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시대의 한국 실물 경제

20
2007. 3 조조조조조 조조 조조 조조

Upload: amaya-hunter

Post on 31-Dec-2015

39 views

Category:

Documents


6 download

DESCRIPTION

전환시대의 한국 실물 경제. 2007. 3 조 환 익. 목 차. 1. 향후 10 년 세계경제 trend 2. 한국실물경제 위상과 과제 3. 2007 년 경제전망 4. 한국 산업비젼과 발전전략. 1. 향후 10 년 세계경제 trend. 가 . 글로벌화 지역주의 중심 global 화 : FTA. 경제블럭 광역집적지역 (Mega Region) 중심 교류 : M2M 아시아 중심 Global 화 전세계 외환보유고의 2/3 새로운 수요증가는 대부분 아시아에서 발생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Page 1: 전환시대의  한국 실물 경제

2007. 3

조 환 익

전환시대의 한국 실물 경제

Page 2: 전환시대의  한국 실물 경제

목 차

1. 향후 10 년 세계경제 trend

2. 한국실물경제 위상과 과제

3. 2007 년 경제전망

4. 한국 산업비젼과 발전전략

Page 3: 전환시대의  한국 실물 경제

1. 향후 10 년 세계경제 trend

가 . 글로벌화

지역주의 중심 global 화 : FTA. 경제블럭

광역집적지역 (Mega Region) 중심 교류 : M2M

아시아 중심 Global 화 전세계 외환보유고의 2/3

새로운 수요증가는 대부분 아시아에서 발생 아시아 중심 산업표준화

Page 4: 전환시대의  한국 실물 경제

1. 향후 10 년 세계경제 trend

나 . 대형 M&A 와 전략적 제휴

철강의 Mittal Steel Posco 의 경영권 위협

자동차의 닛산 . 르노 .GM 삼각제휴

SONY 와 삼성의 전략적 제휴

대형화를 위한 합종연횡의 급속한 진전

Page 5: 전환시대의  한국 실물 경제

1. 향후 10 년 세계경제 trend

다 . 기술혁신및 Soft 화

IT.BT.NT.ET 등 신기술실용화 , 융합 본격화 부품소재 : 초경량 고강도 . 다기능성 지능형 부품소재 생산공정 : 마이크로공장 . 화이트칼러 생산직 의료건강 : 신약 . 새로운 예방 치료기법 . 재택진료 환경 : 신재생 에너지 . 환경녹화 시스템 . 배출 물질 저감기술

제조업과 서비스의 결합 신성장동력 :

R&D 디자인 , 브랜드 , 마케팅 , A/S 등

Page 6: 전환시대의  한국 실물 경제

1. 향후 10 년 세계경제 trend

라 . 고령화

선진국 저출산 . 고령화 노동인력부족 (2030 : 6 천만명감소 )

개도국 의료 . 보건활동 개선 젊은인력 폭발적 증가

(2030 : 3,7 억명증가 )

실버산업 . 고령층 안락추구 신시장 창출

한국산업도 인력수급안정을 위한 –

법적 . 제도적 기반 구축 시급

임금피크제 . 여성근로환경 . 해외인력유입 등

Page 7: 전환시대의  한국 실물 경제

1. 향후 10 년 세계경제 trend

마 . 에너지 자원 issue 의 심화

자원확보 경쟁 세계경제 불확실성의최대 요소

총에너지사용 향후 20 년간 50% 증가

대체 에너지 개발 부진 화석연료의 주에너지원 불변

매장지역편재와 국제정세 불안으로 공급교란

가능성 증대

Page 8: 전환시대의  한국 실물 경제

1. 향후 10 년 세계경제 trend

바 . 기업의 사회적 책임

CSR :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기업의 무형자산 . 경쟁력 강화의 기회요인

“ 깨어있는 자본” “가치를 추구하는 소비자” 등장 기업에 대한 평가기준

( 과거 ) 재무적성과 ( 미래 ) 지속가능성 . 사회적 책임이행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제표준제정 작업중

Page 9: 전환시대의  한국 실물 경제

2. 한국경제 위상과 과제

세계 11 위 -12 위 규모 경제강국캐나다 , 멕시코 , 스페인과 비슷한 수준

한국의 수출

06 년 3260 억불 > 남미 38 개국 2763 억불 > 아프리카 53 개국 2317 억불

64 년 수출 1 억불 국가 : 한국 . 이디오피아 . 모잠비크현재 이디오피아 7 억불 , 모잠비크 15 억불

Page 10: 전환시대의  한국 실물 경제

주력산업의 세계적 위상

조선 1 위 . 반도체 3 위 . 디지털 가전 4 위 .

석유화학 5 위 . 철강 5 위 . 자동차 6 위

기술경쟁력

세계 최고 대비 평균 80%. 공정생산기술은 세계최고 수준 R&D 규모 세계 7 위 특허출원건수 국내 3 위 . 해외 11 위

2. 한국경제 위상과 과제

Page 11: 전환시대의  한국 실물 경제

골드만삭스

BRICS 이후 Next 11( 한국 . 멕시코 . 터키 등 ) 중 한국이 주도 .

2015 : 1 인당 소득 35,000 불

1 인당소득 81,462 불 ( 세계 4 위 )

80 년대 후반 90 년대 후반 00 년대후반NICS IMF 관리 Next 11

2. 한국경제 위상과 과제

Page 12: 전환시대의  한국 실물 경제

한국경제의 明暗

明 : 다양한 제조업기반과 세계적 정보화기반

기업의 충분한 투자여력

위기극복능력

暗 : 세계최고의 강성노조와 강력한 반기업 정서

세계 최고수준의 저출산 , 고령화 속도

양극화로 인한 지속 가능성장 불안

발전지속국가 (N 자형 ) 또는 성장지체국가 (M 자형 ) 가 될지…

2. 한국경제 위상과 과제

Page 13: 전환시대의  한국 실물 경제

2. 한국경제 위상과 과제

한국실물경제 당면 과제

기술혁신 주도형 산업구조로의 전환 이공계의 복원 차세대 성장동력의 창출

지속가능 성장기반 마련 대 · 중소기업간 , 수출 · 내수기업간 등 양극화 완화 환경 친화적 산업생태계 조성 저출산 , 고령화 인력구조 대응

Global 경제질서에 순탄한 편입 한미 FTA 체결 등 network 확충 노사제도 , 문화의 선진화

Page 14: 전환시대의  한국 실물 경제

2. 한국경제 위상과 과제

투자와 소비의 증진 투자관련 규제 혁신 중소 , 벤처기업 창업활성화

안정적 수출기조 유지 환율의 안정 원자재 수급 및 가격안정 도모

경제의 잠재적 불안요인 조기해소 가계부채 , 금융쏠림현상 등

Page 15: 전환시대의  한국 실물 경제

3. 2007 년 경제 전망

가 . 한국경제 영향을 줄 변수

세계경제 : 금년보다는 다소 둔화 되지만 연착륙 예상

미국 주택 시장 및 소비 연착륙 일본과 EU 의 안전판 역할 중국은 성장과 조정의 양동성 신흥시장의 안정적 성장

유가 및 원자재 :

유가 : 특별한 정변이 없는 한 하향안정기대 (두바이 기준 55 불 내외 )

원자재 : 구리 , 알루미늄등 가격하락 및 수급안정예상

Page 16: 전환시대의  한국 실물 경제

3. 2007 년 경제전망

환율 및 국제금융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로 약 달러 체제지속 :

원 / 달러 환율 크게 개선 기대키 어려움원 / 엔 환율은 다소 개선 기대

일부 신흥시장 금융위기 등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은 증대

선거 및 남북관계 등 경제외적 요인

특별한 돌발사태가 없는 한 금년은 한국경제에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 : 한국경제에 대한 국제적 신뢰

Page 17: 전환시대의  한국 실물 경제

3. 2007 년 경제전망

나 . 부분별 경제실적 예상

경제성장 : 작년보다 다소 둔화 4.5% 내외

1 인당 소득 : 2 만불 달성

수출 : 작년보다 둔화되나 두자리수 증가율 유지 (3600 억불 )

설비투자 및 건설 : 다소 회복 . 특히 공공부분 건설 투자 증대

주식시장 : 기업이익율 감소로 작년 수준

Page 18: 전환시대의  한국 실물 경제

4. 한국산업 비전과 발전전략

당면과제

경제의 불확실 요인의 해소경제의 불확실 요인의 해소

투자와 소비의 점 화산업구조의 개선

투자와 소비의 점 화산업구조의 개선

일자리 창출과 양극화의 해소일자리 창출과 양극화의 해소 지속가능성장지속가능성장

Page 19: 전환시대의  한국 실물 경제

4. 한국산업 비전과 발전전략

전략 : 역발상을 통한 기회 요인 발굴

1. 중국경제와 동반성장 한중가치사슬의 유기적 통합 생산단계의 범용화 활용 고부가가치 단계에 집중

2. 주력산업의 가치혁신 신기술혁명 접목 . 성숙기산업의 고부가가치화

자동차 . 철강 . 섬유 . 기계 등 3. 서비스 영역의 산업화 한류 등 고유소프트 역량바탕 . 서비스의 새로운

수출동력화 게임 . 교육훈련 , 의료 . 환경개선 , 자원개발 등4. 넛크래커의 활용 중국시장 . 일본기술 활용

Page 20: 전환시대의  한국 실물 경제

4. 한국산업 비전과 발전전략

과제

정부 규제의 완화 . 기업인사기 앙양

경제외적불안요인 해소

기업 신기업가정신 고양 . 창조적 인적자산 육성

혁신적 R&D. 大中企相生協力

사회적 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