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전공 연계교육 교과과 정 개발¹€순임... · 2012-08-27 · Ⅳ. 교양-전공...

20
교양-전공 연계교육 교과과 모형 개발 연구책임자 : 김순임(전남대학교) 공동연구원 : 민춘기(전남대학교) 4-2

Upload: others

Post on 28-Dec-2019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교양-전공 연계교육 교과과정

    모형 개발

    연구책임자:김순임(전남대학교)

    공동연구원:민춘기(전남대학교)

    4-2

  • 4-2. 교양-전공 연계교육 교과과정 모형 개발

    215

    Ⅰ. 전체 요약

    1. 연구 배경

    1) 한국 고등교육에서도 교양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한국교양기초교육원 설립

    2) 교기원의 1차년도 위탁연구에서 교양-전공 연계교육 연구의 필요성 인정 지원

    3) 교양-전공 연계교육 교과과정 개발을 통해 한국의 대학 교양교육 개선을 지향

    2. 연구 목적 : 다음의 문제의식에 대한 해결을 위한 방향을 탐색하는 과정 제시

    1) 교양교육은 한국 대학의 고등교육에서 의붓자식(stepchild)인가? 중심 목표인가?

    2) 현행 교양교육 교과과정은 시대와 사회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는 시스템인가?

    3) 교양 학업과 전공 학업의 연계교육을 위한 대학 교육과정의 미래형 개선책은?

    4) 교양교육 교과과정의 본질적이고 지속적인 개선을 위해 성찰해야 하는 사항은?

    5) 교양-전공 학업 연계를 위해 고려할 사항과 구체적인 수업모형 개발 방향은?

    3. 연구 방법

    1) 국내외 교양교육 시스템과 관련된 문헌과 자료를 조사하여 비교하고 검토하기

    2) 주제와 직접 관련이 있는 중심 연구와 간접적인 연구 주제의 관련 연구를 병행

    3) 중심 연구; 중간보고용 논문과 결과 논문 / 관련 연구; 예비・파생・상세・후속

    4) 중심 연구와 관련 연구의 결과물을 학술지 논문게재 신청하여 심사의견을 반영

    5) 학술대회, 워크숍, 포럼 등에 직접 참여하여 연구논문을 발표하고 의견을 수렴

    6)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로부터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10차례에 걸친 회의를 개최

    7) 전문가로부터 자문을 구하기 위해 교내 1인과 교외 1인 교수에게 자문을 의뢰

    4. 연구 내용

    1) 중간 연구: 교양-전공 연계교육 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예비 고찰 (중간보고 논문)

    (서론, 국내외 현황, 기관형・학부형・절충형 모형, 선결 과제, 결론)

    2) 결과 연구: 교양과 전공 학업 연계교육을 위한 교과과정 모델 제안 (결과 논문)

    (서론, 목표 설정, 학기별 교과목 편성 및 운영, 개편 방식, 결론)

  • Ⅳ. 교양-전공 연계

    216

    3) 예비 연구: 외국 대학 HS 프로그램의 국내 활용 가능성 모색 (학술지 게재)

    (서론, 교육목표 설정, 커리큘럼 설계, 평가체재 구축, 결론)

    4) 파생 연구: 과정과 문화 중심의 교양 교육과정 개선 (학술대회 발표, 게재 예정)

    (서론, 교육과정 개혁의 원리와 변인, 중장기 개혁 사례, 결론)

    5) 상세 연구: 대학 신입생 기초교육 수업모형 시론 (학술대회 발표, 게재 심사 중)

    (서론, 국내외 선행 사례, 수업 모형, 수업 결과, 개선 방향, 결론)

    5. 연구 결과: 연구 목적에서 제기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탐색 과정에서 얻은 결론

    1) 교양교육은 대학의 사명과 이념 구현에 필수적이며 핵심 목표에 포함되어야 함

    (저학년용 ⇨ 전 학년 ; 교양과 전공 구분 지양 ⇨ 연계 교육 ⇨ 통합 교육 지향)

    2) 외국에 비해 한국은 여전히 공급자 중심, 분과학문 교과목 배분, 시대 요청 외면

    (공급자 ⇨ 수요자 필요 ; 분과학문 ⇨ 주제・융복합 ; 시대 요청 반영- 능력형)

    (세 가지 모형- 기관형・학부형・절충형; 운영 주체에 따라 점진적인 개선 모델)

    3) 현행 교육과정 분석 및 단계별 개선: 전공 ⇄ 교양 호환 후 교양 ⇔ 전공 통합식 접근

    (1차- 교양교육 자체 변화 ; 2차- 학과 교양・전공 병렬・호환 ; 3차- 구분 폐지・통합)

    4) 교양 교육과정 개혁의 원리와 변인 고려 및 개선 과정 중시와 대학 문화의 변형 유도

    (원리- 과정과 문화 중시 ; 주요 변인- 분산 리더십, 구성원 참여, 양방향 소통)

    5) 세계적 수준 지향: 국내외 우수 프로그램 사례 조사・검토・활용 방안 모색 (21세기의 스킬)

    (대학의 사명과 인재상 바탕 목표 설정, 주제나 능력 중심 교과과정 편성, 평가 통한 개선)

    6. 활용 계획

    1) 본 대학의 학부 교과과정 개편의 방향 설정에 반영, 교과목 개발, 강의에 활용

    (연구 과정에서 인식한 내용 토대로 학부 교과과정 수시 개편 위한 방향 제시)

    2) 학부에서 교양-전공 학업 연계 통합 시스템 정착 후 전체 희망 학과 확대 계획

    (교양교육 본연의 목적 명시, 과목 간 연계성과 학기별 일관성, 전공과의 조화)

    3) 교양교육과 학부교육의 발전을 동시에 겨냥 위해 후속 연구 거친 후 전국 확산

    (학부교육과 교양교육의 선진화를 위한 선도적 역할의 차원에서 장기 계획 수립)

    4) 전문성을 갖춘 공동연구원을 학부의 교과과정 및 대학의 교양교육 연구에 활용

    (학부 교과과정 개선 및 관련 교과목 개발과 운영 후 대학 전체 확대 계획 추진)

    5) 과제 수행 과정에서 파생된 연구주제의 계속 연구를 통한 파급 효과 확대・심화

    (고등교육의 개혁, 교양 교과과정 개선, 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교수・학습법 등)

  • 4-2. 교양-전공 연계교육 교과과정 모형 개발

    217

    7. 후속 연구

    1) 본 과제의 마무리를 위한 결과 논문을 수정・보완 후 학술논문으로 발간할 예정

    (교양-전공 연계교육 교과과정 모델 제안; 학기별 교과목 편성, 기준, 교과 요목 등)

    2) 본 과제 수행 과정에서 파생된 연구 논문을 보완하여 학술논문으로 발간할 예정

    (과정과 문화 기반의 교육과정 개선; 교육과정의 원리와 변인, 사례, 개선 방향)

    3) 단기: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정 대학의 교양 교육과정 개선 실천 위한 경험 연구

    (지속 가능한 교양 교육과정 개선 시스템 구축: 연구 중심 국립 종합대학을 중심으로)

    4) 중기: 평가, 교수・학습법, 영어강의, 교양영어, 문화교육 등에 대한 연구를 지속

    (예: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한 교양 교과목 개발 -문화와 소통 과목을 중심으로-)

    5) 장기: 한국 고등교육의 개혁, 글로벌 교양교육의 혁신 등에 대해 연구할 예정

    (예: 한국 대학에서 교양교육의 지속 가능한 개선을 위한 방법론 성찰과 실천)

    Ⅱ. 주요 내용

    1. 계획

    ○ 필요성 및 목적: 시대와 사회의 변화에 따른 고등교육 및 교양교육의 역할과 위상 변화,

    정보화 시대에 요구되는 교양교육과 전공교육의 연계교육 필요성 대두, 학부교육 혁신을

    위한 학부대학과 자유전공학부 교과과정 모형 개발, 자유전공학부 교과과정 모형을 통해

    교양-전공 연계교육 모델 제시, 교양-전공 연계교육 모델을 국내 대학에 공유 및 확산하

    여 개혁 주도

    ○ 주요내용

    ・ 연구목적 실현 위한 목차(안) (1. 서언 ; 2. 개념정의 및 교육목표 ; 3. 운영모델 제시 및

    활용 ; 4. 운영방향 제안 및 적용 ; 5. 결어 ; 참고문헌 및 부록)

    ・ 교양-전공 연계교육 교과과정 모형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범주 분류

    ◁ 독립학부 모델

    1) 교양학부: 교양 교과과정 중심 (전공 전 교양)

    2) 학부대학: 기초학문 분야 중심 (전공 + 교양)

    3) 자유전공학부: 교양교육 + 자유전공

    ◁ 부속기관 모델

    1) 교양교육지원센터: 정규 교양 교과과정 운영

  • Ⅳ. 교양-전공 연계

    218

    2) 기초교육원: 정규 교양 + 비정규 프로그램 (서울대: 기초전공)

    3) 교수학습지원센터: 비정규 프로그램 + 교양 및 전공 교육 지원

    ◁ 관련학과 모델

    1) 기존학과: 전공 + 교양 강화 (대학본부 주관 독자 관리)

    2) 공동운영: 인문학+사회과학+자연과학 (학부대학・문리대학・교양대학)

    3) 융합개발: 관련 학과 간 통합・복합・통섭・융합 교과목 개발

    ⇉ 중간 평가 과정에서 다른 연구과제와 중복 지적 ⇨ 학과형 모델 중심으로 범위

    축소

    ○ 연구방법: 자료 조사와 분석을 거쳐 유형별 모델 제시 후 교양-전공 연계교육을 위한 종

    합적인 교과과정 모형(안) 제시, 제시된 교과과정 모델들의 운영 방향에 대해 논구하여

    한국 대학에서의 교양-전공 연계교육을 위한 새로운 프레임 구축에 토대 제공, 한국의

    학부교육 선진화에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혁신적 교양-전공 연계교육 교과과정

    모형 개발 모색, 의견 수렴, 자문

    ○ 기대성과: 고등교육 및 교양교육에서 시대와 사회의 변화 수용 및 적극적 대처, 교양교

    육과 전공교육의 연계교육을 통해 지식정보화 시대의 인재 육성, 학부대학과 자유전공학

    부의 교과과정 개혁을 통해 학부교육 쇄신 유도, 교양-전공 연계교육 중심 교과과정으로

    자율전공학부의 정체성 확립, 교양-전공 연계교육 모델의 공유 및 확산을 통해 학부교육

    혁신에 이바지

    ○ 수행일정: 학회 참석 3회, 회의 5회, 연구과제 결과 논문 기고(교양교육, 한국교양교육학

    회, 2012)

    2. 과정

    본 연구 수행과정의 주요 활동내역을 핵심어와 일정을 중심으로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중간 보고: 워크숍 발표- 교기원, 120216 (논문 게재- 교양교육, 120331)

    - 평가 결과: 한국교양기초교육원 평가단 15명 (평균 12점/15점, 상위73%, 120418)

    - 학회 발표: 과정-문화 개선 (한국교양교육학회, 120609, 투고예정- 교양교육, 120820)

    - 학회 발표: 신입생세미나 (한국교양교육학회, 111209, 게재 신청; 비교교육, 120715)

    - 의견 수렴: 10회에 걸친 회의에서 학생, 직원, 교수 등과 의견 교환 및 의견 수렴

    - 자문 의뢰: 교내외 교양교육 전문가 2인(교내1, 교외1) (자문의견 자료 수신; 120620)

    - 결과 논문: 교양-전공 연계교육 교과과정 모델 제안(포럼 발표- 교기원, 120823)

    - 투고 예정: 최종 결과 논문, 교양교육 제6권 4호 (마감; 1201120) (발간; 121230)

  • 4-2. 교양-전공 연계교육 교과과정 모형 개발

    219

    - 씨앗 연구: 후속 연구 자료 확보 (고등교육, 교양교육, 교과과정, 교수법, 평가 등)

    - 개편 신청: 연구결과 반영한 학부 교과과정 수시 개편 신청 (부분 개편; 121030)

    3. 결과

    [중간보고용 논문]

    제목: 교양-전공 연계교육 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예비 고찰

    기관 모형: 범주 분류 (핵심, 기초, 심화, 일반, 특수) + 전공 연계

    학부 모형: 학기별 교양 교과목을 전공 병행 편성 및 연계 운영

    절충 모형: 중핵・복합・주제・융합 교양 + 전공 연계

    [결과 논문 구상]

    제목: 교양-전공 연계교육을 위한 교과과정 모델 제안

    1. 서론

    2. 목표 설정

    3. 교과목 편성 및 운영

    3.1 학기별 편성

    3.2. 교과목 개요

    3.3. 운영 방식

    4. 교과과정 개편 방식

    5. 결론

    이 논문은 주로 각 학과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양-전공 연계교육용 교과과정 모델을 다루며,

    이러한 교과과정 개편이 비교적 용이한 학부의 교과과정을 염두에 두기로 한다. 작성 과정에서

    우선 학부의 목적, 인재상, 대학의 교시 등과 관련하여 학부의 교육목표를 설정하려고 한다.

    전 학년 병행 편성이라는 취지에 맞게 학기별 교과목을 선정한 후 각 과목의 요목과 운영방식

    등에 대해 논의하기로 하겠다. 뿐만 아니라, 다른 학과에서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과과정을 개

    편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므로 이에 대해서도 다루기로 하겠다. 연구 과정에서 인식한

    교양교육의 목적을 감안하여 잠정적으로 선정한 교과목과 간단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 마일스톤세미나: 대학 신입생 시절은 인생의 전환기, 학문의 기초 이해

    - 사고능력계발론: 학문과 직업 세계에서 중요시하는 핵심역량 직접 다룸

    - 비평적읽기쓰기: 학문 활동에서 필수적인 능력을 통합적으로 묶어 학습

    - 창의성과혁신론: 현대 사회에서 요구되는 매우 중요한 능력의 이해 연마

  • Ⅳ. 교양-전공 연계

    220

    - 주제탐구세미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시각의 접근

    - 봉사학습세미나: 인성과 공동체 정신 함양과 더불어 경험학습 실천 기회

    - 지식융합세미나: 최근의 학문 경향에 따라 여러 전공 학생들이 지식 융합

    - 캡스톤자율연구: 대학에서 배운 능력 바탕의 연구력 배양과 평생학습 준비

    여기서 제시한 과목들은 교양교육의 목적과 시대적 요구를 고려하여 개발할 예정이다. 이

    과목들을 학부 차원에서 개발하여 전공과목 혹은 교양과목으로 개설할 수 있으며, 성공 여부

    에 따라서는 다른 학과에서 부분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4. 한계

    중간보고 평가에서도 지적되었듯이, ‘국내 교양교육 관련 기관 운영현황에 대한 조사 및 분

    석이 미약’하며, 외국의 사례로 미국과 일본의 대학들을 중심으로 조사하다 보니 세계적인 경

    향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또한, 현황 분석에서 기술된 국내 대학과 국

    외 대학 자료는 이미 기존자료들에 소개되어 있는 것을 활용한 관계로 참신성이 부족하다는

    평도 있었다. 중간보고용 논문에서 세 모형의 내용에 대한 기술과 아울러 한계나 장점에 대한

    기술이 부족하여 각 모형에 대한 차별적 이해가 어려웠다는 의견도 있었다.

    5. 의의

    중간보고 평가자 1에 의해 기술된 것처럼,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우리나

    라 대학의 교양-전공 연계 교육을 위한 교과과정 개발을 목적으로 기관형, 학부형, 절충형 모

    델을 제시하여 각 유형별 교과과정 모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

    다. 평가자 2의 견해에 따르면, ‘이미 연구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며, 타 기관에서 참고할 수

    있는 자료 제공이 보완’되면 더욱 의의가 있을 것이다. 평가자 5의 의견에서 나타났듯이, ‘선

    결 과제를 중장기・단기 과제로 분류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Action Plan 형태로 제언하면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평가자 7의 심사평에 따르면, ‘교양-전공연계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취지와 필요성을 충분히 수행’했다고 볼 수 있으며, 각 모형의 한

    계나 장점에 대한 기술이 보충된다면 본 연구의 의의는 한층 증가할 것이다. 또한, 연구 수행

    을 통해 교양교육에 대한 성찰, 연계교육을 위한 모델과 변용 가능성 제시, 학부 교과과정 개

    편 준비, 한국교양기초교유원의 위상과 역할 인식, 공동연구원과 연구보조원의 연구 경험, 본

    연구를 씨앗 연구로 삼아 후속 연구를 통해 넓이와 깊이 보강 등의 측면에서 본 연구의 의의

    를 찾을 수 있겠다.

  • 4-2. 교양-전공 연계교육 교과과정 모형 개발

    221

    Ⅲ. 세부 내용

    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시대와 사회의 변화에 따른 요구를 반영하는 고등교육이 필요하고, 현대 사회의

    복합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세분화된 학과 단위의 전공교육 중심의 교육만으로는 부족하

    다는 배경에서 출발하였다. 편협해질 수 있는 전문지식 위주의 교육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교

    양교육이 전공과 대등한 위상과 역할을 해야 하며, 이는 교양과 전공 학업을 연계할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을 통해 가능하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교양과 전공의 경계를 해체

    함으로써 혁신적인 고등교육으로 통합해야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양과 전공이 구분이 불가피한 현재의 상황에서 연계교육의 중요성을 역설

    하고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교육과정 모형을 개발할 것을 제안하고자 했다. 전체 학생을 대상

    으로 전 학년에 걸쳐 교양 성격의 교과목을 전공 교과목과 횡적으로 병행 편성하여 연계교육

    을 실시하면서 상호 보완하고 궁극적으로는 통합교육을 지향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한다. 이

    를 위해 중간 연구에서는 운영 주체별로 세 가지 모형을 제안하고 결과 연구에서 학과용 교

    과과정과 학기별 교과목을 제안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이다. 이로써, 교양 학업과 전

    공 학업이 연계되는 교육과정을 부분적으로 제시하려고 한다.

    2.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 내용을 기반으로 삼아 중간보고 논문, 관련 연구, 파생 연구, 결과

    논문, 후속 연구 등을 병행하여 연구주제의 넓이를 확대하고 깊이를 심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정보와 자료 기반의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연구하여 논문을 작성하고, 작성된 논

    문을 학술대회・워크숍・포럼 등에서 발표하여 토론문, 질답내용, 개인 제안 등의 자료를 보충

    자료로 활용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와 더불어, 중간보고서의 평가 내용과, 논문

    심사의견을 반영하여 수정・보완하는 방식도 병행하였다. 뿐만 아니라, 여러 계층의 관련자들

    로부터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회의를 개최하였으며, 전문가 자문을 받기 위해 국내외 교양교

    육 관련 전문가 두 분에게 자문을 의뢰하기도 하였다.

    3. 연구 내용

    [연구계획서 제출 전 과제 구상] (110731)

  • Ⅳ. 교양-전공 연계

    222

    주제: 교양-전공 연계교육 연구

    과제명: 교양-전공 연계교육 모델 기반 구축

    [중간보고용 논문 구상] (111024)

    제목: 교양-전공 연계교육 교과과정 모형

    [중간보고용 논문 구상 수정] (120102)

    1. 서론 : 필요성 및 목적 (학문 + 직업 준비 경쟁력 강화)

    2. 개념 정립: LE + GE (개념의 광역화)

    3. 현황: 국내(손동현, 민경찬, 연세대, 성대, 기타) / 국외 (허친스/아들러 : 듀이)

    4. 교육 목표의 중요성: 대학별 목적, 목표, 세부목표, 학생의 학습 성과

    5. 모형: 독립기관(기교원, 교양센터, 교양학부), 독립대학(학부대학), 독립학부(자전부) (기관

    및 학부 모형 제시) (기관: 희망 학과 시범 운영 -> 학과 확산) (학부 모형 -> 학과 확산)

    6. 평가 시스템: 교양교육의 목적, 교육목표, 세부목표, 학습 성과 중심 도구 개발

    7. 결론: 목적 명시, 모형 선택, 평가 강화, 자전부 모델 (4년: 교양 + 전공) -> 변용 확산

    (개칭: 글로벌교육학부? (비전, 철학, 목적, 목표, 세부목표, 학습성과(학생능력), 모형(학

    년-학기별 교과목 사례), 평가 시스템 구축, 향후 연구제안

    방향: 글로벌시대와 지식정보화사회에서 기존의 지식과 정보를 활용하여 비판적・종합적・창

    의적 사고를 통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기 위해 통합, 통섭, 융합하는 능력 (탐구능

    력), 글로벌 시민의식,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사고력과 소통력

    주요 내용: 탐구, 경험, 참여

    [중간보고용 논문 작성을 위한 면담 자료] (120103) (기초교육원 교양교육지원센터장)

    [중간보고용 논문 작성을 위한 면담 자료] (120107) (대학본부 보직자)

    [중간보고용 논문 구상 수정] (120111)

    제목: 교양-전공 연계교육 교과과정 모형 개발을 위한 선행조건

    [중간보고용 워크숍 발표 원고 구상] (120120)

    제목: 교양-전공 연계교육 교과과정 모형 개발 시론

    1. 서론: 배경, 필요성, 목적, 범위, 방법, 내용

    2. 전제 요건: 개념 현실화, 목표 명문화, 과정 민주화, 평가 시스템

    3. 현황 분석: 국내의 사례(기관・대학・학부; 선행조건 연관), 외국의 사례(미국・중국・일본・홍콩)

  • 4-2. 교양-전공 연계교육 교과과정 모형 개발

    223

    4. 모형 제안: 학부 단위 교과과정 (자율전공학부 ⇨ 학과 확산) (다른 대학의 경우 특성에

    따른 변용)

    5. 결론: 전제 요건 완비 필요, 현황 요약, 모형 의의 및 확산 가능성, 연구 한계, 후속 연구

    제안(전제 요건 충족을 위한 심층 연구; 개념, 목표, 과정, 평가 / 적용 과정의 문제와 개

    선; 경험 연구를 통한 데이터 중심 근거 확보)

    [한국교양기초교육원 주최 워크숍에서 연구과제 중간평가용 논문 발표] (120216)

    [중간보고용 논문의 주요 내용]

    제목: 교양-전공 연계교육 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예비 고찰

    목차: I. 서론, II. 현황 분석(II.1 국내 현황, II.2 외국 현황), III. 모형 제안(III.1 기관형,

    III.2 학부형, III.3 절충형), IV. 선결 과제, V. 결론

    주요 내용: 3모형 제안 (기관 모형- 핵심교양, 기초교양, 선택 필수, 심화교양, 일반교양, 특

    수교양(선택) ; 학부 모형- 전 학년에 학기별 교양 교과목 편성 ; 절충 모형- 전 학년

    학기별로 중핵, 복합, 주제, 융합 교과목 편성)

    [결과 논문 브레인스토밍] (120222)

    통합형 모델 (기관+단대+학과) (대규모 연구 중심 국립 종합대)

    자율전공학부 모델: 통합 (교양 ⇔ 전공)

    교육의 목적: 21세기형 창의적, 융합적, 봉사적 인재 육성

    교육 목표: 사고력, 소통력, 정보력, 문화인, 봉사인

    [결과 논문 초안 구상] (120427)

    제목: 교양-전공 연계교육을 위한 교과과정 개발

    1. 서론

    2. 개념 정의? (교양, 전공, 연계) (교양과 전공의 성격 규정, 구분을 넘어 통합을 위해 연계)

    3. 국내외 동향: 국내 현황, 미국 사례

    4. 모형 제안: 학부형 모형(병행-심화), 본부-학과 분담 모형(교양; 1-4수준, 이론 ⇨ 전공;

    5-6수준, 세미나, 경험 병행 심화) (예: 학문방법론 - 주제탐구세미나/지식융합세미나, 봉

    사학습론 - 지식봉사세미나 등) (전 학과: 신입생 세미나, 캡스톤 세미나, 전공교양세미

    나) (능력, 학습 성과, 평가 기반)

    5. 결론

  • Ⅳ. 교양-전공 연계

    224

    [결과 논문 초안 수정] (120527)

    제목: 교양과 전공 학업 연계교육을 위한 교과과정 운영 구상

    [결과 논문 구상 보완] (120719)

    제목: 교양-전공 연계교육을 위한 교과과정 모델 제안

    1. 서론: 배경, 필요성, 목적(학과용), TS(전 학년 전공과 병행 ⇨ 통합), 개요(교과목)

    2. 목표 설정: 교시와 인재상, 학부교육・교양교육의 목적, 학부의 학습목표・학습성과

    3. 학기별 교과목 편성 및 운영

    3.1 교과목 편성 : 학기별 교과목, 교과 요목, 학습목표, 학습내용

    3.2. 운영 방식: 수업방법(학습자 중심, 경험 병행), 평가방법(포트폴리오), 개선 환류

    4. 교과과정 개편 방식: 개발과 확대 방식, 과정・문화・변화이론 적용

    1) 학부 개발 ⇨ 전체 학과 적용 / 희망 대학・학과 부분 적용 및 확대

    2) 대학 개발 ⇨ 학과별 선택 적용 및 확대 (교양 전담기관에서 공모 및 평가)

    3) 공동 개발 ⇨ 학과・단대・대학 전체・선택 적용 및 확산

    5. 결론

    이와 더불어, 중간보고용 논문 심사 과정에서 제시된 ‘연계의 정의 필요’라는 의견을 반영하

    기 위하여 연계에 대한 정의를 조사한 결과, ‘연계성(articulation, 連繫性)’이라는 개념을 통해

    이해할 수 있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연계성이란 ‘학년 사이나 학교 수준 사이의 교육내용이

    적절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말이며, 이는 교육내용들이 서로 의미 있게 구분된다는 것과 그

    사이의 관련이 원활하다는 것을 동시에 나타내는 말이다. 이 점에서 연계성은 학년 사이나 학

    교 수준 사이의 교육내용이 계속성(繼續性)과 계열성(系列性)의 원칙에 맞게 조직된 상태를 가

    리킨다고 볼 수 있다.13) 그러나 연계성은 반드시 종적(縱的) 관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교과군(敎科群) 사이의 횡적(橫的) 관련을 나타내는 말로도 쓰인다. 예컨대 대학교육에

    서 교양과목과 전공과목의 연계는 이런 뜻으로 사용된 것이다.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양

    교육과 전공교육의 연계라는 말을 교과과정에서 전 학년에 교양 과목과 전공과목을 횡적으로

    병렬하여 편성함으로써 교양 학업과 전공 학업을 연계하는 것에 국한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이는 둘 사이의 구분을 지양하면서도 현재로서는 별도로 사용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한 것이

    며, 본 과제의 궁극적인 의도는 교양과 전공 사이의 벽을 허물고 상호 호환하여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여기에 연구진의 의견을 추가하자면, 연계교육과 관련하여 전공과 교양의

    13) http://terms. naver.com/entry.nhn?docId=511547 참조.

    14) 연계성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 articulation은 언어학, 공학, 음악, 교육, 사회학, 해부학, 건축학, 식물학 등에서도

    각각 다른 의미의 전문용어로 쓰이고 있어서 가히 학문 횡단형 용어로 보아도 무방함. 그밖에 백과사전에 의하면 이

    용어가 호주와 미국의 교육에서 ‘강좌 연계(course articulation)’라는 보다 특수한 의미로 쓰이기도 하는데, 이는 중

    등과 고등 교육기관 사이에서 전이되는 강좌들의 내용을 비교하는 과정을 말함. 이전 단계에서 이수한 과목의 학점을

    인정하기 위한 일종의 요건 충족 심사 절차라 할 수 있음. (http://en.wikipedia.org/wiki/Articulation_(education)).

  • 4-2. 교양-전공 연계교육 교과과정 모형 개발

    225

    병행, 명시적 구분 지향, 호환 가능성(예: 학과 전공기초 ⇔ 대학 통섭형 교양), 상호 보완(교

    양; 전체, 보통지식 ⇄ 전공, 학과, 전문・특수지식), 조화와 균형 등을 생각해 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통합교육을 지향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더하여, 대학・고등교육의 사명, 교양교육의 정의・목적・역할 등에 대한 연구를 위해 본

    과제와 관련된 연구를 병행하여 수행하였으며, 여기에는 신입생교육, 과정-문화 기반 개선, 외

    국 HS 프로그램의 한국형 적용, 경험학습 등의 주제로 연구한 논문들이 포함되는데, 다음 부

    분에서는 이에 대해 정리하기로 한다.

    [결과 논문 준비] (학과용 모형 제안)

    구체적인 심화 모형 제안 ⇨ 학부 활용 ⇨ 다른 학과 선택 적용에 활용

    학과: 전공 + 자체 교양 ⇔ 학부: 전공 병행, 교양 특성 강화 (예: 마일스톤세미나; 학과 성

    격에 따라 교양/전공 편성, 학부(전공 탐색 강화), 학과(전공 개관; 전공기초세미나 ->

    다른 학과의 학문 횡단형 교양/전공 제공 가능)

    학부 교과과정의 교과목 성격

    교양 성격: 전공 학업의 기초, 융합, 방법 중심 (예: 마일스톤, 사고능력, 비읽쓰, 창의성, 주

    탐세, 봉사학습, 지융세, 캡스톤) (자과전공과 복수전공 준비)

    전공 성격: 교양학업의 자료, 지식, 정보, 배경 (기초학문 + 응용학문) (자과 + 타과)

    연구 수행과정에서 인식하게 된 교양교육의 역할: 학문 기초, 사고력 증진, 표현력 신장, 창

    의성 계발, 주제별 학습, 봉사정신 함양, 지식융합 능력 고양, 자율탐구 능력 완비 등 대학에

    서 고등교육을 받은 졸업생으로서 갖추어야 할 능력 교육

    4. 연구 결과

    본 과제 수행을 통해 ‘문제 찾아 해결하기’를 실천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교양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공감하는 것으로 전제한다면, 교양 학업과 전공 학업이 연계되는 교육과정

    을 개발하기 위해 몇 가지 문제를 제기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기한 문제와 해결

    전략은 다음과 같다.

  • Ⅳ. 교양-전공 연계

    226

    1. 현재의 교양 교육과정은 시대와 사회의 요청에 부응할 수 있을 정도로 적절한가?

    중간 연구: 국내외 현황을 비교한 결과 외국은 중핵, 배분, 분산 등의 방식에서 주제와 능력

    중심으로 바뀌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외국에 비해 국내 대학들의 교양 교육에서 교육

    목적과 학습목표 설정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우선은 교양 교육 자체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에 도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교양 교육과정 운영 실정을 감안하여 변화를

    위해 고려할 수 있는 모형을 운영 주체별로 제안해 보았다. 그 결과, 현행의 분과학문 중심

    교과과정 편성을 탈피하여 주제, 능력, 융복합 중심의 변화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운영 주

    체별 교양 교육과정 모형을 제시해 보았다. 현행 체재 하에서 실현 가능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범주를 ‘주제, 복합, 융합’ 등으로 분류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교과목 사례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한‘주제탐구세미나’와 통섭형 교과목이라 할 수 있는 ‘문화와 소통’

    등을 제안하였다. 뿐만 아니라, 분명한 목표 설정, 평가 시스템 구축 등 선결해야할 과제도

    언급하였다. 이로써 교양 교육과정 자체를 시대와 사회의 변화를 감안하여 개선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였다.

    2. 교양-전공 연계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을 대학 차원에서 단기간에 개선할 수 있는가?

    결과 연구: 대학 문화의 복합성을 고려할 때 교양 학업과 전공 학업을 연계하여 실행할 수

    있는 교육과정 개선은 중장기적인 노력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단기간에 시범적으로 운영

    한 후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전략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가능하게 해줄 수 있는

    모형은 학과 단위의 교양-전공 교과목의 횡적 연결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시대와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 역량이라 할 수 있는 ‘복합적인 문제를 스스로 찾아 창의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종합적 안목의 비교・분석・평가・판단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신입생에서 졸업할

    때까지 전 학년에 걸쳐서 학기별로 단계적 이수가 가능한 교과목을 제안하였다. 여기서 제안

    한 교과목들은 교양과 전공의 구분을 넘어서서 상호 보완적인 성격을 지닌 것들이다. 따라서

    각 학과에서는 이러한 종류의 교과목을 적어도 1년에 한 과목 정도는 전 학년에 편성하는 것

    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3. 교양-전공 학업의 연계와 통합을 위한 지속 가능한 교육과정 개선책은 무엇인가?

    후속 연구: 현재 한국 대학의 교육과정은 교양과 전공을 구분하여 분리 운영하는 경향이 강

    하며, 교양교육이 전공교육의 부속물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로 인해 교양 교육과정이 대체로

    분과학문 중심의 편성되어 있는 실정이다. 전공 교육과정도 지나치게 세분화된 학문의 결과를

    반영하고 있어 각 학과의 교과과정에 편성된 교과목들이 매우 지엽적이고 부분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다. 21세기에 요구되는 능력을 갖춘 인재를 교육하기 위해 두 교육과정 모두 변화가

    필요하며, 교양 교육과정부터 개선한 후 전공 교육과정에도 파급시켜 연계된 학업을 가능하게

  • 4-2. 교양-전공 연계교육 교과과정 모형 개발

    227

    해야 한다. 연계교육의 과정을 거쳐 궁극적으로 상호 보완적이고 통합적인 교육 시스템으로

    발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의 문화를 변형하는 일이 필요하고 과정을 중시하는 개선

    시스템이 정착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단기적으로는 유형별 교육과정 개혁을 위한 실천적

    이고 경험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개혁의 원리와 변인을 고려하고 변화이론을 적용하

    는 일이 전제되어야 한다. 중장기적으로는 대학 고유의 문화를 존중하면서도 변화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하여 미래형 인재 교육에 적절한 조화롭고 균형 있는 교양-전공 연계교육 시

    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한국 고등교육의 개혁, 대학별

    교과과정의 특성화, 학습자 자율성을 중시하는 교수법 개발, 각종 교육 프로그램의 성과와 학

    생들의 학습 성과를 측정하여 개선에 환류하는 평가 시스템 개발 등을 위한 연구가 병행되어

    야 한다.

    [교양-전공 연계교육 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예비 고찰] (중간보고용 논문)

    운영주체별로 세 가지 모형 제시: 기관 모형, 학부 모형, 절충 모형

    기관 모형 (현행 교양 교육과정의 기본 틀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

    1) 핵심교양(9): 대학 필수 (대학생으로서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연구능력 방법론)

    2) 기초교양(3): 선택 필수 (전공 학습을 위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 기초지식)

    3) 심화교양(9): 학과 필수 (교양교육 및 전공지식을 심화하는 데 필요한 세미나)

    4) 일반교양(15): 자유 선택 (인문학/사회과학/자연과학 분야에서 제공하는 교과목)

    5) 특수교양(선택): 단대와 학과의 특수성을 고려한 교과과정 별도 편성

    학부 모형 (학과 단위에서 전공 교과목과 횡적 병렬 혹은 교양 ⇄ 전공 호환)

    절충 모형 (현행과 미래형 교과과정 조합, 분과학분 중심 ⇨ 주제・융복합 방향)

    요약: 이 연구는 한국의 대학이 전문지식 교육에 지나치게 편중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

    다는 문제의식과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양교육과 전공교육을 연계하는 교과과정

    을 개발해야 한다는 필요성에서 출발한다. 연구 목적은 한국의 대학에서 교양교육이

    전공교육과 대등한 위상으로 고등교육의 사명과 역할 수행에 기여하도록 교양 교과과

    정을 개혁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교양 교과과정을 전 학년에

    걸쳐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편성하여 전공교육과 병행할 수 있도록 개편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한다. 한국의 모든 대학에서 단일 교과과정 모델을 적용하기는 어렵기 때

    문에 다양한 모형을 개발하여 대학별 특성에 맞춰 변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교양

    -전공 연계교육을 위한 교과과정 편성 및 운영에 앞서, 교양교육의 개념을 현대화하고

    목표를 분명히 제시하여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는 일이 전제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교양교육의 개혁 과정이 민주적이고 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 Ⅳ. 교양-전공 연계

    228

    [교양-전공 연계교육을 위한 교과과정 모델 제안] (결과 논문 구상)

    1. 서론: 배경, 필요성, 목적(학과용), TS(전 학년 전공과 병행 ⇨ 통합), 개요(교과목)

    2. 목표 설정: 교시와 인재상, 학부교육・교양교육의 목적, 학부의 학습목표・학습성과

    3. 학기별 교과목 편성 및 운영

    3.1 교과목 편성 : 학기별 교과목, 교과 요목, 학습목표, 학습내용

    1-1: 마일스톤세미나(⇦인문전공탐색세미나)(신입생세미나/전공기초세미나)(학문 기초)

    1-2: 사고능력계발론(분석적/종합적/논리적/비판적/창의적 사고 이론과 연습) (진리)

    2-1: 비평적읽기쓰기(학문과 직업 생활의 핵심 자질, 이론과 연습 통해 훈련) (기초)

    2-2: 창의성과혁신론(시대와 사회의 요구 반영, 이론과 경험 학습 병행 실시) (창조)

    3-1: 주제탐구세미나(세계와 지역의 현실적인 주제에 대한 탐구 기회 제공) (심화)

    3-2: 봉사학습세미나(인성 함양과 지식봉사의 실천, 이론과 체험 학습 실시) (봉사)

    4-1: 지식융합세미나 (최근 경향 반영하여 다양한 전공 학생들의 협력학습) (심화)

    4-2: 캡스톤자율연구 (이전에 익힌 능력과 자질을 기반으로 새로운 지식 창출) (논문)

    (기타: 글로벌일상영어・글로벌학술영어, 문화와소통, 동서양고전읽기)

    3.2. 운영 방식: 수업방법(학습자 중심, 경험 병행), 평가방법(포트폴리오), 개선 환류

    4. 교과과정 개편 방식: 개발과 확대 방식, 과정・문화・변화이론 적용

    1) 학부 개발 ⇨ 전체 학과 적용 / 희망 대학/학과 부분 적용 및 확대

    2) 대학 개발 ⇨ 학과별 선택 적용 및 확대 (교양 전담기관 공모)

    3) 공동 개발 ⇨ 학과・단대・대학 전체・선택 적용 및 확산

    5. 결론

    교양과 전공의 연계교육을 위해서는 교양교육부터 분과학문 중심 배분 방식에서 능력 중심

    편성으로 바뀌어야 하며, 교양과 전공을 구분하기보다는 상호 보완의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교양교육에서는 전공지식을 활용하며, 전공교육에서는 전문지식뿐만 아니라

    교양 능력을 연마하고 심화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마일스톤의 경우 각 학과에서는 전공기초

    로 변용하여 전공에 대한 전반적이고 종합적인 개관을 시도할 수 있을 것이다. 사고능력은 학

    문과 직업에서 공히 요구되는 필수적인 능력이므로 전공교육에서도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

    는 학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읽기쓰기도 전공교육에서 지속적으로 실천함으로써 심화해야 하

    는 능력이다. 창의혁신을 전공과 접목하는 것은 예를 들어 공대, 경영대, 예술대 등에서는 이

    미 보편화되어 있다. 주제탐구는 탐구능력을 길러 전공 학업에 활용할 수 있는 교과목으로 볼

    수 있다. 봉사학습은 전공지식 나눔의 실천을 위한 이론적 경험적 학습의 장을 제공할 수 있

    으며, 대부분의 학문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고 도입할 만한 내용이다. 지식융합은 종합적 안목

    의 전공 학업을 가능하게 해줄 것이며, 복수전공 활성화와 다양한 전공 학생들의 협력학습에

    도 도움을 줄 것이다. 자율연구는 고등교육을 받은 교양인으로서 스스로 문제를 찾아 해결하

  • 4-2. 교양-전공 연계교육 교과과정 모형 개발

    229

    는 능력을 완비하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며, 평생학습 시대를 준비하는 역할도 할 수 있을 것

    이다.

    교양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전공 교수들이 수용할 수 있으려면 교양교육부터 변화해야

    한다는 사실에서 출발하여, 교양과 전공 학업을 연계하는 교육을 위해 우선 학과 단위로 적용

    할 수 있는 전 학년 학기별 교과목을 제시해 보았으며, 각 교과목의 요목과 운영방식 등에 대

    한 내용을 보충할 것이다. 여기서는 하나의 사례만 제시한다.

    [교과 요목 자료 예시]

    ▢ 창의성과혁신론

    Trilling(2009)에 의하면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학생들이 학습을 위해 필요한 스킬들이 크

    게 3 종류가 있는데, 여기에는 학습과 혁신 스킬(LIS; Learning and Innovation Skills), 정보 문

    해 스킬(DLS; Digital Literacy Skills), 직업과 생활 스킬(CLS; Career and Life Skills) 등이 포함

    된다.15) 이들은 각각 하위 스킬로 분류될 수 있으며, LIS에는 창의성과 혁신, 비판적 사고와

    문제 해결, 소통과 협력 등이 포함되고, DLS는 정보 문해, 미디어 문해, 정보통신기술 문해 등

    으로 나뉘며, CLS에 속하는 하위 스킬은 유연성과 적응성, 주도성과 자기방향, 사회적-상호문

    화적 스킬, 생산성과 책무성, 리더십과 책임감 등이다. 또한 젊은이들을 혁신가로 만드는 것으

    로 놀이, 열정, 목적이라는 3P(Play, Passion, Purpose)를 언급하는 경우도 있다.16) 학교와 직장

    에서 필요한 능력은 협력, 학제적 문제해결, 내재적 동기에 기반을 둔 혁신 문화를 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미래의 젊은이들이 변화를 창조할 수 있는 로드 맵을 고등교육이 제공해

    야 한다는 입장을 받아들여 교과목을 개발이 가능하다.

    5. 활용 계획

    본 연구를 통해 산출된 결과는 일차적으로 본 대학의 학부 교과과정 개편의 방향 설정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연구 과정에서 수집한 정보와 자료들을 바탕으로

    교과목을 개발하여 강의에 활용할 예정이다. 학부에서 교양과 전공 학업을 연계하고 통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정착시켜 본 대학의 전체 학과에 확산시킴으로써 교양교육과 학부교육의

    발전을 동시에 겨냥하는 것이 궁극적인 활용 계획이라 할 수 있다. 지속적인 후속 연구를

    통하여 연구 결과의 학술적 가치가 검증되면 전국 대학에 확산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을 것

    이다.

    15) Trilling, B. (2009). 21st Century Skills: Learning for Life in Our Times. Jossey-Bass.

    16) Wagner, T. (2012). Creating Innovators: The Making of Young People Who Will Change the World.

    Scribner.

  • Ⅳ. 교양-전공 연계

    230

    연구 과정에서 인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학부 교과과정 수시 개편을 위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게 되었으며, 목표 설정과 교과과정의 일관성 고려, 대학 졸업생으로서 갖추어야 할 능력,

    학부의 설립 취지, 인재상, 교육목적, 세부목표, 특성화 등을 구체적으로 명시 필요, 교과과정

    편성에서 학부의 교육철학 반영 및 과목 간 연계성 확보로 체계적인 운영 등에 대해 정리할

    것이다. 교양 과목과 관련하여, 다양한 수강 기회 제공 고려, 원래 의미의 교양교육 재고 등

    에 대해 언급하였다. 전공 교과목에 대해 과목별 연계성을 통한 특성화 검토, 단계별 능력 계

    발 고려, 현행 유사중복 교과목의 통합 및 교수와 학기별 연계성 있는 과목 개설, 학부의 특

    성을 살릴 수 있는 교과목 개발의 타당성 검토 및 신규 개발, 한국교양기초교육원 과제 관련

    교과목 개설 여부 검토, 학부교육과 교양교육의 선진화를 위한 선도적 역할의 차원에서 장기

    계획 수립 등에 대해 명시하고자 한다. 이상에서 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2학기에 신청할 학

    부 교과과정 개편에서는 본 연구의 수행 과정에서 산출된 결과들을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이

    를 위해 결과 논문에서는 각 교과목의 요목과 강의내용 등을 명시할 계획이다.

    Ⅳ. 연구 성과

    1. 참여와 성찰

    - 학술대회, 워크숍, 포럼 참여 / 토론회와 학술대회 개최 및 참여 과정에서 고등교육과 교

    양교육에 대해 깊이 있는 성찰을 경험

    - 교양 학업과 전공 학업 연계에 대한 기본 입장: 전 학년에 학기별로 전공과목과 병행 편

    성하여 단계별 이수 가능성 제공

    [연계의 단계별 과정]

    1단계: 횡적 병렬 (구분 현실) (교양+전공) (범주・영역별 ⇨ 주제별・블럭형) (3모형)

    2단계: 상호 호환 (경계 횡단) (교양⇄전공) (학부 개발 ⇄ 대학・학과 적용) (학과형)

    3단계: 통합 운영 (융합 지향) (학부 개발・적용 ⇔ 대학・단대 개발・적용) (특성화형)

    [현행 교양 교육과정의 특징과 개선 방향]

    - 고등교육에서 교양교육은 보조 수단 ⇨ 고등교육에서 교양교육은 중심 목표

    - 교양교육의 목적의식 부족 ⇨ 대학의 사명, 교시, 인재성 연계 목적 명시화

    - 교양 교육과정을 전공 교육과정과 분리 운영 ⇨ 두 교육과정을 연계 운영

    - 저학년 중심・연계성 부족 이수 ⇨ 전 학년・단계별 이수・상호 연계성 강화

  • 4-2. 교양-전공 연계교육 교과과정 모형 개발

    231

    - 기초학문 분야의 세분화된 교과목 중심 ⇨ 광역화・주제형・복합형・융합형 유도

    - 교양 교과목 인정 기준 모호(백화점식) ⇨ 교양 교과목의 승인 기준 명료화(대학)

    - 교양 교과과정의 획일성(모방) ⇨ 교양 교과과정의 특수성(대학의 인재상・특성화)

    - 공급자 중심의 교양교육 제공 ⇨ 수요자 요구 충족형 교양교육 개혁(시대상・사회상)

    - 이론 중심의 지식 습득 위주 교육 ⇨ 경험 연계를 통한 필수 능력 함양 지향

    - 분과학문의 전공학습 준비용 인식 ⇨ 진로 연계 및 평생학습 준비 차원의 접근

    - 대학 본부나 전담 기관 주도의 운영 ⇨ 단과대학이나 학과 단위와 분담 역할 모색

    - 성적이나 수업평가 중심의 평가제도 ⇨ 학생의 학습 성과나 능력 성취도 중심 평가

    - 소수 주도의 하향식・즉흥적 개선 ⇨ 구성원 참여와 양방향 소통 방식 시스템 구축

    - 대학 본부의 일방적・하달식 개선 노력 ⇨ 대학 고유의 문화 고려한 과정 중심 개혁

    [연계교육 실현 단계]

    분과 학문 단편 지식 ⇨ 21세기에 필요한 핵심 능력 고려 전공과 횡적 병렬(능력 + 전문지식)

    ⇨ 상호 보완 ⇨ 통합 교육

    [본 과제의 단계별 연구 내용]

    중간 연구: 교양교육 틀 바꾸기 (교양부터 변화; 배분 ⇨ 주제・능력, 전공 연계 기반, 전공

    인식 전환 토대 제공)

    결과 연구: 횡적 병렬 (학부 교과과정; 전 학년 학기별 편성 ⇨ 대학 전체 혹은 다른 학과

    교양으로 확대 적용 준비

    후속 연구: 호환(학부 전공 ⇄ 대학・학과 교양) (학부 개발 과목 후 희망 학과 확대)

    통합(대학・학부・학과; 교양 ⇔ 전공) (고등교육; 핵심능력 + 전문지식)

    2. 모델과 확산

    본 연구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한국 대학에서 모델로 활용할 수 있는 모형들을 제시하

    였다.

    3. 준비와 활용

    - 특정 유형 대학 개편을 위한 자료 준비 ⇨ 다른 대학에서의 선별적인 확산을 준비함

    - 학부에서 교과과정 개편 후 활용 ⇨ 대학 내의 다른 학과들에서 확대 적용을 준비함

    - 심화된 연구를 통해 학부 교과과정 개편을 준비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으며,

  • Ⅳ. 교양-전공 연계

    232

    다음 학기 수시 개편 신청에서 활용하여 교과목을 개발하여 운영한 후 대학 전체에 적용

    할 수 있는 교과과정과 교과목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였음

    - 자문, 회의 등을 통해 학부 관련 교수, 조교,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연구에 반영

    함으로써, 다음 학기 예정인 학부 교과과정 개편 신청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자료와 근

    거를 마련하여 교과과정 수시 개편 신청서 작성의 기반을 마련하였음

    - 교내외 전문가 자문을 통해 공통으로 제시된 의견에 따라, 학과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구체

    적인 교과과정 편성, 과목별 교과 요목과 운영 방법 등의 제안에 활용할 예정임

    - 본 과제 수행을 통해 전문성을 축적한 공동연구원이 확보하고 있는 지식과 정보를 학부

    교과과과정 개편 신청과 대학 교양교육의 혁신적 개혁에 적극 활용할 예정임

    4. 전문성 증진

    - 박사급 공동연구원 활용으로 학문 후속세대 육성에 기여함. 학부 재학생을 연구보조원으

    로 활용함으로써, 연구에 대한 기본적인 능력과 행정업무 처리와 관련된 경험을 통해 대

    학 졸업생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자질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되었음

    - 박사급: 교양교육지원센터 업무 경험과 본 연구 수행 과정에서 학회・워크숍・포럼 참여와

    발표, 논문 작성 등의 활동 과정에서 얻은 지식과 정보를 바탕으로 교양 교육과정 개선

    노력에 기여 준비 (예: 교양교육지원센터의 전임연구원, 책임교수, 센터장, 교양교육위원회

    실무간사 등)

    - 학사급: 학부 1기생으로서 학부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향후 지속 가능한 개선

    을 위해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경험과 역량을 축적할 기회를 제공함

    5. 데이터 축적

    - 발표, 연구, 논문 작성 과정의 자료 수정 과정의 데이터와 후속 연구를 위한 관련 자료

    축적으로 지속적인 연구 발판 마련

    - 관련 연구와 파생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제기된 문제의 해결에 필요한 후속

    연구를 위한 자료들을 수집함으로써 본 과제의 연구 성과를 확대하고 심화할 수 있는 준

    비를 할 수 있었음

    - 한국 대학의 고등교육에 대한 성찰 토대로 혁신적 개혁 의지를 신장할 수 있었으며, 이를

    실천할 수 있기 위해 단기, 중기, 장기 차원에서 후속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본적인

    자료를 확보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