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170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Upload: arte

Post on 24-Jul-2016

29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DESCRIPTION

 

TRANSCRIPT

Page 1: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Page 2: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발행인

주성혜

발행일

2015.� 1.� 12

발행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학교문화예술교육본부장� � 노준석

정책연구팀장� � 홍유진�

정책연구팀� � � � 박진아�

등록

KACES-1440-R009

ISBN

978-89-6748-135-3� 93370

문의

Tel.� (02)6209-5900

Fax.� (02)6209-1392

E-mail.� [email protected]

www.arte.or.kr

ⓒ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명기하여�

주시기�바랍니다.�

� � 본� 보고서의�저작권은�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있습니다.

Page 3: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제출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장 귀하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최종보고서를 제출합니다.

연구진

연구책임자

임영식� � 중앙대학교�사회복지학부�교수�

공동연구자

정경은� � 초당대학교�사회복지학과�교수

김인설� � 전남대학교�문화전문대학원�교수

조영미� � 한국YWCA연합회�부장

연구보조원

최수지� � 중앙대학교�아동청소년학과�석사과정

중앙대학교�산학협력단본�연구의�내용은�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의견과�일치하지�않을� 수� 있습니다.

Page 4: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Page 5: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요약|i

연구요약

□ 연구목적 및 연구내용

1. 연구목적

ㅇ 본 연구는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다양한 방법, 즉 심리적 측정, 생리적 측정, 참여

관찰 및 심층면접 등을 통해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소년원학교의 문화예술교육

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2. 연구 내용

ㅇ 비행청소년 및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목표 및 내용 분석

ㅇ 연구 대상에 부합한 효과분석 모델 도출 및 조사 설계

ㅇ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검증 및 분석

ㅇ 효과분석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사업의 발전방안 제시

<연구체계도>

Page 6: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ii|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 연구방법

1. 연구설계

ㅇ 본 연구에서는 소년원학교에서 실시하는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

법을 시도하였음. 본 연구에서 시도한 방법은 심리적 측정, 생리적 측정, 질적 연구임.

2. 측정방법

ㅇ 심리적 측정은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을 설정하여 준실험

설계를 하였으며, 임영식 등(2012)의 연구 데이터에서 소년원학교 학생 데이터만을 추출, 재분

석하여 선정한 척도 9개요인 47문항으로 척도를 구성함. 프로그램 사전, 사후 측정에 측정을

실시하여 총 9개 소년원학교의 206명의 데이터가 최종 분석에 사용됨.

ㅇ 생리적 측정은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학생들과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의 스트레스 수치 비교를

위해 타액 코티졸을 프로그램 사전, 사후에 추출하였음. 총 4개 소년원학교의 60명의 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음.

ㅇ 질적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의 의미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참여관찰, 심층인터뷰, 예술기반 분

석을 활용하였으며, 총 4개 소년원학교 57명이 질적 연구에 참여함.

구분 심리적측정 생리적측정 질적연구

측정도구

임영식�외(2012)�

교정시설/소년원학교�문화예술교육�

효과성�척도�수정�사용

코티졸 반구조화된�질문지

측정요인

즐거움,� 사회성,� 표현력,�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력,� 공격성,� 스트레스,�

충동성,� 문화예술�선호성�등�

9개� 요인/� 47문항

스트레스문화예술교육의�의미와�

효과� 등

측정방법 프로그램�사전,� 사후� 측정 타액�코티졸� 2회�측정�참여관찰,� 심층인터뷰,�

예술기반분석

조사기간사전측정:� 2014.� 6.5~7.30

사후조사:� 2014.� 10.10~11.20

사전측정:� 2014.� 7.1.~9.5

사후측정:� 2014.� 10.6~11.112014.� 10.7~12.10

참여기관 9개 4개 4개

참여인원 206명 60명 30명

주�분석방법 t� 검증 t� 검증,� ANCOVA 질적분석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효과성�측정�방법>

Page 7: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요약|iii

□ 연구결과

1. 심리적 측정 결과

ㅇ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참여자인 실험집단 학생과 비참여자인 비교집단 학생을 대상으로 심

리적 측정을 실시한 결과,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문화예술교육을 받은

이후 즐거움과 사회성, 자아존중감, 문화예술 선호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스

트레스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음.

ㅇ 비교집단의 경우, 즐거움, 사회성, 표현력,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력, 스트레스, 충동성, 공격성,

문화예술 선호성의 모든 측정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음.

ㅇ 다시 말해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은 소년원학교 학생들의 즐거움, 사회성, 자아존중감, 문화

예술 선호성을 증진시키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고 할 수 있음.

<실험,� 비교집단의�즐거움�사전,� 사후�평균�

변화>�

<실험,� 비교집단의�사회성�사전,� 사후� 평균�

변화>�

* 점수가 높을수록 즐거움 정도가 높음 *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성이 높음

<실험,� 비교집단의�자아존중감�사전,� 사후� 평균�

변화>�

<실험,� 비교집단의�스트레스�사전,� 사후�평균�

변화>

*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음 * 점수가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높음

Page 8: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iv|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실험,� 비교집단의�문화예술�선호성�사전,� 사후�

평균� 변화>

*� 점수가�높을수록�문화예술�선호성이�높음

2. 생리적 측정 결과

ㅇ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참여자인 실험집단 학생과 비참여자인 비교집단 학생을 대상으로 프

로그램 시작 전과 후에 타액내 코티졸 농도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소년원학교 문화예

술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경우, 문화예술교육을 받기 전과 후의 코티졸 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음.

ㅇ 이에 반해 비교집단의 경우,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할 시점(비록 비교집단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지 않았지만)보다 문화예술교육이 끝나는 시점에서의 코티졸 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

음. 다시 말해 문화예술교육 참여 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집단의 코티졸 농도의 사전 사후 측정

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음.

ㅇ 이러한 결과는 소년원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이 스트레스를 적극적으로 감소

시키지는 않더라도 스트레스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지만, 문화예술교육을 받지 않을 경

우 스트레스는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줌.

<실험,� 비교집단의�코티졸�사전,� 사후�농도� 변화>

Page 9: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요약|v

3. 질적 연구 결과

ㅇ 질적연구의 분석결과, 소년원학교라는 특수한 환경에서도 보편적 효과로 분류가능한 문화

예술교육의 일반적 효과들로는 소극적인 태도에서 적극적 태도로 변화, 공동체적 가치 습

득, 문화적 삶에 대한 참여의지 기반 제공, 자신감 향상, 상상력과 창의력을 통해 획득한 성

취감, 협동기술 및 공감능력 향상, 자아의 발견 및 확신, 타인에 대한 재발견으로 교육적 효

과를 요약할 수 있음

ㅇ 소년원학교라는 특수한 환경과 결부하여 연구 참여가 특별히 언급 또는 관찰되어진 효과로는

반추 및 반성의 기회제공, 기분전환을 위한 쉼표, 스트레스 해소와 그에 따르는 즐거움, 매 주

돌아오는 시간에 대한 기다림과 설렘, 정체되어 있지 않다는 인식에서 오는 안도감, 외부와의

접촉을 통한 새로운 관계 형성, 사회구성원으로서 참여 동기화, 그리고 새로운 형식(문화

예술교육)을 통한 사회와의 소통 통로 획득으로 요약됨.

<소년원학교�문화예술교육�질적연구�종합적�효과>

Page 10: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vi|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 제언

1.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연구에 대한 제언

ㅇ 문화예술교육 대상과 문화예술교육 분야 등의 차이를 고려한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성 연구가 필요함.

ㅇ 보다 정확하고 엄정한 사전-사후 효과성 검증을 위한 연구 설계가 이루어져야함.

ㅇ 장기적인 관점에서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효과를 관찰하는 연구가 필요함.

2.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대한 제언

1) 정책적 측면

ㅇ 소년원학교 특성을 반영한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좀 더 구체적인 비전과 목표 수립이필요

하며 투입, 과정, 산출, 결과의 환류가 반영될 수 있는 중장기적 계획을 수립해야 함

ㅇ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기관들의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시스템화할 수 있는 모델 구

축이 필요함.

ㅇ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확대와 함께 다양한 공연, 전시 관람 등 문화예술의 향유 기회 제

공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

2) 내용적, 운영적 측면

ㅇ 소년원학교 학생의 흥미, 취향, 관심 분야 등의 욕구가 반영된 프로그램 설계가 필요함.

ㅇ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교육회기와 교육시간 등을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

함.

ㅇ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운영방법, 관계자와의 소통 및 협업 정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현

장 모니터링 및 컨설팅 지원의 확대가 필요함.

ㅇ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는 예술단체 및 강사를 위한 워크숍을 통해 교육 대상과 환

경에 관한 정보 제공과 더불어 좀 더 지속적인 만남을 통한 교류가 확대되어야 함

ㅇ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하는데 필요한 정보 즉, 소년원학교의 특성,

교수방법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지침서 제작 등 참고자료 보급·활용의 고려가 필요함.

ㅇ 양질의 수업운영을 위한 강사 지원 및 소년원학교 교육환경 개선이 요구됨.

Page 11: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요약|vii

Research Summary

□ Purpose & Contents of the Study

1. Purpose of the Study

ㅇ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effects of the arts & cultural education

and suggest its desirable future direction in juvenile training school by employing

various research methods; those are psychological, physiological measurement and

qualitative research.

2. Contents of the Study

ㅇ Analyzing the goals of arts & cultural education programs and their contents for

at-risk youth in juvenile training school.

ㅇ Coming up with a proper effect-analysis model and research design for research

participants.

ㅇ Examining and analyzing the effects of arts & cultural education programs.

ㅇ Suggesting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arts & cultural education policy and

projec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 Methodology & Methods

1. Research Design

ㅇ This study was used in psychological as well as physiological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2. Research Methods

ㅇ For the psychological research, we designed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those who didn't participate in the program as covariance in order to precisely

scrutinize the effect of the arts & 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Lim, Young-Sik, et

Page 12: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viii|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al.,(2012) Research, we firstly selected students data in juvenile training school and

reanalyzed and developed a scale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arts & cultural education

consists of 9 factors with 47 questions and then did paired samples t-test treating.

The participants for the psychological research were 206 students recruited from 9

juvenile training schools.

Researching Psychological� research Physiological�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Scale

Lim,� Young-Sik� et� al,.� (2012)�

Revised� Scale� of� Effectiveness� of�

the� arts� &� cultural� education� in�

Correctional� Institution/Juvenile�

training� school

CortisolHalf-Structured�

Questionnaires

Factor

Enjoyment,� Sociality,� �

Self-Esteem,� Expression,� Self-�

regulation,� Aggression,� Stress,�

Impulsivity,� Preference� to� Culture�

and� Art�

9� factors/� 47� questions

Stress

Meaning� and�

effectiveness� of� the�

arts� &� cultural�

education.� etc,.

Method Pre� and� Post� test Pre� and� Post� test�

Participatory�

observation,� FGI� and�

in-depth� interview,�

Arts-based� analysis

PeriodPre-test:� 2014.� 6.5~7.30

Post-test:� 2014.� 10.10~11.20

Pre-test:� 2014.� 7.1.~9.5

Post-test:� 2014.� 10.6~11.112014.� 10.7~12.10

Number� of�

Facility9� facilities 4� facilities 4� facilities

Number� of�

Participants206� participants 60� participants 30� participants

Research�

toolt-test t-test,� ANCOVA Qualitative� analysis

<Verifying� methods� effectivenes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ㅇ For the physiological research, we conducted t-test and ANCOVA treating the pre and

post cortisol level in saliva 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for

comparing stress level. The participants for the physiological research were 60

students recruited from 4 juvenile training schools.

ㅇ For the qualitative research, we conducted participatory observation, interviews, both

Focused Group Interviews and Personal In-depth Interviews, and arts-based analysis for

Page 13: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요약|ix

verifying the effects and meaning of arts & cultural education. The participants for

the qualitative research were 57 students recruited from 4 juvenile training schools.

□ Research Findings

1.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ㅇ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experimental group of juvenile training school and the

comparison group who didn't participate in the program,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higher average value than those who didn't participate in the program such

as enjoyment, sociality, self-esteem, preference to culture and art. and Stress factor

indicated statistically lower average value.

ㅇ For the comparison group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pre test and post test

all the aspects such as enjoyment, sociality, expression, self-esteem, self-regulation, stress,

impulsivity, preference to culture and art.

ㅇ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rts & cultural education helps to increase enjoyment,

sociality, self-esteem, preference to culture and art and decrease stress in juvenile

training school.

2. Results of Physiological Analysis

ㅇ According to the cortisol level in saliva analysis, the experimental group of the arts &

cultural education and the comparison group who didn't participate in the program,

experimental group showed no statistically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test.

ㅇ However, comparison group showed statistically higher cortisol level in saliva at the

end of the arts & cultural education. It means that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who didn't participate in the

program.

ㅇ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rts & cultural education for the juvenile training school

students didn't positively decrease stress but it means that if students don't

participate the arts & cultural education, it could be possible to increase stress.

Page 14: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x|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3. Findings of Qualitative Research

ㅇ The finding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address the general effects of arts & cultural

education even within a specific setting, such as juvenile training school. Those

educational effects are being introvert to extrovert, understanding communal values,

providing fundamental groundwork to participate in cultural life, improving the sense of

self-confidence, acquiring the sense of achievement via imagination and creativity,

improving compassion and collaboration, finding and confirming one’s self, and

reinventing the meaning of others.

ㅇ Another set of important finding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that are related to the specific

setting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reflection and

introspection, a pause for refreshment, stress release and pleasure, anticipation and

excitement for next week’s class, a sense of relief based on the feeling that they are still

developing, new relationships with people from the outside of the centers, a will to

participate as a community member, and new ways of communication (i.e., arts and

culture) with society.

□ Suggestions

1.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ㅇ Future studies may considered the difference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participants as well as the fields of arts & cultural education programs.

ㅇ Pre-and-Post tests for verifying the educational effects should be designed based on more

precise and rigorous settings.

ㅇ More longitudinal studies are needed to observe the effects of arts & cultural

education.

2. Suggestions for Executing the Programs

1) Policy Perspective

ㅇ The programs must be founded on a long-term plan, which considers the whole chain of

input, ouput, and outcome processes, with more specific vision and goals. Also, those

vision and goals need to refect the characteristics of juvenile training school.

Page 15: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요약|xi

ㅇ A new model is needed to induce a sustainable, collaborating system that allows related

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groups can continuously participate in.

ㅇ An effort is needed to expand the benefits of the art & cultural education programs in

juvenile training school via various opportunities such as highly qualified performances,

exhibits, and etc.

2) Content Development and Administrative Perspectives

ㅇ The program should be designed to reflect students’ interest, taste, needs and desire.

ㅇ Support is needed to make sure that the program can be conducted more in flexible

manner in terms of its time and frequency.

ㅇ Field monitoring and consulting efforts needs to be expanded in order to grasp the

administrative methods, the degree of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mong important

stake holders.

ㅇ Proper information and directions should be provided to those arts teachers and

organizations, who work with juvenile training school, based on continuous meetings

and workshops that encourage communication.

ㅇ A guideline book is needed to be published that contains important information to

deliver proper educational programs and pedagogy that fit in the setting of juvenile

training school.

ㅇ Classroom layouts and art teachers’ support system are needed to be improved for

qualified educational process.

Page 16: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목차|i

Ⅰ. 서론 3

1. 연구의 필요성 3

2. 연구 목적 8

3. 연구 내용 9

Ⅱ. 이론적 배경 13

1.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현황 13

2.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16

3. 생리적 지표와 프로그램 효과 32

Ⅲ. 연구방법 43

1. 심리적 측정 43

2. 생리적 측정 48

3. 질적 연구 50

Ⅳ. 연구결과 61

1.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심리적 연구 61

2.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생리적 연구 66

3.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질적 연구 69

Ⅴ. 결론 121

1. 요약 121

2. 제언 126

목차

Page 17: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ii|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표 목차

<표 Ⅱ-1> 소년원학교 현황 13

<표 Ⅱ-2> 소년원학교 참여현황(2006~2014) 15

<표 Ⅱ-3> 2014년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현황 15

<표 Ⅱ-4> OECD DeSeCo Programme 역량의 개념 구조 22

<표 Ⅱ-5> BKJ 모델: 문화교육을 통한 핵심역량 24

<표 Ⅱ-6> 선행연구의 위기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효과구성요인 29

<표 Ⅲ-1>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측정 방법 43

<표 Ⅲ-2> 효과성 연구대상 44

<표 Ⅲ-3> 심리적 측정의 연구 설계 44

<표 Ⅲ-4> 최종 척도 및 설문문항 45

<표 Ⅲ-5> 설문지 구성 47

<표 Ⅲ-6> 생리적 측정 참여자 현황 48

<표 Ⅲ-7> 생리적 측정의 연구 설계 49

<표 Ⅲ-8> 타액 측정 시간 49

<표 Ⅲ-9> 질적 연구 방법의 특성 52

<표 Ⅲ-10> 참여관찰 일정 및 방문기관 프로그램 53

<표 Ⅲ-11> 심층인터뷰 선정기관 및 유형별 참여인원 54

<표 Ⅲ-12> FGI 선정 방문기관 및 프로그램 55

<표 Ⅲ-13> 대상별 FGI 인터뷰 주요질문 55

<표 Ⅲ-14> 예술기반 분석 계획 57

<표 Ⅳ-1> 심리적 측정 참여자 현황 61

<표 Ⅳ-2>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62

<표 Ⅳ-3> 효과성 하위영역별 사전 측정치와 집단 동질성 검증 63

<표 Ⅳ-4>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검증 64

<표 Ⅳ-5> 생리적 측정 참여자 현황 66

<표 Ⅳ-6> 생리적 측정 사전 점수 67

Page 18: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목차|iii

<표 Ⅳ-7> 생리적 측정 사후 점수 67

<표 Ⅳ-8> 생리적측정치에 대한 공분산분석 결과 68

<표 Ⅳ-9> 참여관찰 대상자 특성 및 실행 일자 70

<표 Ⅳ-10> 참여관찰 분석내용 결과 71

<표 Ⅳ-11> 대상별 FGI 인터뷰 주요질문 76

<표 Ⅳ-12> 참여관찰 대상자 특징 및 인터뷰 시행 일자 77

<표 Ⅳ-13> 참여학생 FGI 분석내용 결과 79

<표 Ⅳ-14> 강사 PII 참여자특성 88

<표 Ⅳ-15> 강사 FGI 분석결과 89

<표 Ⅳ-16> PII에 참여한 소년원학교 담당교사 101

<표 Ⅳ-17>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담당교사들이 경험한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효과 102

<표 Ⅳ-18> 예술기반 분석 개요 110

<표 Ⅳ-19> 예술기반 분석내용 결과 111

Page 19: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iv|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그림 목차

<그림 Ⅰ-1> 연구체계도 9

<그림 Ⅱ-1>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정책 관련 기초법안 16

<그림 Ⅱ-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목적과 효과 18

<그림 Ⅱ-3>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의 특수성 25

<그림 Ⅲ-1> 2014 소년원학교 대상 효과분석연구의 질적 연구 설계 51

<그림 Ⅲ-2> 질적연구 결과분석을 위한 과정틀 58

<그림 Ⅳ-1> 실험, 비교집단의 즐거움 사전, 사후 평균 변화 65

<그림 Ⅳ-2> 실험, 비교집단의 사회성 사전, 사후 평균 변화 65

<그림 Ⅳ-3> 실험, 비교집단의 자아존중감 사전, 사후 평균 변화 65

<그림 Ⅳ-4> 실험, 비교집단의 스트레스 사전, 사후 평균 변화 65

<그림 Ⅳ-5> 실험, 비교집단의 문화예술 선호성 사전, 사후 평균 변화 66

<그림 Ⅳ-6> 실험, 비교집단의 코티졸 사전, 사후 농도 변화 68

<그림 Ⅴ-1>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질적연구 종합적 효과 125

Page 20: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 내용

Page 21: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Page 22: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Ⅰ.� 서론|3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1.1 문화예술의 환경변화와 취약계층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확대

ㅇ 최근 문화와 예술 분야가 사회발전의 동력으로 이해되기 시작하였고 이에 따라 문화예술

교육은 자본주의의 고도화에 따른 병폐인 양극화의 문제에 접근하는 국가적으로 주요한

사회통합정책으로 인식되고 있음(최혜자・곽형모・김영주, 2007). 문화예술은 사회적 배제와

불평등을 개선하여 사회에 대한 결속력을 강화시키며, 창의적이고 감성적인 인재양성에도

기여하고 있음.

ㅇ 이처럼 다양한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 속에서 각 계층별, 대상별 문화적인 수요는 지속적

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 속에서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표한 2013 문화예술의

새로운 흐름(trend) 분석 및 전망에서는 향후 문화예술계의 트렌드로 ‘공감의 문화예술’,

‘아픈 사회의 치유(힐링)’를 첫 번째로 전망하였고 ‘공동체와 예술, 함께 길을 찾는 것’을

두 번째로 중요하게 예측하고 있음.

ㅇ 따라서 문화는 이제 더 이상 경제적, 사회적 여유가 있는 사람들의 전유물이거나 전문

적인 안목과 식견이 있는 애호가만의 것이 아니라 사회의 보편적인 구성원들이 문화를

삶의 도구로 활용하게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함. 특히 사회취약계층의 삶의 질이 중요하

게 고려되고 상대적으로 여러 가지 기회가 제한되거나 소외되기 쉬운 취약계층 이웃들을

위한 지속적인 문화예술교육이 필요한 상황임(문화체육관광부, 2013).

ㅇ 이는 사회의 보편적인 구성원들뿐만 아니라 사회취약계층의 삶의 질과 문화권 신장 및 사

회적 통합기능의 확대라는 측면에서도 지속적인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계층 간 격차해소와

일상적 삶 속에서의 문화적 기능을 확대하고자 하는 정책적 노력과 맥락을 함께 하고 있

음.

ㅇ 우리나라 문화예술정책은 2003년 이후 국가의 새로운 문화정책으로 수립되었고 2005년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이 제정되면서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계획이 수립되고

문화관광부, 교육부, 보건복지부, 법무부 등의 정부부처와의 MOU를 체결하는 등 문화예

술교육 기반을 구축하려는 노력을 기울여 왔음. 아울러 2012년에는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이

개정되어 이후 문화예술교육이 더욱 확대되어 실시되고 있음.

ㅇ 아울러 2013년 12월 30일에 제정된 ‘문화기본법’은 문화에 관한 국민의 권리와 함께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을 정하고 문화정책의 추진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문화의 위상을 높

Page 23: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4|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여 문화가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국가사회 발전에 국민의 문화적 삶에 대한 정책 방향을

규정하고자 함. 이는 문화의 중요성과 더불어 문화의 가치와 역할에 대한 체계화와 더불어

국민 누구나 마땅히 누려야 할 기본권으로서의 ‘문화권’을 명시한 점에서 문화의 체험과

향유를 개인이 아닌 국가적 차원에서 확장하는 선언적 의미를 부여함. 이러한 문화기본법

은 2014년 4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음(문화관광부, 2014).

ㅇ 문화융성과 국민 행복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문화기본법과 같은 제도적 근거가

마련되면서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음. 이러한 변화는 법적 제도적 정

비뿐만 아니라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예산이 ’08년 275억 원에서 ’13년 1,099억 원으로

대폭 증가되는 결과를 가져옴.

ㅇ 문화관광부에서는 이에 발맞추어 감성중심시대,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역할 강화를 목표

로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계획’을 발표하였으며,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소통과 공감, 함

께 나누는 행복이라는 비전 아래 ‘문화예술교육의 일상화, 지역화, 내실화’라는 3대 추진전

략과 8대 핵심과제를 제시하고 2014년부터 순차적으로 사회전반에 걸쳐 시행하고 있음.

ㅇ 특히, 문화취약계층의 문화예술교육 접근 기회를 증대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여 각 부처

와의 협업을 통한 소외 아동, 위기청소년, 교정시설 재소자, 장애인, 군인 등 생활권 중심

의 문화예술교육의 문화사각지대로 불리는 계층에 대한 예술교육 향유 기회를 늘려 이를

활성화할 계획을 발표하였음.

ㅇ 아울러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종합계획’이 발표된 지 10년이 되는 현재,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양적 성장에 따른 문화향유의 저변을 확대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더욱 노력하

고 있음.

1.2 소년원학교 학생들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지원

ㅇ 2005년 문화체육관광부와 법무부는 예술적 작업을 통한 재소자 및 소년원학교 학생들의

성취동기 유발과 정서 안정을 위해 교정교육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하기로 하고

업무의 긴밀한 협력과 제도화를 위한 MOU를 체결하였음(문화체육관광부, 2013).

ㅇ 이러한 노력으로 진행되는 사회문화예술교육 사업은 사회문화적으로 소외된 계층을 포함

한 지역주민들에게 문화예술교육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체험, 학습, 창작활동을 능

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문화체육관

광부, 2013). 범 부처 협력 지원사업은 문화예술교육 정책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추진

되고 있는데 각 부처의 산하기관 등과 공동 주관하는 형태로 사업이 추진되고 있음.

ㅇ 특히, 소년원생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생활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소년원

생들의 문화예술 욕구를 충족시키는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

Page 24: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Ⅰ.� 서론|5

하다는 인식 아래 실시되고 있음(김진이・이소연, 2007; 임영식・유제민・정경은・김윤나・양

돈규, 2012).

ㅇ 현재 교정시설과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은 사회적 취약계층의 문화권 신장 및 사회적

통합 기능 확대라는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2006년 교

정시설 수용자 및 소년원학교 학생들의 안정적인 수용생활 및 사회복귀에 이바지하는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단체생활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자기계발 기회를 도모하도록 소통의 장을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이

진행되고 있음(최혜자 외, 2007).

ㅇ 아울러 이들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기반하여 문화예술교육은 소년원생을 단순 격리, 보호하

는 것을 넘어 정서안정, 재범률 억제, 순조로운 사회적응을 돕기 위한 목적도 가지고 있음

(임영식 외, 2012).

ㅇ 따라서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안정적인 수용생활과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자기계발 기회를 도모하고, 특히 심리적 안정과 성취감, 자신감을 갖도록 하여 단체생활에

서 오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함.

ㅇ 아울러 최근에는 소년사법의 대상소년이 단순히 보호의 대상만이 아니라 권리의 주체로서

보호되어야 하는 존재라는 관점에서 소년 개개인의 문제 분석과 소년의 인권보장 및 향후

사회로의 복귀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진행하고 있음(법무부, 2009). 성인범과 달리 소년범

에게는 국가가 자애로운 부모처럼 범죄소년을 교육, 개선해야 한다는 원칙을 가지고 교육

적, 인도적, 복지적 처우를 강조하고 있으며 시설 내의 처우와 사회 내 처우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사회의 따뜻한 이해와 더불어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함.

ㅇ 특히, 2013년 통계에 따르면, 전체범죄자 대비 소년범의 비율은 2006년부터 2008년까지

꾸준하게 증가해 오다가 2009년 4.5%, 2011년 4.4%로 다소 감소하였음. 그러나 이는 소

년범죄 자체가 감소된 것이 아니라 소년법 개정으로 소년범의 범위에서 19세가 제외되었

기 때문으로, 실제로는 소년인구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소년범죄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

는 현실임(여성가족부, 2013)

ㅇ 또한, 재산범이 2007년 33,659명(28.2%)에서 2011년에는 37,978명인 45.7%로 증가하였

으며 저연령 소년범의 비율은 줄어들고 있으나, 16~18세 소년범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

가하고 있고 전과가 있는 소년범죄자의 비율 또한 40.5%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특

히 4범 이상의 소년범의 비율이 2007년 6.9%에서 2011년 12.0%로 계속 증가하였는데,

이는 소년범죄가 점차 상습화되어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임(여성가족부, 2013).

ㅇ 아울러 소년재범율이 높아지는 것은 해당소년의 인생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

라 다수의 피해자를 양산하여 방치할 경우 심각한 성인범죄로 직결되는 심각한 사회문제

Page 25: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6|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로 볼 수 있음(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ㅇ 따라서 이러한 소년범죄의 심각성을 고려하여 소년원학교에서의 일상생활 안정화와 더불

어 재범 방지를 위한 대안 마련은 매우 시급한 과제이며 특히 지역사회로부터 분리

수용하고 있는 시설인 소년원학교의 사회복귀 및 사회적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매우 절실함을 알 수 있음.

ㅇ 이에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주목적은 참여자들이 가지고 있는 반사회적 요소를

제거하고 재사회화를 위한 요소를 습득하는 것이고, 공동체 정신과 의식을 갖춤으로

인류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참여자의 의식과 정신의 변화와 성장을 견인하는 것이

며, 이들이 문화적 상상력을 통해 반성 및 창조성과 아름다움을 표현하게 함으로 도덕적

인격과 사회성을 갖추게 하는데 있음(한상훈・이상희・허주욱・유해정, 2003).

ㅇ 일반적으로 소년원학교 청소년들의 개인적 특성은 낮은 자아존중감, 부정적 자아개념, 비

규범적이고 낮은 신뢰감을 가지고 있고(김상균, 2005), 가정적 특성으로는 편부모 가

족, 빈곤가족과 같은 구조적 문제와 부모의 불화, 부모 자녀 간 낮은 친밀도, 역기능적 의

사소통, 비일관적인 양육태도 등과 같은 기능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김수연・김명권,

2002), 학교에서의 특성은 높은 학교 스트레스 인지, 교우관계 문제, 낮은 학교 성적 등을

보이는데(신민희・강문희, 2005), 이러한 요인들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인해 향상될

수 있음.

ㅇ 특히, 소년원학교 학생들이 외적 작용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러한 학생

들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은 자존감, 자아개념, 사회성 등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

음.

1.3 소년원학교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ㅇ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효과성 연구는 다양한 측면을 통해 시행되었으며 종합적으로

는 청소년의 정서발달과 자아정체감 확립에 도움이 되며, 긍정적인 인간관계 형성과 감정

및 정서순화를 용이하게 하며, 다양한 문화적 경험을 통해 소통역량이 향상되고 공감능력

과 공동체 의식이 강화되며, 창의성과 학습 능력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남(맹영임・김

민・임경희・정미나, 2005;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 Hampshire & Matthijsse,

2010; Winkley, 1996).

ㅇ 최근에는 문화예술교육의 개인적 효과와 더불어 사회적 차원의 효과 또한 중요시하고

있음.

ㅇ 김경욱(2006)은 문화예술의 사회정치적 측면으로 행동의 바람직한 방향유도, 쾌적한 삶의

환경 제공, 인구유입 및 교육향상, 건강향상, 범죄 감소, 반사회적 행동 감소, 지속적인 가

Page 26: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Ⅰ.� 서론|7

치에 대한 커뮤니티 네트워크 형성, 사회적, 지역적 관심에 대한 지역민의 인식증가, 인간

적 권리나 사회정의에 대한 행동 강화 등을 주요한 효과로 보았음.

ㅇ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에 대한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으로 동

일한 조건의 소외계층 청소년이라도 문화예술교육에 노출된 학생들은 더욱 높은 학업성취

도와 사회참여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음(Catterall, Dumais, & Hampden-Thompson,

2012).

ㅇ 소년원생들의 미술치료프로그램 효과 연구 결과(Persons, 2009), 이들이 느낀 미술치

료의 가장 큰 효과는 스트레스 완화와 기분전환, 지루함의 해소, 자신감, 자아긍정감,

몰입에서 오는 즐거움, 그리고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존중받는 다는 느낌으로 분석됨.

ㅇ 국내의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분석(박중길・최영신・김형숙・민경훈・김윤태, 2006)

연구에서는 충동조절, 인성함양, 자아개념 및 자아존중감 향상, 우울감소, 정서 안정, 대인

관계 능력 향상, 유능감, 자기표현능력 개선 등의 효과가 있었음을 밝히고 있음. 또한 강

태신(2005) 연구에서는 비행청소년의 계획성과 자기효능감이 향상된다고 보고함.

ㅇ 김안식(2010)은 불안감 감소, 적대감 감소, 자기 개발 능력이 향상됨을 보고하였으며 연극

프로그램이 소년원생들의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고(주성희, 2003),

예체능 특성화교육도 소년원생의 학교생활에 큰 만족감을 준 것으로 나타났음(정도영,

2004).

ㅇ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은 프로그램의 참여 동기가 부족한 수용자들에게 유용한 프로그램으

로 참여 동기와 역량을 강화시키고 재활 의지를 높여 주며 개인 내적인 창조성과 수감시

설에서의 적응력을 높여줌을 알 수 있음(Clements, 2004). 아울러 자아존중감, 자아개념,

긍정감에 영향을 주며, 충동성, 공격성, 자기조절 능력과 대인관계 기술 증진, 자신과 타인

의 행동과 문제에 대한 통찰, 정서적 갈등해소 등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음.

1.4 교정시설,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효과 연구의 성과 및 과제

ㅇ 임영식 등(2012)은 프로그램 효과성 평가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과정

과 결과임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이를 소홀하게 다루고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하면서,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필수적으로 전제되어야 할 요소인 프로그램 목표와 내용

의 일치, 객관적인 측정방법의 적용, 타당성과 신뢰성이 높은 측정도구의 사용, 측정내용

과 측정도구의 일치, 적절한 연구설계와 분석방법의 적용 등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를 보

완한 효과성 연구를 진행함.

ㅇ 아울러 기준연구들이 효과성으로 언급되는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현존하는 척도를 수정

없이 사용한 점과 문항의 신뢰성을 확보하지 않은 상태에서 척도의 일부 문항을 사용하

Page 27: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8|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는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을 통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척도

의 개발을 진행함(임영식 외, 2012).

ㅇ 임영식 등(2012)의 연구에서는 교정시설과 소년원학교의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공통적인

주요 요소로 스트레스 해소, 자존감, 주변소통, 자신감, 생활안정/적응력, 정서적 안정을

추출하였으며 기존의 선행연구와 전문가 자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즐거움, 사회성,

문제해결능력, 표현력, 스트레스, 희망, 자기개념, 문화예술 선호성 등의 8가지의 영역을

효과성 구성개념으로 선정함.

ㅇ 아울러 기존의 교정시설과 소년원학교 등 특수 분야의 문화예술교육 학습자 영향효과를

살펴본 연구들의 척도 사용에 대한 한계를 바탕으로 척도를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

하였으며 자기보고식의 측정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객관적이고 관찰 가능한 생리적

측정을 반영하였고 심층인터뷰 등 다양한 측정방법을 사용하여 효과성 연구를 실시하였

음.

ㅇ 그러나 2011년의 연구에서는 교정시설과 소년원학교 수용자를 함께 연구하여 소년원학교

만의 특징과 효과를 분석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었음. 따라서 소년원학교 학생들의 특

성과 문화예술교육의 최근 경향을 반영한 척도 보완이 요구됨. 또한 지속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소년원학교에서의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에 대한 주기적인 확인이 필요한 상황

임.

ㅇ 따라서 본 연구는 2011년의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를 보

다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소년원학교 학생 대상의 측정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이에

대한 효과성을 밝히고, 여러 영역에서 나타나는 효과성을 심리적 측정, 생리적 측정, 심

층인터뷰 등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함.

ㅇ 이를 위해 국내외 다양한 소년원학교와 유사한 기관의 문화예술교육 사례를 파악하고 소

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효과는 무엇인지 질적, 양적, 생리적 접근을 통해서 파악하고자

함.

2. 연구목적

ㅇ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추진된 소년원학교의 효과성 연구의 보완을 통해 소년원학교 대

상의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심리적 측정, 생리적 측정, 참여관찰 및 심층면접 등을

통해 체계적으로 평가하고자 함.

ㅇ 효과성 결과를 기반으로 소년원학교의 문화예술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향후의 문화

Page 28: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Ⅰ.� 서론|9

예술교육의 중장기 발전방안의 세부적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음.

<그림�Ⅰ-1>� 연구체계도

3. 연구 내용

ㅇ 비행청소년 및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목표 및 내용 분석

- 비행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목표 및 효과성 요인 분석

- 전국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및 실태 분석

Page 29: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10|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ㅇ 측정 대상에 부합한 효과분석 모델 도출 및 조사 설계

- 기존 연구 분석 통해 수정․보완된 효과성 연구 모델 도출

- 기 개발된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임영식 외, 2012)를 보완하여 소년원

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측정 지표 재구성 및 설문문항 선정

- 문화예술교육 실시 전․후 효과 비교, 참여자와 비참여자 간 비교 분석 틀 설계

- 소년원학교 학생 특성을 반영한 분석 설계

- 효과성 측정 방법 및 검사 도구 개발(보완) 및 선정

ㅇ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검증 및 분석

- 연구 설계에 따른 참여군 및 비교군 대상으로 효과성 측정

- 도출된 결과 분석 및 효과에 대한 구체적 요인 분석

․ 문화예술교육 실시 전후‧집단별의 차이 비교

․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및 방법, 장르의 특성 등과 효과성 측정 결과 간 연

계성 분석

ㅇ 효과분석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사업의 발전방안 제시

-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제고를 위한 사업 및 프로그램 발전방안 제시

- 연구 결과의 지속적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제시

Page 30: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Ⅱ.이론적 배경

1.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현황

2.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3. 생리적 지표와 프로그램 효과

Page 31: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Page 32: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Ⅱ.� 이론적�배경|13

Ⅱ. 이론적 배경

1.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 현황

1.1 소년원학교 현황

ㅇ 소년원은 법원소년부의 보호처분에 의해 송치된 소년을 수용·보호하면서 초·중등교육법에

의한 교육과정 수업과 직업능력개발훈련, 인성교육, 의료·재활교육 등을 통하여 전인적

인 성장·발달을 도모하고 안정적인 사회복귀를 지원하는데 그 설립 목적이 있음(법무부,

2011).

ㅇ 소년원은 1958년 소년법이 제정되어 수용과 처벌 위주의 형식을 취해왔으나, 1988년 소년

원법이 개정됨으로써 본격적으로 학교화를 추진해 왔으며, 최근에는 학생들에게 21세기의

지식정보사회에 적합한 직업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목적으로 교과과정 중심의 학교체계에

서 특성화 학교체계로 전환하여 운영되고 있음(최영신, 2003).

ㅇ 현재 소년원학교는 소년보호직과 보호관찰직이 보호직으로 통합되고 소년보호기관 기능이

조정되면서 2014년 현재 10개의 소년원학교가 운영되고 있으며, 소년원은 학교명을 복수

명칭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음.

ㅇ 현재 소년원은 보호처분 7~10호 처분을 받은 청소년들이 비행예방 교육 등의 교정교육을

실시하고 있음.

<표�Ⅱ-1>� 소년원학교�현황

No기관

(학교명)설립일 개교일 대상 교육과정

1서울소년원

(고붕중·고)1942.4.20. 2000.8.31. 9호,� 10호

Ÿ 중고등학교� 교과교육,� 컴퓨터,� 검정

고시

Ÿ 직업능력개발훈련

Ÿ 보호자교육

2

부산소년원

(오륜정보

산업학교)

1947.1.18. 2000.8.31. 10호� 위탁

Ÿ 직업능력개발훈련,� 컴퓨터,� 검정고

Ÿ 보호자교육

3

대구소년원

(읍내정보

통신학교)

1945.11.21. 2000.8.31. 9호,� 10호

Ÿ 인성교육,� 컴퓨터,� 검정고시

Ÿ 직업능력개발훈련

Ÿ 보호자교육

4

광주소년원

(고룡정보

산업학교)

1946.11.7. 2000.9.6. 10호� 위탁

Ÿ 직업능력개발훈련,� 컴퓨터,� 검정고

Ÿ 보호자교육

Page 33: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14|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1.2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현황

ㅇ 소년원을 대상으로 한 사회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은 2006년부터 시범사업 형태로 진행되던

특수 분야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을 2008년에는 교정시설과 소년원학교로 묶고 프로그램

공모지원사업으로 전환하여 운영함. 2012년에는 연간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한 소년원학교

대상 명예교사 프로그램 등을 별도 지원함(문화체육관광부, 2013).

ㅇ 개별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담당과는 교무과로써, 본 지원사업은 인성교육을 위한 ‘예

능교육’의 일환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예체능교육을 위한 별도의 예산지원은 없음.

ㅇ 2006년부터 실시된 범 부처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

그램은 2014년 현재까지 76개의 단체에서 참여하였으며, 교육수혜자는 총 3,592명임.

ㅇ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평가결과로는 2009년 참여자의 만족도는 75.4점, 2010년 86.6점으로

지속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 또한 수혜자의 영향도, 즉 문화예술활동기여도,

자신표현/발표, 자신감 정도, 타인과의 의사소통기여도, 이해 및 표현력도 10점 만점에

8.28~8.55점의 비교적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음(임학순・김찬우・성기선・양

지연・김미림・이상민, 2010).

5

전주소년원

(송천정보

통신학교)

1967.3.25. 2000.9.6. 9호,� 10호Ÿ 중학교�교과교육,� 컴퓨터,� 검정교시

Ÿ 보호자교육

6대전소년원

(대산학교)1998.7.1. 2009.3.2.

7호,� 8호,�

9호,� 10호

Ÿ 7호�처분자�및� 의료처우자�교육

Ÿ 8호�처분자�교육

Ÿ 컴퓨터,� 검정고시

Ÿ 보호자교육

7

청주소년원

(미평여자

학교)

2009.7.1. 2010.5.4. 8호,� 9호

Ÿ 인성교육,� 컴퓨터,� 검정고시

Ÿ 8호�처분자�교육(여)

Ÿ 보호자교육

8

안양소년원

(정심여자

정보산업고)

1946.10.1. 2000.8.30. 9호,� 10호

Ÿ 중학교�교과교육,� 컴퓨터,� 검정고시

Ÿ 직업능력개발훈련

Ÿ 보호자교육

9

춘천소년원

(신촌정보

통신학교)

1963.9.9. 2000.9.4. 9호,� 10호

Ÿ 인성교육,� 컴퓨터,� 검정고시

Ÿ 직업능력개발훈련

Ÿ 보호자교육

10

제주소년원

(한길정보

통신학교)

1987.11.9. 2000.8.30.8호,� 9호,�

10호

Ÿ 인성교육,� 컴퓨터,� 검정고시

Ÿ 8호�처분자(제주지역�내� 남)� 교육

Ÿ 보호자교육

Page 34: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Ⅱ.� 이론적�배경|15

<표�Ⅱ-2>� 소년원학교�참여현황(2006~2014)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합계

지원단체수 7 7 7 9 9 11 10 16 76

수혜시설수 9 7 8 8 9 9 10 10 9 79

수혜인원 542 1,072 127 146 238 594 308 215 350 3,592

지원예산

(백만원)164 100 60 110 90 120 160 140 208 1,152

* 자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제공

ㅇ 2014년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은 9개 소년원학교에서 총 16개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

으며 아래와 같이 음악, 무용, 미디어, 문학 등 다양한 영역의 활동이 진행됨.

<표� Ⅱ-3>� 2014년� 소년원학교�문화예술교육�현황

No기관

(학교명)대상

프로그램�

운영� 수분야 프로그램� 회기

1서울소년원

(고붕중·고)9호,� 10호 2

뮤지컬,� 무용

(댄스)교육� 30회

2부산소년원

(오륜정보산업학교)10호,� 위탁 2 미디어,� 무용 12회� 3그룹으로�운영

3대구소년원

(읍내정보통신학교)9호,� 10호 2 음악,� 문학(시)

음악:� 총� 40회차(20회차� 2

개�그룹)/� 문학:� 30회

4광주소년원

(고룡정보산업학교)10호,� 위탁 1 무용

총� 30회� 교육(10회차� 3개�

그룹)

5전주소년원

(송천정보통신학교)9호,� 10호 2 음악-밴드,� 합창 총� 30회�교육

6대전소년원

(대산학교)

7호,� 8호,�

9호,� 10호2 음악 총� 30회�교육

7청주소년원

(미평여자학교)8호,� 9호 2 음악 총� 30회�교육

8춘천소년원

(신촌정보통신학교)9호,� 10호 2 무용,� 음악(난타) 19~30회� 교육

9제주소년원

(한길정보통신학교)

8호,� 9호,

10호1

국악

(난타)총� 30회�교육

계 9개소16개�

프로그램

Page 35: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16|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2.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2.1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적 목적과 범위

ㅇ 예술교육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예술을 통한 교육(Education through Art)’과 ‘예술을

위한 교육(Education for Art)’으로 나누어짐. ‘예술을 통한 교육’이 근본적인 자아탐구 및

성찰의 일환으로 예술의 사회적·도구적 기능에 초점을 맞춘 전인 교육적 접근이라면, ‘예

술을 위한 교육’은 예술 그 자체의 전문성 및 우수성을 습득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술의

기술적 측면을 중시함(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7).

ㅇ 예술교육에 비해 뒤늦게 등장한 문화예술교육의 개념은 앞서 소개한 ‘예술을 통한 교육’과

유사한 전인적 교육의 확장개념으로, 다양한 문화활동과 예술교육을 접목하여 문화·예술적

기량을 향상하는 동시에 타인과 소통하고 교감하는 사회적 감수성을 훈련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음(석문주・권덕원・김명숙・최미영・정지혜, 2010).

ㅇ 문화예술교육은 인간의 존재성과 이를 형성해가는 과정으로, 이는 문화와 예술이 교육의

관점에서 연관되고 통합되어야 한다는 것을 뜻하기도 함(신승환・연혜경・김정선, 2007). 따

라서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와 예술에 대한 표현 기법만을 가르치는 교육이 아니라 문화와

예술적 이해 및 향유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사회를 이해하는 개인적·사회적 맥락 속에

위치한 교육이라 할 수 있음.

<그림�Ⅱ-1>� 청소년�문화예술교육�정책�관련�기초법안�

Page 36: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Ⅱ.� 이론적�배경|17

ㅇ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순기능에 주목하여 정부는 문화예술교육지원법안(2006년 6월 최초

시행)을 근거로 지속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을 위해 힘써왔음. 이 지원법안은 문화예술교육과

관련하여 시행되는 우리나라 최초의 법률로, 이 법에서 문화예술교육이란 뛰어난 악기 연

주자나 무용가를 양성해내는 것이 아닌 일반인들이 스스로 문화예술적 기량을 표현하는

능력을 북돋우며 타인과 소통하고 교감하는 감수성을 훈련하는 과정으로 기술하고 있음.

ㅇ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은 모든 국민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받음을 천

명하고 학교 내 문화예술교육뿐 아니라, 문화기반시설·복지시설 등에서 이루어지는 사회·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지원 근거를 명시함. 지원법에 의하면, “문화예술교육을 활성화하고,

나아가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국가의 문화 역량 강화에 이바지함을 목적”(제1조)

으로, “문화예술교육은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와 창조력 함양을 위한 교육을 지향

한다”(제3조)라고 기술함으로써 그 목적의 범위와 대상이 어느 특정계층 또는 연령대

에 한정되지 않는 것을 강조함.

ㅇ 이와 같은 맥락으로, 문화기본법(2014년 3월 최초시행)은 문화가 민주국가의 발전과 국민

개개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가장 중요한 영역 중 하나임을 전제로 문화의 가치가 교

육, 환경, 인권, 복지, 정치, 경제, 여가 등 우리사회 영역 전반에 확산될 수 있도록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그 역할을 다하여 개인이 문화표현과 활동에 대해 자율성과 창조성의 원

리가 조화롭게 실현되는 것을 법안의 기본이념으로 명시함.

ㅇ 특히, 문화기본법에서는 제4조 국민의 권리에서 “모든 국민은 성별, 종교, 인종, 세대, 지

역, 사회적 신분, 경제적 지위나 신체적 조건 등에 관계없이 문화 표현과 활동에서 차별을

받지 아니하고 자유롭게 문화를 창조하고 문화 활동에 참여하며 문화를 향유할 권리(이하

‘문화권’이라 한다)”를 강조함으로써 교육받을 권리와 함께 표현의 자유, 그리고 이에 대한

보호가 정책적으로 담보되어야 할 기본적인 문화권의 요소로 기술됨.

ㅇ 청소년에 대한 문화예술활동에 관련 주요 정책법안을 살펴보면, 청소년활동진흥법(2005년

2월 최초시행)이 대표적이며, 청소년활동의 주요 요소 중 하나로 문화활동을 다루고 있음.

청소년활동진흥법에 따르면 “청소년문화활동이란 청소년이 예술활동, 스포츠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활동 등을 통하여 문화적 감성과 더불어 살아가는 능력을 함양하는 체험활동”으

로 정의하며, 청소년복지지원법(2005년 2월 최초시행)에 “위기청소년” 지원에 대한 특별지

원의 하나로 청소년활동지원을 언급함으로써 소년원학교의 청소년에게 문화적 복지와 혜

택의 중요성이 정책적으로 권장되어 왔음을 알 수 있음.

Page 37: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18|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2.2 국·내외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 연구검토

ㅇ 서구의 경우, 19세기말까지 어린이와 청소년 대상의 예술교육이라 함은 ‘예술을 위한 교

육’으로서 그 목적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문화자본에 입각한 계급과 그 계급을 생산하는 도

구로 사용되어 왔다는 해석이 지배적임(Levine, 1988). 그러나 20세기 이후, 탈근대주의

영향으로 미학적 계몽주의(aesthetic didacticism)에 입각하여 예술교육의 목적과 그에 대한

효과로 예술과 인간의 삶 사이의 유의미한 상관관계에 주목하기 시작함. 즉, 예술교육의

목적과 그에 따르는 효과성에 대한 광의적 접근을 시도하는 다양한 교육적 철학과 방법들

이 예술가와 교육자 사이에서 활발히 연구됨(Stankiewicz, 1997).

ㅇ 예술교육에서 이와 같은 인식의 변화는 ‘예술을 위한 교육’에서 ‘예술을 통한 교육’으로 교

육목적에 대한 근본적인 가치이양을 가져왔음. 예술교육의 효과는 단순히 미학적이며 지적

능력을 배양하는 것에만 한정된 것이 아닌 감성지수 계발을 통해 긍정적인 인간관계 형성

에 기여하며 소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면에서 검토되어지기 시작함. 이러한 전인적 교

육에 대한 효과성 입증에 따라 예술교육은 문화예술교육이란 명칭으로 점차 정형화된 교

육의 틀에서 벗어나 학교 밖의 공공기관인 박물관, 복지회관, 주민센터, 문화회관, 문화의

집 등 다양한 시설에서 체험과 경험을 중시하는 방면으로 발전됨(고희경, 2003; 이흥재,

2012).

<그림� Ⅱ-2>� 청소년�문화예술교육의�목적과�효과�

Page 38: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Ⅱ.� 이론적�배경|19

ㅇ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 연구는 이미 한국을 비롯한 서구의 많은 나라에서 다양한

측면을 통해 시행된 바 있음. 공통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은 청소년에게 다음과 같은 긍정

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어 왔음(맹영임 외, 2005;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 Winkley, 1996; Hampshire & Matthijsse, 2010).

① 청소년의 정서발달에 순기능적 영향

② 자아정체감 확립

③ 긍정적인 인간관계 형성에 기여

④ 감정 또는 정서적 순화

⑤ 다양한 문화적 경험을 통해 소통 역량이 향상

⑥ 공감능력 발전을 통한 공동체 의식 함양

⑦ 창의성 및 학습능력(학업능력, 성적 등)의 발달

ㅇ 영국의 경우, 교육부와 문화미디어체육부가 공동으로 의뢰해 2001년 잉글랜드예술위원회

(Arts Council of England)가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에 대해 대대적인 자료 수집을

전국적으로 진행한 바 있음. 구체적으로 밝혀진 효과로는 자존감, 미래 조망, 기쁨 등 개

인적 요인을 비롯해 타인이해 및 관용증진,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향상, 지역사회 정체성

및 자부심 고취, 적극적인 지역사회활동 참여를 통한 지역의 민주주의 확대 등 집단 및

지역사회의 범주까지 그 효과가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음(Jermyn, 2001).

ㅇ 미국의 경우, 2012년 3월 미국국립예술기금위원회(National Endowments for the Arts)의

지원으로 출판된 55번째 공식 보고서인 「The Arts and Achievement in At-Risk

Youth: Findings from Four Longitudinal Studies」를 통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를 발표하였음. 이 연구는 동일한 조건의 사회소외계층 청소년들을 문화예술교육 노출집단

과 비노출집단으로 나누어 4년간 추적조사 끝에 도출된 결과를 분석한 효과성연구임. 주

요 결과로 사회․경제적으로 동일한 조건의 소외계층 청소년이라도 문화예술교육에 노출된

학생들은 더욱 높은 학업성취도(GPA)와 사회참여도(civic engagement)를 보인 것으로 나

타남(Catterall, Dumais, & Hampden-Thompson, 2012).

ㅇ 그 밖의 국외문헌으로, 청소년과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연구를 중심으로 문화와 경제의 격차

및 지역사회에 대한 문제인식(Coggan, Saunders, & Greno, 2008; Hudson, 1995), 신체

및 정서개발(Griffiths, Berry, Holt, Naylor, & Weekes, 2006), 자기인지(Mantie, 2008),

자존감 향상 및 정서적 안정감(Harrison & Narayan, 2003; Lindblad, Hogmark, &

Theorell, 2007; Starkey & Orme, 2001), 그리고 문제행동 감소(Bailey & Davidson,

2007) 등에 효과가 있음을 밝혀낸 실증연구들을 그 예로 들 수 있음.

ㅇ 국내 초기연구로, 한국청소년개발원은 총 1,750명을 대상으로 청소년들의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인식, 선호도, 향유 수준 및 활동을 토대로 문화예술의 두 가지 대표적 기능으로 타

Page 39: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20|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인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과 새로운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지목한 바 있음. 이 조사

에서 문화예술 활동이 청소년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으로는 스트레스 해소, 여가 선용, 정

보와 지식 획득, 생활의 즐거움과 재미, 정서적 안정감, 자신감 획득의 순으로 나타났음(맹

영임 외, 2005).

ㅇ 황금숙 등(2007)은 문화예술교육의 원리는 공동체적 지평에 대한 학습(체험, 이해, 소통)을

통해 이루어지며, 크게 ①자기형성능력 및 사회적 소통능력, ②창의성 및 문제해결능력,

③문화예술을 사랑하는 태도, ④평생교육 및 직업계획 능력의 개발 등 4개의 분야에서 그

효과들을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함.

ㅇ 국내 실증연구의 경우, 청소년 문화예술활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임영식 등

(2008)은 현장의 프로그램과 문헌 등을 검토하여 ①문화예술이해, ②공동체의식, ③문화예

술기능, ④창의성, ⑤주체성을 주요 구성요인으로 정하고 측정도구를 개발하였음. 김용주

외(2010)는 문화예술교육 수혜자에게 따르는 효과성에 대해 문화예술 학습 및 활동 자체

에서 오는 즐거움 효과, 문화예술 향유능력 제고 효과, 문화예술적 창의력 제고 효과로 제

시하였음.

ㅇ 그 밖의 국내문헌검토에서 밝혀진 효과성으로 문화예술교육은 자아강화, 충동성 및 공격성

감소, 역할훈련, 대인관계기술 증진, 자신과 타인의 행동과 문제에 대한 통찰, 자유로운 감

정표현 및 감정강화, 정서적 갈등해소, 능동적인갈등해결방식, 자발적이고 긍적적인 태도,

가치관 확립 등에 효과가 있음이 주장됨(김민정, 1996; 김정택・심혜숙, 1991; 김유광,

1986; 양재혁, 1996; 한상순, 1990).

ㅇ 국·내외 문헌의 청소년에 대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을 종합해서 살펴보면, 문화예술활동

은 개인의 자아 형성을 돕고 사회화되어가는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침으로써 공동체

의 건강한 일원으로 그 역할을 수행하는 데 있어 중요한 정서적 기반을 제공하는 것 요약

될 수 있음(Aktinson & Robson, 2012; Jermyn, 2001; Lowem, 2000; Matarasso,

1997; McCarthty, 2004).

ㅇ 즉, 문화예술 활동을 통해 개인은 사회에 통합될 수 있는 적합한 인성과 감수성을 발달시

키게 되며, 이는 전반적인 사회통합을 가능하게 하는 토대로 풀이됨(김인설・정득・이종석

2014; 이윤식・윤종현・오세곤・최천규, 2010; 임영식・문성호・정경은, 2008)

2.3 문화예술교육 역량과 효과성에 대한 개념 및 모델

2.3.1 OECD의 DeSeCo Programme 역량모델

ㅇ 앞서 살펴본 국내외 문헌들에서 드러난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은 크게 자아와

Page 40: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Ⅱ.� 이론적�배경|21

타인과의 관계, 즉 두 개의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담론화 되어왔음. 이러한 유형적 분

류는 독일의 연방 문화 청소년 교육협회(BKJ)와 독일 연방 교육연구부(BMBF)가 주

관하고 유럽위원회(European Commission)와 OECD의 협력 하에 치러진「Developing

Competencies in Cultural Education」국제회의의 2002년 Background Paper에도 드

러남. 이 회의는 「Key Competencies through Cultural Education」 프로젝트와 함께 조

직되었으며 그 목적은 청소년들이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어떠한 효과성이 도출되는 지, 즉

교육의 결과로 어떠한 역량을 갖추게 되는 지를 조사하고 이런 역량을 정의하고 분류하는

것이었음.

ㅇ 위 회의의 Background Paper를 통해 발표된 문화교육의 효과성 증명(Certification of the

Effects of Cultural Education)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갖추게 되는 대표적인 역

량의 두 축을 예술역량과 문화역량이라 하였으며, 이에 대한 개념으로 예술역량은 자아발

전에 기반을 둔 언어・공학・기술 등 도구의 포괄적 사용 역량(Using Tools Interactively)을,

문화역량은 타인과의 효과적인 상호작용 역량(Joining & Functioning in a socially

heterogeneous group)에 기반하고 있음을 설명함.

ㅇ 이러한 분석은 OECD의 역량에 관한 연구인 DeSeCo Programme(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s)프로젝트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OECD는 역량의 기본 틀로 아래의 세 가지 주요 역량을 구조화 하여 제시함

(OECD, 2001)

I. 자율적인 행동

II. 도구의 포괄적 사용 역량 (예술역량 포함)

III. 타인과의 효과적인 상호작용 역량 (문화역량 포함)

ㅇ 타인과의 효과적인 상호작용 역량에 속하는 문화역량의 하위역량으로는 ①관용(타인을 동

등하게 바라보고 그들을 평등한 기준으로 대우할 수 있는 능력), ②개방성(다른 문화에 대

하여 개방된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수용할 수 있고 이해하려는 태도), ③다문화 역량

(다름을 인정하고 타문화를 받아들이고 수용하는 능력), ④정보해석능력(자신과 사회적 환

경 속에서 사건과 상황을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 ⑤문화적 정체성(자기 자신의

문화와 다른 문화의 규범 및 가치를 성찰하고 자기 자신의 가치를 규정하는 능력), ⑥문화

적 삶에 참여 능력(수용자로서 더 나아가 창조가로서 문화적 삶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이

포함됨

ㅇ 예술역량의 하위 역량으로는 ①창의력(문제해결에 있어 관습에 얽매이지 않고 한계를 넘

어 생각할 수 있는 능력), ②지각능력/표현력(관찰을 통해 실천 속에서 아이디어를 적용시

킬 수 있는 능력), ③모방능력(지각한 바를 자신의 방식으로 모방하여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 ④실현능력/재현능력(어떤 것에 예술적 형상을 부여할 수 있는 능력), ⑤쾌활함/현

Page 41: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22|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실감각(새로운 무엇인가를 시도하며 친근하지 않은 맥락과 역할에서 행동의 대안적 주장

에 대한 판단 능력), ⑥언어능력/신체언어능력(타인의 언어와 신체 언어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 ⑦상상력(새롭게 가능한 것, 허구의 것, 이상향적인 것을 떠올리고 새로운 맥락에서

알려진 것을 생각해 내는 능력), ⑧미적성찰능력(미적시각으로 사람, 사물, 환경에 접근하

고 이에 대해 비평적이고 자신감 있는 태도를 개발하는 능력), ⑨감성능력(모든 감각을 사

용함으로써 지각하고 행동하는 능력), ⑩미디어 역량(비판적 문화해독력과 멀티미디어 조

작능력)이 포함됨.

<표� Ⅱ-4>� OECD� DeSeCo� Programme� 역량의�개념� 구조

역량 하위역량

I.� 자율적인�행동

Acting� autonomously

자신감� self-confidence

자기조절역량� self-management

인내력� perseverance

독창력� initiative

결정능력� decision-making

유연성� flexibility

II.� 도구의� 포괄적�

사용� 역량

Using� Tools� Interactively

학습능력� ability� to� learn

계획능력� ability� to� plan

조직력� organizational� skills

문제해결력� problem-solving� skills

반추능력� ability� to� reflect

문맥적�사고력� contextual� thinking

� � IIa.� 예술역량

� � Artistic� Competencies

창의력� creativity

지각능력/표현력� perception/expression

모방능력� emulation

실현능력/재현능력� realization/representation

쾌활함/현실감각� playfulness/� sense� of� realism

언어능력/신체언어능력� speech/non-verbal� language

상상력� imagination

미적성찰능력� aesthetic� reflection

감성능력� sensuousness

미디어�역량�media� competency

III.� 타인과의�효과적인�

상호작용�역량

Joining� &� Functioning� in� a�

socially� heterogeneous� group

공감능력� empathy

책임감� responsibility

팀워크/협력능력� team� skills

분쟁�중재� 기술� ability� to� deal� with� conflict

커뮤니케이션�능력� communication� skills

비판수용력� ability� to� handle� criticism

� � IIIa.� 문화역량

� � Cultural� Competencies

관용� tolerance�

개방성� open-mindedness

다문화�역량� intercultural� competence

정보해석능력� information� transfer� capability

문화적�정체성� cultural� identity

문화적�삶에�참여능력� participation� in� cultural� life

Page 42: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Ⅱ.� 이론적�배경|23

2.3.2 BKJ(German Federation of Association for Cultural Youth Education)모델

ㅇ 「Developing Competencies in Cultural Education」국제회의에서 보고된 또 하나의

주요 모델은 독일의 연방문화청소년교육협회(BKJ)에서 발표한「Key Competencies

through Cultural Education」의 결과로 문화예술교육이 청소년에게 어떠한 주요역량

으로 발현되었는지에 대한 개념적 구조임.

ㅇ BKJ의 문화교육의 핵심역량 분류표는 OECD의 DeSeCo Programme 에서는 기본틀을 바

탕으로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핵심역량에 대해 논의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세 개의 구

조로 나누어 제시함.

I. 예술 역량

II. 문화 역량

III. 일반적 핵심역량

ㅇ BKJ의 모델을 보면 OECD DeSeCo Programme에서 발표된 역량의 개념구조와 매우 유

사하지만, 문화교육의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구조화 한 점에 그 의의가 있음. 즉 예술역량

과 문화역량을 주요역량의 하부역량으로 보지 않고 대표 핵심역량으로 재위치 시킴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가치와 그 무게를 재조명함.

ㅇ BKJ의 모델에서 예술역량(artistic competencies)은 장르와 연관된 예술역량(area-related)

와 일반적 예술역량(general)로 구분하고 있으며, 장르와 연관된 예술역량은 예술의 각 영

역 속에서 획득되는 역량으로 일반적 예술역량을 이끌어내는 기초로 해석됨. 이는 장르와

연관된 기초 예술역량을 통해 획득되어지는 것으로 창의성(creativity), 가능성(sense of

possibilities), 창조적 역량(creative competency), 감수성(sensuousness), 상징역량(symbol

competency), 놀이능력(ability to play)이 해당됨.

ㅇ BKJ의 모델에서 문화역량(Cultural Competencies)은 연구자가 직접 문화예술교육의 수해

청소년들이 교육을 받고 있는 현장에 참여·관찰하여 도출한 핵심역량으로 자아에 대한 탐

구보다 타인과의 관계형성에 초점이 맞춰짐. 문화역량의 하부역량으로 문화적 다양성 인정

및 공존(dealing with cultural diversity), 문화 통합(cultural integration), 문화·사회활동의

참여(participating in cultural social life), 문화정체성(cultural identity), 사회자본의 개발

(developing social capital)이 제시됨.

ㅇ BKJ의 모델에서 일반적 핵심역량(General Key Competencies)은 DeSeCo Programme

의 역량모델의 재구성으로 앞서 소개된 구조적 개념을 그대로 도입하여 설명하되, 문화예

술역량을 일반적 핵심역량의 하위역량이 아닌 주요역량으로 분리하여 구조화시킴. 또한 각

영역을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에 입각하여 하위영역들을 재구성하였음.

ㅇ BKJ의 모델은 청소년에 대한 문화예술교육으로 인한 개발 가능한 주요역량을 구조화시킨

모델로 그에 대한 효과성가 깊은 연관이 있는 바, 추후 본 연구의 질적연구(참여관찰,

Page 43: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24|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FGI, 예술기반연구)에서 드러난 다양한 효과성을 분류하는 분석틀(analytical framework)

로 쓰일 예정임.

<표�Ⅱ-5>� BKJ1)� 모델:� 문화교육을�통한� 핵심역량

예술역량� (Artistic� Competencies)

� � a)� 장르적�예술역량

(area-related)

음악�music

문학� literature

드라마� drama

연극� play

미술� fine� arts

기타미디어� other� media

리듬� rhythmics�

� b)� 일반적�예술역량

(general)

창의성(creativity),� 가능성(sense� of� possibilities),�

창조적�역량(creative� competency),� 감수성(sensuousness),�

상징역량(symbol� competency),� 놀이능력(ability� to� play)

문화역량� (Cultural� Competencies)

문화적�다양성�인정�및�공존(dealing� with� cultural� diversity)�

문화�통합(cultural� integration)�

문화·사회활동의�참여(participating� in� cultural� social� life)�

문화정체성(cultural� identity)�

사회자본의�개발(developing� social� capital)

일반� 핵심� 역량� (General� Key� Competencies)

a)� 자율적인�행동

Acting� autonomously

(DeSeCo)

자기통제기술(self-regulation� skill)

변화를�즐김(interest� in� change)

유연성(flexibility)

기회를� 만들어낼� 줄� 아는� 자신감(confidence� in� one’s� own�

opportunities� to� create)

b)� 타인과의�효과적인�

상호작용�역량

Joining� &� Functioning� in� a�

socially� heterogeneous� group

(DeSeCo)

분쟁�중재�기술(conflict� management� skills)

의사소통�기술(communication� skills)

협동�기술(co-operation� skills)

공감능력(empathy)

팀능력� (team� skills)

c)� 도구의�포괄적�

사용�역량

Using� Tools� Interactively

(DeSeCo)

조작기술(operational� skills)

혁신의지(willingness� to� innovate)

문제해결능력(capability� to� solve� problem)

반성(반추)의�의지(willingness� to� reflect)

분석능력(analytic� capabilities)

학습능력(ability� to� learn)

문맥적�사고(contextual� thinking)

판단능력(ability� to� judge)

비판력(critical� faculty)

*출처: BKJ, BMBF, OECD, European Commission (2002). Developing Competencies in Cultural

Education. p.15

1) BKJ Project: Key Competencies through Cultural Education

Page 44: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Ⅱ.� 이론적�배경|25

2.4 소년원학교를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 연구

<그림�Ⅱ-3>� 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의�특수성

ㅇ 소년원학교라는 장소적 특성을 고려한 문화예술교육의 목표는 앞서 토의된 자아단계에서

의 자존감 고양과 자아정체성의 재발견, 타인과의 관계계발 단계에 입각한 공동체의식 함

양 및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기 위한 기획과 실행력을 확보하는 것으로 수렴됨(한상훈

외, 2003).

ㅇ 소년원학교의 문화예술교육의 주목적은 참여자로 하여금 반사회적 요소를 제거하고 재사

회화를 위한 요소를 습득하는 것이고, 공동체 정신과 의식을 갖춤으로 인류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참여자의 의식과 정신의 변화와 성장을 견인하는 것이며, 이들이 문화적

상상력을 통해 반성 및 창조성과 아름다움을 표현하게 함으로 도덕적 인격과 사회성을 갖

추게 하는데 있음(한상훈 외, 2003).

ㅇ 더불어 소년원학생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은 이들의 심리적으로 내재된 공격성 및 불안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전략으로 볼 수 있음. 문화예술교육은 이들을 단순 격리, 보호하는

차원을 넘어 정서 안정, 재범률 억제, 순조로운 사회적응을 위한 순화과정에 그 중점을 두

고 있으며, 문화활동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위기청소년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

양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인식 하에 실시되고 있음.

ㅇ 일반적으로 소년원학교 청소년들의 개인적 특성은 낮은 자아존중감, 부정적 자아개념, 비

규범적이고 낮은 신뢰감을 가지고 있고(김상균, 2005), 가정적 특성으로는 편부모 가족,

빈곤가족과 같은 구조적 문제와 부모의 불화, 부모 자녀 간에 낮은 친밀도, 역기능적 의사

소통, 비일관적인 양육태도 등과 같은 기능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김수연・김명권,

2002), 학교에서의 특성은 높은 학교 스트레스 인지, 교우관계 문제, 낮은 학교 성적 등의

특성을 보이는데(신민희・강문희, 2005) 이러한 요인들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인해

향상될 수 있음.

ㅇ 때문에 이러한 교정시설의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 그 자체가 가진 창의성과 다양성 그

리고 심미성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의 과정과 결과가 기획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수용자 스

스로가 자존감과 자기 정체성을 찾고, 주변과의 소통 의지와 방법을 터득하는 프로그램이

Page 45: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26|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어야 한다는 것이 공통적인 의견임(임학순 외, 2009).

ㅇ 해외의 경우, 교도소와 교정시설에서는 전문치료자와 심리학자, 사회복지사들이 개발한 프

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으며 예술치료 및 치유프로그램 등 다양한 방법을 도입하여 수용

자의 사회화를 시도해 왔음(Fox, 1972). 시설 내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주요 효과로 비

행 예방과 감소, 스트레스 및 우울감 해소, 사회성 회복, 사회재적응성 등에 매우 긍정

적인 효과가 있다고 공통적으로 보고하고 있음(Clawson & Coolbaugh, 2001; Hughes,

2003; The Unit for Arts and Offenders, 2001).

ㅇ 세부적으로, 참여 동기가 부족한 소년원학교 학생들에게 좀 더 친밀한 프로그램으로

참여 동기와 역량을 강화시키고 재활 의지를 높여 주며 내적인 창조성과 수감시설에서

의 적응력을 높여 주는 효과도 보고된 바 있음(Clements, 2004).

ㅇ 켄팅턴주 소년원의 연극 프로그램은 10주간 전문 연극인에 의해 수업이 운영되었는데 비

행행동의 감소와 또래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 비판적 사고, 공동체 활동, 예술에 대한 이

해와 감상, 정의와 책임과 같은 합법적 제도에 대한 이해증진의 효과가 있었으며 예술기반

의 다양한 경험들은 비행 예방과 감소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음

(Weitz, 1996).

ㅇ 동일한 맥락에서 미국 사법부는 비행예방을 위한 중재전략으로써 예술과 공연활동을 적극

적으로 권장하고 있으며(Klink & Crawford, 1998), 다양한 예술프로그램이 청소년의 비

행예방과 사회 재적응에 효과가 크다는 종단적, 횡단적 연구결과들을 보고하였음

(Bullingdon, 1999; Narey, 2001; Carlson, 1998; Emerson & Shelton, 2001; Penn,

2000; Unit for the Arts and Offenders, 2002; Webb, 2002; 박중길 외, 2006 재인용).

ㅇ Miles(2003)는 예술교육은 비행청소년들의 문해능력과 수리능력 향상, 개인적·사회적 생

활기술 발달, 교육과 직업 기회의 제공 등의 측면에서 기여할 수 있으며, 영국에서 실시된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와 관련된 선행연구물을 분석한 결과 예술교육은 비행예방, 교육

에 대한 태도 개선, 비행행동 변화, 개인적, 사회적 발달, 사회재적응에 효과가 있다고 보

고하였음. 특히 여자소년원의 경우, 폭력대처능력의 향상(Emerson & Shelton, 2001), 정

신건강 증진(Shelton, 2004), 성범죄 예방(Greenfield & Snell, 1999) 등에 효과가 큰 것으

로 나타났음.

ㅇ Persons(2009)은 46명의 중범죄를 저지른 16세에서 20세의 남자소년원생들을 대상으로 미

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이들이 심리적으로 가장 요구되는 것이 무엇이고, 이러한 요

구사항들이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어떻게 승화되는지를 참여관찰기법과 인터뷰를 통해 진

행함. 연구의 과정으로 소년원생은 그들의 이미지를 반영한다고 생각하는 작품들을 자발적

으로 고르고 자신의 창작물을 만들며 이에 대해 자신의 생각과 기분을 이야기 하고 서로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음. 연구 결과 이들이 느낀 미술치료의 가장 큰 효과는 스트레스 완

Page 46: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Ⅱ.� 이론적�배경|27

화와 기분전환, 지루함의 해소, 자신감, 자아긍정감, 몰입에서 오는 즐거움, 그리고 프로그

램 참여를 통해 존중받는다는 느낌으로 분석됨.

ㅇ 유사한 연구로, Hartz와 Thick(2006)은 소년원에서 생활 중인 27명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각 각 자아존중감을 위한 미술심리치료(arts psychotherapy)와 미술치유(art as therapy)프

로그램 참여집단을 비교하였음. 측정도구로 Harter의 청소년용 자기지각 척도(Adolescent

Self-Perception)를 사용하였으며, 사전·사후 설문지와 심층면접을 통해 그 효과를 분석하

였음. 두 그룹 여학생 모두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자기 자신의 가치를 더욱 소중히 하게

되었으며 특히 함께 프로그램에 참여한 친구들과 우정이 더욱 깊어지며 서로에 대한 연대

감이 매우 강해졌음이 드러남. 이러한 결과는 개인·사회적 상처로 인해 타인에 대한 신뢰

도가 낮은 특성을 보이는 소년원생들의 환경에 대한 개입의 중요성을 말해주고 있음.

ㅇ Oesterreich와 Flores(2009)는 청소년 교정시설에서 생활 중인 남학생 46명을 대상으로 시

각예술교육을 통해 5 C's-Connection(연대감), Community(공동체), Contribution(헌

신), Concentration(몰입), and Completion(성취)에 대한 효과적 교육을 실현한 사례

를 발표함. 질적연구로 참여관찰, 담화분석, 청소년들이 직접 의미를 부여하고 해석하

는 창작물에 대한 이미지 분석법 등이 사용되었으며, 다수의 심층면접을 통해 내적타

당도를 추가하였음. 학생들은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는 Artist Inside(내안의 예술가)라

는 프로그램에 9주~20주간 참여하였으며, 이를 통해 자신을 다르게 보는(see) 방법을

5C라는 다섯 개의 렌즈를 통해 완성하였다고 보고함.

ㅇ Ezell & Levy(2006)는 3년간 청소년 교정시설에서 운영 중인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평가

와 효과성 연구를 진행함.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한 이 연구는 설문지, 관찰, 인터뷰를

사용하여 교정시설 청소년의 변화를 관찰하였음. 가장 대표적인 프로그램의 효과로 학

습능력, 특히 직업훈련의 역량이 향상되는 것으로 드러남. 또한 프로그램 참여 중 학

생들은 시설의 규칙에 더욱 준수하는 태도를 보였으며 싸움의 수도 현저히 줄어들었

음. 이를 통해 지속적인 프로그램 운영이 재범률을 낮추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점

을 강조함.

ㅇ Tyson(2002)은 문제청소년의 행동교정 교안으로 힙합(hiphop)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참

여자와 일반 행동교정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를 비교 연구함. 혼합연구방법으로 사전・사후 설문을 통해 1차 분석을 마친 후, 코호트(cohort) 방식으로 질적연구를 수행하였음.

연구의 결과로 정량적 분석에서 두 집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다고 분석되

었으나, 인터뷰 수행을 통해 학생들이 행동교정 프로그램에 대한 거부감이 힙합을 활용했

던 경우 훨씬 낮았던 것으로 나타남. 연구결과, 비록 예술교육의 효과는 일반교정교육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게 드러났으나, 청소년들이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그

들만의 문화를 이용하여 더욱 효과적인 교정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함.

Page 47: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28|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ㅇ Respress & Lutfi(2006)는 방과후 교육기관인 HEARTS라는 곳에서 66명의 문제학생을

대상으로 문화예술프로그램 참여여부가 이들의 폭력성, 자아존중감, 성취도, 학업성적에 미

치는 연구를 진행하였음. 문화예술프로그램 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

행하였으며, 주요비교척도로 내신점수(GPA), 수학과 맞춤법 시험(WRAT III) 점수,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척도와 폭력위험도, 학내규칙준수도 등을 사용함. 연구 분석은

ANOVA를 사용하였으며 연구결과 문화예술프로그램 참여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월등히 향

상된 것으로 분석됨.

ㅇ 위의 연구와 유사한 연구로 Wallace-DiGarbo와 Hill(2006)은 55명의 문제청소년이 문화

예술프로그램으로 개발된 커뮤니티 아트프로젝트에 참여함으로 이들의 태도와 심리적 적

응도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함. 양적연구로 Wanberg(1991)에 의해 개발된 (a) 청소년용 자

기평가 척도(the Adolescent Self-Assessment Profile: ASAP)와 (b) 성과 척도(the

Outcome Inventory: OI)를 사용하였음. 주요 측정요인으로 가족관계, 심리적 안정감, 친

구관계, 학교생활, 일탈, 태도를 사용하였으며, 1차적으로 양적연구 수행 후 상대적으로 높

은 수위의 변화를 보인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선택적 질적연구를 수행함. 대부분의 학생

이 연구결과 프로젝트 참여 후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자발적 참여에

의한 학생의 열정이 큰 변수일 수 있음을 인정함.

ㅇ 국내에서 발표된 소년원학교 내 문화예술교육 효과에 대한 가장 최근 연구로 임영식·정경

은(2013)의 「교정시설/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개발 연구」가 있음. 효과의

척도개발을 위행 현재 교정시설/소년원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를 분석하고, 문화예술 강사들의 포커스그룹 인터뷰 및 전문가와의 논의를 거

쳐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의 구성개념과 예비문항을 구성하였음.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을 측

정하기 위한 척도는 최종적으로 스트레스 (17문항), 사회성 (17문항), 문화예술 선호성 (7

문항), 긍정성 (10문항), 자기조절력 (8문항), 표현력 (4문항)의 6요인, 63개 문항으로 구성

되었음.

ㅇ 실제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분석(박중길 외, 2006)의 연구결과 충동조절, 인성

함양, 자아개념 및 자아존중감 향상, 우울감소, 정서 안정, 대인관계 능력 향상, 유능감, 자

기표현능력 개선 등의 효과가 있었음을 밝히고 있음. 또한 강태신(2005) 연구에서는 계획

성과 자기 효능감의 향상되었음.

ㅇ 이 외에도 비행집단 프로그램 실시 이후 우울성 감소와 자기상의 긍정적 향상을 보인 연

구(권재기・우주희, 2007), 감정에 적절히 대처하는 능력이 향상된 연구(이수정・김영희,

2002), 그리고 정서적 안정의 하위요인인 공격성, 긴장수준의 감소와 자기효능감이 향상된

연구(최애나・차은선, 2007) 등이 있음

ㅇ 이러한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목표로는 신체와 정신의 균형 있게 발달한 전인적 인

Page 48: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Ⅱ.� 이론적�배경|29

간이 되게 하고, 문화예술활동의 가치를 이해하고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인간이 되며, 능

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창의적 인간이 되고, 마지막으로 바람직한 사회적 관계를

갖춘 공동체적인 인간이 되게 하는 것임(정도영, 2004).

ㅇ 정도영(2004)은 안산예술종합학교와 대산체육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예체능 특성

화교육이 소년원학교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두 학교간의 학

교생활 만족의 차이는 체육중고등학교보다는 예술종합학교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난 것으

로 보고하였으며 두 학교 모두 소년원학교 생활이 오래됨에 따라 만족도가 높은 것을 밝

혀냄.

ㅇ 윤진근(2002)은 학교 생활태도와 학교폭력 간에는 서로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긍정적인 학교 생활태도 향상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음. 이러

한 주장은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클수록 폭력현상이 줄어든다는 것을 시사하여 행동

화 경향이 강한 비행청소년들에게 다양한 예술활동을 위한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감정과

욕구 분출, 충동성, 누적된 욕구불만, 동기유발의 결여, 높은 열등감, 배타성 및 불신감, 가

치관 혼란, 목적의식의 결핍 등을 분출하고 해소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함.

ㅇ 권재기와 우주희(2009)는 토론연극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양적연구와 질적

연구를 함께 수행함. 양적연구는 이질통제집단 사전-사후 설계로 실험결과 수집된 자료는

t-검증,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함. 질적연구로는 학생, 학교 담당교사, 프로그램

강사를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프로그램 참여자가 참여횟수가 늘어남

에 따라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연구함. 연구결과, 프로그램 참여가 우울성을 낮추고 자

기긍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 온 것으로 드러남.

ㅇ 지금까지 선행된 국내 및 국외 위기청소년과 관련된 문화예술교육의 목표와 효과구성요인

을 종합해 보면 아래 표와 같음.

<표� Ⅱ-6>� 선행연구의�위기청소년�문화예술교육�효과구성요인

구분 위기청소년의� 특성을� 반영한� 문화예술교육� 효과� 구성요인

청 소

년 학

교 의�

특 수

교육목표

(국내사례)

자존감�고양

자아정체성의�재발견

공동체의식�함양

사회�재적응성�강화

새로운�환경(기관�및�보호센터)적응�

공격성�감소

비행예방�및� 재범률�억제

교육목표

(해외사례)

국내사례와�상동

비판적�사고력

합법적�제도에�대한�이해

정의와�책임감�부여

학업능력�향상

Page 49: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30|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위기청소년�

특징

낮은�자아존재감�또는� 부정적�자아개념

비규범적

낮은�신뢰감

불우한�가정환경(편부모�가족,� 빈곤가족,� 부모의�불화,� 부모학대�등)�

부모�자녀�간�낮은� 친밀도

역기능적�의사소통

높은�학교�스트레스�인지

교우관계�문제

낮은�학교�성적� 등

문 화

예 술

교 육�

사 업

목표

교정시설�및�

소년원학교�

대상�현장�

프로그램

스트레스�완화(안정)

자기개념

자존감

성취감

감정절제

표현능력�향상

공동체의식

사회적응능력�향상

특수분야

문화예술

교육사업

(아르떼)

만족도

문화예술에�대한�관심� 증진

표현력�및�자신감�형성

타인과의�소통관계�개선

공동체�의식� 및� 사회적�관계� 형성

문화예술의�원리와�속성�이해

문화예술교육의�중요성�인식

문 화

예 술

교 육

의�

효과

Emerson� &�

Shelton�

(2001)

비행예방�및� 행동변화

교육�태도�개선

폭력대처능력의�향상

정신건강�증진

성범죄�예방

Miles

(2003)

문해능력과�수리능력�향상

개인적,� 사회적�생활기술�발달

교육과�직업� 기회의�제공

Persons

(2009)

스트레스�완화와�기분전환

지루함의�해소

자신감

자아긍정감

몰입에서�오는�즐거움

자아존중감

Hartz� &�

Thick�

(2006)

자아긍정감

자아존재감

우정

연대감�

Oesterreich�

&� Flores

(2009)

5C's:

Connection(연대감)

Community(공동체)

Contribution(헌신)

Concentration(몰입)

Completion(성취)

Ezell� &� Levy

(2006)

학습능력

직업훈련의�역량�향상

규칙준수

싸움의�수� 감소

재범률�감소

한상훈�외

(2003)

자존감�고양

자아정체성�재발견

공동체의식�함양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기� 위한� 기획

과�실행력�확보

양현미

(2010)

자존감�회복

새로운� 삶의� 가능성에� 대한� 동기부

여와�재사회화

Page 50: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Ⅱ.� 이론적�배경|31

임학순�외

(2009)

자존감과�자기�정체성�발견

주변과의�소통�의지와�방법�터득

스트레스�해소�및�심신안정�도모

안정적이고� 조화로운� 수형생활을� 지원하

고�자활의지�고취

재범방지에�기여

최혜자�

외(2006)

마음집중

심신이완

인지기능활성하

부정적감정해소

건강한�의사소통�향상

집단�응집력�강화

자존감�향상

친밀감�형성

자신�및�타인� 이해

집단�갈등� 해결

공감�능력� 향상

창의적�잠재력�개발

정도영

(2004)

신체와�정신의�균형

실천하는�인간

창의적�인간

공동체적�인간

김현정

(2007)

긴장감�해소

개인욕구�탐색

건강한�가치과�함양

책임감�함양

창의적인�자기�표현� 향상

집단�구성원간의�유대관계�강화

적절한�감정표현

계획성�함양

효 과

성�

구 성

요인

Respress� &�

Lutfi(2006)

폭력성

자아존중감

성취도

학업성적

Wallace-DiG

arbo� &�

Hill(2006)

가족관계

심리적�안정감

친구관계

학교생활

일탈

생활태도

Respress� &�

Lutfi(2006)

폭력성

자아존중감

성취도

학업성적

박중길

(2006)

충동조절

인성함양

자아개념�및� 자아존중감

우울감

정서안정

대인관계

유능감

자기표현능력

강태신

(2005)

계획성

자기효능감

대인관계�기술

충동공격

공감능력

내적�통제감

자존감

우울포기

오민자

(2005)

정서감

자신감

자기�표현력

스트레스

자아�정체성

자아�존중감

공감능력

김요한

(2006)

가족관계

대인관계기술자기표현력

김안식

(2010)

불안감

적대감자기개발능력

효 과

측 정�

척 도

개발

임영식�

외(2012)

스트레스

사회성�

문화예술�선호성�

긍정성�

자기조절력�

표현력

임영식�

외(2008)

문화예술이해

공동체의식

문화예술기능

창의성

주체성

Page 51: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32|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3. 생리적 지표와 프로그램 효과

3.1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측정에서의 생리적 측정의 의의

ㅇ 기존 연구들이 교정시설과 소년원학교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문화예술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지만, 그 측정 방법에 있어 자기보고식 방법에 의해서만 의존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음. 개인의 정서적인 상태는 자기보고식, 생리적 반응, 행동적 반응 등 세 가지 방법에

의해 측정이 가능하나 자기보고식은 상황에 따라 급변할 수 있고, 행동반응의 관찰은 조

사자의 편견이 개입될 수 있으므로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음.

ㅇ 아울러 향후 연구과제로 과학적인 방법-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한 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집단 인식의 차이를 조사한다든지, 장기간

문화예술교육을 받은 수용자의 자기 삶의 기획능력, 사회적 소통능력의 차이와 함께 일회

성 관찰이 아닌 추적조사 등이 제안되고 있음(김인설・정득・이종석, 2013).

ㅇ 이에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보다 객관적으로 관찰하고 측정하기 위해 자기보고식과 함께

생리적 지표를 이용하는 것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음(안경주・정재심・김윤경・정혜선,

2008).

ㅇ 이러한 생리적 측정방법은 신뢰도가 높으며 정량화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최근 들어 많은

연구에서 적용하고 있음(우정민, 2008).

ㅇ 소년원학교에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이유는 시설 수감자의 안정적인 수용

생활과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자기계발 기회를 도모하고, 특히 심리적 안정과 성취감, 자신

감을 갖도록 하여 단체생활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음.

ㅇ 아울러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소년원생들의 문화예술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비행과 관

련된 문제행동 및 정서적 부적응의 치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환경적 스트레스에 대

한 문제해결과 대처능력의 향상을 통해 전인적인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큼(임영식 외 2012).

이윤식�

외(2010)

문화예술이해도

창의성

자기표현력�

문화예술활동

학업성취도(성적)

김용주�

외(2010)

문화예술�학습�및�활동�자체의�즐거움�효과

문화예술�향유능력�제고�효과

문화예술적�창의력�제고�효과

Page 52: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Ⅱ.� 이론적�배경|33

ㅇ 특히, 스트레스는 건강과 행복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장기적으로 오래 지

속되면 개인의 능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의 정신적인 자극의 생리적 반응으

로 인한 질병과도 연관이 깊음.

ㅇ 스트레스를 받으면 먼저 대뇌피질에서는 스트레스 인자를 지각하여 그것이 생체에 위험적

인지 아닌지를 평가하고, 그 다음으로 평가에 대한 대응방법들을 선택하게 되는데 선택된

대응방법에 따라 불안, 우울, 그리고 분노 등과 같은 감정반응이 일어나게 됨. 이것이 급

성 스트레스인자인 경우에는 시상하부-뇌하수체를 자극하고 교감신경을 통해 부신수질을

자극하여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을 분비함. 분비된 결과는 심장박동을 증가시키고

맥박을 빠르게 하고 호흡을 가쁘게 하며 혈당의 변화와 같은 대사의 변화를 일으킴. 그러

나 스트레스가 지속될 때에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축(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HPA axis)이 자극을 받아 부신피질에서 코티졸이란 호르몬을 분비시켜 면역기능을

떨어뜨리게 되고 나중에 여러 가지 질병을 일으킬 위험성을 높이게 됨(유지원·윤창록·안종

모, 2007).

ㅇ 한편 많은 호르몬들이 스트레스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지만 특히 코티졸

(cortisol)은 스트레스 자극에 대한 반응에 있어서 변화된 생리학적 상태를 가장 잘 나

타낼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간주되고 있음. 최근 스트레스의 내분비계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코티졸을 이용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Kirschbaum &

Helhanner, 1989).

ㅇ 그러나 지금까지 이루어진 교정시설이나 소년원학교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 프

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연구의 대부분은 측정방법에 있어 정확도와 신뢰도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되고 있음.

ㅇ 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자기보고식 측정의 경우 응답의 성실성과 사회적 바람직

성, 기억의 회상능력 등에 의해 프로그램의 효과가 왜곡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진행 및

관찰자에 의한 평가는 측정기준과 관찰자의 주관적인 판단과 편견으로 인해 평가자간 신

뢰도가 저하될 수 있음. 이처럼 측정방법에서 나타나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자기보

고식 측정과 함께 객관적이고 관찰 가능한 생리적 반응에 기초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

램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것이 타당함(임영식 외, 2012). 따라서 상호보완적 연구도구를 통

해 심리적, 생리학적 연구가 서로 병행되어 보완될 필요가 있음.

ㅇ 생리적 접근방법은 심리적 현상의 과정을 자율신경계의 활성화에 의한 즉, 개인이 의식적

으로 통제할 수 없는 신체의 생리적 반응을 통해서 측정되므로 반응의 미세함이나 심리적

억압 등의 이유로 수용자들이 의식적으로 깨닫지 못하는 심리적 반응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음(Ravaja, 2004).

ㅇ 이에 소년원학교 수감자의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한 측정방법과

Page 53: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34|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더불어 유기체의 생리적 반응 중 의도적으로 통제하거나 조절할 수 없는 자율신경계

의 활동에 기반한 생리적 지표를 활용하여 스트레스를 측정하여 정서적 안정에 대한

문화예술교육의 영향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

3.2 생리적측정의 종류와 특성

ㅇ 스트레스나 긴장완화의 생리적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은 핼액 채취(혈중 및 타액 내 코티

졸 검사), 뇌파 검사(무선뇌파 스캔 분석기: ICAP), 전자기파 측정(양자 자기공명 분석기:

QRMA), 심신이완 및 스트레스 대처 능력 효과를 자율신경계 활성화로 측정(무선 심장

스캔 분석기: HRV), 맥파 측정, 피부전도반응(galvanic skin response), 근전도측정 등이

있는데 가장 간단하면서 포괄적이며 참여자들의 측정에 대한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며 확실

한 측정 방법인 코티졸 검사를 널리 사용하고 있음.

ㅇ 뇌파분석은 인간의 뇌에서 발생하는 상이한 유형의 전기적 파동의 주파수 상의 변화를

분석하는 방법임(Young, 2002). 여러 가지 자극물을 제시하였을 때 어떤 자극물이 어떤

뇌 영역을 활성화시키는지를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음(성영신・허태균・김보경・박

정선, 2006). 그러나 이러한 뇌파분석은 측정기기와 비용, 전문성의 문제와 뇌파분석 지표

의 신뢰도, 타당도 그리고 적용상의 제한점 등이 한계로 지적됨.

ㅇ 심신이완 및 스트레스 대처 능력 효과를 자율신경계 활성화로 측정가능하고 대표적인 생

체신호로 심박수변이(Heart Rate Variability: HRV)를 들 수 있는데, 이 중 R-R 변화

(R-R Variability: RRV)의 분석은 생체 내 자율신경계 활성을 이해하는 데 유용할 뿐 아

니라 각종 스트레스 감소 등으로 인한 자율신경계 활성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널리 사용

되고 있음(한종인, 1999).

ㅇ 심장은 혈액을 전신에 순환시키는 펌프로서 유기체의 전 생애에 걸쳐 쉬지 않고 일정한

횟수를 유지하며 박동하고 있음. 또한 외부자극과 신체적 활동이 없는 안정된 상태에서는

60-70회 정도로 박동하나, 신체활동을 포함한 과제 수행시 최대 220회를 넘게 빨라

지기도 함. 아울러 심장의 박동은 외부의 신경자극이 없어도 스스로 흥분과 이완이 이

루어지는 자율신경계의 조절을 받고 있으므로 측정이 용이함(민성길, 2002).

ㅇ HRV는 심장의 활동 상황을 측정하는 활동성 측정, 만성적인 것과 일시적 비정상간의

자율기능의 숨겨진 능력과 차이를 구별하는 심호흡과 병합된 산소 소모량을 측정, 심

장의 지속적인 운동능력을 관찰하여 심장활동 능력을 평가하는 실시간 심장신경을 측

정하여 스트레스나 긴장 정도를 그래프로 나타내 줌. 현재 검사도구는 QECG-3나

Canopy9plus 사용이 가능함.

ㅇ 이 가운데 QECG-3를 5분간 연속적으로 측정한 RRV신호를 토대로 시간과 주파수영

Page 54: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Ⅱ.� 이론적�배경|35

역을 분석하는데, RRV신호의 주파수영역은 0~0.4Hz로 구성되는데 일반적으로 교감

신경계 활성 평가에는 0.04~0.15Hz의 저주파영역(Low Frequency power: LF)이 사

용되며, 부교감신경계 활성 평가에는 0.14~0.4Hz의 고주파영역(High Frequency power:

HF)이 정량적 지표로 사용됨(한종인・이춘희, 1996).

ㅇ 자율신경계 균형은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의 정상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인체의 항상

성이 조절되는 것임. 평가 지표로 부교감신경계 활성에 대한 교감신경계 활성의 비율

(LF/HF ratio)을 사용하는데(한종인, 1999), 보통 건강한 사람에서 휴식상태에서 LF가

HF보다 1.5배 전후로 높으며 5분 기준 각성상태일 때 6/4가 이상적임(Pomeraaz,

Macaulay, Caudill, Kutz, Adam, Gordon et al., 1985).

ㅇ 자율신경계 적응이란 주변 환경의 변화에 대한 적응력임. 평가 지표로 RRV의 표준편차

(Standard deviation of all normal-normal intervals: SDNN)를 사용하였음. 즉 SDNN은

각각의 NN intervals이 평균과 얼마나 많이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나타내는 것인데, 보통

건강한 사람에서 SDDN의 범위는 30~100msec이며, 값이 클수록 RRV 신호가 그만큼 불

규칙한 것인데 이것은 건강하고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증가된 것을 의미함(김정민・신

민주・이선희・최환석・옥선명, 2004).

ㅇ 실제 치료적 프로그램 개입 연구의 경우 심박변이도의 생리적 측정을 적용한 결과 유의한

변화를 보였음(권명진, 2008; 이일우, 2006). 따라서 효과성 측정에 방법적 측면에서 자기

보고식 방법과 함께 많이 사용되고 있음. 그러나 장비와 비용의 제한점이 있음.

ㅇ 또한, 인간은 피부를 포함한 신체에 일정한 전류가 흐르고 전기적 전도성을 띠고 있어 이

러한 신체적 특성을 활용한 것이 피부전도반응을 통한 생리적 측정 또한 가능함.

ㅇ 피부전도반응은 자율신경계 반응 중 교감신경계 활동을 대변하는 생리적 지표로써, 스트레

스 및 각성수준 증감에 따라 발생하는 부전기신호를 측정하여 정신적 긴장수준 및 불안수

준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편단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음(Lisetti & Nasoz, 2004).

ㅇ 피부 전도성으로 흔히 알려진 전기피부활동(electrodermal activity: EDA)은 장기적 및 일

시적 지표들, 즉 피부전도수준(skin conductance level: SCL)과 피부전도반응(skin

conductance response: SCR)을 모두 제공함. 우선, 장기적 피부전도수준(tonic SCL)은 일

반적으로 장시간 동안의 평균 또는 기저 수준의 전도성(base levels of conductance)을 의

미하는데 사람들마다 실질적으로 다를 수 있으며 상이한 심리적 상태에 따라 개인 차원에

서도 달라질 수 있음(양병화, 2007).

ㅇ 피부전도반응은 측정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높은 시간해상도로 정신적 긴장 및

불안수준 등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음.

ㅇ 그러나 피부온도와 같은 생리학적 반응은 즉각적이기 보다는 다소 천천히 변화하는 단점

이 있음. 또한 측정 장비가 상대적으로 고가이며, 센서 및 전극 부착이 피험자의 자연스러

Page 55: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36|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운 경험을 방해할 수 있다는 단점들이 지적되고 있음(Ravaja, 2004). 아울러 사용방법, 운

영기술, 결과의 해석과 같은 부분에서는 일정부분의 체계적, 전문적 과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음.

ㅇ 근전도 측정(electromyography: EMG)은 근육의 활성 신호를 기록하는 평가하는 방법으

로서 근전 기록장치를 이용해서 근육 세포들이 수축하거나 이완될 때 생성되는 전기적 전

위를 감지하여 근전도라 불리는 기록을 생산하는 과정임.

ㅇ 근전도 측정을 이용한 연구들은 어떠한 자극으로 인해 유발된 감정적 반응을 반영하는 근

육들의 활동이 초점을 맞추어 진행됨. 그러나 눈썹주위의 근전도와 관골주위의 근전도, 대

관골근 활동과 정서적 상태가 완전히 선형적이지 않다는 연구결과(Witvliet & Vrana,

1995) 등이 있어 한계를 가지고 있음.

ㅇ 전술한 바와 같이, 문화예술교육의 과학적인 효과성 연구를 위해 생리적 지표를 활용한 연

구들이 심박동수(HRV), 뇌파검사(QEEG),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의 정상적인 상호작

용, 자율신경계 적응(SDDN) 검사, 피부반응검사, 근전도 측정 등은 신뢰성 있는 측정방법

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특정한 장치를 사용하거나 특정 센서를 신체에 부착하는 등의 측정

에 있어 행동에 제약을 주는 단점이 있으며 자료수집에 따르는 비용, 기기, 이동, 전문가

에 의한 측정 등이 문제점이 제기됨.

ㅇ 이러한 문제로 인해, 임상분야에서는 생리적 지표 중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는 데에 가장

용이하면서 효율적인 지표가 무엇인가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음. 대표적으로,

Young・Abelson・Lightman(2004)이 Frontiers in Neuroendocrinology지에 발표한 논문은

인간의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는 다양한 방법 중 하나로 코티졸의 효용성에 대해 논하며

학계에 주목을 받은 바 있음.

ㅇ 특히, 최근에는 혈액표본을 수집하는 것과 관련된 많은 문제들로 인하여 타액 내의 호르몬

을 스트레스 반응을 측정하는데 사용하기 시작하였는데 많은 연구들에서 타액 내의 호르

몬 수치는 혈액내의 호르몬 수치를 잘 반영한다는 관계를 보여주었음(Hofman, 2001).

ㅇ 아울러 타액을 통한 체내 타액호르몬분석방법(Salivary hormone analysis; SHA)은 의료진

의 도움 없이도 시료를 반복 채취할 수 있고 특별한 기구나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고 혈액 내 유리형(free-form)의 호르몬 농도를 잘 반영하기 때문에 증상을 잘

반영하며 혈액표본 채취과정에서의 부가적인 스트레스 유발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분석

직전까지 특별한 처치가 필요 없어 선호되고 있음.

3.3 스트레스와 코티졸

ㅇ 코티졸(cotisol)이란 좌우 콩팥 위에 있는 내분비샘인 부신에서 합성, 분비되는 스트레스

Page 56: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Ⅱ.� 이론적�배경|37

호르몬의 일종임. 일반적으로 화가 나거나 불안할 때에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졸이 생성

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지속적인 피로감, 근육통, 기억력 및 집중력을 떨어뜨리는 만성피

로 증후군 발병이 코티졸이라는 체내 스트레스 호르몬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짐.

ㅇ 코티졸은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인체를 정상적으로 유지시키는 ‘화학공장’인 부신의 바깥

부분 즉, 부신피질에서 분비됨. 뇌의 뇌하수체에서 부신의 기능을 조절하는데 부신에서 생

산되는 호르몬의 양에 따라 뇌하수체에서 부신을 자극하는 호르몬을 적절하게 분비하여

부신으로 하여금 코티졸을 비롯한 각종 호르몬들이 알맞게 생산되도록 조절함. 일반적으로

는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에 반응해서 분비되기 때문에 흔히 이 코티졸을 ‘스트레스 호

르몬’이라고도 함(박희영, 2009).

ㅇ 코티졸은 부신피질에서 만들어지는 주요 글루코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 호르몬으로

자발적으로 분비되기도 하지만 다양한 생화학물질과 정신적인 자극에 의해서 분비되기도

함. 분비되는 호르몬의 약 90%는 혈액에서 생성되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부착 글로부린

(corticosteroid binding globulin, CBG)과 알부민에 부착하고 나머지 약 10%는 부착되지

않고 순환하는데 부착되지 않고 순환하는 코티졸만이 생물학적인 활성을 갖게 됨(안종모・유지원・이장근・이영수・윤창륙・조영곤, 2007).

ㅇ 타액을 이용하는 장점은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서도 표본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며, 둘째는

타액표본은 시간의 경과에 따른 평가가 가능하기 때문임.

ㅇ 전형적으로 코티졸 호르몬은 이른 아침이나 잠에서 깨기 직전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고 저녁에는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

(Kathleen, Patty, Leonard, Audrey Zucker, Ann, Lawrence, & Rosemary, 2011).

ㅇ 스트레스 사건을 경험하고 15-30분 정도 지난 후 혈장 코티졸 농도가 최고로 증가하고 2

분 정도 더 있은 후에 타액에서도 코티졸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음(Gunnar, Bruce, &

Hickman, 2001).

ㅇ 그러나 타액 코티졸은 음식이나 음료의 영향으로 구강 pH의 변화가 생기는 것에 따라 영

향을 받을 수 있음. 예를 들어 유제품은 호르몬을 포함하고 있어서 타액 코티졸 농도를

가성으로 높게 나타나게 할 수 있으며 고단백질식품도 일시적으로 시상하부-뇌하수체-부

신 축을 자극하여 타액 코디졸을 높게 만들 수 있음(Gibson, Chcckley, Papadopoulos,

Poon, Daley, & Wardle, 1999).

ㅇ 따라서 타액을 채취하는 시간을 일정하게 기준을 정하는 것이 필요하고 음식이나 약물 등

영향 요인을 배제하기 위해서 카페인 음료는 2시간 전부터, 유제품은 15분 전부터 먹지

말도록 해야 하고 혹시 부득이하게 음료를 섭취했다면 물로 입안을 헹군 후 3-5분정도

기다렸다가 타액을 채취하는 것이 좋음(Granger, Schwartz, Booth, & Arentz, 1999).

Page 57: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38|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3.4 코티졸 관련 선행연구

ㅇ 코티졸과 관련한 이전 연구들은 주로 의학분야(서유나・김성곤・민은정・김진미・박문일・김수

연 외, 2012; 유지원 외, 2007)에서 진행되어왔음. 그러나 최근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코티

졸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ㅇ 민병찬・정순철・김상균・민병운・오지영・장진경 등(1999)의 연구에 의하면 심신에 영향을 주

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은 신경계, 순환계 및 면역계에 영향을 미쳐 질병의 증상 완화, 심신

이완이나 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대처능력 증가와 같은 자율 신경계 활성 및 면역기능 증

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ㅇ Young 등(2004)에 의하며 신체적이든 심리적이든 부정적이거나 심각한 심리적 상처는 코

티졸 수준을 높일 수 있으며, 높은 코티졸 수준은 대사, 면역체계 및 두뇌에 부정적인 영

향을 줄 수 있음을 보고한 바 있음.

ㅇ 코티졸과 반사회적 행동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로는 공격성과 코티졸은 높은 정적 상관

관계가 있음을 밝혀냈음(Bokhoven, Van Goozen, van Engeland, Schaal, Arseneault, &

Séguin et al., 2005).

ㅇ 아동보호 시설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는 학급프로그램 운영의 질이 코티졸 수준에 영향

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Bridget, Hatfield, Linda. Hestenes, Victoria, Kintner, &

Marion, 2013) 코티졸이 청소년의 분열행동과 담배 사용에 유의함을 밝혀낸 연구결과도

있음(Marjan, Lucres, Robert, Theo, Peter, & Arne, 2012).

ㅇ 국내 연구의 경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숙박형 숲체험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프로그램

참여 후 스트레스 호르몬인 타액 코티졸 농도를 비교한 결과, 프로그램 참여 후의 타액

코디졸 농도가 유의하게 낮아졌음을 밝혀냈음(김선아・정다워・권치원・염동걸・김거우・최윤

호・박범진, 2013).

ㅇ 아울러 코티졸과 자기보고식 스트레스 척도 사이의 관계 연구에서 심리적 반응을 나타내

는 자기보고식 스트레스 척도보다는 코티졸이 스트레스 수준을 나타내는데 더 효과적이라

고 보고한 바 있음(김동수・정연수・박세권, 2004).

ㅇ 이외에도 숲과 체육관에서의 걷기명상과 속보가 불안, 자존감, 행복, 코티졸에 미치는 영

향(신윤경, 2012), 스트레스와 관련된 구강안면통증에 있어서 스트레스 호르몬의 활용(유

지원 외, 2007) 등의 연구들이 있으며, 최근에는 문화예술의 효과에 대한 연구들 또한 수

행되고 있음.

ㅇ 문화예술의 효과를 측정한 연구로는 아동과 청소년의 스트레스 해소 및 감소를 가져오는

것에 대해 보고함. 그 예로, Teplin・Abram・McClelland・Dulcan・Mericle(2002)은 어린이

병원에서 미술치료와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을 대상으로 검사 후, 이들의 타액

Page 58: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Ⅱ.� 이론적�배경|39

내 코티졸 수치가 현저히 줄어드는 결과를 발표한 바 있으며 Field・Martinez・Nawrocki・Pickens・Fox・Schanberg(1998)의 연구에 의하면 단 23분간 음악을 들었을 뿐이지만 혈액

내 코티졸이 반으로 줄어들었음을 보고한 바 있음.

ㅇ 유사한 연구로, 병원에서 암환자를 치료하는 간병인 가족을 미술창작수업(art-making

class)에 참여시킨 후 이들의 불안감과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하였음(Walsh, Radcliffe,

Castillo, Kumar, & Broschard, 2007). 미국의 한 암전문 병원에서 환자의 가족 69명을

대상으로 타액 샘플과 함께 Beck Anxiety Inventory (BAI) 척도를 사용하여 스트레스 지

수를 측정했으며, 2시간의 미술창작수업 이후 다시 타액 샘플을 채취한 후 이를 비교함.

연구결과, 스트레스 지수가 수업 전·후를 기준으로 현저히 내려간 것이 밝혀졌으며 병원

에서 간병가족이나 환자들을 위한 예술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이 제언된 바 있

음.

ㅇ 비슷한 연구로 암에 걸린 환자들을 돌보는 간병인들을 위한 예술창작수업의 효과에 대한

연구에서도 프로그램 실시 후, 프로그램 이전보다 불안과 스트레스 지수가 낮아짐을 알

수 있었음(Sandra, Sue, Lynnette, Adarsh, & Dawn, 2007)

ㅇ 입원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표현예술치료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 치료 이후에 코티졸 수준

이 낮아짐을 입증하였으며(Garret, Kenneth, & Jane, 2013), 구진경(2010)은 스트레스를

좀 더 객관적으로 평가하고자 스트레스를 가진 직장인들을 중심으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타액 코티졸 농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의 전체적인 타

액 코티졸 농도가 낮아짐을 발견하였음. 특히, 사전, 사후의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임상미

술치료의 효과는 스트레스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남.

ㅇ 또 다른 연구로는 브레인댄스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스트레스 호르몬과 자

율신경계 변화에 미치는 효과로 코티졸을 주요 측정도구로 사용한 사례가 있음(안태영・김

인숙, 2012). 대상자는 대전광역시 청소년보호기관 및 센터에 내원중인 학교폭력 피해청소

년 13명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통제군으로 구분하여 선정하였으며, 브레인댄스

프로그램을 12주간 주 2회에 걸쳐 총 24회를 실시하였음. 스트레스 호르몬은 혈액분석을

통해 코티졸,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을 분석하였고, 연구결과 무용수업은 학교폭력

피해청소년들의 스트레스 관리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판명되었음.

ㅇ 아울러 중학교 남학생 16명을 대상으로 집단에 따라 걷기 운동시 각각의 음악 유무 및 템

포를 적용한 후에 실험군과 대조군을 구분하여 코티졸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에서 운동

전에 비해 운동 후에 코티졸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전인혜, 2011).

ㅇ 최근 들어 음악을 듣는 것이 심리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밝힌

연구들이 있는데 음악을 듣는 것이 코티졸, 알파 아밀라제, 심장박동수 등 스트레스를 평

가하는 생리적 측정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Myriam, Roberto,

Page 59: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Rebecca, Linda, Ulrike, & Urs, 2013).

ㅇ 음악교육에 대한 효과 연구로 피아노를 치는 그룹의 아이들과 클레이, 캘리그라피, 명상

등을 나누어 조사한 결과 모든 활동에서 코티졸 수치가 낮아짐을 확인하였음. 그 중에서

도 피아노를 직접 연주하는 것이 다른 창의적인 예술활동 보다 분노를 완화시키고 스트레

스를 감소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임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kumiko, Hajime, & Kiyoto,

2011), 중국에서는 플롯 음악학교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기공(qigong)’에 대한 불안과

생리적 스트레스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6주간의 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불안과 코

티졸 수치가 낮아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음(Claudia, Mario, Jorge, Thomas, Tobias,

Petra, & Henry, 2012).

ㅇ 합창 활동과 음악감상 활동에 대한 면역 글로불린과 코티졸 및 감정 상태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음악활동 중 단순히 듣는 것 보다는 발성, 스트레칭, 다양한 활동과 연계한 합창

활동이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음(Gunter, Stephan, Sonja, Volker, & Dorothee,

2003).

ㅇ 스웨덴의 자원봉사 조직에서 기존의 리더십 프로그램과 경험적인 극예술, 문학과 음악의

콜라쥬 기법들을 활용한 예술기반의 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예술기반 리

더십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가자의 코티졸 수치가 기존의 리더십 프로그램 참가자의 코티

졸 수치보다 현저하게 낮은 것을 발견하였음(Julia, Gerry, Maria, Britt-Maj, Hugo, &

Tores, 2009).

ㅇ 8명의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아이들을 위한 극장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본

연구에서도 뮤지컬 프로그램을 통한 자기기술의 향상과 더불어 사회정서적 변화를 측정하

기 위한 코티졸 수치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음(Blythe, Joan Dan,

Jenifer, Niles, David, Clayton, & Taylor. 2011).

ㅇ 이상의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이 아동과 청소년의 스트레스 해소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이 다양한 대상에게 스트레스

를 감소시키는 유용한 대처전략임을 알 수 있음.

Page 60: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Ⅲ. 연구방법

1. 심리적 측정

2. 생리적 측정

3. 질적 연구

Page 61: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Page 62: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Ⅲ.� 연구방법|43

Ⅲ. 연구방법

ㅇ 본 연구에서는 소년원학교에서 실시하는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양

한 방법을 시도하였음. 본 연구에서 시도한 방법은 심리적 측정, 생리적 측정, 질적 연구

임(표 Ⅲ-1).

ㅇ 본 연구는 과학적, 윤리적 타당성 확보를 위해 연구자 전원 질병관리본부의 임상연구교육

과정을 이수한 이후 IRB(Institutional Review Board: 임상시험 심사위원회) 연구윤리 승

인을 득했음(승인번호: 2014-102).

측정 측정도구 측정요인 측정방법

심리적�측정

임영식�외(2012)�

교정시설/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효과성�척도�

수정� 사용

즐거움,� 사회성,� 표현력,�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력,�

스트레스,� 충동성,� 공격성,�

문화예술�선호성�

9개�요인

프로그램�사전,� 사후� 측정

생리적�측정 코티졸 스트레스 코티졸� 2회�측정

질적�연구 반구조화된�질문지 문화예술교육의�의미와�효과� 등�참여관찰,� 심층인터뷰,�

예술기반분석

<표� Ⅲ-1>�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효과성�측정� 방법

1. 심리적 측정

1.1 대상 및 자료수집

ㅇ 심리적 측정의 사전 조사는 2014년 6월 5일부터 7월 30일까지 실시하였음. 소년원 문화

예술교육 효과성 척도 선정 과정을 거치는 동안 일부 프로그램이 5월에 시작되기도 하였

지만 설문조사 시점은 대체로 프로그램 초기 시점에 해당하였음. 사후조사는 각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시점인 2014년 10월 10일부터 11월 20일까지 진행되었으며 4

개 프로그램 정도가 프로그램 말기에 해당하고 그 외 프로그램은 종료 시 측정하였음.

ㅇ 심리적 측정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원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는

소년원학교 학생이며, 비교집단은 각 소년원학교에서 연구기간 내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

Page 63: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44|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고 있지 않은 학생을 대상으로 선정함. 설문조사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에게 동일

시점에 각각 실시하였으며, 연구자들이 가급적 소년원학교를 방문하여 연구취지와 설문

주의사항 등을 설명하고 설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음.

ㅇ 사전조사에 참여하지 않고 중간에 교육에 투입된 경우, 다른 학교 등으로 이송되었거나 소

년원학교에서 사회로 복귀한 경우는 분석과정에서 제외하였음. 최종 소년원학교 학생 206

명을 분석에 활용하였음.

구분 시설 프로그램� 개수 실험집단 비교집단 인원

소년원학교 9개소 16개�기관 138명 68명 206명

<표�Ⅲ-2>� 효과성�연구대상

1.2 연구 설계

ㅇ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문화예술

교육을 진행하는 소년원학교 전체를 대상으로 법무부와 각 소년원학교의 협조를 얻어 문

화예술교육에 참여하는 학생과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고 있지 않은 학생을 대상으로 준실

험설계를 하였음.

집� 단 1차� 검사 실험처치 2차� 검사

실험집단 O1 O O2

비교집단 O1 X O2

<표� Ⅲ-3>� 심리적�측정의�연구� 설계

  ◦: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X: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미참여

1.3 측정도구

ㅇ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임영식 등(2012)의 척도를 재분석하여 사용하였음. 즉 임

영식 등(2012)의 연구에서 개발한 교정시설/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 중 소

년원학교 참여자만을 추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후 최종 척도문항을 구성하였음. 최종적

으로 선정된 문항은 기존 교정시설/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척도 63문항 가운데 47문항

Page 64: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Ⅲ.� 연구방법|45

이 최종 확정되었음. 최종 척도문항에 대한 Cronbach α는 .827이었음.

ㅇ 확정된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척도는 즐거움, 사회성, 표현력,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력,

스트레스, 충동성, 공격성, 문화예술 선호성 등의 9개 요인으로 구성되어져 있음. 구성요소

의 개념을 살펴보면, 먼저 즐거움은 경험에 대한 감정적 반응의 쾌락적 유형을 의미하며,

‘자아존중감’은 자신에 대해 갖는 전반적인 긍정적 태도임(임영식・남기성・박지영・최인이・강영배・정경은 외, 2014). ‘사회성’은 사회적 요구와 상황에 적응하고 대응하는 능력으로

써 타인을 배려하고, 공감하며, 협력과 조망을 잘 하는 경향이나 능력이고, ‘표현력’은 자

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말이나 행동 등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의미함. ‘자기조절력’은 자신

의 감정이나 정서 및 행동을 잘 통제하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고, ‘스트레스’는

적응하기 어려운 환경이나 조건에서 느끼는 심리적, 신체적, 행동적 긴장 상태를 의미함.

‘문화예술교육 선호성’은 문화예술에 관심을 가지고 중요하게 생각하며 문화예술활동에 참

여하고 감상하기를 좋아하는 성향을 말하는 개념임(임영식 외, 2012). ‘공격성’은 쉽게 화

를 내는 흥분성과 간접적 혹은 직접적으로 타인을 해하고 싶은 태도(Buss와 Durkee,

1957 참고)를 말하며, ‘충동성’은 시작한 행동을 중단하거나 조절하는데 어려움을 보이는

성향(Gray, 1981)을 의미함.

<표�Ⅲ-4>� 최종�척도�및�설문문항

구분문항

수문�항

즐거움 5

1� 나는� 최근�들어�즐겁다.�

2� 요즘� 나는�기쁨을�느낀다.

3� 나는� 요즘�흥겹다.

4� 나는� 최근�들어�기분이�좋다.

5� 나는� 최근�들어�컨디션이�좋다.

사회성 5

1� 나는� 상대방이�기분�나빠하는�일은�하지� 않으려고�하는�편이다.

2� 나는�어떤�결정을�내리기�전에�다른�의견을�가진�사람의�입장도�생각해�본다.

3� 나는� 남을�비난하기�전에�그�사람의�입장에서�생각해�본다.

4� 나는� 몸이�불편하거나�장애가�있는�사람을�보면�마음이�쓰인다.

5� 나는� 말을�할�때�상대방의�마음을�상하게�하지� 않으려고�노력한다.

표현력 3

1� 나는� 내� 생각을�잘�말하지�않는�편이다.

2� 나는� 말을�할�때�분명하게�말하지�않는�편이다.

3� 내가� 느끼는�감정을�다른�사람들이�아는� 것이�싫다.

자아

존중감3

1�나는� 내� 자신이�쓸모� 있는�사람이라고�생각한다.

2� 나는� 내� 자신이�자랑스럽다.

Page 65: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46|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ㅇ 측정문항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ㅇ 첫째, 개인정보 관련 문항임. 개인정보에 관한 문항은 총 7개 문항으로 성별, 생년월일, 학

3� 나는� 좋은�성품을�가졌다.

자기

조절력4

1�좋은� 생각을�해서� 기분이�좋아지게�할�수�있다.�

2� 불안해져도�마음을�진정시킬�수�있다.

3� 어렵고�힘든�일지만�쉽다고�생각하여�즐겁게�할�수�있다.

4� 전체� � 의견이�내�의견과�다르다고�할지라도�전체�의견을�따른다.

스트레스 6

1� 나는� 화가�날�때가�많다.�

2� 나는� 자주�소리를�지르고�싶을� 때가�있다.�

3� 나는� 종종�누군가를�때려주고�싶다.�

4� 나는� 신경이�날카로워져�있다.�

5� 나는� 가슴이�답답하다고�느낄�때가�많다.

6� 온몸에�힘이�쭉�빠지는�것�같다.�

충동성 8

1� 답답해서�한자리에�오래� 앉아�있지�못한다.

2� 하고� 싶은�것을�당장하지�않으면�미칠�것�같다.

3� 가끔� 음식을�너무� 많이�먹어서�탈이�날�때가�있다.

4� 침착하지�못하다고�꾸중을�들을�때가� 자주�있다.

5� 내�자신을�조절하지�못해�아무렇게나�행동할�때가� 있다.

6� 생각� 없이�함부로�말을�해서�후회할�때가�있다.

7� 책을� 오랫동안�읽지�못한다.

8� 쉽게� 주의가�산만해지고�마음을�집중할�수가�없다.�

공격성 8

1� 나는� 조그만�일에도�화를�잘�낸다.

2� 가족이나�친구� 때문에�화가� 날� 때가�많다.

3� 가족들에게�거칠고�심술궂게�대할� 때가�있다.�

4� 무엇이든�부수고�싶은�충동이�생긴다.

5� 다른� 사람을�괴롭혀�주고�싶은� 마음이�생긴다.

6� 화가� 나서�참지�못할� 때가�종종�있다.

7� 가끔� 거친�말이나�욕을�큰소리로�하고�싶을� 때가� � 있다.

8� 누군가에게�시비를�걸어서�싸우고�싶을�때가�있다.�

문화예술�

선호성5

1� 나는� 문화예술에�대해�관심이�있다.�

2� 문화예술에�대해�지금보다�더�많이�알고� 싶다.

3� 나는� 문화예술을�감상하거나�활동하면서�깊은�감동을�느낀다.

4� 나에게�문화예술은�중요하다.

5� 문화예술은�내� 삶의�활력소이다.�

Page 66: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Ⅲ.� 연구방법|47

력, 경제수준, 문화예술교육 경험, 문화예술교육 수혜기간, 현재 문화예술교육 여부로 구성

됨.

ㅇ 둘째, 효과성 측정 문항은 문항은 즐거움 영역 5문항, 사회성 영역 5문항, 표현력 영역 3

문항(역점수 처리), 자아존중감 영역 3문항, 자기조절력 영역 4문항, 스트레스 6문항, 충동

성 8문항, 공격성 8문항, 문화예술 선호성 5문항, 총 4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음. 각 질문

에 대해 ‘매우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까지 1점에서 5점의 점수로 구성되어 있으

며 각 영역별 하위 구성요인의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영역 태도나 능력이 높으며, 반대로

점수가 낮을수록 해당 영역의 태도나 능력이 낮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스트레스 영역과

공격성 영역의 경우에는 반대로 점수가 낮을수록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고 공격성이 낮

은 것을 의미함.

<표� Ⅲ-5>� 설문지�구성

설문지� 문항번호 영역 문항수

A1~6 인구사회학적�배경�요인 개인�변수 7

B1~5

효과성�요인

즐거움�영역 5

C1~5 사회성�영역 5

C6~8 표현력 3

C9~11 자아존중감 3

C12~15 자기조절력 4

D� 1~6 스트레스 6

D� 7~14 충동성 8

D� 15~22 공격성 8

E� 1~5 문화예술�선호성 5

계 54

1.4 분석

ㅇ 첫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측정치로 동질성 검증을 수행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

을 실시하였음.

ㅇ 둘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별로 사전측정치와 사후측정치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대응 t

검증을 실시하였음.

Page 67: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48|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2. 생리적 측정

ㅇ 생리적 측정의 사전측정은 2014년 7월 1일부터 9월 5일에 걸쳐 시행하였고, 사후측정은 프

로그램이 종료되는 2014년 10월 6일부터 11월 11일까지 실시되었음.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

고 있는 9개 소년원학교 중 4개 소년원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법무부와 협의하여 선정

하였음.

ㅇ 생리적 측정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지

원하고 있는 소년원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피험자만을 선정함.

프로그램에 참여하더라도 생리적 측정에 동의하지 않은 참여자는 제외시켰으며 연구참여에

동의한 참여자들에게는 참여 동의서를 작성하도록 하였음. 비교집단은 실험집단과 같은 기관

에서 문화예술교육이 아닌 다른 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 가운데 본 연구 참여를 동의한 경우

피험자로 선정하였으며, 비교집단에게도 연구 참여 동의서를 작성하도록 하였음.

ㅇ 생리적 측정의 참여인원은 4개 소년원학교 실험집단 31명과 비교집단 29명으로 총 60명

이었음.

구분 실험집단 비교집단 계

코티졸

A 7 9 16

B 5 3 8

C 10 8 18

D 9 9 18

소� � 계 31 29 60

<표�Ⅲ-6>� 생리적�측정� 참여자�현황

2.2.2 연구 설계

ㅇ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을 생리적 측정을 통해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 비교집단을 설정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진행 기간 동안 코티졸을 정기적인 간격을 두고 측정하였음. 동일

시설에 속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측정은 동일한 날에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 운영초기의

1차 사전조사와 프로그램 종료시점인 2차 사후조사까지의 측정 시간도 시설별로 유사한 시

간대를 유지하였음.

Page 68: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Ⅲ.� 연구방법|49

집� 단 1차� 측정 실험처치 2차� 측정

실험집단 O1 O O2

비교집단 O1 X O2

<표� Ⅲ-7>� 생리적�측정의�연구� 설계

 � ◦: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X: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미참여

2.2.3 측정도구

ㅇ 생리적 측정은 타액의 코티졸을 추출하였음. 타액 코티졸 측정은 사전, 사후 총 2회 측정하

였는데, 점심시간 전인 11시 40분~50분 사이에 측정하였음.

<표� Ⅲ-8>� 타액�측정� 시간�

코티졸

1차� 사전측정 2차� 사후측정

오전� 11시� 40~50분 오전� 11시� 40분~50분

ㅇ 타액 활성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타액 채취 1시간 전에는 음식물을 먹거나 마시지 않도록 하

였으며, 타액 분비 촉진을 위해 타액 채취 시 파라필름을 씹은 후 타액을 채취하였음. 튜브

에 약 2㎖ 정도의 타액을 채취하도록 하였으며(적어도 1㎖), 채취한 타액은 냉동 보관하고,

수거된 이후에는 드라이아이스가 담긴 아이스박스에 옮겨와 곧바로 –80도로 냉동 보관하였

음. 코티졸 측정은 질병관리본부의 임상연구교육을 이수한 연구진이 직접 측정함.

2.2.4 분석

ㅇ 채취된 타액은 중앙대학교 예방의학교실에 코티졸 샘플 분석을 의뢰하여 분석하였음. 코티졸

분석방법은 아래와 같음.

Page 69: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50|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2.2.4.1 코티졸

- 샘플은 3000rpm으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사용

- well에 standard, control, unknown을 25㎕씩 주입한다.

(control과 NSB에는 assay diluent를 넣는다/ cortisol standard : 3, 1, 0.333, 0.111, 0.037,

0.012㎍/dL, cortisol controls : 고농도, 저농도)

- assay diluent 24ml에 enzyme conjugated 15㎕를 넣어 1600배 희석한다.

- 만든 즉시 mix시키고 200㎕씩 well에 분주한다.

- plate를 rotator에서 5분 동안 500rpm으로 mix해준 후 55분 동안 실온에 방치한다.

- 1X wash buffer(10X wash buffer를 DW로 10배 희석하여 사용) 300㎕로 네 번씩 씻어

줌.

- 각 well에 TMB 200㎕를 분주한다.

- plate를 rotator로 5분 동안 500rpm으로 mix해준 후 25분 동안 상온 암실에서 방치한다.

- 각 well에 stop solution 50㎕를 분주한다.

- plate를 rotator로 3분 동안 500rpm으로 mix해준 후 10분 이내에 450nm에서 abs를 측정

한다.

2.2.4.3 통계분석

ㅇ 첫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을 타액 측정에 참여한 실험집단, 비교집단이

동질한 집단인지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 측정치의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함.

ㅇ 둘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별로 대응t 검증을 실시하였음.

ㅇ 셋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측정치를 공변인으로 통제하고 사후측정치의 차이를 공

분산분석(ANCOVA)하였음.

3. 질적 연구

3.1 질적연구의 설계

ㅇ 질적연구는 양적연구의 보완이 아니며, 무엇보다도 상황과 맥락을 중요시하는 연구방법임.

최소한 인식론적 가정(epistemological assumption) 상 질적연구를 수행한다는 것은 연구

자가 연구참여자와 가까워지기 위해 노력하며, 이들을 단순한 연구대상으로서가 아닌 그

Page 70: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Ⅲ.� 연구방법|51

들의 목소리와 눈높이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을 뜻함(Creswell, 2007).

ㅇ 질적 연구는 온전히 자신만의 관점에 의해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타자의 삶에 관한 이

야기를 소재로 하여 철저한 자기반성의 단계를 거쳐서 인간 삶의 보편성”(곽영순, 2009,

p. 385)을 탐구하는 것에 주목적이 있음. 따라서 연구의 유용성은 ‘일반

화’(generalizability)가 아닌 ‘결과의 전의가능성’(transferability)에 있으며, 연구내용과 결

과의 유용함을 맥락(context) 드러내기를 통해 독자 스스로 판단하도록 함(Lather, 2004;

Potter, 1996; Reason & Bradbury, 2001).

ㅇ 질적연구가 가지고 있는 태생적 제약은 동일한 현상을 두고 연구자의 관점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연구자와 연구참여자 간의 관계형성(rapport) 또한 연구자의 철학

과 접근방식에 따라 상이한 형태를 띨 수도 있음(Glesne, 2006; Guba, 1981; Howe,

2004).

ㅇ 이를 방지하고 연구의 내적타당도와 과학적 엄격함(scientific rigor)을 획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 설계에 삼각화 기법(triangulation techniques)을 도입하여 자료수집

방법의 삼각화, 자료원의 삼각화, 연구자의 삼각화, 연구방법론의 삼각화를 도입하여 설계

하였음.

<그림�Ⅲ-1>� 2014� 소년원학교�대상�효과분석연구의�질적� 연구�설계

ㅇ 자료수집방법의 삼각화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될 질적연구의 방법은 참여관찰

(participatory observation), 심층면접 및 FGI(depth interviews & focused group

interviews), 예술기반 분석(arts-based analysis)로 각 연구방법의 특성은 아래 표와 같이

분류 가능함.

Page 71: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52|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표�Ⅲ-9>� 질적�연구�방법의�특성

특� 성� � � � � 참여관찰심층면접

FGI

예술기반

분석

자연스러운�상황(현장에�초점을�둔)에서�

연구자와�연구참여자�간의�

긴밀한�상호� 작용을�위한� 자료의�원천

○ ○

말�또는�이미지�등의�

다양한�자료�원천○ ○ ○

귀납적,� 순환전,�

상호작용적�자료�분석○

참여자의�관점,� 그들의�의미,�

주관적�시각에�초점○ ○ ○

사회적·정치적·역사적�맥락을�통한�

인간행동과�신념�구성에�대한�이해○ ○ ○

유연한�설계 ○ ○ ○

해석적인�탐구 ○ ○

※ Reason, P., & Bradbury, H. (Eds.) (2001) 재인용

3.2 참여관찰

ㅇ 질적연구에서 주요한 연구방법으로 문서, 기록물, 면접, 직접관찰, 참여관찰, 인공물(예: 연

구대상자의 창작품 등) 등이 존재함. 이 중 질적연구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주

요한 연구방법 중 하나로 ‘[직접 또는 참여]관찰(observation)’과 ‘면접(interview)’이 있음.

ㅇ Hammersley와 Atkinson(1995)에 의하면, 관찰기법은 피면접자가 진실을 말하지 않을 가

능성, 인상 관리, 낯선 세팅에서 연구자가 주변화 될 가능성 등을 다루는 특별한 기술로

설명함. 즉 인간에 대한 연구에 있어 진솔한 이야기나 진상 등에 대해 연구자가 현장의

중심에서 면밀하고 날 것 그대로의 자료 수집을 용이하게 함.

ㅇ 또한 관찰기법은 연구대상자에 대해 설문조사로 파악하기 어려운 태도와 행위의 미묘한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이들에 대한 진솔하고 깊이 있는 이해를 가능하게 하며, 심층인터뷰

만으로 해명할 수 없는 맥락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할 수 있음(Morse & Field,

1995).

ㅇ 특히 참여관찰(participatory observation)은 연구대상자에게 너무나 일상적인 일들, 연구참

여자가 논의할 수 없거나 논의하기를 원치 않는 화제들, 연구참여자의 처한 상황이나 전

체 맥락, 실제 생활에서 확인해야할 면담내용, 실제 상황을 직접 보아야만 이해할 수 있는

면담내용, 연구대상자가 설명하지 못하는 일상적 삶의 과정이나 의미를 파악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임(Merriam, 1988).

Page 72: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Ⅲ.� 연구방법|53

ㅇ 위와 같은 이유로 사회적 소외계층이며 자기 심리적 보호기재가 강한 소년원학교 학생들

의 일상, 이들이 처한 상황이나 맥락,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일어난 효과들 중 숨겨

진 이야기들을 참여관찰기법을 통해 더욱 면밀히 수집하고 연구의 주요한 시사점으로 도

출이 용이함.

ㅇ 대상: A 소년원학교 뮤지컬 프로그램

ㅇ 관찰시기: 2014. 10. 07 화요일 / 2014. 11. 11 화요일(총 2회)2)

ㅇ 방법: 참여관찰법

<표� Ⅲ-10>� 참여관찰�일정�및�방문기관�프로그램�

방문� 수혜시설� � � � � A소년원

세부분야� 뮤지컬

교육주요목표교육�참여학생의�자아존재를�확인하고�인생의�목표를�

수립함으로써�사회에�안정적�적응을�도움

참여관찰� 횟수 총� 2회(중기와�말기)

참여관찰� 시기프로그램�시행� 초기� (2014.� 10.� 07)

프로그램�시행� 중기� (2014.� 11.� 11)

참관� 시� 수업의�

주요활동

▪ 프로그램�시행� 초기� (2014.� 10.� 07):연출�및�시나리오�담당�선생님과�함께� 학생들은� 1:1인터뷰를�

진행하며�개인�시나리오�작업에�들어감

▪ 프로그램�시행� 중기� (2014.� 11.� 11):안무�담당�선생님과� 12월� 공연을�위한� 동작·춤� 연습�및�음악에�

대한�의견�공유

3.3 심층인터뷰: FGI(표적집단면접)와 PII(개별심층면접)

ㅇ 심층인터뷰(In-depth Interview)는 1명 또는 소수 그룹과의 면접을 통해 대상의 심리를 파

악하는 조사법으로 특정 주제에 대해 응답자의 생각이나 느낌을 자유롭게 이야기함으로써

응답자의 내면 깊숙이 자리 잡고 있는 욕구, 태도, 감정 등을 발견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ㅇ 심층인터뷰로 소년원학교 학생과는 FGI(Focused Group Interview: 표적집단면접)를, 소

년원학교 담당교사와 문화예술교육 강사와는 개별적으로 PII(Personal In-depth

2) 초기 연구의 계획은 참여관찰을 총3회 실시하는 것이었으나, 10월로 접어들면서 상당수의 학생들이 수능시험준비로 결석을 하며 정상적인 수업 진행이 불가능 하게 되었음. 이에 참여관찰의 마지막 회에는 강사의 협조 하에 참여관찰을 FGI 형식으로 대체하였음. 참여관찰 2회는 각각 2014년 10월 7일과 2014년 11월 11일에, FGI는 2014년 10월 28일 진행되었음.

Page 73: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54|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Interview: 개별심층면접)를 진행하였으며, 반구조화된 질문을 통해 본 연구에 사용된 타

질적연구방법과 함께 각각의 유용성을 자료 수집과 분석에 보완적으로 사용함.

ㅇ 심층인터뷰는 참여관찰을 통하여 수집이 불가능한 행동, 호손효과, 선택적 관찰, 관찰자의

시・공간적 한계 등 관찰방법의 한계를 보완하고 심층적 조사를 위해 심층인터뷰가 필요하

며, 이를 통해 보다 깊이 있고 구체적인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홍용희,

1998).

ㅇ 심층인터뷰 대상

(1) FGI: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학생 4집단(각 집단별 4~5명)

(2) PII: 소년원학교 프로그램 기획 및 진행 강사(총 5명)

(3) PII: 소년원학교 담당교사(총 6명)

ㅇ 심층인터뷰 선정 대상기관 및 프로그램

(1) A소년원: 뮤지컬

(2) B소년원: 난타/신체표현

(3) C소년원: 무용

(4) D소년원: 합창

<표�Ⅲ-11>� 심층인터뷰�선정기관�및� 유형별�참여인원

인터뷰� 형식� 대상참여인원

계A소년원 B소년원 C소년원 D소년원

FGI형식 참여학생 5 5 5 4 19

PII형식강사 2 1 1 1 5

관계자 1 2 1 2 6

계 8 8 7 7 30

ㅇ 인터뷰 질문들은 연구자가 반구조화된 인터뷰 질문을 구성하여 연구참여자들이 자유로이

자신의 경험을 제시함으로써 질적 분석에서 요구하는 자료의 충분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설계하였음.

ㅇ 인터뷰 질문에 충실하여 공통된 테마에 대한 연구 자료를 수집하는 것에도 충실하였으나,

프로그램의 각 장르별 특성과 개인 및 지역적 특성 등 다양한 맥락과 그 안에서 과정을

이해하고 이에 상응하는 자료를 수집하는 것에 더욱 집중하였음.

Page 74: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Ⅲ.� 연구방법|55

<표�Ⅲ-12>� FGI� 선정� 방문기관�및� 프로그램

ㅇ 분석방법은 일차적으로 인터뷰 참여자가 각자 체험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에서의 경험과

정과 변화를 자유로이 제시하고, 개인적으로 제시된 구두보고(oral-reports)적 내용들의 의

미와 효과 내용을 구조화함.

ㅇ FGI에서 진술된 모든 내용은 녹음 혹은 녹화하고 내용 그대로 텍스트화하여 질적 자료원

의 현장성을 높이고 진술내용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진행하였으며, 분석내용의 신뢰성을

위해 연구자는 인터뷰 과정에서 각각의 인터뷰 주제에 대한 참여자들의 진술내용을 요약

하고 확인함을 기본으로 함.

<표�Ⅲ-13>� 대상별� FGI� 인터뷰�주요질문

대상 인터뷰� 질문

참여�학생

-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은�본인에게�어떤� 도움/영향/변화를�주었나?

-문화예술교육에�참여하면서�가장�기억에�남는�일(좋았던�일과�나빴던�일)은�무엇인가?

-자신의�인생에서�문화예술교육참여는�어떤�의미였는가?

-문화예술교육참여를� 통해� 이제껏� 몰랐던� 새로운� 것을� 알게� 된� 것이� 있다면,� 그것은� 무

엇일까?

진행�강사

및�기획자

-교육자의�관점에서�소년원학교의�문화예술교육�기획은�어떤�의미였는가?

-기억에�남는� 참여학생의�변화(에피소드,� 태도,� 교우관계�등)는�무엇인가?

대상시설� � � � � A소년원 B소년원 C소년원 D소년원

세부분야� 뮤지컬난타(타악)/

신체표현(무용)무용 합창(음악)

프로그램�기간 2014.� 9월~12월 2014.� 9월~12월 2014.� 9월~12월 2014.� 9월~12월

교육주요내용

자아존재를�

확인하고�인생의�

목표를�

수립함으로써�

사회에�안정적�

적응

음악과�신체활동을�

통하여�자신의�

표현과�성취감�

획득

춤을�통해�

자기표현의�기회와�

관계를�회복할�수�

있는�소통의�장�

제공

합창의�기본요소인�

타인과의�조화성을�

바탕으로�건전한�

사회인으로�성장

담당�연구자 연구자1·2·3 연구자1·2 연구자1 연구자1

인터뷰�

대상

학생 ○ ○ ○ ○

강사 ○ ○ ○ ○

관계자 ○ ○ ○ ○

인터뷰�시기2014.� 10.� 28

2014.� 11.� 11

2014.� 10.� 26

2014.� 12.� 10

2014.� 10.� 14

2013.� 11.� 06

2013.� 11.� 05

2011.� 11.� 13

Page 75: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56|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ㅇ 인터뷰 시, 참여자들로부터 인터뷰에서 진술된 내용이 충분히 연구자들에게 전달된 것인지

점검하고 인터뷰 종료시점에서는 연구자가 참여자에게 직접 주요 진술내용을 구두보고기

법(oral report method)을 사용하여 재점검함으로써 질적 자료의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진

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3.4 예술기반 분석(Arts-based Analysis)

ㅇ 예술기반 분석은 예술을 특정 행위에 대한 결과물이나 관찰대상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닌,

연구참여자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연구도구로서 쓰이는 기법을 일컬음(Blau, Blau, &

Golden, 1985; Greene, 1995).

ㅇ 예술기반 분석은 예술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내재적 발현성을 이용하여 창작자 내면의 변

화를 오롯이 읽어내는 연구기법으로, 개인이 창의적 활동을 통해 내면의 생각 또는 상태

를 날것 그대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점에 있어 매우 유용한 질적연구방법 중 하나임

(Butler-Kisber, 2002).

ㅇ 예술기반연구방법은 시각자료분석(visual text analysis) 또는 내용분석(content analysis)등

과 유사한 기법을 사용하되, 이를 연구참여자가 창작한 ‘작품’에 대입하여 분석하는 것으

로 창작물, 즉 예술을 주 연구자료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기법임(김인설, 2013).

ㅇ 본 연구에서는 예술기반분석을 이용하여 F소년원의 문학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의

문집(창작시)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 과정에서 학생들이 선택한 언어들을 중심

으로 주요 테마, 키워드를 토대로 하위주제 선정 후 상위주제 및 반복적 패턴들을 도출하

였음.

-교육�진행�과정에�있어�가장� 의미�있었던�일은�무엇인가?

-교육�진행에�있어�가장�힘들었던�점은� 무엇인가?

-향후�문화예술교육의�개선점과�발전에�대해�어떻게�생각하는가?

소년원

학교�관계자

-향후�문화예술교육의�개선점과�발전에�대해�어떻게�생각하는가?

-기억에�남는� 참여학생의�변화(에피소드,� 태도,� 교우관계�등)는�무엇인가?

-기관의�관점에서�볼�때�문화예술교육실행은�학교�내부적으로�어떤�변화를�가져왔는가?�

Page 76: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표�Ⅲ-14>� 예술기반�분석�계획

방문� 수혜시설� � � � F소년원

세부분야� 문학에�대한�각�장르별�이론�및�창작

교육주요내용 시�낭송,� 창작�활동,� 작품�전시�등을� 통한�자신감�신장

분석� 자료 참여�학생들의�문집(창작시)� 정리본�

자료� 수집방법

교육담당�강사와�기관의�협조요청을�통해�참여� 학생들의�문집�정리본

(시,� 수필�등)을�입수� 후� 분석

※�문집완성기� 2014년� 11월�중순

자료� 분석방법 주요�테마,� 키워드를�중심으로�하위주제�선정�후�상위주제�및�패턴� 분석

3.4 질적 연구 분석

ㅇ 질적연구 분석의 경우, 과정부호화 분석기법을 통해 실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에서 도출된

키워드 및 주요 발언들을 ①맥락에 대한 이해, ②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i.e., 보편

적 효과), ③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가치(i.e.,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특수한 효과),

④개선점으로 나누어 체계화시켰음.

ㅇ 특히, 이러한 체계화 과정을 통해, 각 단계에서 소년원학교에 대한 환경과 장소 그리고 개

인이 가지는 특징을 분석한 후, 소년원학교 내 문화예술교육의 보편적 효과에서 출발하여

이곳에서 특별하게 드러나는 문화예술교육 효과의 특수성을 분리하여 도출하고자 하였음.

ㅇ 여기서 ‘소년원학교 내 문화예술교육 효과의 특수성’이란, 참여관찰이나 인터뷰 질의응답

시 연구참여자가 문화예술교육의 특정 효과 이유를 소년원학교 내부의 환경과 특별히 결

부시켜 답할 때 나타나는 주요 효과들을 가리킴. 예를 들어, 인터뷰 참가 학생은 교육자체

가 소년원학교 밖이든 안이든 동일하게 ‘재미있다’고 느낄 수 있고. 이것은 문화예술교육

의 보편적 효과로 볼 수 있음. 그러나 학생이 소년원학교 내 분위기, 환경, 관계, 사건 등

과 특별히 결부시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이야기 할 때, 그 효과는 더 이상 보편적인

효과가 아니라 소년원학교라는 환경적 특수성에서 발현된 효과로 볼 수 있음. 즉, 본 연구

에서는 연구참여자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을 통해 문화예술의 특정효과를 반추하는

것이 포착되었을 때, 이를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특수한 효과’로 분류함.

ㅇ 요약하자면, 본 연구에서 질적연구는 소년원학교 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고유한 가치

분석을 위해 그 과정과 맥락을 이해하는 주요 채널로 수행되었음. 연구의 시사점과 현 문

화예술교육의 제약 및 개선점에 대한 통찰력 있고 객관적인 도출을 위해 소년원학교 학생

들 이외에도 소년원학교 담당교사와 문화예술교육 강사들의 의견을 수집·분석하였음

ㅇ 각 분석과정에서 주로 쓰인 질적연구 자료는 다음과 같음.

Page 77: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58|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1) 배경(환경): 참여관찰과 심층면접(FGI & PII)

(2) 효과성: 참여관찰, 심층면접(FGI & PII), 예술기반분석

(3) 제언: 심층면접(FGI & PII)

<그림�Ⅲ-2>� 질적연구�결과분석을�위한�과정틀�

Page 78: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

1.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심리적 연구

2.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생리적 연구

3.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질적 연구

Page 79: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Page 80: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61

Ⅳ. 연구결과

1.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심리적 연구

1.1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심리적 측정 참여자 현황

ㅇ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검증의 심리적 측정 참여자는 실험집단 138명, 비교집단 68명으로

총 206명이었음. <표 Ⅳ-1>에 각 소년원학교에 따른 실험집단, 비교집단의 사례가 제시되

어 있음.

집단구분 A B C D E F G H I 계

실험집단 19 11 10 25 18 19 13 12 11 138

비교집단 5 3 9 14 23 3 3 8 0 68

계 24 14 19 39 41 22 16 20 11 206

<표�Ⅳ-1>� 심리적�측정�참여자�현황

ㅇ 연구 참여자들의 학력은 실험집단, 비교집단 모두 고등학교 중퇴 및 졸업이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중학교 중퇴 및 졸업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음. 연구 참여자들이 생각하는 가정

의 경제적 수준은 '보통'이 가장 많고, ‘약간 못 산다’와 ‘약간 잘 산다’의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음.

ㅇ 문화예술교육을 받거나 접해 본 경험을 살펴보면, ‘전혀 없다’와 ‘거의 없었다’의 비율이

실험집단은 73.1%, 비교집단은 76.5%이었고, 실험집단에서 ‘약간 있었다’의 비율이 비교

집단보다 조금 높았음. 문화예술교육을 얼마나 오랫동안 받았는가에 대한 질문에 ‘전혀 받

은 적이 없다’는 두 집단 모두 60%대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응답자의 대부분이 짧은

기간의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음.

Page 81: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62|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변수 세부항목 실험집단/� 인원(%) 비교집단/� 인원(%)

학력

초등학교�이하 0(0.0) 2(3.0)

중학교�중퇴�및�졸업 51(37.2) 21(29.2)

고등학교�중퇴� 및� 졸업 86(62.8) 44(65.7)

가정의�경제적�

수준

매우�못� 산다 3(2.2) 4(6.0)

약간� 못� 산다 28(20.3) 10(14.9)

보통이다 93(67.4) 45(67.2)

약간� 잘� 산다 13(9.4) 7(10.4)

매우� 잘� 산다 1(0.7) 1(1.5)

문화교육경험정도

전혀�없다 75(54.3) 31(45.6)

거의�없었다 26(18.8) 21(30.9)

보통 10(7.2) 9(13.2)

약간�있었다 21(15.2) 5(7.4)

자주�있었다 6(4.3) 2(2.9)

문화예술교육�

사전교육기간

전혀�받은� 적이�없다 85(62.5) 45(68.2)

1개월�미만 12(8.8) 9(13.6)

1~3개월�미만 13(9.6) 3(4.5)

3~6개월�미만 13(9.6) 5(7.6)

6~1년�미만 9(6.6) 1(1.5)

1년�이상 4(2.9) 3(4.5)

<표� Ⅳ-2>� 연구대상자의�인구사회학적�변인

ㅇ 조사대상자들의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요소인 즐거움, 사회성, 표현력, 자

아존중감, 자기조절력, 스트레스, 충동성, 공격성, 문화예술 선호성의 사전 측정치를 확인

한 결과, <표 Ⅳ-3>과 같이 모든 영역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각 하위요인별 사전 측

정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음(p>.05). 따라서 즐거움, 사회

성, 표현력,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력, 스트레스, 충동성, 공격성, 문화예술 선호성에서 두

집단은 동질적인 집단임을 알 수 있음.

Page 82: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63

� 요인 � 집단구분 N사전

t 유의수준(p)평균 표준편차

즐거움�요인실험집단 138 3.025 1.065

-.473 .637비교집단 68 3.099 1.032

사회성�요인실험집단 138 3.516 .702

-.747 .456비교집단 68 3.594 .716

표현력�요인실험집단 138 3.099 .996

-.781 .436비교집단 68 3.211 .901

자아존중감�요인실험집단 138 3.394 .849

-.858 .392비교집단 68 3.505 .924

자기조절력

요인

실험집단 138 3.303 .753-1.026 .306

비교집단 68 3.419 .795

스트레스�요인실험집단 138 3.087 .798

1.974 .060비교집단 68 2.843 .884

충동성�요인실험집단 138 2.835 .741

.534 .213비교집단 68 2.693 .813

공격성�요인실험집단 138 2.762 .866

.128 .081비교집단 68 2.525 .989

문화예술�선호성�

요인

실험집단 136 3.013 1.0331.199 .232

비교집단 67 2.837 1.049

<표�Ⅳ-3>� 효과성�하위영역별�사전�측정치와�집단�동질성�검증

1.2 심리적 측정 결과

ㅇ <표 Ⅳ-4>에 의하면,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측정 요소 가운데, 실험집단

은 즐거움(t=-4.410, p<.001), 사회성(t=-2.102, p<.05), 자아존중감(t=-2.011, p<.05), 스

트레스(t=2.708, p<.01), 문화예술 선호성(t=-2.352, p<.05)에서 사전측정과 사후측정치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ㅇ 즉, 소년원학교에서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문화예술교육을 받은 이후 즐거움

Page 83: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64|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과 사회성, 자아존중감, 문화예술 선호성은 증가하였으며, 스트레스는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요인 집단구분평균(표준편차)

t p

사전 사후

즐거움

실험집단 3.025(1.065) 3.461(1.068) -4.410 .000

비교집단 3.099(1.032) 3.191(.845) -.590 .557

사회성

실험집단 3.516(.702) 3.672(.770) -2.102 .037

비교집단 3.594(.716) 3.519(.671) .662 .510

표현력

실험집단 3.099(.996) 2.976(.926) 1.244 .216

비교집단 3.211(.901) 2.980(.828) 1.696 .094

자아존중감

실험집단 3.394(.849) 3.531(.858) -2.011 .046

비교집단 3.505(.924) 3.402(.809) .798 .428

자기조절력

실험집단 3.303(.753) 3.395(.849) -1.216 .226

비교집단 3.419(.795) 3.426(.782) -.065 .948

스트레스

실험집단 3.087(.798) 2.929(.943) 2.716 .007

비교집단 2.843(.884) 2.917(.836) -.613 .542

충동성

실험집단 2.835(.741) 2.737(.862) 1.326 .187

비교집단 2.693(.813) 2.607(.797) .880 .382

공격성

실험집단 2.762(.866) 2.659(.974) 1.296 .197

비교집단 2.525(.989) 2.554(.890) -.240 .811

문화예술

선호성

실험집단 3.013(1.033) 3.245(1.068) -2.352 .020

비교집단 2.837(1.049) 3.065(1.052) -1.852 .069

<표�Ⅳ-4>� 소년원학교�문화예술교육�효과성�검증

ㅇ 그러나 표현력, 자기조절력, 충동성, 공격성의 경우 실험집단의 사후 자기조절력 점수가

사전 자기조절력 점수보다 향상하였지만 이러한 향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충동성과 공격성도 사전 점수보다 사후 점수가 감소하였으나 이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Page 84: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65

감소는 아니었음.

ㅇ 비교집단의 경우, 즐거움, 사회성, 표현력,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력, 스트레스, 충동성, 공격

성, 문화예술 선호성 등 모든 측정요인의 사전 점수와 사후 점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

의하지 않게 나타났음.

<그림�Ⅳ-1>� 실험,� 비교집단의�즐거움�사전,�

사후�평균�변화�

<그림� Ⅳ-2>� 실험,� 비교집단의�사회성�사전,�

사후� 평균�변화�

* 점수가 높을수록 즐거움 정도가 높음 *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성이 높음

<그림�Ⅳ-3>� 실험,� 비교집단의�자아존중감�

사전,� 사후�평균� 변화�

<그림�Ⅳ-4>� 실험,� 비교집단의�스트레스�사전,�

사후� 평균�변화�

*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음 * 점수가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높음

Page 85: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66|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그림�Ⅳ-5>� 실험,� 비교집단의�문화예술�선호성�

사전,� 사후�평균� 변화�

*� 점수가�높을수록�문화예술�선호성이�높음

2.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생리적 측정

2.1 생리적 측정 참여자 현황

ㅇ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검증의 생리적 측정인 코티졸 측정 참여자는 A소년원학교 16명(실험

집단 7명, 비교집단 9명), B소년원학교 9명(실험집단 6명, 비교집단 3명), C소년원학교 18

명(실험집단 10명, 비교집단 8명), D소년원학교 18명(실험집단 9명, 비교집단 9명)으로 총

60명(실험집단 31명, 비교집단 29명)이었음.

ㅇ <표 Ⅳ-5>에 집단별, 기관별 대상자 현황이 제시되어 있음.

ㅇ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코티졸에 대한 사전측정량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

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했음.

구분 실험집단 비교집단 계

코티졸

A 7 9 16

B 5 3 8

C 10 8 18

D 9 9 18

소계 31 29 60

<표�Ⅳ-5>� 생리적�측정�참여자�현황

Page 86: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67

ㅇ <표 Ⅳ-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동질성 검증 결과, 사전 코티졸 측정치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은 동질한 집단임을 알 수 있

음.

<표�Ⅳ-6>� 생리적�측정� 사전�점수

2.2 코티졸 분석 결과

ㅇ 코티졸의 생성, 분비는 기상 후 가장 높으며 점차적으로 농도가 감소하여 취침 전 농도가

하루 중 가장 낮은 일일주기리듬(circadian rhythm)을 보이기 때문에 일정한 시간대(오전

11시 40-50분)에 나타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코티졸 농도 변화를 각각 조사하였음.

ㅇ 프로그램 개입 전후의 코티졸 농도의 평균을 살펴보면 <표 Ⅳ-7>과 같음. 실험집단에서는

사전 .156mg/dL에서 .142mg/dL으로 .014mg/dL 감소하였음. 하지만 실험집단의 사전-사

후 코티졸 수치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음.

ㅇ 비교집단은 .142mg/dL에서 .191mg/dL으로 .049mg/dL 증가하였음. 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한 변화였음(t=-2.482, p<.05).

<표�Ⅳ-7>� 생리적�측정� 사후�점수

ㅇ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코티졸 측정치에 대한 독립t 검증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의 차이가 없었음. 각 집단의 사전 점수와 사후 점수를 비교한 대응t 검증 결과 실험집단

의 사후 코티졸 수준이 사전 코티졸 수준보다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

고, 비교집단의 코티졸 측정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할 정도로 증가하였음. 이러한 차이가 문

화예술교육의 실시 여부에 의한 결과인지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구분 집단 N 평균(표준편차)/(mg/dL) t p

코티졸�

사전측정

실험집단 35 .156(.062).795 .430

비교집단 27 .142(.070)

집단 N 사전평균(표준편차) 사후평균(표준편차) t p

실험집단 31 .156(.062) .142(.061) 1.112 .275

비교집단 29 .142(.070) .191(.111) -2.482 .019

Page 87: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68|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코티졸 측정치를 공변량 처리하여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음.

ㅇ 공분산분석 결과에 의하면 <표 Ⅳ-8>과 같이 사후코티졸 농도에 대해 집단 간 유의한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F=6.674, p<.05).

ㅇ 이러한 결과는 문화예술교육을 받지 않을 경우 스트레스는 증가하지만, 문화예술교육을 받

으면 스트레스가 적극적으로 감소되지는 않더라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것

을 말해줌. 따라서 소년원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이 스트레스의 증가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음.

<표� Ⅳ-8>� 생리적측정치에�대한�공분산분석�결과

구분 변량원 전체� 자승화 자유도 평균� 자승화 F 유의도

코티졸

사전코티졸 .059 1 .059 8.466 .005

집단구분 .046 1 .046 6.674 .012

오차 .396 57 .007

합계 2.131 60

<그림� Ⅳ-6>� 실험,� 비교집단의�코티졸�사전,� 사후� 농도�변화�

Page 88: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69

3.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질적 연구

ㅇ 질적연구는 삼각화 기법을 통해 총 3가지 접근 방법인 ① 참여관찰(n=15), ② 심층인터뷰

-FGI(표적집단면접)과 PII(개별심층면접)(n=30), ③ 예술기반분석(n=12)이 사용됨.

ㅇ 질적연구 자료수집의 경우, 2014년 10월부터 12월 중순까지 약 세 달간 연구진 3명의 협

업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참여자는 총 57명으로 집계됨.

3.1 참여관찰 분석 결과

ㅇ 참여관찰은 총 2회로 이루어졌으며 A소년원학교의 뮤지컬 교육프로그램를 중심으로 초기

(2014. 10. 7)와 중기(2014. 11. 11)로 나누어 실시되었음.3)

ㅇ 참여관찰의 경우 교육 분위기와 환경적 맥락을 이해하고, 참여학생(n=12)과 강사(n=3) 그

리고 이들이 프로그램 안에서 평소와 같이 자연스럽게 행동하고 표현하며 상호작용하는

것을 관찰하여 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함.

ㅇ 따라서 연구자는 교육 도중 학생이나 강사에게 직접적으로 질문하거나, 상호주체 간 영향

을 미치는 행동을 최소화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ㅇ 이러한 특징을 살려 연구자의 관찰기록지와 반추노트를 중심으로 소년원학교의 질적연구

자료 중 환경적 특징과 이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그리고 이를 강화하는 기재를 이

해하고 도출해 내는 데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였음.

3.1.1 참여관찰 개요

ㅇ 참여관찰개요

(1) 대상: A소년원학교 뮤지컬 프로그램의 지도강사와 참여학생

(2) 일자: 2014. 10. 07(1차)/ 2014. 11. 11(2차) 오전 10:30~11:45

(3) 장소: A소년원학교 소강당 및 기독교 종교실

(4) 참여인원:

- 1차 관찰: 강사(남1/여1), 학생(남5), 연구자

- 2차 관찰: 강사(남1), 학생(남7), 연구자

(5) 프로그램 내용:

- 1차: 연출 및 시나리오 담당 선생님과 함께 학생들은 1:1인터뷰를 진행하며 개

3) 본 계획은 총 3회에 걸쳐 참여관찰을 실시하는 것이었으나, 프로그램이 중반인 10월부터 수능시험을 준비하는 학생들의 잦은 결석으로 인해 정상적인 수업진행에 차질을 빚었음. 이로 인해 참여관찰 1회를 강사의 협조 하에 FGI형식으로 대체하여 실시하였음.

Page 89: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70|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인 시나리오 작업 착수

- 2차: 안무 담당 선생님과 12월 공연을 위한 동작·춤·노래 연습

<표�Ⅳ-9>� 참여관찰�대상자�특성� 및� 실행�일자

ㅇ 참여관찰에 참여한 인원은 강사 3명, 학생 12명으로 총 15명이었으며(중복인원포함), 수업

이 시작되는 오전 10시 30분에 시작하여 11시 45분에 종료됨. 관찰기록지는 수업시작을

기점으로 5분 단위로 작성되었으며, 서술적 관찰과 연구자의 해석을 분리하여 반추노트(분

석메모)에 반영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음.

3.1.2 참여관찰 분석결과

ㅇ A소년원학교의 프로그램은 학생 자신을 소재로 한 뮤지컬 작품을 기초로 직접 스토리와

시나리오를 기획하고 이를 통해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복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써 자기 자신에 대한 통찰력과 자아존중감을 획득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음

이 관찰됨.

참여관찰 대상자 연령� 성별 소년원학교� 생활기간

1차

2014.�

10.� 07

강사1 30대 남 -

강사2 20대 여 -

학생1-1 19세 남 13개월�

학생1-2 17세 남 14개월�

학생1-3 19세 남 15개월�

학생1-4 19세 남 15개월�

학생1-5 19세 남 13개월�

2차

2014.

11.� 11

강사3 30대 남 -

학생2-1 19세 남 자료없음

학생2-2 17세 남 자료없음

학생2-3 19세 남 자료없음

학생2-4 19세 남 자료없음

학생2-5 19세 남 자료없음

학생2-6 18세 남 자료없음

학생2-7 18세 남 자료없음

Page 90: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71

ㅇ 참여관찰 당시 소년원학교 학생들은 12월에 시연하게 될 뮤지컬 공연 준비를 위해 음악,

춤, 연기, 시나리오 작업 등을 다양하게 행하며 실제 작품발표를 위해 필요한 과정들을 접

하고 있었으며, 특히 시나리오 작업을 통해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답을 하고, 이를

사용하여 자기 자신에 대한 고백을 무대에서 공개한다는 점은 뮤지컬이라는 장르를 통해

서 자기성찰과 자아존중감을 자연스럽게 체득하는 기회가 되는 것으로 보여졌음.

ㅇ 참여관찰의 주된 목적은 해당 소년원학교의 환경적 특수성과 이와 연관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이해하기 위함이었음. 관찰기록지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배경의 경우 5개의 하위

요소로 교육효과의 경우 4개의 하위요소가 도출되었음.

ㅇ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중, 보편적 효과와 특수적 효과로 분류한 기준은 참여관찰 분석 결과

도출된 환경적 특수성과 연관이 깊은 것을 특수적 효과로 분류하였음. 보편적 효과는 참

여자를 둘러싼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지 않는 일반적인 효과들로 문화예술교육관련 연구

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고 있는 요소임.

<표� Ⅳ-10>� 참여관찰�분석내용�결과

ㅇ 이와 대조적으로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특수적 효과로 구분된 요소들은 참여자의 맥

락적 상황을 고려하여 분류한 것으로 관찰 당시 연구자의 관찰기록지 노트를 참고하여 환

경적 특수성을 그 근거로 구분하였음. 즉, 환경적 맥락을 고려하여 그 효과를 구분한 것으

로 환경적 특수성을 고려한 효과를 소년원하교 문화예술교육의 특수적 효과로 분류함.

(1) 배경: 환경적 특수성

과정틀 구분� 분석내용

배경

환경적�특수성

Ÿ 소년원학교의� 지리적�위치로� 인한� 다양한� 외부� 관심과� 빈번한�

접촉

Ÿ 적극성과�자발성이�담보되어야�하는�참여�조건

개인적�특수성

Ÿ 상대적으로�밝은�표정과�적극성

Ÿ 꿈과�계획에�대한� 구체화�과정� 도입기

Ÿ 상처와�어두운�기억들,� 그리고�외로움

교육효과

문화예술교육의�

보편적�효과

Ÿ 의사소통기술�및�팀�능력

Ÿ 예술에� 대한� 관심과� 열정을� 지속� 할� 수� 있는� 끈이자� 꿈을� 키

우는�기반�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특수적�효과

Ÿ 소년원학교�환경에�대한� 스트레스�해소와�이를� 통한�즐거움

Ÿ 외부시선에�대한�두려움을�이겨낼�수� 있는�격려와�관심

주요�시사점Ÿ 밝은�표정과�꿈이�있는,� 그렇지만�상처와�어두운�기억,� 외로움이�큰�아이들

Ÿ 강사�역할의�중요성-단순�문화예술교육강사가�아닌�인생의�멘토역할

Page 91: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72|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 상대적으로 다양한 외부 관심과 접촉

ㅇ 소년원학교 담당교사와의 비공식 인터뷰를 통해 A소년원학교는 위치적 특성 상 하루에도

수많은 사람들과 기관이 다양한 이유로 소년원학교를 방문하고, 이로 인해 학생들도 자연

스럽게 외부의 관심을 받아들이고 소통하는 계기가 되었음을 확인하였음. 이는 아이들에

게 상당히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됨 (2014. 10. 28일 비공식인터뷰).

▪ 적극성과 자발성이 담보되어야 하는 참여 조건

ㅇ 이와는 다르게 수업을 진행하는 강사의 경우, 위치적 특성보다는 문화예술교육에 자발적으

로 참여하는 학생의 성향이 이미 그 환경적 조건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해석함. 뮤지컬 프

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자발적으로 오디션 장소에서 사람들 앞에서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춰야함. 이러한 선발과정에 있어 참여하고자 하는 마음과 자세가 되어있는 것 자체

가 참여그룹과 비참여그룹을 근본적으로 나누는 특수성이 있다고 답변함(2014. 10. 28일

비공식 인터뷰).

(2) 배경: 개인적 특수성

▪ 상대적으로 밝은 표정과 적극성

ㅇ 강사가 지적한 바와 같이, 참여관찰 시 참여 학생들의 분위기는 매우 적극적이었음. 아이

들의 표정과 말투가 소년원학교에 수감 중이라는 것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유쾌하고 밝았

음. 그 예로 자신을 소개할 때 주저 없이, 각자가 뮤지컬 반에서 에이스라고 소개하며 연

구자에게 먼저 말을 걸고 대화를 시작함(2014. 10. 07. 관찰기록노트).

ㅇ 소년원학교라는 행동의 제약을 받는 곳에서 생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쾌활함이나 유쾌

함을 잃지 않는 이유는 소년원학교 담당교사와 강사의 태도와 행동 모두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판단됨. 또한 연구자의 관점에서 보자면 강사의 태도 또한 아이들에게 중요한 영

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됨.

연출자와 연기선생님 모두 매우 유쾌함. 이러한 유쾌함은 아이들의 어두운 면도 순간적이나마 밝게

비추는 힘이 되어주는 인상을 받았음. (2014. 10. 7. 관찰기록노트)

외부인에 대한 경계심보다는 관심과 친밀한 관계에 대한 욕구가 있는 것으로 보임.

(2014. 11. 11. 관찰기록노트)

지도 선생님(남)이 학생들과 친구처럼 편안한 분위기를 이끌음. 지도 선생님이 먼저 시범을 보이며

부족한 부분에 대한 코치를 해주고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배우고자 하는

열의를 가질 수 있도록 도움. (2014. 11. 11. 관찰기록노트)

두 학생이 서로 장난치며 자신감 있게 댄스동작을 수행. 선생님의 칭찬으로 더욱 적극적으로 변하는 것이

Page 92: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73

보임. 지도 선생님이 동작을 잘 하는 것 보다는 마음을 담는 작업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전하자 아이들이

확실히 달라짐. (2014. 11. 11. 관찰기록노트)

▪ 꿈과 계획의 구체화 과정 도입기

ㅇ 참여학생의 연령층은 17세부터 19세이지만, 대부분이 19세이고 참여관찰 당일 많은 인원

이 수능준비로 불참한 것으로 보아 대부분의 연령이 19세에 집중되어 있을 것으로 추측

됨.

ㅇ 이러한 이유로 참여관찰 당일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경우 대학진학에 대한 의지나 의사

가 없을 것이라고 추측하였으나, 놀랍게도 참여관찰 1회에 만난 학생들 중 1명(17세)을

제외한 19세 전원 모두가 대학입학 예정자이거나 이미 입학면접을 마친 상태였음. 이들의

경우, 마술전공, 음악실용학과, 호텔외식조리과 등 전공 또한 다양했으며, 자신들이 현재

소년원학교에 속해있는 반(예: 한식조리반, 마술반, 제과제빵과)과 대학전공이 연계되어 있

는 것으로 보아 자신들의 꿈이나 진로를 역설적으로 소년원학교를 통해서 찾은 것으로 해

석됨. 또한 아이들이 내재적으로 가지고 있는 적극성이 자기 주변에 있는 활로와 요소에

대해 타 수감생들보다 적극적으로, 그리고 집단으로서 시너지 효과를 불러왔을 수도 있음.

ㅇ 특히, 연출자가 시나리오 작업을 위해 ‘나는 누구이고 무엇을 하고 싶은가’라는 질문에 대

해 대학진학을 앞둔 19세 학생들 모두 매우 구체적인 꿈과 계획을 가지고 있음이 발견됨.

마술에 대한 자부심과 대학에서의 새로운 삶에 대해 매우 희망적이고 구체적인 계획들을 가지고 있는 듯

보임. 노래, 연기, 춤 중에 자신은 연기를 잘하며, 특히 표정연기에 자신이 있다고 함. 이는 마술에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함. 앞으로의 계획은 마술을 이용해 공연을 통해 살고 싶다고 함.

(학생1-1, 2014. 10. 7. 관찰기록노트)

(시나리오 작업 중) 대학진학에 관해서 기대감도 크지만 주위를 실망시키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토로함.

장래의 꿈은 재단을 설립하여 기독교 CM송을 전문으로 다루는 공연을 하고 다니며 공연기획자로 활동하는

것임.

(2014. 10. 7. 관찰기록노트)

대학입학예정으로 특별 가퇴원 신청 예정임 (2월 퇴소). 대학생활은 지킬&하이드 박사처럼 하고 싶음.

미친 듯이 공부하고 미친 듯이 노는 학생이 되려함.

(2014. 10. 7. 관찰기록노트)

마술전공으로 대학입학예정임. 매직컬(매직과 뮤지컬의 조합)이라는 장르를 강조함으로써 자신의

전공분야에 대한 애정을 드러냄. 추후 계획은 대학진학 후에 많은 마술대회에 나가 실력을 쌓고,

마술올림픽을 통해 최우승자가 되는 것.

(2014. 10. 7. 관찰기록노트)

Page 93: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74|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 상처와 어두운 기억들, 그리고 가족 간의 불화로 인한 외로움

ㅇ 학생들은 12월에 뮤지컬 공연을 준비하며, 자신의 이야기를 시나리오에 반영함. 이와 더불

어 공연 당일 외부인을 초청할 수 있음.

ㅇ 누구를 초청하고 싶은지 묻는 연출 선생님의 질문에 대부분 밝던 아이들의 표정이 어두워

지는 것이 관찰되었음. 부를 사람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이는

아이들 마음에 가족과 관련하여 무언가 큰 상처와 어두운 기억들이 잠재해 있음을 추측할

수 있게 하였음.

자신의 삶을 “밑바닥을 기어 다녔다”로 표현함. 15세부터 이런 곳을 경험해보고, 제주도(소년원학교 중

가장 힘든 곳)의 훈련소 생활도 언급함.

(학생1-1, 2014. 10. 7. 관찰기록노트)

공연에 부르고 싶은 사람에 대해 묻자 얼굴이 갑자기 어두워짐. 그러나 곧 집안에 부를 사람이 없다고

담담히 이야기함. 할머니와 큰아버지 정도를 이야기 한 후 자신은 가족과 사이가 좋은 편이 아니라고 함.

(학생1-1, 2014. 10. 7. 관찰기록노트)

부를 사람으로 고모를 지목하고 가족관계에 대해서는 더 이상 말이 없음.

(학생1-2, 2014. 10. 7. 관찰기록노트)

가족과는 사이가 매우 좋지 않기 때문에 공연에 부르지는 못할 것 같다고 답함.

(학생1-5, 2014. 10. 7. 관찰기록노트)

(3) 교육적 효과: 문화예술교육의 보편적 효과

▪ 의사소통기술 및 팀능력

ㅇ 수업 시 서로 어려운 춤동작을 고쳐주고, 서로 함께 연습하는 모습을 보이며 의사소통기술

및 팀 능력을 강화시키는 기회로 삼고 있는 점이 반복하여 포착되었음.

ㅇ 이는 학생들끼리 서로 부족한 부분을 알려주고 배우면서 타인과 소통하는 방법에 대해 배

울 수 있는 기회라고 사료됨.

학생2-7의 경우 초반엔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줬으나 학생2-5학생이 옆에서 함께 연습하며 알려주니

열심히 따라함. (2014. 11. 11. 관찰기록노트)

학생2-1, 학생2-2, 학생2-4학생은 동작이 잘 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 공유하며 함께 연습함.

(2014. 11. 11. 관찰기록노트)

▪ 예술에 대한 관심과 열정을 지속 할 수 있는 끈이자 꿈을 키우는 기반

ㅇ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학생들도 자신이 잘한다고 생각하는 춤이나 노래에 임할 때 놀랄 만

Page 94: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75

큼 진지한 태도를 보였으며, 강사에게 적극적으로 질문하며 자신의 꿈을 키우는 기회로

활용하고 있음이 확인됨.

학생2-3은 초반과 달리 지도 선생님께 적극적으로 질문도 하며 댄스 연습을 함.

(ex. “저는 나중에 작사나 작곡을 하고 싶은데 어떤 것부터 해야 될지 모르겠어요.”)

(2014. 11. 11. 관찰기록노트)

학생2-6의 경우 자신의 진로에 대해 지도 선생님께 조언을 부탁함.

(ex. “저는 나중에 노래 부르는 일을 하고 싶어요.”)

(2014. 11. 11. 관찰기록노트)

다른 참여자에 비해 가장 위축되고 자신이 없어 보였으나 노래 부를 때는 태도나 표정이 틀려 보였음.

매우 진지하고 열정이 느껴짐. (2014. 10. 7. 관찰기록노트)

(4) 교육적 효과: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특수적 효과

▪ 소년원학교 환경에 대한 스트레스 해소와 즐거움

ㅇ 수업의 일환이라기보다는 학생들이 서로 교감하고, 협동하며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즐기는

시간이라는 인상이 들었고, 이는 소년원학교 환경에서 학생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쉼표와

같은 시간이라고 추측됨.

ㅇ 특히, 자발적으로 자신이 지원해서 수업에 임하는 것은 스트레스 해소 뿐 아니라 배움의

즐거움을 더욱 강화하는 차원에서 중요하다고 보임.

수업, 교육이라는 느낌보다는 함께 즐기면서 재미있게 스트레스를 풀 수 있는 시간으로 느껴졌으며

학생들 역시 지루해하는 모습 없이 수업에 열의를 가지는 것이 느껴짐.

(2014. 11. 11. 관찰기록노트)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지도 선생님께 자신이 궁금한 부분에 대해 질문하며 수업이 끝나는 것에 대해

아쉬워함. (2014. 11. 11. 관찰기록노트)

▪ 외부시선에 대한 두려움을 이겨낼 수 있는 격려와 관심

ㅇ 수업 강사의 역할은 단순히 안무선생님, 노래선생님, 연기선생님 만이 아닌, 따뜻한 조언

자이자 상담자 그리고 함께 성장의 즐거움을 공유하고 확인해 주는 사람이라는 것이 관찰

되었음.

ㅇ 관찰기록노트를 통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가장 주요한 시사점은 수업의 분위기를 주도하

는 강사의 역할이었음. 밝은 표정과 꿈이 있는, 그렇지만 상처와 어두운 기억과 두려움이

큰 아이들에게 더욱 강사의 관심과 역량과 소년원학교 아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가 필

요하다는 점이 주요 시사점으로 도출됨.

Page 95: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76|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학생2-5의 경우 소년원학교에 있으면서 갖게 된 불만을 강사선생님께 이야기함 (ex. “제가 소년원에

있다고 깎아내리려고 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은 것 같아요”)...선생님이 학생의 불만에 대해 “여기서의 경험은

너희만 가지고 있는 것이며 이것은 그냥 지나가는 시간이 아니다. 우리가 함께 했다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학생들에게 용기를 북돋아 줌.

(2014. 11. 11. 관찰기록노트)

학생들도 선생님의 이야기를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스스로를 아낄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선생님의

이야기에 고개를 끄덕이는 모습이 문화예술교육으로만 느낄 수 없는 교감이 이루어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음. (2014. 11. 11. 관찰기록노트)

3.2 심층인터뷰: FGI(표적집단면접)와 PII(개별심층면접) 분석 결과

ㅇ 심층인터뷰 실행기간은 2014년 10월부터 12월 중순까지 약 두 달 동안 이루어졌으며, 학

생의 경우 소년원학교 1개소를 제외한 모든 인터뷰는 FGI(표적집단면접) 형식(n=19)으로,

강사(n=5)와 관계자(n=6)의 경우는 PII(개별심층면접)형식으로 이루어졌음.

ㅇ 심층인터뷰의 경우 참여관찰에서 수집하지 못했던 연구참여자의 심리적 요인과 욕구, 생

각, 동기 등을 질의응답을 통해 다양하고 심도 있게 분석 하는 것에 목적이 있음.

ㅇ 심층인터뷰는 반구조화기법으로 수행되었으며, 주요 인터뷰질문은 아래와 같음.

<표�Ⅳ-11>� 대상별� FGI� 인터뷰�주요질문

대상 인터뷰� 질문

참여�학생

-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은�본인에게�어떤� 도움/영향/변화를�주었나?

-문화예술교육에�참여하면서�가장�기억에�남는�일(좋았던�일과�나빴던�일)은�무엇인가?

-자신의�인생에서�문화예술교육참여는�어떤�의미였는가?(동기포함)

-문화예술교육참여를� 통해� 이제껏� 몰랐던� 새로운� 것을� 알게� 된� 것이� 있다면,� 그것은� 무

엇일까?

진행�강사

및�기획자

-교육자의�관점에서�소년원학교의�문화예술교육�기획은�어떤�의미였는가?

-기억에�남는� 참여학생의�변화(에피소드,� 태도,� 교우관계�등)는�무엇인가?

-교육�진행�과정에�있어�가장� 의미�있었던�일은�무엇인가?

-교육�진행에�있어�가장�힘들었던�점은� 무엇인가?

-향후�문화예술교육의�개선점과�발전에�대해�어떻게�생각하는가?

소년원학교�

담당교사

-향후�문화예술교육의�개선점과�발전에�대해�어떻게�생각하는가?

-기억에�남는� 참여학생의�변화(에피소드,� 태도,� 교우관계�등)는�무엇인가?

-기관의�관점에서�볼�때�문화예술교육실행은�학교�내부적으로�어떤�변화를�가져왔는가?

Page 96: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77

3.2.1 심층인터뷰 개요 및 참여자 인적 사항

ㅇ 심층인터뷰 참여자는 총 3그룹으로 소년원학교 학생(n=19), 문화예술교육 강사(n=5), 소년

원학교 담당교사(n=6)로 총 30명이 참여함. 이 중 학생의 경우 전원 남학생이였으며, 강

사나 관계자의 경우도 남성의 비율이 월등히 높음.

ㅇ 심층인터뷰 참여학생의 경우 대다수가 19세(n=7)에서 20세(n=7)로 연령이 높았으며, 참여

학생의 평균나이는 18.95세임. 강사의 경우 D소년원을 제외하고 상대적으로 젊은 층이 강

사로 활동하고 있는 것이 확인됐으며, 관계자의 경우는 연령대가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음.

<표� Ⅳ-12>� 참여관찰�대상자�특징� 및� 인터뷰�시행� 일자

구분 시설 일시 연령 성별 코드

소년원학교�

담당교사

A소년원 2014.10.28 50대 남 A가

B소년원 2014.10.2640대 남 B가1

30대 남 B가2

C소년원 2014.10.14 40대 여 C가

D소년원 2014.11.1327세 남 D가1

50대 남 D가2

소계 - - - - 6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강사

A소년원학교2014.10.28 30대 남 A나1

30대 남 A나22014.11.11

30대 여 B나B소년원학교 2014.12.10

30대 여 C나C소년원학교 2014.11.06

60대 남 D나D소년원학교 2014.11.05

소계 - - - - 5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학생

A소년원학교 2014.10.28

19세 남 A다1

17세 남 A다2

19세 남 A다3

19세 남 A다4

19세 남 A다5

B소년원학교 2014.10.26

18세 남 B다1

18세 남 B다2

19세 남 B다3

20세 남 B다4

Page 97: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78|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3.2.2 참여학생 심층인터뷰 분석 결과

ㅇ A소년원학교의 뮤지컬 프로그램, B소년원학교의 난타 프로그램, C소년원학교의 무용 프로

그램, D소년원학교의 합창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 FGI는 이들의

참여동기, 문화예술교육의 보편적 효과와 소년원학교 내 특수적 효과, 그리고 이를 더욱

효과적으로 만드는 지속요인과 이를 방해하는 저해요인을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함이었음.

ㅇ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중, 보편적 효과와 특수적 효과로 분류한 기준은 응답자의 인용문의

맥락이 기준이 됨. 즉, 응답자가 자신의 처한 현재 환경이나 상황에 집중하기 보다는 거시

적인 맥락 안에서 프로그램에 대한 생각이나 느낌을 이야기 할 시, 이를 보편적 효과로

분류하였음.

ㅇ 이와 대조적으로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특수적 효과로 구분된 요소들의 경우, 응답자

자신이 현재 처한 상황(i.e., 소년원학교에 귀속)과 결부시켜 프로그램이 주는 혜택이나 효

과에 대해 서술한 것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음. 이는 환경적 맥락을 고려하여 그 효과를

구분한 것으로 환경적 특수성을 고려한 효과로 분류됨.

ㅇ 심층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과정부호화분석을 위한 틀을 통해 분석한 결과,

배경에는 5개의 상위주제 요소를 중심으로 6개의 하위주제 요소가, 교육효과의 경우 보편

적 효과에 9개, 특수적 효과에 4개의 하위주제 요소가 도출되었으며, 제언에는 총 3개의

주제요소가 드러났음.

19세 남 B다5

C소년원학교 2014.10.14

20세 남 C다1

20세 남 C다2

20세 남 C다3

20세 남 C다4

18세 남 C다5

D소년원학교 2014.11.13

19세 남 D다2

17세 남 D다3

20세 남 D다4

남16세 D다5

-- 19소계 - -

-- 30총계 4 -

Page 98: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79

<표�Ⅳ-13>� 참여학생� FGI� 분석내용�결과

(1) 배경: 참여 동기

ㅇ 수동적 지원동기의 경우, 소년원학교의 학생들 또한 여느 청소년들과 마찬가지로 장르에

대한 순수한 호기심 그리고 선생님과 주변인의 권유 및 추천이 주요 지원동기인 것으로

드러남.

ㅇ 능동적 지원동기의 경우, 과거 문화예술 경험에 대한 체험이나 경험이 긍정적인 기억으로

남아, 이러한 기억이 촉매가 되어 자발적으로 지원하게 되는 경로가 파악됨. 또한 자신의

과정틀 구분� 분석내용

배경

지원동기

수동적Ÿ 장르에�대한�순수한�호기심

Ÿ 주변의�권유와�추천

능동적Ÿ 과거의�긍정적�경험� (또는�기억)

Ÿ 장르에�대한�개인적�선호

지속요인Ÿ 주변의�격려와�칭찬

Ÿ 과거의�문화예술을�접했던�긍정적�기억

저해요인Ÿ 쑥스러움과�타인의�평가에�대한�부담감

Ÿ 운동�및� 기타�활동적인�프로그램에�대한� 포기

교육효과

문화예술교육의�

보편적�효과

장르적�효과Ÿ 자기�신체에�대한� 재인식(무용)

Ÿ 협동과�가사를�통한�새로운�시각(합창)

탈장르적�효과

Ÿ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재인식을� 통한� 자신감�

향상�

Ÿ 상상력과�창의력을�통한� 성취감

Ÿ 협동기술�및�공감능력�향상

Ÿ 자아의�발견�및�확신

Ÿ 타인에�대한�재인식�또는�발견

Ÿ ‘우리’라는� 것의� 인식을� 통한� 공동체� 정신�

함양

Ÿ 미래의�적극적�문화예술향유자�전환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특수적�효과

Ÿ 끊임없이� 반복되는� 소년원학교� 일상에서� 기분을� 전환해주는� 쉼

표�

Ÿ 분출,� 표현,� 몰입을�통한� 스트레스�해소와�그에� 따른�즐거움

Ÿ 한정되어�있는� 환경에서� 매� 주�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할� 수� 있

다는�설렘과�기다림

Ÿ 갇혀진�공간에서�정체되어�있지�않다는�안도감

제언

Ÿ 커리큘럼에�대중적이고�현대적인�장르�도입

Ÿ 눈높이에�맞는�수업과�고차원적인�접근

Ÿ 충분하지�못한�시간과�악기

Page 99: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80|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재능을 인지하고 자연스럽게 선호하는 경향을 가짐으로써 자발적으로 선택하게 되는 것으

로 능동적 지원동기 역시 여느 청소년들과 크게 틀리지 않는 것으로 드러남.

ㅇ 주목할 점은, 소년원학교 학생의 경우 문화예술에 대한 선경험이 또래집단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므로 자발적 참여를 기대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때문에, 소년원학교 학생에게는 선

생님이나 주변인의 자연스러운 권유나 추천을 통해 거부감 없이 문화예술경험에 임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환경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음.

▪ 수동적 지원동기: 장르에 대한 순수한 호기심과 주변의 권유 및 추천

선생님들이 한번 해보라고해서 하게 되었어요. (C다4)

이거 배우게 된 계기는 재미있을 것 같아서, 배우게 되었는데

마음이 편해지고 좋을 것 같아서 배운거 같아요. (C다3)

인성 프로그램 중에 하나인데, 하라고 해서 했는데, 처음엔 진짜 별로였어요.

재미없었는데 하다보니까 이 프로그램 내용처럼 좋았던 것 같아요.

춤의 리듬이 삶의 리듬으로 바뀌는 생활 속에 좀 재밌었던 것 같아요. (C다5)

첨엔 어떤 형이 하자해서 했는데 그 형 안되서 계장님이 면접만 보고 가라고 했는데, 선생님이 목소리가

좋다고 해서 하게 되었는데......재미있을 것 같아서 하게 되었어요. (D다1)

▪ 능동적 지원동기: 과거의 긍정적 경험과 장르에 대한 개인적 선호

저 초등학교때 수련회 갔을 때 그 드럼같은거 해가지고 이렇게 수련회 때 했었거든요. 5학년땐가? 아

중학교땐가? 그 기억이 있어가지고 한다그랬을 때 ‘어, 난타 한번 해볼까?’

나도 해봐야 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B다1)

원래 노래도 좋아했고, 여기오기 전에 부산에서도 부산합창단 있는데,

거기서도 연습 해왔는데 여기서도 합창단 있다길래...... (지원하게 되었어요).

노래도 많이 좋아져서 그래서 신청하게 되었습니다. (D다2)

(2) 배경: 지속요인과 저해요인

ㅇ 소년원학교 학생들을 문화예술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고 효과성을 강화하는 지속

요인으로는 주변, 특히 강사의 격려와 칭찬이 중요한 것으로 드러났음.

ㅇ 반대로 이를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자발적으로 자원할 때 드러나는 동료집단 속에서의 쑥

스러움과 이에 대한 주변의 평가로 파악됨. 특히, 오디션을 보아야 하는 경우 타인 앞에서

공개적으로 춤과 노래를 하는 행위는 기존의 경험을 통해 축적된 자신감 없이는 성인에게

조차 쉬운 일은 아니므로 이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을 낮게 해주는 전략적 모색이 필요한

Page 100: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81

것으로 보임.

▪ 지속요인: 주변의 격려와 칭찬

저는 뒤늦게 배웠거든요. 다른 애들보다 좀 뒤늦게 배웠는데, 안하다가 뒤늦게 참여했는데

처음엔 아무것도 못하잖아요. 쉽게 못 따라하고 못할 즐 알고처음에 뒤에 앉아있었거든요? 못 따라가고

못할 줄 알고......근데 참여하라대요. 선생님이 그런데 처음부터 하나부터 열까지 절 기억하고

지도해주시니까 좋았던 거 같아요. 그래서 좀 더 관심 있게 된 거 같아요. (C다3)

선생님들이 못하고 그래도 칭찬해주시니까 힘나고 재밌었던 거 같아요. (C다4)

선생님이 다 같이 부를 때말고, 지목해서 저에게 부르라고 하실 때, “아 내가 잘하니까 부르라고

하시겠지”라고 해서, 기분이 좋아요. (D다3)

▪ 저해요인: 쑥스러움과 타인의 평가에 대한 부담감

여기 오디션에 내려오는 것 자체가, 저희 같은 애들 경우는 철판 까는 걸 잘 하는데.

얘네 들은 오디션 오고 싶은데 못 오는 애들도 많고. 부끄럽잖아요. (A다1)

누군가 앞에서 노래를 부르고 하는 것 자체가, 노래를 엄청 잘 하면 뽐낼 수 있는데. 대부분이 잘

못한다고 자기가 느끼니까. 오면 다 창피하잖아요. 그래서 못해요 애들이. (A다2)

아마 오디션 오고 싶어 하는 애들이 거의 대부분일거에요. 왜냐하면, 여기 가만히 앉아있으면 뭐해요.

오디션 볼 사람 남아라. 하면 다 남죠. 솔직히. 다 남고 싶죠.

근데 막상 똑같이, 앞에서 보이니까. 그게 창피하고 자기 딴에는 자존심이 상하니까.

그래서 안 오는 것 같아요. 제가 봤을 땐. (A다3)

(3) 교육효과: 문화예술교육의 장르적 보편적 효과

ㅇ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중 보편적 효과로 크게 장르적 특성을 통해 발현되는 효과와 전체적

인 맥락에서 발현되는 효과로 나눌 수 있음.

ㅇ 장르적 특성에서는 참여학생의 FGI를 통해 개별적으로 큰 차이점을 드러내지는 않았으나

무용과 합창이 가지고 있는 특성이 교육적 효과 면에서 차별화된 결과를 보였음.

ㅇ 무용의 경우, 신체를 쓰는 장르로 자기 신체를 심미적인 목적을 위해 사용해 보는 새로운

체험에 입각하여 자기 신체에 대한 재인식을 통해 긍정적인 자의식을 형성해 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음.

ㅇ 합창의 경우, 다른 사람과 화음을 맞춰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함께하는 친구의 음성과

박자 등에 귀를 기울이며 서로 협력해야 한다는 점과 청소년이 쉽게 접하지 못하는 가곡

Page 101: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82|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이 가지고 있는 섬세한 가사 등을 접함으로써 새로운 관점과 해석을 용이하게 해주는 능

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이 확인됨.

▪ 무용-자기 신체에 대한 재인식

일주일에 한 번씩 맨날 하다보니까 자동적으로 몸도 스트레칭도 자주하고, 많이 유연해 지고, 즐기고,

그러는 거 같아요. (C다5)

전 여기 와서 살이 너무 많이 쪘는데, 살찐 거에 살찌면 몸도 좀 무뎌지고 그런데, 여기서 하니까 좀

금방금방 따라하고 이런 거 보니까, 아.. 좀 돼지들도 할 수 있을까 했는데, 어려운 건 아니구나. 생각

들었어요. (C다1)

▪ 합창-협동과 가사를 통한 새로운 시각

목에 힘주면서도 몰랐는데 그런 것을 알게 된 것 같아요.

다 같이 힘을 모아서 해야 된다는 것...... (D다2)

거룩한 속삭임이라고. 그 노래를 듣고. 얌전하면서도 좋아서, 그런 것을 듣고, 괜찮은 거 같다. 이런

생각을 하게 됐어요. “거룩한 천사의 음성, 내 마음을 두드리네”

이 가사가 너무 좋았거든요. (D다2)

(4) 교육효과: 문화예술교육의 탈 장르적 보편적 효과

ㅇ 소년원학교 학생과의 FGI 결과 중, 장르와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드러난 보편적 교육 효과

로 총 7가지의 하위요소가 발견됨.

ㅇ 문화예술교육의 보편적 효과로 분류한 기준은 FGI 질의응답 시 응답자가 자신이 처한 현

재 환경이나 상황에 집중하기 보다는 거시적인 맥락 안에서 프로그램에 대한 생각이나 느

낌 또는 경험에 대해 도출한 요소가 그 기준이 되었음. 또한 참고문헌 연구를 통해 파악

된 문화예술교육이 가지는 일반적인 효과들로 보편성이라는 점이 지지되는 요소들을 추출

하였음.

ㅇ 수집된 자료의 분석결과 파악된 하위요소는 자신감 향상, 상상력과 창의력을 통해 획득한

성취감, 협동기술과 공감능력 향상, 자아의 발견 및 확신, 타인에 대한 재인식(발견), 공동

체 정신 함양, 그리고 적극적 문화예술향유자로의 전환이 도출됨.

ㅇ 위의 요소들은 인터뷰에 응한 학생이 소년원학교라는 특수한 환경에 처하지 않은 상태, 즉

외부환경요소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이들이 소년원학교 밖에서 교육을 받았더라도 나

타날 수 있는 보편적 요소로 이해할 수 있음.

Page 102: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83

▪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재인식을 통한 자신감 향상

처음에 안 해보던 거 하고, 좀 창피하고 부끄러웠는데...샘들이 적극적으로 옆에서 도와주고 모르는 부분

알려주고, 잘 한다 칭찬도 해주니까.

점점 자신감 붙어서 열심히 한 것 같아요. (C다1)

그냥 춤추는 게 좋았어요. 처음 해보는 건데, 전 이런 거 못할 주 알았거든요?

그런데 해보니까 자신감도 생기고, 힘도 나고. (C다2)

조금 창피해서 그런 걸 못했는데, 자신감도 요즘 생기고 그러는 거 같아요.

이전엔 잘 못하고 수그러들었는데 지금은 그냥 불러요. (D다1)

▪ 상상력과 창의력을 통한 성취감

처음 다 아무도 공연할 줄 모르는데, 하나 하나씩 배우면서 그걸 맞춰가니까.

나중에는 어차피 완성이 되잖아요. 그렇게 만드는 게 좋아서...... (A다5)

한 주, 한 주 알아가는 거요. “이렇게 불렀어야 했는데, 이렇게 불렀네.”

이런 거 지적당하고 그런 것도 좋은 거 같아요. 새로 알아가는 거. (D다2)

연극 같은 대본을 주셔서 그거에 맞춰서만 하는 게 아니라 제가 그 사람이 되어서 그 사람이 대사를

다르게 어떤 걸로 바꾸면 더 재밌게 할 수 있을까 하고......

그런 걸 생각하거든요. 그런 게 재미있고 좋아요. (A다4)

▪ 협동기술 및 공감능력 향상

저희가 뭐 연기수업 같은 걸 할 때, 어떤 영화의 명장면을 커트커트 해서 세 컷으로 만들어내는,

조원들끼리 만들어내는 수업도 있었고 많았는데. 그런 부분에서 자기 아이디어를 내고 어떻게 하자고 하면서

얘기를 할 때 평소에 애들끼리 하는 말 보다, 서로 같은 목적이 있잖아요. 같은 목적이 있으니까 목적성에

의해서도 일단, 사람이랑 친구들한테 이야기하는 게 부드러워진 것 같아요. (A다1)

재밌는 거 보다는 여기 있으면서, 저희들끼리 이렇게 자체적으로 할 수 있는 것도 많이 없고 그런데 여기

있으면서 그런 것도 하게 되고, 협동심도 많이 길러지고, 그리고 막 좀 아무생각 없이 춤출 때는 춤에만

집중하게 되니까 정서적으로...... (C다1)

뮤지컬 자체가 혼자만이 아닌, 단체적으로 하는 느낌이잖아요. 그러다 보니까 서로 도와주고

그러다보니까 제가 안 친했던 사람들이랑도 또 친해지는 것 같고, 협동심도 그렇고.

많이 서로 배려해주고 도와주고,

그러니까 그런 게 많이 느는 거 같아요.

그런 순간순간이. (C다2)

Page 103: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84|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서로 자세 잡아주고 그러거든요. 마주보고, 혼자 했던 걸 같이 동료들이 도와주니까

더 잘되고 할 맛이 나고 그런 거 같아요. (C다3)

뮤지컬의 단합이라고 해야 하나? 그런 연결성이 있으니까.

그걸로 또 친화가 생기고 하는 거죠. (A다2)

▪ 자아의 발견 및 확신

저는 이거 뮤지컬하면서, 제 체질을, 제 체질에 대한 정체성을 좀 확실히 한 것 같아요. 원래 제가 밖에서

밴드 같은 걸 하다가도, 내가 무대체질이 맞나, 사람들 앞에서 나서는 체질이 맞나. 그런 의문성에 대해

확실히 하게 된 것 같아요. 이걸 하면서[......]나는 까부는 거 좋아하고 말하는 거 좋아하고 웃기는 거

좋아하고. 저는 나중에 하다가, 제가 한식조리반인데 자영업보다는 디너쇼 기획자 같은 걸 하고 싶어요.

(A다1)

▪ 타인에 대한 재인식 또는 발견

저런 성격의 애가 아닌데 저럴 수 있구나. 싶었어요. 아 그렇게 할 수 있구나. 굉장히 내용 자체도

감동적이어서. 제가 거위의 꿈 노래를 좋아하거든요. 어디 나가서 노래 불러봐라 하면 거위의 꿈을 불러요.

그때 (그 아이가) 거위의 꿈 불렀을 때 감동 많이 왔어요. (A다2)

제가 겪은 성격 상 OO이는 그런 성격이 아니었는데 무대 위에서는 바뀌더라고요. 밝게도 하고 캐릭터

자체가 그렇게 하더라고요. 아 쟤가 저런 면도 있었구나 싶었죠. (A다3)

▪ ‘우리’라는 것의 인식을 통한 공동체 정신 함양

아는 사람만 느낄 수 있는 거라고 해야 하나? 모르는 사람은 이걸(우리의 공연) 보면

노래 같은 거 할 때는 신날 수 있지만 이야기 할 때는 살짝 지루할 수 있거든요.

근데 뭔가 아는 사람이 봐야지 훨씬 잘 느끼는 것 같아요. (A다4)

여기 애들이 해서 여기 애들이 보니까 훨씬 의미가 있죠. 저희가 공연하는 걸 보면 사회인들이 봤을 때

이해가 안갈 수도 있잖아요. 어설플 수도 있고 그럴 수도 있는데

저희가 해서 저희가 보는 거니까 좀 더 의미가 있죠. (A다5)

▪ 적극적 문화예술향유자로의 전환

저는 밖에서부터 노래 듣고 부르는 걸 좋아해서, 여기서도 노래 부를 수 있는 거면 다 참가하거든요.

노래들을 수 있는 것도 다 참가하고. 그래서 저도 여기 온 거에요. (A다3)

뮤지컬 한 번도 본 적이 없어서. 보고 싶은 마음이 있긴 해요. 공연장가서. (C다4)

Page 104: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85

나가서 볼 것 같아요. <그리스> 뮤지컬 보고 싶어요. 엇, 저거 우리가 해 본 것 같은데 해서 흥얼흥얼

따라하며 볼 것 같아요. 이게 추억으로 남았잖아요. (C다5)

합창은 나의 두 번째 다리에요. 첫 번째는 축구다리,

두 번째는 제일 좋아하는 합창이니까. (D다2)

뮤지컬이나 연극 같은 거에 관심이 없었는데 여기 들어와서 한번 하니까 밖에 나가서도 뮤지컬이나 연극

같은 걸 보러 다니고 해 봐서 실력이 있으면 해보고 싶어요. (A다1)

(나가면) 취미로 할 것 같아요. 애들 모아서 동아리처럼. (B다1)

(5) 교육적 효과: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특수한 효과

ㅇ 소년원학교 학생의 FGI 결과 중, 이들이 생활하는 소년원학교라는 공간, 즉 주어진 환경

이 갇혀있는 조건이라는 점에서 좀 더 가시화되고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특수한 교육 효과

로 총 4가지의 하위요소가 발견됨.

ㅇ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특수한 효과로 분류한 기준은 FGI 질의응답 시 응답자가 자신

이 처한 현재 환경이나 상황과 집중적으로 결부시켜 프로그램에 대한 생각이나 느낌 또는

경험에 대해 도출한 요소가 그 기준이 되었음.

ㅇ 수집된 자료의 분석결과 파악된 하위요소는 하루의 기분을 전환해 주는 쉼표(휴식), (소년

원학교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오는) 스트레스 해소와 그에 따른 즐거움, 설렘과 기다림, 정

체되어 있지 않다는 안도감이 도출됨.

ㅇ 위의 요소들은 인터뷰에 응한 학생이 소년원학교라는 특수한 환경요소와 직결시켜 자신의

의견을 이야기 한 부분으로 문화예술교육의 보편적 효과라기보다는 맥락적인 특수성에 기

인한 효과로 구분하였음.

▪ 하루의 기분을 전환해주는 쉼표

네 그런 적도 있고, 의상도 있거든요? 가발도 하고 하면서

기분을 업 시키고 그런 거 같아요. (여기에 있으면 매일 똑같은 옷만 입는데)

한 번씩 달라 보이긴 달라 보이는 거 같아요. (C다1)

(여기서) 웃음이 많아진 거 같아요. 장난이 많아진 거 같아요. 원래 장난 같은 건 거의 안치거든요?

그런데 막 웃잖아요. 막.

창피하고 그러니까 웃기도하고 더 많이 웃는 거 같아요. (C다3)

계속 되어지는 시간표대로 주어지는 일정 중에 약간 쉼표를 주는, 그러한 쉼표.

Page 105: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86|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일주일 동안 열심히 헤어 실습을 해요. 솔직히 좀 질린단 말이에요

그러면 이제 난타 가서 힐링하는 거에요. (B다1)

지금은 조금씩 나아지고 있어요. 울컥하는 게 화날 때, 노래를 부르고,

그러면서 좀 삭히고 있어요. (D다4)

▪ 분출, 표현, 몰입을 통한 스트레스 해소와 그에 따른 즐거움

저는 그냥 재밌어요. 솔직히 여기서 갇혀 있는 거잖아요. 그래서 평소에 스트레스도 있고. 그냥 좀 압박감

같은 게 있잖아요. 스스로요. 그런데 여기서 하면서 다 풀리는 것 같고.

제가 좋으니까. 재밌는 것 같아요 계속하는 게. (A다2)

처음에는 그렇게 재밌지도 않고, 왠지 모르게 기분이 우울하고 그랬는데요. 딴생각 하니까, 생각도,

그랬는데요. 하다보니까 재밌고 흥미도 생기고. 재미있는 것 같아요. (C다4)

그냥 재밌어요. 음악에 맞춰서 하는데요. 뮤지컬 말고 다른 음악도 배우는데요.

그걸 배우면 마음이 편하고 아무생각도 안 들어요. (C다5)

솔직히 자유롭게 움직이지도 못해서 답답한데 난타 시간 딱 되가지고 그냥 가서

장구 들고 치면은 뭐지 스트레스 많이 풀려요. 이렇게 세게 두들기고 하면은

스트레스도 풀리고 활동량도 있으니깐. (B다2)

답답함이 풀리는 것 같고...그게 제일 좋은 것 같아요. (B다3)

▪ 매 주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할 수 있다는 설렘과 기다림

그냥 평상시에는 운동 같은 거 하고 그러는데

화요일 목요일부터는 아침부터 혼자 노래연습하고 그래요. (D다3)

(평소에는 소리도 지를 수 없으니까) 설레요.

일단 노래해서 스트레스 푼다는 게 설레고 오늘은 무슨 노래할까? (D다4)

▪ 갇혀진 공간에서 정체되어 있지 않다는 안도감

일단 여기가 자유라던가 친구들하고 연락이라던가 이런 거 자체가 억압되어 있잖아요.

그런 부분에서 가만히 여기에서 말 그래도 갇혀있다기 보다는 여기서 퇴원을 하거나 이런 걸 할 때,

뮤지컬 같은 활동을 하고 노래를 배우고고 뭘 하고. 경험이 되잖아요. (A다1)

어느 정도 배우고 있다는 느낌이 드니까 기본적으로. 우리가 이걸 경험하고, 경험을 통해 실력이

늘어가는 거니까. 그런 부분에서 마냥 갇혀 있는 게 아니니까.

Page 106: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87

그 부분에서 저희가 다른 애들보다 밝죠. 기분이 좋죠. (A다4)

(6) 제언: 바라는 점

ㅇ 대다수의 학생들은 높은 만족감을 표시했으나, 바라는 점 또는 개선되었으면 하는 점에 있

어 대중적이고 현 트렌드를 반영하는 음악, 무용이나 새로운 장르에 대해 배우고자 하는

욕구가 파악됨.

ㅇ 소수였지만 자신의 눈높이에 맞는 수준별 수업을 원하는 경우도 있었음. 또한 기계적으로

짜 맞추어진 시간 안에서 좀 더 여유롭게 수업을 즐겼으면 하는 점과 몇 점 안 되는 악기

로 음악활동에 제약을 받는 점도 언급함.

ㅇ 교육적 효과라는 측면에서 보면, 피교육자의 동기, 의욕, 태도가 매우 중요한 변수이므로

이러한 변수를 고려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것이 필요함.

▪ 커리큘럼에 대중적이고 현대적인 장르 도입

전 대중가요를 했으면 좋겠어요. 대중가요 아니면 약간 신나는 음악 있잖아요. 아리아리랑 이런 거 말고

약간 그.. 비트 있는 걸로. (B다2)

아 이런 부분은 좀 더 넣음 좋겠어요. 가수 엑소나 중독같은거나 좀 넣었음 좋겠어요. 으르렁이나 엑소,

젊은 거 했음 좋겠어요. (B다3)

나이가 좀 더 젊은 층 선생님들이. 춤을 못 추시는 건 아닌데요.

저희 나이대랑 다른 이상한 허니 춤을 춥니다. (C다2)

▪ 눈높이에 맞는 수업과 고차원적인 접근

다른 곳에서는 좀 더 섬세하게 가르쳐 주시는데, 여긴 어린애들도 있어서인지 그렇게 섬세하진 않은 것

같아요. 자기 파트가 있는데 테너나, 바리톤이나 그런 게 있는데 여긴 그냥 안정해 주시고 낮은 부분 불러라

높은 부분 불러라, 거기선 다 구분해서 테너 하는 팀 바리톤 하는 팀, 거긴 학생이 피아노 치고, 피아노

선생님께 배워서, 거기 학교 축제 때 하고 그래서 되게 많이 늘었어요. (D다3)

▪ 기타 제약: 충분하지 못한 시간과 악기

시간이 너무 짧은 것 같아요. (B다3)

건반, 건반이 없는 게 아쉬워요. 건반 치고 싶은 사람은 건반하고 약간 이런 식으로. (B다4)

Page 107: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88|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3.2.3 강사 PII(개별심층면접) 분석 결과

ㅇ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강사를 대상으로 실시된 FGI는 본 연구의 목적인 문화예술교육

의 효과성을 질적인 측면에서 도출하기 위해 구성되었음. 따라서 여러 차례 문화예술교육

을 통해서 소년원학교 학생들을 만난 강사들의 현장 교육경험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교육

참여과정에서의 변화와 의미 있는 요소들을 도출하고자 하였음.

ㅇ 본 인터뷰에 참여한 강사는 4개의 시설에서 강사로 활동하고 있는 5명을 대상으로 이루어

졌음.

<표�Ⅳ-14>� 강사� PII� 참여자특성

ㅇ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강사들에게는 연구방법에 제시된 것과 같이, 다음과 같이 다섯

개의 연구 질문이 주어졌으며, 이는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기획 의도와 교육진행 과

정에서의 사례, 개선점 및 향후 발전에 대한 제안 중심으로 이루어졌음. 이에 대한 분석결

과는 아래와 같이 분석되었음.

ㅇ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중, 보편적 효과와 특수적 효과로 분류한 기준은 응답자의 인용문에

서 그 맥락이 기준이 됨. 즉, 참여학생들의 FGI 분석과 마찬가지로 참여강사의 응답 중

학생들에게 발현된 효과의 기반을 소년원학교와 결부시켜 대답하는 것은 특수적 효과로,

그렇지 않은 것은 보편적 효과로 분류하였음. 다만 강사의 경우, 그 경계 정도가 참여 학

생과의 FGI 분석만큼 명확하지는 않았음.

ㅇ 이와 대조적으로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특수적 효과로 구분된 요소들의 경우, 응답자

자신이 현재 처한 상황(i.e., 소년원학교에 귀속)과 결부시켜 프로그램이 주는 혜택이나 효

과에 대해 서술한 것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음. 이는 환경적 맥락을 고려하여 그 효과를

구분한 것으로 환경적 특수성이 반영된 효과로 분류됨.

� � � �

구분 시설 일시 연령 성별 코드

프로그램�담당강사

A 10.28 30 남 A나1

A 11.11 30 남 A나2

B 12.10 30 여 B나

C 11.05 30 여 C나

D 11.06 60 남 D나

계 5

Page 108: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89

<표�Ⅳ-15>� 강사� FGI� 분석결과

(1) 배경: 공통적 교육목표

ㅇ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강사들은 문화예술교육의 공통적 의미로 ‘반사

회적인 요소의 감소와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자신감 획득’, ‘타인과의 관계 개선, 협동적 성

취감 고취’, ‘소년원학교 생활 후의 사회적 참여에 대한 동기화’라고 하였음.

분석내용 인터뷰� 내용

배경

(교육목표)

공통적�목표

Ÿ 반사회적인�요소의�감소와�사회구성원으로서의�자신감�획득

Ÿ 타인과의�관계� 개선,� 협동적�성취감�고취

Ÿ 소년원학교�생활�후의�사회적응력�향상

무용Ÿ 춤의�리듬이�삶의� 리듬으로�연결되는�긍정성�획득

Ÿ 자기�몸의�중요성에�대한�새로운�인식

합창 Ÿ 타인에�대한�이해와�배려,� 인성�개발

난타 Ÿ 문화적�감수성�개발과�스트레스의�해소�

뮤지컬 Ÿ 참여과정을�통한�개개인의�변화와�자신의�꿈을� 발견하는�통로

교육효과

문화예술교육

의�보편적�

효과

Ÿ 재미를�통한�관심의�확대

Ÿ 소극적이었던�감정표현이�적극적으로�변화

Ÿ 동기부여에�따른�자신감�향상

Ÿ 협동을�통한�성취의�기쁨

Ÿ 소통을�통한�공동체적�가치를�배움

Ÿ 무대경험을�통한�자신감�회복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의�특수적�

효과

Ÿ 자신의�성장에�대한�긍정적�희망

Ÿ 다름에�대한�인식을�통한�타인과의�새로운�관계�형성

Ÿ 지속적인�문화적�삶에�대한� 참여�의지

Ÿ 사회구성원으로서의�참여�동기화

Ÿ 문화예술교육이�사회와의�소통의�통로로�자리매김

제언

한계점

Ÿ 강제로�배분되거나�지속성이�담보되지�않는� 수업형태

Ÿ 교육환경이�뒷받침�되지� 않는�수업환경

Ÿ 소년원학교�일정에�따른� 문화예술교육의�수업�변동

Ÿ 담당교사의�소통의�어려움

개선점

Ÿ 문화예술교육의�효과를�위한�지속적인�커리큘럼,� 정기적�발표회�

지원

Ÿ 자신의�관심분야를�고려한�문화예술교육�과정�참여

Ÿ 학생들과� 소통을� 이루며,� 교육을� 운영할� 수� 있는� 교육� 횟수와�

충분한�시간�배정

Ÿ 소년원학교�학생들에�대한�선입견�없는�이해와�소통

Ÿ 일상적�문화예술교육에의�참여� 보장

Page 109: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90|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ㅇ 이에 대해 사업계획서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공통적 요소로 ‘정서순화와 자신감 획득’,

‘타인과의 협동심과 소통, 배려’, ‘건강한 사회인으로의 복귀’로 기획의 목표와도 맥을 함

께 함을 알 수 있음.

■ 반사회적 요소의 감소와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자신감 획득

소년원학교의 교육이 문화예술교육 위주로 잘 될 수 있다면 사회의 나쁜 유혹의 위험에서

건져내는데 오히려 더 효과적이라고 보여 질 수도 있어요. (C나)

사회에 있을 때 실패를 하고 들어왔다는 이야기가 기억이 크게 남았어요.

물어보지도 않았지만 어쨌든 본인의 과거가 실패했다라고 생각하는 게 굉장히 가슴이 아팠고,

그래서 제가 하는 교육으로 자신의 실패에 대한 생각을 버리고.

아이들과 공감을 느끼면서 자신 있게 살아갔으면...... (A나2)

■ 타인과의 관계 개선, 협동적 성취감 고취

음악은 특히 같이 해야 하잖아요. 난타를 하건 합주를 하건.

모든 음악들이 같이 이루어져야하는 거니까. 그 속에서 뭔가 나도 참여해서 어떤 성과를 이루어내고

아름다운 음악을 만들어낼 수 있고. 이런 훌륭한 성과물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 하나만 가지고도 극악적인

범죄를 일으킨 사람들의 열등의식으로부터 변화하는 것이겠죠. (D나)

서로 소통하는 것에 대한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것 같아요. (A나2)

■ 소년원학교 생활 이후의 사회적응력 향상

저는 여기에서 문화예술 교육을 하는 의미는 이후 자신의 생활공간에 다시 섰을 때,

당당하게 좋은 사회 구성원으로 살아가기를 원하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기술적으로 가르치는 것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소통을 통해서 자신 있게 다시 서는 거라고 봐요. (A나2)

남 앞에 한 번 서본다. 내가 남들보다 내가 준비한 걸 남들에게 다 온전히 보여준다는 것.

그게 저한테는 엄청 큰 의미가 있지 않을까...... 표현하는 방법이 다양해지는 거죠.

욕, 폭력, 그런 것들이 어쨌든 저는 잘 모르지만 사회에서 일반적이지 않은......

하지만 그거를 이 친구들이 어.. 계속 마음에 담아두지 않고 뭐......

사회에서 정의하는 반성이라는 시간을 가지면서 다시 사회 속에서......

또 자기개발에 그거를 하고 있는 거니깐. (D나)

Page 110: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91

(2) 배경: 장르별 교육목표

ㅇ 장르별로 살펴본 결과, 무용의 경우에는 춤의 리듬이 삶의 리듬으로 연결되는 긍정성을 획

득하고 자기 몸의 중요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음.

ㅇ 합창은 여러 명이 함께 하모니를 만들어내는 과정이 중요한 만큼 자신의 목소리뿐만 아니

라 다른 사람의 목소리를 함께 들으며 조화를 만들어낼 수 있어야 하므로 ‘타인에 대한

이해와 배려’와 ‘공동체적 협력’을 가장 중요한 합창의 의미로 꼽았음.

ㅇ 난타의 경우에는 문화적 감수성의 개발과 스트레스 해소를 가장 중요한 기획 의도로 생각

하고 있었으며, 뮤지컬의 경우, 창작물을 만들어내는 과정 속에서 스토리를 가진 자신을

들여다보며 변화하는 개인의 변화와 더불어 자신의 꿈을 발견하는 통로가 되길 원하고 있

었음.

ㅇ 따라서 문화예술을 통한 교육, 즉 근본적인 자아탐구 및 성찰의 일환으로 예술의 사회적,

교육적 목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음.

■ 무용: 춤의 리듬이 삶의 리듬으로 연결되는 긍정성 획득

축 처져 있고 의욕이 없고 그런 상황에서 무용교육이 너무나도 필요하다고,

에너지를 조금 부여할 수 있는, 그런 상황에서 수업이 필요하다고 생각 했었고,

올해는 특히나 그런 아이들에게 춤의 리듬이 삶의 리듬이 돼요.

아이들이 좀 더 활기차게 생활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가지고 아이들을 만나고 있어요.

좀 더 생활에 밝은 에너지,

그 에너지가 아이들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과 변화를 줬으면 좋겠다는 바람으로. (C나)

■ 무용: 자기 몸의 중요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

물론 다른 예술로도 충분히 그런 효과는 얻을 수 있겠지만

일단은 자기 몸에 대해서 아이들이 생각을 하고 자기 몸을 좀 함부로 다루면서

온 아이들도 있을 것 같아요.

자기 몸에 대해서 생각하고, 내 몸이 이렇게 아름다운 무언가를......

아이들하고 힘을 모아서 표현하고 만들어낼 수 있구나 하고,

자기 몸에 대해서 긍정적인 생각을 갖게 하는 것? 그런 것들이 좀 있는 것 같아요. (C나)

■ 합창: 타인에 대한 이해와 배려, 인성개발

합창은 독창하고 다르게 자기 소리를 낮추고 옆 사람 소리를 들어서 거기에 맞춰야 하잖아요.

박자나 음정은 물론이고. 음빛깔가지 음색까지 맞추도록. 자기가 더 잘한다고 다른 사람이 못한다

Page 111: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92|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하더라도. 그 못하는 쪽에 자기가 맞춰야 하는 것이 합창이 되는 거잖아요. (D나)

그리고 피아노 반주가 있으면 피아노 소리하고 앞의 지휘자의 어떤 눈을 보면서 계속 교감을,

옆에 사람하고도 교감하고 선생님하고도 교감하고. 계속 같은 무리 속에 자기가 들어있어야

합창이 되거든요. 자기가 튀어나오면 안 되는 거니까.

더더군다나 합창은 여러 개 성부를 나눠서 부르게 되면 자기 성부도 정확히 불러야 하고

자기 파트도 같이 한 목소리가 되어야 하지만 옆에 파트하고도 화음이 이루어지려면

그 소리도 들으면서 노래를 해야 하거든요.

굉장히 인성훈련에 중요하다고 생각을 해왔었죠. (D나)

■ 난타: 문화적 감수성 개발과 스트레스 해소

소년원학교에서는 갇혀있으니까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이죠.

그래서 스트레스를 없애주는 것도 필요하다고 보여져요.

스트레스가 해소되면서 그러면서 자신이 음악에 소질이 있든 없든 리듬감을 가지면서

문화적으로 느끼는 거...... 난타는 그거 같아요. (B나)

■ 뮤지컬: 참여과정을 통한 개개인의 변화와 자신의 꿈을 발견하는 통로

자기의 이야기를 하나의 작품으로 만들면서 매력적인 아이들을 만나요.

그리고 계속 반복해서 다시 하자고 해요. 자기는 나가서 계속 이런 일을 하고 싶다고요. (A나1)

그 음악에 대해서 알고, 뮤지컬 같은 경우는 그 뮤지컬의 스토리에 대해서 알고

그걸 이해하고 몸으로 표현하는 과정들이

아이들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고요. (D나)

(3) 교육효과: 문화예술교육의 보편적 효과

ㅇ 강사와의 인터뷰 결과, 문화예술교육이 소년원학교 학생들에게 가져다주는 보편적 교육효

과는 총 6가지 하위요소로 재미를 통한 관심의 확대, 적극적 감정표현, 동기부여에 따른

자신감 향상, 협동을 통한 성취의 기쁨, 소통을 통한 공동체적 가치 터득, 그리고 무대경

험을 통한 자신감 회복으로 들어났음.

ㅇ 이 중 가장 큰 효과로는 재미와 즐거움을 지목하였음. 재미와 즐거움은 활동에 대한 지속

적인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음악적인 요소와 몸으로 움직이는 가운데 일상적인 생

활에서의 활력소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더 나아가 자신이 참여하고 있는 문화예술

교육에 대한 관심의 확대로 이어지고 있었음.

ㅇ 이와 더불어 강사들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가장 의미 있었던 것은 감정표현의 적극성으로,

이는 결국 동기부여에 따른 자신감이 향상되는 것으로 보았음.

Page 112: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93

ㅇ 특히, 협동 과정에서의 성취감을 얻는 것은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새로운 관계 형성이며,

대부분의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은 함께 하는 과정을 통해 협동심, 타인에 대한 배려와

존중을 자연스럽게 터득하게 되고 이러한 융합의 과정을 통해서 서로를 보살피고 돌보는

가운데 문화를 통한 공동체적 가치를 배우는 것으로 나타남.

ㅇ 아울러 무대경험을 통해서 자신감을 회복하고, 과거의 자신의 삶에 대한 자성과 변화의 의

지, 특히 부모님에게 보여드리고 싶다는 이야기를 하는 학생들이 있었음.

ㅇ 위의 가시적인 효과들을 보편적 효과로 분류한 기준의 경우, 학생과 FGI 분석과 마찬가지

로 응답자가 발현된 효과의 기반을 소년원학교와 결부시켜 대답을 하는 것과 아닌 것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 다만 강사의 경우, 그 경계 정도가 참여 학생과의 FGI 분석만큼 뚜

렷하지는 않았음.

■ 재미와 즐거움을 통한 관심의 확대

춤에 재미를 느끼는 거죠. 처음에는, ‘저는 그런 거 못합니다.’하고,

안 하고, 다른 아이들에게 위협을 가하는 아이들도 있었어요.

그런 아이들을 다독여서 춤의 재미를 알게 해주면......

2차시 만에 아이들의 기가 딱 모이더라고요.

재미를 느껴가지고. 춤의 재미를 느끼는 순간부터 단합이 되는 것 같아요. (C나)

아이들이 감정이라던가 자기표현이 확장되는, 그리고 움직임에 이런 것도 있구나를 느끼면서

이렇게 재미있는 건 줄 몰랐다고 하더라구요. (A나2)

자기가 음악에 소질이 있던 없던 그 리듬을 같이 이렇게 하다 보니깐

그 리듬감을 자기한테 느껴지면서 아 그게 재밌다~

어, 재미있네...... 이렇게 생각하는 게...... (B나)

■ 소극적 감정표현이 적극적으로 변화

어떤 아이가 어려웠었는데. 결국은 자꾸 내가 계속해서 머리 쓰다듬어주고.

특별하게 관심을 두고. 잘한다고 격려해줬더니,

나중에 걔가 큰 소리로 노래를 부르게 되는 거죠. (D나)

조용하고 소외된 느낌으로 참여하던 아이가 꾸준히 참여해오면서

무기력했던 아이가 매일 참여하면서 제게 웃으면서 찾아오더라고요.

눈을 계속 마주치면서 더 열심히 하는 거죠. 큰 변화라고 생각해요. (C나)

자기한테 직접적으로 가가지고 알려주고 하니깐 표정이 풀리는 거를 봤어요.

Page 113: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94|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좀 풀리면서 아 이렇게 되네! 이러면서, 약간 어리숙하면서도 쑥스러워하면서도 그런 모습 보면서..

자기를 점점 표현하는 거 있죠. 관심을 보이니까...... 아이들의 표현이 달라지더라구요. (D나)

■ 동기부여에 따른 자신감 향상

오 솔레미오를 원어로 가르쳐줬어요. 한글로 다 적어서 원어로 가르쳐줬는데,

이 앞에 나와서 부르면 특별상으로 초코파이 두 개를 주겠다. 몇 명이 나와서 했어요.

자리를 잡으면 준비가 됐으면 반주선생님한테 눈짓으로 알려주고 그에 따라 시작하면 들어오라고 했어요.

오 솔레미오를 안 잊어버리고 그 한 곡만 가지고도 노래가사의 의미도 있지만 뭔가 자기가 이런 걸 할 수

있고. 부를 수 있다는 것이 의미 있죠. (D나)

발산을 하게 되잖아요. 자기 몸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을 하게 되고,

할 수 있다는 자신감도 얻게 되는 것 같아요. 시작할 때는 내가 과연 이것을 할 수 있을까 했는데 자기

몸이 이렇게 아름다운 표현을 할 수 있다는 자신감. 나도 할 수 있구나.

또 자신이 발견하지 못했던 또 다른 에너지를 발산하는 거잖아요. (C나)

■ 협동을 통한 성취의 기쁨

음악은 특히 같이 해야 하잖아요. 난타를 하건 합주를 하건.

모든 음악들이 같이 이루어져야하는 거니까.

그 속에서 뭔가 나도 참여해서 어떤 성과를 이루어내고 아름다운 음악을 만들어낼 수 있고.

이런 훌륭한 성과물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 하나만 가지고도......

엘 시스테마 아시죠? 그런 것처럼...... (D나)

저희가 그룹으로 하는 활동들을 수업 중에 시도를 했어요.

그룹으로 뭔가 표현하고 그것을 다 같이 감상하고 감상평을 이야기 하고.

그런 것을 10회기 이상 쭉 진행하다 보니까 아이들이 서로 간에 돈독해지는 것이

확실히 있더라고요. (B나)

■ 소통을 통한 공동체적 가치를 배움

모든 것이 인간관계인데 사람이 사회적인 동물이기 때문에.

그런 인간관계만 잘 한다면 그 사람이 조금 가난하게 살고 검소하게 살고 경제적으로 힘들게 살더라도

그 인생이 성공하고 행복한 것이라고 보거든요.

그 이상 더 어떤 것을 얘기할 필요조차도 없을 것 같아요.

음악이 서로의 관계에서 그런 가치를 이 아이들에게 주고 있다고 확신해요. (D나)

Page 114: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95

■ 무대 경험을 통한 자신감 회복

남 앞에 한 번 서본다. 내가 남들보다 내가 준비한 걸 남들에게 다 온전히 보여준다는 것..

그게 엄청 큰 의미가 있지 않을까. (A나2)

이제 공연이 있으니깐 연습을 열심히 하자! 했는데 더 열심히 하려고 그러고 춤 같은 것도 확실하게

외워서 하려고 하는 욕심을 보이더라고요.

공연하고 그 약간 희열 같은 것을 느끼게 되면서 자신 있고 보람 있다며......

저한테 묻더라구요. 혹시 선생님도 이런 것 느낀 적이 있냐고...... (C나)

무대.. 무대에 관한.. 무대에 선다는 게 일이 아니라 정말 내가 즐겁고 내가 떨리고

내 스스로가 부끄러움을 이겨내는 거죠.

공연에 대한 초심이 그 친구들한테 보이니깐. (A나2)

(4) 교육효과: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특수적 효과

ㅇ 강사와의 인터뷰 결과, 문화예술교육이 소년원학교 학생들에게 가져다주는 특수적 교육효

과는 총 6가지 하위요소로 성장에 대한 긍정적 희망, (소년원학교 내부에서) 타인과의 새

로운 관계 형성, 지속적인 문화적 삶에 대한 참여 의지,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참여 동기화,

사회(외부세계)와 소통의 통로로 인식 등이 드러났음.

ㅇ 소년원학교라는 특수한 환경 내에서 학생들은 이 곳이 갇혀있는 곳이 아닌 자신이 여전히

성장하고 있으며 타인에 대해 배우고 이를 통해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게 됨. 또한 현재의

경험에 그치지 않고 그간 밖에서 경험해 보지 못한 활동들을 통해서 문화에 대한 재인식

의 과정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문화를 접하며 생활하고자 하는 문화적 삶에 대한 참여의지

가 높아짐을 알 수 있음.

ㅇ 추가적으로 강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밝혀진 사실은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소년원학교 내에

서 자신의 꿈을 찾고, 사회에 나가서도 이를 위해 해당 강사와 주기적으로 연락하며 계속

해서 문화예술 활동을 이어 가는 학생들이 존재한다는 것임. 이는 강사가 쏟는 관심과 애

정이 교육적 효과 창출이라는 측면에 얼마나 주요한 변수인지를 다시 확인하는 케이스로

강사의 역할과 역량에 대한 지속적 투자와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력하게 시사함.

ㅇ 더 나아가 당당한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참여 동기부여가 되는 것으로 나타남. 이는 문화예

술교육이 사회와의 소통 통로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성장에 대한 긍정적 희망

춤에 들어가기 전에 이번에도 뮤지컬 춤이나 연극에 대해 알고 있는지 물어보니,

접해본 아이들이 별로 없더라고요. 그런데 이런 것을 꾸준히 접했을 때

Page 115: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96|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지금보다는 좀 더 넓은 시야를 가지고 풍요롭게 인생을

좀 더 즐기면서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바램이 있어요. (A나1)

정말 무언가 밖에 나가서 이걸 하고 싶다,

그리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믿고 말하는 것이 달라진 거죠. (A나2)

그 중에는 2명은 출소하는 아이들도 있어요.

그래서 출소하는 아이들 2명한테 내명함을 주고 밖에 나가면 연락을 해라.

그리고 옷을 만약에 맞추게 되면 네 것도 해줄 테니까. 너 무대에 서겠냐? 설 수 있냐? 그랬더니

서겠다고 해요. 어머니를 모시고 와도 되요? 나한테 그래. 걔는 나하고 눈이 익은 아이라서. 너무너무 좋지.

어머니를 모시고 내려오겠다고 하는 거예요.

그래서 그 아이를 (출소 후 외부 공연에) 솔로를 시키기로 했어요. (D나)

■ 다름에 대한 인식을 통한 타인과의 새로운 관계 형성

일단 처음에는 거부감을 보이는 아이들도 있어요.

‘춤 한번도 춰보지 않았다. 이건 내가 싫어한다.’라고 직접적으로 이야기를 해요.

그런데 그러다가도 수업이 진행되고 중간 쯤 오다보면, 아이들이 움직이는 즐거움, 표현하는 기쁨을

서서히 느껴서 수업 끝날 때 즈음에는 강사들과 헤어지기 싫어하는,

그런 것들을 많이 느끼고 얘기해주고. (C나)

결국 인간이 살아나가는 게 내가 어떤 다른 사람과는 다르다는 걸 항상 생각하고는 있지만

그것을 표출할 수 있는 것 하나를 만들어주는 것도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어요(D나)

지금 이 안(소년원학교)에서 또 자기개발을 하고 있는 것이니까요.

그 어떻게 보면 결과물 중에 하나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더 부족하지 않게 준비를 하고 싶어하더라구요.

타인에게 상처를 주지 않고 혹은 조금 뭐 원하는 목표랑은 거리가 있더라도

다른 사람들과 같이 가는 걸 좀 얻었으면 좋겠어요. (A나2)

오늘도 점점 더 아이들이랑 더 가까워져가는 느낌인데 더 물어봐요. 더 물어보고..

한 번, 두 번 그리고 계속 갈 때마다 아이들이 달라지는 거죠.

오히려 그만큼 저 친구들은 한 발자국만 다가가면 두 발, 세 발을 오는 친구들이닌깐.

제 프로그램이 아이들이 사회와 새롭게 만나는 공간이라는 것? (A나2)

■ 지속적인 문화적 삶에 대한 참여의지

말 하는 것도 그렇고, 그렇지만 궁극적으로 어떤 변화가 있냐고 물어보니까,

자기는 변화한 게 별로 없다고 처음에는 얘기하다가 나중에는 그런 얘기를 하더라고요.

여기서 나가면 뮤지컬을 보러 가고 싶다고. 자기가 배운 것들을 실제로 무대에서 보고 싶다고

Page 116: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97

하더라고요. 이 아이들이 지금 당장은 뭘 못 느껴도 정서적 선택 안에서

다양한 스펙트럼이 생길 수 있겠구나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A나1)

■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참여 동기화

합창을 해서 내 목소리를 낮추고 옆 사람 소리를 듣고 화음을 맞추는 것도 중요하지만

독창을 할 수 있는. 나한테 그래도 노래를 한 가지 삶의 표현의 원어로 배웠다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

같아요. (D나)

네 조금 늦게 가면은 어떻고 틀리면 어떻고...아이들이 주눅이 들어있지만 또 한편으로는 얼마나 할 말이

많고 얼마나 먹고 싶은 것도 많고, 하고 싶은 것도 많은 나이인가요.

저는 아이들과 만나는 과정에서 문화예술을 매개로 이 아이들이 자신이 열정적으로 할 수 있는 일들을

찾는데 도움이 된다면 그게 가장 의미 있을 것 같아요. (A나2)

즐거움을 좀 줬으면 좋겠고, 그게 이제 나아가서 본인이 하고 싶은 거하고

연결되면 좋겠습니다. (A나2)

(5) 제언: 한계점

ㅇ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강사들은 교육진행과정에서의 한계점으로 시스템이 내재적으로 가

지고 있는 강제성을 지목하였음. 참가자들의 욕구에 따른 수업배분이 아닌 강제적으로 배

분하여 참여하는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비자발적 참여와 참가자가 지속적으로 바뀌는 특

성에 따라 지속성이 담보되지 않는 수업형태를 아쉬워하였음.

ㅇ 아울러 교육환경이 뒷받침되지 않는 수업환경, 특히, 잦은 장소이전으로 학습의 집중도나

몰입도가 떨어지고, 시설환경이 각 특성에 맞는 교육을 진행하기 어려운 장소였다고 응답

하였음.

ㅇ 소년원학교 일정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의 수업변동에 대해 강사로써의 한계, 그리고 담당교

사와의 원활한 소통의 어려움이 있음에 대한 아쉬움을 나타냄.

■ 강제로 배분되거나 지속성이 담보되지 않는 수업형태

구조적으로 강제로 배분을 해서 호실을 배분에서 떠맡기는 거. 3달이 지나면 바뀌는 거.

행정 편의를 위해서 관리 때문에 어려운 점이 있겠지만 호실별로.

예를 들어 1호실부터 10호실까지 있다면, 1,2호실은 무조건 축구. 3,4호실은 무조건 합창.

이러니까 전혀 자기들이 하고 싶지 않은 것을 하게 되는 결과가 나오는 거죠.

예능 과목 선생으로서 그런 것들이 어려운 점이죠. (D나)

Page 117: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98|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걔네들이 예를 들어 성과를 이루기 위해서는 발표회 무대까지 세워야 하잖아요.

대중 앞에 무대에 세워야하는데, 맨날 바꾸니까. 내가 어떻게 감당이 안 되는 거예요.

그런 시스템 하에서는. 일단 희망자 받고, 받으면 무조건 12월까지 가라.

그런 조건을 내세웠어요. 이거는 서서히 뭔가 익혀가고. 변화가 이루어져야 하잖아요. (D나)

프로그램을 꾸준하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여기는 계속 로테이션이 되잖아요.

이 난타 프로그램을 계속 꾸준하게 발전적으로 할 수 없겠다.

약간 정체되어 있는 부분이 있어요. 그러니까 오래남아 있는 애들.

즉, 했던 애들은 계속 똑같은 거를 하게 되는. (B나)

악보를 보고 가사를 외우고 음정을 익히고 자기 파트를 정확히 소리를 내야지

2부합창이라도 할 수 있는 거니까. 어려운데...... 하고 싶은 애들로만 해 달라.

단 6명이어도 좋다. 그 얘기를 부탁한 시간이 한참이 지났어요. (D나)

■ 교육환경이 뒷받침되지 않는 수업환경

환경이에요. 체육관에서 거울 없이 뒤에 커튼 쳐놓고 거기에 몸 비춰서 연습하는 건

말도 안 되는 거고요. 지난번에 천주교실이나 기독교실. 다른 곳 렌탈이 되니까.

마술부도 거울이 있으니까 거기로 가고. 거기는 일단 바닥이 그나마 따뜻해요.

체육관은 말도 안 되게 추워요. 작년 12달에는 덜덜 떨면서 했거든요. (A나2)

장소만 거울 붙여주고 따뜻하고 시원한 데서 하게 해주면.

그러면 해요 이거. 힘들어도 하겠는데. 덜덜 떨면서 애들 슬리퍼 신고 오는 상황?

애들이, 선생님 추워요 하면, 얘들아 뛰자. 이러다가 끝나는 상황이 되죠. (A나1)

일단 학생들이 음.. 여기에 있는 친구들이 정말 온전히 그 시간에 집중할 수 있는

그런 공간이 있으면 좋겠어요. (A나2)

■ 소년원학교 일정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의 수업변동

학교가 조금만 더 협조적이면. 학교에 무슨 체육대회가 있지만 뮤지컬 할 수 있게 해주겠다.

체육대회 한다고 빠지고. 예를 들어서 대형을 맞춰서 연습해야하는데

대여섯 명 빠지면 하루 종일 연습하고 다음 주에 와서 또 똑같이 해야 해요.

같은 걸 제가 두 세번 할 필요가 없잖아요. 왜냐면 대형을 픽스 해야 애들이 연습거리가 생기는데. 지난

시간 같은 경우는 4명 왔는데 뭘 하겠어요. (A나1)

■ 담당교사와의 소통이 어려움

수업을 갔다가 그냥 못하고 왔던 적도 있고, 또 갔는데 이제 그 소년원에 행사가 따로 있었어가지고 그게

있는 것 같았을 때...... 조금만 하다 그냥 가고. (B나)

Page 118: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99

예를 들어서 뮤지컬 하는 것에 대해서,

애들에게 플러스가 되니까 무조건 협조적으로 해주겠다고 하면 가장 좋죠.

근데 아까도 말씀드렸다시피 선생님들한테 이게 첫 번째가 아니거든요. 학교 시스템 돌아가는 게 첫

번째다 보니까. 체육대회라던가 학교시험이라던가 자격증시험.

그쪽으로 애들을 먼저 빼다 보니까.

그게 사실 맞는 거고. 그게 좀 아쉬워요.

그치만 사실은 비협조적이다라고 얘기 할 수는 없거든요.

왜냐면 선생님들한테는 우리가 첫 번째가 아니거든요. (A나1)

(6) 제언: 개선점

ㅇ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강사들은 문화예술교육이 단기간 내에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아니

므로 소년원학교 내에서의 정규과정 또는 지속적인 커리큘럼으로 지원하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음. 아울러 한계로 제시한 강제적 교육의 배정보다는 자신의 관심

분야를 고려한 문화예술교육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기를 제안하였

음.

ㅇ 또한, 문화예술교육을 단순히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접근보다 소년원학교 학생들과의 긴밀

한 소통을 통해 자신감과 문제해결, 소년원학교 생활 이후의 사회적 참여에 대해 함께 지

원할 수 있도록 교육의 횟수와 충분한 시간을 배정하여 운영할 것을 개선점으로 지목함.

ㅇ 소년원학교 학생들에 대한 선입견 없는 이해와 소통을 위한 강사교육, 담당교사들의 문화

예술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 더 나아가 일상적 문화예술교육에의 참여가 보장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인 변화 등을 제안하고 있음.

■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위한 지속적인 커리큘럼 지원, 정기적 발표회 지원

평상시에도 소년원학교 측에서도 상설합창단을 부설해서 그런 활동을, 화목에 때우는 식으로 나갈 것이

아니라. 그런 소년원에서 상설적으로 예체능반을,

학교에서 특활반하듯이 지속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어요.

외부강사만 쓸 것이 아니라. (D나)

보통 학생들은 시험이 있어야 목표의식도 생기고 책도 보고 하잖아요.

예능을 하는 사람들은 발표회나 연주회가 굉장히 중요해요. 그것 때문에 더 자기가 알아서 하게 되는

것처럼. 그것이 중요한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하는 그런 사업들이 계획상으로 발표회를 하도록

권유는 해도 그게 필수사항으로 되어있지는 않아요. (D나)

■ 자신의 관심분야를 고려한 문화예술 교육과정 참여

악보를 보기는커녕. 애초에 소년원의 특징이 자기네들 관리를 편하게 하기 위해서 예체능 반을 신설한 것

Page 119: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100|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같아요. 말하자면, 내가 원하는 건 축구를 원하는 사람, 배구를 원하는 사람. 그렇게 해서 원하는 대로 해서

3개월 내지는 6개월. 로테이션 시키는 게 아니고.

자기들(학생들)이 원하는 것을 하도록 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봐요. (D나)

■ 소통을 이루며 교육을 운영할 수 있는 교육 횟수와 충분한 시간 배정

일주일에 한 시간에서 한 시간 반...... 글쎄요.

이걸로는 명성 있는 뮤지컬 배우들도 공연 못 할거에요.

이런 문화교육적인 부분에 대한 투자나 직원이 확보가 돼서 그 친구들이 보는 시간표가 더 많은 걸로

분류하고 더 많은 거를 함께 나누는 것. 그런 부분이 좀 아쉬운 것 같아요. (A나2)

소년원학교 프로그램 상에도 일주일에 1번 밖에 아마 수업이 안 될거예요.

거기서도 수업 하시는 게 많더라고요. 다른 곳에서도 많이 오셔서.. 수업 진행이 굉장히 타이트하게

진행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일주일에 한번이라는 숫자가 적기는하지만

좀 더 횟수가 많았으면 하는 바램? 일주일에 2번 정도......

그 정도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고요. (C나)

거울은 거울 없이도 잘 가르치는 선생님이 진짜 좋은 선생님인거죠.

그런 물질적인 지원은 없어도 되요. 음악도 없어도 되요. 음악 없이도 잘 가르칠 수 있는 선생님이 더

좋은 선생님이니깐. 대신에 시간이 없는데 어떻게 잘 가르칠 수 있을까. (A나2)

■ 소년원학교 학생들에 대한 선입견 없는 이해와 소통

이 교육이 얼마만큼 중요한 것인지 잘 관찰을 못할 수도 있는 부분이 있거든요.

그 문화예술에 대한 그 이해를.. 먼저 하는 게 하는 프로그램이 있으면 좋겠구요.

아이들에 대해서 조금 더 많이 이해하고 대화를 할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지면은

그런 부분들도 더 좋을 것 같아요. (B나)

아이들한테 선입견이 없는 마음이 제일 필요할 것 같아요.

그리고 실수에 대해 조금 더 넓은 마음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있으면 좋겠어요.

여기 있는 친구들과 의사소통하는 부분에 대해서 보면......

뭔가...... 음...... 이렇게 넉넉함이나 아이들을 받아들일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적인 부분이 강사들에게

필요할 것 같아요. (A나2)

■ 일상적 문화예술교육에의 참여보장

일단 학생들이 음.. 여기에 있는 친구들이 정말 온전히 그 시간에 집중할 수 있는 공간이 있으면 좋겠고.

그 시간만큼은 아이들에게 조금 더 덜 제한된 자유가 확실하게 보장이 되어야 될 것 같아요. 월요일에

일어나서 금요일 저녁을 기다리기만 하는 건, 바람직한 거는 아닌 것 같아요. 일상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Page 120: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101

참여하지 못하면...결국 이것도 그냥 정말 그냥 일시적인,

방편인 것 밖에 안 되는 것 같아요. (A나)

3.2.4 소년원학교 담당교사 PII(개별심층면접) 분석 결과

ㅇ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진행된 PII(개별심층면접)는 본 연구의 목

적인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과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개선사항을 도출하기 위해 구성되었

음.

ㅇ 본 인터뷰에 참여한 시설 관계자자는 4개의 시설에서 총 6명이 참가하였으며, 연령대는

20대에서 50대로 다양하였음. 성별의 경우 6명 중 5명이 남성이었음.

ㅇ 소년원학교 담당교사의 인터뷰는 2014년 10월 28일부터 11월 13일간 실시되었으며, 인터

뷰 시간은 약 한 시간 정도 진행되었음.

<표�Ⅳ-16>� PII에� 참여한�소년원학교�담당교사

기관 일시 성별 연령대 코드

A소년원학교 2014.10.28 남 40대 A가

B소년원학교 2014.10.26남 30대 B가1

남 40대 B가2

C소년원학교 2014.10.14 여 40대 C가

D소년원학교 2014.11.13남 20대 D가1

남 50대 D가2

계 - - - 6

ㅇ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담당교사들이 경험한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는 총 5개

의 범주로 문화예술에 대한 흥미, 자신감 향상, 삶에 대한 새로운 도전, 심리적 안정과 자

기조절력의 향상으로 도출되었음.

ㅇ 소년원학교 담당교사의 인터뷰 자료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보편적 효과와 특수적

효과로 나누지 않은 이유는, 이들의 경우 강사나 참여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년원학교

외 타 그룹이나 환경과 비교할 수 있는 경험이 제한적이기 때문임.

ㅇ 이에 따라 소년원학교 담당교사의 개별심층면접 분석 결과는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와 제언

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음.

Page 121: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102|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표�Ⅳ-17>� 소년원학교�문화예술교육�담당교사들이�경험한�소년원학교�문화예술교육�효과

과정틀 구분 분석� 내용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문화예술에�대한�흥미Ÿ 색다른�경험을�통한�기대와�기다림

Ÿ 색다른�경험에�대한�흥미

자신감�향상Ÿ 자기만족�및� 자기효능감

Ÿ 자신감�및�성취감

삶에�대한� 새로운�도전Ÿ 재능발견의�계기

Ÿ 꿈과�인생의�목표�찾기

심리적�안정Ÿ 메마른�정서와�생기의�회복

Ÿ 스트레스�해소

자기조절력의�향상

Ÿ 자기관리의�필요성�인식

Ÿ 자기통제능력의�발달

Ÿ 자발적�참여를�전제한�관점과�태도의�변화

제언

Ÿ 장기적이고�지속적�접근�필요

Ÿ 소년원학교�수업환경�개선� 및� 문화예술교육�인력과�조직의�보완

Ÿ 청소년과�소년원학교에�대한�이해�선행

Ÿ 문화예술교육�지원의�확대

Ÿ 문화예술교육을�정규과정에�포함

Ÿ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선정방법의�변화와�모니터링�강화

(1)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문화예술에 대한 흥미

ㅇ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은 참여자들에게 자신의 삶에서 색다른 경험으로 와 닿는 것으로

담당교사들은 해석함. 즉, 그동안 접해보지 못했던 문화예술교육 시간이 색다른 경험이 되

어 기다려지고 기대가 되며, 이로 인해 점점 흥미가 생겨난다고 응답하였음.

■ 색다른 경험을 통한 기대와 기다림

문화예술교육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문화재단 같은 것도 애들 공연을 보고 하면서,

정말 지금까지 자기가 살아왔던 거랑은 다른 경험들이잖아요. (C가)

아무래도 체육활동은 월수금인데 이건 접해보지 못한 문화예술교육수업으로

애들이 참 많이 기다리는거 같아요. (B가2)

일단 합창같은 경우엔 꾸려진지가 1달 정도 돼서, 아직은 잘 모르겠지만 처음에는 음악실로 이동하려 다

모이는 시간에 지체되는 시간이 많았어요. 그런데 하면할수록 애들이 기대를 하는 거 같아요. 눈에 띄는 건

아니지만 알게 모르게 조금씩 모이는데

걸리는 시간이 줄어들었어요. (B가2)

Page 122: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103

■ 색다른 경험에 대한 흥미

애들이 잘하고 못하고를 떠나서 그 시간을 기다리고 흥미를 느끼는 거 같아요.

애들이 집중을 잘 못하고 오래 활동하는 것을 잘 못해요.

그런데 합창같은 경우엔 노래하잖아요. 노래 싫어하는 사람은 없으니까, 혼자 하기는 좀 창피해해도

같이하면서 좀 하모니를 이루는 거 같아요. (B가2)

(2)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성취감 및 자기만족을 통한 자신감 향상

ㅇ 평소에 말도 안 걸던 아이가 먼저 자신이 배운 것을 선보이고, 사람들 앞에 나서서 자신

이 재능과 끼를 선보이는 경험이 자기만족과 성취감으로 쌓이며 자신감을 획득하는 등의

결과를 인터뷰를 통해 공유함.

ㅇ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공연을 해 보면서 참여자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인정받고 성취감을

맛보는 등의 자신감과 성취감에 관한 효과는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효과 중 상당히 보편

화된 효과임.

■ 자기만족 및 자기효능감

아 저희가 마술반이 있었는데, 제가 당직설 때, 원래 저한테 말도 안걸었던 앤데, 선생님 '제가 마술 보여

드리께요.' 하고 보여줄 때, 제가 리엑션 크게 하니까

엄청 좋아하더라구요. 자기만족? 나도 뭔가 하나 할 수 있다라는 자기만족? 같은 거를 갖게 되는거

같아요. 큰건 아닌데, 자기만족을 가지게 되는거같아요. (B가2)

악기교육같은 거는 상당히 괜찮을 거에요 내생각에는. 왜냐면은 난타 프로그램 뭐 또 언제 모여서 칠 수

있는 시간이 없겠죠. 기타라던지 이런 것들은 차후에 뭐 한 두곡 정도 이제 멋지게 배워갖고 나가면 어디서

써먹기도 하고 잘난 척도 좀 하고 그럴 수 있겠죠. (D가2)

■ 자신감 및 성취감

한 예로, 소심했던 학생이 댄스 프로그램을 통해서 몸치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사람들 앞에서 시범을 보이기도 했어요. (D가1)

인생의 변화죠. 이걸 가지고 애들이 전문 음악가는 될 수 없어도

한 번도 불어보지 못한 것을 불어 봤다라든지, 어떤 솜씨라든지......

이런 것들을 통해서 심리적으로 그렇고 효과가 좋다고 생각해요. (C가)

우리 학생들 같은 경우는 어.. 물론 어떤 친구들은 조금만 배워도 어우 진짜 재능이 뛰어나서 금방

습득하는 애도 있고 어떤 친구는 못하는 애도 있지만은 어쨌든 외부에서 공연도 했어요. 그거는 잘하고

못하고를 떠나서 그 학생들한테 성취감을 줄 수 있죠. (D가1)

Page 123: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104|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밖에 나가볼 수 있다는 것, 밖에 나가볼 수 있다는 것하고 자유롭게...... 남들한테 주목받을 수 있다는

것 하고..인정해주고, 성취감이 있죠. (D가2)

(3)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삶의 새로운 도전

ㅇ 문화예술교육은 자신들의 인생에 접하기 쉽지 않은 경험으로 작용하면서 참여자들에게 자

신들의 끼와 재능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가 된 것에 대해 담당교사들은 언급함.

ㅇ 우연한 기회에 참여한 문화예술교육이 아이들의 꿈을 찾아주고, 참여학생들의 노력으로 꿈

을 현실로 만들어가고 있음. 이전의 삶은 꿈도 희망도 없었던 참여자들이 꿈이 생기고 인

생의 목표가 생겼으며, 목표가 생기니 누가 시키지 않아도 자율적으로 열심히 참여하는 변

화를 보임.

■ 재능발견의 계기

자기 재능들을 발견 할 수 있는 계기가 있는 거 같아요.

문화예술교육이 있고, 경험이 있고, 나도 옛날에 노래 불렀는데 나도 한번 해볼까. 그런 계기들을 줄 수

있는 거 같아요. (A가)

자기 몸으로 하는, 소위 천부적으로 타고 나는게 재능이기 때문에 그 재능을 자기가 발견하게 되면, 그걸

가지고 자기가 평생을 살아갈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되는 거니까 끼가 있는 아이들을 발견해주고, 자기

인생에 다시 한 번 기회를 줄 수 있는

재고가 가능하다고 생각해요. 문화예술교육은. (B가2)

■ 꿈과 인생의 목표 찾기

옛날에 철수(가명) 같은 경우에, 혹시 보셨나요? 뮤지컬 수업은 아닌데, 합창반 아이었거든요. 노래를

선생님이 시켜줘서, 지금도 성악을 하고 있거든요.

지금까지는 티비에서 보고 ‘아 멋있다, 따라 불러야겠다’만 생각했는데.

뮤지컬같은 경우엔 철수(가명) 같은 경우엔 실제로 실용음악과도 가잖아요.

그런 애들은 열심히 해서 꿈을 찾고...... (A가)

민우(가명) 같은 경우에 뮤지컬하는, 정말 끊임없이 문제를 일으키는 아이인데, 그렇지만 꿈을 가지고,

하니까, 아 이게 자기도 뭔가 꿈을 가지고 살아봐야겠다. 이런 그전까지만 해도 꿈도 없고 희망도 없고,

이렇게 살던 애였는데

꿈을 가지고 뭔가 목적을 가지고 살아봐야겠다 하고 말하더라구요. (A가)

Page 124: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105

(4)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심리적 안정

ㅇ 문화예술교육은 정서적으로 메말라 있는 참여자들에게 단비로 촉촉하게 적셔줌. 경험해보

지 못했던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참여자들의 심리적 안정에도 도움이 됨. 소년원학교에서

생활 이후 자립을 위해 실시하는 직업교육보다 문화예술교육이 참여자들에게 더 유용하다

고 진술함.

ㅇ 수용시설에서만 생활하던 청소년들에게 문화예술교육은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기회

가 됨.

■ 메마른 정서와 생기의 회복

여기서는 직업훈련을 하다보니까 뭔가 강철 같은 것을 녹여줄 수 있는 게 필요한 거 같아요. 그래서

시도한 게 무용프로그램도 있지만 기타 배우고 그런 것도 있었고

그러다보면 자기 안에 어떤 게 나타날 수도 있고...... (A가)

문화예술교육은 상당히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이 아이들한테는.

어떻게 보면 직업교육보다 더 필요할 수도 있어요. 일단은 애들이 정서적으로 메말라있죠.

여기 들어오기 전까지 그런 기회도 없었을 것 아니에요. (D가2)

제가 전과 후를 몰라서. 아마 짐작해보면 애들이 생기가 있지 않을 까요. 집중도 못하고 산만한데 딱딱한

교육보다는 체험형으로 무기력하기 않게 생기가 돌지 않을까요?

더 나아가면 정서 순환까지. (B가2)

■ 스트레스 해소

어.. 난타를 해서 효과가 있어야 될 것 아니에요. 근데 첫 번째 이제 우리 학생들이 수용 시설에 있다

보닌깐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정말로. 그래서 문화예술이 주목적이지만은 학생들이 거기에

참여하는데 흥미보다는 자신에게 무언가 도움이 된다는 것이 느껴져야지 적극적인 참여가 되요. 근데 제가

느끼기에는 이게 타악을 하면서 소리를 통해서 스트레스 해소 되는 게 굉장히 큰 것 같아요. (D가1)

난타의 장점이라고 하면은, 애들 스트레스 해소에는 도움이 될 것 같아요. (D가2)

(5)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자기조절력의 향상

ㅇ 문화예술경험은 참여학생이 자신의 모습을 자연스럽게 반추할 수 있는 기회를 통해 자기

관리와 통제, 즉 자기조절능력 필요함을 느끼게 하였음.

ㅇ 문화예술교육 참여를 통한 긍정적 경험은 참여학생들이 자신에게 부여된 기회를 놓치지

Page 125: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106|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않기 위해 시설 내 생활에 자기관리와 통제력을 키우게 하였으며 이를 통해 발현된 목표

의식은 자연스럽게 참여자들의 자기조절력을 향상시켰음.

ㅇ 또한, 문화예술교육은 참여자들의 관점을 변화시켜 태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

남. 문화예술에 대한 기능들이 한 단계 한 단계 향상될 때마다 시설 내에서 다른 학생들

과의 마찰보다는 문화예술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참여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깨달음. 무엇보다 이러한 관점의 변화는 자발적 참여가 전제되었을 때 가능하며, 태도의

변화로 발현됨.

■ 자기관리의 필요성 인식

그러니까 애들이 변하니까, 기관차원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어요.

애들이 얼마 전에 뮤지컬 공연에 갔었는데, 애들이 잘 안씻고 가서 부끄러웠나봐요.

뮤지컬 관람하는 분들이 웬만하면 중산층이 되잖아요. 그니까 본인 스스로 부끄러운 거잖아요. 저런데 갈

때는 내가 좀 더 내 관리를 해야겠구나. (A가)

기관차원에서도 그런 외부 활동 하고 체험하고 하면서, 아이들이 그런데 나가려면, 체험활동이나

문화예술교육이나 자기가 징계 받고 벌점 받으면 못하잖아요, 그러니까 순응적이 될 수 있는 거죠. 분위기는

뜰 수 있지만은, 그런 긍정적인 효과는 있죠. (A가)

■ 자기통제능력의 발달

목표가 없던 애들이 목표의식이 생기니까 이런게 생기는 거죠...자연스럽게 자기 조절 능력이 조금씩

생기는 거죠. 나이도 먹어가고, 목표도 생기고 이러니까, 요즘 애들이 자기조절 능력이나, 자기 맘대로 하는

것이 목표의식이 없으니까, 그렇게 하는 거잖아요.

뭔가 목표가 생기고 뭔가 목적이 있는 아이들은 다르거든요. (D가2)

똑같이 교육을 받는 아이들 경우에, 자발적으로 열정을 가지고 참여한 아이들과 아닌 아이들과 동일한

자극이 외부에서 들어왔을 때, 반응하는 태도가 틀려져요.

외부에서 안 좋은 자극이 갔을 때, 자기 목적을 위해 참을 수 있는데,

안그런 애들은 떨어져요. (C가)

■ 자발적 참여를 전제한 관점과 태도의 변화

난타 강사들이 그 때 또 들어오지도 못했어. 시간 스케쥴이 안맞아서 그래서 애들만 불러갖고 연습을

시켰는데 스스로 자율적으로도 굉장히 열심히 하더라고 한 두시간 동안. 그러닌깐 목표가 정확하게

정해지면...... (D가2)

문화예술교육도 그렇지만, 아 내가 이런 걸 가지고 실력이 느는구나.

Page 126: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107

옆에서 누가 건들여도, 쟤하고 시비를 거는 거보다 이거 열심히 하는 게 낫겠다.

그냥 뭐 참가하라니까 참가하지 뭐, 이런 거 하는 거보단 그런 생각이 없어요. (B가1)

(6) 제언: 장기적이고 지속적 접근 필요

ㅇ 소년원학교의 특성상 평균 3개월의 기간을 주기로 참여자들의 변화를 언급한다는 것은 무

리가 있음.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응어리와 삶의 동기부여를 끄집어내려면 좀 더

장기적인 안목에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함.

그래서 제가 시간이 부족하다고.. 기본적으로 이걸 6개월에서 1년 이상 어떤 샘이 와서

이렇게 이렇게 돌려보면서 했었어라도 했어야 의미가 있지.

그래서 선생님이 말씀하시는 것처럼 뭔가 느낌이 있는 거 같은데 닫혀버리는 느낌.

좀 더 끄집어내면 좋은데, 그래서 말씀 드렸어요. (A가)

개인적으로 3개월은 그냥 시간 보내는 거 같은 생각이 들어요.

실적 지향의 분위기가 이렇게 만들 수도 있는데 좀 다른 문제들이 있을 거예요.

그러니까 어떤 변화가 있는지 어떤지 모르겠어요. 3개월 가지고. (A가)

이게 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1년 단위로 알고 있죠?

이게 근데 회기로 계약이 되더라구요. (B가2)

합창 같은 경우엔 30차시로 계약되었데요. 그런데 끝나고 선생님이 자발적으로 봉사로 그냥

해주시더라구요. 예체능을 쭉하다가 끊겨버리면 붕 떠버리는 거잖아요.

그런게 좀 염려되더라구요. (B가2)

(7) 제언: 소년원학교 수업환경 개선 및 문화예술교육 인력과 조직의 보완

ㅇ 소년원의 특성상 소년원학교 학생들이 자주 변동되는 현상이 발생함. 이러한 현상은 교육

에 있어 집단 응집력을 저하시킴. 문화예술교육이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을 초급, 중급, 고급 등의 단계적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소년원학교 담당 실무 인력과 문

화예술교육 강사 인원의 보강이 필요함. 또한 소년원학교 내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할 공간

적 제약도 개선되어야 함.

지금 문화예술교육 이 가지고 있는 소년원학교 교육이 가지고 있는 제일 큰 문제점이 뭐냐면, 애들이

계속 들어온다는 거예요.

어떤 구성원이 들어옴 쭉하면 좋은데, 응집력 조직력이 많이 떨어져요

그러니까 학교 동아리나 뮤지컬 같은 경우는 졸업할 때 까지 쭉 가잖아요

그런데 여기는 하다가 중간에 나가버리고 과정이 바뀌면 어쩔 수 없이 바뀌어 버리고

여기는 그런 것들이 좀 부족하고, 여기는 그런데 결국 그런 것들이 그렇게 되려면 인원이 더 있고,

조직이 더 있어야 하는데 조직적인 문제고, 인원이 있어야 초급 중급 고급해서 프로그램을 이꿀 수 있는

것인데, 뭐 직원이 없으니까 일단은, 그리고 보시면 아시겠지만 교육을 시킬만한 장소가 없고, 그런 게 가장

Page 127: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108|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문제죠. (B가1)

(8) 제언: 청소년과 소년원학교에 대한 이해 선행

ㅇ 문화예술교육 강사들이 집단 워크숍을 통해 강사들이 지니고 있는 기능적인 기술 외에 현

대사회의 청소년에 대한 이해와 소년원학교의 특성, 즉 소년원학교의 특수성과 소년원학교

학생의 특징(연령대, 심리특성 등)을 이해하고 프로그램에 투입되는 것이 중요함.

교육을 오시는 분들이 이 아이들이 어떤 상태고 어떤 과정을 거쳐서 여기에 오는지 아시면 좋은데, 말

그대로 봉사활동으로 오시는 분들이 많으시거든요.

그런데 좀 더 소년원에 대해 깊게 공부를 하시고 오면, 애들에게 똑같이 공부를 하더라도, 좀 더 효과가

좋을 것 같거든요. 아 소년원학교 아이들이 이런 형태의 아이들이고 이런 힘든 점들을 듣고 있구나, 공감을

가지고 가는 거하고.

그냥 내가 하는 일이니까 하는 거하고 틀릴 수가 있으니까. (B가1)

엄밀히 따지면 그건 저희쪽에서 먼저 개선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학교처럼 딱딱 되는게 아니라, 선생님들 오신다고하면 좀 죄송하고 그래요.

최대한 맞춰드리려고 하는데[...]애들이 사실 층층이 틀려요. 입출입이 틀리잖아요.

한달에 한번 들어오니까요. 어떤 애들이 들어옴 참 항상 신입과 중간과 나중에 들어오는데 강사들이 좀

그런 심리적인 것과 나이 대를 알고 있으심 좋지 않을까. (C가)

제대로 말을 안해 주셔서 그런지 몰라도 대체로 긍정적이게 생각하시고 오세요.

어느 정도 돼서 발표회 올리려고 하면 또 나가니까, 어려움이 굉장히 많을 거라고 생각하지만 말씀은 잘

안해 주시고, 청소년과 소년원에

이해의 폭을 넓혀주시면 좋지 않을까. (D가1)

우리아이들 같은 경우엔 급작스럽고 충동적인 면이 많아서, 좀 결례를 할 수도 있어요. 그래서 어떤

아이들이 좀 슬기롭게 포용력 있게 청소년에 대한 이해와 관심 이런 게 갖춰짐 선생님들도 편하고 우리도

편하고 어떤 그런 집단적으로 워크샵 같은 것도 해주셔서

무장을 해주시고 오시면 더 좋을 거 같습니다. (D가2)

(9) 제언: 문화예술교육 지원의 확대

ㅇ 소년원학교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 중 문화예술교육이 차지하는 비율이 낮음. 소년원학교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문화예술교육에 흥미를 느끼는 학생들이 많기 때문에 문화예술의

다양한 장르를 교육시킬 수 있도록 문화예술교육 지원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함.

저희가 8개 프로그램 중에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2개밖에 안되요. 밴드랑 합창, 그런데 나머지는 구기

종목같은거구요. 그런데 구기종목도 의미는 있을 수 있지만, 문화 쪽 흥미를 느끼는 애들도 많이 있거든요.

(B가2)

Page 128: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109

(10) 제언: 문화예술교육을 정규과정에 포함

ㅇ 문화예술교육의 지원이 늘어가고 있지만 다른 교육과정과 참여해야 하는 교육에서 문화

예술교육을 추가적으로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을 소년원학교의

정규커리큘럼에 포함시켜서 운영하는 것이 필요함.

이게 정규교육이 아니다보닌깐 애들 빼내기가 너무 힘들어요.

이제 정규과목화 시키던지. 음 법무부랑 협의를 해서 담당하는 선생님 입장에서는

뭐 너무 많이 부딪히닌까. (D가2)

(11) 제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선정방법의 변화와 모니터링 강화

ㅇ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추진하는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목표를 좀 더 명확하게

설정하고 문화예술교육의 프로그램을 선정할 때, 문화예술단체 대표의 의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함. 프로그램의 일관성을 가지고 진행할 수 있도록 문화예술단체와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소통을 강화하고 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여 수혜

시설과 참여 학생들에게 만족도가 높은 프로그램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함.

프로그램의 목표와 대표(기획자)의 의지가 중요하고, 프로그램 선정과정에서의 변화가 필요해요. 사례자

별 일관성을 갖고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하기도 하고, 지속적인 프로그램 진행이 필요하다.

또한 진흥원에서는 모니터링 강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분기별로 프로그램 모니터링을 실시할 필요가

있죠. (D가1)

3.3 예술기반 분석 (Arts-based Analysis)

ㅇ 예술기반 분석은 예술을 특정 행위에 대한 결과물이나 관찰대상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닌,

연구참여자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연구도구로서 쓰이는 기법으로, 예술이 가지고 있는 고

유의 내재적 발현성을 이용하여 창작자 내면의 변화를 오롯이 읽어내는 데 있어 매우 유

용한 질적연구방법 중 하나임(Butler-Kisber, 2002).

3.3.1 예술기반분석 개요

ㅇ 본 연구에서는 예술기반분석법을 이용하여 F소년원학교의 문학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

들의 문집(창작시)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 과정에서 학생들이 선택한 언어들을

중심으로 주요 테마, 키워드를 토대로 하위주제 선정 후 상위주제 및 반복적 패턴들을 도

출하였음.

Page 129: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110|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ㅇ 분석 과정틀 안에서의 예술기반분석을 통해 도출하고자 한 주요주제는 소년원학교의 문화

예술교육의 특수적 효과임. 그 이유는 문학(시)이라는 장르의 특성 상 시상이 떠오르는 과

정 자체가 현재 자신이 처해있는 환경을 통해 발현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크고, 이를 통한

언어의 선택은 현재 학생들이 자신이 마주한 환경적 맥락을 진솔하게 반영할 수 있기 때

문임.

ㅇ 문학프로그램의 총 참여자 수는 12명으로 파악되었으며, 인용을 위한 코드는 문집 그대로

를 사용하였음.

<표�Ⅳ-18>� 예술기반�분석�개요

3.3.2 예술기반분석 결과

ㅇ 문집의 구성을 보면, 크게 세 가지 주제 안에서 창작된 것으로 드러남. 각 주제는 ① 가족

또는 부모님, ② 꽃, ③ 계절, ④ 친구임. 각 상위주제 안에서 드러난 하위주제의 공통점은

<그리움>으로 가족, 집, 그리고 친구에 대한 그리움을 통해 <미안함>, <후회> 그리고 드

구분� � � � F소년원학교

세부분야� 문학에�대한�각�장르별�이론�및�창작

분석� 자료 참여�학생들의�문집(창작시)과�참여감상문�

자료� 분석방법 주요�테마,� 키워드를�중심으로�하위주제�선정�후�상위주제�및�패턴� 분석

참여자� 코드

참여자1 KNA

참여자2 JDH

참여자3 무명

참여자4 PJN

참여자5 hhh

참여자6 CSS

참여자7 JYH

참여자8 YSM

참여자9 JYK

참여자10 KJY

참여자11 JJH

참여자12 KDH

Page 130: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111

물게 <원망>, <서운함> 등도 주요주제로 드러남.

<표� Ⅳ-19>� 예술기반�분석내용�결과

ㅇ 이러한 주제들을 통해 드러난 결과는 집에서 떨어져 단체생활을 하며 겪는 환경에 마주한

학생들 입장에서 가장 하고 싶은 말일 수도 있음. 시창작을 통해 분석된 소년원학교 문화

예술교육의 특수성은 자신의 행동과 이에 대한 결과를 잠시나마 진지하게 <반추할 수 있

는 기회>이며 이를 통해 <반성의 의지>를 확인 할 수 있는 정서적 에너지를 제공할 것이

라고 해석됨.

(1)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특수적 효과: 가족 또는 부모님에 대한 반추

ㅇ 가족과 부모님을 주제로 한 시들 중에서 가장 뚜렷하게 드러난 테마는 반성과 미안함, 가

족에 대한 그리움이 있었으며, 직접적이지는 않지만 가족에 대한 서운함 또는 원망을 표

현하기도 하였음.

ㅇ 이는 앞서 분석된 참여관찰에서 드러난 소년원학교 아이들의 개인적인 특수성 중 ‘상처와

어두운 기억들, 그리고 외로움’을 재확인 할 수 있는 요소로, 가정 내부의 문제와 부합하

여 청소년 문제가 일어나는 것이 문학작품인 시를 통해 간접적으로 드러난 것으로 파악

됨.

ㅇ 그러나 전체적으로 소년원학교 참여학생들이 창작한 시 안에는 반성, 미안함, 그리움 등이

주를 이루었으며, 이는 자신의 가족과 떨어져 단체생활을 하는 환경 속에서 가족의 소중

함과 애틋함을 되새길 수 있는 정서적 기회가 되었다고 판단됨.

과정틀 주제 분석내용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특수한�효과

가족�또는�부모님

Ÿ 반성�또는�미안함

Ÿ 가족에�대한�서운함�또는�원망

Ÿ 그리움

집에�대한�새로운�의미

Ÿ 돌아가고�싶은� 곳

Ÿ 편안함�

Ÿ 그리움

친구�또는� 지인 Ÿ 그리움�또는�미안함

주변에�대한�관찰

(계절,� 꽃,� 바람)

Ÿ 주변과�자신을�연결짓기� �

Ÿ 나�자신에�대한�반추

시사점Ÿ 자기�자신과�가족,� 지인에�대해� 반추할�수�있는� 기회

Ÿ 반성의�의지를�재확인�할�수�있는�정서적�공간�제공

Page 131: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112|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 가족 또는 부모님: 반성 또는 미안함

<부모님>

죄송스러운 우리 부모님

항상 너무 죄송스러운 내 마음

내게 모든 걸 주신 우리 부모님인데

(YKL)

<아버지>

소년원에 들어가는 것을 보시고

눈에 눈물을 보이시던 나의 아버지

내가 태어난 그 날부터

나를 위해 고생만 하시는 나의 아버지

(KDH)

<가족>

맨 날 속 썩이고 사고 쳐도

포기하지 않으시는

나의 사랑하는 할머니, 할아버지

생각날 때마다 눈물이 흐르네

일주일에 한 두 번씩은 날 찾아오시는

사랑하는 할머니, 할아버지(가족의 중요함/역할)

면회하고 돌아가시는 뒷모습에

다시 한번 더 슬픔이 몰려오네

(KNA)

<가족>

그리고 내가 그대에게 받았던

사랑, 행복을 다시 그대에게 돌려주고 싶습니다.

미안합니다.

죄송합니다.

고맙습니다.

사랑합니다.

(CSS)

■ 가족 또는 부모님: 그리움

<바람>

마지막으로 소리치네

제발 한번만 더 품어달라고

제발 한번만 더 기다려달라고

Page 132: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113

(hhh)

<가을>

가을 나뭇잎이 떨어질 때마다

아버지의 눈물이 생각납니다

가을 나뭇잎이 다 떨어진 나무를 볼 때마다

어머니의 빈자리가 느껴집니다

단풍잎이 떨어진 그 자리를 볼 때마다

동생들의 웃음소리가 그립습니다

가을 바람이 불어올 때마다

그리운 가족들이 눈앞에 아른거립니다

(무명)

■ 가족 또는 부모님: 서운함 또는 원망

<도망가는 흔들의자>

도망가는 발이 달린 흔들의자여

너무 힘이 들어 누군가 앉지 못하게

도망가는 의자여

도대체 누가 앉길래

그렇게 죽을 듯이 피해 도망가는가

(JJH)

<그>

강아지처럼 순한 그의 성격

남들이 힘들 때 도와주는 착한 그

뭣이든 솔선수범 행동하는 그

바다처럼 넓은 그의 마음

순수하기 짝이 없는 그의 미소

악마처럼 강인한 그의 성격

남들을 힘들게 괴롭히는 그

게으르고 남의 일을 방해하는 그

화를 잘 내고 토라지기 잘하는 그

음흉하기 짝이 없는 그의 웃음

(PJN)

Page 133: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114|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2)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특수적 효과: 집에 대한 새로운 의미

ㅇ 소년원학교 학생들에게 집이라는 존재는 가족에서 드러나는 테마와 마찬가지로 두 가지

교차하는 감정들이 읽혀짐. 그립지만 예전에는 죽기보다 가기 싫었던 장소, 예전에는 별로

생활하는 시간이 길지 않은 장소였지만 지금은 무척 그립고 편안한 장소로 회상하고 있음

이 드러남.

ㅇ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소년원학교의 아이들은 집이라는 주제로 ‘시창작’이라는 새로운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접했을 때, 자신의 과거에 대한 회고와 함께 집이 가지고 있는 상징

성, 자신과의 관계를 새롭게 재조명하고 이에 대한 장소감을 확립하는 것이 확인되었음.

▪ 집: 새로운 의미, 편안함 또는 그리운 장소

<집>

한때는 죽어도 가기 싫었던 우리 집

하지만 지금은 너무도 가고 싶은 우리 집

내가 필요할 때만 찾았던 우리 집

왜 그랬는지 지금은 후회스럽다

(JPH)

<집>

아, 우리 집 가고 싶다

외쳐봤자 갈순 없지만

만기라고 하다가

처분 변경 될 수도 있다

그러니까 그냥 조용히 기다리자

그러나 우리집 가고 싶다

(YSM)

<집>

집에 돌아가고 싶다

집은 나와 떨어져 있었다

나는 언제쯤 집에 돌아갈까

집이 그립다

집에서 생활하고 싶다

집에서 살아본 적이 별로 없다

집에는 내 가족들이 있어서 가고 싶다

내 집이 제일 편안한 것 같다

(JYH)

Page 134: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115

(3)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특수적 효과: 친구 또는 지인

ㅇ 청소년에게 또래집단이 미치는 영향은 매우 지대하며, 이러한 이유로 ‘친구’라는 주제로

시를 쓰는 시간이 주어졌다고 추측이 됨.

ㅇ 소년원학교 학생들의 시 안에는 친구(또는 지인)에 대한 그리움과 미안함이 주를 이루었

음. 즉, 현재 소년원학교 내에서 만난 특정 대상을 친구로 두고 시를 쓰기 보다는 소년원

학교 밖의 친구들에 대해 회고하고 이에 대한 감정을 드러내는 것을 포착할 수 있었음.

ㅇ 특이한 점은, 가족에게는 미안함, 그리움을 포함하여 원망, 서운함 등 상이한 감정들이 뒤

섞여 보이는 반면, 친구에 대한 작품에는 미안함과 그리움만이 주요 테마로 드러남.

ㅇ 이러한 분석결과는 소년원학교 학생들에게는 부모님 이외에 친구들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요소이며, 이들이 속한 또래집단이 소년원생활 이후의 행동이나 미래 설계에 있어

중요한 영향을 끼치게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함.

▪ 친구 또는 지인: 대상에 대한 그리움 또는 미안함

<너>

보고픈 마음 어찌 표현할까

외로운 마음 어찌 말로 할까

매일 보고 싶은 마음

눈을 감아도 눈을 떠도

생각나는 너

오늘도 널 생각하며

잠이 든다

(KDH)

<친구>

늘 미안하고

늘 보고 싶다

친구야

나의 짧은 생각에서 비롯된

말과 행동들이

너에게는 예리한 칼날처럼

크나큰 아픔과 상처를 주었지

(KNA)

Page 135: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116|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4)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특수적 효과: 주변에 대한 관찰

ㅇ 계절, 꽃, 바람이라는 주제는 우리 주변에 항상 존재하고 있지만, 깊은 관심을 쏟지는 않

는 주제로 나와 내 주변에 대한 관찰, 그리고 나의 감정과 연결 지어보기라는 점에서 의

미가 있음.

ㅇ 위의 주제에서 꽃에 관해 가장 빈번히 드러나는 주제는 시간과 외모에 대한 무상함도 있

었지만, 바람을 통해 자신이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서의 감정과 이를 연결지어 회상하기도

하고, 꽃이라는 주제를 통해 다양성에 대해 말하기도 함.

ㅇ 비록 양적·질적연구 모두에서 드러나는 문화예술교육의 주요 효과는 아니었지만,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참여학생들은 자신의 표현력과 관찰력을 높이는 훈련을 받고 있다고

유추해 볼 수 있음.

▪ 계절, 꽃, 바람: 자아 또는 주변에 대한 적극적 관찰과 반추

<꽃>

아무리 예쁜 꽃이라도

평생 동안 예쁠 수는 없다

그러니 예쁘다고 잘생겼다고

자만하지 말아야지

(JYK)

<꽃>

아무리 아름다운 꽃이라도

아무리 못 난 꽃이라도

모두 시들어버리면

다 똑 같이 못 생겨 져간다

(YSM)

<바람>

해 질 무렵 바람이

몹시 불던 날

집으로 돌아오는 길

버스 창가에 앉아

불어오는 봄바람

어쩌지도 못한 체

난 그저

멍할 뿐 이었다

Page 136: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Ⅳ.� 연구결과|117

(JYK)

<꽃>

꽃의 이름도 다 다르듯이

꽃의 의미도 다 다르네

아름다운 꽃이 있으면

슬픔의 꽃도 있는 것을

(JJH)

Page 137: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Page 138: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Ⅴ. 결론

1. 요약

2. 제언

Page 139: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Page 140: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Ⅴ.� 결론|121

1. 요약

ㅇ 본 연구의 목적은 소년원학교 대상의 문화예술교육 효과를 심리적 측정, 생리적 측정, 참

여관찰 및 심층면접 등을 통해 체계적으로 평가하여, 효과요인을 밝히고 효과성 결과를

기반으로 소년원학교의 문화예술교육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임.

ㅇ 본 연구의 목적인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참여자

(실험집단)와 비참여자(비교집단)를 대상으로 심리적 측정, 생리적 측정을 실시하고, 문화

예술교육 참여자,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관련자, 소년원학교 담당교사 등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실시하였음.

ㅇ 먼저 심리적 측정의 경우, 1차 조사는 2014년 6월 5일부터 7월 30일에 걸쳐 시행하였고,

사후설문지는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2014년 10월 10일부터 11월 20일까지 실시되었음. 프

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사전, 사후조사 설문지에 모두 참여한 인원만을 분석 대상

으로 삼았으며, 모든 설문에 응답한 인원은 206명(실험집단 138명, 비교집단 68명)이었음.

측정도구는 임영식 등(2012)에 의해 개발된 교정시설,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 개발시 사용한 데이터 중 소년원학교 데이터만을 추출, 재분석하여 청소년에게 적합

하게 간소화하여 사용하였음.

ㅇ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참여자인 실험집단 학생과 비참여자인 비교집단 학생을 대상으

로 심리적 측정을 실시한 결과,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문화예술

교육을 받은 이후 즐거움과 사회성, 자아존중감, 문화예술 선호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음.

ㅇ 비교집단의 경우, 즐거움, 사회성, 표현력,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력, 스트레스, 충동성, 공격

성, 문화예술 선호성의 모든 측정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음.

ㅇ 다시 말해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은 소년원학교 학생들의 즐거움, 사회성, 자아존중감,

문화예술 선호성을 증진시키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고 할 수 있음.

ㅇ 하지만 소년원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의 또 다른 효과 요인으로 고려하였

던 표현력, 자기조절력, 충동성, 공격성은 문화예술교육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음.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실험집단의 자기조절력 사전평균치보다 문화예술교육을 받은 사후

평균치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고, 충동성과 공격성에서는 사전 평균치보다 사후 평균치가

감소하였으나, 이러한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음.

ㅇ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표현력의 향상을 유발하지 못한다는 결

Ⅴ. 결론

Page 141: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122|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과는 임영식 등(2012)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으며, 문화예술교육이 자기조절력을 향상시

키지 못한 본 연구 결과는 ADHD 아동들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였지만 이들

의 자기주장을 유의미하게 향상시키지 못하였다는 유지영‧전은주‧김춘경(2009)의 연구결과

와 유사하였음. 또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였지만 참여자의 충동성(혹은 흥분성)과 공격

성이 유의미하게 변화되지 못하였다는 연구들이(예, 강미량・염시창, 2008; 김택호・배숙경,

2013; 박남이・김춘경, 2013; 박여울・홍창희, 2011; 유지영 외, 2009; 이정화・류정미,

2014 등) 있음.

ㅇ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과는 반대로 비행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이 청소년들의 충동조절,

자기표현능력 개선에 효과가 있으며(권재기・우주희, 2007; 박중길 외, 2006), 공격성 저하

효과를 주장한 최애나와 차은선(2007)의 연구도 있음. 윤향숙과 정윤정(2010)의 연구에서

는 공격성의 하위 요인 가운데 방어적 반응적 공격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이

나, 기질적 자발적 공격성과 공격적 표현의 통제력, 자기주장적 태도는 유의한 변화를 보

이지 않았음. 정윤정・윤향숙・신지현・김성곤・장성화(2012)의 연구에서는 공격성은 유의미

하게 감소하였으나 충동성은 유의한 변화가 보이지 않았음.

ㅇ 이처럼 문화예술교육의 효과가 연구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보이는 것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음.

ㅇ 현장에서 실시되는 문화예술교육은 매우 큰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 우선 각각의 문화예술

교육에서 추구하는 목표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문화예술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도구나 방법(예를 들어, 문화예술교육의 장르와 문화예술교육의 횟수 및 기간 등)에서 많

은 차이가 있음. 또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는 주체와 대상 그리고 환경에서의 차이, 문화

예술교육을 실시하고 난 이후 효과성을 측정하는 방법(예를 들어, 심리적 측정, 생리적 측

정 등)과 측정 도구 등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음.

ㅇ 문화예술교육의 목표는 어떤 기관에서 어떤 목적을 가지고 누구를 대상으로 어떤 내용을

누가 진행하느냐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많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서 추구하는 목표

는 자존감, 공동체의식, 사회적응력 향상과 비행 예방 등을 들 수 있음. 그렇지만 여기에

서도 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주체자에 따라 동일하게 사용한 목표의 개념이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예를 들어, 김택호・배수경(2013)의 연구에서는 공격성을 말다툼이나

싸움을 자주하며, 나의 물건이나 남의 물건을 부수는 등 공격성, 싸움, 반항행동으로 개념

정의하여 행동결과에 주목하지만, 또 다른 연구 강미량과 염시창(2008), 윤향숙과 정윤정

(2010) 등의 연구에서는 본래 지니고 있는 인간 본성의 공격성향 또는 타인, 자기, 기타

대상에 대한 상해나 공포 또는 고통을 주려는 의도나 욕망으로써, 신체적 공격성을 포함

하여 언어적, 적대적, 흥분성, 부정성, 의심 등을 포함하여 동일하게 공격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의미적인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로서 어떤 연구에

Page 142: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Ⅴ.� 결론|123

서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만 또 다른 연구에서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음.

ㅇ 현재 문화예술교육은 음악, 미술, 연극, 무용, 사진, 시창작 등 여러 가지 장르를 통해 이

루어지고 있는데 장르에 따라 상대적으로 효과적인 요인은 달라질 수 있음. 예를 들어 음

악이 미술보다 충동성 조절에 더 효과가 있고, 미술이 음악보다 부주의 감소에 더 효과적

임(유지영 외, 2009). 또, 음악의 경우에는 집중력, 문제행동 등의 행동적 영역이 다른 영

역에 비해 효과가 크게 나타났고(황은영, 2012), 무용의 경우에는 공간인식과 자신의 몸에

대한 주인의식과 자기조절감각 회복에 도움을 주며(Goodill, 1987), 신체적 건강이라는 효

과도 나타날 수 있음(임영식 외, 2013).

ㅇ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는 대상 및 기간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음. 예를

들어, 비행청소년은 대부분 순간적이고 충동적으로 발생하는 분노, 공격성 등의 감정을 조

절하지 못하고 특히 도덕적 가치판단의 미성숙으로 쉽게 비행을 저지르는 경향성을 보이

며(박중길, 2006), 윤향숙과 정윤정(2010), 정윤정 등(2012)은 소년원학교 학생들은 타인

에 대한 불신감이 높아 자신의 내면을 쉽게 드러내지 않으며 방어적이기에 단기간에 변화

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하였음.

ㅇ 또한 문화예술교육이 이루어지는 환경 역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임. 본 연구와 같이 소년원학교라는 특수한 폐쇄적 환경은 다른 시설에 비해 엄격한

규율 및 통제와 행동적 제약이 많아 학생들의 자기 표현력이 향상되기 어려웠을 가능성도

있음.

ㅇ 따라서 소년원학교 학생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언급한 여러 가지 요인들을 고려한 교육의 기획 및 실시가 필요하다고 하겠음.

ㅇ 생리적 측정은 문화예술교육으로 나타날 수 있는 스트레스 감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것

으로, 사전측정은 2014년 7월 1일부터 9월 5일에 걸쳐 시행하였고, 사후측정은 프로그램

이 종료되는 2014년 10월 6일부터 11월 11일까지 실시되었음.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시설 가운데 4개소를 선정하고, 프로그램 실시 사전, 사후에 측정하였음. 생리적 측

정에 참여한 학생들의 타액을 채취하여 타액내 코티졸의 농도를 통해 스트레스 수준을 평

가하였으며 코티졸 사전, 사후 측정에 모두 참여한 참가자는 60명이었음.

ㅇ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참여자인 실험집단 학생과 비참여자인 비교집단 학생을 대상으

로 타액내 코티졸 농도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경우, 문화예술교육을 받기 전과 후의 코티졸 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

가 없었음. 이에 반해 비교집단의 경우,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할 시점(비록 비교집단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지 않았지만)보다 문화예술교육이 끝나는 시점에서의 코티졸 농도

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음. 다시 말해 문화예술교육 참여 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집단의 코

Page 143: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124|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티졸 농도의 사전 사후 측정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음.

ㅇ 이러한 결과는 소년원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이 스트레스를 적극적으로

감소시켜 주지는 못하고 스트레스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지만, 문화예술교육을 받

지 않을 경우 스트레스는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주며 차은선, 김택호(2013)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고 있음.

ㅇ 또한 문화예술교육의 스트레스 감소 효과를 연구한 국내연구인 구진경(2010), 안태영과 김

인숙(2012)와 국외연구인 Garret 외(2013), Teplin 외(2002)와 Claudia 외(2012), Gunter

외(2003), Julia 외(2009)의 결과와 유사함.

ㅇ 질적연구는 2014년 10월 7일부터 12월 10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참여관찰, 면접기법, 예술

기반연구방법이 사용되었으며, 참여한 인원은 소년원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총 57명임. 이

러한 질적연구는 소년원학교 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고유한 가치분석을 위해 그 과

정과 맥락을 이해하는 주요 채널로 수행되었으며, 연구의 시사점과 현 문화예술교육의 제

약 및 개선점을 객관적으로 도출하기 위해 소년원학교 학생들 이외에도 소년원학교의 관

계자와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강사들의 의견을 수집·분석하였음.

ㅇ 분석은 소년원학교 내 문화예술교육의 보편적 효과와 소년원학교에서 특별하게 나타나는

문화예술교육의 특수적 효과를 분리하여 도출함.

ㅇ 소년원학교라는 특수한 환경에서도 보편적 효과로 분류가능한 문화예술교육의 일반적 효

과로는 소극적인 태도에서 적극적인 태도로 변화, 공동체적 가치 습득, 문화적 삶에 대한

참여의지 기반 제공, 자신감 향상, 상상력과 창의력을 통해 획득한 성취감, 협동기술 및

공감능력 향상, 자아의 발견 및 확신, 타인에 대한 재발견으로 문화예술의 교육적 효과를

요약할 수 있음

ㅇ 소년원학교라는 특수한 환경과 결부하여 특별히 언급 또는 관찰되어진 특수적 효과로는

반추 및 반성의 기회제공, 기분전환을 위한 쉼표, 스트레스 해소와 그에 따르는 즐거움,

매 주 돌아오는 시간에 대한 기다림과 설렘, 정체되어 있지 않다는 인식에서 오는 안도감,

외부와의 접촉을 통한 새로운 관계 형성,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참여 동기화, 그리고 새로운

형식(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사회와의 소통 통로 획득으로 요약됨.

ㅇ 선행연구를 통해 드러난 소년원학교 학생들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들은 본 연구의 질적 연

구 결과에서도 유사하게 드러났음. 특히 낮은 자아존중감, 부정적 자아개념(김상균, 2005),

빈곤과 가족과의 불화(김수연・김명권, 2002) 등과 같은 가정적 특징, 높은 스트레스(신민

희・강문희, 2005) 등이 참여관찰, 면접조사, 예술기반연구를 통해 모두 재확인되었음.

ㅇ 질적연구 결과가 소년원학교 내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과 관련하여 기존의 문헌(김용주

외, 2010, 김현정, 2007: 임영식 외, 2012; Hartz & Thick, 2006 ; Miles, 2003;

Page 144: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Ⅴ.� 결론|125

Pearson, 2009 등)들이 발견한 특성의 범주 안에서 크게 벗어나는 점은 없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의 심리적 측정 결과와도 일맥상통하는 것이라 하겠음.

ㅇ 하지만 특정 장르를 기반으로 발현된 효과들은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함. 합창을

통해 인지한 협동의 중요성, 무용을 통한 자기 신체에 대한 재인식, 뮤지컬 을 하면서 자

신의 이야기를 극화시키며 자연스럽게 인지되는 내가 누구인가에 대한 고민과 고찰, 시를

통해 자기주변인물과 환경 및 사물에 대한 반추는 각 장르가 가지고 있는 성격과 특성이

교육적 효과로서 어떻게 발현되는가에 대한 또 다른 연구의 필요성과 이에 따른 논의가

필요함을 대변함.

<그림�Ⅴ-1>� 소년원학교�문화예술교육�질적연구�종합적�효과

Page 145: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126|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2. 제언

ㅇ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주요 연구참여 그룹인 소년원학교 학생, 문화예술교

육프로그램 강사, 그리고 소년원학교 담당교사는 교육프로그램 운영 및 진행 방식에 대한

제언에 있어 조금씩 입장의 차이가 보이지만, 공통적으로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지속적

이고 장기적인 커리큘럼 개발, 수업환경 개선, 강사에 대한 지원 등으로 수렴될 수 있음.

ㅇ 입장의 차이로는, 학생의 경우 수업방식, 내용, 그리고 장비 등에 대해 바라는 점이 드러

났다면, 강사의 경우는 조금 더 확장 된 개념에서 수업을 진행하는 데 필요한 실질적인

개선점들에 대해 언급하는 형태를 띠는 것이 확인됨. 관계자의 경우 강사보다 더욱 거시

적으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확대 등을 정책적 제언으로 답함으로써, 프로그

램을 운영하는 기관의 입장에서 단순한 지원의 확대뿐만이 아니라 문화예술교육 전반에

걸친 거버넌스의 지원과 강화를 원하는 것이 드러났음.

ㅇ 주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연구 제언은 다음과 같음.

2.1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연구에 대한 제언 2.1.1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연구 방법의 적용

ㅇ 현재 소년원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은 교육 대상과 각 소년원학교의 특성,

문화예술교육 분야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향후 소년원학교 문화예술

교육의 효과성 연구는 이러한 특성적 차이를 고려한 보다 정밀한 연구 설계를 통한 평가

가 필요함.

ㅇ 전국에 지역별로 분포하고 있는 소년원학교의 경우, 학생들의 특성 및 생활 태도, 희망 진

로(대학입학 희망 여부, 기술직 희망자) 등에 따라 학생들의 소년원학교가 정해짐.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더욱 섬세하게 연구하려면, 이러한 소년원학교의 특성을 연구초기

에 반영하여 각 효과에 대한 검증 및 결론을 세부적이고 입체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연구

설계를 진행할 필요가 있음. 이러한 소년원학교의 특성을 고려하여 문화예술교육 효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한다면 보다 적절한 시사점과 맞춤형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임.

ㅇ 소년원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은 음악, 미술, 무용 등 다양한 문화예술 장

르에 걸쳐 있는데 각각의 문화예술 분야는 본질적으로 가지고 있는 장르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 본 연구의 질적 연구결과에서도 각 장르의 고유한 성격에 따라 조금씩 다른 주 효

과가 나타난 바 있음. 이러한 결과는 현재 문화예술교육이라는 큰 범주로만 이루어지고

Page 146: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Ⅴ.� 결론|127

있는 효과성 연구가 향후 각 장르별 세부적인 접근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음.

다만,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교육효과의 가장 중요한 변수는 강사의 역량과 열

정으로 이를 고려하지 않은 단순 장르별 구분은 오히려 잘못된 해석을 불러일으킬 수 있

으므로 연구실행에 앞서 세심한 주의를 요함.

2.1.2 엄정한 효과성 검증을 위한 연구 일정 및 연구 설계의 실시

ㅇ 대부분의 소년원학교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연구가 시작되기 전 이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엄밀한 의미에서의 사전, 사후 설계가

되었다고 하기 어려우며, 특히, 연구 도중 대상자들의 학교 이동 및 귀가 등으로 인한 중

도 탈락률이 높아 연구결과의 분석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ㅇ 보다 정확하고 엄정한 효과성 검증을 위해서는 소년원학교에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시행되기 전에 효과성 검증을 위한 연구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며, 소년원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문화예술교육단체의 선정과 더불어 소년원학교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시행하는 단체

들의 공통된 목표를 명확히 하고 이에 따른 세부계획 수립과 사전교육 등이 연계되어 연

구 설계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 이는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의 목표와 내용이 일치해야 하며, 이에 따른 객관적 측정방법과 측정도구의 사용이 이루

어져야 하기 때문임.

ㅇ 또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기 전에 소년원학교의 단기로 머무는 학생과 장기간 머무는

학생으로 구분하여 프로그램 참가자를 선정하고 이에 따른 프로그램의 회기 및 프로그램

의 세부내용 등을 면밀히 검토하는 과정을 거쳐 프로그램을 기획할 경우, 중도탈락율 또

한 많이 낮출 수 있어 엄정한 효과성 검증이 가능함.

2.1.3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장기적인 효과성 검증

ㅇ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은 소년원학교 학생들의 안정적인 학교생활과 사회복귀에 이바지

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단체생활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적

극적이고 긍정적인 자기계발 기회를 도모하도록 소통의 장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음(최혜자 외, 2007). 학생들의 소년원학교 재학기간은 짧게는 1개월(단기소년원)에서

길게는 2년(장기소년원)임. 본 연구에서는 소년원학교 재학기간 중 문화예술교육 효과로

한정되어 연구가 진행되었기에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나타난 효과가 소년원학교 생활 이후

지속적으로 나타나는지 그리고 이들이 얼마나 사회에 잘 적응하는지 등에 대해서는 연구

되지 않았음. 하지만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본래의 목적에 비추어 보더라도 소년원학

교 생활 이후에 나타나는 현상에 대한 검증은 매우 필요한 부분임.

Page 147: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128|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ㅇ 따라서 향후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학생들의 사회 생활 상황을 관찰하여 소

년원학교 재학 기간 동안 받은 문화예술교육이 이들 청소년의 진로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가에 대한 심층연구가 필요함. 또한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재사회화에 성공한 청소

년의 사례를 발굴하여 심층적인 연구를 진행한다면 여러 가지 관점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사료됨. 이러한 성공적인 사례들이 공유된다면 문화예술교육 강사나 소년

원학교 담당교사들에게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확신과 함께 문화예술교육을 확산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됨.

2.2.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대한 제언

2.2.1 정책적 측면

(1)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중장기적 계획 수립

ㅇ 현재 소년원학교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은 정규교과 외에 진행되는 특별활동으로 분류되어있

음.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는 형성되었고, 그에 대한 효과성이 증명되었기

때문에 법무부는 소년원학교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정규교과 활동으로 정착화시키는 방안을

심도 깊게 논의할 필요가 있음.

ㅇ 특히, 각 소년원학교의 특수성과 학생의 특성을 반영한 문화예술교육의 장르를 선정하고

지속적 정규교과 과정으로 운영한다면 문화생활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소년원학교의 학

생들이 문화를 삶의 도구로 인식하고 향유할 수 있는 문화권을 경험할 수 있을 것임. 또

한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긍정적인 자기인식과 계발, 더 나아가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효

과인 재범률을 낮추고,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적응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임.

ㅇ 특히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은 10년차 사업으로써, 그동안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양적 성장에 집중하여 왔다면, 이제 소년원학교 환경 이해와 학생 특성을 반영한 명확한

비전과 목표를 수립하고 향후 10년 동안의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중장기계획 수립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됨. 이러한 중장기적 계획은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투입, 과정,

산출, 결과에 이르기까지 치밀한 계획과 평가 요소까지 고려해야 할 것임.

(2)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유관기관의 협력모델 구축

ㅇ 현재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체육관광부의 예산으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주관하는 사회문화예술교육이며, 법무부는 업무 협조를 하고 있는 상황임.

Page 148: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Ⅴ.� 결론|129

ㅇ 파트너십의 방법은 여러 가지 형태를 띠지만 더욱 효율적 운영과 효과적 교육 측면을 고

려한다면 교육 투입에 대해서 두 부처를 포함, 관련 정부부처 간의 협력모델을 발굴하여

적절한 역할과 책임을 분배하는 것이 필요함. 투입에 대한 책임은 예산 분배자의 욕구를

반영하게 되고, 더욱 더 적극적으로 교육과정 및 평가에 참여하게 할 것임. 따라서 교육과

정과 교육결과 및 효과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궁극적으로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

ㅇ 하지만 문화체육관광부와 법무부, 그 외 관련 정부부처의 담당교사가 주기적으로 협업체계

수행과 유지를 위해 서로의 의견을 개진하고 이에 대한 협의를 도출해야함. 여러 가지 상

황과 변수 및 시나리오 등을 고려한 정확한 역할을 부여하여 형식적 협업이 아닌 지속가

능하고 실체하는 협력체계를 시스템화 해야 함.

ㅇ 특히 소년원학교 내 사회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예산은 정책의 지속성을 담보하기 위한 가

장 기본적인 부분으로 법무부도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업무협조와 함께 예산의 일부

분을 담당하는 것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음. 이는 2006년부터 시행된 소년원학교 문화예

술교육의 질적 향상과 효과적인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꾸준한 발전을 위해 반드시 공유되

고 협조되어야 할 사항임.

(3) 문화예술교육과 문화예술의 향유 기회 확대

ㅇ 소년원학교에서 진행하고 있는 프로그램 중 문화예술교육이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낮음.

소년원학교 내 학생들은 대부분 소년원학교에 들어와 문화예술교육을 처음 접해보는 것이

파악됨. 이들이 평소 경험하지 못했던 문화예술교육은, 단순한 교육이 아니라 새로운 세계

와의 만남이며 도전일 수 있음.

ㅇ 새로운 도전과 시도라는 점에서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성취감과 자신감을 향상시키며, 이러

한 과정은 이들이 건강한 사회인으로 자리 잡아 가는 데 필수요소라고 볼 수 있음. 그러

나 문화예술교육이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닌 지원형태의 사업으로 운영되는 것은

한계를 가지고 있음. 다양한 장르 별 문화예술교육과 함께 다양한 외부 공연이나 전시 등

도 향유할 수 있도록 지원사업의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소년원학교 운영규정 상 학

생들의 외출이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그 대안으로 문화관광체육부는 다양한 공연단체와

전시기획 팀을 소년원학교 내에 지원사업의 형태로 파견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음. 이

러한 정책적인 지원과 노력을 통해 소년원학교 학생들이 문화예술교육을 보다 많이 접하

고 문화예술을 향유한다면 소년원학교의 문화예술교육이 가지고 있는 본래의 목적을 보다

쉽게 달성할 수 있을 것임.

Page 149: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130|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2.2.2 내용적, 운영적 측면

(1) 참여 학생의 욕구가 반영된 프로그램 설계 필요

ㅇ 프로그램 기획 및 설계에서 중요하게 반영해야 할 점은 참여자들의 문제와 욕구임. 이는

학생대상 프로그램의 경우 특히 수요자의 요구와 환경에 민감해야 하기 때문임. 특히 소

년원학교라는 환경에 있는 학생들의 경우에는 이들의 욕구와 환경이 더더욱 중요하게 고

려되어야 함. 따라서 소년원학교 학생들의 충분한 욕구를 파악하고 이를 프로그램에 반영

할 수 있도록 해야 함.

ㅇ 소년원학교 학생들은 TV, 라디오, 인터넷, 핸드폰 등 외부 매체와 일절 단절되어 있지만

이들의 연령대, 흥미를 고려해 보았을 때, 대중적이고 현대적인 장르에 대한 적절한 노출

또는 연계는 수업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으로 사료됨.

ㅇ 이는 단순히, 커리큘럼 내용을 대중가요나 팝 또는 유행을 반영하여 학생들의 욕구를 간접

적으로 충족한다는 것 보다는 강사와 학생 간의 정서적 유대감 또는 친근감을 높일 수 있

으며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접근방법으로 보임.

ㅇ 그러나 일부의 경우, 현재 진행하는 문화예술교육의 음악이나 내용 자체가 다소 시대적 흐

름과 맞지 않아 학생들에게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어, 이러한 부분이 강사들에게는 내용

과 프로그램의 익숙함과 안정성을 가질 수 있으나 새로운 도전을 통해서 현재적 관점을

통한 개선방향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이는 학생 인터뷰에서 학생의 눈높이에 맞는 수업

을 제안하고 있음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음.

ㅇ 따라서 강사들은 현재 학생들의 취향과 관심분야를 파악하고 소년원학교 학생들과 협의

하에 무용 및 음악선택에 있어 현대적 장르를 선택하고 이를 활용하는 것이 보다 큰 교육

적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보임.

(2)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탄력적 운영에 대한 지원

ㅇ 소년원학교의 특성상 학생들이 자주 변동되기 때문에 문화예술교육이 진행되는 도중에 학

생이 다른 시설로 전출되거나 새로운 학생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일이 발생함. 이러한

경우 교육의 일관성이 떨어지고 교육진도의 차이가 발생하여 프로그램의 운영과 효과의

측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또한 문화예술교육에 계속적으로 참여하는 학생과 새로 프

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의 욕구에서도 차이가 발생하여 프로그램의 참여 동기를 떨어뜨리는

역할을 함. 따라서 보다 효율적인 문화예술교육 운영과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을 초급, 중급, 고급 등으로 단계적인 구분이 가능한 커리큘럼을 구

Page 150: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Ⅴ.� 결론|131

성할 수 있어야 함.

ㅇ 학생들의 잦은 변동으로 인한 문화예술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현재 주1회 문화예

술교육 프로그램 투입이라 규정되어 있는 지침을 주 2회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 시설

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법무부, 소년원학교 간의

조율이 필요함.

ㅇ 아울러 시간 운영에 있어서도 한 회기에 50분 수업에 10분정도의 휴식시간을 포함하여 2

시간이 이상이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등 시간 확보에 대한 계획도 필요한 것으로 파악

됨.

ㅇ 또한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기간이 현재보다 길게 유

지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공통적으로 확인되었음. 평균 3개월의 교육기간을 통해 소년원학

교 학생들의 변화를 언급한다는 것은 무리가 있으며,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이들의 응어리

와 삶의 동기부여를 끄집어내려면 좀 더 장기적인 안목에서 시간을 충분히 두고 문화예술

교육을 하는 것이 필요함.

(3) 현장 모니터링 및 컨설팅 지원 확대

ㅇ 문화체육관광부 및 법무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년원학교 등 본 지원사업의 협력주체들

이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적 목표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이러한 목표가 소

년원학교 및 문화예술교육 단체와 공유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 그리고 실제 현장에서 문화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할 강사나 소년원학교 담당교사 등 모든 관련자들이 본 지원사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모니터링

을 보다 확대하고 필요한 부분에 대한 지원의 확대가 이루어져야 함.

ㅇ 일부의 경우, 기획자, 강사가 소년원학교의 특수성을 이해하지 못한 상태이거나 체계적인

기획의도를 가지지 못하고 교육에 임할 때, 협업이 필요한 신뢰체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파악되었음. 이는 특히 소년원학교 담당교사 입장에서 토로된 만큼, 양질의 문

화예술교육 효과가 지속될 수 있도록 단체 선정에서부터 종료 시까지 보다 지속적이고 구

체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보임.

ㅇ 따라서 사업 협력 부처 및 부서들은 현재 추진하고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 안에 소년원학

교 담당교사를 적극적으로 개입시키는 등의 노력을 통해 서로의 이견을 지속적으로 조절

해 나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긴밀한 소통을 유지시키는 것이 필요함.

ㅇ 또한 본 지원사업을 주관하는 각 기관들은 문화예술단체 및 소년원학교와의 소통을 강화

하고 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 또한 강화하여 소년원학교와 참여학생 모두에

게 만족도가 높은 프로그램이 될 수 있도록 꾸준한 관리 및 지원체계가 필요함.

Page 151: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132|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4)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는 예술단체 및 강사에 대한 지원 강화

ㅇ 현재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시행 전에 문화예술교육을 담당하는 관계자를

대상으로 워크숍을 진행하고 있음. 워크숍에서 교정시설 및 소년원학교에 대한 오리엔테

이션과 문화예술단체 담당자와 소년원학교 담당교사 등과의 만남을 통해 서로에 대한 이

해와 욕구를 파악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서로 욕구와 상황을 충분히 파악하고 전국에

소재해 있는 각 소년원학교에 최적인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제작하는데 부족한 시간일 수

있음.

ㅇ 이에 대한 개선으로 각 소년원학교의 체계, 위치적 환경, 각 소년원 학생의 특징 및 배경

등 개인정보를 침해하지 않는 윤리적인 범위 안에서 최대한 다각화된 정보의 공유와 제공

이 가능하다면 대상의 이해에 기반을 둔 문화예술교육이 기획될 수 있을 것임.

ㅇ 또한 문화예술교육 기획자와 강사 그리고 소년원학교 담당교사 등이 지속적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워크숍 형태 외의 만남을 제공하여 각각의 소년원학교에 가장 적합하고 문화

예술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시행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임.

(5)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침서 등 참고자료 보급·활용

ㅇ 소년원학교는 학교와 학생이라는 다른 학교들과 비교해 보편적인 특성도 있지만, 학교 내

열 규칙과 제약, 소년원학교 학생들마다의 개인적 특성으로 인한 특수성도 감안해야 함.

소년원학교의 학생들은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문화예술에 대한 감수성을 기르고 스트레스

를 해소하며 사회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하게 됨. 소년원학교 학생들

의 문화예술 경험도가 일반 학생들보다는 낮은 편이기 때문에 문화예술교육이 학생들에게

소중한 인생의 경험으로 다가가기 위해서는 기획에서부터 많은 에너지와 고민이 담겨있어

야 할 것임.

ㅇ 따라서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는 문화예술단체의 기획자와 강사들이 문화예술

교육 기획과 프로그램 진행시 반드시 참고해야하는 지침서를 제작해 배포한다면 프로그램

기획과 진행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측됨. 이는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에게도 수혜의 범위와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됨. 소년원

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기획자들이 언급한 ‘프로그램 기획시 고려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

- 소년원의 제약, 규정, 환경에 대한 명확한 이해

Page 152: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Ⅴ.� 결론|133

- 흥미유발, 동기부여를 위한 선배 강사의 조언 첨부

- 실질적 사례를 바탕으로 수업에 몰입과 집중을 독려하는 교수법과 전략 공유

- 소년원학교의 특성상 활동성에 대한 고려

- 강사의 열정과 역량의 중요성

- 실질적 문화예술 프로그램보다 청소년과의 정신적 교류의 중요성

- 학생들과의 관계형성에 많은 에너지 필요

- 인원의 잦은 변동으로 주기적으로 교육내용 재설계 필요

- 소년원학교 담당교사와의 소통, 수혜시설과의 호흡의 중요성

- 프로그램 종료에 대한 대비와 종료 후 사후관리

- 학생들을 대하는 끊임없는 관심과 애정에 대한 필요

(6) 양질의 수업운영을 위한 강사 지원 및 교육환경 개선

ㅇ 소년원학교 학생들은 문화예술교육 수업 자체에서의 의미도 중요하지만 강사와의 소통을

통해 격려와 칭찬을 통한 자신감 향상, 타인과의 새로운 관계 형성 및 지속적인 문화적

삶에 대한 참여의지,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참여 동기화 등이 달라질 수 있음. 따라서 교육

의 효과를 신장시키기 위해 각각의 소년원학교에서는 문화예술교육 강사와 소통하고 이들

이 소년원학교 환경에서 교육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교육적 환경을 조성해주는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함.

ㅇ 구체적으로, 충분한 교육시간의 확보와 함께 소년원학교 내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할 공간적

제약과 수업환경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임. 소년원학교의 한정된 공간 안에서도

문화예술교육의 최적의 장소를 선별해 주고, 교육 시 필요한 전신거울, 악기, 미술도구 등

과 같은 물품을 확보하여 교육생들의 교육의 질을 개선시켜 줄 필요가 있음.

ㅇ 특히 문화예술교육이 이루어지는 공간과 그 공간의 디자인은 사람들의 정서와 교육에 적

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세심한 준비와 설계가 필요함. 따라서 문화예술

교육 효과성이 극대화되기 위해서는 소년원학교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투입됨과 동

시에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기에 적절한 시설 개선 사업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임.

Page 153: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134|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강미량, 염시창 (2008). 집단미술치료를 적용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교육연구, 31. 89-102.

강태신 (2005). 범죄 청소년 보호요인 강화를 위한 동물매개치료 및 심리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경기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곽영순 (2009). 질적 연구: 철학과 예술, 그리고 교육. 경기도: 교육과학사.

구진경 (2010). 타액 코티졸 농도변화를 통해 살펴본 임상미술치료의 효과. 임상미술치료학연구, 5(1),

26-32.

권명진 (2008). 음악치료가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뇌파, 자율신경계, 인지, 행동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권재기, 우주희 (2007). 비행청소년을 위한 토론연극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청소년학연구, 14(6)

229-255.

김경욱 (2006). 공공미술이 도시를 바꾼다. 서울: 문화광광부.

김동수, 정연수, 박세권 (2004). 스트레스 호르몬인 타액 코티졸과 자기보고식 스트레스 척도 점수 사이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3), 533-645.

김미숙, 김주찬(2013). 미술치료가 비행(非行)청소년의 소년원 수용생활에 미치는 효과. 소년보호연구, 22,

113-141.

김민정 (1996). 심리극을 통한 사회성과 대인관계 갈등해결방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김상균 (2005).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성격 차이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지, 20, 97-122.

김선아, 정다워, 권치원, 염동걸, 김건우, 최윤호, 박범진 (2014). 숙박형 숲체험 프로그램이 인체의 심리적,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359.

김수연, 김명권 (2002).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MBTI 성격유형과 부모와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2), 175-183.

김안식 (2010). 수형자의 종교활동 및 성향이 정신건강과 수용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요한 (2006). 지역사회 교정을 통한 수용자 가족관계 회복 프로그램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용주, 임영제, 최영출, 박길성 (2010). 증거기반 문화예술교육 정책 추진을 위한 통계데이터 개발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김유광 (1986). 정신질환에 대한 심리극의 효과(3). 중앙의학, 38, 81-94.

김인설 (2013). 사회자본 증진을 위한 촉매로서의 예술: 예술기반 실행연구(Art-based Action Research)

사례와 문화정책적 함의. 문화정책논총, 27(2), 121-142.

김인설, 정 득, 이종석 (2014). 문화예술활동이 청소년 정서에 미치는 영향: 생태학적 관점에서의 실증연

구. 문화정책논총, 28(1), 226-253.

참고문헌

Page 154: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Ⅴ.� 결론|135

김정민, 신민주, 이선희, 최환석, 옥선명 (2004). 피로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의 피로도에 따른 자율신경변

화-심박동수 변이 검사를 중심으로-. 가정의학회지, 25, 52-56.

김정택, 심혜숙 (1994). 어린이 및 청소년 성격유형검사 안내서. 서울:한국심리검사연구소.

김진이, 이소영 (2007). 교정시설 미술교육 교수학습과정안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김택호 배숙경 (2013). 통합예술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

구, 20(1), 217-242.

김현정 (2007). 시각문화 환경 속에서 미술교육 토론. 한국예술교육학회, 1, 11-13.

맹영임, 김민, 임경희, 정미나 (2005). 청소년 문화예술 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문화체육관광부 (2013). 문화예술정책백서.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 (2014). 문화예술정책백서. 문화체육관광부.

민병찬, 정순철, 김상균, 민병운, 오지영, 장진경, 신정상, 김유나, 김철중, 박세진 (1999). 운전 및 도로

상황에 따른 자율신경계의 반응. 한국감성과학회, 2(1), 61-68.

민성길 (2002). 최신정신의학. 서울: 일조각.

박남이, 김춘경 (2013).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가해경험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4), 165-184.

박여울, 홍창희 (2011). 영화를 이용한 집단치료가 여성 재소자들의 스트레스 반응 및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예술심리치료연구, 7(4), 105-124.

박중길 (2006). 소년원 문화예술교육의 목표와 내용체계 구성을 위한 요구조사. 예술교육연구, 4(2),

73-89.

박중길, 최영신, 김형숙, 민경훈, 김윤태 (2006). 소년원생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서울: 문화

관광부.

박희영 (2009).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아동 마사지와 스트레칭이 어머니와 장애아동의 반응성 상호작용

및 타액 코티졸과 면역글로블린A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법무부 (2009). 소년보호와 인권. 법무부인권교재 시리즈 4. 서울: 법무부.

법무부 (2011). 범죄에방정책 통계연보, 법무부 범죄예방정책국.

서유나, 김성곤, 민은정, 김진미, 박문일, 김수연, 김대욱, 변원탄, 김지훈 (2012). 알코올리즘 가족력이 있

는 한국인 사회적 음주자에서 심리적 스트레스가 타액코티졸 농도에 미치는 영향. 생물치료정신의

학, 18(2), 155-163.

석문주, 권덕원, 김명숙, 최미영, 정지혜 (2010). 음악예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예술교육연구, 8(3), 195-216.

성영신, 허태균, 김보경, 박정선 (2006). 또 하나의 사회: 광고에 표현된 한국적 vs 서구적 인간관계. 광고

연구, 73, 105-133.

신민희, 강문희 (2005). 소년원 수용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자기불일치 ALAC 우울 수준에 관한 연

구. 청소년학연구, 12(1), 183-205.

신승환, 연혜경, 김정선 (2007). 문화예술교육론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신윤경 (2012). 숲과 체육관에서 걷기명상과 속보가 불안, 자존감, 행복, 코티졸에 미치는영향 비교. 가톨

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age 155: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136|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안경주, 정재심, 김윤경, 정혜선 (2008). 생리적 지표를 이용한 불안과 우울 측정에 대한 고찰. 기초간호자

연과학회지, 10(2), 184-193.

안종모, 유지원, 이장근, 이영수, 윤창륙, 조영곤 (2007). 스트레스와 연관된 질환의 연구에 있어서 타액내

코티졸의 활용에 대한 문헌고찰. Oral Biology Research, 31(31), 113-120.

안태영, 김인숙 (2012). 브레인댄스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스트레스 호르몬 및 자율신경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8(2), 27-46.

양병화 (2007). 프로그램 무드가 광고태도와 기억에 미치는 영향: 감정모호성의 중재효과와 각성의 매개효

과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8(2), 207-232.

양재혁 (1995). 심리극 집단상담을 통한 충동성과 대인간 갈등해결양식의 변화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현미 (2010). 예술분야 기부현황과 활성화의 필요성. 예술분야 기부활성화를 위한 국회 심포지엄.

13-34.

여성가족부 (2013). 청소년백서. 서울: 여성가족부.

오민자 (2005). 교도소 재소자 교정치료 프로그램에서의 미술치료 효능성 탐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우정민 (2008). 부정적 정서 자극에 대한 타액 알파-아밀라제의 반응 특성. 경북대학교 의학석사학위논문.

유지원, 윤창륙, 안종모 (2007). 스트레스와 관련된 구강안면통증의 연구에 있어서 타액내의 스트레스 호르

몬의 활용. 대한구강내과학회지, 32(2), 201-210.

유지영, 전은주, 김춘경 (2009). ADHD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 및 사회성 기술향상을 위한 음악과 미술치

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비교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25(3), 73-92.

윤진근 (2002). 고등학생의 학교생활태도와 학교폭력과의 관계. 전북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향숙, 정윤정 (2010). 집단미술치료가 여자소년원 재소 비행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학생생활연구, 18, 30~77.

이수정, 김영희 (2003). 교정현장에 있어서의 감성교육프로그램의 활용가능성 탐색: 표준화된 감성교육프

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예비연구. 한국교정학회소식, 20, 71-91.

이윤식, 윤종현, 오세곤, 최천규 (2010). 2010 학교문화예술교육 성과평가 연구.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

흥원.

이일우 (2006). 스트레스 중재에 적용한지지 미술치료가 만 6세 아동의 심박변이도(HRV)에 미치는 영향.

치유예술연구, 1, 77-117.

이정화, 류정미 (2014).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비행청소년의 정서안정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치료학회지, 14(2), 41-66.

이흥재(2012). 현대사회와 문화예술: 그 아름다운 공진화. 서울: (주)푸른길.

임영식, 문성호, 정경은 (2008). 2008년 청소년인증수련활동 영역별 효과성 척도 개발 연구. 서울: 보건복

지지가족부, 한국청소년진흥센터.

임영식, 남기성, 박지영, 최인이, 강영배, 정경은 외 (2014). 토요문화학교 사회적 효과 연구.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

임영식, 박지영, 어성연, 정경은 (2013). 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Page 156: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Ⅴ.� 결론|137

효과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임영식, 유제민, 정경은, 김윤나, 양돈규 (2012). 2011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연구- 교정시설/소년원학교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임영식, 정경은 (2013). 교정시설/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개발 연구. 한국교정학회소식, 59,

127-148.

임학순, 김찬우, 성기선, 양지연, 김미림, 이상민 (2009). 사회문화예술교육 체계화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전인혜 (2011). 남자 중학생의 걷기운동 시 음악템포가 운동속도, 심박수, 운동강도 및 코티졸 농도에 미

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도영 (2004). 예체능 특성과교육이 소년원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정윤정, 윤향숙, 신지현, 김성곤, 장성화 (2012). 집단미술치료가 소년보호시설 여자비행청소년의 공격성과

충동성,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교정복지연구, 27, 31-58.

주성희 (2003). 주성희의 The Creation for Orchestra 분석. 음악연구, 30, 241-319.

차은선, 김택호 (2013). 집단음악치료가 인터넷중독 초등학생의 자기통제, 사회성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

과. 청소년시설환경, 11(1), 79-91.

최애나, 차은선 (2007). 집단음악치료가 비행청소년의 정서적 안정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

정관리학회지, 25(5), 1-14.

최영신 (2003). 소년원 학교 교육과정의 특성과 문제점: 대안교육 특성화학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

학연구, 41(2), 155-174.

최혜자, 곽형모, 김영주 (2007). 교정시설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운영개선 방안 연구. 서울: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국가별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한국.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예술진흥원 (1987). 예술교육. 서울: 서라벌인쇄주식회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소년원생 재범방지를 위한 소년원 교육효과성 및 개선방안 연구. 법무부.

한상순 (1990). 만성정신장애자의 자아강화를 위한 심리극 활성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한상훈, 이상희, 허주욱, 유해정 (2003). 교정행정의 당면과제와 개혁방안. 법무부 교정국.

한종인 (1999). 노인환자에서 척추마취시 Power spectrum에 의한 심박수 변이도의 평가. 이화의대지,

22(2), 123-129.

한종인, 이춘희 (1996). 흡입마취제의 호기말농도 변화에 따른 R-R 간격 Power Spectrum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마취과학회지, 30, 252-263.

홍용희 (1998).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연구자와 연구대상자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28, 113-129.

황금숙, 김수경, 박미영 (2008).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현황분석과 활성화 방안. 한국도서관 정보학회

지, 39(1), 219-244.

황은영 (2012). 청소년 대상 그룹 음악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9(2), 1-17.

Page 157: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138|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Aktinson, S. & Robson, M. (2012). Arts and health as a practice of liminality: Managing the spaces

of transformation for social and emotional wellbeing with primary school children, Health &

Place, 18, 1348-1355.

Bailey, B., & Davidson, J. (2007). Psychological and physical benefits of participation in vocal

performance. In J. Edwards(Ed.), Music: Promoting health and creating community in

healthcare contexts, 52-63. Newcast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BKJ, BMBF, OECD, European Commission (2002). Developing Competencies in Cultural Education,

Background paper. Remscheid: The German Federation of Associations for Cultural Youth

Education(BKJ).

Blau, J. R., Blau, P. M., & Golden, R. M. (1985). Social inequality and the arts.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2), 309-331.

Blythe A. Corbett, Joan R. Gunther, Dan Comind, Jenifer Price, Niles Ryan, David Simon, Clayton

W. Schupp, & Taylor Rios (2011). Brief Report: Theatre as Therapy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Autism Dev Disorder, 41, 505-511.

Bokhoven, I. V., Van Goozen., S. H., van Engeland., H., Schaal, B., Arseneault, L., Séguin, J. R.,

Nagin, D. S., Vitaro, F., & Tremblay, R. E. (2005). Salvary cortisol and aggression in a

population-based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 males. Journal of Neural Transmission, 112,

1083-1096.

Bridget E. Hatfield, Linda L. Hestenes, Victoria L. Kintner-Duffy, Marion O’Brien (2013). Classroom

Emotional Support predicts differences in preschool children’s cortisol and alpha-amylase level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8, 347-356.

Buss, A. H., & Durkee, A. (1957). An inventory for assessing different kinds of hostilit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 343-349.

Butler-Kisber, L. (2002). Artful portrayals in qualitative inquiry: The road to found poetry and

beyond. Alberta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8(3), 229-239.

Catterall, J. S., Dumais, S. A., & Hampden-Thompson, G. (2012). The arts and achievement in

at-tisk youth: Findings from four longitudinal studies. Research Report 55. Washington, DC: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Claudia Maria Sousa, Mario Goncalves, Jorge Machado, Thomas Efferth, Tobias Greten, Petra

Froeschen, & Henry J. Greten (2012). Effects of qigong on performance-related anxiety and

physiological stress function in transverse flute music school children: a feasibility study.

Journal of Chinese Integrative Medicine, 10(8), 858-865.

Clawson, H. J., & Coolbaugh, K. (2001). The Youth ARTS Development Project.

Clements, P. (2004). The rehabilitative role of arts education in prison: Accommodation or

enlightenment?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rts and Design Education, 23, 169-178.

Coggan, C., Saunders, C., & Grenot, D. (2008). Art and Safe Communities: the role of Big hART in

Page 158: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Ⅴ.� 결론|139

the regeneration of an inner city housing estate. Health Promotion Journal of Australia, 19(1),

4-9.

Cre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2nd Ed.). New York, NY: Sage

Publication

Emerson, Elissa & Deborah Shelton (2001). Using Creative Arts to Build Coping Skills to Reduce

Domestic Violence in the Lives of Female Juvenile Offenders.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22, 181-195.

Ezell, M., & Levy, M. (2003). An evaluation of an arts program for incarcerated juvenile offenders.

Journal of Correctional Education, 54(3), 108-114.

Field, T., Martinez, A., Nawrocki, T., Pickens, J., Fox, N., & Schanberg, S. (1998). Music Shifts

Frontal EEG in Depressed Adolescents. Adolescence, 33, 109-16.

Fox, V. (1972). Introduction to corrections. NJ: Prentice-Hall, Inc.

Garret Yount, Kenneth Rachlin, & Jane Siegel (2013). Expressive arts therapy for hospitalized

children: a pilot study measuring cortisol levels. Pediatr Rep, 5(2), 28-30.

Gibson, E. L., Chcckley, S., Papadopoulos, A., Poon, L., Daley, S., & Wardle, J. (1999). Increased

salivary cortisol reliably induced by a protein-rich midday meal. Psychosom Med, 61,

214-224.

Glesne, C. (2006).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 An introduction. (3rded.).Boston:Pearson.

Goodill, S. (1987). Dance/Movement therapy with abused children. Art in Psychotherapy, 14(1),

59-68.

Granger, D. A., Schwartz, E. B., Booth, A., & Arentz, M. (1999). Salivary testosterone determination

in studies of child health and development, Horm Behav, 35, 18-27.

Gray. J. A. (1981). A critique of Eysenck's theory of personality. In H. J. Eysenck(Ed), A Model for

Personality. New York: Springer.

Greene, M. (1995). Releasing the imagination: Essays on education, the arts, and social change, San

Francisco: Jossey-Bass.

Greenfield, Lawrence A., and Tracy L. Snell. (1999). Bureau of Justice Statistics special report:

Women offenders (NCJ 175688).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Justice.

Griffiths, M., Berry, J., Holt, A., Naylor, J., & Weekes, P. (2006). Learning to be in public spaces:

in from the margins with dancers, sculptors, painters and musician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54(3), 352-371.

Guba, E. (1981). Criteria for assessing the trustworthiness of naturalistic inquiries.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29(2), 75-81.

Gunnar, M. R., Bruce, J., & Hickman, S. E. (2001). Salvary cortisol response to stress in children,

Adv Psychosem Med, 22, 52-60.

Gunter Kreutz, Stephan Bongard, Sonja Rohrmann, Volker Hodapp, & Dorothee Grebe (2003).

Effects of Choir Singing or Listening on Secretory Immunoglobulin A, Cortisol, and Emotional

State. Journal of Behavioral Medivine, 27(6), 623-635.

Page 159: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140|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Hammersley, M., & Atkinson, P. (1995). Ethnography London: Routledge.

Hampshire, K. R., & Matthijsse, M. (2010). Can arts projects improve young people’s wellbeing? A

social capital approach. Social science & medicine, 71(4), 708-716.

Harrison, P. A., & Narayan, G. (2003). Differences in behaviour, psychologic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associated with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s and other activities in

adolescence. Journal of School Health, 73(3), 113-120.

Hartz, L., & Thick, L. (2005). Art therapy strategies to raise self-esteem in female juvenile offenders:

A comparison of art psychotherapy and art as therapy approaches. Art Therapy, 22(2), 70-80.

Hofman LF. (2001) Human saliva as a diagnostic specimen. J Nutr 131(5), 1621S-1625S.

Howe, K. R. (2004). A critique of experimentalism. Qualitative Inquiry, 10(1), 42-61.

Hudson, R. (1995). Making music work? Alterative regeneration strategies in a de-industrialized

locality: the case of Derwentside.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20(4),

460-473.

Hughes, J. (2003). Doing the arts justice: A review of research literature, practice and theory.

Canterbury, CT: UAOP Publications.

Jermyn, H. (2001). Arts and social exclusion, United Kingdom: Arts Council England.

Julia Romananowska, Gerry Larsson, Maria Eriksson, Britt-Maj Wikstrom, Hugo Westerlund, &

Tores Theorell (2009). Health Effects on Leaders and Co-workers of an Art-Based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 80, 78-87.

Kathleen K., Patty W. B., Leonard B., Audrey Zucker-L., Ann H. N., Lawrence W. F., & Rosemary,

E. B. (2011). Salivary Cortisol Levels in Students Challenged with a Testing Stressor. Clinical

Laboratory Science, 24(4), 221-227.

Kirschnaum C. & Hellhammer DH. (1989). Salivary cortiso in psychobiological research an overview.

Neuropsychobiology, 22, 150-169.

Klink, M., & Crawford, D. K. (1998). Conflict resolution and the arts. US Department of Justice,

Office of Justice Programs, Office of Juvenile Justice and Delinquency Prevention.

Kumiko Toyoshiman, Hajime Fukui, & Kiyoto Kuda (2011). Piano playing reduces stress more than

other creative art activ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Music Education, 29(3), 257-264.

Lather, P. (2004). Critical inquiry in qualitative research: Feminist and poststructural perspectives:

Science “After Truth.” In K. deMarrais & S. Lapan (Eds.), Foundations for research: Methods

of inquiry in 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s (pp. 203-215). New Jersey; Lond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Levin, L. W. (1998). Highbrow/lowbrow: The emergence of cultural hierachy in America. Cambridge,

MA: Havard University Press.

Lindblad, F., Hogmark, A., & Theorell, T. (2007). Music intervention for 5th and 6th graders effects

on development and cortisol secretion. Stress and Health, 23(1), 9-14.

Lisetti, C. L., & Nasoz, F. (2004). Using noninvasive wearable computers to recognize human

Page 160: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Ⅴ.� 결론|141

emotions from physiological signals. EURASIP Journal on Applied Signal Processing, 11,

1672-1682.

Lowem S. (2000). Creating community: art for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of Contemporary

Ethnography, 29(3), 357-386.

Mantie, R., & Tucker, L. (2008). Closing the gap: does music-making have to stop upon

gradu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ty Music, 1(2), 217-227.

Marjan de Vries-Bouw, Lucres Jansen, Robert Vermeiren, Theo Doreleijers, Peter van de Ven, &

Arne Popma (2012). Concurrent attenuated reactivity of alpha-amylase and cortisol is related

to disrutpive behavior in male adolescents. Hormones and Behavior, 62(1), 77-85.

Matarasso, F. (1997). Use or Ornament?: The social impact of participation in the arts, Bournes

Green, Stroud: Comedia.

McCarthy, K., Ondaatje, E., Zakaras, L., & Brokkes, A. (2004), Gifts of the Muse: Reforming the

Debate about the Benefits of the Arts, Santa Monica: RAND Institute.

Merriam, S. B. (1988).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A qualitative approach. Jossey-Bass.

Miles, S. (2003). The art of learning: empowerment through performing arts. Young People and

Contradictions of Inclusion: Towards Integrated Transition Policies in Europe, 163-180.

Morse, J. M., & Field, P. A. (1995).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health professionals.

Oesterreich, H. A., & Flores, S. M. (2009). Learning to C: Visual arts education as strengths based

practice in juvenile correctional facilities. Journal of Correctional Education, 60(2), 146-162.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2001). Knowledge and skills for

life: First Results form PISA 2000. Paris: OECD publications.

Persons, R. W. (2009). Art Therapy With Serious Juvenile Offenders A Phenomenological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offender therapy and comparative criminology, 53(4), 433-453.

Pomeraaz M, Macaulay R, Caudill MA, Kutz I, Adam D, Gordon D, Kilborn KM, Barger AC,

Shannon DC, Cohen RJ, et al (1985) Assessment of autonomic function in humans by heart

rate spectral analysis. Am J Physiol. 248, 151-153.

Potter, W. J. (1996). An analysis of thinking and research about qualitative methods. Mahway, NJ:

Lawrence Erlbaum.

Power, S. K., & Howley, E. T. (2001). Exercise Physiology: Theory and application to fitness and

performance(4th ED.). McGraw-Hill.

Ravaja, N. (2004). Contributions of psychophysiology to media research: Review and recommendations.

Media Psychology, 6(2), 193-235.

Reason, P., & Bradbury, H. (Eds.) (2001). Handbook of action research: Participative inquiry and

practice. London; Thousand Oaks; New Delhi: Sage.

Respress, T., & Lutfi, G. (2006). Whole brain learning: The fine arts with students at risk.

Reclaiming children and youth, 15(1), 24-31.

Sandra M. Walsh, Sue Radcliffe, Lynnette C. Castillo, Adarsh M. Kumar,, & Dawn M. Broschard

Page 161: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142|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2007). A Pilot Study to Test the Effects of Art-Making Classes for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Online Exclusive Forum, 34(1). E9-E15.

Shelton, D. (2004). Using creative arts to build coping skills to reduce domestic violence in the lives

of female juvenile offenders. Canterbury, CT: UAOP.

Stankiewicz, M. A. (1997). The celestial city of culture: Henry Turner Bailey’s “City of Refuge” In

A. A. Anderson, Jr., & P.E. Bolin (Eds.), History of art education: Proceedings of the Third

Penn State International Symposium (pp. 427-433). University Park, PA: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Starkey, F., & Orme, J. (2001). Evaluation of a primary school drama project: methodological issues

and key findings. Health Education Research, 16(5), 609-622.

Teplin, L., Abram, K., McClelland, Dulcan, G., & Mericle, A. (2002). Psychiatric Disorders in Youth

in Juvenile Detent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9(2), 1133-1143.

The Unit for the Arts and Offenders (2004). A case for space. Canterbury, CT: UAOP Publications.

Tyson, E. H. (2002). Hip hop therapy: An exploratory study of a rap music intervention with

at-risk and delinquent youth. Journal of Poetry Therapy, 15(3), 131-144.

Wallace-DiGarbo, A., & Hill, D. C. (2006). Art as agency: Exploring empowerment of at-risk

youth. Art Therapy, 23(3), 119-125.

Walsh, S. M., Radcliffe, R. S., Castillo, L. C., Kumar, A. M., & Broschard, D. M. (2007, January).

A pilot study to test the effects of art-making classes for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In Oncology nursing forum (Vol. 34, No. 1, pp. E9-E16). Oncology Nursing Society.

Weitz, J. H. (1996). Coming Up Taller: Arts and Humanities Programs for Children and Youth At

Risk. President's committee on the Arts and the Humanities.

Winkley, W. (1996), Emotional problems in children and young people, 신현순 역(2000), 「아동과 청

소년의 정서장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Witvliet, C. V. O., & Vrana, S. R. (1995).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as indices of affective

dimensions. Psychophysiology, 32(5). 436-443.

Young (2002). Brain waves, Pictures Sorts and branding moment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42(4), 42-53.

Young, E. A., Abelson, J., & Lightman, S. L. (2004). Cortisol pulsatility and its role in stress

regulation and health. Frontiers in neuroendocrinology, 25(2), 69-76.

Page 162: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부록|143

부록

부록 1: 설문지

ID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연구

안녕하십니까?

본 설문지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공동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실시되는 설문조사입니다. 설문지에 응답하신 내용은 연구 목적 이외에는 절대 사용되지 않

으며, 통계법 제33조(비밀의 보호 등) 및 제34조(통계작성사무 종사자 등의 의무)에 의거 비

밀이 보호되오니 솔직하게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14. 6.

조사발주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조 사 기 관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ART A. 여러분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것입니다. 해당문항에 답해 주시고 일치하는 것에 ✔표 해주시

기 바랍니다.

1. 여러분의 학력은?

□① 초등학교 이하 □② 중학교 중퇴 및 졸업(검정고시 포함)

□③ 고등학교 중퇴 및 졸업(검정고시 포함) □④ 대졸

2. 가정의 경제적 수준은 어디에 해당된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못산다 □② 약간 못산다 □③ 보통이다 □④ 약간 잘산다 □⑤ 매우 잘산다

생년월일 년 월 일

Page 163: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144|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3. 2014년 이전 문화예술교육을 받거나 접해 본 경험이 있습니까?

□① 전혀 없다 □② 거의 없었다 □③ 보통 □④ 약간 있었다 □⑤ 자주 있었다

* 문화예술교육이란 문학, 합창, 악기연주, 무용, 뮤지컬, 댄스, 사진 등을 내용으로 하는 교육을 말한다.

4. 2014년 이전에 문화예술교육을 얼마나 오랫동안 받으셨습니까?

□① 전혀 받은 적이 없다 □② 1개월 미만 □③ 1개월 이상~3개월 미만

□④ 3개월 이상~6개월 미만 □⑤ 6개월 이상~1년 미만 □⑥ 1년 이상

5. 2014년 6월 현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음악, 미술, 연극, 영상, 문학 등의 교육)을 받고 있습니까?

PART� B.� 다음은� 최근� 여러분의� 기분에� 관한� 것입니다.� 본인의� 현재� 기분이나� 감정과� 일치하는� 것에� ✔표�

해주세요.

PART� C.� 다음은� 여러분의� 생각이나� 태도에� 관한� 것입니다.� 본인의� 생각� 또는� 태도와� 일치하는� 것에� ✔표�

해주세요.

문 항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나는 상대방이 기분 나빠하는 일은 하지 않으려고 하는 편이다.

① ② ③ ④ ⑤

2 나는 어떤 결정을 내리기 전에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의 입장도 생각해 본다.

① ② ③ ④ ⑤

3 나는 남을 비난하기 전에 그 사람의 입장에서 생 ① ② ③ ④ ⑤

문 항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나는 최근 들어 즐겁다. ① ② ③ ④ ⑤

2 요즘 나는 기쁨을 느낀다. ① ② ③ ④ ⑤

3 나는 요즘 흥겹다. ① ② ③ ④ ⑤

4 나는 최근 들어 기분이 좋다. ① ② ③ ④ ⑤

5 나는 최근 들어 컨디션이 좋다. ① ② ③ ④ ⑤

□① 받고 있다(5-1번 문항으로) □② 받고 있지 않다(B항 문항으로)

Page 164: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부록|145

PART� D.� 다음은� 여러분의� 최근� 정서에� 대해� 어떻게� 하는지� 각� 문항에� 해당하는� 여러분의� 생각에� ✔표� 해

주세요.

각해 본다.4 나는 몸이 불편하거나 장애가 있는 사람을 보면 마음이 쓰인다.

① ② ③ ④ ⑤

5 나는 말을 할 때 상대방의 마음을 상하게 하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① ② ③ ④ ⑤

6 나는 내 생각을 잘 말하지 않는 편이다. ① ② ③ ④ ⑤

7 나는 말을 할 때 분명하게 말하지 않는 편이다. ① ② ③ ④ ⑤

8 내가 느끼는 감정을 다른 사람들이 아는 것이 싫다. ① ② ③ ④ ⑤

9 나는 내 자신이 쓸모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① ② ③ ④ ⑤

10 나는 내 자신이 자랑스럽다. ① ② ③ ④ ⑤

11 나는 좋은 성품을 가졌다. ① ② ③ ④ ⑤

12 좋은 생각을 해서 기분이 좋아지게 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13 불안해져도 마음을 진정시킬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14 어렵고 힘든 일지만 쉽다고 생각하여 즐겁게 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15 전체 의견이 내 의견과 다르다고 할지라도 전체 의견을 따른다.

① ② ③ ④ ⑤

문 항전혀

그렇지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나는 화가 날 때가 많다. ① ② ③ ④ ⑤

2 나는 자주 소리를 지르고 싶을 때가 있다. ① ② ③ ④ ⑤

3 나는 종종 누군가를 때려주고 싶다. ① ② ③ ④ ⑤

4 나는 신경이 날카로워져 있다. ① ② ③ ④ ⑤

5 나는 가슴이 답답하다고 느낄 때가 많다. ① ② ③ ④ ⑤

6 온몸에 힘이 쭉 빠지는 것 같다. ① ② ③ ④ ⑤

7 답답해서 한자리에 오래 앉아 있지 못한다. ① ② ③ ④ ⑤

8 하고 싶은 것을 당장하지 않으면 미칠 것 같다. ① ② ③ ④ ⑤

9 가끔 음식을 너무 많이 먹어서 탈이 날 때가 있다. ① ② ③ ④ ⑤

10 침착하지 못하다고 꾸중을 들을 때가 자주 있다. ① ② ③ ④ ⑤

Page 165: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146|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PART� E.� 다음은� 문화예술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에� 관한� 것입니다.� 본인의� 상태와� 일치하는� 것에� ✔표� 해

주세요.

♤ 빠진 문항이 없는지 살펴봐 주세요. 설문에 응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11 내 자신을 조절하지 못해 아무렇게나 행동할 때가 있다.

① ② ③ ④ ⑤

12 생각 없이 함부로 말을 해서 후회할 때가 있다. ① ② ③ ④ ⑤

13 책을 오랫동안 읽지 못한다. ① ② ③ ④ ⑤

14 쉽게 주의가 산만해지고 마음을 집중할 수가 없다. ① ② ③ ④ ⑤

15 나는 조그만 일에도 화를 잘 낸다. ① ② ③ ④ ⑤

16 가족이나 친구 때문에 화가 날 때가 많다. ① ② ③ ④ ⑤

17 가족들에게 거칠고 심술궂게 대할 때가 있다. ① ② ③ ④ ⑤

18 무엇이든 부수고 싶은 충동이 생긴다. ① ② ③ ④ ⑤

19 다른 사람을 괴롭혀 주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 ① ② ③ ④ ⑤

20 화가 나서 참지 못할 때가 종종 있다. ① ② ③ ④ ⑤ 21 가끔 거친 말이나 욕을 큰소리로 하고 싶을 때가 있다.

① ② ③ ④ ⑤

22 누군가에게 시비를 걸어서 싸우고 싶을 때가 있다. ① ② ③ ④ ⑤

문 항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나는 문화예술에 대해 관심이 있다. ① ② ③ ④ ⑤

2 문화예술에 대해 지금보다 더 많이 알고 싶다. ① ② ③ ④ ⑤ 3 나는 문화예술을 감상하거나 활동하면서 깊은 감동을 느낀다. ① ② ③ ④ ⑤

4 나에게 문화예술은 중요하다. ① ② ③ ④ ⑤

5 문화예술은 내 삶의 활력소이다. ① ② ③ ④ ⑤

Page 166: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부록|147

부록 2: 참여관찰 기록지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관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관찰기록지

1. 관찰 개요

1) 대 상 :

2) 일 자 :

3) 장 소 :

2. 관찰 대상

1) 프로그램 참여학생

장소 프로그램�유형인적사항

특이사항연령(코드) 소년원�생활

○○

소년원

2) 프로그램 소개

3) 참여강사

Page 167: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148|2014�소년원학교�대상�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

1. 관찰일시:

2. 프로그램 내용

- 주요 내용 :

- 단계별 프로그램 구성

3. 참여자: 명

4. 서술적/ 참여 관찰 기록지

시간 서술적�관찰� ·� 참여� 관찰�내용 해석�및�분석

1차� 관찰

Page 168: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부록|149

부록 3: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참여�동의서�(프로그램 참여자용)

본 조사는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을 위해 실시하는 심층인터뷰로서, 문화예술활동을

통한 다양한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본 연구의 조사는 한국문화예술교

육진흥원의 의뢰를 통해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 실시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구 목적 이외의 다른 용도로는 절대 사용되지 않을 것이며, 개인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철저히 익명으로 진행될 것입니다. 또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가 완성되는 시점

에서 2개월 이내에 모든 녹음 된 파일은 삭제하여 기록으로 남게 되지 않습니다. 아울러, 여러

분께서는 인터뷰 중에 궁금하신 점에 대해 질문하시거나, 인터뷰를 중단할 권리가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주요 질문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여러분의 동의하에 연구조사가 실시되며, 연구의 참여에 동의하시면 아래 서명을 해주십시오.

2014. . .

“나는 위의 설명을 읽었으며, 인터뷰에 참여하는 것을 동의합니다.”

참여자 성명: (인)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귀중

(1)� 문화예술교육은�본인에게�어떤�도움/영향/변화를�주었나요?

(2)� 문화예술교육에�참여하면서�가장� 기억에�남는� 일(좋았던�일과� 나빴던�일)은�무엇인가요?

(3)� 자신의�인생에서�문화예술교육참여는�어떤� 의미였나요?

(4)� 문화예술교육참여를�통해�이제껏�몰랐던�새로운�것을�알게� 되었다면�그것은�무엇인가요?

Page 169: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Page 170: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자문위원 및 연구기획․담당

<자문위원>

길성원 아르츠 대표

심기용 라비타 & 뮤직 대표

진수영 청평문화예술학교 대표

양윤정 중앙대학교 예방의학교실 연구원

이준학 UV엔터테인먼트 실장

※ 위 순서는 가다순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