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별 고용전망 계량모형에 관한 조사연구³ 용정보원-산업별...요...

159
산업별 고용전망 계량모형에 관한 조사연구 2008. 3.

Upload: others

Post on 17-Ju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산업별 고용전망 계량모형에 관한

    조사연구

    2008. 3.

  • •연구 과제명 : 산업별 고용전망 계량모형에 관한 조사연구

    •연구기간 : 2007년 12월~2008년 3월

    •연구 수행자연구책임자

    연구참여자

    이진면

    최용재

    변창욱

    이상호

    산업연구원 동향분석실 연 구 위 원

    산업연구원 동향분석실 부연구위원

    산업연구원 동향분석실 부연구위원

    산업연구원 동향분석실 전문연구원

  • 차례 iii

    ❚차 례❚

    Ⅰ. 서론················································································ 1 1. 연구 배경··················································································································1

    2. 연구 목적 ················································································································2

    3. 연구의 구성···············································································································3

    Ⅱ. 국내외 경제균형모형의 개발 동향································· 5 1. 경제균형모형의 유형과 해외의 개발동향·································································5

    2. 국내 거시경제균형모형의 개발현황········································································12

    3. 국내 일반균형모형의 개발현황···············································································16

    Ⅲ. 주요국의 산업별 고용전망 방법·································· 24 1. 미국의 고용전망 방법·····························································································24

    1) 전망절차의 개요·······························································································24

    2) 단계별 구체적인 전망 방법·············································································27

    2. 캐나다의 고용전망 방법·························································································37

    1) 전망의 개요······································································································37

    2) 고용전망의 방법과 이용통계···········································································37

    3. 일본의 고용전망 방법·····························································································43

    1) 고용전망의 역사와 개요··················································································43

    2) 고용전망의 구체적 방법··················································································47

    4. 기타국의 고용전망 방법·························································································52

    1) 호주··················································································································52

    2) 독일··················································································································57

  • iv

    3) 영국··················································································································61

    Ⅳ. 고용전망 관련 국내외 계량모형 사례·························· 66 1. 미국의 MA 거시경제계량모형················································································66

    1) 모형의 기본구조·······························································································66

    2) 고용관련 부문··································································································69

    2. 미국 BLS의 노동수요모형······················································································71

    1) 노동수요함수의 도출························································································71

    2) 노동수요의 전망 절차와 이용통계···································································74

    3) 노동수요함수의 추정결과·················································································75

    3. 일본의 노동모형······································································································76

    1) 노동력 수요블록의 모형··················································································76

    2) 노동력 공급블록의 모형··················································································79

    3) 수급 조정블록의 모형······················································································82

    4. 캐나다의 노동전망모형···························································································84

    5. 영국의 MDM 모형··································································································91

    1) MDM 모형의 역사와 특징···············································································91

    2) MDM 모형의 구조와 고용부문········································································93

    6. 독일의 INFORGE 모형··························································································94

    1) INFORGE 모형의 역사와 특징·······································································94

    2) INFORGE 모형의 구조 및 추정·····································································95

    3) 노동수요와 실업률함수의 추정········································································97

    7. 호주의 MONASH 모형···························································································99

    1) MONASH 모형의 역사와 특징········································································99

    2) MONASH 모형의 구조··················································································101

    8. 국내 노동수요 모형······························································································105

    Ⅴ. 경제균형모형 알고리즘 ············································· 116

  • 차례 v

    1. 거시경제모형과 균형해 도출법 ···········································································113

    1) 거시경제모형의 예측절차···············································································116

    2)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118

    2. CGE모형과 균형해 도출법 ·················································································123

    1) CGE모형의 개요····························································································123

    2) Johansen 접근방법·······················································································125

    3. 산업연관모형관련 균형해 도출법 ·······································································130

    1) 투입계수변화의 예측방법(RAS) ·····································································130

    2) RAS방법의 개요·····························································································130

    Ⅵ. 요약 및 시사점 ························································· 137 1. 주요 조사결과의 요약···························································································137

    2. 주요 시사점···········································································································139

    1) 대내외 계량모형 개발에 대한 시사점····························································139

    2) 고용전망 방법 및 계량모형의 활용에 대한 시사점······································144

    ···················································································································149

  • vi

    ❚표차례❚

    산업연관모형, 산업거시모형, 연산가능일반균형모형의 비교·····················11

    노동수요 전망에 사용된 데이터 출처·························································42

    장기경제계획의 변천····················································································44

    고용대책기본계획의 경위·············································································45

    고용정책(조사)연구회의 고용전망 보고서 일람··········································46

    미국 노동수요함수의 추정결과····································································76

    노동력수요함수의 추정결과(1986~2002년, 최소자승법) ···························78

    남성노동력률함수의 추정결과(1975~2006년, 최소자승법) ························79

    유배우여성노동력률함수의 추정결과(1975~2006년, 최소자승법) ·············80

    무배우기타 여성노동력률함수의 추정결과··················································81

    성․연령별 실업률함수 추정결과(1971~2003년, 최소자승법) ·····················83 경제활동인구 추정결과··············································································106

    실업률 추정결과·························································································106

    임금 추정결과····························································································107

    고용률함수 추정결과················································································108

    실업률 추정결과·······················································································109

    노동시간 추정결과 ·················································································109

    임금 추정결과 ························································································110

    노동수요함수 추정결과············································································111

    산업별 노동수요함수의 추정결과····························································113

    변화이전 투입계수·····················································································131

    변화이후 투입계수·····················································································131

    특정시점의 산업연관표 구성·····································································133

    주요국의 고용전망 방법 및 계량모형의 활용과 전망수준 비교···············139

  • 차례 vii

    ❚그림차례❚

    계량경제모형의 유형 및 발전····································································6

    한국은행 경제예측모형 시스템의 구조····················································13

    KIET 산업․거시계량모형의 흐름도···························································19 미국의 노동수급 전망 절차······································································26

    COPS의 노동시장 전망 구조···································································39

    일본 다부문계량경제모형의 구조·····························································48

    MONASH 모형의 노동전망 체계·····························································56

    노동수요 전망을 위한 MDM, 직업 및 대체수요 모형 구조···················64

    MA 거시경제계량모형의 구조도······························································68

    INFORGE 모형의 구조············································································96

    산업연관표와 SNA와의 관계····································································97

    현재 생산을 위한 투입기술····································································102

    자본재 생산을 위한 투입기술································································103

    결합생산 산업에 대한 산출기술·····························································104

    효용함수··································································································104

    노동수급 전망구조··················································································115

    모형을 활용한 예측 절차·······································································117

    선형연립방정식의 해법···········································································119

    CGE모형의 분석절차·············································································124

    Johansen 접근방법의 1단계 추정결과·················································128

    Johansen 접근방법의 다단계 추정결과················································129

    RAS 방법의 절차···················································································136

    모형의 유형별 특성(규모, 이론, 데이터) ··············································140

  • Ⅰ. 서론

    1. 연구 배경

    ○ 지식기반경제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고숙련노동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는 반면,

    노동공급은 이에 미치고 못하고 있어 최근 낮은 실업률에도 불구하고 인력의

    수급불균형이 노동시장의 구조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성장잠재력 확충에도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음.

    - 노동수급의 불균형 또는 불일치 문제를 신속하고 적절하게 해결하기 위한 중장기

    교육 및 노동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과 국내외 경제환경

    변화를 정확히 예측하고 이러한 변화에 따른 노동수급을 전망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는 노력이 선결과제임.

    - 현재 국내에서 관련 기관들이 인력수급 전망의 전반적인 절차와 목표를 설정하고

    추진 중에 있으나, 구체적인 방법론이나 시행계획은 초기단계에 있어 국내외 전

    망모형의 사례연구, 전망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상세한 계량모형의 설정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기초 연구가 필요한 실정

    ○ 주요 선진국들은 효과적인 인력수급계획을 마련하기 위해 정부, 대학 및 민간연

    구기관이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마련하여 중장기 노동수급전망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광범위하게 활용하고 있음.

  • 2⦁산업별 고용전망 계량모형에 관한 조사연구

    - 주요 선진국의 노동수급 전망모형을 살펴보면 거시 및 국제경제, 산업간 연관관

    계 등 경제의 순환에 관련된 모든 부분을 포착할 수 있는 대규모 계량모형을 이

    용하여 전망하는 것이 보편화 되어 있음.

    - 따라서 국내 노동시장과 인구추세에 맞는 전망모형을 개발함에 앞서 선진국의 주

    요 노동수급모형 구조, 장단점 및 데이터 활용 현황 등을 상세히 분석하여 벤치

    마킹할 필요가 있음.

    2. 연구 목적

    ○ 국가인력수급에 대한 중장기 전망은 기본적으로 국내외 사회경제적 환경변화를

    고려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함.

    - 공급측면에서는 인구구조의 변화 등 사회구조변화가 수요측면에서는 해외 경제환

    경의 변화, 국내 산업구조 및 거시경제적 구조변화 등이 동시에 고려되어야함.

    ○ 특히, 경제적 측면에서는 국내외 경제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현실경제

    에 대한 경제이론의 가설검정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정합성, 일관성, 안정성 등

    에 대한 통계적 검정과정을 거치는 계량모형의 이용이 필수적임.

    - 개방화와 자유화의 급진전으로 세계경제와 국내 산업 및 경제부문간 연계성이 심

    화되고 국내경제의 구조, 특히 산업구조의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국내 노동

    시장의 수급여건도 급속한 변화를 겪고 있음.

    - 이러한 경제의 각 부문 및 산업별 노동시장을 포함한 개별시장간의 상호 복잡하

    고 긴밀한 관계가 존재하는 있는 현실에서 변수들간의 인과관계가 동시적으로 고

    려된 계량경제모형 없이는 정합적이고 일관성 있는 산업 및 거시경제, 그리고 노

    동수급에 대한 전망을 수행하기란 불가능함.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경제균형모형에 대한 개발 추이와 더불어 이들

    모형에서 노동수급관련 전망모형에 대한 구체적인 모형 설정 및 이용변수, 추

    정방법 등 조사 분석하고자 함.

  • 서론⦁3

    3. 연구의 구성

    ○ Ⅱ장에서는 경제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경제균형모형의 유형과 해외 및 국내의

    개발 동향에 관하여 고찰함.

    - 거시경제계량모형, 산업연관모형, 연산가능일반균형모형, 산업․거시경제 계량모

    형 등의 발전과 주요 개발 사례를 모형의 특성과 규모를 중심으로 살펴봄.

    ○ Ⅲ장에서는 주요국의 고용전망 결과를 그 절차와 계량모형의 이용 상황을 중심

    으로 기술함.

    - 특히 노동전망모형의 우수사례로 인정받고 있는 미국, 일본 및 캐나다의 노동수

    급의 전망절차와 특징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봄.

    - 이외에도 영국, 독일 및 호주 등의 노동수급전망 절차와 모형을 소개하고 주요

    특징들을 분석함.

    ○ Ⅳ장에서는 고용전망 방법에서 이용된 계량모형에 대한 구조와 특징, 국내 주

    요 경제균형모형에 있어서 노동부문 관련 방정식의 설정, 추정결과 등에 관하

    여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함.

    - 즉, Ⅲ장에서 언급한 주요 선진국이 노동전망에 이용하는 계량모형의 특성과 구

    조를 분석함.

    - 그리고 Ⅱ장에서 기술한 국내 주요 계량모형인 한국금융연구원, 한국은행, 한국

    개발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및 산업연구원의 계량모형의 특성과 구조를 분석하

    고 노동블록에서 노동수요 또는 노동공급함수의 설정, 추정 및 결과를 구체적으

    로 언급함.

    ○ Ⅴ장에서는 경제균형모형의 해(solution)를 도출하기 위한 알고리즘 및 소프트

    웨어 활용방법을 소개함.

  • 4⦁산업별 고용전망 계량모형에 관한 조사연구

    - 대부분의 경제균형모형은 대규모로 구축되고 있기 때문에 해를 도출하기 위한 특

    정 알고리즘과 소프트웨어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면 모형

    구축이 어려움.

    - 따라서 향후 후속연구로 추진될 구체적인 모형개발의 이해를 위해서 대규모 균형

    모형의 해를 구하기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을 설명함.

    ○ 마지막으로 Ⅵ장에서는 상기의 조사된 내용을 요약․정리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함.

  • 국내외 경제균형모형의 개발 동향⦁5

    Ⅱ. 국내외 경제균형모형의 개발 동향

    1. 경제균형모형의 유형과 해외의 개발동향

    ○ 경제전체를 대상으로 균형을 가정하고, 각 부문간 상호관계를 연립방정식체계에

    입각하여 분석하는 계량경제모형은 거시경제균형모형과 일반균형모형으로 대별

    됨.

    - 경제주체들의 경제행위가 상호 연관성을 유지하면서 반복적으로 순환하는 과정을

    소득의 발생과 처분이라는 순환과정으로 파악하는 거시경제균형모형과 미시경제

    적 최적화에 기초하고 기업(혹은 산업)간 상호관계에 의한 소득순환까지를 포괄

    하는 산업부문과 거시경제를 연계하는 일반균형모형 2가지 측면으로 개발되어옴.

    - 일반균형모형은 산업부문 및 개별 산업의 수요부문(소비, 투자, 수출, 수입 등)과

    공급부문(노동, 자본, 중간재의 투입)을 동시에 고려한다는 점에서 다부문모형

    (multi-sector model)이라고도 불리워지고 있음.

    ○ 거시경제균형모형은 거시경제이론에 기초하여 경기변동과 같은 경제의 순환적,

    동태적 측면에서 정책변수의 변화가 물가, 성장률, 국제수지 등의 집계변수

    (aggregated variables)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예측할 목적으로 개발

    - 고전거시경제계량모형(Old Style Macroeconometric Models) →현대거시경제계

  • 6⦁산업별 고용전망 계량모형에 관한 조사연구

    량모형(Modern Macroeconometric Models) →동태확률일반균형모형(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 Models)으로 발전해오고 있음.

    [그림 Ⅱ-1] 계량경제모형의 유형 및 발전

    Economic Equilibrium models

    General Equilibrium

    Models

    Macroeconomic Equilibrium

    Models

    Input-Output ModelsOld Style Macroeconometric

    Models

    Top-Down Dynamic

    Interindustry

    Macroeconomic

    Models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s

    Modern Macroeconometric

    Models

    Bottop-Up Dynamic

    Interindustry Models

    Dynamic

    Intertemporal

    General Equilibrium

    Models

    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

    Models

    자료: McKibbn(2004), New Developments in Global Economic Modelling에 기초하여 수정 보완함.

    ○ 고전거시경제계량모형은 거시경제이론에 기초하여 변수간 인과관계를 구조식으

    로 식별하고, 연립방정식체계로 설정하는 모형으로 시계열 자료의 상관관계에

    의존하며 단기전망(통상 분기별 자료 이용)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음.

    - 통상 거시경제구조모형(macroeconomic structural models)으로 불리는 이 모형

    은 미시적 기초가 불충분하고, 자의적인 식별조건 등 연립방정식 체계의 이론적

    토대가 취약하고, 모형의 장기적 특성이 불확실하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음.

    - 또한 적응적 기대의 가정으로 합리적 기대에 비해 현실적 부합성과 보편성이 결

    여되어 있으며, 정책변화에 따른 계수의 변화를 추정할 수 없다는 소위 루카스의

    비판(Lucas Critique)이 제기됨.

  • 국내외 경제균형모형의 개발 동향⦁7

    - 대표적인 모형으로는 일국을 대상으로 하는 Klein-Interwar모형, Klein- Goldberger

    모형, NIF Treasury모형, Reserve Bank 모형 I과 II를 들 수 있으며, 다국가를

    고려하는 Data Resourse Inc(DRI)와 Wharton 모형, 일본경제기획청(EPA)의

    세계거시모형 등을 들 수 있음.

    ○ 현대거시경제계량모형은 거시경제학의 상세한 이론적 기초위에 일부 시장에는

    합리적 기대를 도입하고 통상 분기별 자료를 사용하지만 장기 이론적 특성에도

    부합하는 장점이 있음.

    - 보통 단기적으로는 Keynesian의 특성을, 장기적으로는 신고전학파의 특성을 반

    영하며, 경제주체의 예시적 행위와 가격과 임금변수에 있어 실질 및 명목 경직성

    을 고려하는 것이 특징임.

    - 개별방정식의 추정에는 오차수정모형, 패널분석, OLS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

    고 있음.

    - 대표적인 모형으로는 일국모형으로 WUMM(Washington University Macroeconometric

    model), Murphy model 2와 Acess Economics, Treasury TRYM 모형을 들 수

    있으며, 다국간모형으로는 IMF Multimode, Oxford Econometric

    Forecasting(OEF), OECD INTERBANK 모형, Global Insight 모형, 등을 들

    수 있음.

    ○ 동태확률일반균형모형(DSGE)은 최근 거시경제학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 모형으

    로, 합리적인 경제주체의 최적화 가정과 모든 시장의 동시적 균형(General

    Competitive Equilibrium)이 달성 가능하다는 명제를 가지고 거시경제변수들

    이 외생적 충격(Stochastic)에 대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반응(Dynamic)

    하는지 분석하는 모형임.

    - 이 모형은 합리적기대를 도입하고 모형식별을 위한 자의적 변수의 가감을 지양해

    Lucas나 Sims의 비판은 피할 수 있었지만 대규모로 확장시 추정 파라미터 수의

    급격한 증가로 해를 도출하기 어렵고, 경제이론의 엄격한 적용으로 모형설정의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전통적인 거시경제모형보다 더 높다는 단점이 있음.

  • 8⦁산업별 고용전망 계량모형에 관한 조사연구

    - IMF의 거시계량모형인 GEM(Global Economy Model), 미국연방준비은행(FRB)

    의 거시계량모형인 FRB-US와 FRB-Global, 영국은행 분기모형 BEQM(The

    new Bank of England Quarterly Model) 등 많은 국가에서 DSGE가 도입

    되고 있음.

    ○ 한편, 일반균형모형은 초기에는 산업연관표의 기술계수에 입각하여 경제정책의

    산업별 파급효과를 정태적인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미시경제

    적 최적화에 기초한 Warlas의 일반균형이론을 실증모형으로 구축하는 시도가

    이루어지면서 산업간 및 거시경제를 연계하는 모형으로 발전하고 있음.

    - 일반균형모형은 균형해(solution)를 산출하는 방식과 파라미터의 추정 여부에 따

    라 산업․거시모형(Interindustry Macroeconomic Models: IMM)과 연산가능일

    반균형모형(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s: CGE)으로 구분됨.

    - 산업․거시모형은 다시 산업연관모형과 거시경제모형의 연계방식에 따라 하

    향식동태산업․거시모형(Top-Down Dynamic Interindustry Macroeconomic

    Models: TD-DIM)과 상향식다부문모형(Bottom-Up Dynamic Interindustry

    Macroeconomic Models: BU-DIM)으로 구별되며, 전자에서 후자로 발전해 오

    고 있음.

    - 연산가능일반균형모형은 정태적 모형에서 동태적 요인을 부분적으로 고려하

    고 있는 동태확률일반균형모형(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

    Models)으로 발전하고 있음.

    ○ 산업연관모형(I-O)은 산업간 투입-산출이라는 상호의존관계를 이용하여 국민경

    제를 구성하는 각 산업의 생산물에 대한 총수요를 과부족 없이 만족시키기 위

    해 필요한 모든 산업의 산출량을 분석하는 일종의 일반균형모형임.

    - 레온티에프 생산함수에 기초하여 산업간 자원의 투입과 배분 관계를 측정하는 모

    형이나 상대가격의 변화, 투입요소 또는 소비재의 대체탄력성의 역할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자본축적과 국제금융자금의 흐름을 파악하지 못하며, 화폐와 자산

    가격의 역할을 고려하지 않으며 모형이 정태적이라는 단점이 있음.

    -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노력으로 자본계수의 고려, 중간투입계수의 동태화

  • 국내외 경제균형모형의 개발 동향⦁9

    등을 통해 산업연관모형 자체의 동태화 및 확장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음.

    - 대표적인 모형으로는 Leontief and Duchin에 의해서 개발된 United Nations

    Global models, 미국 미네소타대학의 IMPLAN IO System, 일본아시아경제연

    구소의 아시아태평양지역 10개국 국제산업연관모형을 들 수 있으며, 많은 국가에

    서 정부 투자지출의 산업별 영향분석, 해외 물가의 국내 영향분석 등에 활용되고

    있음.

    ○ 연산가능일반균형모형(CGE)은 Walras의 일반균형이론을 실제경제에 응용하는

    모형으로 미시적 최적화이론에 기초하므로 경제주체의 행동을 중요시하며 결과

    의 해석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고 비교정태(comparative static) 또는 축차․동

    학적(recursive dynamic) 특성이 있음.

    - 그러나 기간간 저축과 투자의 결정, 자본축적, 금융자본의 순환을 모형 내에 포

    함시키기 어려우며, 화폐와 자산가격의 역할을 무시하고, 거시경제적 행동을 고려

    하지 못하며, 파라미터의 계량경제적 추정이나 검정을 도외시한다는 단점이 있음.

    - 방법론적으로 목적함수를 설정하고, 균형조건과 변수간 인과관계를 제약조건으로

    하여 최적화알고리즘을 이용해 균형해를 도출하는 모형임.

    - CGE 모형은 개별국 혹은 다국을 대상으로 다양한 모형들이 개별연구자나 연구

    기관들에 의해서 개발 활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다국간 모형으로는

    MEGABARE, GIGABARE, GTEM, 미국 퍼듀대의 GTAP-표준모형, 미시간대

    의 Michigan BDS(Brown- Deardorff-Stern)모형 등을 들 수 있음.

    ○ 동태기간간일반균형모형(DIGE)은 CGE모형에 합리적인 경제주체의 동태적 최

    적행동, 즉 기간간 저축과 투자의 합리적 선택 등을 고려한 모형임.

    - 주로 연간자료를 이용해 추정과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수리적 알고리즘이 복잡해 산업이 세분화된 모형에는 이

    용상 난점이 있음.

    - 대표적 다국모형으로 호주 국립대 MSG(McKibbin-Sachs Global)모형1),

    G-Cubed(Global General Equilibrium Growth Model)모형 등을 들 수 있음.

  • 10⦁산업별 고용전망 계량모형에 관한 조사연구

    ○ 하향식산업․거시모형(TD-DIM)은 거시경제균형모형에 정태적 산업연관모형을

    결합한 형태로서 거시경제의 변화를 단순히 산업부문에 축자적 배분하는 모형

    으로 고전적 형태의 산업․거시모형임.

    - 이 모형은 변수간 상호작용이나 동태적 변화가 거시경제부문에서만 작용하기 때

    문에 산업부문간 인과관계나 동태적 변화를 파악할 수 없음.

    - 즉, 모형자체가 거시경제의 총량적 변화를 산업부문에 축차적으로 배분 하는 하

    향식으로 구축되기 때문에 산업부문의 충격이 거시경제에 반영될 수 없고, 또한

    다른 산업으로의 파급효과를 분석할 수 없어 산업수준에서의 정책분석이 불가능

    함.

    - 그리고 축차적 배분으로 인하여 내적인 비정합성의 문제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

    음.

    ○ 상향식다부문모형(BU-DIM)은 거시경제부문 및 산업부문에 있어서 상호 인과관

    계와 다양한 동태적 변화를 고려하는 모형임.

    - 모형내에 최종수요와 중간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총수요는 총생산과 같아야 하

    고 생산물의 가격은 단위투입요소 비용과 단위 부가가치와 동일해야하므로 생산

    과 가격-소득변수와의 정합성이 확보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 특히, 거시경제부문과 산업부문간 상호작용 및 동태화, 특히 투자와 생산성 분야

    에서의 동태적 변화를 산업별 수준에서 모형화함으로써 다른 CGE모형이나

    TD-DIM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음.

    - 단점으로는 모형구축을 위해 대량의 통계자료와 산업별 부문별 수많은 방정식에

    포함되는 파라미터를 추정해야한다는 점임.

    1) McKibbin, Warwick J. and J. Sachs(1991), "Global Linkage: Macroeconomic Interdependence and

    Cooperation in the World Economy", Brookings Institution.에서 유래

  • 국내외 경제균형모형의 개발 동향⦁11

    - 대표적인 개별국모형으로는 영국 Cambridge 대학의 MDM (Multisectoral

    Dynamic Model)모형, 독일경제연구소(Deutsches Institut fur Wirtschaf

    -tsforschung : DIW)가 1983년에 개발한 이후 계속 발전시켜 오고 있는

    FIND(The Forecasting Interindustrial Development Model)모형, 미국

    Maryland대학의 개별국 INFORUM모형, 일본의 경제기획청(EPA) 다부문모형

    과 케이대모형, 스웨덴의 미시거시모형(Micro-to-Macro model) 등을 들 수 있음.

    - 다국간모형으로는 INFORUM의 LIFT(Long-Term Interindustry Forecasting

    Tool)모형과 ILIAD(Interindustry Large-Scale Integrated and Dynamic) 모

    형, EU의 GINFORS(Global INterindustry FORecasting System)모형 등을

    들 수 있음.

    산업연관모형, 산업거시모형, 연산가능일반균형모형의 비교

    산업연관모형 산업․거시모형 연산가능일반균형모형

    특 징

    -정태모형(고정투입계수)

    -선형모형

    -수요모형

    -산업부문에 국한

    -특정연도의

    산업연관표를 사용

    -동태모형(투입계수의 가변성)

    -수요모형

    -장기균형, 단기불균형

    -비최적화모형

    -계량경제적 기법으로

    파라미터를 추정

    -시계열 통계를 이용

    -정태적 비선형함수(최근

    부분적 동태화)

    -계수의 불가변성(파라미터의

    비추정, 외부를 통해 제공)

    -수급의 균형모형

    -최적화 모형

    -한 해의 데이터 만 사용

    이론적

    가정

    -고전적 완전고용

    -평균소비성향

    -레온티에프생산함수

    -불완전고용 허용

    -소비함수의 동태화와

    한계소비성향

    -효용극대화 소비지출

    -중간재투입은 레온티에프

    생산함수

    -본원적 생산요소는 다양한

    생산함수 적용

    -완전고용 및 불완전고용

    -효용극대화 소비지출

    -한계소비성향고려

    -기준년도 시장청산 조건 충족

    활용

    범위-파급효과 분석

    -파급효과 분석

    -중장기 거시 및 산업 부문별

    전망

    -파급효과 분석

    ○ 이러한 경제계량모형의 개발은 최근 들어 대규모화, 세분화, 동태화를 통해 모

  • 12⦁산업별 고용전망 계량모형에 관한 조사연구

    형을 보다 정교화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 국가별 통계체계의 통일화 및 세분화(국민계정, 산업연관표, 무역통계, 월․분기

    통계 등), 컴퓨터기술(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발전으로 모형개발의 대상이 일국

    에서 다국간(multi-country)으로, 산업분류가 대분류에서 세분류 산업으로 대규모

    화, 세분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 이와 더불어 최근에 개발된 경제이론 및 현실에서 나타나는 경제적 행위의 동태

    성을 다양한 측면에서 반영하는 추세임.

    - 이러한 경향은 기본적으로 국내외 경제의 복잡한 인과관계 및 다양한 경제적 환

    경변화에 대한 영향을 좀더 정밀하고 명확하게 분석하여 합리적인 정책대안을 모

    색하려는 요구에 기초함.

    2. 국내 거시경제균형모형의 개발현황

    ○ 국내 거시경제균형모형은 국책연구소, 민간연구소, 대학 등을 중심으로 개발되

    어 왔으며, 최근에 개발된 모형들은 거시경제모형의 세계적 흐름에 맞추어 현

    대거시경제계량모형의 특징들을 반영하고 있고, 동태확률일반균형모형의 개발도

    시도되고 있음.

    - 다음에서는 2000년 이후 국내에서 개발된 주요 거시경제균형모형들에 대한 특징

    을 소개함.

    ○ 우선 김원규 외(2001)의 산업연구원(KIET) 분기거시경제모형은 기본적으로 케

    인지안이론에 기초하며, 최종수요, 수출부문, 수입부문 등 3개의 부문에 총44개

    (13개의 행위방정식과 31개의 항등식) 방정식으로 구성됨.

    - 이 모형은 수출입 및 무역수지의 변화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위해 수출은 국내

    수출구조의 특징을 반영하여 ICT산업과 비ICT산업으로 구분하고, 수입은 원자

    재, 자본재, 소비재로 구분하며, 국제유가의 파급효과를 자세하게 분석하기 위해

    원자재를 다시 원유, 비원유에너지, 비에너지로 세분화한 것이 특징임.

  • 국내외 경제균형모형의 개발 동향⦁13

    - 또한 원/달러 환율의 비대칭적 영향력을 고려하여 수출함수를 원/달러 환율의 상

    승기(절하기)와 하락기(절상시)로 구분하여 추정함.

    - 그리고 추정방법은 가능한 시계열의 특성을 반영하여 단위근 및 공적분 검정을

    엄격하게 적용하고, 차분방정식, 오차수정모형을 도입한 것이 특징이라고 볼 수

    있음.

    ○ 다음은 한국은행(BOK)의 모형개발현황으로, 한국은행은 경제예측과 정책효과분

    석의 정밀도 향상을 위해 하나의 모형에만 의존하기보다 다양한 형태의 모형을

    구축하고 목적에 따라 이에 적합한 모형을 사용하는 이른바 다모형접근방식

    (multi-model approach)을 도입하고 있음.

    [그림 Ⅱ-2] 한국은행 경제예측모형 시스템의 구조

    주: 음영부분은 현재 개발이 진행중에 있는 모형임.

    자료: 강희돈․박양수(2007),“한국은행 동태적 최적화모형(BOKDSGE)의 개요,”MONTHLY BULLETIN, september 2007, p60.

    - 여러 모형 가운데 핵심모형인 BOK04와 BOK04SA, 그리고 동태적 최적화모형

    (BOKDSGE)이 거시경제균형모형이며, 거시계량투입산출모형이 일반균형모형임.

  • 14⦁산업별 고용전망 계량모형에 관한 조사연구

    ○ 황상필 외(2005)의 BOK04와 BOK04SA는 기본적으로 소득․지출이론을 중시

    하는 케인지안이론에 기반을 둔 중규모수준의 분기거시경제모형임.

    - 전자는 전망작업의 신속성 확보차원에서 원계열를 이용한 모형이고, 후자는 변수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계정조정 계열을 이용한 것임.

    - BOK04는 81개(48개 행위방정식과 33개 정의식), BOK04SA는 72개(46개 행위

    방정식과 26개 정의식)의 방정식으로 이루어져 있음.

    - 이들 모형은 이전에 개발된 BOK97모형의 이론적 및 현실반영에 있어서 단점들

    을 보완하고, 외환위기 이후 경제구조와 경제주체의 행위 변화, 그리고 ‘93SNA

    통계편제 개편을 반영한 것임.

    - 개별 행위방정식은 변수의 안정성 및 공적분관계를 이용하여 오차수정모형(ECM)

    을 구축하고, OLS방법으로 추정하여 변수간 장기적 관계와 단기동태적 구조를

    동시에 고려하고 있음.

    - 주요특징으로는 통화정책의 주요 수단인 콜금리의 파급경로 명시화, 금융변수와

    자산가격 변동에 의한 파급경로 고려, 민간소비에 유동성제약, 설비투자에 기대심

    리를 각각 고려, 자본스톡과 잠재적 국내총생산(GDP)의 내생화 및 GDP갭의 명

    시화를 통해 총수요와 총공급간 상호작용 유도, 개방화의 급진전 반영을 위한 국

    민총소득(GNI)의 활용 등을 들 수 있음.

    ○ 한국은행의 BOKDSGE는 2006년부터 준비되어 왔으며, 최근 강희돈․박양수

    (2007)에 의해 국내경제를 대상으로 개발됨.

    - 이 모형은 우선 소규모 개방경제의 가정 하에 경제주체는 가계, 기업, 정책당국

    인 중앙은행과 정부 및 해외의 4개, 시장은 재화, 노동, 자본, 채권, 통화의 5개

    로 구분됨.

    - 가계와 기업은 각각 효용극대화와 이윤극대화 과정에서 소비, 투자, 생산을 결정

    하며, 중앙은행과 정부는 각각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을 수행함으로써 시장청산조

    건의 충족을 통해 균형가격 및 균형물량이 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음.

  • 국내외 경제균형모형의 개발 동향⦁15

    - 또한 경기변동 및 경제주체들의 의사결정에 변화를 초래하는 외생충격은 생산성,

    통화정책, 재정정책, 투자비용, 국외수요, 국외금리 및 국외물가 등의 7개로 모형

    화하여 전체모형은 총 36개의 비선형 연립방정식과 41개의 파라미터로 구성됨.

    - 이 파라미터는 통화정책 파급효과 등 경제상황과 최대한 부합하는 방향으로 설정

    하기 위해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방식과 구조적 추정방식을 적절하게 혼용하

    고 있음.

    - 이러한 BOKDSGE는 한국은행의경제예측모형시스템에 있어서 이론적 정합성을

    제고하고, 거시경제적 경기변동을 경제충격과 이에 대한 경제주체들의 반응으로

    파악하는 인식전환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음.

    ○ 신석하(2005)의 한국개발연구원 분기거시경제모형은 외환위기 이후 잠재성장률

    의 저하, 대외개방의 확대, 통화정책 방식의 변화 등 변화요인을 반영한 모형

    수정작업의 일환으로 개발된 것으로 향후 한국개발연구원 거시경제모형의 중장

    기 개발을 위한 초기모형의 성격을 지님.

    - 이 모형은 최종수요와 국제수지, 노동, 물가, 금융, 총공급 등 총 6개 부문에 41

    개(27개 행위방정식, 이중 장기행위방정식 12개, 14개 정의식)의 방정식을 포함

    하고 있음.

    - 주요 특징으로는 장기적으로 신고전파이론을 반영하여 실질변수가 공급측면에서

    결정되지만, 단기적으로는 케인지안이론을 고려하여 수요측면 충격의 영향이 미

    치도록 구성하고, 이를 위해 계량기법 측면에서는 장기와 단기를 구분하기 위해

    대부분의 실물변수들을 오차수정모형으로 구축하고 있음.

    ○ 박종규(2006)의 한국금융연구원 분기거시경제모형(KIF05Q)은 외환위기 이후

    경제주체들의 행위변화와 경제구조의 변화 및 국민계정의 편제방식 개정을 반

    영하기 위하여 개발됨.

    - 이 모형은 실물경제부문, 통화․신용부문, 물가부문, 노동시장부문, 대외부문, 산

    업부문 등 6개 부문에 총 178개(141개 행위방정식과 37개 항등식)의 방정식으로

    구성된 비교적 대규모의 모형임.

  • 16⦁산업별 고용전망 계량모형에 관한 조사연구

    - 주요특징으로는 최종수요의 구성항목을 통해서 GDP를 산출하는 전통적인 방식

    과는 달리 공급측면에서 산업별 부가가치와 순생산물세의 합으로 GDP를 산출하

    고 이를 소비와 투자, 순수출로 분배하는 방식을 취함.

    - 이외에도 소비부문(14개 지출항목)과 투자부문(설비투자 2개, 건설투자 2개)의 세

    분화 및 내생화, 통화신용부문에서 산업별 및 가계 대출금의 내생화와 개인부문

    자금순환, 즉 자금운용 및 원천의 내생화, 수출입부문의 지역별(미국, 일본, 중국

    권, 동남아, EU, 기타지역) 세분화, 원유수입의 내생화 등을 그 특징으로 들 수

    있음.

    ○ 허찬국(2005)의 한국경제연구원 분기거시계량모형(KERI 2005)은 외환위기 발

    생이후 대내외 여건변화와 경제주체들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기존 KERI

    1997 모형을 수정․보완한 모형임.

    - 1990년대 후반이후 재정정책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고려하여 재정부분과

    실물부문간의 경로를 강화하였으며, 외환위기 이후 증대된 대외부문의 국내경제

    역할을 세부적으로 반영하고 있음.

    - 모형의 규모는 49개(36개 행위방정식과 13개 정의식)의 방정식으로 구성되었고,

    외생변수 27개를 포함하고 있음.

    - 주요 특징으로는 수요측면을 강조한 기존모형과는 달리 공급측면을 포함시켜 초

    과수요 압력에 따른 실물과 금융부문에 미치는 경로를 명시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는 점을 들 수 있음.

    3. 국내 일반균형모형의 개발현황

    □ 산업연관모형

    ○ 국내 산업연관모형은 그 동안 한국은행이 산업연관표의 작성체계를 꾸준히 발

    전시켜옴에 따라 최소한 정태적 산업연관모형의 개발과 발전은 지속적으로 이

  • 국내외 경제균형모형의 개발 동향⦁17

    루어짐.

    - 즉, 국내의 산업연관표는 1960년부터 체계적인 형식과 내용을 갖추어 지속적으

    로 작성 및 개선되어 왔음.

    - 특히, 산업연관표의 공표시 정태적 산업연관모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레온

    티에프역행렬을 경쟁수입형이나 비경쟁수입형 또는 산업분류의 정도 등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개발하여 동시에 제공하고 있음.

    - 이에 따라 현재는 많은 개별 연구자나 연구소 및 대학에서 다양한 형태로 쉽게

    활용하고 있으며, 또한 산업․거시모형이나 CGE모형의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 더욱이 최근 한국은행이 지역산업연관표의 개발과 실측표의 작성을 완료하면서

    지역산업연관모형의 발전도 기대되고 있음.

    - 반면, 산업연관모형의 동태화는 국내 산업구조의 빠른 변화 등에 의한 계수추정

    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미흡한 상황임.

    □ 산업․거시모형

    ○ 국내 산업․거시모형의 개발은 산업연구원(KIET), 한국개발연구원(KDI), 한국

    은행(BOK) 등을 중심으로 개발되어 왔음.

    - 산업연구원의 KIET연간산업예측모형, KIET산업․거시계량모형(KIET-DIMM07),

    한국개발연구원의 다부문모형, 한국은행의 다부문예측모형, 거시계량투입산출모

    형 등이 대표적임.

    ○ 우선 산업연구원의 KIET 연간산업예측모형인 김상륭 외(1987)는 산업정책과

    경제정책의 산업에 대한 효과분석 및 중장기 전망을 목적으로 거시경제와 산업

    간 연쇄반응 및 산업간 연관관계 등에 주안점을 둔 모형임.

    - ‘거시경제모형’ ‘투입산출모형’, ‘산업별 모형’ 3개의 모형이 연쇄작용을 통해 예측

    치를 산출함.

  • 18⦁산업별 고용전망 계량모형에 관한 조사연구

    - 거시경제모형에서 산출된 최종수요 부문 예측치는 투입산출모형에 반영되어 산업

    별(63개) 부가가치 및 생산을 결정함.

    - 거시경제모형에 의한 예측치는 또한 산업별 모형에 연결되어 7개 주요산업별 생

    산, 고용, 가격, 투자, 내수, 수출, 임금 등을 결정함.

    - 산업별 모형의 생산 예측치는 투입산출모형의 생산 예측치와 상호비교, 조정을

    거쳐 7개 주요 산업에 대한 최종적 생산 예측치로 확정

    - 본 모형은 고전적 형태의 거시모형에 기초하고 있으나, 특히 투입산출모형과 산

    업별 모형의 예측치가 거시경제모형에 다시 피드백 작용하지 않고 산업부문의 지

    표들이 단순히 축차적으로 도출된다는 단점을 가짐.

    -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하향식산업․거시모형(TD-DIM)의 형태라고 볼 수 있음.

    ○ 이진면 외(2007)의 KIET 산업․거시계량모형(KIET-DIMM07)은 거시경제와

    산업부문이 연관관계를 고려하여 산업구조 및 거시경제적 흐름의 체계적인 분

    석, 국내외 경제여건 하에서 산업 및 거시경제의 전망과 정책적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목적으로 개발됨.

    - 모형의 기본구조는 크게 수요․공급블록, 가격․기술블록, 대외블록, 거시블록 등

    4개 블록으로 구성되는데 수요․공급블록에서는 산업별 최종수요 및 산업별 중

    간수요가 유도되어 총산출을 결정하며, 이와 더불어 생산에 투입되는 노동과 자

    본이 결정됨.

    - 가격․기술블록에서는 산업별 노동생산성과 전산업임금을 매개로 산업별 임금,

    자본재가격, 중간투입재가격, 생산가격, 수출가격 등이 결정되며 또한 산업별 중

    간투입계수, 자본계수, 노동계수 등이 유도됨.

    - 대외블록에서는 소규모개방경제 하에서 외생적으로 주어지는 해외의 산업별 생산

    및 가격, 산업별 수출가격 등이 주요 설명변수로 작용하여 산업별 수출과 수입이

    결정됨.

  • 국내외 경제균형모형의 개발 동향⦁19

    - 거시블록에서는 국내총생산과 총소득 및 총소비, 조세수입 결정되며, 경제전체의

    평균물가로서 국내총생산 디플레이터, 전산업임금 및 실업률이 결정됨.

    [그림 Ⅱ-3] KIET 산업․거시계량모형의 흐름도

    - 4개의 블록간 상호작용과 각 블록 내에 포함된 개별 변수간에 설정된 인과관계

    에 의한 상호작용, 그리고 시차구조 등에 의해서 경제전체가 균형상태로 수렴해

    가는 조정과정을 묘사하도록 설계되어 있음.

    - 모형의 규모는 4개의 블록에 걸쳐 행위방정식 388개와 이들을 연결하는 정의식

    4,177개 등 총 4,565개의 방정식으로 이루어진 대규모 모형임.

    - 이 모형은 현재 완전한 모형구축의 초기 단계로 개별 방정식의 추정과 모형의 안

    정성 검정을 통해 정책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있으며 중장기 전망작업을 준비 중

  • 20⦁산업별 고용전망 계량모형에 관한 조사연구

    에 있음.

    ○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다부문모형은 1980년대 중반부터 개발이 시작되어

    2000년대 초까지 일련의 연구결과를 발표해 왔음.

    - 즉, 박준경․김정호(1990)에서 모형구조의 설정과 개별 방정식을 추정하고, 김정

    호․박준경(1992)에서는 경제구조변화의 장기전망을 위한 모의실험이 시도되었으

    며, 이후 이진면 외(2001)에서 기준연도 개편에 따른 통계의 갱신과 방정식의 재

    추정에 의한 수정작업이 이루어짐.

    - 이 다부문모형은 산업연관표체계에 입각하여 생산‧고용‧자본‧상대가격‧기술 등의

    산업구조변화와 소득‧통화‧이자율 등의 거시경제변화를 연결시켜 중장기적 경제

    구조변화에 대한 시나리오분석을 제공하는 모형으로 거시경제부문은 케인지안이

    론에, 산업부문은 소비자이론과 생산자이론의 미시적 기초에 입각하고 있음.

    - 모형의 구조는 가격기술모형, 수요공급모형, 총량모형의 세 개의 하위모형에 24

    개 산업부문과 1,300여 개의 방정식을 포함하는 방대한 모형으로 상향식산업․

    거시모형(BU-DIM)의 장점을 대부분 포함하고 있음.

    - 그러나 산업연관표의 시계열화와 불변화 및 산업별 자본스톡 추정의 어려움 등

    모형개발의 기초작업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음.

    - 그리고 이러한 통계자료의 추정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가 구조방정식의 추정시

    추정계수의 정확성을 저하시키고 이는 또한 모형 전체의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음.

    ○ 한국은행에서는 오정근(1990a, 1990b, 1990c)이 개별 경제주체의 미시경제적

    의사결정과 거시경제적 총량지표간의 일관성을 바탕으로 경제전체가 전망되도

    록 하기 위해 한국개발연구원의 다부문모형과 유사한 다부문 예측모형의 개발

    을 시도함.

    - 산업부문을 17개 산업으로 분류하고, 1단계로 다부문 예측모형의 방법론을, 2단

    계로 생산모형을 일반화된 레온티에프비용함수(generalized Leontief cost

    function)를 가정하여 생산요소수요방정식을, 그리고 3단계로 소비모형을 거시경

  • 국내외 경제균형모형의 개발 동향⦁21

    제분석을 위한 총소비함수와 미시경제분석을 위한 8대 비목별 소비지출함수를

    각각 추정함.

    - 그러나 이들 생산모형과 소비모형을 연계하는 거시경제부문의 모형개발이 이루어

    지지 못하고 미완성의 모형으로 연구가 중단됨.

    - 그렇지만 이 연구는 방법론에 대한 정밀한 검토와 더불어 소비자이론, 생산자이

    론 등의 현실 적용 가능성을 국민계정, 산업연관표, 기타 경제통계 등을 통해 검

    토하였다는 점에서는 산업․거시모형과 CGE 모형 등의 개발에 많은 유익한 정

    보를 제공하고 있음.

    ○ 한국은행의 황상필 외(2006)은 다모형접근 예측시스템 개발의 일환으로 거시경

    제모형과 가변적 투입산출계수모형을 결합한 거시계량투입산출모형을 개발함.

    - 이 모형은 거시경제모형인 BOK04와 BOK04SA의 한계점인 중장기 시계의 경제

    전망이나 산업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과 고령화, 소득양극화 등 최근 현상의 장

    기적인 국내생산 및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임.

    - 모형의 구조는 연간모형으로 시간변동투입산출모형 부문인 추정생산량블록, 생산

    블록, 고용블록, 소득블록 등 4개블록과 수요측의 거시계량모형에 해당하는 최종

    수요블록 등 총 5개 블록, 28개 산업, 총143개의 방정식으로 구성됨.

    - 그리고 기준연도의 투입계수 및 고용계수를 사용함에 따라 예측오차가 확대되는

    투입산출모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Israilevich et al(1997)이 개발한 시간변

    동에 의한 투입산출계수를 추정함.

    - 이 모형은 하향식산업․거시모형(TD-DIM)의 형태를 취하고 있지만, 기존

    TD-DIM 모형의 단점인 고정투입계수의 문제를 극복하려는 시도와 더불어 산

    업별 전망과 수요측 전망간에 정합성의 유지, 수출이나 내수주도 성장의

    중장기적 생산 및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분석과 성장경로의 선택전략

    에 대한 판단기준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유용성이 크다고 할 수

    있음.

  • 22⦁산업별 고용전망 계량모형에 관한 조사연구

    □ CGE모형

    ○ 국내 CGE모형은 모형의 특성상 경제전망 보다는 대부분 조세, 환경, 지역, 무

    역 등 특정 분야별 정책변화에 대한 평가나 파급효과를 분석할 목적으로 개발

    되고 있음.

    ○ CGE 모형은 정태적 모형과 동태적 모형으로 구분되며, 동태적 모형은 투자와

    자본스톡간의 관계를 매체로 하는 부분적 동태모형과 완전 동태모형으로 구별

    됨.

    - 정태모형으로 환율변동 효과를 분석한 손양훈 외(1997), 지역간 산업구조 문제

    를 분석한 지해명(2001), 법인세 인하효과를 분석한 이인실 외(2002), 관세율

    인하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한 이명헌 외(2001, 2002) 등을 들 수  있음.

    - 동태모형으로는 내생적 기술진보 문제를 다룬 조경엽 외(2003), 불완전 경쟁시장

    하의 대체에너지 도입을 분석한 문영석 외(2005), 수송부분의 환경규제에 따른

    사회적 손실을 다룬 김영덕 외(2005), 국내 조세정책을 평가하는데 활용한 조경

    엽(2006) 등을 들 수 있음.

    ○ 한편, 최근 FTA와 관련해서는 2국 이상의 국가간의 산업간 상호작용을 파악하

    기 위해 다국 산업연관표, 국가간 무역통계 등을 구축해야하는 어려움 때문에

    대부분 GTAP 모형이나 GTAP-DB를 활용하는 추세임.

    ○ GTAP모형은 국가별․산업별로 통계를 이용하여 일반균형론적인 관점에서 정

    량적 분석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다지역․다부문 CGE(multi-region and

    multi-sector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모형으로, UR 협상, GATT 등

    통상환경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목적으로 Purdue 대학이

    중심이 되어 1990년대 초에 개발을 시작하여 2006년 현재 버전 6.0으로 갱신

    되었음.2)

    2) 이 모형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https://www.gtap.agecon.purdue.edu)를 참조.

  • 국내외 경제균형모형의 개발 동향⦁23

    - 그러나 CGE모형은 이론에 충실할 수 있다는 장점과 별개로 파라미터의 신뢰성

    과 동태화의 어려움, 그리고 결과해석에 대한 모호성 등으로 인해 거시경제적 전

    망이나 산업전망에는 그다지 활용되지 않는 경향임.

  • 24⦁산업별 고용전망 계량모형에 관한 조사연구

    Ⅲ. 주요국의 산업별 고용전망 방법

    1. 미국의 고용전망 방법

    1) 전망절차의 개요

    ○ 미국의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 BLS)은 1970년대 초 이후 매

    2년을 주기로 미래 10년을 대상으로 중장기적인 산업별․직업별 고용전망을

    실시해오고 있음.

    - BLS의 미래 일자리와 관련된 조사 및 전망은 50년 이상의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직업별 노동전망은 1949년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으

    로 출간된 것이 효시라고 볼 수 있음.3)

    - 산업별․직업별 고용전망은 1966년에 1970년까지의 전망을 시작으로 가장 최근

    의 전망은 20번째로서 2007년에 발표된 고용전망 2006-2016 (Employment

    outlook: 2006-2016)4)임.

    3) 미국의 직업별 수요전망에 대한 역사는 www.bls.gov/opub/mlr/1999/05/contents.htm를 참조.

    4) 2006-2016년 전망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BLS 홈페이지(http://www.bls.gov/emp/ home.htm)에 6개의 논

    문을 참고할 수 있으며, 이들 논문은 BLS에 의해서 출판되는 Monthly Labor Review 2007년12월호에

    게재되어 있음.

  • 주요국의 산업별 고용전망 방법⦁25

    - BLS의 이러한 중장기적 10년간의 전망치는 경제성장 및 이의 고용효과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의 카운슬러, 교육자, 직업안내 기관, 교육훈련

    프로그램 수행 기관, 장기고용관련 연구자 등에게 광범위하게 제공되고 있음.

    ○ BLS는 산업별․직업별 상세한 노동전망을 위해서 총량경제전망(aggregate

    economic projection), 노동공급전망(labor force projection), 산업전망

    (industry projection), 직업별 수요전망(occupational demand projection) 등

    일련의 전망을 연계한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음.

    - 연계된 고용전망에는 시계열모형을 포함한 여러 가지 계량경제모형과 부문별 전

    문가들의 개별적 직관력을 협의를 통해 결정하는 주관적 분석(subjective

    analysis)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 있음.

    - 전망절차 가운데 중심은 산업연관모형(input-output model)에 의한 전망으로서,

    여러 시나리오로부터 도출되는 산업별 생산에 요구되는 직․간접적인 일자리 창

    출 규모를 결정하는 부분임.

    ○ BLS의 고용전망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가정 하에서 다음과 같은 6단계를 거쳐

    행해지고 있으며, 각 단계별로 독립적인 절차와 계량모형 및 주관적 분석에 기

    초하여 수행됨.

    - 1단계는 노동공급의 총규모와 구성에 대한 전망(size and demographic

    composition of the labor force)

    - 2단계는 총량경제의 성장(growth of the aggregate economy) 전망

    - 3단계는 국내총생산(GDP)의 최종수요(Final demand or gross domestic

    product subdivided by consuming sector and product) 전망

    - 4단계는 산업연관모형(interindustry relationships or input-output)에 의한

    산업별 생산전망

  • 26⦁산업별 고용전망 계량모형에 관한 조사연구

    - 5단계는 산업별 취업자(employment by industry) 전망

    - 6단계는 직업별 취업자(employment by occupation) 전망

    ○ BLS의 이러한 고용전망 절차는 각 단계는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수행되나, 동

    일한 가정 하에서 수행되며, 각 단계의 내부적 정합성 및 경제전체의 총량과

    개별 부문 및 산업과 직업별 노동전망이 전체적으로 정합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하나의 종합적인 전망시스템이라고 볼 수 있음.

    - 즉, 6단계 절차는 이전단계의 결과가 다음단계의 투입되는 연쇄적인 과정으로 이

    루어지며, 일부 결과는 이전 단계로 피드백과정이 이루어짐.

    - 또한 각 단계에서는 가정이나 결과의 재검토 및 수정․보완을 통해 내부적 일관

    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여러 번의 반복 작업이 행해짐.

    [그림 Ⅲ-1] 미국의 노동수급 전망 절차

    1단계: 노동공급

    - 연령별, 성별, 인종별 인구 및 경제활동

    참가율 전망

    - 노동공급전망

    2단계: 총량경제의 성장

    - GDP 및 구성요소(민간소비, 투자, 대외

    무역, 정부수요) 전망

    4단계: 산업별 생산

    - 산업연관표에 기초해 산업별 총산출 전망

    - 투입 및 산출행렬의 전망에 전문가의 주

    관적 판단 적용

    3단계: 최종수요

    - 최종수요연계표를 이용해 4부문별로 세

    부항목별, 산업별 최종수요

    - 최종수요연계표 전망에 전문가의 주관적

    판단 적용

    5단계: 산업별 취업자

    - CES 생산함수의 일계조건을 이용해 총

    노동시간 전망

    - 주당평균노동시간 전망

    - 두변수를 이용해 산업별 취업자전망

    6단계: 직업별 취업자

    - 산업․직업행렬 전망

    - 전문가의 주관적 판단

    - 자영업자와 무급가족종사자에 대한 별도

    의 전망절차

    - 노동의 대체수요 고려

  • 주요국의 산업별 고용전망 방법⦁27

    2) 단계별 구체적인 전망 방법

    ○ 본 소절에서는 2007년에 발표된 고용전망 2006-2016에서 이용된 방법을 중심

    으로 각 단계별 전망방법을 기술함.

    - BLS의 고용전망방법은 새로운 통계자료의 이용, 경제적 및 통계적 방법의 개선

    등의 측면에서 부분적인 변화는 있었지만, 기본적인 방법론은 1970년대 후반 이

    후 변화하지 않았음.

    □ 제1단계 : 노동공급

    ○ 노동공급의 전망은 연령별, 성별, 인종별 인구전망에 대한 가정과 이들 그룹별

    경제활동참가율(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의 추세에 입각하여 노동공급의

    총규모와 인구적 특성에 따른 구성비를 전망함.

    - 우선 연령별, 성별, 인종별 인구전망은 미국 센서스국(Bureau of Census)이 출

    생, 사망, 순유입(net immigration)의 상호작용을 기초로 전망한 결과를 이용함.

    - 경제활동참가율은 연령별, 성별, 인종별로 과거 추세분석에 입각하여 전망하고 이

    결과에 각 그룹별 센서스국 인구의 전망치를 적용하여 노동공급을 전망함.

    ○ 노동공급의 분류는 성별 2개 그룹, 연령별 17개 그룹, 인종별 4개 등 총 136개

    (2×17×4)임.

    - 연령별 그룹은 5세 연령계층으로 구분하며, 인종별 범주는 백(white-only), 흑인

    (black-only), 아시안계(Asian-only) 및 기타인종(all other)의 4개 그룹임.

    - 기타인종은 미국인디안(American Indian), 알레스카원주민(Alaska Natives),

    하와이 및 기타도서 원주민(Native Hawaiian and other Pacific Islanders),

    다민족인종 등이 포함됨.

    - 이외 별도로 언어적 인종구분에 따라 히스패닉(Hispanic ethnic category)과 백

    인의 비히스패닉(white non-Hispanics)도 전망함.

  • 28⦁산업별 고용전망 계량모형에 관한 조사연구

    ○ 각 그룹별 경제활동참가율의 전망은 시계열 평활법(time-series smoothing

    technique)과 외삽법(extrapolation technique)을 이용함.

    - 성별․5세연령별․인종별로 분류된 각 그룹별 경제활동참가율은 “robust- resistant

    nonlinear filter"를 이용하여 평활화한 후, 이를 로짓(logits)으로 전환함.

    - 로짓으로 전환된 경제활동참가율은 시간변수로 설명변수로 하는 선형회귀방정식

    에 의해 전망하고, 이를 다시 경제활동참가율로 복원하는 과정을 거치게 됨.

    - 따라서 각 그룹별 경제활동참가율의 전망경로는 비선형이며, 이 과정에서는 인구

    전망과의 정합성이 유지하도록 수정과정을 거치게 됨.

    ○ 각 그룹별 경제활동참가율의 전망치에 해당 그룹의 인구전망치를 곱하여 해당

    그룹의 노동공급 전망치를 추정함.

    - 이 과정에서 각 그룹의 초기 노동공급 추정치들(the initial estimates of the

    labor force groupings)간에 설명 불가능 혹은 애매모호한 변화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짐.

    - 이러한 조정과정이 완료되면, 노동공급의 총량이 다음 단계의 전망에 외생변수로

    제공됨.

    □ 제2단계 : 총량경제의 성장

    ○ 총량경제의 성장을 전망하기 위하여 BLS는 미국의 국내총생산(GDP)과 수요

    및 소득을 구성하는 주요 총량변수에 대한 전망을 행하는데, 여기에는 미국의

    거시경제전망모형 중의 하나인 MA거시모형이 이용됨.

    - MA(Macroeconomic Advisers, LLC)는 1982년에 설립된 거시경제의 전망과

    정책 분석을 전문으로 하는 미국의 민간연구소로서, 워싱톤대학 거시경제계

    량모형(Washington University Macroeconometric model; WUMM)을 개발

    하여 유지해오면서 이에 기초하여 미국경제에 대한 월별 단기전망과 분기별

    장기전망을 제공하고 있음.5)

  • 주요국의 산업별 고용전망 방법⦁29

    - BLS의 2007년 노동전망에서는 이전 활용했던 국제경제전망 전문기관인

    Global Insight의 미국 거시경제계량모형 대신에 MA의 분기거시경제모형6)을

    활용하였음.

    ○ 총량경제의 전망에서는 거시경제모형에 기초하여 노동전망을 위한 주요 핵심

    거시경제변수들에 대한 목표치(target values)를 사전에 검토 및 평가하는 과정

    임.

    - 즉, 통화정책, 재정정책, 에너지부문, 인구성장, 인구구성의 변화 등 외생변수의

    미래 값에 대한 일정한 가정 하에서 인플레이션, 실업률, 노동생산성, 무역관련

    변수 등 핵심변수들에 대하여 수많은 방정식으로 구성된 거시경제계량모형에 의

    해서 수차례에 걸친 반복적 해의 추정과 검토를 통해 목표치를 평가함.

    - 이러한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총량경제의 전망이 완료되면, GDP의 구성요소들

    (소비, 투자, 수출, 수입 등)에 대한 전망치를 산업별 전망과정에 제공하게 됨.

    □ 제3단계 : 최종수요

    ○ 제3단계는 총량경제에 대한 전망을 산업레벨(industrial level)로 전환하는 단계

    로서, MA 거시경제모형을 통해 총량적으로 전망된 최종수요를 세부 항목별 및

    산업별로 전망하는 절차임.

    - 최종수요는 재화와 서비스의 산업간 중간거래에 대한 흐름과 더불어 개별 상품과

    산업수준에서 총산출(gross output)을 결정하며, 이 산업별 총산출은 노동수요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인임.

    - 즉,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수요구조의 변화는 이를 생산하는 수단의 변화와 더불

    어 장래 노동수요의 구조변화를 초래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최종

    수요에 대한 전망은 고용전망에 있어서 매우 중요함.

    5) MA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http://www.macroadvisers.com)를 참조.

    6) MA 거시경제계량모형에 대해서는 다음 장에서 좀더 자세히 설명함.

  • 30⦁산업별 고용전망 계량모형에 관한 조사연구

    - 최종수요는 GDP를 지출측면에서 파악하는 방법으로 크게 개인소비지출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 총민간국내투자(gross private domestic

    investment), 대외무역(foreign trade) 및 정부수요(government demand) 4가지

    부문으로 구성되며, 이들 부문의 총량적 전망치가 산업별 생산전망을 위해 세부

    항목별(detailed categories) 및 산업별로 배분됨.

    ○ 최종수요의 세부 항목별 및 산업별 전망에는 거시경제모형에서 전제한 가정이

    동일하게 투입되며, 4개 최종수요 부문별로 전망방법은 각각 다르지만, 다음의

    두 가지 공통적인 절차에 입각함.

    - 하나는 거시경제모형에 의한 총량전망치와 세분화된 개별 항목별 전망치의 합을

    비교하여 이중 하나 혹은 양자를 조정하여 일치시키는 과정을 거친다는 것임.

    - 또 하나는 세부 항목별 전망치를 상품별로 배분하고, 이를 산업별로 전환하는 것

    으로, 여기에는 최종수요연계표(final demand bridge table)가 이용되며, 기본적

    인 절차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요약됨.

    (식 3-1)

    상품별 최종수요벡터

    생산물형태별 최종수요 벡터

    백분율로 표시된 상품별․생산물형태별 연계표

    ○ 상품․생산물형태연계표의 전망에는 기술, 소비자기호, 구매패턴, 수출의 산업

    별 구성 등에 대한 미래 변화들을 반영하기 위하여 전문분석가들의 주관적 분

    석에 의한 최종수요부문별 상품구성에 대한 예측을 고려함.

    - 최종수요연계표는 거시경제모형에서 체화된 경제의 기능적 관점(functional

    view)과 산업별․직종별 노동 전망을 위해 요구되는 부문별 관점(sectoral

    view)을 상호 연계하는 중요한 기능을 제공함.

    - 이러한 연계표를 전망함에 있어서는 항목과 상품을 세분할수록 기술, 기호 및 기

    타 구조적 요인들의 변화를 더욱 정밀하게 조정이 가능하며, 안정적인 전환계수

    (bridge coefficients)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수요항목을 가능한 한 세

  • 주요국의 산업별 고용전망 방법⦁31

    분화하고 이를 구성하는 상품의 수는 적게 함.

    - 한편, 연계표는 재화에 대한 지출을 소비자 가치(consumer value)에서 생산자

    가치(consumer value)로 전환하는 부차적인 기능도 제공하는데, 이것은 상품이

    생산되어 최종소비자에 전달되는 과정 중 도소매업과 같은 유통활동에서 발생하

    는 마진을 생산자 가치에서 분리하는 과정을 수반하게 되며, 따라서 최종지출의

    각 항목별 가치는 궁극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품과 유통부문에 배분됨.

    ○ MA 거시경제모형을 통해 총량수준(aggregate level)으로 전망된 개인소비지출

    은 국민소득․생산계정의 88개 항목별 및 201개 산업별로 배분됨.

    - 88개 항목별 소비지출은 총량소비와 상대가격을 설명변수로 회귀분석모형을 설

    정하여 개별 전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합계한 값과 MA 거시경제모형을 통해

    전망된 총량소비와 일치하도록 조정과정을 거침.

    - 그리고 최종수요연계표를 이용하여 88개 항목별 소비지출을 201개 산업별로 배

    분함.

    ○ 총민간국내투자는 MA 거시경제모형을 통해 총량수준에서 장비 및 소프트웨어

    (equipment and software), 비거주자(nonresidential structures), 거주자

    (residential structures) 및 재고(business inventories) 등 4가지 항목으로 전

    망되며, 이 중 장비 및 소프트웨어와 재고를 다시 세부 항목으로 배분됨.

    - 장비 및 소프트웨어의 투자는 13개 항목별로 전망하는데, 여기에는 GDP, 자본스

    톡 및 자본비용을 설명변수로 구성된 회귀방정식시스템(a system of regression

    equations)이 이용되며, 개별 항목별 전망결과는 민간소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결과를 합계한 값과 MA 거시경제모형을 통해 전망된 총량투자와 일치하도록

    조정과정을 거침.

    - 상품기준(commodity basis)에 대한 재고는 재화생산의 전기값(lagged values)에

    기초하여 외삽법으로 전망하고, 이들 결과의 합이 거시경제모형에 의해 전망된

    값과 일치하도록 조정함.

    - 비거주자와 거주자의 투자는 거시경제모형에서 전망된 값을 직접 이용함.

  • 32⦁산업별 고용전망 계량모형에 관한 조사연구

    - 그리고 재고를 제외한 모든 항목별 국내투자는 최종수요연계표를 이용하여 세부

    산업별로 배분함.

    ○ 대외무역은 MA 거시경제모형을 통해 재화와 서비스의 총량 수출과 수입이 전

    망되며, 이들은 각각의 배분모형(distributional model)을 이용하여 세부 상품

    별로 배분함.

    - 여기서도 수출과 수입 모두에 대하여 세부 상품별 전망치의 합이 거시경제모형에

    의한 전망치와 일치하도록 조정과정을 거치는데, 이때에는 에너지전망, 국내시장

    의 현재 및 향후 기대되는 비중, 장래 세계경제의 환경변화조건 및 FTA와 같은

    무역협정 등이 고려됨.

    ○ 정부수요는 MA 거시경제모형을 통해 총량수준에서 연방정부국방(federal

    defense), 연방정부비국방(nonfederal defense), 주․지방정부(State and local

    government) 등 3개의 주요 항목으로 전망되며, 이들은 다시 4개의 부문으로

    구분되어 각각 관련 산업부문으로 배분됨.

    - 3개의 주요 항목별 정부수요는 보상지출(compensation), 일반정부고정자본소비

    (consumption of general government fixed capital), 총투자(gross

    investment) 및 기타소비(all other consumption) 등 4개의 지출부문으로 구분

    되어 전망함.

    - 이러한 3개의 주요 항목을 4개의 지출부문별 배분하는 과정에는 과거의 추세, 향

    후 기대되는 정부정책의 변화 등이 고려되며, 최종적으로 세분화된 12개의 지출

    항목별 전망치는 전기설비나 병원 등과 같은 관련 산업부문으로 배분됨.

    □ 제4단계 : 산업별 생산전망

    ○ 산업별 생산전망은 최종수요의 상품별 및 산업별 배분과 산업간 중간적 거래관

    계를 나타내는 산업연관표에 기초하여 거시경제모형에서 전망된 GDP 수준에

    요구되는 산업별 총산출(gross output)을 전망하는 단계임.

    - GDP는 정의상 최종구입자에 대한 판매만을 반영하며, 중간투입은 반영하지 못

  • 주요국의 산업별 고용전망 방법⦁33

    하기 때문에 주어진 GDP 수준을 산출하기 위해 요구되는 노동과 자본을 산업수

    준에서 전망하기 위하여 부가가치 개념인 GDP를 총산출 로 전환할 필요가 있

    음.

    - 산업연관모형은 이러한 전환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생산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변화, 수급불균형, 기타 요인 등도 반영할 수 있음.

    ○ 산업별 생산전망에는 BLS 산업연관모형을 구성하는 산업별 생산과정의 중간투

    입으로 상품구매를 나타내는 투입행렬(use matrix)과 각 산업에서 생산되는 상

    품을 나타내는 산출행렬(make matrix)의 전망도 수행됨.

    - 투입행렬과 산출행렬의 전망은 투입계수행렬과 산출계수행렬의 전망을 통해서 이

    루어지는데, 전자는 산업별 생산 1단위(1달러)에 투입되는 각 상품의 비율로, 후

    자는 상품생산의 산업별 배분율로 표현됨.

    - 2007년 전망시 투입계수행렬(201×201)은 과거연도 1998-2006년의 추세를 외삽

    법으로 전망하고, 산출행렬계수(201×201)는 가장 최근연도인 2006년의 값을 초

    기값으로 이용하였는데, 이러한 과정에는 전문가들의 주관적 판단도 투입됨.

    ○ 이러한 투입계수행렬과 산출계수행렬의 전망이 수행되면, 다음과 같은 수식에

    의해서 산업별 생산전망이 행해짐.

    (식 3-2)

    산업별 총산출 벡터

    산업별 상품의 투입계수행렬

    산업별 상품의 산출계수행렬

    항등행렬(identity matrix)

    상품별 최종수요벡터

    - 여기서 상품별 최종수요벡터(e)는 제3단계인 최종수요의 전망결과가 투입되게 됨.

    - 따라서 위 식은 최종수요가 발생할 때 이를 만족하기 위해서 산업별로 생산되어

    야하는 총산출 규모를 나타냄.

  • 34⦁산업별 고용전망 계량모형에 관한 조사연구

    □ 제5단계 : 산업별 취업자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