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대북 전쟁억제력 강화방안 연구 이상호

38
한국의 대북 전쟁억제력 강화방안 연구 우리가 합리적인 수준의 한국형 억제전략을 도 출하기 위해서는 북한이라는 위협의 실체를 정 확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북한이 강 력한 공세적 재래식 전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핵 전력을 개발·보유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핵 보 유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제하에 이에 대 응되는 새로운 개념의 개발이 시급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 동 논문은 우선 현대 핵과 재래식 억 제전략의 발전과 관련 개념의 역사적 분석을 통 해 검토하고 과거 교훈을 바탕으로 한국형 억제 전략 수립 방향을 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우리가 채택 가능한 한국형 억제전략 의 목표를 설정하고 특히 우리가 확보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대북 전쟁억제력은 보복·응징 에 기반 한 억제력임을 분명히 하였다. 동 능력 확보를 위해서는 ① 북한군의 공격을 조기에 섬 멸하고 필요시 북한 전역을 대상으로 한 역공세 수행을 위한 균형 잡힌 육·해·공 합동 입체기 동전 전력 ② 유사시 핵시설을 포함한 북한 주요 전략시설과 정치·군사 지휘부 제거를 위한 첨 단과학기술기반 신속정밀타격 전력 ③ 불가피 한 위기 발생을 초래할 수 있는 북한의 비정규전 도발 대비 전력 ④ 북한의 핵과 생화학 무기, 장 사정포와 미사일 등 우리 국민을 인질로 하여 군 의 공세적 작전 전개를 제한 할 수 있는 위협에 대한 대응능력 ⑤ 한미연합군을 북한의 핵무기 등의 비대칭 공격으로부터 보호해 주고 미국의 한국에 대한 신뢰를 강화시켜 줄 수 있는「미사 일 방어망 (MD: Missile Defense)」등 총 8대 분 야의 전력 보강 요소를 파악하였다. 중장기적으 로 한국의 국가 전쟁억제능력 강화를 위해서 우 리가 추구해야하는 범국가적 안보전략은 다양 한 위협으로부터 국가를 보호할 수 있는 재래식 전력기반의 국방력 및 유연한 억제력의 확보라 고 볼 수 있다. 동 목표 달성을 위해 우선 북한에 대한 강력한 재래식 억제력을 확보하고, 이를 기 반으로 점진적 전투력 향상을 추구하는 것이 필 요하다. 물론 핵무기 보유가 제공하는 확실한 억제력 확보는 어렵지만 북한의 각종 위협에 적 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면 잠재 적국으로부터 의 위협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 다. 보다 구체적으로 북한의 위협에 맞설 수 있 는 우리만의 재래식 억제력 확보가 필요하며, 이 를 위해 다양한 수단의 보복·응징능력을 확보 하고 미래 역할에 부응하는 육·해·공 삼군의 균형 잡힌 전력발전이 매우 중요한 요소라 판단 된다. d세종정책연구e2010년 제6권 2호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이상호

Upload: won-jo-kang

Post on 14-Aug-2015

69 views

Category:

Documents


4 download

DESCRIPTION

한국의 대북 전쟁억제력 강화방안 연구

TRANSCRIPT

한국의 대북 전쟁억제력 강화방안 연구

우리가 합리적인 수준의 한국형 억제전략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북한이라는 위협의 실체를 정확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북한이 강력한 공세적 재래식 전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핵전력을 개발·보유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핵 보유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제하에 이에 대응되는 새로운 개념의 개발이 시급한 시점이다.이를 위해 동 논문은 우선 현대 핵과 재래식 억제전략의 발전과 관련 개념의 역사적 분석을 통해 검토하고 과거 교훈을 바탕으로 한국형 억제전략 수립 방향을 이론적으로 분석하 다. 이를기반으로 우리가 채택 가능한 한국형 억제전략의 목표를 설정하고 특히 우리가 확보할 수 있는가장 효과적인 대북 전쟁억제력은 보복·응징에 기반 한 억제력임을 분명히 하 다. 동 능력확보를 위해서는 ① 북한군의 공격을 조기에 섬멸하고 필요시 북한 전역을 대상으로 한 역공세수행을 위한 균형 잡힌 육·해·공 합동 입체기동전 전력 ② 유사시 핵시설을 포함한 북한 주요전략시설과 정치·군사 지휘부 제거를 위한 첨단과학기술기반 신속정 타격 전력 ③ 불가피한 위기 발생을 초래할 수 있는 북한의 비정규전도발 대비 전력 ④ 북한의 핵과 생화학 무기, 장사정포와 미사일 등 우리 국민을 인질로 하여 군

의 공세적 작전 전개를 제한 할 수 있는 위협에대한 대응능력 ⑤ 한미연합군을 북한의 핵무기등의 비대칭 공격으로부터 보호해 주고 미국의한국에 대한 신뢰를 강화시켜 줄 수 있는「미사일 방어망 (MD: Missile Defense)」등 총 8대 분야의 전력 보강 요소를 파악하 다. 중장기적으로 한국의 국가 전쟁억제능력 강화를 위해서 우리가 추구해야하는 범국가적 안보전략은 다양한 위협으로부터 국가를 보호할 수 있는 재래식전력기반의 국방력 및 유연한 억제력의 확보라고 볼 수 있다. 동 목표 달성을 위해 우선 북한에대한 강력한 재래식 억제력을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점진적 전투력 향상을 추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물론 핵무기 보유가 제공하는 확실한억제력 확보는 어렵지만 북한의 각종 위협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면 잠재 적국으로부터의 위협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북한의 위협에 맞설 수 있는 우리만의 재래식 억제력 확보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수단의 보복·응징능력을 확보하고 미래 역할에 부응하는 육·해·공 삼군의균형 잡힌 전력발전이 매우 중요한 요소라 판단된다.

d세종정책연구e2010년 제6권 2호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이상호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59

지난 50여 년간 우리 군이 국방력 강화에 투자한 유무형의 자산과 자원 그리

고 노력을 고려할 때 우리 군은 북한 또는 주변지역에서의 잠재위협에 자신

있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남·북간

군사적 긴장 고조 상황을 지속시키고 있음은 물론 주변 경쟁국과의 관계 역시

원활하지 못한 어려운 환경이 연출되고 있다. 가장 위협적인 사실은 우리의

국방력이 여전히 북한의 재래식 전력에 대비해서조차 충분한 우위를 확보하

지 못한 상황에서 그들의 핵무기 보유가 기정사실화 되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실리추구의 일관된 정책기조를 유지하는 일본과 대외적 힘의 과시를 중

요한 국가정책 도구로 활용하는 중국과의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

이 지속되면서, 우리 군이 국가의 안보를 충분히 지킬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

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지난 3월에 발생한 천안함 격침사태에 대한 군의 대응

과 대책마련 과정에서의 혼란과 무기력함을 볼 때 이런 의구심이 표출되지 않

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이는 작년 국방부장관 임명 인사청문회에서 김태 후

보자가 우리 군의 북한 핵시설 위치 파악 및 필요시 동 시설들에 대한 타격능

력을 확보하고 있음을 과시했던1) 점과는 매우 다른 양상으로, 김 장관의 주장

대로 과연 우리가 효과적인 대북 억제력을 실제로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검

토는 현 시점에서 필수 불가결하다.

우리가 합리적인 수준의 한국형 억제전략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북한이라는

위협의 실체를 정확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북한이 강력한 공세적

재래식 전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핵전력을 개발·보유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핵 보유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제하에 이에 대응되는 새로운 개념의 개

발이 시급한 시점이다. 하지만 이러한 전략수립 이전에 우선 우리의 대북관

계 재정립이 필요하다. 특히 북한이 주적에서 제외된 이후 우리 군은 정체성

의 혼란을 경험한바 있다. 또한 천안함 사태가 보여주듯 북한이 현재 우리의

가장 큰 위협임은 분명하고, 이 사실을 바탕으로 북한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

하다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우리가 확보해야 할 대북 전쟁 억제력은 우선

“김태 , 북 핵무기 위치 파악... 선제타격 가능”, 『동아일보』, 2009.9.18.1)

I. 서론

160d세종정책연구e2010년 제6권 2호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60

한국의 대북 전쟁억제력 강화방안 연구 161

정부와 군이 북의 도발을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는 자위책이다. 이는, 만약

전쟁 억제에 실패했을 경우 북의 도발을 빠른 시간 내 격파하고 섬멸할 능력

을 확실히 갖추는 것이다. 특히, 북한의 제한적·국지적 도발과 테러행위를

사전에 억제하고, 북한이 도발할 경우 전쟁의 확산을 미연에 방지하여 이에

따른 국가적 위기 발생을 예방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동 연구에서는

무엇보다 북한의 위협에 대한 억제력 확보를 우선적으로 다룰 것이다.

우리 주변에 상존하는 잠재 위협에 대한 준비는 대북 억제력 확보이후 동 전

력을 바탕으로 부족한 부분을 보강하는 방식의 단계적인 보완이 주효하다고

판단된다. 이미「국방개혁 2020」원안에서 주변국가의 잠재적 위협을 부각하

면서 우리 전략의 대지역화를 추구한바 있고, 만약 이 의도가 잘못 해석되어

이행되었을 경우 이는 대북군사전략과 주변 지역에서의 군사전략이 이원화되

는 전략적 오류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런 조치는 우리의 역량과 노력을 분산

시키고 불필요한 부문의 투자를 가중함으로써 결정적으로 귀중한 재원의 비

효율적 운 을 초래하는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고 본다. 예를 들면 미래 잠재

적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육·해·공군력의 전면적인 증강이 필요하며, 특히

해·공군력 부분에 대한 막대한 투자가 예상된다. 그러나 대북전력 강화를 위

해서는 육군에 대한 지출도 확대해야 한다는 판단 때문에 2009년「국방개혁

2020」수정안에서는 해·공군력 증강을 순연하고, 지상 전력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계획한바 있다.2) 사실 대북전력강화를 위해서도 북한의 다양한 도발

형태에 대한 억제력을 강화시켜주는 차원의 공세적 해·공군력 건설과 함께

지상 전력에 대한 선별적인 보강이 필요하고, 이를 성공적으로 추진할 경우

지역의 우발적 잠재위협에 성공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본 전력을 확보하여

향후 부분 보강을 통해 효과적인 대 지역 전쟁억제력도 확보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대 북한·지역으로 이원화된 전력증강 개념과 군사전략사고로

는 막대한 전력증강 소요 때문에 국방비의 효율적인 책정과 집행이 곤란하며,

이를 위한 국방비 증액은 더욱이 어려운 상황이다. 더군다나 대 북한전력 증

강과 잠재위협 대비 전력 건설이 사실 유사한 방향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

하고 개념의 이원화에 따른 상황인식의 오류를 범하고 있다. 예를 들어 천안

지상군 위주 국방개혁 수정안은“고비용무기 연기, 북핵 대응무기 조기도입”, 『연합뉴스』, 2009.5.10자 참조.

2)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61

162d세종정책연구e2010년 제6권 2호

함 사태이후 불거진 대양해군을 추종하다 연안방어에 실패했다는 일부의 비

판이 이런 혼란의 결과물이라 볼 수 있다.3)

따라서 동 연구는 다양한 사례연구를 통해 우리 군이 추구할 수 있는 효과적

인 전쟁억제전략이 무엇인가를 북한 중심으로 논의하여 대북 전쟁 억제력의

실체를 판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향후 주변국가로부터의 잠재적 위협에 대

한 억제력을 확보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우선「국

방개혁 2020」등에서 북한의 위협을 가장하고 지역의 잠재 위협을 부각하여

발생된 현재의 개념적 혼란을 교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후 북한과

지역을 분리하여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북한을 우선 염두에 두고 이를 기반으

로 필요 기능을 보완하여 우리의 억제력을 강화하는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 경우 최근 사태로 불거진 우리 군의 역할과 전략적 혼돈을 정리하고 향후

북한을 포함한 주변국에서의 다양한 형태의 도발에 대한 효과적인 전쟁 억제

력을 도출해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제 2장에서는 현대 핵과 재래식 억제전략의 발전과 관

련 개념을 역사적 분석을 통해 검토하고 과거 교훈을 바탕으로 한국형 억제전

략 수립 방향을 이론적으로 분석할 예정이다. 제 3장에서는 사례 분석과 역사

적 교훈 고찰에 근거하여 우리가 채택 가능한 한국형 억제전략의 목표를 연구

하고 동 전략의 발전방향을 분석할 것이다. 특히 우리가 확보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대북 전쟁억제력은 보복·응징에 기반 한 억제력임을 분명히 할 것

이다. 제 4장은 우리가 대북 억제력을 행사해야하는 각종 잠재 위기유형별 시

나리오 제시하고 상황별 대응책을 고찰하여 한국형 전쟁 억제력의 효용성을

단계별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확인된 각종 위협에 대비한 군사력 건설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진행과정의 한계를 미리 언급하는 게 필요하다고 사료

된다. 본 연구는 한국의 억제력 강화방안을 고찰하는 게 목적이다. 그러나 현

실적으로는 주한미군과 한미동맹이 존재하기 때문에 한국의 독자적 전쟁 억

제력 확보 방안과 방향을 분석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작업이다. 미군을 제

외한 한국만의 전력 분석에는 제한이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는 한

국군의 억제전략개념을 독립적으로 분석하되 이 과정에서 미군의 전력과 합

대양해군 논란에 대해서는“허세부리다 당했다”, 『조선일보』, 2010.4.29자 참조. 3)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62

한국의 대북 전쟁억제력 강화방안 연구 163

동작전을 전재하는 모순이 발생할 수 도 있다. 이런 경우도 논의의 중심은 우

리의 억제전략에 대한 고찰이므로 이런 의도를 사전에 숙지할 경우 동 연구에

대한 이해가 확대될 것으로 판단하고 미리 한계점을 밝히며 본론으로 들어가

고자 한다.

Ⅱ. 현대억제전략개념의발전

1. 핵 억제전략에서 재래식 방어력의 역할

현대적인 의미에서의 한 국가가 가진 전쟁 억제력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로

는 핵 무장과 재래식 전력의 운 이라는 두 가지 체제가 상존한다. 그중 핵 억

제력은 냉전시대의 최대 화두 으며, 최근까지도 그 효용성과 중요성을 지속

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기존의 미·러 양극체제를 제치고 세계 맹주로 발돋움

을 꾀하는 중국의 경우 핵전력을 지속적으로 증강·현대화하고 있으며, 북한

의 경우 역시 핵 억제력 확보에 국가의 사활을 걸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문

제는 핵무기를 보유하지 못했거나 보유하지 못할 환경에 처해 있는 국가들이

소위‘핵무기 확보’란 가공한 잠재 파괴력에서 오는 효과적인 전쟁 억제력의

확보에 많은 장애가 있는 게 현실이다. 무엇보다도 핵 억제력의 가장 큰 매력

은 적대국의 국토와 국민들의 실생활이 회복이 불가능할 정도로 대량 파괴하

고 살상하겠다는 보복과 응징의 요소이다.

1950-60년대 미국과 나토는 당시 핵전력 우위에 기초하여「대량보복

(Massive Retaliation)」, 「AD (Assured Destruction)」, 「핵우선사용(Nuclear-

First-Use)」전략 등을 채택하는 핵무기에 의존한 전쟁 억제전략을 유지했다.

또한 이러한 핵 억제력에 기초한 핵전략의 신뢰성 보장을 위해 나토는 1949년

결성된 이후 1980년대 초까지 40여 년 동안「전진방어 (Forward Defense)」전

략을 변함없이 유지해 왔다. 전진방어전략의 기본은 일종의 선방어 (linear

defence) 개념으로 군사력을 지역 (area) 또는 지형방어망 (terrain-oriented

defensive network) 중심으로 운 하는 것에 있다.4) 동 전략은 나토 핵 보복

서독의 전진방어전략 기반 작전개념은 독일 국방부에서 발행한 Operational Guideline (GeneralDefence Plan: GDP), (August 1987)에 상세히 기술.

4)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63

164d세종정책연구e2010년 제6권 2호

을 유인하는 인계철선 (trip-wire) 역할 및 제한적 수준의 재래식 방어력을 확

보하기 위한 방편이었다.

나토가 수동적인 방어체제를 유지한데는 여러 이유가 있었다. 첫째, 제 2차

세계대전의 참사 이후 결성된 나토의 일차목표는 동맹국의 공동방어가 목적

이었으므로, 정치적으로 부담이 되는 공세적 군사전략개념의 채택을 지양했

다. 둘째, 전쟁 발발 시 자국이 주 전쟁터가 되는 서독은 나토가 적의 공격을

최전선에서 방어하여 일체의 토상실을 허용하면 안 된다는 주장을 강력하

게 했고, 동맹국들도 이런 서독의 요구를 외면할 수 없었다. 서독은 나토가 자

신을 희생양으로 삼지 않을 것이란 증거가 필요했고, 전진방어전략의 채택만

이 나토가 자신의 토를 최전방에서부터 수호하겠다는 의지의 천명으로 받

아들 기 때문이다. 셋째, 나토는 동맹의 방위를 위해서 핵무기 사용도 불사

한다는 의지를 가지고 있었고, 이 결과 나토의 핵 의존은 재래식 군사력 증강

을 소홀히 하는 상황을 초래하게 되었다. 소련에 비해 우세한 핵전력을 유지

해 왔던 서방에게 재래식 방어력은 나토의 핵사용을 강요하는 유인책에 지나

지 않았고, 이런 나토의 핵우선 사용 의지는 억제력 유지를 위한 필수조건이

었다.5)

그러나 나토는 1962년의 쿠바 미사일위기, 1960년대 소련과 바르샤바조약기

구군의 대 나토 재래식전력 우위확보, 소련 핵전력의 비약적인 발전 등을 이

유로 억제전략의 개념을「상호확증파괴 (MAD: Mutually Assured Destruction)」

로 전환하게 되었고, 이후 바르샤바조약기구군 재래식 공격의 일시정지

(pause) 개념에 자극받은 나토가 1967년에 이전까지 고수해오던을「유연대응

(Flexible Response) 전략」을 수정한「대량보복 (Massive Retaliation) 전략」을

채택하면서 재래식 전력개선을 시도하 다.6) 이후 나토는 재래식 방위력에

자신감을 갖게 되면서, 핵전략의 핵심개념을「핵조기사용 (Nuclear-Early-

Use)」, 이후「핵조기사용제한 (Nuclear-No-Early-Use)」등으로 순차적으로 발

Defence Plan: GDP), (August 1987)에 상세히 기술.서독의 전진방어전략에 대한 절대 신뢰는 서독 육군참모총장인 Leopold Chalupa 대장의 연설문인

“The Defence of Central Europe”(1982.11.13 Royal United Service Institution 발표)에 구체적으로기술. 후임 참모총장인 Hans Henning Von Sandrart 대장의 의견은“Forward Defence”,『NATO'sSixteen Nations』, (Special, 1985), pp.37-43를 참조.Jane Stromseth, The Origins of Flexible Respons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p.60과p.177, Stephen Flanagan, NATO's Conventional Defenses, (London: Macmillan, 1988), p.18.

5)

6)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64

한국의 대북 전쟁억제력 강화방안 연구 165

전시키면서 핵을 기반으로 한 전쟁 억제전략을 수정·발전해 나갔다.7)

여기서 나토가 전략적 변화를 시도했던 이유는 전면 핵전쟁을 촉발시킬 수

있는 지구멸망(armageddon) 시나리오를 회피하기 위함으로써, 나토와 바르

샤바조약기구 양방의 핵전력이 동등한 상황 (parity) 에서 기존의 핵무기에 의

존한 억제력은 소규모 군사적 충돌도 핵전쟁으로 확전(escalate)될 수 있다는

모순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었다. 그러나 이에 따른 나토의 과도한 핵무기

의존은 쉽게 해소되지 못했고, 결국 경제적으로나 정치적으로 부담이 되는 재

래식 전력증강을 위한 노력은 지연되었다.8) 또한 1980년대 들어서면서 나토

는 정치·군사적으로 심각한 위협에 직면하게 되는데, 이는 1950년대 말부터

대폭 증강되어온 바르샤바조약기구의 재래식 전력이 이미 나토를 능가하고

있었고, 여기에 소련의 핵전력 또한 기술적으로도 서방에 필적하는 수준에 이

르 기 때문이다. 특히 1980년대 소련이 30-40만 명에 달하는「동독주둔소련

군 (Group of Soviet Forces in Germany)」만으로도 사전 공격 징후나 경보 없

이 나토에 대한「순간기습공격 (standing start attack)」을 감행할 수 있다는 가

능성이 제기되면서 나토군 지휘부의 위기감이 고조되었다.9)

소련의 순간기습공격 가능성은 1970대 말에서 80년대 초에 걸쳐 나토에서의

주요 논란거리로 부상하 는데, 핵심 쟁점은 비록 현실적으로 무리가 따르겠

지만 이런 형태의 기습공격 가능성이 군사적인 측면에서 상당한 실효성이 있

는 도박이라는 점이었다.10) 실제로 기습공격을 시도하는 측도 많은 어려움에

봉착하겠지만, 나토도 전쟁준비가 부족한 상황에서 아무런 사전 징후도 없이

기습공격을 당한다면 방어하는 입장에서는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

다. 일부 나토회원국들은 이런 가설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 지만 결국 나토는

전쟁을 준비하는 입장에서 아무리 가능성이 희박하더라도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11) 이 결정의 가장 중요

Stromseth, op. cit., p.195-202 및 N. Brown and A. Farrar-Hockley, Nuclear First Use, (London:Buchan and Enright, 1985) 제 1, 2장 참조. 핵무기 의존에 대한 나토의 지속된 신념은 Lawrence Freedman, The Evolution of Nuclear Strategy,(New York: St. Martin’s Press, 1989), pp.294-5 참조.기습공격 관련 이론은 Richard K. Betts, Surprise Attack, (Washington, D.C.: The Brooking’sInstitution, 1982). 제1, 2장 참조.소련의 GSFG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Richard Aboulafia, “The Soviet Operational Response toFOFA”, 『Jane’s Soviet Intelligence Review』, (February 1989), pp.78-9 참조.

7)

8)

9)

10)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65

한 이유는 만약 재래식 전력이 압도적으로 우세한 소련이 기습공격에 성공한

다면 나토회원국 중 일부가 개전 초기에 점령당할 가능성이 있었고, 이는 단

지 토상실 차원을 넘어서 나토 자체의 분열을 초래할 수 있는 중대위협이란

사실을 자각했기 때문이었다. 특히 만일의 핵사용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이미

토를 점령당한 회원국들은 자국보존을 위해 핵사용에 반대할 수 있었고, 이

에 다른 회원국들은 소련군이 자국 토에 공세를 취하기 전에 핵사용을 강요

하게 되는 모순적 상황 전개될 수 있는 가능성에 있었다. 무엇보다도 이로 인

한 핵무기의 조기사용이 결국 동반자멸이라는 끔찍한 사태로 발전할 수 있다

는 사실 역시 우려하게 되었다.12)

실제 동 시나리오가 실현되었을 경우 서독의 정치적인 입장을 배려하여 대

부분의 전력을 전방지역에 선형으로 배치한 전진방어개념을 고수하고 있는

나토는 소련이 OMG (Operational Maneuver Group)를 활용한 종심공격

(deep attack)을 감행할 경우 적을 상대로 즉각적인 단거리 핵무기(SNF:

Short-Range Nuclear Force)의 사용이 없이는 전선의 방어가 불가능한 상황이

었다.13) 결과적으로 나토는 순간기습에 의한 공격 가능성을 수용했고, 이를 계

기로 유럽에서 재래식 전력증강을 골자로 한 혁신적인 방어 전략을 채택하게

되었다.

2. 나토 재래식 억제전략의 발전

재래식 방어력 강화를 위한 나토의 우선 목표는 전역내 배치된 재래식 전투력

만으로 적의 공격을 최대한 지연시킴으로써 핵무기 사용 전까지 가능한 많은

166d세종정책연구e2010년 제6권 2호

Colin McInnes, NATO’s Changing Strategic Agenda, (London: Unwin Hyman, 1990), p.83과Sangho Lee, Deterrence and the Defence of Central Europe, (King's College London, 1994) 제 2, 3장 참조.핵무기를 사용한 확전(escalation) 관련 내용은 Richard E. Simpkin, Race to the Swift, (London:Brassey’s, 1985). p.xxiii 참조.유럽에서 전쟁발생시 단거리 핵미사일 사용이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SNF 무용론은 Nigel Bagnall,

“The Central Front: A Strategic Overview,”in Brian Holden Reid and Michael Dewar ed., MilitaryStrategy in a Changing Europe. (London: Brassey’s, 1991), p.241 참조. OMG를 활용한 소련의 기습공격 내용은 Henry S. Shields, “Why the OMG?,”『Military Review』,(November 1985), pp.4-13참조.

11)

12)

13)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66

한국의 대북 전쟁억제력 강화방안 연구 167

시간을 버는 것이었다. 소련과 바르샤바조약기구의 경우 평시에도 일선에 대

규모 재래식 전력을 유지하고 있었고, 보급선도 나토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아

단기간에 많은 전력을 투입할 수 있었다. 이런 상황 임에도 불구하고 나토는

소련이 아무리 기습공격에 성공하더라도 나토군에 대한 제 2파, 3파 공격 등

파상적인 공세를 지속하기는 어려울 것이라 판단했고, 따라서 소련 제 1제대

(echelon)의 기습공격만 저지한다면 후방에서 진격해 오는 2제대가 전투에 투

입되기까지 수일간의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리게 된다. 이 기간

동안 나토는 전방배치 전력 재정비를 위한 시간을 확보함은 물론 적과 적대행

위 종결을 위한 협상 진행 및 전력강화를 위한 동원 (mobilization) 체제 가동

의 기회를 확보할 수 있었다. 실제로 전시동원체제가 가동된다면 비록 바르샤

바조약기구군이 계속 수적우위를 확보하겠지만, 나토 역시 전선방어를 위한

재래식 군사력을 보충할 수 있었다. 더욱 중요한 부분은 비록 짧은 기간이지

만 나토는 향후 전쟁이 확전될 경우에 대비하여 전장에서의 핵무기 사용에 대

해 침착하게 고려할 수 있는 여유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이었다.14) 결국 바르샤

바조약기구군과의 1차 전투에서 적을 지연시키거나 승리했을 경우 나토는 소

련의 추가 도발을 억제시키는 강력한 회유수단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었다.

당시 서독의 주요 전략요충지들의 70% 이상이 구독일 국경지역 (IGB: Inner

German Boarder) 100km내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전진방어전략에 의거한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국경선 주변에서 이 지역들을 중심으로 한 방어위

주의 전투에 집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이 경우 기습에 의해 주도권을

확보한 소련은 자신의 의지대로 화력과 기동력으로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집

중해서 손쉽게 나토 방어망을 돌파할 수 있고, 그 결과 분산되고 고립된 나토

군은 소련의 후속제대에게 각개격파당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은 충분히 예상

가능한 상황이었다. 지역방어를 위해 전 전장에 걸쳐 일정한 도로 배치된

병력으로는 능동적인 방어전을 수행하기 어렵기 때문이다.15)

관련 작전 개념 및 내용은 John Hackett, The Third World War, (London: Sphere Books Ltd.,1978), p.54; T.J. Granville-Chapman, “The Importance of Surprise: A Reappraisal,”in J. J. G.Mackenzie and Brian Holden Reid, ed., The British Army and the Operational Level of War,(London: Tri-Service Press, 1989), p.59와 T. Wright, “Surviving Soviet Encirclement Operations,”ibid., p.207 등을 참조.관련 내용은 Chris Bluth, “British-German Defence Relations, 1950-80: A Survey,”in Karl Kaiserand John Roper, ed., British-German Defence Co-operation. (Surrey: Jane's Publishing Co., 1988),p.33 참조.

14)

15)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67

동 시나리오에 대한 대안으로 나토는 적의 선제공격을 단시간 내에 저지하

기 위해 신속한 역공세를 전개해서 적의 주공을 섬멸하고, 필요시 동독을 향

해 월경 공격을 감행함으로써 적 토 획득 역시 노리는 이른바「기동방어

(maneuver-based mobile defense)」및「작전역공세 (operational counterstroke)」개

념을 도입한다. 만약 종심전투를 수행하려는 적의 주공 (공격의 축 또는 무게

중심: center of gravity)16)을 격파한다면 적의 공세는 지연될 것이고, 이는 나

토가 전장의 종심을 동독과 폴란드 쪽으로 이동시키는 결과를 얻는 것으로 나

토 토의 상실 가능성을 배제시키는 조치가 된다. 이는 토상실 가능성에

따른 서독의 불만을 억제함과 동시에 후속제대를 투입하지 못한 적을 대상으

로 적진에 완충지대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었다.

나토의 새로운 전략개념 채택은 새로운 방어개념의 도입을 의미했다. 동 방

어개념은 운용국가별 특징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지칭된다. 미국은 경우 신

개념을「공지전교리 (AirLand Battle Doctrine)」라고 명명하고 세계 각국에 배

치된 미군의 공동 작전교리로 보급하 고,17) 이에 맞추어 한국군도 1989년 동

교리를 한·미합동작전교리로 수용하게 된다. 독일을 중심으로 한 나토연합

군은 미군의 공지전교리 보다는 공세적 기동전 요소가 일부 제한된「FOFA

(후방제대공격: Follow-On Forces Attack)」개념을 공식 작전개념으로 채택하

고 나토중부군 (CENTAG: Central Army Group)을 중심으로 FOFA를 전파했

으며18), 국과 나토북부군 (NORTHAG: Northern Army Group)은 나토의

FOFA와는 별개의 그러나 이를 보완하는 작전교리로「지공전 (Land/Air

Warfare)」개념을 채택하 다.19) 이들 개념은 공통적으로 소련과 바르샤바조

168d세종정책연구e2010년 제6권 2호

and John Roper, ed., British-German Defence Co-operation. (Surrey: Jane’s Publishing Co.,1988), p.33 참조.공격의 축 또는 무게중심 (center of gravity)의 개념은 William Lind, Maneuver Warfare Handbook,(Boulder: Westview, 1985), p.24 참조.Department of Army, FM100-5 Operations, (Washington, D.C., 1986).FOFA의 채택과 동 교리를 실현하기 위한 미국의 비전은 The US Congress, Office of TechnologyAssessment, New Technology for NATO: Implementing Follow-On Forces Attack, (OTA-ISC-309)(Washington, D.C.; USGPO, 1987)을 참조. James A. Tegnelia, “Emerging Technology for ConventionalDeterrence,”『International Defence Review』, (May 1985), pp.643-652에는 FOFA 실현을 위한 당시 기술적 요구 사항에 대해 논의,

국의 지공전교리에 대해서는 British Army, Design for Military Operations: The British MilitaryDoctrine, (Army Code 71451, 1989); British Army, Army Doctrine Publication(ADP): Operations.Vol. I., (Pre-publication Edition), (1994); 그리고 동 교리의 창안자인 Nigel Bagnall 원수의"Concept of Land/Air Operations in the Central Region I", 『Journal of the Royal United ServiceInstitution』Vol. 129, No.3, (September 1984), pp.59-62를 참조.

16)

17)18)

19)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68

한국의 대북 전쟁억제력 강화방안 연구 169

약기구군이 선제공격을 감행했을 경우 비록 단순 비교 전력에서는 불리하지

만, 우수한 기동력과 공세적 작전능력 및 첨단 과학기술기반 무기체계의 적극

적인 활용 그리고 적의 토로 진출하여 나토회원국들의 국토가 인질이 되는

상황을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등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전쟁철학을 반 하

다. 나토의 궁극적인 전략목표는 공세적 공지입체기동전의 수행으로 핵무기

사용 없이 기존 전선을 방어하고, 필요시 적 토로 전장을 확대하여 적 전력

을 적진에서 격멸하므로 써 적의 전쟁확대 의지를 조기에 분쇄한다는 것이었

다. 따라서 동 전략대안의 핵심은 핵무기 조기사용억제 그리고 가능하다면 핵

무기 사용을 원천 배제한 재래식 억제력의 확보 다.20) 보다 구체적으로 ① 강

력한 핵전력의 유지 및 침착한 핵무기 사용 고려 ② 공세적 기동전을 통한 적

의 재래식 공세 조기 격멸 및 역공세를 통한 나토 토 상실 방지와 적 토 내

완충지역 확보 ③ 신속한 공세적 기동전 수행을 위한 각종 첨단 과학기술 기

반 신 지휘통제 및 무기체계 운 ④ 적의 기습공격을 나토군의 재래식 전력

만으로 격퇴시켜 전쟁의 확전을 방지하는 재래식 억제력의 확보가 동 개념의

핵심 요소이다. 이 목표 달성을 위한 과학기술적인 요소에는 J-STARS (Joint

Stand-Off Target Acquisition System), 첨단 C4I체계 (Command, Control,

Communication, Computer and Intelligence), MLRS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아파치 공격헬기, M-109A6 팔라딘 자주포 등의 장비가 포함

되었다. 이로서 나토는 동맹결성 이후 최초로 재래식 군사력만으로 적의 공격

을 방어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되었고, 이런 획기적인 사고의 전환이 핵

의 조기·우선사용에 기반을 둔 나토 핵전략을 크게 수정하는 결과를 도출했

다.21)

Doctrine, (Army Code 71451, 1989); British Army, Army Doctrine Publication(ADP): Operations.Vol. I., (Pre-publication Edition), (1994); 그리고 동 교리의 창안자인 Nigel Bagnall 원수의

“Concept of Land/Air Operations in the Central Region I,”『Journal of the Royal United ServiceInstitution』, Vol. 129, No.3, (September 1984), pp.59-62를 참조.특히 나토의 재래식 억제력 확보에 대한 자신감에 대한 논의는 Sangho Lee, op. cit., 제6장을 참조.이는 또한 유럽의 여러 정부들이 1970에서 80년대에 주도되었던 평화운동에 향을 받은 결과로, 가능하면 핵사용에 의한 자멸은 피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대된 결과임. 유럽의 비핵 평화 운동의 사례는Alternative Defence Commission, Without the Bomb, (London: Paladin, 1985) 참조.

19)

20)21)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69

3. 핵 억제력과 재래식 억제력의 상호 보완관계

북한을 비롯한 여러 국가들이 핵무기 보유에 주력하는 이유는 핵무기의 존

재가 보유국가의 안전을 확보해 주는 효과적인 도구라는 판단 때문이다. 1950

년대와 60년대 초반 미국과 유럽에서는 핵무기를 재래식 무기와 유사한 그러

나 고도의 파괴력과 살상력을 가진 효과적인 공격무기로서 재래식 군사력을

대신할 수 있는 경제적인 무기체계란 논리가 지배적이었다.22) 그러나 이후 핵

무기의 엄청난 파괴력과 사용 시 발생할 가공할 피해 때문에 핵무기가 재래식

무기 대신 할 수 없고, 실제 전쟁수행에는 무용지물일 수도 있다는 사실을 자

각하게 된다. 또한 재래식 군사력은 수세적으로 또는 공세적으로 탄력성 있는

유연한 운 이 가능하지만, 핵무기는 사용 시 돌이킬 수 없는 엄청난 살상 및

파괴를 초래함은 물론 공격받은 측에서의 핵 보복이라는 결과를 초래하는 점

에서 핵무기의 사용은 판도라의 상자를 여는 것과도 같은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선택이라는 사실이다. 따라서 핵무기의 최대 효용은 핵보유국이 잠재 적

국에 대해 확고한 억제력을 보증하는 전략적 회유 수단으로의 역할에 있으며,

따라서 사용 시 확증파괴가 예상되는 핵무기의 파괴력은 핵을 보유한 적대국

간의 전쟁을 거의 불가능하게 만들 것이라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이 결과 확고한 재래식 전투력을 확보해야만 적대적인 양방의 전력균형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일방의 독단적인 군사적 모험 감행 가능성을 억제하여 핵

무기에 의한 억제력의 신뢰성을 확보한다는 판단을 하게 되었다.23) 다시 말해

전쟁을 시작하는 것은 쉬워도 끝내는 것은 어렵고, 확전방지를 위해 적대행위

발생초기 적의 의도나 초기 공격을 견제할 수 있는 강력한 재래식 방어력이

핵 억제력 신뢰의 극대화를 위한 필수적인 도구라는 사실이다. 이런 깨달음은

서방의 전략개념이 핵 억제력과 재래식 억제력의 유기적인 통합을 주도했고,

1980년대 중후반에 나토가 재래식 억제력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 결과 1980년대 후반 나토는 만약 바르샤바조약기구와의 전쟁이 발

생했을 경우 적을 재래식 전력만으로도 제압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되

170d세종정책연구e2010년 제6권 2호

Freedman, op. cit., p.384, William Park, Defending the West, (Brighton: Wheatsheaf Books, 1986),p.140.기동역공세를 통한 유럽에서의 재래식 억제력 확보 내용은 Colin McInnes, op. cit., 제 1, 2장과 JohnMearsheimer, Conventional Deterrence,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1983) pp.50-1을 참조.

22)

23)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70

한국의 대북 전쟁억제력 강화방안 연구 171

었으며, 이로서 유럽에서의 재래식 억제력 실현 가능성이 인정되었다.24)

그러나 여기서의 재래식 억제력 확보가 나토의 핵 억제력을 대신하지는 못

했다. 실제로 나토가 핵무기 기반 전쟁억제력을 단 한 번도 포기한 사실이 없

었고, 공식적으로든 비공식적으로든 전쟁 시 핵무기의 사용을 제한하겠다고

천명하지 않았다. 단지 묵시적으로만 핵무기 사용을 최대한 지연하고 가급적

이면 핵무기의 선제사용을 회피하겠다고 인정했을 뿐이다.25) 그러나 분명한

사실은 핵 억제력이 가공할 피해에 따른 공포 조성과 파괴력 측면에서 효율적

인 보복·억제전력이기는 하지만, 실제 효용성에는 한계가 있었고, 충분한 재

래식전력이 확보되지 못하면 핵 억제력의 위력이 제한된다는 사실을 인정하

게 된 것이다.

나토군의 자신감 회복 및 이후 변화된 작전개념 적용 사례로는 Martin Farndale, “Exercise Reforger 87,”『The Army Quarterly and Defence Journal』, Vol.118, No.1, (January 1988), pp.8-20 및 Peter Inge,“Development in the Land Battle,”『Journal of the Royal United Service Institution』, Vol.134, No.4,(Winter 1989), pp.11-15 등을 참조.Stromseth, op. cit., pp.206-207, Flanagan, op. cit., p.18.

「국방개혁 2020」에서 북한 이외 주변지역의 잠재 위협에 대한 참여정부와 이명박 정부 인식의 내용은이상호, “국방개혁 2020: 군사전략 측면에서 평가”‘『세종정책연구』’제5권 2호 (2009), pp.113-7 참조.

24)

25)26)

Ⅲ. 한국형억제전략확보방안

1. 한국형 억제전략의 실체와 요구사항

새로운 한국형 전략개념 채택에는 우선 명확한 전략목표의 설정이 필요하

며, 이를 위한 신 전략개념 목표의 한계 (limit)와 역 (boundary)을 규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우리의 전략목표를 북한 위주로 설정할지 아니면

지역위주로 할지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우리 군사력 건설 방향

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북한 위주의 전략 설정의 경우는 해외파병, 지역에서

의 잠재위협 대응, 대양해군건설 등 장기국가목표 달성을 위한 필수 고려 요

소가 무시될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참여정부의「국방개혁 2020」은 북한의

직접적인 위협보다 주변의 잠재위협에 주목하여 향후 우리 군사력 건설 방향

의 범위를 확대한 사실이 있다.26) 이는 정부가「국방개혁 2020」을 통해 국가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71

전략과 정책 그리고 이에 기초한 군사전략 설정방향을 분명하게 제시한 경우

이다. 또한 군사력을 방어력 위주로 설계하여 적의 공세를 차단 및 거부

(denial)하고 현 위치 사수하는 것을 전략목표로 삼을지 아니면 공세적으로 구

성하여 적에 대한 전승 (defeat)과 함께 적의 정권붕괴와 토점령까지도 목표

로 삼아야 할지 판단해야 한다. 예를 들어 우리가 대북한 억제력의 목표를 북

한공격의 차단 및 거부로 삼을 때와 응징(punishment)으로 규정할 때 우리가

확보해야할 전쟁 억제력의 성격과 군사력의 규모가 달라지기 때문이다.27) 억

제이론에 있어서 거부의 원칙은 적의 공격을 방어하고 적의 전력을 소모시키

겠다는 수동적인 개념을 의미하고 징벌에 기초한 억제력은 전시 적의 도발을

방어할 뿐만 아니라 적의 토점령 등을 통해 적의 위협을 원천 제거한다는

능동적이고 공격적인 개념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우리 정부의 대북 군사전

략개념은 주로 수동적이었으며 특히, 국민정부와 참여정부의 군사전략은 비

록 지상군 기동전력 강화 등의 공세적요소가 포함되었으나 북한을 주적에서

제외하고 미국과의 군사동맹관계를 재조정하는 등 북한과의 군사적 충돌을

제한하는데 목적을 둔 수동적이며 회피적인 성격이 강한 방어전략이었다.

그럼 우리가 채택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재래식 억제전략의 구성은 어떤 것일

까? 현실적으로 우리가 확보할 수 있는 억제력은 확고한 거부와 효과적인 징

벌의 성격을 가진 복합적 억제력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나토가 핵 억

제력과 재래식 역공세를 기반으로 한 보복·응징형 억제전략을 도입하여 성

공한 사례를 착안할 필요가 있다. 전면전 경우의 순수 군사적인 측면에서 우

리가 가장 우려해야 하고 대비해야 할 북한의 도발은 순간기습에 의한 기습공

격일 것이다. 물론 천안함 사태를 비롯하여 한국전쟁 이후 지금까지 북한은

전면전 회피 성격이 강한 비정규전 공격을 선호했기 때문에 우리는 이런 형태

의 도발에 충분히 대비해야 하지만 무엇보다 우리가 가장 우려해야 하는 북한

과의 전쟁 상황은 북한의 기습공격에 의한 재래식 전면전이다. 우리는 이미

한국전쟁 당시 기습공격에 의해 국가방위가 속수무책으로 붕괴되는 상황을

경험하 다. 우리가 기습 시나리오에 대비해야하는 다른 이유는 경제적 어려

움에 봉착한 북한의 현 상황 때문에 북한이 전쟁을 결심할 경우 기습공격 이

172d세종정책연구e2010년 제6권 2호

이상호, “국방개혁 2020: 군사전략 측면에서 평가,”『세종정책연구』, 제5권 2호 (2009), pp.113-7 참조.억제력의 여러 유형과 성격에 대한 설명은 Mearsheimer, op. cit., 제 1, 2장 참조.27)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72

한국의 대북 전쟁억제력 강화방안 연구 173

외에 다른 형태의 도발은 어렵기 때문이다.

동 시나리오를 선택할 경우 북한은 사전경고나 정치적 긴장 조성과정을 거

치지 않고 기습적으로 모든 전력을 전선에 집중한 공격을 개시할 것이며, 우

리가 전열을 가다듬기 전 최소한 서울과 수도권 지역의 전략요충지를 신속하

게 공략하면서 우리의 전의를 분쇄하려 할 것이다. 북한전력의 집중적인 전진

배치는 이런 작전의도를 대변해 주는 것이라고 판단한다. 그 의도가 우리와

미군으로부터의 공격을 최전선에서 방어하겠다는 북한 나름대로의 전진방어

전략 추구를 위한 방어적 배치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OMG의 종심공격에 기

반을 둔 공세중심의 작전교리를 채택하고 있는 북한의 기습작전을 수행하기

위한 합리적 전력배치라고 보는 게 더 타당할 것이다. 특히 수도권 지역을 중

심으로 집중 되어있는 우리 전략 요충지들의 위치를 감안할 때, 개전 초기 우

리 군은 이 지역을 중심으로 한 방어위주의 전투 수행에 집중하려는 유혹과

요구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나, 우선 군은 우리 군과 국민에 대한 피해를 최소

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어 작전을 수행해야 한다. 이런 약점을 노린 북한은 군

보다 민간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전방 포대 및 항공세력 그리고 재래식 탄

두로 무장한 미사일 공격을 단행하고 북한 해군 및 지상군 특수전 부대의 침

입 및 후방 교란을 시도할 것이다. 특히 북한이 기습에 의해 주도권을 확보한

다면 북한은 자신의 의지대로 화력과 기동력을 원하는 장소와 시간에 집중하

게 되고, 이 경우 북한이 우리 수도권을 볼모로 잡으면서 전쟁을 북한의 의도

대로 주도해 나가는 환경이 조성된다.

이런 상황을 방지하고 전쟁의 주도권을 재 장악하려면 우리 군은 단지 적의

공격을 휴전선 근처에서 우선 방어하고 이후 반격에 나서는 순차적인 대응 시

나리오를 채택하기기보다는, 북한 지역에서 기동 중인 적의 후속 제대와 보급

라인 그리고 개성-평양축선의 주요 전략요충지를 목표로 한 즉각적인 대규모

역공세에 돌입해야한다.28) 우선 북한의 공격을 휴전선 주위에서 차단시키는

과정에서 적의 전력 (병력, 무기 등)을 최대한 소모시켜 북한이 효과적인 전투

를 수행하기 어렵게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어찌 보면 전진방어에 기초한 소

모전의 한 형태로 오해할 수 있으나, 사실 적 전력의 의도적이고 조직적인 대

한미연합군이 2009년 키리졸브 연습에서 북한 국경을 월경하여 공격을 실시했다는 사실에 대한 언론발표는“한·미군, 워게임 첫 압록강 진격,”『중앙일보』, 2009.3.3 기사 참조.

28)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73

규모 파괴를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육군과 공군이 적의 장사정포 공

격을 차단하고 대규모 화력전을 전개하겠다는 계획이 충실하게 보완된다면

이는 충분히 달성 가능한 목표가 될 것이다.29)

이는 군의 역공세작전의 핵심 목표는 서울이 휴전선에 근접해 있기 때문에

수도와 시민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북한에 대한 직접적인 공세를 취해 전

장의 종심을 휴전선 이북으로 이동시키므로 제 2의 전선을 구축하는 것으로서

의 주도권 확보를 노리는 방법이다. 작전기동과 우수한 무기체계로 적 전력의

대대적인 소모를 강요하는 소모전과 작전기동을 통해 적의 후방으로 공격범

위를 확대하여 대규모의 역공세를 통해 적의 전쟁의지를 분쇄하는 과정이다.

이 경우 작전목표는 적의 주공과 전력 그리고 적의 지도부가 포함되며, 특히

적의 정치·군사 지도부를 조기에 제거할 경우 전쟁에서의 전략적 우위를 확

보할 가능성은 더욱 확대될 것이다.30) 이를 위해 나토의 입체공지기동전과 같

은 적극적인 공세적 작전을 통해 과감한 역공세 기동전을 전개해야 하며, 특

히 매우 신속한 대규모 공세적 작전의 실시가 요구된다. 우리군도 1989년 이

후 미국의 공지전교리의 도입으로 작전술 (operational art) 개념의 전투수행

방법을 숙지하 고, 그 결과 현재의 NCW-EBO (네트워크중심 효과기반작전)

기반 공지입체기동전개념을 채택한바 있다.31)

공지입체기동전과 NCW-EBO 작전의 성공 사례로는 1991년 걸프전과 2003

년 이라크전을 들 수 있다. 걸프전의 경우는 전통개념의 공지입체기동전으로

서 주요 참전국인 미국과 국은 유럽에서 소련을 굴복시키는데 중요한 역할

을 했던 공지전과 지공전 교리를 적용하여 대규모 기동전을 주도했다.32) 동

전쟁 기간 동안 유럽에서의 전쟁을 염두에 두고 개발된 J-STARS, C4I체계,

MLRS, 아파치 공격헬기, M-109A6 팔리딘/AS-90 자주포 등의 장비가 대규모

로 투입되었으며, 성공적인 기동전 수행의 중요 사항들인 정보전과 심리전의

요소도 충분히 활용되었다. 특히 지휘통제전 (Command and Control War)

수행을 통해 이라크군 지휘부를 무력화 시키려고 했으며, 장기간의 공중폭격

174d세종정책연구e2010년 제6권 2호

대응전력으로 MLRS 등 화력을 획기적으로 강화하는 조치 고려. “고비용무기 연기, 북핵 대응무기 조기도입,”『연합뉴스』, 2009.5.10 기사 참조.관련 개념은 이상호, 2009, pp.127-9 참조.한국에서의 NCW 활용 및 문제점에 대해서는 이상호, “군사전략차원에서 정보·사이버전의 효용성,”『세종정책연구』, 6권 1호 (2010), pp.59-65 참조.

29)

30)31)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74

한국의 대북 전쟁억제력 강화방안 연구 175

과 각종 심리전 전개를 통해 적에 대한 심리적 우위 확보하여 이후 감행된 기

동전 기반 지상전투를 불과 100시간 만에 종결하는 획기적인 전승을 달성한

다.33) 비록 한반도의 산악지형과는 상이한 사막에서의 전투 다는 점을 감안

하더라도 획기적인 승리 다.

2003년의 이라크전은 NCW-EBO 기반의 충격 개념의 진일보한 형태의 기동

전이었고, 따라서 동 전쟁의 별칭을「Shock and Awe (충격과 공포)」라고 지

칭하게 되었다. 이라크전은 정보력과 기술력의 우위인 미국이 제공권을 확보

하여 적의 전장에서의 활동을 압도적으로 제압하면서 승기를 확보했다. 걸프

전과 같이 적 전력 소모를 위한 사전 공중폭격 없이 항공작전과 함께 지상에

서의 대규모 기동전이 동시 진행된 것을 보더라도 막강한 정보와 과학기술적

우위를 확보한 가운데 치러진 이라크전의 승리는 실로 엄청난 성과가 아닐 수

없었다.34) 특히 미 지상군은 정보자산을 적극 활용하여 적의 중요 방어지역을

회피하여 기동하면서 적의 전력을 고립시키고 격파하여 신속한 종결을 유도

할 수 있었다. 이라크전이 첨단 과학기술전쟁이었다는 증거는 PGM (정 유

도무기: Precision Guided Munition) 사용 비율에서 증명되는데 걸프전에서는

이 비율이 6% 으나 이라크 전에서의 60%, 이후 아프간 전쟁에서는 90%에

이른다.35) 또 다른 요소로는 효과적인 C4체계 확보와 24시간 전투 수행능력이

었다. 또한 고속기동전 수행을 원활히 하기 위해선 적재적소에 집중할 수 있

는 고도의 화력위주 전투가 수행되었다. 무엇보다 ISR (Intelligenc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자산과 제공권 확보·유지를 위한 막강한

항공 전력의 기여가 컸다. 현대 기동전 수행에 있어 지상 전력의 신속한 기동

보장과 적 전력의 이동 제한을 위한 제공권 확보는 절대적인 요구이며, 24시

걸프전에 대한 미국의 공식 성과분석은 Department of Defense, Conduct of the Persian Gulf Conflict-Final Report to Congress, (Washington, D.C.; USGPO, 1992); 국은 Ministry of Defence, OperationGranby: An Account of the Gulf Crisis 1990-91 and British Army's Contribution to the Liberation ofKuwait, (Army Code 71512, 1991); House of Commons, Defence Committee session 1990-91:Preliminary Lessons of Operation Granby, (1991. London, HMSO) 등을 참조.걸프전 당시 각종 작전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James F. Dunnigan and Austin Bay, From Shield to Storm,(New York: William Morrow & Co., 1992) 및 Lawrence Freedman and Efraim Karsh, The Gulf Conflict1990-1991, (London: Faber and Faber, 1993)을 참조.Max Boot, War Made New: Weapons, Warriors,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London:Gotham Books, 2006), pp.307-318에 기술된 이라크전 작전 사례를 참조. 이라크전 PGM 사용 비율은 공군전투발전단, 『이라크전쟁』, (2003.7), p.74 참조.

32)

33)

34)

35)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75

간 실시간 작전 지원을 위한 C4 및 ISR 자산 역시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

이다.36)

이미 우리 군도 걸프전과 이라크전 그리고 아프간전의 교훈을 적극 활용하

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가 고찰하는 한국형 억제전략 도출을 위한 역사적 교

훈과 이론적 타당성은 과거 나토의 경험과 이들 전쟁의 사례 연구를 통해 확

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 이제 우리는 최근의 전쟁 경험을 기반으로 현

대 작전술과 육·해·공 (Land-Sea-Air) 입체작전개념을 우리 실정과 환경에

맞게 변형하여 진일보한 우리 고유의 억제력 확보 도구로서 완성시키는 노력

이 필요한 시기라고 판단된다. 특히 전면전의 경우 방어적인 전투보다는 공세

적이며 징벌적인 작전, 제공권과 최신 과학기술기반 첨단무기체계 확보, 걸프

전보다는 이라크전 형태의 NCW-EBO 기반 충격개념의 고속 기동전을 기본으

로 한 전쟁개념의 도출이 필요하다.

2. 한국형 억제전략의 중장기 목표

전쟁 억제력 측면에서 그 효용성이 중요시되고 있는 핵 억제력을 보유한 국

가는 여전히 극히 적은 수에 불과하며, 우리의 경우 역시 미래 핵 억제력을 보

유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선택이다. 또한 충분한 재래식 억제력의 확보도

난감한 상황에서, 이에 따른 엄청난 재원이 소요되는 재래식 전력 건설에는

많은 고통이 따르고, 국가의 경제적 능력을 초과하는 국방비 지출에 대한 국

민들의 저항이 큰 상황이다.37) 재래식 억제력의 중심이 되는 과학기술 측면에

서도 현대의 무기체계 개발에는 너무나 많은 자금과 시간이 투자되기 때문에

이를 독자적으로 개발·배치 할 수 있는 국가들 역시 많지 않다는 사실을 감

안해야 한다. 또한 이와 관련 다양한 원천기술 및 소재기술 역시 한 국가가 독

점할 수도 없는 게 현실이며, 따라서 현실적인 의미에서의 우리가 추구할 수

있는 전쟁 억제력 확보란 다양한 국가, 세력 및 단체, 그리고 개인으로부터 그

도발을 사전에 충분히 억제할 수 있고, 실패했을 경우 신속한 대응으로 피해

176d세종정책연구e2010년 제6권 2호

현대전에서의 제공권 확보 중요성과 이라크전에서의 사례는 Ibid., p.72를 참조.「국방개혁 2020」수정안에서 총 22조원의 예산이 삭감된 내용은“국방개혁 2020 수정안 허실”, 『서울신문』, 2009.6.1 기사 참조.

36)37)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76

한국의 대북 전쟁억제력 강화방안 연구 177

를 최소화하며, 필요시 적에게 응분의 대가를 치르게 함으로서 유사사태 재발

을 방지하는 것이 될 것이다.

보다 세부적으로 현재 수준에서 우리 한국이 확보 가능한 한국형 억제력의

우선 목표는 대북한 전쟁 억제력으로써 강력한 재래식 보복능력에 기반을 둔

적극적 억제력일 필요가 있다. 우리 군은 신 전략목표 달성을 위해 이미 작계

5027과 같은 공세적인 작전개념을 채택하여, 전시 북한에 대한 역공세와 북한

정권 붕괴를 유도하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38) 그러

나 과연 우리 군이 미국의 지원 없이 독자적으로 또는 제한적이나마 독립적인

억제전략 또는 작계 5027과 같은 공세적 전략개념을 실현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지 판단해 볼 필요가 있다. 만약 적을 조기에 차단하고 신속하

고도 결정적인 기동을 통해 적의 재래식 전력을 섬멸하지 못할 경우 북한의

핵 또는 생화학무기 보복을 초래하게 될 가능성이 커진다. 또한 북한의 지도

부 조기제거에 실패할 경우에 따른 딜레마도 존재한다. 개전과 동시 적의 지

도부를 제거하고 북한주민의 민심을 확보하여 적의 대량살상무기 사용 이전

에 종전을 유도하는 것이 최상의 시나리오가 될 것이다. 만약 동 시도가 실패

할 경우의 대안으로는 적의 재래식 전력을 신속히 섬멸하여 북한의 재래식 공

세와 위협을 봉쇄하고 북한지도부에게 대량살상무기 사용에 따른 보복을 경

고하여 대화와 타협을 유도함으로서 핵과 생화학무기 사용을 억제시키는 방

안을 고려 할 필요가 있다. 단기적으로는 확전을 회피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

한 지도부의 군사행동 실패로 인한 자멸을 유도하는 차선책일수 있다. 특히

우리의 이런 선제적 응징을 위한 공세적이고도 적극적인 공격은 북한과도 같

은 핵을 비롯한 대량살상무기 보유국가에 대한 강력한 억제력을 제공해 줄 것

이다. 이 경우 무엇보다 북한의 전투 지속력과 국가기능 유지에 필요한 요소

를 매우 신속하게 결정적인 작전을 통해 파괴하는 것이 필요하다.39)

동 시나리오 실현을 위해 우리가 북의 재래식 도발을 초기에 분쇄 할 수 있는

확고한 억제력과 전쟁 의지를 가지고 있음을 북한에게 인식시켜야 하고, 만일

5027시리즈 작전계획에 대한 상세 내용은 http://www.globalsecurity.org/military/ops/oplan-5027.htm 를 참조.기습과 공세적인 작전 그리고 신속하고도 결정적인 작전 수행이 대량살상무기 보유국에 대해 효과적인 억제력이 될 수 있다는 내용은 John Stone, “Politics, Technology and the Revolution in MilitaryAffairs”, 『Journal of Strategic Studies』, Vol. 27; 3 (2004) p.422와 p.424 참조.

38)

39)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77

북한이 핵무기를 사용하거나 사용을 고려할 경우 한미연합군의 즉각적이고

엄청난 규모의 보복이 있으리란 사실을 각인시켜야 한다. 이는 이미 언급한

나토의 핵과 재래식 억제력의 복합적인 전쟁 억제력 사고와 유사한 개념으로,

유럽에서 구소련의 위협을 무력화 시키고 궁극적으로 소련의 냉전 종식의 결

단을 가능케 한 증명된 개념의 발전형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동

개념은 미국이 냉전당시 유럽에서 서독의 안전보장과 지역에서의 전쟁억제를

위해 선택했던 대안과 유사하다. 미국은 유럽에서 핵 선제공격과 핵 보복 의

지를 강력히 시사하여 핵전쟁 발생을 억제하 고, 재래식 전력만으로도 소련

의 공격을 조기에 방어함은 물론 동유럽 지역 일부를 점령하여 소련을 응징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과시하여 냉전에서의 승리를 쟁취하 다는 내용은 이미

전장에서 다룬바 있다. 따라서 우리가 나토의 사례와 유사한 강력한 재래식

억제력을 확보하려면 미국이 우리에게 확장억제력 기반의 강력한 핵우산을

보장하고, 주한미군 전력을 보강 또는 감축을 보류하고, 위기 발생 시 제한적

인 수준이라도 한국내의 핵무기 배치도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우리

대북 재래식 억제력의 효용성 확보를 위해 미국의 확고한 핵 보복의지가 필요

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이미 노후화된 북한의 재래식 대응력을 더욱 축소

하고, 핵 보유에 따른 고통은 계속 강요하면서 강력한 재래식 전력으로 북한

의 재래식 도발 억제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반면 지역에서의 불특정 미래 위협에 대해서는 우리 자체적 재래식 억제력

과 제한적이나마 응징·보복능력의 확대가 필요하다. 비록 우리가 북한의 도

발에 최우선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전략목표임을 재인식해야 하

나, 「국방개혁 2020」원안이 제시한 다양한 잠재위협에 대한 대비도 결코 소홀

히 할 수 없는 중요 과제임은 분명하다. 대지역 제한적 보복능력기반 억제력

확보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보다 지역에서 적대행위 발생 시 전쟁 재발방지 및

예기치 못하게 전개될 수 있는 전쟁이외의 한반도지역 급변사태 또는 분쟁이

후 급작스레 촉발될 수 있는 통일 시나리오에 대비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며,

이 과정에서 우리가 우리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는 최소한의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북한 급변사태 발생 시 우리와 중

국 간의 상반된 이해로 인한 충돌 가능성이 상존하여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

하다. 중국과의 분쟁에는 미국이 필연적으로 개입하여 본격적인 확전은 억제

되겠지만 중국과의 갈등 확대를 우리 자체능력으로 제한할 수 있는 능력을 확

178d세종정책연구e2010년 제6권 2호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78

한국의 대북 전쟁억제력 강화방안 연구 179

보하는 노력은 미래 전개될 한반도 위기 상황에서 주효한 대안이 될 것임이

분명하다. 이는 일본과의 잠재 갈등 상황에서도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것이

다. 무엇보다 우리와 중국 또는 일본 사이에서 잠재 갈등상황이 발생했을 경

우 미국이 전적으로 우리 편에 서서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는 기대는 결코 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동 전력은 통일 이후에는 동

아시아 및 여타 지역에서의 합리적 수준의 억제력 확보, 이후 대테러전쟁 및

지역분쟁에서의 국익보호 등 다양한 미래의 국가 도전 과제에 대응해야 하기

위한 적당한 수준이라고 판단된다. 충분하지는 않겠지만 언급한 지역내외에

서의 목표 달성이 가능한 수준의 재래식 전력을 보유한다면, 통일 이후 주변

에서의 가상 위협도 유연히 대처할 능력이 확보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비

록 미국의 핵우산에 계속 의지해야 하는 등 불완전한 개념이지만, 우리가 핵

보유를 추진하지 않을 경우 타협이 가능한 대안이다. 특히 북한과 주변국을

과도하게 자극하지 않는 방향에서 확보할 수 있는 안정된 전략이며 우리가 가

질 수 있는 효과적인 억제력 확보의 방편일 수 있다고 평가한다.

손자의 경구에서 인용되듯 전쟁을 하지 않고 이기는 것이 중요하고, 그 이전

에 적으로 하여금 전쟁을 도발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대적 개념

의 억제력은 수세적 방어력의 차원을 초월한다. 특히 현대 정보사회에서 우리

가 경제적 한계를 무시하고 군사력 증강에 나선다고 해도 주변국들에 대한 대

칭적 군사력 확보는 어렵기도 하지만, 이를 추구할 경우 많은 국가적·국민적

희생이 따를 것이다. 또한 현재로서는 현실적으로 그 효과가 증명된 핵 억제

력의 보유 또는 유사 비대칭적 군사력의 확보 역시 매우 어려운 선택일 수밖

에 없다. 따라서 위에서 제시된 억제력 옵션은 우리의 현실을 감안한 한국군

이 당장 확보 가능한 합리적인 수준에서의 억제력인 것으로 판단된다.

Ⅳ. 한국형억제전략강화방안

1. 우리 군의 단계별 억제력 행사 대안 평가

우리 군이 사용할 수 있는 억제력 행사 방법은 북한 또는 기타 국가들의 위

협 수위별로 선택이 가능하다. 우리 군이 신 전략개념을 기반으로 위기 발생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79

시 전쟁발발 또는 확전을 방지하기 위해 각종 상황에 따른 대응책에 대해 구

체적으로 논의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특히 북한의 여러 형태 잠

재위협에 따른 수위별 대응방향에 대한 대안마련이 요구되며, 이는 위기발생

을 사전에 제한하거나 발생시 사전에 준비된 단계별 대응을 통해 위기가 확대

되지 않게 하거나 피해를 최소화하여 위기상황을 종결하는 군사적 대안이 우

리 군의 대북 억제력 강화의 주요 목표가 되기 때문이다. 억제력 행사 방법에

는 대북 대안과 북한 이외 국가로부터의 도발에 대한 대안이 있으나, 구체적

으로 현존하는 위협이라는 측면과 시급성을 감안하여 대북 군사대안을 중심

으로 분석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우리 군이 단독으로 또는 필요시 미국과 공

동으로 선택 가능한 위기단계 별 대북군사 대안은 다음과 같다.

통상적 또는 제한적 군사대응: 「전력강화 및 증원」, 「군사훈련」및「무력시위」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병력을 증원하고 전투력 향상과 전력 과시를 통해

전쟁 억제력을 강화하는 방어적 군사 활동으로 북한위협 감지시 우선 선택

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직접적인 군사충돌 위험이 제한되기 때문에 즉

시 활용이 가능한 대안이다. 특히 북한과의 우발적 충돌 또는 북한의 국지

적·저강도·비정규 도발에 대비에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 대안의 성공사

례로는 1976년 북한의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 발생 당시 한미연합군의 적

극적인 병력증강조치로 북에 대한 응징의지 과시하여 북한의 사과를 이끌

어낸 경우를 들 수 있으며, 이는 이번 천안함 사태 응징을 위해 당장 채택

가능한 대안이기도 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북한에 대한 응징차원으로 ①

NLL 및 휴전선에서의 북한 각종 도발 엄정 대응 및 즉시 응징 ② 서해 지역

대잠수함전력 증강 및 각종 군사훈련 개시 ③ 기가입한 PSI 활동 강화 ④

한반도 전지역내 한미연합군사력 증강 ⑤ 팀스피리트 등 각종 한미군사훈

련 강화 또는 재계 등의 선택이 가능하다. 특히 팀스피리트 또는 이와 유사

한 실전 FTX (Field Training eXercise) 훈련은 한미연합군이 북한에 대한

공세적이고도 징벌적인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

다는 사실을 확실하게 과시하는 방법이다.

180d세종정책연구e2010년 제6권 2호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80

한국의 대북 전쟁억제력 강화방안 연구 181

적극적 군사대응: 「해양봉쇄」및「포괄봉쇄」

동 대안은 본격적인 교전 이전단계의 조치로 제한적이나마 적을 실제로

응징하거나 굴복시키는 대안이며, 외교적 제재 (sanction) 와는 별개의 직

접적인 군사 대응방법이다. 해양봉쇄의 경우는 항만 봉쇄, 함선 나포 및 통

과 저지 등의 조치를 의미하며, 고도의 긴장은 유발하나 전면전 상황으로

발전 가능성은 포괄봉쇄에 비해 제한적이다. PSI 조약 준수를 위한 활동

강화 차원이 아닌 엄격한 실행이 큰 의미에서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포괄

봉쇄는 육상·해상·항공교통의 전면봉쇄를 의미하고, 국지적 충돌이 발

생할 가능성과 함께 전면전으로 확전될 가능성이 상존한다. 동 대안의 성

공사례는 1962년 쿠바 미사일 사태시 미국이 포괄봉쇄를 통해 위기를 해

결한 것을 들 수 있다. 2002년 12월의 예멘 행 북한 미사일수송선 나포사

건은 극히 제한적인 의미의 해양봉쇄에 해당되며,40) 걸프전이후 이라크에

서 실시되어온「비행금지구역 (No-Fly Zone)」역시 제한적인 봉쇄에 해당

된다.41)

공세적 군사대응: 「제한적 외과수술적 타격 (Limited Surgical Strike」및

「항공공격·폭격 (Air Strike)」

제한적 외과수술적 타격은 순항미사일 등 정 타격능력을 보유한 무기체

계를 이용하여 적·아의 인명 및 주변 지역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식의

응징방법이다. 이런 형식의 피해 통제 대안이 충분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

을 경우 공군력을 대규모로 동원하여 직접 공습하는 항공공격·폭격이 차

선책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42) 이 경우 사전정찰과 타격목표 획득 등의 이

유로 적진에 특수전 부대의 투입이 필요할 수도 있는 고강도 공세적 대안

이다. 이 경우 북한의 보복공격이 예상되며 최소한 제한적인 국지전 발발

2002년 예멘에서 북한 화물선 나포과정은“북한 화물선 나포과정,”『국민일보』, 2002.12.11 기사 참조.이라크 비행금지구역 설정관련 내용은“이라크, 위기유도로 관심끌기,”『문화일보』, 1997.11.17과

“부시 이라크 비행금지구역 정찰효과 증대 촉구,”『경향신문』, 2001.5.10 등의 기사 참조.항공 유도를 포함한 특수부대의 다양한 운용사례는, Max Boot, op. cit., pp.352-384에 기술된 아프가니스탄에서의 작전 참조.

40)41)

42)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81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과거 사례로는 1998년 클린턴 대통

령의 수단 테러리스트 시설에 대한 순항미사일 공격과43) 1986년 레이건 대

통령의 리비아 수도 트리폴리 폭격 등이 포함된다.44) 기타 사례로는 월남

전 기간 동안 캄보디아 지역에서「호지민루트 (Ho Chi Mihn Route)」를 겨

냥하여 실시된 미국의 장기폭격을 들 수 있다.45) 이스라엘의 이라크 원전

시설 폭격, 레바논 주둔 헤즈볼라 세력에 대한 폭격, 하마스 지도부 제거

등의 작전도 이 사례에 포함된다. 그러나 이런 형태의 제한적 공격이 적의

전의를 포기시킨 확실한 성공사례는 부재했고 결국은 미봉책에 머문 경우

가 대부분이었다. 물론 이 방식을 통해 적에 대한 보복과 응징 차원의 목표

는 달성했으나 적대행위의 종식에는 부족한 대안이었다.

선제적 재래식 군사대응: 「제한전쟁 (Limited War)」및「전면전쟁 (Offensive

Conventional War)」

제한전쟁은 북한의 군사적 위협이 기정사실화되는 상황에서 북한의 핵과

대량파괴무기로부터의 위협을 원천봉쇄하기 위한 선제적 군사대안이나,

실제 북한에 대한 군사적 선제공격을 감행할 경우 전면전으로 확전이 확실

시되어「제한전쟁」이란 목적의 달성은 불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면전

쟁은 작계 5027과 유사한 공세적 작전의 선제적 실행 등 북한정권 붕괴를

목표로 한 전면적 선제공격으로, 한미연합군의 최종 승리는 거의 확실시

되나 대규모 피해발생이 예상되며, 북의 핵과 생화학 무기사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동 시나리오의 성공 사례로는 2차 세계대전 중 독

182d세종정책연구e2010년 제6권 2호

클린턴 대통령의 수단 폭격관련 상세 내용은“U.S. missiles pound targets in Afghanistan, Sudan”,1998.8.21 CNN 보도 참조. 레이건 대통령의 1986년 리비아 폭격 성과와 의미는 Nicholas Laham, The American Bombing ofLibya A Study of the Force of Miscalculation in Reagan Foreign Policy, (Jefferson: McFarland &Company, 2007)을 참조.http://www.nautilus.org/archives/VietnamFOIA/background/HoChiMinhTrail.html (accessed2010.5.10)에서 관련 내용 참조.현대 기동전 사상의 원조인 전격전(blitzkreig)의 활용한 나치 독일은 1939년 폴란드와 1940년 프랑스 점령했고 나토의 역공세 기동전 사상도 독일의 전격전 교리에 착안한바 있음. Sangho Lee, opcit., 제 4장 참조.

43)

44)

45)

46)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82

한국의 대북 전쟁억제력 강화방안 연구 183

일의 폴란드, 프랑스 침공 등을 들 수 있으며46) 1991년의 걸프전과 2003년

의 이라크전 경우도 유사한 경우라고 평가할 수 있다. 1950년 한국전과

1973년 제4차 중동전쟁의 경우는 북한 및 아랍이 공격에 실패한 사례가 된

다47). 여기서 공통된 부분은 이들 성공사례는 모두 기습공격에 의한 선제

공격이었다는 사실이며 비록 최종적인 승리를 거두었으나 한국과 이스라

엘의 경우 선제공격을 당해 거의 패전 상황까지 갔었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선제에 의한 기습공격이 왜 최선의 전쟁수행 대안인가를

증명해 주는 사례들이다.

포괄적 선제 군사대응: 「전면전쟁-제한핵공격 (Offensive War with

Nuclear Option)」및「선제핵공격 (Preemptive Nuclear War)」

제한적 핵공격의 경우는 전면전 기간 중 북한의 핵과 생화학무기 사용이

확실시되는 상황에서 관련 장비, 시설 등에 대한 제한적 핵사용을 의미한

다. 선제핵공격의 경우 북한의 핵과 생화학 공격이 확실시되는 상황에서 북

한의 정치·군사 지도부, 관련 장비와 시설에 대한 핵 선제공격이 목표다. 미

국의 경우 한국전, 월남전 그리고 걸프전에서 전술핵무기 사용 가능성을 언

급한바 있다.48) 그러나 현대전에서 핵무기 사용이 실시된 경우는 전무하며,

군사적 의미에서 전장에서의 핵사용은 금기시되어 있다.49) 만약 동 시나리오

가 고려된다면 이는 국가가 존폐의 기로에선 최악의 상황에서만 내릴 수 있

는 정치적 판단에 의한 것이며, 이 경우 상당한 파괴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

된다. 비록 미·소 전면 핵전쟁과 같은 지구 종말적 포괄파괴는 아니지만 북

한의 핵무기 보유 현황과 미국의 소형 전술핵의 파괴력을 감안할 경우 한국

의 여러 지역이 히로시마/나가사키와 같은 운명을 맞이할게 분명하다.

1973년 제 4차 중동전에 대한 상세 내용은 Anthony H. Cordesman and Abraham R. Wagner, TheLessons of Modern War, Vol. I, The Arab-Israeli Conflicts, 1973-1989, (Boulder: Westview Press, 1990)제 2, 3장에 상세히 기록.한국전에서는 맥아더 장군이, 월남전에서는 웨스트모어랜드 장군이 핵무기 사용 가능성 발언을 한사례는 이미 잘 알려져 있고 걸프전에서는 슈워츠코프 장군의 핵사용 가능성을 언급. TheIndependent지 1993.7.26자 기사“Pentagon wanted to fire ‘abusive’Schwarzkopf: A new bookclaims Gulf war allied commander threatened and humiliated his senior military staff”참조. 나토에서의 교훈으로 핵무기는 실제 전쟁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무용론임. 각주 13번 참조.

47)

48)

49)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83

184d세종정책연구e2010년 제6권 2호

단계

1

2

3

4

5

대응수위

통 상

적 극

공 세

선제적재래식

포괄적선 제

군사행동

전력/병력강화(Reinforcement)

군사훈련(Field Training Exercise)

해양봉쇄(Naval Blockade)

포괄봉쇄(General Blockade)

제한공격(Surgical Strike:순항미사일사용)

항공공격(Air Strike)

제한공격(Limeted War)

전면전쟁(Full-Scale Offensive War)

전면전쟁-제한핵공격(Offensive War withNuclear Option)

선제핵공격(PreemptiveNuclear War)

내용

병력증원, 장비증파, 항공모함 등미해군력배치, 북한사정거리내폭격기배치등

팀스피리트 재개 등 기동훈련개시,전쟁의지과시, 병력및장비증원·증파

북한 입출입 선박 통행 제한 등

지상·해상 및 공중 완전 봉쇄

북한의 특수전 부대와 시설, 잠수함기지 및 핵시설 등에 대한 제한적

순항미사일 공격

북한내 여러 군사목표 및 핵을 포함한 각종 위협시설에 대한 특수부대 투입과 항공

폭격 공격

제한적·국지적 공세적 전쟁 또는 북한의 선제공격 이후 방어적 국지전쟁 수행

작계 5027 실행 등 북한 정권 붕괴를 목표로한 선제공격에 의한 재래식 전쟁

선제공격에 의한 재래식 전쟁 중 북한의 핵 또는생화학 공격이 감지되었을 경우, 관련 시설 및

전력에 대한 제한적 핵무기 사용

북한의 핵 또는 생화학무기 선제공격이 확실시되는 시점에서 관련시설, 전력에 대한 선제

핵무기 공격과 추가 재래식 공격

<표 1> 각종 대북 군사대응 대안

보다 현실적으로 현재 예측 가능한 우발적인 전쟁 시나리오는 크게 세 가지

가 존재한다. 우선「제한적 대응」의 경우로 한국과 미국이 북의 미사일시험을

제지하기 위해 공해상에서 북한의 미사일을 요격하는 과정에 충돌이 발생하

는 상황을 가정할 수 있고, 「우발충돌」의 경우는 북한에 의한 미국 정찰기 요

격 과정에서 상호충돌이 발생하는 상황을 전재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의

도적 응징」의 경우는 이번 천암한 사태에 대한 보복·응징작전 전개 시 발생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84

한국의 대북 전쟁억제력 강화방안 연구 185

가능한 교전 상황을 들 수 있다. 이런 무력 충돌로 예상되는 최악의 결과로는

미국의 일방적 북한 핵시설 폭격 등의「공세적 대안」과 함께 현재 가장 우려

되는 상황으로 만약 이런 군사적 행동이 다수의 국지적인 충돌과 교전으로 확

대될 경우 전면전을 촉발할 수도 있는 상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군사행동의 성공적인 종결을 위해 다음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우선 북한의 전력·지형·주변국간의 이해관계를 고려할 때 우발적 충돌에

따른 분쟁의 확전은 장기화될 확률이 크며, 따라서 속전속결을 위해서는 전면

적 선제공격을 고려해야 한다. 우리가 확고한 준비나 각오 없는 상황에서 전

선택사유

억제력강화

억제력강화·전투력향상·전력과시

제한적압박·강력대응의지천명

적극적압박·전쟁불사의사천명

인명피해통제상황에서북한응징및전쟁불사의사

천명

인명희생이확실시되는상황에서포괄적응징의지

천명

북한에대한포괄적응징및정치·군사지도부약화/

제거

북한정권타도를통한남북문제의원천해결

북정권타도및핵공격에대응한선제적조치

북한의대응

경계강화

자체대응훈련실시·비상체체돌입

전시체제돌입·봉쇄에대한도전시도

전쟁체제돌입·봉쇄돌파시도

대공방어전투및포병전력을사용한제한적보복공격

개시

대공방어전투및미사일을사용한제한적보복공격개시

해상·공중도발및국지적지상전전개

전면적방어전돌입

전면적방어전돌입/공세적핵·생화학공격실시

예상피해

별무

별무

경제피해

긴장고조/경제일부피해

포괄파괴

대량파괴

남포괄파괴

부분파괴

경제·사회일부피해

포괄피해

전시태세돌입/경제·사회

일부피해

부분적파괴

경제·사회일부피해확대

군사행동

전력강화

군사훈련

해양봉쇄

포괄봉쇄

제한공격

항공공격

제한전쟁

전면전쟁

전면전쟁/제한또는선제핵공격

포괄파괴

경제·사회심각피해

<표 2> 대북 군사대응별 예상결과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85

면전으로의 확전은 남북한 모두에게 막대한 인명과 경제적 피해를 초래할 것

이며, 특히 핵무기가 사용될 경우 한반도는 대량파괴는 물론 낙진에 의한 피

해가 추가되어 매우 고통스러운 상황을 맞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과적으로

만약 한국이 북한과의 전면전을 회피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판단할 경우「전

면적 선제 재래식 공격」을 통한 속전속결만이 문제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제거

하며 한국의 피해를 상대적으로 최소화하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적어

도 이런 각오가 되어 있다는 사실을 북한이 인지하고 있을 경우 이것이 바로

우리가 북한에 대해 행사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재래식 억제력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2. 억제력 강화를 위한 정책적 고려 및 전력개선 방향

우리 군의 억제전력 보완에 필요한 정책적 고려 사안과 전력개선 요소들은

어떤 것들이 고려될 수 있을까? 우선 정책적인 고려 사안으로 발전된 한미동

맹을 들 수 있다. 한반도의 경우 여전히 냉전시대 유럽의 상황과 많은 유사점

을 가지고 있다. 우선 남북 양방의 대규모 재래식 전력이 휴전선을 경계로 대

치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전면적인 대규모 재래식 전쟁 발발가능성이 상존하

고 있다. 이 경우 한국의 현재 군사력 구조나 전쟁수행개념에는 몇 가지 문제

점이 있다고 보이며, 무엇보다 북한에 대한 한국만의 독자적인 재래식 방어력

과 억제력이 존재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특히 북한의 핵무기 보유가 기

정사실화되었다는 전제하에 미국의 확장억제력 제공을 보다 분명히 담보해야

할 것이다. 이는 결국 한미공동 전쟁 억제력 유지를 위해 주한미군의 인계철

선 역할의 지속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징적인 의미에서의 주한미군 전방배

치를 고려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우리는 미국에게 신 개념 인계철선에 대

해 핵무기 사용을 유인하는 인계철선이 아닌 한미공동 재래식 방어력과 억제

력을 행사하게 되는「한국형 유연대응전략」의 완성형이라는 설득을 펼쳐야

한다. 미국이 이런 우리 군의 의지를 받아들이게 하려면 우리가 스스로 북한

의 다양한 위협에 대비하고 응징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국 주한미군이 불필요하게 전쟁에 끌려들어가지 않게 하겠다는 확신을 갖

게 하는 것이 중요하고 우리가 노력하여 주한미군의 안전도 강화한다는 확신

을 줘야 할 것이다.

186d세종정책연구e2010년 제6권 2호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86

한국의 대북 전쟁억제력 강화방안 연구 187

이를 위해 우리 군은 다음 분야의 전력보강이 요구된다.

북한군의 공격을 조기에 섬멸하고 필요시 북한 전역을 대상으로 한 역공세

수행을 위한 균형 잡힌 육·해·공 합동 입체기동전 전력50)

유사시 핵시설을 포함한 북한 주요 전략시설과 정치·군사 지휘부 제거를

위한 첨단과학기술기반 신속정 타격 전력

불가피한 위기 발생을 초래할 수 있는 북한의 비정규전 도발 대비 전력

북한의 핵과 생화학 무기, 장사정포와 미사일 등 우리 국민을 인질로 하여

군의 공세적 작전 전개를 제한 할 수 있는 위협에 대한 대응능력

한미연합군을 북한의 핵무기 등의 비대칭 공격으로부터 보호해 주고 미국

의 한국에 대한 신뢰를 강화시켜 줄 수 있는「미사일 방어망 (MD: Missile

Defense)」51)

북한의 각종 위협과 도발을 조기에 탐지하고 즉시 대응할 수 있는 첨단 정

찰·감시·정보수집 능력

기뢰에 의한 해양봉쇄와 잠수함 기습 등 우리 군에게 고통을 강요하고 민

간의 전쟁지원 활동을 제한시킬 수 있는 잠수함 침투·공격방어 능력52)

북한 급변사태 발생에 대비한 북한과 국내 지역 안정화에 필요한 전력

언급한 전력이 확보될 경우 미국이 우리의 노력에 대한 신뢰확대 계기와 함

께 우리의 재래식 전력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한국형 억제능력을 강화시키

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와 관련 비록 예산제한과 삭감 등

어려운 환경에서도 우리 군의 해당분야 전력개선 노력은 지속되고 있다. 우리

군은 기동군단 창설 등 제한적이나마 우리 독자적으로 북한에 대한 공세적인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확충하는 중에 있다.53) 이를 위한 군의 공지전

「국방개혁 2020」원안에 기초해서 군이 추진하던 기동전 전력 강화는 2차원적 접근과 함께 고속기동전에 필요한 첨단과학기술 기반 지능형 지휘·통제체제 등이 부족한 무력 강화차원의 접근방식이기때문에 효과적인 작전개념과 부대 구성·규모에 대해 보다 깊이 논의하는 작업이 필요. 관련 분석은이상호, 2009, p.117-8 참조.미확정이나 한국의 MD 참여가능성은 깊이 논의되고 있음. 군“북위협대응‘지역 MD’미와 협의가능”, 『연합뉴스』, 2010.2.17 참조.이상호, 2009, p.134 표-2.

50)

51)

52)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87

기반의 입체기동전 개념을 진일보한 NCW-EBO 기반 기동전의 속전속결 개념

의 지향은 이미 논의하 다. 이미 언급한바와 같이 전쟁 발생시 우리나라 지

형에서는 적과 아군이 섞이게 되는 최악의 상황을 맞이할 것이며, 전선방어에

주력함과 동시에 역공세 기동을 통해 적의 무게 중심, 즉 적의 후속제대와 예

비대 그리고 수도를 공격하여 공략함으로서 신속한 전쟁의 종결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개선해야할 것은 육군위주의 2차원적인

전쟁수행 개념에서 탈피, 전군으로 하여금 합동·연합작전을 가능케 하는 진

화한 형태의 삼차원적 입체전략개념을 채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우리는 각 군

의 규모와 전투력을 분리해서 생각하는 구태에서 벗어나 육·해·공 삼군의

균형적인 전력 증강을 추진하고, 동 전력을 통합적으로 운 하여 전개되는 상

황을 합동하여 대응케 하는 구체적 전투수행방법과 군사력 운 사고를 좀 더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54) 특히 이 목표 달성에 필요한 기동전력의 적당한 규모

는 어느 정도인지 판단하는 고민도 필요하다. 전군의 기동전력화 추진은 엄청

난 예산의 압박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우리의 억제전력 확충에 또 다른 효과적인 수단은 각종 첨단정 타격자산에

있으며, 특히 고도의 정 도를 가진 순항·탄도미사일은 과거 핵무기 공격을

통해서 강요할 수 있는 피해를 재래식 공격만으로도 가능하게 한다는 이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핵무기가 없어도 핵무기만큼의 타격을 가할 수 있는 공

격력 확보가 필요하며, 이는 정 파괴와 동시에 대량파괴도 노릴 수 있는 정

유도무기와 미사일전력의 보강을 통해 확보할 수 있다. 현재 우리가 핵무기

보유나 지대지 미사일의 사거리를 우리 후방에서 북한 전지역을 사거리 안에

둘만큼 획기적으로 연장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이런 제한을 극복하는 대안으

로 효과가 있을 것을 판단한다.55) 강력한 타격무기체계의 확보는 한국형 억제

전력의 주요 구성요소로서「한국형 전략무기 3대 요소 (Triad)」를 확보하는

188d세종정책연구e2010년 제6권 2호

현재 한국군은 기동예비군단 편성을 목적으로 수도기계화사단, 양평기계화사단을 포함한 3개 기계화사단으로 기동군단 편성을 고려. 그러나 공지작전수행에 따른 근본적인 전력 부족으로 인해 동 군단이 한국의 독자적인 대북 역공세 능력을 제공해주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나, 적어도 작계 5027과 같은 작전을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한 선택임에는 분명. 한국의 기계화사단의 운 과 편성에 대한 내용은“육군 제30기계화보병사단 K1A1 전차 배치를 계기로 살펴 본 육군, 해병대 전차전력 발전방향”,

『디펜스타임즈코리아』, 통권86호 (2009년 8월) pp.138-145 참조. 국내 도입된 합동직격탄(JDAM)의 공산오차는 3M에 불과하고 현무지대지와 국산 순항미사일의 CEP 역시 매우 정교한 것으로 알려져 있음. 공군전투발전단, op. cit., p.72 참조.

53)

54)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88

한국의 대북 전쟁억제력 강화방안 연구 189

수단으로 볼 수 있다. 미국 경우 잠수함탑재 핵미사일·지상배치 핵미사일·

폭격기 탑재 핵무기 등 핵 억제 Triad 기반 타격 수단을 보유하고 있으나, 우리

의 경우 이와 부합하는 대안으로 고정 지대지 탄도미사일·순항미사일·정

항공타격능력을 한국형 Triad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물론 이 개

념의 도입이 억제력 강화를 위한 최상의 해결책도 아니고 기술적인 한계와 오

류의 발생 가능성도 높으나, 현재 우리가 미국과 주변국을 크게 자극하지 않

는 상황에서 확보 가능한 대안이라고 판단된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우리 군의 다양한 재래식 억제력 수단 확보 노력은 충실

히 진행되고 있다. 육군의 경우 다양한 전투승수자산과 최신무기체계를 확보

하면서 대규모 기동군단의 창설과 함께 특수작전수행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XK-2 흑표 차기전차 및 차기보병전투차량 (K-21)의 경우는 전투력과 기

동력 부분에서 국제적인 수준의 무기체계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K-9 자주포,

유도형 MLRS, 수리온 기동헬기 등으로 이어지는 신장비 도입계획을 통해 우

리 육군은 전 세계 최고수준의 전력을 확보하게 될 것이다.56) 이미 우리의 육

군은 세계 수준의 대규모 기동부대 및 특수부대를 운 하고 있고, 해병대의

경우는 미국을 제외하고는 전 세계에서 거의 유일하게 본격적인 상륙작전을

전개할 수 있는 막강한 전투력을 보유하고 있다. 공군의 경우 F-15K 추가 배

치 및 공중조기경보통제기(AWACS)과 패트리어트 (Patriot) PAC II 지대공 미

사일 도입 사업을 진행 중이며, 해군의 경우는 KD-2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

및 이지스함인 KD-3 세종대왕급 함정들의 건조와 KSS-2 (214급) 잠수함 추가

건조사업 등이 진행되고 있어 우리 해군의 현대화와 재래식 전투력 강화에 매

우 고무적인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특히 해군의 경우 KD-2와 KD-3 구축함에 국산 순항미사일을 탑재시킬 예정

이며 3,000톤급 이상의 배수량으로 계획 중인 국산 중형 KSS-3 재래식 잠수함

에도 순항미사일을 탑재할 계획이다.57) 또한 공군 역시 F-15K 등의 대형기체

에 순항미사일을 운용할 예정이라고 알려져 있어 제한적이나마 근 미래에 우

북한 미사일에 대한 대응전력으로 한국군 보유 탄도미사일의 사거리를 어떤 형식으로든 확대해야한다는 논의에 대해서는. “한국군 미사일 사거리 최소 700km는 돼야”, 『동아일보』, 2009.7.29 참조.지상군 전력이 과도하게 증강됨에 따른 문제점은 이상호, “북한 핵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 군의 전력증강계획 보완 필요성,”『세종논평』144호 (2009.6.23) 참조.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3,500톤급 국산잠수함 개발 가능성 보도를 한 연합뉴스 2004.1.16 보도를 우선참조하고 이후『조선일보』의“한국, 핵추진잠수함 개발키로”2004.1.26 기사 참조.

55)

56)

57)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89

190d세종정책연구e2010년 제6권 2호

<표 3> 군이 이미 보유했거나 보유할 예정인 타격자산(일부사례)

구분

국가

자산

전략

자산

작전

자산

전술자산

항공(Air)

공대지 순항미사일

Popeye 공대지미사일

SLAM-ER

JASSM

HARPY

JDAM-ER

HARM/Maverick미사일

JDAM/Paveway정 유도폭탄

해양(Sea)

공대지 순항미사일

잠대지 순항미사일

지상공격 전용 가능함대함 미사일

대지공격 순항미사일

5인치 장사정 함포

5인치, 3인치 일반 함포

지상(Land)

현무II, 현무III-C등순항미사일

미래 장거리탄도미사일

현무I

현무III-A/B

백곰/나이키(지대지용)

ATACMS

G-MLRS/MLRS

구룡 MRL

K-9 자주포

K-55 자주포

KH-178/179등 화포세력

리만의 제한적 보복수단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물론 이들 신형 무

기체계와 장비들의 도입이 전쟁 억제력을 보장 한다던가 억제력 강화를 위한

보복능력을 자동적으로 제공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이 우리의 토나 국익을

유린할 경우 적에게 언제 어디서든 우리가 원하는 방법으로 적의 도발에 보복

하고 응징하는 능력 보유 및 유사 방법으로 보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에 더욱 중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참조하고 이후『조선일보』의“한국, 핵추진잠수함 개발키로”2004.1.26 기사 참조.

Ⅴ. 결론

우리 군이 우리 자체적인 재래식 억제력을 확보해야 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특히 우리 군의 군사력 건설을 위한 정책지침서라고 평가할 수 있는「국방개

혁 2020」은 북한과의 전면전 및 한반도지역의 급변사태와 분쟁이후 급작스레

촉발될 수 있는 통일 시나리오, 또는 통일 이후 동아시아 및 여타 지역에서의

억지력 확보, 이후 대테러전쟁 및 지역 분쟁에서의 국익보호 등 다양한 미래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90

한국의 대북 전쟁억제력 강화방안 연구 191

의 도전과 과제를 염두에 두고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우리 한국이 추구해야

하는 범국가적 안보전략은 다양한 위협으로부터 국가를 보호할 수 있는 재래

식 전력기반의 국방력 및 유연한 억제력의 확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우선 북한에 대한 강력한 재래식 억제력을 확보하고, 이를 기반

으로 점진적 전투력 향상을 추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물론 핵무기 보유가 제

공하는 확실한 억제력 확보는 어렵지만 북한의 각종 위협에 적극적으로 대응

할 수 있다면 잠재 적국으로부터의 위협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

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북한의 위협에 맞설 수 있는 우리만의 재래식 억제력

확보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수단의 보복·응징능력을 확보하고 미래

역할에 부응하는 육·해·공 삼군의 균형 잡힌 전력발전이 매우 중요한 요소

라 판단된다. 따라서 우리 대북 억제력이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북한의

도발을 통제할 수 있는 효과적인「채찍」을 확보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제 4장

에서 기동전능력과 신속한 타격능력 확보, 북한 정치지도부 및 군 지휘부 조

기 무력화 등 8대 목표를 제시하 다.

우리가 중장기 억제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는 동안 우리의 안전과 억제력을

강화시켜주기 위한 단기적으로 실현 가능한 현실적인 수단은 한미관계의 공

고화이다. 특히 시급한 부분은 북한의 핵 위협이 현실화 된 상황에서 미국의

확장억제력을 보장해 줄 만한 수단의 강구이다. 상기 8대 전력개선 대상이 이

목표달성의 수단에 해당되기도 하며, 이런 맥락에서 상징적인 의미에서의 주

한미군 전방배치를 설득할 수 있고 전력개선 차원에서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연기 논의도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중장기적인 변화는 불가피하지

만 단기적으로는 한미동맹과 미국의 확장억제력을 통한 핵우산 확보가 현실

적으로 매우 강력한 대북 전쟁 억제력이라는 사실을 부인 할 수 없으며, 강력

한 한미공조체제 유지를 통한 북한위협의 평화적인 감소 유도가 가장 현명한

대안일 것이다. 차선책으로는 북한의 전면전 위협이 확실시 될 경우 우리의

재래식 억제력을 미국의 확장억제력과 함께 사용하여 선제적인 조치로 북한

을 굴복시키는 결심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선제공격을 통해 북한을 항복시킬

수 있고 그럴 능력을 확보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대내외 확신이 가장 큰 억

제 수단임을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가 필요하면 선제적이라도 억제력

을 행사한다는 각오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사고의 유연성이 허락될

경우 우리 군은 억제력 강화에 필요한 자신감과 능력을 충분히 확보 할 수 있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91

을 것이다.

그러나 이번 천안함 격침 사태를 통해 증명되었듯이 당장 북한이 선호하는 도

발의 형태는 북한 붕괴시나리오를 동반할 수 있는 전면전으로의 확전을 회피하

면서도 자신들의 의지를 확고히 하는 비대칭·비정규·비전통적 군사도발이다.

통상적인 DMZ와 금번 서해에서의 도발이외 예상할 수 있는 북한의 비대칭·비

정규 위협은 ① 핵과 생화학 무기를 사용한 테러 ② 중·장거리와 단거리 미사

일·장사정포 사용 협박 ③ 특수부대 침투 등의 은 한 군사도발 및 테러 ④ 작

년 7.7 인터넷 공격과 같은 사이버테러 ⑤ 항공기 또는 지상과 해상의 대중교통

수단의 폭파·납치와 같은 테러행위 등을 들 수 있다. 사실 테러행위나 천안함

사태와 같이 적의 소규모 기습공격을 사전에 방지하기란 매우 어려운 도전이다.

또한 이번 경험에서도 증명되었듯 급작스러운 국지적인 테러와 도발에 대해서

는 사태 발생시 위기대응과 관리, 피해 최소화 및 재발방지 등의 노력이 더 중요

시된다. 특히 간과해서 안 되는 사실은 과거 이런 국지적 도발을 응징하기 위한

봉쇄 또는 외과수술적 타격 등 제한적 보복조치가 성공한 사례를 찾기 어렵기 때

문에, 신중히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만약의 경우 우리의 전면전 의지

가 분명한 상태에서 실현 가능한 대북 대안을 일정 수준에서 끝내겠다는 판단으

로 실행하 을 경우, 오히려 북한에게 전쟁의 빌미를 제공하고 확전이 불가피한

상황이 전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우리가 억제력을 강화하기 보다는 섣부른

대응으로 우리 스스로 억제력을 손상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앞장에서 강조되었듯, 군의 군사전략 도출에 있어 국가전략, 국방정책 및

이를 실현코자 고려하는 작전개념의 설정과 수립과정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무엇보다 군사전략의 도출은 국가전략과는 달리 정책적인 제약요소에 제한받지

않아야 한다는 사실이며, 따라서 군사전략적 목표를 정치적으로 (재)해석 및 판

단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반드시 인식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정치적으로 위기

가 발생하면 평양을 단 시간 내에 점령하여 통일을 이루겠다는 판단이 매우 위험

한 것 일수 있는 반면, 군사전략적 차원에서는 충분히 고려해야만 하는 목표라는

사실이다. 만약 정치적으로 어렵다고 하여 군사전략의 실행이 불가능한 것이라

고 생각하게 될 경우 이것은 심리적인 의미에서 이미 군사전략의 효용성이 상실

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앞으로 우리 군은 국가전략과 정책 그리고 군의 전략과

작전의 경계를 분명히 구분하여 보다 진취적인 전략의 도출에 매진해야 할 것으

로 판단된다.

192d세종정책연구e2010년 제6권 2호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92

한국의 대북 전쟁억제력 강화방안 연구 193

정부 공식간행물

한 국

공군전투발전단. 『이라크전쟁』. 2003. 6.

나토 (NATO)

SHAPE (Supreme Headquarters Allied Powers Europe), ATP-35(A) Land------------Force Tactical Doctrine. Change 4, 1990.

독 일

Chalupa, Leopold. The Defence of Central Europe. A Lecture given at RUSI

------------on 13 November 1984.

Ministry of Defence. Operational Guideline (General Defence Plan: GDP).------------August 1987.

미 국

Department of Army. FM100-5 Operations. Washington, D.C., 1986.

Department of Defense. Conduct of the Persian Gulf Conflict--Final Report------------to Congress. Washington, D. C.: USGPO, 1992.

The US Congress, Office of Technology Assessment. New Technology for------------NATO: Implementing Follow-On Forces Attack. (OTA-ISC-309)

------------Washington, D.C.: USGPO, 1987.

House of Commons. Defence Committee session 1990-91: Preliminary------------Lessons of Operation Granby. 1991. London, HMSO.

Ministry of Defence. Operation Granby: An Account of the Gulf Crisis-----------1990-91 and British Army's Contribution to the Liberation of------------Kuwait. Army Code 71512, 1991.

British Army. Design for Military Operations: The British Military Doctrine.------------Army Code 71451, 1989.

British Army. Army Doctrine Publication (ADP): Operations. Vol. I., (Pre-

참고 문헌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93

194d세종정책연구e2010년 제6권 2호

------------publication Edition), 1994.

서 적

Alternative Defence Commission. Without the Bomb. London: Paladin,------------1985.

Betts, Richard K. Surprise Attack. Washington, D.C.: The Brooking's

------------Institution, 1982.

Boot, Max. War Made New: Weapons, Warriors, and the Making of the------------Modern World. London: Gotham Books, 2006.

Booth, Ken and Baylis, John. Britain, NATO and Nuclear Weapons.------------London: Macmillan, 1989.

Brown, N. and Farrar-Hockley, A. Nuclear First Use. London: Buchan and

------------Enright, 1985.

Cordesman, Anthony H. and Wagner, Abraham R. The Lessons of Modern---- ------War, Vol. I, The Arab-Israeli Conflicts, 1973-1989. Boulder:

------------Westview Press, 1990.

Dunnigan James F. and Bay, Austin. From Shield to Storm. New York:

------------William Morrow & Co., 1992.

Flanagan, Stephen J. NATO's Conventional Defenses. London: Macmillan,

------------1988.

Freedman, Lawrence. The Evolution of Nuclear Strategy. 2nd ed. New

------------York: St. Martin’s Press, 1989.

Freedman, Lawrence and Karsh, Efraim. The Gulf Conflict 1990-1991.------------London: Faber and Faber, 1993.

Hackett, John. The Third World War. London: Sphere Books Ltd., 1978.

Holden Reid, Brian and Dewar, Michael, ed., Military Strategy in a Changing------------Europe. London: Brassey’s, 1991.Kaiser, Karl and Roper, John. ed., British-German Defence Co-operation.------------Surrey: Jane’s Publishing Co., 1988.

Laham, Nicholas. The American Bombing of Libya A Study of the Force of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94

한국의 대북 전쟁억제력 강화방안 연구 195

------------Miscalculation in Reagan Foreign Policy. Jefferson: McFarland &

------------Company, 2007.

Lee, Sangho. Deterrence and the Defence of Central Europe. London:------------King's College London. 1994.

Lind, William. Maneuver Warfare Handbook. Boulder: Westview, 1985.

Mackenzie, J.J.G. and Holden Reid, Brian, ed., The British Army and the------------Operational Level of War. London: Tri-Service Press, 1989.McInnes, Colin. NATO’s Changing Strategic Agenda. London: Unwin

------------Hyman, 1990.

Mearsheimer, John. Conventional Deterrence.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1983.

Park, William. Defending the West. Brighton: Wheatsheaf Books, 1986.

Simpkin, Richard E. Race to the Swift. London: Brassey’s, 1985.

Stromseth, Jane. The Origins of Flexible Respons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정기간행물

이상호. “국방개혁 2020: 군사전략 측면에서 평가”. 『세종정책연구』. 2009년

------------5권 2호. pp.109-134.

이상호. “군사전략차원에서 정보·사이버전의 효용성”. 『세종정책연구』.

------------2010년 6권 1호. pp.41-72.

Aboulafia, Richard. “The Soviet Operational Response to FOFA”. 『Jane's

------------Soviet Intelligence Review』. (February 1989), pp.78-9.

Bagnall, Nigel. "Concept of Land/Air Operations in the Central Region I".

------------『Journal of the Royal United Service Institution』. Vol. 129, No.3,

------------(September 1984), pp.59-62.

Farndale, Martin. “Exercise Reforger 87”. 『The Army Quarterly and

------------Defence Journal』. Vol.118, No.1, (January 1988), pp.8-20.

Inge, Peter. “Development in the Land Battle”. 『Journal of the Royal

------------UnitedService Institution』. Vol.134, No.4, (Winter 1989), pp.11-15.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95

Shields, Henry S. “Why the OMG?”『Military Review』. (November 1985),

------------pp.4-13.

Stone, John. “Politics, Technology and the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Journal of Strategic Studies』. Vol. 27; 3 (2004) pp.408-427.

Tegnelia, James A. “Emerging Technology for Conventional Deterrence”.

------------『International Defence Review』. (May 1985), pp.643-652.

Von Sandrart, Hans Henning. “Forward Defence”. 『NATO’s Sixteen

------------Nations』. (Special, 1985), pp.37-43.

196d세종정책연구e2010년 제6권 2호

100804하리모음 5차 2010.8.5 9:58 AM 페이지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