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 양지선 우식활성검사

18
Snyder test and alban’s test 치아우식활성검사법 <세균인자> 35 양지선

Upload: dlawogud

Post on 08-Jul-2015

140 views

Category:

Health & Medicine


9 download

TRANSCRIPT

Page 1: 35 양지선 우식활성검사

Snyder test and alban’s test

치아우식활성검사법 <세균인자>

35 양지선

Page 2: 35 양지선 우식활성검사

Snyder test• 실험목적

– 목적 : 구강 내 산 생성균의 양과 그 활성을 측정

• 실험원리– 원리 : 색지표 (Color indicator)로서 BCG(bromcresol

green)를 함유하고 산도가 4.7~5.0으로 맞추어져 있는 배지에 자극성 타액을 주입하여 산생성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구강 내 산생성능을 비색적으로 측정하는 검사법

• 실험근거– 근거 : 타액 중의 세균이 산을 생성하여 치아우식증을

유발시킨다는 근거– → 함수탄소 배양기에서 타액 중의 세균이 산을 형성

• 실험장비– 타액수집용기, 파라핀왁스, 스나이더 배지, 피펫, 배양

장비, Union-screw cap test tube

Page 3: 35 양지선 우식활성검사

• 배지 제조 과정1) 재료 준비 (증류수, agar, Dextrose, BCG, beef extract, lactic acid)

2) 중탕기에 증류수를 넣고중탕시키면서 낮은 온도에서 Beef extract를 넣고 끓인다.

3) 지시약 (0.04% BCG)을넣는다.

4) Dextrose와 Agar를 소량씩 넣으면서 엉겨붙지않게 한다.

5) 0.1N Lactic acid로 pH 5.0이 되도록 조절한다.

Page 4: 35 양지선 우식활성검사

• 실험과정

– 정규 식사 전이나 칫솔질을 하기 전에 약 3분동안 1.0mg 정도의 파라핀 조각을 저작하여자극성 타액을 추출한다.

– 실험시 medium이 든 test tube를 65℃의 중탕기에서 melting 시킨 뒤 수집한 타액 0.2ml를 pipetting하여 잘 흔들어 준다.

– 시험관의 agar가 굳으면 37℃에서 72시간 배양한다.

Page 5: 35 양지선 우식활성검사

1. 대조군

2. Inactivate (blue)

3. Limited (green)

4. Definite (yellow green)

5. Marked (yellow)

Page 6: 35 양지선 우식활성검사

Alban’s test

차이점

실험 준비물

방법

결과

Page 7: 35 양지선 우식활성검사

• 원리– Snyder test 와 같이 타액중의 유산균의 활성도를 비색적으로 측정하는

검사

• Snyder 검사와의 차이점– 1) Snyder test agar in a prepared test tube is used without melting

and cooling as is usually recommended.: Agar를 녹일 필요가 없다. 과정이 단순해지면서 결과를 읽기가 쉬워진다. Living bacteria의 손상을 막는다.

2) Unstimulated saliva is collected by having the patient "drool" directly into a prepared culture tube:Time of day, relation to eating time, volume of sample에 의해 결과가영향 받지 않는다.

3) Results are read by daily observation of color change from blue-green to yellow and by recording the depth of color change.: 색변화의 깊이를 측정할 수 있다. Original snyder test 는 test tube shake에 따라 색깔변화에 따라 다를 수 있다.

4) A new method of scoring provides a calibrated result.:1000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95%의 재현성을 나타내었다. 반복시행 시 결과가 정확하다.

Page 8: 35 양지선 우식활성검사

• Alban test의 결과

장점-타액의 양을 측정할 필요가 없고 비자극성 타액을 tube에 바로 채취하여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임상치과 에서 쉽게 행할수 있다.- Ideal test for patient education. 환자의 동기유발에 효과적이다.- 다양한 우식 제어 절차에 효과적인 측정법이다.

Page 9: 35 양지선 우식활성검사

과거 우식경험에 기초한 치아우식 활성도의 예측

<숙주인자-치아>

P.26

Caries Activity Indicators: Guide for Dental Practitioners Tamgadge Sandhya, Tamgadge Avinash, Evie Satheesan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 Maxillofacial Pathology. 2012;4(1):34-42

Newbrun E. Caries activity test: Cariology. 3rd ed. Quintessence Publication Company: 1989. 273-291p.

Page 10: 35 양지선 우식활성검사

치아우식활성도(caries activity)

• 원리

– 과거 우식경험은 앞으로를예측하는 방법이 될 수 도 있다. 이럴 시에치아 교합면은제외하는 것이낫다

Page 11: 35 양지선 우식활성검사

• 과정– 9-10세 아동들을 치아우식 활성

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나누었다.

① 전치와 제 1대구치의 인접면② 상악 제 1대구치의 협면③ 하악 제 1대구치의 설면

Page 12: 35 양지선 우식활성검사

결과

• 조사 1년후 치아우식활성도가 높은 집단은9.5개의 새로운 치아우식면이 생겼다

• 낮은 집단에서는 5.3개의 새로운 치아우식면이 생겨났다.

• 통계적으로 유의성이있었다.

Page 13: 35 양지선 우식활성검사

우식경험 영구치면 지수

• DMFS index =

피검자 개인 우식경험 영구치면 수의 합피검사수

• D (decayed permanent teeth)– 미충전우식영구치아

• M (missing or extraction because of dental caries on permanent teeth)– 우식경험상실치아

• F (filled permanent teeth)– 우식경험충전치아

• S (Surface)

Page 14: 35 양지선 우식활성검사

• Initial DMFS score 사용의 단점

– 이미 명확한 치아우식이 발생되었다

– 아주 어린 나이에서는 적용될 수가 없다

– 전문적인 검사능력이 필요하다

Page 15: 35 양지선 우식활성검사

치질내산성의 측정

<숙주인자-치아>

P.26

Page 16: 35 양지선 우식활성검사

치질내산성(acid resistance)

• 원리

– 치아표면의 표면의 오염을 제거한 후

– 일정의 조건 (산의 종류, 농도, pH, 액량, 접촉면적, 접촉시간)으로 산액을 치면에 접촉하여용출한 치아의 법랑질 성분의 양 (칼슘 혹은인)을 측정하고

– 이미 알고 있는 치질용출양의 분포로부터 치질의 내산성의 강약을 안다.

Page 17: 35 양지선 우식활성검사

• 준비물

– pH2.5, 0.1M 유산완충액, 1N HCl, 염산칼륨제제의 치마제 (불소 배합), 치료용 엔진 및polishing brush, air compressor, aspirator, 펙토리 샤아레 및 치과용 핀세트, 마이크로 피펫, 시험관, 분사병, 원자흡수 분광 광도계, non woven fiber Disk (ND)

Page 18: 35 양지선 우식활성검사

과정

① 치면의 연마청소: 연마청소-세정-건조

② 치면의 유산완충액에 의한 세정: 유산완충액 적심-세정-건조

③ 내산성 측정: 유산완충액을 ND로 옮겨, 3분간 치면에 붙인후, 1N HCl

3㎖ 시험관에 넣는다.

④ Ca의 정량: ND의 치질성분을 유산완충액에 확산시킨 후, 원자흡광분

광광도계로 용출 Ca양을 정량한다.

• 판정 Ca 용출량

4.6㎍ 미만 강군

4.6-7.6㎍ 중군

7.6㎍ 이상 약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