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24
9 제 제제 제제제 제제제 제제 제제제제제 20140202 제제제

Upload: seoyeon-cha

Post on 10-Aug-2015

47 views

Category:

Education


5 download

TRANSCRIPT

Page 1: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 9 장 교육 평가의 과제와 전망

미술교육과 20140202 차서연

Page 2: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교육 평가의 과제 Ⅰ. 이론적 측면

1. 교육관의 재정립

교육관: 교육을 보는 관점이나 입장 , 시대에 따라 변화하고 개인마다 다름

개인의 교육관 : 개인의 이해관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 → 교육관에 대한 불신 사교육에 대한 맹신 , 조기유학

사회적 변화 측면에서의 교육관 : 다문화 가정 → 부모 중 한명이 동남아 출신 , 대부분 농어촌 거주 → 교육의 혜택을 누리지 못함

교육관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교육환경 구성

국민들이 지녀야 하는 새로운 교육관 정립 필요

Page 3: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교육 평가의 과제 Ⅰ. 이론적 측면

2. 새로운 평가 이론의 보급

평가 이론 : 평가의 개념이나 목적 , 윤리성 , 평가도구 선정 및 제작 , 평가 결과 해석

기존의 시험 위주의정량적 , 객관적 평가

개별적 , 정성적학생의 수행을 강조하는 평가이론

평가이론이 실제 현장에서 올바르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교육이해관계자들이 평가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Page 4: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교육 평가의 과제 Ⅰ. 이론적 측면

3. 평가 목적의 명료화

평가 목적 : ‘ 왜’ 평가 해야하는가

평가 목적은 평가의 전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사회의 변화에 따라 평가 결과가 다양하게 활용

ex) 교원능력개발평가 “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를 논의 하기에 앞서 , “ 왜” 도입해야 하는가에 대한 분명한 이유 제시 , 평가 목적을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

Page 5: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교육 평가의 과제 Ⅰ. 이론적 측면

4. 이해관계자들의 의견 수렴

가치다원주의 논리 강조 평가의 전 과정에 대한 합의 요구

교육에서의 평가는 모든 국민의 관심사

→ 새로운 평가 도입에 관한 학생 , 학부모 , 교사 등 평가 이해관계자들의 민감한 반응 이해관계자들의 합의보다는 의견 불일치가 나타나 집단간 갈등 발생

Page 6: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교육 평가의 과제 Ⅰ. 이론적 측면

5. 평가 결과의 활용과 공개

교육에서의 평가 결과의 활용 : 피평가자들 변별 , 교육 과정의 개정 , 교육 방법의 선택에 피드백 제공

ex) 학교 평가 결과가 언론이나 지역사회에 공개 찬반 입장

학교 구성원들 스스로 개선의 노력 학생 , 학부모의 학교 선택에 활용학교 개선의 노력사회와 국가의 발전에 영향

vs

다양한 사회 정치적 이유평가 당사자들간의 심각한 갈등교육 정책 추진 저해 요인

Page 7: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교육 평가의 과제 Ⅰ. 이론적 측면

6. 평가 전문가의 부족

평가의 전문성 강조 : 평가 관련 당사자들의 평가 전문 지식 소유 여부 중요

BUT 우리 교육의 현실 : 평가 담당자들의 전문적 지식 부족 , 평가 전문가 양성에 소홀

평가 이론 , 평가 윤리 등 평가의 기본적이고 중요한 요소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 필요

Page 8: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형성평가

1. 총괄 중심의 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

교육 실시 전 학생들의 학습 준비도 수준 평가

교육 목표 달성 정도를 확인

교육 진행 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습 과정의 문제점을 파악 적절한 교육적 처치 제공

우리나라 교육평가의 현실

대부분 학습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총괄평가적 성격 강조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얻는 것 자체가 목적

교육 평가의 과제 Ⅱ. 실제적 측면

Page 9: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규준참조평가 ( 상대평가 )

준거참조평가 ( 절대평가 ) 학생들이 도달해야 하는 특정의 성취 수준 목적

평가 대상의 학생들의 비교 점수 or 서열 점수 기준상대적 위치 확인 경쟁적 선발 상황에서 활용 ex) 대학 입시

규준참조평가관에 의한 대부분의 평가 활동 → 교육의 비교육화를 촉진 교육현장에서는 준거참조평가 도입 필요

교육 평가의 과제 Ⅱ. 실제적 측면

2. 규준참조평가 선호

Page 10: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측정관

평가관

인간의 정신 현상이나 행동 특성 ( 지능 , 학업 성적 , 태도 등 )→ 객관적으로 측정 가능

교육 측정관의 기준 : 객관성 , 신뢰성 , 정확성

교육 : 개인의 변화 , 발달 , 성장 전제

교육 평가관의 기준 : 평가 증거의 타당성 우선적 고려

< 학교 >

측정관 > 평가관

교육 평가의 과제 Ⅱ. 실제적 측면

3. 측정관과 평가관의 혼동

Page 11: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평가 : 학생의 여러 측면의 자질을 확인하는 활동에 관심

‘ 평가’ 하면 , 오직 학생의 지적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 결과의 책임이 학생들 자신에게로 전가될 가능성이 많다

학생의 성장 모습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함께 그러한 학생을 교육시키는 제 조건들 즉 , 교사 , 교육과정 , 학교 조직과 운영의 모든 측면들이 평가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

교육 평가의 과제 Ⅱ. 실제적 측면

4. 학생들의 학업 성취 평가 위주

Page 12: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 지 , 정 , 의’ 의 조화로운 발달이 교육의 기본적인 목적

1. 교육은 주로 지적 영역 중심 2. 평가 자체의 방법론에 관한 문제

- 평가 방법론이 구체적으로 확립되어 있지 못함 3. 우리의 교육 여건의 문제

- ‘ 지 , 정 , 의’ 모든 영역은 많은 시간과 노력과 교육적 관심 수반 교사가 정의적 영역에서의 평가활동을 하기 힘든 여건

교육 평가의 과제 Ⅱ. 실제적 측면

5. 지적 영역 중심의 평가 관행

우리나라 교육의 현실

Page 13: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교육 평가의 과제 Ⅱ. 실제적 측면

6. 평가 결과 활용의 문제 우리나라 학교 교육평가의 문제점 : 평가 결과가 주로 학생들의 상대적 서열을 결정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 “ 몇 등이냐”

평가 자료는 학생과 교사 , 그리고 학교 안에서 발생하는 모든 교육적 행위와 상황을이해 ,교육의 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얻기 위하여 수집되고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

Page 14: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교과서 범위 내에서 출제 암기 위주의 교육 유도 까다로운 문제 위주 출제

교육 과정 중심의 평가 교육 과정 목표와 평가 내용의 직접적 연계 강화

지적 영역 중심 지적 , 정의적 , 심동적 영역의 조화로운 발전 전인교육

지적 영역 중심 지적 , 정의적 , 심동적 영역의 조화로운 발전 전인교육

교육 평가의 전망 Ⅰ. 개선 방향

Page 15: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암기력 중심

응용력 , 종합력 , 비판력 , 창의력 중심 창의적 문제의 출제 강조주관식 검사 문항 중심 ‘open book test’ 활동 도입 필요

최종적인 성취 결과에 관심 과정 중심의 교육 평가 필수

각 과목의 점수학급과 계열에서의 평균과 등위행동발달상황을 평가

다각적인 검토 필요 ( 학생 행동의 변화 기록 , 장점 중심 기록 , 누가기록 , 절대평가에 의한 개인 내적 차이 비교 기록… )

교육 평가의 전망 Ⅰ. 개선 방향

Page 16: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평가의 용어에 대한 정확한 이해 필요 → 일반적으로 < 평가 = ‘evaluation’> 으로 인식 → 학생의 교육활동 성취도나 행동의 변화에 대한 평가 = ‘assessment’ 를 내포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 행동 , 활동 , 수행 등의 변화를 평가할 때는 ‘ evaluation’ 이 아닌 ‘ assessment’ 로 이해 되어야 한다 .

교육 평가의 전망 Ⅱ. 미래의 교육 평가

1. ‘ 평가’의 재음미

교육평가 : 평가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을 가진 교육자에 의해 실시되어야 한다

Page 17: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교육관과 평가

평가 방법

평가 판단

평가 활용

교육 평가의 전망 Ⅱ. 미래의 교육 평가

2. 평가의 과정

Page 18: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교육관과 평가 교육관 : 교육에 대한 기대

선발적 교육관 : 소수의 선택된 사람들만이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관점 평가는 집단 속에서 개인의 차를 구별하는 목적 과도한 경쟁 유도 , 비교육적인 문제 발생

발달적 교육관 : 개인의 적성이나 소질을 계발 , 육성해야 한다는 관점 교육과정 목표 달성을 위하여 개인에 맞는 수업환경 조성 학교 교육에 대한 성공이나 실패는 학교 또는 교사의 문제

교육 평가의 전망 Ⅱ. 미래의 교육 평가

2. 평가의 과정

Page 19: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평가 방법 평가 방법 ( 평가 자료 수집 방법 ) ‘ 관찰’에 의한 방법 피평가자 ( 학생 ) 의 직접적인 ‘자기 보고에 의한 방법’

‘ 관찰’에 의한 자료 수집 방법 : 관찰자의 편견 개입 가능

자기 보고 방법 : 학생들의 능력이나 태도 등을 본인 스스로 나타냄 지필 검사 (paper&pencil test) - 신뢰도가 높음 인간의 능력을 수량화 수행평가 - 지필 검사의 대안

교육 평가의 전망 Ⅱ. 미래의 교육 평가

2. 평가의 과정

Page 20: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평가 판단 교육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 평가 해석의 기준에 따라 구분

규준참조평가 : 상대적 순위 , 개인이 얼마나 성취를 이루었는가에 관심 선발 상황에서 활용 학습 동기유발 목표 도달 여부 확인 불가능 → 교육의 질적인 측면 약화 , 지나친 경쟁 준거참조평가 : 절대평가로 알려져 있으나 ‘절대’라는 용어의 사용 바람직 X 언제라도 변할 수 있음 수업목표의 상세화 , 정교분포가 아닌 부적편포를 가정

교육 평가의 전망 Ⅱ. 미래의 교육 평가

2. 평가의 과정

Page 21: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평가 활용 ‘ 왜 평가를 하는가’ 에 대한 답

일반적으로 학교에서 실시되는 모든 평가는 학교 교육과정을 이수한 증거로 활용 → 총괄평가의 기능만을 의미

교육 평가의 전망 Ⅱ. 미래의 교육 평가

2. 평가의 과정

우리나라 학교의 평가 현실

평가 결과가 학생에게 피드백되지 않고 있음평가 목적이나 결과 활용이 불분명한 평가를 하고 있음

Page 22: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평가의 확대 Ⅰ. 평가의 대중화

1. 교육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도 활용

2.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발 도상국들에서도 제도화

3. 전 세계로 확대

4. 평가 관련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 증가

5.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장점을 가지고 있는 내부 평가의 중요성 부각 6. 평가 관련 전문적 협회와 활동 증가

7. 평가 관련 증거 자료의 양적 , 질적 증가

Page 23: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평가의 확대 Ⅱ. 평가의 정교화

1. 대규모 평가의 감소 → 형성평가 , 질적 연구 증가

2. 상황에 맞는 평가 접근 → 개별적이면서 통합적인 접근 간편한 평가방법의 증가

3. 평가 ( 평가자 ) 의 정치적 세련화

4. 윤리적 쟁점에 대한 관심 증가

5. 기술적인 발달 → 보고서 작성 방법의 보편화

6. 자료 수집과 분석 방법의 다양화

7. 평가의 민주화 → 참여와 구성을 강조하는 평가 모형이 강조

8. 수행평가 운동 활발

Page 24: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평가의 확대 Ⅲ. 평가의 비전

1. 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가치를 높여야 한다 .

2. 평가의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 다면적인 방법과 절충적 접근의 구성적 활용을 계속 연구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

3. 평가 실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메타평가의 활용을 높여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