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약사와 전문약사

32
전전전전전 전전전전 전전전전 ? 전전전전 ? 전전전전전 전전전전 20145131 전전전 전전전전전전 PIN 2016 전 11 전 전전전

Upload: pinnetwork

Post on 21-Apr-2017

360 views

Category:

Health & Medicine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전공약사와 전문약사전공약사 ? 전문약사 ?

조선대학교 약학대학20145131홍단비

제약산업학회 PIN 2016 년 11 월 스터디

Page 2: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목차1. 정규약사 ? 전공약사 ?

2. 전공약사 제도3. 전공약사 과정이 개설된 병원4. 전문약사란 ?

5. 전문약사 자격 시험이란 ?

6. 전문약사 법제화

Page 3: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1. 정규약사 ? 전공약사 ?

- 정규약사 : 일반적으로 병원 병동에 근무하는 약사 보통 근무시간의 풀 타임으로 조제 업무- 전공약사 : 하루 2 시간 정도만 조제 업무 나머지 시간은 임상에 포커스를 두고 수련

Page 4: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2. 전공약사 제도- 병원 약제부에서 자체적으로 보유하는 제도- 평균 1 년의 커리큘럼- 인턴 과정 : 4 년제 졸업자 레지던트 과정 : 6 년제 졸업자 , 4 년제 졸업 후 석사- 병원에 따라 과정이 다름- 중환자 약료 , 종양 약료 , 장기이식 약료 , 심혈관계질환 약료 , 영양 약료 , 소아 약료 , 내분비 질환 약료

Page 5: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3. 전공 약사 과정이 개설된 병원- 서울대 병원- 분당 서울대 병원- 성모 병원- 서울 삼성병원- 세브란스 병원- 아산 중앙 병원

Page 6: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서울대 병원 VS 서울 삼성 병원 < 서울대 병원 > - 목적 : 병원약학 관련 업무를 중심 이론과 실무를 교육 시킴 효과적인 약물요법을 포함한 약사 고유 직능의 업무를 원활히 수행하도록 병원 전문약사 요원의 양성과 임상약학의 발전 &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함을 목적 - 혜화 , 분당 , 보라매 각각 모집 - 한 전공을 선택하여 오랜 시간 교육 , - 실무 독립 초점

Page 7: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서울대 병원 VS 서울 삼성 병원

Page 8: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서울대 병원 VS 서울 삼성 병원- 서울 삼성 병원 : 병원 업무 전반에 관한 rotation 근무 1 년 course work, 12 명 정원 이론교육 , 실무교육 , presentation 교육

Page 9: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서울대 병원 VS 서울 삼성 병원

Page 10: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4. 전문약사란 ?

- 치료 성과 및 환자들의 건강 개선에 기여하기 위해 해당 전문 분야를 통달하고 약물 요법에 관해 보다 전문적인 자질과 능력을 갖춘 임상약사- 전문약사 과정을 수료한 후 전문 약사 자격 시험을 통과한 약사- 과정 중 조제 , 복약지도 등 기본적 업무 배제

Page 11: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4. 전문약사란 ?

- 자신의 전문 분야에서 UM 로 활동- 병원 내 팀의료의 한 구성원으로써 활동- 7 년간 유효- 9 개 분과 : 내분비질환 약료 , 소아 약료 , 심혈관계 질환 약료 , 영양 약료 , 장기이식 약료 , 종양 약료 , 중환자 약료 감염 약료 (2016 신설 ), 의약 정보 (2016 신설 )

Page 12: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내분비질환 치료과정의 약물요법에 전문적 지식을 가지고 해당 분야의 약료 과정에 전문적으로 관여하여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약사

내분비 질환 약료 전문약사

Page 13: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내분비 질환 약료 전문약사▶ 약국 내 관리 : 환자 기초 정보 관리 , 투약 history 관리 , 약물관련 문제 파악 , 처방 중재 , 임상 검사결과 모니터링▶ 약국 외 관리 : 진료 회진과 의료진 컨퍼런스 참여 , 의료진과의 팀 활동 , 환자 교실 참여▶ 복약상담▶ 모니터링 및 자문 업무▶ 교육 및 연구 업무

Page 14: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종양 약료 전문약사항암 화학 요법 뿐만 아니라암 질환 및 암의 예방과 치료에 관한임상적 지식을 갖춘 약사로서암환자의 치료 효과를 극대화 하고암 질환 또는 약물과 관련된 부작용을경감시킬 수 있는 경험과 지식을 갖춘 임상약사

Page 15: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종양 약료 전문약사▶ 항암 화학 요법 처방 검토▶ 항암 화학 요법 레지멘 및 항암제 관련 전산 프로그램 관리▶ 약력 관리 , 약물 부작용 모니터링 및 보고▶ 항암 화학 요법 복약 상담 및 환자 교육▶ 회진 및 컨퍼런스 참여 , 최신 치료 경향 파악 및 정보 제공▶ 교육 , 연구 및 학술 활동 , 질 향상 활동 수행▶ 암 진료팀 내에서의 역할

Page 16: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심혈관계 중환자실 환자 , 입원 환자 , 외래 환자 등심혈관계질환 환자 약의 조제 , 임상 약제 업무 ,

연구 , 교육에 참여하여포괄적이고 전문적인 약료 서비스를제공할 수 있는 임상약사

심혈관계 질환 약료 전문약사

Page 17: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심혈관계 질환 약료 전문약사▶ 약력 확인▶ 처방 검토▶ 복약 상담▶ 팀 의료 활동▶ 약물 부작용 모니터링 및 예방▶ 교육 및 연구

Page 18: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중환자 약료 전문약사치료 성과 및환자의 건강 개선에 기여하기 위해중환자 약료에 통달하고약물 요법에보다 전문적인 자질과 능력을 갖춘 임상약사

Page 19: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중환자 약료 전문약사▶ 처방 검사 및 중재 업무 : 중환자의 병력 , 약력 등 수집▶ 약물 혈중 농도 모니터링▶ 정맥 영양 지원▶ 약물 정보 제공▶ 의료진과의 소통▶ 교육▶ 임상 연구 참여

Page 20: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영양 약료 전문약사환자에게 최적화된 정맥 영양을 공급하여영양 상태를 호전시켜 치료 효과 극대화 & 의료비 절감 효과를 내고영양 공급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 시키기 위해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영양 요법의 적정성을평가 및 조절 해나가는 약사

Page 21: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영양 약료 전문약사▶ 집중 영양 치료팀에서의 역할- 환자의 영양 상태 평가 , 요구량 산정- 환자에게 적절한 영양요법 자문- 정맥 영양 수액 조제 , 안전성 검토 , 정보 제공- 영양 수액 받는 환자 경과 모니터링- 약물과 영양소의 상호작용에 대한 정보 제공- 영양 지원에 관하 원내 의료진 및 환자 교육 , 임상 연구

Page 22: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장기이식 약료 전문약사▶ 장기 이식 환자의 교육 및 복약 상담- 면역 억제제 포함 모든 약물에 관한 전반적 교육- 약물 관련 모니터링- 자가약 및 타병원 , 타과 약 관리- 환자의 의문점 해결▶ 장기 이식 환자의 약물 요법 검토- 누락된 약물 추가- 중복 또는 불필요한 약제 중단- 용량 , 용법 , 상호작용 조절- 비용 절감 , 보험- 복용 이행 점검 및 약물 이상 반응 모니터링

Page 23: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소아 약료 전문약사신생아부터 청소년기에 이르기까지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소아 환자에게안전하고 효과적인 약물 치료를 제공하는데 필요한전문적 자질과 능력을 갖춘 임상약사

Page 24: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소아 약료 전문약사▶ 중환자 지원 : 소아 중환자실 전담 , 신생아 중환자실 전담▶ 암환자 지원 : 소아 혈액 종양 전담▶ 소아 전문 복약 상담▶ 소아 약물 요법 자문

Page 25: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감염 약료 전문약사항생제 관리와 감염 관리에 필요한전문적 자질과 능력을 갖춘 임상약사항생제 관리 업무를 통해 잘못된 항생제 자용을최소화 하여 치료 결과를 높이고내성균 발생 , 약물 유해 반응 발생을 예방하고감염 관리 프로그램에 참여

Page 26: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감염 약료 전문약사▶ 항생제 사용 관리 업무 - 항생제 사용 실태 분석- 항생제 처방 지침 마련▶ 감염 관리 업무- 감염 관리 위원회 활동- 병원 감염 발생 감시 및 예방 활동▶ 교육- 뉴스레터 발간- 환바 및 보호자 , 내원객 교육- 직원 교육 ( 의료진 , 약사 , 학생 교육 )

Page 27: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의약정보 전문 약사근거를 기반으로객관적이고 정확한 의약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각 분야 전문가로 활동할 약사에게의약 정보 제공 능력을 함양시키고교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임상약사

Page 28: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 의약정보 제공 및 정보 관리 업무▶ 각종 위원회 관련 업무▶ 약물 사용 모니터링 업무▶ 처방 중재▶ 발간 업무▶ 교육 및 연구▶ 질 향상 활동

의약정보 전문 약사

Page 29: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5. 전문약사 자격 시험이란 ?- 한국 병원 약사회 주관 , 매년 10 월 중순- 전문약사 제도 운영 규정 제 5 조 1 항 or 2 항 충족- 9 개 분과 나눠서 시험 실행

Page 30: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6. 전문약사 법제화- 전문약사 응시 자격의 벽을 낮추기 위해 과목 이수 시간 단축 , 석사학위 소지자 공통과목 200 시간 인정 등 제도 개선 노력 및 분과 확대- 전문약사 합격자 수 증가 및 수도권 중심에서 벗어나 배출- 우리 나라는 한국 병원 약사회 주관 하에 시험- 국가에서 통합하여 법제화 시킬 필요 있음- 환자의 안전과 약사의 연봉에 영향- 전문 약사에 대한 경제적 , 사회적 우대- 환자들의 인식 기회 확대 및 분야별 약사 방문 추진

Page 31: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참고 문헌• 한국 병원 약사회 www.kshp.or.kr

• Talk with Pharmacist #15 knaps.or.kr/72

• Fandom ko.wipharm.wikia.com/wiki/ 전문약사• 서울대학교병원 약제부 전공약사 교육http://pharm.snuh.org/pub/edu/edu02.jsp

• 서울 삼성병원 약제부 전공약사 교육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PH&MENU_ID=003015

Page 32: 전공약사와 전문약사

전공약사와 전문약사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