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elite and tribalism … · 2012. 12. 5. · 22...

21
韓國中東學會論叢 第28-1號 韓國中東學會, 2007, 17~37 사우디아라비아의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연구 * 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Elite and Tribalism in Saudi Arabia 금 상 문 한국외대 목 차 Ⅰ. 서론 Ⅱ. 분석의 틀 Ⅲ. 사우디아라비아 사회와 종교의 특성 1. 사회 특성 2. 종교 특성 Ⅳ. 종교엘리트 구조와 정체성 1. 구조 2. 정체성 Ⅴ.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관계 1. 주류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2. 비주류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3.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관계의 주요 쟁점 Ⅵ. 결론 참고문헌 주제어: 종교엘리트, 부족주의, 종교엘리트 구조와 정체성, 사우디아라비아,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관계 * 이 논문은 2006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KRF-2006-079-AS00021)

Upload: others

Post on 23-Aug-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韓國中東學會論叢 第28-1號

    韓國中東學會, 2007, 17~37

    사우디아라비아의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연구*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Elite and

    Tribalism in Saudi Arabia

    금 상 문

    한국외대

    ◁ 목 차 ▷

    Ⅰ. 서론

    Ⅱ. 분석의 틀

    Ⅲ. 사우디아라비아 사회와 종교의 특성

    1. 사회 특성

    2. 종교 특성

    Ⅳ. 종교엘리트 구조와 정체성

    1. 구조

    2. 정체성

    Ⅴ.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관계

    1. 주류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2. 비주류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3.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관계의 주요 쟁점

    Ⅵ. 결론

    참고문헌

    주제어: 종교엘리트, 부족주의, 종교엘리트 구조와 정체성,

    사우디아라비아,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관계

    * 이 논문은 2006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KRF-2006-079-AS00021)

  • 18 韓國中東學會論叢 第28-1號(2007.08)

    I. 서 론

    부족 간 불화로 찢겨 있던 아라비아 사회가 이슬람이 등장한 이후 이슬람이란

    동일한 신앙을 기반으로 새 연대 의식을 갖게 되었고 배타적이기만 하던 부족 감

    정 대신에 라는 동족 의식이 싹트게 되었다.

    이후 사우디아라비아가 건국되었을 때, 사우디아라비아의 국교는 와하비즘으로

    부터 나온 이슬람이다. 와하비즘은 지나치게 이성주의 신학에 부정적이었고, 이미

    대중화된 수피주의, 그리고 심지어는 시아 교리마저 배격하는 배타적인 면이 있

    다. 이러한 와하비즘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대종을 이루는 가운데 수니 무슬림이

    85%, 시아 무슬림은 15%이다.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은 와하비즘을 바탕으로 하는

    이슬람의 정신적 수장이다.

    따라서 사우디아라비아 주류이건 비주류이건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관계는 국

    가-종교엘리트-부족주의 관계에서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사우디아라

    비아 정권은 부족들의 권력축소를 바라면서 부분적으로 부족구조를 정부의 정치

    조직의 부분으로 예속시켰다. 예컨대 사우디아라비아 정권은 부족법정의 일부를

    국가기구에 흡수하였다. 모스크, 이슬람학교, 이슬람법정, 이슬람학술단체, 아우까

    프 같은 이슬람 조직들을 국가기구로 흡수한 것이 그 예이다. 사우디아라비아 정

    권은 부족주의와 이슬람 와하비즘을 통하여 극단이슬람주의를 견제하였다.

    사우디 정권의 지지를 받는 부족주의와 이슬람 와하비즘은 왕정의 주요 무기가

    되었다. 정부는 부족단체와 종교단체를 지원하기 위하여 자금과 일정한 장소를 제

    공하였다. 물론 이러한 정책수행은 부족엘리트들과 종교엘리트들에게 정치적 반대

    를 초래한 바 있다.

    전통적으로 이슬람은 인종주의와 부족주의를 반대한다.1) 그러나 사우디아라비

    아의 경우, 부족주의와 이슬람간의 관계를 보면 종교엘리트들이 부족주의를 일정

    정도 수용하였다. 종교엘리트들이 명예살인 같은 전통적인 부족 형벌을 수용한 것

    이 그 예이다. 한편 부족장들은 이슬람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슬람의 풍속

    에 반하는 특정 다국적기업 유치 반대를 주장하면서 종교엘리트를 움직이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문점을 제

    기하여 살펴본다. 즉 사우디아라비아 주류 종교엘리트들은 어떠한 논리로 부족주

    의를 대하고 있는가, 또 비주류 종교엘리트들은 어떠한 논리로 부족주의를 대하고

    있는가? 아울러 부족엘리트와 종교엘리트 간 권력의 관계는 무엇인가? 또 종교

    1) 이러한 영향을 받아 보편적으로 이슬람뿐만 아니라 기독교 같은 종교엘리트들 역시 일반적으로 부족주의를 반대한다.

  • 사우디아라비아의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연구 : 금상문 19

    엘리트들이 부족주의에 관하여 생각하고 있는 여러 이슈는 무엇인가? 등등이 문

    제로 제기된다.

    Ⅱ. 분석의 틀

    본 논문의 분석의 틀이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즉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종교엘

    (그림1) 국가 종교엘리트 - 주류 종교엘리트 (민족주의 강조, 자본주의-서구와의 관계: 이슬람과 서 구 관계 조화, 부족주의 경시) - 비주류부 종교엘리트 (이슬람주의 강조, 자본주의 -서구와의 관계; 이슬람과 서구관계 비조화, 부족주의를 이용하여 밀리시아(의용군 충원) 갈등조정 (,정통성확립, 윤리구성) 부족주의 정체성 이슬람 국가주의(와짜니야) 세속화

    리트는 이슬람이 성립한 이후에 본격적인 활동을 하였기 때문에 본 글에서는 종

    교엘리트와 부족주의를 살펴봄에 있어서 종교엘리트를 주류 종교엘리트와 비주류

    종교엘리트로 구분하고, 이러한 종교엘리트들이 가지고 있는 정체성을 살펴본다.

    - 종교엘리트 정의

    한편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교엘리트를 어떻게 정의하느냐가 중요

    하다. 파레토에 따르면 통치엘리트는 한 사회에서 직접 간접으로 정책결정에 참여

    하는 엘리트를 의미하며, 비통치엘리트는 엘리트의 구성원이기는 하지만 정책결정

    에는 직접 참여하지 않는 엘리트를 말한다.2) 같은 논리로 종교엘리트도 직접정치

    에 참여하고 기득권을 누리는 주류 종교엘리트와 직접 정치에 참여하지 않고 기

  • 20 韓國中東學會論叢 第28-1號(2007.08)

    득권을 누리지 않는 비주류 종교엘리트로 분리된다.

    사우디아라비아 종교엘리트도 주류 종교엘리트와 비주류 종교엘리트로 대별된

    다. 보통 이슬람에서 종교엘리트는 울라마(Ulama), 파키흐(fiqih), 까디(Qadi)로 대

    변된다. 울라마 또는 이슬람 종교지도자들은 사우디 통치를 위하여 종교적 정당성

    을 주는 것에 의해 독특한 임무에 봉사한다. 울라마가 직접 통치에 참여하는 이란

    의 경우와는 달리, 사우디아라비아의 울라마는 영향력 있는 정치세력이자 종교세

    력 이다. 사우디왕국의 울라마는 종교학자, 신학교 교사 등이 포함된다. 사우디아

    라비아 울라마는 약 7천 명에서 일만 명으로 추산된다. 그렇지만 그들 중 30명에

    서 40명의 선임학자들만이 인 실질적으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한다. 이 선임 종

    교학자들은 1971년 파이잘 왕이 왕국과 종교학자들 간의 정례 협의를 위하여 만

    든 선임 울라마 위원회 구성원들이다. 이 선임 울라마 위원회 구성원들은 리야드

    에 거주하고 있다. 반면 파키흐(faqih)는 가톨릭의 신부와는 다르게 결혼을 할 수

    있고, 모스크에 거주한다. 파키흐는 서구의 세속화된 목사와 같은 역할을 하며, 파

    키흐는 모스크에서 설교를 하며 이슬람법을 가르친다.3) 또 까디는 고위 성직자이

    며 굳이 말하자면 가톨릭의 주교에 해당된다.4)

    반면 비주류 종교엘리트들은 정부의 종교 조직에 속하지 않기에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하지 못하면서 사설 종교조직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종교엘리트를 말한다,

    총체적으로 주류 종교엘리트와 비주류 종교엘리트의 구조는 신학교 교사, 종교

    학자인 울라마, 이슬람사원의 예배인도자인 이맘인 파키흐, 법관, 법률가인 카디

    등이 포함된다.

    - 부족주의 개념

    앞에서 언급한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관계를 보기 위하여 부족주의 개념을 살

    피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전통이전 부족주의는 관습부족주의(customary tribalism)이라 불리며, 전통적 부

    족주의(traditional tribalism)는 혈연에 기초를 둔 단순한 조직에 기초를 둔다. 또

    다른 부족주의 개념으로 근대적 부족주의 개념이 있는데, 근대적 부족주의는 국가

    형성과 자본주의에서 발전된 제국주의와 같은 이데올로기와 같은 세계화에 관련

    된 세계역사상의 현상으로 파악되는데, 이것은 단순히 이러한 과정에서 창출된 것

    2) http://kr.blog.yahoo.com/jihn1031/164 07-05-11

    3) Norman Daniel. Islam and The West (Oxford: One World, 2003), pp.250-251.

    4) Ibid., pp.251-252.

  • 사우디아라비아의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연구 : 금상문 21

    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지역과 일정한 거리에 있는 사람들의 집합을 뜻하

    는 것이다.5) 본 논문에서는 이 두 가지 개념 중에서 전통적 부족주의 개념을 수

    용한다.

    Ⅲ. 사우디아라비아 사회와 종교 특성

    주어진 문제를 분석의 틀에 의하여 해결하기 위하여서는 사우디아라비아 사회와

    종교특성을 살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이를 살펴본다.

    1. 사회 특성

    사우디아라비아 사회는 일정한 지역에 정칙하고 있는 定住民과 가축의 먹이를

    찾아 떠도는 베두윈으로 나뉜다. 인구의 80%는 도시에 살고 있다.

    아라비아 원주민들은 56%, 다른 아랍국가에서 온 사람들과 베두윈 27%이다.

    나머지는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계 사람들이다. 원주민들은 아라비아 반도 중앙

    즉 나지드 지역과 아라비아반도 서부 즉 히자즈 지역에 주로 거주하고 있다. 베두

    윈들은 유목생활을 하는 사람들이다. 외국인 노동자들은 인구의 18%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른 아랍국가로부터 온 사람들, 아프리카인들, 아시아인들로 구성되어 있

    고, 소수사회와 마찬지로 통치자들, 지배되지 않는 부족원, 도시인, 지배되는 半부

    족적인 농촌 인으로 크게 나뉘어 진다.6)

    사우디아라비아 사회는 부족의 유산이 매우 중요하다. 사우디아라비아라는 국가

    형성에 부족이 동력이었기 때문이다.7)

    또 사우디아라비아 사회는 이슬람이란 종교와 국가적 유산이 중요하다. 이슬람은

    이븐사우드가 왕이 되었을 때 사우디아라비아의 중심에 있었다. 이후 이슬람법 즉

    샤리아가 왕이나 평민을 구별하지 않고 예외 없이 모든 것을 다스리기 때문이다.8)

    5) Paul James,. Globalism, Nationalism, Tribalism-Bring Theory Back In- London: Sage, 2006, p.30.

    6) Ernest Gellner. Muslim Socie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p.44.

    7) Ilan Pappe ILAN, The Modern Middle East. New York: Loutledge, 2005, p.105..

    8) Ali E Hillal Dessouki(ed), Islamic Resurgence in the Arab World,New York:Praeger,1982, p.181.

  • 22 韓國中東學會論叢 第28-1號(2007.08)

    2. 종교 특성

    사우디아라비아인들이 믿는 종교는 수니 이슬람이고, 수니 무슬림 수는 대략 인

    구의 85%를 차지하고 있다. 인구 나머지 15%는 사우디아라비아 동부 예멘 국경

    지역 아씨르 지역에 살고 있는 시아파이다.

    아라비아 수니 무슬림들은 한발리 법학파에서 나온 와하비즘을 따르고 있다.9) 와

    하비즘의 근본은 타우히드(tawhid)와 우상숭배와 다신교의 배격에 있다. 이러한 근

    본은 꾸란과 무함마드의 순나에 두었다. 와합이 활동할 당시 아라비아 반도의 사회

    는 문란하였다. 이러한 사회를 청교도적인 입장에서 와합은 살라프 알살리흐(salaf

    alsalih)운동을 일으켰다.10) 와하비즘은 이븐 타이미야 학파의 신념과 일정정고 공유

    하고 있다.11) 와하비즘은 돼지고기, 알콜 금지시킬 뿐만 아니라 흡연도 금기시 한다.

    그래서 사우디아라비아 중부지역은 흡연은 불법이다. 더욱 와하비즘은 대다수 무슬

    림들이 축하하고 있는 무함마드의 탄생일을 휴일로 정하는 것을 금지한다.12)

    이후 이 와하비즘은 사우디아라비아 사회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이념이 되었다.

    Ⅵ. 종교엘리트 구조와 정체성

    1. 종교엘리트 구조

    종교엘리트는 울라마로 불린다. 본 절에서는 이 울라마의 구조를 살펴보는데,

    주류(establishment) 울라마와 비주류(Non establishment) 울라마 즉 주류 종교엘

    리트와 비주류 종교엘리트로 나누어 살펴본다. 주류 종교엘리트는 앞에서 간략히

    설명한 바와 같이 제도권 내에서 활동하는 종교엘리트를 말하고, 반면 비주류엘리

    트는 제도권 밖에서 활동하는 종교엘리트를 말한다.

    9) http://lexicorient.com/e.o/saudi_4.htm 07-05-07

    10) Tim Niblock, Saudi Arabia Power, Legitimacy and Survival, London, Routledge,2006, pp.23-25.

    11) Majid Fakhry, Islamic Philosophy theology and Mysticism, Oxford: Oneworld,1997, p.104.

    12) Gordon Robison, Arab Gulf States,Oakland: Lonely Planet Publication, 1996, p.294.

  • 사우디아라비아의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연구 : 금상문 23

    1) 주류 종교엘리트 구조

    사우디아라비아가 탄생된 이후 정부는 울라마에게 종교적 자율성과 권한을 거

    의 허용하였다. 1980년대 이후 주류 울라마(establishment ulama)는 권력구조 안

    에서 행위자가 되었다.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울라마는 중앙집권화 하였다. 이

    중앙집권화 단계로 정부는 슈라(Shura)라는 제도를 도입하였다. 이 슈라회의에서

    울라마는 정책결정과정에서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즉 슈라회의는 선임

    울라마 위원회에 속한 위원들의 인사, 종교성의 구조조정, 그랜드 무프티의 임명

    등에 간여하고 있다. 특히 1994년에 슈라회의는 이슬람문제 최고위원회(Supreme

    Council of Islamic Affairs)와 이슬람 선교위원회를 창립하게 하였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종교엘리트들은 다음 그룹에 속해 있다.

    선임 울라마 위원회(The Board of Senior Ulama :BSU: Hay'atKibaral-ulama)

    ; 이 위원회는 주요 공공 이슈에 대하여 파트와를 내놓는다. 이 위원회는 1971년

    에 설립되었고, 이 위원회의 위원장은 사우디 종교권력의 최고수장인 그랜드 무프

    티이다.

    과학연구 및 법적 의견을 위한 상임위원회(The Permanent Committee for

    Scientific Research and Legal Opinion : CRLO:-alLajna alDa'ima lilBuhuth

    alIlmiyya walIfta'); 이 위원회는 선임 울라마 위원회를 연구 및 행정지원 같은으

    로 보좌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그랜드, 무프티(the Grand Mufti): 그랜드 무프티는 선임 울라마 위원회와 과

    학연구 및 법적 의견을 위한 상임위원회의 수장이다.

    이슬람문제 최고위원회(The Supreme Council of Islamic Affairs :al Majlis

    al-'la lil-Shu'un al-Islamiyya)와 이슬람선교위원회(the Council for Islamic

    Mission and Guidance :al-Majlis lil-Da'wah wal-Irshad); 양 위원회는 1994년

    10월에 창설되었다. 이슬람문제 최고 위원회는 국방장관이 의장이 되고, 이슬람선

    교위원회의 의장은 이슬람종교성 장관이 된다. 이 위원회들은 이슬람사원과 울라

    마들을 지휘 감독을 통하여 통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위원회에 속한 12명의

    울라마들은 가장 종교적으로 영향력을 끼친다.

    이외 수천 명의 울라마들이 다양한 정부기구 내에서 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 정

    부기구를 살펴보면, 이슬람省 (The Ministry of Islamic Affairs, Endow ments,

    Religious Instruction, and Preaching), 정의를 권하고 악을 금하는 위원회(The

    Committee of Commanding Right and Forbidding Wrong-Hay'at al-Amr bil

    Ma'ruf wal-Nahi 'an al-Munkar (known alsoas mutawwi'ah) 이 위원회는 종교

    적 의무를 다하지 않는 무슬림에 징벌을 가하고 와하비 칙령을 강요하는 기능을

  • 24 韓國中東學會論叢 第28-1號(2007.08)

    가지고 있다.

    무슬림세계기구 (The Moslem World League); 이 기구는 세계 무슬림들에게

    와하비즘을 전파하는 정부기관이다.

    최고 재판관위원회(The Higher Council of Qadis); 이 기국에 속하는 사람들은

    종교엘리트들이다.

    大이슬람사원의 무프티(The muftis of the Grand Mosques); 메카와 메디나에

    있는 이슬람사원에 두 명의 무프티가 있다.

    이슬람법 종교재판정(The Shari religious courts ) ; 이 종교재판정에는 판사

    들과 변호사들이 소속해 있다.

    이맘과 서기(Imams and Khatibs) ; 모스크에 있는 이맘과 서기들은 울라마에

    속한다.

    이슬람대학(The Islamic Universities); 이슬람대학은 공식적으로 문교성에 소

    속되어있지만 그랜드 무프티의 감독을 받는다. 교육을 담당하는 울라마들은 커

    리큐럼을 짜는데 영향을 끼친다. 교육성에 속하는 울라마들은 지방학교와 교사들

    에게 비공식적으로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울라마들은 국가 내에서 실질적으로 정치적 영향력을 가진다. 울라마들

    의 수는 칠천 명에서 만 명으로 추산된다.

    2) 비주류 종교엘리트 구조

    이슬람역사상 종교와 정치 간에 항상 갈등이 존재해 왔다. 근대에 들어와서도

    중동지역은 종교와 정치 사이에 본격적으로 갈등이 표출되었다. 일시적 권한보다

    는 꾸란과 무함마드의 말과 행동인 순나에 근본을 두면서 종교적 가치가 팽배하

    는 이슬람국가 설립을 목적으로 하는 제도권 밖 종교엘리트들이 생겨났다. 이러한

    종교엘리트들은 대부분 비주류 엘리트들로 불린다.

    사우디아라비아가 건국된 이후 비주류 종교엘리트는 1966년에 조직된 아라비아

    반도 인민연맹(Arabian Peninsula People's Union; APPU)에 소속되었다. 아라비

    아 반도 인민 연맹(APPU)은 비주류이자 반정부 종교엘리트 뿐만 아니라 관리, 군

    인, 기술자, 작가, 상인, 노동자 등의 모든 계급을 포괄하는 조직이다. 이 조직은

    1970년에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에 의하여 거의 와해되었다. 또 1960년대 말 이집트

    나세르대통령의 영향을 받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나세르 아라비아반도 인민 연맹

    (Nasserist Arabian Peninsula People's Union)가 조직되었다. 이 조직은 북부 샴

    마르 부족 지역에 영향을 미쳤다. 이외 인민 민주주의 정당(The Popular

    Democratic Party)이 설립되었다.13)

  • 사우디아라비아의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연구 : 금상문 25

    그중에서도 1928년 이집트에서 하싼 알반나에 의하여 조직된 무슬림형제단의

    영향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가장 영향을 끼쳤다. 이 무슬림형제단의 이념이 사우

    디아라비아에도 전파됨으로써 왕국 내 비주류이자 반정부 종교엘리트들이 나타나

    기 시작하였다.

    이후 1980년대 알사흐와 알이슬라미야라 불리는 울라마가 나타났다. 이들은 정

    부 내 어떠한 직위도 가지지 않았다. 그렇지만 이들은 제1차 걸프전쟁 시, 사우디

    아라비아 정부가 왕국을 방어하기 위하여 미군주둔을 허용한 것에 대해 비난을

    했다. 이 조직의 살만 알 아우다흐(Salman al-'Awdah)와 사파르 알하왈리(Safar

    al-Hawali) 두 조직은 알카에다를 지지하는 강경노선을 걷고 있다. 이 두 조직원

    1,300명은 감옥에 수감된 바 있는데, 당시 주류 종교엘리트들은 이 비주류 종교엘

    리트들의 행위가 불법이라는 파트와를 내놓은 바 있다.

    이후 와사티윤(Wasatiyun)이라 는 온건 이슬람그룹이 조직되었는데, 이 조직

    은 이전 사흐와 알이슬라미야에서 활동하였던 압둘 아지즈 알까심(Abd al-Aziz

    al-Qasim), 압둘라 알하미드(Abdallah al-Hamid), 하산 알말리키(Hasanal-Maliki)

    등의 종교엘리트를 조직원으로 가지고 있었다. 이외 사우디아라비아 정권을 배교

    자라고 선언하였던 타크피르 울라마, 밀리탄트 울라마, 지하드 중심 울라마리고

    불렸던 타크피르 조직이 있었다. 이 조직의 중심인물은 셰이크 슈아이비(Shaykh

    Shu'aybi), 나스르 알파흐드(Nasr al-Fahd), 알리 알쿠다이르('Ali al-Khudayr)인

    데, 이들은 사우디아라비아 주택가에 폭탄을 터트리면서 정권에 도전하였으나 최

    근에 보안군과 교전 끝에 거의 사살 또는 체포되었다.14)

    1990년대부터 비주류 이자 반정부 종교엘리트인 오사마 빈 라덴이 이끄는 지하

    디(Jihadi)그룹이 본격적으로 사우디아라비아 내부와 국제무대에 나타났다. 이 집

    단은 아프가니스탄에서 활동하고 있었던 알지하드이슬라미 그룹과 이집트에서 활

    동하고 있었던 알자마 알이슬라미야 그룹과 연대를 하였다.15) 이러한 비주류 종교

    엘리트 집단은 주적을 미국과 이스라엘로 하면서 사우디아라비아 내 미군 철수,

    외국영향력 배제, 이슬람법인 샤리아로 지배되는 이슬람국가 설립을 목적으로 활

    동하고 있다.16)

    13) Fred Halliday, Arabia Without Sultans. London: Saqi Book, 2002, p.69.

    14) ICG Middle East Report N°31, 21 September 2004,pp.2-3.

    15) Tim Niblock, op.cit., pp.147-149.

    16)Andrew Heywood,. Political Ideologies, New York: Palgrave macmillan, pp.307-308.

  • 26 韓國中東學會論叢 第28-1號(2007.08)

    2. 종교엘리트 정체성: 이슬람, 국가, 부족

    사우디아라비아 국적을 가진 종교엘리트는 주류 종교엘리트이건 비주류종교엘

    리트이건 필연적으로 이슬람정체성, 사우디라는 국가를 위한 국가정체성인 와따니

    야 정체성, 부족정체성을 가진다. 이러한 정체성은 사우디아라비아 정치문화를 구

    성하는데도 근본이 된다.

    1) 이슬람 정체성

    사우디아라비아가 건국되었을 때, 사우디아라비아의 국교는 수니파 와하비즘으

    로부터 나온 이슬람이다. 와하비즘은 지나치게 이성주의 신학에 부정적이었고, 이

    미 대중화된 수피주의, 그리고 심지어는 시아 교리마저 배격하는 배타적인 면이

    있다. 이러한 와하비즘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대종을 이루는 것을 앞에서 살펴보

    았다.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은 와하비즘을 바탕으로 하는 정신적 수장이다.

    사우디아라비아 내 부족들 대부분은 수니 이슬람을 종교로 가지고 있다. 반면

    사우디아라비아 동부 주 알까티프와 하싸 오아시스에는 50만에서 60만에 달하는

    시아공동체가 있다. 시아파 종교엘리트들은 시아공동체를 이끌고 있다.17)

    이처럼 사우디아라비아 내 종교엘리트들은 수니 와하비즘과 시아에서 정체성을

    찾고 있다.

    2) 국가 정체성

    사우디아라비아 주류 종교엘리트들의 정체성은 사우디아라비아라는 국가에서

    정체성을 찾는다. 즉 종교엘리트는 사우드 가문의 권력과 종교적으로 와하비즘에

    입각한 이슬람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였고, 지금도 하고 있다. 사우드 가문의 지

    원이 없다면 와하비즘은 아라비아반도에서 지배적인 영향을 얻지 못하였고, 와하

    비즘의 지원이 없다면 사우드가문은 영토를 얻지 못하였을 것이다. 종교엘리트인

    울라마들은 종교적으로 정치권력을 정당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18)

    이전 사우디아라비아가 건국할 당시 이븐 사우드는 정치적 지도자이었고, 이븐

    압둘 와합은 최고 종교권위와 지금의 무프티 같은 종교 지도자이었다. 이러한 두

    17) Arthur Goldschmidt Jr. Shibley Telhami, The Contemporary Middle East. New York: Westview Press.2006, p.189.

    18) Tim Niblock, op.cit.,p.29.

  • 사우디아라비아의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연구 : 금상문 27

    지도자가 결합을 한 결과로 사우디아라비아가 건국되었다.19)

    1792년에 이븐 압둘 와합이 사망하자 사우드가문은 종교적인 이맘 직을 차지하

    였다. 그래서 사우디아라비아 왕은 정치적으로 통치권자인 동시에 종교적으로 와

    합 이슬람의 정신적 지도자가 되었다. 이러한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울라마와 사우

    드가문은 동등한 동맹관계에 근본을 둔 것은 아니었다. 사우디아라비아 울라마들

    은 종교적 칙령인 파트와 보다는 왕의 칙령이 있을 때에는 왕의 칙령인 니잠스

    (Nizams)에 전적으로 의존한다.20) 물론 울라마들은 가끔 왕의 칙령에 거슬릴 때

    도 있다. 1950년에 왕은 칙령으로 사우디인과 비사우디인을 막론하고 모든 사람들

    에게 세금을 부과한 적이 있었다. 이때 울라마들은 수입의 40분 1을 희사해야한다

    는 무슬림의 의무를 훼손시킬 수 있다는 이유로 정부의 세금정책에 반대한 적이

    있었다.21)

    1990년대에 들어와 주류종교엘리트이건 비주류종교엘리트인건 울라마들은 정부

    의 부패와 미국과의 동맹을 성토한 바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종교엘리트들이 사우

    디아라비아라는 국가를 위하여 강경노선을 걷기 시작하였다.

    이처럼 종교엘리트들은 사우디아라비아 국가정체성 즉 사우디아라비아 와따니

    즘에 정체성을 찾고 있다.

    3) 부족주의

    이슬람이 출현하기 전 아라비아반도는 베두윈이라 불리는 사람들이 사막에서는

    낙타, 양을 치면서 생활을 영위하였다.22) 베두윈은 중동에서 아랍어를 사용하면서

    수천 년 간 목축으로 생활을 하던 사람들이다. 베두윈들은 아라비아반도에서부터

    중동 모든 국가의 사막에 걸쳐서 살고 있다.23) 반면 베두윈들이 사막생활을 접고

    농촌이나 도시에 정칙한 정주민들은 농업, 상업 등에 종사하면서 생활하였다. 베

    19) 이슬람력 1157년 이븐 사우드는 꾸란의 가르침과 예언자 언행과 전통에 근거한 통치이념과 이슬람사상에 따라 국가를 통치하겠다는 협정을 이븐 와합과 동맹관계를 맺었다. 21세기 중동이슬람문명권연구사업단,『중동종교운동의 이해2 -아라비아반도와 이란지역의 종교운동 현황과 전망』서울:한울 아카데미, 2005, p.33.

    20) Dale F. Eickelman, and James Piscatori, Muslim Politics. Princeton: Th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6, p.60.

    21) Ibid., p.60.

    22) http://occawlonline.pearsoned.com/bookbind/pubbooks/stearns_awl/chapter12/deluxe2/deluxe.html 07-02-22

    23) http://www.mna.hkr.se/~ene01p9/thebedouneofarabiahtm.htm 07-02-22

  • 28 韓國中東學會論叢 第28-1號(2007.08)

    두윈의 근본적 사회단위는 혈연과 관련된 씨족이나 베두윈 사회구조는 부족

    (qabila)이다. 씨족은 부족과 연결되어 있다. 씨족위원회는 분배, 수자원사용, 유목

    생활에 있어서 중요한 것들을 결정한다.

    아랍에서 부족사회는 콤뮨(Communal)이라 칭하는 사회적 메카니즘이다. 이 메

    카니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족장인 셰이크(shaykh)가 있다. 셰이크는 씨족

    위원회를 통제한다. 아라비아 반도 내 부족들은 전통적으로 셰이크에 의하여 이

    끌어진다. 셰이크는 부족을 대표하고, 외부세력에 대하여 부족을 보호한다. 셰이크

    는 원칙적으로 마즐리스(Majlis)라는 협의체에 의하여 선출되고 경제적으로는 다

    른 부족원보다 약간의 특권을 가진다. 그러나 셰이크의 역할에 따른 부족권력은

    중동지역에서 토지소유의 패턴, 법과 여성의 경제적 소유, 일상생활에서 물질적

    측면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24) 또 부족법은 전통에 입각한다.25)

    보편적으로 사우디아라비아 내 셰이크는 부족의 리더로서 동일 가족 내에서 선

    택된다. 셰이크로서 필요한 자질은 전쟁 시에는 용맹스럽고, 평화 시는 리더쉽을

    갖추어야 한다. 그렇지만 셰이크는 부족원들로부터 맹목적인 복종심을 기대할 수

    없고, 확실한 충섬심을 받아서도 안 된다. 셰이크는 정치적 의지(political will)가

    아닌 부족원들 합의(consensus)에 의한 리더쉽에 의존하여야 한다. 셰이크와 같은

    부족 지도자는 그의 부족 구성원들 중 가장 나이가 많은 연장자가 과거에 항상

    최선의 결정을 선택한 것이 전통이기 때문에 셰이크는 항상 연장자와 상의를 통

    하여 셰이크 직위를 유지한다.

    사우디아라비아 사회는 혈연을 매우 중요시 여긴다. 혈연은 아랍인들의 가치세

    계와 일상생활에 있어서 근본이다. 사우디 인들에게 혈연은 정체성이다.26) 사우디

    인들에게 씨족, 부족은 정체성을 확립케 한다. 종교엘리트들 역시 부족에 소속되

    어 있기에 부족정체성을 갖는다. 즉 종교엘리트들은 부족주의에 자유롭지 못하다.

    다음은 주류종교엘리트들의 부족 출신을 알 수 있는 도표이다.

    24) Chela Carapico Chela, Civil Society in Yemen; The political economy of activism in Modern Arabia, Cambridege University Pres, 1993, p.61

    25) Umar Ali Hasan, Al Tahith wa Masar al Buna al istimaiy altaqlidiya-halat alyamen al-Iztimaiya al-taqlidiya, Dubai : Markaz al Kaliz al Ahadith, 2004, p.63.

    26) Mark Allen. Arabs, New York: Continuum,2006, pp.12-14.

  • 사우디아라비아의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연구 : 금상문 29

    (표1) 종교엘리트와 출신 부족

    왕(메카, 메디나를 관장하는 종교엘리크로서 이맘)

    압둘라 빈 압둘 아지즈 알사우드(ABDALLAH bin Abd al-Aziz Al Saud)

    그랜드 무프티 셰이크 빈 바즈(Shaykh bin Baz)

    교육장관 (Min. of Education) 압둘라 빈 살리흐 알우바이드(Abdallah bin Salih al-UBAYD)

    고등교육 장관(Min. of Higher Education)

    칼리드 빈 무함마드 알 안까리(Khalid bin Muhammad al-ANQARI)

    이슬람문제 장관 (Min. for Islamic Affairs, Endowment, Call, & Guidance)

    살리흐 빈 압둘 아지즈 빈 무함마드 빈 이브라힘 알셰이크(Salih bin Abd al-Aziz bin Muhammad bin Ibrahim al-SHAYKH)

    법무장관 (Min. of Justice) 압둘라 빈 무함마드 빈 이브라힘 알셰이크(Abdallah bin Muhammad bin Ibrahim al-SHAYKH)

    순례문제 및 종교 장관 (Min. of Pilgrimage Affairs & Religious Trusts)

    푸아드 압둘 살람 무함마드 알 파르시(Fuad Abd al-Salam Muhammad al-FARSI)

    울라마 고등 회의 의장(Pres., Higher Council of Ulema)

    압달라 빈 아흐마드 빈 유시프 자이날(Abdallah bin Ahmad bin Yusif ZAYNAL)

    앞의 표에서 교육장관의 이름을 예로 들면, 압둘라 빈 살리흐 알우바이드이다.

    즉 교육장관은 알우바이드 부족 출신이다. 또 주류 종교엘리트들은 이름에서 보다

    시피, 사우드가문, 우바이드부족 알셰이크부족, 자이날부족 등에서 충원되었다. 이

    러한 주류 종교엘리트들은 주류정치엘리트들과 같은 부족에서 대부분 충원되고

    있는 실장이다.

    이외 언급된 종교엘리트들의 대종인 울라마의 경우, 사우디아라비아가 건국된

    이후 주요직책에서 히자즈 출신 울라마들을 나즈디 출신 울라마들로 대체하였

    다.27)

    반면 비주류 종교엘리트들은 내부 계급 및 부족 간, 계층간 갈등 조정을 목적으

    로 하기 때문에 특정한 부족에서 엘리트들이 충원되지 않는다. 예컨대 오사민 빈

    라덴 같은 과격 이슬람주의자들은 집단목적에 찬동하는 비주류 종교엘리트들은

    조직원으로 포섭하고 있는 실정이다.

    27) Bachar Shmuel, Shmuel Bar, Machtiger Rachel and Minzil Yair, 2006, Establishment Ulama and Radicalism in Egypt, Saudi Arabia, and Jordan. Washington: Hudson Institute, Inc, pp.14-16.

  • 30 韓國中東學會論叢 第28-1號(2007.08)

    V.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관계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관계는 무엇보다 주류 종교엘리트 및 비주류 종교엘리

    트와 부족주의 관계를 설정하여 살펴볼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1. 주류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주류 종교엘리트는 앞서 살펴본 선임 울라마 위원회에 속한 종교 엘리트가 대

    표적이다. 이 선임 울라마 위원회는 사우디 정권과 상징적 관계를 가진다. 그들의

    특별 종교적 권위를 정부가 인정해 주는 종교적 보답으로 논의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정책의 공공동의를 요구받았을 때 지도층 울라마는 전술적으로 동의한다.

    사우디 왕들은 메카와 메디나의 수호자로서 이슬람에서 명망과 존경을 받기 때문

    이다. 왕들은 울라마를 지지자와 비판자로서 간주한다. 1978년 메카에서 그랜드

    모스크 점거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선임 울라마 위원회의 멤버들은 무장 세력을

    굴복시키기 위하여 무력사용을 해도 좋다는 종교적 칙령을 발표한 바 있다.

    이러한 사우디아라비아 주류 종교엘리트가 따르는 부족주의 관념은 이집트 라

    쉬드 리다의 사상을 많이 도입했다28). 즉 이슬람 개혁주의자인 라쉬드 리다는 그

    의 책 마니르(Manar)에서 집단감정(Group feeling)을 피력한 바 있다. 집단감정은

    집단에 관련된 것으로, 이 집단은 측근에 있으면서 도움을 필요할 때 마다 집단

    성원을 보호하고, 방어하고, 잘못된 길을 가지 않도록 한다. 이슬람에서 친척, 국

    민, 조국을 위하여 잘못된 파벌은 금지하고 있다. 이슬람은 무슬림들 사이의 반목

    을 금지하고 있다.29) 이와 같이 라쉬드 리다의 사상은 부족이 이슬람을 받아들이

    고 이슬람에서 금하는 반목을 하지 않고, 부족과 이슬람의 조화를 꾀한다면 부족

    주의와 이슬람의 조화를 인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논리로 사우디아라비아 주류 종교엘리트들은 국가를 위하여 이슬람

    과 부족주의와의 조화를 꾀하고 있다. 즉 애국심은 향토에 살고 있는 여러 다른

    종교의 사람들을 통합하게 하고, 협력하게 하는 표현이다. 이슬람은 이러한 관점

    에서 부족과 무슬림의 조회를 통하여 국가의 통합을 꾀하여야 한다는30) 사상을

    대체적으로 주류 종교엘리트들은 따르고 있다.

    28) Tim Niblock, op.cit., p.30.

    29) John J. Donobue., John L Esposito (ed). Islam In Transition; Muslim Perspective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p.42.

    30) Ibid., p.43.

  • 사우디아라비아의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연구 : 금상문 31

    2. 비주류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비주류이자 반정부 종교엘리트들은 이슬람과 부족주의 간의 조화를 인정하지

    않는다. 즉 “부족주의와 부족울 위한 감정은 항상 이슬람을 위협한다. 민족주의자

    아랍은 아랍이 될 수 있지라도 무슬림이 될 수 없다. 이집트인들은 파라오를 생각

    하고, 터키인들은 체기즈(Chengiz)와 하라쿠를 생각한다. 이란인들은 무함마드와

    알리 대신에 다리우스(Darius), 부카리오메흐르(Buzarjomehr), 마니(Mani), 마즈다

    크(Mazdak)를 영광스럽게 생각한다.31) 또 "인간들이 알라의 존재를 인정할 때 그

    들은 악을 멀리하고 선을 받아들이기 위하여, 세속적인 권력 소유를 하지 않을 것

    이다. 또 인간들은 더 이상 종족인 감정에 얽매이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것이 이슬람의 단합과 종교적인 감정에 몰입하기 위하여 씨족, 부족, 세

    속적인 국가를 위한 충성을 거부하는 논리32)가 비주류이자 반정부 종교엘리트에

    팽배해 있다.

    3.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관계의 주요 쟁점

    1) 정통성 확립과 윤리구성(Ethic formation)

    과거 아라비아 반도 내 부족지도자는 성스런 혈연에 근거하여 신분을 확보한다.

    여러 부족 그룹 사이에서 일어나는 분쟁은 사당 내의 성자에 의하여 중재되고 조

    정되었는데, 이 성자는 선출되기 보다는 출생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부족 성원들

    의 불화가 일어날 때 부족 성자는 폭력과 다툼을 그만두게 하였다. 몇몇 부족지도

    자들은 위엄으로 존경을 받았다. 널리 존경받고 판결을 내리는 조정자는 분쟁을

    더욱 이용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準국가는 구체화된다. 선출된 부족지도자와 상속

    받은 부족지도자들은 폭력을 이용하면서 조직을 굳건히 한다.

    그러나 이슬람이 사우디아라비아에 정착되면서 주류 종교엘리트는 두 가지 역

    할을 하였다. 하나는 조정에 근거를 둔 것으로 최소한도의 中央化에 기여하는 것

    으로 유목민들과 정착민 부족 간에 평화를 지키게 하는데 기여한다. 또 다른 하나

    로 주류 종교엘리트는 일인의 지도자에게 부족의 분열을 극복하도록 충분한 정통

    성을 부여하였다. 여기에서 종교인은 평등에 관한 일에 종사하기보다는 국가의 관

    료, 이데올로기 제공, 판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더욱이 부족 이라든가 지방

    31) http://www.al-islam.org/islamandnationalism/9.htm 07-05-06

    32) John J. Donobue., John L Esposito (ed).op.cit., pp.16-17.

  • 32 韓國中東學會論叢 第28-1號(2007.08)

    소도시 내 모스크 전담 설교자 같은 종교엘리트들은 부족 유력자에 의해 추천되

    었기33) 때문에 부족 권력 유력자에게 정통성을 부여하는 등 결탁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물론 이 두 가지 절충적인 것도 가능하다. 대표적인 예가 전통적인 예멘에서 나

    타나는데, 시아 자이드파에서 정통성을 부여받은 중앙집권화 된 이맘과 권한을 나

    누어 가진 사다흐(Sadah)가문에 의한 중재가 그것이다. 보통 정통성의 두 가지 원

    칙 즉 평등주의적 성서주의자와 혈연에 근거한 중재자 사이에는 긴장관계가 존재

    한다. 평등주의는 신학자들에 의해 구체화되는데, 그들은 국가형성에 잠재력이 적

    다. 종교엘리트들은 지도자에게 정통성과 관료화로 왕국을 이루게 할 수 있다. 반

    면 부족분파 또는 혈연에 근거한 중재자는 폭력을 행사할 수 있게끔 잘 훈련되어

    있다.; 그러나 그들은 무슬림 사회의 넓은 눈으로 볼 때 도덕적으로 정통성이 결

    여되어 있다. 바로 주류 종교엘리트들은 도덕적으로 정통성이 결여되고 있는 지

    도자들에게 정통성을 부여하고 있다.

    2) 내부 계급 및 계층 갈등 조정: 소외계급, 계층, 부족 포섭

    내부 계급 및 계층 갈등 조정은 주로 비주류 종교엘리트들에 의해 수행되고 있

    다. 이전 아라비아 반도 인민연맹(APPU)은 비주류 및 반정부 종교엘리트 뿐만 아

    니라 관리, 군인, 기술자, 작가, 상인, 노동자 등의 모든 계급을 포괄하는 조직이

    다. 이 비주류 및 반정부 종교엘리트는 이 조직에서 계층 갈등을 조정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건국이후부터 자본주의 세계체제에 편입되었다. 자본주의체제

    에 편입된 사우디아라비아는 1970년대 이래 기업가와 같은 룸펜 자본가와 룸펜

    자본가 스폰서(Kafil)가 있었다.34) 이와 같은 자본가들로 인하여 사우디아라비아

    사회는 불평등한 분배의 결과와 물질만능으로 인하여 세속화되고 있다. 비주류 종

    교엘리트들은 불평등과 세속화에 반대하면서 세속화의 책임을 왕정과 미국과 이

    스라엘 같은 외부로 돌린다. 아울러 비주류 종교엘리트들은 분배의 불평등과 상대

    적 박탈감을 부족주의보다는 이슬람의 평등사상이란 명목으로 소외계급, 소외계

    층, 소외부족을 포섭하면서 활동하고 있다.

    33) Faisal bin Mishaal bin Saud Al-Saud, Decision Making and the Role of Ash-Shura in Saudi Arabia. New York Vantage Press, 2004, p.40.

    34) Saad Eddin Ibrahim, The New Arab Social Order, Boulder: Westview Press, 1982. pp.5-8.

  • 사우디아라비아의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연구 : 금상문 33

    VI. 결론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우디아라비아 종교엘리트는 주류 종교엘리트와 비주

    류 종교엘리트로 대별된다. 주류 종교엘리트와 비주류 종교엘리트의 구조는 신학

    교 교사, 종교학자인 울라마, 이슬람사원의 예배인도자인 이맘인 파키흐, 법관, 법

    률가인 카디 등이 포함된다.

    본 글에서는 종교엘리트들이 가지고 있는 정체성을 위주로 살펴보았다. 이후 다

    음을 살펴보았다. 즉 사우디아라비아가 탄생된 이후 정부는 울라마에게 종교적 자

    율성과 권한을 거의 허용하였다. 1980년대 이후 주류 울라마(establishment ulama)

    는 권력구조 안에서 행위자가 되었다.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울라마를 중앙집권

    화 하였다. 이 중앙집권화 단계로 정부는 슈라(Shura)라는 제도를 도입하였다.

    다음 사우디아라비아의 종교엘리트들은 선임 울라마 위원회 등 여러 그룹에 속

    해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후 종교엘리트는 필연적으로 이슬람정체성, 사우디라는

    국가를 위한 국가정체성인 와따니야 정체성, 부족정체성을 가짐을 살펴보았다.

    사우디아라비아 주류 종교엘리트들은 어떠한 논리로 부족주의를 대하고 있는가,

    또 비주류 종교엘리트들은 어떠한 논리로 부족주의를 대하고 있는가? 아울러 부

    족엘리트와 종교엘리트 간 권력의 관계는 무엇인가? 또 종교엘리트들이 부족주의

    에 관하여 생각하고 있는 여러 이슈는 무엇인가? 등등이 문제로 제기된 바 있다.

    주류 종교엘리트가 따르는 부족주의 관념은 이집트 라쉬드 리다의 사상을 많이

    도입했다. 라쉬드 리다의 사상은 부족이 이슬람을 받아들이고 이슬람에서 금하는

    반목을 하지 않고, 부족과 이슬람의 조화를 꾀한다면 부족주의와 이슬람의 조화

    를 인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논리로 사우디아라비아 주류 종교엘리트들은 국가를

    위하여 이슬람과 부족주의와의 조화를 꾀하고 있다.

    비주류 종교엘리트들은 어떠한 논리로 부족주의를 대하고 있는가에 대하여비주

    류이자 반정부 종교엘리트들은 이슬람과 부족주의 간의 조화를 인정하지 않는다.

    즉 “부족주의와 부족울 위한 감정은 항상 이슬람을 위협한다. 민족주의자 아랍은

    아랍이 될 수 있지라도 무슬림이 될 수 없다. 이집트인들은 파라오를 생각하고,

    터키인들은 체기즈(Chengiz)와 하라쿠를 생각한다.

    부족엘리트와 종교엘리트 간 권력의 관계는 무엇인가에 대하여 사우디아라비아

    가 건국된 이후 주요직책에서 히자즈 출신 울라마들을 나즈디 출신 울라마들로

    대체하였다. 이러한 현상이 지금까지 나타나고 있다.

    종교엘리트들이 부족주의에 관하여 생각하고 있는 여러 이슈는 무엇인가에 대

    하여 정통성 확립과 윤리구성(Ethic formation)관점에서 주류 종교엘리트는 일인

  • 34 韓國中東學會論叢 第28-1號(2007.08)

    의 지도자에게 부족의 분열을 극복하도록 충분한 정통성 을 부여하였다. 즉 주류

    종교엘리트들은 부족주의를 이용하여 도덕적으로 정통성이 결여되고 있는 지도자

    들에게 정통성을 부여하고 있다.

    내부 계급 및 계층 갈등 조정: 소외계급, 계층, 부족 포섭이란 관점에서 비주류

    종교엘리트들은 세속화에 반대하면서 세속화의 책임을 왕정과 미국과 이스라엘

    같은 외부로 돌린다. 아울러 비주류 종교엘리트들은 부족주의보다는 소외계급, 소

    외계층, 소외부족을 포섭하면서 분배의 불평등과 상대적 박탈감을 이슬람의 평등

    사상이란 명목으로 활동하고 있다.

    요컨대, 사우디아리비아 주류나 비주류를 막론하고 종교엘리트들은 시우디아리

    비아 사회 도처에서 구심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어느 순간에 주류나 비주류

    의 입장이 바뀔 수도 있다고 사료된다. 하지만 이러한 점은 더욱 연구가 필요하다.

  • 사우디아라비아의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연구 : 금상문 35

    참고문헌

    Allen, Mark. Arabs, New York: Continuum,2006.

    Al-Saud, Faisal bin Mishaal bin Saud. Decision Making and the

    Role of Ash-Shura in Saudi Arabia. New York: Vantage Press, 2004.

    Bachar, Shmuel, Shmuel Bar, Machtiger Rachel and Minzil Yair. Establishment

    Ulama and Radicalism in Egypt, Saudi Arabia, and Jordan.

    Washington: Hudson Institute, Inc, 2006.

    Bradley, John R. Saudi Arabia Exposed Inside a Kingdom in Crisis. New

    York : Palgrave Macmillan. 2005.

    Daniel, Norman. Islam and The West. Oxford: One World.,2003.

    Delon,-Bas. Wahhabi Islam From Revival and Reform to Global Jihad. Cairo :

    Th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2005.

    Dessouki, Ali E Hilla(ed). Islamic Resurgence in the Arab World, New

    York:Praeger,1982.

    Donohue, John J., Esposito, John L. (ed). Islam In Transition; Muslim

    Perspective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Eickelman, Dale F. and Piscatori James. Muslim Politics. Princeton: The

    Preceton University Press, 1996.

    Fakhry, Majid. Islamic Philosophy theology and Mysticism, Oxford: Oneworld,

    1997.

    Gellner, Ernest. Muslim Socie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Goldschmidt, Jr. Arthur, Telhami, Shibley. The Contemporary Middle East.

    New York: Westview Press, 2006.

    Ibrahim, Saad Eddin. The New Arab Social Order, Boulder: Westview Press,

    1982.

    Halliday, Fred. Arabia Without Sultans. London: Saqi Book, 2002.

    Herb, Michael. All in the Family;Absolutism, Revolution, and Democracy In

    the Middle Eastern Monarchies.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9.

    Heywood, Andrew. Political Ideologies.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003.

    ICG Middle East Report N°31, 21 September 2004,pp.2-3.

    James, Paul. Globalism, Nationalism, Tribalism-Bring Theory Back In-

  • 36 韓國中東學會論叢 第28-1號(2007.08)

    London: Sage, 2006.

    Long, David E. The Kingdom of Saudi Arabia. Florida: University Press of

    Florida, 1997.

    Niblock, Tim. Saudi Arabia Power, Legitimacy and Survival. London,

    Routledge, 2006.

    Robison, Gordon. Arab Gulf States. Oakland: Lonely Planet Publication, 1996.

    Pappe, ILAN. The Modern Middle East. New York: Loutledge, 2005.

    Palmer, Monte. The Politic of the Middle East. Belmont: Thomson Wadsworth,

    2007.

    (아랍어문헌)

    o Umar, Ali Hasan Umar, Al Tahith wa Masar al Buna al istimaiy

    altaqlidiya-halat alyamen al-Iztimaiya al-taqlidiya, Dubai : Markaz al

    Kaliz al Ahadith. 2004.

    (인터넷)

    http://lexicorient.com/e.o/saudi_4.htm 07-05-07

    http://kr.blog.yahoo.com/jihn1031/164 07-05-11

    http://www.al-islam.org/islamandnationalism/9.htm 07-05-06

    http://www.arts.mcgill.ca/programs/icas/gause/chapter1.html 07-02-21

    http://www.foreignpolicysociety.org/saudi.pdf 07-02-21

  • 사우디아라비아의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연구 : 금상문 37

    The Study on tribalism in the Saudi Arabia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elites and tribalism-

    Kum, Sang-Moon

    HUFS

    This study illumin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elites and tribalism in the Saudi Arabia. So, this study illuminates the structure of religious elites and identities religious elite both establishment religious elites and non establishment elites in saudi arabia are overall studied. Namely after establishment of Saudi Arabian state in arabia peninsula, general religious elite's roles which carrie out religious doctrine so called Wahhabism with Saudi Arabia kingdom, are examined. In this result, establishment religious elites in Saudi Arabia combine with the political power, while non establishment religious elites oppose with royal government. In general, concerning establishment and non establishment religious elites thinking about the tribalism, establishment religious elites follow the Rashid Rida's doctrine namely harmony between Islam and tribalism, while non establishment religious elite ignore between Islam and tribalism. And concerning power about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elite and tribal elite, after establishment saudi arabia state, religious elite replace from Hijaz region to Najd region. this phenomenon is maintained until nowadays. And concerning, what is religious elite's main issues, this paper deals with issues about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elite and tribalism especially legitimacy establishment of the royal families and ethic formation, conciliation of conflicts.

    [ Key Word: religious elite in Saudi Arabia, structure of religious elite,

    identities of religious elite, tribalism,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elite and

    tribalis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