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 10 수용액 평형 -...

Post on 24-Jan-2021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12.1 용액

12.2 용해 과정

12.3 용액의 농도 단위

12.4 용해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

12.5 용액의 물리적 거동: 총괄성

12.6 용액의 증기 압력 내림: 라울 법칙

12.7 용액의 끓는점 오름과 어는점 내림

12.8 삼투와 삼투압

12.9 액체 혼합물의 분별 증류

Ch. 10 수용액 평형

1

2

12.5 용액의 물리적 거동: 총괄성 총괄성(colligative property) 녹은 용질의 양에 의해 결정되고 용질의 화학적 성질과는 무관함. 총괄(colligative) • ‘함께 집단으로 묶임’을 의미 • 용질 입자들의 ‘집단’이 관찰되는 효과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이 용어를 사용함.

• 용질이 비휘발성이고 증기압이 무시할 정도로 작으면, 용액의 증기압은 항상 순수한 용매의 증기압보다 작음.

12.6 용액의 증기 압력 내림: 라울 법칙

3

비휘발성 용질을 갖는 용액

4

예) 25℃에서 물 15.0 mol에 포도당 1.00 mol을 녹인 용액의 증기 압력? 순수한 물의 증기압은 25℃에서 23.76 mm Hg,

라울 법칙(Raoult’s law) 비휘발성 용질을 갖는 용액의 증기압은 순수한 용매의 증기압에 용매의 몰분율을 곱한 값과 같음.

다른 방법 증기 압력 내림 값은 순수한 용매의 증기 압력에 용질(solute)의 몰분율을 곱해줘도 계산할 수 있음.

5

NaCl과 같은 이온성 물질이 용질 전체 용질 입자(이온)농도에 근거하여 몰분율을 계산해야 함. 예) 25℃에서 물 15.0 mol에 NaCl 1.00 mol을 녹인 용액의 완전 해리를 가정했을 때의 증기압?

순수한 물의 증기압은 25℃에서 23.76 mm Hg,

6

• 라울 법칙도 이상 용액에 대해서만 적용. • 라울 법칙은 대부분의 실제 용액에서도 어느 정도 잘 들어맞지만 용질 농도가 증

가할수록 이상 상태에서 크게 벗어남.

이온 결합 화합물의 용액은 일반적으로 이 화합물의 화학식이 제시하는 것보다 적은 양의 입자를 포함 • 이온성 물질이 완전히 해리하는 경우가 극히 드물기 때문에 실제 해리되는 정도는 반트호프 인자(van’t Hoff factor)를 사용함. • 설탕(C12H22O11) 과 같은 다른 비전해질에서는 항상 i = 1로 가정. • 예로서 염화 소듐과 같은 전해질 용액의 경우 0.05 m 염화 소듐에 대해 실험적으

로 측정한 반트호프 인자는 1.9(염화 소듐 1 mol이 완전 해리할 경우 예상 되는 2.0 mol이 아니라 1.9 mol의 입자만 내어 놓는다는 것을 의미)

7

휘발성 용질을 갖는 용액 두 휘발성 액체 A와 B의 혼합물에서 전체 증기압 Ptotal은 각 성분의 증기 압력 PA와 PB의 합으로 나타남. • 각 성분의 증기 압력 PA와 PB는 라울 법칙에 따라 계산. • 즉 A의 증기 압력은 A의 몰분율 (XA) 과 순수한 A의 증기 압력 을 곱한 값, B의 증기 압력은 B의 몰분율 (XB) 과 순수한 B의 증기 압력 을 곱한 값과 같음. 그러므로 이 용액의 전체 증기 압력은

8

비슷한 액체 유기물인 벤젠(C6H6, bp = 80.1°C)과 톨루엔(C7H8, bp =110.6°C)의 혼합물의 예 • 순수한 벤젠은 25°C에서 증기 압력 P° = 96.0 mmHg • 순수한 톨루엔은 25°C에서 증기 압력 P° = 30.3 mmHg • 이 둘의 1:1 혼합물에서 각각의 몰분율 X = 0.500이고, 용액의 증기 압력은 63.2 mmHg 임.

9

12.7 용액의 끓는점 오름과 어는점 내림

10

• 일정한 온도에서 비휘발성 용질의 용액은 순수한 용매보다 낮은 증기 압력을 가지므로 이 용액을 끓이려면 더 높은 온도로 가열해야 함. • 용액의 더 낮은 증기 압력은 상도표에서 용액의 액체/증기 상전이 선이 순수한 용매의 그것보다 항상 더 아래에 있다는 것을 의미. • 결과적으로 용액의 삼중점 Tt는 더 낮고, 용액의 고체/액체 상전이 선은 더 낮은 온도로 이동하므로 용액을 얼리기 위해서는 더 낮은 온도로 냉각해야 함.

11

끓는점 오름

증기 압력 내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온성 물질의 용액에 대한 끓는점 오름의 실제값은 반트호프 인자에 의해 주어지는 해리도(extent of dissociation)에 따라 달라 짐.(총괄성) • 농도는 몰농도가 아닌, 용질의 농도는 온도와 무관한 몰랄 농도 (용매 kg당 용질의 몰수)로 나타냄에 주의.

12

어는점 내림

용액의 어는점 내림은 끓는점 오름과 같이 용해된 입자의 농도에 의존.(총괄성)

끓는점 오름과 어는점 내림 활용 • 겨울철에 눈이 녹은 도로에 소금을 뿌려 눈이 녹도록 하는데 이용(어는점 내림). • 자동차 방열기에 넣어 주는 부동액(물의 끓는점 오름). • 비행기 날개에 뿌리는 얼음제거 용액 (물의 어는점 내림).

13

반투과성(semipermeable) 막 이 막은 물이나 기타 작은 분자들은 통과시키지만 큰 용질 분자나 이온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함. 삼투(osmosis) 용액과 순수한 용매 또는 서로 다른 농도의 두 용액을 반투막으로 나누어 놓았을 때 용매 분자만 막을 통과해서 이동하는 과정. • 용매는 양쪽 방향으로 막을 통과하지만, 용매 쪽에서 용액 쪽으로 통과가 더 우세하고 더 빠르게 일어남. • 순수한 용매 쪽 액체의 양이 감소하는 반면 용액 쪽 액체의 양은 증가하고 따라서 용액의 농도는 감소함.

12.8 삼투와 삼투압

14

15

용액의 삼투압, П [osmotic pressure,(그리스어 대문자 파이)] 정방향과 역방향 통과 속도가 같아지는 평형에 이르기 위해 필요한 압력을 말함. • 평형 상태에서 삼투압의 세기는 용액 속 용질 입자의 농도에 따라 달라짐. (총괄성) • 용질의 농도는 몰랄 농도가 아니라 몰농도(molarity)를 사용한다는 것에 유의.

삼투의 주된 원동력 순수한 용매가 막을 통과하여 용액과 섞이면 순수한 용매의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것이 원동력.

16

12. 9 액체 혼합물의 분별 증류

17

분별 증류

액체 혼합물을 끓는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정제하는 방법(예: 원유의 정제)

• 휘발성 액체 혼합물을 끓여 증기를 응축할 때 분별증류가 일어남. • 증기는 라울 법칙에 따라 증기 압력이 더 큰 성분이 많게 되고 응축된 증기에도 그

성분이 더 많아 부분적인 정제가 이루어짐. • 만일 끓음/응축 순환 과정을 수없이 반복한다면 더 휘발성인 액체 성분을 완전히

정제하여 분리할 수 있음.

총괄성의 모든 응용 중에서 공업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가솔린을 만드는 석유 정제 공정임.

18

벤젠과 톨루엔의 1:1 몰 혼합물 (X벤젠과 X톨루엔 둘 다 0.500)의 분별 증류법 • 혼합물을 가열하기 시작하면 전체 증기 압력이 대기압과 같을 때, 즉 X • P°벤젠 + X • P° 톨루엔 = 760 mmHg일 때 끓음. • 증기 압력 곡선으로부터 (또는 클라우시우스-클라페이론 식을 이용한 계산에 의해) 365.3 K (92.2 ° C) 에서 끓는 것을 알 수 있음. • 이때 P°벤젠 = 1084 mmHg 이고 P°톨루엔 = 436 mmHg

19

• 벤젠과 톨루엔의 출발 액체 혼합물은 1:1 몰 조성이지만의 조성은 1:1이 아님. • 끓는 혼합물의 전체 증기 압력 760 mmHg 중에서 542/760 = 71.3%는 벤젠 때문이고 218/760 5=28.7%는 톨루엔 때문임. • 이 증기를 응축하면 얻게 되는 액체의 조성이 바로 71.3:28.7임. • 세 번째 반복되는 끓음/응축 순환 과정은 증기 성분이 94.4% 벤젠/5.6% 톨루엔으로 되게 하고 원하는 순도에 이를 때까지 이 순환 과정을 반복함.

20

• 실제에 있어서 연속적인 끓음/응축 순환 과정은 증류관 내에서 자연적으로 일어나고 정제의 중간 단계에서 액체 혼합물을 일부러 분리해 낼 필요는 없음. • 분별 증류는 비교적 단순한 공정으로서 전 세계의 정유공장 및 화학공장과 실험실에서 매일같이 사용되고 있음.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