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 년 9 월 5 일 강의 자료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31
국국 국국국 (2006-2) 2006 국 9 국 5 국 국국 국국 국국국국국 국국국국국국

Upload: april

Post on 27-Jan-2016

11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DESCRIPTION

국어 음운론 (2006-2). 2006 년 9 월 5 일 강의 자료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오늘의 학습 목표. 제 1 장 서론 1. 말소리의 정의 2. 음성과 음운 제 2 장 말소리의 생성 3. 발음 기관 개관 4. 발동 과정 5. 발성 과정 6. 조음 과정 7. 오늘의 강의 평가 및 질의. 1. 말소리의 정의. 1.1. 말소리는 어떻게 정의될 수 있을까 ? 책상을 칠 때 나는 ‘쾅’하는 소리는 말소리인가 ? 강아지가 짖는 ‘멍멍’ 소리는 말소리인가 ? 박수치는 소리는 ?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국어 음운론(2006-2)

2006 년 9 월 5 일 강의 자료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

오늘의 학습 목표

제 1 장 서론1. 말소리의 정의2. 음성과 음운

제 2 장 말소리의 생성3. 발음 기관 개관4. 발동 과정5. 발성 과정6. 조음 과정7. 오늘의 강의 평가 및 질의

3

1. 말소리의 정의

1.1. 말소리는 어떻게 정의될 수 있을까 ?

책상을 칠 때 나는 ‘쾅’하는 소리는 말소리인가 ? 강아지가 짖는 ‘멍멍’ 소리는 말소리인가 ?박수치는 소리는 ?혀 차는 소리는 ?여러분이 입을 크게 벌리고 성대를 떨면서 내는 ‘ㅏ’는

말소리인가 ?

4

말소리와 말소리가 아닌 것의 구분 근거는 ?

사람이 만들어낸 소리인가- 강아지가 짖는 소리는 말소리가 아니다 .

- 사람이 성대를 떨어서 내는 소리가 말소리다 .

발음기관을 통해서 만들어진 소리- 무릎 치는 소리 , 가슴 치는 소리 , 방귀 뀌는 소리는

말소리가 아니다 .

5

말소리와 말소리가 아닌 것의 구분 근거는 ?( 계속 )

의미를 가진 소리- 이가는 소리 , 재채기 하는 소리는 말소리가 아니다 .

언어학적 의미를 가진 소리여야- 혀 차는 소리는 우리말의 말소리가 아니다 .

- 어떤 소리가 그 언어의 말소리가 되려면 , 그 언어에서 홀로 혹은 다른 소리들과 어울려서 단어를 만들어내야 한다 .

- ‘ ㅣ’ ‘ㅣ ( 齒 )’

- ‘ ㅏ’ ‘ㅏ버지’

6

‘ 말소리’ 정리 ? ( 교재 4 쪽 )

(1) 말소리란 사람이 발음기관을 통해서 만들어낸 , 언어학적 의미를 가진 소리라고 정의할 수 있다 .

(2) 언어학적 의미를 가진 소리란 그 소리가 혼자서 혹은 다른 소리들과 어울려서 단어를 만드는 데 적극적으로 쓰이는 소리를 의미한다 .

(3) 이러한 이류로 말소리는 언어에 따라서 서로 다른 목록을 가질 수 있다 .

7

1.2. 두 얼굴을 가진 말소리

음성과 음운의 차이

‘ 이마리’ 양과 ‘배우리 군’이 똑 같이 입을 맞추어 책을 읽는다 .

이 두 사람은 같은 소리를 낸 것인가 , 다른 소리를 낸 것인가 ?

같은 소리다 . : 두 사람의 머릿속에 같은 뜻을 나타내는 소리로 인식되었다 .

다른 소리다 . : 물리적으로 두 사람의 소리가 다르다 .

8

음성과 음운의 차이 ( 계속 )

음성 (phone) :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존재 ,

: 음성학 (phonetics)

음소 (phoneme) : 특정 언어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추상적이고 심리적인 존재

: 음운론 (phonology)

9

제 2 장 말소리의 생성

말소리가 만들어지는 과정: 폐에서 생성된 기류가 성대 (vocal folds) 와 성도 (vocal tract) 를

거치면서 만들어진다 . 이 때 성대는 폐에서 올라온 기류를 조절하며 , 성도는 그 모양을 여러 가지로 변형시켜서 성대를 통해 올라온 기류를 특정한 음가를 가진 다양한 소리들로 만들어 낸다 .

말소리가 들리는 과정: 이렇게 생성된 말소리는 입 밖으로 나오면서 가장 가까이에 있는

공기 입자를 움직이게 하고 그 움직임이 다음 입자를 , 그리고 그 입자의 움직임이 그 다음 입자를 차례로 움직이게 하여 결국 말소리가 다른 사람의 귀에 들리게 된다 .

10

발음 기관과 그 명칭

11

2.2. 말소리가 만들어지는 과정 ( 생성 과정 )

말소리 생성의 3 가지 과정- 발동 과정 : 기류의 조달 과정- 발성 과정 : 성대에 의한 기류의 조절- 조음 과정 : 조음 기관을 통한 기류의 변형 과정

발동과정(기류의 조달 )

발성과정(기류의 조절 )

조음과정(기류의 변형 )

말소리 생성

12

말소리의 생성과정

13

2.2.1. 발동 과정

말소리를 만들어 내기 위해 기류를 조달하는 과정

발동과정에 따른 두 가지 소리 분류

- 기류의 발동 장소가 어디인가 ?

- 기류의 방향이 어떤 방향인가 ?

14

부아 날숨 소리

부아 날숨 소리 (pulmonic egressive sound)

: 폐에서 내뿜는 소리 , 즉 기류의 발동 장소가 폐가 되며 , 기류의 방향은 안에서 밖으로 하는 날숨이 된다 . 이러한 발동 과정을 가지는 소리를 부아 날숨 소리라고 한다 .

우리말의 대부분의 소리는 부아 날숨 소리이다 .

15

호사어의 혀 차는 소리 ( 흡착음 )

호사어 (Xhosa) 의 혀 차는 소리는 추상적인 소리 ( 음소 ) 의 목록에 들어간다 .

흡착음은 연구에 의하면 아프리카 대륙 이외의 지역에서는 언어학적 의미를 가지고 사용되는 일이 없다고 한다 .

기류의 방향이 밖에서 안으로 향한다 . 즉 흡착은은 날숨 소리가 아니라 들숨 소리다 .

발동 장소가 폐가 아니라 구강 ( 특히 연구개 ) 이다 .

16

비 부아 날숨 소리 (Nun-pulmonic)

http://hctv.humnet.ucla.edu/departments/linguistics/VowelsandConsonants/course/chapter1/chapter1.html

17

방출음 (ejective)

기류의 발동 장소가 성문성문을 닫아서 기류가 폐로 이어지지 않게 하고 구강의

일부를 막아 기류를 가둔다 . 이 상태에서 후두를 올리면 구강의 공간이 작아지고 압력은 높아진다 .

그리고 구강 폐쇄를 개방하면 기류 역학에 의해 자연스런 날숨 , 즉 방출음이 된다 .

( 예 ) 놀랐을 때 , ‘ 허 ~ ㄱ’

18

내파음 (implosive)

기류의 발동 장소가 성문성문을 닫아서 기류가 폐로 이어지지 않게 하고 구강의

일부를 막아 기류를 가둔다 . 이 상태에서 후두를 내리면 구강의 공간이 커지고 압력은 낮아진다 .

그리고 구강 폐쇄를 개방하면 기류 역학에 의해 자연스런 들숨 , 즉 내파음이 된다 .

( 예 ) 밥 , 먹 , 닻 , 등의 마지막 자음

19

2.2.2. 발성 과정

발성 과정이란 성대에서의 기류 조절 과정을 말한다 .두 성대를 멀리 떨어뜨리고 성문을 완전히 열어서

기류를 흐르게 하거나 ,두 성대를 완전히 붙이고 성문을 꽉 닫아서 기류가

전혀 흐르지 못하게 하거나 ,혹은 성대를 붙였다 떨어뜨렸다 진동 ( 유성음 )

시키면서 기류를 내보냈다 막았다를 반복

20

유성음 (voiced sound)

발성 과정에서 성대의 진동을 동반 하는 소리

유성음은 다시 성대의 진동 유형에 따라서 유성음 (normal voice, modal voice) 과 숨소리 (breathy voice), 그리고 짜내기 소리 (creaky voice) 로 나뉜다 .

보통 유성음은 성대의 진동이 성대 전체에서 일어난다

유성음

보통 유성음

숨소리

짜내기 소리

21

유성 자음과 무성 자음

자음은 기류가 구강의 중앙 통로에서 방해를 받으면서 만들어지는 소리의 무리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면서 나는 자음을 유성 자음 (뒤에 설명 ) ‘ ㄴ’ , ‘ ㄹ’ , ‘ ㅇ’ , ‘ ㅁ’ (‘ 노란양말’ )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지 않고 나는 자음을 무성 자음( 뒤에 설명 ) ‘ 노란양말’을 뺀 나머지 자음

22

한국어의 기식음 , 긴장음

기식음 : 폐쇄음의 개방으로 기류가 방출되고 난 뒤에 후두에서 난기류 (turbulence airflow) 가 생성되는 것

기식 (aspiration) 의 정도를 나타내는 기식성에 의해서 기식성을 가진 격음과 기식성을 갖지 않은 평음 , 격음으로 분류된다 .

한국어의 양순 폐쇄음 체계

[p] [ph] [p’]

23

2.2.3. 조음 과정 (aspiration)

조음 과정이란 성대에서 조절된 기류가 성도를 지나면서 겪게 되는 기류의 변형 과정을 말한다 . 같은 발동 , 발성 과정을 통해 조달되고 조절된 기류라도 성도에서 이루어지는 변형과정을 거치면서 아주 다른 질의 소리가 된다 .

24

2.2.3.1. 자음 (consonants)

자음이란 기류가 구강의 중앙 통로에서 방해를 받으면서 만들어지는 소리의 무리

따라서 기류의 방해가 일어나는 장소와 방해의 종류에 따라서 명칭이 정해짐

조음 위치 (place of articulation) – 기류의 방해가 일어나는 장소

조음 방법 (manner of articulation) – 기류의 방해가 일어나는 방법

25

조음 위치

자음은 조음 위치에 따라서 양순음 , 순치음 , 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경구개치경음 ), 전경구개음 (치경경구개음 ), 권설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성문음으로 나뉜다 .

양순음 ( 이하 교재 22 쪽 -25 쪽 )

26

국어의 자음

27

국제 음성 자음

28

조음 방법

자음은 기류가 구강의 중앙 통로에서 일어나는 방해의 정도에 따라서 다막음 소리와 덜막음 소리로 크게 나뉜다 .

다막음 소리는 구강에서 기류를 완전히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

덜막음 소리는 성도의 한 부분을 좁혀서 그 좁아진 통로로 기류를 통과시켜서 내는 소리

이하 교재 (25 쪽 -28 쪽 )

29

조음 방법에 따른 자음의 분류

조음시 성도의 일부가 막히는가 예 아니오 자음 모음

완전히 막히는가 예 아니오 다막음 소리 덜막음 소리 비강 통로가 차단되었나 난기류가 형성되는가 예 아니오 예 아니오 구강 다막음 소리 비강 다막음 소리 마찰음 접근음 다막음이 일회적인가 예 아니오 폐쇄음과 탄설음 전동음 지속시간이 아주 짧은가 예 아니오

탄설음 폐쇄음

30

모음의 조음

모음은 폐에서 올라온 기류가 성도를 통과할 때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만들어지는 소리

모음은 혀의 고저와 전후 위치 , 그리고 입술 모양 ( 입술의 돌출 여부 ) 등이 가장 중요한 세가지 구분 변수이다 .

31

모음 사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