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풍경으로의 여행 | 남한강 물길 따라가는 원주 폐사지 여행 · 거돈사지의...

8
공의 극치를 만나다, 폐사지 폐사지를 만나는 이유는 다양하다. 학술적인 목적일 수도 있고, 발길 닿는 대로 걷다가 우 연히 마주친 여행지일 수도 있다. 탑 한 기, 주춧돌 몇 개 남은 허허로운 공간에서 위안을 얻 었다는 이도 있고, 비울수록 차오르는 욕심을 내려놓기 위해 찾는다는 이도 있다. 같은 공간, 다른 느낌… 폐사지는 그런 곳이다. 같은 장소에서 같은 방향을 쳐다봐도 가슴 에 와 닿는 감동이 전혀 다른 공간. 아무리 열심히 지워도 남는 도화지 위 흐릿한 연필 자국처 | 풍경으로의 여행 | 남한강 물길 따라가는 원주 폐사지 여행 원주는 폐사지 순례로 이름난 고장이다. 천년 고찰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있기 때문이다. 흥법사지, 법천사 지, 거돈사지는 모두 신라 시대에 창건되어 임진왜란 때 스러진 절터다. 역사 속으로 흩어진 1000년 세월의 편린을 따라 남한강을 거슬러 올라간다. 글·사진 정철훈 여행작가 서울예전 사진과를 졸업했다. 사진이 좋아 여행을 시작했고 여행이 좋아 여행작가로 살아간다. - 2017~2018년 한국관광공사 <추천 가볼 만한 곳> 선정위원 - 2013~2014년 코리아 실크로드 탐험대 역사기록팀(오아시스로, 해양로 탐험) - 2014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 - 2005년 (사)한국사진작가협회 선정 <2030 청년작가 10인> 88

Upload: others

Post on 06-Jan-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공의 극치를 만나다, 폐사지

폐사지를 만나는 이유는 다양하다. 학술적인 목적일 수도 있고, 발길 닿는 대로 걷다가 우

연히 마주친 여행지일 수도 있다. 탑 한 기, 주춧돌 몇 개 남은 허허로운 공간에서 위안을 얻

었다는 이도 있고, 비울수록 차오르는 욕심을 내려놓기 위해 찾는다는 이도 있다.

같은 공간, 다른 느낌… 폐사지는 그런 곳이다. 같은 장소에서 같은 방향을 쳐다봐도 가슴

에 와 닿는 감동이 전혀 다른 공간. 아무리 열심히 지워도 남는 도화지 위 흐릿한 연필 자국처

| 풍경으로의 여행 |

남한강 물길 따라가는 원주 폐사지 여행

원주는 폐사지 순례로 이름난 고장이다. 천년 고찰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있기 때문이다. 흥법사지, 법천사

지, 거돈사지는 모두 신라 시대에 창건되어 임진왜란 때 스러진 절터다. 역사 속으로 흩어진 1000년 세월의

편린을 따라 남한강을 거슬러 올라간다.

글·사진 정철훈 여행작가

서울예전 사진과를 졸업했다.

사진이 좋아 여행을 시작했고 여행이 좋아 여행작가로 살아간다.

- 2017~2018년 한국관광공사 <추천 가볼 만한 곳> 선정위원

- 2013~2014년 코리아 실크로드 탐험대 역사기록팀(오아시스로, 해양로 탐험)

- 2014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

- 2005년 (사)한국사진작가협회 선정 <2030 청년작가 10인>

88

럼, 폐사지에 깊게 파인 시간의 흔적은 지울 수 없다. 폐사지를 ‘공(空)의 극치’라 일컫는 것도

이 때문이리라. 빈터로 남았지만 비지 않았고, 존재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공간. 화려한 금

당과 불상은 흩어졌지만, 우리가 폐사지를 감히 폐허라 부르지 못하는 건 실재하는 공간보다

또렷이 남은 여백의 아름다움 때문이리라. 채우기 위해 빈 공간을 찾아가는 폐사지 여행은 그

래서 ‘고즈넉하다’는 단어와 가장 잘 어울리는 이즈음이 제격이다.

폐사지 순례의 정수, 흥법·법천·거돈사지를 만나다

태백에서 시작된 물줄기는 충주에 이르러 한껏 몸을 불린 뒤 원주로 넘어온다. 힘차게 흘

러가는 남한강 물길 따라 사람도, 물품도 원주로 흘러들었다. 활발한 인적·물적 교류는 불교

문화의 든든한 밑거름이 되었다. 원주의 대표 폐사지인 흥법사지, 법천사지, 거돈사지가 모두

남한강 주변에 위치한 건 그 때문인지도 모른다.

세 절터는 많은 점에서 닮았다.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절터가 대부분 남한강을 곁에 두고

보물 제464호로 지정된 흥법사지 삼층석탑

89

있다. 외따로 떨어진 흥법사지가 섬강에 접하지만, 섬강 역시 남한강과 몸을 섞어 서해로 흘러

드니 같은 물줄기로 봐도 큰 무리는 없다. 절집이 태어나고 스러진, 창건과 폐사 시기도 비슷

하다. 세 사찰이 언제 처음 산문을 열었는지 정확한 기록은 남지 않았지만, 통일신라 말에 창

건되었다는 데 이견이 없다.

이는 가람 배치를 통해서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다. 흥법사지와 거돈사지에 삼층석탑이

있는데, 석탑 한 기와 법당이 나란한 일탑일금당(一塔一金堂) 방식은 통일신라 후기에 보이는

전형적인 가람 배치다. 통일신라 초기부터 중기에는 경주의 감은사지와 불국사처럼 법당 앞에

석탑 두 기를 세우는 쌍탑일금당(雙塔一金堂) 배치가 일반적이었다. 산중이 아니라 평지에 터

를 잡았다는 점도 통일신라 후기 사찰의 특징 가운데 하나다. 고려 시대 왕의 스승인 국사가

머물며 전성기를 누렸지만 임진왜란의 화마에 폐사된 점, 일제강점기에 반출된 대사탑이나 국

사탑이 끝내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타지에 남은 운명도 닮았다.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

탑(국보 101호)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보관해오다가 보존처리을 위해 대전의 국립문화재연구

소로 옮겨졌고,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보물 190호)과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

(보물 365호),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국보 104호)은 국립중앙박물관에, 그리고 깨어

진 진공대사탑비 몸돌은 경복궁에 있다.

절터에 남은 역사의 흔적

영동고속도로 문막 IC에서 빠져 섬강 물줄기를 조금 거슬러 오르면 민가와 논밭이 어우러

진공대사탑비 뒤로 보이는 삼층석답 진공대사탑비

90

진 자그마한 공터에 흥법사지가 있다.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보물 463호)와 삼층석탑

(보물 464호)이 30m 거리를 두고 비스듬히 마주 선 형세다. 진공대사탑비는 경복궁으로 옮겨

진 몸돌 대신 머릿돌이 받침돌에 올라앉았다. 마치 처음부터 하나인 듯 자연스럽다. 섬세하게

조각된 머릿돌과 거북의 몸을 거느린 받침돌의 용두에서 고려 초기의 활달한 기상이 고스란

히 느껴진다.

아직 본격적인 발굴이 시작되지 않아 절의 규모를 짐작하기 어렵지만, 삼층석탑을 기준으

로 북쪽에 산이 있고 남쪽에 섬강이 흐르는 배산임수 지형을 감안하면 남쪽의 경작지 일대와

섬강 변까지 아우르는 대찰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삼층석탑 남쪽 경사지에는 석축을 잇는 돌

계단 위로 종루가 있었을 테고, 그 앞을 사천왕문이 듬직이 지켰으리라. 진공대사탑비의 비각

은 탑비의 아름다운 조각만큼 화려한 단청으로 한껏 치장했을지도 모른다.

흥법사지에서 길을 되짚어 남한강을 따라 부론면으로 방향을 잡으면 원주 법천사지(사적

466호)가 나온다. 번성할 때 마을 전체가 사찰이었다더니, 그 규모가 보통이 아니다. 발굴 공

사가 진행 중인 평지 뒤로 차곡차곡 단을 올린 석축이 눈길을 끈다. 석축 사이 돌계단을 오르

면 그 끝에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국보 59호)가 있다. 법천사지에 온전히 남은 유일한

석물로,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와 달리 몸돌까지 남아 존재감이 묵직하다.

지광국사탑비는 거북 모양 받침돌에 오석으로 만든 몸돌을 세우고, 왕관 모양 머릿돌을

얹었다. ‘신이 내린 걸작’이라는 찬사에 걸맞은 조각 솜씨가 돋보인다. 몸돌 측면에 승천하는

용이 돋을새김으로 표현되어 생동감 있다. 받침돌 귀갑문에 새긴 왕(王) 자도 특이하다. 만

(卍) 자 대신 왕(王) 자를 새긴 탑비는 남한에서 유일한 것으로, 고려 왕실이 지광국사를 얼마

나 예우했는지 짐작케 한다.

흥법사지 삼층석탑 흥법사지 전경

91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는 국보 제59호이다 낄끔히 석축으로 복원된 법천사지

법천사지 주춧돌

법천사지는 여전히 발굴이 진행 중이다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는 국보 제59호이다

지광국사탑비가 있는 우측 공터는

지광국사탑이 있던 자리다

92

폐사지에서 되살아나는 1000년의 시간

법천사지와 거돈사지는 자작고개를 사이에 두고 있다. 원주 거돈사지(사

적 168호)는 흥법사지와 법천사지에 비해 완성된 폐사지다. 폐사지를 두고

‘완성’이라는 단어를 쓰는 게 적절한 표현인지 모르지만, 가지런히 쌓은 석축

사이 돌계단에 올라 마주한 절터는 단아하고 정갈한 절집의 모습 그 자체

다. 무엇보다 석탑이 온전히 남았고 금당 터가 복원되어, 상상력을 조금 보

태면 거돈사의 간단한 밑그림을 그려볼 수 있다. 창건 시기는 앞서지만, 원

주를 대표하는 구룡사의 가람 배치와 비교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거돈사지의 가람 배치 역시 통일신라 후기 특징인 일탑일금당 방식을 따

른다. 날렵한 자태를 뽐내는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보물 750호) 뒤로 널

찍한 금당 터가 있고, 석탑 오른쪽 100m 떨어진 곳에 원공국사탑비(보물

78호)가 보인다. 금당 터 가운데 시루 두 개를 엎어놓은 듯 큼직한 석좌대

도 옛 모습 그대로다. 불상이 있던 석좌대는 어른 둘이 손을 맞잡아도 여유

로울 정도로 넉넉하다.

◀ 섬세한 조각이 돋보이는 지광국사탑비

▲ 용의 얼굴을 하고 있는 지광국사탑비의 받침돌

▶ 지광국사탑비 몸돌 측면에 돋을새김한 승천하는용의 모습

93

거돈사지의 가장 깊은 곳, 북쪽 기슭에서

는 세월을 비켜 간 듯 산뜻한 원공국사탑을

만날 수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원주 거

돈사지 원공국사탑(보물 190호)을 본떠 만들

었지만, 빈터의 허함을 채우기에 부족함이 없

다. 북쪽 기슭 언덕에 서면 거돈사지를 한눈에

담을 수 있다.

석축 계단 옆 느티나무도 거돈사지의 명물

이다. 거돈사와 역사를 함께한 느티나무는 수

령이 1000년이 넘는다. 느티나무 뿌리가 석축

깊숙이 뻗어 ‘돌을 먹고 사는 나무’라고 불린

다. 거돈사의 흥망성쇠를 지켜본 느티나무 그

늘 아래 앉아 천천히 걸어온 길을 되짚으면,

잊힌 시간 속에 흩어진 편린이 퍼즐 맞춰지듯

하나씩 모여든다. 대웅전이 보이고, 석탑과 마

주한 종루도 눈에 들어온다. 은은한 풍경 소리

에 더해진 불경 소리가 들린다. 폐사지는 그렇

게 꿈처럼 되살아난다.

1 거돈사지 1000년 느티나무

2 보물 제78호로 지정된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3 거돈사지 삼층석탑과 금당 터

4 거돈사지에 재현해 놓은 원공국사탑

5 거돈사지에서 발굴된 석물들을 한 데 모아놓았다

1

2

3

4

5

94

여행 정보

흥법사지 강원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 517-2 / 033-733-1330(원주시 관광안내소) / 홈페이지 없음 /

상시 / 연중무휴 / 관람료 무료

법천사지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 629 / 033-733-1330(원주시 관광안내소) / 홈페이지 없음 /

상시 / 연중무휴 / 관람료 무료

거돈사지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정산리 18 / 033-733-1330(원주시 관광안내소) / 홈페이지 없음 /

상시 / 연중무휴 / 관람료 무료

금당 터에 남아있는 주춧돌

시루 두 개를 엎어놓은 듯한 모습의 불상좌대

거돈사지 삼층석탑 뒤로 금당 터와

불상좌대가 보인다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