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k21 플러스』과학기술분야 (사업단) 사업...

995
접수번호 21A20131600002 사업분야 과학기술응 신청분야 정보기술 단위 지역 구분 사업단 학술연구분야 분류코드 구분 관련분야 관련분야 관련분야 중분류 소분류 중분류 소분류 중분류 소분류 분류명 전자/정보통신공학 반도체 전자/정보통신공학 정보통신 컴퓨터학 소프트웨어공학 비율(%) 35% 35% 30% 학과(학부) 또는 협동과정명 충북대학교 전기ㆍ전자ㆍ정보ㆍ컴퓨터학부 신설학과 여부 사업단명 국문) BK21충북정보기술사업단 영문) BK21 Chungbuk Information Technology Center 사업단장 충북대학교 전자정보대학 정보통신공학부 교수 성명 국문 이인성 전화 팩스 이동전화 영문 Lee, In-sung E-mail 연차별 총 사업비 (백만원) 구분 1차년도 (`13.3 ~`14.2) 2차년도 ('14.3 ~'15.2) 3차년도 ('15.3 ~'16.2) 4차년도 ('16.3 ~'17.2) 5차년도 ('17.3 ~'18.2) 6차년도 ('18.3 ~'19.2) 7차년도 ('19.3 ~'20.2) 국고지원금 1,898 1,898 1,898 1,898 1,898 1,898 1,898 총 사업기간 2013.3.1. ~ 2020.2.29.(84개월) 1차년도 사업기간 2013.3.1. ~ 2014.2.28.(12개월) 본인은 『BK21 Plus』신규사업 지원을 신청서와 같이 신청하며, 지원이 결정될 경우 관련 법령, 귀 재단과의 협약, 귀 재단이 정한 제반 사항 등을 준수하여 성실하게 사업을 추진하여 소정의 사업성과 를 거두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아울러, 신청서에는 사실과 다른 내용이 포함되지 아니하였으며 만약 허위 사실이나 중대한 오류가 발견될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는 불이익을 감수하겠음을 서약합니다. 2013년 06월 18일 작성자 사업단장 (인) 확인자 산학협력단장 (인) 확인자 총장 (인)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귀하 1 / 995 충북대학교 충북대학교 『BK21 플러스』과학기술분야 (사업단) 사업 신청서 이인성

Upload: others

Post on 02-Aug-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접수번호 21A20131600002

    사업분야과학기술응

    용신청분야 정보기술 단위 지역 구분 사업단

    학술연구분야

    분류코드

    구분관련분야 관련분야 관련분야

    중분류 소분류 중분류 소분류 중분류 소분류

    분류명 전자/정보통신공학 반도체 전자/정보통신공학 정보통신 컴퓨터학 소프트웨어공학

    비율(%) 35% 35% 30%

    학과(학부) 또는

    협동과정명충북대학교 전기ㆍ전자ㆍ정보ㆍ컴퓨터학부

    신설학과

    여부

    사업단명

    국문) BK21충북정보기술사업단

    영문) BK21 Chungbuk Information Technology Center

    사업단장

    소 속 충북대학교 전자정보대학 정보통신공학부

    직 위 교수

    성명

    국문 이인성전화

    팩스

    이동전화영문 Lee, In-sung

    E-mail

    연차별

    총 사업비

    (백만원)

    구분

    1차년도

    (`13.3

    ~`14.2)

    2차년도

    ('14.3

    ~'15.2)

    3차년도

    ('15.3

    ~'16.2)

    4차년도

    ('16.3

    ~'17.2)

    5차년도

    ('17.3

    ~'18.2)

    6차년도

    ('18.3

    ~'19.2)

    7차년도

    ('19.3

    ~'20.2)

    국고지원금 1,898 1,898 1,898 1,898 1,898 1,898 1,898

    총 사업기간 2013.3.1. ~ 2020.2.29.(84개월)

    1차년도 사업기간 2013.3.1. ~ 2014.2.28.(12개월)

    본인은 『BK21 Plus』신규사업 지원을 신청서와 같이 신청하며, 지원이 결정될 경우 관련 법령, 귀

    재단과의 협약, 귀 재단이 정한 제반 사항 등을 준수하여 성실하게 사업을 추진하여 소정의 사업성과

    를 거두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아울러, 신청서에는 사실과 다른 내용이 포함되지 아니하였으며 만약 허위 사실이나 중대한 오류가

    발견될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는 불이익을 감수하겠음을 서약합니다.

    2013년 06월 18일

    작성자 사업단장 (인)

    확인자 산학협력단장 (인)

    확인자 총장 (인)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귀하

    1 / 995

    충북대학교

    충북대학교

    『BK21 플러스』과학기술분야 (사업단)

    사업 신청서

    이인성

  • 지원분야의

    중요성

    (미래가치)

    지식기반 산업에서 대한민국 전략 산업 핵심 중의 하나는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관련 산업임. ICT 분야의 급속한 발전과 성장, 다양한 신기술

    의 보급 등으로 인하여 ICT 산업이 국가 GN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

    음. 이러한 산업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실무적이고 전문화된 인력들에 대한 교

    육 및 수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음.

    지역별 특화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2009년 1월 충청 광역경제권 선도 전략산업을 결정하

    였음. 충청권 미래 성장동력 산업으로 의약바이오(차세대 의약), 차세대 에너지 산업(태

    양광, 이차전지, 나노융합소재)을 선정하였으며 충청권 대표적인 주력 산업으로 New IT(

    무선통신융합, 반도체, 디스플레이), 융합기계부품(동력기반 기계부품) 산업을 선정하였

    음. 충청북도는 전략 산업으로 IT, BT산업을 중점 육성하고 있으며, 두 산업 간의 융합을

    통한 신산업을 발전시키려 노력하고 있음. 충청북도 IT 전략산업 분야로 차세대 반도체

    산업, 전자통신융합부품, 신재생에너지, 차세대 전지산업을 선정하고 이 분야 발전에 주

    력하고 있으며 산업 비중도 매우 높은 상황임. 따라서 지역 전략 산업인 ICT 산업에 필요

    한 국제적 창의 인재 양성은 지역적, 국가적 중요한 과제이며 국가 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 가능케 함.

    사업 목표

    충북대의 BK21충북정보기술사업단은 국내 대학을 선도하는 연구 중심 대학원을 지향하며

    장기적으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대학원으로 발전시킴으로써 충청북도 전략 산업인

    ICT 산업에 필요한 시스템 반도체, 차세대 통신, 소프트웨어, IT융합 분야의 창의적인 우

    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함. 교육 영역에서 지역 ICT 산업 혁신에 필요한 글로벌 창의 인

    재 양성을 목표하고 있으며, 연구영역에서는 지역 ICT 전략 산업 분야를 혁신적으로 발전

    시키는데 필요한 연구 역량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음. 특성화 분야의 교육과정 개선, 지

    역 전략 산업과의 연계된 산학협력 트랙을 운영하며 특성화 분야에서 특화 연구센터를 유

    치하여 전략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기반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함.

    교육역량 영역

    교육 영역에서 지역 ICT 산업 혁신에 필요한 글로벌 창의 인재 양성을 목표로 대학원 통

    합교과 과정, 지역 전략 산업 분야별 교과과정 운영, 산학장학생 트랙을 운영함으로써 창

    의적이고 실무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려고 함. 현재 운영 중인 지역 산업과의 산업체

    연계 트랙을 더욱 확대하여 기업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하고, 대학원생 연구 능력 향상을

    위하여 연구 실적에 따라 해외 연수 경비 등의 지원 프로그램에 차등적으로 지원함. 석사

    과정에서 영어 말하기, 박사 과정에서 영어 글쓰기 교과목 수강을 의무화하여 졸업 후 국

    제적인 활동이 가능한 인재를 양성할 계획임. 연구 논문 실적 향상을 위해 학생 평가 방

    법, 학생 연구 워크숍, 학생 아이디어 경진대회 등의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

    정임. 학생 1인당 SCI 환산 논문 편수, SCI 논문 환산 보정 IF, 학술대회 논문 실적, 취

    업률, 졸업생 배출 실적 등의 정량적인 교육 성과 목표를 설정하고 운영할 예정임.

    연구역량 영역

    연구영역에서 지역 ICT 전략 분야의 세계적 연구 역량 확보를 목표로 지역 전략 산업과

    연관된 시스템 반도체, 차세대 통신, 소프트웨어, IT 융합 분야를 특성화하여 집중 육성

    함. 연구 실적의 양 중심에서 연구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교수 연구 평가 방법을 개선

    함. 개인적인 연구 중심에서 그룹 연구를 권장하여 4개 이상의 특화 연구 센터를 설립하

    며 연구 결과물이 산업체에 큰 영향력을 줄 수 있는 연구 활동이 되도록 함. 지역 산업체

    와의 BK21플러스산학공동사업단을 구성하여 산업체에 필요한 연구 과제를 도출하며 수행

    한 연구 결과를 산업체에 이전하여 산업체의 기술 능력을 향상하는데 도움이 되는 역할을

    수행함. 미국, 일본, 호주 등과 국제 학술 교류를 활성화하고 공동 연구도 수행하여 세계

    적인 연구 결과물이 도출되도록 할 예정임. 소규모 연구 그룹 활동 지원, 아이디어 페스

    중심어

    ICT 차세대 통신 소프트웨어

    반도체 IT융합 전자융합부품

    시스템반도체 신재생에너지 태양광기술

    2 / 995

  • 티벌, 산업체 공동 연구를 추진함으로써 연구 역량을 강화함. 교수 1인당 SCI 환산 논문

    편수, SCI 논문 환산 보정 IF, 연구비 수주, 특허등록,기술이전 등의 정량적인 연구 성과

    목표를 설정하고 운영할 예정임.

    기대효과

    BK21 플러스 사업을 통해 지역 산업체의 특성화에 기반을 둔 차별화된 전략으로 시스템

    반도체, 차세대 통신, 소프트웨어, IT융합기술 분야의 석박사인력이 연 85명 이상 양성되

    어지며 특성화 산학 협력 트랙 운영, 현장실습, 인턴쉽, 공동 연구 참여 기회제공 등을

    통해 참여대학원생의 산업체에 필요한 연구능력과 취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음. 충북의

    전략 산업인 시스템 반도체, 차세대 통신 융합 기술, 신재생 에너지 분야 기발 기술을 중

    점적으로 연구 개발하며 특화 연구센터를 4개 이상 확보함으로써 지역에 필요한 산업 기

    반 기술 제공이 가능케 됨. BK21 플러스 사업을 통해 충북대학교 전자정보대학은 충청지

    역 선도연구중심대학에서 지역 ICT 산업의 혁신을 위한 세계적 수준의 연구중심 대학으로

    발전되리라 예상됨. 지역 ICT 사업에 필요한 우수 인력 양성이 이루어지며 연구와 교육의

    현저한 질적 향상을 이루어 특성화 분야에서는 셰계적인 연구중심대학으로 발전되리라 예

    측됨.

    3 / 995

  • 4 / 995

    Ⅰ 사업단 현황

    1 사업단 구성

    1.1 사업단장

    T_1_1:성명 T_1_2:한글 D_1_3:이인성 T_1_4:영문 D_1_5:Lee, In-sung

    T_2_1:소속기관 D_2_3:충북대학교 D_2_4:전자정보대학 D_2_5:정보통신공학부

  • 5 / 995

    1.2 사업단 대학원 학과(부) 현황

    사업단 대학원 학과(부) 교수 현황 (단위: 명, %)

    T_1_1:기

    T_1_2:대

    과(

    부)

    T_1_3:전체 교수 수(임상, 교

    육, 분교, 기금 제외)

    T_1_8:기존 교수 수(임상, 교

    육, 분교, 기금 제외)

    T_1_13:신임 교수 수(임상, 교

    육, 분교, 기금 제외)

    T_1_18:임상, 교육, 분교, 기금

    교수 수

    T_2_3:전

    T_2_4:참여

    T_2_7:참

    (%)

    T_2_8:전

    T_2_9:참여

    T_2_12:참

    (%)

    T_2_13:전

    T_2_14:참여

    T_2_17:참

    (%)

    T_2_18:전

    T_2_19:참여

    T_2_22:참

    (%)T_3_4:전

    T_3_5:겸

    임T_3_6:계

    T_3_9:전

    T_3_10:겸

    임T_3_11:계

    T_3_14:전

    T_3_15:겸

    임T_3_16:계

    T_3_19:전

    T_3_20:겸

    임T_3_21:계

    D_4_1:201

    306

    18

    D_4_2:전

    ·

    ·

    ·

    D_4_3:55 D_4_4:40 D_4_5:0 D_4_6:40D_4_7:72.

    73%D_4_8:53 D_4_9:38 D_4_10:0 D_4_11:38

    D_4_12:71.

    7%D_4_13:2 D_4_14:2 D_4_15:0 D_4_16:2

    D_4_17:100

    %D_4_18:0 D_4_19:0 D_4_20:0 D_4_21:0 D_4_22:0%

    사업단 대학원 학과(부) 대학원생 현황 (단위: 명, %)

    T_1_1:기준

    T_1_2:대학

    원 학

    과(부)

    T_1_3:대학원생 수

    T_2_3:석사 T_2_6:박사 T_2_9:석·박사 통합 T_2_12:계

    T_3_3:전체 T_3_4:참여

    T_3_5:참여

    비율

    (%)

    T_3_6:전체 T_3_7:참여T_3_8:참여비

    율(%)T_3_9:전체 T_3_10:참여

    T_3_11:참여

    비율

    (%)

    T_3_12:전체 T_3_13:참여

    T_3_14:참여

    비율

    (%)

    D_4_1:20130

    618

    D_4_2:전기

    ·전자

    ·정보

    ·컴퓨

    터학부

    D_4_3:169 D_4_4:139D_4_5:82.25

    %D_4_6:73 D_4_7:48 D_4_8:65.75% D_4_9:5 D_4_10:5 D_4_11:100% D_4_12:247 D_4_13:192

    D_4_14:77.73

    %

  • 6 / 995

    Ⅱ 부문별

    1 사업단의 교육 비전 및 목표

    1.1 교육 비전 및 목표

    1. 사업단의 총괄비전 및 목표

    1) 사업비전 및 전략

    ---------------------------------------------------------------------------------------------

    ■ 사업비전: 지역 ICT 산업혁신을 선도하는 세계적인 연구중심대학

    ---------------------------------------------------------------------------------------------

    - 국내 대학을 선도하는 연구 중심 대학원을 지향하며

    - 장기적으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대학원으로 발전시킴으로써

    - 지역 ICT 산업혁신에 필요한 시스템반도체, 차세대통신, 소프트웨어, IT융합 분야의 창의적인 우수

    인재를 양성

    단계별 사업 비전

    ■ 사업 목표 및 전략

  • 7 / 995

    - 2019년까지 ICT 분야에서 지역대학 1위, 국내 10위, 아시아 100권 대학으로 진입을 목표로 함

    - 단기적으로 2016까지 ICT 분야 국내상위권 연구중심대학에 진입하고, 장기적으로 벤치마킹되는 우수

    연구중심대학으로 도약하기 위해, 과감한 체제 개편 및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교육 및 연구 문화 확산

    을 추진

    - 지역 ICT 산업 혁신을 선도할 창의적인 우수 인재 양성 및 연구개발 역량 강화를 위하여 교육, 연구,

    산학협력, 국제화를 위한 체계적인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운영 및 제도개선을 수행

    사업 비전을 위한 전략

    2) 사업 비전 및 전략의 설정 이유

    ■ 지역산업적 배경

    - 충북대는 충청북도 및 충청권의 거점대학으로 지역과 함께하면서 지역 산업인력 양성과 산업수요에

    따른 연구개발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 충북대 전자정보대학 BK21충북정보기술사업단은 충청광역권의 지역이 주력하고 있는 ICT 산업

    혁신에 선도적 역할을 하고자 함

    - 충청광역경제권의 지자체는 ICT 산업분야를 전략적 산업으로 선정 육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를

    하고자 함

    ·충청권 지자체는 2007년부터 광역권선도산업으로 무선통신융합,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을 축으로 한

  • 8 / 995

    New IT산업을 육성하여 왔고, 2012년부터는 2단계 충청광역권 선도전략산업으로, New IT와 융합기계

    부품을 대표주력산업으로, 차세대에너지와 의약바이오 분야를 미래성장산업 동력으로 선정하여 지속적

    으로 ICT분야를 육성하고 있음

    ·충청북도는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2000년초부터 반도체, 전기전자부품, 2차전지를 전략산업으로

    선정하여 지속 육성하여 왔고, 2012년에는 충북선도특화산업으로 반도체, 차세대전지, 태양광에너지,

    전기전자융합부품 분야를 중점 육성하고 있음

    ■ 충북대 ICT 분야 특성화

    - 충북대는 1997년 이후 대학중장기발전계획에서 지속적으로 ICT분야를 특성화의 한 축으로 선정하여

    육성하고 있음

    - 특히 ICT 분야를 특성화하기 위해 2000년부터 공대에서 분리하여 국립대 최초의 IT 단과대학인 전자정

    보대학으로 설립하고 집중육성하고 있음

    - 충북대는 오창과학산업단지, 오송생명과학단지, 청주산업단지 기업 등 충청권역의 긴밀한 산학협력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반도체설계공정, 에너지공학, IT융합 응용기술 및 소프트웨어 분야의

    ICT 특성화를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있음

    ■ 2단계 BK21사업의 연속성

    - BK21충북정보기술사업단은 2단계 BK21사업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우수성과를 확산 발전시킴으로써

    지역 ICT 산업혁신을 선도하는 연구중심대학으로 육성하고자 함

    - BK21충북정보기술사업단은 2단계 BK21사업 연차 평가에서 9개 사업단으로 구성된 정보기술 패널에서

    매우 우수 평가를 받았음

    ----------------------------------------------------------------------------------------

    항목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4차년도 5차년도 6차년도(종합평가)

    ----------------------------------------------------------------------------------------

    연차평가 결과 2위 2위 1위 1위 1위 매우우수

    ----------------------------------------------------------------------------------------

    - BK21충북정보기술사업단은 2단계 BK21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통해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룸

    ·2단계 BK21사업 전 실적 대비 학생 SCI논문실적 238%, 교수 SCI 논문편수는 147%, Impact Factor 206%,

    특허 등록 378%로 향상됨

    ·정부연구비 연평균 104백만원/인, 산업체 연구비 연평균 82백만원/인, 기술료 수입 연평균

    1,768천원/인 우수한 실적을 보임

    -------------------------------------------------------

    항목 BK21사업을 통한 성과

    -------------------------------------------------------

    학생 SCI논문실적 138% 증가

    교수 SCI 논문 편수 47% 증가

    Impact Factor 106% 증가

    특허등록 건수 278% 증가

  • 9 / 995

    정부연구비 104백만원/인(연평균)

    산업체 연구비 82백만원/인(연평균)

    기술료 수입 1,768천원/인(연평균)

    -------------------------------------------------------

    ■ BK21충북정보기술사업단의 ICT 특성화 분야 선정

    - 2단계 BK21사업에서는 반도체, 이동통신, 소프트웨어 분야를 특성화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으며,

    BK21플러스 사업에서는 지역 ICT 산업 수요변화 및 산업육성 정책방향을 반영하여 시스템반도체,

    차세대통신, 소프트웨어, IT융합 분야를 특성화분야로 선정하여, 이들 분야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이

    있는 인력 양성과 현장밀착형 연구개발을 위한 체계구축 및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명실상부하게

    충청광역권 ICT 산업을 선도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자 함

    2. 교육 비전 및 목표

    1) 교육 목표

    ■ 지역 ICT 산업 혁신에 필요한 글로벌 창의 인재 양성

    ■ 지역 전략 ICT 산업인 시스템반도체, 차세대통신, 소프트웨어, IT융합의 4대 특성화 분야의 창의적인

    우수 인재 양성

    ■ 10대 세부교육분야인, 반도체회로설계, 반도체소자공정, 통신시스템/통신망, 통신신호처리,

    안테나전파광파, 시스템 SW, 임베디드 SW, 통신/보안 SW, 스마트그리드, 로봇분야의 교육과정 특성화

    ■ 산학협력 특성화 트랙으로 SK하이닉스 트랙, LG화학 트랙, 시스템반도체설계인력양성사업, 중소기업형

    계약학과 등 산학연계 교육과정 활성화

    ■ 지역 ICT 산업 혁신에 필요한 글로벌 창의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핵심역량인 CENG+(Creative Expert

    with Neighborminded and Globalization +)를 키우고 이의 목표 달성을 위해 10대 추진전략을 가짐

  • 10 / 995

    교육 비전 및 목표

    2) 10대 추진 전략

    (1) 대학원 통합과정 운영

    공통교과목, 전공기초 및 심화 교과목, 전공연구과목을 통합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운영의 내실화 및

    효율화

    (2) 전략 산업 분야별 교과과정 운영

    지역 ICT 산업 분야에서 요구하는 인재 육성을 위하여 사업단의 4대 특성화 분야 및 10대 세부 특성화

    트랙 분야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편성하여 운영

    (3) 산업체 연계 교육 프로그램 운영(산학협력 특성화 트랙)

    지역의 ICT 분야의 핵심 기업과 협약에 의한 교육 프로그램을 유치/운영하여, 산학장학생 프로그램

    으로 우수 인재를 양성하여 특화 기업으로 진출하도록 지원

    (4) 창의·실무 교육 강화

    튼튼한 이론 지식의 토대 위에 창의적이고 실무적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실습/설계 교육을 강화

    하고 브레인스토밍 연구그룹 등과 같은 비교과과정의 교육 기능을 활성화

    (5) 교육 품질 향상(환류 시스템)

    구축된 교육과정 운영의 지속적 품질 향상을 위하여 강의 평가 결과의 피드백, 산업체 수요기반 교과

    의 유연한 반영, 교수법 적용 및 개선 등을 통한 품질 향상 환류 체계를 실현

    (6) 전주기적 학사관리

    우수 신입생의 유치로부터 시작하여, 전공 학습, 연구 활동, 산학 연계 활동, 비교과과정 참여,

    국제화 활동, 외국인 학생의 지원 등 전반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체계적이고 유연하게 지원 관리

    (7) 대학원생 연구 능력 향상

    특성화 기술 분야에 대한 전문화된 분석 및 설계 능력, 실험 전개 능력, 도구 활용 능력, 윤리 준수

    능력 등을 육성하여 대학원생의 연구 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한 우수한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역량 강화

    (8) 우수 인력 확보

    우수한 특성화 대학으로의 발전에 힘쓰는 한편, 대학원 진학 시점에 있는 국내외 우수 인재를 확보

    하기 위해 국제적 수준의 교육과정, 연구개발 환경 및 취업의 우수성 등에 대한 홍보를 활발히 수행

    하여 학생이 자발적으로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선순환 시스템화

    (9) 체계적인 진로 개발

    특화 산업 분야로의 인재 배출, 선호도 높은 취업 분야로의 진출을 지원하기 위하여 사업단 및 취업

    지원센터의 다원화된 진로 및 취업 정보 제공, 사업단 및 지도교수의 진로 상담, 대학원생의 역량

    포트폴리오 관리를 통한 체계적인 진로개발 실현

  • 11 / 995

    (10)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의 국제화

    대학원생이 글로벌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영어 강의, 해외 장단기 연수, 영어 작문 및 소통 능력 등

    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글로벌 환경의 적응력 강화

    3) 10대 전략에 근거한 CENG+ 세부 교육프로그램

    교육 10대 추진전략

    ■ 교육분야의 10대 전략을 통해 대학원생이 갖추어야 할 CENG+ 핵심 역량을 배양하고 이러한 역량을

    기반으로 지역 ICT 산업의 혁신을 주도할 글로벌 창의 인재를 양성함

    4) 교육역량분야 정량적 사업 목표

    -------------------------------------------------------------------------------------

    항목 현행(2012년 기준) 목표(최종 연도)

    -------------------------------------------------------------------------------------

    대학원생 배출 석사 70명(교수당 1.27명) 석사 80명(교수당 1.45명)

    박사 19명(교수당 0.35명) 박사 22명(교수당 0.40명)

    학위취득 후 취업률 석사 취업률 93.8% 석사 취업률 94.0%

  • 12 / 995

    박사 취업률 94.7% 박사 취업률 95.0%

    대학원생 0.062편/1인당 0.076편/1인당

    SCI(E) 논문게재 (최근3년 평균)

    대학원 외국어강의 총 강좌의 21.7%

    (최근3년 평균) 총 강좌의 30%

    강의평가 공개 100%(참여교수) 100%(전체교수)

    -------------------------------------------------------------------------------------

    - 취업률은 2012년 2월 및 8월 졸업생을 기준으로 하는 석·박사 평균 취업률

    - 대학원생의 국제 전문학술지 논문실적은 현행 대비 약 23% 향상을 목표로 설정

  • 13 / 995

    2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2.1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2.1.1 교과과정의 구성 및 운영 계획의 우수성

    1. 특성화 분야 및 교육 목표

    1) 교육목표

    -----------------------------------------------------------------------------------------------

    지역 ICT 산업 혁신에 필요한 글로벌 창의 인재 양성

    -----------------------------------------------------------------------------------------------

    ·시스템반도체, 차세대통신, 소프트웨어 및 IT융합의 4개 특성화 분야의 창의적 우수인재 양성

    ·10개의 세부 특성화 분야: 반도체회로설계, 반도체소자공정, 통신시스템/통신망, 통신신호처리,

    안테나전파광파, 시스템 SW, 임베디드 SW, 통신/보안 SW, 스마트그리드, 로봇 분야로 교육과정 특성화

    특성화 분야 운영에 따른 교육 목표

    2) 벤치마크 대학의 교육 목표 및 세부트랙

    ■ 특성화 분야 교육과정 구성을 위해 규모가 비슷한 해외 유수의 3개 대학을 벤치마킹

    -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 Carnegie Mellon University,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 14 / 995

    ■ 벤치마크 대학의 교육 목표 및 세부 트랙 분석

    - 지역에 기반을 두고 세계적인 연구중심대학을 지향하는 교육 목표

    - 9~11개의 세부 트랙을 운영하며 반도체, 통신, 소프트웨어, 융합 분야로 구분 가능

    - BK21충북정보기술사업단 목표와 세부 특성화 분야의 설정 타당함을 확인함

    벤치마크 대학 교육과정

    3) 교육과정의 구성 및 이수체계

    ■ 교과과정과 비교과과정으로 구분된 교과과정

    - 교과과정은 학부선수과목, 대학원 공통과목, 전공기초/핵심과목, 전공심화/응용과목 및 전공 연구과목

    으로 구분되고 단계별로 수강 권장

    - 비교과과정은 연구윤리, 저작권 등 대학의 연구역량강화센터에서 운영하는 필수 이수 교육 프로그램과

    툴/장비 사용법 등 비정기 프로그램으로 구분

    ■ 세부 특성화 분야별로 책임교수와 참여교수가 해당 분야의 교육 과정을 운영

    ■ 사업단 차원에서 각 분야의 운영실적을 평가하고 관리

    교과과정

  • 15 / 995

    교과과정 이수체계

    4) 교육과정의 운영

    ■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의 전략에 따라 교육과정을 운영함(괄호 속은 자세한 설명이 있는 절)

    -----------------------------------------------------------------------------------------------

    1. 대학원 통합과정 운영(4.1절)

    2. 창의·실무 교육 강화(4.2절)

    3. 산업체 연계 교육 프로그램(트랙) 운영(5절)

    4. 전주기적 학사관리(② 학사관리제도 및 수준의 우수성)

    5. 교육 품질 향상을 위한 환류 시스템 구축(6절)

    6. 전략 산업 분야별 교과과정 운영(7절)

    -----------------------------------------------------------------------------------------------

  • 16 / 995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교육과정 추진 전략

    4.1) 대학원 통합과정 운영

    -----------------------------------------------------------------------------------------------

    ·대학원 전체 학생 대상 통합: 대학원 공통 교과목 및 필수공통 비교과과정 운영

    ·세부 특성화 분야별 통합: 전공 기초/핵심과목 운영

    ·이수체계 지도를 통한 수강효과 극대화

    ·연계과정 신입생을 위한 선수과목 인정

    ·성과중심, 수요자 중심 교육 실시

    ·강의자료 홈페이지 제공

    -----------------------------------------------------------------------------------------------

    ■ 현행 교과과정 운영 형태

    - 최소 이수학점(석사: 24, 박사: 36), 최소 전공학점(석사: 12, 박사: 24)

    - 석/박사과정별로 연구과제 3학점을 취득하고, 학위논문을 제출

    - 학사과정에서 선 이수한 대학원 교과목 6학점까지 인정(동일계열 석사과정 입학)

    - 학부 내 10개의 전공공통교과목은 전공학점으로 인정되며 취득 학점에 제한 없음

    ·랜덤프로세스, 디지털신호처리, 디지털통신특론, 데이터베이스시스템, 데이터베이스설계, 디지털

    집적회로, 아날로그집적회로, 선형대수특론, 안테나공학, 수동초고주파회로

    - 부전공 과목 학점 인정

    ·타 학과 또는 타 전공과목의 인정학점은 석사, 박사과정 각각 9학점 이내

    ■ 대학원 통합과정 운영 계획

  • 17 / 995

    - 대학원 공통교과목의 운영

    ·연구방법론(연구계획, 기술작문, 논문작성법, 영어논문작성법), 산학연특강 등 공통 과목은 대학원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운영

    - 전공기초/핵심 교과목 운영

    ·전공 간 유사 교과목을 공통교과목으로 운영하여 교수당 대학원 강의시수를 감축하고 대학원 교육의

    내실화 강화

    - 필수공통 비교과 운영

    ·연구윤리 및 저작권 관련 교육으로 인터넷 또는 특강 형식으로 운영되는 필수교과목으로 대학원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운영

    - 이수체계 지도를 통한 수강 효과 극대화

    ·세부 특성화 분야별로 이수체계도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효과적인 수강을 지도함

    - 연계 과정 신입생을 위한 선수과목 인정

    ·대학원 공통과목과 전공기초/핵심과목은 대학원 학점인정 선수강 과목으로 학사과정 및 학석사 연계/

    통합 과정 학생이 수강할 수 있음

    ·비교과 필수공통 교육도 대학원 학점인정 선수강 과목으로 학부 및 학석사 연계/통합 과정 학생이

    수강할 수 있음

    ·비교과 전공실무 교육도 학부 및 학석사 연계/통합 과정 학생이 참가할 수 있음

    - 성과 중심, 수요자 중심 교육 실시

    ·현장 필요인력의 수요 예측 및 배출인력에 대한 평가를 반영하여 특성화 분야의 교과과정을 수정,

    보완하는 선순환 구조를 도입함

    ·교과과정 자문에 산학협동위원회를 적극 활용

    - 강의자료 홈페이지 제공

    ·학습효과 향상을 위해 모든 참여 교수의 강의 자료를 홈페이지를 통해서 제공함

    ·강의자료 홈페이지 제공 비율을 현행 96.7%에서 100%로 단계적으로 증가

    4.2) 창의·실무 교육 강화

    -----------------------------------------------------------------------------------------------

    ·현장반영 설계 및 실습 교과목 확대

    ·정기 연구과제 발표회 개최

    ·국내외 대학간 학점 상호인증 체계 구축

    ·산업체(연구소)와 팀티칭 제도 도입

    ·연구방법론, 연구윤리 및 저작권 교육 강화

    ·영어강의 확대 및 효과적인 어학능력 향상 기법

    -----------------------------------------------------------------------------------------------

    ■ 현장반영 설계 및 실습 교과목 확대

    - 연구, 실무능력 향상을 위하여 이론을 바탕으로 한 설계/실습 교육을 확대 운영함

    - 최신 연구/발전 동향을 반영할 수 있도록 산업체(연구소) 인사와 공동 운영

  • 18 / 995

    ■ 정기 연구과제 발표회 개최

    - 논문연구, 연구과제 등 전공연구 교과목에서 도출된 결과를 발표, 토의할 수 있는 연구과제 발표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함

    ■ 국내외 대학 간 학점 상호인정 추진

    - 해외대학 강좌 수강시 학점을 인정하는 학점 상호인정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최신선진 강좌 수강 기회

    확대

    ■ 최신 교과목에 대한 팀티칭(team teaching) 도입

    - 최신 기술을 다루는 교과목에서 관련 산업체(연구소) 인사 혹은 다수의 교수가 강좌를 공동운영하는

    팀티칭 제도를 도입하여 강의 수준과 효과를 높임

    ■ 연구계획, 논문작성법 등을 위한 연구방법론 개설

    - 연구계획, 기술작문, 논문 작성법, 영어논문 작성법 등을 체계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연구방법론을

    개설

    - (영문)발표자료 작성법, 발표기법 향상을 위한 방학특강 개설

    ■ 연구윤리 및 저작권 교육 강화

    - 올바른 연구관과 윤리의식을 확립할 수 있도록 연구윤리 및 저작권 관련 교육을 인터넷 강의 또는 특강

    형태로 운영

    ■ 영어강의 확대 및 효과적인 어학능력 향상 기법 도입

    -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석·박사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 영어강의를 확대 운영

    (현행 21.7%에서 30%로 점진적으로 확대)

    - 어학 능력 향상을 위하여 방학 중 어학 특강 지원

    - 해외 초청세미나 참석, 국제 학술대회 발표 등을 평가에 반영

    5) 산업체 연계 교육 프로그램(트랙) 운영

    ■ 분야별 산업체에 필요한 인력의 밀착 교육을 위하여 SK하이닉스 트랙, LG화학 트랙, 시스템반도체 설계

    인력양성 사업, 중소기업형 계약학과를 설치 운영하여 지역전략산업을 육성하고 특성화 산업의 전문

    인력을 양성함

    --------------------------------------------------------------------------------------------------

    트랙명 목적 참여기업

    --------------------------------------------------------------------------------------------------

    SK하이닉스 트랙 반도체 분야의 맞춤형 전문기술인력 양성 SK하이닉스

    LG화학 트랙 신재생 에너지의 핵심 산업인 전지 자동차 LG화학

    분야의 배터리산업 전문기술인력 양성

    중소기업형 산업체 소속 직원 재교육 및 직무능력 향상 아이티엠반도체,엘디티,옵토팩,어보브

    계약학과 반도체,트윔,에스앤씨,에스아이티,

    마루MCS,창명제어기술,아벨정밀,세노텍

    맥테크놀로지,인포빌,엘비세미콘,무선

    제어,ALT세미콘,비원테크,실리콘웍스,

    제니스월드

    시스템반도체 시스템반도체 분야 인력양성 기반 구축 및 아이앤씨테크놀로지,실리콘웍스,

  • 19 / 995

    설계인력양성 기업맞춤형 전문 인력 양성 매그나칩,에이디텍,이타칩스,유비콤

    사업

    --------------------------------------------------------------------------------------------------

    ■ SK하이닉스 트랙

    - SK하이닉스 반도체에서 필요로 하는 맞춤형 전문기술인력 양성 트랙

    - 졸업 후 SK하이닉스에 입사

    - 차세대무선통신 및 반도체 분야인 플래쉬메모리, 3D chip stacking, 반도체 소자 및 공정 관련 교과

    및 비교과 영역에서의 교육 활동을 통한 핵심 인재를 양성

    ■ LG화학 트랙

    - 신재생 에너지의 핵심 산업인 전기자동차(HEV 및 EV) 배터리의 전문인력 양성

    - 전기자동차 전력반도체, 전력 제어장치, 배터리 관리시스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관련 교과 및 비교과

    영역에서의 교육 활동을 통한 핵심 인재 양성

    ■ 중소기업형 계약학과

    - 산업체 소속직원 재교육 및 직무능력 향상을 위해 대학원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 운영

    - 산업체/수요자 중심 교과목을 개발하고, 회사/학생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맞춤형 교과과정을 개발

    ■ 시스템반도체 설계인력양성 사업

    - 시스템반도체 분야 맞춤형 전문 인력 양성

    - 인력수요 급증에 발맞추어 인력양성기반 구축 및 지역산업체로의 고용촉진 유도

    - 필수 설계교육(90시간 이상), SW-SoC융합RnD센터 및 충북 IDEC센터를 통한 집중 실무교육(50시간

    이상)을 통해 설계 전문인력 양성

    6)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환류 시스템 구축

    -----------------------------------------------------------------------------------------------

    ·CQI 보고서 작성 확대

    ·학생 개인 포트폴리오 작성 강화

    ·대학원 강의평가 강화 및 평가 반영

    ·수요자 의견조사 및 교육과정에의 반영

    ·대학원 학생위원회 운영

    ·세부 특성화 분야별 교육효과 분석 및 교육과정에의 반영

    -----------------------------------------------------------------------------------------------

    ■ 환류 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

    - 대학원 과정에도 교육품질 향상을 위한 환류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함

    - CQI 보고서 작성, 강의평가 강화, 수요자 의견조사 및 교육효과 분석을 통하여 교육과정을 개선함

    ■ CQI 보고서 작성 확대

    - 현재 공학인증과정을 진행하는 학부에서 CQI 보고서 작성은 교수 업적평가에 반영됨

    - 학부 강의에만 적용되는 CQI 보고서 작성을 대학원 강의로 확대함

    ■ 학생 개인 포트폴리오 작성 강화

    - 현재 공학인증과정을 진행하는 학부에서는 의무적으로 학생 개인 포트폴리오를 작성해야함

    - 대학원에서도 학생 개인 포트폴리오 작성을 의무화하여 학점이수, 논문작성 현황과 학사 일정 관리를

  • 20 / 995

    효과적으로 관리하게 함

    ■ 대학원 강의평가 강화 및 평가 반영

    - 현황

    ·충북대학교는 2000년도부터 모든 교과목에 대하여 온라인 강의평가를 실시함

    ·2012년도 모든 대학원 개설 강좌에 대한 평가 참여율은 87.3%임

    ·강의평가 결과는 교수 업적평가에 반영되어 인센티브 결정에 활용되고 있음

    ·학부교과목에 대해서는 매년 강의우수교수를 선정하여 시상하고 있음

    ·강의평가가 저조한 전임교원은 교수학습지원센터의 교수법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있음

    - 강의평가 개선 계획

    ·수강생이 적정 수 이상인 대학원 교과목에 대해서 강의우수교수로 선정 수상함

    ·수상 내역을 공개하여 대학원생의 수강과목 결정에 도움을 주도록 함

    ·강의평가가 저조한 교원은 교수법 프로그램에 참여를 제도화함

    ■ 수요자 의견 조사 및 교육과정 운영에의 반영

    - 주기적으로 개최되는 산학협동위원회와 가족회사 협의체를 통하여 교과목 수요 파악

    - 산업체 연계 트랙, 산학공동연구 수행, 공동논문지도, 산학프로젝트 Lab 등의 산학연 교류를 통해

    개선사항 피드백 받음

    ■ 대학원 학생위원회 운영

    - 대학 본부 대학원에 대학원 학생 위원회 운영

    - 단과대학 수준에서 대학원생의 대표 집단을 통해 교육과정 및 각종 사업 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반영함

    ■ 세부 특성화 분야별 교육효과 분석 및 교육과정 운영에의 반영

    - 세부 특성화 분야별 자체평가회의를 개최하여 교과과정 및 비교과과정에 대한 검토 및 분석 실시

    - 현장실습, 인턴쉽 및 공동논문지도 등의 교육효과를 분석하여 개선 사항 도출하여 교육과정 운영에

    반영할 예정임

    7) 세부특성화 트랙

    세부 특성화 트랙

  • 21 / 995

    ■ 4개 특성화 분야와 10개 세부특성화 트랙을 운영함

    ------------------------------------------------------------------------------------------------

    특성화 분야 시스템반도체 차세대통신 소프트웨어 IT융합

    ------------------------------------------------------------------------------------------------

    세부 특성화 트랙 반도체회로설계 통신시스템/통신망 시스템 SW 스마트그리드

    반도체소자공정 통신신호처리 임베디드 SW 로봇

    안테나전파광파 통신/보안 SW

    ------------------------------------------------------------------------------------------------

    7.1) 시스템반도체 분야

    ■ 세부 분야 및 책임교수

    ----------------------------------------------------------------------------------------

    세부연구분야 참여교수 책임교수

    ----------------------------------------------------------------------------------------

    반도체회로설계 김영석, 김형원, 양병도, 조태원, 최호용 김영석

    반도체소자공정 김남수, 박근형, 조경록 조경록

    ----------------------------------------------------------------------------------------

    ■ 벤치마킹 대학

    -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은 11개의 세부 연구분야, 반도체는 2개의 연구분야

    - 반도체회로설계와 반도체소자공정 분야로 Integrated Circuits & Systems과 Solid-State Electronics

    분야 운영

    - 교과과정 구성

    ·반도체회로 설계 분야는 VLSI, Simulation, High-Level Synthesis of Digital Systems 등 9개의

    교과목으로 구성

    ·반도체소자공정 분야는 Semiconductor Devices and Physics, VLSI Fabrication Techniques 등 9개

    교과목으로 구성

    - 교육과정 특징

    ·최신기술 및 최신 연구분야 관련 교과목 확대

    ·설계 및 실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과목과 실험실을 확보하여 운영함

    ·석사과정에서 설계 및 실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학위논문을 작성하지 않고 추가 학점과

    보고서로 대체하는 과정도 있음

    7.1.1) 반도체회로설계 트랙

    ■ 교육 목표

    - 반도체설계, 분석, 테스팅 능력을 갖춘 고급 기술인력 양성

    - 반도체물성을 이해하고, 다양한 종류의 집적회로의 설계능력을 갖추고, 최신 반도체설계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현장 적응력이 우수한 엔지니어 양성

    ■ 교과목 이수 체계

  • 22 / 995

    ■ 교육과정의 특징

    - 기초이론 및 설계/실습 병행 교과목 운영으로 설계 능력 및 실무 능력 향상

    - 연구 및 프로젝트 주도형 실습 병행으로 연구 능력 및 설계 능력을 갖추도록 함

    - 전공심화/응용 교과목에서 다양한 회로설계 분야의 교과목을 운영함으로써 폭넓은 회로 설계 지식을

    갖도록 유도함

    - 비교과과정인 IDEC 센터와 SW-SoC융합R&BD센터를 통한 설계 및 실무 교육을 방학 기간에 집중적으로

    수강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반도체 칩을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도록 함

    7.1.2) 반도체소자공정 트랙

    ■ 교육 목표

    - 반도체소자 및 공정에 대해 전문지식을 갖춘 고급기술인력 양성

    - 다양한 종류의 소자에 대한 특성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모델링 능력과 공정에 대한 설계 능력을 갖춘

    인력 양성

    ■ 교과목 이수 체계

    ■ 교육과정의 특징

    - 설계 및 실습을 포함한 기초 과목 운영으로 설계 능력 및 실무 능력 향상

    - 소자 및 공정 시뮬레이션 프로그램과 반도체 팹을 이용한 실습을 수업에 병행함으로써 설계 및 실무

  • 23 / 995

    능력을 갖추도록 함

    - 전공심화/응용 교과목에서 다양한 반도체소자, 공정, 설계 과정을 배움으로써, 반도체소자 및 공정의

    전 분야에 대한 지식을 확보하도록 유도함

    - 비교과과정인 IDEC 센터에서 최신 반도체소자 이론을 수강하고 실습하도록 함으로써, 반도체소자

    제작 능력을 확보하도록 함

    7.2) 차세대통신 분야

    ■ 세부 분야 및 책임교수

    ----------------------------------------------------------------------------------------

    세부연구분야 참여교수 책임교수

    ----------------------------------------------------------------------------------------

    통신시스템/통신망 최성곤, 김영주, 서보석, 유흥균 최성곤

    통신신호처리 이인성, 강현수, 서재원 이인성

    안테나전파광파 안병철, 김경석, 김 남 안병철

    ----------------------------------------------------------------------------------------

    ■ 벤치마킹 대학

    - GIT 전기전자컴퓨터대학은 21개의 연구센터 중심으로 운영, 차세대통신 관련 분야로는 4개의 센터가

    운영됨

    - 교과과정 구성

    ·공통과정으로 Manufacturing Seminar, ECE Seminar 등 6개의 교과목으로 구성

    ·통신시스템/통신망 분야는 Random Processes, Digital Communications 등 17개 교과목으로 구성

    ·통신신호처리 분야는 Advanced Digitial Signal Proces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등 17개

    교과목으로 구성

    ·안테나전파광파 분야는 전자기학 분야와 현대광학 분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자기학 트랙은 Applied

    Electromagnetics, Microwave Design 등 8개 교과목, 현대광학 트랙은 Electro-Optics, Integrated

    Optics 10개 교과목으로 구성

    - 교육과정 특징

    ·공통기초 교과목으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제조공정 세미나 등 졸업후 연구소,산업체 등 실무 연구

    개발 현장에서 필요한 교육 실시

    ·연구 분야별 학생, 교수, 외부 초청강사가 참여하는 대학원생 통합 연구 세미나 과목을 제공하여 상호

    학습을 통한 학생과 교수의 능력 발전의 기회를 제공

    ·통신시스템/통신망 분야, 통신신호처리 분야, 안테나전파광파 분야 세부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이론 기초 교과목과 실무 연구개발을 위한 교과목을 운영

    7.2.1) 통신시스템/통신망 트랙

    ■ 교육 목표

    - 통신시스템/통신망 분야의 전문지식을 갖춘 전문인력 양성

    - 무선통신 및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위한 변복조 기술, 채널처리 기술, 수신 기술, 프로토콜 기술을

    설계 및 응용할 수 있는 이론 및 실무 교육과정 제공

    ■ 교과목 이수 체계

  • 24 / 995

    ■ 교육과정의 특징

    - 통신신호처리 분야와의 다수의 공통교과목 운영

    - 기초, 이론, 설계, 실습 과정의 체계적 교과목 운영

    - 단기적 비교과과정 프로그램을 통해 시스템 설계 및 프로그래밍 능력 강화

    7.2.2) 통신신호처리 트랙

    ■ 교육 목표

    - 유무선통신 분야에 적용 가능한 신호처리 기술의 기반 지식 습득

    -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소스코딩 및 신호처리 기술 습득

    - 창의적인 아이디어 실현을 위한 실습 프로젝트를 통한 연구 수행 능력 배양

    ■ 교과목 이수 체계

    ■ 교육과정의 특징

    - 통신시스템/통신망 분야와 다수의 공통교과목을 운영함

    - 이론과 병행하는 설계교과목을 운영하여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무교육을 강화함

    7.2.3) 안테나전파광파 트랙

    ■ 교육 목표

    - 안테나전파광파 분야의 전문지식을 갖춘 고급기술인력 양성

  • 25 / 995

    - 전자파(마이크로파)에 대한 심도 있는 이론을 습득하고 이를 창의적으로 응용하여 교통, 통신, 국방,

    의료 등 다양한 분야의 산업과 기술 발전을 이끌어 갈 인력 배출

    - 안테나와 광부품소재의 설계능력을 습득하고 이를 다양한 시스템의 요구사항에 맞게 연구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

    ■ 교과목 이수 체계

    ■ 교육과정의 특징

    - 기초/핵심 교과목을 통해 튼튼히 이론적 전문지식과 분석능력 습득

    - 전공심화/응용 교과목에서 부품과 시스템의 완전한 이해를 바탕으로 높은 수준의 설계능력을 습득

    - 이론적 지식과 설계능력을 창의적으로 적용하여 새로운 안테나, 전파, 광파 기술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교육 강화

    - 비교과과정에서 전자파 간섭대책과 안테나측정 등의 분야에서 실무기술을 습득하게 하여 졸업 후

    산업체, 연구소에 진출할 연구인력으로서의 현장감과 현실문제 해결능력을 배양

    7.3) 소프트웨어 분야

    ■ 세부 분야 및 책임교수

    ----------------------------------------------------------------------------------------

    세부연구분야 참여교수 책임교수

    ----------------------------------------------------------------------------------------

    시스템 SW 류근호, 유재수, 윤은일 류근호

    임베디드 SW 최 민, 홍장의, 최경주 최 민

    통신/보안 SW 이상호, 이건명 이상호

    ----------------------------------------------------------------------------------------

    ■ 벤치마킹 대학

    - Carnegie Mellon University는 소프트스킬 분야, 시스템 소프트웨어 분야,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분야,

    통신/보안 소프트웨어 분야로 구성

    - 교과과정 구성

    ·소프트스킬 분야, 시스템 소프트웨어 분야,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분야, 통신/보안 소프트웨어 분야에

    대해 총 208개 교과목으로 구성

  • 26 / 995

    ·소프트스킬 분야는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in Technology, Leadership for Engineers 등

    3개 교과목으로 구성

    ·시스템 소프트웨어 분야는 Computer Architecture, Advanced Computer Architecture 등 8개 교과목

    으로 구성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분야는 Java for Smart Phone Development, Mobile Hardware for Software

    Engineers 등 21개 교과목으로 구성

    ·통신/보안 소프트웨어 분야는 Introduction to Security and Policy, Introduction to Information

    Security 등 31개 교과목으로 구성

    - 교육과정 특징

    ·개설 교과목이 매우 세부적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러한 여건에서 해당 분야에 대한 심도 있는 전문

    지식 습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선이수 교과목이 대부분 지정되어 있으며, 선수교과목을 정의하는 것이 매우 구체적이면서도 융통성을

    가지고 있음

    ·프로그래밍언어, 데이터베이스, 알고리즘 등의 교과목은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의 별도 학과

    에서 운영

    7.3.1) 시스템소프트웨어 트랙

    ■ 교육 목표

    - SW 시스템 구성요소로 운영체제, DB시스템, 미들웨어 플랫폼 등 전문지식 습득

    - 시스템 소프트웨어 분야의 신기술 연구 개발을 통한 전문 인력 양성

    - 창의성, 탐구력, 지속성을 겸비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의 리더형 인재 양성

    ■ 교과목 이수 체계

    ■ 교육과정의 특징

    - 이론과 실무를 중심으로 프로젝트 운영을 통한 이론의 적용 능력을 확대

    - 산업체 전문가들의 연계 강의를 통한 현장을 이해하고 현장 기술을 습득

    7.3.2) 임베디드소프트웨어 트랙

    ■ 교육 목표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이론, 프로그래밍언어, 플랫폼 등에 대한 지식 습득

  • 27 / 995

    - 실습중심의 교과운영을 통하여 임베디드 SW 분석, 설계, 개발 능력 및 실무력 증진

    ■ 교과목 이수 체계

    ■ 교육과정의 특징

    - 자생적 임베디드 SW 개발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실습/설계 중심의 교과과정 운영

    - 실용적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팀 기반의 학습 활동 수행

    7.3.3) 통신/보안 소프트웨어 트랙

    ■ 교육 목표

    - 컴퓨터통신, 보안 분야에 대한 이론적 토대가 정립된 전문 지식과 응용력 배양

    - 기술 발전 및 변화를 인지하고, 신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연구 개발 능력 향상

    ■ 교과목 이수 체계

    ■ 교육과정의 특징

  • 28 / 995

    - 깊이 있는 이론을 기반으로 다양한 분야의 시스템에 응용할 수 있는 교육 내용 운영

    - 프로젝트 기반 실습/설계 추진으로 창의성, 팀워크, 실무력 등의 향상을 유도

    7.4) IT융합 분야

    ■ 세부 분야 및 책임교수

    --------------------------------------------------------------------------------------------

    세부연구분야 참여교수 책임교수

    --------------------------------------------------------------------------------------------

    스마트그리드 고창섭, 권오민, 김성수, 김재언 권오민

    윤남식, 임기조, 최재호, 홍종필

    로봇 김영철, 김진훈, 전명근, 박태형 전명근

    박찬식, 권오욱

    --------------------------------------------------------------------------------------------

    ■ 교육 목표

    - IT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그리드 및 로봇 분야의 고급 엔지니어 양성

    ■ 벤치마킹 대학

    -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는 11개의 연구 분야가 있으며 전력 IT 분야와 제어를 담당하는

    Manufacturing system 트랙이 있음

    - 교과과정 구성

    ·스마트그리드 분야에는 Introduction to System Theory, Computer Systems in Engineering

    등 11개 교과목으로 구성

    ·Fundamental of Robotics, Electromechanical Sensors/Actuator 등 13개 교과목으로 구성

    - 교육과정 특징

    ·최신 기술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내용으로 구성하여 Topic 위주의 강의

    ·설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과목 편성이 특징

    7.4.1) 스마트그리드 트랙

    ■ 교육 목표

    - 스마트그리드 상호운용 HW/SW 핵심기술개발 및 고급인력양성

    - 스마트그리드 상호운용성 수요기반 교육인프라구축

    - 산학연관 인적네트워크구축

    ■ 교과목 이수 체계

  • 29 / 995

    ■ 교육과정의 특징

    - 전공 기초 및 핵심 교과목으로서 응용수학특론, 전자장특론등 시스템해석 및 신호처리에 대한 기초

    이론을 가질 수 있도록 함

    - 연구 및 프로젝트 주도형 실습을 병행함으로써 연구능력 및 설계능력을 갖추도록 함

    - 전공심화/응용 교과목에서 다양한 스마트그리드 분야의 교과목을 운영함으로써, 졸업생이 폭넓은

    H/W, S/W 설계 지식을 갖도록 유도함

    7.4.2) 로봇 트랙

    ■ 교육 목표

    - 복잡한 시스템들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 방법 및 원리 교육

    - 시스템의 자동화 및 지능화를 위한 모델링, 설계 및 제작 능력 구현

    - 차세대 지능 로봇의 개발을 위한 창의적 설계 능력 배양

    ■ 교과목 이수 체계

    ■ 교육과정의 특징

    - 설계 및 실습을 포함한 기초과목 운영으로 설계 능력 및 실무 능력 향상

    - 연구 및 프로젝트 주도형 실습을 병행함으로써 연구능력 및 설계능력을 갖추도록 함

    - 전공심화/응용 교과목에서 다양한 로봇, 자동화, 시스템 분야의 교과목을 운영함으로써

    졸업생이 폭넓은 H/W, S/W 설계 지식을 갖도록 유도함

    2.1.2 학사관리제도 및 수준의 우수성

  • 30 / 995

    ■ 대학원생의 입학, 지도교수 선정, 세부전공 선택, 논문 지도, 논문제출 가격시험 응시, 학위논문 심사

    등의 일련의 과정이 체계화되어있으며 '충북대학교학칙'과 '충북대학교대학원시행세칙'에 규정되어

    있음

    ■ 현행 제도에 개선을 통하여 BK21 플러스사업에 부합하는 입학부터 졸업까지의 전주기적 학사관리를

    위한 내규를 정하고 정착시키고자 함

    학사관리제도

    1) 입학 전형

    --------------------------------------------------------------------------------------------

    ·일반 석.박사 과정외 학석사 연계과정, 학석사 통합과정, 석박사 통합과정 제공

    ·석사 무시험 전형 신설 및 학부생이 수강 가능한 대학원 교과목을 지정 운영

    --------------------------------------------------------------------------------------------

    ■ 현황

    - 입학전형

    ·'대학원 신입생 모집요강'을 통해 대학원 전형일자, 모집인원, 지원자격, 전형방법, 세부일정 등을

    공지

    ·일반전형 이외에 학석사 연계과정, 학석사 통합과정, 석박사 통합과정이 있음

    - 학석사 연계과정

    ·학사과정 4∼6학기를 이수한 학생 중 선발

    ·학사과정에서 대학원 교과목 3학점 이상을 반드시 이수하여야 함

    ·선발 해당 학기 초에 학생의 희망을 고려하여 지도교수를 배정함

    ·학생이 원하는 경우 포기할 수 있으며, 학부 졸업요건을 충족하면 학사학위를 수여함

    ·연계과정 학사과정의 마지막 학기까지 연계과정 졸업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탈락됨

  • 31 / 995

    ·연계과정 석사과정의 졸업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재학연한(2.5년)내에서 이수할 수 있음

    - 학석사 통합과정

    ·입학자격은 학사과정 입학자격과 동일

    ·3학년 초에 학생의 희망을 고려하여 지도교수를 배정함

    ·통합과정 학생의 석사과정 진입 판정 사정은 학사과정 마지막 학기에 실시

    ·학사과정에서 이수한 대학원 교과목 학점은 대학원 수료학점에 포함됨

    ·졸업요건을 만족하면 석사학위를 수여하며, 필요한 경우 학사학위를 수여할 수 있음

    ·학생이 원하는 경우 포기할 수 있으며, 졸업요건을 충족하면 학사학위를 수여함

    - 석박사 통합과정

    ·입학자격은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재학생으로서 15학점 이상 취득자 또는 취득 예정자이며

    수료 예정자인 경우에는 해당하지 않음

    ·석박사 통합과정의 수업연한은 4년임

    - 학위과정별 모집인원, 모집전형

    ·대학원 모집전형은 정원내(일반전형, 학과간협동과정, 학연산협동과정)와 정원외(정부위탁생특별전형)

    가 있으며, 정원외는 석사과정만 해당함

    ·정원은 학과구분 없이 각 석사과정, 박사과정 모집과정별로 정해져 있으며, 외국인은 외국인특별전형을

    통해 정원외로 모집함

    ■ 입학전형 관련 개선 계획

    - 석사과정 무시험 전형과정 신설

    ·우리 대학 및 타 대학의 직전 학기 성적 우수자를 대상으로 무시험으로 석사과정에 입학하는 무시험

    전형과정을 신설

    ·대학원 진학률을 향상시키고, 조기에 대학원 과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 학사과정 수강가능 대학원 교과목 지정

    ·대학원 진학 희망자들이 전공지식을 조기에 습득할 수 있도록 학사과정 수강가능 대학원 교과목을

    지정함

    - 동일계열 석사과정 진학시 6학점까지 대학원 학점으로 인정

    - 교육과정 중 '대학원 공통과목', '전공 기초/핵심 과목', '필수공통 비교과과정'과 '전공실무 비교과

    과정'이 해당됨

    2) 지도교수 선정

    --------------------------------------------------------------------------------------------

    ·1인 논문지도교수제(학연협동과정은 공동지도교수제)를 기본으로 운영됨

    ·산업체(연구소) 인사가 참여하는 산학연 공동 지도교수제를 도입하고자 함

    --------------------------------------------------------------------------------------------

    ■ 현황

    - 지도교수 선정은 각 학과 주임교수가 추천하여 총장이 위촉함(충북대학교 학칙 제96조)

  • 32 / 995

    - 선정시기는 일반전형 석박사과정 입학생은 입학한 학기 초, 학석사 연계과정은 선발학기 초,

    학석사 통합과정은 3학년 초임

    - 지도교수는 학생의 희망을 고려하여 배정함

    - 학생의 학위청구논문 및 학사지도는 1인의 논문지도교수(학연협동과정의 경우, 공동지도교수)가 담당

    ■ 지도교수 선정방법 개선 계획

    - 연구의 융합 및 현장적용의 활성화를 위해 학연협동과정 이외의 과정에 대해서도 산업체 또는

    연구소의 인사가 공동으로 논문을 지도할 수 있는 산학연 공동 지도교수제를 도입할 예정임

    - 산업체 연계 프로그램 소속 학생과 취업이 확정된 학생을 대상으로 우선적으로 적용

    3) 논문 지도

    --------------------------------------------------------------------------------------------

    ·영어 Clinic/Writing Center를 통한 영어논문 작성, 교정, 발표기법 교육 지원

    ·연구윤리 및 연구방법론(연구계획, 기술작문, 논문작성법, 영어논문작성법)의 수강과

    박사의 경우 학위논문 영어 작성 필수 지정

    --------------------------------------------------------------------------------------------

    ■ 현행 대학원생 논문지도 방식

    - 졸업학점을 모두 이수하는 학기에 연구과제 교과목을 신청하여 졸업논문을 본격적으로 준비함

    - 전공별로 졸업 논문 제출 자격에 대한 별도의 규정을 가지고 있음

    - 규정에는 자격시험 이외에도 국내외 학술대회 또는 논문지에 논문 발표를 의무화함

    - 논문제출 자격이 만족되면 논문 작성계획 및 지도신청서를 제출하여 논문 작성을 시작함

    - 2012년 3월 참여교수 1인당 논문지도 학생 수는 박사 1.75명, 석사 2.77명으로 나타남

    ■ 논문지도 방식 개선 계획

    - 연구계획, 기술작문, 논문작성법, 영어논문작성법 등을 학습할 수 있도록 대학원 공통과목으로 개설

    예정인 '연구방법론'을 수강하도록 적극 권장함

    - 박사과정의 경우 영어 졸업논문 작성을 의무화하여 현재 19%의 외국어논문 작성 비율을 100%로 향상

    시킴

    - 국제학술회의 및 논문지에 대한 논문투고, 영어 학위논문 작성 시 논문작성, 교정 및 발표기법

    교정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어 Clinic/Writing Center'의 활용을 극대화 함

    4) 논문제출 자격시험 운영

    --------------------------------------------------------------------------------------------

    ·교과목과 시험방법의 다양화

    ·논문제출 자격 요건 강화

    --------------------------------------------------------------------------------------------

    ■ 현행 논문제출 자격시험 운영 방법

    - 학위논문제출 자격시험은 외국어시험과 종합시험이 있음

  • 33 / 995

    - 외국어시험 및 종합시험은 연 2회 실시하며 종합시험은 전공별로 따로 정하여 실시함

    - 외국어시험은 총장이 인정하는 외국어 평가기관의 일정 점수 취득으로 대체할 수 있음

    - 외국인 학생은 한국어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제2외국어는 면제할 수 있음

    - 종합시험은 해당 전공에서 필요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실시하고 불합격한 과목은 해당과목에 대하여

    재응시 할 수 있음. 해당과목은 주임교수가 인정하는 과목으로 대체할 수 있음

    ■ 논문제출 자격 요건 개선 계획

    - 종합시험의 다양화

    ·'전공 심화/응용 과목'에 치중되지 않고 '대학원 공통과목'과 '전공 기초/핵심 과목'도 고루 포함되어

    기초수학, 기본 이론, 전공응용 등이 골고루 포함되도록 종합시험 교과목 다양화

    ·단순 필기시험에 의한 평가에서 구술시험 혹은 설계과제/연구과제 부여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종합시험 평가 방법 다양화

    - 논문제출 자격요건 강화

    ·현재 세부 특성화 분야별로 별도로 운영되는 논문제출 자격요건에서 공통적으로 만족해야할 공통자격과

    특성화 분야별로 별도로 추가하는 자율자격으로 나누어 운영

    ·공통 자격으로 박사는 SCI급 1편 포함 전문학술지 3편, 외국학술대회 발표 1회 이상으로 석사는 국내

    학술대회발표 1회 이상과 박사는 영어 학위논문 작성이 포함될 것임

    5) 석/박사 학위 논문 심사

    --------------------------------------------------------------------------------------------

    ·세부 특성화 분야별로 공동으로 심사 진행, 외부이사 참여 비율 증가,

    최종심사 공개발표 진행 유도

    --------------------------------------------------------------------------------------------

    ■ 현행 학위논문 심사 방법

    - 논문 심사위원 구성

    ·석사논문 심사에는 3명, 박사논문 심사에는 5명의 심사위원이 참여

    ·박사논문 심사에는 외부심사 위원이 의무적으로 1명 이상 참여

    ·지도교수는 심사위원 자격으로 참여하고, 심사위원장이 될 수 없음(충북대학교 학칙)

    - 심사 진행

    ·박사학위 논문심사위원회는 논문심사 개시 후 6개월 내에 심사를 완료해야함

    단, 특별 사유가 있을 경우, 심사기간을 6개월 연장할 수 있음(대학원위원회 승인)

    ·구술심사는 제출된 논문의 타당성과 적격성을 심사하며, 심사는 논문심사위원이 겸함

    2012년도 사업단 참여 전공 외부심사위원 비중

    -------------------------------------------------------------------------------------

    구분 총회수 내부심사 외부심사 소계 외부심사위원

    위원수 위원수 비율

    -------------------------------------------------------------------------------------

    석사학위 88 256 8 264 3.03%

    논문심사

    박사학위 20 76 24 100 24%

  • 34 / 995

    논문심사

    -------------------------------------------------------------------------------------

    ■ 논문 심사방식의 개선 계획

    - 다양분야의 검증 강화와 의견수렴을 위하여 전공외의 외부 심사위원의 비중을 석사는 1명

    박사는 2명 이상으로 점차 확대

    - 세부 특성화 분야별로 공동으로 석사 및 박사 논문심사를 공동 진행하여 내부 검증을 강화하고

    진행 효율성을 향상시킴

    - 최종 논문심사 일정을 대외적으로 사전에 공지하고 공개발표 형태로 진행함

    - 재학생들도 참석하여 논문심사 과정을 미리 숙지할 수 있도록 함

    6) 수업 및 재학 연한

    --------------------------------------------------------------------------------------------

    ·개인 포트폴리오 작성과 관리 강화 및 지도교수 공동 책임제를 도입할 예정임

    --------------------------------------------------------------------------------------------

    ■ 현황

    - 수업 연한

    ·학칙, 학·석사연계과정 운영규정 및 학석사통합과정 운영규정에 일반대학원의 수업 연한은

    석사과정 2년, 박사과정 2년, 석박사 통합과정 4년, 학석사 연계/통합과정은 5년으로 규정됨

    - 연한

    ·일반대학원의 재학 연한은 석사과정 3년, 박사과정 5년 석박사 통합과정은 6년으로 정해짐

    ■ 수업 및 재학연수 장기화 방지 방안

    - 개인 포트폴리오 작성을 통하여 학사일정과 BK21 플러스사업에서 요구하는 교과, 비교과과정의

    요구조건 만족 여부를 체계적으로 관리함

    - 학생의 수업 및 재학연수가 장기화되는 경우 지도교수에 대하여 BK21 플러스사업에서 제약을 주는

    지도교수 공동 책임제 도입 운영

    7) 학사운영 내규의 제도화

    ■ 현재의 학사운영 규정

    - '충북대학교 학칙'과 '충북대학교 대학원 시행세칙'에 학사운영 관련 내용이 규정되어 있음

    ·대학원의 선발방법, 교육과정, 교과목 개설 및 수강, 지도교수 및 논문지도위원회, 논문지도 및

    논문작성, 외국어시험 및 종합시험, 논문심사, 연구과정 및 공개강좌 등

    ·각 세부 전공은 논문제출 자격 요건을 내규로 정하여 운영하고 있음

    ■ 사업단 참여교수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는 학사운영 계획

    - 사업단에 참여하는 참여교수 및 소속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외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강화된 공통 학사운영 내규를 마련하고, 미 이행시 사업단 참여를 제한함

    - 별도의 학사운영 내규는 다음의 내용을 포함하도록 결정함

  • 35 / 995

    --------------------------------------------------------------------------------------------

    ·교수 1인당 대학원 개설 교과목 수 제한

    ·공통교과목 운영 교수 가점 부여

    ·참여교수의 교수법 교육 참가 의무화

    ·우수 강의자 포상

    --------------------------------------------------------------------------------------------

    - 교수 1인당 대학원 개설 교과목 수 제한

    ·특성화 전공 분야별 공통교과목을 확대 운영하고, 강의의 내실화화 전문화를 위해 참여교수 1인당

    대학원 개설 교과목 수를 3개 내외로 제한함

    - 공통교과목 운영 교수 가점 부여

    ·특성화 전공 분야별 공통교과목 운영을 확대하기 위해 유사 교과목에 대해 공통교과목을 운영하는

    경우 가점을 부여함

    - 참여교수의 교수법 교육 참가 의무화

    ·교수법 개선을 위해 연 1회 이상 교수학습지원센터 또는 외부 기관에서 제공하는 교수법 교육 참가를

    의무화 함

    - 우수 강의자 포상

    ·대학원 강의평가를 바탕으로 우수강의자를 포상하고 가점을 부여함

    --------------------------------------------------------------------------------------------

    ·연구윤리, 연구방법론, 영어강의 교과목 수강 제도화

    ·특성화 교육을 위한 비정규 교과과정 수강 강화

    ·종합시험 교과목의 다양화

    ·졸업 논문제출 자격 요건 강화

    ·포트폴리오 작성의 의무화

    --------------------------------------------------------------------------------------------

    - 연구윤리 교육 수강 의무화

    ·석사 및 박사과정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윤리 교육 수강을 의무화 함

    - 영어강의 교과목 수강 강화

    ·매년 1개 교과목 이상의 영어강의를 수강하도록 함

    - 각종 특성화 교육을 위한 비정규 교과과정의 수강 강화

    ·세부 전공 분야별로 수시로 실시되는 IDEC 이론/실습/설계 교육, 방학특강, 전산특강 등의

    비정규교과과정의 수강을 의무화 함

    - 종합시험의 다양화

  • 36 / 995

    ·'전공 심화/응용 과목'에 치중되지 않고 '대학원 공통과목'과 '전공 기초/핵심 과목'도 고루

    포함되어 기초수학, 기본 이론, 전공응용 등이 골고루 포함되도록 종합시험 교과목 다양화

    ·단순 필기시험에 의한 평가에서 구술시험 혹은 설계과제/연구과제 부여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종합시험 평가 방법 다양화

    - 논문제출 자격요건 강화

    ·현재 세부 특성화 분야별로 별도로 운영되는 논문제출 자격요건에서 공통적으로 만족해야할

    공통자격과 특성화 분야별로 별도로 추가하는 자율자격으로 나누어 운영

    ·공통 자격으로 박사는 SCI급 1편 포함 전문학술지 3편, 외국학술대회 발표 1회 이상으로 석사는

    국내 학술대회발표 1회 이상과 박사는 영어 학위논문 작성이 포함될 것임

    - 학위취득 장기화 방지

    ·개인 포트폴리오 작성을 통하여 학사일정과 BK21 플러스사업에서 요구조건을 체계적으로 관리함

    ·석사과정 3년, 박사과정 6년을 초과하는 경우 지도교수도 BK21 플러스사업 참여에 제약을 받는

    지도교수 공동책임제 도입 운영

    8) 학생안내 매뉴얼 구비 및 홍보

    --------------------------------------------------------------------------------------------

    ·학사 운영 내규 책자 발간 및 배포

    ·포트폴리오 의무화

    --------------------------------------------------------------------------------------------

  • 37 / 995

    3 인력양성 계획 및 지원방안

    3.1 대학원생 인력 확보/배출 및 지원 계획

    3.1.1 최근 3년간 대학원생 확보 및 배출 실적

    사업단 소속 학과(부) 대학원생 확보 및 배출 실적 (단위: 명)

    T_1_1:대학원생 확보 및 배출 실적(명)

    T_2_1:실적 T_2_3:석사 T_2_4:박사 T_2_5:석·박사 통합 T_2_6:계

    T_3_1:확보

    T_3_2:2010년 D_3_3:163 D_3_4:85.5 D_3_5:6 D_3_6:254.5

    T_4_2:2011년 D_4_3:155 D_4_4:82.5 D_4_5:6.5 D_4_6:244

    T_5_2:2012년 D_5_3:171 D_5_4:75.5 D_5_5:3.5 D_5_6:250

    T_6_2:계 D_6_3:489 D_6_4:243.5 D_6_5:16 D_6_6:748.5

    T_7_1:배출

    T_7_2:2010년 D_7_3:69 D_7_4:20 D_7_5:X D_7_6:89

    T_8_2:2011년 D_8_3:79 D_8_4:19 D_8_5:X D_8_6:98

    T_9_2:2012년 D_9_3:70 D_9_4:19 D_9_5:X D_9_6:89

    T_10_2:계 D_10_3:218 D_10_4:58 D_10_5:X D_10_6:276

    3.1.2 대학원생 확보 및 지원 계획

    가. 대학원생 배출 계획

    향후 사업단 소속 학과(부) 대학원생 배출 계획 (단위: 명)

    T_1_1:연도T_1_2:대학원생 배출 계획(명)

    T_2_2:석사 T_2_3:박사 T_2_4:계

    T_3_1:1차년(2013년) D_3_2:70 D_3_3:19 D_3_4:89

    T_4_1:2차년(2014년) D_4_2:70 D_4_3:19 D_4_4:89

    T_5_1:3차년(2015년) D_5_2:73 D_5_3:20 D_5_4:93

    T_6_1:4차년(2016년) D_6_2:75 D_6_3:20 D_6_4:95

    T_7_1:5차년(2017년) D_7_2:76 D_7_3:21 D_7_4:97

    T_8_1:6차년(2018년) D_8_2:78 D_8_3:21 D_8_4:99

    T_9_1:7차년(2019년) D_9_2:80 D_9_3:22 D_9_4:102

  • 38 / 995

    T_10_1:계 D_10_2:522 D_10_3:142 D_10_4:X

    ※ 상기 목표 설정에 관한 실현가능성 및 부가설명 기술

    - 2012년 석사 70명, 박사 19명이 졸업하였음

    - 최근 이공계전문대학원이 신설되어 타 대학원으로 진학이 늘고 있음

    - 다양한 학생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우수한 졸업생들이 본교 대학원으로 진학하도록 유도할 예정

    - 2013년 및 2014년 배출 계획은 2102년 졸업 인원과 동일하게 계획을 세움

    - 2015년부터 배출 인력이 증가하여 2019년은 석사 80명, 박사 22명 배출할 계획임

  • 39 / 995

    나. 사업단의 우수 대학원생 확보 및 지원 계획

    1. 우수 대학원생 확보 계획

    ■ 우수 대학원생 유치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BK21충북정보기술사업단을 기반으로 전기·전자·정보·컴

    퓨터학부를 지역거점의 최우수 대학원으로 성장시키는 것이 중요함

    ■ 자존감을 갖는 우수 인재의 자발적 진학 여건 조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

    과 같은 전략을 실천하여 우수 인재를 초기에 확보함

    우수 대학원생 확보 전략

    1) 전략 1: 대학원 입학 설명회 개최(Graduate School Fair)

    ■ 우수 대학원생 유치를 위한 Graduate School Fair를 개최

    - 일시 및 장소: 매년 10월 30일경, 장소: 충북대학교 개신문화관

    - 운영 방안

    ·9월초부터 Graduate School Fair에 대한 포스터를 국문과 영문으로 제작 배포

    ·해외 우수 학생 유치를 위한 트위터, 페이스북 운영 및 상담

    ·Graduate School Fair 당일, 지역적 제약을 해소하기 위한 영상 상담 실시

    2) 전략 2: 산학협력 특성화 트랙을 통한 우수학생 유치

    ■ 기존 대학원 산학협력 특성화 트랙의 활성화 및 신규 유치를 통한 우수학생 유치

    ■ 운영중이거나 운영되었던 충북대학교 전기전자정보컴퓨터학부의 산학협력 특성화 트랙

    ·SK하이닉스 트랙

    ·LG화학 트랙

    ·엠텍비젼 트랙

    ·실리콘웍스 트랙

    ·중소기업형 계약학과(참여기업: 아이티엠반도체, 엘디티, 옵토팩, 어보브반도체, 트윔, 에스앤씨,

  • 40 / 995

    에스아이티, 마루MCS, 창명제어기술, 아벨정밀, 세노텍, 맥테크놀로지, 인포빌, 엘비세미콘, 무선제어,

    ALT세미콘, 비원테크, 실리콘웍스, 제니스월드)

    ·시스템반도체 설계인력양성 사업(참여기업: 아이앤씨테크놀로지, 매그나칩, 에이디텍, 이타칩스,

    유비콤)

    ■ 지원 혜택

    ·트랙 참여 학생에 대한 소정의 장학금(기업지원 장학금) 지원

    ·산학 트랙 협약 기업으로의 취업 연계

    3) 전략 3: 입학 우수자 장학금 지급

    ■ 우수 인재 유치를 위한 입학 우수 장학금 지급

    ■ 우수인재의 기준: GPA 4.0 이상 또는 토익 700점 이상자

    ■ 석사과정의 장학금 지원을 기본 지원금에 50% 증액하여 지급

    4) 전략 4: 학부생(4학년 중심)의 연구 인턴 프로그램 운영

    ■ 대학원 진학 예정자들에 대한 관심 분야의 연구실 사전 입소 및 교육

    ■ 4학년 2학기 대학원 진학자들을 위한 학점 인정 교과목 운영

    ·영어 논문 작성법, 연구 실험 방법론 등을 사전에 개설하고 대학원 학점으로 인정하는 방안

    (최대 6학점 인정)

    ■ 자료 조사 방법, 자료 분석 방법, 발표 능력 등에 대한 사전 훈련을 통해 석사과정의 연구 결과에

    대한 품질 향상 및 개인 역량 강화

    5) 전략 5: 국제 홍보를 통한 해외 우수 인재 유치

    ■ 대학원 입학 설명회 자료의 영문 버전 개발 및 해외 대학 송부

    ·상호 해외 유수 대학과의 MOU 체결을 통하여 대학원 입시 홍보 진행

    ·현재 체결되어 있는 18개 대학을 우선적으로 홍보하여 인재 육성에 노력함

    ■ 대학원 입학 설명 및 Q&A 등을 지원하기 위한 트위터나 페이스북 운영

    ■ 기존 배출된 해외 학생을 거점으로 적극적인 학생 유치 및 홍보

    2. 대학원생 지원 계획

    1) 기본 전략

    ■ 교과지원분야, 연구지원분야, 진로지원분야로 구분하여 지원 계획을 수립하되, CENG+ 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

  • 41 / 995

    우수 인재 양성 프로그램

    2) 교과지원 분야

    ■ 전략 1: 공통교과목 운영을 통한 융복합 기본 능력 향상

    - BK21충북정보기술사업단 소속의 참여전공에서 공통 학습이 요구되는 교과목을 전체 모집단의 공통

    교과목으로 지정하여 운영함

    - 특히 공통교과목 내용의 학문(전문)분야 편중을 방지하기 위하여 팀티칭을 유도함

    - 현재 운영되고 있는 공통교과목(10개 교과목)

    ·랜덤프로세스, 디지털신호처리, 디지털통신특론, 데이터베이스시스템, 데이터베이스설계, 디지털집

    적회로, 아날로그집적회로, 선형대수특론(제어), 안테나공학, 수동초고주파회로

    - 공통교과목 운영을 통한 융복합적 학문의 기본 소양 증진

    ■ 전략 2: 교과목 실습/설계 비중 확대를 통한 실무 역량 강화

    - 이론 중심의 교과목을 응용 및 실습/설계의 교육 내용으로 확대함

    - 특히 공통교과목은 실습/설계를 포함하는 학점 체계로 개편 유도

    - 대학원의 졸업학점 이수체계 변경 추진

    대학원 졸업 학점 이수 기준

  • 42 / 995

    ■ 전략 3: 강의 CQI(품질개선 환류체계)를 통한 교육 품질 향상

    - 공학인증 교육 프로그램의 교과목 CQI 체계를 대학원 과정으로 확대

    - 서술식 강의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하는 강의 개선 계획 수립

    - 강의 개선을 위한 교수법 및 학습법 세미나 실시 및 참여

    - 강의 품질 개선을 위한 보조적 활동으로 강의자료 공개 및 강의평가 결과 공개

    ·2011년: 강의자료 공개율(98.4%), 강의평가 결과 공개율(95.2%)

    ·2012년: 강의자료 공개율(100%), 강의평가 결과 공개율(100%)

    - 교과목 CQI 체계 정착을 위한 선행 활동으로 충실한 강의 계획서 작성 유도

    ·대학원 개설 강좌에 대한 우수 강의계획서 전파 및 양식 표준화

    ■ 전략 4: 산학공동 강의(팀티칭 제도)를 통한 현장 이해도 증진

    - 박사학위를 가진 산업체 전문가를 초빙하여 팀티칭 강좌 운영

    - 이론 교육 내용의 실무 적용 현황 및 활용 방안 이해 증진

    - 실무 및 현장과 연계된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현장 기술 습득

    - 산학 팀티칭 교과 운영 현황

    ·2011년: 1개 강좌(전산특강I 교과)

    ·2012년: 1개 강좌(항법유도 교과)

    - 매 학기 산학 연계 팀티칭 강의가 진행될 수 있도록 장려함

    ■ 전략 5: 트랙 기반 교과 운영을 통한 전문성 향상

    - 트랙 기반 교과과정 운영은 특성화 트랙 및 산학협력 특성화 트랙으로 구분하여 운영함

    - 특성화 트랙은 BK21충북정보기술사업단의 참여전공을 특성화 트랙으로 편성하고, 트랙 기반의 교과

    과정 이수체계도를 개발하여 적용함

    지역 특성화 산업을 반영하는 트랙 구성: 시스템반도체, 차세대통신, 소프트웨어, IT융합의

    4개 분야

    - 산학협력 특성화 트랙은 기업체와 협약을 체결하여 운영되는 트랙으로 사전에 참여학생을 선발하여

    필수 이수 교과목을 지정하여 운영함

    - 트랙 기반 교과의 운영은 체계화된 이수체계를 기반으로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추진함

    - 현재 운영중인 산학협력 특성화 트랙

    ·SK하이닉스 트랙, LG화학 트랙, 중소기업형 계약학과, 실리콘웍스 트랙, 시스템반도체 설계인력

    양성 사업(아이앤씨테크놀로지 트랙) 등 5개 트랙 운영중

  • 43 / 995

    ■ 전략 6: 영어 강의를 통한 글로벌 능력 향상

    - 재학생의 글로벌 의사 소통 능력을 배양하고, 해외 유학생의 학습 이해도 증진을 위하여 영어 강의를

    개설 운영함

    - 현재 개설되는 영어 강좌의 비율

    ·2011년: 24.71%(21/85강좌)

    ·2012년: 18.07%(15/83강좌)

    - 전체 강좌개설 대비 평균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