화에 따라 확 되거나 축소된다15) 그러므로 안 의지 통

제력에 해 잘 분석할 수 있다면 lsquo행태 인 권력rsquo을 통해 이슈 별 권력을

조정할 수 있는 지 을 확인할 수 있고 결과 으로 략의 선택범 를 가

늠할 수 있다 그 기 때문에 상 략 분야의 실천 연구들은 상자의

상력을 분석하기 해 lsquo 안rsquo lsquo의지rsquo lsquo통제력rsquo이라는 개념을 보다 면

하게 검토했다

첫째로 lsquo 안rsquo은 상 기의 상력을 가장 객 인 단하는데 용이

한 지표다 피셔(Fisher)와 유리(Ury)는 상이 결과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

에 얼마나 좋은 안을 가지고 있는지(Best Alternative to a Negotiated

Agreement 이하 BATNA)를 통해서 상력을 간 으로 살펴볼 수 있다

고 주장한다16) 둘째로 lsquo의지rsquo는 상참가자가 상의 결과에 해서 부

여하는 가치의 정도이다 셋째로 lsquo통제력rsquo은 상에 참여하는 집단이 원하

는 결과를 해서 지불할 수 있는 가이다 그러므로 의지와 통제력은

상 참가자가 상 상 방과 상반된 의견을 가지고 있을 때 자신의 선호를

얼마나 철시키고 상 방의 의견을 얼마나 수용할 수 있는가의 문제로

14) William Mark Habeeb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pp10

ndash26

15) Ibid pp19ndash22

16) Roger Fish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pp97ndash98

16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귀결된다17)

이러한 lsquo의지rsquo와 lsquo통제력rsquo의 범 는 합의 가능 지 (zone of possible

agreement)라는 개념을 통해 도식화될 수 있다18) lsquo 상에서 성공 합의

가 이루어질 수 있는 범 rsquo라고 정의되는 합의 가능 지 (zone of possible

agreement 혹은 zone of potential agreement)은 상 양자가 상결과를

도출하고자 하는 의지와 이를 해 감수할 수 있는 가로써 통제력을 얼

마나 발휘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상에 임하는 행 자와 상 상 방

은 각각 수용할 수 있는 한계치(bottom line 혹은 resistance point)과 자신

이 바라는 모든 것을 철시켰을 얻을 수 있는 목표치(target point)를 가지

고 있다 lsquo의지rsquo와 lsquo통제력rsquo의 에서 이를 해석해보면 상의 내용이

한계치에 다다를수록 행 자가 상을 통해 지불해야 하는 가가 높아지

면서 상자는 통제력의 한계에 직면하게 되는데 이때 상자가 상에

해 얼마나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상의 타결여부가 결정

된다 따라서 목표치와 한계치 사이의 범 는 상 행 자의 의지와 통제

력의 범 와 첩된다고 할 수 있다 만약 상자가 상의 성공에 해

높은 가치를 두고 비용을 지불할 용의가 있다면 상의 의지와 통제력은

상자의 한계치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이다 반 로 상자가

기존의 목표를 고수하는 것에 집 한다면 상 타결에 한 의지는 낮아

지고 상자의 한계치는 목표치와 가까워지게 될 것이다 이 때 상자와

상 상 방의 한계치와 목표치의 범 가 첩되는 지 이 바로 합의 가

능 지 이며 이를 그림으로 표 하면 다음과 같다

17) 이처럼 상 담당자가 자신의 의견을 철하고 상 의 의견을 수용할 수 있는 범 를 하

비 는 안 지 (security point)라고 정의하고 있다 Habeeb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pp21ndash22

18) Tanya Alfredson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pp8ndash9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1

[그림 1] 협상자(A)와 협상 상대방(B)의 합의 가능 지점19)

그러나 국제 상은 개인과 개인의 상이 아닌 집단과 집단의 상이

라는 에서 체 구성원의 목표치와 한계치가 상술한 이론처럼 명쾌하게

도출되지 않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 퍼트남(Robert Putnam)은 상

은 상자 간의 합의 가능 지 을 도출하는 과정의 외부게임(diplomacy

level 1 game)과 상자가 자신이 속한 집단 내부를 통해서 lsquo동의rsquo와 lsquo비

rsquo을 구하는 국내게임(domestic politics level 2 game)으로 구성된다는 이

른바 양면 게임(two-level game) 모형을 고안했다20) 즉 상자가 상

상 방과의 상 과정에서 략을 통해서 상 방의 한계치를 변경하거나

더 유리한 입장을 철시키기 해서 노력하고 잠정 인 결론을 도출하는

것은 외부게임 환경에서 일어나지만 상자의 한계치와 목표치의 범 는

국내정치게임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자의 한계치와 목

표치가 설정되고 이에 따른 상 략이 채택되는 것은 결국 상자의 내

부 집단에서 특정 집단의 이익이 체의 이익으로 변되고 합의되는 정

치과정과 하게 연 되어 있다21)

그 기 때문에 상자가 외부게임에서 보유할 수 있는 한계치와 목표

19) 그림은 다음 들의 도식을 참고하여 필자가 재구성한 것이다 Roy J Lewicki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pp33

ndash37 Alfredson and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p8

20) Robert D Putnam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ndash460

21)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

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5ndash169

16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치의 범 22)는 상자가 내부 집단에서 어떠한 지 에 있는가와 한

련이 있다 퍼트남에 따르면 상자의 셋(win-set)은 국내게임에서

상자가 결집시킬 수 있는 연합(coalition)의 규모 상자가 제도

(institutional)으로 동원할 수 있는 국내권력과 하게 연 되어 있다23)

그러므로 상자가 국내집단에서 높은 지 에 있을수록 자신의 lsquo의지rsquo를

철시키기 해서 보다 많은 lsquo통제력rsquo을 발휘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 상에서 더 넓은 -셋을 가지게 되며 다양한 략 인

옵션을 보유하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24) 반 로 상자의 지 가 낮으

면 국내게임 상에서 제한된 동의만을 가지고 상 방과 상을 진행해야

하므로 상타결을 해서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하는 략을 활용할 수

있는 여지는 감소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국제 상에서 상자의 지 가 높을수록 상 결과에 해 더 높

은 의지를 가지고 강한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상자의 지 가

높을수록 합의가능지 이 확장되며 략 으로도 더 넓은 선택지가 주어

진다 따라서 지 가 높은 상자는 지 가 낮은 상자에 비해 더욱 다양

한 략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지 가 높은 상자는 상 방의 입장을 더

수용해 주는 력 인 략을 구사할 수도 있고 경쟁 이고 강경하게 자

신의 입장을 고수하는 략을 택할 수도 있는 반면 지 가 낮은 상자가

자의 상 략을 선택할 수 있는 여지는 높지 않다

그러나 상자의 지 가 높은 경우 략 선택 범 가 넓고 더 많은

상력을 보유할 수도 있다고 논의한 것만으로는 상자가 특정 상

략을 채택한 이유를 밝히기 쉽지 않다 따라서 특정한 상 략이 채택되

는 이유에 해 상이론은 어떤 설명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

다 따라서 다음 장에서는 상이론이 상 략을 어떻게 유형화하고 특

22) 퍼트남은 이를 -셋(win-set)이라는 용어로 표 했다 Putnam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pp435ndash441

23) Ibid pp441ndash450

24) Menkel-meadow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pp421ndash422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3

정한 상 략이 채택되는 배경을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B 협상전략과 협상목표

상 략이론은 상 략이 상자가 상에 해 가지고 있는 목표와

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에서 착안하여 상 략과 상목표를 유형

화시킴으로써 상참가자의 의도를 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컨

이 이해 계모델(the dual concerns model)은 상에서 일어나는 행 자

의 략을 양보(yielding) 문제해결(problem-solving) 무 심(inaction) 투

쟁(contending)으로 분류하고 의 선택지 에 상자가 특정 략을 채

택하는 데에는 크게 두 가지 요소(자기 자신의 이익에 한 심 상 상

방의 이익에 한 심)가 결정 향을 미친다고 보았다25) 이 모형을

더 발 시킨 키(Lewicki)가 히엄(Hiam)은 합리 행 자라면 상을

통한 이익이 담보되어야 상에 임한다고 보고 상자가 자신의 결과

이익보다 상 방의 이익에 해 심이 있는 경우는 결국 상 방의 이익

을 보장해 으로써 상 방과의 계가 향상되기를 기 하는 것으로 해석

된다고 보았다26) 이러한 문제의식을 통해 R-O모델(Relationship-Outcome

Model)이 제시되는데 이 모델은 상자의 상목표를 크게 계(relationship)

이익과 결과(outcome)이익으로 구분한다 이 때 계이익은 상자가 상

방의 결과이익을 보장함으로써 계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을 의미하고

결과이익은 상자가 상을 통해서 구체 인 성과를 추구하는 것을 의미

한다

이러한 R-O 모델은 행 자가 계이익과 결과이익 어떤 것을 추구하

는지는 상 상 방과의 계의 지속성 연계 이슈에 따라 좌우된다27)

단발 인 거래상황이나 상자와 상 상 방 사이의 계가 별로 형성

25) Lewicki Saunders and Barry Negotiation pp22ndash24

26) Roy J Lewicki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pp22ndash31

27) Roy J Lewicki et al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chap 2ndash4

16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자는 주로 결과이익을 추구한다 한편 상자

가 상을 통해 상 방과의 계개선 안정을 도모하고 추후 지속될

상에서 더 큰 이익이 상되는 장기 인 거래 상황에서 주로 계이익이

추구된다 국가 간의 상 상황에서 이러한 논의를 확 하여 용해보면

계이익을 추구하는 상자는 주로 장기 외교 략 인 목표에 무게

심을 두는 반면 결과이익을 추구하는 상자는 주로 단기 경제 목표

를 더 염두에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R-O 모형은 행 자가 어떤 이익을 추구하는지에 따라서 행 자

의 상 략이 선택되고 구사된다고 주장하고 상 략을 크게 4가지로

유형화했다 상에서 상되는 단기 인 이익보다 장기 이고 략 인

측면에서 상 방과의 계유지가 요한 경우 상자는 자신의 이익이

보장되지 않더라도 상 방의 입장을 수용(accommodating)하는 략을 취

한다 상을 통해서 상 방과의 계도 향상되고 결과도 좋을 것이 측

되는 호혜 인 상황에서는 력 략(collaboration)이 구사된다 한편

상을 통해서 얻는 단기 이익도 없고 상으로 인해 보장되는 상 방

의 이익도 불분명하면 상 행 자는 상을 회피(avoiding)하는 략을

선택하게 된다 만약 상을 통해서 얻게 될 결과 이익이 실한 경우에

상자는 상 방과의 계가 손상되더라도 자신의 상성과를 해서 경

쟁 (competing) 수단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자는 상을 단발성

으로 인식하게 되고 비윤리 인 행 나 행 등 도 서슴지 않게 된다

아래의 [그림 2]는 상술한 내용에 의거하여 상자가 자신의 의도와 목

에 따라 어떤 략을 선택하는지를 도식화한 것이다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5

[그림 2] R-O 모델(협상전략-협상목표의 상관성 모형) 한글은 필자 수정28)

이상의 논의를 살펴보았을 때 상이론의 분석 틀을 활용하여 상

행 자의 안유무 상행 자의 수 에서 비롯되는 의지와 통제력의 차

이 상 략과 그 의도를 분석한다면 개별 상에서 행 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상력의 정도와 가용한 상 략을 개략 으로 평가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자가 특정한 상 략을 선택한 의도를 유추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다음 장에서는 상이론의 논의를 통해 도출한 분석

틀을 활용하여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과정을 비교하고

상에서의 우 를 한 러시아가 어떻게 상력을 재고할 수 있었고 어

떤 략을 구사했는지를 살피고 러시아가 나진항 개발사업에 극 인

략을 구사한 이유를 유추해보고 실제 국제정치 맥락에서 이러한 유추

가 설명력을 지니는지 평가해본다

28) Lewicki and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pp24ndash32

1 계 시형

수용 략

2 호혜 상황

력 략

3 상 미발생

회피 략

4 단발성 거래

경쟁 략

16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III 나진항을 둘러싼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과정

A 중국-북한의 협상과 러시아-북한의 협상과정 비교

본 장에서는 나진항 3호 부두에 한 국과 러시아의 상과정을 정리

하고 -북간 상과 러-북간 상의 특징을 각각 서술하고 이를 종합하여

비교한다 이를 해 국과 러시아 각 국의 상이 일어난 배경과 상

단계 단계별 상 주체 이에 따른 북한 측 상 주체 상 결과의 내용

상 시기의 주요한 환경 요인 상의 이행 결과를 국가 별로 나 어서

정리할 것이다

(1) 중국-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 부두 사용권에 한 국의 근은 국 훈춘시에서 구상한 도

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路-港-區一體化)에서 비롯되었다 2000년

북한은 국과 러시아 사이의 물동량이 폭 확 되면서 포시에트항이 나

진항을 체할 항구로 부상하는 것에 응하여 나진-선 도로망 폭 개

선 계획을 발표하는데 이 계획의 핵심 구상이 바로 나진항과 훈춘을 도로

로 연결하는 것이었다29) 막 있는 바닷길을 뚫고 동해로의 진출을 모색

하던 국 훈춘 시정부는 이러한 북한의 구상에 응하여 훈춘에서 나진

항까지 연결된 도로를 화하고 나진항을 거 항만으로 확보하고 항만

배후부지를 산업 물류단지로 개발하는 것을 골자로 한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를 구상했다30) 이 구상을 토 로 2003년 12월 12일과 21

일 훈춘시 정부 길림성 정부 계자 항만 개발업체로 구성된 상

표단이 북한 측에 나진항 추가 확장 계획을 제의하는 과정에서 나진과

29)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곽복선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

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30)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3ndash73 徐家军amp李泽 ls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squo 新浪財經 200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7

국을 잇는 도로 배후부지 개발을 조건으로 국이 나진항 부두시설

일부를 50년 간 독 사용하는 상의 기본 틀이 세워졌다31)

주목할 은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에 한 국 앙정부차

원의 심은 국과 북한의 지방정부 간 상이 시작되던 시 보다 늦게

발되었다는 것이다 2003년 당시 국 정부는 본격 으로 낙후된 동북

지역을 진흥시키기 한 동북진흥(振兴东北) 로젝트를 구상하고 이를

해 국무원 차원에서 lsquo동북 지역을 포함한 노후 공업 기지 진흥을 한

실시 략에 한 의견rsquo을 작성했다32) 그러나 의견에는 아직 훈춘시가

구상했던 외국항구 임차를 통한 출해권 확보 목 의 도로-항만-구역 일체

화 로젝트에 한 언 은 나와 있지 않다33) 그러므로 나진항 부두 사용

권을 둘러싼 국과 북한의 상은 앙정부가 아닌 지역 활성화를 도모

하던 북한과 국의 지방정부의 자발 인 움직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상이 본격화된 이후 국 측 참여기업인 둥린유한공사(东林有限公

司 이하 둥린회사)와 국 훈춘시의 실무자들로 구성된 상단이 북한

의 나선시인민 원회와 주로 상을 가지게 되었으며 2004년 9월에 기본

합의가 이루어졌고 2005년 3월에는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장 김수열이

훈춘시에 방문하여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34) 2005년 7월에는 국

의 둥린회사와 훈춘변경경제합작구 보세유한회사(珲春边境经济合作区保

税有限公司)가 자본과 공사 자재를 투자하고 북한 나선시 인민 원회 경

제합작회사가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제공하는

합작회사가 만들어졌으며 2005년 9월에는 구체 인 사업 진행방안을 담

은 본 계약이 체결되었다35) 2006년 1월에는 북- 이 만든 합작회사가 북

31)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32) Jae Ho Chung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ndash125

33)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34) 徐家军amp李泽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p61

16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설립인가를 받게 다36)

상을 통해서 합의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37)첫째 국과 북한 사이에

설립되는 합 회사는 로젝트에 총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를

투자하여 나진항 3호 부두를 확장 건설하고 4호 부두를 신설하며 보세

가공구와 공업원구를 배후지에 건설하는 한편 나진-원정 간의 비포장 도

로 67km를 488km의 왕복 2차선 직선 포장도로로 개량하기로 했다38) 둘

째로 이러한 거 로젝트를 실시하기 한 선결조건으로 국 측은

3000만 유로(약 24억 안 3600만 USD)를 투자하여 원정-나진 간 도로

건설을 우선 시작하고 나진항 3호 부두를 개조하는 가로 나진항 3호 부

두와 향후 지어질 4호 부두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획득하기로 했다

그러나 2006년 5월 구상이 마무리되고 10월부터 착공하기로 되어있던

고속도로 건설 사업은 북한의 핵실험 둥린회사의 투자 조달 실패 등

으로 인해 착공 정일을 맞추지 못하게 되었다39) 이에 2007년에는 국

길림성 정부까지 나서 나진항 개발자 을 지원하기 해 세 징수 우 정

책까지 부여했지만 둥린회사는 자 부족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2008년 러시아와 북한의 합의에 의해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에 한

이권을 상실하게 되었다40)

35) 계약은 합 회사가 2006년 5월부터 나진-원정간 고속도로 건설을 시작하고 추후 나진

항 3호 부두를 개조하고 공업단지 보세가공구를 건설하는 조건으로 나진항 3호 부두의

50년간의 사용권을 확보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36) 의 p61

37)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

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38) 투자액에 한 미 달러 환산 액은 본 계약 완료시 인 2005년 9월의 월별 환율을 통해

필자추정

39) 당시 국 후난 학(湖南大學) 연구원을 통해 원정-나진항 도로건설에 한 실사 조사

공사 방안이 확정되었으며 10월까지 도로 주변의 나무 채벌까지 완료되면서 본격 인 착

공을 앞둔 제반 비가 마무리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pp56ndash58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40) 의 책 p5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9

(2) 러시아-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의 부두개발에 한 국과 북한의 의가 지방정부 차원에서 시

작된 반면 러시아와 북한 사이의 상은 앙정부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2000년 8월 러시아의 푸틴(Vladimir Putin) 통령은 남북한의 화해 분

기가 조성된 틈을 타 한반도 횡단 철도(Trans-Korean Railway 이하 TKR)

를 시베리아 횡단 철도(Trans-Siberian Railway 이하 TSR)와 연결하는 이

른바 lsquo철의 실크로드rsquo 구상을 김정일 국방 원장 김 통령에게

달했다41) 남북의 지도자로부터 정 인 반응을 이끌어낸 푸틴은 2001년

북middot러 정상 회담을 통해 발표된 모스크바 선언의 6항을 통해 TKR-TSR 연

결 사업에 한 북한과 러시아의 력 의지를 공식 으로 밝혔다42) 상

이 본격화된 이후 러시아는 철도부 표단을 수차례 북한에 견하여 북

한 철도성과 철도 화에 해 본격 으로 논의하기 시작했다43) 2003

년 이후 러시아 철도공사(RZD)가 러시아 철도부의 모든 인 라와 사업

로젝트를 승계함에 따라 RZD는 국 기업의 자격으로 TKR-TSR 연결

사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남-북-러 사이의 삼자 력 구도 속에서 시작된 TKR-TSR 연결

사업은 상 과정에서 노선선정 재원조달 방식 등의 주요쟁 들에

한 각국의 견해차로 인해서 곧 교착상황에 빠지게 되었다44) 그런 상황 속

에서 2002년 이후 2차 북핵 기로 인해 북한에 한 국제사회의 제재가

지속되고 남북 계가 악화되자 북한은 2004년에 TKR-TSR 연결사업에

41) Seung-ho Joo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Cornwell

Ashgate 2009 pp179ndash256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2000ne

42)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23 2007 p231

43)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pp 75ndash80

44)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 56

17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논의가 무의미하다고 밝히며 회의불참을 선언한다45) 이 게 삼각

력의 구도가 기에 착하자 RZD는 상의 구도를 북한-러시아 간 한

국-러시아 간의 상의 두 트랙으로 분리하고 양 국과 개별 인 상을

진행하여 갈등을 합하고자 했다

우선 러시아는 TSR-TKR의 체 구간을 연결하려던 기존의 구상을 축

소하여 일부 구간만을 시범 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사업 구상을 변경해

북한에게 제의했다 북한이 이에 응하면서 2004년 북-러 국경 철도 의회

는 우선 TSR과 TKR의 결 에 치한 나진-하산 간 철도 개량사업부터

시범 실시하는 것에 한 상을 시작했다46) 상은 2006년 블라디보

스토크에서 열린 남-북-러 철도 표자 회의를 통해서 구체화되었는데 그

내용은 RZD와 북한이 함께 설립하는 합작회사(Rasonkontrans 이하 라손

콘트란스)를 통해서 나진-하산간 철도 나진항 항만시설 개보수를 진행

한다는 것이었다 합의를 통해 RZD는 나진항 부두시설사용권에 한

이권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자 조달방법에 해서 북한으로부터 재량권

을 임 받았다47)

한편 RZD는 한국이 주요투자자로 로젝트에 남아있기를 원했다 따

라서 북한으로부터 투자 유치에 한 재량권을 얻고 나자 2007년 한국 철

도공사(KORAIL 이하 코 일)와 양자 상을 통해서 한국의 투자방안에

한 세부 MOU를 체결했다 MOU를 통해서 설립된 루코로지스틱스

(RUCO Logistics 이하 루코)는 코 일의 지원 하에 한국의 민간물류업체

들의 투자를 받아서 라손콘트란스의 러시아 측 지분에 투자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북한 련사업에 한 남한의 투자가 러시아를 통해 우회하

여 남북 계의 정치 불안정성이 투자에 악 향을 끼치는 것을 최소화

하고자 했다

45) 의 pp55ndash56

46) 의 pp57ndash58

47)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1

이처럼 새롭게 상 구도를 짠 결과 러시아는 남북으로부터 아래의 합

의를 이끌어냈다 첫째 나진-하산 로젝트는 TKR-TSR 연결을 한 시

범사업으로 러시아와 북한의 합작회사인 라손콘트란스가 북한의 나진항

과 러시아의 하산 사이에 54km에 이르는 철도구간을 개보수하고 나진항

의 기 인 라를 개발하는 것을 가로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을 49년 간

사용한다48) 둘째 이를 한 투자액은 총 21억 달러(USD)으로 RZD가

약 126억 달러를 분담하는 한편 루코가 러시아 지분 일부(40)를 매

입하는 방식으로 자본을 분담투자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러한 RZD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을 통한 자 조달 계획

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2008년 출범한 이명박 정부는 그간 지속되어

오던 북사업을 취소한다는 뜻을 밝히며 북한이 핵무기 로그램을 포

기하지 않는 한 규모 북경제지원사업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49)

이에 응하여 북한도 남한과의 모든 공식 을 단하면서 남북 계는

격하게 악화 고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민간기업들의 투자도 무

산 다50) 이런 상황에서 RZD는 로젝트를 이행하기 해 2008년 4월

북한과 러시아의 양자 의 형태로 새로운 합의서를 체결하고 2008년 10

월에는 나진항 부두시설 화 나진-하산 철도 화에 한 착공식

을 진행했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러시아 역시 자 형편이 여의치 않아 공

사를 일정 로 진행할 수 없었다51) 이후 러시아는 RZD의 자체 차입 자

으로 투자비를 확보하여 2011년 공사를 재개했고 2013년 나진-하산 간 철

도를 완공 후 개통시켰고 2014년부터는 보수된 나진항 3호 부두를 통해

48) 지분 구조는 RZD가 70이며 북한 철도성이 30이다 이를 해 러시아는 21억 불의

자본을 투자하고 북한은 나진항만 시설을 물로 투자한다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

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2

49) Hong Nack Kim ls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s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2008) pp 8ndash18 Chung-in Moon lsquoSouth Korea in 2008rsquo 49 2008 pp127ndash

128

50)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p64ndash65

51)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3

17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국 러시아

상배경도로-항만-구역일체화 로젝트

(훈춘시정부 차원)

TKR-TSR 연결 로젝트

( 앙 정부 차원)

상시기 2003년-2006년 2000년-2015년 진행

시작

2003년 12월 국 지방 정부 계자

기업이 북한 나선시와 논의 시작

2000년 8월- 푸틴 통령이 남북정상과

논의 시작

2001년 8월 모스크바 선언 정식 결의

석탄을 운반하기 시작했다52) 이때 러시아는 철도연결에 55억 루블(약 18

억 USD) 나진항 터미 공사에 약 35억 루블(약 11억 USD)을 투자한 것

으로 추정된다53)

요컨 2000년 러시아 최고 지도자인 푸틴의 심 속에서 시작된 상

은 2003-4년 북핵 기로 인한 북한의 상 거부 기와 2008년 이후 투자

계획의 난 을 뚫고 최종 으로 이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는 남북

한의 응에 강경하게 응하기보다는 양 국의 의견을 수용하기 한

상 방안을 제시하고 상 를 다시 상에 참여시키기 해 막 한 자 을

투자하기까지 했다 이처럼 러시아가 상을 지속하기 해 다양한 수용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면 러시아와 북한 간의 합의 역시 이행되지 못했

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B 중국-북한 러시아-북한의 협상에 대한 이론적 분석

앞 장에서는 나진항의 부두 사용권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 과

정을 추 해보았다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을 상의 배경 상 주체

북한 측 상 주체 주요 상 내용 상 규모 상 이행 상황을 심

으로 비교해보면 아래의 lt표 1gt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lt표 1gt 나진항 3호 부두 사용권과 관련된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주요 사항

52)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나희승 ldquo남북 sdot 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53)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1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3

국 러시아

과정

- 2004년 기본 합의 완료

- 2005년 3월 24일 MOU 체결

- 2005년 7월 합 회사 설립

- 2005년 9월 본계약 체결

- 2006년 1월 북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합 회사 설립 비

- 2004년 7월 나진-하산 로젝트로 논의

축소 나진항 사용에 한 명시

- 2006년 7월 남-북-러 3자 철도 운 자

회의 나진-하산 화 사업 합의

- 2007년 남한 투자 련 MOU

- 2008년 한국 참여 실패

- 2008년 4월 북-러 나진 하산 철도

화 나진항 3호부두 개발에 한 력

합의서 체결

이행

- 2006년 5월 사업 조사 완료 비

- 2006년 10월 착공 연기

- 2007년 2월 길림성 lsquo두만강유역

개방개발 가속화 방안rsquo 마련

- 2008년 4월 훈춘 둥린회사 외국

투자 유치 난항 최종 실패

- 2008년 4월 라손콘트란스 설립

- 2008년 10월 나진-하산 철도구간 개보수

착공식 후 공사 지연

- 2011년 철도 건설 사업 재개

- 2013-2014년 철도와 부두 개보수 완료

상 주체상 시작 지방 정부

상 과정 민간기업 훈춘시 지원

상 시작 러시아 앙 정부

상 실무 러시아 철도부 RZD54)

북한측 상

주체나선시 인민 원회

-북한 앙 정부

- 상 실무 북한 철도성 육해운성

실무 계자

투자 규모

lt 체 규모gt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

lt본 계약 규모gt

3000만 유로

(24억 RMB 약 3600만 USD) agrave미이행

lt계약 시기gt

총 21억 USD 러시아가 126억 USD

lt이행기gt 철도연결에 55억 루블 지출 터

미 공사에 35억 루블 지출

(약 11억 USD)

이 같은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의 비교를 토 로 러시아와 국의

상력 각국이 구사한 상 략을 비교해보고 러시아가 상에서 유

리한 결과를 낼 수 있었던 요인과 러시아의 략 인 목표를 유추해볼 것

이다

54) 러시아 정부는 2001년부터 자국의 철도 개 을 진행하여 철도부(Railway Ministry)를 국

주식회사인 RZD와 정책 담당 부서인 교통부(Ministry of Transport) 경제 발 무역

부(Ministry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rade)로 분리했다 RZD는 기존의 철도부의

시설 사업을 승계함으로써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상도 이어서 진행하게 되었다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17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우선 상력을 보기 해 상에 임한 국과 러시아의 정태 인 구조

권력을 살펴본다면 비록 총체 인 구조권력 상에서 국이 러시아에 비

해서 압도 으로 강력했으나 나진항을 둘러싸고 북한과 진행한 상사안

만 놓고 본다면 이슈 별 권력에서 러시아가 국보다는 북한에 해 우

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러시아는 북한과의 상에 한

BATNA의 차원에서 국보다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두만강 유역에서

국의 국경은 차 강 기를 따라 좁아지다가 동해를 15km 앞둔 지 에서

끝이 난다55) 그러므로 동해로 직 나갈 수 있는 항구 시설이 무한

국은 나진항 련 상이 결렬되는 경우 동해로의 출해권을 얻을 수가 없

었다 반면 러시아는 나진항 이외에도 극동지역에 여러 항구를 보유하고

있다 일부 연구가 러시아의 극동항만들이 겨울에 얼어붙는 반면 나진항

은 부동항이기 때문에 나진항의 경제 이 이 크다고 보기도 하지만 실

제로는 러시아 극동의 블라디보스톡(Vladivostok) 이남의 항구들은 모두

부동항들로 슬라비얀카(Slavianka)항 보스토치니항(Vostochny) 포시에트

(Posyet)항 자루비노(Zarubino)항 등 개발잠재력이 충분한 항구들이 이미

러시아 극동에서 운용 이다56) 따라서 북한과의 상에 한 이슈 별 권

력의 차원에서 러시아는 국보다 유리한 치에서 상을 시작했다 lsquo의

지rsquo와 lsquo통제rsquo의 측면에서도 러시아는 국보다 더 우 에 있었다 러시아-

북한의 상이 국-북한의 상에 비해서 행 자수 이 높았기 때문에

상을 성사시키기 해 상자가 활용할 수 있는 비용과 제도 인 권력

의 가용범 가 더 컸기 때문이다 상이 난 에 착한 상황에서 러시아

55) James Cotton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1086 Cho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pp51ndash53

56) 특히 19세기와 20세기 반에는 러시아 극동에서 부동항에 한 수요가 컸고 그런 맥락에

서 나진항의 요성이 강조되었다 이와 하여 다음을 참조 Ibid pp52ndash55 백 기 ldquo러

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백 기 최정수 최재희 (편)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동북아역사재단 2007 pp23ndash62

한편 러시아 극동의 항만시설과 해서는 다음을 참조 Robert North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74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5

가 상 체의 틀을 다시 짜는 선택을 할 수 있었던 것이나 남한의 투자

가 결렬된 이후 막 한 비용을 들일 수 있었던 것은 모두 행 자 수 이

높아짐으로써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해 수 있는 범 가 넓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실제로 상이 시작된 2000년 반 푸틴 통령은 자신이 추구하는

로 상을 진행시키기 해 국내정치 으로 의견을 결집시켰다 당시

러시아 료들은 북한과의 철도연결을 재개하는 것에 해서 비 이었

다 러시아 철도부 장 이었던 데 (Guenaddy Fadeyev)는 TKR-TSR

은 투자비용도 무 크고 정치 험도도 높은 사업이라며 회의 인 견

해를 피력하기까지 했다57) 그러나 푸틴은 사업을 lsquo 요한 사업rsquo이라고

못 박았고 데 로 하여 사업이 확실한(promising) 사업이라고

발언하게 했다 이러한 푸틴의 응에 의해 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국

내 으로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 차단되었고 상이행에 한 푸틴

의 강력한 의지가 러시아 국내에 확인되었다

러-북 간의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강력한 지지 속에서 이루어졌다

는 은 상 실무주체가 RZD 다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RZD는 단순히

러시아 철도부가 진행하던 사업의 권한을 승계한 공기업이 아니라 푸틴

의 국내정치권력의 핵심기 의 하나 다 RZD 사장인 야쿠닌(Vladimir

Yakunin)은 푸틴의 최측근 실로비키(silovarch) 한 명으로 차기 통령

후보로까지 거론되기도 했던 인물이다58) 야쿠닌은 나진-하산 로젝트를

RZD의 최우선 로젝트로 상정하고 상과정 내내 상자 간의 의견조

율과 외홍보에 힘을 쏟았다59) 따라서 RZD가 상을 주도했다는 은

나진-하산 로젝트 련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심 속에서 진행되

었다는 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57)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AsiaDH27Ag01html

58) Daniel Treisman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4ndash145

59)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pp228ndash229

17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편 국의 입장에서 상자의 수 이 낮았던 것은 -북 간 상이

실패한 결정 인 원인이었다 국의 상자 수 이 낮은 상황에서 북한

측도 이에 맞춰 상자의 수 이 낮아지게 되면서 양 국은 상의 이행을

한 재량권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실제로 국과의 상에 임했던 나

선시 인민 원회는 상의 출발단계에서부터 국 측이 원한 상 목표인

부두시설 임 에 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나진항의 부두 시설에

한 권한은 으로 북한 육해운성의 소 이기 때문에 나선시 인민 원

회는 부두사용권을 놓고 국과 의하는 것이 처음부터 불가능했기 때문

이다60)

이처럼 러시아는 상의 구조 권력에서 국보다 우 에 있었기 때문

에 다양한 략 선택지를 가지고 상의 교착상황에서 상 방의 입장

을 받아들이는 수용 략을 취함으로써 상이 지속되도록 했다 표 으

로 러시아는 2004년에는 TSR-TKR 연결 사업에서 이탈하려는 북한의 의

사를 반 하여 상의 틀을 축소했으며 2008년에 한국의 투자가 무 로

돌아가면서 상의 이행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자국의 자본을 100 투자

하여 북한과 합의된 사항을 이행했다

러시아가 이와 같은 상 략을 취한 이유를 R-O 모형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우선 러시아는 수용 인 략기조를 유지했기 때문에 상을

통해서 결과이익보다는 계이익을 추구했다고 여겨진다 나진항을 통해

서 얻고자 하는 결과이익은 항만시설을 통한 출해권 확보일 것이다 반

로 이 상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계이익은 상 상 국인 북한과의

계 향상일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의 략 선택은 러시아가 상을

통해 장기 으로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고 략 인 차원에서 장기 으

로 북한에 한 력을 지속시키고자 했다는 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60) 당시 국 둥린 회사를 도와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와의 상에 참여했던 국 훈춘시 지

방 정부 계자 면담에서 계자는 당시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도 외합작 경험이 부족

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권한범 에 한 인식이 부족했었다고 진단했다 2015년

2월 훈춘시정부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7

실제로 푸틴 통령은 상 기 경제 인 손실을 우려하는 국내 료들

의 불안감에 해 상은 요한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이 상의 목

표가 단기 인 경제성에 놓인 것이 아님을 명확하게 했다61)

상이 시작되던 2001년의 시기 배경을 고려해 보면 러시아가 계

이익 다시 말하자면 략 이고 장기 인 차원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

다는 이론상의 설명은 실성이 있다고 단된다 나진항만을 둘러싼 러

시아-북한 간의 상이 TSR-TKR의 연결 사업으로 첫 발을 디뎠던 2000

년 당시 러시아는 푸틴 통령의 집권으로 인해 국내정치 혼란을 바로

잡은 후 소련붕괴와 한반도정책의 실패로 인해 상실한 아시아 지역에

한 략 향력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 때 러시아가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러시아의 향력을 회복하기

해서는 상실했던 북한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만 했다 동아시아와

해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은 경제 으로나 인구 으로나 동아시아 주변

국에 비해 제한 인 역량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 시기

이래로 러시아가 지속 으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에서 주요세력으로 자

리매김했던 것은 소련과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략 인 계가 유지되

었기 때문이다62) 특히 소 계가 악화된 이후 소련은 소련에 한 북한

의 일방 인 의존을 활용하여 아시아 국제 계에서 략 버리지를

유지해 왔다63)

61)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62) Peggy Falkenheim Meyer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14ndash 221

Pavel A Minakir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p32ndash 50

Tamara Troyakova amp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ndash 37

63) John W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ndash53 Gilbert Rozman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 Stephan Blank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pp78ndash82

17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그러나 90년 들어 소련은 북한에 해 가지고 있던 향력을 상실하

면서 아시아의 정치무 에서 배제되게 되었다 1980년 후반 소련은 경

제 이익을 기 하며 남한과의 계수립에 힘썼고 1990년 남한과의 국

교를 정상화하기에 이르 다 게다가 소련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의 수장

으로 취임한 친(Boris Yeltsin) 통령은 서방과의 계회복을 기 하며

민주 가치와 자유를 존 하는 러시아의 모습을 보이기 해 공산독재국

가 던 북한과 의도 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공식

외교채 은 단 되었으며 러시아는 그 동안 북한에게 무상으로 제공

해 왔던 석유지원을 단했으며 러시아의 무기를 북한에 수출하지 않겠

다고 밝혔다64) 당시 러시아 외교부장 이었던 코지 (Andrei Kozyrev)

는 북한의 인권침해를 공식 으로 비 하면서 북한의 정치 변화를 구

하기까지 했다65) 결과 으로 한반도에서의 러시아의 외교정책 인 환

은 냉 기부터 긴 하게 유지되었던 러시아와 북한의 정치 연결고리를

약화시켰으며 북한은 러시아에 해서 가지고 있던 우호 인 시선을 거

두어들이게 되었다66) 그러나 러시아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이 사라진 것은 러시아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

제 계에서도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다 러시아가 북한에 해 정치

향력을 발휘할 것을 기 하며 러시아와의 계개선을 추진했던 남한은 러

시아가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을 상실하자 러시아를 외교 으로 등

한시했다67) 게다가 소련의 붕괴 이후 러시아의 통 인 향권에 한

64) Seung-ho Jo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ndash130 David Wolff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

booksdprkbbrussia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Alexander

Vorontsov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p5

65)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53

66) 이정철 외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p87ndash89

67)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호 2002 pp289

ndash297 Gilbert Rozman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9

침투를 본격화한 미국은 북-러 계가 약화된 시 에서 한반도 문제의

심 인 조정자로 부상하게 되었다68) 러시아가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외교

의제에서 배제된 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사건이 바로 1차 북핵 기

다 1차 북핵 기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를 포함한 8자 회담을 통해서 북핵

문제를 보다 국제 인 차원에서 해결하기를 원했으나 결과 으로 북한에

한 향력을 상실한 러시아는 배제된 채 4자 회담의 형태로 상이 진

행되었다69)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러시아는 남북한 모두에게 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면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자국의 향력 후퇴를 막을 수 없다는

을 확인했고 남한에 과도하게 경사되었던 한반도 계를 재조정하고

남북한 균형 정책을 구사하기 시작했다70) 러시아는 친서방 성향이 강

했던 코지 를 신하여 실용 유라시아주의자 리마코 (Yevgenni

Primakov)를 외교부 장 으로 임명하고 북한과의 계 회복에 주력했

다71)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태도는 냉담했는데 이는

러시아가 여 히 경제 인 측면에서 이익을 수 있는 남한과의 계를

더 시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력과 군사력이 약화된 러시아가 북한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북한의 의구심 때문이었다72)

p41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pp23ndash46

68) Yoshinori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192 Seung-ho Joo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Ashgate 2002 pp147ndash148

69) 러시아의 근 방식에 해서 다음을 참조Evgueni Bajanov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러시아의 배제와 4자 회담에 해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7ndash298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pp194ndash196 Stephen Blank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4ndash5

70)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pp228ndash229

71) Seung-ho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ndash81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6ndash298

72)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192 P Rangsimaporn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18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상실해버린 북 향력을 회복하는 것을 북 략의 주요 목표로 삼았

던 러시아에게 나진-하산 로젝트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기

한 출발 으로 매우 한 기획이었다 우선 나진-하산 로젝트가

TSR-TKR 로젝트로 시작되던 시기는 국제정치 으로 한반도의 화해 국

면 속에서 인 국가로서 러시아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극 화되던 시 이

었다73) 당시 남한과 북한은 화를 시작하고 추가 인 력 의제들을 논

의하는 과정 에 있었다 이러한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인 라 부문에

한 이해 계를 공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실리 인 력 어젠다(agenda)

를 통해 화와 력을 지속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 인 수요를 포착

하고 TSR-TKR 연결 구상을 통해 한반도에 한 실리 인 개자로 참여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이 시기는 러시아의 근에 해서

회의 인 입장을 견지하던 북한도 자국의 국내 정치상황으로 인해 입장을

바꾸던 때 다 당시 나진-선 을 통해서 개 개방을 도모하던 북한은 나

진선 지 개발에 한 외국투자를 극 으로 유치했다74) 때문에 러시

아의 근에 한 북한의 반응도 비교 정 이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나진항을 포함한 북한의 항만 시설 철도 인 라 시

설에 해서 확실한 기술 우 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과의 인

라 력 부문에서 확실한 강 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부터 1990년

까지 소련은 북한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등을 직 건설했으며 나진

항의 화 역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75) 소련은 이

게 개발한 나진항에 해서 공식 인 우선권을 인정받고(1978) 이를 소

Palgrave Macmillan 2009 pp62ndash64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p477

73) In-kon Yeo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ndash115

74)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75) 안병민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남

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pp1ndash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2: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15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Ⅰ 문제제기

이 은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을 두고 경합했던 국과 러시아가

북한과 진행했던 상을 상이론의 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한 러

시아가 국과의 경쟁에서 우 를 하고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을 확

보하기 해 어떤 략 선택을 했는지를 살피고 러시아의 상 략이

내포하고 있는 러시아의 의도를 밝힐 것이다

나진항에는 총 3개의 부두시설이 있는데 그 3호 부두는 북한이 외

합작으로 활용하는 부두 가장 규모가 크고 컨테이 시설로도 용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요한 외 합작시설로 여겨졌다1) 그 기 때문에

낙후된 국 동북지방의 발 을 해 북한의 항만시설을 임차하여 출해권

을 확보하고자 했던 국이 가장 먼 근한 부두시설 역시 나진항 3호

부두 다 시베리아 횡단 열차와 한반도 횡단 열차의 연결 사업의 시작

으로 북한의 나진과 러시아의 하산을 연결하고자 했던 러시아 한 부

두의 사용권을 확보하기 해 북한과 개별 상을 진행했다2) 이러한 나진

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각축은 언론보도와 연구들을 통해 리 알

려지게 되었다3) 그런 상황에서 최종 으로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을

확보한 것은 러시아 다 재 러시아는 부두시설을 개조하고 북한의

1) 북한이 합작을 진행했고 실제로 국의 촹리그룹(創力團體)과 lsquo비공식rsquo 으로 합작을 하고

있는 나진항 1호 부두의 처리능력은 연간 50만톤인데 반해 3호 부두의 처리능력은 연간

100톤 가량이다 한편 재 나진항의 부두 시설은 총 3개이며 이 외합작에 활용되고

있는 것은 1호 부두와 3호 부두로 알려져 있다 안 능력이 150만톤으로 알려진 2호 부두

는 북한이 직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사항에 해 다음을 참조 안병민 ldquo 국

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

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1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115a092711shtml

2) 나진항에 한 국과 러시아의 근은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ndash63

3)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Jungwon Cho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7ndash5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55

나진과 러시아의 하산 사이의 철도 구간을 개보수한 후 러시아의 유연탄

을 남한으로 들여오는 lsquo나진-하산 로젝트rsquo의 시범 평가를 마치고 남한

과 본격 인 사업자간 상을 앞두고 있다4)

이 연구는 나진항에 한 국과 러시아의 근을 다룬 기존연구를 몇

가지 측면에서 보완하고자 한다 첫째 이 연구는 나진항과 련한 연구들

에서는 따로 논의되었던 국과 러시아의 입장 상과정을 나진항 3호

부두에 한 개별 상사례를 심으로 비교해보고자 한다 나진항 개발

련 사업은 한국이 북- -러 경 지역의 력에 참여할 수 있는 주요 사

업 의 하나이기 때문에 국내에서도 2000년 반부터 사실 계의 추

수와 국 러시아의 략에 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5)

특히 국과 러시아가 북- -러 경 지 에서 벌이고 있는 력과 경쟁의

동학을 다루는 연구들은 나진항에서 진행되고 있는 국과 러시아의 극

4) 김호 amp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5) 나진항 부두 사용권 련 황 연구는 주로 다음을 참조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ndash31 안병민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

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sdot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ndash47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

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27 Jin Cheol Jo and C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ndash50

국의 을 심으로 분석한 연구는 주로 다음을 참조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

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 13권

1호 2011 pp43ndash73 Nick Miller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Scott Snyder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ndash12 LC Russell Hsiao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ndash14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원

2009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러시아의 을 심으로 분석한 연구는 주로 다음을 참조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

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ndash78 나희승 ldquo남북 sdot 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20ndash34 Younkyoo Kim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ndash626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

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ndash303

15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인 개발에 한 황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의 은

주로 북- -러 경지 체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나진항을 개별사례

로 다루어서 연구를 진행하지는 않았다6) 그 기 때문에 -러의 경쟁이

실재했던 나진항 3호 부두의 개별사례를 심으로 국과 러시아의 근

략을 비교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권의 향방이

명확해진 나진항 3호 부두에 해서 국과 러시아의 근 방식의 차이를

상이론의 분석 틀을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국과 러시아의 상

략 상의 차이를 비교하고 부두사용권 상이라는 단일 사례가 국제정치

으로 지니는 함의를 보이고자 한다

둘째 이 연구는 국의 입장에서 나진항 3호 부두 확보 실패 원인에

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것에 비해 상 으로 간과되었던 러시아의 행

태 성공 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2008년 국이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던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이 러시아로 넘어가게 되면서 나진항에 한

국의 극 인 근에 해 심을 주목하던 학계와 언론은 왜 국이 나

진항 3호 부두를 확보하지 못했는지에 해 다양한 설명을 시도했다 외생

인 변수로 당시 북한의 핵실험으로 안보환경 북- 계가 악화되었

던 것이 요했다고 지 되었다7) 2006년 북한의 1차 핵실험에 한 국

정부의 강경한 응이 북- 계의 악화를 불러왔고 그런 가운데 북한

앙정부가 국이 확보한 항만경 권에 한 인 을 거부했다는 것이다

8) 일부 언론보도는 이러한 논의에서 더 나아가 북한의 개 개방 노선을 두

고 국과 북한이 오랫동안 갈등을 겪어왔다고 주장하기도 했다9) 내생

6) Cho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신범식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

과 동북아시아 지역정치rdquo

7)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 54 신범식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아 지

역정치rdquo p443 황진회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8) 북핵실험 이후 국의 이례 강경 응에 해서 다음을 참조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

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pp 340ndash341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11장

9)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57

인 변수로는 국정부의 심부족과 참여기업의 역량부족이 지 되었다

실제로 나진항의 항만사용권에 한 국 앙정부의 심은 상 기에

는 제한 이었다고 평가된다10) 한 일부 연구는 나선시 인민 원회와

합작회사를 운 하고자 했던 국기업의 실력이 부족했고 그로 인해 투

자유치 실 이 조했다는 에서 국의 부두사용권 확보 실패는 lsquo사업

상의 실패rsquo라고 진단했다11)

이와 같이 여러 연구를 통해 국의 실패요인이 분석된 데 반해 실제로

부두사용권을 확보하고 실질 인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러시아의 움직임

과 략은 상 으로 간과되고 있다12) 따라서 본 연구는 러시아의 상

략을 보다 구체 으로 살핌으로써 러시아가 단순히 -북의 상실패

상황에서 어부지리로 나진항의 부두 사용권을 확보한 것이 아니라는 을

보이고 러시아의 상을 성공시키기 해 택한 략을 살피는 한편 러시

아가 그런 략을 선택한 배경을 고찰할 것이다

이 같은 분석을 하기 해 본 연구는 상이론의 이론 성과들을 활용

할 것이다 특히 상수 을 확보함으로써 상력이 강해지고 상 략의

선택지가 많아질 수 있다는 을 상이론의 논의를 통해 보일 것이며

상 략과 상목표의 상 성을 설명한 이론을 활용하여 상자가 선택한

상 략을 통해 상자의 의도와 목표를 유추할 수 있는 이론 틀을 모

색해볼 것이다

10)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의 건설을 심으

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17ndash118

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

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pp61ndash62

12) 일부 연구가 러-북 계의 맥락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다루었으나 이들은 나진항의

부두사용권 련 상이 본격화된 2000년 반부터 상과정을 추 하기보다는 러시아

와 북한이 처한 국제정치 상황을 설명하기 해 나진-하산 로젝트를 부분 으로 활용

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컨 Kim과 Blank는 러시아가 2012년의 남-북-러 가스 이

라인 사업이 무산되자 이를 체하기 해서 나진-하산 로젝트가 본격화된 것이라고

보았다 장덕 은 북러의 월 계를 2000년 후반 이후 벌어진 러시아의 서방 계

악화의 결과로 보고 있다 Younkyoo Kim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p599ndash626 장덕 ldquo최근 북

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pp271ndash303

15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이를 해 다음 Ⅱ장에서는 상이론의 이론 성과와 여기에서 도출되

는 분석 틀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III장에서는 국과 러시아의 나진

항 3호 부두 사용권 련 상 과정을 비교하고 앞 장에서 논의된 상이

론의 에서 국과 러시아의 상 략 상의 차이가 가져온 결과를 비

교해보고 러시아의 상 의도를 유추해볼 것이다 마지막 IV장에서는 나

진항 부두사용권 상에서 러시아가 보여 상 략이 북- -러 경지

의 국제정치 국면에 어떤 시사 을 가지는지를 논의할 것이다

II 협상이론과 이론적 틀

A 협상력과 협상수준

이번 장은 상수 이 상력과 상 략의 선택범 에 미치는 향에

한 상이론의 논의를 다룬다 기존의 실주의 이론이 lsquo권력rsquo(power)의

불균등한 분배 상태에 따라서 외교의 결과가 결정되는 것으로 본 데 반해

상 이론은 약한 것으로 여겨졌던 국가가 강한 국가와의 외교 상에서

승리한 사례를 통해서 구조 권력의 우 가 무조건 외교상의 승리로 이

어지지는 않는다는 을 지 하고 실제사례 연구를 통해서 lsquo구조 권력rsquo

이 어떻게 구체 인 lsquo 상력rsquo으로 발휘되는지에 한 분석을 시도했다13)

하비 (William M Habeeb)는 권력을 국제정치의 구조에 따라서 상이

일어나기 이 에 결정되는 정태 구조권력(static structural power)과

상자의 술을 통해 조정될 수 있는 행태 인 권력(behavioral power)으로

분류하고 행태 인 권력을 활용하면 구조 권력의 열세에 처한 국가도

13) Carrie Menkel-meadow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416 William Zartman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59

상을 유리하게 개할 수 있다는 고 주장했다14) 이 때 행태 인 권력

을 통해서 조정될 수 있는 구조 인 권력으로 이슈 별 권력(issue-specific

structural power)이라는 개념이 제시된다 총체 인 구조 권력(aggregate

structural power)은 행 자가 국제체제 내에서 가지고 있는 힘의 총량이므

로 개별국가의 국력과 비례하며 상과는 무 하게 주어져 있는데 반해

이슈 별 권력은 상과 련된 사안에 해 상 당사자가 가지고 있는

상 인 힘의 요소(relative component of power)를 반 한다

이러한 이슈 별 권력은 안(alternative) 의지(commitment) 통제력

(control)의 변화에 따라 확 되거나 축소된다15) 그러므로 안 의지 통

제력에 해 잘 분석할 수 있다면 lsquo행태 인 권력rsquo을 통해 이슈 별 권력을

조정할 수 있는 지 을 확인할 수 있고 결과 으로 략의 선택범 를 가

늠할 수 있다 그 기 때문에 상 략 분야의 실천 연구들은 상자의

상력을 분석하기 해 lsquo 안rsquo lsquo의지rsquo lsquo통제력rsquo이라는 개념을 보다 면

하게 검토했다

첫째로 lsquo 안rsquo은 상 기의 상력을 가장 객 인 단하는데 용이

한 지표다 피셔(Fisher)와 유리(Ury)는 상이 결과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

에 얼마나 좋은 안을 가지고 있는지(Best Alternative to a Negotiated

Agreement 이하 BATNA)를 통해서 상력을 간 으로 살펴볼 수 있다

고 주장한다16) 둘째로 lsquo의지rsquo는 상참가자가 상의 결과에 해서 부

여하는 가치의 정도이다 셋째로 lsquo통제력rsquo은 상에 참여하는 집단이 원하

는 결과를 해서 지불할 수 있는 가이다 그러므로 의지와 통제력은

상 참가자가 상 상 방과 상반된 의견을 가지고 있을 때 자신의 선호를

얼마나 철시키고 상 방의 의견을 얼마나 수용할 수 있는가의 문제로

14) William Mark Habeeb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pp10

ndash26

15) Ibid pp19ndash22

16) Roger Fish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pp97ndash98

16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귀결된다17)

이러한 lsquo의지rsquo와 lsquo통제력rsquo의 범 는 합의 가능 지 (zone of possible

agreement)라는 개념을 통해 도식화될 수 있다18) lsquo 상에서 성공 합의

가 이루어질 수 있는 범 rsquo라고 정의되는 합의 가능 지 (zone of possible

agreement 혹은 zone of potential agreement)은 상 양자가 상결과를

도출하고자 하는 의지와 이를 해 감수할 수 있는 가로써 통제력을 얼

마나 발휘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상에 임하는 행 자와 상 상 방

은 각각 수용할 수 있는 한계치(bottom line 혹은 resistance point)과 자신

이 바라는 모든 것을 철시켰을 얻을 수 있는 목표치(target point)를 가지

고 있다 lsquo의지rsquo와 lsquo통제력rsquo의 에서 이를 해석해보면 상의 내용이

한계치에 다다를수록 행 자가 상을 통해 지불해야 하는 가가 높아지

면서 상자는 통제력의 한계에 직면하게 되는데 이때 상자가 상에

해 얼마나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상의 타결여부가 결정

된다 따라서 목표치와 한계치 사이의 범 는 상 행 자의 의지와 통제

력의 범 와 첩된다고 할 수 있다 만약 상자가 상의 성공에 해

높은 가치를 두고 비용을 지불할 용의가 있다면 상의 의지와 통제력은

상자의 한계치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이다 반 로 상자가

기존의 목표를 고수하는 것에 집 한다면 상 타결에 한 의지는 낮아

지고 상자의 한계치는 목표치와 가까워지게 될 것이다 이 때 상자와

상 상 방의 한계치와 목표치의 범 가 첩되는 지 이 바로 합의 가

능 지 이며 이를 그림으로 표 하면 다음과 같다

17) 이처럼 상 담당자가 자신의 의견을 철하고 상 의 의견을 수용할 수 있는 범 를 하

비 는 안 지 (security point)라고 정의하고 있다 Habeeb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pp21ndash22

18) Tanya Alfredson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pp8ndash9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1

[그림 1] 협상자(A)와 협상 상대방(B)의 합의 가능 지점19)

그러나 국제 상은 개인과 개인의 상이 아닌 집단과 집단의 상이

라는 에서 체 구성원의 목표치와 한계치가 상술한 이론처럼 명쾌하게

도출되지 않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 퍼트남(Robert Putnam)은 상

은 상자 간의 합의 가능 지 을 도출하는 과정의 외부게임(diplomacy

level 1 game)과 상자가 자신이 속한 집단 내부를 통해서 lsquo동의rsquo와 lsquo비

rsquo을 구하는 국내게임(domestic politics level 2 game)으로 구성된다는 이

른바 양면 게임(two-level game) 모형을 고안했다20) 즉 상자가 상

상 방과의 상 과정에서 략을 통해서 상 방의 한계치를 변경하거나

더 유리한 입장을 철시키기 해서 노력하고 잠정 인 결론을 도출하는

것은 외부게임 환경에서 일어나지만 상자의 한계치와 목표치의 범 는

국내정치게임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자의 한계치와 목

표치가 설정되고 이에 따른 상 략이 채택되는 것은 결국 상자의 내

부 집단에서 특정 집단의 이익이 체의 이익으로 변되고 합의되는 정

치과정과 하게 연 되어 있다21)

그 기 때문에 상자가 외부게임에서 보유할 수 있는 한계치와 목표

19) 그림은 다음 들의 도식을 참고하여 필자가 재구성한 것이다 Roy J Lewicki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pp33

ndash37 Alfredson and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p8

20) Robert D Putnam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ndash460

21)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

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5ndash169

16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치의 범 22)는 상자가 내부 집단에서 어떠한 지 에 있는가와 한

련이 있다 퍼트남에 따르면 상자의 셋(win-set)은 국내게임에서

상자가 결집시킬 수 있는 연합(coalition)의 규모 상자가 제도

(institutional)으로 동원할 수 있는 국내권력과 하게 연 되어 있다23)

그러므로 상자가 국내집단에서 높은 지 에 있을수록 자신의 lsquo의지rsquo를

철시키기 해서 보다 많은 lsquo통제력rsquo을 발휘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 상에서 더 넓은 -셋을 가지게 되며 다양한 략 인

옵션을 보유하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24) 반 로 상자의 지 가 낮으

면 국내게임 상에서 제한된 동의만을 가지고 상 방과 상을 진행해야

하므로 상타결을 해서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하는 략을 활용할 수

있는 여지는 감소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국제 상에서 상자의 지 가 높을수록 상 결과에 해 더 높

은 의지를 가지고 강한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상자의 지 가

높을수록 합의가능지 이 확장되며 략 으로도 더 넓은 선택지가 주어

진다 따라서 지 가 높은 상자는 지 가 낮은 상자에 비해 더욱 다양

한 략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지 가 높은 상자는 상 방의 입장을 더

수용해 주는 력 인 략을 구사할 수도 있고 경쟁 이고 강경하게 자

신의 입장을 고수하는 략을 택할 수도 있는 반면 지 가 낮은 상자가

자의 상 략을 선택할 수 있는 여지는 높지 않다

그러나 상자의 지 가 높은 경우 략 선택 범 가 넓고 더 많은

상력을 보유할 수도 있다고 논의한 것만으로는 상자가 특정 상

략을 채택한 이유를 밝히기 쉽지 않다 따라서 특정한 상 략이 채택되

는 이유에 해 상이론은 어떤 설명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

다 따라서 다음 장에서는 상이론이 상 략을 어떻게 유형화하고 특

22) 퍼트남은 이를 -셋(win-set)이라는 용어로 표 했다 Putnam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pp435ndash441

23) Ibid pp441ndash450

24) Menkel-meadow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pp421ndash422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3

정한 상 략이 채택되는 배경을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B 협상전략과 협상목표

상 략이론은 상 략이 상자가 상에 해 가지고 있는 목표와

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에서 착안하여 상 략과 상목표를 유형

화시킴으로써 상참가자의 의도를 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컨

이 이해 계모델(the dual concerns model)은 상에서 일어나는 행 자

의 략을 양보(yielding) 문제해결(problem-solving) 무 심(inaction) 투

쟁(contending)으로 분류하고 의 선택지 에 상자가 특정 략을 채

택하는 데에는 크게 두 가지 요소(자기 자신의 이익에 한 심 상 상

방의 이익에 한 심)가 결정 향을 미친다고 보았다25) 이 모형을

더 발 시킨 키(Lewicki)가 히엄(Hiam)은 합리 행 자라면 상을

통한 이익이 담보되어야 상에 임한다고 보고 상자가 자신의 결과

이익보다 상 방의 이익에 해 심이 있는 경우는 결국 상 방의 이익

을 보장해 으로써 상 방과의 계가 향상되기를 기 하는 것으로 해석

된다고 보았다26) 이러한 문제의식을 통해 R-O모델(Relationship-Outcome

Model)이 제시되는데 이 모델은 상자의 상목표를 크게 계(relationship)

이익과 결과(outcome)이익으로 구분한다 이 때 계이익은 상자가 상

방의 결과이익을 보장함으로써 계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을 의미하고

결과이익은 상자가 상을 통해서 구체 인 성과를 추구하는 것을 의미

한다

이러한 R-O 모델은 행 자가 계이익과 결과이익 어떤 것을 추구하

는지는 상 상 방과의 계의 지속성 연계 이슈에 따라 좌우된다27)

단발 인 거래상황이나 상자와 상 상 방 사이의 계가 별로 형성

25) Lewicki Saunders and Barry Negotiation pp22ndash24

26) Roy J Lewicki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pp22ndash31

27) Roy J Lewicki et al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chap 2ndash4

16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자는 주로 결과이익을 추구한다 한편 상자

가 상을 통해 상 방과의 계개선 안정을 도모하고 추후 지속될

상에서 더 큰 이익이 상되는 장기 인 거래 상황에서 주로 계이익이

추구된다 국가 간의 상 상황에서 이러한 논의를 확 하여 용해보면

계이익을 추구하는 상자는 주로 장기 외교 략 인 목표에 무게

심을 두는 반면 결과이익을 추구하는 상자는 주로 단기 경제 목표

를 더 염두에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R-O 모형은 행 자가 어떤 이익을 추구하는지에 따라서 행 자

의 상 략이 선택되고 구사된다고 주장하고 상 략을 크게 4가지로

유형화했다 상에서 상되는 단기 인 이익보다 장기 이고 략 인

측면에서 상 방과의 계유지가 요한 경우 상자는 자신의 이익이

보장되지 않더라도 상 방의 입장을 수용(accommodating)하는 략을 취

한다 상을 통해서 상 방과의 계도 향상되고 결과도 좋을 것이 측

되는 호혜 인 상황에서는 력 략(collaboration)이 구사된다 한편

상을 통해서 얻는 단기 이익도 없고 상으로 인해 보장되는 상 방

의 이익도 불분명하면 상 행 자는 상을 회피(avoiding)하는 략을

선택하게 된다 만약 상을 통해서 얻게 될 결과 이익이 실한 경우에

상자는 상 방과의 계가 손상되더라도 자신의 상성과를 해서 경

쟁 (competing) 수단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자는 상을 단발성

으로 인식하게 되고 비윤리 인 행 나 행 등 도 서슴지 않게 된다

아래의 [그림 2]는 상술한 내용에 의거하여 상자가 자신의 의도와 목

에 따라 어떤 략을 선택하는지를 도식화한 것이다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5

[그림 2] R-O 모델(협상전략-협상목표의 상관성 모형) 한글은 필자 수정28)

이상의 논의를 살펴보았을 때 상이론의 분석 틀을 활용하여 상

행 자의 안유무 상행 자의 수 에서 비롯되는 의지와 통제력의 차

이 상 략과 그 의도를 분석한다면 개별 상에서 행 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상력의 정도와 가용한 상 략을 개략 으로 평가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자가 특정한 상 략을 선택한 의도를 유추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다음 장에서는 상이론의 논의를 통해 도출한 분석

틀을 활용하여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과정을 비교하고

상에서의 우 를 한 러시아가 어떻게 상력을 재고할 수 있었고 어

떤 략을 구사했는지를 살피고 러시아가 나진항 개발사업에 극 인

략을 구사한 이유를 유추해보고 실제 국제정치 맥락에서 이러한 유추

가 설명력을 지니는지 평가해본다

28) Lewicki and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pp24ndash32

1 계 시형

수용 략

2 호혜 상황

력 략

3 상 미발생

회피 략

4 단발성 거래

경쟁 략

16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III 나진항을 둘러싼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과정

A 중국-북한의 협상과 러시아-북한의 협상과정 비교

본 장에서는 나진항 3호 부두에 한 국과 러시아의 상과정을 정리

하고 -북간 상과 러-북간 상의 특징을 각각 서술하고 이를 종합하여

비교한다 이를 해 국과 러시아 각 국의 상이 일어난 배경과 상

단계 단계별 상 주체 이에 따른 북한 측 상 주체 상 결과의 내용

상 시기의 주요한 환경 요인 상의 이행 결과를 국가 별로 나 어서

정리할 것이다

(1) 중국-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 부두 사용권에 한 국의 근은 국 훈춘시에서 구상한 도

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路-港-區一體化)에서 비롯되었다 2000년

북한은 국과 러시아 사이의 물동량이 폭 확 되면서 포시에트항이 나

진항을 체할 항구로 부상하는 것에 응하여 나진-선 도로망 폭 개

선 계획을 발표하는데 이 계획의 핵심 구상이 바로 나진항과 훈춘을 도로

로 연결하는 것이었다29) 막 있는 바닷길을 뚫고 동해로의 진출을 모색

하던 국 훈춘 시정부는 이러한 북한의 구상에 응하여 훈춘에서 나진

항까지 연결된 도로를 화하고 나진항을 거 항만으로 확보하고 항만

배후부지를 산업 물류단지로 개발하는 것을 골자로 한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를 구상했다30) 이 구상을 토 로 2003년 12월 12일과 21

일 훈춘시 정부 길림성 정부 계자 항만 개발업체로 구성된 상

표단이 북한 측에 나진항 추가 확장 계획을 제의하는 과정에서 나진과

29)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곽복선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

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30)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3ndash73 徐家军amp李泽 ls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squo 新浪財經 200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7

국을 잇는 도로 배후부지 개발을 조건으로 국이 나진항 부두시설

일부를 50년 간 독 사용하는 상의 기본 틀이 세워졌다31)

주목할 은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에 한 국 앙정부차

원의 심은 국과 북한의 지방정부 간 상이 시작되던 시 보다 늦게

발되었다는 것이다 2003년 당시 국 정부는 본격 으로 낙후된 동북

지역을 진흥시키기 한 동북진흥(振兴东北) 로젝트를 구상하고 이를

해 국무원 차원에서 lsquo동북 지역을 포함한 노후 공업 기지 진흥을 한

실시 략에 한 의견rsquo을 작성했다32) 그러나 의견에는 아직 훈춘시가

구상했던 외국항구 임차를 통한 출해권 확보 목 의 도로-항만-구역 일체

화 로젝트에 한 언 은 나와 있지 않다33) 그러므로 나진항 부두 사용

권을 둘러싼 국과 북한의 상은 앙정부가 아닌 지역 활성화를 도모

하던 북한과 국의 지방정부의 자발 인 움직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상이 본격화된 이후 국 측 참여기업인 둥린유한공사(东林有限公

司 이하 둥린회사)와 국 훈춘시의 실무자들로 구성된 상단이 북한

의 나선시인민 원회와 주로 상을 가지게 되었으며 2004년 9월에 기본

합의가 이루어졌고 2005년 3월에는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장 김수열이

훈춘시에 방문하여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34) 2005년 7월에는 국

의 둥린회사와 훈춘변경경제합작구 보세유한회사(珲春边境经济合作区保

税有限公司)가 자본과 공사 자재를 투자하고 북한 나선시 인민 원회 경

제합작회사가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제공하는

합작회사가 만들어졌으며 2005년 9월에는 구체 인 사업 진행방안을 담

은 본 계약이 체결되었다35) 2006년 1월에는 북- 이 만든 합작회사가 북

31)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32) Jae Ho Chung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ndash125

33)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34) 徐家军amp李泽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p61

16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설립인가를 받게 다36)

상을 통해서 합의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37)첫째 국과 북한 사이에

설립되는 합 회사는 로젝트에 총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를

투자하여 나진항 3호 부두를 확장 건설하고 4호 부두를 신설하며 보세

가공구와 공업원구를 배후지에 건설하는 한편 나진-원정 간의 비포장 도

로 67km를 488km의 왕복 2차선 직선 포장도로로 개량하기로 했다38) 둘

째로 이러한 거 로젝트를 실시하기 한 선결조건으로 국 측은

3000만 유로(약 24억 안 3600만 USD)를 투자하여 원정-나진 간 도로

건설을 우선 시작하고 나진항 3호 부두를 개조하는 가로 나진항 3호 부

두와 향후 지어질 4호 부두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획득하기로 했다

그러나 2006년 5월 구상이 마무리되고 10월부터 착공하기로 되어있던

고속도로 건설 사업은 북한의 핵실험 둥린회사의 투자 조달 실패 등

으로 인해 착공 정일을 맞추지 못하게 되었다39) 이에 2007년에는 국

길림성 정부까지 나서 나진항 개발자 을 지원하기 해 세 징수 우 정

책까지 부여했지만 둥린회사는 자 부족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2008년 러시아와 북한의 합의에 의해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에 한

이권을 상실하게 되었다40)

35) 계약은 합 회사가 2006년 5월부터 나진-원정간 고속도로 건설을 시작하고 추후 나진

항 3호 부두를 개조하고 공업단지 보세가공구를 건설하는 조건으로 나진항 3호 부두의

50년간의 사용권을 확보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36) 의 p61

37)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

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38) 투자액에 한 미 달러 환산 액은 본 계약 완료시 인 2005년 9월의 월별 환율을 통해

필자추정

39) 당시 국 후난 학(湖南大學) 연구원을 통해 원정-나진항 도로건설에 한 실사 조사

공사 방안이 확정되었으며 10월까지 도로 주변의 나무 채벌까지 완료되면서 본격 인 착

공을 앞둔 제반 비가 마무리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pp56ndash58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40) 의 책 p5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9

(2) 러시아-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의 부두개발에 한 국과 북한의 의가 지방정부 차원에서 시

작된 반면 러시아와 북한 사이의 상은 앙정부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2000년 8월 러시아의 푸틴(Vladimir Putin) 통령은 남북한의 화해 분

기가 조성된 틈을 타 한반도 횡단 철도(Trans-Korean Railway 이하 TKR)

를 시베리아 횡단 철도(Trans-Siberian Railway 이하 TSR)와 연결하는 이

른바 lsquo철의 실크로드rsquo 구상을 김정일 국방 원장 김 통령에게

달했다41) 남북의 지도자로부터 정 인 반응을 이끌어낸 푸틴은 2001년

북middot러 정상 회담을 통해 발표된 모스크바 선언의 6항을 통해 TKR-TSR 연

결 사업에 한 북한과 러시아의 력 의지를 공식 으로 밝혔다42) 상

이 본격화된 이후 러시아는 철도부 표단을 수차례 북한에 견하여 북

한 철도성과 철도 화에 해 본격 으로 논의하기 시작했다43) 2003

년 이후 러시아 철도공사(RZD)가 러시아 철도부의 모든 인 라와 사업

로젝트를 승계함에 따라 RZD는 국 기업의 자격으로 TKR-TSR 연결

사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남-북-러 사이의 삼자 력 구도 속에서 시작된 TKR-TSR 연결

사업은 상 과정에서 노선선정 재원조달 방식 등의 주요쟁 들에

한 각국의 견해차로 인해서 곧 교착상황에 빠지게 되었다44) 그런 상황 속

에서 2002년 이후 2차 북핵 기로 인해 북한에 한 국제사회의 제재가

지속되고 남북 계가 악화되자 북한은 2004년에 TKR-TSR 연결사업에

41) Seung-ho Joo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Cornwell

Ashgate 2009 pp179ndash256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2000ne

42)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23 2007 p231

43)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pp 75ndash80

44)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 56

17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논의가 무의미하다고 밝히며 회의불참을 선언한다45) 이 게 삼각

력의 구도가 기에 착하자 RZD는 상의 구도를 북한-러시아 간 한

국-러시아 간의 상의 두 트랙으로 분리하고 양 국과 개별 인 상을

진행하여 갈등을 합하고자 했다

우선 러시아는 TSR-TKR의 체 구간을 연결하려던 기존의 구상을 축

소하여 일부 구간만을 시범 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사업 구상을 변경해

북한에게 제의했다 북한이 이에 응하면서 2004년 북-러 국경 철도 의회

는 우선 TSR과 TKR의 결 에 치한 나진-하산 간 철도 개량사업부터

시범 실시하는 것에 한 상을 시작했다46) 상은 2006년 블라디보

스토크에서 열린 남-북-러 철도 표자 회의를 통해서 구체화되었는데 그

내용은 RZD와 북한이 함께 설립하는 합작회사(Rasonkontrans 이하 라손

콘트란스)를 통해서 나진-하산간 철도 나진항 항만시설 개보수를 진행

한다는 것이었다 합의를 통해 RZD는 나진항 부두시설사용권에 한

이권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자 조달방법에 해서 북한으로부터 재량권

을 임 받았다47)

한편 RZD는 한국이 주요투자자로 로젝트에 남아있기를 원했다 따

라서 북한으로부터 투자 유치에 한 재량권을 얻고 나자 2007년 한국 철

도공사(KORAIL 이하 코 일)와 양자 상을 통해서 한국의 투자방안에

한 세부 MOU를 체결했다 MOU를 통해서 설립된 루코로지스틱스

(RUCO Logistics 이하 루코)는 코 일의 지원 하에 한국의 민간물류업체

들의 투자를 받아서 라손콘트란스의 러시아 측 지분에 투자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북한 련사업에 한 남한의 투자가 러시아를 통해 우회하

여 남북 계의 정치 불안정성이 투자에 악 향을 끼치는 것을 최소화

하고자 했다

45) 의 pp55ndash56

46) 의 pp57ndash58

47)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1

이처럼 새롭게 상 구도를 짠 결과 러시아는 남북으로부터 아래의 합

의를 이끌어냈다 첫째 나진-하산 로젝트는 TKR-TSR 연결을 한 시

범사업으로 러시아와 북한의 합작회사인 라손콘트란스가 북한의 나진항

과 러시아의 하산 사이에 54km에 이르는 철도구간을 개보수하고 나진항

의 기 인 라를 개발하는 것을 가로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을 49년 간

사용한다48) 둘째 이를 한 투자액은 총 21억 달러(USD)으로 RZD가

약 126억 달러를 분담하는 한편 루코가 러시아 지분 일부(40)를 매

입하는 방식으로 자본을 분담투자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러한 RZD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을 통한 자 조달 계획

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2008년 출범한 이명박 정부는 그간 지속되어

오던 북사업을 취소한다는 뜻을 밝히며 북한이 핵무기 로그램을 포

기하지 않는 한 규모 북경제지원사업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49)

이에 응하여 북한도 남한과의 모든 공식 을 단하면서 남북 계는

격하게 악화 고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민간기업들의 투자도 무

산 다50) 이런 상황에서 RZD는 로젝트를 이행하기 해 2008년 4월

북한과 러시아의 양자 의 형태로 새로운 합의서를 체결하고 2008년 10

월에는 나진항 부두시설 화 나진-하산 철도 화에 한 착공식

을 진행했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러시아 역시 자 형편이 여의치 않아 공

사를 일정 로 진행할 수 없었다51) 이후 러시아는 RZD의 자체 차입 자

으로 투자비를 확보하여 2011년 공사를 재개했고 2013년 나진-하산 간 철

도를 완공 후 개통시켰고 2014년부터는 보수된 나진항 3호 부두를 통해

48) 지분 구조는 RZD가 70이며 북한 철도성이 30이다 이를 해 러시아는 21억 불의

자본을 투자하고 북한은 나진항만 시설을 물로 투자한다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

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2

49) Hong Nack Kim ls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s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2008) pp 8ndash18 Chung-in Moon lsquoSouth Korea in 2008rsquo 49 2008 pp127ndash

128

50)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p64ndash65

51)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3

17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국 러시아

상배경도로-항만-구역일체화 로젝트

(훈춘시정부 차원)

TKR-TSR 연결 로젝트

( 앙 정부 차원)

상시기 2003년-2006년 2000년-2015년 진행

시작

2003년 12월 국 지방 정부 계자

기업이 북한 나선시와 논의 시작

2000년 8월- 푸틴 통령이 남북정상과

논의 시작

2001년 8월 모스크바 선언 정식 결의

석탄을 운반하기 시작했다52) 이때 러시아는 철도연결에 55억 루블(약 18

억 USD) 나진항 터미 공사에 약 35억 루블(약 11억 USD)을 투자한 것

으로 추정된다53)

요컨 2000년 러시아 최고 지도자인 푸틴의 심 속에서 시작된 상

은 2003-4년 북핵 기로 인한 북한의 상 거부 기와 2008년 이후 투자

계획의 난 을 뚫고 최종 으로 이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는 남북

한의 응에 강경하게 응하기보다는 양 국의 의견을 수용하기 한

상 방안을 제시하고 상 를 다시 상에 참여시키기 해 막 한 자 을

투자하기까지 했다 이처럼 러시아가 상을 지속하기 해 다양한 수용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면 러시아와 북한 간의 합의 역시 이행되지 못했

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B 중국-북한 러시아-북한의 협상에 대한 이론적 분석

앞 장에서는 나진항의 부두 사용권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 과

정을 추 해보았다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을 상의 배경 상 주체

북한 측 상 주체 주요 상 내용 상 규모 상 이행 상황을 심

으로 비교해보면 아래의 lt표 1gt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lt표 1gt 나진항 3호 부두 사용권과 관련된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주요 사항

52)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나희승 ldquo남북 sdot 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53)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1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3

국 러시아

과정

- 2004년 기본 합의 완료

- 2005년 3월 24일 MOU 체결

- 2005년 7월 합 회사 설립

- 2005년 9월 본계약 체결

- 2006년 1월 북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합 회사 설립 비

- 2004년 7월 나진-하산 로젝트로 논의

축소 나진항 사용에 한 명시

- 2006년 7월 남-북-러 3자 철도 운 자

회의 나진-하산 화 사업 합의

- 2007년 남한 투자 련 MOU

- 2008년 한국 참여 실패

- 2008년 4월 북-러 나진 하산 철도

화 나진항 3호부두 개발에 한 력

합의서 체결

이행

- 2006년 5월 사업 조사 완료 비

- 2006년 10월 착공 연기

- 2007년 2월 길림성 lsquo두만강유역

개방개발 가속화 방안rsquo 마련

- 2008년 4월 훈춘 둥린회사 외국

투자 유치 난항 최종 실패

- 2008년 4월 라손콘트란스 설립

- 2008년 10월 나진-하산 철도구간 개보수

착공식 후 공사 지연

- 2011년 철도 건설 사업 재개

- 2013-2014년 철도와 부두 개보수 완료

상 주체상 시작 지방 정부

상 과정 민간기업 훈춘시 지원

상 시작 러시아 앙 정부

상 실무 러시아 철도부 RZD54)

북한측 상

주체나선시 인민 원회

-북한 앙 정부

- 상 실무 북한 철도성 육해운성

실무 계자

투자 규모

lt 체 규모gt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

lt본 계약 규모gt

3000만 유로

(24억 RMB 약 3600만 USD) agrave미이행

lt계약 시기gt

총 21억 USD 러시아가 126억 USD

lt이행기gt 철도연결에 55억 루블 지출 터

미 공사에 35억 루블 지출

(약 11억 USD)

이 같은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의 비교를 토 로 러시아와 국의

상력 각국이 구사한 상 략을 비교해보고 러시아가 상에서 유

리한 결과를 낼 수 있었던 요인과 러시아의 략 인 목표를 유추해볼 것

이다

54) 러시아 정부는 2001년부터 자국의 철도 개 을 진행하여 철도부(Railway Ministry)를 국

주식회사인 RZD와 정책 담당 부서인 교통부(Ministry of Transport) 경제 발 무역

부(Ministry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rade)로 분리했다 RZD는 기존의 철도부의

시설 사업을 승계함으로써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상도 이어서 진행하게 되었다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17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우선 상력을 보기 해 상에 임한 국과 러시아의 정태 인 구조

권력을 살펴본다면 비록 총체 인 구조권력 상에서 국이 러시아에 비

해서 압도 으로 강력했으나 나진항을 둘러싸고 북한과 진행한 상사안

만 놓고 본다면 이슈 별 권력에서 러시아가 국보다는 북한에 해 우

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러시아는 북한과의 상에 한

BATNA의 차원에서 국보다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두만강 유역에서

국의 국경은 차 강 기를 따라 좁아지다가 동해를 15km 앞둔 지 에서

끝이 난다55) 그러므로 동해로 직 나갈 수 있는 항구 시설이 무한

국은 나진항 련 상이 결렬되는 경우 동해로의 출해권을 얻을 수가 없

었다 반면 러시아는 나진항 이외에도 극동지역에 여러 항구를 보유하고

있다 일부 연구가 러시아의 극동항만들이 겨울에 얼어붙는 반면 나진항

은 부동항이기 때문에 나진항의 경제 이 이 크다고 보기도 하지만 실

제로는 러시아 극동의 블라디보스톡(Vladivostok) 이남의 항구들은 모두

부동항들로 슬라비얀카(Slavianka)항 보스토치니항(Vostochny) 포시에트

(Posyet)항 자루비노(Zarubino)항 등 개발잠재력이 충분한 항구들이 이미

러시아 극동에서 운용 이다56) 따라서 북한과의 상에 한 이슈 별 권

력의 차원에서 러시아는 국보다 유리한 치에서 상을 시작했다 lsquo의

지rsquo와 lsquo통제rsquo의 측면에서도 러시아는 국보다 더 우 에 있었다 러시아-

북한의 상이 국-북한의 상에 비해서 행 자수 이 높았기 때문에

상을 성사시키기 해 상자가 활용할 수 있는 비용과 제도 인 권력

의 가용범 가 더 컸기 때문이다 상이 난 에 착한 상황에서 러시아

55) James Cotton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1086 Cho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pp51ndash53

56) 특히 19세기와 20세기 반에는 러시아 극동에서 부동항에 한 수요가 컸고 그런 맥락에

서 나진항의 요성이 강조되었다 이와 하여 다음을 참조 Ibid pp52ndash55 백 기 ldquo러

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백 기 최정수 최재희 (편)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동북아역사재단 2007 pp23ndash62

한편 러시아 극동의 항만시설과 해서는 다음을 참조 Robert North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74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5

가 상 체의 틀을 다시 짜는 선택을 할 수 있었던 것이나 남한의 투자

가 결렬된 이후 막 한 비용을 들일 수 있었던 것은 모두 행 자 수 이

높아짐으로써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해 수 있는 범 가 넓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실제로 상이 시작된 2000년 반 푸틴 통령은 자신이 추구하는

로 상을 진행시키기 해 국내정치 으로 의견을 결집시켰다 당시

러시아 료들은 북한과의 철도연결을 재개하는 것에 해서 비 이었

다 러시아 철도부 장 이었던 데 (Guenaddy Fadeyev)는 TKR-TSR

은 투자비용도 무 크고 정치 험도도 높은 사업이라며 회의 인 견

해를 피력하기까지 했다57) 그러나 푸틴은 사업을 lsquo 요한 사업rsquo이라고

못 박았고 데 로 하여 사업이 확실한(promising) 사업이라고

발언하게 했다 이러한 푸틴의 응에 의해 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국

내 으로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 차단되었고 상이행에 한 푸틴

의 강력한 의지가 러시아 국내에 확인되었다

러-북 간의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강력한 지지 속에서 이루어졌다

는 은 상 실무주체가 RZD 다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RZD는 단순히

러시아 철도부가 진행하던 사업의 권한을 승계한 공기업이 아니라 푸틴

의 국내정치권력의 핵심기 의 하나 다 RZD 사장인 야쿠닌(Vladimir

Yakunin)은 푸틴의 최측근 실로비키(silovarch) 한 명으로 차기 통령

후보로까지 거론되기도 했던 인물이다58) 야쿠닌은 나진-하산 로젝트를

RZD의 최우선 로젝트로 상정하고 상과정 내내 상자 간의 의견조

율과 외홍보에 힘을 쏟았다59) 따라서 RZD가 상을 주도했다는 은

나진-하산 로젝트 련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심 속에서 진행되

었다는 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57)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AsiaDH27Ag01html

58) Daniel Treisman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4ndash145

59)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pp228ndash229

17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편 국의 입장에서 상자의 수 이 낮았던 것은 -북 간 상이

실패한 결정 인 원인이었다 국의 상자 수 이 낮은 상황에서 북한

측도 이에 맞춰 상자의 수 이 낮아지게 되면서 양 국은 상의 이행을

한 재량권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실제로 국과의 상에 임했던 나

선시 인민 원회는 상의 출발단계에서부터 국 측이 원한 상 목표인

부두시설 임 에 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나진항의 부두 시설에

한 권한은 으로 북한 육해운성의 소 이기 때문에 나선시 인민 원

회는 부두사용권을 놓고 국과 의하는 것이 처음부터 불가능했기 때문

이다60)

이처럼 러시아는 상의 구조 권력에서 국보다 우 에 있었기 때문

에 다양한 략 선택지를 가지고 상의 교착상황에서 상 방의 입장

을 받아들이는 수용 략을 취함으로써 상이 지속되도록 했다 표 으

로 러시아는 2004년에는 TSR-TKR 연결 사업에서 이탈하려는 북한의 의

사를 반 하여 상의 틀을 축소했으며 2008년에 한국의 투자가 무 로

돌아가면서 상의 이행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자국의 자본을 100 투자

하여 북한과 합의된 사항을 이행했다

러시아가 이와 같은 상 략을 취한 이유를 R-O 모형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우선 러시아는 수용 인 략기조를 유지했기 때문에 상을

통해서 결과이익보다는 계이익을 추구했다고 여겨진다 나진항을 통해

서 얻고자 하는 결과이익은 항만시설을 통한 출해권 확보일 것이다 반

로 이 상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계이익은 상 상 국인 북한과의

계 향상일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의 략 선택은 러시아가 상을

통해 장기 으로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고 략 인 차원에서 장기 으

로 북한에 한 력을 지속시키고자 했다는 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60) 당시 국 둥린 회사를 도와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와의 상에 참여했던 국 훈춘시 지

방 정부 계자 면담에서 계자는 당시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도 외합작 경험이 부족

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권한범 에 한 인식이 부족했었다고 진단했다 2015년

2월 훈춘시정부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7

실제로 푸틴 통령은 상 기 경제 인 손실을 우려하는 국내 료들

의 불안감에 해 상은 요한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이 상의 목

표가 단기 인 경제성에 놓인 것이 아님을 명확하게 했다61)

상이 시작되던 2001년의 시기 배경을 고려해 보면 러시아가 계

이익 다시 말하자면 략 이고 장기 인 차원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

다는 이론상의 설명은 실성이 있다고 단된다 나진항만을 둘러싼 러

시아-북한 간의 상이 TSR-TKR의 연결 사업으로 첫 발을 디뎠던 2000

년 당시 러시아는 푸틴 통령의 집권으로 인해 국내정치 혼란을 바로

잡은 후 소련붕괴와 한반도정책의 실패로 인해 상실한 아시아 지역에

한 략 향력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 때 러시아가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러시아의 향력을 회복하기

해서는 상실했던 북한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만 했다 동아시아와

해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은 경제 으로나 인구 으로나 동아시아 주변

국에 비해 제한 인 역량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 시기

이래로 러시아가 지속 으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에서 주요세력으로 자

리매김했던 것은 소련과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략 인 계가 유지되

었기 때문이다62) 특히 소 계가 악화된 이후 소련은 소련에 한 북한

의 일방 인 의존을 활용하여 아시아 국제 계에서 략 버리지를

유지해 왔다63)

61)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62) Peggy Falkenheim Meyer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14ndash 221

Pavel A Minakir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p32ndash 50

Tamara Troyakova amp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ndash 37

63) John W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ndash53 Gilbert Rozman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 Stephan Blank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pp78ndash82

17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그러나 90년 들어 소련은 북한에 해 가지고 있던 향력을 상실하

면서 아시아의 정치무 에서 배제되게 되었다 1980년 후반 소련은 경

제 이익을 기 하며 남한과의 계수립에 힘썼고 1990년 남한과의 국

교를 정상화하기에 이르 다 게다가 소련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의 수장

으로 취임한 친(Boris Yeltsin) 통령은 서방과의 계회복을 기 하며

민주 가치와 자유를 존 하는 러시아의 모습을 보이기 해 공산독재국

가 던 북한과 의도 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공식

외교채 은 단 되었으며 러시아는 그 동안 북한에게 무상으로 제공

해 왔던 석유지원을 단했으며 러시아의 무기를 북한에 수출하지 않겠

다고 밝혔다64) 당시 러시아 외교부장 이었던 코지 (Andrei Kozyrev)

는 북한의 인권침해를 공식 으로 비 하면서 북한의 정치 변화를 구

하기까지 했다65) 결과 으로 한반도에서의 러시아의 외교정책 인 환

은 냉 기부터 긴 하게 유지되었던 러시아와 북한의 정치 연결고리를

약화시켰으며 북한은 러시아에 해서 가지고 있던 우호 인 시선을 거

두어들이게 되었다66) 그러나 러시아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이 사라진 것은 러시아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

제 계에서도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다 러시아가 북한에 해 정치

향력을 발휘할 것을 기 하며 러시아와의 계개선을 추진했던 남한은 러

시아가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을 상실하자 러시아를 외교 으로 등

한시했다67) 게다가 소련의 붕괴 이후 러시아의 통 인 향권에 한

64) Seung-ho Jo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ndash130 David Wolff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

booksdprkbbrussia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Alexander

Vorontsov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p5

65)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53

66) 이정철 외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p87ndash89

67)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호 2002 pp289

ndash297 Gilbert Rozman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9

침투를 본격화한 미국은 북-러 계가 약화된 시 에서 한반도 문제의

심 인 조정자로 부상하게 되었다68) 러시아가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외교

의제에서 배제된 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사건이 바로 1차 북핵 기

다 1차 북핵 기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를 포함한 8자 회담을 통해서 북핵

문제를 보다 국제 인 차원에서 해결하기를 원했으나 결과 으로 북한에

한 향력을 상실한 러시아는 배제된 채 4자 회담의 형태로 상이 진

행되었다69)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러시아는 남북한 모두에게 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면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자국의 향력 후퇴를 막을 수 없다는

을 확인했고 남한에 과도하게 경사되었던 한반도 계를 재조정하고

남북한 균형 정책을 구사하기 시작했다70) 러시아는 친서방 성향이 강

했던 코지 를 신하여 실용 유라시아주의자 리마코 (Yevgenni

Primakov)를 외교부 장 으로 임명하고 북한과의 계 회복에 주력했

다71)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태도는 냉담했는데 이는

러시아가 여 히 경제 인 측면에서 이익을 수 있는 남한과의 계를

더 시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력과 군사력이 약화된 러시아가 북한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북한의 의구심 때문이었다72)

p41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pp23ndash46

68) Yoshinori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192 Seung-ho Joo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Ashgate 2002 pp147ndash148

69) 러시아의 근 방식에 해서 다음을 참조Evgueni Bajanov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러시아의 배제와 4자 회담에 해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7ndash298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pp194ndash196 Stephen Blank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4ndash5

70)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pp228ndash229

71) Seung-ho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ndash81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6ndash298

72)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192 P Rangsimaporn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18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상실해버린 북 향력을 회복하는 것을 북 략의 주요 목표로 삼았

던 러시아에게 나진-하산 로젝트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기

한 출발 으로 매우 한 기획이었다 우선 나진-하산 로젝트가

TSR-TKR 로젝트로 시작되던 시기는 국제정치 으로 한반도의 화해 국

면 속에서 인 국가로서 러시아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극 화되던 시 이

었다73) 당시 남한과 북한은 화를 시작하고 추가 인 력 의제들을 논

의하는 과정 에 있었다 이러한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인 라 부문에

한 이해 계를 공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실리 인 력 어젠다(agenda)

를 통해 화와 력을 지속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 인 수요를 포착

하고 TSR-TKR 연결 구상을 통해 한반도에 한 실리 인 개자로 참여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이 시기는 러시아의 근에 해서

회의 인 입장을 견지하던 북한도 자국의 국내 정치상황으로 인해 입장을

바꾸던 때 다 당시 나진-선 을 통해서 개 개방을 도모하던 북한은 나

진선 지 개발에 한 외국투자를 극 으로 유치했다74) 때문에 러시

아의 근에 한 북한의 반응도 비교 정 이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나진항을 포함한 북한의 항만 시설 철도 인 라 시

설에 해서 확실한 기술 우 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과의 인

라 력 부문에서 확실한 강 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부터 1990년

까지 소련은 북한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등을 직 건설했으며 나진

항의 화 역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75) 소련은 이

게 개발한 나진항에 해서 공식 인 우선권을 인정받고(1978) 이를 소

Palgrave Macmillan 2009 pp62ndash64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p477

73) In-kon Yeo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ndash115

74)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75) 안병민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남

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pp1ndash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3: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55

나진과 러시아의 하산 사이의 철도 구간을 개보수한 후 러시아의 유연탄

을 남한으로 들여오는 lsquo나진-하산 로젝트rsquo의 시범 평가를 마치고 남한

과 본격 인 사업자간 상을 앞두고 있다4)

이 연구는 나진항에 한 국과 러시아의 근을 다룬 기존연구를 몇

가지 측면에서 보완하고자 한다 첫째 이 연구는 나진항과 련한 연구들

에서는 따로 논의되었던 국과 러시아의 입장 상과정을 나진항 3호

부두에 한 개별 상사례를 심으로 비교해보고자 한다 나진항 개발

련 사업은 한국이 북- -러 경 지역의 력에 참여할 수 있는 주요 사

업 의 하나이기 때문에 국내에서도 2000년 반부터 사실 계의 추

수와 국 러시아의 략에 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5)

특히 국과 러시아가 북- -러 경 지 에서 벌이고 있는 력과 경쟁의

동학을 다루는 연구들은 나진항에서 진행되고 있는 국과 러시아의 극

4) 김호 amp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5) 나진항 부두 사용권 련 황 연구는 주로 다음을 참조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ndash31 안병민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

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sdot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ndash47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

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27 Jin Cheol Jo and C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ndash50

국의 을 심으로 분석한 연구는 주로 다음을 참조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

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 13권

1호 2011 pp43ndash73 Nick Miller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Scott Snyder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ndash12 LC Russell Hsiao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ndash14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원

2009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러시아의 을 심으로 분석한 연구는 주로 다음을 참조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

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ndash78 나희승 ldquo남북 sdot 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20ndash34 Younkyoo Kim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ndash626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

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ndash303

15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인 개발에 한 황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의 은

주로 북- -러 경지 체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나진항을 개별사례

로 다루어서 연구를 진행하지는 않았다6) 그 기 때문에 -러의 경쟁이

실재했던 나진항 3호 부두의 개별사례를 심으로 국과 러시아의 근

략을 비교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권의 향방이

명확해진 나진항 3호 부두에 해서 국과 러시아의 근 방식의 차이를

상이론의 분석 틀을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국과 러시아의 상

략 상의 차이를 비교하고 부두사용권 상이라는 단일 사례가 국제정치

으로 지니는 함의를 보이고자 한다

둘째 이 연구는 국의 입장에서 나진항 3호 부두 확보 실패 원인에

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것에 비해 상 으로 간과되었던 러시아의 행

태 성공 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2008년 국이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던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이 러시아로 넘어가게 되면서 나진항에 한

국의 극 인 근에 해 심을 주목하던 학계와 언론은 왜 국이 나

진항 3호 부두를 확보하지 못했는지에 해 다양한 설명을 시도했다 외생

인 변수로 당시 북한의 핵실험으로 안보환경 북- 계가 악화되었

던 것이 요했다고 지 되었다7) 2006년 북한의 1차 핵실험에 한 국

정부의 강경한 응이 북- 계의 악화를 불러왔고 그런 가운데 북한

앙정부가 국이 확보한 항만경 권에 한 인 을 거부했다는 것이다

8) 일부 언론보도는 이러한 논의에서 더 나아가 북한의 개 개방 노선을 두

고 국과 북한이 오랫동안 갈등을 겪어왔다고 주장하기도 했다9) 내생

6) Cho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신범식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

과 동북아시아 지역정치rdquo

7)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 54 신범식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아 지

역정치rdquo p443 황진회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8) 북핵실험 이후 국의 이례 강경 응에 해서 다음을 참조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

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pp 340ndash341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11장

9)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57

인 변수로는 국정부의 심부족과 참여기업의 역량부족이 지 되었다

실제로 나진항의 항만사용권에 한 국 앙정부의 심은 상 기에

는 제한 이었다고 평가된다10) 한 일부 연구는 나선시 인민 원회와

합작회사를 운 하고자 했던 국기업의 실력이 부족했고 그로 인해 투

자유치 실 이 조했다는 에서 국의 부두사용권 확보 실패는 lsquo사업

상의 실패rsquo라고 진단했다11)

이와 같이 여러 연구를 통해 국의 실패요인이 분석된 데 반해 실제로

부두사용권을 확보하고 실질 인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러시아의 움직임

과 략은 상 으로 간과되고 있다12) 따라서 본 연구는 러시아의 상

략을 보다 구체 으로 살핌으로써 러시아가 단순히 -북의 상실패

상황에서 어부지리로 나진항의 부두 사용권을 확보한 것이 아니라는 을

보이고 러시아의 상을 성공시키기 해 택한 략을 살피는 한편 러시

아가 그런 략을 선택한 배경을 고찰할 것이다

이 같은 분석을 하기 해 본 연구는 상이론의 이론 성과들을 활용

할 것이다 특히 상수 을 확보함으로써 상력이 강해지고 상 략의

선택지가 많아질 수 있다는 을 상이론의 논의를 통해 보일 것이며

상 략과 상목표의 상 성을 설명한 이론을 활용하여 상자가 선택한

상 략을 통해 상자의 의도와 목표를 유추할 수 있는 이론 틀을 모

색해볼 것이다

10)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의 건설을 심으

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17ndash118

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

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pp61ndash62

12) 일부 연구가 러-북 계의 맥락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다루었으나 이들은 나진항의

부두사용권 련 상이 본격화된 2000년 반부터 상과정을 추 하기보다는 러시아

와 북한이 처한 국제정치 상황을 설명하기 해 나진-하산 로젝트를 부분 으로 활용

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컨 Kim과 Blank는 러시아가 2012년의 남-북-러 가스 이

라인 사업이 무산되자 이를 체하기 해서 나진-하산 로젝트가 본격화된 것이라고

보았다 장덕 은 북러의 월 계를 2000년 후반 이후 벌어진 러시아의 서방 계

악화의 결과로 보고 있다 Younkyoo Kim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p599ndash626 장덕 ldquo최근 북

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pp271ndash303

15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이를 해 다음 Ⅱ장에서는 상이론의 이론 성과와 여기에서 도출되

는 분석 틀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III장에서는 국과 러시아의 나진

항 3호 부두 사용권 련 상 과정을 비교하고 앞 장에서 논의된 상이

론의 에서 국과 러시아의 상 략 상의 차이가 가져온 결과를 비

교해보고 러시아의 상 의도를 유추해볼 것이다 마지막 IV장에서는 나

진항 부두사용권 상에서 러시아가 보여 상 략이 북- -러 경지

의 국제정치 국면에 어떤 시사 을 가지는지를 논의할 것이다

II 협상이론과 이론적 틀

A 협상력과 협상수준

이번 장은 상수 이 상력과 상 략의 선택범 에 미치는 향에

한 상이론의 논의를 다룬다 기존의 실주의 이론이 lsquo권력rsquo(power)의

불균등한 분배 상태에 따라서 외교의 결과가 결정되는 것으로 본 데 반해

상 이론은 약한 것으로 여겨졌던 국가가 강한 국가와의 외교 상에서

승리한 사례를 통해서 구조 권력의 우 가 무조건 외교상의 승리로 이

어지지는 않는다는 을 지 하고 실제사례 연구를 통해서 lsquo구조 권력rsquo

이 어떻게 구체 인 lsquo 상력rsquo으로 발휘되는지에 한 분석을 시도했다13)

하비 (William M Habeeb)는 권력을 국제정치의 구조에 따라서 상이

일어나기 이 에 결정되는 정태 구조권력(static structural power)과

상자의 술을 통해 조정될 수 있는 행태 인 권력(behavioral power)으로

분류하고 행태 인 권력을 활용하면 구조 권력의 열세에 처한 국가도

13) Carrie Menkel-meadow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416 William Zartman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59

상을 유리하게 개할 수 있다는 고 주장했다14) 이 때 행태 인 권력

을 통해서 조정될 수 있는 구조 인 권력으로 이슈 별 권력(issue-specific

structural power)이라는 개념이 제시된다 총체 인 구조 권력(aggregate

structural power)은 행 자가 국제체제 내에서 가지고 있는 힘의 총량이므

로 개별국가의 국력과 비례하며 상과는 무 하게 주어져 있는데 반해

이슈 별 권력은 상과 련된 사안에 해 상 당사자가 가지고 있는

상 인 힘의 요소(relative component of power)를 반 한다

이러한 이슈 별 권력은 안(alternative) 의지(commitment) 통제력

(control)의 변화에 따라 확 되거나 축소된다15) 그러므로 안 의지 통

제력에 해 잘 분석할 수 있다면 lsquo행태 인 권력rsquo을 통해 이슈 별 권력을

조정할 수 있는 지 을 확인할 수 있고 결과 으로 략의 선택범 를 가

늠할 수 있다 그 기 때문에 상 략 분야의 실천 연구들은 상자의

상력을 분석하기 해 lsquo 안rsquo lsquo의지rsquo lsquo통제력rsquo이라는 개념을 보다 면

하게 검토했다

첫째로 lsquo 안rsquo은 상 기의 상력을 가장 객 인 단하는데 용이

한 지표다 피셔(Fisher)와 유리(Ury)는 상이 결과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

에 얼마나 좋은 안을 가지고 있는지(Best Alternative to a Negotiated

Agreement 이하 BATNA)를 통해서 상력을 간 으로 살펴볼 수 있다

고 주장한다16) 둘째로 lsquo의지rsquo는 상참가자가 상의 결과에 해서 부

여하는 가치의 정도이다 셋째로 lsquo통제력rsquo은 상에 참여하는 집단이 원하

는 결과를 해서 지불할 수 있는 가이다 그러므로 의지와 통제력은

상 참가자가 상 상 방과 상반된 의견을 가지고 있을 때 자신의 선호를

얼마나 철시키고 상 방의 의견을 얼마나 수용할 수 있는가의 문제로

14) William Mark Habeeb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pp10

ndash26

15) Ibid pp19ndash22

16) Roger Fish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pp97ndash98

16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귀결된다17)

이러한 lsquo의지rsquo와 lsquo통제력rsquo의 범 는 합의 가능 지 (zone of possible

agreement)라는 개념을 통해 도식화될 수 있다18) lsquo 상에서 성공 합의

가 이루어질 수 있는 범 rsquo라고 정의되는 합의 가능 지 (zone of possible

agreement 혹은 zone of potential agreement)은 상 양자가 상결과를

도출하고자 하는 의지와 이를 해 감수할 수 있는 가로써 통제력을 얼

마나 발휘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상에 임하는 행 자와 상 상 방

은 각각 수용할 수 있는 한계치(bottom line 혹은 resistance point)과 자신

이 바라는 모든 것을 철시켰을 얻을 수 있는 목표치(target point)를 가지

고 있다 lsquo의지rsquo와 lsquo통제력rsquo의 에서 이를 해석해보면 상의 내용이

한계치에 다다를수록 행 자가 상을 통해 지불해야 하는 가가 높아지

면서 상자는 통제력의 한계에 직면하게 되는데 이때 상자가 상에

해 얼마나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상의 타결여부가 결정

된다 따라서 목표치와 한계치 사이의 범 는 상 행 자의 의지와 통제

력의 범 와 첩된다고 할 수 있다 만약 상자가 상의 성공에 해

높은 가치를 두고 비용을 지불할 용의가 있다면 상의 의지와 통제력은

상자의 한계치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이다 반 로 상자가

기존의 목표를 고수하는 것에 집 한다면 상 타결에 한 의지는 낮아

지고 상자의 한계치는 목표치와 가까워지게 될 것이다 이 때 상자와

상 상 방의 한계치와 목표치의 범 가 첩되는 지 이 바로 합의 가

능 지 이며 이를 그림으로 표 하면 다음과 같다

17) 이처럼 상 담당자가 자신의 의견을 철하고 상 의 의견을 수용할 수 있는 범 를 하

비 는 안 지 (security point)라고 정의하고 있다 Habeeb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pp21ndash22

18) Tanya Alfredson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pp8ndash9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1

[그림 1] 협상자(A)와 협상 상대방(B)의 합의 가능 지점19)

그러나 국제 상은 개인과 개인의 상이 아닌 집단과 집단의 상이

라는 에서 체 구성원의 목표치와 한계치가 상술한 이론처럼 명쾌하게

도출되지 않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 퍼트남(Robert Putnam)은 상

은 상자 간의 합의 가능 지 을 도출하는 과정의 외부게임(diplomacy

level 1 game)과 상자가 자신이 속한 집단 내부를 통해서 lsquo동의rsquo와 lsquo비

rsquo을 구하는 국내게임(domestic politics level 2 game)으로 구성된다는 이

른바 양면 게임(two-level game) 모형을 고안했다20) 즉 상자가 상

상 방과의 상 과정에서 략을 통해서 상 방의 한계치를 변경하거나

더 유리한 입장을 철시키기 해서 노력하고 잠정 인 결론을 도출하는

것은 외부게임 환경에서 일어나지만 상자의 한계치와 목표치의 범 는

국내정치게임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자의 한계치와 목

표치가 설정되고 이에 따른 상 략이 채택되는 것은 결국 상자의 내

부 집단에서 특정 집단의 이익이 체의 이익으로 변되고 합의되는 정

치과정과 하게 연 되어 있다21)

그 기 때문에 상자가 외부게임에서 보유할 수 있는 한계치와 목표

19) 그림은 다음 들의 도식을 참고하여 필자가 재구성한 것이다 Roy J Lewicki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pp33

ndash37 Alfredson and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p8

20) Robert D Putnam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ndash460

21)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

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5ndash169

16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치의 범 22)는 상자가 내부 집단에서 어떠한 지 에 있는가와 한

련이 있다 퍼트남에 따르면 상자의 셋(win-set)은 국내게임에서

상자가 결집시킬 수 있는 연합(coalition)의 규모 상자가 제도

(institutional)으로 동원할 수 있는 국내권력과 하게 연 되어 있다23)

그러므로 상자가 국내집단에서 높은 지 에 있을수록 자신의 lsquo의지rsquo를

철시키기 해서 보다 많은 lsquo통제력rsquo을 발휘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 상에서 더 넓은 -셋을 가지게 되며 다양한 략 인

옵션을 보유하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24) 반 로 상자의 지 가 낮으

면 국내게임 상에서 제한된 동의만을 가지고 상 방과 상을 진행해야

하므로 상타결을 해서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하는 략을 활용할 수

있는 여지는 감소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국제 상에서 상자의 지 가 높을수록 상 결과에 해 더 높

은 의지를 가지고 강한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상자의 지 가

높을수록 합의가능지 이 확장되며 략 으로도 더 넓은 선택지가 주어

진다 따라서 지 가 높은 상자는 지 가 낮은 상자에 비해 더욱 다양

한 략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지 가 높은 상자는 상 방의 입장을 더

수용해 주는 력 인 략을 구사할 수도 있고 경쟁 이고 강경하게 자

신의 입장을 고수하는 략을 택할 수도 있는 반면 지 가 낮은 상자가

자의 상 략을 선택할 수 있는 여지는 높지 않다

그러나 상자의 지 가 높은 경우 략 선택 범 가 넓고 더 많은

상력을 보유할 수도 있다고 논의한 것만으로는 상자가 특정 상

략을 채택한 이유를 밝히기 쉽지 않다 따라서 특정한 상 략이 채택되

는 이유에 해 상이론은 어떤 설명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

다 따라서 다음 장에서는 상이론이 상 략을 어떻게 유형화하고 특

22) 퍼트남은 이를 -셋(win-set)이라는 용어로 표 했다 Putnam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pp435ndash441

23) Ibid pp441ndash450

24) Menkel-meadow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pp421ndash422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3

정한 상 략이 채택되는 배경을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B 협상전략과 협상목표

상 략이론은 상 략이 상자가 상에 해 가지고 있는 목표와

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에서 착안하여 상 략과 상목표를 유형

화시킴으로써 상참가자의 의도를 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컨

이 이해 계모델(the dual concerns model)은 상에서 일어나는 행 자

의 략을 양보(yielding) 문제해결(problem-solving) 무 심(inaction) 투

쟁(contending)으로 분류하고 의 선택지 에 상자가 특정 략을 채

택하는 데에는 크게 두 가지 요소(자기 자신의 이익에 한 심 상 상

방의 이익에 한 심)가 결정 향을 미친다고 보았다25) 이 모형을

더 발 시킨 키(Lewicki)가 히엄(Hiam)은 합리 행 자라면 상을

통한 이익이 담보되어야 상에 임한다고 보고 상자가 자신의 결과

이익보다 상 방의 이익에 해 심이 있는 경우는 결국 상 방의 이익

을 보장해 으로써 상 방과의 계가 향상되기를 기 하는 것으로 해석

된다고 보았다26) 이러한 문제의식을 통해 R-O모델(Relationship-Outcome

Model)이 제시되는데 이 모델은 상자의 상목표를 크게 계(relationship)

이익과 결과(outcome)이익으로 구분한다 이 때 계이익은 상자가 상

방의 결과이익을 보장함으로써 계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을 의미하고

결과이익은 상자가 상을 통해서 구체 인 성과를 추구하는 것을 의미

한다

이러한 R-O 모델은 행 자가 계이익과 결과이익 어떤 것을 추구하

는지는 상 상 방과의 계의 지속성 연계 이슈에 따라 좌우된다27)

단발 인 거래상황이나 상자와 상 상 방 사이의 계가 별로 형성

25) Lewicki Saunders and Barry Negotiation pp22ndash24

26) Roy J Lewicki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pp22ndash31

27) Roy J Lewicki et al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chap 2ndash4

16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자는 주로 결과이익을 추구한다 한편 상자

가 상을 통해 상 방과의 계개선 안정을 도모하고 추후 지속될

상에서 더 큰 이익이 상되는 장기 인 거래 상황에서 주로 계이익이

추구된다 국가 간의 상 상황에서 이러한 논의를 확 하여 용해보면

계이익을 추구하는 상자는 주로 장기 외교 략 인 목표에 무게

심을 두는 반면 결과이익을 추구하는 상자는 주로 단기 경제 목표

를 더 염두에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R-O 모형은 행 자가 어떤 이익을 추구하는지에 따라서 행 자

의 상 략이 선택되고 구사된다고 주장하고 상 략을 크게 4가지로

유형화했다 상에서 상되는 단기 인 이익보다 장기 이고 략 인

측면에서 상 방과의 계유지가 요한 경우 상자는 자신의 이익이

보장되지 않더라도 상 방의 입장을 수용(accommodating)하는 략을 취

한다 상을 통해서 상 방과의 계도 향상되고 결과도 좋을 것이 측

되는 호혜 인 상황에서는 력 략(collaboration)이 구사된다 한편

상을 통해서 얻는 단기 이익도 없고 상으로 인해 보장되는 상 방

의 이익도 불분명하면 상 행 자는 상을 회피(avoiding)하는 략을

선택하게 된다 만약 상을 통해서 얻게 될 결과 이익이 실한 경우에

상자는 상 방과의 계가 손상되더라도 자신의 상성과를 해서 경

쟁 (competing) 수단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자는 상을 단발성

으로 인식하게 되고 비윤리 인 행 나 행 등 도 서슴지 않게 된다

아래의 [그림 2]는 상술한 내용에 의거하여 상자가 자신의 의도와 목

에 따라 어떤 략을 선택하는지를 도식화한 것이다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5

[그림 2] R-O 모델(협상전략-협상목표의 상관성 모형) 한글은 필자 수정28)

이상의 논의를 살펴보았을 때 상이론의 분석 틀을 활용하여 상

행 자의 안유무 상행 자의 수 에서 비롯되는 의지와 통제력의 차

이 상 략과 그 의도를 분석한다면 개별 상에서 행 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상력의 정도와 가용한 상 략을 개략 으로 평가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자가 특정한 상 략을 선택한 의도를 유추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다음 장에서는 상이론의 논의를 통해 도출한 분석

틀을 활용하여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과정을 비교하고

상에서의 우 를 한 러시아가 어떻게 상력을 재고할 수 있었고 어

떤 략을 구사했는지를 살피고 러시아가 나진항 개발사업에 극 인

략을 구사한 이유를 유추해보고 실제 국제정치 맥락에서 이러한 유추

가 설명력을 지니는지 평가해본다

28) Lewicki and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pp24ndash32

1 계 시형

수용 략

2 호혜 상황

력 략

3 상 미발생

회피 략

4 단발성 거래

경쟁 략

16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III 나진항을 둘러싼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과정

A 중국-북한의 협상과 러시아-북한의 협상과정 비교

본 장에서는 나진항 3호 부두에 한 국과 러시아의 상과정을 정리

하고 -북간 상과 러-북간 상의 특징을 각각 서술하고 이를 종합하여

비교한다 이를 해 국과 러시아 각 국의 상이 일어난 배경과 상

단계 단계별 상 주체 이에 따른 북한 측 상 주체 상 결과의 내용

상 시기의 주요한 환경 요인 상의 이행 결과를 국가 별로 나 어서

정리할 것이다

(1) 중국-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 부두 사용권에 한 국의 근은 국 훈춘시에서 구상한 도

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路-港-區一體化)에서 비롯되었다 2000년

북한은 국과 러시아 사이의 물동량이 폭 확 되면서 포시에트항이 나

진항을 체할 항구로 부상하는 것에 응하여 나진-선 도로망 폭 개

선 계획을 발표하는데 이 계획의 핵심 구상이 바로 나진항과 훈춘을 도로

로 연결하는 것이었다29) 막 있는 바닷길을 뚫고 동해로의 진출을 모색

하던 국 훈춘 시정부는 이러한 북한의 구상에 응하여 훈춘에서 나진

항까지 연결된 도로를 화하고 나진항을 거 항만으로 확보하고 항만

배후부지를 산업 물류단지로 개발하는 것을 골자로 한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를 구상했다30) 이 구상을 토 로 2003년 12월 12일과 21

일 훈춘시 정부 길림성 정부 계자 항만 개발업체로 구성된 상

표단이 북한 측에 나진항 추가 확장 계획을 제의하는 과정에서 나진과

29)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곽복선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

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30)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3ndash73 徐家军amp李泽 ls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squo 新浪財經 200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7

국을 잇는 도로 배후부지 개발을 조건으로 국이 나진항 부두시설

일부를 50년 간 독 사용하는 상의 기본 틀이 세워졌다31)

주목할 은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에 한 국 앙정부차

원의 심은 국과 북한의 지방정부 간 상이 시작되던 시 보다 늦게

발되었다는 것이다 2003년 당시 국 정부는 본격 으로 낙후된 동북

지역을 진흥시키기 한 동북진흥(振兴东北) 로젝트를 구상하고 이를

해 국무원 차원에서 lsquo동북 지역을 포함한 노후 공업 기지 진흥을 한

실시 략에 한 의견rsquo을 작성했다32) 그러나 의견에는 아직 훈춘시가

구상했던 외국항구 임차를 통한 출해권 확보 목 의 도로-항만-구역 일체

화 로젝트에 한 언 은 나와 있지 않다33) 그러므로 나진항 부두 사용

권을 둘러싼 국과 북한의 상은 앙정부가 아닌 지역 활성화를 도모

하던 북한과 국의 지방정부의 자발 인 움직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상이 본격화된 이후 국 측 참여기업인 둥린유한공사(东林有限公

司 이하 둥린회사)와 국 훈춘시의 실무자들로 구성된 상단이 북한

의 나선시인민 원회와 주로 상을 가지게 되었으며 2004년 9월에 기본

합의가 이루어졌고 2005년 3월에는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장 김수열이

훈춘시에 방문하여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34) 2005년 7월에는 국

의 둥린회사와 훈춘변경경제합작구 보세유한회사(珲春边境经济合作区保

税有限公司)가 자본과 공사 자재를 투자하고 북한 나선시 인민 원회 경

제합작회사가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제공하는

합작회사가 만들어졌으며 2005년 9월에는 구체 인 사업 진행방안을 담

은 본 계약이 체결되었다35) 2006년 1월에는 북- 이 만든 합작회사가 북

31)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32) Jae Ho Chung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ndash125

33)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34) 徐家军amp李泽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p61

16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설립인가를 받게 다36)

상을 통해서 합의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37)첫째 국과 북한 사이에

설립되는 합 회사는 로젝트에 총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를

투자하여 나진항 3호 부두를 확장 건설하고 4호 부두를 신설하며 보세

가공구와 공업원구를 배후지에 건설하는 한편 나진-원정 간의 비포장 도

로 67km를 488km의 왕복 2차선 직선 포장도로로 개량하기로 했다38) 둘

째로 이러한 거 로젝트를 실시하기 한 선결조건으로 국 측은

3000만 유로(약 24억 안 3600만 USD)를 투자하여 원정-나진 간 도로

건설을 우선 시작하고 나진항 3호 부두를 개조하는 가로 나진항 3호 부

두와 향후 지어질 4호 부두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획득하기로 했다

그러나 2006년 5월 구상이 마무리되고 10월부터 착공하기로 되어있던

고속도로 건설 사업은 북한의 핵실험 둥린회사의 투자 조달 실패 등

으로 인해 착공 정일을 맞추지 못하게 되었다39) 이에 2007년에는 국

길림성 정부까지 나서 나진항 개발자 을 지원하기 해 세 징수 우 정

책까지 부여했지만 둥린회사는 자 부족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2008년 러시아와 북한의 합의에 의해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에 한

이권을 상실하게 되었다40)

35) 계약은 합 회사가 2006년 5월부터 나진-원정간 고속도로 건설을 시작하고 추후 나진

항 3호 부두를 개조하고 공업단지 보세가공구를 건설하는 조건으로 나진항 3호 부두의

50년간의 사용권을 확보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36) 의 p61

37)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

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38) 투자액에 한 미 달러 환산 액은 본 계약 완료시 인 2005년 9월의 월별 환율을 통해

필자추정

39) 당시 국 후난 학(湖南大學) 연구원을 통해 원정-나진항 도로건설에 한 실사 조사

공사 방안이 확정되었으며 10월까지 도로 주변의 나무 채벌까지 완료되면서 본격 인 착

공을 앞둔 제반 비가 마무리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pp56ndash58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40) 의 책 p5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9

(2) 러시아-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의 부두개발에 한 국과 북한의 의가 지방정부 차원에서 시

작된 반면 러시아와 북한 사이의 상은 앙정부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2000년 8월 러시아의 푸틴(Vladimir Putin) 통령은 남북한의 화해 분

기가 조성된 틈을 타 한반도 횡단 철도(Trans-Korean Railway 이하 TKR)

를 시베리아 횡단 철도(Trans-Siberian Railway 이하 TSR)와 연결하는 이

른바 lsquo철의 실크로드rsquo 구상을 김정일 국방 원장 김 통령에게

달했다41) 남북의 지도자로부터 정 인 반응을 이끌어낸 푸틴은 2001년

북middot러 정상 회담을 통해 발표된 모스크바 선언의 6항을 통해 TKR-TSR 연

결 사업에 한 북한과 러시아의 력 의지를 공식 으로 밝혔다42) 상

이 본격화된 이후 러시아는 철도부 표단을 수차례 북한에 견하여 북

한 철도성과 철도 화에 해 본격 으로 논의하기 시작했다43) 2003

년 이후 러시아 철도공사(RZD)가 러시아 철도부의 모든 인 라와 사업

로젝트를 승계함에 따라 RZD는 국 기업의 자격으로 TKR-TSR 연결

사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남-북-러 사이의 삼자 력 구도 속에서 시작된 TKR-TSR 연결

사업은 상 과정에서 노선선정 재원조달 방식 등의 주요쟁 들에

한 각국의 견해차로 인해서 곧 교착상황에 빠지게 되었다44) 그런 상황 속

에서 2002년 이후 2차 북핵 기로 인해 북한에 한 국제사회의 제재가

지속되고 남북 계가 악화되자 북한은 2004년에 TKR-TSR 연결사업에

41) Seung-ho Joo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Cornwell

Ashgate 2009 pp179ndash256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2000ne

42)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23 2007 p231

43)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pp 75ndash80

44)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 56

17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논의가 무의미하다고 밝히며 회의불참을 선언한다45) 이 게 삼각

력의 구도가 기에 착하자 RZD는 상의 구도를 북한-러시아 간 한

국-러시아 간의 상의 두 트랙으로 분리하고 양 국과 개별 인 상을

진행하여 갈등을 합하고자 했다

우선 러시아는 TSR-TKR의 체 구간을 연결하려던 기존의 구상을 축

소하여 일부 구간만을 시범 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사업 구상을 변경해

북한에게 제의했다 북한이 이에 응하면서 2004년 북-러 국경 철도 의회

는 우선 TSR과 TKR의 결 에 치한 나진-하산 간 철도 개량사업부터

시범 실시하는 것에 한 상을 시작했다46) 상은 2006년 블라디보

스토크에서 열린 남-북-러 철도 표자 회의를 통해서 구체화되었는데 그

내용은 RZD와 북한이 함께 설립하는 합작회사(Rasonkontrans 이하 라손

콘트란스)를 통해서 나진-하산간 철도 나진항 항만시설 개보수를 진행

한다는 것이었다 합의를 통해 RZD는 나진항 부두시설사용권에 한

이권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자 조달방법에 해서 북한으로부터 재량권

을 임 받았다47)

한편 RZD는 한국이 주요투자자로 로젝트에 남아있기를 원했다 따

라서 북한으로부터 투자 유치에 한 재량권을 얻고 나자 2007년 한국 철

도공사(KORAIL 이하 코 일)와 양자 상을 통해서 한국의 투자방안에

한 세부 MOU를 체결했다 MOU를 통해서 설립된 루코로지스틱스

(RUCO Logistics 이하 루코)는 코 일의 지원 하에 한국의 민간물류업체

들의 투자를 받아서 라손콘트란스의 러시아 측 지분에 투자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북한 련사업에 한 남한의 투자가 러시아를 통해 우회하

여 남북 계의 정치 불안정성이 투자에 악 향을 끼치는 것을 최소화

하고자 했다

45) 의 pp55ndash56

46) 의 pp57ndash58

47)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1

이처럼 새롭게 상 구도를 짠 결과 러시아는 남북으로부터 아래의 합

의를 이끌어냈다 첫째 나진-하산 로젝트는 TKR-TSR 연결을 한 시

범사업으로 러시아와 북한의 합작회사인 라손콘트란스가 북한의 나진항

과 러시아의 하산 사이에 54km에 이르는 철도구간을 개보수하고 나진항

의 기 인 라를 개발하는 것을 가로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을 49년 간

사용한다48) 둘째 이를 한 투자액은 총 21억 달러(USD)으로 RZD가

약 126억 달러를 분담하는 한편 루코가 러시아 지분 일부(40)를 매

입하는 방식으로 자본을 분담투자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러한 RZD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을 통한 자 조달 계획

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2008년 출범한 이명박 정부는 그간 지속되어

오던 북사업을 취소한다는 뜻을 밝히며 북한이 핵무기 로그램을 포

기하지 않는 한 규모 북경제지원사업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49)

이에 응하여 북한도 남한과의 모든 공식 을 단하면서 남북 계는

격하게 악화 고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민간기업들의 투자도 무

산 다50) 이런 상황에서 RZD는 로젝트를 이행하기 해 2008년 4월

북한과 러시아의 양자 의 형태로 새로운 합의서를 체결하고 2008년 10

월에는 나진항 부두시설 화 나진-하산 철도 화에 한 착공식

을 진행했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러시아 역시 자 형편이 여의치 않아 공

사를 일정 로 진행할 수 없었다51) 이후 러시아는 RZD의 자체 차입 자

으로 투자비를 확보하여 2011년 공사를 재개했고 2013년 나진-하산 간 철

도를 완공 후 개통시켰고 2014년부터는 보수된 나진항 3호 부두를 통해

48) 지분 구조는 RZD가 70이며 북한 철도성이 30이다 이를 해 러시아는 21억 불의

자본을 투자하고 북한은 나진항만 시설을 물로 투자한다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

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2

49) Hong Nack Kim ls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s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2008) pp 8ndash18 Chung-in Moon lsquoSouth Korea in 2008rsquo 49 2008 pp127ndash

128

50)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p64ndash65

51)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3

17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국 러시아

상배경도로-항만-구역일체화 로젝트

(훈춘시정부 차원)

TKR-TSR 연결 로젝트

( 앙 정부 차원)

상시기 2003년-2006년 2000년-2015년 진행

시작

2003년 12월 국 지방 정부 계자

기업이 북한 나선시와 논의 시작

2000년 8월- 푸틴 통령이 남북정상과

논의 시작

2001년 8월 모스크바 선언 정식 결의

석탄을 운반하기 시작했다52) 이때 러시아는 철도연결에 55억 루블(약 18

억 USD) 나진항 터미 공사에 약 35억 루블(약 11억 USD)을 투자한 것

으로 추정된다53)

요컨 2000년 러시아 최고 지도자인 푸틴의 심 속에서 시작된 상

은 2003-4년 북핵 기로 인한 북한의 상 거부 기와 2008년 이후 투자

계획의 난 을 뚫고 최종 으로 이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는 남북

한의 응에 강경하게 응하기보다는 양 국의 의견을 수용하기 한

상 방안을 제시하고 상 를 다시 상에 참여시키기 해 막 한 자 을

투자하기까지 했다 이처럼 러시아가 상을 지속하기 해 다양한 수용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면 러시아와 북한 간의 합의 역시 이행되지 못했

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B 중국-북한 러시아-북한의 협상에 대한 이론적 분석

앞 장에서는 나진항의 부두 사용권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 과

정을 추 해보았다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을 상의 배경 상 주체

북한 측 상 주체 주요 상 내용 상 규모 상 이행 상황을 심

으로 비교해보면 아래의 lt표 1gt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lt표 1gt 나진항 3호 부두 사용권과 관련된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주요 사항

52)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나희승 ldquo남북 sdot 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53)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1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3

국 러시아

과정

- 2004년 기본 합의 완료

- 2005년 3월 24일 MOU 체결

- 2005년 7월 합 회사 설립

- 2005년 9월 본계약 체결

- 2006년 1월 북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합 회사 설립 비

- 2004년 7월 나진-하산 로젝트로 논의

축소 나진항 사용에 한 명시

- 2006년 7월 남-북-러 3자 철도 운 자

회의 나진-하산 화 사업 합의

- 2007년 남한 투자 련 MOU

- 2008년 한국 참여 실패

- 2008년 4월 북-러 나진 하산 철도

화 나진항 3호부두 개발에 한 력

합의서 체결

이행

- 2006년 5월 사업 조사 완료 비

- 2006년 10월 착공 연기

- 2007년 2월 길림성 lsquo두만강유역

개방개발 가속화 방안rsquo 마련

- 2008년 4월 훈춘 둥린회사 외국

투자 유치 난항 최종 실패

- 2008년 4월 라손콘트란스 설립

- 2008년 10월 나진-하산 철도구간 개보수

착공식 후 공사 지연

- 2011년 철도 건설 사업 재개

- 2013-2014년 철도와 부두 개보수 완료

상 주체상 시작 지방 정부

상 과정 민간기업 훈춘시 지원

상 시작 러시아 앙 정부

상 실무 러시아 철도부 RZD54)

북한측 상

주체나선시 인민 원회

-북한 앙 정부

- 상 실무 북한 철도성 육해운성

실무 계자

투자 규모

lt 체 규모gt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

lt본 계약 규모gt

3000만 유로

(24억 RMB 약 3600만 USD) agrave미이행

lt계약 시기gt

총 21억 USD 러시아가 126억 USD

lt이행기gt 철도연결에 55억 루블 지출 터

미 공사에 35억 루블 지출

(약 11억 USD)

이 같은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의 비교를 토 로 러시아와 국의

상력 각국이 구사한 상 략을 비교해보고 러시아가 상에서 유

리한 결과를 낼 수 있었던 요인과 러시아의 략 인 목표를 유추해볼 것

이다

54) 러시아 정부는 2001년부터 자국의 철도 개 을 진행하여 철도부(Railway Ministry)를 국

주식회사인 RZD와 정책 담당 부서인 교통부(Ministry of Transport) 경제 발 무역

부(Ministry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rade)로 분리했다 RZD는 기존의 철도부의

시설 사업을 승계함으로써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상도 이어서 진행하게 되었다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17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우선 상력을 보기 해 상에 임한 국과 러시아의 정태 인 구조

권력을 살펴본다면 비록 총체 인 구조권력 상에서 국이 러시아에 비

해서 압도 으로 강력했으나 나진항을 둘러싸고 북한과 진행한 상사안

만 놓고 본다면 이슈 별 권력에서 러시아가 국보다는 북한에 해 우

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러시아는 북한과의 상에 한

BATNA의 차원에서 국보다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두만강 유역에서

국의 국경은 차 강 기를 따라 좁아지다가 동해를 15km 앞둔 지 에서

끝이 난다55) 그러므로 동해로 직 나갈 수 있는 항구 시설이 무한

국은 나진항 련 상이 결렬되는 경우 동해로의 출해권을 얻을 수가 없

었다 반면 러시아는 나진항 이외에도 극동지역에 여러 항구를 보유하고

있다 일부 연구가 러시아의 극동항만들이 겨울에 얼어붙는 반면 나진항

은 부동항이기 때문에 나진항의 경제 이 이 크다고 보기도 하지만 실

제로는 러시아 극동의 블라디보스톡(Vladivostok) 이남의 항구들은 모두

부동항들로 슬라비얀카(Slavianka)항 보스토치니항(Vostochny) 포시에트

(Posyet)항 자루비노(Zarubino)항 등 개발잠재력이 충분한 항구들이 이미

러시아 극동에서 운용 이다56) 따라서 북한과의 상에 한 이슈 별 권

력의 차원에서 러시아는 국보다 유리한 치에서 상을 시작했다 lsquo의

지rsquo와 lsquo통제rsquo의 측면에서도 러시아는 국보다 더 우 에 있었다 러시아-

북한의 상이 국-북한의 상에 비해서 행 자수 이 높았기 때문에

상을 성사시키기 해 상자가 활용할 수 있는 비용과 제도 인 권력

의 가용범 가 더 컸기 때문이다 상이 난 에 착한 상황에서 러시아

55) James Cotton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1086 Cho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pp51ndash53

56) 특히 19세기와 20세기 반에는 러시아 극동에서 부동항에 한 수요가 컸고 그런 맥락에

서 나진항의 요성이 강조되었다 이와 하여 다음을 참조 Ibid pp52ndash55 백 기 ldquo러

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백 기 최정수 최재희 (편)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동북아역사재단 2007 pp23ndash62

한편 러시아 극동의 항만시설과 해서는 다음을 참조 Robert North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74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5

가 상 체의 틀을 다시 짜는 선택을 할 수 있었던 것이나 남한의 투자

가 결렬된 이후 막 한 비용을 들일 수 있었던 것은 모두 행 자 수 이

높아짐으로써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해 수 있는 범 가 넓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실제로 상이 시작된 2000년 반 푸틴 통령은 자신이 추구하는

로 상을 진행시키기 해 국내정치 으로 의견을 결집시켰다 당시

러시아 료들은 북한과의 철도연결을 재개하는 것에 해서 비 이었

다 러시아 철도부 장 이었던 데 (Guenaddy Fadeyev)는 TKR-TSR

은 투자비용도 무 크고 정치 험도도 높은 사업이라며 회의 인 견

해를 피력하기까지 했다57) 그러나 푸틴은 사업을 lsquo 요한 사업rsquo이라고

못 박았고 데 로 하여 사업이 확실한(promising) 사업이라고

발언하게 했다 이러한 푸틴의 응에 의해 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국

내 으로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 차단되었고 상이행에 한 푸틴

의 강력한 의지가 러시아 국내에 확인되었다

러-북 간의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강력한 지지 속에서 이루어졌다

는 은 상 실무주체가 RZD 다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RZD는 단순히

러시아 철도부가 진행하던 사업의 권한을 승계한 공기업이 아니라 푸틴

의 국내정치권력의 핵심기 의 하나 다 RZD 사장인 야쿠닌(Vladimir

Yakunin)은 푸틴의 최측근 실로비키(silovarch) 한 명으로 차기 통령

후보로까지 거론되기도 했던 인물이다58) 야쿠닌은 나진-하산 로젝트를

RZD의 최우선 로젝트로 상정하고 상과정 내내 상자 간의 의견조

율과 외홍보에 힘을 쏟았다59) 따라서 RZD가 상을 주도했다는 은

나진-하산 로젝트 련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심 속에서 진행되

었다는 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57)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AsiaDH27Ag01html

58) Daniel Treisman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4ndash145

59)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pp228ndash229

17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편 국의 입장에서 상자의 수 이 낮았던 것은 -북 간 상이

실패한 결정 인 원인이었다 국의 상자 수 이 낮은 상황에서 북한

측도 이에 맞춰 상자의 수 이 낮아지게 되면서 양 국은 상의 이행을

한 재량권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실제로 국과의 상에 임했던 나

선시 인민 원회는 상의 출발단계에서부터 국 측이 원한 상 목표인

부두시설 임 에 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나진항의 부두 시설에

한 권한은 으로 북한 육해운성의 소 이기 때문에 나선시 인민 원

회는 부두사용권을 놓고 국과 의하는 것이 처음부터 불가능했기 때문

이다60)

이처럼 러시아는 상의 구조 권력에서 국보다 우 에 있었기 때문

에 다양한 략 선택지를 가지고 상의 교착상황에서 상 방의 입장

을 받아들이는 수용 략을 취함으로써 상이 지속되도록 했다 표 으

로 러시아는 2004년에는 TSR-TKR 연결 사업에서 이탈하려는 북한의 의

사를 반 하여 상의 틀을 축소했으며 2008년에 한국의 투자가 무 로

돌아가면서 상의 이행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자국의 자본을 100 투자

하여 북한과 합의된 사항을 이행했다

러시아가 이와 같은 상 략을 취한 이유를 R-O 모형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우선 러시아는 수용 인 략기조를 유지했기 때문에 상을

통해서 결과이익보다는 계이익을 추구했다고 여겨진다 나진항을 통해

서 얻고자 하는 결과이익은 항만시설을 통한 출해권 확보일 것이다 반

로 이 상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계이익은 상 상 국인 북한과의

계 향상일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의 략 선택은 러시아가 상을

통해 장기 으로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고 략 인 차원에서 장기 으

로 북한에 한 력을 지속시키고자 했다는 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60) 당시 국 둥린 회사를 도와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와의 상에 참여했던 국 훈춘시 지

방 정부 계자 면담에서 계자는 당시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도 외합작 경험이 부족

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권한범 에 한 인식이 부족했었다고 진단했다 2015년

2월 훈춘시정부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7

실제로 푸틴 통령은 상 기 경제 인 손실을 우려하는 국내 료들

의 불안감에 해 상은 요한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이 상의 목

표가 단기 인 경제성에 놓인 것이 아님을 명확하게 했다61)

상이 시작되던 2001년의 시기 배경을 고려해 보면 러시아가 계

이익 다시 말하자면 략 이고 장기 인 차원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

다는 이론상의 설명은 실성이 있다고 단된다 나진항만을 둘러싼 러

시아-북한 간의 상이 TSR-TKR의 연결 사업으로 첫 발을 디뎠던 2000

년 당시 러시아는 푸틴 통령의 집권으로 인해 국내정치 혼란을 바로

잡은 후 소련붕괴와 한반도정책의 실패로 인해 상실한 아시아 지역에

한 략 향력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 때 러시아가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러시아의 향력을 회복하기

해서는 상실했던 북한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만 했다 동아시아와

해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은 경제 으로나 인구 으로나 동아시아 주변

국에 비해 제한 인 역량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 시기

이래로 러시아가 지속 으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에서 주요세력으로 자

리매김했던 것은 소련과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략 인 계가 유지되

었기 때문이다62) 특히 소 계가 악화된 이후 소련은 소련에 한 북한

의 일방 인 의존을 활용하여 아시아 국제 계에서 략 버리지를

유지해 왔다63)

61)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62) Peggy Falkenheim Meyer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14ndash 221

Pavel A Minakir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p32ndash 50

Tamara Troyakova amp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ndash 37

63) John W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ndash53 Gilbert Rozman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 Stephan Blank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pp78ndash82

17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그러나 90년 들어 소련은 북한에 해 가지고 있던 향력을 상실하

면서 아시아의 정치무 에서 배제되게 되었다 1980년 후반 소련은 경

제 이익을 기 하며 남한과의 계수립에 힘썼고 1990년 남한과의 국

교를 정상화하기에 이르 다 게다가 소련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의 수장

으로 취임한 친(Boris Yeltsin) 통령은 서방과의 계회복을 기 하며

민주 가치와 자유를 존 하는 러시아의 모습을 보이기 해 공산독재국

가 던 북한과 의도 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공식

외교채 은 단 되었으며 러시아는 그 동안 북한에게 무상으로 제공

해 왔던 석유지원을 단했으며 러시아의 무기를 북한에 수출하지 않겠

다고 밝혔다64) 당시 러시아 외교부장 이었던 코지 (Andrei Kozyrev)

는 북한의 인권침해를 공식 으로 비 하면서 북한의 정치 변화를 구

하기까지 했다65) 결과 으로 한반도에서의 러시아의 외교정책 인 환

은 냉 기부터 긴 하게 유지되었던 러시아와 북한의 정치 연결고리를

약화시켰으며 북한은 러시아에 해서 가지고 있던 우호 인 시선을 거

두어들이게 되었다66) 그러나 러시아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이 사라진 것은 러시아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

제 계에서도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다 러시아가 북한에 해 정치

향력을 발휘할 것을 기 하며 러시아와의 계개선을 추진했던 남한은 러

시아가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을 상실하자 러시아를 외교 으로 등

한시했다67) 게다가 소련의 붕괴 이후 러시아의 통 인 향권에 한

64) Seung-ho Jo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ndash130 David Wolff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

booksdprkbbrussia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Alexander

Vorontsov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p5

65)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53

66) 이정철 외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p87ndash89

67)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호 2002 pp289

ndash297 Gilbert Rozman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9

침투를 본격화한 미국은 북-러 계가 약화된 시 에서 한반도 문제의

심 인 조정자로 부상하게 되었다68) 러시아가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외교

의제에서 배제된 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사건이 바로 1차 북핵 기

다 1차 북핵 기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를 포함한 8자 회담을 통해서 북핵

문제를 보다 국제 인 차원에서 해결하기를 원했으나 결과 으로 북한에

한 향력을 상실한 러시아는 배제된 채 4자 회담의 형태로 상이 진

행되었다69)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러시아는 남북한 모두에게 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면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자국의 향력 후퇴를 막을 수 없다는

을 확인했고 남한에 과도하게 경사되었던 한반도 계를 재조정하고

남북한 균형 정책을 구사하기 시작했다70) 러시아는 친서방 성향이 강

했던 코지 를 신하여 실용 유라시아주의자 리마코 (Yevgenni

Primakov)를 외교부 장 으로 임명하고 북한과의 계 회복에 주력했

다71)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태도는 냉담했는데 이는

러시아가 여 히 경제 인 측면에서 이익을 수 있는 남한과의 계를

더 시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력과 군사력이 약화된 러시아가 북한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북한의 의구심 때문이었다72)

p41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pp23ndash46

68) Yoshinori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192 Seung-ho Joo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Ashgate 2002 pp147ndash148

69) 러시아의 근 방식에 해서 다음을 참조Evgueni Bajanov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러시아의 배제와 4자 회담에 해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7ndash298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pp194ndash196 Stephen Blank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4ndash5

70)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pp228ndash229

71) Seung-ho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ndash81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6ndash298

72)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192 P Rangsimaporn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18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상실해버린 북 향력을 회복하는 것을 북 략의 주요 목표로 삼았

던 러시아에게 나진-하산 로젝트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기

한 출발 으로 매우 한 기획이었다 우선 나진-하산 로젝트가

TSR-TKR 로젝트로 시작되던 시기는 국제정치 으로 한반도의 화해 국

면 속에서 인 국가로서 러시아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극 화되던 시 이

었다73) 당시 남한과 북한은 화를 시작하고 추가 인 력 의제들을 논

의하는 과정 에 있었다 이러한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인 라 부문에

한 이해 계를 공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실리 인 력 어젠다(agenda)

를 통해 화와 력을 지속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 인 수요를 포착

하고 TSR-TKR 연결 구상을 통해 한반도에 한 실리 인 개자로 참여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이 시기는 러시아의 근에 해서

회의 인 입장을 견지하던 북한도 자국의 국내 정치상황으로 인해 입장을

바꾸던 때 다 당시 나진-선 을 통해서 개 개방을 도모하던 북한은 나

진선 지 개발에 한 외국투자를 극 으로 유치했다74) 때문에 러시

아의 근에 한 북한의 반응도 비교 정 이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나진항을 포함한 북한의 항만 시설 철도 인 라 시

설에 해서 확실한 기술 우 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과의 인

라 력 부문에서 확실한 강 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부터 1990년

까지 소련은 북한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등을 직 건설했으며 나진

항의 화 역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75) 소련은 이

게 개발한 나진항에 해서 공식 인 우선권을 인정받고(1978) 이를 소

Palgrave Macmillan 2009 pp62ndash64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p477

73) In-kon Yeo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ndash115

74)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75) 안병민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남

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pp1ndash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4: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15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인 개발에 한 황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의 은

주로 북- -러 경지 체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나진항을 개별사례

로 다루어서 연구를 진행하지는 않았다6) 그 기 때문에 -러의 경쟁이

실재했던 나진항 3호 부두의 개별사례를 심으로 국과 러시아의 근

략을 비교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권의 향방이

명확해진 나진항 3호 부두에 해서 국과 러시아의 근 방식의 차이를

상이론의 분석 틀을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국과 러시아의 상

략 상의 차이를 비교하고 부두사용권 상이라는 단일 사례가 국제정치

으로 지니는 함의를 보이고자 한다

둘째 이 연구는 국의 입장에서 나진항 3호 부두 확보 실패 원인에

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것에 비해 상 으로 간과되었던 러시아의 행

태 성공 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2008년 국이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던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이 러시아로 넘어가게 되면서 나진항에 한

국의 극 인 근에 해 심을 주목하던 학계와 언론은 왜 국이 나

진항 3호 부두를 확보하지 못했는지에 해 다양한 설명을 시도했다 외생

인 변수로 당시 북한의 핵실험으로 안보환경 북- 계가 악화되었

던 것이 요했다고 지 되었다7) 2006년 북한의 1차 핵실험에 한 국

정부의 강경한 응이 북- 계의 악화를 불러왔고 그런 가운데 북한

앙정부가 국이 확보한 항만경 권에 한 인 을 거부했다는 것이다

8) 일부 언론보도는 이러한 논의에서 더 나아가 북한의 개 개방 노선을 두

고 국과 북한이 오랫동안 갈등을 겪어왔다고 주장하기도 했다9) 내생

6) Cho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신범식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

과 동북아시아 지역정치rdquo

7)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 54 신범식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아 지

역정치rdquo p443 황진회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8) 북핵실험 이후 국의 이례 강경 응에 해서 다음을 참조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

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pp 340ndash341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11장

9)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57

인 변수로는 국정부의 심부족과 참여기업의 역량부족이 지 되었다

실제로 나진항의 항만사용권에 한 국 앙정부의 심은 상 기에

는 제한 이었다고 평가된다10) 한 일부 연구는 나선시 인민 원회와

합작회사를 운 하고자 했던 국기업의 실력이 부족했고 그로 인해 투

자유치 실 이 조했다는 에서 국의 부두사용권 확보 실패는 lsquo사업

상의 실패rsquo라고 진단했다11)

이와 같이 여러 연구를 통해 국의 실패요인이 분석된 데 반해 실제로

부두사용권을 확보하고 실질 인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러시아의 움직임

과 략은 상 으로 간과되고 있다12) 따라서 본 연구는 러시아의 상

략을 보다 구체 으로 살핌으로써 러시아가 단순히 -북의 상실패

상황에서 어부지리로 나진항의 부두 사용권을 확보한 것이 아니라는 을

보이고 러시아의 상을 성공시키기 해 택한 략을 살피는 한편 러시

아가 그런 략을 선택한 배경을 고찰할 것이다

이 같은 분석을 하기 해 본 연구는 상이론의 이론 성과들을 활용

할 것이다 특히 상수 을 확보함으로써 상력이 강해지고 상 략의

선택지가 많아질 수 있다는 을 상이론의 논의를 통해 보일 것이며

상 략과 상목표의 상 성을 설명한 이론을 활용하여 상자가 선택한

상 략을 통해 상자의 의도와 목표를 유추할 수 있는 이론 틀을 모

색해볼 것이다

10)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의 건설을 심으

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17ndash118

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

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pp61ndash62

12) 일부 연구가 러-북 계의 맥락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다루었으나 이들은 나진항의

부두사용권 련 상이 본격화된 2000년 반부터 상과정을 추 하기보다는 러시아

와 북한이 처한 국제정치 상황을 설명하기 해 나진-하산 로젝트를 부분 으로 활용

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컨 Kim과 Blank는 러시아가 2012년의 남-북-러 가스 이

라인 사업이 무산되자 이를 체하기 해서 나진-하산 로젝트가 본격화된 것이라고

보았다 장덕 은 북러의 월 계를 2000년 후반 이후 벌어진 러시아의 서방 계

악화의 결과로 보고 있다 Younkyoo Kim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p599ndash626 장덕 ldquo최근 북

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pp271ndash303

15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이를 해 다음 Ⅱ장에서는 상이론의 이론 성과와 여기에서 도출되

는 분석 틀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III장에서는 국과 러시아의 나진

항 3호 부두 사용권 련 상 과정을 비교하고 앞 장에서 논의된 상이

론의 에서 국과 러시아의 상 략 상의 차이가 가져온 결과를 비

교해보고 러시아의 상 의도를 유추해볼 것이다 마지막 IV장에서는 나

진항 부두사용권 상에서 러시아가 보여 상 략이 북- -러 경지

의 국제정치 국면에 어떤 시사 을 가지는지를 논의할 것이다

II 협상이론과 이론적 틀

A 협상력과 협상수준

이번 장은 상수 이 상력과 상 략의 선택범 에 미치는 향에

한 상이론의 논의를 다룬다 기존의 실주의 이론이 lsquo권력rsquo(power)의

불균등한 분배 상태에 따라서 외교의 결과가 결정되는 것으로 본 데 반해

상 이론은 약한 것으로 여겨졌던 국가가 강한 국가와의 외교 상에서

승리한 사례를 통해서 구조 권력의 우 가 무조건 외교상의 승리로 이

어지지는 않는다는 을 지 하고 실제사례 연구를 통해서 lsquo구조 권력rsquo

이 어떻게 구체 인 lsquo 상력rsquo으로 발휘되는지에 한 분석을 시도했다13)

하비 (William M Habeeb)는 권력을 국제정치의 구조에 따라서 상이

일어나기 이 에 결정되는 정태 구조권력(static structural power)과

상자의 술을 통해 조정될 수 있는 행태 인 권력(behavioral power)으로

분류하고 행태 인 권력을 활용하면 구조 권력의 열세에 처한 국가도

13) Carrie Menkel-meadow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416 William Zartman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59

상을 유리하게 개할 수 있다는 고 주장했다14) 이 때 행태 인 권력

을 통해서 조정될 수 있는 구조 인 권력으로 이슈 별 권력(issue-specific

structural power)이라는 개념이 제시된다 총체 인 구조 권력(aggregate

structural power)은 행 자가 국제체제 내에서 가지고 있는 힘의 총량이므

로 개별국가의 국력과 비례하며 상과는 무 하게 주어져 있는데 반해

이슈 별 권력은 상과 련된 사안에 해 상 당사자가 가지고 있는

상 인 힘의 요소(relative component of power)를 반 한다

이러한 이슈 별 권력은 안(alternative) 의지(commitment) 통제력

(control)의 변화에 따라 확 되거나 축소된다15) 그러므로 안 의지 통

제력에 해 잘 분석할 수 있다면 lsquo행태 인 권력rsquo을 통해 이슈 별 권력을

조정할 수 있는 지 을 확인할 수 있고 결과 으로 략의 선택범 를 가

늠할 수 있다 그 기 때문에 상 략 분야의 실천 연구들은 상자의

상력을 분석하기 해 lsquo 안rsquo lsquo의지rsquo lsquo통제력rsquo이라는 개념을 보다 면

하게 검토했다

첫째로 lsquo 안rsquo은 상 기의 상력을 가장 객 인 단하는데 용이

한 지표다 피셔(Fisher)와 유리(Ury)는 상이 결과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

에 얼마나 좋은 안을 가지고 있는지(Best Alternative to a Negotiated

Agreement 이하 BATNA)를 통해서 상력을 간 으로 살펴볼 수 있다

고 주장한다16) 둘째로 lsquo의지rsquo는 상참가자가 상의 결과에 해서 부

여하는 가치의 정도이다 셋째로 lsquo통제력rsquo은 상에 참여하는 집단이 원하

는 결과를 해서 지불할 수 있는 가이다 그러므로 의지와 통제력은

상 참가자가 상 상 방과 상반된 의견을 가지고 있을 때 자신의 선호를

얼마나 철시키고 상 방의 의견을 얼마나 수용할 수 있는가의 문제로

14) William Mark Habeeb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pp10

ndash26

15) Ibid pp19ndash22

16) Roger Fish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pp97ndash98

16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귀결된다17)

이러한 lsquo의지rsquo와 lsquo통제력rsquo의 범 는 합의 가능 지 (zone of possible

agreement)라는 개념을 통해 도식화될 수 있다18) lsquo 상에서 성공 합의

가 이루어질 수 있는 범 rsquo라고 정의되는 합의 가능 지 (zone of possible

agreement 혹은 zone of potential agreement)은 상 양자가 상결과를

도출하고자 하는 의지와 이를 해 감수할 수 있는 가로써 통제력을 얼

마나 발휘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상에 임하는 행 자와 상 상 방

은 각각 수용할 수 있는 한계치(bottom line 혹은 resistance point)과 자신

이 바라는 모든 것을 철시켰을 얻을 수 있는 목표치(target point)를 가지

고 있다 lsquo의지rsquo와 lsquo통제력rsquo의 에서 이를 해석해보면 상의 내용이

한계치에 다다를수록 행 자가 상을 통해 지불해야 하는 가가 높아지

면서 상자는 통제력의 한계에 직면하게 되는데 이때 상자가 상에

해 얼마나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상의 타결여부가 결정

된다 따라서 목표치와 한계치 사이의 범 는 상 행 자의 의지와 통제

력의 범 와 첩된다고 할 수 있다 만약 상자가 상의 성공에 해

높은 가치를 두고 비용을 지불할 용의가 있다면 상의 의지와 통제력은

상자의 한계치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이다 반 로 상자가

기존의 목표를 고수하는 것에 집 한다면 상 타결에 한 의지는 낮아

지고 상자의 한계치는 목표치와 가까워지게 될 것이다 이 때 상자와

상 상 방의 한계치와 목표치의 범 가 첩되는 지 이 바로 합의 가

능 지 이며 이를 그림으로 표 하면 다음과 같다

17) 이처럼 상 담당자가 자신의 의견을 철하고 상 의 의견을 수용할 수 있는 범 를 하

비 는 안 지 (security point)라고 정의하고 있다 Habeeb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pp21ndash22

18) Tanya Alfredson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pp8ndash9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1

[그림 1] 협상자(A)와 협상 상대방(B)의 합의 가능 지점19)

그러나 국제 상은 개인과 개인의 상이 아닌 집단과 집단의 상이

라는 에서 체 구성원의 목표치와 한계치가 상술한 이론처럼 명쾌하게

도출되지 않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 퍼트남(Robert Putnam)은 상

은 상자 간의 합의 가능 지 을 도출하는 과정의 외부게임(diplomacy

level 1 game)과 상자가 자신이 속한 집단 내부를 통해서 lsquo동의rsquo와 lsquo비

rsquo을 구하는 국내게임(domestic politics level 2 game)으로 구성된다는 이

른바 양면 게임(two-level game) 모형을 고안했다20) 즉 상자가 상

상 방과의 상 과정에서 략을 통해서 상 방의 한계치를 변경하거나

더 유리한 입장을 철시키기 해서 노력하고 잠정 인 결론을 도출하는

것은 외부게임 환경에서 일어나지만 상자의 한계치와 목표치의 범 는

국내정치게임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자의 한계치와 목

표치가 설정되고 이에 따른 상 략이 채택되는 것은 결국 상자의 내

부 집단에서 특정 집단의 이익이 체의 이익으로 변되고 합의되는 정

치과정과 하게 연 되어 있다21)

그 기 때문에 상자가 외부게임에서 보유할 수 있는 한계치와 목표

19) 그림은 다음 들의 도식을 참고하여 필자가 재구성한 것이다 Roy J Lewicki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pp33

ndash37 Alfredson and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p8

20) Robert D Putnam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ndash460

21)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

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5ndash169

16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치의 범 22)는 상자가 내부 집단에서 어떠한 지 에 있는가와 한

련이 있다 퍼트남에 따르면 상자의 셋(win-set)은 국내게임에서

상자가 결집시킬 수 있는 연합(coalition)의 규모 상자가 제도

(institutional)으로 동원할 수 있는 국내권력과 하게 연 되어 있다23)

그러므로 상자가 국내집단에서 높은 지 에 있을수록 자신의 lsquo의지rsquo를

철시키기 해서 보다 많은 lsquo통제력rsquo을 발휘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 상에서 더 넓은 -셋을 가지게 되며 다양한 략 인

옵션을 보유하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24) 반 로 상자의 지 가 낮으

면 국내게임 상에서 제한된 동의만을 가지고 상 방과 상을 진행해야

하므로 상타결을 해서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하는 략을 활용할 수

있는 여지는 감소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국제 상에서 상자의 지 가 높을수록 상 결과에 해 더 높

은 의지를 가지고 강한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상자의 지 가

높을수록 합의가능지 이 확장되며 략 으로도 더 넓은 선택지가 주어

진다 따라서 지 가 높은 상자는 지 가 낮은 상자에 비해 더욱 다양

한 략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지 가 높은 상자는 상 방의 입장을 더

수용해 주는 력 인 략을 구사할 수도 있고 경쟁 이고 강경하게 자

신의 입장을 고수하는 략을 택할 수도 있는 반면 지 가 낮은 상자가

자의 상 략을 선택할 수 있는 여지는 높지 않다

그러나 상자의 지 가 높은 경우 략 선택 범 가 넓고 더 많은

상력을 보유할 수도 있다고 논의한 것만으로는 상자가 특정 상

략을 채택한 이유를 밝히기 쉽지 않다 따라서 특정한 상 략이 채택되

는 이유에 해 상이론은 어떤 설명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

다 따라서 다음 장에서는 상이론이 상 략을 어떻게 유형화하고 특

22) 퍼트남은 이를 -셋(win-set)이라는 용어로 표 했다 Putnam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pp435ndash441

23) Ibid pp441ndash450

24) Menkel-meadow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pp421ndash422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3

정한 상 략이 채택되는 배경을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B 협상전략과 협상목표

상 략이론은 상 략이 상자가 상에 해 가지고 있는 목표와

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에서 착안하여 상 략과 상목표를 유형

화시킴으로써 상참가자의 의도를 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컨

이 이해 계모델(the dual concerns model)은 상에서 일어나는 행 자

의 략을 양보(yielding) 문제해결(problem-solving) 무 심(inaction) 투

쟁(contending)으로 분류하고 의 선택지 에 상자가 특정 략을 채

택하는 데에는 크게 두 가지 요소(자기 자신의 이익에 한 심 상 상

방의 이익에 한 심)가 결정 향을 미친다고 보았다25) 이 모형을

더 발 시킨 키(Lewicki)가 히엄(Hiam)은 합리 행 자라면 상을

통한 이익이 담보되어야 상에 임한다고 보고 상자가 자신의 결과

이익보다 상 방의 이익에 해 심이 있는 경우는 결국 상 방의 이익

을 보장해 으로써 상 방과의 계가 향상되기를 기 하는 것으로 해석

된다고 보았다26) 이러한 문제의식을 통해 R-O모델(Relationship-Outcome

Model)이 제시되는데 이 모델은 상자의 상목표를 크게 계(relationship)

이익과 결과(outcome)이익으로 구분한다 이 때 계이익은 상자가 상

방의 결과이익을 보장함으로써 계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을 의미하고

결과이익은 상자가 상을 통해서 구체 인 성과를 추구하는 것을 의미

한다

이러한 R-O 모델은 행 자가 계이익과 결과이익 어떤 것을 추구하

는지는 상 상 방과의 계의 지속성 연계 이슈에 따라 좌우된다27)

단발 인 거래상황이나 상자와 상 상 방 사이의 계가 별로 형성

25) Lewicki Saunders and Barry Negotiation pp22ndash24

26) Roy J Lewicki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pp22ndash31

27) Roy J Lewicki et al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chap 2ndash4

16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자는 주로 결과이익을 추구한다 한편 상자

가 상을 통해 상 방과의 계개선 안정을 도모하고 추후 지속될

상에서 더 큰 이익이 상되는 장기 인 거래 상황에서 주로 계이익이

추구된다 국가 간의 상 상황에서 이러한 논의를 확 하여 용해보면

계이익을 추구하는 상자는 주로 장기 외교 략 인 목표에 무게

심을 두는 반면 결과이익을 추구하는 상자는 주로 단기 경제 목표

를 더 염두에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R-O 모형은 행 자가 어떤 이익을 추구하는지에 따라서 행 자

의 상 략이 선택되고 구사된다고 주장하고 상 략을 크게 4가지로

유형화했다 상에서 상되는 단기 인 이익보다 장기 이고 략 인

측면에서 상 방과의 계유지가 요한 경우 상자는 자신의 이익이

보장되지 않더라도 상 방의 입장을 수용(accommodating)하는 략을 취

한다 상을 통해서 상 방과의 계도 향상되고 결과도 좋을 것이 측

되는 호혜 인 상황에서는 력 략(collaboration)이 구사된다 한편

상을 통해서 얻는 단기 이익도 없고 상으로 인해 보장되는 상 방

의 이익도 불분명하면 상 행 자는 상을 회피(avoiding)하는 략을

선택하게 된다 만약 상을 통해서 얻게 될 결과 이익이 실한 경우에

상자는 상 방과의 계가 손상되더라도 자신의 상성과를 해서 경

쟁 (competing) 수단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자는 상을 단발성

으로 인식하게 되고 비윤리 인 행 나 행 등 도 서슴지 않게 된다

아래의 [그림 2]는 상술한 내용에 의거하여 상자가 자신의 의도와 목

에 따라 어떤 략을 선택하는지를 도식화한 것이다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5

[그림 2] R-O 모델(협상전략-협상목표의 상관성 모형) 한글은 필자 수정28)

이상의 논의를 살펴보았을 때 상이론의 분석 틀을 활용하여 상

행 자의 안유무 상행 자의 수 에서 비롯되는 의지와 통제력의 차

이 상 략과 그 의도를 분석한다면 개별 상에서 행 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상력의 정도와 가용한 상 략을 개략 으로 평가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자가 특정한 상 략을 선택한 의도를 유추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다음 장에서는 상이론의 논의를 통해 도출한 분석

틀을 활용하여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과정을 비교하고

상에서의 우 를 한 러시아가 어떻게 상력을 재고할 수 있었고 어

떤 략을 구사했는지를 살피고 러시아가 나진항 개발사업에 극 인

략을 구사한 이유를 유추해보고 실제 국제정치 맥락에서 이러한 유추

가 설명력을 지니는지 평가해본다

28) Lewicki and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pp24ndash32

1 계 시형

수용 략

2 호혜 상황

력 략

3 상 미발생

회피 략

4 단발성 거래

경쟁 략

16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III 나진항을 둘러싼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과정

A 중국-북한의 협상과 러시아-북한의 협상과정 비교

본 장에서는 나진항 3호 부두에 한 국과 러시아의 상과정을 정리

하고 -북간 상과 러-북간 상의 특징을 각각 서술하고 이를 종합하여

비교한다 이를 해 국과 러시아 각 국의 상이 일어난 배경과 상

단계 단계별 상 주체 이에 따른 북한 측 상 주체 상 결과의 내용

상 시기의 주요한 환경 요인 상의 이행 결과를 국가 별로 나 어서

정리할 것이다

(1) 중국-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 부두 사용권에 한 국의 근은 국 훈춘시에서 구상한 도

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路-港-區一體化)에서 비롯되었다 2000년

북한은 국과 러시아 사이의 물동량이 폭 확 되면서 포시에트항이 나

진항을 체할 항구로 부상하는 것에 응하여 나진-선 도로망 폭 개

선 계획을 발표하는데 이 계획의 핵심 구상이 바로 나진항과 훈춘을 도로

로 연결하는 것이었다29) 막 있는 바닷길을 뚫고 동해로의 진출을 모색

하던 국 훈춘 시정부는 이러한 북한의 구상에 응하여 훈춘에서 나진

항까지 연결된 도로를 화하고 나진항을 거 항만으로 확보하고 항만

배후부지를 산업 물류단지로 개발하는 것을 골자로 한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를 구상했다30) 이 구상을 토 로 2003년 12월 12일과 21

일 훈춘시 정부 길림성 정부 계자 항만 개발업체로 구성된 상

표단이 북한 측에 나진항 추가 확장 계획을 제의하는 과정에서 나진과

29)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곽복선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

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30)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3ndash73 徐家军amp李泽 ls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squo 新浪財經 200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7

국을 잇는 도로 배후부지 개발을 조건으로 국이 나진항 부두시설

일부를 50년 간 독 사용하는 상의 기본 틀이 세워졌다31)

주목할 은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에 한 국 앙정부차

원의 심은 국과 북한의 지방정부 간 상이 시작되던 시 보다 늦게

발되었다는 것이다 2003년 당시 국 정부는 본격 으로 낙후된 동북

지역을 진흥시키기 한 동북진흥(振兴东北) 로젝트를 구상하고 이를

해 국무원 차원에서 lsquo동북 지역을 포함한 노후 공업 기지 진흥을 한

실시 략에 한 의견rsquo을 작성했다32) 그러나 의견에는 아직 훈춘시가

구상했던 외국항구 임차를 통한 출해권 확보 목 의 도로-항만-구역 일체

화 로젝트에 한 언 은 나와 있지 않다33) 그러므로 나진항 부두 사용

권을 둘러싼 국과 북한의 상은 앙정부가 아닌 지역 활성화를 도모

하던 북한과 국의 지방정부의 자발 인 움직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상이 본격화된 이후 국 측 참여기업인 둥린유한공사(东林有限公

司 이하 둥린회사)와 국 훈춘시의 실무자들로 구성된 상단이 북한

의 나선시인민 원회와 주로 상을 가지게 되었으며 2004년 9월에 기본

합의가 이루어졌고 2005년 3월에는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장 김수열이

훈춘시에 방문하여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34) 2005년 7월에는 국

의 둥린회사와 훈춘변경경제합작구 보세유한회사(珲春边境经济合作区保

税有限公司)가 자본과 공사 자재를 투자하고 북한 나선시 인민 원회 경

제합작회사가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제공하는

합작회사가 만들어졌으며 2005년 9월에는 구체 인 사업 진행방안을 담

은 본 계약이 체결되었다35) 2006년 1월에는 북- 이 만든 합작회사가 북

31)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32) Jae Ho Chung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ndash125

33)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34) 徐家军amp李泽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p61

16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설립인가를 받게 다36)

상을 통해서 합의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37)첫째 국과 북한 사이에

설립되는 합 회사는 로젝트에 총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를

투자하여 나진항 3호 부두를 확장 건설하고 4호 부두를 신설하며 보세

가공구와 공업원구를 배후지에 건설하는 한편 나진-원정 간의 비포장 도

로 67km를 488km의 왕복 2차선 직선 포장도로로 개량하기로 했다38) 둘

째로 이러한 거 로젝트를 실시하기 한 선결조건으로 국 측은

3000만 유로(약 24억 안 3600만 USD)를 투자하여 원정-나진 간 도로

건설을 우선 시작하고 나진항 3호 부두를 개조하는 가로 나진항 3호 부

두와 향후 지어질 4호 부두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획득하기로 했다

그러나 2006년 5월 구상이 마무리되고 10월부터 착공하기로 되어있던

고속도로 건설 사업은 북한의 핵실험 둥린회사의 투자 조달 실패 등

으로 인해 착공 정일을 맞추지 못하게 되었다39) 이에 2007년에는 국

길림성 정부까지 나서 나진항 개발자 을 지원하기 해 세 징수 우 정

책까지 부여했지만 둥린회사는 자 부족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2008년 러시아와 북한의 합의에 의해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에 한

이권을 상실하게 되었다40)

35) 계약은 합 회사가 2006년 5월부터 나진-원정간 고속도로 건설을 시작하고 추후 나진

항 3호 부두를 개조하고 공업단지 보세가공구를 건설하는 조건으로 나진항 3호 부두의

50년간의 사용권을 확보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36) 의 p61

37)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

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38) 투자액에 한 미 달러 환산 액은 본 계약 완료시 인 2005년 9월의 월별 환율을 통해

필자추정

39) 당시 국 후난 학(湖南大學) 연구원을 통해 원정-나진항 도로건설에 한 실사 조사

공사 방안이 확정되었으며 10월까지 도로 주변의 나무 채벌까지 완료되면서 본격 인 착

공을 앞둔 제반 비가 마무리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pp56ndash58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40) 의 책 p5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9

(2) 러시아-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의 부두개발에 한 국과 북한의 의가 지방정부 차원에서 시

작된 반면 러시아와 북한 사이의 상은 앙정부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2000년 8월 러시아의 푸틴(Vladimir Putin) 통령은 남북한의 화해 분

기가 조성된 틈을 타 한반도 횡단 철도(Trans-Korean Railway 이하 TKR)

를 시베리아 횡단 철도(Trans-Siberian Railway 이하 TSR)와 연결하는 이

른바 lsquo철의 실크로드rsquo 구상을 김정일 국방 원장 김 통령에게

달했다41) 남북의 지도자로부터 정 인 반응을 이끌어낸 푸틴은 2001년

북middot러 정상 회담을 통해 발표된 모스크바 선언의 6항을 통해 TKR-TSR 연

결 사업에 한 북한과 러시아의 력 의지를 공식 으로 밝혔다42) 상

이 본격화된 이후 러시아는 철도부 표단을 수차례 북한에 견하여 북

한 철도성과 철도 화에 해 본격 으로 논의하기 시작했다43) 2003

년 이후 러시아 철도공사(RZD)가 러시아 철도부의 모든 인 라와 사업

로젝트를 승계함에 따라 RZD는 국 기업의 자격으로 TKR-TSR 연결

사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남-북-러 사이의 삼자 력 구도 속에서 시작된 TKR-TSR 연결

사업은 상 과정에서 노선선정 재원조달 방식 등의 주요쟁 들에

한 각국의 견해차로 인해서 곧 교착상황에 빠지게 되었다44) 그런 상황 속

에서 2002년 이후 2차 북핵 기로 인해 북한에 한 국제사회의 제재가

지속되고 남북 계가 악화되자 북한은 2004년에 TKR-TSR 연결사업에

41) Seung-ho Joo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Cornwell

Ashgate 2009 pp179ndash256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2000ne

42)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23 2007 p231

43)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pp 75ndash80

44)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 56

17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논의가 무의미하다고 밝히며 회의불참을 선언한다45) 이 게 삼각

력의 구도가 기에 착하자 RZD는 상의 구도를 북한-러시아 간 한

국-러시아 간의 상의 두 트랙으로 분리하고 양 국과 개별 인 상을

진행하여 갈등을 합하고자 했다

우선 러시아는 TSR-TKR의 체 구간을 연결하려던 기존의 구상을 축

소하여 일부 구간만을 시범 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사업 구상을 변경해

북한에게 제의했다 북한이 이에 응하면서 2004년 북-러 국경 철도 의회

는 우선 TSR과 TKR의 결 에 치한 나진-하산 간 철도 개량사업부터

시범 실시하는 것에 한 상을 시작했다46) 상은 2006년 블라디보

스토크에서 열린 남-북-러 철도 표자 회의를 통해서 구체화되었는데 그

내용은 RZD와 북한이 함께 설립하는 합작회사(Rasonkontrans 이하 라손

콘트란스)를 통해서 나진-하산간 철도 나진항 항만시설 개보수를 진행

한다는 것이었다 합의를 통해 RZD는 나진항 부두시설사용권에 한

이권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자 조달방법에 해서 북한으로부터 재량권

을 임 받았다47)

한편 RZD는 한국이 주요투자자로 로젝트에 남아있기를 원했다 따

라서 북한으로부터 투자 유치에 한 재량권을 얻고 나자 2007년 한국 철

도공사(KORAIL 이하 코 일)와 양자 상을 통해서 한국의 투자방안에

한 세부 MOU를 체결했다 MOU를 통해서 설립된 루코로지스틱스

(RUCO Logistics 이하 루코)는 코 일의 지원 하에 한국의 민간물류업체

들의 투자를 받아서 라손콘트란스의 러시아 측 지분에 투자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북한 련사업에 한 남한의 투자가 러시아를 통해 우회하

여 남북 계의 정치 불안정성이 투자에 악 향을 끼치는 것을 최소화

하고자 했다

45) 의 pp55ndash56

46) 의 pp57ndash58

47)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1

이처럼 새롭게 상 구도를 짠 결과 러시아는 남북으로부터 아래의 합

의를 이끌어냈다 첫째 나진-하산 로젝트는 TKR-TSR 연결을 한 시

범사업으로 러시아와 북한의 합작회사인 라손콘트란스가 북한의 나진항

과 러시아의 하산 사이에 54km에 이르는 철도구간을 개보수하고 나진항

의 기 인 라를 개발하는 것을 가로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을 49년 간

사용한다48) 둘째 이를 한 투자액은 총 21억 달러(USD)으로 RZD가

약 126억 달러를 분담하는 한편 루코가 러시아 지분 일부(40)를 매

입하는 방식으로 자본을 분담투자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러한 RZD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을 통한 자 조달 계획

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2008년 출범한 이명박 정부는 그간 지속되어

오던 북사업을 취소한다는 뜻을 밝히며 북한이 핵무기 로그램을 포

기하지 않는 한 규모 북경제지원사업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49)

이에 응하여 북한도 남한과의 모든 공식 을 단하면서 남북 계는

격하게 악화 고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민간기업들의 투자도 무

산 다50) 이런 상황에서 RZD는 로젝트를 이행하기 해 2008년 4월

북한과 러시아의 양자 의 형태로 새로운 합의서를 체결하고 2008년 10

월에는 나진항 부두시설 화 나진-하산 철도 화에 한 착공식

을 진행했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러시아 역시 자 형편이 여의치 않아 공

사를 일정 로 진행할 수 없었다51) 이후 러시아는 RZD의 자체 차입 자

으로 투자비를 확보하여 2011년 공사를 재개했고 2013년 나진-하산 간 철

도를 완공 후 개통시켰고 2014년부터는 보수된 나진항 3호 부두를 통해

48) 지분 구조는 RZD가 70이며 북한 철도성이 30이다 이를 해 러시아는 21억 불의

자본을 투자하고 북한은 나진항만 시설을 물로 투자한다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

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2

49) Hong Nack Kim ls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s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2008) pp 8ndash18 Chung-in Moon lsquoSouth Korea in 2008rsquo 49 2008 pp127ndash

128

50)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p64ndash65

51)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3

17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국 러시아

상배경도로-항만-구역일체화 로젝트

(훈춘시정부 차원)

TKR-TSR 연결 로젝트

( 앙 정부 차원)

상시기 2003년-2006년 2000년-2015년 진행

시작

2003년 12월 국 지방 정부 계자

기업이 북한 나선시와 논의 시작

2000년 8월- 푸틴 통령이 남북정상과

논의 시작

2001년 8월 모스크바 선언 정식 결의

석탄을 운반하기 시작했다52) 이때 러시아는 철도연결에 55억 루블(약 18

억 USD) 나진항 터미 공사에 약 35억 루블(약 11억 USD)을 투자한 것

으로 추정된다53)

요컨 2000년 러시아 최고 지도자인 푸틴의 심 속에서 시작된 상

은 2003-4년 북핵 기로 인한 북한의 상 거부 기와 2008년 이후 투자

계획의 난 을 뚫고 최종 으로 이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는 남북

한의 응에 강경하게 응하기보다는 양 국의 의견을 수용하기 한

상 방안을 제시하고 상 를 다시 상에 참여시키기 해 막 한 자 을

투자하기까지 했다 이처럼 러시아가 상을 지속하기 해 다양한 수용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면 러시아와 북한 간의 합의 역시 이행되지 못했

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B 중국-북한 러시아-북한의 협상에 대한 이론적 분석

앞 장에서는 나진항의 부두 사용권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 과

정을 추 해보았다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을 상의 배경 상 주체

북한 측 상 주체 주요 상 내용 상 규모 상 이행 상황을 심

으로 비교해보면 아래의 lt표 1gt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lt표 1gt 나진항 3호 부두 사용권과 관련된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주요 사항

52)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나희승 ldquo남북 sdot 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53)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1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3

국 러시아

과정

- 2004년 기본 합의 완료

- 2005년 3월 24일 MOU 체결

- 2005년 7월 합 회사 설립

- 2005년 9월 본계약 체결

- 2006년 1월 북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합 회사 설립 비

- 2004년 7월 나진-하산 로젝트로 논의

축소 나진항 사용에 한 명시

- 2006년 7월 남-북-러 3자 철도 운 자

회의 나진-하산 화 사업 합의

- 2007년 남한 투자 련 MOU

- 2008년 한국 참여 실패

- 2008년 4월 북-러 나진 하산 철도

화 나진항 3호부두 개발에 한 력

합의서 체결

이행

- 2006년 5월 사업 조사 완료 비

- 2006년 10월 착공 연기

- 2007년 2월 길림성 lsquo두만강유역

개방개발 가속화 방안rsquo 마련

- 2008년 4월 훈춘 둥린회사 외국

투자 유치 난항 최종 실패

- 2008년 4월 라손콘트란스 설립

- 2008년 10월 나진-하산 철도구간 개보수

착공식 후 공사 지연

- 2011년 철도 건설 사업 재개

- 2013-2014년 철도와 부두 개보수 완료

상 주체상 시작 지방 정부

상 과정 민간기업 훈춘시 지원

상 시작 러시아 앙 정부

상 실무 러시아 철도부 RZD54)

북한측 상

주체나선시 인민 원회

-북한 앙 정부

- 상 실무 북한 철도성 육해운성

실무 계자

투자 규모

lt 체 규모gt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

lt본 계약 규모gt

3000만 유로

(24억 RMB 약 3600만 USD) agrave미이행

lt계약 시기gt

총 21억 USD 러시아가 126억 USD

lt이행기gt 철도연결에 55억 루블 지출 터

미 공사에 35억 루블 지출

(약 11억 USD)

이 같은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의 비교를 토 로 러시아와 국의

상력 각국이 구사한 상 략을 비교해보고 러시아가 상에서 유

리한 결과를 낼 수 있었던 요인과 러시아의 략 인 목표를 유추해볼 것

이다

54) 러시아 정부는 2001년부터 자국의 철도 개 을 진행하여 철도부(Railway Ministry)를 국

주식회사인 RZD와 정책 담당 부서인 교통부(Ministry of Transport) 경제 발 무역

부(Ministry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rade)로 분리했다 RZD는 기존의 철도부의

시설 사업을 승계함으로써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상도 이어서 진행하게 되었다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17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우선 상력을 보기 해 상에 임한 국과 러시아의 정태 인 구조

권력을 살펴본다면 비록 총체 인 구조권력 상에서 국이 러시아에 비

해서 압도 으로 강력했으나 나진항을 둘러싸고 북한과 진행한 상사안

만 놓고 본다면 이슈 별 권력에서 러시아가 국보다는 북한에 해 우

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러시아는 북한과의 상에 한

BATNA의 차원에서 국보다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두만강 유역에서

국의 국경은 차 강 기를 따라 좁아지다가 동해를 15km 앞둔 지 에서

끝이 난다55) 그러므로 동해로 직 나갈 수 있는 항구 시설이 무한

국은 나진항 련 상이 결렬되는 경우 동해로의 출해권을 얻을 수가 없

었다 반면 러시아는 나진항 이외에도 극동지역에 여러 항구를 보유하고

있다 일부 연구가 러시아의 극동항만들이 겨울에 얼어붙는 반면 나진항

은 부동항이기 때문에 나진항의 경제 이 이 크다고 보기도 하지만 실

제로는 러시아 극동의 블라디보스톡(Vladivostok) 이남의 항구들은 모두

부동항들로 슬라비얀카(Slavianka)항 보스토치니항(Vostochny) 포시에트

(Posyet)항 자루비노(Zarubino)항 등 개발잠재력이 충분한 항구들이 이미

러시아 극동에서 운용 이다56) 따라서 북한과의 상에 한 이슈 별 권

력의 차원에서 러시아는 국보다 유리한 치에서 상을 시작했다 lsquo의

지rsquo와 lsquo통제rsquo의 측면에서도 러시아는 국보다 더 우 에 있었다 러시아-

북한의 상이 국-북한의 상에 비해서 행 자수 이 높았기 때문에

상을 성사시키기 해 상자가 활용할 수 있는 비용과 제도 인 권력

의 가용범 가 더 컸기 때문이다 상이 난 에 착한 상황에서 러시아

55) James Cotton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1086 Cho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pp51ndash53

56) 특히 19세기와 20세기 반에는 러시아 극동에서 부동항에 한 수요가 컸고 그런 맥락에

서 나진항의 요성이 강조되었다 이와 하여 다음을 참조 Ibid pp52ndash55 백 기 ldquo러

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백 기 최정수 최재희 (편)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동북아역사재단 2007 pp23ndash62

한편 러시아 극동의 항만시설과 해서는 다음을 참조 Robert North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74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5

가 상 체의 틀을 다시 짜는 선택을 할 수 있었던 것이나 남한의 투자

가 결렬된 이후 막 한 비용을 들일 수 있었던 것은 모두 행 자 수 이

높아짐으로써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해 수 있는 범 가 넓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실제로 상이 시작된 2000년 반 푸틴 통령은 자신이 추구하는

로 상을 진행시키기 해 국내정치 으로 의견을 결집시켰다 당시

러시아 료들은 북한과의 철도연결을 재개하는 것에 해서 비 이었

다 러시아 철도부 장 이었던 데 (Guenaddy Fadeyev)는 TKR-TSR

은 투자비용도 무 크고 정치 험도도 높은 사업이라며 회의 인 견

해를 피력하기까지 했다57) 그러나 푸틴은 사업을 lsquo 요한 사업rsquo이라고

못 박았고 데 로 하여 사업이 확실한(promising) 사업이라고

발언하게 했다 이러한 푸틴의 응에 의해 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국

내 으로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 차단되었고 상이행에 한 푸틴

의 강력한 의지가 러시아 국내에 확인되었다

러-북 간의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강력한 지지 속에서 이루어졌다

는 은 상 실무주체가 RZD 다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RZD는 단순히

러시아 철도부가 진행하던 사업의 권한을 승계한 공기업이 아니라 푸틴

의 국내정치권력의 핵심기 의 하나 다 RZD 사장인 야쿠닌(Vladimir

Yakunin)은 푸틴의 최측근 실로비키(silovarch) 한 명으로 차기 통령

후보로까지 거론되기도 했던 인물이다58) 야쿠닌은 나진-하산 로젝트를

RZD의 최우선 로젝트로 상정하고 상과정 내내 상자 간의 의견조

율과 외홍보에 힘을 쏟았다59) 따라서 RZD가 상을 주도했다는 은

나진-하산 로젝트 련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심 속에서 진행되

었다는 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57)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AsiaDH27Ag01html

58) Daniel Treisman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4ndash145

59)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pp228ndash229

17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편 국의 입장에서 상자의 수 이 낮았던 것은 -북 간 상이

실패한 결정 인 원인이었다 국의 상자 수 이 낮은 상황에서 북한

측도 이에 맞춰 상자의 수 이 낮아지게 되면서 양 국은 상의 이행을

한 재량권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실제로 국과의 상에 임했던 나

선시 인민 원회는 상의 출발단계에서부터 국 측이 원한 상 목표인

부두시설 임 에 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나진항의 부두 시설에

한 권한은 으로 북한 육해운성의 소 이기 때문에 나선시 인민 원

회는 부두사용권을 놓고 국과 의하는 것이 처음부터 불가능했기 때문

이다60)

이처럼 러시아는 상의 구조 권력에서 국보다 우 에 있었기 때문

에 다양한 략 선택지를 가지고 상의 교착상황에서 상 방의 입장

을 받아들이는 수용 략을 취함으로써 상이 지속되도록 했다 표 으

로 러시아는 2004년에는 TSR-TKR 연결 사업에서 이탈하려는 북한의 의

사를 반 하여 상의 틀을 축소했으며 2008년에 한국의 투자가 무 로

돌아가면서 상의 이행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자국의 자본을 100 투자

하여 북한과 합의된 사항을 이행했다

러시아가 이와 같은 상 략을 취한 이유를 R-O 모형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우선 러시아는 수용 인 략기조를 유지했기 때문에 상을

통해서 결과이익보다는 계이익을 추구했다고 여겨진다 나진항을 통해

서 얻고자 하는 결과이익은 항만시설을 통한 출해권 확보일 것이다 반

로 이 상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계이익은 상 상 국인 북한과의

계 향상일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의 략 선택은 러시아가 상을

통해 장기 으로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고 략 인 차원에서 장기 으

로 북한에 한 력을 지속시키고자 했다는 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60) 당시 국 둥린 회사를 도와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와의 상에 참여했던 국 훈춘시 지

방 정부 계자 면담에서 계자는 당시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도 외합작 경험이 부족

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권한범 에 한 인식이 부족했었다고 진단했다 2015년

2월 훈춘시정부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7

실제로 푸틴 통령은 상 기 경제 인 손실을 우려하는 국내 료들

의 불안감에 해 상은 요한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이 상의 목

표가 단기 인 경제성에 놓인 것이 아님을 명확하게 했다61)

상이 시작되던 2001년의 시기 배경을 고려해 보면 러시아가 계

이익 다시 말하자면 략 이고 장기 인 차원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

다는 이론상의 설명은 실성이 있다고 단된다 나진항만을 둘러싼 러

시아-북한 간의 상이 TSR-TKR의 연결 사업으로 첫 발을 디뎠던 2000

년 당시 러시아는 푸틴 통령의 집권으로 인해 국내정치 혼란을 바로

잡은 후 소련붕괴와 한반도정책의 실패로 인해 상실한 아시아 지역에

한 략 향력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 때 러시아가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러시아의 향력을 회복하기

해서는 상실했던 북한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만 했다 동아시아와

해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은 경제 으로나 인구 으로나 동아시아 주변

국에 비해 제한 인 역량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 시기

이래로 러시아가 지속 으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에서 주요세력으로 자

리매김했던 것은 소련과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략 인 계가 유지되

었기 때문이다62) 특히 소 계가 악화된 이후 소련은 소련에 한 북한

의 일방 인 의존을 활용하여 아시아 국제 계에서 략 버리지를

유지해 왔다63)

61)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62) Peggy Falkenheim Meyer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14ndash 221

Pavel A Minakir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p32ndash 50

Tamara Troyakova amp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ndash 37

63) John W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ndash53 Gilbert Rozman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 Stephan Blank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pp78ndash82

17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그러나 90년 들어 소련은 북한에 해 가지고 있던 향력을 상실하

면서 아시아의 정치무 에서 배제되게 되었다 1980년 후반 소련은 경

제 이익을 기 하며 남한과의 계수립에 힘썼고 1990년 남한과의 국

교를 정상화하기에 이르 다 게다가 소련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의 수장

으로 취임한 친(Boris Yeltsin) 통령은 서방과의 계회복을 기 하며

민주 가치와 자유를 존 하는 러시아의 모습을 보이기 해 공산독재국

가 던 북한과 의도 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공식

외교채 은 단 되었으며 러시아는 그 동안 북한에게 무상으로 제공

해 왔던 석유지원을 단했으며 러시아의 무기를 북한에 수출하지 않겠

다고 밝혔다64) 당시 러시아 외교부장 이었던 코지 (Andrei Kozyrev)

는 북한의 인권침해를 공식 으로 비 하면서 북한의 정치 변화를 구

하기까지 했다65) 결과 으로 한반도에서의 러시아의 외교정책 인 환

은 냉 기부터 긴 하게 유지되었던 러시아와 북한의 정치 연결고리를

약화시켰으며 북한은 러시아에 해서 가지고 있던 우호 인 시선을 거

두어들이게 되었다66) 그러나 러시아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이 사라진 것은 러시아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

제 계에서도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다 러시아가 북한에 해 정치

향력을 발휘할 것을 기 하며 러시아와의 계개선을 추진했던 남한은 러

시아가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을 상실하자 러시아를 외교 으로 등

한시했다67) 게다가 소련의 붕괴 이후 러시아의 통 인 향권에 한

64) Seung-ho Jo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ndash130 David Wolff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

booksdprkbbrussia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Alexander

Vorontsov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p5

65)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53

66) 이정철 외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p87ndash89

67)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호 2002 pp289

ndash297 Gilbert Rozman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9

침투를 본격화한 미국은 북-러 계가 약화된 시 에서 한반도 문제의

심 인 조정자로 부상하게 되었다68) 러시아가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외교

의제에서 배제된 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사건이 바로 1차 북핵 기

다 1차 북핵 기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를 포함한 8자 회담을 통해서 북핵

문제를 보다 국제 인 차원에서 해결하기를 원했으나 결과 으로 북한에

한 향력을 상실한 러시아는 배제된 채 4자 회담의 형태로 상이 진

행되었다69)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러시아는 남북한 모두에게 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면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자국의 향력 후퇴를 막을 수 없다는

을 확인했고 남한에 과도하게 경사되었던 한반도 계를 재조정하고

남북한 균형 정책을 구사하기 시작했다70) 러시아는 친서방 성향이 강

했던 코지 를 신하여 실용 유라시아주의자 리마코 (Yevgenni

Primakov)를 외교부 장 으로 임명하고 북한과의 계 회복에 주력했

다71)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태도는 냉담했는데 이는

러시아가 여 히 경제 인 측면에서 이익을 수 있는 남한과의 계를

더 시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력과 군사력이 약화된 러시아가 북한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북한의 의구심 때문이었다72)

p41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pp23ndash46

68) Yoshinori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192 Seung-ho Joo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Ashgate 2002 pp147ndash148

69) 러시아의 근 방식에 해서 다음을 참조Evgueni Bajanov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러시아의 배제와 4자 회담에 해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7ndash298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pp194ndash196 Stephen Blank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4ndash5

70)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pp228ndash229

71) Seung-ho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ndash81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6ndash298

72)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192 P Rangsimaporn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18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상실해버린 북 향력을 회복하는 것을 북 략의 주요 목표로 삼았

던 러시아에게 나진-하산 로젝트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기

한 출발 으로 매우 한 기획이었다 우선 나진-하산 로젝트가

TSR-TKR 로젝트로 시작되던 시기는 국제정치 으로 한반도의 화해 국

면 속에서 인 국가로서 러시아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극 화되던 시 이

었다73) 당시 남한과 북한은 화를 시작하고 추가 인 력 의제들을 논

의하는 과정 에 있었다 이러한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인 라 부문에

한 이해 계를 공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실리 인 력 어젠다(agenda)

를 통해 화와 력을 지속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 인 수요를 포착

하고 TSR-TKR 연결 구상을 통해 한반도에 한 실리 인 개자로 참여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이 시기는 러시아의 근에 해서

회의 인 입장을 견지하던 북한도 자국의 국내 정치상황으로 인해 입장을

바꾸던 때 다 당시 나진-선 을 통해서 개 개방을 도모하던 북한은 나

진선 지 개발에 한 외국투자를 극 으로 유치했다74) 때문에 러시

아의 근에 한 북한의 반응도 비교 정 이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나진항을 포함한 북한의 항만 시설 철도 인 라 시

설에 해서 확실한 기술 우 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과의 인

라 력 부문에서 확실한 강 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부터 1990년

까지 소련은 북한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등을 직 건설했으며 나진

항의 화 역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75) 소련은 이

게 개발한 나진항에 해서 공식 인 우선권을 인정받고(1978) 이를 소

Palgrave Macmillan 2009 pp62ndash64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p477

73) In-kon Yeo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ndash115

74)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75) 안병민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남

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pp1ndash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57

인 변수로는 국정부의 심부족과 참여기업의 역량부족이 지 되었다

실제로 나진항의 항만사용권에 한 국 앙정부의 심은 상 기에

는 제한 이었다고 평가된다10) 한 일부 연구는 나선시 인민 원회와

합작회사를 운 하고자 했던 국기업의 실력이 부족했고 그로 인해 투

자유치 실 이 조했다는 에서 국의 부두사용권 확보 실패는 lsquo사업

상의 실패rsquo라고 진단했다11)

이와 같이 여러 연구를 통해 국의 실패요인이 분석된 데 반해 실제로

부두사용권을 확보하고 실질 인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러시아의 움직임

과 략은 상 으로 간과되고 있다12) 따라서 본 연구는 러시아의 상

략을 보다 구체 으로 살핌으로써 러시아가 단순히 -북의 상실패

상황에서 어부지리로 나진항의 부두 사용권을 확보한 것이 아니라는 을

보이고 러시아의 상을 성공시키기 해 택한 략을 살피는 한편 러시

아가 그런 략을 선택한 배경을 고찰할 것이다

이 같은 분석을 하기 해 본 연구는 상이론의 이론 성과들을 활용

할 것이다 특히 상수 을 확보함으로써 상력이 강해지고 상 략의

선택지가 많아질 수 있다는 을 상이론의 논의를 통해 보일 것이며

상 략과 상목표의 상 성을 설명한 이론을 활용하여 상자가 선택한

상 략을 통해 상자의 의도와 목표를 유추할 수 있는 이론 틀을 모

색해볼 것이다

10)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의 건설을 심으

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17ndash118

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

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pp61ndash62

12) 일부 연구가 러-북 계의 맥락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다루었으나 이들은 나진항의

부두사용권 련 상이 본격화된 2000년 반부터 상과정을 추 하기보다는 러시아

와 북한이 처한 국제정치 상황을 설명하기 해 나진-하산 로젝트를 부분 으로 활용

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컨 Kim과 Blank는 러시아가 2012년의 남-북-러 가스 이

라인 사업이 무산되자 이를 체하기 해서 나진-하산 로젝트가 본격화된 것이라고

보았다 장덕 은 북러의 월 계를 2000년 후반 이후 벌어진 러시아의 서방 계

악화의 결과로 보고 있다 Younkyoo Kim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p599ndash626 장덕 ldquo최근 북

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pp271ndash303

15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이를 해 다음 Ⅱ장에서는 상이론의 이론 성과와 여기에서 도출되

는 분석 틀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III장에서는 국과 러시아의 나진

항 3호 부두 사용권 련 상 과정을 비교하고 앞 장에서 논의된 상이

론의 에서 국과 러시아의 상 략 상의 차이가 가져온 결과를 비

교해보고 러시아의 상 의도를 유추해볼 것이다 마지막 IV장에서는 나

진항 부두사용권 상에서 러시아가 보여 상 략이 북- -러 경지

의 국제정치 국면에 어떤 시사 을 가지는지를 논의할 것이다

II 협상이론과 이론적 틀

A 협상력과 협상수준

이번 장은 상수 이 상력과 상 략의 선택범 에 미치는 향에

한 상이론의 논의를 다룬다 기존의 실주의 이론이 lsquo권력rsquo(power)의

불균등한 분배 상태에 따라서 외교의 결과가 결정되는 것으로 본 데 반해

상 이론은 약한 것으로 여겨졌던 국가가 강한 국가와의 외교 상에서

승리한 사례를 통해서 구조 권력의 우 가 무조건 외교상의 승리로 이

어지지는 않는다는 을 지 하고 실제사례 연구를 통해서 lsquo구조 권력rsquo

이 어떻게 구체 인 lsquo 상력rsquo으로 발휘되는지에 한 분석을 시도했다13)

하비 (William M Habeeb)는 권력을 국제정치의 구조에 따라서 상이

일어나기 이 에 결정되는 정태 구조권력(static structural power)과

상자의 술을 통해 조정될 수 있는 행태 인 권력(behavioral power)으로

분류하고 행태 인 권력을 활용하면 구조 권력의 열세에 처한 국가도

13) Carrie Menkel-meadow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416 William Zartman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59

상을 유리하게 개할 수 있다는 고 주장했다14) 이 때 행태 인 권력

을 통해서 조정될 수 있는 구조 인 권력으로 이슈 별 권력(issue-specific

structural power)이라는 개념이 제시된다 총체 인 구조 권력(aggregate

structural power)은 행 자가 국제체제 내에서 가지고 있는 힘의 총량이므

로 개별국가의 국력과 비례하며 상과는 무 하게 주어져 있는데 반해

이슈 별 권력은 상과 련된 사안에 해 상 당사자가 가지고 있는

상 인 힘의 요소(relative component of power)를 반 한다

이러한 이슈 별 권력은 안(alternative) 의지(commitment) 통제력

(control)의 변화에 따라 확 되거나 축소된다15) 그러므로 안 의지 통

제력에 해 잘 분석할 수 있다면 lsquo행태 인 권력rsquo을 통해 이슈 별 권력을

조정할 수 있는 지 을 확인할 수 있고 결과 으로 략의 선택범 를 가

늠할 수 있다 그 기 때문에 상 략 분야의 실천 연구들은 상자의

상력을 분석하기 해 lsquo 안rsquo lsquo의지rsquo lsquo통제력rsquo이라는 개념을 보다 면

하게 검토했다

첫째로 lsquo 안rsquo은 상 기의 상력을 가장 객 인 단하는데 용이

한 지표다 피셔(Fisher)와 유리(Ury)는 상이 결과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

에 얼마나 좋은 안을 가지고 있는지(Best Alternative to a Negotiated

Agreement 이하 BATNA)를 통해서 상력을 간 으로 살펴볼 수 있다

고 주장한다16) 둘째로 lsquo의지rsquo는 상참가자가 상의 결과에 해서 부

여하는 가치의 정도이다 셋째로 lsquo통제력rsquo은 상에 참여하는 집단이 원하

는 결과를 해서 지불할 수 있는 가이다 그러므로 의지와 통제력은

상 참가자가 상 상 방과 상반된 의견을 가지고 있을 때 자신의 선호를

얼마나 철시키고 상 방의 의견을 얼마나 수용할 수 있는가의 문제로

14) William Mark Habeeb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pp10

ndash26

15) Ibid pp19ndash22

16) Roger Fish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pp97ndash98

16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귀결된다17)

이러한 lsquo의지rsquo와 lsquo통제력rsquo의 범 는 합의 가능 지 (zone of possible

agreement)라는 개념을 통해 도식화될 수 있다18) lsquo 상에서 성공 합의

가 이루어질 수 있는 범 rsquo라고 정의되는 합의 가능 지 (zone of possible

agreement 혹은 zone of potential agreement)은 상 양자가 상결과를

도출하고자 하는 의지와 이를 해 감수할 수 있는 가로써 통제력을 얼

마나 발휘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상에 임하는 행 자와 상 상 방

은 각각 수용할 수 있는 한계치(bottom line 혹은 resistance point)과 자신

이 바라는 모든 것을 철시켰을 얻을 수 있는 목표치(target point)를 가지

고 있다 lsquo의지rsquo와 lsquo통제력rsquo의 에서 이를 해석해보면 상의 내용이

한계치에 다다를수록 행 자가 상을 통해 지불해야 하는 가가 높아지

면서 상자는 통제력의 한계에 직면하게 되는데 이때 상자가 상에

해 얼마나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상의 타결여부가 결정

된다 따라서 목표치와 한계치 사이의 범 는 상 행 자의 의지와 통제

력의 범 와 첩된다고 할 수 있다 만약 상자가 상의 성공에 해

높은 가치를 두고 비용을 지불할 용의가 있다면 상의 의지와 통제력은

상자의 한계치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이다 반 로 상자가

기존의 목표를 고수하는 것에 집 한다면 상 타결에 한 의지는 낮아

지고 상자의 한계치는 목표치와 가까워지게 될 것이다 이 때 상자와

상 상 방의 한계치와 목표치의 범 가 첩되는 지 이 바로 합의 가

능 지 이며 이를 그림으로 표 하면 다음과 같다

17) 이처럼 상 담당자가 자신의 의견을 철하고 상 의 의견을 수용할 수 있는 범 를 하

비 는 안 지 (security point)라고 정의하고 있다 Habeeb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pp21ndash22

18) Tanya Alfredson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pp8ndash9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1

[그림 1] 협상자(A)와 협상 상대방(B)의 합의 가능 지점19)

그러나 국제 상은 개인과 개인의 상이 아닌 집단과 집단의 상이

라는 에서 체 구성원의 목표치와 한계치가 상술한 이론처럼 명쾌하게

도출되지 않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 퍼트남(Robert Putnam)은 상

은 상자 간의 합의 가능 지 을 도출하는 과정의 외부게임(diplomacy

level 1 game)과 상자가 자신이 속한 집단 내부를 통해서 lsquo동의rsquo와 lsquo비

rsquo을 구하는 국내게임(domestic politics level 2 game)으로 구성된다는 이

른바 양면 게임(two-level game) 모형을 고안했다20) 즉 상자가 상

상 방과의 상 과정에서 략을 통해서 상 방의 한계치를 변경하거나

더 유리한 입장을 철시키기 해서 노력하고 잠정 인 결론을 도출하는

것은 외부게임 환경에서 일어나지만 상자의 한계치와 목표치의 범 는

국내정치게임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자의 한계치와 목

표치가 설정되고 이에 따른 상 략이 채택되는 것은 결국 상자의 내

부 집단에서 특정 집단의 이익이 체의 이익으로 변되고 합의되는 정

치과정과 하게 연 되어 있다21)

그 기 때문에 상자가 외부게임에서 보유할 수 있는 한계치와 목표

19) 그림은 다음 들의 도식을 참고하여 필자가 재구성한 것이다 Roy J Lewicki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pp33

ndash37 Alfredson and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p8

20) Robert D Putnam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ndash460

21)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

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5ndash169

16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치의 범 22)는 상자가 내부 집단에서 어떠한 지 에 있는가와 한

련이 있다 퍼트남에 따르면 상자의 셋(win-set)은 국내게임에서

상자가 결집시킬 수 있는 연합(coalition)의 규모 상자가 제도

(institutional)으로 동원할 수 있는 국내권력과 하게 연 되어 있다23)

그러므로 상자가 국내집단에서 높은 지 에 있을수록 자신의 lsquo의지rsquo를

철시키기 해서 보다 많은 lsquo통제력rsquo을 발휘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 상에서 더 넓은 -셋을 가지게 되며 다양한 략 인

옵션을 보유하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24) 반 로 상자의 지 가 낮으

면 국내게임 상에서 제한된 동의만을 가지고 상 방과 상을 진행해야

하므로 상타결을 해서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하는 략을 활용할 수

있는 여지는 감소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국제 상에서 상자의 지 가 높을수록 상 결과에 해 더 높

은 의지를 가지고 강한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상자의 지 가

높을수록 합의가능지 이 확장되며 략 으로도 더 넓은 선택지가 주어

진다 따라서 지 가 높은 상자는 지 가 낮은 상자에 비해 더욱 다양

한 략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지 가 높은 상자는 상 방의 입장을 더

수용해 주는 력 인 략을 구사할 수도 있고 경쟁 이고 강경하게 자

신의 입장을 고수하는 략을 택할 수도 있는 반면 지 가 낮은 상자가

자의 상 략을 선택할 수 있는 여지는 높지 않다

그러나 상자의 지 가 높은 경우 략 선택 범 가 넓고 더 많은

상력을 보유할 수도 있다고 논의한 것만으로는 상자가 특정 상

략을 채택한 이유를 밝히기 쉽지 않다 따라서 특정한 상 략이 채택되

는 이유에 해 상이론은 어떤 설명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

다 따라서 다음 장에서는 상이론이 상 략을 어떻게 유형화하고 특

22) 퍼트남은 이를 -셋(win-set)이라는 용어로 표 했다 Putnam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pp435ndash441

23) Ibid pp441ndash450

24) Menkel-meadow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pp421ndash422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3

정한 상 략이 채택되는 배경을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B 협상전략과 협상목표

상 략이론은 상 략이 상자가 상에 해 가지고 있는 목표와

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에서 착안하여 상 략과 상목표를 유형

화시킴으로써 상참가자의 의도를 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컨

이 이해 계모델(the dual concerns model)은 상에서 일어나는 행 자

의 략을 양보(yielding) 문제해결(problem-solving) 무 심(inaction) 투

쟁(contending)으로 분류하고 의 선택지 에 상자가 특정 략을 채

택하는 데에는 크게 두 가지 요소(자기 자신의 이익에 한 심 상 상

방의 이익에 한 심)가 결정 향을 미친다고 보았다25) 이 모형을

더 발 시킨 키(Lewicki)가 히엄(Hiam)은 합리 행 자라면 상을

통한 이익이 담보되어야 상에 임한다고 보고 상자가 자신의 결과

이익보다 상 방의 이익에 해 심이 있는 경우는 결국 상 방의 이익

을 보장해 으로써 상 방과의 계가 향상되기를 기 하는 것으로 해석

된다고 보았다26) 이러한 문제의식을 통해 R-O모델(Relationship-Outcome

Model)이 제시되는데 이 모델은 상자의 상목표를 크게 계(relationship)

이익과 결과(outcome)이익으로 구분한다 이 때 계이익은 상자가 상

방의 결과이익을 보장함으로써 계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을 의미하고

결과이익은 상자가 상을 통해서 구체 인 성과를 추구하는 것을 의미

한다

이러한 R-O 모델은 행 자가 계이익과 결과이익 어떤 것을 추구하

는지는 상 상 방과의 계의 지속성 연계 이슈에 따라 좌우된다27)

단발 인 거래상황이나 상자와 상 상 방 사이의 계가 별로 형성

25) Lewicki Saunders and Barry Negotiation pp22ndash24

26) Roy J Lewicki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pp22ndash31

27) Roy J Lewicki et al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chap 2ndash4

16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자는 주로 결과이익을 추구한다 한편 상자

가 상을 통해 상 방과의 계개선 안정을 도모하고 추후 지속될

상에서 더 큰 이익이 상되는 장기 인 거래 상황에서 주로 계이익이

추구된다 국가 간의 상 상황에서 이러한 논의를 확 하여 용해보면

계이익을 추구하는 상자는 주로 장기 외교 략 인 목표에 무게

심을 두는 반면 결과이익을 추구하는 상자는 주로 단기 경제 목표

를 더 염두에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R-O 모형은 행 자가 어떤 이익을 추구하는지에 따라서 행 자

의 상 략이 선택되고 구사된다고 주장하고 상 략을 크게 4가지로

유형화했다 상에서 상되는 단기 인 이익보다 장기 이고 략 인

측면에서 상 방과의 계유지가 요한 경우 상자는 자신의 이익이

보장되지 않더라도 상 방의 입장을 수용(accommodating)하는 략을 취

한다 상을 통해서 상 방과의 계도 향상되고 결과도 좋을 것이 측

되는 호혜 인 상황에서는 력 략(collaboration)이 구사된다 한편

상을 통해서 얻는 단기 이익도 없고 상으로 인해 보장되는 상 방

의 이익도 불분명하면 상 행 자는 상을 회피(avoiding)하는 략을

선택하게 된다 만약 상을 통해서 얻게 될 결과 이익이 실한 경우에

상자는 상 방과의 계가 손상되더라도 자신의 상성과를 해서 경

쟁 (competing) 수단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자는 상을 단발성

으로 인식하게 되고 비윤리 인 행 나 행 등 도 서슴지 않게 된다

아래의 [그림 2]는 상술한 내용에 의거하여 상자가 자신의 의도와 목

에 따라 어떤 략을 선택하는지를 도식화한 것이다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5

[그림 2] R-O 모델(협상전략-협상목표의 상관성 모형) 한글은 필자 수정28)

이상의 논의를 살펴보았을 때 상이론의 분석 틀을 활용하여 상

행 자의 안유무 상행 자의 수 에서 비롯되는 의지와 통제력의 차

이 상 략과 그 의도를 분석한다면 개별 상에서 행 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상력의 정도와 가용한 상 략을 개략 으로 평가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자가 특정한 상 략을 선택한 의도를 유추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다음 장에서는 상이론의 논의를 통해 도출한 분석

틀을 활용하여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과정을 비교하고

상에서의 우 를 한 러시아가 어떻게 상력을 재고할 수 있었고 어

떤 략을 구사했는지를 살피고 러시아가 나진항 개발사업에 극 인

략을 구사한 이유를 유추해보고 실제 국제정치 맥락에서 이러한 유추

가 설명력을 지니는지 평가해본다

28) Lewicki and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pp24ndash32

1 계 시형

수용 략

2 호혜 상황

력 략

3 상 미발생

회피 략

4 단발성 거래

경쟁 략

16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III 나진항을 둘러싼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과정

A 중국-북한의 협상과 러시아-북한의 협상과정 비교

본 장에서는 나진항 3호 부두에 한 국과 러시아의 상과정을 정리

하고 -북간 상과 러-북간 상의 특징을 각각 서술하고 이를 종합하여

비교한다 이를 해 국과 러시아 각 국의 상이 일어난 배경과 상

단계 단계별 상 주체 이에 따른 북한 측 상 주체 상 결과의 내용

상 시기의 주요한 환경 요인 상의 이행 결과를 국가 별로 나 어서

정리할 것이다

(1) 중국-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 부두 사용권에 한 국의 근은 국 훈춘시에서 구상한 도

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路-港-區一體化)에서 비롯되었다 2000년

북한은 국과 러시아 사이의 물동량이 폭 확 되면서 포시에트항이 나

진항을 체할 항구로 부상하는 것에 응하여 나진-선 도로망 폭 개

선 계획을 발표하는데 이 계획의 핵심 구상이 바로 나진항과 훈춘을 도로

로 연결하는 것이었다29) 막 있는 바닷길을 뚫고 동해로의 진출을 모색

하던 국 훈춘 시정부는 이러한 북한의 구상에 응하여 훈춘에서 나진

항까지 연결된 도로를 화하고 나진항을 거 항만으로 확보하고 항만

배후부지를 산업 물류단지로 개발하는 것을 골자로 한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를 구상했다30) 이 구상을 토 로 2003년 12월 12일과 21

일 훈춘시 정부 길림성 정부 계자 항만 개발업체로 구성된 상

표단이 북한 측에 나진항 추가 확장 계획을 제의하는 과정에서 나진과

29)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곽복선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

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30)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3ndash73 徐家军amp李泽 ls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squo 新浪財經 200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7

국을 잇는 도로 배후부지 개발을 조건으로 국이 나진항 부두시설

일부를 50년 간 독 사용하는 상의 기본 틀이 세워졌다31)

주목할 은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에 한 국 앙정부차

원의 심은 국과 북한의 지방정부 간 상이 시작되던 시 보다 늦게

발되었다는 것이다 2003년 당시 국 정부는 본격 으로 낙후된 동북

지역을 진흥시키기 한 동북진흥(振兴东北) 로젝트를 구상하고 이를

해 국무원 차원에서 lsquo동북 지역을 포함한 노후 공업 기지 진흥을 한

실시 략에 한 의견rsquo을 작성했다32) 그러나 의견에는 아직 훈춘시가

구상했던 외국항구 임차를 통한 출해권 확보 목 의 도로-항만-구역 일체

화 로젝트에 한 언 은 나와 있지 않다33) 그러므로 나진항 부두 사용

권을 둘러싼 국과 북한의 상은 앙정부가 아닌 지역 활성화를 도모

하던 북한과 국의 지방정부의 자발 인 움직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상이 본격화된 이후 국 측 참여기업인 둥린유한공사(东林有限公

司 이하 둥린회사)와 국 훈춘시의 실무자들로 구성된 상단이 북한

의 나선시인민 원회와 주로 상을 가지게 되었으며 2004년 9월에 기본

합의가 이루어졌고 2005년 3월에는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장 김수열이

훈춘시에 방문하여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34) 2005년 7월에는 국

의 둥린회사와 훈춘변경경제합작구 보세유한회사(珲春边境经济合作区保

税有限公司)가 자본과 공사 자재를 투자하고 북한 나선시 인민 원회 경

제합작회사가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제공하는

합작회사가 만들어졌으며 2005년 9월에는 구체 인 사업 진행방안을 담

은 본 계약이 체결되었다35) 2006년 1월에는 북- 이 만든 합작회사가 북

31)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32) Jae Ho Chung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ndash125

33)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34) 徐家军amp李泽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p61

16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설립인가를 받게 다36)

상을 통해서 합의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37)첫째 국과 북한 사이에

설립되는 합 회사는 로젝트에 총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를

투자하여 나진항 3호 부두를 확장 건설하고 4호 부두를 신설하며 보세

가공구와 공업원구를 배후지에 건설하는 한편 나진-원정 간의 비포장 도

로 67km를 488km의 왕복 2차선 직선 포장도로로 개량하기로 했다38) 둘

째로 이러한 거 로젝트를 실시하기 한 선결조건으로 국 측은

3000만 유로(약 24억 안 3600만 USD)를 투자하여 원정-나진 간 도로

건설을 우선 시작하고 나진항 3호 부두를 개조하는 가로 나진항 3호 부

두와 향후 지어질 4호 부두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획득하기로 했다

그러나 2006년 5월 구상이 마무리되고 10월부터 착공하기로 되어있던

고속도로 건설 사업은 북한의 핵실험 둥린회사의 투자 조달 실패 등

으로 인해 착공 정일을 맞추지 못하게 되었다39) 이에 2007년에는 국

길림성 정부까지 나서 나진항 개발자 을 지원하기 해 세 징수 우 정

책까지 부여했지만 둥린회사는 자 부족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2008년 러시아와 북한의 합의에 의해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에 한

이권을 상실하게 되었다40)

35) 계약은 합 회사가 2006년 5월부터 나진-원정간 고속도로 건설을 시작하고 추후 나진

항 3호 부두를 개조하고 공업단지 보세가공구를 건설하는 조건으로 나진항 3호 부두의

50년간의 사용권을 확보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36) 의 p61

37)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

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38) 투자액에 한 미 달러 환산 액은 본 계약 완료시 인 2005년 9월의 월별 환율을 통해

필자추정

39) 당시 국 후난 학(湖南大學) 연구원을 통해 원정-나진항 도로건설에 한 실사 조사

공사 방안이 확정되었으며 10월까지 도로 주변의 나무 채벌까지 완료되면서 본격 인 착

공을 앞둔 제반 비가 마무리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pp56ndash58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40) 의 책 p5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9

(2) 러시아-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의 부두개발에 한 국과 북한의 의가 지방정부 차원에서 시

작된 반면 러시아와 북한 사이의 상은 앙정부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2000년 8월 러시아의 푸틴(Vladimir Putin) 통령은 남북한의 화해 분

기가 조성된 틈을 타 한반도 횡단 철도(Trans-Korean Railway 이하 TKR)

를 시베리아 횡단 철도(Trans-Siberian Railway 이하 TSR)와 연결하는 이

른바 lsquo철의 실크로드rsquo 구상을 김정일 국방 원장 김 통령에게

달했다41) 남북의 지도자로부터 정 인 반응을 이끌어낸 푸틴은 2001년

북middot러 정상 회담을 통해 발표된 모스크바 선언의 6항을 통해 TKR-TSR 연

결 사업에 한 북한과 러시아의 력 의지를 공식 으로 밝혔다42) 상

이 본격화된 이후 러시아는 철도부 표단을 수차례 북한에 견하여 북

한 철도성과 철도 화에 해 본격 으로 논의하기 시작했다43) 2003

년 이후 러시아 철도공사(RZD)가 러시아 철도부의 모든 인 라와 사업

로젝트를 승계함에 따라 RZD는 국 기업의 자격으로 TKR-TSR 연결

사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남-북-러 사이의 삼자 력 구도 속에서 시작된 TKR-TSR 연결

사업은 상 과정에서 노선선정 재원조달 방식 등의 주요쟁 들에

한 각국의 견해차로 인해서 곧 교착상황에 빠지게 되었다44) 그런 상황 속

에서 2002년 이후 2차 북핵 기로 인해 북한에 한 국제사회의 제재가

지속되고 남북 계가 악화되자 북한은 2004년에 TKR-TSR 연결사업에

41) Seung-ho Joo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Cornwell

Ashgate 2009 pp179ndash256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2000ne

42)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23 2007 p231

43)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pp 75ndash80

44)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 56

17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논의가 무의미하다고 밝히며 회의불참을 선언한다45) 이 게 삼각

력의 구도가 기에 착하자 RZD는 상의 구도를 북한-러시아 간 한

국-러시아 간의 상의 두 트랙으로 분리하고 양 국과 개별 인 상을

진행하여 갈등을 합하고자 했다

우선 러시아는 TSR-TKR의 체 구간을 연결하려던 기존의 구상을 축

소하여 일부 구간만을 시범 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사업 구상을 변경해

북한에게 제의했다 북한이 이에 응하면서 2004년 북-러 국경 철도 의회

는 우선 TSR과 TKR의 결 에 치한 나진-하산 간 철도 개량사업부터

시범 실시하는 것에 한 상을 시작했다46) 상은 2006년 블라디보

스토크에서 열린 남-북-러 철도 표자 회의를 통해서 구체화되었는데 그

내용은 RZD와 북한이 함께 설립하는 합작회사(Rasonkontrans 이하 라손

콘트란스)를 통해서 나진-하산간 철도 나진항 항만시설 개보수를 진행

한다는 것이었다 합의를 통해 RZD는 나진항 부두시설사용권에 한

이권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자 조달방법에 해서 북한으로부터 재량권

을 임 받았다47)

한편 RZD는 한국이 주요투자자로 로젝트에 남아있기를 원했다 따

라서 북한으로부터 투자 유치에 한 재량권을 얻고 나자 2007년 한국 철

도공사(KORAIL 이하 코 일)와 양자 상을 통해서 한국의 투자방안에

한 세부 MOU를 체결했다 MOU를 통해서 설립된 루코로지스틱스

(RUCO Logistics 이하 루코)는 코 일의 지원 하에 한국의 민간물류업체

들의 투자를 받아서 라손콘트란스의 러시아 측 지분에 투자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북한 련사업에 한 남한의 투자가 러시아를 통해 우회하

여 남북 계의 정치 불안정성이 투자에 악 향을 끼치는 것을 최소화

하고자 했다

45) 의 pp55ndash56

46) 의 pp57ndash58

47)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1

이처럼 새롭게 상 구도를 짠 결과 러시아는 남북으로부터 아래의 합

의를 이끌어냈다 첫째 나진-하산 로젝트는 TKR-TSR 연결을 한 시

범사업으로 러시아와 북한의 합작회사인 라손콘트란스가 북한의 나진항

과 러시아의 하산 사이에 54km에 이르는 철도구간을 개보수하고 나진항

의 기 인 라를 개발하는 것을 가로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을 49년 간

사용한다48) 둘째 이를 한 투자액은 총 21억 달러(USD)으로 RZD가

약 126억 달러를 분담하는 한편 루코가 러시아 지분 일부(40)를 매

입하는 방식으로 자본을 분담투자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러한 RZD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을 통한 자 조달 계획

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2008년 출범한 이명박 정부는 그간 지속되어

오던 북사업을 취소한다는 뜻을 밝히며 북한이 핵무기 로그램을 포

기하지 않는 한 규모 북경제지원사업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49)

이에 응하여 북한도 남한과의 모든 공식 을 단하면서 남북 계는

격하게 악화 고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민간기업들의 투자도 무

산 다50) 이런 상황에서 RZD는 로젝트를 이행하기 해 2008년 4월

북한과 러시아의 양자 의 형태로 새로운 합의서를 체결하고 2008년 10

월에는 나진항 부두시설 화 나진-하산 철도 화에 한 착공식

을 진행했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러시아 역시 자 형편이 여의치 않아 공

사를 일정 로 진행할 수 없었다51) 이후 러시아는 RZD의 자체 차입 자

으로 투자비를 확보하여 2011년 공사를 재개했고 2013년 나진-하산 간 철

도를 완공 후 개통시켰고 2014년부터는 보수된 나진항 3호 부두를 통해

48) 지분 구조는 RZD가 70이며 북한 철도성이 30이다 이를 해 러시아는 21억 불의

자본을 투자하고 북한은 나진항만 시설을 물로 투자한다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

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2

49) Hong Nack Kim ls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s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2008) pp 8ndash18 Chung-in Moon lsquoSouth Korea in 2008rsquo 49 2008 pp127ndash

128

50)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p64ndash65

51)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3

17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국 러시아

상배경도로-항만-구역일체화 로젝트

(훈춘시정부 차원)

TKR-TSR 연결 로젝트

( 앙 정부 차원)

상시기 2003년-2006년 2000년-2015년 진행

시작

2003년 12월 국 지방 정부 계자

기업이 북한 나선시와 논의 시작

2000년 8월- 푸틴 통령이 남북정상과

논의 시작

2001년 8월 모스크바 선언 정식 결의

석탄을 운반하기 시작했다52) 이때 러시아는 철도연결에 55억 루블(약 18

억 USD) 나진항 터미 공사에 약 35억 루블(약 11억 USD)을 투자한 것

으로 추정된다53)

요컨 2000년 러시아 최고 지도자인 푸틴의 심 속에서 시작된 상

은 2003-4년 북핵 기로 인한 북한의 상 거부 기와 2008년 이후 투자

계획의 난 을 뚫고 최종 으로 이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는 남북

한의 응에 강경하게 응하기보다는 양 국의 의견을 수용하기 한

상 방안을 제시하고 상 를 다시 상에 참여시키기 해 막 한 자 을

투자하기까지 했다 이처럼 러시아가 상을 지속하기 해 다양한 수용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면 러시아와 북한 간의 합의 역시 이행되지 못했

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B 중국-북한 러시아-북한의 협상에 대한 이론적 분석

앞 장에서는 나진항의 부두 사용권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 과

정을 추 해보았다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을 상의 배경 상 주체

북한 측 상 주체 주요 상 내용 상 규모 상 이행 상황을 심

으로 비교해보면 아래의 lt표 1gt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lt표 1gt 나진항 3호 부두 사용권과 관련된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주요 사항

52)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나희승 ldquo남북 sdot 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53)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1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3

국 러시아

과정

- 2004년 기본 합의 완료

- 2005년 3월 24일 MOU 체결

- 2005년 7월 합 회사 설립

- 2005년 9월 본계약 체결

- 2006년 1월 북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합 회사 설립 비

- 2004년 7월 나진-하산 로젝트로 논의

축소 나진항 사용에 한 명시

- 2006년 7월 남-북-러 3자 철도 운 자

회의 나진-하산 화 사업 합의

- 2007년 남한 투자 련 MOU

- 2008년 한국 참여 실패

- 2008년 4월 북-러 나진 하산 철도

화 나진항 3호부두 개발에 한 력

합의서 체결

이행

- 2006년 5월 사업 조사 완료 비

- 2006년 10월 착공 연기

- 2007년 2월 길림성 lsquo두만강유역

개방개발 가속화 방안rsquo 마련

- 2008년 4월 훈춘 둥린회사 외국

투자 유치 난항 최종 실패

- 2008년 4월 라손콘트란스 설립

- 2008년 10월 나진-하산 철도구간 개보수

착공식 후 공사 지연

- 2011년 철도 건설 사업 재개

- 2013-2014년 철도와 부두 개보수 완료

상 주체상 시작 지방 정부

상 과정 민간기업 훈춘시 지원

상 시작 러시아 앙 정부

상 실무 러시아 철도부 RZD54)

북한측 상

주체나선시 인민 원회

-북한 앙 정부

- 상 실무 북한 철도성 육해운성

실무 계자

투자 규모

lt 체 규모gt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

lt본 계약 규모gt

3000만 유로

(24억 RMB 약 3600만 USD) agrave미이행

lt계약 시기gt

총 21억 USD 러시아가 126억 USD

lt이행기gt 철도연결에 55억 루블 지출 터

미 공사에 35억 루블 지출

(약 11억 USD)

이 같은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의 비교를 토 로 러시아와 국의

상력 각국이 구사한 상 략을 비교해보고 러시아가 상에서 유

리한 결과를 낼 수 있었던 요인과 러시아의 략 인 목표를 유추해볼 것

이다

54) 러시아 정부는 2001년부터 자국의 철도 개 을 진행하여 철도부(Railway Ministry)를 국

주식회사인 RZD와 정책 담당 부서인 교통부(Ministry of Transport) 경제 발 무역

부(Ministry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rade)로 분리했다 RZD는 기존의 철도부의

시설 사업을 승계함으로써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상도 이어서 진행하게 되었다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17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우선 상력을 보기 해 상에 임한 국과 러시아의 정태 인 구조

권력을 살펴본다면 비록 총체 인 구조권력 상에서 국이 러시아에 비

해서 압도 으로 강력했으나 나진항을 둘러싸고 북한과 진행한 상사안

만 놓고 본다면 이슈 별 권력에서 러시아가 국보다는 북한에 해 우

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러시아는 북한과의 상에 한

BATNA의 차원에서 국보다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두만강 유역에서

국의 국경은 차 강 기를 따라 좁아지다가 동해를 15km 앞둔 지 에서

끝이 난다55) 그러므로 동해로 직 나갈 수 있는 항구 시설이 무한

국은 나진항 련 상이 결렬되는 경우 동해로의 출해권을 얻을 수가 없

었다 반면 러시아는 나진항 이외에도 극동지역에 여러 항구를 보유하고

있다 일부 연구가 러시아의 극동항만들이 겨울에 얼어붙는 반면 나진항

은 부동항이기 때문에 나진항의 경제 이 이 크다고 보기도 하지만 실

제로는 러시아 극동의 블라디보스톡(Vladivostok) 이남의 항구들은 모두

부동항들로 슬라비얀카(Slavianka)항 보스토치니항(Vostochny) 포시에트

(Posyet)항 자루비노(Zarubino)항 등 개발잠재력이 충분한 항구들이 이미

러시아 극동에서 운용 이다56) 따라서 북한과의 상에 한 이슈 별 권

력의 차원에서 러시아는 국보다 유리한 치에서 상을 시작했다 lsquo의

지rsquo와 lsquo통제rsquo의 측면에서도 러시아는 국보다 더 우 에 있었다 러시아-

북한의 상이 국-북한의 상에 비해서 행 자수 이 높았기 때문에

상을 성사시키기 해 상자가 활용할 수 있는 비용과 제도 인 권력

의 가용범 가 더 컸기 때문이다 상이 난 에 착한 상황에서 러시아

55) James Cotton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1086 Cho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pp51ndash53

56) 특히 19세기와 20세기 반에는 러시아 극동에서 부동항에 한 수요가 컸고 그런 맥락에

서 나진항의 요성이 강조되었다 이와 하여 다음을 참조 Ibid pp52ndash55 백 기 ldquo러

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백 기 최정수 최재희 (편)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동북아역사재단 2007 pp23ndash62

한편 러시아 극동의 항만시설과 해서는 다음을 참조 Robert North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74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5

가 상 체의 틀을 다시 짜는 선택을 할 수 있었던 것이나 남한의 투자

가 결렬된 이후 막 한 비용을 들일 수 있었던 것은 모두 행 자 수 이

높아짐으로써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해 수 있는 범 가 넓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실제로 상이 시작된 2000년 반 푸틴 통령은 자신이 추구하는

로 상을 진행시키기 해 국내정치 으로 의견을 결집시켰다 당시

러시아 료들은 북한과의 철도연결을 재개하는 것에 해서 비 이었

다 러시아 철도부 장 이었던 데 (Guenaddy Fadeyev)는 TKR-TSR

은 투자비용도 무 크고 정치 험도도 높은 사업이라며 회의 인 견

해를 피력하기까지 했다57) 그러나 푸틴은 사업을 lsquo 요한 사업rsquo이라고

못 박았고 데 로 하여 사업이 확실한(promising) 사업이라고

발언하게 했다 이러한 푸틴의 응에 의해 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국

내 으로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 차단되었고 상이행에 한 푸틴

의 강력한 의지가 러시아 국내에 확인되었다

러-북 간의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강력한 지지 속에서 이루어졌다

는 은 상 실무주체가 RZD 다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RZD는 단순히

러시아 철도부가 진행하던 사업의 권한을 승계한 공기업이 아니라 푸틴

의 국내정치권력의 핵심기 의 하나 다 RZD 사장인 야쿠닌(Vladimir

Yakunin)은 푸틴의 최측근 실로비키(silovarch) 한 명으로 차기 통령

후보로까지 거론되기도 했던 인물이다58) 야쿠닌은 나진-하산 로젝트를

RZD의 최우선 로젝트로 상정하고 상과정 내내 상자 간의 의견조

율과 외홍보에 힘을 쏟았다59) 따라서 RZD가 상을 주도했다는 은

나진-하산 로젝트 련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심 속에서 진행되

었다는 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57)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AsiaDH27Ag01html

58) Daniel Treisman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4ndash145

59)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pp228ndash229

17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편 국의 입장에서 상자의 수 이 낮았던 것은 -북 간 상이

실패한 결정 인 원인이었다 국의 상자 수 이 낮은 상황에서 북한

측도 이에 맞춰 상자의 수 이 낮아지게 되면서 양 국은 상의 이행을

한 재량권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실제로 국과의 상에 임했던 나

선시 인민 원회는 상의 출발단계에서부터 국 측이 원한 상 목표인

부두시설 임 에 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나진항의 부두 시설에

한 권한은 으로 북한 육해운성의 소 이기 때문에 나선시 인민 원

회는 부두사용권을 놓고 국과 의하는 것이 처음부터 불가능했기 때문

이다60)

이처럼 러시아는 상의 구조 권력에서 국보다 우 에 있었기 때문

에 다양한 략 선택지를 가지고 상의 교착상황에서 상 방의 입장

을 받아들이는 수용 략을 취함으로써 상이 지속되도록 했다 표 으

로 러시아는 2004년에는 TSR-TKR 연결 사업에서 이탈하려는 북한의 의

사를 반 하여 상의 틀을 축소했으며 2008년에 한국의 투자가 무 로

돌아가면서 상의 이행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자국의 자본을 100 투자

하여 북한과 합의된 사항을 이행했다

러시아가 이와 같은 상 략을 취한 이유를 R-O 모형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우선 러시아는 수용 인 략기조를 유지했기 때문에 상을

통해서 결과이익보다는 계이익을 추구했다고 여겨진다 나진항을 통해

서 얻고자 하는 결과이익은 항만시설을 통한 출해권 확보일 것이다 반

로 이 상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계이익은 상 상 국인 북한과의

계 향상일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의 략 선택은 러시아가 상을

통해 장기 으로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고 략 인 차원에서 장기 으

로 북한에 한 력을 지속시키고자 했다는 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60) 당시 국 둥린 회사를 도와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와의 상에 참여했던 국 훈춘시 지

방 정부 계자 면담에서 계자는 당시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도 외합작 경험이 부족

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권한범 에 한 인식이 부족했었다고 진단했다 2015년

2월 훈춘시정부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7

실제로 푸틴 통령은 상 기 경제 인 손실을 우려하는 국내 료들

의 불안감에 해 상은 요한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이 상의 목

표가 단기 인 경제성에 놓인 것이 아님을 명확하게 했다61)

상이 시작되던 2001년의 시기 배경을 고려해 보면 러시아가 계

이익 다시 말하자면 략 이고 장기 인 차원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

다는 이론상의 설명은 실성이 있다고 단된다 나진항만을 둘러싼 러

시아-북한 간의 상이 TSR-TKR의 연결 사업으로 첫 발을 디뎠던 2000

년 당시 러시아는 푸틴 통령의 집권으로 인해 국내정치 혼란을 바로

잡은 후 소련붕괴와 한반도정책의 실패로 인해 상실한 아시아 지역에

한 략 향력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 때 러시아가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러시아의 향력을 회복하기

해서는 상실했던 북한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만 했다 동아시아와

해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은 경제 으로나 인구 으로나 동아시아 주변

국에 비해 제한 인 역량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 시기

이래로 러시아가 지속 으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에서 주요세력으로 자

리매김했던 것은 소련과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략 인 계가 유지되

었기 때문이다62) 특히 소 계가 악화된 이후 소련은 소련에 한 북한

의 일방 인 의존을 활용하여 아시아 국제 계에서 략 버리지를

유지해 왔다63)

61)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62) Peggy Falkenheim Meyer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14ndash 221

Pavel A Minakir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p32ndash 50

Tamara Troyakova amp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ndash 37

63) John W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ndash53 Gilbert Rozman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 Stephan Blank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pp78ndash82

17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그러나 90년 들어 소련은 북한에 해 가지고 있던 향력을 상실하

면서 아시아의 정치무 에서 배제되게 되었다 1980년 후반 소련은 경

제 이익을 기 하며 남한과의 계수립에 힘썼고 1990년 남한과의 국

교를 정상화하기에 이르 다 게다가 소련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의 수장

으로 취임한 친(Boris Yeltsin) 통령은 서방과의 계회복을 기 하며

민주 가치와 자유를 존 하는 러시아의 모습을 보이기 해 공산독재국

가 던 북한과 의도 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공식

외교채 은 단 되었으며 러시아는 그 동안 북한에게 무상으로 제공

해 왔던 석유지원을 단했으며 러시아의 무기를 북한에 수출하지 않겠

다고 밝혔다64) 당시 러시아 외교부장 이었던 코지 (Andrei Kozyrev)

는 북한의 인권침해를 공식 으로 비 하면서 북한의 정치 변화를 구

하기까지 했다65) 결과 으로 한반도에서의 러시아의 외교정책 인 환

은 냉 기부터 긴 하게 유지되었던 러시아와 북한의 정치 연결고리를

약화시켰으며 북한은 러시아에 해서 가지고 있던 우호 인 시선을 거

두어들이게 되었다66) 그러나 러시아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이 사라진 것은 러시아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

제 계에서도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다 러시아가 북한에 해 정치

향력을 발휘할 것을 기 하며 러시아와의 계개선을 추진했던 남한은 러

시아가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을 상실하자 러시아를 외교 으로 등

한시했다67) 게다가 소련의 붕괴 이후 러시아의 통 인 향권에 한

64) Seung-ho Jo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ndash130 David Wolff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

booksdprkbbrussia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Alexander

Vorontsov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p5

65)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53

66) 이정철 외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p87ndash89

67)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호 2002 pp289

ndash297 Gilbert Rozman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9

침투를 본격화한 미국은 북-러 계가 약화된 시 에서 한반도 문제의

심 인 조정자로 부상하게 되었다68) 러시아가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외교

의제에서 배제된 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사건이 바로 1차 북핵 기

다 1차 북핵 기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를 포함한 8자 회담을 통해서 북핵

문제를 보다 국제 인 차원에서 해결하기를 원했으나 결과 으로 북한에

한 향력을 상실한 러시아는 배제된 채 4자 회담의 형태로 상이 진

행되었다69)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러시아는 남북한 모두에게 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면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자국의 향력 후퇴를 막을 수 없다는

을 확인했고 남한에 과도하게 경사되었던 한반도 계를 재조정하고

남북한 균형 정책을 구사하기 시작했다70) 러시아는 친서방 성향이 강

했던 코지 를 신하여 실용 유라시아주의자 리마코 (Yevgenni

Primakov)를 외교부 장 으로 임명하고 북한과의 계 회복에 주력했

다71)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태도는 냉담했는데 이는

러시아가 여 히 경제 인 측면에서 이익을 수 있는 남한과의 계를

더 시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력과 군사력이 약화된 러시아가 북한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북한의 의구심 때문이었다72)

p41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pp23ndash46

68) Yoshinori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192 Seung-ho Joo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Ashgate 2002 pp147ndash148

69) 러시아의 근 방식에 해서 다음을 참조Evgueni Bajanov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러시아의 배제와 4자 회담에 해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7ndash298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pp194ndash196 Stephen Blank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4ndash5

70)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pp228ndash229

71) Seung-ho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ndash81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6ndash298

72)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192 P Rangsimaporn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18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상실해버린 북 향력을 회복하는 것을 북 략의 주요 목표로 삼았

던 러시아에게 나진-하산 로젝트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기

한 출발 으로 매우 한 기획이었다 우선 나진-하산 로젝트가

TSR-TKR 로젝트로 시작되던 시기는 국제정치 으로 한반도의 화해 국

면 속에서 인 국가로서 러시아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극 화되던 시 이

었다73) 당시 남한과 북한은 화를 시작하고 추가 인 력 의제들을 논

의하는 과정 에 있었다 이러한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인 라 부문에

한 이해 계를 공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실리 인 력 어젠다(agenda)

를 통해 화와 력을 지속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 인 수요를 포착

하고 TSR-TKR 연결 구상을 통해 한반도에 한 실리 인 개자로 참여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이 시기는 러시아의 근에 해서

회의 인 입장을 견지하던 북한도 자국의 국내 정치상황으로 인해 입장을

바꾸던 때 다 당시 나진-선 을 통해서 개 개방을 도모하던 북한은 나

진선 지 개발에 한 외국투자를 극 으로 유치했다74) 때문에 러시

아의 근에 한 북한의 반응도 비교 정 이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나진항을 포함한 북한의 항만 시설 철도 인 라 시

설에 해서 확실한 기술 우 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과의 인

라 력 부문에서 확실한 강 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부터 1990년

까지 소련은 북한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등을 직 건설했으며 나진

항의 화 역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75) 소련은 이

게 개발한 나진항에 해서 공식 인 우선권을 인정받고(1978) 이를 소

Palgrave Macmillan 2009 pp62ndash64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p477

73) In-kon Yeo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ndash115

74)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75) 안병민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남

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pp1ndash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6: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15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이를 해 다음 Ⅱ장에서는 상이론의 이론 성과와 여기에서 도출되

는 분석 틀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III장에서는 국과 러시아의 나진

항 3호 부두 사용권 련 상 과정을 비교하고 앞 장에서 논의된 상이

론의 에서 국과 러시아의 상 략 상의 차이가 가져온 결과를 비

교해보고 러시아의 상 의도를 유추해볼 것이다 마지막 IV장에서는 나

진항 부두사용권 상에서 러시아가 보여 상 략이 북- -러 경지

의 국제정치 국면에 어떤 시사 을 가지는지를 논의할 것이다

II 협상이론과 이론적 틀

A 협상력과 협상수준

이번 장은 상수 이 상력과 상 략의 선택범 에 미치는 향에

한 상이론의 논의를 다룬다 기존의 실주의 이론이 lsquo권력rsquo(power)의

불균등한 분배 상태에 따라서 외교의 결과가 결정되는 것으로 본 데 반해

상 이론은 약한 것으로 여겨졌던 국가가 강한 국가와의 외교 상에서

승리한 사례를 통해서 구조 권력의 우 가 무조건 외교상의 승리로 이

어지지는 않는다는 을 지 하고 실제사례 연구를 통해서 lsquo구조 권력rsquo

이 어떻게 구체 인 lsquo 상력rsquo으로 발휘되는지에 한 분석을 시도했다13)

하비 (William M Habeeb)는 권력을 국제정치의 구조에 따라서 상이

일어나기 이 에 결정되는 정태 구조권력(static structural power)과

상자의 술을 통해 조정될 수 있는 행태 인 권력(behavioral power)으로

분류하고 행태 인 권력을 활용하면 구조 권력의 열세에 처한 국가도

13) Carrie Menkel-meadow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416 William Zartman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59

상을 유리하게 개할 수 있다는 고 주장했다14) 이 때 행태 인 권력

을 통해서 조정될 수 있는 구조 인 권력으로 이슈 별 권력(issue-specific

structural power)이라는 개념이 제시된다 총체 인 구조 권력(aggregate

structural power)은 행 자가 국제체제 내에서 가지고 있는 힘의 총량이므

로 개별국가의 국력과 비례하며 상과는 무 하게 주어져 있는데 반해

이슈 별 권력은 상과 련된 사안에 해 상 당사자가 가지고 있는

상 인 힘의 요소(relative component of power)를 반 한다

이러한 이슈 별 권력은 안(alternative) 의지(commitment) 통제력

(control)의 변화에 따라 확 되거나 축소된다15) 그러므로 안 의지 통

제력에 해 잘 분석할 수 있다면 lsquo행태 인 권력rsquo을 통해 이슈 별 권력을

조정할 수 있는 지 을 확인할 수 있고 결과 으로 략의 선택범 를 가

늠할 수 있다 그 기 때문에 상 략 분야의 실천 연구들은 상자의

상력을 분석하기 해 lsquo 안rsquo lsquo의지rsquo lsquo통제력rsquo이라는 개념을 보다 면

하게 검토했다

첫째로 lsquo 안rsquo은 상 기의 상력을 가장 객 인 단하는데 용이

한 지표다 피셔(Fisher)와 유리(Ury)는 상이 결과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

에 얼마나 좋은 안을 가지고 있는지(Best Alternative to a Negotiated

Agreement 이하 BATNA)를 통해서 상력을 간 으로 살펴볼 수 있다

고 주장한다16) 둘째로 lsquo의지rsquo는 상참가자가 상의 결과에 해서 부

여하는 가치의 정도이다 셋째로 lsquo통제력rsquo은 상에 참여하는 집단이 원하

는 결과를 해서 지불할 수 있는 가이다 그러므로 의지와 통제력은

상 참가자가 상 상 방과 상반된 의견을 가지고 있을 때 자신의 선호를

얼마나 철시키고 상 방의 의견을 얼마나 수용할 수 있는가의 문제로

14) William Mark Habeeb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pp10

ndash26

15) Ibid pp19ndash22

16) Roger Fish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pp97ndash98

16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귀결된다17)

이러한 lsquo의지rsquo와 lsquo통제력rsquo의 범 는 합의 가능 지 (zone of possible

agreement)라는 개념을 통해 도식화될 수 있다18) lsquo 상에서 성공 합의

가 이루어질 수 있는 범 rsquo라고 정의되는 합의 가능 지 (zone of possible

agreement 혹은 zone of potential agreement)은 상 양자가 상결과를

도출하고자 하는 의지와 이를 해 감수할 수 있는 가로써 통제력을 얼

마나 발휘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상에 임하는 행 자와 상 상 방

은 각각 수용할 수 있는 한계치(bottom line 혹은 resistance point)과 자신

이 바라는 모든 것을 철시켰을 얻을 수 있는 목표치(target point)를 가지

고 있다 lsquo의지rsquo와 lsquo통제력rsquo의 에서 이를 해석해보면 상의 내용이

한계치에 다다를수록 행 자가 상을 통해 지불해야 하는 가가 높아지

면서 상자는 통제력의 한계에 직면하게 되는데 이때 상자가 상에

해 얼마나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상의 타결여부가 결정

된다 따라서 목표치와 한계치 사이의 범 는 상 행 자의 의지와 통제

력의 범 와 첩된다고 할 수 있다 만약 상자가 상의 성공에 해

높은 가치를 두고 비용을 지불할 용의가 있다면 상의 의지와 통제력은

상자의 한계치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이다 반 로 상자가

기존의 목표를 고수하는 것에 집 한다면 상 타결에 한 의지는 낮아

지고 상자의 한계치는 목표치와 가까워지게 될 것이다 이 때 상자와

상 상 방의 한계치와 목표치의 범 가 첩되는 지 이 바로 합의 가

능 지 이며 이를 그림으로 표 하면 다음과 같다

17) 이처럼 상 담당자가 자신의 의견을 철하고 상 의 의견을 수용할 수 있는 범 를 하

비 는 안 지 (security point)라고 정의하고 있다 Habeeb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pp21ndash22

18) Tanya Alfredson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pp8ndash9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1

[그림 1] 협상자(A)와 협상 상대방(B)의 합의 가능 지점19)

그러나 국제 상은 개인과 개인의 상이 아닌 집단과 집단의 상이

라는 에서 체 구성원의 목표치와 한계치가 상술한 이론처럼 명쾌하게

도출되지 않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 퍼트남(Robert Putnam)은 상

은 상자 간의 합의 가능 지 을 도출하는 과정의 외부게임(diplomacy

level 1 game)과 상자가 자신이 속한 집단 내부를 통해서 lsquo동의rsquo와 lsquo비

rsquo을 구하는 국내게임(domestic politics level 2 game)으로 구성된다는 이

른바 양면 게임(two-level game) 모형을 고안했다20) 즉 상자가 상

상 방과의 상 과정에서 략을 통해서 상 방의 한계치를 변경하거나

더 유리한 입장을 철시키기 해서 노력하고 잠정 인 결론을 도출하는

것은 외부게임 환경에서 일어나지만 상자의 한계치와 목표치의 범 는

국내정치게임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자의 한계치와 목

표치가 설정되고 이에 따른 상 략이 채택되는 것은 결국 상자의 내

부 집단에서 특정 집단의 이익이 체의 이익으로 변되고 합의되는 정

치과정과 하게 연 되어 있다21)

그 기 때문에 상자가 외부게임에서 보유할 수 있는 한계치와 목표

19) 그림은 다음 들의 도식을 참고하여 필자가 재구성한 것이다 Roy J Lewicki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pp33

ndash37 Alfredson and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p8

20) Robert D Putnam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ndash460

21)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

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5ndash169

16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치의 범 22)는 상자가 내부 집단에서 어떠한 지 에 있는가와 한

련이 있다 퍼트남에 따르면 상자의 셋(win-set)은 국내게임에서

상자가 결집시킬 수 있는 연합(coalition)의 규모 상자가 제도

(institutional)으로 동원할 수 있는 국내권력과 하게 연 되어 있다23)

그러므로 상자가 국내집단에서 높은 지 에 있을수록 자신의 lsquo의지rsquo를

철시키기 해서 보다 많은 lsquo통제력rsquo을 발휘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 상에서 더 넓은 -셋을 가지게 되며 다양한 략 인

옵션을 보유하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24) 반 로 상자의 지 가 낮으

면 국내게임 상에서 제한된 동의만을 가지고 상 방과 상을 진행해야

하므로 상타결을 해서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하는 략을 활용할 수

있는 여지는 감소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국제 상에서 상자의 지 가 높을수록 상 결과에 해 더 높

은 의지를 가지고 강한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상자의 지 가

높을수록 합의가능지 이 확장되며 략 으로도 더 넓은 선택지가 주어

진다 따라서 지 가 높은 상자는 지 가 낮은 상자에 비해 더욱 다양

한 략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지 가 높은 상자는 상 방의 입장을 더

수용해 주는 력 인 략을 구사할 수도 있고 경쟁 이고 강경하게 자

신의 입장을 고수하는 략을 택할 수도 있는 반면 지 가 낮은 상자가

자의 상 략을 선택할 수 있는 여지는 높지 않다

그러나 상자의 지 가 높은 경우 략 선택 범 가 넓고 더 많은

상력을 보유할 수도 있다고 논의한 것만으로는 상자가 특정 상

략을 채택한 이유를 밝히기 쉽지 않다 따라서 특정한 상 략이 채택되

는 이유에 해 상이론은 어떤 설명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

다 따라서 다음 장에서는 상이론이 상 략을 어떻게 유형화하고 특

22) 퍼트남은 이를 -셋(win-set)이라는 용어로 표 했다 Putnam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pp435ndash441

23) Ibid pp441ndash450

24) Menkel-meadow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pp421ndash422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3

정한 상 략이 채택되는 배경을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B 협상전략과 협상목표

상 략이론은 상 략이 상자가 상에 해 가지고 있는 목표와

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에서 착안하여 상 략과 상목표를 유형

화시킴으로써 상참가자의 의도를 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컨

이 이해 계모델(the dual concerns model)은 상에서 일어나는 행 자

의 략을 양보(yielding) 문제해결(problem-solving) 무 심(inaction) 투

쟁(contending)으로 분류하고 의 선택지 에 상자가 특정 략을 채

택하는 데에는 크게 두 가지 요소(자기 자신의 이익에 한 심 상 상

방의 이익에 한 심)가 결정 향을 미친다고 보았다25) 이 모형을

더 발 시킨 키(Lewicki)가 히엄(Hiam)은 합리 행 자라면 상을

통한 이익이 담보되어야 상에 임한다고 보고 상자가 자신의 결과

이익보다 상 방의 이익에 해 심이 있는 경우는 결국 상 방의 이익

을 보장해 으로써 상 방과의 계가 향상되기를 기 하는 것으로 해석

된다고 보았다26) 이러한 문제의식을 통해 R-O모델(Relationship-Outcome

Model)이 제시되는데 이 모델은 상자의 상목표를 크게 계(relationship)

이익과 결과(outcome)이익으로 구분한다 이 때 계이익은 상자가 상

방의 결과이익을 보장함으로써 계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을 의미하고

결과이익은 상자가 상을 통해서 구체 인 성과를 추구하는 것을 의미

한다

이러한 R-O 모델은 행 자가 계이익과 결과이익 어떤 것을 추구하

는지는 상 상 방과의 계의 지속성 연계 이슈에 따라 좌우된다27)

단발 인 거래상황이나 상자와 상 상 방 사이의 계가 별로 형성

25) Lewicki Saunders and Barry Negotiation pp22ndash24

26) Roy J Lewicki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pp22ndash31

27) Roy J Lewicki et al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chap 2ndash4

16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자는 주로 결과이익을 추구한다 한편 상자

가 상을 통해 상 방과의 계개선 안정을 도모하고 추후 지속될

상에서 더 큰 이익이 상되는 장기 인 거래 상황에서 주로 계이익이

추구된다 국가 간의 상 상황에서 이러한 논의를 확 하여 용해보면

계이익을 추구하는 상자는 주로 장기 외교 략 인 목표에 무게

심을 두는 반면 결과이익을 추구하는 상자는 주로 단기 경제 목표

를 더 염두에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R-O 모형은 행 자가 어떤 이익을 추구하는지에 따라서 행 자

의 상 략이 선택되고 구사된다고 주장하고 상 략을 크게 4가지로

유형화했다 상에서 상되는 단기 인 이익보다 장기 이고 략 인

측면에서 상 방과의 계유지가 요한 경우 상자는 자신의 이익이

보장되지 않더라도 상 방의 입장을 수용(accommodating)하는 략을 취

한다 상을 통해서 상 방과의 계도 향상되고 결과도 좋을 것이 측

되는 호혜 인 상황에서는 력 략(collaboration)이 구사된다 한편

상을 통해서 얻는 단기 이익도 없고 상으로 인해 보장되는 상 방

의 이익도 불분명하면 상 행 자는 상을 회피(avoiding)하는 략을

선택하게 된다 만약 상을 통해서 얻게 될 결과 이익이 실한 경우에

상자는 상 방과의 계가 손상되더라도 자신의 상성과를 해서 경

쟁 (competing) 수단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자는 상을 단발성

으로 인식하게 되고 비윤리 인 행 나 행 등 도 서슴지 않게 된다

아래의 [그림 2]는 상술한 내용에 의거하여 상자가 자신의 의도와 목

에 따라 어떤 략을 선택하는지를 도식화한 것이다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5

[그림 2] R-O 모델(협상전략-협상목표의 상관성 모형) 한글은 필자 수정28)

이상의 논의를 살펴보았을 때 상이론의 분석 틀을 활용하여 상

행 자의 안유무 상행 자의 수 에서 비롯되는 의지와 통제력의 차

이 상 략과 그 의도를 분석한다면 개별 상에서 행 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상력의 정도와 가용한 상 략을 개략 으로 평가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자가 특정한 상 략을 선택한 의도를 유추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다음 장에서는 상이론의 논의를 통해 도출한 분석

틀을 활용하여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과정을 비교하고

상에서의 우 를 한 러시아가 어떻게 상력을 재고할 수 있었고 어

떤 략을 구사했는지를 살피고 러시아가 나진항 개발사업에 극 인

략을 구사한 이유를 유추해보고 실제 국제정치 맥락에서 이러한 유추

가 설명력을 지니는지 평가해본다

28) Lewicki and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pp24ndash32

1 계 시형

수용 략

2 호혜 상황

력 략

3 상 미발생

회피 략

4 단발성 거래

경쟁 략

16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III 나진항을 둘러싼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과정

A 중국-북한의 협상과 러시아-북한의 협상과정 비교

본 장에서는 나진항 3호 부두에 한 국과 러시아의 상과정을 정리

하고 -북간 상과 러-북간 상의 특징을 각각 서술하고 이를 종합하여

비교한다 이를 해 국과 러시아 각 국의 상이 일어난 배경과 상

단계 단계별 상 주체 이에 따른 북한 측 상 주체 상 결과의 내용

상 시기의 주요한 환경 요인 상의 이행 결과를 국가 별로 나 어서

정리할 것이다

(1) 중국-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 부두 사용권에 한 국의 근은 국 훈춘시에서 구상한 도

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路-港-區一體化)에서 비롯되었다 2000년

북한은 국과 러시아 사이의 물동량이 폭 확 되면서 포시에트항이 나

진항을 체할 항구로 부상하는 것에 응하여 나진-선 도로망 폭 개

선 계획을 발표하는데 이 계획의 핵심 구상이 바로 나진항과 훈춘을 도로

로 연결하는 것이었다29) 막 있는 바닷길을 뚫고 동해로의 진출을 모색

하던 국 훈춘 시정부는 이러한 북한의 구상에 응하여 훈춘에서 나진

항까지 연결된 도로를 화하고 나진항을 거 항만으로 확보하고 항만

배후부지를 산업 물류단지로 개발하는 것을 골자로 한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를 구상했다30) 이 구상을 토 로 2003년 12월 12일과 21

일 훈춘시 정부 길림성 정부 계자 항만 개발업체로 구성된 상

표단이 북한 측에 나진항 추가 확장 계획을 제의하는 과정에서 나진과

29)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곽복선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

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30)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3ndash73 徐家军amp李泽 ls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squo 新浪財經 200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7

국을 잇는 도로 배후부지 개발을 조건으로 국이 나진항 부두시설

일부를 50년 간 독 사용하는 상의 기본 틀이 세워졌다31)

주목할 은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에 한 국 앙정부차

원의 심은 국과 북한의 지방정부 간 상이 시작되던 시 보다 늦게

발되었다는 것이다 2003년 당시 국 정부는 본격 으로 낙후된 동북

지역을 진흥시키기 한 동북진흥(振兴东北) 로젝트를 구상하고 이를

해 국무원 차원에서 lsquo동북 지역을 포함한 노후 공업 기지 진흥을 한

실시 략에 한 의견rsquo을 작성했다32) 그러나 의견에는 아직 훈춘시가

구상했던 외국항구 임차를 통한 출해권 확보 목 의 도로-항만-구역 일체

화 로젝트에 한 언 은 나와 있지 않다33) 그러므로 나진항 부두 사용

권을 둘러싼 국과 북한의 상은 앙정부가 아닌 지역 활성화를 도모

하던 북한과 국의 지방정부의 자발 인 움직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상이 본격화된 이후 국 측 참여기업인 둥린유한공사(东林有限公

司 이하 둥린회사)와 국 훈춘시의 실무자들로 구성된 상단이 북한

의 나선시인민 원회와 주로 상을 가지게 되었으며 2004년 9월에 기본

합의가 이루어졌고 2005년 3월에는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장 김수열이

훈춘시에 방문하여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34) 2005년 7월에는 국

의 둥린회사와 훈춘변경경제합작구 보세유한회사(珲春边境经济合作区保

税有限公司)가 자본과 공사 자재를 투자하고 북한 나선시 인민 원회 경

제합작회사가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제공하는

합작회사가 만들어졌으며 2005년 9월에는 구체 인 사업 진행방안을 담

은 본 계약이 체결되었다35) 2006년 1월에는 북- 이 만든 합작회사가 북

31)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32) Jae Ho Chung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ndash125

33)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34) 徐家军amp李泽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p61

16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설립인가를 받게 다36)

상을 통해서 합의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37)첫째 국과 북한 사이에

설립되는 합 회사는 로젝트에 총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를

투자하여 나진항 3호 부두를 확장 건설하고 4호 부두를 신설하며 보세

가공구와 공업원구를 배후지에 건설하는 한편 나진-원정 간의 비포장 도

로 67km를 488km의 왕복 2차선 직선 포장도로로 개량하기로 했다38) 둘

째로 이러한 거 로젝트를 실시하기 한 선결조건으로 국 측은

3000만 유로(약 24억 안 3600만 USD)를 투자하여 원정-나진 간 도로

건설을 우선 시작하고 나진항 3호 부두를 개조하는 가로 나진항 3호 부

두와 향후 지어질 4호 부두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획득하기로 했다

그러나 2006년 5월 구상이 마무리되고 10월부터 착공하기로 되어있던

고속도로 건설 사업은 북한의 핵실험 둥린회사의 투자 조달 실패 등

으로 인해 착공 정일을 맞추지 못하게 되었다39) 이에 2007년에는 국

길림성 정부까지 나서 나진항 개발자 을 지원하기 해 세 징수 우 정

책까지 부여했지만 둥린회사는 자 부족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2008년 러시아와 북한의 합의에 의해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에 한

이권을 상실하게 되었다40)

35) 계약은 합 회사가 2006년 5월부터 나진-원정간 고속도로 건설을 시작하고 추후 나진

항 3호 부두를 개조하고 공업단지 보세가공구를 건설하는 조건으로 나진항 3호 부두의

50년간의 사용권을 확보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36) 의 p61

37)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

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38) 투자액에 한 미 달러 환산 액은 본 계약 완료시 인 2005년 9월의 월별 환율을 통해

필자추정

39) 당시 국 후난 학(湖南大學) 연구원을 통해 원정-나진항 도로건설에 한 실사 조사

공사 방안이 확정되었으며 10월까지 도로 주변의 나무 채벌까지 완료되면서 본격 인 착

공을 앞둔 제반 비가 마무리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pp56ndash58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40) 의 책 p5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9

(2) 러시아-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의 부두개발에 한 국과 북한의 의가 지방정부 차원에서 시

작된 반면 러시아와 북한 사이의 상은 앙정부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2000년 8월 러시아의 푸틴(Vladimir Putin) 통령은 남북한의 화해 분

기가 조성된 틈을 타 한반도 횡단 철도(Trans-Korean Railway 이하 TKR)

를 시베리아 횡단 철도(Trans-Siberian Railway 이하 TSR)와 연결하는 이

른바 lsquo철의 실크로드rsquo 구상을 김정일 국방 원장 김 통령에게

달했다41) 남북의 지도자로부터 정 인 반응을 이끌어낸 푸틴은 2001년

북middot러 정상 회담을 통해 발표된 모스크바 선언의 6항을 통해 TKR-TSR 연

결 사업에 한 북한과 러시아의 력 의지를 공식 으로 밝혔다42) 상

이 본격화된 이후 러시아는 철도부 표단을 수차례 북한에 견하여 북

한 철도성과 철도 화에 해 본격 으로 논의하기 시작했다43) 2003

년 이후 러시아 철도공사(RZD)가 러시아 철도부의 모든 인 라와 사업

로젝트를 승계함에 따라 RZD는 국 기업의 자격으로 TKR-TSR 연결

사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남-북-러 사이의 삼자 력 구도 속에서 시작된 TKR-TSR 연결

사업은 상 과정에서 노선선정 재원조달 방식 등의 주요쟁 들에

한 각국의 견해차로 인해서 곧 교착상황에 빠지게 되었다44) 그런 상황 속

에서 2002년 이후 2차 북핵 기로 인해 북한에 한 국제사회의 제재가

지속되고 남북 계가 악화되자 북한은 2004년에 TKR-TSR 연결사업에

41) Seung-ho Joo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Cornwell

Ashgate 2009 pp179ndash256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2000ne

42)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23 2007 p231

43)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pp 75ndash80

44)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 56

17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논의가 무의미하다고 밝히며 회의불참을 선언한다45) 이 게 삼각

력의 구도가 기에 착하자 RZD는 상의 구도를 북한-러시아 간 한

국-러시아 간의 상의 두 트랙으로 분리하고 양 국과 개별 인 상을

진행하여 갈등을 합하고자 했다

우선 러시아는 TSR-TKR의 체 구간을 연결하려던 기존의 구상을 축

소하여 일부 구간만을 시범 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사업 구상을 변경해

북한에게 제의했다 북한이 이에 응하면서 2004년 북-러 국경 철도 의회

는 우선 TSR과 TKR의 결 에 치한 나진-하산 간 철도 개량사업부터

시범 실시하는 것에 한 상을 시작했다46) 상은 2006년 블라디보

스토크에서 열린 남-북-러 철도 표자 회의를 통해서 구체화되었는데 그

내용은 RZD와 북한이 함께 설립하는 합작회사(Rasonkontrans 이하 라손

콘트란스)를 통해서 나진-하산간 철도 나진항 항만시설 개보수를 진행

한다는 것이었다 합의를 통해 RZD는 나진항 부두시설사용권에 한

이권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자 조달방법에 해서 북한으로부터 재량권

을 임 받았다47)

한편 RZD는 한국이 주요투자자로 로젝트에 남아있기를 원했다 따

라서 북한으로부터 투자 유치에 한 재량권을 얻고 나자 2007년 한국 철

도공사(KORAIL 이하 코 일)와 양자 상을 통해서 한국의 투자방안에

한 세부 MOU를 체결했다 MOU를 통해서 설립된 루코로지스틱스

(RUCO Logistics 이하 루코)는 코 일의 지원 하에 한국의 민간물류업체

들의 투자를 받아서 라손콘트란스의 러시아 측 지분에 투자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북한 련사업에 한 남한의 투자가 러시아를 통해 우회하

여 남북 계의 정치 불안정성이 투자에 악 향을 끼치는 것을 최소화

하고자 했다

45) 의 pp55ndash56

46) 의 pp57ndash58

47)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1

이처럼 새롭게 상 구도를 짠 결과 러시아는 남북으로부터 아래의 합

의를 이끌어냈다 첫째 나진-하산 로젝트는 TKR-TSR 연결을 한 시

범사업으로 러시아와 북한의 합작회사인 라손콘트란스가 북한의 나진항

과 러시아의 하산 사이에 54km에 이르는 철도구간을 개보수하고 나진항

의 기 인 라를 개발하는 것을 가로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을 49년 간

사용한다48) 둘째 이를 한 투자액은 총 21억 달러(USD)으로 RZD가

약 126억 달러를 분담하는 한편 루코가 러시아 지분 일부(40)를 매

입하는 방식으로 자본을 분담투자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러한 RZD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을 통한 자 조달 계획

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2008년 출범한 이명박 정부는 그간 지속되어

오던 북사업을 취소한다는 뜻을 밝히며 북한이 핵무기 로그램을 포

기하지 않는 한 규모 북경제지원사업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49)

이에 응하여 북한도 남한과의 모든 공식 을 단하면서 남북 계는

격하게 악화 고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민간기업들의 투자도 무

산 다50) 이런 상황에서 RZD는 로젝트를 이행하기 해 2008년 4월

북한과 러시아의 양자 의 형태로 새로운 합의서를 체결하고 2008년 10

월에는 나진항 부두시설 화 나진-하산 철도 화에 한 착공식

을 진행했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러시아 역시 자 형편이 여의치 않아 공

사를 일정 로 진행할 수 없었다51) 이후 러시아는 RZD의 자체 차입 자

으로 투자비를 확보하여 2011년 공사를 재개했고 2013년 나진-하산 간 철

도를 완공 후 개통시켰고 2014년부터는 보수된 나진항 3호 부두를 통해

48) 지분 구조는 RZD가 70이며 북한 철도성이 30이다 이를 해 러시아는 21억 불의

자본을 투자하고 북한은 나진항만 시설을 물로 투자한다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

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2

49) Hong Nack Kim ls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s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2008) pp 8ndash18 Chung-in Moon lsquoSouth Korea in 2008rsquo 49 2008 pp127ndash

128

50)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p64ndash65

51)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3

17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국 러시아

상배경도로-항만-구역일체화 로젝트

(훈춘시정부 차원)

TKR-TSR 연결 로젝트

( 앙 정부 차원)

상시기 2003년-2006년 2000년-2015년 진행

시작

2003년 12월 국 지방 정부 계자

기업이 북한 나선시와 논의 시작

2000년 8월- 푸틴 통령이 남북정상과

논의 시작

2001년 8월 모스크바 선언 정식 결의

석탄을 운반하기 시작했다52) 이때 러시아는 철도연결에 55억 루블(약 18

억 USD) 나진항 터미 공사에 약 35억 루블(약 11억 USD)을 투자한 것

으로 추정된다53)

요컨 2000년 러시아 최고 지도자인 푸틴의 심 속에서 시작된 상

은 2003-4년 북핵 기로 인한 북한의 상 거부 기와 2008년 이후 투자

계획의 난 을 뚫고 최종 으로 이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는 남북

한의 응에 강경하게 응하기보다는 양 국의 의견을 수용하기 한

상 방안을 제시하고 상 를 다시 상에 참여시키기 해 막 한 자 을

투자하기까지 했다 이처럼 러시아가 상을 지속하기 해 다양한 수용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면 러시아와 북한 간의 합의 역시 이행되지 못했

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B 중국-북한 러시아-북한의 협상에 대한 이론적 분석

앞 장에서는 나진항의 부두 사용권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 과

정을 추 해보았다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을 상의 배경 상 주체

북한 측 상 주체 주요 상 내용 상 규모 상 이행 상황을 심

으로 비교해보면 아래의 lt표 1gt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lt표 1gt 나진항 3호 부두 사용권과 관련된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주요 사항

52)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나희승 ldquo남북 sdot 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53)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1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3

국 러시아

과정

- 2004년 기본 합의 완료

- 2005년 3월 24일 MOU 체결

- 2005년 7월 합 회사 설립

- 2005년 9월 본계약 체결

- 2006년 1월 북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합 회사 설립 비

- 2004년 7월 나진-하산 로젝트로 논의

축소 나진항 사용에 한 명시

- 2006년 7월 남-북-러 3자 철도 운 자

회의 나진-하산 화 사업 합의

- 2007년 남한 투자 련 MOU

- 2008년 한국 참여 실패

- 2008년 4월 북-러 나진 하산 철도

화 나진항 3호부두 개발에 한 력

합의서 체결

이행

- 2006년 5월 사업 조사 완료 비

- 2006년 10월 착공 연기

- 2007년 2월 길림성 lsquo두만강유역

개방개발 가속화 방안rsquo 마련

- 2008년 4월 훈춘 둥린회사 외국

투자 유치 난항 최종 실패

- 2008년 4월 라손콘트란스 설립

- 2008년 10월 나진-하산 철도구간 개보수

착공식 후 공사 지연

- 2011년 철도 건설 사업 재개

- 2013-2014년 철도와 부두 개보수 완료

상 주체상 시작 지방 정부

상 과정 민간기업 훈춘시 지원

상 시작 러시아 앙 정부

상 실무 러시아 철도부 RZD54)

북한측 상

주체나선시 인민 원회

-북한 앙 정부

- 상 실무 북한 철도성 육해운성

실무 계자

투자 규모

lt 체 규모gt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

lt본 계약 규모gt

3000만 유로

(24억 RMB 약 3600만 USD) agrave미이행

lt계약 시기gt

총 21억 USD 러시아가 126억 USD

lt이행기gt 철도연결에 55억 루블 지출 터

미 공사에 35억 루블 지출

(약 11억 USD)

이 같은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의 비교를 토 로 러시아와 국의

상력 각국이 구사한 상 략을 비교해보고 러시아가 상에서 유

리한 결과를 낼 수 있었던 요인과 러시아의 략 인 목표를 유추해볼 것

이다

54) 러시아 정부는 2001년부터 자국의 철도 개 을 진행하여 철도부(Railway Ministry)를 국

주식회사인 RZD와 정책 담당 부서인 교통부(Ministry of Transport) 경제 발 무역

부(Ministry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rade)로 분리했다 RZD는 기존의 철도부의

시설 사업을 승계함으로써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상도 이어서 진행하게 되었다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17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우선 상력을 보기 해 상에 임한 국과 러시아의 정태 인 구조

권력을 살펴본다면 비록 총체 인 구조권력 상에서 국이 러시아에 비

해서 압도 으로 강력했으나 나진항을 둘러싸고 북한과 진행한 상사안

만 놓고 본다면 이슈 별 권력에서 러시아가 국보다는 북한에 해 우

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러시아는 북한과의 상에 한

BATNA의 차원에서 국보다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두만강 유역에서

국의 국경은 차 강 기를 따라 좁아지다가 동해를 15km 앞둔 지 에서

끝이 난다55) 그러므로 동해로 직 나갈 수 있는 항구 시설이 무한

국은 나진항 련 상이 결렬되는 경우 동해로의 출해권을 얻을 수가 없

었다 반면 러시아는 나진항 이외에도 극동지역에 여러 항구를 보유하고

있다 일부 연구가 러시아의 극동항만들이 겨울에 얼어붙는 반면 나진항

은 부동항이기 때문에 나진항의 경제 이 이 크다고 보기도 하지만 실

제로는 러시아 극동의 블라디보스톡(Vladivostok) 이남의 항구들은 모두

부동항들로 슬라비얀카(Slavianka)항 보스토치니항(Vostochny) 포시에트

(Posyet)항 자루비노(Zarubino)항 등 개발잠재력이 충분한 항구들이 이미

러시아 극동에서 운용 이다56) 따라서 북한과의 상에 한 이슈 별 권

력의 차원에서 러시아는 국보다 유리한 치에서 상을 시작했다 lsquo의

지rsquo와 lsquo통제rsquo의 측면에서도 러시아는 국보다 더 우 에 있었다 러시아-

북한의 상이 국-북한의 상에 비해서 행 자수 이 높았기 때문에

상을 성사시키기 해 상자가 활용할 수 있는 비용과 제도 인 권력

의 가용범 가 더 컸기 때문이다 상이 난 에 착한 상황에서 러시아

55) James Cotton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1086 Cho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pp51ndash53

56) 특히 19세기와 20세기 반에는 러시아 극동에서 부동항에 한 수요가 컸고 그런 맥락에

서 나진항의 요성이 강조되었다 이와 하여 다음을 참조 Ibid pp52ndash55 백 기 ldquo러

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백 기 최정수 최재희 (편)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동북아역사재단 2007 pp23ndash62

한편 러시아 극동의 항만시설과 해서는 다음을 참조 Robert North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74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5

가 상 체의 틀을 다시 짜는 선택을 할 수 있었던 것이나 남한의 투자

가 결렬된 이후 막 한 비용을 들일 수 있었던 것은 모두 행 자 수 이

높아짐으로써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해 수 있는 범 가 넓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실제로 상이 시작된 2000년 반 푸틴 통령은 자신이 추구하는

로 상을 진행시키기 해 국내정치 으로 의견을 결집시켰다 당시

러시아 료들은 북한과의 철도연결을 재개하는 것에 해서 비 이었

다 러시아 철도부 장 이었던 데 (Guenaddy Fadeyev)는 TKR-TSR

은 투자비용도 무 크고 정치 험도도 높은 사업이라며 회의 인 견

해를 피력하기까지 했다57) 그러나 푸틴은 사업을 lsquo 요한 사업rsquo이라고

못 박았고 데 로 하여 사업이 확실한(promising) 사업이라고

발언하게 했다 이러한 푸틴의 응에 의해 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국

내 으로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 차단되었고 상이행에 한 푸틴

의 강력한 의지가 러시아 국내에 확인되었다

러-북 간의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강력한 지지 속에서 이루어졌다

는 은 상 실무주체가 RZD 다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RZD는 단순히

러시아 철도부가 진행하던 사업의 권한을 승계한 공기업이 아니라 푸틴

의 국내정치권력의 핵심기 의 하나 다 RZD 사장인 야쿠닌(Vladimir

Yakunin)은 푸틴의 최측근 실로비키(silovarch) 한 명으로 차기 통령

후보로까지 거론되기도 했던 인물이다58) 야쿠닌은 나진-하산 로젝트를

RZD의 최우선 로젝트로 상정하고 상과정 내내 상자 간의 의견조

율과 외홍보에 힘을 쏟았다59) 따라서 RZD가 상을 주도했다는 은

나진-하산 로젝트 련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심 속에서 진행되

었다는 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57)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AsiaDH27Ag01html

58) Daniel Treisman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4ndash145

59)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pp228ndash229

17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편 국의 입장에서 상자의 수 이 낮았던 것은 -북 간 상이

실패한 결정 인 원인이었다 국의 상자 수 이 낮은 상황에서 북한

측도 이에 맞춰 상자의 수 이 낮아지게 되면서 양 국은 상의 이행을

한 재량권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실제로 국과의 상에 임했던 나

선시 인민 원회는 상의 출발단계에서부터 국 측이 원한 상 목표인

부두시설 임 에 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나진항의 부두 시설에

한 권한은 으로 북한 육해운성의 소 이기 때문에 나선시 인민 원

회는 부두사용권을 놓고 국과 의하는 것이 처음부터 불가능했기 때문

이다60)

이처럼 러시아는 상의 구조 권력에서 국보다 우 에 있었기 때문

에 다양한 략 선택지를 가지고 상의 교착상황에서 상 방의 입장

을 받아들이는 수용 략을 취함으로써 상이 지속되도록 했다 표 으

로 러시아는 2004년에는 TSR-TKR 연결 사업에서 이탈하려는 북한의 의

사를 반 하여 상의 틀을 축소했으며 2008년에 한국의 투자가 무 로

돌아가면서 상의 이행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자국의 자본을 100 투자

하여 북한과 합의된 사항을 이행했다

러시아가 이와 같은 상 략을 취한 이유를 R-O 모형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우선 러시아는 수용 인 략기조를 유지했기 때문에 상을

통해서 결과이익보다는 계이익을 추구했다고 여겨진다 나진항을 통해

서 얻고자 하는 결과이익은 항만시설을 통한 출해권 확보일 것이다 반

로 이 상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계이익은 상 상 국인 북한과의

계 향상일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의 략 선택은 러시아가 상을

통해 장기 으로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고 략 인 차원에서 장기 으

로 북한에 한 력을 지속시키고자 했다는 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60) 당시 국 둥린 회사를 도와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와의 상에 참여했던 국 훈춘시 지

방 정부 계자 면담에서 계자는 당시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도 외합작 경험이 부족

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권한범 에 한 인식이 부족했었다고 진단했다 2015년

2월 훈춘시정부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7

실제로 푸틴 통령은 상 기 경제 인 손실을 우려하는 국내 료들

의 불안감에 해 상은 요한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이 상의 목

표가 단기 인 경제성에 놓인 것이 아님을 명확하게 했다61)

상이 시작되던 2001년의 시기 배경을 고려해 보면 러시아가 계

이익 다시 말하자면 략 이고 장기 인 차원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

다는 이론상의 설명은 실성이 있다고 단된다 나진항만을 둘러싼 러

시아-북한 간의 상이 TSR-TKR의 연결 사업으로 첫 발을 디뎠던 2000

년 당시 러시아는 푸틴 통령의 집권으로 인해 국내정치 혼란을 바로

잡은 후 소련붕괴와 한반도정책의 실패로 인해 상실한 아시아 지역에

한 략 향력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 때 러시아가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러시아의 향력을 회복하기

해서는 상실했던 북한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만 했다 동아시아와

해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은 경제 으로나 인구 으로나 동아시아 주변

국에 비해 제한 인 역량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 시기

이래로 러시아가 지속 으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에서 주요세력으로 자

리매김했던 것은 소련과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략 인 계가 유지되

었기 때문이다62) 특히 소 계가 악화된 이후 소련은 소련에 한 북한

의 일방 인 의존을 활용하여 아시아 국제 계에서 략 버리지를

유지해 왔다63)

61)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62) Peggy Falkenheim Meyer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14ndash 221

Pavel A Minakir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p32ndash 50

Tamara Troyakova amp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ndash 37

63) John W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ndash53 Gilbert Rozman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 Stephan Blank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pp78ndash82

17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그러나 90년 들어 소련은 북한에 해 가지고 있던 향력을 상실하

면서 아시아의 정치무 에서 배제되게 되었다 1980년 후반 소련은 경

제 이익을 기 하며 남한과의 계수립에 힘썼고 1990년 남한과의 국

교를 정상화하기에 이르 다 게다가 소련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의 수장

으로 취임한 친(Boris Yeltsin) 통령은 서방과의 계회복을 기 하며

민주 가치와 자유를 존 하는 러시아의 모습을 보이기 해 공산독재국

가 던 북한과 의도 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공식

외교채 은 단 되었으며 러시아는 그 동안 북한에게 무상으로 제공

해 왔던 석유지원을 단했으며 러시아의 무기를 북한에 수출하지 않겠

다고 밝혔다64) 당시 러시아 외교부장 이었던 코지 (Andrei Kozyrev)

는 북한의 인권침해를 공식 으로 비 하면서 북한의 정치 변화를 구

하기까지 했다65) 결과 으로 한반도에서의 러시아의 외교정책 인 환

은 냉 기부터 긴 하게 유지되었던 러시아와 북한의 정치 연결고리를

약화시켰으며 북한은 러시아에 해서 가지고 있던 우호 인 시선을 거

두어들이게 되었다66) 그러나 러시아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이 사라진 것은 러시아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

제 계에서도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다 러시아가 북한에 해 정치

향력을 발휘할 것을 기 하며 러시아와의 계개선을 추진했던 남한은 러

시아가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을 상실하자 러시아를 외교 으로 등

한시했다67) 게다가 소련의 붕괴 이후 러시아의 통 인 향권에 한

64) Seung-ho Jo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ndash130 David Wolff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

booksdprkbbrussia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Alexander

Vorontsov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p5

65)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53

66) 이정철 외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p87ndash89

67)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호 2002 pp289

ndash297 Gilbert Rozman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9

침투를 본격화한 미국은 북-러 계가 약화된 시 에서 한반도 문제의

심 인 조정자로 부상하게 되었다68) 러시아가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외교

의제에서 배제된 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사건이 바로 1차 북핵 기

다 1차 북핵 기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를 포함한 8자 회담을 통해서 북핵

문제를 보다 국제 인 차원에서 해결하기를 원했으나 결과 으로 북한에

한 향력을 상실한 러시아는 배제된 채 4자 회담의 형태로 상이 진

행되었다69)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러시아는 남북한 모두에게 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면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자국의 향력 후퇴를 막을 수 없다는

을 확인했고 남한에 과도하게 경사되었던 한반도 계를 재조정하고

남북한 균형 정책을 구사하기 시작했다70) 러시아는 친서방 성향이 강

했던 코지 를 신하여 실용 유라시아주의자 리마코 (Yevgenni

Primakov)를 외교부 장 으로 임명하고 북한과의 계 회복에 주력했

다71)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태도는 냉담했는데 이는

러시아가 여 히 경제 인 측면에서 이익을 수 있는 남한과의 계를

더 시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력과 군사력이 약화된 러시아가 북한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북한의 의구심 때문이었다72)

p41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pp23ndash46

68) Yoshinori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192 Seung-ho Joo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Ashgate 2002 pp147ndash148

69) 러시아의 근 방식에 해서 다음을 참조Evgueni Bajanov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러시아의 배제와 4자 회담에 해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7ndash298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pp194ndash196 Stephen Blank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4ndash5

70)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pp228ndash229

71) Seung-ho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ndash81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6ndash298

72)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192 P Rangsimaporn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18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상실해버린 북 향력을 회복하는 것을 북 략의 주요 목표로 삼았

던 러시아에게 나진-하산 로젝트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기

한 출발 으로 매우 한 기획이었다 우선 나진-하산 로젝트가

TSR-TKR 로젝트로 시작되던 시기는 국제정치 으로 한반도의 화해 국

면 속에서 인 국가로서 러시아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극 화되던 시 이

었다73) 당시 남한과 북한은 화를 시작하고 추가 인 력 의제들을 논

의하는 과정 에 있었다 이러한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인 라 부문에

한 이해 계를 공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실리 인 력 어젠다(agenda)

를 통해 화와 력을 지속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 인 수요를 포착

하고 TSR-TKR 연결 구상을 통해 한반도에 한 실리 인 개자로 참여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이 시기는 러시아의 근에 해서

회의 인 입장을 견지하던 북한도 자국의 국내 정치상황으로 인해 입장을

바꾸던 때 다 당시 나진-선 을 통해서 개 개방을 도모하던 북한은 나

진선 지 개발에 한 외국투자를 극 으로 유치했다74) 때문에 러시

아의 근에 한 북한의 반응도 비교 정 이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나진항을 포함한 북한의 항만 시설 철도 인 라 시

설에 해서 확실한 기술 우 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과의 인

라 력 부문에서 확실한 강 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부터 1990년

까지 소련은 북한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등을 직 건설했으며 나진

항의 화 역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75) 소련은 이

게 개발한 나진항에 해서 공식 인 우선권을 인정받고(1978) 이를 소

Palgrave Macmillan 2009 pp62ndash64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p477

73) In-kon Yeo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ndash115

74)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75) 안병민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남

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pp1ndash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59

상을 유리하게 개할 수 있다는 고 주장했다14) 이 때 행태 인 권력

을 통해서 조정될 수 있는 구조 인 권력으로 이슈 별 권력(issue-specific

structural power)이라는 개념이 제시된다 총체 인 구조 권력(aggregate

structural power)은 행 자가 국제체제 내에서 가지고 있는 힘의 총량이므

로 개별국가의 국력과 비례하며 상과는 무 하게 주어져 있는데 반해

이슈 별 권력은 상과 련된 사안에 해 상 당사자가 가지고 있는

상 인 힘의 요소(relative component of power)를 반 한다

이러한 이슈 별 권력은 안(alternative) 의지(commitment) 통제력

(control)의 변화에 따라 확 되거나 축소된다15) 그러므로 안 의지 통

제력에 해 잘 분석할 수 있다면 lsquo행태 인 권력rsquo을 통해 이슈 별 권력을

조정할 수 있는 지 을 확인할 수 있고 결과 으로 략의 선택범 를 가

늠할 수 있다 그 기 때문에 상 략 분야의 실천 연구들은 상자의

상력을 분석하기 해 lsquo 안rsquo lsquo의지rsquo lsquo통제력rsquo이라는 개념을 보다 면

하게 검토했다

첫째로 lsquo 안rsquo은 상 기의 상력을 가장 객 인 단하는데 용이

한 지표다 피셔(Fisher)와 유리(Ury)는 상이 결과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

에 얼마나 좋은 안을 가지고 있는지(Best Alternative to a Negotiated

Agreement 이하 BATNA)를 통해서 상력을 간 으로 살펴볼 수 있다

고 주장한다16) 둘째로 lsquo의지rsquo는 상참가자가 상의 결과에 해서 부

여하는 가치의 정도이다 셋째로 lsquo통제력rsquo은 상에 참여하는 집단이 원하

는 결과를 해서 지불할 수 있는 가이다 그러므로 의지와 통제력은

상 참가자가 상 상 방과 상반된 의견을 가지고 있을 때 자신의 선호를

얼마나 철시키고 상 방의 의견을 얼마나 수용할 수 있는가의 문제로

14) William Mark Habeeb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pp10

ndash26

15) Ibid pp19ndash22

16) Roger Fish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pp97ndash98

16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귀결된다17)

이러한 lsquo의지rsquo와 lsquo통제력rsquo의 범 는 합의 가능 지 (zone of possible

agreement)라는 개념을 통해 도식화될 수 있다18) lsquo 상에서 성공 합의

가 이루어질 수 있는 범 rsquo라고 정의되는 합의 가능 지 (zone of possible

agreement 혹은 zone of potential agreement)은 상 양자가 상결과를

도출하고자 하는 의지와 이를 해 감수할 수 있는 가로써 통제력을 얼

마나 발휘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상에 임하는 행 자와 상 상 방

은 각각 수용할 수 있는 한계치(bottom line 혹은 resistance point)과 자신

이 바라는 모든 것을 철시켰을 얻을 수 있는 목표치(target point)를 가지

고 있다 lsquo의지rsquo와 lsquo통제력rsquo의 에서 이를 해석해보면 상의 내용이

한계치에 다다를수록 행 자가 상을 통해 지불해야 하는 가가 높아지

면서 상자는 통제력의 한계에 직면하게 되는데 이때 상자가 상에

해 얼마나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상의 타결여부가 결정

된다 따라서 목표치와 한계치 사이의 범 는 상 행 자의 의지와 통제

력의 범 와 첩된다고 할 수 있다 만약 상자가 상의 성공에 해

높은 가치를 두고 비용을 지불할 용의가 있다면 상의 의지와 통제력은

상자의 한계치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이다 반 로 상자가

기존의 목표를 고수하는 것에 집 한다면 상 타결에 한 의지는 낮아

지고 상자의 한계치는 목표치와 가까워지게 될 것이다 이 때 상자와

상 상 방의 한계치와 목표치의 범 가 첩되는 지 이 바로 합의 가

능 지 이며 이를 그림으로 표 하면 다음과 같다

17) 이처럼 상 담당자가 자신의 의견을 철하고 상 의 의견을 수용할 수 있는 범 를 하

비 는 안 지 (security point)라고 정의하고 있다 Habeeb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pp21ndash22

18) Tanya Alfredson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pp8ndash9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1

[그림 1] 협상자(A)와 협상 상대방(B)의 합의 가능 지점19)

그러나 국제 상은 개인과 개인의 상이 아닌 집단과 집단의 상이

라는 에서 체 구성원의 목표치와 한계치가 상술한 이론처럼 명쾌하게

도출되지 않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 퍼트남(Robert Putnam)은 상

은 상자 간의 합의 가능 지 을 도출하는 과정의 외부게임(diplomacy

level 1 game)과 상자가 자신이 속한 집단 내부를 통해서 lsquo동의rsquo와 lsquo비

rsquo을 구하는 국내게임(domestic politics level 2 game)으로 구성된다는 이

른바 양면 게임(two-level game) 모형을 고안했다20) 즉 상자가 상

상 방과의 상 과정에서 략을 통해서 상 방의 한계치를 변경하거나

더 유리한 입장을 철시키기 해서 노력하고 잠정 인 결론을 도출하는

것은 외부게임 환경에서 일어나지만 상자의 한계치와 목표치의 범 는

국내정치게임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자의 한계치와 목

표치가 설정되고 이에 따른 상 략이 채택되는 것은 결국 상자의 내

부 집단에서 특정 집단의 이익이 체의 이익으로 변되고 합의되는 정

치과정과 하게 연 되어 있다21)

그 기 때문에 상자가 외부게임에서 보유할 수 있는 한계치와 목표

19) 그림은 다음 들의 도식을 참고하여 필자가 재구성한 것이다 Roy J Lewicki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pp33

ndash37 Alfredson and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p8

20) Robert D Putnam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ndash460

21)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

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5ndash169

16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치의 범 22)는 상자가 내부 집단에서 어떠한 지 에 있는가와 한

련이 있다 퍼트남에 따르면 상자의 셋(win-set)은 국내게임에서

상자가 결집시킬 수 있는 연합(coalition)의 규모 상자가 제도

(institutional)으로 동원할 수 있는 국내권력과 하게 연 되어 있다23)

그러므로 상자가 국내집단에서 높은 지 에 있을수록 자신의 lsquo의지rsquo를

철시키기 해서 보다 많은 lsquo통제력rsquo을 발휘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 상에서 더 넓은 -셋을 가지게 되며 다양한 략 인

옵션을 보유하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24) 반 로 상자의 지 가 낮으

면 국내게임 상에서 제한된 동의만을 가지고 상 방과 상을 진행해야

하므로 상타결을 해서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하는 략을 활용할 수

있는 여지는 감소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국제 상에서 상자의 지 가 높을수록 상 결과에 해 더 높

은 의지를 가지고 강한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상자의 지 가

높을수록 합의가능지 이 확장되며 략 으로도 더 넓은 선택지가 주어

진다 따라서 지 가 높은 상자는 지 가 낮은 상자에 비해 더욱 다양

한 략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지 가 높은 상자는 상 방의 입장을 더

수용해 주는 력 인 략을 구사할 수도 있고 경쟁 이고 강경하게 자

신의 입장을 고수하는 략을 택할 수도 있는 반면 지 가 낮은 상자가

자의 상 략을 선택할 수 있는 여지는 높지 않다

그러나 상자의 지 가 높은 경우 략 선택 범 가 넓고 더 많은

상력을 보유할 수도 있다고 논의한 것만으로는 상자가 특정 상

략을 채택한 이유를 밝히기 쉽지 않다 따라서 특정한 상 략이 채택되

는 이유에 해 상이론은 어떤 설명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

다 따라서 다음 장에서는 상이론이 상 략을 어떻게 유형화하고 특

22) 퍼트남은 이를 -셋(win-set)이라는 용어로 표 했다 Putnam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pp435ndash441

23) Ibid pp441ndash450

24) Menkel-meadow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pp421ndash422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3

정한 상 략이 채택되는 배경을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B 협상전략과 협상목표

상 략이론은 상 략이 상자가 상에 해 가지고 있는 목표와

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에서 착안하여 상 략과 상목표를 유형

화시킴으로써 상참가자의 의도를 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컨

이 이해 계모델(the dual concerns model)은 상에서 일어나는 행 자

의 략을 양보(yielding) 문제해결(problem-solving) 무 심(inaction) 투

쟁(contending)으로 분류하고 의 선택지 에 상자가 특정 략을 채

택하는 데에는 크게 두 가지 요소(자기 자신의 이익에 한 심 상 상

방의 이익에 한 심)가 결정 향을 미친다고 보았다25) 이 모형을

더 발 시킨 키(Lewicki)가 히엄(Hiam)은 합리 행 자라면 상을

통한 이익이 담보되어야 상에 임한다고 보고 상자가 자신의 결과

이익보다 상 방의 이익에 해 심이 있는 경우는 결국 상 방의 이익

을 보장해 으로써 상 방과의 계가 향상되기를 기 하는 것으로 해석

된다고 보았다26) 이러한 문제의식을 통해 R-O모델(Relationship-Outcome

Model)이 제시되는데 이 모델은 상자의 상목표를 크게 계(relationship)

이익과 결과(outcome)이익으로 구분한다 이 때 계이익은 상자가 상

방의 결과이익을 보장함으로써 계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을 의미하고

결과이익은 상자가 상을 통해서 구체 인 성과를 추구하는 것을 의미

한다

이러한 R-O 모델은 행 자가 계이익과 결과이익 어떤 것을 추구하

는지는 상 상 방과의 계의 지속성 연계 이슈에 따라 좌우된다27)

단발 인 거래상황이나 상자와 상 상 방 사이의 계가 별로 형성

25) Lewicki Saunders and Barry Negotiation pp22ndash24

26) Roy J Lewicki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pp22ndash31

27) Roy J Lewicki et al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chap 2ndash4

16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자는 주로 결과이익을 추구한다 한편 상자

가 상을 통해 상 방과의 계개선 안정을 도모하고 추후 지속될

상에서 더 큰 이익이 상되는 장기 인 거래 상황에서 주로 계이익이

추구된다 국가 간의 상 상황에서 이러한 논의를 확 하여 용해보면

계이익을 추구하는 상자는 주로 장기 외교 략 인 목표에 무게

심을 두는 반면 결과이익을 추구하는 상자는 주로 단기 경제 목표

를 더 염두에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R-O 모형은 행 자가 어떤 이익을 추구하는지에 따라서 행 자

의 상 략이 선택되고 구사된다고 주장하고 상 략을 크게 4가지로

유형화했다 상에서 상되는 단기 인 이익보다 장기 이고 략 인

측면에서 상 방과의 계유지가 요한 경우 상자는 자신의 이익이

보장되지 않더라도 상 방의 입장을 수용(accommodating)하는 략을 취

한다 상을 통해서 상 방과의 계도 향상되고 결과도 좋을 것이 측

되는 호혜 인 상황에서는 력 략(collaboration)이 구사된다 한편

상을 통해서 얻는 단기 이익도 없고 상으로 인해 보장되는 상 방

의 이익도 불분명하면 상 행 자는 상을 회피(avoiding)하는 략을

선택하게 된다 만약 상을 통해서 얻게 될 결과 이익이 실한 경우에

상자는 상 방과의 계가 손상되더라도 자신의 상성과를 해서 경

쟁 (competing) 수단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자는 상을 단발성

으로 인식하게 되고 비윤리 인 행 나 행 등 도 서슴지 않게 된다

아래의 [그림 2]는 상술한 내용에 의거하여 상자가 자신의 의도와 목

에 따라 어떤 략을 선택하는지를 도식화한 것이다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5

[그림 2] R-O 모델(협상전략-협상목표의 상관성 모형) 한글은 필자 수정28)

이상의 논의를 살펴보았을 때 상이론의 분석 틀을 활용하여 상

행 자의 안유무 상행 자의 수 에서 비롯되는 의지와 통제력의 차

이 상 략과 그 의도를 분석한다면 개별 상에서 행 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상력의 정도와 가용한 상 략을 개략 으로 평가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자가 특정한 상 략을 선택한 의도를 유추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다음 장에서는 상이론의 논의를 통해 도출한 분석

틀을 활용하여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과정을 비교하고

상에서의 우 를 한 러시아가 어떻게 상력을 재고할 수 있었고 어

떤 략을 구사했는지를 살피고 러시아가 나진항 개발사업에 극 인

략을 구사한 이유를 유추해보고 실제 국제정치 맥락에서 이러한 유추

가 설명력을 지니는지 평가해본다

28) Lewicki and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pp24ndash32

1 계 시형

수용 략

2 호혜 상황

력 략

3 상 미발생

회피 략

4 단발성 거래

경쟁 략

16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III 나진항을 둘러싼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과정

A 중국-북한의 협상과 러시아-북한의 협상과정 비교

본 장에서는 나진항 3호 부두에 한 국과 러시아의 상과정을 정리

하고 -북간 상과 러-북간 상의 특징을 각각 서술하고 이를 종합하여

비교한다 이를 해 국과 러시아 각 국의 상이 일어난 배경과 상

단계 단계별 상 주체 이에 따른 북한 측 상 주체 상 결과의 내용

상 시기의 주요한 환경 요인 상의 이행 결과를 국가 별로 나 어서

정리할 것이다

(1) 중국-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 부두 사용권에 한 국의 근은 국 훈춘시에서 구상한 도

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路-港-區一體化)에서 비롯되었다 2000년

북한은 국과 러시아 사이의 물동량이 폭 확 되면서 포시에트항이 나

진항을 체할 항구로 부상하는 것에 응하여 나진-선 도로망 폭 개

선 계획을 발표하는데 이 계획의 핵심 구상이 바로 나진항과 훈춘을 도로

로 연결하는 것이었다29) 막 있는 바닷길을 뚫고 동해로의 진출을 모색

하던 국 훈춘 시정부는 이러한 북한의 구상에 응하여 훈춘에서 나진

항까지 연결된 도로를 화하고 나진항을 거 항만으로 확보하고 항만

배후부지를 산업 물류단지로 개발하는 것을 골자로 한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를 구상했다30) 이 구상을 토 로 2003년 12월 12일과 21

일 훈춘시 정부 길림성 정부 계자 항만 개발업체로 구성된 상

표단이 북한 측에 나진항 추가 확장 계획을 제의하는 과정에서 나진과

29)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곽복선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

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30)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3ndash73 徐家军amp李泽 ls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squo 新浪財經 200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7

국을 잇는 도로 배후부지 개발을 조건으로 국이 나진항 부두시설

일부를 50년 간 독 사용하는 상의 기본 틀이 세워졌다31)

주목할 은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에 한 국 앙정부차

원의 심은 국과 북한의 지방정부 간 상이 시작되던 시 보다 늦게

발되었다는 것이다 2003년 당시 국 정부는 본격 으로 낙후된 동북

지역을 진흥시키기 한 동북진흥(振兴东北) 로젝트를 구상하고 이를

해 국무원 차원에서 lsquo동북 지역을 포함한 노후 공업 기지 진흥을 한

실시 략에 한 의견rsquo을 작성했다32) 그러나 의견에는 아직 훈춘시가

구상했던 외국항구 임차를 통한 출해권 확보 목 의 도로-항만-구역 일체

화 로젝트에 한 언 은 나와 있지 않다33) 그러므로 나진항 부두 사용

권을 둘러싼 국과 북한의 상은 앙정부가 아닌 지역 활성화를 도모

하던 북한과 국의 지방정부의 자발 인 움직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상이 본격화된 이후 국 측 참여기업인 둥린유한공사(东林有限公

司 이하 둥린회사)와 국 훈춘시의 실무자들로 구성된 상단이 북한

의 나선시인민 원회와 주로 상을 가지게 되었으며 2004년 9월에 기본

합의가 이루어졌고 2005년 3월에는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장 김수열이

훈춘시에 방문하여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34) 2005년 7월에는 국

의 둥린회사와 훈춘변경경제합작구 보세유한회사(珲春边境经济合作区保

税有限公司)가 자본과 공사 자재를 투자하고 북한 나선시 인민 원회 경

제합작회사가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제공하는

합작회사가 만들어졌으며 2005년 9월에는 구체 인 사업 진행방안을 담

은 본 계약이 체결되었다35) 2006년 1월에는 북- 이 만든 합작회사가 북

31)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32) Jae Ho Chung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ndash125

33)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34) 徐家军amp李泽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p61

16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설립인가를 받게 다36)

상을 통해서 합의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37)첫째 국과 북한 사이에

설립되는 합 회사는 로젝트에 총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를

투자하여 나진항 3호 부두를 확장 건설하고 4호 부두를 신설하며 보세

가공구와 공업원구를 배후지에 건설하는 한편 나진-원정 간의 비포장 도

로 67km를 488km의 왕복 2차선 직선 포장도로로 개량하기로 했다38) 둘

째로 이러한 거 로젝트를 실시하기 한 선결조건으로 국 측은

3000만 유로(약 24억 안 3600만 USD)를 투자하여 원정-나진 간 도로

건설을 우선 시작하고 나진항 3호 부두를 개조하는 가로 나진항 3호 부

두와 향후 지어질 4호 부두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획득하기로 했다

그러나 2006년 5월 구상이 마무리되고 10월부터 착공하기로 되어있던

고속도로 건설 사업은 북한의 핵실험 둥린회사의 투자 조달 실패 등

으로 인해 착공 정일을 맞추지 못하게 되었다39) 이에 2007년에는 국

길림성 정부까지 나서 나진항 개발자 을 지원하기 해 세 징수 우 정

책까지 부여했지만 둥린회사는 자 부족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2008년 러시아와 북한의 합의에 의해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에 한

이권을 상실하게 되었다40)

35) 계약은 합 회사가 2006년 5월부터 나진-원정간 고속도로 건설을 시작하고 추후 나진

항 3호 부두를 개조하고 공업단지 보세가공구를 건설하는 조건으로 나진항 3호 부두의

50년간의 사용권을 확보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36) 의 p61

37)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

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38) 투자액에 한 미 달러 환산 액은 본 계약 완료시 인 2005년 9월의 월별 환율을 통해

필자추정

39) 당시 국 후난 학(湖南大學) 연구원을 통해 원정-나진항 도로건설에 한 실사 조사

공사 방안이 확정되었으며 10월까지 도로 주변의 나무 채벌까지 완료되면서 본격 인 착

공을 앞둔 제반 비가 마무리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pp56ndash58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40) 의 책 p5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9

(2) 러시아-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의 부두개발에 한 국과 북한의 의가 지방정부 차원에서 시

작된 반면 러시아와 북한 사이의 상은 앙정부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2000년 8월 러시아의 푸틴(Vladimir Putin) 통령은 남북한의 화해 분

기가 조성된 틈을 타 한반도 횡단 철도(Trans-Korean Railway 이하 TKR)

를 시베리아 횡단 철도(Trans-Siberian Railway 이하 TSR)와 연결하는 이

른바 lsquo철의 실크로드rsquo 구상을 김정일 국방 원장 김 통령에게

달했다41) 남북의 지도자로부터 정 인 반응을 이끌어낸 푸틴은 2001년

북middot러 정상 회담을 통해 발표된 모스크바 선언의 6항을 통해 TKR-TSR 연

결 사업에 한 북한과 러시아의 력 의지를 공식 으로 밝혔다42) 상

이 본격화된 이후 러시아는 철도부 표단을 수차례 북한에 견하여 북

한 철도성과 철도 화에 해 본격 으로 논의하기 시작했다43) 2003

년 이후 러시아 철도공사(RZD)가 러시아 철도부의 모든 인 라와 사업

로젝트를 승계함에 따라 RZD는 국 기업의 자격으로 TKR-TSR 연결

사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남-북-러 사이의 삼자 력 구도 속에서 시작된 TKR-TSR 연결

사업은 상 과정에서 노선선정 재원조달 방식 등의 주요쟁 들에

한 각국의 견해차로 인해서 곧 교착상황에 빠지게 되었다44) 그런 상황 속

에서 2002년 이후 2차 북핵 기로 인해 북한에 한 국제사회의 제재가

지속되고 남북 계가 악화되자 북한은 2004년에 TKR-TSR 연결사업에

41) Seung-ho Joo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Cornwell

Ashgate 2009 pp179ndash256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2000ne

42)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23 2007 p231

43)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pp 75ndash80

44)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 56

17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논의가 무의미하다고 밝히며 회의불참을 선언한다45) 이 게 삼각

력의 구도가 기에 착하자 RZD는 상의 구도를 북한-러시아 간 한

국-러시아 간의 상의 두 트랙으로 분리하고 양 국과 개별 인 상을

진행하여 갈등을 합하고자 했다

우선 러시아는 TSR-TKR의 체 구간을 연결하려던 기존의 구상을 축

소하여 일부 구간만을 시범 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사업 구상을 변경해

북한에게 제의했다 북한이 이에 응하면서 2004년 북-러 국경 철도 의회

는 우선 TSR과 TKR의 결 에 치한 나진-하산 간 철도 개량사업부터

시범 실시하는 것에 한 상을 시작했다46) 상은 2006년 블라디보

스토크에서 열린 남-북-러 철도 표자 회의를 통해서 구체화되었는데 그

내용은 RZD와 북한이 함께 설립하는 합작회사(Rasonkontrans 이하 라손

콘트란스)를 통해서 나진-하산간 철도 나진항 항만시설 개보수를 진행

한다는 것이었다 합의를 통해 RZD는 나진항 부두시설사용권에 한

이권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자 조달방법에 해서 북한으로부터 재량권

을 임 받았다47)

한편 RZD는 한국이 주요투자자로 로젝트에 남아있기를 원했다 따

라서 북한으로부터 투자 유치에 한 재량권을 얻고 나자 2007년 한국 철

도공사(KORAIL 이하 코 일)와 양자 상을 통해서 한국의 투자방안에

한 세부 MOU를 체결했다 MOU를 통해서 설립된 루코로지스틱스

(RUCO Logistics 이하 루코)는 코 일의 지원 하에 한국의 민간물류업체

들의 투자를 받아서 라손콘트란스의 러시아 측 지분에 투자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북한 련사업에 한 남한의 투자가 러시아를 통해 우회하

여 남북 계의 정치 불안정성이 투자에 악 향을 끼치는 것을 최소화

하고자 했다

45) 의 pp55ndash56

46) 의 pp57ndash58

47)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1

이처럼 새롭게 상 구도를 짠 결과 러시아는 남북으로부터 아래의 합

의를 이끌어냈다 첫째 나진-하산 로젝트는 TKR-TSR 연결을 한 시

범사업으로 러시아와 북한의 합작회사인 라손콘트란스가 북한의 나진항

과 러시아의 하산 사이에 54km에 이르는 철도구간을 개보수하고 나진항

의 기 인 라를 개발하는 것을 가로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을 49년 간

사용한다48) 둘째 이를 한 투자액은 총 21억 달러(USD)으로 RZD가

약 126억 달러를 분담하는 한편 루코가 러시아 지분 일부(40)를 매

입하는 방식으로 자본을 분담투자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러한 RZD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을 통한 자 조달 계획

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2008년 출범한 이명박 정부는 그간 지속되어

오던 북사업을 취소한다는 뜻을 밝히며 북한이 핵무기 로그램을 포

기하지 않는 한 규모 북경제지원사업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49)

이에 응하여 북한도 남한과의 모든 공식 을 단하면서 남북 계는

격하게 악화 고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민간기업들의 투자도 무

산 다50) 이런 상황에서 RZD는 로젝트를 이행하기 해 2008년 4월

북한과 러시아의 양자 의 형태로 새로운 합의서를 체결하고 2008년 10

월에는 나진항 부두시설 화 나진-하산 철도 화에 한 착공식

을 진행했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러시아 역시 자 형편이 여의치 않아 공

사를 일정 로 진행할 수 없었다51) 이후 러시아는 RZD의 자체 차입 자

으로 투자비를 확보하여 2011년 공사를 재개했고 2013년 나진-하산 간 철

도를 완공 후 개통시켰고 2014년부터는 보수된 나진항 3호 부두를 통해

48) 지분 구조는 RZD가 70이며 북한 철도성이 30이다 이를 해 러시아는 21억 불의

자본을 투자하고 북한은 나진항만 시설을 물로 투자한다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

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2

49) Hong Nack Kim ls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s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2008) pp 8ndash18 Chung-in Moon lsquoSouth Korea in 2008rsquo 49 2008 pp127ndash

128

50)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p64ndash65

51)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3

17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국 러시아

상배경도로-항만-구역일체화 로젝트

(훈춘시정부 차원)

TKR-TSR 연결 로젝트

( 앙 정부 차원)

상시기 2003년-2006년 2000년-2015년 진행

시작

2003년 12월 국 지방 정부 계자

기업이 북한 나선시와 논의 시작

2000년 8월- 푸틴 통령이 남북정상과

논의 시작

2001년 8월 모스크바 선언 정식 결의

석탄을 운반하기 시작했다52) 이때 러시아는 철도연결에 55억 루블(약 18

억 USD) 나진항 터미 공사에 약 35억 루블(약 11억 USD)을 투자한 것

으로 추정된다53)

요컨 2000년 러시아 최고 지도자인 푸틴의 심 속에서 시작된 상

은 2003-4년 북핵 기로 인한 북한의 상 거부 기와 2008년 이후 투자

계획의 난 을 뚫고 최종 으로 이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는 남북

한의 응에 강경하게 응하기보다는 양 국의 의견을 수용하기 한

상 방안을 제시하고 상 를 다시 상에 참여시키기 해 막 한 자 을

투자하기까지 했다 이처럼 러시아가 상을 지속하기 해 다양한 수용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면 러시아와 북한 간의 합의 역시 이행되지 못했

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B 중국-북한 러시아-북한의 협상에 대한 이론적 분석

앞 장에서는 나진항의 부두 사용권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 과

정을 추 해보았다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을 상의 배경 상 주체

북한 측 상 주체 주요 상 내용 상 규모 상 이행 상황을 심

으로 비교해보면 아래의 lt표 1gt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lt표 1gt 나진항 3호 부두 사용권과 관련된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주요 사항

52)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나희승 ldquo남북 sdot 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53)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1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3

국 러시아

과정

- 2004년 기본 합의 완료

- 2005년 3월 24일 MOU 체결

- 2005년 7월 합 회사 설립

- 2005년 9월 본계약 체결

- 2006년 1월 북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합 회사 설립 비

- 2004년 7월 나진-하산 로젝트로 논의

축소 나진항 사용에 한 명시

- 2006년 7월 남-북-러 3자 철도 운 자

회의 나진-하산 화 사업 합의

- 2007년 남한 투자 련 MOU

- 2008년 한국 참여 실패

- 2008년 4월 북-러 나진 하산 철도

화 나진항 3호부두 개발에 한 력

합의서 체결

이행

- 2006년 5월 사업 조사 완료 비

- 2006년 10월 착공 연기

- 2007년 2월 길림성 lsquo두만강유역

개방개발 가속화 방안rsquo 마련

- 2008년 4월 훈춘 둥린회사 외국

투자 유치 난항 최종 실패

- 2008년 4월 라손콘트란스 설립

- 2008년 10월 나진-하산 철도구간 개보수

착공식 후 공사 지연

- 2011년 철도 건설 사업 재개

- 2013-2014년 철도와 부두 개보수 완료

상 주체상 시작 지방 정부

상 과정 민간기업 훈춘시 지원

상 시작 러시아 앙 정부

상 실무 러시아 철도부 RZD54)

북한측 상

주체나선시 인민 원회

-북한 앙 정부

- 상 실무 북한 철도성 육해운성

실무 계자

투자 규모

lt 체 규모gt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

lt본 계약 규모gt

3000만 유로

(24억 RMB 약 3600만 USD) agrave미이행

lt계약 시기gt

총 21억 USD 러시아가 126억 USD

lt이행기gt 철도연결에 55억 루블 지출 터

미 공사에 35억 루블 지출

(약 11억 USD)

이 같은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의 비교를 토 로 러시아와 국의

상력 각국이 구사한 상 략을 비교해보고 러시아가 상에서 유

리한 결과를 낼 수 있었던 요인과 러시아의 략 인 목표를 유추해볼 것

이다

54) 러시아 정부는 2001년부터 자국의 철도 개 을 진행하여 철도부(Railway Ministry)를 국

주식회사인 RZD와 정책 담당 부서인 교통부(Ministry of Transport) 경제 발 무역

부(Ministry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rade)로 분리했다 RZD는 기존의 철도부의

시설 사업을 승계함으로써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상도 이어서 진행하게 되었다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17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우선 상력을 보기 해 상에 임한 국과 러시아의 정태 인 구조

권력을 살펴본다면 비록 총체 인 구조권력 상에서 국이 러시아에 비

해서 압도 으로 강력했으나 나진항을 둘러싸고 북한과 진행한 상사안

만 놓고 본다면 이슈 별 권력에서 러시아가 국보다는 북한에 해 우

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러시아는 북한과의 상에 한

BATNA의 차원에서 국보다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두만강 유역에서

국의 국경은 차 강 기를 따라 좁아지다가 동해를 15km 앞둔 지 에서

끝이 난다55) 그러므로 동해로 직 나갈 수 있는 항구 시설이 무한

국은 나진항 련 상이 결렬되는 경우 동해로의 출해권을 얻을 수가 없

었다 반면 러시아는 나진항 이외에도 극동지역에 여러 항구를 보유하고

있다 일부 연구가 러시아의 극동항만들이 겨울에 얼어붙는 반면 나진항

은 부동항이기 때문에 나진항의 경제 이 이 크다고 보기도 하지만 실

제로는 러시아 극동의 블라디보스톡(Vladivostok) 이남의 항구들은 모두

부동항들로 슬라비얀카(Slavianka)항 보스토치니항(Vostochny) 포시에트

(Posyet)항 자루비노(Zarubino)항 등 개발잠재력이 충분한 항구들이 이미

러시아 극동에서 운용 이다56) 따라서 북한과의 상에 한 이슈 별 권

력의 차원에서 러시아는 국보다 유리한 치에서 상을 시작했다 lsquo의

지rsquo와 lsquo통제rsquo의 측면에서도 러시아는 국보다 더 우 에 있었다 러시아-

북한의 상이 국-북한의 상에 비해서 행 자수 이 높았기 때문에

상을 성사시키기 해 상자가 활용할 수 있는 비용과 제도 인 권력

의 가용범 가 더 컸기 때문이다 상이 난 에 착한 상황에서 러시아

55) James Cotton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1086 Cho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pp51ndash53

56) 특히 19세기와 20세기 반에는 러시아 극동에서 부동항에 한 수요가 컸고 그런 맥락에

서 나진항의 요성이 강조되었다 이와 하여 다음을 참조 Ibid pp52ndash55 백 기 ldquo러

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백 기 최정수 최재희 (편)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동북아역사재단 2007 pp23ndash62

한편 러시아 극동의 항만시설과 해서는 다음을 참조 Robert North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74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5

가 상 체의 틀을 다시 짜는 선택을 할 수 있었던 것이나 남한의 투자

가 결렬된 이후 막 한 비용을 들일 수 있었던 것은 모두 행 자 수 이

높아짐으로써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해 수 있는 범 가 넓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실제로 상이 시작된 2000년 반 푸틴 통령은 자신이 추구하는

로 상을 진행시키기 해 국내정치 으로 의견을 결집시켰다 당시

러시아 료들은 북한과의 철도연결을 재개하는 것에 해서 비 이었

다 러시아 철도부 장 이었던 데 (Guenaddy Fadeyev)는 TKR-TSR

은 투자비용도 무 크고 정치 험도도 높은 사업이라며 회의 인 견

해를 피력하기까지 했다57) 그러나 푸틴은 사업을 lsquo 요한 사업rsquo이라고

못 박았고 데 로 하여 사업이 확실한(promising) 사업이라고

발언하게 했다 이러한 푸틴의 응에 의해 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국

내 으로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 차단되었고 상이행에 한 푸틴

의 강력한 의지가 러시아 국내에 확인되었다

러-북 간의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강력한 지지 속에서 이루어졌다

는 은 상 실무주체가 RZD 다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RZD는 단순히

러시아 철도부가 진행하던 사업의 권한을 승계한 공기업이 아니라 푸틴

의 국내정치권력의 핵심기 의 하나 다 RZD 사장인 야쿠닌(Vladimir

Yakunin)은 푸틴의 최측근 실로비키(silovarch) 한 명으로 차기 통령

후보로까지 거론되기도 했던 인물이다58) 야쿠닌은 나진-하산 로젝트를

RZD의 최우선 로젝트로 상정하고 상과정 내내 상자 간의 의견조

율과 외홍보에 힘을 쏟았다59) 따라서 RZD가 상을 주도했다는 은

나진-하산 로젝트 련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심 속에서 진행되

었다는 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57)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AsiaDH27Ag01html

58) Daniel Treisman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4ndash145

59)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pp228ndash229

17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편 국의 입장에서 상자의 수 이 낮았던 것은 -북 간 상이

실패한 결정 인 원인이었다 국의 상자 수 이 낮은 상황에서 북한

측도 이에 맞춰 상자의 수 이 낮아지게 되면서 양 국은 상의 이행을

한 재량권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실제로 국과의 상에 임했던 나

선시 인민 원회는 상의 출발단계에서부터 국 측이 원한 상 목표인

부두시설 임 에 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나진항의 부두 시설에

한 권한은 으로 북한 육해운성의 소 이기 때문에 나선시 인민 원

회는 부두사용권을 놓고 국과 의하는 것이 처음부터 불가능했기 때문

이다60)

이처럼 러시아는 상의 구조 권력에서 국보다 우 에 있었기 때문

에 다양한 략 선택지를 가지고 상의 교착상황에서 상 방의 입장

을 받아들이는 수용 략을 취함으로써 상이 지속되도록 했다 표 으

로 러시아는 2004년에는 TSR-TKR 연결 사업에서 이탈하려는 북한의 의

사를 반 하여 상의 틀을 축소했으며 2008년에 한국의 투자가 무 로

돌아가면서 상의 이행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자국의 자본을 100 투자

하여 북한과 합의된 사항을 이행했다

러시아가 이와 같은 상 략을 취한 이유를 R-O 모형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우선 러시아는 수용 인 략기조를 유지했기 때문에 상을

통해서 결과이익보다는 계이익을 추구했다고 여겨진다 나진항을 통해

서 얻고자 하는 결과이익은 항만시설을 통한 출해권 확보일 것이다 반

로 이 상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계이익은 상 상 국인 북한과의

계 향상일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의 략 선택은 러시아가 상을

통해 장기 으로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고 략 인 차원에서 장기 으

로 북한에 한 력을 지속시키고자 했다는 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60) 당시 국 둥린 회사를 도와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와의 상에 참여했던 국 훈춘시 지

방 정부 계자 면담에서 계자는 당시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도 외합작 경험이 부족

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권한범 에 한 인식이 부족했었다고 진단했다 2015년

2월 훈춘시정부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7

실제로 푸틴 통령은 상 기 경제 인 손실을 우려하는 국내 료들

의 불안감에 해 상은 요한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이 상의 목

표가 단기 인 경제성에 놓인 것이 아님을 명확하게 했다61)

상이 시작되던 2001년의 시기 배경을 고려해 보면 러시아가 계

이익 다시 말하자면 략 이고 장기 인 차원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

다는 이론상의 설명은 실성이 있다고 단된다 나진항만을 둘러싼 러

시아-북한 간의 상이 TSR-TKR의 연결 사업으로 첫 발을 디뎠던 2000

년 당시 러시아는 푸틴 통령의 집권으로 인해 국내정치 혼란을 바로

잡은 후 소련붕괴와 한반도정책의 실패로 인해 상실한 아시아 지역에

한 략 향력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 때 러시아가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러시아의 향력을 회복하기

해서는 상실했던 북한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만 했다 동아시아와

해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은 경제 으로나 인구 으로나 동아시아 주변

국에 비해 제한 인 역량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 시기

이래로 러시아가 지속 으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에서 주요세력으로 자

리매김했던 것은 소련과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략 인 계가 유지되

었기 때문이다62) 특히 소 계가 악화된 이후 소련은 소련에 한 북한

의 일방 인 의존을 활용하여 아시아 국제 계에서 략 버리지를

유지해 왔다63)

61)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62) Peggy Falkenheim Meyer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14ndash 221

Pavel A Minakir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p32ndash 50

Tamara Troyakova amp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ndash 37

63) John W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ndash53 Gilbert Rozman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 Stephan Blank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pp78ndash82

17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그러나 90년 들어 소련은 북한에 해 가지고 있던 향력을 상실하

면서 아시아의 정치무 에서 배제되게 되었다 1980년 후반 소련은 경

제 이익을 기 하며 남한과의 계수립에 힘썼고 1990년 남한과의 국

교를 정상화하기에 이르 다 게다가 소련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의 수장

으로 취임한 친(Boris Yeltsin) 통령은 서방과의 계회복을 기 하며

민주 가치와 자유를 존 하는 러시아의 모습을 보이기 해 공산독재국

가 던 북한과 의도 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공식

외교채 은 단 되었으며 러시아는 그 동안 북한에게 무상으로 제공

해 왔던 석유지원을 단했으며 러시아의 무기를 북한에 수출하지 않겠

다고 밝혔다64) 당시 러시아 외교부장 이었던 코지 (Andrei Kozyrev)

는 북한의 인권침해를 공식 으로 비 하면서 북한의 정치 변화를 구

하기까지 했다65) 결과 으로 한반도에서의 러시아의 외교정책 인 환

은 냉 기부터 긴 하게 유지되었던 러시아와 북한의 정치 연결고리를

약화시켰으며 북한은 러시아에 해서 가지고 있던 우호 인 시선을 거

두어들이게 되었다66) 그러나 러시아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이 사라진 것은 러시아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

제 계에서도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다 러시아가 북한에 해 정치

향력을 발휘할 것을 기 하며 러시아와의 계개선을 추진했던 남한은 러

시아가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을 상실하자 러시아를 외교 으로 등

한시했다67) 게다가 소련의 붕괴 이후 러시아의 통 인 향권에 한

64) Seung-ho Jo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ndash130 David Wolff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

booksdprkbbrussia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Alexander

Vorontsov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p5

65)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53

66) 이정철 외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p87ndash89

67)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호 2002 pp289

ndash297 Gilbert Rozman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9

침투를 본격화한 미국은 북-러 계가 약화된 시 에서 한반도 문제의

심 인 조정자로 부상하게 되었다68) 러시아가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외교

의제에서 배제된 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사건이 바로 1차 북핵 기

다 1차 북핵 기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를 포함한 8자 회담을 통해서 북핵

문제를 보다 국제 인 차원에서 해결하기를 원했으나 결과 으로 북한에

한 향력을 상실한 러시아는 배제된 채 4자 회담의 형태로 상이 진

행되었다69)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러시아는 남북한 모두에게 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면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자국의 향력 후퇴를 막을 수 없다는

을 확인했고 남한에 과도하게 경사되었던 한반도 계를 재조정하고

남북한 균형 정책을 구사하기 시작했다70) 러시아는 친서방 성향이 강

했던 코지 를 신하여 실용 유라시아주의자 리마코 (Yevgenni

Primakov)를 외교부 장 으로 임명하고 북한과의 계 회복에 주력했

다71)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태도는 냉담했는데 이는

러시아가 여 히 경제 인 측면에서 이익을 수 있는 남한과의 계를

더 시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력과 군사력이 약화된 러시아가 북한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북한의 의구심 때문이었다72)

p41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pp23ndash46

68) Yoshinori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192 Seung-ho Joo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Ashgate 2002 pp147ndash148

69) 러시아의 근 방식에 해서 다음을 참조Evgueni Bajanov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러시아의 배제와 4자 회담에 해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7ndash298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pp194ndash196 Stephen Blank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4ndash5

70)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pp228ndash229

71) Seung-ho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ndash81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6ndash298

72)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192 P Rangsimaporn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18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상실해버린 북 향력을 회복하는 것을 북 략의 주요 목표로 삼았

던 러시아에게 나진-하산 로젝트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기

한 출발 으로 매우 한 기획이었다 우선 나진-하산 로젝트가

TSR-TKR 로젝트로 시작되던 시기는 국제정치 으로 한반도의 화해 국

면 속에서 인 국가로서 러시아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극 화되던 시 이

었다73) 당시 남한과 북한은 화를 시작하고 추가 인 력 의제들을 논

의하는 과정 에 있었다 이러한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인 라 부문에

한 이해 계를 공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실리 인 력 어젠다(agenda)

를 통해 화와 력을 지속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 인 수요를 포착

하고 TSR-TKR 연결 구상을 통해 한반도에 한 실리 인 개자로 참여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이 시기는 러시아의 근에 해서

회의 인 입장을 견지하던 북한도 자국의 국내 정치상황으로 인해 입장을

바꾸던 때 다 당시 나진-선 을 통해서 개 개방을 도모하던 북한은 나

진선 지 개발에 한 외국투자를 극 으로 유치했다74) 때문에 러시

아의 근에 한 북한의 반응도 비교 정 이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나진항을 포함한 북한의 항만 시설 철도 인 라 시

설에 해서 확실한 기술 우 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과의 인

라 력 부문에서 확실한 강 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부터 1990년

까지 소련은 북한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등을 직 건설했으며 나진

항의 화 역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75) 소련은 이

게 개발한 나진항에 해서 공식 인 우선권을 인정받고(1978) 이를 소

Palgrave Macmillan 2009 pp62ndash64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p477

73) In-kon Yeo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ndash115

74)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75) 안병민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남

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pp1ndash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16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귀결된다17)

이러한 lsquo의지rsquo와 lsquo통제력rsquo의 범 는 합의 가능 지 (zone of possible

agreement)라는 개념을 통해 도식화될 수 있다18) lsquo 상에서 성공 합의

가 이루어질 수 있는 범 rsquo라고 정의되는 합의 가능 지 (zone of possible

agreement 혹은 zone of potential agreement)은 상 양자가 상결과를

도출하고자 하는 의지와 이를 해 감수할 수 있는 가로써 통제력을 얼

마나 발휘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상에 임하는 행 자와 상 상 방

은 각각 수용할 수 있는 한계치(bottom line 혹은 resistance point)과 자신

이 바라는 모든 것을 철시켰을 얻을 수 있는 목표치(target point)를 가지

고 있다 lsquo의지rsquo와 lsquo통제력rsquo의 에서 이를 해석해보면 상의 내용이

한계치에 다다를수록 행 자가 상을 통해 지불해야 하는 가가 높아지

면서 상자는 통제력의 한계에 직면하게 되는데 이때 상자가 상에

해 얼마나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상의 타결여부가 결정

된다 따라서 목표치와 한계치 사이의 범 는 상 행 자의 의지와 통제

력의 범 와 첩된다고 할 수 있다 만약 상자가 상의 성공에 해

높은 가치를 두고 비용을 지불할 용의가 있다면 상의 의지와 통제력은

상자의 한계치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이다 반 로 상자가

기존의 목표를 고수하는 것에 집 한다면 상 타결에 한 의지는 낮아

지고 상자의 한계치는 목표치와 가까워지게 될 것이다 이 때 상자와

상 상 방의 한계치와 목표치의 범 가 첩되는 지 이 바로 합의 가

능 지 이며 이를 그림으로 표 하면 다음과 같다

17) 이처럼 상 담당자가 자신의 의견을 철하고 상 의 의견을 수용할 수 있는 범 를 하

비 는 안 지 (security point)라고 정의하고 있다 Habeeb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pp21ndash22

18) Tanya Alfredson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pp8ndash9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1

[그림 1] 협상자(A)와 협상 상대방(B)의 합의 가능 지점19)

그러나 국제 상은 개인과 개인의 상이 아닌 집단과 집단의 상이

라는 에서 체 구성원의 목표치와 한계치가 상술한 이론처럼 명쾌하게

도출되지 않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 퍼트남(Robert Putnam)은 상

은 상자 간의 합의 가능 지 을 도출하는 과정의 외부게임(diplomacy

level 1 game)과 상자가 자신이 속한 집단 내부를 통해서 lsquo동의rsquo와 lsquo비

rsquo을 구하는 국내게임(domestic politics level 2 game)으로 구성된다는 이

른바 양면 게임(two-level game) 모형을 고안했다20) 즉 상자가 상

상 방과의 상 과정에서 략을 통해서 상 방의 한계치를 변경하거나

더 유리한 입장을 철시키기 해서 노력하고 잠정 인 결론을 도출하는

것은 외부게임 환경에서 일어나지만 상자의 한계치와 목표치의 범 는

국내정치게임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자의 한계치와 목

표치가 설정되고 이에 따른 상 략이 채택되는 것은 결국 상자의 내

부 집단에서 특정 집단의 이익이 체의 이익으로 변되고 합의되는 정

치과정과 하게 연 되어 있다21)

그 기 때문에 상자가 외부게임에서 보유할 수 있는 한계치와 목표

19) 그림은 다음 들의 도식을 참고하여 필자가 재구성한 것이다 Roy J Lewicki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pp33

ndash37 Alfredson and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p8

20) Robert D Putnam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ndash460

21)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

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5ndash169

16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치의 범 22)는 상자가 내부 집단에서 어떠한 지 에 있는가와 한

련이 있다 퍼트남에 따르면 상자의 셋(win-set)은 국내게임에서

상자가 결집시킬 수 있는 연합(coalition)의 규모 상자가 제도

(institutional)으로 동원할 수 있는 국내권력과 하게 연 되어 있다23)

그러므로 상자가 국내집단에서 높은 지 에 있을수록 자신의 lsquo의지rsquo를

철시키기 해서 보다 많은 lsquo통제력rsquo을 발휘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 상에서 더 넓은 -셋을 가지게 되며 다양한 략 인

옵션을 보유하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24) 반 로 상자의 지 가 낮으

면 국내게임 상에서 제한된 동의만을 가지고 상 방과 상을 진행해야

하므로 상타결을 해서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하는 략을 활용할 수

있는 여지는 감소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국제 상에서 상자의 지 가 높을수록 상 결과에 해 더 높

은 의지를 가지고 강한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상자의 지 가

높을수록 합의가능지 이 확장되며 략 으로도 더 넓은 선택지가 주어

진다 따라서 지 가 높은 상자는 지 가 낮은 상자에 비해 더욱 다양

한 략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지 가 높은 상자는 상 방의 입장을 더

수용해 주는 력 인 략을 구사할 수도 있고 경쟁 이고 강경하게 자

신의 입장을 고수하는 략을 택할 수도 있는 반면 지 가 낮은 상자가

자의 상 략을 선택할 수 있는 여지는 높지 않다

그러나 상자의 지 가 높은 경우 략 선택 범 가 넓고 더 많은

상력을 보유할 수도 있다고 논의한 것만으로는 상자가 특정 상

략을 채택한 이유를 밝히기 쉽지 않다 따라서 특정한 상 략이 채택되

는 이유에 해 상이론은 어떤 설명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

다 따라서 다음 장에서는 상이론이 상 략을 어떻게 유형화하고 특

22) 퍼트남은 이를 -셋(win-set)이라는 용어로 표 했다 Putnam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pp435ndash441

23) Ibid pp441ndash450

24) Menkel-meadow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pp421ndash422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3

정한 상 략이 채택되는 배경을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B 협상전략과 협상목표

상 략이론은 상 략이 상자가 상에 해 가지고 있는 목표와

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에서 착안하여 상 략과 상목표를 유형

화시킴으로써 상참가자의 의도를 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컨

이 이해 계모델(the dual concerns model)은 상에서 일어나는 행 자

의 략을 양보(yielding) 문제해결(problem-solving) 무 심(inaction) 투

쟁(contending)으로 분류하고 의 선택지 에 상자가 특정 략을 채

택하는 데에는 크게 두 가지 요소(자기 자신의 이익에 한 심 상 상

방의 이익에 한 심)가 결정 향을 미친다고 보았다25) 이 모형을

더 발 시킨 키(Lewicki)가 히엄(Hiam)은 합리 행 자라면 상을

통한 이익이 담보되어야 상에 임한다고 보고 상자가 자신의 결과

이익보다 상 방의 이익에 해 심이 있는 경우는 결국 상 방의 이익

을 보장해 으로써 상 방과의 계가 향상되기를 기 하는 것으로 해석

된다고 보았다26) 이러한 문제의식을 통해 R-O모델(Relationship-Outcome

Model)이 제시되는데 이 모델은 상자의 상목표를 크게 계(relationship)

이익과 결과(outcome)이익으로 구분한다 이 때 계이익은 상자가 상

방의 결과이익을 보장함으로써 계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을 의미하고

결과이익은 상자가 상을 통해서 구체 인 성과를 추구하는 것을 의미

한다

이러한 R-O 모델은 행 자가 계이익과 결과이익 어떤 것을 추구하

는지는 상 상 방과의 계의 지속성 연계 이슈에 따라 좌우된다27)

단발 인 거래상황이나 상자와 상 상 방 사이의 계가 별로 형성

25) Lewicki Saunders and Barry Negotiation pp22ndash24

26) Roy J Lewicki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pp22ndash31

27) Roy J Lewicki et al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chap 2ndash4

16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자는 주로 결과이익을 추구한다 한편 상자

가 상을 통해 상 방과의 계개선 안정을 도모하고 추후 지속될

상에서 더 큰 이익이 상되는 장기 인 거래 상황에서 주로 계이익이

추구된다 국가 간의 상 상황에서 이러한 논의를 확 하여 용해보면

계이익을 추구하는 상자는 주로 장기 외교 략 인 목표에 무게

심을 두는 반면 결과이익을 추구하는 상자는 주로 단기 경제 목표

를 더 염두에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R-O 모형은 행 자가 어떤 이익을 추구하는지에 따라서 행 자

의 상 략이 선택되고 구사된다고 주장하고 상 략을 크게 4가지로

유형화했다 상에서 상되는 단기 인 이익보다 장기 이고 략 인

측면에서 상 방과의 계유지가 요한 경우 상자는 자신의 이익이

보장되지 않더라도 상 방의 입장을 수용(accommodating)하는 략을 취

한다 상을 통해서 상 방과의 계도 향상되고 결과도 좋을 것이 측

되는 호혜 인 상황에서는 력 략(collaboration)이 구사된다 한편

상을 통해서 얻는 단기 이익도 없고 상으로 인해 보장되는 상 방

의 이익도 불분명하면 상 행 자는 상을 회피(avoiding)하는 략을

선택하게 된다 만약 상을 통해서 얻게 될 결과 이익이 실한 경우에

상자는 상 방과의 계가 손상되더라도 자신의 상성과를 해서 경

쟁 (competing) 수단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자는 상을 단발성

으로 인식하게 되고 비윤리 인 행 나 행 등 도 서슴지 않게 된다

아래의 [그림 2]는 상술한 내용에 의거하여 상자가 자신의 의도와 목

에 따라 어떤 략을 선택하는지를 도식화한 것이다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5

[그림 2] R-O 모델(협상전략-협상목표의 상관성 모형) 한글은 필자 수정28)

이상의 논의를 살펴보았을 때 상이론의 분석 틀을 활용하여 상

행 자의 안유무 상행 자의 수 에서 비롯되는 의지와 통제력의 차

이 상 략과 그 의도를 분석한다면 개별 상에서 행 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상력의 정도와 가용한 상 략을 개략 으로 평가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자가 특정한 상 략을 선택한 의도를 유추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다음 장에서는 상이론의 논의를 통해 도출한 분석

틀을 활용하여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과정을 비교하고

상에서의 우 를 한 러시아가 어떻게 상력을 재고할 수 있었고 어

떤 략을 구사했는지를 살피고 러시아가 나진항 개발사업에 극 인

략을 구사한 이유를 유추해보고 실제 국제정치 맥락에서 이러한 유추

가 설명력을 지니는지 평가해본다

28) Lewicki and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pp24ndash32

1 계 시형

수용 략

2 호혜 상황

력 략

3 상 미발생

회피 략

4 단발성 거래

경쟁 략

16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III 나진항을 둘러싼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과정

A 중국-북한의 협상과 러시아-북한의 협상과정 비교

본 장에서는 나진항 3호 부두에 한 국과 러시아의 상과정을 정리

하고 -북간 상과 러-북간 상의 특징을 각각 서술하고 이를 종합하여

비교한다 이를 해 국과 러시아 각 국의 상이 일어난 배경과 상

단계 단계별 상 주체 이에 따른 북한 측 상 주체 상 결과의 내용

상 시기의 주요한 환경 요인 상의 이행 결과를 국가 별로 나 어서

정리할 것이다

(1) 중국-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 부두 사용권에 한 국의 근은 국 훈춘시에서 구상한 도

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路-港-區一體化)에서 비롯되었다 2000년

북한은 국과 러시아 사이의 물동량이 폭 확 되면서 포시에트항이 나

진항을 체할 항구로 부상하는 것에 응하여 나진-선 도로망 폭 개

선 계획을 발표하는데 이 계획의 핵심 구상이 바로 나진항과 훈춘을 도로

로 연결하는 것이었다29) 막 있는 바닷길을 뚫고 동해로의 진출을 모색

하던 국 훈춘 시정부는 이러한 북한의 구상에 응하여 훈춘에서 나진

항까지 연결된 도로를 화하고 나진항을 거 항만으로 확보하고 항만

배후부지를 산업 물류단지로 개발하는 것을 골자로 한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를 구상했다30) 이 구상을 토 로 2003년 12월 12일과 21

일 훈춘시 정부 길림성 정부 계자 항만 개발업체로 구성된 상

표단이 북한 측에 나진항 추가 확장 계획을 제의하는 과정에서 나진과

29)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곽복선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

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30)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3ndash73 徐家军amp李泽 ls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squo 新浪財經 200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7

국을 잇는 도로 배후부지 개발을 조건으로 국이 나진항 부두시설

일부를 50년 간 독 사용하는 상의 기본 틀이 세워졌다31)

주목할 은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에 한 국 앙정부차

원의 심은 국과 북한의 지방정부 간 상이 시작되던 시 보다 늦게

발되었다는 것이다 2003년 당시 국 정부는 본격 으로 낙후된 동북

지역을 진흥시키기 한 동북진흥(振兴东北) 로젝트를 구상하고 이를

해 국무원 차원에서 lsquo동북 지역을 포함한 노후 공업 기지 진흥을 한

실시 략에 한 의견rsquo을 작성했다32) 그러나 의견에는 아직 훈춘시가

구상했던 외국항구 임차를 통한 출해권 확보 목 의 도로-항만-구역 일체

화 로젝트에 한 언 은 나와 있지 않다33) 그러므로 나진항 부두 사용

권을 둘러싼 국과 북한의 상은 앙정부가 아닌 지역 활성화를 도모

하던 북한과 국의 지방정부의 자발 인 움직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상이 본격화된 이후 국 측 참여기업인 둥린유한공사(东林有限公

司 이하 둥린회사)와 국 훈춘시의 실무자들로 구성된 상단이 북한

의 나선시인민 원회와 주로 상을 가지게 되었으며 2004년 9월에 기본

합의가 이루어졌고 2005년 3월에는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장 김수열이

훈춘시에 방문하여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34) 2005년 7월에는 국

의 둥린회사와 훈춘변경경제합작구 보세유한회사(珲春边境经济合作区保

税有限公司)가 자본과 공사 자재를 투자하고 북한 나선시 인민 원회 경

제합작회사가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제공하는

합작회사가 만들어졌으며 2005년 9월에는 구체 인 사업 진행방안을 담

은 본 계약이 체결되었다35) 2006년 1월에는 북- 이 만든 합작회사가 북

31)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32) Jae Ho Chung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ndash125

33)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34) 徐家军amp李泽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p61

16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설립인가를 받게 다36)

상을 통해서 합의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37)첫째 국과 북한 사이에

설립되는 합 회사는 로젝트에 총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를

투자하여 나진항 3호 부두를 확장 건설하고 4호 부두를 신설하며 보세

가공구와 공업원구를 배후지에 건설하는 한편 나진-원정 간의 비포장 도

로 67km를 488km의 왕복 2차선 직선 포장도로로 개량하기로 했다38) 둘

째로 이러한 거 로젝트를 실시하기 한 선결조건으로 국 측은

3000만 유로(약 24억 안 3600만 USD)를 투자하여 원정-나진 간 도로

건설을 우선 시작하고 나진항 3호 부두를 개조하는 가로 나진항 3호 부

두와 향후 지어질 4호 부두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획득하기로 했다

그러나 2006년 5월 구상이 마무리되고 10월부터 착공하기로 되어있던

고속도로 건설 사업은 북한의 핵실험 둥린회사의 투자 조달 실패 등

으로 인해 착공 정일을 맞추지 못하게 되었다39) 이에 2007년에는 국

길림성 정부까지 나서 나진항 개발자 을 지원하기 해 세 징수 우 정

책까지 부여했지만 둥린회사는 자 부족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2008년 러시아와 북한의 합의에 의해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에 한

이권을 상실하게 되었다40)

35) 계약은 합 회사가 2006년 5월부터 나진-원정간 고속도로 건설을 시작하고 추후 나진

항 3호 부두를 개조하고 공업단지 보세가공구를 건설하는 조건으로 나진항 3호 부두의

50년간의 사용권을 확보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36) 의 p61

37)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

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38) 투자액에 한 미 달러 환산 액은 본 계약 완료시 인 2005년 9월의 월별 환율을 통해

필자추정

39) 당시 국 후난 학(湖南大學) 연구원을 통해 원정-나진항 도로건설에 한 실사 조사

공사 방안이 확정되었으며 10월까지 도로 주변의 나무 채벌까지 완료되면서 본격 인 착

공을 앞둔 제반 비가 마무리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pp56ndash58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40) 의 책 p5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9

(2) 러시아-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의 부두개발에 한 국과 북한의 의가 지방정부 차원에서 시

작된 반면 러시아와 북한 사이의 상은 앙정부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2000년 8월 러시아의 푸틴(Vladimir Putin) 통령은 남북한의 화해 분

기가 조성된 틈을 타 한반도 횡단 철도(Trans-Korean Railway 이하 TKR)

를 시베리아 횡단 철도(Trans-Siberian Railway 이하 TSR)와 연결하는 이

른바 lsquo철의 실크로드rsquo 구상을 김정일 국방 원장 김 통령에게

달했다41) 남북의 지도자로부터 정 인 반응을 이끌어낸 푸틴은 2001년

북middot러 정상 회담을 통해 발표된 모스크바 선언의 6항을 통해 TKR-TSR 연

결 사업에 한 북한과 러시아의 력 의지를 공식 으로 밝혔다42) 상

이 본격화된 이후 러시아는 철도부 표단을 수차례 북한에 견하여 북

한 철도성과 철도 화에 해 본격 으로 논의하기 시작했다43) 2003

년 이후 러시아 철도공사(RZD)가 러시아 철도부의 모든 인 라와 사업

로젝트를 승계함에 따라 RZD는 국 기업의 자격으로 TKR-TSR 연결

사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남-북-러 사이의 삼자 력 구도 속에서 시작된 TKR-TSR 연결

사업은 상 과정에서 노선선정 재원조달 방식 등의 주요쟁 들에

한 각국의 견해차로 인해서 곧 교착상황에 빠지게 되었다44) 그런 상황 속

에서 2002년 이후 2차 북핵 기로 인해 북한에 한 국제사회의 제재가

지속되고 남북 계가 악화되자 북한은 2004년에 TKR-TSR 연결사업에

41) Seung-ho Joo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Cornwell

Ashgate 2009 pp179ndash256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2000ne

42)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23 2007 p231

43)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pp 75ndash80

44)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 56

17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논의가 무의미하다고 밝히며 회의불참을 선언한다45) 이 게 삼각

력의 구도가 기에 착하자 RZD는 상의 구도를 북한-러시아 간 한

국-러시아 간의 상의 두 트랙으로 분리하고 양 국과 개별 인 상을

진행하여 갈등을 합하고자 했다

우선 러시아는 TSR-TKR의 체 구간을 연결하려던 기존의 구상을 축

소하여 일부 구간만을 시범 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사업 구상을 변경해

북한에게 제의했다 북한이 이에 응하면서 2004년 북-러 국경 철도 의회

는 우선 TSR과 TKR의 결 에 치한 나진-하산 간 철도 개량사업부터

시범 실시하는 것에 한 상을 시작했다46) 상은 2006년 블라디보

스토크에서 열린 남-북-러 철도 표자 회의를 통해서 구체화되었는데 그

내용은 RZD와 북한이 함께 설립하는 합작회사(Rasonkontrans 이하 라손

콘트란스)를 통해서 나진-하산간 철도 나진항 항만시설 개보수를 진행

한다는 것이었다 합의를 통해 RZD는 나진항 부두시설사용권에 한

이권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자 조달방법에 해서 북한으로부터 재량권

을 임 받았다47)

한편 RZD는 한국이 주요투자자로 로젝트에 남아있기를 원했다 따

라서 북한으로부터 투자 유치에 한 재량권을 얻고 나자 2007년 한국 철

도공사(KORAIL 이하 코 일)와 양자 상을 통해서 한국의 투자방안에

한 세부 MOU를 체결했다 MOU를 통해서 설립된 루코로지스틱스

(RUCO Logistics 이하 루코)는 코 일의 지원 하에 한국의 민간물류업체

들의 투자를 받아서 라손콘트란스의 러시아 측 지분에 투자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북한 련사업에 한 남한의 투자가 러시아를 통해 우회하

여 남북 계의 정치 불안정성이 투자에 악 향을 끼치는 것을 최소화

하고자 했다

45) 의 pp55ndash56

46) 의 pp57ndash58

47)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1

이처럼 새롭게 상 구도를 짠 결과 러시아는 남북으로부터 아래의 합

의를 이끌어냈다 첫째 나진-하산 로젝트는 TKR-TSR 연결을 한 시

범사업으로 러시아와 북한의 합작회사인 라손콘트란스가 북한의 나진항

과 러시아의 하산 사이에 54km에 이르는 철도구간을 개보수하고 나진항

의 기 인 라를 개발하는 것을 가로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을 49년 간

사용한다48) 둘째 이를 한 투자액은 총 21억 달러(USD)으로 RZD가

약 126억 달러를 분담하는 한편 루코가 러시아 지분 일부(40)를 매

입하는 방식으로 자본을 분담투자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러한 RZD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을 통한 자 조달 계획

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2008년 출범한 이명박 정부는 그간 지속되어

오던 북사업을 취소한다는 뜻을 밝히며 북한이 핵무기 로그램을 포

기하지 않는 한 규모 북경제지원사업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49)

이에 응하여 북한도 남한과의 모든 공식 을 단하면서 남북 계는

격하게 악화 고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민간기업들의 투자도 무

산 다50) 이런 상황에서 RZD는 로젝트를 이행하기 해 2008년 4월

북한과 러시아의 양자 의 형태로 새로운 합의서를 체결하고 2008년 10

월에는 나진항 부두시설 화 나진-하산 철도 화에 한 착공식

을 진행했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러시아 역시 자 형편이 여의치 않아 공

사를 일정 로 진행할 수 없었다51) 이후 러시아는 RZD의 자체 차입 자

으로 투자비를 확보하여 2011년 공사를 재개했고 2013년 나진-하산 간 철

도를 완공 후 개통시켰고 2014년부터는 보수된 나진항 3호 부두를 통해

48) 지분 구조는 RZD가 70이며 북한 철도성이 30이다 이를 해 러시아는 21억 불의

자본을 투자하고 북한은 나진항만 시설을 물로 투자한다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

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2

49) Hong Nack Kim ls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s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2008) pp 8ndash18 Chung-in Moon lsquoSouth Korea in 2008rsquo 49 2008 pp127ndash

128

50)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p64ndash65

51)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3

17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국 러시아

상배경도로-항만-구역일체화 로젝트

(훈춘시정부 차원)

TKR-TSR 연결 로젝트

( 앙 정부 차원)

상시기 2003년-2006년 2000년-2015년 진행

시작

2003년 12월 국 지방 정부 계자

기업이 북한 나선시와 논의 시작

2000년 8월- 푸틴 통령이 남북정상과

논의 시작

2001년 8월 모스크바 선언 정식 결의

석탄을 운반하기 시작했다52) 이때 러시아는 철도연결에 55억 루블(약 18

억 USD) 나진항 터미 공사에 약 35억 루블(약 11억 USD)을 투자한 것

으로 추정된다53)

요컨 2000년 러시아 최고 지도자인 푸틴의 심 속에서 시작된 상

은 2003-4년 북핵 기로 인한 북한의 상 거부 기와 2008년 이후 투자

계획의 난 을 뚫고 최종 으로 이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는 남북

한의 응에 강경하게 응하기보다는 양 국의 의견을 수용하기 한

상 방안을 제시하고 상 를 다시 상에 참여시키기 해 막 한 자 을

투자하기까지 했다 이처럼 러시아가 상을 지속하기 해 다양한 수용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면 러시아와 북한 간의 합의 역시 이행되지 못했

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B 중국-북한 러시아-북한의 협상에 대한 이론적 분석

앞 장에서는 나진항의 부두 사용권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 과

정을 추 해보았다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을 상의 배경 상 주체

북한 측 상 주체 주요 상 내용 상 규모 상 이행 상황을 심

으로 비교해보면 아래의 lt표 1gt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lt표 1gt 나진항 3호 부두 사용권과 관련된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주요 사항

52)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나희승 ldquo남북 sdot 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53)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1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3

국 러시아

과정

- 2004년 기본 합의 완료

- 2005년 3월 24일 MOU 체결

- 2005년 7월 합 회사 설립

- 2005년 9월 본계약 체결

- 2006년 1월 북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합 회사 설립 비

- 2004년 7월 나진-하산 로젝트로 논의

축소 나진항 사용에 한 명시

- 2006년 7월 남-북-러 3자 철도 운 자

회의 나진-하산 화 사업 합의

- 2007년 남한 투자 련 MOU

- 2008년 한국 참여 실패

- 2008년 4월 북-러 나진 하산 철도

화 나진항 3호부두 개발에 한 력

합의서 체결

이행

- 2006년 5월 사업 조사 완료 비

- 2006년 10월 착공 연기

- 2007년 2월 길림성 lsquo두만강유역

개방개발 가속화 방안rsquo 마련

- 2008년 4월 훈춘 둥린회사 외국

투자 유치 난항 최종 실패

- 2008년 4월 라손콘트란스 설립

- 2008년 10월 나진-하산 철도구간 개보수

착공식 후 공사 지연

- 2011년 철도 건설 사업 재개

- 2013-2014년 철도와 부두 개보수 완료

상 주체상 시작 지방 정부

상 과정 민간기업 훈춘시 지원

상 시작 러시아 앙 정부

상 실무 러시아 철도부 RZD54)

북한측 상

주체나선시 인민 원회

-북한 앙 정부

- 상 실무 북한 철도성 육해운성

실무 계자

투자 규모

lt 체 규모gt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

lt본 계약 규모gt

3000만 유로

(24억 RMB 약 3600만 USD) agrave미이행

lt계약 시기gt

총 21억 USD 러시아가 126억 USD

lt이행기gt 철도연결에 55억 루블 지출 터

미 공사에 35억 루블 지출

(약 11억 USD)

이 같은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의 비교를 토 로 러시아와 국의

상력 각국이 구사한 상 략을 비교해보고 러시아가 상에서 유

리한 결과를 낼 수 있었던 요인과 러시아의 략 인 목표를 유추해볼 것

이다

54) 러시아 정부는 2001년부터 자국의 철도 개 을 진행하여 철도부(Railway Ministry)를 국

주식회사인 RZD와 정책 담당 부서인 교통부(Ministry of Transport) 경제 발 무역

부(Ministry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rade)로 분리했다 RZD는 기존의 철도부의

시설 사업을 승계함으로써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상도 이어서 진행하게 되었다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17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우선 상력을 보기 해 상에 임한 국과 러시아의 정태 인 구조

권력을 살펴본다면 비록 총체 인 구조권력 상에서 국이 러시아에 비

해서 압도 으로 강력했으나 나진항을 둘러싸고 북한과 진행한 상사안

만 놓고 본다면 이슈 별 권력에서 러시아가 국보다는 북한에 해 우

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러시아는 북한과의 상에 한

BATNA의 차원에서 국보다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두만강 유역에서

국의 국경은 차 강 기를 따라 좁아지다가 동해를 15km 앞둔 지 에서

끝이 난다55) 그러므로 동해로 직 나갈 수 있는 항구 시설이 무한

국은 나진항 련 상이 결렬되는 경우 동해로의 출해권을 얻을 수가 없

었다 반면 러시아는 나진항 이외에도 극동지역에 여러 항구를 보유하고

있다 일부 연구가 러시아의 극동항만들이 겨울에 얼어붙는 반면 나진항

은 부동항이기 때문에 나진항의 경제 이 이 크다고 보기도 하지만 실

제로는 러시아 극동의 블라디보스톡(Vladivostok) 이남의 항구들은 모두

부동항들로 슬라비얀카(Slavianka)항 보스토치니항(Vostochny) 포시에트

(Posyet)항 자루비노(Zarubino)항 등 개발잠재력이 충분한 항구들이 이미

러시아 극동에서 운용 이다56) 따라서 북한과의 상에 한 이슈 별 권

력의 차원에서 러시아는 국보다 유리한 치에서 상을 시작했다 lsquo의

지rsquo와 lsquo통제rsquo의 측면에서도 러시아는 국보다 더 우 에 있었다 러시아-

북한의 상이 국-북한의 상에 비해서 행 자수 이 높았기 때문에

상을 성사시키기 해 상자가 활용할 수 있는 비용과 제도 인 권력

의 가용범 가 더 컸기 때문이다 상이 난 에 착한 상황에서 러시아

55) James Cotton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1086 Cho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pp51ndash53

56) 특히 19세기와 20세기 반에는 러시아 극동에서 부동항에 한 수요가 컸고 그런 맥락에

서 나진항의 요성이 강조되었다 이와 하여 다음을 참조 Ibid pp52ndash55 백 기 ldquo러

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백 기 최정수 최재희 (편)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동북아역사재단 2007 pp23ndash62

한편 러시아 극동의 항만시설과 해서는 다음을 참조 Robert North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74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5

가 상 체의 틀을 다시 짜는 선택을 할 수 있었던 것이나 남한의 투자

가 결렬된 이후 막 한 비용을 들일 수 있었던 것은 모두 행 자 수 이

높아짐으로써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해 수 있는 범 가 넓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실제로 상이 시작된 2000년 반 푸틴 통령은 자신이 추구하는

로 상을 진행시키기 해 국내정치 으로 의견을 결집시켰다 당시

러시아 료들은 북한과의 철도연결을 재개하는 것에 해서 비 이었

다 러시아 철도부 장 이었던 데 (Guenaddy Fadeyev)는 TKR-TSR

은 투자비용도 무 크고 정치 험도도 높은 사업이라며 회의 인 견

해를 피력하기까지 했다57) 그러나 푸틴은 사업을 lsquo 요한 사업rsquo이라고

못 박았고 데 로 하여 사업이 확실한(promising) 사업이라고

발언하게 했다 이러한 푸틴의 응에 의해 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국

내 으로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 차단되었고 상이행에 한 푸틴

의 강력한 의지가 러시아 국내에 확인되었다

러-북 간의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강력한 지지 속에서 이루어졌다

는 은 상 실무주체가 RZD 다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RZD는 단순히

러시아 철도부가 진행하던 사업의 권한을 승계한 공기업이 아니라 푸틴

의 국내정치권력의 핵심기 의 하나 다 RZD 사장인 야쿠닌(Vladimir

Yakunin)은 푸틴의 최측근 실로비키(silovarch) 한 명으로 차기 통령

후보로까지 거론되기도 했던 인물이다58) 야쿠닌은 나진-하산 로젝트를

RZD의 최우선 로젝트로 상정하고 상과정 내내 상자 간의 의견조

율과 외홍보에 힘을 쏟았다59) 따라서 RZD가 상을 주도했다는 은

나진-하산 로젝트 련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심 속에서 진행되

었다는 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57)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AsiaDH27Ag01html

58) Daniel Treisman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4ndash145

59)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pp228ndash229

17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편 국의 입장에서 상자의 수 이 낮았던 것은 -북 간 상이

실패한 결정 인 원인이었다 국의 상자 수 이 낮은 상황에서 북한

측도 이에 맞춰 상자의 수 이 낮아지게 되면서 양 국은 상의 이행을

한 재량권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실제로 국과의 상에 임했던 나

선시 인민 원회는 상의 출발단계에서부터 국 측이 원한 상 목표인

부두시설 임 에 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나진항의 부두 시설에

한 권한은 으로 북한 육해운성의 소 이기 때문에 나선시 인민 원

회는 부두사용권을 놓고 국과 의하는 것이 처음부터 불가능했기 때문

이다60)

이처럼 러시아는 상의 구조 권력에서 국보다 우 에 있었기 때문

에 다양한 략 선택지를 가지고 상의 교착상황에서 상 방의 입장

을 받아들이는 수용 략을 취함으로써 상이 지속되도록 했다 표 으

로 러시아는 2004년에는 TSR-TKR 연결 사업에서 이탈하려는 북한의 의

사를 반 하여 상의 틀을 축소했으며 2008년에 한국의 투자가 무 로

돌아가면서 상의 이행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자국의 자본을 100 투자

하여 북한과 합의된 사항을 이행했다

러시아가 이와 같은 상 략을 취한 이유를 R-O 모형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우선 러시아는 수용 인 략기조를 유지했기 때문에 상을

통해서 결과이익보다는 계이익을 추구했다고 여겨진다 나진항을 통해

서 얻고자 하는 결과이익은 항만시설을 통한 출해권 확보일 것이다 반

로 이 상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계이익은 상 상 국인 북한과의

계 향상일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의 략 선택은 러시아가 상을

통해 장기 으로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고 략 인 차원에서 장기 으

로 북한에 한 력을 지속시키고자 했다는 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60) 당시 국 둥린 회사를 도와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와의 상에 참여했던 국 훈춘시 지

방 정부 계자 면담에서 계자는 당시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도 외합작 경험이 부족

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권한범 에 한 인식이 부족했었다고 진단했다 2015년

2월 훈춘시정부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7

실제로 푸틴 통령은 상 기 경제 인 손실을 우려하는 국내 료들

의 불안감에 해 상은 요한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이 상의 목

표가 단기 인 경제성에 놓인 것이 아님을 명확하게 했다61)

상이 시작되던 2001년의 시기 배경을 고려해 보면 러시아가 계

이익 다시 말하자면 략 이고 장기 인 차원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

다는 이론상의 설명은 실성이 있다고 단된다 나진항만을 둘러싼 러

시아-북한 간의 상이 TSR-TKR의 연결 사업으로 첫 발을 디뎠던 2000

년 당시 러시아는 푸틴 통령의 집권으로 인해 국내정치 혼란을 바로

잡은 후 소련붕괴와 한반도정책의 실패로 인해 상실한 아시아 지역에

한 략 향력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 때 러시아가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러시아의 향력을 회복하기

해서는 상실했던 북한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만 했다 동아시아와

해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은 경제 으로나 인구 으로나 동아시아 주변

국에 비해 제한 인 역량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 시기

이래로 러시아가 지속 으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에서 주요세력으로 자

리매김했던 것은 소련과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략 인 계가 유지되

었기 때문이다62) 특히 소 계가 악화된 이후 소련은 소련에 한 북한

의 일방 인 의존을 활용하여 아시아 국제 계에서 략 버리지를

유지해 왔다63)

61)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62) Peggy Falkenheim Meyer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14ndash 221

Pavel A Minakir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p32ndash 50

Tamara Troyakova amp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ndash 37

63) John W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ndash53 Gilbert Rozman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 Stephan Blank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pp78ndash82

17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그러나 90년 들어 소련은 북한에 해 가지고 있던 향력을 상실하

면서 아시아의 정치무 에서 배제되게 되었다 1980년 후반 소련은 경

제 이익을 기 하며 남한과의 계수립에 힘썼고 1990년 남한과의 국

교를 정상화하기에 이르 다 게다가 소련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의 수장

으로 취임한 친(Boris Yeltsin) 통령은 서방과의 계회복을 기 하며

민주 가치와 자유를 존 하는 러시아의 모습을 보이기 해 공산독재국

가 던 북한과 의도 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공식

외교채 은 단 되었으며 러시아는 그 동안 북한에게 무상으로 제공

해 왔던 석유지원을 단했으며 러시아의 무기를 북한에 수출하지 않겠

다고 밝혔다64) 당시 러시아 외교부장 이었던 코지 (Andrei Kozyrev)

는 북한의 인권침해를 공식 으로 비 하면서 북한의 정치 변화를 구

하기까지 했다65) 결과 으로 한반도에서의 러시아의 외교정책 인 환

은 냉 기부터 긴 하게 유지되었던 러시아와 북한의 정치 연결고리를

약화시켰으며 북한은 러시아에 해서 가지고 있던 우호 인 시선을 거

두어들이게 되었다66) 그러나 러시아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이 사라진 것은 러시아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

제 계에서도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다 러시아가 북한에 해 정치

향력을 발휘할 것을 기 하며 러시아와의 계개선을 추진했던 남한은 러

시아가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을 상실하자 러시아를 외교 으로 등

한시했다67) 게다가 소련의 붕괴 이후 러시아의 통 인 향권에 한

64) Seung-ho Jo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ndash130 David Wolff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

booksdprkbbrussia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Alexander

Vorontsov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p5

65)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53

66) 이정철 외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p87ndash89

67)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호 2002 pp289

ndash297 Gilbert Rozman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9

침투를 본격화한 미국은 북-러 계가 약화된 시 에서 한반도 문제의

심 인 조정자로 부상하게 되었다68) 러시아가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외교

의제에서 배제된 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사건이 바로 1차 북핵 기

다 1차 북핵 기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를 포함한 8자 회담을 통해서 북핵

문제를 보다 국제 인 차원에서 해결하기를 원했으나 결과 으로 북한에

한 향력을 상실한 러시아는 배제된 채 4자 회담의 형태로 상이 진

행되었다69)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러시아는 남북한 모두에게 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면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자국의 향력 후퇴를 막을 수 없다는

을 확인했고 남한에 과도하게 경사되었던 한반도 계를 재조정하고

남북한 균형 정책을 구사하기 시작했다70) 러시아는 친서방 성향이 강

했던 코지 를 신하여 실용 유라시아주의자 리마코 (Yevgenni

Primakov)를 외교부 장 으로 임명하고 북한과의 계 회복에 주력했

다71)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태도는 냉담했는데 이는

러시아가 여 히 경제 인 측면에서 이익을 수 있는 남한과의 계를

더 시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력과 군사력이 약화된 러시아가 북한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북한의 의구심 때문이었다72)

p41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pp23ndash46

68) Yoshinori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192 Seung-ho Joo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Ashgate 2002 pp147ndash148

69) 러시아의 근 방식에 해서 다음을 참조Evgueni Bajanov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러시아의 배제와 4자 회담에 해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7ndash298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pp194ndash196 Stephen Blank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4ndash5

70)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pp228ndash229

71) Seung-ho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ndash81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6ndash298

72)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192 P Rangsimaporn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18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상실해버린 북 향력을 회복하는 것을 북 략의 주요 목표로 삼았

던 러시아에게 나진-하산 로젝트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기

한 출발 으로 매우 한 기획이었다 우선 나진-하산 로젝트가

TSR-TKR 로젝트로 시작되던 시기는 국제정치 으로 한반도의 화해 국

면 속에서 인 국가로서 러시아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극 화되던 시 이

었다73) 당시 남한과 북한은 화를 시작하고 추가 인 력 의제들을 논

의하는 과정 에 있었다 이러한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인 라 부문에

한 이해 계를 공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실리 인 력 어젠다(agenda)

를 통해 화와 력을 지속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 인 수요를 포착

하고 TSR-TKR 연결 구상을 통해 한반도에 한 실리 인 개자로 참여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이 시기는 러시아의 근에 해서

회의 인 입장을 견지하던 북한도 자국의 국내 정치상황으로 인해 입장을

바꾸던 때 다 당시 나진-선 을 통해서 개 개방을 도모하던 북한은 나

진선 지 개발에 한 외국투자를 극 으로 유치했다74) 때문에 러시

아의 근에 한 북한의 반응도 비교 정 이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나진항을 포함한 북한의 항만 시설 철도 인 라 시

설에 해서 확실한 기술 우 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과의 인

라 력 부문에서 확실한 강 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부터 1990년

까지 소련은 북한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등을 직 건설했으며 나진

항의 화 역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75) 소련은 이

게 개발한 나진항에 해서 공식 인 우선권을 인정받고(1978) 이를 소

Palgrave Macmillan 2009 pp62ndash64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p477

73) In-kon Yeo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ndash115

74)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75) 안병민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남

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pp1ndash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9: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1

[그림 1] 협상자(A)와 협상 상대방(B)의 합의 가능 지점19)

그러나 국제 상은 개인과 개인의 상이 아닌 집단과 집단의 상이

라는 에서 체 구성원의 목표치와 한계치가 상술한 이론처럼 명쾌하게

도출되지 않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해 퍼트남(Robert Putnam)은 상

은 상자 간의 합의 가능 지 을 도출하는 과정의 외부게임(diplomacy

level 1 game)과 상자가 자신이 속한 집단 내부를 통해서 lsquo동의rsquo와 lsquo비

rsquo을 구하는 국내게임(domestic politics level 2 game)으로 구성된다는 이

른바 양면 게임(two-level game) 모형을 고안했다20) 즉 상자가 상

상 방과의 상 과정에서 략을 통해서 상 방의 한계치를 변경하거나

더 유리한 입장을 철시키기 해서 노력하고 잠정 인 결론을 도출하는

것은 외부게임 환경에서 일어나지만 상자의 한계치와 목표치의 범 는

국내정치게임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자의 한계치와 목

표치가 설정되고 이에 따른 상 략이 채택되는 것은 결국 상자의 내

부 집단에서 특정 집단의 이익이 체의 이익으로 변되고 합의되는 정

치과정과 하게 연 되어 있다21)

그 기 때문에 상자가 외부게임에서 보유할 수 있는 한계치와 목표

19) 그림은 다음 들의 도식을 참고하여 필자가 재구성한 것이다 Roy J Lewicki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pp33

ndash37 Alfredson and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p8

20) Robert D Putnam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ndash460

21)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

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5ndash169

16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치의 범 22)는 상자가 내부 집단에서 어떠한 지 에 있는가와 한

련이 있다 퍼트남에 따르면 상자의 셋(win-set)은 국내게임에서

상자가 결집시킬 수 있는 연합(coalition)의 규모 상자가 제도

(institutional)으로 동원할 수 있는 국내권력과 하게 연 되어 있다23)

그러므로 상자가 국내집단에서 높은 지 에 있을수록 자신의 lsquo의지rsquo를

철시키기 해서 보다 많은 lsquo통제력rsquo을 발휘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 상에서 더 넓은 -셋을 가지게 되며 다양한 략 인

옵션을 보유하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24) 반 로 상자의 지 가 낮으

면 국내게임 상에서 제한된 동의만을 가지고 상 방과 상을 진행해야

하므로 상타결을 해서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하는 략을 활용할 수

있는 여지는 감소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국제 상에서 상자의 지 가 높을수록 상 결과에 해 더 높

은 의지를 가지고 강한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상자의 지 가

높을수록 합의가능지 이 확장되며 략 으로도 더 넓은 선택지가 주어

진다 따라서 지 가 높은 상자는 지 가 낮은 상자에 비해 더욱 다양

한 략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지 가 높은 상자는 상 방의 입장을 더

수용해 주는 력 인 략을 구사할 수도 있고 경쟁 이고 강경하게 자

신의 입장을 고수하는 략을 택할 수도 있는 반면 지 가 낮은 상자가

자의 상 략을 선택할 수 있는 여지는 높지 않다

그러나 상자의 지 가 높은 경우 략 선택 범 가 넓고 더 많은

상력을 보유할 수도 있다고 논의한 것만으로는 상자가 특정 상

략을 채택한 이유를 밝히기 쉽지 않다 따라서 특정한 상 략이 채택되

는 이유에 해 상이론은 어떤 설명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

다 따라서 다음 장에서는 상이론이 상 략을 어떻게 유형화하고 특

22) 퍼트남은 이를 -셋(win-set)이라는 용어로 표 했다 Putnam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pp435ndash441

23) Ibid pp441ndash450

24) Menkel-meadow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pp421ndash422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3

정한 상 략이 채택되는 배경을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B 협상전략과 협상목표

상 략이론은 상 략이 상자가 상에 해 가지고 있는 목표와

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에서 착안하여 상 략과 상목표를 유형

화시킴으로써 상참가자의 의도를 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컨

이 이해 계모델(the dual concerns model)은 상에서 일어나는 행 자

의 략을 양보(yielding) 문제해결(problem-solving) 무 심(inaction) 투

쟁(contending)으로 분류하고 의 선택지 에 상자가 특정 략을 채

택하는 데에는 크게 두 가지 요소(자기 자신의 이익에 한 심 상 상

방의 이익에 한 심)가 결정 향을 미친다고 보았다25) 이 모형을

더 발 시킨 키(Lewicki)가 히엄(Hiam)은 합리 행 자라면 상을

통한 이익이 담보되어야 상에 임한다고 보고 상자가 자신의 결과

이익보다 상 방의 이익에 해 심이 있는 경우는 결국 상 방의 이익

을 보장해 으로써 상 방과의 계가 향상되기를 기 하는 것으로 해석

된다고 보았다26) 이러한 문제의식을 통해 R-O모델(Relationship-Outcome

Model)이 제시되는데 이 모델은 상자의 상목표를 크게 계(relationship)

이익과 결과(outcome)이익으로 구분한다 이 때 계이익은 상자가 상

방의 결과이익을 보장함으로써 계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을 의미하고

결과이익은 상자가 상을 통해서 구체 인 성과를 추구하는 것을 의미

한다

이러한 R-O 모델은 행 자가 계이익과 결과이익 어떤 것을 추구하

는지는 상 상 방과의 계의 지속성 연계 이슈에 따라 좌우된다27)

단발 인 거래상황이나 상자와 상 상 방 사이의 계가 별로 형성

25) Lewicki Saunders and Barry Negotiation pp22ndash24

26) Roy J Lewicki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pp22ndash31

27) Roy J Lewicki et al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chap 2ndash4

16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자는 주로 결과이익을 추구한다 한편 상자

가 상을 통해 상 방과의 계개선 안정을 도모하고 추후 지속될

상에서 더 큰 이익이 상되는 장기 인 거래 상황에서 주로 계이익이

추구된다 국가 간의 상 상황에서 이러한 논의를 확 하여 용해보면

계이익을 추구하는 상자는 주로 장기 외교 략 인 목표에 무게

심을 두는 반면 결과이익을 추구하는 상자는 주로 단기 경제 목표

를 더 염두에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R-O 모형은 행 자가 어떤 이익을 추구하는지에 따라서 행 자

의 상 략이 선택되고 구사된다고 주장하고 상 략을 크게 4가지로

유형화했다 상에서 상되는 단기 인 이익보다 장기 이고 략 인

측면에서 상 방과의 계유지가 요한 경우 상자는 자신의 이익이

보장되지 않더라도 상 방의 입장을 수용(accommodating)하는 략을 취

한다 상을 통해서 상 방과의 계도 향상되고 결과도 좋을 것이 측

되는 호혜 인 상황에서는 력 략(collaboration)이 구사된다 한편

상을 통해서 얻는 단기 이익도 없고 상으로 인해 보장되는 상 방

의 이익도 불분명하면 상 행 자는 상을 회피(avoiding)하는 략을

선택하게 된다 만약 상을 통해서 얻게 될 결과 이익이 실한 경우에

상자는 상 방과의 계가 손상되더라도 자신의 상성과를 해서 경

쟁 (competing) 수단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자는 상을 단발성

으로 인식하게 되고 비윤리 인 행 나 행 등 도 서슴지 않게 된다

아래의 [그림 2]는 상술한 내용에 의거하여 상자가 자신의 의도와 목

에 따라 어떤 략을 선택하는지를 도식화한 것이다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5

[그림 2] R-O 모델(협상전략-협상목표의 상관성 모형) 한글은 필자 수정28)

이상의 논의를 살펴보았을 때 상이론의 분석 틀을 활용하여 상

행 자의 안유무 상행 자의 수 에서 비롯되는 의지와 통제력의 차

이 상 략과 그 의도를 분석한다면 개별 상에서 행 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상력의 정도와 가용한 상 략을 개략 으로 평가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자가 특정한 상 략을 선택한 의도를 유추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다음 장에서는 상이론의 논의를 통해 도출한 분석

틀을 활용하여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과정을 비교하고

상에서의 우 를 한 러시아가 어떻게 상력을 재고할 수 있었고 어

떤 략을 구사했는지를 살피고 러시아가 나진항 개발사업에 극 인

략을 구사한 이유를 유추해보고 실제 국제정치 맥락에서 이러한 유추

가 설명력을 지니는지 평가해본다

28) Lewicki and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pp24ndash32

1 계 시형

수용 략

2 호혜 상황

력 략

3 상 미발생

회피 략

4 단발성 거래

경쟁 략

16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III 나진항을 둘러싼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과정

A 중국-북한의 협상과 러시아-북한의 협상과정 비교

본 장에서는 나진항 3호 부두에 한 국과 러시아의 상과정을 정리

하고 -북간 상과 러-북간 상의 특징을 각각 서술하고 이를 종합하여

비교한다 이를 해 국과 러시아 각 국의 상이 일어난 배경과 상

단계 단계별 상 주체 이에 따른 북한 측 상 주체 상 결과의 내용

상 시기의 주요한 환경 요인 상의 이행 결과를 국가 별로 나 어서

정리할 것이다

(1) 중국-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 부두 사용권에 한 국의 근은 국 훈춘시에서 구상한 도

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路-港-區一體化)에서 비롯되었다 2000년

북한은 국과 러시아 사이의 물동량이 폭 확 되면서 포시에트항이 나

진항을 체할 항구로 부상하는 것에 응하여 나진-선 도로망 폭 개

선 계획을 발표하는데 이 계획의 핵심 구상이 바로 나진항과 훈춘을 도로

로 연결하는 것이었다29) 막 있는 바닷길을 뚫고 동해로의 진출을 모색

하던 국 훈춘 시정부는 이러한 북한의 구상에 응하여 훈춘에서 나진

항까지 연결된 도로를 화하고 나진항을 거 항만으로 확보하고 항만

배후부지를 산업 물류단지로 개발하는 것을 골자로 한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를 구상했다30) 이 구상을 토 로 2003년 12월 12일과 21

일 훈춘시 정부 길림성 정부 계자 항만 개발업체로 구성된 상

표단이 북한 측에 나진항 추가 확장 계획을 제의하는 과정에서 나진과

29)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곽복선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

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30)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3ndash73 徐家军amp李泽 ls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squo 新浪財經 200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7

국을 잇는 도로 배후부지 개발을 조건으로 국이 나진항 부두시설

일부를 50년 간 독 사용하는 상의 기본 틀이 세워졌다31)

주목할 은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에 한 국 앙정부차

원의 심은 국과 북한의 지방정부 간 상이 시작되던 시 보다 늦게

발되었다는 것이다 2003년 당시 국 정부는 본격 으로 낙후된 동북

지역을 진흥시키기 한 동북진흥(振兴东北) 로젝트를 구상하고 이를

해 국무원 차원에서 lsquo동북 지역을 포함한 노후 공업 기지 진흥을 한

실시 략에 한 의견rsquo을 작성했다32) 그러나 의견에는 아직 훈춘시가

구상했던 외국항구 임차를 통한 출해권 확보 목 의 도로-항만-구역 일체

화 로젝트에 한 언 은 나와 있지 않다33) 그러므로 나진항 부두 사용

권을 둘러싼 국과 북한의 상은 앙정부가 아닌 지역 활성화를 도모

하던 북한과 국의 지방정부의 자발 인 움직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상이 본격화된 이후 국 측 참여기업인 둥린유한공사(东林有限公

司 이하 둥린회사)와 국 훈춘시의 실무자들로 구성된 상단이 북한

의 나선시인민 원회와 주로 상을 가지게 되었으며 2004년 9월에 기본

합의가 이루어졌고 2005년 3월에는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장 김수열이

훈춘시에 방문하여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34) 2005년 7월에는 국

의 둥린회사와 훈춘변경경제합작구 보세유한회사(珲春边境经济合作区保

税有限公司)가 자본과 공사 자재를 투자하고 북한 나선시 인민 원회 경

제합작회사가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제공하는

합작회사가 만들어졌으며 2005년 9월에는 구체 인 사업 진행방안을 담

은 본 계약이 체결되었다35) 2006년 1월에는 북- 이 만든 합작회사가 북

31)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32) Jae Ho Chung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ndash125

33)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34) 徐家军amp李泽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p61

16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설립인가를 받게 다36)

상을 통해서 합의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37)첫째 국과 북한 사이에

설립되는 합 회사는 로젝트에 총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를

투자하여 나진항 3호 부두를 확장 건설하고 4호 부두를 신설하며 보세

가공구와 공업원구를 배후지에 건설하는 한편 나진-원정 간의 비포장 도

로 67km를 488km의 왕복 2차선 직선 포장도로로 개량하기로 했다38) 둘

째로 이러한 거 로젝트를 실시하기 한 선결조건으로 국 측은

3000만 유로(약 24억 안 3600만 USD)를 투자하여 원정-나진 간 도로

건설을 우선 시작하고 나진항 3호 부두를 개조하는 가로 나진항 3호 부

두와 향후 지어질 4호 부두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획득하기로 했다

그러나 2006년 5월 구상이 마무리되고 10월부터 착공하기로 되어있던

고속도로 건설 사업은 북한의 핵실험 둥린회사의 투자 조달 실패 등

으로 인해 착공 정일을 맞추지 못하게 되었다39) 이에 2007년에는 국

길림성 정부까지 나서 나진항 개발자 을 지원하기 해 세 징수 우 정

책까지 부여했지만 둥린회사는 자 부족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2008년 러시아와 북한의 합의에 의해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에 한

이권을 상실하게 되었다40)

35) 계약은 합 회사가 2006년 5월부터 나진-원정간 고속도로 건설을 시작하고 추후 나진

항 3호 부두를 개조하고 공업단지 보세가공구를 건설하는 조건으로 나진항 3호 부두의

50년간의 사용권을 확보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36) 의 p61

37)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

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38) 투자액에 한 미 달러 환산 액은 본 계약 완료시 인 2005년 9월의 월별 환율을 통해

필자추정

39) 당시 국 후난 학(湖南大學) 연구원을 통해 원정-나진항 도로건설에 한 실사 조사

공사 방안이 확정되었으며 10월까지 도로 주변의 나무 채벌까지 완료되면서 본격 인 착

공을 앞둔 제반 비가 마무리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pp56ndash58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40) 의 책 p5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9

(2) 러시아-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의 부두개발에 한 국과 북한의 의가 지방정부 차원에서 시

작된 반면 러시아와 북한 사이의 상은 앙정부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2000년 8월 러시아의 푸틴(Vladimir Putin) 통령은 남북한의 화해 분

기가 조성된 틈을 타 한반도 횡단 철도(Trans-Korean Railway 이하 TKR)

를 시베리아 횡단 철도(Trans-Siberian Railway 이하 TSR)와 연결하는 이

른바 lsquo철의 실크로드rsquo 구상을 김정일 국방 원장 김 통령에게

달했다41) 남북의 지도자로부터 정 인 반응을 이끌어낸 푸틴은 2001년

북middot러 정상 회담을 통해 발표된 모스크바 선언의 6항을 통해 TKR-TSR 연

결 사업에 한 북한과 러시아의 력 의지를 공식 으로 밝혔다42) 상

이 본격화된 이후 러시아는 철도부 표단을 수차례 북한에 견하여 북

한 철도성과 철도 화에 해 본격 으로 논의하기 시작했다43) 2003

년 이후 러시아 철도공사(RZD)가 러시아 철도부의 모든 인 라와 사업

로젝트를 승계함에 따라 RZD는 국 기업의 자격으로 TKR-TSR 연결

사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남-북-러 사이의 삼자 력 구도 속에서 시작된 TKR-TSR 연결

사업은 상 과정에서 노선선정 재원조달 방식 등의 주요쟁 들에

한 각국의 견해차로 인해서 곧 교착상황에 빠지게 되었다44) 그런 상황 속

에서 2002년 이후 2차 북핵 기로 인해 북한에 한 국제사회의 제재가

지속되고 남북 계가 악화되자 북한은 2004년에 TKR-TSR 연결사업에

41) Seung-ho Joo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Cornwell

Ashgate 2009 pp179ndash256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2000ne

42)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23 2007 p231

43)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pp 75ndash80

44)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 56

17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논의가 무의미하다고 밝히며 회의불참을 선언한다45) 이 게 삼각

력의 구도가 기에 착하자 RZD는 상의 구도를 북한-러시아 간 한

국-러시아 간의 상의 두 트랙으로 분리하고 양 국과 개별 인 상을

진행하여 갈등을 합하고자 했다

우선 러시아는 TSR-TKR의 체 구간을 연결하려던 기존의 구상을 축

소하여 일부 구간만을 시범 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사업 구상을 변경해

북한에게 제의했다 북한이 이에 응하면서 2004년 북-러 국경 철도 의회

는 우선 TSR과 TKR의 결 에 치한 나진-하산 간 철도 개량사업부터

시범 실시하는 것에 한 상을 시작했다46) 상은 2006년 블라디보

스토크에서 열린 남-북-러 철도 표자 회의를 통해서 구체화되었는데 그

내용은 RZD와 북한이 함께 설립하는 합작회사(Rasonkontrans 이하 라손

콘트란스)를 통해서 나진-하산간 철도 나진항 항만시설 개보수를 진행

한다는 것이었다 합의를 통해 RZD는 나진항 부두시설사용권에 한

이권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자 조달방법에 해서 북한으로부터 재량권

을 임 받았다47)

한편 RZD는 한국이 주요투자자로 로젝트에 남아있기를 원했다 따

라서 북한으로부터 투자 유치에 한 재량권을 얻고 나자 2007년 한국 철

도공사(KORAIL 이하 코 일)와 양자 상을 통해서 한국의 투자방안에

한 세부 MOU를 체결했다 MOU를 통해서 설립된 루코로지스틱스

(RUCO Logistics 이하 루코)는 코 일의 지원 하에 한국의 민간물류업체

들의 투자를 받아서 라손콘트란스의 러시아 측 지분에 투자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북한 련사업에 한 남한의 투자가 러시아를 통해 우회하

여 남북 계의 정치 불안정성이 투자에 악 향을 끼치는 것을 최소화

하고자 했다

45) 의 pp55ndash56

46) 의 pp57ndash58

47)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1

이처럼 새롭게 상 구도를 짠 결과 러시아는 남북으로부터 아래의 합

의를 이끌어냈다 첫째 나진-하산 로젝트는 TKR-TSR 연결을 한 시

범사업으로 러시아와 북한의 합작회사인 라손콘트란스가 북한의 나진항

과 러시아의 하산 사이에 54km에 이르는 철도구간을 개보수하고 나진항

의 기 인 라를 개발하는 것을 가로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을 49년 간

사용한다48) 둘째 이를 한 투자액은 총 21억 달러(USD)으로 RZD가

약 126억 달러를 분담하는 한편 루코가 러시아 지분 일부(40)를 매

입하는 방식으로 자본을 분담투자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러한 RZD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을 통한 자 조달 계획

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2008년 출범한 이명박 정부는 그간 지속되어

오던 북사업을 취소한다는 뜻을 밝히며 북한이 핵무기 로그램을 포

기하지 않는 한 규모 북경제지원사업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49)

이에 응하여 북한도 남한과의 모든 공식 을 단하면서 남북 계는

격하게 악화 고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민간기업들의 투자도 무

산 다50) 이런 상황에서 RZD는 로젝트를 이행하기 해 2008년 4월

북한과 러시아의 양자 의 형태로 새로운 합의서를 체결하고 2008년 10

월에는 나진항 부두시설 화 나진-하산 철도 화에 한 착공식

을 진행했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러시아 역시 자 형편이 여의치 않아 공

사를 일정 로 진행할 수 없었다51) 이후 러시아는 RZD의 자체 차입 자

으로 투자비를 확보하여 2011년 공사를 재개했고 2013년 나진-하산 간 철

도를 완공 후 개통시켰고 2014년부터는 보수된 나진항 3호 부두를 통해

48) 지분 구조는 RZD가 70이며 북한 철도성이 30이다 이를 해 러시아는 21억 불의

자본을 투자하고 북한은 나진항만 시설을 물로 투자한다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

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2

49) Hong Nack Kim ls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s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2008) pp 8ndash18 Chung-in Moon lsquoSouth Korea in 2008rsquo 49 2008 pp127ndash

128

50)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p64ndash65

51)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3

17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국 러시아

상배경도로-항만-구역일체화 로젝트

(훈춘시정부 차원)

TKR-TSR 연결 로젝트

( 앙 정부 차원)

상시기 2003년-2006년 2000년-2015년 진행

시작

2003년 12월 국 지방 정부 계자

기업이 북한 나선시와 논의 시작

2000년 8월- 푸틴 통령이 남북정상과

논의 시작

2001년 8월 모스크바 선언 정식 결의

석탄을 운반하기 시작했다52) 이때 러시아는 철도연결에 55억 루블(약 18

억 USD) 나진항 터미 공사에 약 35억 루블(약 11억 USD)을 투자한 것

으로 추정된다53)

요컨 2000년 러시아 최고 지도자인 푸틴의 심 속에서 시작된 상

은 2003-4년 북핵 기로 인한 북한의 상 거부 기와 2008년 이후 투자

계획의 난 을 뚫고 최종 으로 이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는 남북

한의 응에 강경하게 응하기보다는 양 국의 의견을 수용하기 한

상 방안을 제시하고 상 를 다시 상에 참여시키기 해 막 한 자 을

투자하기까지 했다 이처럼 러시아가 상을 지속하기 해 다양한 수용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면 러시아와 북한 간의 합의 역시 이행되지 못했

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B 중국-북한 러시아-북한의 협상에 대한 이론적 분석

앞 장에서는 나진항의 부두 사용권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 과

정을 추 해보았다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을 상의 배경 상 주체

북한 측 상 주체 주요 상 내용 상 규모 상 이행 상황을 심

으로 비교해보면 아래의 lt표 1gt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lt표 1gt 나진항 3호 부두 사용권과 관련된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주요 사항

52)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나희승 ldquo남북 sdot 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53)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1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3

국 러시아

과정

- 2004년 기본 합의 완료

- 2005년 3월 24일 MOU 체결

- 2005년 7월 합 회사 설립

- 2005년 9월 본계약 체결

- 2006년 1월 북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합 회사 설립 비

- 2004년 7월 나진-하산 로젝트로 논의

축소 나진항 사용에 한 명시

- 2006년 7월 남-북-러 3자 철도 운 자

회의 나진-하산 화 사업 합의

- 2007년 남한 투자 련 MOU

- 2008년 한국 참여 실패

- 2008년 4월 북-러 나진 하산 철도

화 나진항 3호부두 개발에 한 력

합의서 체결

이행

- 2006년 5월 사업 조사 완료 비

- 2006년 10월 착공 연기

- 2007년 2월 길림성 lsquo두만강유역

개방개발 가속화 방안rsquo 마련

- 2008년 4월 훈춘 둥린회사 외국

투자 유치 난항 최종 실패

- 2008년 4월 라손콘트란스 설립

- 2008년 10월 나진-하산 철도구간 개보수

착공식 후 공사 지연

- 2011년 철도 건설 사업 재개

- 2013-2014년 철도와 부두 개보수 완료

상 주체상 시작 지방 정부

상 과정 민간기업 훈춘시 지원

상 시작 러시아 앙 정부

상 실무 러시아 철도부 RZD54)

북한측 상

주체나선시 인민 원회

-북한 앙 정부

- 상 실무 북한 철도성 육해운성

실무 계자

투자 규모

lt 체 규모gt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

lt본 계약 규모gt

3000만 유로

(24억 RMB 약 3600만 USD) agrave미이행

lt계약 시기gt

총 21억 USD 러시아가 126억 USD

lt이행기gt 철도연결에 55억 루블 지출 터

미 공사에 35억 루블 지출

(약 11억 USD)

이 같은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의 비교를 토 로 러시아와 국의

상력 각국이 구사한 상 략을 비교해보고 러시아가 상에서 유

리한 결과를 낼 수 있었던 요인과 러시아의 략 인 목표를 유추해볼 것

이다

54) 러시아 정부는 2001년부터 자국의 철도 개 을 진행하여 철도부(Railway Ministry)를 국

주식회사인 RZD와 정책 담당 부서인 교통부(Ministry of Transport) 경제 발 무역

부(Ministry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rade)로 분리했다 RZD는 기존의 철도부의

시설 사업을 승계함으로써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상도 이어서 진행하게 되었다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17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우선 상력을 보기 해 상에 임한 국과 러시아의 정태 인 구조

권력을 살펴본다면 비록 총체 인 구조권력 상에서 국이 러시아에 비

해서 압도 으로 강력했으나 나진항을 둘러싸고 북한과 진행한 상사안

만 놓고 본다면 이슈 별 권력에서 러시아가 국보다는 북한에 해 우

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러시아는 북한과의 상에 한

BATNA의 차원에서 국보다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두만강 유역에서

국의 국경은 차 강 기를 따라 좁아지다가 동해를 15km 앞둔 지 에서

끝이 난다55) 그러므로 동해로 직 나갈 수 있는 항구 시설이 무한

국은 나진항 련 상이 결렬되는 경우 동해로의 출해권을 얻을 수가 없

었다 반면 러시아는 나진항 이외에도 극동지역에 여러 항구를 보유하고

있다 일부 연구가 러시아의 극동항만들이 겨울에 얼어붙는 반면 나진항

은 부동항이기 때문에 나진항의 경제 이 이 크다고 보기도 하지만 실

제로는 러시아 극동의 블라디보스톡(Vladivostok) 이남의 항구들은 모두

부동항들로 슬라비얀카(Slavianka)항 보스토치니항(Vostochny) 포시에트

(Posyet)항 자루비노(Zarubino)항 등 개발잠재력이 충분한 항구들이 이미

러시아 극동에서 운용 이다56) 따라서 북한과의 상에 한 이슈 별 권

력의 차원에서 러시아는 국보다 유리한 치에서 상을 시작했다 lsquo의

지rsquo와 lsquo통제rsquo의 측면에서도 러시아는 국보다 더 우 에 있었다 러시아-

북한의 상이 국-북한의 상에 비해서 행 자수 이 높았기 때문에

상을 성사시키기 해 상자가 활용할 수 있는 비용과 제도 인 권력

의 가용범 가 더 컸기 때문이다 상이 난 에 착한 상황에서 러시아

55) James Cotton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1086 Cho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pp51ndash53

56) 특히 19세기와 20세기 반에는 러시아 극동에서 부동항에 한 수요가 컸고 그런 맥락에

서 나진항의 요성이 강조되었다 이와 하여 다음을 참조 Ibid pp52ndash55 백 기 ldquo러

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백 기 최정수 최재희 (편)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동북아역사재단 2007 pp23ndash62

한편 러시아 극동의 항만시설과 해서는 다음을 참조 Robert North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74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5

가 상 체의 틀을 다시 짜는 선택을 할 수 있었던 것이나 남한의 투자

가 결렬된 이후 막 한 비용을 들일 수 있었던 것은 모두 행 자 수 이

높아짐으로써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해 수 있는 범 가 넓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실제로 상이 시작된 2000년 반 푸틴 통령은 자신이 추구하는

로 상을 진행시키기 해 국내정치 으로 의견을 결집시켰다 당시

러시아 료들은 북한과의 철도연결을 재개하는 것에 해서 비 이었

다 러시아 철도부 장 이었던 데 (Guenaddy Fadeyev)는 TKR-TSR

은 투자비용도 무 크고 정치 험도도 높은 사업이라며 회의 인 견

해를 피력하기까지 했다57) 그러나 푸틴은 사업을 lsquo 요한 사업rsquo이라고

못 박았고 데 로 하여 사업이 확실한(promising) 사업이라고

발언하게 했다 이러한 푸틴의 응에 의해 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국

내 으로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 차단되었고 상이행에 한 푸틴

의 강력한 의지가 러시아 국내에 확인되었다

러-북 간의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강력한 지지 속에서 이루어졌다

는 은 상 실무주체가 RZD 다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RZD는 단순히

러시아 철도부가 진행하던 사업의 권한을 승계한 공기업이 아니라 푸틴

의 국내정치권력의 핵심기 의 하나 다 RZD 사장인 야쿠닌(Vladimir

Yakunin)은 푸틴의 최측근 실로비키(silovarch) 한 명으로 차기 통령

후보로까지 거론되기도 했던 인물이다58) 야쿠닌은 나진-하산 로젝트를

RZD의 최우선 로젝트로 상정하고 상과정 내내 상자 간의 의견조

율과 외홍보에 힘을 쏟았다59) 따라서 RZD가 상을 주도했다는 은

나진-하산 로젝트 련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심 속에서 진행되

었다는 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57)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AsiaDH27Ag01html

58) Daniel Treisman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4ndash145

59)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pp228ndash229

17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편 국의 입장에서 상자의 수 이 낮았던 것은 -북 간 상이

실패한 결정 인 원인이었다 국의 상자 수 이 낮은 상황에서 북한

측도 이에 맞춰 상자의 수 이 낮아지게 되면서 양 국은 상의 이행을

한 재량권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실제로 국과의 상에 임했던 나

선시 인민 원회는 상의 출발단계에서부터 국 측이 원한 상 목표인

부두시설 임 에 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나진항의 부두 시설에

한 권한은 으로 북한 육해운성의 소 이기 때문에 나선시 인민 원

회는 부두사용권을 놓고 국과 의하는 것이 처음부터 불가능했기 때문

이다60)

이처럼 러시아는 상의 구조 권력에서 국보다 우 에 있었기 때문

에 다양한 략 선택지를 가지고 상의 교착상황에서 상 방의 입장

을 받아들이는 수용 략을 취함으로써 상이 지속되도록 했다 표 으

로 러시아는 2004년에는 TSR-TKR 연결 사업에서 이탈하려는 북한의 의

사를 반 하여 상의 틀을 축소했으며 2008년에 한국의 투자가 무 로

돌아가면서 상의 이행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자국의 자본을 100 투자

하여 북한과 합의된 사항을 이행했다

러시아가 이와 같은 상 략을 취한 이유를 R-O 모형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우선 러시아는 수용 인 략기조를 유지했기 때문에 상을

통해서 결과이익보다는 계이익을 추구했다고 여겨진다 나진항을 통해

서 얻고자 하는 결과이익은 항만시설을 통한 출해권 확보일 것이다 반

로 이 상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계이익은 상 상 국인 북한과의

계 향상일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의 략 선택은 러시아가 상을

통해 장기 으로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고 략 인 차원에서 장기 으

로 북한에 한 력을 지속시키고자 했다는 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60) 당시 국 둥린 회사를 도와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와의 상에 참여했던 국 훈춘시 지

방 정부 계자 면담에서 계자는 당시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도 외합작 경험이 부족

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권한범 에 한 인식이 부족했었다고 진단했다 2015년

2월 훈춘시정부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7

실제로 푸틴 통령은 상 기 경제 인 손실을 우려하는 국내 료들

의 불안감에 해 상은 요한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이 상의 목

표가 단기 인 경제성에 놓인 것이 아님을 명확하게 했다61)

상이 시작되던 2001년의 시기 배경을 고려해 보면 러시아가 계

이익 다시 말하자면 략 이고 장기 인 차원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

다는 이론상의 설명은 실성이 있다고 단된다 나진항만을 둘러싼 러

시아-북한 간의 상이 TSR-TKR의 연결 사업으로 첫 발을 디뎠던 2000

년 당시 러시아는 푸틴 통령의 집권으로 인해 국내정치 혼란을 바로

잡은 후 소련붕괴와 한반도정책의 실패로 인해 상실한 아시아 지역에

한 략 향력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 때 러시아가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러시아의 향력을 회복하기

해서는 상실했던 북한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만 했다 동아시아와

해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은 경제 으로나 인구 으로나 동아시아 주변

국에 비해 제한 인 역량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 시기

이래로 러시아가 지속 으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에서 주요세력으로 자

리매김했던 것은 소련과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략 인 계가 유지되

었기 때문이다62) 특히 소 계가 악화된 이후 소련은 소련에 한 북한

의 일방 인 의존을 활용하여 아시아 국제 계에서 략 버리지를

유지해 왔다63)

61)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62) Peggy Falkenheim Meyer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14ndash 221

Pavel A Minakir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p32ndash 50

Tamara Troyakova amp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ndash 37

63) John W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ndash53 Gilbert Rozman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 Stephan Blank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pp78ndash82

17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그러나 90년 들어 소련은 북한에 해 가지고 있던 향력을 상실하

면서 아시아의 정치무 에서 배제되게 되었다 1980년 후반 소련은 경

제 이익을 기 하며 남한과의 계수립에 힘썼고 1990년 남한과의 국

교를 정상화하기에 이르 다 게다가 소련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의 수장

으로 취임한 친(Boris Yeltsin) 통령은 서방과의 계회복을 기 하며

민주 가치와 자유를 존 하는 러시아의 모습을 보이기 해 공산독재국

가 던 북한과 의도 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공식

외교채 은 단 되었으며 러시아는 그 동안 북한에게 무상으로 제공

해 왔던 석유지원을 단했으며 러시아의 무기를 북한에 수출하지 않겠

다고 밝혔다64) 당시 러시아 외교부장 이었던 코지 (Andrei Kozyrev)

는 북한의 인권침해를 공식 으로 비 하면서 북한의 정치 변화를 구

하기까지 했다65) 결과 으로 한반도에서의 러시아의 외교정책 인 환

은 냉 기부터 긴 하게 유지되었던 러시아와 북한의 정치 연결고리를

약화시켰으며 북한은 러시아에 해서 가지고 있던 우호 인 시선을 거

두어들이게 되었다66) 그러나 러시아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이 사라진 것은 러시아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

제 계에서도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다 러시아가 북한에 해 정치

향력을 발휘할 것을 기 하며 러시아와의 계개선을 추진했던 남한은 러

시아가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을 상실하자 러시아를 외교 으로 등

한시했다67) 게다가 소련의 붕괴 이후 러시아의 통 인 향권에 한

64) Seung-ho Jo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ndash130 David Wolff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

booksdprkbbrussia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Alexander

Vorontsov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p5

65)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53

66) 이정철 외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p87ndash89

67)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호 2002 pp289

ndash297 Gilbert Rozman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9

침투를 본격화한 미국은 북-러 계가 약화된 시 에서 한반도 문제의

심 인 조정자로 부상하게 되었다68) 러시아가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외교

의제에서 배제된 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사건이 바로 1차 북핵 기

다 1차 북핵 기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를 포함한 8자 회담을 통해서 북핵

문제를 보다 국제 인 차원에서 해결하기를 원했으나 결과 으로 북한에

한 향력을 상실한 러시아는 배제된 채 4자 회담의 형태로 상이 진

행되었다69)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러시아는 남북한 모두에게 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면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자국의 향력 후퇴를 막을 수 없다는

을 확인했고 남한에 과도하게 경사되었던 한반도 계를 재조정하고

남북한 균형 정책을 구사하기 시작했다70) 러시아는 친서방 성향이 강

했던 코지 를 신하여 실용 유라시아주의자 리마코 (Yevgenni

Primakov)를 외교부 장 으로 임명하고 북한과의 계 회복에 주력했

다71)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태도는 냉담했는데 이는

러시아가 여 히 경제 인 측면에서 이익을 수 있는 남한과의 계를

더 시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력과 군사력이 약화된 러시아가 북한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북한의 의구심 때문이었다72)

p41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pp23ndash46

68) Yoshinori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192 Seung-ho Joo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Ashgate 2002 pp147ndash148

69) 러시아의 근 방식에 해서 다음을 참조Evgueni Bajanov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러시아의 배제와 4자 회담에 해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7ndash298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pp194ndash196 Stephen Blank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4ndash5

70)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pp228ndash229

71) Seung-ho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ndash81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6ndash298

72)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192 P Rangsimaporn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18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상실해버린 북 향력을 회복하는 것을 북 략의 주요 목표로 삼았

던 러시아에게 나진-하산 로젝트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기

한 출발 으로 매우 한 기획이었다 우선 나진-하산 로젝트가

TSR-TKR 로젝트로 시작되던 시기는 국제정치 으로 한반도의 화해 국

면 속에서 인 국가로서 러시아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극 화되던 시 이

었다73) 당시 남한과 북한은 화를 시작하고 추가 인 력 의제들을 논

의하는 과정 에 있었다 이러한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인 라 부문에

한 이해 계를 공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실리 인 력 어젠다(agenda)

를 통해 화와 력을 지속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 인 수요를 포착

하고 TSR-TKR 연결 구상을 통해 한반도에 한 실리 인 개자로 참여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이 시기는 러시아의 근에 해서

회의 인 입장을 견지하던 북한도 자국의 국내 정치상황으로 인해 입장을

바꾸던 때 다 당시 나진-선 을 통해서 개 개방을 도모하던 북한은 나

진선 지 개발에 한 외국투자를 극 으로 유치했다74) 때문에 러시

아의 근에 한 북한의 반응도 비교 정 이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나진항을 포함한 북한의 항만 시설 철도 인 라 시

설에 해서 확실한 기술 우 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과의 인

라 력 부문에서 확실한 강 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부터 1990년

까지 소련은 북한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등을 직 건설했으며 나진

항의 화 역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75) 소련은 이

게 개발한 나진항에 해서 공식 인 우선권을 인정받고(1978) 이를 소

Palgrave Macmillan 2009 pp62ndash64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p477

73) In-kon Yeo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ndash115

74)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75) 안병민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남

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pp1ndash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10: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16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치의 범 22)는 상자가 내부 집단에서 어떠한 지 에 있는가와 한

련이 있다 퍼트남에 따르면 상자의 셋(win-set)은 국내게임에서

상자가 결집시킬 수 있는 연합(coalition)의 규모 상자가 제도

(institutional)으로 동원할 수 있는 국내권력과 하게 연 되어 있다23)

그러므로 상자가 국내집단에서 높은 지 에 있을수록 자신의 lsquo의지rsquo를

철시키기 해서 보다 많은 lsquo통제력rsquo을 발휘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 상에서 더 넓은 -셋을 가지게 되며 다양한 략 인

옵션을 보유하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24) 반 로 상자의 지 가 낮으

면 국내게임 상에서 제한된 동의만을 가지고 상 방과 상을 진행해야

하므로 상타결을 해서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하는 략을 활용할 수

있는 여지는 감소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국제 상에서 상자의 지 가 높을수록 상 결과에 해 더 높

은 의지를 가지고 강한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상자의 지 가

높을수록 합의가능지 이 확장되며 략 으로도 더 넓은 선택지가 주어

진다 따라서 지 가 높은 상자는 지 가 낮은 상자에 비해 더욱 다양

한 략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지 가 높은 상자는 상 방의 입장을 더

수용해 주는 력 인 략을 구사할 수도 있고 경쟁 이고 강경하게 자

신의 입장을 고수하는 략을 택할 수도 있는 반면 지 가 낮은 상자가

자의 상 략을 선택할 수 있는 여지는 높지 않다

그러나 상자의 지 가 높은 경우 략 선택 범 가 넓고 더 많은

상력을 보유할 수도 있다고 논의한 것만으로는 상자가 특정 상

략을 채택한 이유를 밝히기 쉽지 않다 따라서 특정한 상 략이 채택되

는 이유에 해 상이론은 어떤 설명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

다 따라서 다음 장에서는 상이론이 상 략을 어떻게 유형화하고 특

22) 퍼트남은 이를 -셋(win-set)이라는 용어로 표 했다 Putnam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pp435ndash441

23) Ibid pp441ndash450

24) Menkel-meadow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pp421ndash422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3

정한 상 략이 채택되는 배경을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B 협상전략과 협상목표

상 략이론은 상 략이 상자가 상에 해 가지고 있는 목표와

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에서 착안하여 상 략과 상목표를 유형

화시킴으로써 상참가자의 의도를 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컨

이 이해 계모델(the dual concerns model)은 상에서 일어나는 행 자

의 략을 양보(yielding) 문제해결(problem-solving) 무 심(inaction) 투

쟁(contending)으로 분류하고 의 선택지 에 상자가 특정 략을 채

택하는 데에는 크게 두 가지 요소(자기 자신의 이익에 한 심 상 상

방의 이익에 한 심)가 결정 향을 미친다고 보았다25) 이 모형을

더 발 시킨 키(Lewicki)가 히엄(Hiam)은 합리 행 자라면 상을

통한 이익이 담보되어야 상에 임한다고 보고 상자가 자신의 결과

이익보다 상 방의 이익에 해 심이 있는 경우는 결국 상 방의 이익

을 보장해 으로써 상 방과의 계가 향상되기를 기 하는 것으로 해석

된다고 보았다26) 이러한 문제의식을 통해 R-O모델(Relationship-Outcome

Model)이 제시되는데 이 모델은 상자의 상목표를 크게 계(relationship)

이익과 결과(outcome)이익으로 구분한다 이 때 계이익은 상자가 상

방의 결과이익을 보장함으로써 계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을 의미하고

결과이익은 상자가 상을 통해서 구체 인 성과를 추구하는 것을 의미

한다

이러한 R-O 모델은 행 자가 계이익과 결과이익 어떤 것을 추구하

는지는 상 상 방과의 계의 지속성 연계 이슈에 따라 좌우된다27)

단발 인 거래상황이나 상자와 상 상 방 사이의 계가 별로 형성

25) Lewicki Saunders and Barry Negotiation pp22ndash24

26) Roy J Lewicki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pp22ndash31

27) Roy J Lewicki et al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chap 2ndash4

16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자는 주로 결과이익을 추구한다 한편 상자

가 상을 통해 상 방과의 계개선 안정을 도모하고 추후 지속될

상에서 더 큰 이익이 상되는 장기 인 거래 상황에서 주로 계이익이

추구된다 국가 간의 상 상황에서 이러한 논의를 확 하여 용해보면

계이익을 추구하는 상자는 주로 장기 외교 략 인 목표에 무게

심을 두는 반면 결과이익을 추구하는 상자는 주로 단기 경제 목표

를 더 염두에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R-O 모형은 행 자가 어떤 이익을 추구하는지에 따라서 행 자

의 상 략이 선택되고 구사된다고 주장하고 상 략을 크게 4가지로

유형화했다 상에서 상되는 단기 인 이익보다 장기 이고 략 인

측면에서 상 방과의 계유지가 요한 경우 상자는 자신의 이익이

보장되지 않더라도 상 방의 입장을 수용(accommodating)하는 략을 취

한다 상을 통해서 상 방과의 계도 향상되고 결과도 좋을 것이 측

되는 호혜 인 상황에서는 력 략(collaboration)이 구사된다 한편

상을 통해서 얻는 단기 이익도 없고 상으로 인해 보장되는 상 방

의 이익도 불분명하면 상 행 자는 상을 회피(avoiding)하는 략을

선택하게 된다 만약 상을 통해서 얻게 될 결과 이익이 실한 경우에

상자는 상 방과의 계가 손상되더라도 자신의 상성과를 해서 경

쟁 (competing) 수단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자는 상을 단발성

으로 인식하게 되고 비윤리 인 행 나 행 등 도 서슴지 않게 된다

아래의 [그림 2]는 상술한 내용에 의거하여 상자가 자신의 의도와 목

에 따라 어떤 략을 선택하는지를 도식화한 것이다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5

[그림 2] R-O 모델(협상전략-협상목표의 상관성 모형) 한글은 필자 수정28)

이상의 논의를 살펴보았을 때 상이론의 분석 틀을 활용하여 상

행 자의 안유무 상행 자의 수 에서 비롯되는 의지와 통제력의 차

이 상 략과 그 의도를 분석한다면 개별 상에서 행 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상력의 정도와 가용한 상 략을 개략 으로 평가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자가 특정한 상 략을 선택한 의도를 유추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다음 장에서는 상이론의 논의를 통해 도출한 분석

틀을 활용하여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과정을 비교하고

상에서의 우 를 한 러시아가 어떻게 상력을 재고할 수 있었고 어

떤 략을 구사했는지를 살피고 러시아가 나진항 개발사업에 극 인

략을 구사한 이유를 유추해보고 실제 국제정치 맥락에서 이러한 유추

가 설명력을 지니는지 평가해본다

28) Lewicki and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pp24ndash32

1 계 시형

수용 략

2 호혜 상황

력 략

3 상 미발생

회피 략

4 단발성 거래

경쟁 략

16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III 나진항을 둘러싼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과정

A 중국-북한의 협상과 러시아-북한의 협상과정 비교

본 장에서는 나진항 3호 부두에 한 국과 러시아의 상과정을 정리

하고 -북간 상과 러-북간 상의 특징을 각각 서술하고 이를 종합하여

비교한다 이를 해 국과 러시아 각 국의 상이 일어난 배경과 상

단계 단계별 상 주체 이에 따른 북한 측 상 주체 상 결과의 내용

상 시기의 주요한 환경 요인 상의 이행 결과를 국가 별로 나 어서

정리할 것이다

(1) 중국-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 부두 사용권에 한 국의 근은 국 훈춘시에서 구상한 도

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路-港-區一體化)에서 비롯되었다 2000년

북한은 국과 러시아 사이의 물동량이 폭 확 되면서 포시에트항이 나

진항을 체할 항구로 부상하는 것에 응하여 나진-선 도로망 폭 개

선 계획을 발표하는데 이 계획의 핵심 구상이 바로 나진항과 훈춘을 도로

로 연결하는 것이었다29) 막 있는 바닷길을 뚫고 동해로의 진출을 모색

하던 국 훈춘 시정부는 이러한 북한의 구상에 응하여 훈춘에서 나진

항까지 연결된 도로를 화하고 나진항을 거 항만으로 확보하고 항만

배후부지를 산업 물류단지로 개발하는 것을 골자로 한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를 구상했다30) 이 구상을 토 로 2003년 12월 12일과 21

일 훈춘시 정부 길림성 정부 계자 항만 개발업체로 구성된 상

표단이 북한 측에 나진항 추가 확장 계획을 제의하는 과정에서 나진과

29)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곽복선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

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30)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3ndash73 徐家军amp李泽 ls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squo 新浪財經 200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7

국을 잇는 도로 배후부지 개발을 조건으로 국이 나진항 부두시설

일부를 50년 간 독 사용하는 상의 기본 틀이 세워졌다31)

주목할 은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에 한 국 앙정부차

원의 심은 국과 북한의 지방정부 간 상이 시작되던 시 보다 늦게

발되었다는 것이다 2003년 당시 국 정부는 본격 으로 낙후된 동북

지역을 진흥시키기 한 동북진흥(振兴东北) 로젝트를 구상하고 이를

해 국무원 차원에서 lsquo동북 지역을 포함한 노후 공업 기지 진흥을 한

실시 략에 한 의견rsquo을 작성했다32) 그러나 의견에는 아직 훈춘시가

구상했던 외국항구 임차를 통한 출해권 확보 목 의 도로-항만-구역 일체

화 로젝트에 한 언 은 나와 있지 않다33) 그러므로 나진항 부두 사용

권을 둘러싼 국과 북한의 상은 앙정부가 아닌 지역 활성화를 도모

하던 북한과 국의 지방정부의 자발 인 움직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상이 본격화된 이후 국 측 참여기업인 둥린유한공사(东林有限公

司 이하 둥린회사)와 국 훈춘시의 실무자들로 구성된 상단이 북한

의 나선시인민 원회와 주로 상을 가지게 되었으며 2004년 9월에 기본

합의가 이루어졌고 2005년 3월에는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장 김수열이

훈춘시에 방문하여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34) 2005년 7월에는 국

의 둥린회사와 훈춘변경경제합작구 보세유한회사(珲春边境经济合作区保

税有限公司)가 자본과 공사 자재를 투자하고 북한 나선시 인민 원회 경

제합작회사가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제공하는

합작회사가 만들어졌으며 2005년 9월에는 구체 인 사업 진행방안을 담

은 본 계약이 체결되었다35) 2006년 1월에는 북- 이 만든 합작회사가 북

31)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32) Jae Ho Chung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ndash125

33)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34) 徐家军amp李泽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p61

16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설립인가를 받게 다36)

상을 통해서 합의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37)첫째 국과 북한 사이에

설립되는 합 회사는 로젝트에 총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를

투자하여 나진항 3호 부두를 확장 건설하고 4호 부두를 신설하며 보세

가공구와 공업원구를 배후지에 건설하는 한편 나진-원정 간의 비포장 도

로 67km를 488km의 왕복 2차선 직선 포장도로로 개량하기로 했다38) 둘

째로 이러한 거 로젝트를 실시하기 한 선결조건으로 국 측은

3000만 유로(약 24억 안 3600만 USD)를 투자하여 원정-나진 간 도로

건설을 우선 시작하고 나진항 3호 부두를 개조하는 가로 나진항 3호 부

두와 향후 지어질 4호 부두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획득하기로 했다

그러나 2006년 5월 구상이 마무리되고 10월부터 착공하기로 되어있던

고속도로 건설 사업은 북한의 핵실험 둥린회사의 투자 조달 실패 등

으로 인해 착공 정일을 맞추지 못하게 되었다39) 이에 2007년에는 국

길림성 정부까지 나서 나진항 개발자 을 지원하기 해 세 징수 우 정

책까지 부여했지만 둥린회사는 자 부족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2008년 러시아와 북한의 합의에 의해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에 한

이권을 상실하게 되었다40)

35) 계약은 합 회사가 2006년 5월부터 나진-원정간 고속도로 건설을 시작하고 추후 나진

항 3호 부두를 개조하고 공업단지 보세가공구를 건설하는 조건으로 나진항 3호 부두의

50년간의 사용권을 확보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36) 의 p61

37)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

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38) 투자액에 한 미 달러 환산 액은 본 계약 완료시 인 2005년 9월의 월별 환율을 통해

필자추정

39) 당시 국 후난 학(湖南大學) 연구원을 통해 원정-나진항 도로건설에 한 실사 조사

공사 방안이 확정되었으며 10월까지 도로 주변의 나무 채벌까지 완료되면서 본격 인 착

공을 앞둔 제반 비가 마무리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pp56ndash58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40) 의 책 p5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9

(2) 러시아-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의 부두개발에 한 국과 북한의 의가 지방정부 차원에서 시

작된 반면 러시아와 북한 사이의 상은 앙정부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2000년 8월 러시아의 푸틴(Vladimir Putin) 통령은 남북한의 화해 분

기가 조성된 틈을 타 한반도 횡단 철도(Trans-Korean Railway 이하 TKR)

를 시베리아 횡단 철도(Trans-Siberian Railway 이하 TSR)와 연결하는 이

른바 lsquo철의 실크로드rsquo 구상을 김정일 국방 원장 김 통령에게

달했다41) 남북의 지도자로부터 정 인 반응을 이끌어낸 푸틴은 2001년

북middot러 정상 회담을 통해 발표된 모스크바 선언의 6항을 통해 TKR-TSR 연

결 사업에 한 북한과 러시아의 력 의지를 공식 으로 밝혔다42) 상

이 본격화된 이후 러시아는 철도부 표단을 수차례 북한에 견하여 북

한 철도성과 철도 화에 해 본격 으로 논의하기 시작했다43) 2003

년 이후 러시아 철도공사(RZD)가 러시아 철도부의 모든 인 라와 사업

로젝트를 승계함에 따라 RZD는 국 기업의 자격으로 TKR-TSR 연결

사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남-북-러 사이의 삼자 력 구도 속에서 시작된 TKR-TSR 연결

사업은 상 과정에서 노선선정 재원조달 방식 등의 주요쟁 들에

한 각국의 견해차로 인해서 곧 교착상황에 빠지게 되었다44) 그런 상황 속

에서 2002년 이후 2차 북핵 기로 인해 북한에 한 국제사회의 제재가

지속되고 남북 계가 악화되자 북한은 2004년에 TKR-TSR 연결사업에

41) Seung-ho Joo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Cornwell

Ashgate 2009 pp179ndash256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2000ne

42)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23 2007 p231

43)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pp 75ndash80

44)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 56

17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논의가 무의미하다고 밝히며 회의불참을 선언한다45) 이 게 삼각

력의 구도가 기에 착하자 RZD는 상의 구도를 북한-러시아 간 한

국-러시아 간의 상의 두 트랙으로 분리하고 양 국과 개별 인 상을

진행하여 갈등을 합하고자 했다

우선 러시아는 TSR-TKR의 체 구간을 연결하려던 기존의 구상을 축

소하여 일부 구간만을 시범 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사업 구상을 변경해

북한에게 제의했다 북한이 이에 응하면서 2004년 북-러 국경 철도 의회

는 우선 TSR과 TKR의 결 에 치한 나진-하산 간 철도 개량사업부터

시범 실시하는 것에 한 상을 시작했다46) 상은 2006년 블라디보

스토크에서 열린 남-북-러 철도 표자 회의를 통해서 구체화되었는데 그

내용은 RZD와 북한이 함께 설립하는 합작회사(Rasonkontrans 이하 라손

콘트란스)를 통해서 나진-하산간 철도 나진항 항만시설 개보수를 진행

한다는 것이었다 합의를 통해 RZD는 나진항 부두시설사용권에 한

이권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자 조달방법에 해서 북한으로부터 재량권

을 임 받았다47)

한편 RZD는 한국이 주요투자자로 로젝트에 남아있기를 원했다 따

라서 북한으로부터 투자 유치에 한 재량권을 얻고 나자 2007년 한국 철

도공사(KORAIL 이하 코 일)와 양자 상을 통해서 한국의 투자방안에

한 세부 MOU를 체결했다 MOU를 통해서 설립된 루코로지스틱스

(RUCO Logistics 이하 루코)는 코 일의 지원 하에 한국의 민간물류업체

들의 투자를 받아서 라손콘트란스의 러시아 측 지분에 투자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북한 련사업에 한 남한의 투자가 러시아를 통해 우회하

여 남북 계의 정치 불안정성이 투자에 악 향을 끼치는 것을 최소화

하고자 했다

45) 의 pp55ndash56

46) 의 pp57ndash58

47)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1

이처럼 새롭게 상 구도를 짠 결과 러시아는 남북으로부터 아래의 합

의를 이끌어냈다 첫째 나진-하산 로젝트는 TKR-TSR 연결을 한 시

범사업으로 러시아와 북한의 합작회사인 라손콘트란스가 북한의 나진항

과 러시아의 하산 사이에 54km에 이르는 철도구간을 개보수하고 나진항

의 기 인 라를 개발하는 것을 가로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을 49년 간

사용한다48) 둘째 이를 한 투자액은 총 21억 달러(USD)으로 RZD가

약 126억 달러를 분담하는 한편 루코가 러시아 지분 일부(40)를 매

입하는 방식으로 자본을 분담투자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러한 RZD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을 통한 자 조달 계획

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2008년 출범한 이명박 정부는 그간 지속되어

오던 북사업을 취소한다는 뜻을 밝히며 북한이 핵무기 로그램을 포

기하지 않는 한 규모 북경제지원사업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49)

이에 응하여 북한도 남한과의 모든 공식 을 단하면서 남북 계는

격하게 악화 고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민간기업들의 투자도 무

산 다50) 이런 상황에서 RZD는 로젝트를 이행하기 해 2008년 4월

북한과 러시아의 양자 의 형태로 새로운 합의서를 체결하고 2008년 10

월에는 나진항 부두시설 화 나진-하산 철도 화에 한 착공식

을 진행했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러시아 역시 자 형편이 여의치 않아 공

사를 일정 로 진행할 수 없었다51) 이후 러시아는 RZD의 자체 차입 자

으로 투자비를 확보하여 2011년 공사를 재개했고 2013년 나진-하산 간 철

도를 완공 후 개통시켰고 2014년부터는 보수된 나진항 3호 부두를 통해

48) 지분 구조는 RZD가 70이며 북한 철도성이 30이다 이를 해 러시아는 21억 불의

자본을 투자하고 북한은 나진항만 시설을 물로 투자한다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

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2

49) Hong Nack Kim ls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s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2008) pp 8ndash18 Chung-in Moon lsquoSouth Korea in 2008rsquo 49 2008 pp127ndash

128

50)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p64ndash65

51)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3

17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국 러시아

상배경도로-항만-구역일체화 로젝트

(훈춘시정부 차원)

TKR-TSR 연결 로젝트

( 앙 정부 차원)

상시기 2003년-2006년 2000년-2015년 진행

시작

2003년 12월 국 지방 정부 계자

기업이 북한 나선시와 논의 시작

2000년 8월- 푸틴 통령이 남북정상과

논의 시작

2001년 8월 모스크바 선언 정식 결의

석탄을 운반하기 시작했다52) 이때 러시아는 철도연결에 55억 루블(약 18

억 USD) 나진항 터미 공사에 약 35억 루블(약 11억 USD)을 투자한 것

으로 추정된다53)

요컨 2000년 러시아 최고 지도자인 푸틴의 심 속에서 시작된 상

은 2003-4년 북핵 기로 인한 북한의 상 거부 기와 2008년 이후 투자

계획의 난 을 뚫고 최종 으로 이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는 남북

한의 응에 강경하게 응하기보다는 양 국의 의견을 수용하기 한

상 방안을 제시하고 상 를 다시 상에 참여시키기 해 막 한 자 을

투자하기까지 했다 이처럼 러시아가 상을 지속하기 해 다양한 수용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면 러시아와 북한 간의 합의 역시 이행되지 못했

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B 중국-북한 러시아-북한의 협상에 대한 이론적 분석

앞 장에서는 나진항의 부두 사용권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 과

정을 추 해보았다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을 상의 배경 상 주체

북한 측 상 주체 주요 상 내용 상 규모 상 이행 상황을 심

으로 비교해보면 아래의 lt표 1gt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lt표 1gt 나진항 3호 부두 사용권과 관련된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주요 사항

52)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나희승 ldquo남북 sdot 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53)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1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3

국 러시아

과정

- 2004년 기본 합의 완료

- 2005년 3월 24일 MOU 체결

- 2005년 7월 합 회사 설립

- 2005년 9월 본계약 체결

- 2006년 1월 북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합 회사 설립 비

- 2004년 7월 나진-하산 로젝트로 논의

축소 나진항 사용에 한 명시

- 2006년 7월 남-북-러 3자 철도 운 자

회의 나진-하산 화 사업 합의

- 2007년 남한 투자 련 MOU

- 2008년 한국 참여 실패

- 2008년 4월 북-러 나진 하산 철도

화 나진항 3호부두 개발에 한 력

합의서 체결

이행

- 2006년 5월 사업 조사 완료 비

- 2006년 10월 착공 연기

- 2007년 2월 길림성 lsquo두만강유역

개방개발 가속화 방안rsquo 마련

- 2008년 4월 훈춘 둥린회사 외국

투자 유치 난항 최종 실패

- 2008년 4월 라손콘트란스 설립

- 2008년 10월 나진-하산 철도구간 개보수

착공식 후 공사 지연

- 2011년 철도 건설 사업 재개

- 2013-2014년 철도와 부두 개보수 완료

상 주체상 시작 지방 정부

상 과정 민간기업 훈춘시 지원

상 시작 러시아 앙 정부

상 실무 러시아 철도부 RZD54)

북한측 상

주체나선시 인민 원회

-북한 앙 정부

- 상 실무 북한 철도성 육해운성

실무 계자

투자 규모

lt 체 규모gt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

lt본 계약 규모gt

3000만 유로

(24억 RMB 약 3600만 USD) agrave미이행

lt계약 시기gt

총 21억 USD 러시아가 126억 USD

lt이행기gt 철도연결에 55억 루블 지출 터

미 공사에 35억 루블 지출

(약 11억 USD)

이 같은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의 비교를 토 로 러시아와 국의

상력 각국이 구사한 상 략을 비교해보고 러시아가 상에서 유

리한 결과를 낼 수 있었던 요인과 러시아의 략 인 목표를 유추해볼 것

이다

54) 러시아 정부는 2001년부터 자국의 철도 개 을 진행하여 철도부(Railway Ministry)를 국

주식회사인 RZD와 정책 담당 부서인 교통부(Ministry of Transport) 경제 발 무역

부(Ministry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rade)로 분리했다 RZD는 기존의 철도부의

시설 사업을 승계함으로써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상도 이어서 진행하게 되었다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17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우선 상력을 보기 해 상에 임한 국과 러시아의 정태 인 구조

권력을 살펴본다면 비록 총체 인 구조권력 상에서 국이 러시아에 비

해서 압도 으로 강력했으나 나진항을 둘러싸고 북한과 진행한 상사안

만 놓고 본다면 이슈 별 권력에서 러시아가 국보다는 북한에 해 우

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러시아는 북한과의 상에 한

BATNA의 차원에서 국보다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두만강 유역에서

국의 국경은 차 강 기를 따라 좁아지다가 동해를 15km 앞둔 지 에서

끝이 난다55) 그러므로 동해로 직 나갈 수 있는 항구 시설이 무한

국은 나진항 련 상이 결렬되는 경우 동해로의 출해권을 얻을 수가 없

었다 반면 러시아는 나진항 이외에도 극동지역에 여러 항구를 보유하고

있다 일부 연구가 러시아의 극동항만들이 겨울에 얼어붙는 반면 나진항

은 부동항이기 때문에 나진항의 경제 이 이 크다고 보기도 하지만 실

제로는 러시아 극동의 블라디보스톡(Vladivostok) 이남의 항구들은 모두

부동항들로 슬라비얀카(Slavianka)항 보스토치니항(Vostochny) 포시에트

(Posyet)항 자루비노(Zarubino)항 등 개발잠재력이 충분한 항구들이 이미

러시아 극동에서 운용 이다56) 따라서 북한과의 상에 한 이슈 별 권

력의 차원에서 러시아는 국보다 유리한 치에서 상을 시작했다 lsquo의

지rsquo와 lsquo통제rsquo의 측면에서도 러시아는 국보다 더 우 에 있었다 러시아-

북한의 상이 국-북한의 상에 비해서 행 자수 이 높았기 때문에

상을 성사시키기 해 상자가 활용할 수 있는 비용과 제도 인 권력

의 가용범 가 더 컸기 때문이다 상이 난 에 착한 상황에서 러시아

55) James Cotton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1086 Cho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pp51ndash53

56) 특히 19세기와 20세기 반에는 러시아 극동에서 부동항에 한 수요가 컸고 그런 맥락에

서 나진항의 요성이 강조되었다 이와 하여 다음을 참조 Ibid pp52ndash55 백 기 ldquo러

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백 기 최정수 최재희 (편)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동북아역사재단 2007 pp23ndash62

한편 러시아 극동의 항만시설과 해서는 다음을 참조 Robert North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74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5

가 상 체의 틀을 다시 짜는 선택을 할 수 있었던 것이나 남한의 투자

가 결렬된 이후 막 한 비용을 들일 수 있었던 것은 모두 행 자 수 이

높아짐으로써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해 수 있는 범 가 넓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실제로 상이 시작된 2000년 반 푸틴 통령은 자신이 추구하는

로 상을 진행시키기 해 국내정치 으로 의견을 결집시켰다 당시

러시아 료들은 북한과의 철도연결을 재개하는 것에 해서 비 이었

다 러시아 철도부 장 이었던 데 (Guenaddy Fadeyev)는 TKR-TSR

은 투자비용도 무 크고 정치 험도도 높은 사업이라며 회의 인 견

해를 피력하기까지 했다57) 그러나 푸틴은 사업을 lsquo 요한 사업rsquo이라고

못 박았고 데 로 하여 사업이 확실한(promising) 사업이라고

발언하게 했다 이러한 푸틴의 응에 의해 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국

내 으로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 차단되었고 상이행에 한 푸틴

의 강력한 의지가 러시아 국내에 확인되었다

러-북 간의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강력한 지지 속에서 이루어졌다

는 은 상 실무주체가 RZD 다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RZD는 단순히

러시아 철도부가 진행하던 사업의 권한을 승계한 공기업이 아니라 푸틴

의 국내정치권력의 핵심기 의 하나 다 RZD 사장인 야쿠닌(Vladimir

Yakunin)은 푸틴의 최측근 실로비키(silovarch) 한 명으로 차기 통령

후보로까지 거론되기도 했던 인물이다58) 야쿠닌은 나진-하산 로젝트를

RZD의 최우선 로젝트로 상정하고 상과정 내내 상자 간의 의견조

율과 외홍보에 힘을 쏟았다59) 따라서 RZD가 상을 주도했다는 은

나진-하산 로젝트 련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심 속에서 진행되

었다는 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57)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AsiaDH27Ag01html

58) Daniel Treisman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4ndash145

59)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pp228ndash229

17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편 국의 입장에서 상자의 수 이 낮았던 것은 -북 간 상이

실패한 결정 인 원인이었다 국의 상자 수 이 낮은 상황에서 북한

측도 이에 맞춰 상자의 수 이 낮아지게 되면서 양 국은 상의 이행을

한 재량권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실제로 국과의 상에 임했던 나

선시 인민 원회는 상의 출발단계에서부터 국 측이 원한 상 목표인

부두시설 임 에 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나진항의 부두 시설에

한 권한은 으로 북한 육해운성의 소 이기 때문에 나선시 인민 원

회는 부두사용권을 놓고 국과 의하는 것이 처음부터 불가능했기 때문

이다60)

이처럼 러시아는 상의 구조 권력에서 국보다 우 에 있었기 때문

에 다양한 략 선택지를 가지고 상의 교착상황에서 상 방의 입장

을 받아들이는 수용 략을 취함으로써 상이 지속되도록 했다 표 으

로 러시아는 2004년에는 TSR-TKR 연결 사업에서 이탈하려는 북한의 의

사를 반 하여 상의 틀을 축소했으며 2008년에 한국의 투자가 무 로

돌아가면서 상의 이행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자국의 자본을 100 투자

하여 북한과 합의된 사항을 이행했다

러시아가 이와 같은 상 략을 취한 이유를 R-O 모형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우선 러시아는 수용 인 략기조를 유지했기 때문에 상을

통해서 결과이익보다는 계이익을 추구했다고 여겨진다 나진항을 통해

서 얻고자 하는 결과이익은 항만시설을 통한 출해권 확보일 것이다 반

로 이 상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계이익은 상 상 국인 북한과의

계 향상일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의 략 선택은 러시아가 상을

통해 장기 으로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고 략 인 차원에서 장기 으

로 북한에 한 력을 지속시키고자 했다는 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60) 당시 국 둥린 회사를 도와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와의 상에 참여했던 국 훈춘시 지

방 정부 계자 면담에서 계자는 당시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도 외합작 경험이 부족

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권한범 에 한 인식이 부족했었다고 진단했다 2015년

2월 훈춘시정부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7

실제로 푸틴 통령은 상 기 경제 인 손실을 우려하는 국내 료들

의 불안감에 해 상은 요한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이 상의 목

표가 단기 인 경제성에 놓인 것이 아님을 명확하게 했다61)

상이 시작되던 2001년의 시기 배경을 고려해 보면 러시아가 계

이익 다시 말하자면 략 이고 장기 인 차원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

다는 이론상의 설명은 실성이 있다고 단된다 나진항만을 둘러싼 러

시아-북한 간의 상이 TSR-TKR의 연결 사업으로 첫 발을 디뎠던 2000

년 당시 러시아는 푸틴 통령의 집권으로 인해 국내정치 혼란을 바로

잡은 후 소련붕괴와 한반도정책의 실패로 인해 상실한 아시아 지역에

한 략 향력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 때 러시아가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러시아의 향력을 회복하기

해서는 상실했던 북한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만 했다 동아시아와

해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은 경제 으로나 인구 으로나 동아시아 주변

국에 비해 제한 인 역량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 시기

이래로 러시아가 지속 으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에서 주요세력으로 자

리매김했던 것은 소련과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략 인 계가 유지되

었기 때문이다62) 특히 소 계가 악화된 이후 소련은 소련에 한 북한

의 일방 인 의존을 활용하여 아시아 국제 계에서 략 버리지를

유지해 왔다63)

61)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62) Peggy Falkenheim Meyer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14ndash 221

Pavel A Minakir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p32ndash 50

Tamara Troyakova amp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ndash 37

63) John W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ndash53 Gilbert Rozman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 Stephan Blank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pp78ndash82

17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그러나 90년 들어 소련은 북한에 해 가지고 있던 향력을 상실하

면서 아시아의 정치무 에서 배제되게 되었다 1980년 후반 소련은 경

제 이익을 기 하며 남한과의 계수립에 힘썼고 1990년 남한과의 국

교를 정상화하기에 이르 다 게다가 소련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의 수장

으로 취임한 친(Boris Yeltsin) 통령은 서방과의 계회복을 기 하며

민주 가치와 자유를 존 하는 러시아의 모습을 보이기 해 공산독재국

가 던 북한과 의도 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공식

외교채 은 단 되었으며 러시아는 그 동안 북한에게 무상으로 제공

해 왔던 석유지원을 단했으며 러시아의 무기를 북한에 수출하지 않겠

다고 밝혔다64) 당시 러시아 외교부장 이었던 코지 (Andrei Kozyrev)

는 북한의 인권침해를 공식 으로 비 하면서 북한의 정치 변화를 구

하기까지 했다65) 결과 으로 한반도에서의 러시아의 외교정책 인 환

은 냉 기부터 긴 하게 유지되었던 러시아와 북한의 정치 연결고리를

약화시켰으며 북한은 러시아에 해서 가지고 있던 우호 인 시선을 거

두어들이게 되었다66) 그러나 러시아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이 사라진 것은 러시아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

제 계에서도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다 러시아가 북한에 해 정치

향력을 발휘할 것을 기 하며 러시아와의 계개선을 추진했던 남한은 러

시아가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을 상실하자 러시아를 외교 으로 등

한시했다67) 게다가 소련의 붕괴 이후 러시아의 통 인 향권에 한

64) Seung-ho Jo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ndash130 David Wolff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

booksdprkbbrussia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Alexander

Vorontsov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p5

65)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53

66) 이정철 외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p87ndash89

67)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호 2002 pp289

ndash297 Gilbert Rozman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9

침투를 본격화한 미국은 북-러 계가 약화된 시 에서 한반도 문제의

심 인 조정자로 부상하게 되었다68) 러시아가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외교

의제에서 배제된 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사건이 바로 1차 북핵 기

다 1차 북핵 기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를 포함한 8자 회담을 통해서 북핵

문제를 보다 국제 인 차원에서 해결하기를 원했으나 결과 으로 북한에

한 향력을 상실한 러시아는 배제된 채 4자 회담의 형태로 상이 진

행되었다69)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러시아는 남북한 모두에게 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면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자국의 향력 후퇴를 막을 수 없다는

을 확인했고 남한에 과도하게 경사되었던 한반도 계를 재조정하고

남북한 균형 정책을 구사하기 시작했다70) 러시아는 친서방 성향이 강

했던 코지 를 신하여 실용 유라시아주의자 리마코 (Yevgenni

Primakov)를 외교부 장 으로 임명하고 북한과의 계 회복에 주력했

다71)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태도는 냉담했는데 이는

러시아가 여 히 경제 인 측면에서 이익을 수 있는 남한과의 계를

더 시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력과 군사력이 약화된 러시아가 북한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북한의 의구심 때문이었다72)

p41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pp23ndash46

68) Yoshinori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192 Seung-ho Joo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Ashgate 2002 pp147ndash148

69) 러시아의 근 방식에 해서 다음을 참조Evgueni Bajanov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러시아의 배제와 4자 회담에 해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7ndash298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pp194ndash196 Stephen Blank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4ndash5

70)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pp228ndash229

71) Seung-ho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ndash81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6ndash298

72)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192 P Rangsimaporn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18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상실해버린 북 향력을 회복하는 것을 북 략의 주요 목표로 삼았

던 러시아에게 나진-하산 로젝트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기

한 출발 으로 매우 한 기획이었다 우선 나진-하산 로젝트가

TSR-TKR 로젝트로 시작되던 시기는 국제정치 으로 한반도의 화해 국

면 속에서 인 국가로서 러시아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극 화되던 시 이

었다73) 당시 남한과 북한은 화를 시작하고 추가 인 력 의제들을 논

의하는 과정 에 있었다 이러한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인 라 부문에

한 이해 계를 공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실리 인 력 어젠다(agenda)

를 통해 화와 력을 지속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 인 수요를 포착

하고 TSR-TKR 연결 구상을 통해 한반도에 한 실리 인 개자로 참여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이 시기는 러시아의 근에 해서

회의 인 입장을 견지하던 북한도 자국의 국내 정치상황으로 인해 입장을

바꾸던 때 다 당시 나진-선 을 통해서 개 개방을 도모하던 북한은 나

진선 지 개발에 한 외국투자를 극 으로 유치했다74) 때문에 러시

아의 근에 한 북한의 반응도 비교 정 이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나진항을 포함한 북한의 항만 시설 철도 인 라 시

설에 해서 확실한 기술 우 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과의 인

라 력 부문에서 확실한 강 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부터 1990년

까지 소련은 북한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등을 직 건설했으며 나진

항의 화 역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75) 소련은 이

게 개발한 나진항에 해서 공식 인 우선권을 인정받고(1978) 이를 소

Palgrave Macmillan 2009 pp62ndash64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p477

73) In-kon Yeo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ndash115

74)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75) 안병민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남

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pp1ndash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11: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3

정한 상 략이 채택되는 배경을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B 협상전략과 협상목표

상 략이론은 상 략이 상자가 상에 해 가지고 있는 목표와

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에서 착안하여 상 략과 상목표를 유형

화시킴으로써 상참가자의 의도를 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컨

이 이해 계모델(the dual concerns model)은 상에서 일어나는 행 자

의 략을 양보(yielding) 문제해결(problem-solving) 무 심(inaction) 투

쟁(contending)으로 분류하고 의 선택지 에 상자가 특정 략을 채

택하는 데에는 크게 두 가지 요소(자기 자신의 이익에 한 심 상 상

방의 이익에 한 심)가 결정 향을 미친다고 보았다25) 이 모형을

더 발 시킨 키(Lewicki)가 히엄(Hiam)은 합리 행 자라면 상을

통한 이익이 담보되어야 상에 임한다고 보고 상자가 자신의 결과

이익보다 상 방의 이익에 해 심이 있는 경우는 결국 상 방의 이익

을 보장해 으로써 상 방과의 계가 향상되기를 기 하는 것으로 해석

된다고 보았다26) 이러한 문제의식을 통해 R-O모델(Relationship-Outcome

Model)이 제시되는데 이 모델은 상자의 상목표를 크게 계(relationship)

이익과 결과(outcome)이익으로 구분한다 이 때 계이익은 상자가 상

방의 결과이익을 보장함으로써 계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을 의미하고

결과이익은 상자가 상을 통해서 구체 인 성과를 추구하는 것을 의미

한다

이러한 R-O 모델은 행 자가 계이익과 결과이익 어떤 것을 추구하

는지는 상 상 방과의 계의 지속성 연계 이슈에 따라 좌우된다27)

단발 인 거래상황이나 상자와 상 상 방 사이의 계가 별로 형성

25) Lewicki Saunders and Barry Negotiation pp22ndash24

26) Roy J Lewicki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pp22ndash31

27) Roy J Lewicki et al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chap 2ndash4

16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자는 주로 결과이익을 추구한다 한편 상자

가 상을 통해 상 방과의 계개선 안정을 도모하고 추후 지속될

상에서 더 큰 이익이 상되는 장기 인 거래 상황에서 주로 계이익이

추구된다 국가 간의 상 상황에서 이러한 논의를 확 하여 용해보면

계이익을 추구하는 상자는 주로 장기 외교 략 인 목표에 무게

심을 두는 반면 결과이익을 추구하는 상자는 주로 단기 경제 목표

를 더 염두에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R-O 모형은 행 자가 어떤 이익을 추구하는지에 따라서 행 자

의 상 략이 선택되고 구사된다고 주장하고 상 략을 크게 4가지로

유형화했다 상에서 상되는 단기 인 이익보다 장기 이고 략 인

측면에서 상 방과의 계유지가 요한 경우 상자는 자신의 이익이

보장되지 않더라도 상 방의 입장을 수용(accommodating)하는 략을 취

한다 상을 통해서 상 방과의 계도 향상되고 결과도 좋을 것이 측

되는 호혜 인 상황에서는 력 략(collaboration)이 구사된다 한편

상을 통해서 얻는 단기 이익도 없고 상으로 인해 보장되는 상 방

의 이익도 불분명하면 상 행 자는 상을 회피(avoiding)하는 략을

선택하게 된다 만약 상을 통해서 얻게 될 결과 이익이 실한 경우에

상자는 상 방과의 계가 손상되더라도 자신의 상성과를 해서 경

쟁 (competing) 수단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자는 상을 단발성

으로 인식하게 되고 비윤리 인 행 나 행 등 도 서슴지 않게 된다

아래의 [그림 2]는 상술한 내용에 의거하여 상자가 자신의 의도와 목

에 따라 어떤 략을 선택하는지를 도식화한 것이다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5

[그림 2] R-O 모델(협상전략-협상목표의 상관성 모형) 한글은 필자 수정28)

이상의 논의를 살펴보았을 때 상이론의 분석 틀을 활용하여 상

행 자의 안유무 상행 자의 수 에서 비롯되는 의지와 통제력의 차

이 상 략과 그 의도를 분석한다면 개별 상에서 행 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상력의 정도와 가용한 상 략을 개략 으로 평가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자가 특정한 상 략을 선택한 의도를 유추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다음 장에서는 상이론의 논의를 통해 도출한 분석

틀을 활용하여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과정을 비교하고

상에서의 우 를 한 러시아가 어떻게 상력을 재고할 수 있었고 어

떤 략을 구사했는지를 살피고 러시아가 나진항 개발사업에 극 인

략을 구사한 이유를 유추해보고 실제 국제정치 맥락에서 이러한 유추

가 설명력을 지니는지 평가해본다

28) Lewicki and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pp24ndash32

1 계 시형

수용 략

2 호혜 상황

력 략

3 상 미발생

회피 략

4 단발성 거래

경쟁 략

16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III 나진항을 둘러싼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과정

A 중국-북한의 협상과 러시아-북한의 협상과정 비교

본 장에서는 나진항 3호 부두에 한 국과 러시아의 상과정을 정리

하고 -북간 상과 러-북간 상의 특징을 각각 서술하고 이를 종합하여

비교한다 이를 해 국과 러시아 각 국의 상이 일어난 배경과 상

단계 단계별 상 주체 이에 따른 북한 측 상 주체 상 결과의 내용

상 시기의 주요한 환경 요인 상의 이행 결과를 국가 별로 나 어서

정리할 것이다

(1) 중국-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 부두 사용권에 한 국의 근은 국 훈춘시에서 구상한 도

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路-港-區一體化)에서 비롯되었다 2000년

북한은 국과 러시아 사이의 물동량이 폭 확 되면서 포시에트항이 나

진항을 체할 항구로 부상하는 것에 응하여 나진-선 도로망 폭 개

선 계획을 발표하는데 이 계획의 핵심 구상이 바로 나진항과 훈춘을 도로

로 연결하는 것이었다29) 막 있는 바닷길을 뚫고 동해로의 진출을 모색

하던 국 훈춘 시정부는 이러한 북한의 구상에 응하여 훈춘에서 나진

항까지 연결된 도로를 화하고 나진항을 거 항만으로 확보하고 항만

배후부지를 산업 물류단지로 개발하는 것을 골자로 한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를 구상했다30) 이 구상을 토 로 2003년 12월 12일과 21

일 훈춘시 정부 길림성 정부 계자 항만 개발업체로 구성된 상

표단이 북한 측에 나진항 추가 확장 계획을 제의하는 과정에서 나진과

29)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곽복선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

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30)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3ndash73 徐家军amp李泽 ls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squo 新浪財經 200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7

국을 잇는 도로 배후부지 개발을 조건으로 국이 나진항 부두시설

일부를 50년 간 독 사용하는 상의 기본 틀이 세워졌다31)

주목할 은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에 한 국 앙정부차

원의 심은 국과 북한의 지방정부 간 상이 시작되던 시 보다 늦게

발되었다는 것이다 2003년 당시 국 정부는 본격 으로 낙후된 동북

지역을 진흥시키기 한 동북진흥(振兴东北) 로젝트를 구상하고 이를

해 국무원 차원에서 lsquo동북 지역을 포함한 노후 공업 기지 진흥을 한

실시 략에 한 의견rsquo을 작성했다32) 그러나 의견에는 아직 훈춘시가

구상했던 외국항구 임차를 통한 출해권 확보 목 의 도로-항만-구역 일체

화 로젝트에 한 언 은 나와 있지 않다33) 그러므로 나진항 부두 사용

권을 둘러싼 국과 북한의 상은 앙정부가 아닌 지역 활성화를 도모

하던 북한과 국의 지방정부의 자발 인 움직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상이 본격화된 이후 국 측 참여기업인 둥린유한공사(东林有限公

司 이하 둥린회사)와 국 훈춘시의 실무자들로 구성된 상단이 북한

의 나선시인민 원회와 주로 상을 가지게 되었으며 2004년 9월에 기본

합의가 이루어졌고 2005년 3월에는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장 김수열이

훈춘시에 방문하여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34) 2005년 7월에는 국

의 둥린회사와 훈춘변경경제합작구 보세유한회사(珲春边境经济合作区保

税有限公司)가 자본과 공사 자재를 투자하고 북한 나선시 인민 원회 경

제합작회사가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제공하는

합작회사가 만들어졌으며 2005년 9월에는 구체 인 사업 진행방안을 담

은 본 계약이 체결되었다35) 2006년 1월에는 북- 이 만든 합작회사가 북

31)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32) Jae Ho Chung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ndash125

33)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34) 徐家军amp李泽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p61

16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설립인가를 받게 다36)

상을 통해서 합의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37)첫째 국과 북한 사이에

설립되는 합 회사는 로젝트에 총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를

투자하여 나진항 3호 부두를 확장 건설하고 4호 부두를 신설하며 보세

가공구와 공업원구를 배후지에 건설하는 한편 나진-원정 간의 비포장 도

로 67km를 488km의 왕복 2차선 직선 포장도로로 개량하기로 했다38) 둘

째로 이러한 거 로젝트를 실시하기 한 선결조건으로 국 측은

3000만 유로(약 24억 안 3600만 USD)를 투자하여 원정-나진 간 도로

건설을 우선 시작하고 나진항 3호 부두를 개조하는 가로 나진항 3호 부

두와 향후 지어질 4호 부두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획득하기로 했다

그러나 2006년 5월 구상이 마무리되고 10월부터 착공하기로 되어있던

고속도로 건설 사업은 북한의 핵실험 둥린회사의 투자 조달 실패 등

으로 인해 착공 정일을 맞추지 못하게 되었다39) 이에 2007년에는 국

길림성 정부까지 나서 나진항 개발자 을 지원하기 해 세 징수 우 정

책까지 부여했지만 둥린회사는 자 부족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2008년 러시아와 북한의 합의에 의해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에 한

이권을 상실하게 되었다40)

35) 계약은 합 회사가 2006년 5월부터 나진-원정간 고속도로 건설을 시작하고 추후 나진

항 3호 부두를 개조하고 공업단지 보세가공구를 건설하는 조건으로 나진항 3호 부두의

50년간의 사용권을 확보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36) 의 p61

37)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

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38) 투자액에 한 미 달러 환산 액은 본 계약 완료시 인 2005년 9월의 월별 환율을 통해

필자추정

39) 당시 국 후난 학(湖南大學) 연구원을 통해 원정-나진항 도로건설에 한 실사 조사

공사 방안이 확정되었으며 10월까지 도로 주변의 나무 채벌까지 완료되면서 본격 인 착

공을 앞둔 제반 비가 마무리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pp56ndash58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40) 의 책 p5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9

(2) 러시아-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의 부두개발에 한 국과 북한의 의가 지방정부 차원에서 시

작된 반면 러시아와 북한 사이의 상은 앙정부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2000년 8월 러시아의 푸틴(Vladimir Putin) 통령은 남북한의 화해 분

기가 조성된 틈을 타 한반도 횡단 철도(Trans-Korean Railway 이하 TKR)

를 시베리아 횡단 철도(Trans-Siberian Railway 이하 TSR)와 연결하는 이

른바 lsquo철의 실크로드rsquo 구상을 김정일 국방 원장 김 통령에게

달했다41) 남북의 지도자로부터 정 인 반응을 이끌어낸 푸틴은 2001년

북middot러 정상 회담을 통해 발표된 모스크바 선언의 6항을 통해 TKR-TSR 연

결 사업에 한 북한과 러시아의 력 의지를 공식 으로 밝혔다42) 상

이 본격화된 이후 러시아는 철도부 표단을 수차례 북한에 견하여 북

한 철도성과 철도 화에 해 본격 으로 논의하기 시작했다43) 2003

년 이후 러시아 철도공사(RZD)가 러시아 철도부의 모든 인 라와 사업

로젝트를 승계함에 따라 RZD는 국 기업의 자격으로 TKR-TSR 연결

사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남-북-러 사이의 삼자 력 구도 속에서 시작된 TKR-TSR 연결

사업은 상 과정에서 노선선정 재원조달 방식 등의 주요쟁 들에

한 각국의 견해차로 인해서 곧 교착상황에 빠지게 되었다44) 그런 상황 속

에서 2002년 이후 2차 북핵 기로 인해 북한에 한 국제사회의 제재가

지속되고 남북 계가 악화되자 북한은 2004년에 TKR-TSR 연결사업에

41) Seung-ho Joo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Cornwell

Ashgate 2009 pp179ndash256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2000ne

42)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23 2007 p231

43)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pp 75ndash80

44)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 56

17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논의가 무의미하다고 밝히며 회의불참을 선언한다45) 이 게 삼각

력의 구도가 기에 착하자 RZD는 상의 구도를 북한-러시아 간 한

국-러시아 간의 상의 두 트랙으로 분리하고 양 국과 개별 인 상을

진행하여 갈등을 합하고자 했다

우선 러시아는 TSR-TKR의 체 구간을 연결하려던 기존의 구상을 축

소하여 일부 구간만을 시범 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사업 구상을 변경해

북한에게 제의했다 북한이 이에 응하면서 2004년 북-러 국경 철도 의회

는 우선 TSR과 TKR의 결 에 치한 나진-하산 간 철도 개량사업부터

시범 실시하는 것에 한 상을 시작했다46) 상은 2006년 블라디보

스토크에서 열린 남-북-러 철도 표자 회의를 통해서 구체화되었는데 그

내용은 RZD와 북한이 함께 설립하는 합작회사(Rasonkontrans 이하 라손

콘트란스)를 통해서 나진-하산간 철도 나진항 항만시설 개보수를 진행

한다는 것이었다 합의를 통해 RZD는 나진항 부두시설사용권에 한

이권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자 조달방법에 해서 북한으로부터 재량권

을 임 받았다47)

한편 RZD는 한국이 주요투자자로 로젝트에 남아있기를 원했다 따

라서 북한으로부터 투자 유치에 한 재량권을 얻고 나자 2007년 한국 철

도공사(KORAIL 이하 코 일)와 양자 상을 통해서 한국의 투자방안에

한 세부 MOU를 체결했다 MOU를 통해서 설립된 루코로지스틱스

(RUCO Logistics 이하 루코)는 코 일의 지원 하에 한국의 민간물류업체

들의 투자를 받아서 라손콘트란스의 러시아 측 지분에 투자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북한 련사업에 한 남한의 투자가 러시아를 통해 우회하

여 남북 계의 정치 불안정성이 투자에 악 향을 끼치는 것을 최소화

하고자 했다

45) 의 pp55ndash56

46) 의 pp57ndash58

47)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1

이처럼 새롭게 상 구도를 짠 결과 러시아는 남북으로부터 아래의 합

의를 이끌어냈다 첫째 나진-하산 로젝트는 TKR-TSR 연결을 한 시

범사업으로 러시아와 북한의 합작회사인 라손콘트란스가 북한의 나진항

과 러시아의 하산 사이에 54km에 이르는 철도구간을 개보수하고 나진항

의 기 인 라를 개발하는 것을 가로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을 49년 간

사용한다48) 둘째 이를 한 투자액은 총 21억 달러(USD)으로 RZD가

약 126억 달러를 분담하는 한편 루코가 러시아 지분 일부(40)를 매

입하는 방식으로 자본을 분담투자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러한 RZD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을 통한 자 조달 계획

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2008년 출범한 이명박 정부는 그간 지속되어

오던 북사업을 취소한다는 뜻을 밝히며 북한이 핵무기 로그램을 포

기하지 않는 한 규모 북경제지원사업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49)

이에 응하여 북한도 남한과의 모든 공식 을 단하면서 남북 계는

격하게 악화 고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민간기업들의 투자도 무

산 다50) 이런 상황에서 RZD는 로젝트를 이행하기 해 2008년 4월

북한과 러시아의 양자 의 형태로 새로운 합의서를 체결하고 2008년 10

월에는 나진항 부두시설 화 나진-하산 철도 화에 한 착공식

을 진행했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러시아 역시 자 형편이 여의치 않아 공

사를 일정 로 진행할 수 없었다51) 이후 러시아는 RZD의 자체 차입 자

으로 투자비를 확보하여 2011년 공사를 재개했고 2013년 나진-하산 간 철

도를 완공 후 개통시켰고 2014년부터는 보수된 나진항 3호 부두를 통해

48) 지분 구조는 RZD가 70이며 북한 철도성이 30이다 이를 해 러시아는 21억 불의

자본을 투자하고 북한은 나진항만 시설을 물로 투자한다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

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2

49) Hong Nack Kim ls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s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2008) pp 8ndash18 Chung-in Moon lsquoSouth Korea in 2008rsquo 49 2008 pp127ndash

128

50)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p64ndash65

51)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3

17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국 러시아

상배경도로-항만-구역일체화 로젝트

(훈춘시정부 차원)

TKR-TSR 연결 로젝트

( 앙 정부 차원)

상시기 2003년-2006년 2000년-2015년 진행

시작

2003년 12월 국 지방 정부 계자

기업이 북한 나선시와 논의 시작

2000년 8월- 푸틴 통령이 남북정상과

논의 시작

2001년 8월 모스크바 선언 정식 결의

석탄을 운반하기 시작했다52) 이때 러시아는 철도연결에 55억 루블(약 18

억 USD) 나진항 터미 공사에 약 35억 루블(약 11억 USD)을 투자한 것

으로 추정된다53)

요컨 2000년 러시아 최고 지도자인 푸틴의 심 속에서 시작된 상

은 2003-4년 북핵 기로 인한 북한의 상 거부 기와 2008년 이후 투자

계획의 난 을 뚫고 최종 으로 이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는 남북

한의 응에 강경하게 응하기보다는 양 국의 의견을 수용하기 한

상 방안을 제시하고 상 를 다시 상에 참여시키기 해 막 한 자 을

투자하기까지 했다 이처럼 러시아가 상을 지속하기 해 다양한 수용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면 러시아와 북한 간의 합의 역시 이행되지 못했

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B 중국-북한 러시아-북한의 협상에 대한 이론적 분석

앞 장에서는 나진항의 부두 사용권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 과

정을 추 해보았다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을 상의 배경 상 주체

북한 측 상 주체 주요 상 내용 상 규모 상 이행 상황을 심

으로 비교해보면 아래의 lt표 1gt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lt표 1gt 나진항 3호 부두 사용권과 관련된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주요 사항

52)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나희승 ldquo남북 sdot 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53)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1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3

국 러시아

과정

- 2004년 기본 합의 완료

- 2005년 3월 24일 MOU 체결

- 2005년 7월 합 회사 설립

- 2005년 9월 본계약 체결

- 2006년 1월 북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합 회사 설립 비

- 2004년 7월 나진-하산 로젝트로 논의

축소 나진항 사용에 한 명시

- 2006년 7월 남-북-러 3자 철도 운 자

회의 나진-하산 화 사업 합의

- 2007년 남한 투자 련 MOU

- 2008년 한국 참여 실패

- 2008년 4월 북-러 나진 하산 철도

화 나진항 3호부두 개발에 한 력

합의서 체결

이행

- 2006년 5월 사업 조사 완료 비

- 2006년 10월 착공 연기

- 2007년 2월 길림성 lsquo두만강유역

개방개발 가속화 방안rsquo 마련

- 2008년 4월 훈춘 둥린회사 외국

투자 유치 난항 최종 실패

- 2008년 4월 라손콘트란스 설립

- 2008년 10월 나진-하산 철도구간 개보수

착공식 후 공사 지연

- 2011년 철도 건설 사업 재개

- 2013-2014년 철도와 부두 개보수 완료

상 주체상 시작 지방 정부

상 과정 민간기업 훈춘시 지원

상 시작 러시아 앙 정부

상 실무 러시아 철도부 RZD54)

북한측 상

주체나선시 인민 원회

-북한 앙 정부

- 상 실무 북한 철도성 육해운성

실무 계자

투자 규모

lt 체 규모gt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

lt본 계약 규모gt

3000만 유로

(24억 RMB 약 3600만 USD) agrave미이행

lt계약 시기gt

총 21억 USD 러시아가 126억 USD

lt이행기gt 철도연결에 55억 루블 지출 터

미 공사에 35억 루블 지출

(약 11억 USD)

이 같은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의 비교를 토 로 러시아와 국의

상력 각국이 구사한 상 략을 비교해보고 러시아가 상에서 유

리한 결과를 낼 수 있었던 요인과 러시아의 략 인 목표를 유추해볼 것

이다

54) 러시아 정부는 2001년부터 자국의 철도 개 을 진행하여 철도부(Railway Ministry)를 국

주식회사인 RZD와 정책 담당 부서인 교통부(Ministry of Transport) 경제 발 무역

부(Ministry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rade)로 분리했다 RZD는 기존의 철도부의

시설 사업을 승계함으로써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상도 이어서 진행하게 되었다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17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우선 상력을 보기 해 상에 임한 국과 러시아의 정태 인 구조

권력을 살펴본다면 비록 총체 인 구조권력 상에서 국이 러시아에 비

해서 압도 으로 강력했으나 나진항을 둘러싸고 북한과 진행한 상사안

만 놓고 본다면 이슈 별 권력에서 러시아가 국보다는 북한에 해 우

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러시아는 북한과의 상에 한

BATNA의 차원에서 국보다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두만강 유역에서

국의 국경은 차 강 기를 따라 좁아지다가 동해를 15km 앞둔 지 에서

끝이 난다55) 그러므로 동해로 직 나갈 수 있는 항구 시설이 무한

국은 나진항 련 상이 결렬되는 경우 동해로의 출해권을 얻을 수가 없

었다 반면 러시아는 나진항 이외에도 극동지역에 여러 항구를 보유하고

있다 일부 연구가 러시아의 극동항만들이 겨울에 얼어붙는 반면 나진항

은 부동항이기 때문에 나진항의 경제 이 이 크다고 보기도 하지만 실

제로는 러시아 극동의 블라디보스톡(Vladivostok) 이남의 항구들은 모두

부동항들로 슬라비얀카(Slavianka)항 보스토치니항(Vostochny) 포시에트

(Posyet)항 자루비노(Zarubino)항 등 개발잠재력이 충분한 항구들이 이미

러시아 극동에서 운용 이다56) 따라서 북한과의 상에 한 이슈 별 권

력의 차원에서 러시아는 국보다 유리한 치에서 상을 시작했다 lsquo의

지rsquo와 lsquo통제rsquo의 측면에서도 러시아는 국보다 더 우 에 있었다 러시아-

북한의 상이 국-북한의 상에 비해서 행 자수 이 높았기 때문에

상을 성사시키기 해 상자가 활용할 수 있는 비용과 제도 인 권력

의 가용범 가 더 컸기 때문이다 상이 난 에 착한 상황에서 러시아

55) James Cotton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1086 Cho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pp51ndash53

56) 특히 19세기와 20세기 반에는 러시아 극동에서 부동항에 한 수요가 컸고 그런 맥락에

서 나진항의 요성이 강조되었다 이와 하여 다음을 참조 Ibid pp52ndash55 백 기 ldquo러

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백 기 최정수 최재희 (편)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동북아역사재단 2007 pp23ndash62

한편 러시아 극동의 항만시설과 해서는 다음을 참조 Robert North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74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5

가 상 체의 틀을 다시 짜는 선택을 할 수 있었던 것이나 남한의 투자

가 결렬된 이후 막 한 비용을 들일 수 있었던 것은 모두 행 자 수 이

높아짐으로써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해 수 있는 범 가 넓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실제로 상이 시작된 2000년 반 푸틴 통령은 자신이 추구하는

로 상을 진행시키기 해 국내정치 으로 의견을 결집시켰다 당시

러시아 료들은 북한과의 철도연결을 재개하는 것에 해서 비 이었

다 러시아 철도부 장 이었던 데 (Guenaddy Fadeyev)는 TKR-TSR

은 투자비용도 무 크고 정치 험도도 높은 사업이라며 회의 인 견

해를 피력하기까지 했다57) 그러나 푸틴은 사업을 lsquo 요한 사업rsquo이라고

못 박았고 데 로 하여 사업이 확실한(promising) 사업이라고

발언하게 했다 이러한 푸틴의 응에 의해 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국

내 으로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 차단되었고 상이행에 한 푸틴

의 강력한 의지가 러시아 국내에 확인되었다

러-북 간의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강력한 지지 속에서 이루어졌다

는 은 상 실무주체가 RZD 다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RZD는 단순히

러시아 철도부가 진행하던 사업의 권한을 승계한 공기업이 아니라 푸틴

의 국내정치권력의 핵심기 의 하나 다 RZD 사장인 야쿠닌(Vladimir

Yakunin)은 푸틴의 최측근 실로비키(silovarch) 한 명으로 차기 통령

후보로까지 거론되기도 했던 인물이다58) 야쿠닌은 나진-하산 로젝트를

RZD의 최우선 로젝트로 상정하고 상과정 내내 상자 간의 의견조

율과 외홍보에 힘을 쏟았다59) 따라서 RZD가 상을 주도했다는 은

나진-하산 로젝트 련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심 속에서 진행되

었다는 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57)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AsiaDH27Ag01html

58) Daniel Treisman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4ndash145

59)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pp228ndash229

17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편 국의 입장에서 상자의 수 이 낮았던 것은 -북 간 상이

실패한 결정 인 원인이었다 국의 상자 수 이 낮은 상황에서 북한

측도 이에 맞춰 상자의 수 이 낮아지게 되면서 양 국은 상의 이행을

한 재량권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실제로 국과의 상에 임했던 나

선시 인민 원회는 상의 출발단계에서부터 국 측이 원한 상 목표인

부두시설 임 에 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나진항의 부두 시설에

한 권한은 으로 북한 육해운성의 소 이기 때문에 나선시 인민 원

회는 부두사용권을 놓고 국과 의하는 것이 처음부터 불가능했기 때문

이다60)

이처럼 러시아는 상의 구조 권력에서 국보다 우 에 있었기 때문

에 다양한 략 선택지를 가지고 상의 교착상황에서 상 방의 입장

을 받아들이는 수용 략을 취함으로써 상이 지속되도록 했다 표 으

로 러시아는 2004년에는 TSR-TKR 연결 사업에서 이탈하려는 북한의 의

사를 반 하여 상의 틀을 축소했으며 2008년에 한국의 투자가 무 로

돌아가면서 상의 이행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자국의 자본을 100 투자

하여 북한과 합의된 사항을 이행했다

러시아가 이와 같은 상 략을 취한 이유를 R-O 모형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우선 러시아는 수용 인 략기조를 유지했기 때문에 상을

통해서 결과이익보다는 계이익을 추구했다고 여겨진다 나진항을 통해

서 얻고자 하는 결과이익은 항만시설을 통한 출해권 확보일 것이다 반

로 이 상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계이익은 상 상 국인 북한과의

계 향상일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의 략 선택은 러시아가 상을

통해 장기 으로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고 략 인 차원에서 장기 으

로 북한에 한 력을 지속시키고자 했다는 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60) 당시 국 둥린 회사를 도와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와의 상에 참여했던 국 훈춘시 지

방 정부 계자 면담에서 계자는 당시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도 외합작 경험이 부족

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권한범 에 한 인식이 부족했었다고 진단했다 2015년

2월 훈춘시정부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7

실제로 푸틴 통령은 상 기 경제 인 손실을 우려하는 국내 료들

의 불안감에 해 상은 요한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이 상의 목

표가 단기 인 경제성에 놓인 것이 아님을 명확하게 했다61)

상이 시작되던 2001년의 시기 배경을 고려해 보면 러시아가 계

이익 다시 말하자면 략 이고 장기 인 차원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

다는 이론상의 설명은 실성이 있다고 단된다 나진항만을 둘러싼 러

시아-북한 간의 상이 TSR-TKR의 연결 사업으로 첫 발을 디뎠던 2000

년 당시 러시아는 푸틴 통령의 집권으로 인해 국내정치 혼란을 바로

잡은 후 소련붕괴와 한반도정책의 실패로 인해 상실한 아시아 지역에

한 략 향력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 때 러시아가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러시아의 향력을 회복하기

해서는 상실했던 북한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만 했다 동아시아와

해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은 경제 으로나 인구 으로나 동아시아 주변

국에 비해 제한 인 역량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 시기

이래로 러시아가 지속 으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에서 주요세력으로 자

리매김했던 것은 소련과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략 인 계가 유지되

었기 때문이다62) 특히 소 계가 악화된 이후 소련은 소련에 한 북한

의 일방 인 의존을 활용하여 아시아 국제 계에서 략 버리지를

유지해 왔다63)

61)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62) Peggy Falkenheim Meyer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14ndash 221

Pavel A Minakir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p32ndash 50

Tamara Troyakova amp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ndash 37

63) John W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ndash53 Gilbert Rozman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 Stephan Blank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pp78ndash82

17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그러나 90년 들어 소련은 북한에 해 가지고 있던 향력을 상실하

면서 아시아의 정치무 에서 배제되게 되었다 1980년 후반 소련은 경

제 이익을 기 하며 남한과의 계수립에 힘썼고 1990년 남한과의 국

교를 정상화하기에 이르 다 게다가 소련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의 수장

으로 취임한 친(Boris Yeltsin) 통령은 서방과의 계회복을 기 하며

민주 가치와 자유를 존 하는 러시아의 모습을 보이기 해 공산독재국

가 던 북한과 의도 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공식

외교채 은 단 되었으며 러시아는 그 동안 북한에게 무상으로 제공

해 왔던 석유지원을 단했으며 러시아의 무기를 북한에 수출하지 않겠

다고 밝혔다64) 당시 러시아 외교부장 이었던 코지 (Andrei Kozyrev)

는 북한의 인권침해를 공식 으로 비 하면서 북한의 정치 변화를 구

하기까지 했다65) 결과 으로 한반도에서의 러시아의 외교정책 인 환

은 냉 기부터 긴 하게 유지되었던 러시아와 북한의 정치 연결고리를

약화시켰으며 북한은 러시아에 해서 가지고 있던 우호 인 시선을 거

두어들이게 되었다66) 그러나 러시아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이 사라진 것은 러시아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

제 계에서도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다 러시아가 북한에 해 정치

향력을 발휘할 것을 기 하며 러시아와의 계개선을 추진했던 남한은 러

시아가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을 상실하자 러시아를 외교 으로 등

한시했다67) 게다가 소련의 붕괴 이후 러시아의 통 인 향권에 한

64) Seung-ho Jo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ndash130 David Wolff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

booksdprkbbrussia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Alexander

Vorontsov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p5

65)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53

66) 이정철 외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p87ndash89

67)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호 2002 pp289

ndash297 Gilbert Rozman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9

침투를 본격화한 미국은 북-러 계가 약화된 시 에서 한반도 문제의

심 인 조정자로 부상하게 되었다68) 러시아가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외교

의제에서 배제된 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사건이 바로 1차 북핵 기

다 1차 북핵 기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를 포함한 8자 회담을 통해서 북핵

문제를 보다 국제 인 차원에서 해결하기를 원했으나 결과 으로 북한에

한 향력을 상실한 러시아는 배제된 채 4자 회담의 형태로 상이 진

행되었다69)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러시아는 남북한 모두에게 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면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자국의 향력 후퇴를 막을 수 없다는

을 확인했고 남한에 과도하게 경사되었던 한반도 계를 재조정하고

남북한 균형 정책을 구사하기 시작했다70) 러시아는 친서방 성향이 강

했던 코지 를 신하여 실용 유라시아주의자 리마코 (Yevgenni

Primakov)를 외교부 장 으로 임명하고 북한과의 계 회복에 주력했

다71)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태도는 냉담했는데 이는

러시아가 여 히 경제 인 측면에서 이익을 수 있는 남한과의 계를

더 시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력과 군사력이 약화된 러시아가 북한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북한의 의구심 때문이었다72)

p41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pp23ndash46

68) Yoshinori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192 Seung-ho Joo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Ashgate 2002 pp147ndash148

69) 러시아의 근 방식에 해서 다음을 참조Evgueni Bajanov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러시아의 배제와 4자 회담에 해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7ndash298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pp194ndash196 Stephen Blank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4ndash5

70)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pp228ndash229

71) Seung-ho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ndash81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6ndash298

72)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192 P Rangsimaporn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18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상실해버린 북 향력을 회복하는 것을 북 략의 주요 목표로 삼았

던 러시아에게 나진-하산 로젝트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기

한 출발 으로 매우 한 기획이었다 우선 나진-하산 로젝트가

TSR-TKR 로젝트로 시작되던 시기는 국제정치 으로 한반도의 화해 국

면 속에서 인 국가로서 러시아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극 화되던 시 이

었다73) 당시 남한과 북한은 화를 시작하고 추가 인 력 의제들을 논

의하는 과정 에 있었다 이러한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인 라 부문에

한 이해 계를 공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실리 인 력 어젠다(agenda)

를 통해 화와 력을 지속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 인 수요를 포착

하고 TSR-TKR 연결 구상을 통해 한반도에 한 실리 인 개자로 참여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이 시기는 러시아의 근에 해서

회의 인 입장을 견지하던 북한도 자국의 국내 정치상황으로 인해 입장을

바꾸던 때 다 당시 나진-선 을 통해서 개 개방을 도모하던 북한은 나

진선 지 개발에 한 외국투자를 극 으로 유치했다74) 때문에 러시

아의 근에 한 북한의 반응도 비교 정 이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나진항을 포함한 북한의 항만 시설 철도 인 라 시

설에 해서 확실한 기술 우 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과의 인

라 력 부문에서 확실한 강 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부터 1990년

까지 소련은 북한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등을 직 건설했으며 나진

항의 화 역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75) 소련은 이

게 개발한 나진항에 해서 공식 인 우선권을 인정받고(1978) 이를 소

Palgrave Macmillan 2009 pp62ndash64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p477

73) In-kon Yeo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ndash115

74)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75) 안병민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남

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pp1ndash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12: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16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자는 주로 결과이익을 추구한다 한편 상자

가 상을 통해 상 방과의 계개선 안정을 도모하고 추후 지속될

상에서 더 큰 이익이 상되는 장기 인 거래 상황에서 주로 계이익이

추구된다 국가 간의 상 상황에서 이러한 논의를 확 하여 용해보면

계이익을 추구하는 상자는 주로 장기 외교 략 인 목표에 무게

심을 두는 반면 결과이익을 추구하는 상자는 주로 단기 경제 목표

를 더 염두에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R-O 모형은 행 자가 어떤 이익을 추구하는지에 따라서 행 자

의 상 략이 선택되고 구사된다고 주장하고 상 략을 크게 4가지로

유형화했다 상에서 상되는 단기 인 이익보다 장기 이고 략 인

측면에서 상 방과의 계유지가 요한 경우 상자는 자신의 이익이

보장되지 않더라도 상 방의 입장을 수용(accommodating)하는 략을 취

한다 상을 통해서 상 방과의 계도 향상되고 결과도 좋을 것이 측

되는 호혜 인 상황에서는 력 략(collaboration)이 구사된다 한편

상을 통해서 얻는 단기 이익도 없고 상으로 인해 보장되는 상 방

의 이익도 불분명하면 상 행 자는 상을 회피(avoiding)하는 략을

선택하게 된다 만약 상을 통해서 얻게 될 결과 이익이 실한 경우에

상자는 상 방과의 계가 손상되더라도 자신의 상성과를 해서 경

쟁 (competing) 수단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자는 상을 단발성

으로 인식하게 되고 비윤리 인 행 나 행 등 도 서슴지 않게 된다

아래의 [그림 2]는 상술한 내용에 의거하여 상자가 자신의 의도와 목

에 따라 어떤 략을 선택하는지를 도식화한 것이다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5

[그림 2] R-O 모델(협상전략-협상목표의 상관성 모형) 한글은 필자 수정28)

이상의 논의를 살펴보았을 때 상이론의 분석 틀을 활용하여 상

행 자의 안유무 상행 자의 수 에서 비롯되는 의지와 통제력의 차

이 상 략과 그 의도를 분석한다면 개별 상에서 행 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상력의 정도와 가용한 상 략을 개략 으로 평가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자가 특정한 상 략을 선택한 의도를 유추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다음 장에서는 상이론의 논의를 통해 도출한 분석

틀을 활용하여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과정을 비교하고

상에서의 우 를 한 러시아가 어떻게 상력을 재고할 수 있었고 어

떤 략을 구사했는지를 살피고 러시아가 나진항 개발사업에 극 인

략을 구사한 이유를 유추해보고 실제 국제정치 맥락에서 이러한 유추

가 설명력을 지니는지 평가해본다

28) Lewicki and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pp24ndash32

1 계 시형

수용 략

2 호혜 상황

력 략

3 상 미발생

회피 략

4 단발성 거래

경쟁 략

16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III 나진항을 둘러싼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과정

A 중국-북한의 협상과 러시아-북한의 협상과정 비교

본 장에서는 나진항 3호 부두에 한 국과 러시아의 상과정을 정리

하고 -북간 상과 러-북간 상의 특징을 각각 서술하고 이를 종합하여

비교한다 이를 해 국과 러시아 각 국의 상이 일어난 배경과 상

단계 단계별 상 주체 이에 따른 북한 측 상 주체 상 결과의 내용

상 시기의 주요한 환경 요인 상의 이행 결과를 국가 별로 나 어서

정리할 것이다

(1) 중국-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 부두 사용권에 한 국의 근은 국 훈춘시에서 구상한 도

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路-港-區一體化)에서 비롯되었다 2000년

북한은 국과 러시아 사이의 물동량이 폭 확 되면서 포시에트항이 나

진항을 체할 항구로 부상하는 것에 응하여 나진-선 도로망 폭 개

선 계획을 발표하는데 이 계획의 핵심 구상이 바로 나진항과 훈춘을 도로

로 연결하는 것이었다29) 막 있는 바닷길을 뚫고 동해로의 진출을 모색

하던 국 훈춘 시정부는 이러한 북한의 구상에 응하여 훈춘에서 나진

항까지 연결된 도로를 화하고 나진항을 거 항만으로 확보하고 항만

배후부지를 산업 물류단지로 개발하는 것을 골자로 한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를 구상했다30) 이 구상을 토 로 2003년 12월 12일과 21

일 훈춘시 정부 길림성 정부 계자 항만 개발업체로 구성된 상

표단이 북한 측에 나진항 추가 확장 계획을 제의하는 과정에서 나진과

29)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곽복선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

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30)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3ndash73 徐家军amp李泽 ls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squo 新浪財經 200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7

국을 잇는 도로 배후부지 개발을 조건으로 국이 나진항 부두시설

일부를 50년 간 독 사용하는 상의 기본 틀이 세워졌다31)

주목할 은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에 한 국 앙정부차

원의 심은 국과 북한의 지방정부 간 상이 시작되던 시 보다 늦게

발되었다는 것이다 2003년 당시 국 정부는 본격 으로 낙후된 동북

지역을 진흥시키기 한 동북진흥(振兴东北) 로젝트를 구상하고 이를

해 국무원 차원에서 lsquo동북 지역을 포함한 노후 공업 기지 진흥을 한

실시 략에 한 의견rsquo을 작성했다32) 그러나 의견에는 아직 훈춘시가

구상했던 외국항구 임차를 통한 출해권 확보 목 의 도로-항만-구역 일체

화 로젝트에 한 언 은 나와 있지 않다33) 그러므로 나진항 부두 사용

권을 둘러싼 국과 북한의 상은 앙정부가 아닌 지역 활성화를 도모

하던 북한과 국의 지방정부의 자발 인 움직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상이 본격화된 이후 국 측 참여기업인 둥린유한공사(东林有限公

司 이하 둥린회사)와 국 훈춘시의 실무자들로 구성된 상단이 북한

의 나선시인민 원회와 주로 상을 가지게 되었으며 2004년 9월에 기본

합의가 이루어졌고 2005년 3월에는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장 김수열이

훈춘시에 방문하여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34) 2005년 7월에는 국

의 둥린회사와 훈춘변경경제합작구 보세유한회사(珲春边境经济合作区保

税有限公司)가 자본과 공사 자재를 투자하고 북한 나선시 인민 원회 경

제합작회사가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제공하는

합작회사가 만들어졌으며 2005년 9월에는 구체 인 사업 진행방안을 담

은 본 계약이 체결되었다35) 2006년 1월에는 북- 이 만든 합작회사가 북

31)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32) Jae Ho Chung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ndash125

33)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34) 徐家军amp李泽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p61

16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설립인가를 받게 다36)

상을 통해서 합의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37)첫째 국과 북한 사이에

설립되는 합 회사는 로젝트에 총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를

투자하여 나진항 3호 부두를 확장 건설하고 4호 부두를 신설하며 보세

가공구와 공업원구를 배후지에 건설하는 한편 나진-원정 간의 비포장 도

로 67km를 488km의 왕복 2차선 직선 포장도로로 개량하기로 했다38) 둘

째로 이러한 거 로젝트를 실시하기 한 선결조건으로 국 측은

3000만 유로(약 24억 안 3600만 USD)를 투자하여 원정-나진 간 도로

건설을 우선 시작하고 나진항 3호 부두를 개조하는 가로 나진항 3호 부

두와 향후 지어질 4호 부두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획득하기로 했다

그러나 2006년 5월 구상이 마무리되고 10월부터 착공하기로 되어있던

고속도로 건설 사업은 북한의 핵실험 둥린회사의 투자 조달 실패 등

으로 인해 착공 정일을 맞추지 못하게 되었다39) 이에 2007년에는 국

길림성 정부까지 나서 나진항 개발자 을 지원하기 해 세 징수 우 정

책까지 부여했지만 둥린회사는 자 부족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2008년 러시아와 북한의 합의에 의해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에 한

이권을 상실하게 되었다40)

35) 계약은 합 회사가 2006년 5월부터 나진-원정간 고속도로 건설을 시작하고 추후 나진

항 3호 부두를 개조하고 공업단지 보세가공구를 건설하는 조건으로 나진항 3호 부두의

50년간의 사용권을 확보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36) 의 p61

37)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

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38) 투자액에 한 미 달러 환산 액은 본 계약 완료시 인 2005년 9월의 월별 환율을 통해

필자추정

39) 당시 국 후난 학(湖南大學) 연구원을 통해 원정-나진항 도로건설에 한 실사 조사

공사 방안이 확정되었으며 10월까지 도로 주변의 나무 채벌까지 완료되면서 본격 인 착

공을 앞둔 제반 비가 마무리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pp56ndash58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40) 의 책 p5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9

(2) 러시아-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의 부두개발에 한 국과 북한의 의가 지방정부 차원에서 시

작된 반면 러시아와 북한 사이의 상은 앙정부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2000년 8월 러시아의 푸틴(Vladimir Putin) 통령은 남북한의 화해 분

기가 조성된 틈을 타 한반도 횡단 철도(Trans-Korean Railway 이하 TKR)

를 시베리아 횡단 철도(Trans-Siberian Railway 이하 TSR)와 연결하는 이

른바 lsquo철의 실크로드rsquo 구상을 김정일 국방 원장 김 통령에게

달했다41) 남북의 지도자로부터 정 인 반응을 이끌어낸 푸틴은 2001년

북middot러 정상 회담을 통해 발표된 모스크바 선언의 6항을 통해 TKR-TSR 연

결 사업에 한 북한과 러시아의 력 의지를 공식 으로 밝혔다42) 상

이 본격화된 이후 러시아는 철도부 표단을 수차례 북한에 견하여 북

한 철도성과 철도 화에 해 본격 으로 논의하기 시작했다43) 2003

년 이후 러시아 철도공사(RZD)가 러시아 철도부의 모든 인 라와 사업

로젝트를 승계함에 따라 RZD는 국 기업의 자격으로 TKR-TSR 연결

사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남-북-러 사이의 삼자 력 구도 속에서 시작된 TKR-TSR 연결

사업은 상 과정에서 노선선정 재원조달 방식 등의 주요쟁 들에

한 각국의 견해차로 인해서 곧 교착상황에 빠지게 되었다44) 그런 상황 속

에서 2002년 이후 2차 북핵 기로 인해 북한에 한 국제사회의 제재가

지속되고 남북 계가 악화되자 북한은 2004년에 TKR-TSR 연결사업에

41) Seung-ho Joo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Cornwell

Ashgate 2009 pp179ndash256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2000ne

42)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23 2007 p231

43)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pp 75ndash80

44)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 56

17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논의가 무의미하다고 밝히며 회의불참을 선언한다45) 이 게 삼각

력의 구도가 기에 착하자 RZD는 상의 구도를 북한-러시아 간 한

국-러시아 간의 상의 두 트랙으로 분리하고 양 국과 개별 인 상을

진행하여 갈등을 합하고자 했다

우선 러시아는 TSR-TKR의 체 구간을 연결하려던 기존의 구상을 축

소하여 일부 구간만을 시범 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사업 구상을 변경해

북한에게 제의했다 북한이 이에 응하면서 2004년 북-러 국경 철도 의회

는 우선 TSR과 TKR의 결 에 치한 나진-하산 간 철도 개량사업부터

시범 실시하는 것에 한 상을 시작했다46) 상은 2006년 블라디보

스토크에서 열린 남-북-러 철도 표자 회의를 통해서 구체화되었는데 그

내용은 RZD와 북한이 함께 설립하는 합작회사(Rasonkontrans 이하 라손

콘트란스)를 통해서 나진-하산간 철도 나진항 항만시설 개보수를 진행

한다는 것이었다 합의를 통해 RZD는 나진항 부두시설사용권에 한

이권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자 조달방법에 해서 북한으로부터 재량권

을 임 받았다47)

한편 RZD는 한국이 주요투자자로 로젝트에 남아있기를 원했다 따

라서 북한으로부터 투자 유치에 한 재량권을 얻고 나자 2007년 한국 철

도공사(KORAIL 이하 코 일)와 양자 상을 통해서 한국의 투자방안에

한 세부 MOU를 체결했다 MOU를 통해서 설립된 루코로지스틱스

(RUCO Logistics 이하 루코)는 코 일의 지원 하에 한국의 민간물류업체

들의 투자를 받아서 라손콘트란스의 러시아 측 지분에 투자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북한 련사업에 한 남한의 투자가 러시아를 통해 우회하

여 남북 계의 정치 불안정성이 투자에 악 향을 끼치는 것을 최소화

하고자 했다

45) 의 pp55ndash56

46) 의 pp57ndash58

47)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1

이처럼 새롭게 상 구도를 짠 결과 러시아는 남북으로부터 아래의 합

의를 이끌어냈다 첫째 나진-하산 로젝트는 TKR-TSR 연결을 한 시

범사업으로 러시아와 북한의 합작회사인 라손콘트란스가 북한의 나진항

과 러시아의 하산 사이에 54km에 이르는 철도구간을 개보수하고 나진항

의 기 인 라를 개발하는 것을 가로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을 49년 간

사용한다48) 둘째 이를 한 투자액은 총 21억 달러(USD)으로 RZD가

약 126억 달러를 분담하는 한편 루코가 러시아 지분 일부(40)를 매

입하는 방식으로 자본을 분담투자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러한 RZD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을 통한 자 조달 계획

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2008년 출범한 이명박 정부는 그간 지속되어

오던 북사업을 취소한다는 뜻을 밝히며 북한이 핵무기 로그램을 포

기하지 않는 한 규모 북경제지원사업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49)

이에 응하여 북한도 남한과의 모든 공식 을 단하면서 남북 계는

격하게 악화 고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민간기업들의 투자도 무

산 다50) 이런 상황에서 RZD는 로젝트를 이행하기 해 2008년 4월

북한과 러시아의 양자 의 형태로 새로운 합의서를 체결하고 2008년 10

월에는 나진항 부두시설 화 나진-하산 철도 화에 한 착공식

을 진행했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러시아 역시 자 형편이 여의치 않아 공

사를 일정 로 진행할 수 없었다51) 이후 러시아는 RZD의 자체 차입 자

으로 투자비를 확보하여 2011년 공사를 재개했고 2013년 나진-하산 간 철

도를 완공 후 개통시켰고 2014년부터는 보수된 나진항 3호 부두를 통해

48) 지분 구조는 RZD가 70이며 북한 철도성이 30이다 이를 해 러시아는 21억 불의

자본을 투자하고 북한은 나진항만 시설을 물로 투자한다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

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2

49) Hong Nack Kim ls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s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2008) pp 8ndash18 Chung-in Moon lsquoSouth Korea in 2008rsquo 49 2008 pp127ndash

128

50)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p64ndash65

51)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3

17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국 러시아

상배경도로-항만-구역일체화 로젝트

(훈춘시정부 차원)

TKR-TSR 연결 로젝트

( 앙 정부 차원)

상시기 2003년-2006년 2000년-2015년 진행

시작

2003년 12월 국 지방 정부 계자

기업이 북한 나선시와 논의 시작

2000년 8월- 푸틴 통령이 남북정상과

논의 시작

2001년 8월 모스크바 선언 정식 결의

석탄을 운반하기 시작했다52) 이때 러시아는 철도연결에 55억 루블(약 18

억 USD) 나진항 터미 공사에 약 35억 루블(약 11억 USD)을 투자한 것

으로 추정된다53)

요컨 2000년 러시아 최고 지도자인 푸틴의 심 속에서 시작된 상

은 2003-4년 북핵 기로 인한 북한의 상 거부 기와 2008년 이후 투자

계획의 난 을 뚫고 최종 으로 이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는 남북

한의 응에 강경하게 응하기보다는 양 국의 의견을 수용하기 한

상 방안을 제시하고 상 를 다시 상에 참여시키기 해 막 한 자 을

투자하기까지 했다 이처럼 러시아가 상을 지속하기 해 다양한 수용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면 러시아와 북한 간의 합의 역시 이행되지 못했

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B 중국-북한 러시아-북한의 협상에 대한 이론적 분석

앞 장에서는 나진항의 부두 사용권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 과

정을 추 해보았다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을 상의 배경 상 주체

북한 측 상 주체 주요 상 내용 상 규모 상 이행 상황을 심

으로 비교해보면 아래의 lt표 1gt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lt표 1gt 나진항 3호 부두 사용권과 관련된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주요 사항

52)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나희승 ldquo남북 sdot 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53)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1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3

국 러시아

과정

- 2004년 기본 합의 완료

- 2005년 3월 24일 MOU 체결

- 2005년 7월 합 회사 설립

- 2005년 9월 본계약 체결

- 2006년 1월 북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합 회사 설립 비

- 2004년 7월 나진-하산 로젝트로 논의

축소 나진항 사용에 한 명시

- 2006년 7월 남-북-러 3자 철도 운 자

회의 나진-하산 화 사업 합의

- 2007년 남한 투자 련 MOU

- 2008년 한국 참여 실패

- 2008년 4월 북-러 나진 하산 철도

화 나진항 3호부두 개발에 한 력

합의서 체결

이행

- 2006년 5월 사업 조사 완료 비

- 2006년 10월 착공 연기

- 2007년 2월 길림성 lsquo두만강유역

개방개발 가속화 방안rsquo 마련

- 2008년 4월 훈춘 둥린회사 외국

투자 유치 난항 최종 실패

- 2008년 4월 라손콘트란스 설립

- 2008년 10월 나진-하산 철도구간 개보수

착공식 후 공사 지연

- 2011년 철도 건설 사업 재개

- 2013-2014년 철도와 부두 개보수 완료

상 주체상 시작 지방 정부

상 과정 민간기업 훈춘시 지원

상 시작 러시아 앙 정부

상 실무 러시아 철도부 RZD54)

북한측 상

주체나선시 인민 원회

-북한 앙 정부

- 상 실무 북한 철도성 육해운성

실무 계자

투자 규모

lt 체 규모gt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

lt본 계약 규모gt

3000만 유로

(24억 RMB 약 3600만 USD) agrave미이행

lt계약 시기gt

총 21억 USD 러시아가 126억 USD

lt이행기gt 철도연결에 55억 루블 지출 터

미 공사에 35억 루블 지출

(약 11억 USD)

이 같은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의 비교를 토 로 러시아와 국의

상력 각국이 구사한 상 략을 비교해보고 러시아가 상에서 유

리한 결과를 낼 수 있었던 요인과 러시아의 략 인 목표를 유추해볼 것

이다

54) 러시아 정부는 2001년부터 자국의 철도 개 을 진행하여 철도부(Railway Ministry)를 국

주식회사인 RZD와 정책 담당 부서인 교통부(Ministry of Transport) 경제 발 무역

부(Ministry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rade)로 분리했다 RZD는 기존의 철도부의

시설 사업을 승계함으로써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상도 이어서 진행하게 되었다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17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우선 상력을 보기 해 상에 임한 국과 러시아의 정태 인 구조

권력을 살펴본다면 비록 총체 인 구조권력 상에서 국이 러시아에 비

해서 압도 으로 강력했으나 나진항을 둘러싸고 북한과 진행한 상사안

만 놓고 본다면 이슈 별 권력에서 러시아가 국보다는 북한에 해 우

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러시아는 북한과의 상에 한

BATNA의 차원에서 국보다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두만강 유역에서

국의 국경은 차 강 기를 따라 좁아지다가 동해를 15km 앞둔 지 에서

끝이 난다55) 그러므로 동해로 직 나갈 수 있는 항구 시설이 무한

국은 나진항 련 상이 결렬되는 경우 동해로의 출해권을 얻을 수가 없

었다 반면 러시아는 나진항 이외에도 극동지역에 여러 항구를 보유하고

있다 일부 연구가 러시아의 극동항만들이 겨울에 얼어붙는 반면 나진항

은 부동항이기 때문에 나진항의 경제 이 이 크다고 보기도 하지만 실

제로는 러시아 극동의 블라디보스톡(Vladivostok) 이남의 항구들은 모두

부동항들로 슬라비얀카(Slavianka)항 보스토치니항(Vostochny) 포시에트

(Posyet)항 자루비노(Zarubino)항 등 개발잠재력이 충분한 항구들이 이미

러시아 극동에서 운용 이다56) 따라서 북한과의 상에 한 이슈 별 권

력의 차원에서 러시아는 국보다 유리한 치에서 상을 시작했다 lsquo의

지rsquo와 lsquo통제rsquo의 측면에서도 러시아는 국보다 더 우 에 있었다 러시아-

북한의 상이 국-북한의 상에 비해서 행 자수 이 높았기 때문에

상을 성사시키기 해 상자가 활용할 수 있는 비용과 제도 인 권력

의 가용범 가 더 컸기 때문이다 상이 난 에 착한 상황에서 러시아

55) James Cotton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1086 Cho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pp51ndash53

56) 특히 19세기와 20세기 반에는 러시아 극동에서 부동항에 한 수요가 컸고 그런 맥락에

서 나진항의 요성이 강조되었다 이와 하여 다음을 참조 Ibid pp52ndash55 백 기 ldquo러

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백 기 최정수 최재희 (편)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동북아역사재단 2007 pp23ndash62

한편 러시아 극동의 항만시설과 해서는 다음을 참조 Robert North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74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5

가 상 체의 틀을 다시 짜는 선택을 할 수 있었던 것이나 남한의 투자

가 결렬된 이후 막 한 비용을 들일 수 있었던 것은 모두 행 자 수 이

높아짐으로써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해 수 있는 범 가 넓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실제로 상이 시작된 2000년 반 푸틴 통령은 자신이 추구하는

로 상을 진행시키기 해 국내정치 으로 의견을 결집시켰다 당시

러시아 료들은 북한과의 철도연결을 재개하는 것에 해서 비 이었

다 러시아 철도부 장 이었던 데 (Guenaddy Fadeyev)는 TKR-TSR

은 투자비용도 무 크고 정치 험도도 높은 사업이라며 회의 인 견

해를 피력하기까지 했다57) 그러나 푸틴은 사업을 lsquo 요한 사업rsquo이라고

못 박았고 데 로 하여 사업이 확실한(promising) 사업이라고

발언하게 했다 이러한 푸틴의 응에 의해 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국

내 으로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 차단되었고 상이행에 한 푸틴

의 강력한 의지가 러시아 국내에 확인되었다

러-북 간의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강력한 지지 속에서 이루어졌다

는 은 상 실무주체가 RZD 다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RZD는 단순히

러시아 철도부가 진행하던 사업의 권한을 승계한 공기업이 아니라 푸틴

의 국내정치권력의 핵심기 의 하나 다 RZD 사장인 야쿠닌(Vladimir

Yakunin)은 푸틴의 최측근 실로비키(silovarch) 한 명으로 차기 통령

후보로까지 거론되기도 했던 인물이다58) 야쿠닌은 나진-하산 로젝트를

RZD의 최우선 로젝트로 상정하고 상과정 내내 상자 간의 의견조

율과 외홍보에 힘을 쏟았다59) 따라서 RZD가 상을 주도했다는 은

나진-하산 로젝트 련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심 속에서 진행되

었다는 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57)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AsiaDH27Ag01html

58) Daniel Treisman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4ndash145

59)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pp228ndash229

17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편 국의 입장에서 상자의 수 이 낮았던 것은 -북 간 상이

실패한 결정 인 원인이었다 국의 상자 수 이 낮은 상황에서 북한

측도 이에 맞춰 상자의 수 이 낮아지게 되면서 양 국은 상의 이행을

한 재량권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실제로 국과의 상에 임했던 나

선시 인민 원회는 상의 출발단계에서부터 국 측이 원한 상 목표인

부두시설 임 에 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나진항의 부두 시설에

한 권한은 으로 북한 육해운성의 소 이기 때문에 나선시 인민 원

회는 부두사용권을 놓고 국과 의하는 것이 처음부터 불가능했기 때문

이다60)

이처럼 러시아는 상의 구조 권력에서 국보다 우 에 있었기 때문

에 다양한 략 선택지를 가지고 상의 교착상황에서 상 방의 입장

을 받아들이는 수용 략을 취함으로써 상이 지속되도록 했다 표 으

로 러시아는 2004년에는 TSR-TKR 연결 사업에서 이탈하려는 북한의 의

사를 반 하여 상의 틀을 축소했으며 2008년에 한국의 투자가 무 로

돌아가면서 상의 이행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자국의 자본을 100 투자

하여 북한과 합의된 사항을 이행했다

러시아가 이와 같은 상 략을 취한 이유를 R-O 모형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우선 러시아는 수용 인 략기조를 유지했기 때문에 상을

통해서 결과이익보다는 계이익을 추구했다고 여겨진다 나진항을 통해

서 얻고자 하는 결과이익은 항만시설을 통한 출해권 확보일 것이다 반

로 이 상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계이익은 상 상 국인 북한과의

계 향상일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의 략 선택은 러시아가 상을

통해 장기 으로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고 략 인 차원에서 장기 으

로 북한에 한 력을 지속시키고자 했다는 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60) 당시 국 둥린 회사를 도와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와의 상에 참여했던 국 훈춘시 지

방 정부 계자 면담에서 계자는 당시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도 외합작 경험이 부족

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권한범 에 한 인식이 부족했었다고 진단했다 2015년

2월 훈춘시정부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7

실제로 푸틴 통령은 상 기 경제 인 손실을 우려하는 국내 료들

의 불안감에 해 상은 요한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이 상의 목

표가 단기 인 경제성에 놓인 것이 아님을 명확하게 했다61)

상이 시작되던 2001년의 시기 배경을 고려해 보면 러시아가 계

이익 다시 말하자면 략 이고 장기 인 차원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

다는 이론상의 설명은 실성이 있다고 단된다 나진항만을 둘러싼 러

시아-북한 간의 상이 TSR-TKR의 연결 사업으로 첫 발을 디뎠던 2000

년 당시 러시아는 푸틴 통령의 집권으로 인해 국내정치 혼란을 바로

잡은 후 소련붕괴와 한반도정책의 실패로 인해 상실한 아시아 지역에

한 략 향력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 때 러시아가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러시아의 향력을 회복하기

해서는 상실했던 북한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만 했다 동아시아와

해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은 경제 으로나 인구 으로나 동아시아 주변

국에 비해 제한 인 역량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 시기

이래로 러시아가 지속 으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에서 주요세력으로 자

리매김했던 것은 소련과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략 인 계가 유지되

었기 때문이다62) 특히 소 계가 악화된 이후 소련은 소련에 한 북한

의 일방 인 의존을 활용하여 아시아 국제 계에서 략 버리지를

유지해 왔다63)

61)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62) Peggy Falkenheim Meyer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14ndash 221

Pavel A Minakir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p32ndash 50

Tamara Troyakova amp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ndash 37

63) John W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ndash53 Gilbert Rozman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 Stephan Blank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pp78ndash82

17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그러나 90년 들어 소련은 북한에 해 가지고 있던 향력을 상실하

면서 아시아의 정치무 에서 배제되게 되었다 1980년 후반 소련은 경

제 이익을 기 하며 남한과의 계수립에 힘썼고 1990년 남한과의 국

교를 정상화하기에 이르 다 게다가 소련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의 수장

으로 취임한 친(Boris Yeltsin) 통령은 서방과의 계회복을 기 하며

민주 가치와 자유를 존 하는 러시아의 모습을 보이기 해 공산독재국

가 던 북한과 의도 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공식

외교채 은 단 되었으며 러시아는 그 동안 북한에게 무상으로 제공

해 왔던 석유지원을 단했으며 러시아의 무기를 북한에 수출하지 않겠

다고 밝혔다64) 당시 러시아 외교부장 이었던 코지 (Andrei Kozyrev)

는 북한의 인권침해를 공식 으로 비 하면서 북한의 정치 변화를 구

하기까지 했다65) 결과 으로 한반도에서의 러시아의 외교정책 인 환

은 냉 기부터 긴 하게 유지되었던 러시아와 북한의 정치 연결고리를

약화시켰으며 북한은 러시아에 해서 가지고 있던 우호 인 시선을 거

두어들이게 되었다66) 그러나 러시아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이 사라진 것은 러시아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

제 계에서도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다 러시아가 북한에 해 정치

향력을 발휘할 것을 기 하며 러시아와의 계개선을 추진했던 남한은 러

시아가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을 상실하자 러시아를 외교 으로 등

한시했다67) 게다가 소련의 붕괴 이후 러시아의 통 인 향권에 한

64) Seung-ho Jo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ndash130 David Wolff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

booksdprkbbrussia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Alexander

Vorontsov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p5

65)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53

66) 이정철 외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p87ndash89

67)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호 2002 pp289

ndash297 Gilbert Rozman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9

침투를 본격화한 미국은 북-러 계가 약화된 시 에서 한반도 문제의

심 인 조정자로 부상하게 되었다68) 러시아가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외교

의제에서 배제된 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사건이 바로 1차 북핵 기

다 1차 북핵 기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를 포함한 8자 회담을 통해서 북핵

문제를 보다 국제 인 차원에서 해결하기를 원했으나 결과 으로 북한에

한 향력을 상실한 러시아는 배제된 채 4자 회담의 형태로 상이 진

행되었다69)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러시아는 남북한 모두에게 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면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자국의 향력 후퇴를 막을 수 없다는

을 확인했고 남한에 과도하게 경사되었던 한반도 계를 재조정하고

남북한 균형 정책을 구사하기 시작했다70) 러시아는 친서방 성향이 강

했던 코지 를 신하여 실용 유라시아주의자 리마코 (Yevgenni

Primakov)를 외교부 장 으로 임명하고 북한과의 계 회복에 주력했

다71)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태도는 냉담했는데 이는

러시아가 여 히 경제 인 측면에서 이익을 수 있는 남한과의 계를

더 시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력과 군사력이 약화된 러시아가 북한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북한의 의구심 때문이었다72)

p41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pp23ndash46

68) Yoshinori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192 Seung-ho Joo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Ashgate 2002 pp147ndash148

69) 러시아의 근 방식에 해서 다음을 참조Evgueni Bajanov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러시아의 배제와 4자 회담에 해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7ndash298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pp194ndash196 Stephen Blank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4ndash5

70)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pp228ndash229

71) Seung-ho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ndash81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6ndash298

72)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192 P Rangsimaporn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18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상실해버린 북 향력을 회복하는 것을 북 략의 주요 목표로 삼았

던 러시아에게 나진-하산 로젝트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기

한 출발 으로 매우 한 기획이었다 우선 나진-하산 로젝트가

TSR-TKR 로젝트로 시작되던 시기는 국제정치 으로 한반도의 화해 국

면 속에서 인 국가로서 러시아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극 화되던 시 이

었다73) 당시 남한과 북한은 화를 시작하고 추가 인 력 의제들을 논

의하는 과정 에 있었다 이러한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인 라 부문에

한 이해 계를 공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실리 인 력 어젠다(agenda)

를 통해 화와 력을 지속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 인 수요를 포착

하고 TSR-TKR 연결 구상을 통해 한반도에 한 실리 인 개자로 참여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이 시기는 러시아의 근에 해서

회의 인 입장을 견지하던 북한도 자국의 국내 정치상황으로 인해 입장을

바꾸던 때 다 당시 나진-선 을 통해서 개 개방을 도모하던 북한은 나

진선 지 개발에 한 외국투자를 극 으로 유치했다74) 때문에 러시

아의 근에 한 북한의 반응도 비교 정 이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나진항을 포함한 북한의 항만 시설 철도 인 라 시

설에 해서 확실한 기술 우 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과의 인

라 력 부문에서 확실한 강 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부터 1990년

까지 소련은 북한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등을 직 건설했으며 나진

항의 화 역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75) 소련은 이

게 개발한 나진항에 해서 공식 인 우선권을 인정받고(1978) 이를 소

Palgrave Macmillan 2009 pp62ndash64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p477

73) In-kon Yeo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ndash115

74)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75) 안병민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남

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pp1ndash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13: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5

[그림 2] R-O 모델(협상전략-협상목표의 상관성 모형) 한글은 필자 수정28)

이상의 논의를 살펴보았을 때 상이론의 분석 틀을 활용하여 상

행 자의 안유무 상행 자의 수 에서 비롯되는 의지와 통제력의 차

이 상 략과 그 의도를 분석한다면 개별 상에서 행 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상력의 정도와 가용한 상 략을 개략 으로 평가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자가 특정한 상 략을 선택한 의도를 유추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다음 장에서는 상이론의 논의를 통해 도출한 분석

틀을 활용하여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과정을 비교하고

상에서의 우 를 한 러시아가 어떻게 상력을 재고할 수 있었고 어

떤 략을 구사했는지를 살피고 러시아가 나진항 개발사업에 극 인

략을 구사한 이유를 유추해보고 실제 국제정치 맥락에서 이러한 유추

가 설명력을 지니는지 평가해본다

28) Lewicki and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pp24ndash32

1 계 시형

수용 략

2 호혜 상황

력 략

3 상 미발생

회피 략

4 단발성 거래

경쟁 략

16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III 나진항을 둘러싼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과정

A 중국-북한의 협상과 러시아-북한의 협상과정 비교

본 장에서는 나진항 3호 부두에 한 국과 러시아의 상과정을 정리

하고 -북간 상과 러-북간 상의 특징을 각각 서술하고 이를 종합하여

비교한다 이를 해 국과 러시아 각 국의 상이 일어난 배경과 상

단계 단계별 상 주체 이에 따른 북한 측 상 주체 상 결과의 내용

상 시기의 주요한 환경 요인 상의 이행 결과를 국가 별로 나 어서

정리할 것이다

(1) 중국-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 부두 사용권에 한 국의 근은 국 훈춘시에서 구상한 도

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路-港-區一體化)에서 비롯되었다 2000년

북한은 국과 러시아 사이의 물동량이 폭 확 되면서 포시에트항이 나

진항을 체할 항구로 부상하는 것에 응하여 나진-선 도로망 폭 개

선 계획을 발표하는데 이 계획의 핵심 구상이 바로 나진항과 훈춘을 도로

로 연결하는 것이었다29) 막 있는 바닷길을 뚫고 동해로의 진출을 모색

하던 국 훈춘 시정부는 이러한 북한의 구상에 응하여 훈춘에서 나진

항까지 연결된 도로를 화하고 나진항을 거 항만으로 확보하고 항만

배후부지를 산업 물류단지로 개발하는 것을 골자로 한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를 구상했다30) 이 구상을 토 로 2003년 12월 12일과 21

일 훈춘시 정부 길림성 정부 계자 항만 개발업체로 구성된 상

표단이 북한 측에 나진항 추가 확장 계획을 제의하는 과정에서 나진과

29)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곽복선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

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30)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3ndash73 徐家军amp李泽 ls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squo 新浪財經 200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7

국을 잇는 도로 배후부지 개발을 조건으로 국이 나진항 부두시설

일부를 50년 간 독 사용하는 상의 기본 틀이 세워졌다31)

주목할 은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에 한 국 앙정부차

원의 심은 국과 북한의 지방정부 간 상이 시작되던 시 보다 늦게

발되었다는 것이다 2003년 당시 국 정부는 본격 으로 낙후된 동북

지역을 진흥시키기 한 동북진흥(振兴东北) 로젝트를 구상하고 이를

해 국무원 차원에서 lsquo동북 지역을 포함한 노후 공업 기지 진흥을 한

실시 략에 한 의견rsquo을 작성했다32) 그러나 의견에는 아직 훈춘시가

구상했던 외국항구 임차를 통한 출해권 확보 목 의 도로-항만-구역 일체

화 로젝트에 한 언 은 나와 있지 않다33) 그러므로 나진항 부두 사용

권을 둘러싼 국과 북한의 상은 앙정부가 아닌 지역 활성화를 도모

하던 북한과 국의 지방정부의 자발 인 움직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상이 본격화된 이후 국 측 참여기업인 둥린유한공사(东林有限公

司 이하 둥린회사)와 국 훈춘시의 실무자들로 구성된 상단이 북한

의 나선시인민 원회와 주로 상을 가지게 되었으며 2004년 9월에 기본

합의가 이루어졌고 2005년 3월에는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장 김수열이

훈춘시에 방문하여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34) 2005년 7월에는 국

의 둥린회사와 훈춘변경경제합작구 보세유한회사(珲春边境经济合作区保

税有限公司)가 자본과 공사 자재를 투자하고 북한 나선시 인민 원회 경

제합작회사가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제공하는

합작회사가 만들어졌으며 2005년 9월에는 구체 인 사업 진행방안을 담

은 본 계약이 체결되었다35) 2006년 1월에는 북- 이 만든 합작회사가 북

31)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32) Jae Ho Chung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ndash125

33)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34) 徐家军amp李泽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p61

16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설립인가를 받게 다36)

상을 통해서 합의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37)첫째 국과 북한 사이에

설립되는 합 회사는 로젝트에 총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를

투자하여 나진항 3호 부두를 확장 건설하고 4호 부두를 신설하며 보세

가공구와 공업원구를 배후지에 건설하는 한편 나진-원정 간의 비포장 도

로 67km를 488km의 왕복 2차선 직선 포장도로로 개량하기로 했다38) 둘

째로 이러한 거 로젝트를 실시하기 한 선결조건으로 국 측은

3000만 유로(약 24억 안 3600만 USD)를 투자하여 원정-나진 간 도로

건설을 우선 시작하고 나진항 3호 부두를 개조하는 가로 나진항 3호 부

두와 향후 지어질 4호 부두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획득하기로 했다

그러나 2006년 5월 구상이 마무리되고 10월부터 착공하기로 되어있던

고속도로 건설 사업은 북한의 핵실험 둥린회사의 투자 조달 실패 등

으로 인해 착공 정일을 맞추지 못하게 되었다39) 이에 2007년에는 국

길림성 정부까지 나서 나진항 개발자 을 지원하기 해 세 징수 우 정

책까지 부여했지만 둥린회사는 자 부족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2008년 러시아와 북한의 합의에 의해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에 한

이권을 상실하게 되었다40)

35) 계약은 합 회사가 2006년 5월부터 나진-원정간 고속도로 건설을 시작하고 추후 나진

항 3호 부두를 개조하고 공업단지 보세가공구를 건설하는 조건으로 나진항 3호 부두의

50년간의 사용권을 확보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36) 의 p61

37)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

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38) 투자액에 한 미 달러 환산 액은 본 계약 완료시 인 2005년 9월의 월별 환율을 통해

필자추정

39) 당시 국 후난 학(湖南大學) 연구원을 통해 원정-나진항 도로건설에 한 실사 조사

공사 방안이 확정되었으며 10월까지 도로 주변의 나무 채벌까지 완료되면서 본격 인 착

공을 앞둔 제반 비가 마무리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pp56ndash58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40) 의 책 p5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9

(2) 러시아-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의 부두개발에 한 국과 북한의 의가 지방정부 차원에서 시

작된 반면 러시아와 북한 사이의 상은 앙정부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2000년 8월 러시아의 푸틴(Vladimir Putin) 통령은 남북한의 화해 분

기가 조성된 틈을 타 한반도 횡단 철도(Trans-Korean Railway 이하 TKR)

를 시베리아 횡단 철도(Trans-Siberian Railway 이하 TSR)와 연결하는 이

른바 lsquo철의 실크로드rsquo 구상을 김정일 국방 원장 김 통령에게

달했다41) 남북의 지도자로부터 정 인 반응을 이끌어낸 푸틴은 2001년

북middot러 정상 회담을 통해 발표된 모스크바 선언의 6항을 통해 TKR-TSR 연

결 사업에 한 북한과 러시아의 력 의지를 공식 으로 밝혔다42) 상

이 본격화된 이후 러시아는 철도부 표단을 수차례 북한에 견하여 북

한 철도성과 철도 화에 해 본격 으로 논의하기 시작했다43) 2003

년 이후 러시아 철도공사(RZD)가 러시아 철도부의 모든 인 라와 사업

로젝트를 승계함에 따라 RZD는 국 기업의 자격으로 TKR-TSR 연결

사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남-북-러 사이의 삼자 력 구도 속에서 시작된 TKR-TSR 연결

사업은 상 과정에서 노선선정 재원조달 방식 등의 주요쟁 들에

한 각국의 견해차로 인해서 곧 교착상황에 빠지게 되었다44) 그런 상황 속

에서 2002년 이후 2차 북핵 기로 인해 북한에 한 국제사회의 제재가

지속되고 남북 계가 악화되자 북한은 2004년에 TKR-TSR 연결사업에

41) Seung-ho Joo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Cornwell

Ashgate 2009 pp179ndash256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2000ne

42)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23 2007 p231

43)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pp 75ndash80

44)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 56

17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논의가 무의미하다고 밝히며 회의불참을 선언한다45) 이 게 삼각

력의 구도가 기에 착하자 RZD는 상의 구도를 북한-러시아 간 한

국-러시아 간의 상의 두 트랙으로 분리하고 양 국과 개별 인 상을

진행하여 갈등을 합하고자 했다

우선 러시아는 TSR-TKR의 체 구간을 연결하려던 기존의 구상을 축

소하여 일부 구간만을 시범 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사업 구상을 변경해

북한에게 제의했다 북한이 이에 응하면서 2004년 북-러 국경 철도 의회

는 우선 TSR과 TKR의 결 에 치한 나진-하산 간 철도 개량사업부터

시범 실시하는 것에 한 상을 시작했다46) 상은 2006년 블라디보

스토크에서 열린 남-북-러 철도 표자 회의를 통해서 구체화되었는데 그

내용은 RZD와 북한이 함께 설립하는 합작회사(Rasonkontrans 이하 라손

콘트란스)를 통해서 나진-하산간 철도 나진항 항만시설 개보수를 진행

한다는 것이었다 합의를 통해 RZD는 나진항 부두시설사용권에 한

이권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자 조달방법에 해서 북한으로부터 재량권

을 임 받았다47)

한편 RZD는 한국이 주요투자자로 로젝트에 남아있기를 원했다 따

라서 북한으로부터 투자 유치에 한 재량권을 얻고 나자 2007년 한국 철

도공사(KORAIL 이하 코 일)와 양자 상을 통해서 한국의 투자방안에

한 세부 MOU를 체결했다 MOU를 통해서 설립된 루코로지스틱스

(RUCO Logistics 이하 루코)는 코 일의 지원 하에 한국의 민간물류업체

들의 투자를 받아서 라손콘트란스의 러시아 측 지분에 투자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북한 련사업에 한 남한의 투자가 러시아를 통해 우회하

여 남북 계의 정치 불안정성이 투자에 악 향을 끼치는 것을 최소화

하고자 했다

45) 의 pp55ndash56

46) 의 pp57ndash58

47)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1

이처럼 새롭게 상 구도를 짠 결과 러시아는 남북으로부터 아래의 합

의를 이끌어냈다 첫째 나진-하산 로젝트는 TKR-TSR 연결을 한 시

범사업으로 러시아와 북한의 합작회사인 라손콘트란스가 북한의 나진항

과 러시아의 하산 사이에 54km에 이르는 철도구간을 개보수하고 나진항

의 기 인 라를 개발하는 것을 가로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을 49년 간

사용한다48) 둘째 이를 한 투자액은 총 21억 달러(USD)으로 RZD가

약 126억 달러를 분담하는 한편 루코가 러시아 지분 일부(40)를 매

입하는 방식으로 자본을 분담투자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러한 RZD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을 통한 자 조달 계획

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2008년 출범한 이명박 정부는 그간 지속되어

오던 북사업을 취소한다는 뜻을 밝히며 북한이 핵무기 로그램을 포

기하지 않는 한 규모 북경제지원사업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49)

이에 응하여 북한도 남한과의 모든 공식 을 단하면서 남북 계는

격하게 악화 고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민간기업들의 투자도 무

산 다50) 이런 상황에서 RZD는 로젝트를 이행하기 해 2008년 4월

북한과 러시아의 양자 의 형태로 새로운 합의서를 체결하고 2008년 10

월에는 나진항 부두시설 화 나진-하산 철도 화에 한 착공식

을 진행했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러시아 역시 자 형편이 여의치 않아 공

사를 일정 로 진행할 수 없었다51) 이후 러시아는 RZD의 자체 차입 자

으로 투자비를 확보하여 2011년 공사를 재개했고 2013년 나진-하산 간 철

도를 완공 후 개통시켰고 2014년부터는 보수된 나진항 3호 부두를 통해

48) 지분 구조는 RZD가 70이며 북한 철도성이 30이다 이를 해 러시아는 21억 불의

자본을 투자하고 북한은 나진항만 시설을 물로 투자한다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

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2

49) Hong Nack Kim ls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s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2008) pp 8ndash18 Chung-in Moon lsquoSouth Korea in 2008rsquo 49 2008 pp127ndash

128

50)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p64ndash65

51)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3

17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국 러시아

상배경도로-항만-구역일체화 로젝트

(훈춘시정부 차원)

TKR-TSR 연결 로젝트

( 앙 정부 차원)

상시기 2003년-2006년 2000년-2015년 진행

시작

2003년 12월 국 지방 정부 계자

기업이 북한 나선시와 논의 시작

2000년 8월- 푸틴 통령이 남북정상과

논의 시작

2001년 8월 모스크바 선언 정식 결의

석탄을 운반하기 시작했다52) 이때 러시아는 철도연결에 55억 루블(약 18

억 USD) 나진항 터미 공사에 약 35억 루블(약 11억 USD)을 투자한 것

으로 추정된다53)

요컨 2000년 러시아 최고 지도자인 푸틴의 심 속에서 시작된 상

은 2003-4년 북핵 기로 인한 북한의 상 거부 기와 2008년 이후 투자

계획의 난 을 뚫고 최종 으로 이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는 남북

한의 응에 강경하게 응하기보다는 양 국의 의견을 수용하기 한

상 방안을 제시하고 상 를 다시 상에 참여시키기 해 막 한 자 을

투자하기까지 했다 이처럼 러시아가 상을 지속하기 해 다양한 수용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면 러시아와 북한 간의 합의 역시 이행되지 못했

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B 중국-북한 러시아-북한의 협상에 대한 이론적 분석

앞 장에서는 나진항의 부두 사용권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 과

정을 추 해보았다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을 상의 배경 상 주체

북한 측 상 주체 주요 상 내용 상 규모 상 이행 상황을 심

으로 비교해보면 아래의 lt표 1gt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lt표 1gt 나진항 3호 부두 사용권과 관련된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주요 사항

52)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나희승 ldquo남북 sdot 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53)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1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3

국 러시아

과정

- 2004년 기본 합의 완료

- 2005년 3월 24일 MOU 체결

- 2005년 7월 합 회사 설립

- 2005년 9월 본계약 체결

- 2006년 1월 북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합 회사 설립 비

- 2004년 7월 나진-하산 로젝트로 논의

축소 나진항 사용에 한 명시

- 2006년 7월 남-북-러 3자 철도 운 자

회의 나진-하산 화 사업 합의

- 2007년 남한 투자 련 MOU

- 2008년 한국 참여 실패

- 2008년 4월 북-러 나진 하산 철도

화 나진항 3호부두 개발에 한 력

합의서 체결

이행

- 2006년 5월 사업 조사 완료 비

- 2006년 10월 착공 연기

- 2007년 2월 길림성 lsquo두만강유역

개방개발 가속화 방안rsquo 마련

- 2008년 4월 훈춘 둥린회사 외국

투자 유치 난항 최종 실패

- 2008년 4월 라손콘트란스 설립

- 2008년 10월 나진-하산 철도구간 개보수

착공식 후 공사 지연

- 2011년 철도 건설 사업 재개

- 2013-2014년 철도와 부두 개보수 완료

상 주체상 시작 지방 정부

상 과정 민간기업 훈춘시 지원

상 시작 러시아 앙 정부

상 실무 러시아 철도부 RZD54)

북한측 상

주체나선시 인민 원회

-북한 앙 정부

- 상 실무 북한 철도성 육해운성

실무 계자

투자 규모

lt 체 규모gt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

lt본 계약 규모gt

3000만 유로

(24억 RMB 약 3600만 USD) agrave미이행

lt계약 시기gt

총 21억 USD 러시아가 126억 USD

lt이행기gt 철도연결에 55억 루블 지출 터

미 공사에 35억 루블 지출

(약 11억 USD)

이 같은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의 비교를 토 로 러시아와 국의

상력 각국이 구사한 상 략을 비교해보고 러시아가 상에서 유

리한 결과를 낼 수 있었던 요인과 러시아의 략 인 목표를 유추해볼 것

이다

54) 러시아 정부는 2001년부터 자국의 철도 개 을 진행하여 철도부(Railway Ministry)를 국

주식회사인 RZD와 정책 담당 부서인 교통부(Ministry of Transport) 경제 발 무역

부(Ministry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rade)로 분리했다 RZD는 기존의 철도부의

시설 사업을 승계함으로써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상도 이어서 진행하게 되었다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17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우선 상력을 보기 해 상에 임한 국과 러시아의 정태 인 구조

권력을 살펴본다면 비록 총체 인 구조권력 상에서 국이 러시아에 비

해서 압도 으로 강력했으나 나진항을 둘러싸고 북한과 진행한 상사안

만 놓고 본다면 이슈 별 권력에서 러시아가 국보다는 북한에 해 우

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러시아는 북한과의 상에 한

BATNA의 차원에서 국보다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두만강 유역에서

국의 국경은 차 강 기를 따라 좁아지다가 동해를 15km 앞둔 지 에서

끝이 난다55) 그러므로 동해로 직 나갈 수 있는 항구 시설이 무한

국은 나진항 련 상이 결렬되는 경우 동해로의 출해권을 얻을 수가 없

었다 반면 러시아는 나진항 이외에도 극동지역에 여러 항구를 보유하고

있다 일부 연구가 러시아의 극동항만들이 겨울에 얼어붙는 반면 나진항

은 부동항이기 때문에 나진항의 경제 이 이 크다고 보기도 하지만 실

제로는 러시아 극동의 블라디보스톡(Vladivostok) 이남의 항구들은 모두

부동항들로 슬라비얀카(Slavianka)항 보스토치니항(Vostochny) 포시에트

(Posyet)항 자루비노(Zarubino)항 등 개발잠재력이 충분한 항구들이 이미

러시아 극동에서 운용 이다56) 따라서 북한과의 상에 한 이슈 별 권

력의 차원에서 러시아는 국보다 유리한 치에서 상을 시작했다 lsquo의

지rsquo와 lsquo통제rsquo의 측면에서도 러시아는 국보다 더 우 에 있었다 러시아-

북한의 상이 국-북한의 상에 비해서 행 자수 이 높았기 때문에

상을 성사시키기 해 상자가 활용할 수 있는 비용과 제도 인 권력

의 가용범 가 더 컸기 때문이다 상이 난 에 착한 상황에서 러시아

55) James Cotton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1086 Cho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pp51ndash53

56) 특히 19세기와 20세기 반에는 러시아 극동에서 부동항에 한 수요가 컸고 그런 맥락에

서 나진항의 요성이 강조되었다 이와 하여 다음을 참조 Ibid pp52ndash55 백 기 ldquo러

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백 기 최정수 최재희 (편)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동북아역사재단 2007 pp23ndash62

한편 러시아 극동의 항만시설과 해서는 다음을 참조 Robert North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74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5

가 상 체의 틀을 다시 짜는 선택을 할 수 있었던 것이나 남한의 투자

가 결렬된 이후 막 한 비용을 들일 수 있었던 것은 모두 행 자 수 이

높아짐으로써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해 수 있는 범 가 넓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실제로 상이 시작된 2000년 반 푸틴 통령은 자신이 추구하는

로 상을 진행시키기 해 국내정치 으로 의견을 결집시켰다 당시

러시아 료들은 북한과의 철도연결을 재개하는 것에 해서 비 이었

다 러시아 철도부 장 이었던 데 (Guenaddy Fadeyev)는 TKR-TSR

은 투자비용도 무 크고 정치 험도도 높은 사업이라며 회의 인 견

해를 피력하기까지 했다57) 그러나 푸틴은 사업을 lsquo 요한 사업rsquo이라고

못 박았고 데 로 하여 사업이 확실한(promising) 사업이라고

발언하게 했다 이러한 푸틴의 응에 의해 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국

내 으로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 차단되었고 상이행에 한 푸틴

의 강력한 의지가 러시아 국내에 확인되었다

러-북 간의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강력한 지지 속에서 이루어졌다

는 은 상 실무주체가 RZD 다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RZD는 단순히

러시아 철도부가 진행하던 사업의 권한을 승계한 공기업이 아니라 푸틴

의 국내정치권력의 핵심기 의 하나 다 RZD 사장인 야쿠닌(Vladimir

Yakunin)은 푸틴의 최측근 실로비키(silovarch) 한 명으로 차기 통령

후보로까지 거론되기도 했던 인물이다58) 야쿠닌은 나진-하산 로젝트를

RZD의 최우선 로젝트로 상정하고 상과정 내내 상자 간의 의견조

율과 외홍보에 힘을 쏟았다59) 따라서 RZD가 상을 주도했다는 은

나진-하산 로젝트 련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심 속에서 진행되

었다는 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57)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AsiaDH27Ag01html

58) Daniel Treisman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4ndash145

59)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pp228ndash229

17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편 국의 입장에서 상자의 수 이 낮았던 것은 -북 간 상이

실패한 결정 인 원인이었다 국의 상자 수 이 낮은 상황에서 북한

측도 이에 맞춰 상자의 수 이 낮아지게 되면서 양 국은 상의 이행을

한 재량권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실제로 국과의 상에 임했던 나

선시 인민 원회는 상의 출발단계에서부터 국 측이 원한 상 목표인

부두시설 임 에 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나진항의 부두 시설에

한 권한은 으로 북한 육해운성의 소 이기 때문에 나선시 인민 원

회는 부두사용권을 놓고 국과 의하는 것이 처음부터 불가능했기 때문

이다60)

이처럼 러시아는 상의 구조 권력에서 국보다 우 에 있었기 때문

에 다양한 략 선택지를 가지고 상의 교착상황에서 상 방의 입장

을 받아들이는 수용 략을 취함으로써 상이 지속되도록 했다 표 으

로 러시아는 2004년에는 TSR-TKR 연결 사업에서 이탈하려는 북한의 의

사를 반 하여 상의 틀을 축소했으며 2008년에 한국의 투자가 무 로

돌아가면서 상의 이행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자국의 자본을 100 투자

하여 북한과 합의된 사항을 이행했다

러시아가 이와 같은 상 략을 취한 이유를 R-O 모형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우선 러시아는 수용 인 략기조를 유지했기 때문에 상을

통해서 결과이익보다는 계이익을 추구했다고 여겨진다 나진항을 통해

서 얻고자 하는 결과이익은 항만시설을 통한 출해권 확보일 것이다 반

로 이 상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계이익은 상 상 국인 북한과의

계 향상일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의 략 선택은 러시아가 상을

통해 장기 으로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고 략 인 차원에서 장기 으

로 북한에 한 력을 지속시키고자 했다는 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60) 당시 국 둥린 회사를 도와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와의 상에 참여했던 국 훈춘시 지

방 정부 계자 면담에서 계자는 당시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도 외합작 경험이 부족

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권한범 에 한 인식이 부족했었다고 진단했다 2015년

2월 훈춘시정부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7

실제로 푸틴 통령은 상 기 경제 인 손실을 우려하는 국내 료들

의 불안감에 해 상은 요한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이 상의 목

표가 단기 인 경제성에 놓인 것이 아님을 명확하게 했다61)

상이 시작되던 2001년의 시기 배경을 고려해 보면 러시아가 계

이익 다시 말하자면 략 이고 장기 인 차원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

다는 이론상의 설명은 실성이 있다고 단된다 나진항만을 둘러싼 러

시아-북한 간의 상이 TSR-TKR의 연결 사업으로 첫 발을 디뎠던 2000

년 당시 러시아는 푸틴 통령의 집권으로 인해 국내정치 혼란을 바로

잡은 후 소련붕괴와 한반도정책의 실패로 인해 상실한 아시아 지역에

한 략 향력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 때 러시아가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러시아의 향력을 회복하기

해서는 상실했던 북한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만 했다 동아시아와

해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은 경제 으로나 인구 으로나 동아시아 주변

국에 비해 제한 인 역량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 시기

이래로 러시아가 지속 으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에서 주요세력으로 자

리매김했던 것은 소련과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략 인 계가 유지되

었기 때문이다62) 특히 소 계가 악화된 이후 소련은 소련에 한 북한

의 일방 인 의존을 활용하여 아시아 국제 계에서 략 버리지를

유지해 왔다63)

61)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62) Peggy Falkenheim Meyer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14ndash 221

Pavel A Minakir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p32ndash 50

Tamara Troyakova amp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ndash 37

63) John W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ndash53 Gilbert Rozman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 Stephan Blank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pp78ndash82

17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그러나 90년 들어 소련은 북한에 해 가지고 있던 향력을 상실하

면서 아시아의 정치무 에서 배제되게 되었다 1980년 후반 소련은 경

제 이익을 기 하며 남한과의 계수립에 힘썼고 1990년 남한과의 국

교를 정상화하기에 이르 다 게다가 소련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의 수장

으로 취임한 친(Boris Yeltsin) 통령은 서방과의 계회복을 기 하며

민주 가치와 자유를 존 하는 러시아의 모습을 보이기 해 공산독재국

가 던 북한과 의도 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공식

외교채 은 단 되었으며 러시아는 그 동안 북한에게 무상으로 제공

해 왔던 석유지원을 단했으며 러시아의 무기를 북한에 수출하지 않겠

다고 밝혔다64) 당시 러시아 외교부장 이었던 코지 (Andrei Kozyrev)

는 북한의 인권침해를 공식 으로 비 하면서 북한의 정치 변화를 구

하기까지 했다65) 결과 으로 한반도에서의 러시아의 외교정책 인 환

은 냉 기부터 긴 하게 유지되었던 러시아와 북한의 정치 연결고리를

약화시켰으며 북한은 러시아에 해서 가지고 있던 우호 인 시선을 거

두어들이게 되었다66) 그러나 러시아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이 사라진 것은 러시아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

제 계에서도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다 러시아가 북한에 해 정치

향력을 발휘할 것을 기 하며 러시아와의 계개선을 추진했던 남한은 러

시아가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을 상실하자 러시아를 외교 으로 등

한시했다67) 게다가 소련의 붕괴 이후 러시아의 통 인 향권에 한

64) Seung-ho Jo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ndash130 David Wolff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

booksdprkbbrussia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Alexander

Vorontsov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p5

65)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53

66) 이정철 외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p87ndash89

67)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호 2002 pp289

ndash297 Gilbert Rozman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9

침투를 본격화한 미국은 북-러 계가 약화된 시 에서 한반도 문제의

심 인 조정자로 부상하게 되었다68) 러시아가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외교

의제에서 배제된 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사건이 바로 1차 북핵 기

다 1차 북핵 기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를 포함한 8자 회담을 통해서 북핵

문제를 보다 국제 인 차원에서 해결하기를 원했으나 결과 으로 북한에

한 향력을 상실한 러시아는 배제된 채 4자 회담의 형태로 상이 진

행되었다69)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러시아는 남북한 모두에게 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면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자국의 향력 후퇴를 막을 수 없다는

을 확인했고 남한에 과도하게 경사되었던 한반도 계를 재조정하고

남북한 균형 정책을 구사하기 시작했다70) 러시아는 친서방 성향이 강

했던 코지 를 신하여 실용 유라시아주의자 리마코 (Yevgenni

Primakov)를 외교부 장 으로 임명하고 북한과의 계 회복에 주력했

다71)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태도는 냉담했는데 이는

러시아가 여 히 경제 인 측면에서 이익을 수 있는 남한과의 계를

더 시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력과 군사력이 약화된 러시아가 북한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북한의 의구심 때문이었다72)

p41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pp23ndash46

68) Yoshinori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192 Seung-ho Joo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Ashgate 2002 pp147ndash148

69) 러시아의 근 방식에 해서 다음을 참조Evgueni Bajanov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러시아의 배제와 4자 회담에 해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7ndash298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pp194ndash196 Stephen Blank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4ndash5

70)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pp228ndash229

71) Seung-ho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ndash81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6ndash298

72)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192 P Rangsimaporn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18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상실해버린 북 향력을 회복하는 것을 북 략의 주요 목표로 삼았

던 러시아에게 나진-하산 로젝트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기

한 출발 으로 매우 한 기획이었다 우선 나진-하산 로젝트가

TSR-TKR 로젝트로 시작되던 시기는 국제정치 으로 한반도의 화해 국

면 속에서 인 국가로서 러시아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극 화되던 시 이

었다73) 당시 남한과 북한은 화를 시작하고 추가 인 력 의제들을 논

의하는 과정 에 있었다 이러한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인 라 부문에

한 이해 계를 공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실리 인 력 어젠다(agenda)

를 통해 화와 력을 지속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 인 수요를 포착

하고 TSR-TKR 연결 구상을 통해 한반도에 한 실리 인 개자로 참여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이 시기는 러시아의 근에 해서

회의 인 입장을 견지하던 북한도 자국의 국내 정치상황으로 인해 입장을

바꾸던 때 다 당시 나진-선 을 통해서 개 개방을 도모하던 북한은 나

진선 지 개발에 한 외국투자를 극 으로 유치했다74) 때문에 러시

아의 근에 한 북한의 반응도 비교 정 이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나진항을 포함한 북한의 항만 시설 철도 인 라 시

설에 해서 확실한 기술 우 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과의 인

라 력 부문에서 확실한 강 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부터 1990년

까지 소련은 북한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등을 직 건설했으며 나진

항의 화 역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75) 소련은 이

게 개발한 나진항에 해서 공식 인 우선권을 인정받고(1978) 이를 소

Palgrave Macmillan 2009 pp62ndash64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p477

73) In-kon Yeo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ndash115

74)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75) 안병민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남

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pp1ndash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14: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16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III 나진항을 둘러싼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과정

A 중국-북한의 협상과 러시아-북한의 협상과정 비교

본 장에서는 나진항 3호 부두에 한 국과 러시아의 상과정을 정리

하고 -북간 상과 러-북간 상의 특징을 각각 서술하고 이를 종합하여

비교한다 이를 해 국과 러시아 각 국의 상이 일어난 배경과 상

단계 단계별 상 주체 이에 따른 북한 측 상 주체 상 결과의 내용

상 시기의 주요한 환경 요인 상의 이행 결과를 국가 별로 나 어서

정리할 것이다

(1) 중국-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 부두 사용권에 한 국의 근은 국 훈춘시에서 구상한 도

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路-港-區一體化)에서 비롯되었다 2000년

북한은 국과 러시아 사이의 물동량이 폭 확 되면서 포시에트항이 나

진항을 체할 항구로 부상하는 것에 응하여 나진-선 도로망 폭 개

선 계획을 발표하는데 이 계획의 핵심 구상이 바로 나진항과 훈춘을 도로

로 연결하는 것이었다29) 막 있는 바닷길을 뚫고 동해로의 진출을 모색

하던 국 훈춘 시정부는 이러한 북한의 구상에 응하여 훈춘에서 나진

항까지 연결된 도로를 화하고 나진항을 거 항만으로 확보하고 항만

배후부지를 산업 물류단지로 개발하는 것을 골자로 한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를 구상했다30) 이 구상을 토 로 2003년 12월 12일과 21

일 훈춘시 정부 길림성 정부 계자 항만 개발업체로 구성된 상

표단이 북한 측에 나진항 추가 확장 계획을 제의하는 과정에서 나진과

29)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곽복선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

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30)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3ndash73 徐家军amp李泽 ls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squo 新浪財經 200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7

국을 잇는 도로 배후부지 개발을 조건으로 국이 나진항 부두시설

일부를 50년 간 독 사용하는 상의 기본 틀이 세워졌다31)

주목할 은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에 한 국 앙정부차

원의 심은 국과 북한의 지방정부 간 상이 시작되던 시 보다 늦게

발되었다는 것이다 2003년 당시 국 정부는 본격 으로 낙후된 동북

지역을 진흥시키기 한 동북진흥(振兴东北) 로젝트를 구상하고 이를

해 국무원 차원에서 lsquo동북 지역을 포함한 노후 공업 기지 진흥을 한

실시 략에 한 의견rsquo을 작성했다32) 그러나 의견에는 아직 훈춘시가

구상했던 외국항구 임차를 통한 출해권 확보 목 의 도로-항만-구역 일체

화 로젝트에 한 언 은 나와 있지 않다33) 그러므로 나진항 부두 사용

권을 둘러싼 국과 북한의 상은 앙정부가 아닌 지역 활성화를 도모

하던 북한과 국의 지방정부의 자발 인 움직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상이 본격화된 이후 국 측 참여기업인 둥린유한공사(东林有限公

司 이하 둥린회사)와 국 훈춘시의 실무자들로 구성된 상단이 북한

의 나선시인민 원회와 주로 상을 가지게 되었으며 2004년 9월에 기본

합의가 이루어졌고 2005년 3월에는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장 김수열이

훈춘시에 방문하여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34) 2005년 7월에는 국

의 둥린회사와 훈춘변경경제합작구 보세유한회사(珲春边境经济合作区保

税有限公司)가 자본과 공사 자재를 투자하고 북한 나선시 인민 원회 경

제합작회사가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제공하는

합작회사가 만들어졌으며 2005년 9월에는 구체 인 사업 진행방안을 담

은 본 계약이 체결되었다35) 2006년 1월에는 북- 이 만든 합작회사가 북

31)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32) Jae Ho Chung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ndash125

33)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34) 徐家军amp李泽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p61

16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설립인가를 받게 다36)

상을 통해서 합의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37)첫째 국과 북한 사이에

설립되는 합 회사는 로젝트에 총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를

투자하여 나진항 3호 부두를 확장 건설하고 4호 부두를 신설하며 보세

가공구와 공업원구를 배후지에 건설하는 한편 나진-원정 간의 비포장 도

로 67km를 488km의 왕복 2차선 직선 포장도로로 개량하기로 했다38) 둘

째로 이러한 거 로젝트를 실시하기 한 선결조건으로 국 측은

3000만 유로(약 24억 안 3600만 USD)를 투자하여 원정-나진 간 도로

건설을 우선 시작하고 나진항 3호 부두를 개조하는 가로 나진항 3호 부

두와 향후 지어질 4호 부두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획득하기로 했다

그러나 2006년 5월 구상이 마무리되고 10월부터 착공하기로 되어있던

고속도로 건설 사업은 북한의 핵실험 둥린회사의 투자 조달 실패 등

으로 인해 착공 정일을 맞추지 못하게 되었다39) 이에 2007년에는 국

길림성 정부까지 나서 나진항 개발자 을 지원하기 해 세 징수 우 정

책까지 부여했지만 둥린회사는 자 부족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2008년 러시아와 북한의 합의에 의해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에 한

이권을 상실하게 되었다40)

35) 계약은 합 회사가 2006년 5월부터 나진-원정간 고속도로 건설을 시작하고 추후 나진

항 3호 부두를 개조하고 공업단지 보세가공구를 건설하는 조건으로 나진항 3호 부두의

50년간의 사용권을 확보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36) 의 p61

37)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

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38) 투자액에 한 미 달러 환산 액은 본 계약 완료시 인 2005년 9월의 월별 환율을 통해

필자추정

39) 당시 국 후난 학(湖南大學) 연구원을 통해 원정-나진항 도로건설에 한 실사 조사

공사 방안이 확정되었으며 10월까지 도로 주변의 나무 채벌까지 완료되면서 본격 인 착

공을 앞둔 제반 비가 마무리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pp56ndash58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40) 의 책 p5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9

(2) 러시아-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의 부두개발에 한 국과 북한의 의가 지방정부 차원에서 시

작된 반면 러시아와 북한 사이의 상은 앙정부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2000년 8월 러시아의 푸틴(Vladimir Putin) 통령은 남북한의 화해 분

기가 조성된 틈을 타 한반도 횡단 철도(Trans-Korean Railway 이하 TKR)

를 시베리아 횡단 철도(Trans-Siberian Railway 이하 TSR)와 연결하는 이

른바 lsquo철의 실크로드rsquo 구상을 김정일 국방 원장 김 통령에게

달했다41) 남북의 지도자로부터 정 인 반응을 이끌어낸 푸틴은 2001년

북middot러 정상 회담을 통해 발표된 모스크바 선언의 6항을 통해 TKR-TSR 연

결 사업에 한 북한과 러시아의 력 의지를 공식 으로 밝혔다42) 상

이 본격화된 이후 러시아는 철도부 표단을 수차례 북한에 견하여 북

한 철도성과 철도 화에 해 본격 으로 논의하기 시작했다43) 2003

년 이후 러시아 철도공사(RZD)가 러시아 철도부의 모든 인 라와 사업

로젝트를 승계함에 따라 RZD는 국 기업의 자격으로 TKR-TSR 연결

사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남-북-러 사이의 삼자 력 구도 속에서 시작된 TKR-TSR 연결

사업은 상 과정에서 노선선정 재원조달 방식 등의 주요쟁 들에

한 각국의 견해차로 인해서 곧 교착상황에 빠지게 되었다44) 그런 상황 속

에서 2002년 이후 2차 북핵 기로 인해 북한에 한 국제사회의 제재가

지속되고 남북 계가 악화되자 북한은 2004년에 TKR-TSR 연결사업에

41) Seung-ho Joo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Cornwell

Ashgate 2009 pp179ndash256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2000ne

42)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23 2007 p231

43)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pp 75ndash80

44)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 56

17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논의가 무의미하다고 밝히며 회의불참을 선언한다45) 이 게 삼각

력의 구도가 기에 착하자 RZD는 상의 구도를 북한-러시아 간 한

국-러시아 간의 상의 두 트랙으로 분리하고 양 국과 개별 인 상을

진행하여 갈등을 합하고자 했다

우선 러시아는 TSR-TKR의 체 구간을 연결하려던 기존의 구상을 축

소하여 일부 구간만을 시범 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사업 구상을 변경해

북한에게 제의했다 북한이 이에 응하면서 2004년 북-러 국경 철도 의회

는 우선 TSR과 TKR의 결 에 치한 나진-하산 간 철도 개량사업부터

시범 실시하는 것에 한 상을 시작했다46) 상은 2006년 블라디보

스토크에서 열린 남-북-러 철도 표자 회의를 통해서 구체화되었는데 그

내용은 RZD와 북한이 함께 설립하는 합작회사(Rasonkontrans 이하 라손

콘트란스)를 통해서 나진-하산간 철도 나진항 항만시설 개보수를 진행

한다는 것이었다 합의를 통해 RZD는 나진항 부두시설사용권에 한

이권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자 조달방법에 해서 북한으로부터 재량권

을 임 받았다47)

한편 RZD는 한국이 주요투자자로 로젝트에 남아있기를 원했다 따

라서 북한으로부터 투자 유치에 한 재량권을 얻고 나자 2007년 한국 철

도공사(KORAIL 이하 코 일)와 양자 상을 통해서 한국의 투자방안에

한 세부 MOU를 체결했다 MOU를 통해서 설립된 루코로지스틱스

(RUCO Logistics 이하 루코)는 코 일의 지원 하에 한국의 민간물류업체

들의 투자를 받아서 라손콘트란스의 러시아 측 지분에 투자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북한 련사업에 한 남한의 투자가 러시아를 통해 우회하

여 남북 계의 정치 불안정성이 투자에 악 향을 끼치는 것을 최소화

하고자 했다

45) 의 pp55ndash56

46) 의 pp57ndash58

47)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1

이처럼 새롭게 상 구도를 짠 결과 러시아는 남북으로부터 아래의 합

의를 이끌어냈다 첫째 나진-하산 로젝트는 TKR-TSR 연결을 한 시

범사업으로 러시아와 북한의 합작회사인 라손콘트란스가 북한의 나진항

과 러시아의 하산 사이에 54km에 이르는 철도구간을 개보수하고 나진항

의 기 인 라를 개발하는 것을 가로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을 49년 간

사용한다48) 둘째 이를 한 투자액은 총 21억 달러(USD)으로 RZD가

약 126억 달러를 분담하는 한편 루코가 러시아 지분 일부(40)를 매

입하는 방식으로 자본을 분담투자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러한 RZD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을 통한 자 조달 계획

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2008년 출범한 이명박 정부는 그간 지속되어

오던 북사업을 취소한다는 뜻을 밝히며 북한이 핵무기 로그램을 포

기하지 않는 한 규모 북경제지원사업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49)

이에 응하여 북한도 남한과의 모든 공식 을 단하면서 남북 계는

격하게 악화 고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민간기업들의 투자도 무

산 다50) 이런 상황에서 RZD는 로젝트를 이행하기 해 2008년 4월

북한과 러시아의 양자 의 형태로 새로운 합의서를 체결하고 2008년 10

월에는 나진항 부두시설 화 나진-하산 철도 화에 한 착공식

을 진행했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러시아 역시 자 형편이 여의치 않아 공

사를 일정 로 진행할 수 없었다51) 이후 러시아는 RZD의 자체 차입 자

으로 투자비를 확보하여 2011년 공사를 재개했고 2013년 나진-하산 간 철

도를 완공 후 개통시켰고 2014년부터는 보수된 나진항 3호 부두를 통해

48) 지분 구조는 RZD가 70이며 북한 철도성이 30이다 이를 해 러시아는 21억 불의

자본을 투자하고 북한은 나진항만 시설을 물로 투자한다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

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2

49) Hong Nack Kim ls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s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2008) pp 8ndash18 Chung-in Moon lsquoSouth Korea in 2008rsquo 49 2008 pp127ndash

128

50)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p64ndash65

51)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3

17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국 러시아

상배경도로-항만-구역일체화 로젝트

(훈춘시정부 차원)

TKR-TSR 연결 로젝트

( 앙 정부 차원)

상시기 2003년-2006년 2000년-2015년 진행

시작

2003년 12월 국 지방 정부 계자

기업이 북한 나선시와 논의 시작

2000년 8월- 푸틴 통령이 남북정상과

논의 시작

2001년 8월 모스크바 선언 정식 결의

석탄을 운반하기 시작했다52) 이때 러시아는 철도연결에 55억 루블(약 18

억 USD) 나진항 터미 공사에 약 35억 루블(약 11억 USD)을 투자한 것

으로 추정된다53)

요컨 2000년 러시아 최고 지도자인 푸틴의 심 속에서 시작된 상

은 2003-4년 북핵 기로 인한 북한의 상 거부 기와 2008년 이후 투자

계획의 난 을 뚫고 최종 으로 이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는 남북

한의 응에 강경하게 응하기보다는 양 국의 의견을 수용하기 한

상 방안을 제시하고 상 를 다시 상에 참여시키기 해 막 한 자 을

투자하기까지 했다 이처럼 러시아가 상을 지속하기 해 다양한 수용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면 러시아와 북한 간의 합의 역시 이행되지 못했

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B 중국-북한 러시아-북한의 협상에 대한 이론적 분석

앞 장에서는 나진항의 부두 사용권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 과

정을 추 해보았다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을 상의 배경 상 주체

북한 측 상 주체 주요 상 내용 상 규모 상 이행 상황을 심

으로 비교해보면 아래의 lt표 1gt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lt표 1gt 나진항 3호 부두 사용권과 관련된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주요 사항

52)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나희승 ldquo남북 sdot 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53)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1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3

국 러시아

과정

- 2004년 기본 합의 완료

- 2005년 3월 24일 MOU 체결

- 2005년 7월 합 회사 설립

- 2005년 9월 본계약 체결

- 2006년 1월 북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합 회사 설립 비

- 2004년 7월 나진-하산 로젝트로 논의

축소 나진항 사용에 한 명시

- 2006년 7월 남-북-러 3자 철도 운 자

회의 나진-하산 화 사업 합의

- 2007년 남한 투자 련 MOU

- 2008년 한국 참여 실패

- 2008년 4월 북-러 나진 하산 철도

화 나진항 3호부두 개발에 한 력

합의서 체결

이행

- 2006년 5월 사업 조사 완료 비

- 2006년 10월 착공 연기

- 2007년 2월 길림성 lsquo두만강유역

개방개발 가속화 방안rsquo 마련

- 2008년 4월 훈춘 둥린회사 외국

투자 유치 난항 최종 실패

- 2008년 4월 라손콘트란스 설립

- 2008년 10월 나진-하산 철도구간 개보수

착공식 후 공사 지연

- 2011년 철도 건설 사업 재개

- 2013-2014년 철도와 부두 개보수 완료

상 주체상 시작 지방 정부

상 과정 민간기업 훈춘시 지원

상 시작 러시아 앙 정부

상 실무 러시아 철도부 RZD54)

북한측 상

주체나선시 인민 원회

-북한 앙 정부

- 상 실무 북한 철도성 육해운성

실무 계자

투자 규모

lt 체 규모gt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

lt본 계약 규모gt

3000만 유로

(24억 RMB 약 3600만 USD) agrave미이행

lt계약 시기gt

총 21억 USD 러시아가 126억 USD

lt이행기gt 철도연결에 55억 루블 지출 터

미 공사에 35억 루블 지출

(약 11억 USD)

이 같은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의 비교를 토 로 러시아와 국의

상력 각국이 구사한 상 략을 비교해보고 러시아가 상에서 유

리한 결과를 낼 수 있었던 요인과 러시아의 략 인 목표를 유추해볼 것

이다

54) 러시아 정부는 2001년부터 자국의 철도 개 을 진행하여 철도부(Railway Ministry)를 국

주식회사인 RZD와 정책 담당 부서인 교통부(Ministry of Transport) 경제 발 무역

부(Ministry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rade)로 분리했다 RZD는 기존의 철도부의

시설 사업을 승계함으로써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상도 이어서 진행하게 되었다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17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우선 상력을 보기 해 상에 임한 국과 러시아의 정태 인 구조

권력을 살펴본다면 비록 총체 인 구조권력 상에서 국이 러시아에 비

해서 압도 으로 강력했으나 나진항을 둘러싸고 북한과 진행한 상사안

만 놓고 본다면 이슈 별 권력에서 러시아가 국보다는 북한에 해 우

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러시아는 북한과의 상에 한

BATNA의 차원에서 국보다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두만강 유역에서

국의 국경은 차 강 기를 따라 좁아지다가 동해를 15km 앞둔 지 에서

끝이 난다55) 그러므로 동해로 직 나갈 수 있는 항구 시설이 무한

국은 나진항 련 상이 결렬되는 경우 동해로의 출해권을 얻을 수가 없

었다 반면 러시아는 나진항 이외에도 극동지역에 여러 항구를 보유하고

있다 일부 연구가 러시아의 극동항만들이 겨울에 얼어붙는 반면 나진항

은 부동항이기 때문에 나진항의 경제 이 이 크다고 보기도 하지만 실

제로는 러시아 극동의 블라디보스톡(Vladivostok) 이남의 항구들은 모두

부동항들로 슬라비얀카(Slavianka)항 보스토치니항(Vostochny) 포시에트

(Posyet)항 자루비노(Zarubino)항 등 개발잠재력이 충분한 항구들이 이미

러시아 극동에서 운용 이다56) 따라서 북한과의 상에 한 이슈 별 권

력의 차원에서 러시아는 국보다 유리한 치에서 상을 시작했다 lsquo의

지rsquo와 lsquo통제rsquo의 측면에서도 러시아는 국보다 더 우 에 있었다 러시아-

북한의 상이 국-북한의 상에 비해서 행 자수 이 높았기 때문에

상을 성사시키기 해 상자가 활용할 수 있는 비용과 제도 인 권력

의 가용범 가 더 컸기 때문이다 상이 난 에 착한 상황에서 러시아

55) James Cotton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1086 Cho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pp51ndash53

56) 특히 19세기와 20세기 반에는 러시아 극동에서 부동항에 한 수요가 컸고 그런 맥락에

서 나진항의 요성이 강조되었다 이와 하여 다음을 참조 Ibid pp52ndash55 백 기 ldquo러

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백 기 최정수 최재희 (편)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동북아역사재단 2007 pp23ndash62

한편 러시아 극동의 항만시설과 해서는 다음을 참조 Robert North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74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5

가 상 체의 틀을 다시 짜는 선택을 할 수 있었던 것이나 남한의 투자

가 결렬된 이후 막 한 비용을 들일 수 있었던 것은 모두 행 자 수 이

높아짐으로써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해 수 있는 범 가 넓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실제로 상이 시작된 2000년 반 푸틴 통령은 자신이 추구하는

로 상을 진행시키기 해 국내정치 으로 의견을 결집시켰다 당시

러시아 료들은 북한과의 철도연결을 재개하는 것에 해서 비 이었

다 러시아 철도부 장 이었던 데 (Guenaddy Fadeyev)는 TKR-TSR

은 투자비용도 무 크고 정치 험도도 높은 사업이라며 회의 인 견

해를 피력하기까지 했다57) 그러나 푸틴은 사업을 lsquo 요한 사업rsquo이라고

못 박았고 데 로 하여 사업이 확실한(promising) 사업이라고

발언하게 했다 이러한 푸틴의 응에 의해 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국

내 으로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 차단되었고 상이행에 한 푸틴

의 강력한 의지가 러시아 국내에 확인되었다

러-북 간의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강력한 지지 속에서 이루어졌다

는 은 상 실무주체가 RZD 다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RZD는 단순히

러시아 철도부가 진행하던 사업의 권한을 승계한 공기업이 아니라 푸틴

의 국내정치권력의 핵심기 의 하나 다 RZD 사장인 야쿠닌(Vladimir

Yakunin)은 푸틴의 최측근 실로비키(silovarch) 한 명으로 차기 통령

후보로까지 거론되기도 했던 인물이다58) 야쿠닌은 나진-하산 로젝트를

RZD의 최우선 로젝트로 상정하고 상과정 내내 상자 간의 의견조

율과 외홍보에 힘을 쏟았다59) 따라서 RZD가 상을 주도했다는 은

나진-하산 로젝트 련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심 속에서 진행되

었다는 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57)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AsiaDH27Ag01html

58) Daniel Treisman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4ndash145

59)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pp228ndash229

17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편 국의 입장에서 상자의 수 이 낮았던 것은 -북 간 상이

실패한 결정 인 원인이었다 국의 상자 수 이 낮은 상황에서 북한

측도 이에 맞춰 상자의 수 이 낮아지게 되면서 양 국은 상의 이행을

한 재량권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실제로 국과의 상에 임했던 나

선시 인민 원회는 상의 출발단계에서부터 국 측이 원한 상 목표인

부두시설 임 에 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나진항의 부두 시설에

한 권한은 으로 북한 육해운성의 소 이기 때문에 나선시 인민 원

회는 부두사용권을 놓고 국과 의하는 것이 처음부터 불가능했기 때문

이다60)

이처럼 러시아는 상의 구조 권력에서 국보다 우 에 있었기 때문

에 다양한 략 선택지를 가지고 상의 교착상황에서 상 방의 입장

을 받아들이는 수용 략을 취함으로써 상이 지속되도록 했다 표 으

로 러시아는 2004년에는 TSR-TKR 연결 사업에서 이탈하려는 북한의 의

사를 반 하여 상의 틀을 축소했으며 2008년에 한국의 투자가 무 로

돌아가면서 상의 이행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자국의 자본을 100 투자

하여 북한과 합의된 사항을 이행했다

러시아가 이와 같은 상 략을 취한 이유를 R-O 모형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우선 러시아는 수용 인 략기조를 유지했기 때문에 상을

통해서 결과이익보다는 계이익을 추구했다고 여겨진다 나진항을 통해

서 얻고자 하는 결과이익은 항만시설을 통한 출해권 확보일 것이다 반

로 이 상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계이익은 상 상 국인 북한과의

계 향상일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의 략 선택은 러시아가 상을

통해 장기 으로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고 략 인 차원에서 장기 으

로 북한에 한 력을 지속시키고자 했다는 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60) 당시 국 둥린 회사를 도와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와의 상에 참여했던 국 훈춘시 지

방 정부 계자 면담에서 계자는 당시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도 외합작 경험이 부족

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권한범 에 한 인식이 부족했었다고 진단했다 2015년

2월 훈춘시정부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7

실제로 푸틴 통령은 상 기 경제 인 손실을 우려하는 국내 료들

의 불안감에 해 상은 요한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이 상의 목

표가 단기 인 경제성에 놓인 것이 아님을 명확하게 했다61)

상이 시작되던 2001년의 시기 배경을 고려해 보면 러시아가 계

이익 다시 말하자면 략 이고 장기 인 차원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

다는 이론상의 설명은 실성이 있다고 단된다 나진항만을 둘러싼 러

시아-북한 간의 상이 TSR-TKR의 연결 사업으로 첫 발을 디뎠던 2000

년 당시 러시아는 푸틴 통령의 집권으로 인해 국내정치 혼란을 바로

잡은 후 소련붕괴와 한반도정책의 실패로 인해 상실한 아시아 지역에

한 략 향력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 때 러시아가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러시아의 향력을 회복하기

해서는 상실했던 북한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만 했다 동아시아와

해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은 경제 으로나 인구 으로나 동아시아 주변

국에 비해 제한 인 역량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 시기

이래로 러시아가 지속 으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에서 주요세력으로 자

리매김했던 것은 소련과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략 인 계가 유지되

었기 때문이다62) 특히 소 계가 악화된 이후 소련은 소련에 한 북한

의 일방 인 의존을 활용하여 아시아 국제 계에서 략 버리지를

유지해 왔다63)

61)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62) Peggy Falkenheim Meyer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14ndash 221

Pavel A Minakir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p32ndash 50

Tamara Troyakova amp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ndash 37

63) John W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ndash53 Gilbert Rozman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 Stephan Blank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pp78ndash82

17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그러나 90년 들어 소련은 북한에 해 가지고 있던 향력을 상실하

면서 아시아의 정치무 에서 배제되게 되었다 1980년 후반 소련은 경

제 이익을 기 하며 남한과의 계수립에 힘썼고 1990년 남한과의 국

교를 정상화하기에 이르 다 게다가 소련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의 수장

으로 취임한 친(Boris Yeltsin) 통령은 서방과의 계회복을 기 하며

민주 가치와 자유를 존 하는 러시아의 모습을 보이기 해 공산독재국

가 던 북한과 의도 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공식

외교채 은 단 되었으며 러시아는 그 동안 북한에게 무상으로 제공

해 왔던 석유지원을 단했으며 러시아의 무기를 북한에 수출하지 않겠

다고 밝혔다64) 당시 러시아 외교부장 이었던 코지 (Andrei Kozyrev)

는 북한의 인권침해를 공식 으로 비 하면서 북한의 정치 변화를 구

하기까지 했다65) 결과 으로 한반도에서의 러시아의 외교정책 인 환

은 냉 기부터 긴 하게 유지되었던 러시아와 북한의 정치 연결고리를

약화시켰으며 북한은 러시아에 해서 가지고 있던 우호 인 시선을 거

두어들이게 되었다66) 그러나 러시아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이 사라진 것은 러시아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

제 계에서도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다 러시아가 북한에 해 정치

향력을 발휘할 것을 기 하며 러시아와의 계개선을 추진했던 남한은 러

시아가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을 상실하자 러시아를 외교 으로 등

한시했다67) 게다가 소련의 붕괴 이후 러시아의 통 인 향권에 한

64) Seung-ho Jo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ndash130 David Wolff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

booksdprkbbrussia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Alexander

Vorontsov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p5

65)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53

66) 이정철 외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p87ndash89

67)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호 2002 pp289

ndash297 Gilbert Rozman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9

침투를 본격화한 미국은 북-러 계가 약화된 시 에서 한반도 문제의

심 인 조정자로 부상하게 되었다68) 러시아가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외교

의제에서 배제된 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사건이 바로 1차 북핵 기

다 1차 북핵 기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를 포함한 8자 회담을 통해서 북핵

문제를 보다 국제 인 차원에서 해결하기를 원했으나 결과 으로 북한에

한 향력을 상실한 러시아는 배제된 채 4자 회담의 형태로 상이 진

행되었다69)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러시아는 남북한 모두에게 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면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자국의 향력 후퇴를 막을 수 없다는

을 확인했고 남한에 과도하게 경사되었던 한반도 계를 재조정하고

남북한 균형 정책을 구사하기 시작했다70) 러시아는 친서방 성향이 강

했던 코지 를 신하여 실용 유라시아주의자 리마코 (Yevgenni

Primakov)를 외교부 장 으로 임명하고 북한과의 계 회복에 주력했

다71)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태도는 냉담했는데 이는

러시아가 여 히 경제 인 측면에서 이익을 수 있는 남한과의 계를

더 시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력과 군사력이 약화된 러시아가 북한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북한의 의구심 때문이었다72)

p41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pp23ndash46

68) Yoshinori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192 Seung-ho Joo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Ashgate 2002 pp147ndash148

69) 러시아의 근 방식에 해서 다음을 참조Evgueni Bajanov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러시아의 배제와 4자 회담에 해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7ndash298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pp194ndash196 Stephen Blank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4ndash5

70)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pp228ndash229

71) Seung-ho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ndash81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6ndash298

72)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192 P Rangsimaporn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18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상실해버린 북 향력을 회복하는 것을 북 략의 주요 목표로 삼았

던 러시아에게 나진-하산 로젝트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기

한 출발 으로 매우 한 기획이었다 우선 나진-하산 로젝트가

TSR-TKR 로젝트로 시작되던 시기는 국제정치 으로 한반도의 화해 국

면 속에서 인 국가로서 러시아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극 화되던 시 이

었다73) 당시 남한과 북한은 화를 시작하고 추가 인 력 의제들을 논

의하는 과정 에 있었다 이러한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인 라 부문에

한 이해 계를 공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실리 인 력 어젠다(agenda)

를 통해 화와 력을 지속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 인 수요를 포착

하고 TSR-TKR 연결 구상을 통해 한반도에 한 실리 인 개자로 참여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이 시기는 러시아의 근에 해서

회의 인 입장을 견지하던 북한도 자국의 국내 정치상황으로 인해 입장을

바꾸던 때 다 당시 나진-선 을 통해서 개 개방을 도모하던 북한은 나

진선 지 개발에 한 외국투자를 극 으로 유치했다74) 때문에 러시

아의 근에 한 북한의 반응도 비교 정 이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나진항을 포함한 북한의 항만 시설 철도 인 라 시

설에 해서 확실한 기술 우 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과의 인

라 력 부문에서 확실한 강 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부터 1990년

까지 소련은 북한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등을 직 건설했으며 나진

항의 화 역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75) 소련은 이

게 개발한 나진항에 해서 공식 인 우선권을 인정받고(1978) 이를 소

Palgrave Macmillan 2009 pp62ndash64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p477

73) In-kon Yeo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ndash115

74)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75) 안병민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남

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pp1ndash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1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7

국을 잇는 도로 배후부지 개발을 조건으로 국이 나진항 부두시설

일부를 50년 간 독 사용하는 상의 기본 틀이 세워졌다31)

주목할 은 도로-항만-구역 일체화 로젝트에 한 국 앙정부차

원의 심은 국과 북한의 지방정부 간 상이 시작되던 시 보다 늦게

발되었다는 것이다 2003년 당시 국 정부는 본격 으로 낙후된 동북

지역을 진흥시키기 한 동북진흥(振兴东北) 로젝트를 구상하고 이를

해 국무원 차원에서 lsquo동북 지역을 포함한 노후 공업 기지 진흥을 한

실시 략에 한 의견rsquo을 작성했다32) 그러나 의견에는 아직 훈춘시가

구상했던 외국항구 임차를 통한 출해권 확보 목 의 도로-항만-구역 일체

화 로젝트에 한 언 은 나와 있지 않다33) 그러므로 나진항 부두 사용

권을 둘러싼 국과 북한의 상은 앙정부가 아닌 지역 활성화를 도모

하던 북한과 국의 지방정부의 자발 인 움직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상이 본격화된 이후 국 측 참여기업인 둥린유한공사(东林有限公

司 이하 둥린회사)와 국 훈춘시의 실무자들로 구성된 상단이 북한

의 나선시인민 원회와 주로 상을 가지게 되었으며 2004년 9월에 기본

합의가 이루어졌고 2005년 3월에는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장 김수열이

훈춘시에 방문하여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34) 2005년 7월에는 국

의 둥린회사와 훈춘변경경제합작구 보세유한회사(珲春边境经济合作区保

税有限公司)가 자본과 공사 자재를 투자하고 북한 나선시 인민 원회 경

제합작회사가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제공하는

합작회사가 만들어졌으며 2005년 9월에는 구체 인 사업 진행방안을 담

은 본 계약이 체결되었다35) 2006년 1월에는 북- 이 만든 합작회사가 북

31)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32) Jae Ho Chung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ndash125

33)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34) 徐家军amp李泽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p61

16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설립인가를 받게 다36)

상을 통해서 합의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37)첫째 국과 북한 사이에

설립되는 합 회사는 로젝트에 총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를

투자하여 나진항 3호 부두를 확장 건설하고 4호 부두를 신설하며 보세

가공구와 공업원구를 배후지에 건설하는 한편 나진-원정 간의 비포장 도

로 67km를 488km의 왕복 2차선 직선 포장도로로 개량하기로 했다38) 둘

째로 이러한 거 로젝트를 실시하기 한 선결조건으로 국 측은

3000만 유로(약 24억 안 3600만 USD)를 투자하여 원정-나진 간 도로

건설을 우선 시작하고 나진항 3호 부두를 개조하는 가로 나진항 3호 부

두와 향후 지어질 4호 부두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획득하기로 했다

그러나 2006년 5월 구상이 마무리되고 10월부터 착공하기로 되어있던

고속도로 건설 사업은 북한의 핵실험 둥린회사의 투자 조달 실패 등

으로 인해 착공 정일을 맞추지 못하게 되었다39) 이에 2007년에는 국

길림성 정부까지 나서 나진항 개발자 을 지원하기 해 세 징수 우 정

책까지 부여했지만 둥린회사는 자 부족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2008년 러시아와 북한의 합의에 의해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에 한

이권을 상실하게 되었다40)

35) 계약은 합 회사가 2006년 5월부터 나진-원정간 고속도로 건설을 시작하고 추후 나진

항 3호 부두를 개조하고 공업단지 보세가공구를 건설하는 조건으로 나진항 3호 부두의

50년간의 사용권을 확보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36) 의 p61

37)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

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38) 투자액에 한 미 달러 환산 액은 본 계약 완료시 인 2005년 9월의 월별 환율을 통해

필자추정

39) 당시 국 후난 학(湖南大學) 연구원을 통해 원정-나진항 도로건설에 한 실사 조사

공사 방안이 확정되었으며 10월까지 도로 주변의 나무 채벌까지 완료되면서 본격 인 착

공을 앞둔 제반 비가 마무리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pp56ndash58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40) 의 책 p5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9

(2) 러시아-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의 부두개발에 한 국과 북한의 의가 지방정부 차원에서 시

작된 반면 러시아와 북한 사이의 상은 앙정부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2000년 8월 러시아의 푸틴(Vladimir Putin) 통령은 남북한의 화해 분

기가 조성된 틈을 타 한반도 횡단 철도(Trans-Korean Railway 이하 TKR)

를 시베리아 횡단 철도(Trans-Siberian Railway 이하 TSR)와 연결하는 이

른바 lsquo철의 실크로드rsquo 구상을 김정일 국방 원장 김 통령에게

달했다41) 남북의 지도자로부터 정 인 반응을 이끌어낸 푸틴은 2001년

북middot러 정상 회담을 통해 발표된 모스크바 선언의 6항을 통해 TKR-TSR 연

결 사업에 한 북한과 러시아의 력 의지를 공식 으로 밝혔다42) 상

이 본격화된 이후 러시아는 철도부 표단을 수차례 북한에 견하여 북

한 철도성과 철도 화에 해 본격 으로 논의하기 시작했다43) 2003

년 이후 러시아 철도공사(RZD)가 러시아 철도부의 모든 인 라와 사업

로젝트를 승계함에 따라 RZD는 국 기업의 자격으로 TKR-TSR 연결

사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남-북-러 사이의 삼자 력 구도 속에서 시작된 TKR-TSR 연결

사업은 상 과정에서 노선선정 재원조달 방식 등의 주요쟁 들에

한 각국의 견해차로 인해서 곧 교착상황에 빠지게 되었다44) 그런 상황 속

에서 2002년 이후 2차 북핵 기로 인해 북한에 한 국제사회의 제재가

지속되고 남북 계가 악화되자 북한은 2004년에 TKR-TSR 연결사업에

41) Seung-ho Joo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Cornwell

Ashgate 2009 pp179ndash256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2000ne

42)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23 2007 p231

43)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pp 75ndash80

44)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 56

17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논의가 무의미하다고 밝히며 회의불참을 선언한다45) 이 게 삼각

력의 구도가 기에 착하자 RZD는 상의 구도를 북한-러시아 간 한

국-러시아 간의 상의 두 트랙으로 분리하고 양 국과 개별 인 상을

진행하여 갈등을 합하고자 했다

우선 러시아는 TSR-TKR의 체 구간을 연결하려던 기존의 구상을 축

소하여 일부 구간만을 시범 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사업 구상을 변경해

북한에게 제의했다 북한이 이에 응하면서 2004년 북-러 국경 철도 의회

는 우선 TSR과 TKR의 결 에 치한 나진-하산 간 철도 개량사업부터

시범 실시하는 것에 한 상을 시작했다46) 상은 2006년 블라디보

스토크에서 열린 남-북-러 철도 표자 회의를 통해서 구체화되었는데 그

내용은 RZD와 북한이 함께 설립하는 합작회사(Rasonkontrans 이하 라손

콘트란스)를 통해서 나진-하산간 철도 나진항 항만시설 개보수를 진행

한다는 것이었다 합의를 통해 RZD는 나진항 부두시설사용권에 한

이권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자 조달방법에 해서 북한으로부터 재량권

을 임 받았다47)

한편 RZD는 한국이 주요투자자로 로젝트에 남아있기를 원했다 따

라서 북한으로부터 투자 유치에 한 재량권을 얻고 나자 2007년 한국 철

도공사(KORAIL 이하 코 일)와 양자 상을 통해서 한국의 투자방안에

한 세부 MOU를 체결했다 MOU를 통해서 설립된 루코로지스틱스

(RUCO Logistics 이하 루코)는 코 일의 지원 하에 한국의 민간물류업체

들의 투자를 받아서 라손콘트란스의 러시아 측 지분에 투자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북한 련사업에 한 남한의 투자가 러시아를 통해 우회하

여 남북 계의 정치 불안정성이 투자에 악 향을 끼치는 것을 최소화

하고자 했다

45) 의 pp55ndash56

46) 의 pp57ndash58

47)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1

이처럼 새롭게 상 구도를 짠 결과 러시아는 남북으로부터 아래의 합

의를 이끌어냈다 첫째 나진-하산 로젝트는 TKR-TSR 연결을 한 시

범사업으로 러시아와 북한의 합작회사인 라손콘트란스가 북한의 나진항

과 러시아의 하산 사이에 54km에 이르는 철도구간을 개보수하고 나진항

의 기 인 라를 개발하는 것을 가로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을 49년 간

사용한다48) 둘째 이를 한 투자액은 총 21억 달러(USD)으로 RZD가

약 126억 달러를 분담하는 한편 루코가 러시아 지분 일부(40)를 매

입하는 방식으로 자본을 분담투자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러한 RZD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을 통한 자 조달 계획

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2008년 출범한 이명박 정부는 그간 지속되어

오던 북사업을 취소한다는 뜻을 밝히며 북한이 핵무기 로그램을 포

기하지 않는 한 규모 북경제지원사업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49)

이에 응하여 북한도 남한과의 모든 공식 을 단하면서 남북 계는

격하게 악화 고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민간기업들의 투자도 무

산 다50) 이런 상황에서 RZD는 로젝트를 이행하기 해 2008년 4월

북한과 러시아의 양자 의 형태로 새로운 합의서를 체결하고 2008년 10

월에는 나진항 부두시설 화 나진-하산 철도 화에 한 착공식

을 진행했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러시아 역시 자 형편이 여의치 않아 공

사를 일정 로 진행할 수 없었다51) 이후 러시아는 RZD의 자체 차입 자

으로 투자비를 확보하여 2011년 공사를 재개했고 2013년 나진-하산 간 철

도를 완공 후 개통시켰고 2014년부터는 보수된 나진항 3호 부두를 통해

48) 지분 구조는 RZD가 70이며 북한 철도성이 30이다 이를 해 러시아는 21억 불의

자본을 투자하고 북한은 나진항만 시설을 물로 투자한다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

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2

49) Hong Nack Kim ls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s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2008) pp 8ndash18 Chung-in Moon lsquoSouth Korea in 2008rsquo 49 2008 pp127ndash

128

50)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p64ndash65

51)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3

17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국 러시아

상배경도로-항만-구역일체화 로젝트

(훈춘시정부 차원)

TKR-TSR 연결 로젝트

( 앙 정부 차원)

상시기 2003년-2006년 2000년-2015년 진행

시작

2003년 12월 국 지방 정부 계자

기업이 북한 나선시와 논의 시작

2000년 8월- 푸틴 통령이 남북정상과

논의 시작

2001년 8월 모스크바 선언 정식 결의

석탄을 운반하기 시작했다52) 이때 러시아는 철도연결에 55억 루블(약 18

억 USD) 나진항 터미 공사에 약 35억 루블(약 11억 USD)을 투자한 것

으로 추정된다53)

요컨 2000년 러시아 최고 지도자인 푸틴의 심 속에서 시작된 상

은 2003-4년 북핵 기로 인한 북한의 상 거부 기와 2008년 이후 투자

계획의 난 을 뚫고 최종 으로 이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는 남북

한의 응에 강경하게 응하기보다는 양 국의 의견을 수용하기 한

상 방안을 제시하고 상 를 다시 상에 참여시키기 해 막 한 자 을

투자하기까지 했다 이처럼 러시아가 상을 지속하기 해 다양한 수용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면 러시아와 북한 간의 합의 역시 이행되지 못했

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B 중국-북한 러시아-북한의 협상에 대한 이론적 분석

앞 장에서는 나진항의 부두 사용권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 과

정을 추 해보았다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을 상의 배경 상 주체

북한 측 상 주체 주요 상 내용 상 규모 상 이행 상황을 심

으로 비교해보면 아래의 lt표 1gt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lt표 1gt 나진항 3호 부두 사용권과 관련된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주요 사항

52)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나희승 ldquo남북 sdot 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53)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1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3

국 러시아

과정

- 2004년 기본 합의 완료

- 2005년 3월 24일 MOU 체결

- 2005년 7월 합 회사 설립

- 2005년 9월 본계약 체결

- 2006년 1월 북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합 회사 설립 비

- 2004년 7월 나진-하산 로젝트로 논의

축소 나진항 사용에 한 명시

- 2006년 7월 남-북-러 3자 철도 운 자

회의 나진-하산 화 사업 합의

- 2007년 남한 투자 련 MOU

- 2008년 한국 참여 실패

- 2008년 4월 북-러 나진 하산 철도

화 나진항 3호부두 개발에 한 력

합의서 체결

이행

- 2006년 5월 사업 조사 완료 비

- 2006년 10월 착공 연기

- 2007년 2월 길림성 lsquo두만강유역

개방개발 가속화 방안rsquo 마련

- 2008년 4월 훈춘 둥린회사 외국

투자 유치 난항 최종 실패

- 2008년 4월 라손콘트란스 설립

- 2008년 10월 나진-하산 철도구간 개보수

착공식 후 공사 지연

- 2011년 철도 건설 사업 재개

- 2013-2014년 철도와 부두 개보수 완료

상 주체상 시작 지방 정부

상 과정 민간기업 훈춘시 지원

상 시작 러시아 앙 정부

상 실무 러시아 철도부 RZD54)

북한측 상

주체나선시 인민 원회

-북한 앙 정부

- 상 실무 북한 철도성 육해운성

실무 계자

투자 규모

lt 체 규모gt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

lt본 계약 규모gt

3000만 유로

(24억 RMB 약 3600만 USD) agrave미이행

lt계약 시기gt

총 21억 USD 러시아가 126억 USD

lt이행기gt 철도연결에 55억 루블 지출 터

미 공사에 35억 루블 지출

(약 11억 USD)

이 같은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의 비교를 토 로 러시아와 국의

상력 각국이 구사한 상 략을 비교해보고 러시아가 상에서 유

리한 결과를 낼 수 있었던 요인과 러시아의 략 인 목표를 유추해볼 것

이다

54) 러시아 정부는 2001년부터 자국의 철도 개 을 진행하여 철도부(Railway Ministry)를 국

주식회사인 RZD와 정책 담당 부서인 교통부(Ministry of Transport) 경제 발 무역

부(Ministry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rade)로 분리했다 RZD는 기존의 철도부의

시설 사업을 승계함으로써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상도 이어서 진행하게 되었다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17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우선 상력을 보기 해 상에 임한 국과 러시아의 정태 인 구조

권력을 살펴본다면 비록 총체 인 구조권력 상에서 국이 러시아에 비

해서 압도 으로 강력했으나 나진항을 둘러싸고 북한과 진행한 상사안

만 놓고 본다면 이슈 별 권력에서 러시아가 국보다는 북한에 해 우

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러시아는 북한과의 상에 한

BATNA의 차원에서 국보다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두만강 유역에서

국의 국경은 차 강 기를 따라 좁아지다가 동해를 15km 앞둔 지 에서

끝이 난다55) 그러므로 동해로 직 나갈 수 있는 항구 시설이 무한

국은 나진항 련 상이 결렬되는 경우 동해로의 출해권을 얻을 수가 없

었다 반면 러시아는 나진항 이외에도 극동지역에 여러 항구를 보유하고

있다 일부 연구가 러시아의 극동항만들이 겨울에 얼어붙는 반면 나진항

은 부동항이기 때문에 나진항의 경제 이 이 크다고 보기도 하지만 실

제로는 러시아 극동의 블라디보스톡(Vladivostok) 이남의 항구들은 모두

부동항들로 슬라비얀카(Slavianka)항 보스토치니항(Vostochny) 포시에트

(Posyet)항 자루비노(Zarubino)항 등 개발잠재력이 충분한 항구들이 이미

러시아 극동에서 운용 이다56) 따라서 북한과의 상에 한 이슈 별 권

력의 차원에서 러시아는 국보다 유리한 치에서 상을 시작했다 lsquo의

지rsquo와 lsquo통제rsquo의 측면에서도 러시아는 국보다 더 우 에 있었다 러시아-

북한의 상이 국-북한의 상에 비해서 행 자수 이 높았기 때문에

상을 성사시키기 해 상자가 활용할 수 있는 비용과 제도 인 권력

의 가용범 가 더 컸기 때문이다 상이 난 에 착한 상황에서 러시아

55) James Cotton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1086 Cho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pp51ndash53

56) 특히 19세기와 20세기 반에는 러시아 극동에서 부동항에 한 수요가 컸고 그런 맥락에

서 나진항의 요성이 강조되었다 이와 하여 다음을 참조 Ibid pp52ndash55 백 기 ldquo러

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백 기 최정수 최재희 (편)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동북아역사재단 2007 pp23ndash62

한편 러시아 극동의 항만시설과 해서는 다음을 참조 Robert North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74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5

가 상 체의 틀을 다시 짜는 선택을 할 수 있었던 것이나 남한의 투자

가 결렬된 이후 막 한 비용을 들일 수 있었던 것은 모두 행 자 수 이

높아짐으로써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해 수 있는 범 가 넓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실제로 상이 시작된 2000년 반 푸틴 통령은 자신이 추구하는

로 상을 진행시키기 해 국내정치 으로 의견을 결집시켰다 당시

러시아 료들은 북한과의 철도연결을 재개하는 것에 해서 비 이었

다 러시아 철도부 장 이었던 데 (Guenaddy Fadeyev)는 TKR-TSR

은 투자비용도 무 크고 정치 험도도 높은 사업이라며 회의 인 견

해를 피력하기까지 했다57) 그러나 푸틴은 사업을 lsquo 요한 사업rsquo이라고

못 박았고 데 로 하여 사업이 확실한(promising) 사업이라고

발언하게 했다 이러한 푸틴의 응에 의해 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국

내 으로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 차단되었고 상이행에 한 푸틴

의 강력한 의지가 러시아 국내에 확인되었다

러-북 간의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강력한 지지 속에서 이루어졌다

는 은 상 실무주체가 RZD 다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RZD는 단순히

러시아 철도부가 진행하던 사업의 권한을 승계한 공기업이 아니라 푸틴

의 국내정치권력의 핵심기 의 하나 다 RZD 사장인 야쿠닌(Vladimir

Yakunin)은 푸틴의 최측근 실로비키(silovarch) 한 명으로 차기 통령

후보로까지 거론되기도 했던 인물이다58) 야쿠닌은 나진-하산 로젝트를

RZD의 최우선 로젝트로 상정하고 상과정 내내 상자 간의 의견조

율과 외홍보에 힘을 쏟았다59) 따라서 RZD가 상을 주도했다는 은

나진-하산 로젝트 련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심 속에서 진행되

었다는 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57)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AsiaDH27Ag01html

58) Daniel Treisman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4ndash145

59)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pp228ndash229

17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편 국의 입장에서 상자의 수 이 낮았던 것은 -북 간 상이

실패한 결정 인 원인이었다 국의 상자 수 이 낮은 상황에서 북한

측도 이에 맞춰 상자의 수 이 낮아지게 되면서 양 국은 상의 이행을

한 재량권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실제로 국과의 상에 임했던 나

선시 인민 원회는 상의 출발단계에서부터 국 측이 원한 상 목표인

부두시설 임 에 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나진항의 부두 시설에

한 권한은 으로 북한 육해운성의 소 이기 때문에 나선시 인민 원

회는 부두사용권을 놓고 국과 의하는 것이 처음부터 불가능했기 때문

이다60)

이처럼 러시아는 상의 구조 권력에서 국보다 우 에 있었기 때문

에 다양한 략 선택지를 가지고 상의 교착상황에서 상 방의 입장

을 받아들이는 수용 략을 취함으로써 상이 지속되도록 했다 표 으

로 러시아는 2004년에는 TSR-TKR 연결 사업에서 이탈하려는 북한의 의

사를 반 하여 상의 틀을 축소했으며 2008년에 한국의 투자가 무 로

돌아가면서 상의 이행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자국의 자본을 100 투자

하여 북한과 합의된 사항을 이행했다

러시아가 이와 같은 상 략을 취한 이유를 R-O 모형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우선 러시아는 수용 인 략기조를 유지했기 때문에 상을

통해서 결과이익보다는 계이익을 추구했다고 여겨진다 나진항을 통해

서 얻고자 하는 결과이익은 항만시설을 통한 출해권 확보일 것이다 반

로 이 상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계이익은 상 상 국인 북한과의

계 향상일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의 략 선택은 러시아가 상을

통해 장기 으로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고 략 인 차원에서 장기 으

로 북한에 한 력을 지속시키고자 했다는 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60) 당시 국 둥린 회사를 도와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와의 상에 참여했던 국 훈춘시 지

방 정부 계자 면담에서 계자는 당시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도 외합작 경험이 부족

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권한범 에 한 인식이 부족했었다고 진단했다 2015년

2월 훈춘시정부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7

실제로 푸틴 통령은 상 기 경제 인 손실을 우려하는 국내 료들

의 불안감에 해 상은 요한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이 상의 목

표가 단기 인 경제성에 놓인 것이 아님을 명확하게 했다61)

상이 시작되던 2001년의 시기 배경을 고려해 보면 러시아가 계

이익 다시 말하자면 략 이고 장기 인 차원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

다는 이론상의 설명은 실성이 있다고 단된다 나진항만을 둘러싼 러

시아-북한 간의 상이 TSR-TKR의 연결 사업으로 첫 발을 디뎠던 2000

년 당시 러시아는 푸틴 통령의 집권으로 인해 국내정치 혼란을 바로

잡은 후 소련붕괴와 한반도정책의 실패로 인해 상실한 아시아 지역에

한 략 향력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 때 러시아가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러시아의 향력을 회복하기

해서는 상실했던 북한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만 했다 동아시아와

해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은 경제 으로나 인구 으로나 동아시아 주변

국에 비해 제한 인 역량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 시기

이래로 러시아가 지속 으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에서 주요세력으로 자

리매김했던 것은 소련과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략 인 계가 유지되

었기 때문이다62) 특히 소 계가 악화된 이후 소련은 소련에 한 북한

의 일방 인 의존을 활용하여 아시아 국제 계에서 략 버리지를

유지해 왔다63)

61)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62) Peggy Falkenheim Meyer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14ndash 221

Pavel A Minakir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p32ndash 50

Tamara Troyakova amp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ndash 37

63) John W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ndash53 Gilbert Rozman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 Stephan Blank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pp78ndash82

17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그러나 90년 들어 소련은 북한에 해 가지고 있던 향력을 상실하

면서 아시아의 정치무 에서 배제되게 되었다 1980년 후반 소련은 경

제 이익을 기 하며 남한과의 계수립에 힘썼고 1990년 남한과의 국

교를 정상화하기에 이르 다 게다가 소련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의 수장

으로 취임한 친(Boris Yeltsin) 통령은 서방과의 계회복을 기 하며

민주 가치와 자유를 존 하는 러시아의 모습을 보이기 해 공산독재국

가 던 북한과 의도 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공식

외교채 은 단 되었으며 러시아는 그 동안 북한에게 무상으로 제공

해 왔던 석유지원을 단했으며 러시아의 무기를 북한에 수출하지 않겠

다고 밝혔다64) 당시 러시아 외교부장 이었던 코지 (Andrei Kozyrev)

는 북한의 인권침해를 공식 으로 비 하면서 북한의 정치 변화를 구

하기까지 했다65) 결과 으로 한반도에서의 러시아의 외교정책 인 환

은 냉 기부터 긴 하게 유지되었던 러시아와 북한의 정치 연결고리를

약화시켰으며 북한은 러시아에 해서 가지고 있던 우호 인 시선을 거

두어들이게 되었다66) 그러나 러시아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이 사라진 것은 러시아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

제 계에서도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다 러시아가 북한에 해 정치

향력을 발휘할 것을 기 하며 러시아와의 계개선을 추진했던 남한은 러

시아가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을 상실하자 러시아를 외교 으로 등

한시했다67) 게다가 소련의 붕괴 이후 러시아의 통 인 향권에 한

64) Seung-ho Jo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ndash130 David Wolff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

booksdprkbbrussia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Alexander

Vorontsov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p5

65)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53

66) 이정철 외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p87ndash89

67)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호 2002 pp289

ndash297 Gilbert Rozman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9

침투를 본격화한 미국은 북-러 계가 약화된 시 에서 한반도 문제의

심 인 조정자로 부상하게 되었다68) 러시아가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외교

의제에서 배제된 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사건이 바로 1차 북핵 기

다 1차 북핵 기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를 포함한 8자 회담을 통해서 북핵

문제를 보다 국제 인 차원에서 해결하기를 원했으나 결과 으로 북한에

한 향력을 상실한 러시아는 배제된 채 4자 회담의 형태로 상이 진

행되었다69)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러시아는 남북한 모두에게 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면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자국의 향력 후퇴를 막을 수 없다는

을 확인했고 남한에 과도하게 경사되었던 한반도 계를 재조정하고

남북한 균형 정책을 구사하기 시작했다70) 러시아는 친서방 성향이 강

했던 코지 를 신하여 실용 유라시아주의자 리마코 (Yevgenni

Primakov)를 외교부 장 으로 임명하고 북한과의 계 회복에 주력했

다71)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태도는 냉담했는데 이는

러시아가 여 히 경제 인 측면에서 이익을 수 있는 남한과의 계를

더 시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력과 군사력이 약화된 러시아가 북한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북한의 의구심 때문이었다72)

p41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pp23ndash46

68) Yoshinori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192 Seung-ho Joo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Ashgate 2002 pp147ndash148

69) 러시아의 근 방식에 해서 다음을 참조Evgueni Bajanov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러시아의 배제와 4자 회담에 해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7ndash298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pp194ndash196 Stephen Blank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4ndash5

70)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pp228ndash229

71) Seung-ho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ndash81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6ndash298

72)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192 P Rangsimaporn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18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상실해버린 북 향력을 회복하는 것을 북 략의 주요 목표로 삼았

던 러시아에게 나진-하산 로젝트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기

한 출발 으로 매우 한 기획이었다 우선 나진-하산 로젝트가

TSR-TKR 로젝트로 시작되던 시기는 국제정치 으로 한반도의 화해 국

면 속에서 인 국가로서 러시아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극 화되던 시 이

었다73) 당시 남한과 북한은 화를 시작하고 추가 인 력 의제들을 논

의하는 과정 에 있었다 이러한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인 라 부문에

한 이해 계를 공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실리 인 력 어젠다(agenda)

를 통해 화와 력을 지속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 인 수요를 포착

하고 TSR-TKR 연결 구상을 통해 한반도에 한 실리 인 개자로 참여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이 시기는 러시아의 근에 해서

회의 인 입장을 견지하던 북한도 자국의 국내 정치상황으로 인해 입장을

바꾸던 때 다 당시 나진-선 을 통해서 개 개방을 도모하던 북한은 나

진선 지 개발에 한 외국투자를 극 으로 유치했다74) 때문에 러시

아의 근에 한 북한의 반응도 비교 정 이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나진항을 포함한 북한의 항만 시설 철도 인 라 시

설에 해서 확실한 기술 우 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과의 인

라 력 부문에서 확실한 강 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부터 1990년

까지 소련은 북한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등을 직 건설했으며 나진

항의 화 역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75) 소련은 이

게 개발한 나진항에 해서 공식 인 우선권을 인정받고(1978) 이를 소

Palgrave Macmillan 2009 pp62ndash64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p477

73) In-kon Yeo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ndash115

74)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75) 안병민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남

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pp1ndash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16: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16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설립인가를 받게 다36)

상을 통해서 합의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37)첫째 국과 북한 사이에

설립되는 합 회사는 로젝트에 총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를

투자하여 나진항 3호 부두를 확장 건설하고 4호 부두를 신설하며 보세

가공구와 공업원구를 배후지에 건설하는 한편 나진-원정 간의 비포장 도

로 67km를 488km의 왕복 2차선 직선 포장도로로 개량하기로 했다38) 둘

째로 이러한 거 로젝트를 실시하기 한 선결조건으로 국 측은

3000만 유로(약 24억 안 3600만 USD)를 투자하여 원정-나진 간 도로

건설을 우선 시작하고 나진항 3호 부두를 개조하는 가로 나진항 3호 부

두와 향후 지어질 4호 부두에 한 50년간의 사용권을 획득하기로 했다

그러나 2006년 5월 구상이 마무리되고 10월부터 착공하기로 되어있던

고속도로 건설 사업은 북한의 핵실험 둥린회사의 투자 조달 실패 등

으로 인해 착공 정일을 맞추지 못하게 되었다39) 이에 2007년에는 국

길림성 정부까지 나서 나진항 개발자 을 지원하기 해 세 징수 우 정

책까지 부여했지만 둥린회사는 자 부족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2008년 러시아와 북한의 합의에 의해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에 한

이권을 상실하게 되었다40)

35) 계약은 합 회사가 2006년 5월부터 나진-원정간 고속도로 건설을 시작하고 추후 나진

항 3호 부두를 개조하고 공업단지 보세가공구를 건설하는 조건으로 나진항 3호 부두의

50년간의 사용권을 확보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36) 의 p61

37) 徐家军amp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

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38) 투자액에 한 미 달러 환산 액은 본 계약 완료시 인 2005년 9월의 월별 환율을 통해

필자추정

39) 당시 국 후난 학(湖南大學) 연구원을 통해 원정-나진항 도로건설에 한 실사 조사

공사 방안이 확정되었으며 10월까지 도로 주변의 나무 채벌까지 완료되면서 본격 인 착

공을 앞둔 제반 비가 마무리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pp56ndash58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pp55ndash57

40) 의 책 p5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9

(2) 러시아-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의 부두개발에 한 국과 북한의 의가 지방정부 차원에서 시

작된 반면 러시아와 북한 사이의 상은 앙정부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2000년 8월 러시아의 푸틴(Vladimir Putin) 통령은 남북한의 화해 분

기가 조성된 틈을 타 한반도 횡단 철도(Trans-Korean Railway 이하 TKR)

를 시베리아 횡단 철도(Trans-Siberian Railway 이하 TSR)와 연결하는 이

른바 lsquo철의 실크로드rsquo 구상을 김정일 국방 원장 김 통령에게

달했다41) 남북의 지도자로부터 정 인 반응을 이끌어낸 푸틴은 2001년

북middot러 정상 회담을 통해 발표된 모스크바 선언의 6항을 통해 TKR-TSR 연

결 사업에 한 북한과 러시아의 력 의지를 공식 으로 밝혔다42) 상

이 본격화된 이후 러시아는 철도부 표단을 수차례 북한에 견하여 북

한 철도성과 철도 화에 해 본격 으로 논의하기 시작했다43) 2003

년 이후 러시아 철도공사(RZD)가 러시아 철도부의 모든 인 라와 사업

로젝트를 승계함에 따라 RZD는 국 기업의 자격으로 TKR-TSR 연결

사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남-북-러 사이의 삼자 력 구도 속에서 시작된 TKR-TSR 연결

사업은 상 과정에서 노선선정 재원조달 방식 등의 주요쟁 들에

한 각국의 견해차로 인해서 곧 교착상황에 빠지게 되었다44) 그런 상황 속

에서 2002년 이후 2차 북핵 기로 인해 북한에 한 국제사회의 제재가

지속되고 남북 계가 악화되자 북한은 2004년에 TKR-TSR 연결사업에

41) Seung-ho Joo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Cornwell

Ashgate 2009 pp179ndash256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2000ne

42)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23 2007 p231

43)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pp 75ndash80

44)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 56

17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논의가 무의미하다고 밝히며 회의불참을 선언한다45) 이 게 삼각

력의 구도가 기에 착하자 RZD는 상의 구도를 북한-러시아 간 한

국-러시아 간의 상의 두 트랙으로 분리하고 양 국과 개별 인 상을

진행하여 갈등을 합하고자 했다

우선 러시아는 TSR-TKR의 체 구간을 연결하려던 기존의 구상을 축

소하여 일부 구간만을 시범 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사업 구상을 변경해

북한에게 제의했다 북한이 이에 응하면서 2004년 북-러 국경 철도 의회

는 우선 TSR과 TKR의 결 에 치한 나진-하산 간 철도 개량사업부터

시범 실시하는 것에 한 상을 시작했다46) 상은 2006년 블라디보

스토크에서 열린 남-북-러 철도 표자 회의를 통해서 구체화되었는데 그

내용은 RZD와 북한이 함께 설립하는 합작회사(Rasonkontrans 이하 라손

콘트란스)를 통해서 나진-하산간 철도 나진항 항만시설 개보수를 진행

한다는 것이었다 합의를 통해 RZD는 나진항 부두시설사용권에 한

이권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자 조달방법에 해서 북한으로부터 재량권

을 임 받았다47)

한편 RZD는 한국이 주요투자자로 로젝트에 남아있기를 원했다 따

라서 북한으로부터 투자 유치에 한 재량권을 얻고 나자 2007년 한국 철

도공사(KORAIL 이하 코 일)와 양자 상을 통해서 한국의 투자방안에

한 세부 MOU를 체결했다 MOU를 통해서 설립된 루코로지스틱스

(RUCO Logistics 이하 루코)는 코 일의 지원 하에 한국의 민간물류업체

들의 투자를 받아서 라손콘트란스의 러시아 측 지분에 투자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북한 련사업에 한 남한의 투자가 러시아를 통해 우회하

여 남북 계의 정치 불안정성이 투자에 악 향을 끼치는 것을 최소화

하고자 했다

45) 의 pp55ndash56

46) 의 pp57ndash58

47)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1

이처럼 새롭게 상 구도를 짠 결과 러시아는 남북으로부터 아래의 합

의를 이끌어냈다 첫째 나진-하산 로젝트는 TKR-TSR 연결을 한 시

범사업으로 러시아와 북한의 합작회사인 라손콘트란스가 북한의 나진항

과 러시아의 하산 사이에 54km에 이르는 철도구간을 개보수하고 나진항

의 기 인 라를 개발하는 것을 가로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을 49년 간

사용한다48) 둘째 이를 한 투자액은 총 21억 달러(USD)으로 RZD가

약 126억 달러를 분담하는 한편 루코가 러시아 지분 일부(40)를 매

입하는 방식으로 자본을 분담투자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러한 RZD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을 통한 자 조달 계획

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2008년 출범한 이명박 정부는 그간 지속되어

오던 북사업을 취소한다는 뜻을 밝히며 북한이 핵무기 로그램을 포

기하지 않는 한 규모 북경제지원사업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49)

이에 응하여 북한도 남한과의 모든 공식 을 단하면서 남북 계는

격하게 악화 고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민간기업들의 투자도 무

산 다50) 이런 상황에서 RZD는 로젝트를 이행하기 해 2008년 4월

북한과 러시아의 양자 의 형태로 새로운 합의서를 체결하고 2008년 10

월에는 나진항 부두시설 화 나진-하산 철도 화에 한 착공식

을 진행했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러시아 역시 자 형편이 여의치 않아 공

사를 일정 로 진행할 수 없었다51) 이후 러시아는 RZD의 자체 차입 자

으로 투자비를 확보하여 2011년 공사를 재개했고 2013년 나진-하산 간 철

도를 완공 후 개통시켰고 2014년부터는 보수된 나진항 3호 부두를 통해

48) 지분 구조는 RZD가 70이며 북한 철도성이 30이다 이를 해 러시아는 21억 불의

자본을 투자하고 북한은 나진항만 시설을 물로 투자한다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

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2

49) Hong Nack Kim ls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s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2008) pp 8ndash18 Chung-in Moon lsquoSouth Korea in 2008rsquo 49 2008 pp127ndash

128

50)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p64ndash65

51)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3

17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국 러시아

상배경도로-항만-구역일체화 로젝트

(훈춘시정부 차원)

TKR-TSR 연결 로젝트

( 앙 정부 차원)

상시기 2003년-2006년 2000년-2015년 진행

시작

2003년 12월 국 지방 정부 계자

기업이 북한 나선시와 논의 시작

2000년 8월- 푸틴 통령이 남북정상과

논의 시작

2001년 8월 모스크바 선언 정식 결의

석탄을 운반하기 시작했다52) 이때 러시아는 철도연결에 55억 루블(약 18

억 USD) 나진항 터미 공사에 약 35억 루블(약 11억 USD)을 투자한 것

으로 추정된다53)

요컨 2000년 러시아 최고 지도자인 푸틴의 심 속에서 시작된 상

은 2003-4년 북핵 기로 인한 북한의 상 거부 기와 2008년 이후 투자

계획의 난 을 뚫고 최종 으로 이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는 남북

한의 응에 강경하게 응하기보다는 양 국의 의견을 수용하기 한

상 방안을 제시하고 상 를 다시 상에 참여시키기 해 막 한 자 을

투자하기까지 했다 이처럼 러시아가 상을 지속하기 해 다양한 수용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면 러시아와 북한 간의 합의 역시 이행되지 못했

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B 중국-북한 러시아-북한의 협상에 대한 이론적 분석

앞 장에서는 나진항의 부두 사용권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 과

정을 추 해보았다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을 상의 배경 상 주체

북한 측 상 주체 주요 상 내용 상 규모 상 이행 상황을 심

으로 비교해보면 아래의 lt표 1gt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lt표 1gt 나진항 3호 부두 사용권과 관련된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주요 사항

52)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나희승 ldquo남북 sdot 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53)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1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3

국 러시아

과정

- 2004년 기본 합의 완료

- 2005년 3월 24일 MOU 체결

- 2005년 7월 합 회사 설립

- 2005년 9월 본계약 체결

- 2006년 1월 북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합 회사 설립 비

- 2004년 7월 나진-하산 로젝트로 논의

축소 나진항 사용에 한 명시

- 2006년 7월 남-북-러 3자 철도 운 자

회의 나진-하산 화 사업 합의

- 2007년 남한 투자 련 MOU

- 2008년 한국 참여 실패

- 2008년 4월 북-러 나진 하산 철도

화 나진항 3호부두 개발에 한 력

합의서 체결

이행

- 2006년 5월 사업 조사 완료 비

- 2006년 10월 착공 연기

- 2007년 2월 길림성 lsquo두만강유역

개방개발 가속화 방안rsquo 마련

- 2008년 4월 훈춘 둥린회사 외국

투자 유치 난항 최종 실패

- 2008년 4월 라손콘트란스 설립

- 2008년 10월 나진-하산 철도구간 개보수

착공식 후 공사 지연

- 2011년 철도 건설 사업 재개

- 2013-2014년 철도와 부두 개보수 완료

상 주체상 시작 지방 정부

상 과정 민간기업 훈춘시 지원

상 시작 러시아 앙 정부

상 실무 러시아 철도부 RZD54)

북한측 상

주체나선시 인민 원회

-북한 앙 정부

- 상 실무 북한 철도성 육해운성

실무 계자

투자 규모

lt 체 규모gt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

lt본 계약 규모gt

3000만 유로

(24억 RMB 약 3600만 USD) agrave미이행

lt계약 시기gt

총 21억 USD 러시아가 126억 USD

lt이행기gt 철도연결에 55억 루블 지출 터

미 공사에 35억 루블 지출

(약 11억 USD)

이 같은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의 비교를 토 로 러시아와 국의

상력 각국이 구사한 상 략을 비교해보고 러시아가 상에서 유

리한 결과를 낼 수 있었던 요인과 러시아의 략 인 목표를 유추해볼 것

이다

54) 러시아 정부는 2001년부터 자국의 철도 개 을 진행하여 철도부(Railway Ministry)를 국

주식회사인 RZD와 정책 담당 부서인 교통부(Ministry of Transport) 경제 발 무역

부(Ministry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rade)로 분리했다 RZD는 기존의 철도부의

시설 사업을 승계함으로써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상도 이어서 진행하게 되었다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17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우선 상력을 보기 해 상에 임한 국과 러시아의 정태 인 구조

권력을 살펴본다면 비록 총체 인 구조권력 상에서 국이 러시아에 비

해서 압도 으로 강력했으나 나진항을 둘러싸고 북한과 진행한 상사안

만 놓고 본다면 이슈 별 권력에서 러시아가 국보다는 북한에 해 우

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러시아는 북한과의 상에 한

BATNA의 차원에서 국보다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두만강 유역에서

국의 국경은 차 강 기를 따라 좁아지다가 동해를 15km 앞둔 지 에서

끝이 난다55) 그러므로 동해로 직 나갈 수 있는 항구 시설이 무한

국은 나진항 련 상이 결렬되는 경우 동해로의 출해권을 얻을 수가 없

었다 반면 러시아는 나진항 이외에도 극동지역에 여러 항구를 보유하고

있다 일부 연구가 러시아의 극동항만들이 겨울에 얼어붙는 반면 나진항

은 부동항이기 때문에 나진항의 경제 이 이 크다고 보기도 하지만 실

제로는 러시아 극동의 블라디보스톡(Vladivostok) 이남의 항구들은 모두

부동항들로 슬라비얀카(Slavianka)항 보스토치니항(Vostochny) 포시에트

(Posyet)항 자루비노(Zarubino)항 등 개발잠재력이 충분한 항구들이 이미

러시아 극동에서 운용 이다56) 따라서 북한과의 상에 한 이슈 별 권

력의 차원에서 러시아는 국보다 유리한 치에서 상을 시작했다 lsquo의

지rsquo와 lsquo통제rsquo의 측면에서도 러시아는 국보다 더 우 에 있었다 러시아-

북한의 상이 국-북한의 상에 비해서 행 자수 이 높았기 때문에

상을 성사시키기 해 상자가 활용할 수 있는 비용과 제도 인 권력

의 가용범 가 더 컸기 때문이다 상이 난 에 착한 상황에서 러시아

55) James Cotton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1086 Cho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pp51ndash53

56) 특히 19세기와 20세기 반에는 러시아 극동에서 부동항에 한 수요가 컸고 그런 맥락에

서 나진항의 요성이 강조되었다 이와 하여 다음을 참조 Ibid pp52ndash55 백 기 ldquo러

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백 기 최정수 최재희 (편)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동북아역사재단 2007 pp23ndash62

한편 러시아 극동의 항만시설과 해서는 다음을 참조 Robert North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74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5

가 상 체의 틀을 다시 짜는 선택을 할 수 있었던 것이나 남한의 투자

가 결렬된 이후 막 한 비용을 들일 수 있었던 것은 모두 행 자 수 이

높아짐으로써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해 수 있는 범 가 넓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실제로 상이 시작된 2000년 반 푸틴 통령은 자신이 추구하는

로 상을 진행시키기 해 국내정치 으로 의견을 결집시켰다 당시

러시아 료들은 북한과의 철도연결을 재개하는 것에 해서 비 이었

다 러시아 철도부 장 이었던 데 (Guenaddy Fadeyev)는 TKR-TSR

은 투자비용도 무 크고 정치 험도도 높은 사업이라며 회의 인 견

해를 피력하기까지 했다57) 그러나 푸틴은 사업을 lsquo 요한 사업rsquo이라고

못 박았고 데 로 하여 사업이 확실한(promising) 사업이라고

발언하게 했다 이러한 푸틴의 응에 의해 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국

내 으로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 차단되었고 상이행에 한 푸틴

의 강력한 의지가 러시아 국내에 확인되었다

러-북 간의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강력한 지지 속에서 이루어졌다

는 은 상 실무주체가 RZD 다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RZD는 단순히

러시아 철도부가 진행하던 사업의 권한을 승계한 공기업이 아니라 푸틴

의 국내정치권력의 핵심기 의 하나 다 RZD 사장인 야쿠닌(Vladimir

Yakunin)은 푸틴의 최측근 실로비키(silovarch) 한 명으로 차기 통령

후보로까지 거론되기도 했던 인물이다58) 야쿠닌은 나진-하산 로젝트를

RZD의 최우선 로젝트로 상정하고 상과정 내내 상자 간의 의견조

율과 외홍보에 힘을 쏟았다59) 따라서 RZD가 상을 주도했다는 은

나진-하산 로젝트 련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심 속에서 진행되

었다는 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57)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AsiaDH27Ag01html

58) Daniel Treisman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4ndash145

59)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pp228ndash229

17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편 국의 입장에서 상자의 수 이 낮았던 것은 -북 간 상이

실패한 결정 인 원인이었다 국의 상자 수 이 낮은 상황에서 북한

측도 이에 맞춰 상자의 수 이 낮아지게 되면서 양 국은 상의 이행을

한 재량권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실제로 국과의 상에 임했던 나

선시 인민 원회는 상의 출발단계에서부터 국 측이 원한 상 목표인

부두시설 임 에 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나진항의 부두 시설에

한 권한은 으로 북한 육해운성의 소 이기 때문에 나선시 인민 원

회는 부두사용권을 놓고 국과 의하는 것이 처음부터 불가능했기 때문

이다60)

이처럼 러시아는 상의 구조 권력에서 국보다 우 에 있었기 때문

에 다양한 략 선택지를 가지고 상의 교착상황에서 상 방의 입장

을 받아들이는 수용 략을 취함으로써 상이 지속되도록 했다 표 으

로 러시아는 2004년에는 TSR-TKR 연결 사업에서 이탈하려는 북한의 의

사를 반 하여 상의 틀을 축소했으며 2008년에 한국의 투자가 무 로

돌아가면서 상의 이행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자국의 자본을 100 투자

하여 북한과 합의된 사항을 이행했다

러시아가 이와 같은 상 략을 취한 이유를 R-O 모형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우선 러시아는 수용 인 략기조를 유지했기 때문에 상을

통해서 결과이익보다는 계이익을 추구했다고 여겨진다 나진항을 통해

서 얻고자 하는 결과이익은 항만시설을 통한 출해권 확보일 것이다 반

로 이 상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계이익은 상 상 국인 북한과의

계 향상일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의 략 선택은 러시아가 상을

통해 장기 으로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고 략 인 차원에서 장기 으

로 북한에 한 력을 지속시키고자 했다는 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60) 당시 국 둥린 회사를 도와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와의 상에 참여했던 국 훈춘시 지

방 정부 계자 면담에서 계자는 당시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도 외합작 경험이 부족

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권한범 에 한 인식이 부족했었다고 진단했다 2015년

2월 훈춘시정부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7

실제로 푸틴 통령은 상 기 경제 인 손실을 우려하는 국내 료들

의 불안감에 해 상은 요한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이 상의 목

표가 단기 인 경제성에 놓인 것이 아님을 명확하게 했다61)

상이 시작되던 2001년의 시기 배경을 고려해 보면 러시아가 계

이익 다시 말하자면 략 이고 장기 인 차원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

다는 이론상의 설명은 실성이 있다고 단된다 나진항만을 둘러싼 러

시아-북한 간의 상이 TSR-TKR의 연결 사업으로 첫 발을 디뎠던 2000

년 당시 러시아는 푸틴 통령의 집권으로 인해 국내정치 혼란을 바로

잡은 후 소련붕괴와 한반도정책의 실패로 인해 상실한 아시아 지역에

한 략 향력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 때 러시아가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러시아의 향력을 회복하기

해서는 상실했던 북한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만 했다 동아시아와

해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은 경제 으로나 인구 으로나 동아시아 주변

국에 비해 제한 인 역량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 시기

이래로 러시아가 지속 으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에서 주요세력으로 자

리매김했던 것은 소련과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략 인 계가 유지되

었기 때문이다62) 특히 소 계가 악화된 이후 소련은 소련에 한 북한

의 일방 인 의존을 활용하여 아시아 국제 계에서 략 버리지를

유지해 왔다63)

61)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62) Peggy Falkenheim Meyer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14ndash 221

Pavel A Minakir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p32ndash 50

Tamara Troyakova amp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ndash 37

63) John W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ndash53 Gilbert Rozman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 Stephan Blank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pp78ndash82

17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그러나 90년 들어 소련은 북한에 해 가지고 있던 향력을 상실하

면서 아시아의 정치무 에서 배제되게 되었다 1980년 후반 소련은 경

제 이익을 기 하며 남한과의 계수립에 힘썼고 1990년 남한과의 국

교를 정상화하기에 이르 다 게다가 소련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의 수장

으로 취임한 친(Boris Yeltsin) 통령은 서방과의 계회복을 기 하며

민주 가치와 자유를 존 하는 러시아의 모습을 보이기 해 공산독재국

가 던 북한과 의도 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공식

외교채 은 단 되었으며 러시아는 그 동안 북한에게 무상으로 제공

해 왔던 석유지원을 단했으며 러시아의 무기를 북한에 수출하지 않겠

다고 밝혔다64) 당시 러시아 외교부장 이었던 코지 (Andrei Kozyrev)

는 북한의 인권침해를 공식 으로 비 하면서 북한의 정치 변화를 구

하기까지 했다65) 결과 으로 한반도에서의 러시아의 외교정책 인 환

은 냉 기부터 긴 하게 유지되었던 러시아와 북한의 정치 연결고리를

약화시켰으며 북한은 러시아에 해서 가지고 있던 우호 인 시선을 거

두어들이게 되었다66) 그러나 러시아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이 사라진 것은 러시아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

제 계에서도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다 러시아가 북한에 해 정치

향력을 발휘할 것을 기 하며 러시아와의 계개선을 추진했던 남한은 러

시아가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을 상실하자 러시아를 외교 으로 등

한시했다67) 게다가 소련의 붕괴 이후 러시아의 통 인 향권에 한

64) Seung-ho Jo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ndash130 David Wolff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

booksdprkbbrussia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Alexander

Vorontsov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p5

65)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53

66) 이정철 외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p87ndash89

67)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호 2002 pp289

ndash297 Gilbert Rozman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9

침투를 본격화한 미국은 북-러 계가 약화된 시 에서 한반도 문제의

심 인 조정자로 부상하게 되었다68) 러시아가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외교

의제에서 배제된 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사건이 바로 1차 북핵 기

다 1차 북핵 기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를 포함한 8자 회담을 통해서 북핵

문제를 보다 국제 인 차원에서 해결하기를 원했으나 결과 으로 북한에

한 향력을 상실한 러시아는 배제된 채 4자 회담의 형태로 상이 진

행되었다69)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러시아는 남북한 모두에게 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면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자국의 향력 후퇴를 막을 수 없다는

을 확인했고 남한에 과도하게 경사되었던 한반도 계를 재조정하고

남북한 균형 정책을 구사하기 시작했다70) 러시아는 친서방 성향이 강

했던 코지 를 신하여 실용 유라시아주의자 리마코 (Yevgenni

Primakov)를 외교부 장 으로 임명하고 북한과의 계 회복에 주력했

다71)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태도는 냉담했는데 이는

러시아가 여 히 경제 인 측면에서 이익을 수 있는 남한과의 계를

더 시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력과 군사력이 약화된 러시아가 북한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북한의 의구심 때문이었다72)

p41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pp23ndash46

68) Yoshinori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192 Seung-ho Joo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Ashgate 2002 pp147ndash148

69) 러시아의 근 방식에 해서 다음을 참조Evgueni Bajanov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러시아의 배제와 4자 회담에 해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7ndash298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pp194ndash196 Stephen Blank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4ndash5

70)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pp228ndash229

71) Seung-ho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ndash81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6ndash298

72)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192 P Rangsimaporn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18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상실해버린 북 향력을 회복하는 것을 북 략의 주요 목표로 삼았

던 러시아에게 나진-하산 로젝트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기

한 출발 으로 매우 한 기획이었다 우선 나진-하산 로젝트가

TSR-TKR 로젝트로 시작되던 시기는 국제정치 으로 한반도의 화해 국

면 속에서 인 국가로서 러시아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극 화되던 시 이

었다73) 당시 남한과 북한은 화를 시작하고 추가 인 력 의제들을 논

의하는 과정 에 있었다 이러한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인 라 부문에

한 이해 계를 공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실리 인 력 어젠다(agenda)

를 통해 화와 력을 지속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 인 수요를 포착

하고 TSR-TKR 연결 구상을 통해 한반도에 한 실리 인 개자로 참여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이 시기는 러시아의 근에 해서

회의 인 입장을 견지하던 북한도 자국의 국내 정치상황으로 인해 입장을

바꾸던 때 다 당시 나진-선 을 통해서 개 개방을 도모하던 북한은 나

진선 지 개발에 한 외국투자를 극 으로 유치했다74) 때문에 러시

아의 근에 한 북한의 반응도 비교 정 이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나진항을 포함한 북한의 항만 시설 철도 인 라 시

설에 해서 확실한 기술 우 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과의 인

라 력 부문에서 확실한 강 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부터 1990년

까지 소련은 북한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등을 직 건설했으며 나진

항의 화 역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75) 소련은 이

게 개발한 나진항에 해서 공식 인 우선권을 인정받고(1978) 이를 소

Palgrave Macmillan 2009 pp62ndash64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p477

73) In-kon Yeo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ndash115

74)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75) 안병민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남

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pp1ndash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1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69

(2) 러시아-북한 간 협상과정

나진항의 부두개발에 한 국과 북한의 의가 지방정부 차원에서 시

작된 반면 러시아와 북한 사이의 상은 앙정부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2000년 8월 러시아의 푸틴(Vladimir Putin) 통령은 남북한의 화해 분

기가 조성된 틈을 타 한반도 횡단 철도(Trans-Korean Railway 이하 TKR)

를 시베리아 횡단 철도(Trans-Siberian Railway 이하 TSR)와 연결하는 이

른바 lsquo철의 실크로드rsquo 구상을 김정일 국방 원장 김 통령에게

달했다41) 남북의 지도자로부터 정 인 반응을 이끌어낸 푸틴은 2001년

북middot러 정상 회담을 통해 발표된 모스크바 선언의 6항을 통해 TKR-TSR 연

결 사업에 한 북한과 러시아의 력 의지를 공식 으로 밝혔다42) 상

이 본격화된 이후 러시아는 철도부 표단을 수차례 북한에 견하여 북

한 철도성과 철도 화에 해 본격 으로 논의하기 시작했다43) 2003

년 이후 러시아 철도공사(RZD)가 러시아 철도부의 모든 인 라와 사업

로젝트를 승계함에 따라 RZD는 국 기업의 자격으로 TKR-TSR 연결

사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남-북-러 사이의 삼자 력 구도 속에서 시작된 TKR-TSR 연결

사업은 상 과정에서 노선선정 재원조달 방식 등의 주요쟁 들에

한 각국의 견해차로 인해서 곧 교착상황에 빠지게 되었다44) 그런 상황 속

에서 2002년 이후 2차 북핵 기로 인해 북한에 한 국제사회의 제재가

지속되고 남북 계가 악화되자 북한은 2004년에 TKR-TSR 연결사업에

41) Seung-ho Joo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Cornwell

Ashgate 2009 pp179ndash256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2000ne

42)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23 2007 p231

43)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pp 75ndash80

44)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 56

17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논의가 무의미하다고 밝히며 회의불참을 선언한다45) 이 게 삼각

력의 구도가 기에 착하자 RZD는 상의 구도를 북한-러시아 간 한

국-러시아 간의 상의 두 트랙으로 분리하고 양 국과 개별 인 상을

진행하여 갈등을 합하고자 했다

우선 러시아는 TSR-TKR의 체 구간을 연결하려던 기존의 구상을 축

소하여 일부 구간만을 시범 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사업 구상을 변경해

북한에게 제의했다 북한이 이에 응하면서 2004년 북-러 국경 철도 의회

는 우선 TSR과 TKR의 결 에 치한 나진-하산 간 철도 개량사업부터

시범 실시하는 것에 한 상을 시작했다46) 상은 2006년 블라디보

스토크에서 열린 남-북-러 철도 표자 회의를 통해서 구체화되었는데 그

내용은 RZD와 북한이 함께 설립하는 합작회사(Rasonkontrans 이하 라손

콘트란스)를 통해서 나진-하산간 철도 나진항 항만시설 개보수를 진행

한다는 것이었다 합의를 통해 RZD는 나진항 부두시설사용권에 한

이권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자 조달방법에 해서 북한으로부터 재량권

을 임 받았다47)

한편 RZD는 한국이 주요투자자로 로젝트에 남아있기를 원했다 따

라서 북한으로부터 투자 유치에 한 재량권을 얻고 나자 2007년 한국 철

도공사(KORAIL 이하 코 일)와 양자 상을 통해서 한국의 투자방안에

한 세부 MOU를 체결했다 MOU를 통해서 설립된 루코로지스틱스

(RUCO Logistics 이하 루코)는 코 일의 지원 하에 한국의 민간물류업체

들의 투자를 받아서 라손콘트란스의 러시아 측 지분에 투자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북한 련사업에 한 남한의 투자가 러시아를 통해 우회하

여 남북 계의 정치 불안정성이 투자에 악 향을 끼치는 것을 최소화

하고자 했다

45) 의 pp55ndash56

46) 의 pp57ndash58

47)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1

이처럼 새롭게 상 구도를 짠 결과 러시아는 남북으로부터 아래의 합

의를 이끌어냈다 첫째 나진-하산 로젝트는 TKR-TSR 연결을 한 시

범사업으로 러시아와 북한의 합작회사인 라손콘트란스가 북한의 나진항

과 러시아의 하산 사이에 54km에 이르는 철도구간을 개보수하고 나진항

의 기 인 라를 개발하는 것을 가로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을 49년 간

사용한다48) 둘째 이를 한 투자액은 총 21억 달러(USD)으로 RZD가

약 126억 달러를 분담하는 한편 루코가 러시아 지분 일부(40)를 매

입하는 방식으로 자본을 분담투자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러한 RZD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을 통한 자 조달 계획

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2008년 출범한 이명박 정부는 그간 지속되어

오던 북사업을 취소한다는 뜻을 밝히며 북한이 핵무기 로그램을 포

기하지 않는 한 규모 북경제지원사업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49)

이에 응하여 북한도 남한과의 모든 공식 을 단하면서 남북 계는

격하게 악화 고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민간기업들의 투자도 무

산 다50) 이런 상황에서 RZD는 로젝트를 이행하기 해 2008년 4월

북한과 러시아의 양자 의 형태로 새로운 합의서를 체결하고 2008년 10

월에는 나진항 부두시설 화 나진-하산 철도 화에 한 착공식

을 진행했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러시아 역시 자 형편이 여의치 않아 공

사를 일정 로 진행할 수 없었다51) 이후 러시아는 RZD의 자체 차입 자

으로 투자비를 확보하여 2011년 공사를 재개했고 2013년 나진-하산 간 철

도를 완공 후 개통시켰고 2014년부터는 보수된 나진항 3호 부두를 통해

48) 지분 구조는 RZD가 70이며 북한 철도성이 30이다 이를 해 러시아는 21억 불의

자본을 투자하고 북한은 나진항만 시설을 물로 투자한다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

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2

49) Hong Nack Kim ls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s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2008) pp 8ndash18 Chung-in Moon lsquoSouth Korea in 2008rsquo 49 2008 pp127ndash

128

50)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p64ndash65

51)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3

17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국 러시아

상배경도로-항만-구역일체화 로젝트

(훈춘시정부 차원)

TKR-TSR 연결 로젝트

( 앙 정부 차원)

상시기 2003년-2006년 2000년-2015년 진행

시작

2003년 12월 국 지방 정부 계자

기업이 북한 나선시와 논의 시작

2000년 8월- 푸틴 통령이 남북정상과

논의 시작

2001년 8월 모스크바 선언 정식 결의

석탄을 운반하기 시작했다52) 이때 러시아는 철도연결에 55억 루블(약 18

억 USD) 나진항 터미 공사에 약 35억 루블(약 11억 USD)을 투자한 것

으로 추정된다53)

요컨 2000년 러시아 최고 지도자인 푸틴의 심 속에서 시작된 상

은 2003-4년 북핵 기로 인한 북한의 상 거부 기와 2008년 이후 투자

계획의 난 을 뚫고 최종 으로 이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는 남북

한의 응에 강경하게 응하기보다는 양 국의 의견을 수용하기 한

상 방안을 제시하고 상 를 다시 상에 참여시키기 해 막 한 자 을

투자하기까지 했다 이처럼 러시아가 상을 지속하기 해 다양한 수용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면 러시아와 북한 간의 합의 역시 이행되지 못했

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B 중국-북한 러시아-북한의 협상에 대한 이론적 분석

앞 장에서는 나진항의 부두 사용권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 과

정을 추 해보았다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을 상의 배경 상 주체

북한 측 상 주체 주요 상 내용 상 규모 상 이행 상황을 심

으로 비교해보면 아래의 lt표 1gt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lt표 1gt 나진항 3호 부두 사용권과 관련된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주요 사항

52)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나희승 ldquo남북 sdot 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53)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1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3

국 러시아

과정

- 2004년 기본 합의 완료

- 2005년 3월 24일 MOU 체결

- 2005년 7월 합 회사 설립

- 2005년 9월 본계약 체결

- 2006년 1월 북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합 회사 설립 비

- 2004년 7월 나진-하산 로젝트로 논의

축소 나진항 사용에 한 명시

- 2006년 7월 남-북-러 3자 철도 운 자

회의 나진-하산 화 사업 합의

- 2007년 남한 투자 련 MOU

- 2008년 한국 참여 실패

- 2008년 4월 북-러 나진 하산 철도

화 나진항 3호부두 개발에 한 력

합의서 체결

이행

- 2006년 5월 사업 조사 완료 비

- 2006년 10월 착공 연기

- 2007년 2월 길림성 lsquo두만강유역

개방개발 가속화 방안rsquo 마련

- 2008년 4월 훈춘 둥린회사 외국

투자 유치 난항 최종 실패

- 2008년 4월 라손콘트란스 설립

- 2008년 10월 나진-하산 철도구간 개보수

착공식 후 공사 지연

- 2011년 철도 건설 사업 재개

- 2013-2014년 철도와 부두 개보수 완료

상 주체상 시작 지방 정부

상 과정 민간기업 훈춘시 지원

상 시작 러시아 앙 정부

상 실무 러시아 철도부 RZD54)

북한측 상

주체나선시 인민 원회

-북한 앙 정부

- 상 실무 북한 철도성 육해운성

실무 계자

투자 규모

lt 체 규모gt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

lt본 계약 규모gt

3000만 유로

(24억 RMB 약 3600만 USD) agrave미이행

lt계약 시기gt

총 21억 USD 러시아가 126억 USD

lt이행기gt 철도연결에 55억 루블 지출 터

미 공사에 35억 루블 지출

(약 11억 USD)

이 같은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의 비교를 토 로 러시아와 국의

상력 각국이 구사한 상 략을 비교해보고 러시아가 상에서 유

리한 결과를 낼 수 있었던 요인과 러시아의 략 인 목표를 유추해볼 것

이다

54) 러시아 정부는 2001년부터 자국의 철도 개 을 진행하여 철도부(Railway Ministry)를 국

주식회사인 RZD와 정책 담당 부서인 교통부(Ministry of Transport) 경제 발 무역

부(Ministry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rade)로 분리했다 RZD는 기존의 철도부의

시설 사업을 승계함으로써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상도 이어서 진행하게 되었다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17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우선 상력을 보기 해 상에 임한 국과 러시아의 정태 인 구조

권력을 살펴본다면 비록 총체 인 구조권력 상에서 국이 러시아에 비

해서 압도 으로 강력했으나 나진항을 둘러싸고 북한과 진행한 상사안

만 놓고 본다면 이슈 별 권력에서 러시아가 국보다는 북한에 해 우

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러시아는 북한과의 상에 한

BATNA의 차원에서 국보다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두만강 유역에서

국의 국경은 차 강 기를 따라 좁아지다가 동해를 15km 앞둔 지 에서

끝이 난다55) 그러므로 동해로 직 나갈 수 있는 항구 시설이 무한

국은 나진항 련 상이 결렬되는 경우 동해로의 출해권을 얻을 수가 없

었다 반면 러시아는 나진항 이외에도 극동지역에 여러 항구를 보유하고

있다 일부 연구가 러시아의 극동항만들이 겨울에 얼어붙는 반면 나진항

은 부동항이기 때문에 나진항의 경제 이 이 크다고 보기도 하지만 실

제로는 러시아 극동의 블라디보스톡(Vladivostok) 이남의 항구들은 모두

부동항들로 슬라비얀카(Slavianka)항 보스토치니항(Vostochny) 포시에트

(Posyet)항 자루비노(Zarubino)항 등 개발잠재력이 충분한 항구들이 이미

러시아 극동에서 운용 이다56) 따라서 북한과의 상에 한 이슈 별 권

력의 차원에서 러시아는 국보다 유리한 치에서 상을 시작했다 lsquo의

지rsquo와 lsquo통제rsquo의 측면에서도 러시아는 국보다 더 우 에 있었다 러시아-

북한의 상이 국-북한의 상에 비해서 행 자수 이 높았기 때문에

상을 성사시키기 해 상자가 활용할 수 있는 비용과 제도 인 권력

의 가용범 가 더 컸기 때문이다 상이 난 에 착한 상황에서 러시아

55) James Cotton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1086 Cho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pp51ndash53

56) 특히 19세기와 20세기 반에는 러시아 극동에서 부동항에 한 수요가 컸고 그런 맥락에

서 나진항의 요성이 강조되었다 이와 하여 다음을 참조 Ibid pp52ndash55 백 기 ldquo러

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백 기 최정수 최재희 (편)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동북아역사재단 2007 pp23ndash62

한편 러시아 극동의 항만시설과 해서는 다음을 참조 Robert North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74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5

가 상 체의 틀을 다시 짜는 선택을 할 수 있었던 것이나 남한의 투자

가 결렬된 이후 막 한 비용을 들일 수 있었던 것은 모두 행 자 수 이

높아짐으로써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해 수 있는 범 가 넓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실제로 상이 시작된 2000년 반 푸틴 통령은 자신이 추구하는

로 상을 진행시키기 해 국내정치 으로 의견을 결집시켰다 당시

러시아 료들은 북한과의 철도연결을 재개하는 것에 해서 비 이었

다 러시아 철도부 장 이었던 데 (Guenaddy Fadeyev)는 TKR-TSR

은 투자비용도 무 크고 정치 험도도 높은 사업이라며 회의 인 견

해를 피력하기까지 했다57) 그러나 푸틴은 사업을 lsquo 요한 사업rsquo이라고

못 박았고 데 로 하여 사업이 확실한(promising) 사업이라고

발언하게 했다 이러한 푸틴의 응에 의해 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국

내 으로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 차단되었고 상이행에 한 푸틴

의 강력한 의지가 러시아 국내에 확인되었다

러-북 간의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강력한 지지 속에서 이루어졌다

는 은 상 실무주체가 RZD 다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RZD는 단순히

러시아 철도부가 진행하던 사업의 권한을 승계한 공기업이 아니라 푸틴

의 국내정치권력의 핵심기 의 하나 다 RZD 사장인 야쿠닌(Vladimir

Yakunin)은 푸틴의 최측근 실로비키(silovarch) 한 명으로 차기 통령

후보로까지 거론되기도 했던 인물이다58) 야쿠닌은 나진-하산 로젝트를

RZD의 최우선 로젝트로 상정하고 상과정 내내 상자 간의 의견조

율과 외홍보에 힘을 쏟았다59) 따라서 RZD가 상을 주도했다는 은

나진-하산 로젝트 련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심 속에서 진행되

었다는 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57)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AsiaDH27Ag01html

58) Daniel Treisman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4ndash145

59)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pp228ndash229

17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편 국의 입장에서 상자의 수 이 낮았던 것은 -북 간 상이

실패한 결정 인 원인이었다 국의 상자 수 이 낮은 상황에서 북한

측도 이에 맞춰 상자의 수 이 낮아지게 되면서 양 국은 상의 이행을

한 재량권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실제로 국과의 상에 임했던 나

선시 인민 원회는 상의 출발단계에서부터 국 측이 원한 상 목표인

부두시설 임 에 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나진항의 부두 시설에

한 권한은 으로 북한 육해운성의 소 이기 때문에 나선시 인민 원

회는 부두사용권을 놓고 국과 의하는 것이 처음부터 불가능했기 때문

이다60)

이처럼 러시아는 상의 구조 권력에서 국보다 우 에 있었기 때문

에 다양한 략 선택지를 가지고 상의 교착상황에서 상 방의 입장

을 받아들이는 수용 략을 취함으로써 상이 지속되도록 했다 표 으

로 러시아는 2004년에는 TSR-TKR 연결 사업에서 이탈하려는 북한의 의

사를 반 하여 상의 틀을 축소했으며 2008년에 한국의 투자가 무 로

돌아가면서 상의 이행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자국의 자본을 100 투자

하여 북한과 합의된 사항을 이행했다

러시아가 이와 같은 상 략을 취한 이유를 R-O 모형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우선 러시아는 수용 인 략기조를 유지했기 때문에 상을

통해서 결과이익보다는 계이익을 추구했다고 여겨진다 나진항을 통해

서 얻고자 하는 결과이익은 항만시설을 통한 출해권 확보일 것이다 반

로 이 상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계이익은 상 상 국인 북한과의

계 향상일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의 략 선택은 러시아가 상을

통해 장기 으로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고 략 인 차원에서 장기 으

로 북한에 한 력을 지속시키고자 했다는 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60) 당시 국 둥린 회사를 도와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와의 상에 참여했던 국 훈춘시 지

방 정부 계자 면담에서 계자는 당시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도 외합작 경험이 부족

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권한범 에 한 인식이 부족했었다고 진단했다 2015년

2월 훈춘시정부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7

실제로 푸틴 통령은 상 기 경제 인 손실을 우려하는 국내 료들

의 불안감에 해 상은 요한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이 상의 목

표가 단기 인 경제성에 놓인 것이 아님을 명확하게 했다61)

상이 시작되던 2001년의 시기 배경을 고려해 보면 러시아가 계

이익 다시 말하자면 략 이고 장기 인 차원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

다는 이론상의 설명은 실성이 있다고 단된다 나진항만을 둘러싼 러

시아-북한 간의 상이 TSR-TKR의 연결 사업으로 첫 발을 디뎠던 2000

년 당시 러시아는 푸틴 통령의 집권으로 인해 국내정치 혼란을 바로

잡은 후 소련붕괴와 한반도정책의 실패로 인해 상실한 아시아 지역에

한 략 향력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 때 러시아가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러시아의 향력을 회복하기

해서는 상실했던 북한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만 했다 동아시아와

해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은 경제 으로나 인구 으로나 동아시아 주변

국에 비해 제한 인 역량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 시기

이래로 러시아가 지속 으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에서 주요세력으로 자

리매김했던 것은 소련과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략 인 계가 유지되

었기 때문이다62) 특히 소 계가 악화된 이후 소련은 소련에 한 북한

의 일방 인 의존을 활용하여 아시아 국제 계에서 략 버리지를

유지해 왔다63)

61)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62) Peggy Falkenheim Meyer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14ndash 221

Pavel A Minakir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p32ndash 50

Tamara Troyakova amp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ndash 37

63) John W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ndash53 Gilbert Rozman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 Stephan Blank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pp78ndash82

17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그러나 90년 들어 소련은 북한에 해 가지고 있던 향력을 상실하

면서 아시아의 정치무 에서 배제되게 되었다 1980년 후반 소련은 경

제 이익을 기 하며 남한과의 계수립에 힘썼고 1990년 남한과의 국

교를 정상화하기에 이르 다 게다가 소련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의 수장

으로 취임한 친(Boris Yeltsin) 통령은 서방과의 계회복을 기 하며

민주 가치와 자유를 존 하는 러시아의 모습을 보이기 해 공산독재국

가 던 북한과 의도 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공식

외교채 은 단 되었으며 러시아는 그 동안 북한에게 무상으로 제공

해 왔던 석유지원을 단했으며 러시아의 무기를 북한에 수출하지 않겠

다고 밝혔다64) 당시 러시아 외교부장 이었던 코지 (Andrei Kozyrev)

는 북한의 인권침해를 공식 으로 비 하면서 북한의 정치 변화를 구

하기까지 했다65) 결과 으로 한반도에서의 러시아의 외교정책 인 환

은 냉 기부터 긴 하게 유지되었던 러시아와 북한의 정치 연결고리를

약화시켰으며 북한은 러시아에 해서 가지고 있던 우호 인 시선을 거

두어들이게 되었다66) 그러나 러시아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이 사라진 것은 러시아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

제 계에서도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다 러시아가 북한에 해 정치

향력을 발휘할 것을 기 하며 러시아와의 계개선을 추진했던 남한은 러

시아가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을 상실하자 러시아를 외교 으로 등

한시했다67) 게다가 소련의 붕괴 이후 러시아의 통 인 향권에 한

64) Seung-ho Jo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ndash130 David Wolff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

booksdprkbbrussia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Alexander

Vorontsov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p5

65)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53

66) 이정철 외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p87ndash89

67)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호 2002 pp289

ndash297 Gilbert Rozman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9

침투를 본격화한 미국은 북-러 계가 약화된 시 에서 한반도 문제의

심 인 조정자로 부상하게 되었다68) 러시아가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외교

의제에서 배제된 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사건이 바로 1차 북핵 기

다 1차 북핵 기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를 포함한 8자 회담을 통해서 북핵

문제를 보다 국제 인 차원에서 해결하기를 원했으나 결과 으로 북한에

한 향력을 상실한 러시아는 배제된 채 4자 회담의 형태로 상이 진

행되었다69)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러시아는 남북한 모두에게 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면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자국의 향력 후퇴를 막을 수 없다는

을 확인했고 남한에 과도하게 경사되었던 한반도 계를 재조정하고

남북한 균형 정책을 구사하기 시작했다70) 러시아는 친서방 성향이 강

했던 코지 를 신하여 실용 유라시아주의자 리마코 (Yevgenni

Primakov)를 외교부 장 으로 임명하고 북한과의 계 회복에 주력했

다71)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태도는 냉담했는데 이는

러시아가 여 히 경제 인 측면에서 이익을 수 있는 남한과의 계를

더 시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력과 군사력이 약화된 러시아가 북한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북한의 의구심 때문이었다72)

p41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pp23ndash46

68) Yoshinori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192 Seung-ho Joo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Ashgate 2002 pp147ndash148

69) 러시아의 근 방식에 해서 다음을 참조Evgueni Bajanov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러시아의 배제와 4자 회담에 해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7ndash298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pp194ndash196 Stephen Blank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4ndash5

70)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pp228ndash229

71) Seung-ho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ndash81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6ndash298

72)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192 P Rangsimaporn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18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상실해버린 북 향력을 회복하는 것을 북 략의 주요 목표로 삼았

던 러시아에게 나진-하산 로젝트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기

한 출발 으로 매우 한 기획이었다 우선 나진-하산 로젝트가

TSR-TKR 로젝트로 시작되던 시기는 국제정치 으로 한반도의 화해 국

면 속에서 인 국가로서 러시아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극 화되던 시 이

었다73) 당시 남한과 북한은 화를 시작하고 추가 인 력 의제들을 논

의하는 과정 에 있었다 이러한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인 라 부문에

한 이해 계를 공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실리 인 력 어젠다(agenda)

를 통해 화와 력을 지속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 인 수요를 포착

하고 TSR-TKR 연결 구상을 통해 한반도에 한 실리 인 개자로 참여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이 시기는 러시아의 근에 해서

회의 인 입장을 견지하던 북한도 자국의 국내 정치상황으로 인해 입장을

바꾸던 때 다 당시 나진-선 을 통해서 개 개방을 도모하던 북한은 나

진선 지 개발에 한 외국투자를 극 으로 유치했다74) 때문에 러시

아의 근에 한 북한의 반응도 비교 정 이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나진항을 포함한 북한의 항만 시설 철도 인 라 시

설에 해서 확실한 기술 우 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과의 인

라 력 부문에서 확실한 강 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부터 1990년

까지 소련은 북한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등을 직 건설했으며 나진

항의 화 역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75) 소련은 이

게 개발한 나진항에 해서 공식 인 우선권을 인정받고(1978) 이를 소

Palgrave Macmillan 2009 pp62ndash64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p477

73) In-kon Yeo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ndash115

74)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75) 안병민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남

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pp1ndash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1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17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 논의가 무의미하다고 밝히며 회의불참을 선언한다45) 이 게 삼각

력의 구도가 기에 착하자 RZD는 상의 구도를 북한-러시아 간 한

국-러시아 간의 상의 두 트랙으로 분리하고 양 국과 개별 인 상을

진행하여 갈등을 합하고자 했다

우선 러시아는 TSR-TKR의 체 구간을 연결하려던 기존의 구상을 축

소하여 일부 구간만을 시범 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사업 구상을 변경해

북한에게 제의했다 북한이 이에 응하면서 2004년 북-러 국경 철도 의회

는 우선 TSR과 TKR의 결 에 치한 나진-하산 간 철도 개량사업부터

시범 실시하는 것에 한 상을 시작했다46) 상은 2006년 블라디보

스토크에서 열린 남-북-러 철도 표자 회의를 통해서 구체화되었는데 그

내용은 RZD와 북한이 함께 설립하는 합작회사(Rasonkontrans 이하 라손

콘트란스)를 통해서 나진-하산간 철도 나진항 항만시설 개보수를 진행

한다는 것이었다 합의를 통해 RZD는 나진항 부두시설사용권에 한

이권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자 조달방법에 해서 북한으로부터 재량권

을 임 받았다47)

한편 RZD는 한국이 주요투자자로 로젝트에 남아있기를 원했다 따

라서 북한으로부터 투자 유치에 한 재량권을 얻고 나자 2007년 한국 철

도공사(KORAIL 이하 코 일)와 양자 상을 통해서 한국의 투자방안에

한 세부 MOU를 체결했다 MOU를 통해서 설립된 루코로지스틱스

(RUCO Logistics 이하 루코)는 코 일의 지원 하에 한국의 민간물류업체

들의 투자를 받아서 라손콘트란스의 러시아 측 지분에 투자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북한 련사업에 한 남한의 투자가 러시아를 통해 우회하

여 남북 계의 정치 불안정성이 투자에 악 향을 끼치는 것을 최소화

하고자 했다

45) 의 pp55ndash56

46) 의 pp57ndash58

47)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1

이처럼 새롭게 상 구도를 짠 결과 러시아는 남북으로부터 아래의 합

의를 이끌어냈다 첫째 나진-하산 로젝트는 TKR-TSR 연결을 한 시

범사업으로 러시아와 북한의 합작회사인 라손콘트란스가 북한의 나진항

과 러시아의 하산 사이에 54km에 이르는 철도구간을 개보수하고 나진항

의 기 인 라를 개발하는 것을 가로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을 49년 간

사용한다48) 둘째 이를 한 투자액은 총 21억 달러(USD)으로 RZD가

약 126억 달러를 분담하는 한편 루코가 러시아 지분 일부(40)를 매

입하는 방식으로 자본을 분담투자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러한 RZD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을 통한 자 조달 계획

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2008년 출범한 이명박 정부는 그간 지속되어

오던 북사업을 취소한다는 뜻을 밝히며 북한이 핵무기 로그램을 포

기하지 않는 한 규모 북경제지원사업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49)

이에 응하여 북한도 남한과의 모든 공식 을 단하면서 남북 계는

격하게 악화 고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민간기업들의 투자도 무

산 다50) 이런 상황에서 RZD는 로젝트를 이행하기 해 2008년 4월

북한과 러시아의 양자 의 형태로 새로운 합의서를 체결하고 2008년 10

월에는 나진항 부두시설 화 나진-하산 철도 화에 한 착공식

을 진행했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러시아 역시 자 형편이 여의치 않아 공

사를 일정 로 진행할 수 없었다51) 이후 러시아는 RZD의 자체 차입 자

으로 투자비를 확보하여 2011년 공사를 재개했고 2013년 나진-하산 간 철

도를 완공 후 개통시켰고 2014년부터는 보수된 나진항 3호 부두를 통해

48) 지분 구조는 RZD가 70이며 북한 철도성이 30이다 이를 해 러시아는 21억 불의

자본을 투자하고 북한은 나진항만 시설을 물로 투자한다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

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2

49) Hong Nack Kim ls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s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2008) pp 8ndash18 Chung-in Moon lsquoSouth Korea in 2008rsquo 49 2008 pp127ndash

128

50)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p64ndash65

51)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3

17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국 러시아

상배경도로-항만-구역일체화 로젝트

(훈춘시정부 차원)

TKR-TSR 연결 로젝트

( 앙 정부 차원)

상시기 2003년-2006년 2000년-2015년 진행

시작

2003년 12월 국 지방 정부 계자

기업이 북한 나선시와 논의 시작

2000년 8월- 푸틴 통령이 남북정상과

논의 시작

2001년 8월 모스크바 선언 정식 결의

석탄을 운반하기 시작했다52) 이때 러시아는 철도연결에 55억 루블(약 18

억 USD) 나진항 터미 공사에 약 35억 루블(약 11억 USD)을 투자한 것

으로 추정된다53)

요컨 2000년 러시아 최고 지도자인 푸틴의 심 속에서 시작된 상

은 2003-4년 북핵 기로 인한 북한의 상 거부 기와 2008년 이후 투자

계획의 난 을 뚫고 최종 으로 이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는 남북

한의 응에 강경하게 응하기보다는 양 국의 의견을 수용하기 한

상 방안을 제시하고 상 를 다시 상에 참여시키기 해 막 한 자 을

투자하기까지 했다 이처럼 러시아가 상을 지속하기 해 다양한 수용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면 러시아와 북한 간의 합의 역시 이행되지 못했

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B 중국-북한 러시아-북한의 협상에 대한 이론적 분석

앞 장에서는 나진항의 부두 사용권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 과

정을 추 해보았다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을 상의 배경 상 주체

북한 측 상 주체 주요 상 내용 상 규모 상 이행 상황을 심

으로 비교해보면 아래의 lt표 1gt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lt표 1gt 나진항 3호 부두 사용권과 관련된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주요 사항

52)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나희승 ldquo남북 sdot 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53)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1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3

국 러시아

과정

- 2004년 기본 합의 완료

- 2005년 3월 24일 MOU 체결

- 2005년 7월 합 회사 설립

- 2005년 9월 본계약 체결

- 2006년 1월 북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합 회사 설립 비

- 2004년 7월 나진-하산 로젝트로 논의

축소 나진항 사용에 한 명시

- 2006년 7월 남-북-러 3자 철도 운 자

회의 나진-하산 화 사업 합의

- 2007년 남한 투자 련 MOU

- 2008년 한국 참여 실패

- 2008년 4월 북-러 나진 하산 철도

화 나진항 3호부두 개발에 한 력

합의서 체결

이행

- 2006년 5월 사업 조사 완료 비

- 2006년 10월 착공 연기

- 2007년 2월 길림성 lsquo두만강유역

개방개발 가속화 방안rsquo 마련

- 2008년 4월 훈춘 둥린회사 외국

투자 유치 난항 최종 실패

- 2008년 4월 라손콘트란스 설립

- 2008년 10월 나진-하산 철도구간 개보수

착공식 후 공사 지연

- 2011년 철도 건설 사업 재개

- 2013-2014년 철도와 부두 개보수 완료

상 주체상 시작 지방 정부

상 과정 민간기업 훈춘시 지원

상 시작 러시아 앙 정부

상 실무 러시아 철도부 RZD54)

북한측 상

주체나선시 인민 원회

-북한 앙 정부

- 상 실무 북한 철도성 육해운성

실무 계자

투자 규모

lt 체 규모gt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

lt본 계약 규모gt

3000만 유로

(24억 RMB 약 3600만 USD) agrave미이행

lt계약 시기gt

총 21억 USD 러시아가 126억 USD

lt이행기gt 철도연결에 55억 루블 지출 터

미 공사에 35억 루블 지출

(약 11억 USD)

이 같은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의 비교를 토 로 러시아와 국의

상력 각국이 구사한 상 략을 비교해보고 러시아가 상에서 유

리한 결과를 낼 수 있었던 요인과 러시아의 략 인 목표를 유추해볼 것

이다

54) 러시아 정부는 2001년부터 자국의 철도 개 을 진행하여 철도부(Railway Ministry)를 국

주식회사인 RZD와 정책 담당 부서인 교통부(Ministry of Transport) 경제 발 무역

부(Ministry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rade)로 분리했다 RZD는 기존의 철도부의

시설 사업을 승계함으로써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상도 이어서 진행하게 되었다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17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우선 상력을 보기 해 상에 임한 국과 러시아의 정태 인 구조

권력을 살펴본다면 비록 총체 인 구조권력 상에서 국이 러시아에 비

해서 압도 으로 강력했으나 나진항을 둘러싸고 북한과 진행한 상사안

만 놓고 본다면 이슈 별 권력에서 러시아가 국보다는 북한에 해 우

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러시아는 북한과의 상에 한

BATNA의 차원에서 국보다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두만강 유역에서

국의 국경은 차 강 기를 따라 좁아지다가 동해를 15km 앞둔 지 에서

끝이 난다55) 그러므로 동해로 직 나갈 수 있는 항구 시설이 무한

국은 나진항 련 상이 결렬되는 경우 동해로의 출해권을 얻을 수가 없

었다 반면 러시아는 나진항 이외에도 극동지역에 여러 항구를 보유하고

있다 일부 연구가 러시아의 극동항만들이 겨울에 얼어붙는 반면 나진항

은 부동항이기 때문에 나진항의 경제 이 이 크다고 보기도 하지만 실

제로는 러시아 극동의 블라디보스톡(Vladivostok) 이남의 항구들은 모두

부동항들로 슬라비얀카(Slavianka)항 보스토치니항(Vostochny) 포시에트

(Posyet)항 자루비노(Zarubino)항 등 개발잠재력이 충분한 항구들이 이미

러시아 극동에서 운용 이다56) 따라서 북한과의 상에 한 이슈 별 권

력의 차원에서 러시아는 국보다 유리한 치에서 상을 시작했다 lsquo의

지rsquo와 lsquo통제rsquo의 측면에서도 러시아는 국보다 더 우 에 있었다 러시아-

북한의 상이 국-북한의 상에 비해서 행 자수 이 높았기 때문에

상을 성사시키기 해 상자가 활용할 수 있는 비용과 제도 인 권력

의 가용범 가 더 컸기 때문이다 상이 난 에 착한 상황에서 러시아

55) James Cotton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1086 Cho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pp51ndash53

56) 특히 19세기와 20세기 반에는 러시아 극동에서 부동항에 한 수요가 컸고 그런 맥락에

서 나진항의 요성이 강조되었다 이와 하여 다음을 참조 Ibid pp52ndash55 백 기 ldquo러

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백 기 최정수 최재희 (편)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동북아역사재단 2007 pp23ndash62

한편 러시아 극동의 항만시설과 해서는 다음을 참조 Robert North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74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5

가 상 체의 틀을 다시 짜는 선택을 할 수 있었던 것이나 남한의 투자

가 결렬된 이후 막 한 비용을 들일 수 있었던 것은 모두 행 자 수 이

높아짐으로써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해 수 있는 범 가 넓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실제로 상이 시작된 2000년 반 푸틴 통령은 자신이 추구하는

로 상을 진행시키기 해 국내정치 으로 의견을 결집시켰다 당시

러시아 료들은 북한과의 철도연결을 재개하는 것에 해서 비 이었

다 러시아 철도부 장 이었던 데 (Guenaddy Fadeyev)는 TKR-TSR

은 투자비용도 무 크고 정치 험도도 높은 사업이라며 회의 인 견

해를 피력하기까지 했다57) 그러나 푸틴은 사업을 lsquo 요한 사업rsquo이라고

못 박았고 데 로 하여 사업이 확실한(promising) 사업이라고

발언하게 했다 이러한 푸틴의 응에 의해 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국

내 으로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 차단되었고 상이행에 한 푸틴

의 강력한 의지가 러시아 국내에 확인되었다

러-북 간의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강력한 지지 속에서 이루어졌다

는 은 상 실무주체가 RZD 다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RZD는 단순히

러시아 철도부가 진행하던 사업의 권한을 승계한 공기업이 아니라 푸틴

의 국내정치권력의 핵심기 의 하나 다 RZD 사장인 야쿠닌(Vladimir

Yakunin)은 푸틴의 최측근 실로비키(silovarch) 한 명으로 차기 통령

후보로까지 거론되기도 했던 인물이다58) 야쿠닌은 나진-하산 로젝트를

RZD의 최우선 로젝트로 상정하고 상과정 내내 상자 간의 의견조

율과 외홍보에 힘을 쏟았다59) 따라서 RZD가 상을 주도했다는 은

나진-하산 로젝트 련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심 속에서 진행되

었다는 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57)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AsiaDH27Ag01html

58) Daniel Treisman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4ndash145

59)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pp228ndash229

17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편 국의 입장에서 상자의 수 이 낮았던 것은 -북 간 상이

실패한 결정 인 원인이었다 국의 상자 수 이 낮은 상황에서 북한

측도 이에 맞춰 상자의 수 이 낮아지게 되면서 양 국은 상의 이행을

한 재량권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실제로 국과의 상에 임했던 나

선시 인민 원회는 상의 출발단계에서부터 국 측이 원한 상 목표인

부두시설 임 에 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나진항의 부두 시설에

한 권한은 으로 북한 육해운성의 소 이기 때문에 나선시 인민 원

회는 부두사용권을 놓고 국과 의하는 것이 처음부터 불가능했기 때문

이다60)

이처럼 러시아는 상의 구조 권력에서 국보다 우 에 있었기 때문

에 다양한 략 선택지를 가지고 상의 교착상황에서 상 방의 입장

을 받아들이는 수용 략을 취함으로써 상이 지속되도록 했다 표 으

로 러시아는 2004년에는 TSR-TKR 연결 사업에서 이탈하려는 북한의 의

사를 반 하여 상의 틀을 축소했으며 2008년에 한국의 투자가 무 로

돌아가면서 상의 이행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자국의 자본을 100 투자

하여 북한과 합의된 사항을 이행했다

러시아가 이와 같은 상 략을 취한 이유를 R-O 모형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우선 러시아는 수용 인 략기조를 유지했기 때문에 상을

통해서 결과이익보다는 계이익을 추구했다고 여겨진다 나진항을 통해

서 얻고자 하는 결과이익은 항만시설을 통한 출해권 확보일 것이다 반

로 이 상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계이익은 상 상 국인 북한과의

계 향상일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의 략 선택은 러시아가 상을

통해 장기 으로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고 략 인 차원에서 장기 으

로 북한에 한 력을 지속시키고자 했다는 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60) 당시 국 둥린 회사를 도와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와의 상에 참여했던 국 훈춘시 지

방 정부 계자 면담에서 계자는 당시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도 외합작 경험이 부족

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권한범 에 한 인식이 부족했었다고 진단했다 2015년

2월 훈춘시정부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7

실제로 푸틴 통령은 상 기 경제 인 손실을 우려하는 국내 료들

의 불안감에 해 상은 요한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이 상의 목

표가 단기 인 경제성에 놓인 것이 아님을 명확하게 했다61)

상이 시작되던 2001년의 시기 배경을 고려해 보면 러시아가 계

이익 다시 말하자면 략 이고 장기 인 차원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

다는 이론상의 설명은 실성이 있다고 단된다 나진항만을 둘러싼 러

시아-북한 간의 상이 TSR-TKR의 연결 사업으로 첫 발을 디뎠던 2000

년 당시 러시아는 푸틴 통령의 집권으로 인해 국내정치 혼란을 바로

잡은 후 소련붕괴와 한반도정책의 실패로 인해 상실한 아시아 지역에

한 략 향력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 때 러시아가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러시아의 향력을 회복하기

해서는 상실했던 북한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만 했다 동아시아와

해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은 경제 으로나 인구 으로나 동아시아 주변

국에 비해 제한 인 역량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 시기

이래로 러시아가 지속 으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에서 주요세력으로 자

리매김했던 것은 소련과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략 인 계가 유지되

었기 때문이다62) 특히 소 계가 악화된 이후 소련은 소련에 한 북한

의 일방 인 의존을 활용하여 아시아 국제 계에서 략 버리지를

유지해 왔다63)

61)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62) Peggy Falkenheim Meyer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14ndash 221

Pavel A Minakir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p32ndash 50

Tamara Troyakova amp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ndash 37

63) John W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ndash53 Gilbert Rozman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 Stephan Blank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pp78ndash82

17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그러나 90년 들어 소련은 북한에 해 가지고 있던 향력을 상실하

면서 아시아의 정치무 에서 배제되게 되었다 1980년 후반 소련은 경

제 이익을 기 하며 남한과의 계수립에 힘썼고 1990년 남한과의 국

교를 정상화하기에 이르 다 게다가 소련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의 수장

으로 취임한 친(Boris Yeltsin) 통령은 서방과의 계회복을 기 하며

민주 가치와 자유를 존 하는 러시아의 모습을 보이기 해 공산독재국

가 던 북한과 의도 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공식

외교채 은 단 되었으며 러시아는 그 동안 북한에게 무상으로 제공

해 왔던 석유지원을 단했으며 러시아의 무기를 북한에 수출하지 않겠

다고 밝혔다64) 당시 러시아 외교부장 이었던 코지 (Andrei Kozyrev)

는 북한의 인권침해를 공식 으로 비 하면서 북한의 정치 변화를 구

하기까지 했다65) 결과 으로 한반도에서의 러시아의 외교정책 인 환

은 냉 기부터 긴 하게 유지되었던 러시아와 북한의 정치 연결고리를

약화시켰으며 북한은 러시아에 해서 가지고 있던 우호 인 시선을 거

두어들이게 되었다66) 그러나 러시아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이 사라진 것은 러시아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

제 계에서도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다 러시아가 북한에 해 정치

향력을 발휘할 것을 기 하며 러시아와의 계개선을 추진했던 남한은 러

시아가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을 상실하자 러시아를 외교 으로 등

한시했다67) 게다가 소련의 붕괴 이후 러시아의 통 인 향권에 한

64) Seung-ho Jo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ndash130 David Wolff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

booksdprkbbrussia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Alexander

Vorontsov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p5

65)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53

66) 이정철 외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p87ndash89

67)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호 2002 pp289

ndash297 Gilbert Rozman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9

침투를 본격화한 미국은 북-러 계가 약화된 시 에서 한반도 문제의

심 인 조정자로 부상하게 되었다68) 러시아가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외교

의제에서 배제된 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사건이 바로 1차 북핵 기

다 1차 북핵 기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를 포함한 8자 회담을 통해서 북핵

문제를 보다 국제 인 차원에서 해결하기를 원했으나 결과 으로 북한에

한 향력을 상실한 러시아는 배제된 채 4자 회담의 형태로 상이 진

행되었다69)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러시아는 남북한 모두에게 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면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자국의 향력 후퇴를 막을 수 없다는

을 확인했고 남한에 과도하게 경사되었던 한반도 계를 재조정하고

남북한 균형 정책을 구사하기 시작했다70) 러시아는 친서방 성향이 강

했던 코지 를 신하여 실용 유라시아주의자 리마코 (Yevgenni

Primakov)를 외교부 장 으로 임명하고 북한과의 계 회복에 주력했

다71)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태도는 냉담했는데 이는

러시아가 여 히 경제 인 측면에서 이익을 수 있는 남한과의 계를

더 시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력과 군사력이 약화된 러시아가 북한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북한의 의구심 때문이었다72)

p41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pp23ndash46

68) Yoshinori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192 Seung-ho Joo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Ashgate 2002 pp147ndash148

69) 러시아의 근 방식에 해서 다음을 참조Evgueni Bajanov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러시아의 배제와 4자 회담에 해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7ndash298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pp194ndash196 Stephen Blank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4ndash5

70)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pp228ndash229

71) Seung-ho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ndash81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6ndash298

72)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192 P Rangsimaporn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18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상실해버린 북 향력을 회복하는 것을 북 략의 주요 목표로 삼았

던 러시아에게 나진-하산 로젝트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기

한 출발 으로 매우 한 기획이었다 우선 나진-하산 로젝트가

TSR-TKR 로젝트로 시작되던 시기는 국제정치 으로 한반도의 화해 국

면 속에서 인 국가로서 러시아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극 화되던 시 이

었다73) 당시 남한과 북한은 화를 시작하고 추가 인 력 의제들을 논

의하는 과정 에 있었다 이러한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인 라 부문에

한 이해 계를 공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실리 인 력 어젠다(agenda)

를 통해 화와 력을 지속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 인 수요를 포착

하고 TSR-TKR 연결 구상을 통해 한반도에 한 실리 인 개자로 참여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이 시기는 러시아의 근에 해서

회의 인 입장을 견지하던 북한도 자국의 국내 정치상황으로 인해 입장을

바꾸던 때 다 당시 나진-선 을 통해서 개 개방을 도모하던 북한은 나

진선 지 개발에 한 외국투자를 극 으로 유치했다74) 때문에 러시

아의 근에 한 북한의 반응도 비교 정 이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나진항을 포함한 북한의 항만 시설 철도 인 라 시

설에 해서 확실한 기술 우 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과의 인

라 력 부문에서 확실한 강 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부터 1990년

까지 소련은 북한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등을 직 건설했으며 나진

항의 화 역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75) 소련은 이

게 개발한 나진항에 해서 공식 인 우선권을 인정받고(1978) 이를 소

Palgrave Macmillan 2009 pp62ndash64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p477

73) In-kon Yeo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ndash115

74)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75) 안병민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남

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pp1ndash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19: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1

이처럼 새롭게 상 구도를 짠 결과 러시아는 남북으로부터 아래의 합

의를 이끌어냈다 첫째 나진-하산 로젝트는 TKR-TSR 연결을 한 시

범사업으로 러시아와 북한의 합작회사인 라손콘트란스가 북한의 나진항

과 러시아의 하산 사이에 54km에 이르는 철도구간을 개보수하고 나진항

의 기 인 라를 개발하는 것을 가로 나진항 3호 부두 시설을 49년 간

사용한다48) 둘째 이를 한 투자액은 총 21억 달러(USD)으로 RZD가

약 126억 달러를 분담하는 한편 루코가 러시아 지분 일부(40)를 매

입하는 방식으로 자본을 분담투자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러한 RZD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을 통한 자 조달 계획

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2008년 출범한 이명박 정부는 그간 지속되어

오던 북사업을 취소한다는 뜻을 밝히며 북한이 핵무기 로그램을 포

기하지 않는 한 규모 북경제지원사업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49)

이에 응하여 북한도 남한과의 모든 공식 을 단하면서 남북 계는

격하게 악화 고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민간기업들의 투자도 무

산 다50) 이런 상황에서 RZD는 로젝트를 이행하기 해 2008년 4월

북한과 러시아의 양자 의 형태로 새로운 합의서를 체결하고 2008년 10

월에는 나진항 부두시설 화 나진-하산 철도 화에 한 착공식

을 진행했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러시아 역시 자 형편이 여의치 않아 공

사를 일정 로 진행할 수 없었다51) 이후 러시아는 RZD의 자체 차입 자

으로 투자비를 확보하여 2011년 공사를 재개했고 2013년 나진-하산 간 철

도를 완공 후 개통시켰고 2014년부터는 보수된 나진항 3호 부두를 통해

48) 지분 구조는 RZD가 70이며 북한 철도성이 30이다 이를 해 러시아는 21억 불의

자본을 투자하고 북한은 나진항만 시설을 물로 투자한다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

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2

49) Hong Nack Kim ls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s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2008) pp 8ndash18 Chung-in Moon lsquoSouth Korea in 2008rsquo 49 2008 pp127ndash

128

50)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석과 륙횡단철

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pp64ndash65

51)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p43

17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국 러시아

상배경도로-항만-구역일체화 로젝트

(훈춘시정부 차원)

TKR-TSR 연결 로젝트

( 앙 정부 차원)

상시기 2003년-2006년 2000년-2015년 진행

시작

2003년 12월 국 지방 정부 계자

기업이 북한 나선시와 논의 시작

2000년 8월- 푸틴 통령이 남북정상과

논의 시작

2001년 8월 모스크바 선언 정식 결의

석탄을 운반하기 시작했다52) 이때 러시아는 철도연결에 55억 루블(약 18

억 USD) 나진항 터미 공사에 약 35억 루블(약 11억 USD)을 투자한 것

으로 추정된다53)

요컨 2000년 러시아 최고 지도자인 푸틴의 심 속에서 시작된 상

은 2003-4년 북핵 기로 인한 북한의 상 거부 기와 2008년 이후 투자

계획의 난 을 뚫고 최종 으로 이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는 남북

한의 응에 강경하게 응하기보다는 양 국의 의견을 수용하기 한

상 방안을 제시하고 상 를 다시 상에 참여시키기 해 막 한 자 을

투자하기까지 했다 이처럼 러시아가 상을 지속하기 해 다양한 수용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면 러시아와 북한 간의 합의 역시 이행되지 못했

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B 중국-북한 러시아-북한의 협상에 대한 이론적 분석

앞 장에서는 나진항의 부두 사용권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 과

정을 추 해보았다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을 상의 배경 상 주체

북한 측 상 주체 주요 상 내용 상 규모 상 이행 상황을 심

으로 비교해보면 아래의 lt표 1gt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lt표 1gt 나진항 3호 부두 사용권과 관련된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주요 사항

52)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나희승 ldquo남북 sdot 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53)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1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3

국 러시아

과정

- 2004년 기본 합의 완료

- 2005년 3월 24일 MOU 체결

- 2005년 7월 합 회사 설립

- 2005년 9월 본계약 체결

- 2006년 1월 북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합 회사 설립 비

- 2004년 7월 나진-하산 로젝트로 논의

축소 나진항 사용에 한 명시

- 2006년 7월 남-북-러 3자 철도 운 자

회의 나진-하산 화 사업 합의

- 2007년 남한 투자 련 MOU

- 2008년 한국 참여 실패

- 2008년 4월 북-러 나진 하산 철도

화 나진항 3호부두 개발에 한 력

합의서 체결

이행

- 2006년 5월 사업 조사 완료 비

- 2006년 10월 착공 연기

- 2007년 2월 길림성 lsquo두만강유역

개방개발 가속화 방안rsquo 마련

- 2008년 4월 훈춘 둥린회사 외국

투자 유치 난항 최종 실패

- 2008년 4월 라손콘트란스 설립

- 2008년 10월 나진-하산 철도구간 개보수

착공식 후 공사 지연

- 2011년 철도 건설 사업 재개

- 2013-2014년 철도와 부두 개보수 완료

상 주체상 시작 지방 정부

상 과정 민간기업 훈춘시 지원

상 시작 러시아 앙 정부

상 실무 러시아 철도부 RZD54)

북한측 상

주체나선시 인민 원회

-북한 앙 정부

- 상 실무 북한 철도성 육해운성

실무 계자

투자 규모

lt 체 규모gt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

lt본 계약 규모gt

3000만 유로

(24억 RMB 약 3600만 USD) agrave미이행

lt계약 시기gt

총 21억 USD 러시아가 126억 USD

lt이행기gt 철도연결에 55억 루블 지출 터

미 공사에 35억 루블 지출

(약 11억 USD)

이 같은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의 비교를 토 로 러시아와 국의

상력 각국이 구사한 상 략을 비교해보고 러시아가 상에서 유

리한 결과를 낼 수 있었던 요인과 러시아의 략 인 목표를 유추해볼 것

이다

54) 러시아 정부는 2001년부터 자국의 철도 개 을 진행하여 철도부(Railway Ministry)를 국

주식회사인 RZD와 정책 담당 부서인 교통부(Ministry of Transport) 경제 발 무역

부(Ministry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rade)로 분리했다 RZD는 기존의 철도부의

시설 사업을 승계함으로써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상도 이어서 진행하게 되었다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17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우선 상력을 보기 해 상에 임한 국과 러시아의 정태 인 구조

권력을 살펴본다면 비록 총체 인 구조권력 상에서 국이 러시아에 비

해서 압도 으로 강력했으나 나진항을 둘러싸고 북한과 진행한 상사안

만 놓고 본다면 이슈 별 권력에서 러시아가 국보다는 북한에 해 우

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러시아는 북한과의 상에 한

BATNA의 차원에서 국보다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두만강 유역에서

국의 국경은 차 강 기를 따라 좁아지다가 동해를 15km 앞둔 지 에서

끝이 난다55) 그러므로 동해로 직 나갈 수 있는 항구 시설이 무한

국은 나진항 련 상이 결렬되는 경우 동해로의 출해권을 얻을 수가 없

었다 반면 러시아는 나진항 이외에도 극동지역에 여러 항구를 보유하고

있다 일부 연구가 러시아의 극동항만들이 겨울에 얼어붙는 반면 나진항

은 부동항이기 때문에 나진항의 경제 이 이 크다고 보기도 하지만 실

제로는 러시아 극동의 블라디보스톡(Vladivostok) 이남의 항구들은 모두

부동항들로 슬라비얀카(Slavianka)항 보스토치니항(Vostochny) 포시에트

(Posyet)항 자루비노(Zarubino)항 등 개발잠재력이 충분한 항구들이 이미

러시아 극동에서 운용 이다56) 따라서 북한과의 상에 한 이슈 별 권

력의 차원에서 러시아는 국보다 유리한 치에서 상을 시작했다 lsquo의

지rsquo와 lsquo통제rsquo의 측면에서도 러시아는 국보다 더 우 에 있었다 러시아-

북한의 상이 국-북한의 상에 비해서 행 자수 이 높았기 때문에

상을 성사시키기 해 상자가 활용할 수 있는 비용과 제도 인 권력

의 가용범 가 더 컸기 때문이다 상이 난 에 착한 상황에서 러시아

55) James Cotton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1086 Cho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pp51ndash53

56) 특히 19세기와 20세기 반에는 러시아 극동에서 부동항에 한 수요가 컸고 그런 맥락에

서 나진항의 요성이 강조되었다 이와 하여 다음을 참조 Ibid pp52ndash55 백 기 ldquo러

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백 기 최정수 최재희 (편)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동북아역사재단 2007 pp23ndash62

한편 러시아 극동의 항만시설과 해서는 다음을 참조 Robert North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74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5

가 상 체의 틀을 다시 짜는 선택을 할 수 있었던 것이나 남한의 투자

가 결렬된 이후 막 한 비용을 들일 수 있었던 것은 모두 행 자 수 이

높아짐으로써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해 수 있는 범 가 넓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실제로 상이 시작된 2000년 반 푸틴 통령은 자신이 추구하는

로 상을 진행시키기 해 국내정치 으로 의견을 결집시켰다 당시

러시아 료들은 북한과의 철도연결을 재개하는 것에 해서 비 이었

다 러시아 철도부 장 이었던 데 (Guenaddy Fadeyev)는 TKR-TSR

은 투자비용도 무 크고 정치 험도도 높은 사업이라며 회의 인 견

해를 피력하기까지 했다57) 그러나 푸틴은 사업을 lsquo 요한 사업rsquo이라고

못 박았고 데 로 하여 사업이 확실한(promising) 사업이라고

발언하게 했다 이러한 푸틴의 응에 의해 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국

내 으로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 차단되었고 상이행에 한 푸틴

의 강력한 의지가 러시아 국내에 확인되었다

러-북 간의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강력한 지지 속에서 이루어졌다

는 은 상 실무주체가 RZD 다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RZD는 단순히

러시아 철도부가 진행하던 사업의 권한을 승계한 공기업이 아니라 푸틴

의 국내정치권력의 핵심기 의 하나 다 RZD 사장인 야쿠닌(Vladimir

Yakunin)은 푸틴의 최측근 실로비키(silovarch) 한 명으로 차기 통령

후보로까지 거론되기도 했던 인물이다58) 야쿠닌은 나진-하산 로젝트를

RZD의 최우선 로젝트로 상정하고 상과정 내내 상자 간의 의견조

율과 외홍보에 힘을 쏟았다59) 따라서 RZD가 상을 주도했다는 은

나진-하산 로젝트 련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심 속에서 진행되

었다는 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57)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AsiaDH27Ag01html

58) Daniel Treisman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4ndash145

59)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pp228ndash229

17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편 국의 입장에서 상자의 수 이 낮았던 것은 -북 간 상이

실패한 결정 인 원인이었다 국의 상자 수 이 낮은 상황에서 북한

측도 이에 맞춰 상자의 수 이 낮아지게 되면서 양 국은 상의 이행을

한 재량권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실제로 국과의 상에 임했던 나

선시 인민 원회는 상의 출발단계에서부터 국 측이 원한 상 목표인

부두시설 임 에 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나진항의 부두 시설에

한 권한은 으로 북한 육해운성의 소 이기 때문에 나선시 인민 원

회는 부두사용권을 놓고 국과 의하는 것이 처음부터 불가능했기 때문

이다60)

이처럼 러시아는 상의 구조 권력에서 국보다 우 에 있었기 때문

에 다양한 략 선택지를 가지고 상의 교착상황에서 상 방의 입장

을 받아들이는 수용 략을 취함으로써 상이 지속되도록 했다 표 으

로 러시아는 2004년에는 TSR-TKR 연결 사업에서 이탈하려는 북한의 의

사를 반 하여 상의 틀을 축소했으며 2008년에 한국의 투자가 무 로

돌아가면서 상의 이행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자국의 자본을 100 투자

하여 북한과 합의된 사항을 이행했다

러시아가 이와 같은 상 략을 취한 이유를 R-O 모형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우선 러시아는 수용 인 략기조를 유지했기 때문에 상을

통해서 결과이익보다는 계이익을 추구했다고 여겨진다 나진항을 통해

서 얻고자 하는 결과이익은 항만시설을 통한 출해권 확보일 것이다 반

로 이 상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계이익은 상 상 국인 북한과의

계 향상일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의 략 선택은 러시아가 상을

통해 장기 으로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고 략 인 차원에서 장기 으

로 북한에 한 력을 지속시키고자 했다는 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60) 당시 국 둥린 회사를 도와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와의 상에 참여했던 국 훈춘시 지

방 정부 계자 면담에서 계자는 당시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도 외합작 경험이 부족

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권한범 에 한 인식이 부족했었다고 진단했다 2015년

2월 훈춘시정부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7

실제로 푸틴 통령은 상 기 경제 인 손실을 우려하는 국내 료들

의 불안감에 해 상은 요한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이 상의 목

표가 단기 인 경제성에 놓인 것이 아님을 명확하게 했다61)

상이 시작되던 2001년의 시기 배경을 고려해 보면 러시아가 계

이익 다시 말하자면 략 이고 장기 인 차원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

다는 이론상의 설명은 실성이 있다고 단된다 나진항만을 둘러싼 러

시아-북한 간의 상이 TSR-TKR의 연결 사업으로 첫 발을 디뎠던 2000

년 당시 러시아는 푸틴 통령의 집권으로 인해 국내정치 혼란을 바로

잡은 후 소련붕괴와 한반도정책의 실패로 인해 상실한 아시아 지역에

한 략 향력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 때 러시아가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러시아의 향력을 회복하기

해서는 상실했던 북한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만 했다 동아시아와

해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은 경제 으로나 인구 으로나 동아시아 주변

국에 비해 제한 인 역량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 시기

이래로 러시아가 지속 으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에서 주요세력으로 자

리매김했던 것은 소련과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략 인 계가 유지되

었기 때문이다62) 특히 소 계가 악화된 이후 소련은 소련에 한 북한

의 일방 인 의존을 활용하여 아시아 국제 계에서 략 버리지를

유지해 왔다63)

61)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62) Peggy Falkenheim Meyer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14ndash 221

Pavel A Minakir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p32ndash 50

Tamara Troyakova amp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ndash 37

63) John W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ndash53 Gilbert Rozman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 Stephan Blank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pp78ndash82

17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그러나 90년 들어 소련은 북한에 해 가지고 있던 향력을 상실하

면서 아시아의 정치무 에서 배제되게 되었다 1980년 후반 소련은 경

제 이익을 기 하며 남한과의 계수립에 힘썼고 1990년 남한과의 국

교를 정상화하기에 이르 다 게다가 소련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의 수장

으로 취임한 친(Boris Yeltsin) 통령은 서방과의 계회복을 기 하며

민주 가치와 자유를 존 하는 러시아의 모습을 보이기 해 공산독재국

가 던 북한과 의도 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공식

외교채 은 단 되었으며 러시아는 그 동안 북한에게 무상으로 제공

해 왔던 석유지원을 단했으며 러시아의 무기를 북한에 수출하지 않겠

다고 밝혔다64) 당시 러시아 외교부장 이었던 코지 (Andrei Kozyrev)

는 북한의 인권침해를 공식 으로 비 하면서 북한의 정치 변화를 구

하기까지 했다65) 결과 으로 한반도에서의 러시아의 외교정책 인 환

은 냉 기부터 긴 하게 유지되었던 러시아와 북한의 정치 연결고리를

약화시켰으며 북한은 러시아에 해서 가지고 있던 우호 인 시선을 거

두어들이게 되었다66) 그러나 러시아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이 사라진 것은 러시아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

제 계에서도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다 러시아가 북한에 해 정치

향력을 발휘할 것을 기 하며 러시아와의 계개선을 추진했던 남한은 러

시아가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을 상실하자 러시아를 외교 으로 등

한시했다67) 게다가 소련의 붕괴 이후 러시아의 통 인 향권에 한

64) Seung-ho Jo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ndash130 David Wolff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

booksdprkbbrussia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Alexander

Vorontsov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p5

65)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53

66) 이정철 외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p87ndash89

67)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호 2002 pp289

ndash297 Gilbert Rozman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9

침투를 본격화한 미국은 북-러 계가 약화된 시 에서 한반도 문제의

심 인 조정자로 부상하게 되었다68) 러시아가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외교

의제에서 배제된 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사건이 바로 1차 북핵 기

다 1차 북핵 기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를 포함한 8자 회담을 통해서 북핵

문제를 보다 국제 인 차원에서 해결하기를 원했으나 결과 으로 북한에

한 향력을 상실한 러시아는 배제된 채 4자 회담의 형태로 상이 진

행되었다69)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러시아는 남북한 모두에게 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면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자국의 향력 후퇴를 막을 수 없다는

을 확인했고 남한에 과도하게 경사되었던 한반도 계를 재조정하고

남북한 균형 정책을 구사하기 시작했다70) 러시아는 친서방 성향이 강

했던 코지 를 신하여 실용 유라시아주의자 리마코 (Yevgenni

Primakov)를 외교부 장 으로 임명하고 북한과의 계 회복에 주력했

다71)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태도는 냉담했는데 이는

러시아가 여 히 경제 인 측면에서 이익을 수 있는 남한과의 계를

더 시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력과 군사력이 약화된 러시아가 북한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북한의 의구심 때문이었다72)

p41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pp23ndash46

68) Yoshinori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192 Seung-ho Joo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Ashgate 2002 pp147ndash148

69) 러시아의 근 방식에 해서 다음을 참조Evgueni Bajanov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러시아의 배제와 4자 회담에 해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7ndash298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pp194ndash196 Stephen Blank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4ndash5

70)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pp228ndash229

71) Seung-ho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ndash81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6ndash298

72)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192 P Rangsimaporn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18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상실해버린 북 향력을 회복하는 것을 북 략의 주요 목표로 삼았

던 러시아에게 나진-하산 로젝트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기

한 출발 으로 매우 한 기획이었다 우선 나진-하산 로젝트가

TSR-TKR 로젝트로 시작되던 시기는 국제정치 으로 한반도의 화해 국

면 속에서 인 국가로서 러시아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극 화되던 시 이

었다73) 당시 남한과 북한은 화를 시작하고 추가 인 력 의제들을 논

의하는 과정 에 있었다 이러한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인 라 부문에

한 이해 계를 공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실리 인 력 어젠다(agenda)

를 통해 화와 력을 지속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 인 수요를 포착

하고 TSR-TKR 연결 구상을 통해 한반도에 한 실리 인 개자로 참여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이 시기는 러시아의 근에 해서

회의 인 입장을 견지하던 북한도 자국의 국내 정치상황으로 인해 입장을

바꾸던 때 다 당시 나진-선 을 통해서 개 개방을 도모하던 북한은 나

진선 지 개발에 한 외국투자를 극 으로 유치했다74) 때문에 러시

아의 근에 한 북한의 반응도 비교 정 이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나진항을 포함한 북한의 항만 시설 철도 인 라 시

설에 해서 확실한 기술 우 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과의 인

라 력 부문에서 확실한 강 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부터 1990년

까지 소련은 북한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등을 직 건설했으며 나진

항의 화 역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75) 소련은 이

게 개발한 나진항에 해서 공식 인 우선권을 인정받고(1978) 이를 소

Palgrave Macmillan 2009 pp62ndash64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p477

73) In-kon Yeo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ndash115

74)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75) 안병민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남

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pp1ndash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20: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17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국 러시아

상배경도로-항만-구역일체화 로젝트

(훈춘시정부 차원)

TKR-TSR 연결 로젝트

( 앙 정부 차원)

상시기 2003년-2006년 2000년-2015년 진행

시작

2003년 12월 국 지방 정부 계자

기업이 북한 나선시와 논의 시작

2000년 8월- 푸틴 통령이 남북정상과

논의 시작

2001년 8월 모스크바 선언 정식 결의

석탄을 운반하기 시작했다52) 이때 러시아는 철도연결에 55억 루블(약 18

억 USD) 나진항 터미 공사에 약 35억 루블(약 11억 USD)을 투자한 것

으로 추정된다53)

요컨 2000년 러시아 최고 지도자인 푸틴의 심 속에서 시작된 상

은 2003-4년 북핵 기로 인한 북한의 상 거부 기와 2008년 이후 투자

계획의 난 을 뚫고 최종 으로 이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는 남북

한의 응에 강경하게 응하기보다는 양 국의 의견을 수용하기 한

상 방안을 제시하고 상 를 다시 상에 참여시키기 해 막 한 자 을

투자하기까지 했다 이처럼 러시아가 상을 지속하기 해 다양한 수용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면 러시아와 북한 간의 합의 역시 이행되지 못했

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B 중국-북한 러시아-북한의 협상에 대한 이론적 분석

앞 장에서는 나진항의 부두 사용권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 과

정을 추 해보았다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을 상의 배경 상 주체

북한 측 상 주체 주요 상 내용 상 규모 상 이행 상황을 심

으로 비교해보면 아래의 lt표 1gt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lt표 1gt 나진항 3호 부두 사용권과 관련된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주요 사항

52)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나희승 ldquo남북 sdot 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53)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1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3

국 러시아

과정

- 2004년 기본 합의 완료

- 2005년 3월 24일 MOU 체결

- 2005년 7월 합 회사 설립

- 2005년 9월 본계약 체결

- 2006년 1월 북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합 회사 설립 비

- 2004년 7월 나진-하산 로젝트로 논의

축소 나진항 사용에 한 명시

- 2006년 7월 남-북-러 3자 철도 운 자

회의 나진-하산 화 사업 합의

- 2007년 남한 투자 련 MOU

- 2008년 한국 참여 실패

- 2008년 4월 북-러 나진 하산 철도

화 나진항 3호부두 개발에 한 력

합의서 체결

이행

- 2006년 5월 사업 조사 완료 비

- 2006년 10월 착공 연기

- 2007년 2월 길림성 lsquo두만강유역

개방개발 가속화 방안rsquo 마련

- 2008년 4월 훈춘 둥린회사 외국

투자 유치 난항 최종 실패

- 2008년 4월 라손콘트란스 설립

- 2008년 10월 나진-하산 철도구간 개보수

착공식 후 공사 지연

- 2011년 철도 건설 사업 재개

- 2013-2014년 철도와 부두 개보수 완료

상 주체상 시작 지방 정부

상 과정 민간기업 훈춘시 지원

상 시작 러시아 앙 정부

상 실무 러시아 철도부 RZD54)

북한측 상

주체나선시 인민 원회

-북한 앙 정부

- 상 실무 북한 철도성 육해운성

실무 계자

투자 규모

lt 체 규모gt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

lt본 계약 규모gt

3000만 유로

(24억 RMB 약 3600만 USD) agrave미이행

lt계약 시기gt

총 21억 USD 러시아가 126억 USD

lt이행기gt 철도연결에 55억 루블 지출 터

미 공사에 35억 루블 지출

(약 11억 USD)

이 같은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의 비교를 토 로 러시아와 국의

상력 각국이 구사한 상 략을 비교해보고 러시아가 상에서 유

리한 결과를 낼 수 있었던 요인과 러시아의 략 인 목표를 유추해볼 것

이다

54) 러시아 정부는 2001년부터 자국의 철도 개 을 진행하여 철도부(Railway Ministry)를 국

주식회사인 RZD와 정책 담당 부서인 교통부(Ministry of Transport) 경제 발 무역

부(Ministry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rade)로 분리했다 RZD는 기존의 철도부의

시설 사업을 승계함으로써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상도 이어서 진행하게 되었다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17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우선 상력을 보기 해 상에 임한 국과 러시아의 정태 인 구조

권력을 살펴본다면 비록 총체 인 구조권력 상에서 국이 러시아에 비

해서 압도 으로 강력했으나 나진항을 둘러싸고 북한과 진행한 상사안

만 놓고 본다면 이슈 별 권력에서 러시아가 국보다는 북한에 해 우

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러시아는 북한과의 상에 한

BATNA의 차원에서 국보다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두만강 유역에서

국의 국경은 차 강 기를 따라 좁아지다가 동해를 15km 앞둔 지 에서

끝이 난다55) 그러므로 동해로 직 나갈 수 있는 항구 시설이 무한

국은 나진항 련 상이 결렬되는 경우 동해로의 출해권을 얻을 수가 없

었다 반면 러시아는 나진항 이외에도 극동지역에 여러 항구를 보유하고

있다 일부 연구가 러시아의 극동항만들이 겨울에 얼어붙는 반면 나진항

은 부동항이기 때문에 나진항의 경제 이 이 크다고 보기도 하지만 실

제로는 러시아 극동의 블라디보스톡(Vladivostok) 이남의 항구들은 모두

부동항들로 슬라비얀카(Slavianka)항 보스토치니항(Vostochny) 포시에트

(Posyet)항 자루비노(Zarubino)항 등 개발잠재력이 충분한 항구들이 이미

러시아 극동에서 운용 이다56) 따라서 북한과의 상에 한 이슈 별 권

력의 차원에서 러시아는 국보다 유리한 치에서 상을 시작했다 lsquo의

지rsquo와 lsquo통제rsquo의 측면에서도 러시아는 국보다 더 우 에 있었다 러시아-

북한의 상이 국-북한의 상에 비해서 행 자수 이 높았기 때문에

상을 성사시키기 해 상자가 활용할 수 있는 비용과 제도 인 권력

의 가용범 가 더 컸기 때문이다 상이 난 에 착한 상황에서 러시아

55) James Cotton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1086 Cho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pp51ndash53

56) 특히 19세기와 20세기 반에는 러시아 극동에서 부동항에 한 수요가 컸고 그런 맥락에

서 나진항의 요성이 강조되었다 이와 하여 다음을 참조 Ibid pp52ndash55 백 기 ldquo러

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백 기 최정수 최재희 (편)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동북아역사재단 2007 pp23ndash62

한편 러시아 극동의 항만시설과 해서는 다음을 참조 Robert North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74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5

가 상 체의 틀을 다시 짜는 선택을 할 수 있었던 것이나 남한의 투자

가 결렬된 이후 막 한 비용을 들일 수 있었던 것은 모두 행 자 수 이

높아짐으로써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해 수 있는 범 가 넓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실제로 상이 시작된 2000년 반 푸틴 통령은 자신이 추구하는

로 상을 진행시키기 해 국내정치 으로 의견을 결집시켰다 당시

러시아 료들은 북한과의 철도연결을 재개하는 것에 해서 비 이었

다 러시아 철도부 장 이었던 데 (Guenaddy Fadeyev)는 TKR-TSR

은 투자비용도 무 크고 정치 험도도 높은 사업이라며 회의 인 견

해를 피력하기까지 했다57) 그러나 푸틴은 사업을 lsquo 요한 사업rsquo이라고

못 박았고 데 로 하여 사업이 확실한(promising) 사업이라고

발언하게 했다 이러한 푸틴의 응에 의해 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국

내 으로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 차단되었고 상이행에 한 푸틴

의 강력한 의지가 러시아 국내에 확인되었다

러-북 간의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강력한 지지 속에서 이루어졌다

는 은 상 실무주체가 RZD 다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RZD는 단순히

러시아 철도부가 진행하던 사업의 권한을 승계한 공기업이 아니라 푸틴

의 국내정치권력의 핵심기 의 하나 다 RZD 사장인 야쿠닌(Vladimir

Yakunin)은 푸틴의 최측근 실로비키(silovarch) 한 명으로 차기 통령

후보로까지 거론되기도 했던 인물이다58) 야쿠닌은 나진-하산 로젝트를

RZD의 최우선 로젝트로 상정하고 상과정 내내 상자 간의 의견조

율과 외홍보에 힘을 쏟았다59) 따라서 RZD가 상을 주도했다는 은

나진-하산 로젝트 련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심 속에서 진행되

었다는 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57)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AsiaDH27Ag01html

58) Daniel Treisman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4ndash145

59)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pp228ndash229

17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편 국의 입장에서 상자의 수 이 낮았던 것은 -북 간 상이

실패한 결정 인 원인이었다 국의 상자 수 이 낮은 상황에서 북한

측도 이에 맞춰 상자의 수 이 낮아지게 되면서 양 국은 상의 이행을

한 재량권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실제로 국과의 상에 임했던 나

선시 인민 원회는 상의 출발단계에서부터 국 측이 원한 상 목표인

부두시설 임 에 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나진항의 부두 시설에

한 권한은 으로 북한 육해운성의 소 이기 때문에 나선시 인민 원

회는 부두사용권을 놓고 국과 의하는 것이 처음부터 불가능했기 때문

이다60)

이처럼 러시아는 상의 구조 권력에서 국보다 우 에 있었기 때문

에 다양한 략 선택지를 가지고 상의 교착상황에서 상 방의 입장

을 받아들이는 수용 략을 취함으로써 상이 지속되도록 했다 표 으

로 러시아는 2004년에는 TSR-TKR 연결 사업에서 이탈하려는 북한의 의

사를 반 하여 상의 틀을 축소했으며 2008년에 한국의 투자가 무 로

돌아가면서 상의 이행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자국의 자본을 100 투자

하여 북한과 합의된 사항을 이행했다

러시아가 이와 같은 상 략을 취한 이유를 R-O 모형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우선 러시아는 수용 인 략기조를 유지했기 때문에 상을

통해서 결과이익보다는 계이익을 추구했다고 여겨진다 나진항을 통해

서 얻고자 하는 결과이익은 항만시설을 통한 출해권 확보일 것이다 반

로 이 상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계이익은 상 상 국인 북한과의

계 향상일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의 략 선택은 러시아가 상을

통해 장기 으로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고 략 인 차원에서 장기 으

로 북한에 한 력을 지속시키고자 했다는 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60) 당시 국 둥린 회사를 도와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와의 상에 참여했던 국 훈춘시 지

방 정부 계자 면담에서 계자는 당시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도 외합작 경험이 부족

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권한범 에 한 인식이 부족했었다고 진단했다 2015년

2월 훈춘시정부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7

실제로 푸틴 통령은 상 기 경제 인 손실을 우려하는 국내 료들

의 불안감에 해 상은 요한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이 상의 목

표가 단기 인 경제성에 놓인 것이 아님을 명확하게 했다61)

상이 시작되던 2001년의 시기 배경을 고려해 보면 러시아가 계

이익 다시 말하자면 략 이고 장기 인 차원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

다는 이론상의 설명은 실성이 있다고 단된다 나진항만을 둘러싼 러

시아-북한 간의 상이 TSR-TKR의 연결 사업으로 첫 발을 디뎠던 2000

년 당시 러시아는 푸틴 통령의 집권으로 인해 국내정치 혼란을 바로

잡은 후 소련붕괴와 한반도정책의 실패로 인해 상실한 아시아 지역에

한 략 향력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 때 러시아가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러시아의 향력을 회복하기

해서는 상실했던 북한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만 했다 동아시아와

해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은 경제 으로나 인구 으로나 동아시아 주변

국에 비해 제한 인 역량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 시기

이래로 러시아가 지속 으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에서 주요세력으로 자

리매김했던 것은 소련과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략 인 계가 유지되

었기 때문이다62) 특히 소 계가 악화된 이후 소련은 소련에 한 북한

의 일방 인 의존을 활용하여 아시아 국제 계에서 략 버리지를

유지해 왔다63)

61)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62) Peggy Falkenheim Meyer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14ndash 221

Pavel A Minakir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p32ndash 50

Tamara Troyakova amp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ndash 37

63) John W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ndash53 Gilbert Rozman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 Stephan Blank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pp78ndash82

17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그러나 90년 들어 소련은 북한에 해 가지고 있던 향력을 상실하

면서 아시아의 정치무 에서 배제되게 되었다 1980년 후반 소련은 경

제 이익을 기 하며 남한과의 계수립에 힘썼고 1990년 남한과의 국

교를 정상화하기에 이르 다 게다가 소련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의 수장

으로 취임한 친(Boris Yeltsin) 통령은 서방과의 계회복을 기 하며

민주 가치와 자유를 존 하는 러시아의 모습을 보이기 해 공산독재국

가 던 북한과 의도 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공식

외교채 은 단 되었으며 러시아는 그 동안 북한에게 무상으로 제공

해 왔던 석유지원을 단했으며 러시아의 무기를 북한에 수출하지 않겠

다고 밝혔다64) 당시 러시아 외교부장 이었던 코지 (Andrei Kozyrev)

는 북한의 인권침해를 공식 으로 비 하면서 북한의 정치 변화를 구

하기까지 했다65) 결과 으로 한반도에서의 러시아의 외교정책 인 환

은 냉 기부터 긴 하게 유지되었던 러시아와 북한의 정치 연결고리를

약화시켰으며 북한은 러시아에 해서 가지고 있던 우호 인 시선을 거

두어들이게 되었다66) 그러나 러시아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이 사라진 것은 러시아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

제 계에서도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다 러시아가 북한에 해 정치

향력을 발휘할 것을 기 하며 러시아와의 계개선을 추진했던 남한은 러

시아가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을 상실하자 러시아를 외교 으로 등

한시했다67) 게다가 소련의 붕괴 이후 러시아의 통 인 향권에 한

64) Seung-ho Jo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ndash130 David Wolff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

booksdprkbbrussia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Alexander

Vorontsov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p5

65)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53

66) 이정철 외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p87ndash89

67)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호 2002 pp289

ndash297 Gilbert Rozman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9

침투를 본격화한 미국은 북-러 계가 약화된 시 에서 한반도 문제의

심 인 조정자로 부상하게 되었다68) 러시아가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외교

의제에서 배제된 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사건이 바로 1차 북핵 기

다 1차 북핵 기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를 포함한 8자 회담을 통해서 북핵

문제를 보다 국제 인 차원에서 해결하기를 원했으나 결과 으로 북한에

한 향력을 상실한 러시아는 배제된 채 4자 회담의 형태로 상이 진

행되었다69)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러시아는 남북한 모두에게 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면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자국의 향력 후퇴를 막을 수 없다는

을 확인했고 남한에 과도하게 경사되었던 한반도 계를 재조정하고

남북한 균형 정책을 구사하기 시작했다70) 러시아는 친서방 성향이 강

했던 코지 를 신하여 실용 유라시아주의자 리마코 (Yevgenni

Primakov)를 외교부 장 으로 임명하고 북한과의 계 회복에 주력했

다71)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태도는 냉담했는데 이는

러시아가 여 히 경제 인 측면에서 이익을 수 있는 남한과의 계를

더 시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력과 군사력이 약화된 러시아가 북한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북한의 의구심 때문이었다72)

p41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pp23ndash46

68) Yoshinori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192 Seung-ho Joo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Ashgate 2002 pp147ndash148

69) 러시아의 근 방식에 해서 다음을 참조Evgueni Bajanov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러시아의 배제와 4자 회담에 해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7ndash298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pp194ndash196 Stephen Blank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4ndash5

70)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pp228ndash229

71) Seung-ho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ndash81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6ndash298

72)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192 P Rangsimaporn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18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상실해버린 북 향력을 회복하는 것을 북 략의 주요 목표로 삼았

던 러시아에게 나진-하산 로젝트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기

한 출발 으로 매우 한 기획이었다 우선 나진-하산 로젝트가

TSR-TKR 로젝트로 시작되던 시기는 국제정치 으로 한반도의 화해 국

면 속에서 인 국가로서 러시아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극 화되던 시 이

었다73) 당시 남한과 북한은 화를 시작하고 추가 인 력 의제들을 논

의하는 과정 에 있었다 이러한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인 라 부문에

한 이해 계를 공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실리 인 력 어젠다(agenda)

를 통해 화와 력을 지속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 인 수요를 포착

하고 TSR-TKR 연결 구상을 통해 한반도에 한 실리 인 개자로 참여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이 시기는 러시아의 근에 해서

회의 인 입장을 견지하던 북한도 자국의 국내 정치상황으로 인해 입장을

바꾸던 때 다 당시 나진-선 을 통해서 개 개방을 도모하던 북한은 나

진선 지 개발에 한 외국투자를 극 으로 유치했다74) 때문에 러시

아의 근에 한 북한의 반응도 비교 정 이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나진항을 포함한 북한의 항만 시설 철도 인 라 시

설에 해서 확실한 기술 우 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과의 인

라 력 부문에서 확실한 강 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부터 1990년

까지 소련은 북한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등을 직 건설했으며 나진

항의 화 역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75) 소련은 이

게 개발한 나진항에 해서 공식 인 우선권을 인정받고(1978) 이를 소

Palgrave Macmillan 2009 pp62ndash64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p477

73) In-kon Yeo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ndash115

74)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75) 안병민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남

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pp1ndash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21: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3

국 러시아

과정

- 2004년 기본 합의 완료

- 2005년 3월 24일 MOU 체결

- 2005년 7월 합 회사 설립

- 2005년 9월 본계약 체결

- 2006년 1월 북한 앙경제합작

리국의 합 회사 설립 비

- 2004년 7월 나진-하산 로젝트로 논의

축소 나진항 사용에 한 명시

- 2006년 7월 남-북-러 3자 철도 운 자

회의 나진-하산 화 사업 합의

- 2007년 남한 투자 련 MOU

- 2008년 한국 참여 실패

- 2008년 4월 북-러 나진 하산 철도

화 나진항 3호부두 개발에 한 력

합의서 체결

이행

- 2006년 5월 사업 조사 완료 비

- 2006년 10월 착공 연기

- 2007년 2월 길림성 lsquo두만강유역

개방개발 가속화 방안rsquo 마련

- 2008년 4월 훈춘 둥린회사 외국

투자 유치 난항 최종 실패

- 2008년 4월 라손콘트란스 설립

- 2008년 10월 나진-하산 철도구간 개보수

착공식 후 공사 지연

- 2011년 철도 건설 사업 재개

- 2013-2014년 철도와 부두 개보수 완료

상 주체상 시작 지방 정부

상 과정 민간기업 훈춘시 지원

상 시작 러시아 앙 정부

상 실무 러시아 철도부 RZD54)

북한측 상

주체나선시 인민 원회

-북한 앙 정부

- 상 실무 북한 철도성 육해운성

실무 계자

투자 규모

lt 체 규모gt

6090만 유로(약 7500만 USD)

lt본 계약 규모gt

3000만 유로

(24억 RMB 약 3600만 USD) agrave미이행

lt계약 시기gt

총 21억 USD 러시아가 126억 USD

lt이행기gt 철도연결에 55억 루블 지출 터

미 공사에 35억 루블 지출

(약 11억 USD)

이 같은 국과 러시아의 상 과정의 비교를 토 로 러시아와 국의

상력 각국이 구사한 상 략을 비교해보고 러시아가 상에서 유

리한 결과를 낼 수 있었던 요인과 러시아의 략 인 목표를 유추해볼 것

이다

54) 러시아 정부는 2001년부터 자국의 철도 개 을 진행하여 철도부(Railway Ministry)를 국

주식회사인 RZD와 정책 담당 부서인 교통부(Ministry of Transport) 경제 발 무역

부(Ministry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rade)로 분리했다 RZD는 기존의 철도부의

시설 사업을 승계함으로써 나진-하산 로젝트에 한 상도 이어서 진행하게 되었다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17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우선 상력을 보기 해 상에 임한 국과 러시아의 정태 인 구조

권력을 살펴본다면 비록 총체 인 구조권력 상에서 국이 러시아에 비

해서 압도 으로 강력했으나 나진항을 둘러싸고 북한과 진행한 상사안

만 놓고 본다면 이슈 별 권력에서 러시아가 국보다는 북한에 해 우

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러시아는 북한과의 상에 한

BATNA의 차원에서 국보다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두만강 유역에서

국의 국경은 차 강 기를 따라 좁아지다가 동해를 15km 앞둔 지 에서

끝이 난다55) 그러므로 동해로 직 나갈 수 있는 항구 시설이 무한

국은 나진항 련 상이 결렬되는 경우 동해로의 출해권을 얻을 수가 없

었다 반면 러시아는 나진항 이외에도 극동지역에 여러 항구를 보유하고

있다 일부 연구가 러시아의 극동항만들이 겨울에 얼어붙는 반면 나진항

은 부동항이기 때문에 나진항의 경제 이 이 크다고 보기도 하지만 실

제로는 러시아 극동의 블라디보스톡(Vladivostok) 이남의 항구들은 모두

부동항들로 슬라비얀카(Slavianka)항 보스토치니항(Vostochny) 포시에트

(Posyet)항 자루비노(Zarubino)항 등 개발잠재력이 충분한 항구들이 이미

러시아 극동에서 운용 이다56) 따라서 북한과의 상에 한 이슈 별 권

력의 차원에서 러시아는 국보다 유리한 치에서 상을 시작했다 lsquo의

지rsquo와 lsquo통제rsquo의 측면에서도 러시아는 국보다 더 우 에 있었다 러시아-

북한의 상이 국-북한의 상에 비해서 행 자수 이 높았기 때문에

상을 성사시키기 해 상자가 활용할 수 있는 비용과 제도 인 권력

의 가용범 가 더 컸기 때문이다 상이 난 에 착한 상황에서 러시아

55) James Cotton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1086 Cho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pp51ndash53

56) 특히 19세기와 20세기 반에는 러시아 극동에서 부동항에 한 수요가 컸고 그런 맥락에

서 나진항의 요성이 강조되었다 이와 하여 다음을 참조 Ibid pp52ndash55 백 기 ldquo러

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백 기 최정수 최재희 (편)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동북아역사재단 2007 pp23ndash62

한편 러시아 극동의 항만시설과 해서는 다음을 참조 Robert North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74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5

가 상 체의 틀을 다시 짜는 선택을 할 수 있었던 것이나 남한의 투자

가 결렬된 이후 막 한 비용을 들일 수 있었던 것은 모두 행 자 수 이

높아짐으로써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해 수 있는 범 가 넓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실제로 상이 시작된 2000년 반 푸틴 통령은 자신이 추구하는

로 상을 진행시키기 해 국내정치 으로 의견을 결집시켰다 당시

러시아 료들은 북한과의 철도연결을 재개하는 것에 해서 비 이었

다 러시아 철도부 장 이었던 데 (Guenaddy Fadeyev)는 TKR-TSR

은 투자비용도 무 크고 정치 험도도 높은 사업이라며 회의 인 견

해를 피력하기까지 했다57) 그러나 푸틴은 사업을 lsquo 요한 사업rsquo이라고

못 박았고 데 로 하여 사업이 확실한(promising) 사업이라고

발언하게 했다 이러한 푸틴의 응에 의해 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국

내 으로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 차단되었고 상이행에 한 푸틴

의 강력한 의지가 러시아 국내에 확인되었다

러-북 간의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강력한 지지 속에서 이루어졌다

는 은 상 실무주체가 RZD 다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RZD는 단순히

러시아 철도부가 진행하던 사업의 권한을 승계한 공기업이 아니라 푸틴

의 국내정치권력의 핵심기 의 하나 다 RZD 사장인 야쿠닌(Vladimir

Yakunin)은 푸틴의 최측근 실로비키(silovarch) 한 명으로 차기 통령

후보로까지 거론되기도 했던 인물이다58) 야쿠닌은 나진-하산 로젝트를

RZD의 최우선 로젝트로 상정하고 상과정 내내 상자 간의 의견조

율과 외홍보에 힘을 쏟았다59) 따라서 RZD가 상을 주도했다는 은

나진-하산 로젝트 련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심 속에서 진행되

었다는 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57)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AsiaDH27Ag01html

58) Daniel Treisman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4ndash145

59)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pp228ndash229

17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편 국의 입장에서 상자의 수 이 낮았던 것은 -북 간 상이

실패한 결정 인 원인이었다 국의 상자 수 이 낮은 상황에서 북한

측도 이에 맞춰 상자의 수 이 낮아지게 되면서 양 국은 상의 이행을

한 재량권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실제로 국과의 상에 임했던 나

선시 인민 원회는 상의 출발단계에서부터 국 측이 원한 상 목표인

부두시설 임 에 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나진항의 부두 시설에

한 권한은 으로 북한 육해운성의 소 이기 때문에 나선시 인민 원

회는 부두사용권을 놓고 국과 의하는 것이 처음부터 불가능했기 때문

이다60)

이처럼 러시아는 상의 구조 권력에서 국보다 우 에 있었기 때문

에 다양한 략 선택지를 가지고 상의 교착상황에서 상 방의 입장

을 받아들이는 수용 략을 취함으로써 상이 지속되도록 했다 표 으

로 러시아는 2004년에는 TSR-TKR 연결 사업에서 이탈하려는 북한의 의

사를 반 하여 상의 틀을 축소했으며 2008년에 한국의 투자가 무 로

돌아가면서 상의 이행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자국의 자본을 100 투자

하여 북한과 합의된 사항을 이행했다

러시아가 이와 같은 상 략을 취한 이유를 R-O 모형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우선 러시아는 수용 인 략기조를 유지했기 때문에 상을

통해서 결과이익보다는 계이익을 추구했다고 여겨진다 나진항을 통해

서 얻고자 하는 결과이익은 항만시설을 통한 출해권 확보일 것이다 반

로 이 상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계이익은 상 상 국인 북한과의

계 향상일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의 략 선택은 러시아가 상을

통해 장기 으로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고 략 인 차원에서 장기 으

로 북한에 한 력을 지속시키고자 했다는 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60) 당시 국 둥린 회사를 도와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와의 상에 참여했던 국 훈춘시 지

방 정부 계자 면담에서 계자는 당시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도 외합작 경험이 부족

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권한범 에 한 인식이 부족했었다고 진단했다 2015년

2월 훈춘시정부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7

실제로 푸틴 통령은 상 기 경제 인 손실을 우려하는 국내 료들

의 불안감에 해 상은 요한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이 상의 목

표가 단기 인 경제성에 놓인 것이 아님을 명확하게 했다61)

상이 시작되던 2001년의 시기 배경을 고려해 보면 러시아가 계

이익 다시 말하자면 략 이고 장기 인 차원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

다는 이론상의 설명은 실성이 있다고 단된다 나진항만을 둘러싼 러

시아-북한 간의 상이 TSR-TKR의 연결 사업으로 첫 발을 디뎠던 2000

년 당시 러시아는 푸틴 통령의 집권으로 인해 국내정치 혼란을 바로

잡은 후 소련붕괴와 한반도정책의 실패로 인해 상실한 아시아 지역에

한 략 향력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 때 러시아가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러시아의 향력을 회복하기

해서는 상실했던 북한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만 했다 동아시아와

해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은 경제 으로나 인구 으로나 동아시아 주변

국에 비해 제한 인 역량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 시기

이래로 러시아가 지속 으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에서 주요세력으로 자

리매김했던 것은 소련과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략 인 계가 유지되

었기 때문이다62) 특히 소 계가 악화된 이후 소련은 소련에 한 북한

의 일방 인 의존을 활용하여 아시아 국제 계에서 략 버리지를

유지해 왔다63)

61)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62) Peggy Falkenheim Meyer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14ndash 221

Pavel A Minakir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p32ndash 50

Tamara Troyakova amp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ndash 37

63) John W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ndash53 Gilbert Rozman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 Stephan Blank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pp78ndash82

17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그러나 90년 들어 소련은 북한에 해 가지고 있던 향력을 상실하

면서 아시아의 정치무 에서 배제되게 되었다 1980년 후반 소련은 경

제 이익을 기 하며 남한과의 계수립에 힘썼고 1990년 남한과의 국

교를 정상화하기에 이르 다 게다가 소련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의 수장

으로 취임한 친(Boris Yeltsin) 통령은 서방과의 계회복을 기 하며

민주 가치와 자유를 존 하는 러시아의 모습을 보이기 해 공산독재국

가 던 북한과 의도 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공식

외교채 은 단 되었으며 러시아는 그 동안 북한에게 무상으로 제공

해 왔던 석유지원을 단했으며 러시아의 무기를 북한에 수출하지 않겠

다고 밝혔다64) 당시 러시아 외교부장 이었던 코지 (Andrei Kozyrev)

는 북한의 인권침해를 공식 으로 비 하면서 북한의 정치 변화를 구

하기까지 했다65) 결과 으로 한반도에서의 러시아의 외교정책 인 환

은 냉 기부터 긴 하게 유지되었던 러시아와 북한의 정치 연결고리를

약화시켰으며 북한은 러시아에 해서 가지고 있던 우호 인 시선을 거

두어들이게 되었다66) 그러나 러시아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이 사라진 것은 러시아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

제 계에서도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다 러시아가 북한에 해 정치

향력을 발휘할 것을 기 하며 러시아와의 계개선을 추진했던 남한은 러

시아가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을 상실하자 러시아를 외교 으로 등

한시했다67) 게다가 소련의 붕괴 이후 러시아의 통 인 향권에 한

64) Seung-ho Jo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ndash130 David Wolff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

booksdprkbbrussia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Alexander

Vorontsov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p5

65)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53

66) 이정철 외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p87ndash89

67)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호 2002 pp289

ndash297 Gilbert Rozman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9

침투를 본격화한 미국은 북-러 계가 약화된 시 에서 한반도 문제의

심 인 조정자로 부상하게 되었다68) 러시아가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외교

의제에서 배제된 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사건이 바로 1차 북핵 기

다 1차 북핵 기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를 포함한 8자 회담을 통해서 북핵

문제를 보다 국제 인 차원에서 해결하기를 원했으나 결과 으로 북한에

한 향력을 상실한 러시아는 배제된 채 4자 회담의 형태로 상이 진

행되었다69)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러시아는 남북한 모두에게 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면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자국의 향력 후퇴를 막을 수 없다는

을 확인했고 남한에 과도하게 경사되었던 한반도 계를 재조정하고

남북한 균형 정책을 구사하기 시작했다70) 러시아는 친서방 성향이 강

했던 코지 를 신하여 실용 유라시아주의자 리마코 (Yevgenni

Primakov)를 외교부 장 으로 임명하고 북한과의 계 회복에 주력했

다71)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태도는 냉담했는데 이는

러시아가 여 히 경제 인 측면에서 이익을 수 있는 남한과의 계를

더 시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력과 군사력이 약화된 러시아가 북한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북한의 의구심 때문이었다72)

p41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pp23ndash46

68) Yoshinori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192 Seung-ho Joo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Ashgate 2002 pp147ndash148

69) 러시아의 근 방식에 해서 다음을 참조Evgueni Bajanov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러시아의 배제와 4자 회담에 해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7ndash298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pp194ndash196 Stephen Blank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4ndash5

70)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pp228ndash229

71) Seung-ho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ndash81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6ndash298

72)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192 P Rangsimaporn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18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상실해버린 북 향력을 회복하는 것을 북 략의 주요 목표로 삼았

던 러시아에게 나진-하산 로젝트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기

한 출발 으로 매우 한 기획이었다 우선 나진-하산 로젝트가

TSR-TKR 로젝트로 시작되던 시기는 국제정치 으로 한반도의 화해 국

면 속에서 인 국가로서 러시아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극 화되던 시 이

었다73) 당시 남한과 북한은 화를 시작하고 추가 인 력 의제들을 논

의하는 과정 에 있었다 이러한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인 라 부문에

한 이해 계를 공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실리 인 력 어젠다(agenda)

를 통해 화와 력을 지속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 인 수요를 포착

하고 TSR-TKR 연결 구상을 통해 한반도에 한 실리 인 개자로 참여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이 시기는 러시아의 근에 해서

회의 인 입장을 견지하던 북한도 자국의 국내 정치상황으로 인해 입장을

바꾸던 때 다 당시 나진-선 을 통해서 개 개방을 도모하던 북한은 나

진선 지 개발에 한 외국투자를 극 으로 유치했다74) 때문에 러시

아의 근에 한 북한의 반응도 비교 정 이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나진항을 포함한 북한의 항만 시설 철도 인 라 시

설에 해서 확실한 기술 우 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과의 인

라 력 부문에서 확실한 강 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부터 1990년

까지 소련은 북한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등을 직 건설했으며 나진

항의 화 역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75) 소련은 이

게 개발한 나진항에 해서 공식 인 우선권을 인정받고(1978) 이를 소

Palgrave Macmillan 2009 pp62ndash64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p477

73) In-kon Yeo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ndash115

74)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75) 안병민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남

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pp1ndash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22: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17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우선 상력을 보기 해 상에 임한 국과 러시아의 정태 인 구조

권력을 살펴본다면 비록 총체 인 구조권력 상에서 국이 러시아에 비

해서 압도 으로 강력했으나 나진항을 둘러싸고 북한과 진행한 상사안

만 놓고 본다면 이슈 별 권력에서 러시아가 국보다는 북한에 해 우

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러시아는 북한과의 상에 한

BATNA의 차원에서 국보다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두만강 유역에서

국의 국경은 차 강 기를 따라 좁아지다가 동해를 15km 앞둔 지 에서

끝이 난다55) 그러므로 동해로 직 나갈 수 있는 항구 시설이 무한

국은 나진항 련 상이 결렬되는 경우 동해로의 출해권을 얻을 수가 없

었다 반면 러시아는 나진항 이외에도 극동지역에 여러 항구를 보유하고

있다 일부 연구가 러시아의 극동항만들이 겨울에 얼어붙는 반면 나진항

은 부동항이기 때문에 나진항의 경제 이 이 크다고 보기도 하지만 실

제로는 러시아 극동의 블라디보스톡(Vladivostok) 이남의 항구들은 모두

부동항들로 슬라비얀카(Slavianka)항 보스토치니항(Vostochny) 포시에트

(Posyet)항 자루비노(Zarubino)항 등 개발잠재력이 충분한 항구들이 이미

러시아 극동에서 운용 이다56) 따라서 북한과의 상에 한 이슈 별 권

력의 차원에서 러시아는 국보다 유리한 치에서 상을 시작했다 lsquo의

지rsquo와 lsquo통제rsquo의 측면에서도 러시아는 국보다 더 우 에 있었다 러시아-

북한의 상이 국-북한의 상에 비해서 행 자수 이 높았기 때문에

상을 성사시키기 해 상자가 활용할 수 있는 비용과 제도 인 권력

의 가용범 가 더 컸기 때문이다 상이 난 에 착한 상황에서 러시아

55) James Cotton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1086 Cho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pp51ndash53

56) 특히 19세기와 20세기 반에는 러시아 극동에서 부동항에 한 수요가 컸고 그런 맥락에

서 나진항의 요성이 강조되었다 이와 하여 다음을 참조 Ibid pp52ndash55 백 기 ldquo러

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백 기 최정수 최재희 (편)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동북아역사재단 2007 pp23ndash62

한편 러시아 극동의 항만시설과 해서는 다음을 참조 Robert North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74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5

가 상 체의 틀을 다시 짜는 선택을 할 수 있었던 것이나 남한의 투자

가 결렬된 이후 막 한 비용을 들일 수 있었던 것은 모두 행 자 수 이

높아짐으로써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해 수 있는 범 가 넓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실제로 상이 시작된 2000년 반 푸틴 통령은 자신이 추구하는

로 상을 진행시키기 해 국내정치 으로 의견을 결집시켰다 당시

러시아 료들은 북한과의 철도연결을 재개하는 것에 해서 비 이었

다 러시아 철도부 장 이었던 데 (Guenaddy Fadeyev)는 TKR-TSR

은 투자비용도 무 크고 정치 험도도 높은 사업이라며 회의 인 견

해를 피력하기까지 했다57) 그러나 푸틴은 사업을 lsquo 요한 사업rsquo이라고

못 박았고 데 로 하여 사업이 확실한(promising) 사업이라고

발언하게 했다 이러한 푸틴의 응에 의해 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국

내 으로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 차단되었고 상이행에 한 푸틴

의 강력한 의지가 러시아 국내에 확인되었다

러-북 간의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강력한 지지 속에서 이루어졌다

는 은 상 실무주체가 RZD 다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RZD는 단순히

러시아 철도부가 진행하던 사업의 권한을 승계한 공기업이 아니라 푸틴

의 국내정치권력의 핵심기 의 하나 다 RZD 사장인 야쿠닌(Vladimir

Yakunin)은 푸틴의 최측근 실로비키(silovarch) 한 명으로 차기 통령

후보로까지 거론되기도 했던 인물이다58) 야쿠닌은 나진-하산 로젝트를

RZD의 최우선 로젝트로 상정하고 상과정 내내 상자 간의 의견조

율과 외홍보에 힘을 쏟았다59) 따라서 RZD가 상을 주도했다는 은

나진-하산 로젝트 련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심 속에서 진행되

었다는 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57)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AsiaDH27Ag01html

58) Daniel Treisman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4ndash145

59)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pp228ndash229

17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편 국의 입장에서 상자의 수 이 낮았던 것은 -북 간 상이

실패한 결정 인 원인이었다 국의 상자 수 이 낮은 상황에서 북한

측도 이에 맞춰 상자의 수 이 낮아지게 되면서 양 국은 상의 이행을

한 재량권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실제로 국과의 상에 임했던 나

선시 인민 원회는 상의 출발단계에서부터 국 측이 원한 상 목표인

부두시설 임 에 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나진항의 부두 시설에

한 권한은 으로 북한 육해운성의 소 이기 때문에 나선시 인민 원

회는 부두사용권을 놓고 국과 의하는 것이 처음부터 불가능했기 때문

이다60)

이처럼 러시아는 상의 구조 권력에서 국보다 우 에 있었기 때문

에 다양한 략 선택지를 가지고 상의 교착상황에서 상 방의 입장

을 받아들이는 수용 략을 취함으로써 상이 지속되도록 했다 표 으

로 러시아는 2004년에는 TSR-TKR 연결 사업에서 이탈하려는 북한의 의

사를 반 하여 상의 틀을 축소했으며 2008년에 한국의 투자가 무 로

돌아가면서 상의 이행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자국의 자본을 100 투자

하여 북한과 합의된 사항을 이행했다

러시아가 이와 같은 상 략을 취한 이유를 R-O 모형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우선 러시아는 수용 인 략기조를 유지했기 때문에 상을

통해서 결과이익보다는 계이익을 추구했다고 여겨진다 나진항을 통해

서 얻고자 하는 결과이익은 항만시설을 통한 출해권 확보일 것이다 반

로 이 상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계이익은 상 상 국인 북한과의

계 향상일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의 략 선택은 러시아가 상을

통해 장기 으로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고 략 인 차원에서 장기 으

로 북한에 한 력을 지속시키고자 했다는 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60) 당시 국 둥린 회사를 도와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와의 상에 참여했던 국 훈춘시 지

방 정부 계자 면담에서 계자는 당시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도 외합작 경험이 부족

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권한범 에 한 인식이 부족했었다고 진단했다 2015년

2월 훈춘시정부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7

실제로 푸틴 통령은 상 기 경제 인 손실을 우려하는 국내 료들

의 불안감에 해 상은 요한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이 상의 목

표가 단기 인 경제성에 놓인 것이 아님을 명확하게 했다61)

상이 시작되던 2001년의 시기 배경을 고려해 보면 러시아가 계

이익 다시 말하자면 략 이고 장기 인 차원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

다는 이론상의 설명은 실성이 있다고 단된다 나진항만을 둘러싼 러

시아-북한 간의 상이 TSR-TKR의 연결 사업으로 첫 발을 디뎠던 2000

년 당시 러시아는 푸틴 통령의 집권으로 인해 국내정치 혼란을 바로

잡은 후 소련붕괴와 한반도정책의 실패로 인해 상실한 아시아 지역에

한 략 향력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 때 러시아가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러시아의 향력을 회복하기

해서는 상실했던 북한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만 했다 동아시아와

해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은 경제 으로나 인구 으로나 동아시아 주변

국에 비해 제한 인 역량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 시기

이래로 러시아가 지속 으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에서 주요세력으로 자

리매김했던 것은 소련과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략 인 계가 유지되

었기 때문이다62) 특히 소 계가 악화된 이후 소련은 소련에 한 북한

의 일방 인 의존을 활용하여 아시아 국제 계에서 략 버리지를

유지해 왔다63)

61)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62) Peggy Falkenheim Meyer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14ndash 221

Pavel A Minakir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p32ndash 50

Tamara Troyakova amp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ndash 37

63) John W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ndash53 Gilbert Rozman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 Stephan Blank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pp78ndash82

17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그러나 90년 들어 소련은 북한에 해 가지고 있던 향력을 상실하

면서 아시아의 정치무 에서 배제되게 되었다 1980년 후반 소련은 경

제 이익을 기 하며 남한과의 계수립에 힘썼고 1990년 남한과의 국

교를 정상화하기에 이르 다 게다가 소련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의 수장

으로 취임한 친(Boris Yeltsin) 통령은 서방과의 계회복을 기 하며

민주 가치와 자유를 존 하는 러시아의 모습을 보이기 해 공산독재국

가 던 북한과 의도 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공식

외교채 은 단 되었으며 러시아는 그 동안 북한에게 무상으로 제공

해 왔던 석유지원을 단했으며 러시아의 무기를 북한에 수출하지 않겠

다고 밝혔다64) 당시 러시아 외교부장 이었던 코지 (Andrei Kozyrev)

는 북한의 인권침해를 공식 으로 비 하면서 북한의 정치 변화를 구

하기까지 했다65) 결과 으로 한반도에서의 러시아의 외교정책 인 환

은 냉 기부터 긴 하게 유지되었던 러시아와 북한의 정치 연결고리를

약화시켰으며 북한은 러시아에 해서 가지고 있던 우호 인 시선을 거

두어들이게 되었다66) 그러나 러시아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이 사라진 것은 러시아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

제 계에서도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다 러시아가 북한에 해 정치

향력을 발휘할 것을 기 하며 러시아와의 계개선을 추진했던 남한은 러

시아가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을 상실하자 러시아를 외교 으로 등

한시했다67) 게다가 소련의 붕괴 이후 러시아의 통 인 향권에 한

64) Seung-ho Jo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ndash130 David Wolff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

booksdprkbbrussia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Alexander

Vorontsov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p5

65)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53

66) 이정철 외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p87ndash89

67)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호 2002 pp289

ndash297 Gilbert Rozman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9

침투를 본격화한 미국은 북-러 계가 약화된 시 에서 한반도 문제의

심 인 조정자로 부상하게 되었다68) 러시아가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외교

의제에서 배제된 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사건이 바로 1차 북핵 기

다 1차 북핵 기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를 포함한 8자 회담을 통해서 북핵

문제를 보다 국제 인 차원에서 해결하기를 원했으나 결과 으로 북한에

한 향력을 상실한 러시아는 배제된 채 4자 회담의 형태로 상이 진

행되었다69)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러시아는 남북한 모두에게 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면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자국의 향력 후퇴를 막을 수 없다는

을 확인했고 남한에 과도하게 경사되었던 한반도 계를 재조정하고

남북한 균형 정책을 구사하기 시작했다70) 러시아는 친서방 성향이 강

했던 코지 를 신하여 실용 유라시아주의자 리마코 (Yevgenni

Primakov)를 외교부 장 으로 임명하고 북한과의 계 회복에 주력했

다71)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태도는 냉담했는데 이는

러시아가 여 히 경제 인 측면에서 이익을 수 있는 남한과의 계를

더 시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력과 군사력이 약화된 러시아가 북한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북한의 의구심 때문이었다72)

p41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pp23ndash46

68) Yoshinori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192 Seung-ho Joo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Ashgate 2002 pp147ndash148

69) 러시아의 근 방식에 해서 다음을 참조Evgueni Bajanov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러시아의 배제와 4자 회담에 해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7ndash298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pp194ndash196 Stephen Blank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4ndash5

70)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pp228ndash229

71) Seung-ho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ndash81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6ndash298

72)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192 P Rangsimaporn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18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상실해버린 북 향력을 회복하는 것을 북 략의 주요 목표로 삼았

던 러시아에게 나진-하산 로젝트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기

한 출발 으로 매우 한 기획이었다 우선 나진-하산 로젝트가

TSR-TKR 로젝트로 시작되던 시기는 국제정치 으로 한반도의 화해 국

면 속에서 인 국가로서 러시아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극 화되던 시 이

었다73) 당시 남한과 북한은 화를 시작하고 추가 인 력 의제들을 논

의하는 과정 에 있었다 이러한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인 라 부문에

한 이해 계를 공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실리 인 력 어젠다(agenda)

를 통해 화와 력을 지속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 인 수요를 포착

하고 TSR-TKR 연결 구상을 통해 한반도에 한 실리 인 개자로 참여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이 시기는 러시아의 근에 해서

회의 인 입장을 견지하던 북한도 자국의 국내 정치상황으로 인해 입장을

바꾸던 때 다 당시 나진-선 을 통해서 개 개방을 도모하던 북한은 나

진선 지 개발에 한 외국투자를 극 으로 유치했다74) 때문에 러시

아의 근에 한 북한의 반응도 비교 정 이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나진항을 포함한 북한의 항만 시설 철도 인 라 시

설에 해서 확실한 기술 우 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과의 인

라 력 부문에서 확실한 강 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부터 1990년

까지 소련은 북한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등을 직 건설했으며 나진

항의 화 역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75) 소련은 이

게 개발한 나진항에 해서 공식 인 우선권을 인정받고(1978) 이를 소

Palgrave Macmillan 2009 pp62ndash64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p477

73) In-kon Yeo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ndash115

74)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75) 안병민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남

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pp1ndash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23: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5

가 상 체의 틀을 다시 짜는 선택을 할 수 있었던 것이나 남한의 투자

가 결렬된 이후 막 한 비용을 들일 수 있었던 것은 모두 행 자 수 이

높아짐으로써 상 방의 입장을 수용해 수 있는 범 가 넓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실제로 상이 시작된 2000년 반 푸틴 통령은 자신이 추구하는

로 상을 진행시키기 해 국내정치 으로 의견을 결집시켰다 당시

러시아 료들은 북한과의 철도연결을 재개하는 것에 해서 비 이었

다 러시아 철도부 장 이었던 데 (Guenaddy Fadeyev)는 TKR-TSR

은 투자비용도 무 크고 정치 험도도 높은 사업이라며 회의 인 견

해를 피력하기까지 했다57) 그러나 푸틴은 사업을 lsquo 요한 사업rsquo이라고

못 박았고 데 로 하여 사업이 확실한(promising) 사업이라고

발언하게 했다 이러한 푸틴의 응에 의해 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국

내 으로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 차단되었고 상이행에 한 푸틴

의 강력한 의지가 러시아 국내에 확인되었다

러-북 간의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강력한 지지 속에서 이루어졌다

는 은 상 실무주체가 RZD 다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RZD는 단순히

러시아 철도부가 진행하던 사업의 권한을 승계한 공기업이 아니라 푸틴

의 국내정치권력의 핵심기 의 하나 다 RZD 사장인 야쿠닌(Vladimir

Yakunin)은 푸틴의 최측근 실로비키(silovarch) 한 명으로 차기 통령

후보로까지 거론되기도 했던 인물이다58) 야쿠닌은 나진-하산 로젝트를

RZD의 최우선 로젝트로 상정하고 상과정 내내 상자 간의 의견조

율과 외홍보에 힘을 쏟았다59) 따라서 RZD가 상을 주도했다는 은

나진-하산 로젝트 련 상이 러시아 앙정부의 심 속에서 진행되

었다는 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57)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AsiaDH27Ag01html

58) Daniel Treisman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4ndash145

59) 성원용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를 심으로rdquo

pp228ndash229

17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편 국의 입장에서 상자의 수 이 낮았던 것은 -북 간 상이

실패한 결정 인 원인이었다 국의 상자 수 이 낮은 상황에서 북한

측도 이에 맞춰 상자의 수 이 낮아지게 되면서 양 국은 상의 이행을

한 재량권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실제로 국과의 상에 임했던 나

선시 인민 원회는 상의 출발단계에서부터 국 측이 원한 상 목표인

부두시설 임 에 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나진항의 부두 시설에

한 권한은 으로 북한 육해운성의 소 이기 때문에 나선시 인민 원

회는 부두사용권을 놓고 국과 의하는 것이 처음부터 불가능했기 때문

이다60)

이처럼 러시아는 상의 구조 권력에서 국보다 우 에 있었기 때문

에 다양한 략 선택지를 가지고 상의 교착상황에서 상 방의 입장

을 받아들이는 수용 략을 취함으로써 상이 지속되도록 했다 표 으

로 러시아는 2004년에는 TSR-TKR 연결 사업에서 이탈하려는 북한의 의

사를 반 하여 상의 틀을 축소했으며 2008년에 한국의 투자가 무 로

돌아가면서 상의 이행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자국의 자본을 100 투자

하여 북한과 합의된 사항을 이행했다

러시아가 이와 같은 상 략을 취한 이유를 R-O 모형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우선 러시아는 수용 인 략기조를 유지했기 때문에 상을

통해서 결과이익보다는 계이익을 추구했다고 여겨진다 나진항을 통해

서 얻고자 하는 결과이익은 항만시설을 통한 출해권 확보일 것이다 반

로 이 상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계이익은 상 상 국인 북한과의

계 향상일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의 략 선택은 러시아가 상을

통해 장기 으로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고 략 인 차원에서 장기 으

로 북한에 한 력을 지속시키고자 했다는 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60) 당시 국 둥린 회사를 도와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와의 상에 참여했던 국 훈춘시 지

방 정부 계자 면담에서 계자는 당시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도 외합작 경험이 부족

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권한범 에 한 인식이 부족했었다고 진단했다 2015년

2월 훈춘시정부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7

실제로 푸틴 통령은 상 기 경제 인 손실을 우려하는 국내 료들

의 불안감에 해 상은 요한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이 상의 목

표가 단기 인 경제성에 놓인 것이 아님을 명확하게 했다61)

상이 시작되던 2001년의 시기 배경을 고려해 보면 러시아가 계

이익 다시 말하자면 략 이고 장기 인 차원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

다는 이론상의 설명은 실성이 있다고 단된다 나진항만을 둘러싼 러

시아-북한 간의 상이 TSR-TKR의 연결 사업으로 첫 발을 디뎠던 2000

년 당시 러시아는 푸틴 통령의 집권으로 인해 국내정치 혼란을 바로

잡은 후 소련붕괴와 한반도정책의 실패로 인해 상실한 아시아 지역에

한 략 향력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 때 러시아가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러시아의 향력을 회복하기

해서는 상실했던 북한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만 했다 동아시아와

해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은 경제 으로나 인구 으로나 동아시아 주변

국에 비해 제한 인 역량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 시기

이래로 러시아가 지속 으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에서 주요세력으로 자

리매김했던 것은 소련과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략 인 계가 유지되

었기 때문이다62) 특히 소 계가 악화된 이후 소련은 소련에 한 북한

의 일방 인 의존을 활용하여 아시아 국제 계에서 략 버리지를

유지해 왔다63)

61)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62) Peggy Falkenheim Meyer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14ndash 221

Pavel A Minakir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p32ndash 50

Tamara Troyakova amp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ndash 37

63) John W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ndash53 Gilbert Rozman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 Stephan Blank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pp78ndash82

17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그러나 90년 들어 소련은 북한에 해 가지고 있던 향력을 상실하

면서 아시아의 정치무 에서 배제되게 되었다 1980년 후반 소련은 경

제 이익을 기 하며 남한과의 계수립에 힘썼고 1990년 남한과의 국

교를 정상화하기에 이르 다 게다가 소련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의 수장

으로 취임한 친(Boris Yeltsin) 통령은 서방과의 계회복을 기 하며

민주 가치와 자유를 존 하는 러시아의 모습을 보이기 해 공산독재국

가 던 북한과 의도 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공식

외교채 은 단 되었으며 러시아는 그 동안 북한에게 무상으로 제공

해 왔던 석유지원을 단했으며 러시아의 무기를 북한에 수출하지 않겠

다고 밝혔다64) 당시 러시아 외교부장 이었던 코지 (Andrei Kozyrev)

는 북한의 인권침해를 공식 으로 비 하면서 북한의 정치 변화를 구

하기까지 했다65) 결과 으로 한반도에서의 러시아의 외교정책 인 환

은 냉 기부터 긴 하게 유지되었던 러시아와 북한의 정치 연결고리를

약화시켰으며 북한은 러시아에 해서 가지고 있던 우호 인 시선을 거

두어들이게 되었다66) 그러나 러시아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이 사라진 것은 러시아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

제 계에서도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다 러시아가 북한에 해 정치

향력을 발휘할 것을 기 하며 러시아와의 계개선을 추진했던 남한은 러

시아가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을 상실하자 러시아를 외교 으로 등

한시했다67) 게다가 소련의 붕괴 이후 러시아의 통 인 향권에 한

64) Seung-ho Jo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ndash130 David Wolff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

booksdprkbbrussia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Alexander

Vorontsov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p5

65)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53

66) 이정철 외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p87ndash89

67)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호 2002 pp289

ndash297 Gilbert Rozman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9

침투를 본격화한 미국은 북-러 계가 약화된 시 에서 한반도 문제의

심 인 조정자로 부상하게 되었다68) 러시아가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외교

의제에서 배제된 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사건이 바로 1차 북핵 기

다 1차 북핵 기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를 포함한 8자 회담을 통해서 북핵

문제를 보다 국제 인 차원에서 해결하기를 원했으나 결과 으로 북한에

한 향력을 상실한 러시아는 배제된 채 4자 회담의 형태로 상이 진

행되었다69)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러시아는 남북한 모두에게 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면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자국의 향력 후퇴를 막을 수 없다는

을 확인했고 남한에 과도하게 경사되었던 한반도 계를 재조정하고

남북한 균형 정책을 구사하기 시작했다70) 러시아는 친서방 성향이 강

했던 코지 를 신하여 실용 유라시아주의자 리마코 (Yevgenni

Primakov)를 외교부 장 으로 임명하고 북한과의 계 회복에 주력했

다71)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태도는 냉담했는데 이는

러시아가 여 히 경제 인 측면에서 이익을 수 있는 남한과의 계를

더 시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력과 군사력이 약화된 러시아가 북한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북한의 의구심 때문이었다72)

p41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pp23ndash46

68) Yoshinori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192 Seung-ho Joo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Ashgate 2002 pp147ndash148

69) 러시아의 근 방식에 해서 다음을 참조Evgueni Bajanov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러시아의 배제와 4자 회담에 해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7ndash298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pp194ndash196 Stephen Blank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4ndash5

70)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pp228ndash229

71) Seung-ho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ndash81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6ndash298

72)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192 P Rangsimaporn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18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상실해버린 북 향력을 회복하는 것을 북 략의 주요 목표로 삼았

던 러시아에게 나진-하산 로젝트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기

한 출발 으로 매우 한 기획이었다 우선 나진-하산 로젝트가

TSR-TKR 로젝트로 시작되던 시기는 국제정치 으로 한반도의 화해 국

면 속에서 인 국가로서 러시아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극 화되던 시 이

었다73) 당시 남한과 북한은 화를 시작하고 추가 인 력 의제들을 논

의하는 과정 에 있었다 이러한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인 라 부문에

한 이해 계를 공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실리 인 력 어젠다(agenda)

를 통해 화와 력을 지속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 인 수요를 포착

하고 TSR-TKR 연결 구상을 통해 한반도에 한 실리 인 개자로 참여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이 시기는 러시아의 근에 해서

회의 인 입장을 견지하던 북한도 자국의 국내 정치상황으로 인해 입장을

바꾸던 때 다 당시 나진-선 을 통해서 개 개방을 도모하던 북한은 나

진선 지 개발에 한 외국투자를 극 으로 유치했다74) 때문에 러시

아의 근에 한 북한의 반응도 비교 정 이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나진항을 포함한 북한의 항만 시설 철도 인 라 시

설에 해서 확실한 기술 우 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과의 인

라 력 부문에서 확실한 강 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부터 1990년

까지 소련은 북한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등을 직 건설했으며 나진

항의 화 역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75) 소련은 이

게 개발한 나진항에 해서 공식 인 우선권을 인정받고(1978) 이를 소

Palgrave Macmillan 2009 pp62ndash64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p477

73) In-kon Yeo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ndash115

74)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75) 안병민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남

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pp1ndash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24: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17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한편 국의 입장에서 상자의 수 이 낮았던 것은 -북 간 상이

실패한 결정 인 원인이었다 국의 상자 수 이 낮은 상황에서 북한

측도 이에 맞춰 상자의 수 이 낮아지게 되면서 양 국은 상의 이행을

한 재량권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실제로 국과의 상에 임했던 나

선시 인민 원회는 상의 출발단계에서부터 국 측이 원한 상 목표인

부두시설 임 에 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나진항의 부두 시설에

한 권한은 으로 북한 육해운성의 소 이기 때문에 나선시 인민 원

회는 부두사용권을 놓고 국과 의하는 것이 처음부터 불가능했기 때문

이다60)

이처럼 러시아는 상의 구조 권력에서 국보다 우 에 있었기 때문

에 다양한 략 선택지를 가지고 상의 교착상황에서 상 방의 입장

을 받아들이는 수용 략을 취함으로써 상이 지속되도록 했다 표 으

로 러시아는 2004년에는 TSR-TKR 연결 사업에서 이탈하려는 북한의 의

사를 반 하여 상의 틀을 축소했으며 2008년에 한국의 투자가 무 로

돌아가면서 상의 이행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자국의 자본을 100 투자

하여 북한과 합의된 사항을 이행했다

러시아가 이와 같은 상 략을 취한 이유를 R-O 모형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우선 러시아는 수용 인 략기조를 유지했기 때문에 상을

통해서 결과이익보다는 계이익을 추구했다고 여겨진다 나진항을 통해

서 얻고자 하는 결과이익은 항만시설을 통한 출해권 확보일 것이다 반

로 이 상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계이익은 상 상 국인 북한과의

계 향상일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의 략 선택은 러시아가 상을

통해 장기 으로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고 략 인 차원에서 장기 으

로 북한에 한 력을 지속시키고자 했다는 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60) 당시 국 둥린 회사를 도와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와의 상에 참여했던 국 훈춘시 지

방 정부 계자 면담에서 계자는 당시 북한 나선시인민 원회도 외합작 경험이 부족

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권한범 에 한 인식이 부족했었다고 진단했다 2015년

2월 훈춘시정부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7

실제로 푸틴 통령은 상 기 경제 인 손실을 우려하는 국내 료들

의 불안감에 해 상은 요한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이 상의 목

표가 단기 인 경제성에 놓인 것이 아님을 명확하게 했다61)

상이 시작되던 2001년의 시기 배경을 고려해 보면 러시아가 계

이익 다시 말하자면 략 이고 장기 인 차원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

다는 이론상의 설명은 실성이 있다고 단된다 나진항만을 둘러싼 러

시아-북한 간의 상이 TSR-TKR의 연결 사업으로 첫 발을 디뎠던 2000

년 당시 러시아는 푸틴 통령의 집권으로 인해 국내정치 혼란을 바로

잡은 후 소련붕괴와 한반도정책의 실패로 인해 상실한 아시아 지역에

한 략 향력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 때 러시아가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러시아의 향력을 회복하기

해서는 상실했던 북한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만 했다 동아시아와

해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은 경제 으로나 인구 으로나 동아시아 주변

국에 비해 제한 인 역량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 시기

이래로 러시아가 지속 으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에서 주요세력으로 자

리매김했던 것은 소련과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략 인 계가 유지되

었기 때문이다62) 특히 소 계가 악화된 이후 소련은 소련에 한 북한

의 일방 인 의존을 활용하여 아시아 국제 계에서 략 버리지를

유지해 왔다63)

61)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62) Peggy Falkenheim Meyer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14ndash 221

Pavel A Minakir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p32ndash 50

Tamara Troyakova amp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ndash 37

63) John W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ndash53 Gilbert Rozman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 Stephan Blank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pp78ndash82

17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그러나 90년 들어 소련은 북한에 해 가지고 있던 향력을 상실하

면서 아시아의 정치무 에서 배제되게 되었다 1980년 후반 소련은 경

제 이익을 기 하며 남한과의 계수립에 힘썼고 1990년 남한과의 국

교를 정상화하기에 이르 다 게다가 소련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의 수장

으로 취임한 친(Boris Yeltsin) 통령은 서방과의 계회복을 기 하며

민주 가치와 자유를 존 하는 러시아의 모습을 보이기 해 공산독재국

가 던 북한과 의도 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공식

외교채 은 단 되었으며 러시아는 그 동안 북한에게 무상으로 제공

해 왔던 석유지원을 단했으며 러시아의 무기를 북한에 수출하지 않겠

다고 밝혔다64) 당시 러시아 외교부장 이었던 코지 (Andrei Kozyrev)

는 북한의 인권침해를 공식 으로 비 하면서 북한의 정치 변화를 구

하기까지 했다65) 결과 으로 한반도에서의 러시아의 외교정책 인 환

은 냉 기부터 긴 하게 유지되었던 러시아와 북한의 정치 연결고리를

약화시켰으며 북한은 러시아에 해서 가지고 있던 우호 인 시선을 거

두어들이게 되었다66) 그러나 러시아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이 사라진 것은 러시아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

제 계에서도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다 러시아가 북한에 해 정치

향력을 발휘할 것을 기 하며 러시아와의 계개선을 추진했던 남한은 러

시아가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을 상실하자 러시아를 외교 으로 등

한시했다67) 게다가 소련의 붕괴 이후 러시아의 통 인 향권에 한

64) Seung-ho Jo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ndash130 David Wolff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

booksdprkbbrussia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Alexander

Vorontsov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p5

65)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53

66) 이정철 외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p87ndash89

67)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호 2002 pp289

ndash297 Gilbert Rozman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9

침투를 본격화한 미국은 북-러 계가 약화된 시 에서 한반도 문제의

심 인 조정자로 부상하게 되었다68) 러시아가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외교

의제에서 배제된 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사건이 바로 1차 북핵 기

다 1차 북핵 기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를 포함한 8자 회담을 통해서 북핵

문제를 보다 국제 인 차원에서 해결하기를 원했으나 결과 으로 북한에

한 향력을 상실한 러시아는 배제된 채 4자 회담의 형태로 상이 진

행되었다69)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러시아는 남북한 모두에게 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면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자국의 향력 후퇴를 막을 수 없다는

을 확인했고 남한에 과도하게 경사되었던 한반도 계를 재조정하고

남북한 균형 정책을 구사하기 시작했다70) 러시아는 친서방 성향이 강

했던 코지 를 신하여 실용 유라시아주의자 리마코 (Yevgenni

Primakov)를 외교부 장 으로 임명하고 북한과의 계 회복에 주력했

다71)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태도는 냉담했는데 이는

러시아가 여 히 경제 인 측면에서 이익을 수 있는 남한과의 계를

더 시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력과 군사력이 약화된 러시아가 북한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북한의 의구심 때문이었다72)

p41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pp23ndash46

68) Yoshinori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192 Seung-ho Joo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Ashgate 2002 pp147ndash148

69) 러시아의 근 방식에 해서 다음을 참조Evgueni Bajanov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러시아의 배제와 4자 회담에 해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7ndash298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pp194ndash196 Stephen Blank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4ndash5

70)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pp228ndash229

71) Seung-ho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ndash81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6ndash298

72)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192 P Rangsimaporn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18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상실해버린 북 향력을 회복하는 것을 북 략의 주요 목표로 삼았

던 러시아에게 나진-하산 로젝트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기

한 출발 으로 매우 한 기획이었다 우선 나진-하산 로젝트가

TSR-TKR 로젝트로 시작되던 시기는 국제정치 으로 한반도의 화해 국

면 속에서 인 국가로서 러시아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극 화되던 시 이

었다73) 당시 남한과 북한은 화를 시작하고 추가 인 력 의제들을 논

의하는 과정 에 있었다 이러한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인 라 부문에

한 이해 계를 공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실리 인 력 어젠다(agenda)

를 통해 화와 력을 지속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 인 수요를 포착

하고 TSR-TKR 연결 구상을 통해 한반도에 한 실리 인 개자로 참여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이 시기는 러시아의 근에 해서

회의 인 입장을 견지하던 북한도 자국의 국내 정치상황으로 인해 입장을

바꾸던 때 다 당시 나진-선 을 통해서 개 개방을 도모하던 북한은 나

진선 지 개발에 한 외국투자를 극 으로 유치했다74) 때문에 러시

아의 근에 한 북한의 반응도 비교 정 이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나진항을 포함한 북한의 항만 시설 철도 인 라 시

설에 해서 확실한 기술 우 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과의 인

라 력 부문에서 확실한 강 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부터 1990년

까지 소련은 북한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등을 직 건설했으며 나진

항의 화 역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75) 소련은 이

게 개발한 나진항에 해서 공식 인 우선권을 인정받고(1978) 이를 소

Palgrave Macmillan 2009 pp62ndash64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p477

73) In-kon Yeo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ndash115

74)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75) 안병민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남

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pp1ndash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7

실제로 푸틴 통령은 상 기 경제 인 손실을 우려하는 국내 료들

의 불안감에 해 상은 요한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이 상의 목

표가 단기 인 경제성에 놓인 것이 아님을 명확하게 했다61)

상이 시작되던 2001년의 시기 배경을 고려해 보면 러시아가 계

이익 다시 말하자면 략 이고 장기 인 차원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

다는 이론상의 설명은 실성이 있다고 단된다 나진항만을 둘러싼 러

시아-북한 간의 상이 TSR-TKR의 연결 사업으로 첫 발을 디뎠던 2000

년 당시 러시아는 푸틴 통령의 집권으로 인해 국내정치 혼란을 바로

잡은 후 소련붕괴와 한반도정책의 실패로 인해 상실한 아시아 지역에

한 략 향력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 때 러시아가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러시아의 향력을 회복하기

해서는 상실했던 북한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만 했다 동아시아와

해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은 경제 으로나 인구 으로나 동아시아 주변

국에 비해 제한 인 역량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 시기

이래로 러시아가 지속 으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에서 주요세력으로 자

리매김했던 것은 소련과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략 인 계가 유지되

었기 때문이다62) 특히 소 계가 악화된 이후 소련은 소련에 한 북한

의 일방 인 의존을 활용하여 아시아 국제 계에서 략 버리지를

유지해 왔다63)

61) Sergei Blagov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62) Peggy Falkenheim Meyer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14ndash 221

Pavel A Minakir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 Michael J Bradshaw Surrey Curzon Press 2001 pp32ndash 50

Tamara Troyakova amp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ndash 37

63) John W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ndash53 Gilbert Rozman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 Stephan Blank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pp78ndash82

17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그러나 90년 들어 소련은 북한에 해 가지고 있던 향력을 상실하

면서 아시아의 정치무 에서 배제되게 되었다 1980년 후반 소련은 경

제 이익을 기 하며 남한과의 계수립에 힘썼고 1990년 남한과의 국

교를 정상화하기에 이르 다 게다가 소련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의 수장

으로 취임한 친(Boris Yeltsin) 통령은 서방과의 계회복을 기 하며

민주 가치와 자유를 존 하는 러시아의 모습을 보이기 해 공산독재국

가 던 북한과 의도 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공식

외교채 은 단 되었으며 러시아는 그 동안 북한에게 무상으로 제공

해 왔던 석유지원을 단했으며 러시아의 무기를 북한에 수출하지 않겠

다고 밝혔다64) 당시 러시아 외교부장 이었던 코지 (Andrei Kozyrev)

는 북한의 인권침해를 공식 으로 비 하면서 북한의 정치 변화를 구

하기까지 했다65) 결과 으로 한반도에서의 러시아의 외교정책 인 환

은 냉 기부터 긴 하게 유지되었던 러시아와 북한의 정치 연결고리를

약화시켰으며 북한은 러시아에 해서 가지고 있던 우호 인 시선을 거

두어들이게 되었다66) 그러나 러시아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이 사라진 것은 러시아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

제 계에서도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다 러시아가 북한에 해 정치

향력을 발휘할 것을 기 하며 러시아와의 계개선을 추진했던 남한은 러

시아가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을 상실하자 러시아를 외교 으로 등

한시했다67) 게다가 소련의 붕괴 이후 러시아의 통 인 향권에 한

64) Seung-ho Jo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ndash130 David Wolff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

booksdprkbbrussia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Alexander

Vorontsov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p5

65)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53

66) 이정철 외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p87ndash89

67)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호 2002 pp289

ndash297 Gilbert Rozman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9

침투를 본격화한 미국은 북-러 계가 약화된 시 에서 한반도 문제의

심 인 조정자로 부상하게 되었다68) 러시아가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외교

의제에서 배제된 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사건이 바로 1차 북핵 기

다 1차 북핵 기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를 포함한 8자 회담을 통해서 북핵

문제를 보다 국제 인 차원에서 해결하기를 원했으나 결과 으로 북한에

한 향력을 상실한 러시아는 배제된 채 4자 회담의 형태로 상이 진

행되었다69)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러시아는 남북한 모두에게 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면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자국의 향력 후퇴를 막을 수 없다는

을 확인했고 남한에 과도하게 경사되었던 한반도 계를 재조정하고

남북한 균형 정책을 구사하기 시작했다70) 러시아는 친서방 성향이 강

했던 코지 를 신하여 실용 유라시아주의자 리마코 (Yevgenni

Primakov)를 외교부 장 으로 임명하고 북한과의 계 회복에 주력했

다71)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태도는 냉담했는데 이는

러시아가 여 히 경제 인 측면에서 이익을 수 있는 남한과의 계를

더 시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력과 군사력이 약화된 러시아가 북한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북한의 의구심 때문이었다72)

p41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pp23ndash46

68) Yoshinori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192 Seung-ho Joo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Ashgate 2002 pp147ndash148

69) 러시아의 근 방식에 해서 다음을 참조Evgueni Bajanov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러시아의 배제와 4자 회담에 해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7ndash298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pp194ndash196 Stephen Blank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4ndash5

70)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pp228ndash229

71) Seung-ho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ndash81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6ndash298

72)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192 P Rangsimaporn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18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상실해버린 북 향력을 회복하는 것을 북 략의 주요 목표로 삼았

던 러시아에게 나진-하산 로젝트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기

한 출발 으로 매우 한 기획이었다 우선 나진-하산 로젝트가

TSR-TKR 로젝트로 시작되던 시기는 국제정치 으로 한반도의 화해 국

면 속에서 인 국가로서 러시아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극 화되던 시 이

었다73) 당시 남한과 북한은 화를 시작하고 추가 인 력 의제들을 논

의하는 과정 에 있었다 이러한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인 라 부문에

한 이해 계를 공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실리 인 력 어젠다(agenda)

를 통해 화와 력을 지속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 인 수요를 포착

하고 TSR-TKR 연결 구상을 통해 한반도에 한 실리 인 개자로 참여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이 시기는 러시아의 근에 해서

회의 인 입장을 견지하던 북한도 자국의 국내 정치상황으로 인해 입장을

바꾸던 때 다 당시 나진-선 을 통해서 개 개방을 도모하던 북한은 나

진선 지 개발에 한 외국투자를 극 으로 유치했다74) 때문에 러시

아의 근에 한 북한의 반응도 비교 정 이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나진항을 포함한 북한의 항만 시설 철도 인 라 시

설에 해서 확실한 기술 우 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과의 인

라 력 부문에서 확실한 강 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부터 1990년

까지 소련은 북한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등을 직 건설했으며 나진

항의 화 역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75) 소련은 이

게 개발한 나진항에 해서 공식 인 우선권을 인정받고(1978) 이를 소

Palgrave Macmillan 2009 pp62ndash64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p477

73) In-kon Yeo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ndash115

74)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75) 안병민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남

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pp1ndash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26: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17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그러나 90년 들어 소련은 북한에 해 가지고 있던 향력을 상실하

면서 아시아의 정치무 에서 배제되게 되었다 1980년 후반 소련은 경

제 이익을 기 하며 남한과의 계수립에 힘썼고 1990년 남한과의 국

교를 정상화하기에 이르 다 게다가 소련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의 수장

으로 취임한 친(Boris Yeltsin) 통령은 서방과의 계회복을 기 하며

민주 가치와 자유를 존 하는 러시아의 모습을 보이기 해 공산독재국

가 던 북한과 의도 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공식

외교채 은 단 되었으며 러시아는 그 동안 북한에게 무상으로 제공

해 왔던 석유지원을 단했으며 러시아의 무기를 북한에 수출하지 않겠

다고 밝혔다64) 당시 러시아 외교부장 이었던 코지 (Andrei Kozyrev)

는 북한의 인권침해를 공식 으로 비 하면서 북한의 정치 변화를 구

하기까지 했다65) 결과 으로 한반도에서의 러시아의 외교정책 인 환

은 냉 기부터 긴 하게 유지되었던 러시아와 북한의 정치 연결고리를

약화시켰으며 북한은 러시아에 해서 가지고 있던 우호 인 시선을 거

두어들이게 되었다66) 그러나 러시아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이 사라진 것은 러시아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

제 계에서도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다 러시아가 북한에 해 정치

향력을 발휘할 것을 기 하며 러시아와의 계개선을 추진했던 남한은 러

시아가 북한에 한 정치 향력을 상실하자 러시아를 외교 으로 등

한시했다67) 게다가 소련의 붕괴 이후 러시아의 통 인 향권에 한

64) Seung-ho Jo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ndash130 David Wolff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

booksdprkbbrussia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Alexander

Vorontsov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p5

65) Bauer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53

66) 이정철 외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p87ndash89

67)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호 2002 pp289

ndash297 Gilbert Rozman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9

침투를 본격화한 미국은 북-러 계가 약화된 시 에서 한반도 문제의

심 인 조정자로 부상하게 되었다68) 러시아가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외교

의제에서 배제된 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사건이 바로 1차 북핵 기

다 1차 북핵 기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를 포함한 8자 회담을 통해서 북핵

문제를 보다 국제 인 차원에서 해결하기를 원했으나 결과 으로 북한에

한 향력을 상실한 러시아는 배제된 채 4자 회담의 형태로 상이 진

행되었다69)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러시아는 남북한 모두에게 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면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자국의 향력 후퇴를 막을 수 없다는

을 확인했고 남한에 과도하게 경사되었던 한반도 계를 재조정하고

남북한 균형 정책을 구사하기 시작했다70) 러시아는 친서방 성향이 강

했던 코지 를 신하여 실용 유라시아주의자 리마코 (Yevgenni

Primakov)를 외교부 장 으로 임명하고 북한과의 계 회복에 주력했

다71)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태도는 냉담했는데 이는

러시아가 여 히 경제 인 측면에서 이익을 수 있는 남한과의 계를

더 시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력과 군사력이 약화된 러시아가 북한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북한의 의구심 때문이었다72)

p41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pp23ndash46

68) Yoshinori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192 Seung-ho Joo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Ashgate 2002 pp147ndash148

69) 러시아의 근 방식에 해서 다음을 참조Evgueni Bajanov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러시아의 배제와 4자 회담에 해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7ndash298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pp194ndash196 Stephen Blank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4ndash5

70)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pp228ndash229

71) Seung-ho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ndash81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6ndash298

72)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192 P Rangsimaporn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18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상실해버린 북 향력을 회복하는 것을 북 략의 주요 목표로 삼았

던 러시아에게 나진-하산 로젝트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기

한 출발 으로 매우 한 기획이었다 우선 나진-하산 로젝트가

TSR-TKR 로젝트로 시작되던 시기는 국제정치 으로 한반도의 화해 국

면 속에서 인 국가로서 러시아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극 화되던 시 이

었다73) 당시 남한과 북한은 화를 시작하고 추가 인 력 의제들을 논

의하는 과정 에 있었다 이러한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인 라 부문에

한 이해 계를 공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실리 인 력 어젠다(agenda)

를 통해 화와 력을 지속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 인 수요를 포착

하고 TSR-TKR 연결 구상을 통해 한반도에 한 실리 인 개자로 참여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이 시기는 러시아의 근에 해서

회의 인 입장을 견지하던 북한도 자국의 국내 정치상황으로 인해 입장을

바꾸던 때 다 당시 나진-선 을 통해서 개 개방을 도모하던 북한은 나

진선 지 개발에 한 외국투자를 극 으로 유치했다74) 때문에 러시

아의 근에 한 북한의 반응도 비교 정 이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나진항을 포함한 북한의 항만 시설 철도 인 라 시

설에 해서 확실한 기술 우 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과의 인

라 력 부문에서 확실한 강 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부터 1990년

까지 소련은 북한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등을 직 건설했으며 나진

항의 화 역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75) 소련은 이

게 개발한 나진항에 해서 공식 인 우선권을 인정받고(1978) 이를 소

Palgrave Macmillan 2009 pp62ndash64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p477

73) In-kon Yeo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ndash115

74)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75) 안병민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남

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pp1ndash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2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79

침투를 본격화한 미국은 북-러 계가 약화된 시 에서 한반도 문제의

심 인 조정자로 부상하게 되었다68) 러시아가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외교

의제에서 배제된 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사건이 바로 1차 북핵 기

다 1차 북핵 기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를 포함한 8자 회담을 통해서 북핵

문제를 보다 국제 인 차원에서 해결하기를 원했으나 결과 으로 북한에

한 향력을 상실한 러시아는 배제된 채 4자 회담의 형태로 상이 진

행되었다69)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러시아는 남북한 모두에게 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면 한반도와 아시아에 한 자국의 향력 후퇴를 막을 수 없다는

을 확인했고 남한에 과도하게 경사되었던 한반도 계를 재조정하고

남북한 균형 정책을 구사하기 시작했다70) 러시아는 친서방 성향이 강

했던 코지 를 신하여 실용 유라시아주의자 리마코 (Yevgenni

Primakov)를 외교부 장 으로 임명하고 북한과의 계 회복에 주력했

다71)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태도는 냉담했는데 이는

러시아가 여 히 경제 인 측면에서 이익을 수 있는 남한과의 계를

더 시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력과 군사력이 약화된 러시아가 북한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북한의 의구심 때문이었다72)

p41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pp23ndash46

68) Yoshinori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192 Seung-ho Joo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Ashgate 2002 pp147ndash148

69) 러시아의 근 방식에 해서 다음을 참조Evgueni Bajanov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러시아의 배제와 4자 회담에 해 다음을 참조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7ndash298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pp194ndash196 Stephen Blank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4ndash5

70)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pp228ndash229

71) Seung-ho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ndash81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pp296ndash298

72) Takeda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192 P Rangsimaporn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18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상실해버린 북 향력을 회복하는 것을 북 략의 주요 목표로 삼았

던 러시아에게 나진-하산 로젝트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기

한 출발 으로 매우 한 기획이었다 우선 나진-하산 로젝트가

TSR-TKR 로젝트로 시작되던 시기는 국제정치 으로 한반도의 화해 국

면 속에서 인 국가로서 러시아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극 화되던 시 이

었다73) 당시 남한과 북한은 화를 시작하고 추가 인 력 의제들을 논

의하는 과정 에 있었다 이러한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인 라 부문에

한 이해 계를 공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실리 인 력 어젠다(agenda)

를 통해 화와 력을 지속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 인 수요를 포착

하고 TSR-TKR 연결 구상을 통해 한반도에 한 실리 인 개자로 참여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이 시기는 러시아의 근에 해서

회의 인 입장을 견지하던 북한도 자국의 국내 정치상황으로 인해 입장을

바꾸던 때 다 당시 나진-선 을 통해서 개 개방을 도모하던 북한은 나

진선 지 개발에 한 외국투자를 극 으로 유치했다74) 때문에 러시

아의 근에 한 북한의 반응도 비교 정 이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나진항을 포함한 북한의 항만 시설 철도 인 라 시

설에 해서 확실한 기술 우 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과의 인

라 력 부문에서 확실한 강 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부터 1990년

까지 소련은 북한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등을 직 건설했으며 나진

항의 화 역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75) 소련은 이

게 개발한 나진항에 해서 공식 인 우선권을 인정받고(1978) 이를 소

Palgrave Macmillan 2009 pp62ndash64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p477

73) In-kon Yeo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ndash115

74)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75) 안병민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남

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pp1ndash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18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상실해버린 북 향력을 회복하는 것을 북 략의 주요 목표로 삼았

던 러시아에게 나진-하산 로젝트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계를 개선하기

한 출발 으로 매우 한 기획이었다 우선 나진-하산 로젝트가

TSR-TKR 로젝트로 시작되던 시기는 국제정치 으로 한반도의 화해 국

면 속에서 인 국가로서 러시아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극 화되던 시 이

었다73) 당시 남한과 북한은 화를 시작하고 추가 인 력 의제들을 논

의하는 과정 에 있었다 이러한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인 라 부문에

한 이해 계를 공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실리 인 력 어젠다(agenda)

를 통해 화와 력을 지속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 인 수요를 포착

하고 TSR-TKR 연결 구상을 통해 한반도에 한 실리 인 개자로 참여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이 시기는 러시아의 근에 해서

회의 인 입장을 견지하던 북한도 자국의 국내 정치상황으로 인해 입장을

바꾸던 때 다 당시 나진-선 을 통해서 개 개방을 도모하던 북한은 나

진선 지 개발에 한 외국투자를 극 으로 유치했다74) 때문에 러시

아의 근에 한 북한의 반응도 비교 정 이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나진항을 포함한 북한의 항만 시설 철도 인 라 시

설에 해서 확실한 기술 우 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과의 인

라 력 부문에서 확실한 강 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부터 1990년

까지 소련은 북한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등을 직 건설했으며 나진

항의 화 역시 소련의 자본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75) 소련은 이

게 개발한 나진항에 해서 공식 인 우선권을 인정받고(1978) 이를 소

Palgrave Macmillan 2009 pp62ndash64 Joo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p477

73) In-kon Yeo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ndash115

74)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75) 안병민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남

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pp1ndash

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29: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1

련의 군사 상업 목 으로 활용한 바 있다76) 실제로 90년 반까지

만 해도 러시아는 나진항을 물류항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다77) 따라

서 북한의 인 라시설에 해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기술 우 는 러시

아가 철도 인 라 항만 개발 사업을 통해서 북한과의 력 사업을 도모

하게 만든 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 으로 아시아에 한 향력을 회복해야 하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경제 역량에서 열세에 처해있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는 요한 략 기회 던 것이다 따라서 상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태도는 러시아가 이 로젝트를 통해서 북한과의 계를

회복하고자 한 러시아의 의지가 얼마나 컸는지를 간 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IV 결 론

이 연구는 나진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상을 비교하고 이를

상이론을 활용해 분석해 으로써 어떤 에서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높은 상력을 지닐 수 있었는지에 한 부분 설명을 시도했다 한 나

진-하산 로젝트의 상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수용 인 상

태도에는 러시아의 거시 러-북 계 아시아 략의 목표가 깔려 있다

는 을 밝혔다

행 자차원에서 러시아는 푸틴의 강력한 의지가 반 된 상황에서 러시

아 앙정부와 국 기업인 RZD가 상에 참여했다 그 결과 상에서 보

76) George Ginsburgs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292

Norman Polmar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44

77) Elizabeth Wishnick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p156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30: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182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다 넓은 략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의 성공을 해서 보다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반면 국의 경우에

는 상시기 국 앙정부의 심이 상 으로 부재한 상황 속에서 지

방정부와 민간기업을 심으로 상에 임하다 보니 제한된 선택만이 가

능했다 한 상목표 차원에서 러시아는 북한과의 계를 고려한 상황

에서 략 인 차원에서 나진항 련 로젝트 상에 임한 반면 국은

나진항을 통한 출해권 확보라는 결과 인 목표에 더 치 했다 때문에 러

시아는 상의 교착상황에서 쟁 에 해서 수용 인 략을 취하며 상

을 유지시켰지만 국은 상의 결의사안을 고수하다가 최종 으로 상

이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결과 으로 더 높은 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

건을 확보하고 북한과의 정치 계 증진이라는 상 목표를 가지고 있

었던 러시아의 상 략이 나진항의 사용권 상에 한 러시아의 우 를

가져온 결정 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단컨 북- -러 경 소지역에서 진행되

고 있는 여러 력 로젝트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경쟁에서 단기

인 경제이익과 기업 차원의 이해 계를 넘어서는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과 략 인 고려가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하산 로젝트

를 경제 인 차원에서만 고려한다면 경제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나진-하

산 로젝트를 지속 으로 유지시키고 있는 러시아의 진정한 참여의지에

한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당히 많은 기업 계자들은 러

시아가 국을 견제하는 일명 lsquo알박기rsquo의 차원에서 나진-하산 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을 지니고 있다78) 그러나 러시아의

근은 단순히 국과의 경쟁구도에서 비롯된 조 증이나 단기 인 경제성

에 한 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북한과 한반도에 한 정치 향

력을 확장하기 한 장기 인 포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진항과 련한 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본 연구가 다룬 3호 부두뿐만

78)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한국기업 계자 면담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31: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3

아니라 국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1호 부두와 장차 개발논의가

진행 인 4 5 6호 부두에서도 지속될 것이다 국의 경우 3호 부두에

서의 실패를 발 으로 삼아 2009년부터는 앙정부 차원에서 lsquo창지투(长-

吉-图)개발계획rsquo을 실시하고 앙정부 최고 인사가 나서서 북한 과

러시아와 극 으로 공조하고 있다79) 그러나 행 자차원에서 민간기업

이 상을 주도하는 재 국의 북 상 방식이 지속된다면 러시아가

국에 비해서 물질 차원의 총체 구조 권력에서 열세에 있더라도 최

고 수 의 행 자가 높은 수 의 의지와 통제력을 가지고 장기 인 목표

를 가지고 북 상에 임함으로써 북한에게 새로운 트 로 부상할 가

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지역을 둘러싼 국과 러시아의 극 인 움

직임은 앞으로도 여러 경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79)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계개발을 심으

로rdquo pp48ndash53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32: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184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곽복선 ldquo북한 나진-선 도로망 폭 개선 계획 국 동북지역 화물의

해상 출구 역할 유지 해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______ ldquo훈춘-나진간 화물운송 사정 악화rdquo 985172KOTRA 북한 외무역동향985173

2000

김호 amp 이상 ldquo정부 lsquo나진-하산 로젝트 본계약 7부 능선 넘었다rsquo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5 4월 27일

나희승 ldquo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력과제rdquo 985172KDI 북한경제

리뷰985173 2014 pp20-34

남문희 ldquo북한과 국의 lsquo신의주 빅딜rsquo 막 막후rdquo 985172시사IN Live985173 194

2011

배종렬 ldquo북한의 외국인투자 실태와 평가 EU와 국 기업의 북진출을

심으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호 2008

백 기 ldquo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만주문제 lsquo최 계획rsquo과 lsquo최소계획rsquordquo

985172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985173 백 기 최정

수 최재희(편) pp23-62 동북아역사재단 2007

성원용 ldquo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lsquo나진-핫산 로젝트rsquo의 황 분

석과 륙횡단철도 연결을 한 정책과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6권

4호 2011 pp49-78

______ ldquo남북러 철도 력의 황과 발 망 나진-핫산 로젝트rsquo

를 심으로rdquo 985172슬라 학보985173 제 23권 1호 2007 pp227-59

신범식 ldquo북방정책과 한국-소련러시아 계rdquo 985172국제문제연구985173 제 24권 1

호 2002 pp280-316

______ ldquo북- -러 경지 를 둘러싼 국경소지역 개발 력과 동북아시

아 지역정치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53권 3호 2013 pp427-63

안병민 ldquo나진 - 하산 교통물류사업의 황과 향후 발 가능성rdquo

985172KDI 북한경제리뷰985173 2014 2월 pp35-4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33: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5

______ ldquo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rdquo 문가 회의 러시아의 한반

도 정책과 남북러 경제 력 북러간 교통부문 력 황과

망 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______ ldquo 국의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의 북 간 교통망 화사업

황 분석 향후 과제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가을 2010

엄구호 ldquo유라시아 이니셔티 구상과 역내 교통 력 망 한국의 나진-

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와 망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91 2014

pp14-21

우평균 985172푸틴시 러시아 정치외교와 극동개발985173 한국학술정보 2008

원동욱 ldquo북 경 의 빛과 그림자 lsquo창지투 개발계획rsquo과 북 간 국경 연

계개발을 심으로rdquo 985172 국연구985173 제13권 1호 2011 pp43-73

원동욱 amp 김선철 ldquo북한 인 라 개발을 한 정부 민간부문 력방안

TKR-TSR 연계 나진항 개발사업을 심으로rdquo 985172월간교통985173 124

2008 pp20-31

유철종 ldquo푸틴 최측근 러rsquo 철도공사 사장 야쿠닌 인터뷰rdquo 985172연합뉴스985173

2011 10월 16일

윤승 985172두만강지역의 신개발 략과 환동해권 확 방안985173 강원발 연구

원 2009

이성우 ldquo두만강 개발과 동아시아 다자 력의 망 동아시아 다자 력체

의 건설을 심으로rdquo 985172JPI 정책포럼985173 20 2010 pp1-28

이양수 ldquo middot러 북 나진항 쟁탈 rdquo 985172 앙일보985173 2007 5월 16일

이정철 백 기 김재 이남주 985172lsquo러시아-북한- 국 삼각 계의 략

함의 ldquo미국요인rdquo과 한국에의 시사 985173 서울 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임혜란 ldquo한미 자동차 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상의 비교분

석rdquo 985172국제정치논총985173 제 43권 3호 2003 pp163-87

장덕 ldquo최근 북러 계의 변화 황 동인 망 한국의 응rdquo 985172러시

아연구985173 제 24권 2호 2014 pp271-303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34: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186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정덕구 amp 추수롱(편) 985172기로에 선 북 계 국의 북한 정책 딜 마985173

서울 앙 Books 2013

정재호 985172 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985173 서울 서울 학교 출 문화원

2011

최명해 985172 국의 ldquo두만강 이니셔티 rdquo와 정책 시사 985173 삼성경제연구소

2012

하용출 985172북방정책 기원 개 향985173 서울 학교 출 부 2003

황진회 ldquo북한 주요 항만의 개발 동향과 시사 rdquo 985172수은북한경제985173 겨울호

2010 pp49-71

Alfredson Tanya and Azeta Cungu ldquo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rdquo FAO Policy Learning Programme 2008

Bajanov Evgueni ldquoA Russian Perspective on Korean Peace and Securityrdquo

1997

Bauer John W ldquoUnlocking Russian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Parameters 2009 pp52-62

Blagov Sergei ldquoNorth Korean Russian Ties Firmly on Trackrdquo Asia

Times August 27 2002 httpwwwatimescomatimesCentral_

AsiaDH27Ag01html

Blank Stephen ldquoEconomics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The Iron Silk

Road Its Context and Implicationsrdquo Global Economic Review 31

no 3 2002 pp3-24

Cho Jungwon ldquoThe Conflic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Focused on Tumen River and the Eastrdquo

Eurasian Review 5 2012 pp51-64

Chung Jae Ho Hongyi Lai and Jang-Hwan Joo ldquoAssessing the lsquoRevive

the Northeastrsquo(zhenxing Dongbei) Programme Origins Policies and

Implementationrdquo The China Quarterly 197 2009 pp108-2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35: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7

Cotton James ldquoChina and Tumen River Cooperation Jilinrsquo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rdquo Asian Survey 36 no 11 1996

pp1086-1101

European Conference of Minsters of Transport ldquoRegulatory Reform of

Railways in Russiardquo 2007

Fisher Roger and William Ury Getting to Yes Negotiating Agreement

without Giving in 2nd ed Penguin 1991

Ginsburgs George A Calendar of Soviet Treaties 1974-1980 Vol 33

BRILL 1987

Habeeb William Mark Power and Tactic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 Weak Nations Bargain with Strong Nation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Hsiao LC Russell ldquo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rsquos Access to the Rajin

Portrdquo China Brief X no 6 2008 pp1-14

Jo Jin Cheol and Ceacutesar Ducruet ldquoRajin-Seonbong New Gateway of

Northeast Asiardquo Annals of Regional Science 41 2007 pp927-50

Joo Seung-ho ldquoMoscowndashPyongyang Relations under Kim Jong-il High

Hopes and Sober Realityrdquo Pacific Focus 24 no 1 2009 pp107-30

______ ldquoNorth Korean Policy toward Russiardquo In North Korearsquos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 New Perspective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79-256 Cornwell Ashgate 2009

______ ldquoRussi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rdquo In The Korean Peace

Process and the Four Powers edited by Tae-Hwan Kwak and

Seung-Ho Joo pp142-68 Ashgate 2002

______ ldquoThe New Friendship Treaty between Moscow and Pyongyangrdquo

Comparative Strategy 20 no 5 2001 pp467-81

JSC Russian Railway JSC Russian Railwaysrsquo Annual Report 2006 2006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36: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188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Kim Hong Nack ldquoThe Lee Myung-Bak Governmentrsquos North Korea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Inter-Korean Relations Hong Nack Kim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XII no 1 2008 pp1-23

Kim Younkyoo amp Stephen Blank ldquoPutin and Korearsquos lsquoSilk Road Expressrsquo

Russiarsquos Game on the Korean Peninsulardquo Korean Observer 45 no

4 2014 pp599-626

Lewicki Roy J Bruce Barry David M Saunders and J Minton

Essentials of Negotiation New York McGraw-Hill 2004

Lewicki Roy J and Alexander Hiam Mastering Business Negotiations A

Working Guide to Making Deals and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Inc 2006

Lewicki Roy J David M Saunders and Bruce Barry Negoti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6

Menkel-meadow Carrie ldquoSpecial Section  Negotiation Journal Looks Back

on Twenty-Five Years of Negotiation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Teachingrdquo Negotiation Journal October 2009 pp415-29

Meyer Peggy Falkenheim ldquoThe Russian Far Eastrsquos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east Asia Problems and Prospectsrdquo Pacific Affairs 72

no 2 1999 pp209-24

Miller Nick ldquoPort Mentality  North Korean-Chinese Relations and Rajinrdquo

Sino-NK 2012

Minakir Pavel A ldquo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32-50 Surrey Curzon Press 2001

Moon Chung-in ldquoSouth Korea in 2008rdquo Asian Survey 49 no 1 2008

pp120-2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37: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sdot189

North Robert ldquoThe Transport System in the Russian Far Eastrdquo In The

Russian Far East and Pacific Asia Unfulfilled Potential edited by

Michael J Bradshaw pp73-92 Surrey Curzon Press 2001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NORTH KOREA

CHRONOLOGY 2001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1

httpwebarchivessrcorgNKNKCHRON 2001pdf

Polmar Norman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oviet Navy Naval

Institute Press 1991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ldquoRussia Backs Korearsquos Peace Initiative

Putin Saysrdquo 2000 http15cwdpagokrenglishdiplomacyun_

2000ne

Putnam Robert D ldquo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rdquo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 no 03 1988

pp427-60

Rangsimaporn P Russia as an Aspiring Great Power in East Asia

Perceptions and Policies from Yeltsin to Putin Palgrave Macmillan

2009

Rozman Gilbert ldquoRussian Repositioning in Northeast Asiardquo In Russiarsquos

Prospect in Asia edited by Stephan Blank pp63-96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10

______ ldquoStrategic Thinking About the Russian Far East A Resurgent

Russia Eyes Its Future in Northeast Asiardquo Problems of

Post-Communism 55 no 1 2008 pp36-48

Snyder Scott ldquoRajin-Sonbong A Strategic Choice for China in Its

Relations with Pyongyangrdquo China Brief X no 7 2010 pp1-12

Takeda Yoshinori ldquoPutinrsquo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rdquo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6 no 2 2006

pp189-207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

Page 38: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소연구/146호-05-신범식... ·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190sdot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ldquoDPRK Seeks Foreign Capital

Through Rajin Port Developmentrdquo NK Brief no 10 2008

Treisman Daniel ldquoPutinrsquos Silovarchsrdquo Orbis 51 no 1 2007 pp141-53

Troyakova Tamara and Elizabeth Wishnick ldquoIntegration or Disintegration 

Challenges for the Russian Far East in the Asia-Pacific Regionrdquo

21st Century COE Program Occasional Papers 1 2003 pp1-37

Vorontsov Alexander ldquoCurrent Russia - North Korea Relations

Challenges And Achievementsrdquo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7

Wishnick Elizabeth ldquo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 New Erardquo In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edited by Samuel S Kim and Tai

Hwan Lee pp139-62 New York Rowman amp Littlefield 2002

Wolff David ldquoDPRK Briefing Book A Role For Russia In Korean

Settlementrdquo 2003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dprkbbrussia

dprk-briefing-book-a-role-for-russia-in-korean-settlement

Yeo In-kon ldquoPutinrsquos Pragma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0 no 1 2001

pp89-115

Zartman William and Jeffrey Z Rubin eds Power and Negotiation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凤凰频道 凤凰精选 铁幕渐 -朝鲜罗先特别 探秘 凤凰频道 2014

httpvifengcomnewsworld2014004018b84a6-6936-478e-8dc4-08

115a092711shtml

徐家军 amp 李泽 ldquo中朝合作罗津港 出日本海通道大 rdquo 新浪財經 2005

中共中央 关于实施东北地区等 工业基地振兴战略的若干意见 2003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4〕

〔게재확정일 2015 07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