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도...

92
2018년도 원천기술개발사업 2017. 12. 한국연구재단 국책연구본부

Upload: others

Post on 21-Feb-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2018년도 원천기술개발사업

2017. 12.

한국연구재단

국책연구본부

2018년도 원천기술개발사업

목 차

Ⅰ. 2018년 원천기술개발사업 현황···························· 1

Ⅱ. 2018년 융합기술분야 신규사업 ······················· 11

Ⅲ. 2018년 바이오분야 1차 공고 신규과제 ·········· 19

Ⅳ. 바이오분야 1차 공고 신규과제 세부내역··········· 47

- 1 -

I . 2018년 원천기술개발사업 현황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II. 2018년 융합기술분야 신규사업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 19 -

III. 2018년 바이오분야 1차 공고 신규과제

- 20 -

- 21 -

- 22 -

- 23 -

- 24 -

- 25 -

- 26 -

- 27 -

- 28 -

- 29 -

- 30 -

- 31 -

- 32 -

- 33 -

- 34 -

- 35 -

- 36 -

- 37 -

- 38 -

- 39 -

- 40 -

- 41 -

- 42 -

- 43 -

- 44 -

- 45 -

- 46 -

- 47 -

IV. 바이오분야 1차 공고 신규과제 세부내역

- 48 -

- 49 -

2018년 바이오분야 1월 공고예정 신규과제 내역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총 245.25억 원/공고과제 18개)

(단위 : 억 원(개))

연번 PM분야 내역사업명 공고과제명 예산 선정

과제수 공고형식

1

신약

신약개발

신약 미래 파이프라인 개발 25 5 사업안내서

2 신약 타겟 발굴 및 검증 11.5 4 사업안내서

3 약물전달 플랫폼 기술 개발 8 2 사업안내서

4 세포소기관 기반 신약 원천기술 개발 10 2 사업안내서

5

줄기세포

줄기세포 응용 융복합 기술 개발 22.5 3 사업안내서

6 줄기세포원 확보기술 개발 7.5 2 사업안내서

7 줄기세포 기반 엑소좀 활용 기술 개발 8 3 사업안내서

8 뇌첨단의공학 차세대의료기술개발 신개념의료기기 원천기술개발 24 4 사업안내서

9

차세대바이오

차세대바이오 Korea Bio Grand Challenge 45 9 RFP

10 바이오인프라 일반 소재은행 3 1 RFP

11 첨단GW바이오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활용 신규 치료기술 개발 15 2 RFP

12 뇌첨단의공학 바이오융복합 기술개발 바이오마커 기반 모바일헬스케어기술개발 9 3 RFP

13 신약

미래의료혁신 대응기술개발

산학연병 협력 기업창출형 혁신기술개발 20 4 RFP

14

뇌첨단의공학

의학연구 피드백 기반 신개념 의료기술개발(의료기관 창업캠퍼스 연계 원천기술개발) 6.5 1 사업안내서

15 임상의과학자 연구역량 강화 14 2 RFP

16 MD비즈니스모델 실현 의료기기원천기술개발(MD-PhD 협력연구) 5.25 3→1 RFP

17 글로벌 진출 유망 의료기기 원천기술개발(바이오 아이코어사업) 11 12→2 RFP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20.83억 원/공고과제 1개)(단위 : 억 원(개))

연번 PM분야 내역사업명 공고과제명 예산 선정

과제수 공고형식

1 뇌첨단의공학뇌과학 4대분야

및 융합뇌연구 4대 분야 연구 20.83 5 사업안내서

□ 포스트게놈다부처유전체사업(3억 원/공고과제 1개)(단위 : 억 원(개))

연번 PM분야 내역사업명 공고과제명 예산 선정

과제수 공고형식

1 차세대바이오미래유전체연구 인프라 고도화

국제협력 기반 암 특이적 후성유전체 마커 고도화

3 1 RFP

- 50 -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신약개발]

사업 안내서- 신약 미래 파이프라인 개발 -

□ 추진배경

○ 고령 사회 및 생활습관 변화로 인해 만성질환의 국가적 의료비 부담이

증가함에 따라 경제성이 높아진 신약개발 산업은 미래 먹거리의 핵심

축임.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가적인 R&D 투자가 필요함

○ 시장규모가 작더라도 비교적 성공확률이 높은 바이오의약품, 신규 타겟을 대

상으로 하는 항체의약품 등의 기술 개발 등 글로벌 제약산업을 선도하기

위한 차별화된 파이프라인 확대가 필요함

□ 추진목표

○ 최종목표 : 질환관련 표적에 대한 신약 혁신 파이프라인 확보 및 실용화

○ 분야 1. 합성신약 미래 파이프라인 개발

- 합성신약 IND 승인

○ 분야 2. 바이오의약품 미래 파이프라인 개발

- 선도물질 최적화를 통한 후보물질 도출(항체 의약품 제외)

○ 분야 3. 항체의약품 후보물질 개발

- 항체의약품 선도물질 최적화를 통한 후보물질 도출(부처연계사업)

□ 사업기간 및 규모

○ 총 사업기간 : ‘18~‘22년(총 5년, 3+2, 다만 분야 3은 ‘18~‘20년, 3년)

○ 연구비 : 총 연 25억 원 내외 (과제당 연 5억 원 내외)

○ 선정 과제 수

- 분야 1 : 2개 과제 내외

- 분야 2 : 2개 과제 내외

- 분야 3 : 1개 과제 내외

□ 주요 성과목표

○ 성과 창출 및 성과활용‧확산 지표 및 목표치

- 51 -

- (1단계/기술적 성과) : 특허 출원

- (2단계/기술적 성과) : 특허 등록

- (경제적 성과)

· 분야 1, 2 : 기술이전※ 또는 후속 개발사업 연계※※

· 분야 3 : 기술이전 또는 전임상 진입

※입금액 기준 총 1억 원 이상 및 경상기술료

※※후속 개발사업 연계는 차상위 연구단계 진입을 의미함

□ 특기사항

○ 1단계 1차년도 연구기간은 9개월이고, 단위과제 형식으로 제안함

○ 본 사업 내에서 1개 과제만 신청 가능함(세부과제 책임자 및 공동연구원)

○ 기존 유사과제를 수행하거나 참여하고 있는 경우는 중복지원을 지양함

○ 단계평가 후 계속지원 및 연구비 조정 여부를 결정함

○ 재정상황 등에 따라 연구비, 연구기간, 연구내용 등이 변경될 수 있음

○ 관련법령에 근거하여 연구개발성과를 분야별 연구성과물 전담기관에

등록하거나 기탁하여야 함(붙임 참조)

○ 선정된 과제는 마일스톤 관리를 위한 자료제출(연구산출물 등) 요구에

응할 의무가 있으며 추후 설립될 코디네이팅 센터(가칭)와 협력하여야 함

○ 목표 조기 달성 시, 과제 조기 종료 또는 잔여 연구 기간 동안 특허 출

원 및 적응증 확장 등의 추가연구 가능함

○ 분야 3, 항체의약품의 경우 성과 목표 달성 후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

술연구개발사업 항체신약 분야에 본 과제의 연구성과를 연계하여 지원

할 경우 가점 수혜 가능(평가 결과 증빙 필요)

○ 비임상 또는 인체유래시료를 이용하는 경우 동물실험윤리위원회(IACUC) 또

는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아야 함

□ 선정기준

○ 공고문 본문 내용 참조

- 52 -

사업 안내서- 신약 타겟 발굴 및 검증 -

□ 추진배경

○ 고령 사회 및 생활습관 변화로 인해 만성질환의 국가적 의료비 부담이

증가함에 따라 경제성이 높아진 신약개발 산업은 미래 먹거리의 핵심

축임.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가적인 R&D 투자가 필요함

○ 글로벌 제약회사들은 생산성 저하와 파이프라인 부족 극복을 위해 기존

검증물질을 활용하여 신규 기전의 약을 개발하는 혁신신약에 집중

○ 기존 부처에서 추진한 기초연구와 신약 타겟 발굴 사업을 중심으로,

우수한 연구 성과를 사업용으로 활용하는 선순환 구조 유도가 필요

□ 추진목표

○ 최종목표 : 검증물질※을 활용한 신규 기전 치료 타겟에 대한 효능 및

부작용 검증

※ 검증물질 : 유효물질 개념의 바이오, 화합물, 생리활성복합체 등

- 타겟 검증 시스템 구축, mode-of-action, 동물 모델 등을 통한 효능 및

부작용 검증

□ 사업기간 및 규모

○ 총 사업기간 : ‘18~‘19년(총 2년)

○ 연구비 : 총 연 11.5억 원 내외 (과제당 연 2.7억 원 내외, 연구지원과제

0.7억 원 포함)

○ 선정 과제 수 : 4개 과제 내외

□ 주요 성과목표

○ 성과 창출 및 성과활용‧확산 지표 및 목표치

- (기술적 성과) 기술혁신 : 신규 기전 치료 타겟 확보

- (기술적 성과) : 특허 출원

- (경제적 성과) : 기술이전

□ 특기사항

○ 1단계 1차년도 연구기간은 9개월이고, 단위과제 형식으로 제안함

○ 본 사업 내에서 1개 과제만 신청 가능함(세부과제 책임자 및 공동연구원)

- 53 -

○ 기존 유사과제를 수행하거나 참여하고 있는 경우는 중복지원을 지양함

○ 재정상황 등에 따라 연구비, 연구기간, 연구내용 등이 변경될 수 있음

○ 실용화 촉진을 위하여 산업계의 참여 방안(주관, 공동, 위탁 등)을 필

수적으로 제시해야 하며, 의료계의 참여·연계 방안 제시를 권장함

○ 관련법령에 근거하여 연구개발성과를 분야별 연구성과물 전담기관에

등록하거나 기탁하여야 함(붙임 참조)

○ 선정된 과제는 마일스톤 관리를 위한 자료제출(연구산출물 등) 요구에

응할 의무가 있으며 추후 설립될 코디네이팅 센터(가칭)와 협력하여야 함

○ 비임상 또는 인체유래시료를 이용하는 경우 동물실험윤리위원회(IACUC) 또

는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아야 함

○ 과제 선정 후 네트워킹 지원 및 연구성과 제고를 위하여 기존 연구지원과

제에 편입됨

<추진체계도>

□ 선정기준

○ 공고문 본문 내용 참조

- 54 -

사업 안내서- 약물전달 플랫폼 기술 개발 -

□ 추진배경

○ 고령 사회 및 생활습관 변화로 인해 만성질환의 국가적 의료비 부담이

증가함에 따라 경제성이 높아진 신약개발 산업은 미래 먹거리의 핵심

축임.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가적인 R&D 투자가 필요함

○ 효과적인 신약기반기술은 약물효능 향상 및 개발 촉진을 통해 높은 부

가가치를 창출하며, 대규모 기술이전으로 연계 가능

○ 국내 신약개발의 사업화 성공률 제고 및 글로벌 시장에서의 기술우위

선점을 위해서는 파이프라인 발굴과 플랫폼 기술개발이 병행되어야 하

며, 이에 따라 플랫폼 기술개발에 대한 전략적 투자 필요

□ 추진목표

○ 최종목표 : 의약품 개발 실용화 촉진을 위한 플랫폼 원천기술 확보

- 의약품 성능 개선을 위한 약물전달 시스템 유효성, 전임상 평가 및 범

용성 검증

□ 사업기간 및 규모

○ 총 사업기간 : ‘18~‘20년(총 3년)

○ 연구비 : 총 연 8억 원 내외 (과제당 연 4억 원 내외)

○ 선정 과제 수 : 2개 과제 내외

□ 주요 성과목표

○ 성과 창출 및 성과활용‧확산 지표 및 목표치

- (기술적 성과) 기술혁신 : 약물전달 범용 플랫폼 기술

- (기술적 성과) : 특허 등록

- (경제적 성과) : 기술이전※

※ 입금액 기준 총 1억 원 이상 및 경상기술료

□ 특기사항

○ 1단계 1차년도 연구기간은 9개월이고, 단위과제 형식으로 제안함

○ 본 사업 내에서 1개 과제만 신청 가능함(세부과제 책임자 및 공동연구원)

- 55 -

○ 기존 유사과제를 수행하거나 참여하고 있는 경우는 중복지원을 지양함

○ 재정상황 등에 따라 연구비, 연구기간, 연구내용 등이 변경될 수 있음

○ 관련법령에 근거하여 연구개발성과를 분야별 연구성과물 전담기관에

등록하거나 기탁하여야 함(붙임 참조)

○ 선정된 과제는 마일스톤 관리를 위한 자료제출(연구산출물 등) 요구에

응할 의무가 있으며 추후 설립될 코디네이팅 센터(가칭)와 협력하여야 함

○ 비임상 또는 인체유래시료를 이용하는 경우 동물실험윤리위원회(IACUC) 또

는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아야 함

□ 선정기준

○ 공고문 본문 내용 참조

- 56 -

사업 안내서- 세포소기관 기반 신약 원천기술 개발 -

□ 추진배경

○ 고령화로 인한 퇴행성·난치성 질환은 점차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근본적 치료제가 부재한 상황임.

○ 최근 이러한 질환 발병의 원인으로 세포소기관의 수적인 감소 및 기능

적 손상으로 새롭게 대두되고 있음. 따라서 세포소기관을 기반으로 하

는 신약 원천기술 개발에 중점 지원이 필요함

□ 추진목표

○ 최종목표 : 세포소기관 기반 선도물질 도출

- 세포소기관을 타겟하는 물질 개발 또는 세포소기관을 활용하는 제어기

술 개발

□ 사업기간 및 규모

○ 총 사업기간 : ‘18~‘22년(총 5년, 3+2)

○ 연구비 : 총 연 10억 원 내외 (과제당 연 5억 원 내외)

○ 선정 과제 수 : 2개 과제 내외

□ 주요 성과목표

○ 성과 창출 및 성과활용‧확산 지표 및 목표치

- (1단계/기술적 성과) : 특허 출원

- (2단계/기술적 성과) : 특허 등록

- (경제적 성과) : 선도물질 확보 및 기술이전

□ 특기사항

○ 1단계 1차년도 연구기간은 9개월이고, 단위과제 형식으로 제안하며, 총

괄과제 책임자는 세부과제(세부과제 수는 2개 이상) 책임자를 겸함

○ 본 사업 내에서 1개 과제만 신청 가능함(세부과제 책임자 및 공동연구원)

○ 기존 유사과제를 수행하거나 참여하고 있는 경우는 중복지원을 지양함

○ 단계평가 후 계속지원 및 연구비 조정 여부를 결정함

○ 재정상황 등에 따라 연구비, 연구기간, 연구내용 등이 변경될 수 있음

- 57 -

○ 관련법령에 근거하여 연구개발성과를 분야별 연구성과물 전담기관에

등록하거나 기탁하여야 함(붙임 참조)

○ 선정된 과제는 마일스톤 관리를 위한 자료제출(연구산출물 등) 요구에

응할 의무가 있으며 추후 설립될 코디네이팅 센터(가칭)와 협력하여야 함

○ 목표 조기 달성 시, 과제 조기 종료 또는 잔여 연구 기간 동안 특허 출

원 및 적응증 확장 등의 추가연구 가능함

○ 비임상 또는 인체유래시료를 이용하는 경우 동물실험윤리위원회(IACUC) 또

는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아야 함

□ 선정기준

○ 공고문 본문 내용 참조

- 58 -

[줄기세포]

사업 안내서- 줄기세포 응용 융복합 기술 개발 -

□ 추진배경

○ 우리나라는 급격한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 중이며, 이에 따라 고령화 대

비 줄기세포 및 조직재생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음.

○ 오가노이드 기술은 조직재생 및 노화장기 기능 회복을 위한 차세대 핵

심기술로, 높은 활용도와 파급효과가 기대됨

□ 분야별 추진목표

○ 최종목표 : 줄기세포 기반 생체모사 응용 기술 개발

○ 분야 1 : 고령화 극복 조직재생 융복합 기술 개발

- 줄기세포 기반 신개념 융복합 기술 개발(이식 가능 수준의 조직재생

응용기술 개발 등)

○ 분야 2 : 생체모사체 기반 질환모델링 및 신약 유효성 평가 플랫폼 기술 개발

- 줄기세포 기반 생체모사체 질환모델 구축 및 독성‧약효 시험 원천기술 개발

□ 사업기간 및 규모

○ 총 사업기간 : ‘18~‘22년(총 5년, 3+2)

○ 연구비 : 총 연 22.5억 원 내외 (과제당 연 7.5억 원 내외)

○ 선정 과제 수

- 분야 1 : 2개 과제 내외

- 분야 2 : 1개 과제 내외

□ 주요 성과목표

○ 성과 창출 및 성과활용‧확산 지표 및 목표치

- (1단계/과학적 성과) : SCI 논문(JCR 분야별 상위 10% 이내)

- (1단계/기술적 성과) : 국내특허

- (2단계/과학적 성과) : SCI 논문(JCR 분야별 상위 5% 이내)

- (2단계/기술적 성과) : 국제특허

- (경제적 성과) : 기술이전(입금액 기준 총 1억 원 이상 및 경상기술료),

- 59 -

분야 2의 경우 시제품 및 활용성과 포함

□ 특기사항

○ 1단계 1차년도 연구기간은 9개월이고 총괄과제 형식으로 제안하며, 총

괄과제 책임자는 세부과제(세부과제 수는 2개 이상) 책임자를 겸함

○ 본 사업 내에서 1개 과제만 신청 가능함(세부과제 책임자 및 공동연구원)

○ 기존 유사과제 수행 또는 참여하고 있는 경우는 중복지원을 지양함

○ 단계평가 후 계속지원 및 연구비 조정 여부를 결정함

○ 재정상황 및 평가결과 등에 따라 연구비, 연구기간, 연구내용 등이 변

경될 수 있음

○ 관련법령에 근거하여 연구개발성과를 분야별 연구성과물 전담기관에 등

록하거나 기탁하여야 함(붙임 참조)

○ 선정된 과제는 마일스톤 관리를 위한 자료제출(연구산출물 등) 요구에 응

할 의무가 있으며 추후 설립될 코디네이팅 센터(가칭)와 협력하여야 함

○ 목표 조기 달성 시, 과제 조기 종료 또는 잔여 연구 기간 동안 특허 출

원 및 적응증 확장 등의 추가연구 가능함

○ 비임상 또는 인체유래시료를 이용하는 경우 동물실험윤리위원회 (IACUC) 또

는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아야 함

□ 선정기준

○ 공고문 본문 내용 참조

- 60 -

사업 안내서- 줄기세포원 확보기술 개발 -

□ 추진배경

○ 현대사회에서는 고령화로 인해 퇴행성 질환의 비중이 커지고 있으나,

근본적인 치료 방법이 없기 때문에 질환부위에 대체물을 이식하는 개

념이 제시되고 있음

○ 재생의료는 인체 내 다양한 조직 및 기관을 재생하여 치료하는 방식으

로, 아직까지 면역거부반응, 이식 세포의 안정성 등을 극복하기 위한 연

구가 필요한 상황

□ 추진목표

○ 최종목표 : 차세대 줄기세포원(stem cell sources) 확보를 통한 난치질환

치료 기술 확립

○ 분야 1. 면역거부반응 제거 배아줄기세포주 개발

- 유사동형접합(pseudo-homozygous) 인간배아줄기세포주 수립 및 유효성 검증

○ 분야 2. 생체 내 리프로그래밍 원천기술 개발

- 생체 내 조직/세포-특이적 직접교차분화 기술 확립 및 유효성 검증

□ 사업기간 및 규모

○ 총 사업기간 : ‘18~‘22년(총 5년, 3+2)

○ 연구비 : 총 연 7.5억 원 내외 (과제당 연 3.75억 원 내외)

○ 선정 과제 수 : 분야별 1개 과제 내외

□ 주요 성과목표

○ 성과 창출 및 성과활용‧확산 지표 및 목표치

- (1단계/과학적 성과) : SCI 논문(JCR 상위 10% 이내)

- (1단계/기술적 성과) : 국내특허

- (2단계/과학적 성과) : SCI 논문(JCR 상위 10% 이내)

- (2단계/기술적 성과) : 국제특허

- (경제적 성과) : 기술이전

- 61 -

□ 특기사항

○ 1단계 1차년도 연구기간은 9개월이고, 단위과제 형식으로 제안함

○ 본 사업 내에서 1개 과제만 신청 가능함(세부과제 책임자 및 공동연구원)

○ 기존 유사과제를 수행하거나 참여하고 있는 경우는 중복지원을 지양함

○ 재정상황 등에 따라 연구비, 연구기간, 연구내용 등이 변경될 수 있음

○ 관련법령에 근거하여 연구개발성과를 분야별 연구성과물 전담기관에

등록하거나 기탁하여야 함(붙임 참조)

○ 선정된 과제는 마일스톤 관리를 위한 자료제출(연구산출물 등) 요구에

응할 의무가 있으며 추후 설립될 코디네이팅 센터(가칭)와 협력하여야 함

○ 목표 조기 달성 시, 과제 조기 종료 또는 잔여 연구 기간 동안 특허 출

원 및 적응증 확장 등의 추가연구 가능함

○ 비임상 또는 인체유래시료를 이용하는 경우 동물실험윤리위원회(IACUC) 또

는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아야 함

□ 선정기준

○ 공고문 본문 내용 참조

- 62 -

사업 안내서- 줄기세포 기반 엑소좀 활용 기술 개발 -

□ 추진배경

○ 고령화 시대에 증가하는 노인성 뇌질환(파킨슨병, 치매 등)에 대한 국

가적 대응전략이 필요

○ 다양한 줄기세포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나 줄기세포의 크기로 인해 뇌

내 치료가 어려움. 엑소좀은 다양한 물질을 다른 세포로 전달하는 작은

운반체이기 때문에, 치료제로서 잠재력을 가짐

□ 추진목표

○ 줄기세포 엑소좀 기반 질환 치료기술 개발

- 줄기세포 엑소좀 활용 질환 치료제 개발

□ 사업기간 및 규모

○ 총 사업기간 : ‘18~‘21년(총 4년, 2+2)

○ 연구비 : 총 연 8억 원 내외 (과제당 연 2.7억 원 내외)

○ 선정 과제 수 : 3개 과제 내외

○ 단계 평가시 상대평가를 통해 2개 내외 우수과제의 계속지원 여부를 결

정함(과제당 연 4억 원 내외)단계평가

□ 주요 성과목표

○ 성과 창출 및 성과활용‧확산 지표 및 목표치

- (1단계/과학적 성과) : SCI 논문(JCR 분야별 상위 10% 이내)

- (1단계/기술적 성과) : 국내특허

- (2단계/과학적 성과) : SCI 논문(JCR 분야별 상위 10% 이내)

- (2단계/기술적 성과) : 국제특허

- (경제적 성과) : Chemistry Manufacturing & Control (CMC*) 확보

된 시제품, 기술이전

*CMC : 의약품 개발과정에서 의약품(원료, 완제)의 생산 공정 및 품질 관리를 지칭함

□ 특기사항

○ 1단계 1차년도 연구기간은 9개월이고, 단위과제 형식으로 제안함

- 63 -

○ 본 사업 내에서 1개 과제만 신청 가능함(세부과제 책임자 및 공동연구원)

○ 기존 유사과제를 수행하거나 참여하고 있는 경우는 중복지원을 지양함

○ 재정상황 등에 따라 연구비, 연구기간, 연구내용 등이 변경될 수 있음

○ 관련법령에 근거하여 연구개발성과를 분야별 연구성과물 전담기관에

등록하거나 기탁하여야 함(붙임 참조)

○ 선정된 과제는 마일스톤 관리를 위한 자료제출(연구산출물 등) 요구에

응할 의무가 있으며 추후 설립될 코디네이팅 센터(가칭)와 협력하여야 함

○ 목표 조기 달성 시, 과제 조기 종료 또는 잔여 연구 기간 동안 특허 출

원 및 적응증 확장 등의 추가연구 가능함

○ 비임상 또는 인체유래시료를 이용하는 경우 동물실험윤리위원회(IACUC) 또

는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아야 함

□ 선정기준

○ 공고문 본문 내용 참조

- 64 -

[차세대의료기술]

사업 안내서- 신개념 의료기기 원천기술 개발 -

□ 추진배경

○ 고령 사회 및 변화에 따라 새로운 의학적 요구가 대두되고 있으므로 빠른

예방, 정확한 진단, 안전하고 정밀한 치료, 향상된 재활 등 혁신 기술기반

의 의료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total care 의료서비스가 요구되고 있음

○ 조기진단 및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한 이종 기술간의 융복합을

통하여 첨단 기기들이 급부상하고 있으므로 차별화된 의료기기 원천기술

개발이 필요함

□ 추진목표

○ 최종목표 : 기존 의료기기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의료기기

원천기술 확보

○ 분야 1. 진단 및 치료기기 융합 원천기술개발

○ 분야 2. 생체재료 기반 의료기기 원천기술 개발

- 자가이식용 생체재료 기반 의료기기

- 인체유래 생체재료 기반 의료기기

- 다기능성(3R : repair, regeneration, restoration) 생체재료 기반 의료기기

- 이식형 조직재생 의료기기

□ 사업기간 및 규모

○ 총 사업기간 : ‘18~‘22년(총 5년, 3+2)

○ 연구비 : 총 연 24억 원 내외 (과제당 연 6억 원 내외)

○ 선정 과제 수

- 분야 1 : 3개 과제 내외

- 분야 2 : 1개 과제 내외

- 65 -

□ 주요 성과목표

○ (1단계 종료 시)

- 국내·외 특허 출원 및 JCR 10% 이내 SCI 논문

- IP-R&D(지식재산 연계 연구개발) 전략보고서

○ (2단계 종료 시)

- 국내·외 특허 출원 및 등록, JCR 10% 이내 SCI 논문

- 해당 원천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 시작품 제작

- 향후 사업화를 위한 구체적인 의료기기 인허가 전략 제시

- 원천기술 및 개발 시작품 기반 기술이전

- 시작품의 안전성 및 성능 평가 시험성적서 제출

□ 특기사항

○ 본 사업은 5년 과제로(3+2), 단계 평가 후 계속지원 여부를 결정하고, 연

차 및 단계 평가 시 연구기간, 연구 예산 및 내용은 변경될 수 있음

○ 총괄과제 형식으로 지원하며, 세부 과제 수는 총괄과제 책임자가 RFP 상의

‘연구내용 및 범위’를 고려하여 결정함. 총괄과제 책임자는 세부과제 책

임자를 겸해야 함

○ 선정평가 시 유사중복과제에 대한 사전검토를 실시함

○ 과제 제안 시 특허확보 전략 및 추진계획을 제시하여야 함

○ 단계 평가 시 원천기술의 확보 여부 (국제특허 출원) 및 응용 분야에 대한 기여

도를 평가하고, 최종 평가 시 실제 구현 여부를 통한 원천기술의 기여도와 기업

수요를 평가할 예정임

○ 2단계 연구진입 시 다양한 형태의 기업참여 필수 (기술이전 및 기업 과

제참여)

○ 본 과제의 1차년도 연구기간은 9개월임

□ 선정기준

○ 공고문 본문 내용 참조

- 66 -

[차세대바이오]

RFP번호

연구 분야Korea Bio Grand Challenge

(글로벌 수준의 도전적 선도형 원천기술 개발 및 실용화)

1. 연구목표

○ 최종목표 - 분야 1 : 기존 유전체 편집기술의 한계 극복을 통한 원천기술 개발 및 질환 치료 기반 확립 - 분야 2 : 생체 모듈/시스템의 설계와 기능적 구현을 위한 원천기술개발 및 이를 활용한 유용

인공미생물 제작 - 분야 3 :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분야의 확장·심화를 통한 원천기술개발 및 새로운 가치 창출

2. 연구내용 및 범위

○ 연구내용 및 범위를 1, 2, 3 단계로 구성하여 제안함 ○ 선진국 추격형(follow-up) 연구를 지양하고, 창의적·변혁적 연구개발 계획을 제시하여야함

3. 성과목표

○ 기술분야 1, 기술분야 2, 기술분야 3 각각의 ‘성과목표’를 참조하여 연구자가 달성할 수 있는 성과목표를 제안함 (예시 : 특허, 논문, 시제품 개발, 기술이전, 후보물질 등)

4. 특기사항

○ 지원대상 : 신청접수 마감일 기준, 박사학위 취득 후 15년 이내의 전임교원(대학) 또는 선임급 연구원(연구소)

○ 본 사업의 연구기간은 9년(3+3+3)이며, 1차년도 연구기간은 9개월임 ○ 단위과제 형식으로 제안해야 하며, 2단계 진입시 총괄과제* 형식으로 재편될 수 있음 * 총괄과제 책임자는 세부과제(세부과제 수는 2개 이상) 책임자를 겸함 ○ 연구과제 책임자 및 모든 참여연구자는 3개 기술분야 중 1개의 분야만 선택하여 제안해야함

(중복 지원/참여 불가) ○ 단계평가 후 계속지원 여부를 결정하고, 연구기간, 연구예산 및 연구내용은 변경될 수 있음 ○ 단계평가시 상대평가를 통해 분야별 우수과제를 선정하여 계속 지원 여부를 결정함 - 기술분야별 2개 과제 2단계 진입(과제당 연 7.5억원 내외 지원) - 기술분야별 1개 과제 3단계 진입(과제당 연 15억원 내외 지원) ○ 9대 연구성과에 해당하는 연구개발성과물은 전담기관에 등록 또는 기탁함 ○ (전)임상 또는 인간 유래 시료를 이용하는 경우, 동물실험윤리위원회(IACUC) 또는 기관

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아야 함 ○ 기술분야 1, 2, 3 각각의 ‘특기사항’을 참조하여 지원함

5. 2018년 예산총 45억원 내외

(기술분야 1, 2, 3 각각 15억원 내외)(기술분야 1, 2, 3 각각 과제당 5억원 내외)

- 67 -

기술분야 1

기술분야 1 유전체 편집 원천기술개발

1. 연구목표

○ 최종목표 : 기존 유전체 편집기술의 한계 극복을 통한 원천기술 개발 및 질환 치료 기반 확립 ○ 1 단계 목표(`18∼`20) - DNA/RNA 편집 신규 플랫폼 기술 개발 - 유전체 편집·교정 효율/안정성 향상 기술 개발 - 유전체 편집 기반 응용기술 개발 ○ 2 단계 목표(`21∼`23) - 확립된 유전체 편집 기술 적용을 위한 질환 모델링 - 질환 모델 대상 유전체 편집 기술의 유효성 및 안전성 검증 ○ 3 단계 목표(`24∼`26) - 인체 적용 가능성 및 타당성 검증 - 전임상 연구 : 기시법(CMC), 안전성 및 유효성 확보 - 확립된 유전체 편집 기술의 실용화 기반 구축

2. 연구기간 및 연구비

○ 총 연구기간 : `18∼`26 - 1단계 : `18∼`20 - 2단계 : `21∼`23 - 3단계 : `24∼`26 ○ 2018년 연구비 : 총 15억 원 내외(과제당 5억 원 내외) ○ 과제 수 - 3개 과제 내외

3. 성과목표

○ 성과 창출 및 성과 활용⋅확산 지표 및 목표치 - (1단계/과학적 성과) : SCI 논문(JCR 분야별 상위 10% 이내) - (1단계/기술적 성과) : 국내특허 - (2, 3단계/과학적 성과) : SCI 논문(JCR 분야별 상위 5% 이내) - (2, 3단계/기술적 성과) : 국제특허 - (3단계/경제적 성과) : 기술이전, 기술가치평가, 투자유치 등 - (3단계/기술적 성과) : 시제품 ○ 지원성과 및 기여효과 : 유전체 편집 기반 치료 원천/응용 기술 확보를 통한 난치 질환

극복 방안 제시

4. 특기사항

○ 제시된 단계별 연구목표의 일부 또는 전체를 반영하여 연구책임자 주도적으로 연구범위 및 내용을 설정함

○ 유전체 편집기술 관련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을 준수하여야 함

5. 2018년 예산총 15억 원 내외

단위과제 3개 내외, 과제당 5억 내외

- 68 -

기술분야 2

기술분야 2 합성생물학 원천기술개발

1. 연구목표

○ 최종목표 : 생체 모듈/시스템의 설계와 기능적 구현을 위한 원천기술개발 및 이를 활용한 유용 인공미생물 제작

○ 1 단계 목표(`18∼`20) - 유용 유전자원 발굴 및 대사경로 동정 - 유해물질 분해 및 유용물질 생산을 위한 모듈 설계 - 인공미생물 유전체 설계, 합성 및 조작 기술 개발 - 설계된 모듈 및 유전체의 기능 예측 기술 개발(예:수학적 모델링) ○ 2 단계 목표(`21∼`23) - 모듈의 조립을 통한 시스템 구축 및 기능성 검증 - 시스템 제어, 최적화 및 신규 기능성 발굴 - 최소 유전체 내 모듈/시스템 도입을 통한 인공미생물 제작 ○ 3 단계 목표(`24∼`26) - 산업적 적용을 위한 인공미생물의 유용성 검증 - 인공미생물을 포함한 최적 컨소시엄(미생물 군집) 개발 및 응용

2. 연구기간 및 연구비

○ 총 연구기간 : `18∼`26 - 1단계 : `18∼`20 - 2단계 : `21∼`23 - 3단계 : `24∼`26 ○ 2018년 연구비 : 총 15억 원 내외(과제당 5억 원 내외) ○ 과제 수 - 3개 과제 내외

3. 성과목표

○ 성과창출 및 성과 활용‧확산 지표 및 목표치 - (1단계/과학적 성과) : SCI 논문(JCR 분야별 상위 10% 이내) - (1단계/기술적 성과) : 국내특허 - (2, 3단계/과학적 성과) : SCI 논문(JCR 분야별 상위 5% 이내) - (2, 3단계/기술적 성과) : 국제특허 - (3단계/경제적 성과) : 기술이전, 기술가치평가, 투자유치 등 - (3단계/기술적 성과) : 시제품 ○ 지원성과 및 기여효과 : 유용 인공미생물 제작 및 활용을 통한 바이오 분야 성장 동력 창출

4. 특기사항

○ 제시된 단계별 연구목표의 일부 또는 전체를 반영하여 연구책임자 주도적으로 연구범위 및 내용을 설정함

5. 2018년 예산총 15억 원 내외

단위과제 3개 내외, 과제당 5억 내외

- 69 -

기술분야 3

기술분야 3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원천기술개발

1. 연구목표

○ 최종목표 :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분야의 확장·심화를 통한 원천기술개발 및 새로운 가치 창출 ○ 1 단계 목표(`18∼`20) - 다양한 생명체 유래 유용 마이크로바이옴 발굴

-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플랫폼(인체장기모사, Synthetic Community 등) 개발

○ 2 단계 목표(`21∼`23) - 마이크로바이옴-숙주 간 상호작용 연구

- 유용 마이크로바이옴 기능 및 기전 연구

○ 3 단계 목표(`24∼`26)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신산업(질병 진단 및 치료, 환경 개선 등) 관련 원천기술개발

-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한 실용화 기반 구축

2. 연구기간 및 연구비

○ 총 연구기간 : `18∼`26 - 1단계 : `18∼`20 - 2단계 : `21∼`23 - 3단계 : `24∼`26 ○ 2018년 연구비 : 총 15억 원 내외(과제당 5억 원 내외) ○ 과제 수 - 3개 과제 내외

3. 성과 목표

○ 성과 창출 및 성과 활용⋅확산 지표 및 목표치 - (1단계/과학적 성과) : SCI 논문(JCR 분야별 상위 10% 이내) - (1단계/기술적 성과) : 국내특허

- (2, 3단계/과학적 성과) : SCI 논문(JCR 분야별 상위 5% 이내) - (2, 3단계/기술적 성과) : 국제특허

- (3단계/경제적 성과) : 기술이전, 기술가치평가, 투자유치 등

- (3단계/기술적 성과) : 시제품 ○ 지원성과 및 기여효과 : 마이크로바이옴 분야 원천기술개발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

4. 특기 사항

○ 제시된 단계별 연구목표의 일부 또는 전체를 반영하여 연구책임자 주도적으로 연구범위 및 내용을 설정함

5. 2018년 예산 총 15억 원 내외

단위과제 3개 내외, 과제당 5억 원 내외

- 70 -

[바이오인프라]

RFP번호

연구 분야 일반 소재은행

1. 연구목표

〇 최종목표 - BT 및 융복합 분야 지원을 위한 핵심 연구소재 확보·관리 및 활용 제고

2. 연구내용 및 범위

〇 모델생물자원 분야 - 기초·응용 및 융복합 연구에 범용적 활용이 가능한 기존 모델생물자원의 은행 구축 및 운영 - 수요기반 신규 모델생물라인 생산·확보, 표현형 분석 및 활용지원 체계 구축 - 글로벌 수준의 품질관리 시스템 표준화 및 운영 시스템 구축

3. 성과목표

〇 성과 창출 및 성과 활용⋅확산 지표 및 목표치 - (인프라 성과) 연구소재 확보 및 활용(분양, 인용 등) 실적 - (인프라 성과) 생산된 모델생물자원 활용을 위한 웹사이트 구축 및 공개 - (인프라 성과) 지속적인 서비스 활용도 확대 및 고객 만족도 향상

〇 지원성과 및 기여효과 : 국가 전략 생물자원 확보 및 활용 지원을 통한 바이오 연구 및 산업 활성화

4. 특기 사항

〇 총 연구기간은 5년(3+2)이며 단위과제로 신청하여야 함

※ 본 과제의 1차년도 협약기간은 9개월임 〇 모델생물자원의 범주는 단일종 또는 특정분류군으로 제시하여야함 〇 과제 제안서에 자원 확보, 분양 및 활용성과 목표를 제시하여야 함 〇 연차 및 단계평가에 따라 연구비 조정, 계속 지원 여부, 연구기간 등 조정 가능함 〇 사업을 통하여 확보된 소재는 국가 지정 연구성과물 관리기관에 기탁하여야 함

※ 기탁 대상 소재의 범위는 연구성과물 관리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확정함 〇 과기정통부 생명연구자원 통합포털(ARIS)과의 정보연계에 참여하여야 함 〇 연구소재중앙센터의 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하여야 함

4. 2018년 예산 총 3억 원 내외(단위과제 1개 내외)

- 71 -

[첨단GW바이오]

RFP번호

연구 분야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활용 신규 치료기술 개발

1. 연구목표

○ 최종목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신규 파마바이오틱스※ 및 프로바이오틱스※※ 발굴과 실용화 기반 구축 ※파마바이오틱스 : 질환 치료 용도로 사용 가능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물질 ※※프로바이오틱스 : 장내 환경에 유익한 작용을 함으로써 인체에 이로움을 주는 살아있는 균주

2. 연구내용 및 범위

○ 기술분야 1, 2 각각의 ‘연구 내용 및 범위’를 고려하여 연구자의 독창적인 연구계획을 제안함 ○ 연구내용 및 범위를 1 단계와 2 단계로 구성하여 제안함

3. 성과목표

○ 기술분야 1, 2 각각의 ‘성과목표’를 참조 ○ 지원성과 및 기여효과 : 마이크로바이옴 활용 치료 신기술 개발 및 응용범위 확대

4. 특기사항

○ 총 연구기간은 5년(3+2)이며, 1차년도 연구기간은 9개월임 ○ 재정상황 등에 따라 연구비 및 기간은 조정 가능하며, 이에 준하여 연구내용은 변경될 수 있음 ○ 단계평가 후 계속지원 여부를 결정하고, 연구기간, 연구예산 및 연구내용은 변경될 수 있음 ○ 연구과제 책임자 및 모든 참여연구자는 기술분야 1, 기술분야 2 중 1개의 연구 분야만 선택하여

제안해야함 (중복 지원/참여 불가) ○ 생명정보 및 생명자원에 해당하는 연구개발성과물은 전담기관에 등록 또는 기탁함 ○ 미생물의 경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내 KCTC에 등록 및 기탁함 ○ 효율적 배양, 생산, 정제 등을 위해 KCTC와 기술적 협력 체계 구축을 권장함 ○ (전)임상 또는 인간 대상 시험을 수행하는 경우 동물실험윤리위원회(IACUC) 또는 기관생명

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아야 함 ○ 기술분야 1, 2 각각의 ‘특기사항’을 참조하여 지원함

5. 2018년 예산총 15억 원 내외

(기술분야 1 총 5억 원 내외, 총괄과제 1개 내외), (기술분야 2 총 10억 원 내외, 총괄과제 1개 내외)

- 72 -

[바이오융합기술개발]

RFP번호

연구 분야 바이오마커기반 개인 모바일 헬스케어 기술개발

1. 연구목표

○ 일반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에서 생활습관 및 건강지표를 측정/분석하여 모바일

기기에 저장하고, 이를 활용하여 건강관리가 가능한 기기개발 및 시범 적용

2. 연구내용 및 범위

○ 환경인자, 내적 또는 외적 자극에 의한 건강지표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사용자 맞춤형 분석 결과로, 자가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모바일

기반 헬스케어 기기 개발

○ 1 단계(2018~2020, 3년): 개인건강 관리기기 개발 및 시범적용

- 생활습관 및 건강 관리 관련 모바일헬스케어 측정기기 개발

- 측정신호 분석을 위한 신호처리 및 분석 알고리즘 개발

- 모바일 헬스케어 플랫폼(특기사항 참조) 연동 가능한 데이터전송 기반 확보

- 시범적용 또는 시범서비스 실시

- 사업화 전략 도출: 품목허가 인증 전략 수립 등

○ 2 단계(2021~2022, 2년): 개인건강 관리기기 제품화

- 기기 고도화: 소형화, 정확성 및 재현성 향상 등

-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제품화 및 시장출시

- 의료기기: 임상 시험 진입 및 제품화

3. 성과목표

○ 1 단계 종료 시

- 시작품/시제품 도출

-‘14년 선정 모바일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특기사항 참조)

- 국내외 특허 출원 또는 등록

○ 2 단계 종료 시

-‘14년 선정 모바일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하여 시범서비스 개시

-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제품화 또는 기술이전

- 의료기기: 임상시험계획서 승인 및 제품화 또는 기술이전

4. 특기사항

① 본 사업은 5년(3+2)으로 총괄과제 또는 단위과제 형식으로 지원하며, 과제 책

임자가 RFP 상의 ‘연구내용 및 범위’를 고려하여 결정함

- 73 -

② 연차 및 단계 평가 시 계속지원 여부를 결정하고, 차년도 연구기간, 연구예산

및 내용은 변경될 수 있음

③ 선정평가 시 유사중복과제에 대한 사전검토를 실시함

④ 본 사업의 1단계 1차년도 연구기간은 9개월임

⑤ 최종결과물에 대한 정량적인 성능 목표 및 성과물을 제시해야함

⑥ 연구수행 시 ‘모바일 헬스서비스 앱개발’은 사업지원내용에 포함되지 않음

(필요시 민간투자활용)

⑦‘14~’17년 선정된 기기개발 과제 내용과 차별화된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또는

의료기기 개발 권장

⑧‘14년도 선정사업(모바일 헬스기반 건강관리 시나리오 및 플랫폼 개발)과의

연계방안을 제시하고, 과제 선정 후 협업해야 함

⑨ ‘16년 선정사업(모바일헬스케어산업 생태계구축 및 지원) 추진에 적극 협조

해야함

⑩ 2단계 사업에서 기업체 참여가 필수이며, 시장진출 전략 및 방안이 도출되어야 함

⑪ 헬스케어기기, 의료기기 관련 인허가 규제사항 등을 과제 신청전에 자체적으로

검토해야함

⑫ 인간유래 시료를 이용하는 경우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아야 함

5. 2018년 예산1차년도 : 9억 내외(10개월)

총괄/단위 과제 3개 내외(과제당 3억원 내외)

- 74 -

[미래의료혁신 대응기술개발]

RFP번호 미래의료혁신-1

연구 분야산학연병 협력 기업창출형 혁신기술개발

(Bio-SPC 선행기획연구과제)

1. 연구목표

[최종목표]

〇 초기 기술의 공급자인 학·연·병(벤처 등)이 수요자 또는 상호간 합작하는 Bio-SPC* 설립

및 상용화 연구개발을 통한 SPC 가치 증대 전략 도출

*바이오특수목적법인(Bio-Special Purpose Company, Bio-SPC) : 설립 및 의사결정 절차가 간

결하고 다양한 출구전략(M&A, 기술이전, Spin-off 등)을 통해 재투자 또는 투자회수 선순환

구조 창출이 용이한 바이오 R&D 프로젝트 법인

2. 연구내용 및 범위

〇 지원 분야

- 분야 1 : 신약 분야

- 분야 2 : 의료기기 분야

〇 Bio-SPC 기획을 위한 기술 분석

- 기술 및 시장분석, 개발전략 로드맵 등 제시: 신사업 추진계획, 필요기술의 개괄적 소개, 국

내외 동향, 파트너 연구진, 개발일정(마일스톤 등) 및 연구개발비 집행계획 등 포함

〇 Bio-SPC 운영계획 수립

- 지분구조 : 구성원(출자자, 출자 예정자 등), 지분 비율, 출자금액 구조, 구성원의 책임 및

권한 등

- 정부출연 연구비 및 자본금 사용계획 등

- 구성원 간 성과 공유 방안, 리스크 관리 방안 등

- 사업전략 및 출구전략 등

3. 성과목표

〇 Bio-SPC 기획보고서

4. 특기사항

〇 연구기간은 4개월이며, 단위과제 형식으로 제안

- 분야 구분 없이 우수과제를 선정함

〇 Bio-SPC 기획보고서 및 Bio-SPC 연구과제 신청서(별첨 참조)에 대한 상대평가를 통해 상위

4개 내외 우수과제를 Bio-SPC 연구과제로 선정하여 총 5년 간(1+2+2) 지원함(과제당 총 24억

원 내외)

〇 선정평가 시 유사중복과제에 대한 사전검토를 실시함

5. 2018년 예산선행기획연구과제 : 총 연 4억 원 내외

(8개 과제 내외, 과제당 0.5억 원 내외, 4개월)

- 75 -

연구 분야산학연병 협력 기업창출형 혁신기술개발

(Bio-SPC 연구과제)

1. 연구목표

[최종목표]

〇 초기 기술의 공급자인 학·연·병(벤처 등)이 수요자 또는 상호간 합작하는 Bio-SPC* 설립

및 상용화 연구개발을 통한 SPC 가치 증대

*바이오특수목적법인(Bio-Special Purpose Company, Bio-SPC) : 설립 및 의사결정 절차가 간

결하고 다양한 출구전략(M&A, 기술이전, Spin-off 등)을 통해 재투자 또는 투자회수 선순환

구조 창출이 용이한 바이오 R&D 프로젝트 법인

2. 연구내용 및 범위

[분야 1] 신약 분야

〇 연구 분야

- 신약 분야 파이프라인 설정(타겟, 유효, 선도, 후보물질 확보 등)

- Mode-of-action 및 Proof-of-concept 심화 연구

〇 사업화 분야

- 비임상 개발

- 기술 가치 평가 및 실용화 지원

[분야 2] 의료기기 분야

〇 연구 분야

- 융복합의료기기, 생체이식형 융합바이오 의료기기 분야 등 의료기술개발 수행 및 시작품 제작

- 성능 및 유효성 검증

〇 사업화 분야

- 시제품 제작

- 기술 가치 평가 및 실용화 지원

3. 성과목표

〇 1단계 (2018)

- (공통) Bio-SPC 설립 및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 요건 충족

〇 2단계(2019~2020)

- (공통) 특허 출원(Bio-SPC가 특허권 소유)

- (공통) 기술 가치 평가보고서

- 신약 분야 : 파이프라인 확보

- 의료기기 분야 : 시작품 확보

〇 3단계(2021~2022):

- (공통) 특허 등록

- (공통) 기술이전, M&A, Spin-off 또는 투자유치

4. 특기사항

〇 총연구기간은 5년(1+2+2)이고, 1단계 연구기간은 선행기획연구과제 기간을 포함하여

10개월이며, 총괄 또는 단위과제 형식으로 제안하고, 총괄과제 책임자는 세부과제(세부과제

수는 2개 이상) 책임자를 겸함

- 2단계부터는 신설된 SPC를 주관기관으로 하여, 단위과제 형식으로 수행함

- 76 -

- 2단계부터는 과제당 연 5억 원 내외를 지원함

- 분야 구분 없이 우수과제를 선정함

〇 기존 유사과제를 수행하거나 참여하고 있는 경우는 중복지원을 지양함

〇 재정상황 및 평가결과 등에 따라 연구비, 연구기간, 연구내용 등이 변경될 수 있음

〇 Bio-SPC 구성원 간 역할, 경영, 지분구성 등 참여주체 구조를 명확히 제시해야 함

- 지분 양도/정리 시 의사결정 구조 명확화, 경영 안정화 전략 제시

〇 선정된 과제는 2017년도 선정된 코어퍼실리티 기관(한국파스퇴르연구소 또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입주할 수 있음(코어퍼실리티 기관과 협의 필요)

〇 관련법령에 근거하여 연구개발성과를 분야별 연구성과물 전담기관에 등록하거나 기탁하여

야 함(세부내용 사업안내서 참조)

〇 선정된 과제는 마일스톤 관리를 위한 자료제출(연구산출물 등) 요구에 응할 의무가 있으며

추후 신약 분야 코디네이팅 센터와 협력하여야 함

〇 (비)임상 또는 인간유래 시료를 이용하는 경우 동물실험윤리위원회(IACUC) 또는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아야 함

〇 목표 조기 달성 시, 과제 조기 종료 또는 잔여 연구 기간 동안 특허 출원 및 적응증 확장

등의 추가연구 가능함

5. 2018년 예산총 연 16억 원 내외

(4개 과제 내외, 과제당 연 4억 원 내외)

- 77 -

사업 안내서- 의료기관 창업 캠퍼스 연계 신개념 의료기기

원천기술 개발(개발과제) -

□ 추진배경

○ 정부는 바이오 7대 강국 도약을 위해 글로벌 시장에서 통하는 기술혁신

바이오기업을 100 개 이상 육성하고, 2025 년까지 국내 바이오 산업의 시

장규모를 글로벌 M/S 5% 이상 끌어올릴 계획

○ 부족한 바이오 전용 창업공간을 확대하기 위해 바이오 연구시설·장비 등을

보유한 기관 내에 창업공간(실험대+사무공간) 설치를 확대하고 액셀러레이

터, VC 등으로 구성된 전문보육 조직을 운영하여 투자유치·경영자문 등 체

계적으로 창업을 지원

□ 추진목표

○ 최종목표 : 바이오경제 활성화를 위한 창업형 융·복합 진단 및 치료/생

체대체 의료기기 개발

○ 분야 1. 융복합 진단 및 치료기기 개발 및 창업형 의료기기 맞춤형 지원 연구

- 질환 및 환자 맞춤형 서비스 발굴형 정밀의료기기

○ 분야 2. 생체 대체 의료기기 개발 및 창업형 의료기기 맞춤형 지원 연구

- 인체 기능 대체·복원을 위한 삽입형 의료기기

□ 사업기간 및 규모

○ 총 사업기간 : ‘18~‘22년(총 5년, 3+2)

○ 연구비 : 총 연 6.5억 원 내외 (총괄 또는 단위과제 1개 내외)

□ 주요 성과목표

○ 1 단계(2018~2020)

- SCI(E)논문 및 국제특허 출원

- 시작품 시연

- 의료기기 관련 신규 사업자 등록증 제출 (1차년도)

○ 2 단계(2021~2022)

- 참여기업 또는 기술이전 대상 기업의 해당 GMP 확보

- 시제품 성능보고서 제시(공인시험성적서 등)

- 78 -

□ 특기사항

○ 1단계 1차년도 연구기간은 9개월이고, 총괄 또는 단위과제 형식으로 제안함

- 대학이나 연구소(기업포함)의 창업 형식으로 연구를 진행함

- 총괄과제로 구성될 경우 세부과제 간 동일한 아이템을 대상으로 공동

연구를 수행해야함

○ 1차년도에 창업된 기업은 기 선정된 주관기관 중 1개 의료기관 내에 입주하여

야 하며, 2차년도부터 공동연구기관 또는 별도 세부과제로 참여할 수 있음

※ 공동연구기관 또는 별도 세부과제로 참여할 경우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 요건을 충족

하여야 함

- 지원과제로 선정된 6개 의료기관 중 1개 기관과 사전 협의 후 신청하여야 함

- 의료기관과의 지원의향서 등 협의근거를 제시

- 과제 선정 후 상호 협의에 의해 매칭 의료기관은 조정될 수 있음

- 개발과제는 단계종료 시 위탁대상 의료기관을 변경할 수 있음

○ 의료기관 맞춤형 지원을 위한 위탁과제 연구비를 편성해야함(1.5억원 내외)

※ 총괄과제로 신청할 경우 세부과제별로 위탁과제 편성가능

○ 선정평가 시 유사중복과제에 대한 사전검토를 실시함

○ 의료기기 시험평가 및 인허가 관련 계획 및 추진 협력 방안 제시

○ (비)임상 또는 인간유래 시료를 이용하는 경우 동물실험윤리위원회

(IACUC) 또는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아야 함

□ 지원과제 수행기관 정보

□ 선정기준

○ 공고문 본문 내용 참조

선정년도 주관연구기관 실무자 연락처 분야

2016년

원광대학교 정창원 [email protected]분야

조선대학교병원 김후원 [email protected]

화순전남대학교병원 박라영 [email protected]분야

연세대학교 오진환 [email protected]

2017년양산부산대병원 김태형 [email protected] 1분야

삼성서울병원 권순영soonyoung94.kwon@sam

sung.com2분야

- 79 -

RFP번호연구 분야 임상 의과학자 연구역량강화 사업

1. 사업목표 ○ 조교수 이하 전문의의 실용화 연구기반 확립을 통한 연구역량강화

○ 임상 현장 기반의 창의적 과제 발굴을 통한 환자 진단, 치료, 예방 기술 확보○ 융·복합 R&D 연구를 통한 실용화 모델 제시

2. 사업대상 ○ 총괄과제 주관기관: 대학병원 등 연구 인프라를 갖춘 종합병원 ○ 총괄책임자: 병원장 또는 병원 연구 총괄 주요 보직자 ○ 세부과제 책임자 • 연구 역량지원 과제 : 총괄책임자가 겸임 • 연구 역량강화 과제 : 전문의를 취득한 조교수 이하 임상의(전문의 취득 후 7년 이내

(군복무기간 제외), 이하 연구 중점 MD)를 책임자로 하며, 공동연구원으로 Ph.D. 참여가능

3. 사업내용 및 범위 □ 1단계 (2018~2019, 2년) 의료현장 기반 아이디어 발굴 및 연구지원[연구 역량지원 과제]

① 연구중점 MD를 위한 인프라 구축 • 실험실 공간 확보, 진료 시간 감면, Ph.D. 매칭 등 ② 임상 현장 기반 특허창출 및 실용화를 위한 컨소시엄 구성 ③ 의료인 CEO 육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지원 ④ 자체평가시스템을 이용한 아이디어 평가 및 지원책 개발

[연구 역량강화 과제] ⑤ 임상 현장 적용 가능한 실용화 아이디어 도출 및 관련 연구 수행

□ 2단계 (2020~2021, 2년) 창의적 연구결과를 이용한 실용화 지원 [연구 역량지원 과제]

① 연구개발 성과(논문 특허 등)에 대한 임상적용 및 실용화 지원 ② 기초-임상-기업 협력 연구교류 시스템 확충 ③ 연구중점 MD 지원 대상자 지속적 확대 및 자체 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역량강화 과제] ④ 임상 현장 기반 연구 과제 산출물 (의료기기, 의료 기술, 바이오 마커, 생물학적 제제,

신약 표적 및 후보 물질 등) 제시 ⑤ 연구 과제 산출물의 실용화 전략 제시

4. 성과 목표 □ 1단계 (2017~2018, 2년)[연구 역량지원 과제]

○ 연구중점 MD 7명이상 확보

- 80 -

○ 연구 인프라 구축 • 실험실 공간 확보 및 진료 시간 감면 등의 제안된 연구 지원 인프라 구축 완료 • 의료인 CEO 육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지원 2건 • 특허 창출 및 실용화를 위한 산·학·연·병 상시 네트워크 구축

[연구 역량강화 과제]○ 아이디어 실용화를 위한 연구 관련 특허 출원 3건

□ 2단계 (2019~2020, 2년)[연구 역량지원 과제]

○ 연구중점 MD 9명 이상 확보 (누적)○ 1단계 구축된 연구 인프라 고도화

[연구 역량강화 과제]○ 기술이전 또는 질적으로 우수한 국제 논문 게재(JCR 상위 10% 수준) 2건 이상○ 아이디어 실용화를 위한 연구 관련 특허 출원 7건 이상(누적)

5. 특기 사항 [ 지원 기간 및 세부과제 구성 ]○ 본 사업은 4년 과제로(2+2) 단계 평가 후 계속지원 여부를 결정하고, 연차 및 단계 평가

시 연구기간, 연구 예산 및 내용은 변경될 수 있음(1단계 1차년도 연구기간은 9개월임)○ 총괄과제 형식으로 지원하며, 세부 과제 수는 총괄과제 책임자가 RFP 상의 ‘연구내용

및 범위’를 고려하여 결정함 • 기술 개발 및 실용화 촉진을 위해 다학제적 융합 연구팀 구성을 권장함. • 연구 역량강화 과제책임자 및 연구내용을 포함 하여 지원함(연구 역량강화 과제는 단

계 기간(2년) 내 지원하며, 평가결과가 우수한 경우 2단계에 계속 지원 가능) ※ 선정평가 결과에 따라 총사업비 및 연구 역량강화 과제수를 조정할 수 있음○ 선정평가 시 유사중복과제에 대한 사전검토를 실시함

[ 필수 제출(포함) 사항 ]○ 총괄책임자는 연구 역량강화 과제 선정/연차/단계 평가 및 지원 등 전체사업 관리를 위

한 세부적인 과제관리 계획을 수립하여함(최초 선정 기준 및 과정 포함)○ 사업 신청시 연구 역량강화 과제를 위한 연구 인프라구축, 진료시간 감면 등 병원의 지원

내용을 구체적으로 명시하며 이에 대한 병원장 명의 확약서를 필수적으로 제출해야함○ 제안한 기술/표지자의 실용화 및 임상적용을 목표로 한 연차별 기술로드맵을 제시해야 함

[예산 편성 및 기타사항]○ 전체 사업비중 연구 역량강화 과제 비중은 70% 이상이어야 함○ 사업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과기부, 연구재단, 사업참여자로 구성된 협의체를 구성할 수

있으며, 협의를 통하여 별도 사업 운영 지침을 제정할 수 있음○ 인간유래 시료를 이용하는 경우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아야 함○ 1개 기관에서 1개 총괄과제만 지원가능하며, 기 선정 기관은 신청할 수 없음

5. 2018년 예산 1차년도 : 14억원 내외(9개월)총괄과제 2개 내외(과제당 7억 내외)

- 81 -

RFP번호 6

연구 분야현장 중심 MD-PhD 혁신형 의료기술개발사업

(선행기획연구과제)

1. 연구목표

[최종목표]

〇 “임상의(MD)”가 의료 현장의 미해결 과제 또는 우수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이공계 전문가

(PhD)”와 융합기술개발 협력 연구 수행 및 사업화 추진을 위한 전략 수립

2. 연구내용 및 범위

〇 의료현장 기술 협력연구 선행기획연구 수행

- 기술, 시장, 특허분석, 개발전략 로드맵 등 제시

- 본 연구개발 추진계획(팀 구성, 추진체계/전략 등) 수립

- 개발 기술 비즈니스 모델 수립

- 제안 기술 개발 아이템 구체화

- 창업 또는 기술이전 시 지분구조 구체화

3. 성과목표

〇 MD-PhD 협력연구 기획보고서

4. 특기사항

〇 연구기간은 4개월이며, 단위과제 형식으로 제안하고, MD-PhD 협력연구 형태로 과제를 수행함

- 원칙적으로 임상의(MD)를 연구책임자로 하고, 이공계전문가(PhD)는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함

〇 MD-PhD 협력연구 기획보고서 및 MD-PhD 협력연구과제 신청서(별첨 참조)에 대한 상대평

가를 통해 상위 1개 내외 우수과제를 MD-PhD 협력연구과제로 선정하여 총 5년 간(3+2) 지원

함(과제당 연 4.05억원 내외)

〇 선정평가 시 유사중복과제에 대한 사전검토를 실시함

5. 2018년 예산총 1.2억원 내외

(과제당 0.4억원 내외, 3개 과제 내외, 4개월)

- 82 -

[별첨] 현장 중심 MD-PhD 혁신형 의료기술개발사업(MD-PhD 협력연구과제)

연구 분야현장 중심 MD-PhD 혁신형 의료기술개발사업

(MD-PhD 협력연구과제) 1. 연구목표 [최종목표] 〇 “이공계 전문가(PhD)”가 의료 현장의 미해결 과제나 우수 아이디어를 “임상의(MD)”와

협력 연구 수행으로 사업화를 위한 융합 기술개발 2. 연구내용 및 범위□ 1단계(2018~2020): 융합연구 수행 및 비즈니스모델 고도화 〇 의료 현장의 미해결 과제 및 우수 아이디어 발굴/구체화 〇 과제 해결을 위한 핵심 기술 개발 〇 연구성과 활용 비즈니스 모델 고도화

□ 2단계(2021~2022): 실용화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과 도출 〇 실용화 연구 개발(시제품, 임상연구 등) 〇 발굴된 비즈니스 모델기반 사업화 추진 3. 성과목표 〇 1단계

- 국내외 특허 출원 2건 이상

- 비즈니스 모델 제안 〇 2단계

- 국내외 특허 등록 2건 이상

- 창업 또는 기술이전 4. 특기사항 〇 본 사업은 5년(3+2)으로, RFP 상의 “연구내용 및 범위”를 고려하여 포함하여 총괄

또는 단위과제 형식으로 제안하고, 총괄과제 책임자는 세부과제(세부과제 수는 2개 이상) 책임자를 겸함

- MD-PhD 협력연구 형식으로 지원하며, 총괄/단위과제 연구책임자는 이공계 전문가(PhD)를 원칙으로 함

- 1단계 1차년도 연구기간은 선행기획연구기간을 포함하여 12개월임 〇 연차 및 단계 평가 시 계속지원 여부를 결정하고, 차년도 연구기간, 연구예산 및 내용은

변경될 수 있음 〇 선정평가 시 유사중복과제에 대한 사전검토를 실시함 〇 특허 출원/등록 시 발명자 명단, 창업 또는 기술이전 시 지분구조에 MD와 PhD 모두

포함되어야 함 〇 (비)임상 또는 인간유래 시료를 이용하는 경우 동물실험윤리위원회(IACUC) 또는 기관

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아야 함 〇 관련법에 근거하여 연구개발성과를 분야별 연구성과물 전담기관에 등록하거나 기탁

하여야 함(세부내용 사업안내서 참조) 〇 선정된 과제는 마일스톤 관리를 위한 자료제출 요구에 응할 의무가 있음 〇 조기 목표 달성 시, 과제 조기 종료 또는 잔여 연구 기간 동안 특허 출원 및 적응증

확장 등의 추가연구 가능함

※ `17년 수행 선행기획연구과제 수행팀도 MD-PhD 협력연구과제 선정평가에 신청할 수 있음

5. 2018년 예산4.05억원 내외

(과제당 4.05억원 내외, 1개 과제 내외)

- 83 -

RFP 번호 7

연구분야바이오 유망기술 글로벌 창업 지원사업

(바이오기술 예비 창업팀)

1. 연구목표

○ 바이오기술 창업팀의 창업 아이템의 고도화를 통한 창업 성공률 제고

○ 핵심 인력 역량강화를 통한 기술성과의 글로벌 창업으로 연계

2. 연구내용 및 범위

○ 바이오기술창업교육 프로그램 이수 및 멘토링 참여(멘티)

- 바이오창업 기초교육 및 시장조사(국내: 2주)

- 해외 선진 바이오 기술 창업교육(해외: 4주)

○ 제품·서비스 개발 계획 수립 등 창업아이템 구체화

- 선행기술조사, 시장조사 등 현황 분석

○ 비즈니스 모델 수립 등 창업탐색활동 수행 및 사업계획서 완성

3. 성과목표

○ 바이오기술창업교육 프로그램 이수 2건(국내, 해외) 및 멘토링 참여 3건 이상

○ 기술 및 시장 분석보고서, 제품·서비스 개발 계획서

○ 비즈니스 모델 및 사업계획서

4. 특기 사항

○ 단위과제 형식으로 지원하며, 선정 이후 `17년 선정 사업총괄과제(바이오아이코어

사업단) 아래 세부과제로 구성함

○ 예비창업팀 과제 수행기간은 4개월이며, 상대평가를 통하여 상위 2개 과제를 글로

벌창업팀으로 선정, 총 3년간(2+1) 추가 지원함(연 3억규모, 2021.12. 까지 예정)

○ 글로벌 창업팀 선정 시, 해외 교육 평가 결과 반영하며, 선정 발표는 예비창업자가

한국어 및 영어 중 선택하여 발표

※ `17년 1기 예비창업팀도 글로벌창업팀 선정평가에 신청할 수 있음

※ 멘토링 결과에 따라 예비 창업팀 간 결합을 통한 글로벌 창업팀 구성 가능

<글로벌 창업팀 추가 R&D 연구내용 및 성과목표>

연구내용▪창업 아이템 고도화를 위한 추가 R&D - 제조공정 고도화, 시제품 제작 또는 전임상, 제품디자인 데이터 분석▪글로벌 창업기업 활동 프로그램 이수

성과목표 <1단계> 2년▪글로벌 창업기업 활동 프로그램(KIC 운영) 이수 3회

- 84 -

○ 선정평가 시 유사중복과제에 대한 사전검토를 실시함

○ 인간유래 시료를 이용하는 경우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아야 함

○ 사업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하여 별도의 사업 운영 규정을 제정할 수 있음

▪POC(Proof of Concept) 검증 - 전임상 수준의 유효성 검증 또는 - 상용화 목적 시제품 제작▪선정 후, 글로벌 창업을 통한 현지 진출 계획 수립 및 실시▪해외 현지 특허 출원<2단계> 1년▪글로벌 창업기업 활동 프로그램(KIC) 이수 2회▪해외 현지 Grant 신청

5. 2018년 예산1차년도 5억원 내외(4개월)

단위과제 12개과제내외(과제당 41.7백만원 내외)

- 85 -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뇌과학 4대 분야 및 융합]

사업 안내서- 뇌연구 4대 분야 -

1. 사업 개요

○ 사업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추진목적

- 뇌질환 예방·치료기술, 신체장애 극복기술, 뇌기능 강화기술 및 AI 기반

기술 등 뇌분야 핵심 원천기술 확보 및 새로운 미래시장 선점

○ 사업내용

- 뇌연구촉진 기본계획에 명시된 뇌연구 4대 기술분야 및 실용화사업 등 지

※ 뇌연구 4대 기술분야 : 뇌인지과학, 뇌신경생물, 뇌신경계질환, 뇌공학

※ 실용화연계: 치매 조기진단사업, 인터넷게임 디톡스사업 등

2. 선정 계획

○ 선정 규모 : 1개 분야 /5개 총괄과제 내외/연 20.83억 원 내외

※ 총괄과제 정의

- 총괄과제 : 2개 이상의 세부과제로 구성(세부 하위에 위탁과제 포함 가능)

* 총괄/세부과제 책임자는 반드시 참여율 30% 이상을 제시하여야 함

○ 선정 과제 수

- 분야 1 : 2개 과제 내외

- 분야 2 : 3개 과제 내외

○ 신규과제 개요

- (분야 1) 초정밀 고분해능 뇌신경 구조/기능 측정기술 개발

‧ (예시) 뇌 신경의 구조 또는 기능을 높은 민감도와 분해능으로 측정할 수

있는 센서(자기, 탄성, 물성 등)시스템 개발 및 응용

‧ (예시) 초정밀 고분해능 센서를 이용한 뇌신경과학적 분석 및 활용

기술 개발

- 86 -

‧ 기타 연구 목표에 부합하는 창의적 연구 개발

- (분야 2) 인지조절을 위한 뇌융합 원천기술 개발

‧ (예시) 시냅스 가소성 조절, 신경망 모델 활용 등을 통한 인지 능력의

향상 및 장애 개선 기술 개발

‧ (예시) 인지기능을 보조, 증강할 수 있는 뇌 인터페이스 핵심

원천기술 개발

‧ 기타 연구 목표에 부합하는 창의적 연구 개발

※ 분야 1 또는 분야 2 중 한 분야만 선택해야하며, 연구목표에 부합하는 예시외의내용도 자유롭게 지원 가능함

○ 신규과제 단계별 목표

- 1단계 목표(‘18 ~ ‘20)

‧ 국제특허 출원

‧ JCR 10% 이내 SCI 논문

- 2단계 목표(‘21 ~ ‘22)

‧ 특허 등록

‧ 시작품 또는 JCR 5% 이내 SCI 논문

분야 세부사업명선정

과제 수과제별

지원규모

4대 분야 뇌연구 4대 분야 총괄5연 4.2억 원 내외/

총 5년(3+2)

※ 1차년도 연구비는 RFP상 제시된 금액과 동일하게 신청하되, 1차년도 연구기간은회계연

도일치를위해9개월(’18.04.01∼’18.12.31)로설정

※ 2차년도부터연구비는 5.6억원으로신청하고, 연구기간은 12개월로설정

※ 2차년도 연구비는 예산사정에 따라 변경 가능

※ 협약시 연구기간과 연구비는 eR&D시스템에서 별도 안내 예정으로 변경될 수 있음.

- 87 -

□ 포스트게놈다부처유전체사업

[미래유전체연구 인프라고도화]

RFP번호 1

연구분야 국제협력 기반 암 특이적 후성유전체 마커 고도화

1. 연구목표

○ 최종목표 : 한국인 호발암 특이적 후성유전체 마커 확보 및 국제협력 결과를 활용한 맞춤형 암 진단 원천기술 개발

○ 1단계 목표(`18~`19) - 후성유전체 데이터 확보, 바이오마커 탐색 및 고도화

○ 2단계 목표(`20~`21) - 후성유전체 바이오마커 임상 검증 및 실용화 기반 구축

2. 연구내용 및 범위

○ 1단계 (`18~`19) - 한국인 호발암*의 후성유전체⋅전사체 통합 데이터 확보(n≧200) *기수행 중인 암종(위암, 폐암) 제외

- 암 특이적 후성유전체⋅전사체 기반 바이오마커 발굴 및 정확도 개선

○ 2단계 (`20~`21) - 암 특이적 후성유전체 바이오마커 임상 검증

- 바이오마커 기반 체외 진단 시스템 개발

3. 성과목표

○ 성과 창출 및 성과 활용·확산지표 및 목표치

- (1, 2단계/과학적 성과) : SCI 논문(JCR 분야별 상위 10% 이내) - (1단계/기술적성과) : 바이오마커(n≧2) 및 국내특허

- (2단계/기술적성과) : 국제특허

- (2단계/경제적성과) : 기술이전

○ 지원성과 및 기여효과 : 암 정밀진단 원천 기반기술 개발을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

4. 특기사항

○ 총 연구기간은 4년(2+2)이며, ‘연구내용 및 범위’ 전체를 포함하는 단위과제 형식으로 제안하여야함(1차년도 연구기간은 9개월임)

○ 과제선정 후 다부처유전체 국제공동연구사업과 연계운영을 위하여 기수행중인 총괄과제의 세부과제로 재편성됨

○ 재정상황 등에 따라 연구비 및 기간은 조정 가능하며, 이에 준하여 연구내용은 변경될 수 있음 ○ 단계평가 후 계속지원 여부를 결정하고, 연구기간, 연구예산 및 연구내용은 변경될 수 있음 ○ 연구에서 도출된 유전체 정보는 KOBIC에 등록하여야 함 ○ KOBIC(부처별 정보센터 포함)에 등록된 포스트게놈사업 성과 데이터의 활용 계획 제시를

적극 권장함 ○ (전)임상 또는 인간 유래 시료를 이용하는 경우 동물실험윤리위원회(IACUC) 또는 기관생명

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아야 함

5. 2018년 예산 총 3억 원 내외, 단위과제 1개 내외

2018년 도 원 천 기 술 개 발 사 업

발 행 일 : 2017년 12월

발 행 처 : 한국연구재단 국책연구본부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로 201

문 의 : 국책사업기획실 국책기술전략팀

Tel. 042-869-7864

Homepage. http://www.nrf.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