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24
우면산 민관합동 T/F 8차 회의자료 2012. 5. 4 서 울 특 별 시 도시안전실

Upload: kysnyou

Post on 14-Jan-2015

199 views

Category:

Documents


1 download

DESCRIPTION

 

TRANSCRIPT

Page 1: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우면산 민관합동 T/F 8차 회의자료

2012. 5. 4

서 울 특 별 시

도시안전실

Page 2: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Page 3: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우면산 산사태 민관합동 T/F 회의(8차) 개요

회의개요

○ 일 시 : '12. 5. 4(금), 07:30~09:30

○ 장 소 : 서소문별관 후생동 3층 ‘난실’

○ 참 석 : 총 14명 (위원장 : 행정2부시장)

∘ 내 부 : 도시안전실장, 도시기반시설본부장, 시설안전정책관, 시설국장,

도시안전과장, 하천관리과장, 토목부장

∘ 외 부 : 홍원표․박창근․박재현․염형철․서재철․이종훈 위원

※ 시정개발연구원 이석민 박사

회의안건

○ 우면산 복구공사 및 예방사업

○ 우면산 산사태 원인조사 추가 및 보완조사

○ 사면 전수조사 등

진행순서

시 간 내 용

07:30~07:35 ( 5') ∘위원장 인사말씀 (행정2부시장)

07:35~07:50 (15') ∘6차회의 결과 및 7차회의 안건 보고 (도시안전과장)

07:50~08:20 (30') ∘조찬 및 환담

08:20~09:25 (65') ∘회의안건 토의 및 향후 계획 결정

09:25~09:30 ( 5') ∘위원장 마무리 말씀 (행정2부시장)

Page 4: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Page 5: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목 차

1. T/F 7차 회의 결과(4.30) ································ 1

2. 원인 추가․ 보완 조사 ·········································· 2

3. 우면산 복구설계의 적정성 및 과다설계 검토·········· 9

4. 산사태 모니터링 및 계측시스템 도입 ············ 10

5. 공군부대 복구공사 공정과 병행 추진 및 협의···· 12

6. 우면산 소나무 식재계획 ···································· 13

7. '12년 우면산 예방사방사업 ······························· 15

8. 예방사방사업 계약 방법 제도개선 검토 ········ 17

9. 사면 전수조사 추진현황 및 T/F 참여방안 ··· 18

10. 민관합동 T/F 해외출장 ··································· 19

별첨. 사면 전수조사 추진현황 및 T/F 참여방안

Page 6: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 1 -

1. 민관합동 T/F 7차 회의 결과(4.30)

회의개요

○ 일시/장소 : '12. 4. 30(월) 07:30 / 후생동 3층 ‘난실’

○ 참 석 : 총 15명 (위원장 : 행정2부시장)

※ 외부위원(5명) : 박창근․홍원표․염형철․서재철․이종훈 위원

회의결과

○ 우면산 복구공사 및 예방사업

- 복구설계의 적정성 및 과다설계 여부 검토 필요

- 소나무는 천근성 수종이고 대기질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등 우면산

에는 적합하지 않으므로 식재계획 변경 필요

- 지반의 이동 및 지하수위 변동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계측시스템,

카메라 설치 및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예방사방사업은 복구공사와 연계하여 병행 추진하여야 하므로 공정

및 일정관리 필요

- 수리수문 및 지하수 흐름 분석에 대한 설계자료 제출

- 공군부대 복구공사 공정과 병행 추진 및 긴밀한 협의 필요

○ 사면 전수조사

- 세부적인 추진일정, 진행상황, 조사방법, T/F 역할 및 참여방안 등을

명확히 하여 차기 회의에서 보고

○ 기타사항

- 사방사업, 전수조사 발주 및 계약 관련 법령․제도 개선사항 검토

Page 7: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 2 -

2. 우면산 산사태 원인 추가․보완 조사

1 추진배경

○ 한국지반공학회 우면산 산사태 원인조사 ('11. 7~9월)

- 집중호우, 배수로 막힘, 수목전도, 붕적토층 포화 등이 주요 원인

○ 일부 전문가, 시민단체 산사태 원인 재조사 요청 ('11.11.17, 12.23)

- 공군부대 등 인재 부분 누락, 산사태 발생 총 12개소 중 4개소만 조사,

연구진 구성 부적절, 조사방법 부실 등

○ 민관합동 T/F 추가․보완조사 시행 및 추진방법 결정 ('12. 1~3월)

- 조사단 구성, 조사방법, 외국전문가 자문, 공청회 등 결정

2 추진방향

○ 추가․보완조사 추진의 전문성을 기하고 조사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도시안전실에서 추진

○ 민관합동 TF의 결정에 따라 조사단 및 자문단을 구성․운영하고

전문가토론회, 시민토론회 및 공청회 등을 통해 의견 수렴

○ 조속한 원인조사를 위해 시정개발연구원에 수의계약으로 시행하되

대한토목학회와 공동으로 시행

Page 8: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 3 -

3 추진계획

□ 조사개요

○ 조사대상 : ‘11년 우면산 산사태 발생지 전역(총 12개소, 69만㎡)

- 한국지반공학회 원인조사 누락지 8개소, 미흡지 4개소

※ 참고 1. 우면산 산사태 원인 추가․보완조사 대상지

○ 조사기간 : 2012. 5월~10월 (6개월)

- 현장조사 2개월, 해석 및 시뮬레이션 2개월, 의견수렴 및 자문 2개월

○ 조사주체 : 시정개발연구원, 대한토목학회

○ 소요예산 : 573백만원

□ 조사단 구성

○ 구성원칙

- 조사단은 T/F와 서울시에서 추천한 연구진 중 사면안정․토석류․

수리수문․산림․암반․지질․환경 분야 전문가로 구성

○ 조사단 구성 : 총 14명 (조사단장 : 서울대학교 김명모 교수)

- 서울시 시정개발연구원 2명, 분야별 전문가 12명

※ 참고 2. 우면산 산사태 원인 추가․보완조사단 프로필

○ 자문단 구성․운영

- 민관합동 T/F위원, 유관분야 전문가 등으로 자문단을 운영

- 자문단은 전문가토론회, 시민토론회, 공청회 등 참여

Page 9: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 4 -

□ 조사 추진방안

○ 산사태의 중요원인이 될 수 있는 지역 정밀조사

- 과거 재해지역, 공군부대 영향지역, 터널발파 영향지역, 기타 인공

시설물 설치지역 등

○ 산사태 발생 당시 데이터 활용

- 긴급 복구공사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우면산 사고 당시 정부기관,

관련 학회 및 연구기관 조사 자료 활용

○ 공학적인 분석 및 평가

- 산사태(토석류 포함) 발생 및 이동특성에 대한 수치․영상 분석 및

재해위험도 평가

○ 기존 데이터 활용

- 조사의 효율성을 위하여 복구설계 지형․지질조사 자료, 민관합동

T/F 복구설계 보완팀 지반조사 및 토질시험 자료 등 활용

□ 조사결과 신뢰성 확보방안

○ 시민사회 및 전문가 의견수렴

- 서울시와 조사단이 주관하는 전문가토론회, 시민토론회, 공청회를

개최하여 피해주민, 시민사회 및 전문가 의견 수렴

구 분 추진 시기 비 고

전문가토론회 조사 착수단계 (5월) 조사방법 및 절차 등 자문

시 민 토 론 회 현장조사 완료 단계(6~7월) 중간발표, 의견수렴

공 청 회 조사 마무리 단계(9~10월) 조사결과 검증

○ 외국전문가 자문

- 조사결과 검증을 위하여 권위있는 외국전문가를 직접 초청하여 자문

Page 10: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 5 -

참고1 우면산 산사태 원인 추가 ․보완조사 대상지

□ 조사대상 : ‘11년 우면산 산사태 발생지 전역(총 12개소, 69만㎡)

- 한국지반공학회 원인조사 누락지 8개소, 미흡지 4개소

연 번 지 역 면적(㎡) 비 고

합 계 690,000

1 래미안, 임광아파트 74,000

보완조사2 신동아아파트 51,900

3 형촌마을 84,400

4 전원마을 41,600

5 보덕사, 앞윗마을, 한국회교협회 111,300

추가조사

6 송동마을 130,700

7 우면산 터널 14,400

8 EBS 방송국 15,800

9 관문사 및 암산마을 29,900

10 강남교회 및 양재자동차학원 23,200

11 대성사 및 예술의 전당 72,700

12 덕우암 40,100

Page 11: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 6 -

참고2 우면산 산사태 원인 추가 ․보완조사단 프로필

성 명(생년월일) 소속(전공) 주 요 경 력 연락처

김명모서울대

(사면안정)

-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 콜로라도대 지반공학 박사

010-6247-7348

880-7348

[email protected]

정상섬

(60.12.13)

연세대

(토질 ․기초)

-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교수

- ISSMGEㆍTC-212 Deep Foundation,

Vice Chairman

- Texas A&M University 토목공학(박사)

- 연세대학교 토목공학과(학사)

019-362-4074

02-2123-8383

[email protected]

윤찬영

(75.09.05)

강릉원주

대학교

(토질)

- 강릉원주대학교 토목공학과 조교수

-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편집위원

- ISSMGE Corresponding Member of the Student and Young Member Presidential Group

- 서울대학교 박사(토질)

010-5298-2635

033-640-2423

[email protected]

임상준서울대(산림)

- 서울대 산림과학부 교수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010-7113-6712

880-4759

[email protected]

김민식(69.09.13)

사방협회(산림수문)

- 사방협회 연구개발실 실장

- 나고야대학 박사(산림수문학)

- 산림공학기술연구회 기술상

- 농림수산식품부장관 표창장

010-9596-7118

02-966-4804

[email protected]

홍태식(57.11.18)

청산기술사사무소

(환경․조경)

- 청산기술사사무소 대표

- 환경기술사회 자연환경기술사회장

- 단국대 대학원 생명자원과학과

환경조경학 박사

- 서울대학교 조경학과 학사

010-9579-8895

031-790-0620

[email protected]

Page 12: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 7 -

성 명(생년월일) 소속(전공) 주 요 경 력 연락처

문영일서울

시립대(수공학)

-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email protected]

옥 치 남

(48.03.05)

사면재해

경감협회

(사면안정)

- 사면재해경감협회부회장

- 오름엔지니어링 대표이사

- 동아대학교 공학박사(토질및기초)

011-550-8912

051-504-8912

[email protected]

박상덕

(60.09.15)

강릉원주

대학교

(수공학)

- 강릉원주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 수충부 및 토석류 방재기술연구단장

- 연세대학교 (박사)

010-3362-8216

033-640-2417

[email protected]

이승우

(64.08.27)

강릉원주

대학교

(지반)

- 강릉원주대학교 토목공학과 부교수

- 녹색기술산학협력중심사업단장

- 한국도로학회 이사

- 미국펜실베니아주립대학 (박사)

- 뉴욕주립대학 (석사)

010-4725-7415

033- 640-2419

[email protected]

박연준

수원

대학교

(암반)

- 수원대학교 토목공학과 부교수

- 한국암반공학회 총무이사

- University of Minnesota (박사)

- 서울대학교(석사)

- 서울대학교(학사)

010-5475-2974

031-220-2580

[email protected]

이진한

고려

대학교

(지질)

-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교수

- Geosciences Journal 편집위원장

- 원자력안전전문위원회 위원

- 뉴욕주립대 이학박사(구조지질학 )

010-5245-3175

02-3290-3175

[email protected]

Page 13: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 8 -

성 명(생년월일) 소속(전공) 주 요 경 력 연락처

유기영(64.12.07)

시정개발연구원(환경)

- 안전환경연구실 실장

- 도시환경연구부 부장

-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과 박사

010-4321-7729

2149-1157

[email protected]

원종석(68.09.15)

시정개발연구원(지질)

- 안전환경연구실 연구위원

- 연세대학교 박사(수리지질학)

- 연세대학교 석사(응용지질학)

- 연세대학교 학사(지질학)

010-4711-1182

2149-1299

[email protected]

Page 14: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 9 -

3. 우면산 복구설계의 적정성 및 과다설계 검토

□ 과다설계 검토경위

○ '11.12. 2 ~ 12 : 계약심사 시행

○ '12. 3. ~ 4. : 설계도서 검토(품셈 및 일위대가 적정성 검토 - 감리)

○ 공사의 계약은 일반경쟁입찰의 낙찰율 적용 계약

□ 설계 적정성 검토경위

○ 2011. 11. 21 : 소방방재청 사전심의 ⇨ 재심의

○ 2011. 12. 26 ~ 28 : 산림공학회 설계 및 시공 자문

▸참 석 자 : 이준우교수(충남대), 전근우교수(강원대), 임재은기술사등10명

▸자문내용 : 공구별 현장점검 및 설계, 시공의 적정성 검토 자문

○ 2012. 01. 10 ~ 11 : 사전심의 보고서 및 녹화계획 자문

▸참 석 자 : 이준우교수(충남대), 전근우교수(강원대), 박종민교수(전북대) 등8명

▸자문내용 : 공구별 현장점검 및 설계, 시공의 적정성 검토 자문

○ 2012. 01. 25 : 사전심의 보고서 및 녹화계획 자문 2차

▸참 석 자 : 이준우교수(충남대), 백중철교수(강릉원주대), 김성준교수(건국대) 등9명

▸자문내용 : 사전심의 보완 및 녹화계획 자문

○ 2012. 2월 ~ 4월 : 우면산 T/F팀 실시설계 검토 및 보완(홍원표 교수 주관)

▸ 검토결과 : 여러 가지 측면을 고려할 때 신뢰할 수 있음.

○ 2012. 04. 13 : 소방방재청 사전 재심의 ⇨ 조건부 가결

Page 15: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 10 -

4. 산사태 모니터링 및 계측시스템 도입

□ 산사태 모니터링 및 예․경보 시스템 시범 구축 계획

○ 추진목적 : 사면 전수조사를 기반으로 구축된 DB를 토대로 종합적

사면정보 관리시스템 구축

< 산진 전수조사 용역 개요>

◇ 용 역 명 : 산지전수조사 및 산사태 피해저감시스템 구축용역

◇ 용역기간 : '11.12 ~ '13.12

※ 1단계 : '11.12 ~ '12.9, 2단계 : '12. 4 ~ 12, 3단계 : '13. 2.~12

◇ 사 업 비 : 72억원

◇ 용역목적

- 서울시내 사면 전수조사를 통하여 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하고 산사태

피해저감시스템(관리, 모니터링, 예경보)을 구축

○ 추진방법

- 국내외 산사태 모니터링 및 예․경보시스템 구축 사례 분석

▸ 모니터링 계측기 선정 및 계측간격, 측정빈도 등

- 산사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예․경보시스템 구축과 관련

산림청, 소방방재청, 국립산림과학원 등 타 기관과의 정보연계를 통한

중장기적 로드맵 마련 추진

※ 우면산 계측시스템 도입 계획 - 국립산림과학원과 협의 중

- 시스템에 대한 유지관리 및 발전방향 제시

Page 16: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 11 -

□ 금년 우기대비 계측시스템 설치

○ 서울시 사면에 대해 산사태 모니터링 및 예․경보시스템 구축을

추진 중이나 도입까지 장기적 추진 필요

○ 우면산 지역에 지반거동을 확인 가능한 카메라, 비탈면 변위계 등

단순계측 시설 우선설치 관리 필요 (종합모니터링 연계시스템 제외)

- 대상지역 : 기존사면 7개소, 보강공사지역 8개소

※ 대상 개소수는 세부 검토를 거쳐 선정

□ 추진실적 및 향후 계획

○ `12. 1.16 : 국립산림과학원과 서울특별시 간 협약 체결

※ 산사태 등 도시형 산림재해 관련 산림재해 발생 기작 관련 연구

및 사면 전수조사 관련 정보교환 분야 등에서 상호 협력

○ `12. 5. : 우면산 계측시스템 설치 협의 (국립산림과학원)

○ `12. 5.~ 9. : 사면 유지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보전략계획(ISP) 수립

○ `12.10. : 산사태 모니터링 및 예․경보시스템 시범 구축 계획 수립

○ `13.12. : 산사태 모니터링 및 예․경보시스템 시범 구축

※ 설치 사업비 : 4억원 (2억원/개소×2개소)

< 국립산림과학원 연구 계획>

◆ 용 역 명 : 도시생활권 산지 토사 재해방지 시스템 개발 연구

◆ 용역기간 : 2012 ~ 2014

◆ 주요 과업내용

- 산지 토사재해 재현 실내 및 현장 실험(2012~2014)

- 조기 감지 장비 및 시스템 개발(2012)

- 조기 감지 시스템 현장 적용(2013)

※ 서울시 우면산(사방공사구역 외) 및 지방 1개소

- 조기 감지 시스템 모니터링 및 평가(2014)

Page 17: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 12 -

5. 공군부대 복구공사 공정과 병행 추진 및 긴밀한 협의

□ 공군부대 복구공사 개요

○ 공사기간 : 2011.12.27 ~ 2012.6.26

○ 사 업 비 : 3,034,628천원

○ 시 공 사 : ㈜ 덕영기업(대표 최민)

□ 그 간 추진 사항

○ 서울시는 우면산 산사태 복구 추진과정에서 연접 공사구간(상부 공군

부대, 하부 하수관거 개량) 발주부서와의 연계를 위해 '11.9.9.부터 매주

08:00 종합상황실 주간공정보고회를 통해 협의

○ 공군부대 수시 방문을 통해 공군부대에서 내려오는 물 및 산에서 내려오는

물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단계에서 부터 지속적인 협의

실시

○ 아울러 시공 단계 중 공정률 검토 및 문제점 공유 등 유기적인 협조

체계 유지

□ 공군부대 공사 추진현황(2012.4.30현재)

○ 전체 공정율 : 53%

- 예산확보 문제로 다소 지연되었으나 우기 전(5월말) 완공에 문제없음

○ 주요 공종별 추진현황

주요공종 총 수량 공사완료 남은 공정 공정율

쇼일네이공 939공 470공 469공 50%

우배수로 1,500m 855m 645m 57%

녹생토 14개소 4개소 10개소 28%

Page 18: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 13 -

6. 우면산 소나무 식재계획

□ 소나무 식재 경위

○ 산림과 숲의 이상적인 형태는 다층구조로 토양세굴 침식방지용 자양

성분제공 등 초본류와 관목류, 아교목, 교목성 수목으로 구성된 혼합수림임

○ 우면산의 수림조성계획은 토사유출 방지와 경관성을 고려하여, 심근

성과 활엽수를 주종으로 하고 소나무와 상수리, 팥배나무, 때죽나무,

단풍나무 등 우면산에서 자생하고 있는 수종으로 선정해 일조량이 풍

부한 남사면, 개활지 등에 다층구조 혼합수림으로 조성코자 하였음

○ 소나무 식재 현황

구 분 총 식재계획

소나무 식재

(4년생 수고 1m내외) 잔량식재계획

계획 식재 잔량

1공구

래미안, 임광7종

(7,520주)2,610

577

(22.1%)2,033

현장여건에 따라

소나무식재 수량 조정

전원마을7종

(7,225주)1,390

424

(30.5%)966 기 현장 반입 계획대로 시공

2공구신동아,

보덕사

8종

(12,963주)2,791

2,610

(93.5%)181 기 현장 반입 계획대로 시공

3공구형촌마을,

생태공원

6종

(4,758주)500

500

(100%)0 -

□ 향후 식재계획

○ 기 현장 반입이 완료 된 소나무 1,147주 (1공구 : 966주, 2공구 : 181주)는

계획대로 시공

○ 그 외 소나무 추가 식재는 지양 하고, 당초 우면산에 계획 된 상수리,

팥배나무, 때죽나무 등으로 변경 식재

※ 대부분 낙엽수로 식재되어겨울철푸르른경관을 요구하는 지역주민들의

민원발생 우려가 있음

Page 19: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 14 -

참고자료

우면산 산사태 복구에 따른 녹화추진 현황

질문요지

소나무는 천근성 수종이고 대기질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등

우면산에는 적합하지 않으므로 식재 계획변경 필요

□ 우면산에 소나무가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에 대하여

○ 소나무는 우리나라 대표 향토수종으로 침엽수 중 은행나무 다음으로 크는 수종으로,

최대직경 2m, 높이 25m정도에 이르며 최고수령은 400~500년으로 추정 됨.

○ 소나무는 삼나무, 주목, 전나무와 함께 침엽수종 중 대표적인 심근성 수종임

(산림청 훈령 제1012호, 지속가능한 산림자원 관리지침)

○ 우면산 산사태의 토사유출방지용 수목은 소나무, 상수리, 팥배나무, 때죽나무,

단풍나무 등 우면산에서 자생하고 있는 수종을 혼효식재 적용.

○ 대기질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등 우면산에의 소나무 식재수종이 적합하지

않는다는 내용은 산림의 효용성 ․ 적정성 등 수광량이 양호한 남사면, 개활지 등에

적정배치 식재 하였으며, 도시내 환경림과 차별화된 산림환경이 열악하지

않는 산림인 점과 소나무 묘목 4년생의 수고는 1m내외로 1공구 25%식재,

2공구 93%식재, 3공구 100% 계획식재 완료하였음.

○ 우면산은 폭우에 의한 산림훼손지 복구과정으로 천이 과정상 인위적녹화를

통하여, 서울시민의 안전과 경관 창출에 주안점을 두고 복원하는 사업임.

○ 산림과 숲의 이상적인 형태는 다층구조로 토양세굴 침식 방지용 등 초본류와

관목류, 아교목, 교목성 수목으로 구성된 혼효림으로 조성하는 것이 산림복원의

최대 지름길임.

○ 2 ․ 3공구의 경우 소나무 묘목에 대하여 계획대비 96%이상 식재완료 하였는 바,

수광량이 양호한 남사면, 개활지 등에 다층구조 혼효림이 조성될 수 있도록

산림복구에 최대 노력을 경주하여 우기에 대비하겠음.

Page 20: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 15 -

7. '12년 우면산 예방사방사업

□ 사업개요

○ 사업규모 : 추가호지 10개소, 사면보강 8개소

○ 사 업 비 : 총 8,251백만원(설계 351백만원, 공사 7,900백만원)

□ 추진경위

○ 추가예방사업 추진계획통보(공원녹지국 → 도기본)

- ‘12.04.03 : 추가공사 시행통보(수의계약)

- ‘12.04.12 : 예비비사용 시장방침 통보

○ 설계용역 계약추진

- ‘12.04.04 : 관련업체간 이견 조정회의(토목부장, 산림조합, 전문업체)

▷ 산림조합과 수의계약 체결(사면보강은 전문업체 하도급계약 형태로 추진)

▷ 과업은 계약전 우선시행 - 측량 등 추진(산림조합, 전문업체)

- 이견조정회의 결과를 토대로 ‘12.04.16 산림조합과 설계용역 수의계약 완료

□ 현재까지 설계용역 추진사항

○ 산림조합 : 추가호지10개소 현지측량 완료후 설계도서 작성 중

- ‘12.05.07 : 기존 1,2,3공구 시공사와 시공계획협의 예정

○ 사면보강전문업체 : 사면보강 8개소 현지측량 완료후 설계도서 작성 중

- ‘12.04.30 : 전문업체 현장협의 → 평면도, 위치 등 현장확인

※ 조속설계, 시공성 확보요청

□ 향후 추진계획

○ ‘12.05.09 : 산림조합과 전문업체간 하도급계약 완료(공고절차 진행 중)

○ 추가호지 10개소 : ‘12.06.05까지 설계완료, ‘12.06.30까지 시공완료

○ 사면보강 8개소 : ‘12.06.15까지 설계완료, ‘12.09.30까지 시공완료

Page 21: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 16 -

<시공계획> - 사면보강 전문설계업체 제시일정

- ‘12.05.10 ~ ‘12.05.30 : 자재준비(설계중)

- ‘12.05.20 ~ ‘12.06.30 : 장비반입 가설도로설치(수목제거 및 성토 등)

- ‘12.06.20 ~ ‘12.07.20 : soil nail시공

- ‘12.07.21 ~ ‘12.09.25 : 억지말뚝 및 트렌치 시공

- ‘12.09.05 ~ ‘12.09.30 : 사면 및 가도복구, 공사완료

※ 우기중 시공불가 하므로 소규모 장비로 신속한 시공이 가능한 방안 검토 필요

- 설계과정에서 검토

Page 22: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 17 -

8. 예방 사방사업 계약 방법 제도개선 검토

□ 사방사업 시행 현황

○ 산사태 및 토석류 등 재해발생시 긴급복구를 위해 수의계약 공사시행

-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 산림법인이 2개이며 영세업체로 공사 수행능력이 부족

하여 대부분 산림조합이나 산림조합중앙회와 수의계약하여 시행

※ 일반 공개경쟁으로 발주하여도 산림사업법인은 영세하고 대부분 지방업체로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있음

□ 문제점

○ 사방사업을 일반 공개경쟁 입찰 시

- 건설산업법 시행령 제7조 건설업의 업종 및 업무내용 등에 명시되지 아니한

건설공사에 관한 건설업종의 구분은 해당 공사의 시공에 필요한 기술 재료 시

설 장비 등의 유사성에 따라 구분하여 입찰 참가가 가능하나

-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사방사업은 산림사업 법인, 산

림조합, 산림조합중앙회만 입찰 참가 가능

○ 사방사업을 수의계약으로 입찰 시

- 사방사업을 산림조합중앙회나 산림조합에 위탁할 수 있는 법 규정을 준용하여

수의계약에 의한 공사를 독점

※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제25조 제1항 제8호 사목

다른 법령에 따라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사업을 위탁받거나 대행할 수 있는 자와 해당 사

업에 대한 계약을 하는 경우 ⇨ 산림조합의 수의계약 근거

□ 제도개선 (법률 개정 추진)

○ 산림자원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3조 및 제24조 삭제

- 사방사업 참여업체 제한사항을 없애고 기술력을 보유한 업체가 일반 공개졍쟁을

통해 참여할 수 있도록 법률 제 24조 삭제

- 산림조합중앙회나 산림조합에 대행 또는 위탁할 수 없도록 법률 제23조 삭제

Page 23: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 18 -

9. 사면 전수조사 추진현황 및 T/F 참여방안

<시정개발연구원 이석민 박사 발표>

※ 발표자료 별첨

Page 24: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 19 -

10. 민관합동 T/F 해외출장

□ 해외출장 개요

○ 추진목적 : 해외 선진 '도시사방 및 산사태 예방시스템' 벤치마킹

○ 출장내용

- 해외 산사태 피해 및 복구현장, 선진 산사태 관리기관 방문

- 6월에 캐나다에서 개최되는 국제 산사태 심포지움(ISL)에 참여

○ 해외출장 일정 및 출장팀 구성(안)

- 아시아, 유럽, 구미권역으로 3개팀 구성 및 5월~6월까지 순차적 추진

- 아시아팀은 일본․홍콩, 유럽팀은 이태리․스위스, 구미권은캐나다․미국의

산사태 현장 및 기관 방문

< 해외출장 방문국가 및 일정(안) >

방문지역 시 기 방문 내용

아시아

(일본, 홍콩)5. 7 ~ 5.11

산사태 피해, 복구, 관리 현장 방문

정부기관, 연구소, 민간기구방문

유럽

(이태리,스위스)5.22~5.26(예정)

산사태 피해, 복구, 관리 현장 방문

정부기관, 연구소, 민간기구 방문

구미

(캐나다, 미국)6월

정부기관, 연구소 및 사무소 방문(USGS 등)

국제 산사태 심포지움(ISL) 참여 (6.3~6.8)

< 해외출장팀 구성(안) >

구 분 T/F 위원 서울시(시정연)

아시아팀 - 도시안전실, 공원녹지국, 시정연 등

유럽팀 박창근 교수 도시안전실, 도기본, 시정연 등

구미팀 홍원표 교수 도시안전실, 공원녹지국, 도기본, 시정연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