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의문턱제주곳곳서펼쳐지는하얀장관메밀pdf.ihalla.com/sectionpdf/20180622-75717.pdf서는직접재배한메밀로만든세련된갈레트...

Post on 17-Nov-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2018년 6월 22일 금요일 7

8면당찬맛짐을찾아서

제대로된 참치의 맛 느껴보세요

9면저자와함께

조선시대 이상기후 분석

김오진씨

10면스포츠

한국-멕시코전 더위 가

새로운 변수

산허리는 온통 메밀밭이어서 피기 시작한 꽃

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붓한 달빛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

이효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의 한 구절

이다. 소설의 주인공 허생원과 동이가 걸었던

강원도 봉평의 한 산길, 부서지는 달빛과 메밀

꽃을 묘사한 이 장면은 소설의 내용과 절묘하

게 맞물려 꽤나 인상적이다. 때문일까. 메밀하

면 강원도 봉평, 달빛 등이 우선 떠오른다. 많

은 사람들이 메밀의 주산지를 강원도로 오해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메밀 주생산지 제주 =전국에서 메밀 생

산량이 가장 많고 재배면적이 가장 넓은 곳은

바로 제주다. 제주 메밀의 생산량은 태풍 피해

로 생산량이 급감한 2016년을 제외하고 30%가

량으로 전국 최고다. 제주도내 메밀 재배면적

도 지난해 845㏊로 전국 메밀 생산면적의 37%

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16년 제주도내

메밀 재배 면적은 1382㏊로 전국 메밀 생산면

적의 43.5%를 차지했다. 이는 타 지역의 3배

가량 넓은 수준이다. 때문에 하얀 메밀밭 장관

은 제주 곳곳에서 만날 수 있다.

특히 제주는 기후적으로 메밀을 2모작으로

재배할 수 있어 파종시기에 따라 5~10월까지

메밀꽃을 볼 수 있다. 9~10월 가을로 향하는

길목이 아닌 5~6월 여름의 문턱에서 하얀 장

관을 만날 수 있는 셈이다. 개화기간도 20~30

일로 비교적 길다.

▶6월의 대표 메밀꽃축제=제주에서는 9~10

월이 아닌 5~6월에도 메밀꽃 축제가 열린다.

대표적인 축제는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에

위치한 보롬왓 에서 펼쳐지며, 지난달 19일

부터 네번째 메밀꽃 이야기 축제가 진행되

고 있다. 축제기간엔 무지개빛 깡통기차를 탈

수 있고, 연날리기와 뻥튀기도 즐길 수 있다.

6월 들어 슬슬 메밀 열매가 영글기 시작했

지만 너른 들판 곳곳 하얀 메밀꽃이 박혀있다.

누렇게 익은 보리와 이달 만개한 보라빛 라벤

더, 보름왓 초입 수국이 아쉬움을 달랜다. 무

료 입장이 가능했던 보롬왓은 올해부터 입장

료 3000원을 받는다. 보롬왓 내 위치한 카페에

서는 직접 재배한 메밀로 만든 세련된 갈레트

도 선보인다.

메밀꽃 축제장이 아니라도 하얀 메밀꽃 장

관을 즐길 곳은 많다. 동쪽 백약이오름으로 가

는 길목, 1100도로에서 산록도로로 향하는 길

목, 송당마을 안 카페 인근 등. 하얀 메밀밭은

푸른 하늘과 오름, 검은 돌담과 어우러지며 가

슴뛰는 장관을 선사한다. 단 대부분의 메밀밭

이 농경지인만큼 함부로 들어가는 일은 자제

하는 것이 좋겠다.

채해원기자 seawon@ihalla.com

여름의 문턱 제주 곳곳서 펼쳐지는 하얀 장관 메밀

제주민속촌 전통음식만들기 체험에 참여해 빙떡을 만들고 있는 참가자들. 한라일보DB

메밀은 제주 자청비 신화에 등장하는 작물

로, 제주의 신화 역사 생활과 관련된 이야기

적 요소가 많다.

자청비 신화에는 제주에서 메밀을 키우게

된 이야기가 담겼다. 하늘나라를 어지럽힌

반란군을 진압한 자청비는 옥황상제는 주는

큰 상을 마다하고 오곡 씨앗을 받는다. 씨앗

을 파종하고 보니 종자 하나가 비어 다시 하

늘로 향한 자청비는 땅이 없는 사람들이 들

에 뿌려도 열매를 거둘 수 있는 곡식이 필요

하다 며 씨앗을 받아온다. 그것이 바로 메밀

씨앗이고, 메밀은 다른 작물보다 늦게 척박

한 땅에 뿌려도 잘 자라 사람들의 양식이 돼

주었다는 얘기다.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는 메밀은 제주

신화에 등장할 만큼 오랜기간 구황작물로 활

용됐다. 제주의 문화와 환경에 맞게 융합되

고 발전돼 관혼상제 음식은 물론 다양한 형

태로 제주만의 독특한 음식문화를 창출하고

있다.

옛 제주사람들은 소화가 잘 되지 않는 메

밀을 소화효소가 뛰어난 무와 함께 섭취했

고, 그 대표적인 것이 빙떡 이다. 빙떡은 메

밀전을 얇게 부쳐 그 위에 무채를 넣어 싸서

먹는 것으로, 명절이나 제사 때 꼭 조상께 올

렸다고 한다. 사람이 돌아가셔서 저승사자를

위한 떡을 만들 때도 메밀가루를 반죽해 개

떡 을 만들었다. 개떡은 상여가 나갈 때 이

떡을 길에 버리면 혼백을 모셔가는 개가 이

떡을 먹는다고 해 이같은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그 외에도 돼지사골에 모자반(몸)과 메밀

을 넣어 만든 몸국 은 해녀들의 허기를 채

워줬고, 메밀가루로 만든 수제비과 미역을

함께 끓인 메밀수제비(메밀조배기) 는 나

쁜 피를 배출시켜 혈액을 맑게 해 산모들을

위해 많이 만들었다고 한다. 제주사람들은

옛부터 쉽게 구할 수 있던 꿩으로 육수를 내

고 여기에 메밀과 무를 넣어 꿩메밀칼국수

를 끓여먹기도 했다. 채해원기자

서귀포시 표선면에 위치한 보롬왓에서 방문객들이 사

진을 찍으며 추억을 남기고 있다. 한라일보DB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