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132

Upload: others

Post on 04-Feb-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최 종 보 고 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시설관리기준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로드맵 수립

2014. 01

Page 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귀하

본 보고서를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시설관리 기준 개선 방

안 마련을 위한 로드맵 수립’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4. 1.

연 구 기 관 명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연 구 책 임 자 : 박 영 권 (서울시립대학교)

연 구 원 : 박 성 훈 (순천대학교)

전 기 준 (인하대학교)

이 임 학 (서울시립대학교)

연 구 보 조 원 : 이 형 원 (서울시립대학교)

김 민 영 (순천대학교)

보 조 원 : 서 윤 재 (인하대학교)

Page 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i -

목 차

제 1 장 서론 ····················································································1

1.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1.2 연구목적 ·································································································1

제 2 장 연구내용 및 방법 ···························································2

제 3 장 연구결과 ···········································································4

3.1 국내외 VOC 관리체계 현황 ······························································4

3.1.1 VOCs의 관리체계 국내현황 조사 ··············································4

3.1.2 VOCs의 관리체계 국외현황 조사 ············································22

3.1.3 VOCs 저감대책 및 시설관리기준 국내외 현황 비교 ··········75

3.2 VOCs 관리대상물질 선정 및 관련 배출시설현황 조사 결과 ········ 77

3.2.1 VOCs 관리대상물질 재선정 ······················································77

3.2.2 VOCs 배출현황파악을 위한 관리대상물질 조사체계구축

(안) 마련 ·························································································99

3.2.3 기존 및 재선정 VOCs 물질의 배출시설현황 및 업종유형

조사 ································································································100

3.3 VOCs 시설관리기준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로드맵 수립 ·······116

3.3.1 VOCs 시설관리기준의 개선을 위한 체계적 수행단계 설정

········································································································116

제 4 장 결론 및 제언 ·······························································118

4.1 법규에서의 VOCs 개념 정의 ·························································118

4.2 VOC 관리를 위한 로드맵 도출 ····················································119

참고문헌 ·······················································································121

Page 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ii -

<표 목 차>

<표 3-1> 배출시설(시행령 제45조제1항)의 관리대상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종류 ··· 14

<표 3-2> 휘발성유기화합물을 배출하는 시설의 종류 및 규모 ··································15

<표 3-3>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억제․방지시설 설치 등에 관한 기준 ··················17

<표 3-4> 우리나라 국가 인벤토리 사업의 가정 유기용제 사용부문 제품종 분류 ·······19

<표 3-5> 우리나라 국가 인벤토리 사업의 가정 유기용제 사용부문 제품종

배출계수 ················································································································20

<표 3-6> 가정 유기용제 사용부문의 VOC 배출량 및 배출계수 (2001년 기준) ····· 20

<표 3-7> 오존 미달성지역의 VOC 감축계획 ·································································28

<표 3-8> Solvent Directive VOC 규제 항목 ·································································30

<표 3-9> 페인트∙니스의 VOC 함량 기준, Paint Directive(2004/42/EC) ···············31

<표 3-10> 휘발성유기화합물에 해당하는 주요 물질 ··················································32

<표 3-11> 미국 CFR 상의 VOC 규제시설 및 공정 ···················································39

<표 3-12> 캘리포니아 주정부 산하 지역대기 관리기구 ··············································48

<표 3-13> Organic Compounds Rules and Regulations of Bay Area AQMD ········· 54

<표 3-14> VOC Standards of Colusa County APCD (grams of VOC per liter) ········· 56

<표 3-15> Typical equipment and processes requiring a permit of Feather River

AQMD ········································································································································58

<표 3-16> 유럽(EU)의 에코라벨 대상 품목 ···································································59

<표 3-17> EU의 배출원별 주요 저감방안 ······································································60

<표 3-18> 독일의 배가스량에 따른 발암물질과 비발암물을 VOC 규제기준 ·········61

<표 3-19> 영국의 VOC 배출공정에 대한 규제기준 ···················································62

<표 3-20> 일본 VOC 인벤토리 배출원의 분류 ···························································66

<표 3-21> 일본의 VOC 배출시설 및 배출허용기준 ···················································73

<표 3-22> 헤어스프레이, 악취제거제, 공기정화제, 세제 등을 포함한 24가지 범주

의 상품에 대한 VOC 함량 국가 기준 마련 (EPA) ······················································74

<표 3-23> 국내외 VOC 시설관리기준 대상 구분현황 비교 ·······································75

<표 3-24> PAMS VOC물질과 중복되는 HAPs물질 ················································78

<표 3-25> 일본 HAPs의 VOC 물질 중복성 여부 ······················································83

<표 3-26> 우리나라의 특정대기유해물질 ········································································89

<표 3-27> PAMS 측정물질 56종 세부 내역 ································································91

Page 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iii -

<표 3-28> 휘발성유기화합물에 해당하는 주요 물질 ····················································93

<표 3-29> VOC 관리대상 물질 관련 신구조문 대비표 ···············································97

<표 3-30> 휘발성유기화합물질배출시설의종류,시설의규모,배출억제․방지시설의설

치등에관한규정 일부개정안 관련 신구조문 대비표 ······················································114

<표 3-31> VOC 관리 로드맵 산정 결과 ·······································································116

<표 4-1> 국내외 법규에서의 VOCs 개념 정의 현황 ·················································118

Page 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iv -

<그 림 목 차>

<그림 3-1> 유럽의 VOCs 규제 관리 형태 ·····································································30

<그림 3-2> 캘리포니아 BACT web homepage ·······························································54

<그림 3-3> 발생원별 일본 VOC 배출량 추계 결과 ·····················································67

<그림 3-4> 물질별 일본 VOC 배출량 추계 결과 ·························································68

<그림 3-5> 업종별 일본 VOC 배출량 추계 결과 ·························································69

<그림 3-6> 일본의 VOC 배출량 추계방법 ·····································································71

<그림 3-7> PAMS 개념도 ··································································································90

<그림 3-8> 국내 광화학 측정망 현황 ··············································································91

<그림 3-9> 한국 지자체별 VOC의 배출량과 년도별 오존주의보 발령일수 ·········101

<그림 3-10> 2010년 VOC 배출량 (경기도) ··································································101

<그림 3-11> 2010년 VOC 배출량 (인천광역시) ··························································102

<그림 3-12> 2010년 VOC 배출량 (서울특별시) ··························································102

<그림 3-13> 2010년 VOC 배출량 (충청남도) ······························································103

<그림 3-14> 2010년 VOC 배출량 (전라남도) ······························································103

<그림 3-15> 2010년 VOC 배출량 (대구광역시) ··························································104

<그림 3-16> 2010년 VOC 배출량 (울산광역시) ··························································104

<그림 3-17> 2010년 VOC 배출량 (전라북도) ······························································105

<그림 3-18> 2010년 VOC 배출량 (대전광역시) ··························································105

<그림 3-19> 2010년 VOC 배출량 (광주광역시) ··························································106

<그림 3-20> 2010년 VOC 배출량 (충청북도) ······························································106

<그림 3-21> 2010년 VOC 배출량 (경상북도) ······························································107

<그림 3-22> 2010년 VOC 배출량 (경상남도) ······························································107

<그림 3-23> 2010년 VOC 배출량 (제주도) ··································································108

<그림 3-24> 2010년 VOC 배출량 (부산광역시) ··························································108

<그림 3-25> 2010년 VOC 배출량 (강원도) ··································································109

<그림 3-26> 2010년 유기용제 사용 중 VOC 배출량 (경기도) ································109

<그림 3-27> 2010년 유기용제 사용 중 VOC 배출량 (인천광역시) ························110

<그림 3-28> 2010년 유기용제 사용 중 VOC 배출량 (서울특별시) ························110

<그림 3-29> 2010년 유기용제 사용 중 VOC 배출량 (충청남도) ····························111

<그림 3-30> 2010년 유기용제 사용 중 VOC 배출량 (전라남도) ····························111

<그림 3-31> 2010년 유기용제 사용 중 VOC 배출량 (대구광역시) ························112

Page 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v -

<그림 3-32> 2010년 유기용제 사용 중 VOC 배출량 (울산광역시) ························112

<그림 3-33> 2010년 생상공정 중 VOC 배출량 (경기도) ··········································113

<그림 3-34> 2010년 생상공정 중 VOC 배출량 (전라남도) ······································113

<그림 3-35> 2010년 생상공정 중 VOC 배출량 (울산광역시) ··································114

Page 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 -

제 1 장 서 론

1.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013년은 대기 법규 분야에 있어 매우 큰 변화가 있는 해였다. 지금까지 법이나,

시행령, 시행규칙 등에서 정해 오던 대기오염물질의 종류를 심사평가위원회를 신설

하고 심사평가제도를 통하여 유동적으로 관리하게 되었으며, 인체 위해도에 비중을

둔 법규 등이 강화되거나 신설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에 운영이 되어오던 VOC 물질의 관리체계가 새로이 도입되는

법규나 제도와 충돌하거나 혼선을 야기하는 상황이 발생하여 일선에서 법 집행을

하는 행정관료 들이나, 대기환경 법규의 관리 대상인 일선 사업장 등이 원활한 업

무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겪어 왔다.

따라서, 본 과제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의 VOC 물질들의 관리체계의 현황과 문제

점을 파악하고, 국내외 관련 제도를 참고하여 현재 상황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

는 법규 수정안의 제안이 필요하며, 이를 이룩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진행해야 하는

업무들의 로드맵이 필요하였다.

1.2 연구 목적

우리나라는 1995년 12월 대기환경보전법개정안에 VOC 규제근거 법령을 제정한

이래 2000년부터 VOC 배출억제가 본격화되기까지 많은 발전과정을 겪었다. 현재

VOC의 규제대상 배출시설은 방지시설설치기준으로 관리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처리효율, 농도기준 및 측정방법 등이 마련되지 않아 구체적인 관리기준 설정이 필

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기오염물질 중 오존 관리를 위한 오존 전구물질로서의

VOCs 물질 관리체계 개선 노력의 일환으로,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s)의 실효적

시설관리기준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대기환경보전법 등 현행법의 관리체계 및 관련

사항에 대한 사전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기초로 VOCs 시설관리기준 개선의 체계적

수행단계를 설정하고자 한다.

Page 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2 -

제 2 장 연구내용 및 방법

연구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 VOCs 관리체계 국내외 현황 분석

: VOCs 관리정책의 구체적 목표 설정을 위한 사전조사

① VOCs의 관리체계 국내현황 조사

- 현행 VOCs 관리체계의 타규제 중복성 검토

- VOCs 관리대상물질 및 시설관리기준의 국내조사체계 현황조사

- 생활용품류의 VOCs 관리정책 현황의 국내사례조사

② VOCs의 관리체계 국외현황 조사

- 국외의 VOCs 관련법에서의 VOCs 개념의 정의 현황

- 개념정의에 따른 VOCs 관리정책방향 현황 조사

- VOCs 관리대상 물질 및 시설관리기준 현황조사

- 생활용품류의 VOCs 관리정책 현황의 외국사례조사

③ VOCs 저감대책 및 시설관리기준 국내외 현황 비교

- 국내외 VOCs 저감대책 및 시설관리기준 현황 조사 비교

- 오존관리 정책방향을 고려한 VOCs 개념 재정의(안) 마련

나. VOCs 관리대상물질 선정 및 관련 배출시설현황 조사

① VOCs 관리대상물질 재선정

- 특정유해대기물질 및 악취물질과의 정책 중복성 탈피 고려

- 오존 관리를 위한 오존 전구물질로서의 VOCs 물질 고려

- 국외 관리대상물질 비교를 통한 국내 대상물질 재선정

② VOCs 배출현황파악을 위한 관리대상물질 조사체계구축(안) 마련

- VOCs 관련 물질의 국내 조사체계현황 파악

- 체계적 VOCs 배출관리를 위한 VOCs 유발물질 조사체계 제안

③ 기존 및 재선정 VOCs 물질의 배출시설현황 및 업종유형 조사

- 현행 규제대상 업종의 VOCs 배출기여도 조사

- VOCs 배출대상시설 추가유형 및 업종 조사

Page 1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3 -

다. VOCs 시설관리기준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로드맵 수립

① VOCs 시설관리기준의 개선을 위한 체계적 수행단계 설정

- VOCs 배출기여도 고려한 우선 대상 업종 파악

- 실효적 시설관리기준 마련을 위한 조사계획 구축

- 단계적 시설관리기준 개선 계획 수립

Page 1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4 -

제 3 장 연구결과

3.1 국내외 VOC 관리체계 현황

3.1.1 VOCs의 관리체계 국내현황 조사

휘발성유기화합물 관리체계의 타규제 중복성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나라

대기환경보전법 상의 대기오염물질 관리체계 변천사에 대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어,

이를 먼저 수행하였다. 우리나라 대기환경보전법은 1991년 2월2일에 시행되었다.

이 때, 법의 정의 부분에서의 특징으로는 대기오염물질, 악취, 특정대기오염물질을

규정하였으며,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아직 법상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있었다. 대기오

염물질은 총리령으로 정하고 있었다.

온실가스의 실질적 감축을 위해 1997년 12월 일본 교토에서 개최된 기후변화협약 제3차

당사국 총회에서 기후변화협약 부속의정서를 채택하는 등 국제적으로 기후변화에 관심을 갖

기 시작하자 우리나라에서는 그에 앞서, 1996년에 기후․생태계 변화유발물질을 대기환

경보전법 상에 정의하기에 이른다. 이 때, 대기오염물질을 총리령에서 환경부령으로

정하게 되었다.

Page 1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5 -

사실, 휘발성유기화합물이 대기환경보전법 상에 언급된 것은 1996년의 일이지만,

대기환경보전법 상의 “정의” 부분에 언급되는 것은 2003년의 일이었다. 이는 1996년

부터 2003년 6월26일까지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대기환경보전법이 아닌 대기환경보전

법 시행령에서 규정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2005년 2월20일에는 악취물질들이 악취방지법으로 분리해 나가면서 대기환경보전

법에서는 삭제되게 되었다. 동년 10월부터는 대기환경보전법 상의 “정의” 부분에서

기후․생태계 변화유발물질 군의 내용에 “온실가스”가 언급되었고, 별도로 “정의”

부분에 온실가스 항목이 추가되었다.

2005년 이후 대기환경보전법 상의 정의 부분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2013년

5월 24일에 커다란 변화가 발생하였다. 대기오염물질 심사평가제도를 신설, 운영하

고 대기오염물질의 종류를 심사평가위원회에서 지정, 관리하도록 한 것이었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법, 시행령, 규칙, 고시 등에서 지정되어 오던 대기오염물질이 심사

평가위원회에서 평가되도록 변화되었다.

또한 대기환경보전법 상의 “정의” 부분에 유해성대기감시물질이 신설되었으며, 이

물질의 정의는 기존에 특정대기유해물질의 정의를 인계하였고, 기존의 특정대기유

해물질의 정의는 유해성대기감시물질 중 심사평가제도에 의하여 지정되어 환경부령

이 정하도록 변경되었다.

Page 1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6 -

3.1.1.1 현행 VOCs 관리체계의 타규제 중복성 검토

휘발성유기화합물 관리체계의 타규제와의 중복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법규상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정의와 관리제도의 연혁을 분석해야 한다고 판단하여

이를 수행하였다.

“휘발성유기화합물”이 대기환경보전법 상에 언급되기 시작한 것은 1996년 6월30

일의 일이다. 대기환경규제지역의 배출시설을 관리하기 위하여 규정하기 시작했는

데, 이 때, 정의는 대기환경보전법이 아닌 시행령에서 규정하고 있었다.

Page 1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7 -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에서 규정한 VOC의 정의 내용은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제 39조 1항의 1, 2, 3, 4호에서 규정하는 탄화수소류 중 레이드 증기압이 27.6 킬로

파스칼 이상인 물질로 규정하고 있었다.

1998년에는 레이드 증기압이 기존의 27.6 킬로파스칼로부터 10.3 킬로파스칼로 변

경되어 유지되어 왔으나, 1996년 10월16일 이후 환경부장관의 고시로서 규정하는

것으로 개정되어, 2001년 3월8일 기준으로 보면 37종 물질 및 제품이 환경부 고시

로 규정되었다.

앞 절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2003년 6월27일에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정의가 시행

령에서 대기환경보전법 상의 “정의” 부분으로 이동하였으며, 이후 큰 변화없이 유지

되어 오다가, 2009년 8월 27일에 환경부 고시로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정의를 배출

시설관리대상 37종(가 항)과 비등점 기준의 배출시설 외 관리대상(나 항)으로 이원

화되어 규정한 것이 현재까지 유지되어 오고 있다.

Page 1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8 -

현재 휘발성유기화합물 관련 법규 제도 집행부분에서 기장 문제시 되고 있는 부

분이 일선 사업장의 배출저감시설 규정 부분이다. 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휘발

성 유기화합물 규제법규는 2009년에 개정되어 시행되고 있는 “휘발성유기화합물질배

출시설의종류,시설의규모,배출억제․방지시설의설치등에관한규정 일부개정안(환경부 고시 제

2009-173호)로서, 9개 업종 및 시설에 휘발성유기화합물 37종을 규제하도록 하고 있다.

반면에 비산배출의 저감을 위한 시설관리기준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별표 10의2)에서

는 2014년말까지는 휘발성유기화합물 37종을, 2015년 1월1일부터는 특정대기유해물질과 현

휘발성유기화합물 중 일부를 규제토록 규정하고 있어 하나의 사업장을 대상으로 동시의 다

Page 1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9 -

른 규제법규가 중복 또는 충돌 적용될 수 있는 상황이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방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왜 이런 상황이 발생한 것일까? 그 이유를 알아보기 위하여 90년대부터 현재까지 환경부

의 VOC 관리제도의 연혁을 조사분석 하였다.

우리나라 환경부의 초창기 VOC 연구자료인 휘발성유기화합물질 규제대상 설정 및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환경부, 1997)에서 VOC는 그 자체는 물론 광화학반응의 전구물질로 위

해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또한 외구의 사례를 인용하여 VOC 규제를 유해대기오염물질과 연관지어 논하고 있어,

우리나라 VOC 관리정책에 있어 초창기부터 발암성, 생체독성 등 인체유해성과 광화학반응

의 전구체로서의 중요성을 동시에 생각하고 있었다.

Page 1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0 -

Page 1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1 -

대기 Inventory 작성과 배출계수 개발 및 오염배출량 산정 연구 (국립환경연구원, 2004)

연구에서는 유해대기오염물질(HAPs)의 측정분석을 논하는 데 있어, BTEX 등 VOC 항목

들 중 일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국가유해대기오염물질기본계획수립및 배출특성사업종합평가

(국립환경과학원, 2011) 국내유해대기 측정망의 측정항목 중 VOC 13종을 포함하고 있었다.

Page 1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2 -

Page 2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3 -

Page 2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4 -

번제품 및 물질명 분자식 CAS No.

1 아세트알데히드 Acetaldehyde C2H4O[CH3CH0] 75-07-0

2 아세틸렌 Acetylene C2H2 74-86-2

3아세틸렌

디클로라이드

Acetylene

DichlorideC2H2C12 540-59-0

4 아크롤레인 Acrolein C3H4O 107-02-8

5 아크릴로니트릴 Acrylonitrile C3H3N 107-13-1

6 벤젠 Benzene C6H6 71-43-2

7 1,3-부타디엔 1,3-Butadiene C4H6 106-99-0

8 부탄 Butane C4H 10 106-97-8

9 1-부텐, 2-부텐1-Butene,

2-Butene

C4H8[CH3CH2CHCH2)],

C4H8[CH3(CH)2CH3]

106-98-9

107-01-7

10 사염화탄소Carbon

TetrachlorideCCl4 56-23-5

11 클로로포름 Chloroform CHCl3 67-66-3

12 사이클로헥산 Cyclohexane C6H12 110-82-7

131, 2-디클로로에

탄1,2-Dichloroethane

C2H4Cl2[Cl(CH2)2Cl]

107-06-2

14 디에틸아민 Diethylamine C4H11N[(C2H5)2NH] 109-89-7

15 디메틸아민 Dimethylamine C2H7N 124-40-3

16 에틸렌 Ethylene C2H4 74-85-1

17 포름알데히드 Formaldehyde CH2O[HCHO} 50-00-0

18 n-헥산 n-Hexane C6H14 110-54-3

19이소프로필

알콜Isopropyl Alcohol

C3H8O[(CH3)CHOH

CH3]67-63-0

20 메탄올 Methanol CH4O[CH3OH] 67-56-1

21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C4H8O[CH3COCH2CH3] 78-93-3

22메틸렌클로라이

M e t h y l e n e

ChlorideCH2Cl2 75-09-2

23 엠티비이 Methyl Tertiary C5H12O[CH3OC(CH3)2 1634-4-4

3.1.1.2 VOCs 관리대상물질 및 시설관리기준의 국내조사체계

현황조사

아래 표들에 VOCs 관리대상물질 및 시설관리기준의 국내 조사체계 현황조사 사

항을 나타내었다.

<표 3-1> 배출시설(시행령 제45조제1항)의 관리대상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종류

Page 2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5 -

구 분(업종)배 출 시 설

시 설 명 규 모

1. 석유정제 및

석유화학제품제조업

가. 원유정제 등 제조시설 모든 시설

나 저장시설 저장용량 40㎥이상

다. 출하시설 모든 시설

2. 저유소가. 저장시설 저장용량 20㎥이상

나. 출하시설 모든 시설

3. 주유소

가. 저장시설 저장용량 20㎥이상

나. 주유시설저장시설의 저장용량 20㎥

이상

4. 세탁시설 가. 세탁시설 처리용량 30㎏이상(합계)

5. 유기용제 및 페인트 가. 반응시설 용적 3㎥이상

(MTBE) Butyl Ether CH3]

24 프로필렌 Propylene C3H6 115-07-1

25프로필렌옥사이

드Propylene Oxide C3H6O 75-56-9

261, 1, 1-트리클로로

에탄

1,1,1-Trichloroeth

-aneC2H3Cl3 71-55-6

27트리클로로에틸

Trichloroethylen

-eC2HCl3 79-01-6

28 휘발유 Gasoline - 86290-81-5

29 납사 Naphtha - 8030-30-6

30 원유 Crude Oil - 8002-5-9

31 아세트산(초산) Acetic Acid C2H4O2 64-19-7

32 에틸벤젠 Ethylbenzene C8H10 100-41-4

33 니트로벤젠 Nitrobenzene C6H5NO2 98-95-3

34 톨루엔 Toluene C7H8 108-88-3

35테트라클로로에틸

Tetrachloroethyl

-eneC 2Cl4 127-18-4

36자일렌

(o-,m-,p-포함)Xylene C8H10

1330-20-7(95-47-6,108-38-3,106-42-3)

37 스틸렌 Styrene C 8H 8 100-42-5

출처 : 환경부고시 제2009-198호 휘발성유기화합물 지정 고시

<표 3-2> 휘발성유기화합물을 배출하는 시설의 종류 및 규모

Page 2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6 -

제조업

나. 혼합시설 용적 3㎥이상

다. 희석신나 제조시설용적 5㎥이상 또는 동력 50

마력이상

라. 유기용제, 유기용제

함유물질 유류저장시설저장용량 10㎥이상

마. 페인트저장시설 저장용량 50㎥이상

6. 선박 및 대형철구조

물 제조업

(10m×10m이상인 대형

구조물에 한함)

가. 세정시설(탈지시설 포함) 용적 1㎥이상

나. 도장시설(건조시설 포함)용적 5㎥이상 혹은 동력

3마력이상

다. 유기용제, 유기용제

함유물질 저장시설저장용량 10㎥이상

라. 유류저장시설 저장용량 10㎥이상

7. 자동차 제조업가.유류, 유기용제 및 유기

용제 함유 물질 저장시설저장용량 10㎥이상

8. 기타 제조업

가. 세정시설(탈지시설 포함) 용적 1㎥이상

나. 유류, 유기용제 및 유기용제 함유 물질 저장시설

저장용량 10㎥이상

9. 폐기물 보관․처리

시설

(폐기물관리법시행령

제3조 별표1에 의한

폐유, 폐유기용제 및

폐농약)

가. 보관시설 저장용량 10㎥이상(합계)

나. 파쇄․분쇄․절단시설 동력 20마력 이상

다. 소각시설 1일처리능력 10톤이상

라. 고온열분해시설 1일처리능력 5톤이상

마. 건류시설 1일 처리능력 5톤이상

바. 용융시설 동력 10마력 이상

사. 증발․농축․반응시설 1일 처리능력 5톤이상

아. 정제시설

1일 20킬로리터이상

(고온열분해 또는 감압증류

는 1일 24시간 기준으로, 기

타의 경우에는 1일 8시간 기

준으로 산정)

자. 유수분리시설 1일 처리능력 5톤이상

차. 응집․침전시설 1일 처리능력 5톤이상

카. 건조시설 시간당 처리능력 0.15㎥이상

출처 : 환경부고시 제2009-173호

휘발성유기화합물질배출시설의종류,시설의규모,배출억제․방지시설의설치등에관한규정

일부개정안 중 별표 1

Page 2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7 -

구 분(업종) 배출시설 기 준

1. 유기용제 및

페인트 제조업

가. 제조시설

(1) 국소배기장치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지

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2)펌프, 밸브, 배관에 대하여는 육안으로 누

출여부를 확인하고 누출시에는 15일이내에

이를 수리하여야 한다.

(3)혼합시설과 이동식 저장시설 상부에는 덮

개를 설치하여 외부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

나. 저장시설

(1) 저장시설은 밀폐구조이어야 하며, 환기구

를 통해 배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방

지시설을 설치․처리하여야 한다.

(2) 충전시 배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전

량 운송차량으로 회수하여야 한다.

2. 선박 및

대형철구조물

제조업

가. 세정시설

유기용제 사용시설은 밀폐구조이어야 하며

국소배기장치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지시설

을 설치하여 대기로의 방출을 방지하여야 한

다.

나. 도장시설

(1) 대기환경보전법 제43조, 같은법 시행령

제44조 및 같은법 시행규칙 제58조의 규정

에 의거 신고된 야외도장시설에 대하여는

다음과 같다

페인트 사용량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작업방

법 등의 개선조치를 하여야 한다.

(2) 그 외 도장시설은 국소배기장치 및 휘발

성유기화합물 배출을 억제할 수 있는 방지

시설을 설치하여 대기로의 방출을 방지하

여야 한다.

다. 저장시설1. 유기용제 및 페인트제조업중 나. 저장시설

의 기준에 준한다.

3. 자동차

제조업가. 저장시설

1. 유기용제 및 페인트 제조업중 나. 저장시

설의 기준에 준한다.

4. 기타 제조업가. 세정시설

(1) 유기용제 사용시설은 밀폐구조이어야 하

며 국소배기장치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방

지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나. 저장시설 1. 유기용제 및 페인트 제조업중 나. 저장시

<표 3-3>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억제․방지시설 설치 등에 관한 기준

Page 2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8 -

설의 기준에 준한다.

5. 폐기물

보관처리시설

(폐기물관리법

시행령 제3조

별표1 에 의한

폐유,

폐유기용제

및 폐농약)

가. 보관시설

(1) 저장시설은 밀폐구조이어야 하며, 환기구

를 통해 배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방

지시설을 설치․처리하여 대기로의 방출을

방지하여야 한다.

(2) 충전시 배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전

량 운송차량으로 회수하여야 한다.

나 . 파쇄․분

쇄․절단시설

파쇄․분쇄․절단시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

을 막기위하여 밀폐 혹은 밀폐와 동등한 효

과의 시설설치또는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다. 소각시설

라. 고온열분해

시설

마. 건류시설

시설 투입구 및 배출구는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지시설을 설치하여 대기로의 배출을 방지

하여야 한다.

바. 용융시설

사. 증발․농축반

시설

아. 정제시설

자. 유수분리시

차. 응집침전시

시설은 밀폐구조여야 하며, 환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방지시설을 설

치․처리하여 대기로의 배출을 방지하여야

한다.

카. 건조시설

국소배기장치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지시설

을 설치하여 대기로의 배출을 방지하여야 한

다.

출처 : 환경부고시 제2009-173호

휘발성유기화합물질배출시설의종류,시설의규모,배출억제․방지시설의설치등에관한규정

일부개정안 중 별표 2

Page 2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9 -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개인용품

두발용품헤어컨디셔너, 헤어무스, 헤어린스, 헤어로션, 샴푸, 헤어스프레이, 스타일링 젤

방향용품 코롱, 향수, 바디클렌저, 에프터쉐이브 로션, 기타목용용 제품

메니큐어 용품 폴리쉬, 베이스코트/언더코트,네일에나멜리무버

페이셜, 바디메이크업 관련제품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후레쉬너(수렴수), 로션, 마스카라, 아이섀도우, 스킨, 선크림

구강케어제품 구강청정제

기타 화장비누

가정용품

세탁용품 세탁세제

가정용품-크리너 주방세제

광택용품 가구/마루 광택용품

가죽/신발유지품 가죽/신발 광택제

방향제품 가향 및 방취조제품

기타 윤활유

접착용품 접착제가정용, 섬유용, 제지용, 목공용,토목/건축용, 자동차, 기타 접착용

코팅 및

관련 제품

에어로졸스프레이페인트 안료, 락카, 에나멜

관련제품 페인트 신너, 기타 코팅관련제품

살충제 실내공간 및 방안의 살충제

자동차

서비스 용품

자동차 정밀용품 자동차 광택제

자동차 유지, 수리용품앞유리 세정액, 타이어 봉합,윤활유(엔진오일 이외), 브레이크액, 부동액

3.1.1.3 생활용품류의 VOCs 관리정책 현황의 국내사례조사

아래 표들에 생활용품류의 VOCs 관리 정책 현황의 국내 사례 조사 부문을 요약

하여 나타내었다.

<표 3-4> 우리나라 국가 인벤토리 사업의 가정 유기용제 사용부문 제품종 분류

출처 : 대기 Inventory 작성과 배출계수 개발 및 오염배출량 산정 연구 ( 국립환경과학원

2004 )

Page 2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20 -

제품종 인구당 배출계수(kg/yr/cap)

개인용품 0.74

가정용품 0.44

접착용품 0.15

코팅 및 관련제품 1.60

살충제 0.03

자동차 서비스 용품 0.37

합계 3.33

<표 3-5> 우리나라 국가 인벤토리 사업의 가정 유기용제 사용부문 제품종 배출계수

출처 : 대기 Inventory 작성과 배출계수 개발 및 오염배출량 산정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2004 )

<표 3-6> 가정 유기용제 사용부문의 VOC 배출량 및 배출계수 (2001년 기준)

Page 2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21 -

출처 : 선진국의 VOC 배출저감 사례분석을 통한 국내 적용방안 연구2 

(국립환경과학원 2008 )

Page 2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22 -

3.1.2 VOCs의 관리체계 국외현황 조사

3.1.2.1 국외의 VOCs 관련법에서의 VOCs 개념의 정의 현황

가. 미국

미국에서도 과거에는 휘발성을 VOCs 판정 기준의 하나로 사용했다. 즉, 25°C에

서 증기압이 0.1 mmHg 이상인 유기화합물을 VOCs인 물질로 정의했었다1). 그러

나, 현재는 VOC를 휘발성에 관계없이2) 오존 생성에 기여하는 물질로 정의하고 있

다. 연방법전(The United States Code, 이하 USC) Title 42, Chapter 85로 존재하

는 법령(act 또는 statute)인 CAA의 집행을 위해 행정기관에서 마련한 규정

(regulation)이 40 CFR(Code of Federal Regulation) Parts 50-993)인데, 이 규정의

Part 51.100에 VOCs가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있다.

VOCs란 대기 중에서 광화학반응에 참여하는 모든 탄소화합물을 지칭하며, 일

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탄산(carbonic acid), 금속탄화물(metallic carbides), 금속탄

산염(metallic carbonates), 탄산암모늄(ammonium carbonate)은 제외한다. 또한, 다

음 유기화합물들은 광화학반응성이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기 때문에 VOCs 화

합물로 보지 않는다.

§ methane

§ ethane

§ methylene chloride (dichloromethane)

§ 1,1,1-trichloroethane (methyl chloroform)

§ 1,1,2-trichloro-1,2,2-trifluoroethane (CFC-113)

§ trichlorofluoromethane (CFC-11)

§ dichlorodifluoromethane (CFC-12)

§ chlorodifluoromethane (HCFC-22)

1) R. Munoz, S. Villaverde, B. Guieysse and S. Revah, Two-phase partitioning bioreactors for

treatme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Biotechnology Advances 25 (2007) 410-422.

2) 휘발성이 낮은 물질은 그만큼 배출량이 작을 뿐이다.

3) 연방대기질기준(NAAQS) 역시 이 규정에 들어있다(Part 50).

Page 3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23 -

§ trifluoromethane (HFC-23)

§ 1,2-dichloro 1,1,2,2-tetrafluoroethane (CFC-114)

§ chloropentafluoroethane (CFC-115)

§ 1,1,1-trifluoro 2,2-dichloroethane (HCFC-123)

§ 1,1,1,2-tetrafluoroethane (HFC-134a)

§ 1,1-dichloro 1-fluoroethane (HCFC-141b)

§ 1-chloro 1,1-difluoroethane (HCFC-142b)

§ 2-chloro-1,1,1,2-tetrafluoroethane (HCFC-124)

§ pentafluoroethane (HFC-125)

§ 1,1,2,2-tetrafluoroethane (HFC-134)

§ 1,1,1-trifluoroethane (HFC-143a)

§ 1,1-difluoroethane (HFC-152a)

§ parachlorobenzotrifluoride (PCBTF)

§ cyclic, branched, or linear completely methylated siloxanes

§ acetone

§ perchloroethylene (tetrachloroethylene)

§ 3,3-dichloro-1,1,1,2,2-pentafluoropropane (HCFC-225ca)

§ 1,3-dichloro-1,1,2,2,3-pentafluoropropane (HCFC-225cb)

§ 1,1,1,2,3,4,4,5,5,5-decafluoropentane (HFC 43-10mee)

§ difluoromethane (HFC-32)

§ ethylfluoride (HFC-161)

§ 1,1,1,3,3,3-hexafluoropropane (HFC-236fa)

§ 1,1,2,2,3-pentafluoropropane (HFC-245ca)

§ 1,1,2,3,3-pentafluoropropane (HFC-245ea)

§ 1,1,1,2,3-pentafluoropropane (HFC-245eb)

§ 1,1,1,3,3-pentafluoropropane (HFC-245fa)

§ 1,1,1,2,3,3-hexafluoropropane (HFC-236ea)

Page 3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24 -

§ 1,1,1,3,3-pentafluorobutane (HFC-365mfc)

§ chlorofluoromethane (HCFC-31)

§ 1 chloro-1-fluoroethane (HCFC-151a)

§ 1,2-dichloro-1,1,2-trifluoroethane (HCFC-123a)

§ 1,1,1,2,2,3,3,4,4-nonafluoro-4-methoxy-butane (C4F9OCH 3 or HFE-7100)

§ 2 - ( d i fl u o r om e t ho xyme t hyl ) - 1 , 1 , 1 , 2 , 3 , 3 , 3 - he p t a fl u o r o p r o p a ne

((CF3)2CFCF2OCH 3)

§ 1-ethoxy-1,1,2,2,3,3,4,4,4-nonafluorobutane (C4F9OC2H 5 or HFE-7200)

§ 2-(ethoxydifluoromethyl)-1,1,1,2,3,3,3-heptafluoropropane ((CF3)2CFCF2OC2H 5)

§ methyl acetate; 1,1,1,2,2,3,3-heptafluoro-3-methoxy-propane (n-C3F7OCH3,

HFE-7000)

§ 3-ethoxy-1,1,1,2,3,4,4,5,5,6,6,6-dodecafluoro-2-(trifluoromethyl) hexane

(HFE-7500)

§ 1,1,1,2,3,3,3-heptafluoropropane (HFC 227ea)

§ methyl formate (HCOOCH 3)

§ 1, 1, 1, 2 , 2 , 3 , 4, 5, 5 , 5-decafluoro-3-methoxy-4-tr i fluoromethyl-pentane

(HFE-7300)

§ propylene carbonate

§ dimethyl carbonate

§ trans-1,3,3,3-tetrafluoropropene

§ HCF2 OCF2H (HFE-134)

§ HCF2OCF2OCF2H (HFE-236cal2)

§ HCF2OCF2CF2OCF2H (HFE-338pcc13)

§ HCF2OCF2OCF2CF2OCF2H (H-Galden 1040x or H-Galden ZT 130 (or 150

or 180))

§ 다음에 해당하는 perfluorocarbon 화합물

(i) Cyclic, branched, or linear, completely fluorinated alkanes

(ii) Cyclic, branched, or linear, completely fluorinated ethers with no

Page 3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25 -

unsaturations

(iii) Cyclic, branched, or linear, completely fluorinated tertiary amines with no

unsaturations; and

(iv) Sulfur containing perfluorocarbons with no unsaturations and with sulfur

bonds only to carbon and fluorine.

주이행계획(State Implementation Plan, 이하 SIP)이나 연방규정 40 CFR part

60, appendix A에 규정된 VOCs 측정법에 의해 광화학반응성이 낮은 이 화합물들

까지 함께 측정되는 경우에는, 이 화합물들의 양을 정확히 아는 경우에 한해 집행

기관의 승인 하에 그 양을 제외할 수 있다. t-butyl acetate의 경우에는 기록, 배출

량 보고, 광화학확산모델링, 배출목록 작성을 위한 VOCs 물질로 간주하고 배출량

보고 시 따로 취급하지만, 배출량을 규제하거나 함유량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또한,

위 목록에 포함된 물질이라도 에어로졸코팅 시 휘발돼 나오는 유기화합물의 경우에

는 California 주의 에어로졸코팅 반응성기반 규정(Aerosol Coatings

Reactivity-based Regulation, California Code of Regulations, Title 17, Division

3, Chapter 1, Subchapter 8.5, Article 3) 또는 EPA의 에어로졸코팅 반응성기반

규정(40 CFR part 59 subpart E)에 의해 규제받는다.

광화학반응성이 약하다고 판정되어 “VOC 제외물질”로 인정되는 물질들의 목록은

1977년 처음 만들어진 이후, 여러 차례 새로운 물질들이 추가되었다4). 또한 주에 따

라서는 독자적인 VOC 제외물질 목록을 운용하기도 한다. 한편, 실내공기질 규제를

위한 VOC 정의는 광화학반응성이 약한 물질들도 모두 포함한다5).

우리나라 VOCs 지정물질 37종에 포함돼 있는 1,1,1-trichloroethane과

perchloroethylene (tetrachloroethylene)은 위에 보여진 CAA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VOCs 제외 물질로 분류되며, CAA 112조에 정의된 HAPs 188종 물질에 포함돼 있

다. 이는 미국에서 대기 중 유기화합물을 오존 생성에 기여하는 VOC와 인체 독성

을 기준으로 정의되는 HAPs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사례라 하겠다.

4) US EPA, http://www.epa.gov/iaq/voc2.html

5) US EPA, http://www.epa.gov/iaq/voc2.html

Page 3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26 -

나. 유럽

VOCs를 정의하는 가장 근본적인 방식은 유기화합물의 휘발성(volatility)을 기준으

로 정의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지금도 과학기술적인 VOCs 정의의 기본으로 인식

되고 있다. 대기질 관리를 위한 VOCs 정의에 이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대

표적인 예가 유럽연합이다. 유럽연합에서는 VOCs를 “표준 기압 101.3 kPa에서 끓

는점이 250°C 이하인 모든 유기물질”6)로 정의하고 있다. 유럽연합과 비슷한 방식으

로 VOCs를 정의하는 국가로 호주가 있다. 다만, 유럽연합은 각 물질의 휘발성의

기준으로 끓는점을 사용하지만, 호주에서는 증기압을 사용한다는 점이 다르다. 호주

의 정의에 따르면, VOCs는 “25°C에서 증기압이 2mmHg를 초과하는 모든 사슬형

또는 고리형 탄화수소 화합물”로 정의된다7). 단,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탄산

(carbonic acid), 탄산염(carbonate salts), 금속탄화물(metallic carbides), 메탄은 제

외한다. 또한 광화학 반응성(POCP)의 유용성은 인정하고 있으나, 과학적으로 완벽

하게 검증 되었다고 인정 하지않기 때문에 현재 고려하고 있지 않는다.

다. 일본

규제의 대상이 되는 VOC에 대해서는 개정 대기 오염 방지법 (이하 "법"이라한다)

에 있고, "대기 중으로 배출되거나 또는 비산했을 때 기체 인 유기 화합물 (부유 입

자상 물질 및 오키시단토 발생의 원인이 되지 않는 물질로서 정부령으로 정하는 물

질을 제외한다. ) "라고 정의하고 있다(법 제 2 조제 4 항).

기체 상태로 대기 중에 배출되어 또는 비산하는 유기 화합물은 일부 물질을 제외

하고 대기 중에 광화학 반응의 결과 옥시던트 (오존 등)을 생성한다. 또한 광화학

반응의 결과 VOC가 낮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생성하고 이 응축 등에 의해 부유

입자상 물질을 생성한다.

6) Directive 2004/42/CE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the Council, EUR-Lex. European

Union Publications Office. Retrieved on 2007-09-27.

7) Australian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Heritage, Australia's National Pollutant

Inventory, 2003

Page 3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27 -

3.1.2.2 개념정의에 따른 VOCs 관리정책방향 현황 조사

가. 미국

미국의 VOC 규제는 1960년대에 캘리포니아 SCAQMD에서 California Rule 66을

통해 유기용제의 VOC 함유량을 규제하면서 시작되었다. 1977년 청정대기법의 개정

과 함께 연간 100톤 이상의 VOC를 배출하는 대형 배출원에 대한 배출을 규제하기

시작하였으며, CAAA1990에서는 오존 기준 미달성 지역을 5단계로 구분하여 관리

를 체계화하고 이동오염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였다. 청정대기법에 따라 연방 정

부는 오존 기준 미달성 지역이 속해 있는 주정부로 하여금 10년 안에 연방 대기질

기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VOC 저감대책을 담은 주이행계획(SIP)을 제출하도

록 요구하며, 주이행계획에는 고정오염원(점 및 면오염원)과 이동오염원 대책이 포

함된다8)9).

미국은 CAAA1990에서 오존 기준 미달성 지역을 오염도에 따라 아래 표와 같이

5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마다 기준 달성 기한과 주요 관리 대상이 되는 대형배출

원의 규모를 설정하였고, 배출원의 신증설은 해당 지역 내 다른 배출원의 배출 감

소를 통한 상쇄(offset)에 의해서만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오염도가 심할수록 높은

상쇄비율을 적용하였다.

8) VOC Control Regulation, Environment Health & Safety Environmental Affairs Caltex

Services Corporation Environmental Affairs, 1994.

9) The Clean Air Act Amendments Update Strategies, TRC Environmental Corporation. 1994.

Page 3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28 -

<표 3-7> 오존 미달성지역의 VOC 감축계획10)11)

오염도 Marginal Moderate Serious Severe Extreme

오존

농도(ppm)0.121-0.138 0.138-0.160 0.160-0.180 0.180-0.280 0.280 이상

기준 달성

기한

1993. 11.

15

1996. 11.

15

1999. 11.

15

2005. 11.

15

2010. 11.

15

VOC 감축량 -6년내에

15%

6년내에

15%, 이후

매년 3%

6년내에

15%, 이후

매년 3%

6년내에

15%, 이후

매년 3%

대형배출원

(VOC)

기준(톤/년)

100 100 50 25 10

상쇄 비율 1.1 1.15 1.2 1.3 1.5

위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요 관리대상 배출원의 기준이 오존 기준의 달성여부

에 따라 달라진다. 오존 기준 달성지역이나 미달성 정도가 Marginal, Moderate인

경우에는 연간 VOC 배출량이 100톤 이상인 배출원만을 대형배출원으로 정하지만,

오존 기준 미달성 정도가 Serious 이상인 지역에서는 오염도에 따라 연간 배출량이

각각 50톤, 25톤, 10톤 이상인 배출원을 대형배출원으로 분류하여 엄격하게 관리한

다. 대형배출원은 1990년부터 6년 내에 해당 오염물질 배출량을 15% 저감해야 하

며, 그 이후부터 기준 달성 기한까지 매년 3%씩 추가 저감을 함으로써 기준을 달성

해야 한다.

오존 기준 미달성 지역으로 지정이 되면 해당 주는 배출원 목록을 조사하여 EPA

에 제출하고 자동차 배출 규제 프로그램을 시행해야 한다. 오염도 등급이 Moderate

이상인 주는 대형배출원 및 제어기술 가이드라인에서 정한 배출원에 대해 합리적인

방지기술(Reasonably Available Control Technology, 이하 RACT)을 적용해야 하

고, 휘발유 유증기 회수 프로그램을 시행해야 한다. 오염도 등급이 Serious 이상인

주는 오존, NOx, VOC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모델링을 통한 기준 달성 가능성 입

증, 자동차 배출 규제 프로그램 강화, 청정연료 자동차 프로그램 시행, 교통 제어

프로그램 시행, 신증설 배출원에 대해 최적방지기술(Best Available Control

10) VOC Control Regulation, Environment Health & Safety Environmental Affairs Caltex

Services Corporation Environmental Affairs, 1994.

11) The Clean Air Act Amendments Update Strategies, TRC Environmental Corporation.

1994.

Page 3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29 -

Technology)12) 대신 최소배출기술(Lowest Achievable Emission Rate)13) 적용 등의

의무가 주어진다. 오염도 등급이 Severe 이상이 되면, 자동차 주행거리 관리계획을

세워 시행해야 한다. 오염도 등급이 Extreme인 주는 발전소 및 보일러에서 청정연

료(천연가스나 에탄올)를 사용해야 하고, 출퇴근 시간대에 대형 트럭과 고배출 차량

의 통행을 억제하는 프로그램을 시행해야 한다.

1990년 11월 15일을 기준으로 6년 후, 그리고 그 이후에는 매 3년마다 각 오존

기준 미달성 지역의 배출량 저감 목표와 오존 기준 목표가 달성됐는지를 평가한다.

Serious 또는 Severe 등급의 지역이 목표 달성에 실패했을 경우에는 미달성 등급을

한 단계 상향조정하거나, 다음 기간의 목표 달성을 위한 비상대책을 마련하거나, 경

제적 유인 프로그램을 도입하여야 한다. Extreme 등급의 지역이 목표 달성에 실패

했을 경우에는 경제적 유인 프로그램을 도입하여야 한다.

한편, 대기중의 NOx, VOC와 이로 인한 오존을 관리하기 위하여 미국에서는 이

미 오래전부터 NOx와 VOC에 대한 총량거래제를 운영해 왔다. 총량거래제는 사회

적으로 최소 비용으로 최대 오염물질 배출 저감을 이룰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기존의 명령통제제도 하에서는 쉽지 않았던 NOx 및 VOC 농도 저감을 획기적인

수준으로 이루어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미국의 총량거래제에 대해서는 2012년

발간된 수도권대기환경청 보고서14)에서 체계적으로 살펴본 바 있다.

나. 유럽

1992년 ECE(유럽 경제 공동체)는 독일의 규제법을 기초로 하여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통일 기준안을 마련하고, BATNEEC(Best Available Technique Not Entailing

Excessive Cost : 과잉 비용이 들지 않는 최대 이용가능 기술)을 이용한 저가 목표

달성 추구한다. 주로 공정 및 산업설비로부터 발생하는 유기용제 배출량 억제가 주

목표이다. 규제대상의 산업을 구분하여 각 산업에 따라 규제하는 유기용제 배출한

계 및 배출 기준이 있다.

12) 경제성을 고려한 최적방지기술

13) ‘달성가능한 최저 배출량’이라는 의미로서, 경제성에 대한 고려 없이 존재하는 최고 수준의

방지기술을 가리킨다.

14)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한국대기환경학회 (2012) 수도권 대기환경관리 중장기 정책방

향 설정. 수도권대기환경청 용역보고서

Page 3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30 -

유럽은 두 가지의 형태에 따라서 규제를 진행하고 있다. 1) 용제배출에 관한

지침(Solvent Emission Directive(SED) 1999/13/EC))와 함께 2) 제품 규정(Products

Directive(PD) 2004/42/EC) 로 규제를 진행하고 있다.

<그림 3-1> 유럽의 VOCs 규제 관리 형태

(1) 용제배출에 관한 지침(Solvent Emission Directive(SED) 1999/13/EC))

용제를 사용하는 주요 20개의 항목에 대하여 배출제한을 정하였다. 초기 공장의

배출 용량이나 공정 진행 순서에 따라서 배출 제한 용도가 제한한다.

<표 3-8> Solvent Directive VOC 규제 항목

(2) 제품 규정(Products Directive(PD or DECO) 2004/42/EC)

정확한 유기용제의 양을 알 수 없을 경우, 제품의 용량 당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양을 규제한다.

2004년에 유럽의 도료 내 VOCs 함량규제는 Paint Directive(Directive 2004/42/EC)

Page 3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31 -

로 시행 되고 있으며 SED에 해당하는 Directive 1999/13/EC(유기용제를 사용하는

시설에서 사용하는 VOCs의 배출을 제한하는 지침)의 VOCs 지침 중 도료사용(건

축용 12종, 자동차보수용 5종)에 의해 발생하는 VOCs를 규제하는 지침이다.

<표 3-9> 페인트∙니스의 VOC 함량 기준, Paint Directive(2004/42/EC)

다. 일본

일본은 규제 대상 물질의 명칭을 한정 열거하지 않고 다양한 물질을 VOC로

종합 규제하기로 했다. 일본 공장 등에서는 현재 약 200 종류의 VOC에 해당하는

물질이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지만, 관계자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VOC에 해당하는 주요 물질의 명칭을 일본 환경성 환경관리국장이 각 지방자치단

체장에게 통지하는 문서에 표기하였으며, 이를 <표3-10>에 나타내었다.

Page 3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32 -

연번 물질명 비고

1 톨루엔

2 자일렌 (크실렌)

3 1,3,5 - 트리메틸 벤젠

4 초산 에틸

5 데칸

6 메탄올

7 디클로로메탄

8 메틸에틸케톤

9 n-부탄

10 이소부탄

11 트리클로로에틸렌

12 이소 프로필 알코올

13 초산 부틸

14 아세톤

15 메틸 이소 부틸 케톤

16 부틸 셀로 솔브

17 n - 헥산

18 n - 부탄올

19 n - 펜탄

20 cis - 2 - 부텐

21 이소 부탄올

22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23 테트라 클로로 에틸렌

24 시클로 헥산

25 프로필 아세테이트

26 trans- 2 - 부텐

27 에틸 셀로 솔브

28 운데칸

29 노난

30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31 2 - 메틸 펜탄

32 에틸렌 글리콜

33 2 - 메틸 -2 - 부텐

<표 3-10> 휘발성유기화합물에 해당하는 주요 물질

Page 4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33 -

34 에틸 시클로 헥산

35 테트라린

36 메틸 아밀 케톤

37 메틸 n - 부틸케톤

38 클로로 메탄

39 벤질 알코올

40 시클로 펜타논

41 2 - 메틸 -1 - 부텐

42 n - 헵탄

43 비 시클로 헥실

44 N, N - 디메틸 포름 아미드

45 trans- 2 - 펜텐

46 cis - 2 - 펜텐

47 스티렌

48 N - 메틸 -2 - 피 롤리 돈

49 에틸 셀로 솔브 아세테이트

50 벤젠

51 이소호론

52 시클로 헥사논

53 에탄올

54 메틸 시클로 펜탄

55 비닐 아세테이트

56 3 - 메틸 헥산

57 2,3 - 디메틸 부탄

58 2,2 - 디메틸 부탄

59 메틸 시클로 헥산

60 이소 프로필 셀로 솔브

61 1,2 - 디클로로 에탄

62 염화 비닐

63 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

64 에틸 벤젠

65 쿠멘

66 에탄

67 트리클로로 에탄

68 아크릴로 니트릴

Page 4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34 -

69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

70 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71 n -프로필 브로마이드

72 메타 크릴 산 메틸

73 1,3 - 부타디엔

74 1,1 - 디클로로 에틸렌

75 2,4 - 디메틸 펜탄

76 산화 프로필렌

77 클로로포름

78 메틸 브로마이드

79 디펜 텐

80 1 - 헵텐

81 1,4 - 디 옥산

82 아세토 니트릴

83 염화 아릴

84 아크릴산

85 이소프렌

86 아세트 알데히드

87 1,2 - 디클로로 프로판

88 메틸 셀로 솔브 아세테이트

89 옥사이드

90 o - 디클로로 벤젠

91 벤젠

92 포름산 메틸

93 트리 에틸 아민

94 3 - 메틸 헵탄

95 페놀

96 나프탈렌

97 아크릴산 메틸

98 시클로 헥실 아민

99 포름 알데히드

100 에피 클로로 히드린

출처 : 대기 오염 방지법의 일부를 개정하는 법률의 시행에 관하여

(環管大発第 050617001号, 2005 )

Page 4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35 -

3.1.2.3 VOCs 관리대상 물질 및 시설관리기준 현황조사

가. 미국

(1) 주요 배출오염원별 관리동향15)

(가) 자동차 부문

미국에서는 VOC 배출원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문이 자동차 등의 이동오

염원이다. 배기관에서 배출되는 VOC 저감을 위해 오래 전부터 삼원촉매장치의 장

착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자동차에서의 증발배출 저감은 연료기준의 강화를 통해

추진하고 있다. 청정대기법에서는 연료증발가스를 줄이기 위해 1992년부터 미 전역

에 휘발유의 RVP를 여름에는 9.0 psia 이하로 규제하고 있다. 1995년부터는 오존

기준 미달성 정도가 Severe 이상(오존농도 0.180 ppm 이상)인 지역에서는 여름철

VOC 배출과 유해대기오염물질 배출을 각각 15% 이상 저감하기 위해 개질 휘발유

를 판매하도록 하였으며, 2000년부터는 개질 휘발유의 등급 기준을 VOC와 유해물

질의 배출을 1990년 수준보다 25% 더 감소할 수 있는 수준으로 상향조정하였다. 또

한 M8, LPG, CNG 등의 연료가 휘발유보다 광화학반응 조정계수가 낮아 오존을 비

롯한 광화학산화제 생성 기여도가 낮고 유해대기오염물질의 배출 또한 적다는 점에

근거하여 저공해연료자동차 보급 차원에서 이 연료들의 보급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

다.

(나) 도장시설

도장산업은 자동차 부문과 함께 가장 중요한 VOC 배출 산업으로, 1978년 EPA가

VOC 규제지침을 발표한 바 있는 15 종류의 고정오염원에도 도장시설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1981년에는 자동차 조립 공장의 도장작업에 대해서 NSPS가 발효되었다.

또한 도장시설은 유해대기오염물질 규제기준인 최대방지기술(Maximum Available

Control Technology, 이하 MACT)의 대표적인 적용대상이다. 도료에 대한 EPA의

VOC 규제는 함유량 규제와 도료 사용 사업장의 배출량 규제로 이루어지는데, 건축

물, 자동차 보수, 도로 표지판에 사용되는 도료의 경우에는 함유량을 규제하고, 섬

유나 직물의 코팅과 염색, 승용차와 소형 트럭의 표면 코팅, 금속 및 기타 상품의

15) “VOC 배출억제 방지시설의 저감효율 및 농도기준 설정 등에 관한 연구(2001, 한양대학교 환

경 및 산업의학 연구소)”에서 요약 정리.

Page 4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36 -

표면 코팅 등의 공정에 대해서는 배출량을 규제한다. CAAA1990에서는 도료에 포

함되어 있는 VOC의 양을 RACT 기준치 이하로 제한하였다. 연방정부에서는 유기

용제로부터 배출되는 VOC를 저감하기 위한 제어기술에 대한 가이드라인(Control

Technology Guideline, 이하 CTG)을 제공하는데, CTG는 각 주정부의 환경부서에

서 각 오염물질에 대한 RACT를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담고 있다.

(다) 유류 생산·저장·출하 시설

미 연방법 NSPS에는 유류의 생산·저장·출하 시설에 대해 VOC 배출의 최소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라) 주유소

1977년 개정된 대기청정법에 의해 오존 기준 미달성지역에 대한 주유소 유증기

회수가 의무화되었다. 캘리포니아에서는 연방 규정보다 더 일찍 주유소 유증기 회

수 규정을 마련하였는데, Stage Ⅰ(휘발유를 유조차에서 주유소 저장탱크로 옮기는

과정) 규제는 1963년부터 시행되어 증기회수선(Vapor Return Line)을 설치하도록

규정하였고, Stage Ⅱ(주유소 저장탱크로부터 운행 차량으로 주유하는 과정) 규제는

1976년부터 권장, 시행되어 1988년도부터는 연간 처리량이 18,000 ㎘ 이상인 주유소

에 대해 증기회수설비를 갖추도록 의무화하였다. 일부 주에서는 VOC 저감대책의

일환으로 유증기 회수설비를 설치하고 있으며, 오존농도가 심각한 지역과 오존 이

동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지역에 대하여 Stage II 회수 시설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

으며, 2006년을 기준으로 EPA 규정에 의하여 Stage II 회수 시설 설치 규정을 적용

받고 있는 지역은 대부분 서부 캘리포니아와 동부 인구밀집 지역으로 약 275개의

카운티에서 시행되고 있다. 1993년에는 연방법원의 판결에 따라 2000년부터 미국에

서 제작되는 판매되는 모든 승용차에 탑재형 증기회수 캐니스터(OVRC: On-board

Vapor Recovery Canister)의 장착이 의무화되었으며, 2014년까지는 90% 보급 예정

이다. 이에 따라, OVRC 장치의 자동차 부착율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는 주에 대해

서는 Stage II 회수 시설 설치를 면제해줄 수 있도록 규정되었고, 장기적으로는 주

유소 Stage-II 회수 시설은 점차 폐기할 예정이다. 미국의 유증기 회수 정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한국대기환경학회에서 수행한 “인구 50만 이상 도시의 주유소 유증

기 회수 설비 설치확대방안에 대한 연구” 최종보고서16)에서 찾아볼 수 있다.

16) 대기환경학회 (2011) 인구 50만 이상 도시의 주유소 유증기 회수 설비 설치확대방안에 대한

연구.

Page 4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37 -

(마) 기타 시설

인쇄시설의 경우, 연방법의 NSPS에 시설관리기준이 명시되어 있어 1회 평균인쇄

시간 동안 배출되는 VOC의 양을 제한하고 있다. 세탁시설에서 용제로 사용되는 염

화에틸렌류는 석유용제보다 비싸고 유해하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환기시설에 필터

또는 흡착시설을 설치하여 회수하도록 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 물질의 발암성이 보

고되면서 사용규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대체물질 사용이 권장되고 있다.

(바) VOC 함유 상품 규제

1998년 9월, EPA는 헤어스프레이, 악취제거제, 공기정화제, 세제 등을 포함한 24

가지 범주의 상품에 대한 VOC 함량 국가 기준을 마련하였다.

(2) 연방규정 상의 VOC 배출원 규제 현황

미국에서 각종 도장시설, 유류 제조·저장·유통 시설, 인쇄시설, 세탁시설 등의 신

설 VOC 배출원에 대한 시설관리 기준은 미 연방규정인 Code of Federal

Regulation(CFR)의 Part 60에 신설 배출원 성능기준(New Source Performance

Standard, 이하 NSPS)17)으로 상세하게 정해져 있다. 각 주에서는 많은 경우 NSPS

의 성능기준을 그대로 따르지만, 주의 사정, 특히 오존 기준 준수 여부에 따라 주이

행계획(State Implementation Plan)을 세워 독자적인 VOC 규제를 시행하기도 하는

데, 이 경우 대개 NSPS 성능기준보다 엄격한 기준을 수립하여 적용한다.

NSPS에서 규정하고 있는 성능기준들은 배출원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설

정되는데,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사용되는 원료의 VOC 함량 규제 (예: 도장산업 도료 기준)

- 배출되는 VOC 농도 규제 (예: 방지시설 효율 기준)

- 설비의 설치 및 운영 방식에 대한 규제

한 가지 주목해야 할 점은 CFR Part 51의 Section 51.100에서 규정한 원론적인

VOC 정의와 별개로, Section 60.2에 배출 규제를 위한 VOC의 정의가 다음과 같이

내려져 있다는 점이다: “Volatile Organic Compound means any organic compound

which participates in atmospheric photochemical reactions; or which is measured

by a reference method, an equivalent method, an alternative method, or which is

17) 40 CFR Part 60 - Standards of Performance for New Stationary Sources (NSPS)

Page 4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38 -

determined by procedures specified under any subpart(VOC는 대기광화학반응에

참여하는 모든 유기화합물, 또는 기준방법, 등가방법, 대체방법, 기타 Part 60에서

절차가 정의된 다른 방법으로 측정된 모든 유기화합물을 뜻한다).“ 이는 CFR을 통

해 규제하고자 하는 VOC 배출량이 그것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에 따라 달라지며,

Section 51.100에서 원론적으로 정의한 그대로의 VOC를 측정할 방법이 없기 때문

이다.

원료의 VOC 함유량 측정은 Method 2418)에 규정돼 있으며, 그 원리는 시료를 가

열하여 휘발성분을 제거한 뒤 질량 감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단, 유성 잉크의 VOC

함량 결정방법은 Method 24A19)에 규정돼 있으며, 기본 원리는 Method 24와 동일

하다.

VOC 농도 측정에는 주로 Method 2520)가 사용된다. Method 25는 고정오염원에

서 배출되는 기체상 비메탄유기화합물(Nonmethane Organics, 이하 NMO)을 측정

하는 방법으로, 그 원리는 채취한 NMO를 GC 컬럼을 이용해 CO, CO2, CH4와 분리

한 후 CO2로 산화하고 다시 CH4로 환원시켜 FID(Flame Ionization Detector)로 측

정하는 것이다. VOC의 대부분이 Alkane, Alkene, 방향족일 경우에는 Method 25

A21)를 사용하고 측정원리는 Method 25와 비슷하다. VOC의 대부분이 Alkane일 경

우에는 Method 25B22)를 사용하는데, 이 방법에서는 비분산적외선측정법

(Nondispersive Infrared Analysis)이 사용된다. 합성유기화학물질 제조업에서와 같

이 예상되는 유기물질의 종류가 제한적일 경우에는 각 유기물질을 GC로 분리하여

측정하고 메탄과 에탄은 제외하는 Method 1823)이 사용된다.

CFR에서 VOC 배출을 규제하고 있는 25가지 시설에 대한 규제 내용을 다음에

요약하여 정리하였다.

18) Determination of volatile matter content, water content, density, volume solids, and

weight solids of surface coatings. CFR Title 40 Part 60 Appendix A

19) Determination of volatile matter content and density of printing inks and related

coatings. CFR Title 40 Part 60 Appendix A

20) Determination of total gaseous nonmethane organic emissions as carbon. CFR Title

40 Part 60 Appendix A

21) Determination of total gaseous organic concentration using a flame ionization

analyzer. CFR Title 40 Part 60 Appendix A

22) Determination of total gaseous organic concentration using a nondispersive infrared

analyzer. CFR Title 40 Part 60 Appendix A

23) Measurement of gaseous organic compound emissions by gas chromatography. CFR

Title 40 Part 60 Appendix A

Page 4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39 -

연번 내용 시설 업종 공정

1 유류(Petroleum Liquid) 저장시설 ◎

2 금속가구 표면도장 시설 ◎

3 12인승 이하 자동차 및 소형 트럭 표면도장 시설 ◎

4 그래픽산업; 출판용 Rotogravure 인쇄 ◎

5 테이프/라벨 표면코팅 공정 ◎

6 산업용 표면코팅 공정 ◎

7 금속코일 표면코팅 공정 ◎

8 합성유기화학물질제조업에서의 장비누출 ◎

9 음료 캔 표면코팅 공정 ◎

10 휘발유 출하시설 ◎

11 고무타이어 제조업 ◎

12 고분자 제조업 ◎

13 신축성 비닐 및 우레탄 코팅/인쇄 ◎

14 정유공장에서의 장비누출 ◎

15 합성섬유 제조업 ◎

16 합성유기화학물질 제조업 ◎

17 세탁업 ◎

18 내륙 천연가스처리공정에서의 장비누출 ◎

19 합성유기화학물질 제조업 증류공정 ◎

20 정유공장 폐수처리시스템 ◎

21 합성유기화학물질 제조업 반응공정 ◎

22 자기테이프 코팅 공정 ◎

23 산업용 기계의 플라스틱 부품 코팅 공정 ◎

24 지지기판 고분자 코팅 공정 ◎

25 생활폐기물 매립 ◎

<표 3-11> 미국 CFR 상의 VOC 규제시설 및 공정

Page 4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40 -

1. 유류(Petroleum Liquid)24) 저장시설

1.1 1973. 6. 12 ~ 1978. 5. 18 기간 동안 건설25) 개시한 시설(Subpart K)

- 40,000 gallon 초과 시설에 대해 적용

- 진증기압 78 mmHg(1.5 psia) 이상, 570 mmHg(11.1 psia) 이하: Floating Roof,

유증기회수시스템 혹은 그에 준하는 장치를 설치

- 진증기압 570 mmHg(11.1 psia) 초과: 유증기회수시스템 혹은 그에 준하는 장치

를 설치

1.2 1978. 5. 19 ~ 1984. 7. 22 기간 동안 건설 개시한 시설(Subpart Ka)

- 40,000 gallon 초과 시설에 대해 적용

- 진증기압 10.3 kPa(1.5 psia) 이상, 76.6 kPa(11.1 psia) 이하: External Floating

Roof, Fixed Roof with Floating Type Cover, 시설에서 유출되는 모든 VOC를 회

수하고 이를 처리하여 VOC 배출을 95% 이상 저감할 수 있는 유증기 회수 및 처리

시스템, 또는 그에 준하는 장치26) 설치

- 진증기압 76.6 kPa(11.1 psia) 초과: 시설에서 유출되는 모든 VOC를 회수하고 이

를 처리하여 VOC 배출을 95% 이상 저감할 수 있는 유증기 회수 및 처리 시스템

설치

1.3 1984. 7. 23 이후 건설 개시한 시설(Subpart Kb)

- 모든 휘발성 유기액체(Volatile Organic Liquid) 포함

- 용량 151 m3 이상, 최대 진증기압 5.2 kPa 이상 76.6 kPa 미만 또는 용량 75 m3

이상 151 m3 미만, 최대 진증기압 27.6 kPa 이상, 76.6 kPa 미만: Fixed roof in

combination with an internal floating roof, External floating roof, Closed vent

system and control device, 또는 그에 준하는 장치27) 설치

- 용량 75 m3 이상, 최대 진증기압 76.6 kPa 이상: Closed vent system and control

device, 또는 그에 준하는 장치28) 설치

24) ASTM D396-78, 89, 90, 92, 96, or 98에서 명시한 2 ~ 6번 액체연료, ASTM D2880-78

및 96에서 명시한 2-GT ~ 4-GT번 가스터빈연료, ASTM D975-78, 96, 98a에서 명시한

2-D ~ 4-D번 디젤연료는 제외

25) 신설(construction), 재건설(reconstruction) 및 변형(modification) 포함

26) Section 60.114a에 기술

27) Section 60.114b에 기술

28) Section 60.114b에 기술

Page 4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41 -

2. 금속가구 표면도장 시설(Subpart EE)

- 0.90 kg/L coating solids 이하

- 매월 사용된 도료 및 용제의 VOC 함량, VOC 회수 및 제거 장치의 효율 등 고

려하여 VOC 배출량 계산

- 도료 및 용제의 VOC 함량 결정에는 Method 24나 제조사가 제공하는 함량 데이

터 사용. 두 방법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Method 24 우선

- VOC 농도 측정에는 Method 25 사용

3. 12인승 이하 자동차 및 소형 트럭29) 표면도장 시설(Subpart MM)

3.1 Prime Coat 공정

(1) EDP 30) Prime Coat 공정

- RT31) ≥ 0.16: 0.17 kg VOC/L applied coating solid

- 0.04 ≤ RT < 0.16: 0.17×350(0.160-RT) kg VOC/L applied coating solid

- RT < 0.04: 규제 없음

(2) non-EDP Prime Coat 공정: 0.17 kg VOC/L applied coating solid

3.2 Guide Coat 공정

- 1.40 kg VOC/L applied coating solid

3.3 Topcoat 공정

- 1.47 kg VOC/L applied coating solid

4. 그래픽산업: 출판용 Rotogravure 인쇄(Subpart QQ)

- 1980. 10. 29 이후 제조되거나 개조된 모든 출판용 윤전그라비어 인쇄기. 단, 교정

기(proof press)는 제외

- 사용된 VOC 용제와 물의 총 질량의 16%에 해당하는 VOC

29) 차체 질량 3,850 kg 이하

30) Electrodeposition (EDP): A method of applying a prime coat by which the

automobile or light-duty truck body is submerged in a tank filled with coating material

and an electrical field is used to effect the deposition of the coating material on the

body

31) Solids Turnover Ratio (RT): The ratio of total volume of coating solids that is

added to the EDP system in a calendar month divided by the total volume

design capacity of the EDP system

Page 4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42 -

- 매월 또는 4주에 한번씩(사업주의 선택) 사용된 잉크의 양, 잉크 속의 VOC 및

물 함량, 잉크에 가해진 VOC 용제 및 물의 양, 세척용으로 사용된 VOC 용제의 양,

회수된 VOC 용제의 양 등을 고려하여 VOC 배출량 계산

- 유성 잉크의 VOC 함량 결정: Method 24A나 제조사가 제공하는 함량 데이터 사

- 수성 잉크의 VOC 및 물 함량 결정: 제조사가 제공하는 함량 데이터 또는

Section 60.832)에서 정하는 시험방법 사용

5. 테이프/라벨 표면코팅 공정(Subpart RR)

- 1980. 12. 31 이후 건설 개시한 시설에 적용

- 연간 VOC 투입량이 45 Mg (50 ton)을 초과하는 시설에 대해 배출 한계 적용

- Section 60.8에 따라 매월 한 달 기간에 대한 성능시험 실시

- 0.20 kg VOC/kg applied coating solid 또는 90% 이상의 총 VOC 배출 저감

- 매월 사용된 코팅물질의 양, 코팅물질 속의 VOC 함량, VOC 회수 장치 또는

VOC 제거 장치에 의한 저감율 등을 고려하여 VOC 배출량 계산

- 코팅물질의 유기물 및 고형분 함량: Method 24나 제조사가 제공하는 함량 데이

터 사용. 두 방법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Method 24 우선

- VOC 농도 측정에는 Method 25 사용

6. 산업용 표면코팅 공정(Subpart SS)

- 1980. 12. 25 이후 건설 개시한 시설에 적용

- 매월 성능시험 실시

- 0.90 kg VOC/kg applied coating solid

- 매월 사용된 코팅물질의 양, 코팅물질 속의 VOC 함량, VOC 포집장치 또는

VOC 제거장치에 의한 저감율 등을 고려하여 VOC 배출량 계산

- 코팅물질의 유기물 및 고형분 함량: Method 24나 제조사가 제공하는 함량 데이

터 사용. 두 방법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Method 24 우선

- VOC 농도 측정에는 Method 25 사용

7. 금속코일 표면코팅 공정(Subpart TT)

- 1981. 1. 6 이후 건설 개시한 시설에 적용

- 배출제어장치가 없는 시설: 0.28 kg VOC/L applied coating solid

32) Performance tests. CFR Title 40 Part 60 Section 60-8

Page 5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43 -

- 배출제어장치가 있는 시설: 0.14 kg VOC/L applied coating solid 또는 총 VOC

배출 90% 이상 저감

- 매월 성능시험 실시

- 매월 사용된 코팅물질의 양, 코팅물질 속의 VOC 함량, VOC 포집장치 또는

VOC 제거장치에 의한 저감율 등을 고려하여 VOC 배출량 계산

- 코팅물질의 유기물 함량: Method 24나 제조사가 제공하는 함량 데이터 사용. 두

방법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Method 24 우선

- VOC 농도 측정에는 Method 25 사용

8. 합성유기화학물질제조업에서의 장비누출(Subpart VV, VVa)

- 화학물질 생산량이 1,000 Mg/yr (1,102 ton/yr) 미만인 경우, 중질액체유로부터

중질액체화학물질만을 생산하는 경우, 주류생산의 경우, 공정유체(process fluid)의

VOC 함량이 질량기준 10% 미만인 경우에는 배출 규제 면제. 단, 보고의무는 주어

진다.

- 가동 개시 후 180일 이내에 규제 준수를 증명해야 함

- 펌프, Compressor, Pressure relief device, 샘플링 연결 시스템, 밸브 및 라인 등

설비의 종류와 개설 개시일에 따라 다양한 모니터링 주기와 누출 판정 농도 기준

제시

- VOC 회수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효율 95% 이상 또는 출구농도 20 ppmv 이

- VOC 연소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효율 95% 이상, 3% 산소농도로 보정 후 건

기준 출구농도 20 ppmv 이하, 또는 816 °C 이상 온도에서 0.75초 이상 체류

- 누출원 존재여부 결정에는 Method 2133) 사용

9. 음료 캔 표면코팅 공정(Subpart WW)

- 캔 외부 Base Coating(Clear Base Coating 제외): 0.29 kg VOC/L applied

coating solid

- Clear Base Coating 및 Overvarnish Coating: 0.46 kg VOC/L applied coating

solid

- 캔 내부 Spray Coating: 0.89 kg VOC/L applied coating solid

- 매월 성능시험 실시

- 매월 사용된 코팅물질의 양, 코팅물질 속의 VOC 함량, VOC 포집장치 또는

33) Determin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leaks. CFR Title 40 Part 60 Appendix A

Page 5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44 -

VOC 제거장치에 의한 저감율 등을 고려하여 VOC 배출량 계산

- 코팅물질의 유기물 함량: Method 24나 제조사가 제공하는 함량 데이터 사용

- VOC 농도 측정에는 Method 25 사용

10. 휘발유 출하시설(Subpart XX)

- 1980. 12. 18 이후 건설 개시한 시설에 적용

- 출하량 75,700 L/day 이상인 시설에 적용

- VOC 증기포집시스템 설치해야 함

- 휘발유 적재시 배출 35 mg VOC/L gasoline loaded 이하

- 기존의 증기처리시스템 설치 시설의 경우, 휘발유 적재시 배출 80 mg VOC/L

gasoline loaded 이하

- 배출된 가스의 부피 측정에는 Method 2A34) 또는 2B35), 가스 중 VOC 농도 측정

에는 Method 25A 또는 25B 사용

11. 고무타이어 제조업(Subpart BBB)

- 1983. 1. 21 이후 건설 개시한 시설에 적용

- Undertread 접착, Sidewall 접착, Tread End 접착, Bead 접착, Green Tire

Spraying 공정 등에 대해 다양한 배출량 규제

- 매월 성능시험 실시

- 매월 사용된 접착제 및 스프레이의 양 및 VOC 함량, VOC 포집장치 또는 VOC

제거장치에 의한 저감율 등을 고려하여 VOC 배출량 계산

- 접착제 및 스프레이의 유기물 함량: Method 24나 제조사가 제공하는 함량 데이

터 사용

- VOC 농도 측정에는 Method 25 사용

12. 고분자 제조업(Subpart DDD)

- Polypropylene, Polyethylene, Polystyrene, or Poly (ethylene terephthalate) 제조

시설

- Polypropylene, LD-polyethylene, HD-polyethylene 제조: 98% 제거효율 또는 건

기준 20 ppmv 이하 농도 유지, 150 MBtu/h 이상의 보일러로 연소, Section 60.18에

34) Direct measurement of gas volume through pipes and small ducts. CFR Title 40

Part 60 Appendix A

35) Determination of exhaust gas volume flow rate from gasoline vapor incinerators.

CFR Title 40 Part 60 Appendix A

Page 5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45 -

명시된 Flare로 연소, 또는 현장에 설치된 제어장치로 이송

- Polystyrene 제조: 총 탄소배출량(TOC)을 0.0036 kg TOC/Mg product 이하로 유

지하거나 물질회수부 최종 Condenser의 배출가스온도를 −25°C 이하로 유지

- Dimethyl Terephthalate Process로 Poly(ethylene terephthalate) 제조: 총 탄소배

출량을 0.018 kg TOC/Mg product 이하로 유지하거나 물질회수부 최종 Condenser

의 배출가스온도를 3°C 이하로 유지

- Terephthalic Acid Process로 Poly(ethylene terephthalate) 제조: 총 탄소배출량을

0.04 kg TOC/Mg product 이하로 유지

- 총 탄소배출량은 각 유기물질 농도의 합에서 메탄과 에탄의 농도를 뺌으로써 결

- 각 유기물질 농도 측정에는 Method 18 사용

- 연소시설 사용 시, 3% 산소농도로 보정

- 공정조건이 바뀔 때마다 성능시험 실시

13. 신축성 비닐 및 우레탄 코팅/인쇄(Subpart FFF)

- 1983. 1. 19 이후 건설 개시한 시설에 적용

- VOC 함량이 1.0 kg/kg ink solid인 잉크 사용하거나 VOC 배출량 85% 저감

- 잉크의 VOC 함량: Method 24 사용

- VOC 농도 측정: Method 25A 사용

14. 정유공장에서의 장비누출(Subpart GGG, GGGa)

- 합성유기화학물질제조업에서의 장비누출(Subpart VV, VVa)에 대한 규제와 동일

15. 합성섬유 제조업(Subpart HHH)

- 연간 생산량 500 Mg (551 ton) 이상인 시설에 적용

- 1982. 11. 24 이후 건설 개시한 시설에 적용

- 생산품목에 아크릴섬유 포함: VOC 배출량을 10 kg/Mg (20 lb/ton) solvent feed

로 유지

- 생산품목에 아크릴섬유 불포함: VOC 배출량을 17 kg/Mg (34 lb/ton) solvent

feed로 유지

- 배출량 규제는 6개월 평균값 기준

- 용제 회수양을 측정하여 VOC 배출량 계산

Page 5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46 -

16. 합성유기화학물질 제조업(Subpart III)

- 1983. 10. 22 이후 건설 개시한 시설에 적용

- 메탄 및 에탄을 제외한 TOC 배출을 98% 저감하거나 3% 산소 보정한 TOC 농

도를 20 ppmv 이하로 유지, Section 60.18 규정을 만족하는 Flare로 배출가스 연소,

또는 VOC 배출제어장치 없이 1.0을 초과하는 TRE index value 유지

- 각 유기물질 농도 측정에는 Method 1836) 사용

17. 세탁업(Subpart JJ J )

- Dryer Capacity 38 kg 이상인 업소에 적용

- 1982. 12. 15 이후 건설 개시한 시설에 적용

- 모든 Dryder는 용제회수건조기(Solvent Recovery Dryer)로 설치

- 모든 Petroleum Solvent Filter는 Cartridge Filter로 설치

- 용제회수건조기의 마지막 회수사이클의 회수용제 유량을 0.05 L/min으로 유지

18. 내륙 천연가스처리공정에서의 장비누출

- 1984. 1. 21 ~ 2011. 8. 23 기간에 건설 개시한 시설에 적용

- 합성유기화학물질제조업에서의 장비누출(Subpart VV, VVa)에 대한 규제와 동일

19. 합성유기화학물질 제조업 증류공정(Subpart NNN)

- 1983. 12. 31 이후 건설 개시한 시설에 적용

- 메탄 및 에탄을 제외한 TOC 배출을 98% 저감하거나 3% 산소 보정한 TOC 농

도를 20 ppmv 이하로 유지, Section 60.18 규정을 만족하는 Flare로 배출가스 연소,

또는 VOC 배출제어장치 없이 1.0을 초과하는 TRE index value 유지

- 각 유기물질 농도 측정에는 Method 18 사용

20. 정유공장 폐수처리시스템(Subpart QQQ)

- 1987. 5. 5 이후 건설 개시한 시설에 적용

- 정유공장 내에 위치한 배수계통(drain system) 및 유수분리기(oil-water

separator)에 대한 설치 및 운영 규정

- 우배수계통(Stormwater sewer system)에는 적용하지 않음

- 배출량이나 농도 규제가 아님

36) Measurement of gaseous organic compound emissions by gas chromatography. CFR

Title 40 Part 60 Appendix A

Page 5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47 -

21. 합성유기화학물질 제조업 반응공정(Subpart RRR)

- 1990. 6. 30 이후 건설 개시한 시설에 적용

- 메탄 및 에탄을 제외한 TOC 배출을 98% 저감하거나 3% 산소 보정한 TOC 농

도를 20 ppmv 이하로 유지, Section 60.18 규정을 만족하는 Flare로 배출가스 연소,

또는 VOC 배출제어장치 없이 1.0을 초과하는 TRE index value 유지

- 각 유기물질 농도 측정에는 Method 18 사용

22. 자기테이프 코팅 공정(Subpart SSS)

- 1986. 1. 23 이후 건설 개시한 시설에 적용

- 코팅물질에 함유된 VOC의 93% 이상을 회수하거나 제거

- 매월 성능시험 실시

- 매월 사용된 코팅물질의 양, 코팅물질 속의 VOC 함량, VOC 포집장치 또는

VOC 제거장치에 의한 저감율 등을 고려하여 VOC 배출량 계산

- 코팅물질의 유기물 함량: Method 24나 제조사가 제공하는 함량 데이터 사용. 두

방법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Method 24 우선

- VOC 농도 측정에는 사업장에 따라 Method 18, 25, 25A 중 적절한 방식 사용

23. 산업용 기계의 플라스틱 부품 코팅 공정(Subpart TTT)

- 1986. 1. 9 이후 건설 개시한 시설에 적용

- 매월 성능시험 실시

- 코팅물질의 유기물 함량: Method 24나 제조사가 제공하는 함량 데이터 사용

- Prime Coat: 1.5 kg VOC/L applied coating solid

- Color Coat: 1.5 kg VOC/L applied coating solid

- Texture Coat: 2.3 kg VOC/L applied coating solid

- Touch-up Coat: 2.3 kg VOC/L applied coating solid

24. 지지기판 고분자 코팅 공정(Subpart VVV)

- 12달 VOC 사용량이 95 Mg 이상인 시설에 적용

- 1987. 5. 1 이후 건설 개시한 시설에 적용

- VOC 배출을 90% 이상 저감하거나, 코팅 공정을 완전히 밀폐하고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VOC를 전량 효율 95% 이상의 방지장치로 이송

- 매월 성능시험 실시

- 코팅물질의 유기물 함량: Method 24나 제조사가 제공하는 함량 데이터 사용

Page 5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48 -

Amador County APCD

665 New York Ranch Road #3

Jackson, CA 95642

APCO: Jim Harris

Website

E-mail Address

(209) 257-0112

(District)

(209) 257-0116

(Fax)

Antelope Valley APCD

43301 Division Street, Suite 206

Lancaster, CA 93539-4409

APCO: Charles L. Fryxell

Contact: Bret Banks

Website

E-mail Address

(661) 723-8070

(District)

(661) 723-3450

(Fax)

Bay Area AQMD

939 Ellis Street

San Francisco, CA 94109-7799

APCO: Jack Broadbent

Contact: Kenneth Lim, Ph.D

Web Site

E-Mail Address

(415) 749-5000

(District)

(415) 749-4710

(Contact)

(415) 749-5030

(Fax)

Butte County AQMD APCO: Jim Wagoner (530) 891-2882

- VOC 농도 측정에는 사업장에 따라 Method 18, 25, 25A 중 적절한 방식 사용

25. 생활폐기물 매립(Subpart WWW)

- 1991. 5. 30 이후 건설 개시한 시설에 적용

- 설계 매립용량 250만 Mg 및 250만 m3 이상인 시설에 적용

- NMOC 배출량 계산은 폐기물 매립량에 따른 산출식 사용

- 계산된 NMOC 배출량이 50 Mg/yr 이상인 경우, 1년 안에 포집 및 방지시스템

설계 계획 제출, 연간 보고서 제출 후 30개월 안에 포집 및 방지시스템 설치, 포집

된 모든 가스를 방지시스템으로 이송

- 방지시스템은 NMOC 배출을 98% 저감하거나 3% 산소 보정한 NMOC 농도를

20 ppmv 이하로 유지.

(3) 캘리포니아주의 VOC 배출원 규제 현황

캘리포니아 주에서는 주정부 법규로서 배출원 시설을 규정하지 않고, 주정부 산하

의 county 중심의 지역대기 관리기구에서 배출원을 규정하고 있었다. 주정부 산하

의 주요 지역대기 관리기구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표 3-12> 캘리포니아 주정부 산하 지역대기 관리기구

Page 5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49 -

2525 Dominic Drive, Suite J

Chico, CA 95928-7184

Web Site

E-Mail Address

(District)

(530) 891-2882

(Contact)

(530) 891-2878

(Fax)

Calaveras County APCD

Government Center

891 Mountain Ranch Road

San Andreas, CA 95249-7909

APCO: Lakhmir Grewal

Contact: Elisa R. Garlin

E-mailAddress

(209) 754-6504

(District)

(209) 754-6399

(Contact)

(209) 754-6521

(Fax)

Colusa County APCD

100 Sunrise Blvd., Suite F

Colusa, CA 95932-3246

APCO: Harry Krug

Contact: Charles Price

Web Site

E-Mail Address

(530)

458-0590(distric

t)

(530) 458-5000

(fax)

El Dorado County APCD

2850 Fairlane Court, Building C

Placerville, CA 95667-4100

APCO: Marcella McTaggart

Contact: Dennis Otani

Web Site

E-Mail Address

(530) 621-6662

(District)

(530) 621-6652

(Contact)

(530) 642-1531

(Fax)

Feather River AQMD

938 14th Street

Marysville, CA 95901-4149

APCO: David Valler

Contact: Dean Avila

Web Site

E-Mail Address

(530) 634-7659

(District)

(530) 634-7659

(Contact)

(530) 634-7660

(Fax)

Glenn County APCD

P.O. Box 351

(720 North Colusa Street)

Willows, CA 95988-0351

APCO: Mark Black

Contact: Rick Steward

Web Site

E-Mail Address

(530) 934-6500

(District)

(530) 934-6500

(Contact)

(530) 934-6503

(Fax)

Great Basin Unified APCD

157 Short Street, Suite 6

Bishop, CA 93514-3537

APCO: Ted Schade

Contact: Duane Ono

E-Mail Address

(760) 872-8211

(District)

(760) 872-8211

(Contact)

Page 5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50 -

(760) 872-6109

(Fax)

Imperial County APCD

150 South 9th Street

El Centro, CA 92243-2801

APCO: Brad Poiriez (760) 339-4314

(District)

(760) 353-9420

(Fax)

Kern County APCD

2700 "M" Street, Suite 302

Bakersfield, CA 93301-2370

APCO: David Jones

Contact: David Jones

Web Site

E-Mail Address

(661) 862-8642

(District)

(661) 862-8642

(Contact)

(661) 862-5251

(Fax)

Lake County AQMD

885 Lakeport Blvd.

Lakeport, CA 95453-5405

APCO: Robert Reynolds

Contact: Robert Reynolds

E-Mail Address

(707) 263-7000

(District)

(707) 263-7000

(Contact)

(707) 263-0421

(Fax)

Lassen County APCD

175 Russell Avenue

Susanville, CA 96130-4215

APCO: Kenneth R. Smith

Contact: Kenneth R. Smith

E-Mail Address

(530) 251-8110

(District)

(530) 251-8110

(Contact)

(530) 257-6515

(Fax)

Mariposa County APCD

P.O. Box 5

Mariposa, CA 95338

APCO: Charles B. Mosher

Contact: Charles B. Mosher

E-Mail Address

(209) 966-2220

(District)

(209) 966-5151

(Contact)

(209) 966-8248

(Fax)

Mendocino County AQMD

306 East Gobbi Street

Ukiah, CA 95482-5511

APCO: Christopher D. Brown

Web Site

E-Mail Address

(707) 463-4354

(District)

(707) 463-5707

(Fax)

Modoc County APCD

202 West 4th Street

Alturas, CA 96101-3915

APCO: Joe Moreo

E-Mail Address

(530) 233-6419

(District)

(530) 233-5542

(Fax)

Page 5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51 -

Mojave Desert AQMD

14306 Park Avenue

Victorville, CA 92392-2310

APCO: Eldon Heaston

Contact: Chris Collins

Website

E-mail Address

(760) 245-1661

(District)

(760) 245-5402

(Contact)

(760) 245-2699

(Fax)

Monterey Bay Unified APCD

24580 Silver Cloud Court

Monterey, CA 93940-6536

APCO: Doug Quetin

Contact:

Web Site

E-Mail Address

(831) 647-9411

(District)

(831) 647-9411

(Contact)

(831) 647-8501

(Fax)

North Coast Unified AQMD

2300 Myrtle Avenue

Eureka, CA 95501-3327

APCO: Rick Martin

Web Site

E-Mail Address

(707) 443-3093

(District)

(707) 443-3099

(Fax)

Northern Sierra AQMD

200 Litton Drive, Suite 320

P.O. Box 2509

Grass Valley, CA 95945-2509

APCO: Gretchen Bennitt

Web Site

E-Mail Address

(530) 274-9360

(District)

(530) 274-7546

(Fax)

Northern Sonoma County

APCD

150 Matheson Street

Healdsburg, CA 95448-4908

APCO: Barbara Lee

Contact: Barbara Lee

E-Mail Address

(707) 433-5911

(District)

(707) 433-5911

(Contact)

(707) 433-4823

(Fax)

Placer County APCD

110 Maple Street

Auburn, CA 95603

APCO: Tom Christofk

Contact: Todd Nishikawa

Web Site

E-Mail Address

(530) 745-2330

(District)

(530) 745-2322

(Contact)

(530) 745-2373

(Fax)

Sacramento Metropolitan

AQMD

777 12th Street, Third Floor

Sacramento, CA 98514-1908

APCO: Larry F. Greene

Contact:

Web Site: www.airquality.orgor

www.sparetheair.com

(916) 874-4800

(District)

(916) 874-4872

(Contact)

(916) 874-4899

(Fax)

Page 5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52 -

San Diego County APCD

10124 Old Grove Rd

San Diego, CA 92131

APCO: Dick Smith

Contact: Gary Smith

Web Site

(858) 586-2702

(District)

(858) 586-2600

(Contact)

(858) 586-2701

(Fax)

San Joaquin Valley Unified

APCD

Central Regional Office

1990 East Gettysburg

Fresno, CA 93726-0244

APCO: Seyed Sadredin

Contact: Rupi Gill

Web Site

E-Mail Address

(559) 230-6000

(District)

(559) 230-5893

(Contact)

(559) 233-2057

(Fax)

Northern Regional Office

4230 Kiernan Avenue, Suite 130

Modesto, CA 95356-9321

Contact: Rupi Gill (209) 557-6400

(District)

(209) 557-6475

(Fax)

Southern Regional Office

2700 "M" Street, Suite 275

Bakersfield, CA 93301-2370

Contact: Leonard Scandura (661) 326-6900

(District)

(661) 326-6985

(Fax)

San Luis Obispo County APCD

3433 Roberto Court

San Luis Obispo, CA 93401-7126

APCO: Larry Allen

Contact: David Dixon

Web Site

E-Mail Address

(805) 781-5912

(District)

(805) 781-5912

(Contact)

(805) 781-1002

(Fax)

Santa Barbara County APCD

260 North San Antonio Road,

Suite A

Santa Barbara, CA 93110-1315

APCO: Terry Dressler

Contact: Mike Goldman

Web Site

E-Mail Address

(805) 961-8800

(District)

(805) 961-8821

(Contact)

(805) 961-8801

(Fax)

Shasta County AQMD

1855 Placer Street, Suite 101

Redding, CA 96001-1759

APCO: Russ Mull

Contact: Russ Mull

Web Site

E-Mail Address

(530) 225-5674

(District)

(530) 225-5674

(Contact)

(530) 225-5237

(Fax)

Page 6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53 -

Siskiyou County APCD

525 South Foothill Drive

Yreka, CA 96097-3036

APCO: Patrick Griffin

E-Mail Address

(530) 842-4029

(District)

(530) 842-6690

(Fax)

South Coast AQMD

21865 East Copley Drive

Diamond Bar, CA 91765-4182

APCO: Dr. Barry Wallerstein

Contact: Marty Kay

Web Site

E-Mail Address

(909) 396-2000

(District)

(909) 396-3115

(Contact)

(909) 396-3340

(Fax)

Tehama County APCD

P.O. Box 38

(1750 Walnut Street)

Red Bluff, CA 96080-0038

APCO: Rick J Gurrola

Contact: Gary Bovee

Web Site

E-Mail Address

(530) 527-3717

(District)

(530) 527-3717

(Contact)

(530) 527-0959

(Fax)

Tuolumne County APCD

22365 Airport

Columbia, CA 95310

APCO: Gary Caseri

E-Mail Address

(209) 533-5693

(District)

(209) 533-5520

(Fax)

Ventura County APCD

669 County Square Drive, 2nd

Floor

Ventura, CA 93003-5417

APCO: Michale J. Villegas

Contact: Kerby Zozula

Web Site

E-Mail Address

(805) 645-1440

(District)

(805) 645-1421

(Contact)

(805) 645-1444

(Fax)

Yolo-Solano County AQMD

1947 Galileo Court, Suite 103

Davis, CA 95616-4882

APCO: Mat Ehrhardt

Web Site

E-Mail Address

(530) 757-3673

(District)

(530) 757-3670

(Fax)

캘리포니아 BACT 검색 페이지에서는 방지기술의 적용 대상이 배출시설을 검색하

기 위해서 SIC code 와 NAICS code 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배출시설과 그에

대한 방지시설을 등록할 때, 노동부의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Code 와

북미산업분류코드(North American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를 따르도록 규

정하고 있었다.

Page 6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54 -

Name 시설 업종 공정

Reg 8: Organic Compounds

Reg 8, Rule 1: General Provisions

Reg 8, Rule 2: Miscellaneous Operations ◎

Reg 8, Rule 3: Architectural Coatings ◎

Reg 8, Rule 4: General Solvent and Surface Coating Operations

Reg 8, Rule 5: Storage of Organic Liquids ◎

Reg 8, Rule 6: Terminals and Bulk Plants ◎

Reg 8, Rule 7: Gasoline Dispensing Facilities ◎

Reg 8, Rule 8: Wastewater (Oil-Water) Separators ◎

Reg 8, Rule 9: Vacuum Producing Systems ◎

Reg 8, Rule 10: Process Vessel Depressurization ◎

<그림 3-2> 캘리포니아 BACT web homepage

각 지역대기 관리기구는 주로 AQMD ( Air Quality Management District ) 또

는, APCD ( Air Pollution Control District )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각 지역대기

관리기구에서는 rule 또는 regulation 으로 대기배출시설을 관리하고 있는데, 모든

배출시설의 종류를 동일하게 규정하지는 않고, 기본 틀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그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배출원을 규정하고 있었다. 지역대기 관리기구별 배출원 설

정 내용 예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표 3-13> Organic Compounds Rules and Regulations of Bay Area AQMD

Page 6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55 -

Reg 8, Rule 11: Metal Container, Closure and Coil Coating

Reg 8, Rule 12: Paper, Fabric and Film Coating ◎

Reg 8, Rule 13: Light and Medium Duty Motor Vehicle Assembly Plants

Reg 8, Rule 14: Surface Coating of Large Appliances and Metal Furniture

Reg 8, Rule 15: Emulsified and Liquid Asphalts ◎

Reg 8, Rule 16: Solvent Cleaning Operations ◎

Reg 8, Rule 17: Petroleum Dry Cleaning Operations ◎

Reg 8, Rule 18: Equipment Leaks ◎

Reg 8, Rule 19: Surface Coating of Miscellaneous Metal Parts and Products

Reg 8, Rule 20: Graphic Arts Printing and Coating Operations

Reg 8, Rule 21: Rubber Tire Manufacturing Operations ◎

Reg 8, Rule 22: Valves and Flanges at Chemical Plants ◎

Reg 8, Rule 23: Coating of Flat Wood Paneling and Wood Flat Stock

Reg 8, Rule 24: Pharmaceutical and Cosmetic Manufacturing Operations

Reg 8, Rule 25: Deleted January 7, 1998

Reg 8, Rule 26: Magnet Wire Coating Operations ◎

Reg 8, Rule 27: Deleted: March 4, 2009

Reg 8, Rule 28: Episodic Releases From Pressure Relief Devices at Petroleum Refineries and Chemical Plants

Reg 8, Rule 29: Aerospace Assembly and Component Coating Operations

Reg 8, Rule 30: Semiconductor Wafer Fabrication Operations

Reg 8, Rule 31: Surface Coating of Plastic Parts and Products

Reg 8, Rule 32: Wood Products Coatings ◎

Reg 8, Rule 33: Gasoline Bulk Terminals and Gasoline Delivery Vehicles

Reg 8, Rule 34: Solid Waste Disposal Sites ◎

Reg 8, Rule 35: Coating, Ink and Adhesive Manufacturing ◎

Reg 8, Rule 36: Resin Manufacturing ◎

Reg 8, Rule 37: Natural Gas and Crude Oil Production Facilities

Reg 8, Rule 38: Flexible and Rigid Disc Manufacturing ◎

Reg 8, Rule 39: Gasoline Bulk Plants and Gasoline Delivery Vehicles

Reg 8, Rule 40: Aeration of Contaminated Soil and Removal of Underground Storage Tanks

Reg 8, Rule 41: Vegetable Oil Manufacturing Operations ◎

Reg 8, Rule 42: Large Commercial Bread Bakeries ◎

Reg 8, Rule 43: Surface Coating of Marine Vessels ◎

Reg 8, Rule 44: Marine Vessel Loading Terminals ◎

Reg 8, Rule 45: Motor Vehicle and Mobile Equipment Coating Operations

Reg 8, Rule 46: Deleted: December 7, 2005

Page 6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56 -

Reg 8, Rule 47: Air Stripping and Soil Vapor Extraction Operations

Reg 8, Rule 48: Deleted

Reg 8, Rule 49: Aerosol Paint Products ◎

Reg 8, Rule 50: Polyester Resin Operations ◎

Reg 8, Rule 51: Adhesive and Sealant Products ◎

Reg 8, Rule 52: Polystyrene, Polypropylene and Polyethylene Foam Product Manufacturing Operations Adopted 07/07/99

Reg 8, Rule 53: Vacuum Truck Operations ◎

Coating Category Effective 10/24/021

Effective

1/1/2003

Effective

1/1/2004Flat Coatings 250 100

Nonflat coatings 250 150Nonflat - High Gloss 250Specialty Coatings:Antenna Coatings 530Antifouling Coatings 450 400Bituminous Roof Coatings 300Bituminous Roof Primers 350Bond Breakers exempt 350Clear Wood Coatings:

Clear Brushing Laquer

Laquers (including laquer sanding sealer)

Sanding Sealers (other than laquer sanding sealers)

Varnishes

680

680

550

350

550

350

Concrete Curing Compounds 350Dry Fog Coatings exempt 400Faux Finishing Coatings 700 350

<표 3-14> VOC Standards of Colusa County APCD (grams of VOC per liter)

Page 6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57 -

Fire Resistive Coatings 450 350Fire Retardant Coatings:

$. Clear

$. Opaque

exempt

exempt

650

350Floor Coatings 400 250Flow Coatings 650 420Form-Release Compounds 450 250Graphic Arts Coatings

(Sign Paints)

exempt 500

High Temperature Coatings 650 420Industrial Maintenance Coatings 420 250Low Solid Coatings2 120Magnesite Cement Coatings 600 450Mastic Texture Coatings exempt 300Metallic Pigmented Coatings exempt 500Multi-Color Coatings exempt 250Pre-Treatment Wash Primers 780 420Primers, Sealers, and Undercoaters 350 200Quick-Dry Enamels 400 250Quick-Dry Primers, Sealers, Undercoaters

exempt 200

Recycled Coatings 250Roof Coatings 300 250Rust Preventative Coatings 400Shellacs:

$. Clear

$. Opaque

exempt

exempt

730

550Specialty Primers, Sealers and Undercoaters

350

Stains 350 250Swimming Pool Coatings exempt 340Swimming Pool Repair and Maintenance Coatings

exempt 340

Temperature-Indicator Safety Coatings

550

Traffic Marking Coatings 250 150Waterproofing Sealers 400 250Waterproofing Concrete/ Masonry Sealers

400

Wood Preservatives 350

Page 6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58 -

내 용

TYPICAL EQUIPMENT OR PROCESSES REQUIRING A PERMIT:STATIONARY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EMERGENCY GENERATOR SETS, WATER PUMPS, AND FIRE PUMPS PORTABLE ENGINES (50 HORSEPOWER OR GREATER) - COMPRESSORS, WOOD CHIPPERS, AND CONCRETE PUMPS EXTERNAL COMBUSTION DEVICES (1 MMBTU/HR OR GREATER) - BOILERS, HEATERS, AND OVENS INCINERATORS AND CREMATORIES ABOVEGROUND GASOLINE STORAGE TANKS (250 GALLONS OR LARGER) RETAIL AND BULK GASOLINE STATIONS OR TERMINALS PAINT BOOTHS AND PREP STATIONS COATING OF WOOD, METAL, PLASTIC, OR FIBERGLASS PARTS AND PRODUCTS CLEANING EQUIPMENT UTILIZING SOLVENT (VOC > 50 G/L) - PARTS WASHERS AND SOLVENT TANKS PRINTING PRESSES AND LAMINATORS DRY CLEANING MACHINES CONTAMINATED SOIL/WATER EXTRACTION SYSTEMS FUMIGATION CHAMBERS OPERATIONS EMITT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ASPHALT, CONCRETE, ROCK, GRAVEL, OR SAND PROCESSING EQUIPMENT ABRASIVE BLASTING BOOTHS AND UNCONFINED BLASTING OPERATIONS WOOD PROCESSING EQUIPMENT PLASMA AND LASER CUTTERS EQUIPMENT EMITTING RESPIRABLE PARTICULATE MATTER AIR EMISSION CONTROL DEVICES - CYCLONES AND BAGHOUSES METAL PLATING TANKS EQUIPMENT HANDLING ASBESTOS, BERYLLIUM, HEXAVALENT CHROMIUM, BENZENE, MERCURY OR VINYL CHLORIDE

BUSINESSES THAT TYPICALLY REQUIRE A PERMIT: POWER PLANTS NATURAL GAS PROCESSING FACILITIES GASOLINE STATIONS SOLID WASTE LANDFILLS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S HOSPITALS AND NURSING HOMES DRY CLEANERS AUTO BODY PAINT SHOPS WOOD FURNITURE MANUFACTURING SHOPS FIBERGLASS MANUFACTURING SHOPS MACHINE SHOPS ASPHALT, CONCRETE, ROCK, GRAVEL, OR SAND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PLANTS WOOD SAWING, MOLDING, HOGGING, PRESSING, TREATING, OR PULPING PLANTS RICE, BEAN, NUT, OR SEED CLEANING AND DRYING FACILITIES FRUIT OR VEGETABLE DEHYDRATION, JUICING, OR CONCENTRATING PLANTS COTTON GINS NEWSPAPER OR PACKAGING FACILITIES MICRO-BREWERIES AND WINERIES

<표 3-15> Typical equipment and processes requiring a permit of Feather River

AQMD

Page 6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59 -

나. 유럽

유럽에서는 유럽 전체의 VOC 배출 저감에 대하여 논의하던중 1984년 ECE가 ‘산

업시설로부터 발생하는 대기오염의 도전’을 주제로 관리령을 발표하고 가맹국에 법

률제정을 촉구하였다. 이에 따라 1978년 프랑스와 독일을 주축으로 한 ‘VOC Task

Force’가 유럽경제위원회에 만들어지고, 이들은 ECE 가맹국들에게 고정오염원으로

부터 발생하는 VOC의 배출량을 줄이도록 요청하였다. 이후 1992년 ECE는 독일의

규제법을 기초로 하여, 대기 오염물질에 대한 규제의 통일기준안을 마련하였다. 그

기준안은 BATNEEC(Best Available Technique Not Entailing Excessive Cost : 과

잉비용이 들지 않는 최대 이용가능 기술)의 대책 기술을 이용하여 저감목표의 달성

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주로 공정 및 산업설비로부터 발생하는 유기용제의 배출

량 억제를 위한 관리에 집중하고 있는데, 각 국이 배출제어 기술의 정보에 대하여

상호교환 하도록 되어있다. 유럽에서의 규제관리는 전체 유기용제에서 배출되는 유

기화합물질을 독성물질에 따라 분리하고, 단위시간당 총 배출량에 대한 VOC의 배

출제한치를 설정하고 있다. 가맹국들은 관리령에 맞게 필요한 규제 및 관리규정을

1996년 12월 31일부로 발효시켰다.

유럽연합은 각 제품에 대한 VOCs 함유율을 직접 규제하는 경우는 존재하지 않았

다. 다만 유럽연합 차원에서 소비용품에서 발생되는 VOCs를 관리하기 위하여 환경

마크(Eco-Lable) 제도를 운영하고 있었다. 환경마크가 적용되는 소비제품은 20개의

품목이 있으며 VOCs에 대해서는 질량비 10% 이내의 함유율을 갖는 제품에 환경마

크를 부여하고 있다.

<표 3-16> 유럽(EU)의 에코라벨 대상 품목

Page 6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60 -

산업체에서 유기용제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배출 제한을 유럽 연합에서 배출

감소에 대한 목적으로 제정함. 접착제, 드라이클리닝, 인쇄, 자동차 도장 등에 VOCs

를 사용하는 활동을 규제하는 이사회 지침이 규정되었다. Solvent Emission

Directive 1999/13/EC에 의하면 유럽 VOCs 발생원은 총 21가지로 구분하여 아래의

표와 같이 규제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유기용제 관리계획, 산업별 VOCs 삭감

량과 함께 배출기준도 고시하고 있다. 유럽의 VOCs 배출활동 분류는 각 분야별,

규제대상시설, 배출구 농도기준, 신규 및 기존 시설의 비점 배출량, 총량 배출량을

기준으로 정하였다.

<표 3-17> EU의 배출원별 주요 저감방안

Page 6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61 -

(1) 독일

독일은 삼림피해가 여전히 일어나고 있지만, 환경의식은 매우 높은 나라이다. 환경

대책은 다른 나라에 비해서 엄격하고, 앞서나가고 있으며 아래의 표와 같이 발암성

과 비발암성, 독성에 따라서 Class Ⅰ,Ⅱ,Ⅲ 로 구분하여 도장의 배가스를 규제 하였

으면, 각국의 규제 기준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아래의 표는 독일의 배가스

량에 따른 발암물질과 비발암물을 VOC 규제기준에 따라 만든 것이다.

<표 3-18> 독일의 배가스량에 따른 발암물질과 비발암물을 VOC 규제기준

등급발암물질 비발암물질

배가스량 규제기준 배가스량 규제기준

Class Ⅰ 0.5 g/hr 이상 0.1 ㎎/㎥ 0.1 kg/hr 이상 20 ㎎/㎥

Class Ⅱ 5.0 g/hr 이상 1.0 ㎎/㎥ 2.0 kg/hr 이상 100 ㎎/㎥

Class Ⅲ 25.0 g/hr 이상 5.0 ㎎/㎥ 3.0 kg/hr 이상 150 ㎎/㎥

(가) 도장시설

독일은 대기정화관리기술지침(TA-LUFT)에서 도장과 관련된 표면처리에 관한 지

침을 제시하고 있다. 독일은 대규모 산업용 도장공장을 주요 대상으로 하고, 표면처

리에 대한 지침은 피도체에 도장할 때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유기용제의 양을 피도

체의 단위면적당 중량으로 규제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규제의 집행 및 관리가 효율

적이다. 이에 따라서 도장산업체는 도장산업에 대하여 명확한 규제를 실시 하고 있

고, 규제치의 지속적인 강화를 통해 최신 도료와 도장공정을 도입하도록 하고 있다.

(나) 정유시설 및 저장시설

독일에서는 1986년부터 생산 및 저장용량이 연간 10,000m3 이상되는 시설에 대하

여 VOC 배출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증기회수설비를 갖추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ECE는 독일과 같은 법률을 갖추고 있지 않다.

(다) 저유시설 및 운송시설

저유시설에서 출하되어서 저장시설에 들어가기 까지 배출되는 VOC 배출감소를

위하여 유럽의 94/63/EC 규제법에는 총체적인 과정에서 VOC 관리규정을 명시하고

Page 6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62 -

대상공정 항목 배출기준 비고

도료제조공정 용제 1kg/8hr 이상 사용설비 50 mg/㎥

인쇄공정

- 인쇄기공통

- 옵셋인쇄(용제회수장치 사용)

- 그라비아인쇄(용제회수장치 사용)

․잉크중 방향족 함량 5% 이상

․잉크중 방향족 함량 5%이하

․용제회수장치 이외 포집장치 사용

150 mg/㎥

150 mg/㎥

100 mg/㎥

150 mg/㎥

50 mg/㎥

톨루엔 크실렌

사용

있다. 1996년 1월부터 신규 설비 및 운송수단에 적용 되고 있고, 기존 설비의 경우

가솔린의 연간 최대 적재량을 기초로 하여 2004년까지 모든 저장탱크를 목표로 3단

계로 설정하고 있다.

(라) 주유소 Stage Ⅱ

EU에서는 Stage Ⅱ에 대한 규정이 없지만, 주유소의 재급유 과정에서 발생하는

VOC의 회수에 관하여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논점이 되는 것은 자동차

배출가스와 주유소에서 배출되는 VOC에 관한 것이다. 실제로 주유소에서는 전체의

4%정도의 VOC가 배출되고 특히 Stage Ⅱ에서는 2%정도의 VOC만 배출되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자동차에서는 50%의 VOC가 배출되고 있어서, 자동차에 촉

매 장착율만 높여도 VOC 저감 효과가 크다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렇지만 나라마

다 주유소의 규모 및 특성이 달라 모든 유럽을 통합적으로 적용한다는 것이 어려운

입장이다. 하지만 독일, 오스트리아 등의 몇몇 나라에서는 독자적으로 Stage Ⅱ를

시행하고 있어서 향후 유럽의 규정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영국

영국은 VOC를 포함한 배가스를 직접적으로 규제하는 법률은 없었으나 1986년에

새롭게 환경 보호법(Environmental Protection Act 1990)이 제정되었다. 이 법을

BATNEEC를 바탕으로 환경보호규제(Environmental Protective Regulation)가 1991

년 제정되어 1992년 2월에 발표되었다. 이것을 통하여 1992년부터 VOC를 규제하고

있고, 아래의 표는 배출 공정표를 나타낸다.

<표 3-19> 영국의 VOC 배출공정에 대한 규제기준

Page 7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63 -

- 회전식스크린 인쇄

- 잉크중 용제 함량 15% 이하

- 연소로 배가스

50 mg/㎥

미규제

50 mg/㎥

고무제조공정 50 mg/㎥

접착제공정

- 도료혼합조, 용제세정, 탈지, 화학

세정

․무염소계용제 1kg/8hr 이상 사용

․염소계용제 1%/8hr 이상 사용

․기타

50 mg/㎥

20 mg/㎥

50 mg/㎥

목제도장공정 50 mg/㎥

연포장인쇄공

- 용제중 방향족 5% 이하

- 상기 이외의 시설

․용제회수시설 사용

․바이오처리시설 사용

․연소장치 사용

․수성잉크 사용

- 수성베이스의 분체 또는 저용제

잉크

- 기타

50 mg/㎥

200 mg/㎥

125 mg/㎥

50 mg/㎥

미규제

300 mg/㎥

50 mg/㎥

종이인쇄공정 50 mg/㎥

자동차제조

도장공정

- 건조로, 스프레이부스

- 도료혼합조, 도료순환시스템

- 차체도포제한량

50 mg/㎥

50 mg/㎥

60 g/㎥

차체㎡당

유기용제량

금속플라스틱

도장공정

- 공통

- 무염소계용제

- 염소계용제 1%/8hr 이상 사용

50 mg/㎥

50 mg/㎥

20 mg/㎥

도장기혼합기, 용제

를이용한 세정, 탈

지, 화학세정은 제

(3) 프랑스

프랑스는 ECE VOC Protocol에 참가하였지만, 독일, 이탈리아 등에 비해 뒤떨어진

다. 프랑스의 법령을 살펴보면 특이하게 거의 400종의 인쇄설비를 분류하여 Class

Ⅰ인 설비는 관할 당국의 인가를 받고, 그곳 지방의 법령에 적합해야한다. 다른

Page 7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64 -

Class 는 관할 당국에 통지하면 된다. 프랑스에서는 산업에서 사용하는 유기용제에

관한 방출량 제한치는 없지만 특정 분야에서는 방출량을 정하고 있다.

(가) 자동차 도장

자가용 1대당 도장에 대해 방출되는 용제 10.5kg을 5년 이내 달성하는 것을 목표

로 하고 있다.

(나) 인쇄

신설비는 작동하기까지 비메탄 VOC 배출량이 기준치 이상이면 당국의 인가를 받

지 못한다. 또한 규제 범위를 정해놓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를 해야 하며, ECE 의정

서 참가로 프랑스 정부는 VOC 방출량이 제한되어 있다.

(4) 이탈리아

이탈리아는 1999년 법 203호를 제정하고, 산업체로부터 배출되었던 VOC 억제를

위한 지침으로 법령 MD 51을 1990년 7월 시행했었다. 위의 법령의 내용은 독성에

대하여 발암물질을 3가지 Class, 비발암물질을 5가지 Class로 나누고 각각에 대한

배기 제한지를 두고 있다. 독일보다 엄격하진 않지만 자동차 도장에 관하여는 같은

수준으로 하고 있다. 수송 분야에서의 VOC 방출량은 이탈리아의 총 VOC 방출량

의 5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VOC 저감에 관한 노력을 하고 있다. 도

장에 중점을 두어 도장 Market과의 협정서에 따라 VOC 함유량이 적은 도료 개발

을 장려하며, 자금의 원조도 하고 있다.

(5) 네덜란드

네덜란드는 국토가 다른 나라들에게 둘러싸여 있어 국제환경에 대한 의식이 높은

나라이다. 네덜란드 국민은 경제보다 환경에 더 중점을 두어, 유럽 국제 환경 행정

에 높은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Page 7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65 -

다. 일본

(1) 일본 VOC 인벤토리

일본의 VOC 관리에 있어 인벤토리 상의 물질 구분은 법의 정의 부분과는 물질의

구분 관점에서 보면 별도로 잣대를 적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법의 해석에서는 주요 물질을 100여개로 구분하고 있으나, 국가 인벤토

리 작성 시에는 주요 물질 외에 제품명이 추계목록에 들어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말하는 제품명이라 함은 ‘공업가솔린 2호 (고무휘발유)’, ‘공업가솔린 4호 (미네랄 스

피리트)’, ‘공업가솔린 5호 (크리닝 솔벤트)’, ‘솔벤트 나프타 (콜타르 나프타)’, ‘인쇄

잉크용 고비점 용제’, ‘도료용 석유계 혼합용제’, ‘기타 석유계 혼합 용제’등이다. 또

한, 특정 물질로 구분할 수 없는 VOC 량도 전체 VOC 추계 양의 약 13 %를 차지

하고 있다37).

(2) VOC 인벤토리 배출원 분류

일본 VOC 인벤토리 배출원은 크게 제조, 저장 및 출하, 사용(용제), 사용(용제 이

외)로 나누고 있다. 언뜻 보면 우리나라 CAPSS 상의 배출원 대분류와는 다르게 보

이는데, 이는 자동차가 없기 때문이다. 국내 관련 보고서 (VOC 배출억제․방지시설

의 저감효율 및 농도기준 설정 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환경 및 산업의학연구소

; 2001) 의 자료 검토 결과 당시(2001년)의 미국 및 우리나라는 자동차 배출가스로

부터의 VOC 배출량을 인벤토리 관리 대상에 포함시키고 있었으나, 유럽과 일본은

자동차 배기가스로부터의 VOC 배출량을 인벤토리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의 조사결과에서도 현재 일본은 자동차 배출가스로부터의 VOC 배출량을

인벤토리 추계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7) 출처 : 揮発性有機化合物(VOC)排出インベントリについて ( 揮発性有機化合物(VO

C)排出インベントリ検討会; 2012 )

Page 7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66 -

<표 3-20> 일본 VOC 인벤토리 배출원의 분류

Page 7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67 -

(3) 발생원별 VOC 배출량

일본의 VOC 발생량은 해마다 감소하고 있다( 평성 22년 ; 서기 2010년 ). 배출원

별 기여도는 도료, 연료(증발가스 포함), 공업용 세정제, 인쇄잉크, 접착제, 식료품

등(발효), 제조기기류 세정용 신나, 반응용제 및 추출 용제, 드라이크리닝 용제, 라

미네이트용 접착제,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처럼 가정 상업부문의 배출량

기여도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뒤에 업종별 기여도 부분에서 설명한다.

<그림 3-3> 발생원별 일본 VOC 배출량 추계 결과

Page 7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68 -

(4) 물질별 VOC 배출량

일본 VOC 배출량의 물질별 기여도는 탄화수소계, 석유계 혼합용제계, 특정지을

수 없는 물질군, 알콜계, 에스테르계, 할로겐계, 케톤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솔

린, 나프타 등의 제품명이 석유계 혼합용제계 군에 속한다. 제품명이나 특정지을 수

없는 물질군으로 물질을 구분하는 것은 VOC 배출 특성상 제품이나 부산물의 물질

성상이 안정화 되어 있지 않고 다양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배출계수나 활동도 작성

시, 이를 물질별로 정량화하기가 어렵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림 3-4> 물질별 일본 VOC 배출량 추계 결과

Page 7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69 -

(5) 업종별 VOC 배출량

업종별 기여도는 연료소매업, 수송용 기계기구 제조업, 건축공사업, 화학공업, 플라

스틱 제품제조업, 인쇄 관련업, 석유/석탄제품 제조업, 금속제품 제조업, 음료/담배/

사료제조업, 토목공사업,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그림 3-5> 업종별 일본 VOC 배출량 추계 결과

Page 7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70 -

(6) 일본 VOC 배출량 인벤토리 추계방법

일본의 VOC 배출량 추계방법은 크게 배출계수형, 자주행동 계획형, PRTR 인용

형, 기타형 등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배출계수형은 제품사용량에 VOC 배출계수

를 곱하는 방법으로 제품사용량은 주로 제품 출하량에 기인하게 된다. 자주행동 계

획형은 업계 및 단체에서 수행하는 자주행동계획에 의한 VOC 배출량 발표자료를

보정하여 활용한다. PRTR 인용형은 신고 및 신고 이외의 VOC 배출량 추계결과를

인용한다. 기타형은 위 3가지 방법 중 어느 하나에도 해당하지 않는 방법이다. 발생

원 품목별 배출량 추계 방법을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와 다른 점은 가정

부분의 추계방법과 자동차 부분이 빠진 점인데, 가정부분의 인벤토리 방법은 우리

나라 산정방법에 대한 추가 조사와 일본방법과의 비교가 필요하며, 자동차가 빠진

것은 오존관리 관점에서 볼 때, 적절하지 않는 시스템이라고 현재까지는 판단된다.

Page 7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71 -

<그림 3-6> 일본의 VOC 배출량 추계방법

(7) 주요 배출오염원별 관리동향

부유입자상물질(이하 SPM이라 한다)과 광화학옥시던트에 대한 대기오염상황이 심

각해지고, 이에 따른 건강상의 피해사례가 다수 보고됨에 따라 긴급히 대처할 필요

성이 대두되고 있다. SPM 및 광화학 옥시던트 원인물질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휘

발성 유기화합물이 그 중 하나다. VOC란 휘발성이 있고, 대기중에서 기체상으로

존재하는 것들을 통칭하는데, 톨루엔, 크실렌, 초산에틸 등 다양한 물질을 포함한다.

VOC 배출억제를 위하여 일본에서는 2004년 5월에 대기오염방지법을 개정했다. 또

한 2005년 5월, 6월에는 대기오염방지법에 기초한 대기오염방지법 시행령 및 대기

오염방지법 시행규칙을 개정하고 VOC 농도 측정치를 환경청 고시로 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VOC 배출규제가 2006년부터 개시된다. VOC 에 관계된 배출규제와 사

업자의 자주적 노력을 함께 추진하여 2010년까지 공장 등의 고정발생원으로부터

VOC 배출 총량을 2000년 대비 30 % 억제함을 목표로 한다.

(가) 배출규제

➀ VOC 배출시설을 설치하거나 또는 구조 등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도도부

현 지사에게 자료제출을 의무화한다.

➁ 기존시설의 VOC 배출시설에 대해서는 규제시행일 (2006년 4월1일)부터

30일 이내에 해당자료를 제출한다.

➂ VOC 배출시설의 배출구 VOC 농도 허용한도로 배출기준을 정하고, 그 엄

수를 의무화한다.

➃ 도도부현 지사는 배출기준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제줄된

자료에 대한 계획변경 내지는 구조 등의 개선명령을 행한다.

➄ VOC 배출시설에 있어 VOC 농도 측정 및 기록을 의무화 한다.

Page 7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72 -

➅ 계획변경 명령 및 개선명령 위반자는 1년이하 징역이나 100만엔 이하의

벌금형에 처하는 벌칙을 개설한다.

(나) 저장시설의지정

➀ VOC 의 대부분은 도장, 접착, 인쇄관계시설로부터 배출되거나, VOC를

용제로 사용하는 화학제품제조 관계시설, VOC를 세정제로 사용하는 공

업용 세정시설, 가솔린 등의 석유류를 필두로 VOC 저장탱크로부터 배

출된다.

➁ 금후 VOC 규제는 자주적 조직을 최대한 존중하여, 전술한 시설 가운데

법규제를 중심으로 한 VOC 배출억제를 도모하는 구미 등의 대상시설

에 비하여 상당정도 대규모 시설이 규제대상이 되도록 하였다.

➂ EU 의 VOC 규제에 있어 규제대상시설의 규모요건 (VOC 연간소비량)

은, 일본에서 규제대상이 된다고 판단되는 시설은, 기존에 0.5톤~25 톤/

년 으로 하고 있으므로 그에 비하여 상당정도 대규모인 시설이 규제대

상이라면 50톤/년 정도가 적당하다고 판단된다.

➃ 단 규모요건에 있어서 대기오염방지법에 있어서는 사업자 및 규제당국이

외형에서 용이하다고 판단되는 지표(외형지표)를 사용하므로, 해마다 변

동이 큰 50톤/년은 규모요건으로 하고, 배출량과 상관성이 많은 송풍기

의 송풍능력 등의 외형적 지표를 채용한다.

➄ 이를 바탕으로 9종의 시설을 정한다.

Page 8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73 -

(8) 일본 VOC 배출시설의 배출허용기준

일본의 VOC 배출규제는 전시설에 대한 배출량 억제라는 생각에 기초한 규제방

식이므로 기존에 배출규제를 하고 있는 국외의 제도를 참조하여 시설마다의 배출억

제기술의 채용실태를 파악하고, 현재 시점에서 적용가능한 기술을 폭넓게 채용하기

로 하였으므로, 시설별 기준으로 배출기준치를 설정하였다.

<표 3-21> 일본의 VOC 배출시설 및 배출허용기준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시설 규모요건 배출기준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용제로서 사용하는 화학제품 제조용으로 제공하는 건조시설

송풍기 송풍능력이 3,000

㎥/시 이상600 ppmC

도장시설(분무도장시설에 한한다.)송풍기 송풍능력이 100,000㎥/시 이상

자동차제조용

기존 700ppmC

신설 400ppmC

기타 700ppmC

도장공정이 사용되는건조시설(취부도장 및 전착도장시설을 제외한다)

송풍기 송풍능력이 10,000

㎥/시 이상

목재품제조 1000ppmC

기타 600ppmC

인쇄회로용동장적층판, 점착테프, 점착시트,

박리지 또는 포장재료 (합성수지를 적층함에한한다.)제조에 관계된 접착용으로 공급되는 건조시설

송풍기 송풍능력이 5,000

㎥/시 이상1400ppmC

접착용으로 공급되는 건조시설(전항시설 및 목재가공시설을 제한다)

송풍기 송풍능력이 15,000

㎥/시 이상1400ppmC

인쇄용으로 공급되는 건조시설(옵셋용윤전기 시설)

송풍기 송풍능력이 7,000

㎥/시 이상400ppmC

인쇄용으로 공급되는 건조시설(그라비아 인쇄에 한한다)

송풍기 송풍능력이 27,000

㎥/시 이상700ppmC

공업제품 세정시설(건조시설 포함)세정제가 공기중 접하는 면의 면적이 5㎡ 이상

400ppmC

가솔린, 원유, 납사 등 온도 37.8도 및 증기압 20킬로파스칼을 초과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저장시설(밀폐식 및 부상식을 제외한다.)

1,000 kℓ 이상 (단 기존저장탱크는 2,000 kℓ 이상에 대하여 배출기준을 정한다.)

60,000ppmC

* 주1 : 소풍기 송풍능력이 규모지표가 되는 시설에서 송풍기가 없을 경우에는 배풍기의

배풍능력을 지표로 한다.

* 주2 : 건조시설은 VOC를 증발시키는 것, 세정시설은 VOC를 세정제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 주3 : ppmC 는 배출농도를 표시하는 단위로 탄소환산용량비 백분율을 말한다.

Page 8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74 -

1 Aerosol Cooking Sprays 13 General Purpose Cleaners

2 Air Freshener 14 Glass Clenaers

3Automotive Windshield Washer

Fluids15 Hair Mousses/Sprays/Gels

4 Bathroom and Tile Cleaners 16 Household Adhesives

5 Charcoal Lighter Material 17 Insecticides

6 Carburetor/Choke Cleaners 18 Laundry Prewash

7 Disinfectants 19 Laundry Starch Products

8 Dusting Aids 20 Nail Polish Removers

9 Engine Degreasers 21 Oven Cleaners

10 FabricProtectants 22 Shaving Creams

11 Floor Polishes/Waxes 23 Underarm Antiperspirants

12 Furniture Maintenance Products 24 Underarm Deodorant

3.1.2.4 생활용품류의 VOCs 관리정책 현황의 외국사례조사

생활용품에 대한 미국의 현황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38).

<표 3-22> 헤어스프레이, 악취제거제, 공기정화제, 세제 등을 포함한 24가지 범주

의 상품에 대한 VOC 함량 국가 기준 마련 (EPA)

38) 출처 : 국립환경과학원, 선진국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 배출저감 사례분석을 통한 국

내 적용방안 연구 (II), 2008

Page 8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75 -

3.1.3 VOCs 저감대책 및 시설관리기준 국내외 현황 비교

3.1.3.1 국내외 VOCs 저감대책 및 시설관리기준 현황 조사 비교

VOC 배출억제를 위한 규제방법에서, 미국은 시설, 공정, 업종이 혼용되어 있고, 일

본은 시설기준으로 통일되어 있고, 유럽은 공정기준으로 통일되어 있었다. 따라서,

법규 개정 시, 규제 대상을 시설, 공정, 업종 중 반드시 어느 하나로 통일할 필요성

을 없다고 판단된다. 다만, 국내 VOC의 업종별 배출량을 고려하여 해외 규제 대상

중 국내 시설기준에 없는 시설은 추가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표 3-23> 국내외 VOC 시설관리기준 대상 구분현황 비교

구분 미국 유럽 일본 한국

대상시설

기준구분

시설

업종

공정

공정 시설

시설

업종

공정

3.1.3.2 오존관리 정책방향을 고려한 VOCs 개념 재정의(안) 마련

지금까지 조사한 VOC의 국내외 개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개념 재정

의안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두 가지 원칙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첫 째, 법규상의 VOC의 물질적 정의와 관리방안을 꼭 동시에 묶어 해결하려 할

필요성이 없다고 판단된다. 현재, 우리나라 VOC 관리정책의 물질 정의와 시설기준

간에 상당히 여러 곳에서 부분적으로 중복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으므로, 물질의

정의는 정의대로 진행하고, 배출시설 관리는 배출시설 관리대로 VOC와 유해대기오

염물질과의 중복성을 피해가면서 관리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

다.

둘 째, 어떠한 관리방안의 형식으로 관리가 되던, 관리가 되어야 할 물질들은 모

두 법규상의 관리 범주 안으로 들어와야 한다. 즉, 표현의 형식이 VOC가 되었든,

Page 8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76 -

유해대기오염물질이 되었든, 대기환경에서 오염물질이라고 판단되는 물질들은 관리

대상에 들어와야 한다.

위의 두가지 원칙에 따라, VOC 정의는 2009년 고시 부분 중 “나” 부분의 경우,

큰 틀은 유지해도 좋을 것으로 사료되나, “가” 부분에 있어서는 다음의 수정안을 적

용할 것을 제시하였다.

1) 1단계 : 물질명 조정 ( 관리대상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종류 > 관리대상 오

존전구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종류 ), 기존안은 조속한 시일내에 파기하고,

본 안은 2015년 1월부터 적용함

2) 2단계 : 3개 제품명 제외

3) 3단계 : PRTR에 있는 물질 중 POCP 값을 보유한 물질 선정

4) 4단계 : PRTR 대기 배출량 (2011년)에 POCP 값을 곱하여 큰 순서대로 정

5) 5단계 : 대기오염물질에서 없는 물질 제외

6) 타 규제와의 중복일 경우, 각 규제를 적용한 결과의 사회, 경제적 파장을

고려하여 단일 규제만을 적용한다는 조항을 신설

7) 다만, 현실적으로 배출시설별 물질별 농도의 전수조사가 어려우므로, 배출

시설 유형별 총 탄화수소 중 개별물질의 농도 비율을 파악하는 연구를 연

차별로 수행할 필요성이 있음

Page 8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77 -

3.2 VOCs 관리대상물질 선정 및 관련 배출시설현황 조사 결과

3.2.1 VOCs 관리대상물질 재선정

3.2.1.1 특정유해대기물질 및 악취물질과의 정책 중복성 탈피

고려

미국에서는 유기용제의 사용으로 인한 HAPs 배출을 억제하기 위해 HAPs에 대

한 규제를 청정대기법 112조에 규정하고 유기용제 함유량이 적은 세정제, 도료, 접

착제 등의 개발을 유도하고 있다. 미국의 HAPs 관리는 1970년 청정대기법 개정안

으로부터 처음 시작되었다. 건강위해성에 중점을 두고 7종의 HAPs 물질(석면, 베릴

륨, 수은, 방사성핵종, 무기 비소, 벤젠, 염화 비닐)을 공식 지정하였으며 물질별 관

리를 통한 오염저감에 집중하였다. 그러나, 이후 EPA는 위해성만을 고려하는 각 개

별 화학물질별 관리정책은 현실적으로 실효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결론을 내리고,

1990년 청정대기법을 개정하면서 그 이전의 건강위해성 평가에 기초를 둔 HAPs

관리정책에서 최적기술을 이용한 오염원별 HAPs 배출 최소화에 우선순위를 둔 관

리정책으로 전환하였다.

CAAA1990에서는 HAPs 지정 물질의 수를 크게 늘려 189개 물질을 HAPs로 정의

하였고, 이후 1996년 새롭게 밝혀진 과학지식을 반영하여 caprolactam을 HAPs에서

제외함으로써 현재는 188개 물질들이 HAPs 목록39)을 구성하고 있다. EPA는 과학

지식의 발전에 따라 새로운 물질을 HAPs에 추가할 수 있으며, 기존 HAPs 목록상

의 물질을 필요에 따라 삭제할 수도 있다.

한편, CAAA1990 Section 182(c)(1)에 따라 EPA에서는 오존 오염에 대한 보다 상

세하고 대표성을 지닌 데이터를 얻기 위해 오존, NOx, VOC에 대한 강화된 모니터

링을 실시하는 규정을 만들었고40), 각 주는 그 후속 조치로서 오존농도 비준수 지

역에 대해 40 CFR 58에 따라 광화학반응평가측정망(Photochemical Assessment

Monitoring Stations, 이하 PAMS)을 설치하였다. PAMS 측정망에서 측정해야 하는

VOC 화합물은 모두 58종으로 규정돼있다.

다음 표는 CAAA1990 Section 112(b)에서 규정하고 있는 188종 HAPs 물질 중

PAMS 측정망에서 측정해야 하는 58종의 VOC 화합물과 중복되는 물질을 표시하

39) Clean Air Act Section 112(b).

40) 미국 EPA, http://www.epa.gov/ttnamti1/pamsmain.html.

Page 8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78 -

연번 HAPs 물질 PAMS 측정VOC 여부

1 Acetaldehyde O

2 Acetamide

3 Acetonitrile

4 Acetophenone

5 2-Acetylaminofluorene

6 Acrolein

7 Acrylamide

8 Acrylic acid

9 Acrylonitrile

10 Allyl chloride

11 4-Aminobiphenyl

12 Aniline

13 o-Anisidine

14 Asbestos

15 Benzene (including benzene from gasoline) O

16 Benzidine

17 Benzotrichloride

18 Benzyl chloride

19 Biphenyl

20 Bis(2-ethylhexyl)phthalate (DEHP)

21 Bis(chloromethyl)ether

22 Bromoform

23 1,3-Butadiene

24 Calcium cyanamide

25 Captan

26 Carbaryl

27 Carbon disulfide

28 Carbon tetrachloride

29 Carbonyl sulfide

30 Catechol

31 Chloramben

32 Chlordane

33 Chlorine

34 Chloroacetic acid

고 있다. 총 11종의 HAPs 물질이 PAMS VOC 물질과 중복됨을 알 수 있다.

<표 3-24> PAMS VOC물질과 중복되는 HAPs물질

Page 8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79 -

35 2-Chloroacetophenone

36 Chlorobenzene

37 Chlorobenzilate

38 Chloroform

39 Chloromethyl methyl ether

40 Chloroprene

41 Cresols/Cresylic acid (isomers and mixture)

42 o-Cresol

43 m-Cresol

44 p-Cresol

45 Cumene

46 2,4-D, salts and esters

47 DDE

48 Diazomethane

49 Dibenzofurans

50 1,2-Dibromo-3-chloropropane

51 Dibutylphthalate

52 1,4-Dichlorobenzene(p)

53 3,3-Dichlorobenzidene

54 Dichloroethyl ether (Bis(2-chloroethyl)ether)

55 1,3-Dichloropropene

56 Dichlorvos

57 Diethanolamine

58 N,N-Diethyl aniline (N,N-Dimethylaniline)

59 Diethyl sulfate

60 3,3-Dimethoxybenzidine

61 Dimethyl aminoazobenzene

62 3,3′-Dimethyl benzidine

63 Dimethyl carbamoyl chloride

64 Dimethyl formamide

65 1,1-Dimethyl hydrazine

66 Dimethyl phthalate

67 Dimethyl sulfate

68 4,6-Dinitro-o-cresol, and salts

69 2,4-Dinitrophenol

70 2,4-Dinitrotoluene

71 1,4-Dioxane (1,4-Diethyleneoxide)

72 1,2-Diphenylhydrazine

73 Epichlorohydrin (l-Chloro-2,3-epoxypropane)

Page 8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80 -

74 1,2-Epoxybutane

75 Ethyl acrylate

76 Ethyl benzene O

77 Ethyl carbamate (Urethane)

78 Ethyl chloride (Chloroethane)

79 Ethylene dibromide (Dibromoethane)

80 Ethylene dichloride (1,2-Dichloroethane)

81 Ethylene glycol

82 Ethylene imine (Aziridine)

83 Ethylene oxide

84 Ethylene thiourea

85 Ethylidene dichloride (1,1-Dichloroethane)

86 Formaldehyde

87 Heptachlor

88 Hexachlorobenzene

89 Hexachlorobutadiene

90 Hexachlorocyclopentadiene

91 Hexachloroethane

92 Hexamethylene-1,6-diisocyanate

93 Hexamethylphosphoramide

94 Hexane O

95 Hydrazine

96 Hydrochloric acid

97 Hydrogen fluoride (Hydrofluoric acid)

98 Hydroquinone

99 Isophorone

100 Lindane (all isomers)

101 Maleic anhydride

102 Methanol

103 Methoxychlor

104 Methyl bromide (Bromomethane)

105 Methyl chloride (Chloromethane)

106 Methyl chloroform (1,1,1-Trichloroethane)

107 Methyl ethyl ketone (2-Butanone)

108 Methyl hydrazine

109 Methyl iodide (Iodomethane)

110 Methyl isobutyl ketone (Hexone)

111 Methyl isocyanate

112 Methyl methacrylate

Page 8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81 -

113 Methyl tert butyl ether

114 4,4-Methylene bis(2-chloroaniline)

115 Methylene chloride (Dichloromethane)

116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MDI)

117 4,4′-Methylenedianiline

118 Naphthalene

119 Nitrobenzene

120 4-Nitrobiphenyl

121 4-Nitrophenol

122 2-Nitropropane

123 N-Nitroso-N-methylurea

124 N-Nitrosodimethylamine

125 N-Nitrosomorpholine

126 Parathion

127 Pentachloronitrobenzene (Quintobenzene)

128 Pentachlorophenol

129 Phenol

130 p-Phenylenediamine

131 Phosgene

132 Phosphine

133 Phosphorus

134 Phthalic anhydride

135 Polychlorinated biphenyls (Aroclors)

136 1,3-Propane sultone

137 beta-Propiolactone

138 Propionaldehyde

139 Propoxur (Baygon)

140 Propylene dichloride (1,2-Dichloropropane)

141 Propylene oxide

142 1,2-Propylenimine (2-Methyl aziridine)

143 Quinoline

144 Quinone

145 Styrene O

146 Styrene oxide

147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148 1,1,2,2-Tetrachloroethane

149 Tetrachloroethylene (Perchloroethylene)

150 Titanium tetrachloride

151 Toluene O

Page 8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82 -

152 2,4-Toluene diamine

153 2,4-Toluene diisocyanate

154 o-Toluidine

155 Toxaphene (chlorinated camphene)

156 1,2,4-Trichlorobenzene

157 1,1,2-Trichloroethane

158 Trichloroethylene

159 2,4,5-Trichlorophenol

160 2,4,6-Trichlorophenol

161 Triethylamine

162 Trifluralin

163 2,2,4-Trimethylpentane O

164 Vinyl acetate

165 Vinyl bromide

166 Vinyl chloride

167 Vinylidene chloride (1,1-Dichloroethylene)

168 Xylenes (isomers and mixture) O

169 o-Xylenes O

170 m-Xylenes O

171 p-Xylenes O

172 Antimony Compounds

173 Arsenic Compounds (inorganic includingarsine)

174 Beryllium Compounds

175 Cadmium Compounds

176 Chromium Compounds

177 Cobalt Compounds

178 Coke Oven Emissions

179 Cyanide Compounds 1

180 Glycol ethers 2

181 Lead Compounds

182 Manganese Compounds

183 Mercury Compounds

184 Fine mineral fibers 3

185 Nickel Compounds

186 Polycylic Organic Matter 4

187 Radionuclides (including radon) 5

188 Selenium Compounds

Page 9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83 -

연번 물질 오존전구물질

1 아연 및 그 화합물

2 아크릴 아미드

3 아크릴산 O

4 아크릴산 에틸  

5 아크릴산 부틸

6 아크릴산 메틸 O

7 아크릴로 니트릴 O

8 아크롤레인

9 아 디프 산 디 -2 - 에틸 헥실

10 아미드

11 아세트 알데히드 O

12 아세토 니트릴 O

13 아닐린

14 안티몬 및 그 화합물

15 안트라센

16 이소옥탄

17 이소 부틸 알코올

18 이소 프로필 벤젠

19 이소 프로 페닐 벤젠

20 이소호론 O

21 인데노 ( 1,2,3 - cd ) 피렌

22 에탄올 아민

23 N - 에틸 아닐린

24 에틸 아민

25 에틸 벤젠 O

26 에틸렌

27 에틸렌 이민

28 에틸렌 클로로 히 드린

29 에틸렌 글리콜 O

30 에틸렌 글리콜 모노 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31 2 - 톡시 에탄올

32 에피 클로로 히 드린 O

33 염화 지메찌 카바 모일

34 염화 비닐 모노머

일본의 경우에는 총 234종의 HAPs 물질 중 42종이 100여종의 VOC 와 중복되

었다.

<표 3-25> 일본 HAPs의 VOC 물질 중복성 여부

Page 9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84 -

35 염화 벤질

36 염화 메틸

37 염화 아릴 O

38 황색 인

39 카테 콜

40 카르 바 민산 에틸 ( 별명 : 우레탄 )

41 크 실레 놀 ( 2,4 - 크 실레 놀 제외)

42 2,4 - 크 실레 놀

43 크실렌 류

44 퀴놀린

45 편대

46 포름산 메틸 O

47 크레졸 류

48 크롬 및 그 화합물

49 클로르 덴 장치

50 에탄 O

51 클로로 디 브로 모 메탄

52 클로로 술폰산

53 o - 클로로 톨루엔

54 p - 클로로 톨루이딘 및 그 강산 소금

55 클로로 벤젠 ( o 몸, p 형 )

56 클로로프렌

57 클로로벤젠

58 클로로포름 O

59 클로로 메틸 메틸 에테르

60 클로로 아세트산

61 유리솜

62 규 뷸화 수소산

63 코발트 및 그 화합물

64 초산 이소 부틸

65 비닐 아세테이트 O

66 초산 부틸 O

67 삼염화 인

68 산화 에틸렌

69 산화 프로필렌 O

70 사염화탄소

71 시클로 헥산 O

72 시클로 헥사 논 O

73 시클로 헥실 아민 O

74 브롬화 비닐 모노머

Page 9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85 -

75 브롬

76 2,6 - 디- t - 부틸 -4 - 메틸 페놀(일명 : BHT )

77 디 에탄올 아민

78 아민

79 디 에틸 에테르

80 1,4 - 디 옥산 O

81 1,2 - 디클로로 에탄

82 1,1 - 디클로로 에탄

83 1,2 - 디클로로 에틸렌

84 1,1 - 디클로로 에틸렌 O

85 디클로로 페놀

86 디클로로 브로 모 메탄

87 1,2 - 디클로로 프로판 O

88 3,3 ' - 디클로로 벤지딘

89 p - 디클로로 벤젠

90 o - 디클로로 벤젠 O

91 디클로로 메탄 O

92 디 니트로 톨루엔 류

93 1,8 - 지니토로삐렌

94 1,6 - 지니토로삐렌

95 디 페닐 아민

96 디 페닐 에테르

97 벤조 ( a, h ) 안트라센

98 디 벤조 푸란

99 지보 란

100 N , N - 디메틸 아닐린

101 디메틸 아미노 아조벤젠

102 디메틸 아민

103 디메틸 에테르

104 N , N - 디메틸 포름 아미드 O

105 수은 및 그 화합물

106 주석 및 그 화합물

107 스티렌 O

108 스티렌 옥사이드

109 석영 ( 수정 )

110 세륨 및 그 화합물

111 셀렌 및 그 화합물

112 탈륨 및 그 화합물

113 탈크 ( 석면 특히 섬유 를 포함 )(일명 : 활석 )

Page 9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86 -

114 다이옥신 류

115 티타늄과 그 화합물

116 1,1,2,2 - 테트라 클로로 에탄 O

117 테트라 클로로 에틸렌 O

118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 O

119 테레프탈산

120 트리에탄올 아민

121 트리 에틸 아민 O

122 1,1,1 - 트리클로로 에탄

123 1,1,2 - 트리클로로 에탄

124 트리클로로 에틸렌 O

125 트리클로로 페놀

126 1,2,4 - 트리 클로로 벤젠

127 o - 토리진

128 트리메틸 아민

129 트리메틸 벤젠 류

130 톨루이딘 장치

131 톨루엔 O

132 톨루엔 디 이소시아네이트 류

133 나프탈렌 O

134 β - 나프톨

135 두 브롬화 에틸렌

136 니켈 및 그 화합물

137 N - 니토로소지 - n - 부틸 아민

138 N - 니토로소지 - n - 프로필 아민

139 N - 니트로 아민

140 N - 니트로 소 디메틸 아민

141 N - 니트로 - N - 메틸 우레아

142 N - 니트로 소 모 폴린

143 니트로 톨루엔 류

144 1 - 니토로삐렌

145 니트로 페놀

146 3 - 니트로 풀 오란 텐

147 2 - 니트로 비스페놀

148 니트로 벤젠

149 젖산 부틸

150 이황화 탄소

151 바나듐 및 그 화합물

152 바륨 및 그 화합물

153 팔라듐 및 그 화합물

Page 9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87 -

154 비스 ( 2 - 클로로 에틸 ) 에테르

155 히드라진

156 4 - 히드 록시 -4 - 메틸 -2 - 뻰타논

157 히드 록실 아민

158 히드로퀴논

159 비소 및 그 화합물

160 2 - 비닐 피리딘

161 비 페닐

162 피크르산

163 피리딘

164 피렌

165 페닐 히드라진

166 페닐 렌 디아민 류

167 페놀 O

168 프탈산 디 에틸

169 프탈산 디 -2 - 에틸 헥실

170 디 부틸 프탈레이트

171 프탈산 디메틸

172 불소 ( 수용성 무기 화합물 에 한함)

173 푸르 푸랄

174 푸르 푸릴 알코올

175 1,3 - 부타디엔 O

176 부타나루

177 1 - 부탄올

178 2 - 부탄올

179 2 - 부 톡시 에탄올

180 부로모에탄

181 브로 모 포름

182 백금 및 그 화합물

183 프로 파날

184 프로피온산

185 프로필렌 이민

186 헥사 클로로 에탄

187 헥사 클로로 벤젠

188 헥사 메틸렌 디 이소시아네이트

189 헥산

190 베릴륨 및 그 화합물

191 벤젠 O

192 벤조 ( a ) 안트라센

193 벤조 ( a ) 피렌

Page 9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88 -

194 벤조 ( b ) 플루오 란 텐

195 벤조 ( j ) 플루오 란 텐

196 벤조 ( k ) 플루오 란 텐

197 벤조 ( e ) 피렌

198 벤조 ( g , h, i ) 페 릴렌

199 벤조 클로라이드

200 포름 알데히드 O

201 폴리 염화 나프탈렌

202 폴리 염화 비 페닐 (일명 : PCB )

203 망간 및 그 화합물

204 무수 초산

205 무수 프탈산

206 무수 말레인산

207 메타 크릴 산 메틸 O

208 메탄올 O

209 N - 메틸 아닐린

210 메틸 아민

211 메틸 이소 부틸 케톤 O

212 메틸 -t - 부틸 에테르

213 메틸 에틸 케톤 O

214 메틸 시클로 헥산 O

215 2 - 메틸 시클로 헥사 논

216 1 - 메틸 나프탈렌

217 2 - 메틸 나프탈렌

218 메틸 히드라진

219 N - 메틸 피 롤리 돈

220 4,4 ' - 메틸렌 디 아닐린

221 메틸렌 비스 ( 4 - 페닐 이소시아네이트 )

222 4,4 ' - 메틸렌 비스 ( 2 - 클로로 아닐린 )

223 2 - 메 톡시 에탄올

224 2 - 머 캅토 미다 인(일명 : 에틸렌 티오 우레아 )

225 옥화 메틸

226 황화 카르 보닐

227 황화 린

228 황산 디 에틸

229 황산 디메틸

230 인산 트리스 ( 클로로 에틸 )

231 인산 트리스 ( 2,3 - 디 브로 모 프로필 )

232 인산 트리스 ( 부토키시에찌루 )

Page 9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89 -

233 인산 트리 부틸 (일명 : TBP )

234 암면

소계 42개 물질

1. 카드뮴 및 그 화합물 33. 트리클로로에틸렌 (*)2. 시안화수소 34. 아크릴로니트릴 (*)3. 납 및 그 화합물 35. 히드라진4. 폴리염화비페닐5. 크롬 및 그 화합물6. 비소 및 그 화합물7. 수은 및 그 화합물8. 프로필렌 옥사이드 (*)9. 염소 및 염화수소10. 불소화물11. 석 면12. 니켈 및 그 화합물13. 염화비닐14. 다이옥신15. 페놀 및 그 화합물16. 베릴륨 및 그 화합물17. 벤 젠 (*)18. 사염화탄소 (*)19. 이황화메틸20. 아닐린21. 클로로포름 (*)22. 포름알데히드 (*)23. 아세트알데히드 (*)24. 벤지딘25. 1,3-부타디엔 (*)26.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류27. 에틸렌옥사이드28. 디클로로메탄29. 스틸렌 (*)30. 테트라클로로에틸렌 (*)31. 1,2-디클로로에탄 (*)32. 에틸벤젠 (*)

우리나라의 특정대기 유해물질 35종의 세부 내역은 다음과 같다. 이 중 13종이

환경부 고시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질과 중복이었다.

<표 3-26> 우리나라의 특정대기유해물질

( * : 휘발성유기화합물짉솨 중복 )

Page 9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90 -

3.2.1.2 오존 관리를 위한 오존 전구물질로서의 VOCs 물질 고려

우리나라와 미국은 56종의 오존 전구물질을 PAMS ( Photochemical Assessment

Monitoring Stations ) 시스템의 이름으로 일반 대기중 농도로서 측정하고 있다. 이

에 대한 세부 내역은 다음과 같다.

<그림 3-7> PAMS 개념도

우리나라 광화학오염물질측정망의 지점 선정은 인구 50만 미만의 지역 또는 인근

지역에 휘발성유기화합물을 많이 배출하는 산업단지 등이 위치하는 고농도 오존 발

생지역 또는 광역시 이상의 대도시중 고농도 오존발생지역에 우선적으로 설치하며,

광화학오염물질측정망은 4개의 유형(1, 2, 3, 4형)으로 구분하며, 4개 유형의 구분이

가능한 지역에 설치할 경우는 각 유형별 1개소 이상 설치할 수 있다. 유형별 측정

소 설치지점은 아래 선정기준을 기초로 하여 설치ㆍ운영한다.

Page 9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91 -

내역

Ethane

Ethylene

Propane

Propylene

i-Butane

n-Butane

Acethylene

trans-2-Butene

1-Butene

제1형 측정소 : 대상지역내로 유입되는 오존 및 전구물질의 농도 측정

제2형 측정소 : 오존전구물질의 배출량이 최대인 지점에서 오존 및 전구물질의

농도 측정

제3형 측정소 : 대상지역내 최고의 오존농도를 갖는 지점에서 오존 및 전구물질

의 농도 측정

제4형 측정소 : 대상지역 밖으로 유출되는 오존 및 전구물질의 농도 측정

<그림 3-8> 국내 광화학 측정망 현황

<표 3-27> PAMS 측정물질 56종 세부 내역

Page 9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92 -

cis-2-Butene

Cyclopentane

i-Pentane

n-Pentane

trans-2-Pentene

1-Pentene

cis-2-Pentene

2,2-Dimethylbutane

2,3-Dimethylbutane

2-Methylpentane

3-Methylpentane

Isoprene

1-Hexene

n-Hexane

Methylcyclopentane

2,4-Dimethylpentane

Benzene

Cyclohexane

2-Methylhexane

2,3-Dimethylpentane

3-Methylhexane

2,2,4-Trimethylpentane

n-Heptane

Methylcyclohexane

2,3,4-TriMethylpentane

Toluene

2-Methylheptane

3-Methylheptane

n-Octane

Ethylbenzene

m/p-Xylene

Styrene

o-Xylene

n-Nonane

Isopropylbenzene

n-Propylbenzene

m-Ethyltoluene

p-Ethyltoluene

1,3,5-Trimethylbenzene

Page 10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93 -

연번 물질명 비고

1 톨루엔

2 자일렌 (크실렌)

3 1,3,5 - 트리메틸 벤젠

4 초산 에틸

5 데칸

6 메탄올

7 디클로로메탄

8 메틸에틸케톤

9 n-부탄

10 이소부탄

11 트리클로로에틸렌

12 이소 프로필 알코올

13 초산 부틸

14 아세톤

15 메틸 이소 부틸 케톤

16 부틸 셀로 솔브

17 n - 헥산

18 n - 부탄올

19 n - 펜탄

o-Ethyltoluene

1,2,4-Trimethylbenzene

n-Decane

1,2,3-Trimethylbenzene

m-Diethylbenzene

p-Diethylbenzene

n-Undecane

n-Dodecane

일본은 오존전구물질 100종을 일본 환경성이 발표하여 각 지자체로 공람시키고

있다. 이에 대한 세부 내역을 보면 다음과 같다41).

<표 3-28> 휘발성유기화합물에 해당하는 주요 물질

41) 출처 : 대기 오염 방지법의 일부를 개정하는 법률의 시행에 관하여 ( 環管大発第

050617001 号, 2005 )

Page 10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94 -

20 cis - 2 - 부텐

21 이소 부탄올

22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23 테트라 클로로 에틸렌

24 시클로 헥산

25 프로필 아세테이트

26 trans- 2 - 부텐

27 에틸 셀로 솔브

28 운데칸

29 노난

30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31 2 - 메틸 펜탄

32 에틸렌 글리콜

33 2 - 메틸 -2 - 부텐

34 에틸 시클로 헥산

35 테트라린

36 메틸 아밀 케톤

37 메틸 n - 부틸케톤

38 클로로 메탄

39 벤질 알코올

40 시클로 펜타논

41 2 - 메틸 -1 - 부텐

42 n - 헵탄

43 비 시클로 헥실

44 N, N - 디메틸 포름 아미드

45 trans- 2 - 펜텐

46 cis - 2 - 펜텐

47 스티렌

48 N - 메틸 -2 - 피 롤리 돈

49 에틸 셀로 솔브 아세테이트

50 벤젠

51 이소호론

52 시클로 헥사논

53 에탄올

54 메틸 시클로 펜탄

Page 10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95 -

55 비닐 아세테이트

56 3 - 메틸 헥산

57 2,3 - 디메틸 부탄

58 2,2 - 디메틸 부탄

59 메틸 시클로 헥산

60 이소 프로필 셀로 솔브

61 1,2 - 디클로로 에탄

62 염화 비닐

63 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

64 에틸 벤젠

65 쿠멘

66 에탄

67 트리클로로 에탄

68 아크릴로 니트릴

69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

70 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71 n -프로필 브로마이드

72 메타 크릴 산 메틸

73 1,3 - 부타디엔

74 1,1 - 디클로로 에틸렌

75 2,4 - 디메틸 펜탄

76 산화 프로필렌

77 클로로포름

78 메틸 브로마이드

79 디펜 텐

80 1 - 헵텐

81 1,4 - 디 옥산

82 아세토 니트릴

83 염화 아릴

84 아크릴산

85 이소프렌

86 아세트 알데히드

87 1,2 - 디클로로 프로판

88 메틸 셀로 솔브 아세테이트

89 옥사이드

Page 10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96 -

90 o - 디클로로 벤젠

91 클로로벤젠

92 포름산 메틸

93 트리 에틸 아민

94 3 - 메틸 헵탄

95 페놀

96 나프탈렌

97 아크릴산 메틸

98 시클로 헥실 아민

99 포름 알데히드

100 에피 클로로 히드린

3.2.1.3 국외 관리대상물질 비교를 통한 국내 대상물질 재선정

국내 휘발성유기화합물 관리대상물질 선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1) 1단계 : 물질명 조정 ( 관리대상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종류 > 관리대상 오

존전구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종류 ), 기존안은 조속한 시일내에 파기하고,

본 안은 2015년 1월부터 적용함

2) 2단계 : 3개 제품명 제외

3) 3단계 : PRTR에 있는 물질 중 POCP 값을 보유한 물질 선정

4) 4단계 : PRTR 대기 배출량 (2011년)에 POCP 값을 곱하여 큰 순서대로 정

5) 5단계 : 대기오염물질에서 없는 물질 제외

6) 타 규제와의 중복일 경우, 각 규제를 적용한 결과의 사회, 경제적 파장을

고려하여 단일 규제만을 적용한다는 조항을 신설

국내 VOC 관리대상물질 재산정 결과를 법규의 신구대조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Page 10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97 -

현 행 개 정 안

환경부고시 제2009-198호

대기환경보전법 제2조제10호에 따라

「휘발성유기화합물 지정 고시」(환경부고

시 제2007-121호, 2007. 8. 7)를 다음과 같

이 개정․고시합니다.

2009. 8. 28.

환경부장관

환경부고시 제2015-000호

대기환경보전법 제2조제10호에 따라

「휘발성유기화합물 지정 고시」(환경부고

시 제2009-198호, 2009. 8. 28)를 다음과

같이 개정․고시합니다.

2015. 1. 1.

환경부장관

휘발성유기화합물 지정 고시

1. 관련근거 : 대기환경보전법 제2조제10호

2. 내 용 :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종류

가. 배출시설(시행령 제45조제1항)의 관리

대상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종류

(현행과 같음)

연번

제품 및 물질명

1 아세트알데히드 Acetaldehyde

2 아세틸렌 Acetylene

3 아세틸렌 디클로라이드 Acetylene Dichloride

4 아크롤레인 Acrolein

5 아크릴로니트릴 Acrylonitrile

6 벤젠 Benzene

7 1,3-부타디엔 1,3-Butadiene

8 부탄 Butane

91-부텐, 2-부텐 1-Butene, 2-Butene

10 사염화탄소 Carbon Tetrachloride

11 클로로포름 Chloroform

12 사이클로헥산 Cyclohexane

13 1, 2-디클로로에탄 1,2-Dichloroethane

14 디에틸아민 Diethylamine

15 디메틸아민 Dimethylamine

16 에틸렌 Ethylene

17 포름알데히드 Formaldehyde

18 n-헥산 n-Hexane

19 이소프로필 알콜 Isopropyl Alcohol

20 메탄올 Methanol

21 메틸에틸케톤 Methyl Ethyl Ketone

연번 CAS No. 화학물질명

1 001330-20-7자일렌(o-,m-,p- 이성질

체 혼합물)

2 000108-88-3 톨루엔

3 000067-63-0 2-프로판올

4 000100-41-4 에틸벤젠

5 000068-12-2 N,N-디메틸포름아미드

6 000067-56-1 메틸 알코올

7 000074-85-1 에틸렌

8 000115-07-1 프로필렌

9 000075-09-2 디클로로메탄

10 000110-54-3 n-헥산

11 000106-97-8 부탄

12 000110-82-7 시클로헥산

13 000106-98-9 1-부텐

14 000108-95-2 페놀

15 001319-77-3크레졸(o-,m-,p- 이성질

체 혼합물)

16 000050-00-0 포름알데히드

17 000111-15-9 아세트산 2-에톡시에틸

18 000071-43-2 벤젠

<표 3-29> VOC 관리대상 물질 관련 신구조문 대비표

Page 10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98 -

현 행 개 정 안

22 메틸렌클로라이드 Methylene Chloride

23 엠티비이(MTBE) Methyl Tertiary Butyl Ether

24 프로필렌 Propylene

25 프로필렌옥사이드 Propylene Oxide

26 1, 1, 1-트리클로로에탄1,1,1-Tr ich lo roe thane

27 트리클로로에틸렌 Trichloroethylene

28 휘발유 Gasoline

29 납사 Naphtha

30 원유 Crude Oil

31 아세트산(초산) Acetic Acid

32 에틸벤젠 Ethylbenzene

33 니트로벤젠 Nitrobenzene

34 톨루엔 Toluene

35 테트라클로로에틸렌 Tetrachloroethylene

36 자일렌(o- ,m- , p-포함)

Xylene

37 스틸렌 Styrene

19 000140-88-5 아크릴산 에틸

20 000100-42-5 스티렌

21 000107-06-2 1,2-디클로로에탄

22 000109-86-4 2-메톡시에탄올

23 026471-62-5

디이소시안산 톨루엔

(2,4-,2,6-,혼합 이성질체

혼합물)

24 000110-80-5 2-에톡시에탄올

25 000123-91-1 1,4-디옥산

26 000109-89-7 디에틸아민

27 000124-40-3 디메틸아민

28 000091-20-3 나프탈렌

29 000101-77-9 4,4'-메틸렌디아닐린

30 000075-21-8 산화 에틸렌

31 000074-86-2 아세틸렌

32 000071-55-6 1,1,1-트리클로로에탄

33 000062-73-7 디클로르보스

34 000126-99-8 클로로프렌

35 000106-46-7 1,4-디클로로벤젠

<신 설>

위 35개 물질 중 타 규정 및 법규에 중복 포함되는 경우, 중복규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심의를 통하여 물질별 경제적, 사회적 파장 등의 조사 후, 우선규제 법규를 선정한다.

나. 배출시설(시행령 제45조제1항) 외 관리

대상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종류 : 1기

압 250˚C 이하에서 최소 비등점을 가

지는 유기화합물. 다만, 탄산 및 그

염류 등 국립환경과학원장이 정하여

공고하는 물질은 제외

(현행과 같음)

Page 10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99 -

3.2.2 VOCs 배출현황파악을 위한 관리대상물질 조사체계구축(안)

마련

(1) VOCs 관련 물질의 국내 조사체계현황 파악

현재 우리나라 사업장의 VOC 배출량 조사는 총탄화수소를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

으로, 사업장별로 특정 물질의 양을 산정하는 것이 무리가 따르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각 물질별로 측정하려면 시간적, 물질적, 경제적으로 한계가 있기 때문으로 이

에 대한 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2) 체계적 VOCs 배출관리를 위한 VOCs 유발물질 조사체계 제안

따라서, 업종별, 사업장별, 물질별 오존 전구물질 VOC 배출량을 조사하기 위해서

는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는 총탄화수소 조사방법을 수행하면서, 총 탄화수소 중 업

종별로 물질별 기여도 규명 연구를 제안하는 바이다.

기존에 환경부에서 업종별 특정 물질의 기여도를 산정하는 연구를 수행한 사례는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 제안한 41종의 VOC 물질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별도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Page 10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00 -

3.2.3 기존 및 재선정 VOCs 물질의 배출시설현황 및 업종유형

조사

(1) 현행 규제대상 업종의 VOCs 배출기여도 조사

① 경기, 인천, 서울 등 수도권의 배출량이 전국 VOC 배출량의 약 35 %를 차지하

고 있었다.

② 전국 대부분 지자체가 유기용제 사용 부분의 배출량이 가장 많았으나, 충남, 전

남, 울산의 경우에는 생산공정 부분의 배출량이 타 시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③ 유기용제 사용 부분에서 일반적으로는 가정상업, 건축도장, 인쇄, 코일코팅 등의

기여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울산광역시의 경우, 선박제조, 자동차 제조, 산업용

세정 등의 기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④ 충남, 전남, 울산의 생산공정 중 배출량 기여도는 석유화학 제품이나 유기화학

제품 제조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VOC의 기여도가 80 ~ 91 % 를 차지하고 있

었다. 이는 대규모 정유회사나 석유화학공업 사업장이 위치하기 때문으로 사료

되었다.

Page 10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01 -

<그림 3-9> 한국 지자체별 VOC의 배출량과 년도별 오존주의보 발령일수

<그림 3-10> 2010년 VOC 배출량 (경기도)

Page 10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02 -

<그림 3-11> 2010년 VOC 배출량 (인천광역시)

<그림 3-12> 2010년 VOC 배출량 (서울특별시)

Page 11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03 -

<그림 3-13> 2010년 VOC 배출량 (충청남도)

<그림 3-14> 2010년 VOC 배출량 (전라남도)

Page 11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04 -

<그림 3-15> 2010년 VOC 배출량 (대구광역시)

<그림 3-16> 2010년 VOC 배출량 (울산광역시)

Page 11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05 -

<그림 3-17> 2010년 VOC 배출량 (전라북도)

<그림 3-18> 2010년 VOC 배출량 (대전광역시)

Page 11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06 -

<그림 3-19> 2010년 VOC 배출량 (광주광역시)

<그림 3-20> 2010년 VOC 배출량 (충청북도)

Page 11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07 -

<그림 3-21> 2010년 VOC 배출량 (경상북도)

<그림 3-22> 2010년 VOC 배출량 (경상남도)

Page 11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08 -

<그림 3-23> 2010년 VOC 배출량 (제주도)

<그림 3-24> 2010년 VOC 배출량 (부산광역시)

Page 11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09 -

<그림 3-25> 2010년 VOC 배출량 (강원도)

<그림 3-26> 2010년 유기용제 사용 중 VOC 배출량 (경기도)

Page 11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10 -

<그림 3-27> 2010년 유기용제 사용 중 VOC 배출량 (인천광역시)

<그림 3-28> 2010년 유기용제 사용 중 VOC 배출량 (서울특별시)

Page 11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11 -

<그림 3-29> 2010년 유기용제 사용 중 VOC 배출량 (충청남도)

<그림 3-30> 2010년 유기용제 사용 중 VOC 배출량 (전라남도)

Page 11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12 -

<그림 3-31> 2010년 유기용제 사용 중 VOC 배출량 (대구광역시)

<그림 3-32> 2010년 유기용제 사용 중 VOC 배출량 (울산광역시)

Page 12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13 -

<그림 3-33> 2010년 생상공정 중 VOC 배출량 (경기도)

<그림 3-34> 2010년 생상공정 중 VOC 배출량 (전라남도)

Page 12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14 -

현 행 개 정 안

환경부고시 제2009-173호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제45조 제2

항의 규정에 따라 휘발성유기화합물질

의배출시설의종류,시설의규모,배출억

제․방지시설의설치등에관한규정(환경

부고시 제2008-26호, 2008. 2.11)을 다

환경부고시 제2015-000호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제45조 제2

항의 규정에 따라 휘발성유기화합물질

의배출시설의종류,시설의규모,배출억

제․방지시설의설치등에관한규정(환경

부고시 제2009-173호, 2009. 8.24)을 다

<그림 3-35> 2010년 생상공정 중 VOC 배출량 (울산광역시)

(2) VOCs 배출대상시설 추가유형 및 업종 조사

국내 VOC 관리대상시설의 추가유형 및 업종 재산정 결과를 법규의 신구대조표

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표 3-30> 휘발성유기화합물질배출시설의종류,시설의규모,배출억제․방지시설의설

치등에관한규정 일부개정안 관련 신구조문 대비표

Page 12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15 -

현 행 개 정 안

음과 같이 개정․고시합니다.

2009년 8월 24일

환경부장관

음과 같이 개정․고시합니다.

2015년 1월 1일

환경부장관

1. ∼ 4., 부칙(생 략) 1. ∼ 4., 부칙 (현행과 같음)

[별표 1]

휘발성유기화합물을 배출하는 시설의종류 및 규모(제2조 관련)

(현행과 같음)

1. ∼ 4.(생 략) 1. ∼ 4.(현행과 같음)

5. ∼ 9.(생 략) 5. ∼ 9.(현행과 같음)

<신 설>

인쇄

산업용 세정시설

전자부품 세정시설

비고 : 1. 제4호 세탁시설중 물세탁기기

등 VOC배출이 없는 기기는

합계에서 제외한다.

2. 제8호 기타제조업은 한국표

준산업분류에 따른 중분류

20, 27, 28, 29, 30, 32, 33, 36

에 해당되는 제조업을 말한

다.

(현행과 같음)

Page 12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16 -

내용단기

(~ 2015)

중기

(~2018)

장기

(~2023)비고

물질

선정

현행 VOC 관리 물질 37종을

35종으로 수정◎

배출량

산정

단기적으로는 TVOC로부터

본 연구에서 제안한 VOC 그

룹 1에 대하여 각 배출원별

◎ ◎

3.3 VOCs 시설관리기준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로드맵 수립

로드맵 수립을 위한 기능 요구사항을 나태내면 다음과 같다.

① VOCs 배출기여도 고려한 우선 대상 업종 파악

② 실효적 시설관리기준 마련을 위한 조사계획 구축

③ 단계적 시설관리기준 개선 계획 수립

3.3.1 VOCs 시설관리기준의 개선을 위한 체계적 수행단계 설정

우선, 물질선정에서 보면, 현행 VOC 물질선정 고시를 37종에서 35종으로 수정해

야 한다.

배출시설의 배출량 산정 관련해서는 우리나라 VOC 배출량 산정방법의 재정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단기, 중기적으로는 TVOC로부터 본 연구에서 제안한

VOC 그룹에 대하여 각 배출원별 함유량 또는 기여도를 산정하여 오존 전구물질로

서의 VOC 배출량을 산정하는 방법론 정립이 필요할 것이다.

우리나라 CAPSS의 VOC 배출량을 분석한 결과 기존의 9개 시설 및 업종에 대해

서는 관리기준을 유지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이 된다. 단기, 중기적으로 비산배

출관리시설기준과 충돌하는 VOC 배출억제시설 기준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 비용편

익분석을 시행한다. CPASS 데이터 분석으로부터 현행 관리 기준에서 누락되었다

고 판단되는 인쇄, 산업용 세정, 전자부품 세정 등의 시설에 대해서는 중장기 로드

맵으로서 현장에서의 세부 VOC 배출량 연구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

다.

<표 3-31> VOC 관리 로드맵 산정 결과

Page 12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17 -

함유량 또는 기여도를 산정

하여 오존 전구물질로서의

VOC 배출량을 산정하는 방

법론 정립

배출시설

관리

현행 VOC 배출억제시설 기

준의 사회, 경제적 비용편익

분석 실시

◎ ◎

인쇄, 산업용 세정, 전자부품

세정 등의 시설에 대해서는

중기 로드맵으로서 현장에서

의 세부 VOC 배출량 연구조

◎ ◎

Page 12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18 -

제 4 장 결론 및 제언

4.1 법규에서의 VOCs 개념 정의

VOC를 오존 생성의 전구물질 관점에서 관리하려면 우리나라도, 미국이나 일본처

럼 대기 중 광화학반응에 참여하는 모든 탄소화합물로 지칭하고, 예외물질을 별도

로 두는 방안으로의 전환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유럽의 경우 POCP 개념의 유용

성을 인정하나 과학적으로 미검증으로 판단하여 적용하고 있지 않고 있었다.

<표 4-1> 국내외 법규에서의 VOCs 개념 정의 현황

구분 미국 유럽 일본 대한민국

정의

대기 중에서

광화학반응에

참여하는 모든

탄소화합물을

지칭

표준 기압

101.3 kPa에서

끓 는 점 이

250°C 이하인

모든 유기물질

대기 중으로

배출되거나 또

는 비산했을

때 기체인 유

기 화합물

37종 물질 및

제품

제외물질

광화학반응성

이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탄소화합

탄화수소 화합

물 중 일산화

탄소, 이산화

탄소, 탄산, 탄

산염, 금속탄

화물, 메탄은

제외

부유 입자상

물질 및 옥시

던트 발생의

원인이 되지

않는 물질로서

정부령으로 정

하는 물질

-

지금까지 조사한 VOC의 국내외 개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개념 재정

의안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두 가지 원칙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첫 째, 법규상의 VOC의 물질적 정의와 관리방안을 꼭 동시에 묶어 해결하려 할

필요성이 없다고 판단된다. 현재, 우리나라 VOC 관리정책의 물질 정의와 시설기준

간에 상당히 여러 곳에서 부분적으로 중복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으므로, 물질의

정의는 정의대로 진행하고, 배출시설 관리는 배출시설 관리대로 VOC와 유해대기오

염물질과의 중복성을 피해가면서 관리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

다.

둘 째, 어떠한 관리방안의 형식으로 관리가 되던, 관리가 되어야 할 물질들은 모두

Page 12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19 -

법규상의 관리 범주 안으로 들어와야 한다. 즉, 표현의 형식이 VOC가 되었든, 유해

대기오염물질이 되었든, 대기환경에서 오염물질이라고 판단되는 물질들은 관리대상

에 들어와야 한다.

위의 두 가지 원칙에 따라, VOC 정의는 2009년 고시 부분 중 “나” 부분의 경우,

큰 틀은 유지해도 좋을 것으로 사료되나, “가” 부분에 있어서는 다음의 수정안을 적

용할 것을 제시하였다.

1) 1단계 : 물질명 조정 ( 관리대상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종류 > 관리대상 오

존전구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종류 ), 기존안은 조속한 시일내에 파기하고,

본 안은 2015년 1월부터 적용함

2) 2단계 : 3개 제품명 제외

3) 3단계 : PRTR에 있는 물질 중 POCP 값을 보유한 물질 선정

4) 4단계 : PRTR 대기 배출량 (2011년)에 POCP 값을 곱하여 큰 순서대로 정

5) 5단계 : 대기오염물질에서 없는 물질 제외

6) 타 규제와의 중복일 경우, 각 규제를 적용한 결과의 사회, 경제적 파장을

고려하여 단일 규제만을 적용한다는 조항을 신설

7) 다만, 현실적으로 배출시설별 물질별 농도의 전수조사가 어려우므로, 배출

시설 유형별 총 탄화수소 중 개별물질의 농도 비율을 파악하는 연구를 연

차별로 수행할 필요성이 있음

4.2 VOC 관리를 위한 로드맵 도출

우선, 물질선정에서 보면, 현행 VOC 물질선정 고시를 37종에서 35종으로 수정해

야 한다.

배출시설의 배출량 산정 관련해서는 우리나라 VOC 배출량 산정방법의 재정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단기, 중기적으로는 TVOC로부터 본 연구에서 제안한

VOC 그룹에 대하여 각 배출원별 함유량 또는 기여도를 산정하여 오존 전구물질로

서의 VOC 배출량을 산정하는 방법론 정립이 필요할 것이다.

우리나라 CAPSS의 VOC 배출량을 분석한 결과 기존의 9개 시설 및 업종에 대해

서는 관리기준을 유지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이 된다. 단기, 중기적으로 비산배

출관리시설기준과 충돌하는 VOC 배출억제시설 기준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 비용편

Page 12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20 -

익분석을 시행한다. CPASS 데이터 분석으로부터 현행 관리 기준에서 누락되었다

고 판단되는 인쇄, 산업용 세정, 전자부품 세정 등의 시설에 대해서는 중장기 로드

맵으로서 현장에서의 세부 VOC 배출량 연구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

다.

Page 12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21 -

참고문헌

§ 국립환경연구원, 유해가스 배출량 산정에 관한 조사연구, 1995.

§ 국립환경연구원, 유해가스 배출량 산정에 관한 조사(Ⅱ), 1996.

§ 국립환경연구원, 유해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 산정 관리방안 연구, 1999.

§ 금성진, 국내 일부 주유소 및 인쇄소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 개인노출평가에 관

한 연구, 1999.

§ 김진영, 석유정제 및 석유화학제품제조시설에서의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s)

배출특성, 2001. 8.

§ 교통안전공단, ’99 자동차 주행거리 실태조사 연구, 1999. 12.

§ 노영만 외 3, 일부세탁소의 유기용제 관리실태 및 공기중 노출농도에 관한 조사,

한국산업위생학회지 제11권 제 1 호, 2001.

§ 대학석유협회, VOC 배출원별 배출량 산정 및 저감기술 연구, 1996. 2.

§ 도장공학, 영국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배출규제 동향 Vol. 27, No. 8, 1992.

§ 도장공학,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환경문제, 환경특집 Part 1, 일본, Vol. 43, No. 4,

1992.

§ 서울특별시, 휘발성유기화합물질 관리요령, 2000.

§ 서울특별시, 휘발성유기화합물질 저감대책 홍보책자, 2000.

§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서울시에 맞는 오존 예보시스템 개발, 2000. 1.

§ 서울특별시, 서울시 대기환경개선 실천계획, 2000.

Page 12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22 -

§ 세정설계, 세정제, 도료, 접착제에 이용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규제동향,

1993. 8.

§ 안선희 외2, Perchlotoethylene을 사용하는 세탁소 작업자들의 직업성 폭로와 건

강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위생학회지 제 4권 제 2 호, 1994.

§ 인천광역시, 대기환경규제지역 지정에 따른 실천계획 수립연구, 1999. 10.

§ 조강래 외, 도시지역 대기질 개선에 관한 연구 (Ⅳ), 1991.

§ 일본기계공업연합회, 광화학 대기 오염 원인 물질인 탄화수소의 저감 대책에 관

한 조사연구 보고서, 1993.

§ 일본자원환경대책, Vol. 29, No. 2, 1-22, 1994.

§ 울산지역환경기술센타, 울산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현황과 정책전망, 1999.

§ 한국대기보전학회, 국내 VOC 관리의 현황과 문제점. 1997.

§ 한국대기보전학회, 대기환경과 휘발성 휘발성유기화합물질, 1998.

§ 한국대기보전학회,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의 측정기술, 1998.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VOC 저감대책 기술의 국제동향 조사보고서, 1997. 6.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휘발성유기화합물질 배출시설의 효율적 관리지침에 관한

연구, 1999. 3.

§ 한국환경기술개발원, 유해대기오염물질 규제에 관한 국내 대응방안연구, 1994.

12.

§ 한국환경기술개발원, 유해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의 국내관리기준 설정방안 연구,

1995. 12.

Page 13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23 -

§ 한국환경기술개발원,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보고제도의 국내 도입에 관한 연구,

1996. 12.

§ 한양대학교 환경 및 산업의학연구소, 휘발성유기화합물질 규제대상설정 및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1997.

§ 한화진, VOCs 방지기술 현황 및 적용사례, 1998

§ 환경기술연구소, 첨단환경기술, 1997. 7.

§ 환경부, 악취물질 발생원 관리방안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2001. 5.

§ 환경부, 대기환경규제지역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시설 업무편람, 2000.

§ 환경부, 대기환경보전법령집, 2000.

§ 환경부, 고시 제 1999-45(1999. 3), 제 2000-165(2001. 1.), 고시 제 2001-36호

(2001. 3.)

§ 환경부, 화학물질 배출량조사 지침, 2001. 3.

§ 환경부, 휘발성 유기화합물질 배출시설 관리요령(Ⅰ), (Ⅱ), 1999.

§ CFR 40, Ch. 1 Part 60, Washington : Office of the Federal Register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1990.

§ CFR 40, Subchapter C - Air Programs(Parts 50, 63), Subchapter R - Toxic

Substances Control Act, 2000. 7.

§ Chemistry and Analysis of VOC in the Environment, 1993.

§ Compilation of Air Pollutant Emission Factor, Vol. 1, Stationary Point and

Area Sources, AP-42, 1995.

Page 13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24 -

§ EPA(1994) Air, National Air Pollutant Emission Trends, 1990-1993,

EPA-454-94-027.

§ EPA, 1999 Toxics Release Inventory, 2001. 4.

§ EPA, National Volatile Organic Compound Emission Standards for

Architectural Coatings, 1999.

§ EPA, National Emission Standard for Hazardous Air Pollutants for Source

Categories : Paper and Other Web Coating Operations-Background

Information for Proposed Standard. 2000.

§ EPA (1997) Compendium Method TO-17-Determin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Ambient Air Using Active Sampling Onto Sorbent Tubes,

Compendium of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Toxic Organic Compounds

in Ambient Air, 2nd ed., EPA/625/R-96/010b.

§ EPA (1997) Compendium Method TO-14A-Determin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in Ambient Air Using Specially Prepared Canisters With

Subsequent Analysis By Gas Chromatography, Compendium of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Toxic Organic Compounds in Ambient Air, 2nd ed.,

EPA/625/R-96/010b.

§ EPA (1999) Compendium method TO-15-Determin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in Air Collected in Specially-Prepared Canisters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Compendium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oxic Organic Compounds in Ambient Air,

2nd ed., EPA/625/R-96/010b.

§ Goverment Institutes Inc, Control Techniques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ssion from Stationary Sources, 1994.

§ Heinz Liebscher, Economic solution for compliance to the new European VOC

Page 13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NIER/06/021/5588811.pdf · 2015-11-03 · z "67 W 4ssj z äDb mé

- 125 -

Directive, 2000.

§ Patel. A. T., MACT Compliance of Petroleum Refinery by Early Reduction :

A Case Study, A & WM, 87th Annual Meeting & Exhibition,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