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34
<10.16873/tkl.2018. 80. 12> 한국문학논총 제80(2018. 12) 289~322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 남영희 * ㆍ조영미 ** ㆍ이순욱 *** 차 례 1. 들머리 2.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황 1) 주관기관별 문화예술교육 2) 학교문화예술교육 3) 사회문화예술교육 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 3.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 1)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2)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 구축 3)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 4. 마무리 국문초록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에서 나아가 문화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는 점에서 * 1저자, 인제대 외래교수 ** 공동저자, 경성대 외래교수 *** 교신저자, 부산대 국어교육과 교수

Upload: others

Post on 16-Jul-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lt1016873tkl2018 80 12gt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 술교육의 과제와 망

1)남 희ㆍ조 미ㆍ이순욱

차 례

1 들머리

2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황

1) 주관기관별 문화예술교육

2) 학교문화예술교육

3) 사회문화예술교육

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

3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

1)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2)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 구축

3)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

4 마무리

국문 록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는 점에서

제1저자 인제대 외래교수

공동저자 경성대 외래교수

교신저자 부산대 국어교육과 교수

29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점차 외연을 확장시켜 나가고 있다

이 글에서는 부산의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점검하고 지역분권의 시

대를 맞이하여 부산의 문화예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였다

부산지역은 정책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이 시작된 이래 문화예술교육의

가치 확산 사업 대상과 규모 확대 교육 인프라 확충 문화향유의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이라는 성과를 도출해낼 수 있었다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예

술강사지원센터)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을 대상으로 지원

사업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발전을 가로막는 공

급자ㆍ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의 취약

성 교육내용의 미비와 방법론 부재 관리시스템 부실 교육대상의 불균

형 심화 문화예술 담당자나 학교관계자ㆍ교사들의 문화예술교육에 대

한 이해 부족 성과 시스템 미구축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이 처한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냉정하게 진단하고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체계 구축 운영체제

개편을 통한 지역 집중성 강화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하고 생활권과 연계된 문화

예술 교육기반의 점진적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의 실시와 문화

향유의 기회 확대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영역별 연

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었

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기반을 고도화하기 위해 인적자원의 역량

개발 강화 문화예술교육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확대 국내외 문화예술

교육의 동향과 실태조사 연구기반 마련도 시급한 과제였다

주제어 문화예술교육 부산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 지

역 생태계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1

1 들머리

2000년 초반까지도 해도 문화예술교육은 문화교육 문화 나눔 예술

체험과 강습 등을 포괄하는 일반적인 개념으로 통용되었다 그러다가

2003년 4월 문화관광부(현 문화체육관광부)가 문화행정의 혁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민관 합동으로 문화행정혁신위원회를 설립하면서부터 문

화예술교육은 하나의 정책 대상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1) 문화행정혁신

위원회에서는 문화정책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를 진행하

여 문화예술교육을 주요 대상으로 포함시켰다 같은 해 6월에 정책을 전

담ㆍ추진하는 TF팀을 구성하고 조직 개편을 통해 문화예술교육과로 변

경하였으며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을 추진하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2005년에는 정책 전담기구인 lsquo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rsquo(이하 진흥원)을

설립하고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을 제정하여 제도적 기틀을 마련하였다

2007년 전국 25곳에 기초단위 지역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를 설립하여

중앙정부와 지역 간 협력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2009년에는 서울 광주

경남 충남 강원 제주 등 6곳에 광역 단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를 지

정하기 시작하여 현재 17개 시도에서 운영하고 있다2)

2015년 전후로 각 지역별로 문화예술교육 관련 조례를 제정ㆍ시행하

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교육청에서 교육현장의 요구와 지원을 강화

하기 위해 별도 조례를 마련하고 있는 추세다 부산에는 2016년 8월 lsquo부

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원 조례rsquo(제5398호)를 제정ㆍ운용하고 있다

1) 정책 대상으로서 문화예술교육의 맹아를 2000년에 시범적으로 실시한 lsquo국악강사

풀제rsquo에서 찾기도 한다 학교 음악교사가 대부분 서양음악 전공자라는 점을 보완

하기 위해 전문 국악인을 파견하여 교육하는 제도로 2006년 lsquo학교 예술강사 지원

사업rsquo으로 변경되어 문화예술교육 지원 정책의 핵심 사업으로 자리 잡았다

2) 진흥원과 협력하여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일부 센터 제외) 지역특성화 문화예

술교육 지원사업과 토요문화학교 지역연계 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으나 역할 분

담과 관계 설정에서 여전히 모호한 측면이 존재한다

29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최근에는 지역문화 진흥 및 균형 발전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서서히 구

축되고 있다 lsquo문화기본법rsquo(2013) lsquo지역문화진흥법rsquo(2014) lsquo국민여가활성

화기본법rsquo(2015) 등을 비롯하여 광역자치단체들이 문화예술 및 지역문화

진흥 관련 조례를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 정체성의 발

견과 확립 지역민의 삶의 질 개선 지역 경제와의 연계 도시 재생 지역

발전 견인 등 다양한 측면에서 문화예술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확

산시켜 나가고 있다

2015년 5월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 개정으로 정부는 5년마다 문화예술

교육 종합계획을 수립하는 법적 의무를 지니게 되었다 2014년 수립된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 계획(2014~2017)의 정책 기한이 종료됨으로

써 2018년 1월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

2022)rsquo을 수립발표하였다3) 이 계획은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과 수요

증대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연계성과 체계성 확보 필요 맞춤형 문화예

술교육 요구 증대 교육 패러다임 변화 제4차 산업혁명시대 정책 환경

의 변화 등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치를 담고 있다 문화예술교

육 전문인력의 역량 강화 안정적 지원 환경 마련 전 국민 대상의 문화

예술교육 확대가 필수적으로 요청된다고 보았다 정책방향으로 지역 분

권화 정책 체계화 수요 특성화 융합과 확장을 추진전략으로 지역 기

반 생태계 구축 수요자 중심 교육 다각화 문화예술교육 기반 고도화를

제시하였다 사실상 문화예술교육의 지역화를 핵심과제로 제시하고 있

는 셈이다 따라서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 ~2022)rsquo은 지역 문화예

술교육 정책에서 하나의 전환점으로 간주할 수 있을 만큼 정책 변화의

폭이 크다 이에 따라 전국 각 지역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 발전계획rsquo

을 마련하고 있다 부산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지역분권의 시대적 가치

에 실질적으로 부합하고 부산의 문화적 여건과 세대별(유아에서 노년에

이르는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ㆍ영역별(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

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3

화예술교육)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며 부산의 지역성을 담지할 수

있는 독자적인 정책을 발굴해야 한다

부산문화예술교육의 역사를 간략히 살펴보면 2000년대 중반 이후 부

산대 신라대 산하 연구소를 비롯하여 다수의 민간 예술단체와 시민단체

들이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참여하여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 사업을 진행하였다4) 부산광역시교육청에서도 lsquo1학교 1문화예술교

육rsquo 정책과 학교문화예술교육 종합추진계획을 수립하여 진흥원과 업무

협약을 체결하여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을 적극적으로 표출하였다5) 이

러한 흐름은 2010년 부산문화재단 내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이하

부산센터)가 지정ㆍ설립되면서 일대 전환을 맞는다 이를 계기로 진흥원

에서 시행하던 사업들이 지역센터로 이관되어 업무가 통합되는 과정에

서 초기에 비해 민간단체들의 역할이 부분적으로 약화되었다 이는 제도

화 초기에 발생하는 문제로 불가피한 측면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부산센

터가 지역 문화예술교육 진흥의 허브로서 다양한 민간단체들과 교류

협력하는 거버넌스 체제를 구축하지 못했기 때문이다6) 이후 지역센터

주관으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연구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

다 하지만 진흥원의 정책과 사업을 지역에서 수행하는 비중이 크기 때

문에 지역 고유의 사업을 독자적으로 진행하기에는 어려울 수밖에 없다

지난 15년 간 문화예술교육이 정책적으로 시행됨으로써 문화예술교육

이 양적 성장을 이루었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다 재정규모는 84억원

에서 1295억원으로 15배 예술강사 수는 1861명에서 5849명으로 3배

이상 무엇보다도 문화예술교육 수혜자 수가 71만 명에서 310만 명으로

45배나 증가하였다7) 그런데도 이러한 비약적인 양적 증대에도 질적 성

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8-9쪽

5) 부산광역시교육청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정책 기조와 사업 현황은 「2016 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종합계획」 「2018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추진계획」을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6) 김희재 외 여럿 앞의 글 30쪽

29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장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여기에는 진흥원과

지역센터 간의 관계 설정과 역할 분담의 불균형 공급자 중심의 분배식

사업 지원 학교 예술강사의 고용불안 프로그램의 질적 관리 미흡 등의

복합적인 문제가 내포되어 있다

그런데도 이제껏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초창기부터 지역 실정에 걸맞은 문화예술교육

방법론을 모색하거나8)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역사적 경과9)를 개략

적으로 정리하는 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아직까지 부산지역 문화예술

교육의 실체를 종합적으로 조망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으며 주관기관에

서 매년 사업성과를 묶어 자료집을 발간하는 정도에 머물러 있다10) 지

역의 실정을 반영한 문화예술교육의 제도적 기반 구축 지역성과 문화예

술교육의 관련성 탐구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

강화 통합문화예술교육 방법론 모색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 문화예

술교육의 수요와 사회적 확산 방안 예술강사의 실태 분석을 통한 현장

7) 부산문화재단 생활문화본부 문화교육팀의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8)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연구

원 2007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

포럼 2017 56월호

9) 김희재 외 여럿 앞의 글

10)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와 부산문화재단에서 발간하는 사업 결과보고서를 통

해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사업 현황과 실태를 부분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이

다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집」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

자료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

자료집」 2016 부산문화재단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부산문화재단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다른 지역의 경우

에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원사업을 다룬 논

의가 있다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술교육연

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5

의 요구 반영 등의 문제에는 소홀했던 셈이다 비교적 최근 들어 문화예

술교육의 실태를 조사한 논의가 있기는 하나11) 이 또한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까닭에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 논문에서는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살펴

보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지역 기반의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

고자 한다

2 부산 문화 술교육의 황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은 여러 기관에서 추진되고 있는 지원사업

을 통해 정리해 볼 수 있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을

교육내용으로 하거나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모든 형태의 교육을 말한다

그런데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 제2조(정의)에는 문화예술교육을 학교문화

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등 2개의 항목으로 세분하고 있다 따라

서 진흥원이 지원하는 사업은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

로 나뉠 수밖에 없다 진흥원이 지원하는 학교문화예술교육은 학교 예술

강사 예술꽃씨앗학교 유아문화예술교육과 고3 수험생 대상 문화예술교

육 lsquo상상만개rsquo다 반면 사회문화예술교육은 6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

다12) 대표적인 사업으로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꿈다락

11) 이미연 외 여럿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화

예술교육연합회 2017

12) ①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② 소외 계층 아동ㆍ청소년을 대상으로 하

는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 지원 지역아동센터 농산어촌 이동형 문화예술교육

lsquo움직이는 예술정거장rsquo 방과 후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지원 ③ 군대 교정시설소

년원 등 특수계층협력형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④ 예술동아리 교육 지원사

업 컨설팅 지원 등의 시민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⑤ 진흥원과 광역문화예술교

육지원센터 협력형 사업으로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⑥ 꿈다락 토

요문화학교 지원사업이 바로 그것이다 김희재 외 여럿 앞의 글 2014 25쪽

29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토요문화학교 지원사업을 들 수 있다 부산에서 진흥원 사업을 시행하는

기관은 여러 곳이며 진흥원 사업 외 별도 사업이 있다 또한 여러 기관

에서 협업으로 진행하는 사업도 있다 이 자리에서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현황을 두루 파악하기 위해 lsquo주관기관별 문화예술교육rsquo lsquo학교문화예

술교육rsquo lsquo사회문화예술교육rsquo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

1) 주 기 별 문화 술교육

여기에서는 2017년도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

문화예술교육연합회(예술강사지원센터) 부산광역시교육청 금정문화재

단을 비롯한 각 기초자치단체에서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을 검

토하고자 한다13)

우선 부산문화재단 지원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자

[표 1] 2017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원사업 현황

13)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발간한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을 바탕으로 현황을 정리하였다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문화예술교육 인력양성

문화예술행정 아카데미부산 문화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창의적인 행정역량 강화

공공기관 행정 책임자 대상

프로그램 연구 개발 및 보급

지역협력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지원체계 구축 및 문화예술교육 컨트롤 타워 역할 수행

인력양성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문화예술교육 매개자를 위한 공통 기초 연수 실행자를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문화예술교육 관계자 전체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7

2016년 ldquo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

육rdquo14)으로 구분되어 있던 사업체계가 2017년도에는 ldquo문화예술교육 인력

양성 프로그램 연구개발 및 보급 문화예술교육정책사업rdquo으로 재편되었

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학교 예술강사와 국악분야 예술강사 사업이 제

14) 2016년에는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rsquo(지역 협력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네트워크 사업 문화예술행정 아카데미) lsquo학교문화예술교육rsquo(학교 예술

강사 지원 국악분야 예술강사 지원 어린이무형문화재 교실 청소년복합문화센

터 놀이마루 프로그램 운영) lsquo사회문화예술교육rsquo(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

원사업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역 인문학 활성화 지원 학예이론 도서발간 지

원 지역 출판문화 활성화 지원 도시철도 북하우스 운영 2016년도 가을독서문

화 축제)으로 구분하여 세부사업을 운영하였다

지역전통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역전통문화예술 콘텐츠를 활용한 융합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지역 전통문화예술 활성화 및 브랜드화 도모

초등학생 대상(시범 진행)

문화예술교육 정책

사업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지속가능한 일상 속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발굴을 통해 문화 환경 조성과 지역사회의 문화역량 향상에 기여

문화 사각지대 지역주민 대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학교mdash가정mdash지역사회 연계의 교육공동체 구축 및 문화예술 활동을 비롯한 사회의 다양한 활동 기회 제공

아동 청소년 및 그 가족 대상

지역 인문학 활성화 지원

lsquo지역출판문화 활성화 사업rsquo(2016)과 통합

인문학 소모임 간의 소통을 통한 지역사회의 인문학 활성화

인문학 소모임 대상

도시철도 북하우스 운영생활밀착형 독서문화 공간의 관리와 운영부산 시민 전체 대상

2017년도 가을독서문화축제

일상에서 책읽기 문화 활성화 및 지속적인 독서 관련 콘텐츠를 생산하여 책 읽는 사회 분위기 조성

부산시민 전체 대상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지역의 전통문화예술을 창조적으로 계승 생활 속 향유 지원

선별된 초등학교 3학년~6학년 대상

29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외되었다 또한 지역출판문화 활성화 사업이 지역 인문학 활성화 지원사

업과 통합되어 진행되었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그리고 지역협력형 문화

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인력양성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역전통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업이 추가됨으

로써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가 가능해졌다 이처럼 부산문화재단이 기존

의 단순 지원에서 벗어나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감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부산문화재단은 진흥원 사업 외에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

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도 펼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부산센

터 사업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부산의 정체성과 독자성을 담은 문

화예술교육사업을 기획ㆍ운영하기가 쉽지 않다는 데 있다 적은 예산에

다 제한된 인력을 투입하여 여러 사업을 진행하므로 사업 관리나 독자

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어려움이 클 수밖에 없는 셈이다

다음으로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예술강사지원센터)15)와 부산광역

시교육청에서 진행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16)을 살펴보

[표 2]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지원사업 현황

15)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기획사업 계획서」 2017 참고

16) 부산광역시교육청 홈페이지 정보공개자료 중 문화예술교육활성화 항목 참고 ht

tpwwwpengokr20180930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학교문화예술교육

학교 예술강사 지원

학교문화예술교육국악 및 7개 분야 학교 예술강사(연극 영화 무용 만화ㆍ애니 사진 공예 디자인)

초ㆍ중등 및 특수학교 대상

기획사업찾아가는 진로ㆍ

예술교육

진로 및 문화예술교육으로 학생들에게 적성과 흥미를 찾을 수 있는 기회 마련

초ㆍ중학생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9

[표 3] 2017 부산광역시교육청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문화예술교육지원

예술동아리 지원 등학생들의 예술동아리 및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함

체험학습 운영

어린이회관

학생교육문화회관

학생예술문화회관 체험실 운영 등

교육기관 체험실 운영 지원 (기자재 구입 및 강사료 등)

축제행사 운영

학생연극제 댄스경연대회

가요제 등학생이 참여하는 모든 예술 축제행사 지원

특별활동 지원

문화예술순회프로그램

문화예술활동 지원

학생비엔날레 개최 등

학생 민간예술단체 교사 단체 등의 활동 지원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시설관리 및 프로그램 운영 지원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기획ㆍ진행하였다 반면 부산광역시교육청 문화예

술교육 지원사업은 크게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

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

원으로 나눌 수 있다 이것은 부산광역시교육청의 lsquo학교문화예술교육 활

성화 종합계획rsquo에 따라 운영되며 완만한 예산 변동으로 사업내용에는

큰 변화가 없는 편이다

이외에도 부산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 현황을 제시하면 다음

과 같다17)

작은 도서관지원사업

열악한 환경에서도 예술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에게 예술교육 프로그램 제공 예술교육 활성화 및 예술 환경 조성을 위함(부산 느티나무 도서관 외 4곳)

초ㆍ중학생 대상

30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표 4] 2017 기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17) 「부산시 문화예술교육사업 취합 자료」 부산시 문화관광국 2017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부산시

구ㆍ군 문화예술교육모델

발굴 지원

중구mdash닥종이 공예교실 운영 -저소득 주민 대상부산진구mdash청소년예술학교 운영 -초등학교 1학년~중학교 3학년 대상

문화예술 낙후지역 학생오케스트라 사업

예술적 소양과 바람직한 인성 함양소외ㆍ취약 지역 학교폭력이 심각한 지역 학교 학생 대상

구별 단위사업

문화학교 운영

문화강좌를 통해 지역민의 자기계발 및 건전한 여가선용을 제공하기 위해 지역문화예술 진흥 차원에서 시작된 사업

지역민 누구나

소년소녀합창단 및 청소년 오케스트라

운영 지원

청소년의 정서 함양과 예술적 기량 향상을 통해 전문 음악예술인으로 성장하는 기반 마련

초ㆍ중ㆍ고 학생 대상

유소년 타악기오케스트라

창의력 발달과 인성 형성에 도움을 주며 체계적인 연주 지도를 통하여 음악인재를 육성하고 배움을 통한 재능을 사회에 기여케 하고자 추진

초ㆍ중학생 대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예술감상교육

예술감상교육체험 프로그램 운영으로 청소년의 자발적 문화예술 향유 능력 제고

초ㆍ중학생 및 가족 200여명

한울타리 오케스트라

음악을 통한 행복학습도시 조성 구민 오케스트라 교육 운영을 통한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

일반성인 대상

해운대구립예술단(소년소녀합창단 청소년오케스트라 여성합창단) 운영 지원

구민의 정서함양과 여가선용 및 자기계발 기회 제공과 지역문화예술발전 도모

구ㆍ군 문화예술교육모델 발굴 지원청소년예술학교

운영

구청사 내 청소년 문화예술 전문학교 설립 우수하고 체계적인 예술교육을 통해 청소년의 정서 함양 도모 예술인재 조기 발굴 및 육성

초등학교 1학년~중학교 3학년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1

부산시 주관 사업이나 구 단위 사업도 중요하지만 금정문화재단의 사

업이 눈에 띤다 금정문화재단은 2016년 6월에 구 단위 문화재단으로는

최초로 부산 금정구에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에는 lsquo유네스코 세계문화유

산교실 교육 콘텐츠 개발rsquo 사업만 유일하게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7년 세계시민의식을 주제로 한 lsquo일상 다 예술rsquo이라는 청소년 창의 프

로젝트를 열었다 이는 음악 무용 연극 장르 간 협력을 통해 창작과 제

작 과정 공연에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이다 총 8차시(8차시times4시간)로

진행된 이 사업을 시작으로 2018년에는 lsquo예술일주rsquo 프로젝트를 선보임으

로써 다양한 예술장르와 청소년의 만남을 이루어 내었다는 점에서 긍정

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2) 학교문화 술교육

학교문화예술교육은 크게 학교 예술강사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청소년복화문화센터 놀이마루18) 사업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학교 예술강사 사업은 국악 분야 lsquo강사풀제rsquo(2000) 시범 도입을

청소년 문학아카데미 운영

청소년들의 예술적 자질 발굴초등학교 5학년~고등학교 1학년 작가 지망생 대상

평생학습관 운영

다양한 평생교육 문화프로그램 개설로 지역주민에게 자기계발과 문화향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문화예술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 수행

관내 지역주민

문화강좌 운영 지역주민에게 자기계발과 문화향유 기회 제공

도서관 이용 활성화 도모관내 지역주민

금정문화재단

일상 다 예술금정구 관내 청소년들에게 예술가와의 만남으로 통합적 예술체험기회 제공 창의적 사고 배양

중등학생 대상

세계무형문화유산교실세계무형문화유산 교육프로그램을 추진 다음 세대의 문화다양성 및 문화유산 보존 의식 증진

금정구 관내 6개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30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계기로 정책사업의 기본틀을 마련하였다 이후 이 사업은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의 핵심사업인 lsquo예술강사 지원사업rsquo의 모태가 되었다 학교 예술

강사 사업의 교육목표는 창의성 감수성 문화시민 인성 소통과 공감

등 예술적 가치와 교육적 가치를 포괄하고 있다 교육 장르를 지속적으

로 확대하면서 현재 8개 장르(국악 연극 영화 무용 만화애니매이션

공예 사진 디자인)로 확대ㆍ운영하고 있다 부산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운영주체는 진흥원에서 2011년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로 이관되었

으며 2017년부터는 공모를 통해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가 운영하고

있다 학교 예술강사가 파견되는 수업은 교육과정 내 문화예술교육으로

기본교과 또는 창의적 체험활동에 속한다

2017년 강사 수는 총 375명으로 국악분야 140명이며 그 외 7개 분야

235명이다 2017년 부산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

악이 전체의 376 무용이 228 연극이 164를 차지한다19) 국악 비

중이 높은 이유는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역사와 맥락을 같이하기

때문으로 보이며 향후 영역별 균형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출강학교 수는 전체 518개교였다 학교 수는 2015년 495개교에서 2016년

522개교로 23개교(55) 증가하였고 2017년에는 다시 529개교로 소폭

증가하였다 학교 예술강사 파견에 따른 교육 총시수는 2015년 53284시

수 2016년 55323시수 2017년 87753시수로 해를 거듭할수록 점진적으

로 증가하였다 배정된 학교에 시수를 최대치로 부여함으로써 참여 학교

수는 줄었으나 교육 시수는 오히려 증가한 결과다 교육시수가 증가된

현실과는 무관하게 수혜 대상 학교가 절차상의 문제로 취소ㆍ포기하는

사태가 빚어졌다는 점은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이 지닌 문제점 가운데

18) 서면 중앙중학교가 이전한 뒤 놀이와 체험 위주의 청소년복합문화센터로 자리

잡은 놀이마루는 2016년 9월 28일 부산광역시교육청이 시설 운영을 부산문화재

단이 프로그램 제공과 관리를 맡는 체제로 개관하였다 놀이마루 프로그램은

2017년에는 드림교육센터가 2018년 다시 부산문화재단이 위탁ㆍ운영하고 있다

19) 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17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3

하나라 볼 수 있다 교육과정 운영은 엄격한 편이다 하지만 강사의 개인

역량과 수업 환경에 따라 일정 부분 유연성을 인정하고 허용하는 추세

다 학교문화예술교육에서 강사의 자율성과 교육의 균질성 확보 사이의

균형 역시 연구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

참여학교는 부산광역시교육청에 등록된 특수학교를 포함한 초ㆍ중ㆍ

고등학교가 2017년 기준 643개교에 이른다 초등은 308개교(479) 중

등은 174개교(271) 고등은 146개교(227) 특수학교는 15개교(23)

로 초등학교가 가장 많다 2017년 기준 참여 학교 수도 초등 296개교

중등 150개교 고등은 69개교 특수학교 14개교가 학교 예술강사 파견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특수학교는 1개교만 제외하고 모

두 문화예술교육 수혜를 받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고등학교는 50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데 입시제도의 문제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 본다

중학교 역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여전히 문화예술교육의 수혜

를 받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이 많다

사업비는 2015년 4247875천원 2016년 4322382천원 2017년

5230088천원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2016년과

비교하여 20117년 예산이 21나 증가한 것은 교육시수의 증가와 밀접

한 관련이 있다

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는

기획사업으로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과 lsquo작은 도서관 지원rsquo 사업을

진행하였다 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의 프로그램 구성은 진로 강연과

문화예술교육으로 구분된다 문화예술교육 수업에는 뮤지컬 연극 영화

제작 무대디자인 목공예 오페라 전통연희 공연디렉팅이 있다 수업은

3일 총 6시간(1학교 1일 2회 2시간씩) 진행되었으며 사업 예산은 90000

천원으로 주로 강사료와 재료비로 충당되었다

30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사회문화 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은 학교문화예술교육 대상을 포함한 유아부터 노인

까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며 특히 취약계층이 문화예술을 풍부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은 강사

(또는 단체)가 교육프로그램을 직접 개발ㆍ보급하는 형태로 1년 단위 공

모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강사가 보유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제외한 모

든 운영과 관련된 내용은 진흥원과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

센터)의 운영 지침에 따른다 대표적인 것이 lsquo꿈다락 토요문화학교rsquo와 lsquo지

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rsquo 사업이다

첫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학교 밖 전문 문화예술 기관이나 단체에

서 학령기 아동ㆍ청소년과 그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다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매개로 가족이나 또래 간 소통할 수 있는 새로

운 여가문화를 조성하고 학습의 장을 지역사회로 확대하여 학교mdash가정

mdash지역사회 연계의 교육 공동체를 구축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학

교제도와는 차별화된 문화예술교육 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문화예술교

육에서 소외되었던 대상들에게도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상상력과 소통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2015년 34개 단체의 34개 프로그램 2016년 일

반공모 39개 단체ㆍ기획공모 8개 단체의 55개 프로그램 2017년 50개 단

체 54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교육 참여인원은 2015년 1081명

2016년 2108명 2017년 2091명에 이른다 예산 규모는 국비와 시비 11

매칭 방식으로 2015년 912500천원 2016년 1824000천원 2017년

1642000천원이다 초기에는 특정 구 단위에 편중되었지만 해를 거듭할

수록 구 단위 참여 지역의 편차를 줄이는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2015년

금정구와 부산진구 사상구에서 4개 동래구와 연제구 북구에서 3개 그

외 영도구 중구 기장군 사하구 남구에서 각각 2개 동구에서 1개의 프

로그램을 2016년에는 서구와 강서구가 추가되면서 부산 18개 지역 전체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5

에서 실시되었다 이 역시 예산 증액에 따른 참여단체 수 증가와 문화예

술교육 수요의 증가에 따른 결과라 할 수 있다 2017년에는 해운대구에

서만 7개의 단체가 8개 프로그램을 금정구에서는 5개의 단체가 7개 프

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다음으로 부산진구와 동래구 수영구가 각각 5개

단체에서 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산은 2015년 912500천원 2016년도 1824000

천원으로 2배나 증가하면서 34개 단체에서 34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던

데서 나아가 47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성과를 내었다

교육 참여자 수 또한 1081명에서 2108명으로 1000명이나 증가하였다

예산 증가에 따른 사업단체 단체 수의 증가 프로그램의 다양성 수요에

따른 교육 참여자 수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물론 재단의 까다로운 문화행정 강사들의 안일한 수업 태도와 전문성

결여 등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2017년 예산은 2016년 대

비 2억원이 축소되었으나 51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2091명이 문화예술교육의 수혜를 입었다 이것은 신규단체 또는 3년 미

만의 사업단체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참여자를 기수를 나누어 진행하

던 기존 방식에서 1기수 20명으로 전환하거나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

이기 위하여 1년 완성형 프로그램 방식을 도입한 데 따른 결과라 볼 수

있다

둘째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주민과 예술가의 소통을

지원하는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환경 조성을 통하여 문화격차 해소

지역공동체 문화회복 학습자 개인의 성장을 넘어 일상 속 지역문화공동

체 모델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문화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15년 17개 단체의 17개 프로그램에 총 385명이 2016년에는 16개의

일반공모와 1개의 기획공모사업에 345명이 참여하여 다양한 교육을 받

았다 2017년에는 15개의 일반공모 단체와 1개의 기획공모 단체가 397명

30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의 지역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

램을 진행하였다 예산은 국비와 시비 11매칭으로 2015년에서 2017년까

지 3년간 동일하게 294000천원으로 편성ㆍ운영되었다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지역민과 예술가 또는 예술단체

가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

역민과의 소통을 전제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3년간 참여한 지역과 단

체 개발된 프로그램의 확산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예

산 증액 없이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확대와 발전을 기대

하기 어렵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준다

4) 부산 문화 술교육의 성과와 한계

지난 15년 간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다음과 같은 성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하

는 제도적 기초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lsquo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

원 조례rsquo는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제도적 장치로 문화예술교육이 시민

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부산문화 역량 강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명시

하고 있다20) 이는 예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하는 근거가 된다 그러

나 서울 경기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대전광역시21) 등에서는 교

육청이 문화예술교육 진흥과 관련한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 중인 것과

비교하면 부산은 제도적 기반이 여전히 충분하지 않고 유관기관 간의

협력 체제가 공고하게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둘째 예산을 확대 편성하여 안정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양적 성장을 이

루었다 부산에서는 국비와 시비 자체 사업비 등을 포함하여 국악분야

20) 「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원 조례」 제3조(기본원칙) 2항에서 ldquo모든 시민은

나이 성별 장애 사회적 신분 경제적 여건 거주지역 등에 관계없이 자신의 관

심과 적성에 따라 평생에 걸쳐 문화예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받는다rdquo고 명시하고 있다

21) 대전광역시교육청은 장애학생 문화예술 지원 조례를 두고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7

예술강사 지원사업 18억원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24억원 사회문화예

술교육 등 그밖의 사업에 25억원 정도의 사업비가 매년 투입되었다 이

를 통해 사업 대상과 규모를 확대할 수 있었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경

우 연간 500여 개의 학교가 참여하였고 교육 시수는 5만~8만 시간 정

도 운영되었다 예술강사가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수혜자 수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공간과 시설 등 인프라 확충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양적 증대에 따라 교육 공간과 시설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되면서

부산시나 구 단위에서 문화예술교육 거점 공간을 조성하거나 지역의 특

정 공간을 문화예술교육공간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청소

년 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는 개관 초기부터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끌었

으며 문화예술교육 공간과 콘텐츠 면에서 우수 사례로 벤치마킹되고 있

셋째 양적 성장을 기초로 유추해 볼 때 문화예술교육과 함께 성장한

교육 수혜자들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

이 확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22) 문화예술교육 경험자는 개인의 행복감

이나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비경험자보다 긍정적 결과를 보인다고 한

다23) 앞으로도 문화예술 영역의 외연 확장과 더불어 지역 정체성의 발

견과 확립 지역민의 삶의 질 개선 지역 경제와의 연계 도시 재생 지역

발전 견인 등과 적절하게 결부시킴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사회

적으로 확산시켜 나갈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 반해 문제점과 한계 또한 적지 않다

첫째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를 들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지원체계

는 중앙정부에서 예산을 일방적으로 편성하여 지자체에 배정하는 방식

을 취하고 있으며 사업 또한 동일한 방식을 유지해 왔다 이러한 정부

22) 앞으로 문화예술교육 수혜자들이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으로 나아가는 사례

를 면밀히 분석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사회 활동에서 비수혜자들과 어떤

차이를 드러내는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2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30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주도의 중앙집중형 지원 시스템은 지역의 현실과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

지 못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지역적 기반과 문화적 응전력 자생력을 현

격하게 약화시킨다 지역의 문화자원(유관기관 문화예술단체 등)과 인

적 자원의 협력 체계를 제대로 구축하지 못한 점도 마찬가지다 결과적

으로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취약하게 만들 수밖에 없는 것

이다 현 정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기조로 지역 구심성을 강조하

고 있지만 이러한 지원체계의 혁신 없이는 불가능하다

둘째 공급자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에

따라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된 이원적 구조가

고착되면서 교육 내용이나 방법론 확장에 많은 제약이 뒤따랐다 특히

학교에서부터 사회에 이르는 생애 전 과정을 통합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지 못하고 있는 점 각 영역별로 각자의 교육 대상자를 규정하고

있어 교육 대상자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점 등이 문제다 그 결

과 수혜자 수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중복 수혜 대상이 반복적

으로 발생하는가 하면 전혀 수혜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 또한 적지 않다

가령 유아 청년(대학생 또는 청년) 대상 사업이 전무한 실정이고 일부

중장년층이나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운영하고 있지만 실효성

이 낮은 편이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경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사업 중심이어서

사업별로 대상자가 중복되는 경향이 있고 사업 대상을 취약계층으로 규

정한 것은 일종의 낙인효과를 유발함으로써 사업 취지와도 적절하게 부

응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필요를 반영한

교육과정이 설계되지 못했다 한정된 교육 장소 또한 공급자 중심이어서

수혜자 또는 수혜자 집단이 교육 공간에 방문하여 진행하는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다 삶의 질 향상과 생활문화가 중시되는 이즈음 수요자의 생

활 속으로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절실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9

셋째 양적 증대에 비해 질적 성장을 이루지 못했다 이는 교육과정 개

선이나 관리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지 않은 데서 비롯되었다 교육프로

그램 실행이나 효과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을 개선해야 하지만 시스템

부재로 양질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ㆍ보급해 나가는 데 어려움

이 따를 수밖에 없다 현장과 동떨어진 내용을 요구하거나 표준화된 학

습지도안에 따라 기계적인 수업을 강요하는 측면이 있는 반면 교육과정

을 지나치게 자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강사에 따라 내용의 편차가 크게

존재하는 등 교육의 균질성 역시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예술강사의 역

량 강화를 위한 제도나 교육 프로그램 역시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데 의무 연수 규정 또한 폐지되어 전적으로 강사 개인의 자율적 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곧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하락으로 연결된

다 유관기관의 담당자나 학교관계자 교사들의 예술강사에 대한 인식에

도 문제가 있다 학교 관계자는 예술강사를 lsquo교사가 담당하기 어려운 과

목을 단순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rsquo 정도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

어 예술강사의 자긍심을 저하시키고 있다 예술강사(프로그램 준비 실

행) 학교관계자(시수인정 학교 안내 등) 담당교사(수업 시간 조율 준

비와 진행 등에 대한 협조)의 역할 설정 또한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교

육현장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성과를 집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참여 강사 및 단체 프로그

램(교육과정안 및 세부내용) 협력공간에 대한 정보를 생산ㆍ공유할 수

있는 종합 시스템이 미비하다 교육과정안과 세부 수업 내용뿐만 아니라

강사별 단체별 협력공간별 정보를 취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 없어

정보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역 기반의 우

수한 콘텐츠의 생산과 활용 측면에도 충분한 뒷받침을 하지 못하고 있

31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부산 문화 술교육의 과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고려해 볼 때 부산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

화 등 세 영역에서 향후 과제와 전망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1) 지역 문화 술교육 생태계 조성

첫째 서울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등과 같이 교육청 차원에서 별도

의 조례를 마련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재정비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은

정부 문화기관 교육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한 특수 분야다 이러

한 특성을 감안하여 부산시 부산문화재단 부산광역시 교육청은 문화예

술교육 발전 비전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실제 추진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또

한 문화예술교육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지역의 공연기관

박물관 도서관 지역문화원 등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과의 연계와 협력

도 필요하다 예컨대 핀란드의 lsquo뮤지엄 교육rsquo은 뮤지엄 동물원 오페라

극장 등이 학교와 연계하여 만든 프로그램으로 핀란드의 오랜 식민지

역사를 되짚어보고 국가 정체성을 재발견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근대 부

산의 도시 형성 역사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핀란드 교육은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콘텐츠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의 지역 집중성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부산 지역

의 여건과 현황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부산

센터가 더욱 능동적으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향

후 설립될 기초 단위 센터와의 바람직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문

화예술교육 정책의 지역화 초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하지 못

한 문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진흥원과의 유기적 협력

체계를 유지하는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1

해서는 운영 체제를 개편하고 전담 인력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를 활성화해야 한다 국내외 교류를 활발

히 추진함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시켜 나가

고 국내외 우수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콘텐츠의 질적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부산의 문화예술교육 역량에 걸맞은 국제 컨퍼런스

와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시키고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 담론을 생산해야 한다 아울러 양질의 네트워크

를 형성하여 지속적인 교류ㆍ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부산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일도 더없이 중요하다 국내

유관단체와 기관 간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감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자

생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2) 수요자 심의 교육환경 구축

첫째 수요자의 생활권과 연계된 문화예술교육의 기반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기관으

로 리모델링하는 방안 공간을 정비하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을 갖추는

공간 재편 방안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공간을 지속

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 김포가압장을 리모델링하여 아동ㆍ청소년

예술교육센터로 활용하고 있는 서서울예술교육센터 옛 성복보건소 건

물을 리모델링한 서울예술치유허브 등이 좋은 예다 또한 지역민의 생

활권 안에서 자발적으로 문화예술을 즐김으로써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가령 동아리 활동에 전

문가를 매칭하여 지속적ㆍ단계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

법이며 예술 놀이터를 조성하여 누구나 부담 없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사업

도 필요하다 문화예술교육은 지역의 문화유산이나 생활 습속과 연계하

31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여 지역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때 공동체 의식과 바람직한 지역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미국 피츠버그에 소재한 맨체

스터 크래프트 길드(Manchester Craft Guild)의 경우 청소년 시절 도예

교육 미술 지역 공동체의 힘을 깨달은 설립자가 일생 동안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며 지역 공동체의식을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이

외에도 지역에 산재한 여러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교육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망을 정교하게 구축하고 유기적으로 작동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생애주기별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여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

대해야 한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은 생애 전반에 걸쳐 지역

민과 지역공동체의 생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지역형 문화예술

교육 정책의 근간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추진해 오던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여러 이유로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수요자

층을 발굴하고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부산문화재단(부산광역문화교육지원센터) 부

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금정문화재단 등이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수혜 대상자 현황을 살펴보면 취약계층을 포함한 학교 안팎의 청소년이

주된 대상이다 반면 유아ㆍ아동과 청년 대상 사업은 전무하며 노인대

상 사업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이나 시민아카데미 사업 정도

에 불과하다

두루 알다시피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은 유아부터 노인까지 단계적

ㆍ체계적 프로그램을 기획ㆍ운영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할렘 칠드런즈 존(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을 들 수 있다24) lsquo할렘

어린이 구역(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rsquo 프로젝트는 태교부터 직장

24)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KIPP)

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

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67쪽 Harlem Childrenrsquos Zone httpshcz

org2018100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3

에 들어가기까지 교육과 건강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 각자의 건강

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이것이 지역 공동체의 건강한 토대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좋은 예다 이 프로젝트는 영유아 종일 보육센터 학업 성

취를 책임지는 차터 스쿨 건강지원센터 방과 후에 운영되는 아동과 성

인을 위한 주민센터 주말과 여름에 이루어지는 청소년 폭력 방지 등 지

역 주민 전체를 위한 광범위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25)

셋째 수요자의 다양한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창의력과 융합적 사고의 원동력이 되는 인문학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부산문화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인문학 소모임 동아리 출판 지원 등의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감

으로써 다양성을 확보하고 문화예술 기초역량을 배양해 나가는 디딤돌

로 삼아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장을 넓혀 나가는 작업도 필요하

다 스웨덴의 lsquo서커스 시르쾨르rsquo은 좋은 본보기다 이는 서커스를 문화예

술교육에 접목한 사례로 인간의 삶의 균형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다

양한 오브제를 활용하고 신체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다26)

최근 부산에서 장애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장애인 대상 교육단체에 대한 지원과 국가자격증을

갖춘 강사 확보를 통한 전문성 강화 등 관리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또한 지원 대상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미

국 오클랜드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기관 크리에이티

브 그로스 아트센터(Creative Groth Art Center) 사례는 적지 않은 시사

점을 던진다 이 기관은 1974년부터 발달장애인의 예술적 역량과 완성

작품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데 기여해 왔다 장애인 작가들

이 자유로운 예술 감각을 표현하며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 작

업실을 제공하고 국내외 전시를 개최하는 등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

25) 김경애 위의 논문 170쪽

26)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116쪽

31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넷째 영역별 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교문화예술

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되어 있는 구조를 극복하여 문화예술

교육의 실질적 효용을 극대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국립 오페라단의 스

쿨 오페라 프로그램은 좋은 예다 전국의 학교를 대상으로 오페라 교재

와 가수 스태프를 파견하고 의상 등을 지원하며 다양한 교과와 연계하

여 사업을 펼치고 있다 가령 역사 수업에서 오페라의 시대 배경을 제시

하고 국어 수업에서는 연기하는 인물의 감정을 고찰하며 미술 수업에

서는 소도구를 직접 제작해 보기도 한다 경영 수업에서는 입장권을 직

접 판매하는 등 홍보ㆍ마케팅 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역별 연계

활동은 예술가의 자유로운 실험정신과 창의적 사고로 교실에 생기를 불

어넣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27)

3) 문화 술교육 질 기반 고도화

첫째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해 나가는 작업

이 시급하다28) 학교문화예술교육 설문조사 결과29)에 따르면 문화예술

27)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299쪽

28) 부산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서는 고(稿)를 달리하여 논의

할 예정이다

29)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심층면담 결과를(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58-59

쪽) 사회문화예술교육은 2018년 9월 30일 자체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였다 특히 후자는 다음과 같은 문항으로 예술강사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1 참여하고 있는(또는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2 현

재 교육하고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3 현재 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분야와

교육 중인 분야가 일치합니까 4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

니까 5 문화예술교육 경력기간을 선택해 주세요 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까 7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해 받은 연수 프로그램이 있다

면 선택해 주세요 8 2015~2018년 간 이수한 총 연수 시수를 선택해 주세요 8

mdash1 2015년~2018년 간 부산문화재단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

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mdash2 2015년~2018년 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ARTE)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

mdash3 2015년~2018년 간 기타 기관에서 연수받은 적이 있다면 연수기관과 시수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5

교육 강사 재교육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강사 자신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예술강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매몰되면 자칫 기능 중심의 교육이 되기 쉽고 문

화예술교육 고유의 목표에 다가가기 어렵게 된다 예술강사의 질은 문화

예술교육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학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해야 한다 서울형 예술가

교사(TA)는 문화예술 기반 콘텐츠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접목시켜

만든 새로운 강사 모델이다 이들은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철학인 lsquo미

적 체험rsquo을 실현하는 예술교육 전문가로 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뛰

어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인문

ㆍ예술 장르의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내고 있다 초등학교 대상 프로그램 lsquo예

술로 플러스rsquo와 중학생 대상 인문예술교육 lsquo예술로 함께rsquo는 모두 정규과

정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이 있다30) 아울

러 예술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인력 문화예

술교육단체 학교 기관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

식을 개선하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ㆍ단계적인 교

육 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과거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영역에서 교과서

를 표준화했지만 최근에는 강사가 현실 여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되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효과적

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네트워킹

를 기재해 주세요

30)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htmleducationchildaspperMen

uSeq=2ampMenuSeq=3720181006 예술가교사 사이트 httpartsedutasfacork

rhtmlteachingArtchildEdu_introasp20181006

31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인적 자원 정보를 담은 인력 뱅크 콘텐츠 디렉토리 지역

의 문화자원 사업 정보 국내외 동향과 연구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역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과 실태를 조사

ㆍ연구하는 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다 문화예술교육

의 지역 실태 조사는 문화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짧은 주

기로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제를 발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rsquo 발표를 계기로 문

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분

권의 시대가치에 적합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문화예

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

합회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을 중심

으로 기관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은 중앙

과 협력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을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부산

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원사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2: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29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점차 외연을 확장시켜 나가고 있다

이 글에서는 부산의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점검하고 지역분권의 시

대를 맞이하여 부산의 문화예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였다

부산지역은 정책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이 시작된 이래 문화예술교육의

가치 확산 사업 대상과 규모 확대 교육 인프라 확충 문화향유의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이라는 성과를 도출해낼 수 있었다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예

술강사지원센터)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을 대상으로 지원

사업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발전을 가로막는 공

급자ㆍ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의 취약

성 교육내용의 미비와 방법론 부재 관리시스템 부실 교육대상의 불균

형 심화 문화예술 담당자나 학교관계자ㆍ교사들의 문화예술교육에 대

한 이해 부족 성과 시스템 미구축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이 처한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냉정하게 진단하고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체계 구축 운영체제

개편을 통한 지역 집중성 강화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하고 생활권과 연계된 문화

예술 교육기반의 점진적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의 실시와 문화

향유의 기회 확대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영역별 연

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었

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기반을 고도화하기 위해 인적자원의 역량

개발 강화 문화예술교육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확대 국내외 문화예술

교육의 동향과 실태조사 연구기반 마련도 시급한 과제였다

주제어 문화예술교육 부산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 지

역 생태계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1

1 들머리

2000년 초반까지도 해도 문화예술교육은 문화교육 문화 나눔 예술

체험과 강습 등을 포괄하는 일반적인 개념으로 통용되었다 그러다가

2003년 4월 문화관광부(현 문화체육관광부)가 문화행정의 혁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민관 합동으로 문화행정혁신위원회를 설립하면서부터 문

화예술교육은 하나의 정책 대상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1) 문화행정혁신

위원회에서는 문화정책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를 진행하

여 문화예술교육을 주요 대상으로 포함시켰다 같은 해 6월에 정책을 전

담ㆍ추진하는 TF팀을 구성하고 조직 개편을 통해 문화예술교육과로 변

경하였으며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을 추진하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2005년에는 정책 전담기구인 lsquo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rsquo(이하 진흥원)을

설립하고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을 제정하여 제도적 기틀을 마련하였다

2007년 전국 25곳에 기초단위 지역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를 설립하여

중앙정부와 지역 간 협력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2009년에는 서울 광주

경남 충남 강원 제주 등 6곳에 광역 단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를 지

정하기 시작하여 현재 17개 시도에서 운영하고 있다2)

2015년 전후로 각 지역별로 문화예술교육 관련 조례를 제정ㆍ시행하

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교육청에서 교육현장의 요구와 지원을 강화

하기 위해 별도 조례를 마련하고 있는 추세다 부산에는 2016년 8월 lsquo부

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원 조례rsquo(제5398호)를 제정ㆍ운용하고 있다

1) 정책 대상으로서 문화예술교육의 맹아를 2000년에 시범적으로 실시한 lsquo국악강사

풀제rsquo에서 찾기도 한다 학교 음악교사가 대부분 서양음악 전공자라는 점을 보완

하기 위해 전문 국악인을 파견하여 교육하는 제도로 2006년 lsquo학교 예술강사 지원

사업rsquo으로 변경되어 문화예술교육 지원 정책의 핵심 사업으로 자리 잡았다

2) 진흥원과 협력하여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일부 센터 제외) 지역특성화 문화예

술교육 지원사업과 토요문화학교 지역연계 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으나 역할 분

담과 관계 설정에서 여전히 모호한 측면이 존재한다

29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최근에는 지역문화 진흥 및 균형 발전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서서히 구

축되고 있다 lsquo문화기본법rsquo(2013) lsquo지역문화진흥법rsquo(2014) lsquo국민여가활성

화기본법rsquo(2015) 등을 비롯하여 광역자치단체들이 문화예술 및 지역문화

진흥 관련 조례를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 정체성의 발

견과 확립 지역민의 삶의 질 개선 지역 경제와의 연계 도시 재생 지역

발전 견인 등 다양한 측면에서 문화예술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확

산시켜 나가고 있다

2015년 5월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 개정으로 정부는 5년마다 문화예술

교육 종합계획을 수립하는 법적 의무를 지니게 되었다 2014년 수립된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 계획(2014~2017)의 정책 기한이 종료됨으로

써 2018년 1월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

2022)rsquo을 수립발표하였다3) 이 계획은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과 수요

증대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연계성과 체계성 확보 필요 맞춤형 문화예

술교육 요구 증대 교육 패러다임 변화 제4차 산업혁명시대 정책 환경

의 변화 등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치를 담고 있다 문화예술교

육 전문인력의 역량 강화 안정적 지원 환경 마련 전 국민 대상의 문화

예술교육 확대가 필수적으로 요청된다고 보았다 정책방향으로 지역 분

권화 정책 체계화 수요 특성화 융합과 확장을 추진전략으로 지역 기

반 생태계 구축 수요자 중심 교육 다각화 문화예술교육 기반 고도화를

제시하였다 사실상 문화예술교육의 지역화를 핵심과제로 제시하고 있

는 셈이다 따라서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 ~2022)rsquo은 지역 문화예

술교육 정책에서 하나의 전환점으로 간주할 수 있을 만큼 정책 변화의

폭이 크다 이에 따라 전국 각 지역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 발전계획rsquo

을 마련하고 있다 부산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지역분권의 시대적 가치

에 실질적으로 부합하고 부산의 문화적 여건과 세대별(유아에서 노년에

이르는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ㆍ영역별(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

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3

화예술교육)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며 부산의 지역성을 담지할 수

있는 독자적인 정책을 발굴해야 한다

부산문화예술교육의 역사를 간략히 살펴보면 2000년대 중반 이후 부

산대 신라대 산하 연구소를 비롯하여 다수의 민간 예술단체와 시민단체

들이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참여하여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 사업을 진행하였다4) 부산광역시교육청에서도 lsquo1학교 1문화예술교

육rsquo 정책과 학교문화예술교육 종합추진계획을 수립하여 진흥원과 업무

협약을 체결하여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을 적극적으로 표출하였다5) 이

러한 흐름은 2010년 부산문화재단 내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이하

부산센터)가 지정ㆍ설립되면서 일대 전환을 맞는다 이를 계기로 진흥원

에서 시행하던 사업들이 지역센터로 이관되어 업무가 통합되는 과정에

서 초기에 비해 민간단체들의 역할이 부분적으로 약화되었다 이는 제도

화 초기에 발생하는 문제로 불가피한 측면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부산센

터가 지역 문화예술교육 진흥의 허브로서 다양한 민간단체들과 교류

협력하는 거버넌스 체제를 구축하지 못했기 때문이다6) 이후 지역센터

주관으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연구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

다 하지만 진흥원의 정책과 사업을 지역에서 수행하는 비중이 크기 때

문에 지역 고유의 사업을 독자적으로 진행하기에는 어려울 수밖에 없다

지난 15년 간 문화예술교육이 정책적으로 시행됨으로써 문화예술교육

이 양적 성장을 이루었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다 재정규모는 84억원

에서 1295억원으로 15배 예술강사 수는 1861명에서 5849명으로 3배

이상 무엇보다도 문화예술교육 수혜자 수가 71만 명에서 310만 명으로

45배나 증가하였다7) 그런데도 이러한 비약적인 양적 증대에도 질적 성

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8-9쪽

5) 부산광역시교육청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정책 기조와 사업 현황은 「2016 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종합계획」 「2018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추진계획」을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6) 김희재 외 여럿 앞의 글 30쪽

29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장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여기에는 진흥원과

지역센터 간의 관계 설정과 역할 분담의 불균형 공급자 중심의 분배식

사업 지원 학교 예술강사의 고용불안 프로그램의 질적 관리 미흡 등의

복합적인 문제가 내포되어 있다

그런데도 이제껏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초창기부터 지역 실정에 걸맞은 문화예술교육

방법론을 모색하거나8)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역사적 경과9)를 개략

적으로 정리하는 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아직까지 부산지역 문화예술

교육의 실체를 종합적으로 조망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으며 주관기관에

서 매년 사업성과를 묶어 자료집을 발간하는 정도에 머물러 있다10) 지

역의 실정을 반영한 문화예술교육의 제도적 기반 구축 지역성과 문화예

술교육의 관련성 탐구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

강화 통합문화예술교육 방법론 모색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 문화예

술교육의 수요와 사회적 확산 방안 예술강사의 실태 분석을 통한 현장

7) 부산문화재단 생활문화본부 문화교육팀의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8)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연구

원 2007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

포럼 2017 56월호

9) 김희재 외 여럿 앞의 글

10)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와 부산문화재단에서 발간하는 사업 결과보고서를 통

해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사업 현황과 실태를 부분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이

다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집」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

자료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

자료집」 2016 부산문화재단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부산문화재단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다른 지역의 경우

에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원사업을 다룬 논

의가 있다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술교육연

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5

의 요구 반영 등의 문제에는 소홀했던 셈이다 비교적 최근 들어 문화예

술교육의 실태를 조사한 논의가 있기는 하나11) 이 또한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까닭에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 논문에서는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살펴

보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지역 기반의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

고자 한다

2 부산 문화 술교육의 황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은 여러 기관에서 추진되고 있는 지원사업

을 통해 정리해 볼 수 있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을

교육내용으로 하거나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모든 형태의 교육을 말한다

그런데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 제2조(정의)에는 문화예술교육을 학교문화

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등 2개의 항목으로 세분하고 있다 따라

서 진흥원이 지원하는 사업은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

로 나뉠 수밖에 없다 진흥원이 지원하는 학교문화예술교육은 학교 예술

강사 예술꽃씨앗학교 유아문화예술교육과 고3 수험생 대상 문화예술교

육 lsquo상상만개rsquo다 반면 사회문화예술교육은 6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

다12) 대표적인 사업으로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꿈다락

11) 이미연 외 여럿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화

예술교육연합회 2017

12) ①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② 소외 계층 아동ㆍ청소년을 대상으로 하

는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 지원 지역아동센터 농산어촌 이동형 문화예술교육

lsquo움직이는 예술정거장rsquo 방과 후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지원 ③ 군대 교정시설소

년원 등 특수계층협력형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④ 예술동아리 교육 지원사

업 컨설팅 지원 등의 시민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⑤ 진흥원과 광역문화예술교

육지원센터 협력형 사업으로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⑥ 꿈다락 토

요문화학교 지원사업이 바로 그것이다 김희재 외 여럿 앞의 글 2014 25쪽

29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토요문화학교 지원사업을 들 수 있다 부산에서 진흥원 사업을 시행하는

기관은 여러 곳이며 진흥원 사업 외 별도 사업이 있다 또한 여러 기관

에서 협업으로 진행하는 사업도 있다 이 자리에서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현황을 두루 파악하기 위해 lsquo주관기관별 문화예술교육rsquo lsquo학교문화예

술교육rsquo lsquo사회문화예술교육rsquo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

1) 주 기 별 문화 술교육

여기에서는 2017년도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

문화예술교육연합회(예술강사지원센터) 부산광역시교육청 금정문화재

단을 비롯한 각 기초자치단체에서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을 검

토하고자 한다13)

우선 부산문화재단 지원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자

[표 1] 2017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원사업 현황

13)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발간한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을 바탕으로 현황을 정리하였다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문화예술교육 인력양성

문화예술행정 아카데미부산 문화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창의적인 행정역량 강화

공공기관 행정 책임자 대상

프로그램 연구 개발 및 보급

지역협력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지원체계 구축 및 문화예술교육 컨트롤 타워 역할 수행

인력양성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문화예술교육 매개자를 위한 공통 기초 연수 실행자를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문화예술교육 관계자 전체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7

2016년 ldquo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

육rdquo14)으로 구분되어 있던 사업체계가 2017년도에는 ldquo문화예술교육 인력

양성 프로그램 연구개발 및 보급 문화예술교육정책사업rdquo으로 재편되었

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학교 예술강사와 국악분야 예술강사 사업이 제

14) 2016년에는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rsquo(지역 협력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네트워크 사업 문화예술행정 아카데미) lsquo학교문화예술교육rsquo(학교 예술

강사 지원 국악분야 예술강사 지원 어린이무형문화재 교실 청소년복합문화센

터 놀이마루 프로그램 운영) lsquo사회문화예술교육rsquo(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

원사업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역 인문학 활성화 지원 학예이론 도서발간 지

원 지역 출판문화 활성화 지원 도시철도 북하우스 운영 2016년도 가을독서문

화 축제)으로 구분하여 세부사업을 운영하였다

지역전통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역전통문화예술 콘텐츠를 활용한 융합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지역 전통문화예술 활성화 및 브랜드화 도모

초등학생 대상(시범 진행)

문화예술교육 정책

사업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지속가능한 일상 속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발굴을 통해 문화 환경 조성과 지역사회의 문화역량 향상에 기여

문화 사각지대 지역주민 대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학교mdash가정mdash지역사회 연계의 교육공동체 구축 및 문화예술 활동을 비롯한 사회의 다양한 활동 기회 제공

아동 청소년 및 그 가족 대상

지역 인문학 활성화 지원

lsquo지역출판문화 활성화 사업rsquo(2016)과 통합

인문학 소모임 간의 소통을 통한 지역사회의 인문학 활성화

인문학 소모임 대상

도시철도 북하우스 운영생활밀착형 독서문화 공간의 관리와 운영부산 시민 전체 대상

2017년도 가을독서문화축제

일상에서 책읽기 문화 활성화 및 지속적인 독서 관련 콘텐츠를 생산하여 책 읽는 사회 분위기 조성

부산시민 전체 대상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지역의 전통문화예술을 창조적으로 계승 생활 속 향유 지원

선별된 초등학교 3학년~6학년 대상

29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외되었다 또한 지역출판문화 활성화 사업이 지역 인문학 활성화 지원사

업과 통합되어 진행되었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그리고 지역협력형 문화

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인력양성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역전통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업이 추가됨으

로써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가 가능해졌다 이처럼 부산문화재단이 기존

의 단순 지원에서 벗어나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감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부산문화재단은 진흥원 사업 외에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

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도 펼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부산센

터 사업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부산의 정체성과 독자성을 담은 문

화예술교육사업을 기획ㆍ운영하기가 쉽지 않다는 데 있다 적은 예산에

다 제한된 인력을 투입하여 여러 사업을 진행하므로 사업 관리나 독자

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어려움이 클 수밖에 없는 셈이다

다음으로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예술강사지원센터)15)와 부산광역

시교육청에서 진행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16)을 살펴보

[표 2]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지원사업 현황

15)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기획사업 계획서」 2017 참고

16) 부산광역시교육청 홈페이지 정보공개자료 중 문화예술교육활성화 항목 참고 ht

tpwwwpengokr20180930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학교문화예술교육

학교 예술강사 지원

학교문화예술교육국악 및 7개 분야 학교 예술강사(연극 영화 무용 만화ㆍ애니 사진 공예 디자인)

초ㆍ중등 및 특수학교 대상

기획사업찾아가는 진로ㆍ

예술교육

진로 및 문화예술교육으로 학생들에게 적성과 흥미를 찾을 수 있는 기회 마련

초ㆍ중학생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9

[표 3] 2017 부산광역시교육청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문화예술교육지원

예술동아리 지원 등학생들의 예술동아리 및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함

체험학습 운영

어린이회관

학생교육문화회관

학생예술문화회관 체험실 운영 등

교육기관 체험실 운영 지원 (기자재 구입 및 강사료 등)

축제행사 운영

학생연극제 댄스경연대회

가요제 등학생이 참여하는 모든 예술 축제행사 지원

특별활동 지원

문화예술순회프로그램

문화예술활동 지원

학생비엔날레 개최 등

학생 민간예술단체 교사 단체 등의 활동 지원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시설관리 및 프로그램 운영 지원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기획ㆍ진행하였다 반면 부산광역시교육청 문화예

술교육 지원사업은 크게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

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

원으로 나눌 수 있다 이것은 부산광역시교육청의 lsquo학교문화예술교육 활

성화 종합계획rsquo에 따라 운영되며 완만한 예산 변동으로 사업내용에는

큰 변화가 없는 편이다

이외에도 부산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 현황을 제시하면 다음

과 같다17)

작은 도서관지원사업

열악한 환경에서도 예술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에게 예술교육 프로그램 제공 예술교육 활성화 및 예술 환경 조성을 위함(부산 느티나무 도서관 외 4곳)

초ㆍ중학생 대상

30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표 4] 2017 기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17) 「부산시 문화예술교육사업 취합 자료」 부산시 문화관광국 2017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부산시

구ㆍ군 문화예술교육모델

발굴 지원

중구mdash닥종이 공예교실 운영 -저소득 주민 대상부산진구mdash청소년예술학교 운영 -초등학교 1학년~중학교 3학년 대상

문화예술 낙후지역 학생오케스트라 사업

예술적 소양과 바람직한 인성 함양소외ㆍ취약 지역 학교폭력이 심각한 지역 학교 학생 대상

구별 단위사업

문화학교 운영

문화강좌를 통해 지역민의 자기계발 및 건전한 여가선용을 제공하기 위해 지역문화예술 진흥 차원에서 시작된 사업

지역민 누구나

소년소녀합창단 및 청소년 오케스트라

운영 지원

청소년의 정서 함양과 예술적 기량 향상을 통해 전문 음악예술인으로 성장하는 기반 마련

초ㆍ중ㆍ고 학생 대상

유소년 타악기오케스트라

창의력 발달과 인성 형성에 도움을 주며 체계적인 연주 지도를 통하여 음악인재를 육성하고 배움을 통한 재능을 사회에 기여케 하고자 추진

초ㆍ중학생 대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예술감상교육

예술감상교육체험 프로그램 운영으로 청소년의 자발적 문화예술 향유 능력 제고

초ㆍ중학생 및 가족 200여명

한울타리 오케스트라

음악을 통한 행복학습도시 조성 구민 오케스트라 교육 운영을 통한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

일반성인 대상

해운대구립예술단(소년소녀합창단 청소년오케스트라 여성합창단) 운영 지원

구민의 정서함양과 여가선용 및 자기계발 기회 제공과 지역문화예술발전 도모

구ㆍ군 문화예술교육모델 발굴 지원청소년예술학교

운영

구청사 내 청소년 문화예술 전문학교 설립 우수하고 체계적인 예술교육을 통해 청소년의 정서 함양 도모 예술인재 조기 발굴 및 육성

초등학교 1학년~중학교 3학년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1

부산시 주관 사업이나 구 단위 사업도 중요하지만 금정문화재단의 사

업이 눈에 띤다 금정문화재단은 2016년 6월에 구 단위 문화재단으로는

최초로 부산 금정구에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에는 lsquo유네스코 세계문화유

산교실 교육 콘텐츠 개발rsquo 사업만 유일하게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7년 세계시민의식을 주제로 한 lsquo일상 다 예술rsquo이라는 청소년 창의 프

로젝트를 열었다 이는 음악 무용 연극 장르 간 협력을 통해 창작과 제

작 과정 공연에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이다 총 8차시(8차시times4시간)로

진행된 이 사업을 시작으로 2018년에는 lsquo예술일주rsquo 프로젝트를 선보임으

로써 다양한 예술장르와 청소년의 만남을 이루어 내었다는 점에서 긍정

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2) 학교문화 술교육

학교문화예술교육은 크게 학교 예술강사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청소년복화문화센터 놀이마루18) 사업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학교 예술강사 사업은 국악 분야 lsquo강사풀제rsquo(2000) 시범 도입을

청소년 문학아카데미 운영

청소년들의 예술적 자질 발굴초등학교 5학년~고등학교 1학년 작가 지망생 대상

평생학습관 운영

다양한 평생교육 문화프로그램 개설로 지역주민에게 자기계발과 문화향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문화예술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 수행

관내 지역주민

문화강좌 운영 지역주민에게 자기계발과 문화향유 기회 제공

도서관 이용 활성화 도모관내 지역주민

금정문화재단

일상 다 예술금정구 관내 청소년들에게 예술가와의 만남으로 통합적 예술체험기회 제공 창의적 사고 배양

중등학생 대상

세계무형문화유산교실세계무형문화유산 교육프로그램을 추진 다음 세대의 문화다양성 및 문화유산 보존 의식 증진

금정구 관내 6개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30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계기로 정책사업의 기본틀을 마련하였다 이후 이 사업은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의 핵심사업인 lsquo예술강사 지원사업rsquo의 모태가 되었다 학교 예술

강사 사업의 교육목표는 창의성 감수성 문화시민 인성 소통과 공감

등 예술적 가치와 교육적 가치를 포괄하고 있다 교육 장르를 지속적으

로 확대하면서 현재 8개 장르(국악 연극 영화 무용 만화애니매이션

공예 사진 디자인)로 확대ㆍ운영하고 있다 부산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운영주체는 진흥원에서 2011년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로 이관되었

으며 2017년부터는 공모를 통해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가 운영하고

있다 학교 예술강사가 파견되는 수업은 교육과정 내 문화예술교육으로

기본교과 또는 창의적 체험활동에 속한다

2017년 강사 수는 총 375명으로 국악분야 140명이며 그 외 7개 분야

235명이다 2017년 부산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

악이 전체의 376 무용이 228 연극이 164를 차지한다19) 국악 비

중이 높은 이유는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역사와 맥락을 같이하기

때문으로 보이며 향후 영역별 균형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출강학교 수는 전체 518개교였다 학교 수는 2015년 495개교에서 2016년

522개교로 23개교(55) 증가하였고 2017년에는 다시 529개교로 소폭

증가하였다 학교 예술강사 파견에 따른 교육 총시수는 2015년 53284시

수 2016년 55323시수 2017년 87753시수로 해를 거듭할수록 점진적으

로 증가하였다 배정된 학교에 시수를 최대치로 부여함으로써 참여 학교

수는 줄었으나 교육 시수는 오히려 증가한 결과다 교육시수가 증가된

현실과는 무관하게 수혜 대상 학교가 절차상의 문제로 취소ㆍ포기하는

사태가 빚어졌다는 점은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이 지닌 문제점 가운데

18) 서면 중앙중학교가 이전한 뒤 놀이와 체험 위주의 청소년복합문화센터로 자리

잡은 놀이마루는 2016년 9월 28일 부산광역시교육청이 시설 운영을 부산문화재

단이 프로그램 제공과 관리를 맡는 체제로 개관하였다 놀이마루 프로그램은

2017년에는 드림교육센터가 2018년 다시 부산문화재단이 위탁ㆍ운영하고 있다

19) 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17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3

하나라 볼 수 있다 교육과정 운영은 엄격한 편이다 하지만 강사의 개인

역량과 수업 환경에 따라 일정 부분 유연성을 인정하고 허용하는 추세

다 학교문화예술교육에서 강사의 자율성과 교육의 균질성 확보 사이의

균형 역시 연구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

참여학교는 부산광역시교육청에 등록된 특수학교를 포함한 초ㆍ중ㆍ

고등학교가 2017년 기준 643개교에 이른다 초등은 308개교(479) 중

등은 174개교(271) 고등은 146개교(227) 특수학교는 15개교(23)

로 초등학교가 가장 많다 2017년 기준 참여 학교 수도 초등 296개교

중등 150개교 고등은 69개교 특수학교 14개교가 학교 예술강사 파견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특수학교는 1개교만 제외하고 모

두 문화예술교육 수혜를 받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고등학교는 50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데 입시제도의 문제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 본다

중학교 역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여전히 문화예술교육의 수혜

를 받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이 많다

사업비는 2015년 4247875천원 2016년 4322382천원 2017년

5230088천원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2016년과

비교하여 20117년 예산이 21나 증가한 것은 교육시수의 증가와 밀접

한 관련이 있다

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는

기획사업으로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과 lsquo작은 도서관 지원rsquo 사업을

진행하였다 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의 프로그램 구성은 진로 강연과

문화예술교육으로 구분된다 문화예술교육 수업에는 뮤지컬 연극 영화

제작 무대디자인 목공예 오페라 전통연희 공연디렉팅이 있다 수업은

3일 총 6시간(1학교 1일 2회 2시간씩) 진행되었으며 사업 예산은 90000

천원으로 주로 강사료와 재료비로 충당되었다

30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사회문화 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은 학교문화예술교육 대상을 포함한 유아부터 노인

까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며 특히 취약계층이 문화예술을 풍부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은 강사

(또는 단체)가 교육프로그램을 직접 개발ㆍ보급하는 형태로 1년 단위 공

모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강사가 보유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제외한 모

든 운영과 관련된 내용은 진흥원과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

센터)의 운영 지침에 따른다 대표적인 것이 lsquo꿈다락 토요문화학교rsquo와 lsquo지

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rsquo 사업이다

첫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학교 밖 전문 문화예술 기관이나 단체에

서 학령기 아동ㆍ청소년과 그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다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매개로 가족이나 또래 간 소통할 수 있는 새로

운 여가문화를 조성하고 학습의 장을 지역사회로 확대하여 학교mdash가정

mdash지역사회 연계의 교육 공동체를 구축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학

교제도와는 차별화된 문화예술교육 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문화예술교

육에서 소외되었던 대상들에게도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상상력과 소통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2015년 34개 단체의 34개 프로그램 2016년 일

반공모 39개 단체ㆍ기획공모 8개 단체의 55개 프로그램 2017년 50개 단

체 54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교육 참여인원은 2015년 1081명

2016년 2108명 2017년 2091명에 이른다 예산 규모는 국비와 시비 11

매칭 방식으로 2015년 912500천원 2016년 1824000천원 2017년

1642000천원이다 초기에는 특정 구 단위에 편중되었지만 해를 거듭할

수록 구 단위 참여 지역의 편차를 줄이는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2015년

금정구와 부산진구 사상구에서 4개 동래구와 연제구 북구에서 3개 그

외 영도구 중구 기장군 사하구 남구에서 각각 2개 동구에서 1개의 프

로그램을 2016년에는 서구와 강서구가 추가되면서 부산 18개 지역 전체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5

에서 실시되었다 이 역시 예산 증액에 따른 참여단체 수 증가와 문화예

술교육 수요의 증가에 따른 결과라 할 수 있다 2017년에는 해운대구에

서만 7개의 단체가 8개 프로그램을 금정구에서는 5개의 단체가 7개 프

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다음으로 부산진구와 동래구 수영구가 각각 5개

단체에서 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산은 2015년 912500천원 2016년도 1824000

천원으로 2배나 증가하면서 34개 단체에서 34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던

데서 나아가 47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성과를 내었다

교육 참여자 수 또한 1081명에서 2108명으로 1000명이나 증가하였다

예산 증가에 따른 사업단체 단체 수의 증가 프로그램의 다양성 수요에

따른 교육 참여자 수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물론 재단의 까다로운 문화행정 강사들의 안일한 수업 태도와 전문성

결여 등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2017년 예산은 2016년 대

비 2억원이 축소되었으나 51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2091명이 문화예술교육의 수혜를 입었다 이것은 신규단체 또는 3년 미

만의 사업단체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참여자를 기수를 나누어 진행하

던 기존 방식에서 1기수 20명으로 전환하거나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

이기 위하여 1년 완성형 프로그램 방식을 도입한 데 따른 결과라 볼 수

있다

둘째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주민과 예술가의 소통을

지원하는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환경 조성을 통하여 문화격차 해소

지역공동체 문화회복 학습자 개인의 성장을 넘어 일상 속 지역문화공동

체 모델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문화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15년 17개 단체의 17개 프로그램에 총 385명이 2016년에는 16개의

일반공모와 1개의 기획공모사업에 345명이 참여하여 다양한 교육을 받

았다 2017년에는 15개의 일반공모 단체와 1개의 기획공모 단체가 397명

30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의 지역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

램을 진행하였다 예산은 국비와 시비 11매칭으로 2015년에서 2017년까

지 3년간 동일하게 294000천원으로 편성ㆍ운영되었다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지역민과 예술가 또는 예술단체

가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

역민과의 소통을 전제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3년간 참여한 지역과 단

체 개발된 프로그램의 확산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예

산 증액 없이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확대와 발전을 기대

하기 어렵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준다

4) 부산 문화 술교육의 성과와 한계

지난 15년 간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다음과 같은 성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하

는 제도적 기초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lsquo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

원 조례rsquo는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제도적 장치로 문화예술교육이 시민

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부산문화 역량 강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명시

하고 있다20) 이는 예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하는 근거가 된다 그러

나 서울 경기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대전광역시21) 등에서는 교

육청이 문화예술교육 진흥과 관련한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 중인 것과

비교하면 부산은 제도적 기반이 여전히 충분하지 않고 유관기관 간의

협력 체제가 공고하게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둘째 예산을 확대 편성하여 안정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양적 성장을 이

루었다 부산에서는 국비와 시비 자체 사업비 등을 포함하여 국악분야

20) 「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원 조례」 제3조(기본원칙) 2항에서 ldquo모든 시민은

나이 성별 장애 사회적 신분 경제적 여건 거주지역 등에 관계없이 자신의 관

심과 적성에 따라 평생에 걸쳐 문화예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받는다rdquo고 명시하고 있다

21) 대전광역시교육청은 장애학생 문화예술 지원 조례를 두고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7

예술강사 지원사업 18억원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24억원 사회문화예

술교육 등 그밖의 사업에 25억원 정도의 사업비가 매년 투입되었다 이

를 통해 사업 대상과 규모를 확대할 수 있었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경

우 연간 500여 개의 학교가 참여하였고 교육 시수는 5만~8만 시간 정

도 운영되었다 예술강사가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수혜자 수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공간과 시설 등 인프라 확충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양적 증대에 따라 교육 공간과 시설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되면서

부산시나 구 단위에서 문화예술교육 거점 공간을 조성하거나 지역의 특

정 공간을 문화예술교육공간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청소

년 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는 개관 초기부터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끌었

으며 문화예술교육 공간과 콘텐츠 면에서 우수 사례로 벤치마킹되고 있

셋째 양적 성장을 기초로 유추해 볼 때 문화예술교육과 함께 성장한

교육 수혜자들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

이 확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22) 문화예술교육 경험자는 개인의 행복감

이나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비경험자보다 긍정적 결과를 보인다고 한

다23) 앞으로도 문화예술 영역의 외연 확장과 더불어 지역 정체성의 발

견과 확립 지역민의 삶의 질 개선 지역 경제와의 연계 도시 재생 지역

발전 견인 등과 적절하게 결부시킴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사회

적으로 확산시켜 나갈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 반해 문제점과 한계 또한 적지 않다

첫째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를 들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지원체계

는 중앙정부에서 예산을 일방적으로 편성하여 지자체에 배정하는 방식

을 취하고 있으며 사업 또한 동일한 방식을 유지해 왔다 이러한 정부

22) 앞으로 문화예술교육 수혜자들이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으로 나아가는 사례

를 면밀히 분석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사회 활동에서 비수혜자들과 어떤

차이를 드러내는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2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30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주도의 중앙집중형 지원 시스템은 지역의 현실과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

지 못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지역적 기반과 문화적 응전력 자생력을 현

격하게 약화시킨다 지역의 문화자원(유관기관 문화예술단체 등)과 인

적 자원의 협력 체계를 제대로 구축하지 못한 점도 마찬가지다 결과적

으로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취약하게 만들 수밖에 없는 것

이다 현 정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기조로 지역 구심성을 강조하

고 있지만 이러한 지원체계의 혁신 없이는 불가능하다

둘째 공급자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에

따라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된 이원적 구조가

고착되면서 교육 내용이나 방법론 확장에 많은 제약이 뒤따랐다 특히

학교에서부터 사회에 이르는 생애 전 과정을 통합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지 못하고 있는 점 각 영역별로 각자의 교육 대상자를 규정하고

있어 교육 대상자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점 등이 문제다 그 결

과 수혜자 수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중복 수혜 대상이 반복적

으로 발생하는가 하면 전혀 수혜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 또한 적지 않다

가령 유아 청년(대학생 또는 청년) 대상 사업이 전무한 실정이고 일부

중장년층이나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운영하고 있지만 실효성

이 낮은 편이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경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사업 중심이어서

사업별로 대상자가 중복되는 경향이 있고 사업 대상을 취약계층으로 규

정한 것은 일종의 낙인효과를 유발함으로써 사업 취지와도 적절하게 부

응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필요를 반영한

교육과정이 설계되지 못했다 한정된 교육 장소 또한 공급자 중심이어서

수혜자 또는 수혜자 집단이 교육 공간에 방문하여 진행하는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다 삶의 질 향상과 생활문화가 중시되는 이즈음 수요자의 생

활 속으로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절실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9

셋째 양적 증대에 비해 질적 성장을 이루지 못했다 이는 교육과정 개

선이나 관리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지 않은 데서 비롯되었다 교육프로

그램 실행이나 효과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을 개선해야 하지만 시스템

부재로 양질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ㆍ보급해 나가는 데 어려움

이 따를 수밖에 없다 현장과 동떨어진 내용을 요구하거나 표준화된 학

습지도안에 따라 기계적인 수업을 강요하는 측면이 있는 반면 교육과정

을 지나치게 자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강사에 따라 내용의 편차가 크게

존재하는 등 교육의 균질성 역시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예술강사의 역

량 강화를 위한 제도나 교육 프로그램 역시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데 의무 연수 규정 또한 폐지되어 전적으로 강사 개인의 자율적 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곧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하락으로 연결된

다 유관기관의 담당자나 학교관계자 교사들의 예술강사에 대한 인식에

도 문제가 있다 학교 관계자는 예술강사를 lsquo교사가 담당하기 어려운 과

목을 단순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rsquo 정도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

어 예술강사의 자긍심을 저하시키고 있다 예술강사(프로그램 준비 실

행) 학교관계자(시수인정 학교 안내 등) 담당교사(수업 시간 조율 준

비와 진행 등에 대한 협조)의 역할 설정 또한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교

육현장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성과를 집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참여 강사 및 단체 프로그

램(교육과정안 및 세부내용) 협력공간에 대한 정보를 생산ㆍ공유할 수

있는 종합 시스템이 미비하다 교육과정안과 세부 수업 내용뿐만 아니라

강사별 단체별 협력공간별 정보를 취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 없어

정보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역 기반의 우

수한 콘텐츠의 생산과 활용 측면에도 충분한 뒷받침을 하지 못하고 있

31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부산 문화 술교육의 과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고려해 볼 때 부산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

화 등 세 영역에서 향후 과제와 전망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1) 지역 문화 술교육 생태계 조성

첫째 서울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등과 같이 교육청 차원에서 별도

의 조례를 마련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재정비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은

정부 문화기관 교육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한 특수 분야다 이러

한 특성을 감안하여 부산시 부산문화재단 부산광역시 교육청은 문화예

술교육 발전 비전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실제 추진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또

한 문화예술교육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지역의 공연기관

박물관 도서관 지역문화원 등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과의 연계와 협력

도 필요하다 예컨대 핀란드의 lsquo뮤지엄 교육rsquo은 뮤지엄 동물원 오페라

극장 등이 학교와 연계하여 만든 프로그램으로 핀란드의 오랜 식민지

역사를 되짚어보고 국가 정체성을 재발견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근대 부

산의 도시 형성 역사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핀란드 교육은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콘텐츠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의 지역 집중성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부산 지역

의 여건과 현황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부산

센터가 더욱 능동적으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향

후 설립될 기초 단위 센터와의 바람직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문

화예술교육 정책의 지역화 초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하지 못

한 문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진흥원과의 유기적 협력

체계를 유지하는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1

해서는 운영 체제를 개편하고 전담 인력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를 활성화해야 한다 국내외 교류를 활발

히 추진함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시켜 나가

고 국내외 우수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콘텐츠의 질적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부산의 문화예술교육 역량에 걸맞은 국제 컨퍼런스

와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시키고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 담론을 생산해야 한다 아울러 양질의 네트워크

를 형성하여 지속적인 교류ㆍ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부산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일도 더없이 중요하다 국내

유관단체와 기관 간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감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자

생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2) 수요자 심의 교육환경 구축

첫째 수요자의 생활권과 연계된 문화예술교육의 기반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기관으

로 리모델링하는 방안 공간을 정비하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을 갖추는

공간 재편 방안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공간을 지속

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 김포가압장을 리모델링하여 아동ㆍ청소년

예술교육센터로 활용하고 있는 서서울예술교육센터 옛 성복보건소 건

물을 리모델링한 서울예술치유허브 등이 좋은 예다 또한 지역민의 생

활권 안에서 자발적으로 문화예술을 즐김으로써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가령 동아리 활동에 전

문가를 매칭하여 지속적ㆍ단계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

법이며 예술 놀이터를 조성하여 누구나 부담 없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사업

도 필요하다 문화예술교육은 지역의 문화유산이나 생활 습속과 연계하

31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여 지역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때 공동체 의식과 바람직한 지역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미국 피츠버그에 소재한 맨체

스터 크래프트 길드(Manchester Craft Guild)의 경우 청소년 시절 도예

교육 미술 지역 공동체의 힘을 깨달은 설립자가 일생 동안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며 지역 공동체의식을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이

외에도 지역에 산재한 여러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교육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망을 정교하게 구축하고 유기적으로 작동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생애주기별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여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

대해야 한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은 생애 전반에 걸쳐 지역

민과 지역공동체의 생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지역형 문화예술

교육 정책의 근간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추진해 오던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여러 이유로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수요자

층을 발굴하고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부산문화재단(부산광역문화교육지원센터) 부

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금정문화재단 등이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수혜 대상자 현황을 살펴보면 취약계층을 포함한 학교 안팎의 청소년이

주된 대상이다 반면 유아ㆍ아동과 청년 대상 사업은 전무하며 노인대

상 사업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이나 시민아카데미 사업 정도

에 불과하다

두루 알다시피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은 유아부터 노인까지 단계적

ㆍ체계적 프로그램을 기획ㆍ운영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할렘 칠드런즈 존(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을 들 수 있다24) lsquo할렘

어린이 구역(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rsquo 프로젝트는 태교부터 직장

24)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KIPP)

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

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67쪽 Harlem Childrenrsquos Zone httpshcz

org2018100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3

에 들어가기까지 교육과 건강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 각자의 건강

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이것이 지역 공동체의 건강한 토대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좋은 예다 이 프로젝트는 영유아 종일 보육센터 학업 성

취를 책임지는 차터 스쿨 건강지원센터 방과 후에 운영되는 아동과 성

인을 위한 주민센터 주말과 여름에 이루어지는 청소년 폭력 방지 등 지

역 주민 전체를 위한 광범위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25)

셋째 수요자의 다양한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창의력과 융합적 사고의 원동력이 되는 인문학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부산문화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인문학 소모임 동아리 출판 지원 등의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감

으로써 다양성을 확보하고 문화예술 기초역량을 배양해 나가는 디딤돌

로 삼아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장을 넓혀 나가는 작업도 필요하

다 스웨덴의 lsquo서커스 시르쾨르rsquo은 좋은 본보기다 이는 서커스를 문화예

술교육에 접목한 사례로 인간의 삶의 균형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다

양한 오브제를 활용하고 신체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다26)

최근 부산에서 장애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장애인 대상 교육단체에 대한 지원과 국가자격증을

갖춘 강사 확보를 통한 전문성 강화 등 관리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또한 지원 대상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미

국 오클랜드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기관 크리에이티

브 그로스 아트센터(Creative Groth Art Center) 사례는 적지 않은 시사

점을 던진다 이 기관은 1974년부터 발달장애인의 예술적 역량과 완성

작품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데 기여해 왔다 장애인 작가들

이 자유로운 예술 감각을 표현하며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 작

업실을 제공하고 국내외 전시를 개최하는 등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

25) 김경애 위의 논문 170쪽

26)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116쪽

31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넷째 영역별 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교문화예술

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되어 있는 구조를 극복하여 문화예술

교육의 실질적 효용을 극대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국립 오페라단의 스

쿨 오페라 프로그램은 좋은 예다 전국의 학교를 대상으로 오페라 교재

와 가수 스태프를 파견하고 의상 등을 지원하며 다양한 교과와 연계하

여 사업을 펼치고 있다 가령 역사 수업에서 오페라의 시대 배경을 제시

하고 국어 수업에서는 연기하는 인물의 감정을 고찰하며 미술 수업에

서는 소도구를 직접 제작해 보기도 한다 경영 수업에서는 입장권을 직

접 판매하는 등 홍보ㆍ마케팅 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역별 연계

활동은 예술가의 자유로운 실험정신과 창의적 사고로 교실에 생기를 불

어넣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27)

3) 문화 술교육 질 기반 고도화

첫째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해 나가는 작업

이 시급하다28) 학교문화예술교육 설문조사 결과29)에 따르면 문화예술

27)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299쪽

28) 부산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서는 고(稿)를 달리하여 논의

할 예정이다

29)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심층면담 결과를(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58-59

쪽) 사회문화예술교육은 2018년 9월 30일 자체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였다 특히 후자는 다음과 같은 문항으로 예술강사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1 참여하고 있는(또는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2 현

재 교육하고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3 현재 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분야와

교육 중인 분야가 일치합니까 4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

니까 5 문화예술교육 경력기간을 선택해 주세요 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까 7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해 받은 연수 프로그램이 있다

면 선택해 주세요 8 2015~2018년 간 이수한 총 연수 시수를 선택해 주세요 8

mdash1 2015년~2018년 간 부산문화재단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

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mdash2 2015년~2018년 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ARTE)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

mdash3 2015년~2018년 간 기타 기관에서 연수받은 적이 있다면 연수기관과 시수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5

교육 강사 재교육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강사 자신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예술강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매몰되면 자칫 기능 중심의 교육이 되기 쉽고 문

화예술교육 고유의 목표에 다가가기 어렵게 된다 예술강사의 질은 문화

예술교육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학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해야 한다 서울형 예술가

교사(TA)는 문화예술 기반 콘텐츠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접목시켜

만든 새로운 강사 모델이다 이들은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철학인 lsquo미

적 체험rsquo을 실현하는 예술교육 전문가로 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뛰

어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인문

ㆍ예술 장르의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내고 있다 초등학교 대상 프로그램 lsquo예

술로 플러스rsquo와 중학생 대상 인문예술교육 lsquo예술로 함께rsquo는 모두 정규과

정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이 있다30) 아울

러 예술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인력 문화예

술교육단체 학교 기관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

식을 개선하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ㆍ단계적인 교

육 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과거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영역에서 교과서

를 표준화했지만 최근에는 강사가 현실 여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되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효과적

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네트워킹

를 기재해 주세요

30)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htmleducationchildaspperMen

uSeq=2ampMenuSeq=3720181006 예술가교사 사이트 httpartsedutasfacork

rhtmlteachingArtchildEdu_introasp20181006

31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인적 자원 정보를 담은 인력 뱅크 콘텐츠 디렉토리 지역

의 문화자원 사업 정보 국내외 동향과 연구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역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과 실태를 조사

ㆍ연구하는 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다 문화예술교육

의 지역 실태 조사는 문화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짧은 주

기로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제를 발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rsquo 발표를 계기로 문

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분

권의 시대가치에 적합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문화예

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

합회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을 중심

으로 기관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은 중앙

과 협력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을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부산

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원사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3: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1

1 들머리

2000년 초반까지도 해도 문화예술교육은 문화교육 문화 나눔 예술

체험과 강습 등을 포괄하는 일반적인 개념으로 통용되었다 그러다가

2003년 4월 문화관광부(현 문화체육관광부)가 문화행정의 혁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민관 합동으로 문화행정혁신위원회를 설립하면서부터 문

화예술교육은 하나의 정책 대상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1) 문화행정혁신

위원회에서는 문화정책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를 진행하

여 문화예술교육을 주요 대상으로 포함시켰다 같은 해 6월에 정책을 전

담ㆍ추진하는 TF팀을 구성하고 조직 개편을 통해 문화예술교육과로 변

경하였으며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을 추진하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2005년에는 정책 전담기구인 lsquo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rsquo(이하 진흥원)을

설립하고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을 제정하여 제도적 기틀을 마련하였다

2007년 전국 25곳에 기초단위 지역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를 설립하여

중앙정부와 지역 간 협력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2009년에는 서울 광주

경남 충남 강원 제주 등 6곳에 광역 단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를 지

정하기 시작하여 현재 17개 시도에서 운영하고 있다2)

2015년 전후로 각 지역별로 문화예술교육 관련 조례를 제정ㆍ시행하

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교육청에서 교육현장의 요구와 지원을 강화

하기 위해 별도 조례를 마련하고 있는 추세다 부산에는 2016년 8월 lsquo부

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원 조례rsquo(제5398호)를 제정ㆍ운용하고 있다

1) 정책 대상으로서 문화예술교육의 맹아를 2000년에 시범적으로 실시한 lsquo국악강사

풀제rsquo에서 찾기도 한다 학교 음악교사가 대부분 서양음악 전공자라는 점을 보완

하기 위해 전문 국악인을 파견하여 교육하는 제도로 2006년 lsquo학교 예술강사 지원

사업rsquo으로 변경되어 문화예술교육 지원 정책의 핵심 사업으로 자리 잡았다

2) 진흥원과 협력하여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일부 센터 제외) 지역특성화 문화예

술교육 지원사업과 토요문화학교 지역연계 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으나 역할 분

담과 관계 설정에서 여전히 모호한 측면이 존재한다

29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최근에는 지역문화 진흥 및 균형 발전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서서히 구

축되고 있다 lsquo문화기본법rsquo(2013) lsquo지역문화진흥법rsquo(2014) lsquo국민여가활성

화기본법rsquo(2015) 등을 비롯하여 광역자치단체들이 문화예술 및 지역문화

진흥 관련 조례를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 정체성의 발

견과 확립 지역민의 삶의 질 개선 지역 경제와의 연계 도시 재생 지역

발전 견인 등 다양한 측면에서 문화예술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확

산시켜 나가고 있다

2015년 5월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 개정으로 정부는 5년마다 문화예술

교육 종합계획을 수립하는 법적 의무를 지니게 되었다 2014년 수립된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 계획(2014~2017)의 정책 기한이 종료됨으로

써 2018년 1월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

2022)rsquo을 수립발표하였다3) 이 계획은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과 수요

증대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연계성과 체계성 확보 필요 맞춤형 문화예

술교육 요구 증대 교육 패러다임 변화 제4차 산업혁명시대 정책 환경

의 변화 등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치를 담고 있다 문화예술교

육 전문인력의 역량 강화 안정적 지원 환경 마련 전 국민 대상의 문화

예술교육 확대가 필수적으로 요청된다고 보았다 정책방향으로 지역 분

권화 정책 체계화 수요 특성화 융합과 확장을 추진전략으로 지역 기

반 생태계 구축 수요자 중심 교육 다각화 문화예술교육 기반 고도화를

제시하였다 사실상 문화예술교육의 지역화를 핵심과제로 제시하고 있

는 셈이다 따라서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 ~2022)rsquo은 지역 문화예

술교육 정책에서 하나의 전환점으로 간주할 수 있을 만큼 정책 변화의

폭이 크다 이에 따라 전국 각 지역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 발전계획rsquo

을 마련하고 있다 부산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지역분권의 시대적 가치

에 실질적으로 부합하고 부산의 문화적 여건과 세대별(유아에서 노년에

이르는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ㆍ영역별(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

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3

화예술교육)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며 부산의 지역성을 담지할 수

있는 독자적인 정책을 발굴해야 한다

부산문화예술교육의 역사를 간략히 살펴보면 2000년대 중반 이후 부

산대 신라대 산하 연구소를 비롯하여 다수의 민간 예술단체와 시민단체

들이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참여하여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 사업을 진행하였다4) 부산광역시교육청에서도 lsquo1학교 1문화예술교

육rsquo 정책과 학교문화예술교육 종합추진계획을 수립하여 진흥원과 업무

협약을 체결하여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을 적극적으로 표출하였다5) 이

러한 흐름은 2010년 부산문화재단 내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이하

부산센터)가 지정ㆍ설립되면서 일대 전환을 맞는다 이를 계기로 진흥원

에서 시행하던 사업들이 지역센터로 이관되어 업무가 통합되는 과정에

서 초기에 비해 민간단체들의 역할이 부분적으로 약화되었다 이는 제도

화 초기에 발생하는 문제로 불가피한 측면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부산센

터가 지역 문화예술교육 진흥의 허브로서 다양한 민간단체들과 교류

협력하는 거버넌스 체제를 구축하지 못했기 때문이다6) 이후 지역센터

주관으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연구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

다 하지만 진흥원의 정책과 사업을 지역에서 수행하는 비중이 크기 때

문에 지역 고유의 사업을 독자적으로 진행하기에는 어려울 수밖에 없다

지난 15년 간 문화예술교육이 정책적으로 시행됨으로써 문화예술교육

이 양적 성장을 이루었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다 재정규모는 84억원

에서 1295억원으로 15배 예술강사 수는 1861명에서 5849명으로 3배

이상 무엇보다도 문화예술교육 수혜자 수가 71만 명에서 310만 명으로

45배나 증가하였다7) 그런데도 이러한 비약적인 양적 증대에도 질적 성

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8-9쪽

5) 부산광역시교육청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정책 기조와 사업 현황은 「2016 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종합계획」 「2018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추진계획」을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6) 김희재 외 여럿 앞의 글 30쪽

29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장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여기에는 진흥원과

지역센터 간의 관계 설정과 역할 분담의 불균형 공급자 중심의 분배식

사업 지원 학교 예술강사의 고용불안 프로그램의 질적 관리 미흡 등의

복합적인 문제가 내포되어 있다

그런데도 이제껏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초창기부터 지역 실정에 걸맞은 문화예술교육

방법론을 모색하거나8)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역사적 경과9)를 개략

적으로 정리하는 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아직까지 부산지역 문화예술

교육의 실체를 종합적으로 조망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으며 주관기관에

서 매년 사업성과를 묶어 자료집을 발간하는 정도에 머물러 있다10) 지

역의 실정을 반영한 문화예술교육의 제도적 기반 구축 지역성과 문화예

술교육의 관련성 탐구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

강화 통합문화예술교육 방법론 모색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 문화예

술교육의 수요와 사회적 확산 방안 예술강사의 실태 분석을 통한 현장

7) 부산문화재단 생활문화본부 문화교육팀의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8)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연구

원 2007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

포럼 2017 56월호

9) 김희재 외 여럿 앞의 글

10)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와 부산문화재단에서 발간하는 사업 결과보고서를 통

해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사업 현황과 실태를 부분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이

다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집」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

자료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

자료집」 2016 부산문화재단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부산문화재단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다른 지역의 경우

에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원사업을 다룬 논

의가 있다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술교육연

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5

의 요구 반영 등의 문제에는 소홀했던 셈이다 비교적 최근 들어 문화예

술교육의 실태를 조사한 논의가 있기는 하나11) 이 또한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까닭에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 논문에서는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살펴

보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지역 기반의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

고자 한다

2 부산 문화 술교육의 황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은 여러 기관에서 추진되고 있는 지원사업

을 통해 정리해 볼 수 있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을

교육내용으로 하거나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모든 형태의 교육을 말한다

그런데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 제2조(정의)에는 문화예술교육을 학교문화

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등 2개의 항목으로 세분하고 있다 따라

서 진흥원이 지원하는 사업은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

로 나뉠 수밖에 없다 진흥원이 지원하는 학교문화예술교육은 학교 예술

강사 예술꽃씨앗학교 유아문화예술교육과 고3 수험생 대상 문화예술교

육 lsquo상상만개rsquo다 반면 사회문화예술교육은 6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

다12) 대표적인 사업으로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꿈다락

11) 이미연 외 여럿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화

예술교육연합회 2017

12) ①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② 소외 계층 아동ㆍ청소년을 대상으로 하

는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 지원 지역아동센터 농산어촌 이동형 문화예술교육

lsquo움직이는 예술정거장rsquo 방과 후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지원 ③ 군대 교정시설소

년원 등 특수계층협력형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④ 예술동아리 교육 지원사

업 컨설팅 지원 등의 시민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⑤ 진흥원과 광역문화예술교

육지원센터 협력형 사업으로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⑥ 꿈다락 토

요문화학교 지원사업이 바로 그것이다 김희재 외 여럿 앞의 글 2014 25쪽

29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토요문화학교 지원사업을 들 수 있다 부산에서 진흥원 사업을 시행하는

기관은 여러 곳이며 진흥원 사업 외 별도 사업이 있다 또한 여러 기관

에서 협업으로 진행하는 사업도 있다 이 자리에서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현황을 두루 파악하기 위해 lsquo주관기관별 문화예술교육rsquo lsquo학교문화예

술교육rsquo lsquo사회문화예술교육rsquo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

1) 주 기 별 문화 술교육

여기에서는 2017년도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

문화예술교육연합회(예술강사지원센터) 부산광역시교육청 금정문화재

단을 비롯한 각 기초자치단체에서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을 검

토하고자 한다13)

우선 부산문화재단 지원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자

[표 1] 2017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원사업 현황

13)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발간한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을 바탕으로 현황을 정리하였다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문화예술교육 인력양성

문화예술행정 아카데미부산 문화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창의적인 행정역량 강화

공공기관 행정 책임자 대상

프로그램 연구 개발 및 보급

지역협력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지원체계 구축 및 문화예술교육 컨트롤 타워 역할 수행

인력양성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문화예술교육 매개자를 위한 공통 기초 연수 실행자를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문화예술교육 관계자 전체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7

2016년 ldquo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

육rdquo14)으로 구분되어 있던 사업체계가 2017년도에는 ldquo문화예술교육 인력

양성 프로그램 연구개발 및 보급 문화예술교육정책사업rdquo으로 재편되었

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학교 예술강사와 국악분야 예술강사 사업이 제

14) 2016년에는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rsquo(지역 협력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네트워크 사업 문화예술행정 아카데미) lsquo학교문화예술교육rsquo(학교 예술

강사 지원 국악분야 예술강사 지원 어린이무형문화재 교실 청소년복합문화센

터 놀이마루 프로그램 운영) lsquo사회문화예술교육rsquo(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

원사업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역 인문학 활성화 지원 학예이론 도서발간 지

원 지역 출판문화 활성화 지원 도시철도 북하우스 운영 2016년도 가을독서문

화 축제)으로 구분하여 세부사업을 운영하였다

지역전통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역전통문화예술 콘텐츠를 활용한 융합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지역 전통문화예술 활성화 및 브랜드화 도모

초등학생 대상(시범 진행)

문화예술교육 정책

사업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지속가능한 일상 속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발굴을 통해 문화 환경 조성과 지역사회의 문화역량 향상에 기여

문화 사각지대 지역주민 대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학교mdash가정mdash지역사회 연계의 교육공동체 구축 및 문화예술 활동을 비롯한 사회의 다양한 활동 기회 제공

아동 청소년 및 그 가족 대상

지역 인문학 활성화 지원

lsquo지역출판문화 활성화 사업rsquo(2016)과 통합

인문학 소모임 간의 소통을 통한 지역사회의 인문학 활성화

인문학 소모임 대상

도시철도 북하우스 운영생활밀착형 독서문화 공간의 관리와 운영부산 시민 전체 대상

2017년도 가을독서문화축제

일상에서 책읽기 문화 활성화 및 지속적인 독서 관련 콘텐츠를 생산하여 책 읽는 사회 분위기 조성

부산시민 전체 대상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지역의 전통문화예술을 창조적으로 계승 생활 속 향유 지원

선별된 초등학교 3학년~6학년 대상

29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외되었다 또한 지역출판문화 활성화 사업이 지역 인문학 활성화 지원사

업과 통합되어 진행되었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그리고 지역협력형 문화

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인력양성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역전통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업이 추가됨으

로써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가 가능해졌다 이처럼 부산문화재단이 기존

의 단순 지원에서 벗어나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감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부산문화재단은 진흥원 사업 외에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

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도 펼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부산센

터 사업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부산의 정체성과 독자성을 담은 문

화예술교육사업을 기획ㆍ운영하기가 쉽지 않다는 데 있다 적은 예산에

다 제한된 인력을 투입하여 여러 사업을 진행하므로 사업 관리나 독자

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어려움이 클 수밖에 없는 셈이다

다음으로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예술강사지원센터)15)와 부산광역

시교육청에서 진행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16)을 살펴보

[표 2]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지원사업 현황

15)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기획사업 계획서」 2017 참고

16) 부산광역시교육청 홈페이지 정보공개자료 중 문화예술교육활성화 항목 참고 ht

tpwwwpengokr20180930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학교문화예술교육

학교 예술강사 지원

학교문화예술교육국악 및 7개 분야 학교 예술강사(연극 영화 무용 만화ㆍ애니 사진 공예 디자인)

초ㆍ중등 및 특수학교 대상

기획사업찾아가는 진로ㆍ

예술교육

진로 및 문화예술교육으로 학생들에게 적성과 흥미를 찾을 수 있는 기회 마련

초ㆍ중학생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9

[표 3] 2017 부산광역시교육청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문화예술교육지원

예술동아리 지원 등학생들의 예술동아리 및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함

체험학습 운영

어린이회관

학생교육문화회관

학생예술문화회관 체험실 운영 등

교육기관 체험실 운영 지원 (기자재 구입 및 강사료 등)

축제행사 운영

학생연극제 댄스경연대회

가요제 등학생이 참여하는 모든 예술 축제행사 지원

특별활동 지원

문화예술순회프로그램

문화예술활동 지원

학생비엔날레 개최 등

학생 민간예술단체 교사 단체 등의 활동 지원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시설관리 및 프로그램 운영 지원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기획ㆍ진행하였다 반면 부산광역시교육청 문화예

술교육 지원사업은 크게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

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

원으로 나눌 수 있다 이것은 부산광역시교육청의 lsquo학교문화예술교육 활

성화 종합계획rsquo에 따라 운영되며 완만한 예산 변동으로 사업내용에는

큰 변화가 없는 편이다

이외에도 부산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 현황을 제시하면 다음

과 같다17)

작은 도서관지원사업

열악한 환경에서도 예술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에게 예술교육 프로그램 제공 예술교육 활성화 및 예술 환경 조성을 위함(부산 느티나무 도서관 외 4곳)

초ㆍ중학생 대상

30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표 4] 2017 기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17) 「부산시 문화예술교육사업 취합 자료」 부산시 문화관광국 2017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부산시

구ㆍ군 문화예술교육모델

발굴 지원

중구mdash닥종이 공예교실 운영 -저소득 주민 대상부산진구mdash청소년예술학교 운영 -초등학교 1학년~중학교 3학년 대상

문화예술 낙후지역 학생오케스트라 사업

예술적 소양과 바람직한 인성 함양소외ㆍ취약 지역 학교폭력이 심각한 지역 학교 학생 대상

구별 단위사업

문화학교 운영

문화강좌를 통해 지역민의 자기계발 및 건전한 여가선용을 제공하기 위해 지역문화예술 진흥 차원에서 시작된 사업

지역민 누구나

소년소녀합창단 및 청소년 오케스트라

운영 지원

청소년의 정서 함양과 예술적 기량 향상을 통해 전문 음악예술인으로 성장하는 기반 마련

초ㆍ중ㆍ고 학생 대상

유소년 타악기오케스트라

창의력 발달과 인성 형성에 도움을 주며 체계적인 연주 지도를 통하여 음악인재를 육성하고 배움을 통한 재능을 사회에 기여케 하고자 추진

초ㆍ중학생 대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예술감상교육

예술감상교육체험 프로그램 운영으로 청소년의 자발적 문화예술 향유 능력 제고

초ㆍ중학생 및 가족 200여명

한울타리 오케스트라

음악을 통한 행복학습도시 조성 구민 오케스트라 교육 운영을 통한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

일반성인 대상

해운대구립예술단(소년소녀합창단 청소년오케스트라 여성합창단) 운영 지원

구민의 정서함양과 여가선용 및 자기계발 기회 제공과 지역문화예술발전 도모

구ㆍ군 문화예술교육모델 발굴 지원청소년예술학교

운영

구청사 내 청소년 문화예술 전문학교 설립 우수하고 체계적인 예술교육을 통해 청소년의 정서 함양 도모 예술인재 조기 발굴 및 육성

초등학교 1학년~중학교 3학년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1

부산시 주관 사업이나 구 단위 사업도 중요하지만 금정문화재단의 사

업이 눈에 띤다 금정문화재단은 2016년 6월에 구 단위 문화재단으로는

최초로 부산 금정구에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에는 lsquo유네스코 세계문화유

산교실 교육 콘텐츠 개발rsquo 사업만 유일하게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7년 세계시민의식을 주제로 한 lsquo일상 다 예술rsquo이라는 청소년 창의 프

로젝트를 열었다 이는 음악 무용 연극 장르 간 협력을 통해 창작과 제

작 과정 공연에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이다 총 8차시(8차시times4시간)로

진행된 이 사업을 시작으로 2018년에는 lsquo예술일주rsquo 프로젝트를 선보임으

로써 다양한 예술장르와 청소년의 만남을 이루어 내었다는 점에서 긍정

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2) 학교문화 술교육

학교문화예술교육은 크게 학교 예술강사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청소년복화문화센터 놀이마루18) 사업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학교 예술강사 사업은 국악 분야 lsquo강사풀제rsquo(2000) 시범 도입을

청소년 문학아카데미 운영

청소년들의 예술적 자질 발굴초등학교 5학년~고등학교 1학년 작가 지망생 대상

평생학습관 운영

다양한 평생교육 문화프로그램 개설로 지역주민에게 자기계발과 문화향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문화예술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 수행

관내 지역주민

문화강좌 운영 지역주민에게 자기계발과 문화향유 기회 제공

도서관 이용 활성화 도모관내 지역주민

금정문화재단

일상 다 예술금정구 관내 청소년들에게 예술가와의 만남으로 통합적 예술체험기회 제공 창의적 사고 배양

중등학생 대상

세계무형문화유산교실세계무형문화유산 교육프로그램을 추진 다음 세대의 문화다양성 및 문화유산 보존 의식 증진

금정구 관내 6개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30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계기로 정책사업의 기본틀을 마련하였다 이후 이 사업은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의 핵심사업인 lsquo예술강사 지원사업rsquo의 모태가 되었다 학교 예술

강사 사업의 교육목표는 창의성 감수성 문화시민 인성 소통과 공감

등 예술적 가치와 교육적 가치를 포괄하고 있다 교육 장르를 지속적으

로 확대하면서 현재 8개 장르(국악 연극 영화 무용 만화애니매이션

공예 사진 디자인)로 확대ㆍ운영하고 있다 부산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운영주체는 진흥원에서 2011년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로 이관되었

으며 2017년부터는 공모를 통해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가 운영하고

있다 학교 예술강사가 파견되는 수업은 교육과정 내 문화예술교육으로

기본교과 또는 창의적 체험활동에 속한다

2017년 강사 수는 총 375명으로 국악분야 140명이며 그 외 7개 분야

235명이다 2017년 부산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

악이 전체의 376 무용이 228 연극이 164를 차지한다19) 국악 비

중이 높은 이유는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역사와 맥락을 같이하기

때문으로 보이며 향후 영역별 균형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출강학교 수는 전체 518개교였다 학교 수는 2015년 495개교에서 2016년

522개교로 23개교(55) 증가하였고 2017년에는 다시 529개교로 소폭

증가하였다 학교 예술강사 파견에 따른 교육 총시수는 2015년 53284시

수 2016년 55323시수 2017년 87753시수로 해를 거듭할수록 점진적으

로 증가하였다 배정된 학교에 시수를 최대치로 부여함으로써 참여 학교

수는 줄었으나 교육 시수는 오히려 증가한 결과다 교육시수가 증가된

현실과는 무관하게 수혜 대상 학교가 절차상의 문제로 취소ㆍ포기하는

사태가 빚어졌다는 점은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이 지닌 문제점 가운데

18) 서면 중앙중학교가 이전한 뒤 놀이와 체험 위주의 청소년복합문화센터로 자리

잡은 놀이마루는 2016년 9월 28일 부산광역시교육청이 시설 운영을 부산문화재

단이 프로그램 제공과 관리를 맡는 체제로 개관하였다 놀이마루 프로그램은

2017년에는 드림교육센터가 2018년 다시 부산문화재단이 위탁ㆍ운영하고 있다

19) 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17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3

하나라 볼 수 있다 교육과정 운영은 엄격한 편이다 하지만 강사의 개인

역량과 수업 환경에 따라 일정 부분 유연성을 인정하고 허용하는 추세

다 학교문화예술교육에서 강사의 자율성과 교육의 균질성 확보 사이의

균형 역시 연구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

참여학교는 부산광역시교육청에 등록된 특수학교를 포함한 초ㆍ중ㆍ

고등학교가 2017년 기준 643개교에 이른다 초등은 308개교(479) 중

등은 174개교(271) 고등은 146개교(227) 특수학교는 15개교(23)

로 초등학교가 가장 많다 2017년 기준 참여 학교 수도 초등 296개교

중등 150개교 고등은 69개교 특수학교 14개교가 학교 예술강사 파견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특수학교는 1개교만 제외하고 모

두 문화예술교육 수혜를 받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고등학교는 50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데 입시제도의 문제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 본다

중학교 역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여전히 문화예술교육의 수혜

를 받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이 많다

사업비는 2015년 4247875천원 2016년 4322382천원 2017년

5230088천원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2016년과

비교하여 20117년 예산이 21나 증가한 것은 교육시수의 증가와 밀접

한 관련이 있다

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는

기획사업으로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과 lsquo작은 도서관 지원rsquo 사업을

진행하였다 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의 프로그램 구성은 진로 강연과

문화예술교육으로 구분된다 문화예술교육 수업에는 뮤지컬 연극 영화

제작 무대디자인 목공예 오페라 전통연희 공연디렉팅이 있다 수업은

3일 총 6시간(1학교 1일 2회 2시간씩) 진행되었으며 사업 예산은 90000

천원으로 주로 강사료와 재료비로 충당되었다

30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사회문화 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은 학교문화예술교육 대상을 포함한 유아부터 노인

까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며 특히 취약계층이 문화예술을 풍부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은 강사

(또는 단체)가 교육프로그램을 직접 개발ㆍ보급하는 형태로 1년 단위 공

모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강사가 보유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제외한 모

든 운영과 관련된 내용은 진흥원과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

센터)의 운영 지침에 따른다 대표적인 것이 lsquo꿈다락 토요문화학교rsquo와 lsquo지

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rsquo 사업이다

첫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학교 밖 전문 문화예술 기관이나 단체에

서 학령기 아동ㆍ청소년과 그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다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매개로 가족이나 또래 간 소통할 수 있는 새로

운 여가문화를 조성하고 학습의 장을 지역사회로 확대하여 학교mdash가정

mdash지역사회 연계의 교육 공동체를 구축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학

교제도와는 차별화된 문화예술교육 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문화예술교

육에서 소외되었던 대상들에게도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상상력과 소통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2015년 34개 단체의 34개 프로그램 2016년 일

반공모 39개 단체ㆍ기획공모 8개 단체의 55개 프로그램 2017년 50개 단

체 54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교육 참여인원은 2015년 1081명

2016년 2108명 2017년 2091명에 이른다 예산 규모는 국비와 시비 11

매칭 방식으로 2015년 912500천원 2016년 1824000천원 2017년

1642000천원이다 초기에는 특정 구 단위에 편중되었지만 해를 거듭할

수록 구 단위 참여 지역의 편차를 줄이는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2015년

금정구와 부산진구 사상구에서 4개 동래구와 연제구 북구에서 3개 그

외 영도구 중구 기장군 사하구 남구에서 각각 2개 동구에서 1개의 프

로그램을 2016년에는 서구와 강서구가 추가되면서 부산 18개 지역 전체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5

에서 실시되었다 이 역시 예산 증액에 따른 참여단체 수 증가와 문화예

술교육 수요의 증가에 따른 결과라 할 수 있다 2017년에는 해운대구에

서만 7개의 단체가 8개 프로그램을 금정구에서는 5개의 단체가 7개 프

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다음으로 부산진구와 동래구 수영구가 각각 5개

단체에서 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산은 2015년 912500천원 2016년도 1824000

천원으로 2배나 증가하면서 34개 단체에서 34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던

데서 나아가 47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성과를 내었다

교육 참여자 수 또한 1081명에서 2108명으로 1000명이나 증가하였다

예산 증가에 따른 사업단체 단체 수의 증가 프로그램의 다양성 수요에

따른 교육 참여자 수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물론 재단의 까다로운 문화행정 강사들의 안일한 수업 태도와 전문성

결여 등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2017년 예산은 2016년 대

비 2억원이 축소되었으나 51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2091명이 문화예술교육의 수혜를 입었다 이것은 신규단체 또는 3년 미

만의 사업단체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참여자를 기수를 나누어 진행하

던 기존 방식에서 1기수 20명으로 전환하거나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

이기 위하여 1년 완성형 프로그램 방식을 도입한 데 따른 결과라 볼 수

있다

둘째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주민과 예술가의 소통을

지원하는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환경 조성을 통하여 문화격차 해소

지역공동체 문화회복 학습자 개인의 성장을 넘어 일상 속 지역문화공동

체 모델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문화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15년 17개 단체의 17개 프로그램에 총 385명이 2016년에는 16개의

일반공모와 1개의 기획공모사업에 345명이 참여하여 다양한 교육을 받

았다 2017년에는 15개의 일반공모 단체와 1개의 기획공모 단체가 397명

30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의 지역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

램을 진행하였다 예산은 국비와 시비 11매칭으로 2015년에서 2017년까

지 3년간 동일하게 294000천원으로 편성ㆍ운영되었다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지역민과 예술가 또는 예술단체

가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

역민과의 소통을 전제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3년간 참여한 지역과 단

체 개발된 프로그램의 확산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예

산 증액 없이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확대와 발전을 기대

하기 어렵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준다

4) 부산 문화 술교육의 성과와 한계

지난 15년 간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다음과 같은 성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하

는 제도적 기초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lsquo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

원 조례rsquo는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제도적 장치로 문화예술교육이 시민

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부산문화 역량 강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명시

하고 있다20) 이는 예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하는 근거가 된다 그러

나 서울 경기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대전광역시21) 등에서는 교

육청이 문화예술교육 진흥과 관련한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 중인 것과

비교하면 부산은 제도적 기반이 여전히 충분하지 않고 유관기관 간의

협력 체제가 공고하게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둘째 예산을 확대 편성하여 안정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양적 성장을 이

루었다 부산에서는 국비와 시비 자체 사업비 등을 포함하여 국악분야

20) 「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원 조례」 제3조(기본원칙) 2항에서 ldquo모든 시민은

나이 성별 장애 사회적 신분 경제적 여건 거주지역 등에 관계없이 자신의 관

심과 적성에 따라 평생에 걸쳐 문화예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받는다rdquo고 명시하고 있다

21) 대전광역시교육청은 장애학생 문화예술 지원 조례를 두고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7

예술강사 지원사업 18억원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24억원 사회문화예

술교육 등 그밖의 사업에 25억원 정도의 사업비가 매년 투입되었다 이

를 통해 사업 대상과 규모를 확대할 수 있었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경

우 연간 500여 개의 학교가 참여하였고 교육 시수는 5만~8만 시간 정

도 운영되었다 예술강사가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수혜자 수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공간과 시설 등 인프라 확충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양적 증대에 따라 교육 공간과 시설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되면서

부산시나 구 단위에서 문화예술교육 거점 공간을 조성하거나 지역의 특

정 공간을 문화예술교육공간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청소

년 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는 개관 초기부터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끌었

으며 문화예술교육 공간과 콘텐츠 면에서 우수 사례로 벤치마킹되고 있

셋째 양적 성장을 기초로 유추해 볼 때 문화예술교육과 함께 성장한

교육 수혜자들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

이 확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22) 문화예술교육 경험자는 개인의 행복감

이나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비경험자보다 긍정적 결과를 보인다고 한

다23) 앞으로도 문화예술 영역의 외연 확장과 더불어 지역 정체성의 발

견과 확립 지역민의 삶의 질 개선 지역 경제와의 연계 도시 재생 지역

발전 견인 등과 적절하게 결부시킴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사회

적으로 확산시켜 나갈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 반해 문제점과 한계 또한 적지 않다

첫째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를 들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지원체계

는 중앙정부에서 예산을 일방적으로 편성하여 지자체에 배정하는 방식

을 취하고 있으며 사업 또한 동일한 방식을 유지해 왔다 이러한 정부

22) 앞으로 문화예술교육 수혜자들이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으로 나아가는 사례

를 면밀히 분석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사회 활동에서 비수혜자들과 어떤

차이를 드러내는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2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30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주도의 중앙집중형 지원 시스템은 지역의 현실과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

지 못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지역적 기반과 문화적 응전력 자생력을 현

격하게 약화시킨다 지역의 문화자원(유관기관 문화예술단체 등)과 인

적 자원의 협력 체계를 제대로 구축하지 못한 점도 마찬가지다 결과적

으로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취약하게 만들 수밖에 없는 것

이다 현 정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기조로 지역 구심성을 강조하

고 있지만 이러한 지원체계의 혁신 없이는 불가능하다

둘째 공급자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에

따라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된 이원적 구조가

고착되면서 교육 내용이나 방법론 확장에 많은 제약이 뒤따랐다 특히

학교에서부터 사회에 이르는 생애 전 과정을 통합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지 못하고 있는 점 각 영역별로 각자의 교육 대상자를 규정하고

있어 교육 대상자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점 등이 문제다 그 결

과 수혜자 수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중복 수혜 대상이 반복적

으로 발생하는가 하면 전혀 수혜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 또한 적지 않다

가령 유아 청년(대학생 또는 청년) 대상 사업이 전무한 실정이고 일부

중장년층이나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운영하고 있지만 실효성

이 낮은 편이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경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사업 중심이어서

사업별로 대상자가 중복되는 경향이 있고 사업 대상을 취약계층으로 규

정한 것은 일종의 낙인효과를 유발함으로써 사업 취지와도 적절하게 부

응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필요를 반영한

교육과정이 설계되지 못했다 한정된 교육 장소 또한 공급자 중심이어서

수혜자 또는 수혜자 집단이 교육 공간에 방문하여 진행하는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다 삶의 질 향상과 생활문화가 중시되는 이즈음 수요자의 생

활 속으로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절실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9

셋째 양적 증대에 비해 질적 성장을 이루지 못했다 이는 교육과정 개

선이나 관리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지 않은 데서 비롯되었다 교육프로

그램 실행이나 효과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을 개선해야 하지만 시스템

부재로 양질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ㆍ보급해 나가는 데 어려움

이 따를 수밖에 없다 현장과 동떨어진 내용을 요구하거나 표준화된 학

습지도안에 따라 기계적인 수업을 강요하는 측면이 있는 반면 교육과정

을 지나치게 자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강사에 따라 내용의 편차가 크게

존재하는 등 교육의 균질성 역시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예술강사의 역

량 강화를 위한 제도나 교육 프로그램 역시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데 의무 연수 규정 또한 폐지되어 전적으로 강사 개인의 자율적 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곧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하락으로 연결된

다 유관기관의 담당자나 학교관계자 교사들의 예술강사에 대한 인식에

도 문제가 있다 학교 관계자는 예술강사를 lsquo교사가 담당하기 어려운 과

목을 단순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rsquo 정도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

어 예술강사의 자긍심을 저하시키고 있다 예술강사(프로그램 준비 실

행) 학교관계자(시수인정 학교 안내 등) 담당교사(수업 시간 조율 준

비와 진행 등에 대한 협조)의 역할 설정 또한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교

육현장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성과를 집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참여 강사 및 단체 프로그

램(교육과정안 및 세부내용) 협력공간에 대한 정보를 생산ㆍ공유할 수

있는 종합 시스템이 미비하다 교육과정안과 세부 수업 내용뿐만 아니라

강사별 단체별 협력공간별 정보를 취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 없어

정보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역 기반의 우

수한 콘텐츠의 생산과 활용 측면에도 충분한 뒷받침을 하지 못하고 있

31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부산 문화 술교육의 과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고려해 볼 때 부산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

화 등 세 영역에서 향후 과제와 전망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1) 지역 문화 술교육 생태계 조성

첫째 서울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등과 같이 교육청 차원에서 별도

의 조례를 마련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재정비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은

정부 문화기관 교육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한 특수 분야다 이러

한 특성을 감안하여 부산시 부산문화재단 부산광역시 교육청은 문화예

술교육 발전 비전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실제 추진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또

한 문화예술교육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지역의 공연기관

박물관 도서관 지역문화원 등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과의 연계와 협력

도 필요하다 예컨대 핀란드의 lsquo뮤지엄 교육rsquo은 뮤지엄 동물원 오페라

극장 등이 학교와 연계하여 만든 프로그램으로 핀란드의 오랜 식민지

역사를 되짚어보고 국가 정체성을 재발견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근대 부

산의 도시 형성 역사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핀란드 교육은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콘텐츠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의 지역 집중성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부산 지역

의 여건과 현황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부산

센터가 더욱 능동적으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향

후 설립될 기초 단위 센터와의 바람직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문

화예술교육 정책의 지역화 초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하지 못

한 문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진흥원과의 유기적 협력

체계를 유지하는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1

해서는 운영 체제를 개편하고 전담 인력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를 활성화해야 한다 국내외 교류를 활발

히 추진함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시켜 나가

고 국내외 우수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콘텐츠의 질적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부산의 문화예술교육 역량에 걸맞은 국제 컨퍼런스

와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시키고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 담론을 생산해야 한다 아울러 양질의 네트워크

를 형성하여 지속적인 교류ㆍ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부산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일도 더없이 중요하다 국내

유관단체와 기관 간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감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자

생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2) 수요자 심의 교육환경 구축

첫째 수요자의 생활권과 연계된 문화예술교육의 기반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기관으

로 리모델링하는 방안 공간을 정비하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을 갖추는

공간 재편 방안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공간을 지속

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 김포가압장을 리모델링하여 아동ㆍ청소년

예술교육센터로 활용하고 있는 서서울예술교육센터 옛 성복보건소 건

물을 리모델링한 서울예술치유허브 등이 좋은 예다 또한 지역민의 생

활권 안에서 자발적으로 문화예술을 즐김으로써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가령 동아리 활동에 전

문가를 매칭하여 지속적ㆍ단계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

법이며 예술 놀이터를 조성하여 누구나 부담 없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사업

도 필요하다 문화예술교육은 지역의 문화유산이나 생활 습속과 연계하

31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여 지역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때 공동체 의식과 바람직한 지역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미국 피츠버그에 소재한 맨체

스터 크래프트 길드(Manchester Craft Guild)의 경우 청소년 시절 도예

교육 미술 지역 공동체의 힘을 깨달은 설립자가 일생 동안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며 지역 공동체의식을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이

외에도 지역에 산재한 여러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교육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망을 정교하게 구축하고 유기적으로 작동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생애주기별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여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

대해야 한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은 생애 전반에 걸쳐 지역

민과 지역공동체의 생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지역형 문화예술

교육 정책의 근간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추진해 오던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여러 이유로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수요자

층을 발굴하고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부산문화재단(부산광역문화교육지원센터) 부

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금정문화재단 등이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수혜 대상자 현황을 살펴보면 취약계층을 포함한 학교 안팎의 청소년이

주된 대상이다 반면 유아ㆍ아동과 청년 대상 사업은 전무하며 노인대

상 사업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이나 시민아카데미 사업 정도

에 불과하다

두루 알다시피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은 유아부터 노인까지 단계적

ㆍ체계적 프로그램을 기획ㆍ운영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할렘 칠드런즈 존(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을 들 수 있다24) lsquo할렘

어린이 구역(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rsquo 프로젝트는 태교부터 직장

24)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KIPP)

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

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67쪽 Harlem Childrenrsquos Zone httpshcz

org2018100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3

에 들어가기까지 교육과 건강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 각자의 건강

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이것이 지역 공동체의 건강한 토대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좋은 예다 이 프로젝트는 영유아 종일 보육센터 학업 성

취를 책임지는 차터 스쿨 건강지원센터 방과 후에 운영되는 아동과 성

인을 위한 주민센터 주말과 여름에 이루어지는 청소년 폭력 방지 등 지

역 주민 전체를 위한 광범위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25)

셋째 수요자의 다양한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창의력과 융합적 사고의 원동력이 되는 인문학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부산문화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인문학 소모임 동아리 출판 지원 등의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감

으로써 다양성을 확보하고 문화예술 기초역량을 배양해 나가는 디딤돌

로 삼아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장을 넓혀 나가는 작업도 필요하

다 스웨덴의 lsquo서커스 시르쾨르rsquo은 좋은 본보기다 이는 서커스를 문화예

술교육에 접목한 사례로 인간의 삶의 균형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다

양한 오브제를 활용하고 신체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다26)

최근 부산에서 장애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장애인 대상 교육단체에 대한 지원과 국가자격증을

갖춘 강사 확보를 통한 전문성 강화 등 관리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또한 지원 대상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미

국 오클랜드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기관 크리에이티

브 그로스 아트센터(Creative Groth Art Center) 사례는 적지 않은 시사

점을 던진다 이 기관은 1974년부터 발달장애인의 예술적 역량과 완성

작품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데 기여해 왔다 장애인 작가들

이 자유로운 예술 감각을 표현하며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 작

업실을 제공하고 국내외 전시를 개최하는 등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

25) 김경애 위의 논문 170쪽

26)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116쪽

31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넷째 영역별 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교문화예술

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되어 있는 구조를 극복하여 문화예술

교육의 실질적 효용을 극대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국립 오페라단의 스

쿨 오페라 프로그램은 좋은 예다 전국의 학교를 대상으로 오페라 교재

와 가수 스태프를 파견하고 의상 등을 지원하며 다양한 교과와 연계하

여 사업을 펼치고 있다 가령 역사 수업에서 오페라의 시대 배경을 제시

하고 국어 수업에서는 연기하는 인물의 감정을 고찰하며 미술 수업에

서는 소도구를 직접 제작해 보기도 한다 경영 수업에서는 입장권을 직

접 판매하는 등 홍보ㆍ마케팅 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역별 연계

활동은 예술가의 자유로운 실험정신과 창의적 사고로 교실에 생기를 불

어넣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27)

3) 문화 술교육 질 기반 고도화

첫째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해 나가는 작업

이 시급하다28) 학교문화예술교육 설문조사 결과29)에 따르면 문화예술

27)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299쪽

28) 부산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서는 고(稿)를 달리하여 논의

할 예정이다

29)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심층면담 결과를(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58-59

쪽) 사회문화예술교육은 2018년 9월 30일 자체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였다 특히 후자는 다음과 같은 문항으로 예술강사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1 참여하고 있는(또는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2 현

재 교육하고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3 현재 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분야와

교육 중인 분야가 일치합니까 4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

니까 5 문화예술교육 경력기간을 선택해 주세요 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까 7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해 받은 연수 프로그램이 있다

면 선택해 주세요 8 2015~2018년 간 이수한 총 연수 시수를 선택해 주세요 8

mdash1 2015년~2018년 간 부산문화재단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

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mdash2 2015년~2018년 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ARTE)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

mdash3 2015년~2018년 간 기타 기관에서 연수받은 적이 있다면 연수기관과 시수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5

교육 강사 재교육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강사 자신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예술강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매몰되면 자칫 기능 중심의 교육이 되기 쉽고 문

화예술교육 고유의 목표에 다가가기 어렵게 된다 예술강사의 질은 문화

예술교육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학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해야 한다 서울형 예술가

교사(TA)는 문화예술 기반 콘텐츠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접목시켜

만든 새로운 강사 모델이다 이들은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철학인 lsquo미

적 체험rsquo을 실현하는 예술교육 전문가로 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뛰

어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인문

ㆍ예술 장르의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내고 있다 초등학교 대상 프로그램 lsquo예

술로 플러스rsquo와 중학생 대상 인문예술교육 lsquo예술로 함께rsquo는 모두 정규과

정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이 있다30) 아울

러 예술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인력 문화예

술교육단체 학교 기관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

식을 개선하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ㆍ단계적인 교

육 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과거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영역에서 교과서

를 표준화했지만 최근에는 강사가 현실 여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되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효과적

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네트워킹

를 기재해 주세요

30)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htmleducationchildaspperMen

uSeq=2ampMenuSeq=3720181006 예술가교사 사이트 httpartsedutasfacork

rhtmlteachingArtchildEdu_introasp20181006

31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인적 자원 정보를 담은 인력 뱅크 콘텐츠 디렉토리 지역

의 문화자원 사업 정보 국내외 동향과 연구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역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과 실태를 조사

ㆍ연구하는 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다 문화예술교육

의 지역 실태 조사는 문화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짧은 주

기로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제를 발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rsquo 발표를 계기로 문

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분

권의 시대가치에 적합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문화예

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

합회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을 중심

으로 기관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은 중앙

과 협력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을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부산

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원사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29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최근에는 지역문화 진흥 및 균형 발전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서서히 구

축되고 있다 lsquo문화기본법rsquo(2013) lsquo지역문화진흥법rsquo(2014) lsquo국민여가활성

화기본법rsquo(2015) 등을 비롯하여 광역자치단체들이 문화예술 및 지역문화

진흥 관련 조례를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 정체성의 발

견과 확립 지역민의 삶의 질 개선 지역 경제와의 연계 도시 재생 지역

발전 견인 등 다양한 측면에서 문화예술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확

산시켜 나가고 있다

2015년 5월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 개정으로 정부는 5년마다 문화예술

교육 종합계획을 수립하는 법적 의무를 지니게 되었다 2014년 수립된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 계획(2014~2017)의 정책 기한이 종료됨으로

써 2018년 1월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

2022)rsquo을 수립발표하였다3) 이 계획은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과 수요

증대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연계성과 체계성 확보 필요 맞춤형 문화예

술교육 요구 증대 교육 패러다임 변화 제4차 산업혁명시대 정책 환경

의 변화 등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치를 담고 있다 문화예술교

육 전문인력의 역량 강화 안정적 지원 환경 마련 전 국민 대상의 문화

예술교육 확대가 필수적으로 요청된다고 보았다 정책방향으로 지역 분

권화 정책 체계화 수요 특성화 융합과 확장을 추진전략으로 지역 기

반 생태계 구축 수요자 중심 교육 다각화 문화예술교육 기반 고도화를

제시하였다 사실상 문화예술교육의 지역화를 핵심과제로 제시하고 있

는 셈이다 따라서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 ~2022)rsquo은 지역 문화예

술교육 정책에서 하나의 전환점으로 간주할 수 있을 만큼 정책 변화의

폭이 크다 이에 따라 전국 각 지역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 발전계획rsquo

을 마련하고 있다 부산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지역분권의 시대적 가치

에 실질적으로 부합하고 부산의 문화적 여건과 세대별(유아에서 노년에

이르는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ㆍ영역별(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

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3

화예술교육)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며 부산의 지역성을 담지할 수

있는 독자적인 정책을 발굴해야 한다

부산문화예술교육의 역사를 간략히 살펴보면 2000년대 중반 이후 부

산대 신라대 산하 연구소를 비롯하여 다수의 민간 예술단체와 시민단체

들이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참여하여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 사업을 진행하였다4) 부산광역시교육청에서도 lsquo1학교 1문화예술교

육rsquo 정책과 학교문화예술교육 종합추진계획을 수립하여 진흥원과 업무

협약을 체결하여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을 적극적으로 표출하였다5) 이

러한 흐름은 2010년 부산문화재단 내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이하

부산센터)가 지정ㆍ설립되면서 일대 전환을 맞는다 이를 계기로 진흥원

에서 시행하던 사업들이 지역센터로 이관되어 업무가 통합되는 과정에

서 초기에 비해 민간단체들의 역할이 부분적으로 약화되었다 이는 제도

화 초기에 발생하는 문제로 불가피한 측면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부산센

터가 지역 문화예술교육 진흥의 허브로서 다양한 민간단체들과 교류

협력하는 거버넌스 체제를 구축하지 못했기 때문이다6) 이후 지역센터

주관으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연구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

다 하지만 진흥원의 정책과 사업을 지역에서 수행하는 비중이 크기 때

문에 지역 고유의 사업을 독자적으로 진행하기에는 어려울 수밖에 없다

지난 15년 간 문화예술교육이 정책적으로 시행됨으로써 문화예술교육

이 양적 성장을 이루었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다 재정규모는 84억원

에서 1295억원으로 15배 예술강사 수는 1861명에서 5849명으로 3배

이상 무엇보다도 문화예술교육 수혜자 수가 71만 명에서 310만 명으로

45배나 증가하였다7) 그런데도 이러한 비약적인 양적 증대에도 질적 성

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8-9쪽

5) 부산광역시교육청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정책 기조와 사업 현황은 「2016 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종합계획」 「2018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추진계획」을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6) 김희재 외 여럿 앞의 글 30쪽

29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장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여기에는 진흥원과

지역센터 간의 관계 설정과 역할 분담의 불균형 공급자 중심의 분배식

사업 지원 학교 예술강사의 고용불안 프로그램의 질적 관리 미흡 등의

복합적인 문제가 내포되어 있다

그런데도 이제껏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초창기부터 지역 실정에 걸맞은 문화예술교육

방법론을 모색하거나8)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역사적 경과9)를 개략

적으로 정리하는 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아직까지 부산지역 문화예술

교육의 실체를 종합적으로 조망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으며 주관기관에

서 매년 사업성과를 묶어 자료집을 발간하는 정도에 머물러 있다10) 지

역의 실정을 반영한 문화예술교육의 제도적 기반 구축 지역성과 문화예

술교육의 관련성 탐구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

강화 통합문화예술교육 방법론 모색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 문화예

술교육의 수요와 사회적 확산 방안 예술강사의 실태 분석을 통한 현장

7) 부산문화재단 생활문화본부 문화교육팀의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8)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연구

원 2007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

포럼 2017 56월호

9) 김희재 외 여럿 앞의 글

10)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와 부산문화재단에서 발간하는 사업 결과보고서를 통

해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사업 현황과 실태를 부분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이

다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집」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

자료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

자료집」 2016 부산문화재단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부산문화재단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다른 지역의 경우

에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원사업을 다룬 논

의가 있다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술교육연

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5

의 요구 반영 등의 문제에는 소홀했던 셈이다 비교적 최근 들어 문화예

술교육의 실태를 조사한 논의가 있기는 하나11) 이 또한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까닭에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 논문에서는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살펴

보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지역 기반의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

고자 한다

2 부산 문화 술교육의 황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은 여러 기관에서 추진되고 있는 지원사업

을 통해 정리해 볼 수 있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을

교육내용으로 하거나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모든 형태의 교육을 말한다

그런데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 제2조(정의)에는 문화예술교육을 학교문화

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등 2개의 항목으로 세분하고 있다 따라

서 진흥원이 지원하는 사업은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

로 나뉠 수밖에 없다 진흥원이 지원하는 학교문화예술교육은 학교 예술

강사 예술꽃씨앗학교 유아문화예술교육과 고3 수험생 대상 문화예술교

육 lsquo상상만개rsquo다 반면 사회문화예술교육은 6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

다12) 대표적인 사업으로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꿈다락

11) 이미연 외 여럿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화

예술교육연합회 2017

12) ①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② 소외 계층 아동ㆍ청소년을 대상으로 하

는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 지원 지역아동센터 농산어촌 이동형 문화예술교육

lsquo움직이는 예술정거장rsquo 방과 후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지원 ③ 군대 교정시설소

년원 등 특수계층협력형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④ 예술동아리 교육 지원사

업 컨설팅 지원 등의 시민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⑤ 진흥원과 광역문화예술교

육지원센터 협력형 사업으로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⑥ 꿈다락 토

요문화학교 지원사업이 바로 그것이다 김희재 외 여럿 앞의 글 2014 25쪽

29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토요문화학교 지원사업을 들 수 있다 부산에서 진흥원 사업을 시행하는

기관은 여러 곳이며 진흥원 사업 외 별도 사업이 있다 또한 여러 기관

에서 협업으로 진행하는 사업도 있다 이 자리에서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현황을 두루 파악하기 위해 lsquo주관기관별 문화예술교육rsquo lsquo학교문화예

술교육rsquo lsquo사회문화예술교육rsquo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

1) 주 기 별 문화 술교육

여기에서는 2017년도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

문화예술교육연합회(예술강사지원센터) 부산광역시교육청 금정문화재

단을 비롯한 각 기초자치단체에서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을 검

토하고자 한다13)

우선 부산문화재단 지원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자

[표 1] 2017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원사업 현황

13)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발간한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을 바탕으로 현황을 정리하였다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문화예술교육 인력양성

문화예술행정 아카데미부산 문화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창의적인 행정역량 강화

공공기관 행정 책임자 대상

프로그램 연구 개발 및 보급

지역협력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지원체계 구축 및 문화예술교육 컨트롤 타워 역할 수행

인력양성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문화예술교육 매개자를 위한 공통 기초 연수 실행자를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문화예술교육 관계자 전체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7

2016년 ldquo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

육rdquo14)으로 구분되어 있던 사업체계가 2017년도에는 ldquo문화예술교육 인력

양성 프로그램 연구개발 및 보급 문화예술교육정책사업rdquo으로 재편되었

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학교 예술강사와 국악분야 예술강사 사업이 제

14) 2016년에는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rsquo(지역 협력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네트워크 사업 문화예술행정 아카데미) lsquo학교문화예술교육rsquo(학교 예술

강사 지원 국악분야 예술강사 지원 어린이무형문화재 교실 청소년복합문화센

터 놀이마루 프로그램 운영) lsquo사회문화예술교육rsquo(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

원사업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역 인문학 활성화 지원 학예이론 도서발간 지

원 지역 출판문화 활성화 지원 도시철도 북하우스 운영 2016년도 가을독서문

화 축제)으로 구분하여 세부사업을 운영하였다

지역전통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역전통문화예술 콘텐츠를 활용한 융합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지역 전통문화예술 활성화 및 브랜드화 도모

초등학생 대상(시범 진행)

문화예술교육 정책

사업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지속가능한 일상 속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발굴을 통해 문화 환경 조성과 지역사회의 문화역량 향상에 기여

문화 사각지대 지역주민 대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학교mdash가정mdash지역사회 연계의 교육공동체 구축 및 문화예술 활동을 비롯한 사회의 다양한 활동 기회 제공

아동 청소년 및 그 가족 대상

지역 인문학 활성화 지원

lsquo지역출판문화 활성화 사업rsquo(2016)과 통합

인문학 소모임 간의 소통을 통한 지역사회의 인문학 활성화

인문학 소모임 대상

도시철도 북하우스 운영생활밀착형 독서문화 공간의 관리와 운영부산 시민 전체 대상

2017년도 가을독서문화축제

일상에서 책읽기 문화 활성화 및 지속적인 독서 관련 콘텐츠를 생산하여 책 읽는 사회 분위기 조성

부산시민 전체 대상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지역의 전통문화예술을 창조적으로 계승 생활 속 향유 지원

선별된 초등학교 3학년~6학년 대상

29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외되었다 또한 지역출판문화 활성화 사업이 지역 인문학 활성화 지원사

업과 통합되어 진행되었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그리고 지역협력형 문화

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인력양성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역전통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업이 추가됨으

로써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가 가능해졌다 이처럼 부산문화재단이 기존

의 단순 지원에서 벗어나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감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부산문화재단은 진흥원 사업 외에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

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도 펼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부산센

터 사업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부산의 정체성과 독자성을 담은 문

화예술교육사업을 기획ㆍ운영하기가 쉽지 않다는 데 있다 적은 예산에

다 제한된 인력을 투입하여 여러 사업을 진행하므로 사업 관리나 독자

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어려움이 클 수밖에 없는 셈이다

다음으로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예술강사지원센터)15)와 부산광역

시교육청에서 진행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16)을 살펴보

[표 2]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지원사업 현황

15)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기획사업 계획서」 2017 참고

16) 부산광역시교육청 홈페이지 정보공개자료 중 문화예술교육활성화 항목 참고 ht

tpwwwpengokr20180930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학교문화예술교육

학교 예술강사 지원

학교문화예술교육국악 및 7개 분야 학교 예술강사(연극 영화 무용 만화ㆍ애니 사진 공예 디자인)

초ㆍ중등 및 특수학교 대상

기획사업찾아가는 진로ㆍ

예술교육

진로 및 문화예술교육으로 학생들에게 적성과 흥미를 찾을 수 있는 기회 마련

초ㆍ중학생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9

[표 3] 2017 부산광역시교육청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문화예술교육지원

예술동아리 지원 등학생들의 예술동아리 및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함

체험학습 운영

어린이회관

학생교육문화회관

학생예술문화회관 체험실 운영 등

교육기관 체험실 운영 지원 (기자재 구입 및 강사료 등)

축제행사 운영

학생연극제 댄스경연대회

가요제 등학생이 참여하는 모든 예술 축제행사 지원

특별활동 지원

문화예술순회프로그램

문화예술활동 지원

학생비엔날레 개최 등

학생 민간예술단체 교사 단체 등의 활동 지원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시설관리 및 프로그램 운영 지원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기획ㆍ진행하였다 반면 부산광역시교육청 문화예

술교육 지원사업은 크게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

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

원으로 나눌 수 있다 이것은 부산광역시교육청의 lsquo학교문화예술교육 활

성화 종합계획rsquo에 따라 운영되며 완만한 예산 변동으로 사업내용에는

큰 변화가 없는 편이다

이외에도 부산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 현황을 제시하면 다음

과 같다17)

작은 도서관지원사업

열악한 환경에서도 예술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에게 예술교육 프로그램 제공 예술교육 활성화 및 예술 환경 조성을 위함(부산 느티나무 도서관 외 4곳)

초ㆍ중학생 대상

30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표 4] 2017 기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17) 「부산시 문화예술교육사업 취합 자료」 부산시 문화관광국 2017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부산시

구ㆍ군 문화예술교육모델

발굴 지원

중구mdash닥종이 공예교실 운영 -저소득 주민 대상부산진구mdash청소년예술학교 운영 -초등학교 1학년~중학교 3학년 대상

문화예술 낙후지역 학생오케스트라 사업

예술적 소양과 바람직한 인성 함양소외ㆍ취약 지역 학교폭력이 심각한 지역 학교 학생 대상

구별 단위사업

문화학교 운영

문화강좌를 통해 지역민의 자기계발 및 건전한 여가선용을 제공하기 위해 지역문화예술 진흥 차원에서 시작된 사업

지역민 누구나

소년소녀합창단 및 청소년 오케스트라

운영 지원

청소년의 정서 함양과 예술적 기량 향상을 통해 전문 음악예술인으로 성장하는 기반 마련

초ㆍ중ㆍ고 학생 대상

유소년 타악기오케스트라

창의력 발달과 인성 형성에 도움을 주며 체계적인 연주 지도를 통하여 음악인재를 육성하고 배움을 통한 재능을 사회에 기여케 하고자 추진

초ㆍ중학생 대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예술감상교육

예술감상교육체험 프로그램 운영으로 청소년의 자발적 문화예술 향유 능력 제고

초ㆍ중학생 및 가족 200여명

한울타리 오케스트라

음악을 통한 행복학습도시 조성 구민 오케스트라 교육 운영을 통한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

일반성인 대상

해운대구립예술단(소년소녀합창단 청소년오케스트라 여성합창단) 운영 지원

구민의 정서함양과 여가선용 및 자기계발 기회 제공과 지역문화예술발전 도모

구ㆍ군 문화예술교육모델 발굴 지원청소년예술학교

운영

구청사 내 청소년 문화예술 전문학교 설립 우수하고 체계적인 예술교육을 통해 청소년의 정서 함양 도모 예술인재 조기 발굴 및 육성

초등학교 1학년~중학교 3학년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1

부산시 주관 사업이나 구 단위 사업도 중요하지만 금정문화재단의 사

업이 눈에 띤다 금정문화재단은 2016년 6월에 구 단위 문화재단으로는

최초로 부산 금정구에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에는 lsquo유네스코 세계문화유

산교실 교육 콘텐츠 개발rsquo 사업만 유일하게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7년 세계시민의식을 주제로 한 lsquo일상 다 예술rsquo이라는 청소년 창의 프

로젝트를 열었다 이는 음악 무용 연극 장르 간 협력을 통해 창작과 제

작 과정 공연에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이다 총 8차시(8차시times4시간)로

진행된 이 사업을 시작으로 2018년에는 lsquo예술일주rsquo 프로젝트를 선보임으

로써 다양한 예술장르와 청소년의 만남을 이루어 내었다는 점에서 긍정

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2) 학교문화 술교육

학교문화예술교육은 크게 학교 예술강사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청소년복화문화센터 놀이마루18) 사업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학교 예술강사 사업은 국악 분야 lsquo강사풀제rsquo(2000) 시범 도입을

청소년 문학아카데미 운영

청소년들의 예술적 자질 발굴초등학교 5학년~고등학교 1학년 작가 지망생 대상

평생학습관 운영

다양한 평생교육 문화프로그램 개설로 지역주민에게 자기계발과 문화향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문화예술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 수행

관내 지역주민

문화강좌 운영 지역주민에게 자기계발과 문화향유 기회 제공

도서관 이용 활성화 도모관내 지역주민

금정문화재단

일상 다 예술금정구 관내 청소년들에게 예술가와의 만남으로 통합적 예술체험기회 제공 창의적 사고 배양

중등학생 대상

세계무형문화유산교실세계무형문화유산 교육프로그램을 추진 다음 세대의 문화다양성 및 문화유산 보존 의식 증진

금정구 관내 6개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30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계기로 정책사업의 기본틀을 마련하였다 이후 이 사업은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의 핵심사업인 lsquo예술강사 지원사업rsquo의 모태가 되었다 학교 예술

강사 사업의 교육목표는 창의성 감수성 문화시민 인성 소통과 공감

등 예술적 가치와 교육적 가치를 포괄하고 있다 교육 장르를 지속적으

로 확대하면서 현재 8개 장르(국악 연극 영화 무용 만화애니매이션

공예 사진 디자인)로 확대ㆍ운영하고 있다 부산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운영주체는 진흥원에서 2011년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로 이관되었

으며 2017년부터는 공모를 통해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가 운영하고

있다 학교 예술강사가 파견되는 수업은 교육과정 내 문화예술교육으로

기본교과 또는 창의적 체험활동에 속한다

2017년 강사 수는 총 375명으로 국악분야 140명이며 그 외 7개 분야

235명이다 2017년 부산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

악이 전체의 376 무용이 228 연극이 164를 차지한다19) 국악 비

중이 높은 이유는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역사와 맥락을 같이하기

때문으로 보이며 향후 영역별 균형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출강학교 수는 전체 518개교였다 학교 수는 2015년 495개교에서 2016년

522개교로 23개교(55) 증가하였고 2017년에는 다시 529개교로 소폭

증가하였다 학교 예술강사 파견에 따른 교육 총시수는 2015년 53284시

수 2016년 55323시수 2017년 87753시수로 해를 거듭할수록 점진적으

로 증가하였다 배정된 학교에 시수를 최대치로 부여함으로써 참여 학교

수는 줄었으나 교육 시수는 오히려 증가한 결과다 교육시수가 증가된

현실과는 무관하게 수혜 대상 학교가 절차상의 문제로 취소ㆍ포기하는

사태가 빚어졌다는 점은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이 지닌 문제점 가운데

18) 서면 중앙중학교가 이전한 뒤 놀이와 체험 위주의 청소년복합문화센터로 자리

잡은 놀이마루는 2016년 9월 28일 부산광역시교육청이 시설 운영을 부산문화재

단이 프로그램 제공과 관리를 맡는 체제로 개관하였다 놀이마루 프로그램은

2017년에는 드림교육센터가 2018년 다시 부산문화재단이 위탁ㆍ운영하고 있다

19) 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17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3

하나라 볼 수 있다 교육과정 운영은 엄격한 편이다 하지만 강사의 개인

역량과 수업 환경에 따라 일정 부분 유연성을 인정하고 허용하는 추세

다 학교문화예술교육에서 강사의 자율성과 교육의 균질성 확보 사이의

균형 역시 연구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

참여학교는 부산광역시교육청에 등록된 특수학교를 포함한 초ㆍ중ㆍ

고등학교가 2017년 기준 643개교에 이른다 초등은 308개교(479) 중

등은 174개교(271) 고등은 146개교(227) 특수학교는 15개교(23)

로 초등학교가 가장 많다 2017년 기준 참여 학교 수도 초등 296개교

중등 150개교 고등은 69개교 특수학교 14개교가 학교 예술강사 파견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특수학교는 1개교만 제외하고 모

두 문화예술교육 수혜를 받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고등학교는 50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데 입시제도의 문제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 본다

중학교 역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여전히 문화예술교육의 수혜

를 받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이 많다

사업비는 2015년 4247875천원 2016년 4322382천원 2017년

5230088천원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2016년과

비교하여 20117년 예산이 21나 증가한 것은 교육시수의 증가와 밀접

한 관련이 있다

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는

기획사업으로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과 lsquo작은 도서관 지원rsquo 사업을

진행하였다 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의 프로그램 구성은 진로 강연과

문화예술교육으로 구분된다 문화예술교육 수업에는 뮤지컬 연극 영화

제작 무대디자인 목공예 오페라 전통연희 공연디렉팅이 있다 수업은

3일 총 6시간(1학교 1일 2회 2시간씩) 진행되었으며 사업 예산은 90000

천원으로 주로 강사료와 재료비로 충당되었다

30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사회문화 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은 학교문화예술교육 대상을 포함한 유아부터 노인

까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며 특히 취약계층이 문화예술을 풍부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은 강사

(또는 단체)가 교육프로그램을 직접 개발ㆍ보급하는 형태로 1년 단위 공

모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강사가 보유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제외한 모

든 운영과 관련된 내용은 진흥원과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

센터)의 운영 지침에 따른다 대표적인 것이 lsquo꿈다락 토요문화학교rsquo와 lsquo지

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rsquo 사업이다

첫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학교 밖 전문 문화예술 기관이나 단체에

서 학령기 아동ㆍ청소년과 그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다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매개로 가족이나 또래 간 소통할 수 있는 새로

운 여가문화를 조성하고 학습의 장을 지역사회로 확대하여 학교mdash가정

mdash지역사회 연계의 교육 공동체를 구축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학

교제도와는 차별화된 문화예술교육 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문화예술교

육에서 소외되었던 대상들에게도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상상력과 소통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2015년 34개 단체의 34개 프로그램 2016년 일

반공모 39개 단체ㆍ기획공모 8개 단체의 55개 프로그램 2017년 50개 단

체 54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교육 참여인원은 2015년 1081명

2016년 2108명 2017년 2091명에 이른다 예산 규모는 국비와 시비 11

매칭 방식으로 2015년 912500천원 2016년 1824000천원 2017년

1642000천원이다 초기에는 특정 구 단위에 편중되었지만 해를 거듭할

수록 구 단위 참여 지역의 편차를 줄이는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2015년

금정구와 부산진구 사상구에서 4개 동래구와 연제구 북구에서 3개 그

외 영도구 중구 기장군 사하구 남구에서 각각 2개 동구에서 1개의 프

로그램을 2016년에는 서구와 강서구가 추가되면서 부산 18개 지역 전체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5

에서 실시되었다 이 역시 예산 증액에 따른 참여단체 수 증가와 문화예

술교육 수요의 증가에 따른 결과라 할 수 있다 2017년에는 해운대구에

서만 7개의 단체가 8개 프로그램을 금정구에서는 5개의 단체가 7개 프

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다음으로 부산진구와 동래구 수영구가 각각 5개

단체에서 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산은 2015년 912500천원 2016년도 1824000

천원으로 2배나 증가하면서 34개 단체에서 34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던

데서 나아가 47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성과를 내었다

교육 참여자 수 또한 1081명에서 2108명으로 1000명이나 증가하였다

예산 증가에 따른 사업단체 단체 수의 증가 프로그램의 다양성 수요에

따른 교육 참여자 수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물론 재단의 까다로운 문화행정 강사들의 안일한 수업 태도와 전문성

결여 등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2017년 예산은 2016년 대

비 2억원이 축소되었으나 51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2091명이 문화예술교육의 수혜를 입었다 이것은 신규단체 또는 3년 미

만의 사업단체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참여자를 기수를 나누어 진행하

던 기존 방식에서 1기수 20명으로 전환하거나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

이기 위하여 1년 완성형 프로그램 방식을 도입한 데 따른 결과라 볼 수

있다

둘째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주민과 예술가의 소통을

지원하는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환경 조성을 통하여 문화격차 해소

지역공동체 문화회복 학습자 개인의 성장을 넘어 일상 속 지역문화공동

체 모델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문화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15년 17개 단체의 17개 프로그램에 총 385명이 2016년에는 16개의

일반공모와 1개의 기획공모사업에 345명이 참여하여 다양한 교육을 받

았다 2017년에는 15개의 일반공모 단체와 1개의 기획공모 단체가 397명

30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의 지역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

램을 진행하였다 예산은 국비와 시비 11매칭으로 2015년에서 2017년까

지 3년간 동일하게 294000천원으로 편성ㆍ운영되었다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지역민과 예술가 또는 예술단체

가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

역민과의 소통을 전제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3년간 참여한 지역과 단

체 개발된 프로그램의 확산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예

산 증액 없이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확대와 발전을 기대

하기 어렵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준다

4) 부산 문화 술교육의 성과와 한계

지난 15년 간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다음과 같은 성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하

는 제도적 기초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lsquo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

원 조례rsquo는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제도적 장치로 문화예술교육이 시민

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부산문화 역량 강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명시

하고 있다20) 이는 예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하는 근거가 된다 그러

나 서울 경기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대전광역시21) 등에서는 교

육청이 문화예술교육 진흥과 관련한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 중인 것과

비교하면 부산은 제도적 기반이 여전히 충분하지 않고 유관기관 간의

협력 체제가 공고하게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둘째 예산을 확대 편성하여 안정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양적 성장을 이

루었다 부산에서는 국비와 시비 자체 사업비 등을 포함하여 국악분야

20) 「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원 조례」 제3조(기본원칙) 2항에서 ldquo모든 시민은

나이 성별 장애 사회적 신분 경제적 여건 거주지역 등에 관계없이 자신의 관

심과 적성에 따라 평생에 걸쳐 문화예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받는다rdquo고 명시하고 있다

21) 대전광역시교육청은 장애학생 문화예술 지원 조례를 두고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7

예술강사 지원사업 18억원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24억원 사회문화예

술교육 등 그밖의 사업에 25억원 정도의 사업비가 매년 투입되었다 이

를 통해 사업 대상과 규모를 확대할 수 있었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경

우 연간 500여 개의 학교가 참여하였고 교육 시수는 5만~8만 시간 정

도 운영되었다 예술강사가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수혜자 수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공간과 시설 등 인프라 확충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양적 증대에 따라 교육 공간과 시설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되면서

부산시나 구 단위에서 문화예술교육 거점 공간을 조성하거나 지역의 특

정 공간을 문화예술교육공간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청소

년 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는 개관 초기부터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끌었

으며 문화예술교육 공간과 콘텐츠 면에서 우수 사례로 벤치마킹되고 있

셋째 양적 성장을 기초로 유추해 볼 때 문화예술교육과 함께 성장한

교육 수혜자들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

이 확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22) 문화예술교육 경험자는 개인의 행복감

이나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비경험자보다 긍정적 결과를 보인다고 한

다23) 앞으로도 문화예술 영역의 외연 확장과 더불어 지역 정체성의 발

견과 확립 지역민의 삶의 질 개선 지역 경제와의 연계 도시 재생 지역

발전 견인 등과 적절하게 결부시킴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사회

적으로 확산시켜 나갈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 반해 문제점과 한계 또한 적지 않다

첫째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를 들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지원체계

는 중앙정부에서 예산을 일방적으로 편성하여 지자체에 배정하는 방식

을 취하고 있으며 사업 또한 동일한 방식을 유지해 왔다 이러한 정부

22) 앞으로 문화예술교육 수혜자들이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으로 나아가는 사례

를 면밀히 분석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사회 활동에서 비수혜자들과 어떤

차이를 드러내는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2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30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주도의 중앙집중형 지원 시스템은 지역의 현실과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

지 못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지역적 기반과 문화적 응전력 자생력을 현

격하게 약화시킨다 지역의 문화자원(유관기관 문화예술단체 등)과 인

적 자원의 협력 체계를 제대로 구축하지 못한 점도 마찬가지다 결과적

으로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취약하게 만들 수밖에 없는 것

이다 현 정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기조로 지역 구심성을 강조하

고 있지만 이러한 지원체계의 혁신 없이는 불가능하다

둘째 공급자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에

따라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된 이원적 구조가

고착되면서 교육 내용이나 방법론 확장에 많은 제약이 뒤따랐다 특히

학교에서부터 사회에 이르는 생애 전 과정을 통합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지 못하고 있는 점 각 영역별로 각자의 교육 대상자를 규정하고

있어 교육 대상자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점 등이 문제다 그 결

과 수혜자 수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중복 수혜 대상이 반복적

으로 발생하는가 하면 전혀 수혜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 또한 적지 않다

가령 유아 청년(대학생 또는 청년) 대상 사업이 전무한 실정이고 일부

중장년층이나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운영하고 있지만 실효성

이 낮은 편이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경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사업 중심이어서

사업별로 대상자가 중복되는 경향이 있고 사업 대상을 취약계층으로 규

정한 것은 일종의 낙인효과를 유발함으로써 사업 취지와도 적절하게 부

응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필요를 반영한

교육과정이 설계되지 못했다 한정된 교육 장소 또한 공급자 중심이어서

수혜자 또는 수혜자 집단이 교육 공간에 방문하여 진행하는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다 삶의 질 향상과 생활문화가 중시되는 이즈음 수요자의 생

활 속으로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절실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9

셋째 양적 증대에 비해 질적 성장을 이루지 못했다 이는 교육과정 개

선이나 관리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지 않은 데서 비롯되었다 교육프로

그램 실행이나 효과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을 개선해야 하지만 시스템

부재로 양질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ㆍ보급해 나가는 데 어려움

이 따를 수밖에 없다 현장과 동떨어진 내용을 요구하거나 표준화된 학

습지도안에 따라 기계적인 수업을 강요하는 측면이 있는 반면 교육과정

을 지나치게 자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강사에 따라 내용의 편차가 크게

존재하는 등 교육의 균질성 역시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예술강사의 역

량 강화를 위한 제도나 교육 프로그램 역시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데 의무 연수 규정 또한 폐지되어 전적으로 강사 개인의 자율적 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곧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하락으로 연결된

다 유관기관의 담당자나 학교관계자 교사들의 예술강사에 대한 인식에

도 문제가 있다 학교 관계자는 예술강사를 lsquo교사가 담당하기 어려운 과

목을 단순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rsquo 정도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

어 예술강사의 자긍심을 저하시키고 있다 예술강사(프로그램 준비 실

행) 학교관계자(시수인정 학교 안내 등) 담당교사(수업 시간 조율 준

비와 진행 등에 대한 협조)의 역할 설정 또한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교

육현장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성과를 집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참여 강사 및 단체 프로그

램(교육과정안 및 세부내용) 협력공간에 대한 정보를 생산ㆍ공유할 수

있는 종합 시스템이 미비하다 교육과정안과 세부 수업 내용뿐만 아니라

강사별 단체별 협력공간별 정보를 취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 없어

정보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역 기반의 우

수한 콘텐츠의 생산과 활용 측면에도 충분한 뒷받침을 하지 못하고 있

31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부산 문화 술교육의 과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고려해 볼 때 부산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

화 등 세 영역에서 향후 과제와 전망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1) 지역 문화 술교육 생태계 조성

첫째 서울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등과 같이 교육청 차원에서 별도

의 조례를 마련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재정비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은

정부 문화기관 교육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한 특수 분야다 이러

한 특성을 감안하여 부산시 부산문화재단 부산광역시 교육청은 문화예

술교육 발전 비전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실제 추진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또

한 문화예술교육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지역의 공연기관

박물관 도서관 지역문화원 등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과의 연계와 협력

도 필요하다 예컨대 핀란드의 lsquo뮤지엄 교육rsquo은 뮤지엄 동물원 오페라

극장 등이 학교와 연계하여 만든 프로그램으로 핀란드의 오랜 식민지

역사를 되짚어보고 국가 정체성을 재발견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근대 부

산의 도시 형성 역사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핀란드 교육은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콘텐츠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의 지역 집중성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부산 지역

의 여건과 현황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부산

센터가 더욱 능동적으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향

후 설립될 기초 단위 센터와의 바람직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문

화예술교육 정책의 지역화 초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하지 못

한 문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진흥원과의 유기적 협력

체계를 유지하는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1

해서는 운영 체제를 개편하고 전담 인력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를 활성화해야 한다 국내외 교류를 활발

히 추진함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시켜 나가

고 국내외 우수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콘텐츠의 질적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부산의 문화예술교육 역량에 걸맞은 국제 컨퍼런스

와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시키고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 담론을 생산해야 한다 아울러 양질의 네트워크

를 형성하여 지속적인 교류ㆍ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부산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일도 더없이 중요하다 국내

유관단체와 기관 간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감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자

생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2) 수요자 심의 교육환경 구축

첫째 수요자의 생활권과 연계된 문화예술교육의 기반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기관으

로 리모델링하는 방안 공간을 정비하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을 갖추는

공간 재편 방안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공간을 지속

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 김포가압장을 리모델링하여 아동ㆍ청소년

예술교육센터로 활용하고 있는 서서울예술교육센터 옛 성복보건소 건

물을 리모델링한 서울예술치유허브 등이 좋은 예다 또한 지역민의 생

활권 안에서 자발적으로 문화예술을 즐김으로써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가령 동아리 활동에 전

문가를 매칭하여 지속적ㆍ단계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

법이며 예술 놀이터를 조성하여 누구나 부담 없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사업

도 필요하다 문화예술교육은 지역의 문화유산이나 생활 습속과 연계하

31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여 지역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때 공동체 의식과 바람직한 지역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미국 피츠버그에 소재한 맨체

스터 크래프트 길드(Manchester Craft Guild)의 경우 청소년 시절 도예

교육 미술 지역 공동체의 힘을 깨달은 설립자가 일생 동안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며 지역 공동체의식을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이

외에도 지역에 산재한 여러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교육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망을 정교하게 구축하고 유기적으로 작동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생애주기별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여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

대해야 한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은 생애 전반에 걸쳐 지역

민과 지역공동체의 생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지역형 문화예술

교육 정책의 근간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추진해 오던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여러 이유로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수요자

층을 발굴하고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부산문화재단(부산광역문화교육지원센터) 부

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금정문화재단 등이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수혜 대상자 현황을 살펴보면 취약계층을 포함한 학교 안팎의 청소년이

주된 대상이다 반면 유아ㆍ아동과 청년 대상 사업은 전무하며 노인대

상 사업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이나 시민아카데미 사업 정도

에 불과하다

두루 알다시피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은 유아부터 노인까지 단계적

ㆍ체계적 프로그램을 기획ㆍ운영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할렘 칠드런즈 존(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을 들 수 있다24) lsquo할렘

어린이 구역(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rsquo 프로젝트는 태교부터 직장

24)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KIPP)

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

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67쪽 Harlem Childrenrsquos Zone httpshcz

org2018100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3

에 들어가기까지 교육과 건강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 각자의 건강

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이것이 지역 공동체의 건강한 토대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좋은 예다 이 프로젝트는 영유아 종일 보육센터 학업 성

취를 책임지는 차터 스쿨 건강지원센터 방과 후에 운영되는 아동과 성

인을 위한 주민센터 주말과 여름에 이루어지는 청소년 폭력 방지 등 지

역 주민 전체를 위한 광범위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25)

셋째 수요자의 다양한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창의력과 융합적 사고의 원동력이 되는 인문학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부산문화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인문학 소모임 동아리 출판 지원 등의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감

으로써 다양성을 확보하고 문화예술 기초역량을 배양해 나가는 디딤돌

로 삼아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장을 넓혀 나가는 작업도 필요하

다 스웨덴의 lsquo서커스 시르쾨르rsquo은 좋은 본보기다 이는 서커스를 문화예

술교육에 접목한 사례로 인간의 삶의 균형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다

양한 오브제를 활용하고 신체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다26)

최근 부산에서 장애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장애인 대상 교육단체에 대한 지원과 국가자격증을

갖춘 강사 확보를 통한 전문성 강화 등 관리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또한 지원 대상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미

국 오클랜드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기관 크리에이티

브 그로스 아트센터(Creative Groth Art Center) 사례는 적지 않은 시사

점을 던진다 이 기관은 1974년부터 발달장애인의 예술적 역량과 완성

작품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데 기여해 왔다 장애인 작가들

이 자유로운 예술 감각을 표현하며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 작

업실을 제공하고 국내외 전시를 개최하는 등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

25) 김경애 위의 논문 170쪽

26)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116쪽

31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넷째 영역별 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교문화예술

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되어 있는 구조를 극복하여 문화예술

교육의 실질적 효용을 극대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국립 오페라단의 스

쿨 오페라 프로그램은 좋은 예다 전국의 학교를 대상으로 오페라 교재

와 가수 스태프를 파견하고 의상 등을 지원하며 다양한 교과와 연계하

여 사업을 펼치고 있다 가령 역사 수업에서 오페라의 시대 배경을 제시

하고 국어 수업에서는 연기하는 인물의 감정을 고찰하며 미술 수업에

서는 소도구를 직접 제작해 보기도 한다 경영 수업에서는 입장권을 직

접 판매하는 등 홍보ㆍ마케팅 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역별 연계

활동은 예술가의 자유로운 실험정신과 창의적 사고로 교실에 생기를 불

어넣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27)

3) 문화 술교육 질 기반 고도화

첫째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해 나가는 작업

이 시급하다28) 학교문화예술교육 설문조사 결과29)에 따르면 문화예술

27)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299쪽

28) 부산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서는 고(稿)를 달리하여 논의

할 예정이다

29)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심층면담 결과를(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58-59

쪽) 사회문화예술교육은 2018년 9월 30일 자체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였다 특히 후자는 다음과 같은 문항으로 예술강사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1 참여하고 있는(또는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2 현

재 교육하고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3 현재 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분야와

교육 중인 분야가 일치합니까 4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

니까 5 문화예술교육 경력기간을 선택해 주세요 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까 7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해 받은 연수 프로그램이 있다

면 선택해 주세요 8 2015~2018년 간 이수한 총 연수 시수를 선택해 주세요 8

mdash1 2015년~2018년 간 부산문화재단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

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mdash2 2015년~2018년 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ARTE)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

mdash3 2015년~2018년 간 기타 기관에서 연수받은 적이 있다면 연수기관과 시수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5

교육 강사 재교육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강사 자신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예술강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매몰되면 자칫 기능 중심의 교육이 되기 쉽고 문

화예술교육 고유의 목표에 다가가기 어렵게 된다 예술강사의 질은 문화

예술교육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학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해야 한다 서울형 예술가

교사(TA)는 문화예술 기반 콘텐츠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접목시켜

만든 새로운 강사 모델이다 이들은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철학인 lsquo미

적 체험rsquo을 실현하는 예술교육 전문가로 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뛰

어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인문

ㆍ예술 장르의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내고 있다 초등학교 대상 프로그램 lsquo예

술로 플러스rsquo와 중학생 대상 인문예술교육 lsquo예술로 함께rsquo는 모두 정규과

정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이 있다30) 아울

러 예술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인력 문화예

술교육단체 학교 기관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

식을 개선하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ㆍ단계적인 교

육 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과거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영역에서 교과서

를 표준화했지만 최근에는 강사가 현실 여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되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효과적

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네트워킹

를 기재해 주세요

30)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htmleducationchildaspperMen

uSeq=2ampMenuSeq=3720181006 예술가교사 사이트 httpartsedutasfacork

rhtmlteachingArtchildEdu_introasp20181006

31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인적 자원 정보를 담은 인력 뱅크 콘텐츠 디렉토리 지역

의 문화자원 사업 정보 국내외 동향과 연구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역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과 실태를 조사

ㆍ연구하는 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다 문화예술교육

의 지역 실태 조사는 문화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짧은 주

기로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제를 발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rsquo 발표를 계기로 문

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분

권의 시대가치에 적합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문화예

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

합회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을 중심

으로 기관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은 중앙

과 협력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을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부산

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원사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5: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3

화예술교육)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며 부산의 지역성을 담지할 수

있는 독자적인 정책을 발굴해야 한다

부산문화예술교육의 역사를 간략히 살펴보면 2000년대 중반 이후 부

산대 신라대 산하 연구소를 비롯하여 다수의 민간 예술단체와 시민단체

들이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참여하여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 사업을 진행하였다4) 부산광역시교육청에서도 lsquo1학교 1문화예술교

육rsquo 정책과 학교문화예술교육 종합추진계획을 수립하여 진흥원과 업무

협약을 체결하여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을 적극적으로 표출하였다5) 이

러한 흐름은 2010년 부산문화재단 내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이하

부산센터)가 지정ㆍ설립되면서 일대 전환을 맞는다 이를 계기로 진흥원

에서 시행하던 사업들이 지역센터로 이관되어 업무가 통합되는 과정에

서 초기에 비해 민간단체들의 역할이 부분적으로 약화되었다 이는 제도

화 초기에 발생하는 문제로 불가피한 측면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부산센

터가 지역 문화예술교육 진흥의 허브로서 다양한 민간단체들과 교류

협력하는 거버넌스 체제를 구축하지 못했기 때문이다6) 이후 지역센터

주관으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연구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

다 하지만 진흥원의 정책과 사업을 지역에서 수행하는 비중이 크기 때

문에 지역 고유의 사업을 독자적으로 진행하기에는 어려울 수밖에 없다

지난 15년 간 문화예술교육이 정책적으로 시행됨으로써 문화예술교육

이 양적 성장을 이루었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다 재정규모는 84억원

에서 1295억원으로 15배 예술강사 수는 1861명에서 5849명으로 3배

이상 무엇보다도 문화예술교육 수혜자 수가 71만 명에서 310만 명으로

45배나 증가하였다7) 그런데도 이러한 비약적인 양적 증대에도 질적 성

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8-9쪽

5) 부산광역시교육청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정책 기조와 사업 현황은 「2016 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종합계획」 「2018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추진계획」을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6) 김희재 외 여럿 앞의 글 30쪽

29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장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여기에는 진흥원과

지역센터 간의 관계 설정과 역할 분담의 불균형 공급자 중심의 분배식

사업 지원 학교 예술강사의 고용불안 프로그램의 질적 관리 미흡 등의

복합적인 문제가 내포되어 있다

그런데도 이제껏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초창기부터 지역 실정에 걸맞은 문화예술교육

방법론을 모색하거나8)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역사적 경과9)를 개략

적으로 정리하는 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아직까지 부산지역 문화예술

교육의 실체를 종합적으로 조망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으며 주관기관에

서 매년 사업성과를 묶어 자료집을 발간하는 정도에 머물러 있다10) 지

역의 실정을 반영한 문화예술교육의 제도적 기반 구축 지역성과 문화예

술교육의 관련성 탐구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

강화 통합문화예술교육 방법론 모색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 문화예

술교육의 수요와 사회적 확산 방안 예술강사의 실태 분석을 통한 현장

7) 부산문화재단 생활문화본부 문화교육팀의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8)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연구

원 2007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

포럼 2017 56월호

9) 김희재 외 여럿 앞의 글

10)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와 부산문화재단에서 발간하는 사업 결과보고서를 통

해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사업 현황과 실태를 부분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이

다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집」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

자료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

자료집」 2016 부산문화재단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부산문화재단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다른 지역의 경우

에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원사업을 다룬 논

의가 있다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술교육연

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5

의 요구 반영 등의 문제에는 소홀했던 셈이다 비교적 최근 들어 문화예

술교육의 실태를 조사한 논의가 있기는 하나11) 이 또한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까닭에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 논문에서는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살펴

보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지역 기반의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

고자 한다

2 부산 문화 술교육의 황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은 여러 기관에서 추진되고 있는 지원사업

을 통해 정리해 볼 수 있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을

교육내용으로 하거나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모든 형태의 교육을 말한다

그런데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 제2조(정의)에는 문화예술교육을 학교문화

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등 2개의 항목으로 세분하고 있다 따라

서 진흥원이 지원하는 사업은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

로 나뉠 수밖에 없다 진흥원이 지원하는 학교문화예술교육은 학교 예술

강사 예술꽃씨앗학교 유아문화예술교육과 고3 수험생 대상 문화예술교

육 lsquo상상만개rsquo다 반면 사회문화예술교육은 6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

다12) 대표적인 사업으로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꿈다락

11) 이미연 외 여럿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화

예술교육연합회 2017

12) ①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② 소외 계층 아동ㆍ청소년을 대상으로 하

는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 지원 지역아동센터 농산어촌 이동형 문화예술교육

lsquo움직이는 예술정거장rsquo 방과 후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지원 ③ 군대 교정시설소

년원 등 특수계층협력형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④ 예술동아리 교육 지원사

업 컨설팅 지원 등의 시민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⑤ 진흥원과 광역문화예술교

육지원센터 협력형 사업으로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⑥ 꿈다락 토

요문화학교 지원사업이 바로 그것이다 김희재 외 여럿 앞의 글 2014 25쪽

29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토요문화학교 지원사업을 들 수 있다 부산에서 진흥원 사업을 시행하는

기관은 여러 곳이며 진흥원 사업 외 별도 사업이 있다 또한 여러 기관

에서 협업으로 진행하는 사업도 있다 이 자리에서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현황을 두루 파악하기 위해 lsquo주관기관별 문화예술교육rsquo lsquo학교문화예

술교육rsquo lsquo사회문화예술교육rsquo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

1) 주 기 별 문화 술교육

여기에서는 2017년도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

문화예술교육연합회(예술강사지원센터) 부산광역시교육청 금정문화재

단을 비롯한 각 기초자치단체에서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을 검

토하고자 한다13)

우선 부산문화재단 지원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자

[표 1] 2017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원사업 현황

13)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발간한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을 바탕으로 현황을 정리하였다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문화예술교육 인력양성

문화예술행정 아카데미부산 문화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창의적인 행정역량 강화

공공기관 행정 책임자 대상

프로그램 연구 개발 및 보급

지역협력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지원체계 구축 및 문화예술교육 컨트롤 타워 역할 수행

인력양성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문화예술교육 매개자를 위한 공통 기초 연수 실행자를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문화예술교육 관계자 전체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7

2016년 ldquo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

육rdquo14)으로 구분되어 있던 사업체계가 2017년도에는 ldquo문화예술교육 인력

양성 프로그램 연구개발 및 보급 문화예술교육정책사업rdquo으로 재편되었

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학교 예술강사와 국악분야 예술강사 사업이 제

14) 2016년에는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rsquo(지역 협력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네트워크 사업 문화예술행정 아카데미) lsquo학교문화예술교육rsquo(학교 예술

강사 지원 국악분야 예술강사 지원 어린이무형문화재 교실 청소년복합문화센

터 놀이마루 프로그램 운영) lsquo사회문화예술교육rsquo(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

원사업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역 인문학 활성화 지원 학예이론 도서발간 지

원 지역 출판문화 활성화 지원 도시철도 북하우스 운영 2016년도 가을독서문

화 축제)으로 구분하여 세부사업을 운영하였다

지역전통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역전통문화예술 콘텐츠를 활용한 융합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지역 전통문화예술 활성화 및 브랜드화 도모

초등학생 대상(시범 진행)

문화예술교육 정책

사업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지속가능한 일상 속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발굴을 통해 문화 환경 조성과 지역사회의 문화역량 향상에 기여

문화 사각지대 지역주민 대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학교mdash가정mdash지역사회 연계의 교육공동체 구축 및 문화예술 활동을 비롯한 사회의 다양한 활동 기회 제공

아동 청소년 및 그 가족 대상

지역 인문학 활성화 지원

lsquo지역출판문화 활성화 사업rsquo(2016)과 통합

인문학 소모임 간의 소통을 통한 지역사회의 인문학 활성화

인문학 소모임 대상

도시철도 북하우스 운영생활밀착형 독서문화 공간의 관리와 운영부산 시민 전체 대상

2017년도 가을독서문화축제

일상에서 책읽기 문화 활성화 및 지속적인 독서 관련 콘텐츠를 생산하여 책 읽는 사회 분위기 조성

부산시민 전체 대상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지역의 전통문화예술을 창조적으로 계승 생활 속 향유 지원

선별된 초등학교 3학년~6학년 대상

29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외되었다 또한 지역출판문화 활성화 사업이 지역 인문학 활성화 지원사

업과 통합되어 진행되었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그리고 지역협력형 문화

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인력양성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역전통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업이 추가됨으

로써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가 가능해졌다 이처럼 부산문화재단이 기존

의 단순 지원에서 벗어나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감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부산문화재단은 진흥원 사업 외에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

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도 펼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부산센

터 사업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부산의 정체성과 독자성을 담은 문

화예술교육사업을 기획ㆍ운영하기가 쉽지 않다는 데 있다 적은 예산에

다 제한된 인력을 투입하여 여러 사업을 진행하므로 사업 관리나 독자

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어려움이 클 수밖에 없는 셈이다

다음으로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예술강사지원센터)15)와 부산광역

시교육청에서 진행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16)을 살펴보

[표 2]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지원사업 현황

15)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기획사업 계획서」 2017 참고

16) 부산광역시교육청 홈페이지 정보공개자료 중 문화예술교육활성화 항목 참고 ht

tpwwwpengokr20180930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학교문화예술교육

학교 예술강사 지원

학교문화예술교육국악 및 7개 분야 학교 예술강사(연극 영화 무용 만화ㆍ애니 사진 공예 디자인)

초ㆍ중등 및 특수학교 대상

기획사업찾아가는 진로ㆍ

예술교육

진로 및 문화예술교육으로 학생들에게 적성과 흥미를 찾을 수 있는 기회 마련

초ㆍ중학생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9

[표 3] 2017 부산광역시교육청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문화예술교육지원

예술동아리 지원 등학생들의 예술동아리 및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함

체험학습 운영

어린이회관

학생교육문화회관

학생예술문화회관 체험실 운영 등

교육기관 체험실 운영 지원 (기자재 구입 및 강사료 등)

축제행사 운영

학생연극제 댄스경연대회

가요제 등학생이 참여하는 모든 예술 축제행사 지원

특별활동 지원

문화예술순회프로그램

문화예술활동 지원

학생비엔날레 개최 등

학생 민간예술단체 교사 단체 등의 활동 지원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시설관리 및 프로그램 운영 지원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기획ㆍ진행하였다 반면 부산광역시교육청 문화예

술교육 지원사업은 크게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

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

원으로 나눌 수 있다 이것은 부산광역시교육청의 lsquo학교문화예술교육 활

성화 종합계획rsquo에 따라 운영되며 완만한 예산 변동으로 사업내용에는

큰 변화가 없는 편이다

이외에도 부산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 현황을 제시하면 다음

과 같다17)

작은 도서관지원사업

열악한 환경에서도 예술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에게 예술교육 프로그램 제공 예술교육 활성화 및 예술 환경 조성을 위함(부산 느티나무 도서관 외 4곳)

초ㆍ중학생 대상

30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표 4] 2017 기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17) 「부산시 문화예술교육사업 취합 자료」 부산시 문화관광국 2017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부산시

구ㆍ군 문화예술교육모델

발굴 지원

중구mdash닥종이 공예교실 운영 -저소득 주민 대상부산진구mdash청소년예술학교 운영 -초등학교 1학년~중학교 3학년 대상

문화예술 낙후지역 학생오케스트라 사업

예술적 소양과 바람직한 인성 함양소외ㆍ취약 지역 학교폭력이 심각한 지역 학교 학생 대상

구별 단위사업

문화학교 운영

문화강좌를 통해 지역민의 자기계발 및 건전한 여가선용을 제공하기 위해 지역문화예술 진흥 차원에서 시작된 사업

지역민 누구나

소년소녀합창단 및 청소년 오케스트라

운영 지원

청소년의 정서 함양과 예술적 기량 향상을 통해 전문 음악예술인으로 성장하는 기반 마련

초ㆍ중ㆍ고 학생 대상

유소년 타악기오케스트라

창의력 발달과 인성 형성에 도움을 주며 체계적인 연주 지도를 통하여 음악인재를 육성하고 배움을 통한 재능을 사회에 기여케 하고자 추진

초ㆍ중학생 대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예술감상교육

예술감상교육체험 프로그램 운영으로 청소년의 자발적 문화예술 향유 능력 제고

초ㆍ중학생 및 가족 200여명

한울타리 오케스트라

음악을 통한 행복학습도시 조성 구민 오케스트라 교육 운영을 통한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

일반성인 대상

해운대구립예술단(소년소녀합창단 청소년오케스트라 여성합창단) 운영 지원

구민의 정서함양과 여가선용 및 자기계발 기회 제공과 지역문화예술발전 도모

구ㆍ군 문화예술교육모델 발굴 지원청소년예술학교

운영

구청사 내 청소년 문화예술 전문학교 설립 우수하고 체계적인 예술교육을 통해 청소년의 정서 함양 도모 예술인재 조기 발굴 및 육성

초등학교 1학년~중학교 3학년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1

부산시 주관 사업이나 구 단위 사업도 중요하지만 금정문화재단의 사

업이 눈에 띤다 금정문화재단은 2016년 6월에 구 단위 문화재단으로는

최초로 부산 금정구에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에는 lsquo유네스코 세계문화유

산교실 교육 콘텐츠 개발rsquo 사업만 유일하게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7년 세계시민의식을 주제로 한 lsquo일상 다 예술rsquo이라는 청소년 창의 프

로젝트를 열었다 이는 음악 무용 연극 장르 간 협력을 통해 창작과 제

작 과정 공연에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이다 총 8차시(8차시times4시간)로

진행된 이 사업을 시작으로 2018년에는 lsquo예술일주rsquo 프로젝트를 선보임으

로써 다양한 예술장르와 청소년의 만남을 이루어 내었다는 점에서 긍정

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2) 학교문화 술교육

학교문화예술교육은 크게 학교 예술강사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청소년복화문화센터 놀이마루18) 사업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학교 예술강사 사업은 국악 분야 lsquo강사풀제rsquo(2000) 시범 도입을

청소년 문학아카데미 운영

청소년들의 예술적 자질 발굴초등학교 5학년~고등학교 1학년 작가 지망생 대상

평생학습관 운영

다양한 평생교육 문화프로그램 개설로 지역주민에게 자기계발과 문화향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문화예술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 수행

관내 지역주민

문화강좌 운영 지역주민에게 자기계발과 문화향유 기회 제공

도서관 이용 활성화 도모관내 지역주민

금정문화재단

일상 다 예술금정구 관내 청소년들에게 예술가와의 만남으로 통합적 예술체험기회 제공 창의적 사고 배양

중등학생 대상

세계무형문화유산교실세계무형문화유산 교육프로그램을 추진 다음 세대의 문화다양성 및 문화유산 보존 의식 증진

금정구 관내 6개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30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계기로 정책사업의 기본틀을 마련하였다 이후 이 사업은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의 핵심사업인 lsquo예술강사 지원사업rsquo의 모태가 되었다 학교 예술

강사 사업의 교육목표는 창의성 감수성 문화시민 인성 소통과 공감

등 예술적 가치와 교육적 가치를 포괄하고 있다 교육 장르를 지속적으

로 확대하면서 현재 8개 장르(국악 연극 영화 무용 만화애니매이션

공예 사진 디자인)로 확대ㆍ운영하고 있다 부산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운영주체는 진흥원에서 2011년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로 이관되었

으며 2017년부터는 공모를 통해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가 운영하고

있다 학교 예술강사가 파견되는 수업은 교육과정 내 문화예술교육으로

기본교과 또는 창의적 체험활동에 속한다

2017년 강사 수는 총 375명으로 국악분야 140명이며 그 외 7개 분야

235명이다 2017년 부산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

악이 전체의 376 무용이 228 연극이 164를 차지한다19) 국악 비

중이 높은 이유는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역사와 맥락을 같이하기

때문으로 보이며 향후 영역별 균형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출강학교 수는 전체 518개교였다 학교 수는 2015년 495개교에서 2016년

522개교로 23개교(55) 증가하였고 2017년에는 다시 529개교로 소폭

증가하였다 학교 예술강사 파견에 따른 교육 총시수는 2015년 53284시

수 2016년 55323시수 2017년 87753시수로 해를 거듭할수록 점진적으

로 증가하였다 배정된 학교에 시수를 최대치로 부여함으로써 참여 학교

수는 줄었으나 교육 시수는 오히려 증가한 결과다 교육시수가 증가된

현실과는 무관하게 수혜 대상 학교가 절차상의 문제로 취소ㆍ포기하는

사태가 빚어졌다는 점은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이 지닌 문제점 가운데

18) 서면 중앙중학교가 이전한 뒤 놀이와 체험 위주의 청소년복합문화센터로 자리

잡은 놀이마루는 2016년 9월 28일 부산광역시교육청이 시설 운영을 부산문화재

단이 프로그램 제공과 관리를 맡는 체제로 개관하였다 놀이마루 프로그램은

2017년에는 드림교육센터가 2018년 다시 부산문화재단이 위탁ㆍ운영하고 있다

19) 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17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3

하나라 볼 수 있다 교육과정 운영은 엄격한 편이다 하지만 강사의 개인

역량과 수업 환경에 따라 일정 부분 유연성을 인정하고 허용하는 추세

다 학교문화예술교육에서 강사의 자율성과 교육의 균질성 확보 사이의

균형 역시 연구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

참여학교는 부산광역시교육청에 등록된 특수학교를 포함한 초ㆍ중ㆍ

고등학교가 2017년 기준 643개교에 이른다 초등은 308개교(479) 중

등은 174개교(271) 고등은 146개교(227) 특수학교는 15개교(23)

로 초등학교가 가장 많다 2017년 기준 참여 학교 수도 초등 296개교

중등 150개교 고등은 69개교 특수학교 14개교가 학교 예술강사 파견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특수학교는 1개교만 제외하고 모

두 문화예술교육 수혜를 받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고등학교는 50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데 입시제도의 문제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 본다

중학교 역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여전히 문화예술교육의 수혜

를 받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이 많다

사업비는 2015년 4247875천원 2016년 4322382천원 2017년

5230088천원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2016년과

비교하여 20117년 예산이 21나 증가한 것은 교육시수의 증가와 밀접

한 관련이 있다

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는

기획사업으로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과 lsquo작은 도서관 지원rsquo 사업을

진행하였다 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의 프로그램 구성은 진로 강연과

문화예술교육으로 구분된다 문화예술교육 수업에는 뮤지컬 연극 영화

제작 무대디자인 목공예 오페라 전통연희 공연디렉팅이 있다 수업은

3일 총 6시간(1학교 1일 2회 2시간씩) 진행되었으며 사업 예산은 90000

천원으로 주로 강사료와 재료비로 충당되었다

30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사회문화 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은 학교문화예술교육 대상을 포함한 유아부터 노인

까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며 특히 취약계층이 문화예술을 풍부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은 강사

(또는 단체)가 교육프로그램을 직접 개발ㆍ보급하는 형태로 1년 단위 공

모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강사가 보유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제외한 모

든 운영과 관련된 내용은 진흥원과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

센터)의 운영 지침에 따른다 대표적인 것이 lsquo꿈다락 토요문화학교rsquo와 lsquo지

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rsquo 사업이다

첫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학교 밖 전문 문화예술 기관이나 단체에

서 학령기 아동ㆍ청소년과 그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다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매개로 가족이나 또래 간 소통할 수 있는 새로

운 여가문화를 조성하고 학습의 장을 지역사회로 확대하여 학교mdash가정

mdash지역사회 연계의 교육 공동체를 구축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학

교제도와는 차별화된 문화예술교육 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문화예술교

육에서 소외되었던 대상들에게도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상상력과 소통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2015년 34개 단체의 34개 프로그램 2016년 일

반공모 39개 단체ㆍ기획공모 8개 단체의 55개 프로그램 2017년 50개 단

체 54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교육 참여인원은 2015년 1081명

2016년 2108명 2017년 2091명에 이른다 예산 규모는 국비와 시비 11

매칭 방식으로 2015년 912500천원 2016년 1824000천원 2017년

1642000천원이다 초기에는 특정 구 단위에 편중되었지만 해를 거듭할

수록 구 단위 참여 지역의 편차를 줄이는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2015년

금정구와 부산진구 사상구에서 4개 동래구와 연제구 북구에서 3개 그

외 영도구 중구 기장군 사하구 남구에서 각각 2개 동구에서 1개의 프

로그램을 2016년에는 서구와 강서구가 추가되면서 부산 18개 지역 전체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5

에서 실시되었다 이 역시 예산 증액에 따른 참여단체 수 증가와 문화예

술교육 수요의 증가에 따른 결과라 할 수 있다 2017년에는 해운대구에

서만 7개의 단체가 8개 프로그램을 금정구에서는 5개의 단체가 7개 프

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다음으로 부산진구와 동래구 수영구가 각각 5개

단체에서 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산은 2015년 912500천원 2016년도 1824000

천원으로 2배나 증가하면서 34개 단체에서 34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던

데서 나아가 47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성과를 내었다

교육 참여자 수 또한 1081명에서 2108명으로 1000명이나 증가하였다

예산 증가에 따른 사업단체 단체 수의 증가 프로그램의 다양성 수요에

따른 교육 참여자 수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물론 재단의 까다로운 문화행정 강사들의 안일한 수업 태도와 전문성

결여 등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2017년 예산은 2016년 대

비 2억원이 축소되었으나 51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2091명이 문화예술교육의 수혜를 입었다 이것은 신규단체 또는 3년 미

만의 사업단체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참여자를 기수를 나누어 진행하

던 기존 방식에서 1기수 20명으로 전환하거나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

이기 위하여 1년 완성형 프로그램 방식을 도입한 데 따른 결과라 볼 수

있다

둘째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주민과 예술가의 소통을

지원하는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환경 조성을 통하여 문화격차 해소

지역공동체 문화회복 학습자 개인의 성장을 넘어 일상 속 지역문화공동

체 모델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문화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15년 17개 단체의 17개 프로그램에 총 385명이 2016년에는 16개의

일반공모와 1개의 기획공모사업에 345명이 참여하여 다양한 교육을 받

았다 2017년에는 15개의 일반공모 단체와 1개의 기획공모 단체가 397명

30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의 지역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

램을 진행하였다 예산은 국비와 시비 11매칭으로 2015년에서 2017년까

지 3년간 동일하게 294000천원으로 편성ㆍ운영되었다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지역민과 예술가 또는 예술단체

가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

역민과의 소통을 전제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3년간 참여한 지역과 단

체 개발된 프로그램의 확산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예

산 증액 없이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확대와 발전을 기대

하기 어렵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준다

4) 부산 문화 술교육의 성과와 한계

지난 15년 간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다음과 같은 성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하

는 제도적 기초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lsquo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

원 조례rsquo는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제도적 장치로 문화예술교육이 시민

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부산문화 역량 강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명시

하고 있다20) 이는 예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하는 근거가 된다 그러

나 서울 경기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대전광역시21) 등에서는 교

육청이 문화예술교육 진흥과 관련한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 중인 것과

비교하면 부산은 제도적 기반이 여전히 충분하지 않고 유관기관 간의

협력 체제가 공고하게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둘째 예산을 확대 편성하여 안정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양적 성장을 이

루었다 부산에서는 국비와 시비 자체 사업비 등을 포함하여 국악분야

20) 「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원 조례」 제3조(기본원칙) 2항에서 ldquo모든 시민은

나이 성별 장애 사회적 신분 경제적 여건 거주지역 등에 관계없이 자신의 관

심과 적성에 따라 평생에 걸쳐 문화예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받는다rdquo고 명시하고 있다

21) 대전광역시교육청은 장애학생 문화예술 지원 조례를 두고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7

예술강사 지원사업 18억원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24억원 사회문화예

술교육 등 그밖의 사업에 25억원 정도의 사업비가 매년 투입되었다 이

를 통해 사업 대상과 규모를 확대할 수 있었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경

우 연간 500여 개의 학교가 참여하였고 교육 시수는 5만~8만 시간 정

도 운영되었다 예술강사가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수혜자 수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공간과 시설 등 인프라 확충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양적 증대에 따라 교육 공간과 시설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되면서

부산시나 구 단위에서 문화예술교육 거점 공간을 조성하거나 지역의 특

정 공간을 문화예술교육공간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청소

년 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는 개관 초기부터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끌었

으며 문화예술교육 공간과 콘텐츠 면에서 우수 사례로 벤치마킹되고 있

셋째 양적 성장을 기초로 유추해 볼 때 문화예술교육과 함께 성장한

교육 수혜자들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

이 확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22) 문화예술교육 경험자는 개인의 행복감

이나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비경험자보다 긍정적 결과를 보인다고 한

다23) 앞으로도 문화예술 영역의 외연 확장과 더불어 지역 정체성의 발

견과 확립 지역민의 삶의 질 개선 지역 경제와의 연계 도시 재생 지역

발전 견인 등과 적절하게 결부시킴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사회

적으로 확산시켜 나갈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 반해 문제점과 한계 또한 적지 않다

첫째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를 들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지원체계

는 중앙정부에서 예산을 일방적으로 편성하여 지자체에 배정하는 방식

을 취하고 있으며 사업 또한 동일한 방식을 유지해 왔다 이러한 정부

22) 앞으로 문화예술교육 수혜자들이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으로 나아가는 사례

를 면밀히 분석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사회 활동에서 비수혜자들과 어떤

차이를 드러내는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2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30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주도의 중앙집중형 지원 시스템은 지역의 현실과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

지 못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지역적 기반과 문화적 응전력 자생력을 현

격하게 약화시킨다 지역의 문화자원(유관기관 문화예술단체 등)과 인

적 자원의 협력 체계를 제대로 구축하지 못한 점도 마찬가지다 결과적

으로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취약하게 만들 수밖에 없는 것

이다 현 정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기조로 지역 구심성을 강조하

고 있지만 이러한 지원체계의 혁신 없이는 불가능하다

둘째 공급자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에

따라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된 이원적 구조가

고착되면서 교육 내용이나 방법론 확장에 많은 제약이 뒤따랐다 특히

학교에서부터 사회에 이르는 생애 전 과정을 통합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지 못하고 있는 점 각 영역별로 각자의 교육 대상자를 규정하고

있어 교육 대상자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점 등이 문제다 그 결

과 수혜자 수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중복 수혜 대상이 반복적

으로 발생하는가 하면 전혀 수혜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 또한 적지 않다

가령 유아 청년(대학생 또는 청년) 대상 사업이 전무한 실정이고 일부

중장년층이나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운영하고 있지만 실효성

이 낮은 편이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경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사업 중심이어서

사업별로 대상자가 중복되는 경향이 있고 사업 대상을 취약계층으로 규

정한 것은 일종의 낙인효과를 유발함으로써 사업 취지와도 적절하게 부

응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필요를 반영한

교육과정이 설계되지 못했다 한정된 교육 장소 또한 공급자 중심이어서

수혜자 또는 수혜자 집단이 교육 공간에 방문하여 진행하는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다 삶의 질 향상과 생활문화가 중시되는 이즈음 수요자의 생

활 속으로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절실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9

셋째 양적 증대에 비해 질적 성장을 이루지 못했다 이는 교육과정 개

선이나 관리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지 않은 데서 비롯되었다 교육프로

그램 실행이나 효과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을 개선해야 하지만 시스템

부재로 양질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ㆍ보급해 나가는 데 어려움

이 따를 수밖에 없다 현장과 동떨어진 내용을 요구하거나 표준화된 학

습지도안에 따라 기계적인 수업을 강요하는 측면이 있는 반면 교육과정

을 지나치게 자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강사에 따라 내용의 편차가 크게

존재하는 등 교육의 균질성 역시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예술강사의 역

량 강화를 위한 제도나 교육 프로그램 역시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데 의무 연수 규정 또한 폐지되어 전적으로 강사 개인의 자율적 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곧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하락으로 연결된

다 유관기관의 담당자나 학교관계자 교사들의 예술강사에 대한 인식에

도 문제가 있다 학교 관계자는 예술강사를 lsquo교사가 담당하기 어려운 과

목을 단순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rsquo 정도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

어 예술강사의 자긍심을 저하시키고 있다 예술강사(프로그램 준비 실

행) 학교관계자(시수인정 학교 안내 등) 담당교사(수업 시간 조율 준

비와 진행 등에 대한 협조)의 역할 설정 또한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교

육현장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성과를 집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참여 강사 및 단체 프로그

램(교육과정안 및 세부내용) 협력공간에 대한 정보를 생산ㆍ공유할 수

있는 종합 시스템이 미비하다 교육과정안과 세부 수업 내용뿐만 아니라

강사별 단체별 협력공간별 정보를 취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 없어

정보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역 기반의 우

수한 콘텐츠의 생산과 활용 측면에도 충분한 뒷받침을 하지 못하고 있

31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부산 문화 술교육의 과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고려해 볼 때 부산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

화 등 세 영역에서 향후 과제와 전망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1) 지역 문화 술교육 생태계 조성

첫째 서울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등과 같이 교육청 차원에서 별도

의 조례를 마련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재정비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은

정부 문화기관 교육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한 특수 분야다 이러

한 특성을 감안하여 부산시 부산문화재단 부산광역시 교육청은 문화예

술교육 발전 비전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실제 추진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또

한 문화예술교육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지역의 공연기관

박물관 도서관 지역문화원 등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과의 연계와 협력

도 필요하다 예컨대 핀란드의 lsquo뮤지엄 교육rsquo은 뮤지엄 동물원 오페라

극장 등이 학교와 연계하여 만든 프로그램으로 핀란드의 오랜 식민지

역사를 되짚어보고 국가 정체성을 재발견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근대 부

산의 도시 형성 역사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핀란드 교육은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콘텐츠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의 지역 집중성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부산 지역

의 여건과 현황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부산

센터가 더욱 능동적으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향

후 설립될 기초 단위 센터와의 바람직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문

화예술교육 정책의 지역화 초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하지 못

한 문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진흥원과의 유기적 협력

체계를 유지하는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1

해서는 운영 체제를 개편하고 전담 인력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를 활성화해야 한다 국내외 교류를 활발

히 추진함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시켜 나가

고 국내외 우수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콘텐츠의 질적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부산의 문화예술교육 역량에 걸맞은 국제 컨퍼런스

와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시키고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 담론을 생산해야 한다 아울러 양질의 네트워크

를 형성하여 지속적인 교류ㆍ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부산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일도 더없이 중요하다 국내

유관단체와 기관 간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감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자

생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2) 수요자 심의 교육환경 구축

첫째 수요자의 생활권과 연계된 문화예술교육의 기반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기관으

로 리모델링하는 방안 공간을 정비하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을 갖추는

공간 재편 방안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공간을 지속

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 김포가압장을 리모델링하여 아동ㆍ청소년

예술교육센터로 활용하고 있는 서서울예술교육센터 옛 성복보건소 건

물을 리모델링한 서울예술치유허브 등이 좋은 예다 또한 지역민의 생

활권 안에서 자발적으로 문화예술을 즐김으로써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가령 동아리 활동에 전

문가를 매칭하여 지속적ㆍ단계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

법이며 예술 놀이터를 조성하여 누구나 부담 없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사업

도 필요하다 문화예술교육은 지역의 문화유산이나 생활 습속과 연계하

31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여 지역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때 공동체 의식과 바람직한 지역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미국 피츠버그에 소재한 맨체

스터 크래프트 길드(Manchester Craft Guild)의 경우 청소년 시절 도예

교육 미술 지역 공동체의 힘을 깨달은 설립자가 일생 동안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며 지역 공동체의식을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이

외에도 지역에 산재한 여러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교육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망을 정교하게 구축하고 유기적으로 작동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생애주기별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여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

대해야 한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은 생애 전반에 걸쳐 지역

민과 지역공동체의 생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지역형 문화예술

교육 정책의 근간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추진해 오던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여러 이유로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수요자

층을 발굴하고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부산문화재단(부산광역문화교육지원센터) 부

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금정문화재단 등이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수혜 대상자 현황을 살펴보면 취약계층을 포함한 학교 안팎의 청소년이

주된 대상이다 반면 유아ㆍ아동과 청년 대상 사업은 전무하며 노인대

상 사업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이나 시민아카데미 사업 정도

에 불과하다

두루 알다시피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은 유아부터 노인까지 단계적

ㆍ체계적 프로그램을 기획ㆍ운영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할렘 칠드런즈 존(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을 들 수 있다24) lsquo할렘

어린이 구역(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rsquo 프로젝트는 태교부터 직장

24)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KIPP)

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

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67쪽 Harlem Childrenrsquos Zone httpshcz

org2018100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3

에 들어가기까지 교육과 건강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 각자의 건강

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이것이 지역 공동체의 건강한 토대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좋은 예다 이 프로젝트는 영유아 종일 보육센터 학업 성

취를 책임지는 차터 스쿨 건강지원센터 방과 후에 운영되는 아동과 성

인을 위한 주민센터 주말과 여름에 이루어지는 청소년 폭력 방지 등 지

역 주민 전체를 위한 광범위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25)

셋째 수요자의 다양한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창의력과 융합적 사고의 원동력이 되는 인문학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부산문화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인문학 소모임 동아리 출판 지원 등의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감

으로써 다양성을 확보하고 문화예술 기초역량을 배양해 나가는 디딤돌

로 삼아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장을 넓혀 나가는 작업도 필요하

다 스웨덴의 lsquo서커스 시르쾨르rsquo은 좋은 본보기다 이는 서커스를 문화예

술교육에 접목한 사례로 인간의 삶의 균형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다

양한 오브제를 활용하고 신체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다26)

최근 부산에서 장애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장애인 대상 교육단체에 대한 지원과 국가자격증을

갖춘 강사 확보를 통한 전문성 강화 등 관리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또한 지원 대상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미

국 오클랜드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기관 크리에이티

브 그로스 아트센터(Creative Groth Art Center) 사례는 적지 않은 시사

점을 던진다 이 기관은 1974년부터 발달장애인의 예술적 역량과 완성

작품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데 기여해 왔다 장애인 작가들

이 자유로운 예술 감각을 표현하며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 작

업실을 제공하고 국내외 전시를 개최하는 등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

25) 김경애 위의 논문 170쪽

26)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116쪽

31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넷째 영역별 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교문화예술

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되어 있는 구조를 극복하여 문화예술

교육의 실질적 효용을 극대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국립 오페라단의 스

쿨 오페라 프로그램은 좋은 예다 전국의 학교를 대상으로 오페라 교재

와 가수 스태프를 파견하고 의상 등을 지원하며 다양한 교과와 연계하

여 사업을 펼치고 있다 가령 역사 수업에서 오페라의 시대 배경을 제시

하고 국어 수업에서는 연기하는 인물의 감정을 고찰하며 미술 수업에

서는 소도구를 직접 제작해 보기도 한다 경영 수업에서는 입장권을 직

접 판매하는 등 홍보ㆍ마케팅 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역별 연계

활동은 예술가의 자유로운 실험정신과 창의적 사고로 교실에 생기를 불

어넣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27)

3) 문화 술교육 질 기반 고도화

첫째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해 나가는 작업

이 시급하다28) 학교문화예술교육 설문조사 결과29)에 따르면 문화예술

27)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299쪽

28) 부산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서는 고(稿)를 달리하여 논의

할 예정이다

29)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심층면담 결과를(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58-59

쪽) 사회문화예술교육은 2018년 9월 30일 자체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였다 특히 후자는 다음과 같은 문항으로 예술강사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1 참여하고 있는(또는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2 현

재 교육하고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3 현재 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분야와

교육 중인 분야가 일치합니까 4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

니까 5 문화예술교육 경력기간을 선택해 주세요 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까 7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해 받은 연수 프로그램이 있다

면 선택해 주세요 8 2015~2018년 간 이수한 총 연수 시수를 선택해 주세요 8

mdash1 2015년~2018년 간 부산문화재단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

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mdash2 2015년~2018년 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ARTE)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

mdash3 2015년~2018년 간 기타 기관에서 연수받은 적이 있다면 연수기관과 시수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5

교육 강사 재교육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강사 자신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예술강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매몰되면 자칫 기능 중심의 교육이 되기 쉽고 문

화예술교육 고유의 목표에 다가가기 어렵게 된다 예술강사의 질은 문화

예술교육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학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해야 한다 서울형 예술가

교사(TA)는 문화예술 기반 콘텐츠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접목시켜

만든 새로운 강사 모델이다 이들은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철학인 lsquo미

적 체험rsquo을 실현하는 예술교육 전문가로 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뛰

어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인문

ㆍ예술 장르의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내고 있다 초등학교 대상 프로그램 lsquo예

술로 플러스rsquo와 중학생 대상 인문예술교육 lsquo예술로 함께rsquo는 모두 정규과

정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이 있다30) 아울

러 예술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인력 문화예

술교육단체 학교 기관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

식을 개선하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ㆍ단계적인 교

육 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과거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영역에서 교과서

를 표준화했지만 최근에는 강사가 현실 여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되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효과적

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네트워킹

를 기재해 주세요

30)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htmleducationchildaspperMen

uSeq=2ampMenuSeq=3720181006 예술가교사 사이트 httpartsedutasfacork

rhtmlteachingArtchildEdu_introasp20181006

31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인적 자원 정보를 담은 인력 뱅크 콘텐츠 디렉토리 지역

의 문화자원 사업 정보 국내외 동향과 연구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역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과 실태를 조사

ㆍ연구하는 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다 문화예술교육

의 지역 실태 조사는 문화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짧은 주

기로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제를 발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rsquo 발표를 계기로 문

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분

권의 시대가치에 적합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문화예

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

합회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을 중심

으로 기관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은 중앙

과 협력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을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부산

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원사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29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장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여기에는 진흥원과

지역센터 간의 관계 설정과 역할 분담의 불균형 공급자 중심의 분배식

사업 지원 학교 예술강사의 고용불안 프로그램의 질적 관리 미흡 등의

복합적인 문제가 내포되어 있다

그런데도 이제껏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초창기부터 지역 실정에 걸맞은 문화예술교육

방법론을 모색하거나8)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역사적 경과9)를 개략

적으로 정리하는 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아직까지 부산지역 문화예술

교육의 실체를 종합적으로 조망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으며 주관기관에

서 매년 사업성과를 묶어 자료집을 발간하는 정도에 머물러 있다10) 지

역의 실정을 반영한 문화예술교육의 제도적 기반 구축 지역성과 문화예

술교육의 관련성 탐구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

강화 통합문화예술교육 방법론 모색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 문화예

술교육의 수요와 사회적 확산 방안 예술강사의 실태 분석을 통한 현장

7) 부산문화재단 생활문화본부 문화교육팀의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8)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연구

원 2007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

포럼 2017 56월호

9) 김희재 외 여럿 앞의 글

10)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와 부산문화재단에서 발간하는 사업 결과보고서를 통

해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사업 현황과 실태를 부분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이

다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집」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

자료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

자료집」 2016 부산문화재단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부산문화재단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다른 지역의 경우

에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원사업을 다룬 논

의가 있다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술교육연

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5

의 요구 반영 등의 문제에는 소홀했던 셈이다 비교적 최근 들어 문화예

술교육의 실태를 조사한 논의가 있기는 하나11) 이 또한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까닭에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 논문에서는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살펴

보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지역 기반의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

고자 한다

2 부산 문화 술교육의 황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은 여러 기관에서 추진되고 있는 지원사업

을 통해 정리해 볼 수 있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을

교육내용으로 하거나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모든 형태의 교육을 말한다

그런데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 제2조(정의)에는 문화예술교육을 학교문화

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등 2개의 항목으로 세분하고 있다 따라

서 진흥원이 지원하는 사업은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

로 나뉠 수밖에 없다 진흥원이 지원하는 학교문화예술교육은 학교 예술

강사 예술꽃씨앗학교 유아문화예술교육과 고3 수험생 대상 문화예술교

육 lsquo상상만개rsquo다 반면 사회문화예술교육은 6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

다12) 대표적인 사업으로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꿈다락

11) 이미연 외 여럿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화

예술교육연합회 2017

12) ①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② 소외 계층 아동ㆍ청소년을 대상으로 하

는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 지원 지역아동센터 농산어촌 이동형 문화예술교육

lsquo움직이는 예술정거장rsquo 방과 후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지원 ③ 군대 교정시설소

년원 등 특수계층협력형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④ 예술동아리 교육 지원사

업 컨설팅 지원 등의 시민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⑤ 진흥원과 광역문화예술교

육지원센터 협력형 사업으로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⑥ 꿈다락 토

요문화학교 지원사업이 바로 그것이다 김희재 외 여럿 앞의 글 2014 25쪽

29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토요문화학교 지원사업을 들 수 있다 부산에서 진흥원 사업을 시행하는

기관은 여러 곳이며 진흥원 사업 외 별도 사업이 있다 또한 여러 기관

에서 협업으로 진행하는 사업도 있다 이 자리에서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현황을 두루 파악하기 위해 lsquo주관기관별 문화예술교육rsquo lsquo학교문화예

술교육rsquo lsquo사회문화예술교육rsquo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

1) 주 기 별 문화 술교육

여기에서는 2017년도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

문화예술교육연합회(예술강사지원센터) 부산광역시교육청 금정문화재

단을 비롯한 각 기초자치단체에서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을 검

토하고자 한다13)

우선 부산문화재단 지원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자

[표 1] 2017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원사업 현황

13)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발간한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을 바탕으로 현황을 정리하였다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문화예술교육 인력양성

문화예술행정 아카데미부산 문화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창의적인 행정역량 강화

공공기관 행정 책임자 대상

프로그램 연구 개발 및 보급

지역협력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지원체계 구축 및 문화예술교육 컨트롤 타워 역할 수행

인력양성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문화예술교육 매개자를 위한 공통 기초 연수 실행자를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문화예술교육 관계자 전체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7

2016년 ldquo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

육rdquo14)으로 구분되어 있던 사업체계가 2017년도에는 ldquo문화예술교육 인력

양성 프로그램 연구개발 및 보급 문화예술교육정책사업rdquo으로 재편되었

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학교 예술강사와 국악분야 예술강사 사업이 제

14) 2016년에는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rsquo(지역 협력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네트워크 사업 문화예술행정 아카데미) lsquo학교문화예술교육rsquo(학교 예술

강사 지원 국악분야 예술강사 지원 어린이무형문화재 교실 청소년복합문화센

터 놀이마루 프로그램 운영) lsquo사회문화예술교육rsquo(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

원사업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역 인문학 활성화 지원 학예이론 도서발간 지

원 지역 출판문화 활성화 지원 도시철도 북하우스 운영 2016년도 가을독서문

화 축제)으로 구분하여 세부사업을 운영하였다

지역전통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역전통문화예술 콘텐츠를 활용한 융합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지역 전통문화예술 활성화 및 브랜드화 도모

초등학생 대상(시범 진행)

문화예술교육 정책

사업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지속가능한 일상 속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발굴을 통해 문화 환경 조성과 지역사회의 문화역량 향상에 기여

문화 사각지대 지역주민 대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학교mdash가정mdash지역사회 연계의 교육공동체 구축 및 문화예술 활동을 비롯한 사회의 다양한 활동 기회 제공

아동 청소년 및 그 가족 대상

지역 인문학 활성화 지원

lsquo지역출판문화 활성화 사업rsquo(2016)과 통합

인문학 소모임 간의 소통을 통한 지역사회의 인문학 활성화

인문학 소모임 대상

도시철도 북하우스 운영생활밀착형 독서문화 공간의 관리와 운영부산 시민 전체 대상

2017년도 가을독서문화축제

일상에서 책읽기 문화 활성화 및 지속적인 독서 관련 콘텐츠를 생산하여 책 읽는 사회 분위기 조성

부산시민 전체 대상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지역의 전통문화예술을 창조적으로 계승 생활 속 향유 지원

선별된 초등학교 3학년~6학년 대상

29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외되었다 또한 지역출판문화 활성화 사업이 지역 인문학 활성화 지원사

업과 통합되어 진행되었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그리고 지역협력형 문화

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인력양성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역전통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업이 추가됨으

로써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가 가능해졌다 이처럼 부산문화재단이 기존

의 단순 지원에서 벗어나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감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부산문화재단은 진흥원 사업 외에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

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도 펼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부산센

터 사업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부산의 정체성과 독자성을 담은 문

화예술교육사업을 기획ㆍ운영하기가 쉽지 않다는 데 있다 적은 예산에

다 제한된 인력을 투입하여 여러 사업을 진행하므로 사업 관리나 독자

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어려움이 클 수밖에 없는 셈이다

다음으로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예술강사지원센터)15)와 부산광역

시교육청에서 진행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16)을 살펴보

[표 2]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지원사업 현황

15)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기획사업 계획서」 2017 참고

16) 부산광역시교육청 홈페이지 정보공개자료 중 문화예술교육활성화 항목 참고 ht

tpwwwpengokr20180930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학교문화예술교육

학교 예술강사 지원

학교문화예술교육국악 및 7개 분야 학교 예술강사(연극 영화 무용 만화ㆍ애니 사진 공예 디자인)

초ㆍ중등 및 특수학교 대상

기획사업찾아가는 진로ㆍ

예술교육

진로 및 문화예술교육으로 학생들에게 적성과 흥미를 찾을 수 있는 기회 마련

초ㆍ중학생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9

[표 3] 2017 부산광역시교육청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문화예술교육지원

예술동아리 지원 등학생들의 예술동아리 및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함

체험학습 운영

어린이회관

학생교육문화회관

학생예술문화회관 체험실 운영 등

교육기관 체험실 운영 지원 (기자재 구입 및 강사료 등)

축제행사 운영

학생연극제 댄스경연대회

가요제 등학생이 참여하는 모든 예술 축제행사 지원

특별활동 지원

문화예술순회프로그램

문화예술활동 지원

학생비엔날레 개최 등

학생 민간예술단체 교사 단체 등의 활동 지원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시설관리 및 프로그램 운영 지원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기획ㆍ진행하였다 반면 부산광역시교육청 문화예

술교육 지원사업은 크게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

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

원으로 나눌 수 있다 이것은 부산광역시교육청의 lsquo학교문화예술교육 활

성화 종합계획rsquo에 따라 운영되며 완만한 예산 변동으로 사업내용에는

큰 변화가 없는 편이다

이외에도 부산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 현황을 제시하면 다음

과 같다17)

작은 도서관지원사업

열악한 환경에서도 예술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에게 예술교육 프로그램 제공 예술교육 활성화 및 예술 환경 조성을 위함(부산 느티나무 도서관 외 4곳)

초ㆍ중학생 대상

30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표 4] 2017 기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17) 「부산시 문화예술교육사업 취합 자료」 부산시 문화관광국 2017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부산시

구ㆍ군 문화예술교육모델

발굴 지원

중구mdash닥종이 공예교실 운영 -저소득 주민 대상부산진구mdash청소년예술학교 운영 -초등학교 1학년~중학교 3학년 대상

문화예술 낙후지역 학생오케스트라 사업

예술적 소양과 바람직한 인성 함양소외ㆍ취약 지역 학교폭력이 심각한 지역 학교 학생 대상

구별 단위사업

문화학교 운영

문화강좌를 통해 지역민의 자기계발 및 건전한 여가선용을 제공하기 위해 지역문화예술 진흥 차원에서 시작된 사업

지역민 누구나

소년소녀합창단 및 청소년 오케스트라

운영 지원

청소년의 정서 함양과 예술적 기량 향상을 통해 전문 음악예술인으로 성장하는 기반 마련

초ㆍ중ㆍ고 학생 대상

유소년 타악기오케스트라

창의력 발달과 인성 형성에 도움을 주며 체계적인 연주 지도를 통하여 음악인재를 육성하고 배움을 통한 재능을 사회에 기여케 하고자 추진

초ㆍ중학생 대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예술감상교육

예술감상교육체험 프로그램 운영으로 청소년의 자발적 문화예술 향유 능력 제고

초ㆍ중학생 및 가족 200여명

한울타리 오케스트라

음악을 통한 행복학습도시 조성 구민 오케스트라 교육 운영을 통한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

일반성인 대상

해운대구립예술단(소년소녀합창단 청소년오케스트라 여성합창단) 운영 지원

구민의 정서함양과 여가선용 및 자기계발 기회 제공과 지역문화예술발전 도모

구ㆍ군 문화예술교육모델 발굴 지원청소년예술학교

운영

구청사 내 청소년 문화예술 전문학교 설립 우수하고 체계적인 예술교육을 통해 청소년의 정서 함양 도모 예술인재 조기 발굴 및 육성

초등학교 1학년~중학교 3학년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1

부산시 주관 사업이나 구 단위 사업도 중요하지만 금정문화재단의 사

업이 눈에 띤다 금정문화재단은 2016년 6월에 구 단위 문화재단으로는

최초로 부산 금정구에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에는 lsquo유네스코 세계문화유

산교실 교육 콘텐츠 개발rsquo 사업만 유일하게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7년 세계시민의식을 주제로 한 lsquo일상 다 예술rsquo이라는 청소년 창의 프

로젝트를 열었다 이는 음악 무용 연극 장르 간 협력을 통해 창작과 제

작 과정 공연에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이다 총 8차시(8차시times4시간)로

진행된 이 사업을 시작으로 2018년에는 lsquo예술일주rsquo 프로젝트를 선보임으

로써 다양한 예술장르와 청소년의 만남을 이루어 내었다는 점에서 긍정

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2) 학교문화 술교육

학교문화예술교육은 크게 학교 예술강사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청소년복화문화센터 놀이마루18) 사업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학교 예술강사 사업은 국악 분야 lsquo강사풀제rsquo(2000) 시범 도입을

청소년 문학아카데미 운영

청소년들의 예술적 자질 발굴초등학교 5학년~고등학교 1학년 작가 지망생 대상

평생학습관 운영

다양한 평생교육 문화프로그램 개설로 지역주민에게 자기계발과 문화향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문화예술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 수행

관내 지역주민

문화강좌 운영 지역주민에게 자기계발과 문화향유 기회 제공

도서관 이용 활성화 도모관내 지역주민

금정문화재단

일상 다 예술금정구 관내 청소년들에게 예술가와의 만남으로 통합적 예술체험기회 제공 창의적 사고 배양

중등학생 대상

세계무형문화유산교실세계무형문화유산 교육프로그램을 추진 다음 세대의 문화다양성 및 문화유산 보존 의식 증진

금정구 관내 6개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30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계기로 정책사업의 기본틀을 마련하였다 이후 이 사업은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의 핵심사업인 lsquo예술강사 지원사업rsquo의 모태가 되었다 학교 예술

강사 사업의 교육목표는 창의성 감수성 문화시민 인성 소통과 공감

등 예술적 가치와 교육적 가치를 포괄하고 있다 교육 장르를 지속적으

로 확대하면서 현재 8개 장르(국악 연극 영화 무용 만화애니매이션

공예 사진 디자인)로 확대ㆍ운영하고 있다 부산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운영주체는 진흥원에서 2011년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로 이관되었

으며 2017년부터는 공모를 통해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가 운영하고

있다 학교 예술강사가 파견되는 수업은 교육과정 내 문화예술교육으로

기본교과 또는 창의적 체험활동에 속한다

2017년 강사 수는 총 375명으로 국악분야 140명이며 그 외 7개 분야

235명이다 2017년 부산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

악이 전체의 376 무용이 228 연극이 164를 차지한다19) 국악 비

중이 높은 이유는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역사와 맥락을 같이하기

때문으로 보이며 향후 영역별 균형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출강학교 수는 전체 518개교였다 학교 수는 2015년 495개교에서 2016년

522개교로 23개교(55) 증가하였고 2017년에는 다시 529개교로 소폭

증가하였다 학교 예술강사 파견에 따른 교육 총시수는 2015년 53284시

수 2016년 55323시수 2017년 87753시수로 해를 거듭할수록 점진적으

로 증가하였다 배정된 학교에 시수를 최대치로 부여함으로써 참여 학교

수는 줄었으나 교육 시수는 오히려 증가한 결과다 교육시수가 증가된

현실과는 무관하게 수혜 대상 학교가 절차상의 문제로 취소ㆍ포기하는

사태가 빚어졌다는 점은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이 지닌 문제점 가운데

18) 서면 중앙중학교가 이전한 뒤 놀이와 체험 위주의 청소년복합문화센터로 자리

잡은 놀이마루는 2016년 9월 28일 부산광역시교육청이 시설 운영을 부산문화재

단이 프로그램 제공과 관리를 맡는 체제로 개관하였다 놀이마루 프로그램은

2017년에는 드림교육센터가 2018년 다시 부산문화재단이 위탁ㆍ운영하고 있다

19) 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17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3

하나라 볼 수 있다 교육과정 운영은 엄격한 편이다 하지만 강사의 개인

역량과 수업 환경에 따라 일정 부분 유연성을 인정하고 허용하는 추세

다 학교문화예술교육에서 강사의 자율성과 교육의 균질성 확보 사이의

균형 역시 연구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

참여학교는 부산광역시교육청에 등록된 특수학교를 포함한 초ㆍ중ㆍ

고등학교가 2017년 기준 643개교에 이른다 초등은 308개교(479) 중

등은 174개교(271) 고등은 146개교(227) 특수학교는 15개교(23)

로 초등학교가 가장 많다 2017년 기준 참여 학교 수도 초등 296개교

중등 150개교 고등은 69개교 특수학교 14개교가 학교 예술강사 파견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특수학교는 1개교만 제외하고 모

두 문화예술교육 수혜를 받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고등학교는 50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데 입시제도의 문제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 본다

중학교 역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여전히 문화예술교육의 수혜

를 받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이 많다

사업비는 2015년 4247875천원 2016년 4322382천원 2017년

5230088천원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2016년과

비교하여 20117년 예산이 21나 증가한 것은 교육시수의 증가와 밀접

한 관련이 있다

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는

기획사업으로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과 lsquo작은 도서관 지원rsquo 사업을

진행하였다 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의 프로그램 구성은 진로 강연과

문화예술교육으로 구분된다 문화예술교육 수업에는 뮤지컬 연극 영화

제작 무대디자인 목공예 오페라 전통연희 공연디렉팅이 있다 수업은

3일 총 6시간(1학교 1일 2회 2시간씩) 진행되었으며 사업 예산은 90000

천원으로 주로 강사료와 재료비로 충당되었다

30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사회문화 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은 학교문화예술교육 대상을 포함한 유아부터 노인

까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며 특히 취약계층이 문화예술을 풍부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은 강사

(또는 단체)가 교육프로그램을 직접 개발ㆍ보급하는 형태로 1년 단위 공

모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강사가 보유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제외한 모

든 운영과 관련된 내용은 진흥원과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

센터)의 운영 지침에 따른다 대표적인 것이 lsquo꿈다락 토요문화학교rsquo와 lsquo지

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rsquo 사업이다

첫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학교 밖 전문 문화예술 기관이나 단체에

서 학령기 아동ㆍ청소년과 그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다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매개로 가족이나 또래 간 소통할 수 있는 새로

운 여가문화를 조성하고 학습의 장을 지역사회로 확대하여 학교mdash가정

mdash지역사회 연계의 교육 공동체를 구축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학

교제도와는 차별화된 문화예술교육 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문화예술교

육에서 소외되었던 대상들에게도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상상력과 소통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2015년 34개 단체의 34개 프로그램 2016년 일

반공모 39개 단체ㆍ기획공모 8개 단체의 55개 프로그램 2017년 50개 단

체 54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교육 참여인원은 2015년 1081명

2016년 2108명 2017년 2091명에 이른다 예산 규모는 국비와 시비 11

매칭 방식으로 2015년 912500천원 2016년 1824000천원 2017년

1642000천원이다 초기에는 특정 구 단위에 편중되었지만 해를 거듭할

수록 구 단위 참여 지역의 편차를 줄이는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2015년

금정구와 부산진구 사상구에서 4개 동래구와 연제구 북구에서 3개 그

외 영도구 중구 기장군 사하구 남구에서 각각 2개 동구에서 1개의 프

로그램을 2016년에는 서구와 강서구가 추가되면서 부산 18개 지역 전체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5

에서 실시되었다 이 역시 예산 증액에 따른 참여단체 수 증가와 문화예

술교육 수요의 증가에 따른 결과라 할 수 있다 2017년에는 해운대구에

서만 7개의 단체가 8개 프로그램을 금정구에서는 5개의 단체가 7개 프

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다음으로 부산진구와 동래구 수영구가 각각 5개

단체에서 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산은 2015년 912500천원 2016년도 1824000

천원으로 2배나 증가하면서 34개 단체에서 34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던

데서 나아가 47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성과를 내었다

교육 참여자 수 또한 1081명에서 2108명으로 1000명이나 증가하였다

예산 증가에 따른 사업단체 단체 수의 증가 프로그램의 다양성 수요에

따른 교육 참여자 수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물론 재단의 까다로운 문화행정 강사들의 안일한 수업 태도와 전문성

결여 등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2017년 예산은 2016년 대

비 2억원이 축소되었으나 51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2091명이 문화예술교육의 수혜를 입었다 이것은 신규단체 또는 3년 미

만의 사업단체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참여자를 기수를 나누어 진행하

던 기존 방식에서 1기수 20명으로 전환하거나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

이기 위하여 1년 완성형 프로그램 방식을 도입한 데 따른 결과라 볼 수

있다

둘째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주민과 예술가의 소통을

지원하는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환경 조성을 통하여 문화격차 해소

지역공동체 문화회복 학습자 개인의 성장을 넘어 일상 속 지역문화공동

체 모델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문화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15년 17개 단체의 17개 프로그램에 총 385명이 2016년에는 16개의

일반공모와 1개의 기획공모사업에 345명이 참여하여 다양한 교육을 받

았다 2017년에는 15개의 일반공모 단체와 1개의 기획공모 단체가 397명

30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의 지역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

램을 진행하였다 예산은 국비와 시비 11매칭으로 2015년에서 2017년까

지 3년간 동일하게 294000천원으로 편성ㆍ운영되었다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지역민과 예술가 또는 예술단체

가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

역민과의 소통을 전제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3년간 참여한 지역과 단

체 개발된 프로그램의 확산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예

산 증액 없이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확대와 발전을 기대

하기 어렵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준다

4) 부산 문화 술교육의 성과와 한계

지난 15년 간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다음과 같은 성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하

는 제도적 기초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lsquo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

원 조례rsquo는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제도적 장치로 문화예술교육이 시민

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부산문화 역량 강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명시

하고 있다20) 이는 예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하는 근거가 된다 그러

나 서울 경기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대전광역시21) 등에서는 교

육청이 문화예술교육 진흥과 관련한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 중인 것과

비교하면 부산은 제도적 기반이 여전히 충분하지 않고 유관기관 간의

협력 체제가 공고하게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둘째 예산을 확대 편성하여 안정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양적 성장을 이

루었다 부산에서는 국비와 시비 자체 사업비 등을 포함하여 국악분야

20) 「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원 조례」 제3조(기본원칙) 2항에서 ldquo모든 시민은

나이 성별 장애 사회적 신분 경제적 여건 거주지역 등에 관계없이 자신의 관

심과 적성에 따라 평생에 걸쳐 문화예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받는다rdquo고 명시하고 있다

21) 대전광역시교육청은 장애학생 문화예술 지원 조례를 두고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7

예술강사 지원사업 18억원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24억원 사회문화예

술교육 등 그밖의 사업에 25억원 정도의 사업비가 매년 투입되었다 이

를 통해 사업 대상과 규모를 확대할 수 있었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경

우 연간 500여 개의 학교가 참여하였고 교육 시수는 5만~8만 시간 정

도 운영되었다 예술강사가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수혜자 수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공간과 시설 등 인프라 확충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양적 증대에 따라 교육 공간과 시설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되면서

부산시나 구 단위에서 문화예술교육 거점 공간을 조성하거나 지역의 특

정 공간을 문화예술교육공간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청소

년 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는 개관 초기부터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끌었

으며 문화예술교육 공간과 콘텐츠 면에서 우수 사례로 벤치마킹되고 있

셋째 양적 성장을 기초로 유추해 볼 때 문화예술교육과 함께 성장한

교육 수혜자들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

이 확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22) 문화예술교육 경험자는 개인의 행복감

이나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비경험자보다 긍정적 결과를 보인다고 한

다23) 앞으로도 문화예술 영역의 외연 확장과 더불어 지역 정체성의 발

견과 확립 지역민의 삶의 질 개선 지역 경제와의 연계 도시 재생 지역

발전 견인 등과 적절하게 결부시킴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사회

적으로 확산시켜 나갈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 반해 문제점과 한계 또한 적지 않다

첫째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를 들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지원체계

는 중앙정부에서 예산을 일방적으로 편성하여 지자체에 배정하는 방식

을 취하고 있으며 사업 또한 동일한 방식을 유지해 왔다 이러한 정부

22) 앞으로 문화예술교육 수혜자들이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으로 나아가는 사례

를 면밀히 분석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사회 활동에서 비수혜자들과 어떤

차이를 드러내는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2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30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주도의 중앙집중형 지원 시스템은 지역의 현실과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

지 못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지역적 기반과 문화적 응전력 자생력을 현

격하게 약화시킨다 지역의 문화자원(유관기관 문화예술단체 등)과 인

적 자원의 협력 체계를 제대로 구축하지 못한 점도 마찬가지다 결과적

으로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취약하게 만들 수밖에 없는 것

이다 현 정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기조로 지역 구심성을 강조하

고 있지만 이러한 지원체계의 혁신 없이는 불가능하다

둘째 공급자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에

따라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된 이원적 구조가

고착되면서 교육 내용이나 방법론 확장에 많은 제약이 뒤따랐다 특히

학교에서부터 사회에 이르는 생애 전 과정을 통합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지 못하고 있는 점 각 영역별로 각자의 교육 대상자를 규정하고

있어 교육 대상자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점 등이 문제다 그 결

과 수혜자 수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중복 수혜 대상이 반복적

으로 발생하는가 하면 전혀 수혜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 또한 적지 않다

가령 유아 청년(대학생 또는 청년) 대상 사업이 전무한 실정이고 일부

중장년층이나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운영하고 있지만 실효성

이 낮은 편이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경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사업 중심이어서

사업별로 대상자가 중복되는 경향이 있고 사업 대상을 취약계층으로 규

정한 것은 일종의 낙인효과를 유발함으로써 사업 취지와도 적절하게 부

응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필요를 반영한

교육과정이 설계되지 못했다 한정된 교육 장소 또한 공급자 중심이어서

수혜자 또는 수혜자 집단이 교육 공간에 방문하여 진행하는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다 삶의 질 향상과 생활문화가 중시되는 이즈음 수요자의 생

활 속으로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절실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9

셋째 양적 증대에 비해 질적 성장을 이루지 못했다 이는 교육과정 개

선이나 관리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지 않은 데서 비롯되었다 교육프로

그램 실행이나 효과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을 개선해야 하지만 시스템

부재로 양질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ㆍ보급해 나가는 데 어려움

이 따를 수밖에 없다 현장과 동떨어진 내용을 요구하거나 표준화된 학

습지도안에 따라 기계적인 수업을 강요하는 측면이 있는 반면 교육과정

을 지나치게 자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강사에 따라 내용의 편차가 크게

존재하는 등 교육의 균질성 역시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예술강사의 역

량 강화를 위한 제도나 교육 프로그램 역시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데 의무 연수 규정 또한 폐지되어 전적으로 강사 개인의 자율적 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곧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하락으로 연결된

다 유관기관의 담당자나 학교관계자 교사들의 예술강사에 대한 인식에

도 문제가 있다 학교 관계자는 예술강사를 lsquo교사가 담당하기 어려운 과

목을 단순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rsquo 정도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

어 예술강사의 자긍심을 저하시키고 있다 예술강사(프로그램 준비 실

행) 학교관계자(시수인정 학교 안내 등) 담당교사(수업 시간 조율 준

비와 진행 등에 대한 협조)의 역할 설정 또한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교

육현장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성과를 집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참여 강사 및 단체 프로그

램(교육과정안 및 세부내용) 협력공간에 대한 정보를 생산ㆍ공유할 수

있는 종합 시스템이 미비하다 교육과정안과 세부 수업 내용뿐만 아니라

강사별 단체별 협력공간별 정보를 취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 없어

정보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역 기반의 우

수한 콘텐츠의 생산과 활용 측면에도 충분한 뒷받침을 하지 못하고 있

31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부산 문화 술교육의 과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고려해 볼 때 부산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

화 등 세 영역에서 향후 과제와 전망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1) 지역 문화 술교육 생태계 조성

첫째 서울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등과 같이 교육청 차원에서 별도

의 조례를 마련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재정비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은

정부 문화기관 교육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한 특수 분야다 이러

한 특성을 감안하여 부산시 부산문화재단 부산광역시 교육청은 문화예

술교육 발전 비전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실제 추진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또

한 문화예술교육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지역의 공연기관

박물관 도서관 지역문화원 등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과의 연계와 협력

도 필요하다 예컨대 핀란드의 lsquo뮤지엄 교육rsquo은 뮤지엄 동물원 오페라

극장 등이 학교와 연계하여 만든 프로그램으로 핀란드의 오랜 식민지

역사를 되짚어보고 국가 정체성을 재발견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근대 부

산의 도시 형성 역사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핀란드 교육은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콘텐츠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의 지역 집중성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부산 지역

의 여건과 현황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부산

센터가 더욱 능동적으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향

후 설립될 기초 단위 센터와의 바람직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문

화예술교육 정책의 지역화 초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하지 못

한 문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진흥원과의 유기적 협력

체계를 유지하는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1

해서는 운영 체제를 개편하고 전담 인력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를 활성화해야 한다 국내외 교류를 활발

히 추진함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시켜 나가

고 국내외 우수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콘텐츠의 질적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부산의 문화예술교육 역량에 걸맞은 국제 컨퍼런스

와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시키고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 담론을 생산해야 한다 아울러 양질의 네트워크

를 형성하여 지속적인 교류ㆍ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부산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일도 더없이 중요하다 국내

유관단체와 기관 간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감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자

생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2) 수요자 심의 교육환경 구축

첫째 수요자의 생활권과 연계된 문화예술교육의 기반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기관으

로 리모델링하는 방안 공간을 정비하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을 갖추는

공간 재편 방안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공간을 지속

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 김포가압장을 리모델링하여 아동ㆍ청소년

예술교육센터로 활용하고 있는 서서울예술교육센터 옛 성복보건소 건

물을 리모델링한 서울예술치유허브 등이 좋은 예다 또한 지역민의 생

활권 안에서 자발적으로 문화예술을 즐김으로써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가령 동아리 활동에 전

문가를 매칭하여 지속적ㆍ단계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

법이며 예술 놀이터를 조성하여 누구나 부담 없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사업

도 필요하다 문화예술교육은 지역의 문화유산이나 생활 습속과 연계하

31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여 지역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때 공동체 의식과 바람직한 지역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미국 피츠버그에 소재한 맨체

스터 크래프트 길드(Manchester Craft Guild)의 경우 청소년 시절 도예

교육 미술 지역 공동체의 힘을 깨달은 설립자가 일생 동안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며 지역 공동체의식을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이

외에도 지역에 산재한 여러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교육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망을 정교하게 구축하고 유기적으로 작동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생애주기별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여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

대해야 한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은 생애 전반에 걸쳐 지역

민과 지역공동체의 생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지역형 문화예술

교육 정책의 근간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추진해 오던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여러 이유로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수요자

층을 발굴하고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부산문화재단(부산광역문화교육지원센터) 부

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금정문화재단 등이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수혜 대상자 현황을 살펴보면 취약계층을 포함한 학교 안팎의 청소년이

주된 대상이다 반면 유아ㆍ아동과 청년 대상 사업은 전무하며 노인대

상 사업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이나 시민아카데미 사업 정도

에 불과하다

두루 알다시피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은 유아부터 노인까지 단계적

ㆍ체계적 프로그램을 기획ㆍ운영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할렘 칠드런즈 존(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을 들 수 있다24) lsquo할렘

어린이 구역(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rsquo 프로젝트는 태교부터 직장

24)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KIPP)

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

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67쪽 Harlem Childrenrsquos Zone httpshcz

org2018100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3

에 들어가기까지 교육과 건강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 각자의 건강

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이것이 지역 공동체의 건강한 토대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좋은 예다 이 프로젝트는 영유아 종일 보육센터 학업 성

취를 책임지는 차터 스쿨 건강지원센터 방과 후에 운영되는 아동과 성

인을 위한 주민센터 주말과 여름에 이루어지는 청소년 폭력 방지 등 지

역 주민 전체를 위한 광범위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25)

셋째 수요자의 다양한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창의력과 융합적 사고의 원동력이 되는 인문학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부산문화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인문학 소모임 동아리 출판 지원 등의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감

으로써 다양성을 확보하고 문화예술 기초역량을 배양해 나가는 디딤돌

로 삼아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장을 넓혀 나가는 작업도 필요하

다 스웨덴의 lsquo서커스 시르쾨르rsquo은 좋은 본보기다 이는 서커스를 문화예

술교육에 접목한 사례로 인간의 삶의 균형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다

양한 오브제를 활용하고 신체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다26)

최근 부산에서 장애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장애인 대상 교육단체에 대한 지원과 국가자격증을

갖춘 강사 확보를 통한 전문성 강화 등 관리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또한 지원 대상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미

국 오클랜드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기관 크리에이티

브 그로스 아트센터(Creative Groth Art Center) 사례는 적지 않은 시사

점을 던진다 이 기관은 1974년부터 발달장애인의 예술적 역량과 완성

작품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데 기여해 왔다 장애인 작가들

이 자유로운 예술 감각을 표현하며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 작

업실을 제공하고 국내외 전시를 개최하는 등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

25) 김경애 위의 논문 170쪽

26)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116쪽

31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넷째 영역별 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교문화예술

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되어 있는 구조를 극복하여 문화예술

교육의 실질적 효용을 극대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국립 오페라단의 스

쿨 오페라 프로그램은 좋은 예다 전국의 학교를 대상으로 오페라 교재

와 가수 스태프를 파견하고 의상 등을 지원하며 다양한 교과와 연계하

여 사업을 펼치고 있다 가령 역사 수업에서 오페라의 시대 배경을 제시

하고 국어 수업에서는 연기하는 인물의 감정을 고찰하며 미술 수업에

서는 소도구를 직접 제작해 보기도 한다 경영 수업에서는 입장권을 직

접 판매하는 등 홍보ㆍ마케팅 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역별 연계

활동은 예술가의 자유로운 실험정신과 창의적 사고로 교실에 생기를 불

어넣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27)

3) 문화 술교육 질 기반 고도화

첫째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해 나가는 작업

이 시급하다28) 학교문화예술교육 설문조사 결과29)에 따르면 문화예술

27)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299쪽

28) 부산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서는 고(稿)를 달리하여 논의

할 예정이다

29)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심층면담 결과를(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58-59

쪽) 사회문화예술교육은 2018년 9월 30일 자체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였다 특히 후자는 다음과 같은 문항으로 예술강사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1 참여하고 있는(또는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2 현

재 교육하고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3 현재 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분야와

교육 중인 분야가 일치합니까 4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

니까 5 문화예술교육 경력기간을 선택해 주세요 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까 7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해 받은 연수 프로그램이 있다

면 선택해 주세요 8 2015~2018년 간 이수한 총 연수 시수를 선택해 주세요 8

mdash1 2015년~2018년 간 부산문화재단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

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mdash2 2015년~2018년 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ARTE)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

mdash3 2015년~2018년 간 기타 기관에서 연수받은 적이 있다면 연수기관과 시수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5

교육 강사 재교육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강사 자신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예술강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매몰되면 자칫 기능 중심의 교육이 되기 쉽고 문

화예술교육 고유의 목표에 다가가기 어렵게 된다 예술강사의 질은 문화

예술교육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학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해야 한다 서울형 예술가

교사(TA)는 문화예술 기반 콘텐츠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접목시켜

만든 새로운 강사 모델이다 이들은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철학인 lsquo미

적 체험rsquo을 실현하는 예술교육 전문가로 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뛰

어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인문

ㆍ예술 장르의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내고 있다 초등학교 대상 프로그램 lsquo예

술로 플러스rsquo와 중학생 대상 인문예술교육 lsquo예술로 함께rsquo는 모두 정규과

정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이 있다30) 아울

러 예술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인력 문화예

술교육단체 학교 기관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

식을 개선하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ㆍ단계적인 교

육 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과거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영역에서 교과서

를 표준화했지만 최근에는 강사가 현실 여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되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효과적

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네트워킹

를 기재해 주세요

30)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htmleducationchildaspperMen

uSeq=2ampMenuSeq=3720181006 예술가교사 사이트 httpartsedutasfacork

rhtmlteachingArtchildEdu_introasp20181006

31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인적 자원 정보를 담은 인력 뱅크 콘텐츠 디렉토리 지역

의 문화자원 사업 정보 국내외 동향과 연구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역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과 실태를 조사

ㆍ연구하는 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다 문화예술교육

의 지역 실태 조사는 문화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짧은 주

기로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제를 발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rsquo 발표를 계기로 문

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분

권의 시대가치에 적합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문화예

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

합회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을 중심

으로 기관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은 중앙

과 협력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을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부산

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원사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7: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5

의 요구 반영 등의 문제에는 소홀했던 셈이다 비교적 최근 들어 문화예

술교육의 실태를 조사한 논의가 있기는 하나11) 이 또한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까닭에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 논문에서는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살펴

보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지역 기반의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

고자 한다

2 부산 문화 술교육의 황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은 여러 기관에서 추진되고 있는 지원사업

을 통해 정리해 볼 수 있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을

교육내용으로 하거나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모든 형태의 교육을 말한다

그런데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 제2조(정의)에는 문화예술교육을 학교문화

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등 2개의 항목으로 세분하고 있다 따라

서 진흥원이 지원하는 사업은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

로 나뉠 수밖에 없다 진흥원이 지원하는 학교문화예술교육은 학교 예술

강사 예술꽃씨앗학교 유아문화예술교육과 고3 수험생 대상 문화예술교

육 lsquo상상만개rsquo다 반면 사회문화예술교육은 6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

다12) 대표적인 사업으로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꿈다락

11) 이미연 외 여럿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화

예술교육연합회 2017

12) ①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② 소외 계층 아동ㆍ청소년을 대상으로 하

는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 지원 지역아동센터 농산어촌 이동형 문화예술교육

lsquo움직이는 예술정거장rsquo 방과 후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지원 ③ 군대 교정시설소

년원 등 특수계층협력형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④ 예술동아리 교육 지원사

업 컨설팅 지원 등의 시민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⑤ 진흥원과 광역문화예술교

육지원센터 협력형 사업으로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⑥ 꿈다락 토

요문화학교 지원사업이 바로 그것이다 김희재 외 여럿 앞의 글 2014 25쪽

29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토요문화학교 지원사업을 들 수 있다 부산에서 진흥원 사업을 시행하는

기관은 여러 곳이며 진흥원 사업 외 별도 사업이 있다 또한 여러 기관

에서 협업으로 진행하는 사업도 있다 이 자리에서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현황을 두루 파악하기 위해 lsquo주관기관별 문화예술교육rsquo lsquo학교문화예

술교육rsquo lsquo사회문화예술교육rsquo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

1) 주 기 별 문화 술교육

여기에서는 2017년도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

문화예술교육연합회(예술강사지원센터) 부산광역시교육청 금정문화재

단을 비롯한 각 기초자치단체에서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을 검

토하고자 한다13)

우선 부산문화재단 지원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자

[표 1] 2017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원사업 현황

13)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발간한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을 바탕으로 현황을 정리하였다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문화예술교육 인력양성

문화예술행정 아카데미부산 문화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창의적인 행정역량 강화

공공기관 행정 책임자 대상

프로그램 연구 개발 및 보급

지역협력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지원체계 구축 및 문화예술교육 컨트롤 타워 역할 수행

인력양성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문화예술교육 매개자를 위한 공통 기초 연수 실행자를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문화예술교육 관계자 전체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7

2016년 ldquo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

육rdquo14)으로 구분되어 있던 사업체계가 2017년도에는 ldquo문화예술교육 인력

양성 프로그램 연구개발 및 보급 문화예술교육정책사업rdquo으로 재편되었

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학교 예술강사와 국악분야 예술강사 사업이 제

14) 2016년에는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rsquo(지역 협력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네트워크 사업 문화예술행정 아카데미) lsquo학교문화예술교육rsquo(학교 예술

강사 지원 국악분야 예술강사 지원 어린이무형문화재 교실 청소년복합문화센

터 놀이마루 프로그램 운영) lsquo사회문화예술교육rsquo(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

원사업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역 인문학 활성화 지원 학예이론 도서발간 지

원 지역 출판문화 활성화 지원 도시철도 북하우스 운영 2016년도 가을독서문

화 축제)으로 구분하여 세부사업을 운영하였다

지역전통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역전통문화예술 콘텐츠를 활용한 융합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지역 전통문화예술 활성화 및 브랜드화 도모

초등학생 대상(시범 진행)

문화예술교육 정책

사업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지속가능한 일상 속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발굴을 통해 문화 환경 조성과 지역사회의 문화역량 향상에 기여

문화 사각지대 지역주민 대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학교mdash가정mdash지역사회 연계의 교육공동체 구축 및 문화예술 활동을 비롯한 사회의 다양한 활동 기회 제공

아동 청소년 및 그 가족 대상

지역 인문학 활성화 지원

lsquo지역출판문화 활성화 사업rsquo(2016)과 통합

인문학 소모임 간의 소통을 통한 지역사회의 인문학 활성화

인문학 소모임 대상

도시철도 북하우스 운영생활밀착형 독서문화 공간의 관리와 운영부산 시민 전체 대상

2017년도 가을독서문화축제

일상에서 책읽기 문화 활성화 및 지속적인 독서 관련 콘텐츠를 생산하여 책 읽는 사회 분위기 조성

부산시민 전체 대상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지역의 전통문화예술을 창조적으로 계승 생활 속 향유 지원

선별된 초등학교 3학년~6학년 대상

29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외되었다 또한 지역출판문화 활성화 사업이 지역 인문학 활성화 지원사

업과 통합되어 진행되었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그리고 지역협력형 문화

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인력양성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역전통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업이 추가됨으

로써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가 가능해졌다 이처럼 부산문화재단이 기존

의 단순 지원에서 벗어나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감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부산문화재단은 진흥원 사업 외에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

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도 펼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부산센

터 사업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부산의 정체성과 독자성을 담은 문

화예술교육사업을 기획ㆍ운영하기가 쉽지 않다는 데 있다 적은 예산에

다 제한된 인력을 투입하여 여러 사업을 진행하므로 사업 관리나 독자

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어려움이 클 수밖에 없는 셈이다

다음으로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예술강사지원센터)15)와 부산광역

시교육청에서 진행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16)을 살펴보

[표 2]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지원사업 현황

15)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기획사업 계획서」 2017 참고

16) 부산광역시교육청 홈페이지 정보공개자료 중 문화예술교육활성화 항목 참고 ht

tpwwwpengokr20180930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학교문화예술교육

학교 예술강사 지원

학교문화예술교육국악 및 7개 분야 학교 예술강사(연극 영화 무용 만화ㆍ애니 사진 공예 디자인)

초ㆍ중등 및 특수학교 대상

기획사업찾아가는 진로ㆍ

예술교육

진로 및 문화예술교육으로 학생들에게 적성과 흥미를 찾을 수 있는 기회 마련

초ㆍ중학생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9

[표 3] 2017 부산광역시교육청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문화예술교육지원

예술동아리 지원 등학생들의 예술동아리 및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함

체험학습 운영

어린이회관

학생교육문화회관

학생예술문화회관 체험실 운영 등

교육기관 체험실 운영 지원 (기자재 구입 및 강사료 등)

축제행사 운영

학생연극제 댄스경연대회

가요제 등학생이 참여하는 모든 예술 축제행사 지원

특별활동 지원

문화예술순회프로그램

문화예술활동 지원

학생비엔날레 개최 등

학생 민간예술단체 교사 단체 등의 활동 지원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시설관리 및 프로그램 운영 지원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기획ㆍ진행하였다 반면 부산광역시교육청 문화예

술교육 지원사업은 크게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

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

원으로 나눌 수 있다 이것은 부산광역시교육청의 lsquo학교문화예술교육 활

성화 종합계획rsquo에 따라 운영되며 완만한 예산 변동으로 사업내용에는

큰 변화가 없는 편이다

이외에도 부산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 현황을 제시하면 다음

과 같다17)

작은 도서관지원사업

열악한 환경에서도 예술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에게 예술교육 프로그램 제공 예술교육 활성화 및 예술 환경 조성을 위함(부산 느티나무 도서관 외 4곳)

초ㆍ중학생 대상

30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표 4] 2017 기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17) 「부산시 문화예술교육사업 취합 자료」 부산시 문화관광국 2017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부산시

구ㆍ군 문화예술교육모델

발굴 지원

중구mdash닥종이 공예교실 운영 -저소득 주민 대상부산진구mdash청소년예술학교 운영 -초등학교 1학년~중학교 3학년 대상

문화예술 낙후지역 학생오케스트라 사업

예술적 소양과 바람직한 인성 함양소외ㆍ취약 지역 학교폭력이 심각한 지역 학교 학생 대상

구별 단위사업

문화학교 운영

문화강좌를 통해 지역민의 자기계발 및 건전한 여가선용을 제공하기 위해 지역문화예술 진흥 차원에서 시작된 사업

지역민 누구나

소년소녀합창단 및 청소년 오케스트라

운영 지원

청소년의 정서 함양과 예술적 기량 향상을 통해 전문 음악예술인으로 성장하는 기반 마련

초ㆍ중ㆍ고 학생 대상

유소년 타악기오케스트라

창의력 발달과 인성 형성에 도움을 주며 체계적인 연주 지도를 통하여 음악인재를 육성하고 배움을 통한 재능을 사회에 기여케 하고자 추진

초ㆍ중학생 대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예술감상교육

예술감상교육체험 프로그램 운영으로 청소년의 자발적 문화예술 향유 능력 제고

초ㆍ중학생 및 가족 200여명

한울타리 오케스트라

음악을 통한 행복학습도시 조성 구민 오케스트라 교육 운영을 통한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

일반성인 대상

해운대구립예술단(소년소녀합창단 청소년오케스트라 여성합창단) 운영 지원

구민의 정서함양과 여가선용 및 자기계발 기회 제공과 지역문화예술발전 도모

구ㆍ군 문화예술교육모델 발굴 지원청소년예술학교

운영

구청사 내 청소년 문화예술 전문학교 설립 우수하고 체계적인 예술교육을 통해 청소년의 정서 함양 도모 예술인재 조기 발굴 및 육성

초등학교 1학년~중학교 3학년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1

부산시 주관 사업이나 구 단위 사업도 중요하지만 금정문화재단의 사

업이 눈에 띤다 금정문화재단은 2016년 6월에 구 단위 문화재단으로는

최초로 부산 금정구에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에는 lsquo유네스코 세계문화유

산교실 교육 콘텐츠 개발rsquo 사업만 유일하게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7년 세계시민의식을 주제로 한 lsquo일상 다 예술rsquo이라는 청소년 창의 프

로젝트를 열었다 이는 음악 무용 연극 장르 간 협력을 통해 창작과 제

작 과정 공연에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이다 총 8차시(8차시times4시간)로

진행된 이 사업을 시작으로 2018년에는 lsquo예술일주rsquo 프로젝트를 선보임으

로써 다양한 예술장르와 청소년의 만남을 이루어 내었다는 점에서 긍정

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2) 학교문화 술교육

학교문화예술교육은 크게 학교 예술강사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청소년복화문화센터 놀이마루18) 사업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학교 예술강사 사업은 국악 분야 lsquo강사풀제rsquo(2000) 시범 도입을

청소년 문학아카데미 운영

청소년들의 예술적 자질 발굴초등학교 5학년~고등학교 1학년 작가 지망생 대상

평생학습관 운영

다양한 평생교육 문화프로그램 개설로 지역주민에게 자기계발과 문화향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문화예술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 수행

관내 지역주민

문화강좌 운영 지역주민에게 자기계발과 문화향유 기회 제공

도서관 이용 활성화 도모관내 지역주민

금정문화재단

일상 다 예술금정구 관내 청소년들에게 예술가와의 만남으로 통합적 예술체험기회 제공 창의적 사고 배양

중등학생 대상

세계무형문화유산교실세계무형문화유산 교육프로그램을 추진 다음 세대의 문화다양성 및 문화유산 보존 의식 증진

금정구 관내 6개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30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계기로 정책사업의 기본틀을 마련하였다 이후 이 사업은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의 핵심사업인 lsquo예술강사 지원사업rsquo의 모태가 되었다 학교 예술

강사 사업의 교육목표는 창의성 감수성 문화시민 인성 소통과 공감

등 예술적 가치와 교육적 가치를 포괄하고 있다 교육 장르를 지속적으

로 확대하면서 현재 8개 장르(국악 연극 영화 무용 만화애니매이션

공예 사진 디자인)로 확대ㆍ운영하고 있다 부산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운영주체는 진흥원에서 2011년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로 이관되었

으며 2017년부터는 공모를 통해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가 운영하고

있다 학교 예술강사가 파견되는 수업은 교육과정 내 문화예술교육으로

기본교과 또는 창의적 체험활동에 속한다

2017년 강사 수는 총 375명으로 국악분야 140명이며 그 외 7개 분야

235명이다 2017년 부산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

악이 전체의 376 무용이 228 연극이 164를 차지한다19) 국악 비

중이 높은 이유는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역사와 맥락을 같이하기

때문으로 보이며 향후 영역별 균형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출강학교 수는 전체 518개교였다 학교 수는 2015년 495개교에서 2016년

522개교로 23개교(55) 증가하였고 2017년에는 다시 529개교로 소폭

증가하였다 학교 예술강사 파견에 따른 교육 총시수는 2015년 53284시

수 2016년 55323시수 2017년 87753시수로 해를 거듭할수록 점진적으

로 증가하였다 배정된 학교에 시수를 최대치로 부여함으로써 참여 학교

수는 줄었으나 교육 시수는 오히려 증가한 결과다 교육시수가 증가된

현실과는 무관하게 수혜 대상 학교가 절차상의 문제로 취소ㆍ포기하는

사태가 빚어졌다는 점은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이 지닌 문제점 가운데

18) 서면 중앙중학교가 이전한 뒤 놀이와 체험 위주의 청소년복합문화센터로 자리

잡은 놀이마루는 2016년 9월 28일 부산광역시교육청이 시설 운영을 부산문화재

단이 프로그램 제공과 관리를 맡는 체제로 개관하였다 놀이마루 프로그램은

2017년에는 드림교육센터가 2018년 다시 부산문화재단이 위탁ㆍ운영하고 있다

19) 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17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3

하나라 볼 수 있다 교육과정 운영은 엄격한 편이다 하지만 강사의 개인

역량과 수업 환경에 따라 일정 부분 유연성을 인정하고 허용하는 추세

다 학교문화예술교육에서 강사의 자율성과 교육의 균질성 확보 사이의

균형 역시 연구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

참여학교는 부산광역시교육청에 등록된 특수학교를 포함한 초ㆍ중ㆍ

고등학교가 2017년 기준 643개교에 이른다 초등은 308개교(479) 중

등은 174개교(271) 고등은 146개교(227) 특수학교는 15개교(23)

로 초등학교가 가장 많다 2017년 기준 참여 학교 수도 초등 296개교

중등 150개교 고등은 69개교 특수학교 14개교가 학교 예술강사 파견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특수학교는 1개교만 제외하고 모

두 문화예술교육 수혜를 받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고등학교는 50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데 입시제도의 문제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 본다

중학교 역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여전히 문화예술교육의 수혜

를 받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이 많다

사업비는 2015년 4247875천원 2016년 4322382천원 2017년

5230088천원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2016년과

비교하여 20117년 예산이 21나 증가한 것은 교육시수의 증가와 밀접

한 관련이 있다

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는

기획사업으로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과 lsquo작은 도서관 지원rsquo 사업을

진행하였다 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의 프로그램 구성은 진로 강연과

문화예술교육으로 구분된다 문화예술교육 수업에는 뮤지컬 연극 영화

제작 무대디자인 목공예 오페라 전통연희 공연디렉팅이 있다 수업은

3일 총 6시간(1학교 1일 2회 2시간씩) 진행되었으며 사업 예산은 90000

천원으로 주로 강사료와 재료비로 충당되었다

30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사회문화 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은 학교문화예술교육 대상을 포함한 유아부터 노인

까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며 특히 취약계층이 문화예술을 풍부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은 강사

(또는 단체)가 교육프로그램을 직접 개발ㆍ보급하는 형태로 1년 단위 공

모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강사가 보유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제외한 모

든 운영과 관련된 내용은 진흥원과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

센터)의 운영 지침에 따른다 대표적인 것이 lsquo꿈다락 토요문화학교rsquo와 lsquo지

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rsquo 사업이다

첫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학교 밖 전문 문화예술 기관이나 단체에

서 학령기 아동ㆍ청소년과 그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다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매개로 가족이나 또래 간 소통할 수 있는 새로

운 여가문화를 조성하고 학습의 장을 지역사회로 확대하여 학교mdash가정

mdash지역사회 연계의 교육 공동체를 구축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학

교제도와는 차별화된 문화예술교육 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문화예술교

육에서 소외되었던 대상들에게도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상상력과 소통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2015년 34개 단체의 34개 프로그램 2016년 일

반공모 39개 단체ㆍ기획공모 8개 단체의 55개 프로그램 2017년 50개 단

체 54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교육 참여인원은 2015년 1081명

2016년 2108명 2017년 2091명에 이른다 예산 규모는 국비와 시비 11

매칭 방식으로 2015년 912500천원 2016년 1824000천원 2017년

1642000천원이다 초기에는 특정 구 단위에 편중되었지만 해를 거듭할

수록 구 단위 참여 지역의 편차를 줄이는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2015년

금정구와 부산진구 사상구에서 4개 동래구와 연제구 북구에서 3개 그

외 영도구 중구 기장군 사하구 남구에서 각각 2개 동구에서 1개의 프

로그램을 2016년에는 서구와 강서구가 추가되면서 부산 18개 지역 전체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5

에서 실시되었다 이 역시 예산 증액에 따른 참여단체 수 증가와 문화예

술교육 수요의 증가에 따른 결과라 할 수 있다 2017년에는 해운대구에

서만 7개의 단체가 8개 프로그램을 금정구에서는 5개의 단체가 7개 프

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다음으로 부산진구와 동래구 수영구가 각각 5개

단체에서 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산은 2015년 912500천원 2016년도 1824000

천원으로 2배나 증가하면서 34개 단체에서 34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던

데서 나아가 47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성과를 내었다

교육 참여자 수 또한 1081명에서 2108명으로 1000명이나 증가하였다

예산 증가에 따른 사업단체 단체 수의 증가 프로그램의 다양성 수요에

따른 교육 참여자 수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물론 재단의 까다로운 문화행정 강사들의 안일한 수업 태도와 전문성

결여 등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2017년 예산은 2016년 대

비 2억원이 축소되었으나 51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2091명이 문화예술교육의 수혜를 입었다 이것은 신규단체 또는 3년 미

만의 사업단체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참여자를 기수를 나누어 진행하

던 기존 방식에서 1기수 20명으로 전환하거나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

이기 위하여 1년 완성형 프로그램 방식을 도입한 데 따른 결과라 볼 수

있다

둘째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주민과 예술가의 소통을

지원하는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환경 조성을 통하여 문화격차 해소

지역공동체 문화회복 학습자 개인의 성장을 넘어 일상 속 지역문화공동

체 모델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문화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15년 17개 단체의 17개 프로그램에 총 385명이 2016년에는 16개의

일반공모와 1개의 기획공모사업에 345명이 참여하여 다양한 교육을 받

았다 2017년에는 15개의 일반공모 단체와 1개의 기획공모 단체가 397명

30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의 지역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

램을 진행하였다 예산은 국비와 시비 11매칭으로 2015년에서 2017년까

지 3년간 동일하게 294000천원으로 편성ㆍ운영되었다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지역민과 예술가 또는 예술단체

가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

역민과의 소통을 전제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3년간 참여한 지역과 단

체 개발된 프로그램의 확산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예

산 증액 없이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확대와 발전을 기대

하기 어렵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준다

4) 부산 문화 술교육의 성과와 한계

지난 15년 간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다음과 같은 성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하

는 제도적 기초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lsquo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

원 조례rsquo는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제도적 장치로 문화예술교육이 시민

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부산문화 역량 강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명시

하고 있다20) 이는 예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하는 근거가 된다 그러

나 서울 경기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대전광역시21) 등에서는 교

육청이 문화예술교육 진흥과 관련한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 중인 것과

비교하면 부산은 제도적 기반이 여전히 충분하지 않고 유관기관 간의

협력 체제가 공고하게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둘째 예산을 확대 편성하여 안정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양적 성장을 이

루었다 부산에서는 국비와 시비 자체 사업비 등을 포함하여 국악분야

20) 「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원 조례」 제3조(기본원칙) 2항에서 ldquo모든 시민은

나이 성별 장애 사회적 신분 경제적 여건 거주지역 등에 관계없이 자신의 관

심과 적성에 따라 평생에 걸쳐 문화예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받는다rdquo고 명시하고 있다

21) 대전광역시교육청은 장애학생 문화예술 지원 조례를 두고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7

예술강사 지원사업 18억원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24억원 사회문화예

술교육 등 그밖의 사업에 25억원 정도의 사업비가 매년 투입되었다 이

를 통해 사업 대상과 규모를 확대할 수 있었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경

우 연간 500여 개의 학교가 참여하였고 교육 시수는 5만~8만 시간 정

도 운영되었다 예술강사가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수혜자 수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공간과 시설 등 인프라 확충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양적 증대에 따라 교육 공간과 시설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되면서

부산시나 구 단위에서 문화예술교육 거점 공간을 조성하거나 지역의 특

정 공간을 문화예술교육공간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청소

년 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는 개관 초기부터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끌었

으며 문화예술교육 공간과 콘텐츠 면에서 우수 사례로 벤치마킹되고 있

셋째 양적 성장을 기초로 유추해 볼 때 문화예술교육과 함께 성장한

교육 수혜자들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

이 확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22) 문화예술교육 경험자는 개인의 행복감

이나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비경험자보다 긍정적 결과를 보인다고 한

다23) 앞으로도 문화예술 영역의 외연 확장과 더불어 지역 정체성의 발

견과 확립 지역민의 삶의 질 개선 지역 경제와의 연계 도시 재생 지역

발전 견인 등과 적절하게 결부시킴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사회

적으로 확산시켜 나갈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 반해 문제점과 한계 또한 적지 않다

첫째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를 들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지원체계

는 중앙정부에서 예산을 일방적으로 편성하여 지자체에 배정하는 방식

을 취하고 있으며 사업 또한 동일한 방식을 유지해 왔다 이러한 정부

22) 앞으로 문화예술교육 수혜자들이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으로 나아가는 사례

를 면밀히 분석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사회 활동에서 비수혜자들과 어떤

차이를 드러내는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2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30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주도의 중앙집중형 지원 시스템은 지역의 현실과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

지 못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지역적 기반과 문화적 응전력 자생력을 현

격하게 약화시킨다 지역의 문화자원(유관기관 문화예술단체 등)과 인

적 자원의 협력 체계를 제대로 구축하지 못한 점도 마찬가지다 결과적

으로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취약하게 만들 수밖에 없는 것

이다 현 정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기조로 지역 구심성을 강조하

고 있지만 이러한 지원체계의 혁신 없이는 불가능하다

둘째 공급자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에

따라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된 이원적 구조가

고착되면서 교육 내용이나 방법론 확장에 많은 제약이 뒤따랐다 특히

학교에서부터 사회에 이르는 생애 전 과정을 통합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지 못하고 있는 점 각 영역별로 각자의 교육 대상자를 규정하고

있어 교육 대상자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점 등이 문제다 그 결

과 수혜자 수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중복 수혜 대상이 반복적

으로 발생하는가 하면 전혀 수혜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 또한 적지 않다

가령 유아 청년(대학생 또는 청년) 대상 사업이 전무한 실정이고 일부

중장년층이나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운영하고 있지만 실효성

이 낮은 편이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경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사업 중심이어서

사업별로 대상자가 중복되는 경향이 있고 사업 대상을 취약계층으로 규

정한 것은 일종의 낙인효과를 유발함으로써 사업 취지와도 적절하게 부

응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필요를 반영한

교육과정이 설계되지 못했다 한정된 교육 장소 또한 공급자 중심이어서

수혜자 또는 수혜자 집단이 교육 공간에 방문하여 진행하는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다 삶의 질 향상과 생활문화가 중시되는 이즈음 수요자의 생

활 속으로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절실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9

셋째 양적 증대에 비해 질적 성장을 이루지 못했다 이는 교육과정 개

선이나 관리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지 않은 데서 비롯되었다 교육프로

그램 실행이나 효과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을 개선해야 하지만 시스템

부재로 양질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ㆍ보급해 나가는 데 어려움

이 따를 수밖에 없다 현장과 동떨어진 내용을 요구하거나 표준화된 학

습지도안에 따라 기계적인 수업을 강요하는 측면이 있는 반면 교육과정

을 지나치게 자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강사에 따라 내용의 편차가 크게

존재하는 등 교육의 균질성 역시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예술강사의 역

량 강화를 위한 제도나 교육 프로그램 역시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데 의무 연수 규정 또한 폐지되어 전적으로 강사 개인의 자율적 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곧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하락으로 연결된

다 유관기관의 담당자나 학교관계자 교사들의 예술강사에 대한 인식에

도 문제가 있다 학교 관계자는 예술강사를 lsquo교사가 담당하기 어려운 과

목을 단순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rsquo 정도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

어 예술강사의 자긍심을 저하시키고 있다 예술강사(프로그램 준비 실

행) 학교관계자(시수인정 학교 안내 등) 담당교사(수업 시간 조율 준

비와 진행 등에 대한 협조)의 역할 설정 또한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교

육현장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성과를 집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참여 강사 및 단체 프로그

램(교육과정안 및 세부내용) 협력공간에 대한 정보를 생산ㆍ공유할 수

있는 종합 시스템이 미비하다 교육과정안과 세부 수업 내용뿐만 아니라

강사별 단체별 협력공간별 정보를 취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 없어

정보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역 기반의 우

수한 콘텐츠의 생산과 활용 측면에도 충분한 뒷받침을 하지 못하고 있

31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부산 문화 술교육의 과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고려해 볼 때 부산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

화 등 세 영역에서 향후 과제와 전망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1) 지역 문화 술교육 생태계 조성

첫째 서울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등과 같이 교육청 차원에서 별도

의 조례를 마련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재정비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은

정부 문화기관 교육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한 특수 분야다 이러

한 특성을 감안하여 부산시 부산문화재단 부산광역시 교육청은 문화예

술교육 발전 비전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실제 추진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또

한 문화예술교육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지역의 공연기관

박물관 도서관 지역문화원 등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과의 연계와 협력

도 필요하다 예컨대 핀란드의 lsquo뮤지엄 교육rsquo은 뮤지엄 동물원 오페라

극장 등이 학교와 연계하여 만든 프로그램으로 핀란드의 오랜 식민지

역사를 되짚어보고 국가 정체성을 재발견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근대 부

산의 도시 형성 역사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핀란드 교육은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콘텐츠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의 지역 집중성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부산 지역

의 여건과 현황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부산

센터가 더욱 능동적으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향

후 설립될 기초 단위 센터와의 바람직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문

화예술교육 정책의 지역화 초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하지 못

한 문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진흥원과의 유기적 협력

체계를 유지하는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1

해서는 운영 체제를 개편하고 전담 인력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를 활성화해야 한다 국내외 교류를 활발

히 추진함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시켜 나가

고 국내외 우수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콘텐츠의 질적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부산의 문화예술교육 역량에 걸맞은 국제 컨퍼런스

와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시키고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 담론을 생산해야 한다 아울러 양질의 네트워크

를 형성하여 지속적인 교류ㆍ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부산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일도 더없이 중요하다 국내

유관단체와 기관 간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감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자

생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2) 수요자 심의 교육환경 구축

첫째 수요자의 생활권과 연계된 문화예술교육의 기반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기관으

로 리모델링하는 방안 공간을 정비하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을 갖추는

공간 재편 방안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공간을 지속

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 김포가압장을 리모델링하여 아동ㆍ청소년

예술교육센터로 활용하고 있는 서서울예술교육센터 옛 성복보건소 건

물을 리모델링한 서울예술치유허브 등이 좋은 예다 또한 지역민의 생

활권 안에서 자발적으로 문화예술을 즐김으로써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가령 동아리 활동에 전

문가를 매칭하여 지속적ㆍ단계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

법이며 예술 놀이터를 조성하여 누구나 부담 없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사업

도 필요하다 문화예술교육은 지역의 문화유산이나 생활 습속과 연계하

31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여 지역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때 공동체 의식과 바람직한 지역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미국 피츠버그에 소재한 맨체

스터 크래프트 길드(Manchester Craft Guild)의 경우 청소년 시절 도예

교육 미술 지역 공동체의 힘을 깨달은 설립자가 일생 동안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며 지역 공동체의식을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이

외에도 지역에 산재한 여러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교육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망을 정교하게 구축하고 유기적으로 작동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생애주기별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여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

대해야 한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은 생애 전반에 걸쳐 지역

민과 지역공동체의 생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지역형 문화예술

교육 정책의 근간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추진해 오던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여러 이유로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수요자

층을 발굴하고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부산문화재단(부산광역문화교육지원센터) 부

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금정문화재단 등이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수혜 대상자 현황을 살펴보면 취약계층을 포함한 학교 안팎의 청소년이

주된 대상이다 반면 유아ㆍ아동과 청년 대상 사업은 전무하며 노인대

상 사업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이나 시민아카데미 사업 정도

에 불과하다

두루 알다시피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은 유아부터 노인까지 단계적

ㆍ체계적 프로그램을 기획ㆍ운영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할렘 칠드런즈 존(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을 들 수 있다24) lsquo할렘

어린이 구역(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rsquo 프로젝트는 태교부터 직장

24)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KIPP)

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

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67쪽 Harlem Childrenrsquos Zone httpshcz

org2018100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3

에 들어가기까지 교육과 건강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 각자의 건강

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이것이 지역 공동체의 건강한 토대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좋은 예다 이 프로젝트는 영유아 종일 보육센터 학업 성

취를 책임지는 차터 스쿨 건강지원센터 방과 후에 운영되는 아동과 성

인을 위한 주민센터 주말과 여름에 이루어지는 청소년 폭력 방지 등 지

역 주민 전체를 위한 광범위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25)

셋째 수요자의 다양한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창의력과 융합적 사고의 원동력이 되는 인문학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부산문화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인문학 소모임 동아리 출판 지원 등의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감

으로써 다양성을 확보하고 문화예술 기초역량을 배양해 나가는 디딤돌

로 삼아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장을 넓혀 나가는 작업도 필요하

다 스웨덴의 lsquo서커스 시르쾨르rsquo은 좋은 본보기다 이는 서커스를 문화예

술교육에 접목한 사례로 인간의 삶의 균형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다

양한 오브제를 활용하고 신체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다26)

최근 부산에서 장애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장애인 대상 교육단체에 대한 지원과 국가자격증을

갖춘 강사 확보를 통한 전문성 강화 등 관리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또한 지원 대상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미

국 오클랜드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기관 크리에이티

브 그로스 아트센터(Creative Groth Art Center) 사례는 적지 않은 시사

점을 던진다 이 기관은 1974년부터 발달장애인의 예술적 역량과 완성

작품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데 기여해 왔다 장애인 작가들

이 자유로운 예술 감각을 표현하며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 작

업실을 제공하고 국내외 전시를 개최하는 등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

25) 김경애 위의 논문 170쪽

26)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116쪽

31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넷째 영역별 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교문화예술

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되어 있는 구조를 극복하여 문화예술

교육의 실질적 효용을 극대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국립 오페라단의 스

쿨 오페라 프로그램은 좋은 예다 전국의 학교를 대상으로 오페라 교재

와 가수 스태프를 파견하고 의상 등을 지원하며 다양한 교과와 연계하

여 사업을 펼치고 있다 가령 역사 수업에서 오페라의 시대 배경을 제시

하고 국어 수업에서는 연기하는 인물의 감정을 고찰하며 미술 수업에

서는 소도구를 직접 제작해 보기도 한다 경영 수업에서는 입장권을 직

접 판매하는 등 홍보ㆍ마케팅 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역별 연계

활동은 예술가의 자유로운 실험정신과 창의적 사고로 교실에 생기를 불

어넣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27)

3) 문화 술교육 질 기반 고도화

첫째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해 나가는 작업

이 시급하다28) 학교문화예술교육 설문조사 결과29)에 따르면 문화예술

27)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299쪽

28) 부산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서는 고(稿)를 달리하여 논의

할 예정이다

29)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심층면담 결과를(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58-59

쪽) 사회문화예술교육은 2018년 9월 30일 자체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였다 특히 후자는 다음과 같은 문항으로 예술강사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1 참여하고 있는(또는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2 현

재 교육하고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3 현재 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분야와

교육 중인 분야가 일치합니까 4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

니까 5 문화예술교육 경력기간을 선택해 주세요 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까 7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해 받은 연수 프로그램이 있다

면 선택해 주세요 8 2015~2018년 간 이수한 총 연수 시수를 선택해 주세요 8

mdash1 2015년~2018년 간 부산문화재단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

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mdash2 2015년~2018년 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ARTE)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

mdash3 2015년~2018년 간 기타 기관에서 연수받은 적이 있다면 연수기관과 시수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5

교육 강사 재교육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강사 자신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예술강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매몰되면 자칫 기능 중심의 교육이 되기 쉽고 문

화예술교육 고유의 목표에 다가가기 어렵게 된다 예술강사의 질은 문화

예술교육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학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해야 한다 서울형 예술가

교사(TA)는 문화예술 기반 콘텐츠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접목시켜

만든 새로운 강사 모델이다 이들은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철학인 lsquo미

적 체험rsquo을 실현하는 예술교육 전문가로 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뛰

어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인문

ㆍ예술 장르의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내고 있다 초등학교 대상 프로그램 lsquo예

술로 플러스rsquo와 중학생 대상 인문예술교육 lsquo예술로 함께rsquo는 모두 정규과

정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이 있다30) 아울

러 예술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인력 문화예

술교육단체 학교 기관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

식을 개선하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ㆍ단계적인 교

육 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과거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영역에서 교과서

를 표준화했지만 최근에는 강사가 현실 여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되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효과적

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네트워킹

를 기재해 주세요

30)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htmleducationchildaspperMen

uSeq=2ampMenuSeq=3720181006 예술가교사 사이트 httpartsedutasfacork

rhtmlteachingArtchildEdu_introasp20181006

31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인적 자원 정보를 담은 인력 뱅크 콘텐츠 디렉토리 지역

의 문화자원 사업 정보 국내외 동향과 연구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역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과 실태를 조사

ㆍ연구하는 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다 문화예술교육

의 지역 실태 조사는 문화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짧은 주

기로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제를 발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rsquo 발표를 계기로 문

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분

권의 시대가치에 적합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문화예

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

합회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을 중심

으로 기관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은 중앙

과 협력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을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부산

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원사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8: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29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토요문화학교 지원사업을 들 수 있다 부산에서 진흥원 사업을 시행하는

기관은 여러 곳이며 진흥원 사업 외 별도 사업이 있다 또한 여러 기관

에서 협업으로 진행하는 사업도 있다 이 자리에서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현황을 두루 파악하기 위해 lsquo주관기관별 문화예술교육rsquo lsquo학교문화예

술교육rsquo lsquo사회문화예술교육rsquo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

1) 주 기 별 문화 술교육

여기에서는 2017년도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

문화예술교육연합회(예술강사지원센터) 부산광역시교육청 금정문화재

단을 비롯한 각 기초자치단체에서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을 검

토하고자 한다13)

우선 부산문화재단 지원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자

[표 1] 2017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원사업 현황

13)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발간한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을 바탕으로 현황을 정리하였다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문화예술교육 인력양성

문화예술행정 아카데미부산 문화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창의적인 행정역량 강화

공공기관 행정 책임자 대상

프로그램 연구 개발 및 보급

지역협력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지원체계 구축 및 문화예술교육 컨트롤 타워 역할 수행

인력양성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문화예술교육 매개자를 위한 공통 기초 연수 실행자를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문화예술교육 관계자 전체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7

2016년 ldquo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

육rdquo14)으로 구분되어 있던 사업체계가 2017년도에는 ldquo문화예술교육 인력

양성 프로그램 연구개발 및 보급 문화예술교육정책사업rdquo으로 재편되었

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학교 예술강사와 국악분야 예술강사 사업이 제

14) 2016년에는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rsquo(지역 협력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네트워크 사업 문화예술행정 아카데미) lsquo학교문화예술교육rsquo(학교 예술

강사 지원 국악분야 예술강사 지원 어린이무형문화재 교실 청소년복합문화센

터 놀이마루 프로그램 운영) lsquo사회문화예술교육rsquo(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

원사업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역 인문학 활성화 지원 학예이론 도서발간 지

원 지역 출판문화 활성화 지원 도시철도 북하우스 운영 2016년도 가을독서문

화 축제)으로 구분하여 세부사업을 운영하였다

지역전통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역전통문화예술 콘텐츠를 활용한 융합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지역 전통문화예술 활성화 및 브랜드화 도모

초등학생 대상(시범 진행)

문화예술교육 정책

사업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지속가능한 일상 속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발굴을 통해 문화 환경 조성과 지역사회의 문화역량 향상에 기여

문화 사각지대 지역주민 대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학교mdash가정mdash지역사회 연계의 교육공동체 구축 및 문화예술 활동을 비롯한 사회의 다양한 활동 기회 제공

아동 청소년 및 그 가족 대상

지역 인문학 활성화 지원

lsquo지역출판문화 활성화 사업rsquo(2016)과 통합

인문학 소모임 간의 소통을 통한 지역사회의 인문학 활성화

인문학 소모임 대상

도시철도 북하우스 운영생활밀착형 독서문화 공간의 관리와 운영부산 시민 전체 대상

2017년도 가을독서문화축제

일상에서 책읽기 문화 활성화 및 지속적인 독서 관련 콘텐츠를 생산하여 책 읽는 사회 분위기 조성

부산시민 전체 대상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지역의 전통문화예술을 창조적으로 계승 생활 속 향유 지원

선별된 초등학교 3학년~6학년 대상

29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외되었다 또한 지역출판문화 활성화 사업이 지역 인문학 활성화 지원사

업과 통합되어 진행되었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그리고 지역협력형 문화

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인력양성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역전통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업이 추가됨으

로써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가 가능해졌다 이처럼 부산문화재단이 기존

의 단순 지원에서 벗어나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감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부산문화재단은 진흥원 사업 외에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

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도 펼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부산센

터 사업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부산의 정체성과 독자성을 담은 문

화예술교육사업을 기획ㆍ운영하기가 쉽지 않다는 데 있다 적은 예산에

다 제한된 인력을 투입하여 여러 사업을 진행하므로 사업 관리나 독자

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어려움이 클 수밖에 없는 셈이다

다음으로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예술강사지원센터)15)와 부산광역

시교육청에서 진행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16)을 살펴보

[표 2]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지원사업 현황

15)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기획사업 계획서」 2017 참고

16) 부산광역시교육청 홈페이지 정보공개자료 중 문화예술교육활성화 항목 참고 ht

tpwwwpengokr20180930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학교문화예술교육

학교 예술강사 지원

학교문화예술교육국악 및 7개 분야 학교 예술강사(연극 영화 무용 만화ㆍ애니 사진 공예 디자인)

초ㆍ중등 및 특수학교 대상

기획사업찾아가는 진로ㆍ

예술교육

진로 및 문화예술교육으로 학생들에게 적성과 흥미를 찾을 수 있는 기회 마련

초ㆍ중학생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9

[표 3] 2017 부산광역시교육청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문화예술교육지원

예술동아리 지원 등학생들의 예술동아리 및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함

체험학습 운영

어린이회관

학생교육문화회관

학생예술문화회관 체험실 운영 등

교육기관 체험실 운영 지원 (기자재 구입 및 강사료 등)

축제행사 운영

학생연극제 댄스경연대회

가요제 등학생이 참여하는 모든 예술 축제행사 지원

특별활동 지원

문화예술순회프로그램

문화예술활동 지원

학생비엔날레 개최 등

학생 민간예술단체 교사 단체 등의 활동 지원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시설관리 및 프로그램 운영 지원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기획ㆍ진행하였다 반면 부산광역시교육청 문화예

술교육 지원사업은 크게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

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

원으로 나눌 수 있다 이것은 부산광역시교육청의 lsquo학교문화예술교육 활

성화 종합계획rsquo에 따라 운영되며 완만한 예산 변동으로 사업내용에는

큰 변화가 없는 편이다

이외에도 부산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 현황을 제시하면 다음

과 같다17)

작은 도서관지원사업

열악한 환경에서도 예술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에게 예술교육 프로그램 제공 예술교육 활성화 및 예술 환경 조성을 위함(부산 느티나무 도서관 외 4곳)

초ㆍ중학생 대상

30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표 4] 2017 기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17) 「부산시 문화예술교육사업 취합 자료」 부산시 문화관광국 2017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부산시

구ㆍ군 문화예술교육모델

발굴 지원

중구mdash닥종이 공예교실 운영 -저소득 주민 대상부산진구mdash청소년예술학교 운영 -초등학교 1학년~중학교 3학년 대상

문화예술 낙후지역 학생오케스트라 사업

예술적 소양과 바람직한 인성 함양소외ㆍ취약 지역 학교폭력이 심각한 지역 학교 학생 대상

구별 단위사업

문화학교 운영

문화강좌를 통해 지역민의 자기계발 및 건전한 여가선용을 제공하기 위해 지역문화예술 진흥 차원에서 시작된 사업

지역민 누구나

소년소녀합창단 및 청소년 오케스트라

운영 지원

청소년의 정서 함양과 예술적 기량 향상을 통해 전문 음악예술인으로 성장하는 기반 마련

초ㆍ중ㆍ고 학생 대상

유소년 타악기오케스트라

창의력 발달과 인성 형성에 도움을 주며 체계적인 연주 지도를 통하여 음악인재를 육성하고 배움을 통한 재능을 사회에 기여케 하고자 추진

초ㆍ중학생 대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예술감상교육

예술감상교육체험 프로그램 운영으로 청소년의 자발적 문화예술 향유 능력 제고

초ㆍ중학생 및 가족 200여명

한울타리 오케스트라

음악을 통한 행복학습도시 조성 구민 오케스트라 교육 운영을 통한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

일반성인 대상

해운대구립예술단(소년소녀합창단 청소년오케스트라 여성합창단) 운영 지원

구민의 정서함양과 여가선용 및 자기계발 기회 제공과 지역문화예술발전 도모

구ㆍ군 문화예술교육모델 발굴 지원청소년예술학교

운영

구청사 내 청소년 문화예술 전문학교 설립 우수하고 체계적인 예술교육을 통해 청소년의 정서 함양 도모 예술인재 조기 발굴 및 육성

초등학교 1학년~중학교 3학년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1

부산시 주관 사업이나 구 단위 사업도 중요하지만 금정문화재단의 사

업이 눈에 띤다 금정문화재단은 2016년 6월에 구 단위 문화재단으로는

최초로 부산 금정구에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에는 lsquo유네스코 세계문화유

산교실 교육 콘텐츠 개발rsquo 사업만 유일하게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7년 세계시민의식을 주제로 한 lsquo일상 다 예술rsquo이라는 청소년 창의 프

로젝트를 열었다 이는 음악 무용 연극 장르 간 협력을 통해 창작과 제

작 과정 공연에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이다 총 8차시(8차시times4시간)로

진행된 이 사업을 시작으로 2018년에는 lsquo예술일주rsquo 프로젝트를 선보임으

로써 다양한 예술장르와 청소년의 만남을 이루어 내었다는 점에서 긍정

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2) 학교문화 술교육

학교문화예술교육은 크게 학교 예술강사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청소년복화문화센터 놀이마루18) 사업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학교 예술강사 사업은 국악 분야 lsquo강사풀제rsquo(2000) 시범 도입을

청소년 문학아카데미 운영

청소년들의 예술적 자질 발굴초등학교 5학년~고등학교 1학년 작가 지망생 대상

평생학습관 운영

다양한 평생교육 문화프로그램 개설로 지역주민에게 자기계발과 문화향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문화예술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 수행

관내 지역주민

문화강좌 운영 지역주민에게 자기계발과 문화향유 기회 제공

도서관 이용 활성화 도모관내 지역주민

금정문화재단

일상 다 예술금정구 관내 청소년들에게 예술가와의 만남으로 통합적 예술체험기회 제공 창의적 사고 배양

중등학생 대상

세계무형문화유산교실세계무형문화유산 교육프로그램을 추진 다음 세대의 문화다양성 및 문화유산 보존 의식 증진

금정구 관내 6개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30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계기로 정책사업의 기본틀을 마련하였다 이후 이 사업은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의 핵심사업인 lsquo예술강사 지원사업rsquo의 모태가 되었다 학교 예술

강사 사업의 교육목표는 창의성 감수성 문화시민 인성 소통과 공감

등 예술적 가치와 교육적 가치를 포괄하고 있다 교육 장르를 지속적으

로 확대하면서 현재 8개 장르(국악 연극 영화 무용 만화애니매이션

공예 사진 디자인)로 확대ㆍ운영하고 있다 부산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운영주체는 진흥원에서 2011년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로 이관되었

으며 2017년부터는 공모를 통해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가 운영하고

있다 학교 예술강사가 파견되는 수업은 교육과정 내 문화예술교육으로

기본교과 또는 창의적 체험활동에 속한다

2017년 강사 수는 총 375명으로 국악분야 140명이며 그 외 7개 분야

235명이다 2017년 부산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

악이 전체의 376 무용이 228 연극이 164를 차지한다19) 국악 비

중이 높은 이유는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역사와 맥락을 같이하기

때문으로 보이며 향후 영역별 균형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출강학교 수는 전체 518개교였다 학교 수는 2015년 495개교에서 2016년

522개교로 23개교(55) 증가하였고 2017년에는 다시 529개교로 소폭

증가하였다 학교 예술강사 파견에 따른 교육 총시수는 2015년 53284시

수 2016년 55323시수 2017년 87753시수로 해를 거듭할수록 점진적으

로 증가하였다 배정된 학교에 시수를 최대치로 부여함으로써 참여 학교

수는 줄었으나 교육 시수는 오히려 증가한 결과다 교육시수가 증가된

현실과는 무관하게 수혜 대상 학교가 절차상의 문제로 취소ㆍ포기하는

사태가 빚어졌다는 점은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이 지닌 문제점 가운데

18) 서면 중앙중학교가 이전한 뒤 놀이와 체험 위주의 청소년복합문화센터로 자리

잡은 놀이마루는 2016년 9월 28일 부산광역시교육청이 시설 운영을 부산문화재

단이 프로그램 제공과 관리를 맡는 체제로 개관하였다 놀이마루 프로그램은

2017년에는 드림교육센터가 2018년 다시 부산문화재단이 위탁ㆍ운영하고 있다

19) 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17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3

하나라 볼 수 있다 교육과정 운영은 엄격한 편이다 하지만 강사의 개인

역량과 수업 환경에 따라 일정 부분 유연성을 인정하고 허용하는 추세

다 학교문화예술교육에서 강사의 자율성과 교육의 균질성 확보 사이의

균형 역시 연구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

참여학교는 부산광역시교육청에 등록된 특수학교를 포함한 초ㆍ중ㆍ

고등학교가 2017년 기준 643개교에 이른다 초등은 308개교(479) 중

등은 174개교(271) 고등은 146개교(227) 특수학교는 15개교(23)

로 초등학교가 가장 많다 2017년 기준 참여 학교 수도 초등 296개교

중등 150개교 고등은 69개교 특수학교 14개교가 학교 예술강사 파견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특수학교는 1개교만 제외하고 모

두 문화예술교육 수혜를 받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고등학교는 50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데 입시제도의 문제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 본다

중학교 역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여전히 문화예술교육의 수혜

를 받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이 많다

사업비는 2015년 4247875천원 2016년 4322382천원 2017년

5230088천원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2016년과

비교하여 20117년 예산이 21나 증가한 것은 교육시수의 증가와 밀접

한 관련이 있다

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는

기획사업으로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과 lsquo작은 도서관 지원rsquo 사업을

진행하였다 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의 프로그램 구성은 진로 강연과

문화예술교육으로 구분된다 문화예술교육 수업에는 뮤지컬 연극 영화

제작 무대디자인 목공예 오페라 전통연희 공연디렉팅이 있다 수업은

3일 총 6시간(1학교 1일 2회 2시간씩) 진행되었으며 사업 예산은 90000

천원으로 주로 강사료와 재료비로 충당되었다

30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사회문화 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은 학교문화예술교육 대상을 포함한 유아부터 노인

까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며 특히 취약계층이 문화예술을 풍부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은 강사

(또는 단체)가 교육프로그램을 직접 개발ㆍ보급하는 형태로 1년 단위 공

모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강사가 보유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제외한 모

든 운영과 관련된 내용은 진흥원과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

센터)의 운영 지침에 따른다 대표적인 것이 lsquo꿈다락 토요문화학교rsquo와 lsquo지

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rsquo 사업이다

첫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학교 밖 전문 문화예술 기관이나 단체에

서 학령기 아동ㆍ청소년과 그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다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매개로 가족이나 또래 간 소통할 수 있는 새로

운 여가문화를 조성하고 학습의 장을 지역사회로 확대하여 학교mdash가정

mdash지역사회 연계의 교육 공동체를 구축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학

교제도와는 차별화된 문화예술교육 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문화예술교

육에서 소외되었던 대상들에게도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상상력과 소통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2015년 34개 단체의 34개 프로그램 2016년 일

반공모 39개 단체ㆍ기획공모 8개 단체의 55개 프로그램 2017년 50개 단

체 54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교육 참여인원은 2015년 1081명

2016년 2108명 2017년 2091명에 이른다 예산 규모는 국비와 시비 11

매칭 방식으로 2015년 912500천원 2016년 1824000천원 2017년

1642000천원이다 초기에는 특정 구 단위에 편중되었지만 해를 거듭할

수록 구 단위 참여 지역의 편차를 줄이는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2015년

금정구와 부산진구 사상구에서 4개 동래구와 연제구 북구에서 3개 그

외 영도구 중구 기장군 사하구 남구에서 각각 2개 동구에서 1개의 프

로그램을 2016년에는 서구와 강서구가 추가되면서 부산 18개 지역 전체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5

에서 실시되었다 이 역시 예산 증액에 따른 참여단체 수 증가와 문화예

술교육 수요의 증가에 따른 결과라 할 수 있다 2017년에는 해운대구에

서만 7개의 단체가 8개 프로그램을 금정구에서는 5개의 단체가 7개 프

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다음으로 부산진구와 동래구 수영구가 각각 5개

단체에서 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산은 2015년 912500천원 2016년도 1824000

천원으로 2배나 증가하면서 34개 단체에서 34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던

데서 나아가 47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성과를 내었다

교육 참여자 수 또한 1081명에서 2108명으로 1000명이나 증가하였다

예산 증가에 따른 사업단체 단체 수의 증가 프로그램의 다양성 수요에

따른 교육 참여자 수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물론 재단의 까다로운 문화행정 강사들의 안일한 수업 태도와 전문성

결여 등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2017년 예산은 2016년 대

비 2억원이 축소되었으나 51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2091명이 문화예술교육의 수혜를 입었다 이것은 신규단체 또는 3년 미

만의 사업단체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참여자를 기수를 나누어 진행하

던 기존 방식에서 1기수 20명으로 전환하거나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

이기 위하여 1년 완성형 프로그램 방식을 도입한 데 따른 결과라 볼 수

있다

둘째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주민과 예술가의 소통을

지원하는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환경 조성을 통하여 문화격차 해소

지역공동체 문화회복 학습자 개인의 성장을 넘어 일상 속 지역문화공동

체 모델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문화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15년 17개 단체의 17개 프로그램에 총 385명이 2016년에는 16개의

일반공모와 1개의 기획공모사업에 345명이 참여하여 다양한 교육을 받

았다 2017년에는 15개의 일반공모 단체와 1개의 기획공모 단체가 397명

30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의 지역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

램을 진행하였다 예산은 국비와 시비 11매칭으로 2015년에서 2017년까

지 3년간 동일하게 294000천원으로 편성ㆍ운영되었다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지역민과 예술가 또는 예술단체

가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

역민과의 소통을 전제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3년간 참여한 지역과 단

체 개발된 프로그램의 확산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예

산 증액 없이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확대와 발전을 기대

하기 어렵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준다

4) 부산 문화 술교육의 성과와 한계

지난 15년 간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다음과 같은 성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하

는 제도적 기초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lsquo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

원 조례rsquo는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제도적 장치로 문화예술교육이 시민

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부산문화 역량 강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명시

하고 있다20) 이는 예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하는 근거가 된다 그러

나 서울 경기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대전광역시21) 등에서는 교

육청이 문화예술교육 진흥과 관련한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 중인 것과

비교하면 부산은 제도적 기반이 여전히 충분하지 않고 유관기관 간의

협력 체제가 공고하게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둘째 예산을 확대 편성하여 안정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양적 성장을 이

루었다 부산에서는 국비와 시비 자체 사업비 등을 포함하여 국악분야

20) 「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원 조례」 제3조(기본원칙) 2항에서 ldquo모든 시민은

나이 성별 장애 사회적 신분 경제적 여건 거주지역 등에 관계없이 자신의 관

심과 적성에 따라 평생에 걸쳐 문화예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받는다rdquo고 명시하고 있다

21) 대전광역시교육청은 장애학생 문화예술 지원 조례를 두고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7

예술강사 지원사업 18억원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24억원 사회문화예

술교육 등 그밖의 사업에 25억원 정도의 사업비가 매년 투입되었다 이

를 통해 사업 대상과 규모를 확대할 수 있었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경

우 연간 500여 개의 학교가 참여하였고 교육 시수는 5만~8만 시간 정

도 운영되었다 예술강사가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수혜자 수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공간과 시설 등 인프라 확충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양적 증대에 따라 교육 공간과 시설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되면서

부산시나 구 단위에서 문화예술교육 거점 공간을 조성하거나 지역의 특

정 공간을 문화예술교육공간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청소

년 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는 개관 초기부터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끌었

으며 문화예술교육 공간과 콘텐츠 면에서 우수 사례로 벤치마킹되고 있

셋째 양적 성장을 기초로 유추해 볼 때 문화예술교육과 함께 성장한

교육 수혜자들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

이 확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22) 문화예술교육 경험자는 개인의 행복감

이나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비경험자보다 긍정적 결과를 보인다고 한

다23) 앞으로도 문화예술 영역의 외연 확장과 더불어 지역 정체성의 발

견과 확립 지역민의 삶의 질 개선 지역 경제와의 연계 도시 재생 지역

발전 견인 등과 적절하게 결부시킴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사회

적으로 확산시켜 나갈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 반해 문제점과 한계 또한 적지 않다

첫째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를 들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지원체계

는 중앙정부에서 예산을 일방적으로 편성하여 지자체에 배정하는 방식

을 취하고 있으며 사업 또한 동일한 방식을 유지해 왔다 이러한 정부

22) 앞으로 문화예술교육 수혜자들이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으로 나아가는 사례

를 면밀히 분석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사회 활동에서 비수혜자들과 어떤

차이를 드러내는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2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30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주도의 중앙집중형 지원 시스템은 지역의 현실과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

지 못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지역적 기반과 문화적 응전력 자생력을 현

격하게 약화시킨다 지역의 문화자원(유관기관 문화예술단체 등)과 인

적 자원의 협력 체계를 제대로 구축하지 못한 점도 마찬가지다 결과적

으로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취약하게 만들 수밖에 없는 것

이다 현 정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기조로 지역 구심성을 강조하

고 있지만 이러한 지원체계의 혁신 없이는 불가능하다

둘째 공급자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에

따라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된 이원적 구조가

고착되면서 교육 내용이나 방법론 확장에 많은 제약이 뒤따랐다 특히

학교에서부터 사회에 이르는 생애 전 과정을 통합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지 못하고 있는 점 각 영역별로 각자의 교육 대상자를 규정하고

있어 교육 대상자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점 등이 문제다 그 결

과 수혜자 수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중복 수혜 대상이 반복적

으로 발생하는가 하면 전혀 수혜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 또한 적지 않다

가령 유아 청년(대학생 또는 청년) 대상 사업이 전무한 실정이고 일부

중장년층이나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운영하고 있지만 실효성

이 낮은 편이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경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사업 중심이어서

사업별로 대상자가 중복되는 경향이 있고 사업 대상을 취약계층으로 규

정한 것은 일종의 낙인효과를 유발함으로써 사업 취지와도 적절하게 부

응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필요를 반영한

교육과정이 설계되지 못했다 한정된 교육 장소 또한 공급자 중심이어서

수혜자 또는 수혜자 집단이 교육 공간에 방문하여 진행하는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다 삶의 질 향상과 생활문화가 중시되는 이즈음 수요자의 생

활 속으로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절실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9

셋째 양적 증대에 비해 질적 성장을 이루지 못했다 이는 교육과정 개

선이나 관리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지 않은 데서 비롯되었다 교육프로

그램 실행이나 효과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을 개선해야 하지만 시스템

부재로 양질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ㆍ보급해 나가는 데 어려움

이 따를 수밖에 없다 현장과 동떨어진 내용을 요구하거나 표준화된 학

습지도안에 따라 기계적인 수업을 강요하는 측면이 있는 반면 교육과정

을 지나치게 자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강사에 따라 내용의 편차가 크게

존재하는 등 교육의 균질성 역시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예술강사의 역

량 강화를 위한 제도나 교육 프로그램 역시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데 의무 연수 규정 또한 폐지되어 전적으로 강사 개인의 자율적 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곧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하락으로 연결된

다 유관기관의 담당자나 학교관계자 교사들의 예술강사에 대한 인식에

도 문제가 있다 학교 관계자는 예술강사를 lsquo교사가 담당하기 어려운 과

목을 단순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rsquo 정도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

어 예술강사의 자긍심을 저하시키고 있다 예술강사(프로그램 준비 실

행) 학교관계자(시수인정 학교 안내 등) 담당교사(수업 시간 조율 준

비와 진행 등에 대한 협조)의 역할 설정 또한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교

육현장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성과를 집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참여 강사 및 단체 프로그

램(교육과정안 및 세부내용) 협력공간에 대한 정보를 생산ㆍ공유할 수

있는 종합 시스템이 미비하다 교육과정안과 세부 수업 내용뿐만 아니라

강사별 단체별 협력공간별 정보를 취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 없어

정보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역 기반의 우

수한 콘텐츠의 생산과 활용 측면에도 충분한 뒷받침을 하지 못하고 있

31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부산 문화 술교육의 과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고려해 볼 때 부산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

화 등 세 영역에서 향후 과제와 전망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1) 지역 문화 술교육 생태계 조성

첫째 서울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등과 같이 교육청 차원에서 별도

의 조례를 마련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재정비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은

정부 문화기관 교육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한 특수 분야다 이러

한 특성을 감안하여 부산시 부산문화재단 부산광역시 교육청은 문화예

술교육 발전 비전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실제 추진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또

한 문화예술교육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지역의 공연기관

박물관 도서관 지역문화원 등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과의 연계와 협력

도 필요하다 예컨대 핀란드의 lsquo뮤지엄 교육rsquo은 뮤지엄 동물원 오페라

극장 등이 학교와 연계하여 만든 프로그램으로 핀란드의 오랜 식민지

역사를 되짚어보고 국가 정체성을 재발견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근대 부

산의 도시 형성 역사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핀란드 교육은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콘텐츠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의 지역 집중성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부산 지역

의 여건과 현황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부산

센터가 더욱 능동적으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향

후 설립될 기초 단위 센터와의 바람직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문

화예술교육 정책의 지역화 초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하지 못

한 문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진흥원과의 유기적 협력

체계를 유지하는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1

해서는 운영 체제를 개편하고 전담 인력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를 활성화해야 한다 국내외 교류를 활발

히 추진함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시켜 나가

고 국내외 우수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콘텐츠의 질적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부산의 문화예술교육 역량에 걸맞은 국제 컨퍼런스

와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시키고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 담론을 생산해야 한다 아울러 양질의 네트워크

를 형성하여 지속적인 교류ㆍ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부산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일도 더없이 중요하다 국내

유관단체와 기관 간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감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자

생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2) 수요자 심의 교육환경 구축

첫째 수요자의 생활권과 연계된 문화예술교육의 기반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기관으

로 리모델링하는 방안 공간을 정비하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을 갖추는

공간 재편 방안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공간을 지속

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 김포가압장을 리모델링하여 아동ㆍ청소년

예술교육센터로 활용하고 있는 서서울예술교육센터 옛 성복보건소 건

물을 리모델링한 서울예술치유허브 등이 좋은 예다 또한 지역민의 생

활권 안에서 자발적으로 문화예술을 즐김으로써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가령 동아리 활동에 전

문가를 매칭하여 지속적ㆍ단계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

법이며 예술 놀이터를 조성하여 누구나 부담 없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사업

도 필요하다 문화예술교육은 지역의 문화유산이나 생활 습속과 연계하

31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여 지역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때 공동체 의식과 바람직한 지역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미국 피츠버그에 소재한 맨체

스터 크래프트 길드(Manchester Craft Guild)의 경우 청소년 시절 도예

교육 미술 지역 공동체의 힘을 깨달은 설립자가 일생 동안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며 지역 공동체의식을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이

외에도 지역에 산재한 여러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교육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망을 정교하게 구축하고 유기적으로 작동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생애주기별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여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

대해야 한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은 생애 전반에 걸쳐 지역

민과 지역공동체의 생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지역형 문화예술

교육 정책의 근간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추진해 오던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여러 이유로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수요자

층을 발굴하고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부산문화재단(부산광역문화교육지원센터) 부

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금정문화재단 등이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수혜 대상자 현황을 살펴보면 취약계층을 포함한 학교 안팎의 청소년이

주된 대상이다 반면 유아ㆍ아동과 청년 대상 사업은 전무하며 노인대

상 사업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이나 시민아카데미 사업 정도

에 불과하다

두루 알다시피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은 유아부터 노인까지 단계적

ㆍ체계적 프로그램을 기획ㆍ운영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할렘 칠드런즈 존(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을 들 수 있다24) lsquo할렘

어린이 구역(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rsquo 프로젝트는 태교부터 직장

24)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KIPP)

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

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67쪽 Harlem Childrenrsquos Zone httpshcz

org2018100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3

에 들어가기까지 교육과 건강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 각자의 건강

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이것이 지역 공동체의 건강한 토대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좋은 예다 이 프로젝트는 영유아 종일 보육센터 학업 성

취를 책임지는 차터 스쿨 건강지원센터 방과 후에 운영되는 아동과 성

인을 위한 주민센터 주말과 여름에 이루어지는 청소년 폭력 방지 등 지

역 주민 전체를 위한 광범위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25)

셋째 수요자의 다양한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창의력과 융합적 사고의 원동력이 되는 인문학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부산문화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인문학 소모임 동아리 출판 지원 등의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감

으로써 다양성을 확보하고 문화예술 기초역량을 배양해 나가는 디딤돌

로 삼아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장을 넓혀 나가는 작업도 필요하

다 스웨덴의 lsquo서커스 시르쾨르rsquo은 좋은 본보기다 이는 서커스를 문화예

술교육에 접목한 사례로 인간의 삶의 균형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다

양한 오브제를 활용하고 신체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다26)

최근 부산에서 장애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장애인 대상 교육단체에 대한 지원과 국가자격증을

갖춘 강사 확보를 통한 전문성 강화 등 관리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또한 지원 대상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미

국 오클랜드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기관 크리에이티

브 그로스 아트센터(Creative Groth Art Center) 사례는 적지 않은 시사

점을 던진다 이 기관은 1974년부터 발달장애인의 예술적 역량과 완성

작품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데 기여해 왔다 장애인 작가들

이 자유로운 예술 감각을 표현하며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 작

업실을 제공하고 국내외 전시를 개최하는 등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

25) 김경애 위의 논문 170쪽

26)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116쪽

31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넷째 영역별 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교문화예술

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되어 있는 구조를 극복하여 문화예술

교육의 실질적 효용을 극대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국립 오페라단의 스

쿨 오페라 프로그램은 좋은 예다 전국의 학교를 대상으로 오페라 교재

와 가수 스태프를 파견하고 의상 등을 지원하며 다양한 교과와 연계하

여 사업을 펼치고 있다 가령 역사 수업에서 오페라의 시대 배경을 제시

하고 국어 수업에서는 연기하는 인물의 감정을 고찰하며 미술 수업에

서는 소도구를 직접 제작해 보기도 한다 경영 수업에서는 입장권을 직

접 판매하는 등 홍보ㆍ마케팅 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역별 연계

활동은 예술가의 자유로운 실험정신과 창의적 사고로 교실에 생기를 불

어넣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27)

3) 문화 술교육 질 기반 고도화

첫째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해 나가는 작업

이 시급하다28) 학교문화예술교육 설문조사 결과29)에 따르면 문화예술

27)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299쪽

28) 부산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서는 고(稿)를 달리하여 논의

할 예정이다

29)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심층면담 결과를(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58-59

쪽) 사회문화예술교육은 2018년 9월 30일 자체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였다 특히 후자는 다음과 같은 문항으로 예술강사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1 참여하고 있는(또는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2 현

재 교육하고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3 현재 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분야와

교육 중인 분야가 일치합니까 4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

니까 5 문화예술교육 경력기간을 선택해 주세요 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까 7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해 받은 연수 프로그램이 있다

면 선택해 주세요 8 2015~2018년 간 이수한 총 연수 시수를 선택해 주세요 8

mdash1 2015년~2018년 간 부산문화재단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

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mdash2 2015년~2018년 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ARTE)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

mdash3 2015년~2018년 간 기타 기관에서 연수받은 적이 있다면 연수기관과 시수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5

교육 강사 재교육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강사 자신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예술강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매몰되면 자칫 기능 중심의 교육이 되기 쉽고 문

화예술교육 고유의 목표에 다가가기 어렵게 된다 예술강사의 질은 문화

예술교육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학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해야 한다 서울형 예술가

교사(TA)는 문화예술 기반 콘텐츠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접목시켜

만든 새로운 강사 모델이다 이들은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철학인 lsquo미

적 체험rsquo을 실현하는 예술교육 전문가로 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뛰

어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인문

ㆍ예술 장르의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내고 있다 초등학교 대상 프로그램 lsquo예

술로 플러스rsquo와 중학생 대상 인문예술교육 lsquo예술로 함께rsquo는 모두 정규과

정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이 있다30) 아울

러 예술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인력 문화예

술교육단체 학교 기관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

식을 개선하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ㆍ단계적인 교

육 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과거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영역에서 교과서

를 표준화했지만 최근에는 강사가 현실 여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되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효과적

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네트워킹

를 기재해 주세요

30)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htmleducationchildaspperMen

uSeq=2ampMenuSeq=3720181006 예술가교사 사이트 httpartsedutasfacork

rhtmlteachingArtchildEdu_introasp20181006

31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인적 자원 정보를 담은 인력 뱅크 콘텐츠 디렉토리 지역

의 문화자원 사업 정보 국내외 동향과 연구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역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과 실태를 조사

ㆍ연구하는 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다 문화예술교육

의 지역 실태 조사는 문화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짧은 주

기로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제를 발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rsquo 발표를 계기로 문

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분

권의 시대가치에 적합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문화예

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

합회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을 중심

으로 기관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은 중앙

과 협력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을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부산

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원사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9: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7

2016년 ldquo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

육rdquo14)으로 구분되어 있던 사업체계가 2017년도에는 ldquo문화예술교육 인력

양성 프로그램 연구개발 및 보급 문화예술교육정책사업rdquo으로 재편되었

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학교 예술강사와 국악분야 예술강사 사업이 제

14) 2016년에는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rsquo(지역 협력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네트워크 사업 문화예술행정 아카데미) lsquo학교문화예술교육rsquo(학교 예술

강사 지원 국악분야 예술강사 지원 어린이무형문화재 교실 청소년복합문화센

터 놀이마루 프로그램 운영) lsquo사회문화예술교육rsquo(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

원사업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역 인문학 활성화 지원 학예이론 도서발간 지

원 지역 출판문화 활성화 지원 도시철도 북하우스 운영 2016년도 가을독서문

화 축제)으로 구분하여 세부사업을 운영하였다

지역전통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역전통문화예술 콘텐츠를 활용한 융합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지역 전통문화예술 활성화 및 브랜드화 도모

초등학생 대상(시범 진행)

문화예술교육 정책

사업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지속가능한 일상 속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발굴을 통해 문화 환경 조성과 지역사회의 문화역량 향상에 기여

문화 사각지대 지역주민 대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학교mdash가정mdash지역사회 연계의 교육공동체 구축 및 문화예술 활동을 비롯한 사회의 다양한 활동 기회 제공

아동 청소년 및 그 가족 대상

지역 인문학 활성화 지원

lsquo지역출판문화 활성화 사업rsquo(2016)과 통합

인문학 소모임 간의 소통을 통한 지역사회의 인문학 활성화

인문학 소모임 대상

도시철도 북하우스 운영생활밀착형 독서문화 공간의 관리와 운영부산 시민 전체 대상

2017년도 가을독서문화축제

일상에서 책읽기 문화 활성화 및 지속적인 독서 관련 콘텐츠를 생산하여 책 읽는 사회 분위기 조성

부산시민 전체 대상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지역의 전통문화예술을 창조적으로 계승 생활 속 향유 지원

선별된 초등학교 3학년~6학년 대상

29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외되었다 또한 지역출판문화 활성화 사업이 지역 인문학 활성화 지원사

업과 통합되어 진행되었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그리고 지역협력형 문화

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인력양성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역전통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업이 추가됨으

로써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가 가능해졌다 이처럼 부산문화재단이 기존

의 단순 지원에서 벗어나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감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부산문화재단은 진흥원 사업 외에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

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도 펼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부산센

터 사업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부산의 정체성과 독자성을 담은 문

화예술교육사업을 기획ㆍ운영하기가 쉽지 않다는 데 있다 적은 예산에

다 제한된 인력을 투입하여 여러 사업을 진행하므로 사업 관리나 독자

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어려움이 클 수밖에 없는 셈이다

다음으로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예술강사지원센터)15)와 부산광역

시교육청에서 진행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16)을 살펴보

[표 2]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지원사업 현황

15)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기획사업 계획서」 2017 참고

16) 부산광역시교육청 홈페이지 정보공개자료 중 문화예술교육활성화 항목 참고 ht

tpwwwpengokr20180930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학교문화예술교육

학교 예술강사 지원

학교문화예술교육국악 및 7개 분야 학교 예술강사(연극 영화 무용 만화ㆍ애니 사진 공예 디자인)

초ㆍ중등 및 특수학교 대상

기획사업찾아가는 진로ㆍ

예술교육

진로 및 문화예술교육으로 학생들에게 적성과 흥미를 찾을 수 있는 기회 마련

초ㆍ중학생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9

[표 3] 2017 부산광역시교육청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문화예술교육지원

예술동아리 지원 등학생들의 예술동아리 및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함

체험학습 운영

어린이회관

학생교육문화회관

학생예술문화회관 체험실 운영 등

교육기관 체험실 운영 지원 (기자재 구입 및 강사료 등)

축제행사 운영

학생연극제 댄스경연대회

가요제 등학생이 참여하는 모든 예술 축제행사 지원

특별활동 지원

문화예술순회프로그램

문화예술활동 지원

학생비엔날레 개최 등

학생 민간예술단체 교사 단체 등의 활동 지원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시설관리 및 프로그램 운영 지원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기획ㆍ진행하였다 반면 부산광역시교육청 문화예

술교육 지원사업은 크게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

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

원으로 나눌 수 있다 이것은 부산광역시교육청의 lsquo학교문화예술교육 활

성화 종합계획rsquo에 따라 운영되며 완만한 예산 변동으로 사업내용에는

큰 변화가 없는 편이다

이외에도 부산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 현황을 제시하면 다음

과 같다17)

작은 도서관지원사업

열악한 환경에서도 예술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에게 예술교육 프로그램 제공 예술교육 활성화 및 예술 환경 조성을 위함(부산 느티나무 도서관 외 4곳)

초ㆍ중학생 대상

30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표 4] 2017 기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17) 「부산시 문화예술교육사업 취합 자료」 부산시 문화관광국 2017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부산시

구ㆍ군 문화예술교육모델

발굴 지원

중구mdash닥종이 공예교실 운영 -저소득 주민 대상부산진구mdash청소년예술학교 운영 -초등학교 1학년~중학교 3학년 대상

문화예술 낙후지역 학생오케스트라 사업

예술적 소양과 바람직한 인성 함양소외ㆍ취약 지역 학교폭력이 심각한 지역 학교 학생 대상

구별 단위사업

문화학교 운영

문화강좌를 통해 지역민의 자기계발 및 건전한 여가선용을 제공하기 위해 지역문화예술 진흥 차원에서 시작된 사업

지역민 누구나

소년소녀합창단 및 청소년 오케스트라

운영 지원

청소년의 정서 함양과 예술적 기량 향상을 통해 전문 음악예술인으로 성장하는 기반 마련

초ㆍ중ㆍ고 학생 대상

유소년 타악기오케스트라

창의력 발달과 인성 형성에 도움을 주며 체계적인 연주 지도를 통하여 음악인재를 육성하고 배움을 통한 재능을 사회에 기여케 하고자 추진

초ㆍ중학생 대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예술감상교육

예술감상교육체험 프로그램 운영으로 청소년의 자발적 문화예술 향유 능력 제고

초ㆍ중학생 및 가족 200여명

한울타리 오케스트라

음악을 통한 행복학습도시 조성 구민 오케스트라 교육 운영을 통한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

일반성인 대상

해운대구립예술단(소년소녀합창단 청소년오케스트라 여성합창단) 운영 지원

구민의 정서함양과 여가선용 및 자기계발 기회 제공과 지역문화예술발전 도모

구ㆍ군 문화예술교육모델 발굴 지원청소년예술학교

운영

구청사 내 청소년 문화예술 전문학교 설립 우수하고 체계적인 예술교육을 통해 청소년의 정서 함양 도모 예술인재 조기 발굴 및 육성

초등학교 1학년~중학교 3학년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1

부산시 주관 사업이나 구 단위 사업도 중요하지만 금정문화재단의 사

업이 눈에 띤다 금정문화재단은 2016년 6월에 구 단위 문화재단으로는

최초로 부산 금정구에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에는 lsquo유네스코 세계문화유

산교실 교육 콘텐츠 개발rsquo 사업만 유일하게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7년 세계시민의식을 주제로 한 lsquo일상 다 예술rsquo이라는 청소년 창의 프

로젝트를 열었다 이는 음악 무용 연극 장르 간 협력을 통해 창작과 제

작 과정 공연에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이다 총 8차시(8차시times4시간)로

진행된 이 사업을 시작으로 2018년에는 lsquo예술일주rsquo 프로젝트를 선보임으

로써 다양한 예술장르와 청소년의 만남을 이루어 내었다는 점에서 긍정

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2) 학교문화 술교육

학교문화예술교육은 크게 학교 예술강사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청소년복화문화센터 놀이마루18) 사업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학교 예술강사 사업은 국악 분야 lsquo강사풀제rsquo(2000) 시범 도입을

청소년 문학아카데미 운영

청소년들의 예술적 자질 발굴초등학교 5학년~고등학교 1학년 작가 지망생 대상

평생학습관 운영

다양한 평생교육 문화프로그램 개설로 지역주민에게 자기계발과 문화향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문화예술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 수행

관내 지역주민

문화강좌 운영 지역주민에게 자기계발과 문화향유 기회 제공

도서관 이용 활성화 도모관내 지역주민

금정문화재단

일상 다 예술금정구 관내 청소년들에게 예술가와의 만남으로 통합적 예술체험기회 제공 창의적 사고 배양

중등학생 대상

세계무형문화유산교실세계무형문화유산 교육프로그램을 추진 다음 세대의 문화다양성 및 문화유산 보존 의식 증진

금정구 관내 6개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30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계기로 정책사업의 기본틀을 마련하였다 이후 이 사업은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의 핵심사업인 lsquo예술강사 지원사업rsquo의 모태가 되었다 학교 예술

강사 사업의 교육목표는 창의성 감수성 문화시민 인성 소통과 공감

등 예술적 가치와 교육적 가치를 포괄하고 있다 교육 장르를 지속적으

로 확대하면서 현재 8개 장르(국악 연극 영화 무용 만화애니매이션

공예 사진 디자인)로 확대ㆍ운영하고 있다 부산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운영주체는 진흥원에서 2011년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로 이관되었

으며 2017년부터는 공모를 통해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가 운영하고

있다 학교 예술강사가 파견되는 수업은 교육과정 내 문화예술교육으로

기본교과 또는 창의적 체험활동에 속한다

2017년 강사 수는 총 375명으로 국악분야 140명이며 그 외 7개 분야

235명이다 2017년 부산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

악이 전체의 376 무용이 228 연극이 164를 차지한다19) 국악 비

중이 높은 이유는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역사와 맥락을 같이하기

때문으로 보이며 향후 영역별 균형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출강학교 수는 전체 518개교였다 학교 수는 2015년 495개교에서 2016년

522개교로 23개교(55) 증가하였고 2017년에는 다시 529개교로 소폭

증가하였다 학교 예술강사 파견에 따른 교육 총시수는 2015년 53284시

수 2016년 55323시수 2017년 87753시수로 해를 거듭할수록 점진적으

로 증가하였다 배정된 학교에 시수를 최대치로 부여함으로써 참여 학교

수는 줄었으나 교육 시수는 오히려 증가한 결과다 교육시수가 증가된

현실과는 무관하게 수혜 대상 학교가 절차상의 문제로 취소ㆍ포기하는

사태가 빚어졌다는 점은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이 지닌 문제점 가운데

18) 서면 중앙중학교가 이전한 뒤 놀이와 체험 위주의 청소년복합문화센터로 자리

잡은 놀이마루는 2016년 9월 28일 부산광역시교육청이 시설 운영을 부산문화재

단이 프로그램 제공과 관리를 맡는 체제로 개관하였다 놀이마루 프로그램은

2017년에는 드림교육센터가 2018년 다시 부산문화재단이 위탁ㆍ운영하고 있다

19) 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17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3

하나라 볼 수 있다 교육과정 운영은 엄격한 편이다 하지만 강사의 개인

역량과 수업 환경에 따라 일정 부분 유연성을 인정하고 허용하는 추세

다 학교문화예술교육에서 강사의 자율성과 교육의 균질성 확보 사이의

균형 역시 연구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

참여학교는 부산광역시교육청에 등록된 특수학교를 포함한 초ㆍ중ㆍ

고등학교가 2017년 기준 643개교에 이른다 초등은 308개교(479) 중

등은 174개교(271) 고등은 146개교(227) 특수학교는 15개교(23)

로 초등학교가 가장 많다 2017년 기준 참여 학교 수도 초등 296개교

중등 150개교 고등은 69개교 특수학교 14개교가 학교 예술강사 파견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특수학교는 1개교만 제외하고 모

두 문화예술교육 수혜를 받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고등학교는 50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데 입시제도의 문제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 본다

중학교 역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여전히 문화예술교육의 수혜

를 받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이 많다

사업비는 2015년 4247875천원 2016년 4322382천원 2017년

5230088천원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2016년과

비교하여 20117년 예산이 21나 증가한 것은 교육시수의 증가와 밀접

한 관련이 있다

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는

기획사업으로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과 lsquo작은 도서관 지원rsquo 사업을

진행하였다 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의 프로그램 구성은 진로 강연과

문화예술교육으로 구분된다 문화예술교육 수업에는 뮤지컬 연극 영화

제작 무대디자인 목공예 오페라 전통연희 공연디렉팅이 있다 수업은

3일 총 6시간(1학교 1일 2회 2시간씩) 진행되었으며 사업 예산은 90000

천원으로 주로 강사료와 재료비로 충당되었다

30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사회문화 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은 학교문화예술교육 대상을 포함한 유아부터 노인

까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며 특히 취약계층이 문화예술을 풍부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은 강사

(또는 단체)가 교육프로그램을 직접 개발ㆍ보급하는 형태로 1년 단위 공

모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강사가 보유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제외한 모

든 운영과 관련된 내용은 진흥원과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

센터)의 운영 지침에 따른다 대표적인 것이 lsquo꿈다락 토요문화학교rsquo와 lsquo지

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rsquo 사업이다

첫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학교 밖 전문 문화예술 기관이나 단체에

서 학령기 아동ㆍ청소년과 그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다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매개로 가족이나 또래 간 소통할 수 있는 새로

운 여가문화를 조성하고 학습의 장을 지역사회로 확대하여 학교mdash가정

mdash지역사회 연계의 교육 공동체를 구축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학

교제도와는 차별화된 문화예술교육 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문화예술교

육에서 소외되었던 대상들에게도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상상력과 소통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2015년 34개 단체의 34개 프로그램 2016년 일

반공모 39개 단체ㆍ기획공모 8개 단체의 55개 프로그램 2017년 50개 단

체 54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교육 참여인원은 2015년 1081명

2016년 2108명 2017년 2091명에 이른다 예산 규모는 국비와 시비 11

매칭 방식으로 2015년 912500천원 2016년 1824000천원 2017년

1642000천원이다 초기에는 특정 구 단위에 편중되었지만 해를 거듭할

수록 구 단위 참여 지역의 편차를 줄이는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2015년

금정구와 부산진구 사상구에서 4개 동래구와 연제구 북구에서 3개 그

외 영도구 중구 기장군 사하구 남구에서 각각 2개 동구에서 1개의 프

로그램을 2016년에는 서구와 강서구가 추가되면서 부산 18개 지역 전체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5

에서 실시되었다 이 역시 예산 증액에 따른 참여단체 수 증가와 문화예

술교육 수요의 증가에 따른 결과라 할 수 있다 2017년에는 해운대구에

서만 7개의 단체가 8개 프로그램을 금정구에서는 5개의 단체가 7개 프

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다음으로 부산진구와 동래구 수영구가 각각 5개

단체에서 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산은 2015년 912500천원 2016년도 1824000

천원으로 2배나 증가하면서 34개 단체에서 34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던

데서 나아가 47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성과를 내었다

교육 참여자 수 또한 1081명에서 2108명으로 1000명이나 증가하였다

예산 증가에 따른 사업단체 단체 수의 증가 프로그램의 다양성 수요에

따른 교육 참여자 수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물론 재단의 까다로운 문화행정 강사들의 안일한 수업 태도와 전문성

결여 등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2017년 예산은 2016년 대

비 2억원이 축소되었으나 51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2091명이 문화예술교육의 수혜를 입었다 이것은 신규단체 또는 3년 미

만의 사업단체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참여자를 기수를 나누어 진행하

던 기존 방식에서 1기수 20명으로 전환하거나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

이기 위하여 1년 완성형 프로그램 방식을 도입한 데 따른 결과라 볼 수

있다

둘째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주민과 예술가의 소통을

지원하는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환경 조성을 통하여 문화격차 해소

지역공동체 문화회복 학습자 개인의 성장을 넘어 일상 속 지역문화공동

체 모델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문화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15년 17개 단체의 17개 프로그램에 총 385명이 2016년에는 16개의

일반공모와 1개의 기획공모사업에 345명이 참여하여 다양한 교육을 받

았다 2017년에는 15개의 일반공모 단체와 1개의 기획공모 단체가 397명

30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의 지역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

램을 진행하였다 예산은 국비와 시비 11매칭으로 2015년에서 2017년까

지 3년간 동일하게 294000천원으로 편성ㆍ운영되었다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지역민과 예술가 또는 예술단체

가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

역민과의 소통을 전제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3년간 참여한 지역과 단

체 개발된 프로그램의 확산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예

산 증액 없이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확대와 발전을 기대

하기 어렵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준다

4) 부산 문화 술교육의 성과와 한계

지난 15년 간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다음과 같은 성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하

는 제도적 기초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lsquo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

원 조례rsquo는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제도적 장치로 문화예술교육이 시민

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부산문화 역량 강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명시

하고 있다20) 이는 예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하는 근거가 된다 그러

나 서울 경기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대전광역시21) 등에서는 교

육청이 문화예술교육 진흥과 관련한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 중인 것과

비교하면 부산은 제도적 기반이 여전히 충분하지 않고 유관기관 간의

협력 체제가 공고하게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둘째 예산을 확대 편성하여 안정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양적 성장을 이

루었다 부산에서는 국비와 시비 자체 사업비 등을 포함하여 국악분야

20) 「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원 조례」 제3조(기본원칙) 2항에서 ldquo모든 시민은

나이 성별 장애 사회적 신분 경제적 여건 거주지역 등에 관계없이 자신의 관

심과 적성에 따라 평생에 걸쳐 문화예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받는다rdquo고 명시하고 있다

21) 대전광역시교육청은 장애학생 문화예술 지원 조례를 두고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7

예술강사 지원사업 18억원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24억원 사회문화예

술교육 등 그밖의 사업에 25억원 정도의 사업비가 매년 투입되었다 이

를 통해 사업 대상과 규모를 확대할 수 있었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경

우 연간 500여 개의 학교가 참여하였고 교육 시수는 5만~8만 시간 정

도 운영되었다 예술강사가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수혜자 수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공간과 시설 등 인프라 확충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양적 증대에 따라 교육 공간과 시설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되면서

부산시나 구 단위에서 문화예술교육 거점 공간을 조성하거나 지역의 특

정 공간을 문화예술교육공간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청소

년 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는 개관 초기부터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끌었

으며 문화예술교육 공간과 콘텐츠 면에서 우수 사례로 벤치마킹되고 있

셋째 양적 성장을 기초로 유추해 볼 때 문화예술교육과 함께 성장한

교육 수혜자들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

이 확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22) 문화예술교육 경험자는 개인의 행복감

이나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비경험자보다 긍정적 결과를 보인다고 한

다23) 앞으로도 문화예술 영역의 외연 확장과 더불어 지역 정체성의 발

견과 확립 지역민의 삶의 질 개선 지역 경제와의 연계 도시 재생 지역

발전 견인 등과 적절하게 결부시킴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사회

적으로 확산시켜 나갈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 반해 문제점과 한계 또한 적지 않다

첫째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를 들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지원체계

는 중앙정부에서 예산을 일방적으로 편성하여 지자체에 배정하는 방식

을 취하고 있으며 사업 또한 동일한 방식을 유지해 왔다 이러한 정부

22) 앞으로 문화예술교육 수혜자들이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으로 나아가는 사례

를 면밀히 분석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사회 활동에서 비수혜자들과 어떤

차이를 드러내는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2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30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주도의 중앙집중형 지원 시스템은 지역의 현실과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

지 못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지역적 기반과 문화적 응전력 자생력을 현

격하게 약화시킨다 지역의 문화자원(유관기관 문화예술단체 등)과 인

적 자원의 협력 체계를 제대로 구축하지 못한 점도 마찬가지다 결과적

으로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취약하게 만들 수밖에 없는 것

이다 현 정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기조로 지역 구심성을 강조하

고 있지만 이러한 지원체계의 혁신 없이는 불가능하다

둘째 공급자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에

따라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된 이원적 구조가

고착되면서 교육 내용이나 방법론 확장에 많은 제약이 뒤따랐다 특히

학교에서부터 사회에 이르는 생애 전 과정을 통합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지 못하고 있는 점 각 영역별로 각자의 교육 대상자를 규정하고

있어 교육 대상자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점 등이 문제다 그 결

과 수혜자 수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중복 수혜 대상이 반복적

으로 발생하는가 하면 전혀 수혜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 또한 적지 않다

가령 유아 청년(대학생 또는 청년) 대상 사업이 전무한 실정이고 일부

중장년층이나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운영하고 있지만 실효성

이 낮은 편이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경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사업 중심이어서

사업별로 대상자가 중복되는 경향이 있고 사업 대상을 취약계층으로 규

정한 것은 일종의 낙인효과를 유발함으로써 사업 취지와도 적절하게 부

응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필요를 반영한

교육과정이 설계되지 못했다 한정된 교육 장소 또한 공급자 중심이어서

수혜자 또는 수혜자 집단이 교육 공간에 방문하여 진행하는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다 삶의 질 향상과 생활문화가 중시되는 이즈음 수요자의 생

활 속으로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절실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9

셋째 양적 증대에 비해 질적 성장을 이루지 못했다 이는 교육과정 개

선이나 관리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지 않은 데서 비롯되었다 교육프로

그램 실행이나 효과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을 개선해야 하지만 시스템

부재로 양질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ㆍ보급해 나가는 데 어려움

이 따를 수밖에 없다 현장과 동떨어진 내용을 요구하거나 표준화된 학

습지도안에 따라 기계적인 수업을 강요하는 측면이 있는 반면 교육과정

을 지나치게 자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강사에 따라 내용의 편차가 크게

존재하는 등 교육의 균질성 역시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예술강사의 역

량 강화를 위한 제도나 교육 프로그램 역시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데 의무 연수 규정 또한 폐지되어 전적으로 강사 개인의 자율적 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곧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하락으로 연결된

다 유관기관의 담당자나 학교관계자 교사들의 예술강사에 대한 인식에

도 문제가 있다 학교 관계자는 예술강사를 lsquo교사가 담당하기 어려운 과

목을 단순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rsquo 정도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

어 예술강사의 자긍심을 저하시키고 있다 예술강사(프로그램 준비 실

행) 학교관계자(시수인정 학교 안내 등) 담당교사(수업 시간 조율 준

비와 진행 등에 대한 협조)의 역할 설정 또한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교

육현장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성과를 집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참여 강사 및 단체 프로그

램(교육과정안 및 세부내용) 협력공간에 대한 정보를 생산ㆍ공유할 수

있는 종합 시스템이 미비하다 교육과정안과 세부 수업 내용뿐만 아니라

강사별 단체별 협력공간별 정보를 취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 없어

정보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역 기반의 우

수한 콘텐츠의 생산과 활용 측면에도 충분한 뒷받침을 하지 못하고 있

31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부산 문화 술교육의 과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고려해 볼 때 부산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

화 등 세 영역에서 향후 과제와 전망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1) 지역 문화 술교육 생태계 조성

첫째 서울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등과 같이 교육청 차원에서 별도

의 조례를 마련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재정비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은

정부 문화기관 교육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한 특수 분야다 이러

한 특성을 감안하여 부산시 부산문화재단 부산광역시 교육청은 문화예

술교육 발전 비전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실제 추진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또

한 문화예술교육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지역의 공연기관

박물관 도서관 지역문화원 등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과의 연계와 협력

도 필요하다 예컨대 핀란드의 lsquo뮤지엄 교육rsquo은 뮤지엄 동물원 오페라

극장 등이 학교와 연계하여 만든 프로그램으로 핀란드의 오랜 식민지

역사를 되짚어보고 국가 정체성을 재발견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근대 부

산의 도시 형성 역사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핀란드 교육은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콘텐츠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의 지역 집중성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부산 지역

의 여건과 현황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부산

센터가 더욱 능동적으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향

후 설립될 기초 단위 센터와의 바람직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문

화예술교육 정책의 지역화 초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하지 못

한 문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진흥원과의 유기적 협력

체계를 유지하는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1

해서는 운영 체제를 개편하고 전담 인력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를 활성화해야 한다 국내외 교류를 활발

히 추진함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시켜 나가

고 국내외 우수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콘텐츠의 질적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부산의 문화예술교육 역량에 걸맞은 국제 컨퍼런스

와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시키고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 담론을 생산해야 한다 아울러 양질의 네트워크

를 형성하여 지속적인 교류ㆍ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부산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일도 더없이 중요하다 국내

유관단체와 기관 간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감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자

생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2) 수요자 심의 교육환경 구축

첫째 수요자의 생활권과 연계된 문화예술교육의 기반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기관으

로 리모델링하는 방안 공간을 정비하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을 갖추는

공간 재편 방안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공간을 지속

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 김포가압장을 리모델링하여 아동ㆍ청소년

예술교육센터로 활용하고 있는 서서울예술교육센터 옛 성복보건소 건

물을 리모델링한 서울예술치유허브 등이 좋은 예다 또한 지역민의 생

활권 안에서 자발적으로 문화예술을 즐김으로써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가령 동아리 활동에 전

문가를 매칭하여 지속적ㆍ단계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

법이며 예술 놀이터를 조성하여 누구나 부담 없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사업

도 필요하다 문화예술교육은 지역의 문화유산이나 생활 습속과 연계하

31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여 지역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때 공동체 의식과 바람직한 지역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미국 피츠버그에 소재한 맨체

스터 크래프트 길드(Manchester Craft Guild)의 경우 청소년 시절 도예

교육 미술 지역 공동체의 힘을 깨달은 설립자가 일생 동안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며 지역 공동체의식을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이

외에도 지역에 산재한 여러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교육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망을 정교하게 구축하고 유기적으로 작동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생애주기별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여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

대해야 한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은 생애 전반에 걸쳐 지역

민과 지역공동체의 생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지역형 문화예술

교육 정책의 근간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추진해 오던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여러 이유로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수요자

층을 발굴하고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부산문화재단(부산광역문화교육지원센터) 부

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금정문화재단 등이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수혜 대상자 현황을 살펴보면 취약계층을 포함한 학교 안팎의 청소년이

주된 대상이다 반면 유아ㆍ아동과 청년 대상 사업은 전무하며 노인대

상 사업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이나 시민아카데미 사업 정도

에 불과하다

두루 알다시피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은 유아부터 노인까지 단계적

ㆍ체계적 프로그램을 기획ㆍ운영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할렘 칠드런즈 존(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을 들 수 있다24) lsquo할렘

어린이 구역(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rsquo 프로젝트는 태교부터 직장

24)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KIPP)

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

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67쪽 Harlem Childrenrsquos Zone httpshcz

org2018100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3

에 들어가기까지 교육과 건강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 각자의 건강

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이것이 지역 공동체의 건강한 토대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좋은 예다 이 프로젝트는 영유아 종일 보육센터 학업 성

취를 책임지는 차터 스쿨 건강지원센터 방과 후에 운영되는 아동과 성

인을 위한 주민센터 주말과 여름에 이루어지는 청소년 폭력 방지 등 지

역 주민 전체를 위한 광범위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25)

셋째 수요자의 다양한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창의력과 융합적 사고의 원동력이 되는 인문학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부산문화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인문학 소모임 동아리 출판 지원 등의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감

으로써 다양성을 확보하고 문화예술 기초역량을 배양해 나가는 디딤돌

로 삼아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장을 넓혀 나가는 작업도 필요하

다 스웨덴의 lsquo서커스 시르쾨르rsquo은 좋은 본보기다 이는 서커스를 문화예

술교육에 접목한 사례로 인간의 삶의 균형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다

양한 오브제를 활용하고 신체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다26)

최근 부산에서 장애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장애인 대상 교육단체에 대한 지원과 국가자격증을

갖춘 강사 확보를 통한 전문성 강화 등 관리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또한 지원 대상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미

국 오클랜드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기관 크리에이티

브 그로스 아트센터(Creative Groth Art Center) 사례는 적지 않은 시사

점을 던진다 이 기관은 1974년부터 발달장애인의 예술적 역량과 완성

작품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데 기여해 왔다 장애인 작가들

이 자유로운 예술 감각을 표현하며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 작

업실을 제공하고 국내외 전시를 개최하는 등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

25) 김경애 위의 논문 170쪽

26)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116쪽

31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넷째 영역별 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교문화예술

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되어 있는 구조를 극복하여 문화예술

교육의 실질적 효용을 극대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국립 오페라단의 스

쿨 오페라 프로그램은 좋은 예다 전국의 학교를 대상으로 오페라 교재

와 가수 스태프를 파견하고 의상 등을 지원하며 다양한 교과와 연계하

여 사업을 펼치고 있다 가령 역사 수업에서 오페라의 시대 배경을 제시

하고 국어 수업에서는 연기하는 인물의 감정을 고찰하며 미술 수업에

서는 소도구를 직접 제작해 보기도 한다 경영 수업에서는 입장권을 직

접 판매하는 등 홍보ㆍ마케팅 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역별 연계

활동은 예술가의 자유로운 실험정신과 창의적 사고로 교실에 생기를 불

어넣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27)

3) 문화 술교육 질 기반 고도화

첫째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해 나가는 작업

이 시급하다28) 학교문화예술교육 설문조사 결과29)에 따르면 문화예술

27)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299쪽

28) 부산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서는 고(稿)를 달리하여 논의

할 예정이다

29)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심층면담 결과를(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58-59

쪽) 사회문화예술교육은 2018년 9월 30일 자체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였다 특히 후자는 다음과 같은 문항으로 예술강사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1 참여하고 있는(또는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2 현

재 교육하고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3 현재 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분야와

교육 중인 분야가 일치합니까 4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

니까 5 문화예술교육 경력기간을 선택해 주세요 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까 7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해 받은 연수 프로그램이 있다

면 선택해 주세요 8 2015~2018년 간 이수한 총 연수 시수를 선택해 주세요 8

mdash1 2015년~2018년 간 부산문화재단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

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mdash2 2015년~2018년 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ARTE)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

mdash3 2015년~2018년 간 기타 기관에서 연수받은 적이 있다면 연수기관과 시수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5

교육 강사 재교육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강사 자신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예술강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매몰되면 자칫 기능 중심의 교육이 되기 쉽고 문

화예술교육 고유의 목표에 다가가기 어렵게 된다 예술강사의 질은 문화

예술교육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학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해야 한다 서울형 예술가

교사(TA)는 문화예술 기반 콘텐츠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접목시켜

만든 새로운 강사 모델이다 이들은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철학인 lsquo미

적 체험rsquo을 실현하는 예술교육 전문가로 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뛰

어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인문

ㆍ예술 장르의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내고 있다 초등학교 대상 프로그램 lsquo예

술로 플러스rsquo와 중학생 대상 인문예술교육 lsquo예술로 함께rsquo는 모두 정규과

정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이 있다30) 아울

러 예술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인력 문화예

술교육단체 학교 기관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

식을 개선하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ㆍ단계적인 교

육 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과거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영역에서 교과서

를 표준화했지만 최근에는 강사가 현실 여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되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효과적

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네트워킹

를 기재해 주세요

30)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htmleducationchildaspperMen

uSeq=2ampMenuSeq=3720181006 예술가교사 사이트 httpartsedutasfacork

rhtmlteachingArtchildEdu_introasp20181006

31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인적 자원 정보를 담은 인력 뱅크 콘텐츠 디렉토리 지역

의 문화자원 사업 정보 국내외 동향과 연구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역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과 실태를 조사

ㆍ연구하는 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다 문화예술교육

의 지역 실태 조사는 문화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짧은 주

기로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제를 발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rsquo 발표를 계기로 문

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분

권의 시대가치에 적합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문화예

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

합회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을 중심

으로 기관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은 중앙

과 협력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을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부산

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원사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10: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29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외되었다 또한 지역출판문화 활성화 사업이 지역 인문학 활성화 지원사

업과 통합되어 진행되었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그리고 지역협력형 문화

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인력양성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역전통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업이 추가됨으

로써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가 가능해졌다 이처럼 부산문화재단이 기존

의 단순 지원에서 벗어나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감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부산문화재단은 진흥원 사업 외에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

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도 펼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부산센

터 사업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부산의 정체성과 독자성을 담은 문

화예술교육사업을 기획ㆍ운영하기가 쉽지 않다는 데 있다 적은 예산에

다 제한된 인력을 투입하여 여러 사업을 진행하므로 사업 관리나 독자

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어려움이 클 수밖에 없는 셈이다

다음으로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예술강사지원센터)15)와 부산광역

시교육청에서 진행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16)을 살펴보

[표 2]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지원사업 현황

15)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기획사업 계획서」 2017 참고

16) 부산광역시교육청 홈페이지 정보공개자료 중 문화예술교육활성화 항목 참고 ht

tpwwwpengokr20180930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학교문화예술교육

학교 예술강사 지원

학교문화예술교육국악 및 7개 분야 학교 예술강사(연극 영화 무용 만화ㆍ애니 사진 공예 디자인)

초ㆍ중등 및 특수학교 대상

기획사업찾아가는 진로ㆍ

예술교육

진로 및 문화예술교육으로 학생들에게 적성과 흥미를 찾을 수 있는 기회 마련

초ㆍ중학생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9

[표 3] 2017 부산광역시교육청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문화예술교육지원

예술동아리 지원 등학생들의 예술동아리 및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함

체험학습 운영

어린이회관

학생교육문화회관

학생예술문화회관 체험실 운영 등

교육기관 체험실 운영 지원 (기자재 구입 및 강사료 등)

축제행사 운영

학생연극제 댄스경연대회

가요제 등학생이 참여하는 모든 예술 축제행사 지원

특별활동 지원

문화예술순회프로그램

문화예술활동 지원

학생비엔날레 개최 등

학생 민간예술단체 교사 단체 등의 활동 지원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시설관리 및 프로그램 운영 지원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기획ㆍ진행하였다 반면 부산광역시교육청 문화예

술교육 지원사업은 크게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

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

원으로 나눌 수 있다 이것은 부산광역시교육청의 lsquo학교문화예술교육 활

성화 종합계획rsquo에 따라 운영되며 완만한 예산 변동으로 사업내용에는

큰 변화가 없는 편이다

이외에도 부산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 현황을 제시하면 다음

과 같다17)

작은 도서관지원사업

열악한 환경에서도 예술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에게 예술교육 프로그램 제공 예술교육 활성화 및 예술 환경 조성을 위함(부산 느티나무 도서관 외 4곳)

초ㆍ중학생 대상

30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표 4] 2017 기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17) 「부산시 문화예술교육사업 취합 자료」 부산시 문화관광국 2017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부산시

구ㆍ군 문화예술교육모델

발굴 지원

중구mdash닥종이 공예교실 운영 -저소득 주민 대상부산진구mdash청소년예술학교 운영 -초등학교 1학년~중학교 3학년 대상

문화예술 낙후지역 학생오케스트라 사업

예술적 소양과 바람직한 인성 함양소외ㆍ취약 지역 학교폭력이 심각한 지역 학교 학생 대상

구별 단위사업

문화학교 운영

문화강좌를 통해 지역민의 자기계발 및 건전한 여가선용을 제공하기 위해 지역문화예술 진흥 차원에서 시작된 사업

지역민 누구나

소년소녀합창단 및 청소년 오케스트라

운영 지원

청소년의 정서 함양과 예술적 기량 향상을 통해 전문 음악예술인으로 성장하는 기반 마련

초ㆍ중ㆍ고 학생 대상

유소년 타악기오케스트라

창의력 발달과 인성 형성에 도움을 주며 체계적인 연주 지도를 통하여 음악인재를 육성하고 배움을 통한 재능을 사회에 기여케 하고자 추진

초ㆍ중학생 대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예술감상교육

예술감상교육체험 프로그램 운영으로 청소년의 자발적 문화예술 향유 능력 제고

초ㆍ중학생 및 가족 200여명

한울타리 오케스트라

음악을 통한 행복학습도시 조성 구민 오케스트라 교육 운영을 통한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

일반성인 대상

해운대구립예술단(소년소녀합창단 청소년오케스트라 여성합창단) 운영 지원

구민의 정서함양과 여가선용 및 자기계발 기회 제공과 지역문화예술발전 도모

구ㆍ군 문화예술교육모델 발굴 지원청소년예술학교

운영

구청사 내 청소년 문화예술 전문학교 설립 우수하고 체계적인 예술교육을 통해 청소년의 정서 함양 도모 예술인재 조기 발굴 및 육성

초등학교 1학년~중학교 3학년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1

부산시 주관 사업이나 구 단위 사업도 중요하지만 금정문화재단의 사

업이 눈에 띤다 금정문화재단은 2016년 6월에 구 단위 문화재단으로는

최초로 부산 금정구에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에는 lsquo유네스코 세계문화유

산교실 교육 콘텐츠 개발rsquo 사업만 유일하게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7년 세계시민의식을 주제로 한 lsquo일상 다 예술rsquo이라는 청소년 창의 프

로젝트를 열었다 이는 음악 무용 연극 장르 간 협력을 통해 창작과 제

작 과정 공연에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이다 총 8차시(8차시times4시간)로

진행된 이 사업을 시작으로 2018년에는 lsquo예술일주rsquo 프로젝트를 선보임으

로써 다양한 예술장르와 청소년의 만남을 이루어 내었다는 점에서 긍정

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2) 학교문화 술교육

학교문화예술교육은 크게 학교 예술강사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청소년복화문화센터 놀이마루18) 사업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학교 예술강사 사업은 국악 분야 lsquo강사풀제rsquo(2000) 시범 도입을

청소년 문학아카데미 운영

청소년들의 예술적 자질 발굴초등학교 5학년~고등학교 1학년 작가 지망생 대상

평생학습관 운영

다양한 평생교육 문화프로그램 개설로 지역주민에게 자기계발과 문화향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문화예술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 수행

관내 지역주민

문화강좌 운영 지역주민에게 자기계발과 문화향유 기회 제공

도서관 이용 활성화 도모관내 지역주민

금정문화재단

일상 다 예술금정구 관내 청소년들에게 예술가와의 만남으로 통합적 예술체험기회 제공 창의적 사고 배양

중등학생 대상

세계무형문화유산교실세계무형문화유산 교육프로그램을 추진 다음 세대의 문화다양성 및 문화유산 보존 의식 증진

금정구 관내 6개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30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계기로 정책사업의 기본틀을 마련하였다 이후 이 사업은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의 핵심사업인 lsquo예술강사 지원사업rsquo의 모태가 되었다 학교 예술

강사 사업의 교육목표는 창의성 감수성 문화시민 인성 소통과 공감

등 예술적 가치와 교육적 가치를 포괄하고 있다 교육 장르를 지속적으

로 확대하면서 현재 8개 장르(국악 연극 영화 무용 만화애니매이션

공예 사진 디자인)로 확대ㆍ운영하고 있다 부산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운영주체는 진흥원에서 2011년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로 이관되었

으며 2017년부터는 공모를 통해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가 운영하고

있다 학교 예술강사가 파견되는 수업은 교육과정 내 문화예술교육으로

기본교과 또는 창의적 체험활동에 속한다

2017년 강사 수는 총 375명으로 국악분야 140명이며 그 외 7개 분야

235명이다 2017년 부산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

악이 전체의 376 무용이 228 연극이 164를 차지한다19) 국악 비

중이 높은 이유는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역사와 맥락을 같이하기

때문으로 보이며 향후 영역별 균형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출강학교 수는 전체 518개교였다 학교 수는 2015년 495개교에서 2016년

522개교로 23개교(55) 증가하였고 2017년에는 다시 529개교로 소폭

증가하였다 학교 예술강사 파견에 따른 교육 총시수는 2015년 53284시

수 2016년 55323시수 2017년 87753시수로 해를 거듭할수록 점진적으

로 증가하였다 배정된 학교에 시수를 최대치로 부여함으로써 참여 학교

수는 줄었으나 교육 시수는 오히려 증가한 결과다 교육시수가 증가된

현실과는 무관하게 수혜 대상 학교가 절차상의 문제로 취소ㆍ포기하는

사태가 빚어졌다는 점은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이 지닌 문제점 가운데

18) 서면 중앙중학교가 이전한 뒤 놀이와 체험 위주의 청소년복합문화센터로 자리

잡은 놀이마루는 2016년 9월 28일 부산광역시교육청이 시설 운영을 부산문화재

단이 프로그램 제공과 관리를 맡는 체제로 개관하였다 놀이마루 프로그램은

2017년에는 드림교육센터가 2018년 다시 부산문화재단이 위탁ㆍ운영하고 있다

19) 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17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3

하나라 볼 수 있다 교육과정 운영은 엄격한 편이다 하지만 강사의 개인

역량과 수업 환경에 따라 일정 부분 유연성을 인정하고 허용하는 추세

다 학교문화예술교육에서 강사의 자율성과 교육의 균질성 확보 사이의

균형 역시 연구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

참여학교는 부산광역시교육청에 등록된 특수학교를 포함한 초ㆍ중ㆍ

고등학교가 2017년 기준 643개교에 이른다 초등은 308개교(479) 중

등은 174개교(271) 고등은 146개교(227) 특수학교는 15개교(23)

로 초등학교가 가장 많다 2017년 기준 참여 학교 수도 초등 296개교

중등 150개교 고등은 69개교 특수학교 14개교가 학교 예술강사 파견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특수학교는 1개교만 제외하고 모

두 문화예술교육 수혜를 받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고등학교는 50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데 입시제도의 문제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 본다

중학교 역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여전히 문화예술교육의 수혜

를 받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이 많다

사업비는 2015년 4247875천원 2016년 4322382천원 2017년

5230088천원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2016년과

비교하여 20117년 예산이 21나 증가한 것은 교육시수의 증가와 밀접

한 관련이 있다

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는

기획사업으로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과 lsquo작은 도서관 지원rsquo 사업을

진행하였다 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의 프로그램 구성은 진로 강연과

문화예술교육으로 구분된다 문화예술교육 수업에는 뮤지컬 연극 영화

제작 무대디자인 목공예 오페라 전통연희 공연디렉팅이 있다 수업은

3일 총 6시간(1학교 1일 2회 2시간씩) 진행되었으며 사업 예산은 90000

천원으로 주로 강사료와 재료비로 충당되었다

30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사회문화 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은 학교문화예술교육 대상을 포함한 유아부터 노인

까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며 특히 취약계층이 문화예술을 풍부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은 강사

(또는 단체)가 교육프로그램을 직접 개발ㆍ보급하는 형태로 1년 단위 공

모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강사가 보유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제외한 모

든 운영과 관련된 내용은 진흥원과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

센터)의 운영 지침에 따른다 대표적인 것이 lsquo꿈다락 토요문화학교rsquo와 lsquo지

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rsquo 사업이다

첫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학교 밖 전문 문화예술 기관이나 단체에

서 학령기 아동ㆍ청소년과 그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다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매개로 가족이나 또래 간 소통할 수 있는 새로

운 여가문화를 조성하고 학습의 장을 지역사회로 확대하여 학교mdash가정

mdash지역사회 연계의 교육 공동체를 구축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학

교제도와는 차별화된 문화예술교육 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문화예술교

육에서 소외되었던 대상들에게도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상상력과 소통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2015년 34개 단체의 34개 프로그램 2016년 일

반공모 39개 단체ㆍ기획공모 8개 단체의 55개 프로그램 2017년 50개 단

체 54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교육 참여인원은 2015년 1081명

2016년 2108명 2017년 2091명에 이른다 예산 규모는 국비와 시비 11

매칭 방식으로 2015년 912500천원 2016년 1824000천원 2017년

1642000천원이다 초기에는 특정 구 단위에 편중되었지만 해를 거듭할

수록 구 단위 참여 지역의 편차를 줄이는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2015년

금정구와 부산진구 사상구에서 4개 동래구와 연제구 북구에서 3개 그

외 영도구 중구 기장군 사하구 남구에서 각각 2개 동구에서 1개의 프

로그램을 2016년에는 서구와 강서구가 추가되면서 부산 18개 지역 전체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5

에서 실시되었다 이 역시 예산 증액에 따른 참여단체 수 증가와 문화예

술교육 수요의 증가에 따른 결과라 할 수 있다 2017년에는 해운대구에

서만 7개의 단체가 8개 프로그램을 금정구에서는 5개의 단체가 7개 프

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다음으로 부산진구와 동래구 수영구가 각각 5개

단체에서 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산은 2015년 912500천원 2016년도 1824000

천원으로 2배나 증가하면서 34개 단체에서 34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던

데서 나아가 47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성과를 내었다

교육 참여자 수 또한 1081명에서 2108명으로 1000명이나 증가하였다

예산 증가에 따른 사업단체 단체 수의 증가 프로그램의 다양성 수요에

따른 교육 참여자 수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물론 재단의 까다로운 문화행정 강사들의 안일한 수업 태도와 전문성

결여 등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2017년 예산은 2016년 대

비 2억원이 축소되었으나 51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2091명이 문화예술교육의 수혜를 입었다 이것은 신규단체 또는 3년 미

만의 사업단체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참여자를 기수를 나누어 진행하

던 기존 방식에서 1기수 20명으로 전환하거나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

이기 위하여 1년 완성형 프로그램 방식을 도입한 데 따른 결과라 볼 수

있다

둘째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주민과 예술가의 소통을

지원하는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환경 조성을 통하여 문화격차 해소

지역공동체 문화회복 학습자 개인의 성장을 넘어 일상 속 지역문화공동

체 모델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문화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15년 17개 단체의 17개 프로그램에 총 385명이 2016년에는 16개의

일반공모와 1개의 기획공모사업에 345명이 참여하여 다양한 교육을 받

았다 2017년에는 15개의 일반공모 단체와 1개의 기획공모 단체가 397명

30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의 지역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

램을 진행하였다 예산은 국비와 시비 11매칭으로 2015년에서 2017년까

지 3년간 동일하게 294000천원으로 편성ㆍ운영되었다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지역민과 예술가 또는 예술단체

가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

역민과의 소통을 전제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3년간 참여한 지역과 단

체 개발된 프로그램의 확산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예

산 증액 없이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확대와 발전을 기대

하기 어렵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준다

4) 부산 문화 술교육의 성과와 한계

지난 15년 간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다음과 같은 성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하

는 제도적 기초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lsquo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

원 조례rsquo는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제도적 장치로 문화예술교육이 시민

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부산문화 역량 강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명시

하고 있다20) 이는 예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하는 근거가 된다 그러

나 서울 경기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대전광역시21) 등에서는 교

육청이 문화예술교육 진흥과 관련한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 중인 것과

비교하면 부산은 제도적 기반이 여전히 충분하지 않고 유관기관 간의

협력 체제가 공고하게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둘째 예산을 확대 편성하여 안정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양적 성장을 이

루었다 부산에서는 국비와 시비 자체 사업비 등을 포함하여 국악분야

20) 「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원 조례」 제3조(기본원칙) 2항에서 ldquo모든 시민은

나이 성별 장애 사회적 신분 경제적 여건 거주지역 등에 관계없이 자신의 관

심과 적성에 따라 평생에 걸쳐 문화예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받는다rdquo고 명시하고 있다

21) 대전광역시교육청은 장애학생 문화예술 지원 조례를 두고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7

예술강사 지원사업 18억원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24억원 사회문화예

술교육 등 그밖의 사업에 25억원 정도의 사업비가 매년 투입되었다 이

를 통해 사업 대상과 규모를 확대할 수 있었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경

우 연간 500여 개의 학교가 참여하였고 교육 시수는 5만~8만 시간 정

도 운영되었다 예술강사가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수혜자 수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공간과 시설 등 인프라 확충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양적 증대에 따라 교육 공간과 시설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되면서

부산시나 구 단위에서 문화예술교육 거점 공간을 조성하거나 지역의 특

정 공간을 문화예술교육공간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청소

년 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는 개관 초기부터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끌었

으며 문화예술교육 공간과 콘텐츠 면에서 우수 사례로 벤치마킹되고 있

셋째 양적 성장을 기초로 유추해 볼 때 문화예술교육과 함께 성장한

교육 수혜자들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

이 확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22) 문화예술교육 경험자는 개인의 행복감

이나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비경험자보다 긍정적 결과를 보인다고 한

다23) 앞으로도 문화예술 영역의 외연 확장과 더불어 지역 정체성의 발

견과 확립 지역민의 삶의 질 개선 지역 경제와의 연계 도시 재생 지역

발전 견인 등과 적절하게 결부시킴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사회

적으로 확산시켜 나갈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 반해 문제점과 한계 또한 적지 않다

첫째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를 들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지원체계

는 중앙정부에서 예산을 일방적으로 편성하여 지자체에 배정하는 방식

을 취하고 있으며 사업 또한 동일한 방식을 유지해 왔다 이러한 정부

22) 앞으로 문화예술교육 수혜자들이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으로 나아가는 사례

를 면밀히 분석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사회 활동에서 비수혜자들과 어떤

차이를 드러내는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2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30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주도의 중앙집중형 지원 시스템은 지역의 현실과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

지 못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지역적 기반과 문화적 응전력 자생력을 현

격하게 약화시킨다 지역의 문화자원(유관기관 문화예술단체 등)과 인

적 자원의 협력 체계를 제대로 구축하지 못한 점도 마찬가지다 결과적

으로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취약하게 만들 수밖에 없는 것

이다 현 정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기조로 지역 구심성을 강조하

고 있지만 이러한 지원체계의 혁신 없이는 불가능하다

둘째 공급자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에

따라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된 이원적 구조가

고착되면서 교육 내용이나 방법론 확장에 많은 제약이 뒤따랐다 특히

학교에서부터 사회에 이르는 생애 전 과정을 통합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지 못하고 있는 점 각 영역별로 각자의 교육 대상자를 규정하고

있어 교육 대상자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점 등이 문제다 그 결

과 수혜자 수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중복 수혜 대상이 반복적

으로 발생하는가 하면 전혀 수혜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 또한 적지 않다

가령 유아 청년(대학생 또는 청년) 대상 사업이 전무한 실정이고 일부

중장년층이나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운영하고 있지만 실효성

이 낮은 편이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경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사업 중심이어서

사업별로 대상자가 중복되는 경향이 있고 사업 대상을 취약계층으로 규

정한 것은 일종의 낙인효과를 유발함으로써 사업 취지와도 적절하게 부

응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필요를 반영한

교육과정이 설계되지 못했다 한정된 교육 장소 또한 공급자 중심이어서

수혜자 또는 수혜자 집단이 교육 공간에 방문하여 진행하는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다 삶의 질 향상과 생활문화가 중시되는 이즈음 수요자의 생

활 속으로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절실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9

셋째 양적 증대에 비해 질적 성장을 이루지 못했다 이는 교육과정 개

선이나 관리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지 않은 데서 비롯되었다 교육프로

그램 실행이나 효과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을 개선해야 하지만 시스템

부재로 양질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ㆍ보급해 나가는 데 어려움

이 따를 수밖에 없다 현장과 동떨어진 내용을 요구하거나 표준화된 학

습지도안에 따라 기계적인 수업을 강요하는 측면이 있는 반면 교육과정

을 지나치게 자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강사에 따라 내용의 편차가 크게

존재하는 등 교육의 균질성 역시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예술강사의 역

량 강화를 위한 제도나 교육 프로그램 역시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데 의무 연수 규정 또한 폐지되어 전적으로 강사 개인의 자율적 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곧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하락으로 연결된

다 유관기관의 담당자나 학교관계자 교사들의 예술강사에 대한 인식에

도 문제가 있다 학교 관계자는 예술강사를 lsquo교사가 담당하기 어려운 과

목을 단순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rsquo 정도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

어 예술강사의 자긍심을 저하시키고 있다 예술강사(프로그램 준비 실

행) 학교관계자(시수인정 학교 안내 등) 담당교사(수업 시간 조율 준

비와 진행 등에 대한 협조)의 역할 설정 또한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교

육현장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성과를 집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참여 강사 및 단체 프로그

램(교육과정안 및 세부내용) 협력공간에 대한 정보를 생산ㆍ공유할 수

있는 종합 시스템이 미비하다 교육과정안과 세부 수업 내용뿐만 아니라

강사별 단체별 협력공간별 정보를 취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 없어

정보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역 기반의 우

수한 콘텐츠의 생산과 활용 측면에도 충분한 뒷받침을 하지 못하고 있

31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부산 문화 술교육의 과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고려해 볼 때 부산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

화 등 세 영역에서 향후 과제와 전망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1) 지역 문화 술교육 생태계 조성

첫째 서울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등과 같이 교육청 차원에서 별도

의 조례를 마련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재정비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은

정부 문화기관 교육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한 특수 분야다 이러

한 특성을 감안하여 부산시 부산문화재단 부산광역시 교육청은 문화예

술교육 발전 비전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실제 추진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또

한 문화예술교육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지역의 공연기관

박물관 도서관 지역문화원 등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과의 연계와 협력

도 필요하다 예컨대 핀란드의 lsquo뮤지엄 교육rsquo은 뮤지엄 동물원 오페라

극장 등이 학교와 연계하여 만든 프로그램으로 핀란드의 오랜 식민지

역사를 되짚어보고 국가 정체성을 재발견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근대 부

산의 도시 형성 역사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핀란드 교육은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콘텐츠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의 지역 집중성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부산 지역

의 여건과 현황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부산

센터가 더욱 능동적으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향

후 설립될 기초 단위 센터와의 바람직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문

화예술교육 정책의 지역화 초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하지 못

한 문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진흥원과의 유기적 협력

체계를 유지하는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1

해서는 운영 체제를 개편하고 전담 인력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를 활성화해야 한다 국내외 교류를 활발

히 추진함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시켜 나가

고 국내외 우수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콘텐츠의 질적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부산의 문화예술교육 역량에 걸맞은 국제 컨퍼런스

와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시키고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 담론을 생산해야 한다 아울러 양질의 네트워크

를 형성하여 지속적인 교류ㆍ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부산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일도 더없이 중요하다 국내

유관단체와 기관 간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감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자

생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2) 수요자 심의 교육환경 구축

첫째 수요자의 생활권과 연계된 문화예술교육의 기반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기관으

로 리모델링하는 방안 공간을 정비하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을 갖추는

공간 재편 방안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공간을 지속

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 김포가압장을 리모델링하여 아동ㆍ청소년

예술교육센터로 활용하고 있는 서서울예술교육센터 옛 성복보건소 건

물을 리모델링한 서울예술치유허브 등이 좋은 예다 또한 지역민의 생

활권 안에서 자발적으로 문화예술을 즐김으로써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가령 동아리 활동에 전

문가를 매칭하여 지속적ㆍ단계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

법이며 예술 놀이터를 조성하여 누구나 부담 없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사업

도 필요하다 문화예술교육은 지역의 문화유산이나 생활 습속과 연계하

31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여 지역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때 공동체 의식과 바람직한 지역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미국 피츠버그에 소재한 맨체

스터 크래프트 길드(Manchester Craft Guild)의 경우 청소년 시절 도예

교육 미술 지역 공동체의 힘을 깨달은 설립자가 일생 동안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며 지역 공동체의식을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이

외에도 지역에 산재한 여러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교육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망을 정교하게 구축하고 유기적으로 작동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생애주기별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여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

대해야 한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은 생애 전반에 걸쳐 지역

민과 지역공동체의 생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지역형 문화예술

교육 정책의 근간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추진해 오던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여러 이유로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수요자

층을 발굴하고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부산문화재단(부산광역문화교육지원센터) 부

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금정문화재단 등이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수혜 대상자 현황을 살펴보면 취약계층을 포함한 학교 안팎의 청소년이

주된 대상이다 반면 유아ㆍ아동과 청년 대상 사업은 전무하며 노인대

상 사업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이나 시민아카데미 사업 정도

에 불과하다

두루 알다시피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은 유아부터 노인까지 단계적

ㆍ체계적 프로그램을 기획ㆍ운영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할렘 칠드런즈 존(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을 들 수 있다24) lsquo할렘

어린이 구역(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rsquo 프로젝트는 태교부터 직장

24)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KIPP)

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

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67쪽 Harlem Childrenrsquos Zone httpshcz

org2018100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3

에 들어가기까지 교육과 건강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 각자의 건강

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이것이 지역 공동체의 건강한 토대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좋은 예다 이 프로젝트는 영유아 종일 보육센터 학업 성

취를 책임지는 차터 스쿨 건강지원센터 방과 후에 운영되는 아동과 성

인을 위한 주민센터 주말과 여름에 이루어지는 청소년 폭력 방지 등 지

역 주민 전체를 위한 광범위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25)

셋째 수요자의 다양한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창의력과 융합적 사고의 원동력이 되는 인문학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부산문화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인문학 소모임 동아리 출판 지원 등의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감

으로써 다양성을 확보하고 문화예술 기초역량을 배양해 나가는 디딤돌

로 삼아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장을 넓혀 나가는 작업도 필요하

다 스웨덴의 lsquo서커스 시르쾨르rsquo은 좋은 본보기다 이는 서커스를 문화예

술교육에 접목한 사례로 인간의 삶의 균형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다

양한 오브제를 활용하고 신체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다26)

최근 부산에서 장애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장애인 대상 교육단체에 대한 지원과 국가자격증을

갖춘 강사 확보를 통한 전문성 강화 등 관리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또한 지원 대상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미

국 오클랜드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기관 크리에이티

브 그로스 아트센터(Creative Groth Art Center) 사례는 적지 않은 시사

점을 던진다 이 기관은 1974년부터 발달장애인의 예술적 역량과 완성

작품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데 기여해 왔다 장애인 작가들

이 자유로운 예술 감각을 표현하며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 작

업실을 제공하고 국내외 전시를 개최하는 등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

25) 김경애 위의 논문 170쪽

26)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116쪽

31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넷째 영역별 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교문화예술

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되어 있는 구조를 극복하여 문화예술

교육의 실질적 효용을 극대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국립 오페라단의 스

쿨 오페라 프로그램은 좋은 예다 전국의 학교를 대상으로 오페라 교재

와 가수 스태프를 파견하고 의상 등을 지원하며 다양한 교과와 연계하

여 사업을 펼치고 있다 가령 역사 수업에서 오페라의 시대 배경을 제시

하고 국어 수업에서는 연기하는 인물의 감정을 고찰하며 미술 수업에

서는 소도구를 직접 제작해 보기도 한다 경영 수업에서는 입장권을 직

접 판매하는 등 홍보ㆍ마케팅 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역별 연계

활동은 예술가의 자유로운 실험정신과 창의적 사고로 교실에 생기를 불

어넣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27)

3) 문화 술교육 질 기반 고도화

첫째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해 나가는 작업

이 시급하다28) 학교문화예술교육 설문조사 결과29)에 따르면 문화예술

27)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299쪽

28) 부산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서는 고(稿)를 달리하여 논의

할 예정이다

29)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심층면담 결과를(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58-59

쪽) 사회문화예술교육은 2018년 9월 30일 자체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였다 특히 후자는 다음과 같은 문항으로 예술강사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1 참여하고 있는(또는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2 현

재 교육하고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3 현재 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분야와

교육 중인 분야가 일치합니까 4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

니까 5 문화예술교육 경력기간을 선택해 주세요 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까 7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해 받은 연수 프로그램이 있다

면 선택해 주세요 8 2015~2018년 간 이수한 총 연수 시수를 선택해 주세요 8

mdash1 2015년~2018년 간 부산문화재단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

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mdash2 2015년~2018년 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ARTE)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

mdash3 2015년~2018년 간 기타 기관에서 연수받은 적이 있다면 연수기관과 시수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5

교육 강사 재교육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강사 자신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예술강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매몰되면 자칫 기능 중심의 교육이 되기 쉽고 문

화예술교육 고유의 목표에 다가가기 어렵게 된다 예술강사의 질은 문화

예술교육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학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해야 한다 서울형 예술가

교사(TA)는 문화예술 기반 콘텐츠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접목시켜

만든 새로운 강사 모델이다 이들은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철학인 lsquo미

적 체험rsquo을 실현하는 예술교육 전문가로 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뛰

어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인문

ㆍ예술 장르의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내고 있다 초등학교 대상 프로그램 lsquo예

술로 플러스rsquo와 중학생 대상 인문예술교육 lsquo예술로 함께rsquo는 모두 정규과

정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이 있다30) 아울

러 예술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인력 문화예

술교육단체 학교 기관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

식을 개선하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ㆍ단계적인 교

육 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과거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영역에서 교과서

를 표준화했지만 최근에는 강사가 현실 여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되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효과적

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네트워킹

를 기재해 주세요

30)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htmleducationchildaspperMen

uSeq=2ampMenuSeq=3720181006 예술가교사 사이트 httpartsedutasfacork

rhtmlteachingArtchildEdu_introasp20181006

31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인적 자원 정보를 담은 인력 뱅크 콘텐츠 디렉토리 지역

의 문화자원 사업 정보 국내외 동향과 연구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역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과 실태를 조사

ㆍ연구하는 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다 문화예술교육

의 지역 실태 조사는 문화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짧은 주

기로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제를 발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rsquo 발표를 계기로 문

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분

권의 시대가치에 적합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문화예

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

합회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을 중심

으로 기관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은 중앙

과 협력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을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부산

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원사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11: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299

[표 3] 2017 부산광역시교육청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문화예술교육지원

예술동아리 지원 등학생들의 예술동아리 및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함

체험학습 운영

어린이회관

학생교육문화회관

학생예술문화회관 체험실 운영 등

교육기관 체험실 운영 지원 (기자재 구입 및 강사료 등)

축제행사 운영

학생연극제 댄스경연대회

가요제 등학생이 참여하는 모든 예술 축제행사 지원

특별활동 지원

문화예술순회프로그램

문화예술활동 지원

학생비엔날레 개최 등

학생 민간예술단체 교사 단체 등의 활동 지원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시설관리 및 프로그램 운영 지원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기획ㆍ진행하였다 반면 부산광역시교육청 문화예

술교육 지원사업은 크게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

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

원으로 나눌 수 있다 이것은 부산광역시교육청의 lsquo학교문화예술교육 활

성화 종합계획rsquo에 따라 운영되며 완만한 예산 변동으로 사업내용에는

큰 변화가 없는 편이다

이외에도 부산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 현황을 제시하면 다음

과 같다17)

작은 도서관지원사업

열악한 환경에서도 예술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에게 예술교육 프로그램 제공 예술교육 활성화 및 예술 환경 조성을 위함(부산 느티나무 도서관 외 4곳)

초ㆍ중학생 대상

30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표 4] 2017 기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17) 「부산시 문화예술교육사업 취합 자료」 부산시 문화관광국 2017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부산시

구ㆍ군 문화예술교육모델

발굴 지원

중구mdash닥종이 공예교실 운영 -저소득 주민 대상부산진구mdash청소년예술학교 운영 -초등학교 1학년~중학교 3학년 대상

문화예술 낙후지역 학생오케스트라 사업

예술적 소양과 바람직한 인성 함양소외ㆍ취약 지역 학교폭력이 심각한 지역 학교 학생 대상

구별 단위사업

문화학교 운영

문화강좌를 통해 지역민의 자기계발 및 건전한 여가선용을 제공하기 위해 지역문화예술 진흥 차원에서 시작된 사업

지역민 누구나

소년소녀합창단 및 청소년 오케스트라

운영 지원

청소년의 정서 함양과 예술적 기량 향상을 통해 전문 음악예술인으로 성장하는 기반 마련

초ㆍ중ㆍ고 학생 대상

유소년 타악기오케스트라

창의력 발달과 인성 형성에 도움을 주며 체계적인 연주 지도를 통하여 음악인재를 육성하고 배움을 통한 재능을 사회에 기여케 하고자 추진

초ㆍ중학생 대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예술감상교육

예술감상교육체험 프로그램 운영으로 청소년의 자발적 문화예술 향유 능력 제고

초ㆍ중학생 및 가족 200여명

한울타리 오케스트라

음악을 통한 행복학습도시 조성 구민 오케스트라 교육 운영을 통한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

일반성인 대상

해운대구립예술단(소년소녀합창단 청소년오케스트라 여성합창단) 운영 지원

구민의 정서함양과 여가선용 및 자기계발 기회 제공과 지역문화예술발전 도모

구ㆍ군 문화예술교육모델 발굴 지원청소년예술학교

운영

구청사 내 청소년 문화예술 전문학교 설립 우수하고 체계적인 예술교육을 통해 청소년의 정서 함양 도모 예술인재 조기 발굴 및 육성

초등학교 1학년~중학교 3학년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1

부산시 주관 사업이나 구 단위 사업도 중요하지만 금정문화재단의 사

업이 눈에 띤다 금정문화재단은 2016년 6월에 구 단위 문화재단으로는

최초로 부산 금정구에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에는 lsquo유네스코 세계문화유

산교실 교육 콘텐츠 개발rsquo 사업만 유일하게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7년 세계시민의식을 주제로 한 lsquo일상 다 예술rsquo이라는 청소년 창의 프

로젝트를 열었다 이는 음악 무용 연극 장르 간 협력을 통해 창작과 제

작 과정 공연에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이다 총 8차시(8차시times4시간)로

진행된 이 사업을 시작으로 2018년에는 lsquo예술일주rsquo 프로젝트를 선보임으

로써 다양한 예술장르와 청소년의 만남을 이루어 내었다는 점에서 긍정

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2) 학교문화 술교육

학교문화예술교육은 크게 학교 예술강사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청소년복화문화센터 놀이마루18) 사업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학교 예술강사 사업은 국악 분야 lsquo강사풀제rsquo(2000) 시범 도입을

청소년 문학아카데미 운영

청소년들의 예술적 자질 발굴초등학교 5학년~고등학교 1학년 작가 지망생 대상

평생학습관 운영

다양한 평생교육 문화프로그램 개설로 지역주민에게 자기계발과 문화향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문화예술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 수행

관내 지역주민

문화강좌 운영 지역주민에게 자기계발과 문화향유 기회 제공

도서관 이용 활성화 도모관내 지역주민

금정문화재단

일상 다 예술금정구 관내 청소년들에게 예술가와의 만남으로 통합적 예술체험기회 제공 창의적 사고 배양

중등학생 대상

세계무형문화유산교실세계무형문화유산 교육프로그램을 추진 다음 세대의 문화다양성 및 문화유산 보존 의식 증진

금정구 관내 6개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30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계기로 정책사업의 기본틀을 마련하였다 이후 이 사업은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의 핵심사업인 lsquo예술강사 지원사업rsquo의 모태가 되었다 학교 예술

강사 사업의 교육목표는 창의성 감수성 문화시민 인성 소통과 공감

등 예술적 가치와 교육적 가치를 포괄하고 있다 교육 장르를 지속적으

로 확대하면서 현재 8개 장르(국악 연극 영화 무용 만화애니매이션

공예 사진 디자인)로 확대ㆍ운영하고 있다 부산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운영주체는 진흥원에서 2011년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로 이관되었

으며 2017년부터는 공모를 통해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가 운영하고

있다 학교 예술강사가 파견되는 수업은 교육과정 내 문화예술교육으로

기본교과 또는 창의적 체험활동에 속한다

2017년 강사 수는 총 375명으로 국악분야 140명이며 그 외 7개 분야

235명이다 2017년 부산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

악이 전체의 376 무용이 228 연극이 164를 차지한다19) 국악 비

중이 높은 이유는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역사와 맥락을 같이하기

때문으로 보이며 향후 영역별 균형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출강학교 수는 전체 518개교였다 학교 수는 2015년 495개교에서 2016년

522개교로 23개교(55) 증가하였고 2017년에는 다시 529개교로 소폭

증가하였다 학교 예술강사 파견에 따른 교육 총시수는 2015년 53284시

수 2016년 55323시수 2017년 87753시수로 해를 거듭할수록 점진적으

로 증가하였다 배정된 학교에 시수를 최대치로 부여함으로써 참여 학교

수는 줄었으나 교육 시수는 오히려 증가한 결과다 교육시수가 증가된

현실과는 무관하게 수혜 대상 학교가 절차상의 문제로 취소ㆍ포기하는

사태가 빚어졌다는 점은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이 지닌 문제점 가운데

18) 서면 중앙중학교가 이전한 뒤 놀이와 체험 위주의 청소년복합문화센터로 자리

잡은 놀이마루는 2016년 9월 28일 부산광역시교육청이 시설 운영을 부산문화재

단이 프로그램 제공과 관리를 맡는 체제로 개관하였다 놀이마루 프로그램은

2017년에는 드림교육센터가 2018년 다시 부산문화재단이 위탁ㆍ운영하고 있다

19) 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17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3

하나라 볼 수 있다 교육과정 운영은 엄격한 편이다 하지만 강사의 개인

역량과 수업 환경에 따라 일정 부분 유연성을 인정하고 허용하는 추세

다 학교문화예술교육에서 강사의 자율성과 교육의 균질성 확보 사이의

균형 역시 연구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

참여학교는 부산광역시교육청에 등록된 특수학교를 포함한 초ㆍ중ㆍ

고등학교가 2017년 기준 643개교에 이른다 초등은 308개교(479) 중

등은 174개교(271) 고등은 146개교(227) 특수학교는 15개교(23)

로 초등학교가 가장 많다 2017년 기준 참여 학교 수도 초등 296개교

중등 150개교 고등은 69개교 특수학교 14개교가 학교 예술강사 파견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특수학교는 1개교만 제외하고 모

두 문화예술교육 수혜를 받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고등학교는 50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데 입시제도의 문제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 본다

중학교 역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여전히 문화예술교육의 수혜

를 받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이 많다

사업비는 2015년 4247875천원 2016년 4322382천원 2017년

5230088천원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2016년과

비교하여 20117년 예산이 21나 증가한 것은 교육시수의 증가와 밀접

한 관련이 있다

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는

기획사업으로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과 lsquo작은 도서관 지원rsquo 사업을

진행하였다 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의 프로그램 구성은 진로 강연과

문화예술교육으로 구분된다 문화예술교육 수업에는 뮤지컬 연극 영화

제작 무대디자인 목공예 오페라 전통연희 공연디렉팅이 있다 수업은

3일 총 6시간(1학교 1일 2회 2시간씩) 진행되었으며 사업 예산은 90000

천원으로 주로 강사료와 재료비로 충당되었다

30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사회문화 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은 학교문화예술교육 대상을 포함한 유아부터 노인

까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며 특히 취약계층이 문화예술을 풍부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은 강사

(또는 단체)가 교육프로그램을 직접 개발ㆍ보급하는 형태로 1년 단위 공

모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강사가 보유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제외한 모

든 운영과 관련된 내용은 진흥원과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

센터)의 운영 지침에 따른다 대표적인 것이 lsquo꿈다락 토요문화학교rsquo와 lsquo지

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rsquo 사업이다

첫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학교 밖 전문 문화예술 기관이나 단체에

서 학령기 아동ㆍ청소년과 그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다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매개로 가족이나 또래 간 소통할 수 있는 새로

운 여가문화를 조성하고 학습의 장을 지역사회로 확대하여 학교mdash가정

mdash지역사회 연계의 교육 공동체를 구축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학

교제도와는 차별화된 문화예술교육 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문화예술교

육에서 소외되었던 대상들에게도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상상력과 소통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2015년 34개 단체의 34개 프로그램 2016년 일

반공모 39개 단체ㆍ기획공모 8개 단체의 55개 프로그램 2017년 50개 단

체 54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교육 참여인원은 2015년 1081명

2016년 2108명 2017년 2091명에 이른다 예산 규모는 국비와 시비 11

매칭 방식으로 2015년 912500천원 2016년 1824000천원 2017년

1642000천원이다 초기에는 특정 구 단위에 편중되었지만 해를 거듭할

수록 구 단위 참여 지역의 편차를 줄이는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2015년

금정구와 부산진구 사상구에서 4개 동래구와 연제구 북구에서 3개 그

외 영도구 중구 기장군 사하구 남구에서 각각 2개 동구에서 1개의 프

로그램을 2016년에는 서구와 강서구가 추가되면서 부산 18개 지역 전체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5

에서 실시되었다 이 역시 예산 증액에 따른 참여단체 수 증가와 문화예

술교육 수요의 증가에 따른 결과라 할 수 있다 2017년에는 해운대구에

서만 7개의 단체가 8개 프로그램을 금정구에서는 5개의 단체가 7개 프

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다음으로 부산진구와 동래구 수영구가 각각 5개

단체에서 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산은 2015년 912500천원 2016년도 1824000

천원으로 2배나 증가하면서 34개 단체에서 34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던

데서 나아가 47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성과를 내었다

교육 참여자 수 또한 1081명에서 2108명으로 1000명이나 증가하였다

예산 증가에 따른 사업단체 단체 수의 증가 프로그램의 다양성 수요에

따른 교육 참여자 수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물론 재단의 까다로운 문화행정 강사들의 안일한 수업 태도와 전문성

결여 등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2017년 예산은 2016년 대

비 2억원이 축소되었으나 51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2091명이 문화예술교육의 수혜를 입었다 이것은 신규단체 또는 3년 미

만의 사업단체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참여자를 기수를 나누어 진행하

던 기존 방식에서 1기수 20명으로 전환하거나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

이기 위하여 1년 완성형 프로그램 방식을 도입한 데 따른 결과라 볼 수

있다

둘째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주민과 예술가의 소통을

지원하는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환경 조성을 통하여 문화격차 해소

지역공동체 문화회복 학습자 개인의 성장을 넘어 일상 속 지역문화공동

체 모델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문화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15년 17개 단체의 17개 프로그램에 총 385명이 2016년에는 16개의

일반공모와 1개의 기획공모사업에 345명이 참여하여 다양한 교육을 받

았다 2017년에는 15개의 일반공모 단체와 1개의 기획공모 단체가 397명

30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의 지역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

램을 진행하였다 예산은 국비와 시비 11매칭으로 2015년에서 2017년까

지 3년간 동일하게 294000천원으로 편성ㆍ운영되었다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지역민과 예술가 또는 예술단체

가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

역민과의 소통을 전제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3년간 참여한 지역과 단

체 개발된 프로그램의 확산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예

산 증액 없이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확대와 발전을 기대

하기 어렵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준다

4) 부산 문화 술교육의 성과와 한계

지난 15년 간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다음과 같은 성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하

는 제도적 기초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lsquo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

원 조례rsquo는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제도적 장치로 문화예술교육이 시민

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부산문화 역량 강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명시

하고 있다20) 이는 예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하는 근거가 된다 그러

나 서울 경기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대전광역시21) 등에서는 교

육청이 문화예술교육 진흥과 관련한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 중인 것과

비교하면 부산은 제도적 기반이 여전히 충분하지 않고 유관기관 간의

협력 체제가 공고하게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둘째 예산을 확대 편성하여 안정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양적 성장을 이

루었다 부산에서는 국비와 시비 자체 사업비 등을 포함하여 국악분야

20) 「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원 조례」 제3조(기본원칙) 2항에서 ldquo모든 시민은

나이 성별 장애 사회적 신분 경제적 여건 거주지역 등에 관계없이 자신의 관

심과 적성에 따라 평생에 걸쳐 문화예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받는다rdquo고 명시하고 있다

21) 대전광역시교육청은 장애학생 문화예술 지원 조례를 두고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7

예술강사 지원사업 18억원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24억원 사회문화예

술교육 등 그밖의 사업에 25억원 정도의 사업비가 매년 투입되었다 이

를 통해 사업 대상과 규모를 확대할 수 있었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경

우 연간 500여 개의 학교가 참여하였고 교육 시수는 5만~8만 시간 정

도 운영되었다 예술강사가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수혜자 수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공간과 시설 등 인프라 확충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양적 증대에 따라 교육 공간과 시설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되면서

부산시나 구 단위에서 문화예술교육 거점 공간을 조성하거나 지역의 특

정 공간을 문화예술교육공간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청소

년 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는 개관 초기부터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끌었

으며 문화예술교육 공간과 콘텐츠 면에서 우수 사례로 벤치마킹되고 있

셋째 양적 성장을 기초로 유추해 볼 때 문화예술교육과 함께 성장한

교육 수혜자들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

이 확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22) 문화예술교육 경험자는 개인의 행복감

이나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비경험자보다 긍정적 결과를 보인다고 한

다23) 앞으로도 문화예술 영역의 외연 확장과 더불어 지역 정체성의 발

견과 확립 지역민의 삶의 질 개선 지역 경제와의 연계 도시 재생 지역

발전 견인 등과 적절하게 결부시킴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사회

적으로 확산시켜 나갈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 반해 문제점과 한계 또한 적지 않다

첫째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를 들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지원체계

는 중앙정부에서 예산을 일방적으로 편성하여 지자체에 배정하는 방식

을 취하고 있으며 사업 또한 동일한 방식을 유지해 왔다 이러한 정부

22) 앞으로 문화예술교육 수혜자들이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으로 나아가는 사례

를 면밀히 분석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사회 활동에서 비수혜자들과 어떤

차이를 드러내는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2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30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주도의 중앙집중형 지원 시스템은 지역의 현실과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

지 못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지역적 기반과 문화적 응전력 자생력을 현

격하게 약화시킨다 지역의 문화자원(유관기관 문화예술단체 등)과 인

적 자원의 협력 체계를 제대로 구축하지 못한 점도 마찬가지다 결과적

으로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취약하게 만들 수밖에 없는 것

이다 현 정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기조로 지역 구심성을 강조하

고 있지만 이러한 지원체계의 혁신 없이는 불가능하다

둘째 공급자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에

따라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된 이원적 구조가

고착되면서 교육 내용이나 방법론 확장에 많은 제약이 뒤따랐다 특히

학교에서부터 사회에 이르는 생애 전 과정을 통합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지 못하고 있는 점 각 영역별로 각자의 교육 대상자를 규정하고

있어 교육 대상자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점 등이 문제다 그 결

과 수혜자 수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중복 수혜 대상이 반복적

으로 발생하는가 하면 전혀 수혜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 또한 적지 않다

가령 유아 청년(대학생 또는 청년) 대상 사업이 전무한 실정이고 일부

중장년층이나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운영하고 있지만 실효성

이 낮은 편이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경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사업 중심이어서

사업별로 대상자가 중복되는 경향이 있고 사업 대상을 취약계층으로 규

정한 것은 일종의 낙인효과를 유발함으로써 사업 취지와도 적절하게 부

응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필요를 반영한

교육과정이 설계되지 못했다 한정된 교육 장소 또한 공급자 중심이어서

수혜자 또는 수혜자 집단이 교육 공간에 방문하여 진행하는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다 삶의 질 향상과 생활문화가 중시되는 이즈음 수요자의 생

활 속으로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절실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9

셋째 양적 증대에 비해 질적 성장을 이루지 못했다 이는 교육과정 개

선이나 관리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지 않은 데서 비롯되었다 교육프로

그램 실행이나 효과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을 개선해야 하지만 시스템

부재로 양질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ㆍ보급해 나가는 데 어려움

이 따를 수밖에 없다 현장과 동떨어진 내용을 요구하거나 표준화된 학

습지도안에 따라 기계적인 수업을 강요하는 측면이 있는 반면 교육과정

을 지나치게 자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강사에 따라 내용의 편차가 크게

존재하는 등 교육의 균질성 역시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예술강사의 역

량 강화를 위한 제도나 교육 프로그램 역시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데 의무 연수 규정 또한 폐지되어 전적으로 강사 개인의 자율적 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곧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하락으로 연결된

다 유관기관의 담당자나 학교관계자 교사들의 예술강사에 대한 인식에

도 문제가 있다 학교 관계자는 예술강사를 lsquo교사가 담당하기 어려운 과

목을 단순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rsquo 정도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

어 예술강사의 자긍심을 저하시키고 있다 예술강사(프로그램 준비 실

행) 학교관계자(시수인정 학교 안내 등) 담당교사(수업 시간 조율 준

비와 진행 등에 대한 협조)의 역할 설정 또한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교

육현장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성과를 집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참여 강사 및 단체 프로그

램(교육과정안 및 세부내용) 협력공간에 대한 정보를 생산ㆍ공유할 수

있는 종합 시스템이 미비하다 교육과정안과 세부 수업 내용뿐만 아니라

강사별 단체별 협력공간별 정보를 취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 없어

정보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역 기반의 우

수한 콘텐츠의 생산과 활용 측면에도 충분한 뒷받침을 하지 못하고 있

31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부산 문화 술교육의 과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고려해 볼 때 부산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

화 등 세 영역에서 향후 과제와 전망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1) 지역 문화 술교육 생태계 조성

첫째 서울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등과 같이 교육청 차원에서 별도

의 조례를 마련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재정비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은

정부 문화기관 교육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한 특수 분야다 이러

한 특성을 감안하여 부산시 부산문화재단 부산광역시 교육청은 문화예

술교육 발전 비전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실제 추진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또

한 문화예술교육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지역의 공연기관

박물관 도서관 지역문화원 등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과의 연계와 협력

도 필요하다 예컨대 핀란드의 lsquo뮤지엄 교육rsquo은 뮤지엄 동물원 오페라

극장 등이 학교와 연계하여 만든 프로그램으로 핀란드의 오랜 식민지

역사를 되짚어보고 국가 정체성을 재발견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근대 부

산의 도시 형성 역사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핀란드 교육은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콘텐츠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의 지역 집중성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부산 지역

의 여건과 현황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부산

센터가 더욱 능동적으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향

후 설립될 기초 단위 센터와의 바람직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문

화예술교육 정책의 지역화 초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하지 못

한 문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진흥원과의 유기적 협력

체계를 유지하는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1

해서는 운영 체제를 개편하고 전담 인력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를 활성화해야 한다 국내외 교류를 활발

히 추진함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시켜 나가

고 국내외 우수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콘텐츠의 질적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부산의 문화예술교육 역량에 걸맞은 국제 컨퍼런스

와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시키고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 담론을 생산해야 한다 아울러 양질의 네트워크

를 형성하여 지속적인 교류ㆍ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부산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일도 더없이 중요하다 국내

유관단체와 기관 간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감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자

생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2) 수요자 심의 교육환경 구축

첫째 수요자의 생활권과 연계된 문화예술교육의 기반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기관으

로 리모델링하는 방안 공간을 정비하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을 갖추는

공간 재편 방안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공간을 지속

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 김포가압장을 리모델링하여 아동ㆍ청소년

예술교육센터로 활용하고 있는 서서울예술교육센터 옛 성복보건소 건

물을 리모델링한 서울예술치유허브 등이 좋은 예다 또한 지역민의 생

활권 안에서 자발적으로 문화예술을 즐김으로써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가령 동아리 활동에 전

문가를 매칭하여 지속적ㆍ단계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

법이며 예술 놀이터를 조성하여 누구나 부담 없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사업

도 필요하다 문화예술교육은 지역의 문화유산이나 생활 습속과 연계하

31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여 지역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때 공동체 의식과 바람직한 지역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미국 피츠버그에 소재한 맨체

스터 크래프트 길드(Manchester Craft Guild)의 경우 청소년 시절 도예

교육 미술 지역 공동체의 힘을 깨달은 설립자가 일생 동안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며 지역 공동체의식을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이

외에도 지역에 산재한 여러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교육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망을 정교하게 구축하고 유기적으로 작동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생애주기별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여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

대해야 한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은 생애 전반에 걸쳐 지역

민과 지역공동체의 생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지역형 문화예술

교육 정책의 근간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추진해 오던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여러 이유로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수요자

층을 발굴하고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부산문화재단(부산광역문화교육지원센터) 부

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금정문화재단 등이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수혜 대상자 현황을 살펴보면 취약계층을 포함한 학교 안팎의 청소년이

주된 대상이다 반면 유아ㆍ아동과 청년 대상 사업은 전무하며 노인대

상 사업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이나 시민아카데미 사업 정도

에 불과하다

두루 알다시피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은 유아부터 노인까지 단계적

ㆍ체계적 프로그램을 기획ㆍ운영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할렘 칠드런즈 존(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을 들 수 있다24) lsquo할렘

어린이 구역(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rsquo 프로젝트는 태교부터 직장

24)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KIPP)

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

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67쪽 Harlem Childrenrsquos Zone httpshcz

org2018100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3

에 들어가기까지 교육과 건강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 각자의 건강

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이것이 지역 공동체의 건강한 토대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좋은 예다 이 프로젝트는 영유아 종일 보육센터 학업 성

취를 책임지는 차터 스쿨 건강지원센터 방과 후에 운영되는 아동과 성

인을 위한 주민센터 주말과 여름에 이루어지는 청소년 폭력 방지 등 지

역 주민 전체를 위한 광범위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25)

셋째 수요자의 다양한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창의력과 융합적 사고의 원동력이 되는 인문학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부산문화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인문학 소모임 동아리 출판 지원 등의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감

으로써 다양성을 확보하고 문화예술 기초역량을 배양해 나가는 디딤돌

로 삼아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장을 넓혀 나가는 작업도 필요하

다 스웨덴의 lsquo서커스 시르쾨르rsquo은 좋은 본보기다 이는 서커스를 문화예

술교육에 접목한 사례로 인간의 삶의 균형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다

양한 오브제를 활용하고 신체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다26)

최근 부산에서 장애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장애인 대상 교육단체에 대한 지원과 국가자격증을

갖춘 강사 확보를 통한 전문성 강화 등 관리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또한 지원 대상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미

국 오클랜드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기관 크리에이티

브 그로스 아트센터(Creative Groth Art Center) 사례는 적지 않은 시사

점을 던진다 이 기관은 1974년부터 발달장애인의 예술적 역량과 완성

작품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데 기여해 왔다 장애인 작가들

이 자유로운 예술 감각을 표현하며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 작

업실을 제공하고 국내외 전시를 개최하는 등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

25) 김경애 위의 논문 170쪽

26)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116쪽

31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넷째 영역별 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교문화예술

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되어 있는 구조를 극복하여 문화예술

교육의 실질적 효용을 극대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국립 오페라단의 스

쿨 오페라 프로그램은 좋은 예다 전국의 학교를 대상으로 오페라 교재

와 가수 스태프를 파견하고 의상 등을 지원하며 다양한 교과와 연계하

여 사업을 펼치고 있다 가령 역사 수업에서 오페라의 시대 배경을 제시

하고 국어 수업에서는 연기하는 인물의 감정을 고찰하며 미술 수업에

서는 소도구를 직접 제작해 보기도 한다 경영 수업에서는 입장권을 직

접 판매하는 등 홍보ㆍ마케팅 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역별 연계

활동은 예술가의 자유로운 실험정신과 창의적 사고로 교실에 생기를 불

어넣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27)

3) 문화 술교육 질 기반 고도화

첫째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해 나가는 작업

이 시급하다28) 학교문화예술교육 설문조사 결과29)에 따르면 문화예술

27)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299쪽

28) 부산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서는 고(稿)를 달리하여 논의

할 예정이다

29)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심층면담 결과를(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58-59

쪽) 사회문화예술교육은 2018년 9월 30일 자체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였다 특히 후자는 다음과 같은 문항으로 예술강사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1 참여하고 있는(또는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2 현

재 교육하고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3 현재 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분야와

교육 중인 분야가 일치합니까 4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

니까 5 문화예술교육 경력기간을 선택해 주세요 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까 7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해 받은 연수 프로그램이 있다

면 선택해 주세요 8 2015~2018년 간 이수한 총 연수 시수를 선택해 주세요 8

mdash1 2015년~2018년 간 부산문화재단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

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mdash2 2015년~2018년 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ARTE)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

mdash3 2015년~2018년 간 기타 기관에서 연수받은 적이 있다면 연수기관과 시수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5

교육 강사 재교육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강사 자신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예술강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매몰되면 자칫 기능 중심의 교육이 되기 쉽고 문

화예술교육 고유의 목표에 다가가기 어렵게 된다 예술강사의 질은 문화

예술교육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학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해야 한다 서울형 예술가

교사(TA)는 문화예술 기반 콘텐츠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접목시켜

만든 새로운 강사 모델이다 이들은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철학인 lsquo미

적 체험rsquo을 실현하는 예술교육 전문가로 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뛰

어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인문

ㆍ예술 장르의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내고 있다 초등학교 대상 프로그램 lsquo예

술로 플러스rsquo와 중학생 대상 인문예술교육 lsquo예술로 함께rsquo는 모두 정규과

정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이 있다30) 아울

러 예술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인력 문화예

술교육단체 학교 기관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

식을 개선하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ㆍ단계적인 교

육 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과거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영역에서 교과서

를 표준화했지만 최근에는 강사가 현실 여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되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효과적

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네트워킹

를 기재해 주세요

30)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htmleducationchildaspperMen

uSeq=2ampMenuSeq=3720181006 예술가교사 사이트 httpartsedutasfacork

rhtmlteachingArtchildEdu_introasp20181006

31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인적 자원 정보를 담은 인력 뱅크 콘텐츠 디렉토리 지역

의 문화자원 사업 정보 국내외 동향과 연구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역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과 실태를 조사

ㆍ연구하는 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다 문화예술교육

의 지역 실태 조사는 문화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짧은 주

기로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제를 발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rsquo 발표를 계기로 문

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분

권의 시대가치에 적합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문화예

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

합회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을 중심

으로 기관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은 중앙

과 협력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을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부산

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원사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12: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30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표 4] 2017 기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17) 「부산시 문화예술교육사업 취합 자료」 부산시 문화관광국 2017

구분 사업명 사업 내용

부산시

구ㆍ군 문화예술교육모델

발굴 지원

중구mdash닥종이 공예교실 운영 -저소득 주민 대상부산진구mdash청소년예술학교 운영 -초등학교 1학년~중학교 3학년 대상

문화예술 낙후지역 학생오케스트라 사업

예술적 소양과 바람직한 인성 함양소외ㆍ취약 지역 학교폭력이 심각한 지역 학교 학생 대상

구별 단위사업

문화학교 운영

문화강좌를 통해 지역민의 자기계발 및 건전한 여가선용을 제공하기 위해 지역문화예술 진흥 차원에서 시작된 사업

지역민 누구나

소년소녀합창단 및 청소년 오케스트라

운영 지원

청소년의 정서 함양과 예술적 기량 향상을 통해 전문 음악예술인으로 성장하는 기반 마련

초ㆍ중ㆍ고 학생 대상

유소년 타악기오케스트라

창의력 발달과 인성 형성에 도움을 주며 체계적인 연주 지도를 통하여 음악인재를 육성하고 배움을 통한 재능을 사회에 기여케 하고자 추진

초ㆍ중학생 대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예술감상교육

예술감상교육체험 프로그램 운영으로 청소년의 자발적 문화예술 향유 능력 제고

초ㆍ중학생 및 가족 200여명

한울타리 오케스트라

음악을 통한 행복학습도시 조성 구민 오케스트라 교육 운영을 통한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

일반성인 대상

해운대구립예술단(소년소녀합창단 청소년오케스트라 여성합창단) 운영 지원

구민의 정서함양과 여가선용 및 자기계발 기회 제공과 지역문화예술발전 도모

구ㆍ군 문화예술교육모델 발굴 지원청소년예술학교

운영

구청사 내 청소년 문화예술 전문학교 설립 우수하고 체계적인 예술교육을 통해 청소년의 정서 함양 도모 예술인재 조기 발굴 및 육성

초등학교 1학년~중학교 3학년 대상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1

부산시 주관 사업이나 구 단위 사업도 중요하지만 금정문화재단의 사

업이 눈에 띤다 금정문화재단은 2016년 6월에 구 단위 문화재단으로는

최초로 부산 금정구에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에는 lsquo유네스코 세계문화유

산교실 교육 콘텐츠 개발rsquo 사업만 유일하게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7년 세계시민의식을 주제로 한 lsquo일상 다 예술rsquo이라는 청소년 창의 프

로젝트를 열었다 이는 음악 무용 연극 장르 간 협력을 통해 창작과 제

작 과정 공연에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이다 총 8차시(8차시times4시간)로

진행된 이 사업을 시작으로 2018년에는 lsquo예술일주rsquo 프로젝트를 선보임으

로써 다양한 예술장르와 청소년의 만남을 이루어 내었다는 점에서 긍정

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2) 학교문화 술교육

학교문화예술교육은 크게 학교 예술강사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청소년복화문화센터 놀이마루18) 사업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학교 예술강사 사업은 국악 분야 lsquo강사풀제rsquo(2000) 시범 도입을

청소년 문학아카데미 운영

청소년들의 예술적 자질 발굴초등학교 5학년~고등학교 1학년 작가 지망생 대상

평생학습관 운영

다양한 평생교육 문화프로그램 개설로 지역주민에게 자기계발과 문화향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문화예술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 수행

관내 지역주민

문화강좌 운영 지역주민에게 자기계발과 문화향유 기회 제공

도서관 이용 활성화 도모관내 지역주민

금정문화재단

일상 다 예술금정구 관내 청소년들에게 예술가와의 만남으로 통합적 예술체험기회 제공 창의적 사고 배양

중등학생 대상

세계무형문화유산교실세계무형문화유산 교육프로그램을 추진 다음 세대의 문화다양성 및 문화유산 보존 의식 증진

금정구 관내 6개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30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계기로 정책사업의 기본틀을 마련하였다 이후 이 사업은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의 핵심사업인 lsquo예술강사 지원사업rsquo의 모태가 되었다 학교 예술

강사 사업의 교육목표는 창의성 감수성 문화시민 인성 소통과 공감

등 예술적 가치와 교육적 가치를 포괄하고 있다 교육 장르를 지속적으

로 확대하면서 현재 8개 장르(국악 연극 영화 무용 만화애니매이션

공예 사진 디자인)로 확대ㆍ운영하고 있다 부산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운영주체는 진흥원에서 2011년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로 이관되었

으며 2017년부터는 공모를 통해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가 운영하고

있다 학교 예술강사가 파견되는 수업은 교육과정 내 문화예술교육으로

기본교과 또는 창의적 체험활동에 속한다

2017년 강사 수는 총 375명으로 국악분야 140명이며 그 외 7개 분야

235명이다 2017년 부산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

악이 전체의 376 무용이 228 연극이 164를 차지한다19) 국악 비

중이 높은 이유는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역사와 맥락을 같이하기

때문으로 보이며 향후 영역별 균형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출강학교 수는 전체 518개교였다 학교 수는 2015년 495개교에서 2016년

522개교로 23개교(55) 증가하였고 2017년에는 다시 529개교로 소폭

증가하였다 학교 예술강사 파견에 따른 교육 총시수는 2015년 53284시

수 2016년 55323시수 2017년 87753시수로 해를 거듭할수록 점진적으

로 증가하였다 배정된 학교에 시수를 최대치로 부여함으로써 참여 학교

수는 줄었으나 교육 시수는 오히려 증가한 결과다 교육시수가 증가된

현실과는 무관하게 수혜 대상 학교가 절차상의 문제로 취소ㆍ포기하는

사태가 빚어졌다는 점은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이 지닌 문제점 가운데

18) 서면 중앙중학교가 이전한 뒤 놀이와 체험 위주의 청소년복합문화센터로 자리

잡은 놀이마루는 2016년 9월 28일 부산광역시교육청이 시설 운영을 부산문화재

단이 프로그램 제공과 관리를 맡는 체제로 개관하였다 놀이마루 프로그램은

2017년에는 드림교육센터가 2018년 다시 부산문화재단이 위탁ㆍ운영하고 있다

19) 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17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3

하나라 볼 수 있다 교육과정 운영은 엄격한 편이다 하지만 강사의 개인

역량과 수업 환경에 따라 일정 부분 유연성을 인정하고 허용하는 추세

다 학교문화예술교육에서 강사의 자율성과 교육의 균질성 확보 사이의

균형 역시 연구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

참여학교는 부산광역시교육청에 등록된 특수학교를 포함한 초ㆍ중ㆍ

고등학교가 2017년 기준 643개교에 이른다 초등은 308개교(479) 중

등은 174개교(271) 고등은 146개교(227) 특수학교는 15개교(23)

로 초등학교가 가장 많다 2017년 기준 참여 학교 수도 초등 296개교

중등 150개교 고등은 69개교 특수학교 14개교가 학교 예술강사 파견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특수학교는 1개교만 제외하고 모

두 문화예술교육 수혜를 받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고등학교는 50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데 입시제도의 문제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 본다

중학교 역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여전히 문화예술교육의 수혜

를 받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이 많다

사업비는 2015년 4247875천원 2016년 4322382천원 2017년

5230088천원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2016년과

비교하여 20117년 예산이 21나 증가한 것은 교육시수의 증가와 밀접

한 관련이 있다

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는

기획사업으로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과 lsquo작은 도서관 지원rsquo 사업을

진행하였다 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의 프로그램 구성은 진로 강연과

문화예술교육으로 구분된다 문화예술교육 수업에는 뮤지컬 연극 영화

제작 무대디자인 목공예 오페라 전통연희 공연디렉팅이 있다 수업은

3일 총 6시간(1학교 1일 2회 2시간씩) 진행되었으며 사업 예산은 90000

천원으로 주로 강사료와 재료비로 충당되었다

30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사회문화 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은 학교문화예술교육 대상을 포함한 유아부터 노인

까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며 특히 취약계층이 문화예술을 풍부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은 강사

(또는 단체)가 교육프로그램을 직접 개발ㆍ보급하는 형태로 1년 단위 공

모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강사가 보유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제외한 모

든 운영과 관련된 내용은 진흥원과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

센터)의 운영 지침에 따른다 대표적인 것이 lsquo꿈다락 토요문화학교rsquo와 lsquo지

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rsquo 사업이다

첫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학교 밖 전문 문화예술 기관이나 단체에

서 학령기 아동ㆍ청소년과 그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다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매개로 가족이나 또래 간 소통할 수 있는 새로

운 여가문화를 조성하고 학습의 장을 지역사회로 확대하여 학교mdash가정

mdash지역사회 연계의 교육 공동체를 구축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학

교제도와는 차별화된 문화예술교육 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문화예술교

육에서 소외되었던 대상들에게도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상상력과 소통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2015년 34개 단체의 34개 프로그램 2016년 일

반공모 39개 단체ㆍ기획공모 8개 단체의 55개 프로그램 2017년 50개 단

체 54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교육 참여인원은 2015년 1081명

2016년 2108명 2017년 2091명에 이른다 예산 규모는 국비와 시비 11

매칭 방식으로 2015년 912500천원 2016년 1824000천원 2017년

1642000천원이다 초기에는 특정 구 단위에 편중되었지만 해를 거듭할

수록 구 단위 참여 지역의 편차를 줄이는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2015년

금정구와 부산진구 사상구에서 4개 동래구와 연제구 북구에서 3개 그

외 영도구 중구 기장군 사하구 남구에서 각각 2개 동구에서 1개의 프

로그램을 2016년에는 서구와 강서구가 추가되면서 부산 18개 지역 전체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5

에서 실시되었다 이 역시 예산 증액에 따른 참여단체 수 증가와 문화예

술교육 수요의 증가에 따른 결과라 할 수 있다 2017년에는 해운대구에

서만 7개의 단체가 8개 프로그램을 금정구에서는 5개의 단체가 7개 프

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다음으로 부산진구와 동래구 수영구가 각각 5개

단체에서 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산은 2015년 912500천원 2016년도 1824000

천원으로 2배나 증가하면서 34개 단체에서 34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던

데서 나아가 47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성과를 내었다

교육 참여자 수 또한 1081명에서 2108명으로 1000명이나 증가하였다

예산 증가에 따른 사업단체 단체 수의 증가 프로그램의 다양성 수요에

따른 교육 참여자 수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물론 재단의 까다로운 문화행정 강사들의 안일한 수업 태도와 전문성

결여 등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2017년 예산은 2016년 대

비 2억원이 축소되었으나 51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2091명이 문화예술교육의 수혜를 입었다 이것은 신규단체 또는 3년 미

만의 사업단체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참여자를 기수를 나누어 진행하

던 기존 방식에서 1기수 20명으로 전환하거나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

이기 위하여 1년 완성형 프로그램 방식을 도입한 데 따른 결과라 볼 수

있다

둘째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주민과 예술가의 소통을

지원하는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환경 조성을 통하여 문화격차 해소

지역공동체 문화회복 학습자 개인의 성장을 넘어 일상 속 지역문화공동

체 모델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문화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15년 17개 단체의 17개 프로그램에 총 385명이 2016년에는 16개의

일반공모와 1개의 기획공모사업에 345명이 참여하여 다양한 교육을 받

았다 2017년에는 15개의 일반공모 단체와 1개의 기획공모 단체가 397명

30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의 지역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

램을 진행하였다 예산은 국비와 시비 11매칭으로 2015년에서 2017년까

지 3년간 동일하게 294000천원으로 편성ㆍ운영되었다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지역민과 예술가 또는 예술단체

가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

역민과의 소통을 전제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3년간 참여한 지역과 단

체 개발된 프로그램의 확산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예

산 증액 없이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확대와 발전을 기대

하기 어렵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준다

4) 부산 문화 술교육의 성과와 한계

지난 15년 간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다음과 같은 성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하

는 제도적 기초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lsquo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

원 조례rsquo는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제도적 장치로 문화예술교육이 시민

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부산문화 역량 강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명시

하고 있다20) 이는 예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하는 근거가 된다 그러

나 서울 경기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대전광역시21) 등에서는 교

육청이 문화예술교육 진흥과 관련한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 중인 것과

비교하면 부산은 제도적 기반이 여전히 충분하지 않고 유관기관 간의

협력 체제가 공고하게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둘째 예산을 확대 편성하여 안정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양적 성장을 이

루었다 부산에서는 국비와 시비 자체 사업비 등을 포함하여 국악분야

20) 「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원 조례」 제3조(기본원칙) 2항에서 ldquo모든 시민은

나이 성별 장애 사회적 신분 경제적 여건 거주지역 등에 관계없이 자신의 관

심과 적성에 따라 평생에 걸쳐 문화예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받는다rdquo고 명시하고 있다

21) 대전광역시교육청은 장애학생 문화예술 지원 조례를 두고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7

예술강사 지원사업 18억원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24억원 사회문화예

술교육 등 그밖의 사업에 25억원 정도의 사업비가 매년 투입되었다 이

를 통해 사업 대상과 규모를 확대할 수 있었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경

우 연간 500여 개의 학교가 참여하였고 교육 시수는 5만~8만 시간 정

도 운영되었다 예술강사가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수혜자 수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공간과 시설 등 인프라 확충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양적 증대에 따라 교육 공간과 시설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되면서

부산시나 구 단위에서 문화예술교육 거점 공간을 조성하거나 지역의 특

정 공간을 문화예술교육공간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청소

년 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는 개관 초기부터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끌었

으며 문화예술교육 공간과 콘텐츠 면에서 우수 사례로 벤치마킹되고 있

셋째 양적 성장을 기초로 유추해 볼 때 문화예술교육과 함께 성장한

교육 수혜자들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

이 확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22) 문화예술교육 경험자는 개인의 행복감

이나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비경험자보다 긍정적 결과를 보인다고 한

다23) 앞으로도 문화예술 영역의 외연 확장과 더불어 지역 정체성의 발

견과 확립 지역민의 삶의 질 개선 지역 경제와의 연계 도시 재생 지역

발전 견인 등과 적절하게 결부시킴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사회

적으로 확산시켜 나갈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 반해 문제점과 한계 또한 적지 않다

첫째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를 들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지원체계

는 중앙정부에서 예산을 일방적으로 편성하여 지자체에 배정하는 방식

을 취하고 있으며 사업 또한 동일한 방식을 유지해 왔다 이러한 정부

22) 앞으로 문화예술교육 수혜자들이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으로 나아가는 사례

를 면밀히 분석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사회 활동에서 비수혜자들과 어떤

차이를 드러내는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2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30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주도의 중앙집중형 지원 시스템은 지역의 현실과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

지 못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지역적 기반과 문화적 응전력 자생력을 현

격하게 약화시킨다 지역의 문화자원(유관기관 문화예술단체 등)과 인

적 자원의 협력 체계를 제대로 구축하지 못한 점도 마찬가지다 결과적

으로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취약하게 만들 수밖에 없는 것

이다 현 정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기조로 지역 구심성을 강조하

고 있지만 이러한 지원체계의 혁신 없이는 불가능하다

둘째 공급자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에

따라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된 이원적 구조가

고착되면서 교육 내용이나 방법론 확장에 많은 제약이 뒤따랐다 특히

학교에서부터 사회에 이르는 생애 전 과정을 통합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지 못하고 있는 점 각 영역별로 각자의 교육 대상자를 규정하고

있어 교육 대상자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점 등이 문제다 그 결

과 수혜자 수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중복 수혜 대상이 반복적

으로 발생하는가 하면 전혀 수혜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 또한 적지 않다

가령 유아 청년(대학생 또는 청년) 대상 사업이 전무한 실정이고 일부

중장년층이나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운영하고 있지만 실효성

이 낮은 편이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경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사업 중심이어서

사업별로 대상자가 중복되는 경향이 있고 사업 대상을 취약계층으로 규

정한 것은 일종의 낙인효과를 유발함으로써 사업 취지와도 적절하게 부

응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필요를 반영한

교육과정이 설계되지 못했다 한정된 교육 장소 또한 공급자 중심이어서

수혜자 또는 수혜자 집단이 교육 공간에 방문하여 진행하는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다 삶의 질 향상과 생활문화가 중시되는 이즈음 수요자의 생

활 속으로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절실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9

셋째 양적 증대에 비해 질적 성장을 이루지 못했다 이는 교육과정 개

선이나 관리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지 않은 데서 비롯되었다 교육프로

그램 실행이나 효과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을 개선해야 하지만 시스템

부재로 양질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ㆍ보급해 나가는 데 어려움

이 따를 수밖에 없다 현장과 동떨어진 내용을 요구하거나 표준화된 학

습지도안에 따라 기계적인 수업을 강요하는 측면이 있는 반면 교육과정

을 지나치게 자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강사에 따라 내용의 편차가 크게

존재하는 등 교육의 균질성 역시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예술강사의 역

량 강화를 위한 제도나 교육 프로그램 역시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데 의무 연수 규정 또한 폐지되어 전적으로 강사 개인의 자율적 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곧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하락으로 연결된

다 유관기관의 담당자나 학교관계자 교사들의 예술강사에 대한 인식에

도 문제가 있다 학교 관계자는 예술강사를 lsquo교사가 담당하기 어려운 과

목을 단순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rsquo 정도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

어 예술강사의 자긍심을 저하시키고 있다 예술강사(프로그램 준비 실

행) 학교관계자(시수인정 학교 안내 등) 담당교사(수업 시간 조율 준

비와 진행 등에 대한 협조)의 역할 설정 또한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교

육현장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성과를 집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참여 강사 및 단체 프로그

램(교육과정안 및 세부내용) 협력공간에 대한 정보를 생산ㆍ공유할 수

있는 종합 시스템이 미비하다 교육과정안과 세부 수업 내용뿐만 아니라

강사별 단체별 협력공간별 정보를 취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 없어

정보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역 기반의 우

수한 콘텐츠의 생산과 활용 측면에도 충분한 뒷받침을 하지 못하고 있

31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부산 문화 술교육의 과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고려해 볼 때 부산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

화 등 세 영역에서 향후 과제와 전망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1) 지역 문화 술교육 생태계 조성

첫째 서울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등과 같이 교육청 차원에서 별도

의 조례를 마련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재정비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은

정부 문화기관 교육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한 특수 분야다 이러

한 특성을 감안하여 부산시 부산문화재단 부산광역시 교육청은 문화예

술교육 발전 비전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실제 추진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또

한 문화예술교육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지역의 공연기관

박물관 도서관 지역문화원 등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과의 연계와 협력

도 필요하다 예컨대 핀란드의 lsquo뮤지엄 교육rsquo은 뮤지엄 동물원 오페라

극장 등이 학교와 연계하여 만든 프로그램으로 핀란드의 오랜 식민지

역사를 되짚어보고 국가 정체성을 재발견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근대 부

산의 도시 형성 역사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핀란드 교육은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콘텐츠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의 지역 집중성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부산 지역

의 여건과 현황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부산

센터가 더욱 능동적으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향

후 설립될 기초 단위 센터와의 바람직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문

화예술교육 정책의 지역화 초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하지 못

한 문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진흥원과의 유기적 협력

체계를 유지하는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1

해서는 운영 체제를 개편하고 전담 인력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를 활성화해야 한다 국내외 교류를 활발

히 추진함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시켜 나가

고 국내외 우수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콘텐츠의 질적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부산의 문화예술교육 역량에 걸맞은 국제 컨퍼런스

와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시키고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 담론을 생산해야 한다 아울러 양질의 네트워크

를 형성하여 지속적인 교류ㆍ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부산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일도 더없이 중요하다 국내

유관단체와 기관 간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감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자

생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2) 수요자 심의 교육환경 구축

첫째 수요자의 생활권과 연계된 문화예술교육의 기반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기관으

로 리모델링하는 방안 공간을 정비하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을 갖추는

공간 재편 방안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공간을 지속

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 김포가압장을 리모델링하여 아동ㆍ청소년

예술교육센터로 활용하고 있는 서서울예술교육센터 옛 성복보건소 건

물을 리모델링한 서울예술치유허브 등이 좋은 예다 또한 지역민의 생

활권 안에서 자발적으로 문화예술을 즐김으로써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가령 동아리 활동에 전

문가를 매칭하여 지속적ㆍ단계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

법이며 예술 놀이터를 조성하여 누구나 부담 없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사업

도 필요하다 문화예술교육은 지역의 문화유산이나 생활 습속과 연계하

31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여 지역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때 공동체 의식과 바람직한 지역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미국 피츠버그에 소재한 맨체

스터 크래프트 길드(Manchester Craft Guild)의 경우 청소년 시절 도예

교육 미술 지역 공동체의 힘을 깨달은 설립자가 일생 동안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며 지역 공동체의식을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이

외에도 지역에 산재한 여러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교육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망을 정교하게 구축하고 유기적으로 작동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생애주기별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여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

대해야 한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은 생애 전반에 걸쳐 지역

민과 지역공동체의 생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지역형 문화예술

교육 정책의 근간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추진해 오던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여러 이유로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수요자

층을 발굴하고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부산문화재단(부산광역문화교육지원센터) 부

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금정문화재단 등이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수혜 대상자 현황을 살펴보면 취약계층을 포함한 학교 안팎의 청소년이

주된 대상이다 반면 유아ㆍ아동과 청년 대상 사업은 전무하며 노인대

상 사업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이나 시민아카데미 사업 정도

에 불과하다

두루 알다시피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은 유아부터 노인까지 단계적

ㆍ체계적 프로그램을 기획ㆍ운영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할렘 칠드런즈 존(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을 들 수 있다24) lsquo할렘

어린이 구역(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rsquo 프로젝트는 태교부터 직장

24)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KIPP)

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

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67쪽 Harlem Childrenrsquos Zone httpshcz

org2018100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3

에 들어가기까지 교육과 건강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 각자의 건강

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이것이 지역 공동체의 건강한 토대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좋은 예다 이 프로젝트는 영유아 종일 보육센터 학업 성

취를 책임지는 차터 스쿨 건강지원센터 방과 후에 운영되는 아동과 성

인을 위한 주민센터 주말과 여름에 이루어지는 청소년 폭력 방지 등 지

역 주민 전체를 위한 광범위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25)

셋째 수요자의 다양한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창의력과 융합적 사고의 원동력이 되는 인문학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부산문화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인문학 소모임 동아리 출판 지원 등의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감

으로써 다양성을 확보하고 문화예술 기초역량을 배양해 나가는 디딤돌

로 삼아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장을 넓혀 나가는 작업도 필요하

다 스웨덴의 lsquo서커스 시르쾨르rsquo은 좋은 본보기다 이는 서커스를 문화예

술교육에 접목한 사례로 인간의 삶의 균형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다

양한 오브제를 활용하고 신체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다26)

최근 부산에서 장애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장애인 대상 교육단체에 대한 지원과 국가자격증을

갖춘 강사 확보를 통한 전문성 강화 등 관리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또한 지원 대상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미

국 오클랜드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기관 크리에이티

브 그로스 아트센터(Creative Groth Art Center) 사례는 적지 않은 시사

점을 던진다 이 기관은 1974년부터 발달장애인의 예술적 역량과 완성

작품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데 기여해 왔다 장애인 작가들

이 자유로운 예술 감각을 표현하며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 작

업실을 제공하고 국내외 전시를 개최하는 등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

25) 김경애 위의 논문 170쪽

26)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116쪽

31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넷째 영역별 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교문화예술

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되어 있는 구조를 극복하여 문화예술

교육의 실질적 효용을 극대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국립 오페라단의 스

쿨 오페라 프로그램은 좋은 예다 전국의 학교를 대상으로 오페라 교재

와 가수 스태프를 파견하고 의상 등을 지원하며 다양한 교과와 연계하

여 사업을 펼치고 있다 가령 역사 수업에서 오페라의 시대 배경을 제시

하고 국어 수업에서는 연기하는 인물의 감정을 고찰하며 미술 수업에

서는 소도구를 직접 제작해 보기도 한다 경영 수업에서는 입장권을 직

접 판매하는 등 홍보ㆍ마케팅 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역별 연계

활동은 예술가의 자유로운 실험정신과 창의적 사고로 교실에 생기를 불

어넣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27)

3) 문화 술교육 질 기반 고도화

첫째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해 나가는 작업

이 시급하다28) 학교문화예술교육 설문조사 결과29)에 따르면 문화예술

27)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299쪽

28) 부산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서는 고(稿)를 달리하여 논의

할 예정이다

29)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심층면담 결과를(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58-59

쪽) 사회문화예술교육은 2018년 9월 30일 자체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였다 특히 후자는 다음과 같은 문항으로 예술강사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1 참여하고 있는(또는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2 현

재 교육하고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3 현재 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분야와

교육 중인 분야가 일치합니까 4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

니까 5 문화예술교육 경력기간을 선택해 주세요 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까 7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해 받은 연수 프로그램이 있다

면 선택해 주세요 8 2015~2018년 간 이수한 총 연수 시수를 선택해 주세요 8

mdash1 2015년~2018년 간 부산문화재단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

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mdash2 2015년~2018년 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ARTE)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

mdash3 2015년~2018년 간 기타 기관에서 연수받은 적이 있다면 연수기관과 시수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5

교육 강사 재교육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강사 자신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예술강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매몰되면 자칫 기능 중심의 교육이 되기 쉽고 문

화예술교육 고유의 목표에 다가가기 어렵게 된다 예술강사의 질은 문화

예술교육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학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해야 한다 서울형 예술가

교사(TA)는 문화예술 기반 콘텐츠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접목시켜

만든 새로운 강사 모델이다 이들은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철학인 lsquo미

적 체험rsquo을 실현하는 예술교육 전문가로 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뛰

어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인문

ㆍ예술 장르의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내고 있다 초등학교 대상 프로그램 lsquo예

술로 플러스rsquo와 중학생 대상 인문예술교육 lsquo예술로 함께rsquo는 모두 정규과

정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이 있다30) 아울

러 예술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인력 문화예

술교육단체 학교 기관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

식을 개선하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ㆍ단계적인 교

육 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과거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영역에서 교과서

를 표준화했지만 최근에는 강사가 현실 여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되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효과적

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네트워킹

를 기재해 주세요

30)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htmleducationchildaspperMen

uSeq=2ampMenuSeq=3720181006 예술가교사 사이트 httpartsedutasfacork

rhtmlteachingArtchildEdu_introasp20181006

31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인적 자원 정보를 담은 인력 뱅크 콘텐츠 디렉토리 지역

의 문화자원 사업 정보 국내외 동향과 연구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역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과 실태를 조사

ㆍ연구하는 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다 문화예술교육

의 지역 실태 조사는 문화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짧은 주

기로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제를 발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rsquo 발표를 계기로 문

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분

권의 시대가치에 적합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문화예

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

합회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을 중심

으로 기관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은 중앙

과 협력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을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부산

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원사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13: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1

부산시 주관 사업이나 구 단위 사업도 중요하지만 금정문화재단의 사

업이 눈에 띤다 금정문화재단은 2016년 6월에 구 단위 문화재단으로는

최초로 부산 금정구에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에는 lsquo유네스코 세계문화유

산교실 교육 콘텐츠 개발rsquo 사업만 유일하게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7년 세계시민의식을 주제로 한 lsquo일상 다 예술rsquo이라는 청소년 창의 프

로젝트를 열었다 이는 음악 무용 연극 장르 간 협력을 통해 창작과 제

작 과정 공연에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이다 총 8차시(8차시times4시간)로

진행된 이 사업을 시작으로 2018년에는 lsquo예술일주rsquo 프로젝트를 선보임으

로써 다양한 예술장르와 청소년의 만남을 이루어 내었다는 점에서 긍정

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2) 학교문화 술교육

학교문화예술교육은 크게 학교 예술강사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청소년복화문화센터 놀이마루18) 사업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학교 예술강사 사업은 국악 분야 lsquo강사풀제rsquo(2000) 시범 도입을

청소년 문학아카데미 운영

청소년들의 예술적 자질 발굴초등학교 5학년~고등학교 1학년 작가 지망생 대상

평생학습관 운영

다양한 평생교육 문화프로그램 개설로 지역주민에게 자기계발과 문화향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문화예술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 수행

관내 지역주민

문화강좌 운영 지역주민에게 자기계발과 문화향유 기회 제공

도서관 이용 활성화 도모관내 지역주민

금정문화재단

일상 다 예술금정구 관내 청소년들에게 예술가와의 만남으로 통합적 예술체험기회 제공 창의적 사고 배양

중등학생 대상

세계무형문화유산교실세계무형문화유산 교육프로그램을 추진 다음 세대의 문화다양성 및 문화유산 보존 의식 증진

금정구 관내 6개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30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계기로 정책사업의 기본틀을 마련하였다 이후 이 사업은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의 핵심사업인 lsquo예술강사 지원사업rsquo의 모태가 되었다 학교 예술

강사 사업의 교육목표는 창의성 감수성 문화시민 인성 소통과 공감

등 예술적 가치와 교육적 가치를 포괄하고 있다 교육 장르를 지속적으

로 확대하면서 현재 8개 장르(국악 연극 영화 무용 만화애니매이션

공예 사진 디자인)로 확대ㆍ운영하고 있다 부산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운영주체는 진흥원에서 2011년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로 이관되었

으며 2017년부터는 공모를 통해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가 운영하고

있다 학교 예술강사가 파견되는 수업은 교육과정 내 문화예술교육으로

기본교과 또는 창의적 체험활동에 속한다

2017년 강사 수는 총 375명으로 국악분야 140명이며 그 외 7개 분야

235명이다 2017년 부산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

악이 전체의 376 무용이 228 연극이 164를 차지한다19) 국악 비

중이 높은 이유는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역사와 맥락을 같이하기

때문으로 보이며 향후 영역별 균형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출강학교 수는 전체 518개교였다 학교 수는 2015년 495개교에서 2016년

522개교로 23개교(55) 증가하였고 2017년에는 다시 529개교로 소폭

증가하였다 학교 예술강사 파견에 따른 교육 총시수는 2015년 53284시

수 2016년 55323시수 2017년 87753시수로 해를 거듭할수록 점진적으

로 증가하였다 배정된 학교에 시수를 최대치로 부여함으로써 참여 학교

수는 줄었으나 교육 시수는 오히려 증가한 결과다 교육시수가 증가된

현실과는 무관하게 수혜 대상 학교가 절차상의 문제로 취소ㆍ포기하는

사태가 빚어졌다는 점은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이 지닌 문제점 가운데

18) 서면 중앙중학교가 이전한 뒤 놀이와 체험 위주의 청소년복합문화센터로 자리

잡은 놀이마루는 2016년 9월 28일 부산광역시교육청이 시설 운영을 부산문화재

단이 프로그램 제공과 관리를 맡는 체제로 개관하였다 놀이마루 프로그램은

2017년에는 드림교육센터가 2018년 다시 부산문화재단이 위탁ㆍ운영하고 있다

19) 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17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3

하나라 볼 수 있다 교육과정 운영은 엄격한 편이다 하지만 강사의 개인

역량과 수업 환경에 따라 일정 부분 유연성을 인정하고 허용하는 추세

다 학교문화예술교육에서 강사의 자율성과 교육의 균질성 확보 사이의

균형 역시 연구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

참여학교는 부산광역시교육청에 등록된 특수학교를 포함한 초ㆍ중ㆍ

고등학교가 2017년 기준 643개교에 이른다 초등은 308개교(479) 중

등은 174개교(271) 고등은 146개교(227) 특수학교는 15개교(23)

로 초등학교가 가장 많다 2017년 기준 참여 학교 수도 초등 296개교

중등 150개교 고등은 69개교 특수학교 14개교가 학교 예술강사 파견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특수학교는 1개교만 제외하고 모

두 문화예술교육 수혜를 받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고등학교는 50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데 입시제도의 문제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 본다

중학교 역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여전히 문화예술교육의 수혜

를 받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이 많다

사업비는 2015년 4247875천원 2016년 4322382천원 2017년

5230088천원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2016년과

비교하여 20117년 예산이 21나 증가한 것은 교육시수의 증가와 밀접

한 관련이 있다

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는

기획사업으로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과 lsquo작은 도서관 지원rsquo 사업을

진행하였다 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의 프로그램 구성은 진로 강연과

문화예술교육으로 구분된다 문화예술교육 수업에는 뮤지컬 연극 영화

제작 무대디자인 목공예 오페라 전통연희 공연디렉팅이 있다 수업은

3일 총 6시간(1학교 1일 2회 2시간씩) 진행되었으며 사업 예산은 90000

천원으로 주로 강사료와 재료비로 충당되었다

30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사회문화 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은 학교문화예술교육 대상을 포함한 유아부터 노인

까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며 특히 취약계층이 문화예술을 풍부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은 강사

(또는 단체)가 교육프로그램을 직접 개발ㆍ보급하는 형태로 1년 단위 공

모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강사가 보유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제외한 모

든 운영과 관련된 내용은 진흥원과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

센터)의 운영 지침에 따른다 대표적인 것이 lsquo꿈다락 토요문화학교rsquo와 lsquo지

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rsquo 사업이다

첫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학교 밖 전문 문화예술 기관이나 단체에

서 학령기 아동ㆍ청소년과 그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다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매개로 가족이나 또래 간 소통할 수 있는 새로

운 여가문화를 조성하고 학습의 장을 지역사회로 확대하여 학교mdash가정

mdash지역사회 연계의 교육 공동체를 구축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학

교제도와는 차별화된 문화예술교육 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문화예술교

육에서 소외되었던 대상들에게도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상상력과 소통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2015년 34개 단체의 34개 프로그램 2016년 일

반공모 39개 단체ㆍ기획공모 8개 단체의 55개 프로그램 2017년 50개 단

체 54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교육 참여인원은 2015년 1081명

2016년 2108명 2017년 2091명에 이른다 예산 규모는 국비와 시비 11

매칭 방식으로 2015년 912500천원 2016년 1824000천원 2017년

1642000천원이다 초기에는 특정 구 단위에 편중되었지만 해를 거듭할

수록 구 단위 참여 지역의 편차를 줄이는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2015년

금정구와 부산진구 사상구에서 4개 동래구와 연제구 북구에서 3개 그

외 영도구 중구 기장군 사하구 남구에서 각각 2개 동구에서 1개의 프

로그램을 2016년에는 서구와 강서구가 추가되면서 부산 18개 지역 전체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5

에서 실시되었다 이 역시 예산 증액에 따른 참여단체 수 증가와 문화예

술교육 수요의 증가에 따른 결과라 할 수 있다 2017년에는 해운대구에

서만 7개의 단체가 8개 프로그램을 금정구에서는 5개의 단체가 7개 프

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다음으로 부산진구와 동래구 수영구가 각각 5개

단체에서 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산은 2015년 912500천원 2016년도 1824000

천원으로 2배나 증가하면서 34개 단체에서 34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던

데서 나아가 47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성과를 내었다

교육 참여자 수 또한 1081명에서 2108명으로 1000명이나 증가하였다

예산 증가에 따른 사업단체 단체 수의 증가 프로그램의 다양성 수요에

따른 교육 참여자 수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물론 재단의 까다로운 문화행정 강사들의 안일한 수업 태도와 전문성

결여 등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2017년 예산은 2016년 대

비 2억원이 축소되었으나 51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2091명이 문화예술교육의 수혜를 입었다 이것은 신규단체 또는 3년 미

만의 사업단체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참여자를 기수를 나누어 진행하

던 기존 방식에서 1기수 20명으로 전환하거나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

이기 위하여 1년 완성형 프로그램 방식을 도입한 데 따른 결과라 볼 수

있다

둘째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주민과 예술가의 소통을

지원하는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환경 조성을 통하여 문화격차 해소

지역공동체 문화회복 학습자 개인의 성장을 넘어 일상 속 지역문화공동

체 모델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문화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15년 17개 단체의 17개 프로그램에 총 385명이 2016년에는 16개의

일반공모와 1개의 기획공모사업에 345명이 참여하여 다양한 교육을 받

았다 2017년에는 15개의 일반공모 단체와 1개의 기획공모 단체가 397명

30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의 지역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

램을 진행하였다 예산은 국비와 시비 11매칭으로 2015년에서 2017년까

지 3년간 동일하게 294000천원으로 편성ㆍ운영되었다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지역민과 예술가 또는 예술단체

가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

역민과의 소통을 전제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3년간 참여한 지역과 단

체 개발된 프로그램의 확산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예

산 증액 없이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확대와 발전을 기대

하기 어렵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준다

4) 부산 문화 술교육의 성과와 한계

지난 15년 간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다음과 같은 성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하

는 제도적 기초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lsquo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

원 조례rsquo는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제도적 장치로 문화예술교육이 시민

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부산문화 역량 강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명시

하고 있다20) 이는 예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하는 근거가 된다 그러

나 서울 경기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대전광역시21) 등에서는 교

육청이 문화예술교육 진흥과 관련한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 중인 것과

비교하면 부산은 제도적 기반이 여전히 충분하지 않고 유관기관 간의

협력 체제가 공고하게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둘째 예산을 확대 편성하여 안정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양적 성장을 이

루었다 부산에서는 국비와 시비 자체 사업비 등을 포함하여 국악분야

20) 「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원 조례」 제3조(기본원칙) 2항에서 ldquo모든 시민은

나이 성별 장애 사회적 신분 경제적 여건 거주지역 등에 관계없이 자신의 관

심과 적성에 따라 평생에 걸쳐 문화예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받는다rdquo고 명시하고 있다

21) 대전광역시교육청은 장애학생 문화예술 지원 조례를 두고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7

예술강사 지원사업 18억원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24억원 사회문화예

술교육 등 그밖의 사업에 25억원 정도의 사업비가 매년 투입되었다 이

를 통해 사업 대상과 규모를 확대할 수 있었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경

우 연간 500여 개의 학교가 참여하였고 교육 시수는 5만~8만 시간 정

도 운영되었다 예술강사가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수혜자 수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공간과 시설 등 인프라 확충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양적 증대에 따라 교육 공간과 시설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되면서

부산시나 구 단위에서 문화예술교육 거점 공간을 조성하거나 지역의 특

정 공간을 문화예술교육공간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청소

년 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는 개관 초기부터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끌었

으며 문화예술교육 공간과 콘텐츠 면에서 우수 사례로 벤치마킹되고 있

셋째 양적 성장을 기초로 유추해 볼 때 문화예술교육과 함께 성장한

교육 수혜자들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

이 확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22) 문화예술교육 경험자는 개인의 행복감

이나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비경험자보다 긍정적 결과를 보인다고 한

다23) 앞으로도 문화예술 영역의 외연 확장과 더불어 지역 정체성의 발

견과 확립 지역민의 삶의 질 개선 지역 경제와의 연계 도시 재생 지역

발전 견인 등과 적절하게 결부시킴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사회

적으로 확산시켜 나갈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 반해 문제점과 한계 또한 적지 않다

첫째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를 들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지원체계

는 중앙정부에서 예산을 일방적으로 편성하여 지자체에 배정하는 방식

을 취하고 있으며 사업 또한 동일한 방식을 유지해 왔다 이러한 정부

22) 앞으로 문화예술교육 수혜자들이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으로 나아가는 사례

를 면밀히 분석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사회 활동에서 비수혜자들과 어떤

차이를 드러내는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2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30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주도의 중앙집중형 지원 시스템은 지역의 현실과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

지 못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지역적 기반과 문화적 응전력 자생력을 현

격하게 약화시킨다 지역의 문화자원(유관기관 문화예술단체 등)과 인

적 자원의 협력 체계를 제대로 구축하지 못한 점도 마찬가지다 결과적

으로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취약하게 만들 수밖에 없는 것

이다 현 정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기조로 지역 구심성을 강조하

고 있지만 이러한 지원체계의 혁신 없이는 불가능하다

둘째 공급자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에

따라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된 이원적 구조가

고착되면서 교육 내용이나 방법론 확장에 많은 제약이 뒤따랐다 특히

학교에서부터 사회에 이르는 생애 전 과정을 통합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지 못하고 있는 점 각 영역별로 각자의 교육 대상자를 규정하고

있어 교육 대상자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점 등이 문제다 그 결

과 수혜자 수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중복 수혜 대상이 반복적

으로 발생하는가 하면 전혀 수혜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 또한 적지 않다

가령 유아 청년(대학생 또는 청년) 대상 사업이 전무한 실정이고 일부

중장년층이나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운영하고 있지만 실효성

이 낮은 편이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경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사업 중심이어서

사업별로 대상자가 중복되는 경향이 있고 사업 대상을 취약계층으로 규

정한 것은 일종의 낙인효과를 유발함으로써 사업 취지와도 적절하게 부

응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필요를 반영한

교육과정이 설계되지 못했다 한정된 교육 장소 또한 공급자 중심이어서

수혜자 또는 수혜자 집단이 교육 공간에 방문하여 진행하는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다 삶의 질 향상과 생활문화가 중시되는 이즈음 수요자의 생

활 속으로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절실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9

셋째 양적 증대에 비해 질적 성장을 이루지 못했다 이는 교육과정 개

선이나 관리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지 않은 데서 비롯되었다 교육프로

그램 실행이나 효과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을 개선해야 하지만 시스템

부재로 양질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ㆍ보급해 나가는 데 어려움

이 따를 수밖에 없다 현장과 동떨어진 내용을 요구하거나 표준화된 학

습지도안에 따라 기계적인 수업을 강요하는 측면이 있는 반면 교육과정

을 지나치게 자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강사에 따라 내용의 편차가 크게

존재하는 등 교육의 균질성 역시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예술강사의 역

량 강화를 위한 제도나 교육 프로그램 역시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데 의무 연수 규정 또한 폐지되어 전적으로 강사 개인의 자율적 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곧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하락으로 연결된

다 유관기관의 담당자나 학교관계자 교사들의 예술강사에 대한 인식에

도 문제가 있다 학교 관계자는 예술강사를 lsquo교사가 담당하기 어려운 과

목을 단순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rsquo 정도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

어 예술강사의 자긍심을 저하시키고 있다 예술강사(프로그램 준비 실

행) 학교관계자(시수인정 학교 안내 등) 담당교사(수업 시간 조율 준

비와 진행 등에 대한 협조)의 역할 설정 또한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교

육현장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성과를 집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참여 강사 및 단체 프로그

램(교육과정안 및 세부내용) 협력공간에 대한 정보를 생산ㆍ공유할 수

있는 종합 시스템이 미비하다 교육과정안과 세부 수업 내용뿐만 아니라

강사별 단체별 협력공간별 정보를 취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 없어

정보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역 기반의 우

수한 콘텐츠의 생산과 활용 측면에도 충분한 뒷받침을 하지 못하고 있

31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부산 문화 술교육의 과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고려해 볼 때 부산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

화 등 세 영역에서 향후 과제와 전망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1) 지역 문화 술교육 생태계 조성

첫째 서울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등과 같이 교육청 차원에서 별도

의 조례를 마련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재정비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은

정부 문화기관 교육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한 특수 분야다 이러

한 특성을 감안하여 부산시 부산문화재단 부산광역시 교육청은 문화예

술교육 발전 비전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실제 추진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또

한 문화예술교육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지역의 공연기관

박물관 도서관 지역문화원 등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과의 연계와 협력

도 필요하다 예컨대 핀란드의 lsquo뮤지엄 교육rsquo은 뮤지엄 동물원 오페라

극장 등이 학교와 연계하여 만든 프로그램으로 핀란드의 오랜 식민지

역사를 되짚어보고 국가 정체성을 재발견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근대 부

산의 도시 형성 역사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핀란드 교육은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콘텐츠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의 지역 집중성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부산 지역

의 여건과 현황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부산

센터가 더욱 능동적으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향

후 설립될 기초 단위 센터와의 바람직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문

화예술교육 정책의 지역화 초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하지 못

한 문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진흥원과의 유기적 협력

체계를 유지하는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1

해서는 운영 체제를 개편하고 전담 인력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를 활성화해야 한다 국내외 교류를 활발

히 추진함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시켜 나가

고 국내외 우수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콘텐츠의 질적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부산의 문화예술교육 역량에 걸맞은 국제 컨퍼런스

와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시키고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 담론을 생산해야 한다 아울러 양질의 네트워크

를 형성하여 지속적인 교류ㆍ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부산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일도 더없이 중요하다 국내

유관단체와 기관 간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감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자

생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2) 수요자 심의 교육환경 구축

첫째 수요자의 생활권과 연계된 문화예술교육의 기반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기관으

로 리모델링하는 방안 공간을 정비하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을 갖추는

공간 재편 방안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공간을 지속

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 김포가압장을 리모델링하여 아동ㆍ청소년

예술교육센터로 활용하고 있는 서서울예술교육센터 옛 성복보건소 건

물을 리모델링한 서울예술치유허브 등이 좋은 예다 또한 지역민의 생

활권 안에서 자발적으로 문화예술을 즐김으로써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가령 동아리 활동에 전

문가를 매칭하여 지속적ㆍ단계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

법이며 예술 놀이터를 조성하여 누구나 부담 없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사업

도 필요하다 문화예술교육은 지역의 문화유산이나 생활 습속과 연계하

31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여 지역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때 공동체 의식과 바람직한 지역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미국 피츠버그에 소재한 맨체

스터 크래프트 길드(Manchester Craft Guild)의 경우 청소년 시절 도예

교육 미술 지역 공동체의 힘을 깨달은 설립자가 일생 동안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며 지역 공동체의식을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이

외에도 지역에 산재한 여러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교육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망을 정교하게 구축하고 유기적으로 작동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생애주기별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여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

대해야 한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은 생애 전반에 걸쳐 지역

민과 지역공동체의 생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지역형 문화예술

교육 정책의 근간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추진해 오던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여러 이유로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수요자

층을 발굴하고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부산문화재단(부산광역문화교육지원센터) 부

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금정문화재단 등이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수혜 대상자 현황을 살펴보면 취약계층을 포함한 학교 안팎의 청소년이

주된 대상이다 반면 유아ㆍ아동과 청년 대상 사업은 전무하며 노인대

상 사업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이나 시민아카데미 사업 정도

에 불과하다

두루 알다시피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은 유아부터 노인까지 단계적

ㆍ체계적 프로그램을 기획ㆍ운영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할렘 칠드런즈 존(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을 들 수 있다24) lsquo할렘

어린이 구역(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rsquo 프로젝트는 태교부터 직장

24)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KIPP)

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

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67쪽 Harlem Childrenrsquos Zone httpshcz

org2018100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3

에 들어가기까지 교육과 건강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 각자의 건강

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이것이 지역 공동체의 건강한 토대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좋은 예다 이 프로젝트는 영유아 종일 보육센터 학업 성

취를 책임지는 차터 스쿨 건강지원센터 방과 후에 운영되는 아동과 성

인을 위한 주민센터 주말과 여름에 이루어지는 청소년 폭력 방지 등 지

역 주민 전체를 위한 광범위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25)

셋째 수요자의 다양한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창의력과 융합적 사고의 원동력이 되는 인문학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부산문화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인문학 소모임 동아리 출판 지원 등의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감

으로써 다양성을 확보하고 문화예술 기초역량을 배양해 나가는 디딤돌

로 삼아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장을 넓혀 나가는 작업도 필요하

다 스웨덴의 lsquo서커스 시르쾨르rsquo은 좋은 본보기다 이는 서커스를 문화예

술교육에 접목한 사례로 인간의 삶의 균형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다

양한 오브제를 활용하고 신체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다26)

최근 부산에서 장애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장애인 대상 교육단체에 대한 지원과 국가자격증을

갖춘 강사 확보를 통한 전문성 강화 등 관리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또한 지원 대상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미

국 오클랜드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기관 크리에이티

브 그로스 아트센터(Creative Groth Art Center) 사례는 적지 않은 시사

점을 던진다 이 기관은 1974년부터 발달장애인의 예술적 역량과 완성

작품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데 기여해 왔다 장애인 작가들

이 자유로운 예술 감각을 표현하며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 작

업실을 제공하고 국내외 전시를 개최하는 등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

25) 김경애 위의 논문 170쪽

26)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116쪽

31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넷째 영역별 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교문화예술

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되어 있는 구조를 극복하여 문화예술

교육의 실질적 효용을 극대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국립 오페라단의 스

쿨 오페라 프로그램은 좋은 예다 전국의 학교를 대상으로 오페라 교재

와 가수 스태프를 파견하고 의상 등을 지원하며 다양한 교과와 연계하

여 사업을 펼치고 있다 가령 역사 수업에서 오페라의 시대 배경을 제시

하고 국어 수업에서는 연기하는 인물의 감정을 고찰하며 미술 수업에

서는 소도구를 직접 제작해 보기도 한다 경영 수업에서는 입장권을 직

접 판매하는 등 홍보ㆍ마케팅 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역별 연계

활동은 예술가의 자유로운 실험정신과 창의적 사고로 교실에 생기를 불

어넣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27)

3) 문화 술교육 질 기반 고도화

첫째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해 나가는 작업

이 시급하다28) 학교문화예술교육 설문조사 결과29)에 따르면 문화예술

27)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299쪽

28) 부산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서는 고(稿)를 달리하여 논의

할 예정이다

29)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심층면담 결과를(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58-59

쪽) 사회문화예술교육은 2018년 9월 30일 자체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였다 특히 후자는 다음과 같은 문항으로 예술강사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1 참여하고 있는(또는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2 현

재 교육하고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3 현재 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분야와

교육 중인 분야가 일치합니까 4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

니까 5 문화예술교육 경력기간을 선택해 주세요 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까 7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해 받은 연수 프로그램이 있다

면 선택해 주세요 8 2015~2018년 간 이수한 총 연수 시수를 선택해 주세요 8

mdash1 2015년~2018년 간 부산문화재단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

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mdash2 2015년~2018년 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ARTE)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

mdash3 2015년~2018년 간 기타 기관에서 연수받은 적이 있다면 연수기관과 시수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5

교육 강사 재교육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강사 자신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예술강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매몰되면 자칫 기능 중심의 교육이 되기 쉽고 문

화예술교육 고유의 목표에 다가가기 어렵게 된다 예술강사의 질은 문화

예술교육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학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해야 한다 서울형 예술가

교사(TA)는 문화예술 기반 콘텐츠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접목시켜

만든 새로운 강사 모델이다 이들은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철학인 lsquo미

적 체험rsquo을 실현하는 예술교육 전문가로 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뛰

어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인문

ㆍ예술 장르의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내고 있다 초등학교 대상 프로그램 lsquo예

술로 플러스rsquo와 중학생 대상 인문예술교육 lsquo예술로 함께rsquo는 모두 정규과

정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이 있다30) 아울

러 예술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인력 문화예

술교육단체 학교 기관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

식을 개선하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ㆍ단계적인 교

육 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과거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영역에서 교과서

를 표준화했지만 최근에는 강사가 현실 여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되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효과적

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네트워킹

를 기재해 주세요

30)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htmleducationchildaspperMen

uSeq=2ampMenuSeq=3720181006 예술가교사 사이트 httpartsedutasfacork

rhtmlteachingArtchildEdu_introasp20181006

31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인적 자원 정보를 담은 인력 뱅크 콘텐츠 디렉토리 지역

의 문화자원 사업 정보 국내외 동향과 연구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역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과 실태를 조사

ㆍ연구하는 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다 문화예술교육

의 지역 실태 조사는 문화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짧은 주

기로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제를 발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rsquo 발표를 계기로 문

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분

권의 시대가치에 적합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문화예

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

합회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을 중심

으로 기관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은 중앙

과 협력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을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부산

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원사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1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30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계기로 정책사업의 기본틀을 마련하였다 이후 이 사업은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의 핵심사업인 lsquo예술강사 지원사업rsquo의 모태가 되었다 학교 예술

강사 사업의 교육목표는 창의성 감수성 문화시민 인성 소통과 공감

등 예술적 가치와 교육적 가치를 포괄하고 있다 교육 장르를 지속적으

로 확대하면서 현재 8개 장르(국악 연극 영화 무용 만화애니매이션

공예 사진 디자인)로 확대ㆍ운영하고 있다 부산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운영주체는 진흥원에서 2011년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로 이관되었

으며 2017년부터는 공모를 통해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가 운영하고

있다 학교 예술강사가 파견되는 수업은 교육과정 내 문화예술교육으로

기본교과 또는 창의적 체험활동에 속한다

2017년 강사 수는 총 375명으로 국악분야 140명이며 그 외 7개 분야

235명이다 2017년 부산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

악이 전체의 376 무용이 228 연극이 164를 차지한다19) 국악 비

중이 높은 이유는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역사와 맥락을 같이하기

때문으로 보이며 향후 영역별 균형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출강학교 수는 전체 518개교였다 학교 수는 2015년 495개교에서 2016년

522개교로 23개교(55) 증가하였고 2017년에는 다시 529개교로 소폭

증가하였다 학교 예술강사 파견에 따른 교육 총시수는 2015년 53284시

수 2016년 55323시수 2017년 87753시수로 해를 거듭할수록 점진적으

로 증가하였다 배정된 학교에 시수를 최대치로 부여함으로써 참여 학교

수는 줄었으나 교육 시수는 오히려 증가한 결과다 교육시수가 증가된

현실과는 무관하게 수혜 대상 학교가 절차상의 문제로 취소ㆍ포기하는

사태가 빚어졌다는 점은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이 지닌 문제점 가운데

18) 서면 중앙중학교가 이전한 뒤 놀이와 체험 위주의 청소년복합문화센터로 자리

잡은 놀이마루는 2016년 9월 28일 부산광역시교육청이 시설 운영을 부산문화재

단이 프로그램 제공과 관리를 맡는 체제로 개관하였다 놀이마루 프로그램은

2017년에는 드림교육센터가 2018년 다시 부산문화재단이 위탁ㆍ운영하고 있다

19) 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17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3

하나라 볼 수 있다 교육과정 운영은 엄격한 편이다 하지만 강사의 개인

역량과 수업 환경에 따라 일정 부분 유연성을 인정하고 허용하는 추세

다 학교문화예술교육에서 강사의 자율성과 교육의 균질성 확보 사이의

균형 역시 연구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

참여학교는 부산광역시교육청에 등록된 특수학교를 포함한 초ㆍ중ㆍ

고등학교가 2017년 기준 643개교에 이른다 초등은 308개교(479) 중

등은 174개교(271) 고등은 146개교(227) 특수학교는 15개교(23)

로 초등학교가 가장 많다 2017년 기준 참여 학교 수도 초등 296개교

중등 150개교 고등은 69개교 특수학교 14개교가 학교 예술강사 파견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특수학교는 1개교만 제외하고 모

두 문화예술교육 수혜를 받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고등학교는 50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데 입시제도의 문제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 본다

중학교 역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여전히 문화예술교육의 수혜

를 받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이 많다

사업비는 2015년 4247875천원 2016년 4322382천원 2017년

5230088천원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2016년과

비교하여 20117년 예산이 21나 증가한 것은 교육시수의 증가와 밀접

한 관련이 있다

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는

기획사업으로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과 lsquo작은 도서관 지원rsquo 사업을

진행하였다 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의 프로그램 구성은 진로 강연과

문화예술교육으로 구분된다 문화예술교육 수업에는 뮤지컬 연극 영화

제작 무대디자인 목공예 오페라 전통연희 공연디렉팅이 있다 수업은

3일 총 6시간(1학교 1일 2회 2시간씩) 진행되었으며 사업 예산은 90000

천원으로 주로 강사료와 재료비로 충당되었다

30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사회문화 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은 학교문화예술교육 대상을 포함한 유아부터 노인

까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며 특히 취약계층이 문화예술을 풍부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은 강사

(또는 단체)가 교육프로그램을 직접 개발ㆍ보급하는 형태로 1년 단위 공

모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강사가 보유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제외한 모

든 운영과 관련된 내용은 진흥원과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

센터)의 운영 지침에 따른다 대표적인 것이 lsquo꿈다락 토요문화학교rsquo와 lsquo지

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rsquo 사업이다

첫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학교 밖 전문 문화예술 기관이나 단체에

서 학령기 아동ㆍ청소년과 그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다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매개로 가족이나 또래 간 소통할 수 있는 새로

운 여가문화를 조성하고 학습의 장을 지역사회로 확대하여 학교mdash가정

mdash지역사회 연계의 교육 공동체를 구축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학

교제도와는 차별화된 문화예술교육 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문화예술교

육에서 소외되었던 대상들에게도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상상력과 소통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2015년 34개 단체의 34개 프로그램 2016년 일

반공모 39개 단체ㆍ기획공모 8개 단체의 55개 프로그램 2017년 50개 단

체 54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교육 참여인원은 2015년 1081명

2016년 2108명 2017년 2091명에 이른다 예산 규모는 국비와 시비 11

매칭 방식으로 2015년 912500천원 2016년 1824000천원 2017년

1642000천원이다 초기에는 특정 구 단위에 편중되었지만 해를 거듭할

수록 구 단위 참여 지역의 편차를 줄이는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2015년

금정구와 부산진구 사상구에서 4개 동래구와 연제구 북구에서 3개 그

외 영도구 중구 기장군 사하구 남구에서 각각 2개 동구에서 1개의 프

로그램을 2016년에는 서구와 강서구가 추가되면서 부산 18개 지역 전체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5

에서 실시되었다 이 역시 예산 증액에 따른 참여단체 수 증가와 문화예

술교육 수요의 증가에 따른 결과라 할 수 있다 2017년에는 해운대구에

서만 7개의 단체가 8개 프로그램을 금정구에서는 5개의 단체가 7개 프

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다음으로 부산진구와 동래구 수영구가 각각 5개

단체에서 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산은 2015년 912500천원 2016년도 1824000

천원으로 2배나 증가하면서 34개 단체에서 34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던

데서 나아가 47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성과를 내었다

교육 참여자 수 또한 1081명에서 2108명으로 1000명이나 증가하였다

예산 증가에 따른 사업단체 단체 수의 증가 프로그램의 다양성 수요에

따른 교육 참여자 수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물론 재단의 까다로운 문화행정 강사들의 안일한 수업 태도와 전문성

결여 등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2017년 예산은 2016년 대

비 2억원이 축소되었으나 51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2091명이 문화예술교육의 수혜를 입었다 이것은 신규단체 또는 3년 미

만의 사업단체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참여자를 기수를 나누어 진행하

던 기존 방식에서 1기수 20명으로 전환하거나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

이기 위하여 1년 완성형 프로그램 방식을 도입한 데 따른 결과라 볼 수

있다

둘째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주민과 예술가의 소통을

지원하는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환경 조성을 통하여 문화격차 해소

지역공동체 문화회복 학습자 개인의 성장을 넘어 일상 속 지역문화공동

체 모델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문화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15년 17개 단체의 17개 프로그램에 총 385명이 2016년에는 16개의

일반공모와 1개의 기획공모사업에 345명이 참여하여 다양한 교육을 받

았다 2017년에는 15개의 일반공모 단체와 1개의 기획공모 단체가 397명

30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의 지역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

램을 진행하였다 예산은 국비와 시비 11매칭으로 2015년에서 2017년까

지 3년간 동일하게 294000천원으로 편성ㆍ운영되었다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지역민과 예술가 또는 예술단체

가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

역민과의 소통을 전제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3년간 참여한 지역과 단

체 개발된 프로그램의 확산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예

산 증액 없이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확대와 발전을 기대

하기 어렵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준다

4) 부산 문화 술교육의 성과와 한계

지난 15년 간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다음과 같은 성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하

는 제도적 기초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lsquo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

원 조례rsquo는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제도적 장치로 문화예술교육이 시민

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부산문화 역량 강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명시

하고 있다20) 이는 예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하는 근거가 된다 그러

나 서울 경기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대전광역시21) 등에서는 교

육청이 문화예술교육 진흥과 관련한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 중인 것과

비교하면 부산은 제도적 기반이 여전히 충분하지 않고 유관기관 간의

협력 체제가 공고하게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둘째 예산을 확대 편성하여 안정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양적 성장을 이

루었다 부산에서는 국비와 시비 자체 사업비 등을 포함하여 국악분야

20) 「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원 조례」 제3조(기본원칙) 2항에서 ldquo모든 시민은

나이 성별 장애 사회적 신분 경제적 여건 거주지역 등에 관계없이 자신의 관

심과 적성에 따라 평생에 걸쳐 문화예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받는다rdquo고 명시하고 있다

21) 대전광역시교육청은 장애학생 문화예술 지원 조례를 두고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7

예술강사 지원사업 18억원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24억원 사회문화예

술교육 등 그밖의 사업에 25억원 정도의 사업비가 매년 투입되었다 이

를 통해 사업 대상과 규모를 확대할 수 있었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경

우 연간 500여 개의 학교가 참여하였고 교육 시수는 5만~8만 시간 정

도 운영되었다 예술강사가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수혜자 수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공간과 시설 등 인프라 확충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양적 증대에 따라 교육 공간과 시설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되면서

부산시나 구 단위에서 문화예술교육 거점 공간을 조성하거나 지역의 특

정 공간을 문화예술교육공간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청소

년 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는 개관 초기부터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끌었

으며 문화예술교육 공간과 콘텐츠 면에서 우수 사례로 벤치마킹되고 있

셋째 양적 성장을 기초로 유추해 볼 때 문화예술교육과 함께 성장한

교육 수혜자들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

이 확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22) 문화예술교육 경험자는 개인의 행복감

이나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비경험자보다 긍정적 결과를 보인다고 한

다23) 앞으로도 문화예술 영역의 외연 확장과 더불어 지역 정체성의 발

견과 확립 지역민의 삶의 질 개선 지역 경제와의 연계 도시 재생 지역

발전 견인 등과 적절하게 결부시킴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사회

적으로 확산시켜 나갈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 반해 문제점과 한계 또한 적지 않다

첫째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를 들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지원체계

는 중앙정부에서 예산을 일방적으로 편성하여 지자체에 배정하는 방식

을 취하고 있으며 사업 또한 동일한 방식을 유지해 왔다 이러한 정부

22) 앞으로 문화예술교육 수혜자들이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으로 나아가는 사례

를 면밀히 분석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사회 활동에서 비수혜자들과 어떤

차이를 드러내는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2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30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주도의 중앙집중형 지원 시스템은 지역의 현실과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

지 못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지역적 기반과 문화적 응전력 자생력을 현

격하게 약화시킨다 지역의 문화자원(유관기관 문화예술단체 등)과 인

적 자원의 협력 체계를 제대로 구축하지 못한 점도 마찬가지다 결과적

으로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취약하게 만들 수밖에 없는 것

이다 현 정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기조로 지역 구심성을 강조하

고 있지만 이러한 지원체계의 혁신 없이는 불가능하다

둘째 공급자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에

따라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된 이원적 구조가

고착되면서 교육 내용이나 방법론 확장에 많은 제약이 뒤따랐다 특히

학교에서부터 사회에 이르는 생애 전 과정을 통합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지 못하고 있는 점 각 영역별로 각자의 교육 대상자를 규정하고

있어 교육 대상자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점 등이 문제다 그 결

과 수혜자 수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중복 수혜 대상이 반복적

으로 발생하는가 하면 전혀 수혜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 또한 적지 않다

가령 유아 청년(대학생 또는 청년) 대상 사업이 전무한 실정이고 일부

중장년층이나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운영하고 있지만 실효성

이 낮은 편이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경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사업 중심이어서

사업별로 대상자가 중복되는 경향이 있고 사업 대상을 취약계층으로 규

정한 것은 일종의 낙인효과를 유발함으로써 사업 취지와도 적절하게 부

응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필요를 반영한

교육과정이 설계되지 못했다 한정된 교육 장소 또한 공급자 중심이어서

수혜자 또는 수혜자 집단이 교육 공간에 방문하여 진행하는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다 삶의 질 향상과 생활문화가 중시되는 이즈음 수요자의 생

활 속으로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절실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9

셋째 양적 증대에 비해 질적 성장을 이루지 못했다 이는 교육과정 개

선이나 관리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지 않은 데서 비롯되었다 교육프로

그램 실행이나 효과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을 개선해야 하지만 시스템

부재로 양질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ㆍ보급해 나가는 데 어려움

이 따를 수밖에 없다 현장과 동떨어진 내용을 요구하거나 표준화된 학

습지도안에 따라 기계적인 수업을 강요하는 측면이 있는 반면 교육과정

을 지나치게 자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강사에 따라 내용의 편차가 크게

존재하는 등 교육의 균질성 역시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예술강사의 역

량 강화를 위한 제도나 교육 프로그램 역시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데 의무 연수 규정 또한 폐지되어 전적으로 강사 개인의 자율적 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곧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하락으로 연결된

다 유관기관의 담당자나 학교관계자 교사들의 예술강사에 대한 인식에

도 문제가 있다 학교 관계자는 예술강사를 lsquo교사가 담당하기 어려운 과

목을 단순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rsquo 정도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

어 예술강사의 자긍심을 저하시키고 있다 예술강사(프로그램 준비 실

행) 학교관계자(시수인정 학교 안내 등) 담당교사(수업 시간 조율 준

비와 진행 등에 대한 협조)의 역할 설정 또한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교

육현장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성과를 집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참여 강사 및 단체 프로그

램(교육과정안 및 세부내용) 협력공간에 대한 정보를 생산ㆍ공유할 수

있는 종합 시스템이 미비하다 교육과정안과 세부 수업 내용뿐만 아니라

강사별 단체별 협력공간별 정보를 취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 없어

정보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역 기반의 우

수한 콘텐츠의 생산과 활용 측면에도 충분한 뒷받침을 하지 못하고 있

31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부산 문화 술교육의 과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고려해 볼 때 부산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

화 등 세 영역에서 향후 과제와 전망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1) 지역 문화 술교육 생태계 조성

첫째 서울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등과 같이 교육청 차원에서 별도

의 조례를 마련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재정비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은

정부 문화기관 교육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한 특수 분야다 이러

한 특성을 감안하여 부산시 부산문화재단 부산광역시 교육청은 문화예

술교육 발전 비전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실제 추진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또

한 문화예술교육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지역의 공연기관

박물관 도서관 지역문화원 등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과의 연계와 협력

도 필요하다 예컨대 핀란드의 lsquo뮤지엄 교육rsquo은 뮤지엄 동물원 오페라

극장 등이 학교와 연계하여 만든 프로그램으로 핀란드의 오랜 식민지

역사를 되짚어보고 국가 정체성을 재발견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근대 부

산의 도시 형성 역사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핀란드 교육은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콘텐츠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의 지역 집중성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부산 지역

의 여건과 현황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부산

센터가 더욱 능동적으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향

후 설립될 기초 단위 센터와의 바람직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문

화예술교육 정책의 지역화 초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하지 못

한 문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진흥원과의 유기적 협력

체계를 유지하는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1

해서는 운영 체제를 개편하고 전담 인력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를 활성화해야 한다 국내외 교류를 활발

히 추진함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시켜 나가

고 국내외 우수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콘텐츠의 질적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부산의 문화예술교육 역량에 걸맞은 국제 컨퍼런스

와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시키고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 담론을 생산해야 한다 아울러 양질의 네트워크

를 형성하여 지속적인 교류ㆍ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부산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일도 더없이 중요하다 국내

유관단체와 기관 간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감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자

생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2) 수요자 심의 교육환경 구축

첫째 수요자의 생활권과 연계된 문화예술교육의 기반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기관으

로 리모델링하는 방안 공간을 정비하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을 갖추는

공간 재편 방안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공간을 지속

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 김포가압장을 리모델링하여 아동ㆍ청소년

예술교육센터로 활용하고 있는 서서울예술교육센터 옛 성복보건소 건

물을 리모델링한 서울예술치유허브 등이 좋은 예다 또한 지역민의 생

활권 안에서 자발적으로 문화예술을 즐김으로써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가령 동아리 활동에 전

문가를 매칭하여 지속적ㆍ단계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

법이며 예술 놀이터를 조성하여 누구나 부담 없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사업

도 필요하다 문화예술교육은 지역의 문화유산이나 생활 습속과 연계하

31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여 지역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때 공동체 의식과 바람직한 지역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미국 피츠버그에 소재한 맨체

스터 크래프트 길드(Manchester Craft Guild)의 경우 청소년 시절 도예

교육 미술 지역 공동체의 힘을 깨달은 설립자가 일생 동안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며 지역 공동체의식을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이

외에도 지역에 산재한 여러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교육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망을 정교하게 구축하고 유기적으로 작동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생애주기별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여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

대해야 한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은 생애 전반에 걸쳐 지역

민과 지역공동체의 생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지역형 문화예술

교육 정책의 근간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추진해 오던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여러 이유로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수요자

층을 발굴하고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부산문화재단(부산광역문화교육지원센터) 부

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금정문화재단 등이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수혜 대상자 현황을 살펴보면 취약계층을 포함한 학교 안팎의 청소년이

주된 대상이다 반면 유아ㆍ아동과 청년 대상 사업은 전무하며 노인대

상 사업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이나 시민아카데미 사업 정도

에 불과하다

두루 알다시피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은 유아부터 노인까지 단계적

ㆍ체계적 프로그램을 기획ㆍ운영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할렘 칠드런즈 존(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을 들 수 있다24) lsquo할렘

어린이 구역(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rsquo 프로젝트는 태교부터 직장

24)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KIPP)

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

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67쪽 Harlem Childrenrsquos Zone httpshcz

org2018100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3

에 들어가기까지 교육과 건강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 각자의 건강

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이것이 지역 공동체의 건강한 토대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좋은 예다 이 프로젝트는 영유아 종일 보육센터 학업 성

취를 책임지는 차터 스쿨 건강지원센터 방과 후에 운영되는 아동과 성

인을 위한 주민센터 주말과 여름에 이루어지는 청소년 폭력 방지 등 지

역 주민 전체를 위한 광범위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25)

셋째 수요자의 다양한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창의력과 융합적 사고의 원동력이 되는 인문학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부산문화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인문학 소모임 동아리 출판 지원 등의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감

으로써 다양성을 확보하고 문화예술 기초역량을 배양해 나가는 디딤돌

로 삼아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장을 넓혀 나가는 작업도 필요하

다 스웨덴의 lsquo서커스 시르쾨르rsquo은 좋은 본보기다 이는 서커스를 문화예

술교육에 접목한 사례로 인간의 삶의 균형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다

양한 오브제를 활용하고 신체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다26)

최근 부산에서 장애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장애인 대상 교육단체에 대한 지원과 국가자격증을

갖춘 강사 확보를 통한 전문성 강화 등 관리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또한 지원 대상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미

국 오클랜드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기관 크리에이티

브 그로스 아트센터(Creative Groth Art Center) 사례는 적지 않은 시사

점을 던진다 이 기관은 1974년부터 발달장애인의 예술적 역량과 완성

작품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데 기여해 왔다 장애인 작가들

이 자유로운 예술 감각을 표현하며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 작

업실을 제공하고 국내외 전시를 개최하는 등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

25) 김경애 위의 논문 170쪽

26)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116쪽

31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넷째 영역별 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교문화예술

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되어 있는 구조를 극복하여 문화예술

교육의 실질적 효용을 극대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국립 오페라단의 스

쿨 오페라 프로그램은 좋은 예다 전국의 학교를 대상으로 오페라 교재

와 가수 스태프를 파견하고 의상 등을 지원하며 다양한 교과와 연계하

여 사업을 펼치고 있다 가령 역사 수업에서 오페라의 시대 배경을 제시

하고 국어 수업에서는 연기하는 인물의 감정을 고찰하며 미술 수업에

서는 소도구를 직접 제작해 보기도 한다 경영 수업에서는 입장권을 직

접 판매하는 등 홍보ㆍ마케팅 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역별 연계

활동은 예술가의 자유로운 실험정신과 창의적 사고로 교실에 생기를 불

어넣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27)

3) 문화 술교육 질 기반 고도화

첫째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해 나가는 작업

이 시급하다28) 학교문화예술교육 설문조사 결과29)에 따르면 문화예술

27)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299쪽

28) 부산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서는 고(稿)를 달리하여 논의

할 예정이다

29)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심층면담 결과를(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58-59

쪽) 사회문화예술교육은 2018년 9월 30일 자체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였다 특히 후자는 다음과 같은 문항으로 예술강사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1 참여하고 있는(또는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2 현

재 교육하고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3 현재 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분야와

교육 중인 분야가 일치합니까 4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

니까 5 문화예술교육 경력기간을 선택해 주세요 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까 7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해 받은 연수 프로그램이 있다

면 선택해 주세요 8 2015~2018년 간 이수한 총 연수 시수를 선택해 주세요 8

mdash1 2015년~2018년 간 부산문화재단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

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mdash2 2015년~2018년 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ARTE)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

mdash3 2015년~2018년 간 기타 기관에서 연수받은 적이 있다면 연수기관과 시수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5

교육 강사 재교육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강사 자신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예술강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매몰되면 자칫 기능 중심의 교육이 되기 쉽고 문

화예술교육 고유의 목표에 다가가기 어렵게 된다 예술강사의 질은 문화

예술교육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학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해야 한다 서울형 예술가

교사(TA)는 문화예술 기반 콘텐츠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접목시켜

만든 새로운 강사 모델이다 이들은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철학인 lsquo미

적 체험rsquo을 실현하는 예술교육 전문가로 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뛰

어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인문

ㆍ예술 장르의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내고 있다 초등학교 대상 프로그램 lsquo예

술로 플러스rsquo와 중학생 대상 인문예술교육 lsquo예술로 함께rsquo는 모두 정규과

정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이 있다30) 아울

러 예술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인력 문화예

술교육단체 학교 기관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

식을 개선하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ㆍ단계적인 교

육 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과거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영역에서 교과서

를 표준화했지만 최근에는 강사가 현실 여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되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효과적

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네트워킹

를 기재해 주세요

30)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htmleducationchildaspperMen

uSeq=2ampMenuSeq=3720181006 예술가교사 사이트 httpartsedutasfacork

rhtmlteachingArtchildEdu_introasp20181006

31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인적 자원 정보를 담은 인력 뱅크 콘텐츠 디렉토리 지역

의 문화자원 사업 정보 국내외 동향과 연구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역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과 실태를 조사

ㆍ연구하는 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다 문화예술교육

의 지역 실태 조사는 문화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짧은 주

기로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제를 발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rsquo 발표를 계기로 문

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분

권의 시대가치에 적합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문화예

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

합회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을 중심

으로 기관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은 중앙

과 협력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을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부산

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원사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15: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3

하나라 볼 수 있다 교육과정 운영은 엄격한 편이다 하지만 강사의 개인

역량과 수업 환경에 따라 일정 부분 유연성을 인정하고 허용하는 추세

다 학교문화예술교육에서 강사의 자율성과 교육의 균질성 확보 사이의

균형 역시 연구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

참여학교는 부산광역시교육청에 등록된 특수학교를 포함한 초ㆍ중ㆍ

고등학교가 2017년 기준 643개교에 이른다 초등은 308개교(479) 중

등은 174개교(271) 고등은 146개교(227) 특수학교는 15개교(23)

로 초등학교가 가장 많다 2017년 기준 참여 학교 수도 초등 296개교

중등 150개교 고등은 69개교 특수학교 14개교가 학교 예술강사 파견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특수학교는 1개교만 제외하고 모

두 문화예술교육 수혜를 받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고등학교는 50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데 입시제도의 문제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 본다

중학교 역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여전히 문화예술교육의 수혜

를 받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이 많다

사업비는 2015년 4247875천원 2016년 4322382천원 2017년

5230088천원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2016년과

비교하여 20117년 예산이 21나 증가한 것은 교육시수의 증가와 밀접

한 관련이 있다

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는

기획사업으로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과 lsquo작은 도서관 지원rsquo 사업을

진행하였다 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의 프로그램 구성은 진로 강연과

문화예술교육으로 구분된다 문화예술교육 수업에는 뮤지컬 연극 영화

제작 무대디자인 목공예 오페라 전통연희 공연디렉팅이 있다 수업은

3일 총 6시간(1학교 1일 2회 2시간씩) 진행되었으며 사업 예산은 90000

천원으로 주로 강사료와 재료비로 충당되었다

30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사회문화 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은 학교문화예술교육 대상을 포함한 유아부터 노인

까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며 특히 취약계층이 문화예술을 풍부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은 강사

(또는 단체)가 교육프로그램을 직접 개발ㆍ보급하는 형태로 1년 단위 공

모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강사가 보유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제외한 모

든 운영과 관련된 내용은 진흥원과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

센터)의 운영 지침에 따른다 대표적인 것이 lsquo꿈다락 토요문화학교rsquo와 lsquo지

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rsquo 사업이다

첫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학교 밖 전문 문화예술 기관이나 단체에

서 학령기 아동ㆍ청소년과 그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다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매개로 가족이나 또래 간 소통할 수 있는 새로

운 여가문화를 조성하고 학습의 장을 지역사회로 확대하여 학교mdash가정

mdash지역사회 연계의 교육 공동체를 구축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학

교제도와는 차별화된 문화예술교육 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문화예술교

육에서 소외되었던 대상들에게도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상상력과 소통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2015년 34개 단체의 34개 프로그램 2016년 일

반공모 39개 단체ㆍ기획공모 8개 단체의 55개 프로그램 2017년 50개 단

체 54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교육 참여인원은 2015년 1081명

2016년 2108명 2017년 2091명에 이른다 예산 규모는 국비와 시비 11

매칭 방식으로 2015년 912500천원 2016년 1824000천원 2017년

1642000천원이다 초기에는 특정 구 단위에 편중되었지만 해를 거듭할

수록 구 단위 참여 지역의 편차를 줄이는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2015년

금정구와 부산진구 사상구에서 4개 동래구와 연제구 북구에서 3개 그

외 영도구 중구 기장군 사하구 남구에서 각각 2개 동구에서 1개의 프

로그램을 2016년에는 서구와 강서구가 추가되면서 부산 18개 지역 전체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5

에서 실시되었다 이 역시 예산 증액에 따른 참여단체 수 증가와 문화예

술교육 수요의 증가에 따른 결과라 할 수 있다 2017년에는 해운대구에

서만 7개의 단체가 8개 프로그램을 금정구에서는 5개의 단체가 7개 프

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다음으로 부산진구와 동래구 수영구가 각각 5개

단체에서 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산은 2015년 912500천원 2016년도 1824000

천원으로 2배나 증가하면서 34개 단체에서 34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던

데서 나아가 47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성과를 내었다

교육 참여자 수 또한 1081명에서 2108명으로 1000명이나 증가하였다

예산 증가에 따른 사업단체 단체 수의 증가 프로그램의 다양성 수요에

따른 교육 참여자 수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물론 재단의 까다로운 문화행정 강사들의 안일한 수업 태도와 전문성

결여 등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2017년 예산은 2016년 대

비 2억원이 축소되었으나 51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2091명이 문화예술교육의 수혜를 입었다 이것은 신규단체 또는 3년 미

만의 사업단체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참여자를 기수를 나누어 진행하

던 기존 방식에서 1기수 20명으로 전환하거나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

이기 위하여 1년 완성형 프로그램 방식을 도입한 데 따른 결과라 볼 수

있다

둘째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주민과 예술가의 소통을

지원하는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환경 조성을 통하여 문화격차 해소

지역공동체 문화회복 학습자 개인의 성장을 넘어 일상 속 지역문화공동

체 모델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문화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15년 17개 단체의 17개 프로그램에 총 385명이 2016년에는 16개의

일반공모와 1개의 기획공모사업에 345명이 참여하여 다양한 교육을 받

았다 2017년에는 15개의 일반공모 단체와 1개의 기획공모 단체가 397명

30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의 지역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

램을 진행하였다 예산은 국비와 시비 11매칭으로 2015년에서 2017년까

지 3년간 동일하게 294000천원으로 편성ㆍ운영되었다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지역민과 예술가 또는 예술단체

가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

역민과의 소통을 전제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3년간 참여한 지역과 단

체 개발된 프로그램의 확산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예

산 증액 없이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확대와 발전을 기대

하기 어렵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준다

4) 부산 문화 술교육의 성과와 한계

지난 15년 간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다음과 같은 성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하

는 제도적 기초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lsquo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

원 조례rsquo는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제도적 장치로 문화예술교육이 시민

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부산문화 역량 강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명시

하고 있다20) 이는 예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하는 근거가 된다 그러

나 서울 경기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대전광역시21) 등에서는 교

육청이 문화예술교육 진흥과 관련한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 중인 것과

비교하면 부산은 제도적 기반이 여전히 충분하지 않고 유관기관 간의

협력 체제가 공고하게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둘째 예산을 확대 편성하여 안정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양적 성장을 이

루었다 부산에서는 국비와 시비 자체 사업비 등을 포함하여 국악분야

20) 「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원 조례」 제3조(기본원칙) 2항에서 ldquo모든 시민은

나이 성별 장애 사회적 신분 경제적 여건 거주지역 등에 관계없이 자신의 관

심과 적성에 따라 평생에 걸쳐 문화예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받는다rdquo고 명시하고 있다

21) 대전광역시교육청은 장애학생 문화예술 지원 조례를 두고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7

예술강사 지원사업 18억원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24억원 사회문화예

술교육 등 그밖의 사업에 25억원 정도의 사업비가 매년 투입되었다 이

를 통해 사업 대상과 규모를 확대할 수 있었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경

우 연간 500여 개의 학교가 참여하였고 교육 시수는 5만~8만 시간 정

도 운영되었다 예술강사가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수혜자 수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공간과 시설 등 인프라 확충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양적 증대에 따라 교육 공간과 시설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되면서

부산시나 구 단위에서 문화예술교육 거점 공간을 조성하거나 지역의 특

정 공간을 문화예술교육공간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청소

년 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는 개관 초기부터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끌었

으며 문화예술교육 공간과 콘텐츠 면에서 우수 사례로 벤치마킹되고 있

셋째 양적 성장을 기초로 유추해 볼 때 문화예술교육과 함께 성장한

교육 수혜자들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

이 확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22) 문화예술교육 경험자는 개인의 행복감

이나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비경험자보다 긍정적 결과를 보인다고 한

다23) 앞으로도 문화예술 영역의 외연 확장과 더불어 지역 정체성의 발

견과 확립 지역민의 삶의 질 개선 지역 경제와의 연계 도시 재생 지역

발전 견인 등과 적절하게 결부시킴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사회

적으로 확산시켜 나갈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 반해 문제점과 한계 또한 적지 않다

첫째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를 들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지원체계

는 중앙정부에서 예산을 일방적으로 편성하여 지자체에 배정하는 방식

을 취하고 있으며 사업 또한 동일한 방식을 유지해 왔다 이러한 정부

22) 앞으로 문화예술교육 수혜자들이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으로 나아가는 사례

를 면밀히 분석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사회 활동에서 비수혜자들과 어떤

차이를 드러내는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2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30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주도의 중앙집중형 지원 시스템은 지역의 현실과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

지 못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지역적 기반과 문화적 응전력 자생력을 현

격하게 약화시킨다 지역의 문화자원(유관기관 문화예술단체 등)과 인

적 자원의 협력 체계를 제대로 구축하지 못한 점도 마찬가지다 결과적

으로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취약하게 만들 수밖에 없는 것

이다 현 정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기조로 지역 구심성을 강조하

고 있지만 이러한 지원체계의 혁신 없이는 불가능하다

둘째 공급자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에

따라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된 이원적 구조가

고착되면서 교육 내용이나 방법론 확장에 많은 제약이 뒤따랐다 특히

학교에서부터 사회에 이르는 생애 전 과정을 통합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지 못하고 있는 점 각 영역별로 각자의 교육 대상자를 규정하고

있어 교육 대상자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점 등이 문제다 그 결

과 수혜자 수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중복 수혜 대상이 반복적

으로 발생하는가 하면 전혀 수혜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 또한 적지 않다

가령 유아 청년(대학생 또는 청년) 대상 사업이 전무한 실정이고 일부

중장년층이나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운영하고 있지만 실효성

이 낮은 편이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경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사업 중심이어서

사업별로 대상자가 중복되는 경향이 있고 사업 대상을 취약계층으로 규

정한 것은 일종의 낙인효과를 유발함으로써 사업 취지와도 적절하게 부

응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필요를 반영한

교육과정이 설계되지 못했다 한정된 교육 장소 또한 공급자 중심이어서

수혜자 또는 수혜자 집단이 교육 공간에 방문하여 진행하는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다 삶의 질 향상과 생활문화가 중시되는 이즈음 수요자의 생

활 속으로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절실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9

셋째 양적 증대에 비해 질적 성장을 이루지 못했다 이는 교육과정 개

선이나 관리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지 않은 데서 비롯되었다 교육프로

그램 실행이나 효과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을 개선해야 하지만 시스템

부재로 양질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ㆍ보급해 나가는 데 어려움

이 따를 수밖에 없다 현장과 동떨어진 내용을 요구하거나 표준화된 학

습지도안에 따라 기계적인 수업을 강요하는 측면이 있는 반면 교육과정

을 지나치게 자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강사에 따라 내용의 편차가 크게

존재하는 등 교육의 균질성 역시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예술강사의 역

량 강화를 위한 제도나 교육 프로그램 역시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데 의무 연수 규정 또한 폐지되어 전적으로 강사 개인의 자율적 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곧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하락으로 연결된

다 유관기관의 담당자나 학교관계자 교사들의 예술강사에 대한 인식에

도 문제가 있다 학교 관계자는 예술강사를 lsquo교사가 담당하기 어려운 과

목을 단순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rsquo 정도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

어 예술강사의 자긍심을 저하시키고 있다 예술강사(프로그램 준비 실

행) 학교관계자(시수인정 학교 안내 등) 담당교사(수업 시간 조율 준

비와 진행 등에 대한 협조)의 역할 설정 또한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교

육현장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성과를 집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참여 강사 및 단체 프로그

램(교육과정안 및 세부내용) 협력공간에 대한 정보를 생산ㆍ공유할 수

있는 종합 시스템이 미비하다 교육과정안과 세부 수업 내용뿐만 아니라

강사별 단체별 협력공간별 정보를 취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 없어

정보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역 기반의 우

수한 콘텐츠의 생산과 활용 측면에도 충분한 뒷받침을 하지 못하고 있

31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부산 문화 술교육의 과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고려해 볼 때 부산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

화 등 세 영역에서 향후 과제와 전망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1) 지역 문화 술교육 생태계 조성

첫째 서울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등과 같이 교육청 차원에서 별도

의 조례를 마련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재정비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은

정부 문화기관 교육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한 특수 분야다 이러

한 특성을 감안하여 부산시 부산문화재단 부산광역시 교육청은 문화예

술교육 발전 비전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실제 추진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또

한 문화예술교육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지역의 공연기관

박물관 도서관 지역문화원 등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과의 연계와 협력

도 필요하다 예컨대 핀란드의 lsquo뮤지엄 교육rsquo은 뮤지엄 동물원 오페라

극장 등이 학교와 연계하여 만든 프로그램으로 핀란드의 오랜 식민지

역사를 되짚어보고 국가 정체성을 재발견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근대 부

산의 도시 형성 역사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핀란드 교육은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콘텐츠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의 지역 집중성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부산 지역

의 여건과 현황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부산

센터가 더욱 능동적으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향

후 설립될 기초 단위 센터와의 바람직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문

화예술교육 정책의 지역화 초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하지 못

한 문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진흥원과의 유기적 협력

체계를 유지하는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1

해서는 운영 체제를 개편하고 전담 인력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를 활성화해야 한다 국내외 교류를 활발

히 추진함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시켜 나가

고 국내외 우수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콘텐츠의 질적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부산의 문화예술교육 역량에 걸맞은 국제 컨퍼런스

와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시키고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 담론을 생산해야 한다 아울러 양질의 네트워크

를 형성하여 지속적인 교류ㆍ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부산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일도 더없이 중요하다 국내

유관단체와 기관 간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감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자

생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2) 수요자 심의 교육환경 구축

첫째 수요자의 생활권과 연계된 문화예술교육의 기반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기관으

로 리모델링하는 방안 공간을 정비하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을 갖추는

공간 재편 방안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공간을 지속

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 김포가압장을 리모델링하여 아동ㆍ청소년

예술교육센터로 활용하고 있는 서서울예술교육센터 옛 성복보건소 건

물을 리모델링한 서울예술치유허브 등이 좋은 예다 또한 지역민의 생

활권 안에서 자발적으로 문화예술을 즐김으로써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가령 동아리 활동에 전

문가를 매칭하여 지속적ㆍ단계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

법이며 예술 놀이터를 조성하여 누구나 부담 없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사업

도 필요하다 문화예술교육은 지역의 문화유산이나 생활 습속과 연계하

31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여 지역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때 공동체 의식과 바람직한 지역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미국 피츠버그에 소재한 맨체

스터 크래프트 길드(Manchester Craft Guild)의 경우 청소년 시절 도예

교육 미술 지역 공동체의 힘을 깨달은 설립자가 일생 동안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며 지역 공동체의식을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이

외에도 지역에 산재한 여러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교육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망을 정교하게 구축하고 유기적으로 작동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생애주기별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여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

대해야 한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은 생애 전반에 걸쳐 지역

민과 지역공동체의 생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지역형 문화예술

교육 정책의 근간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추진해 오던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여러 이유로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수요자

층을 발굴하고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부산문화재단(부산광역문화교육지원센터) 부

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금정문화재단 등이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수혜 대상자 현황을 살펴보면 취약계층을 포함한 학교 안팎의 청소년이

주된 대상이다 반면 유아ㆍ아동과 청년 대상 사업은 전무하며 노인대

상 사업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이나 시민아카데미 사업 정도

에 불과하다

두루 알다시피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은 유아부터 노인까지 단계적

ㆍ체계적 프로그램을 기획ㆍ운영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할렘 칠드런즈 존(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을 들 수 있다24) lsquo할렘

어린이 구역(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rsquo 프로젝트는 태교부터 직장

24)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KIPP)

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

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67쪽 Harlem Childrenrsquos Zone httpshcz

org2018100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3

에 들어가기까지 교육과 건강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 각자의 건강

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이것이 지역 공동체의 건강한 토대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좋은 예다 이 프로젝트는 영유아 종일 보육센터 학업 성

취를 책임지는 차터 스쿨 건강지원센터 방과 후에 운영되는 아동과 성

인을 위한 주민센터 주말과 여름에 이루어지는 청소년 폭력 방지 등 지

역 주민 전체를 위한 광범위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25)

셋째 수요자의 다양한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창의력과 융합적 사고의 원동력이 되는 인문학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부산문화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인문학 소모임 동아리 출판 지원 등의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감

으로써 다양성을 확보하고 문화예술 기초역량을 배양해 나가는 디딤돌

로 삼아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장을 넓혀 나가는 작업도 필요하

다 스웨덴의 lsquo서커스 시르쾨르rsquo은 좋은 본보기다 이는 서커스를 문화예

술교육에 접목한 사례로 인간의 삶의 균형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다

양한 오브제를 활용하고 신체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다26)

최근 부산에서 장애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장애인 대상 교육단체에 대한 지원과 국가자격증을

갖춘 강사 확보를 통한 전문성 강화 등 관리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또한 지원 대상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미

국 오클랜드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기관 크리에이티

브 그로스 아트센터(Creative Groth Art Center) 사례는 적지 않은 시사

점을 던진다 이 기관은 1974년부터 발달장애인의 예술적 역량과 완성

작품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데 기여해 왔다 장애인 작가들

이 자유로운 예술 감각을 표현하며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 작

업실을 제공하고 국내외 전시를 개최하는 등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

25) 김경애 위의 논문 170쪽

26)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116쪽

31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넷째 영역별 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교문화예술

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되어 있는 구조를 극복하여 문화예술

교육의 실질적 효용을 극대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국립 오페라단의 스

쿨 오페라 프로그램은 좋은 예다 전국의 학교를 대상으로 오페라 교재

와 가수 스태프를 파견하고 의상 등을 지원하며 다양한 교과와 연계하

여 사업을 펼치고 있다 가령 역사 수업에서 오페라의 시대 배경을 제시

하고 국어 수업에서는 연기하는 인물의 감정을 고찰하며 미술 수업에

서는 소도구를 직접 제작해 보기도 한다 경영 수업에서는 입장권을 직

접 판매하는 등 홍보ㆍ마케팅 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역별 연계

활동은 예술가의 자유로운 실험정신과 창의적 사고로 교실에 생기를 불

어넣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27)

3) 문화 술교육 질 기반 고도화

첫째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해 나가는 작업

이 시급하다28) 학교문화예술교육 설문조사 결과29)에 따르면 문화예술

27)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299쪽

28) 부산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서는 고(稿)를 달리하여 논의

할 예정이다

29)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심층면담 결과를(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58-59

쪽) 사회문화예술교육은 2018년 9월 30일 자체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였다 특히 후자는 다음과 같은 문항으로 예술강사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1 참여하고 있는(또는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2 현

재 교육하고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3 현재 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분야와

교육 중인 분야가 일치합니까 4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

니까 5 문화예술교육 경력기간을 선택해 주세요 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까 7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해 받은 연수 프로그램이 있다

면 선택해 주세요 8 2015~2018년 간 이수한 총 연수 시수를 선택해 주세요 8

mdash1 2015년~2018년 간 부산문화재단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

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mdash2 2015년~2018년 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ARTE)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

mdash3 2015년~2018년 간 기타 기관에서 연수받은 적이 있다면 연수기관과 시수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5

교육 강사 재교육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강사 자신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예술강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매몰되면 자칫 기능 중심의 교육이 되기 쉽고 문

화예술교육 고유의 목표에 다가가기 어렵게 된다 예술강사의 질은 문화

예술교육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학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해야 한다 서울형 예술가

교사(TA)는 문화예술 기반 콘텐츠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접목시켜

만든 새로운 강사 모델이다 이들은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철학인 lsquo미

적 체험rsquo을 실현하는 예술교육 전문가로 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뛰

어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인문

ㆍ예술 장르의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내고 있다 초등학교 대상 프로그램 lsquo예

술로 플러스rsquo와 중학생 대상 인문예술교육 lsquo예술로 함께rsquo는 모두 정규과

정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이 있다30) 아울

러 예술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인력 문화예

술교육단체 학교 기관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

식을 개선하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ㆍ단계적인 교

육 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과거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영역에서 교과서

를 표준화했지만 최근에는 강사가 현실 여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되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효과적

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네트워킹

를 기재해 주세요

30)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htmleducationchildaspperMen

uSeq=2ampMenuSeq=3720181006 예술가교사 사이트 httpartsedutasfacork

rhtmlteachingArtchildEdu_introasp20181006

31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인적 자원 정보를 담은 인력 뱅크 콘텐츠 디렉토리 지역

의 문화자원 사업 정보 국내외 동향과 연구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역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과 실태를 조사

ㆍ연구하는 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다 문화예술교육

의 지역 실태 조사는 문화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짧은 주

기로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제를 발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rsquo 발표를 계기로 문

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분

권의 시대가치에 적합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문화예

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

합회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을 중심

으로 기관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은 중앙

과 협력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을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부산

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원사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30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사회문화 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은 학교문화예술교육 대상을 포함한 유아부터 노인

까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며 특히 취약계층이 문화예술을 풍부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은 강사

(또는 단체)가 교육프로그램을 직접 개발ㆍ보급하는 형태로 1년 단위 공

모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강사가 보유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제외한 모

든 운영과 관련된 내용은 진흥원과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

센터)의 운영 지침에 따른다 대표적인 것이 lsquo꿈다락 토요문화학교rsquo와 lsquo지

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rsquo 사업이다

첫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학교 밖 전문 문화예술 기관이나 단체에

서 학령기 아동ㆍ청소년과 그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다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매개로 가족이나 또래 간 소통할 수 있는 새로

운 여가문화를 조성하고 학습의 장을 지역사회로 확대하여 학교mdash가정

mdash지역사회 연계의 교육 공동체를 구축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학

교제도와는 차별화된 문화예술교육 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문화예술교

육에서 소외되었던 대상들에게도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상상력과 소통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2015년 34개 단체의 34개 프로그램 2016년 일

반공모 39개 단체ㆍ기획공모 8개 단체의 55개 프로그램 2017년 50개 단

체 54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교육 참여인원은 2015년 1081명

2016년 2108명 2017년 2091명에 이른다 예산 규모는 국비와 시비 11

매칭 방식으로 2015년 912500천원 2016년 1824000천원 2017년

1642000천원이다 초기에는 특정 구 단위에 편중되었지만 해를 거듭할

수록 구 단위 참여 지역의 편차를 줄이는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2015년

금정구와 부산진구 사상구에서 4개 동래구와 연제구 북구에서 3개 그

외 영도구 중구 기장군 사하구 남구에서 각각 2개 동구에서 1개의 프

로그램을 2016년에는 서구와 강서구가 추가되면서 부산 18개 지역 전체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5

에서 실시되었다 이 역시 예산 증액에 따른 참여단체 수 증가와 문화예

술교육 수요의 증가에 따른 결과라 할 수 있다 2017년에는 해운대구에

서만 7개의 단체가 8개 프로그램을 금정구에서는 5개의 단체가 7개 프

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다음으로 부산진구와 동래구 수영구가 각각 5개

단체에서 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산은 2015년 912500천원 2016년도 1824000

천원으로 2배나 증가하면서 34개 단체에서 34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던

데서 나아가 47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성과를 내었다

교육 참여자 수 또한 1081명에서 2108명으로 1000명이나 증가하였다

예산 증가에 따른 사업단체 단체 수의 증가 프로그램의 다양성 수요에

따른 교육 참여자 수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물론 재단의 까다로운 문화행정 강사들의 안일한 수업 태도와 전문성

결여 등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2017년 예산은 2016년 대

비 2억원이 축소되었으나 51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2091명이 문화예술교육의 수혜를 입었다 이것은 신규단체 또는 3년 미

만의 사업단체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참여자를 기수를 나누어 진행하

던 기존 방식에서 1기수 20명으로 전환하거나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

이기 위하여 1년 완성형 프로그램 방식을 도입한 데 따른 결과라 볼 수

있다

둘째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주민과 예술가의 소통을

지원하는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환경 조성을 통하여 문화격차 해소

지역공동체 문화회복 학습자 개인의 성장을 넘어 일상 속 지역문화공동

체 모델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문화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15년 17개 단체의 17개 프로그램에 총 385명이 2016년에는 16개의

일반공모와 1개의 기획공모사업에 345명이 참여하여 다양한 교육을 받

았다 2017년에는 15개의 일반공모 단체와 1개의 기획공모 단체가 397명

30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의 지역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

램을 진행하였다 예산은 국비와 시비 11매칭으로 2015년에서 2017년까

지 3년간 동일하게 294000천원으로 편성ㆍ운영되었다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지역민과 예술가 또는 예술단체

가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

역민과의 소통을 전제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3년간 참여한 지역과 단

체 개발된 프로그램의 확산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예

산 증액 없이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확대와 발전을 기대

하기 어렵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준다

4) 부산 문화 술교육의 성과와 한계

지난 15년 간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다음과 같은 성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하

는 제도적 기초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lsquo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

원 조례rsquo는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제도적 장치로 문화예술교육이 시민

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부산문화 역량 강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명시

하고 있다20) 이는 예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하는 근거가 된다 그러

나 서울 경기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대전광역시21) 등에서는 교

육청이 문화예술교육 진흥과 관련한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 중인 것과

비교하면 부산은 제도적 기반이 여전히 충분하지 않고 유관기관 간의

협력 체제가 공고하게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둘째 예산을 확대 편성하여 안정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양적 성장을 이

루었다 부산에서는 국비와 시비 자체 사업비 등을 포함하여 국악분야

20) 「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원 조례」 제3조(기본원칙) 2항에서 ldquo모든 시민은

나이 성별 장애 사회적 신분 경제적 여건 거주지역 등에 관계없이 자신의 관

심과 적성에 따라 평생에 걸쳐 문화예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받는다rdquo고 명시하고 있다

21) 대전광역시교육청은 장애학생 문화예술 지원 조례를 두고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7

예술강사 지원사업 18억원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24억원 사회문화예

술교육 등 그밖의 사업에 25억원 정도의 사업비가 매년 투입되었다 이

를 통해 사업 대상과 규모를 확대할 수 있었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경

우 연간 500여 개의 학교가 참여하였고 교육 시수는 5만~8만 시간 정

도 운영되었다 예술강사가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수혜자 수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공간과 시설 등 인프라 확충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양적 증대에 따라 교육 공간과 시설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되면서

부산시나 구 단위에서 문화예술교육 거점 공간을 조성하거나 지역의 특

정 공간을 문화예술교육공간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청소

년 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는 개관 초기부터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끌었

으며 문화예술교육 공간과 콘텐츠 면에서 우수 사례로 벤치마킹되고 있

셋째 양적 성장을 기초로 유추해 볼 때 문화예술교육과 함께 성장한

교육 수혜자들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

이 확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22) 문화예술교육 경험자는 개인의 행복감

이나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비경험자보다 긍정적 결과를 보인다고 한

다23) 앞으로도 문화예술 영역의 외연 확장과 더불어 지역 정체성의 발

견과 확립 지역민의 삶의 질 개선 지역 경제와의 연계 도시 재생 지역

발전 견인 등과 적절하게 결부시킴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사회

적으로 확산시켜 나갈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 반해 문제점과 한계 또한 적지 않다

첫째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를 들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지원체계

는 중앙정부에서 예산을 일방적으로 편성하여 지자체에 배정하는 방식

을 취하고 있으며 사업 또한 동일한 방식을 유지해 왔다 이러한 정부

22) 앞으로 문화예술교육 수혜자들이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으로 나아가는 사례

를 면밀히 분석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사회 활동에서 비수혜자들과 어떤

차이를 드러내는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2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30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주도의 중앙집중형 지원 시스템은 지역의 현실과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

지 못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지역적 기반과 문화적 응전력 자생력을 현

격하게 약화시킨다 지역의 문화자원(유관기관 문화예술단체 등)과 인

적 자원의 협력 체계를 제대로 구축하지 못한 점도 마찬가지다 결과적

으로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취약하게 만들 수밖에 없는 것

이다 현 정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기조로 지역 구심성을 강조하

고 있지만 이러한 지원체계의 혁신 없이는 불가능하다

둘째 공급자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에

따라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된 이원적 구조가

고착되면서 교육 내용이나 방법론 확장에 많은 제약이 뒤따랐다 특히

학교에서부터 사회에 이르는 생애 전 과정을 통합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지 못하고 있는 점 각 영역별로 각자의 교육 대상자를 규정하고

있어 교육 대상자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점 등이 문제다 그 결

과 수혜자 수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중복 수혜 대상이 반복적

으로 발생하는가 하면 전혀 수혜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 또한 적지 않다

가령 유아 청년(대학생 또는 청년) 대상 사업이 전무한 실정이고 일부

중장년층이나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운영하고 있지만 실효성

이 낮은 편이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경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사업 중심이어서

사업별로 대상자가 중복되는 경향이 있고 사업 대상을 취약계층으로 규

정한 것은 일종의 낙인효과를 유발함으로써 사업 취지와도 적절하게 부

응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필요를 반영한

교육과정이 설계되지 못했다 한정된 교육 장소 또한 공급자 중심이어서

수혜자 또는 수혜자 집단이 교육 공간에 방문하여 진행하는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다 삶의 질 향상과 생활문화가 중시되는 이즈음 수요자의 생

활 속으로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절실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9

셋째 양적 증대에 비해 질적 성장을 이루지 못했다 이는 교육과정 개

선이나 관리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지 않은 데서 비롯되었다 교육프로

그램 실행이나 효과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을 개선해야 하지만 시스템

부재로 양질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ㆍ보급해 나가는 데 어려움

이 따를 수밖에 없다 현장과 동떨어진 내용을 요구하거나 표준화된 학

습지도안에 따라 기계적인 수업을 강요하는 측면이 있는 반면 교육과정

을 지나치게 자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강사에 따라 내용의 편차가 크게

존재하는 등 교육의 균질성 역시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예술강사의 역

량 강화를 위한 제도나 교육 프로그램 역시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데 의무 연수 규정 또한 폐지되어 전적으로 강사 개인의 자율적 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곧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하락으로 연결된

다 유관기관의 담당자나 학교관계자 교사들의 예술강사에 대한 인식에

도 문제가 있다 학교 관계자는 예술강사를 lsquo교사가 담당하기 어려운 과

목을 단순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rsquo 정도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

어 예술강사의 자긍심을 저하시키고 있다 예술강사(프로그램 준비 실

행) 학교관계자(시수인정 학교 안내 등) 담당교사(수업 시간 조율 준

비와 진행 등에 대한 협조)의 역할 설정 또한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교

육현장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성과를 집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참여 강사 및 단체 프로그

램(교육과정안 및 세부내용) 협력공간에 대한 정보를 생산ㆍ공유할 수

있는 종합 시스템이 미비하다 교육과정안과 세부 수업 내용뿐만 아니라

강사별 단체별 협력공간별 정보를 취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 없어

정보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역 기반의 우

수한 콘텐츠의 생산과 활용 측면에도 충분한 뒷받침을 하지 못하고 있

31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부산 문화 술교육의 과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고려해 볼 때 부산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

화 등 세 영역에서 향후 과제와 전망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1) 지역 문화 술교육 생태계 조성

첫째 서울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등과 같이 교육청 차원에서 별도

의 조례를 마련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재정비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은

정부 문화기관 교육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한 특수 분야다 이러

한 특성을 감안하여 부산시 부산문화재단 부산광역시 교육청은 문화예

술교육 발전 비전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실제 추진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또

한 문화예술교육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지역의 공연기관

박물관 도서관 지역문화원 등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과의 연계와 협력

도 필요하다 예컨대 핀란드의 lsquo뮤지엄 교육rsquo은 뮤지엄 동물원 오페라

극장 등이 학교와 연계하여 만든 프로그램으로 핀란드의 오랜 식민지

역사를 되짚어보고 국가 정체성을 재발견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근대 부

산의 도시 형성 역사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핀란드 교육은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콘텐츠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의 지역 집중성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부산 지역

의 여건과 현황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부산

센터가 더욱 능동적으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향

후 설립될 기초 단위 센터와의 바람직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문

화예술교육 정책의 지역화 초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하지 못

한 문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진흥원과의 유기적 협력

체계를 유지하는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1

해서는 운영 체제를 개편하고 전담 인력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를 활성화해야 한다 국내외 교류를 활발

히 추진함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시켜 나가

고 국내외 우수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콘텐츠의 질적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부산의 문화예술교육 역량에 걸맞은 국제 컨퍼런스

와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시키고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 담론을 생산해야 한다 아울러 양질의 네트워크

를 형성하여 지속적인 교류ㆍ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부산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일도 더없이 중요하다 국내

유관단체와 기관 간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감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자

생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2) 수요자 심의 교육환경 구축

첫째 수요자의 생활권과 연계된 문화예술교육의 기반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기관으

로 리모델링하는 방안 공간을 정비하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을 갖추는

공간 재편 방안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공간을 지속

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 김포가압장을 리모델링하여 아동ㆍ청소년

예술교육센터로 활용하고 있는 서서울예술교육센터 옛 성복보건소 건

물을 리모델링한 서울예술치유허브 등이 좋은 예다 또한 지역민의 생

활권 안에서 자발적으로 문화예술을 즐김으로써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가령 동아리 활동에 전

문가를 매칭하여 지속적ㆍ단계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

법이며 예술 놀이터를 조성하여 누구나 부담 없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사업

도 필요하다 문화예술교육은 지역의 문화유산이나 생활 습속과 연계하

31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여 지역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때 공동체 의식과 바람직한 지역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미국 피츠버그에 소재한 맨체

스터 크래프트 길드(Manchester Craft Guild)의 경우 청소년 시절 도예

교육 미술 지역 공동체의 힘을 깨달은 설립자가 일생 동안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며 지역 공동체의식을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이

외에도 지역에 산재한 여러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교육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망을 정교하게 구축하고 유기적으로 작동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생애주기별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여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

대해야 한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은 생애 전반에 걸쳐 지역

민과 지역공동체의 생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지역형 문화예술

교육 정책의 근간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추진해 오던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여러 이유로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수요자

층을 발굴하고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부산문화재단(부산광역문화교육지원센터) 부

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금정문화재단 등이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수혜 대상자 현황을 살펴보면 취약계층을 포함한 학교 안팎의 청소년이

주된 대상이다 반면 유아ㆍ아동과 청년 대상 사업은 전무하며 노인대

상 사업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이나 시민아카데미 사업 정도

에 불과하다

두루 알다시피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은 유아부터 노인까지 단계적

ㆍ체계적 프로그램을 기획ㆍ운영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할렘 칠드런즈 존(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을 들 수 있다24) lsquo할렘

어린이 구역(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rsquo 프로젝트는 태교부터 직장

24)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KIPP)

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

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67쪽 Harlem Childrenrsquos Zone httpshcz

org2018100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3

에 들어가기까지 교육과 건강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 각자의 건강

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이것이 지역 공동체의 건강한 토대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좋은 예다 이 프로젝트는 영유아 종일 보육센터 학업 성

취를 책임지는 차터 스쿨 건강지원센터 방과 후에 운영되는 아동과 성

인을 위한 주민센터 주말과 여름에 이루어지는 청소년 폭력 방지 등 지

역 주민 전체를 위한 광범위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25)

셋째 수요자의 다양한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창의력과 융합적 사고의 원동력이 되는 인문학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부산문화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인문학 소모임 동아리 출판 지원 등의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감

으로써 다양성을 확보하고 문화예술 기초역량을 배양해 나가는 디딤돌

로 삼아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장을 넓혀 나가는 작업도 필요하

다 스웨덴의 lsquo서커스 시르쾨르rsquo은 좋은 본보기다 이는 서커스를 문화예

술교육에 접목한 사례로 인간의 삶의 균형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다

양한 오브제를 활용하고 신체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다26)

최근 부산에서 장애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장애인 대상 교육단체에 대한 지원과 국가자격증을

갖춘 강사 확보를 통한 전문성 강화 등 관리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또한 지원 대상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미

국 오클랜드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기관 크리에이티

브 그로스 아트센터(Creative Groth Art Center) 사례는 적지 않은 시사

점을 던진다 이 기관은 1974년부터 발달장애인의 예술적 역량과 완성

작품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데 기여해 왔다 장애인 작가들

이 자유로운 예술 감각을 표현하며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 작

업실을 제공하고 국내외 전시를 개최하는 등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

25) 김경애 위의 논문 170쪽

26)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116쪽

31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넷째 영역별 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교문화예술

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되어 있는 구조를 극복하여 문화예술

교육의 실질적 효용을 극대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국립 오페라단의 스

쿨 오페라 프로그램은 좋은 예다 전국의 학교를 대상으로 오페라 교재

와 가수 스태프를 파견하고 의상 등을 지원하며 다양한 교과와 연계하

여 사업을 펼치고 있다 가령 역사 수업에서 오페라의 시대 배경을 제시

하고 국어 수업에서는 연기하는 인물의 감정을 고찰하며 미술 수업에

서는 소도구를 직접 제작해 보기도 한다 경영 수업에서는 입장권을 직

접 판매하는 등 홍보ㆍ마케팅 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역별 연계

활동은 예술가의 자유로운 실험정신과 창의적 사고로 교실에 생기를 불

어넣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27)

3) 문화 술교육 질 기반 고도화

첫째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해 나가는 작업

이 시급하다28) 학교문화예술교육 설문조사 결과29)에 따르면 문화예술

27)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299쪽

28) 부산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서는 고(稿)를 달리하여 논의

할 예정이다

29)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심층면담 결과를(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58-59

쪽) 사회문화예술교육은 2018년 9월 30일 자체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였다 특히 후자는 다음과 같은 문항으로 예술강사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1 참여하고 있는(또는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2 현

재 교육하고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3 현재 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분야와

교육 중인 분야가 일치합니까 4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

니까 5 문화예술교육 경력기간을 선택해 주세요 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까 7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해 받은 연수 프로그램이 있다

면 선택해 주세요 8 2015~2018년 간 이수한 총 연수 시수를 선택해 주세요 8

mdash1 2015년~2018년 간 부산문화재단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

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mdash2 2015년~2018년 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ARTE)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

mdash3 2015년~2018년 간 기타 기관에서 연수받은 적이 있다면 연수기관과 시수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5

교육 강사 재교육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강사 자신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예술강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매몰되면 자칫 기능 중심의 교육이 되기 쉽고 문

화예술교육 고유의 목표에 다가가기 어렵게 된다 예술강사의 질은 문화

예술교육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학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해야 한다 서울형 예술가

교사(TA)는 문화예술 기반 콘텐츠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접목시켜

만든 새로운 강사 모델이다 이들은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철학인 lsquo미

적 체험rsquo을 실현하는 예술교육 전문가로 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뛰

어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인문

ㆍ예술 장르의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내고 있다 초등학교 대상 프로그램 lsquo예

술로 플러스rsquo와 중학생 대상 인문예술교육 lsquo예술로 함께rsquo는 모두 정규과

정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이 있다30) 아울

러 예술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인력 문화예

술교육단체 학교 기관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

식을 개선하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ㆍ단계적인 교

육 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과거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영역에서 교과서

를 표준화했지만 최근에는 강사가 현실 여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되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효과적

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네트워킹

를 기재해 주세요

30)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htmleducationchildaspperMen

uSeq=2ampMenuSeq=3720181006 예술가교사 사이트 httpartsedutasfacork

rhtmlteachingArtchildEdu_introasp20181006

31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인적 자원 정보를 담은 인력 뱅크 콘텐츠 디렉토리 지역

의 문화자원 사업 정보 국내외 동향과 연구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역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과 실태를 조사

ㆍ연구하는 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다 문화예술교육

의 지역 실태 조사는 문화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짧은 주

기로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제를 발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rsquo 발표를 계기로 문

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분

권의 시대가치에 적합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문화예

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

합회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을 중심

으로 기관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은 중앙

과 협력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을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부산

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원사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17: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5

에서 실시되었다 이 역시 예산 증액에 따른 참여단체 수 증가와 문화예

술교육 수요의 증가에 따른 결과라 할 수 있다 2017년에는 해운대구에

서만 7개의 단체가 8개 프로그램을 금정구에서는 5개의 단체가 7개 프

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다음으로 부산진구와 동래구 수영구가 각각 5개

단체에서 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산은 2015년 912500천원 2016년도 1824000

천원으로 2배나 증가하면서 34개 단체에서 34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던

데서 나아가 47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성과를 내었다

교육 참여자 수 또한 1081명에서 2108명으로 1000명이나 증가하였다

예산 증가에 따른 사업단체 단체 수의 증가 프로그램의 다양성 수요에

따른 교육 참여자 수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물론 재단의 까다로운 문화행정 강사들의 안일한 수업 태도와 전문성

결여 등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2017년 예산은 2016년 대

비 2억원이 축소되었으나 51개 단체에서 5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2091명이 문화예술교육의 수혜를 입었다 이것은 신규단체 또는 3년 미

만의 사업단체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참여자를 기수를 나누어 진행하

던 기존 방식에서 1기수 20명으로 전환하거나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

이기 위하여 1년 완성형 프로그램 방식을 도입한 데 따른 결과라 볼 수

있다

둘째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주민과 예술가의 소통을

지원하는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환경 조성을 통하여 문화격차 해소

지역공동체 문화회복 학습자 개인의 성장을 넘어 일상 속 지역문화공동

체 모델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문화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15년 17개 단체의 17개 프로그램에 총 385명이 2016년에는 16개의

일반공모와 1개의 기획공모사업에 345명이 참여하여 다양한 교육을 받

았다 2017년에는 15개의 일반공모 단체와 1개의 기획공모 단체가 397명

30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의 지역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

램을 진행하였다 예산은 국비와 시비 11매칭으로 2015년에서 2017년까

지 3년간 동일하게 294000천원으로 편성ㆍ운영되었다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지역민과 예술가 또는 예술단체

가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

역민과의 소통을 전제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3년간 참여한 지역과 단

체 개발된 프로그램의 확산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예

산 증액 없이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확대와 발전을 기대

하기 어렵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준다

4) 부산 문화 술교육의 성과와 한계

지난 15년 간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다음과 같은 성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하

는 제도적 기초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lsquo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

원 조례rsquo는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제도적 장치로 문화예술교육이 시민

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부산문화 역량 강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명시

하고 있다20) 이는 예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하는 근거가 된다 그러

나 서울 경기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대전광역시21) 등에서는 교

육청이 문화예술교육 진흥과 관련한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 중인 것과

비교하면 부산은 제도적 기반이 여전히 충분하지 않고 유관기관 간의

협력 체제가 공고하게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둘째 예산을 확대 편성하여 안정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양적 성장을 이

루었다 부산에서는 국비와 시비 자체 사업비 등을 포함하여 국악분야

20) 「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원 조례」 제3조(기본원칙) 2항에서 ldquo모든 시민은

나이 성별 장애 사회적 신분 경제적 여건 거주지역 등에 관계없이 자신의 관

심과 적성에 따라 평생에 걸쳐 문화예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받는다rdquo고 명시하고 있다

21) 대전광역시교육청은 장애학생 문화예술 지원 조례를 두고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7

예술강사 지원사업 18억원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24억원 사회문화예

술교육 등 그밖의 사업에 25억원 정도의 사업비가 매년 투입되었다 이

를 통해 사업 대상과 규모를 확대할 수 있었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경

우 연간 500여 개의 학교가 참여하였고 교육 시수는 5만~8만 시간 정

도 운영되었다 예술강사가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수혜자 수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공간과 시설 등 인프라 확충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양적 증대에 따라 교육 공간과 시설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되면서

부산시나 구 단위에서 문화예술교육 거점 공간을 조성하거나 지역의 특

정 공간을 문화예술교육공간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청소

년 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는 개관 초기부터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끌었

으며 문화예술교육 공간과 콘텐츠 면에서 우수 사례로 벤치마킹되고 있

셋째 양적 성장을 기초로 유추해 볼 때 문화예술교육과 함께 성장한

교육 수혜자들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

이 확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22) 문화예술교육 경험자는 개인의 행복감

이나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비경험자보다 긍정적 결과를 보인다고 한

다23) 앞으로도 문화예술 영역의 외연 확장과 더불어 지역 정체성의 발

견과 확립 지역민의 삶의 질 개선 지역 경제와의 연계 도시 재생 지역

발전 견인 등과 적절하게 결부시킴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사회

적으로 확산시켜 나갈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 반해 문제점과 한계 또한 적지 않다

첫째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를 들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지원체계

는 중앙정부에서 예산을 일방적으로 편성하여 지자체에 배정하는 방식

을 취하고 있으며 사업 또한 동일한 방식을 유지해 왔다 이러한 정부

22) 앞으로 문화예술교육 수혜자들이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으로 나아가는 사례

를 면밀히 분석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사회 활동에서 비수혜자들과 어떤

차이를 드러내는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2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30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주도의 중앙집중형 지원 시스템은 지역의 현실과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

지 못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지역적 기반과 문화적 응전력 자생력을 현

격하게 약화시킨다 지역의 문화자원(유관기관 문화예술단체 등)과 인

적 자원의 협력 체계를 제대로 구축하지 못한 점도 마찬가지다 결과적

으로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취약하게 만들 수밖에 없는 것

이다 현 정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기조로 지역 구심성을 강조하

고 있지만 이러한 지원체계의 혁신 없이는 불가능하다

둘째 공급자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에

따라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된 이원적 구조가

고착되면서 교육 내용이나 방법론 확장에 많은 제약이 뒤따랐다 특히

학교에서부터 사회에 이르는 생애 전 과정을 통합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지 못하고 있는 점 각 영역별로 각자의 교육 대상자를 규정하고

있어 교육 대상자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점 등이 문제다 그 결

과 수혜자 수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중복 수혜 대상이 반복적

으로 발생하는가 하면 전혀 수혜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 또한 적지 않다

가령 유아 청년(대학생 또는 청년) 대상 사업이 전무한 실정이고 일부

중장년층이나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운영하고 있지만 실효성

이 낮은 편이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경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사업 중심이어서

사업별로 대상자가 중복되는 경향이 있고 사업 대상을 취약계층으로 규

정한 것은 일종의 낙인효과를 유발함으로써 사업 취지와도 적절하게 부

응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필요를 반영한

교육과정이 설계되지 못했다 한정된 교육 장소 또한 공급자 중심이어서

수혜자 또는 수혜자 집단이 교육 공간에 방문하여 진행하는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다 삶의 질 향상과 생활문화가 중시되는 이즈음 수요자의 생

활 속으로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절실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9

셋째 양적 증대에 비해 질적 성장을 이루지 못했다 이는 교육과정 개

선이나 관리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지 않은 데서 비롯되었다 교육프로

그램 실행이나 효과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을 개선해야 하지만 시스템

부재로 양질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ㆍ보급해 나가는 데 어려움

이 따를 수밖에 없다 현장과 동떨어진 내용을 요구하거나 표준화된 학

습지도안에 따라 기계적인 수업을 강요하는 측면이 있는 반면 교육과정

을 지나치게 자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강사에 따라 내용의 편차가 크게

존재하는 등 교육의 균질성 역시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예술강사의 역

량 강화를 위한 제도나 교육 프로그램 역시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데 의무 연수 규정 또한 폐지되어 전적으로 강사 개인의 자율적 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곧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하락으로 연결된

다 유관기관의 담당자나 학교관계자 교사들의 예술강사에 대한 인식에

도 문제가 있다 학교 관계자는 예술강사를 lsquo교사가 담당하기 어려운 과

목을 단순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rsquo 정도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

어 예술강사의 자긍심을 저하시키고 있다 예술강사(프로그램 준비 실

행) 학교관계자(시수인정 학교 안내 등) 담당교사(수업 시간 조율 준

비와 진행 등에 대한 협조)의 역할 설정 또한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교

육현장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성과를 집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참여 강사 및 단체 프로그

램(교육과정안 및 세부내용) 협력공간에 대한 정보를 생산ㆍ공유할 수

있는 종합 시스템이 미비하다 교육과정안과 세부 수업 내용뿐만 아니라

강사별 단체별 협력공간별 정보를 취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 없어

정보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역 기반의 우

수한 콘텐츠의 생산과 활용 측면에도 충분한 뒷받침을 하지 못하고 있

31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부산 문화 술교육의 과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고려해 볼 때 부산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

화 등 세 영역에서 향후 과제와 전망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1) 지역 문화 술교육 생태계 조성

첫째 서울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등과 같이 교육청 차원에서 별도

의 조례를 마련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재정비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은

정부 문화기관 교육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한 특수 분야다 이러

한 특성을 감안하여 부산시 부산문화재단 부산광역시 교육청은 문화예

술교육 발전 비전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실제 추진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또

한 문화예술교육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지역의 공연기관

박물관 도서관 지역문화원 등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과의 연계와 협력

도 필요하다 예컨대 핀란드의 lsquo뮤지엄 교육rsquo은 뮤지엄 동물원 오페라

극장 등이 학교와 연계하여 만든 프로그램으로 핀란드의 오랜 식민지

역사를 되짚어보고 국가 정체성을 재발견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근대 부

산의 도시 형성 역사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핀란드 교육은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콘텐츠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의 지역 집중성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부산 지역

의 여건과 현황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부산

센터가 더욱 능동적으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향

후 설립될 기초 단위 센터와의 바람직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문

화예술교육 정책의 지역화 초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하지 못

한 문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진흥원과의 유기적 협력

체계를 유지하는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1

해서는 운영 체제를 개편하고 전담 인력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를 활성화해야 한다 국내외 교류를 활발

히 추진함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시켜 나가

고 국내외 우수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콘텐츠의 질적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부산의 문화예술교육 역량에 걸맞은 국제 컨퍼런스

와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시키고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 담론을 생산해야 한다 아울러 양질의 네트워크

를 형성하여 지속적인 교류ㆍ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부산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일도 더없이 중요하다 국내

유관단체와 기관 간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감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자

생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2) 수요자 심의 교육환경 구축

첫째 수요자의 생활권과 연계된 문화예술교육의 기반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기관으

로 리모델링하는 방안 공간을 정비하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을 갖추는

공간 재편 방안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공간을 지속

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 김포가압장을 리모델링하여 아동ㆍ청소년

예술교육센터로 활용하고 있는 서서울예술교육센터 옛 성복보건소 건

물을 리모델링한 서울예술치유허브 등이 좋은 예다 또한 지역민의 생

활권 안에서 자발적으로 문화예술을 즐김으로써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가령 동아리 활동에 전

문가를 매칭하여 지속적ㆍ단계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

법이며 예술 놀이터를 조성하여 누구나 부담 없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사업

도 필요하다 문화예술교육은 지역의 문화유산이나 생활 습속과 연계하

31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여 지역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때 공동체 의식과 바람직한 지역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미국 피츠버그에 소재한 맨체

스터 크래프트 길드(Manchester Craft Guild)의 경우 청소년 시절 도예

교육 미술 지역 공동체의 힘을 깨달은 설립자가 일생 동안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며 지역 공동체의식을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이

외에도 지역에 산재한 여러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교육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망을 정교하게 구축하고 유기적으로 작동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생애주기별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여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

대해야 한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은 생애 전반에 걸쳐 지역

민과 지역공동체의 생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지역형 문화예술

교육 정책의 근간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추진해 오던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여러 이유로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수요자

층을 발굴하고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부산문화재단(부산광역문화교육지원센터) 부

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금정문화재단 등이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수혜 대상자 현황을 살펴보면 취약계층을 포함한 학교 안팎의 청소년이

주된 대상이다 반면 유아ㆍ아동과 청년 대상 사업은 전무하며 노인대

상 사업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이나 시민아카데미 사업 정도

에 불과하다

두루 알다시피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은 유아부터 노인까지 단계적

ㆍ체계적 프로그램을 기획ㆍ운영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할렘 칠드런즈 존(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을 들 수 있다24) lsquo할렘

어린이 구역(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rsquo 프로젝트는 태교부터 직장

24)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KIPP)

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

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67쪽 Harlem Childrenrsquos Zone httpshcz

org2018100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3

에 들어가기까지 교육과 건강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 각자의 건강

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이것이 지역 공동체의 건강한 토대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좋은 예다 이 프로젝트는 영유아 종일 보육센터 학업 성

취를 책임지는 차터 스쿨 건강지원센터 방과 후에 운영되는 아동과 성

인을 위한 주민센터 주말과 여름에 이루어지는 청소년 폭력 방지 등 지

역 주민 전체를 위한 광범위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25)

셋째 수요자의 다양한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창의력과 융합적 사고의 원동력이 되는 인문학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부산문화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인문학 소모임 동아리 출판 지원 등의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감

으로써 다양성을 확보하고 문화예술 기초역량을 배양해 나가는 디딤돌

로 삼아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장을 넓혀 나가는 작업도 필요하

다 스웨덴의 lsquo서커스 시르쾨르rsquo은 좋은 본보기다 이는 서커스를 문화예

술교육에 접목한 사례로 인간의 삶의 균형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다

양한 오브제를 활용하고 신체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다26)

최근 부산에서 장애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장애인 대상 교육단체에 대한 지원과 국가자격증을

갖춘 강사 확보를 통한 전문성 강화 등 관리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또한 지원 대상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미

국 오클랜드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기관 크리에이티

브 그로스 아트센터(Creative Groth Art Center) 사례는 적지 않은 시사

점을 던진다 이 기관은 1974년부터 발달장애인의 예술적 역량과 완성

작품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데 기여해 왔다 장애인 작가들

이 자유로운 예술 감각을 표현하며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 작

업실을 제공하고 국내외 전시를 개최하는 등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

25) 김경애 위의 논문 170쪽

26)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116쪽

31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넷째 영역별 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교문화예술

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되어 있는 구조를 극복하여 문화예술

교육의 실질적 효용을 극대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국립 오페라단의 스

쿨 오페라 프로그램은 좋은 예다 전국의 학교를 대상으로 오페라 교재

와 가수 스태프를 파견하고 의상 등을 지원하며 다양한 교과와 연계하

여 사업을 펼치고 있다 가령 역사 수업에서 오페라의 시대 배경을 제시

하고 국어 수업에서는 연기하는 인물의 감정을 고찰하며 미술 수업에

서는 소도구를 직접 제작해 보기도 한다 경영 수업에서는 입장권을 직

접 판매하는 등 홍보ㆍ마케팅 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역별 연계

활동은 예술가의 자유로운 실험정신과 창의적 사고로 교실에 생기를 불

어넣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27)

3) 문화 술교육 질 기반 고도화

첫째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해 나가는 작업

이 시급하다28) 학교문화예술교육 설문조사 결과29)에 따르면 문화예술

27)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299쪽

28) 부산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서는 고(稿)를 달리하여 논의

할 예정이다

29)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심층면담 결과를(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58-59

쪽) 사회문화예술교육은 2018년 9월 30일 자체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였다 특히 후자는 다음과 같은 문항으로 예술강사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1 참여하고 있는(또는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2 현

재 교육하고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3 현재 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분야와

교육 중인 분야가 일치합니까 4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

니까 5 문화예술교육 경력기간을 선택해 주세요 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까 7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해 받은 연수 프로그램이 있다

면 선택해 주세요 8 2015~2018년 간 이수한 총 연수 시수를 선택해 주세요 8

mdash1 2015년~2018년 간 부산문화재단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

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mdash2 2015년~2018년 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ARTE)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

mdash3 2015년~2018년 간 기타 기관에서 연수받은 적이 있다면 연수기관과 시수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5

교육 강사 재교육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강사 자신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예술강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매몰되면 자칫 기능 중심의 교육이 되기 쉽고 문

화예술교육 고유의 목표에 다가가기 어렵게 된다 예술강사의 질은 문화

예술교육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학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해야 한다 서울형 예술가

교사(TA)는 문화예술 기반 콘텐츠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접목시켜

만든 새로운 강사 모델이다 이들은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철학인 lsquo미

적 체험rsquo을 실현하는 예술교육 전문가로 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뛰

어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인문

ㆍ예술 장르의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내고 있다 초등학교 대상 프로그램 lsquo예

술로 플러스rsquo와 중학생 대상 인문예술교육 lsquo예술로 함께rsquo는 모두 정규과

정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이 있다30) 아울

러 예술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인력 문화예

술교육단체 학교 기관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

식을 개선하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ㆍ단계적인 교

육 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과거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영역에서 교과서

를 표준화했지만 최근에는 강사가 현실 여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되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효과적

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네트워킹

를 기재해 주세요

30)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htmleducationchildaspperMen

uSeq=2ampMenuSeq=3720181006 예술가교사 사이트 httpartsedutasfacork

rhtmlteachingArtchildEdu_introasp20181006

31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인적 자원 정보를 담은 인력 뱅크 콘텐츠 디렉토리 지역

의 문화자원 사업 정보 국내외 동향과 연구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역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과 실태를 조사

ㆍ연구하는 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다 문화예술교육

의 지역 실태 조사는 문화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짧은 주

기로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제를 발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rsquo 발표를 계기로 문

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분

권의 시대가치에 적합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문화예

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

합회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을 중심

으로 기관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은 중앙

과 협력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을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부산

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원사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18: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30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의 지역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

램을 진행하였다 예산은 국비와 시비 11매칭으로 2015년에서 2017년까

지 3년간 동일하게 294000천원으로 편성ㆍ운영되었다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지역민과 예술가 또는 예술단체

가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

역민과의 소통을 전제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3년간 참여한 지역과 단

체 개발된 프로그램의 확산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예

산 증액 없이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확대와 발전을 기대

하기 어렵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준다

4) 부산 문화 술교육의 성과와 한계

지난 15년 간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다음과 같은 성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하

는 제도적 기초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lsquo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

원 조례rsquo는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제도적 장치로 문화예술교육이 시민

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부산문화 역량 강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명시

하고 있다20) 이는 예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하는 근거가 된다 그러

나 서울 경기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대전광역시21) 등에서는 교

육청이 문화예술교육 진흥과 관련한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 중인 것과

비교하면 부산은 제도적 기반이 여전히 충분하지 않고 유관기관 간의

협력 체제가 공고하게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둘째 예산을 확대 편성하여 안정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양적 성장을 이

루었다 부산에서는 국비와 시비 자체 사업비 등을 포함하여 국악분야

20) 「부산광역시 문화예술교육 지원 조례」 제3조(기본원칙) 2항에서 ldquo모든 시민은

나이 성별 장애 사회적 신분 경제적 여건 거주지역 등에 관계없이 자신의 관

심과 적성에 따라 평생에 걸쳐 문화예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받는다rdquo고 명시하고 있다

21) 대전광역시교육청은 장애학생 문화예술 지원 조례를 두고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7

예술강사 지원사업 18억원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24억원 사회문화예

술교육 등 그밖의 사업에 25억원 정도의 사업비가 매년 투입되었다 이

를 통해 사업 대상과 규모를 확대할 수 있었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경

우 연간 500여 개의 학교가 참여하였고 교육 시수는 5만~8만 시간 정

도 운영되었다 예술강사가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수혜자 수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공간과 시설 등 인프라 확충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양적 증대에 따라 교육 공간과 시설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되면서

부산시나 구 단위에서 문화예술교육 거점 공간을 조성하거나 지역의 특

정 공간을 문화예술교육공간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청소

년 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는 개관 초기부터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끌었

으며 문화예술교육 공간과 콘텐츠 면에서 우수 사례로 벤치마킹되고 있

셋째 양적 성장을 기초로 유추해 볼 때 문화예술교육과 함께 성장한

교육 수혜자들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

이 확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22) 문화예술교육 경험자는 개인의 행복감

이나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비경험자보다 긍정적 결과를 보인다고 한

다23) 앞으로도 문화예술 영역의 외연 확장과 더불어 지역 정체성의 발

견과 확립 지역민의 삶의 질 개선 지역 경제와의 연계 도시 재생 지역

발전 견인 등과 적절하게 결부시킴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사회

적으로 확산시켜 나갈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 반해 문제점과 한계 또한 적지 않다

첫째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를 들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지원체계

는 중앙정부에서 예산을 일방적으로 편성하여 지자체에 배정하는 방식

을 취하고 있으며 사업 또한 동일한 방식을 유지해 왔다 이러한 정부

22) 앞으로 문화예술교육 수혜자들이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으로 나아가는 사례

를 면밀히 분석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사회 활동에서 비수혜자들과 어떤

차이를 드러내는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2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30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주도의 중앙집중형 지원 시스템은 지역의 현실과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

지 못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지역적 기반과 문화적 응전력 자생력을 현

격하게 약화시킨다 지역의 문화자원(유관기관 문화예술단체 등)과 인

적 자원의 협력 체계를 제대로 구축하지 못한 점도 마찬가지다 결과적

으로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취약하게 만들 수밖에 없는 것

이다 현 정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기조로 지역 구심성을 강조하

고 있지만 이러한 지원체계의 혁신 없이는 불가능하다

둘째 공급자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에

따라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된 이원적 구조가

고착되면서 교육 내용이나 방법론 확장에 많은 제약이 뒤따랐다 특히

학교에서부터 사회에 이르는 생애 전 과정을 통합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지 못하고 있는 점 각 영역별로 각자의 교육 대상자를 규정하고

있어 교육 대상자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점 등이 문제다 그 결

과 수혜자 수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중복 수혜 대상이 반복적

으로 발생하는가 하면 전혀 수혜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 또한 적지 않다

가령 유아 청년(대학생 또는 청년) 대상 사업이 전무한 실정이고 일부

중장년층이나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운영하고 있지만 실효성

이 낮은 편이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경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사업 중심이어서

사업별로 대상자가 중복되는 경향이 있고 사업 대상을 취약계층으로 규

정한 것은 일종의 낙인효과를 유발함으로써 사업 취지와도 적절하게 부

응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필요를 반영한

교육과정이 설계되지 못했다 한정된 교육 장소 또한 공급자 중심이어서

수혜자 또는 수혜자 집단이 교육 공간에 방문하여 진행하는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다 삶의 질 향상과 생활문화가 중시되는 이즈음 수요자의 생

활 속으로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절실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9

셋째 양적 증대에 비해 질적 성장을 이루지 못했다 이는 교육과정 개

선이나 관리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지 않은 데서 비롯되었다 교육프로

그램 실행이나 효과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을 개선해야 하지만 시스템

부재로 양질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ㆍ보급해 나가는 데 어려움

이 따를 수밖에 없다 현장과 동떨어진 내용을 요구하거나 표준화된 학

습지도안에 따라 기계적인 수업을 강요하는 측면이 있는 반면 교육과정

을 지나치게 자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강사에 따라 내용의 편차가 크게

존재하는 등 교육의 균질성 역시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예술강사의 역

량 강화를 위한 제도나 교육 프로그램 역시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데 의무 연수 규정 또한 폐지되어 전적으로 강사 개인의 자율적 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곧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하락으로 연결된

다 유관기관의 담당자나 학교관계자 교사들의 예술강사에 대한 인식에

도 문제가 있다 학교 관계자는 예술강사를 lsquo교사가 담당하기 어려운 과

목을 단순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rsquo 정도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

어 예술강사의 자긍심을 저하시키고 있다 예술강사(프로그램 준비 실

행) 학교관계자(시수인정 학교 안내 등) 담당교사(수업 시간 조율 준

비와 진행 등에 대한 협조)의 역할 설정 또한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교

육현장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성과를 집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참여 강사 및 단체 프로그

램(교육과정안 및 세부내용) 협력공간에 대한 정보를 생산ㆍ공유할 수

있는 종합 시스템이 미비하다 교육과정안과 세부 수업 내용뿐만 아니라

강사별 단체별 협력공간별 정보를 취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 없어

정보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역 기반의 우

수한 콘텐츠의 생산과 활용 측면에도 충분한 뒷받침을 하지 못하고 있

31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부산 문화 술교육의 과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고려해 볼 때 부산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

화 등 세 영역에서 향후 과제와 전망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1) 지역 문화 술교육 생태계 조성

첫째 서울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등과 같이 교육청 차원에서 별도

의 조례를 마련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재정비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은

정부 문화기관 교육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한 특수 분야다 이러

한 특성을 감안하여 부산시 부산문화재단 부산광역시 교육청은 문화예

술교육 발전 비전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실제 추진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또

한 문화예술교육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지역의 공연기관

박물관 도서관 지역문화원 등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과의 연계와 협력

도 필요하다 예컨대 핀란드의 lsquo뮤지엄 교육rsquo은 뮤지엄 동물원 오페라

극장 등이 학교와 연계하여 만든 프로그램으로 핀란드의 오랜 식민지

역사를 되짚어보고 국가 정체성을 재발견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근대 부

산의 도시 형성 역사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핀란드 교육은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콘텐츠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의 지역 집중성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부산 지역

의 여건과 현황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부산

센터가 더욱 능동적으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향

후 설립될 기초 단위 센터와의 바람직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문

화예술교육 정책의 지역화 초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하지 못

한 문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진흥원과의 유기적 협력

체계를 유지하는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1

해서는 운영 체제를 개편하고 전담 인력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를 활성화해야 한다 국내외 교류를 활발

히 추진함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시켜 나가

고 국내외 우수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콘텐츠의 질적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부산의 문화예술교육 역량에 걸맞은 국제 컨퍼런스

와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시키고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 담론을 생산해야 한다 아울러 양질의 네트워크

를 형성하여 지속적인 교류ㆍ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부산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일도 더없이 중요하다 국내

유관단체와 기관 간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감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자

생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2) 수요자 심의 교육환경 구축

첫째 수요자의 생활권과 연계된 문화예술교육의 기반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기관으

로 리모델링하는 방안 공간을 정비하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을 갖추는

공간 재편 방안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공간을 지속

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 김포가압장을 리모델링하여 아동ㆍ청소년

예술교육센터로 활용하고 있는 서서울예술교육센터 옛 성복보건소 건

물을 리모델링한 서울예술치유허브 등이 좋은 예다 또한 지역민의 생

활권 안에서 자발적으로 문화예술을 즐김으로써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가령 동아리 활동에 전

문가를 매칭하여 지속적ㆍ단계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

법이며 예술 놀이터를 조성하여 누구나 부담 없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사업

도 필요하다 문화예술교육은 지역의 문화유산이나 생활 습속과 연계하

31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여 지역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때 공동체 의식과 바람직한 지역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미국 피츠버그에 소재한 맨체

스터 크래프트 길드(Manchester Craft Guild)의 경우 청소년 시절 도예

교육 미술 지역 공동체의 힘을 깨달은 설립자가 일생 동안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며 지역 공동체의식을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이

외에도 지역에 산재한 여러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교육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망을 정교하게 구축하고 유기적으로 작동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생애주기별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여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

대해야 한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은 생애 전반에 걸쳐 지역

민과 지역공동체의 생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지역형 문화예술

교육 정책의 근간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추진해 오던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여러 이유로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수요자

층을 발굴하고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부산문화재단(부산광역문화교육지원센터) 부

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금정문화재단 등이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수혜 대상자 현황을 살펴보면 취약계층을 포함한 학교 안팎의 청소년이

주된 대상이다 반면 유아ㆍ아동과 청년 대상 사업은 전무하며 노인대

상 사업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이나 시민아카데미 사업 정도

에 불과하다

두루 알다시피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은 유아부터 노인까지 단계적

ㆍ체계적 프로그램을 기획ㆍ운영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할렘 칠드런즈 존(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을 들 수 있다24) lsquo할렘

어린이 구역(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rsquo 프로젝트는 태교부터 직장

24)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KIPP)

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

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67쪽 Harlem Childrenrsquos Zone httpshcz

org2018100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3

에 들어가기까지 교육과 건강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 각자의 건강

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이것이 지역 공동체의 건강한 토대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좋은 예다 이 프로젝트는 영유아 종일 보육센터 학업 성

취를 책임지는 차터 스쿨 건강지원센터 방과 후에 운영되는 아동과 성

인을 위한 주민센터 주말과 여름에 이루어지는 청소년 폭력 방지 등 지

역 주민 전체를 위한 광범위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25)

셋째 수요자의 다양한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창의력과 융합적 사고의 원동력이 되는 인문학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부산문화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인문학 소모임 동아리 출판 지원 등의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감

으로써 다양성을 확보하고 문화예술 기초역량을 배양해 나가는 디딤돌

로 삼아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장을 넓혀 나가는 작업도 필요하

다 스웨덴의 lsquo서커스 시르쾨르rsquo은 좋은 본보기다 이는 서커스를 문화예

술교육에 접목한 사례로 인간의 삶의 균형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다

양한 오브제를 활용하고 신체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다26)

최근 부산에서 장애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장애인 대상 교육단체에 대한 지원과 국가자격증을

갖춘 강사 확보를 통한 전문성 강화 등 관리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또한 지원 대상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미

국 오클랜드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기관 크리에이티

브 그로스 아트센터(Creative Groth Art Center) 사례는 적지 않은 시사

점을 던진다 이 기관은 1974년부터 발달장애인의 예술적 역량과 완성

작품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데 기여해 왔다 장애인 작가들

이 자유로운 예술 감각을 표현하며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 작

업실을 제공하고 국내외 전시를 개최하는 등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

25) 김경애 위의 논문 170쪽

26)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116쪽

31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넷째 영역별 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교문화예술

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되어 있는 구조를 극복하여 문화예술

교육의 실질적 효용을 극대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국립 오페라단의 스

쿨 오페라 프로그램은 좋은 예다 전국의 학교를 대상으로 오페라 교재

와 가수 스태프를 파견하고 의상 등을 지원하며 다양한 교과와 연계하

여 사업을 펼치고 있다 가령 역사 수업에서 오페라의 시대 배경을 제시

하고 국어 수업에서는 연기하는 인물의 감정을 고찰하며 미술 수업에

서는 소도구를 직접 제작해 보기도 한다 경영 수업에서는 입장권을 직

접 판매하는 등 홍보ㆍ마케팅 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역별 연계

활동은 예술가의 자유로운 실험정신과 창의적 사고로 교실에 생기를 불

어넣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27)

3) 문화 술교육 질 기반 고도화

첫째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해 나가는 작업

이 시급하다28) 학교문화예술교육 설문조사 결과29)에 따르면 문화예술

27)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299쪽

28) 부산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서는 고(稿)를 달리하여 논의

할 예정이다

29)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심층면담 결과를(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58-59

쪽) 사회문화예술교육은 2018년 9월 30일 자체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였다 특히 후자는 다음과 같은 문항으로 예술강사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1 참여하고 있는(또는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2 현

재 교육하고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3 현재 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분야와

교육 중인 분야가 일치합니까 4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

니까 5 문화예술교육 경력기간을 선택해 주세요 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까 7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해 받은 연수 프로그램이 있다

면 선택해 주세요 8 2015~2018년 간 이수한 총 연수 시수를 선택해 주세요 8

mdash1 2015년~2018년 간 부산문화재단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

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mdash2 2015년~2018년 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ARTE)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

mdash3 2015년~2018년 간 기타 기관에서 연수받은 적이 있다면 연수기관과 시수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5

교육 강사 재교육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강사 자신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예술강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매몰되면 자칫 기능 중심의 교육이 되기 쉽고 문

화예술교육 고유의 목표에 다가가기 어렵게 된다 예술강사의 질은 문화

예술교육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학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해야 한다 서울형 예술가

교사(TA)는 문화예술 기반 콘텐츠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접목시켜

만든 새로운 강사 모델이다 이들은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철학인 lsquo미

적 체험rsquo을 실현하는 예술교육 전문가로 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뛰

어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인문

ㆍ예술 장르의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내고 있다 초등학교 대상 프로그램 lsquo예

술로 플러스rsquo와 중학생 대상 인문예술교육 lsquo예술로 함께rsquo는 모두 정규과

정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이 있다30) 아울

러 예술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인력 문화예

술교육단체 학교 기관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

식을 개선하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ㆍ단계적인 교

육 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과거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영역에서 교과서

를 표준화했지만 최근에는 강사가 현실 여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되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효과적

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네트워킹

를 기재해 주세요

30)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htmleducationchildaspperMen

uSeq=2ampMenuSeq=3720181006 예술가교사 사이트 httpartsedutasfacork

rhtmlteachingArtchildEdu_introasp20181006

31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인적 자원 정보를 담은 인력 뱅크 콘텐츠 디렉토리 지역

의 문화자원 사업 정보 국내외 동향과 연구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역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과 실태를 조사

ㆍ연구하는 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다 문화예술교육

의 지역 실태 조사는 문화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짧은 주

기로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제를 발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rsquo 발표를 계기로 문

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분

권의 시대가치에 적합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문화예

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

합회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을 중심

으로 기관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은 중앙

과 협력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을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부산

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원사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19: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7

예술강사 지원사업 18억원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24억원 사회문화예

술교육 등 그밖의 사업에 25억원 정도의 사업비가 매년 투입되었다 이

를 통해 사업 대상과 규모를 확대할 수 있었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경

우 연간 500여 개의 학교가 참여하였고 교육 시수는 5만~8만 시간 정

도 운영되었다 예술강사가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수혜자 수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공간과 시설 등 인프라 확충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양적 증대에 따라 교육 공간과 시설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되면서

부산시나 구 단위에서 문화예술교육 거점 공간을 조성하거나 지역의 특

정 공간을 문화예술교육공간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청소

년 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는 개관 초기부터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끌었

으며 문화예술교육 공간과 콘텐츠 면에서 우수 사례로 벤치마킹되고 있

셋째 양적 성장을 기초로 유추해 볼 때 문화예술교육과 함께 성장한

교육 수혜자들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

이 확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22) 문화예술교육 경험자는 개인의 행복감

이나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비경험자보다 긍정적 결과를 보인다고 한

다23) 앞으로도 문화예술 영역의 외연 확장과 더불어 지역 정체성의 발

견과 확립 지역민의 삶의 질 개선 지역 경제와의 연계 도시 재생 지역

발전 견인 등과 적절하게 결부시킴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사회

적으로 확산시켜 나갈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 반해 문제점과 한계 또한 적지 않다

첫째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를 들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지원체계

는 중앙정부에서 예산을 일방적으로 편성하여 지자체에 배정하는 방식

을 취하고 있으며 사업 또한 동일한 방식을 유지해 왔다 이러한 정부

22) 앞으로 문화예술교육 수혜자들이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으로 나아가는 사례

를 면밀히 분석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사회 활동에서 비수혜자들과 어떤

차이를 드러내는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2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30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주도의 중앙집중형 지원 시스템은 지역의 현실과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

지 못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지역적 기반과 문화적 응전력 자생력을 현

격하게 약화시킨다 지역의 문화자원(유관기관 문화예술단체 등)과 인

적 자원의 협력 체계를 제대로 구축하지 못한 점도 마찬가지다 결과적

으로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취약하게 만들 수밖에 없는 것

이다 현 정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기조로 지역 구심성을 강조하

고 있지만 이러한 지원체계의 혁신 없이는 불가능하다

둘째 공급자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에

따라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된 이원적 구조가

고착되면서 교육 내용이나 방법론 확장에 많은 제약이 뒤따랐다 특히

학교에서부터 사회에 이르는 생애 전 과정을 통합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지 못하고 있는 점 각 영역별로 각자의 교육 대상자를 규정하고

있어 교육 대상자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점 등이 문제다 그 결

과 수혜자 수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중복 수혜 대상이 반복적

으로 발생하는가 하면 전혀 수혜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 또한 적지 않다

가령 유아 청년(대학생 또는 청년) 대상 사업이 전무한 실정이고 일부

중장년층이나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운영하고 있지만 실효성

이 낮은 편이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경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사업 중심이어서

사업별로 대상자가 중복되는 경향이 있고 사업 대상을 취약계층으로 규

정한 것은 일종의 낙인효과를 유발함으로써 사업 취지와도 적절하게 부

응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필요를 반영한

교육과정이 설계되지 못했다 한정된 교육 장소 또한 공급자 중심이어서

수혜자 또는 수혜자 집단이 교육 공간에 방문하여 진행하는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다 삶의 질 향상과 생활문화가 중시되는 이즈음 수요자의 생

활 속으로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절실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9

셋째 양적 증대에 비해 질적 성장을 이루지 못했다 이는 교육과정 개

선이나 관리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지 않은 데서 비롯되었다 교육프로

그램 실행이나 효과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을 개선해야 하지만 시스템

부재로 양질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ㆍ보급해 나가는 데 어려움

이 따를 수밖에 없다 현장과 동떨어진 내용을 요구하거나 표준화된 학

습지도안에 따라 기계적인 수업을 강요하는 측면이 있는 반면 교육과정

을 지나치게 자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강사에 따라 내용의 편차가 크게

존재하는 등 교육의 균질성 역시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예술강사의 역

량 강화를 위한 제도나 교육 프로그램 역시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데 의무 연수 규정 또한 폐지되어 전적으로 강사 개인의 자율적 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곧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하락으로 연결된

다 유관기관의 담당자나 학교관계자 교사들의 예술강사에 대한 인식에

도 문제가 있다 학교 관계자는 예술강사를 lsquo교사가 담당하기 어려운 과

목을 단순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rsquo 정도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

어 예술강사의 자긍심을 저하시키고 있다 예술강사(프로그램 준비 실

행) 학교관계자(시수인정 학교 안내 등) 담당교사(수업 시간 조율 준

비와 진행 등에 대한 협조)의 역할 설정 또한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교

육현장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성과를 집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참여 강사 및 단체 프로그

램(교육과정안 및 세부내용) 협력공간에 대한 정보를 생산ㆍ공유할 수

있는 종합 시스템이 미비하다 교육과정안과 세부 수업 내용뿐만 아니라

강사별 단체별 협력공간별 정보를 취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 없어

정보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역 기반의 우

수한 콘텐츠의 생산과 활용 측면에도 충분한 뒷받침을 하지 못하고 있

31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부산 문화 술교육의 과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고려해 볼 때 부산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

화 등 세 영역에서 향후 과제와 전망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1) 지역 문화 술교육 생태계 조성

첫째 서울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등과 같이 교육청 차원에서 별도

의 조례를 마련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재정비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은

정부 문화기관 교육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한 특수 분야다 이러

한 특성을 감안하여 부산시 부산문화재단 부산광역시 교육청은 문화예

술교육 발전 비전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실제 추진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또

한 문화예술교육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지역의 공연기관

박물관 도서관 지역문화원 등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과의 연계와 협력

도 필요하다 예컨대 핀란드의 lsquo뮤지엄 교육rsquo은 뮤지엄 동물원 오페라

극장 등이 학교와 연계하여 만든 프로그램으로 핀란드의 오랜 식민지

역사를 되짚어보고 국가 정체성을 재발견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근대 부

산의 도시 형성 역사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핀란드 교육은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콘텐츠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의 지역 집중성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부산 지역

의 여건과 현황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부산

센터가 더욱 능동적으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향

후 설립될 기초 단위 센터와의 바람직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문

화예술교육 정책의 지역화 초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하지 못

한 문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진흥원과의 유기적 협력

체계를 유지하는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1

해서는 운영 체제를 개편하고 전담 인력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를 활성화해야 한다 국내외 교류를 활발

히 추진함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시켜 나가

고 국내외 우수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콘텐츠의 질적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부산의 문화예술교육 역량에 걸맞은 국제 컨퍼런스

와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시키고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 담론을 생산해야 한다 아울러 양질의 네트워크

를 형성하여 지속적인 교류ㆍ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부산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일도 더없이 중요하다 국내

유관단체와 기관 간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감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자

생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2) 수요자 심의 교육환경 구축

첫째 수요자의 생활권과 연계된 문화예술교육의 기반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기관으

로 리모델링하는 방안 공간을 정비하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을 갖추는

공간 재편 방안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공간을 지속

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 김포가압장을 리모델링하여 아동ㆍ청소년

예술교육센터로 활용하고 있는 서서울예술교육센터 옛 성복보건소 건

물을 리모델링한 서울예술치유허브 등이 좋은 예다 또한 지역민의 생

활권 안에서 자발적으로 문화예술을 즐김으로써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가령 동아리 활동에 전

문가를 매칭하여 지속적ㆍ단계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

법이며 예술 놀이터를 조성하여 누구나 부담 없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사업

도 필요하다 문화예술교육은 지역의 문화유산이나 생활 습속과 연계하

31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여 지역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때 공동체 의식과 바람직한 지역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미국 피츠버그에 소재한 맨체

스터 크래프트 길드(Manchester Craft Guild)의 경우 청소년 시절 도예

교육 미술 지역 공동체의 힘을 깨달은 설립자가 일생 동안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며 지역 공동체의식을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이

외에도 지역에 산재한 여러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교육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망을 정교하게 구축하고 유기적으로 작동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생애주기별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여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

대해야 한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은 생애 전반에 걸쳐 지역

민과 지역공동체의 생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지역형 문화예술

교육 정책의 근간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추진해 오던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여러 이유로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수요자

층을 발굴하고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부산문화재단(부산광역문화교육지원센터) 부

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금정문화재단 등이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수혜 대상자 현황을 살펴보면 취약계층을 포함한 학교 안팎의 청소년이

주된 대상이다 반면 유아ㆍ아동과 청년 대상 사업은 전무하며 노인대

상 사업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이나 시민아카데미 사업 정도

에 불과하다

두루 알다시피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은 유아부터 노인까지 단계적

ㆍ체계적 프로그램을 기획ㆍ운영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할렘 칠드런즈 존(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을 들 수 있다24) lsquo할렘

어린이 구역(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rsquo 프로젝트는 태교부터 직장

24)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KIPP)

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

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67쪽 Harlem Childrenrsquos Zone httpshcz

org2018100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3

에 들어가기까지 교육과 건강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 각자의 건강

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이것이 지역 공동체의 건강한 토대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좋은 예다 이 프로젝트는 영유아 종일 보육센터 학업 성

취를 책임지는 차터 스쿨 건강지원센터 방과 후에 운영되는 아동과 성

인을 위한 주민센터 주말과 여름에 이루어지는 청소년 폭력 방지 등 지

역 주민 전체를 위한 광범위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25)

셋째 수요자의 다양한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창의력과 융합적 사고의 원동력이 되는 인문학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부산문화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인문학 소모임 동아리 출판 지원 등의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감

으로써 다양성을 확보하고 문화예술 기초역량을 배양해 나가는 디딤돌

로 삼아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장을 넓혀 나가는 작업도 필요하

다 스웨덴의 lsquo서커스 시르쾨르rsquo은 좋은 본보기다 이는 서커스를 문화예

술교육에 접목한 사례로 인간의 삶의 균형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다

양한 오브제를 활용하고 신체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다26)

최근 부산에서 장애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장애인 대상 교육단체에 대한 지원과 국가자격증을

갖춘 강사 확보를 통한 전문성 강화 등 관리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또한 지원 대상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미

국 오클랜드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기관 크리에이티

브 그로스 아트센터(Creative Groth Art Center) 사례는 적지 않은 시사

점을 던진다 이 기관은 1974년부터 발달장애인의 예술적 역량과 완성

작품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데 기여해 왔다 장애인 작가들

이 자유로운 예술 감각을 표현하며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 작

업실을 제공하고 국내외 전시를 개최하는 등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

25) 김경애 위의 논문 170쪽

26)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116쪽

31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넷째 영역별 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교문화예술

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되어 있는 구조를 극복하여 문화예술

교육의 실질적 효용을 극대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국립 오페라단의 스

쿨 오페라 프로그램은 좋은 예다 전국의 학교를 대상으로 오페라 교재

와 가수 스태프를 파견하고 의상 등을 지원하며 다양한 교과와 연계하

여 사업을 펼치고 있다 가령 역사 수업에서 오페라의 시대 배경을 제시

하고 국어 수업에서는 연기하는 인물의 감정을 고찰하며 미술 수업에

서는 소도구를 직접 제작해 보기도 한다 경영 수업에서는 입장권을 직

접 판매하는 등 홍보ㆍ마케팅 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역별 연계

활동은 예술가의 자유로운 실험정신과 창의적 사고로 교실에 생기를 불

어넣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27)

3) 문화 술교육 질 기반 고도화

첫째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해 나가는 작업

이 시급하다28) 학교문화예술교육 설문조사 결과29)에 따르면 문화예술

27)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299쪽

28) 부산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서는 고(稿)를 달리하여 논의

할 예정이다

29)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심층면담 결과를(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58-59

쪽) 사회문화예술교육은 2018년 9월 30일 자체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였다 특히 후자는 다음과 같은 문항으로 예술강사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1 참여하고 있는(또는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2 현

재 교육하고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3 현재 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분야와

교육 중인 분야가 일치합니까 4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

니까 5 문화예술교육 경력기간을 선택해 주세요 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까 7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해 받은 연수 프로그램이 있다

면 선택해 주세요 8 2015~2018년 간 이수한 총 연수 시수를 선택해 주세요 8

mdash1 2015년~2018년 간 부산문화재단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

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mdash2 2015년~2018년 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ARTE)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

mdash3 2015년~2018년 간 기타 기관에서 연수받은 적이 있다면 연수기관과 시수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5

교육 강사 재교육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강사 자신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예술강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매몰되면 자칫 기능 중심의 교육이 되기 쉽고 문

화예술교육 고유의 목표에 다가가기 어렵게 된다 예술강사의 질은 문화

예술교육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학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해야 한다 서울형 예술가

교사(TA)는 문화예술 기반 콘텐츠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접목시켜

만든 새로운 강사 모델이다 이들은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철학인 lsquo미

적 체험rsquo을 실현하는 예술교육 전문가로 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뛰

어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인문

ㆍ예술 장르의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내고 있다 초등학교 대상 프로그램 lsquo예

술로 플러스rsquo와 중학생 대상 인문예술교육 lsquo예술로 함께rsquo는 모두 정규과

정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이 있다30) 아울

러 예술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인력 문화예

술교육단체 학교 기관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

식을 개선하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ㆍ단계적인 교

육 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과거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영역에서 교과서

를 표준화했지만 최근에는 강사가 현실 여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되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효과적

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네트워킹

를 기재해 주세요

30)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htmleducationchildaspperMen

uSeq=2ampMenuSeq=3720181006 예술가교사 사이트 httpartsedutasfacork

rhtmlteachingArtchildEdu_introasp20181006

31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인적 자원 정보를 담은 인력 뱅크 콘텐츠 디렉토리 지역

의 문화자원 사업 정보 국내외 동향과 연구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역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과 실태를 조사

ㆍ연구하는 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다 문화예술교육

의 지역 실태 조사는 문화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짧은 주

기로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제를 발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rsquo 발표를 계기로 문

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분

권의 시대가치에 적합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문화예

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

합회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을 중심

으로 기관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은 중앙

과 협력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을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부산

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원사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20: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30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주도의 중앙집중형 지원 시스템은 지역의 현실과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

지 못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지역적 기반과 문화적 응전력 자생력을 현

격하게 약화시킨다 지역의 문화자원(유관기관 문화예술단체 등)과 인

적 자원의 협력 체계를 제대로 구축하지 못한 점도 마찬가지다 결과적

으로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취약하게 만들 수밖에 없는 것

이다 현 정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기조로 지역 구심성을 강조하

고 있지만 이러한 지원체계의 혁신 없이는 불가능하다

둘째 공급자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lsquo문화예술교육지원법rsquo에

따라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된 이원적 구조가

고착되면서 교육 내용이나 방법론 확장에 많은 제약이 뒤따랐다 특히

학교에서부터 사회에 이르는 생애 전 과정을 통합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지 못하고 있는 점 각 영역별로 각자의 교육 대상자를 규정하고

있어 교육 대상자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점 등이 문제다 그 결

과 수혜자 수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중복 수혜 대상이 반복적

으로 발생하는가 하면 전혀 수혜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 또한 적지 않다

가령 유아 청년(대학생 또는 청년) 대상 사업이 전무한 실정이고 일부

중장년층이나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운영하고 있지만 실효성

이 낮은 편이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경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사업 중심이어서

사업별로 대상자가 중복되는 경향이 있고 사업 대상을 취약계층으로 규

정한 것은 일종의 낙인효과를 유발함으로써 사업 취지와도 적절하게 부

응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필요를 반영한

교육과정이 설계되지 못했다 한정된 교육 장소 또한 공급자 중심이어서

수혜자 또는 수혜자 집단이 교육 공간에 방문하여 진행하는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다 삶의 질 향상과 생활문화가 중시되는 이즈음 수요자의 생

활 속으로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절실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9

셋째 양적 증대에 비해 질적 성장을 이루지 못했다 이는 교육과정 개

선이나 관리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지 않은 데서 비롯되었다 교육프로

그램 실행이나 효과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을 개선해야 하지만 시스템

부재로 양질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ㆍ보급해 나가는 데 어려움

이 따를 수밖에 없다 현장과 동떨어진 내용을 요구하거나 표준화된 학

습지도안에 따라 기계적인 수업을 강요하는 측면이 있는 반면 교육과정

을 지나치게 자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강사에 따라 내용의 편차가 크게

존재하는 등 교육의 균질성 역시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예술강사의 역

량 강화를 위한 제도나 교육 프로그램 역시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데 의무 연수 규정 또한 폐지되어 전적으로 강사 개인의 자율적 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곧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하락으로 연결된

다 유관기관의 담당자나 학교관계자 교사들의 예술강사에 대한 인식에

도 문제가 있다 학교 관계자는 예술강사를 lsquo교사가 담당하기 어려운 과

목을 단순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rsquo 정도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

어 예술강사의 자긍심을 저하시키고 있다 예술강사(프로그램 준비 실

행) 학교관계자(시수인정 학교 안내 등) 담당교사(수업 시간 조율 준

비와 진행 등에 대한 협조)의 역할 설정 또한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교

육현장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성과를 집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참여 강사 및 단체 프로그

램(교육과정안 및 세부내용) 협력공간에 대한 정보를 생산ㆍ공유할 수

있는 종합 시스템이 미비하다 교육과정안과 세부 수업 내용뿐만 아니라

강사별 단체별 협력공간별 정보를 취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 없어

정보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역 기반의 우

수한 콘텐츠의 생산과 활용 측면에도 충분한 뒷받침을 하지 못하고 있

31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부산 문화 술교육의 과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고려해 볼 때 부산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

화 등 세 영역에서 향후 과제와 전망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1) 지역 문화 술교육 생태계 조성

첫째 서울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등과 같이 교육청 차원에서 별도

의 조례를 마련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재정비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은

정부 문화기관 교육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한 특수 분야다 이러

한 특성을 감안하여 부산시 부산문화재단 부산광역시 교육청은 문화예

술교육 발전 비전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실제 추진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또

한 문화예술교육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지역의 공연기관

박물관 도서관 지역문화원 등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과의 연계와 협력

도 필요하다 예컨대 핀란드의 lsquo뮤지엄 교육rsquo은 뮤지엄 동물원 오페라

극장 등이 학교와 연계하여 만든 프로그램으로 핀란드의 오랜 식민지

역사를 되짚어보고 국가 정체성을 재발견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근대 부

산의 도시 형성 역사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핀란드 교육은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콘텐츠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의 지역 집중성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부산 지역

의 여건과 현황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부산

센터가 더욱 능동적으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향

후 설립될 기초 단위 센터와의 바람직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문

화예술교육 정책의 지역화 초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하지 못

한 문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진흥원과의 유기적 협력

체계를 유지하는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1

해서는 운영 체제를 개편하고 전담 인력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를 활성화해야 한다 국내외 교류를 활발

히 추진함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시켜 나가

고 국내외 우수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콘텐츠의 질적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부산의 문화예술교육 역량에 걸맞은 국제 컨퍼런스

와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시키고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 담론을 생산해야 한다 아울러 양질의 네트워크

를 형성하여 지속적인 교류ㆍ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부산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일도 더없이 중요하다 국내

유관단체와 기관 간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감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자

생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2) 수요자 심의 교육환경 구축

첫째 수요자의 생활권과 연계된 문화예술교육의 기반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기관으

로 리모델링하는 방안 공간을 정비하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을 갖추는

공간 재편 방안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공간을 지속

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 김포가압장을 리모델링하여 아동ㆍ청소년

예술교육센터로 활용하고 있는 서서울예술교육센터 옛 성복보건소 건

물을 리모델링한 서울예술치유허브 등이 좋은 예다 또한 지역민의 생

활권 안에서 자발적으로 문화예술을 즐김으로써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가령 동아리 활동에 전

문가를 매칭하여 지속적ㆍ단계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

법이며 예술 놀이터를 조성하여 누구나 부담 없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사업

도 필요하다 문화예술교육은 지역의 문화유산이나 생활 습속과 연계하

31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여 지역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때 공동체 의식과 바람직한 지역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미국 피츠버그에 소재한 맨체

스터 크래프트 길드(Manchester Craft Guild)의 경우 청소년 시절 도예

교육 미술 지역 공동체의 힘을 깨달은 설립자가 일생 동안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며 지역 공동체의식을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이

외에도 지역에 산재한 여러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교육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망을 정교하게 구축하고 유기적으로 작동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생애주기별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여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

대해야 한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은 생애 전반에 걸쳐 지역

민과 지역공동체의 생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지역형 문화예술

교육 정책의 근간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추진해 오던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여러 이유로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수요자

층을 발굴하고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부산문화재단(부산광역문화교육지원센터) 부

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금정문화재단 등이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수혜 대상자 현황을 살펴보면 취약계층을 포함한 학교 안팎의 청소년이

주된 대상이다 반면 유아ㆍ아동과 청년 대상 사업은 전무하며 노인대

상 사업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이나 시민아카데미 사업 정도

에 불과하다

두루 알다시피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은 유아부터 노인까지 단계적

ㆍ체계적 프로그램을 기획ㆍ운영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할렘 칠드런즈 존(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을 들 수 있다24) lsquo할렘

어린이 구역(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rsquo 프로젝트는 태교부터 직장

24)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KIPP)

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

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67쪽 Harlem Childrenrsquos Zone httpshcz

org2018100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3

에 들어가기까지 교육과 건강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 각자의 건강

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이것이 지역 공동체의 건강한 토대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좋은 예다 이 프로젝트는 영유아 종일 보육센터 학업 성

취를 책임지는 차터 스쿨 건강지원센터 방과 후에 운영되는 아동과 성

인을 위한 주민센터 주말과 여름에 이루어지는 청소년 폭력 방지 등 지

역 주민 전체를 위한 광범위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25)

셋째 수요자의 다양한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창의력과 융합적 사고의 원동력이 되는 인문학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부산문화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인문학 소모임 동아리 출판 지원 등의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감

으로써 다양성을 확보하고 문화예술 기초역량을 배양해 나가는 디딤돌

로 삼아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장을 넓혀 나가는 작업도 필요하

다 스웨덴의 lsquo서커스 시르쾨르rsquo은 좋은 본보기다 이는 서커스를 문화예

술교육에 접목한 사례로 인간의 삶의 균형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다

양한 오브제를 활용하고 신체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다26)

최근 부산에서 장애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장애인 대상 교육단체에 대한 지원과 국가자격증을

갖춘 강사 확보를 통한 전문성 강화 등 관리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또한 지원 대상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미

국 오클랜드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기관 크리에이티

브 그로스 아트센터(Creative Groth Art Center) 사례는 적지 않은 시사

점을 던진다 이 기관은 1974년부터 발달장애인의 예술적 역량과 완성

작품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데 기여해 왔다 장애인 작가들

이 자유로운 예술 감각을 표현하며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 작

업실을 제공하고 국내외 전시를 개최하는 등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

25) 김경애 위의 논문 170쪽

26)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116쪽

31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넷째 영역별 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교문화예술

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되어 있는 구조를 극복하여 문화예술

교육의 실질적 효용을 극대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국립 오페라단의 스

쿨 오페라 프로그램은 좋은 예다 전국의 학교를 대상으로 오페라 교재

와 가수 스태프를 파견하고 의상 등을 지원하며 다양한 교과와 연계하

여 사업을 펼치고 있다 가령 역사 수업에서 오페라의 시대 배경을 제시

하고 국어 수업에서는 연기하는 인물의 감정을 고찰하며 미술 수업에

서는 소도구를 직접 제작해 보기도 한다 경영 수업에서는 입장권을 직

접 판매하는 등 홍보ㆍ마케팅 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역별 연계

활동은 예술가의 자유로운 실험정신과 창의적 사고로 교실에 생기를 불

어넣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27)

3) 문화 술교육 질 기반 고도화

첫째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해 나가는 작업

이 시급하다28) 학교문화예술교육 설문조사 결과29)에 따르면 문화예술

27)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299쪽

28) 부산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서는 고(稿)를 달리하여 논의

할 예정이다

29)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심층면담 결과를(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58-59

쪽) 사회문화예술교육은 2018년 9월 30일 자체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였다 특히 후자는 다음과 같은 문항으로 예술강사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1 참여하고 있는(또는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2 현

재 교육하고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3 현재 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분야와

교육 중인 분야가 일치합니까 4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

니까 5 문화예술교육 경력기간을 선택해 주세요 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까 7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해 받은 연수 프로그램이 있다

면 선택해 주세요 8 2015~2018년 간 이수한 총 연수 시수를 선택해 주세요 8

mdash1 2015년~2018년 간 부산문화재단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

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mdash2 2015년~2018년 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ARTE)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

mdash3 2015년~2018년 간 기타 기관에서 연수받은 적이 있다면 연수기관과 시수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5

교육 강사 재교육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강사 자신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예술강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매몰되면 자칫 기능 중심의 교육이 되기 쉽고 문

화예술교육 고유의 목표에 다가가기 어렵게 된다 예술강사의 질은 문화

예술교육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학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해야 한다 서울형 예술가

교사(TA)는 문화예술 기반 콘텐츠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접목시켜

만든 새로운 강사 모델이다 이들은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철학인 lsquo미

적 체험rsquo을 실현하는 예술교육 전문가로 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뛰

어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인문

ㆍ예술 장르의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내고 있다 초등학교 대상 프로그램 lsquo예

술로 플러스rsquo와 중학생 대상 인문예술교육 lsquo예술로 함께rsquo는 모두 정규과

정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이 있다30) 아울

러 예술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인력 문화예

술교육단체 학교 기관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

식을 개선하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ㆍ단계적인 교

육 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과거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영역에서 교과서

를 표준화했지만 최근에는 강사가 현실 여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되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효과적

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네트워킹

를 기재해 주세요

30)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htmleducationchildaspperMen

uSeq=2ampMenuSeq=3720181006 예술가교사 사이트 httpartsedutasfacork

rhtmlteachingArtchildEdu_introasp20181006

31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인적 자원 정보를 담은 인력 뱅크 콘텐츠 디렉토리 지역

의 문화자원 사업 정보 국내외 동향과 연구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역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과 실태를 조사

ㆍ연구하는 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다 문화예술교육

의 지역 실태 조사는 문화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짧은 주

기로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제를 발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rsquo 발표를 계기로 문

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분

권의 시대가치에 적합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문화예

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

합회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을 중심

으로 기관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은 중앙

과 협력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을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부산

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원사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21: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09

셋째 양적 증대에 비해 질적 성장을 이루지 못했다 이는 교육과정 개

선이나 관리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지 않은 데서 비롯되었다 교육프로

그램 실행이나 효과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을 개선해야 하지만 시스템

부재로 양질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ㆍ보급해 나가는 데 어려움

이 따를 수밖에 없다 현장과 동떨어진 내용을 요구하거나 표준화된 학

습지도안에 따라 기계적인 수업을 강요하는 측면이 있는 반면 교육과정

을 지나치게 자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강사에 따라 내용의 편차가 크게

존재하는 등 교육의 균질성 역시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예술강사의 역

량 강화를 위한 제도나 교육 프로그램 역시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데 의무 연수 규정 또한 폐지되어 전적으로 강사 개인의 자율적 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곧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하락으로 연결된

다 유관기관의 담당자나 학교관계자 교사들의 예술강사에 대한 인식에

도 문제가 있다 학교 관계자는 예술강사를 lsquo교사가 담당하기 어려운 과

목을 단순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rsquo 정도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

어 예술강사의 자긍심을 저하시키고 있다 예술강사(프로그램 준비 실

행) 학교관계자(시수인정 학교 안내 등) 담당교사(수업 시간 조율 준

비와 진행 등에 대한 협조)의 역할 설정 또한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교

육현장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성과를 집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참여 강사 및 단체 프로그

램(교육과정안 및 세부내용) 협력공간에 대한 정보를 생산ㆍ공유할 수

있는 종합 시스템이 미비하다 교육과정안과 세부 수업 내용뿐만 아니라

강사별 단체별 협력공간별 정보를 취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 없어

정보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역 기반의 우

수한 콘텐츠의 생산과 활용 측면에도 충분한 뒷받침을 하지 못하고 있

31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부산 문화 술교육의 과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고려해 볼 때 부산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

화 등 세 영역에서 향후 과제와 전망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1) 지역 문화 술교육 생태계 조성

첫째 서울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등과 같이 교육청 차원에서 별도

의 조례를 마련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재정비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은

정부 문화기관 교육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한 특수 분야다 이러

한 특성을 감안하여 부산시 부산문화재단 부산광역시 교육청은 문화예

술교육 발전 비전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실제 추진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또

한 문화예술교육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지역의 공연기관

박물관 도서관 지역문화원 등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과의 연계와 협력

도 필요하다 예컨대 핀란드의 lsquo뮤지엄 교육rsquo은 뮤지엄 동물원 오페라

극장 등이 학교와 연계하여 만든 프로그램으로 핀란드의 오랜 식민지

역사를 되짚어보고 국가 정체성을 재발견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근대 부

산의 도시 형성 역사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핀란드 교육은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콘텐츠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의 지역 집중성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부산 지역

의 여건과 현황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부산

센터가 더욱 능동적으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향

후 설립될 기초 단위 센터와의 바람직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문

화예술교육 정책의 지역화 초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하지 못

한 문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진흥원과의 유기적 협력

체계를 유지하는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1

해서는 운영 체제를 개편하고 전담 인력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를 활성화해야 한다 국내외 교류를 활발

히 추진함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시켜 나가

고 국내외 우수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콘텐츠의 질적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부산의 문화예술교육 역량에 걸맞은 국제 컨퍼런스

와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시키고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 담론을 생산해야 한다 아울러 양질의 네트워크

를 형성하여 지속적인 교류ㆍ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부산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일도 더없이 중요하다 국내

유관단체와 기관 간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감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자

생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2) 수요자 심의 교육환경 구축

첫째 수요자의 생활권과 연계된 문화예술교육의 기반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기관으

로 리모델링하는 방안 공간을 정비하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을 갖추는

공간 재편 방안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공간을 지속

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 김포가압장을 리모델링하여 아동ㆍ청소년

예술교육센터로 활용하고 있는 서서울예술교육센터 옛 성복보건소 건

물을 리모델링한 서울예술치유허브 등이 좋은 예다 또한 지역민의 생

활권 안에서 자발적으로 문화예술을 즐김으로써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가령 동아리 활동에 전

문가를 매칭하여 지속적ㆍ단계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

법이며 예술 놀이터를 조성하여 누구나 부담 없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사업

도 필요하다 문화예술교육은 지역의 문화유산이나 생활 습속과 연계하

31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여 지역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때 공동체 의식과 바람직한 지역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미국 피츠버그에 소재한 맨체

스터 크래프트 길드(Manchester Craft Guild)의 경우 청소년 시절 도예

교육 미술 지역 공동체의 힘을 깨달은 설립자가 일생 동안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며 지역 공동체의식을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이

외에도 지역에 산재한 여러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교육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망을 정교하게 구축하고 유기적으로 작동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생애주기별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여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

대해야 한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은 생애 전반에 걸쳐 지역

민과 지역공동체의 생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지역형 문화예술

교육 정책의 근간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추진해 오던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여러 이유로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수요자

층을 발굴하고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부산문화재단(부산광역문화교육지원센터) 부

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금정문화재단 등이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수혜 대상자 현황을 살펴보면 취약계층을 포함한 학교 안팎의 청소년이

주된 대상이다 반면 유아ㆍ아동과 청년 대상 사업은 전무하며 노인대

상 사업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이나 시민아카데미 사업 정도

에 불과하다

두루 알다시피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은 유아부터 노인까지 단계적

ㆍ체계적 프로그램을 기획ㆍ운영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할렘 칠드런즈 존(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을 들 수 있다24) lsquo할렘

어린이 구역(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rsquo 프로젝트는 태교부터 직장

24)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KIPP)

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

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67쪽 Harlem Childrenrsquos Zone httpshcz

org2018100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3

에 들어가기까지 교육과 건강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 각자의 건강

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이것이 지역 공동체의 건강한 토대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좋은 예다 이 프로젝트는 영유아 종일 보육센터 학업 성

취를 책임지는 차터 스쿨 건강지원센터 방과 후에 운영되는 아동과 성

인을 위한 주민센터 주말과 여름에 이루어지는 청소년 폭력 방지 등 지

역 주민 전체를 위한 광범위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25)

셋째 수요자의 다양한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창의력과 융합적 사고의 원동력이 되는 인문학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부산문화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인문학 소모임 동아리 출판 지원 등의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감

으로써 다양성을 확보하고 문화예술 기초역량을 배양해 나가는 디딤돌

로 삼아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장을 넓혀 나가는 작업도 필요하

다 스웨덴의 lsquo서커스 시르쾨르rsquo은 좋은 본보기다 이는 서커스를 문화예

술교육에 접목한 사례로 인간의 삶의 균형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다

양한 오브제를 활용하고 신체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다26)

최근 부산에서 장애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장애인 대상 교육단체에 대한 지원과 국가자격증을

갖춘 강사 확보를 통한 전문성 강화 등 관리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또한 지원 대상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미

국 오클랜드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기관 크리에이티

브 그로스 아트센터(Creative Groth Art Center) 사례는 적지 않은 시사

점을 던진다 이 기관은 1974년부터 발달장애인의 예술적 역량과 완성

작품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데 기여해 왔다 장애인 작가들

이 자유로운 예술 감각을 표현하며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 작

업실을 제공하고 국내외 전시를 개최하는 등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

25) 김경애 위의 논문 170쪽

26)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116쪽

31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넷째 영역별 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교문화예술

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되어 있는 구조를 극복하여 문화예술

교육의 실질적 효용을 극대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국립 오페라단의 스

쿨 오페라 프로그램은 좋은 예다 전국의 학교를 대상으로 오페라 교재

와 가수 스태프를 파견하고 의상 등을 지원하며 다양한 교과와 연계하

여 사업을 펼치고 있다 가령 역사 수업에서 오페라의 시대 배경을 제시

하고 국어 수업에서는 연기하는 인물의 감정을 고찰하며 미술 수업에

서는 소도구를 직접 제작해 보기도 한다 경영 수업에서는 입장권을 직

접 판매하는 등 홍보ㆍ마케팅 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역별 연계

활동은 예술가의 자유로운 실험정신과 창의적 사고로 교실에 생기를 불

어넣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27)

3) 문화 술교육 질 기반 고도화

첫째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해 나가는 작업

이 시급하다28) 학교문화예술교육 설문조사 결과29)에 따르면 문화예술

27)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299쪽

28) 부산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서는 고(稿)를 달리하여 논의

할 예정이다

29)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심층면담 결과를(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58-59

쪽) 사회문화예술교육은 2018년 9월 30일 자체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였다 특히 후자는 다음과 같은 문항으로 예술강사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1 참여하고 있는(또는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2 현

재 교육하고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3 현재 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분야와

교육 중인 분야가 일치합니까 4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

니까 5 문화예술교육 경력기간을 선택해 주세요 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까 7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해 받은 연수 프로그램이 있다

면 선택해 주세요 8 2015~2018년 간 이수한 총 연수 시수를 선택해 주세요 8

mdash1 2015년~2018년 간 부산문화재단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

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mdash2 2015년~2018년 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ARTE)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

mdash3 2015년~2018년 간 기타 기관에서 연수받은 적이 있다면 연수기관과 시수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5

교육 강사 재교육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강사 자신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예술강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매몰되면 자칫 기능 중심의 교육이 되기 쉽고 문

화예술교육 고유의 목표에 다가가기 어렵게 된다 예술강사의 질은 문화

예술교육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학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해야 한다 서울형 예술가

교사(TA)는 문화예술 기반 콘텐츠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접목시켜

만든 새로운 강사 모델이다 이들은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철학인 lsquo미

적 체험rsquo을 실현하는 예술교육 전문가로 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뛰

어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인문

ㆍ예술 장르의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내고 있다 초등학교 대상 프로그램 lsquo예

술로 플러스rsquo와 중학생 대상 인문예술교육 lsquo예술로 함께rsquo는 모두 정규과

정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이 있다30) 아울

러 예술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인력 문화예

술교육단체 학교 기관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

식을 개선하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ㆍ단계적인 교

육 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과거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영역에서 교과서

를 표준화했지만 최근에는 강사가 현실 여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되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효과적

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네트워킹

를 기재해 주세요

30)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htmleducationchildaspperMen

uSeq=2ampMenuSeq=3720181006 예술가교사 사이트 httpartsedutasfacork

rhtmlteachingArtchildEdu_introasp20181006

31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인적 자원 정보를 담은 인력 뱅크 콘텐츠 디렉토리 지역

의 문화자원 사업 정보 국내외 동향과 연구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역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과 실태를 조사

ㆍ연구하는 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다 문화예술교육

의 지역 실태 조사는 문화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짧은 주

기로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제를 발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rsquo 발표를 계기로 문

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분

권의 시대가치에 적합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문화예

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

합회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을 중심

으로 기관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은 중앙

과 협력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을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부산

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원사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22: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31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3 부산 문화 술교육의 과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고려해 볼 때 부산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

화 등 세 영역에서 향후 과제와 전망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1) 지역 문화 술교육 생태계 조성

첫째 서울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등과 같이 교육청 차원에서 별도

의 조례를 마련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재정비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은

정부 문화기관 교육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한 특수 분야다 이러

한 특성을 감안하여 부산시 부산문화재단 부산광역시 교육청은 문화예

술교육 발전 비전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실제 추진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또

한 문화예술교육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지역의 공연기관

박물관 도서관 지역문화원 등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과의 연계와 협력

도 필요하다 예컨대 핀란드의 lsquo뮤지엄 교육rsquo은 뮤지엄 동물원 오페라

극장 등이 학교와 연계하여 만든 프로그램으로 핀란드의 오랜 식민지

역사를 되짚어보고 국가 정체성을 재발견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근대 부

산의 도시 형성 역사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핀란드 교육은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콘텐츠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의 지역 집중성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부산 지역

의 여건과 현황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부산

센터가 더욱 능동적으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향

후 설립될 기초 단위 센터와의 바람직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문

화예술교육 정책의 지역화 초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하지 못

한 문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진흥원과의 유기적 협력

체계를 유지하는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1

해서는 운영 체제를 개편하고 전담 인력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를 활성화해야 한다 국내외 교류를 활발

히 추진함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시켜 나가

고 국내외 우수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콘텐츠의 질적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부산의 문화예술교육 역량에 걸맞은 국제 컨퍼런스

와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시키고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 담론을 생산해야 한다 아울러 양질의 네트워크

를 형성하여 지속적인 교류ㆍ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부산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일도 더없이 중요하다 국내

유관단체와 기관 간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감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자

생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2) 수요자 심의 교육환경 구축

첫째 수요자의 생활권과 연계된 문화예술교육의 기반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기관으

로 리모델링하는 방안 공간을 정비하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을 갖추는

공간 재편 방안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공간을 지속

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 김포가압장을 리모델링하여 아동ㆍ청소년

예술교육센터로 활용하고 있는 서서울예술교육센터 옛 성복보건소 건

물을 리모델링한 서울예술치유허브 등이 좋은 예다 또한 지역민의 생

활권 안에서 자발적으로 문화예술을 즐김으로써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가령 동아리 활동에 전

문가를 매칭하여 지속적ㆍ단계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

법이며 예술 놀이터를 조성하여 누구나 부담 없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사업

도 필요하다 문화예술교육은 지역의 문화유산이나 생활 습속과 연계하

31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여 지역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때 공동체 의식과 바람직한 지역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미국 피츠버그에 소재한 맨체

스터 크래프트 길드(Manchester Craft Guild)의 경우 청소년 시절 도예

교육 미술 지역 공동체의 힘을 깨달은 설립자가 일생 동안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며 지역 공동체의식을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이

외에도 지역에 산재한 여러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교육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망을 정교하게 구축하고 유기적으로 작동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생애주기별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여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

대해야 한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은 생애 전반에 걸쳐 지역

민과 지역공동체의 생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지역형 문화예술

교육 정책의 근간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추진해 오던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여러 이유로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수요자

층을 발굴하고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부산문화재단(부산광역문화교육지원센터) 부

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금정문화재단 등이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수혜 대상자 현황을 살펴보면 취약계층을 포함한 학교 안팎의 청소년이

주된 대상이다 반면 유아ㆍ아동과 청년 대상 사업은 전무하며 노인대

상 사업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이나 시민아카데미 사업 정도

에 불과하다

두루 알다시피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은 유아부터 노인까지 단계적

ㆍ체계적 프로그램을 기획ㆍ운영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할렘 칠드런즈 존(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을 들 수 있다24) lsquo할렘

어린이 구역(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rsquo 프로젝트는 태교부터 직장

24)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KIPP)

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

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67쪽 Harlem Childrenrsquos Zone httpshcz

org2018100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3

에 들어가기까지 교육과 건강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 각자의 건강

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이것이 지역 공동체의 건강한 토대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좋은 예다 이 프로젝트는 영유아 종일 보육센터 학업 성

취를 책임지는 차터 스쿨 건강지원센터 방과 후에 운영되는 아동과 성

인을 위한 주민센터 주말과 여름에 이루어지는 청소년 폭력 방지 등 지

역 주민 전체를 위한 광범위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25)

셋째 수요자의 다양한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창의력과 융합적 사고의 원동력이 되는 인문학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부산문화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인문학 소모임 동아리 출판 지원 등의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감

으로써 다양성을 확보하고 문화예술 기초역량을 배양해 나가는 디딤돌

로 삼아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장을 넓혀 나가는 작업도 필요하

다 스웨덴의 lsquo서커스 시르쾨르rsquo은 좋은 본보기다 이는 서커스를 문화예

술교육에 접목한 사례로 인간의 삶의 균형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다

양한 오브제를 활용하고 신체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다26)

최근 부산에서 장애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장애인 대상 교육단체에 대한 지원과 국가자격증을

갖춘 강사 확보를 통한 전문성 강화 등 관리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또한 지원 대상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미

국 오클랜드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기관 크리에이티

브 그로스 아트센터(Creative Groth Art Center) 사례는 적지 않은 시사

점을 던진다 이 기관은 1974년부터 발달장애인의 예술적 역량과 완성

작품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데 기여해 왔다 장애인 작가들

이 자유로운 예술 감각을 표현하며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 작

업실을 제공하고 국내외 전시를 개최하는 등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

25) 김경애 위의 논문 170쪽

26)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116쪽

31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넷째 영역별 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교문화예술

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되어 있는 구조를 극복하여 문화예술

교육의 실질적 효용을 극대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국립 오페라단의 스

쿨 오페라 프로그램은 좋은 예다 전국의 학교를 대상으로 오페라 교재

와 가수 스태프를 파견하고 의상 등을 지원하며 다양한 교과와 연계하

여 사업을 펼치고 있다 가령 역사 수업에서 오페라의 시대 배경을 제시

하고 국어 수업에서는 연기하는 인물의 감정을 고찰하며 미술 수업에

서는 소도구를 직접 제작해 보기도 한다 경영 수업에서는 입장권을 직

접 판매하는 등 홍보ㆍ마케팅 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역별 연계

활동은 예술가의 자유로운 실험정신과 창의적 사고로 교실에 생기를 불

어넣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27)

3) 문화 술교육 질 기반 고도화

첫째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해 나가는 작업

이 시급하다28) 학교문화예술교육 설문조사 결과29)에 따르면 문화예술

27)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299쪽

28) 부산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서는 고(稿)를 달리하여 논의

할 예정이다

29)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심층면담 결과를(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58-59

쪽) 사회문화예술교육은 2018년 9월 30일 자체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였다 특히 후자는 다음과 같은 문항으로 예술강사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1 참여하고 있는(또는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2 현

재 교육하고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3 현재 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분야와

교육 중인 분야가 일치합니까 4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

니까 5 문화예술교육 경력기간을 선택해 주세요 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까 7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해 받은 연수 프로그램이 있다

면 선택해 주세요 8 2015~2018년 간 이수한 총 연수 시수를 선택해 주세요 8

mdash1 2015년~2018년 간 부산문화재단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

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mdash2 2015년~2018년 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ARTE)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

mdash3 2015년~2018년 간 기타 기관에서 연수받은 적이 있다면 연수기관과 시수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5

교육 강사 재교육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강사 자신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예술강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매몰되면 자칫 기능 중심의 교육이 되기 쉽고 문

화예술교육 고유의 목표에 다가가기 어렵게 된다 예술강사의 질은 문화

예술교육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학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해야 한다 서울형 예술가

교사(TA)는 문화예술 기반 콘텐츠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접목시켜

만든 새로운 강사 모델이다 이들은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철학인 lsquo미

적 체험rsquo을 실현하는 예술교육 전문가로 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뛰

어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인문

ㆍ예술 장르의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내고 있다 초등학교 대상 프로그램 lsquo예

술로 플러스rsquo와 중학생 대상 인문예술교육 lsquo예술로 함께rsquo는 모두 정규과

정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이 있다30) 아울

러 예술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인력 문화예

술교육단체 학교 기관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

식을 개선하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ㆍ단계적인 교

육 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과거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영역에서 교과서

를 표준화했지만 최근에는 강사가 현실 여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되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효과적

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네트워킹

를 기재해 주세요

30)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htmleducationchildaspperMen

uSeq=2ampMenuSeq=3720181006 예술가교사 사이트 httpartsedutasfacork

rhtmlteachingArtchildEdu_introasp20181006

31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인적 자원 정보를 담은 인력 뱅크 콘텐츠 디렉토리 지역

의 문화자원 사업 정보 국내외 동향과 연구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역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과 실태를 조사

ㆍ연구하는 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다 문화예술교육

의 지역 실태 조사는 문화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짧은 주

기로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제를 발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rsquo 발표를 계기로 문

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분

권의 시대가치에 적합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문화예

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

합회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을 중심

으로 기관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은 중앙

과 협력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을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부산

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원사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23: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1

해서는 운영 체제를 개편하고 전담 인력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를 활성화해야 한다 국내외 교류를 활발

히 추진함으로써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시켜 나가

고 국내외 우수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콘텐츠의 질적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부산의 문화예술교육 역량에 걸맞은 국제 컨퍼런스

와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시키고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 담론을 생산해야 한다 아울러 양질의 네트워크

를 형성하여 지속적인 교류ㆍ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부산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일도 더없이 중요하다 국내

유관단체와 기관 간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감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자

생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2) 수요자 심의 교육환경 구축

첫째 수요자의 생활권과 연계된 문화예술교육의 기반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기관으

로 리모델링하는 방안 공간을 정비하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을 갖추는

공간 재편 방안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공간을 지속

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 김포가압장을 리모델링하여 아동ㆍ청소년

예술교육센터로 활용하고 있는 서서울예술교육센터 옛 성복보건소 건

물을 리모델링한 서울예술치유허브 등이 좋은 예다 또한 지역민의 생

활권 안에서 자발적으로 문화예술을 즐김으로써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가령 동아리 활동에 전

문가를 매칭하여 지속적ㆍ단계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

법이며 예술 놀이터를 조성하여 누구나 부담 없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사업

도 필요하다 문화예술교육은 지역의 문화유산이나 생활 습속과 연계하

31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여 지역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때 공동체 의식과 바람직한 지역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미국 피츠버그에 소재한 맨체

스터 크래프트 길드(Manchester Craft Guild)의 경우 청소년 시절 도예

교육 미술 지역 공동체의 힘을 깨달은 설립자가 일생 동안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며 지역 공동체의식을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이

외에도 지역에 산재한 여러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교육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망을 정교하게 구축하고 유기적으로 작동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생애주기별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여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

대해야 한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은 생애 전반에 걸쳐 지역

민과 지역공동체의 생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지역형 문화예술

교육 정책의 근간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추진해 오던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여러 이유로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수요자

층을 발굴하고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부산문화재단(부산광역문화교육지원센터) 부

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금정문화재단 등이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수혜 대상자 현황을 살펴보면 취약계층을 포함한 학교 안팎의 청소년이

주된 대상이다 반면 유아ㆍ아동과 청년 대상 사업은 전무하며 노인대

상 사업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이나 시민아카데미 사업 정도

에 불과하다

두루 알다시피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은 유아부터 노인까지 단계적

ㆍ체계적 프로그램을 기획ㆍ운영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할렘 칠드런즈 존(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을 들 수 있다24) lsquo할렘

어린이 구역(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rsquo 프로젝트는 태교부터 직장

24)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KIPP)

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

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67쪽 Harlem Childrenrsquos Zone httpshcz

org2018100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3

에 들어가기까지 교육과 건강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 각자의 건강

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이것이 지역 공동체의 건강한 토대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좋은 예다 이 프로젝트는 영유아 종일 보육센터 학업 성

취를 책임지는 차터 스쿨 건강지원센터 방과 후에 운영되는 아동과 성

인을 위한 주민센터 주말과 여름에 이루어지는 청소년 폭력 방지 등 지

역 주민 전체를 위한 광범위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25)

셋째 수요자의 다양한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창의력과 융합적 사고의 원동력이 되는 인문학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부산문화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인문학 소모임 동아리 출판 지원 등의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감

으로써 다양성을 확보하고 문화예술 기초역량을 배양해 나가는 디딤돌

로 삼아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장을 넓혀 나가는 작업도 필요하

다 스웨덴의 lsquo서커스 시르쾨르rsquo은 좋은 본보기다 이는 서커스를 문화예

술교육에 접목한 사례로 인간의 삶의 균형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다

양한 오브제를 활용하고 신체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다26)

최근 부산에서 장애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장애인 대상 교육단체에 대한 지원과 국가자격증을

갖춘 강사 확보를 통한 전문성 강화 등 관리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또한 지원 대상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미

국 오클랜드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기관 크리에이티

브 그로스 아트센터(Creative Groth Art Center) 사례는 적지 않은 시사

점을 던진다 이 기관은 1974년부터 발달장애인의 예술적 역량과 완성

작품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데 기여해 왔다 장애인 작가들

이 자유로운 예술 감각을 표현하며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 작

업실을 제공하고 국내외 전시를 개최하는 등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

25) 김경애 위의 논문 170쪽

26)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116쪽

31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넷째 영역별 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교문화예술

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되어 있는 구조를 극복하여 문화예술

교육의 실질적 효용을 극대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국립 오페라단의 스

쿨 오페라 프로그램은 좋은 예다 전국의 학교를 대상으로 오페라 교재

와 가수 스태프를 파견하고 의상 등을 지원하며 다양한 교과와 연계하

여 사업을 펼치고 있다 가령 역사 수업에서 오페라의 시대 배경을 제시

하고 국어 수업에서는 연기하는 인물의 감정을 고찰하며 미술 수업에

서는 소도구를 직접 제작해 보기도 한다 경영 수업에서는 입장권을 직

접 판매하는 등 홍보ㆍ마케팅 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역별 연계

활동은 예술가의 자유로운 실험정신과 창의적 사고로 교실에 생기를 불

어넣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27)

3) 문화 술교육 질 기반 고도화

첫째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해 나가는 작업

이 시급하다28) 학교문화예술교육 설문조사 결과29)에 따르면 문화예술

27)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299쪽

28) 부산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서는 고(稿)를 달리하여 논의

할 예정이다

29)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심층면담 결과를(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58-59

쪽) 사회문화예술교육은 2018년 9월 30일 자체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였다 특히 후자는 다음과 같은 문항으로 예술강사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1 참여하고 있는(또는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2 현

재 교육하고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3 현재 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분야와

교육 중인 분야가 일치합니까 4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

니까 5 문화예술교육 경력기간을 선택해 주세요 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까 7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해 받은 연수 프로그램이 있다

면 선택해 주세요 8 2015~2018년 간 이수한 총 연수 시수를 선택해 주세요 8

mdash1 2015년~2018년 간 부산문화재단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

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mdash2 2015년~2018년 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ARTE)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

mdash3 2015년~2018년 간 기타 기관에서 연수받은 적이 있다면 연수기관과 시수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5

교육 강사 재교육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강사 자신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예술강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매몰되면 자칫 기능 중심의 교육이 되기 쉽고 문

화예술교육 고유의 목표에 다가가기 어렵게 된다 예술강사의 질은 문화

예술교육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학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해야 한다 서울형 예술가

교사(TA)는 문화예술 기반 콘텐츠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접목시켜

만든 새로운 강사 모델이다 이들은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철학인 lsquo미

적 체험rsquo을 실현하는 예술교육 전문가로 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뛰

어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인문

ㆍ예술 장르의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내고 있다 초등학교 대상 프로그램 lsquo예

술로 플러스rsquo와 중학생 대상 인문예술교육 lsquo예술로 함께rsquo는 모두 정규과

정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이 있다30) 아울

러 예술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인력 문화예

술교육단체 학교 기관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

식을 개선하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ㆍ단계적인 교

육 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과거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영역에서 교과서

를 표준화했지만 최근에는 강사가 현실 여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되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효과적

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네트워킹

를 기재해 주세요

30)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htmleducationchildaspperMen

uSeq=2ampMenuSeq=3720181006 예술가교사 사이트 httpartsedutasfacork

rhtmlteachingArtchildEdu_introasp20181006

31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인적 자원 정보를 담은 인력 뱅크 콘텐츠 디렉토리 지역

의 문화자원 사업 정보 국내외 동향과 연구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역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과 실태를 조사

ㆍ연구하는 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다 문화예술교육

의 지역 실태 조사는 문화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짧은 주

기로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제를 발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rsquo 발표를 계기로 문

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분

권의 시대가치에 적합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문화예

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

합회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을 중심

으로 기관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은 중앙

과 협력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을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부산

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원사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2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31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여 지역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때 공동체 의식과 바람직한 지역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미국 피츠버그에 소재한 맨체

스터 크래프트 길드(Manchester Craft Guild)의 경우 청소년 시절 도예

교육 미술 지역 공동체의 힘을 깨달은 설립자가 일생 동안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며 지역 공동체의식을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이

외에도 지역에 산재한 여러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교육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망을 정교하게 구축하고 유기적으로 작동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생애주기별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여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

대해야 한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은 생애 전반에 걸쳐 지역

민과 지역공동체의 생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지역형 문화예술

교육 정책의 근간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추진해 오던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여러 이유로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수요자

층을 발굴하고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부산문화재단(부산광역문화교육지원센터) 부

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금정문화재단 등이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수혜 대상자 현황을 살펴보면 취약계층을 포함한 학교 안팎의 청소년이

주된 대상이다 반면 유아ㆍ아동과 청년 대상 사업은 전무하며 노인대

상 사업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이나 시민아카데미 사업 정도

에 불과하다

두루 알다시피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은 유아부터 노인까지 단계적

ㆍ체계적 프로그램을 기획ㆍ운영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할렘 칠드런즈 존(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을 들 수 있다24) lsquo할렘

어린이 구역(The Harlem Childrenrsquos Zone)rsquo 프로젝트는 태교부터 직장

24)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KIPP)

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

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67쪽 Harlem Childrenrsquos Zone httpshcz

org2018100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3

에 들어가기까지 교육과 건강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 각자의 건강

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이것이 지역 공동체의 건강한 토대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좋은 예다 이 프로젝트는 영유아 종일 보육센터 학업 성

취를 책임지는 차터 스쿨 건강지원센터 방과 후에 운영되는 아동과 성

인을 위한 주민센터 주말과 여름에 이루어지는 청소년 폭력 방지 등 지

역 주민 전체를 위한 광범위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25)

셋째 수요자의 다양한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창의력과 융합적 사고의 원동력이 되는 인문학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부산문화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인문학 소모임 동아리 출판 지원 등의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감

으로써 다양성을 확보하고 문화예술 기초역량을 배양해 나가는 디딤돌

로 삼아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장을 넓혀 나가는 작업도 필요하

다 스웨덴의 lsquo서커스 시르쾨르rsquo은 좋은 본보기다 이는 서커스를 문화예

술교육에 접목한 사례로 인간의 삶의 균형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다

양한 오브제를 활용하고 신체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다26)

최근 부산에서 장애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장애인 대상 교육단체에 대한 지원과 국가자격증을

갖춘 강사 확보를 통한 전문성 강화 등 관리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또한 지원 대상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미

국 오클랜드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기관 크리에이티

브 그로스 아트센터(Creative Groth Art Center) 사례는 적지 않은 시사

점을 던진다 이 기관은 1974년부터 발달장애인의 예술적 역량과 완성

작품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데 기여해 왔다 장애인 작가들

이 자유로운 예술 감각을 표현하며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 작

업실을 제공하고 국내외 전시를 개최하는 등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

25) 김경애 위의 논문 170쪽

26)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116쪽

31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넷째 영역별 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교문화예술

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되어 있는 구조를 극복하여 문화예술

교육의 실질적 효용을 극대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국립 오페라단의 스

쿨 오페라 프로그램은 좋은 예다 전국의 학교를 대상으로 오페라 교재

와 가수 스태프를 파견하고 의상 등을 지원하며 다양한 교과와 연계하

여 사업을 펼치고 있다 가령 역사 수업에서 오페라의 시대 배경을 제시

하고 국어 수업에서는 연기하는 인물의 감정을 고찰하며 미술 수업에

서는 소도구를 직접 제작해 보기도 한다 경영 수업에서는 입장권을 직

접 판매하는 등 홍보ㆍ마케팅 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역별 연계

활동은 예술가의 자유로운 실험정신과 창의적 사고로 교실에 생기를 불

어넣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27)

3) 문화 술교육 질 기반 고도화

첫째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해 나가는 작업

이 시급하다28) 학교문화예술교육 설문조사 결과29)에 따르면 문화예술

27)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299쪽

28) 부산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서는 고(稿)를 달리하여 논의

할 예정이다

29)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심층면담 결과를(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58-59

쪽) 사회문화예술교육은 2018년 9월 30일 자체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였다 특히 후자는 다음과 같은 문항으로 예술강사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1 참여하고 있는(또는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2 현

재 교육하고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3 현재 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분야와

교육 중인 분야가 일치합니까 4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

니까 5 문화예술교육 경력기간을 선택해 주세요 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까 7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해 받은 연수 프로그램이 있다

면 선택해 주세요 8 2015~2018년 간 이수한 총 연수 시수를 선택해 주세요 8

mdash1 2015년~2018년 간 부산문화재단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

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mdash2 2015년~2018년 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ARTE)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

mdash3 2015년~2018년 간 기타 기관에서 연수받은 적이 있다면 연수기관과 시수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5

교육 강사 재교육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강사 자신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예술강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매몰되면 자칫 기능 중심의 교육이 되기 쉽고 문

화예술교육 고유의 목표에 다가가기 어렵게 된다 예술강사의 질은 문화

예술교육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학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해야 한다 서울형 예술가

교사(TA)는 문화예술 기반 콘텐츠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접목시켜

만든 새로운 강사 모델이다 이들은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철학인 lsquo미

적 체험rsquo을 실현하는 예술교육 전문가로 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뛰

어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인문

ㆍ예술 장르의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내고 있다 초등학교 대상 프로그램 lsquo예

술로 플러스rsquo와 중학생 대상 인문예술교육 lsquo예술로 함께rsquo는 모두 정규과

정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이 있다30) 아울

러 예술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인력 문화예

술교육단체 학교 기관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

식을 개선하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ㆍ단계적인 교

육 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과거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영역에서 교과서

를 표준화했지만 최근에는 강사가 현실 여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되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효과적

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네트워킹

를 기재해 주세요

30)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htmleducationchildaspperMen

uSeq=2ampMenuSeq=3720181006 예술가교사 사이트 httpartsedutasfacork

rhtmlteachingArtchildEdu_introasp20181006

31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인적 자원 정보를 담은 인력 뱅크 콘텐츠 디렉토리 지역

의 문화자원 사업 정보 국내외 동향과 연구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역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과 실태를 조사

ㆍ연구하는 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다 문화예술교육

의 지역 실태 조사는 문화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짧은 주

기로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제를 발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rsquo 발표를 계기로 문

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분

권의 시대가치에 적합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문화예

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

합회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을 중심

으로 기관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은 중앙

과 협력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을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부산

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원사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25: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3

에 들어가기까지 교육과 건강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 각자의 건강

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이것이 지역 공동체의 건강한 토대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좋은 예다 이 프로젝트는 영유아 종일 보육센터 학업 성

취를 책임지는 차터 스쿨 건강지원센터 방과 후에 운영되는 아동과 성

인을 위한 주민센터 주말과 여름에 이루어지는 청소년 폭력 방지 등 지

역 주민 전체를 위한 광범위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25)

셋째 수요자의 다양한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창의력과 융합적 사고의 원동력이 되는 인문학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부산문화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인문학 소모임 동아리 출판 지원 등의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감

으로써 다양성을 확보하고 문화예술 기초역량을 배양해 나가는 디딤돌

로 삼아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장을 넓혀 나가는 작업도 필요하

다 스웨덴의 lsquo서커스 시르쾨르rsquo은 좋은 본보기다 이는 서커스를 문화예

술교육에 접목한 사례로 인간의 삶의 균형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다

양한 오브제를 활용하고 신체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다26)

최근 부산에서 장애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장애인 대상 교육단체에 대한 지원과 국가자격증을

갖춘 강사 확보를 통한 전문성 강화 등 관리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또한 지원 대상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미

국 오클랜드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기관 크리에이티

브 그로스 아트센터(Creative Groth Art Center) 사례는 적지 않은 시사

점을 던진다 이 기관은 1974년부터 발달장애인의 예술적 역량과 완성

작품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데 기여해 왔다 장애인 작가들

이 자유로운 예술 감각을 표현하며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 작

업실을 제공하고 국내외 전시를 개최하는 등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

25) 김경애 위의 논문 170쪽

26)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116쪽

31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넷째 영역별 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교문화예술

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되어 있는 구조를 극복하여 문화예술

교육의 실질적 효용을 극대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국립 오페라단의 스

쿨 오페라 프로그램은 좋은 예다 전국의 학교를 대상으로 오페라 교재

와 가수 스태프를 파견하고 의상 등을 지원하며 다양한 교과와 연계하

여 사업을 펼치고 있다 가령 역사 수업에서 오페라의 시대 배경을 제시

하고 국어 수업에서는 연기하는 인물의 감정을 고찰하며 미술 수업에

서는 소도구를 직접 제작해 보기도 한다 경영 수업에서는 입장권을 직

접 판매하는 등 홍보ㆍ마케팅 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역별 연계

활동은 예술가의 자유로운 실험정신과 창의적 사고로 교실에 생기를 불

어넣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27)

3) 문화 술교육 질 기반 고도화

첫째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해 나가는 작업

이 시급하다28) 학교문화예술교육 설문조사 결과29)에 따르면 문화예술

27)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299쪽

28) 부산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서는 고(稿)를 달리하여 논의

할 예정이다

29)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심층면담 결과를(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58-59

쪽) 사회문화예술교육은 2018년 9월 30일 자체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였다 특히 후자는 다음과 같은 문항으로 예술강사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1 참여하고 있는(또는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2 현

재 교육하고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3 현재 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분야와

교육 중인 분야가 일치합니까 4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

니까 5 문화예술교육 경력기간을 선택해 주세요 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까 7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해 받은 연수 프로그램이 있다

면 선택해 주세요 8 2015~2018년 간 이수한 총 연수 시수를 선택해 주세요 8

mdash1 2015년~2018년 간 부산문화재단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

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mdash2 2015년~2018년 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ARTE)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

mdash3 2015년~2018년 간 기타 기관에서 연수받은 적이 있다면 연수기관과 시수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5

교육 강사 재교육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강사 자신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예술강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매몰되면 자칫 기능 중심의 교육이 되기 쉽고 문

화예술교육 고유의 목표에 다가가기 어렵게 된다 예술강사의 질은 문화

예술교육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학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해야 한다 서울형 예술가

교사(TA)는 문화예술 기반 콘텐츠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접목시켜

만든 새로운 강사 모델이다 이들은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철학인 lsquo미

적 체험rsquo을 실현하는 예술교육 전문가로 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뛰

어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인문

ㆍ예술 장르의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내고 있다 초등학교 대상 프로그램 lsquo예

술로 플러스rsquo와 중학생 대상 인문예술교육 lsquo예술로 함께rsquo는 모두 정규과

정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이 있다30) 아울

러 예술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인력 문화예

술교육단체 학교 기관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

식을 개선하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ㆍ단계적인 교

육 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과거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영역에서 교과서

를 표준화했지만 최근에는 강사가 현실 여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되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효과적

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네트워킹

를 기재해 주세요

30)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htmleducationchildaspperMen

uSeq=2ampMenuSeq=3720181006 예술가교사 사이트 httpartsedutasfacork

rhtmlteachingArtchildEdu_introasp20181006

31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인적 자원 정보를 담은 인력 뱅크 콘텐츠 디렉토리 지역

의 문화자원 사업 정보 국내외 동향과 연구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역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과 실태를 조사

ㆍ연구하는 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다 문화예술교육

의 지역 실태 조사는 문화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짧은 주

기로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제를 발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rsquo 발표를 계기로 문

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분

권의 시대가치에 적합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문화예

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

합회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을 중심

으로 기관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은 중앙

과 협력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을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부산

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원사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2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314 한국문학논총 제80집

넷째 영역별 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교문화예술

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양분되어 있는 구조를 극복하여 문화예술

교육의 실질적 효용을 극대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국립 오페라단의 스

쿨 오페라 프로그램은 좋은 예다 전국의 학교를 대상으로 오페라 교재

와 가수 스태프를 파견하고 의상 등을 지원하며 다양한 교과와 연계하

여 사업을 펼치고 있다 가령 역사 수업에서 오페라의 시대 배경을 제시

하고 국어 수업에서는 연기하는 인물의 감정을 고찰하며 미술 수업에

서는 소도구를 직접 제작해 보기도 한다 경영 수업에서는 입장권을 직

접 판매하는 등 홍보ㆍ마케팅 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역별 연계

활동은 예술가의 자유로운 실험정신과 창의적 사고로 교실에 생기를 불

어넣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27)

3) 문화 술교육 질 기반 고도화

첫째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해 나가는 작업

이 시급하다28) 학교문화예술교육 설문조사 결과29)에 따르면 문화예술

27)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299쪽

28) 부산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서는 고(稿)를 달리하여 논의

할 예정이다

29)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심층면담 결과를(이미연 외 여럿 앞의 글 58-59

쪽) 사회문화예술교육은 2018년 9월 30일 자체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였다 특히 후자는 다음과 같은 문항으로 예술강사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1 참여하고 있는(또는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2 현

재 교육하고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3 현재 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분야와

교육 중인 분야가 일치합니까 4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

니까 5 문화예술교육 경력기간을 선택해 주세요 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까 7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해 받은 연수 프로그램이 있다

면 선택해 주세요 8 2015~2018년 간 이수한 총 연수 시수를 선택해 주세요 8

mdash1 2015년~2018년 간 부산문화재단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

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mdash2 2015년~2018년 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ARTE)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이수한 시수를 기재해 주세요 8

mdash3 2015년~2018년 간 기타 기관에서 연수받은 적이 있다면 연수기관과 시수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5

교육 강사 재교육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강사 자신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예술강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매몰되면 자칫 기능 중심의 교육이 되기 쉽고 문

화예술교육 고유의 목표에 다가가기 어렵게 된다 예술강사의 질은 문화

예술교육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학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해야 한다 서울형 예술가

교사(TA)는 문화예술 기반 콘텐츠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접목시켜

만든 새로운 강사 모델이다 이들은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철학인 lsquo미

적 체험rsquo을 실현하는 예술교육 전문가로 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뛰

어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인문

ㆍ예술 장르의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내고 있다 초등학교 대상 프로그램 lsquo예

술로 플러스rsquo와 중학생 대상 인문예술교육 lsquo예술로 함께rsquo는 모두 정규과

정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이 있다30) 아울

러 예술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인력 문화예

술교육단체 학교 기관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

식을 개선하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ㆍ단계적인 교

육 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과거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영역에서 교과서

를 표준화했지만 최근에는 강사가 현실 여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되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효과적

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네트워킹

를 기재해 주세요

30)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htmleducationchildaspperMen

uSeq=2ampMenuSeq=3720181006 예술가교사 사이트 httpartsedutasfacork

rhtmlteachingArtchildEdu_introasp20181006

31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인적 자원 정보를 담은 인력 뱅크 콘텐츠 디렉토리 지역

의 문화자원 사업 정보 국내외 동향과 연구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역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과 실태를 조사

ㆍ연구하는 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다 문화예술교육

의 지역 실태 조사는 문화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짧은 주

기로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제를 발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rsquo 발표를 계기로 문

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분

권의 시대가치에 적합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문화예

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

합회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을 중심

으로 기관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은 중앙

과 협력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을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부산

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원사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27: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5

교육 강사 재교육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강사 자신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예술강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매몰되면 자칫 기능 중심의 교육이 되기 쉽고 문

화예술교육 고유의 목표에 다가가기 어렵게 된다 예술강사의 질은 문화

예술교육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학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해야 한다 서울형 예술가

교사(TA)는 문화예술 기반 콘텐츠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접목시켜

만든 새로운 강사 모델이다 이들은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철학인 lsquo미

적 체험rsquo을 실현하는 예술교육 전문가로 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뛰

어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인문

ㆍ예술 장르의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내고 있다 초등학교 대상 프로그램 lsquo예

술로 플러스rsquo와 중학생 대상 인문예술교육 lsquo예술로 함께rsquo는 모두 정규과

정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이 있다30) 아울

러 예술강사의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인력 문화예

술교육단체 학교 기관 등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

식을 개선하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ㆍ단계적인 교

육 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과거에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영역에서 교과서

를 표준화했지만 최근에는 강사가 현실 여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되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효과적

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네트워킹

를 기재해 주세요

30)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htmleducationchildaspperMen

uSeq=2ampMenuSeq=3720181006 예술가교사 사이트 httpartsedutasfacork

rhtmlteachingArtchildEdu_introasp20181006

31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인적 자원 정보를 담은 인력 뱅크 콘텐츠 디렉토리 지역

의 문화자원 사업 정보 국내외 동향과 연구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역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과 실태를 조사

ㆍ연구하는 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다 문화예술교육

의 지역 실태 조사는 문화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짧은 주

기로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제를 발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rsquo 발표를 계기로 문

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분

권의 시대가치에 적합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문화예

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

합회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을 중심

으로 기관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은 중앙

과 협력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을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부산

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원사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28: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316 한국문학논총 제80집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인적 자원 정보를 담은 인력 뱅크 콘텐츠 디렉토리 지역

의 문화자원 사업 정보 국내외 동향과 연구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역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동향과 실태를 조사

ㆍ연구하는 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다 문화예술교육

의 지역 실태 조사는 문화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짧은 주

기로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제를 발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lsquo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rsquo 발표를 계기로 문

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분

권의 시대가치에 적합한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문화예

술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

합회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지원사업을 중심

으로 기관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은 중앙

과 협력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을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무형 문화재 교실 지역 인문학

활성화 사업 등의 자체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는 국악분야를 비롯한 7개 분야 예술강사를 포함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lsquo찾아가는 진로ㆍ예술교육rsquo lsquo작은 도서관 지원사업rsquo을 부산

광역시교육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험학습 운영 지원 축제행사

운영 지원 특별활동 지원과 청소년복합문화센터 놀이마루 운영 지원사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29: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7

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구 단위나 금정문화재단도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

함으로써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었다 주관기관의 다양성만큼

이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 문화예술교육

의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부산 문화예술교육은 성

과 못지않게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예산 대

상 인프라 측면에서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가치의 확산과 문화향

유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등의 측면은 짧은 시기 동

안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러나 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로 지역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점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교육 대

상 불균형과 생애주기별ㆍ수요자별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 인

적자원 및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과 성과 시스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부

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지 못한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

계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환경 구축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라

는 향후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정교한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 체

계 구축 부산센터의 자율성과 능동성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

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바람직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필

요가 있다 생활권 연계 문화예술 교육기반의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

술교육의 실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인

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활용 확대 국내외 동향 파악과 실태조사 등 연구 기반을 통해 질적 기

반을 고도화해야 한다

두루 알다시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30: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318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에서 나아가 lsquo문화rsquo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

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

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

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

에서 끊임없이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 본다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31: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19

참고문헌

곽덕주ㆍ남인우ㆍ임미혜 985172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985173 서울문화재단 2015

곽삼근 985172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985173 집문당 2017

김경애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mdash미국의 학교개혁 사례

(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985172평생교육학연구985173 제18권 제2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53-181

김은영 985172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985173 학이시습 2014

김희재 외 여럿 「부산문화예술교육 10년사 연구」 부산문화재단 20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2018

백선아 외 「50+ 세대 문화예술교육 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부산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__ 「2017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결과자료

집」 2017

부산문화재단 「201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6

____________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

2017

____________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결과자료집」 2017

부산발전포럼 「부산지역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

전연구원 2007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32: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320 한국문학논총 제80집

서우석 외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8

오재환 「부산지역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산발전포

럼 2017 56월호

윤혜란 외 「2017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8

이다룡ㆍ김지아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광

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985172문화예

술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1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31-50쪽

이미연 외 「2017 부산지역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실태조사」 부산문

화예술교육연합회 2017

이욱상 외 「문화예술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ABC SCHOOL」 부산

문화재단 2017

조현성 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최보연 외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기관 동향자료

집」 2016

______________________ 「문화예술교육 인력플랫폼 구축 타당성 연구」

2016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33: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321

ltAbstractgt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31)Nam Young-HeeㆍJo Young-MiㆍLee Soon-Wook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amp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Inje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

Page 3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제80집(2018. 12) 289~322쪽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1)남영희*ㆍ조영미**ㆍ이순욱***

322 한국문학논총 제80집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Key Words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Local

Ecosystem

논문 수 2018년 11월 13일

심사완료 2018년 12월 6일

게재확정 2018년 12월 1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