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es serrano ( 안드레 세라노 ) 의 작품세계

19
Andres Serrano ( 안안안 안안안 ) 안 안안안안 독독독 독독독독 독독 독 독독 < 독독독독독 독독 > 독독독독 03141085 독독독

Upload: arnaud

Post on 13-Feb-2016

120 views

Category:

Documents


6 download

DESCRIPTION

Andres Serrano ( 안드레 세라노 ) 의 작품세계. 독특한 사진작가 분석 및 연구 < 사진기법과 이론 > 일본어과 03141085 이안나. 담은 내용. 안드레 세라노의 프로필 안드레 세라노의 작품세계 안드레 세라노의 작품논란에 관해 안드레 세라노를 조사 하며 느낀 점. 안드레 세라노의 프로필. 1950 년 8 월 15 일생 온두라스 출신의 아버지와 쿠바 출신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아 . 13 살까지는 성당에 열심히 다니던 가톨릭 신자였다 .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Page 1: Andres Serrano ( 안드레 세라노 ) 의 작품세계

Andres Serrano( 안드레 세라노 ) 의 작품세계

독특한 사진작가 분석 및 연구< 사진기법과 이론 >

일본어과 03141085 이안나

Page 2: Andres Serrano ( 안드레 세라노 ) 의 작품세계

담은 내용 안드레 세라노의 프로필

안드레 세라노의 작품세계

안드레 세라노의 작품논란에 관해

안드레 세라노를 조사 하며 느낀 점

Page 3: Andres Serrano ( 안드레 세라노 ) 의 작품세계

안드레 세라노의 프로필

1950 년 8 월 15 일생

온두라스 출신의 아버지와 쿠바 출신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아 .

13 살까지는 성당에 열심히 다니던 가톨릭 신자였다 .

브루클린 뮤지엄 아트 스쿨에서 ‘켈빈 더글러스’로부터 회화와 조각을 공부했다 .

미술대학 졸업 후 광고회사 조감독으로 일하다 33 살에 사진 작업을 시작했다 .

Page 4: Andres Serrano ( 안드레 세라노 ) 의 작품세계

주로 종교 , 죽음 , 섹스 등 3 가지의 주제로 작품 활동을 한다 .

안드레 세라노에 대한 구체적인 이력은

제대로 밝혀진 것이 없다 .

본인이 밝히기를 꺼려 할 뿐 아니라

그런 것들이 예술과는 직접적으로 관계가

없다고 작가 자신이 누누이 강조하기 때문

이다 .

Page 5: Andres Serrano ( 안드레 세라노 ) 의 작품세계

Piss light 『오줌 속의 예수』 1987 년 작십자가에 매달린 예수 그리스도의 상 ( 象 ) 을 자신의 오줌속에 빠트린 화제작 .1997 년 10 월 호주 멜버른 빅토리아 국립미술관에서 발길질 당하고 , 해머공격을 받고 급기야 작품이 훼손되고 전시가 중단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네덜란드 그로닝거 (Groninger) 미술관에서는 교인들이 난입하고 미술관에 페인트 통을 던져 전시를 중단시키는 사태도 발생했다 .

< 종교 편 >

Page 6: Andres Serrano ( 안드레 세라노 ) 의 작품세계

13 세 살 때까지 독실한 카톨릭 신자였던 세라노가 왜 뒤늦게 종교성을 주제로 파격적인 예술작업을 시도했을까 ?

세라노 본인도 특정 종교집단과 예수에 대한 악감정이 있어서가 아니라고 했듯이 그의 작품이 종교적 비판을 테제로 삼았지만 오히려 상업적인 냄새가 더 짙게 풍긴다 .

물론 누구도 세라노와 카톨릭간의 어떤 비밀스런 경험이 있었는지를 알지 못한다 . 그러나 작품 <천당과 지옥 (Heaven and Hell)>(1984) 처럼 그의 초기 작품들을 볼 때 카톨릭을 소재로 삼았던 것은 당시 라틴 아메리카 카톨릭계에서 불거져 나온 '주체 신학 '과 , 또 당시 맹위를 떨쳤던 포스트모더니즘의 서구중심 , 기독교 중심의 문화에 대한 저항에서 출발했다고 보는 것이 옳다 .

세라노는 예수 그리스도와 성모 마리아를 자신의 오줌통에 빠트림으로써 종교 , 특히 기독교에 대한 가치체재의 전복을 시도했다 . 예수를 믿든 , 믿지 않든 인간이면 누구도 생각할 수 없는 죄악을 세라노는 결행했다 . 그는 신성의 상징 예수 그리스도를 전복시킴으로써 사람들이 종교에 대해 갖는 신비주의적이고 제의적인 생각들을 파괴시키고자 한 것이다 .

Page 7: Andres Serrano ( 안드레 세라노 ) 의 작품세계

작품 <천당과 죽음 > 이 그것들을 말해주고 있다 . 여인의 몸을 타고 흐르는 선홍빛 붉은 피와 추기경의 붉은 색의 옷은 성적 갈망 자체이다 .

Page 8: Andres Serrano ( 안드레 세라노 ) 의 작품세계

『성 (性 ) 의 역사 (A history of sex) 』 1995~1996백주 대낮에 베란다에서 섹스의 향연을 펼치거나 , 늙은이 ?젊은이를 가리지 않고 향락의 섹스판을 벌린 시리즈로 사회적 센세이션을 몰고온다 .오늘날 인간들이 누구나 섹스에 대해 변태적인 상상을 하며 , 비정상적인 섹스를 꿈꾸는 존재임을 말한다

세라노의 걷잡을 수 없는 이단적인 행동은 그것이 리얼한 사진을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데 그 충격성이 있다 . 현대미술에서 종종 신이 부정되거나 , 또 종교에 대한 우리의 맹신과 그 어리석음을 표현한 경우가 있었어도 세라노처럼 리얼하고 충격적으로 표현하지는 못했다 . 그래서 세라노 작품 그 자체는 노골적이지 않으나 사진에서 풍겨 나오는 힘 , 사진에서 관객이 느끼는 감정의 진폭은 대단히 리얼하고 충격적이다 .

그의 "성의 역사 (A History of Sex)" 시리즈 (1995-96) 는 끈적끈적하다 못해 매스껍기조차 하다 . 사진 하나 하나를 보면 특별히 경멸스럽거나 외설스럽지 않은데도 이상하게도 속이 편치 못한 것이다 . 사진이 너무 리얼해서 그런 것이며 , 그렇기 때문에 사진을 한 번 더 쳐다보게 되고 부분 부분까지 세밀히 읽게 된다 .

Page 9: Andres Serrano ( 안드레 세라노 ) 의 작품세계

세라노는 가장 저속하고 , 가장 아름답지 못한 이야기를 가장 아름답고 가장 리얼하게 표현하는 전략을 세웠다 . < 오줌 속의 예수 >에 이어 < 성의 역사 > 시리즈에서 그것들이 잘 나타난다 .세라노의 성의 역사 시리즈는 인간들이 섹스에 대해 한 번쯤 갖는 변태적인 상상들을 현실적인 모습으로 드러낸다 . 때문에 관객들은 역겨워 하면서도 사진에서 내뿜는 시각적 힘에 빨려들어 결국 보고 또 보고 머리 속에 강렬히 심어놓는다 . 우리가 충격적이었다고 말한 < 레오의 판타지 (Leo's Fantasy)>(1996), < 안토니오와 울리크 (Antonio and Ulrike)>(1996) 정도는 "성의 역사 " 시리즈 중에서 강도가 약한 사진들이다 . <붉은 조약돌 (Red Pebbles)>, < 테레사 (Teresa)>, < 오토 -에로틱 (Auto-Erotic)> 과 같은 강력한 성적 하드코어 작품들은 아마 우리 나라 화랑에서는 벽에 걸리기 어려울 것이다 .

< 성의 역사 편 >

Page 10: Andres Serrano ( 안드레 세라노 ) 의 작품세계

『체액 (Fluid) 시리즈』성스런 보혈을 AIDS 로 감염된 피로 그리고 일용할 양식의 우유를 더러운 정액으로 둔갑시킨 문제작으로 세상에 악명을 떨치기 시작했다 .

세라노가 오줌 , 피 , 젖을 통해서 진행시킨 체액 시리즈는 가장 인간적인 물성 ,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체액을 이용하여 신비주의에 대한 개인적인 탐험과 파괴의 미학을 보여준다 . 파괴의 미학은 3 가지의 색 , 황색 (yellow), 적색(red), 흰색 (white) 으로 나타나며 노란색은 오줌 (urine), 붉은 색은 피 (blood), 흰색은 젖 (milk) 을 상징한다 . 이 세 가지의 색은 인간에게 필수적인 3 가지 체액의 색으로서 세라노 작품의 가장 상징적인 붉은 색의 피를 갖고 설명하자면 , 피는 예수 그리스도의 상징이며 , 사람들은 그것을 보혈로 생각하고 마시기도 한다 . 그러한 세라노에게 있어 피는 인간의 피 , 죽음의 피 , 욕망의 피일 뿐 , 결코 기독교가 상징화하는 죄사함과 부활과 화해의 상징의 피는 아닌 것이다 .

Page 11: Andres Serrano ( 안드레 세라노 ) 의 작품세계

<피의 방류 (Bloodstream)>(1987) 도 마찬가지인데 , 붉은 색은 삶과 죽음을 상징하는 피이다 . 인간의 피가 예수 그리스도의 죄사함과 부활의 징표가 아니라 , 쾌락과 고통 , 혹은 에이즈라는 속된 피 , 그렇지만 인간적인 피라는 세라노의 주장은 피를 성스럽게 여기는 우리의 종교적 아이콘에 대한 전복인 것이다 .세라노가 자신의 오줌 속에 예수를 빠뜨린 행위는 그야말로 인간의 종교적 환상을 깨기 위한 것이었다 . 오줌을 예수 그리스도의 포도주로 대체시킴으로써 최후의 만찬에서 사용된 포도주가 예수 그리스도의 체액으로서 인간에 대한 사랑과 용서로 이용되었던 것을 역으로 오줌 속에 신성한 아이콘 ( 예컨대 , 십자가에 매달린 예수 , 성모 마리아 석고상 )을 적셔버린 것이다 . 그가 오줌을 가장 인간적인 체액 , 인간에게 필수적인 체액으로서 포도주에 버금가는 소중한 보혈로 바꿔치기 한 것을 두고서 비평가들은 그의 어린 시절의 종교적 경험을 가정하기도 한다 . 예컨대 제도화된 종교성 , 특히 카톨릭 교회의 실체를 노출시킨 것은 그의 개인적인 종교관을 피력했다는 것이다 . 그렇지만 바로 이 점 , 세라노가 카톨릭 신자였다는 사실에서 카톨릭은 분개한다 . 도널드 윌드먼과 같은 사람은 세라노의 예수에 대한 무례와 모욕은 크리스천에 대한 또 다른 박해라고 말한다 .

Page 12: Andres Serrano ( 안드레 세라노 ) 의 작품세계

세라노 사진이 대중에 충격을 주고 , 또 여러 곳에서 비난을 받아도 미술관이라는 제도 속에서 호평을 받고 또 비싼 값에 판매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 그것은 바로 뛰어난 테크닉 , 완벽한 표현성 때문이다 . 누구도 그의 사진의 아름다움에 대해서 이의를 달지 못한다 . 세라노 사진 앞에서 그와 같은 완벽한 표현성에 압도당하고 만다 . 그가 다루는 소재가 아무리 경멸스럽고 저질스러워도 사진에서 풍겨져 나오는 힘과 사진의 역동적인 표현성 때문에 누구나 예술성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 이전의 작품인 "KKK(Ku Klux Klan)" 시리즈와 "부랑자들 (Nomads)" 시리즈 그리고 "시체공시소 (The Morgue)" 시리즈에서도 완벽한 조명 , 완벽한 구도 , 완벽한 컬러를 통해 살아있는 피부 , 살아있는 인간을 느낀 적이 있다 .

Page 13: Andres Serrano ( 안드레 세라노 ) 의 작품세계

세라노는 비밀의 사원인 시체공시소에서 강력한 리얼리티를 얻고자 극단적인 클로즈업과 현실감 넘치는 조명과 컬러를 추구했다 . 체액을 통해서 종교의 의미를 재해석하려 했던 것처럼 , 사체 (死體 ) 를 통해서 죽음의 의미를 재해석하려 했던 것이다 . 그 결과 액체 추상에서는 느끼지 못했던 현실감 넘치는 리얼리티가 "시체공시소 "에서 나타난다 .

< 시체 공시소 편 >

Page 14: Andres Serrano ( 안드레 세라노 ) 의 작품세계

클로즈업으로 인해 극단적인 디테일이 드러났으며 , 인간의 피부색이 생생히 재현됨으로써 죽음이 주님의 부르심 , 혹은 영생을 위해서가 아니라 불에 타죽거나 , 음독 자살하거나 , 총에 맞았거나 , 칼에 찔렸거나 , 목매달았거나 , 차에 치였거나 , 혹은 에이즈에 감염되었던 죽음일 뿐 , 결코 숭고하고 성스러운 종교적인 죽음과는 거리가 먼 현실적이고 세속적인 죽음이라는 리얼리티를 일깨운다 .

Page 15: Andres Serrano ( 안드레 세라노 ) 의 작품세계

그의 Morgue( 시체 공시소 ) 연작들은 시체를 마치 정물화인양생생히 전달함으로서 이성적 질서 아래 감추웠던 것들을 사정없이 드러내고 있다 .

Page 16: Andres Serrano ( 안드레 세라노 ) 의 작품세계
Page 17: Andres Serrano ( 안드레 세라노 ) 의 작품세계

현대사진과 미술에서 안드레 세라노보다 스캔들이 많고 사회적으로 지탄을 받는 예술가는 없다 . 가장 뜨거웠던 로버트 매플소프의 경우도 그의 사후에 일어난 일이기 때문에 생존의 작가로는 세라노가 유일하다 . 외설과 예술의 차이 , 신성모독과 표현의 자유에 대해서는 여전히 법의 잣대를 재는 경우가 많다 . 신성모독과 표현의 자유도 마찬가지이다 . 민주주의 국가라면 어느 나라나 할 것 없이 표현의 자유를 인정하지만 종교와 결부되면 법으로 해결할 수 없는 상황으로 치닫는다 . 세라노가 제기한 사회적 , 문화적 컨텍스트의 이중성은 바로 이것이다 .

Page 18: Andres Serrano ( 안드레 세라노 ) 의 작품세계

< 안드레 세라노를조사하면 느낀것 >다른 어떤 말로도 표현을 못할 만큼 사진 자체뿐 아니라 그 속의 메시지 또한 너무나도 충격적이었다 .

그래서 사회적으로 정치적으로 여러가지 반응을 얻고 여러 양상을 얻고 있는 게 아닌가 싶다 .

윤리적으로 따지거나 일반적으로 생각하면 가히 불온하고 선정적이다 라고 할 수 있겠지만 그만큼 나는 사진이라는 예술의 자유성을 크게 느꼈다 .

다른 어떤 것보다 더 마음에 와 닿고 메시지로 충격을 줄 수 있는 예술작품은 역시 사진이 최고라는 것을 느꼈다 .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것을 이렇게 거리낌 없이 담아 내 보이는 안드레 세라노 에게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

Page 19: Andres Serrano ( 안드레 세라노 ) 의 작품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