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àÖ:¿ wd l ¯ º´ ¯ ´ ¯ ´Ýs-space.snu.ac.kr/bitstream/10371/87796/1/4....

27
91 머리말 이 글은 국제한글음성문자를 사용하여 일본어, 중국어, 태국어의 표 기를 시도한다. 이 세 언어는 모두 고유의 문자로 표기되고 있으나, 기서는 이들을 한글음성문자로 표기하였을 때의 장점과 유리한 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일본어, 중국어, 태국어의 한글음성문자 표기는 <한글 음성문자 연구회>에서 장기간에 걸쳐서 연구, 검토한 결과이다. 연구회 에 참여한 여러 회원과, 특히 일본의 중국의 리 하이롱(산동대), 일본의 모리 카나(인천대), 태국의 수난타(서울대) 회원과 총괄을 담당한 황효 성 총무(서울대)의 노고가 컸음을 밝힌다. 그리고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들 세 언어의 표기에 앞서서 국 제한글음성문자의 원리와 활용법을 먼저 기술한다. 국제한글음성문자 http://ikpa.snu.ac.kr에서 글자의 폰트를 내려 받아 설치하면 누구나 입력하고 출력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현재 한글음성문자는 MS Word 에서만 지원되며 아래 한글에서는 지원되지 않는다. 국제한글음성문자의 일본어, 중국어, 태국어 표기 이 현 복* *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명예교수

Upload: others

Post on 14-Oct-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 àÖ:¿ WD L ¯ º´ ¯ ´ ¯ ´Ýs-space.snu.ac.kr/bitstream/10371/87796/1/4. 국제한글... · 2020. 6. 4. · b & j I ² ý Ò Þ à ; 3 à ã I ç ç A v à Ö : ¿ W 3 J

91

머리말

이 글은 국제한글음성문자를 사용하여 일본어, 중국어, 태국어의 표

기를 시도한다. 이 세 언어는 모두 고유의 문자로 표기되고 있으나, 여

기서는 이들을 한글음성문자로 표기하였을 때의 장점과 유리한 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일본어, 중국어, 태국어의 한글음성문자 표기는 <한글

음성문자 연구회>에서 장기간에 걸쳐서 연구, 검토한 결과이다. 연구회

에 참여한 여러 회원과, 특히 일본의 중국의 리 하이롱(산동대), 일본의

모리 카나(인천대), 태국의 수난타(서울대) 회원과 총괄을 담당한 황효

성 총무(서울대)의 노고가 컸음을 밝힌다.

그리고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들 세 언어의 표기에 앞서서 국

제한글음성문자의 원리와 활용법을 먼저 기술한다. 국제한글음성문자

는 http://ikpa.snu.ac.kr에서 글자의 폰트를 내려 받아 설치하면 누구나

입력하고 출력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현재 한글음성문자는 MS Word

에서만 지원되며 아래 한글에서는 지원되지 않는다.

국제한글음성문자의

일본어, 중국어, 태국어 표기

이 현 복*

*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명예교수

Page 2: ´ àÖ:¿ WD L ¯ º´ ¯ ´ ¯ ´Ýs-space.snu.ac.kr/bitstream/10371/87796/1/4. 국제한글... · 2020. 6. 4. · b & j I ² ý Ò Þ à ; 3 à ã I ç ç A v à Ö : ¿ W 3 J

92 _ 東亞文化 第 49 輯

1. 국제한글음성문자 - 원리와 활용

「국제 한글 음성 문자」 International Korean Phonetic Alphabet(줄여

서 IKPA 또는 Lee’s(Korean) IPA라고도 한다.)는 필자가 한글을 바탕으

로 온 누리의 말소리를 정밀하게 적어 낼 수 있는 만국의 음성 기호로

개발한 것이다. 아울러 국제한글음성문자는 한글이 얼마나 과학적이고

실용적인 글자이며 만국 공통의 문자로 통용될 수 있는 인류의 위대한

문화 유산인가를 증명할 것으로 믿는다.

「국제 한글 음성 문자」는 필자가 런던대학에서 음성학과 언어학을 수

학할 때인 1962년부터 고안하기 시작하여 1971년에 서울에서 완성, 「한

글음성문자 시안」이란 제목으로 그 해 12월에 열린 “한글학회 창립 50

돌 기념 국제언어학자대회”에서 처음으로 발표하고 이를 「한글학회 50

돌 기념논문집」에 실은 바가 있다. 그 후 「국제음성문자와 한글음성문

자」라는 단행본(과학사, 1981)의 제 2부로 출판한 바 있다. 한글음성문

자는 그 후에도 부분적인 수정을 거쳐서 「한국어 발음검사」(국제출판

사, 1991)와 「어린이 발음의 진단과 치료」(교육과학사, 1995)라는 책에

서 우리말의 음성표기에 광범하게 활용되었다. 「한글음성문자」는 1983

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세계언어박람회에 훈민정음과 함께 출품 전시

되었고, 1976년 이후 일본, 미국, 영국, 독일, 체코, 헝가리, 스웨덴, 소련,

폴란드 등지에서 소개된 바 있다.

1) 한글음성문자는 왜 필요한가?

한글이 우리말을 적는 글자로서는 그 기능을 완전히 발휘할 수 있지

Page 3: ´ àÖ:¿ WD L ¯ º´ ¯ ´ ¯ ´Ýs-space.snu.ac.kr/bitstream/10371/87796/1/4. 국제한글... · 2020. 6. 4. · b & j I ² ý Ò Þ à ; 3 à ã I ç ç A v à Ö : ¿ W 3 J

국제한글음성문자의 일본어, 중국어, 태국어 표기 | 이현복 _ 93

마는 소리의 미세한 차이까지를 밝혀 주는 음성 기호로 사용하기에는

부족하다. 즉, 한글은 우리말의 소리를 음운 차원에서 나타낼 수는 있

으나 음성학적으로 정밀하게 적어 내지는 못한다. 다시 말하면, /ㅂ/음

운의 변이음으로 나타나는 첫소리의 [b]와 유성음 사이에서만 나는 [b]

소리를 “ㅂ”만으로는 정밀하게 나타낼 수가 없으므로 이 두 소리를 명

확히 구별하여 표기하려면 별개의 기호가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에 우

리 한글 기호를 응용하여 이들을 표기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것이 필

자의 의도이다.

또한 현행 한글 자모는 외국어의 말소리를 적는데 부족함이 있다. 가

령, 서양어의 [f, v, z]를 적을 수 있는 한글 글자가 없으며, th의 무성음

[θ]와 유성음 [ð]를 적을 수도 없고 [r]과 [l]을 구별해서 나타낼 수도 없

다. 따라서 세계 모든 언어의 말소리를 정밀하게 표기하기 위해서는 현

행 한글 자모 이외에 한글 기반의 추가적인 기호가 필요하다. 이렇게 고

안한 “국제한글음성 문자”(International Korean Phonetic Alphabet 또는

IKPA)는 세계 모든 언어의 말소리를 정밀하게 표기할 수 있다.

2) 국제음성기호(IPA)와 국제한글음성기호(IKPA)

인간의 말소리를 정밀하게 적어 내기 위한 음성기호의 창안은 예로

부터 여러 학자에 의해 시도되었다. 벨(Bell), 스위트(Sweet), 예스페르센

(Jespersen)과 같은 유럽 음성·언어학자들의 업적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들의 음성표기방법은 훈민정음에 비해 이론과 실용 면에서 뒤진다고

본다. 실제로 이들 음성 표기방법은 일시적으로 학술적인 시도에 그치

고 말았을 뿐 널리 보급되지 못하였다.

그 중에서도 100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국제음성학협회가 제정하여

Page 4: ´ àÖ:¿ WD L ¯ º´ ¯ ´ ¯ ´Ýs-space.snu.ac.kr/bitstream/10371/87796/1/4. 국제한글... · 2020. 6. 4. · b & j I ² ý Ò Þ à ; 3 à ã I ç ç A v à Ö : ¿ W 3 J

94 _ 東亞文化 第 49 輯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한 국제음성기호(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는 상당히 성공적인 음성표기 방법이다. 국제음성기호는 음성학과 언어

학 및 언어 교육분야에서 광범하게 사용되는 음성표기법으로 명성을 얻

고 있다.

그러나 국제음성기호의 구성을 자세히 살피면 결함이 많은 음성기호

체계임을 알 수 있다. 라틴문자와 희랍문자에 바탕을 두고 있는 국제음

성기호는 한글과는 달리 발음기관과 아무런 관계가 없는 임의적인 기

호의 집합일 뿐이다. 예를 들면, 연구개음을 나타내는 IPA의 [ɡ]와 [k]는

이를 발음할 때에 이용되는 발음가관의 모습이나 동작과 전혀 무관하

다. 그러나 한글의 기역(ㄱ)과 키읔(ㅋ)은 모두 뒤혀가 여린입천장을 막

는 조음 형상을 정확하게 상징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동일한 위치에서 발음되는 여린입천장소리를 나타내는 [ɡ]와

[k]는 서로 글자꼴이 전혀 달라서 두 글자 사이에 아무런 연관성을 찾

을 수가 없다. 그러나 한글의 경우를 보라. 기본 형태 [ㄱ]을 공유하고

있어서 이들이 같은 계열의 기호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IPA 기호는 한글과 같은 체계적인 상관성과 응용력이 없기 때문에 초심

자는 글자 하나하나를 모두 별도로 익히고 기억해 두어야 하며, 결과적

으로 그만큼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기호의 수에 있어서도 IPA는 IKPA애 비해서 비경제적

이다. IPA는 많은 수의 상이한 기호를 일일이 사용할 수밖에 없으나,

IKPA는 기본적인 기호를 정한 다음에 여기에서 연관된 기호를 무수하

게 파생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가령, 무성기호에서 유성기호를 파생시

키고, 파열음에서 마찰음을 파생시킬 수 있는 체계성과 유연성을 자랑

하는 것이다.

필자가 고안한 국제한글음성문자는 결국 위에 말한 세종대왕의 창

Page 5: ´ àÖ:¿ WD L ¯ º´ ¯ ´ ¯ ´Ýs-space.snu.ac.kr/bitstream/10371/87796/1/4. 국제한글... · 2020. 6. 4. · b & j I ² ý Ò Þ à ; 3 à ã I ç ç A v à Ö : ¿ W 3 J

국제한글음성문자의 일본어, 중국어, 태국어 표기 | 이현복 _ 95

제 원리를 연장 확대시킨 것이므로 그러한 원리를 한번 이해해 두면 한

글음성문자를 익히고 기억해 두기가 IPA보다도 쉬울 것이다. 특히, 이미

한글을 아는 사람은 간단한 응용원리만 알아 둔다면 이렇다 할 노력 없

이 쉽게 배울 수가 있다. 필자가 국제한글음성문자를 고안하기로 결심

한 것은 바로 IPA의 이 같은 결함에 대한 불만에서 비롯된 것이다.

3) 한글 음성 문자의 제작 원리

필자는 세종대왕이 창제한 한글을 근간으로 하고 그 밖에 필요한 음

성 문자를 고안하려고 노력하였다. 국제한글음성문자를 제작함에 있어

필자가 내세운 원칙은 다음과 같다:

(1) 한글 글자를 적극 활용한다: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한글 자모는

가능한 한 많이 활용하되, 모든 한글 글자에 일정한 음가를 부여하여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가령, ㄱ, ㄷ, ㅂ 등은 언제나 무성의 예

사소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정한다.

(2) 일음 일자를 원칙으로 한다: 하나의 소리는 하나의 기호로 표기되

어야 하며, 한 가호는 항상 같은 소리를 나타내야 한다. 가령 “ㅂ”글자

로 [b]와 [b], 즉, 유성 및 무성 양순 파열음을 나타내서는 안 되고 그 어

느 것이든 하나만을 표기해야 한다. 한글 음성 문자에서 “ㅂ”은 무성양

순파열음 기호([b])로 쓴다.

현재 한글에서 쓰이는 “ㅑ”나 “ㅘ”와 같은 글자는 한 글자로서 [ja]와

[wa]와 같이 두 소리의 결합(또는 하나 이상의 소리)을 나타내므로 일

음 일자의 원칙에 어긋난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별도로 풀어 쓰는 방

법을 마련한다.

Page 6: ´ àÖ:¿ WD L ¯ º´ ¯ ´ ¯ ´Ýs-space.snu.ac.kr/bitstream/10371/87796/1/4. 국제한글... · 2020. 6. 4. · b & j I ² ý Ò Þ à ; 3 à ã I ç ç A v à Ö : ¿ W 3 J

96 _ 東亞文化 第 49 輯

(3) 훈민정음의 옛글자도 활용한다: 세종대왕이 창제한 훈민정음 중

에서 지금 안 쓰는 글자일지라도 필요한 것은 부활하여 사용한다. 가령

“△”는 [z] 소리를 나타내는 기호로, “”는 성문파열음으로 사용한다.

(4) 한글 글자꼴을 변형하여 새로운 기호를 만든다: 그 밖의 필요한

가호는 현존 한글 자모를 변형하여 파생시킨다. 한글의 글자체는 본래

발음 가관의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는 것에도 큰 의미가 있지만 그보

다도 더 놀라운 것은, 기본이 되는 글자를 약간 변형시키거나 중복하여,

같은 조음부에서 나는 유사한 소리를 나타내는 새로운 글자를 손쉽게

만들어 낼 수 있는 유연성과 응용력이다. 이러한 유연성과 응용력을 한

글음성문자 제작에 최대한 활용한다.

(5) 한글음성기호는 풀어서 적는다: 음절을 구성하는 자모는 풀어서

쓴다. 이 문제는 (2)에서 말한 “일음 일자”의 원칙과 일맥 상통하는 바

가 있다. 한 음절을 구성하는 자음, 모음, 자음이 있을 때에 이를 현행

한글 맞춤법대로 모아 쓰는 것이 아니고, 라틴 문자를 쓰는 서구의 철

자와 같이 한 줄로 풀어서 쓰는 것이다. 인간의 말소리가 시간 축에 따

라서 선조적으로 발음된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음성기호를 한 줄로

적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2. 한글 음성 문자 상론

이제 국제한글음성문자를 닿소리와 홀소리 및 반홀소리 순으로 차례

로 제시함과 아울러 제작 과정을 설명한다. 편의상 한글음성기호 다음

에 해당하는 국제음성기호를 괄호 속에 적어 넣어 국제음성기호와의 대

웅 관계를 파악하기 쉽도록 하였다.

Page 7: ´ àÖ:¿ WD L ¯ º´ ¯ ´ ¯ ´Ýs-space.snu.ac.kr/bitstream/10371/87796/1/4. 국제한글... · 2020. 6. 4. · b & j I ² ý Ò Þ à ; 3 à ã I ç ç A v à Ö : ¿ W 3 J

국제한글음성문자의 일본어, 중국어, 태국어 표기 | 이현복 _ 97

1) 닿소리 기호(자음)

닿소리 기호는 한글자모의 순서에 따라 기술한다.

(1) 현행 한글 자음 기호

현행 한글 기호는 다음과 같은 음가로 사용한다. 이하 모든 기호는

교유 번호를 부여한다.

1) ㄱ 2) ㄷ 3) ㅂ 4) ㅈ 5) ㅅ

위 다섯 개의 자음은 모두 연한파열음과 파찰음(4), 그리고 마찰

음(5)을 나타내는 기본적인 자음이며 약한 기식을 수반한다. 이들은 모두 무성을 나타낸다.

6) ㅋ 7) ㅌ 8) ㅍ 9) ㅊ

위 네 개의 자음은 각각 1-4 번에 해당하는 무성 파열음과 파찰음

(9)을 나타내며 강한 기식을 수반한다.

10) ㄲ 11) ㄸ 12) ㅃ 13) ㅉ 14) ㅆ

위 다섯 개의 자음은 1-5번에 해당하는 무성의 된소리를 나타낸

다.

15) ㅇ 16) ㄴ 17) ㅁ

이 세 개의 자음은 콧소리를 나타내는 유성음이다.

18) ㅎ 19) ㄹ

이 두 소리는 성문 마찰음 과 혀끝 굴림소리를 각각 나타낸다.

Page 8: ´ àÖ:¿ WD L ¯ º´ ¯ ´ ¯ ´Ýs-space.snu.ac.kr/bitstream/10371/87796/1/4. 국제한글... · 2020. 6. 4. · b & j I ² ý Ò Þ à ; 3 à ã I ç ç A v à Ö : ¿ W 3 J

98 _ 東亞文化 第 49 輯

(2) 유성 자음 기호(무성 자음 기호에서 파생)

콧소리 ㅇ, ㄴ, ㅁ와 굴림소리 ㄹ 이외의 현행 한글 자음 글자는 모두

무성음을 나타낸다. 유성자음은 무성 자음 기호에 유성 표시(voice bar)

로 직선을 하나 더하여 다음과 같이 파생한다.

1) (ɡ): 연구개 파열음 2) (d): 치조 파열음 3) (b): 양순 파열음 4) (ʤ): 후치조 파찰음

5) △ (z): 치조 마찰음 6) (v): 치간 마찰음 7) (ɦ): 성문 마찰음

(3) 마찰음 기호(파열음 기호에서 파생)

한글 자모에는 마찰음 기호가 적다. 현행 한글 자모에는 마찰음 기호

로 <ㅎ, ㅅ, ㅆ>이 있을 뿐이다. 따라서 외국어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마

찰음을 표기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기호가 필요하다. IKPA는 파열음 기

호에서 작은 원을 더하여 해당 마찰음을 다음과 같이 파생한다.

1) <ㄱ> 연구개 마찰음

1> (x): 무성 마찰음 2> (ɣ): 유성 마찰음

2) <ㄷ> 순치 마찰음

1> (θ): 무성 마찰음

2> (ð): 유성 마찰음

3) <ㅂ> 양순 마찰음

1> (ф): 무성 마찰음

Page 9: ´ àÖ:¿ WD L ¯ º´ ¯ ´ ¯ ´Ýs-space.snu.ac.kr/bitstream/10371/87796/1/4. 국제한글... · 2020. 6. 4. · b & j I ² ý Ò Þ à ; 3 à ã I ç ç A v à Ö : ¿ W 3 J

국제한글음성문자의 일본어, 중국어, 태국어 표기 | 이현복 _ 99

2> (β): 유성 마찰음

3> (f): 무성 순치 마찰음

4> (v): 유성 순치 마찰음

4) <ㅈ> 후치조 마찰음

1> (∫): 무성 마찰음

2> (ʒ): 유성 마찰음

(4) 순치음 기호

1) (ɱ): 순치 비음 2) (ʋ): 순치 반모음

(5) 치조음 기호

1) (ɾ): 치조 튀김소리 2) (l): 치조 설측음

(6) 권설음 기호

혀말음소리를 표시하는 기호도 한글에는 없으므로 새로이 만들어 내

야 한다. 혀말음소리는 혀(끝)를 입천장으로 말아 올린 모양의 왼쪽으

로 휜 구별부호를 더해 다음과 같이 고안하였다:

1) (t’ 또는 d): 무성 권설 파열음 2) (ɖ): 유성 권설 파열음 3) (tʰ 또는 th): 무성 유기 권설 파열음 4) (t 또는 tˀ): 무성 무기 긴장 권설 파열음

Page 10: ´ àÖ:¿ WD L ¯ º´ ¯ ´ ¯ ´Ýs-space.snu.ac.kr/bitstream/10371/87796/1/4. 국제한글... · 2020. 6. 4. · b & j I ² ý Ò Þ à ; 3 à ã I ç ç A v à Ö : ¿ W 3 J

100 _ 東亞文化 第 49 輯

5) (ɳ): 권설 비음 6) (ɭ): 권설 설측음

7) (ɽ): 권설 튀김소리

8) (ʂ): 무성 권설 마찰음

9) (ʐ): 유성 권설 마찰음

10) (ʂˀ): 무성 긴장 권설 마찰음

(7) 구개음화 기호

경구개 자음을 표기하는 기호가 한글에는 없기 때문에 새로이 고안

해야만 한다. 경구개 자음의 기호는 “ㄱ”, “ㄴ”, ㄹ”에 오른 쪽으로 휘는

낚시 모양의 꼬리를 달아 만들었다. 꼬리 모양의 근거를 찾는다면 전설

모음 기호 “ㅣ”의 모양을 약간 변형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고 음성학적

으로 보아 전설 고모음 “ㅣ”는 구개 자음과 혀의 위치가 유사하다는 점

을 들 수 있다. 새로 만든 경구개 자음 기호는 다음과 같다.

1) (c’ 또는 ɟ): 무성 파열음 2) (ɟ): 유성 파열음 3) (c 또는 cˀ): 무성 무기 긴장 파열음 4) (cʰ 또는 ch): 무성 유기 파열음

5) (ç): 무성 마찰음 6) (ʝ): 유성 마찰음 7) (ɕ): 무성 마찰음 8) (ʑ): 유성 마찰음

9) (ɲ): 경구개 비음

10) (ʎ): 경구개 설측음

위에서 경구개 파열음과 마찰음 기호는 모두 연구개 자음 기호인

“ㄱ”에서 유도된 데 반해서 비음과 설측음은 치조음 기호인 “ㄴ”과 “ㄹ”

Page 11: ´ àÖ:¿ WD L ¯ º´ ¯ ´ ¯ ´Ýs-space.snu.ac.kr/bitstream/10371/87796/1/4. 국제한글... · 2020. 6. 4. · b & j I ² ý Ò Þ à ; 3 à ã I ç ç A v à Ö : ¿ W 3 J

국제한글음성문자의 일본어, 중국어, 태국어 표기 | 이현복 _ 101

에서 파생된 것을 알 수 있다. 얼핏 보아 일관성이 없어 보이기도 하나,

음성학적으로 [ㄴ]과 [ㄹ]는 청각 인상이 각각 [n]과 [l]에 가깝고 [c]나

[ɟ] 등은 반대로 연구개음인 [k]나 [ɡ]에 가깝게 들리기 때문이라는 점을

그 이유로 들 수 있다.

(8) 목젖소리 기호

혀말음소리나 센입천장소리와 같이 목젖 소리를 표시하는 기호도 한

글에는 없으므로 새로이 만들어야 한다. 목젖 소리는 다음과 같이 “ㄱ”

계열에 한 획을 더해 만들었다. 이는 목젖이 뒤혀에 얹혀 있는 모습을

딴 것이다.

1) (q’ 또는 ɢ): 무성 목젖 파열음 2) (ɢ): 유성 목젖 파열음 3) (qʰ 또는 qh): 무성 유기 목젖 파열음 4) (q 또는 qˀ): 무성 긴장 목젖 파열음 5) (χ): 무성 목젖 마찰음 6) (ʁ): 유성 목젖 마찰음 7) (ɴ): 목젖 비음 8) (ʀ): 목젖 굴림소리 9) (ʀ): 목젖 튀김소리

(9) 인두음화 기호

1) (ħ): 무성 인두 마찰음

2) (ʕ): 유성 인두 마찰음

Page 12: ´ àÖ:¿ WD L ¯ º´ ¯ ´ ¯ ´Ýs-space.snu.ac.kr/bitstream/10371/87796/1/4. 국제한글... · 2020. 6. 4. · b & j I ² ý Ò Þ à ; 3 à ã I ç ç A v à Ö : ¿ W 3 J

102 _ 東亞文化 第 49 輯

(10) 성문음 기호

1) (ʔ): 성문 파열음

(11) 무성음화 기호

ㅁ(m), ㄴ(n), ㅇ(ŋ)나 (l), (ɾ) 같은 흐름소리는 흔히 유성음으로 실

현되는 것이 보통이나 무성음으로 나타날 때도 있으므로 무성의 흐름

소리를 나타내는 기호를 별도로 만들 필요가 있다. 여기서 무성 유음은

해당하는 유성 유음 기호에 작은 원을 더하여 다음과 같이 파생시킨다:

1) ㅁ = 무성화한 ㅁ

2) ㄴ = 무성화한 ㄴ 3) ㅇ = 무성화한 ㅇ 4) = 무성화한 5) = 무성화한

위에서 유성 유음 기호에 작은 원을 더하여 무성 유음을 파생시켰는

데, 앞서 파열음에서 마찰음을 유도하는데도 작은 원을 사용하였기 때

문에 용법에 일관성이 없는 듯이 보인다. 즉 동일한 부호인 작은 원을

경우에 따라 마찰음화 부호와 무성음화 부호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

다. 그러나 이것은 파열음의 경우에는 기본 기호인 ㅂ, ㄷ, ㄱ 등을 무성

기호로 정한데 반해, ㅁ, ㄴ, , 등은 본래 유성의 기호로 처리한 까닭

에 빚어진 불가피한 결과이므로 이점을 분명히 해준다면 혼동은 일어나

지 않게 된다. 한편, [m], [n], [ŋ], [l]과 같은 자음이 무성화되면 마찰음

으로 변한다. 따라서 ㅁ(m), ㄴ(n), ㅇ(ŋ) 등이 무성화할 때에 붙는 작은

원은 ㄱ(x)이나 ㅂ(ф)이 마찰화할 때의 작은 원과 마찬가지로 비마찰음

Page 13: ´ àÖ:¿ WD L ¯ º´ ¯ ´ ¯ ´Ýs-space.snu.ac.kr/bitstream/10371/87796/1/4. 국제한글... · 2020. 6. 4. · b & j I ² ý Ò Þ à ; 3 à ã I ç ç A v à Ö : ¿ W 3 J

국제한글음성문자의 일본어, 중국어, 태국어 표기 | 이현복 _ 103

을 마찰음화 시키는 부호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작은 원의 용법은 일

관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 홀소리 기호(모음)

(1) 현행 한글 모음 기호

닿소리 기호와 마찬가지로 홀소리 기호도 일부는 현재 쓰이는 한글

글자를 그대로 사용하고 나머지는 형태를 바꾸어 새 기호를 만들었다.

현행 한글 글자로써 모양을 바꾸지 않고 그대로 음성 기호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1) ㅣ (i): 전설 폐모음 (평순) 2) ㅔ (e): 전설 반폐모음 (평순) 3) ㅐ (ε): 전설 반개 모음 (평순) 4) ㅏ (a): 전설 개모음 (평순) 5) ㅗ (o): 후설 반폐모음 (원순) 6) ㅜ (u): 후설 폐모음 (원순) 7) ㅓ (ʌ): 후설 반개모음 (평순) 8) ㅟ (y): 전설 폐모음 (원순) 9) ㅚ (ø): 전설 반폐모음 (원순) 10) ㅙ (œ): 전설 반개모음 (원순)

여기서 ‘ㅟ’, ‘ㅚ’, ‘ㅙ’는 글자 모양은 조금도 달라진 것이 없으나, 그것

이 표시하는 음가는 단순 모음으로 한정되었다는 것이 주목할 일이다.

가령 한글 철자로는 ㅟ가 [wi], [ɥi], [y] 등 여러 음가로 실현되지만 은

성 기호로는 항상 [y]만을 나타내게 된다. 약간 한글 글자의 모양을 바

꾼 것으로는 아래와 같은 것이 있다:

Page 14: ´ àÖ:¿ WD L ¯ º´ ¯ ´ ¯ ´Ýs-space.snu.ac.kr/bitstream/10371/87796/1/4. 국제한글... · 2020. 6. 4. · b & j I ² ý Ò Þ à ; 3 à ã I ç ç A v à Ö : ¿ W 3 J

104 _ 東亞文化 第 49 輯

(2) 한글 모음 기호에서 파생된 기호

1) (ɯ): 후설 폐모음 (평순) 2) (ɤ): 후설 반폐모음 (평순) 3) (ɔ): 후설 반개모음 (원순)4) (ɑ): 후설 개모음 (평순) 5) (ɒ): 후설 개모음 (원순) 6) (ə): 중설 중앙모음 (평순) 7) (ɐ): 중설 개모음 (평순)

위에서 후설 평순 폐모음 기호 [ɯ]는 한글의 기호인 “ㅡ”가 키가 낮

아 다른 기호와의 균형이 안 맞기 때문에 이를 시정하기 위해 약간 곡

선화한 것이다. 다음에 는 ㅓ보다 혀의 위치가 높은 후설 반폐 평순 모

음 [ɤ]를 나타내기 위해 ㅓ에 한 획을 더한 것이며, 는 전설 개모음 [a]

에 대한 후설 개모음 [ɑ]를 표시하기 위해 ㅏ에 한 획을 더해 만들었다.

그리고 후설 원순 개모음 [ɒ]를 나타내는 는 에서 이차적으로 파생

시켰으며, 는 중앙 모음인 [ə]를 나타내는 기호로 삼았다. 마지막으로

중설 고모음은 IPA에서 중앙화(centralize)를 나타내는 기호인 두 점 [ ]

을 적용해 다음과 같이 파생하였다.

8) ㅣ (ɨ): 중설 평순 고모음 9) ㅜ (ʉ): 중설 원순 고모음

Page 15: ´ àÖ:¿ WD L ¯ º´ ¯ ´ ¯ ´Ýs-space.snu.ac.kr/bitstream/10371/87796/1/4. 국제한글... · 2020. 6. 4. · b & j I ² ý Ò Þ à ; 3 à ã I ç ç A v à Ö : ¿ W 3 J

국제한글음성문자의 일본어, 중국어, 태국어 표기 | 이현복 _ 105

3) 반홀소리(반모음)

지금까지 기술한 홀소리 기호는 일음 일자 원칙에 따라 모두 홑홀소

리(단순 무음)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중 모음을 표시하려면 별도로 반홀

소리 기호를 고안해야 한다. 아래에 든 기호는 모두 한글의 홀소리 기

호 “ㅣ”, “ㅠ” 및 “ㅡ”를 이용해 만든 것이다.

1) (j): 경구개 반모음(평순) 2) (ɥ): 경구개 반모음(원순) 3) (w): 연구개 반모음(원순) 4) (ɰ): 연구개 반모음(평순)

는 ㅣ에서, 는 ㅜ에서 유도했고, 는 에다 작은 원을 더해 원순화

를 표시했다. 그리고 는 원래 ㅡ에서 변형된 에 꼬리를 붙여 만든 것

으로서, 이중모음 ㅢ가 [ɰi]로, 즉 상승 이중모음(rising diphthong)으

로 발음될 때의 첫소리를 나타낸다. 그러나 ㅢ가 [ɰj], 즉 하강 이중모

음(falling diphthong)으로 날 때에는 이미 앞에서 기술한 와 반모음 를

함께 쓰면 된다. 이렇게 하여 [ɰi]는 []로 [ɰj]는 []로 표기된다.

4) 운율적 자질

소리의 길이와 강세 등, 운율적 자질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1) 소리의 길이

소리의 장단을 구분하여 나타내기 위하여 길이 부호인 [:]를 해당 기

Page 16: ´ àÖ:¿ WD L ¯ º´ ¯ ´ ¯ ´Ýs-space.snu.ac.kr/bitstream/10371/87796/1/4. 국제한글... · 2020. 6. 4. · b & j I ² ý Ò Þ à ; 3 à ã I ç ç A v à Ö : ¿ W 3 J

106 _ 東亞文化 第 49 輯

호 다음에 덧붙인다. 따라서 [:]가 붙은 소리는 긴 소리이고 표시가 없는

소리는 짧은 소리이다. 길이 부호는 주로 긴 모음을 나타내는 데 쓰이

나 자음의 길이를 표시할 때에도 이용된다. 이 길이 부호는 IPA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쓰인다.

보기)사람 → []전기 → []천만에 → []

(2) 소리의 세기

소리의 세기는 주로 음절 단위로 표시하며, 세계 나는 음절 앞에 부

호[‘]를 붙여서 나타낸다. 이 역시 IPA관행과 일치한다.

보기)소대장 → [‘]=[‘소:대장]자동차 → [’]=[자’동차]

5) 국제 한글 음성 문자표

위에서 논의한 국제한글음성문자의 총괄표를 다음에 제시한다.

Page 17: ´ àÖ:¿ WD L ¯ º´ ¯ ´ ¯ ´Ýs-space.snu.ac.kr/bitstream/10371/87796/1/4. 국제한글... · 2020. 6. 4. · b & j I ² ý Ò Þ à ; 3 à ã I ç ç A v à Ö : ¿ W 3 J

국제한글음성문자의 일본어, 중국어, 태국어 표기 | 이현복 _ 107

Page 18: ´ àÖ:¿ WD L ¯ º´ ¯ ´ ¯ ´Ýs-space.snu.ac.kr/bitstream/10371/87796/1/4. 국제한글... · 2020. 6. 4. · b & j I ² ý Ò Þ à ; 3 à ã I ç ç A v à Ö : ¿ W 3 J

108 _ 東亞文化 第 49 輯

3. 중국어, 일본어, 태국어의 표기

이제 국제한글음성문자를 이용하여 중국어와 일본어 및 태국어의 표

기를 시도한다. 표기 대상은 <바람과 해님>(The North Wind and the

Sun)이란 이솝 우화이다. 국제음성학협회는 이미 오래 전부터 이 이

야기를 대상으로 여러 나라 언어를 국제음성기호(IPA)로 표기하여 제

시한 바가 있다. 오래 전에 출간된 “Principles of IPA”와 근래에 나온

“Manual of IPA”가 있는데, 후자에는 북경 표준어가 없고 광동어만 수

록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Principles of IPA”에 수록된 북경 말을 기준

으로 하였다. 그러나 일본어와 태국어는 근래에 나온 “Manual of IPA”

에 수록된 것을 기준으로 표기하였다.

그리고 실제로 표기할 때에는 IPA 표기를 그대로 IKPA로 옮긴 것이

아니고 위에 소개한 세 언어의 모국어 화자의 발음을 일일이 확인, 대

조하면서 IKPA로 전사하였음을 밝힌다. 또한 국제한글음성문자로 전

사한 다음에 참고로 IPA 전사와 세 언어의 고유 문자 표기도 제시한다.

이 세 언어는 모두 성조언어이다. 그러나 여기서는 편의상 성조를 제외

하고 자음, 모음, 반모음 등의 분절음만을 표기한다.

1) 중국어의 IKPA 표기

j j

j

Page 19: ´ àÖ:¿ WD L ¯ º´ ¯ ´ ¯ ´Ýs-space.snu.ac.kr/bitstream/10371/87796/1/4. 국제한글... · 2020. 6. 4. · b & j I ² ý Ò Þ à ; 3 à ã I ç ç A v à Ö : ¿ W 3 J

국제한글음성문자의 일본어, 중국어, 태국어 표기 | 이현복 _ 109

j

j

Conventions

1. [ㅍ, ㅌ, ㅋ]는 유기 파열음, [ㅃ, ㄸ, ㄲ]는 무기 파열음을 나타낸다.

2. 치조 마찰음 [s]는 []로, 권설음 [ʂ]는 []로, [ʐ]는 []로 표기하

였다.

3. 무기 치조 파찰음 [ts]는 [ ]로, 유기 치조 파찰음 [ʧ]는 []로

표기하였다. 또한 권설음 [ʈʂ]는 [j]로 표기하였다.

4. 모음 []는 때때로 중앙화된 []로 발음되기도 한다.

5. 는 문장 경계(sentence break)를 나타낸다.

6. 표기의 편의를 위해 성조는 표시하지 않았다.

IPA transcription

iou i xui peifeŋ ken thai iaŋ ceŋ tai nar ceŋ luen ʃei te pen ʃə

ta ʃuo cə ʃuo cə lai le i ke tsou taur te ʃen ʃaŋ chuan cə i cian xou

phau tsə tha m lia ciou ʃaŋ liaŋ xau le ʃuo ʃei neŋ ʃian ciau c eke

Page 20: ´ àÖ:¿ WD L ¯ º´ ¯ ´ ¯ ´Ýs-space.snu.ac.kr/bitstream/10371/87796/1/4. 국제한글... · 2020. 6. 4. · b & j I ² ý Ò Þ à ; 3 à ã I ç ç A v à Ö : ¿ W 3 J

110 _ 東亞文化 第 49 輯

tsou taur te pa tha te phau tse thuo le ʃia lia a ciou suan ʃei te pen

ʃə ta hau peifeŋ ciou ʃe chi ta cin laic in kua cin kua khe ʃe tha kua

te ye li xai ne ke ʒen ciou pa phau tsə kuo te ye cin tau muo liaur

peifeŋ mei le fa tsə tsə xau ciou suan le i xuer thai iaŋ ciou chu lai

ʒe ʒer te i ʃai ne tsou tau rte ma ʃaŋ ciou pa phau tsə thuo le ʃia lai

suo i peifeŋ pu neŋ pu cheŋ ʒen tau ti xai ʃə thai iaŋ pi tha pen ʃə

ta

Orthographic version

有一回, 北风跟太阳正在那儿争论谁的本事大; 说着说着来了一个走道儿的身上穿着一件厚袍子。他们俩就商量好了说, 谁能先叫这个走道儿的把他的袍子脱了下来, 就算谁的本事大。北风就使起大劲来紧刮紧刮, 可是他刮得越厉害那个人就把袍裹得越紧。一会儿太阳就出来, 热热儿的一晒, 那走道儿的马上就把袍子脱了下来。所以, 北风不能不承认到底还是太阳比他本事大。

2) 일본어의 IKPA 표기

Page 21: ´ àÖ:¿ WD L ¯ º´ ¯ ´ ¯ ´Ýs-space.snu.ac.kr/bitstream/10371/87796/1/4. 국제한글... · 2020. 6. 4. · b & j I ² ý Ò Þ à ; 3 à ã I ç ç A v à Ö : ¿ W 3 J

국제한글음성문자의 일본어, 중국어, 태국어 표기 | 이현복 _ 111

Convention

1. IKPA에서는 일본어 [ɯ]를 원순 성이 있는 []로 적는다. 실제로 일

본어 [ɯ]는 기본모음 [u]보다 원순성이 훨씬 약하고, 혀의 위치는

중앙화하여 영어의 이완모음 [ʊ]에 유사하다.

2. IKPA에서 일본어 무성파열음 [k], [t], [p]은 [], [], []으로 각각

적는다. 일본어의 무성파열음은 한국어의 거센 소리보다는 기식이

약하다. 그리고 일본어 겹 자음 [kk], [tt], [pp]은 [], [], []

로 표기한다.

3. IKPA에서 일본어 치조 파찰음 [ts]는 [ ]로 표기하고, 후치조 파

찰음 [ʧ]은 []로 적는다.

IPA Transcription

aɾɯtoki kitakazeto taijoːga ʨikaɾakɯrabeo ɕimaɕita. tabibitono

gaitoːo nɯgasetahoːga kaʨito jɯːkotoni kimete, mazu, kitakazekaɾa

haʥimemaɕita. kitakazewa, nani, ҫitomakɯɾiniɕitemisejoːto

hageɕikɯ ɸɯkitatemaɕita. sɯɾɯto tabibitowa, kitakazega

ɸɯkebaɸɯkɯhodo gaitoːo ɕikkaɾito kaɾadani kuʔtsɯkemaɕita.

kondowa taijoːno baɴni naɾimaɕita. taijoːwa kɯmono aidakaɾa

Page 22: ´ àÖ:¿ WD L ¯ º´ ¯ ´ ¯ ´Ýs-space.snu.ac.kr/bitstream/10371/87796/1/4. 국제한글... · 2020. 6. 4. · b & j I ² ý Ò Þ à ; 3 à ã I ç ç A v à Ö : ¿ W 3 J

112 _ 東亞文化 第 49 輯

jasaɕii kaoo daɕite, atatakana ҫikaɾio okɯɾimaɕita. tabibitowa

daɴdaɴ joi kokoɾomoʨini naʔte, ɕimainiwa gaitoːo nugimaɕita.

sokode kitakazeno maketo naɾimaɕita.

Japanese script

ある時、北風と太陽が力くらべをしました。旅人の外套を脱がせた方が勝ちということに決めて、まず、北風から始めました。北風は、「なに、一まくりにして見せよう」と、激しく吹きたてました。すると旅人は、北風が吹けば吹くほど外套をしっかりと体にくっつけました。今度は太陽の番になりました。太陽は雲のあいだから優しい顔を出して暖かな光を送りました。旅人は、段々よい心もちになって、しまいには外套を脱ぎました。そこで北風の負けになりました。

3) 태국어의 IKPA 표기

Page 23: ´ àÖ:¿ WD L ¯ º´ ¯ ´ ¯ ´Ýs-space.snu.ac.kr/bitstream/10371/87796/1/4. 국제한글... · 2020. 6. 4. · b & j I ² ý Ò Þ à ; 3 à ã I ç ç A v à Ö : ¿ W 3 J

국제한글음성문자의 일본어, 중국어, 태국어 표기 | 이현복 _ 113

Conventions

1. 음절말 자음 [ㄱ, ㄷ, ㅌ, ㅂ]는 개방되지 않으며, 이를 해당 자음 뒤

에 [] 기호를 붙여 나타내었다.

2. 표기의 편의를 위해 성조는 표시하지 않았다.

3. 는 구 경계(phrasal break)를 나타내고, 는 문장 경계(sentence

break)를 나타낸다.

4. 치조 굴림소리 [ㄹ]는 주로 튀김소리로 실현되기 때문에 []로 표

기하였다.

5. 장모음은 [ː]로 나타내었다.

IPA transcription

kʰāˈnàʔ tʰî ˌlōmˈnɯa lɛ ˌpʰráʔāˈtʰít | kāmˈlˈāŋ ˈtʰîǎŋ kān ˈwâː |

ˈkʰrāj ʨā ˈmīː pʰāˈlāŋ ˈmâːk kwà ˈkān | kɔː ˈmīː ˈnákˌdɤː nˈtʰāːŋ ˈpʰûː

ˈnɯŋ ˈdɤː n ˈpʰàːn ˈmāː | ˈsàj ˈsɯaˌkānˈnǎːw ˌlōmnɯa lɛ ˌpʰráʔāˈtʰít

ˈʨɯŋ ˌtòkˈlōŋ kān ˈwâː | ˈkʰrāj tʰî ˌsǎːˈmâːt ˈtʰām hâj ˈnákˌdɤː nˈtʰāːŋ

ˈpʰûː ˈníː | ˈtʰɔː t ˈsɯaˌkānˈnǎːw ʔɔk ˈdâːj ˌsǎmˈrèt ˈkɔː n | ʨā ˈtʰɯ ː

ˈwâː | pēn ˈpʰûː tʰî ˈmīː pʰāˈlāŋ ˈmâːk ˈkwàː ˈlέʔ ˈlέːw | ˌlōmˈnɯa kɔ

Page 24: ´ àÖ:¿ WD L ¯ º´ ¯ ´ ¯ ´Ýs-space.snu.ac.kr/bitstream/10371/87796/1/4. 국제한글... · 2020. 6. 4. · b & j I ² ý Ò Þ à ; 3 à ã I ç ç A v à Ö : ¿ W 3 J

114 _ 東亞文化 第 49 輯

krāˈpʰɯː ˈpʰát ˈjàːŋ ˈsùt ˈrɛ ː ŋ tɛ ˈjîŋ ˈpʰát ˈrɛ ː ŋ ˈmâːk ˈkʰɯn ˈpʰīaŋ

ˈdāj | ˈnákˌdɤ ː nˈtʰāːŋ kɔ ˈjîŋ ˈdɯŋ ˈsɯaˌkānˈnǎːw ˈhâj krāˈʨʰáp kàp

ˈtua ˈmâːk ˈkʰɯn ˈpʰīaŋ ˈnán ˈlɛʔ ˈnāj tʰî ˈsùt | ˌlōmˈnɯa kɔ ˈlɤ ː k ˈlóm

ˈkʰwāːm pʰājāˈjāːm ˈʨàːk ˈnán | ˌpʰráʔāˈtʰít ˈʨɯŋ ˈsàːt ˈsɛ ː ŋ ʔān ˈrɔː n

ˈrɛ ː ŋ ʔɔk ˈmāː ˈnákˌdɤː nˈtʰāːŋ kɔ ˈtʰɔː t ˈsɯaˌkānˈnǎːw ˈʔɔː k ˈtʰān ˈtʰīː

ˈnāj tʰî ˈsùt | ˌlōmˈnɯa ʨɯŋ ˈʨām ˈtɔŋ ˈjɔː m ˈráp ˈwâː | ˌpʰráʔāˈtʰīt mīː

pʰāˈlāŋ ˈmâːk ˈkwàː ˈtōn

Orthographic version

ขณะทลมเหนอและพระอาท ตยกำลงเถ ยงกนวาใครจะม พลงมากกวากน กม นกเด นทางผ หนงเด นผานมา

ใสเสอกนหนาว ลมเหนอและพระอาทตยจ งตกลงกนวา ใครทสามารถทำใหนกเดนทางผ นถอดเสอกนหนาวออกได

สำเรจกอนจะถอวาเปนผ ทมพลงมากกวา และแลวลมเหนอกกระพอพดอยางสดแรง แตยงพดแรงมากขนเพยงใด น

กเดนทางกยงด งเสอกนหนาวใหกระชบกบตวมากขนเพยงนน และในทสดลมเหนอกเลกลมความพยายาม จากนนพ

ระอาทตยจ งสาดแสงอนรอนแรงออกมา นกเดนทางกถอดเสอกนหนาวออกทนท ในทสดลมเหนอจงจำตองยอมรบ

วาพระอาทตยมพลงมากกวาตน

4. 맺는 말

위에서 국제한글음성문자를 이용하여 중국어와 일본어 및 태국어

의 표기를 제시하였다. 한국인은 물론이고 한글과 한글음성문자를 익

힌 사람은 국적을 떠나 누구나 이들 세 외국어를 정밀하게 표기하고 읽

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폴란드

어, 러시아어, 중국어 등의 외국어도 일관되게 표기가 가능할 것이다. 또

한 국제한글음성문자는 글자가 없는 무문자 언어의 표기에도 활용될

Page 25: ´ àÖ:¿ WD L ¯ º´ ¯ ´ ¯ ´Ýs-space.snu.ac.kr/bitstream/10371/87796/1/4. 국제한글... · 2020. 6. 4. · b & j I ² ý Ò Þ à ; 3 à ã I ç ç A v à Ö : ¿ W 3 J

국제한글음성문자의 일본어, 중국어, 태국어 표기 | 이현복 _ 115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이 한글음성문자를 더욱 연구하고 발전시킨다

면 유연성과 체계적인 상관성이 거의 없는 현행 국제음성문자보다도 휠

씬 우수한 음성문자로 활용될 수 키워 나갈 수 있으리라고 믿는다.

참고문헌

Y.R. Chao: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8).

I.J. Gelb: A Study on Writing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ns ed., 1963).

I.P.A.: The Principles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London 1949.

H.B. LEE: Korean Specimen (Le Maître Phonétique No.127, London, 1967).

: Korean Grammar (Oxford Univ. Press, 1989).

G. Sampson: Writing Systems (Hutchinson & Co. Ltd., 1985).

이현복: 한글음성문자시안(한글학회 560돌 기념 제1회 국제언어학자대회 논문

집, 서울, 1971).

이현복: 국제음성문자와 한글음성문자(과학사, 서울, 1981).

이현복: 김선희: 한국어 발음검사(국제출판사, 서울, 1991).

이현복: 한글음성문자(Korean Phonetic Alphabet) <말소리> 제21-24호(대한음

성학회, 1992).

H.B. Lee: Principles of International Korean Phonetic Alphabet (Tokyo

University, 1998).

HB Lee: International Korean Phonetic Alphabet (Keynote speech at the

International Spoken Language Processing Conference, Jeju, 2004).

HB Lee: International Korean Phonetic Alphabet – Theory and Application-

(Korean-English Speech Academy, Seoul, 2009).

Page 26: ´ àÖ:¿ WD L ¯ º´ ¯ ´ ¯ ´Ýs-space.snu.ac.kr/bitstream/10371/87796/1/4. 국제한글... · 2020. 6. 4. · b & j I ² ý Ò Þ à ; 3 à ã I ç ç A v à Ö : ¿ W 3 J

116 _ 東亞文化 第 49 輯

Abstract

A Phonetic Transcription of Chinese, Japanese and Thai by International Korean Phonetic Alphabet

An attempt is made in this paper to transcribe the Chinese, Japanese

and Thai languages, using the International Korean Phonetic Alphabet

(IKPA for short). The IPA transcriptions of the Aesop’s fable “The North

Wind and the Sun” in the three languages as printed in the Manu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are used as the speech samples

for the IKPA transcription. The tones are not marked in the IKPA tran-

scription of the three languages just for the sake of simplicity.

The IKPA is an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devised by the pres-

ent writer on the basis of the Korean alphabet, which has been widely

praised throughout the world as an outstanding phonetic alphabet. Prior

to the actual IKPA transcription of the three languages, an outline of

IKPA is given for the benefit of the readers who are unfamiliar yet with

the principles and applications of IKPA.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paper is an outcome of the IKPA Semi-

na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where its members have carried out a

series of thorough discussions and debates on the IKPA transcription

of Chinese, Japanese and Thai, with active participation of Li Hai Rong

(Shantong Univ.), Mori Kana (Incheon Univ.), Sunanta (SNU), Hwang

Hyosung (SNU/secretary of the seminar) and Lee Sook Hyang (Wonk-

Page 27: ´ àÖ:¿ WD L ¯ º´ ¯ ´ ¯ ´Ýs-space.snu.ac.kr/bitstream/10371/87796/1/4. 국제한글... · 2020. 6. 4. · b & j I ² ý Ò Þ à ; 3 à ã I ç ç A v à Ö : ¿ W 3 J

국제한글음성문자의 일본어, 중국어, 태국어 표기 | 이현복 _ 117

wang Univ.).

It is hoped that this paper will serve to illustrate to what extent IKPA

can represent the sounds of the world languages (as accurately and sys-

tematically as IPA), while demonstrating its unique function as a truly

universal, organic and visible phonetic alphab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