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4장 사회복지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 kocwelearning.kocw.net › contents4 ›...

Post on 28-Ju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제14장 사회복지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1. 사회복지프로그램의 개념

2. 사회복지프로그램 개발의 과정

3. 사회복지 프로포절 작성

프로그램의 사전적 의미: 목록, 순서, 예정 계획

=> 앞으로 진행될 일에 대하여 예정 또는 계획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목

록이며, 여기에는 이의 진행 순서를 의미하는 내용과 실천이 포함

사회복지조직의 목표달성을 실현하기 위한 보다 직접적인 수단으로서

일정한 절차에 따라 이루어지는 의도적이고 체계적인 활동체계

프로그램의 목적: ‘조직활동을 통한 목표달성’

사회복지프로그램의 정의

사회복지프로그램의 개념

대상자 제공자

활동 내용

영향

프로그램의 성립요소

사회복지프로그램의 개념

용어정리

프로그램 개발의 개념

프로그램 개발이란 무엇인가

프로그램 개발은 프로그램의 기획과 설계는 물론 실행,

평가, 환류 과정을 망라하는 매우 복잡한 절차와 방법

을 포괄하는 과정을 의미함

프로그램 개발의 개념

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요소(5P)

프로그램 개발의 개념

문제의 분석

욕구조사

자원체계의 확인

실천계획의 수립

목적 및 목표 설정

자료수집과 대안 설정

프로그램 의 실행

프로그램 평가

프로그램 개발의 과정

바람직하지 못한 상황과 조건은 무엇인가?

누가 그 문제로 고통을 받고 있는가?

누가 그 문제로 이득을 얻는가?

누가 그 문제를 문제로 규정하는가?

누가 그 문제를 문제로 보지 않는가?

문제의 원인이 무엇 때문인가?

그 문제를 다루는 현 프로그램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 프로그램을 중단할 경우 예상되는 결과는 무엇인가?

사회변화의 목표는 무엇인가?

욕구와 자원간의 격차를 줄이는데 찬성하는 사람과 반대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York의 사회문제의 분석 틀

1. 문제의 분석

Ct에 대한 진단(diagnosis)과 분류(labeling)는 가급적 피해야 함

문제를 정의함에 있어 폐쇄형보다는 개방형의 문제정의를 선호해야 함

통합적인 사고(whole-mind thinking)에 의한 정보를 수집해야 함

자원을 인식해야 함

사회복지관에서의 문제분석 지침

1. 문제의 분석

욕구조사의 목적과 내용

2. 욕구조사

욕구조사의 방법

2. 욕구조사

욕구조사의 목적 및 자원확인

자료수집과 분석의 단계

구체적인 정보나 자료의 확인

조사설계의 단계

조사보고서 작성의 단계

2. 욕구조사

욕구조사의 절차

Client population

프로그램 대상, 참여자 20세대의 아동 30명

Target population

욕구표출/확인, 한부모가정 60세대

At-risk population

잠재적 욕구, 00구의 한부모가정 100세대

General population 전체대상, 00구의 인구 12,000명

클라이언트 집단의 파악

3. 자원체계의 확인

인적 물적 자원 검토

3. 자원체계의 확인

사회복지프로그램의 주요 자원

• 재정과 인력, 시설, 설비, 물품 등

프로그램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

• 사회적 목적, 정부의 보조금, 민간재단, 법정, Ct와 이익

집단, 민간제공자, 유사 관련 프로그램, 서비스의 전문성

3. 자원체계의 확인

기관 제한 조건의 파악

Weakness

Strength

Opportunity

Threat

Attainable (실현 가능하게)

Measurable (측정 가능하게)

Specific (구체적, 명료하게)

Result-oriented (결과지향적으로)

Time-frame (시간구조를 갖도록)

목표설정의 윈칙 SMART objectives

4. 목적 및 목표설정

구체적인 목표의 진술 방법

4. 목적 및 목표설정

목표진술에서 필수적인 4가지 구성 요소

<바람직한 목표 진술의 예>

ⓛ 비행청소년들이 집단활동을 통해 자아정체감을 확립한다.

누가 도구 무엇을 어떻게 한다

④ 저소득가정 자녀들이 다양한 교육활동을 통해서 사회성을 향상한다.

누가 도구 무엇을 어떻게 한다

구체적인 목표의 진술 방법

4. 목적 및 목표설정

1. 목표에서 문제나 욕구와 관련된 핵심요소를 2~3개로 나누어 작성하는 방법

# 목표: 비행청소년들이 집단활동을 통해 자아정체감을 확립한다.

핵심요소

# 하위목표

1. 인간관계훈련을 통해 자신의 특성과 현실을 인식한다.

2. 자기성장 훈련을 통해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한다.

3. 자신의 특성과 장래의 희망에 따라 진로계획을 세운다.

목표를 하위목표로 세분화하는 요령(1)

4. 목적 및 목표설정

2. 성과목표를 중심으로 몇 가지 과정목표 또는 기관이나 활동목표로 나누어

작성하는 방법.

# 목표: 재가중증장애인들이 지역사회에서 최소 이동권을 확보하고 생활영역

을 확장한다.

# 하위목표

1. 지역사회 공공과 민간기관을 연계하여 이동차량을 확보한다.

2. 차량 자원봉사자를 모집하고 상호 비상연락망을 구축 가동한다.

3. 재가중증장애인들의 각종 민원업무 및 일상생활 활동을 위해 차량을 지원한다.

목표를 하위목표로 세분화하는 요령(2)

4. 목적 및 목표설정

3. 목표달성을 위한 도구 또는 수단을 2~3개로 나누어 작성하는 방법

# 목표: 저소득 한부모가정 아동들이 특활활동을 통해서 잠재력과 능력을 개

발한다. 도구

# 하위목표

1. 저소득 한부모가정 아동들이 성장집단활동을 통해서 자신의 특성과 취미를 발견한다.

2. 저소득 한부모가정 아동들이 미술, 운동, 독서 등 특성에 알맞은 교육활동을 통해 능력을 발전시킨다.

목표를 하위목표로 세분화하는 요령(3)

4. 목적 및 목표설정

4. 목표진술 시 사전에 하위목표로 나눌 수 있는 요소를 차후 통합하여 작성하

는 방법

# 목표: 실직고령자들이 자신감을 회복하고 재취업의 기회를 획득한다.

# 하위목표

1. 실직 고령자들이 구직동기를 갖고 자신감을 회복한다.

2. 실직 고령자들이 재취업훈련을 통해 취업의 기회를 갖는다.

목표를 하위목표로 세분화하는 요령(4)

4. 목적 및 목표설정

# 프로그램 관리자가 설정한 대상 집단이나 대상문제에 대해 지역사회의 다른

사회복지기관이나 비영리조직들에서 실시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있는가?

# 자체기관과 타 기관 및 시설의 유사한 경험이나 프로그램, 외국의 실례 등을

조사해 본다.

# 자료조사 방법: 해당기관 방문, 관계자 초청, 현장답사, 기관 전화, 영화 및

비디오 관람, 인터넷 검색 등

자료수집

5. 자료수집과 대안설정

# 관련 자료 수집 후,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에 부합하는 다양한 서비스 활동

을 선택해야 한다.

# 브레인스토밍과 브레인 라이팅(Brain Writing)과 같은 아이디어 발상법 활용

을 통해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에 적합한 서비스들을 제한해 볼 수 있다.

Brain Writing(침묵발상법): 6명의 참가자가 말을 하지 않고 3개의 아이디어

를 5분마다 차례로 발상하여 종이에 쓴 다음 서로 교환하는 방법.

서비스 활동 선택

5. 자료수집과 대안설정

이용자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서비스이거나, 많은 자원이 소요되는 서

비스와 적은 자원이 소요되는 서비스, 목적과 목표 달성에 가장 바람직

한 서비스들을 순위를 매겨 결정하는 것을 의미.

클라이언트의 문제에 가장 적합한 서비스는 무엇인가?

해당 서비스 제공자들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서비스는 무엇인가?

수혜자와 제공자 모두에게 가장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서비스와 앞으로도

계속 활동의 성과가 지속될 수 있는 서비스는 무엇인가?

제한된 서비스의 우선순위 선정

5. 자료수집과 대안설정

제안된 서비스 혹은 세부프로그램 선택을 의미

우선순위 비교와 자원동원가능성에 따라 결정

우선순위는 적합성과 실행 가능성 여부에 의해서 비교 결정

대안선택

5. 자료수집과 대안설정

6. 실천계획의 수립

프로그램 실행 : 정해진 시간 내에 계획한 서비스를 실시하는 것.

프로그램 실행 시 유의사항

프로그램 계획에 지나치게 얽매여서 목표전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

프로그램 실행에는 탄력적으로 운영을 할 수 있는 융통성이 필요

목적 달성을 위하여 프로그램의 실행계획이 수정될 수도 있다는 점 고려

7. 프로그램 실천활동과 실행

8. 프로그램 평가

평가의 정의

사전적 의미 : 사물 또는 그 속성에 대한 가치판단

=>반드시 판단의 준거 또는 표준이 존재해야 한다.

사회복지분야에서의 평가 : 사회복지 프로그램이나 기관이 실시한 제반 활

동의 과정과 성과를 체계적으로 가치판단 하는 것

=> 가치지향적 이라는 의미 내포

평가의 주체에 따른 유형

8. 프로그램 평가

평가의 대상에 따른 유형

8. 프로그램 평가

평가의 시점과 접근 방법에 따른 유형

8. 프로그램 평가

평가의 자료수집 방법에 따른 유형

8. 프로그램 평가

평가의 전후 시점에 따른 유형

8. 프로그램 평가의 유형

평가 단계에 따른 유형

8. 프로그램 평가

노력성 효과성 효율성 서비스질 Ct 만족도 h How 과정

평가의 기준

8. 프로그램 평가

영향

프로그램 평가의 원칙

8. 프로그램 평가

서비스 질 향상의 원칙

평가절차의 투명성 원칙

평가참여의 원칙

기본선 확보 의 원칙

이용자 중심 의 원칙

사회복지시설 및 기관 평가의 기본 원칙

지역사회관계 의 원칙

프로그램 평가의 절차

8. 프로그램 평가

결과 판단과 활용의 단계

평가결과의 추론과 가치판단 평가보고서의 작성과 제출 / 평가결과의 활용

자료수집 및 분석 단계

자료의 출처확인과 선정/ 지표의 정리 및 선정 체계적 자료수집 / 분석방법과 기법 활용

/ 평가결과의 종합정리

평가기획 및 설계 단계

평가의 목적 확인 / 대상과 범위 설정 방법과 도구설정 / 평가절차와 일정 확정

감사합니다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