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32
2017-06-22 발표자 : 김동환 농식품신유통연구원 원장 류상모 농식품신유통연구원 팀장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신유통 포커스 17-09호

Upload: phungque

Post on 29-Aug-2019

21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2017-06-22

발표자 : 김동환 농식품신유통연구원 원장 류상모 농식품신유통연구원 팀장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신유통 포커스 17-09호

Page 2: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수급안정정책 현황 및 문제점 1

해외 사례 2

채소류 수급안정정책 실증 분석 3

농산물 수급안정에 대한 집중 토론 4

채소류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5

Page 3: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Page 4: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01 채소류 가격 변동성

채소류는 특성상 가격 불안정성을 기본적으로 내재하고 있고 과거 다양한 수급안정정책이 시행되었으나 가격 불안정성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음.

배추 무 고추

마늘 양파 가격변동성

Page 5: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02 채소류 수급안정 정책 현황

정부 채소류 수급안정정책은 1960년대 중반부터 시작하여 1976년에 제정된 『농수산물유통및

가격안정사업에관한법률』이 제정되며 본격화

수매비축제도로 시작하여, 이후 가격안정제도, 생산·출하약정사업, 수급안정사업, 산지유통활성

화 사업 등으로 변화. 성장기, 조정기를 거쳐 1990년 대 이후 성숙기에 접어들었음.

현재 노지채소 수급안정사업, 수매비축, 수입비축, 농업관측 사업, 자조금 및 생산·출하안정사업

등이 시행되고 있음.

사업명 사업내용

노지채소

수급안정

사업

고추, 마늘, 양파 등 노지채소의 수급안정과 생산자단체의 사장 교섭력 강화를 위해 재배농가와 계약재배 추진

* 계약재배 품목(7개) : 배추, 무, 고추, 마늘, 양파, 당근, 대파

수매비축 농산물 성출하기에 수매 실시로 산지가격을 지지하고 공급 부족 시 비축물량의 탄력적 방출로 가격안정 도모

* 고추 7.1천톤(781억원), 마늘 12(442), 양파14(162), 배추 13(89), 무 4.3(31)

수입비축 고추, 마늘, 양파 TRQ 물량을 수입·비축하여 가격 폭등락시 방출 또는 방출억제로 가격안정 도모

* 고추 5천톤(25,119백만원), 마늘10(30,889), 양파 8(7,333)

농업관측 고추, 마늘, 양파를 포함 주요 농축산물 35개 품목에 대한 관측정보 생산·제공

* 품목수 : 엽근채소 5, 양념채소 5, 과일류 6, 과채류 6, 축산물 6, 식량작물 3, 국제곡물관측 4

생산안정제 고랭지 배추 등 3개 품목을 대상으로 계약조건에 수급참여 의무부여하고 계약물량에 대해 일정가격 보장

* 고랭지배추 등 3개 품목, 3,100톤, 평년가격의 80%

Page 6: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기존의 수급안정정책을 정리하면 아래의 표와 같음.

구분 생산이전 생산 공급 가격 수요

기본

생산·출하약정

계약재배

생산자조직화

- 수매비축

가격안정대

경매 및

정가수의매매

직거래확대

가격 상승 계약재배 면적 확대

병해충 방제

생육촉진

긴급수입검토

조기출하

TRQ증량, 할당관세

긴급수입이행

불공정거래단속

세무조사

대체소비 권장

김장 늦게 담그기

가격 하락 농업전문지 홍보 육묘폐기

지연출하

시장격리, 산지폐기

수출, 가공

최저보장가격

생산안정제약정가격

소비 확대 유도

직판 확대

기부

정부는 채소류 수급안정을 위해 수십년간 유사한 사업(출하조절사업, 포전매취사업, 출하조절사업, 수매비축사업, 생산출하약정사업, 가격안정대, 계약재배사업, 생산출하안정제 등)을 추진하였음.

01 채소류 수급안정 정책 현황

Page 7: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구 분 내용 문제점

계약재배사업 매취형, 수탁형 농안기금 80%, 자부담 20% 산지폐기시 최저가격보장

-사업량 비중 15% 불과 -단순한 선도금 역할 -세밀한 대응방안 부재 -조합 판매력, 통제력 부족 -정부 주도형으로 생산자 자율적 수급조절 능력 미흡

수매비축사업 수매비축, 수입비축 -생산자 자율 노력 부족 -전체생산량 대비 낮은 비축률

자조금 사업 임의자조금, 의무자조금 소비촉진·홍보(50%), 교육·훈련, 시장개척, 연구, 수급조절

-무임승차, 참여 부족 -홍보 부족 -낮은 자조금 조성액. 조합의 대납 -거출통로 문제

유통명령제 출하조절(물량, 시기), 품질규제, 시장차별화

-무임승차 -생산자 위주의 참여 -품질판정 시스템 부족 -행정 및 감독 비용 과다

관측사업 기상, 재배면적, 작황, 예상생산량, 재고믈량, 소비동향, 해외시장정보

-정보의 신속성 부족 -수요분석 정보 부재 -단기관측 · 정부수급관리 활용 위주 -주산지 정보 미흡 -재배면적 조절효과 미흡

생산안정제 (시범사업)

계약조건에 수급참여 의무 부여 평년가격의 80% 보전

-가락시장 상품기준 가격(산지·등급·시장)의 현장 괴리 -사업농협의 수탁과 매취 혼재

02 정부 수급안정정책 문제점

Page 8: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Page 9: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국가가 수급가이드라인을 수립하고 생산자단체가 공급계획을 수립하여 계획 생산 및 출하

채소가격안정제도: 지정·특정채소 대상 6개년 평균가격 이하 하락 시 60~90% 보전으로 공급 안정화

- 지정산지(면적, 조직화 요건) 중심 산지규모화, 평균가격 현실화(산지·등급·시장)로 농가 경영안정 실효성 향상

계약채소안정공급사업

- 수량확보형: 계약수량 확보 위해 필요한 경비(평균거래가격과 계약가액 차액의 70%~90%) 보전

- 가격하락형: 시장가격 연동 계약 체결. 가격 하락 시 기준금액과 거래가격의 차액 90% 보전

- 출하조정형: 시장가격이 기준의 70% 하회시 기준가격과 계약가격 중 낮은 것의 40% 보전

9

평균가격

최저기준액

보증기준액

출하기간

평균판매가격(시기별, 지역별 평균)

(과년도 시장평균 가격)

출하수량에 대응해, 차액의 90%, 80%, 70%를 적립

최저기준액 미만은 적립 대상외임

지정 채소 가격 안정 대책 사업의 개요 계약 채소 안정 제공 제도의 3가지 유형

1. 수량확보 타입

- 정량·정가 공급 계약체결 한 생산자가 기후 등으로 인해

수량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 시장시판을 돌려 계약 수량 확보

2. 가격 하락 유형

- 시장 가격이 변동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있는 생산자에

상당한 가격 하락 발생시 보조

3. 출하 조정 유형

- 계약수량을 확보하기 위해 출하를 조정해 생산물을 공급

01 일본의 가격안정제도

Page 10: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긴급수급조정대책: 가격 폭등시 조기출하 실시. 손실 상당분 보전

- 가격 150% 상승시: 조기 출하자에게 과거 시장평균가격 30% 보전

- 가격 80% 이하 하락시: 출하 지연자에게 과거 시장평균가격의 30% 보전

- 가격 70% 이하 하락시: 가공(과거 시장평균의 40% - 가공판매액 + 판매경비), 유효이용·토양환원(40%), |

가격 회복 후 판매(30%) 보전

도매시장 정가수의매매 활성화와 수급조정기능 강화

- 정가수의매매를 통한 수급 매칭으로 가격안정화 / 산지조직화와 연계된 출하장려금 재편

1차적으로 농협 등 생산자단체에 의한 수급조정을 실시 풍흉 등의 요인으로 가격이 현저하게 하락한 경우, 가격차를 보전, 경영안정을 보장, 채소농업 유지

구분 1961~1965년 2001~2005년 증감률

양배추 54.1% 32.3% -21.8%p

무 32.1% 28.5% -3.6%p

배추 51.7% 35.7% -16.0%p

양상추 49.4% 44.3% -5.1%p

당근 54.9% 30.3% -24.6%p

10

02 일본의 가격안정제도

Page 11: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중국 채소류 재배면적은 개방 이후 2013년까지 3배 확대

농산물 도매시장이 유통의 중심역할(70%)

생활수준 향상으로 가공 및 반가공 채소 소비 확대 추세

채람자공정(shopping basket program)을 출범. 육류, 낙농제품, 채소 과일 등 장바구니 농산물의 생산을 증가하고 비교우위 생산지역을 합리적으로 배치하여 시장수요를 충족시키고 수급균형을 달성하는 계획 수립

산물 운송시 통행료를 면제하는 녹색통도 사업 시행

지역별 가격안정기금 운영, 장바구니농산물 증산, 계절간 수급균형 도모

6대 채소 생산비교우위지역선정, 580개 채소산업 중점현 육성

1995

녹색통도 채소산업발전계획

2004

식량안보 중시 식량재배 보조

2010

채소산업지원확대 가격안정기금

장바구니농산물 증산

2011 6대 채소 생산

비교우위지역 선정

식량작물, 돼지고기 등에 대한 수급조절은 정부가 비축제도를 도입하나 채소류는 시장에서 해결.

채소가격 상승으로 채소비축제도를 도입하였으나

정부 위탁, 기업운영 방식을 견지

11

03 중국의 수급조절 정책

Page 12: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Page 13: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구분 단수효과(%) 재배면적효과(%)

가을배추 5.6 94.4

고랭지배추 75.2 24.8

무 20.5 79.5

고추 40.1 59.9

마늘 26.4 73.6

양파 30.1 69.9

01 채소류 가격 변동성 결정 요인 분석

가격 변동성 결정요인 분석 결과(김관수, 2015)

-1981~2011년 재배면적과 단수 변이계수를 이용하여

가격변동성의 구조 분해 시도

-가을배추 가격 변동성의 재배면적 효과가 94.4%로, 단수효과

5.6%로 추정

-재배면적효과가 가격 변동성의 대부분을 설명

- 2001년 이후 단수효과 비중 감소 추세

- 고랭지배추는 단수효과가 크고 가을배추는 재배면적 효과가

더 큼. 품목 맞춤형 생산·가격 안정화 정책 활용 기대

Page 14: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가격 변동성은 주로 재배면적의 변동에 영향을 크게 받으며 채소류 재배면적은 대규모 생산자의 의사결정에 의해 주로 변동됨.

따라서 수급 및 가격안정을 위한 규모별 맞춤형 재배면적 안정화정책 수립 필요

02 채소류 재배면적 결정요인 및 한계 효과

재배면적 결정요인 다항로짓(Multinomial-Logit) 분석 결과

-대다수의 생산자(약 70% 수준)는 관행 및 대체작목 부재로 일정 재배면적 유지

-영세고령농은 일정면적 고수, 저연령·대규모는 탄력적으로 재배면적 변동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 -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2.9~3.9%, 학력 2.5~3.8%, 연령 -0.2~-0.5%

-농업관측센터 생산의향면적 전망보다 전년 출하기 가격에 탄력적으로 반응

-상대적으로 젊은 연령의 생산자가 다양한 정보 및 여건에 따라 재배면적을 변동

노지채소류의 평균 재배면적이 점차 커지고 고령화 되는 추세를 감안하면 채소류 재배면적의 변동성은

현재보다 커질 것으로 예상됨.

정부가 가격 안정을 위해 재배면적의 안정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재배면적 변동성이 큰 대규모

생산자와 젊은 생산자를 대상으로 한 안정화 정책의 마련이 필요함.

Page 15: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15

구 분 적정 재배면적 및 자급률 (ha)

KREI-KASMO 재배면적 전망치 (ha)

2016년 2020년 2025년

양 파 19,204 (87.9%) 18,634 19,301 19,867

배 추 25,305 (73.9%) 26,941 25,306 22,760

무 17,377 (87.0%) 19,695 18,037 15,692

고 추 37,257 (45.3%) 33,100 30,600 27,100

마 늘 24,374 (78.2%) 21,694 20,154 18,365

03 채소류 적정 재배면적 및 자급률 분석

농가소득을 고려한 채소류 적정 재배면적 추정

-매년 가격변동이 반복되는 채소류(배추, 무, 고추, 마늘, 양파)를 대상으로 가격변동의 주요원인인 재배면적의 적정

수준은 정책방향을 정하는데 중요한 요소

-농가소득, 안정적 공급 측면을 고려하여 수급균형 재배면적을 추정

-채소류 적정 재배면적은 최근 3개년 평균 보다 9.8% 낮은 수준

-지금까지의 대부분 수급관련 정책은 공급관리 정책이나 농가소득 측면에서 본다면 수요개선 정책의 효과가 더 클 수

있음.

-소비 확대는 개별농가가 방안을 모색하기 어려우므로 품목별, 지역별 생산자 단체 조직화를 통한 교섭력 확보가 중요

-정부는 생산자 스스로가 수요변화에 적응하고 대응해 갈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

Page 16: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04 수급안정사업의 생산자 평가

정부 수급안정사업의 평가를 위해 5대 채소 생산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

- 배추, 무, 고추, 마늘, 양파 생산자 500명(평균 연령 65.5세, 평균 재배면적 2,800평)

- 생산 현황 및 재배면적 결정요인, 수급안정사업의 평가, 기타 사업평가, 종합평가

계약재배 및 산지폐기(3.0점)

- 저장성이 약한 품목일수록 불만이 큼

2.9 2.7

3.0 3.5

3.0

배추

고추

양파

최저보장가격(2.4점)

- 생산자의 불만 고조

- 무와 양파 만족도가 낮고 마늘은 높은 편임

2.3 2.1

2.3 3.4

2.1

배추

고추

양파

자조금 사업 인지도(1.9점)

- 생산자들의 인지부족, 정책 홍보부족 수매비축사업(2.9점)

- 저장성이 약할수록 불만이 큼.

2.7

2.9

2.8

3.3

3.0

배추

고추

양파

2.5 2.5

2.7 3.3

2.9

배추

고추

양파

1.6 1.8

2.1 2.2

1.9

배추

고추

양파

- 수급안정사업의 평가는 다소 부정적

- 목표가격과 시장가격 차이를 직불금으로 보전 요구

16

종합평가(2.8점)

- 정부의 수급안정정책 가격 안정 효과 미흡

- 생산자의 부정적 평가

Page 17: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05 수급안정사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2011~2014년 채소류 수급안정사업(계약재배, 수매비축, 산지폐기)이 시장가격 안정화에 미친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평가되어 정책의 효과성이 미흡함(안병일, 2016)

- 수확기 가격을 2% 이상 상승 효과를 가져온 경우는 2013년 마늘과, 2011년 가을배추 두 경우에 불과

- 계약재배 사업 참여농가에 대한 효과와 미참여 농가에 대한 효과가 서로 상충되는 것으로 나타났음

- 그러나 계약재배 참여 농가를 통해 생산되는 물량이 매우 작은 수준, 시장 전체적으로는 그 효과가 미미

구분 농가부담비율 15% 농가부담비율 30%

총공급 변화(%) 가격변화(%) 총공급 변화(%) 가격변화(%)

마늘

2011년 0.216 1.985 0.267 0.660

2012년 0.479 1.260 0.485 1.244

2013년 2.006 2.550 1.934 2.735

2014년 0.890 -0.845 0.791 -0.592

가을

배추

2011년 3.519 2.089 3.384 2.428

2012년 -0.102 1.035 -0.053 0.91

2013년 0.656 2.271 0.700 -0.073

2014년 -0.089 0.224 -0.073 0.185

17

- 계약재배 사업은 “농가의 경영안정화”라는 측면에서는 효과가 있으나 “수급안정” 효과는 미흡

- 산지폐기 및 수매비축제도의 투입예산 대비 사업 효과는 미미하므로 정부의 직접적인 시장 개입을

지양하고 농가의 수입안정화를 위한 제도의 활용이 필요

Page 18: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06 유통조절명령제도 효과 분석

18

-미국의 유통명령 관련 선행연구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유통명령은 단기적인 효과를 거둘 수는 있으나

생산자의 자발적 참여가 전제 되지 않으면 성공할 수 없음.

농산물의 수급안정을 위해 정부는 유통조절명령제 시행지침을 개정해 고랭지배추나 월동무 등과 같이

채소의 ‘작형별’로 명령을 내릴 수 있는 근거를 마련

유통조절명령제도 시행사례에 대해 이중차분모형(difference in difference)을 사용하여 정책 도입 전후를

비교하여 분석. 생산자의 수입은 단위면적당 수입 및 변화율을 사용하여 정책 효과를 추정

- 추정결과를 보면 정책도입으로 인한 실질 수입의 변화율이 고정효과 모형에서는 –0.2%, 임의효과 모형에서는 1.8~2.3%

이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고 있음.

- 우리나라 유통조절명령제도는 6회 시행되었으며 명령 위반이 총 4,257건, 과태료 부과건수는 853건으로, 평균적으로 5

억원의 이행경비가 소요되었고, 1,216건의 위반사항에 대해 6억 6천만원의 과태료가 부과

- 유통조절명령제도 도입 초기와 비교하여 후반으로 갈수록 제도 위반에 대한 적발건수가 크게 증가하였고 농감협의 제

도위반 비중 대비 상인의 위반 비중이 증가하여 무임승차자 배제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음.

- 유통조절명령제도의 도입 이후, 품질 향상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생산자의 소득 지표 또한 단기간의 개선

Page 19: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07 생산출하안정제 사업 효과 시뮬레이션

19

정책(추가적으로 밭농업직불제 고려) 시행 유무를 가정하여 시뮬레이션 분석

양파를 제외하고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감소하는 추세이나 생산출하안정제의 도입으로 baseline 대비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

생산출하안정제 사업은 농가 경영 및 소득 보장에 따라 품목의 경영을 유지시키고 수급을 안정

시키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나 목표가격이 평년 도매 가격을 사용하기 때문에 시장가격이 목표가

격보다 높게 형성될 경우 정책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

단위: 천 ha, 천 톤, 원/kg

Page 20: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Page 21: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생산자

• 기후 영향을 많이 받아 인위적 생산조절이 어렵고 가격이 신축적으로 변하여 구조적 소득하락의 위험 존재(생산자의 하방 risk)

• 영세고령농은 매년 일정한 면적을 유지하나 대농은 정보에 민감하고 투기적 변동성 높음(1차 토론회 자료 참조)

• 가격 하락 시 적극적 정책활동 없으나 가격 상승 시에는 수입으로 소득 하락 및 박탈감

• 공산물보다 낮은 가격으로 소비자물가에 영향 크지 않음(자급률도 고려) • 수급사업 비참여 무임승차자에 대한 혜택 • 최저보장가격이 후작, 폐기 비용 고려 시 생산비 이하 • 저급품 및 저관세 품목의 유통(냉동 고추 등)으로 가격 하락

산지유통인

• 가격 등락에 대한 위험(risk)을 떠안고 있으나 과도한 시장 개입으로 손실 • 정부 지원 사업 미대상 • 수매비축, 산지폐기, 수입 등 정책 시행의 적시성 부족 • 채소류 특성상 유통비용이 높으나 산지유통의 폭리 비난

사업농협

• 생산자 참여도 저조, 판로부족(정책대상의 일관성 결여, 지속사업 유지 어려움) • 산지유통인과의 경합에서 물량을 확보하기 어려움 • 생산자 관리의 어려움 • 사업자금이 사업농협이 아닌 생산자에게 집행 • 가격 상승 시에는 할인판매, 가격 하락 시에는 산지폐기로 수익성이 낮아, 가격

변화에 따른 과도한 사업 위험(손실)을 감당하기 어려움

3회에 걸친 수급안정 집중 토론회(2016)를 개최하여 이해관계자별 문제점 정리

01 채소류 수급안정 토론 논의

Page 22: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정책담당자

• 수요(소비)와 공급(면적, 기상, 단수) 변화 요인 모두 컨트롤이 불가능 • 채소류 수급 관련 언론의 선정적 보도 • 가격이 상승하면 물가 관리 압력을 받고 하락하면 수매 압력 • 정책 비대상자인 산지유통인 취급물량이 80% 이상으로 사업 물량 부족으로

정책 투입 비용 대비 낮은 효과 • 수급안정사업 참여 저조(계약재배사업 시행 20년 15%, 2015년 목표치 50%) • 예산확보의 어려움 및 과도한 결손

농업관측센터

• 실정보가 아닌 조사응답 정보에 의존 • 생산·유통 정보 확보의 어려움(비강제성, 역정보) • 정보 수집, 분석 기간이 최소 일주일 이상 소요 • 재배면적 조절 효과 미흡

소비자 • 급등락을 반복하는 소비자 물가 불안정성 • 가격 등락이 큰 거래제도를 도입하고 가격 안정성을 논하고 있음 • 합리적 소비(탄력적 대응)와 윤리적 소비(비탄력적 대응)의 갈등

aT • 저장성이 약한 배추 위주의 수매비축 시행 • 수매비축 관리의 어려움(보관 및 처리 곤란)

정부의 수급안정정책은 농가소득안정보다는 가격 안정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생산조정 위주 정책으로 수요 안정화에 대한 내용 부재

사업 물량 부족으로 정책 실효성 부재, 즉 정부주도형으로 수급 안정화 불가능

수급안정은 시장개입이 아닌 제도와 시스템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

01 채소류 수급안정 토론 논의

Page 23: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Page 24: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01 연구내용 요약

수급안정대책의 평가 및 시사점

- 정부가 수급안정사업, 수매비축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주요 채소류의 가격을 안정시키고자 하나 가격변

동성은 여전히 커 정책의 효과성이 미흡함. 생산자들도 수급안정대책에 대한 만족도가 5점 만점에 2.8점

으로 낮은 편임.

- 계약재배 사업은 계약물량이 부족(계약재배 취급량 15%에 불과)하고 생산자에 대한 통제력 미흡으로 가

격안정화 효과 미흡

- 산지폐기는 사업시행의 적시성이 부족하고 최저보장가격에 대한 현실화가 필요

- 생산자는 계약준수 의식이 미흡하고 무임승차가 만연되어 있으며 농협은 판매능력 부족으로 가격 폭등

락시 대처 미흡.

- 수매비축사업은 저장성이 약한 배추 위주로 시행되고 있으며, 수급조절을 위한 취급물량이 부족하고 수

매비축분의 관리 및 처리가 어려움.

- 농업관측사업은 단기적인 수급관리에 필요한 정보 위주로 제공하여 생산자의 재배면적 결정에 유의미

한 영향을 주고 있지 못함.

- 생산안정제 시범사업은 생산자의 호응이 높았으나 취급 물량이 적고 보전가격이 산지, 등급, 시장 차별

성에 따른 현실적 소득 보장이 부족함.

Page 25: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02 수급안정사업 개선 방안

- 단기수급관리 위주의 관측사업에 빅데이터 등

을 활용한 예측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생산자의

자율적 재배면적 조절 능력 배양

- 중장기적으로 정부는 채소농가 소득안정화에

주력하고 생산자단체가 자율적으로 수급관리

하는 방향으로 정책 개편 필요.

- 장기 균형 생산량과 적정자급률을 고려한 생산

및 수급정책 모색

수급안정사업 개편 방안 중장기 수급안정 대책

- 생산자자율적 수급조절 체계 구축으로 정책 패러다

임 전환

- 규모별(대·중·소), 품목별(저장성·비저장성), 산지별

(주산지·비주산지)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사업

수립

-산지유통인 및 대규모 농가의 사업 참여 확대 유도하

여 면적 안정화 도모

∙ 채소류는 산지유통인의 역할이 크고 생산과 결부되

어 있으며, 투기적 성격으로 교란요인이므로 이들을

법인화시켜 정책적 관리 대상으로 편입

-일본식의 세밀한 수급관리 대책 (풍흉시, 구간별로 조

기출하분과 출하 지연분에 대한 손실 보전) 마련

Page 26: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생산자 주도형 자율적 수급조절로의 패러다임 전환.

- 생산자 자율적 수급조절을 유도하여 시장의 직접 개입을 자제하고 소득 안정화, 유통안정화, 거래가격 안정화 등 추진할 시스템 사업 치중

- 정부는 채소산업축소 흐름과 수요 변화를 고려한 채소산업 로드맵 마련

채소 수요 및 가격 안정을 위한 단기·중장기 정책 목표 설정

- 단기: 품목별·계절별 수요 예측을 법제화 생산자의 경영안정과 소비자의 지불의향 금액을 반영한 현실적인 가격 안정대를 도출

- 중장기: 생산(고령화)과 수요 변화(가공·외식 수요 증가, 수입으로 인한 자급률 감소)를 예측하여, 재배면적, 생산량 및 자급률 확보를 위한 생산기반 조정 목표(가이드라인) 설정 필요

공급 안정성을 위한 재배면적 안정화

- 농산물 가격 불안정성은 단수보다는 재배면적에 의한 영향이 크고 재배면적의 변화는 젊은 연령의 대농이 주도하고 있음.

- 영세고령농을 대상으로한 소득안정화 정책과 대규모농가를 대상으로 한

- 재배면적 변화가 크지 않은 영세농을 위한 직접지불제 등 고려

- 정보에 민감한 저연령, 대규모 생산자를 대상으로 관측정보제공, 수입보장보험 가입 유도 등의 적극적 정책 마련 필요

02 수급안정사업 개선 방안

Page 27: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02 수급안정사업 개선 방안

수급안정을 위한 정책 대상의 세분화

- 현재 농작물 재해보험은 밭작물에서는 양파, 마늘에 적용되었으나 자연재해, 조수해, 화재에 대해(병충해 제외) 수확감소 및 생산비 수준을 보장

- 규모별(대·중·소), 품목별(저장성·비저장성), 산지별(주산지·비주산지)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설계

- 자율수급조절에 따른 차등적 보상제도의 도입(주산지별로 수립된 품목별 수급 균형 물량에 따라 초과 물량에 비중에 따른 가격 보전금 감액으로 10% 이상 생산 시 10% 감액하여 지급)

- 세밀한 손실 보전 대책 수립(풍흉시, 구간별로 조기출하분과 출하지연분에 대한 손실 보전)

- 평균 도매시장 가격보다는 지속가능한 생산을 고려하여 생산자 소득 기준의 설정 필요

수급가이드라인의 수립

- 품목별 적정 재배면적에 따른 수급가이드라인을 구축하여 이에 따른 재배면적 안정화가 필요하다. 지역별 농가정보와 재배면적 조사를 통해 기본 database를 구축하고 이를 취합하여 농가소득안정화를 위한 국가전체와 지역별 적정 재배면적과 생산량을 도출해야 함. 이후 지역별·시기별로 배분하여 정책 시행의 기반을 구축해야 함

- 이를 위해 선진국의 사례와 같이 제도를 시행·감독할 수 있는 전담기구의 설립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품목별 조직화가 필요함.

Page 28: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원활한 정책 시행을 위한 중장기 예산 확보 목표 설정

- 기존의 생산출하약정제가 실패한 이유는 생산자의 참여 부족과 예산 부족 때문이었음.

- 일본의 채소가격안정제도는 채소생산량의 96%를 커버, 2012년 기준 교부금 284억엔 중 국비상당액은 106억엔으로 37% 수준(위태석, 2015)

사업참여자·비용부담자·자금수혜자 일치 원칙

- 산지조직화 유도, 사업참여 확대, 무임승차의 방지를 위해 수급안정 정책 수혜대상을 사업에 참여한 생산자조직으로 한정(농협, 영농조합법인 등)

- 개별 생산자가 아닌 사업자에게 자금 집행

- 일본의 가격안정자금 조성은 국가, 지자체, 생산자가 부담하여 판매주체인 농협의 재정부담 경감

- 생산자의 부담금 거부감 문제는 납부비율에 따라 보장 범위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방안 검토

품목별 조직화 및 주산지 육성

- 사업농협을 품목별 조직으로 개편(품목별 자율화)

- 단위 조직이 생산자를 통제할 수 있는 수준으로 조직화를 하고 이들을 연합하여 전국조직으로 발전시키는 전략 필요. 현재는 단위조직 육성보다는 연합사업 위주의 정책으로 효과 미흡

- 비주산지보다 주산지 생산안정화 효율성이 크므로 품목별 주산단지를 중심으로 규모화 촉진

02 수급안정사업 개선 방안

Page 29: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농작물재해보험 및 농작물수입보장보험 확대 등 위험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농가경영 안정화

- 현재 농작물 재해보험은 밭작물에서는 양파, 마늘에 적용되었으나 자연재해, 조수해, 화재에 대해(병충해 제외) 수확감소 및 생산비 수준을 보장

ICT 융복합 기술, 빅데이터를 활용 기초 실시간 생산·유통 정보 지원 정책

- 통계청 자료는 생성주기가 1년에고 5년 단위로 샘플이 재설계되기 때문에 정보의 즉시성이 부족

- 조사 응답 방식의 data 수집·분석 위주에서 탈피하여 농업경영체 등록 정보 DB, 산지 유통조직의 ERP시스템, 소비지 POS data, 비정형 data를 활용하여 생산, 유통 및 수요 변화에 대한 실시간 파악 및 예측 분석 필요

-포전매매계약서거래소를 설치하여 표준계약서에 따른 전자거래를 유도하여 생산 및 포전거래 매매 동향 파악 및 거래 투명화 도모 검토

농업기상예측 및 작황 관리 지원 정책

- 주산지 위주의 농업기상 정보를 활용하여 계약재배 생산자 및 단체에게 단·중기 농업기상 예측 정보를 제공하여, 기상여건 변화에 따른 생산 Risk 최소화

- 농업기상정보를 분석을 통한 생육단계, 기상단계 예측 정보 제공

- 농업기상정보와 연계된 병충해 예찰시스템 구축을 통해 생산성 극대화

02 수급안정사업 개선 방안

Page 30: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02 수급안정사업 개선 방안

수급관리를 위한 채소류 가격 지수 산출

- 유통구조의 다원화와 외식·가공 수요의 증가로 도매시장 조사가격의 대표성이 점차 감소

- 채소류 가격을 대표할 수 있는 복합가격 지수가 필요함.

- 산지가격, 도매시장, 전통시장, 대형유통업체 및 소매가격 추이를 고려한 composite price index의 개발이 필요함.

도매시장 가격 안정화 정책

- 도매시장 경락가격 안정화 도모

- 가격 급등락에 따른 경매제한 장치 도입 검토

- 주식시장: 가격 하락시 3단 서킷브레이커, VI(정적변동성완화장치, volatility interruption)

- 2011년도에 농안법 개정 및 도입 시도가 있었으나 과도한 규제라는 비판 직면, 기존(안) 가격 상한제를 보완

- 정가·수의매매 확대 및 예약거래 확대로 가격 변동성 축소, 예약수의매매(출하당일~수개월) 활성화

- 매수집하와 정가수의매매를 통해 도매시장간 가격 차이 발생 억제

- 소량·고급품은 경매 유지

Page 31: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

문제점 개선 방안

• 사업량 비중 15% 불과

• 단순한 선도금 역할

• 세밀한 대응방안 부재

• 조합 판매력, 통제력 부족

• 정부 주도형으로 생산자

자율적 수급조절 능력 미

• 산지폐기시 최저보장가격

비현실성

계약재배(생산출하안정제) 사업 개선

• 규모별(대·중·소), 품목별(저장성·비저장성), 산지별(주산지·비주

산지)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설계

• 생산자단체와 산지유통인을 포괄하는 환경 구축

• 실수요자를 포함시켜 도매시장법인, 중도매인, 김치공장, 가공 및

외식업체 등 사업 포함 고려

• 대규모 농가, 비주산지 영세농을 대상으로 정책 이원화

• 자율수급조절에 따른 차등적 보상제도의 도입(주산지별로 수립된

품목별 수급 균형 물량에 따라 초과 물량에 비중에 따른 가격 보

전금 감액으로 10% 이상 생산 시 10% 감액하여 지급)

• 세밀한 손실 보전 대책 수립(풍흉시, 구간별로 조기출하분과 출하

지연분에 대한 손실 보전)

• 사업농협의 부담금을 줄여 경영 리스크를 줄이는 방안 검토

• 평균 도매시장 가격보다는 지속가능한 생산을 고려하여 생산자 소

득 기준의 설정 필요

• 평

03 개별 수급안정사업 개선 방안

Page 32: 17-09호 수급안정정책 개선 방안 - newma.or.krBC%F6%B1%DE%BE%C8%C1%A4%C1%A4… · -관행재배에 규모 효과는-1.1%, 연령효과 0.7% -면적변동에 대한 규모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