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사)한국농업경영인 제주도연합회는 1

1일 제주농업이 홀대받고 있다며 내년

1차산업 관련 예산을 제대로 편성할

것을 제주도에 촉구했다.

단체는 이 날 성명을 내고 2015년

도내 농림어업 총생산은 1조6338억원

으로 도내 총생산의 11.6%를 차지하며

전국평균(2.3%)보다 5배나 높지만 매

년 제주도의 예산서를 보면 1차산업을

홀대하고 있어 자괴감을 느껴왔다 며

말로만 1차산업 육성이 아니라 제주

농업이 발전할 수 있도록 내년 농림해

양수산분야 예산을 편성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단체는 매년 말 고시되는 제주도

예산 확정안 기준 2017년 농림해양수

산 예산은 특별회계를 제외한 총예산

의 12.4%로 2015년 13.6%, 2016년 12.9

%에 이어 매년 감소했다 며 농림해양

수산 예산 증가율 역시 2016년 2.4%, 2

017년 5.9%로 도 전체예산 증가율인 20

16년 7.3%, 2017년 10.4%에 크게 못미

쳐 제주도의 농업보호 의지가 의심스

럽다 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단체는 ▷내년 예산 수립

시 최소한 총예산 증가율을 반영한 농

림해양수산 분야 예산 수립 ▷농가부

채 증가의 주원인인 정책자금 자부담

비율을 낮추고 농업 융자금 이자 부담

경감 지원예산 수립 ▷후계농업경영인

등 신규 창업농이 정착할 수 있는 농업

기반 확보를 요구했다. 문미숙기자

제주항공은 베트남과 필리핀, 일본 3개

국에 제주에서 출발하는 부정기 항공

편을 띄운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국내 지방공항을 기점으로 하

는 국제선 부정기 노선을 확대하기 위

한 차원으로 10월부터 12월까지 베트

남 하노이(10월4일 7일), 일본 구마모

토(11월3 5일)와 시즈오카(11월23 25

일), 필리핀 마닐라 노선(12월28 31일)

에 각각 두 차례씩 부정기편이 운항될

예정이다.

제주항공은 일본과 동남아시아 노선

에 부정기편을 운항함으로써 중국 노

선에 편중된 제주기점 국제선의 다변

화를 꾀한다는 방침이다.

이외에도 제주항공은 오는 23일과 2

8일 청주~울란바토르 노선을 시작으

로, 9월과 10월 중에 무안공항을 기점

으로 일본 나고야, 타이완 타이베이 등

2개 노선에 전세기 운항을 준비중이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지방공항을 중

심으로 다양한 신규노선 운영을 통해

수요를 분석하고 독자적인 여객수요를

확보, 기존항공사나 후발항공사들과

차별화되는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차

원 이라며 전세기 운항을 통한 수요

분석이 끝나는 대로 내년 신규 정기노

선 계획을 확정할 예정 이라고 말했다.

채해원기자 [email protected]

올해 월동무, 양배추, 당근, 양파 재배

면적은 늘고 콜라비와 배추 등의 재배

면적은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올해년 주요 채소

류 12개품목에 대한 재배의향 조사를

지난 5월 한차례 실시한데 이어 파종

기인 8월 한달동안 실시한 재배의향 2

차조사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조사품목은 마늘, 양파, 월동무, 당

근, 양배추, 브로콜리, 콜라비 등이다.

올해조사에서 비트품목이 추가됐다.

조사결과 올해 주요 월동채소 재배

의향면적은 1만3817ha로 전년도 재배

면적 1만3216ha보다 601ha(4.5%) 증가

했다.

재배면적 증가가 예상되고 있는 품

목으로는 양파(16.4%), 적채(12.8%),

월동무(11.5%), 쪽파(6.7%), 당근(4.7

%), 양배추(2.3%), 브로콜리(2.2%), 비

트(129%) 등 8개 품목이다.

재배의향이 감소한 품목으로는 마늘

(4.7%), 콜라비(16.2%), 배추(32.5%),

방울다다기양배추(26.7%) 등이었다.

1차 조사 결과와 비교해 보면 양파,

쪽파, 당근 작목이 다소 감소했으나 월

동무, 양배추, 브로콜리, 적채, 비트 품

목 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배면적이 증가한 월동무, 양배추,

당근, 양파 품목인 경우 지난해 가격

상승에 따른 기대심리가 재배면적을

증가시킨 요인으로 제주자치도는 분석

하고 있다.

제주자치도는 올해산 채소류 적정생

산 및 수급안정을 위해 월동 채소류를

보리, 유채, 메밀 등 타 작물로 전환을

유도키로 했다. 이에 따라 월동채소 작

부체계 개선을 위한 보리 재배면적 확

대에 따른 차액보전 지원사업을 추진

하고 있다.

조상윤기자 [email protected]

국내와 해외무대에서 활약중인 제주

출신 상공인들과 도내 상공인 등 300

여명이 제주에 모여 더 큰 제주 를 함

께 고민하는 자리가 열린다.

제주상공회의소는 지난해에 이어 2

회째를 맞는 2017 글로벌 제주상공인

리더십포럼 (이하 상공인 리더십포

럼 )을 오는 18~20일 더 큰 제주를 향

한 준비 를 주제로 롯데시티호텔에서

개최한다고 11일 밝혔다.

상공인 리더십포럼은 해외, 국내, 도

내 상공인들의 화합과 네트워크를 강

화하고 제주발전을 위해 머리를 맞대

는 행사로, 2009년 제주상공인대회에서

출발해 지난해 리더십포럼으로 성장해

올해도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

정이다.

특히 제주상공회의소는 지난해 상공

인 리더십포럼에서 앞으로 대회를 더

욱 확장시켜 세계 제주인대회 를 준

비하기 위한 전담법인 설립 추진을 공

식 선언한 후 준비과정을 거쳐 8월 말

창립총회와 제주도의 법인설립 인가

후 법원 설립등기를 신청했다. 이에 따

라 올해 상공인 리더십포럼은 세계인

제주인대회 개최를 위한 글로벌 네트

워크를 쌓는 자리로 마련한다는 방침

이다.

18일 오후에 열리는 리더십포럼 개

회식에서는 박승 전 한국은행 총재(중

앙대 명예교수)의 기조강연이 예정돼

있다. 상공인포럼 세션에서는 도내 상

공인과 일본 중국 미국 등 해외와 국

내에서 활동중인 상공인들의 제주발전

에 대한 진솔하고 심도있는 의견과 제

안이 나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 수출 상품 전시회인 글로벌 마켓

과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아시

아지역의 경제성장 국가 바이어를 초

청해 해외바이어 미팅과 수출설명회도

열어 제주 제품의 수출 확대도 모색하

게 된다.

상공인 글로벌포럼에 참석하는 해

외, 국내 상공인들은 포럼 마지막날인

오는 20일에는 탐라문화제 개막행사에

도 참석할 계획이다.

문미숙기자 [email protected]

관광객, 인구 증가와 함께 외식업 프랜

차이즈가 꾸준히 늘면서 제주지역 외

식시장이 급성장해 음식점 수가 2만여

개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

주는 음식점 수가 가구수 대비 전국에

서 가장 많은 지역으로, 시장이 포화상

태에 이르며 갈수록 경쟁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상권

분석 자료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도내

음식점 수는 2만2210개(제주시 1만516

8개, 서귀포시 7042개)로 집계됐다. 이

는 2016년 말(2만1384개) 대비 3.9% 늘

어난 것으로, 주민등록인구(65만1888

명) 기준으로 환산하면 인구 29명당

식당 1곳이 존재하는 셈이다.

2015년 6월 1만5618개였던 음식점

수는 그 해 12월 1만7065개로 늘었고 2

016년 12월엔 2만개를 넘어섰다. 올해

8월 2만2833개까지 늘었던 음식점 수

는 8월에는 소폭 감소세를 나타내 업

체수 포화의 영향으로 분석되고 있다.

8월 도내 가구수가 27만4133가구로,

음식점 업소당 가구수로 환산하면 12

가구에 1개꼴이란 계산이 나온다. 이는

서울(31가구당 1개), 부산(21가구당 1

개), 경기(24가구당 1개), 대전(18가구

당 1개), 경남(17가구당 1개)과 비교할

때 가구수 대비 음식점이 전국에서 가

장 많은 수준이다. 유입인구가 꾸준하

게 늘고 있고, 관광객 등 유동인구도

많아 은퇴자와 젊은층이 상대적으로

창업이 쉬운 음식점 경영에 너도나도

뛰어들지만 그만큼 동종업계간 경쟁도

치열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음식점 분야별로는 한식이 8553개로

가장 많았다. 이어 유흥주점 3477개, 커

피점 카페 2133개, 일식 수산물 2099

개, 분식 1375개, 닭 오리요리 1102개,

양식 698개, 제과제빵 떡 케이크 696

개, 패스트푸드 500개, 중식 495개 순으

로 많았다.

음식점은 매출과 근로자 임금이 다른

업종에 견줘 상대적으로 낮아 영세업체

가 많은 업종으로 꼽힌다. 소상공인시

장진흥공단의 매출통계 자료를 보면 6

월말 기준 도내 음식점의 월평균 매출

은 2403만원으로, 전체업종의 평균매출

(3542만원)보다 1139만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고용노동부가 최근 발표

한 6월 전국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

체의 전체 근로자(상용+임시 일용) 1

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40만7000원

이고, 이 가운데 숙박 및 음식점업 근로

자의 임금은 199만6000원으로 평균임

금의 58.6% 수준에 그쳤다. 문미숙기자

2017년 9월 12일 화요일6 경 제

11일코스피지수 2359.08

+15.36▲ 코스닥지수 656.53

+2.24▲ 유가(WTI, 달러) 47.48

-1.61▼

살때 팔때 살때 팔때환율(원) 1USD 1151.91 1112.29 1EUR 1386.65 1332.55

100 1061.32 1024.82 1CNY 182.11 164.77

추석 선물세트 판매 시작 추석을 앞두고 백화점 업계가 선물세트 예약판매를 마무리하고 본판매에 돌입했다. 업계는 추석 명절 인기 상품

인 한우,굴비를 비롯한 합리적 가격의 혼합 선물세트를 선보인다. 연합뉴스

제주 음식점 29명당 1곳 치열한 생존경쟁

8월 말 2만2200여곳… 한식, 유흥주점, 일식, 분식점 순

월평균 매출 2403만원… 전체업종 매출보다 1140만원

제주~일본 필리핀 베트남 부정기편 운항

제주 출신 국내 외 상공인 제주로

■ 제주도,월동채소 재배의향 2차 조사해보니…

한농연도연합회 성명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