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11 핀란드개황

132
핀란드 지도

Upload: drtravel

Post on 02-Jul-2015

555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지도

Page 2: 2012.11 핀란드개황
Page 3: 2012.11 핀란드개황

목차

I. 개 관1. 일반 사항 ······························································································· 32. 국가 상징 ······························································································· 53. 국가 경쟁력 ···························································································· 8

II. 약 사1. 선사 시대 ····························································································· 132. 스웨덴 왕국 시대(1150~1809) ··························································· 133. 제정 러시아 자치 공국시대(1809~1917) ············································ 154. 핀란드 공화국 시대(1917 독립이후~현대) ·········································· 15

III. 정 치1. 정치 제도 ····························································································· 232. 정치 정세 ····························································································· 393. 정당 정치 ····························································································· 43

IV. 외교 및 국방1. 외교정책 기조 ······················································································· 512. 분야별 외교정책 ··················································································· 533. 지역별 외교정책 ··················································································· 584. 국 방 ······························································································· 60

V. 경 제1. 개 관 ······························································································· 652. 1990년대초 경제위기 극복 및 최근 경제동향 ······································ 673. 중장기 경제전망 ··················································································· 694. 핀란드 경제의 주요특징 ······································································· 70

VI. 사회 및 문화1. 사회 복지 ····························································································· 812. 노사정 협력 ·························································································· 873. 교 육 ····························································································· 884. 언 론 ····························································································· 935. 문 화 ······························································································· 96

Page 4: 2012.11 핀란드개황

VII. 한-핀란드 관계1. 외교 관계 ··························································································· 1032. 경제 관계 ··························································································· 1053. 민간 교류 ··························································································· 1084. 고위인사 교류 ····················································································· 112

VIII. 참고사항1. 주요인사 인적사항 ·············································································· 1192. 내각 구성 ·························································································· 1223. 핀란드-북한 관계 ·············································································· 1234. 핀란드 관련 참고도서 및 홈페이지 ···················································· 125

Page 5: 2012.11 핀란드개황

I. 개 관

Page 6: 2012.11 핀란드개황
Page 7: 2012.11 핀란드개황

Ⅰ. 개관

3

1. 일반 사항

◦ 국명 : 핀란드 공화국(Republic of Finland) * 핀란드어 : Suomen Tasavalta(약칭: Suomi)

◦ 수도 : 헬싱키(Helsinki, 59.6만명)- 주요도시 : Espoo(25.2만명), Tampere(20.4만명), Vantaa(20.3만명),

Turku(17.4만명), Oulu(12.8만명) 등◦ 면적 : 338,145km2(한반도의 약 1.5배, 삼림 69%, 호수 10%)◦ 인구 : 540만명(2011.12월)

※ 인구증가율 : 0.4%※ 평균수명 : 남자 75.5세, 여자 82.3세

◦ 언어 : 공용어 - 핀란드어(91.64%) 및 스웨덴어(5.5%) 통용어 - 러시아어(0.75%) 및 Lappish(0.03%) 등◦ 종교 : 루터교(81.7%), 정교(1.1%), 기타 종교(1.1%), 무종교(14.7%)◦ 정부형태 : 의원내각제형 이원집정부제

※ 국민연합당, 사회민주당, 좌익연맹, 녹색당, 스웨덴인당, 기독민주당 등 6개 정당이 연정 형성하여 내각 구성

◦ 국회 : 단원제, 임기 4년, 총 200석※ 2011.4 총선 실시(제36대 국회)

◦ 주요인사

- 대통령 : 사울리 니이니스뙤(Sauli Niinistö)※ 국민연합당 소속, 2012.3 취임(임기 6년)

- 총 리 : 유르끼 까따이넨(Jyrki Katainen) ※ 국민연합당 소속, 2011.6 취임

- 외교장관 : 에르끼 사카리 뚜오미오야(Erkki Sakari Tuomioja) ※ 사회민주당 소속, 2011.6 취임◦ 독립일 : 1917.12.6 러시아로부터 독립

Page 8: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4

◦ 가입 국제기구 : UN, EU, WTO, Nordic Council 등※ 군사비동맹정책을 채택, NATO 미가입 상태이나 NATO 평화동반자 계획에는 참여중

◦ 경제지표

- GDP : 2,686억불(2011년)- 1인당 GDP : 38,104불(PPP기준)- 실질성장율 : 2.6%- 대외무역 : 1,599억불(수출 799억불, 수입 800억불)

◦ 화폐단위 : Euro(2002년 도입)◦ 기후 : 대륙성 기후 및 해양성 기후 공존

※ 고위도(북위 60~70°)에 위치, 겨울(11~4월)이 길고, 눈이 많이 옴.- 헬싱키 등 남부지방의 경우 멕시코 만류에 영향을 받아 동일한 위도의 다른 지역에 비해

겨울이 상대적으로 온난함. ※ 평균기온

여름(7월) 겨울(1월)남부(Helsinki) 22℃ -9.0℃

북부(Rovaniemi) 15℃ -11℃

◦ 한국과의 관계

- 수교 : 1973.8.24- 1973.8 주핀란드 한국대사관 개설(2010.9 박동선대사 부임)- 1978.11 주한 핀란드대사관 개설(2012.10 Matti Heimonen 대사 부임)- 교역(2011년) : 수출 7.7억불, 수입 9.4억불

◦ 북한과의 관계

- 수교 : 1973.6.1- 1973.6 주핀란드 북한대사관 개설, 1999.4 공관 철수

(주스웨덴 북한대사관에서 핀란드 겸임)- 1973.6 주북한 핀란드대사관 개설, 1992.4 공관 철수

(주한 핀란드대사관에서 북한 겸임)

Page 9: 2012.11 핀란드개황

Ⅰ. 개관

5

2. 국가 상징

가. 국 기

◦ 겨울의 하얀 눈(하얀색 바탕)과 호수의 푸른 물(푸른색 십자가)을 상징하는 핀란드 국기는 1918.5.29 공식 채택됨

- 아래 State Flag와 구분하여 National(Civil) Flag라고 부름.

◦ 정부기관과 군대에서는 십자가 한가운데 국가문장이 들어간 국기를 사용

하고 있으며 이는 State Flag로 불림.

나. 국 가

◦ 1846년 Johan Ludvig Runeberg는 핀란드 전쟁(1808~1809) 시기 핀란드

영웅들에 대한 이야기인 The Tales of Ensign Stål에 대한 서문으로 「Our Land」를 스웨덴어로 작시하였으며, 그 후 Fredrich Pacius가 곡을 붙여

1848.5.13(Flora day)에 최초 공연됨.- Pacius의 곡은 이후 「My Country」 라는 이름으로 에스토니아 국가로

채택됨.

Page 10: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6

◦ 핀란드 국가 「Our Land」는 19세기말 Paavo Cajander에 의해 마암메

(Maamme)라는 제목하에 핀란드어로 가사가 번역되면서 급속히 국민들로

부터 국가로 받아들여짐.

다. 국 화

◦ 핀란드의 국화는 은방울꽃(Lily of the Vally 또는 Kielo)으로서, 은방울꽃은 고대 핀란드 설화에서 널리 등장하는데 꽃잎의 모양이 소의 혀(Kieli)를

닮았다고 하여 이와 비슷한 Kielo로 명명됨.

라. 국가 문장

◦ 핀란드의 국가 문장은 한 칼을 발로 밟고 다른 한 칼을 손에 든 채 왕관을

쓴 사자상임.- 사자상은 스웨덴 Folkung 가문에서, 두 칼은 카렐리아 지방의 문장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됨

◦ 1581년 스웨덴 국왕 Johan Ⅲ가 “Grand Duke of Finland and Karelia”라는

칭호를 채택하면서 사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짐.

마. 핀란드 자연의 상징물

◦ 백조(The Sacred Swan)- 백조는 호수가 많은 핀란드의 전통 예술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소재로

깨끗하고 우아한 성스러운 새로 이해됨

- 파란 하늘을 나는 하얀 백조는 핀란드 국기를 연상시키는 대상임

Page 11: 2012.11 핀란드개황

Ⅰ. 개관

7

◦ 곰(King of the wilds, the brown bear)- 고대 시대 부족의 상징으로 사용된 토템신앙의 대상물이었던 곰은 핀란드

동물의 왕으로서 존경의 대상과 함께 동시에 공포의 대상이 되었음.◦ 자작나무(Birch)

- 자작나무는 전나무, 소나무와 더불어 핀란드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자라는 나무로서, 핀란드 산림의 20%가 자작나무로 구성됨.

- 자작나무는 사우나와 토양 비옥화 작업 등 핀란드인 생활 전반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핀란드인에게 특별한 의미를 가져다 줌.

- 또한, 자일리톨 성분이 자작나무에 함유되어 식품원료 등에 이용되고 있음.◦ 농어(Humpbacked perch)

- 농어는 핀란드 전역 바다, 호수, 강에서 서식하며 핀란드에서 가장 많이

잡히는 어종임.◦ 화강암(Granite)

- 화강암은 유럽내에서 가장 오래된 지층인 핀란드 지층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단단한 암석으로서 핀란드의 자연환경을 상징하는 암석임.- 제지기계의 롤러로 활용되는 등 핀란드 제지산업에서 필수적이며, 각종

건축자재로 사용됨.※ 핀란드의 전형적인 경치는 호수, 붉은 화강암, 백조, 자작나무숲을 담고 있음

바. 핀란드 소녀(The Maiden of Finland)

◦ 푸른색과 하얀색의 전통 의상을 입은 순결한 핀란드의 소녀상은 19세기

중반 이후 국민주의 예술작품에 자주 등장하여 핀란드인의 독립의지를 표현

하면서 핀란드의 상징으로 정착됨.

Page 12: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8

3. 국가 경쟁력

◦ 핀란드는 제네바 소재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에서 실시하는

국가경쟁력(Global Competitiveness) 평가에서 2010년과 2011년 모두 7위를, 로잔 소재 국제경영개발연구소(IMD)에서 주관하는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는 2011년 기준으로 15위를 차지하는 등 세계 상위권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음.※ 핀란드의 전반적 경쟁력

분 야 평가기관 연도 순위 비 고Global Competitiveness World Economic Forum(WEF)

2011201020097위7위6위

조사대상: 139개국 조사대상: 139개국 조사대상: 139개국World Competitiveness

Int'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IMD)201120102009

15위19위9위 조사대상: 59개국 조사대상: 57개국 조사대상: 57개국

※ 핀란드의 분야별 경쟁력분 야 평가기관 연도 순위 비 고

기관(Institutions) WEF 2011 4위 조사대상: 139개국인프라 〃 2011 17위 〃

거시경제 안정성(Macroeconomic

Stability)〃 2011 15위 〃

보건․기초교육 〃 2011 2위 〃고등교육 및 훈련 〃 2011 1위 〃상품시장 효율성 〃 2011 24위 〃노동시장 효율성 〃 2011 22위 〃금융시장 환경

(Financial Market Sophistication)

〃 2011 4위 〃

혁신 〃 2011 6위 〃투명성

(Transparency)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11 2위 조사대상: 183개국

Page 13: 2012.11 핀란드개황

Ⅰ. 개관

9

분 야 평가기관 연도 순위 비 고종합 학업 평가

(Student Assessment) OECD PISA (Programme for Int'l Student Assessment)

2009 2위조사대상: 57개국(3년마다 15세 아동을 대상으로 수학, 과학 등 4개 분야 평가)

수 학 〃 2009 2위 〃읽 기 〃 2009 2위 〃과 학 〃 2009 1위 〃

혁신종합역량(Innovation)

EIS(European Innovation Scoreboard)

2007 3위 조사대상: 25개 EU 회원국

혁신촉진 여건 〃 2007 2위 〃지식 창조 〃 2007 4위 〃

혁신과 기업가 정신 〃 2007 7위 〃혁신 적용 〃 2007 4위 〃지적재산권 〃 2007 8위 〃

Page 14: 2012.11 핀란드개황
Page 15: 2012.11 핀란드개황

II. 약 사

Page 16: 2012.11 핀란드개황
Page 17: 2012.11 핀란드개황

Ⅱ. 약사

13

1. 선사시대

◦ 약 1만년전 유럽 북반부를 덮었던 빙하가 퇴조하면서 북상한 사람들이 핀란드 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음.- 오늘날 핀란드인의 조상이 언제 핀란드 땅에 이주하였는지는 분명하지 않음.

◦ B.C. 1500년경부터 A.D. 1000년 사이 농경생활을 하는 망치도끼(Hammer Axe) 문화종족이 핀란드 서남부로 이주, 기존 즐문토기 문화종족과 혼합하여

핀란드인의 조상을 이룬 것으로 추정하고 있음.- B.C. 3000년경 중앙 러시아로부터 보트니아 만(Gulf of Bothnia)에 걸쳐

살았던 즐문토기(Comb Ceramics) 문화종족의 유적이 발견되고 있으나, 오늘날 핀란드인의 조상으로 간주하기는 어려움.

◦ B.C. 1500년 이후(청동기 및 철기시대) 이들은 핀란드 내륙으로 이동하여

동․서부지역과의 문화적 교류를 통해 토착민으로서 기틀을 잡고 당시 동

지역에 거주하던 랩족을 북부 지역으로 축출했으나, 독자적인 정치공동체를

결성하지는 못하였음.

2. 스웨덴 왕국시대(1150~1809)

◦ 12세기 중엽 독일, 덴마크, 스웨덴의 북방 선교(crusade) 경쟁이 활발할 때

스웨덴 국왕 Eric과 Uppsala 주교 St. Henry의 선교원정대가 핀란드 남․서부

지역에 스웨덴의 포교 근거지를 마련하고 세력을 확장함.- 제3차 선교원정대가 당도한 13세기말 경에는 대부분의 핀란드 지역이

스웨덴의 지배하에 들어가게 되었음. - 핀란드는 1809년 러시아 자치공국으로 지위가 변경되기 전까지 스웨덴

왕국의 일부로 존속함.◦ 몽골군의 침입으로 러시아의 세력이 약화된 틈을 이용하여 스웨덴은 영향력을

러시아의 Neva강까지 확대함. - 이를 통해 1323년 러시아 Novgorod 공국과의 국경선이 확정(Pahkinasaari

조약)되었으며, 동 국경선은 오늘날 핀란드의 동부 국경선을 이루고 있음.- 이후에도 스웨덴의 국력신장으로 핀란드(스웨덴의 일부)의 영역이 러시아

Page 18: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14

쪽으로 확대, 조정(1595년 Täyssinä 조약 및 1617년 Stolboya 조약)되기도 하였음.

◦ 핀란드는 스웨덴 왕국의 일부로서 스웨덴의 사법 및 행정 체계를 도입하였으며, 1362년에는 스웨덴 국왕을 선출하는 회의에 참석하는 대표권도 획득함.

◦ 종교개혁 이후 1593년 스웨덴과 함께 루터교를 국교로 채택함. - 1540년대 Michael Agricola(Turku 주교)가 성경을 핀란드어로 번역하였

으며, 이는 핀란드어 발전의 발판이 되었음.- Turku와 Viborg(현재 러시아령)가 주요 도시로 발전되었으며, 1470년대

에는 Olavinlinna 성이 축조됨.- 1640년 헬싱키 대학의 전신인 Academy of Turku가 건립되었고, 1642년

에는 성경이 핀란드어로 완역됨.◦ 스웨덴은 1700~1721년간 지속된 러시아와의 북방전쟁(Great Northern War)

에서 패배한 이후 강대국으로서의 지위를 상실함. - 러시아가 1713~1721년간 핀란드를 일시 점령하고, 이어 1721년에는

Uusikaupunki 조약을 통해 스웨덴이 러시아에게 핀란드 남동부 지역을 할

양함으로써, 러시아의 핀란드에 대한 영향력은 점차 확대됨.◦ 1809년 핀란드는 러시아내 대공국(Grand Duchy)으로 자치령이 됨.

- 1807년 나폴레옹의 대영국 전쟁기간중인 알렉산드르 러시아 황제는 Tilsit 조약으로 나폴레옹과 세력권 분할에 합의함.

- 그 후 러시아는 스웨덴과의 핀란드 전쟁(Finnish War)을 통해서 핀란드를

정복하고, 스웨덴이 Hamina 조약으로 이를 수용함.

≫ 북방전쟁(스웨덴-러시아, 1700~1721)

Page 19: 2012.11 핀란드개황

Ⅱ. 약사

15

3. 제정 러시아 자치공국시대(1809~1917)

◦ 핀란드는 알렉산더 1세의 계몽정책(Liberal Polices)에 힘입어 독자적인 대의

기구와 행정기구를 운영하는 자치대공국의 지위를 획득함.◦ 1812년 Turku에서 헬싱키로 수도를 이전함. ◦ 1800년대 초반부터 프랑스 대혁명 영향 등에 힘입어 “우리는 더 이상 스웨덴

인이 아니다. 우리는 러시아인이 될 수 없다. 우리는 핀란드인이고 싶다”(We are no longer Swedes, We cannot become Russians, Let us be the Finns)라는 구호 아래 민족 자각운동이 싹트기 시작함.- 1832년 Elias Lonnrot에 의해 핀란드의 민족 서사시 Kalevala가 발간되고,

J. V. Snellman 등의 노력으로 1863년에는 핀란드어가 스웨덴어와 더불어

공용어로 공인되는 등 점차 민족의식이 고조되어 감.◦ 1860년 핀란드의 독자적인 화폐가 발행되고, 1863년부터는 핀란드 의회가

정기적으로 개최되었으며, 1878년에는 독자적인 군대도 보유하게 됨.◦ 1899년부터 국내정세가 불안정해진 러시아가 핀란드의 자치권을 박탈하는

러시아화(Russification) 정책을 추진함.- 1904년 러시아 총독 Bobrikov가 암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하고, 러시아가

러·일 전쟁(1904~1905)에서 패배함으로써 강압정책이 다소 완화됨.◦ 1906년 핀란드는 러·일 전쟁 패전이후 러시아 국내정세가 불안한 상황을 이용

하여 입법기관을 민주적인 단원제 의회로 개혁함.

4. 핀란드 공화국시대(1917 독립이후~현재)

가. 내전 극복과 국가체제 정착(1917~1939)

◦ 1917.10월 러시아 혁명후 핀란드 의회는 민족자결원칙 하에 1917.12.6 의회 결의를 통하여 독립을 선언함.- 당시 혁명으로 국내 정국이 혼란했던 러시아는 1917.12.31 핀란드를

독립국가로 승인함.

Page 20: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16

◦ 독립직후 러시아 혁명의 여파와 좌우 이념 갈등의 고조로 핀란드내에서

백군과 적군간 무력충돌이 발발하여 내전(1918.1월~5월)으로 확대됨.◦ 자영농민을 중심으로 한 백군(Whites)측이 만네르헤임(Mannerheim)

장군의 전략적 지휘와 독일의 지원에 힘입어 적군(Reds)을 패배시킴.- 1918.1월말 급진 좌파세력이 핀란드 주둔 러시아 군인들의 후원에 힘입어

헬싱키와 남부지역을 장악하자, 정부와 의회가 서북부 해안도시 Vaasa로

피난하여 중북부 지역을 토대로 우파정부를 설립하고, 러시아 군의 장군

출신인 Mannerheim 장군을 우파군대의 총사령관으로 영입함. - 백군은 Mannerheim 장군의 전략적 지휘와 독일의 1개 사단 지원에

힘입어 적군(Reds)을 제압하고, 1918.5.15 적군이 항복함으로써 내전이 종료됨.

- 내전 기간중 자행된 좌우간 상호 테러의 결과로 수만명이 희생되었으며, 내전의 상처는 국민들간에(특히 남부지역과 서북부지역간) 불신의 앙

금을 남겼음.- 사민당을 연립정부에 포함하는 유화정책과 1939년 발발한 소련과의

전쟁을 통해 내전의 상처가 서서히 치유되었음. ◦ 1919.7월 공화제 및 이원집정부제 헌법을 채택하고 초대 대통령에 K. J.

Ståhlberg가 취임함으로써 국가 정치체제가 확립됨.

나. 소련과의 전쟁시기(1939~1944)

◦ 1939년 소련은 핀란드를 침공하여 겨울전쟁(Winter War: 1939.11.30~ 1940.3.13)이 발발함.- 소련은 독일과의 Molotov-Rippentrop 비밀 협정 체결을 통해 핀란드를

자국의 세력권으로 규정함.- 개전 초기 Mannerheim 장군이 지휘하는 핀란드군은 소련군에 막대한

타격을 입히는 등 압도적인 소련군의 공세를 효과적으로 저지함("겨울

전쟁의 기적").- 결국 중과부적에 따라 남동부 Viipuri 지방 할양 등을 조건으로 소련과

휴전함.◦ 1941.6월 나치 독일의 대소련 작전을 계기로 핀란드는 영토회복을 위한

Page 21: 2012.11 핀란드개황

Ⅱ. 약사

17

대소련 복수전쟁인 제2차 대소전쟁(Continuation War, 1941.6.25~1944.9.4)을 감행함.- 일시적으로 동부 Karelia 지역을 회복하였으나, 결국 전세가 역전됨.- 1944.9월 ① 전 국토의 12%에 해당하는 Karelia와 Petsamo지역 할양,

② 고액의 전쟁배상 지불, ③ 헬싱키 인근 Porkkala 반도내 소련군 기지

설치 허용, ④ 북부 Lapland 지역에 주둔한 독일군 축출 등을 조건으로

소련과 휴전에 합의함. ◦ 핀란드는 1944~1947년 소련과 영국으로 구성된 연합군통치위원회(Allied

Control Committee)의 관할하에 놓인 후 1947년 파리조약에 의해 주권을

회복함.- 1952년까지 2억2,650만불에 달하는 전쟁배상을 실물로 상환함.- 1955년 소련이 Porkkala 기지를 핀란드에 반환함으로써 전쟁의 상흔에서

벗어남.

≫ 겨울전쟁(핀란드-러시아, 1939~1940)

다. 전후복구 및 민주・복지국가 건설(1945~1994)

◦ 전후 핀란드는 소련과의 관계를 중시하고, 중립외교정책을 채택함.- 미국의 마샬 플랜 제의를 거부하고 1948년 소련과 우호협력 상호원조

조약(The Treaty of Friendship, Cooperation and Mutual Assistance, FCMA)을 체결하여 소련과의 기본관계를 정립함.

- 동 조약은 1955년, 1970년 및 1983년 3차에 걸쳐 각각 20년씩 연장됨.- 소련은 동 조약을 근거로 1958년 핀란드 정부구성에 관여하고(Night

Page 22: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18

Frost Crisis), 1961년 핀란드 대선에도 개입하는 등(Note Crisis) 핀란드 내정에 지속적인 영향력을 행사함.

- 1992년 소련붕괴직후 소련과의 우호협력 상호원조조약이 폐기되고

1992.7월 “핀란드-러시아 기본관계에 관한 조약”으로 대체됨에 따라

대등한 주권국가간 관계로 재설정됨.◦ 핀란드는 소련에 막대한 전쟁배상을 현물로 제공하는 과정에서 농림업

중심 경제구조를 제조업 중심으로 개편하는데 성공함.◦ 전후 불안정을 거듭하던 국내정치는 1960년대 중반 좌파정당(사회주의

노동당이 사민당과 합당)의 통합과 이를 바탕으로 한 중도-좌파 연립

정부 출범을 통해 안정적인 정치기반을 확보함.- Urho Kekkonen 대통령은 25년(1956~1981년) 재임기간중 국내적으로

강한 권력을 유지한 가운데 대외적으로는 중립정책을 유지하여 소련과

관계를 증진시키면서 견실한 경제성장을 지속적으로 이룩해 나감.◦ 핀란드는 냉전체제하에서 중립정책을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동서화해 노력을

전개함.- 1955년 Nordic Council 가입, 1961년 EFTA(European Free Trade

Association) 준회원국 가입(1986년 정회원국), 1973년 EEC(European Economic Community)와의 자유무역협정 체결, 1989년 유럽평의회

(Council of Europe) 가입 등으로 꾸준히 대 서구 접근을 추진

- 1975년 유럽안보협력회의(Conference on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를 주최하여 동서 화해를 위한 노력을 전개함.

라. EU 회원국 시기(1995~현재)

◦ 냉전종식 직후인 1992년 핀란드는 EU 가입을 신청하여, 1995년 스웨덴, 오스트리아와 함께 EU에 가입함.- 1999년 하반기 및 2006년 하반기에 EU 의장국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고, 2002년에는 Euro화를 도입하는 등 EU 회원국으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함. ◦ 핀란드는 냉전기간 동안 경제의 근간으로 유지되었던 소련 및 동구권과의

Page 23: 2012.11 핀란드개황

Ⅱ. 약사

19

구상무역 중심의 교역체제가 1990년대 초반 냉전종식을 배경으로 붕괴

되면서 경제위기를 겪음.- 과감한 구조조정을 통해 정보통신기술(ICT)을 중심으로 한 지식기반

산업으로 산업구조를 개편, 경제위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함.◦ 2000년, 2011년 각각 헌법개정을 통해 대통령의 권한을 약화시키고 의회

주의 요소를 강화함.- 2000년 헌법 개정에서는 대통령의 권한을 헌법과 법률에 명시적으로

규정된 사항으로 한정함.- 2011년 헌법개정을 통해 EU관련 모든 권한이 총리에게 있음을 명확히

하고, 대통령과 정부(총리)간에 이견이 있는 경우 의회가 결정하도록 함.

Page 24: 2012.11 핀란드개황
Page 25: 2012.11 핀란드개황

III. 정 치

Page 26: 2012.11 핀란드개황
Page 27: 2012.11 핀란드개황

Ⅲ. 정치

23

1. 정치 제도

가. 의원내각제형 이원집정부제 헌법

◦ 핀란드는 독립이래 현재까지「이원집정부제」정치체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국가원수인 대통령과 행정부 수반인 총리가 행정권(executive power)을

분점하고 있음.- 독립직후에는 대통령의 권한이 총리의 권한을 압도하였으나, 지나치게

강력한 대통령의 권한에 대한 비판적 의견이 대두되어 점차 대통령의

권한을 축소하고 의회의 권한을 확대하였음.- 2000년 및 2011년 헌법개정으로 대통령 권한이 추가적으로 제한됨으로써

「의원내각제형 이원집정부제」로 정치체제가 전환됨.◦ 독립 당시 정치지도자들은 신생독립국의 정부체제 선택 논쟁(군주제와

공화제간 선택 문제) 후에 공화제를 선택하고, 미국식 대통령제와 유럽식

의원내각제를 혼합하여, 대통령과 정부가 행정권을 공유하는 이원집정부제

정부제도를 채택함.- 이원집정부제는 사회주의 혁명세력에 대항하는 보수주의자들과 자유

주의자들간 타협의 산물로서, 자유주의자들의 주장을 수용하여 신생국의 국체는 공화제로 하였으나, 국가원수인 대통령에게는 보수주의자의 주장을 수용하여 광범위한 권한을 부여함.

- 대통령은 국가원수로서 외교정책 총괄권, 군통수권, 총리 및 각료 임명권, 법률안 제안권, 법률안 일시 부결권, 법령공포권, 국회해산권, 임시국회

소집권, 고위공무원 임명권, 사면권 등 입법, 행정, 사법분야에 걸친

광범위한 권한을 보유하였음.- 당시 헌법상 대통령과 총리간 권한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서 대통령은

별다른 제약없이 권한을 행사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핀란드의 정치

제도는 준대통령제(semi-presidential system)로 간주되었음.◦ 동서 냉전하에서 소련의 안보위협을 배경으로 대통령의 강력한 지도력이

요구되었던 시대적 특성을 배경으로 Juho Paasikivi 대통령(1946~1956 재임), Urho Kekkonen 대통령(1956~1981 재임) 등이 권위주의적으로 집권함.

◦ 그러나, 대통령의 막강한 권한행사에 대한 비판적 의견이 늘어나고, 강력한

Page 28: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24

대통령의 지도력을 용인하였던 국제적 안보환경이 변화하면서, 1980~1990년대에는 의회주의(parliamentarism) 특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헌법이

단계적으로 개정됨.◦ 2000년 헌법 개정을 통해 「의원내각제형 대통령제」로 전환함.

- 대통령의 권한을 헌법과 법률에 명시적으로 규정된 사항으로 한정하고

대통령의 권한으로 명시되지 않는 사항은 포괄적으로 행정부의 권한사항

으로 규정하는 등 정부의 권한을 대폭 강화함.- 대통령의 총리·각료 임면권 및 국회 해산권을 제한하고 EU 관련사항은

행정부 관할사항으로 하는 등 대통령의 권한을 대폭 축소함.- 반면, 1991년 대통령 선출방식이 기존의 선거인단에 의한 간선제 방식

에서 직선제로 개편됨에 따라 대통령의 민주적 정당성이 강화됨.◦ 2011년 헌법개정을 통해 대통령의 권한을 추가 축소함.

- EU관련 모든 권한이 총리에게 있음을 명확히 하고, 대통령과 정부

(총리)간에 이견이 있는 경우 의회가 결정하도록 함.- 강대국에 인접한 중소국의 국내정치가 국가안보 및 대외정책과 긴밀히

연관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국내정치 안정자로서 대통령의 비중은

여전히 높은 편임.

나. 대통령

1) 선 출◦ 1994년 이후 대통령은 국민 직접선거에 의해 선출되며, 임기는 6년이고

1회에 한하여 연임이 가능함.- 대통령 선거 직전 총선에서 1석 이상의 의석을 확보한 정당 또는 2만명

이상의 유권자단은 대통령 후보를 지명할 수 있으며, 대통령 후보는

핀란드에서 출생한 핀란드 국적자에 한함.- 대통령 선거 1차 투표는 선거년도의 1월 셋째 일요일에 실시되며,

투표자 과반수 득표자가 당선됨(단독 출마시에는 무투표로 당선).- 1차 투표에서 당선자가 없을 경우에는 1차 투표의 최고 득표자 2인을

대상으로 2차 결선투표를 1차 투표 2주후 실시하여 다수 득표자를

Page 29: 2012.11 핀란드개황

Ⅲ. 정치

25

대통령으로 선출함.※ 과거의 대통령 선출 방식

- 1919~1987 : 보통선거로 선거인단(300명 가량)을 선출한 후, 동 선거인단의 개인의사에 따른 자유투표로 대통령을 선출함.

- 1987~1991(1988년 대선에만 사용) : 대통령 직선제 선거와 선거인단(301명) 선거를 동시에 실시하여, 대통령 선거에서 과반수 득표자가 있으면 동 후보자의 당선이 확정되고, 과반 득표자가 없는 경우에는 당선된 선거인단이 투표로 대통령을 선출함.

2) 권 한◦ 대통령은 헌법과 법률에 명시된 권한을 행사하며(헌법과 법률에 의해

대통령의 권한으로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포괄적으로 행정부의 권한에

속함) 동 권한 수행시에는 행정부와 긴밀한 협조를 하고 있음. ◦ 대통령의 주요 권한은 아래와 같음. 총리 및 각료 임면권

∙ 대통령은 원내진출 정당간 연정협의 결과를 반영 총리 후보자를 지명

하고, 국회는 동 지명자에 대해 투표를 실시함.- 동 지명자가 국회 과반수의 지지를 받아서 총리 당선자가 되면

대통령은 동 당선자를 총리로 공식 임명함.∙ 총리는 총리로 임명된 직후 각료후보를 제청하고 대통령은 이에 따라

각료를 임명하여 행정부가 구성됨(국회 개회 중에만 정부가 구성 또는

변경될 수 있음).∙ 대통령은 총리가 전 행정부를 대표하여 사의를 표명하는 경우에 총리와

전 각료를 해임할 수 있고, 개별각료가 사의를 표명하는 경우나 총리가

특정 각료의 해임건의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각료를 해임할 수 있음. - 반면, 전 행정부 또는 개별 각료가 국회에서 불신임 결의를 받은 경우

에는 대통령이 반드시 내각 전체 또는 해당 각료를 해임해야만 함.∙ 2000년 헌법 개정전에는 대통령이 총리를 임면하는데 특별한 제한 요건

이 없어 대통령은 정부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였으며 1980년대 초반

까지는 대통령과의 불화로 연정이 붕괴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하였음.- 그러나 2000년 헌법 개정으로 대통령이 원내진출 정당 및 국회의장과

Page 30: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26

협의하여 총리 후보자를 지명함에 따라, 사실상 다수당 당수가 총리

후보자로 지명됨. 대외관계 관련 권한

∙ 대통령은 행정부와 협의하여 외교정책을 결정하고 국회의 동의를 받아

전쟁의 개시와 종결, 국제적 의무의 수용과 폐기에 관한 사항을 결정함

(단, 외교정책중 EU 관련사항은 행정부의 소관사항)∙ 대통령은 주요 외교정책 방향 제시, 외교문제 관련 입장 정립, 국가

승인·수교·단교, 외교사절 파견·접수, 국제기구 가입·탈퇴, 국제회의

대표단 파견, 조약 체결 등을 통해 대외관계 관련 권한을 행사함.∙ 2000년 헌법개정으로 그간 대통령의 고유 권한으로 간주되어 오던 외교

정책결정권을 정부와 협의하여 행사토록 하고 EU 관련업무를 행정부

소관사항으로 규정하여 대통령의 외교분야 권한은 크게 약화됨.∙ 2011년 헌법 개정(2012.3월 신임 대통령부터 적용)에서는 EU관련

권한이 총리에게 있음을 명확히 하고, 대통령과 정부(총리)간 이견이

있는 경우 의회가 결정하도록 하는 등 총리의 권한을 추가적으로 강화함. 조기 총선 실시권

∙ 대통령은 총리가 사유를 명시하여 건의하는 경우 국회 회기중에 원내

진출 정당과 협의하여 조기총선을 실시할 수 있음.※ 1991년 헌법개정 전까지는 대통령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조기 총선을 실시

할 수 있었는데, 동 권한에 특별한 제한요건이 없어서 대통령은 국회에 대해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음.

입법관련 권한

∙ 대통령은 행정부가 국회에 제출할 법률안을 확정하는데, 대통령이 정부

법률안과 의견을 달리하는 경우에는 정부에 반송시킬 수 있으나, 정부

가 반송 받은 법률안에 대해 재검토한 후 원안대로 다시 건의한 법률

안은 국회에 제출해야 함. ∙ 국회에서 채택되어 대통령에게 송부된 법률안에 대해 대통령은 3개월

이내 비준여부를 결정해야 하는데 대통령이 비준하면 법률로서 공포됨.

Page 31: 2012.11 핀란드개황

Ⅲ. 정치

27

- 대통령이 비준을 거부하는 경우, 동 법률안은 즉시 국회로 회송되어

재심에 회부되는데, 국회에서 수정사항 없이 다시 통과되는 경우

대통령의 서명없이 발효됨.∙ 대통령은 국민의 권리 및 의무와 관련 없는 사항과 관련하여 대통령령

(presidential decrees)을 제정하고 공포할 수 있음.※ 구 헌법에서 대통령은 법률안 제안권, 일시적인 부결권, 광범위한 대통령령 제정권

등을 보유하였으나, 1990년대 헌법개정과정을 통해 입법관련 권한이 대폭 축소됨.

고위 공무원 임명권

∙ 대통령은 헌법과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사정감독원장(Chancellor of Justice) 및 사정감독부원장, 검찰총장 및 검찰차장, 각 부처 차관, 재외공관장, 중앙은행장・이사, 주지사, 중앙기관장, 군 고위인사 등을

임명함.- 상기 고위인사 임명시 행정부가 단수후보를 형식상 제시하는데

대통령은 동 후보에 구애받지 않고 해당직 적임자로 판단되는 인사를

자유롭게 임명함.∙ 대통령은 대법원장, 최고 행정법원장, 고등법원장 및 여타 종신직 법관을

임명하는데, 사법부 인사의 경우 행정부가 추천한 3배수 후보자중에서

임명함. 군 통수권

∙ 대통령은 군 통수권자로서 행정부와 협의하여 국방정책, 군사명령, 주요 군부 인사 등을 결정함.

∙ 대통령은 국회의 동의를 받아 개전과 종전여부를 결정하고 행정부의

건의에 따라 군 동원령을 발동하는데, 국회가 폐회중인 경우에는 즉시

국회를 소집하여야 함.∙ 대통령의 권한은 원칙적으로 타인에게 위임할 수 없으나, 예외적으로

군 통수권자직은 위임이 가능함. 기타 권한

∙ 대통령은 특별사면권(일반사면은 국회에서 법령제정을 통해 실시), 영예

Page 32: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28

수여권을 행사하고, 전쟁 등 비상사태 발생시 비상 조치권한(Emergency Powers)을 행사할 수 있음.

3) 의사결정 과정(대통령과 총리간 권한 배분)◦ 총리주재 국무회의 결정사항중 대통령의 권한에 속하는 사항은 매주

금요일 오전 11시에 대통령이 주재하는 국무회의(Presidential Session of the Government)에서 행정부의 건의에 대한 의사를 공식 결정함.- 행정부의 전적인 권한에 속하는 사항은 총리 주재 국무회의 결정 결과가

그대로 확정됨.◦ 대통령이 주재하는 국무회의에 부의된 사항에 대해 대통령이 행정부와

이견이 있는 경우 대통령은 동 사안을 행정부로 반송시킬 수 있음.- 이 경우 행정부는 동 사안에 대한 행정부의 보고서를 국회에 제출할

수 있고, 동 사안은 행정부가 제출한 보고서를 기초로 국회가 결정한

입장에 따라 최종 결정됨(총리가 연정의 대표이므로 국회가 행정부의

입장에 찬성할 가능성이 높음). * 2012.3.1 개정헌법 시행 이전에는 대통령이 반송한 안에 대한 정부의 수정안이

재차 대통령 의사와 부합하지 않는 경우 대통령이 행정부 수정안과 다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고 있었던 것에 비해 대통령의 권한을 대폭 축소, 의원내각제형 이원집정부제를 더욱 강화하였음.

◦ 대통령은 각료 임면, 조기 총선실시, 사면, Åland 자치주법에 규정된 사항

(재정분야 제외), 군사 명령 및 군 인사, 대통령실 관련사항 등에 대해서는

행정부의 건의 없이 독자적으로 결정을 내릴 수 있음.

다. 행정부

1) 구성 및 임면 ◦ 총선직후 대통령은 원내진출 정당 및 국회의장과 신 행정부 구성에 대해

협의한 후 총리 후보자를 지명하여 국회 과반수 찬성 득표 확보를 거쳐

행정부 수반인 총리를 임명하며, 20명의 각료(12개 부처)는 총리의 제청

으로 대통령이 임명함.

Page 33: 2012.11 핀란드개황

Ⅲ. 정치

29

- 행정부 전체 또는 일부 각료의 사의 표명, 총리의 특정 각료 해임 건의, 의회의 행정부 전체 또는 일부 각료에 대한 불신임시 행정부는 전면

교체 또는 부분 개편됨(총리 및 각료 임명시 국회의 사전 동의와 선출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총리 및 각료는 의회에 책임을 짐)◦ 행정부를 구성하는 12개 부처

- 총리실(The Prime Minister's Office), 외교부, 법무부, 내무부, 국방부, 재무부, 교육부, 농림부, 교통통신부, 사회보건부, 환경부, 고용경제부

(2008.1.1 통상산업부와 노동부를 통합)

2) 권 한◦ 행정부는 내정과 EU 관련사항 등 대통령의 권한에 속하지 않는 사항

전반을 포괄적으로 담당하는데, 행정부 수반인 총리는 행정부의 전반적인

업무를 총괄적으로 지휘·감독하고, 각료들은 해당 정부부처의 행정업무를

관장함. ◦ 총리의 주요 권한은 아래와 같음. 행정부 업무의 지휘·감독

∙ 총리는 매주 목요일 13:00 각료와 사정감독원장이 참석하는 가운데 개최

되는 국무회의(Government plenary session)를 주재하면서 주요 안건에 대한 행정부 입장을 결정하는데, 투표로 행정부 입장을 결정하는 경우

에 투표결과가 가부동수로 나오면 총리가 결정권(casting vote)을 가짐.∙ 총리는 모든 각료 위원회(Cabinet Committees)를 주재하는데, 이러한

위원회에는 외교안보정책각료위원회(The Cabinet Committee on Foreign and Security Policy), EU 각료위원회(The Cabinet Committee on EU Affairs), 재정각료위원회(The Cabinet Finance Committee) 및 경제정책각료위원회(The Cabinet Committee on Economic Policy)가 있음. 또한 총리는 경제위원회(The Economic Council), 과학기술정책위원회(Th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Council) 등 민관위원회를 주재함.

Page 34: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30

총리실(The Prime Minister's Office) 수장으로서의 권한

◦ 총리는 총리실의 업무를 총괄하며, 총리실의 주요업무는 ① 총리와

행정부간의 긴밀한 협조관계를 유지하고 ② 행정부 출범시 국회와

협의하여 확정한 정부기본정책(The Government Programme)의 이행을 점검하고 ③ 행정부 업무관리에 있어서 총리를 보좌하고 ④ EU 관련

정책을 조정하는 역할 등이 있음. 행정부의 정치적 지도자로서의 권한

∙ 총리는 정치적인 측면에서도 행정부의 수반역할을 수행하는데 행정부

내에서 정책관련 이견 발생시에 이를 조정할 뿐만 아니라 국회와의

관계에서도 국회와의 업무협조를 총괄함.∙ 2000년 신헌법에서 총리의 정치적인 권한이 강화되었는데, 예를 들어

대통령의 각료 임명시에는 총리의 제청을 받도록 하였으며, 조기 총선은 총리의 요청이 있어야만 가능하도록 하였음.

대통령 직무대행권

◦ 대통령이 질병 등 특별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총리가 대통령의 직무를 일시적으로 대행함. 단, 대통령의 국외출장시 대통령의 명시적인 의사표명이 없이 총리가 자동적으로 대통령 직무를

대행할 수는 없음.

3) 의사결정 과정 ◦ 매주 목요일 개최되는 총리주재 국무회의에서는 안건에 대한 행정부 차원의

입장을 결정하는데, 특정문제가 국무회의 소관인지 개별 정부부처의 관할

영역인지의 여부는 헌법과 정부조직관련 법률에 의해 구별됨.- 총리주재 국무회의시에는 총리, 각료, 사정감독원장이 참석하며, 의사

정족수는 5명임.◦ 의사결정은 통상 만장일치로 하지만 이견이 있는 경우에는 투표로 결정함.

투표는 참석자들이 최연소 구성원부터 연소자 순으로 자기 의견을 표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 투표결과가 가부동수인 경우에는 총리가 결정권을 가짐.

Page 35: 2012.11 핀란드개황

Ⅲ. 정치

31

- 국무회의에서 결정된 사항에 대해 참석자들은 법적 및 정치적인 책임

을 공동으로 지는데, 의사결정과정에서 반대의견을 표명한 참석자는 동

책임에서 면제됨.◦ 총리주재 국무회의 결정사항중 대통령의 권한에 속하는 사항은 대통령

주재 국무회의에 회부하고, 행정부의 전적인 권한에 속하는 사항은 총리

주재 국무회의 결정 결과가 그대로 확정됨.- 또한, 총리 주재 국무회의에서 행정부령을 제정할 수 있음.

◦ 비례대표제 선거제도의 속성상 통상 3~5개의 정당이 연립정부를 구성

하고 있으므로 정치적으로 중요한 문제에 대해서는 행정부와 연정구성

정당간 긴밀한 협의가 필요함.- 총리는 국무회의에 앞서 분야별 각료위원회를 주재하며 연정참여 정당의

핵심 각료들과 주요 정책에 대해 협의함.- 월 1회 정도 개최되는 비공식 만찬 각료회의(Evening Session)에는

총리, 각료, 연정 참여정당 원내대표, 관계부처 차관 등이 참석하여 자유

로운 분위기에서 국정전반에 대한 이해와 연대를 높이고 있음.

Page 36: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32

※ 대통령과 총리간 비교대통령 총 리

역 할 ◦국가 원수 ※ 대통령과 행정부는 행정권을 공유

◦행정부 수반(국회 다수당의 총재)

선 출

◦국민 직접선거에 의해 선출 - 1차투표: 투표자 과반수 지지로

당선 확정 - 2차투표: 1차 투표에서 당선자가

없는 경우, 상위 득표자 2명간 결선투표를 통해 다수득표자가 당선

◦총선직후 원내진출 정당 및 국회 의장과 협의하여 대통령이 총리 후보자를 지명 ⇒ 의회 과반수 득표로 선출 ⇒ 대통령이 공식 임명

임 기 ◦6년, 1차에 한해 연임 가능 - 현 대통령 2012.3.1 취임

◦국회의원 임기(4년)와 동일 - 현 국회 2011.4 선거 - 현 총리 2011.6 취임

권 한

◦총리 및 각료 임면권◦군 통수권◦대외관계 관련 권한(EU 관련사항

제외)◦조기 총선 실시권◦법률안 제출권, 거부권, 법률 공포권 ◦고위 공무원 임명권(사정감독 원장,

검찰총장, 종신직 법관, 각 부처 차관, 재외공관장 등)

◦특별사면권, 영예수여권, 비상 권한 등

◦행정부 업무(내정과 EU 관련 사항)의 지휘·감독

◦총리실 수장으로서의 권한 (총리와 각 부처와의 협조, 정부

기본정책 이행점검 등)◦행정부의 정치적 지도자로서의

권한(행정부내 이견 조정, 국회와의 업무협조 등)

◦대통령 유고시 대통령직 대행※ 헌법과 법률에 의해 대통령의 권한으로

명시되지 않는 사항은 포괄적으로 총리가 관할

- 권한 범위가 불분명한 사항은 대통령과 총리간 협의를 통해 해결하되, 최종적으로 국회가 결정함.

Page 37: 2012.11 핀란드개황

Ⅲ. 정치

33

라. 지방 행정

◦ 핀란드의 지방행정은 중앙정부의 업무를 위임받아 수행하는 6개 주

(Province)의 광역 지방행정과 일정범위내 독립적인 행정을 수행하는

자치단체행정으로 구분됨. ◦ 대통령이 임명하는 주지사는 관할지역내 경찰권을 포함하여 중앙정부의

지역행정을 총괄함.- 6개주 중 올랜드 자치주(Åland Islands)는 1856년 크리미아 전쟁 이래

국제법상 비무장지역으로 선언되어 특별지위를 누리고 있으며 1920년

이후 강력한 자치정부를 두고 1951년에는 자치권이 재확인되었는데, 주의회의 승인 없이는 헌법적 성격의 법률을 개정·폐지할 수 없고, 주지사 포함 7명의 각료가 주정부를 구성함.

※ 6개의 주(Provinces)주 명 주 도 인구(2012) 면적(㎢) 비 고

Southern Finland Hämeenlinna 2,209,276 34,378 Helsinki 소재Western Finland Turku 1,874,764 74,185Eastern Finland Mikkeli 573,478 48,726

Oulu Oulu 467,190 57,000Lapland Rovaniemi 184,390 98,946 북극권Ǻland Maarianhamina 27,153 6,784 특별 자치주

≫ 6개주 지도

Page 38: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34

◦ 핀란드 지방행정의 기초는 일정범위 내에서(학교, 병원, 보건센터, 도시계획, 사회복지 등) 중앙정부로부터 독립된 시행정을 수행하는 336개의 지방자치

단체(Municipalities)임. - 자치시는 지역주민에 대한 세금징수권을 보유하고 있으나, 중앙정부로

부터 보조금을 받고 있다는 점 등에서 완전한 자치권을 행사하지는

못하고 있음.- 주민들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소규모 자치

단체들의 통합을 위한 개혁논의가 진행되고 있음.- 자치시의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시의회(Municipal Council)는 직선에 의해

비례대표제로 선출되는 시의원(인구 규모에 따라 17~85명 선출, 임기

4년)으로 구성되며, 시장 및 시위원회 위원을 임명하는데, 시장은 시의회에 대하여 책임을 짐.

마. 국 회

1) 구성 및 회기 ◦ 핀란드가 독자적인 대의기구를 보유하게 된 것은 제정 러시아 시대부터

이며 1863년 이후 신분제 의회(The Estates of Finland)가 정기적으로

개최되었음. - 현행 국회는 1906년 실시된 의회 개혁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단원제로

서 총 200명의 국회의원으로 구성됨.- 국회의원 임기는 4년이며, 현 의회는 2011.4 총선으로 구성되었고,

차기 총선은 2015년 실시 예정임.◦ 국회의원은 전국 15개 선거구에서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에 의해 선출

되며 Åland 지역(1개 의석) 이외에는 14개 선거구에서 7~32명의 의원을

선출하는 대선거구로서 돈트(d'Hondt)식에 의거하여 정당별 의석수 및 당선

의원을 결정함.- 선거권 및 피선거권은 18세 이상 모든 남녀에게 부여되는데 여성 참정권은

세계 최초로 1906년부터 보장됨.- 또한 핀란드는 국회 진출에 필요한 최소 득표율 등의 제한규정을 두지

않아 국회에 다수의 정당이 진출하고 있음.

Page 39: 2012.11 핀란드개황

Ⅲ. 정치

35

※ 돈트(d'Hondt) 방식- 비례대표제 선거에서 당선자 결정방식의 하나로서 정당득표수를 1, 2, 3... 순서대로

나누어서 그 몫이 큰 정당에 차례로 의석을 배분하는 방식인데, 벨기에 법학자 Victor d'Hondt가 고안함

< 적용례 : 4개 정당이 8개 의석을 대상으로 경쟁시, ①②③...은 의석 배분 순위 >정당명 A B C D득표수 1,000 700 600 280

1로 나눈 경우 몫2 "3 "4 "

1,000 ① 500 ④ 333.3 ⑥ 250

700 ② 350 ⑤ 233.3 175

600 ③ 300 ⑦ 200 150

280 ⑧ 140 93.3 70

당선자 3명 2명 2명 1명

◦ 국회 정기회기는 직전 회기에서 별도로 정하지 않는 한 매년 2.1부터

법정제한 기간 없이 개최되나 통상 봄 회기(2.1~6월 하순), 가을 회기

(9.1-크리스마스 휴가전, 경우에 따라 1월까지 연장)로 나누어짐.

2) 국회 기능 및 권한 ◦ 국회는 입법권, 예산심의 및 승인권, 대정부 행정감독권 및 질의권, 조약

비준동의권 등을 보유하며 의원 20명 이상의 서명으로 각료가 출석하는

청문회 개최를 요구할 수 있음.◦ 국회에 이송된 정부법안 또는 의원이 발의한 법안은 예비 논의와 해당

상임위 검토보고서를 첨부, 본회의에 회부(제1독회), 토의되며 본회의 토의

과정에서 필요시 EU 위원회(Grand Committee)의 검토를 요구하고 제2독회

에서는 수정없이 투표로 의사를 결정함.◦ 의원들은 각료에게 서면 및 구두질의를 할 수 있으며, 의원의 서면질의를

받은 각료는 3주이내 서면으로 답변을 제출해야 하며, 구두질의는 목요일

오후(4시 반)에 개최됨.◦ 의원들의 발언권에는 제한이 없으나 발언대 연설은 10분, 좌석에서의

발언은 2분 이내로 제한할 것을 권장하고 교섭단체대표 연설은 15분

이내에서 행하고 있음.

Page 40: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36

3) 상임위원회◦ 국회는 본회의 이외에 15개 상임위원회(통상 상임위원 17인)가 활동하고

있으며, EU 위원회(위원 25인), 헌법위원회, 재무위원회(위원 21인)가

주요 위원회로 간주되고 있음.◦ 특히, EU 위원회는 EU와 관련한 각종 입법사항, EU 이사회 참석과 관련한

정부의 입장을 심의하며, 총리는 EU 정상회의 참석 등에 관한 사항을 사전 및 사후에 EU 위원회에 보고해야 함에 따라, 국회는 EU 관련 각종 정보를

정부와 공유하고 있음.◦ 또한, 헌법위원회는 위헌법률심사권을 행사하는데, 핀란드가 독립적인

헌법재판소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관계로 국회내 헌법위원회의 위상은

상당히 높은 편임.

≫ 국회 전경

4) 대통령과의 관계◦ 과거 대통령은 특별한 제한이 없는 국회 해산권과 광범위한 입법관련 권한

(법률안 일시 유보권, 법령 공포권 등)을 보유하여 국회에 대해서도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으나 그간 헌법 개정을 통해 법률안 서명 거부권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삭제됨.

Page 41: 2012.11 핀란드개황

Ⅲ. 정치

37

◦ 대통령은 매년 국회 개원식과 폐회식에 참석하여 의례적으로 국회를 개․폐회하는 상징적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이외에는 국회에 출석하지 않음.

5) 행정부와의 관계◦ 의회주의의 강화와 함께 대통령과 국회의 관계는 약화되는 반면 행정부와

국회간의 관계는 더욱 강화되고 있음.◦ 총리는 국회에서 선출되어 행정부의 정책에 책임을 지며, 국회는 불신임

투표를 통해 총리나 개별각료를 해임할 수 있음.- 국회의원 20명 이상이 특정사안에 대해 총리나 각료에게 청문회 출석을

요구할 수 있으며 총리 또는 해당 각료는 15일 이내 전체회의에서

동 사안에 대해 답변해야 함. - 국회는 동 답변을 청취한 후 총리 또는 각료에 대한 신임 투표여부를

결정함.◦ 정부와 의회간에는 활발한 정보교환과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음.

- 원내 진출정당은 통상 매주 2회(화요일, 목요일) 원내회의를 개최하며, 소속 정당 각료들은 동 회의에 참석하여 주요 현안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소속의원들에게 설명함. 동 회의에서 소속 정당 각료와 의원들

간에 직설적이며 진지한 논의가 진행됨.- 원내 대책회의 협의를 거친 후 국무회의 합의를 통해 채택되어 국회에

제출되는 행정부의 법률안에 대해, 연정정당 소속의원들은 거의 찬성

투표를 함에 따라, 연정 참여정당 총재의 내각참여가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가짐.

바. 사법부

1) 사법부 독립◦ 헌법 제3조는 사법권은 대법원과 행정대법원을 최상급심으로 한 독립법원에

의해 행사된다고 규정함.

Page 42: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38

2) 법원 구성◦ 민․형사 소송

- 1심 : 27개 지방법원(General Court)- 2심 : 6개 고등법원(Court of Appeal)- 3심 : 헬싱키 소재 대법원(Supreme Court)

◦ 행정 소송 : 세금, 사회복지, 보건, 지자체 행정관련 사항

- 1심 : 시 행정법원(County Administrative Court)- 2심 : 최고 행정법원(Supreme Administrative Court)

◦ 특별 법원

- 노동법원(고용관련 사항), 시장법원(상업활동 등 관련사항), 그 외

주택, 보험, 토지에 관한 권리를 관할하는 특별 법원 등이 있음.- 최고 탄핵법원(High Court of Impeachment)※ 핀란드에는 헌법재판소가 없으며 법률의 위헌성 여부는 국회 헌법위원회에서 심사함.

3) 법관 임명 ◦ 대통령이 대법원장, 행정대법원장, 고등법원장, 대법원, 행정대법원, 고등

법원 판사 및 종신직 판사를 임명함.- 행정부에서 제시한 3배수 후보자 중에서 대통령이 적임자로 판단되는

인사를 임명함.

4) 기타 법률 보호기관 ◦ 대통령이 임명하는 사정감독원장(Chancellor of Justice)은 국무회의 등

정부의 주요한 회의에 참석하며, 정부 내 행정당국의 법률 준수 및 의무

이행 여부를 감독함.◦ 의회가 임명하는 옴부즈만(Ombudsman)은 법원 및 행정부 소속 공무원들의

법률 준수 여부를 감시함.- 각 행정당국으로부터 부당한 처분을 당한 시민은 사정감독원장 또는

옴부즈만에게 제소할 수 있음.

Page 43: 2012.11 핀란드개황

Ⅲ. 정치

39

◦ 기타 시민 보호제도

- 소비자 옴부즈만(1978년 도입) : 고용경제부 산하

- 데이터 옴부즈만(1987년 도입) : 법무부 산하

- 양성평등 옴부즈만(1987년 도입) : 사회보건부 산하

2. 정치 정세

가. 독립이후~냉전기

◦ 핀란드는 국회의원 선거제도로 비례대표제와 대선거구제를 채택하고 있어

전통적으로 다수의 군소정당이 경쟁하면서 단일정당에 의한 집권이 이루어

지지 못하고 연립 정부가 구성되어 왔으며, 독립이후 현재까지 60회 이상

정권이 교체됨.- 1992년 이전에는 예산안을 포함한 경제관련 법안에 의원 2/3 가중

다수결(qualified majority)이 요구되고, 의원 1/3이 일반법률 채택을

2~3년간 연기할 수 있었음.◦ 이러한 비례대표제와 가중다수결 등의 영향으로 1960년대 중반까지는

정권 교체가 빈번하여 정국이 다소 불안정하였으나, 1966년 이후 중도-좌파성향의 연정이 교대로 집권하면서 주요정책 추진시 합의를 중시하는

모범적인 민주정치체제가 확립됨.- 핀란드는 냉전기에 소련의 직간접적인 영향으로 사민당과 중도당을

중심으로 한 중도좌파적 내각이 주축을 이루었으며 간혹 공산당도

연정에 참여함.- 또한, 헌법상 대통령 권한이 강하고 냉전시대를 배경으로 내부결속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Kekkonen 대통령의 권위주위적 통치로 대내외

정세가 안정됨.

Page 44: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40

※ 역대 대통령 대통령 성명 재임시기 소속 정당 선거방법

Kaarlo Juho Ståhlberg 1919-1925 자유당 국회 선출Lauri Kristian Relander 1925-1931 농민당 선거인단Pehr Evind Svinhufvud 1931-1937 보수당 선거인단

Kyösti Kallio 1937-1940 농민당 선거인단 Risto Heikki Ryti 1940-1944 자유당 선거인단

Carl Gustaf Emil Mannerheim 1944-1946 무소속 국회 선출Juho Kusti Paasikivi 1946-1956 보수당 국회/선거인단

Urho Kaleva Kekkonen 1956-1982 중도당 선거인단Mauno Henrik Koivisto 1982-1994 사민당 선거인단

Matti Oiva Kalevi Ahtisaari 1994-2000 사민당 국민직선Tarja Halonen 2000-2012 사민당 국민직선

※ 연정교체 동향(1970년 이후)대통령 시 기 총 리 연정 구성

Urho Kekkonen(중도당, 68-74)

68.3-70.5 Koivisto(사민당) 사민, 중도, 자유, 보수, 스웨덴인당70.5-70.8 Aura(무소속)70.8-71.10 Karjalainen(중도당) 중도, 사민, 자유, 공산, 스웨덴인당71.10-72.2 Aura(무소속) 중도, 사민, 자유, 스웨덴인당72.2-72.9 Paasio(사민당) 사민당 소수 단독 내각72.9-75.6 Sorsa(사민당) 사민, 중도, 자유, 스웨덴인당

Urho Kekkonen(중도당, 74-78)

75.11-76.9 Miettunen(중도당) 중도, 사민, 자유, 공산, 스웨덴인당76.9-77.5 〃 중도, 사민, 자유, 스웨덴인당77.5-79.5 Sorsa(사민당) 사민, 중도, 자유, 공산, 스웨덴인당Urho Kekkonen

(중도당, 78-82) 79.5-82.2 Koivisto(사민당) 사민, 중도, 공산, 스웨덴인당82.2-82.12 Sorsa(사민당) 〃

Mauno Koivisto(사민당, 82-86) 82.12-83.3 〃 사민, 중도, 자유, 스웨덴인당83.5-87.4 〃 사민, 중도, 농민, 스웨덴인당Mauno Koivisto

(사민당, 88-94) 87.4-91.4 Holkeri(보수당) 보수, 사민, 농민, 스웨덴인당91.4-95.4 Aho(중도당) 중도, 보수, 기독연합, 스웨덴인당Matti Ahtisaari

(사민당, 94-00) 95.4-98.4 Lipponen(사민당) 사민, 보수, 좌익연합, 녹색, 스웨덴인당99.4-03.4 〃 〃

Tarja Halonen(사민당, 00-12)

03.4-03.6 Jäätteenmäki(중도당) 중도, 사민, 스웨덴인당03.6-07.4 Vanhanen(중도당) 중도, 사민, 스웨덴인당07.4-10.6 〃 중도, 국민연합, 녹색, 스웨덴인당10.6-11.6 Kiviniemi(중도당) 중도, 국민연합, 녹색, 스웨덴인당11.6-현재 Katainen(국민연합당) 국민연합, 사민, 좌익연합, 녹색,

기독민주당, 스웨덴인당, Sauli Niinisto(국민연합, 12-현재)

Page 45: 2012.11 핀란드개황

Ⅲ. 정치

41

나. 탈냉전기 정치 동향

◦ 1995.3월 총선으로 사민당이 제1당 지위를 회복하여 Lipponen 사민당

당수를 총리로 하는 5당(사민당, 보수당, 스웨덴인당, 좌익연합, 녹색당) “무지개 연정(Rainbow Coalition)"이 출범함에 따라, 사민당은 1991.3월

중도당에게 정권을 이양한 후 4년만에 중도좌파 연정을 주도함.- 1994.1~2월간 실시된 최초의 대통령 직선에서 사민당 Ahtisaari 후보가

스웨덴인당의 Rehn 국방장관에게 승리하여 제10대 대통령으로 선출됨

으로써 사민당의 입지는 더욱 강화됨.◦ 1999.3월 총선에서 연정의 주도정당인 사민당이 1995년 총선에 비해 12

석이 감소하는 등 고전하였으나 51석을 확보하여 제1당을 유지함으로써, 기존연정 구성 5개 정당을 기반으로 한 Lipponen 총리의 제2기 정부가

출범함.- 2000.2월 대통령선거에서 집권 사민당 출신의 Halonen 대통령이 당선

됨으로써 집권 연정의 안정적 국정운영을 위한 기반이 강화됨.◦ 2003.3월 총선에서는 중도당(Center Party)이 제1당으로 부상하여 3당

연립정부(중도당, 사민당, 스웨덴인당)가 출범함.- Vanhanen 총리(2003.6월 취임)는 안정적인 외교안보정책 추진, 고용

증진(2007년까지 일자리 10만개 창출), 경제성장 및 사회적 연대 강화를

통한 국민복지 증진을 주요 정책목표로 추진

◦ 2006.1월 대선에서 Tarja Halonen 대통령(사민당)이 Sauli Niinistö 후보

(국민연합당)를 근소한 차이로 누르고 재선에 성공함.- 동 대선에서는 NATO 가입 문제 등 외교안보정책, 대통령 권한 등에

관한 논쟁이 크게 부각되었으며 기존 정책의 지속을 강조한 Halonen 대통령과 변화를 추구하려는 Niinistö 후보간의 선거전에서 유권자들은

안정을 선택한 것으로 분석됨.◦ 2007.3월 총선에서 중도당이 51석을 획득하여, 1석 차로 국민연합을 제치고

제1당을 유지, Vanhanen 총리는 연정 파트너로서 사민당을 배제, 국민

연합과 녹색연맹 및 스웨덴인당과 제2기 연정을 구성함.- 기존 중도・사민 연정체제가 중도・국민연합으로 변경됨에 따라 우익

성향의 국민연합 입장이 상당부분 반영되는 등 1기 정부와 차별화

Page 46: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42

- 경제정책에서도 국민연합의 입장이 반영, 노동개혁 및 기업가 정신을

발휘할 수 있도록 노동부를 통상산업부에 통합하여 고용경제부를 신설함

(2008.1.1). ◦ 2011.4월 총선에서 보수당인 국민연합당이 승리, 사회민주당, 좌익연합,

녹색당, 스웨덴인당, 기독민주당과 연정을 구성함.- 민족주의적 성향이 강한 진정한 핀란드인당이 19.0%를 얻어 제3당으로

급부상함.- 집권당이던 중도당은 지지율이 7.7%나 하락하여 제4당으로 떨어짐.

※ 2011.4 총선 결과구 분 정 당 의 석 득표율여 당 국민연합당(National Coalition Party) 50 20.4

사민당(Social Democratic Party) 45 19.1 좌익연합(Left Wing Alliance) 17 8.1 녹색당(Green League) 15 7.2 스웨덴인당(Swedish People's Party) 9 4.3 핀란드기독연맹(Finnish Christian Union) 7 4.0

야 당 진정한 핀란드인당(True Finns) 39 19.0 중도당(Center Party) 35 15.8 기타(무소속) 1 2.0

※ 국회 의장단(2012.3 현재)직 위 성 명 정 당 재임기간의 장 Eero Heinaluoma 사회민주당 2011.6.23 - 현재

제1부의장 Pekka Ravi 국민연합 2011.6.23 - 현재제2부의장 Anssi Jousenlahti 진정한 핀란드인당 2007.4.27 - 현재

◦ 2012.1월 대통령 선거에서 Sauli Niinistö 국민연합당 후보가 대통령으로

당선됨.- 보수당인 국민연합당이 2011.4월 총선에 이어 대통령선거에서도 승리

함으로써 총리 및 대통령직 모두 차지

- 보수당의 경우 지난 50년간 처음으로 대통령을 배출한 반면, 사회

민주당은 지난 30년간 대통령직을 유지해오다가 금번선거에서 패배

Page 47: 2012.11 핀란드개황

Ⅲ. 정치

43

※ 2012년 대통령 선거 결과구 분 후 보 소 속 득표율

1차 선거(2012.1.22)

Sauli Niinistö 국민연합당 37.0% Pekka Haavisto 녹색당 18.7% Paavo Vayrynen 중도당 17.5% Timo Soini 진정한 핀란드인당 9.4% Paavo Lipponen 사회민주당 6.7% Paavo Arhinmaki 좌익연합 5.5% Eva Biaudet 스웨덴인당 2.7% Sari Essayah 기독민주당 2.5%

총 계 (투표율) 72.7%2차 선거

(2012.2.5) Sauli Niinistö 국민연합당 62.6% Pekka Haavisto 녹색당 37.4%

총 계 (투표율) 68.6%

3. 정당 정치

가. 정당의 역사적 발전

◦ 핀란드는 여타 북유럽 국가들에 비하여 의회정치의 역사가 비교적 짧은

편이나, 현재 핀란드 의회에 진출한 정당의 대부분이 독립을 전후하여

결성된 정당들에 뿌리를 두고 있는 등 안정적인 정당 발달 과정을 보여

주고 있음.◦ 핀란드의 정당은 독립과정의 민족주의 운동과 산업화 및 내전과정을 거치

면서 결성되거나 분화되었으며, 초기의 과격한 이념적 색채가 시대적 변화에 따라 완화되면서 보다 원숙한 정책정당으로 발전됨.- 19세기 중반 민족주의의 고조와 함께 핀란드어 사용을 주장하는 핀란

드인당(Liberal Party, Old Finns, Young Finns)이 결성되자 스웨덴어

사용 주민들이 스웨덴인당(Swedish People's Party)을 결성하였으며, 산업화와 함께 도시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정당이 결성되자

농촌 자영농민을 중심으로 농민당이 결성됨.- 독립 직후 사회주의 세력(Red)의 무장혁명에 대항하여 내전을 승리로

Page 48: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44

이끈 자영농민과 중산층(White)이 신생 독립국의 국체를 둘러싸고

군주파와 공화파로 양분되었으나, 군주파의 후원세력인 독일의 패전

으로 공화파가 중산층의 주도세력이 됨.- 내전에서 패배한 사회주의 세력은 지배세력과의 협력 여부를 둘러싸고

사민당과 보다 과격한 사회주의 노동자당(공산당)으로 분화됨으로써, 오늘날 핀란드 주요 정당의 원류가 형성됨.

◦ 2차 세계대전 이후의 경제·사회구조 변화의 결과, 사민당(Social Democratic Party)은 중심정당으로서의 정치적 위치를 확고히 할 수 있었으며, 동시에

중도성향의 중도당(Center Party)과 보수성향의 국민연합(National Coalition Party)도 핀란드 정치의 한 축으로 발전함.- 사민당은 1930년대 중반에는 농민당(Agrarian Party)의 협력을 확보

하였으며, 제2차 세계대전후에는 급속한 산업화에 따른 탈농촌 현상 및

노동자 양산에 힘입어 지지기반을 더욱 확대하게 되었음. 이렇게 확대된

지지 기반을 바탕으로, 사민당은 전후 대부분 기간 동안 연정의 핵심

정당으로 연립정부를 이끌어 나가게 됨. - 한편, 일부 농촌지역 및 소도시를 지지 기반으로 성장한 과격 성향의

이념 정당들은 북부 및 동부지역 노동자들의 도시 이주와 농촌 지역의

대도시 편입 등으로 소멸한 반면, 대도시 성장에 따른 서비스 산업종사자의

증가로 국민연합 등 보수계 정당은 지지기반을 확보하게 됨. - 또한, 중도성향의 농민당은 개편되어 중도당으로 발전하였는데, 기존의

전통적 지지 기반인 농민이외에 도시근로자와 노동자의 지지를 추가하여 현재에는 핀란드 정계에서 확고한 위치를 확보함.

나. 국민연합당(National Coalition Party : KOK)

◦ 1918년 국민단결을 목표로 출범하였으며 개인주의와 다원성을 추구하고

사회시장경제를 지지하는 자유보수주의 노선을 채택함.- 중산층, 근로자, 학생 등 주로 보수․유산계층과 헬싱키와 같은 도시 시민

에서 많은 지지를 받음.◦ Paasikivi 대통령(1946~1956)의 지도로 30년대에 민주제도를 위협한 극우

세력과 결별하였으며 전후 주로 야당으로 남아있었으나, 1987년 총선

Page 49: 2012.11 핀란드개황

Ⅲ. 정치

45

이후 사민당과 연정을 구성, Holkeri 전 총재가 총리에 취임하기도 함.◦ 1991년 총선 이후 중도당(1991~1995) 및 사민당(1995~2003)과 연정을

구성하였으나 2003년 총선 이후 제1야당으로 활동하다 2007년 총선에서

제2당으로 부상, 중도당과의 연정에 참여중임.

다. 사회민주당(Social Democratic Party : SDP)

◦ 1899년에 노동자 권익증진을 목표로 출범한 노동당이 1903년 사민당으로

당명을 변경함. ◦ 저임금 도시 근로자, 봉급생활자와 남부 산업지역의 지지를 받고 있는

중도좌파 정당임. ◦ 1982년 이래 Koivisto(1982~1994), Ahtisaari(1994~2000), Halonen

(2000~2012) 등 3명의 대통령을 배출하였으며 대부분의 연정을 주도함. 2003.3월 총선에서는 24.5% 득표로 제2당이 되었고 2003.6월 출범한

Vanhanen 총리의 연정(중도당, 사민당, 스웨덴인당으로 구성)에 참여함.◦ 그러나, 2007.3월 총선에서 45석을 획득, 국민연합에 이어 제3당으로

부진, Vanhanen 총리의 2기 연정에서 배제됨.

라. 중도당(Center Party : KESK)

◦ 1906년 농민들의 권익보호를 위해 출범한 농민당(Agrarian Party)이 지지

기반 확대를 모색하기 위해 1965년 중도당으로 당명을 변경함.◦ 최근에는 노동자, 농민, 사무직 종사자 등으로부터 광범위한 지지를 받고

있으며 지역적으로는 북부지방의 지지가 높고 당 지지 세력의 40%가 30세

이하의 청년층임(중도파)◦ 중도당은 Relander(1925~1931), Kallio(1937~1940), Kekkonen(1956~

1982) 등 3인의 대통령을 배출하고 1950~60년대 대부분의 정부를 주도

하였음.

Page 50: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46

◦ 중도당은 2003.3월 총선에서 24.7%를 득표하여 근소한 차이로 사민당을

제치고 제1당의 지위를 확보함으로써, 8년만에 연정 주도정당의 지위를

탈환하고 총리로 Vanhanen 중도당 총재가 취임함.◦ 2007.3월 총선에서 51석으로 가까스로 제1당을 유지, 사민당을 배제하고

제2당으로 부상한 국민연합과 녹색연맹 및 스웨덴인당과 연합정부를 구성함.

마. 진정한 핀란드인당(True Finns)

◦ 2007년 총선에서는 4.1%(5석) 지지에 그친 반면, 2011.4월 총선에서

19.0%(39석)을 얻어 제3당으로 부상함.◦ 사회정책면에서는 사회민주당, 여타 유로국가 지원, 이민정책 등에서는

민족주의적 성격을 가지고 있음.◦ 2011년 총선에서 지지율이 크게 상승한 이유는 기존 주요정당에 실망 및

동 당의 민족주의적 성향(이민에 대한 강한 규제 요청, 여타 유로국가 재정

지원 반대) 등에 있는 것으로 분석됨.

바. 좌익연합(Left Wing Alliance : LEFT 또는 Vas.)

◦ 1990년 사회주의권 붕괴이후 인민민주연맹(Finnish People's Democratic League: SKDL), 공산당(Communish Party of Finland: SKP) 및 민주

대안파(Democratic Alternative: DEVA)가 좌파연합으로 통합하여 온건한

강령을 채택하고 출범함.- 남서부 공장노동자, 농촌 노동자에 지지 기반을 둠

◦ 1995~2003년간 Lipponen 정부의 무지개 연정에 참여하였으나 2003.3월

총선후 현재까지 야당으로 활동함.

사. 녹색당(Green League : VIHR)

◦ 녹색당은 1983년 환경운동을 모태로 출범한 정당으로서 시민 민주주의를

기반으로 한 인간적이고 생태학적으로 건전한 사회 건설을 추구함.

Page 51: 2012.11 핀란드개황

Ⅲ. 정치

47

◦ 1995년 Lipponen 정부의 무지개 연정에 참여하였으나 2002년 제5기 원전 건립에 반대하여 연정에서 탈퇴하였음. 2007년 총선 이후 Vanhanen 총리

의 2기 연정에 참여함.

아. 스웨덴인당(Swedish People's Party: RKP)

◦ 국민의 약 6%를 차지하는 스웨덴인계에 지지기반을 둔 정당으로서 1906년

출범함.◦ 핀란드에서 2개 공용어 정책을 권장하고, 북유럽 국가와의 협력을 추진하는

한편, 자유주의노선을 고수하고 있는데, 대부분의 집권연정에 계속 참여해

오고 있고 현 연정에도 참여중임.

자. 핀란드기독연맹(Finnish Christian Union: SKL)

◦ 1958년 기독교의 종교적 신념 구현을 목표로 창당된 보수 성향의 정당

으로서 성경에 따른 정의사회구현을 기본정책으로 하며 종교 및 언론의

자유, 국가안전보장, 사법부의 독립 및 평화증진 등을 목표로 함.

차. 기타 정당

◦ 자유당(Liberal Party)

Page 52: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48

※ 핀란드 정당의 발전

[범례] (1) 스웨덴인당, (2) 국민연합당, (3) 자유당, (4) 사회민주당, (5) 중도당, (6) 좌익연합, (7) 진정한 핀란드인당, (8) 녹색당

Page 53: 2012.11 핀란드개황

IV. 외교 및 국방

Page 54: 2012.11 핀란드개황
Page 55: 2012.11 핀란드개황

Ⅳ. 외교 및 국방

51

1. 외교정책 기조

가. 냉전하 대외정책 : 친소 중립정책

◦ 핀란드는 2회에 걸친 소련과의 전쟁(1939.11~1940.3 Winter War, 1941.6~1944.9 Continuation War) 경험으로 인해 냉전기간 중에는 소련을 의식하여 친소중립정책(Paasikivi-Kekkonen Line)을 대외정책의 근간으로 삼음.- 서구와 동구의 접경지역에 위치한 지정학적인 측면과 스웨덴 및 소련

과의 오랜 지배와 투쟁의 역사적 관계를 감안하여 소국으로서 국가

존립을 위한 현실주의적 정책을 채택함.- 동서진영중 어느 일방에 의존하지 않고 철저한 중립정책하에 모든 국가,

특히 인접국과의 우호관계 발전을 통해 국가안보를 유지해 나간다는

것을 골자로 함.◦ Paasikivi 대통령(1946~1956 재임)이 “핀란드 영토는 대소 공격기지로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정책전환을 천명한 후 동 정책은 소련과의 1948년 “우호협력 상호원조조약”을 통해 확인되었으며, Kekkonen 대통령(1956~ 1982 재임) 및 Koivisto 대통령(1982~1994 재임)이 동 정책을 유지해 나감.- EFTA, GATT, OECD, EEA 등 서구 경제협력체에 참여하면서도 소련

및 동구권과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고 동구권 상호원조회의(Council for Mutual Economic Assistance)와도 교류를 유지하는 등 동서균형

유지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함.- 특히 1975년 유럽안보협력회의(Organization fo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OSCE)를 주최함으로써, 동서 진영의 화해와

신뢰구축에 기여함.

나. 냉전이후 대외정책의 변화 : 친서방 정책

◦ 구소련·동구권 붕괴, 독일통일 등으로 냉전이 종식된 이후, 핀란드는 서구

국가로서의 정체성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을 본격적으로 전개함.- 1994.10월 국민투표를 거쳐 1995.1월 스웨덴·오스트리아와 함께 EU에

가입하고, 1999년에는 EMU(Economic and Monetary Union)에도

Page 56: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52

가입하고 2002년에는 Euro화를 채택하였으며 2006년 하반기에는 EU 의장국을 역임함.

- EU 회원국 및 Nordic 국가로서 적극적인 활동을 통해 핀란드의 안보와

국제사회내 지위를 제고하고 세계화시대 국익증진도모를 외교안보

정책의 우선적 목표로 설정함.◦ 1992.1월 핀란드 정부는 기존의 중립정책을 군사 비동맹(Military Non-

Alliance)과 자주국방(Independent Defence)으로 재규정하는 한편, 1994.5 NATO 평화동반자계획(Partnership for Peace : PfP)에 가입하는 등 유럽

안보에 있어 NATO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협력관계를 강화하고 있음.- 1999.4월 신정부 구성시 핀란드는 안보정책 근간의 하나인 “자주국방”

대신에 “신뢰할 수 있는 방위 능력”(Credible Defence Capability)이란

용어를 사용함.◦ 핀란드는 탈 냉전기에 접어들면서 전통적인 양자관계 보다는 민주주의,

인권, 법치주의 등의 보편적 가치와 지속성장, 환경 등 다자문제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 러시아, 북유럽, 발트3국(라트비아, 에스토니아, 리투아니아) 등 주변국가들과의 우호관계에 지속적으로 역점을 두면서

국제평화와 안보에도 기여한다는 입장임.

다. 현 외교정책 목표 및 기본 방향

◦ 외교안보정책 기본 목표

- 국제사회의 안정과 안보 증진을 도모하고 국제사회내 핀란드의 지위를

강화함.- 민주주의, 인권존중, 법치주의를 강화하기 위해 유엔 등 광범위한 기반을

가진 국제조직을 지원함.- 적극적인 EU 회원국으로서 공동외교안보정책과 범대서양관계 강화를

위해 노력함.◦ EU 및 주변 국가들과의 관계 강화

- EU 회원국으로 EU 단합이 핀란드 안보, 경제, 고용 및 복지를 강화

한다는 인식하에 EU의 대내외 행동능력 강화에 적극 노력함.- 북유럽 국가들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EU 및 여타 유럽협력기구 내에서

Page 57: 2012.11 핀란드개황

Ⅳ. 외교 및 국방

53

발트3국 및 북유럽 국가들간의 협력 증진을 추구함.- 러시아와 선린관계 발전 및 EU와 러시아간의 관계에 적극 기여

- EU의 북방협력정책(Northern Dimension) 발전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경주함.※ 북방협력정책

- EU의 러시아 관련 주요 대외정책 개념중 하나로서 최근 EU 회원국 확대를 배경으로 북유럽 및 발트3국 지역회원국과 러시아(특히, 북서부지역)간의 경제, 개발, 환경, 교육, 사법 등 제반분야의 포괄적 협력을 추진하는 프로그램

◦ 국제평화와 안보에 대한 기여

- 군사적 비동맹정책과 신뢰할만한 국방을 바탕으로 북유럽의 안정을

강화하고 국제적인 안보를 증진하는 외교안보정책을 추구함.- 유엔, 유럽연합, OSCE, NATO 평화동반자협력(PfP)이 후원하는 평화

유지 및 위기관리 활동에 참여함.- 분쟁예방, 대테러 활동을 위한 국제 안보협력에 기여함.

◦ 세계화 문제 대처, 개발협력 강화 등

- “세계화에 관한 헬싱키 프로세스”(Helsinki Process on Globalisation and Democracy) 지속 추진 등 세계화와 국가간 상호의존의 심화로

야기된 도전에 대처하기 위한 협력을 강화함.- 지속성장과 개도국의 빈곤퇴치를 위해 유엔 새천년선언에서 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함(2010년까지 개발원조 예산을 GDP 대비

0.7% 수준으로 증액)- 환경 및 인권문제에 외교정책의 우선순위를 두고 양자 및 다자차원의

노력을 전개함.

2. 분야별 외교정책

가. EU 정책

◦ 핀란드는 1972년 EC와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을 체결한

이래 EU와의 유대관계를 강화했으며, 2011년 현재 핀란드의 대EU 회원국 교역량은 총수출의 55%, 총수입의 52%를 각각 점유하는 등 EU는

Page 58: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54

핀란드의 최대교역 지역으로 부상함.- 냉전기에 핀란드는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등 북유럽국가들이 중심역할을

수행하던 EFTA에 참가하려고 시도하였으나 소련의 부정적 반응으로 준회원국 자격으로만 참여하여 오다가 1986.1.1부터 정회원국으로

가입함(핀란드는 1995년 EU 가입과 함께 EFTA를 탈퇴)◦ 핀란드는 1992.3월 EU에 가입신청서를 제출하고, 1994.10월 EU 가입

국민투표에서 EU 가입안이 가결되었으며(총 유권자 404만명 중 74%가

투표, 찬성 57%, 반대 43%), 1995.1월 오스트리아, 스웨덴과 함께 EU에

정식 가입함. - 핀란드의 EU 가입으로 EU는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게 되어 발트해

지역을 중심으로 EU와 러시아의 경제적 상호의존은 심화됨.- 핀란드는 2004년 발트3국의 EU 가입이전까지 EU국가 중 유일하게

러시아와 접경하고 있었으며 EU예산으로 이루어지는 북방협력사업

(Northern Dimension)을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러시아 서북부의 발전을 적극 지원함으로써 러시아에 대한 경계 의식을 경감시킴.

- 핀란드는 주권국가로의 독립성을 의식하여 EU가 연방국가 형태가 아닌 독립 국가들의 연합체(association of independent states)로 발전하기를 희망하고 있음.

◦ EU 확대 관련, 핀란드는 그간 발트3국을 포함하여 중동부 유럽으로의

확대에 찬성하였으며, EU확대는 신규 회원국에 대한 민주주의 고양, 법에

의한 지배의 공고화, 시장경제 강화 등에 기여한다고 주장하였음.- 핀란드는 EU확대가 러시아와의 동반자 및 협력관계를 적극적으로

발전시켜 유럽의 안정과 평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함을 강조함.◦ 2003.6 취임한 Vanhanen 총리는 EU 통합 심화(EU 헌법조약 채택 추진),

EU 확대의 가속화 등을 대외정책 기조로 삼고 적극적인 EU 정책을 추진함.- 핀란드는 지난 1999년에 이어 2006년 하반기에 EU 의장국을 수임

하였으며, EU 신속 대응군(Rapid Reaction Force)에도 적극 참여 중임.◦ 핀란드의 EU 정책 우선순위

- 선정(good governance), 투명성, 책임에 바탕을 두고 회원국내 동등한

대표권을 유지하면서 효율적인 의사결정 과정을 위해 노력함.

Page 59: 2012.11 핀란드개황

Ⅳ. 외교 및 국방

55

- EU 경쟁력 강화(리스본 전략)를 최우선 역점사업으로 간주함.- EU 공동안보방위정책(European Security and Defence Policy: ESDP)

에 적극 참여함.- EU-러시아 관계발전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고 Northern Dimension

등 EU 주변국과의 협력 제도화를 추진함.◦ 2012 대통령 선거에서 EU 및 유로존 강화를 주장하는 국민연합당의

Niinistö 후보가 압승하는 등 EU 강화 및 유로존 유지 등에 대한 핀란드는 강한 지지 입장임.- 다만, 2011년 총선에서 여타 유로존 국가 지원에 반대하는 진정한

핀란드인당이 19%를 획득, 제3당으로 부상하고, 핀란드 정부가 그리스

재정지원과정에서 관련 담보를 요구하는 등 여타 유로존 국가에 대한

재정지원과 관련 반대 여론도 강화되고 있음.

나. 국제평화 및 번영에 대한 기여

1) UN의 역할 제고 ◦ 핀란드는 국제평화와 안보유지를 위한 유엔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유엔의

역할 제고를 위해서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세계화 문제

대응, 지속 성장, 국제사회 내 민주주의 확산, 인권신장, 위기관리 등 세계

적인 문제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개도국들과의 협력을 강화함.◦ 주요 활동

- 유엔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 진출(2013~2014)을 최우선 외교

과제로 추진

- 국제무대에서 유엔의 주도적 역할을 중시하고 국제평화유지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중임. 2012년 현재 코소보, 아프가니스탄, 레바논 등 15개

지역에 핀란드군 379명을 파병하고 있음. - 세계화 문제 대응을 위한 관민 공개포럼인 “세계화에 관한 헬싱키 프로

세스”를 탄자니아와 공동으로 운영중임.- 개발협력 외교에도 역점을 두고 있는데, 2012년 현재 GNP 대비 0.56%

수준인 개도국에 대한 공적개발원조(ODA) 예산을 GDP 대비 0.7%

Page 60: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56

수준으로 대폭 증액할 계획임.- 인권문제를 중요한 외교정책 현안으로 삼고 범세계적 인권개선에 주도

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음.

세계화와 민주주의에 관한 헬싱키 프로세스

■ 배경 및 의의

◦ 동․서 화해에 기여한 헬싱키 정신을 계승・발전시키고, 2000년 유엔 새천년 정상회의(UN Millennium Summit)에서 채택된 새천년개발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를 실천하기 위해 핀란드 정부가 제의하여 출범한 국제관민공개포럼(탄자니아 정부와 공동 주관)

◦ 헬싱키 프로세스는 다양한 주체(선․후진국 정부, 국제기구, 경제계, 학계, 시민사회)들 간에 세계화와 관련한 새로운 협력방안을 모색하고 실천을 지향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음.

■ 주요 경과

◦ 제1단계 (2002.12~2005.10) - 2002.12월 헬싱키에서 제1차 회의(국제관민공개포럼)를 개최하여 핀란

드와 탄자니아가 공동의장국을 수임하면서 ① 세계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새로운 접근 ② 세계경제문제 ③ 인간안보 등을 주제로 헬싱키 고위그룹이 활동하며 의제를 개발키로 함.

◦ 제2단계 (2005.10~2008.9) - 2005.9월 헬싱키에서 개최된 제2차 헬싱키 프로세스 회의(주제: 공정한

세계화 및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정치적인 의지 동원, 9.7~9, 73개국 600여명 참석)에서 결정한 사항

- 헬싱키 고위그룹 활동 및 헬싱키 회의 요구사항 실천을 위해 “Friends of Helsinki Process"(알제리, 브라질, 캐나다, 이집트, 헝가리, 말레이시아, 멕시코, 남아공, 스페인, 태국, 영국 등)를 결성하고 관련 의제를 실천하기 위해 로드맵을 발전시키기로 함.※ 로드맵 작성(담당국) : 반부패(핀란드), 효율적인 세계화(말레이시아),

양성평등(남아공), 인신매매(태국), 정보통신기술(이집트), 수질과 하수 처리(스페인), 빈곤과 개발(탄자니아), 이민(멕시코)

- 제3차 회의에서는 2007.11.27~29간 탄자니아 정부와 공동으로 탄자니아에서 개최하였으며, 평화와 안보, 빈곤과 개발, 인권, 선정 및 환경을 주제로 논의함.※ 제2단계 헬싱키 프로세스 회의는 2008.9월까지 보고서를 제출하고 종료

Page 61: 2012.11 핀란드개황

Ⅳ. 외교 및 국방

57

2) 유럽안보협력회의(OSCE) 활동 강화◦ 핀란드는 1966년 바르샤바 조약 동맹국들이 “부카레스트 선언”으로 제창한

유럽안보협력회의(Conference fo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CSCE)의 1975.7~8월 핀란드 개최를 주도하여 동서 양진영으로부터 평화

조정 기능에 대한 평가를 받음.- 1972.11월 헬싱키에서 대사급 준비회의가 개최된데 이어 1973.7월

유럽 주요국, 미국, 캐나다 등 35개국 외교장관이 참석한 제1단계 회의가

헬싱키에서 개최되었음. - 제네바에서 실무급 제2단계 회의를 거쳐 1975.7~8월간 헬싱키 정상

회담에서 CSCE(OSCE의 전신)가 출범하고 헬싱키 최종의정서가 채택됨.- 핀란드는 헬싱키에서 1992.3~7월간 CSCE 4차 후속회의 및 1992.7

CSCE 정상회담를 개최하는 등 유럽안보협력 체제의 발전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임(CSCE는 1994년 OSCE로 발전). ◦ 핀란드는 56개 유럽 회원국을 포괄하는 유럽안보협력회의(Organization

fo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OSCE)가 유럽 국가들의 공동

규범과 유럽 안보에 관한 공약 감시 분야에서 특별한 장점을 보유하는 것

으로 간주함.- 핀란드는 특히 OSCE의 예방외교 및 분쟁의 평화적 해결 원칙 등은 구

소련 해체 후 신생 독립국가 및 구유고의 정치적 재건에 크게 기여

하였다고 평가함.◦ 핀란드는 2008년 OSCE 의장국을 수임하는 등 OSCE 활동에 적극 참여중임.

3) 북태평양조약기구(NATO)◦ 1992.1월 핀란드는 냉전시대에 고수해왔던 중립정책을 군사적 비동맹

(Military Non-Alliance)과 자주국방(Independent Defence)으로 재규정

한 데 이어, 1994.5월 브뤼셀에서 개최된 NATO 북대서양협력회의(North Atlantic Cooperation Council: NACC)에서 평화동반자 계획에 가입하는

등 유럽안보에 있어서 NATO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협력관계를 강화함.- 핀란드는 미국의 NATO와 유럽에 대한 군사적 공약이 유럽의 안정과

안보에 건설적으로 기여한다는 점과 군사적 위기관리 영역내 NATO의

중심적 역할을 인정함.

Page 62: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58

◦ NATO 가입 문제에 대해 지속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NATO 가입의 가능성은 열어두되 당장 가입을 추진할 필요는 없다는 입장이며, 평화동반자 계획(PfP) 등을 통해 NATO 주도 평화유지활동 등에는 적극

참여하고 있음. - 현재로서는 NATO 가입을 추진할 만큼 시급한 안보적 위협요소가

없으며, NATO 발전과정을 보다 관망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음.

3. 지역별 외교 정책

가. 북유럽 및 발트해 국가와 긴밀한 협조관계 유지

◦ 핀란드는 북유럽 및 발트해 주변지역의 안정을 안보정책의 최우선 순위로

간주하여 북유럽 국가, 발트3국, 러시아 등 인접지역 국가들과의 협력관계

유지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있음.- 발트3국의 2004년 EU 가입을 지원하고 EU의 Northern Dimension

프로그램 개발 등 EU-러시아 관계 강화에도 노력함.◦ 북유럽 협력(Nordic Cooperation)

- 북유럽 협력은 1952년 북유럽지역 5개국(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아이슬란드, 핀란드)간 정치, 경제, 통상, 문화, 환경 등 제반 협력증진을

위해 창설된 지역협력체임.- 북유럽 이사회(Nordic Council) 및 북유럽 각료이사회(Nordic Council

of Ministers)를 정기적으로 개최함.◦ 발트해 연안국협의회(Council of the Baltic Sea States)

- 발트해 연안국협의회는 1992년 발트해 연안 국가들간의 협력을 강화

하기 위해 창설된 지역협의체로서, 정기적인 정상회의 및 외무장관회의

개최를 통해 발트해 지역 협력을 논의하고 있음.- 회원국은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덴마크, 폴란드, 러시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아이슬란드, 독일임.

Page 63: 2012.11 핀란드개황

Ⅳ. 외교 및 국방

59

◦ 바렌츠(Barents)해 협력협의회(Barents Euro-Arctic Council) - 바렌츠해 협력협의회는 UN 환경개발회의(UNCED) Agenda 21에 의거

하여 1993년 스칸디나비아 반도 북부 바렌츠해 지역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지역협력체임.- 덴마크, 핀란드,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러시아, 스웨덴, EU가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네덜란드, 폴란드, 영국 및 미국이 옵저버로 참여중임.

- 핀란드는 2005~2007년 의장국을 수임함.

나. 아시아 지역과의 협력강화

◦ 세계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빠른 경제성장을 구현하고 있는 중국, 한국, 동남아, 인도 등과의 투자 및 교역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중임.- Nokia 등 핀란드의 주요 기업들의 대아시아 의존도가 유럽에 대한

의존도보다 오히려 높음. ◦ 지정학적 이점 등을 활용, 북유럽 국가 중에는 유일하게 중국, 일본, 한국,

태국, 인도 등과 핀에어 직항을 운영하는 등 아시아와의 관계에서 유럽의

관문, 물류 중심지가 되기 위해 노력중임.

다. 기타 지역

◦ 민주주의, 인권, 법치주의 등의 보편적 가치 확산 및 세계화에 대한 대처, 지속성장, 환경 등의 이슈를 양자차원에서도 중시하고 있으나 민감한 사안에

대해서는 가급적 입장 표명을 자제하고 있음.◦ BRICs지역(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의 급속한 경제적 부상에 따라 동

국가 및 인근지역에 대한 관계를 강화하고 있음.◦ 중동지역과는 중동평화과정 및 중동지역의 개혁에 대한 EU의 정책을

충실히 따르며, 대 이라크 전쟁과 관련해서는 UN의 승인이 없는 일방적인

무력사용행위는 국제법 위반이라는 입장을 가지고 있음.

Page 64: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60

4. 국 방

가. 국방 정책 목표

◦ “군사적 비동맹”(military non-alignment)과 “신뢰할 수 있는 방위능력” (credible defence capability)이 핀란드 안보정책의 기본 원칙임.- 1999.4월 핀란드 정부는 기존의 “자주국방”(independent defence)을

“신뢰할 수 있는 방위 능력”으로 대체하였음.- 2004년 국가안보 정책보고서에서 군사적 비동맹과 신뢰할 수 있는

방위능력을 안보정책의 기본원칙으로 재확인함. ◦ EU 회원국 지위를 이용한 국제적 지위향상과 함께 핀란드는 전 유럽의

안보에 기여할 수 있는 신속대응군 능력 보유를 목표로 하고 있음.

나. 군사 조직

◦ 전 국토를 3개 사령부 및 12개 군사지역(military province)으로 분할하고

있음.

다. 징병 및 복무

◦ 17~60세 사이의 모든 남자는 병역의 의무가 있음.- 일반사병 출신은 50세까지 예비역의 의무가 있으나 하사관, 장교 출신은

60세까지 예비역의 의무가 있음.- 19~20세 사이에 매년 31,000명(약 500명의 여자지원자 포함)이 징병

되며, 복무기간은 180일(일반), 270일(특수기술분야 근무), 362일(장교, 하사관, 특수임무 근무)로 구분됨.

◦ 매년 30,000명의 예비군을 훈련 소집함.◦ 1995년 개정법에 따라 여자들도 군복무 지원이 가능함.

Page 65: 2012.11 핀란드개황

Ⅳ. 외교 및 국방

61

라. 국방 예산(2012) : 약 37억불(28억5천만유로)◦ 국방 예산은 GDP의 약 1.25% 및 정부예산의 약 5.5%를 차지하고 있음.

마. 군사력 현황

◦ 상비 병력(징집제)구 분 계 육 군 해 군 공 군

계 34,700명 27,300명 4,400명 3,000명

◦ 예비군 : 350,000명◦ 준군사 조직(국경수비대) : 18,900명

바. 주요 장비

구 분 주 요 장 비

육군전차(226대), 장갑차(614대), 보병전투차(263대), 견인포(714문), 자주포(90문), 다연장로켓(60문), 박격포(642문), 방공포(1,175문), 지대공미사일(39기), 헬기(9대)

해군 초계정(9척), 미사일정(9척), 기뢰부설함(6척), 상륙정(6척), 기뢰소해정(13척), 지원함(35척)

공군 전폭기(63대), 수송기(3대), 방공/훈련/정찰기(50대), 관측기(3대), 무인항공기(1대), 훈련기(28대), 연락기(23기)

사. 해외 파견군(UN 평화유지군)

◦ 해외 평화유지활동 파견 병력 상한선은 2,000명이며, 2012년 기준 15개

지역에 379명을 파견함.(민간인 등 91명 별도 파견)- 레바논 : 175명- 아프가니스탄 : 172명- 코소보 : 50명- 조지아 : 14명

Page 66: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62

- 우간다 : 7명- 중동 : 19명- 기타 : 33명

아. 국방개혁(감축) 지속 추진

◦ 2012.2월 핀란드 각료회의에서 2012~2015년간 국방개혁 기본 방향을

아래와 같이 결정하여 발표함.- 현 의무병제 제도를 그대로 유지함.- 국방예산을 2015년까지 200 million 유로 감축

- 예산감축을 위해 평화시 병력을 현 15,000명 수준에서 12,300명 수준

으로 감축하고, 지역 주재 군부대 등을 통합하는 등 불필요한 군부대는

폐쇄함.◦ Niinistö 신임대통령은 2012.3월 취임시 동 국방개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

으며, 국방 구조개혁으로 영향을 받은 지역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함.

Page 67: 2012.11 핀란드개황

V. 경 제

Page 68: 2012.11 핀란드개황
Page 69: 2012.11 핀란드개황

Ⅴ. 경제

65

1. 개 관

◦ 1920~1930년대 급속한 경제성장을 보이고 있던 여타 북유럽 국가와는 달리, 핀란드는 좌・우 이념대결 등 불안한 국내 정쟁으로 뚜렷한 경제발전을 이루지 못하고 농업에 기초한 전통적 경제구조를 계속 유지하고 있었음.

◦ 1939~1940년간 겨울전쟁 및 1941~1944년간 계속전쟁 등 2차례에 걸친 소련

과의 전쟁에서 패배한 핀란드는 2차대전 이후 당시 핀란드 GDP의 1/4에 해당

하는 막대한 대소 전쟁배상금을 선박, 농기계, 제지기계 등 공업 제품으로

배상하는 과정에서 농업중심 경제구조를 공업중심으로 급속하게 전환시키게 됨. - 일각에서는 전쟁 배상 지불이 역설적으로 핀란드의 공업화에 큰 계기를

마련해 준 것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당시의 세계적인 자유무역제도도

핀란드의 경제성장에 유리하게 작용하였음.- 또한, Urho Kekkonen 대통령의 장기집권기간(1956~1982년, 25년) 중

권위주의적 통치하에 대내외 정세가 안정되고 이러한 배경하에 소련 및

동유럽과의 교역을 중심으로 지속적 경제성장을 구가함.◦ 1980년대 임산업 및 금속공업 등 주요 수출산업의 발전으로 경제가 급속히

성장하여, 1980년대는 유럽국가중 최고 수준인 3% 이상의 실질경제성장률을

구가하는 등 선진국 진입의 기반을 구축함.◦ 1980년대 말부터는 소련 해체에 따른 동서간 중개무역 및 소련과의 구상

무역체제(barter system: 핀란드의 금속, 섬유, 의류 등 제조업 상품과 소련

원유․가스를 교환) 붕괴 등으로 경기후퇴가 시작되어, 1991년 심각한 경기

침체에 빠졌으며 실업율이 17%에 육박하였음.◦ 1993년말부터 핀란드는 그간 시행했던 수출 가격경쟁력 강화를 위한 마르카화

평가절하, 공공지출 축소, 국영기업 민영화, 통화정책 변경 등 개혁정책과

기업들의 구조조정 노력이 성과를 나타내면서 경기회복을 재개하였으며, 1990년대 중반부터 연평균 4%내외의 견실한 경제성장을 기록함.

◦ 또한 1993년 새로운 국가성장 전략으로서 ‘정보화 사회’(Information Society)를 설정하고, 정보통신 산업 육성을 적극 추진하면서 강력하고 성공적인 기술

혁신 전략을 추진하기 위해 기존의 산업별 정책에서 클러스터 정책으로

전환함.

Page 70: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66

- 현재 주요 대학,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기업, 연구소 등이 협력하는 9개의

산업별 클러스터를 성공적으로 조성하였으며, 전통 산업단지의 지역적

안배를 통한 지방정부 주도형 산업클러스터 육성에 성공함.- 초일류 산업 클러스터 육성을 통하여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국가경쟁력 1위

국가, 혁신 기술의 본고장으로 발돋움.◦ 2008.1월 핀란드 정부는 핀란드 사회가 직면한 가장 큰 과제는 가용 가능한

노동력 확보, 생산성 향상, 혁신적인 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라고 밝히면서, 통상산업부, 노동부, 내무부내 1개부서(지역개발국)를 통합, 고용경제부를

신설함. - 이에 따라 신설된 고용경제부가 혁신기술 및 관련 정책 개진을 위한 사회

기반 조성, 기업들의 활발한 경영활동 촉진, 지역 균형발전 도모, 노동력

확대, 기업규제 완화 및 시장기능의 활성화 유도, 에너지 자원 확보 등과

관련한 정부 업무를 총괄하게 됨. ◦ 현재 핀란드 정부가 가장 우선시 하는 경제정책 분야는 아래와 같음.

- 환경 및 에너지

- 친기업환경 창출 및 고용 확대

- 지자체 및 공공 서비스 체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 사회복지 분야 개혁

- EU 시장과의 지속적인 통합

- EU와 발틱 국가간의 지속적인 협력 확대

◦ 핀란드의 3대 주력산업은 ① 1990년대 초반 경제위기 극복이후 주력산업으로 부각한 전자·정보통신 산업, ② 엘리베이터, 선박엔진 등 금속·기계 및 화학

산업, ③ 풍부한 산림자원(약 19억㎡로 유럽내 4위)을 기반으로 하는 제지·펄프업 등 임산업으로 구성됨.

◦ 인구 540만명으로 내수시장이 작고, 대외무역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으며(2011년 무역의존도: 80% 이상), 목재와 소수 광물을 제외한 에너지

원과 원자재를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외부의 영향에 취약한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음.- 1995년 EU 가입, 1999년 EMU(European Monetary Union) 가입, 2002

년 Euro화 사용 등 EU를 통한 서구 선진국가와의 경제통합이 가속화되고

있음.

Page 71: 2012.11 핀란드개황

Ⅴ. 경제

67

2. 1990년대 초 경제위기 극복 및 최근 경제 동향

◦ 1980년대 말~1990년대 초 경제위기 극복

- 구 소련 붕괴 등으로 심각한 경제위기에 직면하였던 핀란드 경제는 경제

구조조정의 성공, 국제경제 여건의 호전, 합리적인 거시경제 정책 운영, 임금 안정에 따른 통화정책 완화 등으로 인하여 1994년 이래 저물가, 고성장, 높은 경상수지 흑자 시현 등 괄목할 만한 거시경제적 성과를 달성함.

- 1993년 GDP의 8.3%에 달하던 재정적자가 지속적인 재정건전화 노력으로

1998년에 처음으로 GDP의 1.5% 흑자로 전환됨에 따라 금융시장에서의

신뢰를 크게 회복하였고 2005년 정부재정흑자는 GDP의 2.4% 정도를

유지함.- 1990년대 초의 높은 수준의 무역수지 적자도 1990년대 중반부터 큰 폭의

흑자로 전환되었고, 이후 흑자기조가 공고화되어 2005년에는 56억 유로

규모의 흑자를 달성함.- 경제구조도 과거 제조업 위주에서 탈피하여 지식기반산업의 비중이 증가

하면서 선진국형으로 급속하게 변모함.・ 특히, Nokia를 중심으로 한 IT 산업이 중심을 이루고, 무선기술의 다양한

응용, Bio Tech, 환경산업 분야에 연구와 투자를 집중함.◦ 2008년 세계경제 위기 전

- 2007년 핀란드는 노르딕 국가 중에서 가장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고, 실업률도 6%대로 감소함.

- 실업률 감소는 핀란드 기업의 정규직 채용인원의 증가와 정부의 지속적인

고용촉진 정책추진에 기인함.◦ 2008년 세계 경제위기 및 극복

- 2008년 세계 경제위기로 어려움을 겪은 후 다시 회복되고 있는 추세임.- 2009년 -7.5%를 기록한 후, 2010년 3.2%, 2011년 2.6% 성장을 기록

하는 등 경제위기를 효과적으로 극복중인 것으로 평가됨. - 아시아 등 빠르게 성장하는 국가 및 지역과 무역 및 투자확대관계를 확대

성장기반을 확충하고, 유럽 및 러시아에 대한 의존도를 상대적으로 완화

하려고 노력 중임.◦ 핀란드는 S&P 기준 Triple A 신용등급을 유지하는 등 모범적으로 경제를 운영

중임.

Page 72: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68

- IT, 제지, 기계, 선박 등의 분야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가진 다수 기업을

다수 보유하고 있음.* 예 : IT(Nokia, F-Secure), 제지(UPM, Stora-Enso), 선박엔진(Wartsila),

기계(Kone)※ GDP 구성(2011년, 출처: Finland Chamber of Commerce)

구 분 비 중(%)제조업, 광업 22.7

농업, 임업, 어업 3.2건설 4.7

에너지, 수자원공급 1.7운송, 창고, 통신 9.4

서비스 58.2

※ 경제 현황(2011년, 출처: 핀란드 재무부 및 관세청, EIU Report)구 분 현 황

국내 총생산액(GDP) 2,686억불GDP 실질 성장율 2.6%소비자 물가상승율 2.6%

실 업 률 7.7%수 출 799억불수 입 800억불경상수지 -1억불평균 환율 1유로=1.44불

※ 주요 수출입 대상국(2011년, 출처: 핀란드 관세청)단위: 백만유로

수 출 수 입국 가 액 수 국 가 액 수 스웨덴독 일 러시아

네덜란드영 국미 국 중 국

5,6004,7004,4003,1002,4002,4002,200

러시아독 일스웨덴중 국

네덜란드미 국프랑스

9,4006,2005,0003,5002,5001,8001,600

Page 73: 2012.11 핀란드개황

Ⅴ. 경제

69

3. 중장기 경제 전망

◦ 핀란드는 세계경제포럼(WEF) 등의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고, 정보통신・환경・교육・남녀평등 및 투명성 분야 국제기관 평가에서도

최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어 핀란드 경제는 이러한 국가경쟁력을 배경으로

향후에도 안정적 경제성장을 지속해 나갈 것으로 전망됨.- 중장기적으로는 인구성장률 정체에 따른 인구 고령화로 인한 잠재경제

성장이 저하되는(1.5% 수준으로 하락 전망)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제반노력을 전개하고 있음.◦ 핀란드 경제가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해 극복해야 할 주요 문제점들로는,

① 인구 고령화에 따른 노동인구의 감소와 복지예산 부담 가중, ② IT 산업에 이은 차기 성장주도산업의 육성 필요, ③ 국제경쟁력 1위에도 불구하고 높은

임금 등으로 인하여 촉진되고 있는 제조업의 해외이전 추세, ④ 주요시장인

EU 경제권의 장기 침체, ⑤ 유로화의 강세 및 석유 등 국제에너지 가격의 상승

등이 지적되고 있음.◦ 핀란드 정부와 사회는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응하여 아래와 같은 적극적인

대응을 통해 국민경제의 지속적인 성장동력의 확보를 위해 노력중임.- 통상산업부, 노동부 및 내무부 1개 부서를 통합, 고용경제부를 출범하여

기업들의 활발한 경영활동을 촉진하고, 실업문제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 시장기능의 활성화를 유도함.

- 경제활동 참여율을 75%로 제고하고 연금제도를 개선(68세 퇴직시 연금

수급액이 증가되도록 조정)하여 노령노동력의 확충을 추진함.- 기업의 투자심리와 노동자의 소비심리 확대를 위하여 세제를 개편(소득세

및 법인세율 완화)하고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강화함.- 실업율 하락을 위해 2011년까지 8~10만개의 고용을 창출하는 방안을

추진함.- 세계 최초로 제4세대 무선통신망의 구축을 전국적으로 추진함.- 차기 성장산업 육성을 위하여 나노산업, 바이오산업 등에 대한 연구개발

(R&D)투자 지원을 확대함.- 취약한 에너지소비 구조의 개선을 위하여 현재 3세대 원전을 건설중에

있으며, 제6,7기 원전의 추가 건설을 추가 승인함.

Page 74: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70

◦ 또한 노르딕 국가와 발트국가들과의 경제 교류 협력을 지속적으로 증대시키고, 정보통신 분야와 교통․운송 산업의 제반 시설에 대한 투자가 증대할 것으로

예상됨. - GDP 성장의 주된 동력인 정보통신 분야의 경제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어서, 향후 GDP 성장률은 세계 정보통신 산업의 경기와 수요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됨.◦ 핀란드 경제연구소(ETLA)가 2007.9월 발표한 핀란드의 중장기 경제전망

특성은 ① 전반적인 수출증대, ② 가계부채와 이자율 증가로 인한 민간소비

위축, ③ 인플레이션 상승, ④ 에너지 산업에 대한 투자 증가, ⑤ 지속적인

고용창출, ⑥ 지속적인 정부 재정 흑자임.

4. 핀란드 경제의 주요 특징

가. 높은 대외의존 및 투자재 위주 산업 구조

◦ 핀란드는 인구 530만명의 국내시장 규모가 작은 나라로 GDP 대비 대외

의존도가 80% 이상임.- EU 국가에 대한 무역 의존도가 50% 이상으로 EU국가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 아시아 등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과의 투자 및 교역을 확대, EU 국가에

대한 상대적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노력중임.◦ 핀란드의 주요 산업은 기계, 부품 등 투자재 산업으로 구성되어 있어 대외

경제상황에 영향을 많이 받는 편임.

나. 클러스터 중심 산업정책

◦ 핀란드는 1993년 산업정책을 클러스터 중심정책으로 전환하여, 주요 공과

대학을 중심으로 대기업, 중소기업 및 연구소 등이 서로 협력하는 종합

단지인 9개의 산업별(정보통신, 임업, 화학, 금속, 에너지, 건설 등) 클러

스터를 조성함.- 2001년의 경우 핀란드 총 연구개발투자의 51%가 정보통신 클러스터에

Page 75: 2012.11 핀란드개황

Ⅴ. 경제

71

투자되는 등 핀란드는 정보통신 클러스터를 미래의 성장 엔진으로

집중육성 중임.◦ 오울루 테크노폴리스(Oulu Technopolis)

- 9개의 산업클러스터 중 가장 대표적인 테크노폴리스로서 그 중추 역할을 오울루대학과 Nokia가 담당하고 있으며, HP, SUN, IBM, 에릭슨, 후지쓰 등 250여개의 정보통신 첨단기업, 연구센터, 대학 등도 소재함.

- GDP의 4%, 전체 R&D의 30%, 수출액의 20%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의 정보통신 클러스터외에 2006년까지 컨텐츠-미디어, 바이오, 환경 등

5개 분야의 복합 클러스터를 구축함.- 오울루 클러스터는 정부와 지자체, 그리고 Nokia라는 기업에 의해

만들어진 유연한 네트워크 조직이며, 기술혁신 결과의 상업화에 있어

창업지원기업들의 중재적 역할을 수행.◦ 오타니에미 혁신 클러스터

- 핀란드의 수도인 헬싱키시와 인접한 에스뽀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Nokia를 포함한 핀란드를 대표하는 기업들과 연구소 및 대학의 본부가

자리잡고 있어, 중앙 및 지방정부의 지역균형 발전 정책의 지원을

기초로, 산・학・연 협력을 통한 지역발전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핀란드내 주요 혁신 산업 클러스터임. - 2006.9월 노무현 전 대통령의 방문을 비롯, 2007년에는 25개국에서

1,000여명이 방문함.

다. 정보통신기술(ICT) 위주의 지식경제 체제

◦ 핀란드 경제의 3대 주력산업은 제지․펄프업 등 임산업, 금속․기계산업, 정보통신기술(ICT)․전자산업이며, 특히 핀란드가 1990년대 초반 경제위기

극복 과정에서 기술산업을 주력산업으로 발전시킨 점이 주목됨.◦ 1980년대 말까지 핀란드 경제를 대표하는 산업은 제지업이었으나, 1990

년대 중반부터 핀란드의 주력산업이 정보통신기술산업으로 전환된 것을

잘 보여주는 사례는 무선전화기 분야에서 세계 제1의 시장점유율을 자랑

하고 있는 Nokia의 성장임.- 1860년대 제지업을 기반으로 창립된 Nokia는 1990년대 초반 핀란드의

Page 76: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72

경제 위기에 따른 여파로 경영 부도의 위기를 맞아 제지․고무․전자 등

모든 주력기업을 매각하고 정보통신 분야에 집중 투자하여 세계 굴지의

정보통신 기업으로 성장함.◦ Nokia의 급속한 성장을 가능하게 한 배경에는 무엇보다도 핀란드의 교육

제도와 연구개발 투자의 경쟁력에 있는 것으로 분석됨.- 핀란드 교육제도의 우수성은 2005.9월 OECD가 발표한 “Education at

a Glance 2005” 보고서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고등교육이 실제 업무

수행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며, 이러한 특징은 핀란드

대학 졸업자들의 취업률이 OECD 국가들의 평균 수준을 상회하고 있다는

사실에 잘 나타나 있음.- 핀란드 정부는 현재 20대 인구중 고졸학력 이상 학력 약 85%와 30대중

대졸학력 약 40%를 2015년까지 각각 90%와 50%로 높이기 위해

노력중임.- 교육기관이 산업 및 연구기관들과 밀접하게 연계되는 산․학․연 협력이

발달되어 국민경제가 필요로 하는 인력을 양성하는데 있어 상당한

강점을 보여주고 있으며 세계 각국이 이러한 핀란드의 산․학․연 협력

관계를 벤치마킹하고 있음.◦ 이러한 핀란드 교육의 장점은 정보통신 분야의 발전에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음.- 1980년대에는 핀란드에 정보통신기술(ICT)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의

부족현상이 있었으나, 1993~1998년 기간중 대학입학생수가 100% 증가하였으며, 특히 기술전문대학(Polytechnics) 학생수가 3배로 증가

하여 핀란드는 정보통신기술 발전에 필요한 풍부한 인력자원을 확보함.- 이러한 현상은 정보통신기술 산업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정부 교육

정책의 전환과 민간기업들과 대학간 산․학 협력이 가져온 좋은 결과물임.◦ 연구개발 투자의 경우, 1970년대 핀란드의 GDP 대비 연구개발 투자수준은

다른 산업국가들에 비해 낮은 편이었으나, 1983년 기술혁신지원청

(TEKES) 설립 및 1984년 핀란드 북부도시 오울루에 북유럽 최초의 지역

기술센터(regional technology cluster) 설립과 함께 핀란드의 연구개발

투자는 증가하기 시작함.- 1990년대 초반 경제위기를 맞아 어려운 상황속에서도 핀란드의 연구

Page 77: 2012.11 핀란드개황

Ⅴ. 경제

73

개발 투자는 감소하지 않았으며(정부의 연구개발 투자는 오히려 증가), 연구개발 투자의 중점 분야중 하나로 정보통신기술 분야가 선정되어

많은 재원이 투자됨.◦ 최근 Nokia의 경우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부진을 MS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극복하려고 노력 중임.- 아울러, F-Secure(사이버 안전), Rovio(Angry Birds 등 게임산업) 등

소프트웨어, 네트워크분야가 새로운 IT 성장분야로 부상중임.

※ 핀란드 정부의 R&D 예산 ※ 각 기관별 투자 금액주정부부처 R&D(€,백만) R&D (%)

총R&D 2,010.1 100.0교육문화부 946.1 47.1고용경제부 705.3 35.1사회보건부 131.4 6.5농림부 96.1 4.8기타 131.2 6.5

단 체 R&D(€,백만) R&D (%)대학 583.3 29.0기술혁신지원청 552.4 27.5학술진흥재단 320.7 16.0정부연구소들 306.3 15.2대학병원들 36.0 1.8기타 211.4 10.5

(2012년, 출처: 핀란드 통계청)

라. 과학·기술분야 집중 투자

1) 연구개발 투자 현황◦ 핀란드는 1990년대 초반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최악의 경제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1990년대 중반 이후 연구개발 투자를 대폭 확대하여 왔으며, 2011년 핀란드 정부의 연구개발 투자 총액은 72억 유로로 GDP의 3.73%를

차지함.- 핀란드의 GDP 대비 연구개발 투자규모는 이스라엘과 스웨덴에 이어

세계 3위 수준임.◦ 핀란드의 연구개발은 민간기업, 대학, 공공기관(기술연구센터 등) 등이 주도

하고 있으며, 현재 약 8만여명의 인력이 연구개발 분야에 종사하고 있음.- 연구개발 인력의 1/3(25,800명)은 여성으로 주로 공공 기관 및 대학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민간기업 연구소의 연구개발 인력은 3.8만명 수준임.

Page 78: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74

◦ 핀란드의 과학기술 및 혁신 진흥 관련 4대 기관인 기술혁신지원청

(TEKES), 학술진흥재단(AoF), 국가연구개발기금(SITRA) 및 기술연구센터

(VTT)의 기관장들은 매년 3회 정도 회합을 갖고 공동 관심사항을 협의하고

정책 조정을 하고 있음.- 동 기관장들은 매년 1~2개국을 공동 방문하여 해당국가들의 연구개발

및 혁신 제도의 운용 실태를 파악하고, 핀란드의 연구개발 및 혁신 지원

제도를 홍보하는 활동을 하고 있는데, 2003.10월에는 한국을 방문함.◦ 2008년 정부의 R&D 지원 총액은 18억 유로(정부예산의 4.4% 수준)로서

주로 과학기술 발전을 담당하는 교육부와 고용경제부 예산으로 편성되어

학술진흥재단과 기술혁신지원청 등을 통해 집행됨.- 상기 학술진흥재단과 기술혁신지원청은 국가연구개발기금과 함께

핀란드의 3대 연구개발 자금 지원기관이며, 또한 대학(4.5억 유로), 대학

병원(5천만 유로), 기타 정부연구기관에도 연구개발에 대한 정부자금이

지원되고 있음.※ 핀란드 3대 R&D 및 혁신 자금 지원기관 비교

구 분 학술진흥재단 기술혁신지원청 국가연구개발기금명 칭 Academy of Finland(AoF)

Finnish Funding Agency for Technology & Innovation(TEKES)Finnish National Fund for Research & Development(SITRA)

기본 특성 핀란드내 R&D 활동 촉진 및 이를 통한 사회 혁신과 국가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장기 자금을 지원 또는 투자를 하는 기관로얄티 지급 의무 지원 프로젝트 결과에 대한 지적소유권에 대해 기본적으로 로얄티를 받지 않음. 투자이익 환수소관 부처 교육부 고용경제부 국회

지원예산 출처 전액 정부예산 정부예산 및 EU의 구조조정자금 (2.1억 유로)자체자산운용 소득 및 투자소득

지원예산・투자액 규모 3.21억 유로(2012) 5.52억 유로(2012) 매년 5백만 유로 수준

중점 지원분야 기초과학연구 및 인문과학 응용과학연구 Venture Capital

중점 지원대상 대학 및 연구소 민간기업(중소기업), 대학, 연구소민간기업(의료․바이오테크․정보통신 분야)

Page 79: 2012.11 핀란드개황

Ⅴ. 경제

75

2) 산업·과학기술 관련 주요 기관■ 과학기술정책위원회(STPC: S&T Policy Council)

∙ 과학기술 및 혁신 관련 전략 마련과 정부정책 조정을 위해 1987년

설립된 자문기구임.∙ 총리가 의장, 과학기술정책 주무부처인 교육부 및 고용경제부의 장관들이

부의장을 수행하고 있음.- 또한, 재무부, 환경부, 및 문화부 장관, 기술연구센터(VTT) 원장,

기술혁신지원청(TEKES) 청장, 학술진흥재단(Academy of Finland) 이사장, Nokia 사장, 노조 대표, 대학교수 등 전문가도 동 위원회에

참여하고 있음.■ 학술진흥재단(AoF: Academy of Finland)

∙ 교육부 산하 기관으로 대학 및 정부출연연구소들을 대상으로 기초과학

및 관련 기술과 인문과학 분야 연구를 위한 장기자금을 지원하는 업무를 담당함(1918년 설립 및 1970년 조직 전면 개편)

∙ 2012년 지원예산 규모는 3.21억 유로(정부 R&D 예산의 16% 수준)이며, 정부 예산에서 재원을 조달하고 있음.

■ 기술혁신지원청(TEKES: Finnish Funding Agency for Technology and Innovation)∙ 고용경제부 산하기관으로 민간기업(특히, 중소기업), 대학, 연구소를

대상으로 응용과학 및 관련 기술 연구를 위한 장기자금을 지원하는

업무를 담당함(1983년 설립)- 혁신지향적・위험수반적 R&D 프로젝트 지원을 통해 세계 일류 수준의

기술 및 관련 Know-how를 창출함으로써, 핀란드 산업, 경제 혁신, 경쟁력 향상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

∙ 2007년 2,120개의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총 469백만 유로를 프로젝트

비용으로 지원함. - 552개의 공공기관, 936개의 기업 R&D, 473개의 타당성 조사 프로

젝트를 완료.

Page 80: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76

∙ 2012년 정부 지원 예산규모는 5.52억 유로로서 정부 R&D 예산의

27.5%를 차지함. ■ 국가연구개발기금(SITRA: Finnish National Fund for R&D)

∙ 핀란드 국회 산하의 독립된 공공기금으로, 핀란드의 안정적․균형적

발전, 경제 성장, 국제경쟁력 제고, 국제협력 강화를 목적으로 핀란드

독립 50주년에 즈음하여 1967년 중앙은행 기금으로 창설됨(1991년 국회

산하로 이관) ∙ 의료, 생명공학 및 정보통신 분야 기업을 주 대상으로 하여 벤처 캐피탈

형태로 투자(매년 투자액은 5백만 유로 수준)하고 있으며, 주요 국가

연구, 훈련, 혁신프로젝트를 지원함.- 2008년 기준, 보건, 음식과 영양, 비즈니스 네트워킹, 에너지, 인도

와의 협력을 주제로 하는 5개의 자체 프로젝트 운영

■ 기술연구센터(VTT: Technical Research Center of Finland)∙ 고용경제부 산하기관으로 북유럽내 최대 규모의 계약연구기관(Contract

research organ)으로서, 민간기업과 국가기술혁신지원청(TEKES) 또는

학술진흥재단(AoF) 등 공공기관을 위한 연구개발 사업 수행을 통해

세계적 수준의 기술을 개발하여 핀란드 사회와 경제의 혁신과 발전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함(1942년 설립)∙ 민간기업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고객과 수요지향적 경영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2005년 수입은 2.25억 유로에 달함.- 1.47억 유로는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에 대한 서비스 수입이고, 통상

산업부(현 고용경제부) 지원금은 0.78억 유로임.※ VTT는 대덕특구와 합작법인 및 R&D 센터를 2008.2.15 대덕에 설립한바 있으며,

건국대와 Joint Lab을 2007.12.14 설립함.

Page 81: 2012.11 핀란드개황

Ⅴ. 경제

77

※ 산업·과학기술 행정체계국 회

과학기술정책위원회 행 정 부교육부 고용경제부 기타 부처

학술진흥재단 (AoF) 기술혁신지원청 (TEKES) 기술연구센터(VTT) 국가연구개발기금(SITRA)대 학 민간기업 민간기업

3) 연구개발투자의 특징◦ 2011년 핀란드의 GDP 대비 공공분야의 연구개발 투자규모는 OECD 국가

들중 최고 수준이며, 공공분야 연구개발 투자의 대표적인 특징은 아래

세 가지로 요약됨.① 학술진흥재단 및 기술혁신지원청 등 전문가로 구성된 장기자금 지원

기관이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함. - 전문기관을 통한 자금 지원으로 신뢰성, 공정성, 개방성을 제고하고

지원자와 심사기관 상호간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력을 촉진함.②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의 발전을 촉진하고 이를 적극 활용함.

- 학술진흥재단과 기술혁신지원청은 자금 지원에 있어 기업(특히, 중소

기업), 대학, 연구소간 협력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함(기술혁신지원

청이 민간기업에 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중 80%는 대학 및 연구소와

산학연 협력을 통해 진행되며, 대기업의 경우에는 반드시 중소기업, 연구소 또는 대학과의 연구개발협력 계획을 포함시키도록 유도)

- 기술연구센터는 민간기업, 학술진흥재단, 기술혁신지원청 등과의

계약에 기초한 연구개발사업 대행과 함께 대학과의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있음.③ 지방경제 발전을 통한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수단으로 적극 활용함.

Page 82: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78

- 기술혁신지원청과 기술연구센터는 핀란드 전역에 광범위한 지방

사무소를 구축하여 지방소재 기업들에 대한 연구개발 자금 지원 및

기술 지원을 통해 지역경제 발전과 이를 통한 국가 균형발전에

기여함.- 핀란드 전역에 소재한 20개 대학과 29개 직업전문대학은 지역내 민간

기업 및 연구소들과 긴밀한 의사소통을 통해 지역경제가 필요로 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인력을 양성하는 역할을 담당함.◦ 핀란드는 정부 예산을 이용한 연구개발 자금 지원의 결과로 개발된 지적

소유권에 대해 기본적으로 로얄티를 받지 않고 있음.

Page 83: 2012.11 핀란드개황

VI. 사회 및 문화

Page 84: 2012.11 핀란드개황
Page 85: 2012.11 핀란드개황

Ⅵ. 사회 및 문화

81

1. 사회 복지

가. 북유럽 복지국가(Nordic welfare state)

◦ 핀란드는 제2차 세계대전 직후 스웨덴으로부터 북유럽 복지국가형 사회

보장제도를 도입하여 1960년대 중도-좌파 정권의 출현 이후 경제성장에

따라 본격적인 북유럽형 사회보장제도를 발전시킴.◦ 핀란드를 포함한 북유럽 복지국가의 사회보장제도의 주요 특징은 아래와

같음.- 사회보장에서 공공 부문의 역할을 중시함.- 법률에 규정된 조세를 재원으로 사회보장제도를 운영함.- 저소득층뿐 아니라 전국민을 대상으로 사회보장제도를 운영하고 동등한

대우(equal treatment)를 보장함.- 높은 수준의 사회보장을 제공함.

◦ 핀란드의 기본적인 사회보장제도로는 실업, 질병, 연금생활에 대비한 사회

보험, 자녀수당, 육아수당 등 복지제도와 건강보험이 있으며, 부모의 소득에 관계없이 모든 국민에게 균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보육에서부터

대학교육까지 무상 공교육을 실시함.- 2011년 GDP 대비 조세비율이 42.9%로 세계 5위에 달하는 국민들의

높은 조세부담을 기초로 핀란드는 양질의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10년 핀란드의 사회보장 관련 총지출은 GDP의 30.4%에 해당

하는 550억 유로임.- 사회보장재원은 고용주 기여금(40%), 피고용자 기여금(10%), 국가예산

(25%), 지방정부(20%), 기타관련 수익금(5%)으로 확보함.- 사회보장 및 보건서비스 제공비용은 지방자치단체, 중앙정부 및 수혜자가

각각 70%, 20%, 10%씩 부담하며, 자녀수당 및 육아수당은 중앙정부가

전액 부담함.- 핀란드 사회보장제도의 기본특징은 수혜자의 국적이나 고용여부보다는

핀란드 내 상주를 조건으로 함.◦ 2005.9월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의 국가경쟁력 분석

보고서는 핀란드를 세계 최고의 국가경쟁력을 보유한 국가로 분류하면서,

Page 86: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82

이는 북유럽 국가들의 높은 세율과 사회보장 수준이 국가경쟁력을 약화

시킬 수 있다는 논리를 반박하고 있다고 언급함.- 이러한 핀란드의 경험은 “사회복지와 경제성장간의 선순환”(virtuous

circle between social welfare and economic growth)을 잘 보여줌.◦ 핀란드 사회복지의 긍정적 영향은 아래와 같이 분석됨.

- 인구가 540만명에 불과한 북유럽의 중소국에서 저출산․고령화 사회를

맞이하여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노동력 확보를 위해 여성과

노령인구의 경제활동 참여율을 제고함.- 복지제도 발달과 높은 세율은 민간기업의 고용을 축소시키는 부정적

측면이 있을 수 있으나, 동시에 복지 관련 공공분야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큼.- 복지제도는 높은 교육수준 달성과 이를 통한 연구개발 발전에 유리한

여건을 조성해 주며, 지식기반 산업에 기초한 경제 발전을 촉진함.- 복지제도는 사회내 평등을 제고하여 소득별・성별 불균형을 해소하는데도

효과가 있어, 핀란드는 소득 격차가 상대적으로 적고 결핍아동 문제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사회가 됨.◦ 핀란드는 사회복지의 경제적 영향에 대한 긍정적 영향들을 감안하여 향후

에도 사회보장제도의 확충과 국가경쟁력의 지속적인 제고를 조화시켜

나가려는 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으로 전망됨.

나. 보건 서비스 : 의료 및 재해보험

◦ 핀란드내 상주하는 모든 사람들에 대해 기본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며

(보험료는 고용주, 피고용자,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가 분담), 진찰, 각종

검사, X선 촬영 등은 무료로 제공되고, 기타 의료서비스도 실제비용의

10%선에서 이용이 가능함.◦ 취업자가 질병을 앓고 있는 경우에는 평균 소득의 약 70%를 질병수당

으로 지급하며, 모든 직장의 고용주는 산재보험에 가입할 의무가 있음.

Page 87: 2012.11 핀란드개황

Ⅵ. 사회 및 문화

83

다. 노후보장 : 연금제도

◦ 65세 이상 모든 국민에게 연금수급권을 부여(직종에 따라서는 연금수급

연령이 더 낮은 경우도 있음)하며, 일반국민연금(national pension) 및

소득비례지급연금(earnings-related pension) 혜택을 받을 수 있음.- 일반국민연금은 수혜자의 부와 소득 수준에 따라 다르게 지급되며

고소득자인 경우에는 혜택대상에서 제외되기도(연금보험료는 사용자, 종업원, 중앙정부, 지방자치당국이 분담)하는데 매월 최소 710유로

지급함.- 소득비례지급연금은 취업기간 및 취업중 소득에 따라 지급되며, 봉급의

최대 60%까지 지급함(연금 보험료는 사용자가 전액 부담)◦ 공무원들은 소득비례지급연금제도와 유사한 자체 연금제도에 의해 혜택을

받음.

라. 실업보험

◦ 대부분의 노동자들은 노동조합이 운영하는 실업기금(unemployment benefit fund)에 가입되어 있으며, 기금은 고용주와 정부가 대부분을 부담

하고 피고용자가 일부를 부담함.- 실업 후 500일까지 월 평균 1,070유로의 실업수당을 지급할 수 있음.

◦ 실업기금에 가입하지 않은 노동자들에 대해서는 국가가 기본실업수당

(basic unemployment allowance)을 지급함.- 실업 후 500일까지 최소 551유로의 실업수당을 지급함.

◦ 500일 동안 실업수당을 수급 받은 후에도 미취업 상태를 유지한 경우

(최근 15년 동안 최소 5년 근무 유경험자에 한함)와 학위 취득후 최초

구직을 실패한 경우에는 월 553유로의 노동시장 보조금(labour market subsidy)을 지급. 하지만 배우자가 1,384유로/월 이상의 수입이 있을 시

보조금은 삭감되며, 배우자가 2,785유로/월 이상일 경우 보조금은 지급

되지 않음.◦ 실업후 재취업을 도모하는 사람들을 위해 최대 185일 동안 취업프로그램

Page 88: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84

보조금(employment programme supplement)이 과거 소득에 따라 약

100~700유로 추가 지급됨(최소 3년간 취업 유경험자에게만 한함).

마. 공적 부조

◦ 소득이 전혀 없는 국민들에게는 최저 식비, 의복비, 교통비, 문화생활비

(전화, TV 시청)를 감안한 범위 내에서 최대 월 344유로까지 생계 보조

비를 지급하며, 배우자는 85%를 지급받음.- 전체 인구의 약 11%가 소득보전 지원 혜택을 받고 있음.

바. 육아 지원제도

◦ 여성 취업자는 출산 직전 및 직후를 포함하여 유급 출산 휴가를 최대 105일까지 받을 수 있고, 아버지도 최대 18일까지 유급 출산휴가를 받을 수

있음. - 산모의 출산휴가 후에는 부모 중 1명이 158일간의 부모 휴가(parent’s

leave)를 받을 수 있음.◦ 모든 임산부에게는 육아필수품이 들어 있는 출산패키지(약 400유로 상당)

를 지급하거나 현금(140유로)을 지급하는데, 출산패키지의 실질가치가

현금보다 높아 대부분의 부모들은 출산패키지를 선호함.◦ 직장을 가진 부모는 자녀가 있는 경우에 가정육아수당을 지급 받음.

- 자녀를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탁아시설에 맡기는 경우 매월 약 140유로가 지원됨.

- 3세 이하의 자녀를 집에서 직접 돌보는 경우(home care) 매월 약 300유로가 지원됨.

- 보모를 둘 경우(private care) 매월 137유로가 지원됨.- 16세 이하의 장애 또는 중증 질환 자녀를 둔 경우에도 가정육아 수당

이 지급됨.◦ 정부는 국민의 임신, 출산 및 육아로 인한 수입 손실분을 출산수당

(maternity allowance) 및 부모수당(parents' allowance)으로 보상하는데,

Page 89: 2012.11 핀란드개황

Ⅵ. 사회 및 문화

85

이러한 수당은 중간 소득계층에 속하는 가정의 경우에 실제수입의 70%를

보전할 수 있는 수준임.◦ 자녀를 가진 부모는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당국으로부터 자녀 양육비용을

지원받음.- 17세 이하 자녀들 둔 경우에는 자녀수당(child benefit)이 지급됨.- 3세 이하 자녀가 있는 경우에는 추가 육아수당이 지급(1자녀: 약 100

유로, 2자녀: 약 110유로, 5자녀 이상: 약 170유로)◦ 편모슬하의 자녀로서 부친으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 국가에서

추가로 생활수당을 지원함.

사. 양성 평등

◦ 핀란드는 1906년에 세계에서 세 번째로 여성들에게 보통․평등 선거권을

부여하고 세계에서 제일 먼저 피선거권을 부여한 나라로서 일찍이 여성의

정치적 권리 신장의 기틀을 마련하였지만, 낙후된 농업 중심의 산업구조

하에서 실질적 권리 신장은 실현되지 못했음.◦ 1950년대 이후 핀란드 산업구조가 고도화되면서 직장 여성의 숫자가 급격히

증가하여 1920년에는 기혼여성의 10%만이 취업을 했으나 1980년대에는

75%, 경제위기후 실업률의 증가로 인해 2003년에는 65.7%의 여성들이

전일제 직장을 보유함.- 이러한 사회환경의 변화로 직장 여성의 출산휴가(최장 105일) 및 직장

복귀가 보장되었고 결혼으로 인해 직업을 포기하는 여성들은 거의

없으며 직장은 자아실현의 장으로 인식되고 있음.- 직장 여성의 증가로 노동시장에서의 남녀평등이 다른 나라에 비해 잘

실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일을 하고 동등한 교육과 업무

경험을 가지고 있는 남녀 직장인들 간의 급료 차이가 2005년에 23%인 것으로 조사됨.

◦ 정치 분야에서 핀란드 여성들의 진출은 매우 활발함.- 1907년 최초 국회선거에서 총 200석 중 19석을 여성이 차지한 이래

여성이 국회의원 비율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 1991년 77명(38.5%),

Page 90: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86

1995년 67명(33.5%), 1999년 74명(37%), 2003년 75명(38%), 2007년에 84명(42%)에 이어 2011년 86명(43%)의 여성이 국회에 진출함.

- 여성들의 각료직 진출도 활발하여 1926년 사회부 장관에 처음으로

여성이 임명된 후, 1991년 7명, 1995년 5명, 1999년 7명, 2006년 8명, 2008년 12명, 2011년에는 9명의 여성 각료가 활동중임.

- 2000년 핀란드 최초의 여성 대통령인 할로넨(Halonen) 대통령이 당선

되었으며, 2006년 재선됨.

아. 고령화 대책

◦ 최근의 고령화 문제는 사회복지분야 뿐만 아니라 경제전반에 걸쳐 부정적

파급효과를 창출하고 있으며, 핀란드 정부도 이에 다각적인 대응방안을

강구중에 있음.- 핀란드는 1995년 노인인구비율이 14.2%로 고령사회에 진입하였고

2015년경 초고령사회(노인인구 110만명, 총인구의 20.8%)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2011년 합계 출산율은 OECD 평균수준(1.75명)보다 높은 1.83명 수준임.(OECD, 2011)

◦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 대응정책

- 인구변화는 정책환경 변화의 주요 요인으로서 사회보장 시스템과 향후

재원마련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견됨.- 자녀 부양부담의 형평화, 가족복지(family welfare), 남녀평등을 목표로

하는 가족정책을 실천하는 한편, 소득활동이 어려운 노령층에도 최저

소득과 합리적 소비수준, 충분한 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를 보장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중임.◦ 고령 친화산업 육성

- 핀란드 정부는 향후 국가성장 동력을 견인할 차세대 산업으로 건강

복지산업의 육성·진흥정책을 시행중인데, IT를 이용한 원격 의료 등의

연구개발을 위한「핀란드 건강복지 프로젝트」를 정부지원으로 추진중임.

Page 91: 2012.11 핀란드개황

Ⅵ. 사회 및 문화

87

2. 노사정 협력

◦ 핀란드에서도 산업평화(industrial peace)의 확보는 국민경제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 가장 긴요한 사항중의 하나로 간주됨.- 노사정 협력 관련 체제의 주요 내용은 ① 노사간 자율 협상을 통한 단체

협약(collective agreement) 체결과 정부가 자율협상 타결을 촉진하기 위해

운용하는 소득정책(income policy) 체제, ② 국가조정관(National Conciliator) 제도, ③ 독립 노동법원 운영 등을 들 수 있음.

◦ 단체협약체결과 소득정책 체제

- 핀란드는 주요 노사문제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경영자단체와 노조

단체가 자율협상을 통해 해결하도록 하고 있으며, 정부는 세제․물가․사회보장제도 개편을 통해 노사간 단체협약 체결을 촉진하는 소득정책을

운용하고 있음.- 매 2년마다 우리나라의 전경련에 해당하는 핀란드경제인연합회(EK)와

전국노조단체(SAK)가 임금상승폭 및 노동여건 등 주요 사안에 대해

전국단체협약을 체결하고, 이에 기초하여 각 산업별 경영자단체와 노조

단체가 산별단체협약을 체결하며, 최종적으로 개별기업내 노사가 상기

단체협약들에 따라 기업별 단체협약을 체결함.- 정부는 노사간 협상에 필요한 정보(노동생산성 증가 및 GDP 성장

예상치)를 제공하고, 임금인상폭 등에 민감한 문제에 대해 상호 협상을

촉진하기 위해 세제(법인세 및 소득세 등) 개편을 공약하는 소득정책을 운용하는데 정부의 공약사항은 노사가 정부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노사

합의에 도달하는 경우 입법화 등을 거쳐 시행됨.◦ 국가조정관 제도

- 핀란드에는 우리나라의 노사정위원회에 해당하는 기관은 없으나, 노동

부에 국가조정관을 두고 노사가 자율협상을 통해 해결하지 못한 사안

들에 대해 합의를 유도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제도를 운영함.- 노측 또는 사측이 노사간 자율협상의 실패를 이유로 파업 또는 공장

폐쇄를 하고자 하는 경우, 국가조정관에게 2주전에 사전 통보하여야

하며, 국가조정관이 노사간 자율합의 도출을 위한 노사간 협상을 요구

하는 경우 노사 양측은 반드시 노사와 국가 조정관이 참여하는 협상에

응해야 하며, 국가조정관은 노사간 협상의 내용을 기초로 중재안을 노사

Page 92: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88

양측에 제안할 수 있음(강제중재 권한은 없음).◦ 독립 노동법원 운영

- 핀란드는 노사가 자율적으로 타결한 단체협약의 해석에 대한 분쟁과

노사 양측의 파업 및 공장폐쇄의 합법성 여부를 심판하기 위한 법원을

별도로 설치하여 운영함.◦ 핀란드의 현행 노사정 협력 시스템은 “노사간 자율 협상과 정부의 정직한

중개자(honest broker) 역할”로 정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도가 핀란드에

정착하게 된 배경에는 핀란드의 역사적 특성이 작용함.- 핀란드에서 노사간 최초의 전국적인 단체협약이 체결된 것은 1940.1월

이며, 핀란드는 1939.11월 소련의 침공으로 시작된 겨울전쟁(Winter War)이라는 국난극복을 위해 범국가적 협력이 절실한 상황이었음.

- 이러한 상황에서 노사 양측은 정부의 적극적인 중재에 따라 핀란드

역사상 최초의 단체협약을 체결하였으며, 노사 단체 대표들은 정부가

국가위기 극복을 위해 임시로 설치한 내각회의에 참석이 허용되었음.- 이후 핀란드의 노사정 협력체제는 노사간 이해관계의 충돌 및 핀란드의

전통적인 대립(좌파-우파간, 핀란드계-스웨덴계간)속에서 부침을

거치면서 1970년대부터 정착하기 시작하여 1980년대 이후 관행화되었고

현재까지 국민들과 정치권의 압도적 지지속에 시행중임.◦ 핀란드 노사정 협력체제의 가장 큰 특징은 법률을 통해 강제된 것이 아니라

노사정이 역사적 경험을 통해 관행화된 점임.- 노사정이 법률적 강제 없이 매 2년마다 성공적으로 새로운 합의를

도출해 내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노사정이 자율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국민들로부터 받을 비난을 감내할 수 없다는 인식에 있음.

3. 교 육

가. 개 요

◦ 핀란드에서의 보편교육은 19세기 후반 대중교육협회(Society for Popular Education) 설립 등 민족주의 운동과 함께 보급되어 20세기 초 이미 문자

Page 93: 2012.11 핀란드개황

Ⅵ. 사회 및 문화

89

해득률이 유럽인중 가장 높은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1921년 법에 의한

의무교육제도가 도입됨.◦ 핀란드의 학제는 초등교육과 기초중등교육이 통합된 기본 교육과정(7~16세,

9년), 일반 인문계 고등학교 또는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이수하는 상급

중등교육과정(3년), 직업전문대학과 대학에서 제공하는 고등교육과정

으로 구분됨.- 1970년대까지 6년제 초등학교제도가 유지되었으나 1970년대 교육개혁을

통해 9년제 기초교육과정으로 개편됨.- 7세 이하 미취학 아동들은 지자체가 운영하는 탁아시설(daycare

center)이나 보모에게 맡겨지며 대부분의 6세 아동들은 탁아시설 또는

종합학교 부설 취학전 과정(pre-school)에 등록됨.◦ 핀란드는 모든 국민들에게 동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초등학교에

서부터 대학과정까지 무상 공교육을 실시하며, 기본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상급학교에 진학하는 모든 학생들에게 경제적인 형편에 따라 소정의 장학

혜택(융자 등)을 지원함. - 핀란드는 2010년 GDP의 7.3%를 공공 교육부문에 지출하고 있음.

(핀란드 통계청, 2012)

나. 종합학교(comprehensive school)

◦ 우리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통합 과정에 해당하며, 7~16세 학생들이 10학년

과정을 이수함(1~9학년까지는 의무 과정이고, 10학년은 선택 과정임).◦ 저학년 과정(1~6학년)에서는 학급 담임교사로부터 모든 과목을 교육받으나,

고학년 과정(7~9학년)에서는 과목별로 전공교사가 교육을 담당함.◦ 외국어 과목의 비중이 높아서 3학년 때부터 스웨덴어(핀란드어와 함께

공용어로 사용됨) 및 영어, 독일어 등 외국어 중에서 1개 언어를 선택

하여 배우도록 하고 있으며, 학년이 올라가면 여타 외국어가 추가적으로 교육됨.◦ 수업료, 교과서, 급식 등 제반사항이 무료이고, 학교운영비는 지방자치

단체에서 부담하며, 국가보조금(100%까지 가능)을 지원받고 있음.

Page 94: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90

다. 고등학교

◦ 3년제의 일반 고등학교(upper secondary school: lukio)와 2~3년제의 실업계 고등학교(vocational school) 등 두 가지 형태의 고등학교 과정이 있음.

◦ 3년제 일반 고등학교를 마치면 대학진학 자격시험(marticulation)을 거쳐

대학교에 진학하거나 실업계 고등학교 재입학 또는 취업을 선택함.- 대부분의 일반 고등학교는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함.

◦ 실업계 고등학교(vocational school)는 실기와 연계된 2~3년의 교과과정

을 이수하며, 졸업 후에는 취업을 하거나 직업전문대학 또는 대학교에

진학함.- 실업계 고등학교의 절반은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며, 1/3은 중앙정부,

나머지는 민간단체에서 운영하지만, 운영비용의 70~100%를 중앙정부가

부담함.

라. 대학교

◦ 핀란드 최초의 고등교육기관은 1640년 설립된 Turku 왕립 아카데미

(Royal Academy of Turku)이며 헬싱키로 수도가 이전되면서 동 기관도

1828년 이전하여 오늘날 헬싱키대학교(University of Helsinki)의 전신이

되었음. ◦ 현재 핀란드 최대의 대학인 알토대학교(Aalto University)를 비롯한 10개의

종합대학교, 땀뻬레 공과대학교(Tampere University of Technology)를

비롯한 2개의 공과대학교, 한켄 경제대학교(Hanken School of Economics), 시벨리우스 아카데미(Sibelius Academy)를 비롯한 3개의 예술대학교가

있음. 2011년 총 28,500여 명이 대학에서 학위를 받음. ◦ 1990년대 고등교육제도 개혁으로 직업과 관련된 특수교육기관들을 통합

하여 1996년부터 직업전문대학(polytechnic)을 설립하였으며, 현재 29개의 직업전문대학에 7.5만여명의 학생이 재학중임. - 직업전문대학은 직업전문 지식 분야에 대한 집중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학사 학위를 수여하며 수학기간은 통상 3.5~4년임.

Page 95: 2012.11 핀란드개황

Ⅵ. 사회 및 문화

91

◦ 모든 대학과 직업전문대학은 국립으로서 직제상 교육부 산하에 있으나, 학교

운영은 자체적으로 이루어짐.◦ EU의 Bologna 교육개혁과정에 따라 2005년 하반기부터 대학과정이 3년

수학후 먼저 학사학위를 취득이후 석사과정(학사 취득후 최소 2년 추가

수학)을 수학하도록 개편함.- 학사과정 : 최소 3년- 석사과정 : 최소 5년(학사 취득 후 최소 2년)

마. 성인교육

◦ 1899년에 최초로 성인교육기관들이 설립된 이후, 일반교육, 사회교육, 직업 교육 등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다양한 성인교육기관이 관련 교육을

제공하고 있음.- 정당 및 노동조합들도 교육위원회를 두어 강의 및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으며, 특히 노동조합들은 수많은 스터디 센터를 설립, 운영하고 있음.- 핀란드 전역에 130여개의 음악학교와 12개의 체육학교가 있으며, 방송

통신학교(open university)도 일반교육과 직업교육을 제공함.- 실업자 재교육을 위해 교육부와 노동부 관할하에 직업교육센터(Job

Center)를 두고 교육훈련, 여행경비, 숙식 등의 무료제공 및 일일수당

까지 지급하고 있으며, 이러한 직업교육 이수자는 매년 50만여명에 달함.◦ 1980~90년대 이후 직업환경과 노동시장이 급격한 변화를 겪으면서 성인

교육과정이 활성화되고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현재

1,000여개의 성인교육관련 기관이 활동중임.

Page 96: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92

※ 핀란드 교육 시스템

Page 97: 2012.11 핀란드개황

Ⅵ. 사회 및 문화

93

4. 언 론

가. 신문 및 잡지

◦ 신문 역사

- 핀란드 최초의 신문이 1771년 Turku에서 발행됨.- 최초의 핀란드어 신문이 1775년 발행됨.- 핀란드 최대 일간지 Helsingin Sanomat이 1889년 최초로 발행됨.

◦ 신문 현황

- 핀란드에는 일주일에 1~7회 발행되는 신문이 188여종이 있으며 이중

15개 신문이 스웨덴어로 발간중임(2011년).- 핀란드 신문의 총 발행 부수는 약 270만부이며(2011년) 1,000명당

462명이 신문을 구독(2009년)중임.- 핀란드 언론은 중립적, 객관적, 비자극적인 논조를 유지하여 핀란드

국민들은 언론에 대해 높은 신뢰도(80% 이상)를 보유함. ◦ 신문 언론의 특징

- 신문 언론의 영향력이 대단히 큼.- 언론가 정신과 사명감이 투철하며 언론에 대한 신뢰가 높음.- 경영권과 편집권이 철저히 분리되어 있음.- 정당 신문이 발달해 있음.- 지방지가 전국적으로 고루 발달해 있음.

※ 주요 전국지(2011년)매 체 명 부 수 비 고

Helsingin Sanomat 90.5만 1889년 창간, 최대 유력지, 주 7회 발행Ilta-Sanomat 65만 1932년 창간, Helsingin Sanomat 자매지,

주 6회 발행, 석간Iltalehti 58.5만 주 6회 발행, 석간Maaseudun Tulevaisuus 32.1만 주 3회 발행Kauppalehti 19.6만 1898년 창간, 주 5회 발행, 경제신문Hufvudstadsbladet 10.7만 1964년 창간, 주 7회 발행, 스웨덴어 최대 신문

Page 98: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94

※ 주요 지방지(2011년)매 체 명 부 수 비 고

Aamulehti 30.6만 1881년 창간, 보수성향, 주 7회 발행,Tampere 지방지

Turun Sanomat 24.1만 주 7회 발행, Turku 지방지Kaleva 18.4만 주 7회 발행, Oulu 지방지Keskisuomalainen 16.9만 주 7회 발행, Jyvaskyla 지방지Savon Sanomat 15만 주 7회 발행, Kuopio 지방지

※ 주요 정당지(2011년)매 체 명 부 수 정 당 비 고

Uutispäivä Demari 3.6만 사민당 1895년 창간, 주 5회 발행 Karjalainen 11.2만 보수당 일간지

※ 주간지 및 월간지(2011년)제 호 부 수 비 고

Aku Ankka 102.5만 코믹잡지et-lehti 69.9만 중년층 대상지7 päivää 68.5만 일반대중지Apu 49.9만 일반대중지Seura 50.8만 일반대중지Valitut Palat 50만 Reader's Digest

나. 방 송

◦ 핀란드 유일의 공영방송 Yleisradio(통칭 YLE: Finnish Broadcasting Company)는 라디오 및 TV 채널의 대부분을 소유하고 최대 방송망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민들로부터 높은 신뢰를 받고 있음.- TV의 경우는 공영 Yleisradio가 채널 3개를 소유하고 있고, 이중 1개

채널은 민간 상업방송 MTV에 임대됨.◦ 케이블망을 통해 약 40개의 외국 TV 채널 시청 가능하며, TV 시청료는

2000년 이래 연간 165유로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Page 99: 2012.11 핀란드개황

Ⅵ. 사회 및 문화

95

◦ 신문사가 방송사를 소유할 수 있으나, 언론사의 소유권은 편집권과 분리되어

있음.※ 주요 TV 방송사

매 체 명 형 태 점유율(2010년) 비 고YLE TV1 공 영 21.6% 채널 IYLE TV2 공 영 19.4% 채널 IIMTV 민 영 21.5% 채널 III

※ 주요 라디오 방송사 (National Radio Study, 2012)매 체 명 형 태 점유율(2011년) 비 고

Yleisradio 공 영 53%Radio Nova 민 영 11%SBS iskelma 민 영 7%SuomiPop 민 영 5%기타 민 영 11%

다. 통 신

◦ 핀란드 전국 70개의 신문, 방송이 주주가 되어 창립한 최대 통신사

STT(Suomen Tieto Toimisto: Finnish News Agency, 1887년 설립)와

정당에서 설립한 특수목적의 3개 통신사가 있음.◦ 외국 통신사 지국으로는 AP, AFP, Reuters, 신화사 등 15개가 소재하고

있음.

Page 100: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96

5. 문 화

가. 개 요

◦ 핀란드인들은 전통적으로 현악기인 Kantele의 반주에 서사시를 하고 목각

이나 양탄자 짜기와 같은 수공예전통을 보유하여 왔음. ◦ 스웨덴 지배이후 스웨덴 문화가 압도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스웨덴어가

행정, 문화 등 각 부문의 공식 언어로 사용되었으나, 일반 국민들 사이에

는 전통 문화가 보전되었음. 특히 19세기에는 지식계층을 중심으로 전통

문화 회복에 대한 움직임이 일어나고 예술, 건축부문에서도 핀란드의 독특한

양식이 발전하기 시작함.◦ 핀란드는 비교적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문화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었으며 유럽국가중 예술분야에 대한 공적 지원(public fund)이

가장 많은 국가중의 하나로 평가됨. - 핀란드는 1인당 도서관 이용횟수(연 19회, 2009년)와 책 구매량(연 22권,

2008년)은 세계 최고 수준이며, 연간 약 7백만 명이 박물관, 미술관, 공연장을 찾고 있음.

- 핀란드인들의 문화와 예술에 대한 관심은 창의적인 핀란드 문화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음.◦ 핀란드의 문화・예술에는 핀란드인들의 독립적인 사고방식, 냉혹한 기후,

자연과 국토에 대한 일체감, 정신적, 물질적 청결성과 질서에 대한 강한

욕구 등이 잘 나타나 있다고 함.

나. 문 학

◦ 문자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핀란드어는 1548년 Turku 주교였던 Mikael Agricola(1510~1557)가 그리스어 신약성서를 핀란드어로 번역하면서

최초로 문자화됨(독일어, 스웨덴어, 라틴어를 바탕으로 번역).◦ 19세기초 Elias Lönnrot는 핀란드 전역에 흩어져 있던 민속신화를 수집

하여 「The Kalevala」(칼레발라)라는 대서사시를 완성하고, 1835년

Page 101: 2012.11 핀란드개황

Ⅵ. 사회 및 문화

97

최초본을 출간하였고, 1849년에는 완성본을 출간함.- 이후 칼레발라는 60여개 언어로 번역되어 핀란드어 문학작품중 가장

중요한 작품으로 널리 알려짐. ◦ 19세기 후반 핀란드 문학은 유럽의 주류사회에 소개되기 시작하였으며,

Alexisis Kivi는 1870년 「일곱형제들」(The seven brothers)이라는 핀란드어 소설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이는 핀란드 현대문학의 창시자로 간주됨.

◦ 핀란드 문학작품은 모더니즘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이야기 형식(narrative style)의 특징을 보였는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던 주요 작가와 작품은

아래와 같음.- MIka Waltari : The Egyptian(1945)- Vaiino Liina : The Unknown Soldier(1954), Here beneath the North

Star(1959~1962)- F. E. Sillanpaa는 「삶의 방식과 자연과의 관계를 묘사한 투박하고 정교한

예술에 대한 깊은 이해」(1939)라는 작품으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함.◦ 세계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핀란드 작가는 동물 만화 시리즈 Moomins를

발간한 Tove Jansson(1914~2001)인데, Moomins 시리즈는 40개국의

신문에 연재되었음.

다. 음 악

◦ 핀란드는 풍부한 민요와 교회음악을 보유해 왔고, 17세기 중반에 이미

대학 교과목에 음악이 등장하기도 하였으나 본격적인 음악의 발전은 19세기 핀란드의 국가를 작사한 독일 출신 Fredrik Pacius의 영향이 큰 것으로

평가됨.- Pacius는 1852년 핀란드 최초의 오페라 「Maamme」를 완성하였으며

Johan Ludvig Runeberg의 「Our Land」에 곡을 붙여 현재 핀란드 국가로

사용되고 있음. ◦ 핀란드의 독특한 음악 스타일을 발전시키고 국제적인 평가를 받은 음악가는

Jean Sibelius(1865~1957)임. Sibelius는 19세기 후반 핀란드 민족 음악의 특징을 살려 핀란드의 아름다운 자연과 민족적인 소재를 대상으로 많은

Page 102: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98

음악을 작곡, 핀란드 국민들의 민족의식을 고취시킴.- 특히 1899년에 작곡된 「핀란디아」(Finlandia)는 아름답고도 준엄한

핀란드의 자연을 주제로 작곡되어 러시아의 지배에 시달리던 핀란드

국민들에게 큰 희망과 용기를 주었는데 핀란디아는 오늘날에도 제2의

국가로 불릴 만큼 핀란드 국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음. ◦ Aino Ackte(1876~1944)는 파리와 뉴욕에서 활약한 유명한 핀란드 출신의

오페라 가수로 1912.7월 시작된 사본린나 오페라 축제의 설립을 주도함.◦ 시벨리우스 음악원(Sibelius Academy: 구 헬싱키 음악원)은 우수한 음악가

들을 배출하여 많은 핀란드 출신 음악가들이 세계무대에서 활동하고 있음.- Arto Noras : 세계적인 첼로 연주자

- Esa-Pekka Salonen : LA 필하모닉 지휘자

◦ 주요 음악 축제

- 사본린나 오페라 축제(Savonlinna Opera Festival) : 매년 여름 6월 29일부터 7월 28일까지 핀란드 동부 사본린나의 고성에서 열리는 세계적인

오페라 축제임.- 꾸흐모 실내음악 축제(Kuhmo Chamber Music Festival) : 1970년

설립 후 매년 7월 중순에서 말까지 핀란드 동북부 꾸흐모에서 개최되는

실내 음악 축제임.

라. 건축 및 디자인

◦ 핀란드는 건축 및 디자인 부문에서 세계적인 평가를 받고 있으며, 단순

명료성, 과도한 장식의 배제 등이 주요 특징임.◦ Carl Ludvig Engel(1778~1840)은 19세기 초 헬싱키 대화재 후 도시 재건

및 신도시 건설을 위한 대프로젝트를 담당하여 광장 부근의 성당, 총리실

청사, 헬싱키 대학교 도서관 등의 신고전주의 양식 건물을 설계함.◦ 헬싱키역, 헬싱키 국립박물관 등의 건물을 공동설계한 Eliel Saarinen

(1873~1950), Herman Gesellius(1874~1916), Armas Lindgren(1874~ 1929)은 한때 헬싱키 근교에 공동주택을 건축하여 함께 생활하며 작업

Page 103: 2012.11 핀란드개황

Ⅵ. 사회 및 문화

99

활동을 하여 3인의 건축가로 불리고 있음. ◦ 20세기 핀란드의 가장 대표적인 건축가는 Alvar Aalto(1898~1976)인데,

1920~70년대에 활동하며 건축물과 주변 환경과의 자연스러운 조화를

강조한 휴머니즘 건축을 시도하였음. - Aalto는 스칸디나비아식 모더니즘의 대표적 건축가이며 건축에서뿐만

아니라 유리공예와 가구 디자인에도 뛰어난 작품을 남겼는데, 그의

대표작은 핀란디아 홀, 헬싱키 공대 본관 건물 등임. ◦ Eero Saarinen(1910~1961)은 세인트루이스 아치, JFK 공항, CBS 방송국,

각종 대학교 건물과 교회를 설계함.◦ 또한, 핀란드는 Marimekko(의류 및 패션), Iittala(유리세공예품), Aarikka

(목공예품) 등과 같은 특유의 독창적인 브랜드 개발을 통해 디자인의

우수성을 발전시킴.

마. UNESCO 세계문화유산 등록 문화재

◦ 수오멘린나 요새(Fortress of Suomenlinna) - 18세기 후반 러시아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스웨덴에 의해 건립된

군사 요새로서 핀란드 항구 앞 수오멘린나 섬에 위치하고 있으며, 18세기 유럽의 군사시설을 이해할 수 있는 건축물로 평가됨(1991년 등록).

◦ 라우마 구시가(Old Rauma) - 핀란드 서부해안에 위치한 라우마의 구시가는 15세기 중반 프란체스코

수도회에 의해 세워져 당시 핀란드 고유의 목조건축 양식을 알 수 있음

(1991년 등록).◦ 뻬따야베시 구교회(Petäjävesi Old Church)

- 핀란드 중부 뻬따야베시의 구교회는 18세기 중반에 건립되어 독특한

동부 스칸디나비아식 건축 양식을 보여줌(1994년 등록).◦ 베를라 판지․제지공장(Verla Groundwood and Board Mill)

- 핀란드 남부 얄라와 발께알라에 소재한 베를라 판지․제지공장은 19~20세기 북유럽과 북미에서 성행했던 전형적인 제지산업의 면모를 보존

Page 104: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100

하고 있는 건물임(1996년 등록).◦ 삼말라흐덴마끼 청동기 유적(Bronze Age Burial Site of Sammallahdenmäki)

- 핀란드 서부 사따꾼따 지방에 있는 30여개의 청동기 시대의 고분으로

청동기 시대 북유럽의 장례 문화와 종교․사회 구조를 추측할 수 있음

(1999년 등록).

바. 미 술

◦ Waino Aaltonen(1894~1966)- 핀란드의 대표적 조각가로 Alexis Kivi(핀란드 근대문학의 창시자)의

기념비를 제작하고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Paavo Johannes Nurmi의 동상, Ståhlberg 대통령(1919~1925 재임, 초대 대통령)과 Svinhufvud 대통령

(1931~1937 재임) 동상 외 다수의 동상을 제작함.◦ Pekka Halonen(1865~1933)

- 핀란드 풍경과 인물들을 화폭에 담은 사실주의 화풍의 화가임.◦ Eero Jarnefelt(1863~1937)

- Sibelius의 처남으로 자연주의 화풍에 영감을 얻었는데, 대표작으로

「The wage slaves」(1893)가 있음.◦ Helene Schjerfbeck(1862~1946)

- 역사화에서 자연주의, 상징주의까지 다양한 화풍으로 유명한 여류화가임.◦ Akseli Gallen-Kallela(1865~1931)

- 핀란드 국민주의 예술의 대표적 화가로 민족 서사시 「The Kalevala」의

삽화를 그림.

Page 105: 2012.11 핀란드개황

VII. 한-핀란드 관계

Page 106: 2012.11 핀란드개황
Page 107: 2012.11 핀란드개황

Ⅶ. 한-핀란드 관계

103

1. 외교 관계

가. 동서 냉전기 : 중립 외교

◦ 동서 냉전하에서 핀란드는 인접국 소련을 의식하여 중립외교정책을 표방함.- 남북한 관계에 있어서도 엄정중립 원칙하에 남북한 어느 일방에 편파적

이라는 인상을 대외적으로 주지 않으려고 노력함.- 유엔 총회의 한국문제 토의시 기권으로 일관되게 대응함.

◦ 1973.4월 핀란드가 남북한을 동시 승인하고, 1973.8월 우리나라와 외교

관계를 수립함.

나. 탈냉전기 : 우리와의 협력관계 강화

◦ 냉전종식 이후 핀란드는 북한보다 우리나라와의 협력에 중점을 두고, 우리

와의 실질적 협력관계 강화를 위해 노력함.-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시 공동 제안국이 되는 등 UN 등 각종 국제

기구에서 우리나라 입장을 지지하고 있음.- 한반도 통일문제에 있어 우리의 대북정책을 적극 지지하고 있음.- 북한 핵개발 등 북한의 도발행위에 대해 여타 EU 회원국들과 공동

으로 북한을 비난하고, 우리입장을 적극 지지하고 있음.

다. 2000년대 이후 : 정상상호방문 등 실질적 협력 강화

◦ 2000.10월 서울에서 개최된 제3차 ASEM 정상회의 계기 김대중 대통령과

Halonen 대통령간 정상회담과 2002.4월 Halonen 대통령의 국빈 방한은

양국 관계증진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움.◦ 2006.9월 헬싱키 개최 제6차 ASEM 정상회의 참석 계기에 노무현 대통령의

핀란드 국빈 방문은 우리 대통령의 첫 핀란드 방문으로서 양국관계를

실질적으로 격상시키는데 기여함.◦ 2008.6월 핀란드 Vanhanen 총리 방한 및 Finnair 헬싱키-인천 직항 개설은

Page 108: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104

양국간 인적․물적 교류 확대 및 경제협력 강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 핀에어 직항이 주 7회(하절기)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음.- 핀에어 직항 개설후 방핀 한국인이 급증하였고, 헬싱키-반타 공항이

유럽의 관문으로 부상함.◦ 2012.3월 핀란드 Niinistö 대통령은 취임후 최초 해외방문으로 서울 핵안보

정상회의에 참석함. - 동 방한이 한-핀 양자관계 강화 및 핵안보 등 국제사회에서 양국간

협력강화의 주요 계기가 됨.

라. 공관 현황

◦ 우리나라는 1973.8월 주핀란드대사관을 개설하여 상주 공관을 유지해

오고 있음.- 현재 박동선 대사(2010.9월 부임)와 직원 5명이 근무중임.

◦ 핀란드는 1978.11월 주한 핀란드대사관을 개설함.- 현재 Matti Heimonen 대사(2012.10월 부임)와 직원 3명이 근무 중이고,

별도로 주한상무관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음.

마. 협정체결 현황

협 정 명 서명일 발효일사증면제 각서교환 1974. 2.18 1974. 3. 1발명특허권, 실용신안권, 의장권 및 상표권 상호 부여 및 보호 각서교환 1979. 9.13 1979. 9.13경제․공업 및 기술협력협정 1979. 9.13 1980. 2.23이중과세 회피 및 탈세방지협약 1979. 2. 8 1981.12.23과학 및 기술협력협정 1989. 5.24 1989. 7. 6문화협정 1993.10.21 1994. 1.26사증면제협정 개정 교환각서 1994. 1.19 1994. 2.18투자증진 및 보호협정 1993.10.21 1996. 5.11항공업무협정 1996.11.12 1997. 2. 1

Page 109: 2012.11 핀란드개황

Ⅶ. 한-핀란드 관계

105

바. 양국간 정례협의회

◦ 한-핀란드 정책협의회(Korea-Finland Policy Consultative Meeting)- 제1차 : 1998. 5, 서울, 신동원 차관-Valtasaari 차관

- 제2차 : 1999.10, 헬싱키, Valtasaari 차관-선준영 차관

- 제3차 : 2001. 3, 서울, 반기문 차관-Valtasaari 차관

- 제4차 : 2004. 3, 서울, 이수혁 차관보-Jaakko Lajava 차관보

- 제5차 : 2005.10, 서울, 송민순 차관보-Markus Lyra 차관보

- 제6차 : 2006. 3, 헬싱키, Arto Mansala 차관-유명환 제1차관

- 제7차 : 2007.10, 서울, 조중표 제1차관-Torstila 차관

- 제8차 : 2012.2, 헬싱키, Laajava 차관보-김재신 차관보

◦ 문화공동위(Korea-Finland Joint Cultural Commission Meeting)- 제1차 : 1994.6, 헬싱키

- 제2차 : 1998.6, 서울

- 제3차 : 2000.10, 헬싱키

- 제4차 : 2005.10, 서울

◦ 과학·기술공동위(Science-Technology Joint Committee) 및 과학·기술

포럼(Science-Technology Forum)- 제1차 과학·기술 공동위(1993), 제1차 과학·기술 포럼(2005)- 제2차 과학·기술 공동위 및 과학·기술 포럼 : 2007.8, 서울

- 제3차 과학·기술 공동위 및 과학·기술 포럼 : 2009.12, 헬싱키

- 제4차 과학·기술 공동위 및 과학·기술 포럼 : 2011.10, 서울

2. 경제 관계

가. 교 역

◦ 한국-핀란드간 교역은 9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무역

수지는 균형에 가까움.- 2011년 : 수출 7.7억불, 수입 9.3억불, 총 교역 17억불

* 2009년도 수출(5.59억불)이 2008년도 수출(23억불)보다 크게 줄어든 이유는 Nokia

Page 110: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106

마산공장(TMC)에서 생산하는 휴대폰의 수출선을 핀란드에서 여타 국가로 전환했기 때문임.

◦ 과거 핀란드는 우리 기업의 대러시아 수출의 중간 물류기지로서 활용되었음.- 2000년대 중반 이후 핀란드를 경유한 대러시아 수출이 거의 없어지고,

대러시아 직접 수출이 크게 늘어나서 현재 핀란드를 통한 대러시아

수출은 미미한 수준임.◦ 2011.7월 한-EU FTA가 잠정 발효되었는 바, 향후 한-EU FTA를 활용한

양국간 교역이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됨.

※ 한국 - 핀란드간 교역 추이(2011년, 한국기준, 출처: KOTIS)(단위 : US$ 백만, %)

연도 한국의 수출 한국의 수입 무역규모 금액 금액2008 2,330 1,047 3,3772009 559 851 1,4102010 571 1,004 1,5752011 766 935 1,701

※ 한국-핀란드간 주요 교역품목◦ 주요 수출품목 : 전기․전자 제품, 정보통신 제품, 자동차 등 운송장비◦ 주요 수입품목 : 기계류, 철강재, 전기전자기기 등

나. 투자 및 기업간 거래

◦ 핀란드 기업의 대한 투자

- 1982년 Nokia사가 최초로 한국에 투자(Nokia 마산공장, TMC)・ 마산수출자유지역내 설립, 2010년 29억불 수출

- 2007년 Wärtsilä사가 현대중공업과 공동으로 선박엔진공장설립

・ 50:50 투자, 전남 대불산업 단지내 건설

・ 고효율 이중연료방식 LNG 엔진 개발·생산, 세계시장 선점

- 2011년 Robit Roktools사가 동해자유구역내 2백만불 투자

Page 111: 2012.11 핀란드개황

Ⅶ. 한-핀란드 관계

107

※ 핀란드의 對한국 투자(신고 기준, 출처: 지경부)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누계

건 수 4 2 3 3 6 3 1 1 58투자 총액(백만불) 15.1 10.5 1.5 47.4 33 0.43 18 1.95 178

※ 2011년말 현재 핀란드의 5대 對한국 투자기업(출처: 지경부) 회사명 대표업종 투자자명 투자금액

(천불)한국알스트롬 제지․목재 AHLSTROM CORPORATION 외 2 26,289Nokia티엠씨 전기․전자 Nokia COPORATION 외 3 23,701

Robit Roktoos 기계·장비 Robit Roktoos 1,950파이박스 화 공 FIBOX OY AB 외 2 1,172

바르질라코리아 선박엔진 WARTSILA TECHNOLO OY AB. 외 1 903

◦ 우리기업의 대핀란드 투자

- STX핀란드가 핀란드내 3개 조선소(Turku, Rauma, Helsinki) 보유, 유럽선, 쇄빙선, 특수선 등을 건조중임.

- 삼성전자(10명), LG전자(4명), 하이닉스(1명) 등이 주재원을 파견, Nokia와 긴밀한 협조관계 유지중임.

- 현대기아자동차, 삼성전자(완제품), LG전자(완제품) 등은 현지 대리인을

통해 판매중임.

※ 한국의 對핀란드 투자(2011년 12월말 신고 기준, 출처: 수출입은행)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건 수 0 1 0 2 1 2투자 총액(천 불) 0 146 0 34 2 50

◦ 녹색산업 협력

- 현대 중공업과 Finnish Power간 총 16MW 풍력발전기 공급 계약체결

(2011.4월), 우리 업체 유럽시장 진출 최초 사례

Page 112: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108

- 미라셀 솔라, 핀란드 태양광 모듈업체 냅스에 태양전지 공급(3년간

최대 500억원 규모)- 주재국은 녹색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있고, 동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

력을 가진 다수 기업을 보유하고 있음.◦ 디자인 분야 협력

- 핀란드는 디자인을 첨단기술과 함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인식, 집중

육성 중임. - 헬싱키가 2012년 세계 디자인 시티(2010년 서울)로 지정되어, 다양한

디자인 관련행사가 개최 중임. ◦ 과학·기술 분야 협력(주요 사례)

- 대덕연구개발특구에 핀란드의 국립기술연구센터(VTT)와 한국전기통신

연구원(ETRI)간 공동 R&D센터 설립(2009.3월)- 국립기술연구센터(VTT)와 인천경제청간 양해각서 체결 : 송도 국제

도시내 BRC(의료바이오 클러스터) 단지에 VTT 입주, U-헬스 등 연구

- VTT-건국대 공동연구센터 개설(2011.6월) :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인쇄전자 융합기술 공동연구

3. 민간 교류

가. 인적 교류

◦ 2008.6월 핀에어 직항 개설, 북유럽 국가 전반에 대한 한국 관광객 급증

등으로 매년 주재국 방문자수가 급증하고 있음.※ 핀란드 방문 한국인(출처: 핀란드 관광청)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13,533명 15,648명 12,159명 10,602명 16,074명 38,000명

※ 한국 방문 핀란드인(출처: 한국관광공사)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4,372명 4,745명 5,414명 9,625명 9,131명 9,339명 10,320명

Page 113: 2012.11 핀란드개황

Ⅶ. 한-핀란드 관계

109

◦ 1974.2월 비자면제 각서교환으로 한-핀란드 양국 국민은 상대국에 90일간

무비자로 입국이 가능함.- 또한, 핀란드는 쉥겐협약 회원국으로 회원국내에서 자유로운 이동 가능

나. 재핀란드 동포

◦ 2012년 현재 핀란드에 체류중인 우리 동포는 약 350명 수준이며, 국제결혼

여성, 유학생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 한인단체 현황(4개)

- 재핀란드 한인회(1991.12월 결성)- 재핀란드 한인학생회(2002.8월 결성)- 재핀란드 신한인회(2003.2월 결성)- 재핀란드 한인과학자 협회(2010.11월 결성)

다. 학술 교류

◦ 대학간 교류

- 국내 20여개의 대학이 핀란드 대학과 자매결연 또는 학생교류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한국 유학생(교환학생 포함) 80여명이 핀란드 대학에 수학중이며, 90

여명의 핀란드 학생이 국내 대학에 수학중임.◦ 산업정책연구원-헬싱키 경제대 공동 MBA 과정

- 산업정책연구원과 헬싱키 경제대는 1995년 공동 MBA과정(KMBA)을

헬싱키에 개설하여 매년 100명 이상의 국내 민간기업 중견간부들이 동

과정 이수차 핀란드를 방문함.◦ 한국학 연구

- 헬싱키 대학은 1972년 한국어 강좌를 개설, 북유럽내 한국어 및 한국학 연구의 선구적 역할을 수행함. 현재 약 60여명이 수강중이며, 최근

증가 추세임.- 우리 정부는 한국학술진흥재단 및 국제교류재단을 통해 1980~1996년간

헬싱키 대학 한국어 강좌 운영을 지원하였으며, 1997년부터는 헬싱키

Page 114: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110

대학에서 자체 운영 중임.◦ Gustaf John Ramsted 교수

- 1919~1929년간 일본 주재 핀란드 공사대리를 역임한 핀란드 언어학자

(헬싱키대 교수 역임)로 일본 근무 중 우리말의 우수성을 발견하여

한국어 연구를 착수함.- 1939년 「한국어 문법」(The Korean Grammar), 1949년 「한국어 어원

연구」(Studies in Korean Etymology)를 저술하여 한국어의 우수성과

어원을 밝히는데 크게 기여함. ◦ 장학생 교류

- 정부간 장학생 초청 프로그램에 의거 매년 장학생을 상호 초청하고 있음

(한국 ⇒ 핀란드 2명)

라. 최근 주요 문화교류(한국 문화 핀란드내 소개 활동)

◦ 2001.6 전통한지 제조 시연회(헬싱키)◦ 2003.10 수교 30주년 기념 한국 현대 무용공연(헬싱키) ◦ 2004.10~12 한지미술전시회(헬싱키)◦ 2005.6 금호 실내악단, Nantaali 페스티발 공연

◦ 2005.9 정가악회 전통 가곡공연(헬싱키, 뚜르꾸)◦ 2006.5 한국 샤머니즘 세미나 및 남해별신 굿 공연(헬싱키)◦ 2007.5 헬싱키 아시아 페스티벌에 주빈국으로 참여

◦ 2007.4~12 한국의 집-생활방식 전시회(헬싱키, 국립문화박물관)◦ 2011.4 제1회 한국의 날 행사(헬싱키 대학, 우리 문화소개)

마. 친선단체

◦ 한-핀 의원친선협회(19대 국회, 구성중)

Page 115: 2012.11 핀란드개황

Ⅶ. 한-핀란드 관계

111

◦ 핀-한 의원친선협회(Finland-Republic of Korea Parliamentary Friendship Association)- 설 립 : 1993.5.11- 회 장 : Kari Uotila 의원

◦ 핀-한 친선협회(Finland-Republic of Korea Friendship Association)- 설 립 : 1983.3.17(헬싱키)- 회 장 : Olavi Vanninen- 회원수 : 약 110여명

- 지 부 : Lahti(1984.10 설치), Hamina(1986.12 설치), Tampere(1987.1 설치), Kuopio(1990.1 설치), Turku(1990.9 설치)

- 활 동 : 뉴스 블레틴 정기 발간(연간 5~6회)◦ 핀-한 무역협회(Finland-Korea Trade Association)

- 설 립 : 1986.4.15- 회 장 : Eero Makinen- 회 원 : 45개 기업

◦ 한-핀 경제협력위원회

(Korea-Finland Economic Cooperation Committee)- 1977년 구주방문 통상사절단(단장: 장예준 상공부장관)의 핀란드 방문

기간중 한-핀란드 경제협력위원회 창립총회가 개최되어 초대 한국측

위원장에 대한조선공사 남동연 회장이, 핀란드측 위원장에 Bjoro Westurlund NOKIA 회장이 선임된 이래 2002.4.9까지 12회의 합동

회의를 개최함.- 주관기관 : 전경련 및 핀란드 경제인 연합회(Confederation of Finnish

Industries)- 현 위원장 : 이인성 STX 조선해양 부회장 및 Ole Johansson(Wärtsilä

Corporation 사장, 8대, 2004.11 임명)- 2012.3.26 35주년 경제협의회(핀란드 경제인 협회(EK)-전경련) 개최

(서울, 주재국 대통령 참석 기조연설)

Page 116: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112

4. 고위인사 교류

가. 핀란드 방문

시 기 성 명1971. 81972. 81973. 2 1973. 81975. 9 1976. 91977. 91979. 51979. 61979. 81979. 91981. 9 1983. 41984. 31985. 3 1985. 61988. 8 1989. 81991. 51991.121994. 81996. 81996. 9

북구사절단(윤석헌 외무차관) 북구사절단(장상문 차관보) 북구사절단(장상문 차관보) 북구사절단(함병춘 특보) 북구사절단(최규하 특보) 북구사절단(김경원 특보) 통상사절단(장예준 상공장관) 함병춘 특보 신현확 부총리 최종완 과기처장관 박동진 외무장관 남덕우 국무총리 권정달 의원 등 IPU 대표단(IPU 이사회 참석) 황인성 의원 등 3인(의원친선사절단) 최동규 동자부장관 이재형 국회의장 김현욱 외무통일위 위원장 한승수 상공부장관(한․핀란드 통상장관 회담) 최평욱 산림청장 이진설 건설부장관(한․핀란드 양해각서 서명) 한승주 외무장관 김정자 정무 제2차관 윤 관 대법원장

Page 117: 2012.11 핀란드개황

Ⅶ. 한-핀란드 관계

113

시 기 성 명1999. 61999. 81999. 81999.102000. 52001. 22001. 42001. 52001. 72001. 82001. 82001.112002. 32002.102003. 52005. 92005.102006. 32006. 52006. 92007. 32007. 52007. 62007.102007.11

2010-20112010-2011

이상희 한-핀란드 의원 친선협회 회장 윤영대 통계청장(제52차 국제통계기구대회 참석) 신상우 국회부의장 선준영 외교통상부 차관(제2차 한・핀란드 정책협의회) 국회 재경위 의원단(단장: 김동욱 의원) 정동영 민주당 최고위원(국회 정보통신위) 한완상 교육부총리 이만섭 국회의장 국회 IT시찰단(김형오 의원) 김효석 국회 IT인력양성위원장 국회 문화외교 대표단(김덕룡, 문희상 의원) 이회창 한나라당 총재 김명자 환경장관 이근식 행자부장관(대통령 특사) 국회 여성위 의원단(단장: 임진출 위원장) 김원기 국회의장 김진표 교육부총리 유명환 외교통상부차관(제6차 한-핀란드 정책협의회) 김병준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노무현 대통령 국빈방문(제6차 ASEM 정상회의 참석) 국회 산자위 의원단(단장 : 이윤성 의원) 국회 여성가족위 의원단(단장 : 문희 의원) 권오룡 중앙인사위원장(여수 EXPO 유치사절단장) 윤대희 국무조정실장(여수 EXPO 유치사절단장) 이종백 국가청렴위원장 국회 의원단 방문(12회) 교육감 등 교육관련 고위 정책자 방문(8회)

Page 118: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114

나. 방 한

시 기 성 명1974. 11977.121978. 6 1979. 2 1979. 41980. 4 1983. 91993.101984. 11984.101985.101985.101986. 51986.111988. 41988. 91989. 51990. 31992. 51992.101994. 71994.101996. 21996. 31996. 41996.11

Pekka Tarjanen 교통장관(항공노선개설 협의차) Arvo Rytykonen 외무차관(통상사절단장) Opas 외무부 통상국 부국장 Paul Gustafsson 외무부 행정차관보(AALCC 총회) Sakari Lehto 전 대외무역장관 Esko Pekola 대외무역장관 제70차 IPU 총회 대표단(Tuomaala 의원 등) Erkki Pystynen 국회의장 및 Virolaine 전 국회의장 Jermu Laine 대외무역장관 Ulf-Erik Slotte 외무부 행정차관보 Pekka Vennamo 재무장관(IMF/IBRD 총회 참석) Seppo Pietinen 외무부 정무국장 Jermu Laine 대외무역장관 Paavo Kaarlehto 외무부 경제차관보 Pertti Salalainen 대외무역장관 Matti Ahde 국회의장(NOC 부위원장 자격, 올림픽 참관) Jermu Laine 관세청장 Hannu Tanhiela 국회 상공소위원장 및 소위 의원단 Kanko Juhantalo 상공장관 Paavo Varynen 외무장관 Elisabeth Rehn 국방장관 Esko Aho 총리 Niinistö 재무장관 국회 노동위 소속 의원단 Heinonen 교육부장관 Linnainmaa 교통․통신장관

Page 119: 2012.11 핀란드개황

Ⅶ. 한-핀란드 관계

115

시 기 성 명1997.101998. 51998. 81999. 12000.102001. 32001. 52002. 42005. 12005. 32005. 82007.102007.102008. 32008. 62009. 92010. 42010. 11 2010. 112010. 112011. 11 2012 .3

Norrback 외무부 유럽․통상장관 Valtasaari 외무차관(제1차 한-핀란드 정책협의회) Haavisto 환경장관 핀․한의원친선협회 사절단(단장 : Timo Ihamaki 의원) Halonen 대통령(제3차 ASEM 정상회의 계기) Valtasaari 외무차관(제3차 한-핀란드 정책협의회) Sasi 통상장관 Halonen 대통령(국빈 방문) Lehtomäki 통상개발장관 Pekkarinen 통상산업장관 Uotila 핀-한 의원친선협회 회장 Torstila 외교차관 국회 미래위원회 의원단(단장 : Tiura Marja 의원) Hallberg 행정대법원장 Vanhanen 총리 Wallin 문화부장관 Niinistö 국회의장 Pekkarinen 경제장관 Vayrynen 통상개발장관 Pajunen 헬싱키 시장 Hautala 국제개발장관 Sauli Niinistö 대통령

Page 120: 2012.11 핀란드개황
Page 121: 2012.11 핀란드개황

VIII. 참고사항

Page 122: 2012.11 핀란드개황
Page 123: 2012.11 핀란드개황

Ⅷ. 참고사항

119

1. 주요인사 인적사항

❙ 대 통 령

성 명 o 사울리 니이니스뙤(Sauli Niinistö)

생년월일 o 1948.8.24, Salo 출생

학 력 o 투르쿠 대학 법학석사(1974)

주요경력

o 1987- 현재 국민연합당 소속 * 1987-2003 및 2007-2010 국회의원o 1987-91 Grand Committee(EU정책)o 1987-93 법사위원회o 1989-93 Nordic Council(의원으로 구성) 핀란드 대표단o 1987-95 헌법위원회 위원 및 위원장o 1995-01 부총리(Lipponen 1기 및 2기 내각)o 1995-96 법무장관o 1996-03 재무장관o 2003-07 유럽투자은행(EIB) 부회장o 2007-10 국회의장 o 2012.3.1- 제12대 핀란드대통령

가족관계 o 부인 및 아들 2명최근

정상간 접촉 o 해당사항 없음(2012.3.1. 취임)

특기사항 o 2010.4 국회의장 신분으로 방한 o 2012.3 핵안보정상회의 계기 방한

Page 124: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120

❙ 총 리

성 명 o 유르끼 까따이넨(Jyrki Katainen)

생년월일 o 1971.10.14, Siilinjarvi 출생

학 력 o 땀뻬레대학 사회과학 석사(1998)

경 력

o 1993-현재 Siilinjarvi 지방 의원o 1999-현재 국회의원o 2001-2004 국민연합당 부대표o 2003-2005 YLE(방송사) 행정위원회 위원 o 2004-현재 국민연합당 대표o 2004-2005 OSCE 의회 위원회 핀란드 대표 o 2005-2007 핀란드 중앙은행 의회 감독위원회 위원o 2006-2007 국제문제 포럼 회원 o 2006-2007 국회 미래위원회 위원장o 2007 국회 외교위원회 위원장o 2007-2011 재무부장관o 2011-현재 총리

가족관계 o 부인 및 2자녀

Page 125: 2012.11 핀란드개황

Ⅷ. 참고사항

121

❙ 외교장관

성 명 o 에르끼 사카리 뚜오미오야 (Erkki Sakari Tuomioja)

생년월일 o 1946.7.1, Helsinki 출생

학 력 o 헬싱키 대학교 사회과학 박사(1996)o 헬싱키 경제경영대학교 학사․석사(1974)

경 력

o 2011-현재 외교부 외교장관o 2007-현재 국회 EU관계 위원회 위원장o 2000-2007 외교부 장관o 1999-2000 무역산업부 장관o 1996-1999 사회민주당 의장o 1991-1996 사회민주당 부의장o 1979-1991 헬싱키 부시장o 1970-1979 사회민주당 국회의원

가족관계 o 부인

사용언어 o 영어, 스웨덴어, 독일어, 프랑스어

Page 126: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122

2. 내각구성(2012.7 현재) : 총리 및 각료 19인으로 구성

총 리(Prime Minister) Jyrki Katainen 국민연합외교장관(Minister for Foreign Affairs) Erkki Tuomioja 사회민주법무장관(Minister of Justice) Anna-Maja Henriksson* 스웨덴인자치행정장관(Minister of Municipal & Administrative Affairs) Henna Virkkunen* 국민연합유럽문제․통상장관(Minister for European Affairs & Foreign Trade) Alexander Stubb 국민연합문화체육장관(Minister of Culture and Sport) Paavo Arhinmäki 좌익연맹교통장관(Minister of Transport) Merja Kyllönen* 좌익연맹주택·통신장관(Minister of Housing & Communications) Krista Kiuru* 사회민주사회보건장관(Minister of Social Affairs & Health) Maria Guzeman-Richardson* 사회민주노동장관(Minister of Labour) Lauri Ihalainen 사회민주재무장관(Minister of Finance) Jutta Urpilainen* 사회민주국제개발 장관(Minister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Heidi Hautala* 녹색당내무장관(Minister of the Interior) Päivi Räsänen* 기독민주국방장관(Minister of Defense) Carl Haglund 스웨덴인교육·과학장관(Minister of Education and Science) Jukka Gustafsson 사회민주농림장관(Minister of Agriculture & Forestry) Jari Koskinen 국민연합경제장관(Minister of Economic Affairs) Jan Vapaavuori 국민연합사회보건장관(Minister of Social Affairs and Health) Paula Risikko* 국민연합환경장관(Minister of the Environment) Ville Niinistö 녹색당

* 표시는 여성장관(19명 중 9명이 여성으로 구성)

Page 127: 2012.11 핀란드개황

Ⅷ. 참고사항

123

3. 핀란드-북한 관계

가. 약 사

◦ 핀란드는 당초 분단국가와는 수교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었으나 1973.4 남북한 동시 승인 후 1973.6 북한과 외교관계를 수립한 직후 주

북한 대사관을 개설하였고, 1974.4 별도로 평양에 상무관실을 개설하여

상무관을 파견함.◦ 북한은 1973.6 주핀란드 대사관을 개설하였으나, 1976.10 밀수사건으로

공관원이 추방당하는 등 핀란드 정부와의 원활한 협조관계를 구축하지

못한채 이념적 연대성을 이용하여 좌파세력과의 접촉을 유지하는 정도였음.- 1979.6 유재한 대사 부임이래 북한은 한국내 정정불안 등을 이용하여

핀란드내 친북단체 및 좌익정당과의 연계를 시도하고 한-핀란드간 우호

관계를 저해하기 위한 책동을 전개하는 한편, 기존 채무 현물상환 및

플랜트 구매제의 등 핀란드와의 관계개선에 노력함.- 북한은 1983.4 헬싱키에서 개최된 IPU 이사회에서 제70차 IPU 총회

개최지 변경을 위해 Virolainen 전 의회의장(1979~1982 재직)에 대해

뇌물을 공여하려다가 유재한 대사가 추방됨으로써 국가 이미지에 결정적 타격을 받음

◦ 냉전종식후 핀란드가 친서방정책으로 외교정책을 전환하면서 한국과의

실질협력을 증진시킴에 따라 북한-핀란드 관계는 점차 소원해졌으며, 핀란드는 주북한 대사관을 1992.4 폐쇄하고 주중국 대사관에서 북한을

겸임하였으나, 2006.8부터 주한 핀란드대사가 북한을 겸임중.- 북한의 1970년대 대핀란드 채무 미상환으로 북한-핀란드간 교역은

거의 중단상태이며, 1997.11 북한 외교부 김춘국 구주국장의 핀란드

방문시 핀란드는 북한의 부채 상환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핀란드

정부가 대북한 투자무역에 있어서 보증을 설 수 없다는 입장을 표명함.- 핀란드는 북한 핵문제 및 안전문제 해결에 대한 진전이 없이는 실질적인

교류를 추진하지 않는다는 EU의 대북한 정책에 충실히 공조를 취하고

있음.- 북한은 1998.1 김평일 대사의 이임 후 대사대리 체제를 유지해 오다가

1999.4 주핀란드 북한대사관을 철수시키고 현재 주스웨덴 북한대사관

Page 128: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124

에서 핀란드를 겸임중(주스웨덴 북한대사는 국경일 행사 참석 등 계기에

연 1~2회 정도 핀란드를 방문)

나. 인적 교류

◦ 북한은 궁석웅 외무성 부상이 2005.11 유럽국가 방문의 일환으로 핀란드를 방문하여 Markus Lyra 차관보와 정책협의회를 개최함. - 북한측은 과거보다 다소 유연하였으나 인권 및 인도적 지원 거부문제

등에는 여전히 대단히 경직된 태도를 표명함.◦ 친북 단체 : 핀란드-조선협회

- 창 립 : 1973.4.12- 회 원 : 약 150명- 회 장 : Pekka Leppanen(좌익연합 소속 전 의원)- 지 부 : Tampere, Turku, Kuopio, Jyvaskyla 등 4개 도시

다. 북한의 대핀란드 채무문제(채무액: 1,760만불)

◦ 북한은 1972년 핀란드 Metex사로부터 1.5억 마르카 상당의 펄프 및 판지

기기를 도입한 후, 동 대금 일부를 1986.12까지 상환하였으나, 약 6천만

마르카의 채무액이 핀란드 정부기관인 수출보증위원회에 대한 채무형식

으로 잔존하고 있음.◦ 1991.8 핀란드와 북한은 헬싱키 섬유회담을 거쳐 1992.1 평양에서 핀란드․

북한 섬유협정을 체결하여, 북한이 매년 1,500만불 상당의 섬유류를 3년간

핀란드에 수출하되 동 수출액의 40%를 북한의 대 핀란드 채무변제에 사용

토록 합의하였으나 현재까지 변제 실적은 없음.

라. 핀란드의 대북 인도적 지원 현황

◦ 핀란드 정부는 90년대 말 이래 대북 직접 지원을 중단한 이후 아직까지

대북 지원정책을 변경하지 않고 있음. 대북지원 관련 6자회담 등 북핵

문제에 있어서 진전이 있을 경우에도 EU회원국으로서 EU와 공동보조를

Page 129: 2012.11 핀란드개황

Ⅷ. 참고사항

125

취한다는 입장임.◦ 인도적 지원의 경우 핀란드는 WFP, IFRC 등 국제기구와 FIDA 등 자국

NGO를 통해 북한에 대하여 연간 100~150만 유로 상당의 지원을 제공하고 있음. - 핀란드는 2003년 100만 유로, 2004년 145만 유로, 2005년 120만

유로, 2006년 50만 유로, 2007년 133만 불을 북한에 제공함.

4. 핀란드 관련 참고도서 및 홈페이지

가. 참고 도서

◦ Discovery Channel,(2004) "Insight Guides, Finland", Singapore, APA Publications - Discovery 채널에서 발간한 관광안내 책자형식의 서적이며 핀란드 역사,

사회, 문화, 지역생활에 대한 내용이 충실함.◦ Haigh, Rupert,(2003) "Business Brief : Finland", Helsinki, Multikustamnus,

Fintra-sarja.- 비즈니스를 위한 간단한 소개 책자로서 핀란드에 대한 간략하고 명료한

소개 자료임.◦ Jakobson, Max,(1998) "Finland in the New Europe", London,

PRAEGER- 1970년대 주유엔핀란드대사를 역임한 외교관 출신의 역사가 저서로

핀란드 역사를 과거, 현재, 미래 시각에서 조명한 서적임.- 동 대사는 1971년 미국에 의해 유엔 사무총장 후보에 적극 추천되었으나

소련의 반대로 좌절됨.◦ Klinge, Matti,(1997) "A Brief history of Finland", Helsinki, OTAVA

Publishing Company Ltd. - 헬싱키 대 역사학과 교수가 쓴 간결하면서도 가장 널리 소개된 핀란드

역사 소개서임.

Page 130: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

126

◦ Lewis, Richard D,(2005) "Finland, Cultural Lone Wolf", London, A Nicholas Brealey Publishing Company- 영국계 비교문화연구가가 발간한 서적으로 핀란드인의 사고방식, 문화

등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됨. ◦ Riihinen, Olavi & Pesonen, Pertti,(2002) "Dynamic Finland, The

Political System and the Welfare State", Helsinki, Finnish Literature Society; - 헬싱키 대학 및 땀뻬레 대학 교수가 공저로 발간한 서적으로 핀란드의

정치, 경제, 사회제도 등을 종합적으로 소개함.

나. 홈페이지

◦ 핀란드 일반

- 핀란드 소개(http://virtual.finland.fi/)- 위키피디아(http://en.wikipedia.org/wiki/Main_Page)- 외교부(http://formin.finland.fi/public/)

◦ 약 사

- 위키피디아(http://en.wikipedia.org/wiki/Finland)- 핀란드 소개(http://virtual.finland.fi/History/)

◦ 정 치

- 핀란드 소개(http://virtual.finland.fi/Politics_society/)- 대통령실(http://www.presidentti.fi/en/)- 국회(http://www.eduskunta.fi/)- 총리실(http://www.vnk.fi/etusivu/en.jsp)- 위키피디아(http://en.wikipedia.org/wiki/Finland)

◦ 외교 및 국방

- 핀란드 소개(http://virtual.finland.fi/Foreign_Policy/)- 외교부(http://formin.finland.fi/public/)- 대통령실(http://www.presidentti.fi/en/)- 국방부(http://www.defmin.fi/english)

Page 131: 2012.11 핀란드개황

Ⅷ. 참고사항

127

- 위키피디아(http://en.wikipedia.org/wiki/Finland)◦ 경 제

- 핀란드 소개(http://virtual.finland.fi/Economy/)- 재무부(http://www.ministryoffinance.fi/vm/en/01_main/)- 통상산업부(http://www.ktm.fi/?l=en)- 통계청(http://www.stat.fi/index_en.html)- 위키피디아(http://en.wikipedia.org/wiki/Finland)

◦ 사회 및 문화

- 핀란드 소개(http://virtual.finland.fi/Economy/)- 교육부(http://www.minedu.fi/OPM/?lang=en) - 사회보건부(http://www.stm.fi/Resource.phx/eng/index.htx)- 복지기금(http://www.kela.fi/in/internet/english.nsf)- 위키피디아(http://en.wikipedia.org/wiki/Finland)- 통계청(http://www.stat.fi/index_en.html)

/끝/

Page 132: 2012.11 핀란드개황

핀란드 개황인쇄 ∙ 2012년 11월발행 ∙ 2012년 11월

발행처 ∙ 외교통상부 유럽국 서유럽과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8길 60

전화 ∙ (02)2100-7448팩스 ∙ (02)2100-7957

인쇄 ∙ 마스타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