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장애인 대상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지원 후 …...중증장애인 대상...

57
중증장애인 대상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지원 후 만족도와 삶의 질의 상관관계 분석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Upload: others

Post on 04-Jan-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중증장애인 대상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지원 후

만족도와 삶의 질의 상관관계 분석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김 미 정

중증장애인 대상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지원 후

만족도와 삶의 질의 상관관계 분석

지도 정 민 예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10년 6월 29일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김 미 정

김미정의 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 정 민 예 인

심사위원 유 은 영 인

심사위원 박 수 현 인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10년 6월 29일

감사의 글

주변을 돌아볼 여유가 없는 상황에서도 더욱 감사한 사람들을 곁에 허락하신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더욱 나누면서 살겠습니다. 보조공학이라는 새로운

분야에서 불태울 수 있는 열정을 선물로 주시고 다른 길로 눈을 돌리지 않고

소신을 가지고 일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시는 김명순 삐에따스 수녀님, 김상진

실장님, 그리고 오히려 저를 격려해주시는 이용자분들께 감사드립니다. 한걸음

더 나아가도록 큰 힘이 되어 주시는 아버지, 어머니 사랑합니다. 항상 제 편이

되어주는 미선언니, 형부, 동생 민영이에게도 고맙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치료환경이 아닌 분야에서 작업치료사로서 정체성을 잃지 않고 새로운 꿈을

꿀 수 있도록 귀한 가르침으로 지금까지 이끌어주신 정민예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따스한 상담과 조언으로 다양한 학문의 접목에 대해 깊이 관심

가져주시는 전혜선 교수님, 김성한 교수님, 감사합니다. 논리 속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도록 지도해주셨던 조상현 교수님께도 감사드립니다.

항상 발 동동거리던 저를 세심히 챙겨준 동기들, 하나, 승원이, 기한상

선생님에게도 감사합니다. 마지막으로 학업을 병행하느라 제가 충분히 챙기지

못한 자리에서, 서울보조공학서비스센터가 개소하는 순간부터 지금까지 훌륭히

지키고 있는 센터의 식구들에게도 고맙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지식을

실천하면서 현장에서 만나게 될 많은 사람들에게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10 년 6 월

김 미 정 드림

- i -

차 례

그림 차례 ··············································································· ⅲ

표 차례 ················································································· ⅳ

국문요약 ················································································ ⅴ

제1장 서론 ·············································································· 1

제2장 연구 방법 ········································································ 5

2.1 연구 대상 ········································································ 5

2.1.1 일반적 사항 ································································· 6

2.1.2 지원내역 분석 ······························································ 9

2.2. 연구 방법 및 도구 ···························································· 11

2.2.1 조사방법 ···································································· 11

2.2.2 조사도구 ···································································· 11

2.2.2.1 일반적 사항 ··························································· 12

2.2.2.2 주관적 수행 향상 ··················································· 13

2.2.2.3 보조기구/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조사지 ··························· 13

2.2.2.4 삶의 질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보조공학기기의 심리사회적 영향 척

도(PAIDS) ··························································· 14

2.3 분석 방법 ······································································· 15

제3장 결과 ············································································· 16

3.1 주관적 수행 향상 분석 ························································ 16

3.2 보조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분석 ··································· 18

3.2.1 보조기구 만족도 ··························································· 18

- ii -

3.2.2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 21

3.3 PAIDS를 이용한 삶의 질 변화 ··············································· 23

3.4 이용자 만족도와 삶의 질 변화 간 상관관계 분석 ·························· 24

제4장 고찰 ············································································· 28

제5장 결론 ············································································· 36

참고문헌 ················································································ 38

영문요약 ················································································ 44

- iii -

그림 차례

그림 1. 맞춤PC 지원사업에서 보급된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사용 장면 ·········· 5

그림 2. 연구 대상자 선정 과정 ······················································· 6

- iv -

표 차례

표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 7

표 2. 맞춤PC 지원내역 ································································ 9

표 3. 연구를 위해 사용한 설문지 구성 ············································· 12

표 4. 주요 변수의 신뢰도 검증 결과 ················································ 15

표 5. 연구 대상자가 응답한 주관적 수행 향상 ···································· 17

표 6. 보조기구 만족도 ································································ 19

표 7.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 21

표 8. 보조기구/보조공학서비스 이용에 따른 PAIDS(삶의 질 변화) 결과 ······ 24

표 9. 보조기구/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와 PAIDS 항목 간 상관관계 ············ 27

- v -

국문요약

중증장애인 대상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지원 후

만족도와 삶의 질의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는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이용에 따른 주관적 수행

향상, 보조기구/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삶의 질 변화 정도를 살펴보고, 이용자 만

족도와 삶의 질 변화 간의 관련성을 밝혀 추후 더욱 효과적인 보조공학서비스를

전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07년 8월부터 2009년 5월까지 ㈜

NHN의 후원으로 서울보조공학서비스센터에서 실시한 “장애인 맞춤PC지원 사업”

을 통해 컴퓨터접근 보조기구를 보급받은 중증 지체·뇌병변 장애인 55명을 대상

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4개 영역, 총 58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일반적 사항, 연구대상자의 주관적 수행 향상, 보조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에 대

한 만족도 설문과 표준화된 자기-보고식 설문지 ‘보조공학기기의 심리사회적 영

향 척도(PIADS)’를 이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2009년 3월~10월까지

우편 및 전화로 진행되었으며, 설문내용 중 누락된 항목 없이 완전히 기재한 응답

자 34명의 응답 결과를 통계처리하였다.

주관적 수행 향상, 보조기구/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PAIDS로 알아본 삶의 질

변화의 절대량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로 빈도분석과 평균분석을 하였고, 보조기구/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와 삶의 질 변화 간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체·뇌병변 장애인 34명에게 컴퓨터접근 보조기구를 지급 후 불편함 해

결 91.2%, 조작의 정확성 82.4%, 조작 속도 61.8%, 컴퓨터 사용활동 증가

- vi -

70.6%, 컴퓨터 사용 지속시간 증가 79.5%, 사회참여활동 증가 50.0%로,

컴퓨터 접근보조기구 사용 후 주관적 수행능력이 향상되었다.

2.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만족도에 대한 조사결과 연구대상자들은 편안함, 용이

함, 효과성, 적합성, 안전함, 내구성 등 컴퓨터접근 보조기구의 특성에 만족

하였다.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중 이용의 편리함, 담당자의 전문성, 재이용

욕구에는 만족하나 접수~보급까지의 경과시간 만족도는 다소 낮았다.

3. PAIDS의 하위척도인 능력, 적응력, 자아존중 모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컴퓨터접근 보조기구를 보급받고 사용함으로써

연구대상자들의 94%가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받았다고 하였다.

4. ‘보조공학기기의 심리사회적 영향 척도(PIADS)’ 를 통한 삶의 질 변화와

보조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PAIDS 하위항목

중 능력은 보조기구의 효과성, 적합성, 편안함, 용이함, 안전함과 양의 상관

관계를, 적응력은 보조기구의 편안함, 효과성, 적합성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

였고, 자아존중은 보조기구의 편안함, 용이함, 효과성, 적합성, 안전함과 유

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중 서비스 이용의 편

리함, 담당자의 전문성은 보조기구 만족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특

히 담당자의 전문성은 보조기구 효과성과 보다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p<.05).

이 연구를 통하여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지원을 통해 중증 지체•뇌병변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도 중중 지체•뇌병변장

애인에게 보조기구 지원은 확대되어야 하며, 향후 컴퓨터접근 외에도 다양한 영역

에의 보조공학 임상적용 효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

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 1 -

제1장 서론

컴퓨터에 접근하고 활용하는 것은 장애인의 삶의 질을 크게 개선시킨다(권혁

철, 2002). Boggus(1985)는 장애인의 환경 조절, 직업교육 및 평가, 인지지각 훈

련, 의사소통 기능, 학습 및 여가활동 목적으로 컴퓨터가 사용되어 왔으며,

English(1975) 또한 신체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컴퓨터 교육을 통해 직업, 여

가 및 예술활동의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Link와

Frydenberg(1989)는 사지마비 장애인이 재활프로그램으로 컴퓨터 훈련에 참여

하는 것은 몇몇 일상생활동작 수행의 독립성 제공에 크게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Vanderheiden(1987)도 중증 신체장애를 가진 사람이 재활과정에서 컴퓨터 훈련

을 받으면 직업 수행능력이 향상될 뿐 아니라 정신적 유익과 자존감, 사회적 참여,

열정 등이 증가되며, 보조공학에 더하여 적절한 보조공학서비스 제공이 매우 중요

한 요소라고 주장하였다. O’Leary 등(1991)은 장애인의 컴퓨터 사용이 컴퓨터접

근 보조기구 사용으로 성취될 수 있다고 했고, Link와 Frydenberg(1989)도 컴퓨

터접근 보조기구 적용은 교육, 직업, 여가 활동의 기회 제공뿐만 아니라 환경적

접근을 보다 편리하게 한다고 주장하였다.

권혁철(2006), Miller(2002)는 치료 중심의 장애인 재활 패러다임이 보조공

학(Assistive Technology: AT)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보조공학은 재활치료의 한

계를 넘어 일상생활, 직업획득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궁극적으로 장애인의 삶

의 질을 높인다고 하였다. 보조공학은 보조기구와 보조공학서비스로 구분된다

(Cook과 Hussey, 2002). 보조기구란 장애인의 기능을 증진·유지·향상시키는

데 사용되는 1)시중에서 구입 가능한 기구나 상품, 2)개조 또는 주문 제작하는 물

- 2 -

품이나 장비 또는 제품 시스템을 말한다. 보조공학서비스는 이용자의 상태, 장애

정도에 따라 다양한 치료·훈련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더라도 재활이 어려운 경우,

방법 및 적용기구를 사용하여 장애인의 기능과 삶의 질을 증진·유지·향상시키

는 기술이다.

염희영(2007)은 최근 보조공학서비스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이에 대한 요

구가 특수교육, 직업재활 등 다양한 재활분야에서 나타나고 있지만, 보조공학서비

스의 적용 방법, 효과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라고 하였다. 김영걸과

김용욱(2006)도 보조공학 적용 효과에 대한 평가 요구는 높으나 평가를 경험한

대상자는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현재 국내에서 실시된 보조공학 관련 선행연구들

은 보조공학의 개념 정의, 실태 파악 및 법적/제도적 필요성을 강조하는 수준이며

특수교육 분야에 집중되어 있어 임상적용에 따른 효과 연구, 사용자의 만족도와

삶의 질을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정동훈, 2009).

보조공학 중재 후 효과의 측정은 다양한 변수를 통해 가능하다. Cook과

Polar(2008)는 작업수행능력, 만족도, 삶의 질 및 자아존중감의 변화 등으로 보

조공학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고 하였다. 정동훈(2009)도 개인의 신체적, 정신

적, 사회적인 특성과 능력, 요구를 총체적으로 고려한 보조공학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해 객관적인 효용성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Toshivo(2003)는 신

체적, 인지적 제한을 가진 노인에게 보조기구의 적용은 자립과 삶의 질 향상에 중

요한 전략이라고 하였고, Burnfield 등(1978)은 상실된 기능을 대체하는 가전제

품의 리모콘 조작, 변형된 스위치, 양방향 컴퓨터 장비와 같은 보조기구의 적용이

다발성 경화증에 기인하여 장애를 갖는 사람들의 자립과 삶을 증진시켜 그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Brose 등(2010)도 장애인에게 로봇을 활용

- 3 -

한 보조공학 적용 연구에서 전동 식사 보조기구, 전동 휠체어 등 전동장치를 접목

한 첨단 보조기구가 장애인의 독립과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데 유용하다고 언급하

였다. 국내 선행연구에서도 사지마비 중증장애인에게 고급보조공학을 적용하였을

때 이들의 일상생활에서의 자신감과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되고, 긍정적인 삶의 변

화가 있었다고 보고되었으며(차태현, 유인규, 2009), 장문영 등(2005)도 신체장

애인이 보조기구를 사용하면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는 차이가 없으나 지역사회

참여에 대한 삶의 만족도가 높아진다고 하였다. 이처럼 서비스 효과 평가의 척도

로 기능의 변화와 삶의 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삶의 질 변화에 대한 연구는 미흡

하며(최선애, 2004), 국내 보조공학 도입 이래, 학습, 직업, 여가 등 다양한 활동

에 참여 목적으로 컴퓨터접근을 임상적용하고 그 효과를 규명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조공학의 다양한 분야 중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영역에서

개인의 컴퓨터 접근성 향상 목적으로 제공된 보조공학적 중재가 중증 지체·뇌병

변 장애인의 컴퓨터 작업 수행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더욱 실효적인 보조

공학 중재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보조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와 삶의 질 간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1. 컴퓨터접근 영역에서의 보조공학적 중재는 중증 지체·뇌병변 장애인의

컴퓨터 작업 수행에 영향을 줄 것이다.

2. 상담·평가를 통해 지원된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에 중

증 지체·뇌병변 장애인은 만족할 것이다.

- 4 -

3. 컴퓨터접근에 대한 보조공학적 중재는 중증 지체·뇌병변 장애인의 삶의

질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4.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전달체계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삶의 질 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5 -

제2장 연구 방법

2.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보조공학서비스센터에서 ㈜NHN의 지정기탁

후원사업으로 진행한 「장애인 맞춤PC 지원사업」을 통해 컴퓨터 및 컴퓨터접근

보조기구를 무료로 보급받은 지체·뇌병변 장애인 55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장애인 맞춤PC 지원사업은 컴퓨터에 대한 물리적 접근성을 높이는 보조공학서비

스를 통해 중증장애인의 온라인 사회활동 및 장애인의 자기실현 통로를 마련하여

이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국 거주 만 10세 이상 중증장애인을 대상으

로 2007년 8월부터 2010년 5월까지 21개월간 실시한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보

급 사업이다.

그림 1. 맞춤PC 지원사업에서 보급된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사용 장면

- 6 -

전체 97명으로부터 신청•접수되었고, 심사의 과정을 거쳐 총 55명의 지원대

상이 선정되었다. 이 중 누락된 항목 없이 완전하게 설문조사에 응한 중증장애인

34명을 대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림 2. 연구 대상자 선정 과정

2.1.1 일반적 사항

평균분석을 이용한 기술통계 결과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9±9.7세로

최소 10세~최대 52세의 범위에서 나타났으며, 평균 10.18±5.14년 동안 교육받

았고 월평균소득은 평균 135±137.0만원이었다.

- 7 -

연구 대상자는 남자(76.5%)가 여자(23.5%)보다 많았으며, 연령은 20대

(52.9%)가 가장 많았다. 34명 모두 1급으로 등록한 중증장애인이었고, 뇌병변장

애인(44.1%)보다 지체장애인(55.9%)이 더 많았는데 진단명으로는 뇌성마비

(41.2%), 근이영양증(38.2%)순으로 많았다. 교육수준은 교육기간 10~12년

(32.4%)이 가장 많으며, 월평균소득은 50~100만원(41.2%)이 많다. 컴퓨터접근

보조기구를 이용하기 전에 연구 대상자가 겪은 불편함으로는 컴퓨터를 장시간 지

속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움(35.3%)이 가장 많았으며, 정보입력 시 마우스, 키보드

의 조작이 느림(26.4%)이 뒤를 이었다. 결과는 표 1과 같다.

표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N=34)

변 수 구 분 빈도 퍼센트 평균±표준편차

성 별 남 자 026 076.5 -

여 자 008 023.5

연 령 0 ~ 9세 000 0. 0.0

29±9.7

10~19세 005 014.7

20~29세 018 052.9

30~39세 005 014.7

40~49세 004 011.8

50~59세 002 005.9

장애등급 1급 034 100.0 -

2~6급 000 000.0

- 8 -

장애유형 진단명

-

지체장애 척수손상 002 005.9

근이영양증 013 038.2

관절염 001 02.9

골형성부전증 001 02.9

루게릭 001 02.9

기타 희귀질환 001 02.9

뇌병변장애 뇌성마비 014 041.2

외상성뇌손상 001 002.9

교육기간 0년 004 011.8

10.18±5.14년

1~6년 004 011.8

7~9년 006 017.6

10~12년 011 032.4

16년 이상 009 026.4

월평균 0~50만원 미만 004 011.8

135±137만원

가계소득 50~100만원 미만 014 041.2

100~150만원 미만 003 008.8

150~200만원 미만 003 008.8

200만원 이상 010 029.4

주된 장시간사용 지속 불가 012 035.3

어려움 컴퓨터접근 불가 환경 002 005.9

자세유지의 어려움 002 05.9

- 9 -

시/청각적 정보접근 불가 005 14.7

입력 시 조작의 부정확 004 011.8

입력 시 조작 속도 느림 009 026.5

합 계 034 100.0 0

2.1.2 지원내역 분석

맞춤PC 지원내역은 표 2와 같다. 해당 사업에서 보급된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는 총 282점으로, 1인당 평균 4.9±1.7점 지원되었으며 3~4점 지원(41.2%)이

가장 많았다. 보조기구 보급에는 1인 평균 270.8±218.9만원 소요되었는데,

200~300만원(32.3%) 소요된 경우가 가장 많다. 상용+맞춤제작이 혼합된 형태

(50.0%)로 지원된 경우가 많고, 주로 입력, 출력 및 자세유지, 환경중재가 복합되

어 제공되었다(73.5%).

지원된 보조기구 사용기간은 평균 11.12±5.07주이며, 6~12개월(47.1%) 사

용한 연구대상자가 가장 많다. 1일 컴퓨터 사용시간은 평균 7.8±4.0시간이며,

5~8시간 미만, 8~11시간 미만이 각각 26.5%로 많았다.

표 2. 맞춤PC 지원내역 (N=34)

변 수 구 분 빈도 퍼센트

평균±표준편

보조기구 1~2점 2 5.9 4.9±1.7점

지원수량 3~4점 14 41.2

- 10 -

5~6점 12 35.3

7점 이상 6 17.6

지원금액 100만원 미만 4 11.8

270.8±218.9

만원

100~200만원 미만 10 29.4

200~300만원 미만 11 32.3

300~400만원 미만 4 11.8

400만원 이상 5 14.7

보조기구 상용 보조기구 9 26.5

- 구매형태 맞춤 제작 보조기구 8 23.5

상용+맞춤제작 혼합 17 50.0

보조기구 입력 보조기구 3 8.8

-

종류 출력 보조기구 0 0.0.0

자세유지 0 0.0.0

사용환경 중재 6 17.7

복합 지원 25 73.5

보급 6개월 미만 5 14.7

11.2±5.1주 보조기구 6~12개월 미만 16 47.1

사용기간 12~18개월 미만 7 20.6

18개월 이상 6 17.6

1일 평균 2시간 미만 2 5.9

7.8±4.0시간 컴퓨터 2~5시간 미만 6 17.6

사용시간 5~8시간 미만 9 26.5

- 11 -

8~11시간 미만 9 26.5

11시간 이상 8 23.5

합 계 34 100.0 0

2.2 연구 방법 및 도구

2.2.1 조사방법

본 연구에서는 보조공학 전문가에 의해 개인에게 적합하다고 추천된 컴퓨터

접근 보조기구의 적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대상자가 주관적으로 측정한 수

행 향상,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삶의 질 변화를

알아보고자 설문을 구성하였다. 설문은 ‘일반적 사항, 주관적 수행 향상, 보조기구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조사설문지’로 구성하였으며 이와 함께 표준화된 자기-

보고식 설문을 사용하였다. 보조공학서비스 완료 후 2009년 3월부터 10월까지

일반적 사항, 주관적 수행 향상 정도, 보조기구/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삶의 질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우편 및 전화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2.2 조사도구

본 연구에서는 보조기구/보조공학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컴퓨터접근 보조기

구 사용에 따른 삶의 질 변화 간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4개 영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1) 일반적 사항, 2) 대상자가 전후비교하여 평가

한 주관적 수행 향상, 3)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설문지와 4) 보조공학기기 사용에 따른 심리사회적 변화 척도(PAIDS)로 총 58

- 12 -

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표 3과 같다.

표 3. 연구를 위해 사용한 설문지 구성

구분 문항 문항 수 점수 체계

일반적 사항 인구통계학적 정보 08 -

지원내역 08 -

주관적 수행 향상 서비스 전후 수행도 비교 06 1~5점

보조기구 및 서비스

만족도

보조기구 만족도 06 1~5점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04 1~5점

PAIDS 능력 12 -3~+3점

적응력 06 -3~+3점

자아존중 08 -3~+3점

2.2.2.1 일반적 사항

일반적 사항은 연구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정보 8문항, 지원내역 8문항

이며 총 1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여기에는 성별, 연령, 학력, 월소득 등 사회경

제적 상황과 서비스 전에 겪던 주된 어려움, 문제 해결을 위해 제공된 보조기구

및 서비스 지원내역, 이용 현황 관련 문항이 포함되었다. 해당 문항을 선정하기

위해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이용자 만족도 설문지, 보조공학서비스 효과분석(한

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2007)에서 사용된 ‘보조공학기기 및 서비스에 대한 설문

조사지’, 맞춤PC 지원사업의 이용신청서를 참고, 인용하였다.

- 13 -

2.2.2.2 주관적 수행 향상

각 문항은 컴퓨터접근 영역 관련 보조공학서비스를 이용한 연구대상자가

그 효과를 주관적으로 평가하고, 상담•평가를 거쳐 결정된 서비스 방향에 의해

보급된 컴퓨터접근 보조기구가 개인의 컴퓨터접근 어려움 해결에 얼마나 도움

이 되었는지 조사한다. 보조공학서비스 효과분석(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2007)에서 장애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사용한 ‘보조공학기기 및 서비스에 대한

설문조사’ 중 작업불편 정도 1문항, 작업수행능력 3개 문항 중 2개(작업의 정

확성, 속도 향상)의 총 3개 문항을 인용하였고, 이를 컴퓨터 작업에 맞추어 변

경하여 문항을 구성하였다. 이외에도 컴퓨터 작업 수행활동 측면에서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장애인 맞춤PC 지원사업’ 목적에 따른 3개 문항을 추가하였다.

각 문항은 1~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수행이 향상되었음

을 의미한다.

2.2.2.3 보조기구/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조사지

‘보조기구/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조사지’는 보조공학기기 사용자의 보조공

학기기와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Demers. et al(2000)가 개발

한 QUEST 도구의 12문항 중에서 보조공학기기 만족도 8문항 중 6문항을, 보

조공학서비스 만족도 4문항 중 3문항을 일부 발췌하여 사용하였고, 서울장애인

복지관 이용자 만족도 조사지를 참고하여 보조공학서비스 전반에 대한 만족감

반영 지표로 ‘재이용 욕구’ 1문항을 추가하여 구성하였다. 각 항목은 1~5점 리

커트 척도로 측정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수행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 14 -

2.2.2.4 삶의 질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보조공학기기의 심리사회적 영향 척

도(PAIDS)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보조공학기기의 심리사회적 영향 척도(PIADS:

Psychosocial Impact of Assistive Devices Scale)”는 26개 항목으로 구성되

어 기능적 독립성, 안녕 및 삶의 질에 대한 보조공학기기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

한 자기-보고식의 설문이다. 보조공학기기의 심리사회적 영향 척도는 3가지 하

위척도들로 구성되어 있다(Day & Jutai, 1996). 자기욕구실현능력

(competence: 12항목)은 자기욕구 실현능력, 생산성, 유용성 등에 대한 문항들

을 포함한다. 두 번째 하위구조인 적응성(adaptability: 6항목)은 공동체 활동에

대한 참여능력, 진취적 태도, 기회활용 능력과 같은 문항들을 포함한다. 세 번째

하위척도인 자존감(self-esteem: 8항목)은 자존감, 안전감, 자신감 등의 문항

들을 포함한다. 점수체계는 -3점(가장 부정적인 영향), -2점(부정적인 영향),

-1점(다소 부정적인 영향), 0점(지각된 영향이 없음), +1점(다소 긍정적인 영

향), +2점(긍정적인 영향), +3점(가장 긍정적인 영향)의 범위로 나뉘어져 있다

(채수영 외, 2008).

위의 조사도구에서 주요 변수가 측정하고자 하는 현상을 일관되게 측정하였

는지 살펴보기 위해 각 변수들의 크론바흐 알파(Cronbach’s Alpha) 값을 측정한

결과는 표 4와 같으며 신뢰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15 -

표 4. 주요 변수의 신뢰도 검증 결과

구 분 Cronbach’s Alpha

주관적 수행 향상 .876

보조기구 만족도 .931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605

PAIDS(삶의 질 변화) .943

※ PAIDS(Psychosocial Impact of Assistive Devices Scale)는‘보조공학기기의 심리사

회적 영향 척도’이며, 삶의 질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되었다.

2.3 분석 방법

설문지에 포함된 조사내용과 목적에 따라 수집된 자료를 각각 통계처리하여

분석했다. 일반적 사항, 주관적 수행 향상, 보조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는

기술통계를 실시하여 빈도와 평균을 분석하였고, 삶의 질 변화는 기술통계로 평균

분석하여 각 측정값의 절대량을 알아보았다. 보조기구/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와

‘보조공학기기의 심리사회적 영향 척도’의 하위척도별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3점~+3점’의 점수체계인 ‘보조공학기기의 심

리사회적 영향 척도’ 하위항목 점수를 연속변수 처리하기 위해 1~7점으로 변환

후, 각 항목이 속하는 하위척도별 평균과 보조기구/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간 상

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검정을 위한 유의수준은 α=0.05로 하였으며, 자료의 통계처리를 위해 상용

통계 프로그램인 윈도용 SPSS version 12.0KO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 16 -

제3장 결과

3.1 주관적 수행 향상 분석

연구 대상자들은 맞춤PC 지원 후 주관적인 수행 향상 정도에 대해 응답하였

다. 맞춤PC 지원 전, 대상자들이 컴퓨터접근 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지원 후에 스스로 보조기구 사용 전후를 비교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표 5와

같다.

서비스 후 주된 어려움의 해결 정도는 평균 4.35±0.73으로 ‘해결되었다’ 수

준으로 응답하였고 4점 이상이 91.2%이다. 컴퓨터 조작의 정확성은 향상되었고

(평균 4.18±0.79), ‘향상되었다’에 해당하는 4점 이상은 82.4%이다. 컴퓨터 조

작속도는 61.8%가 빨라졌다고 응답했다(평균 3.79±1.15). 연구대상자의 70.6%

가 컴퓨터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활동이 증가하였으며(평균 3.97±1.00), 컴퓨터

사용시간은 대상자들의 79.5%에서 증가하였다(평균 4.24±0.86). 사회활동 참여

증가는 평균 3.41±0.96로 ‘그저 그렇다’ 수준에 해당하는데, 대상자의 50.0%만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사용 후 사회활동의 참여가 증가하였다고 응답하여 다른 항

목에 비해 효과가 다소 낮게 나타났다.

- 17 -

표 5. 연구 대상자가 응답한 주관적 수행 향상 (N=34)

수 행 척도 구분 빈도 퍼센트 평균±표준편차

불편의 해결 1점 000 000.0

4.35±0.73

2점 001 002.9

3점 002 005.9

4점 015 044.1

5점 016 047.1

조작의 정확성 1점 000 000.0

4.18±0.78

2점 001 002.9

3점 005 014.7

4점 015 044.1

5점 013 038.3

조작의 속도 1점 001 002.9

3.79±1.15

2점 004 011.8

3점 008 023.5

4점 009 026.5

5점 012 035.3

컴퓨터 사용활동 1점 001 002.9

3.97±1.00

증가 2점 001 002.9

3점 008 023.6

4점 012 035.3

5점 012 035.3

- 18 -

컴퓨터 사용시간 1점 000 000.0

4.24±0.86

증가 2점 001 002.9

3점 006 017.6

4점 011 032.4

5점 016 047.1

사회참여 활동 1점 000 000.0

3.41±0.96

증가 2점 007 020.6

3점 010 029.4

4점 013 038.2

5점 004 011.8

합 계 034 100.0 0

※ ‘주관적 수행 향상’의 각 항목은 1~5점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수행이 향상되었

다는 의미이다(1점-전혀 아니다; 2점-아니다; 3점-그저 그렇다; 4점-그렇다; 5점-매

우 그렇다).

3.2 보조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분석

3.2.1 보조기구 만족도

표 6은 맞춤PC 지원 후 연구대상자들의 컴퓨터접근 보조기구에 대한 만족도

를 나타낸 것이다. 지원 전, 대상자들은 컴퓨터접근 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았다.

컴퓨터접근 보조기구에 대한 만족도 각 항목에 연구대상자의 82.3~94.1%가 4점

- 19 -

이상(만족함, 매우 만족함)으로 응답하여 지원된 컴퓨터접근 보조기구의 특성에

대다수가 만족감을 나타냈다. 편안함은 94.1%가 4점 이상으로 만족한다고 응답

하였고(평균 4.35±0.98), 용이함(평균 4.12±0.91), 효과성(평균 4.26±0.96)

에는 대상자의 85.3%가 만족감을 표현하였다. 평균분석 결과는 편안함, 효과성이

다른 문항에 비해 높았다.

표 6. 보조기구 만족도 (N=34)

보조기구 만족도 척도 구분 빈도 퍼센트 평균±표준편차

편안함 1점 02 005.9

4.35±0.98

2점 00 000.0

3점 00 000.0

4점 14 041.2

5점 18 052.9

용이함 1점 01 002.9

4.12±0.91

2점 01 002.9

3점 03 008.8

4점 17 050.0

5점 12 035.3

효과성 1점 01 002.9

4.26±0.96 2점 01 002.9

3점 03 008.8

- 20 -

4점 12 035.3

5점 17 050.0

적합성 1점 01 002.9

4.18±0.97

2점 01 002.9

3점 04 011.8

4점 13 038.2

5점 15 044.1

안전함 1점 01 002.9

4.09±1.06

2점 03 008.8

3점 02 005.9

4점 14 041.2

5점 14 041.2

내구성 1점 02 005.9

4.15±1.08

2점 01 002.9

3점 02 005.9

4점 14 041.2

5점 15 044.1

합 계 34 100.0 0

※ ‘보조기구 만족도’의 각 항목은 1~5점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만족한다는 의미이

다(1점-전혀 아니다; 2점-아니다; 3점-그저 그렇다; 4점-그렇다; 5점-매우 그렇다).

- 21 -

3.2.2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표 7은 다영역 전문가에 의해 제공된 컴퓨터접근 영역의 보조공학서비스를

이용한 응답자들의 만족도를 나타낸 것이다. 대상자들은 서비스 전반에 대해 “만

족함”에 해당하는 수준의 만족감을 표현하였다. 문항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서비

스 이용의 편리함(평균 4.12±0.84)은 82.3%의 연구대상자들이 만족했다. 서비

스를 제공한 담당자의 전문성(평균 4.35±0.81)에는 대상자들의 85.3%가 4점

이상으로 만족하였다. 재이용 욕구(평균 4.76±0.65)는 94.1%의 응답자가 만족

했으며 특기할 점은 ‘매우 만족’한 응답자의 비율이 절대적으로 높았다. 반면, 상

담·평가 후 보급까지 경과기간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3.24±1.02으로 낮으며,

만족한 응답자는 44.1%에 불과하다.

표 7.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N=34)

보조공학서비스 척도 구분 빈도 퍼센트 평균±표준편차

이용의 편리함 1점 00 000.0

4.12±0.84

2점 02 005.9

3점 04 011.8

4점 16 047.0

5점 12 035.3

담당자의 전문성 1점 00 000.0

4.35±0.81 2점 01 002.9

3점 04 011.8

- 22 -

4점 11 032.4

5점 18 052.9

접수~보급 경과시간 1점 01 002.9

3.24±1.02

2점 08 023.5

3점 10 029.4

4점 12 035.3

5점 03 008.8

재이용 욕구 1점 00 000.0

4.76±0.65

2점 01 002.9

3점 01 002.9

4점 03 008.8

5점 29 085.3

합 계 34 100.0 0

※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의 각 항목은 1~5점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만족한다는

의미이다(1점-전혀 아니다; 2점-아니다; 3점-그저 그렇다; 4점-그렇다; 5점-매우 그

렇다).

- 23 -

3.3 PAIDS를 이용한 삶의 질 변화

컴퓨터접근 보조기구와 보조공학서비스 이용에 따른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PAIDS를 이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조공학기기의

심리사회적 영향 척도(PAIDS)’는 점수체계가 ‘-3’ 부터 ‘+3’까지의 범위이다. 이

에 따라 삶의 질 변화의 절대량을 평균분석한 결과 총 34명의 연구대상자 중 2명

의 하위척도 점수가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양(긍정적 결과) 또는 음(부정적 결과)

의 값으로 나타난 하위척도 점수에 따라 연구대상자를 분류하였는데, 긍정적 결과

로 나타난 집단은 34명 중 32명으로 94%였고, 하위척도 점수가 부정적 결과로

나타난 집단은 2명으로 6%이다. 집단별 점수를 평균분석한 결과는 표 8과 같다.

하위척도 점수가 긍정적 결과로 나타난 집단 32명은 능력, 적응력, 자아존중

으로 구분되는 3가지 척도 평균 모두에 “다소 긍정적인 영향~긍정적인 영향” 수

준으로 나타나,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의 이용이 장애인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평균분석 결과가 부정적으

로 나타난 집단 2명의 능력, 적응력은 “지각된 영향이 없음~다소 부정적인 영향”

에 해당하고, 자아존중은 “다소 부정적인 영향~부정적인 영향” 수준으로 나타나

이들에게는 컴퓨터영역에 대한 보조공학적 중재가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24 -

표 8. 보조기구/보조공학서비스 이용에 따른 PAIDS(삶의 질 변화) 결과

(N=34)

하위척도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긍정적결과 능력 -1.48 .78 -1.00 -2.67

(N=32, 적응력 -1.65 .86 -1.00 -3.00

94%) 자아존중 -1.49 .79 -1.00 -3.00

부정적결과 능력 -1.13 .06 -1.17 -1.08

(N=2, 적응력 -1.50 .00 -1.50 -1.50

6%) 자아존중 -1.63 .00 -1.63 -1.63

※ ‘보조공학기기의 심리사회적 영향 척도(PAIDS)’의 원점수를 사용한 결과임.

3.4 이용자 만족도와 삶의 질 변화 간 상관관계 분석

맞춤PC 지원사업을 이용한 연구대상자에 의해 측정된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보조공학기기 심리사회적 영향 척도

(PAIDS)’로 알아본 삶의 질 변화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상

관관계를 분석하였다. PAIDS의 점수체계가 ‘-3점~+3점’으로 구성되어 있어 측

정결과가 부정적으로 나타난 경우 연속변수로 처리할 수 없다. 따라서 연속변수

처리를 위해 문항별 점수를 ‘1~7점’ 중 해당점수로 각각 변환한 측정치를 사용

하여 각 문항이 속하는 하위척도별 평균과 보조기구/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간 상

관관계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표 9와 같다.

- 25 -

보조기구 만족도와 PAIDS를 이용한 삶의 질 변화 간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PAIDS 하위척도 중 1) 능력은 보조기구의 효과성, 적합성과 .60 이상의 높은 양

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이외에도 편안함, 용이함, 안전함과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진다(r=.455~.490). 2) 적응력은 편안함, 효과성, 적합성과 상관계

수 .408~.520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3) 자아존중 또한 편안함, 용

이함, 효과성, 적합성, 안전함과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r=.396~.576). 보

조기구 만족도 중 내구성은 PAIDS 하위척도들과 유의한 상관성을 갖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PAIDS 하위척도 결과와 보조공학서비

스 만족도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와 삶의 질 변화 간

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보조기구 만족도와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

였다. 보조기구의 편안함은 보조기구 사용의 용이함(r=.798), 효과성(r=828),

적합성(r=.794), 안전함(r=.730)과 유의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내구

성(r=.408)과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편안함은 보조공학서비스 중

이용의 편리함(r=.497), 담당자의 전문성(r=.447)과도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보조기구 사용의 용이함은 효과성(r=.859), 적합성(r=798), 안전함(r=.681)과

유의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이외에도 내구성(r=.413),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중 이용의 편리함(r=.453), 담당자의 전문성(r=.514), 접수~보급까지의

경과시간(r=.393)과도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효과성은 보조기구 만족

도 중 적합성(r=.793), 안전함(r=.722), 보조공학서비스 중 담당자의 전문성

(r=.613)과 유의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이외에도 보조기구의 내구성,

- 26 -

보조공학 서비스 이용의 편리함, 접수~보급 경과기간과도 상관계수 .370~.482로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보조기구의 적합성은 안전함(r=.874), 내구성

(r=.701)과 유의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중 이용

의 편리함(r=.382), 담당자의 전문성(r=.458)과도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

다. 보조기구의 안전함은 내구성과 상관계수 .708로 유의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보조공학서비스 이용의 편리함(r=.430), 담당자의 전문성(r=.458)과도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중 담당자의 전문성은 보조기구의 내구성과 상관계

수 .424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접수~보급 경과기간은 보조기구 사

용의 용이함(r=.393), 효과성(r=.430)과 유의한 양의 상관성이 있으나 상관관계

는 낮다.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중 이용의 편리함(r=.382~.497), 담당자의 전문성

(r=.424~.613)은 보조기구 만족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나 재이용 욕

구는 보조기구 만족도와 유의한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 27 -

표 9. 보조기구/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와 PAIDS 항목 간 상관관계 (N=34)

보조기구 만족도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편안함 용이함 효과성 적합성 안전함 내구성 이용의

편리함

담당자의

전문성

접수~보급

경과기간

재이용

욕구

PAIDS 능력 .455** .463** .655** .631** .490** .319** .207** .330** .247** -.051

적응력 .408** .320** .520** .455** .336** .160** .254** .193** .172** -.223

자아존중 .416** .396** .576** .561** .480** .258** .169** .324** .192** -.100

보조기구 편안함 .798** .828** .794** .730** .408** .497** .447** .248** -.133

만족도 용이함 .859** .798** .681** .413** .453** .514** .393** -.098

효과성 * .793** .722** .370** .482** .613** .430** -.150

적합성 .874** .701** .382** .458** .295** -.028

안전함 .708** .430** .458** .319** -.013

내구성 .047** .424** .244** -.051

보조공학 이용의 편리함 .335** .214** -.052

서비스 담당자의 전문성 .484** -.275

만족도 접수~보급경과시

간 -.086

*p<.05, **p<.01

※ PAIDS(Psychosocial Impact of Assistive Devices Scale)는‘보조공학기기의 심리사회적 영향 척도’이며, 삶의 질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되었다.

- 28 -

제4장 고찰

본 연구는 컴퓨터접근 영역에 보조공학 중재를 받은 중증장애인의 보조기구/

보조공학서비스 사용 결과 나타난 주관적 수행 향상, 보조기구/보조공학서비스 만

족도, 삶의 질 변화 정도, 이용자 만족도와 삶의 질 변화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자 하였다. 컴퓨터접근 보조기구와 보조공학서비스 이용이 장애인의 컴퓨터 작업

의 수행 향상, 삶의 질 변화와 관련있을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장애인맞춤PC지원사업”에서 제공된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및 보조공

학서비스에 따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주관적 수행 향상, 보조기구/보조공학

서비스 만족도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보조공학기기 사용에 따른 심리사회적 변화

척도(PAIDS)’를 이용하여 삶의 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2009년 3월부

터 10월까지 우편 및 전화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장애인 맞춤PC 지

원사업”의 대상으로 선정된 지체·뇌병변 장애인 55명 중 설문조사에 완전하게

응답한 34명이다. 이들에게 컴퓨터접근 보조기구와 보조공학서비스를 제공한 결

과, 지체·뇌병변 장애인의 컴퓨터 작업 수행의 향상이 나타났다. 주관적 수행 향

상에 ‘만족’하는 응답자는 컴퓨터 사용의 불편함 해결 91.2%, 조작 정확성의 증

가 82.3%, 조작속도의 증가 61.8%, 컴퓨터 사용활동 증가 70.6%, 컴퓨터 사용

지속시간 증가 79.5%, 사회참여활동 증가 50.0%로 나타나,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와 보조공학서비스 이용에 따라 주관적 수행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컴퓨터접

근 보조기구 만족도에 대해서 연구대상자들은 편안함, 용이함, 효과성, 적합성, 안

전함, 내구성 등 컴퓨터접근 보조기구의 특성에 모두 만족했다고 응답했다. 보조

공학서비스 만족도 중 이용의 편리함, 담당자의 전문성, 재이용 욕구에 대하여 만

- 29 -

족했으나 접수~보급까지의 경과시간에 대한 만족도는 다소 낮았다. 총 34명의 연

구대상자 중 94%가 컴퓨터접근 보조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

을 받았다고 하였다. 이들은 PAIDS의 하위척도인 능력, 적응력, 자아존중 모두에

서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응답하였다. PAIDS를 통한 삶의 질 변화와 보조

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만

족도는 삶의 질 변화와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보조기구의 심리사회적 영향 척

도(PIADS)’ 하위항목 중 능력은 보조기구의 효과성, 적합성, 편안함, 용이함, 안

전함과 양의 상관관계를, 적응력은 보조기구의 편안함, 효과성, 적합성과 양의 상

관관계를 보였고, 자아존중은 보조기구의 편안함, 용이함, 효과성, 적합성, 안전함

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중 서비스 이용의 편

리함, 담당자의 전문성은 보조기구 만족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는데, 담당자

의 전문성은 보조기구 효과성과 특히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p<.05).

장애인이 환경 내에서 활동할 때, 좀 더 용이한 수행을 위한 수단으로 보조공

학을 이용할 수 있다. Cook과 Hussey(2002)에 의하면 인간활동공학 모델

(HAAT; human activity assistive technology)에 근거하여 인간, 활동 수행, 보

조공학 및 주변상황 사이에는 상호작용이 일어나는데, 이러한 상호작용의 측정·

평가는 보조공학시스템의 효율성 판단을 위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진행된 맞춤PC 지원사업에서는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지체·뇌병변 장애인 55명

에게 사전 방문상담·평가를 실시하여 이들의 욕구와 기능, 컴퓨터작업 수행 정도,

보조기구 사용현황, 생활공간 및 주지원자와의 상호작용을 평가하였다. 염희영과

송창순(2009)에 따르면 평가결과에 따라 고안된 보조공학시스템의 효과를 측정

하는 것은 이용자의 삶의 질 향상과 욕구 해결에 매우 중요하다. 연구대상자들을

- 30 -

대상으로 진행된 맞춤PC 지원사업에서는 상담·평가 이후 진행된 사례회의에서

서비스 방향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 지원대상 55명 각자에게 적합한 보조기구를

선택·지원하였다. 서비스계획에 따라 제공된 보조공학 중재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주관적 수행 향상, 컴퓨터접근 보조기구와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를 알아보

았다. 또한, 보조공학 성과 측정 시 수행능력의 변화 뿐 아니라 심리적 변화에 대

한 측정도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한 Edyburn과 Smith(2004)의 주장에 따라, 능

력, 적응력, 자아존중의 다차원적인 척도로 구성된 ‘보조공학기기의 심리사회적 영

향 척도(PIADS)’를 사용하여 삶의 질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맞춤PC 지원사업 이용 전에 컴퓨터접근 보조기구를 사용하지 못하였으므로 컴퓨

터접근 보조기구를 지급받은 후 컴퓨터 사용을 전후비교하여 주관적으로 수행 향

상 정도와 삶의 질 변화에 대해 응답하였다. 주관적 수행 향상 정도 또한 표준화

된 조사도구를 사용했다면 더욱 신뢰로운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사전 문헌연구

를 통해 컴퓨터접근 영역에 대하여 선별한 문항들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다영역 전문가 연계에 따라 제공된 보조공학 중재는 중증지체·뇌

병변 장애인의 주관적 수행을 향상시켰다. 특히 컴퓨터 이용의 주된 불편함과 마

우스,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 조작의 정확성이 높아졌다. 연구대상자의 35.3%가

보조공학 중재 전 ‘컴퓨터 장시간 지속사용 불가능’을 주된 어려움으로 보고하였

는데, 보조공학 중재 후 불편함 해결에 대해 만족감을 표현했으며 컴퓨터 사용시

간도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Iwarsson과 Stahl(2003) 또한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는 보조기구 사용이 주변환경과 도구에 대한 접근성, 적응성, 사용의 편리성,

안정성 등을 제공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컴퓨터 사용활동, 사회참여 활동의 증가

- 31 -

도 나타났으나 사회참여의 증가에 대한 보조공학 중재의 만족감은 다소 낮았다.

따라서 중증장애인 사회참여 활동의 증가를 위해서는 보조공학 중재에 더하여 학

습, 직업, 여가활동 등 다방면으로 사회자원을 연계하고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컴퓨터접근 보조기구의 특성에 대하여 연구대상자들의 대다수가

만족하였다. 컴퓨터접근 보조기구의 특성인 보조기구 사용의 편안함, 용이함, 효과

성, 적합성, 안전함, 내구성의 모든 항목에 만족감을 표현하였다.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중 이용의 편리함, 담당자의 전문성, 재이용 욕구에 대하여 만족하고 있으

나 접수~보급까지 경과시간 만족도는 다소 낮았다. 이는 상용보조기구의 수입, 또

는 맞춤제작 보조기구 보급의 경우 지원 보조기구의 확보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

기 때문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삶의 질 변화 측정을 위해 능력, 적응력, 자아존중의 다차원적

인 척도로 구성된 ‘보조공학기기의 심리사회적 영향 척도(PIADS)’를 사용하였다.

Jutai 등(1996)은 일련의 사례연구를 통해 보조공학서비스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

해 PAIDS와 같은 도구를 사용할 필요성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Eiser와

Morse(2001), Ravens 등(2001)은 삶의 질이 대부분 자기-보고식으로 평가됨

에도 불구하고 평가결과에 대한 신뢰성은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종종 심한

인지손상, 지적장애 또는 의사소통 상의 어려움이 있을 경우 신뢰성 있는 정보를

얻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보호자에 의한 삶의 질 평가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고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주로 신체적 기능 장애에 기인한 컴퓨터에

대한 물리적 접근성, 조작 기능의 제한점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대상자들의 응답

을 근거로 삶의 질 평가가 수행되었다.

- 32 -

Goldsheyder 등(2002), Oliver 등(1996)은 보조기구 사용이 장애인에게 환

경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하여 수행능력 향상, 생활에 대한 만족감, 삶의 질 향상

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주장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접근 영역에서의

보조공학적 중재가 중증 지체·뇌병변 장애인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

는 것을 확인하였다. PAIDS의 하위척도인 능력, 적응력, 자아존중 모두에 대하여

연구대상자 중 94%가 긍정적인 변화를 반영하여 응답하였다. Yeager(2006)는

전화, 확대경, 변형된 컴퓨터기기 등 직무와 관련된 보조기구를 지원받은 장애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적용효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대다수의

응답자가 생산성과 자아존중감이 증가되어 장애인의 고용장벽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직업 관련 보조기구의 적용이 효과적임을 보고하였다. Schwanke와

Smith(2005)는 직장 환경에 보조기구 적용은 장애인의 직무 수행 뿐 아니라 자

기효능감이나 자아존중감 등 심리적 부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주장하였다.

염희영과 송창순(2009)에 의해 실시된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 근로자

2명을 대상으로 보조공학 적용 전후를 비교한 결과 작업수행능력 뿐만 아니라 삶

의 질, 자아개념 증진 등의 심리사회적 변화가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접근 영역에만 초점을 두어 제공한 보조공학 중재가 고용 목적이 아닌 활동에서

도 삶의 질의 하위척도로써 측정한 능력, 적응력, 자아존중에 긍정적 영향이 준다

는 결과를 얻었다. 즉,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사용을 통해 직업을 가지지 못한 중

증 재가장애인의 삶의 질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Chan과 Chan(2007)은 휠체어를 사용하는 척수손상 장애인 31명을 대상으

로 보조공학 적용 전후의 보조공학 만족도, 삶의 질, 사회적 참여 정도 변화를 측

정한 결과 삶의 질과 사회적 참여 정도가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 33 -

는 척수손상 외에도 근이영양증, 관절염, 골형성부전증, 루게릭, 뇌성마비, 외상성

뇌손상 및 기타 희귀질환으로 인한 중증 지체·뇌병변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따라서 척수손상 뿐 아니라 더욱 광범위한 신체적 기능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삶

의 질 향상에 컴퓨터접근 보조기구의 적용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한 것과 같이 컴퓨터접근 영역에서의 보조공학적 중재에 따른 삶의 질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 실시한 PAIDS 결과는 연구대상자 중 94%가

삶의 질 하위척도인 능력, 적응력, 자기존중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응답하였다. 반면, PAIDS 하위척도에서 부정적 결과를 보인 2명(6%)은 3개 하위

척도 모두에 대해 부정적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2명 모두 근이영양증으로

진단받은 지체장애인이었으나 연구에 포함된 다른 근이영양증 대상자들은 긍정적

결과를 나타냈고, 부정적 결과로 나타난 2명은 삶의 질 하위척도 뿐 아니라 주관

적 수행 향상에서도 부정적인 응답 경향을 보여 근이영양증의 일반적 특징이라기

보다는 이들의 개인적 특성에 기인한 소극적 자세에서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

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삶의 질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PAIDS 하위척도와 컴퓨터접

근 보조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고찰하였다. PAIDS 하위

척도 중 능력은 보조기구의 효과성, 적합성과 유의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

고, 편안함, 용이함, 안전함과도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적응력은 편안함,

효과성, 적합성과 유의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자아존중 또한 편

리함, 용이함, 효과성 적합성, 안전함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상관성

은 높지 않다. 보조기구 만족도 중 내구성은 삶의 질 변화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

으로 나타나, 내구성을 제외한 보조기구 만족도는 컴퓨터접근 보조기구/보조공학

- 34 -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삶의 질 변화와 밀접하게 관계된다고 볼 수 있다. 즉, 컴퓨터

접근 보조기구의 사용은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효과적이라 말할 수 있다. 반면,

컴퓨터접근 영역에 대한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와 삶의 질 변화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아 보조공학서비스에 대한 만족감은 장애인의 삶의 질 변

화와 크게 관련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보조기구 만족도와 보조공

학서비스 만족도 간에는 일부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우선 보조기구 만족도 항

목(편안함, 용이함, 효과성, 적합성, 안전함, 내구성) 간에는 상호 유의한 상관관계

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중 이용의 편리함, 담당자

의 전문성은 보조기구 만족도를 측정하는 6개 항목 모두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를 보였다. 특히 보조기구 효과성에 대한 만족감은 담당자의 전문성과 높은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고, 접수~보급까지의 경과기간과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

고 있다. 차태현, 유인규(2009)도 중증장애인의 신체적 기능에 적절한 보조공학

서비스 제공은 매우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신체적 기능을 효과

적으로 보완하여 보조기구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조공학서비스 담당자의

전문성 확보가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국내 컴퓨터접근 영역의 임상사례에 근거한 보조공학 중재의 효과 분석이 전

무한 상황이므로, 전국 거주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뤄진 본 연구는 컴퓨터접근

영역의 보조공학 임상사례 34명을 대상으로 보조공학과 삶의 질 간의 관계를 알

아보았다는 점에서 의미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지체, 뇌병변 장애인만을 연구대

상으로 포함하였고 이들은 정보입력 및 컴퓨터에 대한 물리적 접근에 주된 어려

움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중증 지체•뇌병변 장애인의 물리적, 신체적 장애를

기능적으로 보상함으로써 컴퓨터 접근 가능성 확보에 초점을 둔 보조공학 중재의

- 35 -

결과와 삶의 질과의 관계를 주로 다루었다고 볼 수 있다. 일부 장애유형에 국한된

연구대상을 선정하였고, 대상 인원이 소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의 일반화에는 제

한점을 가진다. 앞으로 국내 보조공학과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 간의 관계를 객관

적으로 검증하기 위해서는 더 광범위한 장애유형 및 서비스 영역을 대상으로 한

전국 규모의 연구가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36 -

제5장 결론

본 연구는 인간활동공학모델을 근거로 컴퓨터접근 영역에 보조공학 중재를

받은 중증장애인의 주관적 수행 향상, 보조기구/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삶의 질

변화를 조사하여 보조기구/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와 삶의 질 변화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반적 사항, 주관적 수행 향상, 보조기구/보조공학서비스 만

족도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보조공학기기 사용에 따른 심리사회적 변화 척도

(PAIDS)’를 이용하여 삶의 질 변화를 알아보고자 2009년 3월부터 10월까지 우

편 및 전화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장애인 맞춤PC 지원

사업”의 대상으로 선정된 지체·뇌병변 장애인 55명 중 설문조사에 완전하게 응

답한 34명이다. 이들이 컴퓨터접근 보조기구와 보조공학서비스 이용의 결과로 보

고한 주관적 수행 향상, 컴퓨터접근 보조기구와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그리고

보조기구/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와 삶의 질 변화 간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컴퓨터접근 보조기구를 지원받은 중증 지체•뇌병변 장애인들은 이를 통하여

불편함 해결(91.2%), 조작의 정확성(82.3%), 조작의 속도(61.8%), 컴퓨터 사용

활동 증가(70.6%), 컴퓨터 사용시간 증가(79.5%)에 대해 대다수가 주관적 수행

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여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사용하면 주관적인 수행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편안함, 용이함, 효과성, 적합성, 안전함, 내구성 등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의 특성에 대해서는 연구대상자들의 대다수가 전반적으로 만족하였으며, 보조공학

서비스 만족도 중 이용의 편리함, 담당자의 전문성, 재이용 욕구에 대해서는 만족

하나 접수~보급까지의 경과시간에 대한 만족도는 다소 낮았다.

- 37 -

컴퓨터접근 영역에서의 보조공학적 중재는 PAIDS를 통해 94%의 중증 지체

·뇌병변 장애인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종

적으로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만족도는 전반적인 삶의 질 변화와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컴퓨터접근에 대한 보조공학 중재가 중증장애인의 컴퓨터 작

업 수행을 향상시키며 삶의 질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중재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

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보다 효율적인 서비스로 다양

한 영역에서 보조공학 중재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38 -

참고문헌

Cook AM and Hussey SM. 2002. “Assistive technologies : Principles and

Practice” 2nd ED. St. Louis. Mo: Mosby.

Boggus L. 1985. “Don’t be Afraid it’s Just a Computer”. Occupational News.

Brose SW, Weber DJ, Salatin BA, Grindle GG, Wang H, Vazquez JJ, and

Cooper RA. 2010. “The role of assistive robotics in the lives of persons

with disability”. Am J Phys Med Rehabil. 89(6): 509-521.

Burnfield A and Burnfield P. 1978. “Living with multiple sclerosis”. British

medical journal. 2(6141):847.

Chan SC and Chan AP. 2007. “User satisfaction, community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Chinese wheelchair user with spinal cord injury:

preliminary study”. Occup Ther Int. 14(3): 123-143.

Cook AM and Polar JM. 2008. “Cook & Hussey’s assistive technologies :

principles and practice”. Philadelphia. Mo: Mosby.

- 39 -

Day H and Jutai JW. 1996. “Measuring the psychosocial impact of assistive

devices: The PIADS”. Canadian Journal of Rehabilitation. 9:159-168.

Day H & Jutai JW. 2003. “The Psychosocial Impact of Assistive Device Scale

manual”. Ontario: Author.

Dermers L, Weiss-Lambrou R, and Ska B. 2000.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QUEST version 2.0)”. The Institute

for Matching Person and Technology Inc. Webster. NY.

Edyburn DL and Smith RO. 2004. “Creating an assistive technology outcomes

measurement system: Validation the components”. Assistive Technology

outcomes and Benefits. 1:8-15.

English CB. 1975. “Computers and Occupational Therapy”. Am J Occup Ther.

29:43-47.

Eiser C and Morse R. 2001. “A review of measures of quality of life for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84:205-

211.

- 40 -

Goldsheyder D, Nordin M, and Lobel D. 2002.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of a client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assistive technology: A case study”. Work. 15(3):167-176.

Iwarsson S and Stahl A. 2003. “Accessibility, usability and universal design-

positioning and definition of concepts describing person-environment

relationship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5(2):57-66.

Link C and Frydenberg H. 1989. “Microcomputer skill training program for

the physically disabled in long term rehabilitation”. Phys Occup Ther

Geriatr. 6:133-140.

Miller PJ. 2002. “Using technology to enable occupation”. Occupational

Therapy Now. 23-25.

O’Leary S, Mann C, and Perkash I. 1991. “Access to computers for order

adults: problems and solutions”. Am J Occup Ther. 45:636-642.

Oliver J, Huxley P, Bridges K and Moharmad H. 1996. “Quality of life and

mental health services”. NewYork: Routledge.

- 41 -

Ravens-Sieberer U, Gosch A, and Abel T. 2001. “Quality of lif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European public health perspective”. Sozial-und Prӓ

ventivmedizin. 46:294-301.

Schwanke TD and Smith RO. 2005. “Assistive technology outcomes in work

setting”. Work. 24(2):195-204.

Toshivo T. 2003. “The assistive device in self-support for the elderly -Role

of assistive devices as independence from the physical and mental

restrictions”. Nippon Ronen Igakkai Zasshi: Japanese Journal of Geriatrics.

40(6):590-592.

Vanderheiden G. 1987. “Service delivery mechanisms in rehabilitation

technology”. Am J Occup Ther. 41:703-710.

Yeager P, Kaye HS, Reed M, and Doe TM. 2006. “Assistive technology and

employment : experience of Californians with disabilities”. Work. 27:333-

344.

권혁철. 2002. “재활공학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미래 발전 방향”. 대구대학교 재활

과학과 학회지. 2:11-15

- 42 -

권혁철. 2006. “보조공학서비스 지원 확대를 통한 장애인 고용 활성화 방안에 대

한 토론 자료”. 2006 보조공학 세미나 자료집(성남: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보조

공학센터).

김영걸, 김용욱. 2006. “특수학교 보조공학서비스 전달체제에 관한 연구”. 연구특

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7(3):1-28.

염희영. 2007. “보조공학이 시각장애인 근로자의 작업수행 능력과 삶의 질에 미치

는 영향”. 직업재활연구. 17(2):121-137.

염희영, 송창순. 2009. “보조공학 적용이 시각장애 근로자의 작업수행, 삶의 질,

자아인식과 자아수용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1(2):1-10.

장문영, 황기철, 안덕현. 2005. “신체장애인들의 보조기기 사용이 일상생활활동 수

행능력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3(2):1-8.

전영환, 최원석. 2007.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분석”.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

개발원 연구개발지. 2007(16).

정동훈. 2009. “국내 보조공학 연구동향 분석: 1998-2009년 특수교육 및 재활

- 43 -

관련 학술지 중심으로”. 한국중복지체부자유학회. 52(1):97-124.

차태현, 유인규. 2009. “선천성질환으로 인한 사지마비환자의 고급보조공학 적용

사례보고”.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1(2):11-19.

채수영, 조성재, 권혁철, 공진용, 장문영. 2008. “Psychosocial Impact of

Assistive Devices Scale(PIADS)의 국내 적용을 위한 번안연구”. 대한작업치

료학회지. 16(3):71-85.

최선애. 2004. “만성 뇌졸중 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성균

관대학교 행정대학원.

- 44 -

ABSTRACT

Study on Provision of Computer Assistive Technology

and Consumer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Adults with Disability

Kim Mi-Jung

Dept. of Ergonomic Therapy

The Graduate School of

Health and Environment

Yonsei University

This study has purpose to deliver an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efficiently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by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of user and the change of quality of life by

means of subjective conduct improvement, customer satisfaction of assistive

devices & technology service and the change of quality of life after using of

assistive devices & technology service. For this study, I have surveyed 55

people with physically disability & brain injury who were provided computer

access assistive devices by "The support business of custom made

PC(personal computer)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 sponsored by NHN

- 45 -

- which was operated by 'Seoul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center' from

Aug in 2007 to May in 2009.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58 questions in 4

domains. This is designed to obtain subjective conduct improvement and

customer satisfaction about assistive devices & technology service and used

standard self report questionnaire, 'Psychosocial Impact of Assistive Devices

Scale(PIAD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34 respondents who

answered perfectly without any omission on questionnaire which was

collected by mail and telephone from Mar. to Oct. in 2009.

This study conducted on the basis of average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as a descriptive statistics to analyze an absolute quantity of quality

of life for the people with physically disability & brain injury by means of

subjective conduct improvement, assistive devices & technology service, and

PAIDS. And this study conducted on the basi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change of quality of life and customer satisfaction of user by

means of assistive devices & technology service. The results as follows ;

1. 34 people with physically disability & brain injury have increased

their subjective conduct improvement since they were provided with

computer access assistive devices. subjective conduct improvement

showed that 91% of respondents were relieved from

uncomfortableness, 82.4% of them were enhanced accuracy of input,

61.8% of them were improved in handling, 70.6% of them were

- 46 -

improved in duration of using computer and 50% of them were

improved in social activity.

2. The results of survey on customer satisfaction of computer access

assistive devices. Participants in study were satisfied overall with

convenience, effectiveness, adaptability, safety, durability of

computer access assistive devices. The convenience of using,

expertize of service provider, desire of reuse were satisfactory.

However the satisfaction of time for delivery from service request to

delivery was not satisfactory.

3. Participants were influenced positively in their competence,

adaptability, and self-esteem as subordinate criterion in PAIDS. It

represented that 94% of participants in study have positively

affected of quality of life after provision of computer access assistive

devices.

4. Analysis of correlation in satisfaction between assistive devices &

technology service and change of quality of life for the people with

physically disability & brain injury through PIADS, customer

satisfaction on computer access assistive devices has a close relation

to the change of life for the people with physically disability and brain

injury. 1) Competence-subclause in 'Psychosocial Impact of

Assistive Devices Scale(PIADS)'- has relation to effectiveness,

suitability, comfortableness, simplicity, safety of assistive devices

- 47 -

and quantity for them, 2) adaptability has relation to comfortableness,

convenience, effectiveness, suitability for them, and 3) self-esteem

has relation to comfortableness, simplicity, effectiveness, suitability,

safety for them(p<.05). The Comfortableness of service and

expertise have relation to customer satisfaction about assistive

devices, especially technical expertise has high relation to the

effectiveness of assistive devices(p<.05).

This study is confirmed that provision of computer access assistive

technology has positively influenced of the quality of life for people with

serious disabilities. In future, Assistive devices provision have to extend for

people with severely physical disability and brain injury. From now on, the

relevant study has to be continued to measure and prove the effectiveness of

clinical experiments in the various field of assistive technology as well as

computer access assistive devices for the people with physically disability

and brain injury.

Key Words: Assistive Technology, Assistive technology device, Quality of

life, Computer access, PA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