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희 후보 노인정책설문조사 결과보고서

10

Click here to load reader

Upload: 337ysh

Post on 12-Jun-2015

678 views

Category:

News & Politics


7 download

DESCRIPTION

전 17대 국회의원이자, 19대 국회의원 예비후보 민주통합당 성북갑 유승희 후보 가 실시한 노인정책에 관련된 설문조사 결과와 노인정책 보고자료 입니다. 기간 : 2011년 12월 19일 ~ 2012년 2월 10일 대상 : 노인계층 937명

TRANSCRIPT

Page 1: 유승희 후보 노인정책설문조사 결과보고서

유 승 희 성북갑 국회의원 예비후보노인 정책 면접설문조사 결과보고서

“성북어르신들께,

유승희가

여쭤보았습니다.”성북갑 국회의원

예비후보 유승희가

만나고, 듣고, 바라본

노인문제와 정책대안

2012.02.27

Page 2: 유승희 후보 노인정책설문조사 결과보고서

유승희 예비후보(민주통합당, 성북갑)의 노인정책대안

민주통합당 「보편적복지 특별위원회」는 2월 2일 보편적 복지구상과 정책과제」

를 발표하였고, 3월 초순경 지속가능한 복지정책 공약으로 발표될 예정이다. 민주통

합당의 「보편적 복지정책」은 「창조형 복지국가」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수단으로

서 빈곤층, 장애인, 실업자, 노인 등 취약계층에게는 집중적인 보장을 하고, 무상급

식․무상보육․무상의료․반값등록금․일자리복지․주거복지 등 「보편적 복지 3+3」정책에

대해서는 국민모두에게 보편적 지원을 함으로써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는 내용이

다. 보편적복지 재원은 재정개혁 (12.3조원), 복지개혁(6.4조원), 조세개혁(14.2조원)

등 3대개혁을 통해 연평균 33조원을 추가로 조달하는 계획이다.

민주통합당의 노인복지정책은 정년 연장형 임금피크제 시행 지원, 기초노령연금

인상, 노인틀니 건강보험급여화 등을 중점으로 하고 있다. 또한 부양의무자 기준을

조정하여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사각지대를 해소하여 노인빈곤문제를 완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민주통합당은 현재 원내 소수 정당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2012년 예산안 심사과정

에서 노인복지 예산을 정부안보다 622억원을 증액하는데 성공하였다. 경로당 난방

비․양곡비 지원에 539억원을 증액하여 전국 62,000개 경로당에 월 30만원 6

개월 난방비 지원을 하도록 하였으며, 농어촌 저소득 노인들의 어려움을 감

안하여 우선적으로 취약지역 경로당 양곡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노인요양시설 확충예산 18억원(478→496억원) 증액, 노인돌봄서비스 확

충예산 58억원(969→1,027억원) 증액, 노인일자리 확충예산 6억원(1,824→1,830

억원) 증액등을 이루어냈다.

유승희 예비후보는 지난 2월 10일까지 실시한 노인정책 설문조사에서 나타

난 어르신들의 복지수요와 수혜실태 및 의견들을 참고하여 노인복지정책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대안을 제시한다. 유승희 예비후보는 이 안을 당의 「보

편적복지 특별위원회」와 「19대총선 공약TF」등에 제출하여 당의 총선공약에 채택

되도록 노력하는 한편, 이번 총선을 통해 제19대 국회에 들어가면 입법활동과 예산심

의 등을 통해 실제로 반영되고 실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

Page 3: 유승희 후보 노인정책설문조사 결과보고서

1. 여성부를 여성.가족.노인.청년부로 확대 개편한다.

복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고령화사회에 대한 논의가 점증하고 있지만, 정작 노

인문제에 대해 어르신들의 목소리를 듣고 어르신들로부터 직접 복지수요를 파악하고

이들의 의견을 정책에 반영하려는 노력은 미약하다. 제대로 된 노인정책의 출발은 어

르신들과 소통하는 데서부터 시작되어야 하며, 이번에 저의 노인정책여론조사는 이러

한 시도의 일환이다. 어르신들과 소통하고 어르신들을 편안하게 모시는 정책의 입안

및 집행을 위한 전담부처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과거 여성.가족부에서 이명박 정부

하에서 축소된 현재의 여성부를 독일처럼 여성.가족.노인.청년부로 확대 개편하는 것

이 필요하다.

2. 보편적 기초노령연금의 실시 및 수급액 증액

노인빈곤이 점점 더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으나, 국민연금등 공적연금이 빈곤

노인층을 거의 카버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초노령연금의 확대 강화가 절실히

요구된다. 기초노령연금 수급액을 현재 월 9만원 수준에서 적어도 월 14만원 내지

18만원 수준으로 인상해야 한다. 또한 현재 법률상 소득하위 70%를 수급대상으로 하

고 있으나, 실제 수급률은 전국적으로는 평균 67.7%, 서울시는 51.3%에 불과한 현실

이다. 성북구의 경우도 수급률이 53.6%, 성북갑 지역은 52.1%에 불과한 형편이어서

많은 빈곤노인들이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수급대상자를 전국적으로 소득하위 80%

이상, 서울시의 경우도 최소한 70% 이상 수준으로 확대하거나, 수급자와 비수급자를

가리는 데서 발생하는 행정비용과 비효율, 부조리 등의 문제를 생각하고 기초노령연

금을 어르신들의 보편적 권리로 규정하여 만65세 이상 어르신 100%에게 지급하도록

하는 방안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현재 만65세 이상에 대해 동일한

금액을 지급하는 것을 연령에 따라 차등을 두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 가령, 만65

세-69세는 월 14만원, 만70세-74세는 월 16만원, 만75세 이상은 월 18만원 수준으

로 차등지급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을 제안한다.

3. 정년연장형 임금피크제 시행 지원 및 노인 일자리 사업예산의 두배 이상 확대

고령화와 함께 노인들의 일자리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정년 연장형 임금피크

제 시행 지원을 통한 노인 일자리의 창출과 함께 노인 일자리 사업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 특히, 이번 조사대상 어르신의 28%가 노인 일자리 사업참여를 신청했으나 참

여를 못하고 있거나 참여를 원한다고 응답한 것에 비추어볼 때 중앙정부의 노인일자

리사업 예산(2012년 1,830억원)을 현재의 2배 이상 수준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Page 4: 유승희 후보 노인정책설문조사 결과보고서

4. 노인요양시설 확충 및 노인장기요양보험 사업의 확대

참여정부 하에서 제정된 법에 따라 2008년 7월부터 실시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는 아직 실시된 지 몇 년이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46%의 어르신들이 향후 혜택

을 기대한다고 하는 등 높은 관심과 복지수요를 나타내고 있지만, 현재 혜택을 받고

있는 어르신은 1.9%에 머무르고 1.4%는 전에 혜택을 받았지만 지금은 중단되었다고

답하고 있어 보험대상자의 확대가 절실히 요구됨을 보여준다. 노인요양시설의 대폭

확충과 함께 노인장기요양보험 대상자의 확대를 적극 추진해야 한다.

5. 노인틀니 건강보험 급여화 및 빈곤노인 병원비 지원

이번 조사에 참여해주신 많은 어르신께서 틀니 지원과 병원비 감면 지원을 요구하

는 것을 감안하여 노인틀니 건강보험 급여화 및 빈곤노인 병원비 지원이 시급히 요

구된다.

6. 부양의무자 기준을 조정하여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사각지대를 해소

노인빈곤문제의 해결방안의 하나로 부양의무자 기준을 조정하여 기초생활보장제도

의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것이 시급히 요청된다.

7. 노인복지 서비스의 확대 및 정보지원망 구축

2007년부터 시작된 노인돌보미바우처 서비스를 확대하여 특히 독거노인들이 이를

잘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경로당에 대한 난방비, 식비 등 예산지원의 확대, 노인무

료급식서비스, 도시락배달서비스 등의 확대가 필요하다. 노인대학 지원, 생활체육시

설 확대, 파월장병 및 고엽제 피해 어르신에 대한 연금수당의 인상 등도 추진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이번 조사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해 34%의 어르신들이 잘 모른다고

응답한 데서 나타나듯이 노인복지제도에 대해 수혜당사자인 어르신들이 잘 몰라서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체계적인 사회복지서비스 정보지원망을 구축하

고 어르신들에 대한 보다 효과적이고 적극적인 정보제공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Page 5: 유승희 후보 노인정책설문조사 결과보고서

연령 전체 남 녀

59이하 73 8.0% 27 8.2% 31 6.0%

60-64세 68 7.5% 35 10.6% 23 4.4%

65-69세 107 11.8% 52 15.7% 44 8.4%

70-79세 363 40.0% 146 44.1% 207 39.7%

80이상 297 32.7% 71 21.5% 216 41.5%

계 908 100% 331 100% 521 100%

민주통합당 성북갑 국회의원 예비후보 유승희의

노인정책 설문조사결과 요약

● 조사자 : 유승희 국회의원 예비후보 (민주통합당 성북갑)

● 조사내용 : 기초노령연금 등 노인복지정책 관련

● 조사기간 : 2011년 12월 19일- 2012년 2월 10일

● 조사방법 및 대상 : 성북갑 지역 노인정 등에서 면접원이 설문지 조사

(85개 경로당 중에서 62곳 방문, 이중 상당수는 조사원과 함께 유승희

예비후보가 직접 방문)

● 응답자수 : 937명

● 조사결과 :

1) 응답자 성별 연령별 분포

- 응답자중 남성이 38.9%, 여성이 61.1%.

- 연령별 분포는 만64세 이하가 15.5%, 만 65세 이상이 84.5%.

- 60대 19.3%에 비해, 70대가 40%, 80세 이상이 32.7%로 고령자가 많음.

- 특히 여성 응답자의 41.5%가 80세 이상으로 남성 (21.5%)에 비해 여성이

고령자가 많음.

*주: 성별을 밝히지 않은 응답자가 있어 남, 녀의 계가 전체 응답자수와 일치하지 않음.

2) 기초노령연금 수급여부

- 만65세 이상 노인 중 응답자의 64.3%가 기초노령연금을 수급 받고 있다고

답함.

- 만 65-69세는 43.4%, 70대는 62.8%, 80세 이상은 74.6%로 연령이 높아질수

록 수급률이 높아짐.

Page 6: 유승희 후보 노인정책설문조사 결과보고서

남 녀 계

65-69세받고 있다 25 48.1% 16 36.4% 46 43.4%

아니다 27 51.9% 28 63.6% 60 56.6%

70-79세받고 있다 84 58.3% 137 66.5% 225 62.8%

아니다 60 41.7% 69 33.5% 133 37.2%

80이상

받고 있다 43 61.4% 167 77.7% 220 74.6%아니다 27 38.6% 48 22.3% 75 25.4%

받고 있다 152 56.7% 320 68.5% 492 64.3%아니다 116 43.3% 146 31.3% 273 35.7%

268 467 765

- 남성(56.7%)에 비해 여성(68.5%)이 더 높은 수급률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상당부분 여성이 남성보다 연령이 높은 데 기인함.

- 성북구청이 이윤희 구의원에게 보고한 자료에 의하면2011년 10월 현재 성

북구 갑 지역의 기초노령연금 수급율이 52.1%인데 (성북구 전체로는

53.6%) 비해 이번 설문조사 응답자의 수급율이 12% 가량 더 높게 나온 것

은 조사표본이 빈곤층에 약간 치우쳤음을 보여줌. 이는 대부분의 면접조사

를 노인정에서 실시했는데, 부유층보다는 빈곤층 노인들의 노인정 이용률

이 높기 때문으로 보임.

3) 기초노령연금 수급액(2011년, 월9만원 수준)의 적절성 여부

- 전체 응답자의 63%가 현재보다 금액을 올려야 한다고 응답. 이중 28.1%는

월14만원 수준으로, 18.3%는 월18만원 수준으로, 16.7%는 월 25만원 수준

으로 올려야 한다고 응답. 현 수준이 적절하다는 응답자는 18.5%, 모르겠

다는 17.6%에 달했으나, 지금보다 줄여야 한다는 응답자는 0.9%에 불과함.

- 기초노령연금 수급자 중에서는 늘려야 한다가 75.2%로 압도적인 비율. 비

수급자 중에서도 늘려야 한다는 응답이 43.5%로 모르겠다38%, 현 수준이

적절하다 16.9%에 비해 가장 많음.

Page 7: 유승희 후보 노인정책설문조사 결과보고서

수급액(현9만원) 전체 응답자 받고 있다 안받는다

현수준 적절 166 18.5% 102 20.4% 52 16.9%14만원 수준으로 252 28.1% 178 35.5% 61 19.8%18만원 수준으로 164 18.3% 110 22.0% 38 12.3%25만원 수준으로 150 16.7% 89 17.8% 35 11.4%늘려야 소계 566 63.0% 377 75.2% 134 43.5%줄여야 8 0.9% 1 0.2% 5 1.6%모르겠다 158 17.6% 21 4.2% 117 38.0%계 898 100.0% 501 100.0% 308 100.0%

*주:수급여부를 밝히지 않은 응답자가 있어 수급자와 비수급자의 계가 전체응답자수와 다름.

4) 기초노령연금 수급대상자 (현재 소득하위 70%)

- 기초노령연금수급 대상은 법률상 소득하위 70%로 돼 있음. 2011년 현재 전

국평균 수급률은 67.7%에 달하지만, 서울시의 평균 수급률은 51.3%로 타지

역보다 낮음.

- 기초노령연금 수급대상자를 만65세 노인 중 소득하위 70%(재산도 반영함)

로 정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34.3%가 지금보다 대상을

늘려야 한다, 29.9%가 축소해야 한다, 24.9%가 현 수준이 적절하다, 10.9%

는 모르겠다고 응답. 늘려야 한다는 응답자 중에는 소득하위 80% 수준으

로가 18.3%, 만 65세 이상 노인100%에게 다 주자는 응답이 16%에 달함.

- 수급자 중에는 대상자를 현재보다 축소해서 가난한 노인들에게만 혜택을

주자는 견해 (30.8%)와 대상자를 늘리자는 견해(30.2%)가 거의 비슷하게

나왔으나, 비수급자 중에서는 대상자를 늘리자는 견해(44%)가 축소하자는

견해(28.7%)보다 높게 나옴. 이는 현재 비수급자중 상당수가 대상자를 늘

려 자신들도 수급대상에 포함될 것을 바라는 반면에, 수급자 중에는 상당

수가 대상자를 축소해서 자신들에게 혜택이 늘어날 것을 기대하는 것을

반영한다고 보임.

- 비수급자 중에는 자신이 실제적으로 소득이 없고 빈곤층에 속하지만 약간

의 재산 (본인 명의의 아파트 한 채등)이 있다고 하여 수급대상에서 제외

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항변하는 사람들이 많았음.

Page 8: 유승희 후보 노인정책설문조사 결과보고서

노인일자리사업 노인장기요양보험

참여한 적 있다 157 18.5% 받고있다 16 1.9%

신청, 참여못함 70 8.2% 중단되었다 12 1.4%

참여원함 166 19.6% 향후혜택기대 387 45.8%

스스로 일함 48 5.7% 기대안함 143 16.9%

관심없다 408 48.1% 모른다 287 34.0%

계 849 100.0% 계 845 100.0%

수급대상(하위70%) 전체 응답자 받고 있다 안받는다

적절하다 214 24.9% 138 28.3% 46 15.7%축소해야 257 29.9% 150 30.8% 84 28.7%80% 수준으로 157 18.3% 85 17.5% 65 22.2%100% 다 줘야 138 16.0% 62 12.7% 64 21.8%(늘려야 소계) 295 34.3% 147 30.2% 129 44.0%모르겠다 94 10.9% 52 10.7% 34 11.6%계 860 100.0% 487 100.0% 293 100.0%

5) 노인 일자리 사업

- 노인일자리 사업에 대해서는 응답자의18.5%가 참여한 적이 있으며, 8.2%는

참여하려고 신청한 적이 있지만 참여하지 못했으며, 19.6%는 앞으로 참여

하고 싶다고 응답해 상당히 높은 관심을 보였다.

6) 노인 장기요양보험

- 노인장기요양보험사업에 대해서는 1.9%가 현재 혜택을 받고 있으며, 1.4%

는 전에 혜택을 받은 일이 있지만 지금은 중단되었다고 하며, 45.8%는 향

후 혜택을 받을 것을 기대한다고 하여 높은 관심을 보였다. 그러나 응답자

의 34%가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해 잘 모른다고 답해 보다 적극적인 홍보

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7) 노인정책 우선순위

- 노인정책의 우선순위에 대해서는 두 개까지 고를 수 있도록 한 결과 기초

노령연금 수급액 증액(54%), 노인일자리 확대(43.4%), 노인장기요양보험 확

대(42.6%), 기초생활보장 대상자 확대(27%), 기초노령연금 대상자 확대

(22.6%) 순으로 응답하였다.

Page 9: 유승희 후보 노인정책설문조사 결과보고서

기초생활보호 확대 217 27.0%

기초노령연금 수급액 증액 435 54.0%

기초노령연금 대상자 확대 182 22.6%

노인일자리 확대 349 43.4%

노인장기요양보험 확대 343 42.6%

계 805 189.6%

*주: 대부분 복수응답을 했기 때문에 총계가 189.6%에 달함

8) 기타 바라는 정책과 의견

- 총 937명중 38.2%에 해당하는 358명의 응답자가 이상의 질문 이외에 꼭 바

라는 정책이나 의견을 말해달라는 자유문항에 응답을 함.

- 자유응답에서도 기초노령연금 인상과 대상자 확대, 노인 일자리 확대, 무료

요양원등 노인장기요양보험 확대, 기초생활보장제도의 강화 등에 대한 요

구가 가장 많았음.

- 다음으로 많은 어르신들의 요구사항으로는 병원비 감면 또는 지원과 틀니

지원, 경로당 시설확충, 점심제공과 주방도우미 지원 등 운영자금 확대지

원, 버스비등 교통비 지원, 노인대학 지원등 노인교육기회 확대, 생활체육

시설 확대등 운동기회 제공, 장애인 취업문제 해결및 독거노인 혜택확대,

6.25참전용사 및 파월장병, 고엽제 피해자등에 대한 연금수당 확대, 청소도

우미 지원 등의 요구가 있었음.

- 지역민원으로는 보문역 에스컬레이터 설치, 정릉2동 개발과 동소문동이 성

북동으로 편입된 후에 행정적으로 혜택을 못 받는다는 지적이 있었음.

- 복지정책 일반에 대한 의견개진을 한 분들도 있었는데, 복지혜택의 전반적

인 확대, 복지를 골고루 지원해달라는 의견과 철저한 조사 후 연금지원,

무조건복지도 문제고, 조건적 복지도 문제이니 연구와 심사숙고로 정책을

잘 만들어 달라, 복지에만 치중하지 말고 나라살림을 살려 달라, 나라 빚

도 해결해 달라 등의 다양한 의견이 있었음.

- 기타 가스값 인하, 저축은행 사태 재발방지, 여성정치참여 증가, 국회에서

물리적으로 싸우지 말 것과 민원신청 시 불편하다(아는 것도 없고, 기관 직

원의 불친절)는 등의 의견이 있었음.

- 유승희 예비후보에게 “당선 후에도 출마전과 같은 모습을 유지해 달라", "

선거 때마다 공양만 쏟아 붓지 말고, 당선 후에 실천하기 바란다", "탁상공

론은 하지 말고 발로 뛰어 달라” 등의 주문이 있었음.

Page 10: 유승희 후보 노인정책설문조사 결과보고서

9) 결론

노인정책설문조사를 처음에 기획할 때에 과연 어르신분들이 정책설문조사에

얼마나 응해주실까, 이렇게 여러 개의 설문 문항에 답변을 잘 해주실 수 있

을까, 더구나 자유로운 의견개진 요청에 얼마나 응답을 해주실까에 대해 확

신을 하지 못했지만, 설문조사를 실시해본 결과 의외로 많은 어르신분들께서

적극적으로 조사에 응해주시고 38% 이상의 응답자가 자유질문에도 답을 해

주셨다. 설문조사를 위해 수고해주신 면접원들의 노고도 컸지만, 이와 같이

어르신분들이 정책설문조사에 적극적인 참여를 보여준 것은 평소에 정부와

정치권이 이분들의 목소리를 듣는데 소홀하기 때문에 이분들이 이러한 기회

를 이용해 자신들의 요구를 표현한 것이라고 보여진다.

이번 조사 결과 어르신들이 기초노령연금액의 증액을 절대적으로 요구하고

있으며, 현재 비수급자 중에는 자신들이 제외된 것이 부당하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고 대상자를 확대해달라는 요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

한 적극적인 대책마련과 예산배정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노인 일자

리 확대와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확대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그럼에도 노인

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해서는 아직 모르는 어르신분들이 많아 보다 적극적

인 홍보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자유응답에서도 많은 분들이 기초노령연금, 노인일자리사업과 노인장기요양

보험제도의 확대를 재차 강조하였으며, 이외에 노인정에 대한 시설, 운영, 점

심제공, 도우미지원 등과 노인들의 병원비, 버스비 지원 등을 요구하였고, 파

월장병과 고엽제 피해 어르신들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요구하는 분들도 많

아 이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과 예산확보가 국가적인 차원에서 필요하다고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