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139
www.kiha.kr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프로그램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Health & Safety for Subcontractor Workers 일시 : 2013년 10월 23(수) ~ 25일(금, 3일간) 장소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전북지역대학 주최 : (사) 한국산업위생학회 (사)한국산업위생학회 (135-703)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한국과학기술회관 본관 206호, 전화: 070-4177-1991, Fax: 02-6499-0403

Upload: others

Post on 02-Apr-2021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www.kiha.kr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프로그램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Health & Safety for Subcontractor Workers

일시 : 2013년 10월 23(수) ~ 25일(금, 3일간)

장소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전북지역대학

주최 : (사) 한국산업위생학회

(사)한국산업위생학회

(135-703)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한국과학기술회관 본관 206호, 전화: 070-4177-1991, Fax: 02-6499-0403

Page 2: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Page 3: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www.kiha.kr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프로그램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Health & Safety for Subcontractor Workers

일시 : 2013년 10월 23(수) ~ 25일(금, 3일간)

장소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전북지역대학

주최 : (사) 한국산업위생학회

Page 4: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안녕하십니까!

가을 정취가 깊어가는 좋은 날에 학술대회를 갖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전문 교육 강좌, 현안 산업보건 이슈를 토의하는 주제 발표,

라운드 테이블, 최신 기술과 이론을 소개하는 기술 홍보 세션 등 다양한 내용

과 영역을 다루는 욕심을 부렸습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무려 110개가 넘

는 논문 발표, 자발적인 기술 토의와 홍보 세션 개설, 교육 참여 그리고 많은 참가 등록 등으

로 풍성해졌습니다. 또 20개가 넘는 기관과 회사들의 후원은 학술대회 운영에 큰 도움이 되었

습니다. 학술대회 참가자, 발표자, 후원기관 모두에게 진심으로 고맙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사내 하도급 공정의 안전보건 위험과 실태를 핵심 주제로 설정하였습니

다. 전통적으로 유해인자에 대한 인식, 평가, 관리 등 기술적 접근을 넘어선 사회적, 경제적 변

화에 따른 위험의 원인, 실태, 해결방안을 고민하는 거대 담론입니다. 최근 대기업 하청 공정에

서 폭발, 화학물질 누출, 중독 등으로 인한 사고가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어 중대한 사회적

불안으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사실 사업장 안에서 위험한 공정 작업을 하청업체에 맡기는 것은

위험 발생에 대한 책임까지 전가하는 부정적인 측면이 있습니다. 그래서 하도급 기업 간의 사

고 예방을 포함하여 건강한 상생 구조를 구축하기 위해 법적/행정적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보

이는 성과는 눈에 보이지 않고 정작 우리 산업위생 분야에서는 위험의 특성과 위험을 관리하

기 위한 기술적인 방안을 고민하는 노력을 게을리 했습니다.

우리 사회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누군가 위험한 일을 해야 합니다. 중요한 것은 이

런 위험을 일을 담당하는 근로자를 기업과 사회가 함께 보호하는 책임을 다하는 것입니다. 이

번 학술대회에서 사업장 내 하도급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보건 위험과 그 해결방안을

이끌어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이번 학술대회가 참가자 여러분의 근로자 건강보호를 위한 역량과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계기

가 되기를 바랍니다. 다음 학술대회는 더욱 알차게 준비하도록 하겠습니다.

2013. 10

한국산업위생학회장 박동욱

Page 5: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결실의 계절 10월, 역사와 전통이 살아 숨 쉬는 이곳 전주에서 한국산업위생학

회의 추계학술대회가 개최된 것에 대해 진심으로 축하말씀 드립니다.

(사)한국산업위생학회는 1990년 창립이후 근로자의 작업환경 분야, 업무상

질병관련 분야 등 우리나라 산업현장의 안전보건 발전에 큰 기여를 하고 있

으며, 1500만 근로자의 건강보호를 위해 많은 결실을 이루어 왔습니다. 이는 현장에서 묵묵히

산업위생전문가로서 역할을 수행한 여러분의 노력덕분 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부는 올해 산업안전보건법령개정을 통해 근로자에게 중대한 건강장해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

화학물질의 유해성․위험성을 조사하고 필요한 조치를 명하도록 하는 내용을 신설하고, 보건관리

자 선임대상에 건설업까지 확대적용 하였습니다. 또한 도급사업 시의 안전보건조치 대상을 건설

업․제조업에서 서비스업을 포함하는 등 산업현장의 안전보건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

고 있습니다.

특히 산업보건 분야에서 선진국의 기틀을 다지기 위해 지난 9월 직제개편을 통해 산업보건과를

복원하였으며, 화학물질의 유해성과 위험성을 고려하여 화학사고예방과를 신설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쾌적한 작업환경, 건강한 근로자를 위해 앞으로 산업보건에 보다 많은 정책적인 방안들을

마련하겠습니다.

이번 추계학술대회의 주제인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은 도급사업의 확대에 따라 매

우 중요한 이슈로 인식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많은 연구 및 정책적인 제안이 필요한 분야입니

다. 이번 학회를 통해 발전적인 논의가 많이 이루어져 1500만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이라는 숙

제를 잘 풀어나갔으면 좋겠습니다.

한국산업위생학회의 박동욱 회장님 이하 여러 교수님들 및 업계에 종사하시는 모든 분들의

노력에 깊은 감사를 드리며, 학회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013. 10.

고용노동부 산재예방보상정책국장 박종길

Page 6: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Page 7: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목 차

2013 추계학술대회 프로그램 1

I. 이광묵세션/전문교육 강좌 3

II. 기조 연제 발표 세션 13

III. 포스터 논문 발표 21

IV. 구연 발표 세션 79

V. 라운드테이블 103

Ⅵ. 기술홍보세션 113

공지사항 119

학술대회장 안내 122

숙박 안내 124

관광 안내 126

Page 8: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Page 9: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 1 -

이광묵세션 및 전문교육 (10/23(수) 10:00~10/24(목) 12:30)

이광묵세션-1• 강좌명: 산업위생학 개론 • 강사: 한국산업위생학회 • 강의실: 403호• 시간 10/23(수) 14:00~18:00 10/24(목) 08:30~12:30 (8시간)

이광묵세션-2 • 강좌명: 사내 하청 근로자의 작업 환경에 따른 유해인자 분석

및 적절한 호흡기 보호 체험• 강사: 손오택(한국3M) • 강의실: 404호• 시간 10/24(목) 10:00~12:00 (2시간)

전문교육강좌-1• 강좌명: Noise Monitoring: 기초부터 측정결과 해석까지• 강사: 박두용(한성대) • 강의실: 405호• 시간 10/23(수)10:00~18:00 10/24(목)08:00~12:00 (10시간)

전문교육강좌-2• 강좌명: 사업장 화학물질 관리를 위한 기초와 실제• 강사: 윤충식(서울대) • 강의실: 404호• 시간 10/23(수) 14:00~18:00 (4시간)

학술대회 프로그램

10/24(목)

12:00~13:30 등록(2층 강당 앞) 이사회(중앙정, 사회: 이경희 총무이사)

13:30~14:00

개회식(2층 강당) 국민의례 개회사(박동욱 한국산업위생학회장) 축 사(박종길 고용노동부 산재예방보상정책국장) 시 상(우수논문상, 감사패)

사회:하권철(학술이사)

14:00~14:20특별강연 정부의 산재예방 정책방향 (고용노동부 산재예방보상정책국 박종길)

14:20~15:20

기조연제발표(2층 강당)

1. 간접고용근로자와 산업안전보건(한국노동연구원 김기선) 2. 사내하청 근로자의 산업안전보건 관리방안(한성대학교 박두용) ※ 기조연제 발표 후, RT-1에서 종합토론과 추가 심층논의가 이어집니다.

좌장: 박정선(산업안전 보건연구원장)

15:20~16:00 포스터 발표(4층 휴게공간, 좌장 : 최상준, 김화일, 이나루, 김성렬, 김승원)

16:00~17:30

라운드테이블 구두발표 기술홍보

RT-1(2F강당)

RT-2(401호)

RT-3(402호)

RT-4(403호)

RT-5(404호)

OP-1(405호)

T-1(406호)

T-2(407호)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위생학회)

국소배기장치 성능규제의 적정성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작업환경측정기관

종사자 역량 강화(IESH

솔루션)

생물학적 유해요인의 노출평가

표준화 방안(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호흡보호구 밀착도 검사

제도(Fit Testing)

도입 필요성 및 방법 시연(가톨릭대, 인제대)

작업환경(좌장 윤충식)

New and Emerging IH Technologies(부성교역)

가스측정기 현황 및 활용법

(블루시스템)

17:30~18:10 - 총회(2층 강당) : 학회 내용 보고, 학회 정관 개정 등 사회: 이경희 총무이사

18:30~20:00 - 만찬(노블레스컨벤션웨딩홀) 사회: 조기홍 홍보이사

10/25(금)

10:00~12:00

라운드테이블 구두발표 기술홍보

RT-6(401호)

OP-2(402호)

OP-3(403호)

OP-4(404호)

OP-5(405호)

T-3(406호)

작업환경측정기관의 비전과 방향

(측정기관협의회)

안전보건관리(좌장: 문찬석)

유해인자 노출평가

(좌장: 변상훈)

유해위험성평가(좌장: 장재길)

측정분석(좌장: 김기연)

호흡기보호프로그램 및 정량적 밀착도

검사(에이피엠엔지니어링)

12:30~17:00 Technical Tour (새만금방조제 등 현장 답사)

Page 10: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Page 11: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 3 -

I. 이광묵세션/전문교육 강좌

○ 이광묵세션

1. 산업위생학 개론(한국산업위생학회) 2. 사내 하청 근로자의 작업 환경에 따른 유해

인자 분석 및 적절한 호흡기 보호 체험(한국3M)

○ 전문교육강좌

1. Noise Monitoring: 기초부터 측정결과의 해석까지(한성대 박두용)

2. 사업장 화학물질 관리를 위한 기초와 실제(서울대 윤충식)

○ 이광묵세션은 산업보건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학회 주관으로 개설되는 무료 강좌이며, 산업보건 분야에서 5년 이내의 경험이 있는 학회 회원과 학생 회원이 수강 대상임.

○ 전문교육강좌는 회원, 유관기관, 기업체 등이 회원들에게 전문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개설하는 강좌(PDC, Professional Development Course)임. 학회에서는 강의실 및 일부 편의시설을 제공하고 신청자는 강좌 개설비를 납부하여야 하며, 수강생에게 강사료를 받을 수도 있음.

Page 12: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Page 13: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I. 이광묵세션/전문교육 강좌

- 5 -

이광묵세션 및 전문교육강좌프로그램

♣ 일 시 : 10월 23일(수) 10:00 ~ 24일(목) 12:30

♣ 장 소 : 4층 강의실

일정 프로그램

10/23(수)

14:00~18:00

이광묵세션-1

(403호)

산업위생학 개론

(한국산업위생학회)

전문교육강좌-1

(404호)

Noise Monitoring: 기초부터

측정결과의 해석까지

10/23(수) 10:00~10/24(목)

12:00 (10시간)

(한성대 박두용)

전문교육강좌-2

(405호)

사업장 화학물질 관리를

위한 기초와 실제

(서울대 윤충식)

10/24(목)

08:30~12:30

이광묵세션-2

(405호, 10:00~12:00)

사내 하청 근로자의 작업

환경에 따른 유해인자

분석 및 적절한 호흡기

보호 체험

(한국3M 손오택)

Page 14: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6 -

강의시간 10/23(수) 14:00 ~ 10/24(목) 12:30 (8시간)

강 사

(소속, 직위)

박동욱(한국산업위생학회 회장) 등

4인

o 전화번호: 070-4177-9266

o E- 메일 : [email protected]

o 주 소 :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테헤

란로7길 한국과학기술회관 본관 206호

강좌

주요내용

o 강의내용 요약:

한국산업위생학회 회원들의 지식 강화를 위하여 학회에서 기획하여 학회 이사

들이 중심이 되어 회원들에게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본 교육 프로그램은 산

업보건의 초심자들을 주요 대상으로 산업위생의 기본 원리라고 할 수 있는 정

의 및 역사, 유해인자의 예측 및 인식, 측정 및 평가, 대책에 대해 강의한다.

o 강의내용 요약:

- 산업위생의 정의와 역사(박동욱 교수)

산업위생의 목적과 정의를 생각해보고, 산업보건의 외국과 우리나라의 역

사에 대해 정리하고 최근의 흐름에 대해 강의함.

- 유해인자의 예측 및 인식(학회 이사)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주는 유해인자의 종류(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물

리학적 유해인자 등)와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사업장 중심으로 어떻게 확

인하고 관리해야 하는 지에 대해 강의함.

- 측정 및 평가(학회 이사)

유해인자가 사업장에 존재할 때 근로자의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수준

인지를 평가하기 위해서 유해인자에 대한 측정 및 평가 방법에 대해 강의

함.

- 대책(학회 이사)

작업환경 중 유해인자가 존재할 때 이를 근로자의 건강에 영향을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으로 관리하기 위한 대책 원칙과 방법에 대해 강의함.

o 주요 대상: 산업위생개론에 관심이 있는 학회 회원

o 수강에 요구되는 사전지식 정도: 일반화학, 생물 등 기초과학

이광묵세션 1:산업위생학 개론

Page 15: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I. 이광묵세션/전문교육 강좌

- 7 -

강좌 명사내 하청 근로자의 작업 환경에 따른 유해인자 분석 및

적절한 호흡기 보호 체험

강의시간 10/24(목) 10:00~12:00 수강료(원)직장인: 없음학 생: 없음

강사 및 연락처(소속, 직위)

손오택(한국쓰리엠 책임연구원)

o 전화번호: 사무실) 031-8058-8448o E- 메일 : [email protected] 주 소 : 경기도 화성시 석우동 2-5, 한국쓰리엠

강좌주요내용

o 강의내용 요약: 국내 보호구 기술 활동 중 상담 지원을 한 사내 하청 근로자의 작업

유해인자를 분석하고, 적절한 호흡기 보호구 중 특히 전동식 마스크와 송기마스크의 체험 실습을 진행하여 방진 마스크와 방독 마스크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호흡기용 보호구의 적절한 사용 이해력 증진

1) 사내 하청 근로자의 작업 환경 및 사례 공유(1시간) 2) 전동식 마스크와 송기식 마스크 체험 실습(1시간)

o 주요 대상: 사내 하청 근로자에 관심 있는 회원, 전동식 마스크와 송기 마스크에 관심 있는 회원

o 수강에 요구되는 사전지식 정도:

이광묵세션 2:유해인자 분석 및 호흡기 보호 체험

Page 16: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8 -

강좌 명 Noise Monitoring : 기초부터 측정결과의 해석까지

강의시간 10/23(수) 10:00~ 10/24(목) 12:00

(10시간)

강사(소속,

직위) 및

연락처

박두용

(한성대학교 교수)

o 전화번호 : 사무실) 02-760-4325

o E- 메일 : [email protected]

강좌주요내용

o 강의내용 요약:

강의 대상 및 사전 지식 정도

소음의 기초와 측정에 대해 제대로 알고자 하는 사람

수강 후 수강자가 얻는 지식

산업위생분야에서 소음은 약방에 감초와 같다. 가장 많이 다루는 주제 중의

하나이며, 어느 현장에서든 늘 쉽게 접하는 대표적인 유해요인이다. 그래서

소음은 모두가 다 아는 것 같고, 쉬운 것 같이 느껴진다. 그러나 막상 조금

만 깊이 들어가면 우리가 아는 게 다가 아니라는 것을 안다. 더구나 우리 분

야의 업무가 대부분 소음을 측정하고 보고서 작성하기에도 바쁘다. 원리를

생각하고 데이터를 해석하고 전문지식에 깊이를 더해갈 기회를 갖기에는 시

간도 없고 그럴 기회도 잘 주어지지 않는다. 경력이 쌓일수록 전문가가 되어

야 하는데 오래 전 공부했던 이론이나 지식은 자꾸 잊어버리고, 새롭게 쏟아

져 나오는 측정기기와 새로운 정의 및 개념을 소개받을 기회는 많지 않다.

본 강의에서는 우리가 실무에서 직접 사용하고 있는 소음노출량계의 측정결

과에서 나타나는 Leq, TWA, Lavg, PEAK, Lmax, Lmin, Losha 등에 대해 그

의미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해석하는 것은 물론 그 동안 어렴풋이 알고 있었

던, dB, A- B- C-보정, phon, sone에 대해 알기 쉽게 정리하고 공부한다. 또

한 청력손실과 청력장해 판단법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이해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새로운 유럽의 소음노출량에 대한 정의 등 최근 소음기준에 대한 국제

동향을 소개하고 있다.

전문교육강좌 1:Noise Monitoring

Page 17: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I. 이광묵세션/전문교육 강좌

- 9 -

본 강의는 소음의 기초부터 측정까지 기본원리와 실무를 리뷰하고자 하는

산업위생실무자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소음을 직접 다루는

실무자는 물론 전반적인 산업위생업무를 총괄하는 관리자 및 사업장의 안전

보건관리자에게 적합할 것이다. 또한 미국산업위생기술사(CIH), 우리나라 기

술사 및 지도사를 준비하고자 하는 사람에게도 단시간에 소음을 리뷰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내용 요약 및 아젠다(필요시 별첨)

1. 소음의 물리학에 대한 완벽한 이해

- 음력, 음강도 및 음압, 그리고 음압수준과의 관계

- 소음의 뎃셈과 뺄셈

- 주파수 특성에 대한 이해와 계산 (옥타브밴드, 1.3 옥타브밴드)

2. 귀의 해부학적 구조와 생리학적 기능의 이해

- 외이, 중이, 내이의 구조 및 기능

3. 소리에 대한 귀의 반응과 감각의 크기

- dB, 등감곡선, phon, sone의 이해

4. 청력손실에 대한 이해

- 청력손실의 종류

- 청력손실의 측정

- 청력장해의 판정

5. 실내공간에서 소음의 전파

- 직접음과 간접음(반향음)의 이해

- 흡음과 흡음량 평가

- 직접음과 간접음의 측정 및 평가

6. 소음 및 소음노출량 측정 및 해석

- 소음측정의 표준

- 지시소음계에 의한 소음수준의 측정(기기의 종류 및 셋팅법)

- 소음노출량 측정 및 측정결과의 해석

수강인원최소 ( 5 ) 명

최대 ( 25 ) 명

수강자

준비사

공학용 계산기, 노트 두툼한 것 한권,

필기구

필요한

강의도구

강의용 컴퓨터 ( ○ ) beam projector ( ○ ) 칠판 ( ○ )

교재 인쇄 ( ○ ) 컴퓨터 실습실 ( ) 기타 ( )

Page 18: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10 -

강좌 명 사업장 화학물질관리를 위한 기초와 실제

강의시간 10/23(수) 14:00~18:00

강사(소속, 직

위) 및 연락처

윤충식

(서울대학교 교수)

o 전화번호: 사무실) 02-880-2734

o E- 메일 : [email protected]

강좌주요내용

o 강의내용 요약:

수강 후 수강자가 얻는 지식

사업장 화학물질관리를 위한 체계적이고 실질적 지식의 증가

화학물질 유해성 분류체계 지식 습득(발암성, 생식독성, 돌연변이성에

대한 각기관의 분류)

노출기준과 안전기준, 기타 화학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관계 파악(가스

상, 입자상, UEL, LEL, 휘발성, 냄새기준 등)과의 관계

영업비밀물질, 분해산물의 관리를 위한 방법

개정산안법에서 요구하는 도급업체와 수급업체의 화학물질 관리

내용 요약 및 아젠다(필요시 별첨)

화학물질 관리에 대한 환경부법과 고용노동부법

화학물질의 노출기준과 안전기준(UEL, LEL)의 관계

화학물질 특성 알아보기(노출기준과 휘발성, 냄새 한계, 환경기준, LC50,

LD50)

사업장 화학물질 관리 어떻게 할것인가?(도입금지, 제한물질, 일반관리

물질, 복합물질, 영업비밀물질, 분해산물 관리)

환경부 관심물질과 고용노동부 관심물질 (예, 내분비 교란물질 vs 발암

성 물질, 환경축적물질 vs 체내 축적물질, REACH관리 대상 물질)

도급업체와 수급업체의 화학물질관리 – 어디까지 책임질 것인가?(개정

된 산안법에 비추어)

전문교육강좌 2:사업장 화학물질 관리

Page 19: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I. 이광묵세션/전문교육 강좌

- 11 -

o 주요 대상 : 기업체 안전보건관리자, 측정기관 종사자, 화학물질 관리 관

심자

o 수강에 요구되는 사전지식 정도 : 산안법상 관리 화학물질의 특성

수강인원최소 ( 5 ) 명

최대 ( 50 ) 명

수강자

준비사항필기도구 등

필요한

강의도구

강의용 컴퓨터 ( ○ ) beam projector ( ○ ) 칠판 ( )

교재 인쇄 ( ○ ) 컴퓨터 실습실 ( ) 기타 ( )

Page 20: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Page 21: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 13 -

II. 기조 연제 발표 세션

○ 특별강연

산재예방 정부의 정책방향 박종길 고용노동부 산재예방보상정책국장

○ 기조연제

1. 간접고용근로자와 산업안전보건(한국노동연구원 김기선)

2. 사내하청 근로자의 산업안전보건 관리방안(한성대학교 박두용)

※ 기조연제 발표 후, RT-1에서 종합토론과 추가 심층논의가 이어집니다.

Page 22: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Page 23: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II. 기조 연제 발표 세션

- 15 -

수급사업주 ↔도급계약 도급사업주

근로계약관계 ↘↖

지휘명령관계 하도급 근로자

파견사업주 ↔근로자파견계약

사용사업주

근로계약관계 ↘↖ ↙↗ 지휘명령관계

파견근로자

간접고용근로자와 산업안전보건

♣ 일 시 : 10월 24일(목) 14:20 ~ 14:50

♣ 장 소 : 2층 강당

♣ 좌 장 : 박정선(산업안전보건연구원장)

♣ 발표자 : 김기선(한국노동연구원 부연구위원)

Ⅰ. 문제의 소재

○ 간접고용의 정의

- ‘간접고용’은 직접고용과 대비되는 개념으로서 “타인이 고용한 근

로자를 자신의 사업에 직접 편입시키거나 결합시켜 사용 또는 이

용하는 고용”을 의미하고, 외주, 용역, 도급, 파견 등을 포괄하기

위한 실무상의 관용적 용어

○ 간접고용근로자와 산업재해

○ 간접고용근로자의 산재발생위험이 높은 이유

Ⅱ. 사내하도급근로자의 산업안전보건

1. 사내하도급의 법률관계

※ 근로자파견의 법률관계

Page 24: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16 -

※ 도급과 근로자파견의 구별

- 파견법상 ‘근로자파견’에 해당하는지 여부 판단에 앞서 파견사업주, 수급인, 수임인 등(파

견사업주등)이 사업주로서의 실체를 갖추고 있는 지를 먼저 판단

- 사업주의 실체가 있으면, 사용사업주등과 파견사업주등이 도급 관계인지, 아니면 근로자파

견 관계인지를 판단

- 사용사업주등의 지휘·명령에 대한 판단 기준들을 종합 고려하여 실제로 파견인지 여부를

결정

- 작업배치·변경결정권, 업무 지시·감독권, 휴가, 병가 등의 근태 관리권 및 징계권 등이 주

요 판단기준

2. 도급사업 시 도급사업주의 안전보건조치

○ 도급사업 시 안전·보건조치를 취해야 할 대상사업(산안법 제29조 제1항)

- 사업의 일부를 분리하여 도급을 주어 하는 사업 또는 사업이 전문분야의 공사로 이루어져

시행되는 경우 각 전문분야에 대한 공사의 전부를 도급을 주어 하는 사업

- 도급사업주의 근로자와 수급사업주의 근로자가 같은 장소에서 작업

- 대통령령이 정한 사업(사무직에 종사하는 근로자만 사용하는 사업을 제외한 사업, 산안법

시행령 제26조 제2항)

※ 2013. 8. 6. 산안법 시행령 개정(2014. 1. 1. 시행) 이전에는 대상사업이 건설업과 산업

안전보건법 시행령 제23조 각 호의 사업, 즉 건설업과 1차 금속 제조업, 선박 및 보트 건

조업, 토사석 광업, 제1차 금속 제조업, 선박 및 보트 건조업을 제외한 제조업, 서적, 잡

지 및 기타 인쇄물 출판업, 음악 및 기타 오디오물 출판업, 금속 및 비금속 원료 재생업

으로 제한되어 있었음

○ 도급사업주가 취해야 할 산재예방조치(산안법 제29조 제2항)

3. 위험장소에서 작업 시 도급사업주의 산업재해예방조치

○ 산재예방조치를 취할 대상사업

- 수급인의 근로자가 산업재해 발생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작업

○ 산업재해예방조치의 내용

- 산업법 시행규칙에서 정한 사항을 제외하고 산업안전보건기준규칙에서 정한 사항

4. 안전․보건상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의 도급 시 도급사업주의 책임(개정 산안법 제29조 제5

항 및 제6항)

○ 산업재해예방조치를 취할 대상사업

- 화학물질 또는 화학물질을 함유한 제재를 제조․사용․운반 또는 저장하는 설비를 개조하는

등 안전․보건상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을 도급

○ 산업재해예방조치의 내용(산안법 제29조 제5항 및 제6항)

- 고용노동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안전․보건에 관한 정보 제공 등 필요한 조치

Page 25: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II. 기조 연제 발표 세션

- 17 -

5. 기타 도급사업주가 취해야 할 안전보건조치

○ 정기안전보건점검

○ 위반행위의 시정요구

○ 안전․위생적인 작업을 위한 준수사항

○ 수급인에 대한 위생시설 설치장소 제공 등

※ 그 밖에 산안법상 도급과 관련된 규정으로는 산안법 제18조(안전보건총괄책임자), 제

28조(유해작업 도급 금지), 제29조의2(안전․보건에 관한 협의체의 구성․운영에 관한 특례)

가 규정되어 있음

4. 사내하도급 근로자의 산업재해 발생시 도급사업주의 형사책임

○ 산안법상의 형사책임

- 도급사업주가 안전․보건조치에 위반한 경우 최대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적용

※고용노동부는 원청사업주의 형사책임을 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 벌금으로 상향

할 계획

○ 형법상의 형사책임

- 수급사업주 근로자의 생명․신체에 손해가 발생한 경우 업무상 과실치사상으로 처벌될 수

있음(형법 제268조)

- 그러나 사업주인 법인 또는 개인에 대하여는 처벌이 부과되지 않고, 감독의무자인 중간관

리자가 처벌되는 사례가 많음

Ⅲ. 개선방안

○ 도급사업주가 안전·보건조치를 해야 할 업종 및 의무범위의 확대

○ 유해·위험작업에 있어 도급사업주의 책임 강화

○ 산업안전보건과 관련한 근로자의 참여 강화

Page 26: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18 -

사내 하청 근로자의 산업안전보건 관리방안

♣ 일 시 : 10월 24일(목) 14:20 ~ 14:50

♣ 장 소 : 2층 강당

♣ 좌 장 : 박정선(산업안전보건연구원장)

♣ 발표자 : 박두용(한성대학교 교수)

1. 최근 문제의 제기현황

최근 화학물질 누출이나 폭발과 같은 대형 산재사고가 잇달아 발생

하면서 안전사고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과 함께 이에 대한 관심이 크

게 증가하였다. 최근에 발생한 중대산업사고의 공통적인 특징은 대기

업 사업장에서 발생했다는 점과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작업을

수행하던 근로자가 대부분 하청사업주가 고용한 하청근로자, 특히 사

내 하도급 근로자라는 점이다. 당연히 산재사고의 피해자도 하청근로자가 대부분이었다. 과거

에는 하청근로자의 산재 문제가 주로 건설업과 조선업에 국한된 문제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제

조업은 물론 서비스업에도 사내하청이 일반화되어 가는 추세이며, 일정 이상 규모의 사업장에

서 사내하청은 매우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양상이다.

사내하청과 관련된 산재사고가 잇따르고 국민적 관심사가 증가하자 노동계는 물론 언론과

국회 등에서 사내하청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 특히 산업안전보건법상 관련 규정의 개정

에 대한 필요성이 폭넓게 제기된 바 있다. 산업안전보건법상 사내하청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한

직접적인 조항은 제28조(유해작업 도급금지)와 제29조(도급사업 시의 안전·보건조치)이다.

본 발표에서는 이번 기회에 거시적인 측면에서 하청근로자의 안전보건을 위한 최근의 국내

논의와 해외 동향을 공유하고, 이러한 흐름을 바탕으로 향후 산업위생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작

업환경측정 및 관리 등에 관한 방안을 함께 모색해 보고자 한다.

2. 산안법 제28조 유해작업 도급금지

제28조의 유해작업 도급금지 조항은 1991년도 산업안전보건법 전면개정시 도입된 이후 그

동안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다가 최근 사내하청 근로자의 산재문제가 제기되자 새삼 주목을

받게 되었다. 특히 일부 국회의원실에서는 제28조의 구체적인 개정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산

업안전보건법에서 도급 금지에 관한 조항을 두고 있는 나라는 우리나라밖에 없다. 물론 28조가

도급금지라기보다는 엄밀하게 말하면 유해작업의 사내하청에 대한 인가규정이라고 할 수 있다.

Page 27: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II. 기조 연제 발표 세션

- 19 -

그러나 이와 같은 사내하청 인가규정도 외국에서는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다. 외국의 산업안전

보건법에 이와 유사한 규정을 찾아보기 힘들다면 일단 이러한 규제방식은 어떤 원칙에 맞지

않거나 실효성이 없는 방안일 가능성이 크며, 적어도 보편타당한 방법은 아닐 가능성이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사내하청의 산재문제나 사내하청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과

논의는 주로 제28조 유해작업의 도급금지 확대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지금까지 공식적으

로, 또는 비공식적으로 제28조와 관련된 개선방안은 크게 두 가지 정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특정한 유해위험작업에 대헤서는 아예 사내도급을 전면 금지하는 방안이며, 둘째는 특

정한 유해위험작업에 대해서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인가를 받지 않고서는 그 작업만을 분리하여

도급을 줄 수 없도록 하는 방안이다. 즉, 사실상으로는 특정 유해위험작업에 대해서는 인가를

받도록 하는 방안이다. 원론적인 측면에서 이러한 방안이 왜 잘 작동하지 않는지 몇 가지 측면

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사내하청과 관련된 사고가 늘어나고 있고, 일반적으로 힘들고, 어렵고, 더러운 작업을 분리

하여 하청을 주는 경향이 있으므로 하청근로자가 작업하는 공정에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하청사업주와 하청근로자는 일반적으로 원청에 비하여 안전보건관리 능력이 낮다.

따라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유해위험작업만 분리하여 그 부분만 하청을 주는 것

은 엄격히 제한하거나, 안전보건관리가 확보될 수 있는 일정한 사전적 조건을 갖춘 경우에만

허용하도록 하는 등의 제한을 가하는 것은 전체적인 사회공익적 측면에서 타당하다고도 볼 수

있다.

문제는 특정 유해위험요인에 대해 사내도급을 금지한다면 어떠한 유해위험요인 또는 작업에

대해 사내도급을 금지할 것인지, 그리고 특정 요인에 대하여 인가를 받도록 한다면 어떠한 유

해위험요인이나 작업에 대하여 인가를 받도록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나 자료가 충분하지 않다

는 점이다. 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 있다는 점이다. 또한 인가를 받도록 한다면 무엇을 인

가조건으로 할 것인지, 평가기준은 무엇이며, 누가 어떻게 평가를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나 검

토도 제대로 이루어진 적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유해위험요인 또는 유해위험작업에 대한 사내도급금지 또는 도급시 인가를 받도록 하는 사

안에 대해서는 일반 국민은 물론 이러한 규제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되는 사업장에서

는 그 관심도가 매우 높다. 또한 금지나 인가를 직접 책임져야 할 정부에서도 맹 중차대한 사

안이 아닐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 바가 거의 없고,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 적도 거의 없다. 그 이유는 그 동안 산안법 제28조는 매우 제한적으로 적용되

어 사실상 거의 사문화되다시피 해 왔기 때문이다. 2013년 8월 현재, 산안법 제28조의 주요 적

용대상인 도급작업의 경우, 고용노동부의 조사에 의하면 전국에 도급작업을 보유하고 있는 사

업장은 29개소 중에서 직영을 하고 있는 사업장이 18개소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내도급을

주고 있는 사업장은 모두 11개소로 이 중 10개소가 고용노동부의 인가를 받아 사내도급을 주

고 있었고, 1개소는 소사장제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금까지 도금작업에 대해

고용노동부의 인가를 받아야 하는 사업장 대상이 10개소 정도에 불과하였고, 그러한 사업장은

이미 고용노동부의 인가를 받은 상태에 있었으므로 별도로 논란이 되거나 문제가 될 사안이

아니었던 것이다. 물론 산안법 제28조가 최근 사내도급과 관련된 사고예방에 기여를 했는가,

Page 28: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20 -

즉 적용대상 등이 적절했는가 여부 등의 문제는 별개의 사안으로, 이러한 측면에서의 문제 제

기는 극히 최근의 일이다.

3. 산안법 제29조 도급사업 시의 인전․보건 조치

산안법상 사내하청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한 또 하나의 직접적인 조항은 제29조의 도급사업

시의 안전보건 조치이다. 이 조항은 내용적으로 사내도급에 국한하고 있으며, 도급사업주의 책

임을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조항의 제목을 ‘사내도급 시 도급사업주의 의무’와 같이 했으면,

이 조항의 의무주체, 보호법익, 목적 등이 명확하게 드러날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내용에 앞서

서 법의 취지와 관점이 보다 분명하게 드러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이 조항은 산안법

상의 여러 의무조치 또는 일반적인 하청근로자의 안전보건관리의 의무에 대해, 도급사업주와

하청사업주 중에서 누가 이행하여야 하는가를 규정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점에 명확하게 규정

되지 않으면 법체계상 문제가 발생하며, 현장에서도 혼란이 올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가장

큰 문제는 하청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이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게 되기 쉽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재의 산안법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개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앞

으로 이에 대한 개정 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기회를 통하여 산업위생 측면에서는

어떠한 사안이 개정되어야 하고 어떤 방향으로 개정되어야 하는지 논의의 출발점이 될 수 있

도록 문제점과 개정방안을 공유하도록 한다.

4. 외국의 사례

하나의 사업장에 여러 사업주가 혼재하는 경우, 여러 사업주에 소속된 근로자를 안전과 보

건을 확보하기 위해 외국에서는 산안법에서 어떠한 방식을 취하고 있는지, 그로부터 시사점을

얻기 위해 몇 가지 사례를 간략히 소개한다.

5. 원칙과 도 다른 대안의 모색

우리나라 산업안전보건법은 지나치게 노동법에 포획 또는 종속되어 있다. 이러한 체계로는

현재 우리나라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사고나 직업병 문제를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어려운 측면

이 많다. 더구나 이제 우리나라의 사고나 직업병은 그 원인이나 결과를 복잡성과 규모 그리고

심각성으로 볼 때 개인 및 개별적인 기업의 차원을 넘어 사회 및 국가적 차원의 구조적인 문

제가 되어 버렸다. 우리나라 사내 하청근로자의 안전보건 문제는 기본적으로 불법 또는 편법적

인 사내하청(소위 말하는 위장도급) 또는 그 경계선에 있는 사내하청에서 비롯되는 것들이 많

다. 이점은 현재 문제가 꼬일 대로 꼬여 노동법 체계에서 쉬게 풀지 못하고 있으며, 당분간 풀

릴 기미도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현실적인 측면에서는 물론 최근 산업안전보건 문제의 특성변화 등을 기반으로 판단

할 때, 산업안전보건법은 노동법과 체계를 달리하는 안전보건에 기반한 법으로의 전환이 필요

할 것이다.

Page 29: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 21 -

III. 포스터 논문 발표

○ 작업환경

○ 안전보건관리

○ 유해인자 노출평가

○ 유해위험성 평가

○ 측정분석

연구, 기술개발 내용에 대해 회원들을 대상으로 포스터로 발표하고 의견을 교환하는 세션

Page 30: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Page 31: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Ⅳ. 포스터 논문 발표

- 23 -

포스터 논문 발표 프로그램

♣ 포스터 부착 일시 : 10월 24일(목) 11:00 ~ 25일(금) 12:00

♣ 발표자 대기시간 : 10월 24일(목) 15:20~16:00

♣ 장 소 : 4층 휴게실

포스터 번호 분 야 좌 장

P-01~P-11 작업환경 최상준 교수(대구가톨릭대)

P-12~P-25 안전보건관리 김화일 교수(부산가톨릭대)

P-26~P-47 유해인자 노출평가 이나루 박사(산업안전보건연구원)

P-48~P-62 유해·위험성 평가 김성렬 교수(순천향대)

P-63~P-81 측정분석 김승원 교수(계명대)

※ 포스터 논문 발표는 학회 회원분들과 좌장의 평가를 통해 각 분야별로 1~2편의

우수 논문상을 선정하게 됩니다.

Page 32: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24 -

작업환경

♣ 좌 장 : 최상준 교수(대구가톨릭대학교)

P-01 반도체 산업 근로자를 위한 작업환경관리 매뉴얼 개발

박승현†, 정은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02 아노다이징 공정의 후드 개선에 관한 수치 해석적 연구

서회경, *정유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금강환경이엔지

P-03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그라비아 인쇄 공정의 후드 개선에 관한 연구

서회경, *정유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금강환경이엔지

P-04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파우더 계량공정의 후드 최적화 설계방안에 관한 연구

서회경, *정유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금강환경이엔지

P-05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흄후드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서회경, *정유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금강환경이엔지

P-06 폐암 발생 페인트 배합공의 작업장 노출평가 및 호흡기보호구 밀착도 검사

김부욱†, 김대호, 이경민

근로복지공단 직업성폐질환연구소

P-07 군부대 귀마개 착용 여부 및 귀마개 밀착도 실태 조사

주묘경†, *황성호

한국쓰리엠 *아주대학교 직업환경의학과

Page 33: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Ⅳ. 포스터 논문 발표

- 25 -

P-08 밀폐형 돈사 작업장의 전체 환기율 변화가 가스상 오염물질 실내 농도에 미치는 영향

김기연†, *고한종, **송정민, 오성업

부산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청축산정책과/대한민국 **제주대학교화학과/대한민국

P-09 주물 제조 사업장 주입 공정의 국소배기 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정종현†, *정유진, **이상만, 배혜정, 피영규, ***손병현

대구한의대학교 보건학부 *금강환경이엔지**(주)IESH 솔루션 ***한서대학교환경공학과

P-10 조대입자 전처리용 제진기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김규철, 박상오, 김두열, *정유진, **정종현, ***손병현†

녹색환경기술 *금강환경이엔지**대구한의대학교보건학부***한서대학교환경공학과

P-11 자동차 검사 근로자의 소음노출 특성

장재길†, 박해동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age 34: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26 -

P-01

P-02

포스터 논문 요약작업환경 분야

반도체 산업 근로자를 위한 작업환경관리 매뉴얼 개발

박승현†, 정은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반도체 공정별 유해요인 노출특성을 고려하여 반도체 산업 근로자를 위한 작업환경관리 매뉴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반도체 제조공정을 특성에 따라 세부공정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공정별로 유해요인 노출특성과 건강영향, 근로자 건강보호를 위한 작업환경관리 방안 등을 검토하였다. 반도체 산업 근로자의 건강보호를 위해 관리하여야 할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반도체 사업장에서는 다양한 공정에서 많은 화학물질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의 특성에 따라 적정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고 작업을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법적 관리대상 유해인자는 아니지만 여러 공정에서 자극성·독성 물질 등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관리도 필요하다. PM작업 과정에서 세척액, 잔류가스, 부산물 등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장비내의 잔류물질을 충분히 배기하고, 개인보호구를 착용하고 작업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용액보충, 배관점검 등의 과정에서 화학물질 누출로 인해 급성중독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안전한 방법에 따라 작업하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다. PM작업은 협력업체 근로자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들 근로자에 대해서도 교육 및 작업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온주입 공정에서는 비소가 발생할 수 있고 미량이지만 벤젠과 포름알데히드 등도 일부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장비커버를 열거나, PM작업을 위해 반응챔버 등을 열어야 하는 경우에는 보호구 착용, 잔류물질 배기, 국소배기장치 사용 등을 통해 근로자가 발암물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다. 전리방사선 노출 우려가 있는 장소에 근로자를 종사하도록 하는 때에는 방사선 관리구역을 지정하여 운영하여야 하며, 관리구역에는 방사선량 측정용구의 착용, 방사선 업무상의 주의사항 등을 근로자가 보기 쉬운 장소에 게시하여야 하고, 인터록장치는 근로자가 임의로 그 기능을 해제하고 사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매뉴얼은 반도체 사업장 근로자, 안전보건관리자 등이 반도체 공정별 유해요인 노출특성을 이해하고 근로자 건강장해 예방을 위한 지침서로 널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아노다이징 공정의 후드 개선에 관한 수치 해석적 연구

서회경, *정유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금강환경이엔지

산세조에 설치된 후드의 배기유량 부족을 확인하고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수세조 표준환기방안 자료 및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을 이용하여 두 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공정을 부스화시켜 오염물질의 외부 확산을 방지하고 산세조의 양족 측면 슬롯후드를 push-pull 방식으로 개선하여 오염물질을 제어할 수 있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push-pull 방식의 경우 후드 플랜지를 연장하고 댐퍼를 조정하여 배기유량을 조절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age 35: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Ⅳ. 포스터 논문 발표

- 27 -

P0P-040

P-03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그라비아 인쇄 공정의 후드 개선에 관한 연구

서회경, *정유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금강환경이엔지

본 연구 대상은 그라비아 인쇄 공정으로 8대의 인쇄기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8도기 형태로 인쇄기 각각에 히터가 설치되어 1차 건조를 거친 후 다음 인쇄기로 넘어가고, 8도 인쇄가 모두 완료된 후 최종 2차 건조를 하는 방식으로 운전되고 있었다. 인쇄기에 후드가 설치되어 있긴 했으나 후드가 바닥 부근에 설치되어 있어 인쇄 시 발생하는 악취를 제어하기 어려우며, 더구나 송풍기 가동 소음으로 인하여 인버터를 설치하여 송풍기 유량을 줄인 상태(30Hz에서 상시 운전)로 운전하고 있어 작업자의 호흡영역을 보호하기는 더욱 힘든 상태였다. 그라비아 인쇄 공정 후드의 배기유량 부족과 후드 위치 불량을 확인하고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을 이용하여 두 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인쇄기 상부 다중 슬롯 후드 및 인쇄조 포위식 후드를 추가 신설하고 전체 공정을 부스화시킴으로써 작업자 호흡영역에서의 오염물질 농도를 약 70% 정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각 인쇄기 측면에 출입 및 보충공기 확보를 위해 개구부를 설치하고 기타 장비 보전 등에 필요한 구간에 개구부를 설치한다면 공정의 부스화로 배기효율 향상 및 오염물질이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파우더 계량공정의 후드 최적화 설계방안에 관한 연구

서회경, *정유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금강환경이엔지

본 연구 대상 공정은 분체도장의 원료를 배합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파우더 형태의 원료를 수작업으로 계량하는 작업이었다. 작업자는 포대 및 용기에 담겨진 파우더를 계량용 용기에 담아 혼합, 계량하고 이동식 대차로 silo로 이송시키는 작업을 하고 있었다. 다양한 분말을 다량으로 혼합 및 계량, 대차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분진이 상당량 발생하고 있었으나 국소배기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을 이용하여 파우더 계량공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제어하기 위해 부스식 후드를 설치하고 최적의 기류흐름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하방배기와 상부급기의 기류흐름 조건에서 작업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호흡영역에서의 분진농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부스식 후드의 최적 기류흐름 조건하에서 부스 측면에 개폐가 용이한 주름문을 부착하고 하방배기를 위한 플레넘 및 그레이팅 설치 등의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파우더 계량공정의 작업환경이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age 36: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28 -

P00P-05

P00P-06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흄후드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서회경, *정유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금강환경이엔지

실험실에서 이용하고 있는 흄후드는 각종 유기용제와 분진류, 산 및 알칼리류, 생물학적 위험물질 등을 취급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흄후드 설계시 공기역학적 유입특성을 필수적으로 고려하고 후드 내부의 유체 흐름의 특징을 충분히 파악하여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더불어 배기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부적인 요인에 대해서도 충분히 검토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 대상의 흄후드는 개구면에서 균일한 배기 흐름을 갖기 위해 2-slot 타입의 배플이 장착된 구조였으며, 작업자 위치 상부에 공조 급기구가 설치되어 보충공기 공급과 함께 작업자의 호흡 영역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공조 급기유속이 너무 빨라서 오히려 흄후드의 배기 흐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바, 본 연구를 통해 전산유동해석(CFD :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기법을 이용하여 흄후드의 운전 조건에 따른 현상 및 문제점을 정확히 분석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급기 연동 구동이라는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후드의 배기성능이 오히려 저하되고 있어 이에 급기 목적 및 운전 상황에 따라 현재 문제점 해소를 위한 3가지 대안을 마련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함으로서 배기효율이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폐암 발생 페인트 배합공의 작업장 노출평가 및 호흡기보호구 밀착도 검사

김부욱†, 김대호, 이경민

근로복지공단 직업성폐질환연구소

본 연구에서는 20년간 페인트 제조공으로 근무 중 발생한 폐암의 업무상 질병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역학조사의 일환으로 작업장 노출평가 및 해당 근로자에 대한 호흡기 보호구 밀착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시 채취한 벌크시료에서 탈크 중 결정형 실리카(석영), 안료(녹색, 노랑색) 중 6가크롬 함유를 확인함에 따라, 탈크 배합작업과 안료 배합작업에 대하여 각각 하루씩 총 2일간 6가크롬 및 호흡성 결정형 실리카(Repirable crystalline silica) 측정을 실시하였다. 공기중 6가크롬의 측정 및 분석은 NIOSH 7605 방법에 따라 PVC 여과지에 총분진을 채취한 후 이온크로마토그래피(IC-UVD)로 분석하였고, RCS 측정 및 분석은 NIOSH 7500 방법에 따라 사이클론(고유량, 4.2LPM)으로 호흡성 분진을 채취 후 X선회절분석기(XRD)로 분석하였다. 또한 재해자에 대하여 지난 20년간 주로 착용한 방진2급 마스크와 최근에 착용한 방진1급 마스크 2종류에 대하여 Fit test(Portacount, TSI 8038, United State)를 실시하여, 마스크 착용 효과도 평가하였다. 탈크 배합작업시 RCS 농도는 0.061 ㎎/㎥(개인시료)이었고, 2 m 떨어진 위치의 지역시료는 0.008 ㎎/㎥ 이었다(기타 대조군은 ND). 개인시료의 RCS 농도는 고용노동부 노출기준인 0.050 ㎎/㎥을 초과하고, ACGIH TLV인 0.025 ㎎/㎥을 2배 이상 초과하는 높은 농도였다. 안료 배합작업시 6가크롬 농도는 0.033 ㎎/㎥(개인시료, 8hr-TWA 환산치)로써 고용노동부 노출기준(불용성 6가크롬)인 0.010 ㎎/㎥을 약 3배 초과하였다. 한편 안료 배합기에서 1 m, 1.5 m 떨어져 1.5 m 높이에서 측정한 지역시료 농도도 각각 0.033 ㎎/㎥, 0.021 ㎎/㎥으로써 노출기준을 초과하는 높은 농도였다. 재해자에 대한 호흡기보호구 밀착도검사 결과, (Overall) Fit Factor는 2급 마스크 착용시 ‘15’, 1급 착용시 ‘25’로써 미국산업안전보건청(OSHA) 반면형 마스크 Pass Value인 ‘100’에 크게 미치지 못하였다. 페인트 원료 배합 작업시에는 탈크 중 결정형 실리카와 안료 중 6가크롬에 고농도로 노출된다. 또한 방진마스크는 1급, 2급 모두 안면부 누설이 심각하여, 착용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Page 37: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Ⅳ. 포스터 논문 발표

- 29 -

P00P-07

P0P-080

군부대 귀마개 착용 여부 및 귀마개 밀착도 실태 조사

주묘경†, *황성호

한국쓰리엠 *아주대학교직업환경의학과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군대에서 사용하는 청력보호구 사용 실태를 파악하여 어떤 문제들이 있는지를 파악하고 실제 사용하는 보호구의 사용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잘 사용하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육군 및 공군을 대상으로 착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 육군 중 16%는 귀마개를 착용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귀마개를 착용할 때의 불편함으로 대화하기 힘든 점을 꼽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군전용으로 개발된 귀마개 및 통신용 귀덮개가 있으므로 국내 도입을 추천한다. 또한 귀마개 밀착 검사 결과, 보호구 착용 교육을 받은 군인일 수록 귀마개 밀착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력 보존 교육 프로그램을 훈련소 훈련 과정 중 1시간을 배정하고, 귀마개를 착용하는 실습 시간을 포함시켜야 한다. 자대 배치 후에는 소음이 발생하는 장소 주변 게시판에 청력 보호 포스터 및 팜플렛을 게시하면서 지속적인 관심을 유발하도록 권장하도록 한다. 또한, 자대 내 교육 시간 중 청력 손실 예방 동영상, 소음과 인체 유해성 동영상 등을 상영하면서 소음의 유해성을 경각심을 고취시킨다.

밀폐형 돈사 작업장의 전체 환기율 변화가 가스상 오염물질 실내 농도에 미치는 영향

김기연†, *고한종, **송정민, 오성업

부산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청축산정책과/대한민국 **제주대학교화학과/대한민국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실험목장에 위치하고 있는 밀폐형 육성/비육돈사 작업장 (20m×12m×3m)에서 수행되었다. 2012년 3~5월 기간 중 3가지 전체 환기율 조건을 설정하여 각 처리구별로 15일, 총 45일 동안의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작업자의 호흡 위치에 해당되는 바닥으로부터 1.2m 위치에 총 6개의 측정 지점을 선정하여 지역 시료를 채취하였고, 시료 채취시 돼지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철근 받침대로 공기 시료 샘플러를 보호하였다. 측정 대상 가스상 오염물질로 암모니아, 황화수소, 악취 농도 지수를 선정하였다. 측정 시간대는 오전 9시에서 오후 5시로 발생 농도 상황에 따라 30분~1시간 동안 공기 시료를 포집하는 방식으로 3.5시간 간격으로 총 3번 채취하여 분석한 평균값을 대푯값으로 하였다. 현장 평가된 돈사 작업장 전체 환기율의 3가지 조건은 30% (4.12㎥ s-1), 50% (6.87㎥ s-1), 70% (9.61㎥ s-1)로서, 각 처리 조건을 동일시 하기 위해 매일 번갈아 가며 실험하였다. 암모니아, 황화수소, 악취 농도 지수 모두 각 환기율 조건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조사되었다 (p<0.05). 환기율의 변화에 따른 각 가스상 오염물질의 농도 변화를 직선회귀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측정 대상 모두 환기율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5). 실험 결과, 밀폐형 돈사 작업장에서 부유하고 있는 가스상 오염물질은 환기에 의해 형성된 공기 흐름 패턴에 잘 부합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age 38: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30 -

P00P-09

P0P-100

주물 제조 사업장 주입 공정의 국소배기 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정종현†, *정유진, **이상만, 배헤정, 피영규, ***손병현

대구한의대학교 보건학부 *금강환경이엔지**(주)IESH 솔루션 ***한서대학교환경공학과

주물 제조공정 중에서 주입공정은 용융된 금속을 주형에 주입하는 작업공정이며, 용해로에서 용융된 금속을 래들에 옮겨서 주형틀이 있는 곳까지 이동하여 주형틀에 주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물 제조 공정 중에서 가장 공정 형태가 다양하고 주입 과정에서 주형틀 및 래들을 통해 흄이 다량 배출되는 특징을 가진다. 본 연구대상 공정은 주형틀과 래들에서 발생하는 흄을 모두 제어하기 위해 부스 형태의 포위식 후드를 운용하고 있었으며, 부스 측면과 상부는 래들의 이동 및 크레인 이송 작업을 위해 개구되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산유동해석 기법(CFD : Computational Fluid Dynamics)을 이용하여 현재 주입 공정에 설치되어 있는 포위식 후드의 제어 능력을 검토하고, 성능 개선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현재 상태를 모사한 결과, 크레인 이송을 위한 부스 상부 개구부를 통해 다량의 흄이 비산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이는 실제 현장에서도 유사하게 흄이 비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후드 구조에서 배기량을 정격 사양 및 그 이상으로 증가시키더라도 매우 빠르게 상승(흄 상승속도 약 6~8 m/s, 예측치)하는 흄을 제어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어 후드 형태에 대한 개선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부스 상부 개구부에 Push-pull 형태의 에어커튼을 형성시켜 빠르게 상승하는 흄을 차단하는 방식의 구조 개선을 제안하였으며, 이에 대한 개선 효과를 예측한 결과 Push측 급기량을 250 m3/min, Pull측 배기량을 정격 수준인 3,000 m3/min으로 회복시킬 경우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정 실태를 모사하여 문제점을 정확히 분석하였고, 이에 대한 적절한 제어 대책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팀에서 제시한 개선 방안 적용시 원활한 흄 제어가 가능할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배기량의 경우 기계적 노후에 따른 유량 저하 문제와 함께 모터 교체 등을 통해 충분히 정격 수준의 유량 회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므로 현장 적용 가능성은 충분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대입자 전처리용 제진기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김규철, 박상오, 김두열, *정유진, **정종현, ***손병현†

녹색환경기술 *금강환경이엔지**대구한의대학교보건학부***한서대학교환경공학과

본 기술은 다양한 입경분포를 갖는 분진 다량 발생 공정에 적용하여 조대입자를 선행 제어함으로서 후단에 위치하는 고효율 미세입자 제진 장치인 여과집진기의 효율 향상을 통한 대기질 개선 및 여과포 수명 연장을 통한 관리 비용 절감, 차압 최소화를 통한 동력비용 절감, 기타 설치부지면적 확보 난항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발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산유동해석(CFD :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기법을 통해 개발 기술의 기류 흐름 및 입자 직경별 분리 효율에 대한 선행 검토를 수행하여 입자 분리기전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추후 개발 기술 성능의 주요 영향 변수 도출을 위한 세부 형상 및 구조 설계인자 도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산유동해석(CFD :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기법을 통해 개발 기술의 기류 흐름 및 입자 직경별 분리 효율에 대한 선행 검토를 수행하여 입자 분리기전의 가능성을 확인한 결과, 10㎛ 이상의 조대입자의 원활한 분리가 가능할 것으로 검토되었다. 본 결과물을 토대로 추후 개발 기술 성능의 주요 영향 변수 도출을 위한 세부 형상 검토 및 구조 설계인자 도출을 통해 최종적으로 처리용량별 제원을 표준화시키고자 한다.

Page 39: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Ⅳ. 포스터 논문 발표

- 31 -

P0P-110

자동차 검사 근로자의 소음노출 특성

장재길†, 박해동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원

일정기간을 경과한 자동차는 도로 주행 중의 자동차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배기가스에 의한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지정된 항목에 대해 주기적으로 검사를 실시하도록 법으로 규정되어 있다. 자동차에 대한 검사는 하루에 상당한 차량을 대상으로 검사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해당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는 다양한 유해물질과 소음 등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 전국에 소재하는 자동차 검사소 중 6개소를 선정하여 소음에 노출되는 정도를 조사하였다. 지역과 개인시료의 차를 분석해 본 결과 검사소에 따라 유의한 통계적 차이가 보이는 곳도 있는 반면 차이가 없는 곳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개 검사소에서 측정된 소음의 자료를 기준으로 ANOVA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ACGIH와 고용부/OSHA의 기준에 따른 측정 모두에서 통계적 차이를 보였다. 전 검사소를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97개의 측정자료 중에서 고용부/OSHA의 노출기준 90 dB(A)를 초과한 경우는 없었으나 ACGIH의 노출기준 85 dB(A)를 넘는 경우는 15건이 발생하여 약 15.5%의 초과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개인보호구 착용 등을 통해 소음성난청의 발생을 예방할 필요성이 있었으며, 특수건강진단 등을 통해 유소견자를 관리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F 검사소의 경우는 44.4%의 초과율(18건 중 8건이 초과)을 나타내어 작업환경 개선이나 일일 검사되는 차량의 대수를 줄이는 등의 작업관리를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40: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32 -

안전보건관리

♣ 좌 장 : 김화일 교수(부산가톨릭대학교)

P-12 최근 8년간(2005년-2012년)산업재해로 요양 승인된 직업성 정신질환 현황

박재오†, 고동희†, 김대성†, 변기환†, 김지혜†, 박철용†, *이경혜†, **류은광†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부산대학교의학전문대학원**고신대학교복음병원

P-13 산업안전보건법 관리대상유해물질 중 유기화합물의 급성경피독성 조사

조지훈†, 이종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14 국내 특별관리물질 지정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이권섭, 홍문기†, 이종한†, 송세욱†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15 발암성물질 함유 화학제품의 물질안전보건자료 신뢰성 평가

홍문기, 송세욱†, 이권섭†, 최성봉†, 이종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16 화학제품에 대한 MSDS Hub 시스템 구축 및 운영

이혜진†, 이권섭, 이종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17 전력반(power panel)에서 발생되는 극저주파 전자기장 측정 사례 보고

김갑배†, 정은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18 한국과 영국의 화학물질 노출기준 제도 및 제정 절차에 관한 연구

신용철†

인제대학교 보건안전공학과

Page 41: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Ⅳ. 포스터 논문 발표

- 33 -

P-19 국내 황산의 GHS 분류 등에 대한 정확도 조사

박진우†, 이종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20 노출시기별 과거 벤젠 노출 수준 추정

박동욱†, *최상준, **하권철, ***류승훈, 이경국, 정혜정, ****이경민, *****김수근, ******강동묵, *******유계묵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창원대학교 보건의과학과***고

려대학교보건대학원****근로복지공단 직업성폐질환연구소*****성균관의대직업환경의학교실******부산대

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및산업의학교실*******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21 인천지역 돌봄 근로자들의 직업건강실태에 관한 연구

박인효†, *황정호, *김인아, *정필균, *석홍덕, *김미애, *노재훈

인천근로자건강센터 *연세대학교보건대학원

P-22 제3차 근로환경조사(KWCS):질병으로 인한 결근과 비결근에 대한 분석

조윤호†, 김영선, 이관형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23 제2차 근로환경조사(KWCS):한국과 유럽국가간 비교

김영선†, 오민정, 이관형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24 화학물질의 관리를 위한 노출기준의 이해

신동하, 이지은, 김유나, 이용우, 함승헌, 윤충식†, *하권철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창원대학교자연과학 대학보건의과학과

P-25 산업위생지도사 제도에 대한 산업위생학회 회원들의 인식도 조사연구

염주, 박두용†

한성대학교 대학원 산업위생공학전공

Page 42: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34 -

P00P-12

P0P-130

포스터 발표 논문 요약안전보건관리 분야

최근 8년간(2005년-2012년)산업재해로 요양 승인된 직업성 정신질환 현황

박재오†, 고동희†, 김대성†, 변기환†, 김지혜†, 박철용†, *이경혜†, **류은광†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부산대학교의학전문대학원**고신대학교복음병원

정신질환은 유병율이 매우 높은 질환이다. 2006년 정신질환 실태조사에서, 국민 중 30.2%는 평생 한 번 이상 정신장애를 앓은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 질환에 대하여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그 단면에 포함된 직업성 정신질환에 대한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전산망에서 통계 재해자 리스트를 통하여 2005년부터 2012년 까지 8년간 직업성 정신질환으로 요양 승인된 218건을 일반적인 특성과 추가적인 분석을 통하여 현황을 제시하고자 한다.

산업안전보건법 관리대상유해물질 중 유기화합물의 급성경피독성 조사

조지훈†, 이종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최근 2011 및 2012년 두 해 연속으로 산업현장에서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이하 TMAH)에 의한 중대 산업재해가 발생하였다. TMAH는 암모니아 냄새가 나는 무색의 액체 또는 수화한 형태의 고체로서 전자산업 등에서 현상액이나 세척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응집을 방지하기 위한 계면활성제로도 사용되고 있다. TMAH에 의한 사고가 특히 주의를 끄는 것은 불과 10분 내외의 짧은 노출이 피부를 통해 이루어져 사망에 이르게 했다는 점이다. TMAH는 GHS(의 유해성 분류기준을 적용할 경우 급성경피독성 구분 2로 분류될 수 있는 물질이다. 현재 산업안전보건법의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규칙상에서 관리대상유해물질로 관리되고 있는 유기화합물은 벤젠 등 113종이다.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420조에서는 관리대상유해물질을 “법 제24조제1항제1호에 따른 원재료·가스·증기·분진 등으로서 유기화합물, 금속류, 산·알칼리류, 가스상태 물질 류 등 별표 12에서 정한 물질”로 하고 있을 뿐 각 물질의 구체적인 유해성 정보의 전달은 사업주로 하여금 하고 있다. 관리대상유해물질은 산업안전보건법에 규정되어 작업장 근로시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규칙에 규정된 대로 근로자에 대한 노출을 저감하도록 하고 있으나, 유해의 정도나 경로에 대한 정보가 없거나 잘못된 경우 건강장해를 예방하는 조치가 효과적이지 않기 쉽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GHS 분류 기준에 따라 관리대상유해물질 중 유기화학물에 대한 급성경피독성 유해성을 조사하여 제공함으로써 해당 물질에 대한 이해의 정도를 높이고 산업현장에서 사용 시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Page 43: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Ⅳ. 포스터 논문 발표

- 35 -

P-15P00

PP-1400 국내 특별관리물질 지정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이권섭, 홍문기†, 이종한†, 송세욱†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최근, 유럽연합과 일본을 중심으로 독성시험자료 등을 이용한 화학물질 분류와 표지에 대한 세계적인

조화시스템(UN GHS)의 분류기준에 의한 유해성평가를 실시하고, 근로자 노출을 반영한 과학적인 위험성평가

결과에 근거하여 국가 관리 화학물질에 대한 규제수준을 재검토하는 연구와 제도 개선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고용노동부에서도 산안법 상 금지, 허가, 관리대상, 작업환경측정대상 및 노출기준 설정 등 국가차원의

화학물질관리를 위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화학물질의 유해성·위험성 평가 사업』추진하고 있으며, 화학물질의

유해성·위험성 평가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화학물질의 유해성·위험성 평가에 관한 규정」을 제정하여

화학물질의 독성에 대해 조사·분석하여 인체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을 추정하는 유해성·위험성 평가를 실시토록 하고

있다. 또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화학물질에 대하여 규제에 따른 사회적·경제적 비용과 편익에 대한

타당성·적합성을 조사·분석하는 사회성·경제성 평가를 실시하여 산업안전보건법 상 국가 관리 화학물질에 대한

규제수준을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고용노동부에서는 2011년부터 실시된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의 유해성·위험성 평가

및 사회성·경제성 평가 결과를 근거하여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관리되고 있던 관리대상 유해물질 중

발암성물질을 “특별관리물질”로 변경하여 규정하였다. 관리대상 유해물질 중에서 근로자의 건강장해가 우려되는

CMR(발암성, 변이원성, 생식독성) 물질이며, UN GHS 건강 유해성 분류결과 CMR의 구분1A, 1B로 분류되는

유해화학물질을 중심으로 특별관리물질 지정관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지정된 특별관리물질 현황과

지정된 근거를 조사하고, 추가적인 특별관리물질 지정의 방향성을 제시하여 특별관리물질에 대한 관리체계 개선에

관련된 산업안전보건 분야의 화학물질관리의 제도보완 및 미래 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책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발암성물질 함유 화학제품의 물질안전보건자료 신뢰성 평가

홍문기, 송세욱†, 이권섭†, 최성봉†, 이종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화학물질이 가지는 유용한 특성으로 생활 주변뿐 아니라 제조업, 건설업, 기타 서비스업 등 산업 현 장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화학물질은 유용한 용도에도 불구하고 고유의 유해성·위험성으로 인하여 산업현장의

취급 근로자는 항상 폭발·화재 사고로 인한 화상, 호흡기 등으로의 노출로 인한 급·만성 중독 등의 산업재해 위험에

놓여 있다. 실제로 2011년도에 발생한 산업재해 중 화학물질로 인한 산업재해는 업무상사고 359명, 업무상질병

32명이 발생하였다. 물질안전보건자료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는 근로자에게 화학물질의 고유한

유해성·위험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산업현장에서의 직업병과 사고의 발생을 줄이는 데 목적이 있다.

국내에서의 MSDS 제도는 1997년 7월 1일부터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으며, 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지에 관한

세계조화시스템(GHS)이 적용된 화학물질의 유해성·위험성 분류가 2013년 7월 1일부터 전면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MSDS는 물리화학적 특성, 건강유해성 및 환경 유해성 정보 source의 결정, 자료 수집, 수집된 자료의 평가, GHS에

따른 유해성·위험성 분류, MSDS 및 경고표지 작성 등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MSDS의 작성 의무가 있는

사업장에서 해당 화학물질의 자료수집, GHS 분류, MSDS 작성 등에 대한 전문 지식이 부족하여 어려움이 예상되며,

그 결과 작성된 MSDS의 신뢰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GHS분류를 적용한 MSDS가 전면적으로

시행되는 시기에 맞추어 국내에서 유통되는 화학제품 중 발암성 물질로 분류되는 포름알데히드를 함유하는

화학제품에 대한 MSDS의 내용을 검토하여 신뢰도를 평가함으로써 향후 정확한 MSDS의 생산을 통하여 화학물질

취급 근로자에 대한 산업재해 예방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Page 44: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36 -

P00P-16

P00P-17

화학제품에 대한 MSDS Hub 시스템 구축 및 운영

이혜진†, 이권섭, 이종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산업안전보건법 제41조(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비치 등) 규정에 의하여 2013년 7월부터 2종 이상의 화학물질을 함유한 제제에 대한 GHS MSDS 및 경고표시 제도가 전면적으로 시행되어 국내에서는 단일물질은 물론 혼합물질의 GHS MSDS에 대한 요구가 극대화되어있는 실정이다. 그동안 공단에서는 추진 중인 제도에 따라 단일 화학물질을 중심으로 한 15,000여종의 GHS MSDS 및 이를 이용하여 혼합물에 대한 MSDS를 작성할 수 있는 MSDS editing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왔다. 하지만 이것은 MSDS 작성·제공자(화학물질 제조·수입자)의 측면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자료이며, 실제 수요자(화학물질 사용자) 측면에서 요구하는 자료는 사용 화학제품에 대하여 제조·수입자가 작성한 GHS MSDS이다. 그러나 기존의 복잡한 유통구조 등으로 인하여 최종사용자에게 최신화된 정보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이러한 부분을 개선하고 산업계 내의 화학제품 MSDS 정보전달 체계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공단에서는 화학제품에 대한 MSDS Hub 시스템을 추가로 구축하여 시범운영중이다.

전력반(power panel)에서 발생되는 극저주파 전자기장 측정 사례 보고

김갑배†, 정은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비전리 방사선 중 자외선, 적외선 등은 안구, 피부, 면역체계에 건강장해를 일으킬 수 있고, 라디오파와

마이크로파는 인체에 발열현상 등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반면, 비전리 방사선에 대한 발암성 연구 중 아직까지

확정적인 것은 없으나 현재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은 비전리 방사선 중 극저주파(ELF : extremely low

frequency) 전자기장이다. 이에 사무공간의 4면이 전력반(Power panel)로 둘러싸여 있는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극저주파 전자기장(ELF-EMF: extremely low frequency - electric and magnetic field) 측정 사례를 보고하여 향후

자기장 노출 수준과 직업병 발생과의 인과관계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측정대상은 사업장

내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처리하기위한 설비를 제어하는 제어실이었으며, 건물 2층에 위치한 제어실 작업공간의

4면은 전력반(Power panel)로 둘러싸여 있었다. 전력반은 60 ㎐ 주파수 대역의 전기설비여서 비전리방사선 중

극저주파 전자기장(ELF-EMF: extremely low frequency - electric and magnetic field)에 대해서만 측정하였다. 또한

직독식 측정기인 3축 등방선 프로브가 부착된 독일 NARDA사의 ELT-400을 사용하여 발생원으로부터 3 ㎝, 10 ㎝,

30 ㎝ 거리 및 전력반 후면의 노출된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극저주파 전자기장에 대해서도 병행 측정하였다. 근로자

작업시간 동안 작업공간의 노출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근로자가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전력반으로부터 약 1 m

가량 떨어진 근로자의 책상에서 극저주파 전자기장을 측정한 결과는 0.15~0.41 µT이었다. 이것은 미국 ACGIH의

노출기준인 1 mT(주파수 범위가 1 ~ 300 ㎐인 경우 최고노출기준[Ceiling])에 훨씬 못미치는 수준이다. 또한,

직독식 측정기기인 3측 등방선 프로브가 부착된 장비를 사용하여 발생원으로부터 3 ㎝, 10 ㎝, 30 ㎝ 거리에서

측정한 극저주파 전자기장은 각각 7.3~46 µT, 7~28 µT, 7~19 µT이하이었고 전력반 후면의 노출된 케이블로부터

약 3 ㎝ 거리에서 측정한 결과도 최대 55 µT로 ACGIH 노출기준 이하였다. 측정결과를 알려진 다른 기기 및

제품들이 노출수준과 비교한 결과 폐수처리장 작업공간의 전력반으로 부터의 노출수준은 대략 휴대용 라디오의 3

㎝ 거리에서의 수준(16~56 µT)과 비슷하였으나 30 ㎝ 거리 이상에서는 오히려 높았다. 폐수처리장 사무실의

전력반으로 부터 30 ㎝ 및 1 m 거리에서의 노출수준은 진공청소기의 노출수준과 비슷하였다.

Page 45: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Ⅳ. 포스터 논문 발표

- 37 -

P0P-180

P-19

한국과 영국의 화학물질 노출기준 제도 및 제정 절차에 관한 연구

신용철†

인제대학교 보건안전공학과

한국과 영국의 화학물질 노출기준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두 나라의 화학물질의 노출기준이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출기준 제도 및 제정 절차 부분에 관하여도 비교해 보고 활용할 만한 점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국내 황산의 GHS 분류 등에 대한 정확도 조사

박진우†, 이종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3년 7월 1일 혼합물질을 포함한 모든 화학제품에 대한 GHS(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ing of Chemicals)가 시행됨에 따라 국내 유통되고 있는 물질안전보건자료 및 경고표시는 고용노동부고시 제2012-14호 및 제2013-37호「화학물질의 분류·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에 의한 개정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새로운 제도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부족한 시행초기에는 일부 사업장에서 GHS에 의한 화학물질의 유해성·위험성 분류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여 잘못된 정보를 양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제기될 수 있다. 최근 2012년 구미 불산사고를 비롯하여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화학물질 누출사고 등을 고려한다면 이를 대응하는 과정에서 물질안전보건자료 등의 역할이 중요한데, 만약 잘못된 정보가 기재되어 있다면 그 피해를 더욱 키울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현재 화학물질 누출사고가 우려되는 물질 중 하나인 황산은 유해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유독물, 사고대비물질로 지정되어 있고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의 특별관리물질로 관리되고 있으며 국내 제조량이 연간 약 5백만 톤에 이르고 있는 등 산업계의 활용성이 큰 물질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황산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자료의 GHS 분류 등에 대한 정확도를 조사하여 제공함으로써 근로자 및 국민 건강관리를 위한 정책용 참고자료 등에 활용되길 기대한다.

Page 46: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38 -

P0P-200

P-21

노출시기별 과거 벤젠 노출 수준 추정

박동욱†, *최상준, **하권철, ***류승훈, 이경국, 정혜정, ****이경민, *****김수근, ******강동묵, *******유계묵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창원대학교 ***고려대학교보건대학원 ****근로복지공단 직업성폐질환연구소 *****성균관의대직업환경의학교실

******부산대학교의학전문대학원*******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국내에서 공기 중 벤젠 노출수준은 다른 유해인자에 비해 꾸준하게 보고된 것으로 짐작된다. 문헌에서 보고된 벤젠

노출수준을 통합하여 여러 노출변수별로 벤젠 노출수준을 추정하고 이를 활용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에 보고된 벤젠 노출수준을 측정 시기별로 분류 및 통합하여 시기별 벤젠 노출수준을 추정하고

비교해 보았다. 벤젠 노출수준이 보고된 학술지 논문, 학위 논문, 보고서 등에서 벤젠 산술 평균 수준을

조사된(보고된) 시기별로 시료 수를 가중해서 통합된 노출수준(weighted arithmetic mean, WAM, ppm)을 나타냈다.

국내 문헌에서 보고된 공기 중 벤젠 측정 수는 15,729개였다. 통합된 벤젠 노출수준은 1981년에 50 ppm, 1980년은

48 ppm 그리고 1977년에는 18 ppm으로 다른 시기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을 보였다. 2005년 4.16 ppm, 2007년

5.07 ppm, 2009년 이후 모두 벤젠 노출기준 1 ppm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정확한 과거 벤젠 노출수준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노출시기별로 업종과 직업/직무 등을 메트릭스(job exposure matrix)로 엮어 통합된 노출수준을

추정해야 한다.

인천지역 돌봄 근로자들의 직업건강실태에 관한 연구

박인효†, *황정호, *김인아, *정필균, *석홍덕, *김미애, *노재훈

인천근로자건강센터 *연세대학교보건대학원

돌봄 서비스업의 직업적 특성을 반영하여 돌봄 서비스 근로자들의 근무조건, 건강상태, 산업안전보건관련 인식 등을

조사하여 근로자들의 직업건강실태를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인천에서 근무하는

시설요양보호사, 재가요양보호사, 보육교사, 장애인활동보조를 조사대상으로 하여 각 직종별로 100명씩을 목표로

하여 실시하였으며 총 355명의 설문지를 수령하였다. 한국인 직무스트레스척도(선택형 KOSS-26)를 기반으로 총

27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진 설문지로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였으며 NIOSH의 근골격계 질환 평가 방법도

활용하였다. 돌봄 대상자 관리에 따른 육체적인 노동의 빈도는 높으나 연령별 분포는 전체 응답자 336명 중 50대가

119명(35.4%), 40대가 69명(20.5%), 60대가 39명(11.6%)을 차지하여 상대적으로 다른 직종에 비해 중·장년층이 많이

분포하였고, 고용형태 또한 비정규직의 비율이 61.5%로 높았다. 돌봄 노동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또한 매우 높음이

17.6%, 다소 높음이 14.7%로 조사 되었으며 대다수가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업무 중

언어폭력을 경험하였다는 근로자는 전체 14%로 나타났다. 업무 후 정신적으로 종종 지친다는 근로자는 34.1%,

항상 정신적으로 지친다는 근로자는 20.4%로 나타났으며, CES-D의 방법을 준용한 우울증 조사에서 중등도 우울증

증상을 보이는 근로자는 전체 근로자의 35.9%로 조사 되었다. 돌봄 노동에 따른 육체적 부하 또한 NIOSH 기준을

준용한 근골격계 질환 유소견자의 경우 전체 응답자의 82.4%로 조사 되었고, 중등도 이상의 통증을 의미하는 기준

2에 부합하여 비율은 40.5%로 조사 되어 타 분야 종사자들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다. 또한 업무상 사고발생은

17.2%가 있다고 응답 하였으며, 사고 치료기간은 5일 이상인 경우가 73%로 조사 되었다. 그러나 사고 발생 후

산재처리는 전체 4%로에 그쳐 대부분 개인보험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금 연구가 진행 중인

상태로 타 서비스 직종과의 직무 스트레스, 감정노동, 우울증지수 등 직업건강실태에 대한 비교 분석이 앞으로의

연구기간 동안 더 필요하다고 본다.

Page 47: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Ⅳ. 포스터 논문 발표

- 39 -

PP-22

P-23

제3차 근로환경조사(KWCS):질병으로 인한 결근과 비결근에 대한 분석

조윤호†, 김영선, 이관형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질병으로 인한 결근은 산업재해에 대한 보험금 외에도 사회적으로 높은 비용이 소요된다. 한편 질병으로 인해 결근을 야기하지는 않았을지라도 질병이 있는 상태에서 출근을 할 수 밖에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생산성의 저하 등 질병으로 인한 결근과 함께 사회적 비용이 소요되는 요소이다. 우리나라의 취업자에 대한 근로환경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근로환경과 질병으로 인한 결근 및 비결근에 대해 분석하고 이 결과를 Eurofound에서 실시한 제5차 유럽 근로환경조사 결과 분석보고서 “Health and Well-being at work”중 제5장 "Absenteeism and presenteeism"에서 분석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제2차 근로환경조사(KWCS):한국과 유럽국가간 비교

김영선†, 오민정, 이관형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세계화로 인하여 경쟁, 금융 불안, 기술변화, 산업 구조의 재편, 리엔지니어링 등과 같은 물리적, 사회심리적인 상태, 건강에 있어 많은 변화를 겪고 있으며 노동시장의 유연화라는 ‘전형적이지 않은’ 고용, 불완전 고용이나 비상용직 고용의 증가시키는 계기되고 있다. 따라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은 세계적 관심사이며 이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비교분석할 수 있는 자료가 필요하다. 근로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과 EU의 근로자와 근로환경의 특성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근로환경 실태를 파악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우린나라 근로환경 특성과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1st KWCS, 2nd KWCS, 4th EWCS, 5th EWCS를 사회인구학적 특성, 노동의 질, 위해요인 노출, 건강문제에 대한 범주를 비교분석하였다.

Page 48: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40 -

P-24

P-25

화학물질의 관리를 위한 노출기준의 이해

신동하, 이지은, 김유나, 이용우, 함승헌, 윤충식†, *하권철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창원대학교 보건의과학과

현재 우리나라의 산업현장에서는 무수히 많은 화학물질이 취급되고 있고, 그 중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주는 화학물질에 대하여 노출기준이 설정되어있다. 이러한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노출기준은 작업장에서의 근로자 건강보호를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빈번히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각각의 화학물질들은 노출기준과 더불어 발암성, 변이원성, 생식독성(CMR) 및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한 정보는 제공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호간의 연관성 비교에 대한 연구 및 체계적인 연구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노출기준이 설정된 화학물질의 기준값과 CMR 및 물리화학적 특성간의 연관성을 고찰하여 작업장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의 특성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2013년 8월 14일 고용노동부에서 고시한 화학물질 및 물리적인자의 노출기준(고용노동부고시 제2013-38호) 사항 중 700여 가지의 유해화학물질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제공하고 있는 물질안전보건자료(Material Safety Data Sheet)를 기반으로 각 물질의 CAS번호, CMR 등의 기본정보, 물리화학적 특성, 독성정보, 생태독성 등의 항목을 만들어 정보를 입력하였다. MSDS는 2013년 8월 기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의 업데이트된 정보를 사용하였으며, 조회가 되지 않는 유해물질의 경우 외국의 사이트를 참고하여 입력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물질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CMR 물질들을 기체상과 고체상으로 구분하여서 화학물질의 종류, 각 CMR 물질의 대표값을 구하였다. 또한 성상(고체, 액체, 기체)에 따른 화학물질의 노출기준을 누적분포를 구하여 어떤 특성이 있는지 규명하였다. 화학물질의 노출기준과 증기압, 끓는점과의 관계, 끓는점과 상온과의 차이와 노출기준과의 관계, 노출기준과 AIHA의 ERPG(Emergency response Planning GuidlinesTM)와의 관계, NFPA 규정에서 규정한 보건, 화재, 반응과 노출기준과의 관계 등을 고찰할 것이다. 본 연구는 화학물질 관리를 위한 노출기준의 이해를 돕고 유해물질의 성상 및 밀도, 증기압, 반응성 등 물리화학적 특징과 발암성, 생식독성 등의 인체독성의 연관성을 찾아 작업장의 유해화학물질 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관성 추이는 실험적으로 증명되지 않은 인체독성을 가늠하고 노출기준을 재검토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고,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유해물질의 관리와 보호구 제작 등에 있어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접근하게 되면 비용절감과 효용성의 증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산업위생지도사 제도에 대한 산업위생학회 회원들의 인식도 조사연구

염주, 박두용†

한성대학교 대학원 산업위생공학전공

본 연구는 산업위생지도사(현재 산업보건지도사) 제도에 대하여 산업위생전문가 및 실무자의 평가와 개선방안 등을 조사하여 향후 산업위생지도사 제도의 개선시 정책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은 2013년 4월 11일에 개최된 한국산업위생학회 참석자로 설문조사에 응한 180명이다. 연구결과로 산업위생지도사 시험 응시 자격요건, 시험제도(과목, 시기 등)의 적절성, 지도사에 대한 사업장 수요 등에 대한 조사결과를 제시하고 그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산업위생지도사 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Page 49: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Ⅳ. 포스터 논문 발표

- 41 -

유해인자 노출평가

♣ 좌 장 : 이나루 박사(산업안전보건연구원)

P-26 일부 병원 수술실 화학물질 노출관리 및 측정실시 현황

이상만†, 전용하, *감신, **정종현, ***정유진, ****함완식

(주)IESH설루션 *경북대학교**대구한의과대학교***금강이엔지****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교육원

P-27 가구제조업 사업장의 포름알데히드 노출 실태

유계묵†, 박철용, 박현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28 석탄광산 갱내 권양기실에서의 공기중 분진, 유리규산 및 중금속 노출평가

안정호†, 서회경, 박현희, 박해동, 권지운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29 병원 로비의 공기 중 엔도톡신 발생에 미치는 환경 요인

이경민†, *류승훈, **문지혜, ***박동진, ****박동욱

근로복지공단 직업성폐질환연구소 *고려대학교환경의학연구소**서울대학교보건대학원***한국산업안

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P-30 인듐의 생물학적 노출지표검사를 위한 시료채취 시기

원용림†, 이광용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31 ITO 타겟 제조업의 공기 중 인듐 입경분포

이광용†, *마혜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한국산업위생학회

P-32 여수 지역주민의 Pb, As 농도에 관한 연구

우경숙, 박희진, *강택신, *조용성, *김근배, 손부순†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국립환경과학원환경보건연구과

P-33 배지충돌법과 젤라틴 필터법을 이용한 공기 중 세균 및 곰팡이 농도 비교

박현희†, 박해동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age 50: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42 -

P-34 서울시 일부 주류 판매 음식점의 PM2.5 농도수준과 간접흡연과의 관계

김정훈, *김태현, **이기영, ***권호장†, 김규상

서울의료원 환경건강연구실 *코웨이환경분석센터**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및 보건환경연구소***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P-35 주유소 유증기 회수설비 사용에 따른 가솔린 증기의 개인노출양상

이희명, *원종욱, **김치년, *노재훈†

연세대학교 산업보건연구소 *연세대학교보건대학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연세대학

교 산업보건연구소 **연세대학교보건대학원, 연세대학교 산업보건연구소

P-36 국소진동 노출기준 적용을 위한 외국 진동 노출기준 비교 평가

김갑배†, 정은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37 작업환경 측정자료를 이용한 시멘트산업 근로자의 분진 노출량 추정

장승희, 고동희†, 노지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38 해안 및 내륙지역 거주 여성의 카드뮴 섭취량 비교

문찬석†

부산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P-39 한국 일반인 납노출 경로의 경년변화

박영주, 오혜진, 문찬석†

부산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P-40 혈중 BTEX의 백그라운드 노출 수준

장이, 송병호, 문찬석†

부산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P-41 물리ㆍ화학적 특성 변화에 따른 단일물질과 혼합물질의 노출 위험성 및 유해성 비교

김기웅†, 원용림, 이정석, 이수희, 한인수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42 신규화학물질 유해성ㆍ위험성 조사 현황 및 제도 발전방안

송세욱†, 임경택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age 51: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Ⅳ. 포스터 논문 발표

- 43 -

P-43 Exposure factor for consumer products (Consumer Product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COPER)

이기영†

서울대학교

P-44 입자 크기에 따른 카본블랙 입자가 폐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강민구, 임철홍†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45 기류에 따른 수동시료채취기의 톨루엔 포집효율 비교

장재길†, 박해동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46 우리나라 산단지역 거주 산모의 혈액, 모유 중 수은 및 납 농도

박예림, 박정임†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P-47 화학물질 누출 사고에 따른 근로자 노출평가

김순신, 양원호†

대구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Page 52: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44 -

P-26

P-27

포스터 발표 논문 요약유해인자 노출평가 분야

일부 병원 수술실 화학물질 노출관리 및 측정실시 현황

이상만†, 전용하, *감신, **정종현, ***정유진, ****함완식

(주)IESH설루션 *경북대학교**대구한의과대학교***금강이엔지****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교육원

본 연구는 종합병원 규모이고 500병상이상으로 수술 빈도가 높아 수술실 측정을 하였거나 예비조사 경험이 있는 측정기관

산업위생실무전문가에게 본 연구 취지를 설명하고 동의한 20개 측정기관을 대상으로 20년 이상 산업보건 경력의

산업위생관리기술사가 소정의 설문지로 전화 설문하여 수술실 측정과정에서 확인된 화학물질 노출관리 실태를 확인하고자

설계하였다. 수술실 담당자와의 면담에서 작업환경측정 실시 유/무와 수술작업빈도 및 화학물질취급 량과 작업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측정대상여부를 확인하는 연구 설계 concept을 구상함. 작업환경측정 정도관리 규정에 따라

개인시료측정은 측정대상 작업자의 호흡영역에 포집기구 설치와 설치된 위치를 파악하여 수술실 작업환경측정 업무가

적합한 측정실시 여부를 추가 확인함. 수술실 환자감염가능성에 대한 고려 및 예방대책을 작업환경측정시 감안하여

측정장비의 세척이나 오염방지 대책은 수립하고 측정매뉴얼로 이행하고 있는지 확인함. 수술 참여 근로자의 화학적

유해인자 노출관리 및 건강보호체계는 확보되고 있는 지? 확보되고 있다면 이를 상시 적합한 작업환경조건을 유지

관리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지 확인 함. 다양한 화학적 유해인자의 취급 및 화학적 인자에 노출될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술실의 작업환경측정을 실시하지 않은 기관은 20곳 중 9곳(45%)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종합병원

규모이고 500병상이상 수술실은 실제적인 작업상황( 수술작업빈도, 작업량, 작업시간, 화학물질 취급량 등)을 적용할 경우

산업안전보건법 규정에 따른 작업환경측정 실시 조건에 부합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므로 수술실 근무 근로자의 건강권

확보를 위해 작업환경측정을 실시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됨.

가구제조업 사업장의 포름알데히드 노출 실태

유계묵†, 박철용, 박현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가구제조에 사용되는 MDF를 제조하기 위한 섬유조직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요소수지, 멜라민수지, 페놀수지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접착제는 수지와 포름알데히드를 주재료로 사용하므로 MDF의 가공시 수지가 분해되면서

포름알데히드가 발생될 수 있다. 또 습식방법으로 제조된 무늬목의 경우 건조되지 않은 상태에서 포르말린으로 방부처리를

함으로서 가공시 포름알데히드가 방출될 수 있으며, 가구의 조립 및 무늬목 접착에 사용하는 수지접착제 또한 작업시

화학구조가 분해되어 포름알데히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MDF를 사용하는 가구제조업 사업장의 경우 MDF 자체, 무늬목

및 접착제 등에서 포름알데히드가 발생되어 근로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가구제조업 사업장의 재단, 조립, 무늬목 접착,

연마 공정 및 공장외부의 공기중 포름알데히드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각 공정별 최고농도(TWA)는 재단 0.048 ppm,

조립 0.112 ppm, 무늬목 접착 0.312 ppm, 연마 0.061 ppm, 공장외부 0.005 ppm 등으로서 무늬목 접착 공정의 경우 국내

노출기준의 62.4%이고 ACGIH의 Ceiling 0.3 ppm을 초과하여 상당히 높은 수준이었다. 그 외 지역의 경우 조립, 연마,

재단의 순으로 공기중 포름알데히드 농도가 높았으며 농도가 가장 낮은 재단공정의 경우에도 공정내 최고농도가 0.048

ppm으로서 공장외부 대기 중의 측정치인 0.005 ppm에 비해 약 10배 정도로 현저히 높았다. 전 공정에서 포름알데히드의

공기 중 농도가 대기중 농도에 비해 6~62 배 이상으로 높으며 무늬목 접착 공정의 경우 1일 TWA 농도가 0.312

ppm으로서 미국 ACGIH에서 규정한 천장값 농도기준(TLV-Ceiling)인 0.3 ppm을 초과하는 수준이다. 따라서 사업장에서는

주기적으로 포름알데히드를 측정하여 노출농도를 낮추도록 하는 등의 관리함이 필요하다.

Page 53: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Ⅳ. 포스터 논문 발표

- 45 -

P-28

P-29

석탄광산 갱내 권양기실에서의 공기중 분진, 유리규산 및 중금속 노출평가

안정호†, 서회경, 박현희, 박해동, 권지운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강원도 삼척소재의 석탄광산을 대상으로 2013년 6월중에 갱내 권양기 운전실(갱 입구로부터 약 1.7 km, 지하 약

400 m에 위치)에서 작업환경측정을 실시하였다. 본 작업은 과거 인력에 의해 수행되었으나 현재는 자동화된 상태로

근로자가 상주하였을 곳으로 예상되는 지점 3곳을 선정, 오전/오후로 나누어 지역시료 포집을 하였다. 총분진과

호흡성 분진을 측정하였고 FTIR을 이용하여 결정형 유리규산을 분석하였다. 중금속 측정은 MCE 필터로 포집하여

ICP로 분석하였고 석면은 편광현미경/시야평가법으로 평가하였다. 갱내 권양기실에서의 총분진의 기하평균농도는

0.229 ㎎/㎥이고 호흡성분진은 0.202 ㎎/㎥이었으며 호흡성 유리규산은 0.032 ㎎/㎥으로 검출물질은 석영이었다.

광산 내부에서 노출평가를 실시한 과거 연구자료를 참고하면 운반작업시 호흡성 유리규산의 기하평균농도 0.024

㎎/㎥보다 높은 수준으로 국내 노출기준 0.05 ㎎/㎥의 64% 수준이었으며 ACGIH TLV 0.025 ㎎/㎥를 초과하였다.

바닥에 침전된 석탄분진의 벌크시료 분석결과, 석탄분진에서 1.3∼2.8%의 결정형 유리규산을 함유하고 있었다.

중금속 분석결과 모든 시료에서 납, 카드뮴, 크롬이 검출한계 미만이었으며 벌크시료에서 납은 11.67 mg/kg,

카드뮴은 검출한계 미만, 크롬은 9 mg/kg 검출되었다. 석면은 모든 시료에서 불검출 되었다. 갱내 권양기

운전작업에 대해 노출수준을 평가한 결과, 갱내 권양기 운전자는 석탄분진, 유리규산 등의 유해인자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었으며 특히 결정형 유리규산에 노출기준의 60%가 넘는 높은 농도에 노출되어 근로자에게 건강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에는 당해 설비의 자동화로 인해 직접적인 노출이 없지만 과거 종사 근로자의 과거

노출추적을 위해 본 평가결과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병원 로비의 공기 중 엔도톡신 발생에 미치는 환경 요인

이경민†, *류승훈, **문지혜, ***박동진, ****박동욱

근로복지공단 직업성폐질환연구소 *고려대학교환경의학연구소**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인본 연구에서는 민감 인구그룹이 이용하는 일부 종합병원 로비에서 공기 중 엔도톡신 농도 수준을 조사하고 이들 발생과 관련된 환경적 요인을 평가하였다. 서울 지역에 있는 6개 대형종합병원을 대상으로 로비 내 5개 지점에서 주간과 야간으로 공기 중 내독소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공기 중 내독소 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요소들을 조사하였다. 분산분석 및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공기 중 내독소 농도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들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단순선형회귀분석 결과, 온도(p<0.0001)와 먼지(p<0.04)는 공기 중 내독소 농도와 유의한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습도(p<0.33)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경향이 없었다. 조사된 환경적 변수들에서 공기 중 내독소 농도와 통계학적으로 분석한 결과(ANOVA), 병원 설립년도(p<0.0001), 하루평균이용인원(p=0.0247), 로비청소시간(p<0.0001), 계절(p<0.0001), 공조시설운영시간(p=0.0020), 공조시설청소빈도(p=0.0044)에서 공기 중 내독소 농도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온도 수준은 공기 중 내독소 농도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경향을 나타냈으나, 습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경향이 없었다. 내독소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습도는 결정적인 환경적 요소이나 측정된 습도 수준(range=64.4-70.3%)의 변량이 적어 통계학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선별된 환경적 요소들을 이용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공조시설가동시간, 하루평균이용인원, 로비청소시간, 공조시설청소빈도 그리고 일과 전·후들의 환경적 변수들에서 가장 적합한 회귀 모형(R2=80%)이 구축되었다.

Page 54: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46 -

P-30

P-31

인듐의 생물학적 노출지표검사를 위한 시료채취 시기

원용림†, 이광용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일본에서는 체내 인듐의 반감기를 15년 정도로 추측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명확한 근거자료가 없어 국내 근로자를 대상으로 혈액 중 인듐 및 krebs von den lungen-6(KL-6)의 변화를 확인하고 인듐의 생물학적 노출지표검사를 위한 시료채취시기를 가늠해 보고자 하였다. 인듐 및 인듐화합물을 취급하는 국내1개 업체 남성근로자 9명을 대상으로 1차 시료채취 후 7개월 후에 2차 시료채취를 진행하였다. 1차 시료의 혈청 인듐농도 기하평균(GM)은 52.9 μg/L(범위 24.4 ~ 110.2)이었으며, 2차 시료의 혈청 인듐농도 GM은 13.7 μg/L(범위 5.2 ~ 37.4)로 7개월 사이에 평균 70%이상 감소를 보인 반면 KL-6농도는 1차 시료 GM 1333.1 U/mL(범위 446.8 ~ 2162.2), 2차 시료 GM 917.2 U/mL(범위 260.4 ~ 2828.3)의 감소를 보여 평균 30%정도의 감소를 보였다. 이는 일본에서 조사된 1년간 평균 인듐 0.4 ~ 1.3 μg/L, KL-6 40 ~ 75 U/mL의 감소를 보인 결과와 감소율의 차이를 보였으나 본 자료의 근로자는 완전한 인듐노출회피 상태가 아닌 일부 공정 개선 및 보호구를 강화한 상태에서 현작업에 계속종사하고 있었으므로 이를 정확한 감소치로 보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일본의 조사결과 취급업종에 따라 혈액 중 감소율이 달라지는 양상을 보이므로 인듐을 취급하는 다양한 업종에 대한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폐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체내 인듐과 폐질환지표로 사용되는 KL-6의 감소율로 봤을 때 인듐의 생물학적 노출지표검사를 위한 시료 채취 시기는 특별히 정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판단되나 일부 제한된 작업환경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결과이므로 정확한 반감기 산출을 위해서는 이직자 및 타 작업공정 근로자에 대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TO 타겟 제조업의 공기 중 인듐 입경분포

이광용†, *마혜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한국산업위생학회

국내 ITO 타겟 제조사업장 2개 사업장, 일본계 ITO 타겟 제조사업장의 분말공정, 혼합공정, 성형공정, 소결공정, 가공·연마공정, 접합공정을 대상으로 공기중 인듐 분진의 입경분포를 평가하였다. 국내 ITO 타겟 제조사업장 2개 사업장은 모든 공정에서 평가하였으며, 일본계 사업장은 가공·연마공정과 접합공정에서 평가하였다. 연구대상 공정의 공기중 인듐 분진의 크기는 인듐분말공정(산화인듐 공정)은 1.6 ∼ 9.8 ㎛ 크기에 대부분의 분진이 분포하고 있으며, 혼합공정은 의 공기 중 인듐분진 분포를 보면 국내 제조업체인 A 사업장은 분진 크기가 일정하게 분포하고 있었으나 B 사업장은 6 ∼ 21.8 ㎛ 사이에 분포하고 있다. 성형공정의 공기 중 인듐분진 분포는 A 사업장과 B 사업장 모두 6 ㎛ 이상과 0.5 ㎛ 이하의 분진이 분포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소결공정의 인듐분진 분포는 A 사업장과 B 사업장 모두 6 ㎛ 이상과 0.5 ㎛ 이하의 분진이 분포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B 사업장은 0.5 ㎛ 이하 분진이 약 40%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가공·연마공정의 인듐분포는 1.6 ∼ 9.8 ㎛ 크기에서 대부분의 분진이 분포하고 있으며, 연구대상 사업장 3개소의 공기 중 인듐분진 분포가 일정하였다. 접합공정에서는 인듐분진 분포 평가 결과 B 사업장은 분포가 일정하게 평가되었으나 A 사업장 1.6 ㎛ 이상, C 사업장은 6 ㎛ 이상의 분진이 대부분이었다. 접합공정은 이론적으로는 분진이 발생하기 어려운 공정이다. 그러나 주변 공정으로부터 분진이 유입되거나 가공·연마공정에서 가공된 ITO 타겟에 남아있는 분진이 접합과정에서 부유하여 노출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ITO 타겟 제조하는 산업 각 공정의 인듐분진 크기는 모든 공정에서 10 ㎛ 이하의 호흡성 분진에 해당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Page 55: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Ⅳ. 포스터 논문 발표

- 47 -

P-32

P-33

여수 지역주민의 Pb, As 농도에 관한 연구

우경숙, 박희진, *강택신, *조용성, *김근배, 손부순†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국립환경과학원환경보건연구과

본 연구는 여수지역의 중금속 농도를 파악하여 생체시료 관리대책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2010년 여수시에 거주하는 주민을 대상으로 혈중 납 및 요중 무기비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군은 여수국가산단을 중심으로 반경 5km 이내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을 대상으로 하였고, 비교군은 반경 15km 이외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주민을 대상으로 하였다. 혈중 Pb은 흑연로 원자흡광 광도계(GF-AAS, SOLLAR M6, Thermo England)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요중 As는 Hydride Vapor Generator(HVG-1, Shimadzu, Japan)가 부착된 원자흡수분광광도계(AA-6800, Shimadzu, Japan)를 이용하여 환원기화법으로 분석하였다. 여수 지역의 조사군 204명, 비교군 111명을 대상으로, 총 315명에 대한 혈중 납의 분석 결과는 조사군 1.82㎍/dL, 비교군 2.48㎍/dL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분석결과 조사군의 경우 남성, 여성 각각 2.31㎍/dL, 1.51㎍/dL이었고, 비교군의 경우 남성 2.88㎍/dL, 여성 2.13㎍/dL로 조사군과 비교군 모두 남성이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2005년 실시한 환경부의 국민 혈 중 중금속조사결과에서 나타난 혈중 납의 기하평균 2.66㎍/dL보다 약간 낮은 농도수준을 보이고 있으나, 2007년과 2008년에 실시한 국민 생체시료 중 유해물질 실태조사결과에서의 기하평균 1.77㎍/dL(2007년), 1.98㎍/dL(2008년)보다는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요중 무기비소 농도의 경우, 조사군 7.74㎍/g-ct, 비교군 6.01㎍/g-ct로 나타났고 성별에 따른 농도는 조사군의 경우 남자, 여자 각각 8.66㎍/g-ct, 7.00㎍/g-ct으로 나타났고, 비교군의 경우 남자 5.86㎍/g-ct, 여자 6.15㎍/g-ct으로 조사군은 남자의 농도가 비교군은 여자의 농도가 높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배지충돌법과 젤라틴 필터법을 이용한 공기 중 세균 및 곰팡이 농도 비교

박현희†, 박해동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작업환경 중 공기 중 부유생물에 노출될 위험이 있는 다양한 업종을 대상으로 충돌법과 필터법을 이용한 세균 및 곰팡이 농도를 평가하여 농도차이를 살펴보고 작업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공기 중 부유생물 평가방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목재가공업 5개소, 사료제조업 3개소, 금속가공유 취급업 3개소, 폐기물취급 작업장 중 제활용 선별장 3개소, 음식물 자원화 시설 3개소, 매립지와 소각장 각 1개소를 선정하였다. 공기 중 세균농도는 필터법을 사용하였을 때 충돌법보다 목재가공업은 2.68배(95% CI: 1.44~3.91), 사료제조업은 9.61배 (95% CI: 2.77 ~ 16.46), 재활용선별장 12.12배 (95% CI: 9.07 ~ 32.90), 음식물 자원화시설 9.92배 (95% CI: 5.48 ~ 13.92), 소각장 5.55배 (95% CI: 3.62 ~ 18.77) 높았다. 다만 금속가공유 취급 작업장에서는 0.48배 (95% CI: 0.21 ~ 0.76)이었는데 금속가공유 취급업에서는 필터법으로 측정하였을 때 미생물이 자라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공기 중 진균의 경우도 필터법이 목재가공업은 18.36배(95% CI: 8.13~28.6), 사료제조업은 3.79배 (95% CI: 2.76 ~ 4.82), 금속가공유 취급업 5.77배 (95% CI: 2.04 ~ 9.50), 재활용선별장 7.49배 (95% CI: 4.53 ~ 10.46), 음식물 자원화시설 5.39배 (95% CI: 1.43 ~ 9.35), 소각장 3.18배 (95% CI: 1.69 ~ 4.68) 높았다. 공기 중 부유생물의 농도는 측정 시 환경조건 및 작업내용에 따라 변이가 크고, 5분씩 일 3회 측정하는 충돌법과 6시간 연속 측정하는 필터법을 직접적으로 비교하는데는 한계점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필터법을 사용한 방법이 충돌법과 비교하여 2 ~10배가량 높은 농도수준을 나타내었으며 두가지 방법간에 상관관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age 56: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48 -

P-34

P-35

서울시 일부 주류 판매 음식점의 PM2.5 농도수준과 간접흡연과의 관계

김정훈, *김태현, **이기영, ***권호장†, 김규상

서울의료원 환경건강연구실 *코웨이환경분석센터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및 보건환경연구소***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 호프집을 대상으로 실내 PM2.5 농도수준과 영향요인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2012년 12월 22일부터 31일까지 서울시내 일반음식점 중 흡연을 허용하는 호프집 총 30개소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측정의 순서는 실외 15분 동안 측정을 하고 실내 30분 동안 측정하였다. 측정하는 동안 대상 호프집의 층, 손님 수, 흡연된 담배 개피 수, 실내 체적, 조리연료 등을 기록하였으며 온도 및 습도를 동시에 측정하였다. 연구대상 호프집 총 30개소에서 모두 측정이 완료되었다. 측정 장소의 평균 실내체적은 652.6 ± 507.5 m3이었다. 측정하는 동안 평균 손님 수는 35 ± 18 명이었고 흡연된 담배 개피 수(number of burning cigarettes, #bc)는 6 ± 6 #bc 이었다. 조리연료는 모두 가스를 이용하였다. 실내 및 실외 PM2.5의 기하평균 농도는 132.8 (2.4) ㎍/m3, 23.7 (1.7) ㎍/m3 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총 30개소 중 28개소가 미국 24시간 PM2.5 대기질 기준인 35 ㎍/m3을 초과하였다. 실내 평균 흡연밀도는 1.3+1.4 #bc/100m3 이었다. 실내 PM2.5 농도는 흡연밀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2=0.5). 호프집의 층 수, 손님 수, 실내 온도 및 습도는 실내 PM2.5 농도와 상관관계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서울지역 내 호프집의 실내 PM2.5의 농도수준 및 영향요인을 파악할 수 있었다. 호프집의 PM2.5 농도는 대부분 미국의 대기질 기준을 초과하였다. 실내 PM2.5 농도는 오직 흡연밀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주유소 유증기 회수설비 사용에 따른 가솔린 증기의 개인노출양상

이희명, *원종욱, **김치년, *노재훈†

연세대학교 산업보건연구소 *연세대학교보건대학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연세대학교

산업보건연구소 **연세대학교보건대학원, 연세대학교 산업보건연구소

본 연구의 목적은 규제지역과 비 규제지역 즉, 유증기 회수설비 설치 주유소와 미설치 주유소 종사자를 대상으로 유증기 회수설비가 구성물질인 benzene, toluene, ethyl benzene, xylene(BTEX), methyl tert-butyl ether(MTBE) 및 가솔린 증기의 개인노출양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국내 수도권 일부 지역 주유소 10개소와 종사자 3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료 채취 및 분석방법은 OSHA에서 권고하는 공정시험법 PV2028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주유소 종사자들의 개인노출수준은 benzene 0.0018±0.0069 ppm, toluene 0.0077±0.0137 ppm, ethyl benzene 0.0002±0.0008 ppm, xylene 0.0016±0.0084 ppm, MTBE 0.2619±0.3340 ppm, 가솔린 증기 1.4940±1.7984 ppm이었다. 가솔린 주유량과 주유회수를 보정한 상태에서 개인노출농도는 유증기 회수설비(Stage Ⅱ)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의 주유소에서 더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가솔린 첨가물인 MTBE 농도가 증가할수록 가솔린 증기 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r=0.893, p<0.0001).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유증기 회수설비(Stage Ⅱ)의 사용이 가솔린 증기의 개인노출을 억제하고 있다고 추측 할 수 있으며, 가솔린의 직업적 노출평가시 methyl tert-butyl ether(MTBE)를 지표물질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증기 회수설비(Stage Ⅱ)가 대기오염물질 발생억제 뿐 아니라 주유소 종사자의 유해물질 노출을 저감하였다. 또한 가솔린 증기와 MTBE 농도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Page 57: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Ⅳ. 포스터 논문 발표

- 49 -

P-36

P-37

국소진동 노출기준 적용을 위한 외국 진동 노출기준 비교 평가

김갑배†, 정은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실제 사업장에서 측정한 국소진동 결과를 외국 국소진동 노출기준과 비교 및 평가를 통해 향후 국소진동 노출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국소진동 측정 대상은 선박건조 및 수리업, 석탄광업 등에서 착암기, 그라인더, 체인톱, 임팩트 렌치 등을 사용하는 17명의 근로자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국소진동 측정 및 분석을 위하여 SVANTEK사의 측정장비(SVAN 948 Four Channels Sound & Vibration Analyser)를 사용하였다. 진동은 3축 가속도계(SV 3023M2[Triaxial accelerometer 10 mV/g, 4 pin side connector, M3 hole mounting])를 통해 측정장비로 전달되어 분석되었다. 국내외 문헌조사결과 진동관련 노출기준은 EU와 미국 ACGIH 두 곳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측정결과를 EU 기준을 적용한 3축방향의 가속도를 벡터합으로 합산한 8시간 기준 주파수가중 에너지 등가가속도와 ACGIH 기준을 적용한 3축 진동가속도 값중 최대노출축의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소진동 노출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영국 등 유럽연합(EU)에서는 국소진동을 관리기준(exposure action value)과 노출기준(exposure limit value)으로 분리하여 일일 진동노출량 A(8)을 각각 2.5 ㎨, 5.0 ㎨ 으로 정하고 있고 미국의 ACGIH에는 일일 진동작업 노출시간에 따른 국소진동 노출기준을 4 ~ 8시간인 경우 4 ㎨ 이하로 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17명의 근로자 중 총 6명의 근로자가 EU의 노출기준을 초과하였고, ACGIH의 노출기준을 초과하는 근로자는 7명이었다. ACGIH기준과 EU 기준을 비교한 자료에 따르면 8시간을 기준을 한 경우 EU의 기준이 5.0 ㎨인 반면 ACGIH는 4∼6.9 ㎨로 평균비율 적용 시 5.5 ㎨가 되어 ACGIH의 기준이 EU 기준보다 다소 덜 엄격한 기준으로 이론적으로 말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산업현장에서의 진동노출특성과 수지장해의 발생간의 역학조사결과가 충분히 수행된 후에 두 기준간의 엄격성이 판정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작업환경 측정자료를 이용한 시멘트산업 근로자의 분진 노출량 추정

장승희, 고동희†, 노지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정량적 노출평가는 산업역학 연구에서 노출량-반응 관계를 검사하는데 있어 필수적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역학적 분석에 이용하기 위하여 정기 작업환경 측정자료를 활용하여 시멘트 산업 근로자의 분진 노출량을 추정 하는 것이다. 연구진은 국내 9개 포틀랜드 시멘트 제조사업장에서 1995-2009년 사이에 시행된 정기작업환경측정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2,370 개의 총분진 측정 결과가 수집되었으나, 측정수가 연도별, 직무별로 균등히 분포되어 있지는 않았다. 각 사업장별로 총 15년 중 5-13년간의 측정치가 수집되었고, 총 11개 직무분류 중 6-10 개의 직무가 각 사업장 별로 측정되었다. 노출량 추정을 위해 mixed-effects model이 이용되었고, 시간적 추세, 직무가 fixed effects, 사업장, 직무-사업장 교호작용이 random effects로 이용되었다. 15년의 연구기간 사이에 총분진 노출량은 6배 감소하였다. 개발된 분진노출 추정모델을 통하여 15년간의 연구기간 중 모든 사업장/직무 조합의 노출 수준을 추정할 수 있었다. 하지만 동일한 시간적 추세를 가정하였기 때문에 저 노출 작업에 있어서는 노출량이 고평가되는 경향이 있었다. 분진노출 추정 모델을 통하여 모든 연구기간 및 사업장/직무 조합의 노출량을 추정할 수는 있었지만, 데이터 자체의 불완전성은 완벽히 극복될 수는 없었다. 따라서 역학연구에서 노출평가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될 수 있는데로 많은 측정자료 및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필요하다.

Page 58: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50 -

P-38

P-39

해안 및 내륙지역 거주 여성의 카드뮴 섭취량 비교

문찬석†

부산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본 연구에서는 혈중카드뮴 및 요중카드뮴을 노출 마커로 하여 해안 및 내륙지역 거주여성의 해산물의 섭취량

비교를 통하여 일반인의 카드뮴 노출차이를 검토하였다. 국내의 8개 어촌지역과 15개의 농촌 및 도심지역에

거주하는 30-40대 중년여성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참여자는 모두 268명 (해안지역 88명, 내륙지역 180명)이며

개인별 자세한 문진을 통하여 확인된 건강한 비흡연자로서 과거 및 현재 유의한 질병력이 없으며, 가내 및

직업상의 유해물 노출이 확인되지 않은 사람들이다. 혈중 카드뮴 농도와 요중 무보정치 및 크레아티닌 보정치를

산출하였으며, 이 결과를 기준으로 해산물 섭취빈도와 비교하였다. 혈중 요중 결과치는 기하평균과 기하표준편차를

사용하여 해안지역과 내륙지역을 비교하였다. 요중 카드뮴의 경우 무보정치 (해안지역 1.54 μg/l, 내륙지역 1.00

μg/l) 와 요중크레아티닌 보정치(해안 및 내륙지역 각각 2.59, 1.81 μg/g cr) 모두 해안지역이 내륙지역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기하평균치를 나타내었다. 혈액의 경우 두 지역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해산물 섭취의

경우 해안지역이 88 %, 내륙지역이 76 %로서 해안지역에서 유의하게 높은 섭취를 나타내었다. 기존 연구 보고 중

1일 음식물 복제법에 의한 카드뮴 섭취량과 혈중 요중 카드뮴 농도를 재구성하여 해안과 내륙지역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해산물의 섭취는 해조류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어패류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혈중 카드뮴의 농도는 지역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요중 카드뮴의 농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어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 노출 마커로서 요중 카드뮴 농도가

해안지역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단기 노출 마커인 혈중 카드뮴의 경우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일반인의 카드뮴 노출은 장기간 노출로서 해안지역이 내륙지역 보다 더 높게 나타나며 주 영향인자로서 높은

어패류의 섭취를 추정할 수 있다.

한국 일반인 납노출 경로의 경년변화

박영주, 오혜진, 문찬석†

부산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본 연구에서는 대기 중의 납 농도와 경구 섭취량의 변화를 검토하고 현시점에서의 혈중 납의 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재검토하고자 한다. 2007년-2009년에 수집된 30대-40대 건강한 한국여성의 혈액시료의 납 농도를

산출하여 기하평균 및 기하표준 편차를 구하였다. 원자흡수분광계 (Varian, AA240Z)를 이용하여 혈액을 직접

주입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1986년 이후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혈중 납 농도 및 음식물 섭취량을

보고한 국내외 저널을 검색한 후 분석방법 및 결과를 면밀히 검토 한 후 데이터로 선정하였다. 1986년의 보고

자료에서 볼 때 혈중 납의 농도는 51.5 µg/l였으며, 2009년 조사에서 12.9 µg/l로 나타나 27여년간 혈중 농도의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음식물 중 섭취량은 1986년 조사에서 33.1 µg/day 였으며 가장 최근인 2009년에는 33.6

µg/day 로서 음식물 섭취량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대기 중 납의 농도는 2000년 보고에서 0.093 µg/m3이었으며

점진적인 감소 경향을 나타내어 2009년에는 0.050 µg/m3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볼 때 대기 중의 납 농도는

현저한 감소가 나타났으며, 무연휘발유의 사용이 주요 원인으로 추정된다. 대기 중 납의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혈중

납의 농도도 감소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흡수치에서 볼 때 2001년의 경우 대기를 통한 납의 흡수는 22.6

%였으나, 2009년에는 15.0 %로 약 6% 감소되는 현상을 보였고 음식물을 통한 흡수는 약 85 %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혈 중 납의 농도는 27여년간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대기중 납의 감소로 인해 혈중 납의

감소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최근의 혈 중 납에 영향을 나타내는 요인으로서 음식물을 통한 경구섭취가

납 노출의 주요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Page 59: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Ⅳ. 포스터 논문 발표

- 51 -

P-40

P-41

혈중 BTEX의 백그라운드 노출 수준

장이, 송병호, 문찬석†

부산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본 연구에서는 대도시지역의 일반인의 혈중 BTEX 농도 수준을 평가하고 발생원을 가지고 있는 지역과의 차이를

확인하여 일반인의 백그라운드 노출 수준을 검토하고자 한다. 대도시 1개 지역내의 BTEX의 직업적 노출력이 없는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혈중 BTEX를 헤드스페이스 미량 고체 추출법 (HS-SPME; CTC combi PAL autosampler,

Agilent, USA)법과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 (GC/MS; HP 6890/ HP 5973msd, Agilent, USA)를 이용하여

내부표준법으로 분석하였다. 측정치의 품질관리를 위하여 정도관리를 행하였으며, 방법검출한계는 benzene

0.383µg/L toluene 0.517µg/L, ethylbenzene 0.315µg/L, m-,p-xylene 0.350µg/L, o-xylene 0.372µg/L이다. 혈중

BTEX의 기하평균은 benzene이 0.11 µg/L, toluene이 0.94 µg/L, ethylbenzene이 0.41 µg/L, m+p-xylene은 0.38

µg/L이며, o-xylene은 0.13µg/L 였다. 국내의 노출수준을 동일한 분석방법으로 행한 미국 NHANES 결과와

비교하였다. benzene이 <0.024 µg/L, toluene이 0.082 µg/L, ethylbenzene이 0.028 µg/L, m+p-xylene은 0.122

µg/L이며, o-xylene은 <0.024µg/L 였으며 한국인의 혈중 농도는 미국조사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일반인의

생활환경에서 노출을 통한 혈중농도 한계치는 아직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계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설정될 필요가

있다. 혈중 BTEX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서 대도시의 차량배기가스 이외에도 건물내의 노출 및 흡연이 주요인으로

추정되며 이에 대한 추후 조사 연구가 필요하다. 일반인의 혈 중 BTEX는 저농도로 검출되었으며, HS-SPME 방법과

GC/MS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물리ㆍ화학적 특성 변화에 따른 단일물질과 혼합물질의 노출 위험성 및 유해성 비교

김기웅†, 원용림, 이정석, 이수희, 한인수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본 연구는 합성피혁제조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dimethylformamide(DMF), toluene과 methyl ethyl ketone(MEK)이

혼합될 경우에 변화되는 물리ㆍ화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노출형태에 따른 근로자의 노출 위험성과 유해성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합성피혁제조업에서 사용되는 DMF, toluene 및 MEK의 혼합 비율을 기준으로 단일물질

3군(DMF, toluene, MEK), DMF+toluene 3군(혼합비율=1.0:0.5, 1.0:1,0, 0.5:1.0), DMF+MEK 3군(혼합비율=1,0:0.5,

1.0:1.0, 0.5:1.0), DMF+toluene+MEK 1군(혼합비율=1.0:1.0:1.0)으로 총 10개 군으로 구분하여 물리ㆍ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물리ㆍ화학적 특성 중 끊는 점, 비중, 인화점, 증기압 및 폭발한계는 KOLAS 인증시험규격에 따라

분석하였다(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1). 옥탄올/물의 분배계수는 “산업화학물질의 유해․위험성시험 등에 관한

기준”에 따라 플라스크 진동법으로 분석하였다(고용노동부, 2009). 실험자료 분석은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시행하였으며 유의수준은 95%로 하였다. 끊는 점, 비중, 인화점 및 폭발한계는 DMF

단일물질>DMF+toluene>DMF+MEK 혼합 군순으로 유의하게 낮은 반면, 증기압은 DMF

단일물질<DMF+toluene<DMF+MEK 혼합 군 순으로 높았다(p=0.000). DMF를 포함한 혼합물질 군에서

물리ㆍ화학적 특성의 변화는 DMF보다는 toluene과 MEK의 혼합농도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옥탄올/물의

분배계수를 측정한 결과, toluene과 MEK 단일물질보다 DMF를 혼합한 군에서 옥탄올/물의 분배계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이 연구에서 DMF 단일물질보다 toluene과 MEK를 혼합하였을 경우에 증기압이 증가되고 옥탄올/물의

분배계수는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단일물질 상태에서의 DMF 증발보다 MEK와 toluene이 혼합되었을 경우에

이들 혼합된 물질의 영향으로 DMF의 증발이 더 많아 질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소수성 물질인 toluene과

MEK가 양쪽성 물질인 DMF와 혼합됨으로써 단일물질보다 피부를 통한 체내 흡수가 증가될 수 있음을 보였다.

Page 60: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52 -

P-42

P-43

신규화학물질 유해성ㆍ위험성 조사 현황 및 제도 발전방안

송세욱†, 임경택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산업안전보건법 제40조에 의거 사업주는 고용노동부에 유해성․위험성 조사보고서 제출 의무가 있으며,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92조에 의건 고용노동부에서 공단(연구원)으로 유해성ㆍ위험성 조사보고서의 검토 의뢰를 하여, 사업주가 제출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유해성․위험성 시험자료, 유사물질에 대한 국내ㆍ외 문헌 및 독성자료 등을 통하여 신규화학물질의 유해성ㆍ위험성을 예측하고 평가하여 고용노동부에 통보하고 있음. 우리나라는 약 20년 가까이 신규화학물질에 대한 유해성심사 제도를 운영하여 왔으나, 현재까지 OECD규정 및 이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선진국에 비하여 심사의 수준이 낮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현행 제출 자료의 범위는 OECD에서 요구하는 최소수준으로 신규화학물질의 신고제도의 국제적 조화가 시행될 경우, 현행 제도보다 더 많은 자료를 요구하는 신고체계로 전환될 가능성이 크다. 더욱이 현재 우리나라의 제도는 유해성위주의 심사가 주를 이루고 있어서 독성물질의 사용형태, 노출정도에 근거한 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위해성 평가로까지는 발전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신고 시 소량면제, 고분자 면제, 고형인 최종소비제품에 대한 면제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우리나라 화학 산업구조 및 규모를 고려한 면제 범위의 적정성에 대한 평가가 아직까지 없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OECD에서 진행 중인 신규화학물질 신고제도 등을 검토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국내 제도를 개선하여야 할 필요성이 요구되며 유해성심사에 대한 체계적인 사전 또는 사후관리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Exposure factor for consumer products (Consumer Product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COPER)

이기영†

서울대학교

Exposure factors of some consumer products like cleaning products, infection control products and paints were

determined by survey of 2,500 households. The households will be randomly selected from national population

database. Field survey staff visited home and collected consumer product use information by questionnaire.

Field technicians also visited 100 households twice and investigated use of all consumer products. Information

from questionnaire and home visit was compared. Proportion of user population were higher than 97% for

toothpaste and shampoo. Median amounts of toothpaste and shampoo per use were 667 mg and 6188 mg,

respectively. Conditioner, body cleanser and face cleanser were used by about 60% of population. Those

consumer products were used by certain age groups and gender. Frequency of shampoo use in Korea was 0.97

per day. Dish washing cleanser was mainly used by female. People usually used dish washing cleanser twice

per day and 9.3 minutes each time. Powder detergent was used by 62% and liquid detergent was used by

25%. Most household used chlorinated cleanser but use of specific purpose cleanser was less frequent. Amount

of use for consumer products was comparable between questionnaire and home visit. During home visit,

amount of consumer products per use was quantitatively measured. The ratios of use amount were between

0.7 and 1.4. The most consumer products had the ratio of 1.0. However, use amounts of chlorinated cleanser

were overestimated by questionnaire.

Page 61: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Ⅳ. 포스터 논문 발표

- 53 -

P-44

P-45P00

입자 크기에 따른 카본블랙 입자가 폐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강민구, 임철홍†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카본블랙의 유해성에 관한 연구는 카본블랙 제조업체 및 고무타이어 제조업체 등에서 오래 동안 연구되었다. 그러나 카본블랙의 직업적 노출에 의한 호흡기 등 임상적인 영향은 일관성을 보이지 않고 있다. Robertson 등(1989)은 미국의 카본블랙 제조·취급 근로자를 상대로 암, 심혈관계, 호흡기계 이환율을 조사한 결과 카본블랙 노출이 암, 호흡기계 및 심혈관계 이환율을 증가시키지 않는다고 보고하였으며, Crosbie 등(1986), Kupper 등(1996) 카본블랙이 호흡기계에 심각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Sorahan 등(2001)dms 영국에서 1951년부터 1996년 동안 카본블랙 작업자의 사망률에 대한 코호트 연구에서 증가된 표준화 사망비에 대한 카본블랙의 반복 노출과 폐암 위험성 증가와의 상관성을 확인하지 못하였으나, Gardiner 등(1993, 1995, 2001)dms 카본블랙이 폐기능 감소, 만성기관지염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고 하였다. 상의 문헌조사 결과 카본블랙은 호흡기에 영향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그리고 1차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독성이 강하며, 1차 입자 크기가 14nm인 Printex 90을 이용하여 1차 입자 및 2차 입자가 생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료가 필요하며 따라서 본 연구는 2차 입자의 크기가 카본블랙의 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카본블랙의 유해성 평가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1차 입자와 2차입자의 크기에 따른 카본블랙의 독성을 평가한 결과, 10㎎/㎥ 의 농도에서 체중 및 장기중량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 카본블랙의 영향으로 판단되는 이상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3일 및 2주 반복노출에 대한 영향을 판단한 결과 입자 크기에 따른 카본블랙의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기류에 따른 수동시료채취기의 톨루엔 포집효율 비교

장재길†, 박해동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국내의 작업환경측정 기관은 여러가지 사유로 수동시료채취기의 사용을 점차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온도, 습도, 기류 및 현장에서의 유해물질 농도 등 작업환경 조건 등을 충분히 고려한 상태에서 측정에 임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수동시료채취기를 이용한 측정과 직접 관련된 변수들에 대한 연구가 국내에서는 거의 실시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톨루엔을 대상으로 능동시료채취 방법과 수동시료채취 방법 간의 측정효율을 기류에 대한 변수를 집중적으로 고려하여 평가함으로써 수동시료채취기 사용의 적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0.1, 0.5, 1.0 및 2.0 KOEL의 농도와 30%, 50% 및 80%의 상대습도, 그리고 0.2, 1.0 2.0 및 4.0 m/sec의 기류 조건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기류가 증가할수록 수동시료채취기에서 나타난 값이 활성탄관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1). 기류가 증가할수록 농도가 높아지는 영향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30℃의 고온에서는 작은 기류의 영향이 수동시료채취기의 검출 농도에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히 기류가 강한 외기에서 수동시료채취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활성탄관으로 이용하는 때보다 결과값이 커질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으며 기류와 농도/온도를 동시에 고려한 이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망된다고 할 수 있다.

Page 62: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54 -

P-47

P-46P00

우리나라 산단지역 거주 산모의 혈액, 모유 중 수은 및 납 농도

박예림, 박정임†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본 연구에서는 산단지역에 거주하는 산모의 혈액과 모유 중 수은과 납의 농도 수준을 파악하고, 혈액에서 모유로의

전이율을 확인하여 신생아의 중금속 노출 위험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2011-2012년에 산단지역(안산,

구로)에서 섭외 된 산모 50명을 대상으로 출산 하루 전 채취된 혈액과 출산 30일 후에 채취된 모유 중의 수은과

납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연구와 비교했을 때, 혈 중 수은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외국의 연구결과에 비해 모두

높게 확인되었다. 납은 우리 연구와 동일 지역인 시화반월 거주민들의 경우 우리나라 일반 인구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모유 중 수은의 경우 스페인, 이란의 연구에서 각각 0.53, 0.92㎍/L로 보고되어 우리 연구결과와 비슷한

농도분포를 확인 할 수 있다. 반면 납의 경우 미국, 브라질 연구에서 각각 0.3, 0.15ng/g으로 보고되어 기존

연구결과에 비해 약 2-5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혈액과 모유 시료가 모두 채취된 산모의 혈액에서 모유로의

전이율을 분석하였다. 전이율은 rati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수은(n=11)은 평균 17.9%(4.9-54.1%), 납(n=10)은

평균 12.3%(0.61-37.1%)로 관찰되었다. 우리연구는 대기 중 중금속 농도가 높은 산단지역에 거주하는 산모의 혈액

중 중금속 농도를 같은 지역에 거주하는 여성과 비교하고 혈액에서 모유로의 중금속 전이율을 확인하여 신생아의

중금속 노출 위험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1) 산단지역에 거주하는 산모의 혈액의 중금속 농도는 같은 지역에

거주하는 일반 주민들의 중금속 농도와 비슷한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 다른 지역의 연구 결과뿐만

아니라 국외 연구 결과에 비해서는 높은 농도 분포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산단지역의 대기 중 중금속

농도가 높아 산단지역 거주민들의 중금속 노출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2) 혈액에서 모유로의

전이율은 수은과 납 각각 17.9%, 12.3%로 관찰되었으며, 이는 모유수유를 하는 신생아들의 중금속 노출 위험이

높을 것으로 시사된다. 따라서 고농도의 중금속 노출이 우려되는 산단지역 산모들의 중금속 노출원을 파악하고

산모와 신생아들의 중금속 노출과 그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화학물질 누출 사고에 따른 근로자 노출평가

김순신, 양원호†

대구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본 연구에서는 사고 당시 설문 자료를 이용하여 2012년 9월 ㈜휴브글로벌 불화수소 누출사고로 인한 인근 기업체 근로자들의 노출 수준을 평가하고자 한다. 2012년 10월 17일~31일까지 사고 장소 인근 지역 주민, 인근 기업체 근로자, 인근 학교 학생 및 교직원 등 총 1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산출된 최종등급을 의사 검진 증상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노출평가를 실시하였다. 총 1264명의 설문 대상자 중 인근 기업체 근로자는 832명(65.9%)이었으며, 남성이 798명(63.2%), 평균 연령은 34.3세, 연령대는 10대~50대가 주를 이루었다. 이들 중 인근 기업체 근로자 832명을 대상으로 노출 등급과 자각 증상과의 교차표를 나타내었다. 결과 극 저 노출이 42명, 저 노출이 282명, 중 노출이 261명, 고 노출이 242명으로 나타났다. 이 중 극 고 노출은 107명이었으며, 노출 등급은 고 노출이지만 증상 등급은 극 저 노출인 E(exposure) 그룹이 18명, 증상 등급은 고 노출이지만 노출 등급이 극 저 노출인 S(symptom) 그룹은 70명으로 이 두 그룹에 대한 추가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출 등급과 자각 증상 등급의 교차표를 이용하여 결정한 최종 노출 등급과 의사 검진 증상 등급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 의사 검진 증상 등급과 최종 노출 등급과의

상관계수(R2)는 0.617(p=0.000)로 노출 등급이 높을수록 증상 등급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63: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Ⅳ. 포스터 논문 발표

- 55 -

유해 위험성 평가

♣ 좌 장 : 김성렬 교수(순천향대학교)

P-48 4,4-methylene bis(2-chloroaniline)에 대한 유해성ㆍ위험성 평가

박상용†, 임철홍, 김현영, *김강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이노엔비엑스퍼트커뮤니티

P-49 VM & P Naphtha에 대한 유해성ㆍ위험성 평가

박상용†, 임철홍, 김현영, *김강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이노엔비엑스퍼트커뮤니티

P-50 산업보건을 위한 만성흡입 독성 시험시설 필요성 및 운영방안

이성배†, 김현영, 송세욱, 박정선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51 산화네오디뮴 나노 입자의 기도주입에 따른 장기무게 변화 및 폐세포의 DNA손상에

미치는 영향

김종규, 김수진†, 강민구, 한정희, 정용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52 랫드를 이용한 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의 아급성 흡입독성

김종규†, 조혜원, 강민구, 한정희, 정용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53 1,4-Dichlorobutane 이 수컷 랫드의 생식기계에 미치는 영향평가

정용현†, 김종규, 한정희, *유욱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안전성평가연구소

P-54 바닥코팅제 취급근로자의 화학물질에 대한 정성적·정량적 건강위험성 평가

문형일, 신새미, 변상훈†

고려대학교

Page 64: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56 -

P-55 작업환경측정자료를 활용한 벤젠의 위험성 평가에 대한 관한 연구

백경희†, *박동욱, **이재환, 하권철†

창원대학교 보건의과학과 *한국방송통신대학교**부산대학교양산병원

P-56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Sodium hypochlorite의 소핵시험

김수진†, 강민구, 송세욱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57 Sodium metadisulfide, Aluminum chloride, hydrate의 미생물 복귀돌연변이시험

김수진†, 송세욱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58 비페닐(Biphenyl)의 유해성․위험성 평가

김현영†, 임철홍, 송세욱, *변상훈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고려대학교환경보건학과

P-59 인디움 산화물의 에어로졸 발생과 흡입노출에 의한 흰쥐에서의 독성

임철홍†, 강민구, 한정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60 인디움 산화물의 에어로졸 발생과 흡입노출에 의한 흰쥐에서의 체내 동태

임철홍†, 강민구, 한정희, 최성봉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61 활동 근거시료와 토양 석면 농도에 대한 상관관계

백정은, 최성원, 장광명, 이승철, 김현욱†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P-62 석면 이해집단의 석면관리정책 인식도에 관한 연구

심상효†

한양대학교병원

Page 65: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Ⅳ. 포스터 논문 발표

- 57 -

P-480

P-49

포스터 발표 논문 요약유해위험성평가 분야

4,4-methylene bis(2-chloroaniline)에 대한 유해성ㆍ위험성 평가

박상용†, 임철홍, 김현영, *김강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이노엔비엑스퍼트커뮤니티

국내 유통량이 많으며 취급시 근로자 건강장해가 우려되어 유해물질로 지정 또는 분류 등 규제의 필요성이 예측되는 물질인 4,4-methylene bis (2-chloroaniline)(CAS No. 101-14-4)에 대하여 현장실태조사 등 모든 가능한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평가는 유해성 확인(Hazard Identification), 유해성 결정(용량-반응평가), 노출평가(Exposure Assessment), 위험성 결정(Risk Characterization)의 표준화된 유해성·위험성 평가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위험성 결정 결과에 따라 산업안전보건법 상 규제 수준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근로자의 건강장해 예방을 위하여 적절한 관리 수준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관리수준을 제안하였다. 필요시 사회·경제성평가를 실시하여 규제의 타당성·적합성 등을 평가하였다. 4,4-methylene bis(2-chloroaniline) (101-14-4)는 용량-반응 평가결과 RfCwork가 0.01 ㎎/㎥이었으며 노출평가 결과, 중앙값이 0.025 ㎍/m3, 95% 분위값이 0.030 ㎍/m3 으로 위험도가 모두 1 미만이었다. 4, 4-methylene bis(2-chloroaniline)을 취급하고 있는 폴리우레탄 수지 제조사업장의 경우, 현재 2개 사업장이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 사용량 또한 많지 않다. 작업환경 측정결과 및 노출기준에 대한 위험도 평가 결과, 위험도는 1미만으로 노출수준은 낮지만 발암성 구분1 등 유해성이 높은 만큼 사업장 사용에 대한 모니터링과 취급근로자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VM & P Naphtha에 대한 유해성ㆍ위험성 평가

박상용†, 임철홍, 김현영, *김강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이노엔비엑스퍼트커뮤니티

국내에서 유통되는 4만 여종의 화학물질은 대부분 유해성·위험성 평가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취급되어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따라서 유해성·위험성 평가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화학물질에 대하여 근로자가 해당물질에 노출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영향이 발생하게 될 개연성을 평가하여 산업안전보건법 제39조 (유해인자의 관리 등) 및 시행규칙 제81조(유해인자의 분류·관리)와 관련, 관리수준의 적정성을 검증하고 관리수준의 제·개정이 필요한 경우 적절한 관리수준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국내 유통량이 많으며 취급시 근로자 건강장해가 우려되어 유해물질로 지정 또는 분류 등 규제의 필요성이 예측되는 물질인 VM&P Naphtha에 대하여 자료분석, 현장실태조사 등 모든 가능한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평가는 유해성 확인(Hazard Identification), 유해성 결정(용량-반응평가), 노출평가(Exposure Assessment), 위험성 결정(Risk Characterization)의 표준화된 유해성·위험성 평가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위험성 결정 결과에 따라 산업안전보건법 상 규제 수준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근로자의 건강장해 예방을 위하여 적절한 관리 수준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관리수준을 제안하였다. 필요시 사회·경제성평가를 실시하여 규제의 타당성·적합성 등을 평가하였다. VM & P Naphtha는 용량-반응 평가 결과 RfCwork가 80 ppm 이었으며, 노출평가 결과는 중앙값이 0.10 ppm, 95%분위값은 0.14 ppm으로 위험도가 1미만이었다. VM & P Naphtha은 불순물로 벤젠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위험성이 낮게 나타나 추가적인 규제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Page 66: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58 -

P-50

P-51

산업보건을 위한 만성흡입 독성 시험시설 필요성 및 운영방안

이성배†, 김현영, 송세욱, 박정선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화학물질로 인한 직업병 예방을 위해서는 급성독성 및 만성독성 등 유해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필수이나 만성독성평가 설비는 부재 만성 흡입독성 시험시설 신축 - 건물 규모 : 지하 1층, 지상 2층, 6,600㎡(약

2,000평) - 사업기간 : ‘13년~’15년 (2016년부터 만성흡입독성 시험실시) - 사 업 비 : 38,155 백만원 시험대상

물질선정 - 고용부, 환경부 등 국가 화학물질관리 전략에 따른 시급성 화학물질 - 화학물질의 사용량, 국내 취급

근로자의 건강장해 사례 등 고려 - 국내에서 대량으로 유통되면서 직업병 예방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선행 연구가

필요한 독성 미확인 화학물질 -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서 유해성 규명이 필요한 화학물질 ※ 연간 시험가능

건수는 급성 10건, 아급성 4건, 만성 1건 등 15건 GLP 인증 획득 - 시험시설 및 시험결과의 신뢰성 유지를 위한

각 분야별 표준작업지침서(SOP)개발 및 전문화 교육 강화 - 시설 및 운영에 있어 SOP 준수를 통한 신뢰성 확보 -

신뢰성 있는 독성시험자료를 생산하기 위한 GLP인증 프로그램 운영 유지를 통한 각 분야 기술축적 -

만성흡입독성시험 실시 및 GLP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만성흡입독성시험 실적 확보 - 국내외 만성독성시험기관과의

기술검토를 통한 예비사찰 및 기술적 보완 - 만성흡입독성 GLP인증 획득을 위한 관계기관 인증신청 및 획득

인력 및 전문성 확보 - 노출평가, 동물사육, 병리검사, GLP관련 신뢰성보증분야 등 각 분야의 전문 인력 확보 -

교육 방안은 자체적 또는 외부 관련 전문기관과의 기술교류를 통한 장․단기 교육프로그램 참여

만성흡입독성시험시설의 운영과 GLP인증 획득을 통한 유해성평가의 신뢰성 있는 시험자료 생산 유해인자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만성(발암성) 등 유해성 평가자료 제공 - 만성(발암성) 흡입독성결과를 활용한 유해성

평가체계로 전환 OECD SIDS 프로그램 등 유해성 평가에 있어 국제사회 의무이행 및 협력

산화네오디뮴 나노 입자의 기도주입에 따른 장기무게 변화 및 폐세포의 DNA손상에 미치는 영향

김종규, 김수진†, 강민구, 한정희, 정용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희토류 금속화합물중 사용량이 많은 산화네오디뮴(neodymium oxide) 나노 입자를 기도주입(intratracheal

instillation) 후 장기무게, 폐염증 및 폐세포의 DNA손상에 미치는 영향연구를 통하여 근로자의 건강보호를 위한

기초자료 및 유해성평가 기초자료를 생산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산화네오디뮴 기도 주입 후 12 주 동안 주

1회 체중을 측정한 결과 저농도, 고농도군 랫드의 체중증가가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산화네오디뮴 투여 후 1, 2 일째 고농도군의 체중 증가가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산화네오디뮴 투여 후 4 주, 12 주째 고농도군의 폐 절대 중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저농도군, 고농도군의 간(liver)절대 장기 중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신장의 경우 고농도군의 절대 장기 중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뇌, 심장의 산화네오디뮴에 의한 장기무게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폐염증반응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관지세척액내 백혈구를 측정한 결과 기도 투여 후 2일째 고농도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4주째에는 저농도 고농도군에서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폐세포의 DNA손상 발생

확인을 위해 Comet) assay를 실시한 결과 산화네오디뮴을 기도 주입 후 2일째 저농도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Olive

tail moment 값이 4.3 배 높았으며, 고농도군은 6.6 배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4주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tail length도 기도 주입 후 2일째 저농도군은 3.4 배

높았으며, 고농도군은 4.2 배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4주째에는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Page 67: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Ⅳ. 포스터 논문 발표

- 59 -

P-52

P-53

랫드를 이용한 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의 아급성 흡입독성

김종규†, 조혜원, 강민구, 한정희, 정용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에 대한 흡입독성 자료가 부족하여 OECD Test Guideline 413에 따라 13주 반복흡입노출 시 나타나는 아급성 흡입독성 연구를 통하여 근로자의 건강보호를 위한 기초자료 및 유해성평가 기초자료를 생산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최초 고농도를 4,000 ppm 농도로 노출한 결과 4일째 암수동물이 각각 1마리씩 사망하여 2,000 ppm으로 낮추어 노출시켰다. 노출 19일 동안 수컷 10마리, 암컷 4마리가 실조보행, 각막혼탁 증상을 보이다 사망하였다. 중농도 동물체중은 26일째부터 대조군 체중증가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중농도군의 먹이섭취량은 노출 후 12, 19, 40, 54, 89일째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부검결과 암·수 모두 대부분 폐엽의 색깔변화, 비장의 왜소 및 주변조직과의 유착, 고환의 왜소 등의 소견이 용량의존적으로 관찰되었으며, 장기중량 측정결과 고환의 무게가 감소하였으며, 흉선의 무게가 감소하였다. 조직병리검사결과, 수컷의 신장에서 알파-2유 글로불린 신병증 (α-2u-globulin nephropathy)이 관찰되었으며, 비장 (spleen)의 경우, 암수 모두 헤모시데린증(hemosiderosis), 거대핵세포의 증가된 세포충실성(increased cellularity of megakaryocytes), 피막의 섬유화 및 염증세포침윤 (capsular fibrosis/inflammatory cells)이 용량의존적인 경향을 보이며 관찰되었으며, 수컷의 고환에서 정세관의 위축 (tubular atrophy) 소견이 두드러지게 (marked) 7례, 심하게 (severe) 3례 관찰되었다. 폐포 내 대식세포 (alveolar macrophages) 소견이 용량의존적인 경향을 보이며 관찰되었다.

1,4-Dichlorobutane 이 수컷 랫드의 생식기계에 미치는 영향평가

정용현†, 김종규, 한정희, *유욱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안전성평가연구소

본 연구는 1,4-dichlorobutane이 생식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1,4-DCB를 수컷 랫드의 경구로 반복투여한 후 고환과 부고환 내 정자검사를 하고 혈중 테스토스테론 농도를 측정하였다. 친세대 수컷 모동물의 정자분석 교배 종료 후, 각 군당 10마리의 수컷동물을 부검하여 정자검사를 실시한 결과, 정자운동성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정자수를 관찰한 결과, 고환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300 mg/kg/day 투여군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부고환 미부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8.3, 50, 300 mg/kg/day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고환과 부고환 내 모든 정자수는 생리적 범위 내로 판단되었다. 정자 형태를 관찰한 결과에서는 대조군과 시험물질 투여군 간에 유의차는 관찰되지 않았다. 2. 친세대 수컷 모동물의 혈중호르몬 농도분석 교배 종료 후, 각 군당 10마리의 수컷동물을 부검하여 혈중 테스토스테론 농도를 실시한 결과, 50 및 300 mg/kg/day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용량상관성이 없는 우발적인 변화로 판단되었다. Ⅳ. 결론 본 연구결과 1,4-dichlorobutane은 수컷의 정자 및 성호르몬 분비에 관련된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Page 68: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60 -

P-55

P-54

바닥코팅제 취급근로자의 화학물질에 대한 정성적·정량적 건강위험성 평가

문형일, 신새미, 변상훈†

고려대학교

본 연구의 목적은 바닥코팅제 취급근로자의 화학물질에 대한 건강위험성 평가를 정성/정량적 측면에서 수행한 것이다. 정성적 위험성 평가 9개 작업장에서 31개의 개인시료에 대한 작업환경측정 결과 PGE의 기하평균은 0.587㎎/㎥이었고 국내 노출기준은 5㎎/㎥이었다. 따라서 PGE의 노출수준이 노출기준의 11.7%이므로 방법 2에 따라 노출수준 등급은 2등급으로 분류된다. 고용노동부고시에 의해 CMR 물질(발암성 1B, 생식세포변이원성: 2)에 해당하므로 방법 1에 따라 유해성 등급은 4등급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위험성은 8로 산출되었기 때문에 위험성 수준별 관리기준 표에 의하여 ‘중대한 위험’에 속하므로 현행법 상 작업환경개선을 위한 조치기준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위험이 없으면 작업을 계속하되 위험감소활동을 실시해야 한다. 정량적 위험성 평가 동물 대상 만성 흡입독성 연구 결과 비암 발생률에 근거한 UR은 0.04㎎/㎥로 산출되었다. 작업환경측정 결과를 토대로 Monte Carlo Simulation을 실시한 결과, 노출농도의 중앙값, 누적 90%값, 누적 95%값은 각각 0.433, 2.587, 3.927㎎/㎥이었다. 따라서 PGE에 대한 확률론적 위험성 평가 결과 ECR의 중앙값, 누적 90%값, 누적 95%값은 각각 0.0173, 0.1035, 0.1571로 산출되었다. 따라서 ECR의 중앙값이 일반적으로 작업장 근로자에게 해가 되는 허용 발암성 수준인 1×10-4을 훨씬 초과하였기 때문에 PGE에 대한 바닥코팅업체 근로자들의 발암 가능성이 상당히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작업장 근로자에 대한 PGE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산업위생관리를 철저히 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작업환경측정자료를 활용한 벤젠의 위험성 평가에 대한 관한 연구

백경희†, *박동욱, **이재환, ***하권철†

창원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부산대학교양산병원***창원대학교보건의과학과

2002년부터 2011년까지 측정된 공기 중 벤젠의 작업환경측정 결과는 총 18,434건의 시료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 395개를 결측치로 처리하고, 나머지 18,039개를 통계분석 하였다. 과거 10년간 측정된 벤젠의 평균 노출 수준은 0.10774 ppm이었으며, 연도별로는 2006년이 0.68673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최고 노출 수준도 2006년에 측정된 약 127 ppm 이었다. 연도별 비교를 위해 기하평균을 계산한 결과 2007년에 0.000163ppm으로 가장 높은 수준으로 조사되었으며, 2007년 이후 기하평균이나 산술평균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노출기준과 비교했을 때 2003년 하반기 이후 전체 시료수 중 노출기준을 초과하는 경우는 2006년에 4.57%로 가장 높았으며, 2010년과 2011년의 경우는 초과율이 0.01% 이하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총 412개의 업종에서 근로자의 벤젠 노출 수준을 평가하고 있었으며, 작업환경측정이 가장 많이 이루어진 업종은 석유화학계 기초화학물질제조업으로 사업장수는 75개였으며 평균 농도는 약 0.1028 ppm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노출평가가 많이 이루어진 원유정제처리업은 사업장수가 54개였으며, 평균농도는 0.0189 ppm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로자들의 평균 벤젠 노출수준이 노출기준인 1 ppm을 초과하는 업종은 금속파스너 및 나사제품 제조업 2.0818 ppm, 합성수지선 건조업 1.8571 ppm 등 5개의 업종으로 나타났다.

Page 69: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Ⅳ. 포스터 논문 발표

- 61 -

P-560

P-570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Sodium hypochlorite의 소핵시험

김수진†, 강민구, 송세욱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소핵시험은 화학물질의 염색체이상 유발성과 이수체 유발성을 모두 감지할 수 있어 국제적으로 규제기관에 의해 권고되는 유전독성시험법 중 하나로써, 실험동물을 이용하는 첫 번째 단계의 시험법이다. Sodium hypochlorite (CAS No. 7681-52-9)는 주로 소독제, 표백제로 사용되는 화학물질로서, 생식세포변이원성 시험자료로 복귀돌연변이시험 음성 결과, 생체외 자매염색분체교환시험 양성 결과, 생체외 염색체이상시험 양성 결과가 보고된 바, 유전독성시험결과에 대한 판단이 혼재되어 있다. Sodium hypochlorite에 대한 유전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고용노동부고시 제2008-61호(2008. 9. 1)의 ‘화학물질의 유해성․위험성시험 등에 관한 기준’ 과 OECD시험가이드라인(TG 474)에 따라 소핵시험을 수행하였다. 수컷 ICR mice에 대한 예비시험 결과, Sodium hypochlorite 5,800 mg/kg, 2,900 mg/kg, 1,450 mg/kg 처리군에서 소핵이 관찰되지 않아, 본시험에서 3,000 mg/kg, 1,500 mg/kg, 750 mg/kg의 용량으로, 시험용량의 공비는 2로 3단계의 용량을 설정하여 실시하였다. 수컷 ICR mice는 군당 6마리로 Sodium hypochlorite를 1회 경구 투여 후 24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골수를 채취하여 표본을 제작하였다. 골수 내 미성숙 적혈구에 대한 다염성적혈구의 비와 소핵을 지니는 다염성적혈구의 출현빈도를 용매대조군에 대해 통계처리 하였다. 통계처리 결과 Sodium hypochlorite는 유의성 있는 소핵 유발능을 나타내지 않아 음성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ICR 마우스를 이용하여 Sodium hypochlorite를 단회 투여한 소핵시험으로, 화학물질의 분류 및 인체에서의 유해성을 판단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Sodium metadisulfide, Aluminum chloride, hydrate의 미생물 복귀돌연변이시험

김수진†, 송세욱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미생물 복귀돌연변이시험은 살모넬라 균주와 대장균 균주를 이용, 염기쌍치환 및 틀이동돌연변이의 유전자 돌연변이를 측정하는 시험법으로써 시험물질의 독성을 예측하는데 사용된다. Sodium metadisulfide(7681-57-4)는 무두질제, 식품첨가물, 표백제, 사진촬영 등에 사용되는 화학물질로서 생식세포변이원성 시험자료로 생체외 시험에서 양성, 생체내 변이원성시험에서 음성 결과가 보고되었다. Aluminum chloride, hydrate(10124-27-3)는 목재보존, 촉매제로 사용되는 화학물질로서, 보고된 생식세포변이원성 시험자료가 없다. Sodium metadisulfide와 Aluminum chloride, hydrate(10124-27-3)에 대한 유전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고용노동부고시 제2008-61호(2008. 9. 1)의 ‘화학물질의 유해성․위험성시험 등에 관한 기준’과 OECD시험가이드라인(TG 471)에 따라 미생물 복귀돌연변이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TA98, TA100, TA1535, TA1537 및 WP2uvrA의 5균주를 사용한 직접법(-S9)과 대사활성화법(+S9) 모두에서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각 농도별 처리군에서 콜로니 생성 수치의 증가양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시험물질 Sodium metadisulfide(7681-57-4), Aluminum chloride, hydrate(10124-27-3)는 상기의 5개 균주에 대하여 복귀돌연변이를 유발하지 않는 것(음성)으로 판단되었다.

Page 70: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62 -

P-580

P-590

비페닐(Biphenyl)의 유해성․위험성 평가

김현영†, 임철홍, 송세욱, *변상훈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고려대학교환경보건학과

본 연구에서는 비페닐 취급에 의한 근로자를 대상으로 가상시나리오를 적용한 작업환경에서의 총 노출량을

Monte-Carlo simulation을 이용하여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위험지수(hazard index)를 산출함으로써 노출량에 대한

건강위험성을 평가하고, 용량-반응에 따른 작업장에서의 노출 및 유해 위험성 평가를 통하여 관리농도의 적절성을

검토하고 건강장해 예방을 위한 산업현장에서의 취급방법과 관리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노출량 산출

연구대상물질인 비페닐을 취급하는 3개 업체에서 측정된 50개 시료농도 평균값은 0.006 ppm (0,038 ㎎/㎥),

표준편차는 0.010 ppm (0.066 ㎎/㎥)으로 산출되었다. 또한 기하평균은 0.015 ㎎/㎥, 기하표준편차는 1.81로

산출되었다. 산출된 median, 90 percentile, 95 percentile을 작업환경 참고치(RfCwork)와 비교하여 risk를

산정하였다. 비페닐이 파라핀 오일과 섞인 지점(the oil room)에서, 비페닐이 증기, 먼지 두 가지 모두의 형태로

발생했으며 이것은 피부로의 노출과 흡입으로의 노출의 가능성을 나타내었으며, 측정 결과자료를 Monte-Carlo

simulation의 fitting method로 입력하여 최적의 함수를 유도한 결과 최적합 분포는 Log-logistic 분포로 나타났고

median은 0.03 ㎎/㎥, 90%에서는 0.1 ㎎/㎥, 95%에서는 0.12 ㎎/㎥로 나타났다. 비페닐(CAS No. 92-52-4)은

고무·화학제품의 제조에 연화제로 많이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국제암연구소에 발암추정물질(2A)로 등록되어 있는

물질로 본 연구에서 각 유해성 분류에 따라 산출한 RfCwork는 발암성 0.21, 표적독성(경구) 2.13, 표적독성(흡입)

0.53, 발달독성 0.31 ㎎/㎥으로 산출되었다. 노출 결과치에 대해 data-fitting과 Monte-Carlo simulation을 실시한

결과 비페닐의 노출량은 중위수 0.03 ㎎/㎥, 90분위수 0.10 ㎎/㎥, 95분위수 0.12 ㎎/㎥으로 산출되었으며,

노출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노출량을 추정한 결과는 각 시나리오별로 1.0×10-2, 4.2×10-4, 7.0×10-6 ㎎/㎥의

단일값으로 산출되었다. 유해성 및 노출평가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비페닐의 risk는 가장 보수적인 값(95분위수)을

관찰하였을 시에도 발암성 0.57, 비발암성(발달독성) 0.39로 도출되어, 비교적 낮은 위험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디움 산화물의 에어로졸 발생과 흡입노출에 의한 흰쥐에서의 독성

임철홍†, 강민구, 한정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원

본 연구는 인디움의 유해성·위험성 평가에 있어 기존의 독성자료의 활용성과 사업장에서의 인디움의 다양한 사용

특성을 반영한 유해성평가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입자의 크기와 산화물의 화학적 조성에 따른 독성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IO 및 ITO 노출에 의한 4주 반복 및 4주 회복기간 동안 체중의 변화는 없었다. IO

노출군에서도 기관지폐포에서 염증성 세포 증가, 세포손상물질 증가, 염증성 cytokine의 증가가 확인되었으나, ITO

노출군에 비하여 약한 수준이었다. 또한 ITO 노출군에서는 유의한 수준의 호흡기능에 대한 영향 및 폐

병리조직학적 변화가 관찰되었으나, IO 노출군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기관지폐포에서의 염증성

세포의 증가, 세포손상물질 LDH의 증가에서 IO_4000 노출군에서 IO_100 노출군에 비하여 높은 반응을 보였으나,

기타 지표(혈중 백혈구 수, 병리조직학적 평가) 등에서는 유사한 반응을 보여 입자 크기가 독성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ITO 노출군에서 4주 노출에 의해 나타나지 않았던 혈 중 백혈구의 증가가 회복기간 후

나타나는 등 4주간의 회복기간은 인디움 노출에 의한 독성영향을 회복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동물에 2종류의 입자크기를 가진 IO와 나노크기의 ITO 1일 6시간, 주 5일, 4주간 1 ㎎/㎥의 수준으로 반복흡입

노출시킨 결과, IO 및 ITO 모두 기관지폐포에서의 염증을 일으키는 등 폐 등에 독성영향을 주었다. 독성의 정도는

ITO에서 가장 강하게 나타났으며, 입자크기가 다른 IO의 영향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회복기간에 따른 독성의

회복은 확인되지 않았다.

Page 71: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Ⅳ. 포스터 논문 발표

- 63 -

P-60

P-61

인디움 산화물의 에어로졸 발생과 흡입노출에 의한 흰쥐에서의 체내 동태

임철홍†, 강민구, 한정희, 최성봉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본 연구는 인디움의 입자의 크기와 화학적 조성에 따른 체내 분포를 파악하여 입자의 크기와 화학적 조성에 따른 인디움 화합물의 생물학적지표 선정을 위한 과학적 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입자의 크기가 다른 2종류의 IO와 나노크기의 ITO를 시험물질로 선정하였다. IO 및 ITO는 에어로졸화하여 비부노출형 흡입쳄버에서 폐손상이 확인된 1 ㎎/㎥ 수준으로 1일 6시간, 주 5일, 4주간 반복노출시켰다. 인디움의 체내 분포는 폐, 뇌, 비장, 간에서 확인하였으며, 추가적으로 혈액 및 혈청에서 인디움 농도를 측정하였다. 및 고찰 시험에 사용된 2 종류의 IO(IO_4000, IO_100) 및 ITO(ITO_50)의 제조사 제공 1차 입자크기는 각각 4 ㎛ 이하, 100 nm 이하, 50 nm 이하였다. BET 방법에 의한 표면적은 1.01 m2/g, 3.10 m2/g, 33.11 m2/g였다. 노출기간 중 흡입쳄버 내 인디움의 평균농도는 IO_4000군, IO_100 군, ITO_50군 각각에 대하여 1.30 ㎎/㎥, 1.13 ㎎/㎥, 1.09 ㎎/㎥였으며, 공기역학적질량중앙값(MMAD)은 각각 1.09 ㎛, 0.66 ㎛, 0.17 ㎛였다. 인디움의 체내 분포 측정결과 IO 노출에 의해 폐에 흡수된 인디움은 뇌, 간, 비장, 혈액 및 혈청으로 거의 이동하지 않았으며, ITO 노출에 의해 폐에 흡수된 인디움보다 폐에서 빨리 제거되었다. ITO는 비장>간>뇌 순으로 많은 양이 조직장기로 이동하였다. 4주간의 회복기간 동안 인디움은 폐에서의 느리게 제거되었으며, 뇌, 간, 비장, 혈액 및 혈청 중 인디움 농도는 회복기간 후 오히려 증가하였다. 혈중 인디움 농도는 4주 반복노출 후에는 0.18 ㎍/l, 4주간의 회복기간 후에는 0.265 ㎍/l로 측정되어 모두 일본산업위생학회에서 제안하는 생물학적허용치(3 ㎍/l)의 1/10 이하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인디움의 체내 분포에는 입자의 크기보다는 화학적 조성이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생물학적지표의 결정에 있어 이러한 특성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활동 근거시료와 토양 석면 농도에 대한 상관관계

백정은, 최성원, 장광명, 이승철, 김현욱†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본 연구에서는 ‘09~12’년(4년간) 동안 실시한 9개의 광산 주변 지역의 토양 내 석면 함유량 정밀조사 및 ABS 조사 분석을 통해 나온 결과로 활동근거 시료 석면농도와 토양의 석면 농도의 상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09년~2012 동안 광천, 신석, 동아, 백동(홍동), 비봉, 신덕, 광천, 봉현, 현덕광산 총 9개의 광산을 대상으로 토양 내 시료 채취 및 활동근거 시료 측정(Activity Based Sampling, ABS)을 실시했던 각 광산의 토양 중 석면의 함유량과 활동근거 시료의 분석 방법별 분석결과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토양 중 석면 함유 분석은 EPA-600/R-93-116 TEM방법, ABS(Activity Based Sampling) 분석은 EPA Level Ⅱ (Yamate) TEM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가 검출한계(LOD)이상인 값은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아 log-변환을 취하였고, 검출한계(LOD미만인 값은 제외하였다. 상관석 분석은 토양 중 석면 함유량, 활동근거 시료의 석면농도 관계를 알아보고자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 특히 토양 중 석면함유량과 활동근거시료의 석면농도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토양 중 석면이 검출된 지점에서 활동근거 시료채취 석면농도가 확인된 자료만 활용하였다. 토양 중 석면 함유량과 활동근거 시료의 석면농도의 관계가 R²=0.404의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활동근거시료의 석면농도와 기상현상(온도, 습도, 풍속), 토양특성(토양수분함량, 양이온치환능력(CEC), 유기물함량LOI)등에 따라 상관성 분석을 실시한다면 보다 정확한 분석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age 72: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64 -

P-62

석면 이해집단의 석면관리정책 인식도에 관한 연구

심상효†

한양대학교병원

최근 도입되기 시작한 석면관리 정책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위해인지, 신뢰도, 효과 등 다각적인 연구를 통해 효율적인 석면관리와 함께 공중의 특성에 부합하는 위해도 의사소통이 이루어져야 할 시점이라고 본다. 특히 신뢰는 지각된 위험을 감소시키며 신뢰 주체의 태도 및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의 석면관리 정책에 대한 공중의 인식과 신뢰를 조사 분석하여 정책 인식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 및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공중의 특성에 맞는 석면 위해도 의사소통 방법론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1. 연구 대상 및 측정 및 분석방법 연구대상자를 이해집단과 일반집단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이해집단은 학교석면관리자(보건직 및 시설관련 공무원)와 석면업관리자(석면해체․제거관리감독자), 일반집단은 시민(거주환경에 석면포함된)을 대상으로 2012년 5월부터 12월까지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기존 선행연구 및 사전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하였으며, 전문가와 시민 등 약 10명을 대상으로 예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중 부실 기재된 자료를 제외하고 617부(학교석면관리자 214명, 석면업관리자 95명, 일반인 308명)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선정된 변수는 ‘석면위해 인식’, ‘석면 지식’, ‘석면정책 인지’, ‘석면위해관리 신뢰’, ‘석면정책 신뢰’, ‘석면정책 공감’, ‘석면정책 정보공유 인식’, ‘석면정책 협력의지’, 그리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는 SPSS 프로그램(PASW Statistics 18)과 AMOS 프로그램(Analysis of Moment Structures 18)을 사용하였다. 석면관리정책 인식도 측정변수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먼저 실시한 후, 종속변수에 대한 관련변수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Page 73: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Ⅳ. 포스터 논문 발표

- 65 -

측정분석

♣ 좌 장 : 김승원 교수(계명대학교)

P-63 반도체 Metal 공정에서 생성된 파우더 부산물 특성분석

최광민†, *김관식, **김수근, **김동일

삼성전자 건강연구소 *삼성전자환경안전센터**강북삼성병원직업환경의학과

P-64 반도체 포토공정에서 발생하는 화학물질 및 부산물 확인

신규식, 최광민†, 홍좌령, *김관식, **김동일

삼성전자 건강연구소 *삼성전자환경안전센터**강북삼성병원직업환경의학과

P-65 한국의 공기 중 석면 계수 정도관리 프로그램 시작 경험

이나루†, 권지운, 이광용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66 광양만권 일부지역의 미세먼지(PM2.5, PM10) 농도수준 파악

우경숙, 박희진, *전준민, **유승도, 손부순†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순천제일대학교그린전남환경종합센터**국립환경과학원환경보건연구과

P-67 소변 중 크레아티닌 분석에서 혼합상태 및 냉장보관기간의 영향

최윤정†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68 여재를 이용한 입자상 물질 채취용 펌프의 유량 신뢰성 평가방법

송호준, 김남희, *이광용, 정지연†

용인대학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69 호흡성 에어로졸농도의 직독식에 의한 측정농도와 환산법에 의한 질량농도 비교

정은교†, 장재길, 김은아, 박정선, *Huynh Tran B.,*Jooyeon Hwang,*Ramachandran Gurumurthy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미네소타주립대보건대학원

P-70 혼합 무기산 분석에 적정한 칼럼 선정에 관한 연구

이종한†, 최성봉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age 74: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66 -

P-71 회화방법에 따른 폐내 석면섬유의 투과전자현미경 분석

한정희†, 정용현, 김현영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72 생체시료의 석면분석방법에 대한 고찰

한정희†, 정용현, 김현영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73 Analysis of statistical data of urinary hippuric acid from 2003 to 2010

이미영†, 류향우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74 Analysis of urinary cotinine to measure the effect of smoking for biological

monitoring of toluene

이미영†, *최호춘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P-75 남성근로자의 흡연과 비만의 상관성

김기웅†, 원용림, 고경선, 노지원, 장승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76 요중 NMF, NMAC 동시정량 분석방법 개선

안선희†, 전영준

대한산업보건협회 산업보건환경연구원

P-77 시료량 증가에 따른 혈중 휘발성유기화합물류 분석능 향상

류은나, 배해림, *장준영, *이정섭, **임호섭, ***이채관, ****이종화, 문찬석†

부산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국립환경과학원**네오딘의학연구소***인제대학교****순천향대학교

P-78 수동시료채취기의 공기 중 저농도 극성 유기용제 측정한계

장재길†, 박해동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79 요중 휘발성 유기화합물류의 정량법 고찰

신효진, 이상석, *장준영, *이정섭, **임호섭, ***이채관, ****이종화, 문찬석†

부산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국립환경과학원**네오딘의학연구소***인제대학교****순천향대학교

Page 75: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Ⅳ. 포스터 논문 발표

- 67 -

P-80 금속가공유 작업환경측정결과 고찰

박동진†, 박현희, 박해동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81 작업환경측정분석 방법의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신정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age 76: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68 -

P-63

P-64

포스터 발표 논문 요약측정분석분야

반도체 Metal 공정에서 생성된 파우더 부산물 특성분석

최광민†, *김관식, **김수근, **김동일

삼성전자 건강연구소 *삼성전자환경안전센터**강북삼성병원직업환경의학과

200 mm 반도체 라인의 Metal 공정설비 중 파우더 부산물이 확인되는 2개 설비 군 (W 배선 및 TiN 증착) 5대 설비를 대상으로 설비 유지보수 작업 시 Process Chamber 주변에서 파우더 부산물을 수집하였다. 파우더 부산물의 물리화학적 특성분석(화학적 조성, 크기, 형상, 결정구조)을 위해 에너지분산분광기(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EDS)가 장착된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및 X선 회절분석기 (X-ray Diffraction, XRD)를 이용하였다. W 배선 공정 설비에서 확인된 파우더에서는 O, Al, W, F, Ti 성분 등이 검출되었다. W 및 F은 공정 및 Chamber 클린 사용 물질 (WF6, NF3)에 기인한 것이며, Al 및 Ti는 Chamber 및 하부 막질에 기인된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O와 W이 주요성분인 파우더의 결정구조 분석결과, 회절 패턴이 WO3 입자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iN 공정 설비에서 확인된 파우더에서는 N, F, Al, Cl, Ti 성분 등이 검출되었는데, 모든 검출된 성분은 공정에서 사용하는 전구체 및 Gas에 포함되는 성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Metal 공정 설비에서 발생하는 파우더 부산물은 대표적으로 W, Ti, Al 등을 포함한 금속산화물인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반응식으로부터 부산물 발생 Mechanism을 추정할 수 있었다. 반도체 Metal 공정에서는 W (Connector) 및 TiN (Barrier Metal) 공정 설비 군에서 파우더 부산물이 발생되며, 대표적으로 W, Ti, Al 등을 포함한 금속산화물이 확인되었다.

반도체 포토공정에서 발생하는 화학물질 및 부산물 확인

신규식, 최광민†, 홍좌령, *김관식, **김동일

삼성전자 건강연구소 *삼성전자환경안전센터**강북삼성병원직업환경의학과

본 연구에서는 실제 포토공정과 동일한 조건에서 발생하는 화학물질을 정성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영업비밀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PR의 유해성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자 한다. I-line PR 4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는 해당 반도체 사업장 I-line PR 전체 사용량의 52%를 차지하고 있다. 포토공정 각 단계(PR 도포 → 베이크 → 노광 → 베이크) 별로 발생하는 Out-gassing에 대하여 정성분석을 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Benzene, Formaldehyde, Ethylene oxide, TCE 등 조혈기계암 발암성 물질 4종과 2-Methoxyethanol, 2-Methoxyethyl acetate, 2-Ethoxyethanol, 2-Ethoxyethyl acetate, Bis(2-methoxyethyl) ether, Toluene 등 반도체 산업 컨소시엄(Semiconductor Industry initiative)에서 지정한 생식독성 물질 6종을 포함한 총 10종의 독성물질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포토공정 각 단계(PR 도포 → 베이크 → 노광 → 베이크) 별로 발생하는 화학물질을 확인한 결과, MSDS상 기재물질(Solvent류) 외 총 35종의 물질이 확인되었다. 확인된 35종을 물질군 별로 구분하면 Ketone류가 14종(40%)으로 가장 많으며, Ester류, Alcohol류 등의 순서로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또한 대부분 지방족 물질이며 방향족 물질은 8종으로 23%를 차지한다. 발생한 방향족 물질은 Cresol, 2,5-Dimethylphenol 등으로 보건 관점에서 관리가 필요한 독성물질은 확인되지 않았다. 포토공정에서 발생하는 화학물질에 대하여 확인한 결과 총 35종의 물질이 확인되었으나, 조혈기계암 유발물질 4종(Benzene, Formaldehyde, Ethylene oxide, TCE)을 포함한 독성물질은 확인되지 않았다. 특히 포토공정 중 유해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가장 큰 노광 공정에서는 부산물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Page 77: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Ⅳ. 포스터 논문 발표

- 69 -

P-65

P-66

한국의 공기 중 석면 계수 정도관리 프로그램 시작 경험

이나루†, 권지운, 이광용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Asbestos fiber counting data using phase contrast microscopy have variability and bias. There is intrinsic sample variability by the random distribution of fibers over filter surface in asbestos fiber counting. In addition to intrinsic sample variability, there are intra-counter variability by counter training and experience, visual acuity, and mind set, intra-laboratory variability by difference among counters, and inter-laboratory variability by differences in laboratory practice. Korean asbestos fiber counting proficiency testing scheme was launched to assure the quality of asbestos fiber counting in 2007. Before launching proficiency testing scheme, public training program for asbestos fiber counting was provided to analysts who want to count asbestos fiber as 3 days’ course. As a result of public training program, new analysts were trained. Every laboratory that counts asbestos fiber commercially by PCM should get permission from authorities and participate in Korean asbestos fiber counting proficiency testing scheme which is operated by Kore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Laboratories count asbestos fiber longer than 5㎛, more than 3 to 1 aspect ratio using PCM, following ‘Standard on air monitoring method and laboratories in workplac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1-55]. In this paper, outlines and performance result of Korean asbestos fiber counting proficiency testing scheme was presented. Several issues in launching scheme were discussed.

광양만권 일부지역의 미세먼지(PM2.5, PM10) 농도수준 파악

우경숙, 박희진, *전준민, **유승도, 손부순†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순천제일대학교그린전남환경종합센터**국립환경과학원환경보건연구과

지자체에서 활용 가능한 환경관리 대책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광양만권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미세먼지(PM2.5, PM10)농도를 파악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08년 5월 14일부터 10월 22일까지 광양만권(광양, 여수, 남해)을 대상으로 조사지역 3지점, 비교지역 3지점을 3계절에 걸쳐 계절별로 측정하였다. 조사지역은 광양시 금호동, 여수시 여천동, 남해군 서면에 위치한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하였고, 비교지역은 광양만권 산단지역의 환경오염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광양시 봉강면, 여수시 화양면, 남해군 이동면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membrane filter를 사용하여 소용량 공기채취기와 로우볼륨 에어 샘플러로 시료를 채취하여 대기 중 PM2.5 및 PM10의 중량농도를 산출하였다. 지역별 PM2.5 농도는 조사지역의 경우 광양 32.48㎍/㎥, 여수 30.57㎍/㎥, 남해 28.36㎍/㎥으로 나타났고, 비교지역의 경우 각각 19.47㎍/㎥, 20.02㎍/㎥, 17.71㎍/㎥으로 조사되었다. PM10농도의 경우 조사지역은 광양 50.86㎍/㎥, 여수 44.11㎍/㎥, 남해 42.96㎍/㎥의 순으로 분석되었고, 비교지역은 광양 28.29㎍/㎥, 여수 28.59㎍/㎥, 남해 25.86㎍/㎥로 PM2.5와 PM10 모두 조사지역이 비교지역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광양의 경우 여수, 남해에 비해 높은 농도분포를 보였다(표 1). 미세먼지 농도를 계절별로 조사한 결과 3계절 중 봄철의 미세먼지 농도가 다른 계절에 비해 높은 농도로 나타났고 여름철과 가을철은 유사한 농도 범위를 나타내었다. 이는 봄철 황사로 인해 미세먼지가 다른 계절에 비해 높은 농도로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광양 조사지역의 경우 3계절 모두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농도 수준을 보였지만 우리나라 국내 대기환경보전법 일평균 대기환경기준치(100㎍/㎥)를 초과하지는 않았다. 광양만권 일부지역에 대한 미세먼지에 대한 농도는 3계절 중 봄철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사지역이 비교지역에 비해 높은 농도 수준을 보였다.

Page 78: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70 -

P-67

P-68

소변 중 크레아티닌 분석에서 혼합상태 및 냉장보관기간의 영향

최윤정†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소변 중 생물학적 노출지표 농도 보정을 위한 크레아티닌 분석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요인 중 소변의 혼합 상태 및 냉장보관기간의 영향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소변 중 크레아티닌 농도는 Jaffe 반응을 이용한 자동생화학분석기 COBAS INTEGRA 400 plus(Roche)로 분석하였다. 소변의 혼합 상태에 따른 분석결과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무작위로 채취한 소변시료 205개를 -80℃에서 냉동 보관하다가 4℃에서 하룻밤(24시간) 방치하여 해동시킨 후 침전물이 가라앉은 상태로 분석한 결과와 혈액교반기로 1시간 정도 충분히 혼합한 상태로 분석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혼합한 상태의 결과값에서 침전물이 가라앉은 상태의 분석 결과값를 뺀 수치, 즉 상태에 따른 변화량은 평균 1.10 mg/dL, 중위수 0.74 mg/dL, 범위 -6.40~9.34 mg/dL로 유의하게 변화하는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냉장보관기간이 분석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80℃에서 냉동보관 중이던 시료를 해동하여 분석한 값과 이후 1, 3, 4, 5, 7, 8, 10일간 냉장보관 한 후 분석한 값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날짜 간격별로 각각 64, 140, 140, 71, 141, 70, 129개 시료를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유의수준은 0.05 미만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를 동일 시료별로 비교해 보았을 때 보관일수가 증가함에 따라 값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날짜 간격에 따른 결과값의 차이, 즉 냉장 보관 후 분석결과에서 보관 전 분석결과를 뺀 값을 통계 분석하였다. 평균 차이값을 살펴보면 하루 보관 시에는 2.91 mg/dL 감소하였으나 그 이후 점점 증가하여 3~4일 사이 13.51 mg/dL에서 56.37 mg/dL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5일째에 61.27 mg/dL로 최대로 증가하였으며 이후 변화는 미미하다. 차이값의 범위 역시 1일째에 11.27 mg/dL(-9.35~1.92 mg/dL)에서 점점 넓어져 5일째 최대 209.26 mg/dL(-0.02~209.24 mg/dL)에 달했다. 냉장보관기간과 크레아티닌 증가값의 상관관계는 r=0.485(p<0.01)로 냉장보관기간이 길수록 분석결과 값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관기간에 따른 크레아티닌 농도 증가의 원인은 외인성 색소원이 증가하여 비특이적인 jaffe 반응에 간섭효과를 일으키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는 여러 혼란변수가 통제되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추후 다양한 변수에 따른 크레아티닌 농도 변화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와 액체크로마토그래피 또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 등을 활용한 정확한 분석법에 대한 권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여재를 이용한 입자상 물질 채취용 펌프의 유량 신뢰성 평가방법

송호준, 김남희, *이광용, 정지연†

용인대학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작업환경측정 정도관리의 시행을 통해 분석자들의 분석능력 및 측정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많이 향상되었다. 하지만 측정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요소인 개인시료채취기의 유량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는 검증수단이 없어 시료채취 전⦁후의 유량을 보정하는 수준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다. 측정을 하다보면 시료채취 도중 펌프가 꺼지는 현상을 경험한 적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현상들은 배터리 성능의 저하, 펌프성능의 저하, 시료채취기 내의 공기이동경로 막힘 현상, 시료채취 시 오염물질의 축적에 의한 압력상승 등의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이를 판단할 만한 수단이 없는 것이 사실이다. 현재 작업환경측정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시료채취기의 구입년도와 사용 시기 및 펌프 제조회사의 종류를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고,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3개의 회사제품을 선정하여 실제 측정에 사용가능한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평가방법은 ISO기준(안)을 참고하였다.

Page 79: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Ⅳ. 포스터 논문 발표

- 71 -

P-69

P-70

호흡성 에어로졸농도의 직독식에 의한 측정농도와 환산법에 의한 질량농도 비교

정은교†, 장재길, 김은아, 박정선, *HuynhTranB.,*Jooyeon Hwang,*Ramachandran Gurumurthy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미네소타주립대보건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분진노출 근로자들의 직독식 측정기기에서 얻은 PM2.5 및 호흡성분진(RPM, Respirable Particulate Matter) 농도와 크기별 입자수농도로부터 환산한 질량농도사이의 관련성을 보고자 함이다. 시료포집은 6개 타코나이트 광산에서 선광, 분쇄, 농축, 그리고 펠릿 등 공정을 대상으로 2010년 1월부터 2011년 4월 까지 실시하였다. 근로자들의 동일노출군(SEGs)은 각 작업의 빈도 등 근로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유형 및 조건에 기초하여 16개의 직무노출 매트릭스를 정하였고 4시간 동안 포집하였다. 동일한 위치에 DustTrak 에어모니터와 Aerotrak(Model 9306, TSI, Inc., Shoreview, MN) 및 Ptrak(Model 8525, TSI, Inc., Shoreview, MN) 모니터를 설치하였고 DustTrak에서 호흡성분진을 측정한 결과와 Ptrak 및 Aerotrak의 입자크기별 수농도 측정치에서 환산식에 따라 질량농도를 산출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PM2.5 및 RPM 농도의 환산값은 Ptrak 및 Aerotrak의 입자크기분포(PM2.5: 0.02–3.0 μm, RPM: 0.02–10.0 μm)별 입자수농도로부터 산출방정식을 이용하여 질량농도를 계산하였다. 또한, PM2.5 및 RPM 농도의 측정값은 직독식 측정기(direct-reading instrument)인 DustTrak으로 측정한 결과로부터 얻었다. 비교대상은 77명의 동일노출 근로자중 동일날자, 동일장소(위치)에서 측정한 66 개(Pairs) 군에 대해서만 분석하였다. 측정된 PM2.5 및 RPM의 질량농도는 로그정규분포 하였다. DustTrak 과 Ptrak 및 Aerotrak에서의 PM2.5 농도의 기하평균 및 기하표준편차는 각각 0.03 ㎎/㎥(GSD 2.54), 0.03 ㎎/㎥(GSD 3.49) 이었다. 또한, DustTrak과 Aerotrak 및 Ptrak에서의 RPM 농도는 각각 0.12 ㎎/㎥(GSD 2.03), 0.15 ㎎/㎥(GSD 4.10) 이었다. DustTrak의 PM2.5 및 RPM 농도와 Aerotrak 및 Ptrak의 PM2.5 및 RPM 농도 사이에는 대응포본 t 검정결과, 평균에 차이가 없었다(p>0.05). 또한, 두 측정방법에 대한 피어슨 결정계수(R2)는 각각 0.62, 0.57로 높은 상관성을 보여 주었다. Ⅳ. 결론 본 연구결과는 중량법에 의한 질량농도의 보정인자(Calibration Factor)를 계산하고자 할 때,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DustTrak 대신 다른 직독식 측정기기를 이용해서도 추정할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혼합 무기산 분석에 적정한 칼럼 선정에 관한 연구

이종한†, 최성봉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최근 불산, 염산, 황산 등의 무기산 누출로 인한 사고로 인해 인적, 물적 손실이 발생함에 따라 화학물질 관리가 사회적인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불산(TWA-0.1ppm), 염산(TWA-1ppm), 황산(TWA-0.2㎎/㎥), 질산(TWA-2ppm) 등은 대부분 자극성 액체로 강한 부식성이 있으며, 단일물질로 사용하기보다는 혼합 무기산의 형태로 사용하기 때문에 화학물질 사고를 예방하고 상황에 따라 적절한 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사업주 및 근로자의 각별한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혼합 무기산 분석은 작업환경 중의 분석대상 물질을 고체채취방법인 흡착튜브에 통과시켜 탈착시킨 후에 이온크로마토그래피(IC)를 이용하여 정량분석이 이루어지는데 OSHRI Methods에서 규정하고 있는 HPIC-AS칼럼과 이동상 조건은 혼합 무기산의 검출시간이 오래 걸리며 피크의 재현성이 고르지 못한 불편성이 상존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혼합 무기산 분석방법에서 나타나는 불편성을 해결하여 무기산 각 구성성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IonPac Column과 음이온 Suppressor, 그에 따른 이동상을 이용하는 방법 등, 혼합 무기산 분석에 적정한 칼럼을 선정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Page 80: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72 -

P-71

P-72

회화방법에 따른 폐내 석면섬유의 투과전자현미경 분석

한정희†, 정용현, 김현영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This study was designed to establish an accurate asbestos analytical method of biological sample for determining occupational asbestos related diseases and relief of health damages resulting from environmental asbestos. The biological samples were obtained from the rat lung following intratracheal instillation of asbestos(chrysotile, anthophyllite) and were prepared by each digestion method(wet digestion, high temperature ashing, low temperature ashing). Then the samples were analyzed asbestos fibers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equipped with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Low temperature plasma ashing technique removed more of the organic components and reduced fiber loss than wet digestion method, thus specimen prepared with were more suitable for TEM. Low temperature ashing technique is most accurate method for analyzing asbestos in biological samples.

생체시료의 석면분석방법에 대한 고찰

한정희†, 정용현, 김현영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적 석면노출로 인한 근로자의 업무상 질병 증가와 환경성 석면노출로 인한 건강피해자를 위한 석면피해구제법 시행으로 석면피해인정 진단을 위한 기관지폐포세정액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및 폐조직 등 생체시료의 석면농도 분석기법 확립의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이에 국내외 생체시료내 석면분석방법을 조사 및 비교하여 시료에 따른 최적의 분석방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폐조직 및 BALF 등 생체시료 내의 석면소체 및 석면섬유를 분석하기 위한 시료제작방법 및 분석방법의 종류를 조사하여 실험실내 실험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석면피해 인정기준에 적합한 정확한 시료제작방법 및 분석방법을 비교 검토하였다. 투과전자현미경은 복잡하지만 생체내 석면을 가장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필수적이며 석면소체보다 석면섬유를 계수하는 것이 폐내 석면농도를 폐내 석면농도를 정확히 반영한다. 또한, BAL와 폐조직내의 석면섬유 농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BALF의 석면농도로 폐조직내 실제 석면농도를 추정하기 어렵다 Ⅳ. 고찰 및 결론 석면에 의한 직업병 및 석면노출 피해자의 진단을 위하여 시료에 맞는 최적의 분석방법 및 해석이 중요하며, 가장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 저온회화법을 이용한 시료제작 및 투과전자현미경 분석이 필요하다.

Page 81: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Ⅳ. 포스터 논문 발표

- 73 -

P-73

P-74

Analysis of statistical data of urinary hippuric acid from 2003 to 2010

이미영†, 류향우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Urinary hippuric acid is the bio-marker for biological monitoring of toluene exposure. The biological exposure index (BEI) of hippuric acid in urine is 2.5 g/g creatinine, but this needs to be lowered to 1.6 mg/g creatinine following the decrease of limit of exposure of toluene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from 100 ppm to 50 ppm. As there was debate concerning the practical aspect of lowered BEI, the authors analyzed the data for urinary hippuric acid reported by domestic laboratories to KOSHA from 2003 to 2010 and estimated the effect of lowering BEI. Total record of urinary hippuric acid, 757.800 data reported to KOSHA from 2003 to 2010 were classified into 6 groups, 0-0.6 g/g creatinine, 0.6-1.1 g/g creatinine, 1.1-1.6 g/g creatinine, 1.6-2.1 g/g creatinine, 2.1-2.5 g/g creatinine, and 2.5 g/g creatinine, and the number of data and percentage ratio of each group were described for two BEI value, 1.6 and 2.5 g/g creatinine. Among 4,580 cases (0.6% of total data) over 2.5g/g creatinine, 28 cases were decided as occupational disease, and 57 cases were diagnosed as occupational disease. Among 16,300 cases (2.2% of total data) over 1.6g/g creatinine, 30 cases were decided as occupational disease, and 197 cases were diagnosed as occupational disease. When BEI of urinary hippuric acid is lowered to 1.6 g/g creatinine, the increase of data over BEI was estimated as about 1,500 cases per year. The ratio of decision as occupational disease for the entire data is 0.44%, which affect the ratio of decision as occupational disease at present BEI with just 0.08% increase. The lowered BEI of urinary hippuric acid is not expected to have practically serious increase to the ratio of decision as occupational disease by exposure to toluene.

Analysis of urinary cotinine to measure the effect of smoking for biological

monitoring of toluene

이미영†, *최호춘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Biological monitoring of toluene occupies major analytical tasks of more than 100 laboratories in the field of industrial occupational health in Korea. While investigating the practical biological exposure index of toluene exposure, the authors analysed the effect of smoking to the levels of metabolite of toluene from the level of urinary cotinine. Ambient monitoring and biological monitoring for 103 workers exposed to toluene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Urinary cotinine was obtained using UPLC-UV at 260nm with 10 mM sodium acetate/sodium octanesulfonate mobile phase and C18 column(2.1 x 50 mm, 1.8 μm). The detection limit of cotinine was 0.22 mg/L and quantitation limit was 0.66 mg/L. The average of cotinine was 1.73±1.44 mg/g creatinine for 103 workers exposed to toluene.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evel of cotinine and urinary o-cresol, hippuric acid and toluene in blood(p<0.05). Smoking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 to the bio-marker of toluene exposure such as urinary o-cresol, hippuric acid and toluene in blood.

Page 82: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74 -

P-76

P-75남성근로자의 흡연과 비만의 상관성

김기웅†, 원용림, 고경선, 노지원, 장승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본 연구에서는 흡연습관에 따른 neuropeptides의 변화와 비만 및 MetS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흡연자의 평균나이는 38.1세로서 과거흡연자(41.9세)와 비흡연자(40.1세)보다 유의하게 적었다. 체중, BMI, 허리둘레와 복부지방두께는 현재흡연자가 과거흡연자 및 비흡연자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비흡연자보다 과거흡연자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 비흡연자가 다른 두 그룹보다 식습관이 유의하게 좋았으며, LDL-콜레스테롤 농도도 유의하게 낮았다. 흡연 상태에 따른 neuropeptides 농도를 측정한 결과, BDNF 농도는 현재와 비흡연자보다 과거흡연자에서 유의하게 높은 반면 AdipoN의 농도는 낮았으며, LeP 농도는 비흡연자, 과거흡연자, 현재흡연자 순으로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흡연이 AdipoN과 LeP과 같은 neuropeptides의 체내 농도에 영향주어 나타난 결과라 보인다(Otsuka et al., 2009). 연구대상자를 비만(BMI≥25 ㎏/㎡)과 비만하지 않은(BMI<25 ㎏/㎡) 대상자로 구분하여 AdipoN, BDNF 및 LeP 농도를 측정한 결과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비만인 대상자에서는 BDNF와 LeP의 농도가 높았고 비만하지 않은 대상자에서는 AdipoN이 높았다. AdipoN, BDNF, LeP 및 hs-CRP를 독립변수로 하고 MstS의 진단지표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AdipoN은 비흡연자와 현재흡연자에서 중성지방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Lep은 비흡연자와 현재흡연자에서 허리둘레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으나 현재흡연자에서 혈압, HDL-콜레스테롤 및 MetS와 관련을 보이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흡연이 AdipN, BDNF, LeP 및 hs-CRP와 같은 neuropeptides의 농도를 변화시킴으로서 식욕과 에너지 소모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MetS와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인 몸무게, BMI, 혈압, 복부지방 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중 NMF, NMAC 동시정량 분석방법 개선

안선희†, 전영준

대한산업보건협회 산업보건환경연구원

본 연구의 목적은 고정상 성분이 서로 다른 극성 WAX 컬럼과 중간극성 624 컬럼을 이용하여 요중 NMF와 요중 NMAC의 동시정량 분석방법을 개선하고 저, 고농도 정도관리 시료를 분석하여 정확도 및 정밀도를 비교함으로써 특수건강검진기관의 분석의 정확성을 높이고 신뢰성 있는 결과로 질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한다. 극성 성분인 Wax 컬럼의 경우 요중 NMAC와 요중 NMF의 순서로 머무름 시간이 각각 4.7분, 4.9분대로 두가지 물질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았고, 요중 NMF는 피크의 끌림현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중간극성 성분인 624 컬럼의 경우 요중 NMF가 먼저 나타나고 그 후 요중 NMAC 순으로 각각 7분, 7.9분대의 머무름 시간에 나타났으며, 크로마토그램이 완전하게 분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극성 성분인 Wax 컬럼에서는 크로마토그램 순서가 내부표준물질, NMAC, NMF 순으로 나타나는 반면 중간극성 성분인 624 컬럼에서는 NMF, NMAC, 내부표준물질 순으로 바뀌어 나타났다. Wax 컬럼에 비해 624 컬럼으로 동시 정량하였을 시 요중 NMF와 NMAC의 피크분리가 명확하고 검출되는 크로마토그램의 순서가 바뀌어 나타났다. WAX 컬럼의 경우 요중 NMF와 요중 NMAC의 크로마토그램이 깔끔하게 분리되지 못하고 요중 NMF의 경우 크로마토그램의 끌림현상으로 정량 시 과대평가 될 수 있는 오류를 범 할 수 있다. 분석 결과로 보아 인조가죽이나 섬유제품 사업장등에서 DMF와 DMAC가 동시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요중 NMF와 요중 NMAC의 동시정량이 필요하며, GC/NPD를 이용한 요중 NMF와 NMAC의 분석에 있어서 극성 성분인 WAX 컬럼보다는 중간극성 성분인 624 컬럼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램의 겹침현상 없이 동시정량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권장한다.

Page 83: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Ⅳ. 포스터 논문 발표

- 75 -

P-77

P-78

시료량 증가에 따른 혈중 휘발성유기화합물류 분석능 향상

류은나, 배해림, *장준영, *이정섭, **임호섭, ***이채관, ****이종화, 문찬석†

부산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국립환경과학원**네오딘의학연구소***인제대학교****순천향대학교

일반인의 혈액 중 저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사람 혈액 중 9종의 저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류 (Benzene, Toluene, o-,m-,p-Xylene, Ethylbenzene, Trichloroethylene, Tetrachloroethylene, styrene)의 HS-SPME와 GC/MS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동시정량이 가능함을 올해 본 학회 춘계학술대회에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본 분석방법을 토대로 하여 혈액 시료량을 기존의 1ml에서 2ml로 증가시켜 분석능의 향상 정도를 검토하였다. 헤드스페이스 고체상 마이크로 추출법 (HS-SPME)과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법 (GC/MS)을 이용하였으며 결과치는 방법검출한계를 구하였고, 검정곡선정밀도, 회수율을 구하였다.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대상 분석물질의 방법검출한계 (MDL)와 3회 평균 (다른 분석일)의 검정선식과 3회 배치간 정밀도를 CV(%)로 Table 1에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방법검출한계는 혈액 시료량 1ml와 2ml에서 각각 benzene 0.383 μg/l, 0.183 μg/l 으로 52 % 감소, trichloroethylene 0.352 μg/l, 0.177 μg/l로 50 % 감소, toluene 1.180 μg/l, 0.235 μg/l로 80 % 감소, tetrachloroethylene 0.377 μg/l, 0.174 μg/l로 54 % 감소, ethylbenzene 0.315 μg/l, 0.195 μg/l로 38 % 감소, m-,p-xylene 0.350 μg/l, 0.175 μg/l로 50 % 감소, o-xylene 0.372 μg/l, 0.184 μg/l로 50 % 감소, styrene 0.278 μg/l, 0.180 μg/l로 35 % 감소를 나타내었다. 다른 날짜에서 검정곡선을 3회 작성하여 배치간 정밀도를 CV (%)로 확인하였으며 2ml의 혈액시료에서 모두 15% 이하를 나타내었다. 회수율은 혈액 시료량 2ml에서도 저 중 고농도의 3가지 농도로 시험하였고 모두 ± 25 % 회수율을 나타내어 2ml로 시료량을 증가시킬 경우 1ml 시료량에서 보다 더 정밀한 분석이 가능하였다. 혈액의 분석 시료량을 기존의 방법인 1ml에서 2ml로 증가시켜 9종의 휘발성유기화발물류의 정량 분석능을 검토하였다. 방법검출한계가 최저 35 % (styrene)에서 최고 80% (toluene)까지 낮게 나타나므로 더 정밀하고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다.

수동시료채취기의 공기 중 저농도 극성 유기용제 측정한계

장재길†, 박해동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작업환경측정 기관은 수동시료채취기의 사용을 늘리고 있으나 농도 등 작업환경 조건 등을 고려하지 않고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국내에서는 수동시료채취기의 사용과 관련된 법적 규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극성 유기용제 중 미국산업안전보건청(OSHA)에서 수동시료채취기(Passive sampler)에 대해 성능이 검증된 메틸에틸케톤(MEK, Methyl Ethyl Ketone)과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Methyl Isobutyl Ketone)을 대상으로 하여 국내 노출기준(KOEL)의 약 0.0005배까지의 농도에 대해 능동시료채취법(Active sampling)인 활성탄관을 사용한 방법과의 비교를 통해 검출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MEK의 경우 KOEL의 0.1배 농도 근처에서는 수동시료채취 결과가 평균 12.96 ppm, 능동시료채취결과가 12.85 ppm으로 농도 간에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0.05배의 경우 수동시료취기의 농도가 약간 감소하여 능동시료의 98.4%가 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농도가 감소할수록 심해져서 0.0005 KOEL에서는 64.1%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MIBK의 경우 KOEL의 0.001배 근처에서 능동시료채취 결과가 평균 0.19 ppm으로 수동시료채취결과 0.18과 농도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농도가 증가하면서 수동시료취기의 효율이 증가하여 KOEL의 0.1배 농도 근처에서는 수동시료채취 결과가 평균 4.62 ppm, 능동시료채취결과가 3.71 ppm으로 능동시료채취기의 효율이 수동시료채취기 80.2%까지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공기 중의 유기용체 농도뿐만 아니라 온도와 습도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

Page 84: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76 -

P-790

P-80

요중 휘발성 유기화합물류의 정량법 고찰

신효진, 이상석, *장준영, *이정섭, **임호섭, ***이채관, ****이종화, 문찬석†

부산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국립환경과학원**네오딘의학연구소***인제대학교****순천향대학교

본 연구에서는 요중 8종의 저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류 (Benzene, Toluene, o-,m-,p-Xylene, Ethylbenzene, Trichloroethylene, Tetrachloroethylene, styrene)의 신속하고 정확성 높은 동시정량법으로 개량해 가기 위해 요 시료량의 증가에 따른 분석능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시료량을 1ml에서 2ml로 증가 시킴에 따라, 9종의 요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방법검출한계는 감소되었다. benzene이 0.242 μg/l, 0.094 μg/l로 61% 감소되었으며, trichloroethylene이 0.131 μg/l, 0.093 μg/l로 29 % 감소, toluene이 0.194 μg/l, 0.092 μg/l로 53 % 감소, tetrachloroethylene이 0.205 μg/l, 0.095 μg/l로 54 % 감소, ethylbenzene이 0.188 μg/l, 0.080 μg/l로 57 % 감소, m-,p-xylene이 0.233 μg/l, 0.076 μg/l로 67 % 감소, o-xylene이 0.183 μg/l, 0.065 μg/l로 64 % 감소, styrene이 0.240 μg/l, 0.070 μg/l로 71 % 감소로 9종의 대상 분석물질에서 29-71%의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검정곡선 작성용 표준용액은 각기 다른 농도로 5개 이상 시행하였으며 상관계수(R2) 0.99 이상의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회수율의 경우 저 중 고농도의 3가지 농도로 시험하였으며 모두 ±25 % 이내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SPME fiber의 안정도 평가의 경우 변동계수(CV) 8.7 %를 나타내었다. 요시료의 경우는 9개 분석대상 물질의 방법검출한계가 모두 0.1 μg/l 이하로서, 동일량 (2ml) 혈액시료 (tetrachloroethylene 0.174 μg/l - toluene 0.235 μg/l ) 와 비교하여 볼 때 더 낮은 한계치 (0.065 μg/l - 0.095 μg/l)를 나타내었다. 요시료량을 기존의 1ml에서 2ml로 증가시켜 9종 휘발성유기화합물류를 정량 분석하였으며, 현저한 방법검출한계치의 감소 (0.1 μg/l 이하)가 나타났다. 시료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더 정밀한 분석이 가능하였다. 본 방법은 신속 정확하게 다수의 개체에서 노출정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정량 분석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다.

금속가공유 작업환경측정결과 고찰

박동진†, 박현희, 박해동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본 연구는 2008년도에 노출기준과 작업환경측정방법이 바뀌기 전∙후의 작업환경측정결과를 비교하고 금속가공유의 노출특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2005년부터 2012년까지 수행된 금속가공유에 대한 작업환경측정자료 175,681건을 활용하여 연도별 노출수준의 변화를 분석하고, 노출기준 및 작업환경측정방법의 개정 전∙후를 비교하였다. 연도별 측정치는 정규분포하지 않았으며, 전체적으로 2005년부터 측정개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개정된 기준이 적용된 2009년에 그 수가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노출지수를 연도별로 비교하였을 때,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서서히 감소하다가 개정된 이후인 2009년에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소폭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노출기준을 초과한 비율은 2006년도에 0.7%(93개)로 가장 높았으며 이후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다가 2009년 0.2%(39개)로 소폭상승하고 이후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05년부터 2008년까지는 노출기준의 10%이하 측정치의 비율이 64.8-72.5%이고 2009년부터 2012년까지 43.0-48.0%로 전체 측정개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노출기준의 90%를 초과한 고위험군(544개)을 분석한 결과, 업종으로는 그 외 기타 자동차 부품 제조업(76개), 기타 자동차부품 제조업(42개) 등 자동차관련 제조업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기계가공(81개), CNC가공(36개), N/C가공(36개)이 고위험군으로 나타났다. 2009년도에 측정개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난 것은 중량분석법에서 용매추출법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숙련된 분석자의 부재와 분석기기의 부족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되며, 노출지수로 기준의 개정 전∙후를 비교하였을 때, 2009년도에 노출지수가 상승하는 것은 개정전과 비교하여 노출기준이 엄격하게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Page 85: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Ⅳ. 포스터 논문 발표

- 77 -

P-81

작업환경측정분석 방법의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신정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검출한계란 일반적으로 주어진 분석절차에 따라 합리적인 확실성을 가지고 분석할 수 있는 가장 적은 농도나 양을 말한다. 최근 직업병이 이슈화 되면서 직업병 사례가 발생하는 물질의 노출기준이 낮아지는가 하면 반도체 공정 등에서 발생하는 저농도 노출 물질에 대한 작업환경측정도 직업병 판정에 중요한 요인이 되면서 저농도로 노출되는 화학물질 분석의 검출한계는 미량분석의 신뢰성을 확인하는 하나의 요소가 되었다. 하지만 개정된 작업환경측정 정도관리 제도를 통하여 국내 작업환경측정기관의 1/3 정도를 평가한 결과 검출된 시료농도의 계산은 대부분 잘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불검출 된 시료에 제시되어야 할 검출한계와 정량한계의 계산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거나 정확한 계산방법을 모르는 분석자가 상당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위생분야 분석에서 적용 가능한 검출한계와 정량한계의 계산방법을 제시하여 관련분야 업무자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NIOSH에서는 검출한계를 평균 blank signal의 표준편차(σb)보다 3배가 높은 농도로, 정량한계는 정확도를 가지고 보고할 수 있는 분석물질의 가장 작은 양으로 정의하였다. 정량한계는 평균 blank signal+10σb의 값 또는 재현성이 75% 이상 되는 농도 중 더 큰 값을 채택한다. NIOSH에서 제시하는 검출한계 계산방법은 낮은 농도수준으로 만든 표준용액용 시료의 반응값과 물질의 농도에 대한 회귀선(Y=mX+b)을 구하고 회귀선에 대한 표준오차 sy를 구하여, LOD(LOD=3sy/m)를 계산한다. EPA에서는 추정된 MDL 농도의 1~5배 사이의 표준시료를 준비하고 MDL을 구하기 위한 시료(n)를 최소 7개 이상 제조하여 분석방법에 따라 분석한다. 분석된 값들의 분산(S2)과 표준편차(S)를 구하고 99% 신뢰구간에서 (n-1)의 자유도를 가지는 students' t value와 표준편차(S)를 곱하여 MDL을 계산한다. 검출한계와 정량한계에 대한 정의와 계산방법은 매우 다양하지만 분석방법에 맞는 계산방법을 분석자가 적용하여 계산하면 어떤 방법을 사용해도 문제가 없다. 제시된 방법이 두개 기관의 계산방법이지만 일반적인 산업위생분야 분석의 GC나 AAS 등의 장비에 대한 검출한계 계산이 가능한 방법이므로 검출한계와 정량한계 계산에 어려움을 가졌던 관련분야 분석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되며, 불검출 된 샘플의 양이 어느 정도 작은 양까지 분석하였을 때 검출되지 않았던 것인지 대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정확한 검출한계의 계산은 향후 저농도 노출평가 자료의 통계처리에서 보다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제공할 것이라 판단된다.

Page 86: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Page 87: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 79 -

IV. 구연 발표 세션

○ O-1-1 ~ O-1-5 : 10/24(목) 16:00~17:30, 405호실

작업환경

○ O-2-1 ~ O-2-5 : 10/25(금) 10:00~12:00, 402호실

안전보건관리

○ O-3-1 ~ O-3-5 : 10/25(금) 10:00~12:00, 403호실

유해인자 노출평가

○ O-4-1 ~ O-4-5 : 10/25(금) 10:00~12:00, 404호실

위험성평가

○ O-5-1 ~ O-5-5 : 10/25(금) 10:00~12:00, 405호실

측정분석

연구, 기술개발 내용에 대해 회원들을 대상으로 구두로 발표하고 의견을 교환하는 세션

Page 88: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Page 89: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Ⅴ. 구연 발표 세션

- 81 -

구두 논문 발표 프로그램

♣ 일 시 : 10/24(목) 16:00~17:30, 10/25(금) 10:00~12:00

♣ 장 소 : 4층 강의실

구두 발표 번호

일 시 장 소 분 야 좌 장

O-1-1~O-1-5 10/24(목) 16:00~17:30 405호 작업환경 윤충식 교수(서울대학교)

O-2-1~O-2-5 10/25(금) 10:00~12:00 402호 안전보건관리 문찬석 교수(부산가톨릭대)

O-3-1~O-3-6 10/25(금) 10:00~12:00 403호 유해인자 노출평가 변상훈 교수(고려대)

O-4-1~O-4-5 10/25(금) 10:00~12:00 404호 유해·위험성 평가 장재길 박사(안전보건공단)

O-5-1~O-5-5 10/25(금) 10:00~12:00 405호 측정분석 김기연 교수(부산가톨릭대)

※ 구두 논문 발표는 학회 회원분들과 좌장의 평가를 통해 각 분야별로 1~2편의

우수 논문상을 선정하게 됩니다.

Page 90: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82 -

작업환경

♣ 일 시 : 10월 24일(목) 16:00 ~ 17:30

♣ 장 소 : 4층 405호

♣ 좌 장 : 윤충식 교수(서울대학교)

O-1-1 컨트롤 밴딩 방법을 이용한 나노 물질 취급 작업환경 평가

이나루†, 안정호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O-1-2 버스운전기사들의 근골격계 위험요인 및 물리적 유해인자 노출 평가

오성업†, 최정미, 김화일, 김기연

부산가톨릭대학교

O-1-3 석유화학제품에 함유된 벤젠 수준 평가

곽수경, 최상준†, *박동욱, 안호기

대구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O-1-4 양돈 작업장소별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의 실시간 모니터링

박지훈, 강태선, 석지원, 진수현, *김효철, 윤충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농촌진흥청국립농업과학원

O-1-5 치과 위생사들에 대한 치과 재료의 유해정보 전달 실태 평가

김혜경, *최상준†, *곽수경

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학과 *대구가톨릭대학교산업보건학과

Page 91: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Ⅴ. 구연 발표 세션

- 83 -

O-1-1

O-1-2

구두 발표 논문 요약작업환경 분야

컨트롤 밴딩 방법을 이용한 나노 물질 취급 작업환경 평가

이나루†, 안정호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제조나노물질의 생산과 사용은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불확실성이란 맥락에서 위험을 가지고 있다. 불확실성이 큰 나노물질의 위험관리에 컨트롤밴딩은 매우 유용할 것이다. 나노물질 위험 관리에 나노툴(Nanotool)을 백 등이 제안한 후에 여러 연구자와 나라에서 나노 물질 위험성평가에 다양한 컨트롤 밴딩 도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나노물질에 대한 여러 컨트롤밴딩 접근 방법을 비교하여 보고, 실제 작업장의 사례를 적용하여 장점과 단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Nanotool, Stoffenmanager nano, ANSES이 적용할 수 있는 범위와 적용 영역을 살펴보고, 컨트롤 밴딩 도구를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비교하였다. 국내 나노 물질 취급 사업장에 컨트롤 밴딩 도구를 적용하여 평가한 후 장점과 제한점을 도출하였다. 국내 나노물질 취급사업장은 나노 실리카 제조사업장, 금속나노 분말 제조사업장을 대상으로 하였다.

버스운전기사들의 근골격계 위험요인 및 물리적 유해인자 노출 평가

오성업†, 최정미, 김화일, 김기연

부산가톨릭대학교

현재 국내에서는 버스 운전기사들에 대한 설문지를 통한 근골격계 평가만 이루어졌으며, 현장평가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부산에 위치한 한 개의 시내버스 회사를 중심으로 근골격계 평가 및 근골격계질환을 악화시키는 직접적인 요인으로 알려진 진동을 동시 측정하면서 현장평가를 실시하였다. RULA 방법 적용을 통한 버스 운전기사들의 인간공학적 평가 결과는 관리를 요하는 수준으로 조사되었고, 이에 따른 진동 측정 결과도 상대적으로 높은 노출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버스 운전 시 발생되는 진동이 운전 기사분들에게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Page 92: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84 -

O-1-3

O-1-4

석유화학제품에 함유된 벤젠 수준 평가

곽수경, 최상준†, *박동욱, 안호기

대구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현재까지 보고된 벤젠 미량 함유 석유화학제품의 종류와 수준을 조사하고, 국내 유통되고 있는 석유화학제품 내 벤젠 함유 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벤젠 미량 함유제품에 대한 자료는 PubMed, RISS와 같은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수집 하였다. 이외에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1996년부터 2012년 까지 실시된 역학조사자료 중 벤젠 관련 자료를 조사하였다. 국내 유통되는 분석용 시약등급 7가지 제품을 선정하여 벤젠 함유량을 분석하였다. 각 제품마다 현재 시중에서 구입 할 수 있는 제품(2004년~2013년 제조) 총 32가지를 수집하여 GC-MSD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분석이 이루어진 32개 제품 모두 MSDS에 벤젠은 표기되어 있지 않았으나 분석 결과 13개의 제품에서 벤젠이 미량 함유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품 분석 결과 0.1%를 초과하는 제품은 에틸벤젠 2건, 톨루엔 1건으로 총 3건의 제품이 확인되었다. 이를 제외한 10개의 제품에서는 0.003%에서 0.064%의 범위의 벤젠 함량을 보였다.

양돈 작업장소별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의 실시간 모니터링

박지훈, 강태선, 석지원, 진수현, *김효철, 윤충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농촌진흥청국립농업과학원

본 연구에서는 양돈 작업 종사자들의 주 작업장소를 대상으로 암모니아와 황화수소에 대한 노출 농도를 실시간 기기를 이용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양돈농가는 경기도 내 6곳을 선정하였다. 동절기의 경우 축사 내부 온도조절을 위해 밀폐형으로 운영이 되므로 실제 작업자와 가축에 고농도의 노출이 예상되는 동절기에(2013년 1월∼3월)에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 농가의 돈사내부와 분뇨저장시설 및 퇴비화 시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돈사는 비육돈(growing-finishing)사와 자돈(piglet)사 중 한 곳을 측정하거나 농가 상황에 따라 두 돈사 모두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돈사내부와 분뇨저장시설, 퇴비화시설의 작업 장소별 암모니아와 황화수소의 농도차이는 암모니아의 경우 돈사내부와 분뇨저장시설, 퇴비화시설에서의 농도는 각각 27.8±23.8, 16.7±15.9, 12.8±10.2 ppm으로 작업장소간 유의한 농도 차이를 보였고(p<0.0001), 황화수소의 경우에도 각각 2.8±3.3, 16.6±20.5, 1.7±2.0 ppm으로 작업장소 간 유의한 농도차이를 보였다(p<0.0001). 각 작업장소간 다중비교분석 결과. 돈사내부와 분뇨저장시설, 퇴비화시설의 개별 작업장소간 암모니아와 황화수소의 농도차이를 나타낸 결과이다. 암모니아의 경우 돈사와 분뇨저장시설간의 농도차이는 11.93 ppm, 돈사와 퇴비화시설 간의 농도차이는 15.78 ppm, 분뇨저장시설과 퇴비화시설 간의 차이는 3.85 ppm으로 장소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황화수소의 경우 돈사와 분뇨시설, 돈사와 퇴비화시설, 분뇨저장시설과 퇴비화시설 간의 농도차이는 각각 -13.79 ppm, 1.16 ppm, 14.96 ppm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따라서 양돈 작업자들의 암모니아와 황화수소에 대한 노출농도 수준은 각 작업장소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암모니아의 경우 돈사내부, 분뇨저장시설, 퇴비화시설 순으로 고농도에 노출되었고, 황화수소의 경우 분뇨저장시설, 돈사내부, 퇴비화시설 순으로 고농도에 노출됨을 알 수 있었다.

Page 93: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Ⅴ. 구연 발표 세션

- 85 -

O-1-5

치과 위생사들에 대한 치과 재료의 유해정보 전달 실태 평가

김혜경, *최상준†, *곽수경

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학과 *대구가톨릭대학교산업보건학과

본 연구에서는 치과재료를 직접 취급하는 업무가 많은 치과위생사들에 대해 치과에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제품들의 치과재료 성분과 유해성 정보가 전달되고 있는 실태와 인식 상태를 평가하여 유해정보 전달 시스템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대구・경북지역에 소재한 대학병원급 치과를 대상으로 치과 위생사들이 빈번하게 취급하는 재료의 종류를 조사하고, 각 제품별 사용설명서, MSDS를 수집하여 주요 성분과 유해성에 대한 정보 제공 현황을 평가하였다. 또한 치과 위생사 310명을 대상으로 자가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치과재료에 대한 유해 정보의 전달 방법과 주요 요구 정보가 무엇인지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MSDS를 제품과 함께 제공 하고 있는 경우는 5개 제품으로 7.5%에 불과했으며, 제품 제조 회사 홈페이지와 유통업체에 문의하여 조사하여 확보한 67개 제품의 MSDS를 분석한 결과 위험문구(R-phrase)를 제공하고 있는 경우는 32.8%였고, 안전문구(S-phrase)를 제공하고 있는 경우는 14.9%였다. 여성 치과위생사 3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결과, 46.8%가 치과재료를 사용하기 전에 사용설명서를 읽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SDS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11%에 불과했다. MSDS에 대한 설명을 실시한 후 필요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100% 모두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MSDS의 16가지 항목별로 필요성 여부를 조사한 결과 유해・위험성 정보(82.3%), 응급조치요령(53.9%), 취급 및 저장방법(51%) 순으로 나타났다. 치과재료에 대한 유해위험성 교육을

경험한 응답자는 7.4%에 불과하였으며, 교육이 필요하다고 요구한 비율은 79.4% 였다.

Page 94: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86 -

안전보건관리

♣ 일 시 : 10월 25일(금) 10:00 ~ 12:00

♣ 장 소 : 4층 402호

♣ 좌 장 : 문찬석 교수(부산가톨릭대학교)

O-2-1 GHS MSDS 시범 검증 연구 사례

이소정†

SK 하이닉스

O-2-2 반도체 산업의 MSDS 상 건강유해성 정보 Matrix 화

김지영†, 정명구, 신규식, 안희철, 최광민†, *김관식, **김동일

삼성전자 건강연구소 *삼성전자환경안전센터**삼성전자건강연구소, 강북삼성병원 직업환경의학과

O-2-3 임금 근로자의 유해요인 노출 격차: 제1차 및 제3차 취업자 근로환경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이경용, 김기식†, 윤영식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O-2-4 벤젠 job-exposure-matrix(JEM)구축 사례

박동욱†, *류승훈, **하권철, ***최상준, 이경국, 정혜정, ****이경민, *****김수근, ******강동묵, *******유계묵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고려대학교보건대학원**창원대학교보건의과학과***대구가톨릭대

학교산업보건학과****근로복지공단직업성폐질환연구소*****성균관의대직업환경의학교실******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예방의학및산업의학교실*******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O-2-5 수용성금속가공유에서 살균제 사용으로 발생된 유해인자 및 호흡기 질환 위험 고찰

박동욱†, *고예지, *윤충식, 정혜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서울대학교보건대학원

Page 95: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Ⅴ. 구연 발표 세션

- 87 -

O-2-1

O-2-2

구두 발표 논문 요약안전보건관리 분야

GHS MSDS 시범 검증 연구 사례

이소정†

SK 하이닉스

대부분의 MSDS 및 경고표지가 GHS 지침에 적합하게 잘 작성되어 있었으나, 단기, 장기 인체 영향 정보를 기재하는 부분에서 일부 작성 항목이 빠지거나 혼합물질을 구성하는 단일성분의 독성 정보가 여러 개 중복 기재되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GHS 주요 오류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MSDS 작성의 전문성 및 정확성 향상을 위해 각 항목별 유해성 DB 자료 수집 방법, 작성 방법, 노출시간 환산 방법 및 작성 시 주의사항 등의 지침을 담아 GHS MSDS 검증 매뉴얼을 제작하였다.

반도체 산업의 MSDS 상 건강유해성 정보 Matrix 화

김지영†, 정명구, 신규식, 안희철, 최광민†, *김관식, **김동일

삼성전자 건강연구소 *삼성전자환경안전센터**삼성전자건강연구소, 강북삼성병원 직업환경의학과

반도체 산업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화학물질에 대하여 각 사업장마다 물질안전보건자료(MSDS)가 현장에 비치되어 있다. 한 개 반도체 사업장의 사용 화학물질(제품)을 8대 공정별로 분류하고, 해당 제품의 MSDS를 기반으로 화학물질 분류표시(GHS) 기준에 맞추어 근로자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 즉, 건강유해성 정보 부분만 발취하여 복잡하고 전문적인 내용을 알기 쉽게 Matrix화 함으로써 여러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근로자 또는 중간 관리자가 건강 유해성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고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 개 반도체 사업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체 화학물질 목록을 확보하고, 각각의 MSDS를 수집하였다. 이 후 16가지 항목으로 구성된 MSDS 내에서 유해ㆍ위험성 정보(2번), 구성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3번) 및 독성에 관한 정보(11번) 에 대해 검토하여 공정별 Matrix로 작성하였다. 또한 각 항목의 유해위험문구에 대해 좀 더 이해하기 쉽도록 건강 영향성 중심으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Matrix는 다수의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근로자나 중간 관리자가 건강유해성 정보를 쉽게 검색하여 파악할 수 있고, 다른 화학물질 별 분류표시를 한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현장에서 매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Page 96: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88 -

O-2-4

O-2-3임금 근로자의 유해요인 노출 격차: 제1차 및 제3차 취업자 근로환경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이경용, 김기식†, 윤영식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 집단에서 유해위험요인에 노출되는 근로시간이 얼마나 불평등하게 분포되어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실시한 제1차 및 3차 취업자 근로환경조사 자료이다.

조사된 항목 중에서 주당 유해위험요인별 노출 근로시간을 산출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포함한

유해요인은 국소진동, 분진, 소음, 고온, 저온, 유기용제, 화학물질 피부노출, 담배연기, 감염물질 등이었다.

2006년도와 2011년도에서 유해요인에 대한 주당 노출시간의 평균값과 지니계수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

평균값이 증가하고 지니계수가 감소한 요인은 국소진동, 저온, 유기용제, 화학물질 피부노출, 감염물질

등이었으며, 평균값이 증가하고 지니계수도 증가한 요인은 분진이었고, 평균값이 감소하고 지니계수가 증가한

요인은 고온, 소음이었으며, 평균값과 지니계수 모두 감소한 요인은 타인의 담배연기 노출이었다. 유해요인

노출시간은 감염물질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남성 근로자가 여성 근로자보다 2006년과 2011년도에 모두

높게 나타나고 있다. 유기용제와 화학물질 피부노출 그리고 감염물질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에 대해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노출시간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006년도와 2011년도에 모두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국소진동에 대한 노출시간의 경우 2006년도에는 건설업에서 가장 많았으나 2011년도에는 제조업에서

가장 많았다. 소음과 유기용제는 반대로 2006년도에는 제조업에서 노출시간이 가장 많았으나 2011년도에는

건설업에서 가장 많았다. 고온, 저온, 분진, 타인의 담배연기 노출시간은 2006년도와 2011년도 모두

건설업에서 가장 많았다. 화학물질 피부노출 시간은 2006년도와 2011년도 모두 제조업에서 가장 많았다.

감염물질 노출시간은 2006년도의 경우 서비스업에서 가장 많았으나 2011년도에는 제조업에서 가장 많았다.

벤젠 job-exposure-matrix(JEM)구축 사례

박동욱†, *류승훈, **하권철, ***최상준, 이경국, 정혜정, ****이경민, *****김수근, ******강동묵, *******유계묵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창원대학교 보건의과학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근로복지공단직업성폐질환연구소 *****성균관의대직업환경의학교실 ******부산대학교의학전문대학원예방의학및산업의학교실*******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근로자 집단의 유해인자 노출 추정과 감시를 목적으로 유해인자 노출 시기, 산업, 직업을 조합한 JEM(job exposure matrix, JEM)이 많이 활용된다. 본 연구 목적은 벤젠에 노출된 시기, 산업/업종, 직업/직종을 분류하고 이 분류결과를 차례대로 조합하여 JEM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국내에서 벤젠 노출을 보고한 33개 문헌을 대상으로 측정(노출)시기, 업종, 직종별로 분류하고 조합하여 JEM을 구축하였다. 국내 벤젠 문헌에서 33개 문헌을 대상으로 측정(노출)시기, 업종, 직종별로 분류하고 조합하여 JEM을 구축하였다. 업종과 직종 표준분류는 통계청 분류방법에 따라 훈련 받은 산업위생전문가 4명에 의해 실시되었고 산업위생분야 교수가 최종 분류를 결정하였다. 총 8개 노출시기별로 조사된 업종을 조합하여 JEM으로 구축하였다. 업종은 각 노출시기에 해당되는 대 --> 중 --> 소 --> 세분류 업종으로 차례대로 메트릭스로 묶었다. 세분류까지 분류한 업종과 문헌에서 기록된 노출시기(조사시기)와 직업을 조합하여 구축된 JEM수는 총 110개였다. 보다 자세한 JEM구축현황은 논문으로 보고할 예정이다.

Page 97: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Ⅴ. 구연 발표 세션

- 89 -

O-2-5수용성금속가공유에서 살균제 사용으로 발생된 유해인자 및 호흡기 질환 위험 고찰

박동욱†, *고예지, *윤충식, 정혜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서울대학교보건대학원

MWF에 살균제를 사용하면 이에 민감한 미생물은 사멸하지만 상대적으로 저항성이 있는 미생물은 오래 생존하여 우점종이 될 수 있는데, 이 균종이 건강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용성 MWF에서 사용하는 살균제의 직접∙간접적인 건강 유해요인을 고찰하고 이들에 대한 노출평가 결과와 건강영향 사례 등을 비교하고 고찰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금속가공공정에서 살균제 사용과 관련된 국외논문을 검색하였다. 미국 NIH(National Institute of Health)와 NLM(National Library of Medicine)에서 제공하는 URL(http://www.ncbi.nlm.nih.gov/entrez/), Pub Med, 구글 학술 검색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찾았고, 검색 주요어(key word)인 "biocide”, “metalworking fluids”, “metal-removal fluids”, "triazine"를 개별 또는 조합으로 문헌을 검색하고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문헌의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였다. MWF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한 살균제의 직접적인 위험뿐만 아니라 살균제 사용으로 인해 추가로 발생된 유해요인의 노출로 인한 간접적인 건강영향 사례와 유해요인에 대한 노출평가결과 등을 모두 고찰하였다. 수용성 MWF를 사용하는 공정 근로자에게 발생한 HP의 주된 원인인자는 미생물일 가능성이 크지만 HP를 초래하는 구체적인 미생물 종을 규명하는 것은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 고찰한 결론은 수용성 MWF에서 미생물을 죽이기 위해 첨가한 살균제에 내성이 있는 NTM 종이 호흡기 폐포에 침투하여 HP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여러 연구에서 NTM은 소수성으로 물에서 분리되어 공기 중으로 잘 분산되고 입자 크기가 작아 폐포까지 침투할 수 있으며 HP를 초래할 수 있는 항원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Watt(2003)는 금속가공공정에서 Triazine 사용을

금지하는 것이 HP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하였다.

Page 98: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90 -

유해인자 노출평가

♣ 일 시 : 10월 25일(금) 10:00 ~ 12:00

♣ 장 소 : 4층 403호

♣ 좌 장 : 변상훈 교수(고려대학교)

O-3-1 스티렌과 에틸벤젠 국내 근로자 노출평가

안선희, *이명숙, **이세훈, **임현우, ***김치년, 임성국, 최아름, ****이미영†

대한산업보건협회 산업보건환경연구원 *대한산업보건협회**가톨릭대학교의과대학예방의학교실***연

세대학교의과대학산업보건연구소****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O-3-2 소방관들의 화재진압, 잔화정리, 화재조사 시 벤젠과 다환방향족탄화수소의 노출 특

진수현, 윤충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O-3-3 살균제 분무 작업동안의 바이오사이드 노출 평가

강신아, 김종보, 고예지, *황성호, 윤충식†, **양정선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아주대학교의과대학**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O-3-4 나노입자 취급, 발생 사업장에서의 배경농도 측정에 대한 연구

함승헌, 윤충식†, 김선주, 김유나, 이용우, *이나루, **유일재, ***백남원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보건환경연구소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건강연구센터**호서대학교나노융합기술학과***서울대학교보건대학원, 국제환경컨설턴트

O-3-5 근로자의 유해화학물질 노출 기록 보존에 관한 연구

오상민, *박동욱, **유성재, ***정진우, ****임경택, 하권철†

창원대학교 보건의과학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중앙대학교 법학과, ***고용노동부

산재예방과,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O-3-6 대학 실험실의 발암물질 사용 실태와 노출수준

추연희, 박예림, *이익모, 박정임†

순천향대학교 *인하대학교

Page 99: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Ⅴ. 구연 발표 세션

- 91 -

O-3-1

O-3-2

구두 발표 논문 요약유해인자 노출평가

스티렌과 에틸벤젠 국내 근로자 노출평가

안선희, *이명숙, **이세훈, **임현우, ***김치년, 임성국, 최아름, ****이미영†

대한산업보건협회 산업보건환경연구원 *대한산업보건협회**가톨릭대학교의과대학예방의학교실***연세대학교의과대학산업보건연구소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3년 5월부터 9월까지 스티렌과 에틸벤젠을 취급하는 사업장 근로자 11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고, 생물학적 지표의 비교를 위해 비노출군 20명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스티렌에 노출되는 근로자 36명이며, 공기 중 스티렌의 기하평균은 9.59(0.45~56.07) ppm으로 나타났고, 요중 대사산물인 만델산(MA), 페닐글리옥실산(PGA), 총 대사산물(MA+PGA)의 기하평균은 각각 267.71, 143.33, 416.72 mg/g crea, 혈중 스티렌의 기하평균은 0.197(0.014~2.152) mg/L로 나타났다. 공기 중 스티렌과 요중 만델산, 페닐글리옥실산, 요중 총 대사산물(MA+PGA)간의 상관계수는 각각 0.714, 0.604, 0.769로 나타났다(p<0.01). 에틸벤젠을 취급하는 근로자 41명의 공기 중 에틸벤젠의 기하평균농도는 0.68(0.01~9.31) ppm이었으며, MA, PGA, MA+PGA의 기하평균은 각각 19.00, 13.54, 42.14 mg/g crea으로 조사되었다. 공기 중 에틸벤젠과 요중 만델산, 페닐글리옥실산, 요중 총 대사산물(MA+PGA)의 상관계수는 각각 0.305, 0.397, 0.475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p<0.01). 동시노출(스티렌, 에틸벤젠), 흡연, 음주, 비만도에 의한 영향을 살펴본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소방관들의 화재진압, 잔화정리, 화재조사 시 벤젠과 다환방향족탄화수소의 노출 특성

진수현, 윤충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소방관들의 화재현장에 대한 주 업무인 화재진압, 잔화정리, 화재조사 시 노출되는 대표적인 발암물질인 벤젠과 다환방향족탄화수소에 대한 노출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소방관의 화재현장에서의 업무 중 벤젠노출은 화재진압, 잔화정리, 화재조사 순으로 높게 나타냈으며, Naphthalene은 화재조사에서, Benzo(a)anthrancene과 Chrysene은 잔화정리에서 가장 높은 농도가 검출되었으며 Benzo(b)fluoranthene, Benzo(k)fluoranthene, Benzo(a)pyrene은 잔화정리 시에만 검출이 되었다.

Page 100: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92 -

O-3-4

O-3-3살균제 분무 작업동안의 바이오사이드 노출 평가

강신아, 김종보, 고예지, *황성호, 윤충식†, **양정선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아주대학교의과대학**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본 연구에서는 살균제 분무 작업동안 발생되는 바이오사이드에 대한 작업자의 노출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노출평가를 위한 바이오사이드는 Didecyldimethylammonium chloride(DDAC), Benzalkonium chloride(BAC), Propiconazole(PCZ), Tebuconazole(TBZ)로 선정하였으며 이 물질들은 주로 스프레이 형태로 취급되고 있어, 에어로졸 형태로 잠재적 직업노출이 가능한 물질이라 할 수 있다. 방역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방역살균업체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2012년 7월부터 9월까지 총 12곳의 장소에서 개인시료 16개와 지역시료 54개를 측정하였다. 개인시료 16개의 DDAC 농도범위는 LOD~584.3 ng/㎥이고 BAC의 농도범위는 449.2~32652.2 ng/㎥로 나타났다. PCZ와 TBZ는 모두 LOD값 미만으로 검출되었다. 지역시료의 경우, DDAC는 LOD~3193.3 ng/㎥의 농도범위를 보였으며, 총 54개 시료 중 44개의 시료가 LOD미만 값으로 검출되었다. PCZ와 TBZ는 모두 LOD값 미만으로 검출되었다. DDAC의 개인시료 농도와 지역시료의 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p=0.5415), BAC의 개인시료 농도와 지역시료의 농도도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3241). 본 연구를 통해 살균작업 근로자들이 4가지 바이오사이드 중 주로 DDAC와 BAC에 노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노입자 취급, 발생 사업장에서의 배경농도 측정에 대한 연구

함승헌, 윤충식†, 김선주, 김유나, 이용우, *이나루, **유일재, ***백남원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보건환경연구소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호서대학교나노융합기술학과***서울대학교보건대학원, 국제환경컨설턴트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배경농도 측정에 대한 방법을 평가해보고 배경농도 측정에 대한 방법 정립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측정은 의도적 나노입자 발생사업장 2곳과 비의도적나노입자 발생 사업장 2곳에서 이루어 졌고, 측정기기로 입자상물질의 농도를 실시간 측정할 수 있는 SMPS(3910, TSI Inc., USA [Range: 10-420 nm])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일부는 같은 기기로 동시에 측정하였다. 시간에 따른 방법인 작업시간과 비작업시간을 비교하였고, 공간에 따른 방법으로 노출평가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다른장소에서 측정하였다. 시간에 따른 농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의도적 그리고 비의도적 나노입자 발생사업장 모두 점심시간에 농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의도적 나노입자 발생사업장의 경우 작업이 없는 점심시간과 야간에 비교적 낮은 농도를 보였다. 연구결과 점심시간에 배경농도를 측정하는 것은 가능한 방법이며, 새벽에 기기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자료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점심시간에 측정한 배경농도로 사업장의 대표적 배경농도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비의도적 나노입자 발생사업장의 경우 발생원에 따라 다르지만, 용접, 지게차 운행 등에서 나노입자가 고농도로 발생하기 때문에 작업이 없는 점심, 휴식, 퇴근 후의 농도와는 확연한 차이가 있어서 점심, 휴식, 작업이 없는 새벽을 배경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공간에 따른 농도차이를 보면, 사업장 밖에서 측정한 경우, 외부 요인들(차량운행, 공단지역 등)에 의하여 농도의 변화가 있었다. 사무실에서 측정한 경우에는 사무실이 독립적으로 있는 경우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사무실과 사업장이 함께 있는 경우에는 발생원으로부터 거리가 있기 때문에 농도는 비교적 낮았으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age 101: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Ⅴ. 구연 발표 세션

- 93 -

O-3-6

O-3-5근로자의 유해화학물질 노출 기록 보존에 관한 연구

오상민, *박동욱, **유성재, ***정진우, ****임경택, 하권철†

창원대학교 보건의과학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중앙대학교 법학과, ***고용노동부

산재예방과,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안전보건법상 관리대상 화학물질 관련 작업의 기록보존에 대한 법적 근거가 될 수 있는 자료를 파악하고, 선진외국의 기록보존에 대한 법적 내용을 정리하며, 관리대상 화학물질에 대한 기록보존의 법적 규정을 제시하는데 있다. 현행 산업안전보건법상 관리대상 화학물질의 장기간 노출에 의한 건강문제의 확인과 원인 분석 등 화학물질 노출 기록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작업내용의 기록(노출기록) 보존을 법제화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항목에 대한 문헌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산업안전보건법의 “기록”과 “취급일지”에서는 명칭, 사용(제조)량, 작업내용, 누수 시 조치사항 등을 기록토록 되어 있어 정성적 평가 시 노출에 대한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작업환경측정 자료에서는 측정 대상 사업장의 명칭 및 소재지, 측정 연월일, 측정을 한 사람의 성명, 측정방법 및 측정 결과, 기기를 사용하여 분석한 경우에는 분석자·분석방법 및 분석자료 등 분석과 관련된 사항을 내용으로 기재토록 되어 있어 일부 사항을 제외하면 정량적 노출평가에서는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기록" 혹은 "취급일지"에 대해 보존기간에 대해서는 특별한 기간을 제정하지 않았으나, 작업환경측정 결과에 대해서는 5년(발암성물질의 경우 30년) 동안 보존토록 명시(시행규칙 제144호)하고

있다. “기록”이나 “취급일지” 등은 특별한 보존 방법을 명시하지 않고 있었다.

대학 실험실의 발암물질 사용 실태와 노출수준

추연희, 박예림, *이익모, 박정임†

순천향대학교 *인하대학교

본 연구의 목적은 여러 종류의 화학물질을 소량으로 동시에 사용하는 연구자의 발암물질 노출을 가능성을 추정하기 위하여 연구실험실에서 사용하는 발암물질의 종류를 조사하고, 대표적인 발암물질에 대해 노출정도를 평가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건강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관리방안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2012년 9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연구중심의 국립대학 A의 100개 실험실을 대상으로 발암물질 사용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Group1을 사용하는 실험실은 31(57% = 31/54×100)곳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9종, 5종 물질을 사용하는 실험실이 각각 한곳씩 조사되었다. Group 2A 물질은 실험실 18(24%)곳에서 사용되었다. Group 2B 물질은 실험실 45(89%)곳에서 사용되었다. 발암물질 중 10종 이상의 물질을 사용하는 실험실은 9개, 5종 이상 사용한 실험실은 21개, 1종 이상 사용한 실험실은 54개로 다양한 발암물질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용발암물질 종류 Group1 중 여러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물질은 Formaldehyde(13곳), Benzene(11곳), Nickel compounds(9곳) 순으로 조사되었다. Group2A는 Acrylamide(12곳), Lead compound(4곳)으로 조사되었으며, Group2B는 Chloroform(20곳), Nickel(7곳), Trypan blue(7곳), Dichloromethane(5곳) 순으로 많이 사용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험실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응답 실험실 중 5곳에 대한 에비조사 결과 조사 결과 대부분의 실험실은 여자보다 남자연구자가 더 많았고 실험실에 머무르는 시간은 하루 평균 10-11시간으로 조사되었다. 실험실 환경과 연구자들의 발암물질 노출의 TWA 측정 결과, 측정당시 5곳 실험실에서 Benzene을 사용하지 않았음에도 A실험실에서 검출되었다. MC는 A, D, E실험실에서 주로

추출, 컬럼 작업에서 소량으로 빈번하게 사용하였고, 2ppm에서 최대 8ppm로 측정되었다 .

Page 102: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94 -

유해 위험성 평가

♣ 일 시 : 10월 25일(금) 10:00 ~ 12:00

♣ 장 소 : 4층 404호

♣ 좌 장 : 장재길 박사(안전보건공단)

O-4-1 유럽연합의 작업환경 소음기준 개정과 그 의의

강태선, 윤충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O-4-2 산업위생분야 교육과정에 대한 산업보건전문가의 인식도 조사연구

김용우, 박두용†

한성대학교 대학원 산업위생공학전공

O-4-3 탄소나노튜브 작업장의 나노물질 노출 특성 및 노출원의 분석

지준호†, 김종범, 이광재, 배귀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O-4-4 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을 사용하는 아크릴 취급 근로자에게 발생한 독성간염 사례

황양인†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O-4-5 포 사격장에서의 소음노출평가 특성

황성호, *주묘경, 박재범†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직업환경의학교실 *한국쓰리엠

Page 103: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Ⅴ. 구연 발표 세션

- 95 -

O-4-1

O-4-2

구두 발표 논문 요약유해 위험성 평가 분야

유럽연합의 작업환경 소음기준 개정과 그 의의

강태선, 윤충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세계보건기구는 난청을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는 10대 질환 중 하나로 꼽았다. 그 중 소음성난청은 주된 원인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소음성난청은 직업병 중에서 유소견자가 가장 많은 질환이다. 2003년 유럽연합(EU)은 작업환경 소음기준을 개정하였다. EU 각 회원국은 이에 따라 2006년까지 각 국의 관련 기준을 개정 시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EU의 개정 소음노출기준인 2003/10/EC의 구체적인 내용을 소개하고 그 의의를 우리나라의 기준과 규제와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2003/10/EC는 종전의 유럽연합의 작업환경 소음기준인 86/188/EEC의 개정본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단순히 작업환경 소음노출기준을 바꾸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작업환경 유해인자 관리의 원칙의 변화도 담고 있다. EU는 1989년 산업안전보건관리의 기본원칙을 담은 기본지침(Frame Directive) 89/391/EEC를 제정∙공포한 바 있다. 2003/10/EC는 이 지침에 따른 17번째의 개별지침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 세 가지 법안을 모두 비교 분석하였다. 덧붙여 우리나라 작업환경 소음노출 및 소음성난청 현황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EU 개정안이 우리나라 작업환경의 소음 및 소음성난청 관리에 시사하는 바를 고찰하였다. 우리나라의 사업장 소음기준은 매우 전 세계적으로 보아도 가장 높게 설정되어 있고 관리에 관한 규제도 형식적이다. 측정과 검진도 제조업에 한정되어 있어 전 업종에 걸쳐 있는 소음으로 인한 건강영향을 예방하는데 한계가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EU의 산재예방 원칙(89/391/EEC)에 따른 산재예방정책을 도입하여 추진하고 있다. 소음관리도 이에 부합하도록 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는데 2003/10/EC에 관한 이해는 그 출발점이 될 것이다.

산업위생분야 교육과정에 대한 산업보건전문가의 인식도 조사연구

김용우, 박두용†

한성대학교 대학원 산업위생공학전공

본 연구에서는 산업보건전문가 및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산업위생관련 교육의 필요성과 대학, 대학교 및 대학원의 산업위생 관련 교육내용, 교과과정, 효과성에 대한 평가 및 전반적인 교육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은 2013년 4월 11일에 한국산업위생학회 참석자 중 설문조사에 응답한 180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인 산업위생 공부 필요성, 대학 및 대학원의 교과과정 및 교육내용의 만족도 등과 대학 및 대학원의 교과과정 인증필요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여 발표하고자 한다.

Page 104: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96 -

O-4-4

O-4-3탄소나노튜브 작업장의 나노물질 노출 특성 및 노출원의 분석

지준호†, 김종범, 이광재, 배귀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나노물질, 나노입자에 대한 안전성의 문제가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독성연구와 노출평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작업자의 안전에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는 자료가 충분하지 않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발된 나노물질 작업장 노출 기준은 없다. 기존의 석면의 경험으로부터, 형상이 섬유상인 탄소나노튜브의 안전성에 대한 의구심이 더 크게 나타나고 있지만, 양산에 근접한 나노 작업장의 노출 현상을 보고한 자료는 많지 않다. 특히, 작업장의 배경농도가 대기에서 유입된 나노입자나 실내에서 생성된 나노입자로 인해 이미 고농도이기 때문에, 클린룸 조건이 아니라면 나노물질의 제조 작업 중에 누출된 제조 나노물질의 누출과 배경에 존재하는 나노물질을 구분하기는 매우 어렵다. 몇몇 연구에서 실시간 에어로졸 계측기를 이용하여 나노물질 노출원을 평가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간단한 현상의 측정결과를 보고하는 수준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양산에 근접한 세 군데 탄소나노튜브 작업장에서 나타난 여러 가지 나노물질 노출 특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특히, 작업장의 노출평가를 위해 3단계의 접근 방법으로 나노물질 작업장의 노출평가를 체계적으로 진행하였고, 실시간 계측기의 특성을 이용하여 노출원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탄소나노튜브의 노출의 증거로 사용했던 블랙카본의 무게 농도의 경우, NIOSH에서 2013년에 제안한 작업장노출한계(OEL, occupational exposure limit)인 1 μg/m3과 비교할 때(NIOSH, 2013), 대부분의 국내 작업장의 배경농도가 작업시간 평균이 1 μg/m3 이상이었고, 국부적으로 12 μg/m3이상도 측정되었다.

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을 사용하는 아크릴 취급 근로자에게 발생한 독성간염 사례

황양인†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의료용기기를 제조하는 경기 북부지역 소규모 사업장 클린룸내에서 클로로포름 및 염화메틸렌을 이용하여 플라스틱 기구를 조립 접착하는 신규 입사 여성근로자 2명에게서 황달 등 독성간염 증세가 발생한 사례이다. 원인 조사를 위하여 작업내 화학물질 사용실태 파악 및 노출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벌크 시료채취 및 작업환경측정을 실시하였으며, 클린룸내 외부공기 급기율 등 환기상태를 평가한 결과 1. 플라스틱 접착제 용도로 쓰인 포름알데히드는 작업장내에 체류하게 되고 그 결과 클린룸내 클로로포름 농도는 평균 73.49ppm(64.24, 82.74ppm)로 일반 작업장 5.35ppm에 비해 14배 높게 나타났으며 2. 클린룸내 외부공기 급기율은 6.6%로 오염된 내부공기가 93.4% 재유입되었다.

Page 105: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Ⅴ. 구연 발표 세션

- 97 -

O-4-5포 사격장에서의 소음노출평가 특성

황성호, *주묘경, 박재범†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직업환경의학교실 *한국쓰리엠

본 연구의 목적은 포 사격훈련장에서 사격을 하는 훈련병의 위치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이런 발생소음을 단독 및 동시사격과 오른쪽 및 왼쪽 귀위치로 구분하여 나타나는 발생 특징을 평가하는 것이다. A 포 사격훈련장에서 발생하는 충격소음을 위치 별 (P1-P8)로 구분하여 측정한 결과, 측정 위치 간에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P < 0.001). 가장 높게 나타난 충격소음 위치는 발포 위치에서 직접적으로 취급하는 병사 (P1,P2)로 Peak 값이 159.5 dB(A)로 나타났고 Max 값은 144.8 dB(A)로 나타났다. 포 뒤쪽에 위치한 병사의 소음수준은 다른 위치에 비해서 Peak 값과 Max 값이 각각 156.8 dB(A), 138.4 dB(A)로 가장 포와 가까이 위치한 병사의 소음수준 보다는 약간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측정 위치에 따른 충격소음을 단일 사격, 동시 사격, 오른쪽 귀 위치와 왼쪽 귀 위치로 구분하여 소음노출 분포를 나타낸 결과, 측정결과 측정위치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없이 모두 Peak 값이 159 dB(A)의 고소음 수준으로 나타났다. (P > 0.001) 본 연구는 국내 포 사격훈련장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이런 발생소음을 위치별로 구분하여 나타나는 발생 특징을 평가한 연구로 포 사격시 발포 위치에 가까이 위치할수록

노출되는 소음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평가된 소음수준은 모두 150.5 dB(A)을 초과하는 고소음이었다.

Page 106: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98 -

측정 분석

♣ 일 시 : 10월 25일(금) 10:00 ~ 12:00

♣ 장 소 : 4층 405호

♣ 좌 장 : 김기연 교수(부산가톨릭대학교)

O-5-1 석면함유 천장재의 석면 비산방지제 효율과 비산 석면 특성 평가

정현성†, 임호주, 김수진, 이우석, *김현욱

국립환경과학원 생활환경연구과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O-5-2 ISO 기준(안)에 따른 저유량 개인시료 채취기 성능평가

김남희, 송호준, *이광용, 정지연†

용인대학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O-5-3 크롬도금 사업장에서 발생된 공기중 크롬의 산화환원 특성

박세진, 신용철†

인제대학교 보건안전공학과

O-5-4 국내석면조사기관의 신뢰성 향상에 대한 고찰

최성원, 백정은, 장광명, 이승철, *권지운, **조형렬, 김현욱†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직업건강실

O-5-5 작업장의 입자상물질에 대한 시간누적 시료채취와 실시간 시료채취방법 비교

김선주, *함승헌, 김유나, 이용우, **이나루, ***유일재, ****백남원, 윤충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환경연구소**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호서대학교나노융합기술학과 ****국제환경컨설턴트

Page 107: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Ⅴ. 구연 발표 세션

- 99 -

O-5-1

O-5-2

구두 발표 논문 요약측정분석 분야

석면함유 천장재의 석면 비산방지제 효율과 비산 석면 특성 평가

정현성†, 임호주, 김수진, 이우석, *김현욱

국립환경과학원 생활환경연구과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석면함유 천장재를 대상으로 국내외에서 수집한 석면 비산방지제의 처리 유무를 통하여 풍속 및 진동 영향에 따른 비산 평가 및 비산 석면의 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석면함유 천장재는 무 손상일 때보다 손상 시에 비산 석면 농도가 훨씬 더 높았으며, 석면 비산방지제 무처리에 비해 처리 후에 석면 비산 농도가 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석면 비산방지제 무 처리의 천장재는 가늘고 긴 다발형태의 백석면이 검출되었으나, 석면 비산방지제 처리 후의 천장재에서는 단일 섬유 검출 또는 불 검출되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손상된 천장재를 대상으로 석면 비산방지제 무처리와 처리 후(무기질계, 유기 및 합성수지계)의 그룹간의 TEM분석을 통한 백석면 길이 비교 결과, 무기질계 처리가 무처리보다 백석면 검출수가 적음으로 나타나, 손상된 천장재에는 무기질계 처리가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ISO 기준(안)에 따른 저유량 개인시료 채취기 성능평가

김남희, 송호준, *이광용, 정지연†

용인대학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본 연구는 ISO 기준(안)의 압력부하 조건에 부합하는 측정매체인 흡착제류를 선정하고 이에 따른 가스상 물질

채취용 개인시료 채취기의 유량성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에서 사용한 가스상 물질 채취용

펌프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 중인 Gilian 사의 LFS-113 모델과 SKC 사의 Pocket pump 2010-1002모델을

사용했다. ISO 기준(안)에 따르면 가스상 물질 채취용 펌프의 유량성능 평가는 압력부하를 증가시키면서 유량변동을

평가하는 평가방법으로 펌프제조 회사가 제시하는 유량 범위 중 최대유량에서 일정한 압력부하를 제시된 압력의

최소 압력부터 최대 압력까지 최소 5단계 이상 증가시키면서 유량변동을 평가하는 단시간 평가방법이다. 또 해당

펌프의 최대 유량에 해당하는 최대 압력부하 조건하에서 8시간 이상 연속적으로 가동시켜 유량변동을 평가하는

장시간 평가방법이 있다. 단시간 평가를 실시한 Gilian사와 SKC사 펌프 유량변동 평가결과를 보면 SKC사 Pocket

pump 2010-1002 펌프가 Gilian사 LFS-113에 비해 평균유량의 변동이 적으며, Gilian사 LFS-113의 경우 압력부하가

증가할수록 유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함을 볼 수 있다. 그러나 Gilian사, SKC사 모두 ISO 유량변동 적합기준인

±5% 이내를 충족했으며 장시간 평가 또한 ±5% 이내를 충족했다. 단시간 평가방법인 5단계 압력부하를 가하면서

평가한 펌프 중 적합판정을 받은 펌프는 모두 장시간 평가방법인 8시간 동안의 평가에서도 적합판정을 받았다.

그러나 결과에서 제시한 적합판정을 받은 펌프 외에 같은 회사 제품펌프로 평가를 했을 때 단기간 평가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 펌프의 경우 장시간 평가에서는 최소유량으로 8시간 평가한 결과에서는 적합 판정을 받은 펌프도 있고

부적합 판정받은 펌프도 있지만, 최대유량으로 평가한 결과에서는 모두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따라서 단시간 평가

결과가 부적합일 경우 장시간 평가 시 유량변동이 ISO 기준(안)에 부합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았다. 유량 변동을

가장 정확하게 평가하는 방법은 8시간 이상 가동시키면서 평가하는 방법이겠지만 장시간이 소요된다는 매우 큰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가스상 물질 채취용 펌프의 경우 최대유량에서 압력부하를 증가시키면서 평가하는 방법은

8시간 동안 장시간 펌프를 가동시키면서 평가하는 방법에 비해 단시간에 펌프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Page 108: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100 -

O-5-3

O-5-4

크롬도금 사업장에서 발생된 공기중 크롬의 산화환원 특성

박세진, 신용철†

인제대학교 보건안전공학과

크롬은 여러 산화환원 상태로 존재하나 일반적으로 환경 중에 존재하는 형태는 주로 3가 크롬 (trivalent chromium, Cr(III))과 6가 크롬 (hexavalent chromium, Cr(IV))이다. 크롬의 독성은 산화환원 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크롬 노출에 의한 건강위험도(health risk)를 정확하게 예측하거나 평가하기 위해서는 이 점을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나 6가 크롬은 환경 중에서 비교적 불안정하기 때문에 주위의 환경조건이나 물질 등에 의해 산화환원 상태가 변화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금 업체 작업환경에서의 공기중 크롬의 산화환원 특성을 파악하고 공기시료채취 및 시료 저장중 6가 크롬의 환원 양상을 파악하고 총크롬중 6가 크롬의 존재 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국내석면조사기관의 신뢰성 향상에 대한 고찰

최성원, 백정은, 장광명, 이승철, *권지운, **조형렬, 김현욱†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직업건강실

본 연구에서는 석면조사기관의 조사 및 측정분석능력을 검증하여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개선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석면조사기관의 현황파악을 위해 영국 UKAS의 Application of ISO/IEC 17025 for Asbestos Sampling and Testing과 한국인정기구(KOLAS)등을 바탕으로 개발한 설문지를 통하여 202개의 석면조사기관을 대상으로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 인력운영관련현황 기관의 조직도 및 업무분장 등의 문서화는 비교적 잘 이뤄지고 있으나, 전문성향상을 위한 능력개발, 연구실적, 세미나 참석 등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 및 장비 사용, 보관 및 유지관리지침, 실험실의 안전보건지침에 대한 보관이 미흡하여 석면조사기관의 장비 관리 및 실험실 안전관리 상태가 소홀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사 결과의 신뢰성 법적인 항목인 최소시료채취 수, 균질부분구역 선정, 석면지도 작성 등은 비교적 준수가 잘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예비조사를 통한 계획서 작성, 시료 채취 시 비산방지 조치, 시료채취 후 마감실시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기 중 시료 측정 결과의 신뢰성 측정장비의 주기적 교정과 작업전·후 적절히 유량보정 실시가 미흡하여 측정장비에 대한 관리가 매우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의 신뢰성 석면분석 장비 대장 관리 및 책임자 지정 등은 비교적 잘 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분석장비의 사용일 점검 대장 및 관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부정도관리와 시약의 적절성 검증은 잘 적용되지 않고 있어, 분석에 대한 신뢰성확보가 미흡한 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보고서의 신뢰성 석면조사결과보고서의 경우 법적인 항목에 따라 작성되어 잘 적용되고 있다.

Page 109: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Ⅴ. 구연 발표 세션

- 101 -

O-5-5작업장의 입자상물질에 대한 시간누적 시료채취와 실시간 시료채취방법 비교

김선주, *함승헌, 김유나, 이용우, **이나루, ***유일재, ****백남원, 윤충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환경연구소**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호서대학교 나노융합기술학과****국제환경컨설턴트

본 연구의 목적은 나노입자측정에 있어서 측정방법간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근로자의 적합한 노출평가 방법을 제안 하는 것이다. 실시간기기의 추이를 살펴본 결과 의도적, 비의도적 나노입자발생 사업장 모두 SMPS와 DRX가 비슷했다. 의도적 나노입자발생 사업장에서 첫째날 작업시간동안 측정한 농도는 0.388 ㎎/㎥이었고, 비교적 높은 농도를 보이는 약 15시부터 16시 사이를 측정한 필터중량농도는 0.491 ㎎/㎥이었다. 비의도적 나노입자발생 사업장에서 첫째날 작업시간동안 측정한 농도는 0.469 ㎎/㎥ 이었고, 비교적 낮은 농도분포를 보이는 점심시간이 포함된 시간동안 측정된 11시 34분부터 13시 34분까지의 농도는 0.379 ㎎/㎥, 작업시간 중 높은 농도를 보이는 13시 35분부터 14시 35분까지의 농도는 1.357 ㎎/㎥이었다. 전통적인측정법인 시간누적측정법으로 측정하였을 때 실시간기기에서 보이는 특정시간대와 전체작업시간의 필터농도를 비교해본 결과 높은 농도를 보이는 시간에 농도가 전체작업시간측정필터 농도보다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점심시간이 포함된 필터농도도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를 보였다. 따라서 기존의 8시간 TWA방법은 농도를 과대평가 혹은 과소평가 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간기기 및 중량측정법을 적절히 활용해야한다.

Page 110: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Page 111: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 103 -

V. 라운드테이블

○ RT-1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

토의(한국산업위생학회)

○ RT-2 국소배기장치 성능 규제의 적정성

(한국산업안전공단)

○ RT-3 작업환경측정기관 종사자 역량 강화(IESH

솔루션)

○ RT-4 생물학적 유해요인의 노출평가 표준화

방안(한국산업안전공단)

○ RT-5 호흡보호구 밀착도 검사 제도(Fit Testing)

도입 필요성 및 방법 시연(가톨릭대, 인제대)

○ RT-6 작업환경측정기관의 비전과

방향(측정기관협의회)

Page 112: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Page 113: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III. 라운드테이블

- 105 -

라운드테이블 프로그램

♣ 일 시 : 10/24(목) 16:00~17:30, 10/25(금) 10:00~12:00

♣ 장 소 : 4층 강의실

번호 일 시 장 소 주 제 주 관

RT-1 10/24(목) 16:00~17:30 강당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한국산업위생학회

RT-2 10/24(목) 16:00~17:30 401호국소배기장치 성능

규제의 적정성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RT-3 10/24(목) 16:00~17:30 402호작업환경측정기관 종사자

역량 강화IESH 솔루션

RT-4 10/24(목) 16:00~17:30 403호생물학적 유해요인의 노출평가 표준화 방안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RT-5 10/24(목) 16:00~17:30 404호호흡보호구 밀착도 검사 제도(Fit Testing) 도입 필요성 및 방법 시연

가톨릭대, 인제대

RT-6 10/25(금) 10:00~12:00 401호작업환경측정기관의

비전과 방향측정기관협의회

Page 114: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106 -

주제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 토의

강사 및 연락처(소속, 직위)

산업위생학회(박두용)

o 전화번호: 사무실) 02-3391-9447o E- 메일 : [email protected] 주 소 : 서울 성북구 삼선동 2가 한성대

주요내용

o 내용 요약:

o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 토의

- 산업위생 실무 측면에서 사내하청 근로자 건강보호의 문제점

- 산업위생 실무 측면에서 사내하청 근로자 건강보호 방안

- 산업위생 실무 측면에서 사내하청 근로자 건강보호를 위한 관리상 문

제점

- 산업위생 실무 측면에서 사내하청 근로자 건강보호를 위한 관리상 개

선방안 등

o 주요 대상: 회원

o 수강에 요구되는 사전지식 정도: 없음

예상 수강인원최소 ( 10 ) 명최대 ( 50 ) 명

수강자 준비사항

없음

필요한 강의도구

Beam Projector( 0 ) OHP( ) 칠판( ) 컴퓨터 실습실( )

기타 (협조요청 사항 등)

-

RT-1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 토의

Page 115: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III. 라운드테이블

- 107 -

주제 국소배기장치 성능 규제의 적정성에 관한 토의

토의시간 10/24(목) 16:00 ~ 17:30 (1시간 30분)수강료(원

)없음

강사 및 연락처(소속, 직위)

1.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

전보건연구원 소장 김은아 (좌장)

2.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

안전보건연구원 팀장 장재길

3. (주)벤텍 대표이사 하현철

3. 현대자동차(주) 울산공장 차

장 엄경호

o 전화번호: 사무실) 032-510-0801o E- 메일 : [email protected] o 주 소 : 인천광역시 부평구 무네미로 478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건강연구센터 직업건강연구팀

주요내용

o 강의내용 요약:

- 국내외 국소배기장치 성능규제 관련 제도 - 국소배기장치 후드의 제어유속 적합성 평가 연구 결과 - 국소배기장치 성능 규제의 현장적용 사례 및 문제점 - 국소배기장치 성능 검사 사례 및 문제점 제시 (사업장 대표)

- 토론 : 국소배기장치 성능 규제의 합리적 개선(안) 마련

o 주요 대상: - 사업장 보건관리자 및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업무 담당자 등 - 기타 산업환기에 관심 있는 참석자

o 수강에 요구되는 사전지식 정도: - 산업환기의 기본원리 - 국소배기장치 설계

예상 수강인원최소 ( 10 ) 명최대 ( 50 ) 명

수강자 준비사항

없음

필요한 강의도구

Beam Projector( 0 ) OHP( ) 칠판( 0 ) 컴퓨터 실습실( )

RT-2 국소배기장치 성능 규제의 적정성에 관한 토의

Page 116: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108 -

주제 작업환경측정기관 산업위생분야 종사자 실무역량 및 전문성강화

- 전문성 강화 강좌 : 실무경력 5년 ~ 10년이상토의시간 10/24(목) 16:00 ~ 17:30 (1시간 30분) 수강료(원) 없음

강사 및 연락처(소속, 직위)

1. 작업환경관리 : 대구경북권역

(주)IESH솔루션 대표 이상만 기술사

2. 유해도조사: 충청권역 단국대학교병원

작업환경측정팀 팀장 조규탁 기술사

3. MSDS : 경남권역 동강병원

작업환경측정팀 과장 박성기 기술사

4. 석면조사 및 석면해체작업감리 :

부산권역 팀장 구동철 기술사

5. 보건관리대행 : 대구경북권역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직업환경의학과

지원팀장 임학재 기술사

6. 작업환경측정 : 부산권역

부산 동아대학교병원 작업환경측정팀

팀장 이선우 기술사

o 전화번호: 사무실) 054-463-0508~9

o E- 메일 : [email protected]

o 주 소 : 경상북도 구미시 공단동 260-10 번지 한라시그마밸리 819호 (주)IESH솔루션 이 상 만

주요내용

o 강의내용 요약:

□ 산업위생실무자의 전문성강화 및 현장관리사례 공유목적의 실무강좌 - Ⅰ ○ 핵심강의내용 - 작금의 산업보건분야 패러다임의 변화 및 IESH분야 컨설팅 경향 소개 ○ 유해·위험요인 감소관리 및 선제적 대응과 관리 방법 - 작업환경측정결과 및 노출가능 유해요인의 위험성 평가결과 수준별 관리 & 개선·

위험도 감소관리 ① 도입금지물질 관리 및 선제적 대응 및 작업환경조건관리방법(사례중심) ② 현장근로자가 체감하고 있는 작업환경조건을 평가할 수 있는 작업환경측정(사례

중심) ③ 화학물질의 법적 관리구분 및 확인방법 & MSDS(사례중심) ④ WMSDs 유해도 조사 및 작업관련성 평가 및 진단을 위한 역학조사사례(사례중심) ⑤ 석면조사 보고서 작성 및 석면해체작업 감리실무(사례중심) ⑥ 위반사례 발생 즉시 과태료 부과받고 있는 사업장을 대상으로한 보건관리대행(사

례중심)o 주요 대상: - 교육대상 : 실무경력 5년 ~ 10년이상의 실무책임자

- 작금의 산업보건경향에 부합하는 실무전문성과 업무역량 UP Grade목적

의 강의o 수강에 요구되는 사전지식 정도: - 일상적인 업무중심에서 선택과 집중 및 현장 중심형 산업위생관리업무를 수행하고

있거나 다양한 산업재해의 발생 경향과 유사사례를 예방하기 위해 관리사업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정도의 실무역량 보유자를 대상으로 함.

예상 수강인원 최소 ( 10 ) 명최대 ( 30 ) 명

수강자 준비사항 없음

필요한 강의도구 Beam Projector( 0 ) OHP( ) 칠판( 0 ) 컴퓨터 실습실( )

RT-3 산업위생분야 종사자 실무역량 및 전문성 강화

Page 117: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III. 라운드테이블

- 109 -

주제 생물학적 유해요인의 노출평가 표준화 방안

토의시간 10/24(목) 16:00 ~ 17:30 (1시간 30분) 수강료(원) 없음

강사 및 연락처(소속, 직위)

1. 부산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조교수 김기연 (좌장) 2. 고려대학교 알레르기면역연구소 연구교수 서성철 3. 국립환경과학원 생활환경과 연구사 심인근 4.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연구위원 박현희

o 전화번호: 사무실) 032-510-0807

o E- 메일 : [email protected]

o 주 소 : 인천광역시 부평구 무네미로 478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건강연구센터 직업건강연구팀 연구위원 박 현 희

강좌주요내용

o 강의내용 요약:

- 생물학적 인자 노출평가 방법 - 실내공기 중 생물학적 인자 노출평가 사례 및 문제점; 실내공기 노출평가

방안 제안 - 작업환경 중 생물학적 인자 노출평가 사례 및 문제점; 작업환경 노출평가

방안 제안 - 토론 : 공기 중 생물학적 인자 노출평가 표준화 (안) (Culture-based

Method: 세균, 곰팡이) (참석자 전원)

o 주요 대상: - 사무실 및 다중이용시설 등 공기질 평가 업무 담당자 - 공기 중 생물학적 인자 평가 관련 연구업무 수행자 - 사업장 보건관리자, 전문기관 보건업무 담당자 등 - 기타 생물학적 인자 평가에 관심 있는 자

o 수강에 요구되는 사전지식 정도: - 공기 중 생물학적 인자의 종류 및 특성 - 공기 중 유해인자 측정 평가 원리

예상 수강인원최소 ( 10 ) 명최대 ( 50 ) 명

수강자 준비사항

없음

필요한 강의도구

Beam Projector( 0 ) OHP( ) 칠판( 0 ) 컴퓨터 실습실( )

기타 (협조요청 사항 등)

RT-4 생물학적 유해요인의 노출평가 표준화 방안

Page 118: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110 -

RT-5 호흡보호구 밀착도 검사 제도 도입 및 방법

주제호흡보호구 밀착도검사 제도(Fit Testing) 도입의 필요성 및 밀착도검사 방법 데모 시연 (세부주제: 호흡보호구 밀착성의 중요성과 외국 밀착도검사 제도 소개)

토의시간주제 강연: 30분데모 시연: 2개 업체 각 30분씩 1시간 총 1시간 30분

수강료(원) 없음

강사 및 연락처(소속, 직위)

한돈희 교수

인제대학교 보건안전공학과

o 전화번호: 사무실) 055-320-3285o E- 메일 : [email protected] 주 소 : 경남 김해시 인제로 197

주요내용

o 강의내용 요약:

-호흡보호구를 착용하여도 밀착성이 떨어져 오염물질의 누설이 일어나면(faceseal

leakage) 심각한 건강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음

-이러한 문제를 알고 있는 미국에서는 1969년도부터 밀착도검사 제도를 법으로 정

하였음

-국내에는 밀착도검사 제도가 없으며 권고수준임

-밀착검사 연구결과 호흡보호구의 밀착성에 상당한 문제가 있음이 밝혀졌음(특

히, 밀착성은 국내산 호흡보호구가 외국산보다 못하였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호

흡보호구를 착용했음에도 거의 착용하지 않은 수준으로 오염물질이 들어오고

있었음)

-미국의 밀착도검사제도 소개

-우리나라 총 누설율검사(유럽의 TIL과 동일)와 밀착도검사의 차이점

-미국 TSI사, 일본 시바다사의 밀착도검사 방법 데모 시연

o 주요 대상: 기업체 보건관리자, 병원 보건관리자, 작업환경측정대행기관 관계자

o 수강에 요구되는 사전지식 정도: 호흡보호구에 관한 기본지식

예상 수강인원최소 ( 5 ) 명최대 ( 15) 명

수강자 준비사항

없음

필요한 강의도구

Beam Projector( O ) OHP( ) 칠판( ) 컴퓨터 실습실( )

기타 (협조요청 사항 등)

2개 회사가 시연할 수 있는 책상과 전기선

Page 119: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III. 라운드테이블

- 111 -

RT-6 작업환경측정기관의 비전과 방향

주제 작업환경측정기관의 비전과 방향

토의시간 10/25(금) 10:00 ~ 12:00 (2시간)수강료(원)

없음

강사 및 연락처(소속, 직위)

사회: 이정화 (측정기관협의회 간사)좌장: 김광종 (한국산업위생협회 고문)

o 전화번호: 사무실) 032-624-3336o E- 메일 : [email protected] 주 소 : 부천시 오정구 삼정동 36-1 부천테크

노파크 쌍용3차 303동 403호

주요내용

□ 배경○ 작업환경측정 제도 개선 등에 관한 논의는 여러차례 진행되어 왔음○ 그러나, 측정기관의 발전방향에 대한 지속적인 고민과 사회적 동의는 부족한

상황임

○ 또한, 현장 최일선 업무 주체인 측정기관의 적극적인 개입은 배제된 상태에서

제도 및 사업계획이 수립되어 왔음

○ 그 결과 현장의 측정기관에 대한 불신은 팽배한 상황임

○ 이에 산업위생 업무 종사자인 측정기관의 적극적인 참여와 노사정 모두의 지

속적인 고민을 통해 “공생하는 산업위생 환경”을 구축하고자 함.

시간 내용 발표자10:00 10:15 측정기관협의회에서 본 측정기관의 비전과 방향 이규동 회장

10:15 10:30 노동계에서 본 측정기관의 비전과 방향최명선 산안국장

민주노총

10:30 10:45 사업장에서 본 측정기관의 비전과 방향 엄경호 차장현대자동차

10:45 11:00 정부에서 본 측정기관의 비전과 방향이철우 과장

노동부 산업보건과

11:00 11:15 학계에서 본 측정기관의 비전과 방향정지연 교수용인대학교

11:15 11:30 측정기관에서 본 비전과 방향최무룡 대표

㈜신진 (전임회장)

11:30~12:00전체 토론 및 “2014년 제조업실태조사”사업의 측정기관 사업참여 의견

수렴

o 주요 대상: 건강한 산업위생을 꿈꾸는 사람

o 수강에 요구되는 사전지식 정도: 작업환경측정관련 제도 및 법, 관련 사업에 대한 이해

예상 수강인원최소 ( 25 ) 명최대 ( 40 ) 명

수강자 준비사항

없음

필요한 강의도구

Beam Projector( ○ ) OHP( ) 칠판( ) 컴퓨터 실습실( )

기타 (협조요청 사항 등)

Page 120: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Page 121: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 113 -

Ⅵ. 기술홍보세션

○ T-1 (10/24(목) 16:00~17:30, 4층 406호)

New and Emerging Industrial Hygiene Technologies

○ T-2 (10/24(목) 16:00~17:30, 4층 407호)

가스측정기 현황 및 활용법

○ T-3 (10/25(금) 10:00~12:00, 4층 406호)

호흡기보호프로그램 소개

산업보건 관련 기업체나 기관의 전문적인 기술, 주요 이벤트 등에 대한 홍보를 위해 개설하는 세

션임. 학회에서는 강의실 및 일부 편의시설을 제공하고 신청자는 강좌 개설비를 납부하여야 함.

Page 122: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Page 123: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Ⅵ. 기술홍보세션

- 115 -

기술홍보세션 프로그램

♣ 일 시 : 10/24(목) 16:00~17:30, 10/25(금) 10:00~12:00

♣ 장 소 : 4층 강의실

번호 일 시 장 소 주 제 주 관

T-1 10/24(목) 16:00~17:30 406호New and Emerging IH

Technologies부성교역

T-2 10/24(목) 16:00~17:30 407호 가스측정기 현황 및 활용법 블루시스템

T-3 10/25(금) 10:00~12:00 406호호흡기보호프로그램 및

정량적 밀착도 검사APM엔지니어링

Page 124: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116 -

T-1 New and Emerging IH Technologies

강좌 명 New and Emerging Industrial Hygiene Technologies

강의시간 10/24(목) 16:00 ~ 17:30 (1시간 30분)수강료(원)

없음

강사 및 연락처(소속, 직위)

서 치수(부성교역상사, 대표)

o 전화번호: 사무실) 031-313-2798 o E- 메일 : [email protected] 주 소 : 시흥시 신천동 81-8 산호테크

노빌 804호

강좌주요내용

o 강의내용 요약:

- 발표 1 : Treating Health like Safety 기업들이 산업 안전/ 보건/ 위생에 투자하는 것이 더 큰 이익

을 창출 할 수 있다.

- 발표 2 : New and Emerging Industrial Hygiene Technologies 신흥 산업 위생 기술의 동향

- 발표 3 : Noise Dosimetery –The Future 폭로 소음 측정기의 방향

- Noise Dosimeter 및 Personal Pump 교육 및 데모

o 주요 대상: 산업위생 관련자

o 수강에 요구되는 사전지식 정도: 없음

예상 수강인원최소 ( 15 ) 명최대 ( 30 ) 명

수강자 준비사항

없음

필요한 강의도구

Beam Projector( O ) OHP( ) 칠판( ) 컴퓨터 실습실( )

기타 (협조요청 사항 등)

장비 전시 및 조작용 테이블( 약 800 x 1800 ) 2개

Page 125: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Ⅵ. 기술홍보세션

- 117 -

T-2 가스측정기 현황 및 활용법

강좌 명 가스측정기 현황 및 활용법

강의시간10/24(목) 16:00 ~ 17:30 (1시간

30분)수강료(원)

없음

강사 및 연락처(소속, 직위)

㈜블루시스템 대표이사 안재경

o 전화번호: 사무실) 032-837-5860~3o E- 메일: ceo @bluesys.co.kro 주 소: 인천시 연수구 송도미래로30 송도스마트밸리 E동 1708호

강좌주요내용

o 강의내용 요약:

- 가스분석기와 가스측정기 차이점

- 가스센서의 종류 (독성가스, 산소농도, VOC, 발암물질 측정센서)

- 밀폐공간 보건프로그램에서의 가스측정기역할

- 산업보건전문가의 가스측정기 활용방법

- 산업현장에서 실시간 가스 모니터링의 의미

o 주요 대상: 산업위생전문가, PSM관리자

o 수강에 요구되는 사전지식 정도: 밀폐공간프로그램

예상 수강인원최소 ( 10 ) 명최대 ( 50 ) 명

수강자 준비사항

없음

필요한 강의도구

Beam Projector( O ) OHP( ) 칠판( ) 컴퓨터 실습실( )

기타 (협조요청 사항 등)

화이트보드 준비요청

Page 126: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118 -

강좌 명 호흡기보호프로그램 소개

강의시간 10/25(금) 10:00 ~ 12:00 (2시간)수강료(원)

없음

강사 및 연락처(소속, 직위)

박상영 / 010-6439-1932(에이피엠엔지니어링, 대리)

o 전화번호: 사무실) 032-219-7700o E- 메일 : [email protected] 주 소 :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약대동

부천테크노파크 202동 808호

강좌주요내용

o 강의내용 요약:

- 사업장에서 작업환경 측정결과 분진이 노출기준을 초과 하였거나, 특

수건강검진에서 유소견자가 발생할 경우 근로자들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 호흡기보호프로그램을 수립·시행 해야 함

- 호흡기보호프로그램에는 분진과 관련하여 노출평가, 개선대책, 향후

개선사항, 유해성에 관한 교육과 의학적 평가 및 건강진단, 호흡보호

구 밀착도 검사, 호흡보호구 관리 등이 포함되어야함

- 작업장에서 유해물질이 발생 시 공학적 개선대책 및 작업관리 대책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최후의 수단으로 개인보호구를 이용한

관리 방법을 활용 하여야 함

- 유해물질의 인체 침투경로가 주로 흡입인 경우에는 호흡보호구를 착

용시켜야 함o 주요 대상: 기업체 보건관리자, 병원 보건관리자, 작업환경측정대행기

관 관계자 o 수강에 요구되는 사전지식 정도: 호흡보호구에 관한 기본지식

예상 수강인원최소 ( 10 ) 명최대 ( 20 ) 명

수강자 준비사항

없음

필요한 강의도구

Beam Projector( ○ ) OHP( ) 칠판( ) 컴퓨터 실습실( )

기타 (협조요청 사항 등)

T-3 호흡기보호프로그램 소개

Page 127: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공지사항

- 119 -

공지사항

1. 전체 참가자

학술대회가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정해진 시간 내에 행사장에 입장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학술대회에 참가하신 모든 회원은 필히 등록창구에서 등록하시고 명찰,

Meal Ticket, 교환권(연제집, usb카드, 총회자료), 포스터 평가용 스티커를 수령해 주시기

바랍니다.

포스터 발표 평가 : 포스터 세션에 참가하셔서 내용 및 구성을 보시고 전체 81개의 포스

터 중 가장 우수하다고 판단되는 10개의 포스터를 선정하신 후 명찰과 함께 수령한 스티

커를 평가 결과란에 부착해 주시면 됩니다. 학회 회원 여러분과 좌장의 평가결과를 바탕

으로 하여 우수 포스터상을 선정하게 됩니다.

구연 발표 평가 : 구연발표 세션장 마다 평가표가 비치되어 있으며, 구연발표를 들으시

고 평가표를 작성하여 각 세션장 도우미에게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학회 회원 여러분

과 좌장의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우수 논문상을 선정하게 됩니다.

10월 25일(금) Technical Tour(하이트공장, 새만금 방조제)에 참가를 원하는 회원님은 학

회 홈페이지에서 사전신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10월 19일부터 선착순 70명)

방법 : www.kiha.kr 학술대회 - Technical Tour 선택

2. 구연 발표자

발표자는 사전에 세션번호, 일시, 순서를 숙지하시고 발표시간을 엄수하시기 바랍니다.

구연발표 자료는 MS PowerPoint, 한컴 오피스 한쇼, PDF 등으로 내용 전달이 용이하도

록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발표자는 세션 시작 전, 발표 파일을 이동식 디스크에 저장하여 발표장의 도우미에게 제

Page 128: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120 -

출하시기 바랍니다.

발표자는 사전에 프로그램 일정을 확인 후 세션번호, 일시, 순서를 숙지하시고 발표시간

20분 (발표 15분, 토론 5분) 을 엄수하시기 바랍니다.

모든 구연 발표장에는 빔 프로젝터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3. 포스터 발표자

포스터 부착 보드의 크기(가로 90 cm x 세로 120 cm)에 맞추어 포스터를 제작하여 주시

기 바랍니다.

포스터세션의 운영 장소는 4층 휴게장소이며, 부착시간은 10월 24일(목) 12:00 ~ 25일

12:00까지이며 포스터 발표를 위해서 발표자는 10월 24일(목) 15:20부터 16:00까지 해당

포스터 앞에 위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포스터 탈착시에는 ‘평가 완료’ 표시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평가 완료’표시가 없을 경

우 평가가 끝나지 않았으니 학회 사무국(등록창구)에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자료집에 포함될 구두 및 포스터 발표 요약문의 경우 회원님들께 300 단어 이내를 요청하

였습니다만, 일부 발표 자료의 경우 이를 초과하여, 학회 학술부에서 죄송스럽게도 단어량

에 대한 수정이 있었음을 알려드리며, 다음 학회부터는 시스템적으로 해결토록 하겠습니다.

4. 좌장

라운드테이블, 구두 및 포스터 세션의 좌장께서는 해당 세션의 시작전에 발표자의 인적

사항 및 발표논문 내용을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좌장께서는 사전에 발표자들에게 발표요령을 숙지시켜 주시기 바랍니다.

5. 이광묵세션 및 전문교육강좌 수강

이광묵세션과 전문교육강좌는 각각 2개씩 총 4개 강좌가 개설되었으며 학회 참가자 모두

Page 129: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공지사항

- 121 -

무료 혹은 유료로 참석 가능하오니, 관심있는 모든 분들께서 사전 등록을 통해서 참석하

실 수 있습니다(강좌 주요 내용과 방법은 www.kiha.kr - 학술대회 – 프로그램 에서 확

인하실 수 있습니다).

6. 전시 후원 업체

후원업체의 전시관은 2층 대강당 앞 로비에 마련하였으며 행사시작 시간 이전에 전시 준

비를 완료해 주시기 바랍니다.

Page 130: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122 -

학술대회장 안내

학회 장소 찾아오시는 길

학회장소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전북지역대

주 소 : (560-080) 전라북도 전주시 태평3길 63(완산구 태평동 752-6)

연 락 처 : 063-254-8221~4

교통안내 • 시내버스

- 고속버스터미널: 금암동 삼성생명 앞(도보 5분 거리)에서 380, 381, 383, 385, 165, 975 버스 승차 후 중앙성당.방송대 정류소 하차 후 도보 300m

- 전주역 : 109, 12 버스 승차 중앙성당.방송대 정류소 하차 후 도보 300m- 전주시내버스(종합경기장<->충경로 양방향 운행) 211, 215, 221, 225, 165,

231, 105

• 택시 - 고속버스터미널에서 전주중앙시장 뒤 방송대(3000원 미만) - 전주역에서 전주중앙시장 뒤 방송대(5000원 정도)

• 승용차전주종합경기장에서 세이브존(구 코아백화점), 충경로사거리(구 민중서관)에서세이브존(구 코아백화점)으로 진행하여 전주 중앙시장, SK뷰 아파트 중간 위치

Page 131: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학술대회장 안내

- 123 -

Page 132: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124 -

숙소 구분 주소(전북 전주시)

전화(지역번호 063)

객실요금(원)

일반실 특실 VIP실

JAZZ 호텔 덕진구 우아동 2가 921-7 247-5900 121,000

아리랑 호텔덕진구 금암동701-3(전주고속터미널근처

273-4194 60,000

이카로스 모텔 덕진구 금암1동700-1 271-4200 50,000 60,000

SKY 모텔 덕진구 산정동 857-9 247-0039, 0040 45,000 50,000 60,000

샾 모텔 덕진구 산정동 868-1 244-6408. 6409 45,000 50,000 60,000

린 호텔 덕진구 산정동 874-3 244-5585, 242-4839

45,000 50,000

카멜리아 호텔 덕진구 산정동 870-5 243-9900 40,000 50,000 55,000

아테네 호텔 덕진구 산정동 858-3 247-3333 50,000 60,000

숙박 안내

전주에서의 숙박시설은 호텔, 모텔, 한옥마을로 구분할 수 있으며, 특히 한옥은 전주를 대표하

는 숙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교적 가격이 저렴합니다만 10월 24일 부터 진행되는 전주 비

빔밥 축제로 전주시내 숙소를 예약하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서둘러 예약하시기 바랍니다. 한국

산업위생학회 참가자라고 하면 직원이 빠른 예약을 도와줄 것이며 10월 20일 이후에는 개별적

으로 숙소를 예약하셔야 합니다. 만약 숙소를 예약하지 못하신 분들은 당일 터미널 주변(오른

편) 모텔촌에서 방을 예약한 후 학회장으로 오시기 바랍니다.

Page 133: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숙박안내

- 125 -

드라마 호텔 덕진구 산정동 863-6 247-2223 45,000 50,000

허니(무인텔) 모텔 덕진구 산정동 875-8 261-6896, 243-6896

40,000 45,000 50,000

브이 모텔 덕진구 산정동 870-10 247-0553, 0054 45,000 50,000 60,000

큐피트 모텔 덕진구 산정동 867-5 243-2292, 2293 45,000 50,000

아모르 모텔 덕진구 산정동 868-2 242-8465 45,000 50,000

메이저 모텔 덕진구 우아동2가 919-13 241-3003, 3023 40,000

러브레너 모텔 덕진구 산정동 875-13 245-4477, 4478 40,000

J 모텔 덕진구 산정동 868-4 243-5842 40,000

OPERA21 호텔 덕진구 우아동 2가 921-3 244-6400 40,00050,00060,00070,000

한옥마을 담소

한옥 완산구 조동 123 010-4562-7777 80,000 100,000

Page 134: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126 -

관광 안내

“아는 만큼 보이는 것이 여행이라고 했다. 전주는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문화 도시로, 한옥·한식·한지 등 韓스타일을 체험할 수 있는특별한 여행지이다”

○ 학회장소 주변 노송천 “만원의 행복 거리”

노송천 번영회 회장님 추천 맛집!

식당 연락처

3. 맛짱돈짱 063-251-8592

8. 종로곱창 010-4631-0702

9. 중앙정 063-251-2114

노다지 010-7532-2673

풍년식당 010-2928-9579

Page 135: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관광안내

- 127 -

http://tour.jeonju.go.kr/index.sko

Page 136: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128 -

Page 137: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관광안내

- 129 -

Page 138: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사)한국산업위생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130 -

장 소 시간 10.24(목) 10.25(금) 10.26(토) 10.27(일)

공예품전시관주차장

09:00~18:00

전국 요리경연대회

시상식 및 폐막식17시

태조로(공예품전시관 앞)

10:00~19:00

전국요리경연대회-전주향토음식 전시경연

전국요리경연대회-북한요리, 조각 전시경연

전국요리경연대회-전통음식 전시경연

태조로 쉼터 10:00~19:00

특별작품전 [한국전통문화고]

특별작품전 [군장대학교]

○ 2013 전주 비빔밥 축제

- 슬 로 건 : 한바탕 전주! 세계를 비빈다

- 기 간 : 2013. 10. 24(목) ~ 27(일) / 4일간

- 프로그램 : 맛있는 비빔, 즐거운 비빔, 색다른 비빔, 건강한 비빔, 더불어 비빔

- 장 소 : 전주 한옥마을 일대

- 주최/주관 : 전주시/ 풍남문화법인

Page 139: “사내 하청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 2013. 10. 22. · 사내하청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종합토의 (한국산업 위생학회) 국소배기장 치

관광안내

- 131 -

태조로(중앙초) 상설 이색비빔거리, 길거리연극퍼포먼스(한스타일 장똘뱅이), 거리퍼포먼스

태조로(경기전)

11:00옹기종기 비빔퍼포먼스

가나자와 시의회참석11시 국제포럼

신행길 재현행사

성심여고 사거리특설무대

11:00 어린이공연

14:30

33개동과 함께하는우리동네맛자랑 비빔퍼포먼스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하는 화합 비빔퍼포먼스

18:00 특별 기획공연1 특별 기획공연2 특별 기획공연3

수시

비빔Pop․Culture, 명인명사비빔밥, 쉐프의비빔밥 및 푸드이벤트

시의장님 13:00 시장님 16:00

경기전주차장(음식창의관) 상설

유네스코 전주음식 창의관 : 전주음식관련 단체 홍보관 / 전주시시책사업 홍보향토음식, 전주음식장인 등 쿠킹클래스, 경기전제례음식 전시 등

은 행 로 상설 비빔아트마켓

은행나무정 무대 수시 쌈지공연및 모주, 막걸리, 푸드 이벤트

오목정 무대 수시 쌈지공연 및 푸드 이벤트

한옥마을공용주차장 상설 요리조리체험관 (각종 음식체험관련 행사)

풍남문광장 상설 전주음식 (막걸리 판매관 및 비빔밥 등 음식판매관)

전주전통문화관 10:00

·다문화가정 합동결혼식주관:전주시자원봉사연합회

전주전통문화전당

유네스코창의도시국제포럼 14:00

한옥마을 문화시설 상설

전주전통문화관 : 비빔밥만들기 / 부채문화관 : 부채만들기 / 삼도헌 : 다도체험전주전통한지원 : 한지제작 / 공예품전시관 : 공예체험

남부시장 상설 남부시장 비빔야시장 주관:사회적기업 이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