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0~111)170Ⅱ-2(2)ok 2011.11.25 4:22 am 페이지102 mac01...

4
102 2. 한국 문학의 역사와 갈래 ‘도산십이곡’은 한시가 아닌 우리말로 지은 시로, 성리학 특유의 자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치와 질서를 발견한 깨달음을 노래한 작품이다. 작가가 한시가 아닌 우리말로 노래를 지은 까닭과 자연을 대하 는 태도에 주목하면서 작품을 감상해 보자. 작품 선정 취지 시조는 중세 후기에 새로이 나타난 갈래이며 오늘날까지도 이어져 내려오 있어 우리 문학의 전통과 특질을 드러내 주는 갈래이다. 중세 후기에 발생한 시조는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시가 갈래가 되었다. ‘도산십이곡’은이 렇게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시가 갈래인 시조를 학습하기 위한 제재로 선정 하였다. 이 작품을 통해 시조의 형식적인 특징뿐 아니라 자연과 학문을 대하 사대부들의 태도가 어떠한지도 있을 것이다. 또한 당시에 시조가 향유되었던 방법은 무엇이며 성리학의 대가인 작가가 한문이 아닌 우리말로 된 시가를 지은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작품 연구 •갈래: 평시조, 연시조(전12수) •성격: 교훈적, 예찬적, 도학적(道學的) •제재: 언지(言志) 및 언학(言學) •주제: 자연의 관조와 학문의 길 •표현: 반복법, 설의법, 대구법, 연쇄법 •구성 - (전 6곡) 언지(言志): 자연에 대한 감흥 - (후 6곡) 언학(言學): 학문 수양의 자세 •의의 - 한자어가 많아 생경한 감을 주지만 강호가도(江湖歌道)의 대표적인 작품임. - 성리학의 대가가 지은 시조로서 시가의 출발과 발전이 유가(儒家)에 의해 이룩되었음을 보여 줌. - 자연과 학문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엿보이며, 자신의 심경을 소박하게 노 래함. - 율곡 이이의‘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와 함께 조선 양대 거유(巨儒)의 작 품임. 핵심 정리 1. ‘도산십이곡’의전체내용 2. 이 작품의 창작 동기 이 작품에 대해 작가 자신이 붙인 발문(跋文)에는 이 시조를 지은 이유와 그의 문학관이 나타나 있다. 이에 따르면, 이 작품을 짓게 된 동기는‘한림별 곡’등 기존의 시가에 대한 불만에 있으며, 국문 시가는 한시(漢詩)와 달리 노 래할 수 있어서 흥이 난다는 것이다. 전반부: 언지(言志) 후반부: 언학(言學) 자신이 세운 도산 서원 주변의 경관 에서 일어나는 감 흥을 읊음. - 1수: 자연에 대한 깊은 애정 - 2수: 잘못을 저지르지 않는 삶의 추구 - 3수: 사람의 어질고 착한 성품 - 4수: 임금을 그리는 마음 - 5수: 자연을 멀리하는 현실 개탄 - 6수: 자연에 대한 예찬 - 7수: 독서, 면학(勉學)의 즐거움 - 8수: 인간으로서 진리 터득의 중요성 - 9수: 학문 수양에의 다짐 - 10수: 벼슬살이에 대한 후회와 학문 수행 에의 다짐 - 11수: 학문에의 정진 의지 - 12수: 끝이 없는 학문 수양의 길 학문 수양에 임하 는 심경을 노래 함.

Upload: others

Post on 28-Jul-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080~111)170Ⅱ-2(2)OK 2011.11.25 4:22 AM 페이지102 mac01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윤선도,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년닙희 연잎에

1 0 2 2. 한국 문학의 역사와 갈래

‘도산십이곡’은 한시가 아닌 우리말로 지은 시로, 성리학 특유의 자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치와

질서를 발견한 깨달음을 노래한 작품이다. 작가가 한시가 아닌 우리말로 노래를 지은 까닭과 자연을 대하

는 태도에 주목하면서 작품을 감상해 보자.

작품선정취지

시조는 중세 후기에 새로이 나타난 갈래이며 오늘날까지도 이어져 내려오

고 있어 우리 문학의 전통과 특질을 잘 드러내 주는 갈래이다. 중세 후기에

발생한 시조는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시가 갈래가 되었다. ‘도산십이곡’은 이

렇게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시가 갈래인 시조를 학습하기 위한 제재로 선정

하였다. 이 작품을 통해 시조의 형식적인 특징뿐 아니라 자연과 학문을 대하

는 사대부들의 태도가 어떠한지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시에 시조가

향유되었던 방법은 무엇이며 성리학의 대가인 작가가 한문이 아닌 우리말로

된시가를지은이유가무엇인지에대해서도알수있도록하였다.

작품연구

•갈래: 평시조, 연시조(전12수)

•성격: 교훈적, 예찬적, 도학적(道學的)

•제재: 언지(言志) 및 언학(言學)

•주제: 자연의관조와학문의길

•표현: 반복법, 설의법, 대구법, 연쇄법

•구성

- (전 6곡) 언지(言志): 자연에대한감흥

- (후 6곡) 언학(言學): 학문 수양의자세

•의의

- 한자어가많아생경한감을주지만강호가도(江湖歌道)의대표적인작품임.

- 성리학의 대가가 지은 시조로서 시가의 출발과 발전이 유가(儒家)에 의해

이룩되었음을보여줌.

- 자연과 학문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엿보이며, 자신의 심경을 소박하게 노

래함.

- 율곡 이이의‘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와 함께 조선 양대 거유(巨儒)의 작

품임.

핵심정리

1. ‘도산십이곡’의전체내용

2. 이 작품의창작동기

이 작품에 대해 작가 자신이 붙인 발문(跋文)에는 이 시조를 지은 이유와

그의 문학관이 나타나 있다. 이에 따르면, 이 작품을 짓게 된 동기는‘한림별

곡’등기존의시가에대한불만에있으며, 국문 시가는한시(漢詩)와 달리 노

래할수있어서흥이난다는것이다.

전반부:

언지(言志)

후반부:

언학(言學)

자신이 세운도산

서원주변의경관

에서일어나는감

흥을읊음.

- 1수: 자연에대한깊은애정

- 2수: 잘못을저지르지않는삶의추구

- 3수: 사람의어질고착한성품

- 4수: 임금을그리는마음

- 5수: 자연을멀리하는현실개탄

- 6수: 자연에대한예찬

- 7수: 독서, 면학(勉學)의 즐거움

- 8수: 인간으로서진리터득의중요성

- 9수: 학문 수양에의다짐

- 10수: 벼슬살이에 대한 후회와 학문 수행

에의다짐

- 11수: 학문에의정진의지

- 12수: 끝이 없는학문수양의길

학문수양에임하

는 심경을 노래

함.

(080~111)170Ⅱ-2(2)OK 2011.11.25 4:22 AM 페이지102 mac01 T

Page 2: (080~111)170Ⅱ-2(2)OK 2011.11.25 4:22 AM 페이지102 mac01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윤선도,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년닙희 연잎에

1 0 3[2] 중세 문학

■ 草野愚生(초야우생) 시골에 묻

혀서 사는 어리석은 사람.

■ 泉石膏 (천석고황) 자연의 아

름다운 경치를 몹시 사랑하고 즐기

는 성벽(性癖).

■ 煙霞(연하) 연기와 노을. 멋진

자연의 풍치.

■녀든 가던.

■년 다른 데.

■ 마음.

■긋디 그치지.

■ 萬古常靑(만고상청) 아주 오랜

세월 동안 변함없이 언제나 푸름.

이황(李滉, 1501~1570)

조선 시대의 학자. 호는 퇴계(退

溪). 성리학의 대가로 널리 알려졌

다. 벼슬을 하다가 고향에 돌아와

서 후진을 양성하고 학문을 닦는

데 힘썼다. 문집으로“퇴계전서(退

溪全書)”가 있다.

이 작품은 학자 이황이 고향의 자연을 완상하면서 얻은 깨달음을 노래한 연시조이다. 전체 12수로 구성되어 있는데,

전 6곡은‘언지(言志)’, 후 6곡은‘언학(言學)’이라 부른다. 전 6곡은 자연에 동화된 생활을 하면서 사물을 접하는 감흥

을, 후 6곡은 학문 수양에 임하는 심경을 노래하고 있다. 고향으로 돌아와 수양과 학문에 힘쓰는 자세가 작품에 잘 드러

나 있다. 이 시조에서 이황이 노래한, 날마다 사물을 접하면서 얻는 깨달음과 학문을 닦고자 하는 의지는 오늘날에도 되

새겨 볼 만한 가치가 있을 것이다.

이런 엇더 며 뎌런 엇더 료.

草野愚生(초야우생)■

이 이러타 엇더 료.

며 泉石膏 (천석고황)■

을 고텨 므슴 료.

<제1수>

煙霞(연하)■

로 지블 삼고 風月(풍월)로 버들 사마

太平聖代(태평성대)예 病(병)으로 늘거가뇌

이 듕에 라 이른 허므리나 업고쟈.

<제2수>

當時(당시)예 녀든■

길흘 몃 려 두고,

어듸 가 니다가 이제아 도라온고.

이제아 도라오나니 년■ ■

마로리

<제10수>

靑山(청산)은 엇뎨 야 萬古(만고)애 프르르며,

流水(유수)는 엇뎨 야 晝夜(주야)애 긋디■

아니 고.

우리도 그치디 마라 萬古常靑(만고상청)■

호리라.

<제11수>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04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이황

어떠한가?

: 각운

초장: 탈속(脫俗)의 생활태도

중장: 벼슬에서물러난자연에서의생활

종장: 천석고황(泉石膏黃)의 자세

대조: 녀든 길(학문수양) ↔ 어듸, 년 (벼슬길)

초장: 자연 속에묻혀사는모습

중장: 태평성대속에병으로늙어감.

종장: 욕심 없이살고자함.

초장: 청산(靑山)의 영원성

중장: 유수(流水)의 영원성

종장: 만고상청(萬古常靑)할 결의

초장: 학문을두고벼슬하던생활 - 과거

중장: 벼슬을버리고귀향함. - 현재

종장: 학문 수행에의결의 - 미래

핵심어 무엇하겠는가

공명이나시비를떠나살아가는생활을한다고

천석고황(泉石膏黃) 또는 노환(老患)

허물 - 잘못, 실수, 과실

오랜세월

끊임없는학문수양에의다짐

유수의불변성예찬

학문수양에힘쓰던시절

벼슬길에서헤매던일을자책함.

후진양성의길로돌아옴. 벼슬길. 입신양명

이황의 생애 및 작품 세계

(ppt) 활용

갈래정리_̀̀시조(ppt) 활용

초야에 묻혀 사는 사람의 자연에 대한 깊은

애정

자연속에묻혀늙어가는도학자의자세

학문수행에대한새로운다짐

학문과수양에의변함없는의지

『 』: 청산의불변성예찬

『 』

맥락읽기 Q&A

①시적화자는? ⇡‘나’

② 제1수에서 알 수 있는 시적 화

자의 상황은? ⇡ (벼슬에서 물러

나) 자연 속에서살고있음.

③‘초야우생(草野愚生)’, 즉‘시골

에 묻혀서 사는 어리석은 사람’에

드러난 화자의 자연에 대한 마음

은? ⇡ 애정

③ 제2수에서 자연 속에 묻혀 살

며 병으로 늙어 가면서 화자가 바

라는 바는? ⇡ 허물(잘못), 욕심

없이사는것

④ 제10수의‘當時(당시)예 녀든

길’을 통해 알 수 있는 화자의 과

거는? ⇡ 학문을두고벼슬을함.

⑤ 제10수의‘어듸 가 니다가

이제아 도라온고.’에서 알 수 있는

화자의 현재의 삶과 앞으로의 결

심은? ⇡ 벼슬을 그만두고 귀향

함./ 학문 수양에의다짐

⑥ 제11수의‘우리도 그치디 마라

萬古常靑(만고상청)호리라.’에서

드러난 화자의 마음가짐은? ⇡ 끊

임없는학문수양에의다짐

언지(言志)

언학(言學)

(080~111)170Ⅱ-2(2)OK 2011.11.25 4:22 AM 페이지103 mac01 T

Page 3: (080~111)170Ⅱ-2(2)OK 2011.11.25 4:22 AM 페이지102 mac01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윤선도,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년닙희 연잎에

1 0 4 2. 한국 문학의 역사와 갈래

1 ‘도산십이곡’을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이 작품에서 자연에 대한 시인의 태도가 가장 직접적으로 나타난 시구를 찾아 제

시해보자.

(2) 지난날을 반성하며 앞으로 학문에 열중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은 몇 번째 수인지

말해보자.

(3) 자연에 동화되어 그 덕을 예찬하는 마음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은 몇 번째 수인

지말해보자.

다가서기

2 다음은‘도산십이곡’발문의 일부이다. 글을 읽고 다음의 물음에 답해 보자.

(1) 이글을참고하여조선시대에시조를향유하는방법은어떤것이었을지말해보자.

(2) 이 글을 참고하여 이황이 한시가 아닌 우리말 노래를 지은 이유는 무엇인지 말해

보자.

(3) 이 글의 내용을 참고하여 본문의‘도산십이곡’4수를 언지와 언학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보자.

깊게이해하기

나는 본디 음률■

은 잘 모르지만, 그래도 세속적인 음악을 듣기는 싫어하였다. 병을

돌보며 한가히 지내면서 마음에 느낀 바 있으면 바로 그것을 시로 읊곤 하였다. 그러

나 오늘날의 시는 옛날의 시와 달라서, 읊을 수는 있으나 노래하지는 못한다. 만약 노

래하고자 하면 반드시 시속의 말로 지어야 할 것이니, 이는 대체로 우리 국속(國俗)■

음절이 그렇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내가 일찍이 이별(李鼈)의 노래를 모방하여‘도산 육곡’을 지은 것이 둘이

니, 하나는‘언지(言志)■

’이고 하나는‘언학(言學)■

’이다. 아이들로 하여금 아침저녁으로

익혀서 부르게 하고, 궤석( 席)■

에 기대어 듣는다. 또한 아이들로 하여금 스스로 노래

부르고 스스로 춤추며 뛰게 해서 비루한 마음을 거의 다 씻어 버리고, 느낌이 일어나

마음을 녹여 서로 통하게 한다. 노래 부르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이 모두 유익함이 없

지 않을 것이다.

- 이황, ‘도산십이곡발(陶山十二曲跋)’

■음률(音律) 아악의 오음과 육률(六律). ■국속(國俗) 우리나라의 습속. 곧 우리 국어.

■언지(言志) 자연을 접하고 나서 일어나는 감흥. ■언학(言學) 학문의 수련과 수양.

■궤석( 席) 안석과 돗자리를 아울러 이르는 말.

예시 답|천석고황(泉石膏黃) - 화자는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을 드러내고 있는데, 이와 같은 마음을 자연의 아름다

운경치를몹시사랑하고즐기는성벽인‘천석고황(泉石膏 )’으로표현하였다.

예시답|제10수 - 제10수에서는과거학문의길에서벗어나벼슬길에나아갔다가돌아와이제는다른곳에다마음

을두지않겠다고다짐하고있다.

예시 답|제11수 - 제11수에서는 변하지 않고 푸른 산과 그치지 않고 흐르는 물을 통해 자연을 예찬하는 마음을 표

현하고있다.

예시답|•언지: 제1수, 제2수 •언학: 제10수, 제11수

예시답|한시는 읊을 수는 있지만 노래하지는 못하므로 우리말 노래를 지었다고 하였다. 또한 이황은 자신이 말하

고자 하는 바를 노래로 지은 것은, 그것을 노래로 부르고 스스로 춤추며 뛰게 되면 비루한 마음이

거의 다 씻어지고, 느낌이 일어나 마음을 녹여 서로 통하게 되므로 노래를 부르는 사람이나 노래를 듣는 사람 모두

에게이익이되기때문이라고하였다.

이끌기|1-(1) 자연에 대

한 깊은 애정을 드러내

보이는 부분을 찾아보도

록한다.

이끌기|2-(1) ‘노래하고

자 하면 반드시 시속의

말로 지어야 할 것이니’

라고 하며 이황이 지은

것이‘도산십이곡’이라는

점에주목하여본다.

예시 답|2-(1) ‘오늘날

의 시는 옛날의 시와 달

라서, 읊을 수는 있으나

노래하지는 못한다(한시).

만약 노래하고자 하면 반

드시 시속의 말로 지어야

할 것이니(시조)’를 통해

시조를 향유하는 방법이

노래로 부르는 것이었음

을 알 수 있다. 또한‘아

이들로 하여금 아침저녁

으로 익혀서 부르게 하

고, 궤석에 기대어 듣는

다.’를 통해 스스로 노래

할 수도 있지만, 다른 사

람으로 하여금 노래하게

하고 그것을 들어서 감상

했음을알수있다.

작품정리(ppt), 학습 활동예시답안(ppt) 활용

(080~111)170Ⅱ-2(2)OK 2011.11.25 4:22 AM 페이지104 mac01 T

Page 4: (080~111)170Ⅱ-2(2)OK 2011.11.25 4:22 AM 페이지102 mac01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윤선도,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년닙희 연잎에

넓게생각하기

1 0 5[2] 중세 문학

(1) 두 작품에나타난화자의처지에는어떤공통점이있는지말해보자.

(2) 두 작품에서자연을대하는화자의태도에는어떤차이점이있는지말해보자.

(3) (2)의 활동을 참고하여 두 화자의 태도 가운데 하나를 선택한 후, 자연을 예찬하

는짧은산문을써보자.

3 다음은 윤선도의 시조이다. 이 시와 이황의‘도산십이곡’을 비교하여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년닙희■

밥 싸 두고 반찬으란 쟝만 마라

닫 드러라■

닫 드러라

靑청蒻약笠립■

은 써 잇노라 綠녹蓑사衣의■

가져오냐

至지 국 총■

至지 국 총 於어思사臥와

無무心심 白 鷗구■

내 좃 가 제 좃 가

간밤의 눈 갠 後후에 景경物물■

이 달 고야

이어라■

이어라

압희 萬만頃경琉류璃리■

뒤희 千천疊 玉옥山산■

至지 국 총 至지 국 총 於어思사臥와

仙션界계ㄴ가 佛불界계ㄴ가 人인間간■

이 아니로다

- 윤선도,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년닙희 연잎에. ■닫 드러라 닻을 들어 올려라.

■靑청蒻약笠립 푸른 갈대로 만든 삿갓. ■綠녹蓑사衣의 짚이나 띠풀로 만든 비옷. 도롱이.

■至지 국 총 닻을 감거나 노를 저을 때 찌그렁 하는 소리.

■白 鷗구 갈매기. ■景경物물 경치.

■이어라 (노를) 저어라. ■萬만頃경琉류璃리 한없이 넓고 맑은 바다.

■千천疊 玉옥山산 겹겹이 둘러 있는 눈 덮인 흰 산. ■人인間간 속세.

예시답|두작품의화자모두 (관직에서벗어나) 자연을벗삼아지낸다.

예시 답|‘도산십이곡’의 화자가 자연을 통해 심성을 수양하고 배움을 얻는다면‘어부사시사’의 화자는 있는 그대로

의자연을즐기고있다.

예시답|생략

소박하고건강한어부의생활이잘드러남.

‘어부사시사’

•갈래: 평시조, 연시조

(전 40수), 정형시

•성격: 강호한정가

•어조: 속세를 잊은 여

유있는목소리

•심상: 시각적, 청각적

•표현: 초장과 중장, 중

장과 종장 사이에 고려

가요처럼후렴구가있음.

•구성: 계절의 흐름에

따른전개

•주제: 강호의 한정, 자

연 속에서 살아가는 여유

와흥취

계절감(여름)을 잘드러내는소재

눈덮인어촌의경지를속세를벗어난아름다운경치라고예찬함.

은유와대구를통해눈이내린뒤온세계가눈으로인해은세계로변해있는모습을시각화함.

갈매기와하나가되는물아일체의경지가드러남.

경치가달라졌구나. 온 세상이흰눈에덮여하얗게변하였구나

문제은행(쪽지시험, 형성평가) 활용

참고|국문시가에대한진정한인식

퇴계의 문학에 대한 생각은 한시뿐만 아니라 시조의 창작에도 똑같이 적용되고 있다. 한시와 시조가 성정을 기르는 데 같은 구실을 한다고 보았기 때문이

다. 널리 알려진그의시조‘도산십이곡’발문은그의시가에대한생각과문학에대한생각을알수있게해준다.

이를 보면우리나라의노래는대부분음란하여언급할필요가없다고하면서도한림별곡류(翰林別曲類)나 이별(李鼈)의‘육가’에대해서는관심을보였다. 그

러면서도 이들 작품이 지니는 내용적인 문제를 들어 비판하였다. 그 문제란 지나치게 감정적이고 천박하며 세상을 희롱하는 불손함을 지칭한다. 그러면서도

그는 문인들이 우리말로 노래를 지을 수 있음을 인정하였으며, 나아가 이별의‘육가’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았다. 그는 전해 내려오는‘어부가(漁父歌)’

계열의 작품을 몸소 수집하면서 농암 이현보가 지은‘어부가’를“강호(江湖)의 즐거움을 보여 주는 작품”이라고 칭

찬하였다.

이 발문에서 중요한 것은 퇴계의 국문 시가에 대한 인식이다. 그는 한시는 노래로 부를 수 없고 읊는 데 그쳐야

하지만시조는노래로부를수있다고하였다. 시조의중요성을그가인정한것이며,

성정을기르는데도시조가훨씬긴요함을말하는것으로이해된다.

- 정병헌·이지영, “고전문학의향기를찾아서”(돌베개, 1998)

(080~111)170Ⅱ-2(2)OK 2011.11.25 4:22 AM 페이지105 mac01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