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bk.kaist.ac.kr · 2018-09-03 · 지원분야의 중요성 (미래가치) 생명과학...

55
! "# "# "# $ % $ % $ % & ' () * +,.-/ 0- - - 1.2/ 43 7516& :19 &11 ;1 <2 & =/ @?>A BC ED> F=/ BC HGJI BMNCKIL KQMRMORMSP T %U :19 &1V &11 W X Y& = Z [ _> F= `PNQ\INN IPN ?5[ a\cOMb lk m + .on9/ lpq .rd sr0d/ lpq .t0d st]d/ lpq .t]d std/ 0lpq .td st^d/ ]lpq .t^d stud/ lpq .tud stvd/ ^lpq .tvd std/ wy9x v0 v0 v0 v0 v0 v0 v0 m z ddd s ddvd.u0{|/ lpq z ddd s 0ddud.{|/ }Y' T Z ~' :19 T ? ~' :19 mT Y ~ BC Hbi y9 Z ? y9? 6 * "# 1 7 ? 6: < Y  ¢¡< %6 Y1 £ ¤¥q¦ ¨«§¬©ªd ®D Z¯3  1 ª° ±²? )´³y ©µ¶ n ·  ?¸ $V: º¹ ¼» *¯3 ½¯ ¾¿3 À?Á §à ZÄ©ªd p | vÅ : ?T "#!

Upload: others

Post on 18-Mar-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신청서 요약문>

지원분야의

중요성

(미래가치)

생명과학 연구는 인류의 기원과 더불어 시작된 생명에 대한 지적 호기심 충족뿐만 아니

라, 인류가 직면한 식량, 환경, 보건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중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

되고 있다. 따라서 생명과학 분야 경쟁력 강화는 미래 국가발전의 원동력이 될 뿐만 아니

라 미래 신산업 창조의 기반 마련을 위해 장기적 안목으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생명과학 분야의 또 다른 가치는 다양한 학문 분야의 융합이 일어나는 학문적 인터페이

스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생명과학의 발전은 수많은 관련 산업의 동

반 발전을 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므로 미래 융합산업의 중심적 역할을 담당할 창

의적 생명과학 연구인력 배출은 국가적으로 뿐만 아니라 인류의 미래를 위해서도 필수적

인 사항이다.

사업 목표

카이스트 BK21 플러스 생물사업단은 세계적 수준의 생명과학 연구 및 우수 연구 인력 양

성을 위하여 출범하였다. 본 사업단은 지난 14년에 걸친 1단계 및 2단계 BK21 사업에서

모두 최우수 사업단으로 선정된 기존의 우수한 사업단 운영 시스템을 기반으로 미래사회

가 필요로 하는 건전한 리더십을 갖춘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고 학문적 난제를 해결할 미

래 선도형 연구를 수행하여 명실상부한 생명과학분야 세계 최상위급 교육 및 연구 사업단

으로 도약하고자 한다.

교육역량 영역

생명과학분야는 21세기 산업의 핵심분야로, 국내 생명과학 연구 역시 기반 구축 및 성장

기를 지나 바이오 관련 산업화 실현을 향한 도약기에 있다. 이를 위해 견고한 기초이론과

창의적 연구 능력을 갖춘 바이오 분야 고급 연구 인력의 양성은 필수적인 시대적 요구이

다. 이에 본 사업단은 미래 생명과학분야를 주도할 우수 연구 인력 양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교육역량 강화 전략을 수립하였다.

1. 학문적 기초 강화 교육

견고한 기초이론의 보유는 빠르게 발전하는 현대 생명과학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

력을 제공한다. 생명과학의 핵심 개념을 설정하고 학생과 교수와의 밀착 교육을 통해 개

념 습득 효과의 극대화를 유도하는 ‘개념 주도 교육 시스템 (concept-driven education

system)’을 도입하여 기초가 강한 연구자를 양성하고자 한다.

2. 미래 과학을 선도할 융합형 인재 양성

바이오분야의 획기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학문분야의 경계를 넘나드는 융합연구 수행 능력

을 갖춘 인력 양성이 필수적이다. 본 사업단은 지난 1, 2단계 사업을 통해 기초 및 응용,

공학 분야를 아우르는 다학제적 연구 컨텐츠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교육시스템에 접목하

는 ‘콘텐츠 중심 교육시스템 (contents-centered education system)’을 통해 다양한 콘

텐츠를 융합하여 연구에 적용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3. 가치 창출을 선도할 산업인재 양성

생명과학 연구 성과를 가치 창출을 위한 신성장 산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인재양성에

주력하고자 한다. 바이오 산업체와 유기적 협력관계를 갖는 교육환경을 제공하여, 미래의

새로운 가치와 산업현장의 요구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핵심연구기술을 산업화 및 창업 아

이템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안목을 증진시키고자 한다.

4 소통과 윤리의식을 갖춘 연구 리더 양성

연구기획에서부터 연구 수행, 논문 작성과정에서 적극적인 협력과 소통을 할 수 있는 리

더쉽과 윤리의식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시스템을 확립하고자 한다.

연구역량 영역

카이스트 BK21 플러스 생물사업단의 연구는 미래 사회의 지속적 발전과 인류의 건강한 삶

영위의 기반 마련을 지향한다. 이를 위하여, 미래 사회를 선도할 창의적 연구를 추구하

고, 지속적 발전의 걸림돌로 남아 있는 난제를 해결할 연구를 시도하며, 기초와 응용의

중심어

학문적 기초 강화 교육 융합형 미래 인재 양성 소통 및 윤리기반 리더십

창의적 미래 선도 연구 난제 돌파형 연구 가치 창출형 연구

초일류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2 / 813

유기적 연계를 통해 새로운 산업을 창조할 수 있는 연구를 실시한다. 이러한 창의적, 난

제 돌파형, 신산업 창조 연구의 수행을 위해 초일류 연구진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미래

대한민국의 생명 연구 및 산업을 선도할 리더십을 갖춘 창의적인 석박사급 인재를 양성하

고자 한다.

1. 창의적 미래 선도형 연구

신개념 창출을 위한 시너지 극대화를 위해 사업단 내 분야별 그룹연구를 활성화하고, 더

나아가 세계적 선도 연구그룹과의 협력 연구를 지향한다.

2. 난제 돌파형 연구

인류가 당면한 난제를 발굴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연구를 지원한다. 또한, 사회 및 산

업체의 수요에 부합하는 연구 분야에 대한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자 한다.

3. 미래 가치 창출 연구

미래 사회 및 산업 수요 예측을 통해 미래 가치 창출이 가능한 연구를 발굴하고 이를 적

극 지원하고자 한다.

4. 초일류 연구 집단 구축

현재의 우수한 연구 환경을 지속적으로 유지 및 확대하기 위해 우수한 신진교원을 확보하

고 이들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자 한다.

기대효과

카이스트 BK21 플러스 생물사업단에서 육성할 우수한 연구 인력들은

1. 세계적 연구 업적의 창출을 통해 국내 생명과학 분야 국제 경쟁력을 증진시킬 것이며,

2. 인류가 직면한 여러 난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할 것이다.

3. 융합 학문의 주도자로써 새로운 미래 산업의 창조 및 과학 기술의 지속적 발전 모델을

제시할 창의적 인재가 될 것이며,

4. 소통과 윤리의식을 갖춘 미래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을 주도할 리더로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한다.

3 / 813

4 / 813

Ⅰ 사업단 현황

1 사업단 구성

1.1 사업단장

T_1_1:성명 T_1_2:한글 D_1_3:서연수 T_1_4:영문 D_1_5:Yeon-Soo Seo

T_2_1:소속기관 D_2_3:한국과학기술원 D_2_4:생명과학기술대학 D_2_5:생명과학과

5 / 813

1.2 사업단 대학원 학과(부) 현황

<표 1-1> 사업단 대학원 학과(부) 교수 현황 (단위: 명, %)

T_1_1:기

T_1_2:대

과(

부)

T_1_3:전체 교수 수(임상, 교

육, 분교, 기금 제외)

T_1_8:기존 교수 수(임상, 교

육, 분교, 기금 제외)

T_1_13:신임 교수 수(임상, 교

육, 분교, 기금 제외)

T_1_18:임상, 교육, 분교, 기금

교수 수

T_2_3:전

T_2_4:참여

T_2_7:참

(%)

T_2_8:전

T_2_9:참여

T_2_12:참

(%)

T_2_13:전

T_2_14:참여

T_2_17:참

(%)

T_2_18:전

T_2_19:참여

T_2_22:참

(%)T_3_4:전

T_3_5:겸

임T_3_6:계

T_3_9:전

T_3_10:겸

임T_3_11:계

T_3_14:전

T_3_15:겸

임T_3_16:계

T_3_19:전

T_3_20:겸

임T_3_21:계

D_4_1:201

306

18

D_4_2:생

D_4_3:28 D_4_4:25 D_4_5:0 D_4_6:25D_4_7:89.

29%D_4_8:23 D_4_9:21 D_4_10:0 D_4_11:21

D_4_12:91.

3%D_4_13:5 D_4_14:4 D_4_15:0 D_4_16:4 D_4_17:80% D_4_18:0 D_4_19:0 D_4_20:0 D_4_21:0 D_4_22:0%

<표 1-2> 사업단 대학원 학과(부) 대학원생 현황 (단위: 명, %)

T_1_1:기준

T_1_2:대학

원 학

과(부)

T_1_3:대학원생 수

T_2_3:석사 T_2_6:박사 T_2_9:석·박사 통합 T_2_12:계

T_3_3:전체 T_3_4:참여

T_3_5:참여

비율

(%)

T_3_6:전체 T_3_7:참여T_3_8:참여비

율(%)T_3_9:전체 T_3_10:참여

T_3_11:참여

비율

(%)

T_3_12:전체 T_3_13:참여

T_3_14:참여

비율

(%)

D_4_1:20130

618

D_4_2:생명

과학과D_4_3:0 D_4_4:0 D_4_5:0% D_4_6:53 D_4_7:35 D_4_8:66.04% D_4_9:222 D_4_10:162

D_4_11:72.97

%D_4_12:275 D_4_13:197

D_4_14:71.64

%

6 / 813

Ⅱ 부문별

1 사업단의 교육 비전 및 목표

1.1 교육 비전 및 목표

1) 사업단의 교육 비전

카이스트 BK21 플러스 생물사업단은 대학원 교육의 혁신을 통하여 창의적 융합연구 역량과 소통 및 윤리의식을

갖춘 전인적 고급인재를 양성하여, 21세기 기초 생명과학 및 생명공학 분야를 선도하고 신성장동력인 바이오 산

업의 새로운 가치와 기회 창출에 기여하고자 함.

2) 사업단의 목표

가. 기초원리 및 개념 강화 교육

나. 미래 과학을 선도할 융합형 인재 양성

다. 가치 창출을 선도할 산업인재 양성

라. 소통과 윤리의식을 갖춘 연구 리더 양성

3) 목표달성을 위한 교육 시스템 개혁

가. 교육 컨텐츠 개혁: 카이스트 BK21 플러스 생물사업단은 기존 BK21 1,2 단계 사업단이 시행해 오고 있는 석·

박사과정의 통합, 실험실 로테이션을 통한 학생 주도형 지도교수 선택제도, 다학제적 커리큘럼 등 교육제도 개

혁을 계승 발전시켜 나갈 것임.

나. 학사제도 개혁: 질 높은 교육과정 수행, 박사학위 졸업조건 강화, 대학원생 세미나를 이용한 학위 논문연구

진도 발표 의무화, 우수 대학원생 포상 (우수 논문상, 우수 발표상 년 1회 포상), 외국인 학생 선발확대, 대학원

교수 강의 100% 영어 실시 및 전과목 강의 평가제 등을 실시할 것임.

다. 교육 국제화 선도: 대학원생의 지속적인 교육 및 국제화를 선도하기 위해서 해외 유수 대학들과 MOU 체결,

미국, 호주, 프랑스 등 세계 10여 개국 대학원과의 교류학점 인정 및 국제 공동연구 및 학술교류를 통하여 본 사

업단 대학원의 국제화를 촉진하고자 하며 해외 유수 대학의 석학 및 우수 젊은 과학자 초청 및 학술 교류 및 국

제 학회 참석 독려 등을 추진할 예정임.

라. 교육 및 연구 인프라 개선: 지속적인 우수 신임 교원을 유치하기 위한 우수 신임 교원 발굴 위원회를 가동하

여 적극적으로 우수 신임 교원을 확보하고, 신임 교원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정착연구비를 제공하며 박사급 연

구원의 인건비를 본 사업단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예정임.

7 / 813

2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2.1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2.1.1 교과과정의 구성 및 운영 계획의 우수성

1) 사업단의 교육 목적에 달성을 위한 교과목 체계구축

가. 학문적 기초역량 강화 교육

● 생명과학 기초개념 및 연구의 균형적 발전을 위한 대학원 교과과정 이수요건 확립: 석사과정 총 33학점

(강의 18학점+연구 15학점), 박사과정 총 60학점 (강의 27학점 + 연구 33학점).

● 다양한 생명과학 주제에 대한 기본 개념을 강화하기 위해 필수과목으로 고급분자세포생물학을 대학원 입

학 후 1년에 걸쳐 심도 있게 수강.

● 매학기 다수의 현대 생명과학 주제에 대한 특강 개설을 통하여 최신생명과학 분야의 지식 및 연구방법

을 익히도록 지원.

● 외부 연사 초청 세미나를 통하여 첨단과학지식을 습득하고, 발표 형식의 대학원생 세미나 운영을 통하

여 연구자들 간의 의사소통 능력 함양.

● 영어논문작성법 강좌를 개설하여 과학적 사고 및 논리에 근거한 영어논문완성 능력 개발 기회 제공.

● 연구주제심사, 진도점검, 최종심사의 3단계에 걸친 박사학위논문 지도교수진의 지속적 협의를 통해 양질

의 박사학위 연구 논문 작성 지원.

나. 다학제적 콘텐츠 제공

● 지난 10 년간 다양한 생명과학 분야의 교수영입 및 적극적인 학과 내 공동연구로 균형 잡힌 다학제적 연

구풍토를 확립하였음.

● 석박사 통합과정을 전면 실시하였으며, 의과학대학원과 바이오 및 뇌공학과가 생명과학과와 함께 생명과

학기술대학으로 합병됨에 따라 생명과학과의 개설과목뿐만 아니라 다양한 의과학 및 바이오정보 관련 과목

을 수강할 수 있는 여건을 체계적으로 마련하였음.

● 랩로테이션 제도를 전면 도입하여 대학원생들이 관심 분야 실험실을 비교 체험 후 학위논문 실험실을 선

택하도록 유도하고 추후 다른 실험실과 공동연구 및 인프라 활용을 통한 융합연구가 가능하도록 하였음.

다. 가치창출을 선도할 산업인재 양성

● 연구결과에 대한 권리가 지적재산권으로 보호받아야 하는 당위성을 인식시키고 그 방법을 교육시키기 위

하여, 매년 지적재산권 설정 방법과 유지에 관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음.

● 대학원생들의 폭 넓은 사고와 융합능력 및 생명과학기술 분야의 리더십을 키우기 위하여 리더십 강좌,

기업가 정신과 경영전략, 공업경제 및 원가 분석학, 전산응용개론, 확률 및 통계학, 신소재 과학 개론, 계

측개론 등을 공통필수 과목으로 개설하였음.

● 향후 생물학 교육 및 연구의 큰 흐름으로 생각되는 ‘bench-to-bed’ 또는 ‘bench-to-market’ 연구 개

념을 강화시키기 위한 의학 또는 산학협동 교과목을 발굴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할 것임.

● 외부 연구기관과 공동학위 프로그램 개발로 다양한 교육의 틀 제공 (예, KIST CFC-KAIST 연계박사 프로

그램: 3 년간 KAIST에서 수업 및 연구교육 후 KIST에서 방문하여 공동연구를 수행함).

라. 소통과 윤리의식을 갖춘 연구리더 양성

● 전체 대학원생의 10% 이상을 최우수 외국인 학생으로 선발하고 교육함으로써, 구성원의 다양성을 확보하

고, 장기적인 국제화의 기반을 마련하였음.

● 학생들의 장단기 해외 연수 기회를 확충하여 대학원생들이 첨단 연구 분야의 경험을 습득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

● 연구 윤리 강좌를 개설하여 모든 대학원생이 의무적으로 수강하도록 하여 연구 윤리의식 함양.

● 1학기의 실험 조교 의무화와 1학기의 강의 조교 의무화를 통하여 전문지식의 전달과 대인 활동에 대한

경험을 쌓게 하고 있음.

● 사회 각 분야의 리더로 활동하고 있는 분들을 초빙하여 학문 및 윤리의식 고양을 위한 리더쉽 강좌를 실

8 / 813

시하고 있음. 2012년 실시된 리더쉽 강좌는 다음과 같음.

“한국경제의 과제와 미래" (유종일,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12.3.9)

“21세기 지식기반사회의 미래 인재상” (오세정, 기초과학연구원장, ‘12.3.16)

“연구윤리소개-연구부정해위와 관련 규정 중심으로” (이원용, 연세대 교수, ‘12.4.6)

“역사와 문화 속의 건축” (김봉렬, 한국예대 교수, ‘12.4.13)

“산업 발달사” (윤종용,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위원장, ‘12.4.20)

“공학인의 리더십” (고상근, 서울대 교수, ‘12.4.27)

“리더의 조건: 행복한 삶의 이해” (권석만, 서울대 교수, ‘12.5.4)

“과학기술과 미래사회” (김도연,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장, ‘12.9.7)

“창의성을 죽이는 나라에서 과학자로 살아남기” (김두식, 경북대 교수, ‘12.9.21)

“도전과 기회 그리고 기회와 도전” (강승현, 모델, ‘12.10.5)

“캔버스 위의 리더십” (이주헌, 미술평론가, ‘12.10.12)

“바람직한 리더십” (권영수, LG화학 사장, ‘12.11.23)

“카이스트의 숨은 전설 -우리는 별을 쏘았다-” (박성동, SATRECI 대표, ‘12.11.30)

“행복한 선물 -옵티미스트-” (채정호, 카톨릭의대 교수, ‘12.12.7)

2) 강의평가와 그에 따른 환류 실적 및 계획

가. 중간 강의평가 제도 확립: 2012 년부터 최종 강의평가 외에 학기 중 중간 강의평가를 실시하여 웹사이

트에 게시하고 있어 교수가 학기 중 강의내용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지속적으로 시행할 예정

임.

나. 최종 강의평가에 참여한 학생에게 학점확인의 우선권을 부여하여 강의평가에 적극적으로 참여를 유도하

고 있음.

다. 10 개 항목 중 주요 5 개 항목 (강의 이해도, 준비성, 지식발전 기여도, 학생참여 유도 등) 최종 강의

평가 결과를 과목실명으로 공개하고 있음.

라. 강의평가 결과를 교원 연말 고과 및 연봉제에 적극 반영함 (교육실적 점수의 42%가 강의평가점수).

마. 강의평가 점수가 기준이하인 (3.0/5.0) 교수의 강의를 차기년도에 제한하고 우수강의에 대해 포상하는

제도가 확립되어 시행 중임.

3) 논문 작성법 강의 개설을 통한 독립적인 논문 작성 기술 함양

가. 우수한 외국인 전임교원의 영입과 ‘Research Presentation in English’ 과목의 개설로 실질적으로 영

어로 자신의 연구 결과를 발표할 수 있는 기량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음.

나. 영어논문 작성법 과목을 개설하여 외국인 전문교원에 의해 논문작성 기술을 심도 있게 강의함.

2.1.2 학사관리제도 및 수준의 우수성

1) 학생중심 입학전형 및 지도교수 선택제도 시행

가. 2006년 봄학기부터 모든 대학원생을 석박사 통합과정이나 박사과정으로만 선발하여 집중적이고 지속적

인 교육을 통하여 생명과학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음.

나. BioURP 제도: 전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여름학기 기간에 연구 참여를 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여 추

후 대학원 진학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관심이 있는 연구분야 및 지도교수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

음.

다. 겨울 방학기간에 모든 참여대학원생과 신입생이 참여하는 1박 2일간의 대학원생 연구업적 발표회를 개

최하여, 대학원생들이 수행하는 연구를 구두 발표 및 포스터 발표를 통해 공유하게 하였고, 예비 신입생들

이 각 실험실에서 진행되는 연구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

라. 학생주도형 랩 선택: 2010년 봄학기부터는 외국대학원에서는 보편화되어 있는 랩로테이션 제도를 전면

도입하였다. 이 제도를 통해 신입 대학원생들은 총 3곳의 실험실을 스스로 선정하여 각 한 달씩 총 3개월

9 / 813

의 로테이션을 한 후에 최종 실험실을 정하도록 하였음.

☞ 로테이션 결과 학생의 자율적 선택권이 강화 되었으며 학생유치를 위한 자구노력이 증대되었음. 또한 로

테이션 기간 동안 여러 실험실의 인프라를 이해할 수 있어 향후 연구에 활용할 수 있게 됨.

2) 박사학위 논문심사 및 졸업요건 강화

가. 박사학위논문 예비 심사제도: 석박사통합과정 입학 후 2년 이내 또는 박사과정 입학 수 1년 이내에 관

련분야 교수로 구성된 학위논문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학위논문 연구진행 자격 판정 및 박사학위연구 계획

을 심사함.

나. 학위논문 가이드라인 제정: 학위연구를 통해 제1저자로서 SCI 급 1 편 포함, 총 IF 합 4 (기초) 또는

2 (공학) 이상의 논문 발표 실적을 권장해 박사학위 논문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고, 대학원생들이 향후 학

자로서 커나가는 기본 발판을 구축해주고자 하고 있음.

다. 학위기간 장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석박통합과정 6년차/박사과정 5년차부터 조교수당 지급 제한, 대학

원 수학 8년 상한제도, 커미티의 연차별 모니터링 제도를 운영함.

라. 대학원생 배출실적을 지도교수 연차실적평가에 반영하며 대학원생 총원제한제도 (국비 대학원생 기준

최대 10명)를 통해 기존학생들의 학위기간이 장기화될 경우 새로운 학생선발에 제한을 받게 됨.

3) 유연성 있는 학사제도 시행

가. 매년 학사요람 교정 및 개선하여 웹사이트에 게시함 (www.bio.kaist.ac.kr).

나. 전공필수과목을 줄이고 (고급분자세포 생물학 I, II 가 유일한 필수과목) 나머지 모든 학점을 선택화하

여 유연성을 대폭 증대하였으며 학생의 진로에 따른 맞춤형 교육이 가능함.

다. 인문 사회과학 과목 등 다양한 타학과 과목 이수가 가능하여 연구에 필요한 다양한 지식습득에 도움을

주고 있음.

라. 고급 수준의 학부과목 (400 단위)을 대학원생 수강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학부 때 수강한 과목의 경

우 (500 단위) 대학원진학 시 학점인정.

마. 외국의 유명 교수진을 External Advisory Committee(EAC) 로 선정해서 매년 1~2명을 학과에 초청해서

선진 연구 및 교육 시스템에 대해 조언을 받고 제도개혁에 지속적으로 반영하고 있음. 일례로 2010년에 학

과를 방문하여 연구와 학과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조언을 하였던 Baylor College of Medicine에 재직하고 있

는 David Moore 교수가 2012년에 다시 학과를 방문하여 이에 대한 진행 사항을 점검하고 조언함.

10 / 813

3 인력양성 계획 및 지원방안

3.1 대학원생 인력 확보/배출 및 지원 계획

3.1.1 최근 3년간 대학원생 확보 및 배출 실적

<표 2> 사업단 소속 학과(부) 대학원생 확보 및 배출 실적 (단위: 명)

T_1_1:대학원생 확보 및 배출 실적(명)

T_2_1:실적 T_2_3:석사 T_2_4:박사 T_2_5:석·박사 통합 T_2_6:계

T_3_1:확보

T_3_2:2010년 D_3_3:0 D_3_4:60.5 D_3_5:178 D_3_6:238.5

T_4_2:2011년 D_4_3:0 D_4_4:51 D_4_5:186 D_4_6:237

T_5_2:2012년 D_5_3:0 D_5_4:52 D_5_5:194 D_5_6:246

T_6_2:계 D_6_3:0 D_6_4:163.5 D_6_5:558 D_6_6:721.5

T_7_1:배출

T_7_2:2010년 D_7_3:10 D_7_4:38 D_7_5:X D_7_6:48

T_8_2:2011년 D_8_3:4 D_8_4:40 D_8_5:X D_8_6:44

T_9_2:2012년 D_9_3:3 D_9_4:31 D_9_5:X D_9_6:34

T_10_2:계 D_10_3:17 D_10_4:109 D_10_5:X D_10_6:126

3.1.2 대학원생 확보 및 지원 계획

가. 대학원생 배출 계획

<표 3> 향후 사업단 소속 학과(부) 대학원생 배출 계획 (단위: 명)

T_1_1:연도T_1_2:대학원생 배출 계획(명)

T_2_2:석사 T_2_3:박사 T_2_4:계

T_3_1:1차년(2013년) D_3_2:0 D_3_3:33 D_3_4:33

T_4_1:2차년(2014년) D_4_2:0 D_4_3:33 D_4_4:33

T_5_1:3차년(2015년) D_5_2:0 D_5_3:33 D_5_4:33

T_6_1:4차년(2016년) D_6_2:0 D_6_3:35 D_6_4:35

T_7_1:5차년(2017년) D_7_2:0 D_7_3:35 D_7_4:35

T_8_1:6차년(2018년) D_8_2:0 D_8_3:35 D_8_4:35

T_9_1:7차년(2019년) D_9_2:0 D_9_3:35 D_9_4:35

11 / 813

T_10_1:계 D_10_2:0 D_10_3:239 D_10_4:X

※ 상기 목표 설정에 관한 실현가능성 및 부가설명 기술

- 본 연구단은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우수한 박사급 연구인력의 양성을 교육의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으므로 단

순한 박사졸업생 숫자의 증가는 지양함.

- 본 연구단은 모든 학생을 석박사통합과정 또는 박사과정으로 선발하므로 석사학위 졸업생은 없는 것으로 계획

하고 있음. 다만, 석박사통합과정 입학생 중 박사학위 자격시험 (qualifying test) 및 thesise proposal과 중간

발표 등 평가과정에서 탈락하는 학생 비율이 약 20% 정도 될 것으로 예상하고, 이들 중 일부가 석사학위로 졸업

할 것으로 예상됨.

- 본 연구단의 학생은 평균 석박사통합과정의 경우 6년, 박사과정의 경우 4년에 졸업하고 있음. 따라서 BK21 플

러스 사업 3차년도인 2016년에는 2010년 석박사통합과정에 입학한 30명과 2012년에 입학한 박사과정생 11명 중

박사과정 자격시험에 의한 중도 탈락 등을 감안하여 전체 입학생의 80%가 졸업하는 것으로 예상하여 33명을 배출

하는 것으로 계획하였음.

12 / 813

나. 사업단의 우수 대학원생 확보 및 지원 계획

1) 본 학과의 우수 학부생 확보 방안

본 사업단이 소속된 카이스트 생명과학과는 국내 최고수준의 학부생들을 교육하는 기관이기도 함. 우수한 카이스

트 학부생들을 본 사업단의 대학원생으로 확보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음. 이를 계승 및

보완하여 우수한 학부생들이 생명과학 연구자로 성장할 기회를 부여할 계획임.

가. 학부생 대상 실험실 홍보: 본 학과는 매년 1회씩 학부생들에게 각 실험실을 소개하는 실험실 홍보 행사를 개

최하고 있음. 각 실험실의 대학원생들이 학부생과 일대일로 실험실에 대한 소개를 함으로써 학부생들이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각 실험실의 연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함.

나. 학부생 연구 과목 개설: 이상적인 대학원 진학의 첫째 요건은 학생의 관심에 부합하는 연구 분야를 선택하는

데 있음. 본 사업단이 소속된 카이스트 생명과학과의 학부생들은 계절학기를 포함하여 학기별로 실험실을 선택하

여 개별연구를 수행하거나 졸업 필수요건으로 졸업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연구실 생활을 미리 체험해 볼 수 있음.

재학 중 학기별로 실험실을 바꾸어가며 여러 실험실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부생들의 본 사업

단의 대학원과정으로의 진학을 자연스럽게 유도하고자 함.

다. KAIST-URP (Undergraduate Research Program): 개별연구 및 졸업연구와는 별도로 학부생들이 직접 연구신청

서를 작성하여 신청하고, 선정될 경우 연구비와 인건비를 지급하여 일정기간 연구를 수행하는 KAIST-URP 프로그

램을 운영하고 있음. 연구성과 발표회를 통해 우수연구자에 포상을 함으로써 많은 학생들의 활발히 참여하고 있

음. 이를 통해 연구실 생활을 일찍 체험한 우수 학부생들이 본 사업단의 대학원과정으로의 진학을 유도하고자

함.

라. 학부 학술회 지원: 카이스트 생명과학과는 학부생들이 직접 학과세미나 연사를 초청하는 학부 학술회를 운영

하고 있음. 세미나 연사를 직접 초청함으로써 최근 연구동향 및 선도과학자의 연구에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고자

함.

마. K-FaF (KAIST-Fauna and Flora): 카이스트 생명과학과는 2011년부터 지도교수와 지도학생들이 field로 나가

자연의 동식물을 직접 체험하는 K-FAF 행사를 개최하고 있음. 1박 2일간 진행되는 이 행사를 통해 학생과 교수가

편한 대화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학생들이 연구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고자 함.

바. 새내기 세미나: 무학년 무학과로 운영되는 카이스트 학사 운영의 특성상 우수 학부생을 본 학과로 유치하기

위해 1학년을 대상으로 각 연구실의 연구를 소개하는 새내기세미나를 개최하고 있음. 이를 통해 많은 신입생들이

바이오 연구에 관심을 갖고 대학원 진학 시 본 사업단을 선택하도록 하고자 함.

2) 국내 타대학의 우수 학부생 확보

가. BioURP: 본 학과는 2010년부터 타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BioURP를 개최하고 있음. 본 학과에 관심이 있는 외

부 대학 출신 지원자 중 우수학생을 선발하여 기숙사와 인건비를 제공하며 방학동안 본 사업단의 연구실 생활을

체험하게 함으로써 최우수학생들이 본 사업단의 대학원과정으로의 진학을 유도하고자 함.

나. Open KAIST: 매년 1회 학교 수준에서 카이스트 내 연구실을 외부인에게 개방하여 학과 및 연구실 탐방, 교수

와의 면담 등을 하고 있음. 이 기회를 통해 외부의 우수 학부생들이 본 사업단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회

를 제공하고자 함.

3) 해외 우수 학부생 확보

가. 외국대학의 교환학생 유치: 해외 협력 대학들의 교환학생을 유치하여 2012년의 경우 5개국 (싱가포르, 홍콩,

프랑스, 몽골, 중국) 12명의 학생이 본 학과의 교과과목을 수강하고 학점을 취득하였고, 이를 통해 우수학생들의

본 사업단의 대학원과정으로의 진학을 유도하고자 함.

나. Experience KAIST Program: 2006년부터 Hanoi University of Science (HUS, 현 Vietnam National University

(VNU) of Science at Hanoi)에 재학 중인 최우수 학생들을 초청하여 본 사업단의 연구실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

를 제공함으로써 현재까지 12명의 대학원생을 유치하였음. 향후 HUS 뿐 아니라 다른 해외 우수 대학으로 이 프로

그램을 확대해 나갈 예정임.

4) 대학원생 지원 계획

가. 본 사업단의 모든 대학원생들에게 수업료 면제, 기숙사 제공, 의료보험, 산재보험 및 연구실별로 수탁연구비

13 / 813

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 조성

나. 국내외 장단기 연수 및 연구 성과의 국내외 국제학회 발표를 지원함으로써 학생들의 우수연구 동기 부여

다. Agarwal Award, Bioneer Award 등 우수연구실적을 포상함으로써 학생들의 우수연구 동기 부여

라. 본 사업단 및 각 연구실 별로 대학원생들의 연구 환경 및 복지증진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5) BK21 국고 지원금 대비 석.박사 배출 인력

본 사업단은 BK21 플러스 사업에서 대학원생 지원금을 받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해당사항이 없음. 하지만, 위 기

술된 사업단의 프로그램을 통해 우수한 연구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노력을 다할 것임.

14 / 813

3.2 대학원생의 취업률 현황 및 진로 개발 계획

3.2.1 취업률

<표 4> 사업단 소속 학과(부) 대학원생 취업률 실적 (단위: 명, %)

T_1_1:구분

T_1_3:졸업 및 취업현황

T_1_9:취업률

(%)(D/C)×

100T_2_3:졸업자 (G)

T_2_4:비취업자(B)

T_2_7:취업대상자

(C=G-B)T_2_8:취업자(D)T_3_4:진학자

T_3_6:입대자T_4_4:국내 T_4_5:국외

T_5_1:2012년 2

월 졸업자

T_5_2:석사 D_5_3:3 D_5_4:0 D_5_5:0 D_5_6:0 D_5_7:3 D_5_8:2T_5_9:석사/박사

합산

T_6_2:박사 D_6_3:20 D_6_4:X D_6_5:X D_6_6:0 D_6_7:20 D_6_8:19 D_6_9:91.3

T_7_1:2012년 8

월 졸업자

T_7_2:석사 D_7_3:0 D_7_4:0 D_7_5:0 D_7_6:0 D_7_7:0 D_7_8:0T_7_9:석사/박사

합산

T_8_2:박사 D_8_3:11 D_8_4:X D_8_5:X D_8_6:0 D_8_7:11 D_8_8:11 D_8_9:100

T_9_1:계 D_9_3:34 D_9_4:0 D_9_5:0 D_9_6:0 D_9_7:34 D_9_8:32 D_9_9:94.12

3.2.2 취업의 질적 우수성

1) 2012년 박사학위 졸업생 취업 현황

2012년 박사학위 졸업생 중 취업대상자 (31명)의 경우 국내외 대학의 포스트닥 (박사후과정) (15명) 또는 국책

및 산업체 연구소의 연구원 (15명)으로 진출하였음. 미취업자인 1명은 국내 의과대학으로 진학하였으므로, 실제

로는 모든 박사학위 졸업생의 진로가 확정되었음. 석박사통합과정으로 입학하여 박사로 진학을 하지 않은 석사학

위 졸업생 (3명)의 경우에는 해외 진학을 준비 중 (1명)이거나 산업체 연구원 (1명) 또는 법률사무소 (1명)로 취

업하였음. 이는 거의 모든 졸업생들이 전공과 관련된 기관에 취업했음을 보여줌. 본 사업단의 사업목표가 학계

및 산업계 우수 연구인력을 양성하는 것임을 고려해 볼 때 본래 목표에 잘 부합하는 취업 형태라고 생각됨. 2012

년 졸업생의 취업 내용은 다음과 같음.

가. 국내외 우수 교육/연구기관

권민석 :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김경란, 최동욱, 최윤정, Palinda RM : KAIST 자연과학연구소

김민아 :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김민진 :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김지선, 이정유 : KAIST 응용과학연구소

백인엽 : 미국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양희원 : 미국 Stanford University

이재성 : 덴마크 Danmarks Tekniske Universitet

이창한: 스웨덴 Karolinska Institute

15 / 813

Nguyen Tuan Anh : 서울대학교 RNA 생물학 연구실

Tran Ngoc Tung : 미국 University of Alabama at Birmingham

나. 국책 및 산업체 연구소

권정호: 삼성전자 삼성생명과학연구소

김연재 : 국립암센터

김은영, 전우영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길정은, 마원 : 기초과학연구원

류수희 : 셀트리온

백상훈 : 국순당

신용걸 : 엔지노믹스

안동현 : 메디톡스

유태경, 황용연 : SK케미칼

이정숙 : 한국화학연구원

이주영 : 삼성바이오로직스

정영수 : 국방과학연구소

한지은 : 삼성종합기술원

2) BK21 1, 2 단계 사업을 통해 배출한 대학원생들의 국내외 대학 교수 진출 현황

2000년 박사 졸업, 박찬배,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조교수

2000년 박사 졸업, 박희성, KAIST 화학과, 조교수

2000년 박사 졸업, 신상운,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 조교수

2000년 박사 졸업, 심재경 세종대학교 생명과학대학 분자생물학부, 조교수

2000년 박사 졸업, 윤현철, 아주대학교 응용화학생명공학과, 부교수

2000년 석사 졸업, 임동우, 한양대학교 나노생명공학과, 조교수

2001년 박사 졸업, 김헌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조교수

2001년 박사 졸업, 남상철, 미국 Texas A&M International Univ. 생물학과, 부교수

2001년 박사 졸업, 송호석,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과, 부교수

2001년 박사 졸업, 심해홍, 광주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부교수

2001년 박사 졸업, 조주현, 경상대학교 생물학과, 부교수

2001년 박사 졸업, 홍선택, 가천의대 이길여 암당뇨연구원, 조교수

2002년 박사 졸업, 윤상오, 미국 University of Cincinnati College of Medicine, 조교수

2002년 석사 졸업, 황승민, 미국 University of Chicago, 조교수

2003년 박사 졸업, 고형종,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조교수

2003년 박사 졸업, 박준수, 연세대학교 생명과학기술학부, 부교수

2003년 박사 졸업, 서태근, 동국대학교 생명과학과, 부교수

2003년 박사 졸업, 정지훈,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부교수

2004년 박사 졸업, 임정훈, 울산과학기술대학교 나노생명화학공학부, 조교수

2004년 박사 졸업, 최정균,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조교수

2005년 박사 졸업, 강창수, 성신여자대학교 생명과학화학부, 부교수

2005년 박사 졸업, 고재원, 연세대학교 생화학과, 조교수

2005년 박사 졸업, 김호민, KAIST 의과학대학원, 조교수

2005년 박사 졸업, 이성배, DGIST 뇌과학전공, 조교수

2006년 박사 졸업, 이준희, 미국 University of Michigan, 조교수

2006년 박사 졸업, 현서강, 중앙대학교 생명과학부, 조교수

2008년 박사 졸업, 김영필, 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 조교수

2008년 박사 졸업, 목혜정, 건국대학교 특성화학부 생명공학전공, 조교수

16 / 813

3.2.3 취업지도/진로 개발 실적 및 계획

1) 취업의 질적 우수성을 달성하기 위한 실적 및 계획

가. 현재 사업단에서 운영 중인 취업지원 프로그램

현재 교내의 취업관련 기관인 Career Center와 연계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졸업생들의 취업을 돕고 있

음.

● 취업 관련 세미나를 통하여 취업관련 사항 교육

● 취업 정보 게시

● 온라인 취업 정보 제공

● 기업체의 학교방문 취업설명회 추진

● 졸업생-재학생 연결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에 진출한 졸업생이 재학생과 개인적으로 연결되어 취업 계획

을 도와줌

나. 취업의 질적 우수성을 향상하기 위한 계획

● 취업 정보의 공유: 현재 개별 교수 및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취업 노력 및 보유하고 있

는 취업 관련 정보를 사업단에서 전체적으로 취합하여 모든 구성원들이 정보를 공유함. 이를 위하여 사업

단 홈페이지에 유용 취업정보를 게시하고, 사업단내의 구성원들이 접근하여 열람할 수 있도록 함.

● 취업설명회: 관련 기업의 취업 설명회 유치

● 진로설명회: 진로 설명회를 연례적으로 실시

● 졸업생-재학생 연결 프로그램: 졸업생들의 현재 취업 상황을 상세히 파악하여, 특정 업체에 관심이 있

는 재학생과 관련 업체에 이미 근무하고 있는 졸업생들을 연결

2) 현 취업률 특성파악을 통한 우수성 향상 계획

2012년 졸업생 32명은 각각 대학 (15명, 46.9%), 국책 및 산업체 연구소 (16명, 50.0%), 기업 (1명, 3.1%)

에 취업함. 이 통계를 통해 학계 및 산업계에 필요한 우수한 연구인력을 양성하고자 하는 본 연구단의 목표

에 잘 부합하고 있다고 판단되어 위에 기술된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이 비율을 계속 유지하고자 노력

할 것임.

17 / 813

4 인력의 연구수월성

4.1 대학원생 연구 실적의 우수성

4.1.1 최근 3년간 대학원생 1인당 국제저명학술지 (SCI, SCIE, SSCI, A&HCI) 환산 논문 편수

<표 5> 대학원생 논문 환산 편수 실적

T_1_1:구분T_1_2:최근 3년간 실적

T_1_5:전체기간 실적T_2_2:2010년 T_2_3:2011년 T_2_4:2012년

T_3_1:논문 총 건수 D_3_2:72 D_3_3:74 D_3_4:70 D_3_5:216

T_4_1:1인당 논문 건수 D_4_2:0.3018 D_4_3:0.3122 D_4_4:0.2845 D_4_5:0.2993

T_5_1:논문 총 환산 편수 D_5_2:26.437 D_5_3:30.8217 D_5_4:22.5571 D_5_5:79.8158

T_6_1:1인당 논문 환산편

수D_6_2:0.1108 D_6_3:0.13 D_6_4:0.0916 D_6_5:0.1106

T_7_1:소속 학과 대학원생

수D_7_2:238.5 D_7_3:237 D_7_4:246 D_7_5:721.5

4.1.2 최근 3년간 대학원생 1인당 SCI, SCIE (SSCI 포함) 논문의 환산 보정 IF

<표 6> 대학원생 1인당 SCI(E) (SSCI 포함) 논문의 환산 보정 IF

T_1_1:구분T_1_2:최근 3년간 실적

T_1_5:전체기간 실적T_2_2:2010년 T_2_3:2011년 T_2_4:2012년

T_3_1:총 환산 편수 D_3_2:26.437 D_3_3:30.8217 D_3_4:22.5571 D_3_5:79.8158

T_4_1:총 환산 보정 IF D_4_2:21.95886 D_4_3:22.32095 D_4_4:14.68247 D_4_5:58.96228

T_5_1:환산 논문 1편당 환

산 보정 IFD_5_2:0.83061 D_5_3:0.72419 D_5_4:0.6509 D_5_5:0.73872

T_6_1:1인당 환산 보정 IF D_6_2:0.09207 D_6_3:0.09418 D_6_4:0.05968 D_6_5:0.08172

T_7_1:소속 학과 대학원생

수D_7_2:238.5 D_7_3:237 D_7_4:246 D_7_5:721.5

4.1.3 최근 3년간 대학원생 1인당 학술대회 발표 논문 환산 편수

<표 7> 대학원생 1인당 학술대회 발표 논문 환산 편수

T_1_1:구분T_1_2:최근 3년간 실적

T_1_11:전체기간 실적T_2_2:2010년 T_2_5:2011년 T_2_8:2012년

18 / 813

T_1_1:구분 T_3_2:국제 T_3_3:국내 T_3_4:계 T_3_5:국제 T_3_6:국내 T_3_7:계 T_3_8:국제 T_3_9:국내 T_3_10:계 T_3_11:국제 T_3_12:국내 T_3_13:계

T_4_1:총 건

수D_4_2:45 D_4_3:28 D_4_4:73 D_4_5:46 D_4_6:22 D_4_7:68 D_4_8:78 D_4_9:37 D_4_10:115 D_4_11:169 D_4_12:87 D_4_13:256

T_5_1:총 환

산편수

D_5_2:43.674

1

D_5_3:16.149

6

D_5_4:59.823

7

D_5_5:40.102

9

D_5_6:10.308

2

D_5_7:50.411

1

D_5_8:70.398

6

D_5_9:15.516

9

D_5_10:85.915

5

D_5_11:154.17

56

D_5_12:41.974

7

D_5_13:196.15

03

T_6_1:1인당

환산편

D_6_2:X D_6_4:0.2508 D_6_5:X D_6_7:0.2127 D_6_8:X D_6_10:0.3492 D_6_11:X D_6_13:0.2718

T_7_1:소속학

과 대학

원생 수

D_7_2:X D_7_4:238.5 D_7_5:X D_7_7:237 D_7_8:X D_7_10:246 D_7_11:X D_7_13:721.5

19 / 813

4.2 대학원생 연구 수월성 증진의 우수성

4.2.1 연도별 목표설정의 우수성

<표 8> 대학원생 연도별 목표설정의 우수성

T_1_1:항목T_1_2:연도별 목표

T_1_9:연평균 증

가율T_2_2:1차년도 T_2_3:2차년도 T_2_4:3차년도 T_2_5:4차년도 T_2_6:5차년도 T_2_7:6차년도 T_2_8:7차년도

T_3_1:대학원생

1인당 국제

저명학술지

논문 환산

편수

D_3_2:0.11 D_3_3:0.11 D_3_4:0.11 D_3_5:0.11 D_3_6:0.11 D_3_7:0.11 D_3_8:0.11 D_3_9:0%

T_4_1:대학원생

1인당 SCI,

SCIE

(SSCI,

A&HCI 포함

) 논문의

환산 보정

IF

D_4_2:0.08 D_4_3:0.081 D_4_4:0.083 D_4_5:0.085 D_4_6:0.086 D_4_7:0.088 D_4_8:0.09 D_4_9:1.98%

T_5_1:환산 논문

1편 당 환

산 보정 IF

D_5_2:0.74 D_5_3:0.75 D_5_4:0.77 D_5_5:0.79 D_5_6:0.8 D_5_7:0.82 D_5_8:0.84 D_5_9:2.13%

T_6_1:대학원생

1인당 학술

대회 발표

논문 환산

편수

D_6_2:0.27 D_6_3:0.27 D_6_4:0.27 D_6_5:0.27 D_6_6:0.27 D_6_7:0.27 D_6_8:0.27 D_6_9:0%

상기 목표 설정에 관한 실현가능성 및 부가설명 기술

본 사업단에서는 국외학술지 논문 실적은 이미 세계적 수준에 도달해 있으므로 논문 수는 기존의 수준을 유지하

면서 논문의 질적 향상의 증가를 유도하고자 함.

- 국외 학술지 게재 논문수의 과도한 양적 팽창은 논문의 질적인 하락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어 이를 지양하여 대

학원생 1인당 국제저명학술지 개재 목표치를 지난 3년간의 평균치인 0.11로 유지함.

- 대학원생 1인당 SCI, SCIE (SSCI, A&HCI 포함) 논문의 환산 보정 IF는 지난 3년 평균수준인 0.08을 기준으로

하여 연평균 1.98% 증가율로 최종 0.09를 목표로 함.

- 환산 논문 1편 당 환산 보정 IF 역시 지난 3년 평균수준인 0.74를 시작으로 연평균 2.13% 증가율로 최종 0.84

을 목표로 함.

- 대학원생 1인당 학술대회 발표논문 환산 편수 또한 지난 3년간의 평균치인 연간 0.27건에서 그대로 유지함.

4.2.2 대학원생 학술활동 지원계획의 우수성

20 / 813

1) 우수 연구논문 발표 학생 포상

우수 논문발표 대학원생에게 매년 Agarwal Award (기초분야)와 Bioneer Award (융합분야)를 시상함.

2) 대학원생 연구 결과 발표 세미나

가. 본 사업단은 매주 국내외 정상급 수준의 연구자들 중심의 학과 세미나를 실시할 뿐 아니라 본 사업단 참여

대학원생들의 연구 결과를 발표할 수 있는 대학원생 연구세미나를 운영함. 석박통합과정 4년차 및 박사과정 3년

차 대학원생의 경우, 수행중인 연구결과를 필수적으로 발표함으로써 연구진행에 대한 중간평가 및 피드백을 받도

록 함.

나. 박사학위 논문심사는 개방형 공개 세미나 형식으로 실시하여 본 사업단의 모든 구성원들로부터 연구 성과에

대한 평가를 받도록 제도화함.

다. 학과 세미나의 초청연사 결정에 대학원생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함과 동시에 세미나 연사들과 대학원생들 간

의 직접적인 토론세션을 별도로 마련하여 전문적 연구능력함양을 도모함.

3) 교수-학생 연구 성과 발표회 및 포상

본 사업단은 매년 교수와 학생이 모두 참여하는 1박 2일 과정의 교수-학생 연구 성과 발표회를 시행. 우수 포스

터 발표 및 우수 발표상을 통해 대학원생들의 연구 및 학술활동을 장려함.

4) 학생연구지도위원회 운영

석박사 통합과정 2년, 박사과정 1년까지 학생별 연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평가 시스템을 운영하여 연구 활

동의 실질적 모니터링 및 피드백 체계를 구축함.

21 / 813

4.3 우수 신진연구인력 확보 및 지원 계획

본 사업단의 최근 3년간 연 평균 24.33명의 박사 후 연구원과 0.33명의 계약 교수를 지원해 오고 있음. 이들 신

진인력들이 발표한 SCI 논문은 연 6.33편이며 편당 IF는 8.7 (환산 IF: 1.75)로 우수성은 이미 입증된 바 있음.

이를 유지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임.

1) 우수한 신진연구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본 사업단의 원칙은 다음과 같음.

가. 박사후 연구원의 채용은 연구업적의 탁월성 및 미래 발전가능성 등을 판단하여 선발함.

나. 계약교수의 채용은 기본적으로 전임직 신임교수 채용에 준하는 초빙기준과 동일한 심사기준을 적용함과 동시

에 임용 절차는 다단계 다면 평가를 실시함. 일차적으로 학과내의 신진인력위원회에서 선발 대상자의 우수성에

대하여 심도 깊은 토론을 통하여 후보자를 선발함. 이후 신진인력위원회의 심의통과자는 학과 및 KAIST 인사위원

회 심의를 거쳐 계약교수로 최종 선발됨. 특히 우수계약교수의 확보를 위하여 향후 창의적인 독립적 연구자로서

의 성장 가능성과 연구의 독창성을 최우선 기준으로 하여 선발하여 연구기회를 적극적으로 제공하여 연평균 1명

이상의 연구교수 보유를 목표로 함.

다. 본 연구단의 연구적 및 학문적 교류 및 융합의 극대화를 위하여 박사후 연구원과 계약교수의 선발 시 타교

박사학위 취득자를 우선적으로 고려함을 원칙으로 함.

2) 우수 신진연구인력의 연구 활동 활성화를 위한 지원계획

가. 박사후 연구원

- 인건비: 박사 후 연구 경험에 따라 차등 임금 지급

1년차 : 연봉 3000만원 + 4대보험

2년차 : 연봉 3100만원 + 4대보험

3년차 : 연봉 3200만원 + 4대보험

4년차 : 연봉 3300만원 + 4대보험

5년차 : 연봉 3400만원 + 4대보험

*매년 100만원씩 증가, 최대 연봉 3400만원

- 성과급: 우수 연구 논문을 발표에 대한 성과급 제공 (IF=9 이상: 30만원, Cell/Science/Nature: 100만원)

- 연구 및 학술활동 지원: 독립적인 실험실 공간 제공, 교내외 펠로쉽 및 연구과제 수주 장려 및 국내 및 해외

학술대회 발표 지원

나. 계약교수

- 인건비: 연봉 3,600 만원 이상 + 4대보험

- 성과급: 우수 연구 논문 발표에 대한 성과급 제공 (상동)

- 연구 및 학술활동 지원: 독립적인 실험실 공간 제공, 교내외 독자적 연구비 수주 장려를 통해 독립적 연구 활

동을 지원 및 보장함.

3) 우수 신진연구인력과 사업단 참여 구성원과의 연계활동 및 활용계획.

가. 우수 신진연구인력은 본 사업단 및 세부 연구실에서 소규모 연구그룹 리더로서의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독립

적인 연구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함.

나. 박사후 연구원의 축적된 연구능력이 대학원생들에게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연구과제의 효율과 교육이 동시

에 극대화되는 전략을 활용함.

다. 계약교수의 경우, 대학원생 학생지도를 가능하도록 제도화하여 전임직 교수들과의 연구 및 교육활동을 협력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극대화함으로써 우수 신진연구인력을 적극 활용한 과학적 및 교육적 발전의 시너지

를 창출함.

라. 우수 신진연구인력이 학부생 및 대학원생들의 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신진연구인력의

교육역량을 발전시킴과 동시에 다양한 교육환경을 학생들에게 제공함.

22 / 813

마. 우수 신진연구인력과 전임직 교수들 간의 긴밀한 멘토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이를 통해 연구수행능력을 발전

시키고 또한 외부 과제수주 및 취직 등의 전방위적 학문적 교류 및 지원을 강화함.

바. 우수 신진연구인력의 지적재산권 창출을 위한 연구를 적극 지원하여 바이오산업의 성장을 유도하고 산업체에

서 요구하는 차세대 생명공학 기술개발 역량을 강화함.

23 / 813

5 교육의 국제화 전략

5.1 교육 인프라의 국제화 현황

<표 9> 교육 인프라의 국제화 현황

T_1_1:항목 T_1_2:구 분T_1_3:최근 3년간 실적

T_1_6:전체기간 실적T_2_3:2010년 T_2_4:2011년 T_2_5:2012년

T_3_1:외국어 강의

T_3_2:개설과목 수 D_3_3:24 D_3_4:22 D_3_5:23 D_3_6:69

T_4_2:외국어강의 수 D_4_3:23 D_4_4:19 D_4_5:20 D_4_6:62

T_5_2:비율 (%) D_5_3:95.83% D_5_4:86.36% D_5_5:86.96% D_5_6:89.86%

T_6_1:외국인 전임교수

T_6_2:사업단 학과(부)

전임교수 수D_6_3:27 D_6_4:28 D_6_5:28 D_6_6:83

T_7_2:외국인 전임교수

수D_7_3:2 D_7_4:2 D_7_5:2 D_7_6:6

T_8_2:비율 (%) D_8_3:7.41% D_8_4:7.14% D_8_5:7.14% D_8_6:7.23%

T_9_1:외국인 대학원생

T_9_2:사업단 학과(부)

대학원생 수D_9_3:238.5 D_9_4:237 D_9_5:246 D_9_6:721.5

T_10_2:외국인대학원생

수D_10_3:28.5 D_10_4:27.5 D_10_5:26 D_10_6:82

T_11_2:비율 (%) D_11_3:11.95% D_11_4:11.6% D_11_5:10.57% D_11_6:11.37%

T_12_1:학위논문

T_12_2:사업단 학과(부)

대학원생 학위논

문 수

D_12_3:43 D_12_4:42 D_12_5:29 D_12_6:114

T_13_2:대학원생 외국어

작성 학위논문 수D_13_3:43 D_13_4:42 D_13_5:29 D_13_6:114

T_14_2:비율 (%) D_14_3:100% D_14_4:100% D_14_5:100% D_14_6:100%

24 / 813

5.2 교육 프로그램의 국제화 현황 및 계획

1) 대학원생 국제 교류 및 연수 계획

가. 대학원생 및 신진인력 해외 연수 실적

(1) 연수자 선발기준

● 대학원 박사과정 학생을 영어소통 능력(TOEFL 560점 이상)과 성적이 우수한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 경험과 확

고한 연구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발함.

● 최첨단 선진 연구 분야의 국제 연수를 통하여 선진연구지식을 습득할 수 분야를 중점적으로 지원함.

● 대학원생들이 연구발표나 정보 교류를 위해 국제적인 학술대회 및 워크숍 등에 참가하는 경우 연구 내용을 발

표토록 함.

(2) 총 연수실적

대학원생의 국내외 장단기 해외 연수를 통하여 생명과학분야의 첨단 지식 및 기술을 습득하며 각종 국제학회에서

구두 및 포스터 발표를 통해 본 사업단의 우수한 연구 성과를 알리고, 바이오 분야의 연구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짐.

● 2010년에 2명의 대학원생이 일본 연구기관에서 장기연수, 76명 (45건)의 국제학술대회 발표.

● 2011년에 3명의 대학원생이 일본, 미국, 영국, 스위스의 연구기관에서 장기연수, 72명 (46건)의 국제학술대회

발표.

● 2012년에 1명의 대학원생이 미국 연구기관에서 장기연수, 128명 (78건)의 국제학술대회 발표.

(3) 대표적인 우수 연수실적

● 우수 장기 연수 실적

- 최준호 교수 실험실의 진아름 학생은 2011년 4월 ~ 2012년 3월까지 1년간 미국 University of Minnesota에서

Droshopila melanogaster를 autophagy 연구의 모델동물로 사용하며 이를 연구하기 위해 필요한 유전적, 세포생물

학적 기술과 접근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

● 우수 단기 연수 및 방문 연구 실적

- 허원도 교수 실험실의 양희원 학생은 2011년 2월 ~ 5월까지 3개월간 일본 KYOTO University에서 3D cell

migration imaging technique와 FRET imaging and two-photon excitaion microscopy의 이용에 있어서 기술과 노

하우를 습득하고, GEF contructs를 가지고 3D cell migration assay와 Bio-sensor based screening 연구를 수행

함.

- 김진우 교수 실험실의 조홍석 학생은 2011년 7월 6일 ~ 25일까지 Kings College London에서 열린 ‘EMBO

Practical Course Developmental Neurobiology’에 <EMBO Fellowship>을 받아 참석하여 "Akt-mTOR signaling

pathway plays a pivotal role in retinal neurogenesis"의 주제로 발표를 하였고, 각종 animal model의 발생 과

정에 대한 수업을 듣고 토의하고, Practical Course에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실험 기법을 배우고, Daily

Seminar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새로운 연구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가졌음.

- 송지준 교수 실험실의 박지혜 학생은 2011년 10월 ~ 12월까지 스위스 University of Lausanne에서 수행한 구조

연구를 바탕으로 HFC-1의 N-terminal 부분과 C-terminal 부분이 HCF-1의 기능에 필요한 다른 단백질과 상호작용

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규명함.

- 송지준 교수 실험실의 김은지 학생은 2012년 12월부터 2개월간 미국 Messachusetts General Hospital, Harvard

Medical School에서 Human과 Dictyostelium discoideum 종의 huntingtin을 full-length와 truncated fragment를

디자인하여 대장균 또는 곤충세포 단백질 발현 시스템을 이용해 huntingtin 단백질을 정제, 그 단백질을 이용해

crystallization을 시도하여 구조적, 생화학적 연구를 수행함.

● 해외 국제 학회 구두 발표

- 김선창 교수 실험실의 양경석 학생은 대체 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는 바이오 부탄올의 미생물에서의 생산에 있어

서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 되고 있는 butanol toxicity를 해결하고자 zinc finger DNA binding protein과

cyclic AMP receptor protein으로 구성된 새로운 artificial transcription factor libraries를 구축하여 E.

25 / 813

coli 에서 butanol에 대한 tolerance향상 시켰으며, 생산량 역시 20% 향상 시키는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는 것을

2010년 6월에 호주에서 열린 11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Genetics of Industrial Microorganisms 학회

에서 구두 발표함.

- 김은준 교수 실험실의 남정용 학생은 2012년 12월에 일본에서 열린 35th Annual Meeting of the Molecular

Biology Society of Japan 에서 "A novel Ig domain-containing synaptic adhesion molecule regulates

inhibitory synaptic development" 의 주제로 구두 발표함.

● 해외 국제 학회 우수 포스터 발표 실적

- 김진우 교수 실험실의 조홍석 학생이 2010년 6월에 일본 교토에서 열린 아시아 발달생물학회에 <Travel Award>

를 받아 초청되었고, 그 곳에서 발표한 "PTEN plays a pivotal role in retinal neurogenesis by supporting

Notch signaling"의 내용으로 <Best Presentation Award>를 동시에 수상함.

- 김진우 교수 실험실의 김예하 학생이 2011년 5월에 일본에서 열린 44th Annual Meeting of the Japanese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ists에서 <Travel Award>를 받아 초청되었고, "Identification of

Transcription Regulators for Retinal Progenitor-specific Expression of Pax6"의 주제로 포스터를 발표함.

- 강창원 교수 실험실의 김세원 학생이 2011년 6월에 그리스에서 열린 XI International Symposium on Mutations

in the Genome 학회에서 "Disease candidate gene approach using both expression quantitative trait locus

and biological pathway analices"의 주제로 포스터 발표를 하였으며, Santorini 시장이 수여하는 <Santorini

Best Poster Award>를 수상함.

- 김학성 교수 실험실의 홍철암 학생이 2011년 6월에 싱가포르에서 열린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terials

for Advanced Technologies 2011 (ICMAT 2011), Advanced Biomaterials for Delivery of Therapeutics 분야에서

"siRNA Hydrogel Microparticles for Gene Silencing"의 주제로 포스터 발표를 하여 <The Best Poster Award>를

수상함.

- 김대수 교수 실험실의 김정진 신진연구인력은 2011년 9월 13일 ~ 17일까지 The annual meeting of the Japan

Neuroscience society, 2011에서 <Travel Award>를 받아 참석하여 “Thalamic T-type Ca2+ channels mediate

frontal lobe dysfunctions”의 주제로 포스터 발표함.

- 조병관 교수 실험실의 김주희 학생은 2012년 6월에 미국에서 열린 ASM 2012 -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112th General Meeting에서 “Genome-wide Analysis of HNS-mediated Regulatory Architecture in

the Escherichia coli Genome at Single-nucleotide Resolution”의 주제로 포스터 발표를 하여 <Outstanding

Student Award>를 수상함.

- 이외에도 김은준 교수 실험실의 권석규 학생 (Keystone Symposia-Synapses: Formation, Function and

Misfunction 학회, 2010), 김대수 교수 실험실의 이정숙 학생 (Alzheimer's associ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lzheimer's disease 학회, 2010), 조철오 교수 실험실의 곽상수 학생 (Keystone symposia,

2010), 김은준 교수 실험실의 원혜정 학생 (Society for Neuroscience 41th Annual Meeting, 2011), 송지준 교수

실험실의 박지혜 학생 (Keystone symposia Noncoding RNAs & Eukaryotic transcription, 2012), 최준호 교수 실

험실의 오양균 학생 (Society for Research on Biological Rhythms, 2012), 최길주 교수 실험실의 Khoa Nguyen

학생 (제10회 International Congress on Plant Molecular Biology, 2012), 허원도 교수 실험실의 경태윤 학생

(ASCB Annual Meeting, 2012), 조철오 교수 실험실의 최지혜 학생 (SID Annual Meeting, 2012)등도 국제학회에서

연구성과에 대한 포스터 발표를 함.

나. 대학원생 국제 교류 및 연수 계획

본 사업단은 과거 BK21 사업을 통하여 많은 대학원생이 해외장단기 연수를 통하여 많은 국제적 공동 연구를 수행

하였으며, 이러한 학생 교류를 통한 국제적 교류를 지속할 예정임. 지난 3년간 연수실적을 고려하여 매년 2명 이

상의 장기해외연수와 학술대회발표를 포함하는 단기해외연수를 매년 50명 이상 유지하도록 지원할 계획임.

(1) 대학원생 해외 장기 연수 계획

● 장기 연수생 선발 심사 기준 강화

- TOEFL 성적이 PBT 560 (IBP 83)점 이상인 경우 대상자로 선정.

- 장기 연수를 통해 최첨단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경우 우선 추천.

- 장기 연수를 통해 특급 논문을 발표 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 우선 추천.

26 / 813

● 장기 연수 성과 관리

- 대학원생 세미나를 통한 장기 연수 결과의 구두 발표를 통해 연수 결과를 평가.

- 우수 장기 연수 사례의 경우 적극 홍보.

● 해외 장기 연수생 파견

- 연 2명 이상의 장기연수를 유지.

(2) 대학원생 단기 해외 연수 및 국제학술대회 발표 계획

● 단기 해외 연수생 선발

- 국제 학술 대회 및 국제 공동 세미나에 포스터나 구두 발표 또는 방문 연구 등의 단기 연수 목표가 명확한 경

우 우선 선정.

- 발표할 연구 결과나 이전 논문 발표 실적이 우수한 학생을 우선 추천.

● 단기 연수 성과 관리

- 학과내의 대학원생 세미나 또는 매년 개최되는 교수/학생 공동 연구결과 발표회를 통해 단기 연수 내용을 발표

함.

● 단기 해외 연수 및 국제학술대회 발표 계획

- 최근 3년간 연간 국제학술대회 발표 건수 평균치인 56.3건을 고려하여 연 50건 이상을 유지할 계획임 (BK21 플

러스 지원 외 발표 포함).

- 최첨단 지식 및 기술 습득을 위한 방문연구 등의 단기연수를 지속 지원하되, 우선순위 및 운영비를 고려하여

선별적으로 지원할 예정임.

2) 해외석학 및 전문가 초빙 및 활용

가. 해외석학 초빙 실적

본 사업단에서는 지속적으로 세계적 석학들과 우수 젊은 과학자, 해외 연구자 등 2010년부터 138명 (이 중 42명

은 BK지원이 아님)을 초청하여 세미나 발표를 통한 각 전문분야에 관한 세계적인 연구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기

회를 제공함. 해외 외부 연사 세미나는 모두 영어로 진행하였으며, 세미나 전에 학생들과 점심을 겸한 만남의 시

간을 가짐으로써 연구결과 토의 및 장래 진로 등의 진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였고. 우수 젊은 과학자의 경우,

정식으로 사업단ㆍ학과 세미나에 초청하여 정보교환과 신임교원 충원 자료로 활용하였음.

(1) 최근 3년 간 해외 석학 강연 중 대표적인 세미나

● 미국 Standford 대학의 Tobias Meyer 교수: 2010년 10월 5일 ~ 6일, “STIM proteins, Ca2+ signaling and

the control of collective cell migration”.

●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의 J. Clark Lagarias 교수: 2010년 10월 13일 ~ 14일, "Molecular

Mechanisms of Light Perception by Phytochromes".

● 미국 The Salk Institute의 Greg Lemke 교수: 2010년 4월 11일 ~ 14일, "TAM Receptor Regulation of the

Innate Immune Response".

● 독일 Max Planck Institute for Plant Breeding Research의 Wim Soppe 박사: 2011년 5월 18일 ~ 19일,

"Waking up in time, seed dormancy explained at the molecular level".

● 영국 Univ. of Leeds의 Elwyn Isaac 교수: 2011년 9월 21일 ~ 22일, "The physiological role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in invertebrates".

● 미국 Baylor College of Medicine의 David D. Moore 교수: 2011년 11월 7일 ~ 9일. "Supersize Me: Nuclear

Receptors and Liver Cancer".

● 미국 Univ. of California, Berkeley의 김성호 교수: 2011년 12월 6일 ~ 7일, "Discovery Process of a

'Personalized' Anti-cancer Drug, Zelboraf: a successful application of basic science".

● 미국 Stowers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의 Jerry L. Workman 교수: 2012년 6월 4일, Histone

modification and exchange during transcription“.

● 영국 University of Oxford의 Kim Ashley Nasmith 교수: 2012년 3월 28일 ~ 30일, "How does cohesin embrace

27 / 813

DNA and then let go?".

● 프랑스 College de France의 Kenneth Moya 교수: 2012년 4월 25일 ~ 27일, "Wiring the brain: the

homeoprotein transcription factor Engrailed and axon guidance".

● 미국 University of Wisconsin의 Robert Landick 교수: 2012년 6월 4일 ~ 5일, “BK21 International

Symposium on Transcription” 미니 심포지움, “Regulation of RNA Polymerase: from the Catalytic Center to

Genome Distribution”.

(2) 우수 신진과학자 초청 및 신임교원 후보자 초청 세미나

본 사업단은 최신연구 동향을 조사하고 동시에 우수 신임교원을 찾기 위하여, 해외 한국인 연구원 중에

최근 우수한 업적을 발표한 연구자를 중심으로 세미나 연사로 초청하였고. 또한 학생과의 만남을 마련하여 연구

의 애로사항 및 박사후 연구원의 진로 등에 관한 진지한 토론 시간을 가짐. 대표적인 예로는

● The Rockefeller University의 박사후 연구원 김재훈 박사, 2010년 5월 27일, “Role of Elongation Factors

and Chromatin Modifying Factors in Transcriptional Activation”

● Johns Hopkin University의 박사후 연구원 김세윤 박사, 2011년 5월 2일, "Regulation of growth and

metabolism by inositol polyphosphate multikinase signaling"

● Univ. of California, Berkeley의 박사후 연구원 이승희 박사, 2012년 7월 2일, “Activation of Specific

Interneurons Improves V1 Feature Selectivity and Visual Perception”

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하였음.

이들 우수 신진과학자들 중 김재훈, 김세윤 박사는 2011년과 2012년에 각각 신임교원으로 채용되었으며, 이승희

박사는 2013년 가을에 신임교원으로 부임할 예정임.

(3) 그 외 최근 3년간 사업단 초청 재외 석학 및 우수 젊은 과학자

강창수 (NIH/NIDCD), 김경한 (Hospital for Sick Children Research Institute), 김도형 (Univ. of Minnesota),

김성우 (Univ. of Calgary), 김인정 (Harvard Univ.), 김종환 (Harvard Medical School), 김태경 (Univ.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김형 (Baylor College of Medicine), 남인영 (Univ. of California), 라종

철 (NIH/ NINDS), 박미경 (Univ. of Stanford), 박주민 (The Johns Hopkins Univ.), 박태주 (Univ. of

California), 윤성옥 (Ohio State Univ.), 이수경 (Baylor College of Medicine), 이승훈 (Yale Univ.), 이재혁

(Washington Univ.), 이혜영 (Univ. of California), 장미현 (Johns Hopkins Univ.), 정세연 (Johns Hopkins

Univ.), 정철호 (The Rockefeller Univ.), 조병관 (Univ. of California), 조운수 (Harvard Medical School), 최

은영 (Max Planck Institute for Developmental Biology), 황철상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Cho,

Min (Nature Neuroscience editor), Clemens Schmitt (Charite-Universitatsmedizin Berlin), George Augustine

(Duke Univ.), Greg Seong-Bae Suh (New York Univ.), Hoang Thi My Nhung (Hanoi University of Science), Bui

Thi Viet Ha (Hanoi University of Science), Nguyen Thi Van Anh (Hanoi University of Science), Pham Xuan

Hoi (Institute of Agricultural Genetics), Hugo Bellen (Baylor College of Medicine), Jindrich Henry

Kopecek (Univ. of Utah), Leon Avery (Univ.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MICHISUKE YUZAKI (Keio

Univ.), Hollis Tremaine Cline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Kwang-Soo Kim (Harvard Medical School),

Shigenori Kanaya (Osaka Univ.), Victor C. Yang (Univ. of Michigan), 정재웅(Univ. of Southern California

School of Medicine), Kei Cho(Univ. of Bristol),Seth Blackshaw(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Thomas A. Miller(Univ. of California, Riverside), Wim Soppe(Max Planck Institute for Plant Breeding

Research), 김주명(Louisiana State Univ.), Maoyen Chi(Cold Spring Harbor Lab Asia), Ralf Janknecht(Univ.

of Oklahoma Health Sciences Center), Takanari Inoue(School of Medicine, Johns Hopkins Univ.), 곽준명

(Univ. of Maryland), Tsuyoshi Mizoguchi(Univ.of Tsukuba), Takahisa Furukawa(Osaka Bioscience Institute),

Seth Jon Davis(Max Planck Institute for Plant Breeding Research), Angela K. Eggleston(Senior Editor and

Biology Team Leader, Nature), Tim Bliss(Northwestern Univ.), Erina Kuranaga, Fumio Matsuzaki, Shigeo

Hayashi, Takeshi Imai, Mototsugu Eiraku, Guojun Sheng, Masatoshi Takeichi (이상 RIKEN CDB), Tomohiko

Taguchi(Univ. of California), Elva D. Diaz(Univ. of California, Davis), 임종재, 문성균(House Ear

Institute), Carol Cho (Univ.of California, SF), Charles Hong (Vanderbilt Univ.), 김세윤(Johns Hopkins

Univ.), 김안모(Rockefeller Univ.), 김정애(The Rockefeller Univ.), 배병일(Harvard Medical School), 백명인

28 / 813

(Columbia Univ.), 윤완희(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윤제현(NIH/NIA), 이순철(Cornell

Univ.), 이용석(UCLA), 이용선(Univ. of Texas Medical Branch), 이재만(Baylor College of Medicine), 이지은

(Univ. of California), 이태관(MIT), 정진주(Harvard Medical School), 최지원(Salk Institute for Biological

Studies), 피혜원(Univ. of California, SF), 허선(Harvard Univ.), 명경재 (National Human Genome Research

Institute, NIH), Yasunori Hayashi (Brain Science Institute, RIKEN), Jean-Laurent Casanova (Rockfeller

Univ.), Nicholas LUSCOMBE (EMBL - European Bioinformatics Institute), Achillefs KAPANIDIS (Univ. of

Oxford), PHAM Xuan Hoi (The Institute of Agricultural Genetics), Tzumin Lee (HHMI), 이재운 (Oregon Health

& Science Univ.), Kaustuv Sanyal (Jawaharlal Nehru Centre for Advanced Scientific Research), Jun Aruga

(Brain Science Institute, RIKEN), Senthil Muthuswamy (Univ. of Toronto), Xin Zhang(Indiana Univ. School

of Medicine), Shih-Feng Tsai (National Health Research Institutes), 지헌영 (Univ. of Michigan), 정상혁

(Univ. of Houston), 이연금 (Georgetown Univ.), 조운수 (Harvard Medical School), 장미현 (Mayo College of

Medicine), Seung-Hee Yoo (UT Southwestern Medical Center), Christian Hong (Univ. of Cincinnati College of

Medicine), 박은혜 (Center for Neural Science, New York Univ.), 한성 (Univ. of Washington), 이은진 (Yale

Univ. School of Medicine), 허성호 (Univ. of Washington), 조용철 (Univ. of Washington), 송민섭 (Univ. of

Texas, MD), 오원종 (Harvard Medical School), Yasuhito Shirai (Kobe Univ.), 이해인 (UCLA), 노현지 (Broad

Institute of MIT and Harvard), 한기훈 (Baylor College of Medicine), 권석규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최원섭 (The Rockefeller Univ.)

나. 해외석학 및 전문가 초빙 활용 계획

● 지난 3년간의 해외석학 초빙 실적의 평균치인 연간 20명 내외의 해외 석학 및 전문가를 초빙하는 것을 목표치

로 설정하고 이를 위해 매년 약 20,000천원을 지원하여 세계 동향을 파악하고 교류를 증대시켜 나갈 계획임.

● 세미나 연자들과 학생들과의 만남의 시간을 가짐으로써 연구결과 토의 및 장래 진로 등의 토론의 장을 마련할

것임.

● 또한, 대학원생들이 세미나에 연자를 직접 선정하고 초빙하는 기회를 마련하여, 연구 동향 파악 및 학술 교류

에 주체적 역할을 담당하도록 할 계획임.

● 우수 젊은 과학자의 경우 사업단ㆍ학과 세미나에 초청하여 정보교환과 신임교원 충원 자료로 활용해 나갈 계

획임.

3) 교육 국제화 인프라 구축 현황 및 향상 계획

가. 외국어 강좌의 강화

● 대학원 영어 강의 비중을 최근 3년간 평균 89.9% 수준에서 95% (사업단 참여 교수 강의 과목 기준으로는

100%)로 상승시킬 계획임.

나. 외국인 교수 및 대학원생의 비중 증대

● 사업단이 소속된 학과의 외국인 교수 비중을 지난 현재 7.14%에서 8% 이상으로 상승시킬 계획임.

● 사업단이 소속된 학과의 외국인 대학원생 비중을 지난 3년간 평균 11.37%를 유지하여 지속적으로 10% 이상으

로 유지할 계획임.

● 우수한 외국인 교수와 대학원생 확보를 위해 외국 대학에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대학원을 적극적으로 홍보할

것임.

● Experience KAIST program과 같은 program을 지속적으로 지원 및 확대하여 외국 대학의 학부생들이 방학 동안

에 카이스트 생명과학과의 관심 있는 실험실에서 연구에 참여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임.

다. 석박사 학위과정의 국제화

● 생명과학과는 MIT와 같은 선진적 학위과정의 도입을 목표로 2006년도에 최초로 모든 대학원 신입생을 석박사

통합과정으로 선발하고 있으며, 이는 대학원생들의 박사학위 수여 기간을 대폭 단축시키고 대학원 학위과정의 선

진화 및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

29 / 813

● 학위논문 외국어 작성비율을 현재의 100%를 유지할 것임.

4) 우수 외국인 학생 유치 현황 및 계획

가. 우수 외국인 학생 유치를 위한 제도 현황

(1) 우수 외국인 학생에 대한 재정적 지원

우수 외국인학생 확보를 위하여 외국인 학생들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수업료 및 기성회비를 석사 2년, 박사

4년 동안 전액 면제해 주고 있음.

(2) 외국 우수 학생 확보를 위한 복지 인프라 구축

● 1인실, 2인실, 3인실로 구분된 학사생활관, 석박사 생활관, 다솜관, 희망관, 미르관, 나래관, 문지관, 화암

관, 누리관, 기혼자아파트의 기숙시설을 갖추어 세계 각국의 능력 있는 학생들이 거주에 불편함이 없도록 노력하

고 있음.

● 캠퍼스 전면적 bilingual system 구축을 통한 외국인 친화적 캠퍼스 조성 및 이를 통한 적극적인 외국인 유학

생 유치

(3) 대학원 전과목 영어강의 실시

대학원생의 영어 실력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외국인 학생의 용이한 수업을 위하여 세미나 등 일부 특수 과목을 제

외한 대학원에서 개설한 모든 과목을 영어로 강의하고 있음.

나. 외국 우수 학생 유치를 위한 해외 협력 활동 현황

(1) KAIST-하노이 대학 간 교류 협력

● 2005년도에 하노이 대학 (Hanoi University of Science (HUS); 현재, Vietnam National University (VNU) of

Science at Hanoi)과의 MOU 체결 이후, 2006년 가을학기부터 하노이 대학의 영재학생을 유치하고 있고, 현재까지

12명의 하노이 대학 영재학생을 유치하고 있음.

● 2010년 12월에 국제협력부문을 담당하고 있는 서연수, 강창원, 송지준 교수가 다시 하노이 대학을 방문하였

고, 2011년 11월에 강창원, 서연수, 최광욱 교수가 HUS 55years 기념식에 초청을 받아 교류의 기회를 가졌으며,

12월에도 국제협력을 담당하고 있는 오병하, 송지준, Walton Jones 교수가 하노이 대학을 방문하여 학술 교류 및

학생 유치를 위한 협력을 심화시킴.

(2) Experience KAIST Program 실시

● 해외 우수 학생을 유치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Experience KAIST 프로그램을 하노이 대학에 재학 중인 최우수

학생들을 대상으로 2006년부터 개최해오고 있음.

● 2010년 7월 7일 ~ 8월 17일까지 4명, 2011년 7월 4일~8월 12일까지 4명, 2012년 7월 2일~8월 10일까지 3명의

학생을 초청함.

다. 우수 외국인 학생 유치 계획

● 우수 외국인 학생을 유치하기 위한 해외 협력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2013년 5월 30일부터 6월 2일까지 서연

수, 강창원 교수가 하노이 대학을 방문하여 학술교류 및 복수 학위에 대해 논의하였고, 앞으로도 KAIST-하노이

대학, KAIST-Osaka 대학과의 학술교류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새로이 MOU를 체결한 대학과의 활발한 교류를 통

하여 우수한 외국인 학생 유치를 확대할 계획임.

● 또한, 대학원 전과목을 영어로 강의할 뿐 아니라, 대학원생의 영어 실력을 증진시켜 외국인 학생들에게 문화

적 거리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며, 학부 외국인 학생들에게는 조교들이 실질적 도움을 줌으로써 우수한 외국인 학

생의 대학원으로의 진학도 유도할 계획임.

● 학사를 포함한 교내 공지는 영어를 병용하여 외국인 학생들의 편의를 증진하고 (교내 bilingual campus 구축

30 / 813

을 위한 조치 시행, 총무-376호),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우수 외국

인 학생을 다수 유치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임.

5) 사업단 수준의 국제 교류 프로그램 현황 및 계획

가. 국제 교류 프로그램 현황

본 사업단이 지속해오고 있는 아래와 같은 학술 교류를 지속적으로 유지 발전시켜 나갈 계획임.

(1) KAIST-Osaka University 학술 교류

본 사업단은 1993년부터 일본의 오사카 대학과의 학술교류 MOU를 체결하여 공동 심포지엄을 개최해

왔으며, 2010년 7월 22일~24일에 오사카대학에서 오사카 대학원생과 본 사업단 대학원생 36명이

연구결과를 발표한데 이어, 2012년 8월 6일~8일까지 KAIST에서 10th OSAKA-KAIST Symposium을 개최하여 본 사업

단 대학원생 25명과 OSAKA 대학 학생 15명의 발표하였음.

(2) KAIST-RIKEN CDB Joint Symposium 개최

● 2011년 11월 30일, 1차 "KAIST-RIKEN Joint Symposium on Cell & Developmental Biology"을 개최하고, 생명과

학과 교수 7명과 RIKEN CDB (Center for Development Biology) 소속 연구원 7명, 총 14명이 발표함.

● 2013년 2월에는 일본 RIKEN CDB에서 사업단 교수 5명과 일본 RIKEN CDB 및 Chinese Academy of Science

(CAS) 소속 교수들이 참여한 2차 joint symposium이 열림.

(3) KAIST Mini-Symposium 개최

2012년 2월 2일, 국내외 연사 6명을 초청하여 "KAIST Mini-Symposium on Drosophila Sensory Biology"을 개최함.

나. 사업단 수준의 국제 교류 프로그램 개발 계획

(1) 국제공동 대학원생 심포지엄 개최

현재 매년 오사카 대학과 공동 실시하고 있는 생명공학 분야의 대학원생 심포지엄을 확대 유지함.

(2) 해외 석학의 초청

해외 석학의 초청을 통한 세미나 및 기술 자문을 확대할 계획임.

(3) 상호 방문 및 국제 공동연구의 활성화

● 현재 미국 NIH 및 오사카 대학과의 상호방문이 이루어지고 있음.

● 현재 The Rockefeller University,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Johns Hopkins University, Yale University, The College de France,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Max Planck Institute of Biochemistry, Leibniz Institute for Neurobiology, Center

for Developmental Biology RIKEN, INSERM 등과 MOU를 체결하였고 연구 및 교육에서 상호 교류 및 협력을 추진할

예정임.

● 상기 대학 및 연구소와의 교류를 통하여 한시적이고 일회적인 국제공동연구를 지양하고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공동연구를 정착시키고자 함.

31 / 813

6 사업단의 연구비전 및 달성 전략

6.1 연구 역량 향상을 위한 비전

카이스트 BK21 플러스 생물사업단의 연구는 미래 사회의 지속적 발전과 인류의 건강한 삶 영위의 기반 제공을 지

향한다. 이를 위하여, 미래 사회를 선도할 창의적 연구를 추구하고, 지속적 발전의 걸림돌로 남아 있는 생명과학

분야 난제를 해결할 연구를 시도하며, 기초와 응용의 유기적 연계를 통해 새로운 산업의 토대를 만들 수 있는 연

구를 실시한다. 이러한 창의적, 난제 돌파형, 신산업 창조 연구의 수행을 위해 초일류 연구진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미래 대한민국의 생명 연구 및 바이오산업을 선도할 리더십을 갖춘 창의적인 석박사급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 미래 선도형 창의적 연구 - 신개념 창출을 위한 시너지 극대화를 위해 사업단 내 분야별 그룹연구를 활성화하

고, 더 나아가 세계적 선도 연구그룹과의 협력 연구를 지향한다.

● 난제 돌파형 연구 - 인류가 당면한 생명과학분야의 난제를 발굴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연구를 지원한다.

또한, 사회 및 산업체의 수요에 부합하는 연구 분야에 대한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자 한다.

● 미래 가치 창출 연구 - 미래 사회 및 산업 수요 예측을 통해 미래 가치 창출이 가능한 생명과학분야 연구를

발굴하고 이를 적극 지원하고자 한다.

● 초일류 연구 집단 구축 - 현재의 우수한 연구 환경을 지속적으로 유지 및 확대하기 위해 우수한 신진교원을

확보하고 이들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자 한다.

32 / 813

6.2 연구 추진 전략 및 방법의 우수성

1) 미래 선도형 창의적 연구 전략

● 미래 선도형 연구를 위해 특성화된 소/중 규모의 그룹연구를 활성화함.

● 세포 및 분자의과학 그룹, 분화 및 발생생물학 그룹, 신경네트워크 그룹, 의생명 신기술 그룹으로 특화된 4개

의 그룹으로 연구 그룹을 조성함.

● 창의적 미래 선도형 연구 수행을 위해 한 분야에만 국한된 연구의 틀을 벗어나 각 분야 간 융합연구를 지향

함.

● 카이스트 내에 KIB Cancer Metastasis Control Center (CMCC), Basic Research Laboratory (BRL), 신경 및 행

동질환 공동연구팀, Epigenetics 연구 모임, 초파리 생쥐모델 (Flouse) 연구 모임 등의 소규모 융합연구그룹을

통해 유사 연구 분야의 그룹연구 및 타 연구 분야 간의 융합연구를 진행함.

● 세계적 선도 연구 그룹들과 공동 심포지엄, 연구자 교환 등을 통해 실질적이고 긴밀한 협력연구를 진행함.

2) 난제 돌파형 연구 전략

● 각 특성화된 그룹을 중심으로 중점 연구 분야의 난제를 발굴하고, 공동연구를 통해 난제를 해결하는 돌파형

연구 수행함.

● 세계 유수 연구자들 및 사회 각계의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IdeasLab을 실시하여 인류 당면 난제를 발굴함.

3) 미래 가치 창출 연구 전략

● 미래 사회 및 산업의 ‘Unmet Need’ 분야의 연구 수행.

● 산업체와 협력 및 산업체의 현실적 필요에 부합하는 고급 연구인력 양성 연구 지향.

● 국내굴지의 제약 및 생명과학 산업체의 연구소와 협력연구 추진.

4) 초일류 연구 집단 구축

● 매년 2명 내외의 우수한 신진연구자를 신임교수로 확보.

● 세계 일류 대학과의 비교와 엄격한 업적 평가 및 교수 테뉴어 시스템을 통한 연구 인력의 실질적 평가.

● 연구 지원시설의 확충 및 전문 담당 기능원의 증원.

● 우수 연구팀을 중점 지원하기 위한 핵심 공동 연구시설 확대.

● 대학원생의 국제학술회의 공동연구 지원을 통한 국제적 안목 배양.

33 / 813

7 연구진의 구성

7.1 참여 연구진 구성의 우수성

7.1.1 연구 비전에 맞는 연구진 구성

본 사업단은 DNA 복제이상 및 유전체 안정성분야의 권위자이자며 창의 연구단장등을 역임하고 현재 카이스트 생

명과학과 학과장으로 재직 중인 서연수 교수를 사업단장으로 선임하였으며, 25명 참여교수의 3년 평균 논문 발표

건수가 11.6편으로 매우 우수한 실적을 가지고 있고, 우수신임교원 80%가 사업단에 참여하고 있음. 본 사업단은

연구의 시너지와 효율성 극대화를 위해, 구성 교수들을 세포 및 분자의과학, 분화 및 발생, 신경네트워크, 의생

명 신기술의 4개의 특성화된 연구 분야로 분류해서 소규모 연구 그룹으로 구성하였음.

1) 사업단장의 우수성 및 수행의지

가. 사업단장의 연구, 행정 역량의 우수성

● 사업단장 서연수 교수는 1994년 삼성생명과학연구소의 책임연구원을 시작으로 1999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을 거쳐 2002년 카이스트 생명과학과에 부임한 이후 현재까지 DNA 복제 및 유전체 안정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해

오고 있음.

● 삼성생명과학연구소의 행정 실무 전반을 담당하여 연구소의 카이스트, 서울대, 연세대 등과의 학위연구원제도

를 확립하여 삼성생명과학연구소의 발전에 커다란 공헌.

● 서연수 교수의 핵산생화학연구실은 1998년 창의연구단(세포분열조절연구단)과 2007년 후속 사업인 창의도약

(DNA복제 및 유전체안정성 연구단) 연구단으로 지정되어 과제를 수행하였음.

● 이를 통해 진핵세포의 DNA복제 과정 중 lagging strand 합성에 관한 새로운 기작을 제안하고 이 결과를 바탕

으로 진핵세포의 유전물질의 불안정화에 관한 새로운 개념을 정립함. 세계 주요학회에 초청연자로 그 결과를 발

표하였을 뿐만 아니라 Cold Spring Harbor Press에서 발간하는 단행본의 저자로 초청되어 한 Chapter를 저술함.

● 그동안 40여편 이상의 주요 논문을 Natur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Nucleic Acid Research 등 주요학술지에 발표하였으며 (최근 3년간 12편), 특히 2001년에

발표한 RPA에 의한 Okazaki 절편 processing에 관한 논문은 당시 순수 국내연구진만으로 Nature에 게재한 두 번

째 논문임.

● 국내의 주요학회인 분자세포생물학회/한국미생물학회/생화학분자생물학회의 총무 및 학술상위원장등을 역임하

여 국내의 학회 발전에도 커다란 기여를 함.

● 카이스트의 연구진실성 위원회 활동을 통해 학계의 연구진실성 검증 및 연구부정행위 조사체계 기반구축에 공

헌한 점을 인정받아, 2009년 연구윤리 확립 유공자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표창을 받았음.

● 베트남의 가장 우수한 이과대학인 Hanoi University of Science (현재 VNU University of Science at Hanoi)

와 교류 협정을 단독으로 성사시켜 KAIST의 최우수 외국학생의 유치에 커다란 공헌을 함.

● 10여년의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교수 경험을 바탕으로 2012년부터 학과장으로 취임함으로써 학과의 운영 및 업

무를 상세히 파악하고 있음.

나. 사업단장의 사업단 발전 및 수행의지

● 지난 BK21 1,2단계 사업 생물분야 최우수 사업단인 한국과학기술원 BK21 생물사업단의 우수한 운영시스템을

본 사업단에서 계승하고 더욱 발전시키고자 함.

● BK21 플러스 사업의 취지인 창의에 기반한 고급 전문인재 양성을 위하여, 교수 및 대학원생들이 교육/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최선의 여건을 조성하고자 함.

● 이를 위하여 소/중 규모의 연구그룹을 활성화하고, 난제 발굴 심포지엄을 통한 인류 당면 과제 발굴 및 집중

지원을 할 것임.

● 국내외 연구 인력의 활발한 교류를 위해 국내외 대학과 연구인력 교환을 추진하고, 외국의 우수 연구인력을

34 / 813

유치하여 훈련시키는 한편, 외국의 우수 연구기관에도 본 사업단의 대학원생을 파견하여 바이오분야의 첨단 선진

과학기술을 습득하게 하고자 함

● 세계 일류 대학을 기준으로 한 본 사업단의 연구, 교육 및 교수 평가를 통해 초일류 연구집단을 구축하려

함.

● 이를 구체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우선 작업으로 사업단장은 학과장 취임 후 Rockefeller University,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Johns Hopkins University, Yale

University, College de France, Max Planck Institute of Biochemistry, Leibniz Institute for Neurobiology,

Center for Developmental Biology RIKEN CDB, INSERM 등의 해외 초일류 교육/연구기관과 학술 및 인적자원 교류

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음.

다. 사업단장의 사업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대책

● 사업단장은 본 사업단의 모체인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학과장을 겸임하고 있어 사업단의 목표와 학과의 교육

및 연구 철학이 긴밀하게 연결되는 최적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음.

● 교육 및 연구부분의 경쟁과 업적을 최대화하기 위한 인사 및 예산권을 행사함.

● 사업단 운영을 위한 각 위원회를 총괄하며 사업단의 교육 및 연구를 활성화시킴.

● 교수, 대학원생 등 참여연구자의 긍정적 경쟁을 유도함.

● 바이오분야 세계적 석학들로 구성된 외부자문평가단을 정기적으로 초빙하고 사업단의 평가 및 자문을 의뢰하

여 사업단의 세계 초일류 교육 및 연구 집단으로의 발전을 도모함.

● 사업단장은 현재 55세로써 향후 7년간 BK21 플러스 사업단을 안정적으로 이끌 수 있음.

2) 연구 비전 달성에 적합한 참여 연구진의 구성

가. 연구진의 구성

4개의 특성화 연구 분야의 집중 육성과 특성화 연구 분야별로 세계적 유수 그룹과 MOU를 통한 미래 선도형 연구

진행한다. 세부 연구 그룹은 다음과 같다.

(1) 세포 및 분자의과학 (Cell & Molecular Biomedical Science)

구성 교수: 강창원/김세윤/김재훈/서연수/이대엽/오병하/허원도

해당 전공 교육: 분자생물학/생화학/구조생물학/대사생물학/분자의과학 등

전문 연구분야

● 질병의 유전적 감수성과 유전자 발현 조절

● 신호전달 네트워크의 이해를 통한 대사조절 및 관련질환 연구

● 진핵세포 전사 조절 연구

● 진핵세포의 DNA 복제이상이 유전체 안정성에 미치는 연구

● 염색체 역동성의 분자 기전 연구

● 바이오이미징 기술개발을 통한 세포신호전달연구

참여 국가연구사업단: 기초연구실(BRL)/글로벌 연구실(구조생물학)/기초과학연구실(도약)

(2) 분화 및 발생생물학 (Differentiation & Developmental Science)

구성 교수: 강석조/임대식/조경옥/조철오/최길주/한용만

해당 전공 교육: 세포생물학/유전학/발생학/면역학/식물학 등

전문 연구 분야

● 선천면역과 후천면역의 상호조절에 관한 연구

● Hippo 신호전달호로에 의한 성체 줄기/전구세포 성장조절에 관한 연구

● Wnt 의 분비와 활성에 관한 연구

● 세포 사멸 연구

● 파이토크롬 신호전달 연구

35 / 813

● 줄기세포 연구

참여 국가연구사업단: 창의연구단/줄기세포연구사업단/기초과학연구실(도약)

(3) 신경네트워크 (Neural Network)

구성 교수: 김은준/김대수/김진우/정민환/최준호/한진희

해당 전공 교육: 신경생물학/신경발생학/뇌과학/동물행동학/생체리듬 등

전문 연구 분야

● 시냅스 뇌질환 연구

● 칼슘채널의 운동회로 및 뇌질환 조절 연구

● 신경계 발달 조절 신호 전달 연구

● 학습과 기억관련 신경회로 및 뇌질환 연구

● 의사결정과 일화적 기억의 뇌신경 메커니즘 연구

● 생체리듬과 수면에 관여하는 새로운 유전자 발굴과 작용기작에 관한 연구

참여 국가연구사업단: 기초과학연구원(IBS)/글로벌연구실(신경발생학)/기초과학연구실(도약)

(4) 의생명 신기술 (Integrative Biomedical Technology)

구성 교수: 김선창/김정회/김학성/이균민/전상용/조병관

해당 전공 교육: 나노과학/생명공학/대사공학/약물전달 등

전문 연구 분야

● 시스템 및 합성생물학 기반 미생물설계

● BioDesigneering 에 의한 최소유전체 미생밀 구축 및 산업용 인공균주 개발 연구

● 항체형 펩타이드 기반 암 진단 및 치료용 바이오-나노 의약 연구

● 동물세포를 이용한 치료용 단백질 생산에 관한 연구

참여 국가연구사업단: 신기술융합셩 성장동력사업단(바이오제약사업)/글로벌연구실(바이오-나노의약)/미래유망융

합기술파이오니어사업단

나. 참여 연구진의 우수성

(1) 참여 교수의 우수성

● 전체 참여교수의 최근 3년간 1인당 평균 논문실적이 11.6편으로, 이는 사업단 구성 최소 조건의 3배에 이르는

매우 우수한 수준임.

● 조교수, 부교수의 비율 전체 참여교수의 40%인 조교수 5 명, 부교수 5명으로, 연구역량이 우수한 젊은 연구자

들이 많음.

● 참여교수들은 창의연구단, 글로벌연구실, 기초과학연구실(도약), 기초연구실(BRL), 기초과학연구원 (IBS), 신

기술융합 성장동력사업단, 미래유망융합기술파이오니어사업단, 줄기세포연구사업단 등 다양한 국가연구사업에 주

도적으로 참여하고 있음.

(2) 참여 신임 교수의 우수성

● 신임교원 참여 현황: 2010년 1학기 이후 부임한 총 5명의 신임교수 중 4명이 사업단에 참여하여 80%의 참여율

로 인원 구성 요건을 충족함.

● 신임교원의 우수 학교 학위 취득 및 우수 박사 후 연구기관 연수: 신임교원은 Yale University (강석조), 서

울대학교 (조병관), Johns Hopkins University (김세윤), Rockefeller University (김재훈)에서 학위를 취득하

고, UC San Francisco, UC San Diego, Johns Hopkins University, Rockefeller University에서 박사후 연구원으

로 재직한 후 본 교에 부임.

● 신임교원의 최근 3년간 우수 논문: 최근 3년간, Cell, Nature, Nature Chemical Biology, Nature

Communications, Molecular Cell, PNAS, Neuron 등 다수의 우수 논문 발표.

36 / 813

8 연구의 국제화 현황 및 계획

8.1 참여교수의 국제화 현황(최근 3년)

8.1.1 국제적 학술활동 참여 실적

1) 국제 학술회의 활동 (초청강연, 좌장, 오가나이저 등)

● 강창원 교수

- 2010 KSBMB Annual Meeting (한국), 회장 및 좌장

- The 4th NCC International Symposium (한국), 좌장

- The 11th Asian and Oceanian Conference on Transcription (일본), 초청강연

- 2010 KOGO ANNUAL CONFERENCE GENOMICS AT THE FOREFRONT OF LIFE SCIENCE (한국), 좌장

- EXCELLENCE in Rheumatology (터키), 구두발표 및 최우수논문상 수상

- The 12th Asian Conference on Transcription (한국), 좌장

● 김대수 교수

- The 2nd IEEE Workshop on CNCI 2010 (중국), 초청강연

- 2010 Behavioral Genetics Association symposium (한국), organizer 및 좌장

- UKC 2011 meeting (미국), 초청강연

● 김은준 교수

- 2010 CINP world congress (홍콩), 초청강연

- BNA: From molecules to neuronal disease symposium (영국), 초청강연

- The XIIth Magdeburg International Neurobiological Symposium (독일), 초청강연

- The 88th Annual Meeting of the Physiological Society of Japan and the 116th Annual meeting of the

Japanese Association of Anatomists (일본), 초청강연

-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Symposium on Synapses: From Molecules to Circuits and Behavior (미국), 초

청강연

- Gordon Research Conference on Excitatory Synapses and Brain Function (미국), 초청강연

- 2011 International Summer Conference of Neurons and Brain Diseases (일본), 초청강연

- 10th Advanded School of Neurochemistry on Molecular basis of higher brain functions (그리스), 초청강연

- The synapse: from physiology to pathology (이탈리아), 초청강연

- The 34th Annual Meeting of the Japan Neuroscience Society: Neuroscience of the Mind (일본), 초청강연

- The 7th KOREA-JAPAN Conference on Cellular Signaling for Young Scientists (한국), Tutorial Lecture

- The Bristol-Chonnam Symposium (영국), 초청강연

- Gordon Research Conference on Molecular & Cellular Neurobiology (홍콩), 초청강연

- The 35th Annual Meeting of the Japan neuroscience society (일본), 초청강연

- 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Signaling and Regulation in the Immune and Nervous Systems” (독일), 초

청강연

- 2012 NPAS Symposium on Synapse (대만), 초청강연

● 김재훈 교수

- The 12th Asian Conference on Transcription (한국), 구두발표

- Sapporo Cancer Epigenetics Seminar of the A3 Foresight Program 2012 (일본), 구두발표

37 / 813

● 김진우 교수

- 2011 KSBMB Annual Meeting (한국), 세션 오가나이저 및 초청강연

- 2011 JSDB-APDBN annual meeting (일본), 초청강연

- International Meeting for Protein Crossing of Biological Membranes (프랑스), 초청강연

- 2012 APAO/SOE (한국), 세션 오가나이저, 좌장 및 초청강연

- 2012 KSMCB Annual Meeting (한국), 초청강연

● 김학성 교수

- 11th China-Japan-Korea Joint Symposium on Enzyme Engineering (중국), 초청강연

- INPEC 2010 (스웨덴), 초청강연

- 2010 International Conference of RNA Nanotechnology and Therapeutics (미국), 초청강연

- 2012 여수 세계 박람회 국제 심포지엄 & 2010 세계해양 포럼 (한국), 초청강연

- 2010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eutical Sciences and Technology (한국),

초청강연

- The 20th International Network of Protein Engineering Centres (INPEC) meeting (대만), 연구결과 발표

- The 12th japan-china-korea joint symposium on Enzyme engineering (일본), 연구결과 발표

- IBS 2012 - 15th International Biotechnology Symposium and Exhibition (한국), 좌장 및 초청강연

● 서연수 교수

- EMBO Workshop "Structure-specific nucleases in DNA replication & repair" (프랑스), 초청강연

● 이균민 교수

- Cell Culture Engineering XII (캐나다), 초청강연

- The 23rd Annual and International Meeting of the JAACT 2010 (일본), 초청강연

- The 25th Annual and International Meeting of the Japanese Association for Animal Cell technology

(JAACT2012) (일본), 좌장

- The second International Humanitarian Forum (아제르바이잔), 초청강연

● 이대엽 교수

- 2010 KSBMB Annual Meeting (한국), 초청강연

- The 2nd Symposium of A3 Forsight Program Recent Progress of Cancer Epigenomics (한국), 초청강연

● 임대식 교수

- 제2회 Hippo Workshop (이탈리아), 초청강연

- BIT's 3rd World Cancer Congress 2010 (싱가포르), 초청강연

- 2nd International RASSF Symposium (영국), 좌장 및 초청강연

- 2012 UKC Annual Meeting (미국), 좌장 및 발표

● 전상용 교수

- Particles 2010 (미국). 초청강연

- The 1st P-Nano Seoul Forum (한국). 초청강연

- ICMAT2011 (싱가포르), 초청강연

- Recent Advances in Nanomedicine & Molecular Imaging (한국), 초청강연

- The 3rd Asia Biomaterials Conference(ABMC) (한국), 초청강연

- IEEE-NANOMED 2011 (한국), 초청강연

-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APA 2012 (한국), 초청강연

- 2012 CRI Cancer Symposium (한국), 초청강연

- The 15th International Biotechnology Symposium and Exhibition (한국), 초청강연

38 / 813

- IBS 2012 (한국), 초청강연

● 정민환 교수

- Workshop on the Computational Propoerties of Prefrontal Cortex 2010 (캐나다), 초청강연

- 9th Annual Computational and Systems Neuroscience Meeting 2012 (미국), 초청강연

- Neural Dynamics and Plasticity: from Synapse to Network 2012 (일본), 초청강연

● 조병관 교수

- Functional Genomics and Systems Biology 2011 (영국), 초청강연

- Summer Davos Forum (중국), 초청강연 및 Young Scientist Award

- Cold Spring Harbor Synthetic Biology Conference (중국), 초청강연

- The 12th Asian Conference on Transcription (한국), 조직위원 및 초청강연

● 최길주 교수

- 3rd ISSS Workshop (영국), 기조강연

- 2010 KSMCB (한국), 좌장 및 초청강연

- Korean-German Joint Symposium 2010 (한국), 초청강연

- The 2011 International Symposium on Plant Photobiology (중국), 초청강연

- The 5th Asia and Oceania Conference on Photobiology (일본), 초청강연

- 2011 KSBMB Annual Meeting (한국), 초청강연- The 12th Asian Conference on Transcription (한국), 초청강연

- 10th International Congress on Plant Molecular Biology (한국), 초청강연

● 최준호 교수

- 1st Asia-Pacific Drosophila Research Conference (대만), 좌장 및 Plenary

- Society for Research on Biological Rhythms 2012 (미국), 좌장

● 한용만 교수

- Seoul symposium on stem cell research (한국), 초청강연

- The 9th Japan-Korea Joint Symposium on Vascular Biology (한국), 초청강연

● 허원도 교수

- APRU (Association of Pacific Rim Universities) (일본), 초청강연

- 2011 Gordon Research Conference (스위스), 학회발표

- 2012 Asia Pacific Developmental Biology Conference (대만), 초청강연

2) 국제 학술지 활동

● 김은준 교수

- Frontiers in Molecular Neuroscience, Editorial board (2007~)

- Molecular Brain, Editorial board (2008~)

- NeuroSignals, Editorial board (2009~)

- Molecules and Cells, Associate editor (2012~)

● 김정회 교수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Advisory board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Editorial board

39 / 813

● 김진우 교수

- Experimental Nuerobiology, Editorial board (2011~)

- Molecules and Cells, Editorial board (2012~)

● 김학성 교수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Advisory board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Editorial board

● 오병하 교수

- Acta Crystallographica Section F, Co-Editor (2009~)

● 이균민 교수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Editorial board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Editorial board

- Biotechnology Letters, Editorial board

- BMC Biotechnology, Associate Editor (2010~)

- Journal of Biotechnology, Editorial board (2010~)

● 임대식 교수

- Molecules and Cells, Associate editor (2010~2012)

- Molecules and Cells, Editorial board (2013~2015)

- Bioscience Reports, Editorial board (2010~2013)

- Experimental Molecular Medicine, Editorial board (2013~2015)

● 전상용 교수

- The Open Colloid Science Journal, Editorial Advisory Board (2008~)

- Americ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Editorial Board (2011~)

- International Journal of Current Medical Sciences, Editorial Board (2011~)

- Theranostics, Editorial Board (2011~)

● 정민환 교수

- Editorial Board, Journal of Neurophysiology (2008~)

- Review Editor, Frontiers in Behavioral Neuroscience (2008~)

- Associate Editor, Frontiers in Integrative Neuroscience (2009~)

- Review Editor, Frontiers in Decision Neuroscience (2009~)

● 최길주 교수

- Molecules and Cells, Editorial board (2010~2012)

- Journal of Plant Biology, Editorial board (2010~)

● 최준호 교수

- Molecules and Cells, Editor-in-Chief (2012~2015)

3) 국제 저술 활동

● 임대식 교수

Kim, M. C and Kim, T.S Kim, T and Lim, D.S. (2013) Hippo and Mouse Models for Cancer. In The Hippo

40 / 813

Signaling Pathway and Cancer (pp.225-247). Springer New York

● 이대엽, 한용만 교수

“Epigenomics: From Chromatin Biology to Therapeutics” Edited by Krishnarao Appasani 출판날짜: September

10, 2012 | ISBN-10: 1107003822 | ISBN-13: 978-1107003828. 북챕터 소제목 및 참여자, 페이지: 8. Histone

modifications of lineage-specific genes in human embryonic stem cells during in vitro differentiation.

Jyemin Kim, Hogyo Seo, Daeyoup Lee, and Yong-Mahn Han (김혜민, 서호규, 이대엽, 한용만), page 104-117

● 서연수 교수

Nguyen, T.A., Lee, C. H., and Seo,Y.S. (2011) Chapter1 Lagging strand synthesis and genome stability. In

DNA Repair-on the Pathways to Fixing DNA Damage and Errors (F. Storici eds) In Tech Open Access

Publisher, pp1-24 (단행본 챕터) ISBN 978-953-307-649-2.

8.1.2 국제적 연구활동 참여 실적

1) 강창원 교수

영국 University of Alabama의 Robert P. Kimberly 교수 연구팀 외 많은 국외 연구자들과의 공동연구를 통하여

한국인과 미국, 유럽 등에 거주하는 백인종, 흑인종, 히스패닉 인종으로 구성된 17,481명의 루푸스 환자와 정상

대조군의 ICAM1 유전자 서열을 분석한 결과, ICAM1의 특정 유전변이가 분석된 모든 인종에서 루푸스의 발병에 관

여함을 확인하였다. 이 ICAM1의 루푸스 위험 유전변이는 고위험군 선별 표지자로서 활용이 가능하고, 루푸스 발

병 기작에 ICAM1 역할에 대한 연구와 치료약물 타겟으로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연구를 촉발할 것으로 기대됨.

“Variation in the ICAM1-ICAM4-ICAM5 locus is associated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usceptibility

in multiple ancestries” 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 2012, 71(11):1809-1814

2) 오병하 교수

미국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의 Jae U Jung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하여 인체의 중요한 면역 방

어로 인식되고 있는 자가포식(autophagy)에 대한 분자적 기작의 이해를 증진시키고, 병원성 미생물들이 이 면역

방어 방법을 무력화하고 회피하는 방법에 관한 분자적 기작을 연구함으로써 감염성 질병 치료에 기여하였음.

“Autophagy protein Rubicon mediates phagocytic NADPH oxidase activation in response to microbial

infection or TLR stimulation”, Cell Host Microbe. 2012, 11(3):264-76

미국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의 Jae U Jung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하여, BCL-2가 BAX와의 직접

적인 결합을 통해 BAX의 세포사멸 촉진기능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BCL-2가 세포예정사를 저해하는 분자생물학적

기작을 규명하였음.

"Evidence that inhibition of BAX activation by BCL-2 involves its tight and preferential interaction with

the BH3 domain of BAX" Cell Research, 2011, 21(4):627~641 Decoder" Nucleic Acid Research 2011,

39(17):e116

3) 이대엽 교수

이대엽 박사 연구팀은 NIH의 Grewal 박사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하여, Fission yeast에서는 Hrp3라는 CHD 크로

마틴 리모델링 단백질이 Fission yeast의 전체 후성유전체의 뉴클레오좀 배열을 결정하며 더 나아가 RNA

polymerase II에 의한 전사 과정을 조절하여 동원체 (centromere)의 heterochromatin 형성을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힘.

“Hrp3 controls nucleosome positioning to suppress non-coding transcription in eu- and heterochromatin.

EMBO J. 2012 Nov 28;31(23):4375-87

41 / 813

4) 임대식 교수

독일 Diego Calvici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하여, Hippo-Salvador pathway가 간세포 분열, 간의 크기 및

간암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증명함.

"The Hippo-Salvador pathway restrains hepatic oval cell proliferation, liver size, and liver

tumorigenesis"(2010) P. NATL ACAD SCI USA 107, 8248-8253

5) 정민환 교수

미국 Yale University의 Daeyeol Lee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하여 설치류의 안와전두피질과 temporal

discounting과의 관계를 규명함.

“Effect of orbitofrontal cortex lesions on temporal discounting in rats”, Behav Brain Res. 2013 May

15;245:22-8.

미국 Yale University의 Daeyeol Lee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하여 배내측 선조체가 과거선택행동에 대한 정

보를 전달하여 의사결정에 공헌함을 밝힘.

“Signals for previous goal choice persist in the dorsomedial, but not dorsolateral striatum of rats”, J

Neurosci. 2013 Jan 2;33(1):52-63”

미국 Yale University의 Daeyeol Lee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하여 해마가 경험한 사건 자체만이 아니라 그

사건의 효용가치도 함께 표상함을 규명함.

“Hippocampal Neural Correlates for Values of Experienced Events”, J Neurosci. 2012 Oct

24;32(43):15053-15065”

미국 Yale University의 Daeyeol Lee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연구 성과에 근거하여 강화학습과 의사결정의 뇌신경

메커니즘에 대한 종설논문을 발표함.

“Neural Basis of Reinforcement Learning and Decision Making”, Annu Rev Neurosci. 2012 35:287-308

미국 Yale University의 Daeyeol Lee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하여 역동적인 환경에서의 행동선택은 이차운

동피질이 담당함을 규명함.

“Role of rodent secondary motor cortex in value-based action selection”, Nature Neurosci. 2011 Aug

14;14(9):1202-8

미국 Yale University의 Daeyeol Lee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하여 가치표상은 안와전두피질이, 그리고 규칙

표상은 내측 전전두피질이 담당함을 규명함.

“Distinct roles of rodent orbitofrontal and medial prefrontal cortex in decision making”, Neuron. 2010

May 13;66(3):449-60.

미국 University of Washington의 Jeansok John Kim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하여 소리자극과 연합된 공포기

억의 소거에 청각피질이 중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힘.

“Auditory cortex is important in the extinction of two different tone-based conditioned fear memories in

rats”, Front Behav Neurosci. 2010;4:24.

6) 최길주 교수

일본 Kyoto University의 Akira Nagatani, 미국 Univ. of California, Davis의 J. Clark Lagarias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하여 식물 광수용체인 파이토크롬이 PIF 라는 단백질의 활성을 단순히 단백질 안정성에서 조절할뿐

만 아니라, DNA 결합정도를 조절해서 기능한다는 것을 새롭게 규명함.

“Phytochrome B inhibits binding of phytochrome-interacting factors to their target promoters“ The Plant

Journal, 2012, 72(4):537~546.

42 / 813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의 Julin Maloof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하여 파이토크롬이 PIF들을

통하여 줄기 굴지성을 조절한다는 것을 규명함.

"Phytochromes inhibit hypocotyl negative gravitropism by regulating the development of endodermal

amyloplasts through phytochrome-interacting factors" (2011). P. NATL ACAD SCI USA 108, 1729-1734.

7) 최준호 교수

미국 Northwestern University의 Ravi Allada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하여, Twenty four 라는 생체시계 조절 단

백질을 처음으로 발견하였고, 이 단백질인 기존에 생체시계 조절인자로 알려진 Period 단백질 합성을 조절한다는

것을 규명함.

"The novel gene twenty-four defines a critical translational step in the Drosophila clock"(2011) NATURE.

470, 399~403.

43 / 813

8.2 사업단 비전에 맞는 국제화 전략 및 계획의 우수성

국제 협력은 본질적으로 상호 호혜성에 의존하는 것이므로 국제적 인지도가 높은 연구진들로 구성된 본 사업단은

기존의 국제 교류 협력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회와 협력 파트너와의 국제 교류를 위한 최적의 조건에 있다.

카이스트 BK21 플러스 생물사업단은 창의적, 난제 돌파형, 신산업 창조 연구의 수행을 위한 초일류 연구진의 구

축이라는 연구 비전을 가지고 본 사업단의 연구역량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국제화 전략 및 계획을 다음과 같이

수립한다.

1) 세계 최우수 연구 그룹과의 학과 수준에서의 MOU (Memorandum of Understanding) 체결

본 사업단에서는 기존의 개인 연구자 기반의 국제 연구 협력 뿐 아니라 특성화된 분야별 소규모 그룹간의 연구

교류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각 분야의 최우수 연구 그룹들과의 MOU를 학과 수준에서 체결함으로써 국제적인 연구

협력 체제를 구축한다.

가. 각 소규모 연구그룹과 관련된 MOU 체결 연구기관 현황.

세포 및 분자의과학 (Cell & Molecular Biomedical Science)

구성 교수: 강창원/김세윤/김재훈/서연수/이대엽/오병하/허원도

관련 MOU 체결 기관: Johns Hopkins University, Rockefeller University, Max Planck Institute of

Biochemistry

분화 및 발생생물학 (Differentiation & Developmental Science)

구성 교수: 강석조/임대식/조경옥/조철오/최길주/한용만

관련 MOU 체결 기관: RIKEN Center for Developmental Biology, Yale University, Caltech

신경네트워크 (Neural Network)

구성 교수: 김은준/김대수/김진우/정민환/최준호/한진희

관련 MOU 체결 기관: Leibniz Institute for Neurobiology, College de France

의생명 신기술 (Integrative Biomedical Technology)

구성 교수: 김선창/김정회/김학성/이균민/전상용/조병관

관련 MOU 체결 기관: UCLA, INSERM

2) 연구자의 교환 및 방문 연구 활성화를 통한 국제적 연구핵 구축

심층적인 공동 연구수행을 위한 최상의 방법은 동일 공간에서의 연구자간의 교류이므로, 공동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의 장기 해외연구의 지원 강화를 통해 국제적 연구 핵 (Research Core)의 형성을 실현한다.

3) 국제적 연구 아젠다 도출을 위한 국외 최우수 그룹과의 연구 정보 교류

본 연구단의 핵심 연구 그룹과 MOU를 체결한 국외 연구 그룹간의 심포지엄 및 공동 세미나를 정기적으로 개최하

고 암, 대사질환, 퇴행성질환, 정신질환, 발달장애 등 의생명 관련 분야에서의 “Unmet need*” 를 발굴할 수 있

는 “IdeasLab**”을 구축하여 운영한다.

*Unmet need: 각 분야에 해결되어야 하는 분야이지만 아직 충족되지 못한 분야

**IdeasLab: 창의적인 연구 방법 도출을 목적으로 하는 브레인 스토밍 소규모 그룹 토의 시스템

4) 심포지엄 및 공동 세미나 개최

일본의 RIKEN-CDB, 프랑스의 INSERM, 일본의 OSAKA University 등과 정기적인 공동 심포지엄 및 세미나를 개최하

여 실질적인 연구교류를 수행한다.

5) 각 연구 그룹의 국제화 및 우수 연구 능력 평가 시스템 구축

44 / 813

본 사업단의 집중육성 연구 분야의 국외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자문위원단 (EAC: external advisory committee)

에 의한 연구 능력 평가 시스템 구축 및 사업단 내 연구 그룹간의 경쟁체제를 통하여 지속적인 국제 협력을 추

구한다.

가. 연구 능력 평가 시스템 확립

국제 연구 그룹리더들을 평가 자문위원으로 위촉 하고 자문위원단에 의한 각 연구 그룹의 평가를 실시하여 지속

적인 조언을 통한 연구 능력 평가 시스템을 확립한다.

평가 자문위원단 (EAC) 리스트

● Dr. Hugo Bellen (Baylor College of Medicine)

● Dr. Greg Lemke (The Salk Institute)

● Dr. David D. Moore (Baylor College of Medicine)

● Dr. Tobias Meyer (Stanford University)

● Dr. Bernard Paulson (UCSD)

● Dr. Alain Prochiantz (College de France)

● Dr. Robert Roeder (Rockefeller University)

● Dr. Michael Sheetz (Columbia University)

● Dr. Huda Y. Zoghbi (Baylor College of Medicine)

● Dr. 김성호 (Univ. of California, Berkeley)

나. 사업단 내 연구 그룹간의 경쟁 체제 구축

● BK21 플러스 사업단 내 평가 및 환류 제도 도입하여 연구 업적 평가가 낮은 교수는 BK21 플러스 사업단 구성

원에서 제외한다.

● 우수 국제 공동 연구 포상 제도를 마련한다.

● 국제 공동 연구결과 보고서 제출을 의무화 한다.

45 / 813

9 참여교수 연구역량

9.1 연구비(최근3년)

<표 10> 최근 3년간 참여교수 1인당 정부, 산업체, 해외기관 등 연구비 수주 실적

T_1_1:항목T_1_2:수주액(천원)

T_2_2:2010년 T_2_3:2011년 T_2_4:2012년 T_2_5:전체기간 실적

T_3_1:정부 연구비 수주

총 입금액D_3_2:9,317,448 D_3_3:11,677,934 D_3_4:12,022,679 D_3_5:33,018,061

T_4_1:산업체(국내) 연구

비 수주 총 입금액D_4_2:305,000 D_4_3:260,000 D_4_4:475,000 D_4_5:1,040,000

T_5_1:해외기관 연구비 수

주 총 환산입금액D_5_2:- D_5_3:- D_5_4:- D_5_5:-

T_6_1:1인당 총 연구비 수

주액D_6_2:458,211 D_6_3:568,473 D_6_4:595,127 D_6_5:1,621,812

T_7_1:참여교수 수 D_7_5:21

46 / 813

9.2 논문 (최근 3년)

9.2.1 참여교수 1인당 국제저명학술지(SCI, SCIE, SSCI, A&HCI) 환산 논문 편수

<표 11> 참여교수 1인당 논문 환산 편수 실적

T_1_1:구 분T_1_2:최근 3년간 실적

T_1_5:전체기간 실적T_2_2:2010년 T_2_3:2011년 T_2_4:2012년

T_3_1:논문 총 건수 D_3_2:84 D_3_3:99 D_3_4:107 D_3_5:290

T_4_1:1인당 논문 건수 D_4_2:3.36 D_4_3:3.96 D_4_4:4.28 D_4_5:11.6

T_5_1:논문 총 환산 편수 D_5_2:19.524 D_5_3:23.0463 D_5_4:26.3068 D_5_5:68.8771

T_6_1:1인당 논문 환산 편

수D_6_2:0.7809 D_6_3:0.9218 D_6_4:1.0522 D_6_5:2.755

T_7_1:참여교수 수 D_7_5:25

9.2.2 참여교수 1인당 SCI, SCIE (SSCI 포함) 논문의 환산 보정 IF

<표 12> 최근 3년간 참여교수 1인당 SCI, SCIE (SSCI 포함) 논문의 환산 보정 IF

T_1_1:구 분T_1_2:최근 3년간 실적

T_1_5:전체기간 실적T_2_2:2010년 T_2_3:2011년 T_2_4:2012년

T_3_1:총 환산편수 D_3_2:19.524 D_3_3:23.0463 D_3_4:26.3068 D_3_5:68.8771

T_4_1:총 환산보정IF D_4_2:16.16608 D_4_3:17.92228 D_4_4:18.271 D_4_5:52.35936

T_5_1:환산 논문 1편당 환

산보정IFD_5_2:0.82801 D_5_3:0.77766 D_5_4:0.69453 D_5_5:0.76018

T_6_1:1인당 환산 보정IF D_6_2:0.64664 D_6_3:0.71689 D_6_4:0.73084 D_6_5:2.09437

T_7_1:참여교수 수 D_7_5:25

9.2.3 사업단 참여 교수 논문의 우수성

<표 13> 참여교수 1인당 논문의 환산 보정 Eigenfactor Score와 환산 보정 IF

T_1_1:구 분T_1_3:최근 3년간 실적

T_1_6:전체기간 실적T_2_3:2010년 T_2_4:2011년 T_2_5:2012년

T_3_1:Eigenfactor

Score

T_3_2:총 환산편수 D_3_3:19.524 D_3_4:23.0463 D_3_5:26.3068 D_3_6:68.8771

T_4_2:총 환산보정 ES D_4_3:37.81246 D_4_4:37.59917 D_4_5:48.38583 D_4_6:123.79746

T_5_2:환산 논문 1편당

환산보정 ESD_5_3:1.93671 D_5_4:1.63146 D_5_5:1.83928 D_5_6:1.79736

47 / 813

T_3_1:Eigenfactor

Score

T_6_2:1인당 환산보정

ESD_6_3:1.51249 D_6_4:1.50396 D_6_5:1.93543 D_6_6:4.95189

T_7_1:Impact Factor

T_7_2:총 환산편수 D_7_3:19.524 D_7_4:23.0463 D_7_5:26.3068 D_7_6:68.8771

T_8_2:총 환산보정IF D_8_3:16.16608 D_8_4:17.92228 D_8_5:18.271 D_8_6:52.35936

T_9_2:환산 논문 1편당

환산보정IFD_9_3:0.82801 D_9_4:0.77766 D_9_5:0.69453 D_9_6:0.76018

T_10_2:1인당 환산보정

IFD_10_3:0.64664 D_10_4:0.71689 D_10_5:0.73084 D_10_6:2.09437

T_11_1:참여교수 수 D_11_6:25

1인당 환산 보정 ES(환산 논문 1편당 환산 보정 ES 포함) 또는 1인당 환산 보정 IF(환산 논

문 1편당 환산 보정 IF 포함)를 활용하여 사업단 논문의 질적 우수성을 기술

1) 환산 보정 IF 및 EF에 기반한 사업단 논문의 질적 우수성

가. 교수 1인당 논문 환산 편수

본 연구단 참여교수들의 최근 3년간 연간 평균 논문 건수는 97편이고 이는 교수 1인당 연평균 약 3.9편 정도가

된다. 이 중 참여교수가 주저자인 논문의 경우 교수 1인당 연 평균 2.3건의 논문을 발표하고 있어서, 약 61%의

논문이 주저자로 발표한 논문이라고 볼 수 있다.

환산 편수로 보아서도 교수 1인당 연간 평균 0.92편의 논문을 발표하고 있다. 따라서, 주저자로 발표한 논문이

0.56편으로 추정된다. 이는, 1인의 제1저자와 1인의 교신저자로 논문이 이루어진다고 가정하면, 이에 해당하는

환산 점수가 0.4점이므로 교수 1인당 매년 최소한 1.4편 정도의 주저자 논문을 발표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매

년 교수 당 1.2명의 박사가 졸업하고 이들은 반드시 IF 4점 이상의 제1저자 논문을 내고 졸업해야 함을 감안하

면, 사업단 교수 실험실의 연구력이 양적, 질적으로 모두 우수한 수준에 도달해 있을 알 수 있다.

나. 교수 1인당 평균 환산 보정 IF 및 EF

본 연구단의 최근 3년간 연 평균 교수 1인당 환산 보정 impact factor (IF) 및 eigen factor (EF) 값은 각각 0.7

과 1.65임. 이 수치는 대략 본 사업단의 정민환 교수 실험실에서 2010년과 2011년에 발표한 Neuron (총 저자 5명

; 환산 보정 IF: 0.69)과 Nature Neuroscience 논문 1편 (총 저자 4명; 환산 보정 IF: 0.72)의 중간 정도에 위치

한 수준으로 볼 수 있음. 즉, 교수 1인이 1년에 발표하는 논문의 총 기여도가 이들 논문 1편과 유사한 정도라고

볼 수 있다. 이는 본 사업단 교수들의 연구 역량이 이미 세계적 수준에 도달했다는 점을 보여 준다.

다. 논문 1편당 평균 환산 보정 IF 및 EF

본 연구단에서 최근 3년간 발표한 논문들의 환산 논문 1편당 보정 impact factor (IF) 및 eigen factor (EF) 값

은 각각 0.76과 1.8임. 이를 환산 논문이 아닌 단일 논문으로 변환하면 보정 IF와 EF는 0.18과 0.43임. 이 수치

는 본 사업단 발표 논문으로 보면 2010년 김은준 교수 실험실에서 발표한 J. Neuroscience (IF: 7.1; 환산 보정

IF: 0.18) 논문과 비슷한 수준으로 본 사업단에서 최근 3년간 발표한 논문의 수준이 질적으로 매우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2) 교수들이 발표한 개별 논문들의 우수성 사례

본 사업단 참여교수가 최근 3년간 발표한 전체 논문편수는 290건이고 이 중 IF기준 7.0 이상의 국제 학술지 발표

논문 편수는 101건이다. 이는 전체 발표 논문 중 1/3 정도가 high impact 국제 학술지에 발표된 질적으로 우수한

논문이라는 점을 보여 준다. 특히, 사업단의 한 축을 이루는 생물공학 분야의 경우 대부분의 학술지의 IF가 상대

적으로 기초 생명과학분야에 비해 낮은 것을 감안할 때 본 사업단 발표 논문의 질적 우수성은 매우 높음을 잘 알

수 있다. 참고로 기초분야 교수들이 발표한 최근 3년간 논문의 편당 평균 IF는 7.6 (주저자인 경우는 IF 7.7)에

48 / 813

이르고 있다. 다음은 본 사업단 교수들이 최근 3년 동안 발표한 IF 9.0 이상 우수 논문 사례이다.

● Nature (IF: 36.28), 486 (2012) Autistic-like social behaviour in Shank2-mutant mice improved by

restoring NMDA receptor function.

● Molecular Cell (IF: 14.178), 47 (2012) Cooperative Activation of PI3K by Ras and Rho Family Small

GTPases.

● Angewandte Chemie-International Edition (IF: 13.668) 51 (2012) Imageable Antigen-Presenting Gold

Nanoparticle Vaccines for Effective Cancer Immunotherapy In Vivo

● Angewandte Chemie-International Edition (IF: 13.668) 51 (2012) Bio-Inspired Design and Potential

Biomedical Applications of a Novel Class of High-Affinity Peptides.

● Genome Research (IF: 13.608), 22 (2012) H2B monoubiquitylation is a 5 '-enriched active transcription

mark and correlates with exon-intron structure in human cells.

● EMBO Journal (IF: 9.205), 31 (2012) Pten coordinates retinal neurogenesis by regulating Notch

signaling.

● EMBO Journal (IF: 9.205), 31 (2012), Ablation of Rassf2 induces bone defects and subsequent

haematopoietic anomalies in mice

● EMBO Journal (IF: 9.205), 31 (2012), VipD of Legionella pneumophila Targets Activated Rab5 and Rab22

to Interfere with Endosomal Trafficking in Macrophages

● PNAS (IF: 9.681), 109 (2012), Design of a binding scaffold based on variable lymphocyte receptors of

jawless vertebrates by module engineering

● Nature (IF: 36.28), 470 (2011) The novel gene twenty-four defines a critical translational step in the

Drosophila clock.

● Nature Medicine (IF: 22.467), 17 (2011) GIT1 is associated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ADHD-like behaviors in mice.

● Nature Neuroscience (IF: 15.531), 14 (2011) Role of rodent secondary motor cortex in value-based

action selection.

● PNAS (IF: 9.681), 108 (2011), Phytochromes inhibit hypocotyl negative gravitropism by regulating the

development of endodermal amyloplasts through phytochrome-interacting factors.

● Neuron (IF: 14.736) 66 (2010) Distinct Roles of Rodent Orbitofrontal and Medial Prefrontal Cortex in

Decision Making.

● EMBO Journal (IF: 9.205), 29 (2010) Structural insights into the dual nucleotide exchange and GDI

displacement activity of SidM/DrrA.

● PNAS (IF: 9.681), 107 (2010), Visualizing dynamic interaction between calmodulin and

calmodulin-related kinases via a monitoring method in live mammalian cells.

● PNAS (IF: 9.681), 107 (2010), The Hippo-alvador pathway restrains hepatic oval cell proliferation,

liver size, and liver tumorigenesis.

● PNAS (IF: 9.681), 107 (2010), CaV3.1 is a tremor rhythm pacemaker in the inferior olive.

● Blood (IF: 9.898), 116 (2010) Efficient differentiation of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into

functional CD34+ progenitor cells by combined modulation of MEK/ERK and BMP4 signaling pathways.

사업단 특성에 따라 <표13> 이외에 공신력 있는 논문 평가방법(예: SCOPUS의 SJR, SNIP,

Google Scholar 등)을 활용하여 사업단 논문의 질적 우수성을 객관적으로 기술

49 / 813

1) 사업단 참여 교수 1인당 발표 논문 총 인용 수 및 논문 1편당 인용 수 (Web of Science 기준)

본 사업단 참여 교수들이 발표한 논문은 총 1,581편이며, 이는 교수 평균 63.24편의 논문을 발표한 셈이다. 이들

논문들의 총 인용 수는 54,569회로 논문 1편당 약 34.52회 인용되었다. 따라서 논문 1편당 35회 정도 인용이 될

정도로 사업단 참여 교수 논문이 해당 분야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다고 볼 수 있다.

2) Hirsch index (h-index)에 기반한 사업단 참여 교수 연구의 지속성 (Web of Science 기준)

본 사업단은 소속 교수들이 단순히 논문의 수과 IF 수치 등 지표의 향상에만 신경 쓰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전

문 연구 분야에서 꾸준하게 영역을 확보하여 각자 연구 분야를 주도하는 리더로 성장하는 것을 유도해 오고 있으

며 이를 본 사업단이 소속된 카이스트 생명과학과의 테뉴어 심사에도 반영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사업단 소속

교수들의 분야의 전문성을 반영하는 h-index가 평균 21.52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9.2.4 사업단 국제저명학술지 우수 논문 향상 계획

논문의 양이 아닌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본 사업단은 현실적으로 가능한 논문의 평균 IF를 6.0으로 설

정하고 그 이상의 국제저명학술지에 발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BK21 플러스 사업이 종료하는 시점에 MIT,

Stanford, Princeton과 같은 세계일류대학 수준에 도달하고자 한다.

1) 논문의 구체적 IF 목표 설정

기초분야의 경우 참여 교수의 교신저자 논문을 기준으로 논문 당 IF를 7.0 이상으로 목표 설정하고, 응용 분야의

경우 교신저자 논문의 논문 당 IF를 2.5 이상으로 목표 설정한다.

2) 차등적 평가제를 통한 질적 우수 논문 발표 유도

질적으로 우수한 논문 발표를 유도하기 위해서 실적 평가에 따라 급여 차등화 및 차등 인센티브제를 시행하고자

한다. 또한 발표논문의 편 수 뿐만 아니라 국제저명학술지 우수 논문 개제 및 인용지수를 승진/승급의 중요 평가

지표로 하고 특/A급 학술지 논문게재의 의무화를 지향할 계획이다.

3) 국제적 인지도 강화를 위한 전략

가. 국제저명학술지 편집위원과의 교류

본 사업단의 연구 환경 및 연구 역량의 우수성을 국제적으로 알리기 위한 방안으로 Cell, Nature, Science를 포

함한 각 연구분야 상위 20%에 해당하는 국제저명학술지의 editor 및 editorial board member를 초청하고 교류를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나. EAC 위원들의 영향력 적극 활용

현재 사업단이 소속된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외부자문위원들은 대부분 Cell, Nature, Science 등 최정상급 학술지

의 editorial board member를 역임하였거나 또는 활동하고 있다. 이를 적극 이용하여 본 사업단의 우수성을 알리

는 기회로 만들 계획이다.

50 / 813

10 산학협력

10.1 특허 및 기술이전 실적

10.1.1 최근 3년간 참여교수 1인당 특허 등록 환산 건수

<표 14> 참여교수 특허 등록 실적

T_1_1:구 분T_1_3:최근 3년간 실적

T_1_6:전체기간 실적T_2_3:2010년 T_2_4:2011년 T_2_5:2012년

T_3_1:국내 특허T_3_2:등록건수 D_3_3:9 D_3_4:4 D_3_5:22 D_3_6:35

T_4_2:등록 환산건수 D_4_3:3.0038 D_4_4:1.5 D_4_5:6.006 D_4_6:10.5098

T_5_1:국제 특허T_5_2:등록건수 D_5_3:3 D_5_4:4 D_5_5:6 D_5_6:13

T_6_2:등록 환산건수 D_6_3:2.2222 D_6_4:0.7817 D_6_5:1.4499 D_6_6:4.4538

T_7_1:등록건수 합계 D_7_3:12 D_7_4:8 D_7_5:28 D_7_6:48

T_8_1:등록환산건수 합계 D_8_3:5.226 D_8_4:2.2817 D_8_5:7.4559 D_8_6:14.9636

T_9_1:참여교수 1인당 등록환산건수 D_9_3:0.209 D_9_4:0.0912 D_9_5:0.2982 D_9_6:0.5985

T_10_1:참여교수 수 D_10_6:25

10.1.2 최근 3년간 참여교수 1인당 기술이전 실적

<표 15> 참여교수 기술이전 실적 (단위 : 천원)

T_1_1:항목T_1_3:최근 3년간 실적(천원)

T_1_6:전체기간 실적T_2_3:2010년 T_2_4:2011년 T_2_5:2012년

T_3_1:특허 관련

T_3_2:기술료 수입액 D_3_3:- D_3_4:- D_3_5:7,000 D_3_6:7,000

T_4_2:참여교수 1인당

수입액D_4_3:0 D_4_4:0 D_4_5:333 D_4_6:333

T_5_1:특허 이외 산업

재산권 관련

T_5_2:기술료 수입액 D_5_3:- D_5_4:- D_5_5:- D_5_6:-

T_6_2:참여교수 1인당

수입액D_6_3:0 D_6_4:0 D_6_5:0 D_6_6:0

T_7_1:지적재산권 관련

T_7_2:기술료 수입액 D_7_3:- D_7_4:- D_7_5:- D_7_6:-

T_8_2:참여교수 1인당

수입액D_8_3:0 D_8_4:0 D_8_5:0 D_8_6:0

T_9_1:Know-how 관련

T_9_2:기술료 수입액 D_9_3:7,958 D_9_4:- D_9_5:20,000 D_9_6:27,958

T_10_2:참여교수 1인당

수입액D_10_3:378 D_10_4:0 D_10_5:952 D_10_6:1,331

51 / 813

T_11_1:기술이전 전체실

T_11_2:기술료 수입액 D_11_3:7,958 D_11_4:0 D_11_5:27,000 D_11_6:34,958

T_12_2:참여교수 1인당

수입액D_12_3:378 D_12_4:0 D_12_5:1,285 D_12_6:1,664

T_13_1:참여교수 수 D_13_6:21

52 / 813

10.2 산학협력 연구의 우수성 (전국단위)

1) 산학협력을 통한 우수연구성과 실적

가. 산학협력을 통한 우수연구성과 실적 (최근 3년)

● 김학성 교수 : 2010. 9 ~ 2012. 11, 동서석유화학(주)로부터 산업체연구비 200,000,000원 수주, "박테리아를

이용한 Acrylamide의 생산 균주 및 공정개발“

● 김정회 교수 : 2010. 3. 1 ~ 2011. 2. 28, (주)삼면으로부터 산업체연구비 30,000,000원 수주, “신규 자일리

톨 탈수소효소를 이용한 고효율 자일리톨 생산균주 개발 연구”

● 이균민 교수: 2009.4 ~ 2013. 4, (주)셀트리온으로부터 산업체연구비 800,000,000원 수주, 7차년도 입금액

200,000,000원, “F2N 세포주의 특성 분석 및 새로운 발현 시스템의 겸정에 관한 연구”

● 이균민 교수: 2012. 9 ~ 2013. 4, (주)녹십자로부터 산업체연구비 175,,000,000원 수주, 7차년도 입금액

52,500,000원, “산업용 동물세포 배양용 무단백 배지 개발”

● 임대식 교수 : 2009. 11. 30 ~ 2010. 5. 31, (주)엘지생명과학으로부터 산업체연구비 30,000,000원 수주, “

LG생명과학 약물의 감마 방사능조사기와 세포유동분석기를 이용한 분석실험”

● 조병관 교수: 2011. 6 ~ 2012. 5, 삼성전자(주)로부터 산업체연구비 90,000,000원 수주, 7차년도 입금액

36,000,000원, “KM 균주 Genome engineering capability build-up”

나. 산학협력을 통한 기술이전 및 사업화 실적 (최근 3년)

● 강창원 교수, 2012년 10월 31일부터 10년간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의 진단용 SNP와 그를 포함 하는 마

이크로어레이 및 키트“ 관련 기술을 (주)바이오니아와 계약

● 이균민 교수, 2012년 6월 11일부터 5년간 “EPO 생산 세포주” 관련 기술을 (주)한국코러스제약과 계약

2) 산학협력을 통한 우수연구 계획

가. 산업체 지원금 확보

본 BK21 플러스 사업단의 전신인 2단계 BK21 사업단은 최근 3년 평균 국고 지원금 대비 8%에 이르는 산업체 지원

금을 확보해 오고 있다. 본 BK21 플러스 사업단에서도 이를 유지 개선하여 연 10%대의 국고 지원금 대비 산업체

지원금을 확보할 예정임.

나. 기술이전, 제품화 및 사업화 계획

● 사업단 내 기술이전 및 사업화 소위원회 구성: 사업단의 연구 결과의 기술이전, 제품화 및 사업화를 촉진시키

기 위하여 사업단 내 기술이전 및 사업화 소위원회를 둔다.

● 사업단 및 산업체 연구 결과 공유를 통한 기술이전: 사업단의 연구결과를 산업체와 수시로 공유하여 산업체가

필요한 연구결과 및 기술을 필요한 산업체에 이전한다. 또한 산업체에서 필요한 기술을 산업체와의 협의를 통해

인지하고, 사업단 내 연관된 기술의 이전을 수행한다.

● 사업단 연구 결과와 제품화를 중개지원: 사업단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한 제품화를 위한 인적 물자 자원을

지원한다.

● 사업단 연구 결과 기반 사업화 유도: 사업단 내 연구결과 및 특허를 기반으로 한 벤처기업의 창업, 또는 중견

/대기업과의 협력을 통한 사업화를 유도한다.

53 / 813

10.3 지역 특화 산학협력 연구의 우수성 (지역단위)

해당사항 없음

54 / 813

10.4 산학간 인적 및 물적 교류

1) 산학간 인적 및 물적 교류 실적 (최근 3년)

가. 산업체 박사과정 위탁교육 실적

● 산업체 연구과제와 사업단 교육을 연계하여 2010 년에 31명, 2011년에는 30명, 2012년에는 28명을 박사학위

과정에 위탁교육을 실시하였다.

● 박사학위 과정에 위탁을 의뢰한 대표적인 기관: (주)LG생명과학, 삼성전자(주)종합기술원, (주)제노스, (주)

대웅, (주)안지오랩, 이수앱지스(주), 한화케미칼, 씨제이제일제당(주), 이수앱지스(주), 씨제이제일제당(주),

SK케미칼, 제넥셀세인(주), 삼성생명과학연구소

● (주)바이오니아에서 지원하는 재학생 특허출원/등록 부문 Bioneer Award 시행 (2010-2012) 시행

나. 사업단 소속 교수 및 학생의 산학연 관련 수상 실적

● 최준호 교수, 2011년 9월 1일부로 한전 석좌교수 임명

● 김은준 교수, 2012년 인촌상 및 2013 포스코청암상 수상

● 임대식 교수, 2010년 연세암연구상 수상

● 포스코청암재단 ‘청암과학펠로십’ 선정: 김세윤 교수, 김재훈 교수, 한진희 교수, 박사과정 강현아, 권부

기, 정선혜 학생

2) 산학간 인적 및 물적 교류 계획

가. 산업체와 사업단의 교육협력: 최근 3년 평균 30명의 학생을 박사학위 과정에 산업체로부터 위탁교육을 의뢰

받아 실시하였다. 산업체와 사업단의 교육을 연계를 공고히 하고 발전시키기 위하여 향후 매년 30명 수준에서 위

탁교육을 실시한다.

나. 산업체의 지원을 통한 사업단과 협력: (주)바이오니아에서 지원하는 Bioneer Award를 지속적으로 시행하여

산업체와 사업단의 협력을 진작한다. 또한, 다른 사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산업체의 지원을 유도하고, 사업단의

결과를 산업체와 공유하여 사업단의 결과가 실질적으로 산업체의 ‘Unmet Need’를 채울 수 있도록 유도한다.

다. 사업단 및 산업체 시설의 공동 이용: 사업단이 위치한 생명과학과, 의과학센터, KI 건물의 공간과 시설을 공

동 협력연구를 진행하는 바이오 산업체에 제공하고, 각 연구실이 보유한 첨단 기술 등을 산업체와 협력을 통하여

기술이전을 시도한다.

55 / 813

Ⅲ 사업비 집행 계획

1 사업비 집행 계획(1~7차년도) (단위 : 천원)

T_1_1:항목 T_1_2:1년차 T_1_3:2년차 T_1_4:3년차 T_1_5:4년차 T_1_6:5년차 T_1_7:6년차 T_1_8:7년차 T_1_9:계

T_2_1:대학원생

연구장학금D_2_2:0 D_2_3:0 D_2_4:0 D_2_5:0 D_2_6:0 D_2_7:0 D_2_8:0 D_2_9:0

T_3_1:신진연구

인력 인건

D_3_2:409,200 D_3_3:409,200 D_3_4:409,200 D_3_5:409,200 D_3_6:409,200 D_3_7:409,200 D_3_8:409,200 D_3_9:2,864,400

T_4_1:국제화 경

비D_4_2:121,587 D_4_3:121,587 D_4_4:121,587 D_4_5:121,587 D_4_6:121,587 D_4_7:121,587 D_4_8:121,587 D_4_9:851,109

T_5_1:사업단 운

영비D_5_2:150,000 D_5_3:150,000 D_5_4:150,000 D_5_5:150,000 D_5_6:150,000 D_5_7:150,000 D_5_8:150,000 D_5_9:1,050,000

T_6_1:간접비 D_6_2:13,893 D_6_3:13,893 D_6_4:13,893 D_6_5:13,893 D_6_6:13,893 D_6_7:13,893 D_6_8:13,893 D_6_9:97,251

T_7_1:합계 D_7_2:694,680 D_7_3:694,680 D_7_4:694,680 D_7_5:694,680 D_7_6:694,680 D_7_7:694,680 D_7_8:694,680 D_7_9:4,862,7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