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 economy

Post on 03-Jan-2016

44 Views

Category:

Documents

1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DESCRIPTION

Lecture Note 9. Land Economy. 김종기 교수 한국경제의 이해. 국토 및 지역개발. 도시화 추세. 도시화 추세 1955-2006. 국토계획의 변천과정. 제 1 차 국토종합개발계획 : 1972-81. 거점개발전략 (growth pole strategy ) 에 의해 경제발전의 주축을 이룰 거점권역의 개발에 역점을 둠 - 각 지역의 특성을 살린 효율적인 대규모사업에 우선적으로 투자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Land Economy

Lecture Note 9

김종기 교수한국경제의 이해

국토 및 지역개발

도시화 추세

도시화 추세 1955-2006

국토계획의 변천과정

6

제 1 차 국토종합개발계획 : 1972-81

거점개발전략 (growth pole strategy) 에 의해 경제발전의 주축을 이룰 거점권역의 개발에 역점을 둠

- 각 지역의 특성을 살린 효율적인 대규모사업에 우선적으로 투자 함으로써 투자효과가 점차 주변지역에 파급될 것을 기대

- 대규모 공업단지를 우선 개발하고 대도시와 공업단지를 연결하는 교통 , 통신 등 인프라 구축

서울 , 부산 등 대도시에 인구와 산업이 집중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주변지역에 위성도시를 개발하고 그린벨트를 지정

성과 : 1) 경인 , 경부고속도로에 이어 호남 , 남해 , 영동고속도로 완공

2) 동남해안 지역에 중화학공업벨트 조성 3) 항만 , 발전 시설의 확충 문제점 : 1) 서울과 부산권의 비대 성장 2) 주택 및 상하수도 등 생활환경시설에 대한 투자 저조

7

제 1 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의 성과

단위 1971 1981(계획 )

1981(실적 )

실적률 (%)

공업용지 평방 km 102 344 332 96.5

고속도로 km 655 1,227 1,245 101.5

국도포장률 % 28.3 91.0 55.3 60.8

시내전화 천회선 624 3,096 3,263 105.4

용수공급 백만규빅m/ 년

350 6,425 4,272 66.5

주택 천호 4,428 6,016 5,460 90.8

상수도 천큐빅 m/일

2,670 7,908 7,508 94.9

8

제 2 차 국토종합개발계획 : 1982-91

거점개발방식을 지양하고 생활권을 중심으로 한 인구의 지방정착을 통해 지역간 균형개발을 도모- 15 개의 성장거점도시 개발과 28 개의 지역생활권 (5 개의 대도시 생활 권 , 17 개의 지방도시 생활권 , 6 개의 농촌도시 생활권 ) 편성 육성

수도권정비법을 제정하여 수도권내 각 지역을 정비촉진 , 개발억제 , 개발유도 , 자원보호 , 개발유보권역으로 구분 정비

지역간의 격차 및 갈등 해소를 위해 88 올림픽 고속도로 건설 및 지역간 도로망의 확충과 지방도의 포장에 역점- 서해안 고속도로 건설 착수- 호남선의 복선화 추진

석유화력발전의 비중을 73% 에서 19% 로 감소시키고 원자력과 석탄발전의 비율은 각각 6% 에서 42%, 그리고 8% 에서 18% 로 증가하여 에너지의 해외의존도 하락 유도

주택보급율을 75% 에서 81% 로 제고하여 삶의 질 향상 도모 문제점 : 1) 수도권집중억제 및 지역균형개발 달성은 미흡 2) 사회간접자본의 애로현상 가중

9

제 2 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의 성과

단위 1980 1991(계획 )

1991(실적 )

달성률(%)

공업용지 평방 km 332 468 475 101.5

도로연장 km 50,487 66,984 58,088 86.7

포장률 % 32.4 70.0 76.4 109.1

고속도로 km 1,225 1,715 1,597 93.1

전화가입 천회선 2,704 13,012 17,511 134.6

항만하역능력

천톤 82,261 193,000 248,365 128.7

용수공급 백만큐빅m

17,498 30,241 30,900 102.2

10

제 3 차 국토종합개발계획 : 1992-2001

1 차계획과 2 차계획의 중간적 성격- 사회간접자본확충에 역점 ( 대통력 직속의 사회간접자본기확단 설치 )- 도시 및 지역단위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산업구조조정 노력 경주- 수도권정비계획의 재추진- 지역균형발전전략 추진

수도권 억제라는 소극적 방식을 탈피하고 지방대도시 육성이라는 적극적 방식 채택

남북을 7 개축 , 동서로 9 개축으로 이루어진 교통간선망을 장기적으로 구축하여 전국을 반나절 생활권으로 조성

도농복합형 광역도시권 개발전략 수립 및 개발촉진지구제도의 도입 등으로 지역간 균형개발 도모

토지이용관리에 지방정부의 자율권 부여로 지역간 개발경쟁 분위기 조성 및 민자유치를 통한 국토개발의 효율제고- 주택 , 상하수도 , 여가시설 , 환경 등의 분야에 투자확대로 삶의 질 제고 추진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억제와 지역균형발전 성과는 미흡

11

제 3 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의 주요목표

단위 1990(A) 2001(B) B/A

공장용지 평방 km 340 475 1.40

주택보급률 % 72.1 92.8 1.29

고속도로 km 1,551 2,951 1.90

도로포장률 % 71.5 100.0 1.40

항만하역능력 백만톤 224 420 1.88

하수처리율 % 31 70 2.26

상수보급율 % 79 90 1.14

12

제 4 차 국토종합계획 : 2001-20

2020 년의 국토미래상

- 동북아 물류중심기지로 육성 1) 한반도가 대륙과 해양을 잇는 요충지로 부각 2) 인천 허브공항 , 부산항 , 광양항 , 대륙 철도망 등을 중심으 로 동북아의 물류중심지로 도약

- 수도권과 지방이 공동 번영 1) 지방에서의 취업기회 대폭 증가 2) 연안지역 등으로 산업입지가 재편성되고 지역별 전략산업 이 발달하여 지역경쟁력이 대폭 강화 3) 동서지역간에 인구 및 물류이동이 빈번 4) 수도권의 과밀문제 완화

- 전국이 반나절 생활권화 되며 지식정보망으로 변모 1) 전국 어디에서도 30 분이내에 기간교통망에 접근 2) 전국 어디에서도 국내외 정보에 편리하게 접근

- 선진화된 삶의 질 향유 : 1) 환경우선의 국토발전 2) 지역별 문화 관광자원의 개발

지역개발 패러다임

 ○ 21 세기 우리나라가 초일류 국가로 성장하기 위해선 각 지역이 보유한 잠재력이나 그 지역의 역할을 최대한 활용하여 통하여 국가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지역개발정책이 필요

☞ 형평성에서 효율성에 초점을 맞추어 수도권 규제 중심의 지역에서 대도시의 자립기력 확충정책으로 정책 패러다임을 전환함으로써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가 지역별 특성에 따라 발전할 수 있는 상향적 평준화를 추구하는 정책이 요구됨 .

     ○ 수도권은 21 세기 우리나라가 동북아경제권에서 동경권 , 북경권 ,

상해권 등 역내 주요 지역권보다 경쟁력의 우위를 지키기 위해 국제경쟁력을 갖춘 세계도시로 육성

 ○ 지방은 개성적 특성과 성장 잠재력을 살려 지역발전을 이루도록 기반을 조 성하는 상생 (win-win) 전략을 채택 ☞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균형개발’은 가능하지도 그리고 바람직하지도 않으며 , 모든 지역이 각각의 특성을 살려 모두가 높은 경쟁력을 유지하 는 이른바 ‘조화로운 개발’을 궁극적인 목표임 .        ☞ 낙후지역의 개발은 앞선 지역의 성장과실을 나누거나 빼앗아서 이루어 지는 것이 아니라 앞선 지역이 가지지 못하는 새로운 영역을 찾아 특 화하여 지역 개발

○ 런던 , 파리 , 동경 등 선진국 대도시권들도 한 때 수도권 집중억제를 위해 중

앙정부의 강력한 개입이 있었으나 규제로 인한 부작용과 여건변화 및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대도시권 집중 억제 정책을 전면적으로 수정 ☞ 오히려 대도시권을 경제 중심지로 육성하는 정책으로 전환

○ 향후 수도권은 인구집중이 정체 또는 완화될 것으로 예측

구분 기업도시 혁신도시

주체

기업 /기업컨소시엄( 지자체 참여포함 )

정부 주도하에 지역전략산업과 연관된 공공기관 , 기업 , 대학 ,

연구소

목표

민간기업이 주도하는 자족신도시

지역 특화발전 및 자립형 지방화

추진전략

기업에 토지수용권등 각종 지원사항 마련

도시외관 인프라 구비

공공기관 지방이전혁신환경 조성

도시인프라 구비

수도권 성장과 규제

수도권 인구증가 추세

서울 : 979 만 4000명으로 2005 년보다 2 만 6000명 감소경기도 : 1137 만 9000명으로 96 만 4000명 증가

수도권 집중화 현상

수도권 집중화 현상

수도권 집중화의 문제점

과밀에 따른 경제 , 사회비용의 증대• 수도권 내의 토지 및 주택가격의 급등• 교통혼잡비용 증대

비 수도권과의 격차로 인한 갈등 심화 삶의 질 저하• 교통난 , 환경 오염의 심화 과밀에 의한 주민• 과밀에 의한 주민생활의 질적 저하

과밀에 의한 주민 생활의 질적 저하

수도권 규제

☐ 목적 ○ 수도권 인구집중억제와 지역균형발전을 유도

☐ 수도권 지역규제 정책의 내용 ○ 교육 : 대학신설 및 대학입학정원 증원규제 ○ 문화관광산업 : 관광지조성사업에 대한 규모 및 입지 규제 ○ 토지이용 : 공장 , 개발사업 , 특정시설에 대한 규모 및 입지규제 ○ 환경 : 환경보호관련 구역설정과 행위제한

수도권 정책의 전개과정

수도권 규제도

수도권 공간구조

수도권 경쟁력

☐ 수도권 지역의 현황

○ 수도권 지역으로의 과도한 인구집중을 억제한다는 명분하에 지난 30 여 년 동안 지속된 수도권 규제는 기대한 효과는 얻지 못하고 부작용만 양산 ☞ 수도권 소재 대기업 공장의 3 분의 1 이 수도권에서 추가적인 공장

설립 계획을 갖고 있으나 수도권 규제로 지체          ○ 기업은 수도권 분산이나 국토의 균형개발 같은 사회적 가치에는 관심이 없고 ,  이러한 정책은 오히려 기업의 투자의욕을 감소시키거나 투자시점 을 실기케 하여 보이지 않는 사회적 비용을 유발하여 우리 사회는 엄청난 비용 지불 ○ 수도권의 제조업이 노동집약형에서 공장자동화를 통한 자본집약형으로 전환되어 제조업 규제에 의한 인구집중 억제 효과는 미약

○ 수도권은 런던 , 파리에 비해서는 밀도가 높으나 , 동경권에 비해서는 상대적으 로 낮은 밀도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 과밀 억제권역외의 지역은 동경권의 70% 수준

구분 면적(km2)

인구( 만명 )

총인구 대비 (%)

인구밀도( 명 /km2)

전국 인구

밀도대비( 배 )

비고

한국(2000

)

서울인천

경기도수도권

   605.5   958.6

10,190.711,754.8

1,037  256  9282,221

21.6 5.319.346.3

17,126 2,671   911 1,889

35.5 5.5 1.9 3.9

전국밀도482(명 /

km2)

일본(1995

)

동경동경권수도권

 1,99611,07813,074

1,1772,0803,257

 9.416.626.0

5,8971,8782,491

17.8 5.7 7.5

전국밀도332(명 /

km2)

한 - 일간 수도권 인구밀도의 비교

수도권 정책과 지역발전 정책

○ 수도권 집중억제를 통한 지역균형개발이 폐쇄경제하에서는 가능한 정책목표이지만 지금과 같은 개방경제하에서는 비현실적인 방안임

☞ 폐쇄경제하에서는 지역개발이 ‘제로섬게임’ 성격을 갖기 때문에 수도권의 입지를 제한할 경우 공장설립을 원하는 기업들은 비수도권 지역에 입지할 수밖에 없으나 ,

     ☞  개방경제하에서는 수도권의 입지를 제한할 경우 비수도권 대신 해외를 선택할 수 있어 , 모든 지역이 손실을 보게 됨

주택

국토면적 및 이용

국토여건의 변화와 영향

주택보급율

주택건설

택지공급실적

토지정책의 전개과정

주택정책의 특성 1

부동산 가격변동과 정책대응

주택정책의 특성 2

도시용지 이용현황

국가별도시용지(km2)

비율 (%)인구 ( 천

인 )

인구 천인당 도시용지

(km2)인구밀도

한국 5,372 5.4 46,858 0.1 467

일본 27,420 7.3 125.095 0.2 331

네델란드 10,420 25.5 15,503 0.7 377

영국 45,749 13.0 58,258 0.8 238

2020 년까지 추가 도시용지 수요

구분 전체 주거용지 상업용지 공업용지 공공용지

적정규모

(km2)3,848 1,378 276 178 2,016

비율 (%) 100 35.8 7.1 4.6 52.3

토지공급의 문제점

토지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 반면 개발용지로 사용할 수 있는 가용토지가 개발 수요에 비해 만성적으로 부족한 상황 ☀ 국토계획법상 도시관리계획으로 결정•지정된 용도지역•지구에 개별법에 의한 지역지구가 과다하게 중복 지정되어 있고 ☀ 일부 개별지역은 국토계획법상 용도지역•지구와 무관하게 설정되어 있으며 ☀ 토지이용계획 없이 지역지구를 지정하는 경우가 50%이상이고 지정원칙 및 기준 이 없는 등 체계적인 토지이용계획 결여로 난개발을 초래하고 있는 상황임

보금자리주택의 유형1. 장기공공임대주택 (50 만호 ) 가 . 영구임대주택 (10 만호 ) :

영구적인 임대를 목적으로 건설한 임대주택 나 . 국민임대주택 (40 만호 ) :

의무임대기간이 30 년인 임대주택 소득에 따른 차등 임대료 ( 시중가의 60-70%)

2. 공공임대주택 (20 만호 ) 가 . 10 년임대주택 : 의무임대기간이 10 년인 임대주택 나 . 분납임대주택 : 임대보증금 없이 분양전환금을 분할하여 납부하는 임대주택

3. 장기전세주택 (10 만호 ) 20 년의 범위안에서 전세계약을 통하여 공급하는 임대주택

4. 분양주택 (70 만호 ) 중소형 저가주택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