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innovation)하면 무엇이 떠오르나요? - uxpa.kr · 적정기술, 기술최적화를...

Post on 10-Sep-2019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적정기술, 기술최적화를 넘어 경험최적화로 Customizing beyond Optimizing

김정태 · MYSC 이사 헐트국제경영대학원 사회적기업가정신 석사

델소셜이노베이션랩 펠로우

혁신(Innovation)하면 무엇이 떠오르나요?

혁신의 무한속도 질주로 인해 혁신이 인간의 이해를 초월하는 지점인 특이점(singularity) 도래

“금융전문가도 이해하지 못하는 파생상품”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금융권의 특이점

인간중심 사회혁신

적정 기술

인간중심

디자인 사회적 기업

임팩트투자

긍정적이탈

오픈 코스웨어

금융 기술

디자인 비즈니스

개발 교육

다시금 인간중심으로 사회 각 분야가 재편되는 현상을 사회혁신(Social Innovation)이라고 부름

Reference www.peepoople.com

적정기술은 기술의 초점인 사람을 중심으로 그 동안 방치되어왔던 수 많은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시도하는 인간중심 기술혁신

적정기술은 ‘작은 것이 아름답다’라는 철학으로 기술이 아닌 인간의 진보를 기획하는 세계관

지하수에 비소가 많은 캄보디아에는 어떤 적정기술이 필요할까? 적정기술 정수장치!

하지만 캄보디아에 무료로 보급된 적정기술 정수장치는 얼마 못 가 왜 버려졌을까?

기술 문제해결 solving problem

적정기술 필요해소 meeting needs

적정기술2.0 경험제공 designing experience

적정기술 정수장치는 지하수가 아닌 냇물을 정수해야 하는 필요해소에는 도움이 되었겠지만, 이들이

우선적으로 가진 욕망과 경험은 아니었을 것이다.

개발도상국의 많은 여자 아이들이 학교 수업을 1년에 50일 정도 빠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적절한 생리대가 없어 나무껍질, 흙, 신문지, 헌 옷 등을 이용하는 것을 부끄러워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일회용 생리대의 무료 보급이 지속 가능한 대안일까?

‘종합 선물상자’와 같은 나만의 상자(공간)를 가지는 특별한 경험에 착안하여 “박스 안의 작업장”을 통해 DIY 생리대를 만들고 일부는 판매하는 경험을 제공

2012년 아프리카 말라위에서 ‘문제’나 ‘필요’가 아닌 어떤 ‘가치’와 ‘경험’을 원하는지 물어봤다.

전기도 없고, 물 문제도 많은 마을에서 주민들이 원하는 경험은 바로 영화를 보는 것!

이동식 태양광충전 영화관 햇빛영화관 기획

2013년 에티오피아 햇빛영화관 시범사업을 진행하며 영화관의 touch point를 뽑아내어 경험최적화 기획

햇빛영화관에 입장하기 전 ‘생애 최초’ 영화 티켓을 받고서 기뻐하는 아이들. 아이들의 표정에 주목.

안 쓰는 중고 스마트폰에 동영상을 저장하고 ‘개인용 비디오방’의 개념으로 대여하는 시범사업 진행

아이들은 왜 행복해할까? 중고 스마트폰이 있어서? 좋아하는 영화가 있어서? 아니면 자신만의 이어폰을 끼고서 친구와

함께 영화를 보는 경험을 할 수 있어서?

기술의 최적화(optimizing) vs 경험의 최적화(customizing)

감사합니다 story.wins@gmail.com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