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46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1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환경공해연구소 환경정의 미세먼지 토론회

Upload: -environmental-justice

Post on 06-Apr-2017

1.125 views

Category:

Environment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1

임 영 욱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환경공해연구소

환경정의 미세먼지 토론회

Page 2: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2

- 일반적으로 환경노출 민감집단이란 실외 및 실내의 환경 중화학적, 물리적 인자에 노출되었을 때 건강한 일반 인구집단보다 민감하게 독성영향이 나타나는 특정 인구집단을 의미

- 실내 및 대기오염, 특히 미세먼지 노출에 민감한 집단과 질병발생 위험이 높은 집단의 경우 고령자, 어린이, 심장질환혹은 폐질환 등의 만성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이 있는 환자 등이 대표적

미세먼지 민감군 및 취약군 정의

미세먼지 취약군과 교통오염원

민감군

고령자 어린이 만성질환자

- 유해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있는 집단- 노출의 강도가 크고 빈도와 노출기간이 큰 집단- 대기오염 취약군의 경우, 실외 노출 시간이 길며 상대적으로

나쁜 환경조건에 노출되어 있는 집단- SES(socio-economic status)가 낮은 집단, 도로변 장시

간 작업군 (운전기사, 교통경찰, 톨게이트 근무자, 주차안내원, 도로변 노점운영자 등)

취약군

운전기사 교통경찰 톨게이트

Page 3: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3

교통경찰

톨게이트 요금소 근무자

대중교통 및 택시 운전기사

화물차 운전기사

주유소 및 정비소 종사자

퀵서비스 종사자

백화점 주차요원

노점상 등

미세먼지 취약군과 교통오염원

미세먼지 취약군 건강영향 개요

직업 노출 취약군

자동차 배기가스 등에 의한

미세먼지 고농도 노출

직업적 특성으로 인한

장시간 노출

미세먼지 고농도장시간 노출에 따른건강 영향 우려

Page 4: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4

미세먼지 정의

개요

먼지란 ?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상 물질의 하나로 보통 0.1∼500㎛의 입경범위를 가지며,

입자의 크기에 따라 무거워서 침강하기 쉬운 것을강하분진이라 하고, 입자가 미세하고 가벼워서 좀처럼 침강

하기 어려워 장기간 대기 중에 떠다니는 것을부유분진이라 함

Page 5: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5

미세먼지 모양

SEM을 통해 미세먼지의 모양 측정(2,000배 확대)

개요

Page 6: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6

미세먼지 특성(입자 크기)

미세먼지 특성

Page 7: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7

미세먼지 특성(입경별 특성)

미세먼지 특성

0

2

4

6

8

10

0.001 0.01 0.1 1 10 100Particle Aerodynamic Diameter (탆 )

Rel

ativ

e M

ass

Con

cent

ratio

n

Accumulation Coarse

PM 10

PM 2.5

Geological Material, Pollen,

Sea Salt

Sulfate, Nitrate, Ammonium,

Organic Carbon, Elemental Carbon, Heavy Metals, Fine

Geological

Condensed Organic

Carbon or Sulfuric Acid Vapors, Clean Environment

Aitken

Condensation Mode

Droplet Mode

Nucleation

Fresh High Temperature Emissions,

Organic Carbon,

Sulfuric Acid, Metal Vapors

Ultrafine (PM 0.1)

Nanoparticles (PM 0.01)

Watson, 2002, JAWMA, 52(6)

(um)

Page 8: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8Source: http://en.wikipedia.org/wiki/Respiratory_system

미세먼지 특성(입경별 주요 침착 위치)

미세먼지 특성

Page 9: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9

입자입경의 중요성

..

10mm 1 mm 0.1mm

Bronchial epithelium

0.1mm1.0 mm

Cilia 0.25mm diameter

v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인체 내 침투 용이

§폐나 기도 등의 인체 장기에서 흡수되기가 쉬움

§호흡기의 입자 제거 속도 느려짐

vEpithelium and particle size

미세먼지 특성

Page 10: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10

극미세먼지의 위해성

Diameter(um)

Massconcentration

(ug/m3)

Numberconcentration(particles/ml)

Surface area(um2/ml)

2 10 1.2 24

0.02 10 2.4 x 106 3,016

v 입경 대비 넓은 표면적으로 인해

§유해물질과의 반응성 높음

§세포와의 반응성 높음

§상피세포 조직을 쉽게 통과하여염증이나 상처 혹은 이의 회복에관여하는 신호변환경로를 활성화함

미세먼지 특성

Page 11: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11

인체 영향

Page 12: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12

미세먼지 주요 건강영향

Respiratory diseases,

including asthma

Lung damage/ stunted lung development

Premature Death

Cancer

Chronic eye, lung, or skin irritation

Premature births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heart disease and stroke)

PM

인체 영향

Page 13: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13

미세먼지 주요 건강영향

Pope CA III et al. Cardiovascular mortality and long-term exposure to particulate air pollution: epidemioloical evidence of general pathophysiological pathways of disease. Circulation 2004;109:71-7

v 미세먼지의 인체질환 및 병태생리학적 기전사망원인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진행

염증반응

/동맥경화 진행

심장 자율신경계

기능 변화

심장혈관계 질환

허혈성 심장질환

부정맥, 심부전

고혈압

동맥경화

뇌혈관계 질환

당뇨

기타

호흡기계 질환

만성폐쇄성 폐질환

폐렴, 인플루엔자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인체 영향

Page 14: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14

미세입자 위해성(만성 사망)Mortality

Rate ratio

(L)

Dockery DW, Pope CA, et al. An Association between Air Pollution and Mortality

N Engl J Med. 1993 Dec 9;329(24):1753-9

대기오염과 사망과의 관련성에 대한 대표적 역학 연구 – landmark study

인체 영향

Page 15: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15

미세입자 위해성(호흡기 질환)

• 남부캘리포니아 지역 12개초등학교 1759명을 대상으로1993년부터 호흡기능 발달을8년간 추적조사

• 1초간 노력성 호기량이 낮은집단 (정상예측치의 80%이하)

- PM2.5 고노출집단 7.9%- PM2.5 저노출집단 1.6%- 약 4.9배 증가

à 대기오염은 어린이의 폐기능 발달 장애 초래

Gauderman WJ . The Effect of Air Pollution on Lung Development from 10 to 18 Years of Age. N Engl J

Med 2004;351:1057-1067

인체 영향

Page 16: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16

미세입자 위해성(호흡기 질환)

대기오염이 높은 지역(도로변) 거주 어린이의 대식세포 중 Carbon농도가 높았으며, Carbon 농도가 증가할수록 폐기능 감소

Kulkarni N. N Engl J Med 6;355:21-30 (2006)

인체 영향

Page 17: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17

미세입자 위해성(호흡기 질환)

이탈리아 초등학생 대상, 교통 관련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노출과 호흡기 증상, 알러지 민감성, 폐기능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교통 혼잡 지역에 거주하는어린이들의 지속적인wheezing 증상 발생과 통계적으로 유의함

Allergy - skin prick test 반응과도 통계적으로유의한 결과 보임

Traffic-related air pollution in relation to respiratory symptoms, allergic sensitisation and lung function in schoolchlidren. Thorax, 2009

인체 영향

Page 18: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18

미세입자 위해성(호흡기 질환)

Traffic-related air pollution associated with prevalence of asthma and COPD/chronic bronchitis. A cross-

sectional study in Southern Sweden, Inter. J. Health. Geographics. 2009

• 교통량의 정성적/정량적 크기에 따른 건강영향 확인 결과, 도로(차량 분당 10대 이상)에서 100m 내

거주하는 인구에 천식 및 만성기관지염 증상이 나타남(나이, 성, 흡연유무 보정)

Ø 교통량이 많을 경우, 천식 및 만성기관지염 증상 증가

인체 영향

Page 19: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19

미세입자 위해성(심혈관 질환)

• 798명을 대상으로,

경동맥 내피 두께(CIMT); 심혈관질환의주요 예측인자

거주지의 PM2.5농도를 측정

• 동맥경화(Atherosclerosis)와 PM2.5와의관련성에 관한 최초의 역학연구

10ug/m3 증가 시 5.9%,

20ug/m3 증가 시 12.1%,

à atherosclerosis 발생 증가

Kunzli et al. Ambient Air Pollution and Atherosclerosis in Los Angeles. Environ Health Perspectives 2005;113:201-206

인체 영향

Page 20: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20

미세입자 위해성(심혈관 질환)

Volvo diesel engine (Volvo TD45, 4 cylinders, 68 rpm)

인체 영향

Page 21: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21

미세입자 위해성(심혈관 질환)

대기오염과 뇌졸증 사망

• 대기 중의 미세먼지, NO2, SO2, CO, 오존 농도가 증가할수록 급성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

• 특히 노령인구와 여성이 대기오염에 민감하였음Source : Hong YC et al. (EHP, 2002)

인체 영향

Page 22: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22

미세입자 위해성(기타 질환)

대기오염과 맹장염(appendicitis)1999~2005, 맹장염 진단을 받은 4,401명을 대상으로 대기오염 노출 비교

대기오염 노출에 따라 유의하게 높은 입원율 증가

Risk of Appendicitis Relative to an Increase in the Interquartile Range of Air Pollutants

Air Pollutants IQR Day Before Admit aOR (95% CI)*

5-Day Average aOR (95% CI)*

O3 (ppb) 16 1.08 (1.01-1.16) 1.21 (1.09-1.35)

NO2 (ppb) 11.7 0.98 (0.91-1.05) 1.13 (1.01-1.27)

SO2 (ppb) 2 1.01 (0.95-1.07) 1.11 (1.01-1.22)

PM10 (μg/m3) 15 1.01 (0.97-1.06) 1.10 (1.03-1.18)

CO (ppm) 0.2 0.99 (0.95-1.03) 1.06 (1.00-1.13)

PM2.5 (μg/m3) 4 1.01 (0.98-1.04) 1.05 (1.00-1.09)

*Odds ratio adjusted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Air Pollution and Appendicitis (Kaplan et al., 2008)Source: ACG*2008 Annual Scientific Meeting*ACG : American College of Gastroenterology

인체 영향

Page 23: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23

미세입자 위해성(기타 질환)

대기오염과 류머티즘 관절염- 미국 Nurse Health Study에 등록된 9만명 조사 à 지역 비교

- 도로 50m 이내에 사는 여성들이 200m 이내 거주 여성들에 비해 31% 더 높았음

- 차선이 많은 도로변 50m 이내 거주여성은 63% 높음

EHP, 2009;117:1065-1069

ABC News, 2009. 4. 1

인체 영향

Page 24: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24

대기오염과 당뇨병 발생- 미국 보스턴 소아병원에서 비만아를 대상으로 인슐린 내성 관련성 연구

- PM2.5 10 ug/m3 증가 시 당뇨 발병율 1%가량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남

미세입자 위해성(기타 질환)

인체 영향

Page 25: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25

미세먼지 취약군과 교통오염원

Page 26: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26

1971년부터 1992년까지 건강검진에 참여한 스웨덴 건설업계 근로자 등록 자료를 이용하여 직종에 따른 폐암 발생위험 분석→ 남성 트럭운전자 6,364명과 중장비 운전자 14,364명을 분석대상 그룹으로 선정하고, 목수와 전기기술자 등 119,984명을

대조그룹으로 선정→ 연구 결과 DE에 노출되는 트럭운전사들의 폐암 발생 또는 폐암 사망위험이 유의하게 높은 것을 확인

(자료 출처 : Järvholm B., et al., 2003)

미세먼지 취약군과 교통오염원

교통오염원에 따른 취약군 건강영향(디젤엔진배출물질)

Page 27: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27

1985년 54,000명 이상의 대규모 후향적 코호트에서 트럭산업 종사자들의 업무에 따른 8개 직종 및근무기간에 따라 DE로 인한 폐암 위험 평가

→ 1년 이상 근무한 사람들 중 장거리 수송 운전자(LH)의 hazard ratios(HRs)는 1.15(95% CI: 0.92-1.43), 배달운전자(P&D)는 1.19(95% CI: 0.99-1.42), 선착장 근로자는 1.30(95% CI: 1.07-1.58), combination workers는1.40(95% CI: 1.12-1.73)

→ 20년 이상 근무한 사람들의 폐암 사망 위험은장거리 수송 운전자(LH)의 경우 HRs이1.65(95% CI: 1.04-2.62), 배달운전자(P&D)는 2.04(95% CI: 1.28-3.25), 선착장 근로자는 1.94(95% CI: 1.18-3.18), combination workers는 2.20(95% CI: 1.35-3.61)

→ DE에 주기적으로 노출된 직업군에서 폐암 HRs가 높게 나타남

(자료 출처 : Eric Garshick, et al., 2008)

미세먼지 취약군과 교통오염원

교통오염원에 따른 취약군 건강영향(디젤엔진배출물질)

Page 28: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28

유럽과 캐나다에서 수행된 11개의 환자-대조군 연구자료를 통합하여 13,304명의 환자군과 16,282명의 대조군 자료 분석하였으며, 국제표준 직업 분류(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ISCO-68)에 따라 DE 누적노출 수준을 5개로 구분하고, 성별, 연령, 흡연기간 등을 보정하여 logistic regression으로 분석

→ 광부, 철도와 도로 차량 운전자, 디젤엔진 관련 기계공 등 27개 직업은 DE에 높은 수준으로 노출

→ 직업상 DE에 가장 많이 노출된 그룹의 폐암 발생의 OR이 1.31(95% CI: 1.19-1.43)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반응관계를보여, DE에 노출된 사람들은 폐암위험 증가

(자료 출처 : Ann C. Olsson, et al., 2011)

미세먼지 취약군과 교통오염원

교통오염원에 따른 취약군 건강영향(디젤엔진배출물질)

Page 29: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29

- 구두수선대의 PM2.5 측정 결과, 실내의 평균 농도는 123.6±45.5 ㎍/㎥, 실외의 평균 농도는129.4±43.0 ㎍/㎥으로 나타남

- 구두수선대의 실내/실외 PM2.5 농도비는0.94±0.34로 구두수선대 실내는 도로변 차량에의한 실외 발생원 뿐만 아니라 구두에 부착되어있는 분진과 흡연으로 인한 실내 발생원의 영향도있는 것으로 판단됨

(자료 출처 : 배현주, 2001, 서울시 도로변의 PM2.5/NO2 농도비 및 구두수선대 근로자의 노출평가)

- 구두수선대의 실내 및 실외 PM2.5 농도 사이의관련성 분석 결과, 실내 PM2.5 농도는 실외 농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냄

- 구두수선대의 실내 PM2.5 농도의 약 48%는 실외 농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어, 도로변주변 근무 근로자에 대한 공기오염물질 노출 고려필요

미세먼지 취약군과 교통오염원

교통오염원에 따른 취약군 건강영향(PM3.5)

Page 30: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30

자동차 정비공과 차량 주유원의 봄철 및 여름철에 노출되고 있는 PM2.5 농도 조사

→ 차량 정비공이 노출되는 PM2.5에 대한 평균 농도는 봄철 약 315 ㎍/㎥, 여름철 약 100 ㎍/㎥

→ 차량 주유원의 경우 봄철에 노출되는 PM2.5 평균 농도 약 200 ㎍/㎥

→ 정비소는 수리 도중에 자동차의 공회전이 잦고, 강력한 Air spray로 엔진 위에 침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과정, 엔진오일을 교환하는 과정 등을 반복하므로, 이러한 작업과정에서 차량 정비공이 더 높은 농도의 미세먼지에 노출되는것으로 추정됨

(자료 출처 : 정의량, 2007, 주유원 및 차량정비공의 미세먼지 및 포름알데하이드에 대한 노출 특성 분석_한국대기환경학회 2007 학술대회)

미세먼지 취약군과 교통오염원

교통오염원에 따른 취약군 건강영향(PM2.5)

Page 31: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31

고속도로 요금소 부스에서 총부유먼지(TSP), PM10 측정 및 TSP 농도와 교통량의 상관성 분석

→ TSP 농도의 경우 일반 대도시의 평균 농도보다 5~13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남

→ PM10 농도의 경우 대형 디젤자동차가 주로 통과하는 5번 부스의 외부 농도는 258.0 ㎍/㎥, 내부 농도는 154.0 ㎍/㎥이며, 중소형 가솔린 자동차가 통과하는 10번 부스의 외부 농도는 206.1 ㎍/㎥, 내부 농도는 121.5 ㎍/㎥로 나타남

→ TSP 농도와 교통량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대형 자동차 통과 부스의 경우 교통량과 비례 관계를 보이며 전반적으로 높은 농도 수준을 나타냄

(자료 출처 : 김신도, 1999, 고속도로 요금소 주변의 대기오염 현황에 관한 연구)

미세먼지 취약군과 교통오염원

교통오염원에 따른 취약군 건강영향(TSP 및 PM10)

Page 32: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32

고속도로 톨게이트 근무자의 대기오염과 연관된 건강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근무 위치에서 총부유분진(TSP) 등 측정

→ TSP 농도의 경우 340 ~ 1,264 ㎍/㎥로 나타나 당시 대기 허용 기준(300 ㎍/㎥) 및 서울 시내 일반 대기 중농도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남

(자료 출처 : 차철환, 1988, 대기오염이 고속도로 톨게이트 근무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미세먼지 취약군과 교통오염원

교통오염원에 따른 취약군 건강영향(TSP)

Page 33: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33

디젤 차량 밀집지역 오염도 조사

실측자료를 통한 디젤 차량 밀집지역 오염도 조사디젤 차량 밀집지역에서의 차량 배출물질 오염도 조사

디젤 차량밀집지역 선정

디젤 차량 밀집 지역오염물질 모니터링

모니터링 대상 오염물질(미세먼지(PM10/PM2.5/PM1), O3, CO, NOx, BC)

차량 입출입로승차 플랫폼승객 대합실

화물 선적장차량 입출입로

승차 플랫폼승객 대합실

• 디젤 버스차량 밀집• 1일 차량 운행량 많음• 터미널 내 노출인구

다수 존재

• 디젤 트럭차량 밀집• 1일 차량 운행량 많음• 특정시간 집중 운행

• 디젤 버스차량 밀집• 1일 차량운행량 많음• 터미널 내 노출인구

다수 존재

S 시외버스 터미널(서울시 중랑구 소재)

S 화물트럭 터미널(서울시 양천구 소재)

C 고속버스 터미널(서울시 서초구 소재)

• 6시간 2회 측정 • 4시간 4회 측정 • 6시간 2회 측정

<연세대학교, 2011>

Page 34: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34

디젤 차량 밀집지역 오염도 조사

실측자료를 통한 디젤 차량 밀집지역 오염도 조사

v 디젤 차량 배출 대기오염물질 모니터링§ 대상물질

• 미세먼지(PM10/PM2.5/PM1.0) : 실시간 측정 및 6시간 평균 측정• 검댕(Black Carbon)• 일산화탄소(Carbon Monoxide)• 질소산화물(Nitrogen Oxide, NO, NO2, NOx)• 오존(Ozone)

§ 측정 장비- 미세먼지(PM10/PM2.5/PM1.0) 측정 : Turnkey Instruments DustMate 및 AirMatrics MiniVol

- 검댕(BC) : Magee Scientific Portable Aethalometer Model AE42

- 일산화탄소(CO) : Teledyne Technologies M300E

- 질소산화물(NO, NO2, Nox) : Teledyne Technologies TAPI 200E

- 오존(O3) : Teledyne Technologies M400E

- 습도 및 온도 : Honeywell IAQ/Probe(CO2 측정기)

Page 35: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35

디젤 차량 밀집지역 오염도 조사

실측자료를 통한 디젤 차량 밀집지역 오염도 조사

§ 차량 배출 물질 고노출 지역 세부 측정 지점

입출입로 대합실 승차장

Page 36: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36

디젤 차량 밀집지역 오염도 조사

실측자료를 통한 디젤 차량 밀집지역 오염도 조사

장소 C터미널 S터미널 S화물터미널

O3(ppb)

실외 4.3 - 선적장 -

실내 3.2 - 입출입로 3.0

CO(ppm)

실외 0.5 0.3 선적장 1.0

실내 0.5 0.3 입출입로 1.0

BC(ng/m3)

실외 4266.9 4062.4 선적장 14192.8

실내 3098.0 2924.8 입출입로 12321.1

NOx(ppb)

실외 280.6 35.6 선적장 889.5

실내 156.9 40.7 입출입로 245.3

§ 측정 결과

Page 37: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37

디젤 차량 밀집지역 오염도 조사

실측자료를 통한 디젤 차량 밀집지역 오염도 조사

63.15

121.69

22.04 33.33

173.64 164.60

52.78 47.03 46.58

171.60

23.15

64.66

실내-PM10 실외-PM10 실내-PM2.5 실외-PM2.5

상봉 서부트럭 센트럴

실내-PM10 실외-PM10 실내-PM2.5 실외-PM2.5

상봉 63.15 121.69 22.04 33.33

서부트럭 173.64 164.60 52.78 47.03

센트럴 46.58 171.60 23.15 64.66

<단위:ug/m3>§ 측정 결과

Page 38: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38

디젤 차량 밀집지역 오염도 조사

도로변 이격거리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변화

연대 앞 인도(북쪽)

연대 옆 인도 (남쪽)

도로변 이격거리별 노출평가

3m

5m

- 중량식 측정의 경우, 현재 측정 및 분석 진행 중

Page 39: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39

디젤 차량 밀집지역 오염도 조사

도로변 이격거리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변화

도로와의이격거리

PM10 PM2.5 PM1.0

1m 88.2±44.9(30.3~895.1)

29.9±19.7(6.8~114.6)

12.7±11.1(1.99~47.2)

2m 97.1±57.8(39.2~830.0)

35.1±22.5(7.3~82.8)

18.8±14.7(2.8~50.7)

3m 99.6±49.9(35.6~337.5)

36.8±24.2(8.0~96.3)

19.7±16.1(2.7~71.9)

4m 89.9±47.1(29.6~396.9)

28.8±20.1(7.4~103.7)

14.9±13.2(2.6~65.8)

5m 74.9±28.7(30.1~173.8)

23.5±16.6(7.1~75.1)

11.9±11.0(2.7~45.5)

농도(단위 : ug/m3)

이격거리(단위 : m)

도로변 측정 결과 그래프도로변 측정 결과표

- 상관분석 결과 : 모든 입자간 상관성이 유의하게관측되었으며, PM2.5와 PM1.0은 pearson상관계수가 0.973으로 높은 상관성이 나타남.

- 선형회귀분석 결과 : PM2.5의 경우 거리가3m이후에서 1m 멀어짐에 따라 농도가 2.087ug/m3씩유의하게(P<0.000)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남.

도로변 측정 통계분석 결과

Page 40: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40

디젤 차량 밀집지역 오염도 조사

도로상 연료별 추적에 따른 오염물질 농도 변화

<추적조사 차량> <샘플링 위치>

<실시간측정 장비>

Nephelometer (PM), Anthelometer (BC), Chemiluminesence (NOx),Gas filter correlation analyzer (CO),Photometric analyzer (O3)

<Sampling Devices>

Page 41: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41

디젤 차량 밀집지역 오염도 조사

실측자료를 통한 디젤 차량 밀집지역 오염도 조사

[Diesel]

[Gasoline]

Diesel Gasoline P-value

BC(ng/m3) 4745.00 3184.71 0.042

O3

(ppb)18.59 11.38 P<0.001

CO(ppm)

0.29 0.63 P<0.001

PM2.5(ug/m3) 24.45 10.81 0.013

*PM10 and PM1.0 유의한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음

>

>

>

<

Page 42: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42

디젤 차량 밀집지역 오염도 조사

실측자료를 통한 디젤 차량 밀집지역 오염도 조사

[Diesel] [Gasoline]

Diesel Gasoline P-value

NOX 77.27 113.55 0.031

NO 27.22 85.22 P<0.05

NO2 37.99 28.32 P<0.001

<

<

>

Page 43: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43

디젤 차량 밀집지역 오염도 조사

버스전용차로 오염물질 농도 변화

• 조사위치: 도로중앙 버스전용차로, 도로가 인도

- 실시간측정(Nephalometer)

: PM10, PM2.5, PM1.0

- 고정식측정 (Mini-Vol): PM10, PM2.5

Site Time PM10 PM2.5 PM1.0Roadside

9:00 A.M.53.9 18.1 6.1

Center of road

63.3 18.3 6.7

Roadside1:00 P.M.

28.8 12.4 6.8 Center of

road61.8 16.3 5.2

Roadside5:00 P.M.

26.2 9.2 3.6 Center of

road49.0 16.1 4.5

Roadside8:00 P.M.

24.7 10.8 3.8 Center of

road42.9 11.4 4.0

Site Time PM10 PM2.5Roadside

7:30-11:30 A.M.47.0 31.2

Center of road 183.3 73.6

Roadside12:30-4:30 P.M.

23.3 10.1

Center of road 38.2 28.7

Roadside4:30-8:30 P.M.

45.4 24.4

Center of road 72.8 45.4

실시간측정

고정식측정(Mini-Vol)

(ug/m3)

(ug/m3)

*버스전용차로 >> 도로가 인도

Page 44: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44

디젤 차량 밀집지역 오염도 조사

도로중심가 지역 이격거리별 오염물질 농도 변화

<측정데이터-르네상스호텔 사거리 일대>- 측정횟수 : 하루 4지점, 20분씩 5회 반복 측정 * 5회- 측정기간 : 2013년 10월 15일부터 11월 8일까지- 사거리 기준 100m 이내, 100~200m, 300m 이내

이격거리별 미세먼지 농도 변화 측정- 직독식 미세먼지 측정(Dustmate) : PM10, PM2.5,

PM1.0

<측정데이터 - 역삼역 일대>- 측정횟수 : 하루 4지점, 20분씩 5회 반복 측정 * 5회- 측정기간 : 2013년 1월 28일부터 2월 8일까지- 역삼역 사거리와의 이격거리별 미세먼지 농도 변화

측정- 직독식 미세먼지 측정(Dustmate) : PM10, PM2.5, PM1.0

Page 45: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45

디젤 차량 밀집지역 오염도 조사

도로중심가 지역 이격거리별 오염물질 농도 변화

이격거리 PM10(ug/m3) PM2.5(ug/m3) PM1.0(ug/m3)60m 133.1±43.1

(67.9~256.4)74.8±13.4

(48.2~103.1)26.2±4.57

(20.0~35.0)80m 121.1±50.3

(30.7~315.7)60.0±27.7

(21.9~115.7)22.6±9.6

(8.7~64.9)90m 131.9±34.2

(76.8~239.8)81.1±15.5

(21.5~106.8)29.3±5.3

(17.4~39.0)100m 89.2±27.4

(14.7~202.8)46.3±17.0(7.7~89.7)

20.5±9.24(1.6~44.25)

200m 79.2±33.1(11.1~229.4)

33.9±16.7(8.4~53.7)

15.0±8.6(2.0~25.3)

300m 84.7±55.5(11.4~619.0)

43.3±26.9(4.8~107.5)

16.8±10.2(1.4~28.4)

310m 88.9±24.1(51.2~140.8)

56.5±12.7(36.7~95.2)

19.4±3.4(13.5~27.0)

320m 88.9±24.1(51.2~140.8)

56.5±12.7(36.7~95.2)

19.4±3.4(13.5~27.0)

330m 82.1±28.1(14.3~164.6)

45.4±15.1(22.9~77.5)

17.4±6.0(9.2~66.8)

420m 68.5±23.1(31.9~140.3)

33.7±8.5(22.6~54.8)

15.1±5.6(10.2~49.6)

460m 84.8±22.3(48.5~159.4)

56.6±8.0(42.7~78.6)

19.5±2.3(15.4~25.4)

500m 77.9±31.1(13.0~204.9)

36.8±19.8(6.2~79.6)

15.9±10.0(1.6~28.4)

520m 76.5±28.0(33.4~144.8)

33.4±9.1(20.1~84.2)

13.8±2.8(8.1~21.5)

540m 52.4±22.7(20.4~102.9)

25.3±8.0(13.7~42.8)

11.0±3.3(5.8~18.0)

600m 79.5±31.0(11.4~187.9)

36.7±19.1(6.8~63.0)

15.7±9.9(1.3~30.7)

700m 83.6±32.6(6.9~201.0)

40.8±21.9(3.6~69.2)

17.7±11.0(1.4~31.8)

이격거리(단위 : m)

역삼역, 르네상스네거리 측정 결과 그래프역삼역, 르네상스네거리 측정 결과표

1.5배 이상평균차이 확인

농도(단위 : ug/m3)

- 상관분석 결과 : 모든 입자간 상관성이 유의하게관측되었으며, PM2.5와 PM1.0은 pearson상관계수가 0.906으로 높은 상관성이 나타남.

- 선형회귀분석 결과 : PM10의 경우 거리가 1m 멀어짐에 따라 0.117ug/m3(p=0.07)감소하였고, PM1.0의 경우 거리가 1m 멀어짐에 따라0.09ug/m3(P=0.364)씩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유의하지는 않았음.

역삼역, 르네상스네거리 측정 통계분석 결과

Page 46: 발제2 미세먼지 취약직업군의 건강영향

미세먼지와 취약군건강

46

결론

취약집단의 건강영향을 고려한 미세먼지 대응 관리 필요취약집단의 건강영향을 고려한 미세먼지 대응 관리 필요

• 독성/건강/노출영향 -> 즉, 위해성 을 토대로 미세먼지 관리 필요

à 취약집단의 노출득성을 고려한 고려한 대응 체계 개발 필요

• 국내 특성을 고려한 미세먼지 관리 계획 수립 필요

à 미세먼지 노출에 따른 급/만성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정책 방향 추구

• 취약군 대상 모니터링 및 모델링을 통한 상세 기여율 확인

à 취약군에 따른 우선관리 물질 위해관리 정책 도출

• 사전 예방원칙=위해도 관리에 입각한 미세먼지 관리 및 대응 장치 개발

à 입경별 인체영향 및 수용체별 감수성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한

취약집단에 대한 강력한 예방 원칙이 기반이 되어 원천적 방어 기술 개발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