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0 1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dustry/1333411807647.pdf · 메리츠종금증권...

15
I Industry ndustry Brief rief Analyst 황유식 (6309-4747) [email protected] 2012.04.03 IHS Chemical 27 th 2012 Conference Overweight 셰일가스(Shale Gas)가 석유화학을 만나면 Top Picks LG화학(051910) Buy, TP 460,000원 호남석유화학(011170) Buy, TP 450,000원 ▶ IHS Chemical(CMAI) 27 th 2012 Petrochemical Conference 3/28~29일 미국 휴스톤에서 개최된 ‘2012 석유화학 컨퍼런스’에서는 북미 셰일가스 증가로 발생할 석유화학 산업의 변화와 2012년 석유화학 경기 전망이 논의되었다. - 셰일가스의 영향력은 ‘14년 이후 확대되지만 원유에 기반한 가격 구조는 지속 Æ 에틸렌, 에너지 다소비 제품의 북미 마진 확대되나 글로벌 영향 제한적 - ‘12년 석유화학 업황은 전년대비 하락하지만 2H12 이후 ’16년까지 상승 추세 전망 ▶ 북미 셰일가스 개발에 의한 석유화학 산업의 변화 - 국내 기업은 생산지역 다변화로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 요구됨 - ‘07년부터 늘어나기 시작한 셰일가스는 운송 기반이 완공되는 ‘14년 이후 영향력 확대 - 석유화학 기업도 ‘14년 일정에 맞춰 증설 계획을 수립 중(ongoing) - 북미 에틸렌 마진은 ‘88년 이후 최고 수준이며 ‘16년까지 마진 증가 전망 - 미국의 에틸렌 증설 규모는 최근 1년 960만톤이 신규로 계획되었으나 중동 지역의 증설 제한으로 글로벌 수급 균형은 유지될 전망 - 셰일가스로 에너지 다소비 제품인 Chlor-Alkali와 유도품은 ‘원료+에너지’ 비용 이중 수혜 - ‘16년까지 BD 및 PX의 글로벌 공급 부족은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됨 Æ셰일가스 생산확대는 장기적으로 PVC/Caustic Soda>PE>EG 순서의 북미 영향력 증가, 반대로 BD>PX>PP 순서의 글로벌 수급 타이트가 전망됨 ▶ ‘12년은 BD, PX, PE, ABS(PC)의 강세와 TPA, PVC, PP의 약세 전망 - 석유화학 기업 Top pick으로 LG화학과 호남석유화학 확인 - ‘12년 석유화학 업황은 ‘11년대비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원료가격 부담이 해소되는 2H12년 이후 상승세로 전환하며 셰일가스 효과로 ‘16년까지 지속적인 상승추세 예상함 - NCC 설비 증설 부족으로 BD의 장기적인 호황과 PX의 강세가 예상되며, 아시아 에틸렌 수급 타이트로 PE의 회복이 예상됨. ABS는 정보전자 부문의 강세로 ‘12년 수요 증가가 예상되지만 글로벌 증설 확대를 앞두고 있는 점을 고려해야 함 - TPA는 글로벌 증설이 수요증가를 초과하며 장기간의 불황이 예상됨. 공급과잉이 해소되지 않은 PVC는 약세가 지속되며, 원료가격 부담으로 수요가 위축된 PP의 업황 하락이 예상됨

Upload: others

Post on 18-Sep-2019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IIndustry ndustry Briefrief

Analyst 황유식 (6309-4747)

[email protected]

2012.04.03

IHS Chemical 27th 2012 Conference

Overweight

셰일가스(Shale Gas)가 석유화학을 만나면

Top Picks

LG화학(051910) Buy, TP 460,000원 호남석유화학(011170) Buy, TP 450,000원

▶ IHS Chemical(CMAI) 27th 2012 Petrochemical Conference

3/28~29일 미국 휴스톤에서 개최된 ‘2012 석유화학 컨퍼런스’에서는 북미 셰일가스 증가로 발생할 석유화학 산업의 변화와 2012년 석유화학 경기 전망이 논의되었다. - 셰일가스의 영향력은 ‘14년 이후 확대되지만 원유에 기반한 가격 구조는 지속

에틸렌, 에너지 다소비 제품의 북미 마진 확대되나 글로벌 영향 제한적

- ‘12년 석유화학 업황은 전년대비 하락하지만 2H12 이후 ’16년까지 상승 추세 전망

▶ 북미 셰일가스 개발에 의한 석유화학 산업의 변화

- 국내 기업은 생산지역 다변화로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 요구됨

- ‘07년부터 늘어나기 시작한 셰일가스는 운송 기반이 완공되는 ‘14년 이후 영향력 확대

- 석유화학 기업도 ‘14년 일정에 맞춰 증설 계획을 수립 중(ongoing) - 북미 에틸렌 마진은 ‘88년 이후 최고 수준이며 ‘16년까지 마진 증가 전망

- 미국의 에틸렌 증설 규모는 최근 1년 960만톤이 신규로 계획되었으나 중동 지역의

증설 제한으로 글로벌 수급 균형은 유지될 전망

- 셰일가스로 에너지 다소비 제품인 Chlor-Alkali와 유도품은 ‘원료+에너지’ 비용 이중

수혜

- ‘16년까지 BD 및 PX의 글로벌 공급 부족은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됨

셰일가스 생산확대는 장기적으로 PVC/Caustic Soda>PE>EG 순서의 북미 영향력

증가, 반대로 BD>PX>PP 순서의 글로벌 수급 타이트가 전망됨

▶ ‘12년은 BD, PX, PE, ABS(PC)의 강세와 TPA, PVC, PP의 약세 전망

- 석유화학 기업 Top pick으로 LG화학과 호남석유화학 확인

- ‘12년 석유화학 업황은 ‘11년대비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원료가격 부담이

해소되는 2H12년 이후 상승세로 전환하며 셰일가스 효과로 ‘16년까지 지속적인

상승추세 예상함

- NCC 설비 증설 부족으로 BD의 장기적인 호황과 PX의 강세가 예상되며, 아시아

에틸렌 수급 타이트로 PE의 회복이 예상됨. ABS는 정보전자 부문의 강세로 ‘12년

수요 증가가 예상되지만 글로벌 증설 확대를 앞두고 있는 점을 고려해야 함

- TPA는 글로벌 증설이 수요증가를 초과하며 장기간의 불황이 예상됨. 공급과잉이

해소되지 않은 PVC는 약세가 지속되며, 원료가격 부담으로 수요가 위축된 PP의 업황

하락이 예상됨

메리츠종금증권 리서치센터 2

Contents

IHS Chemical(CMAI) 27th 2012 Petronchemical Conference

1 북미 셰일가스가 석유화학 산업에 미치는 영향 4

1 셰일가스란? 4

2 국가별 셰일가스 매장 규모 5

3 운송 인프라가 완성되는 ‘14년 이후 석유화학 산업 영향 6

4 미국의 석유화학 제품별 활용 계획 8

2 IHS Chemica(CMAI)의 2012년 석유화학 산업 전망 11

1 Polyethylen(PE): 과잉설비 해소되며 ‘15년까지 가동률 상승 11

2 Polypropylene(PP): 중국의 공급량 증가로 ‘16년까지 약세 전망 12

3 Butadiene(BD): NCC 부재로 공급부족 심화 지속 12

4 PX 및 PTA: PTA의 증설물량 지속 출회, PX는 수급균형 전망 13

5 Chlor-Alkali(PVC 등): ‘12년 공급과잉 해소 이후 상승세 전환 13

메리츠종금증권 리서치센터 3

‘셰일가스로 일생 단 한 번의

석유화학 변화를 경험할 것’

최대의 수익을 위해 셰일가스

개발 속도 조절 중

석유화학 feedstock으로

사용 비중 확대를 촉구함

IHS Chemical(CMAI) 27th 2012 Petronchemical Conference

3/28~29일 미국 Houston, Texas에서 개최된 27th World Petrochemical Conference

에서는 General Session으로 ‘북미 셰일가스 개발에 따른 석유화학 산업의 영향’과

세부 주제로는 ‘Olefins & Derivatives’, ‘Aromatics & Fiber Intermediates’, ‘Chlor-

alkali & Derivatives’ 및 ‘Specialty Products’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주최측은 서두

연설에서 ‘셰일가스 개발로 일생에 한 번 경험할 수 있는 석유화학산업의 변화가

예상된다.’고 소개했으며, 많은 참가자들 또한 셰일가스에 대해 대단히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를 반영하여 석유화학 제품별 각각의 주제는 ‘12년 산업 전망 및

셰일가스로 변하게 될 산업환경 변화에 대해 다루었다.

미국은 급하게 진행되었던 셰일가스의 개발 속도를 조절할 것으로 보인다. 저부가

가치의 LNG, LPG 형태의 발전용으로 주로 사용되면서 북미 천연가스 가격

급락으로 수익성이 낮아졌고, 환경오염 등 안정성에 대한 추가적인 관찰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셰일가스 개발의 궁극적인 목적은 발전이나 LNG(PNG), LPG

등으로 수출하기보다는 석유화학 산업 feedstock으로 활용하여 제품의 고부가화,

석유화학 산업의 장기적인 경쟁력 향상이 목표이다. 이를 위해 에틸렌, PVC,

Caustic Soda 등 석유화학 설비의 증설 계획에 맞춰 셰일가스 개발 일정을

조절하고 있다. 풍부한 자원으로도 최대의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느긋하게

준비하는 가진자의 여유를 느낄 수 있었다.

메리츠종금증권 리서치센터 4

셰일가스 생산의 조건

1. 북미 셰일가스가 석유화학 산업에 미치는 영향

(1) 셰일가스란?

북미 셰일가스가 석유화학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앞서 셰일가스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셰일가스란 진흙이 쌓여 만들어진 퇴적암층(Shale)이 높은

압력을 받으며 굳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셰일층에

잔류하는 천연가스를 의미한다. 셰일층은 지표의 50~60%를 덮고 있지만

셰일가스는 충분한 압력이 있어야만 발생된다. 채굴을 위해선는 드릴링이 가능한

깊이에 있어야 하므로 1~5km 깊이에서 경제성이 확보된다.

[표 1] 양질의 셰일가스 생산 조건

과도한 채굴비용이 소요되지 않는 범위에서 압력을 받기 위한 충분한 깊이 (~1Km 에서 5Km 범위)

두꺼운 층 (통상 30m~90m)

높은 총 탄소 함유 -> 2% TOC for good prospects

시장과 Infrastructure의 근접성

넓은 지역에 걸친 균일한 지질 특성

조각으로 깨지기 쉬운 성질 -> 높은 취성과 낮은 점토 함유율

높은 압력

상대적으로 높은 다공성

자료: IHS Chemical

[그림 1] Ohio의 Shale [그림 2] 전통 가스와 비전통 셰일가스의 차이점

자료: IHS Chemical 자료: IHS Chemical

메리츠종금증권 리서치센터 5

셰일가스는 경제성

확보를 위한 주변

인프라 구축이 필수

(2) 국가별 셰일가스 매장 규모

셰일층이 지표의 넓은 범위에 존재하는 만큼 많은 나라에서 셰일가스가 발견된다.

EIA 보고서에 의하면 중국의 매장량이 가장 풍부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확인 매장량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높은 채굴 기술이 요구되기

때문에 생산 가능한 셰일가스의 양은 전체 매장량의 25%에 불과하고, 천연가스

가격의 변화로 경제성이 확보된 광구와 채굴 지역은 현재까지 제한적이다. 따라서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인접 지역으로 운송을 위한 파이프 라인이

건설되어야 하고, 천연가스의 소비처가 인접하며, 석유화학 제품의 활용으로

부가가치를 높여야 한다.

[표 2] 지역별 셰일가스 매장량

대륙 국가 Risked Gas In-place(Tcf) Technically Recoverable Resource(Tcf)

멕시코 2,366 681 미국 1,928 482

캐나다 1,490 388 북미

북미 합계 5,784 1,551 중국 5,101 1,275 인도 290 63

그 외 국가 270 66 아시아

아시아 합계 5,661 1,404 아르헨티나 2,732 774

브라질 906 226 칠레 287 64

그 외 국가 644 161 남미

남미 합계 4,569 1,225 남아프리카공화국 1,834 485

리비아 1,147 290 알제리 812 230

그 외 국가 169 37 아프리카

아프리카 합계 3,962 1,042 폴란드 792 187 프랑스 720 180

노르웨이 333 83 그 외 국가 742 174

유럽

유럽 합계 2,587 624 오세아니아 호주 1,381 396

총 계 23,944 6,242

자료: IHS Chemical

[그림 3] 북미 지역 셰일가스 매장 분포 [그림 4] 글로벌 셰일가스 북/남미, 중국 매장량 풍부

자료: IHS Chemical 자료: IHS Chemical

메리츠종금증권 리서치센터 6

셰일가스의 석유화학 산업

사용 비중 확대가 요구됨

‘14년 석유화학 산업

인프라 완성

(3) 운송 인프라가 완성되는 ‘14년 이후 석유화학 산업 영향

셰일가스의 주요 구성 성분은 메탄(CH4)이며, 이외 에탄(C2H6), 프로판(C3H8) 등이

함유되어 있다. 현재까지 셰일가스는 주로 발전용이나 가스형태로 판매되어

부가가치가 낮았으나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석유화학 산업의 원재료로

활용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향후 추가적인 셰일가스 개발은 석유화학

생산설비의 증축 계획에 맞춰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북미 석유화학 업체들은

셰일가스를 다양한 제품의 원재료로 활용하기 위해 기술을 개발 중이며, 정부와

연구 기관에서는 석유화학 산업으로 응용 비중을 높일 것을 요구하고 있다.

정부는 셰일가스의 운송 인프라 구축으로 석유화학 산업 활용도를 높이고자 한다.

파이프라인을 건설하고, 잉여 가스의 수출을 위해 항만 등을 건설 중이다.

‘14년이면 셰일가스 생산 지역과 석유화학 산업 단지를 연결하는 대규모 파이프

라인이 1단계로 완성된다. 인프라 건설에 맞춰 '14년 이후 석유화학 신규 증설이

완공되며, 추가적인 증설과 응용제품의 확대가 추가적으로 계획될 것으로 보인다.

[그림 5] ‘14년 북미 NGL 파이프라인 완공으로 석유화학 가동 확대

자료: IHS Chemical

[그림 6] 미국 가스정수 감소, 유정수 증가 [그림 7] 셰일오일 포함 지역에 개발 집중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Eagle Ford Marcellus Haynesville Fayetteville

'10.01

'10.07

'11.01

'11.07

'12.01

Rig Count

Shale gas plays with

wet areas

Dry shale

gas plays

자료: IHS Chemical, 메리츠종금증권 자료: IHS Chemical

메리츠종금증권 리서치센터 7

‘14년 미국 천연가스

생산량 중 셰일가스 비중

25%로 확대 전망

‘07년 이후 셰일가스의 생산량이 증가하며 북미 천연가스 가격 하락이 두드러졌다.

천연가스를 수출하기 위한 기반이 갖춰지지 않았으며, 석유화학 산업의 활용 비중도

낮았기 때문으로 관련기반이 갖춰질 때까지는 셰일가스 개발 속도를 늦추고 있다.

현재는 셰일오일이 함유된 광구나 오일 생산을 위한 광구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채굴량 화대로 미국 셰일가스 생산량은 ‘07년 이후 꾸준히 늘었으며,

‘14년에는 전체 천연가스 생산량 중 셰일가스의 비중이 25%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8] 북미 에틸렌 설비의 Ethane 사용 비중 증가

자료: IHS Chemical

[그림 9] 미국 셰일가스 비중 [그림 10] 미국 NGL 생산량 증가 [그림 11] 미국 NGL 구성 비율

자료: IHS Chemical 자료: IHS Chemical 자료: IHS Chemical

메리츠종금증권 리서치센터 8

북미 에틸렌 마진은

‘09년 이후 큰 폭의 상승.

타지역과의 디커플링 발생

(4) 미국의 석유화학 제품별 활용 전망

에틸렌 생산에 사용되는 에탄가스의 비중은 셰일가스 생산량이 늘어난 ‘07년 이후로

증가했으며, 북미의 에틸렌 생산기업의 cost margin은 상승했다. 1990년 이후의 cost

margin대비 3배의 margin이 개선된 것으로 추정된다. ‘16년 이후 추가적인 셰일가스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북미 석유화학 기업은 대규모 증설을 계획 중이다.

‘14년까지 셰일가스 운송을 위한 파이프 라인 건설이 1차적으로 완성되고, 이에

맞춰 에틸렌 증설 물량은 약 960만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중요한 것은 에틸렌

설비증설 960만톤은 지난 1년 동안 새롭게 계획된 것으로 추가 증설의 여지가

크다는 것이다.

[그림 12] ‘07년 이후 북미 에틸렌 이익률 상승

자료: IHS Chemical

[그림 13] 북미 에틸렌의 낮은 Cash Cost 구조 [그림 14] 북미 에틸렌 Cash Margin 3배 상승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U.S Ethane

WEP Naphtha

SEA Naphtha

SUS per Metric Ton, Ethylene

0.0

5.0

10.0

15.0

20.0

25.0

30.0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Ave Acq Cash Margin

Avg. (90~06) = 7.8 ccp

Avg. (10~16) = 23.6 ccp

Delta 15.8 ccp

Cents/L

자료: IHS Chemical 자료: IHS Chemical

메리츠종금증권 리서치센터 9

[표 3] 미국 에틸렌 증설 규모는 최근 1년 960만톤 신규 계획됨

Company 2012 2013 2014 Future Announced (-000- MT) Chevron Philips (Cedar Bayou) 1,500 Dow (Taft/TBD) 386 1,300* Equistar (All locations) 121 310 90 Formosa (Point Comfort) 80 Ineos (Chocolate Bayou) 57 57 Oxy (Ingleside, TX) 550* Sasol (Lake Charles) 140 Shell (Northeast) 1,000* Westlake (Lake Charles) 30 110 80 Williams (Geismar) 20 70 210 Nova (Sarnia) 250* Braskem/Idesa (Mexico) 1,000 Unidentified 145 110 Total 107 889 600 8,000

Cumulative Total 107 996 1,596 9,596 *Dow, Shell, NOVA, and Oxy 증설 규모는 IHS 예상치

자료: IHS Chemical

[그림 15] 북미 에틸렌 증설은 ‘06~’10년 중동 증설규모(1,400만톤) 하회 전망

-4,000

-2,000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0

1

2

3

4

5

6

7

8

9기타유럽아시아(중국 외)

중국중동북미total % yoy(우)

(%)(천톤)

자료: IHS Chemical

[그림 16] ‘14년 이후 북미의 PE, Vinyl류 순수출량 대폭 증가

자료: IHS Chemical

메리츠종금증권 리서치센터 10

북미 프로필렌, 부타디엔

생산량 감소로 공급부족 심화

북미의 에틸렌 생산량은 증가하지만 프로필렌과 부타디엔 생산량은 ‘07년 이후 큰

폭으로 감소했다. ‘00년 기준으로 프로필렌과 부타디엔 생산량은 30% 감소했으며,

향후에도 생산량 변화는 크지 않을 전망이다. 부타디엔은 스팀 크래커로부터 전량

생산되기 때문에 북미 부타디엔 공급부족은 더욱 심화될 예정이며, 가격 상승

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북미 프로필렌 공급부족은 조금 나은 상황이지만

‘09년 이후 폴리프로필렌(PP) 가격의 디커플링으로 가격 상승 압력이 나타나고 있다.

[그림 17] 북미 프로필렌, 부타디엔 생산량 30% 감소 [그림 18] 북미 폴리프로필렌 가격 급등 발생

자료: IHS Chemical 자료: IHS Chemical

에너지 비용 절감으로

북미 PVC 및 Casutic Soda

수익성 확대

셰일가스 개발 이후의 주요한 변화는 에너지 비용의 감소다. 저가 천연가스로

발전단가를 낮추고 제조원가를 절감하여 에너지 다소비 제품의 북미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다. ECU의 cash cost는 에너지 비용의 감소로 ‘00년대비 ‘12년 31%가

하락했다. 북미의 Chlor-Alkali와 PVC의 생산 단가 하락으로 경쟁력이 증가하였으며,

시장조사 기관은 추가적인 설비 증설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PVC는 원재료로

에틸렌을 사용함으로써 원재료 비용 절감이 추가되어 북미의 제품 경쟁력은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그림 19] ‘00년 북미 ECU Cash Cost 구조 [그림 20] 에너지 비용 하락으로 Cash Cost 31% 감소

2000 Total

ECU Cash

Cost = $312

Salt, $32

Variable, $14

Fixed, $114

Electricity,

$1522012 Total

ECU Cash

Cost = $215

Variable, $8

Fixed, $95

Salt, $27

Electricity,

$85

자료: IHS Chemical 자료: IHS Chemical

2000 = $312

2012 = $215

31% Cash

Cost Decline

메리츠종금증권 리서치센터 11

2H12 이후 ‘16년까지

석유화학 Super Cycle 전망

2. HIS Chemica(CMAI)의 2012년 석유화학 산업 전망

HIS Chemical(CAMI)에서는 ‘12년을 저점으로 2H12부터 석유화학 업황이 상승하며,

‘16년까지 지속적으로 호황을 유지하는 Super Cycle을 전망했다. 석유화학 산업이

상승 추세로 전환되는 주요인으로는 북미 기업의 천연가스 사용으로 원재료 가격

하락과 에너지 비용 절감으로부터 발생하며, 이는 글로벌 석유화학 산업 전체의

호황으로 이어질 것으로 분석하였다.

[그림 21] 글로벌 석유화학산업 ‘12년을 저점으로 ‘16년까지 Super Cycle 전망

자료: IHS Chemical

‘16년까지 연평균 공급증가율

3.4%, 수요증가율 4.5% 전망

(1) Polyethylen(PE): 과잉설비 해소되며 ‘15년까지 가동률 상승

2012년 에틸렌 산업은 낮은 공급설비 증가로 수급이 타이트해질 것으로 분석되었다.

‘01~’02년 공급설비의 과잉 건설은 ‘03~’04년 해소되면서 이후의 산업은 호황을

맞이하였다. ‘08~’10년에는 중동과 아시아 중심으로 에틸렌 설비가 과잉 건설되면서

마진이 하락했으나 ‘11~’12년 설비 증설 감소로 공급과잉은 해소단계에 있다.

‘16년까지 글로벌 에틸렌 공급능력 증가는 매년 3.4%, 수요 증가는 4.5%로 전망되어

‘15년 글로벌 가동률은 90%까지 상승하며 수급이 타이트해 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림 22] 글로벌 에틸렌 공급설비 및 수요 변화 전망 [그림 23] 에틸렌 잉여 설비 해소 단계

-12

-7

-2

3

8

13

18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Annual Capacity Change

Annual Demand Increase

Mil.MT Ethylene

-2

0

2

4

6

8

10

12

14

16

18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0

2

4

6

8

10

12

14

16

Annual Cumulative Surplus, Tons

Surplus As % of Demand (Right)

(%)Mil.MT Ethylene

자료: IHS Chemical 자료: IHS Chemical

메리츠종금증권 리서치센터 12

중국 PDH, MTO/MTP를

이용한 프로필렌 공급량 증가

(2) Polypropylene(PP): 중국의 공급량 증가로 ‘16년까지 약세 전망

북미의 프로필렌 생산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PDH(Propane to Propylene) 및

MTO/MTP(Methane to Methanol to Propylene) 증설로 공급 과잉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프로필렌은 정유 설비나 메탄, 프로판의 전환으로 생산 가능하기 때문에

셰일가스의 영향이 크지 않을 전망이다. 아시아 지역의 프로필렌 및 PP 증설로

‘12년 설비 가동류은 81%로 낮아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16년까지 과잉설비는 15%

해소되어 설비 가동률은 83%으로 소폭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는 중국 등

아시아 지역은 PP의 가격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북미와 유럽은 공급

부족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24] 글로벌 프로필렌 공급설비 및 수요 변화 전망 [그림 25] PP의 공급설비 과잉, 낮은 가동률 지속 전망

-3

-1

1

3

5

7

9

11

90 92 94 96 98 00 02 04 06 08 10 12 14 16

OtherSE AsiaNE AisaIndiaMiddle EastEuropeAmericasAnnual Demand Increase

(Million Metric

Tons)

-2

0

2

4

6

8

10

12

14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76

78

80

82

84

86

88

90

92

94

96Global Excess Capacity GrowthCumulative Global Excess Capacity GrowthGlobal Operating Rate

Exess Capacity, mm MT Global Operating Rate, %

자료: IHS Chemical 자료: IHS Chemical

부타디엔 공급부족 장기화

(3) Butadiene(BD): NCC 부재로 공급부족 심화 지속

부타디엔의 공급부족은 ‘12년 더욱 심화되어 높은 수익성을 유지할 전망이다. ‘12년

3분기 Fushun PC의 12만톤 부타디엔 설비가 증설되지만 대부분 자가 소비로 사용될

계획으로 글로벌 부타디엔 공급증가는 제한적이다. 반면 ‘11년 중국에서 BR, SBR

30만톤이 증설되어 ‘12년 부타디엔 수입이 더욱 늘어날 전망으로 지속적인 가격

강세가 예상된다.

[그림 26] 부타디엔 공급부족 ‘16년까지 지속 전망 [그림 27] 부타디엔 누적 공급부족량 증가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Net Capacity Change

Net Demand Change

Thou.MT

-200

0

200

400

600

800

1,000

2012 2013 2014 2015 2016

Butadiene Production

Butadiene Consumption

ShotageCumulative Shortage

(천톤)

자료: IHS Chemical 자료: IHS Chemical

메리츠종금증권 리서치센터 13

PTA의 저마진 구조 지속

(4) PX 및 PTA 산업: PTA의 증설물량 지속 출회, PX는 수급균형 전망

‘12년 PX의 고마진 지속과 PTA의 저마진 구조로 산업이 재편되고 있다. PX의 설비

가동률은 83%에 불과하지만 공급이 타이트한 이유는 설비의 잦은 트러블 발생,

납사 원재료의 공급 제한이 원인이다. ‘16년까지 PX의 설비증설과 수요증가율은

모두 연평균 6%대로 예상되지만 PTA 설비증설 규모는 연평균 9.5%로 예상되어

TPA의 가동률은 ‘14년 70%까지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PTA 증설이 가장

많으며, 자급률은 75%에서 ‘16년 85%으로 상승할 전망이다. 따라서 국내 PTA의

대중국 수출 규모 감소를 예상하며, 낮은 수익성이 장기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림 28] PX를 초과하는 TPA 증설규모 [그림 29] ‘16년까지 TPA 공급 과잉 지속

0

2

4

6

8

10

12

14

12.01 12.07 13.01 13.07

ISCSouth AmeritzEuropeSEANEAPX AdditionsCumulative Difference

Thousand Metric Tons

-5

0

5

10

15

20

2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100

America Europe, Middle East, Africa

Aisa Global Demand Growth

Excess Capacity Operating Rate

Million Metric Tons Operating Rate, Percent

자료: IHS Chemical 자료: IHS Chemical

중국 과잉 설비는 인도 수요

증가로 흡수 전망. ‘12년 저점

(5) Chlor-Alkali(PVC, Caustic Soda): ‘12년 공급과잉 해소 이후 상승세 전환

중국 지역의 Chloine과 Caustic soda의 증설로 ‘12년 공급과잉이 지속될 전망이다.

설비 과잉 이외에도 원재료 비용과 에너비 비용 증가로 역내의 저마진 구조가

더해졌다. 반면 북미는 셰일가스 개발로 에틸렌 원재료 비용 감소와 에너지 비용

감소로 경쟁력이 증가하고 있으며, 설비 증설이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북미 공급량

증가로 장기적으로 글로벌 가격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30] ‘12년 Chlor-Alali 저마진 구조 [그림 31] 역내 PVC 공급 증가는 인도의 수요 증가로 흡수

-5

0

5

10

15

20

25

30

3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Northeast Asia

China non-Integrated

China Indegrated

(ROI, %)

-3

-2

-1

0

1

2

3

4

5

200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India SubcontinentChinaSoutheast AsiaNortheast Asia(ex-China)

(Million Metric Tons)

자료: IHS Chemical 자료: IHS Chemical

메리츠종금증권 리서치센터 14

Compliance Notice 동 자료는 작성일 현재 사전고지와 관련한 사항이 없습니다.당사는 동 자료에 언급된 종목과 계열회사의 관계가 없으며 2012년 4월

3일 현재 동 자료에 언급된 종목의 유가증권(DR, CB, IPO, 시장조성 등) 발행 관련하여 지난 6개월 간 주간사로 참여하지 않았습니

다. 당사는 2012년 4월 3일 현재 동 자료에 언급된 종목의 지분을 1%이상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당사의 조사분석 담당자는 2012

년 4월 3일 현재 동 자료에 언급된 종목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본 자료에 게재된 내용들은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

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작성자: 황유식)

동 자료는 “금융투자회사 영업 및 업무에 관한 규정” 중 “제 2장 조사분석자료의 작성과 공표”에 관한 규정을 준수하고 있음을 알

려드립니다. 동 자료는 투자자들의 투자판단에 참고가 되는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배포되는 자료입니다. 동 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당

사 리서치센터의 추정치로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정확성이나 완벽성은 보장하지 않습니다. 동 자료를 이용하시는 분은 동 자료

와 관련한 투자의 최종결정은 자신의 판단으로 하시기 바랍니다.

투자등급관련 사항

1. 종목추천관련 투자등급(추천기준일 종가대비 4등급)

→아래 종목투자의견은 향후 6개월간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추천종목의 예상 목표수익률을 의미함.

ㆍStrong Buy :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50%이상.

ㆍBuy :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15%이상 ~ +50%미만.

ㆍHold :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5%이상 ~ +15%미만.

ㆍReduce :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5%미만.

2. 산업추천관련 투자등급(추천기준일 시장지수대비 3등급)

→아래 산업투자의견은 시가총액기준 산업별 시장비중 대비 보유비중의 변화를 추천하는 것.

ㆍ비중확대(Overweight).

ㆍ중립(Neutral).

ㆍ비중축소(Underweight)

메리츠종금증권 리서치센터 15

LG화학(051910)의 투자등급변경 내용 추천확정일자 자료의 형식 투자의견 목표주가 담당자 주가 및 목표주가 변동추이

2010.04.21 기업브리프 Buy 290,000 최지혜 2010.07.08 산업분석 Buy 360,000 최지혜 2010.07.21 기업브리프 Buy 390,000 최지혜 2010.10.01 산업분석 Buy 420,000 최지혜 2010.10.04 산업분석 Buy 420,000 최지혜 2010.10.15 산업분석 Buy 420,000 최지혜 2010.11.12 기업브리프 Buy 530,000 최지혜

담당 애널리스트 변경 2011.09.26 기업분석 Buy 430,000 황유식 2011.10.21 기업분석 Buy 430,000 황유식 2011.11.01 산업분석 Buy 430,000 황유식 2011.12.15 기업분석 Buy 430,000 황유식 2012.01.02 산업분석 Buy 430,000 황유식 2012.01.17 기업분석 Buy 430,000 황유식 2012.02.01 기업분석 Buy 460,000 황유식 2012.02.22 기업브리프 Buy 460,000 황유식 2012.04.03 산업브리프 Buy 460,000 황유식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주가 목표주가

호남석유(011170)의 투자등급변경 내용 추천확정일자 자료의 형식 투자의견 목표주가 담당자 주가 및 목표주가 변동추이

2010.04.26 기업분석 Buy 176,000 최지혜 2010.07.08 산업분석 Buy 200,000 최지혜 2010.07.20 기업분석 Buy 200,000 최지혜 2010.10.04 기업분석 Strong Buy 320,000 최지혜 2011.01.03 기업분석 Buy 370,000 최지혜

담당 애널리스트 변경 2011.08.02 기업분석 Buy 610,000 황유식 2011.12.15 기업분석 Buy 450,000 황유식 2012.01.26 기업분석 Buy 450,000 황유식 2012.04.03 산업브리프 Buy 450,000 황유식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주가 목표주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