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197

Upload: others

Post on 21-May-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Page 2: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Page 3: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목 차

추진개요.Ⅰ ··································································· 1

배경 및 필요성1. ································································ 3

그간 추진현황2. ·································································· 4

핵심 프로젝트별 환경연구과제 도출3. ···························· 5

핵심 프로젝트 및 중기 환경연구과제 선정.Ⅱ ····· 11

최종목표1. ·········································································· 13

추진 체계도2. ···································································· 13

핵심 프로젝트별 환경연구과제 총괄3. ························· 14

핵심 프로젝트별 기술지도4. ··········································· 20

핵심 프로젝트 개요.Ⅲ ············································· 27

핵심 프로젝트1. 1 ···························································· 29

핵심 프로젝트2. 2 ···························································· 33

핵심 프로젝트3. 3 ···························································· 37

핵심 프로젝트4. 4 ···························································· 41

핵심 프로젝트5. 5 ···························································· 45

핵심 프로젝트6. 6 ···························································· 49

환경연구과제 연구계획서.Ⅳ ···································· 53

Page 4: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Page 5: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 -

추 진 개 요.Ⅰ

Page 6: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Page 7: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3 -

Ⅰ 추진 개요

배경 및 필요성1.

20 년07 발표된 평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가

보고서에 따르면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해 세기말21 지구의 평균기온은 최

대 해6.4 ,℃ 수면은 상승59cm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

우 지난 한 세기 동안 평균기온이 1. 상승하였고 이에 따른 자연생5 ,℃

태계 교란, 생물다양성 감소 이상 기온현상에 의한 가뭄 및 홍수 등 자,

연재해를 직접적으로 경험하고 있음

우리나라는 기상 이변에 대한 대안 및 국가발전 비전으로 저탄소“ 녹색성장 을”

제시하고 전, 국가적 차원의 전략수립 및 실천 방안을 추진 중에 있으며,

현재 녹색성장 주무부처인 환경부의 확고한 의지 표출 및 위상정립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임

과학원은 기후변화에 따른 수질 수자원 및 수생태를 포함한 자연생태,

변화예측 등의 연구가 미흡한 실정으로 실질적인 기후변화 대응방안 연구가

절실하며, 또한 지속 가능한 자원 순환형 사회 구현을 위한 바이오 에너지

및 자원순환관련 연구 등 미래대응 연구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산업 및 사회의 발달에 따라 국민건강 및 자연생태에 위해한 화학물질

등이 증가하는 추세로 최근 환경보건법 시행에 따른 국민건강 및

생태계 건전성을 보호유지� 하기 위한 위해성 및 환경보건 분야에 대한

과학적 평가를 위한 연구가 그 어느 때 보다 중요함

Page 8: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4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가뭄 등에 대비하기 위한� 대강 살리기4 등 급

변하는 국내외 환경변화에 선제적 대응� 을 위해 국립환경과학원 차원의

핵심 프로젝트 및 중장기 환경연구 과제에 대한 계획 수립과 선행 연구수

행으로 환경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 실천의“ ” 기틀마

련및미래연구대응체계를구축하고자함

그간 추진현황2.

핵심 아젠다 및 환경연구과제 도출( ~ ‘09.2)

미래 환경연구 과제 도출을 위한 연구방향 설정 및 향후 수행할-

연구과제 도출에 대한 협조를 받고자 전문가 중심의 자문단 구성운영․과학원- 내외부 환경전문가 자문을 거쳐 핵심 아젠다� 별로 과학원에서

수행하여야 할 환경연구과제 도출 년(2008 )

핵심 연구 아젠다

아젠다 기후변화 대응 및 저탄소 사회구현 지원 연구1 :❍아젠다 위해성에 기반한 환경관리방안 연구2 :❍아젠다 지속가능한 자원순환형 사회구축 연구3 :❍아젠다 자연생태계 보존 및 복원체계 구축 연구4 :❍아젠다 대기물토양 등 환경질 개선 연구5 :❍ ․ ․

핵심 연구 아젠다 결정‘09.2 :※

대 핵심 아젠다 및 환경연구과제 재검토(‘09.03 ~ ’09.07) 5

기존 도출 핵심 아젠다 및 환경연구과제에 대한 재검토-

각 연구부 소센터 의 주무 연구관 사 를 중심으로 한 실무추진단� ( , ) ( )

구성 및 운영(‘09.4)

추진단 회의결과-

대 핵심 연구 아젠다에 대한 명칭 및 연구분야 의견 도출� 5

Page 9: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5 -

핵심 프로젝트별 환경연구과제 도출3.

핵심 프로젝트 및 환경연구과제 선정 방법

국내 과학기술 연구과제 추진방향 반영-

국가과학기술위원회 년 정부연구개발투자 방향 녹색기술� 2010 ,「 」 「

연구개발종합대책 및 환경부 환경분야 녹색성장 실천계획 을」 「 」

반영하여 작성

선진 외국의 연구동향 반영-

� 미국 환경청 연구개발국 및 일본 국립환경(US EPA) Multi-Year Plan

연구소(NIES) 중기 연구계획을 조사하고 이 외에 영국 독일 프랑스, , ,

등 선진 외국의 최근 환경연구 동향 및 연구개발 계획 등을 참고하여

작성

명칭 아젠다 프로젝트 및 연구분야 개 개 를 변경 조정함( ) (5 6 )→ →

핵심 연구 프로젝트

프로젝트 기후변화 대응 및 저탄소 사회구현 지원 연구1 :❍프로젝트 위해성에 기반한 환경 보건 및 건강증대 연구2 :❍프로젝트 3 :❍ 자연과인간이공존하는생태계조성및복원체계연구

프로젝트 건강한 물환경 조성 및 대강 살리기 사업 연구4 : 4❍프로젝트 녹색성장을 위한 자원순환 사회구축 연구5 :❍프로젝트 6 :❍ 국민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대기질 관리기반 연구

대 핵심 프로젝트 결정‘09.8 : 6※

Page 10: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6 -

핵심 프로젝트별 대과제 개 및 중과제 개 도출 현황(19 ) (70 )

기후변화 대응 및 저탄소 사회구현 지원 연구 프로젝트- ( 1)

대과제 기후변화 적응 및 예측 연구 등 개� : " " 3

중과제� :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영향 및 취약성 평가 연구 등 개" " 11

- 위해성에 기반한 환경 보건 및 건강증대 연구프로젝트( 2)

대과제 환경오염에 의한 건강형향 규명과 예방 등 개� : " " 3

중과제 환경성질환 원인규명과 대응 연구 등 개� : " " 10

-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생태계 조성 및 복원체계 연구프로젝트( 3)

대과제 환경변화에 의한 생태계 영향 연구 등 개� : " " 3

중과제� : 국가장기생태연구를통한생태계변화모니터링추진연구 등 개" " 11

건강한 물환경 조성 및 대강 살리기 사업 연구 프로젝트- 4 ( 4)

대과제 대강사업 선도연구 등 개� : "4 " 3

중과제� : 대강 살리기 사업 전 후 물환경 종합 모니터링 등 개"4 " 15ㆍ

녹색성장을 위한 자원순환 사회구축 연구 프로젝트- ( 5)

대과제 폐자원 순환시스템 및 에너지화 연구 등 개� : " " 3

중과제� : 물질흐름 분석에 의한 자원의 순환이용 향상 연구 등 개" " 9

국민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대기질 관리기반 연구 프로젝트- ( 6)

대과제 대기질 관리 및 개선 연구 등 개� : " " 4

중과제 대기질 통합적 평가 기법 연구 등 개� : " " 14

Page 11: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7 -

연구부서별 환경연구과제 현황

각 연구부 소센터 별 과제 수- ( , )

연구부서 과제 수 연구부서 과제 수

환경건강위해성연구부 9 교통환경연구소 6

기후대기연구부 16 자원순환연구센터 7

물환경연구부 18 대강물환경연구소4 1

생태연구부 13 총 과제수 70

공동 연구과제 환경건강위해성연구부 과제 생태연구부 과제( : 3 , : 1 )※

각 연구과 소센터 별 과제 수- ( , )

연구부서 과제 수 연구부서 과제 수

위해성평가과 4 먹는물연구과 3

환경역학과 4 수질총량연구과 5

화학물질거동연구과 2 유역생태연구팀 1

화학안전연구팀 2 토양지하수연구팀 4

화학물질등록평가팀 2 자연보전연구과 3

대기환경연구과 3 생태평가과 8

대기제어연구과 3 바이오안전연구과 3

기후변화연구과 6 교통환경연구소 6

실내환경연구팀 5 자원순환연구센터 7

물환경제어연구과 5 대강물환경연구소4 1

총 과제수 70

공동 연구과제 (※ 위해성평가과 과제 화학물질거동연구과 과제: 3 , : 2 ,

화학물질등록평가팀 과제 화학안전연구팀 과제 환경역학과: 2 , : 2 , : 과제1 ,

생태평가과 과제 바이오안전연구과 과제: 1 , : 1 )

Page 12: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8 -

연구분류별 환경연구과제 현황

핵심 프로젝트 현안해결 정책지원 미래대응 계

기후변화대응및저탄소사회구현지원연구 3 3 5 11

위해성에기반한환경보건및건강증대연구 2 5 3 10

자연과인간이공존하는생태계조성및복원체계연구 3 6 2 11

건강한물환경조성및 4대강살리기사업연구 3 7 5 15

녹색성장을 위한 자원순환 사회 구축 연구 1 5 3 9

국민생활환경개선을위한대기질관리기반연구 5 4 5 14

계 17 30 23 70

※ 연구분류

현안해결 환경오염사고 및 현안사항 대응 연구- :

정책지원 환경부 등 국가정책지원 연구- :

미래대응 미래의 환경변화 대응 연구- :

Page 13: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9 -

년도 과학원 환경현안지원사업 현황 참고2009 【 】

연구사업명 주관부서 예산백만원( )

소비자 제품에 함유된 화학물질 노출실태 조사개인 위생용품에 대한 노출평가 모델 시범적용을 중심으로-

위해성평가과 45

환경 중 유기오염물질 측정분석 정도관리를 위한 표준물질적용성 평가( )Ⅱ 화학물질거동연구과 40

다매체 통합 수은 거동 연구 화학물질거동연구과 200

가스상 유해화학물질의 탐지기법 연구 화학안전연구팀 40

산성강하물 장기변동 특성과 생태계 영향Regional Scale조사 동아시아 산성강하물 사업을 중심으로-

대기환경연구과 80

중소형 도장시설에 적합한 저감기술 개발VOC ( )Ⅱ 대기제어연구과 30

소음환경영향평가 개선에 관한 연구( )Ⅱ도로교통 및 철도 소음-

실내환경연구팀 40

물 중의 미량금속 측정용 시료채취 장치 개발 물환경제어연구과 50

무기성 폐수 중 퍼클로레이트 처리방안 연구 물환경제어연구과 40

수돗물 녹물 저감을 위한 부식억제 적용성 연구( )Ⅰ 먹는물연구과 40

새로운 토양오염물질의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Ⅱ 토양지하수연구팀 30

추계학적 접근에 의한 새로운 비점오염 모델링 기법 개발과유역 적용성 평가( )Ⅱ 수질총량연구과 65

시멘트 제품의 중금속 함량에 관한 품질기준 안 및 시험방법( )연구

자원순환연구센터 30

해안지역의 자연경관 특성 및 보전 방안 연구( )Ⅲ 자연보전연구과 43

서식지 유형에 따른 종 분포특성 연구 생태평가과 70

인위적으로 조성된 생태계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Ⅱ 생태평가과 55

국가환경시료은행 표준 운영체계 구축 연구( )Ⅲ 생태평가과 50

야생동물 개체군 보전을 위한 생태축 관리방안 생태평가과 30

고라니 개체군의 안정적 유지를 위한 최적 관리방안 연구 바이오안전연구과 40

조류예보제 발령기준 적정화 방안 연구( )Ⅱ 한강물환경연구소 80

낙동강수계 생활기인 오염물질의 분석방법 확립 및 오염실태조사연구

낙동강물환경연구소 40

상류유역 강우유출수가 대청호 호수 만입부 수질에 미치는영향 분석

금강물환경연구소 40

영산강수계 자연유기물 분포 특성 및 변화 추이 연구( )Ⅰ 영산강물환경연구소 40

총 개 과제23 1,218

Page 14: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Page 15: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1 -

핵심 프로젝트 및 중기 환경연구과제 선정.Ⅱ

Page 16: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Page 17: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3 -

Ⅱ 핵심 프로젝트 및 중기 환경연구과제 선정(2010~2014)

최종목표1.

� 국가 정책기조인 저탄소 녹색성장 및 기후변화 의 전략적 정책지원을“ ”

뒷받침 하고, 환경보건법 시행에 따른 국민건강 및 생태계 건전성을

보호 유지하며� ,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가뭄 등에 대비하기 위한 대강� 4 살리기

등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선제적 대응이 필요함

이를 위해 국내 외 연구개발 방향을 반영하고 미래국가 환경연구를� ,�

주도할 수 있는 연구과제중 현안 정책 미래대응 등 과학원 대 핵심� � 6

프로젝트 및 환경연구과제를 선정하고자 함

추진 체계도2.

Page 18: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4 -

핵심 프로젝트별 환경연구과제 총괄3.

프로젝트 1 : 기후변화대응및저탄소사회구현지원연구

대과제

(3)

중과제

(11)

연구

분류※담당부서

기후변화 적응

및 예측연구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영향 및 취약성

평가 연구B 기후변화연구과

기후변화에 의한 생태계 적응방안

연구A 생태평가과

기후변화에 의한 생태계 영향 예측

및 취약성 평가 연구A 생태평가과

기후변화에 따른 수환경 및 수질변화예측모델 연구

A 수질총량연구과

기후변화에 따른 대강 먹는물 안전성4

영향 예측 및 대응 연구A 먹는물연구과

첨단기술 인공위성항공기 등 이용( , )

기후변화 예측 연구A 기후변화연구과

온실가스

저감연구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구축 및 활용 연구 C 기후변화연구과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 평가모델 개발

및 평가 관리방안 연구B 기후변화연구과

자동차 온실가스와 배출오염물질 최소화

전략수립 연구C 교통환경연구소

저탄소사회

기반 구축 연구

저탄소사회 시나리오 및 이행계획

수립 연구B 기후변화연구과

수송용 저탄소 연료 보급 기반구축 연구 C 교통환경연구소

※연구분류

미래대응 미래의환경변화대응연구- (A) :

현안해결 환경오염사고및현안사항대응연구- (B) :

정책지원 환경부정책지원연구- (C) :

Page 19: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5 -

프로젝트 위해성에기반한환경보건및건강증대연구2 :

대과제

(3)

중과제

(10)

연구

분류※담당부서

환경오염에 의한

건강영향 규명과

예방 연구

환경성질환 원인규명과 대응 연구 C 환경역학과

환경보건지표 생체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C 환경역학과

인체노출 및 건강영향 조사 진단

평가B 환경역학과

실내 생활환경 유해인자의 인체영향

연구A 실내환경연구팀

환경오염물질의

위해성관리 및

평가 연구

다매체 거동 및 환경위해성 평가 연구 B화학물질거동연구과

위해성평가과

환경위해성 관리 및 위해도 저감방안

연구C 위해성평가과

화학물질의 글로벌 규제 대응 연구 C환경건강

위해성연구부

화학물질 안전관리 사고대응 선진화

연구C 화학안전연구팀

교통환경 오염원의 위해성 평가

연구A 교통환경연구소

독성

위해성평가의

선진화 기술 연구

독성 위해성 예측 및 신기술 연구/ A위해성평가과

화학물질등록평가팀

※연구분류

미래대응 미래의환경변화대응연구- (A) :

현안해결 환경오염사고및현안사항대응연구- (B) :

정책지원 환경부정책지원연구- (C) :

Page 20: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6 -

프로젝트 자연과인간이공존하는생태계조성및복원체계연구3 :

대과제

(3)

중과제

(11)

연구

분류※담당부서

환경변화에 의한

생태계 영향 연구

국가장기 생태연구를 통한 생태계

변화 모니터링 추진A 생태평가과

환경시료은행을 활용한 환경오염

원인규명에 관한 연구A 생태평가과

생태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및

활용 연구

유해 야생동식물 적정 관리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연구C

생태평가과,

바이오안전연구과

자연환경조사자료 분석 및 활용 C 생태평가과

전국 생태계 네트워크 구축 및 생태축

관리C 자연보전연구과

보호지역의 합리적인 지정과 관리를

위한 연구C 자연보전연구과

지속가능한 생태계

보전복원 연구

의 생태계 영향평가 및 안전LMO

관리C 바이오안전연구과

야생동물 인수공통질병 예방 연구

기반 구축 및 네트워킹B 바이오안전연구과

지속가능한 생태계 이용체계 확립

연구B 자연보전연구과

도시림 관리 및 도시 생물서식

공간 조성 연구C 생태평가과

훼손 또는 오염된 생태계 복원 연구 B 생태평가과

※연구분류

미래대응 미래의환경변화대응연구- (A) :

현안해결 환경오염사고및현안사항대응연구- (B) :

정책지원 환경부정책지원연구- (C) :

Page 21: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7 -

프로젝트 건강한물환경조성및 대강살리기사업연구4 : 4

대과제

(3)

중과제

(15)

연구

분류※담당부서

대강 사업4

선도 연구

대강수계 실시간 수질 예경보 및4 ․사전오염예방지원 시스템 구축

C 수질총량연구과

대강 살리기 사업에 따른 단계 수질4 2

오염총량제 목표수질 재설정 방안 연구 C 수질총량연구과

대강 살리기 사업 전후 물환경 종합4 ․모니터링 C 물환경제어연구과

고분광 위성영상을 이용한 환경모니터링기법 개발 A 수질총량연구과

하상변동 예측과준설량및주기산정연구 B 수질총량연구과

준설토 토양환경 안정성 평가 연구 B 토양지하수연구팀

대강 중점관리지역 하수종말처리장의4

물리화학적 인 최적처리 및(BAT)․최적관리 방안 연구(BMP)

A 물환경제어연구과

저류시설댐보군을 연계한 수계 유입( , )

오염물질의 거동 및 수질관리방안 연구 A 대강물환경연구소4

선진 물환경관리

기반 구축 연구

물환경중 유해오염물질 전과정 통합평가 및 정책지원시스템 개발 A 물환경제어연구과

공공수역의 건강성 확보를 위한 관리기준 및 제도연구 C 물환경제어연구과

하 폐수 고도처리 및 물순환 이용체계�

개선 연구 C 물환경제어연구과

수생태 건강성 회복 방안 연구 A 유역생태연구팀

토양지하수 오염물질 기준 및 평가에․관한 연구 C 토양지하수연구팀

먹는물 위기대응

체계 구축 연구

먹는물 수질관리 및 공급 선진화 연구 C 먹는물연구과

물환경에서의 유해미생물 안전관리 연구 B 먹는물연구과

※연구분류

미래대응 미래의환경변화대응연구- (A) :

현안해결 환경오염사고및현안사항대응연구- (B) :

정책지원 환경부정책지원연구- (C) :

Page 22: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8 -

프로젝트 녹색성장을위한 자원순환사회구축연구5 :

대과제

(3)

중과제

(9)

연구

분류※담당부서

폐자원 순환시스템

및 에너지화 연구

물질흐름 분석에 의한 자원의 순환

이용 향상 연구C 자원순환연구센터

고부가가치 희귀금속 회수 및 자원화

방안 연구A 자원순환연구센터

폐유기물질의 석유대체 에너지화 방안

연구A 자원순환연구센터

폐기물의 자원화 및 안전처리 연구 C 자원순환연구센터

폐기물 최적 관리

및 청정기술 연구

유해폐기물 평가항목 및 기준설정에

관한 연구C 자원순환연구센터

재활용 제품의 유해성관리 기반

연구B 자원순환연구센터

유해폐기물 처리 저감 무해화

연구A 자원순환연구센터

효율적인토양자원

순환시스템구축연구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위해성

평가체계 구축 연구C 토양지하수연구팀

오염토양 정화 기술의 최적화

연구C 토양지하수연구팀

※연구분류

미래대응 미래의환경변화대응연구- (A) :

현안해결 환경오염사고및현안사항대응연구- (B) :

정책지원 환경부정책지원연구- (C) :

Page 23: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9 -

프로젝트 국민생활환경개선을위한대기질관리기반연구6 :

대과제

(4)

중과제

(14)

연구

분류※담당부서

대기질 관리 및

개선 연구

대기질 통합적 평가 기법 연구 A 대기환경연구과

기후 및 대기환경 통합시스템 구축

연구B 기후변화연구과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등에

대한 국제공동 연구A 대기환경연구과

대기 입자상물질 모니터링 및(PM)

관리 연구B 대기환경연구과

배출오염원최적관리

및 청정기술 연구

유해대기오염물질 관리 및(HAPs)

저감 연구C 대기제어연구과

대기오염물질 제어 및 배출저감

연구B 대기제어연구과

오염물질 배출원 규명 배출량 인벤토리

구축B 대기제어연구과

국민공감

생활환경 조성 연구

실내공기오염물질 저감기술 연구 B 실내환경연구팀

실내공기질진단평가시스템개발연구 C 실내환경연구팀

소음 인체노출평가 및 체감지수 개발 A 실내환경연구팀

소음 예측모델 및 방음소재 개발 연구 A 실내환경연구팀

교통환경 오염물질

배출저감 연구

자동차 배출가스 제로화 방안 연구 A 교통환경연구소

비도로 이동오염원배출저감 연구� C 교통환경연구소

이동오염원 대기오염물질 배출통계

시스템 구축C 교통환경연구소

※연구분류

미래대응 미래의환경변화대응연구- (A) :

현안해결 환경오염사고및현안사항대응연구- (B) :

정책지원 환경부정책지원연구- (C) :

Page 24: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20 -

핵심 프로젝트별 기술지도4. (Technical road map)

프로젝트 1 : 기후변화대응및저탄소사회구현지원연구

대과제 중과제추진일정

2010 2011 2012 2013 2014

기후변화 예측 및

적응 연구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영향 및 취약성

평가 연구

기후변화에 의한 생태계 적응방안 연구

기후변화에 의한 생태계 영향 예측 및

취약성 평가 연구

기후변화에 따른 수환경 및 수질변화

예측모델 연구

기후변화에 따른 대강 먹는물 안전성4

영향 예측 및 대응 연구

첨단기술 인공위성 항공기 등 이용( , )

기후변화 예측 연구

온실가스저감연구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구축 및 활용 연구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 평가모델 개발

및 평가 관리방안 연구

자동차 온실가스와 배출오염물질 최소화

전략수립 연구

저탄소사회

기반구축 연구

저탄소사회 시나리오 및 이행계획 수립

연구

수송용 저탄소 연료 보급 기반구축 연구

Page 25: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21 -

프로젝트 위해성에기반한환경보건및건강증대연구2 :

대과제 중과제추진일정

2010 2011 2012 2013 2014

환경오염에 의한

건강영향 규명과

예방 연구

환경성질환 원인규명과 대응 연구

환경보건지표 생체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인체노출 및 건강영향 조사 진단 평가

실내 생활환경 유해인자의 인체영향연구

환경오염물질의

위해성 관리 및

평가 연구

다매체 거동 및 환경위해성 평가 연구

환경위해성 관리 및 위해도 저감

방안 연구

화학물질의 글로벌 규제 대응 연구

화학물질안전관리 사고대응선진화 연구

교통환경 오염원의 위해성 평가 연구

독성 위해성평가의

선진화 기술 연구독성 위해성 예측 및 신기술 연구/

Page 26: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22 -

프로젝트 자연과인간이공존하는생태계조성및복원체계연구3 :

대과제 중과제추진일정

2010 2011 2012 2013 2014

환경변화에의한생태계

영향 연구

국가장기 생태연구를 통한 생태계

변화 모니터링 추진

환경시료은행을 활용한 환경오염

원인규명에 관한 연구

생태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및 활용 연구

유해 야생동식물 적정관리를 위한

통합 관리시스템 구축 연구

자연환경조사자료 분석 및 활용

전국 생태계 네트워크 구축 및

생태축 관리

보호지역의 합리적인 지정과 관리를

위한 연구

지속가능한생태계보전

복원연구

의생태계영향평가및 안전관리LMO

야생동물 인수공통질병 예방 연구기반

구축 및 네트워킹

지속가능한생태계이용체계확립연구

도시림 관리 및 도시 생물서식 공간

조성 연구

훼손 또는 오염된 생태계 복원 연구

Page 27: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23 -

프로젝트 건강한물환경조성및 대강살리기사업연구4 : 4

대과제 중과제추진일정

‘10 ‘11 ‘12 ‘13 ‘14

대강 사업 선도 연구4

대강수계 실시간 수질 예경보4 ․및 사전오염예방지원 시스템 구축

대강 살리기 사업에 따른 단계4 2

수질오염총량제 목표수질 재설정방안 연구

대강 살리기 사업 전후 물환경종합4 ․모니터링

고분광 위성영상을 이용한 환경모니터링 기법 개발

하상변동 예측과 준설량 및 주기 산정연구

준설토토양환경안정성평가연구

대강 중점관리지역 하수종말처리4

장의 물리화학적 인 최적처리․(BAT) 및 최적관리 방안(BMP)

연구저류시설댐보군을 연계한 수계( , )

유입오염물질의 거동 및 수질관리방안 연구

선진 물환경관리

기반 구축 연구

물환경중 유해오염물질 전과정

통합평가 및 정책지원시스템 개발

공공수역의 건강성 확보를 위한

관리기준 및 제도연구

하 폐수 고도처리 및 물순환�

이용체계 개선 연구

수생태 건강성 회복방안 연구

토양지하수 기준․ 및 평가에 관한연구

먹는물 위기대응 체계

구축 연구

먹는물 수질관리 및 공급 선진화

연구

물환경에서의 유해미생물 안전

관리 연구

Page 28: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24 -

프로젝트 녹색성장을위한 자원순환사회구축연구5 :

대과제 중과제추진일정

2010 2011 2012 2013 2014

폐자원 순환시스템

및 에너지화 연구

물질흐름 분석에 의한 자원의 순환

이용 향상 연구

고부가가치 희귀금속 회수 및

자원화 방안 연구

폐유기물질의 석유대체 에너지화

방안 연구

폐기물의 자원화 및 안전처리 연구

폐기물 최적관리 및

청정기술 연구

유해폐기물 평가항목 및 기준설정에

관한 연구

재활용 제품의 유해성관리 기반 연구

유해폐기물 처리 저감 무해화 연구

효율적인 토양자원

순환 시스템 구축

연구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위해성

평가체계 구축 연구

오염토양 정화 기술의 최적화 연구

Page 29: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25 -

프로젝트 국민생활환경개선을위한대기질관리기반연구6 :

대과제 중과제추진일정

2010 2011 2012 2013 2014

대기질 관리 및

개선 연구

대기질 통합적 평가 기법 연구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등에 대한

국제공동 연구

대기 입자상물질 모니터링 및(PM)

관리 연구

기후 및 대기환경 통합시스템 구축 연구

배출오염원

최적관리 및

청정기술 연구

유해대기오염물질 관리 및 저감(HAPs)

연구

대기오염물질 제어 및 배출저감 연구

오염물질 배출원 규명 배출량 인벤

토리 구축

국민공감 생활

환경 조성 연구

실내공기오염물질 저감기술 연구

실내 공기질 진단평가 시스템 개발 연구

소음 인체노출평가 및 체감지수 개발

소음 예측모델 및 방음소재 개발 연구

교통환경 오염

물질 배출저감

연구

자동차 배출가스 제로화 방안 연구

비도로 이동오염원 배출저감 연구

이동오염원 대기오염물질 배출통계

시스템 구축

Page 30: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Page 31: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27 -

핵심 프로젝트 개요.Ⅲ

Page 32: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Page 33: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29 -

Ⅲ 핵심 프로젝트 개요

필요성I.

❍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가 인간과 자연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하여 지구온난화 문제 해결 및 저탄소사회 실현 방안 마련 필요

저탄소 사회 실현을 위해서는 정확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고 이를- ,

감축하기 위한 구체적 감축 계획이 요구됨

영향평가취약성 평가 및 적응대책 수립의 기초 자료 제공 등 기반 기술 확보❍ ․차원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예측 기술을 시급하게 추진해야 함

- 국제적 이슈가 되고 있는 지구온난화 유발 물질온실가스 황사 및 장거리( ),

대기오염물질 간 상호 작용으로 인해 기후변화의 기작이 복잡화됨

❍ 전 지구적인 지구온난화 방지 노력에 적극 동참하고, 기후무역장벽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이 필수적

연구동향II.

미국

미국 환경보호청 는 년 전체예산 억불 중 깨끗한 공기와EPA( ) 2010 105❍지구기후변화 분야에 인 억불 배정10.2% 10.6

지구변화 연구프로그램을 통해 기후변화 및 그에 따른 생태계 건강- ,

연구 등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다개년 계획,

을 수립 중에 있음(Mulit-Year Plan)

Page 34: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30 -

영국

❍ 영국의 경우는 년에 신설된 에너지기후변화부2008 (Department of Energy․에서and Climate Change, DECC) Defra(Department for Environment,

의 에너지 정책 및Food and Rural Affairs) BERR(Department for Business,

의 기후변화 완화 정책 추진Enterprise and Regulatroy Reform)

영국 정부는 년 제정된 기후변화법 을 통해- 2008 (Climate Change Act)

년까지 년 대비 의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하고 년2050 1990 80% , 2009

예산에서 년 까지 년간 저탄소 분야에 억불 규모 투자2011 3 733

영국 는 저탄소 정책을 추진하기 위하여 저탄소 에너지 공급- DECC , ,

저탄소 비즈니스 탄소배출목표 저탄소시장 제도 탄소감축 공약, , , ,

저탄소 건물 프로그램을 추진

일본

❍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에서는 제 기 중기계획 년도으로(NIES) 2 (2006~2010 )

기후변화 연구프로그램을 포함한 개 집중 연구 분야를 선정하여 연구 추진4

- 온실가스의 장기적 농도 변화 메커니즘과 그 지역 특성 분석 위성으로,

이산화탄소 등의 관측 및 탄소 수지 분포 추정 기후영향토지 이용, ․ ․모델 통합을 통한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탈 온난화 사회 실현을 위한,

비전 구축 및 대책의 종합 평가 등 추진

독일

독일 연방정부는 년 환경관련 개 법 조항을 제정하고 기후와2007 27 ,❍환경보호를 위한 프로그램을 신설

❍ 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만큼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2020 36%

법안을 통과시킴

독일 연방환경청 에서는 다양한 관점에서의 기후변화 연구를- (UBA)

추진 중이며 이산화탄소 및 메탄가스 방출 감소를 위한 연구 추진,

헬름홀츠 환경연구센터 에서는 기후변화가 수리수문 및 취약한- (UFZ) ․수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

Page 35: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31 -

기타

❍ 주요 선진국들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감축 노력을 진행 중

- 일본의 경우 국, 립환경연구소 주관으로 각 분야별 국가 온실가스 감축(NIES)

목표설정 및 대 감축 실천 계획 수립10

❍ 현재까지 국내의 기후변화 예측 감시 관련 연구 동향은ㆍ

- 기후변화 감시 분야는 제주 고산사이트에서의 온실가스 감시 프로젝트 정도의 수준

- 예측 분야는 기후와 대기환경이 동시에 고려된 통합적인 연구는 수행된 적이

없었으나,

- 환경부에서 년부터‘07 기후 및 대기환경 예측 모델 선정 및 수행에 대한

기반 기술을 확보 추진 중

세부 연구과제 대 중과제III. ( / )

❍ 기후변화 적응 및 예측연구 대과제[ ]

-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영향 및 취약성 평가 연구

기후변화에 의한 생태계 적응방안 연구-

기후변화에 의한 생태계 영향 예측 및 취약성 평가 연구-

기후변화에 따른 수환경 및 수질관리 예측모델 연구-

- 기후변화에 따른 대강 먹는물 안전성 영향 예측 및 대응 연구4

- 첨단기술 인공위성 항공기 등 이용 기후변화 예측 연구( , )

❍ 온실가스 저감연구 대과제[ ]

-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구축 및 활용 연구

-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 평가모델 개발 및 평가 관리방안 연구

- 자동차 온실가스와 배출오염물질 최소화 전략수립 연구

❍ 저탄소사회 기반 구축연구 대과제[ ]

- 저탄소사회 시나리오 및 이행계획 수립 연구

- 수송용 저탄소 연료 보급 기반구축 연구

Page 36: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32 -

기대효과IV.

❍ 위성 항공기 및 지상 슈퍼사이트 등 시공간적으로 고해상도 기후변화, ․감시자료 제공을 통한 기후변화 현황 및 향후 전망에 대한 기초 자료 확보

❍ 기후 및 대기환경 통합 예측 모델링 구축운용을 통해 각 부문별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대책 도출에 가장 기본적인 입력자료 제공 가능

❍ 선진국 수준의 국가 기후변화 적응 대책 수립 및 시행을 통해 녹색 성장

기회 창출

❍ 저탄소 사회 구현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 기반 구축

❍ 온실가스 감축 국가 목표 설정안 마련을 통한 실행 계획 및 관리 체계 확립( )

Page 37: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33 -

필요성I.

❍ 환경오염과 유해화학물질로부터 국민건강과 생태계의 건전성을 보호유․ 지하기위한 국가 환경정책 강화

미국 등 선진국의 환경연구 기반은 위해성에 바탕을 두고 있음❍❍ 과학원은 환경유해인자의 위해성기준 마련과 더불어 위해성평가 수행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 환경부는 환경 유해인자의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고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위해성 기준 초과 환경유해성 인자의 관리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임

연구동향II.

미국

미국 환경보호청 는 환경과 인간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EPA( )❍위해성평가 및 관리를 연구개발 목표의 근간으로 두고 있음 또한 환경.

관련법은 근본적으로 위해도 감소를 목표로 하고 있음

인체 및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물질의 유해성 및 화학물질의-

위해성 저감에 집중

- 환경 및 인간의 건강과 관련하여 향후 년간 예상 성과를 파악 및 결정5 하며,

이를 달성할 방법을 제시한 후 의 연간 기획예산회계 기준 마, EPA � � 련

❍ 화학물질 생산시설에서 부터 지역사회 전반에 걸쳐 화학물질로 부터의

유해저감 및 위해성 축소 정책 기조로 사람의 건강보호를 최우선으로 함

❍ 최첨단 과학 정보 모델 방법 및 분석 등을 통한 인간지역사회생태계의, , � �

건강유지를 위한 과학적인 정책결정 틀 유지

Page 38: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34 -

일본

❍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의 경우 대 중점 프로그램 중 하나로 환경(NIES) , 4

위해성 연구 를 추진중임(Environmental Risk Research Program, ‘06 ’10)~

- 화학물질을 비롯한 환경유해물질 노출 요소(factors)들을 종합적으로 분석

- 위해성평가에 대한 새로운 기법 환경오염 및 질환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추진

❍ 대량유통 화학물질의 정보제공 및 국가간 화학물질 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음

또한 건강피해 사업의 예방 환경 유해인자 방지기술 및 관련 정책,❍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위해성 분야 연구도 추진하고 있음,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위해성 연구분야 핵심연구과제※

환경성질환 원인규명과 대응 연구1.

환경보건지표 생체지표 개발2. /

인체노출 및 건강영향 조사진단평가3.

생활환경유해인자의 인체영향연구4.

독일

독일은 헬름홀츠 환경연구센터 를 중심으로 사회 전 분야에 걸친(UFZ)❍포괄적인 분야의 연구를 추진하고 있음

❍ 원인영향관계 를 밝혀내고 복잡한 환경오염에 대해 신뢰할 수 있는- -「 」

위험성 평가기반 구축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의 건강연구부는 유해 물질의 영향력에 관한 실험실 규모의 실험- UFZ

및 여러 종류의 유해 물질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예측 가능한 모델의

개발 등을 추진하고 있음

Page 39: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35 -

프랑스

❍ 프랑스는 국립과학연구소 및 농업환경공학연구소 를(CNRS) (Cemagref)․중심으로 포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국립산업환경연구소 에서는 년 중장기 발전계획을(INERIS) ‘06 ~ ’10❍수립하고 정부의 지속가능개발 목표에, 부합되도록추진하고있음

의 개 중점연구 프로그램INERIS 4※

프로그램 리스크 예방 및 환경오염 대처1. 181 :

프로그램 기술 리스크 예방 감독 및 산업 개발2. 127 : ,

프로그램 광산 개발 후 사후관리3. 174 :

프로그램 위해성 및 오염 분야 연구4. 189 :

와 다른 성격의 에서는 수자원 해양 폐기물 국토관리CNRS Cemagref , , ,❍연구를 프랑스표준협회 유럽표준화위원회 국제표AFNOR( ), CEN( ), ISO(

준화기구 등의 참여를 유도하여 위해성 평가 연구 분야의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세부 연구과제 대 중과제III. ( / )

환경오염에 의한 건강영향 규명과 예방 연구❍ 대과제[ ]

- 환경성질환 원인규명과 대응 연구

- 환경보건지표생체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인체노출 및 건강영향 조사진단평가․ ․- 실내 생활환경 유해인자의 인체영향 연구

환경오염물질의 위해성관리 및 평가 연구❍ 대과제[ ]

- 다매체 거동 및 환경위해성 평가연구

- 환경위해성 관리 및 위해도 저감방안 연구

- 화학물질의 글로벌 규제 대응 연구

- 화학물질 안전관리 사고대응 선진화 연구

- 교통환경 오염원의 위해성 평가 연구

Page 40: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36 -

독성 위해성평가의 선진화 기술 연구❍ 대과제[ ]

- 독성 위해성 예측 및 신기술 연구/

기대효과IV.

사전 예방적 측면의 위해성 중심 연구 강화로 선진국형 환경연구 지향❍환경건강 영향과 위해성 평가와의 연계성 강화❍선진국 수준의 위해성 기반 환경관리방안 강화 및 확대❍

Page 41: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37 -

필요성I.

❍ 환경변화기후변화 환경오염 등로 인한 자연생태분야의 영향과 취약성을( , )

평가하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사전예방 차원의 적응대책 추진 필요,

- 경제사회 환경변화 및 남북관계 변화에 따른 중장기 생태계변화 추적과

예측을 통한 생태계변화 대응책 강구 필요

❍ 생태계는 여러 유형의 생태계들이 상호 유기적 관계를 맺고 있는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이들 생태계를 통합관리 할 수 있는 도구 가 필요함(tools)

- 국토생태네트워크 및 생태축 관리를 위한 통합적 생태계 조사연구 필요․- 양자간 또는 다자간 국제문제에서 국내생태계평가 및 환경요인과 연관된

생태계변화상 추정에 대한 수용성 충족 필요 증대

지금까지의 자연보전정책은 주로 생태계 조사 보호지역의 설정 등에,❍맞추어져 왔으며 훼손된 생태계 복원을 위한 적극적 노력은 부족,

- 외래종 도입과 영향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도입,

외래종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그에 따른 사전 예방적 대책이 미흡함,

- 인구증가 세계화 및 생명공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의 개발 및 이용, LMOs

증가에 따른 자연생태계 노출 및 생태계 영향 연구의 필요성 증대

- 조류인플루엔자 사스 등과 같은 야생동물 관련 인수공통질병 출현,

가능성과 빈도 증가 예상에 따라 대책 마련 연구 강화 필요,

연구동향II.

미국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 관련 연구 동향❍- 미국 CCSP 에서 생태계(Climate Change Science Program) ‘ 분야를’

Page 42: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38 -

포함한 총 개 분야의 기후변화 관련 연구를 주관10

국가 생태계 서비스 인벤토리를 개발하기 위해 전문가 검토를 거쳐-

특정 생태계 서비스의 전국 지도 인벤토리 시스템 및 모델을 통합한,

다개년 연구개발 계획 완성

- 이외에 유전자변형 식품에서 기인한 알러지 유발 위해성 관련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임

일본

❍ 일본 환경성 지구온난화 문제 검토위원회 산하에 지구온난화 영향평가 작업「

그룹 을 설립 지구온난화 영향평가서 차 차 발간, (1 3 ) (‘95. 12)」 ~

❍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의 개 연구영역중 하나인 생물권 환경 연구영역을(NIES) 6 “ ”

중심으로 생태계의 생물 개체군과 생물간 상호작용 관련 연구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중점과제 예NIES ( )※

1. 침입생물유전자 조작 생물의 유전적 다양성 영향 평가에 관한 연구�

2. 지역과 연계하여 유전적 다양성을 고려한 희소 식물 보전

유전자 변형 콩의 야생종 유전자 침투에 관한 연구3.

4. 잡종 적응도 분석 및 종간 경쟁을 이용한 개체 수 제어 등 다수의 연구

독일

❍ 독일 헬름홀츠 환경 연구센터 의(UFZ) 생물다양성및육상생태계연구부「 」를

중심으로 개의 핵심 연구분야를 중심으로 생물 다양성관련 연구를 진행4

대 핵심 연구분야 예UFZ 4 ( )※

지표생물 및 범람원의 역할에 대한 연구1.

서식지의 구조 및 개체 생태에 대한 연구2.

생태 보존을 위한 개념 및 방법 연구3.

생태계 교란 관련 육상 생태계 거동에 대한 연구4.

Page 43: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39 -

프랑스

❍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소 소속 생태환경연구소 에서는 기후(CNRS) (INEE)

변화 생태계보존 생물다양성 보건 환경 지속가능발전 등 복합적인, , , � ,

분야에 집중하고 있음

기타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 관련 연구 동향❍- 은 매년 지구환경의 전 분야 평가를 수행하고UNEP , GEO(Global

Environment 보고서 발간Outlook)

❍ 생태계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및 활용 관련 연구 동향

- 등 생태계 관련 국제협약은CBD(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생태계 보전을 선도하는 생태계기준을 마련하고 각국의 이행을 촉구하고,

이행성과를 평가

- 환경부에서는 한반도 핵심 생태축 보전과 생태 네트워크 조성을 주요한

핵심 과제로 선정하여 추진 중

- 람사르협약CBD, ,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등의 국제협약은 지구적 보전과 복원 대상지역 선정과 관리를 위한 기준과

지침을 마련하고 관리 성과를 평가

❍ 생태계 보전 및 복원 관련 동향

- 선진국은 보전 및 복원 대상 생태계를 유형별로 목록화하고 명세 작성

년대 중반부터 환경부를 중심으로 생태계 복원 연구 수행- 1990

세부 연구과제 대 중과제III. ( / )

❍ 환경변화에 의한 생태계 영향 연구 대과제[ ]

- 국가장기 생태연구를 통한 생태계 변화 모니터링 추진

Page 44: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40 -

- 환경시료은행을 활용한 환경오염 원인규명에 관한 연구

❍ 생태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및 활용연구 대과제[ ]

유해- 야생동식물 적정관리를 위한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연구

- 전국 생태계 네트워크 구축 및 생태축 관리

- 자연환경조사자료 분석 및 활용

- 보호지역의 합리적인 지정과 관리를 위한 연구

❍ 지속가능한 생태계 보전 복원 연구 대과제[ ]

- LMO의 생태계 영향 평가 및 안전관리

- 야생동물 인수공통질병 예방 연구기반 구축 및 네트워킹

- 훼손 또는 오염된 생태계 복원 연구

- 도시림 관리 및 도시 생물서식 공간 조성 연구

- 지속가능한 생태계 이용체계 확립 연구

기대효과IV.

❍ 지속가능한 통합관리를 위한 사회 생태의 환경용량 산출자료 축적 구축DBㆍ ․❍ 국가생태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시스템적 생태계 관리 정립

❍ 자연환경정책수립과 생태계 관리의 과학화와 실질화

❍ 국토의 생태적 관리를 위한 기반 마련

Page 45: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41 -

필요성I.

년 벨기에에서 개최된2007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워킹그룹 회의에서는 년 동안 여명의 과학자5 2500Ⅱ 가 기후변화

영향을 연구한 결과를 발표하였는데, 년에는 지구 인구 중 수억 명이2020

물 부족으로 고통을 받고, 년경에는 지구에 살고 있는 생물2050 의 가30%

멸종위기에 처할 것으로 예상

- 국내 연구사례에 따르면 한반도의 경우도 21세기말 기온이 약 6℃

상승하고, 이로 인해 해수면이 약 이상 상승함으로써 상당50㎝ 부분의

연안지역이 침수 될 것으로 예측

기후변화 등❍ 환경변화가 물환경 분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적응대책 추진 필요

- 수온변화 강수량 증감에 따른, 강우사상의 변동 지역적 홍수 및 가뭄,

반복현상 등 기후변화에 의한 유역 물환경의 변화와 이에 따른 수자원

확보 및 수질관리의 어려움이 예상

또한 하천 및 호소의- 수생태계 변화와 산업구조 및 사회여건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유해화학물질의 증가로 인해 수질오염 양상이 기존과는

달리 변화할 것으로 예측

❍ 사전 예방적 차원의 수질관리 대책마련이 시급하고, 범정부적으로추진 중인

대강 살리기 사업에 능동적이고4 ,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선제적인 연구가

필요

Page 46: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42 -

연구동향II.

미국

미국 소속의 연구개발국 에는 개 연구소 개 연구센터 및EPA (ORD) 3 , 4❍개 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물환경과 관련하여 개의 연구분야에서 개의2 , 3 3

연구프로그램을 추진 중임

대 연구프로그램 예3 ( )※

1. 수질연구프로그램(Water Quality Research Program)

2. 음용수연구프로그램(Drinking Water Research Program)

3. 국토연구프로그램(Land Research Program)

미국의 경우 특히 토양 및 지하수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토양 및 지하수 관련 연구 예( )※

1. 광산 유출수 및 지하수 처리방법 개발

담수와 염수의 성격을 지닌 다중적 환경에 적용할 유류 유출 대응책2. (Oil

개발Spill Countermeasure)

퇴적물에 함유된 비소 및 납에 대한 분석 및 복원방법 개발3.

준설 작업 이후의 잔류물 예측 및 관리 연구 등4.

일본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의 개 연구 영역중 물 토양 연구영역을(NIES) 6 �❍중심으로 물환경 호소환경 해양환경 및 토양환경에 대한, , 연구가활발히

추진중임

중점과제 예NIES ( )※

1. 상온에서 혐기성 폐수처리시 유기물질의 생물학적 분해특성 평가 등「 」

무폭기 에너지절약형 차세대 수자원 순환 기술 개발�

2. 빈영양 도와다 호의 난분해성 용존유기물의 발생 원인과 분석에( )十和田

관한 연구

이세 만 유역권의 자연 공생형 유역환경 관리 기술 개발3. ( )伊勢

Page 47: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43 -

이화형 비소 환원 세균과 천연 를 함께 사용한 오염4. ( ) mediator異化型

토양의 비소 제거 연구

5. 중금속 오염 토양 복구를 목적으로 한 유기 식물 자원 활용에 관한 연구 등

독일

❍ 독일 헬름홀츠 환경 연구센터 의(UFZ) 육수 수자원 및 생태계 연구부「 」 및

생물지구화학 및 과학기술부 를 중심으로 호소환경 하천생태 및,「 」

토양 지하수 등을 중심으로 물환경 분야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임�

프랑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소 소속의 국립우주과학연구소 와(CNRS) (INSU)❍농업 및 환경공학연구소 소속의 개 지역 연구센터를 중심으로(Cemagref) 9

수자원 수질 및 국토관리와 관련된 물환경 연구가 활발히 추진,

- 수자원의 공공이용 관리 및 예측방법 수자원 개발 및 오염방지, ,

정책결정을 위한 적절한 지원방법 및 대책수립 등 다양한 연구가 있음

세부 연구과제 대 중과제III. ( / )

❍ 유역환경 관리 기반 구축 연구 대과제[ ]

- 대강수계 실시간 수질 예경보 및 사전오염예방지원 시스템 구축4 ․- 대강 살리기 사업에 따른 단계 수질오염총량제 목표수질 재설정4 2

방안 연구

- 대강 살리기 사업 전후 물환경 종합 모니터링4 ․- 고분광 위성영상을 이용한 환경 모니터링 기법 개발

- 하상변동 예측과 준설량 및 주기 산정 연구

- 준설토 토양환경 안정성 평가 연구

- 대강 중점관리지역 하수종말처리장의 물리화학적 인 최적처리4 (BAT)․

Page 48: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44 -

및 최적관리 방안 연구(BMP)

- 저류시설 댐보 군을 연계한 수계 유입오염물질의 거동 및 수질 관리( , )

방안 연구

❍ 선진 물환경제도 도입기반 구축 연구 대과제[ ]

물환경 중 유해오염물질 전과정 통합평가 및 정책지원시스템 개발-

공공수역의 건강성 확보를 위한 관리기준 및 제도연구-

하 폐수 고도처리 및 물순환 이용체계 개선 연구- �

수생태 건강성 회복방안 연구-

- 토양지하수 오염물질 기준 및 평가에 관한 연구․❍ 먹는물 위기대응 체계 구축 연구 대과제[ ]

먹는물 수질관리 및 공급 선진화 연구-

물환경에서의 유해미생물 안전 관리 연구-

기대효과IV.

❍ 기후변화에 따른 물환경 영향 평가를 위한 장기모니터링 및 관련 계획

수립 시 활용

❍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비상대응 및 물부족 해결을 위한 효율적

이용방안 수립 활용

❍ 먹는물 안전성 위해요인의 사전예측으로 지속가능한 수자원 활용

❍ 저탄소 녹색성장을 고려한 물환경 보존 개발 관리정책에 활용/

Page 49: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45 -

필요성I.

❍ 세계는 환경 자원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경제 주도사회에서 환경과ㆍ

경제가 조화를 이뤄 발전해야 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장하고 이러한,

환경경제 페러다임이 시장질서에 반영-

그동안 국내는 에너지 자원 다소비 및 환경오염 유발형 경제 국토- ㆍ ㆍ

구조로 인해 자원 환경의 조화로운 국가경쟁력 유지 제고 방향이 필요ㆍ ㆍ

- 현 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 사회를 주창하며 환경과 경제가 조화롭게' '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을 설정

❍ 친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국토 및 자원의 계획 관리가 결여되어 있는ㆍ

현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 요소별 잠재 환경용량을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음 또한 국토자원 활용의 효율적 기획 관리 요구는 증대. ㆍ

❍ 기후변화 대응 사회로의 구조변화를 위한 자원순환형 사회로 전환하기

위한 선도적 연구 필요

- 대내적인 국토환경의 제약요인을 극복하고 대외적인 국제환경 규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국가의 장기적인 자원순환 정책 방향제시 필요

연구동향II.

미국

미국 연구개발국 은 개 전략 목표를 설정하여 년까지EPA (ORD) 5 2014❍추진 할 예정임

전략목표 : 1.※ 깨끗한 공기와 지구기후변화 깨끗하고 안전한 물, 2. ,

토지 보전3. 및 복원 건강한 지역사회와 생태계 환경 규제 및 관리4. , 5.

Page 50: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46 -

전략 목표 추진을 위한 개 중점 분야를 선정하여 추진하고 있으며9 ,❍폐기물 처리 및 재사용 매립 후 사후 영향 및 관리 등에 대한 평가에 중점,

주요수행과제예( )※

1. 매립지 성능평가 조사 및 영향 요인 연구

기존 매립지에 새로운 물질의 생성 및 유입에 따른 거동 및 영향 연구2.

매립지 성능 향상을 위한 생물학적 요인개선 연구3.

일본

수자원 물질 생태 등이 조화롭고 지속가능한 국토관리를 통한 순환, ,❍시스템 도시형 모델 개발 연구 수행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의 순환형사회 폐기물 연구센터에서는(NIES) �❍ 개의7

연구실에서 폐기물 재활용 및 자원순환형 사회 구축을 목표로 연구 수행 중

❍ 순환형 사회 구축을 위하여 자원순환사회기본법 을 년 제정하2000「 」 고,

건설폐기물 시품 등에 대한 개별법을 제정하고 추진,

❍ 바이오 에코 연구분야의 중점 연구 프로젝트인 자원 순환폐기물�「 라이프

사이클의 형 자원 순환 기술 시스템 국제적 자원win-win ,」「 순환을

지원하는 적정 관리 네트워크 및 기술 시스템의 구축 및 폐기물」 관리

실현을 위한 조사연구인 액상유기성 폐기물의 적정 처리 기술의� �「 고도화」

사업 등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벤치마킹 하고 있는 사업을

주관하고 있음

중점과제예NIES ( )※

가까운 미래의 자원 순환 시스템과 정책매니지먼트 방법의 설계평가1. � �

물질 스톡 감정 구조와 이를 적용한 폐기물자원 관리 전략 연구2. ( ) �勘定

3. 국제무역전략과조화를이루는 지속가능한소비 실현을위한소비와기술의전환비전구축「 」

벤치마크 지표를 활용한 일반폐기물 처리 사업 평가에 관한 연구4.

순환형 사회에 이바지하는 새로운 매립 유형 구축5.

Page 51: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47 -

독일

폐기물❍ 관리정책들의 평가 및 영향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광의의

전문분야 즉 생물학 수리학 지질학 사회학 경제학 법학 등( , , , , , , )에 대한 모델

구축과 방법론을 설정하여 정책결정을 위한 과학적 근거자료 제공

환경 개발계획에 있어 철저한 연계 방식을 도입하여 사회 생태 환경- - ㆍ

용량 요소들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 및 적용 연구를 진행

※ 사회 생태의 환경용량 요소 물순환 녹지축 바람통로 토양 보전 복원 에너지 절: , , , ,ㆍ ㆍ 감,

동 식물 서식지 대기정화 소음저감 지형 보전 등, , ,ㆍ

❍ 순환경제촉진 및 폐기물관리법 에 따라 순환경제 체계를 확립하고 폐기물의,「 」

친환경적 처리를 목적으로 자원 에너지의 유효이용 방법을 통한 순환경제ㆍ

및 폐기물의 적정 관리 기본원칙 방안 연구 추진

프랑스

❍ 폐기물 재활용 및 자원순환 연구 분야는 에너지관리환경청(ADEME),․국립산업환경연구소 에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음(INERIS)

에서는 폐기물 관리의 방향을 수정하여 폐기물 발생 및 환경ADEME ,❍건강 유해성예방 오염원감소 및 재활용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 중이며 의 연구는 아래와 같이 개 중점연구를 수행함, 2007~2010 3

의 개 중점 연구분야ADEME 3 [2007~2010]※

원자재 가공 및 이용 관리를 통한 폐기물 양 감쇄에 관한 연구1.

폐기물 처리2. - 재활용 분리수거 유기적 관리를 위한 새로운 처리 방법 개발, ,

폐기물 관리에 대한 조직차원의 새로운 대책 개발 연구3.

기타

❍ 는 제품 에너지의 효율적인 기술발전을 활용하여 무역규제 사항으로EU ㆍ

포장재 포장폐기물 지침 폐차 처리지침, EuP(Energy using Products),ㆍ

전기 전자제품 폐기물 처리지침 등을 제정(ELV-End-of-life Vehicle), (WEEE)ㆍ

Page 52: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48 -

세부 연구과제 대 중과제III. ( / )

❍ 폐자원 순환시스템 및 에너지화 연구 대과제[ ]

- 물질흐름 분석에 의한 자원의 순환 이용 향상 연구

- 고부가가치 희귀금속 회수 및 자원화 방안 연구

- 폐유기물질의 석유대체 에너지화 방안 연구

- 폐기물의자원화및안전처리연구

폐기물 최적관리 및 청정기술 연구❍ 대과제[ ]

- 유해폐기물 평가항목 및 기준설정에 관한 연구

- 재활용 제품의 유해성관리 기반 연구

- 유해폐기물 처리 저감 무해화 연구

효율적인 토양자원 순환 시스템 구축 연구❍ 대과제[ ]

-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위해성 평가 체계구축 연구

- 오염토양 정화 기술의 최적화 연구

기대효과IV.

❍ 국토와 자원에 대한 지속가능한 통합관리가 가능하도록 정량적 자료지원

❍ 물질흐름분석에의한물질순환지수개발연구를통하여국가적자원순환정책지원

❍ 폐기물 에너지화에 대한 기술지침 및 관리 정책 기준 마련 연구ㆍ

Page 53: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49 -

필요성I.

미세먼지 오존 독성물질 등 대기중에 존재하는 많은 대기오염(PM2.5), , , HAPs❍물질들이 건강과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음

이러한 대기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연구를 통하여 대기환경-

기준 배출허용기준 등의 관리가 필요함,

❍ 위해성이 새롭게 밝혀진 오염물질들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이들

물질들의 불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분석기법 및 평가기법의 개발이 필요함

이동오염원에 의한 대기오염 악화는 특히 대도시에서 심각하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이동오염원에 대한 배출특성 연구 뿐 아니라 대기배출 저감을

지원할 수 있는 연구들이 필요

연구동향II.

미국

❍ 미국 연구개발국 에서는EPA (ORD) 청정 공기질 연구프로그램을 통해 과PM

오존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계획하고 있으며 연구에 대하여, Multi-Pollutant

다개년 계획 년도을 수립하여(2008~2012 ) 연구 추진

- 주요 고정오염원 및 이동오염원에 대해 활용되는 제어기술의 오염저감 달성여부와

건강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 평가 등 계획

영국

❍ 영국의 경우는 의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and Rural Affairs (DEFRA)

등에서Air Quality Expert Group(AQEG), Expert Panel on Air Quality Standards

대기환경에 대한 연구를 수행 함

Page 54: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50 -

년 개설된 는 영국 스코틀랜드 웨일즈 북아일랜드의 대기질 전략- 2001 AQEG , , ,

에포함된대기오염문제에대한과학적정보를제공 에서(Air Quality Strategy) (UK

대기오염물질의특성 오염원등의정보제공 오염물질의농도경향 분석등, , )

일본

❍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에서는 대기권 환경 연구 영역으로 대기물질(NIES)

연구실 원격 계측 연구실 대기 화학 연구실 대기 환경거동 연구실에서, , ,

대기관련 연구를 수행

- 기반적 조사 연구의 중기계획 년도으로 위성탑재 라이다 와(2006~2010 ) (Lidar)

레이더를 이용한 구름과 에어로졸 관측연구 교통 시뮬레이션을 통한,

에코드라이브 보급 대책 평가 관련 연구 등을 수행

독일

❍ 독일 연방환경청 은 다양한 환경문제해결을 위한 지원을 하고 있으며(UBA) ,

예를 들면 공기정화 등의 연구 및 법적인 제도 지원을 하고 있음

대기 등 환경오염자료 및 오존 경보전달 등의 연구 진행-

프랑스

❍ 프랑스 에너지관리 및 환경청 에서 대기오염 소음 공해의(ADEME) , 영향

및 대기분야 친환경화 등의 업무를 수행 중이며, 국립과학연구소(CNRS)

국립우주과학연구소 에서 지구과학 및 대기연구를 수행(INSU)

- 대기오염물질 배출 저감 및 처리기술 개발 연구 대기오염물질 측정방법,

개선 연구 등 진행

Page 55: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51 -

세부 연구과제 대 중과제III. ( / )

❍ 대기질 관리 및 개선 연구 대과제[ ]

- 대기질 통합적 평가 기법 연구

기후 및 대기환경 통합시스템 구축 연구-

-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등에 대한 국제공동 연구

- 대기 입자상물질 모니터링 및 관리 연구(PM)

❍ 배출오염원 최적관리 및 청정기술 연구 대과제[ ]

- 유해대기오염물질 관리 및 저감 연구(HAPs)

- 대기오염물질 제어 및 배출저감 연구

- 오염물질 배출원 규명 배출량 인벤토리 구축

❍ 국민공감 생활환경 조성 연구 대과제[ ]

- 실내공기오염물질 저감기술 연구

- 실내 공기질 진단평가 시스템 개발 연구

- 소음 인체노출평가 및 체감지수 개발

- 소음 예측모델 및 방음소재 개발 연구

❍ 교통환경 오염물질 배출저감 연구 대과제[ ]

- 자동차 배출가스 제로화 방안 연구

- 비도로 이동오염원 배출저감 연구

- 이동오염원 대기오염물질 배출통계시스템 구축

기대효과IV.

다국적 문제가 되고 있는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협력체계❍강화 및 공동해결 방안 모색

❍ 유해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농도 및 배출 정보 축적을 통한 향후 관리방안 도출

실내 공기질 관리를 위한 신속한 평가 가능 및 공기질 개선❍❍ 이동오염원으로부터배출되는오염물질저감을통해도시대기질개선효과기대

Page 56: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Page 57: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53 -

환경연구과제 연구계획서. (RFP)Ⅳ

Page 58: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Page 59: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55 -

Ⅳ 환경연구과제 연구계획서

1-1-1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영향 및 취약성 평가 연구

연구목적I.

현재 및 향후❍ 기후변화의 영향이 대기생태계보건수자원 등 환경․ ․ ․부문에서 심각해 질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국민의 건강 및 생태계 등에,

직접적으로 관련됨에 따라,

❍ 자연환경대기환경수계환경보건환경 분야에 대한 장단기 기후변화․ ․ ․영향 및 취약성 평가 추진

❍ 기후변화 취약성 정도와 분포를 공간적으로 지도화 하여 정책에 활용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3 (2010~2012 )❍담당부서 기후대기연구부 기후변화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분야 영향평가 추진

대기 수자원 수질 생태 보건 분야의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중장기- , / , , ․모니터링 수행

환경 분야별 영향평가 기법 개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중장기 환경분야 영향 평가 모델링 수행

❍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분야 취약성 평가 추진

기후변화 취약성에 대한 정량적 산출 방법론 도출 연구-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중장기 환경분야 취약성 평가 모델링 수행

한반도 기후변화 취약성 지도 작성-

Page 60: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56 -

❍ 기후변화 적응 도구 개발

및 을 이용한 기후변화-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WEB

적응 도구 개발

국가❍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작성

한국판-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보고서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작성( )

기대효과IV.

❍ 환경부문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 시스템 구축을 통한 기후변화

악영향 저감

❍ 한반도 시공간적 취약성 지도에 근거한 국가 기후변화 적응전략 도출․❍ 국가 기후변화 대응 정책 수립에 필요한 종합적인 한반도 기후변화 현황 및

전망 제시

❍ 환경 부문의 기후변화 영향 및 적응 정보 제공을 통한 전문가 및 대국민

인식 제고

❍ 국가 장기 비전인 녹색성장의 기반 확립

Page 61: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57 -

1-1-2 기후변화에 의한 생태계 적응 방안 연구

연구목적I.

❍ 생태계 적응은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의 영향을 완화시키거나 유익한

방향으로 촉진시키는 활동으로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결과 도출된,

취약성 부분에 대한 적응대책을 수립하여 기후변화에 의한 영향의 최소화 필요

❍ 다양한 생태계 분야에서의 적응연구를 통해 기후변화 생태계적응 방안 수립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생태연구부 생태평가과:❍

주요 연구내용III.

동식물 이동통로 확보 및 보호에 관한 연구❍단편화된 자연보호구 연결통로 조성 및 서식지 보전 및 정비- matrix

철새의 이동 중 기착지 및 번식지 보호 방안-

기후변화에 대응한 자연보호구의 개선❍환경조건 변화에 따른 자연식생의 유지 방안 연구-

자연보호구 환충지대 설치 방안 연구-

생물다양성의 보호 방안 연구- hot spot

기후변화 취약종 및 멸종 위기종 관리 및 보호에 관한 연구❍취약종의 서식지역 확대방안 및 서식지복원을 통한 보호방안 연구-

기대효과IV.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적응 방안 도출❍국가기후변화 적응 대책 및 보전전략 수립에 활용❍

Page 62: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58 -

1-1-3 기후변화에 의한 생태계 영향 예측 및 취약성 평가 연구

연구목적I.

❍ 지구온난화에 따른 자연생태계의 교란과 파괴 문제는 국제적 현안이며,

세계적으로도 다양한 온난화 환경측정 및 조성시설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 온난화 환경에서의 생태계 주요 종에 대한 실증적 영향 평가 변수 생산,

기후변화 영향평가 모델 수립 및 미래의 생태계 변화를 예측하고자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생태연구부 생태평가과:❍

주요 연구내용III.

온난화 환경 및 이산화탄소 증가 환경 조성 및 모델 실험❍온도 및 이산화탄소 구배 조성 가능한 온실시설 설치-

온난화실험용 온실 유지 및 관리-

온난화 환경에서의 주요 생물종의 생리 성장 식물계절 생태 특성의- , , ,

변화 실험을 통한 변수 도출

생태타워를 이용한 탄소 플럭스 측정❍생태타워 기반 구축 및 생태자료 수집-

온난화 및 대기 중 이산화탄소 증가에 따른 생태계에서의 탄소 플럭스-

변화 탐지

탄소 플럭스 변화에 따른 생태계 내 구조 및 기능의 변화 연구-

기후변화 생태계 모델링 기법 확립❍온난화 시설 등을 통해 생산된 자료를 이용한 생태계 영향 모델 구축-

모델을 통한 온난화 환경에서의 미래 예측-

Page 63: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59 -

기후변화 생태계 영향 평가 관련 국제협력 사업❍아시아 지역에서의 응용 및 연구교류 방안 수립-

기대효과IV.

온난화 환경 연구를 위한 연구기반 구축❍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구조와 기능에 대한 영향의 수량화❍국가기후변화 적응 대책 및 보전전략 수립에 활용❍국제 협력사업을 통한 연구교류 및 능력 배양 지원❍

Page 64: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60 -

1-1-4 기후변화에 따른 수환경 및 수질변화 예측 모델 연구

연구목적I.

계절적 강우편중으로 인한 높은 하상계수 인공구조물 설치에 따른,❍불연속성 수질관리항목 지속적인 지역개발 추진 등 우리나라의 유역, ,

및 수체 특성에 적합한 모델을 개발하고,

기후변화를 비롯한 각종 외부환경 변화에 따른 수환경 및 수질 변화❍영향을 예측하여 좋은 물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물환경연구부 수질총량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국내 수체 특성에 적합한 동적 수리모델 개발❍국내 수체의 수리적 특성 조사 및 기본식 확립-

차원 차원 차원 동적 수리모델 개발- 1 , 2 , 3

국내 수체 특성에 적합한 동적 수질모델 개발❍우리나라의 일반수질관리항목 및 수질반응특성을 고려한 기본식 확립-

유류 독성물질 등에 대한 대상항목 선정 및 수질반응식 확립- ,

차원 수리모델과 통합된 동적 수질모델 개발- 1, 2, 3

일반 수질모듈 부영양화 독성모듈( ),․국내 유역 특성에 적합한 유역모델 개발❍대규모 유역에 대한 강우유출 토사 및 영양물질 유출 예측을 위한- ,

준분포형 유역모델 개발

Page 65: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61 -

소규모 유역에 대한 강우유출 토사 및 영양물질 유출 유달율 예측을- , ,

위한 격자기반의 분포형 유역모델 개발

기반 지표수 수질모델링 통합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시스템 구축

차원 수리 및 수질모델 준분포형 분포형 유역모델의 활용성을- 1, 2, 3 , /

높이기 위한 사용자 중심의 통합시스템 구축

․ 토지피복도 토양도 수체경계 수심분포 등 기구축된 자료를 활용한, , , GIS

모델 구획화 기능

편리한 입력자료 생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모델 결과의 효과적 제시를 위한 기능Post-processing․모델 결과의 효과적 제시를 위한 기능Post-processing․기후변화에 따른 수환경 및 수질 변화 예측 모델링❍강우 기온 등 기후변화에 따른 오염물질 유출 하천유량 및 수질 등- , ,

지표수 수환경 및 수질변화 예측

기후 변화에 대비하여 지속가능한 지표수 확보를 위한 대응 전략 제시-

기대효과IV.

환경영향평가 및 사전환경성검토시 개발영향 분석 및 저감대책 수립에❍과학적인 근거자료로 활용

❍ 국가 물환경관리 기본계획 오염총량관리 기본 및 시행계획 등 각종 수질,

관리계획 수립시 활용

수질보전과 지역발전이 조화되는 유역관리방안 제시❍❍ 기후변화에 대비한 공공수역 수질관리 종합대책 수립을 통해 지속가능한

수자원 확보 가능

Page 66: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62 -

1-1-5 기후변화에 따른 대강 먹는물 안전성 영향예측 및 대응연구4

연구목적I.

❍ 의 에 의하면 아시아 지역의WHO EM-DAT(Emergency Events Database) ,

기상이변 발생 및 피해가 더 큰 것으로 조사됨에 따라

- 기후변화와 산업 및 농업환경 변화로 미량유해물질 잔류농약 및 병원성,

미생물 출현 등 다양한 형태의 상수원 오염

❍ 특히 주요 상수원인 대강의 환경여건 변화가 먹는물의 안전성에 미치는, 4

영향 예측을 통해 사전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물환경연구부 먹는물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 기후변화가 상수원 수량수질에 미치는 영향 및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홍수 탁수 가뭄 녹조현상 하폐수 유입 해수침투 및 유해미생물- , , , , ,․등 먹는물의 영향 및 관리 지표개발

기후변화에 대응 신규오염물질 관리방안 및 수질기준 마련❍- 이취미 소독부산물 잔류농약 미량유해물질 등 새로운 오염물질에 대한, , ,

모니터링 및 관리방안 연구

오염물질 종류의 변화에 따른 미규제오염물질 수질기준 설정 및 공정-

시험기준 마련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환경 중 병원성 미생물발생 변화 예측❍- 수량 수온 수질 산업 및 농업환경 변화가 새로운 병원성 미생물발생에, , ,

미치는 물환경의 변화요인을 분석평가․

Page 67: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63 -

❍ 대강 환경변화에 따른 먹는물 안전성 영향 및 대응방안 마련4

- 개인집단지역간 먹는물 관리시스템의 민감도 노출 대응 등에, ,․ ․미치는 요인 도출 및 대응 방안 연구

수질- , 수량 및 생태학적 변화가 정수처리 효율에 미치는 영향 연구

기대효과IV.

기후변화 조기 대응을 위한 물환경 지표제공❍새로운 오염물질에 대한 과학적 관리방안 마련 및 수질기준 제시❍

❍ 대강 환경4 변화에 따른 먹는물 위해요인 사전예측으로 먹는물 안전성 확보

Page 68: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64 -

1-1-6 첨단기술인공위성항공기 등이용 기후변화 예측 연구( , )

연구목적I.

❍ 기후변화는 향후 년 이내에 가장 심각한 안보문제이며 각종 지구20 ,

환경문제로 인한 우리나라의 천문학적인 사회경제적 피해를 줄이기 위해,․❍ 기후변화 대응과 녹색한반도 건설 대 국정과제(100 , ‘08.10)차원의 기후변화

감시 능력 고도화 및 선진국 수준의 차원 입체 지구환경 감시체계 구축3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기후대기연구부 기후변화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지구환경위성 도입 법령제도 정비❍ ․지구환경위성 도입 계획 수립 및 사업단 연구단 구성 및 운영- /

자료처리 알고리즘 개발 및 위성자료 활용기반 구축❍외국 저궤도 위성 자료 수신시스템 구축 및 운영-

수신된 위성자료의 처리 알고리즘 개발-

위성자료를 활용한 자료동화 방법 개발-

위성자료를 활용한 배출량 산정 연구-

대기오염 예경보 시스템에 위성자료 활용 체계 구축- ․지상 및 항공 관측 자료를 이용한 위성자료 검증 및 개선-

지구환경위성 도입 및 발사❍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협력( )

지구환경위성 탑재체 도입을 위한 개념설계-

기본 상세 설계 탑재체 도입 및 개발- , ,

지구환경위성 우주 환경 실험 등 발사 준비-

Page 69: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65 -

기대효과IV.

❍ 동아시아 지역 기후변화 및 대기환경 변화의 상시 감시체계 구축을 통한

한반도 피해의 최소화

대기오염 예경보 정확도 개선- ․- 대기오염 물질에 의한 기후변화 영향 감시를 통한 기후변화 효과적 대응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 물질 감시 등 환경안보 기여-

기후변화 대응과 녹색한반도 건설에 기여-

정지궤도 복합위성 사전 활용 기술 획득❍아시아 기후변화 협력 이니셔티브 확보로 첨단 국가 브랜드 강화❍

Page 70: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66 -

1-2-1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 구축 및 활용 연구

연구목적I.

온실가스 통계는 국내적으로는 기후변화 대책 수립 및 이행평가를❍위한 근간이며 국제적으로는 감축공약 달성여부의 근거로 활용,

이에 따라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총괄관리 및 배출원별 온실가스,❍통계 관리를 위한 상향식 및 하향식 방법에 의한 인벤토리 구축 필요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3 (2010~2012 )❍담당부서 기후대기연구부 기후변화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국가 고유 계수 적용을 위한 온실가스 배출계수 개발❍분야별 수준 이상의 배출계수 개발- Tier 2

Tier 2 :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온실

가스 배출량 산정방법

기 개발된 배출계수의 등재 등 인증- EFDB

분야별 온실가스 인벤토리 추가 구축❍에너지분야- : 차 에너지 다소비 시설의 인벤토리 구축 지역배분 방법의2 ,

검토 및 개선방안 모색 등

산업공정분야 국내 납사의 몰입율 조사 불소계 온실가스의 실제- : ,

배출량 산정 등

주요 배출원 분야 결정(Key sour category)❍분야별 온실가스별 주요 배출원 결정- ,

Page 71: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67 -

분야별 자료수집 체계 구성 및 지침 마련❍분야별 자료 제출 양식 작성 및 자료수집 체계 구성 지침 작성 등- ,

❍ 정도관리 및 불확도 분석(QA/QC)

- 의 권고에 따라 분야별 배출량 산정결과의 정도 관리 및 불확도 평가IPCC

❍ 국가 인벤토리 보고서 및 공통보고양식 작성(NIR) (CRF)

를 이용한 국가 인벤토리 보고서 및 공통 보고양식 작성- GHG-CAPSS

기대효과IV.

온실가스 저감대책시 근거자료 제공❍국가 온실가스 총괄관리의 기초 통계자료 및 연구결과 활용❍사업장 에너지온실가스 배출량 의무보고제 실시에 필요한 기초 근거❍ ․자료로 활용

국가 및 지자체의 기후변화대책 및 온실가스 저감정책에 활용❍

Page 72: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68 -

1-2-2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 평가모델 개발 및 평가 관리방안 연구

연구목적I.

향후 국가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분야별 온실가스 감축Post-2012❍잠재량의 정확한 평가를 위해 국내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 기술발전 속도 국내 제도 사회시스템 등 종합적인 감축대책의, , 평가예측․기반을확보함으로써중장기 기후대책 추진의 실효성 제고

❍ 환경부 차원의 다양한 기후변화 대책과 저탄소기술의 적용 효과에 대한

중장기적 감축대책의 평가체계 구축

해외모형의 단순 일회성 적용에서 탈피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모형구축을 통한 지속적이며 조직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고자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3 (2010~2012 )❍담당부서 기후대기연구부 기후변화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국내 실정에 적합한 분야별 수요예측 모형개발 (‘09 ’11)~❍사회경제 기술개발정도 등을 고려한 각 분야별 활동도 예측- ,․수요예측 및 온실가스전망을 위한 인프라 구축(DB) (‘09 ’12)~❍에너지 기술 및 서비스별 구축- , Database

수요예측 및 온실가스 전망모형 저탄소사회 시나리오개발과 연계- ,

한국형 온실가스 전망 및 감축잠재량 평가모형 개발(‘10 ’12)~❍국내 실정에 적합한 최적 모형 개발-

기술 정책옵션을 고려한 상향식 모듈과 거시경제 및 에너지정책을-

고려한 하향식 모듈을 종합한 통합평가모형 개발

Page 73: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69 -

분야별 온실가스 전망 및 감축잠재량 평가('08 '12)~❍개발된 통합평가모형을 이용한 분야별 전망- Bau(Business as usual)

시나리오 설계 및 시나리오별 감축잠재량 예측-

❍ 모형의 구축 및 사용자환경의 시스템 소프트웨어화Interface ('11 '12)~

국내 실정에 적합한 최적 모형 개발-

개발된 모형의 타당성 검증-

기대효과IV.

온실가스 저감 대책시 근거자료 제공❍❍ 감축잠재량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온실가스 대응 정책의 활용기반 구축

❍ 저탄소사회 달성을 위한 인프라 및 평가체계 구축

Page 74: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70 -

1-2-3 자동차 온실가스와 배출오염물질 최소화 전략수립 연구

연구목적I.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제작단계 뿐만 아니라 운행단계에❍이르기까지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략 수립으로 오염물질 배출량의

실질적인 저감을 유도

전기자동차 보급 공회전 제한 장치 부착 등의 연비 및 온실저감대책은,❍비용 측면에서 한계가 있기 때문에 경제성을 고려한 광범위 온실가스

저감 대책이 요구되고 있음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교통환경연구소:❍

주요 연구내용III.

자동차 실도로 배출특성 분석에 따른 녹색교통 구축DB❍- 자동차기준 국제조화회의 에서 개발 중인 국제 표준 실도로WP29( )

시험방법 등을 반영한 측정 결과 향상 방안 연구

- 이동식 배출가스 측정 장비 를 활용하여 우리나라의 도로여건(PEMS) ,

교통상황 등에 대한 자동차의 실도로 배출특성을 분석

- 교통 에 기반한 친환경 교통수요 관리 체계 구축DB

운행차 저공해 기술 분석 및 제도 개선 연구❍- 국내외 운행차 온실가스 저감정책 및 기술특성과 실효성 및 경제성분석

- 차종별 및 온실가스 항목별 배출 특성 분석으로 온실가스 측정방법 확립

- R 촉매 및 필터 장치의 영향인자 분석을 통한 저감성능 예측etrofit

Page 75: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71 -

교통수요체계 개선에 따른 자동차 온실가스 감축 효과 분석 연구❍- 이용교통수단 전환에 따른 효과 분석

- 친환경 자동차 및 경 소형 자동차를 이용하여 자동차 공동이용 시스템�

도입 효과 분석(Car-Sharing)

- 텔레메틱스를 통한 교통 수요체계 관리 시스템 구축

친환경 운전 및 연비개선 유도방안 연구❍체험 시뮬레이터 운전 결과를 알기 쉽게 분석하여 친환경 운전을 위한-

개선 사항 제시

- 친환경 운전을 통한 연비 및 규제물질 저감효과와 나노입자 배출특성에

대하여 분석

- 고속버스 운행패턴 등에 대한 대형차 대동력계 주행모드 개발 차종별,

및 운전습관 별 연비 특성 분석

기대효과IV.

중장기적 수송분야 온실가스 배출가스 저감 국가 목표 설정 체계 및,�

안정적인 저공해 사업 여건 확립

자동차의 단계별 보급과 병행하여 실도로 배출가스Zero-Emission�

특성 및 실 주행 패턴에 따른 연비 특성 분석으로 고효율 자동차 개발

촉진 유도

실제 배출가스 배출 경향 에 근거한 교통 수요체계 개선DB�

Page 76: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72 -

1-3-1 저탄소사회 시나리오 및 이행계획 수립 연구

연구목적I.

❍ 한국의 저탄소사회 구현을 위한 중장기적 전략의 종합적인 평가예측․ ․방법을 확립하여 저탄소사회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저탄소 행동지침을,

수립하고자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3 (2010~2012 )❍담당부서 기후대기연구부 기후변화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저탄소사회 시나리오 개발�

중 장기 시나리오 개발- �

년 한국의 저탄소화 비젼 정량화2050․지자체별 비젼 정량화를 위한 사회 경제 미래 변화 분석

교통 산업 가정상업의 부문별, , � CO2 배출현황 및 트렌드 분석

저탄소 기술 및 정책의 종합 로드맵 작성․․ 시나리오 설정 및 시뮬레이션 방법론 개발

중장기 저탄소사회 시나리오 설정 및 사회경제기술적인 변화에� � � 따른

CO2 감축잠재량 산정 시뮬레이션 모델링 방법론 개발

감축잠재량 설정기준 및 감축목표 검토�

- 교통 산업 가정 상업 분야별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기준 검토, , �

- CO2 감축목표 달성가능성 및 타당성 평가

분야별 감축잠재량 검토-

감축목표 검토 자문위원회 구성-

Page 77: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73 -

기후변화 전략 평가 및 저탄소사회 행동지침 제시�

- 생활패턴 및 사회경제 체계변화의 종합적 평가․․음 식료품별 푸드 마일리지 평가분석� ․․제품 전과정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일상활동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특성 연구

- 교통 산업 가정상업, , � 분야별 중장기적 행동지침 제시

기대효과IV.

� 경제적 효과

-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유지할 수 있는 사회구조로 전환 가능

계층별 행동지침 제시에 따른 생산 및 소비활동의 저탄소 사회로의-

이행을 촉구하는 계기 마련으로 중장기적으로 기후변화에 의해 지불,

해야하는 비용 감소 전망

� 기후변화 대응정책을 선도

한국의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중장기적인 환경정책의 방향성 제시-

- 기술 제도 사회시스템 등 종합적인 평가예측을 통한 실현성 높은, , ․중장기․ 기후변화 대책 수립에 기여

- 사회 각 분야의 관심을 증진시켜 사회체계 및 생활패턴의 개선에 유용한

정보제공의 역할 수행

Page 78: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74 -

1-3-2 수송용 저탄소 연료 보급 기반구축 연구

연구목적I.

기후변화 녹색성장에 적합한 자동차연료 보급 및 확대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바이오매스 등 비석탄계연료 및 합성연료 등의 다변화자원

으로부터 생산 가능한 자동차연료에 대한 평가가 요구

� 실질적인 연료공급 및 사용추이 등을 고려한 저탄소 연료기준 설정 및

친환경 바이오연료 개발을 통해 온실가스 저감 및 대기환경개선에 기여

연료생산자 수입자포함 에 대한 저탄소 연료의 보급에 따른 가감점( )�

산정에 미치는 연료개발 연구가 절실(credits & deficits)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교통환경연구소:❍

주요 연구내용III.

저탄소연료 기준 및 보급 확대방안 마련 연구�

평가모델을 이용한 자동차 연료의 평가방법 개발- LCA “well-to-wheel"

온실가스 저감목표 설정에 따른 저탄소연료 및 친환경연료 보급방안-

마련 연구

연료 생산자 소비자의 저탄소연료의 공급 및 생산에 대한 가감점- ,

산정 연구(credits & deficits)

비식용 바이오연료 기술 개발 연구�

국내 적용 가능한 비식용 바이오연료의 생산기술 현황 조사-

혼합유 및 바이오연료 사용에 따른 자동차 배출가스 및 온실가스의-

환경성 평가와 차량적용 성능 분석

Page 79: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75 -

윤활유의 품질에 따른 자동차 배출가스 및 성능에 대한 연구�

국내 유통 중인 윤활유에 대한 품질 특성 분석-

윤활유 사용에 따른 연비 및 촉매영향 등 자동차 성능 연구-

윤활유 품질에 따른 배출가스 및 미량유해물질 영향 연구-

기대효과IV.

� 수송용 저탄소연료 보급 기반 구축을 통한 온실가스 저감 및 대기환경개선

국내 수송용 연료의 전과정 평가방법 보급“well-to-wheel"�

� 의 저감 목표 설정에 따른 저탄소연료 보급방안 마련GHG

Page 80: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76 -

2-1-1 환경성질환 원인규명과 대응 연구

연구목적I.

❍ 현 정부의 국정과제로서 환경성질환 예방퇴치가 환경 분야 중점과제․ 로

선정되어 추진 중

※ 환경부는 년부터 아토피피부염 천식 비염 등 주요 환경성질환의 실태를 파악하고‘07 , , ,

환경요인과의 상관성 규명 연구를 위해 환경성질환 연구센터를 지정하여 지원

서울대 의대 등 개 기관 지정( 8 , ’08.01)

❍ 환경성질환을 보유한 민감군에 대한 건강영향 연구 환경성질환의 원인,

규명에 관한 생체메커니즘 연구 환경오염과 환경성질환과의 상관성,

파악을 위한 역학조사 등을 추진하고자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환경건강위해성연구부 환경역학과:❍

주요 연구내용III.

알레르기 등 환경성 질환과 대기오염물질과의 관련성 연구❍- 대기오염 증가와 아토피 천식 증상 발현 관련성 조사연구단기간 패널연구 등, ( )

알레르기 질환과 관련된 환경오염물질 규명-

취약지역 민감집단 환경오염노출 및 건강영향 감시/❍- 주요 산단지역울산 시화반월 등 주민의 유해환경오염물질 노출상태와( , )

건강영향을 체계적 지속적으로 감시 평가할 수 있는 기반 구축, ,

※ 주민 코호트 구성 및 년간 추적조사 및 생체시료 확보20

- 폐금속 광산지역 주민에 대한 정밀건강조사

Page 81: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77 -

어린이의 환경노출에 의한 건강영향조사❍도시 산단 및 농촌 지역별로 어린이 유아 천식과 아토피 질환발생 실태 조사- , /

- 대기오염 화학물질 노출 등 환경오염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연차별로,

주요 공단 도시지역의 환경성질환 발생 추이 감시,

산모와 영 유아 환경노출에 의한 건강영향 연구�❍- 산모 영 유아 코호트 연구를 통해 산모의 환경오염 노출에 따른 아동의- �

환경성질환 추적 조사

기대효과IV.

❍ 환경건강 영향과 환경성질환 연구와의 연계성 강화

❍ 환경성질환 보유자 등 민감 계층에 대한 환경보건 종합감시체계 구축

❍ 환경성질환 관련 환경오염물질의 규명 및 관리대책 수립

Page 82: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78 -

2-1-2 환경보건지표 생체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연구목적I.

❍ 환경보건 개년 종합계획과 환경보건법 제 조환경보건 지표의 개발에10 21 ( )

근거 국민의 환경보건 상태를 측정 평가하기 위한 지표 개발이 필요함, ․❍ 우리나라의 환경보건 수준 및 추세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

함으로써 정책의 목표를 설정하고 정책성과를 평가하는데 기여 하고자 함,

※ 환경보건지표 환경과 건강의 연결고리에 대한 표현으로서 환경적 노출과:

건강영향이 관련성이 증명된 환경지표 또는 건강지표를 의미함

환경오염에 따른 건강영향 노출수준의 모니터링 노출과 영향질환 등� , ( )❍과의 상관성 규명 및 환경오염물질의 영향을 조기에 감지하고 예측�

예방하기 위해 효과적이고 민감한 생체지표를 발굴 개발하고자 함�

※ 생체지표 : 생물 시스템에서 측정 가능한 감수성 있는 성질(Sensitivity)

유해물질에 의해 유도되고 동시에 측정을 통해 감지될 수 있는 생체내에,

서의 생리학적 생화학적 조직학적 반응, ,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환경건강위해성연구부 환경역학과:❍

주요 연구내용III.

환경보건지표 개발에 관한 지침 마련❍환경보건지표 개발을 위한 프로세스 정립-

환경보건지표의 제안 및 평가를 위한 지표개발위원회 구성-

국가 환경보건지표 개발 및 정책적 활용성 연구❍국가 환경보건지표 개발 환경보건지표 개발 지침에 의거- ( )

환경보건지표를 이용한 미국 유럽 등의 환경보건 수준 비교 평가- , �

Page 83: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79 -

민감 계층에 대한 환경보건지표 개발❍민감 계층 어린이 노령인구 를 대상으로 한 환경보건지표 발굴- ( / )

를 통한 환경보건지표의 적용성 연구- Pilot study

환경유해인자 노출에 의한 생체지표 발굴 개발�❍- 환경오염물질유해화학물질 등노출에 의한 조기영향 생체지표 발굴 개발( ) �

생체지표 측정기법 연구 분자수준에서 생체물질 발현 측정- ( )

❍ 생체시료 내 유해화학물질 측정기법 연구 및 표준화

중금속 등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생체시료 분석기법 연구-

- 생체시료 보관 및 측정에 대한 정도관리

환경유해인자에 의한 생체 내 대사체 분석 연구❍유해화학물질의 생체내 대사 및 반응 기전 연구-

환경유해인자와 생체지표와의 상관성 연구❍유해화학물질과 생체지표 발현과의 용량 반응 평가- -

기대효과IV.

생체지표를 활용한 조기검출 진단 및 위해성예측 연구 기반 마련�❍❍ 사전예방원칙(precautionary principle)에 기초한 매체통합적 환경정책 추진에 기여

사후관리 중심에서 사전예방적인 선진국형 환경정책으로의 전환을-

위한 과학적 기반 마련

Page 84: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80 -

2-1-3 인체노출 및 건강영향 조사진단 평가

연구목적I.

❍ 우리나라 국민의 유해오염물질 인체노출수준에 대한 시공간적 분포와

함께 그 영향 요인을 체계적 지속적으로 파악함으로써 환경보건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국민건강보호에 기여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계속사업 년 단위: (2009~, 3 )❍담당부서 환경건강위해성연구부 환경역학과:❍

주요 연구내용III.

표본설계 및 조사지침 작성❍- 전국민 대표성 및 환경오염노출과 관련된 인자를 고려한 표본설계

․전국 세 만 세 이상 성인 남녀 명 명년20 ( 19 ) 6,000 (2,000 / )

조사지침서 작성 및 교육프로그램 마련-

설문조사❍- 개인의 생활환경상황 파악 및 유해물질 노출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할․수 있는 표준설문지 개발

- 설문자료의 정확성 및 효율성 제고를 위한 설문 입력프로그램 개발

지역주민 유해물질노출실태 조사❍조사팀 구성 및 교육-

․지역 조사원의 지속적 참여와 효율적 활동을 위한 체계 마련조사과정의 표준화를 위한 지침마련 및 조사원교육․

- 생체시료 채취 및 혈액 요 중 유해오염물질 종 농도 분석, 16

Page 85: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81 -

․혈중 중금속 종납 수은 망간 요중 중금속 종3 ( , , ), 3 수은 카드뮴 비소( , , )

․요중 대사체 종8 (PAHs, VOCs, Phthalates 농약류 니코틴, , 대사체) 등

- 매년 조사결과, 국지적인 환경보건 문제가 예상되거나 추가적인 원인 규명

등이 필요한 경우 환경노출 생활습관 등에 대해 정밀조사 실시,

생체시료관리체계 마련❍시료채취 분취 운송 및 관리 매뉴얼 작성- ,

- 생체시료 보관용기의 개인정보 표기 양식 마련

분석법 작성 및 정도관리❍중금속 및 대사체 등에 대한 표준분석법 작성-

방안 마련- QA/QC

자료관리 및 종합분석❍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및 효율적 이용을 위한 자료관리 프로그램 마련-

- 설문 및 유해물질 농도자료의 기술통계 및 유해물질과의 상관성 분석을

통한 노출요인 분석

대내외 정보교류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 유사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외국기관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상호 교류

기대효과IV.

○ 국민의 유해오염물질 노출수준 평가 분포 및 변화에, 영향을 주는 노출

요인의 지속적 분석으로 사전감시와 예방체계 마련

○ 환경보건인력 교육 및 저변확대

○ 국가 인체노출 평가망 구축운영을 통한 우리나라 환경보건의 문제점 파악/

및 정책효과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

Page 86: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82 -

2-1-4 실내 생활환경 유해인자의 인체영향 연구

연구목적I.

❍ 건강영향이 큰 실내 생활환경 유해인자인 곰팡이 라돈 중금속 등의, ,

인체 위해성과 건강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 및 평가기법을

확보하여 실내 생활환경 유해인자의 관리 기반을 마련하고,

나노 바이오 전기전자 기술 등의 발전으로 인해 거주 실내 환경에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나노물질 알레르겐 빛 공해에 대한 인체유해, ,

가능성 및 발생원 조사를 통한 연구 기반을 마련하고자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4 (2011~2014 )❍담당부서 기후대기연구부 실내환경연구팀:❍

주요 연구내용III.

건강영향이 큰 실내오염물질의 인체 영향 연구❍실내 생활환경내 주요 미생물의 위해성 평가 기술 개발-

실내 공간 내 미생물 오염지표 표준미생물 설정 및 바이오마커 개발-

골재 등 건축자재의 라돈방사능 위해도 평가 및 관리 기법 연구-

- 중금속의 실내공기중 실태조사 및 노출량 평가기술 개발SVOC, PBDEs,

실내생활환경 유해인자 위해성 건강영향 평가기법 개발/❍실내 공기질 평가를 위한 인간활동 지표 쾌적성 생산성 개발- ( , )

실내 노출평가 및 환경성 질환 조사를 위한 표준화 설문지 개발-

실내 공기질로 인한 질병부담 지표 개발-

실내오염에 따른 건강영향 예측 모델링 기법 개발-

Page 87: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83 -

❍ 실내 생활환경 신규 오염원 인체영향 연구

빛 공해의 인체 영향 연구-

실내거주공간의 초미세입자 발생원 및 특성 연구-

나노기술 적용 제품의 나노입자 방출 특성 연구-

실내 알레르겐과 환경성질환의 상관성 연구-

기대효과IV.

건강영향이 큰 실내오염물질의 효율적 관리에 활용❍❍ 실내생활환경 유해인자의 위해성 건강영향평가에 활용/

실내생활환경 신규 오염원의 관리방향 안 마련에 활용( )❍실내환경 유해인자 관련 환경성 질환 저감 관리 정책에 활용❍

Page 88: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84 -

2-2-1 다매체 거동 및 환경위해성 평가 연구

연구목적I.

❍ 수은오염 특성의 정확한 진단을 통한 수은종합관리대책 마련 및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환경 중 의약물질과 같은 신규 환경오염물질의(POPs),

거동연구 수행을 통한,

❍ 의 국제수은 관리체제 스톡홀름협약 등UNEP , 국제협약 및 국가항생제

내성안전 관리계획 등 국내외 환경이슈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과 신규․환경오염 물질로부터 국민건강 및 생태계의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환경건강위해성연구부 화학물질거동연구과 위해성평가과: �❍

주요 연구내용III.

국제 수은관리체계 대응을 위한 다매체 수은 거동연구❍수은의 매체간 이동특성 조사로 물질수지 및 거동연구-

주요 배출원 및 장거리이동에 의한 환경 중 분포특성 연구-

- 호소 심층퇴적물 조사를 통한 연대별 수은모니터링 및 오염경향성 연구

수은의 인체노출 및 위해성평가 연구-

국제협약 이행을 위한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의 환경 중 거동연구(POPs)❍국내외 환경잔류실태모니터링 및 다매체 거동모델 적용 연구- ․신규 환경오염물질의 배출원 발생기전 및 저감기술연구- ,

독성 및 위해성평가 관리 및 기준 안 마련을 위한 정책지원연구- , ( )

Page 89: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85 -

신규환경오염물질의 분석방법 확립 및 표준화 연구-

다매체 거동연구를 통한 환경관리 및 기준 안 마련을 위한 연구- ( )

국가 항생제 내성관리를 위한 환경 중 잔류의약물질 거동연구(PPCPs)❍- 수질 먹는물 토양 퇴적물 등 거동연구를 위한 환경시료 분석방법 확립, , ,

의약물질 환경순환 규명을 위한 매체별 분포 이동 소멸 연구- , ,

항생제 테트라사이클린 설폰아미드 등 주요 의약물질 대사체 연구- ,

의약물질 환경오염방지를 위한 생산 사용 처리의 통합관리방안 제시- , ,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의약물질 관리체계에 녹색화학 도입방안 연구-

기대효과IV.

수은종합관리대책 마련 및 장거리 이동성 수은오염에 대한 자료 제공❍다매체 거동연구를 통한 환경오염 예측 및 진단에 활용POPs❍

국제 관심 대상물질의 분석방법 확립으로 국가위상 제고❍다매체거동 모니터링 및 위해성평가를 통한 환경기준마련에 활용❍국가 항생제 내성 안전관리를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

Page 90: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86 -

2-2-2환경위해성 관리 및 위해도 저감방안 연구

나노물질 대상으로- -

연구목적I.

화학물질 위해성평가 역량 강화 및 관리방안 도출을 통해 국제적으로 강화❍되는 환경 규제에 선도적 대응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환경건강위해성연구부 위해성평가과:❍

주요 연구내용III.

우선 연구대상 나노물질 선정❍국내 유통량 향후 응용 가능성 국제적인 관심도 등을 고려한 우선 연구- , ,

대상 물질 선정

❍ 나노물질 유해성 평가

나노물질 물리화학적 성질 규명-

나노물질 유해성 평가 시료 준비 및 용량 설정 지침서 작성- ,

나노물질 건강 영향 자료 생산-

나노물질 생태 독성 자료 생산-

나노물질에 대한 차세대 독성 평가법 연구-

❍ 나노물질 노출 평가

나노물질 모니터링 기법 확립 및 지침서 작성-

나노물질 환경 거동 관련 시험법 확립-

나노물질 환경 거동 관련 모델링 프로그램 개발 및 지침서 작성-

나노물질 모니터링 수행-

Page 91: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87 -

나노물질 위해성평가 시범 사업 수행 및 지침서 안 마련( )❍제조나노물질 중 위해성 평가 우선 대상 물질 선정-

우선 대상 나노물질에 대한 위해성평가 시법 사업 수행-

나노물질 위해성평가 지침서안 작성- ( )

나노물질 관리 방안 마련❍시범 사업 결과에 근거한- 나노물질 관리 방안 마련

기대효과IV.

나노물질 글로벌 환경규제 관련 선제 대응을 위한 위해성 자료 확보❍위해성 자료 없이 유통되고 있는 나노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로 국민❍불안 해소 및 위해 저감

나노물질 위해성 평가 분야 국내외 리더쉽 확보❍- 제조나노물질 작업반에 자료 제출 및 전문성 제공 등의 기여를OECD

통한 나노물질 위해성평가 분야 국가 위상 제고

- 지침서 작성 및 관련 자료 확보를 통한 국내 나노물질 위해성평가 분야 선도

Page 92: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88 -

2-2-3 화학물질 글로벌 규제 대응 연구

연구목적I.

화학물질 규제정보를 사전에 파악전파함으로서 유❍ ․ 럽, 중국, 미국 및 일본을

포함하는 전 세계 교역상대국의 화학물질 규제강화에 적시 대응하고,

급속하게 발전하는 시험분석기술 국제 기준이나 표준을 화학 산업체가,❍ ․쉽게 접근활용할 수 있게 하여 기술적 무역장벽을 최소화하기 위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환경건강위해성연구부 전부서:❍

주요 연구내용III.

국가 화학물질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연구❍국가 화학물질 정보시스템 운영체계 유지관리 시스템 구축 연구- ․

- 위해성 평가를 위한 국가 화학물질 기본 정보 제공기반 마련

배출량유해성과 노출량을 연계하는- GIS(Geographical Information․기반의 작성 연구System) Risk map

화학물질 글로벌 규제정보 제공시스템 구축 연구❍국가별 경제 블럭별 화학물질 상세규제정보 구축- , DB

국제적인 화학물질의 규제 정보의 일상 모니터링 및 알림 체계 구축-

산관국가간 글로벌 규제정보 공유시스템 구축- ․ ․선진 화학물질 시험평가기술 공유시스템 구축 연구❍ ․화학물질 구조 활성 프로그램인- QSAR(Quantitative Structure Activity

등 최신 유해성정보 생산기술 공유 네트워크 마련Relationships)

Page 93: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89 -

그린화학 등 미래형 화학물질 평가- , CMS(Chemical Management Service) ․관리시스템 정보제공 연구

국제 기준이나 표준과 같은 기술적 규제정보 공유시스템 구축 연구-

기대효과IV.

화학물질 기초정보에 대한 신뢰도 및 활용성 제고❍화학물질 글로벌 규제에 선제적 대응❍국제적 신기술 조기 파악 및 전파로 기술적 규제 사전대응❍통합정보 공유 및 제공으로 정보생산 비용 절감❍화학 산업체의 비용절감 및 국제 경쟁력 제고❍

Page 94: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90 -

2-2-4 화학물질 안전관리 및 사고 대응 선진화 연구

연구목적I.

화학물질 및 취급시설의 안전관리 방안 위험성 평가기법 평가 분석, ,ㆍ❍사고대비물질의 탐지 분석방법 정립 및 화학물질 사고 시나리오별ㆍ

적정 대응방안 등을 조사 평가하여 화학물질의 안전관리 및 적정한,ㆍ

대응 정보를 구축 제공함ㆍ ㆍ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환경건강위해성연구부 화학안전연구팀:❍

주요 연구내용III.

❍ 국내 외의 화학사고 예방 대응 관리 현황 및 제도 등 자료 조사 분석ㆍ ㆍ ㆍ

화학물질 안전관리 정보 구축 및 기반 정보제공DB web❍화학물질 사고 위험정보 사고대응정보 물질정보 등- , ,

화학물질 위험물 안전수송 및 사고대응 체계기법 및 기반 구축( )❍유해물질 사고대비물질 화학사고 관리 현황 미국의 등 조사( ) ( RMP )❍화학사고 예방 및 관리 와 국내- , RMP(Risk Management Programne)

제도 비교 평가

사고대비물질 탐지 분석방법 현장 분석 및 정밀분석 방법 의 적용성( )ㆍ❍조사

시료채취방법 탐지 분석방법 휴대용 켐프로 등- , ( GC/MS, 100-IMS )ㆍ

현장 연속 및 원거리 모니터링기술 등-

❍ 화학테러 물질 탐지 분석방법현장 분석 및 정밀분석 방법의 비교 평가( )ㆍ

Page 95: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91 -

위험성 평가 모델 적용 평가 및 개선 방안ㆍ❍및- CARIS(Chemical Accident Response Information System), ALOHA

상용모델 등의 화재 폭발 누출 확산 등에 대한 비교, ,

시설의 규모 업종별 화학사고 예방 대응체계 분석 평가, ,❍대상 물질 및 시설 사고대비물질 종 년 및 취급시설 등- : 10 /

사고대비물질의 확대 구축를 위한 추가항목의 평가 분석ㆍ❍화학사고 후 환경영향 분석 및 피해복구 기법 조사❍화학사고시 통합 대응 체계 분석 평가ㆍ❍민 관 및 관 관의 신속 대응체계 및 조직별 기능 평가- ㆍ ㆍ

기대효과IV.

화학물질의 안전관리❍ 메뉴얼 제시 및 보급

화학사고 테러 탐지 분석ㆍ ㆍ❍ 방법의 정립 및 현장 대응 지침서로 활용

화학사고❍ 예방 대응체계의 구축에 활용,

❍ 화학사고 예방에 의한 근로자 주민 등의 안전 보장,

❍ 화학사고 후 환경영향 분석 및 평가

Page 96: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92 -

2-2-5 교통환경 오염원의 위해성평가 연구

연구목적I.

❍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은 다른 연소배출원에 비해 훨씬 복잡하고,

다양한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자동차를,

포함한 교통환경 오염원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가

선행되어야 함

교통환경오염 저감대책들에 대해 위해성 측면에서의 효과분석이 필요❍하며 주요 대기오염물질들에 대한 위해성 지수 개발로부터 친환경,

자동차 보급 저공해장치 부착 바이오연료 사용 등 현재 및 향후 도입, ,

될 대기환경개선 대책들에 대한 위해성 평가가 필요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교통환경연구소:❍

주요 연구내용III.

교통환경오염원 주요 배출오염물질의 위해성지수 개발❍도로 및 비도로 이동오염원에서 배출되는 주요 대기오염 물질들의-

위해성지수 개발

- 및 실험 등을 통한 국내 오염현황 및 외국과의 비교연구In-vivo In-vitro

배기관외 차량실내 소재 및 타이어 마모 브레이크 마모 등 교통환경- ,

관련 오염원들에 대한 위해성 평가방법 및 위해성지수 개발

교통환경오염 저감정책 추진에 따른 위해성 개선효과 분석❍주요 오염물질별 위해성지수를 이용한 친환경 자동차보급 저공해장치- ,

부착 및 친환경연료 보급 등 저감정책들에 대한 위해성 측면의 개선

효과분석

Page 97: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93 -

교통수요관리 시행에 따른 위해성 개선효과 분석-

친환경운전 및 연비개선 기술 도입에 따른 위해성 개선효과 분석-

- 배출가스 규제기준 및 연료 제조기준 강화에 따른 위해성 개선효과

분석

기대효과IV.

� 교통환경 오염원의 다양한 위해성분석 및 평가에 의한 실태조사를 통해

대기오염개선 정책추진에 활용

위해성 측면에서 교통환경오염 개선방안들에 대한 평가로부터 정책�

당위성 확보 및 도입효과 극대화

Page 98: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94 -

2-3-1 독성 위해성 예측 및 신기술 연구/

연구목적I.

유해화학물질의 독성을 유전자 수준에서 단시간 내에 대량 검색할 수❍있는 신기술인 독성유전체 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Toxicogenomics)

함으로써 환경 중에 극미량으로 장기간 노출이 우려되는 유해화학물질의

독성 및 위해성을 조기 예측 진단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환경건강위해성연구부 위해성평가과 화학물질등록평가팀: �❍

주요 연구내용III.

우선평가 대상 물질의 선정❍- 현안물질 환경유해인자 등을 대상으로 유해성정보를 기반으로 우선순위,

목록 도출

독성유전체 기술을 이용한 독성평가❍우선순위 물질에 대한 유전자 발현 변화 프로파일 확보-

화학물질에 대한 생체 지표 후보군 발굴-

독성유전체 시험자료의 분석❍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유전자 프로파일 상호계측분석-

생물정보학적 분석❍시험자료의 생물정보학적 분석-

국제협력사업 참여❍- ToxCastTM 등 독성유전체 관련 국제협력사업 참여

Page 99: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95 -

신기술 연구에 따른 예산 인력 부담 경감 및 전문성 공유로 연구효과- ,

극대화

ToxCastTM 프로그램

정의 미국 주관으로 여러 기관이 공동 참여하여 마이크로어레이 방법을 비롯한: EPA○

다양한 대량검색기술을 이용하여 화학물질을 스크리닝하는 프로그램

최종목표 다양한 대량검색기술로 도출된 화학물질의 독성 및 생체 지표 자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향후 화학물질의 구조나 특성만으로 위해성을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추진현황 우리나라의:○ ToxCastTM 프로그램 참여를 위한 작업 진행중

년 월 와 국립환경과학원의[ ‘09 9 US EPA MTA( 체결 예정Material Transfer Agreement) ]

독성유전체 관련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시험결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해 전문가-

그룹으로 이루어진 협의체 구성

시험결과의 통합관리 및 생물정보학적 분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기대효과IV.

시간 경제 효율적인 화학물질 독성자료 생산을 통해 선진화된 화학물질�❍관리에 기여

독성유전체 관련❍ 국가 경쟁력 확보 및 차세대 독성예측 기술 선도

다수의 동물을 이용하는 고전적인 독성평가방법에 대한 대체시험방법❍으로 활용

Page 100: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96 -

3-1-1 국가장기 생태연구를 통한 생태계 변화 모니터링 추진

연구목적I.

❍ 지구온난화 및 환경오염 등에 의한 자연생태계의 변화 현상을 생태계

유형과 기능별 장기적인 조사연구를 통해 생태계 변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할 필요성이 있음

❍ 생태계의 균형 유지와 생물종 복원 및 보전 대책 수립이 필요한 육상,

담수 및 해안지역 등 생태계 특성별 미래 환경 변화에 대한 예측 및

적응대책 수립에 활용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생태연구부 생태평가과:❍

주요 연구내용III.

육상생태계 변화연구❍식물 계절현상 천이 등 산림 생태계의 특성 변화 연구- ,

천연림 아고산대 등 산림생태계의 생물다양성 변화 연구- ,

담수생태계 변화연구❍담수 생물의 개체군 변동 계절현상 생산성 등 수환경 변화 연구- , ,

강 호수 내륙습지 등 담수생태계의 생물다양성 변화 연구- , ,

연안생태계 변화연구❍연안식물의 개화 및 개엽 등 계절현상 분석-

갯벌 사구 해안습지 등 연안생태계의 생물다양성 변화 연구- , ,

Page 101: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97 -

기후변화 민감 반응 생물종 연구❍생태계의 균형 유지의 핵심종 변화 연구-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생물 종의 보전 및 복원에 관한 연구-

기대효과IV.

지구온난화 등 환경변화에 따른 생태계의 변화 예측 및 대응❍지구환경 변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의 기초자료 확보❍생태계의 균형유지 및 생물자원 보전 및 관리방안 수립에 적용❍지구환경변화에 대한 국제 공동 대응 및 협력체계 구축자료 확보❍

Page 102: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98 -

3-1-2 환경시료은행을 활용한 환경오염 원인규명에 관한 연구

연구목적I.

환경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시대별 생태시료를 확보한 후 체계,❍적인 보관과 정확한 분석기법의 활용을 통해 생태계를 진단하고,

환경문제 발생시 저장시료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조사함으로서 오염과❍생태계의 관계를 역추적하여 미래의 환경문제를 진단 예측함으로써�

적정한 대응책을 제시하고자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생태연구부 생태평가과:❍

주요 연구내용III.

환경생태시료 확보를 위한 환경조사연구❍지속적 모니터링을 통한 환경오염의 경향관찰-

생태계를 반영하는 유형별 환경생태시료의 체계적 확보-

환경생태시료의 저장기술 적용❍환경생태시료별 특성파악-

시료의 생 화학적 변성을 경감시키는 저장기술 적용- �

환경오염원 규명을 위한 생태시료 화학분석방법 연구❍시료의 특성에 따른 화학적 분석기법 활용-

화학물질의 판독 및 표준분석방법 정립-

환경오염원 규명을 통한 대응방안 연구❍저장시료를 통한 오염원과 생태계 반응간 관계 연구-

Page 103: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99 -

현재 또는 미래의 환경문제 진단 및 예측방안 연구-

환경영향에 따른 오염원 변화 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기대효과IV.

시기별 생태시료 확보를 통한 지속적 생태계 모니터링❍생태시료의 특성을 고려한 장기 저장기술 활용❍생태시료의 정확한 화학분석을 통한 오염원 규명❍현재 생태계의 진단을 통한 미래 환경오염 예측의 근거자료 제시❍생태시료의 분석을 통해 환경정책 및 개발계획에 대한 환경영향의 효과적❍분석

Page 104: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00 -

3-2-1 유해 야생동식물 적정 관리를 위한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연구

연구목적I.

생태계 교란종 모니터링을 통하여 생태계 교란종의 국내분포와 확산❍및 생태계영향을 규명하고 생태계 교란종별 관리방안을 도출,

외래종 및 외국종 중에서 관리가 필요한 종의 선별과 종별 관리방안❍도출을 위한 외래종의 정밀조사 및 생태계 위해성 평가 수행과 위해성

및 관리등급 판정

외래종 전파 및 확산관련 매체와 행위 규명과 관리방안 도출❍❍ 유해 야생동물의 행동생태학적 연구를 통한 피해저감 및 효과적인 개체군

관리기법 개발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생태연구부 생태평가과 바이오안전연구과: �❍

주요 연구내용III.

생태계 교란종 모니터링❍생태계 교란종의 분포 및 생태계영향 조사-

생태계 교란종의 관리성과 평가와 관리방안 도출-

생태계 위해성이 높은 외래종의 정밀조사❍외래종의 분포와 확산 및 생태계영향 등 정밀조사-

생태계 위해성 및 관리등급 평가와 종별 관리방안 도출-

관리대상 외국종의 선정을 위한 조사 및 평가❍지역별 침입성 외래종 후보종의 선정-

문제성 외국종의 관리등급 판정 및 관리방안 도출-

Page 105: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01 -

외래종 전파 및 확산 매체와 행위의 조사연구❍외래종 전파와 확산 매체 및 행위의 규명과 관리방안 도출-

외래종 관리 시민참여와 국제협력 확대❍홍보 및 교육 자료 개발과 홍보와 교육 확대-

국제공동조사연구 참여 및 국제협약 등의 외래종 문제 대응 확대-

❍ 유해 야생동물의 관리기법 개발

유해 야생동물- 종별 행동 생태특성 서식범위 피해실태 등 관리방안, ,

수립

기대효과IV.

생태계 교란종 지정 등 관리 대상종 지정 확대❍외래종의 종별 맞춤형 관리 구현 및 관리성과 평가를 통한 관리강화❍외래종 전파확산 관련 매체와 행위 관리 실질화❍외래종 관리체계 선진화와 국제협력 증대❍유해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저감 및 관리체계 구축❍

Page 106: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02 -

3-2-2 자연환경조사자료 분석 및 활용

연구목적I.

전국 자연환경조사 및 우수생태계 정밀조사❍ 자료를 외부용역을 통해

화하여 생태 자연도에 활용GIS-DB ,ㆍ 생태계 공간분석을 위한 자체 연구

능력 배양 필요

❍ 첨단 분석도구인 원격탐사 기법 등을 활용 생태계 공간, 분석을 통해 생태계

평가 및 예측 등 자연환경조사 자료의 활용성을 제고하고 향후 자연,

환경조사 방법 개선에 응용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생태연구부 생태평가과:❍

주요 연구내용III.

시공간별 생태계 변동 모델 구축 연구❍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한 생태계 모니터링 기법 개발 연구-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생태계 영향예측 및 관리기술 개발-

생태계 수용능력 평가 연구❍- 생태계 수용능력 평가를 위한 지수 및 모델링 기법 개발

생물종다양성 지도화 및 보전방안 연구-

식생 영상자료 판독 기법 개발❍인공위성 및 항공사진 영상자료 판독기법 연구-

영상자료의 색상 및 정사보정 기법 개발-

Page 107: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03 -

자연환경조사 자료의 웹 입력시스템 입력방법 개선방안 연구❍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지형 식생 등 분류군별 입력방법 개선연구- DB ,

기대효과IV.

❍ 생태 자연도작성및갱신시내부역량강화를통한평가의정확성증대및예산절감ㆍ

❍ 생태계 변화상 파악 및 예측 관련 연구를 통한 자연환경정책 입안 건의

자연환경조사 및 생태 자연도 정밀화 사업 방법 개선방안 도출ㆍ❍

Page 108: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04 -

3-2-3 전국 생태계 네트워크 구축 및 생태축 관리

연구목적I.

단위 생태계를 연결시킨 전국 생태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통합적인 생태계 보전 및 관리 방안 도출

백두대간 비무장지대 도서 및 연안 등 국토 광역생태축의 효율적인, ,❍보전 및 관리방안 도출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생태연구부 자연보전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생태계 네트워크 구축❍광역 생태축과 주변의 단위 생태계 연계방안 연구-

광역 생태축의 통합적 생태계 보전 및 관리방안 연구-

대 대권역 광역5※ 생태축 구축사업환경부용역 수행의( , ‘07 ’09, KEI )~

구체적 추진방안 연구

백두대간보호지역 생태계조사 및 보전방안 연구❍백두대간보호지역의 지형 식생 및 동식물상 현황 조사- ,

백두대간의 생태계 변화 추적 위협요인 규명 및 관리 대책 제안- ,

※ 기 조사자료 분석을 통한 위협요인 정리 및 관리대책(‘06~’09) 제안 포함

- 백두대간 생태계의 우수성을 국민들에게 홍보하는 알기 쉬운 생태지도 작성‘ ’

년도 조사결과를 보완하여 년도에 생태지도 최종 완성‘10 ’11※

Page 109: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05 -

비무장지대 일원 생태계조사 및 보전방안 연구❍내부의 지형 식생 및 동식물상 현황 조사- DMZ ,

주변 민통선 이북지역 의 지형 식생 및 동식물상 현황 조사- DMZ ( ) ,

일원의 생태계 변화 추적 위협요인 규명 및 관리 대책 제안- DMZ ,

- 그간의 일원 생태계 조사결과를 국민들에게 홍보하기 위한 알기DMZ ‘

쉬운 생태지도 작성’

해수면 변동에 따른 해안지형의 변화 연구❍과거 년간의 우리나라 해수면 변동 기록 복원- 7,000

해수면 상승기와 하강기의 해안지형의 변화과정 조사-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해안지역의 영향 예측 및 대응 방안 제안-

해안사구 보전방안 연구❍사구 보전을 위한 해외 사례 조사-

사구의 계절별 침식 현황 조사 및 침식 요인 분석-

사구 안정화에 기여하는 지형 및 식생의 구조 특성 분석-

사구의 유지 조성 및 복원 방안 제안- ,

기대효과IV.

전국 생태계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한 통합적 생태계 보전 및 관리❍백두대간 비무장지대 도서연안 등 국토 광역 생태축 관리방안 제시, ,❍ ․한눈에 보기 좋은❍ 알기 쉬운 생태지도‘ ’를 작성하여 대국민 홍보 강화

우리나라의 해수면 변동기록을 복원하여 향후 기후변화에 대비❍해수면 변동에 대비한 도서연안 생태축의 효율적 관리 방안 제시❍ ․해안사구 보전을 통한 해안경관의 안정화 및 해안침식 위험성 저감❍

Page 110: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06 -

3-2-4 보호지역의 합리적인 지정과 관리를 위한 연구

연구목적I.

생태계의 보전가치 및 보호지역 지정 필요성에 대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평가 기준을 수립하고 후보지 탐색 절차 및 지정 범위 설정 기준을,

확립함

전국의 생태 또는 경관 우수 지역을 발굴하여 보호지역 지정 후보지로❍추천하며 기 지정된 보호지역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제시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생태연구부 자연보전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보호지역 지정 기준 수립❍생태계 보전가치 및 보호지역 지정 필요성의 정량적 평가 기준 수립-

생태계 유형별 평가항목 설정 및 평가기준 구체화-

보호지역 지정 후보지 탐색 및 지정 범위 설정 기준 연구❍- 기존 조사결과를 활용한 실내 분석으로 지정 후보지정밀조사지역 탐색( )

보호지역의 등급별 지정 범위 설정 기준 및 지도화 방안 연구-

생태경관 우수지역 발굴 및 보호지역 후보지 추천❍ ․해안사구의 생태계현황 및 보전 실태 조사 보전 가치 평가- ,

하구역의 생태계 조사 및 보전 가치 평가-

무인도서 자연환경조사 및 생태경관적 보전가치 평가- ․기타 생태경관적 보전가치가 높은 생태계 또는 자연경관 발굴- ․

Page 111: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07 -

기 지정 보호지역의 효율적 관리 방안 연구❍습지보호지역의 생태계 변화 추적 원인 규명 및 보전대책 제시- ,

특정도서의 생태계 변화 추적 원인 규명 및 보전대책 제시- ,

생태경관보전지역 등 기타 보호지역의 효율적 관리 방안 연구- ․조사 자료 및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한 보호지역 관리 개선방안 제안-

기대효과IV.

보호지역 지정 필요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와 객관성 확보❍보호지역 발굴 및 지정 범위 설정 절차 표준화❍생태경관적 보전가치가 큰 지역을 발굴하여 보호지역으로 지정 건의❍ ․

❍ 기 지정 보호지역의 생태계 변화에 대처하고 생태 특성 보전 방안 제시,

조사 자료와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기존의 보호지역 관리방안 개선❍

Page 112: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08 -

3-3-1 의 생태계 영향평가 및 안전관리LMO

연구목적I.

경제적 유용성으로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으므로 인체 및 환경에LMO❍대비한 철저한 안전관리가 필요

❍ 바이오안전성의정서 의 국내 이행법인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 「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 에 따른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의도적 및 비의도적,」 환경

방출에 대한 잠재적 위해성을 사전에 차단하는 안전관리 방안 마련 및 이행

의 잠재적 위해성으로부터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자연생태계 보전LMO❍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생태연구부 바이오안전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환경방출 의 자연생태계 안전관리에 관한 사항LMO❍의 자연생태계 위해성 심사 및 심사협의- LMO

자연환경위해성 전문가 심사위원회 운영LMO․환경정화용 의 안전관리 계획 안 및 세부시행계획 안 마련- LMO ( ) ( )

국제협력 업무-

바이오안전성당사국총회 참석등을 통한 규제체계 마련OECD,․환경정화용 수출입 등에 관한 업무LMO❍환경정화용 의 안전관리를 위한 행정절차 수립 및 이행- LMO

연구시설 및 생산시설 관리-

위해성평가기관 지정 및 관리-

- 부정적 영향 접수 유출의심지역 및 부정적 영향 신고 창구 마련(LMO )

Page 113: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09 -

의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연구LMO❍의 환경중 모니터링 기법 개발 및 생태계 영향 연구- LMO

환경정화용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자연생태계 영향연구․의 자연생태계 모니터링 및 사후관리 연구- LMO

국내 유통 의 모니터링 수행에LMO-FFP(Food Feed & Processing)․따른 자연생태계 검출기법 및 프로토콜 개발

자연생태계 모니터링 수행 및 결과에 따른 사후관리LMO․환경정화용 미생물의 환경안전성 관리기법 개발 본부 재배정 사업* LM ( )

가 토양미생물 생태계 미치는 영향평가기법 개발본부 재배정 사업* LMO ( )

국내 수입유통 의 자연생태계 모니터링 기술개발본부 재배정 사업* LMO ( )․의 정보 관리 및 교환에 관한 사항LMO❍

홈페이지 운영 및 관리- LESC(Labour Euro-Safeguards Campaign)

환경부 심사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운영- LMO

기대효과IV.

의 효율적인 안전관리체계 확립LMO❍의 잠재적 위해성 예방 및 관리로 건전한 생태계 유지LMO❍

❍ 환경위해성 평가체계 확립으로 국내 생명공학산업 발전의 기반조성LMO

환경보전에 적극적 대처를 통한 환경부 위상 제고❍

Page 114: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10 -

3-3-2 야생동물 인수공통질병 예방 연구기반 구축 및 네트워킹

연구목적I.

과거에 비해 인수공통질병이 증가함에 따라 야생동물 기원질병에 대한❍사전 예방적 연구가 필요함

❍ 국내 조류인플루엔자 가 최근 대발생함에 따라 야생조류의 감염(AI)

여부를 신속히 알 수 있는 모니터링 체계구축을 통한 야생동물

질병연구 수행

❍ 야생동물의 인수공통질병 발생현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네트워킹,

방안을 제시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생태연구부 바이오안전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야생동물 및 인수공통 전염병에 대한 연구❍야생조류의 집단폐사에 대한 원인 규명-

- 야생동물의 이동과 변이 연구를 통한 가축질병 및 보건 관리 연계성 연구

상시모니터링 연구AI❍야생조류의 포획 사체 및 분변을 통한 조류인플루엔자 탐색 조사- , (AI)

국내 타 기관에 의한 철새포획 현황 조사 및 시료 이관 추진-

예찰을 위한 폐사체 신고 시스템 점검- AI

분석시스템 구축AI❍바이러스 및 항체의 신속 탐색법 비교 연구-

고병원성 발생시 안전을 대비하여 시설 장비 예산 확보 추진- BL3

Page 115: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11 -

이동 가능성 관련 철새와 텃새 생태 연구AI❍우선 조사 대상이 되는 국내 야생조류 민감종 선정 및 이동경로 조사-

철새와 가금류 접촉이 빈번할 수 있는 우선조사지역 파악기법 연구-

❍ 국내외 기후 변화 관련 인수공통전염병 발생에 대한 문헌 자료 조사 연구

국내외 연구기관의 유사연구 및 연구 활용 현황 등-

국내 유입우려의 해외 야생동물 인수공통전염병 연구 현황 파악-

현재 국내추진 중인 사업과 관련 환경보건학적 연계와 활용 방안 제시,❍인수공통질병 연구 관련 환경보건학적 연계와 활용 방안 제시- ,

국내 유입우려 해외 야생동물 인수공통전염병 연구 현황 파악-

야생동물의 인수공통질병 발생현황 모니터링❍유행성 출혈열 렙토스피로시스 등 주요 질병의 발생 현황 조사 및- ,

설치류의 개체 자료 확보

분리된 원인체의 야생동물 인수공통질병 연구에서의 활용 방안 제시-

기대효과IV.

야생조류의 감염 여부를 파악하여 전파경로를 규명AI❍야생동물의 인수공통전염병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방안 제시❍야생동물의 인수공통질병관리 방안 제시❍국내 야생동물의 보전방안 마련 및 국민건강보호를 위한 과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Page 116: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12 -

3-3-3 지속가능한 생태계 이용체계 확립 연구

연구목적I.

❍ 생태관광 등 자연환경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방안 모색

생태계 구조 및 생태계 서비스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다수의❍국민들이 자연환경에 쉽게 접근하여 체험할 수 있는 방안 모색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생태연구부 자연보전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생태관광자원 발굴 및 해설❍기존 조사결과 분석을 통해 탐방가치가 큰 생태관광자원 발굴-

발굴된 자원의 생태관광 활용방안 연구-

- 생태관광자원의 생태경관적 특성과․ 역사 문화적 내용을� 일반인에게

설명하기 위한 스토리텔링 자료 개발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생태관광 해설방법 및 자연환경해설사의 전문성-

제고 방법 연구

생태관광자원을 활용한 생태계보전 방안 연구❍생태관광자원을 이용한 지역이미지 제고 방안 연구-

생태계 보전을 위한 지역주민 참여 및 주민생활 지원방안 연구-

생태관광자원 보전 복원 계획 수립 및 방법 연구- �

생태관광자원 모니터링 가이드라인 마련 및 한계용량 산정-

생태관광 관련 지표개발❍생태관광객 인구 생태관광 여가비용 생태자원 가치 등을 추산할 수- , ,

있는 지표 개발

Page 117: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13 -

기대효과IV.

생태관광자원 발굴 및 관광자원 해설을 통해 생태관광 활성화❍생태계 정보 온라인 제공으로 국민들의 탐방정보 접근성 향상❍생태계 보전과 연계한 생태관광자원 보전 및 이용 가능❍생태관광을 통해 지역발전과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Page 118: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14 -

3-3-4 도시림 관리 및 도시 생물서식 공간 조성 연구

연구목적I.

❍ 산림이 국토의 를 차지하고 있지만 도시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65%

산림훼손이 증가하고 있고 도시지역 산림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므로 도시 생태계 유형과 기능별 조성 및 관리에 대한 기초자료 확보 필요

❍ 도시 주변의 산림이 인간활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도시림 관리

기능과 중요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조성 및 관리 방안 수립에 활용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3 (2012~2014 )❍담당부서 생태연구부 생태평가과:❍

주요 연구내용III.

❍ 도시림의 산림생태학적 기능 분석

도시림 식생의 종조성과 구조적 특성 연구-

도시림의 상관적 식물군락 분포 및 변화상태 연구-

산림식생의 관리단위간 구성종의 유사성 연구-

산림식생 관리단위별 구성종의 생태적 영향력 분석-

산림식생의 관리단위별 식물종 다양성 조사-

도시림의 자원특성 조사❍임상 영급 임분축적 등 산림자원 조사- , ,

식물분포 식생의 종조성 구조적 특성 등 산림식생 조사- , ,

야생동물의 서식실태 및 희귀멸종위기동물 분포 조사- ․

Page 119: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15 -

생활환경림의 기능 및 역할 평가❍생활환경림의 기능분류 조사-

도시근교림의 기능 및 중요성 분석평가- ․도시근교림 기능의 조닝 분석- (ZONING)

도시림의 기능과 평가❍생물자원으로서의 기능평가-

환경자원으로서의 기능평가-

문화자원으로서의 기능평가-

기대효과IV.

도시림의 실질적 현황 측정 및 진단 자료 확보❍도시림 관리 기본계획 및 정책수립의 과학적 자료 제공❍도시림 조성을 위한 사회문화적 가치 분석자료 제공❍ ․도시림의 환경기능 및 경제기능 분석 자료 제공❍과학적 관리를 위한 도시림 관련 지표 개발 및 관리방안 구축❍

Page 120: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16 -

3-3-5 훼손 또는 오염된 생태계 복원 연구

연구목적I.

보존이 잘된 지역을 찾아 보호하는 기존의 정책을 탈피하여 훼손 또는,❍오염된 생태계를 복원하는 보다 적극적인 환경정책 구현

❍ 훼손 또는 오염지역의 복원기법을 개발함으로써 국토의 생태계 수용능력 제고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생태연구부 생태평가과:❍

주요 연구내용III.

❍ 단절된 서식지의 복원 연구

생태통로 생태축 조성 관리기법 및 야생동물의 이동 특성연구- , ,

복원 구간의 모니터링 기법 및 생태축 복원 구간의 토지이용 관리방안-

서식지 연결에 의한 생태계 수용능력 변화 평가 기법-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종 이동경로 구축 방안-

훼손된 서식지의 복원 연구❍폐광산 폐도로 등 용도폐기 지역의 서식지 복원 기법- ,

국립공원 등 보호지역 내 도로 유실 시 친환경적 복원재건 기법- ․생태계 수용능력 향상을 위한 서식지 관리 기법-

자연형 하천 복원 등 생물 서식공간 조성 연구-

기대효과IV.

국토의 생태계 수용능력 향상❍환경 친화적인 생태계 복원기술 축적❍

Page 121: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17 -

4-1-1 대강수계 실시간 예경보 및 사전오염예방 지원시스템 구축4 ․

연구목적I.

❍ 대강 살리기 사업의 성공적 시행을 위해서는 과학적 유역관리를4

기반으로 하는 안정적 수질관리 대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실측,

자료를 이용한 수질변화의 실시간 예측 및 수질오염 사전저감을 위한

중장기 환경정책 지원시스템 마련이 요구됨

❍ 본 연구는 대강 살리기 사업기간 동안 국가측정망 및 자동측정망4

자료를 이용하여 상시 운영 가능한 수질 예경보 시스템을 구축하고,․오염부하량 및 장래 개발계획 등을 반영하여 장기 수질변화 예측

시스템을 구축하여 이를 바탕으로 대강 사업이 성공적으로 시행될, 4

수 있는 기술적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물환경연구부 수질총량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유역환경자료 통합 및 표준화❍물환경정보시스템 국가수질측정망 전국오염원조사시스템 국가자동- , , ,

측정망 등 기존 환경정보들의 표준화 방안 마련 및 통합관리

최신 오염원을 이용한 오염부하량 갱신 및 배포❍매년 갱신되는 최신 오염원자료를 이용한 공인 오염부하량 산정-

실제 토지이용을 반영한 개 지목별 오염부하 점유율 산정- 28

대강 살리기 사업 환경변화 영향 분석4❍공사중 오염사고 원인분석 및 신속한 대응체계 마련-

Page 122: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18 -

- 수질오염방제센터 및 화학물질배출량 조사시스템 과 공조하여 오염사고(TRI) ,

발생시 오염물질의 취정수장 도달시간 및 영향반경 실시간 분석 및 통보

사업후 환경변화 원인분석 및 가동보 운영조건에 따른 수질변화 등-

대강살리기 관리방안 마련post-4

실측자료를 활용한 실시간 수질변화 감시 및 예 경보 시스템 구축�❍- 기상예보 및 일 간격 실측수질을 이용한 실시간 수질변화 예측 시스템 구축8

- 오염물질 배출시나리오에 따른 단기 수질 예경보 및 사전오염예방 지원�

시스템 구축

기상변화에 따른 실시간 조류 예보 시스템 구축-

국가 중장기 환경정책지원을 위한 장기 수질모의 체계 마련❍오염원 장래변화 및 개발 삭감계획 수립에 따른 수질변화 모의- ,

- 유역모델과 연계한 장기수질모의를 통해 비점오염원에 의한 수질영향 분석

기대효과IV.

❍ 성공적인 대강살리기사업 지원체계 구축 및 사후 관리를 위한 기반 마련4

❍ 수질단기예보를 통한 상시 오염배출 감시체계 마련 및 신속한 사고대응

❍ 수질장기예측을 통한 과학적 기반의 국가 환경정책 의사결정지원시스템 마련

Page 123: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19 -

4-1-2 대강 살리기 사업에 따른 수질오염총량관리 목표 재설정 연구4

연구목적I.

❍ 대강 살리기 사업의 성공적 시행을 위해서는 유역통합관리를 통한 안정적4

수질관리가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사업시행에 따른 하천환경 및 수질,

관리 여건변화에 대비한 오염총량관리제도의 시행 방안 마련이 필요함

❍ 본 연구는 대강 살리기 사업의 시행이 오염총량관리에 미치는 영향을4

분석하고 이에 대비한 다양한 최신 과학기술의 검토 및 적용방안 연구를,

통해 오염총량관리제도의 선진적 운영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물환경연구부 수질총량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대강 살리기 사업 시행에 따른 수질오염총량관리 목표 재설정 연구4❍하천환경변화- 하천단면변화 보운영 총인 방류수 기준 강화 등( , , )에 대비한

제 단계2 (‘11~’15) 오염총량관리 기준유량 및 목표수질 재설정 연구

- 이수목적과 수체특성에 부합하는 수계구간별 관리대상물질 및 시공간적�

기준유량 설정 방안 연구

지천 중심의 오염총량관리 체제 전환에 대비한 관리방안 연구-

수질오염총량관리 목표달성을 위한 정책 연구❍- 대강살리기 사업 시행에 따른 오염총량관리계획 수립 및 이행 방안 연구4

- 기술경제적으로 달성 가능한 관리목표 설정 및 목표달성을 위한 구체적�

이행방법 제안

Page 124: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20 -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의 안정적 시행을 위한 정책 연구❍수질오염총량관리제 법률체계 분석 및 제도 개선방향 검토-

- 체계적 과학적 오염원 현황파악 및 예측기법 제안/ 오염원 자료의 정보화(

마련 및 활용 방안 포함)

오염원의 시 공간적 적정 할당방법 검토- �

이행평가 결과를 활용한 목표달성 가능성 평가방법 마련-

최신 과학기술기반의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 선진화 연구❍오염물질 유출경로 정밀분석을 통한 오염부하량 산정기법 개선-

유역모델 기반의 오염총량관리기법 검토-

오염부하지속곡선 등을 활용한 관리목표 달성여부 평가 방안 검토-

오염물질 배출권 거래제도 활용방안 검토-

기대효과IV.

대강살리기 사업에 따른 합리적 오염총량관리제도 시행기반 마련4❍❍ 시행과정에서 발견된 문제점의 신속 보완을 통한 제도 안정화

최신 과학기술 및 제도 도입을 통한 선진 유역관리 체계 구축❍

Page 125: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21 -

4-1-3 대강 살리기 사업 시행 전 후 물환경 종합 모니터링4 ·

연구목적I.

❍ 대강 살리기 사업에 의해 본류 및 주요 지류를 단계적으로 정비하는데4

따른 물환경 변화를 평가하고 후속 관리에 필요한 자료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물환경연구부 물환경제어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수문지형 변화로 인한 유기물 영양염 거동 변화(hydromorphology) ,❍유기물 영양염 분포 변화- ,

․ 기후와 유역 특성을 고려하여 선정된 하천 구간에서 유기물 유출,

분배 제거 조사,

․ 수층 저층 생물권의 유기물 분포 전환 현상 변화 평가, , ,

수체의 영양염류 동화작용에 대한 영향-

․ 하천의 유하거리에 따른 입자성 및 용존성 영양염류 동화 분해현상,

조사

․ 체류시간 연장에 따른 하천의 입자성 및 용존성 영양염류 거동 변화

모의

부유물질 이동 퇴적 양상 변화로 인한 미량 유해물질 분포 재편,❍부유물질에 포함 이동되는 금속류 비휘발성 유기물질 측정- , ,

하천 퇴적물의 산화환원 조건 변화에 따른 유기물 영양염 유해물질의- , ,

수직적 분포 퇴적층 수층간 상호작용 조사, -

Page 126: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22 -

기대효과IV.

❍ 수문지형 변화에 직간접적으로 영향받는 물환경 요소와 작용에 대한 이해�

❍ 점오염원 비점오염원의 배출 관리 정책 수립에 필요한 시사점 제공,

❍ 하천관리 조치의 효과 평가에 적합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Page 127: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23 -

4-1-4 고분광 위성영상을 이용한 환경모니터링 기법 개발

연구목적I.

❍ 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유역환경의 변화가 예상됨에 따라 사업시행4

전후의 유역환경 변화를 지속적경제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기술이 필요‧ ‧❍ 최근 인공위성 센서 기술이 급속도로 발달되고 환경 와 수질 의GIS TMS

인프라가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어 이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첨단

환경모니터링 기술이 가능

❍ 본 연구는 고분광 위성영상 자료분석을 중심으로 관련 첨단관측기술을

융합하여 지능형 원격 환경모니터링 기법을 개발하고 현장 적용성을,

검토평가하는데 있음․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물환경연구부 수질총량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고분광 위성자료를 활용한 환경❍ 모니터링 기법 개발 년(2010~2014 )

위성자료분석시스템 구축 및 위성자료 전처리 연구 년- (2010 )

- 고분광 위성자료를 활용한 원격 조류감시 알고리즘 개발 년 년(2011 ~12 )

- 항공사진 등 원격탐사 자료를 활용한 부유물질 모니터링 연구 년 년(2012 ~13 )

다년도 고해상도 위성자료와 를 활용한 하천습지면적 시해상도- GIS

변화패턴 분석 년(Temporal resolution) (2012~14 )

고분광 위성자료와 첨단 관측기술을 통합한 원격환경관측망 구축 연구❍년(2013~2014 )

영상 및 위치정보 융합한 환경관측망 시범 연구 년 년- GIS, (2013 ~14 )

Page 128: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24 -

기대효과IV.

고해상 위성자료를 활용한 유역환경 습지면적변화 분석기술 확보❍대강 살리기 사업에 따른 유역환경변화 모니터링 자료 수집4❍첨단 관측기술이 융합된 원격환경관측망 기술 확보❍

Page 129: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25 -

4-1-5 하상변동 예측과 준설량 및 주기 산정 연구

연구목적I.

대강 살리기 사업에 따라 인위적으로 바뀐 하상지형이 급격한 변동4❍이후 재평형상태에 이르는 과정 예측

사업 목적에 따른 수심유지를 위한 준설량 및 준설주기 산정❍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4 (2010~2013 )❍담당부서 물환경연구부 수질총량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본류 및 지류의 유사량 모니터링❍사업구간 보구간 상류의 유사량 관측 사업 후 본류 모델링의 유입- ( ) →

경계조건 및 유역모형 보정자료로 활용

보구간은 이미 사업이 진행 중으로 사업 전 유사량 모니터링은 불가하며 기존※

자료를 활용기존 자료는 자료이며 는 없음( suspended load bed load )

및 모두 관측 필요suspended load bed load․입경분포 및 강우강도별 유사량 분석․

- 유역으로부터 지류를 통해 본류로 유입되는 유사량 관측 유역모델링의→

보정 자료로 활용

유사량 예측을 위한 유역모형 구축❍관측된 유사량 자료를 이용하여 유사량 모의를 위한 유역모형 구축-

입경별 일평균 및 연평균 유사량 예측-

차원수리모델링을 통한 단기하상변동 예측3❍유역모델링 결과 및 관측자료를 활용하여 모형개발-

Page 130: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26 -

사업 직후로부터 안정화에 이르기까지 하상의 변화예측-

사업 직후에는 인위적인 하상변경 및 보설치로 인해 하상이 유량과 비평형상태에※

있으며 따라서 평형상태에 이르기까지 급격한 하상변화가 예상됨

❍ 예측된 연간 유입 유사량을 바탕으로 수십년 이상의 장기하상변동 예측

지속적인 준설이 없는 경우의 장기 하상변동 예측-

준설량 및 준설주기 산정❍장기 및 단기 하상변동예측결과 및 유입유사량 예측결과를 바탕으로-

사업 목적에 따른 수심유지를 위한 준설위치 준설량 및 준설주기 산정,

가동보 운영방식에 따른 하상퇴적토 방출효과 분석❍가동보 운영시나리오별 하상변동예측-

기대효과IV.

경제적이며 체계적인 유지관리 준설 계획 수립❍사업 후 하상변동을 예측을 통해 보 제방 및 낙차공 등 수리구조물의,❍안정성 평가를 위한 자료제공 쇄굴방지 등( )

최적 보운영을 위한 자료제공❍수질 및 수생태 영향예측을 위한 자료제공❍

Page 131: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27 -

4-1-6 준설토 토양환경 안정성 평가 연구

연구목적I.

토양침식 및 집중 강우 등에 의해 유출된 토사가 하천이나 호소에서❍침전되어 형성된 퇴적물을 준설하여 자원으로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해야 함

❍ 특히 준설토를 토양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용목적에 따라 이화학적

특성 및 오염도 등 다각적인 환경성 검토가 필요하므로 준설토 관리

정책에 활용할 수 있는 분류방법 및 체계 정화방법 등을 정립하고자 함,

연구기간 및 소요예산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3 (2010~2012 )❍담당부서 물환경연구부 토양지하수연구팀:❍

주요 연구내용III.

국내외 준설현황 기준 처리방법 등 자료조사, ,❍국내외 준설 사례 조사-

준설토 처리와 이용 현황-

국내외 준설토 특성 등 조사자료 수집-

준설토 분류 체계 구축 연구❍준설토 입자크기 및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른 분류 체계-

준설토 오염물질 및 오염도별 분류 체계-

오염된 준설토 정화 방법 연구❍준설토 특성에 따른 정화기술별 평가-

- 비용경제적이고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오염된 준설토 정화기술 최적화,

Page 132: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28 -

준설토 토양 적용 후 토양환경 변화 연구❍토양 이화학성 토양오염물질 등 변화 조사- ,

토양 및 지하수환경에 미치는 영향 평가-

기대효과IV.

❍ 준설토 처분에 따른 토양환경 관리정책에 활용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준설토 정화기술 제시❍토양환경 보전정책 수립에 과학적인 근거자료로 활용❍

Page 133: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29 -

4-1-7대강 중점관리지역 하수종말처리장의 물리 화학적 인4 ⋅최적처리 및 최적관리 방안 연구(BAT) (BMP)

연구목적I.

중권역 별로 차등 적용 예정인 강화된 방류수 수질기준 예 총인( :❍을 충족하기 위해선 하수처리 시 화학적 응집공정의 도입이0.2~0.5ppm)

필수적인 상황임

❍ 그러나 강화될 수질기준에 적합한 인 처리 및 관리방안에 관한 기술적,

자료와 사례가 미흡한 실정이어서 대강 관리지역 하수종말처리장의4

설치 및 운영계획 수립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으므로 체계적이고 구체화된,

기술적 대응방안 마련이 시급함

생물반응조에 응집제를 직접 투입하여 인을 제거하는 연구는 진행되었❍으나 총인 기준 설정을 위한 것이었고 범용적 운전조건이나0.5ppm ,

생물활성변화는 제시되지 않았음

❍ 본 연구에서는 최적 인처리방안을 위한 조사 및 실험 모델링을 접목한,

인제거 및 경제성 평가기법의 개발을 통하여 강화될 수질기준에 부합할

수 있는 기술적 대응방안을 마련하고자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2 (2010~2011 )❍담당부서 물환경연구부 물환경제어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하수처리 유출수의 등급별 차처리 특성평가 및 최적화3❍- 인농도 응집제 종류 알칼리도 등의 조건 별 화학적 최적 처리기법 도출, , (BAT)

고액분리 방법 중력 부상 여과 등 별 총인제거 효율평가 및 슬러지- ( , , )

발생량 산정

생물반응조 응집제 투입에 따른 인제거 효율과 영향평가❍

Page 134: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30 -

유입수 인농도 등의 조건에 따른 인제거 효율 평가 및 최적화- , MLSS

응집제 종류 및 주입량에 따른 생물학적 활성 특히 질산화 저하의- ( )

정량화와 수처리에 미치는 영향 평가

막분리공정 에서 응집제 첨가 시 막폐색에 미치는 영향 평가 및- (MBR)

적정 인처리 방안 마련

❍ 대강 중점관리지역 하수처리시설 인제거 시설의 현장진단을 통한 실태조사4 ( )

- 하수처리 인제거 공법 및 슬러지 폐기량 별 인제거 성능 및 유지관리성 평가

슬러지 처리 유형 별 반류수의 인농도 조사-

운영상 발생가능한 문제점 파악 및 대응방안 마련-

생물학적처리와 인제거공정의 모델을 연계한 등급별 최적관리 기법❍도출(BMP)

활성슬러지모델 을 이용하여 하수처리공법별 동적해석을 통한- (GPS-X) ,

오염물질의 거동예측

- 을 이용한 화학적 인처리공정의 물리화학적모델 구축Mass Intergration

활성슬러지모델과 을 연계하여 시나리오별 최적관리- Mass Intergration

방안 제시

화학적 인 처리공정 별 경제성 평가기법 개발 및 활용❍을 이용한 에너지 소모량 등 경제성 평가기법 개발- Mass Intergration

공정 별 에너지 소모량 평가 및 에너지 효율 향상 방안 마련-

기대효과IV.

강화될 방류수 수질기준에 대응 가능한 기술적 방안 제시❍수질관리정책 수립의 기술적 근거자료로 활용❍

Page 135: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31 -

4-1-8저류시설댐보군을 연계한 수계 유입오염물질의 거동 및( , )

수질관리방안 연구

연구목적I.

❍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와 가뭄 등 극한 기상의 빈발에 대응하여 수자원

이용의 효율성 제고 및 수질과 수생태계의 보전을 목적으로 대강4

살리기 사업이 계획 추진되고 있음․❍ 동 사업의 진행에 따라 수질오염 및 돌발적인 수질오염사고 가능성

증대 및 대강사업 이후 저류시설에서의 물의 정체 등 물과 물질4

이동의 변화가 예상됨

❍ 따라서 동 사업의 추진과정 및 완공이후 예상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제고하여 동 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통합물환경관리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대강 물환경연구소: 4❍

주요 연구내용III.

저류시설 댐 보 설치 구간에 대한 수환경 변화 모니터링( , ) ('10 ~ '12)❍- 공사구간에서의 퇴적층으로부터 수층으로의 유무기오염물질 거동분석․공사시 발생 가능한 탁수 장기 모니터링 및 하류구간에서의 영향 분석-

상류 저류시설 댐 보 공사에 따른 팔당호 유입부 및 취수부에 미치는( , )❍영향 분석('10 ~ '12)

준설 등 하상 변동에 따른 팔당호 유입부 및 취수부에서의 수질 변화-

분석

상류 유입유량 변화에 따른 조류 발생 특성 분석 및 영향 평가-

Page 136: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32 -

실시간 수질 예측을 위한 유입부에서의 실시간 수질 모니터링 구축- DB

팔당호 수질예측시스템 구축 및 대응방안 모색('10 ~ '12)❍차원 동적모델 수리 수질모델 에 의한 실시간 영향 예측- 3 (EFDC � )

저류시설 댐 보 건설 및 하상준설 중 시기별 경계 조건 변화에 따른- ( , )

수질 예측

다양한 시나리오별 대응 방안 모색-

영향 인자별 관리 방안 수립-

저류시설 댐 보 군을 연계한 효율적 수질관리방안 연구( , ) ('12 ~ '14)❍저류시설별 체류시간 수량 변화 등 수리수문변동 조사 및 수질영향- , ․인자 도출

각 저류시설별 수질의 안전성을 더욱 제고하기 위한 유역별 환경관리-

개선안 제시

건강한 수생태계 창출 및 유지를 위한 관리방안 연구('12 ~ '14)❍수생태계의 변화 조사 및 수생태계 창출과 조기 안정화를 위한 물리적- ․생태학적 환경 인자 도출

- 각 수체구간별 수생태계 특성 파악 및 건강성 제고를 위한 관리방안 제시

수환경 복원사업 효과 분석 및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12~ )❍생태하천 등 수질개선 사업에 따른 수질개선 효과분석-

사업 후 오염우려 예상 지역에 대한 원인 분석 및 대응방안 수립- ( )

기대효과.Ⅳ

❍ 물관리 여건 변화에 따른 수질 및 수생태계의 안전성 및 건강성 확보에

기여

수질 여건 변화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물환경관리방안 수립을❍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구축

Page 137: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33 -

4-2-1 물환경중 유해오염물질 전과정 통합평가 및 정책지원시스템 개발

연구목적I.

❍ 토양 대기 등 여러 환경매질 사이의 유해물질 이동을 평가하고 장기적인, ,

농약 사용량 및 종류의 다양화로 인해 증가될 먹는물의 안전성 위협과

수생태계 위해성에 대한 평가 필요

유해물질의 분포와 이동에 기후변화가 미치는 영향 평가 및 관리 지원❍❍ 기후변화에 의한 물환경 영향 감시예측시스템 구축을 통한 효율적인�

물환경 정책 의사결정 지원

❍ 공공수역에서의 환경오염 감시대응체계 강화를 통해� 생태적으로 건강한

하천과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물환경 조성에 기여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물환경연구부 물환경제어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 토양권 대기권 수권 사이의 유해물질 이동, ,

- 휘발성물질 등의 물질이 대기권 및 수권간 이동 유해금속 분포 조사,

❍ 농약 사용량 및 종류 변화에 의한 수질에 미치는 영향

- 농업활동 및 토지이용 변화로 인한 농약 종류 사용량 살포 시기 변화 예측, ,

- 농약 종류 사용량 살포시기 변화 예측에 따른 수질 영향 예측, ,

❍ 기후변화에 의한 공공수역의 수질 및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위한 다양한

물환경 모니터링 결과에 대한 물환경 기초자료의 관리 평가분석시스템의/ �

확대 구축

❍ 기후변화 대비 물환경 영향의 신속한 평가대응을 위한 수질 수량 오염원� / ,

등의 다양한 물환경 정보 데이터의 정보유통 및 연계분석 체계 구축

Page 138: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34 -

❍ 『물환경정보시스템 연계를 통한 항목별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구축』

방안

기후변화 정책지원을 위한 평가요소별 정보 가공 및 의사결정 기법의-

구축 및 정보활용 시스템 구축

기대효과IV.

❍ 기후 변화로 인한 유해물질 유출 거동 변화 평가 자료 및 예측 시스템을,

수질정책지원시스템에 연계하여 지속적 활용

❍ 기후변화에 대비한 실질적인 물환경 감시 대응체계 구축�

- 기후변화에 따른 물환경에서의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변화요소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의 수집 및 관리를 통한 정보활용 체계 구축

미래 기후변화에 대비한 효율적인 물환경 관리 지원-

Page 139: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35 -

4-2-2 공공수역의 건강성 확보를 위한 관리기준 및 제도 연구

연구목적I.

공공수역 관리 정책방향을 국민 건강 보호와 생태계의 건강성 보전을❍위한 통합관리로 전환함에 따라 부문별 기준 설정과 관리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2 (2012~2013 )❍담당부서 물환경연구부 물환경제어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위해성에 근거한 물환경 관련 기준 설정 및 시행 제도❍인체 노출경로 먹는물 음식물 접촉 를 고려한 위해성 평가 및 보호- ( , , )

기준 설정 체계

물환경 구성 요소별 위협 인자 도출 및 관리 우선순위 선정 방법-

유역단위의 배출허용기준 설정 및 관리 체계-

수계특성을 고려한 모니터링 및 평가 체계-

생태계 건강성과 저해 요인의 관계 규명 및 시행❍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및 저해 요인 확인 방법-

수생태계의 서비스 기능 및 용량 평가 방법-

훼손된 수생태계의 관리 목표 설정 및 개선 조치 연계 방안-

기타 물환경 이용 여건 개선❍부유물질 병원성생물 수산물을 고려한 물환경 권고치 도출 방법- , ,

Page 140: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36 -

기대효과IV.

물관련 기준 설정 체계화❍물환경 관리 수단의 효과적 연계 체제❍선진화된 방법과 과학적 자료를 토대로 한 정책 수립과 지속적 갱신❍

Page 141: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37 -

4-2-3 하 폐수 고도처리 및 물순환 이용체계 개선 연구·

연구목적I.

❍ 현재의 생물학적 하 폐수 처리로는 대강 수질개선을 목표로 한 년� 4 2012

시행예정인 방류수 수질기준을 충족시키기 어려우며, 기후변화에 따른

용수의 수급 불균형으로 인한 물순환 이용체계 개선의 일환으로 하 폐�

수의 재이용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는 실정임

따라서 강화되는 수질기준을 고려한 하 폐수 고도처리 기술의 평가와�❍현실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하 폐수의 재이용 용도 수량별 적정, � ,

처리기술 제시 및 재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공학적인 기준을 제시하고자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2 (2010~2011 )❍담당부서 물환경연구부 물환경제어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중권역 별로 차등 적용 예정인 강화된 총인 기준 에 부합(0.2~0.5ppm)❍하는 화학적 인처리에 관한 연구

- 생물반응조 및 최종침전지의 응집제 투입시 유입수 인농도 응집제 종류, ,

알칼리도 등의 조건 별 화학적 최적 처리기법 도출MLSS, pH,

- 고액분리 방법 중력 부상 여과 등 별 총인 제거효율 및 유지관리성 평가( , , )

강화예정인 방류수 수질기준을 고려한 하 폐수처리장 규모와 고도처리�❍공법 별 문제점 파악 및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고도처리공법 담체 등 과 처리규모 별 현황분석 문제점- (A2O, , MBR ) ,

파악과 해결책 제시

- 공법 규모 계절별 반류수에 의한 수질오염물질 부하 평가와 처리방안 검토, ,

Page 142: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38 -

모래여과 등 차 처리의 운영상황 파악 및 유지관리성 평가- 3

❍ 기존하수처리시설의고도처리개선사업의문제점및개선방안에관한연구 위탁( )

실시설계 분석과 현장진단을 통한 하수처리장 운전개선- (Renovation)

사업시 문제점 및 개선방안 제시

실시설계 분석과 현장진단을 통한 하수처리장 시설개량- (Retrofitting)

사업시 문제점 및 개선방안 제시

고도처리 설치 및 개선사업 업무지침 문제점 및 개선방안 제시-

하 폐수 재이용 활성화를 위한 기술적 방안 마련에 대한 연구�❍하 폐수 재이용 현황 및 문제점 검토- �

재이용용도 및 수량 별 세분류화 및 비용경제적인 적정 처리기술 제시-

재이용 수질 용도 별 재이용 기준과 지침에 관한 기술적 문제점 검토- ,

및 해결방안 제시

하 폐수 고도처리와 재이용에 관한� VE (Value Engineering)/LCC (Life❍평가 위탁Cycle Cost) ( )

고도처리공법과 규모 별 평가- VE/LCC

하 폐수 재이용을 위한 처리공법과 규모 별 평가- � VE/LCC

하 폐수 고도처리와 재이용 연계 시 평가- � VE/LCC

기대효과IV.

하 폐수의 고도처리 시 다각화된 조건 및 상황에서의 적정 수질오염�❍물질 처리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환경기초시설 방류기준을 선진화하고,

대강 수질개선을 위한 정책 및 관련 산업의 기술적 지원 자료로 활용4

하 폐수 재이용의 용도 별 적정 처리기술 및 재이용 기준과 지침에�❍관한 개선방안 제안으로 재이용 촉진 및 용수부족 문제 해결

하 폐수 고도처리공정과 재이용 기술의 설계내용에 대한 경제성 및�❍타당성을 기능별 대안별로 평가함으로써 합리적 정책수립 및 기술선정의,

근거자료로 활용

Page 143: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39 -

4-2-4 수생태 건강성 회복방안 연구

연구목적I.

“❍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에 의해 하천 등 담수 생태계의”

수질관리 및 건강한 담수생태계 환경 조성 필요성 대두

대강 사업에 따른 수생태계 변화 시 대응 방안 수립4❍멸종위기종 등의 중요 생물종에 대한 서식지 보존 및 복원 방안 수립❍기존의 수질 관리와 더불어 건강한 담수생태계 보전 대책을 마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물환경연구부 유역생태연구팀:❍

주요 연구내용III.

대강의 수생태계 변화 과정 모니터링 수행4❍대강 정비사업 시행 전후의 수중생태계 변화 추적- 4

주요 생물종의 서식지 보존 및 복원 방안 수립❍대강 사업 구간내 천연기념물 멸종위기종 및 한국 고유 생물종의- 4 ,

분포 실태 및 사업 수행시 보존 방안 연구

법적 보호종의 서식지 연구 및 증식 방안 연구-

서식지외 보전기관 지정기준 재정비-

대강 특성을 고려한 저등급 서식지 및 수변환경의 복원 방안 연구- 4

생물측정망 도입에 따른 지침 및 운영관리방안 수립❍각 생물군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지침 보완-

생물측정망 조사지점의 대표성 평가 및 조정 방안 마련-

Page 144: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40 -

효율적인 생물 측정망 운영 방안 마련 운영주체 방안 현장- ( , QA/QC ,

조사자 재교육 등)

기대효과IV.

대강 정비사업 수행에 따른 수생태계 피해 최소화 방안 제시4❍법적 보호생물종 등 주요 생물자원의 유지 및 서식지 회복 방안 제시❍

Page 145: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41 -

4-2-5 토양 지하수 오염물질 기준 및 평가에 관한 연구·

연구목적I.

❍ 오염물질별 배경농도 인체 및 생태위해성 평가 및 각국의 오염기준 등을,

고려하여 국내여건에 적합하도록 합리적인 기준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다양한 오염원을 파악하고 기후변화가

토양 및 지하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분석함으로써 인위적 및 자연․발생적 오염에 대한 과학적 진단과 평가를 수행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11 (2010~2020 )❍담당부서 물환경연구부 토양지하수연구팀:❍

주요 연구내용III.

❍ 국내외 토양 및 지하수오염물질 시험방법 및 오염특성 평가자료 조사�

❍ 우선관리대상물질 관리현황 조사 및 시험방법 확립

국내외 오염관리현황 및 오염원 조사- ․조사대상 물질별 시험방법 적용성 검토 및 확립-

❍ 우선관리대상 토양 및 지하수 오염물질 실태조사

토양 및 지하수 배경농도 및 오염물질 분포 특성 조사-

❍ 새로운 토양 및 지하수오염물질의 기준 안 제시( )

토양 및 지하수오염 위해성 평가기법 적용 검토-

오염부지 정화 효율성 제고를 위한 위해성 평가기법 확립-

토지이용도에 따른 토양오염기준 안 제시- ( )

지하수 이용목적별 지하수오염기준 안 제시- ( )

지하수 중 자연방사성물질 함유실태 조사 연구❍

Page 146: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42 -

지하수 중 우라늄 등 자연방사성물질 함량조사-

- 자연방사성물질 함유특성 평가 및 구축DB

❍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토양오염 조사(POPs)

토양오염 특성 조사- PAHs

토양중 오염관리방안 검토- PAHs

기대효과IV.

새로운 토양과 지하수오염물질의 확대 및 기준설정에 활용❍❍ 고함유량 지역 등 지하수관리 대책수립의 근거자료로 활용

토양질 평가기준지표로 활용❍토양중 물질의 관리방안 마련에 활용POPs❍토양 및 지하수 오염방지를 위한 과학적 근거자료로 활용❍

Page 147: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43 -

4-3-1 먹는물 수질관리 및 공급 선진화 연구

연구목적I.

❍ 산업의 다양화로 미규제 미량유해물질에 의한 상수원 수질악화 및 급배수�

차오염 등에 따른2 먹는물에 대한 사회적 요구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고품질의 먹는물 제공을 위한 신규오염물질 통합관리 먹는물 유통 및,❍급 배수 시설관리체계 최적화 등 먹는물 수질 및 공급시스템 선진화�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물환경연구부 먹는물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미규제 미량유해물질의 통합관리방안 연구시스템 구축❍- 원정수의 유해물질발생원 추적 및 먹는물 중 미량유해물질 실태조사․- 병입수돗물 먹는샘물 등 유통 중인 먹는물의 미량유해물질 연구,

고도정수처리 확대 및 신규소독제 도입 방안 마련❍소독부산물질의 생성기작 및 위해성 연구 및 신규소독제 개발-

소규모 급수시설의 먹는물 안전관리❍지방상수도 미급수 취약지역 먹는물의 유해물질 안전관리 방안 연구-

취수원의 다변화에 따른 안전한 물공급 대책 마련 연구❍수량수질 확보를 위한- ․ 취수원수의 다변화 및 안전관리 방안 연구

정수처리공정 시스템 최적화 관리방안 확립 연구❍

Page 148: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44 -

정수처리와 급배수과정 중 물맛의 영향인자 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

정수처리 단위공정의 소독부산물 발생특성 및 거동에 관한 연구-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저에너지 고효율 고도정수처리 시설 적용연구-

❍ 급배수시설 시스템에 대한 차오염 메커니즘 규명 및 개선방안 연구� 2

- 급배수관의 수질오염 메커니즘을 규명하여 사전예방� 기법 개발연구

수처리제의 규격기준 및 수도용 기자재 품질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기대효과IV.

먹는물 관리의 최적화로 물맛 개선❍오염물질 발생원 관리를 통한 오염사고 사전예방❍신규 미규제 오염물질 확대 및 관리를 통한 먹는물의 신뢰도 향상❍저에너지고효율의 안전한 수돗물 공급으로 저탄소 녹색사회 구현❍

Page 149: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45 -

4-3-2 물환경에서의 유해미생물 안전관리 연구

연구목적I.

최근 노로바이러스 조류독감바이러스 등 새로운 병원성 미생물의 출현,❍및 상수원의 오염이 증가함에 따라

❍ 유해미생물이 물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예측하고 위해성평가를

통해 안전관리 방안을 마련하고자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물환경연구부 먹는물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 유해미생물관리및위해성평가체계구축을통한먹는물의과학적관리방안마련

먹는물 중 수인성질병 미생물의 위해성평가체계 연구-

미생물의 감염성 및 위해성에 근거한 수질기준 및 관리방안 연구-

❍ 유전자 및다중분석법 을이용한미생물관리기법연구microarray (metagenomics)

환경 중 미생물의 오염원인 및 새로운 유해미생물 탐지기법 개발-

물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유해미생물 발생예측 및 관리체계 마련❍및 등 국내외 네트워크와 연계한 유해미생물 관리- EPA, WHO KCDC

네트워크구축 및 관리시스템 개발

지하수 중 바이러스 오염실태 및 관리대책 마련❍식중독 예방을 위한 지하수 중 노로바이러스 정밀오염 조사-

- 조류독감바이러스 등 가축매몰에 따른 지하수 오염예방 및 관리기법 연구

Page 150: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46 -

기대효과IV.

유해미생물의 신속한 검출기법 제시❍지속가능한 지하수자원 보존을 위한 관리방안 제시❍새로운 유해미생물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국민건강 보호❍

Page 151: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47 -

5-1-1 물질흐름 분석에 의한 자원의 순환 이용 향상 연구

연구목적I.

❍ 국내 자원 재활용 기본계획 및 등에서는 자원순환성을 높이기OECD

위해서 천연자원 투입을 생산과정에서 최소화하고 환경으로의 배출을,

억제하며 배출된 폐기물을 최대한 재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음

재활용 분야의 경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지표가 폐기물 배출 이후❍단계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므로 폐기 이전의 단계도 고려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고 에너지자원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에너지,

회수 효율성을 고려할 수 있는 지표도 개발 필요성 있음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3 (2012~2014 )❍담당부서 자원순환연구센터:❍

주요 연구내용III.

가정 생활폐기물중 재활용 가능자원의 발생 및 처리까지의 지표개발❍연구

종이류 및 폐합성수지류 플라스틱류 포함 의 발생 및 처리까지의 물질- ( )

흐름분석과 지표개발

유리병류 고철류의 발생 및 처리까지의 물질흐름분석과 지표개발- ,

생활폐기물중의 재활용가능자원의 기초조사기법 개발 연구❍재활용 가능자원에 대한 발생 및 처리단계까지의 수거체계 조사-

누락될 수 있는 수거체계 제도 개선-

사업장❍ 폐기물중 재활용 가능자원의 발생 및 처리까지의 지표개발 연구

폐합성수지류 및 기타 재활용가능자원의 발생 및 처리까지의 물질흐름-

분석과 지표개발

Page 152: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48 -

사업장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한 위해성 평가 체계 구축-

사업장 폐기물중의 재활용 가능자원의 기초조사기법 개발 연구❍재활용 가능자원에 대한 발생 및 처리단계까지의 수거체계 조사-

누락될 수 있는 수거체계 제도 개선-

❍ 물질투입대비 환경배출량 지표 개발

대기배출량 온실가스 오염물질- ( , )

폐기믈 발생 및 처리량 폐기물 발생량 매립량- ( , )

수계배출량 배출부하량- ( )

토양배출량 비료 및 농약 배출량- ( )

유해물질 사용량 및 배출량 특정대기유해물질 화학물질 배출량- ( , )

기대효과IV.

자원순환 기본계획 및 자원재활용기본계획 수립에 활용❍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자원순환 개선 방안 제시❍자원순환정책 수립에 과학적인 근거자료로 활용❍자원순환 통계 지초조사 시 지속가능한 자원 자료 제공❍녹색성장을 고려한 물질투입대비 환경오염배출량 관리정책에 활용❍

Page 153: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49 -

5-1-2 고부가가치 희귀금속 회수 및 자원화 방안 연구

연구목적I.

도시광산 중 희귀금속 은 소량을 첨가하여 소재의 기능을(Rare Metal)❍다양하게 결정지을 수 있는 핵심물질로서 산업의 고도화로 경제적,

가치가 증가하고 있음

우리나라는 희귀금속의 수요가 급증하는 반면 공급에 어려움이 따르고❍있는 실정이므로 폐기된 제품속에 포함된 희귀금속 회수체계의 개발과

지원 방안이 필요한 시점임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3 (2012~2014 )❍담당부서 자원순환연구센터:❍

주요 연구내용III.

희귀금속의 회수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희소금속 함유 제품의 종류 및 함량 실태조사-

희소금속 함유제품의 재활용을 위한 회수시스템 모델 개발- ( )

가전제품 및 희소금속 함유제품의 유해성 평가-

선진사례 분석 및 평가-

희소금속 함유 제품에 대한 자원화 방안 연구❍제품별 희소금속 정보 시스템 구축 통계 시스템- ( )

국내외 희소금속 함유 제품의 재활용 기술 조사-

- 소량 다종 사용된 희소금속을 효율적으로 회수하는 기술개발

국내 재활용기술 육성을 위한 제도 개선-

희소금속 함유 제품의 정련기술 개발 및 지원제도 개선-

Page 154: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50 -

기대효과IV.

자원순환 기본계획 및 자원재활용 기본계획 수립에 활용❍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자원순환 개선 방안 제시❍자원순환정책 수립에 과학적인 근거자료로 활용❍자원순환 통계 기초조사 시 지속가능한 자원 자료 제공❍

❍ 순환자원과 천연자원을 연계한 자원수급 안정화 정책수립에 활용

❍ 국가 차원의 자원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책방안 마련에 활용

Page 155: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51 -

5-1-3 폐유기물질의 석유대체 에너지화 방안 연구

연구목적I.

❍ 최근 원유가격의 급격한 상승으로 에너지시장의 불안정이 심화됨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생산 및 보급이 확대되는 추세이며,․기후변화 협약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의무 이행의 유력한 수단임❍또한 해양환경보전 및 수산물 안전을 위한 폐기물의 해양배출 금지의❍대안으로 활용

- 하수오니 및 가축분뇨는 '1 년 월부터 음식물폐수는2 1 , ' 년 월부터13 1 해양배출

금지 예정(' 국무회의06.3.7 , ' 국정현안정책조정회의 보고07.9.12 )

❍ 환경 에너지시설폐기물처리시설 바이오매스에너지시설설치시 환경오염( , )

방지 및 에너지 회수를 극대화 할 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3 (2010~2012 )❍담당부서 자원순환연구센터:❍

주요 연구내용III.

❍ 폐기물 에너지의 설치운영 및 관리기준 연구․- 폐기물 에너지화 종합시설의 설치운영 및 관리기준 연구․- 가연성폐기물 에너지화시설의 설치운영 및 관리기준 연구․- 유기성폐기물 에너지화시설의 설치운영 및 관리기준 연구․폐기물 고형연료제품 기준 설정 및 관리기준 연구❍

- 고형연료 형태별 오염물질 배출특성

- 폐기물 종류에 따른 고형연료화 방안연구 등

Page 156: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52 -

❍ 소각시설의 여열 에너지회수연구,

- 현 소각시설의 발전효율 향상방안 연구(10-15%)

- 소각시설 에너지 회수관리기준 설정연구

❍ 매립가스의 에너지 자원화 연구

- 매립 성상별 가스발생 특성연구

- 사업화 방안연구 연소 등CDM (CH4 )

폐기물 에너지회수 기준 마련 및 관리기준 연구❍- 에너지 회수율 산정방안 제시연구

- 에너지회수별 적정 회수율 및 회수방법 제시 연구

❍ 석탄 등 화석연료의 대체연료화 기술연구

- 가연성폐기물 연료화기술 에너지이용기술 적용성 연구/

- 발전시설 등에 혼소시 오염물 배출특성 및 차오염 저감방안연구2

신재생에너지의 청정개발체제(CDM, Clean Development Mechanism)❍연계 연구

- 폐기물 에너지 회수를 통한 사업 추진 및 확대방안CDM

기대효과IV.

❍ 기후변화 협약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의무 이행의 유력한 수단으로 활용

해양환경보전 및 수산물 안전을 위한 폐기물의 해양배출 금지에❍ 대한

대안으로 활용

친환경적인 폐기물처리의 과학적인 근거자료로 활용❍❍ 환경에너지시설폐기물처리시설 바이오매스에너지시설설치 시 환경오염을( , )

방지하며 에너지 회수를 극대화 할 수는 방안 활용

Page 157: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53 -

5-1-4 폐기물의 자원화 및 안전처리 연구

연구목적I.

❍ 폐기물의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재활용 용도 및 방법 개선을 통해 자원의

순환적 이용을 확대함으로써 녹색성장 기반을 구축하고자 함

❍ 폐기물 재활용 기술의 검증 및 보급 확대를 통해 자원순환 사회를 구축

하고자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자원순환연구센터:❍

주요 연구내용III.

재활용 용도 및 방법에 대한 환경성 기술성에 관한 연구,❍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한 환경성 평가기법 개발-

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한 기술성 평가기법 개발-

폐기물 재활용을 위한 기술 수요 파악과 지원에 관한 연구❍재활용 기술의 분야별 정확한 실태 조사 에너지 화학 분리선별 등- ( / / )

폐기물 종류별 재활용 현장의 기술개발 수요 조사-

재활용 기술 수요와 공급의 예측기법 개발-

재활용 정책과 연계한 기술 보급에 관한 연구-

재활용 기술의 검증 시스템 운영❍재활용 기술의 검증 및 평가기법 개발-

원천 개발 기술이 실용화를 위한 법적 기술적 평가기법 개발-

재활용 기술의 실증 또는 시범사업 기획추진- ․

Page 158: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54 -

※ 재활용 용도 및 방법 검증을 위한 자문위원회 설치 및 운영

재활용 기술과 환경성 검토를 위한 전문가 구성- pool

폐기물의 재활용 요청에 따른 상시 검증기구 운영-

기대효과IV.

폐기물의 재활용 용도와 방법에 대한 다양화로 자원의 순환이용 확대❍무분별한 폐기물 재활용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환경적 기술적, ㆍ❍검토에 기반한 자원화 방법 확립

재활용 기술의 검증을 통한 신뢰성 있는 기술 지원체계 구축❍

Page 159: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55 -

5-2-1 유해폐기물 평가항목 및 기준설정에 관한 연구

연구목적I.

국제적 수준으로 폐기물을 업종별 발생공정별 유해성분별 등으로, ,❍분류함으로써 폐기물의 분류오류 방지

미국 등의 분류체계를 벤치마킹하여 발생 공정별로 유해폐기물EU,❍종류를 세분화하여 목록화 방안 제시

폐기물의 부식성 인화성 등 유해특성 판단기준을 설정하여 국가간,❍수출입 통제대상 폐기물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관리기반 구축․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3 (2010~2012 )❍담당부서 자원순환연구센터:❍

주요 연구내용III.

유해폐기물 배출특성 조사 및 목록화 연구❍폐기물 중 유해물질 배출특성 파악-

- 유해물질 함유 폐기물의 발생업종 및 공정 폐기물 종류별로 적정한 분석,

항목에 대한 분석

- 폐기물 분석결과와 선진국 자료 등을 검토하여, 유해폐기물의 분류 목록

세분화 안 작성( )

유해특성 폐기물의 배출실태조사 및 유해특성 판단기준 설정 연구❍- 폐유기용제 폐산 폐알칼리 등 유해특성 폐기물의 배출원 종류 배출량, , , , ,

처리방법 등 배출실태 파악

유해폐기물의 안전한 관리를 위해 폐기물의 주요 배출원에 대한 성상- ,

주요 성분 물리화학적 특성 폭발성 부식성 등 에 대한 구축, ( , ) database

Page 160: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56 -

수출입 폐기물의 유해특성 판단기준 안 마련- (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의 판단기준을 비교검토하여 선행 연구된,․ ․부식성 폭발성 등 개 유해특성 시험방법에 의한 유해특성 판단기, 8

준 안 마련( )

기대효과IV.

❍ 유해폐기물의 세분화된 분류체계를 확립함으로써 폐기물의 분류 오류 방지

유해폐기물 배출목록 업종공정유해성분 별 배출 구축으로 유해( ) DB❍ ․ ․폐기물 배출업소 관리의 기반 강화

국가간 수출입 폐기물의 이동 및 처리 인허가의 판단기준 마련으로,❍ ․ ․유해 폐기물의 불법 수출입 차단 및 관리수준 향상

Page 161: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57 -

5-2-2 재활용 제품의 유해성관리 기반 연구

연구목적I.

❍ 최근 재활용제품의 유해성 인증제도 도입을 위해 폐기물『 』 관리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동 제도의 시행을 위해서는 재활용 제품의 유해성 기준이,

마련되어야 함

❍ 대상 재활용 제품의 목록을 선정하고 우선순위를 정하여 단계적으로 유해성

기준을 마련하려고 함

재활용 제품별로 사용유형 제품 특성 등을 감안하여 인체 및 환경에- ,

대한 위해성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사람의 건강위해 및 환경오염을 사전

차단할 수 있는 유해성 기준 안 을 과학적으로 제시하려고 함( )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자원순환연구센터:❍

주요 연구내용III.

재활용 제품의 유해물질 위해성 평가기법 정립❍노출시나리오 설정-

국내 외 위해성 평가기법 조사 및 비교분석- ㆍ

재활용 제품 관련 유해물질 규제와 실태조사❍국내외 규제 및 관리 실태- ․재활용 제품의 국내 사용실태 조사-

재활용 제품에 함유된 유해물질 성분 조사-

❍ 재활용 제품의 유해물질 노출량 분석방법 정립

흡입경피 노출형 재활용 제품 세부 형태 요인 분석- ,․

Page 162: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58 -

국내 외 노출량 분석방법 조사 및 비교분석- ㆍ

흡입경피 노출 최적 분석요인 설정- ․재활용 제품 함유 유해물질의 최적 노출량 분석기법 정립-

조사대상 재활용제품의 유해물질별 노출량 분석❍제품의 유해물질 노출량 분석-

위해성 평가를 위한 유해물질 선별-

재활용 제품의 유해물질 위해성 평가❍유해물질의 노출평가 방법 수립-

유해물질의 노출평가 분석-

재활용 제품 유해물질의 관리방안❍종합 위해성 평가와 정책 방안 설정-

기대효과IV.

재활용제품 유해성 인증제도 실행에 활용❍재활용제품별 유해성 기준 안 제시( )❍재활용제품별 위해성 인체 및 환경 위해성 평가 방법론 정립( )❍재활용제품의 노출량 산정기법 및 시험방법 정립❍친환경적인 재활용제품 정책 활성화 근거자료 제공❍

Page 163: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59 -

5-2-3 유해폐기물 처리 저감 무해화 연구· ·

연구목적I.

❍ 환경유해성 저감 및 실질적인 폐기물 발생량 저감을 목표로 친환경적인

유해폐기물의 재자원화 기술 도출을 통한 폐기물 처리비용 저감 및

매립량을 삭감하고자 함

❍ 유해폐기물석면 등에 대한 용융의 기초기술 확보 및 슬래그 재자원화( ) 를

극대화 할 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유해폐기물 석면 등 에 대한 화학적 처리 접근을 통한 기초기술 확보( )❍및 폐석면 처리 무해화를 위한 대안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4 (2010~2013 )❍담당부서 자원순환연구센터:❍

주요 연구내용III.

용융 장치 실험을 통한 용융 특성 연구❍폐석면의 성상분석 및 유해물질 분석-

회분식 용융시스템을 이용한 폐 석면별 열적 특성 분석-

폐석면의 용융 특성 연구-

폐석면의 특성변화에 따른 용융 기초 실험 관리기준 연구-

❍ 폐석면의 특성에 따른 용융 기초 기술 연구 및 슬래그 제조 특성 연구

소형 용융 장치를 이용한 용융로 운전인자 도출-

용융 장치를 이용한 물질수지 기술 확보-

폐석면 조성변화에 따른 생성물 특성 및 환경오염물질 특성 분석-

Page 164: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60 -

시스템의 운전을 위한 소형 용융 실험- Pilot plant

잔재물 특성에 따른 용융슬래그 제조 특성 및 안정화 방안 연구-

용융슬래그 자원화 기술 및 용융슬래그 제조 안정화 기술 개발연구 및❍평가방법 도출

폐석면 용융슬래그 거동특성 규명-

시설에서의 최적 용융슬래그 배출 기술 개발- Pilot plant

- 최적 운전 조건 도출을 위한 용융 기초기술 개발5-10ton/day Pilot plant

용융슬래그 재활용 및 자원화 기술 연구와 유해성 평가-

화학적 처리를 통한 저감 무해화 연구 산처리� : (acid attack)❍폐석면의 산처리시 결정 구조 표면 및 화학적 조성 특성 변화 분석- ,

- 전자현미경 및 등의 고급 석면 분석 정량 확보 및 축적XRD / know-how

화학적 처리에 의한 석면의 저감 무해화 메커니즘 규명- /

- 처리 효율 향상 최적화를 위한 물리 화학적 기법 예 등/ ( , heating, agitation )

및 환경 인자들 예 온도 압력 등 의 도출 및 적절한 조합( , , )

소각 용융 등을 이용한 처리 효율대비 비용과의 비교 평가- ,

화학적 처리를 통한 저감 무해화 연구 철을 포함하는 폐석면� : (Amosite,❍의 경우Crocidolite, Actinolite)

펜톤 유사반응 혹은 철 킬레이트제 첨가시 철성분 제거 및 화학적-

처리에 의한 석면의 저감 무해화 메커니즘 규명/

- 화학적 처리를 통한 철이온 성분의 전환 및 저감과 발생량의Free radical

상관관계 규명

최적 운전 조건 도출을 위한 화학적 처리 기초 기술 개발- Pilot plant

폐석면의 화학적 처리제로의 유해폐기물 폐산 의 재활용 연구( )❍폐석면의 산처리 시 결정 구조 표면 및 화학적 조성 특성 변화 분석- ,

유해폐기물 폐산 을 이용한 화학적 처리에 의한 석면의 저감 무해화- ( ) /

메커니즘 규명

Page 165: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61 -

다른 종류의 산의 조합에 의한 처리시 효율 상승 효과 및 메커니즘-

변화 연구

❍ 건설폐기물시멘트 고로 슬래그의 재활용 및 자원순환에 관한 연구 흡착( , ) :

건설폐기물이 산업 폐수 속 중금속 및 유해유기물질 제거 목적의 흡착-

제로의 재활용 가능성에 관한 시도적인 접근

고급분석 기술 전자현미경 회절법 등 을 이용한 흡착제의 표면- ( , X-ray )

및 파과분석을 통한 중금속 처리 메커니즘 이해

처리 효율대비 기존 수처리 목적 흡착제와의 경제성 평가-

파괴된 폐기물 흡착제의 최종 처리 및 안정화 연구-

기대효과IV.

❍ 친환경적인 폐석면 처리 및 제도 개선방안에 활용

폐석면 처리기술 및 자원화 방안에 활용❍❍ 재활용제품의 인체 및 환경 위해성 평가를 통하여 재활용제품의 유해성

기준 안 을 과학적인 근거자료로 활용( )

Page 166: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62 -

5-3-1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위해성 평가 체계구축 연구

연구목적I.

미국 등 선진국은 위해성 평가를 근거로 한 수용체 중심 토양오염❍물질의 관리 제도를 적극 도입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년부터, 2005

오염토양의 정화범위 등을 조정하기 위한 위해성 평가 제도를 부분적

으로 도입하고 있음

현재 토양오염항목별 오염기준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토양오염❍관리를 노출평가 등 위해성에 근거한 오염부지조사 및 위해성 평가

기법을 개발하여 선진화된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위해성 평가 체계를

구축하고자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4 (2011~2014 )❍담당부서 물환경연구부 토양지하수연구팀:❍

주요 연구내용III.

❍ 토양오염 위해성평가 모델 구축 및 방법 마련

토양오염 위해성평가를 통한 정화목표 설정방안 검토-

부지특성별 위해성평가를 위한 조사기법 마련-

토양오염 노출경로 및 노출량 평가를 위한 기법 마련-

토양오염물질의 다매체 노출 평가기법 마련-

국내특성에 적합한 기반자료 구축-

초기단계의 토양오염 인체위해성평가 모델 개발 초기형- ( )

Page 167: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63 -

❍ 인체위해성평가

토양오염 인체위해성평가 지침 선진화 연구-

한국형 토양위해성평가 모델 고도화-

한국형 모델기반의 인체위해성평가 지침 개정-

❍ 생태위해성평가

토양생태 위해성평가를 위한 기반연구-

토양생태 위해성평가를 위한 토양생태 독성측정 시험방법 마련-

토양오염 생태위해성평가 지침 마련-

한국형 생태위해성평가 모델 개발-

❍ 복합오염물질 위해성평가

복합오염물질 위해성평가 기반 연구-

복합오염 독성측정방안 연구-

복합오염물질 위해성평가 지침 제정-

기대효과IV.

오염토양에 대한 위해성 평가체계 구축 기반 마련❍위해성평가를 토대로 국가차원의 관리 및 정화우선 순위목록 작성❍토양 및 지하수 오염방지를 위한 과학적 근거자료로 활용❍

Page 168: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64 -

5-3-2 오염토양 정화기술의 최적화 연구

연구목적I.

오염토양 정화기술 개발은 대학 또는 연구소에서 컨소시움 형태의❍연구진을 구성하고 대형 프로젝트화 하여 수행되고 있는 추세임,

❍ 선진 외국에서도 개발된 기술의 상용화까지 철저한 현장 적용성 평가와

검증을 실시함으로써 장기적인 차원에서 연구투자와 기술개발을 실시

하고 있음

따라서 국가차원의 오염정화 및 정화관리검증에 활용할 오염정화❍ ․기술에 대한 기술지침 및 평가시스템 마련 등 우리나라 상황에 적합한

정화기술의 최적화 기법을 마련하고자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4 (2011~2014 )❍담당부서 물환경연구부 토양지하수연구팀:❍

주요 연구내용III.

선진국의 우수 정화기술 개발 및 평가체계 조사❍토양오염 정화기술 선정기법 및 평가방법 마련❍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정화기술에 대한 적용사례 수집 및 데이터-

베이스 구축으로 현장적용 기술력 제고

오염정화부지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정화절차 및 평가 지침 마련-

새로운 정화기술 도출을 위한 기초연구 추진❍오염 확산 및 저감메커니즘의 이해와 과학적 규명을 위해 실제 오염된-

현장을 연구과제로 설정하여 정화기술의 현장 적용성 평가와 검증추진

Page 169: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65 -

토양오염 정화기술 평가체계 구축 방안 마련❍오염된 지역을 대상지역으로 설정하고 다양한 정화기술을 적용함으로써- ,

현장을 기반으로 한 기술의 실제 평가가 가능토록 하는 체계 기반 구축

정화기술 적용 평가시 토양 및 지하수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평가-

체계 수립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토양오염 정화기술 평가시스템 구축❍현장적용 적합성 뿐만 아니라 비용경제성 및 실패위험 평가 등을 종합-

적으로 고려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기대효과IV.

오염부지별 정화절차 및 적용기술 지침 마련❍과학적이고 효율적인 토양지하수 오염 정화기술 평가체계 확립을❍ ․위한 기반구축

토양 및 지하수 오염방지를 위한 과학적 근거자료로 활용❍

Page 170: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66 -

6-1-1 대기질 통합적 평가 기법 연구

연구목적I.

❍ 대기 오염물질의 종류 및 특징이 다양하여 배출원을 규명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나 대기 오염 현상 규명 및 대기질 개선 전략 수립에 필수적,

이므로,

❍ 배출원 규명을 위한 다양한 기법을 개발하여 동북아시아 배출 인벤토리의

검증 배출원별 기여도 조사 및 국내 고농도 발생 시 원인 규명 등에,

활용코자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기후대기연구부 대기환경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배출원 규명 기법에 관한 국내외 문헌 조사❍후방 모델링 민감도 등 다양한 모델링 기법 조사- ,

- 미량원소 마커 등 관측 자료를 이용한 배출원 규명 기법 조사, (marker)

모델링을 활용한 동북아 배출원 규명 기법 개발❍동북아에 적합한 배출원 규명 기법 선정 및 개선-

수치 안정화 질량 보존 등 계산 성능 테스트- ,

관측 자료를 활용한 동북아 배출원 규명 기법 개발❍대기오염물질의 배출원별 물질 특성에 관한 자료 수집-

동북아 주요 배출원별 특성 인자 및 마커 개발-

특성 인자 및 마커의 활용 가능성 검토-

Page 171: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67 -

오존 및 미세먼지의 국내외 배출원 규명❍집중 사례 기간 중 지상 항공 관측 및 원격탐사 수행- ,

집중 사례 기간 중 배출원 규명 기법과 관측 자료와의 비교 검증-

통계 모델인 및- PMF(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CMB(Chemical

와의 비교 검증Mass Balance)

- 관측자료 활용 기법 및 모델링 기법에 의한 오존 및 미세먼지의 국내외

배출원별 기여도 조사

기대효과IV.

국내 대기 오염 사례의 원인 분석 강화❍고농도 오존 및 미세먼지 발생 시 배출원별 영향 규명-

선택과 집중 방식의 대기오염 저감 대책 수립 지원-

국내 대기질 장기 전망 가능❍- 대기오염물질의 국가별 배출량 전망에 따른 국내 대기질 변동 예측 가능

동북아 대기환경협력의 이니셔티브 확보로 동북아 환경 리더쉽 강화❍

Page 172: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68 -

6-1-2 기후 및 대기환경 통합시스템 구축 연구

연구목적I.

❍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차 보고서 에4 (‘07)

따르면 대기환경 변화는 기후예측 분야에서 가장 불확실한 부분이며 예측력,

향상을 위하여 가장 연구가 필요한 부분으로 인식됨에 따라,

❍ 한반도 지형 및 기후환경에 맞는 기후 및 대기환경 통합 예측시스템 구축을

통한 기후변화예측 선진기술 확보 및 기후변화 예측력 향상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3 (2010~2012 )❍담당부서 기후대기연구부 기후변화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 기후 및 대기환경 통합 예측 모델 구축 및 개선

기후 및 대기환경 통합 예측 모델 종 구축- 4

통합시스템의 및 기법 개발- Downscaling Coupling

구축된 모델 결과와 관측자료의 비교검증을 통한 통합시스템 개선- ․시나리오별 장기 예측 수행IPCC❍년까지의 개 시나리오 별 장기 예측 수행- 2100 6

기후 및 대기환경의 상호 되먹임 작용 피드백 연구- ( )

- 오존 에어로졸 등에 의한 기후변화 직간접 효과 분석, ․통합시스템 수행을 위한 고성능 컴퓨터 도입 및 운영❍

Page 173: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69 -

기대효과IV.

❍ 기후변화 예측모델링의 불확실성 중 하나인 차원 대기화학 구조를3

시공간적인 제약 없이 제공함으로써 기후변화 예측 결과의 신뢰성 향상․❍ 종합적 기후변화 영향평가 시스템의 구축에 과학적 기초 자료 제공

❍ 환경 영향평가 결과에 근거한 적응 전략 도출

Page 174: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70 -

6-1-3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등에 대한 국제 공동 연구

연구목적I.

동북아시아의 급속한 경제성장 여파로 신종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이❍증가함에 따라 동북아시아 대기질 개선을 위한 공동 노력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므로,

❍ 장거리 이동이 가능한 신종 대기오염물질의 공동 감시 체계 구축 및 동북아

최적화된 모델링 개발 등을 통해 신종 대기오염물질의 거동 특성 장단기적인,

영향 및 국가간 상호 영향 등을 규명하여 공동 대응 전략 수립을 지원코자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기후대기연구부 대기환경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신종 대기오염물질의 동북아 감시 체계 구축❍대기갈색구름 수은 등의 국가별 현황 조사- (ABC), , POPs

항목 선정 측정 방법 및 등의 공동 감시 체계 구축- , QA/QC

국가별 측정 자료의 공동 활용을 위한 자료 교류 체계 구축-

동북아 최적화된 대기화학 수송모델 개발❍신종 대기오염물질 거동 연구를 위한 대기화학 수송모델의 공동 개발-

수치 안정화 질량 보존 등 계산 성능 테스트- ,

신종 대기오염물질의 거동 특성 공동 연구❍- 문헌 조사 및 실험을 통한 신종 대기오염물질의 화학 변환 특성 조사

모델링 및 관측을 통한 화학 변환 특성 검증- targeting

Page 175: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71 -

집중 관측 기간 중 동북아 공동 관측 캠페인 실시-

연차 연구자 회의를 통한 공동 연구 활성화-

신종 대기오염물질의 국가간 영향 조사❍모델링을 통한 신종 대기오염물질의 국가간 배출원 수용지 관계 도출- -

- 신종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국가별 인체 농작물 등 피해 조사 및 한계치 산정,

경제 전망에 따른 장기 예측 자료 생산 및 배출 허용치 제시-

기대효과IV.

대기오염물질의 피해 최소화를 위한 국가간 공동 대응체계 구축❍신종 대기오염물질의 특성 및 영향에 대한 공동 이해 증진-

개별국가별 대응에 비해 비용 효과적인 공동 대응 방안 수립-

신종 대기오염물질의 피해에 대한 사전 예방❍원칙에 따라 사전 공동 관리 방안 수립- No regret

동북아 대기환경협력의 이니셔티브 확보로 동북아 환경 리더로 부상❍

Page 176: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72 -

6-1-4 대기 입자상물질 모니터링 및 관리 연구(PM)

연구목적I.

❍ 대기환경기준이 제정됨에 년 시행예정 따라 전국 주요도시PM2.5 (2013 )

및 배경지역의 모니터링이 요구되고 있으며PM2.5 ,

❍ 전국적인 농도현황과 성분 분석을 통해P M 2.5 발생원별 기여율을

산정함으로써 국내 대기환경 개선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 의 주요성분이며 기후변화의 주요 인자로 밝혀지고 있는 탄소성분의PM2.5 ,

농도 파악 및 발생원 추적을 통해 기후변화와 관련한 국제연구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자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기후대기연구부 대기환경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전국 주요도시 및 배경지역의 모니터링PM2.5❍농도현황 파악 및 주요성분 분석- PM2.5

주요성분의 실시간측정시스템 적용 연구- PM2.5

수용성 유기물질 성분분석을 위한 연구PM2.5❍시료채취 시스템 개발 및 적용과 를 사용한 분석 시험법 개발- LC/MS

수용성 유기물질 습성 침착량 산정-

유기탄소 성분분석을 위한 연구PM2.5❍유기탄소의 개별 성분분석 을 위한 시험법 개발- (Chemical Speciation)

주요배출원의 유기탄소 배출목록 작성-

Page 177: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73 -

배경지역의 무기탄소 농도 모니터링(Element Carbon, Black Carbon)❍탄소동위원소분석을 통해 탄소의 발생원 추적-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현상 파악 및 기후변화 원인물질 감시-

배출원별 기여율 산정 연구PM2.5❍무기 유기물질의 배출원별 기여율 산정하여 저감대책 마련- ,

기대효과IV.

대기질 관리 정책수립에 과학적인 근거자료로 활용❍신규 대기오염물질 환경기준 설정의 근거자료로 활용❍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이동현상의 발생원 규명 가능❍기후변화관련 국제공동연구 참여 가능❍

Page 178: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74 -

6-2-1 유해 대기오염물질 관리 및 저감 연구(HAPs)

연구목적I.

❍ 유해대기오염물질은 독성 발암성 생체 축적성 등으로 인체 및 생태계에, ,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나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 지지 못함

❍ 따라서 배출원 규명 정확한 배출특성 분석을 통하여,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기후대기연구부 대기제어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배출원별 오염물질 특성파악HAPs❍물질의 정확한 배출원 규명을 위한 연구- HAPs

❍ 관리대상시설별관리를위한HAPs 연구

- 관리대상 사업장별로 전체 누출 지점 수를 파악하여 시설관리(leak)

기준을 단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유도

국내 실정에 맞는 업종별시설별 관리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 ․법령 정비를 위한 기반 연구❍

배출 저감을 위한 시설관리기준 가이드라인 마련- HAPs

- 관리대상 배출시설에 대한 허가기준 및 시설관리기준을HAPs 적용하기 전에

사업자의 자발적 개선 유도

특정대기유해물질 확대 지정을 위한 연구❍- 석면 휘발성 등 비산배출 물질에 대한 관리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 HAPs

Page 179: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75 -

배출허용기준 및 공정시험법 마련을 위한 연구❍대기유해물질의 위해성 평가를 통한 배출허용기준 마련-

특정대기유해물질 종 에 대해서 공정시험법 개발- (21 )

대기유해물질의 건강 위해성 평가 연구❍위해우려물질 관리사업 단계 물질 종 납 수은 카드뮴 비소 크롬- 1 7 ( , , , , ,

니켈 벤젠 에 대한 상세 위해성 평가 연구, )

매체 통합 위해성 평가 지속 추진❍위해성 평가를 위한 대기질 모니터링 및 인벤토리 구축-

- 산업단지 위주로 정기적으로 측정 및 모델링 수행

소형 대기유해물질 배출원 관리 방안 마련❍소형배출원 배출량 산정- HAP

세탁소 등 소형 배출원에- 서의 배출량 삭감을 위한 방안 마련 연구

배출원별 관리 지침서 마련을 위한 연구-

배출목록 구축HAPs❍대형 배출원에 대한 국내 적합한 배출계수 개발- HAPs

사업자 입력 형식의 배출량 인벤토리프로그램 개발-

고정오염원 및 면오염원 배출량 추정방법론 및 배출량 추정- HAPs

기법 마련

기대효과IV.

유해대기오염물질 보전정책 수립에 활용❍유해대기오염물질 저감 대책마련에 활용❍유해대기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의 대기환경 개선 방안 제시❍

Page 180: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76 -

6-2-2 대기오염물질 제어 및 배출저감 연구

연구목적I.

❍ 대기배출원의 대기오염물질 배출특성에 따른 적정처리 기술 개발 및 성능

검증을 통하여 대기오염방지

❍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배출원피해지를 과학적으로 산정하여․ 대기배출시설

관리지역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

❍ 또한 현재 개발된 대기오염물질 저감시설의 개선과, 일반 대기오염물질과

온실가스의 동시저감 기술개발을 통한 녹색성장 기반 구축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기후대기연구부 대기제어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대기오염물질 적정처리 기술 연구(BAT, MACT, GACT)❍배출시설에 대한 최적처리기술 기술동향 파악 및 저감효과 연구- (MACT)

배출시설에 대한❍ 저감장치별 온실가스 저감효과 연구

기존 대기오염물질 저감장치에 따른 온실가스 저감효과 연구-

- 일반 대기오염물질 및 온실가스의 동시 저감(SOx, NOx, VOC) 기술

개발

대기배출원별 배출특성을 고려한 영향권 설정 연구❍-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배출원별 배출특성을 고려하여 배출원피해지 산정․대기 배출량 및 오염도를 고려한 대기환경용량 산정-

Page 181: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77 -

기대효과IV.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저감을 위한 기술지원 가능❍대기환경 보전정책 수립에 과학적인 근거자료로 활용❍저탄소 녹색성장을 고려한 대기배출시설 관리 방안 제시❍에너지 고효율화를 통하여 기후변화 대응 방법을 제시❍

Page 182: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78 -

6-2-3 오염물질 배출원 규명 및 배출량 인벤토리 구축

연구목적I.

❍ 대기오염물질의 인체 유해성 등이 강조되면서 이에 대응하는 국가적인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오염물질 배출원 규명과 구성 성분에 대한 상세한

분석이 요구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이에 대한 배출량 인벤토리

구축이 미흡한 실정임

❍ 따라서 체계적으로 국내 배출원 특성을 파악하고 규명한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인벤토리 구축이 필요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기후대기연구부 대기제어연구과:❍

주요 연구내용III.

및 에 대한 배출량 인벤토리 구축HAPs VOCs❍주요 배출시설에 대한 공정별 연소특성 분석 및 배출특성 파악-

미세먼지 주요 배출원 및 세부적인 성분비 자료 구축❍주요 배출원에 대한 실측 조사 및 성분비 구축-

국내 실정에 적합한 프로그램 구축- SPECIATE

대기정책지원시스템 분류체계에 적합한 배출량 인벤토리 구축(CAPSS)❍공정별 오염물질 저감방안 조사-

❍ 배출원중 생물성 연소부문노천소각 및 숯가마 등에 대한( ) 배출특성 규명

및 인벤토리 구축

노천소각 숯가마 화목난로 고기구이 등 생물성 연소시 배출되는- , , ,

대기오염물질 배출특성 규명 및 인벤토리 구축

Page 183: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79 -

재생연료 등에 따른 배출특성 조사❍- 바이오가스 부생연료 등 연료별 대기오염물질 배출특성 조사RDF(RPF), ,

대기배출원 조사시스템 및 대기정책지원시스템 의 연계(SEMS) (CAPSS)❍방안 구축

사업장 입력 자료에 대한 검증방안 도출로 신뢰성 확보-

대기배출사업장 종 개소 종 개소1~3 (5000 ), 4~5 (45,000 )※

기대효과IV.

❍ 정확한 국가 배출량 인벤토리 구축으로 우선정책순위 결정자료 확보DB

대기보전정책의 효율성 평가 등 정책수행에 필요한 정보 제공❍세계적으로 신뢰성 있는 국가자료 제공❍

배출량 자료의 신뢰도 향상CAPSS❍

Page 184: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80 -

6-3-1 실내공기 오염물질 저감기술 연구

연구목적I.

실내공기 오염의 심화에 따라 국민 건❍ 강에 미치는 영향이 큰 실내

공기질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

실내공기질 개선을 통해 국민 삶의 질을 높이는 동시에 에너지 소비❍절감을 통해 국정과제인 기후변화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실내공기 오염물질 저감 기술을 확보하고자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4 (2011~2014 )❍담당부서 기후대기연구부 실내환경연구팀:❍

주요 연구내용III.

유해물질 저방출 및 기능성 건축자재 개발 기술 연구❍오염물질 저방출 건축자재 소재 및 제품 개발 기술-

기능성 건축자재의 평가방법 및 기준 정립-

실내공기 오염 저감 기능성 건축자재 소재 개발-

실내 오염물질 저방출 생활용품 소재 개발 기술 연구❍제조공정 개선 표면마감기술 에코 접착기술을 활용한 가구 소재 개발 기술- , ,

- 저발열 초미세입자 제어 오존 저방출 기술을 이용한 전기전자제품 제, , 조기술

저탄소형 환기 및 공기정화설비 개발 기술 및 관리체계 구축❍에너지 고효율 환기 설비 및 인공 지능형 환기 시스템 개발 기술-

고성능 필터 및 최적 환기량 확보 기술 개발-

하이브리드 환기 기술 개발-

환기설비 운영 및 관리 가이드라인 마련 연구-

Page 185: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81 -

실내환경 중 미생물 확산 억제 기술 및 적정관리방안 마련 연구❍실내 미생물 거동 모사 및 확산 제어 기술 개발-

항균성 유 무기 소재 나노 물질을 이용한 항균 에어필터링 기술- � ,

홍수 등 자연재해 시 실내 습기 및 곰팡이 관리 방안-

❍ 공기 청정기 성능 강화 기술 개발 및 성능 기준 방안 마련 연구

성능과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한 공기청정기 기술 개발-

오염물질 제거 및 오존 방출 평가방법 및 성능기준 마련 연구-

기대효과IV.

쾌적한 실내 환경 조성을 통한 국민 건강 보호에 기여❍실내공기 오염 저감을 위한 원천기술 확보 및 국가경쟁력 제고❍저탄소 녹색성장을 고려한 실내 공기질 관리정책에 활용❍

Page 186: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82 -

6-3-2 실내공기질 진단평가 시스템 개발 연구

연구목적I.

❍ 실내공기질 진단기법을 개발하여 보다 손쉽고 정확하게 실내환경을

평가하고,

실내공기질 진단 개선 시스템을 구축하여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실내�❍환경을 개선하고자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4 (2011~2014 )❍담당부서 기후대기연구부 실내환경연구팀:❍

주요 연구내용III.

실내공기 오염물질 진단방법 연구❍실내공기질 간편 진단 기술 개발 및 보급-

실내공기질 진단평가 방법 개발-

실내 오염물질 정밀 예측 평가 기술 개발- �

실내공기 오염물질 평가기준 개선 연구❍신축 공동주택 권고기준 개선-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 오염물질 기준 개선-

미규제 실내공기 오염물질 관리기준 설정-

실내공기 오염물질 측정기기 및 프로그램 개발 연구❍실내공기질 측정기기 국산화 연구-

실내 오염물질 감지 센서 및 원격 모니터링 프로그램 개발-

Page 187: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83 -

실내공기질 예측평가 모델 개발 연구❍ ․오염원 방출량 기반 실내공기 오염물질 예측 모델 개발-

건축물 구조 특성이 반영된 실내공기질 평가 모델 개발-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컨설팅 기반 마련 연구❍실내공기질 진단평가 개선 전문 인력 교육 프로그램 개발- �․

기대효과IV.

실내공기질 개선 방안 제시❍실내공기질 관리 정책 수립에 과학적인 근거자료로 활용❍실내공기질 관련 산업 활성화 및 전문 인력 양성❍

Page 188: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84 -

6-3-3 소음 인체노출평가 및 체감지수 개발

연구목적I.

❍ 주관적인 소음 인지를 객관화 하는 소음 인체 체감지수를 개발하여 소음

환경분쟁 및 소음 피해 발생시 주관적인 소음 피해정도를 객관화 하여

정량할 수 있도록 함

그동안 소음의 물리적 크기 만을 이용한 소음평가법을 보완하고(dBA)❍심리적 요인에 의한 소음평가도 함께 수행하여 고차원적인 소음평가를

하고자 함

소음 인체 체감지수를 이용하여 건강영향을 고려한 소음 관리방안을❍제시하고자 함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4 (2010~2014 )❍담당부서 기후대기연구부 실내환경연구팀:❍

주요 연구내용III.

소음원별 인체 체감지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청감시험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선진국 노출영향 및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체계적 연구 기반 구축-

공사장 소음원에 대한 소음 인체노출평가 및 체감지수 개발❍소음 스트레스 및 인체영향에 대한 문헌 조사-

공사장 소음의 물리적심리적 요소 특성 조사- ․공사장 소음에 대한 인체노출평가-

공사장 소음의 물리적심리적 요소와 스트레스와의 상관성 및 영향- ․공사장 소음이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영향 분석-

Page 189: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85 -

공사장 소음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량화 및 체감지수-

개발

도로교통 소음원에 대한 소음 인체노출평가 및 체감지수 개발❍도로교통 소음의 물리적심리적 요소 특성 조사- ․도로교통 소음에 대한 인체노출평가-

- 도로교통 소음의 물리적심리적 요소와 스트레스와의 상관성 및 영향 분석․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소음원에 의한 생리적 변화 스트레스 발생량- ,

회귀분석 및 체감지수 개발

철도 및 항공기 소음원에 대한 소음 인체노출평가 및 체감지수 개발❍철도 및 항공기 소음의 물리적 심리적 요소 특성 조사-

철도 및 항공기 소음에 대한 인체노출평가-

- 신호처리 기법을 이용한 철도 및 항공기 소음에 의한 스트레스와 생리적

변화의 상관성 및 체감지수 개발

기대효과IV.

❍ 환경소음에 대한 물리적심리적 기초자료 확보 및 인체 체감 기준 제시․소음 환경분쟁 발생시 소음에 대한 주관적 피해량을 객관화 정량하여❍소음피해 여부 판단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

소음 인체 체감지수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소음저감 방향 제시 및 소음❍관리방안 마련

❍ 기업에서는 소음의 인체 체감지수를 이용하여 녹색 소음저감 기술개발에 활용

Page 190: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86 -

6-3-4 소음 예측모델 및 방음소재 개발 연구

연구목적I.

신도시 개발 및 신규 도로철도 건설 계획 수립시 활용 가능한 도로❍ ․교통 및 철도 소음 국가 예측식 개발

정온한 환경을 조성하고 높이별 소음저감을 위한 고성능친환경적❍ ․흡차음재 및 방음벽 개발․소음영향 최소화를 위한 사전예측 및 소음저감 체계 구축❍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기후대기연구부 실내환경연구팀:❍

주요 연구내용III.

도로교통 소음 예측식 및 프로그램 개발❍도로교통 소음 예측인자 분석-

차원 소음전파경로 및 지형 건물 등의 반사경로 영향 분석- 2 3 ,․다양한 소음저감시설에 대한 영향 및 보정항 계산 방안-

개발된 소음 예측식 구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철도소음 예측식 및 프로그램 개발❍철도소음 예측인자 분석-

차원 소음전파경로 및 지형 건물 등의 반사경로 영향 분석- 2 3 ,․다양한 소음저감시설에 대한 영향 및 보정항 계산-

개발된 소음 예측식 구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Page 191: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87 -

흡차음재 개발 구조 및 신소재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 ․구조적 개선을 통한 성능 개선용 흡차음재 개발 가능성 분석- ․신소재의 적용을 통한 성능 개선용 흡차음재 개발 가능성 분석- ․개발된 흡차음재의 성능평가 및 친환경성 시험평가- ․ ․신기술에 대한 실제 적용시의 경제성 및 효과 분석-

방음벽 개발 부속장치 및 신소재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기존 방음벽에 부속장치를 추가하여 높이별 소음을 저감하는 장치의-

개발 가능성 분석

신소재의 적용을 통한 친환경성 방음벽 개발 가능성 분석-

개발된 방음벽의 성능평가 및 친환경성 시험평가- ․신기술에 대한 실제 적용시의 경제성 및 효과 분석-

기대효과IV.

신도시개발 및 도로철도 건설시 사전 예방적 정책 수립❍ ․소음 환경영향평가시 소음예측방법 개선보완❍ ․소음저감기술 평가체계 확립을 통한 기술 활용성 확대❍소음저감효과 개선을 통한 근본적인 민원 해결❍

Page 192: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88 -

6-4-1 자동차 배출가스 제로화 방안 연구

연구목적I.

그린카 핵심기술의 성능 검증 등 체계적인 규제방안 수립 보급여건, ,❍기술특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중장기적 보급 방안 수립

극미세입자 배출특성 연구 등 차기 자동차 규제의 국제 표준화 방안❍마련 등을 토대로 자동차에 의한 대기오염 개선

❍ 저탄소 녹색성장 실천을 위한 환경부 실천 목표인 그린카 대“ 4 강국진입”

을 위해 그린카 보급 기반 구축방안 제시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교통환경연구소:❍

주요 연구내용III.

그린카 평가 및 인증방법 설정에 관한 연구❍하이브리드 수소연료전지 전기자동차 등의 그린카 시험방법 개발- , ,

그린카 종류별 기술특성 및 보급여건 경제성 분석- ,

수소자동차 보급여건 마련 및 연료전지 특성 분석-

❍ 대형차 극미세입자 평가 및 측정장치 신뢰성평가 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바이오연료별 배출가스 저감장치별 극미세입자 배출특성 분석- ,

측정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측정장치 정도검사 방법 개발-

시험기관별 측정결과 비교 분석-

대형차 극미세입자 시험방법 및 기준 수립-

Page 193: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89 -

를 이용한 대형차 결함PEMS(Portable Emission Measurement System)❍확인 검사 방법 연구

대형차대동력계 엔진동력계 비교 시험을 통한 결함여부를- , PEMS,

판단할 수 있는 시험방법 개발

사후관리 방안 개발OBD(On-Board Diagnostics)❍운행단계에서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항목별 시험방법 및 기준 수립-

국내 도입 차종별 구성품 및 작동원리 분석- OBD

❍ 국제협력을 통한 자동차 인증제도 국제 표준화 방안 연구

소형자동차 국제시험모드 개발을 위한 국내 주행패턴 분석-

소형자동차 이륜차 및 대형차의 세계표준기준- , (GTR:Global Technical

의 국내 도입 방안 연구Regulation)

자동차의 차기 배출허용기준 설정-

❍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배출가스 인증기법 연구

대형하이브리드 자동차 성능평가를 위한 시뮬레이션 활용기법 개발-

소형차 배출가스 인증 및 저감기술 평가를 위한 활용기법 개발-

기대효과IV.

국가 그린카 보급 목표에 부응하는 효율적 보급 여건 구축❍자동차의 단계별 보급과 병행하여 실도로 배출가스Zero-Emission❍

특성 및 실 주행 패턴에 따른 연비 특성 분석으로 고효율 자동차 개발

촉진 유도

자동차관련 국제 협상 등 국내 자동차 인증제도의 국제표준화 대응❍자료로 활용

Page 194: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90 -

6-4-2 비도로 이동오염원 배출저감 연구

연구목적I.

❍ 건설기계 등의 비도로 엔진은 연간 사용시간이 자동차에 비해 길지

않으며, 탁월한 운전성 등의 차량 성능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년30

이상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 노후 비도로 엔진의 계속적인 사용으로 발생되는 및 로 인해PM NOx

연간 건의 조기 사망이 유발된다고1,100 CARB(California Air

에서 보고하고 있음Resources Board)

❍ 국내의 경우는 비도로엔진에 대한 규제가 건설기계 기종에 국한되어6

있고, 운행차 규제가 없어 장기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도로 엔진에

대한 저공해사업 과 운행차 관리규정 이 필요함“ ” “ ”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교통환경연구소:❍

주요 연구내용III.

노후 비도로 엔진 저공해 수단 연구❍- 국내 등록된 노후 건설기계의 대기 오염 기여도와 오염물질로부터

발생되는 건강관리 비용 예측

- 노후 건설기계 저공해 수단별 기술 특성과 효용성 및 국내 적용타당성

분석

- 년차별 저공해 사업 방향 및 관리체계 제시

국내외 운행 건설기계 규제 방법 분석-

Page 195: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91 -

광범위 비도로 엔진 규제 방안 연구❍- 국내 건설기계 및 발전기용 엔진 등의 비도로 엔진에 대한 대기 오염

기여도와 오염물질로부터 발생되는 건강관리 비용 예측

- 단계별 적용 기종 확대방안 및 적용기준 시기 등 모색,

기대효과IV.

수십 년이 경과된 디젤 엔진사용 건설기계로부터 배출되는 및PM�

저감을 통해 수송 부문의 대기오염에 의한 환경오염문제 대처 및NOx

건강 비용 절감에 기여

Page 196: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92 -

6-4-3 이동오염원 대기오염물질 배출통계 시스템 구축

연구목적I.

❍ 국가 오염물질 배출량 산정은 매우 중요한 정책지표이며 선진 외국에서도,

배출량 산정모델을 구축하여 체계적 배출량 산정에 노력하고 있음

신뢰성 있는 배출량산정 시스템 구축 도출에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이때 배출계수는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됨

❍ 이동오염원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은 차종별 연료종류 운전조건 적용기술, ,

등 다양한 영향인자에 의해 변화되므로 과학적이면서 객관화된 배출계수

산정을 기초로 한 대기오염물질 배출통계 시스템 구축이 필요

연구기간 및 담당부서II.

연구기간 총 년 년도: 5 (2010~2014 )❍담당부서 교통환경연구소:❍

주요 연구내용III.

이동오염원 대기오염물질 국가배출통계 구축연구�

배출계수를 활용한 배출규제 효과분석 및 오염물질별 배출특성 조사-

배출허용기준 강화 교통수요체계 개선 그린카 보급 등 교통환경 정책에- , ,

따른 오염물질별 배출계수 보완 및 재산정

대기정책지원시스템 을 활용한 대기오염 기여도 평가- (CAPSS)

이동오염원의 유해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연구�

미규제 유해대기오염물질 현황 및 분석방법 마련-

- 차종별연료별주행거리별 유해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산정 및 배출량 분석, ,

유해대기오염물질 배출수준에 따른 건강 위해도 영향 연구-

Page 197: 목차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001419.pdf · 1. 최종목표 국가정책기조인 저탄소녹색성장및기후변화의전략적정책지원을“

- 193 -

기대효과IV.

교통환경 정책수단별 대기개선효과 분석❍신뢰성 있는 배출량 산정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이동오염원 관리방안을 통한 대기환경개선계획 수립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