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용식물학의 식물학적 분류...

Post on 04-Nov-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약용식물학의 식물학적 분류 – 진화의 정도

은화식물

꽃식물

균조류 (Thallophyta)

선태류 (Bryophyta)

양치류 (Pteridophyta) – 관중, 석위, 권백, 고사리, 석송, 쇠뜨기

나자식물 (Gymnospermae) – 마황, 비자나무, 은행나무, 소나무

피자식물 (Angiospermae)

균류 Fungi – 페니실리움

조류 Algae – 해인초, 한천

태류 Hepaticae - 우산이끼

선류 Musci - 솔이끼

쌍자엽식물- 인삼, 도라지, 참당귀

단자엽식물- 생강, 향부자, 끼무릇

주목 Taxus brevifolia o taxol을 함유하여 백혈병 치료제

10-deacetyl baccatin III; 주목나무 잎 Taxus baccata

Paclitaxel ; 주목나무 수피

- cell culture - microbial culture (a fungus, Taxomyces adreanae)

• NCI (National Cancer Institute) • BMS (Bristol-myers Squibb) • 세포 분열 시 microtubule inhibition • 지용성- caster oil에 녹여서 또는 albumin에 결합시킨 형태로 제제화

천연물신약 http://ch.gomtv.com/3311/24159/407539/101

마황과 Ephedraceae 마황 Ephedra sinica o 지하부: 제한작용(ephedradine A, B, C) o 지상부: 발한작용(ephedrine) o 진해, 거담, 기관지 확장, 해열, 비염 등에 이용 o Ephedrine is a sympathomimetic amine commonly used as a stimulant, appetite suppressant, concentration aid, etc. O norpseudoephedrine (cathine): psychoactive drug

NH

OH

CH3

CH3

Ephedrine: 다이어트약 (지방세포의 열생산촉진)

NH

OH

CH3

CH3

Pseudoephedrine

NH

CH3

CH3

Methamphetamine: 각성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214&aid=0000105313

epinephrine

NH2

OH

CH3

Norpseudoephedrine

2. 피자식물아문 Angiospermae o 고등식물의 대부분, 잎은 그물맥 o 잎은 평행맥(단자엽), 그물맥(쌍자엽) o 배주는 심피에 싸여있음. 단자엽식물강 Monocotyledoneae o 종자로부터 나온 자엽은 한장 o 유관속은 줄기에 불규칙하게 산재(부정중심주) o 줄기에는 나이테를 만들지 못한다. o 뿌리는 주근이 퇴화하고 측근이 발달함.

택사과 Alismataceae 질경이택사 Alisma plantago o 근경을 택사 o 이뇨, 지갈제, 신장염 백합과 Liliaceae 마늘 Allium sativum o 뿌리를 대산 o alliin, allicin, allinase 함유 o 지속형 비타민 B1(allithiamine)

alliin (무취) Allicine (특유의 향)

질경이택사

알로에 Aloe ferox o A. ferox, A. africana, A. barbadense, A. vera (cape aloe)를 기원식물로 하며 잎을 약용 o anthraquinone 배당체를 함유하여 사하제로 이용 o 치질 및 임산부는 사용을 금함 o 민간에서는 화상, 창상, 피부궤양에 사용 o 잎에서 나오는 액즙을 농축 건조하여 제조

콜히쿰 Colchicum autumnale o 종자를 콜히쿰子 o colchicine은 염색체 배가작용 (씨없는 수박 제조) o 통풍, 류마티스, 항암제로 이용

Glucose ; 약효에 중요 장까지 분해 안 됨

은방울꽃 Convallaria keiskei o 전초를 영란 o 강심배당체인 convallotoxin 함유 o 강심, 이뇨, 체내 저류(축적작용) 맥문동 Liliope platyphylla o steroidal saponin 함유 o 소염, 진해, 거담제 o 상기도 염증에 이용

은방울꽃 어린 콜히쿰

황정 Polygonatum falcatum o 진황정의 뿌리를 자양 강장약으로 o 근경을 약용 둥굴레 Polygonatum officinale o 근경을 옥죽 o 자양강장, 강심배당 해총 Urgenea scilla o 백색의 인경을 사용, 적색은 살서제 o bufadienolide 계열의 강심제 o 이뇨, 부종의 치료제로 이용

O

O

OH

GlcRhaOScillaren A

황정 둥굴레

박새 Veratrum grandiflorum O 여로근, veratramine, veratrine 등의 steroidal alkaloids O 최토, 혈압강하, 진통효과 O 독성때문에 외용제로 사용

마 Dioscorea batatas, Yam o 생약으로는 산약, 보폐, 보신, 익정 o steroidal saponin, dioscin, diosgenin o progesterone, testosterone, estradiol 등 성호르몬의 중간체를 이용

O

O

HO diosgenin

OH

Otestosterone

HO

OH

estradiol

도꼬로마 Dioscorea tokoro http://www.youtube.com/watch?v=m5iG2Ju5nts&hl=ko

붓꽃과 Iridaceae 사프란 Crocus sativus o 지중해연안, 관상용 o 주두 (stigma)를 사용 o carotene (홍색색소), picrocrocin (고미성분) safranal (방향정유성분) o 진경, 진통, 통경약 (임신 중 금기), 착색료 (식품, 화장품) o 동양의 홍화 (잇꽃의 꽃)

범부채 Belamcanda chinensis 사간 o blackberry-lily o 해독, 인후통, 수종, 하리에 사용 벼과 Gramineae 밀 Triticum aestivum, 소맥, 밀전분 벼 Oryza sativa, 쌀전분 옥수수 Zea mays, 옥촉서예, 옥수수전분, 뿌리는 부정근, 뿌리는 이뇨제

율무 Coix lachryma-jobi, 의이인 o 주로 starch o 이뇨, 소염, 배농, 사마귀 제거 야자과 Palmae o 대부분 교목, 줄기는 보통 분지되지 않음. 빈랑자나무 Areca catechu o 종자를 빈랑자, arecoline, arecaidine 함유 o 조충구제약, 구강청량제 o 하리, 수렴 건위약 o 부교감신경흥분제 (축동제) 야자나무 Cocos nucifera, 야자유의 원료

N

CH3

COOCH3

arecoline

천남성과 Araceae o 대부분의 뿌리는 구경 혹은 괴경 끼무릇 Pinellia ternata, 半夏 o homogentisic acid, ephedrine 함유, 진해제, 거담제, 진토제로 이용 (乾薑:蒼朮:半夏=1:1:2) o 급성 유선염, 뱃멀미, 임신구토억제에 이용, 진정제 (반하후박탕) o 아린 맛, 독성 (먹고 나서 목이 붓는 현상) 창포 Acorus calamus o asarone (독성), asarylaldehyde를 함유 o 지사제, 방향성 건위제로 이용 천남성 Arisaema amurense o 거담, 소염, 진경제

H3CO

H3CO

OCH3

CH CH CH3

꽃창포(붓꽃과)

석창포(천남성과)

사초과 Cyperaceae o 대부분 잡초, 분포가 많음, 벼과, 난과와 더불어 3대 단자엽식물 향부자 Cyperus rotundus o 근경을 사용, cyperone, cyperol 등의 정유 (1%)를 함유 o 방향성 구풍제로 이용, 건위소화제, 부인병 (자궁이완), 기울증 생강과 Zingiberaceae o 방향성 성분 함유, 辛味, 驅風劑로 이용 익지 Alpinia oxyphylla o 과실을 益智라 함. 방향성 정유, yakuchinone을 함유 o 정장, 식욕부진, 소화불량에 사용. 양강 Alpinia officinarum o 근경을 방향성 건위, 진경, 진토제

O

H3CO

HO

백두구 Amomum cardamomum o 과실, 방향성 정유, 방향성 건위제, 구풍제, 향신료 소두구 Elletaria cardamomum o 열대성 식물, 과실을 소두구, 방향성 건위, 구풍제 초두구 Alpiniae katsumadaii o 씨, 열대성 식물, 방향성 건위, 구풍제 강황 Curcuma longa , Tumeric o 강황 Curcuma longa 의 근경을 쪄서 말린 것 o 울금과 혼용, 방향성 정유, 황색색소 함유 o 지혈, 통경, 이담, 방향성 건위제 o curcumin (담즙분비촉진작용) cf. 인진호

울금 Curcuma longa o 강황과 같은 용도로 사용 o 강황 Curcuma longa 의 덩이뿌리 생강 Zingiber officinale o 생약명; 건강 Zingiberis Rhizoma o starch, 정유, zingerone, shogaol o 교미, 교취제

OH

H3CO

HO

O

OCH3

OH

(CH2)nCH3

O

H3CO

HO

OH

(CH2)nCH3

O

H3CO

HO 부산물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