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92
RR - 2016 - 19 - 638 호 연구책임자 : 공동연구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김인수(한국체육대학교) 이진희(아주대학교) 임현정(단국대학교)

Upload: others

Post on 07-Ja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RR - 2016 - 19 - 638 호

연구책임자 :

공동연구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김인수(한국체육대학교)

이진희(아주대학교)

임현정(단국대학교)

Page 2: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육원의‘교양교육 영역별 성과진단 방안 연구: 교양교육 전반

영역’에 관한 정책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된 것입니다.

본 연구에 제시된 정책대안이나 의견 등은 한국대학교육협의

회의 공식적인 의견이 아닌 연구진의 견해임을 밝혀둡니다.

Page 3: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i -

연구결과 요약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양교육 성과진단 도구 는 교양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

이 인식한 학습성과를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시 말해 한 학기 수업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인식한 교육적 향상도를 진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 도구는 한

국교양기초교육원에서 분류한 교양교육영역 기초교육영역 교양교육영역 소양교육

영역 중 세계와 인간에 대한 균형 잡힌 안목과 통찰 을 위한 영역인 두 번째 영

역 즉 교양교육영역 을 대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양교육의 특성과 목적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유사 도구를 분

석하였으며 미국 의 교양교육 핵심성과와 개 영역 루브릭을 검토하였

다 이론적으로 도출된 도구 초안은 두 차례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정련되었

다 최종 도구를 세 개 교과목에 시범 적용하고 활용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개발된 최종 도구는 기초학습역량 영역 지식 및 경험 영역 사고 영역 가치 영

역 통합 영역 등 다섯 영역과 개 하위영역 개의 성과지표 개의 목표진술

개의 측정문항 등으로 구성되었다 다섯 영역 중 기초학습역량 영역은 교양수업

을 수강할 수 있는 학습준비도를 측정할 목적으로 수업 초기 활용할 수 있으며,

대학 여건에 따라 학습성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지식 및 경험 영역은 수업을 통

해 얻은 결과와 경험을 측정하도록 구성되었다. 사고 영역, 가치 영역, 통합 영역

은 일종의 학습성과로 사고, 인식, 태도, 소양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진단은

전체 93개 문항 중 수업과 관련이 있다고 교수자가 선택한 문항을 중심으로 진행

한다.

세 개의 교양 수업에 시범 적용해 본 결과 교수자들은 도구가 수업개선에 유용

하다는 것은 인정했으나 적합한 문항 선택의 어려움 온라인 설문으로 인한 저조

한 응답률 학생이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의 사용 등울 문제로 지적하였다

연구진은 시범 적용 과정을 통해 진단 결과가 교과목의 평가가 아닌 수업 개

선의 목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며 도구의 각 영역의 특성과 활용방법을 이 도구

를 활용하는 교수자가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교수의 예상점수와 학생의 학습

성과 인식점수 간에 차이보다는 문항별 점수 변화의 패턴을 비교해야 하며 교

수가 진단 문항을 선택할 때 지식 및 경험 영역 을 중심으로 문항 수를 적절히

Page 4: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ii -

유지해야 함을 적용의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개별 교수 차원에서 수업개선

을 위해 분석결과를 활용하는 방안과 대학차원에서 분석결과를 활용하는 방안 등

을 추가적으로 제안하였다

측정학적으로 도구의 타당성을 검토하지 못한 것은 연구의 제한점이라 할 수 있

다. 그러나 각 대학에서 교양교육의 학습성과를 진단하기 위해 유사한 도구를 개

발하고자 계획할 때 이 도구가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교양교육 성과진단 도구

이 진단도구는 영역별로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으로 교양교육영역의 수업을 통

해 획득되는 성과를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진단도구는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교양교육 분류 기초영역 교양교육영역

소양교육영역 중 세계와 인간에 대한 균형 잡힌 안목과 통찰 을 위한 영역인

두 번째 영역 즉 교양교육영역 의 성과를 진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되었

다 따라서 기초교육영역 소양교육영역 비학술적 체험교육이나 도구적 실용지

식 은 고려하지 않았다

Page 5: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iii -

교양교육 성과의 개념 모형 (최종)

이 진단도구는 교양수업의 수강준비도를 평가하는 기초학습역량 영역 교양

수업을 수강한 후 습득된 지식을 평가하는 지식 및 경험 영역 교양교육의

성과로서 나타날 수 있는 사고 영역 가치 영역 통합 영역으로 구성되

었다

영역 개념(설명) 하위영역

1.

기초학습

역량

교양수업을 수강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요구

되는 준비도를 진단한다.

1.1 수용

1.2 표현

1.3 자료활용

1.4 팀워크

1.5 학습준비도

2. 지식

및 경험

학습 내용에 대한 기억과 이해를 진단한다.

교육목적에 대해 이해하는지 진단한다.

수업관련 활동에 대한 참여도를 진단한다.

2.1 지식습득

2.2 교육목적

2.3 수업활동

3. 사고 분석, 추론, 비판 등 인지적 전략을 활용한

고차적 사고 능력을 진단한다.

3.1 분석

3.2 추론

3.3 비판

4. 가치 윤리적 판단, 사회적 책임, 개방적 태도 등

가치 형성과 관련된 영역을 진단한다.

4.1 윤리의식

4.2 과학적가치

4.3 시민의식

4.4 역사의식

4.5 문화적개방성

4.6 예술적감성

5. 통합

지식, 기술, 태도 등을 융합하여 복잡한 문제

를 해결하거나 새로운 환경에 적용하는 능력

을 진단한다.

5.1 문제해결력

5.2 융복합능력

교양교육 성과진단 도구 영역 구성 최종

Page 6: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iv -

영역 목적 활용방법

각 영역별 활용 방법

이 진단도구는 교수자가 학생의 수준과 수업의 성과를 확인하도록 하는데 목

적이 있다

교수자는 영역별 활용방법을 참조하여 진단도구 중 수업의 목적과 특성에 맞

는 일부 문항을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다 권장하는 방법은 교수자가 특정 영

역의 문항을 선택하여 직접 설문을 해 봄으로써 학생의 수준을 예상한 후 학

생의 실제 답변과 비교해 보는 것이다

각 문항은 점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진단평가로 활용될 경우는 그렇지않

음 약간그러함 그러함 매우그러함을 성과진단으로 활용될 경우는

변화없음 해본적없음 조금향상 조금해봄 향상 해봄 매우향상 많이해

봄 등으로 기술할 수 있다

학기별로 진단도구의 활용방법은 다음 그림과 같다 기초학습능력 영역은 교

수자의 판단과 대학의 필요에 따라 진단평가 또는 성과측정으로 활용될 수 있

다 이를 진단평가로 활용했을 경우 진단결과에 따라 수업의 수준 내용 방법

을 조정할 수 있다

수업에서 진단도구를 활용함으로써 교수자의 기대 수준과 학생의 성과를 비

교해 봄으로써 수업의 개선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대학의 교양교육영역

의 성과를 모두 진단하여 해당 대학의 교양교육이 어떤 영역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교양교육 성과진단 도구 활용방법 최종

각 영역별 활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Page 7: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v -

1.

기초

학습

역량

교양수업을 수

강하기 위한

기본적인 준비

도를 갖추었는

가를 진단함

담당 교수 또는 대학의 판단에 따라 이 영역을 학기

초 학생의 수업준비도를 진단하는데 사용할 것인지,

학기 말 교양수업의 성과를 평가하는데 사용할지 결

정할 수 있음 (단, 1.5 학습준비도는 학기 초에만 사용

하기를 권장함)

학기 초반에 학생들의 진단평가 용도로 사용할 경우,

영역의 일부 문항만 선별적으로 사용하기보다 전 문

항을 진단하여 학생들의 종합적인 준비도를 파악할

것을 권장하며, 그 결과에 따라 수업의 수준, 내용, 방

법을 조정할 수 있음

교양수업의 성과를 평가할 용도로 사용할 경우, 담당

교수가 교과목의 성격에 따라 문항을 선택하여 선별

적으로 진단하기를 권장

2.

지식

경험

교양수업의 명

시적인 결과로

서 지식의 습

득, 교육목적

이해, 수업활동

에 대한 참여

를 진단함

2.1 지식습득과 2.2 교육목적의 진단은 필수적으로 수

행할 것을 권장

2.2 교육목적은 담당 교수가 인식한 교과목의 목적과

학생이 인식하는 교과목의 성과 사이의 차이를 발견

함으로써 교과목의 성격을 규명하는데 유용함

2.3 수업활동은 담당 교수가 교과목의 성격에 따라 문

항을 선택하여 선별적으로 진단하기를 권장

교과 수업이 어느 정도 마무리되는 시점(15주 수업 중

13~14주)에서 진단하는 것을 권장

담당 교수의 자가진단 결과와 학생의 진단결과를 비

교하여 분석할 것을 권장

3.

사고

교양수업의 성

과로서 분석,

추론, 비판 등

인지적 전략을

활용한 고차적

사고 능력을

진단함

3.1 분석, 3.2 추론, 3.3 비판은 담당 교수가 교과목의

성격에 따라 문항을 선택하여 선별적으로 진단하기를

권장

사고 영역의 경우 인문, 사회, 과학 전 영역에서 광범

위하게 사용될 수 있음

교과 수업이 어느 정도 마무리되는 시점(15주 수업 중

13~14주)에서 진단하는 것을 권장

담당 교수의 자가진단 결과와 학생의 진단결과를 비

교하여 분석할 것을 권장4.

가치

교양수업의 성

과로서 윤리적

4.1 윤리의식, 4.2 과학의 가치, 4.3 시민의식, 4.4 역

사의식, 4.5 문화적 개방성, 4.6 예술적 감성은 담당

Page 8: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vi -

판단, 사회적

책임, 개방적

태도, 예술적

감성 등 가치

관을 형성을

진단함

교수가 교과목의 성격에 따라 문항을 선택하여 선별

적으로 진단하기를 권장

가치 영역의 경우 인문, 예술, 사회, 자연, 공학 등 전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음

교과 수업이 어느 정도 마무리되는 시점(15주 수업 중

13~14주)에서 진단하는 것을 권장

담당 교수의 자가진단 결과와 학생의 진단결과를 비

교하여 분석할 것을 권장

5.

통합

교양수업의 성

과로서 지식,

기술, 태도 등

을 융합하여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새

로운 환경에

적용하는 능력

의 향상정도를

진단함

5.1 문제해결력과 5.2 융복합능력은 담당 교수가 교과

목의 성격에 따라 문항을 선택하여 선별적으로 진단

하기를 권장

5.1 문제해결력 영역은 프로젝트기반학습, 문제기반학

습, 탐구학습 등 학생들이 과제를 깊이있게 수행하도

록 구성된 수업인 경우 권장

5.2 융복합능력 영역은 두 개 이상의 학문분야나, 지

식의 실천적 적용을 강조하는 수업인 경우 권장

교과 수업이 어느 정도 마무리되는 시점(15주 수업 중

13~14주)에서 진단하는 것을 권장

담당 교수의 자가진단 결과와 학생의 진단결과를 비

교하여 분석할 것을 권장

성과영역성과지표

목표진술 측정문항

1.기초 학습 역량

1.1. 수용

듣기상대방의 말을 듣고 의미를 이해한다.

1공적·사적인 상황에서 상대방의 말을 듣고 핵심 내용을 요약할 수 있다.

2상대방의 말을 듣고 숨겨진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읽기텍스트를 읽고

의미를 이해한다.

3 글을 읽고 핵심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4 글을 읽고 글쓴이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교양교육 성과진단 도구 최종

개발된 최종진단도구는 다음과 같다

Page 9: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vii -

성과영역성과지표

목표진술 측정문항

1.2. 표현

말하기

자신의 의견을 말로 전달한다.

5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상대방과 상황에 맞게 말할 수 있다.

6여러 사람 앞에서 준비한 내용을 효과적으로 발표할 수 있다.

쓰기자신의 의견을 글로 표현한다.

7 맞춤법과 문법에 맞게 문장을 쓸 수 있다.

8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글을 통해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1.3. 자료 활용

구성필요한 자료를

찾아 편집·활용한다.

9필요한 자료나 정보를 도서나 인터넷 등을 활용하여 찾을 수 있다.

10한글,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그림판 등을 이용해 문서, 그림, 동영상 등을 작성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

변환

정량적 자료를 적절하게 가공할 수

있다.

11신문, 책, 인터넷 자료 등에서 사용된 표, 그래프, 통계 등 정량적 자료의 의미를 해석할 수 있다.

12신문, 책, 인터넷 등에서 얻은 자료나 정보를 표나 그래프 등 정량적 자료로 표현할 수 있다.

1.4 팀워크

과제수행

팀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한다.

13팀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팀에 도움이 되는 아이디어나 대안을 제시하는 편이다.

14팀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을 책임지고 수행하는 편이다.

의견조정

팀에서 의견을 조율한다.

15팀원 각자의 사고방식에 차이가 있음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편이다.

16팀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의견의 충돌이 발생하면 이를 조율하여 타협점을 찾는 편이다.

1.5 학습준비도

학습태도

학습을 준비한다.

17이 수업의 주제에 흥미가 있어서 수강신청을 했다.

18이 수업에서 요구하는 과제와 학습을 열심히 할 준비가 되어 있다.

2. 지식 및

경험

2.1. 지식습득 

기억배운 내용인지

아닌지 분별한다.

19신문, 책, 인터넷 자료 등을 읽고 수업에서 다뤘던 내용인지 분별할 수 있다.

20이 수업에서 다룬 주요 인물이나 용어, 사건 등을 기억할 수 있다.

이해 배운 내용의 의미를 안다.

21이 수업에서 배운 내용과 관련된 사례를 말할 수 있다.

Page 10: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viii -

성과영역성과지표

목표진술 측정문항

22 이 수업에서 배운 주요 내용을 요약할 수 있다.

결과학습 결과를 인식한다.

23이 수업을 통해 무엇을 알게 되었는지 말할 수 있다

2.2. 교육 목적

목적인식

수업의 목적을 이해한다.

24[인성과 성찰] 이 수업은 나에 대해 성찰하고 가치관을 형성하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

25[사고력 향상] 이 수업을 통해 분석, 비판, 창의와 같은 사고력을 배양할 수 있었다

26[지식의 확장] 이 수업을 통해 해당 분야의 지식이 늘고 관련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27[실용적 지식] 이 수업을 통해 지식과 기술의 유용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28[심미적 성숙] 이 수업을 통해 예술적·심미적·감성적 소양을 배양할 수 있었다.

29[사회적 책무] 이 수업을 통해 시민으로서 역할과 책임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30[과학적 소양] 이 수업을 통해 과학적 탐구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31[협력과 소통] 이 수업을 통해 의사소통능력과 협력적 리더십을 함양할 수 있었다.

2.3. 수업활동

참여수업 활동에 참여한다.

32수업내용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교수님께 온라인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질문을 하였다.

33학습(내용이해, 발표, 시험준비, 토론, 과제 등)을 위해 다른 학생들과 도움을 주고받았다.

34학습(내용이해, 발표, 시험준비, 토론, 과제 등)을 할 때, 다른 수업으로부터 얻은 지식과 생각을 연결해 보았다.

35학습(내용이해, 발표, 시험준비, 토론, 과제 등)을 위해 수업과 관련된 자료를 추가로 찾아 활용하였다.

활용학습 성과를 활용한다.

36다른 사람과 이야기할 때 이 수업에서 얻은 아이디어, 경험, 지식, 정보 등이 도움이 된 적이 있다.

37이 수업에서 얻은 아이디어, 경험, 지식, 정보 등을 활용해 문제를 해결하거나 대안을 생각해 봤다.

Page 11: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ix -

성과영역성과지표

목표진술 측정문항

38이 수업에서 얻은 아이디어, 경험, 지식, 정보 등을 일상생활에서 응용해 봤다.

3.사고

3.1. 분석

내용파악

주장과 의미를 파악한다.

39(이 수업을 통해) 글이나 말에서 쟁점이나 주장을 파악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0(이 수업을 통해) 역사적・사회적・이론적 맥락에서 쟁점이나 주장의 의미를 이해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1(이 수업을 통해) 개념이나 원리를 쉬운 말로 설명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관계분석

관점이나 주장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다.

42(이 수업을 통해) 글이나 말에 등장하는 다양한 관점들 사이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43(이 수업을 통해) 근거(전제)와 주장(결론)의 관계가 정확하게 드러나도록 글이나 말을 재구성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현상분석

자연이나 사회 현상을

분석한다.

44(이 수업을 통해) 조사·관찰 등의 방법으로 현상이나 사건의 특성을 파악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5(이 수업을 통해) 현상이나 사건들 사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대조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3.2. 추론

추론논리적·인과적 관계를 추론할

수 있다.

46(이 수업을 통해) 어떤 주장, 관점, 이론을 수용할 때 함께 수용해야 하는 것(근거 또는 함축)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7(이 수업을 통해) 자료나 정보를 체계적으로 조직화하여 판단이나 결론을 이끌어 내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8(이 수업을 통해) 일반적 원리나 법칙으로부터 그것이 적용된 사례를 찾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9(이 수업을 통해) 사건이나 현상을 초래한 원인을 찾거나, 그 사건이나 현상이 초래할 결과를 예측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3.3. 비판

평가근거의

적절성을 평가한다.

50(이 수업을 통해) 출처, 수집 방법, 편견의 개입 여부 등을 고려하여 근거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51(이 수업을 통해) 지식·정보·가정 등이 주장을 뒷받침하는데 충분한지 평가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Page 12: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x -

성과영역성과지표

목표진술 측정문항

논박

논증의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52(이 수업을 통해) 근거의 적절성이나 추론의 타당성을 평가하여 주장(결론)을 지지하거나 반박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53(이 수업을 통해) 맥락과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특정한 주장(관점)을 수용하거나 반박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가치

4.1. 윤리 의식

윤리적

문제 

윤리적 문제의 특징을

이해한다. 

54(이 수업을 통해) 현대 사회의 윤리적 문제가 갖는 특징을 자신의 지식이나 경험과 연결하여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55(이 수업을 통해) 다양한 윤리적 쟁점이 발생한 배경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윤리적

관점

주요 윤리적 개념을

이해한다. 56

(이 수업을 통해) ‘정의’, ‘평등’, ‘자유’, ‘공동체적 책무’ 등 윤리적 관점을 구성하는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다.

자신의 관점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다.

57(이 수업을 통해) 윤리적 쟁점에 대해 자신의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58(이 수업을 통해) 나에 대한 이해(가치관, 습관, 선호, 행동의 우선순위 등)가 깊어졌다.

4.2.과학적

가치

자연이해

자연을 이해한다.

59(이 수업을 통해) 자연 현상에 대한 관심과 과학적 원리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다.

60(이 수업을 통해) 과학에 대한 지적 호기심을 갖게 되었다.

과학적

탐구

과학적 탐구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61(이 수업을 통해) 과학적 지식에 기반 한 사고를 하게 되었다.

62(이 수업을 통해) 과학적 탐구 방법을 이해하게 되었다.

4.3. 시민 의식

사회적

책임

사회의 구성원의 책임을

이해한다.

63(이 수업을 통해) 시민사회와 공동체의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64(이 수업을 통해) 시민사회 일원으로서 책임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

사회참여

시민으로서 공동체 활동에

참여한다.

65(이 수업을 통해) 사회의 발전을 위해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공동체, 사회, 정치에 참여하는 방법을 생각하게 되었다.

66 (이 수업에서) 봉사 등 시민활동에 참여한 경험을

Page 13: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xi -

성과영역성과지표

목표진술 측정문항

바탕으로 사회 일원으로서 정체성을 강화할 수 있게 되었다. [관련교과로 한정]

4.4.역사 의식

맥락 이해

현재를 통시적 관점에서 이해한다.

67(이 수업을 통해) 우리나라의 관습과 규칙, 그것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68(이 수업을 통해) 다양한 사회·문화적 현상을 사회적·역사적 맥락에서 이해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쟁점분석

역사적 관점에서 쟁점을

분석한다.

69(이 수업을 통해) 우리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쟁점을 사회적 조건 및 역사적 맥락과 관련하여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70(이 수업을 통해) 환경, 난민 등 국제적 갈등을 사회적 조건 및 역사적 맥락과 관련하여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4.5. 문화적

개방성

다문화

수용성

여러 문화를 이해한다.

71(이 수업을 통해) 다른 사회, 문화, 종교, 인종에 대해 편견 없이 생각하게 되었다.

72(이 수업을 통해) 문화 간의 역사, 가치, 의사소통방법 등의 차이를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국제 문제 이해

국제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진다.

73(이 수업을 통해) 다른 나라의 사회, 문화, 경제적 환경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높아졌다.

74(이 수업을 통해) 환경, 난민 등 국제적 관계 속에서 서로 충돌하는 쟁점들에 대한 해결전략을 생각해 보게 되었다.

4.6. 예술적

감성

감상문학이나 예술을

감상한다.

75(이 수업을 통해) 문학이나 예술작품의 의미를 이해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76(이 수업을 통해) 문학이나 예술작품에 대한 내 나름대로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태도문화나 예술에 우호적 태도를

지닌다.

77(이 수업을 통해) 문화나 예술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높아졌다.

78(이 수업을 통해) 문화와 예술적 안목을 실생활이나 다른 분야에 접목해보는 계기를 갖게 되었다.

5. 통합

5.1 문제해결력

문제인식

문제를 규명한다.

79(이 수업을 통해) 문제가 발생하게 된 원인과 배경을 분석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80 (이 수업을 통해)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은 문제

Page 14: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xii -

성과영역성과지표

목표진술 측정문항

의 핵심을 파악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81(이 수업을 통해) 새로운 문제를 발견하거나 문제를 명료화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정보수집

필요한 정보를 수집한다.

82(이 수업을 통해) 문제의 규명이나 해결을 위해 어떤 정보나 자료가 필요한지 파악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83(이 수업을 통해) 필요한 정보와 자료를 효과적인 방법(조사, 관찰, 인터뷰 등)으로 수집할 수 있게 되었다.

해결전략수립

문제해결을 위한 전략을 수립한다. 

84(이 수업을 통해) 다양한 관점에서 여러 가지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게 되었다.

85(이 수업을 통해)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해결책을 제안할 수 있게 되었다.

해결 전략 평가

문제해결전략을 평가한다. 

86(이 수업을 통해) 논리성, 효과성, 실현가능성 등 일정한 기준에 따라 도출한 해결책의 적절성을 평가할 수 있게 되었다.

87(이 수업을 통해) 현실적 맥락과 평가결과에 기초하여 최선의 해결책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88(이 수업을 통해) 해결책이 실행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결과를 예측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5.2 융복합

능력

학문 분야 간

연계

서로 다른 지식을

연결한다.

89(이 수업을 통해) 수업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다른 수업에서 배운 지식을 활용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90(이 수업을 통해) 특정 주제를 두 개 이상의 학문적 관점에서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91(이 수업을 통해) 내 전공이 아닌 다른 학문에 대한 지적 호기심을 갖게 되었다.

창의적

통합

창의적 아이디어를 개발한다.

92(이 수업을 통해) 서로 다른 분야의 지식, 이론, 사례 등을 종합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93(이 수업을 통해) 수업에서 배운 지식, 기술, 방법을 활용하여 일상생활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Page 15: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목 차

서 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주요 연구 내용

연구절차 및 방법

이론적 배경

교양교육의 목적과 성과

고등교육 성과측정 도구 비교

교양교육 핵심성과 및 개 영역 루브릭

성과진단 도구 개발을 위한 델파이 조사

교양교육 성과진단 도구 초안

차 델파이 조사 결과

차 델파이 분석 결과

교양교육 성과진단 도구

최종도구

도구의 적용

적용 결과에 대한 전문가 의견

도구 활용상 유의점

결론

요약 및 결론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참고문헌

Page 16: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표 목 차

표 교양교육 구성요소

표 교양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주제

표 질적 학습 결과와 루브릭 평가 변인

표 교양교육 성과진단 도구 성과영역 초안

표 교양교육 성과진단 도구 측정문항 사례 초안

표 교양교육 성과진단 도구 영역의 타당성 분석 결과 초안

표 교양교육 성과진단 도구 측정문항의 타당성 분석 결과 초안

표 교양교육 성과진단 도구 측정문항의 타당성 분석 결과 수정안

표 교양교육 성과진단 도구 전체의 타당성 분석 결과 수정안

표 교양교육 성과진단 도구 영역 구성 최종

표 각 영역별 활용 방법

표 교양교육 성과진단 도구 최종

표 기초학습역량 영역 설문결과 과학사

표 지식 및 경험 영역 설문결과 과학사

표 사고 영역 설문결과 과학사

표 가치 영역 설문결과 과학사

표 통합 영역 설문결과 과학사

표 기초학습역량 영역 설문결과 논리란 무엇인가

표 지식 및 경험 영역 설문결과 논리란 무엇인가

표 사고 영역 설문결과 논리란 무엇인가

표 통합 영역 설문결과 논리란 무엇인가

표 기초학습역량 영역 설문결과 발표와 토의

표 지식 및 경험 영역 설문결과 발표와 토의

표 사고 영역 설문결과 발표와 토의

표 가치 영역 설문결과 발표와 토의

표 통합 영역 설문결과 발표와 토의

Page 17: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그 림 목 차

그림 교양교육 성과의 개념 모형 초안

그림 교양교육 성과의 개념 모형 최종

그림 교양교육 성과진단 도구 활용방법 최종

그림 성과영역별 평균과 달성도 논리란 무엇인가

Page 18: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1 -

서 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대학은 사회로 나아가기 전 공식적인 최종 교육기관이다 대학에서 배출되는 인

재의 질은 곧 해당 국가에서 양성하는 인적자원의 질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학이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는 것은 교육기관으로서 대학의 책무인 동시에 국가와 사회

의 발전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까닭에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들은 대학에서 배출되는 인적자원의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해

왔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대학생의 역량을 분석하는 것이다 에서 개발한

한국직업능력개발

원에서 운영하는 대학생 핵심역량진단평가 이하 가 이에 해당한다

역량은 특정 맥락에서 어떤 일을 수행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학에서

어떤 능력을 배양하였는지를 측정하기보다 사회에서 어떤 일을 할 수 있을지를 측

정하는데 적합하다 즉 대학의 교육과 관련된 성과를 측정하기보다 대학생의 사회

진출을 염두한 미래지향적인 성격의 평가라 할 수 있다 실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의 는 미래에 종사하게 될 산업계에서 발휘하게 될 능력을 평가 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역량 중심의 성과평가는 대체로 주어진 과업에 따라 피험자가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정성적으로 평가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측정 자체도 어려

울 뿐만 아니라 측정에 상당한 노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측정 결과의 활용도 쉽지

않다 역량은 종합적 능력을 평가하기 때문에 설혹 특정 역량이 높거나 낮게 나왔

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대학 내에서의 어떤 교육과정이나 학습활동과 연계가 되었

는지 검증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역량검사는 대학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실제

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도 제한적일 수 있다 홍성연

이에 여러 대학에서는 학습자의 역량 함양에 영향을 미치면서 대학에서 제공하

는 교육과정과 접하게 연관이 있는 대학생의 학습과정에 주목하게 되었다 학습

과정에 대한 평가는 대학을 다니는 동안 학생들이 무엇을 경험하였는지에 대한

교육경험 에 대한 평가와 그 결과로 어떤 성과를 얻었는지에 대한 학습성과 에

대한 평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평가는 대학교육의 최종 결과보다 과정에 치중

Page 19: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2 -

한 평가로 역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측정이 용이하며 대학교육의 개선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유용하다 과정 중심의 평가는 대학이 학생에게 무엇을 어떻

게 가르칠 것인가에 집중하도록 함으로써 잘 가르치려고 노력하기보다 준비된 입

학생을 선발하는데 노력을 기울인다는 비판에서 벗어나도록 하는데도 일조할 것으

로 보인다

과정적 평가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은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학생의 참여 정도를

측정하는 을 개

발하여 보급하여왔다 이 도구는 대학교육이 상대적으로 발달된 서구의

등을 참고하여 우리나라 대학에 맞도록 보완 개발한 것으로 대학에서 학

생들이 무엇을 경험하고 이를 통해 무엇을 성취했으며 대학이 어떻게 이를 지원했

는가를 측정한다 대학에 소속된 기간 동안 학생들이 대학 안팎의 교과 및 비교과

활동으로 무엇을 경험하고 배웠는지 분석하는 이러한 평가는 대학 전체의 교육환

경을 점검하고 학생들의 경험을 조망하는 데는 효과적이다 그러나 대학교육과정

에서 학생들의 경험과 성과를 포괄적으로 측정함으로써 교양교육과정이나 개별 수

업 단위에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찾기에는 적절

하지 않았다

대학 교양교육의 질 개선을 위해서는 학생의 경험과 성과를 측정할 뿐만 아니라

수업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진단도구가 개발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진

단이 교양수업을 하는 교수가 의도한 바대로 대학생들의 학업성취가 향상되었는지

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해당 수업의 목적과 의

도에 기초하여 학습성과와 교육경험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실적

으로 대학의 교양교육은 학교 간 차이가 크며 수업에 따라 교육의 목적과 방법도

다양하다 따라서 단일한 측정도구로 교양교육의 학습성과를 측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은 대학에서 교양교육을 기초교육영역 교양교육영역

소양교육영역으로 분류하고 있다 기초교육영역 소양교육영역 비학술적 체험교

육이나 도구적 실용지식 이 상대적으로 기초학습능력이나 도구적 목적의 실용적

체험적 교양교육이라고 한다면 교양교육영역은 세계와 인간에 대한 균형 잡힌 안

Page 20: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3 -

목과 통찰 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대학교육의 핵심 축을 형성한다 또한

전공과 더불어 학생들의 지적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성격이 다른 교양

교육영역의 학습성과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각기 다른 진단도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위의 세 영역 중 교양교육영역 의 학습성과를 개별 수업 단위에서 측

정할 수 있는 진단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교양교육영역도

인문 사회 자연 예술 등 그 내용이 다양하고 유사한 수업이라 할지라도 교수자

가 의도한 바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수업에 통용되는 진단문항을

개발하기보다 개별 교양수업의 교수자가 필요에 따라 문항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교양교육영역 에서 범용적으로 요구하는 성과영역을 규정하고 그에 따라 목표를

설정한 후 여러 목적의 측정문항을 개발하였다 교양수업을 담당하는 교수자는 여

러 문항 중 수업의 목표와 일치하는 바를 선별하여 학기 후반에 수강생들에게 진

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교수자가 의도했던 목표에 학습자들이 어느 정도 도달

했는지 이를 위해 무엇을 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주요 연구 내용

본 연구는 대학의 교양교육영역의 교육성과를 진단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교양교육의 특성 및 목적을 규명하기 위한 선행연구 검토

교양교육의 본질적 특성과 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교양교육에 대한 다양한 문헌

검토를 실시하였다 국내외 교양교육관련 선행 연구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자료

웹사이트에 서 확인할 수 있는 대학별 교양교육영역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검토에 기초해서 교양교육의 목표를 설정하였다

대학생 대상 관련 도구 검토

국내외에서 개발된 교육성과 관련 진단도구를 검토하였다 대학의 일반교양교육

프로그램의 학습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는 미국의

Page 21: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4 -

에 대해 살펴보고 다양한 간접평가의 사례 중에서 대학의 교수 학습

경험과 교육의 질에 초점을 둔 호주의 를

개관한다 또한 대학교육 성과 평가를 위한 국내외 동향으로서 주관의

와 교육부와 한국직업

능력개발원에서 주관하고 있는 에 대해 알아보았다

교양교육 핵심성과 및 개 영역 루브릭

미국대학연합 이하

에서 제시한 학습 성과 와 개 영역의 루브릭을 검토하였다

교양교육 성과진단도구 개발

교양교육의 목적과 기존에 개발된 관련 도구들을 검토하여 교양교육의 학습성과

를 측정할 수 있는 성과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총 개 영역 개 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교양교육 성과진단도구의 활용방안 제시

개발된 진단도구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세 개의 교양수업에 적용하여 학

습성과를 측정하고 도구에 대한 담당교수의 의견을 수합하였다 이 결과에 기초하

여 도구의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절차 및 방법

문헌분석

국내외 교양교육의 목적과 성과에 대한 논문과 연구보고서를 검토하였다 한국

교양기초교육원에서 주관한 관련 연구보고서를 참조하였다 또한 고등교육에서 대

학생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들을 살펴보았다

교양교육 성과진단도구 초안 개발

에서 개발한 교양교육의 목표와 학습성과 관련 개 영역의 루브릭을

검토하여 우리나라 대학의 교양교육의 실정에 맞는 성과진단도구 초안을 개발하였

Page 22: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5 -

두 차례의 전문가 델파이 조사 및 최종 도구 개발

한국교양교육원에서 교양교육 컨설팅위원 중 추천을 받아 총 두 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첫 조사에는 총 명의 전문가가 참여하였으며 두 번째 조사

에는 총 명의 전문가가 참여하였다 이들은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교양교육 컨

설팅 위원과 각 대학의 교양교육 편성 및 운영의 책임교수로 교양교육과정과 수업

에 대한 풍부한 식견과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진단도구를 개발하

였다 시범적용 후 일부 문항은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이 주관한 교양교육 전문가 워

크숍 에서 피드백을 받아 문구가 수정되었다

시범적용 및 활용방안 도출

최종 도구를 바탕으로 총 개의 교양교과목을 대상으로 시범 적용하였다 담당

교수가 선정한 문항을 수강생들에게 응답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는 방식으

로 도구의 유용성과 활용 및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Page 23: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6 -

이론적 배경

교양교육의 목적과 성과

교양교육의 목적과 성과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교양교육의 본질적 특징 혹은 이

념을 먼저 규명해야 한다 교양교육의 특징과 이념은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

지만 교양교육 성과진단도구 개발이라는 본 연구의 목적을 고려하여 이 장에서는

교양교육의 특성과 이념에 대한 기존 연구를 간단히 정리하고 이에 기초해서 교

양교육의 목적과 성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교양교육은 자유교육 과 일반교육 이라는

두 요소를 포함한다 박인우 손동현 자유교육이란 시민 혹은 시민적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덕목 품성 및 지적 능력을 강조하는 전통적 교육 모형인

반면 일반교육은 고등교육의 보편화 및 전공의 세분화와 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대학 교육을 이수한 모든 사람들이 갖추어야할 기본적 지식 및 세계관과 가치관의

확립을 강조하는 교육모형이다 그래서 교양교육이 추구해야 할 이상이 자유교육

인지 일반교육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어 왔다 그러나 교양교육이 자유교육인지 일

반교육인지와 관련된 문제는 다원화되고 세분화된 현대 사회와 대학에서는 그리

중요한 것은 아니다 특히 실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데 이러한 이념적 차이는 그

리 큰 역할을 수행하지는 못한다 이점은 우리나라 대학교육 관련 법규가 교양교

육을 자유교육적 요소와 일반교육적 요소를 모두 포함한다는 것을 통해서도 확인

할 수 있다 김현우 외

이점은 어쩌면 당연한 것이다 지도적 인격함양을 중시하는 자유교육에서도 분

석력 추론 능력 비판능력과 같은 사고력과 의사소통 능력 그리고 세계와 인간에

대한 통합적 이해와 같은 보편적 지적 역량이 중요한 요소일 뿐 아니라 보편적

지적 역량을 강조하는 일반교육에서도 인격 품성과 같은 시민 혹은 지도자로서의

덕목이 강조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는 자유교육 개념의 변화를 통해서도 확

인할 수 있다 정보화 사회에서는 다양한 문제를 다룰 수 있는 기본 역량이 강조

될 수밖에 없을 뿐 아니라 전공이 세분화된 대학의 현실에서 기초교육으로서의 교

양교육의 역할이 강조될 수밖에 없어서 전통적인 자유교육에 대한 정의 역시 변화

Page 24: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7 -

되었다 이는 미국대학연합 이

하 에서 제시한 자유교육에 대한 정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에서는 자유교육을 자유교육은 개인의 능력을 키워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와 변화

를 다룰 수 있게 해주는 교육이다 자유교육은 학생들에게 과학 문화 사회 영역

등 광범한 세계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제공해 주면서 동시에 특정한 관심분야에서

깊이 있는 학업을 하도록 한다 즉 그것은 실질적으로 어떤 한 전공에서 깊이 있

는 교육을 받으면서 동시에 복수의 학문 영역에서 폭넓게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교

육이다 라고 정의한다 손동현 외 그런데 이러한 자유교육에 대한 정의는 전

통적인 일반교육에 대한 정의와 크게 다르지 않다 특정한 전공이 아닌 보편적 일

반적 지식에 대한 교육이란 곧 다양한 영역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및 인

간과 세계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추구하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

서 비록 자유교육과 일반교육이 추구하는 이상과 의미는 다르다고 할 수 있지만

실제 교육 내용에서의 차이는 그리 크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박주호 외

에서는 교양교육을 자유교육과 일반교육을 아우르는 것으로 올바른 세계관과

건전한 가치관을 바탕으로 세계화된 새로운 정보 사회에서 비판적 창의적 사고와

원활하고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공동체적 문화적 삶을 자율적으로 주도할 수

있는 주체적인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함양하기 위한 것으로서 학문계열을 넘어서

서 모든 학생들에게 동질적인 내용을 교수하는 교육 이라고 규정한다 그런데 이러

한 교양교육에 대한 정의는 앞에서 제시한 미국 대학연합의 자유교육에 대한 정의

와 유사한 것이다 비판적 창의적 사고 란 다양한 문제를 다룰 수 있는 기본 역

량 을 의미하며 학문 계열을 넘어서서 모든 학생들에게 동질적인 내용을 교수하

는 교육 이라는 것은 전통적인 자유교육 의 이념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상

의 논의에 기초해서 교양교육을 구성하는 요소를 아래와 같이 제시할 수 있다

다양한 문제를 다룰 수 있는 기본 역량

인간과 세계에 대한 보편적 지식

도덕과 가치에 대한 이해 및 실천 능력

이러한 교양교육에 대한 정의는 전공교육과의 관계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드러

난다 와 은 독자적인 교양교육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반면 에는 전공교

육을 위한 예비적 도구적 요소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이

과 관련된 교양교육이 전공교육에 예속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에는 예비적

Page 25: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8 -

대 영역 조작적 정의 한국교양교육원의 영역분류

기초교육

영역

전공/교양 구별 없이 대학

교육을 받기 위해, 그리고

대학 졸업 후 직업생활 및

일반 사회 생활을 하기 위

해 꼭 갖춰야 할 기본 적인

지식 및 지적 능력을 함양

하는 교육

1. 사고교육 (논리학/ 수리적 사고/

통계적 사고/ 비판적 사고 등)

2. 정보기술교육 (컴퓨터 교육 등)

3. 어문교육(1): 한국어 의사소통교육

(읽기/ 글쓰기/ 말하기 등)

4. 어문교육(2): 국제어 의사소통교육(A)

영어 (읽기/ 글쓰기/ 말하기 등)

5. 어문교육(3): 국제어 의사소통교육(B)

기타 외국어 (읽기/ 글쓰기/ 말하기 등)

6. 어문교육(4): 동서 고전어교육

(한문, 희랍어, 라틴어 등)

7. 과학교육

(수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등)

심화교양

교육영역

각 계열별 전공 학업과 무

관하게 일반적으로 세계와

인간에 대해 균형 잡힌 안

목과 통찰 을 지닐 수 있게

하는 교육

1.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2. 기술의 본성 및 성과 탐구

3. 인간의 본성과 조건 탐구

4.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5. 사회적 현실의 탐구

6. 역사적 현실의 탐구

7. 인륜성의 탐구와 도덕적 추론

8. 종교적 가치의 탐구

<표 1> 교양교육 구성요소

도구적 요소 뿐 아니라 비판적 사고능력과 같이 교양교육에 포함되는 요소 역시

포함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손동현 외 에서는 교양교육을 전공교육과 구별되

는 독자성을 갖는 교양교육 전공교육의 기초가 되면서 동시에 교양교육의 내용

이 될 수 있는 영역 교양교육과는 직접적 관계가 없고 전공교육의 기초가 되는

영역 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이러한 교양교육에 대한 정의 및 국내대학의 교양교육

의 목표를 분석을 통해 박주호 외 에서는 교양교육의 구성요소를 아래와 같

이 규정한다

Page 26: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9 -

9. 미적 가치의 탐구

10. 기타 융복합적 주제의 탐구

비학술적

체험교육

영역

학술적 탐구 성과를 전수하

거나 탐구능력을 함양하는

교육이 아니라, 비학술적인

정서적 도덕적 사회적 성숙

을 목표로 하는 교육

1. 신체적 체험교육

2. 정서적 체험교육

3. 사회적 체험교육

도구적

실용지식

교육

본래적 의미에서 깊이 있는

교양기초교육은 아니지만,

현실 생활에서 실용적 가치

를 갖 는 지식을 제공하는

교육

1. 경제생활 분야 (경영학 등)

2. 시민행활 분야

(사회복지학, 신문방송학 등)

3. 공공생활 분야 (행정학 등)

4. 법률생활 분야 (법학 등)

5. 기술생활 분야 (공학 등)

6. 기타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된 주요 영역은 심화 교양 영역 이다 비록 국내대학의

교양과정에 비학술적 체험 과 도구적 실용적 지식 교육영역 이 포함된 것이 사실

이고 체험 교육이나 실용 교육이 갖는 중요성을 부정할 수는 없지만 이러한 영역

이 앞서 기술한 교양교육의 핵심을 구성하는 것은 아닐 뿐 아니라 교양교육의 개

선을 통해 지속적으로 축소되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초지식 영역은 조금

다르다 이 영역에 포함되는 비판적 사고 능력 이나 의사소통 능력 은 다양한 문

제를 다룰 수 있는 기초 능력을 의미하는데 이는 앞에서 제시한 의 자유

교육에 대한 정의에서도 나타나듯이 교양교육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이기 때문이

다 더구나 심화 교양 영역 을 통해 추구하는 세계와 인간에 대한 이해란 결국 비

판적 분석적 사고력 및 적절한 의사소통 능력을 전제하는 것일 뿐 아니라 이러

한 능력은 전통적 교양교육의 구성요소 중 하나이다 그래서 손동현 외 에서

는 고전시대 교양교육의 핵심이었던 학 과의 교육은 오늘날 모두 이 기초교육

의 내용이 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기초교육에서도 그 내용상 교양교육의 일부

가 되는 것이 있고 그렇지 않고 전공학업의 기초가 되는 것이 있음을 구분해서

인지해야 하겠다 라고 주장한다 이 점은 위의 표에 나타난 기초교육에 논리학과

같은 분석적 비판적 사고 능력 관련 교과 및 의사소통 관련 교육 뿐 아니라 정보

Page 27: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10 -

기술교육이나 외국어 교육이 포함된 것을 통해 다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그렇

다고 기초교육 에 포함된 도구적 교육을 모두 교양교육에 포함하기는 어렵다 따

라서 우리는 기초교육 중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 과 관련된 사고능

력 문제 해결 능력 의사소통 능력 등과 같은 보편적 기초 능력을 선별해서 교

양교육의 목표에 포함하여야 한다

교양교육의 주된 영역인 심화 교양 영역 은 주로 자연과 인간에 대한 포괄적

보편적 이해를 추구하는 교과들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자연과 과학에 대한 탐

구 는 자연과학에 대한 포괄적이고 보편적 이해능력을 추구하는 영역이고 인간의

본성과 조건에 대한 탐구 는 인간에 대한 인문적 이해능력을 추구하는 영역이다

이점은 위와 같은 주제별 분류뿐 아니라 전통적인 배분이수 체계 즉 인문 사

회 자연 등 영역별 교양 이수 체계에도 적용된다 영역별 이수체계 역시 기초학

문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것이 원칙이며 이러한 기초학문을 통해 교육하는 내용은

결국 해당 영역에 대한 포괄적 통합적 이해를 추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점은

박주호 외 에서 제시한 교양과정의 분석 준거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상

기한 연구에서는 교양 교육의 내용 분석 준거로 아래 기준을 제시하였다

핵심성 해당영역의 교과목으로서 그 내용이 전통적으로 기초학문에서 다루는

핵심 주제를 다루고 있다

보편성 해당영역의 교과목으로서 그 내용이 광범위한 영역을 다루는 보편적

주제를 다루고 있다

총체성 해당영역의 교과목으로서 그 내용이 다양한 관점에서 탐구한 것을 연

관 지어 이해하도록 하는 총체성을 지니고 있다

현실성 해당영역의 교과목으로서 그 내용이 급변하는 현실의 첨단에서 논의되

는 문제들을 포함하고 있다

물론 위의 기준은 교양기초교과로서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이지만 이

것을 교양 교과의 개설 기준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철학 영역의 교과

들은 그 영역에서 논의하는 핵심적 주제를 다루어야 하며 교양으로서의 보편성을

갖추어야 할 뿐 아니라 철학에 대한 총체적 이해와 현실의 문제에 적용할 수 있

어야 한다는 조건은 영역별 분류체계에도 그대로 적용되는 기준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교양교육의 목표를 비판적 사고 및 의사소통과 같은 기

Page 28: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11 -

인간과

세계에

대한

통찰력

비판적,

창의적

사고능력

의사

소통

능력

글로벌

인재로

서의

능력

문제

해결

능력

과학기술

이해활용

능력

사회성

(공동활동)

능력

교수98 87 74 31 54 25 41

22.2 19.7 16.8 7.0 12.2 5.7 9.3학생 71 88 64 32 40 20 77

<표 2> 교양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주제

초능력 및 인간과 세계에 대한 보편적 총체적 지식을 추구해야 하는 것으로 규정

할 수 있으며 성과 역시 이와 관련해서 규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양교육의 목표 설정은 지나치게 추상적이다 우선 세계와 인간

에 대한 이해들 중 객관적 사실에 대한 이해와 도덕과 규범에 대한 비판적 반성

적 인식은 구분해야 할 뿐 아니라 사회적 책무에 대한 이해 역시 매우 중요한 영

역이다 그리고 다원적이고 글로벌화된 현대사회에서 사회적 책무에 대한 이해는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포용능력 및 국제적 문제에 대한 이해능력을 요구한다 마

지막으로 세계와 인간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위해서는 해당 교과 내용에 대한 충

분한 이해 뿐 아니라 이질적 영역 예를 들어 철학과 과학 예술과 기술 등 이질적

영역을 통합하는 이해능력 혹은 융복합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역시 요구된다 그리

고 이것은 곧 학습한 것을 현실에 적용하는 능력과 접하게 연관된다 따라서 우

리는 교양교육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재규정할 수 있다

세계와 인간에 대한 이해

분석적 비판적 사고능력

효과적 의사소통 능력

도덕과 사회적 책무에 대한 인식

문화적 포용성과 국제적 문제에 대한 이해능력

학습과 경험의 통합 및 융복합 능력

이러한 교양교육의 목표에 대한 인식 역시 기존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손동현 외 에 의하면 교양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주제와 관련해서 아래와 같

은 응답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Page 29: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12 -

16.1 20.0 14.5 7.3 9.1 4.5 17.5

직장인94 83 96 37 59 14 76

21.3 18.8 21.8 8.4 13.4 3.2 17.2

계263 258 234 100 153 59 19459.6 58.5 53.1 22.7 34.7 13.4 44.0

위의 표에 나타난 인간과 세계에 대한 통찰 이란 세계와 인간에 대한 통합적

이해 를 의미하며 비판적 창의적 사고 능력 은 사고 능력 에 포함된다 또한 과

학기술의 이해 활용 능력 역시 사고 능력 에 포함됨으로 위의 표와 앞서 제시한

필자의 규정과는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논의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현대의 교양교육은 전통적인 자유교육 과

일반교육 이 결합된 형태를 가지며 다양한 주제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초능

력과 세계와 인간에 대한 통합능력 그리고 이러한 능력에 기초한 융복합적 사고

및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능력

을 전공교육이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앞에서 논의했듯이 교양교육은 전공

교육을 이수하기 위한 기초교육으로서의 역할과 함께 세분화된 전공교육의 한계를

넘어서 세계와 인간에 대한 통찰을 지향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이것이 전

공교육과 구분되는 교양교육의 특징이기도 하다 이 점은 미국 대학연합의 정의에

서 확인할 수 있듯이 교양교육은 하나 이상의 전공을 넘어설 수 있는 교육이라는

미국 대학연합이 자유교육 에 대한 정의 및 전공과 무관하게 모든 학생이 이수해

야 하는 동질적 내용을 포함하는 교육이라는 박주호 외 에서의 교양교육에

대한 정의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교양교육은 앞서 제시한 역량을 중

심으로 전공교육의 한계를 넘어선 도덕적 윤리적 반성을 포함하는 세계와 인간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추구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고등교육 성과측정 도구 비교

교양교육의 성과 나아가서는 고등교육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하나는 학습을 통해 얻어진 학생의 성취도나 역량을 직접

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학습성과에 대한 학생의 인식이나 만족도

등을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를 각각 직접평가와 간접평가

Page 30: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13 -

로 명명하기도 한다 직접평가에서는 정답이 있는 평가

문항이나 과제 제시를 통해서 학생의 응답을 채점하여 점수를 산출할 수 있으므로

개인의 주관적인 인식이 개입되지 않는 객관적인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평가를 위한 출제 보안 채점 등에 소요되는 시간과 경비가 많다는 시행

상의 단점이 있다 간접평가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설문조사에 의해 시행되기 때문

에 편리하지만 개인의 판단과 인식에 의존하기 때문에 주관성을 배제하기 어려우

며 평가 결과가 피험자나 대학에 영향을 미칠 경우에 솔직한 응답을 하지 않을

가능성 또한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절에서는 직접평가의 사례로서 대학의 일반교양교육 프로그램의 학습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는 미국의

에 대해

살펴보고 다양한 간접평가의 사례 중에서 대학의 교수 학습 경험과 교육의 질에

초점을 둔 호주의 를 개관하고자 한다 또

한 대학교육 성과 평가를 위한 국내외 동향으로서 주관의

와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에서 주관하고 있는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시스템에 대해 간략히 다루고자 한다

미국의 가 주관하는 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대학 현장에서 사용되어

온 평가도구로서 대학의 일반교양교육과정의 학습성과 평가를 통해 교육과정의 질

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측정영역은 읽기 글쓰기 작문 수학

과학 비판적 사고력 의 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문 이외의 영역은 선다형문항으로 측정하고 있으며 각각 분의 평가시간을 설

정하고 있다 읽기 영역은 추론 참조 능력을 측정하고 글쓰기 영역은 문법 문장

구조 등을 포함하는 활용능력과 글쓰기 전략 구성 등을 평가하기 위한 영역으로

구분하여 평가한다 작문의 경우 설득력 있는 주장과 이에 대한 적적한 근거를 제

공하는가가 평가의 내용이 된다 수학은 기초수준과 대학수준으로 구분되어 있으

며 과학 영역에서는 분석 일반화 이해능력을 평가한다 비판적 사고력 평가에서

는 논쟁의 요소를 분석하여 평가하고 이를 확장해나가는 능력을 평가하고자 하였

Page 31: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14 -

다 또한 간략한 학생의 배경정보와 함께 학업에 대한 노력 정도를 단계 최선을

다 하였음 어느 정도 열심히 하였음 별로 열심히 하지 않았음 전혀 열심히 하지

않았음 로 측정하여 분석에 참고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평가 결과에 대한 전국 규준을 제공하여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교양과목 이수학점이 일정 수준 이상인 학생을 대상으

로 평가를 시행하고 있으며 평가의 영역과 기준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대학별 비교를 위한 책무성 평가의 목적으로 상용하기 위해서는 주관기관

에서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에 따라 학생을 표집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평가 결과

는 대학별 학생별로 보고될 수 있으며 동일한 학교나 학생이 반복적으로 평가에

응시하였을 경우 시간에 따른 변화 성장을 분석하는 부가가치평가

와 관련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는 미국의 가 주관하여 대학의 일반 교양교육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

한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미국의 주립대학협의회에서 실시하는 대학책무성 시스

템을 위한 평가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대학 교양교육 프로그램 효과를

평가하고 인증 여부를 결정하거나 교육과정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질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교양교육의 일반적인 학습성과를 직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읽기

비판적 사고력 글쓰기 수학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영역의 문항은 문항의 선다형이며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의 맥락에서 평가함으로써 통합적으로 측정하고자 한다

는 문항으로 구성된 기본형 외에 문항으로 구성된 축약형 검사도 제공하고

있으며 검사유형의 선택과 함께 지필형 평가와 온라인 평가 방식에 대해서도 해당

대학에 선택권이 있다 또한 대학이 선택적으로 작문 평가를 추가할 수 있으며 개

별 대학 교육과정의 특성에 따라 자체평가 문항과 배경정보 조사를 위한 질문을

추가할 수 있다

평가 결과의 보고에 있어 전국수준에 대비해 상대적인 위치를 알려주는 규준참

조평가와 더불어 영역별 단계의 성취수준 을

설정함으로써 준거참조평가에 근거한 정보도 제공해 준다 평가 결과를 통하여 학

생의 성취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대학의 평가 결과를 공유함으로써 교양교육

Page 32: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15 -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해 활용되고 있다

자기보고식의 간접적 평가 사례 중 하나인 호주의 는

의 일환으로 실시되고 있다 는 대학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대학

에서의 교육과 학습경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자 대학수업의 질에 대해 실시되

는 설문이다

평가영역은 개의 필수영역과 개의 선택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필수영역으로

는 교수학습의 질 일반핵심역량 전반적 만족도

의 세 영역이 있다 선택영역은 명확한 학습목표

적절한 학습량 적절한 평가

지적 동기화 학생 지원 졸업생 수

준 학습 자원 학습공동체

에 대한 설문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문에 대한 응답은 각 강좌별로 점 척도의 문항에 답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지

며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대학에서의 교수학습에 대한 만족도 고등교육 경험과

이를 통해 얻어진 학문적 기술적 성과에 대한 인식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평

가 결과는 대학교육의 질 제고 각 대학별 교육과정의 질에 대한 정보 제공 대학

운영에 있어 개선방안 도출 대학의 책무성 향상 등을 위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는 각 강좌별로 교육경험과 환경까지 폭넓게 조사하기 때문에 교육의 과정

과 결과를 포함할 뿐 아니라 이를 위한 인적 물적 지원에 대한 정보도 제공해줄

수 있다 그러므로 특정 수준의 교육성과가 산출되기까지의 환경과 과정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 그러나 자기보고식 간접 평가의 한계로 인해 교육 프로그램의

성과까지 개인의 주관적인 인식에 의존하여 평가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는 에서 주관하는 고등교육 학습성과 평가 사업으로 대학교육을

통해서 획득한 학습성과를 국제적인 수준에서 평가하는 프로그램이다 대학교육의

결과로서 학생이 성취한 다양한 영역의 학습성과를 직 간접적으로 측정하여 개별

Page 33: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16 -

대학이 대학교육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일반적인 고등교육의 성과를 직

접적으로 평가함으로써 기존 대학평가 체제가 가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

였다 고등교육기관 및 전공영역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타당한 평가도구를 개발하

기 위해 년에 걸쳐 실행가능성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년부터 본격적

인 사업 시행을 위해 연차별 계획에 따라 평가도구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

라는 의 초기 단계부터 참여하여 실행가능성을 평가하였으며 이후에도 본

사업 추진과 관련한 국가수준의 의사결정에 참여하고 있다

평가영역은 일반핵심능력 전공능력 맥

락적 영역 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등사고능력의 가장 핵심적인

요인인 비판적 사고력 분석적 추론력 문제해결능력을 측정하는 일반핵심능력 영

역은 선다형문항과 함께 글쓰기 형태의 수행과제 로 구성되었다

전공능력 영역은 대표적으로 공학 경제학에 대한 도구를 개발하여 실행가능성을

평가하였으며 맥락적 영역에는 학생 교수 대학기관에 대한 설문을 통해 배경요

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고등교육 학습성과에 대한 국제적인 평가가 쉽지 않겠지만 대학교육의 질 평가

에 있어서 성과중심의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필요성

이 부각되고 있다 국제적으로 표준화 된 학습성과 평가를 통해 대학교육의 질을

평가함으로써 고등교육을 개선함은 물론이고 향후 국제적인 수준의 대학의 질 지

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정윤 채재은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시스템

는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주관으로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진단

하기 위해 실시되는 평가 시스템이다 앞서 제시된 평가도구와 마찬가지로

역시 핵심적이고 일반적인 역량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고 있지만 평가의 목적이

일반적인 교양교육의 질 평가에 있지 않고 대학생의 직업능력 측정에 있다는 특징

이 있다 즉 고등교육의 성과평가라기 보다는 개별 대학생의 직업적 역량을 진단

하는데 초점이 있는 평가이다 그러므로 대학의 일반 교양교육과정 보다는 직업교

육 측면에서의 성과를 평가하는 도구라 할 수 있다

에서는 대부분의 직종에서 성공적인 직무를 위해 요구되는 일반적이고

Page 34: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17 -

공통적인 지식 기술 태도를 핵심역량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의사소통역량 종합적

사고력 자원 정보 기술의 활용역량 글로벌역량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의

개 평가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사소통역량은 듣기 토론 읽기 쓰기 말하기

능력을 평가하며 수행형인 쓰기와 말하기를 제외하고는 선다형 문항으로 평가한

다 분석적 추론적 대안적 평가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종합적 사고력 영역은 수행

형 문항으로 평가하며 자원 정보 기술에 대한 수집 분석 활용 능력의 평가는 선

다형 문항을 통해 이루어진다 국제적 감각과 태도를 평가하는 글로벌역량 영역은

선다형 문항과 자기보고식 설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기관리역량과 대인관계역

량은 모두 자기보고식 설문문항에 의해 평가된다

평가 결과는 각 영역별로 단계의 수준 탁월 우수 보통 미흡 으로 판정되어 보

고될 뿐만 아니라 상대적인 위치 파악을 위한 점수와 백분위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평가를 통해 개별 대학생은 기초적인 직업능력을 갖추었는지를 진단해 볼 수

있으며 자신의 강약점을 파악할 수 있어 향후 직업능력 개발을 위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대학에서도 대학의 교육역량을 진단하고 진로지원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고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해당 평가의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기

업 차원에서도 지원자가 핵심 직업능력을 갖추었는지 확인하고자 인재 채용을 위

한 평가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교양교육 핵심성과 및 개 영역 루브릭

미국의 에서는 교양교육을 통한 학습성과 의 진단을

위해 개 영역 개 항목의 루브릭을 제공하고 있다

이 루브릭은 교양교육의 학습 결과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 진 후

학습 결과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년 는 교양 교육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장기적인 노력의 하나로

프로젝트에 착수하였다 이 프로젝

트를 통해 는 고등 교육의 모든 영역에서 교육자들과 파트너쉽을 구축하

여 교양교육의 목적을 정의하였다 표 의 본질적 학습 결과

는 교육자와 고용주의 합의된 바를 대변한다 고등교육계는 본

질적 학습 결과 중에서 인류의 문화와 물리적 자연적 세계에 대한 지식 에 초점

Page 35: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18 -

Beginning in school and continuing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across their

college studies, students should prepare for twenty-first-century challenges by

gaining:

[Knowledge of Human Cultures and the Physical and Natural World]

■ Through study in the sciences and mathematics, social sciences, humanities,

histories, languages, and the arts

Focused by engagement with big questions, both contemporary and enduring

[Personal and Social Responsibility], including

■ Civic knowledge and engagement—local and global

■ Intercultural knowledge and competence

■ Ethical reasoning and action

■ Foundations and skills for lifelong learning

Anchored through active involvement with diverse communities and real-world

challenges

[Intellectual and Practical Skills], including

■ Inquiry and analysis

■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 Written and oral communication

■ Quantitative literacy

■ Information literacy

■ Teamwork and problem solving

Practiced extensively, across the curriculum, in the context of progressively more

<표 3> LEAP(Liberal Education and America's Promise) Essential Learning Outcomes

을 두어 오고 있었다 필연적으로 지식 범주에서는 학습자들의 성취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검사도구가 고등교육기관과 전공영역에서 개발되었다 그러나

교양교육의 특징적인 성과라 할 수 있는 지적 능력 실용적 능력 개인적 사회적

책임감 그리고 통합적 응용적 학습 영역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는

거의 없었다 이런 배경 하에서 는 본질적 학습 결과 를 교육과정 내에서

의 학습자들의 실제적인 활동에 기반하여 측정할 수 있는 루브릭 개발을 시작하였

Page 36: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19 -

challenging problems, projects, and standards for performance

[Integrative and Applied Learning], including

■ Synthesis and advanced accomplishment across general and specialized

studies

Demonstrat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skills, and responsibilities

to new settings and complex problems

루브릭은

년에 개발이 시작되었고 년에 배포되었다 배포된 루브릭은 개 이상의

기관에 재직 중인 교수들이 루브릭을 검토하고 타당화를 하였다 이 루브릭은

본질적 학습 결과 에 따른 학생의 학습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가이

드로써 년 기준으로 삼 천개 이상의 전 세계 대학에서 루브릭을 활용

하고 있으며 루브릭은 교수와 기관으로부터 폭넓고 긍정적인 지지를 받

고 있다

루브릭은 총 개의 성과로 구성되어 있다 최초 개발된 루브릭은 지적 능력 실

용적 능력 개인적 사회적 책임감 통합적 응용적 학습 에서 가지의 성과였으

나 년에 이 추가되어 총 개가 되었다

영역별 세부 성과는 표 와 같다 모든 세부 성과는 활동 단위의 하위 영역

으로 또 다시 세분화 되었고 각 하위 영역은 학생이 나타내 보이는 수행에 따라

단계의 평가가 가능하도록 점수대별 점 점과 점

점 활동에 대한 기술을 제시하였다

Page 37: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20 -

[지적 능력·실용적 능력]

탐구와 분석(Inquiry and Analysis)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창의적 사고(Creative thinking)

쓰기능력(Written communication)

발표능력(Oral communication)

읽기 능력(Reading)

수리추론능력(Quantitative literacy)

정보처리능력(Information literacy)

팀워크(Teamwork)

문제 해결(Problem solving)

[개인적·사회적 책임감]

시민 참여(Civic engagement)

다문화 역량(Intercultural knowledge

and competence)

윤리적 추론(Ethical reasoning)

평생 학습 능력(Foundations and

skills)

글로벌 러닝(Global learning)

[통합적·응용적 학습]

통합적 학습(Integrative learning)

<표 4> 질적 학습 결과와 루브릭 평가 변인

지적 능력 실용적 능력의 각 세부 영역은 아래와 같다

탐구와 분석 탐구는 판단의 근거가 되는 증거의 수집과 분석을 위해 이슈

대상 과업을 탐색하는 체계적인 과정이다 분석은 복잡한 주제나 이슈를 이해하기

쉽게 부분으로 나누는 과정이다 이 능력은 주제선정 종합 설계과정 분석

결론 의 활동 단위의 하위 영역으로 구분된다

비판적 사고 비판적 사고는 쟁점 의견 결과 사건들에 대해 어떠한 의견을

수용하거나 결론을 내리기 전에 이를 전체적으로 검토하는 습관화된 능력이다 이

능력은 쟁점에 대한 설명 근거제시 맥락을 고려한 가설 설정 관점의 선택

결론 결과물 제시 의 하위 영역으로 구분된다

창의적 사고 창의적 사고는 독창적인 방법으로 기존의 사고 이미지 전문

지식을 조합하거나 결합할 수 있는 능력과 혁신 확산적 사고 위험감수 등 새로운

방식으로 생각하고 활동한 경험을 의미한다 이 능력은 특정영역에서의 수행 능력

획득 위험 감수 문제해결 모순 포용 혁신적 사고 연결 종합 창출하기 의

Page 38: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21 -

하위 영역으로 구분된다

쓰기능력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들을 사용해서 다양한 장르로 생각을 표현

하고 전개하는 능력이다 이 능력은 글의 맥락과 목적 내용전개 장르와 학문

분야의 관습 출처와 근거 구문과 짜임새의 관리 의 하위 영역으로 구분된다

발표능력 지식 전달 이해증진 청자의 태도나 가치 믿음 행동의 변화를

일으키기 위한 계획되고 준비된 발표 능력이다 이 능력은 발표내용의 구성 용

어 선택 전달 보조자료 중심메시지 의 하위 영역으로 구분된다

읽기 능력 읽기는 문자화된 텍스트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의미를 해석하

고 분석하고 구성하는 과정이다 이 능력은 이해 장르 텍스트와의 관계 분

석 해석 독자의 목소리 의 하위 영역으로 구분된다

수리추론능력 일상 생활에서 표 그래프 수식 등 숫자 데이터를 가지고 수

리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고 추론하는 능력이다 이 능력은 해석 수학적인 형태

로 표현된 정보를 설명하는 능력 표상 관련된 정보를 다양한 수학적 형태로 변

환할 수 있는 능력 계산 적용 분석 데이터에 대한 양적인 분석에 기초하여 판

단을 내리고 적절한 결론을 끌어내는 능력 가설 데이터 분석에서 중요한 가설들

을 만들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 의사소통 양적인 정보를 통한 의사소통 의 하

위 영역으로 구분된다

정보처리능력 정보에 대한 요구가 있을 때 즉각적으로 문제에 대한 정보를

규명하고 평가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공유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 능력은 필

요한 정보의 범위 결정 필요한 정보에 대한 접근 정보와 출처를 비판적으로

평가 특정한 목적을 비판적으로 평가 특정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정보를 효

과적으로 사용 윤리적 합법적으로 정보에 접근하고 정보를 사용 의 하위 영역으

로 구분된다

Page 39: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22 -

팀워크 팀에 속한 개인이 팀의 활동에 쏟는 노력 팀 구성원과 상호작용하

는 태도 팀 토의에 이바지 하는 양적 질적 공헌 등의 팀 구성원으로서 참여하는

태도이다 팀 모임에 공헌 팀 구성원들의 공헌을 촉진 팀 모임 외부에서의 개

인적인 공헌 건설적인 팀 분위기 촉진 갈등에 대처 의 하위 영역으로 구분된다

문제 해결 문제 해결은 개방형 질문에 답을 찾거나 바람직한 목표에 도달

하기 위해 전략을 설계하고 평가하고 이행하는 과정이다 이 능력은 문제 정의

전략 규명 해결책 가설 제시 잠재적인 해결책 평가 해결책 이행 결과물

평가 의 하위 영역으로 구분된다

개인적 사회적 책임감의 세부 영역은 아래와 같다

시민 참여 공동체의 시민 생활을 변화시키기 위해 지식 기술 가치 동기를

결합하여 발전시켜 공동체에서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이 태도는 문화와

공동체의 다양성 지식의 분석 시민적 정체성과 시민적 수행 시민적 의사소

통 시민 행동과 성찰 공공적 상황 구조 의 하위 영역으로 구분된다

다문화 역량 다양한 문화적 맥락에서의 효과적이고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하기 위한 일련의 지식 기술 태도이다 이 태도는 지식 문화적 자기인식 지식

문화적 세계관과 체계에 대한 지식 기술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태도 호

기심 태도 개방성 의 하위 영역으로 구분된다

윤리적 추론 윤리적 추론은 윤리적 문제를 인식하고 서로 다른 관점에서

평가하며 의사 결정 기술을 연습함으로서 형성되는 인간 행동의 옳고 그름에 대

한 추론이다 이 능력은 윤리적인 자기 인식 서로 다른 윤리적 관점 개념의 이

해 윤리적 쟁점의 인식 윤리적 관점 개념의 적용 다른 윤리적 관점 개념의

평가 의 하위 영역으로 구분된다

평생 학습 능력 고등교육의 수혜자로서 개인의 발전을 위해 지식 기술과

Page 40: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23 -

역량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데 참여하는 학습 활동이다 이 능력은 호기심 주

도력 독립심 전이 반성 의 하위 영역으로 구분된다

글로벌 러닝 글로벌 러닝은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복잡하고 상호 의

존적인 국제적 시스템 및 산물들 자연적 물리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등 에 대해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참여하려는 경향성이다

통합적 응용적 학습의 세부 영역은 아래와 같다

통합적 학습 교과를 넘어 학습한 내용을 실제 맥락에 적용하기 위해 지식

과 경험을 통합하려는 경향성이다 이 능력은 경험과의 연결 경험과 학 술적 지

식을 연결 학문분야와의 연결 학문 분야들과 관점들의 연관 관계를 발견하거나

만들어 냄 전이 한 상황에서 얻은 기술 능력 이론 방법들을 새로운 상황에 적

응시키고 적용함 통합적 의사소통 반성과 자기 평가 의 하위 활동으로 구분된

Page 41: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24 -

성과진단 도구 개발을 위한

델파이 조사

교양교육 성과진단 도구 초안

연구진에서 개발한 성과진단 도구의 초안은 개념모형 성과영역 성과지표 목표

진술 측정모형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개 범주의 개 영역 개의 성과지표

개의 목표진술 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개념모형은 의 교양교육 성과를 참조로 하여 교양교육의 핵심가치를

개의 영역으로 설정하고 영영간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모형화하였다

의 교양교육 성과 교양교육 성과의 개념 모형

[그림 1] 교양교육 성과의 개념 모형 (초안)

지식과 정보의 확장 인지역량배양 시민의식의 함양 학습과 경험의 통합 등

영역은 개의 하위영역으로 구분되었다

Page 42: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25 -

성과영역성과

지표목표진술 측정문항

1.지식/

정보의

확장

1.2.개

념/원리

이해

요약학습 내용을

요약한다.수업의 핵심 내용을 요약할 수 있다

설명 주요 개념을

설명한다. 

수업에서 배운 주요 용어나 개념의

뜻을 설명할 수 있다.수업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표 6> 교양교육 성과진단 도구 측정문항 사례(초안)

성과영역 개념(설명)

1.

지식‧정보

의 확장

개념: 인문, 사회, 과학, 수학, 예술 등 교과내용과 관련된 지식과 정보

를 습득한다.

하위영역: 1.1 지식습득, 1.2 개념/원리 이해

2.

인지역량

의 배양

개념: 지식습득을 넘어서 문제해결, 프로젝트 수행, 토론, 발표 등을 통

해 인지적인 전략과 기술을 배양한다.

하위영역: 2.1 사고력, 2.2 문제해결력 2.3 의사소통능력

3.

시민의식

의 함양

개념: 사회의 일원으로서 내가 속한 공동체와 확장된 세계에서 일어나

는 다양한 문제들에 관심을 기울인다.

하위영역: 3.1 윤리/책임의식, 3.2 자기계발(동기), 3.3 문화적 개방성

4. 학습과

경험의

통합

개념: 지식, 기술, 태도 등 다양한 학습결과를 교양과 전공을 아울러

서로 융합하거나 새로운 환경에 적용하거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활용한다.

하위영역: 4.1 융복합역량, 4.2 실생활적용

<표 5> 교양교육 성과진단 도구 성과영역(초안)

각 하위영역을 구체화 한 성과지표 지표의 달성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목표진

술 목표달성여부를 구체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일부 사례를

보면 다음과 같다

Page 43: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26 -

예시나 사례를 말할 수 있다.

총평학습 결과를

스스로 평가한다

이 수업을 통해 무엇을 새롭게

배웠는지 말할 수 있다수업과 관련된 분야의 지식이

늘었다고 확신할 수 있다.

성과영역 평균표준편

차CVR 합의도 안정도

교양교육 성과의 개념 모형 3.70 0.82 0.40 0.75 0.22 1 지식‧정보의 확장 3.50 1.02 -0.14 0.58 0.29 1.1 지식습득 3.29 0.70 -0.20 0.67 0.21 1.2 개념/원리 이해 3.71 1.21 0.20 0.50 0.32 2 인지역량의 배양 4.07 0.73 0.57 0.69 0.18 2.1 사고력 4.00 1.10 0.60 0.75 0.27 2.2. 문제해결력 3.79 1.06 0.47 0.50 0.28 2.3. 의사소통능력 4.00 1.10 0.60 0.75 0.27 3. 시민의식의 함양 4.07 1.00 0.43 0.50 0.24 3.1. 윤리/책임의식 4.14 1.21 0.47 0.60 0.29 3.2. 자기계발(동기) 3.79 0.86 0.33 0.75 0.23 3.3. 문화적 개방성 4.07 0.99 0.47 0.50 0.24 4. 학습과 경험의 통합 3.57 0.94 0.29 0.75 0.26

<표 7> 교양교육 성과진단 도구 영역의 타당성 분석 결과(초안)

차 델파이 조사 결과

총 명의 교양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진단도구 초안에 대한 델파이 조사를 실

시하였다 전문가는 한국교양교육원에서 교양교육 컨설팅위원 중 추천을 받았으며

여러 대학의 교양교육 편성과 운영을 책임지는 다양한 전공의 교수로 구성되었다

모형과 영역 구성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분석한 결과 평균이 미만인 것은

지식습득과 실생활적용 등 두 하위영역이었으나 전문가 내용타당도

값이 미만 응답자 명 기준 인 것이 개 중 개였으며 의견의 합의도가

이하인 것도 개나 되었다 안정도는 이상의 경우 추가적인 설문이 요구되는데

가장 큰 것이 로 안정성을 띄었다

Page 44: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27 -

4.1. 융복합역량 3.86 1.03 0.60 0.75 0.27 4.2. 실생활적용 3.43 0.91 -0.07 0.67 0.27

성과영역성과

지표이름 평균

표준

편차CVR 합의도 안정도

1.

지식/

정보

확장

1.1.

지식

습득

재인목표타당성 3.64 0.84 -0.14 0.58 0.23

문항적합성 3.79 0.80 0.14 0.69 0.21

회상목표타당성 3.79 0.89 0.00 0.64 0.24

문항적합성 3.93 0.73 0.43 0.69 0.19

1.2.

개념/

원리

이해

요약목표타당성 3.93 1.00 0.29 0.50 0.25

문항적합성 3.86 1.10 0.47 0.50 0.29

설명

목표타당성 3.93 1.00 0.29 0.50 0.25

문항적합성1 4.00 1.15 0.43 0.63 0.29

문항적합성2 4.00 1.16 0.47 0.50 0.29

총평

목표타당성 3.71 0.91 0.43 0.75 0.25

문항적합성1 3.86 1.03 0.60 1.00 0.27

문항적합성2 3.50 0.99 -0.07 0.67 0.28

전체 구성

타당도  3.79 0.90 0.07 0.75 0.24

2.

인지

역량

2.1.

사고력분석 

목표타당성1 4.14 1.17 0.57 0.72 0.28

목표타당성2 4.00 1.11 0.57 0.69 0.28

목표타당성3 3.92 1.19 0.29 0.50 0.30

<표 8> 교양교육 성과진단 도구 측정문항의 타당성 분석 결과(초안)

모형에 대한 다양한 주관식 의견들이 수합되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네

영역의 명칭의 변경 교양교육의 목표로서 역사성과 가치관 등 포함 하위영

역 간의 중복과 위계 등이었다

동일한 방식으로 개 목표진술의 타당성과 개 문항의 적합성 각 영역별 구

성타당도에 대해서 검토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목표타당성과 문항적합

성의 평균이 미만인 것은 한 문항도 없었으나 전문가 내용타당도 값이

이상 응답자 명 기준 인 것이 전체 문항 개 중 개로 였다 값이

가 개로 약 에 이르렀다 안정도는 통계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이 없

었다

Page 45: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28 -

배양

문항적합성1 4.00 1.22 0.33 0.60 0.31

문항적합성2 3.79 1.13 0.33 0.50 0.30

문항적합성3 4.00 1.10 0.60 0.75 0.27

문항적합성4 3.79 1.13 0.33 0.50 0.30

문항적합성5 3.93 1.20 0.33 0.50 0.30

문항적합성6 3.64 1.10 0.20 0.50 0.30

추론

목표타당성1 4.00 1.11 0.57 0.69 0.28

목표타당성2 4.07 1.14 0.57 0.69 0.28

문항적합성1 3.64 1.22 0.20 0.50 0.34

문항적합성2 4.07 1.13 0.60 0.75 0.28

문항적합성3 4.00 1.07 0.60 0.75 0.27

비판

목표타당성1 4.07 1.07 0.71 0.75 0.26

목표타당성2 4.00 1.11 0.57 0.69 0.28

문항적합성1 4.07 1.13 0.60 0.75 0.28

문항적합성2 3.93 1.07 0.60 0.75 0.27

문항적합성3 3.86 1.16 0.33 0.50 0.30

문항적합성4 4.00 1.10 0.60 0.75 0.27

2.2.

문제

해결력

문제

파악

목표타당성 4.07 1.14 0.57 0.69 0.28

문항적합성1 4.00 1.13 0.47 0.50 0.28

문항적합성2 4.14 1.13 0.60 0.75 0.27

정보

수집

목표타당성1 4.00 1.11 0.57 0.69 0.28

목표타당성2 4.07 1.14 0.57 0.69 0.28

문항적합성1 4.00 1.16 0.33 0.50 0.29

문항적합성2 4.07 1.13 0.47 0.50 0.28

문항적합성3 4.00 1.16 0.33 0.50 0.29

해결

전략

(가설)

제시

목표타당성 4.14 1.17 0.57 0.72 0.28

문항적합성1 4.00 1.16 0.33 0.50 0.29

문항적합성2 3.86 1.08 0.33 0.50 0.28

문항적합성3 3.77 0.99 0.33 0.75 0.26

해결

전략

평가

목표타당성 3.71 0.99 0.43 0.75 0.27

문항적합성1 3.71 0.98 0.33 0.75 0.26

문항적합성2 3.86 1.01 0.47 0.75 0.26

이행 목표타당성1 3.86 1.03 0.57 0.88 0.27

Page 46: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29 -

평가 

목표타당성2 3.79 1.05 0.43 0.69 0.28

문항적합성1 3.79 1.03 0.33 0.75 0.27

문항적합성2 3.86 1.01 0.47 0.75 0.26

2.3.

의사

소통

능력

수용

(듣기,

읽기)

목표타당성1 4.07 1.21 0.43 0.56 0.30

목표타당성2 3.92 1.12 0.43 0.63 0.28

문항적합성1 4.07 1.19 0.47 0.60 0.29

문항적합성2 3.79 1.06 0.47 0.50 0.28

문항적합성3 4.14 1.21 0.47 0.60 0.29

문항적합성4 3.79 1.06 0.47 0.50 0.28

표현

(쓰기,

말하기)

목표타당성1 3.93 1.14 0.43 0.50 0.29

목표타당성2 4.00 1.18 0.43 0.50 0.29

문항적합성1 3.71 1.15 0.20 0.50 0.31

문항적합성2 3.93 1.10 0.47 0.50 0.28

문항적합성3 4.00 1.07 0.60 0.75 0.27

문항적합성4 3.71 1.03 0.33 0.75 0.28

팀워크

(역할

분담,

갈등

조절)

목표타당성1 3.86 1.17 0.29 0.50 0.30

목표타당성2 3.77 1.17 0.14 0.50 0.31

문항적합성1 4.07 1.16 0.47 0.50 0.29

문항적합성2 3.62 1.08 0.14 0.69 0.30

문항적합성3 4.14 1.22 0.33 0.60 0.30

문항적합성4 3.71 1.03 0.33 0.75 0.28

문항적합성5 4.00 1.07 0.60 0.75 0.27

전체 구성

타당도  4.36 0.63 0.86 0.75 0.15

3.

시민

의식

함양

3.1.

윤리/

책임

의식

윤리적

문제 

목표타당성 3.93 1.14 0.43 0.50 0.29

문항적합성1 3.93 1.07 0.60 0.75 0.27

문항적합성2 3.93 1.00 0.73 0.75 0.25

윤리적

관점

목표타당성1 3.86 1.10 0.43 0.50 0.29

목표타당성2 3.71 1.07 0.29 0.69 0.29

목표타당성3 3.57 0.94 0.29 0.75 0.26

문항적합성1 4.00 1.10 0.60 0.75 0.27

문항적합성2 3.86 1.10 0.47 0.50 0.29

문항적합성3 3.77 1.03 0.47 0.88 0.27

Page 47: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30 -

문항적합성4 3.50 0.99 0.20 0.75 0.28

문항적합성5 3.64 1.10 0.20 0.50 0.30

사회

참여

목표타당성1 4.21 0.97 0.57 0.72 0.23

목표타당성2 3.86 1.17 0.57 0.69 0.30

문항적합성1 4.07 0.92 0.60 0.75 0.22

문항적합성2 4.07 0.92 0.60 0.75 0.22

문항적합성3 3.93 1.00 0.73 0.75 0.25

문항적합성4 3.93 1.13 0.47 0.50 0.29

문항적합성5 3.79 1.06 0.47 0.50 0.28

3.2.

자기

계발

(동기)

진로

의식

목표타당성1 3.56 0.88 -0.23 0.67 0.25

목표타당성2 3.89 1.13 0.23 0.75 0.29

문항적합성1 3.44 0.51 -0.14 0.67 0.15

문항적합성2 4.00 1.16 0.14 0.69 0.29

문항적합성3 4.11 1.15 0.29 0.69 0.28

자아

성찰

목표타당성 3.86 1.10 0.43 0.50 0.29

문항적합성1 4.00 1.07 0.60 0.75 0.27

문항적합성2 3.86 0.99 0.60 1.00 0.26

학습

동기

목표타당성 3.79 1.05 0.43 0.69 0.28

문항적합성1 3.57 1.06 0.33 0.75 0.30

문항적합성2 3.92 1.03 0.47 0.88 0.26

학습

계획

수립 

목표타당성 3.86 1.03 0.14 0.50 0.27

문항적합성1 3.64 0.83 0.07 0.75 0.23

문항적합성2 3.71 1.10 0.20 0.50 0.30

문항적합성3 3.79 1.21 0.33 0.50 0.32

3.3.

문화적

개방성

다문화

수용성

목표타당성1 4.14 1.17 0.57 0.72 0.28

목표타당성2 3.93 1.14 0.43 0.50 0.29

문항적합성1 3.79 0.99 0.60 1.00 0.26

문항적합성2 4.00 1.10 0.60 0.75 0.27

문항적합성3 3.79 1.13 0.33 0.50 0.30

국제

문제에

대한

관여 

목표타당성 4.07 1.14 0.57 0.69 0.28

문항적합성1 3.93 1.07 0.60 0.75 0.27

문항적합성2 3.93 1.07 0.60 0.75 0.27

문항적합성3 4.00 0.96 0.47 0.50 0.24

Page 48: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31 -

전체 구성

타당도  4.00 1.03 0.47 0.50 0.26

4.

학습

경험

통합

4.1.

융복합

역량

학문

분야

연계

목표타당성 3.79 1.12 0.29 0.50 0.30

문항적합성1 4.07 1.06 0.73 0.75 0.26

문항적합성2 3.93 1.13 0.47 0.50 0.29

종합 

목표타당성 3.77 1.09 0.29 0.63 0.29

문항적합성1 3.86 1.10 0.47 0.50 0.29

문항적합성2 3.93 1.13 0.47 0.50 0.29

창의적

통합

목표타당성 3.86 1.23 0.14 0.50 0.32

문항적합성1 4.00 1.20 0.33 0.50 0.30

문항적합성2 3.93 1.10 0.47 0.50 0.28

4.2.

실생활

적용

전이 목표타당성 4.00 0.96 0.43 0.50 0.24

문항적합성 3.79 0.94 0.20 0.50 0.25

경험과

지식의

연계

목표타당성 3.93 0.92 0.43 0.50 0.23

문항적합성1 3.86 0.83 0.47 0.75 0.22

문항적합성2 3.71 1.03 0.33 0.75 0.28

전체 구성

타당도  3.93 0.74 0.33 0.75 0.19

문항에 대한 의견으로는 단어 어휘 표현 등의 제안에서 교양교육의 성과를 측

정하는데 부합하느냐는 질에 대한 검토까지 다양하였다 연구진은 위의 통계적인

자료와 전문가들의 기술자료를 바탕으로 진단도구의 모형 구성 방법 문항 등을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재구성하였다

모형 개발에서 학습의 결과로서 지식습득과 학습활동 참여 교육성과로서 역량

및 태도의 변화를 구분하였다

대학 간 학생 수준의 편차와 수업의 수준차를 고려하여 학업준비도 에 대한

측정을 고려하였다

값이 이하인 목표진술과 문항은 삭제하거나 대폭적으로 수정하였으며

에서 사이는 의미가 훼손되지 않는 한도에서 문항을 수정하였고 이

상이더라도 문항을 재검토하였다 문항 수정 과정에서 평균값 표준편차 합의

도 등의 점수를 참조하였다

교양교육의 목표에 부합할 수 있도록 역사성과 예술성에 관한 문항을 포함하

Page 49: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32 -

성과영역  성과 측정문항 평균표준

편차CVR 합의도 안정도

1.

1.1. 수용듣기 

문항타당성1 4.42 0.58 0.92 0.75 0.13 문항타당성2 4.08 0.83 0.58 0.75 0.20

읽기 문항타당성1 4.54 0.51 1.00 0.80 0.11 문항타당성2 4.25 0.68 0.75 0.75 0.16

1.2. 표현

말하

기 

문항타당성1 4.54 0.51 1.00 0.80 0.11 문항타당성2 4.58 0.58 0.92 0.80 0.13

쓰기 문항타당성1 3.88 0.95 0.33 0.50 0.24 문항타당성2 4.46 0.59 0.92 0.78 0.13

1.3. 구성  문항타당성1 4.33 0.56 0.92 0.75 0.13

<표 9> 교양교육 성과진단 도구 측정문항의 타당성 분석 결과(수정안)

였다

차 델파이 분석 결과

수정된 진단도구는 초안과 마찬가지로 개념모형 성과영역 성과지표 목표진술

측정모형으로 구성되었으며 기초학습역량 지식 및 경험 사고 가치 통합 영역

등 총 개 영역과 개 하위영역 개의 성과지표 개의 목표진술 개의 문항

으로 구성되었다

전문가 검토는 지난 델파이에 참여했던 명과 추가적으로 추천을 받은 한국교

양교육원 교양교육 컨설팅 위원 명 대학의 교양교육 책임교수나 학장급 명 등

총 명에게 의뢰하였으며 그 중 명이 조사에 응답하였다

통계적으로 모형 영역의 구성 활용방법 문항의 타당도 평균 표준편차 내용타

당도 합의도 안정도 등을 분석하였다 평균이 높을수록 타당도가 높으며 임

의로 를 기준으로 함 표준편차가 적을수록 의견 수렴도가 높으며 임의로 을

기준으로 함 값이 높을수록 내용타당도가 높으며 명 기준 기준값 합

의도는 에 가까울수록 좋으며 임의로 을 기준으로 함 안정도는 낮을수록 일치

성이 높다고 이하면 합의된 것으로 보고 추가설문이 필요 없음 판단하였다

Page 50: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33 -

자료활용문항타당성2 4.04 0.75 0.50 0.56 0.19

해석 문항타당성1 4.50 0.59 0.92 0.80 0.13 문항타당성2 4.13 0.61 0.75 0.81 0.15

1.4

팀워크

과제

수행

문항타당성1 4.21 0.72 0.67 0.75 0.17 문항타당성2 4.58 0.50 1.00 0.80 0.11

의견

조정

문항타당성1 4.46 0.51 1.00 0.75 0.11 문항타당성2 4.38 0.82 0.75 0.80 0.19

전체 목적 및 구성 타당도 4.25 0.53 0.92 0.75 0.13 전체 활용방법 타당성 4.14 0.64 0.91 0.94 0.15

2.

2.1.

지식습득 

기억문항타당성1 4.29 0.95 0.75 0.78 0.22 문항타당성2 4.13 0.74 0.58 0.75 0.18

이해 문항타당성1 4.38 0.65 0.83 0.75 0.15 문항타당성2 4.54 0.51 1.00 0.80 0.11

총평 문항타당성1 4.38 0.71 0.75 0.78 0.16

2.2.

교육목적

목적

인식

문항타당성1 4.33 0.76 0.67 0.78 0.18 문항타당성2 4.50 0.78 0.83 0.80 0.17 문항타당성3 4.50 0.51 1.00 0.78 0.11 문항타당성4 4.17 0.92 0.75 0.75 0.22 문항타당성5 4.13 0.99 0.58 0.75 0.24 문항타당성6 4.29 0.91 0.83 0.75 0.21 문항타당성7 4.29 0.91 0.83 0.75 0.21

2.3.

수업활동

참여

문항타당성1 4.13 0.87 0.74 0.75 0.21 문항타당성2 4.21 0.88 0.58 0.75 0.21 문항타당성3 4.25 0.85 0.67 0.75 0.20 문항타당성4 4.25 0.85 0.67 0.75 0.20 문항타당성5 3.75 1.15 0.42 0.56 0.31

활용문항타당성1 4.08 0.97 0.33 0.50 0.24 문항타당성2 4.42 0.78 0.83 0.80 0.18 문항타당성3 4.21 0.78 0.58 0.75 0.19

전체 목적 및 구성 타당도 4.25 0.61 0.83 0.75 0.14 전체 활용방법 타당성 4.17 0.58 0.83 0.75 0.14

3.

3.1. 분석

내용

분석

문항타당성1 4.58 0.58 0.92 0.80 0.13

문항타당성2 4.42 0.58 0.92 0.75 0.13 문항타당성3 4.17 0.92 0.50 0.56 0.22

관계

분석

 

문항타당성1 4.17 0.64 0.75 0.75 0.15 문항타당성2 4.38 0.65 0.83 0.75 0.15

문항타당성3 4.33 0.70 0.75 0.75 0.16

3.2. 추론 논리 문항타당성1 4.38 0.65 0.83 0.75 0.15

Page 51: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34 -

추론문항타당성2 4.29 0.75 0.83 0.75 0.17

인과

추론문항타당성1 4.21 0.66 0.75 0.75 0.16

3.3. 비판평가

문항타당성1 4.21 0.66 0.75 0.75 0.16 문항타당성2 4.29 0.69 0.75 0.75 0.16

논박문항타당성1 4.29 0.75 0.67 0.75 0.17 문항타당성2 4.25 0.74 0.67 0.75 0.17

전체 목적 및 구성 타당도 4.21 0.66 0.75 0.75 0.16 전체 활용방법 타당성 4.27 0.55 0.91 0.75 0.13

4.

4.1.

윤리의식

윤리

문제 

문항타당성1 4.21 0.83 0.67 0.75 0.20

문항타당성2 4.08 1.02 0.67 0.75 0.25

윤리

관점

문항타당성1 4.29 0.75 0.67 0.75 0.17 문항타당성2 4.42 0.65 0.83 0.78 0.15

문항타당성3 4.29 0.81 0.75 0.75 0.19

4.2.

시민의식

사회

책임

문항타당성1 4.33 0.92 0.58 0.80 0.21

문항타당성2 4.67 0.56 0.92 0.80 0.12

사회

참여

문항타당성1 4.38 0.65 0.83 0.75 0.15 문항타당성2 4.42 0.58 0.92 0.75 0.13

4.3.

역사의식

맥락

이해

문항타당성1 4.21 0.88 0.58 0.75 0.21 문항타당성2 4.42 0.65 0.83 0.78 0.15

쟁점

분석

문항타당성1 4.29 0.75 0.83 0.75 0.17 문항타당성2 4.38 0.71 0.92 0.75 0.16

4.4.

문화적

개방성

다문

수용

문항타당성1 4.13 0.99 0.58 0.75 0.24

문항타당성2 4.42 0.65 0.83 0.78 0.15

국제

문제

이해

문항타당성1 4.33 0.70 0.75 0.75 0.16

문항타당성2 4.33 0.64 0.83 0.75 0.15

4.5.

예술적

감성

감상문항타당성1 4.54 0.51 1.00 0.80 0.11 문항타당성2 4.46 0.59 0.92 0.78 0.13

태도문항타당성1 4.38 0.71 0.75 0.78 0.16 문항타당성2 4.25 0.79 0.58 0.75 0.19

전체 목적 및 구성 타당도 4.04 0.71 0.57 0.75 0.17 전체 활용방법 타당성 4.17 0.58 0.83 0.75 0.14

Page 52: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35 -

5.

5.1

문제해결

문제

인식

문항타당성1 4.54 0.59 0.92 0.80 0.13 문항타당성2 4.50 0.66 0.83 0.80 0.15

정보

수집

문항타당성1 4.67 0.48 1.00 0.80 0.10 문항타당성2 4.63 0.58 0.92 0.80 0.12

해결

전략

수립

문항타당성1 4.29 0.75 0.67 0.75 0.17

문항타당성2 4.13 0.80 0.50 0.56 0.19

해결

전략

평가

문항타당성1 4.50 0.59 0.92 0.80 0.13 문항타당성2 4.38 0.71 0.75 0.78 0.16

문항타당성3 4.38 0.58 0.92 0.75 0.13

5.2

융복합능

학문

분야

연계

문항타당성1 4.54 0.59 0.92 0.80 0.13

문항타당성2 4.29 0.91 0.58 0.80 0.21

창의

통합

문항타당성1 4.38 0.71 0.75 0.78 0.16

문항타당성2 4.04 1.04 0.58 0.75 0.26

전체 목적 및 구성 타당도 4.25 0.61 0.83 0.75 0.14 전체 활용방법 타당성 4.32 0.48 1.00 0.75 0.11

번호 범주 내용 평균표준

편차CVR

합의

안정

1 타당성

이 도구는 대학의 교양교육 성

과를 진단하기에 타당한 내용으

로 구성되었다.

4.22 0.60 0.83 0.75 0.14

2 설명력이 도구는 교양교육 성과의 진

단 범위와 내용을 포괄적으로 4.22 0.74 0.65 0.75 0.17

<표 10> 교양교육 성과진단 도구 전체의 타당성 분석 결과(수정안)

전체적으로 초안보다 문항의 타당도가 현격하게 개선되었다 여러 명의 전문가

가 기초학습역량 영역에서 학습태도와 관련된 문항과 과학관련 교양을 측정

할 수 있는 문항을 추가할 것을 제안하였다

진단도구 전체에 대한 타당성 분석 역시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며 특히 실현가능

성이 으로 가장 높았다

Page 53: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36 -

설명하고 있다.

3 보편성

이 도구는 교양교육의 성과를

진단하고자 하는 여러 대학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4.22 0.74 0.83 0.75 0.17

4 유용성이 도구는 대학의 교양교육의

성과를 진단하는데 유용하다. 4.17 0.78 0.57 0.75 0.19

5 이해도

이 도구의 각 문항은 측정하고

자 하는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였다.

4.22 0.85 0.65 0.75 0.20

6 실현가능성

이 도구의 활용방법에 미루어

봤을 때 각 대학에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 보인다.

4.43 0.79 0.83 0.80 0.18

연구진은 위의 통계적인 자료와 전문가들의 기술자료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수정을 통해 최종 진단도구를 완성하였다

기초학습역량 영역에 학습태도와 관련 개 지식 및 경험 영역에서 과학적 소

양 관련 개 사고영역에 분석 관련 개 추론 관련 개 가치영역에 과학의 가

치 관련 개 통합 영역에서 문제해결 관련 개 융복합능력 관련 개등 총

개의 문항을 추가하였다

지식 및 경험 영역에서 수업활동 참여 관련 개의 문항을 제거하였다

통계적 검증에서 기준값에 미치지 못하는 문항을 대폭 수정하였다

통계적 검증에서 문제는 없었지만 명이상의 전문가가 지적한 문항에 대해서

문구 등을 미시적으로 수정하였다

도구를 수정하는 과정에서 연구진 이외의 교양교육 수업을 담당하는 박사 인

에게 전문가 타당성을 검토 받았다

Page 54: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37 -

교양교육 성과진단 도구

최종도구

이 진단도구는 영역별로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으로 대학에서 교양교육영역의

수업을 통해 획득되는 성과를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진단도구는 한국교양기초교육원에서 대학에서 교양교육을 분류하는 기초

교육영역 교양교육영역 소양교육영역 중 두 번째 영역인 세계와 인간에

대한 균형 잡힌 안목과 통찰 을 위한 교양교육영역의 성과를 진단하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따라서 기초교육영역 소양교육영역 비학술적 체험교육이나 도구

적 실용지식 은 고려하지 않았다

[그림 2] 교양교육 성과의 개념 모형 (최종)

이 진단도구는 교양수업의 수강준비도를 평가하는 기초학습역량 영역 교양

수업을 수강한 후 습득된 지식을 평가하는 지식 및 경험 영역 교양교육의

Page 55: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38 -

성과로서 나타날 수 있는 사고 영역 가치 영역 통합 영역으로 구성되

었다

영역 개념(설명) 하위영역

1.

기초학습

역량

교양수업을 수강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요구

되는 준비도를 진단한다.

1.1 수용

1.2 표현

1.3 자료활용

1.4 팀워크

1.5 학습준비도

2. 지식

및 경험

학습 내용에 대한 기억과 이해를 진단한다.

교육목적에 대해 이해하는지 진단한다.

수업관련 활동에 대한 참여도를 진단한다.

2.1 지식습득

2.2 교육목적

2.3 수업활동

3. 사고 분석, 추론, 비판 등 인지적 전략을 활용한

고차적 사고 능력을 진단한다.

3.1 분석

3.2 추론

3.3 비판

4. 가치 윤리적 판단, 사회적 책임, 개방적 태도 등

가치 형성과 관련된 영역을 진단한다.

4.1 윤리의식

4.2 과학적가치

4.3 시민의식

4.4 역사의식

4.5 문화적개방성

4.6 예술적감성

5. 통합

지식, 기술, 태도 등을 융합하여 복잡한 문제

를 해결하거나 새로운 환경에 적용하는 능력

을 진단한다.

5.1 문제해결력

5.2 융복합능력

<표 11> 교양교육 성과진단 도구 영역 구성 (최종)

이 진단도구는 교양교육영역의 수업을 하는 교수자가 학생의 수준과 수업의

성과를 측정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수자는 영역별 활용방법을 참조하여 진단도구 중 수업의 목적과 특성에 맞

는 일부 문항을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다 권장하는 방법은 교수자가 특정 영

역의 문항을 선택하여 직접 설문을 해 봄으로써 학생의 수준을 예상한 후 학

생의 실제 답변과 비교해 보는 것이다

Page 56: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39 -

영역 목적 활용방법1.

기초

학습

역량

교양수업을 수

강하기 위한

기본적인 준비

도를 갖추었는

담당 교수 또는 대학의 판단에 따라 이 영역을 학기

초 학생의 수업준비도를 진단하는데 사용할 것인지,

학기 말 교양수업의 성과를 평가하는데 사용할지 결

정할 수 있음 (단, 1.5 학습준비도는 학기 초에만 사용

표 각 영역별 활용 방법

[그림 3] 교양교육 성과진단 도구 활용방법 (최종)

각 문항은 점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진단평가로 활용될 경우는 그렇지않

음 약간그러함 그러함 매우그러함을 성과진단으로 활용될 경우는

변화없음 해본적없음 조금향상 조금해봄 향상 해봄 매우향상 많이해

봄 등으로 기술할 수 있다

학기별로 진단도구의 활용방법은 다음 그림과 같다 기초학습능력 영역은 교

수자의 판단과 대학의 필요에 따라 진단평가 또는 성과측정으로 활용될 수 있

다 이를 진단평가로 활용했을 경우 진단결과에 따라 수업의 수준 내용 방법

을 조정할 수 있다

수업에서 진단도구를 활용함으로써 교수자의 기대 수준과 학생의 성과를 비

교해 봄으로써 수업의 개선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대학의 교양교육영역

의 성과를 모두 진단하여 해당 대학의 교양교육이 어떤 영역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각 영역별 활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Page 57: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40 -

가를 진단함

하기를 권장함)

학기 초반에 학생들의 진단평가 용도로 사용할 경우,

영역의 일부 문항만 선별적으로 사용하기보다 전 문

항을 진단하여 학생들의 종합적인 준비도를 파악할

것을 권장하며, 그 결과에 따라 수업의 수준, 내용, 방

법을 조정할 수 있음

교양수업의 성과를 평가할 용도로 사용할 경우, 담당

교수가 교과목의 성격에 따라 문항을 선택하여 선별

적으로 진단하기를 권장

2.

지식

경험

교양수업의 명

시적인 결과로

서 지식의 습

득, 교육목적

이해, 수업활동

에 대한 참여

를 진단함

2.1 지식습득과 2.2 교육목적의 진단은 필수적으로 수

행할 것을 권장

2.2 교육목적은 담당 교수가 인식한 교과목의 목표와

학생이 인식하는 교과목의 효과 사이의 차이를 발견

함으로써 교과목의 성격을 규명하는데 유용함

2.3 수업활동은 담당 교수가 교과목의 성격에 따라 문

항을 선택하여 선별적으로 진단하기를 권장

교과 수업이 어느 정도 마무리되는 시점(15주 수업 중

13~14주)에서 진단하는 것을 권장

담당 교수의 자가진단 결과와 학생의 진단결과를 비

교하여 분석할 것을 권장

3.

사고

교양수업의 성

과로서 분석,

추론, 비판 등

인지적 전략을

활용한 고차적

사고 능력을

진단함

3.1 분석, 3.2 추론, 3.3 비판은 담당 교수가 교과목의

성격에 따라 문항을 선택하여 선별적으로 진단하기를

권장

사고 영역의 경우 인문, 사회, 과학 전 영역에서 광범

위하게 사용될 수 있음

교과 수업이 어느 정도 마무리되는 시점(15주 수업 중

13~14주)에서 진단하는 것을 권장

담당 교수의 자가진단 결과와 학생의 진단결과를 비

교하여 분석할 것을 권장

4.

가치

교양수업의 성

과로서 윤리적

판단, 사회적

책임, 개방적

태도, 예술적

감성 등 가치

4.1 윤리의식, 4.2 과학의 가치, 4.3 시민의식, 4.4 역

사의식, 4.5 문화적개방성, 4.6 예술적감성은 담당 교

수가 교과목의 성격에 따라 문항을 선택하여 선별적

으로 진단하기를 권장

가치 영역의 경우 인문, 예술, 사회, 자연, 공학 등 전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음

Page 58: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41 -

관을 형성을

진단함

교과 수업이 어느 정도 마무리되는 시점(15주 수업 중

13~14주)에서 진단하는 것을 권장

담당 교수의 자가진단 결과와 학생의 진단결과를 비

교하여 분석할 것을 권장

5.

통합

교양수업의 성

과로서 지식,

기술, 태도 등

을 융합하여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새

로운 환경에

적용하는 능력

의 향상정도를

진단함

5.1 문제해결력과 5.2 융복합능력은 담당 교수가 교과

목의 성격에 따라 문항을 선택하여 선별적으로 진단

하기를 권장

5.1 문제해결력 영역은 프로젝트기반학습, 문제기반학

습, 탐구학습 등 학생들이 과제를 깊이있게 수행하도

록 구성된 수업인 경우 권장

5.2 융복합능력 영역은 두 개 이상의 학문분야나, 지

식의 실천적 적용을 강조하는 수업인 경우 권장

교과 수업이 어느 정도 마무리되는 시점(15주 수업 중

13~14주)에서 진단하는 것을 권장

담당 교수의 자가진단 결과와 학생의 진단결과를 비

교하여 분석할 것을 권장

성과영역성과지표

목표진술 측정문항

1.기초 학습 역량

1.1. 수용

듣기상대방의 말을 듣고 의미를 이해한다.

1공적·사적인 상황에서 상대방의 말을 듣고 핵심 내용을 요약할 수 있다.

2상대방의 말을 듣고 숨겨진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읽기텍스트를 읽고

의미를 이해한다.

3 글을 읽고 핵심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4 글을 읽고 글쓴이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1.2. 표현

말하기

자신의 의견을 말로 전달한다.

5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상대방과 상황에 맞게 말할 수 있다.

6여러 사람 앞에서 준비한 내용을 효과적으로 발표할 수 있다.

표 교양교육 성과진단 도구 최종

개발된 최종진단도구는 다음과 같다

Page 59: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42 -

성과영역성과지표

목표진술 측정문항

쓰기자신의 의견을 글로 표현한다.

7 맞춤법과 문법에 맞게 문장을 쓸 수 있다.

8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글을 통해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1.3. 자료 활용

구성필요한 자료를

찾아 편집·활용한다.

9필요한 자료나 정보를 도서나 인터넷 등을 활용하여 찾을 수 있다.

10한글,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그림판 등을 이용해 문서, 그림, 동영상 등을 작성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

변환

정량적 자료를 적절하게 가공할 수

있다.

11신문, 책, 인터넷 자료 등에서 사용된 표, 그래프, 통계 등 정량적 자료의 의미를 해석할 수 있다.

12신문, 책, 인터넷 등에서 얻은 자료나 정보를 표나 그래프 등 정량적 자료로 표현할 수 있다.

1.4 팀워크

과제수행

팀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한다.

13팀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팀에 도움이 되는 아이디어나 대안을 제시하는 편이다.

14팀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을 책임지고 수행하는 편이다.

의견조정

팀에서 의견을 조율한다.

15팀원 각자의 사고방식에 차이가 있음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편이다.

16팀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의견의 충돌이 발생하면 이를 조율하여 타협점을 찾는 편이다.

1.5 학습준비도

학습태도

학습을 준비한다.

17이 수업의 주제에 흥미가 있어서 수강신청을 했다.

18이 수업에서 요구하는 과제와 학습을 열심히 할 준비가 되어 있다.

2. 지식 및

경험

2.1. 지식습득 

기억배운 내용인지

아닌지 분별한다.

19신문, 책, 인터넷 자료 등을 읽고 수업에서 다뤘던 내용인지 분별할 수 있다.

20이 수업에서 다룬 주요 인물이나 용어, 사건 등을 기억할 수 있다.

이해 배운 내용의 의미를 안다.

21이 수업에서 배운 내용과 관련된 사례를 말할 수 있다.

22 이 수업에서 배운 주요 내용을 요약할 수 있다.

Page 60: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43 -

성과영역성과지표

목표진술 측정문항

결과학습 결과를 인식한다.

23이 수업을 통해 무엇을 알게 되었는지 말할 수 있다

2.2. 교육 목적

목적인식

수업의 목적을 이해한다.

24[인성과 성찰] 이 수업은 나에 대해 성찰하고 가치관을 형성하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

25[사고력 향상] 이 수업을 통해 분석, 비판, 창의와 같은 사고력을 배양할 수 있었다

26[지식의 확장] 이 수업을 통해 해당 분야의 지식이 늘고 관련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27[실용적 지식] 이 수업을 통해 지식과 기술의 유용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28[심미적 성숙] 이 수업을 통해 예술적·심미적·감성적 소양을 배양할 수 있었다.

29[사회적 책무] 이 수업을 통해 시민으로서 역할과 책임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30[과학적 소양] 이 수업을 통해 과학적 탐구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31[협력과 소통] 이 수업을 통해 의사소통능력과 협력적 리더십을 함양할 수 있었다.

2.3. 수업활동

참여수업 활동에 참여한다.

32수업내용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교수님께 온라인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질문을 하였다.

33학습(내용이해, 발표, 시험준비, 토론, 과제 등)을 위해 다른 학생들과 도움을 주고받았다.

34학습(내용이해, 발표, 시험준비, 토론, 과제 등)을 할 때, 다른 수업으로부터 얻은 지식과 생각을 연결해 보았다.

35학습(내용이해, 발표, 시험준비, 토론, 과제 등)을 위해 수업과 관련된 자료를 추가로 찾아 활용하였다.

활용학습 성과를 활용한다.

36다른 사람과 이야기할 때 이 수업에서 얻은 아이디어, 경험, 지식, 정보 등이 도움이 된 적이 있다.

37이 수업에서 얻은 아이디어, 경험, 지식, 정보 등을 활용해 문제를 해결하거나 대안을 생각해 봤다.

Page 61: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44 -

성과영역성과지표

목표진술 측정문항

38이 수업에서 얻은 아이디어, 경험, 지식, 정보 등을 일상생활에서 응용해 봤다.

3.사고

3.1. 분석

내용파악

주장과 의미를 파악한다.

39(이 수업을 통해) 글이나 말에서 쟁점이나 주장을 파악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0(이 수업을 통해) 역사적・사회적・이론적 맥락에서 쟁점이나 주장의 의미를 이해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1(이 수업을 통해) 개념이나 원리를 쉬운 말로 설명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관계분석

관점이나 주장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다.

42(이 수업을 통해) 글이나 말에 등장하는 다양한 관점들 사이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43(이 수업을 통해) 근거(전제)와 주장(결론)의 관계가 정확하게 드러나도록 글이나 말을 재구성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현상분석

자연이나 사회 현상을

분석한다.

44(이 수업을 통해) 조사·관찰 등의 방법으로 현상이나 사건의 특성을 파악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5(이 수업을 통해) 현상이나 사건들 사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대조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3.2. 추론

추론논리적·인과적 관계를 추론할

수 있다.

46(이 수업을 통해) 어떤 주장, 관점, 이론을 수용할 때 함께 수용해야 하는 것(근거 또는 함축)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7(이 수업을 통해) 자료나 정보를 체계적으로 조직화하여 판단이나 결론을 이끌어 내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8(이 수업을 통해) 일반적 원리나 법칙으로부터 그것이 적용된 사례를 찾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9(이 수업을 통해) 사건이나 현상을 초래한 원인을 찾거나, 그 사건이나 현상이 초래할 결과를 예측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3.3. 비판

평가근거의

적절성을 평가한다.

50(이 수업을 통해) 출처, 수집 방법, 편견의 개입 여부 등을 고려하여 근거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51(이 수업을 통해) 지식·정보·가정 등이 주장을 뒷받침하는데 충분한지 평가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Page 62: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45 -

성과영역성과지표

목표진술 측정문항

논박

논증의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52(이 수업을 통해) 근거의 적절성이나 추론의 타당성을 평가하여 주장(결론)을 지지하거나 반박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53(이 수업을 통해) 맥락과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특정한 주장(관점)을 수용하거나 반박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가치

4.1. 윤리 의식

윤리적

문제 

윤리적 문제의 특징을

이해한다. 

54(이 수업을 통해) 현대 사회의 윤리적 문제가 갖는 특징을 자신의 지식이나 경험과 연결하여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55(이 수업을 통해) 다양한 윤리적 쟁점이 발생한 배경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윤리적

관점

주요 윤리적 개념을

이해한다. 56

(이 수업을 통해) ‘정의’, ‘평등’, ‘자유’, ‘공동체적 책무’ 등 윤리적 관점을 구성하는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다.

자신의 관점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다.

57(이 수업을 통해) 윤리적 쟁점에 대해 자신의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58(이 수업을 통해) 나에 대한 이해(가치관, 습관, 선호, 행동의 우선순위 등)가 깊어졌다.

4.2.과학적

가치

자연이해

자연을 이해한다.

59(이 수업을 통해) 자연 현상에 대한 관심과 과학적 원리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다.

60(이 수업을 통해) 과학에 대한 지적 호기심을 갖게 되었다.

과학적

탐구

과학적 탐구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61(이 수업을 통해) 과학적 지식에 기반 한 사고를 하게 되었다.

62(이 수업을 통해) 과학적 탐구 방법을 이해하게 되었다.

4.3. 시민 의식

사회적

책임

사회의 구성원의 책임을

이해한다.

63(이 수업을 통해) 시민사회와 공동체의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64(이 수업을 통해) 시민사회 일원으로서 책임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

사회참여

시민으로서 공동체 활동에

참여한다. 65

(이 수업을 통해) 사회의 발전을 위해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공동체, 사회, 정치에 참여하는 방법을 생각하게 되었다.

Page 63: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46 -

성과영역성과지표

목표진술 측정문항

66(이 수업에서) 봉사 등 시민활동에 참여한 경험을 바탕으로 사회 일원으로서 정체성을 강화할 수 있게 되었다. [관련교과로 한정]

4.4.역사 의식

맥락 이해

현재를 통시적 관점에서 이해한다.

67(이 수업을 통해) 우리나라의 관습과 규칙, 그것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68(이 수업을 통해) 다양한 사회·문화적 현상을 사회적·역사적 맥락에서 이해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쟁점분석

역사적 관점에서 쟁점을

분석한다.

69(이 수업을 통해) 우리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쟁점을 사회적 조건 및 역사적 맥락과 관련하여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70(이 수업을 통해) 환경, 난민 등 국제적 갈등을 사회적 조건 및 역사적 맥락과 관련하여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4.5. 문화적

개방성

다문화

수용성

여러 문화를 이해한다.

71(이 수업을 통해) 다른 사회, 문화, 종교, 인종에 대해 편견 없이 생각하게 되었다.

72(이 수업을 통해) 문화 간의 역사, 가치, 의사소통방법 등의 차이를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국제 문제 이해

국제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진다.

73(이 수업을 통해) 다른 나라의 사회, 문화, 경제적 환경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높아졌다.

74(이 수업을 통해) 환경, 난민 등 국제적 관계 속에서 서로 충돌하는 쟁점들에 대한 해결전략을 생각해 보게 되었다.

4.6. 예술적

감성

감상문학이나 예술을

감상한다.

75(이 수업을 통해) 문학이나 예술작품의 의미를 이해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76(이 수업을 통해) 문학이나 예술작품에 대한 내 나름대로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태도문화나 예술에 우호적 태도를

지닌다.

77(이 수업을 통해) 문화나 예술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높아졌다.

78(이 수업을 통해) 문화와 예술적 안목을 실생활이나 다른 분야에 접목해보는 계기를 갖게 되었다.

5. 5.1 문제 문제를 79 (이 수업을 통해) 문제가 발생하게 된 원인과 배

Page 64: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47 -

성과영역성과지표

목표진술 측정문항

통합

문제해결력

인식 규명한다.

경을 분석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80(이 수업을 통해)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은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81(이 수업을 통해) 새로운 문제를 발견하거나 문제를 명료화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정보수집

필요한 정보를 수집한다.

82(이 수업을 통해) 문제의 규명이나 해결을 위해 어떤 정보나 자료가 필요한지 파악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83(이 수업을 통해) 필요한 정보와 자료를 효과적인 방법(조사, 관찰, 인터뷰 등)으로 수집할 수 있게 되었다.

해결전략수립

문제해결을 위한 전략을 수립한다. 

84(이 수업을 통해) 다양한 관점에서 여러 가지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게 되었다.

85(이 수업을 통해)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해결책을 제안할 수 있게 되었다.

해결 전략 평가

문제해결전략을 평가한다. 

86(이 수업을 통해) 논리성, 효과성, 실현가능성 등 일정한 기준에 따라 도출한 해결책의 적절성을 평가할 수 있게 되었다.

87(이 수업을 통해) 현실적 맥락과 평가결과에 기초하여 최선의 해결책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88(이 수업을 통해) 해결책이 실행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결과를 예측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5.2 융복합

능력

학문 분야 간

연계

서로 다른 지식을

연결한다.

89(이 수업을 통해) 수업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다른 수업에서 배운 지식을 활용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90(이 수업을 통해) 특정 주제를 두 개 이상의 학문적 관점에서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91(이 수업을 통해) 내 전공이 아닌 다른 학문에 대한 지적 호기심을 갖게 되었다.

창의적

통합

창의적 아이디어를 개발한다.

92(이 수업을 통해) 서로 다른 분야의 지식, 이론, 사례 등을 종합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93(이 수업을 통해) 수업에서 배운 지식, 기술, 방법을 활용하여 일상생활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Page 65: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48 -

성과영역 

성과지표

측정문항교수평가

학생평가

평균최소값

최대값

표준편차

1.1.수용

읽기3 글을 읽고 핵심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4 2.38 1 4 .719

4 글을 읽고 글쓴이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4 2.19 1 3 .750

1.2.표현

쓰기

7 맞춤법과 문법에 맞게 문장을 쓸 수 있다. 4 2.13 1 3 .806

8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글을 통해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4 2.69 2 4 .704

1.3. 자료 활용

구성

9필요한 자료나 정보를 도서나 인터넷 등을 활용하여 찾을 수 있다.

4 2.88 1 4 .806

10한글,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그림판 등을 이용해 문서, 그림, 동영상 등을 작성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

4 2.13 1 4 .885

<표 14> 1. 기초학습역량 영역 설문결과 (과학사)

도구의 적용

개의 교양교과목을 대상으로 개발된 도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담

당교수에게 적절한 문항을 선택하게 한 후 수업 주차에 도구

를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은 자발적으로 이루어졌다

수업개요 과학이란 발생한 자연현상을 합리적으로 설명하고 발생할 사실을

합리적으로 예측하는 활동을 통칭한다 이러한 설명과 예측으로서의 과학적 지

식은 어떻게 생겨났고 어떤 과정을 거쳐서 발전해왔을까 본 강의는 인류 역

사에서 가장 신뢰받는 학문으로 자리매김을 한 과학의 기원에서 현대과학에

이르기까지 과학의 역사를 사회사적 배경과 함께 통시적으로 조망한다 이를

통해서 과학적 사유와 과학의 성격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는 것이 본 강

의의 목적이다

응답자 명 명

선택문항수 총 개

설문시기 총 주 중 주차

설문방법 를 활용한 온라인 설문 진행

Page 66: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49 -

1.5 학습준비도

학습태도

17 이 수업의 주제에 흥미가 있어서 수강신청을 했다. 4 2.00 1 4 .894

18이 수업에서 요구하는 과제와 학습을 열심히 할 준비가 되어 있다.

4 2.50 1 4 .894

성과영역 

성과지표

측정문항교수평가

학생평가

평균최소값

최대값

표준편차

2.1. 지식습득

기억

19신문, 책, 인터넷 자료 등을 읽고 수업에서 다뤘던 내용인지 분별할 수 있다.

4 2.69 2 3 .479

20이 수업에서 다룬 주요 인물이나 용어, 사건 등을 기억할 수 있다.

4 2.81 2 4 .544

이해 21 이 수업에서 배운 내용과 관련된 사례를 말할 수 있다. 4 2.63 2 4 .619

22 이 수업에서 배운 주요 내용을 요약할 수 있다. 4 2.63 2 4 .619

결과 23 이 수업을 통해 무엇을 알게 되었는지 말할 수 있다 4 2.69 2 4 .602

2.2. 교육 목적

목적인식

24[인성과 성찰] 이 수업은 나에 대해 성찰하고 가치관을 형성하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

4 2.06 1 3 .680

25[사고력 향상] 이 수업을 통해 분석, 비판, 창의와 같은 사고력을 배양할 수 있었다

4 2.19 1 3 .655

26[지식의 확장] 이 수업을 통해 해당 분야의 지식이 늘고 관련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4 2.56 1 4 .727

27[실용적 지식] 이 수업을 통해 지식과 기술의 유용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1 2.38 1 4 .885

28[심미적 성숙] 이 수업을 통해 예술적·심미적·감성적 소양을 배양할 수 있었다.

1 2.19 1 4 .834

29 [사회적 책무] 이 수업을 통해 시민으로서 역할과 책임을 1 2.13 1 4 1.025

<표 15> 2. 지식 및 경험 영역 설문결과 (과학사)

Page 67: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50 -

생각해 볼 수 있었다.

30[과학적 소양] 이 수업을 통해 과학적 탐구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4 2.69 2 4 .704

31[협력과 소통] 이 수업을 통해 의사소통능력과 협력적 리더십을 함양할 수 있었다.

4 2.06 1 3 .772

2.3. 수업활동

참여

32수업내용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교수님께 온라인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질문을 하였다.

4 1.94 1 3 .854

33학습(내용이해, 발표, 시험준비, 토론, 과제 등)을 위해 다른 학생들과 도움을 주고받았다.

4 1.94 1 3 .854

34학습(내용이해, 발표, 시험준비, 토론, 과제 등)을 할 때, 다른 수업으로부터 얻은 지식과 생각을 연결해 보았다.

4 2.31 1 3 .704

35학습(내용이해, 발표, 시험준비, 토론, 과제 등)을 위해 수업과 관련된 자료를 추가로 찾아 활용하였다.

4 2.50 2 3 .516

활용

36다른 사람과 이야기할 때 이 수업에서 얻은 아이디어, 경험, 지식, 정보 등이 도움이 된 적이 있다.

4 2.38 1 4 .806

37이 수업에서 얻은 아이디어, 경험, 지식, 정보 등을 활용해 문제를 해결하거나 대안을 생각해 봤다.

4 2.25 1 3 .683

38이 수업에서 얻은 아이디어, 경험, 지식, 정보 등을 일상생활에서 응용해 봤다.

4 2.06 1 3 .772

성과영역 

성과지표

측정문항교수평가

학생평가

평균최소값

최대값

표준편차

3.1. 파악  40 (이 수업을 통해) 역사적・사회적・이론적 맥락에서 쟁점이 4 2.56 2 4 .629

<표 16> 3. 사고 영역 설문결과 (과학사)

Page 68: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51 -

분석

나 주장의 의미를 이해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1(이 수업을 통해) 개념이나 원리를 쉬운 말로 설명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 2.38 1 4 .806

관계분석

42(이 수업을 통해) 글이나 말에 등장하는 다양한 관점들 사이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4 2.38 1 4 .719

43(이 수업을 통해) 근거(전제)와 주장(결론)의 논리적 관계가 드러나도록 글이나 말을 재구성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 2.38 1 3 .619

현상분석

44(이 수업을 통해) 조사·관찰 등의 방법으로 현상이나 사건의 특성을 파악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 2.38 1 4 .885

45(이 수업을 통해) 현상이나 사건들 사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대조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 2.44 1 4 .814

3.3. 비판

평가50

(이 수업을 통해) 출처, 수집 방법, 편견의 개입 여부 등을 고려하여 근거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 2.31 1 3 .793

51(이 수업을 통해) 지식·정보·가정 등이 주장을 뒷받침하는데 충분한지 평가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 2.38 1 3 .806

성과영역 

성과지표

측정문항교수평가

학생평가

평균최소값

최대값

표준편차

4.2. 과학의

가치

자연이해

59(이 수업을 통해) 자연 현상에 대한 관심과 과학적 원리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다.

4 2.69 1 4 1.014

60 (이 수업을 통해) 과학에 대한 지적 호기심을 갖게 되었다. 4 2.63 1 4 .885

과학적 61 (이 수업을 통해) 과학적 지식에 기반 한 사고를 하게 되 4 2.44 1 4 .814

<표 17> 4. 가치 영역 설문결과 (과학사)

Page 69: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52 -

탐구

었다.

62 (이 수업을 통해) 과학적 탐구 방법을 이해하게 되었다. 4 2.44 1 4 .814

성과영역 

성과지표

측정문항교수평가

학생평가

평균최소값

최대값

표준편차

5.1 문제 해결력

문제인식

79(이 수업을 통해) 문제가 발생하게 된 원인과 배경을 분석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 2.38 1 4 1.025

80(이 수업을 통해)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은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 2.13 1 3 .719

81(이 수업을 통해) 새로운 문제를 발견하거나 문제를 명료화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 2.38 1 3 .719

정보수집

82(이 수업을 통해) 문제의 규명이나 해결을 위해 어떤 정보나 자료가 필요한지 파악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 2.44 1 4 .814

83(이 수업을 통해) 필요한 정보와 자료를 효과적인 방법(조사, 관찰, 인터뷰 등)으로 수집할 수 있게 되었다.

4 2.63 1 4 .885

해결전략수립

85(이 수업을 통해)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해결책을 제안할 수 있게 되었다.

4 2.19 1 3 .655

해결전략평가

86(이 수업을 통해) 논리성, 효과성, 실현가능성 등 일정한 기준에 따라 해결책의 적절성을 평가할 수 있게 되었다.

4 2.19 1 3 .750

87(이 수업을 통해) 현실적 맥락과 평가결과에 기초하여 최선의 해결책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4 2.13 1 3 .719

88(이 수업을 통해) 해결책이 실행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결과를 예측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 2.13 1 3 .719

5.2 융복

학문 분야

89(이 수업을 통해) 수업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다른 수업에서 배운 지식을 활용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 2.56 1 4 .727

<표 18> 5. 통합 영역 설문결과 (과학사)

Page 70: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53 -

합 능력

간 연계

90(이 수업을 통해) 특정 주제를 두 개 이상의 학문적 관점에서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4 2.44 1 3 .629

91(이 수업을 통해) 내 전공이 아닌 다른 학문에 대한 지적 호기심을 갖게 되었다.

4 2.44 1 4 .814

창의적 통합

92(이 수업을 통해) 서로 다른 분야의 지식, 이론, 사례 등을 종합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 2.38 1 4 .806

93(이 수업을 통해) 수업에서 배운 지식, 기술, 방법을 활용하여 일상생활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 2.06 1 3 .772

수업개요 논리적 사고란 무엇이고 왜 논리적으로 사고해야 하는가 또 논리학

이란 학문은 언제 시작되어 어떻게 발전해 왔으며 인류의 지성과 문화의 발달

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본 강의는 이런 질문들에 대해서 토론하고 답을 찾

아가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본 강의는 내용적으로 두 부분으로 이루

어진다 그 하나는 인류가 어떻게 논리적 사유를 시작하였고 학문으로서 논리

학은 언제 어떤 배경에서 시작되어 지금에 이르게 되었는지에 관한 즉 논리

학의 역사에 대해서 배우는 부분과 다른 하나는 어떤 주장에 대한 논리적 분

석과 평가 그리고 어떤 사회적 갈등이나 딜레마에 대한 논리적 해결책이 무엇

인가에 대해서 토론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본 강의의 일차적인 목표는 논리

학에 관한 지식을 제공하는 데 있지 않고 논리적인 사고를 훈련하는 데 있기

Page 71: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54 -

성과영역 

성과지표

측정문항교수평가

학생평가

평균최소값

최대값

표준편차

1.1.

수용

듣기1

공적·사적인 상황에서 상대방의 말을 듣고 핵심 내용을 요약

할 수 있다.3 2.28 1 4 .809

2 상대방의 말을 듣고 숨겨진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3 2.32 1 4 .891

읽기3 글을 읽고 핵심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4 2.60 1 4 .7004 글을 읽고 글쓴이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4 2.42 1 4 .810

1.2.

표현

말하

5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상대방과 상황에 맞게 말할 수 있다. 3 2.24 1 4 .894

6 여러 사람 앞에서 준비한 내용을 효과적으로 발표할 수 있다. 2 1.84 1 4 1.017

쓰기 8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글을 통해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

다.3 2.20 1 4 .948

1.3.

자료

활용

구성

9필요한 자료나 정보를 도서나 인터넷 등을 활용하여 찾을 수

있다.2 2.16 1 4 1.076

10한글,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그림판 등을 이용해 문서, 그림,

동영상 등을 작성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2 1.74 1 4 .922

변환

11신문, 책, 인터넷 자료 등에서 사용된 표, 그래프, 통계 등 정

량적 자료의 의미를 해석할 수 있다.3 2.08 1 4 .966

12신문, 책, 인터넷 등에서 얻은 자료나 정보를 표나 그래프 등

정량적 자료로 표현할 수 있다.3 2.00 1 4 .926

<표 19> 1. 기초학습역량 영역 설문결과 (논리란 무엇인가)

때문에 논리학의 역사를 배워갈 때도 논리적 사유의 발전과정과 인간의 인지

문화 발달의 관계에 대해서 문제를 제기하고 수강생 스스로 생각하는 것이 중

요하다

응답자 명 명

선택문항수 총 개

설문시기 총 주 중 주차

설문방법 를 활용한 온라인 설문 진행

Page 72: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55 -

성과영역 

성과지표

측정문항교수평가

학생평가

평균최소값

최대값

표준편차

2.1. 지식습득

기억

19신문, 책, 인터넷 자료 등을 읽고 수업에서 다뤘던 내용인지 분별할 수 있다.

3 2.44 1 4 .760

20이 수업에서 다룬 주요 인물이나 용어, 사건 등을 기억할 수 있다.

3 2.42 1 4 .785

이해 21 이 수업에서 배운 내용과 관련된 사례를 말할 수 있다. 3 2.44 1 4 .837

22 이 수업에서 배운 주요 내용을 요약할 수 있다. 3 2.70 1 4 .863

결과 23 이 수업을 통해 무엇을 알게 되었는지 말할 수 있다 3 2.72 1 4 .858

2.2. 교육 목적

목적인식

24[인성과 성찰] 이 수업은 나에 대해 성찰하고 가치관을 형성하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

1 1.96 1 4 .925

25[사고력 향상] 이 수업을 통해 분석, 비판, 창의와 같은 사고력을 배양할 수 있었다

4 2.56 1 4 .929

26[지식의 확장] 이 수업을 통해 해당 분야의 지식이 늘고 관련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3 2.48 1 4 .814

27[실용적 지식] 이 수업을 통해 지식과 기술의 유용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3 2.32 1 4 .891

28[심미적 성숙] 이 수업을 통해 예술적·심미적·감성적 소양을 배양할 수 있었다.

1 1.86 1 4 1.030

29[사회적 책무] 이 수업을 통해 시민으로서 역할과 책임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1 1.94 1 4 1.018

30[과학적 소양] 이 수업을 통해 과학적 탐구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1 1.88 1 4 .940

31[협력과 소통] 이 수업을 통해 의사소통능력과 협력적 리더십을 함양할 수 있었다.

4 1.74 1 4 .965

2.3. 수업

참여 32수업내용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교수님께 온라인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질문을 하였다.

2 1.80 1 4 .990

<표 20> 2. 지식 및 경험 영역 설문결과 (논리란 무엇인가)

Page 73: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56 -

활동

33학습(내용이해, 발표, 시험준비, 토론, 과제 등)을 위해 다른 학생들과 도움을 주고받았다.

2 1.90 1 4 1.035

34학습(내용이해, 발표, 시험준비, 토론, 과제 등)을 할 때, 다른 수업으로부터 얻은 지식과 생각을 연결해 보았다.

2 2.12 1 4 .982

35학습(내용이해, 발표, 시험준비, 토론, 과제 등)을 위해 수업과 관련된 자료를 추가로 찾아 활용하였다.

2 2.10 1 4 .995

활용

36다른 사람과 이야기할 때 이 수업에서 얻은 아이디어, 경험, 지식, 정보 등이 도움이 된 적이 있다.

3 2.22 1 4 .887

37이 수업에서 얻은 아이디어, 경험, 지식, 정보 등을 활용해 문제를 해결하거나 대안을 생각해 봤다.

3 2.26 1 4 .965

38이 수업에서 얻은 아이디어, 경험, 지식, 정보 등을 일상생활에서 응용해 봤다.

3 2.34 1 4 .848

성과영역 

성과지표

측정문항교수평가

학생평가

평균최소값

최대값

표준편차

3.1.

분석파악 

39(이 수업을 통해) 글이나 말에서 쟁점이나 주장을 파악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 2.64 1 4 .827

40(이 수업을 통해) 역사적・사회적・이론적 맥락에서 쟁점이나

주장의 의미를 이해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3 2.46 1 4 .930

41(이 수업을 통해) 개념이나 원리를 쉬운 말로 설명하는 능력

이 향상되었다.3 2.30 1 4 1.015

<표 21> 3. 사고 영역 설문결과 (논리란 무엇인가)

Page 74: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57 -

관계

분석

42(이 수업을 통해) 글이나 말에 등장하는 다양한 관점들 사이

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3 2.58 1 4 .950

43(이 수업을 통해) 근거(전제)와 주장(결론)의 논리적 관계가

드러나도록 글이나 말을 재구성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3 2.62 1 4 .945

현상

분석

44(이 수업을 통해) 조사·관찰 등의 방법으로 현상이나 사건의

특성을 파악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3 2.20 1 4 .857

45(이 수업을 통해) 현상이나 사건들 사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대조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3 2.34 1 4 .939

3.2.

추론추론

46(이 수업을 통해) 어떤 주장, 관점, 이론을 수용할 때 함께 수

용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4 2.50 1 4 .886

47(이 수업을 통해) 자료나 정보를 체계적으로 조직화하여 판단

이나 결론을 이끌어 내는 능력이 향상되었다.4 2.42 1 4 .928

48(이 수업을 통해) 일반적 원리나 법칙으로부터 그것이 적용된

사례를 찾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 2.36 1 4 .851

49(이 수업을 통해) 사건이나 현상을 초래한 원인을 찾거나 이

로 인해 발생할 결과를 예측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4 2.42 1 4 .859

3.3.

비판

평가50

(이 수업을 통해) 출처, 수집 방법, 편견의 개입 여부 등을 고

려하여 근거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4 2.50 1 4 .909

51(이 수업을 통해) 지식·정보·가정 등이 주장을 뒷받침하는데

충분한지 평가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4 2.64 1 4 .827

논박52

(이 수업을 통해) 근거의 적절성이나 추론의 타당성을 평가하

여 주장(결론)을 지지하거나 반박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4 2.70 1 4 .863

53(이 수업을 통해) 맥락과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특정한

주장(관점)을 수용하거나 반박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4 2.52 1 4 .814

Page 75: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58 -

성과영역 

성과지표

측정문항교수평가

학생평가

평균최소값

최대값

표준편차

5.1 문제 해결력

문제인식

79(이 수업을 통해) 문제가 발생하게 된 원인과 배경을 분석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3 2.42 1 4 .835

80(이 수업을 통해)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은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3 2.52 1 4 .839

81(이 수업을 통해) 새로운 문제를 발견하거나 문제를 명료화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3 2.40 1 4 .926

정보수집

83(이 수업을 통해) 필요한 정보와 자료를 효과적인 방법(조사, 관찰, 인터뷰 등)으로 수집할 수 있게 되었다.

3 2.10 1 4 .931

해결전략수립

85(이 수업을 통해)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해결책을 제안할 수 있게 되었다.

3 2.04 1 4 1.049

해결전략평가

86(이 수업을 통해) 논리성, 효과성, 실현가능성 등 일정한 기준에 따라 해결책의 적절성을 평가할 수 있게 되었다.

4 2.42 1 4 .883

87(이 수업을 통해) 현실적 맥락과 평가결과에 기초하여 최선의 해결책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4 2.20 1 4 .833

88(이 수업을 통해) 해결책이 실행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결과를 예측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4 2.22 1 4 .996

5.2 융복합

능력

학문 분야 간

연계

89(이 수업을 통해) 수업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다른 수업에서 배운 지식을 활용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3 2.36 1 4 .898

90(이 수업을 통해) 특정 주제를 두 개 이상의 학문적 관점에서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3 2.12 1 4 .961

91(이 수업을 통해) 내 전공이 아닌 다른 학문에 대한 지적 호기심을 갖게 되었다.

2 2.42 1 4 .950

창의적 통합

92(이 수업을 통해) 서로 다른 분야의 지식, 이론, 사례 등을 종합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3 2.16 1 4 .955

93(이 수업을 통해) 수업에서 배운 지식, 기술, 방법을 활용하여 일상생활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3 2.32 1 4 .935

<표 22> 5. 통합 영역 설문결과 (논리란 무엇인가)

Page 76: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59 -

성과영역 

성과지표

측정문항교수평가

학생평가

평균최소값

최대값

표준편차

1.1.

수용

듣기1

공적·사적인 상황에서 상대방의 말을 듣고 핵심 내용을 요

약할 수 있다.3 2.50 2 3 .548

2 상대방의 말을 듣고 숨겨진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3 2.67 2 4 .816

읽기

3 글을 읽고 핵심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3 2.50 1 4 1.049

4 글을 읽고 글쓴이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3 2.33 1 3 .816

1.2.

표현

말하기

5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상대방과 상황에 맞게 말할 수 있

다. 3 3.00 2 4 .894

6여러 사람 앞에서 준비한 내용을 효과적으로 발표할 수 있

다. 3 3.17 2 4 .983

쓰기

7 맞춤법과 문법에 맞게 문장을 쓸 수 있다. 3 2.00 1 4 1.095

8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글을 통해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3 2.83 2 4 .983

1.3. 구성 9 필요한 자료나 정보를 도서나 인터넷 등을 활용하여 찾을 3 3.00 2 4 .894

<표 23> 1. 기초학습역량 영역 설문결과 (발표와 토의)

수업개요 본 교과목은 특정한 주제에 대한 발표와 토의를 중심으로 수업이 진

행된다 이 수업은 수강생들에게 특정한 주제에 대한 발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

고 발표 주제를 비판적으로 토론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고시키며 더 나아가 학술

발표와 토론을 이끄는 전체 사회자로서의 경험을 체득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

다 한 학기 동안 모든 수강생들은 발표자 토론자 사회자 곧 인 역을 경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본 교과목은 특히 역사 쟁점을 중심으로 발표와

토론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주안점을 둔다 이를 위해 뜨거운 역사 쟁점들 중에서

가지 주제를 선별하여 각각의 문제에 대한 주제 파악 능력과 더불어 주제 발표

능력과 비판적 토론 능력까지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과목을 수강할 경우 비판적

역사의식과 성찰적 현실 인식 그리고 예언자적 미래 전망을 갖출 수 있게 될 것

이다

응답자 명 명

선택문항수 총 개

설문시기 총 주 중 주차

설문방법 를 활용한 온라인 설문 진행

Page 77: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60 -

성과영역 

성과지표

측정문항교수평가

학생평가

평균최소값

최대값

표준편차

2.1. 지식습득

기억

19신문, 책, 인터넷 자료 등을 읽고 수업에서 다뤘던 내용인지 분별할 수 있다.

3 2.83 2 4 .983

20이 수업에서 다룬 주요 인물이나 용어, 사건 등을 기억할 수 있다.

3 2.67 2 4 .816

이해 21 이 수업에서 배운 내용과 관련된 사례를 말할 수 있다. 3 2.83 2 4 .753

22 이 수업에서 배운 주요 내용을 요약할 수 있다. 3 2.83 2 4 .983

결과 23 이 수업을 통해 무엇을 알게 되었는지 말할 수 있다 3 2.67 2 4 .816

2.2. 목적 24 [인성과 성찰] 이 수업은 나에 대해 성찰하고 가치관을 형 3 2.50 2 3 .548

<표 24> 2. 지식 및 경험 영역 설문결과 (발표와 토의)

자료

활용

수 있다.

10한글,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그림판 등을 이용해 문서,

그림, 동영상 등을 작성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3 2.67 1 4 1.211

1.4

팀워

과제

수행

13팀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팀에 도움이 되는 아이디어나 대

안을 제시하는 편이다.3 2.83 2 4 .983

14팀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을 책임지

고 수행하는 편이다.3 3.17 2 4 .983

의견

조정

15팀원 각자의 사고방식에 차이가 있음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편이다.3 2.83 2 4 .983

16팀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의견의 충돌이 발생하면 이를 조

율하여 타협점을 찾는 편이다.3 3.00 2 4 .894

1.5

학습

준비

학습

태도

17 이 수업의 주제에 흥미가 있어서 수강신청을 했다. 3 2.83 2 4 .753

18이 수업에서 요구하는 과제와 학습을 열심히 할 준비가 되

어 있다.3 2.83 2 4 .753

Page 78: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61 -

교육 목적

인식

성하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

25[사고력 향상] 이 수업을 통해 분석, 비판, 창의와 같은 사고력을 배양할 수 있었다

3 2.67 2 4 .816

26[지식의 확장] 이 수업을 통해 해당 분야의 지식이 늘고 관련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3 2.50 1 4 1.049

27[실용적 지식] 이 수업을 통해 지식과 기술의 유용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1 2.67 2 4 .816

28[심미적 성숙] 이 수업을 통해 예술적·심미적·감성적 소양을 배양할 수 있었다.

3 2.67 2 3 .516

29[사회적 책무] 이 수업을 통해 시민으로서 역할과 책임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3 2.33 1 4 1.033

30[과학적 소양] 이 수업을 통해 과학적 탐구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1 2.50 2 3 .548

31[협력과 소통] 이 수업을 통해 의사소통능력과 협력적 리더십을 함양할 수 있었다.

3 2.50 1 4 1.049

2.3. 수업활동

참여

32수업내용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교수님께 온라인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질문을 하였다.

3 2.33 1 4 1.033

33학습(내용이해, 발표, 시험준비, 토론, 과제 등)을 위해 다른 학생들과 도움을 주고받았다.

3 2.83 2 4 .753

34학습(내용이해, 발표, 시험준비, 토론, 과제 등)을 할 때, 다른 수업으로부터 얻은 지식과 생각을 연결해 보았다.

3 2.83 2 4 .753

35학습(내용이해, 발표, 시험준비, 토론, 과제 등)을 위해 수업과 관련된 자료를 추가로 찾아 활용하였다.

3 2.33 1 3 .816

활용

36다른 사람과 이야기할 때 이 수업에서 얻은 아이디어, 경험, 지식, 정보 등이 도움이 된 적이 있다.

3 3.00 2 4 1.095

37이 수업에서 얻은 아이디어, 경험, 지식, 정보 등을 활용해 문제를 해결하거나 대안을 생각해 봤다.

3 2.33 2 3 .516

38이 수업에서 얻은 아이디어, 경험, 지식, 정보 등을 일상생활에서 응용해 봤다.

3 2.83 2 4 .983

Page 79: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62 -

성과영역 

성과지표

측정문항교수평가

학생평가

평균최소값

최대값

표준편차

3.1.

분석

파악 

39(이 수업을 통해) 글이나 말에서 쟁점이나 주장을 파악하

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3 2.67 2 4 .816

40(이 수업을 통해) 역사적・사회적・이론적 맥락에서 쟁점이

나 주장의 의미를 이해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3 2.83 2 4 .753

41(이 수업을 통해) 개념이나 원리를 쉬운 말로 설명하는 능

력이 향상되었다.3 2.67 2 4 .816

관계분

42(이 수업을 통해) 글이나 말에 등장하는 다양한 관점들 사

이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3 2.50 2 4 .837

43(이 수업을 통해) 근거(전제)와 주장(결론)의 논리적 관계가

드러나도록 글이나 말을 재구성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3 2.83 2 4 .753

현상분

44(이 수업을 통해) 조사·관찰 등의 방법으로 현상이나 사건

의 특성을 파악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3 3.00 2 4 .632

45(이 수업을 통해) 현상이나 사건들 사이의 유사점과 차이

점을 비교·대조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3 2.83 2 4 .753

3.2.

추론추론

46

(이 수업을 통해) 어떤 주장, 관점, 이론을 수용할 때 함께

수용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능력이 향상되었

다.

3 2.83 2 4 .753

47(이 수업을 통해) 자료나 정보를 체계적으로 조직화하여

판단이나 결론을 이끌어 내는 능력이 향상되었다.3 2.83 2 4 .753

48(이 수업을 통해) 일반적 원리나 법칙으로부터 그것이 적

용된 사례를 찾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3 2.33 1 3 1.033

49(이 수업을 통해) 사건이나 현상을 초래한 원인을 찾거나

이로 인해 발생할 결과를 예측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3 2.50 1 4 1.049

3.3.

비판

평가50

(이 수업을 통해) 출처, 수집 방법, 편견의 개입 여부 등을

고려하여 근거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3 2.67 1 4 1.033

51(이 수업을 통해) 지식·정보·가정 등이 주장을 뒷받침하는데

충분한지 평가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3 3.33 2 4 .816

논박

52

(이 수업을 통해) 근거의 적절성이나 추론의 타당성을 평

가하여 주장(결론)을 지지하거나 반박하는 능력이 향상되

었다.

3 3.33 2 4 .816

53

(이 수업을 통해) 맥락과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특

정한 주장(관점)을 수용하거나 반박하는 능력이 향상되었

다.

3 3.00 2 4 .632

<표 25> 3. 사고 영역 설문결과 (발표와 토의)

Page 80: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63 -

성과영역 

성과지표

측정문항교수평가

학생평가

평균최소값

최대값

표준편차

4.1.

윤리

의식

윤리적

관점

56

(이 수업을 통해) ‘정의’, ‘평등’, ‘자유’, ‘공동체적 책무’ 등

윤리적 관점을 구성하는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

다.

3 2.50 1 4 1.049

58(이 수업을 통해) 나에 대한 이해(가치관, 습관, 선호, 행동

의 우선순위 등)가 깊어졌다.3 2.50 1 4 1.225

4.4.

역사

의식

맥락

이해68

(이 수업을 통해) 다양한 사회·문화적 현상을 사회적·역사적

맥락에서 이해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3 3.00 2 4 .894

쟁점

분석69

(이 수업을 통해) 우리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쟁

점을 사회적 조건 및 역사적 맥락과 관련하여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3 2.83 2 3 .408

4.5.

문화

개방

다문화

수용성

71(이 수업을 통해) 다른 사회, 문화, 종교, 인종에 대해 편견

없이 생각하게 되었다. 3 2.83 2 4 .753

72(이 수업을 통해) 문화 간의 역사, 가치, 의사소통방법 등의

차이를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3 2.83 2 4 .983

국제

문제

이해

73(이 수업을 통해) 다른 나라의 사회, 문화, 경제적 환경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높아졌다. 3 2.67 2 3 .516

4.6.

예술

감성

감상

75(이 수업을 통해) 문학이나 예술작품의 의미를 이해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3 3.33 2 4 .816

76(이 수업을 통해) 문학이나 예술작품에 대한 내 나름대로

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3 2.83 2 4 .753

태도

77(이 수업을 통해) 문화나 예술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높아

졌다.3 3.17 2 4 .983

78(이 수업을 통해) 문화와 예술적 안목을 실생활이나 다른

분야에 접목해보는 계기를 갖게 되었다. 3 2.67 2 3 .516

<표 26> 4. 가치 영역 설문결과 (발표와 토의)

Page 81: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64 -

성과영역 

성과지표

측정문항교수평가

학생평가

평균최소값

최대값

표준편차

5.1

문제

해결

문제인

79(이 수업을 통해) 문제가 발생하게 된 원인과 배경을 분석

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3 3.17 2 4 .983

80(이 수업을 통해)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은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3 3.17 2 4 .983

81(이 수업을 통해) 새로운 문제를 발견하거나 문제를 명료

화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3 2.83 2 4 .983

정보수

82(이 수업을 통해) 문제의 규명이나 해결을 위해 어떤 정보

나 자료가 필요한지 파악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3 3.00 2 4 .632

83(이 수업을 통해) 필요한 정보와 자료를 효과적인 방법(조

사, 관찰, 인터뷰 등)으로 수집할 수 있게 되었다.3 2.67 2 3 .516

해결전

략수립

84(이 수업을 통해) 다양한 관점에서 여러 가지 새로운 아이

디어를 제안할 수 있게 되었다.3 2.83 2 4 .983

85(이 수업을 통해)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해결책을 제안할

수 있게 되었다.3 2.50 1 3 .837

해결전

략평가 86

(이 수업을 통해) 논리성, 효과성, 실현가능성 등 일정한 기

준에 따라 해결책의 적절성을 평가할 수 있게 되었다.3 2.83 2 4 .753

5.2

융복

능력

학문

분야

연계

89(이 수업을 통해) 수업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다른 수업에

서 배운 지식을 활용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3 2.67 1 4 1.033

90(이 수업을 통해) 특정 주제를 두 개 이상의 학문적 관점

에서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3 2.83 1 4 1.169

<표 27> 5. 통합 영역 설문결과 (발표와 토의)

Page 82: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65 -

91(이 수업을 통해) 내 전공이 아닌 다른 학문에 대한 지적

호기심을 갖게 되었다. 3 2.83 1 4 1.169

창의적

통합92

(이 수업을 통해) 서로 다른 분야의 지식, 이론, 사례 등을

종합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능력이 향상되었

다.

3 2.83 1 4 .983

적용 결과에 대한 전문가 의견

분석결과에 대한 해당 수업을 담당한 교수진 한국교양교육학회에서 본 연구에

대한 대학전문가의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도구의 유용성 측면

수업분석에 참여한 교수들은 도구의 유용성 측면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편

이었다. 이들은 이 도구가 다섯 가지 영역에서 각각 어느 정도의 학습 성과를 산

출하는지를 총괄적으로 보여주는 유익한 평가 도구라고 평가하였다. 또한, ‘교수자

가 수업을 통해서 기대하는 학습역량과 학습자가 실질적으로 향상되었다고 느끼는

역량 사이의 차이 정도를 확인하는 도구로서 유용하다 고 생각하였다 이를 통해

교수자의 기대와 학습자의 실질적 성과 사이에 괴리가 있는 경우 교수자가 교육

내용과 학습법에 대한 고민을 하게 할 수 있다 고 보았다

도구가 수업영역을 정확하게 평가하는데 적합하지 않았다고 평가한 교수 역시

Page 83: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66 -

비교적 높은 평가점수가 나온 항목들과 낮은 평가점수가 나온 항목들을 중심으로

해당 수업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었다고 지적하였다

도구의 활용에 대한 제언

참여 교수들은 도구의 실제적 활용을 위해 활용 상에 다양한 제언을 하였다 먼

저 이 도구가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피설문자 학습자 의 설문에 대한 정

확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하고 점 척도의 문항에 대한 전형적인 대답보다는 문항

에 대한 성실한 대답이 전제되어야 한다 고 지적하였다

또한 설문조사에 참여하는 학생의 수를 늘릴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 모색’도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번에 진행된 Google Survey를 활용한 온라인 설문 진행 방

식은 한편 학생들에게 설문조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이끌지만, 다른 한편 설

문조사에 참여한 학생들이 저조한 참여 결과를 초래하는 근본적인 원인이기도 하

다.’고 지적하였다.

교수가 문항을 선택할 때 나타나는 문제도 지적하였다 교수 입장에서 실제 문

항을 선택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문항이 많기 때문에 효율성도 떨어진다고

보았다 이에 범용 문항과 특수 문항을 구분하여 제시하는 등 교수자의 문항선택

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역과 문항의 기술이 조금 더 명확하여야 학생과 교수에게 쉽게 이

해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도구의 유용성 측면

대학교육의 책무성 측면에서 교양교육의 성과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여

러 대학 전문가가 동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면에서 이 도구가 시의적절하며 각

대학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도구의 활용에 대한 제언

여러 대학에서 온 전문가들은 한국교양기초교육원에서 개발한 이 도구가 자칫

대학의 교육의 질을 비교하거나 평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고 우려하기도 하

였다 따라서 이 연구성과를 배포할 때 대학이 이를 참고자료로 인식할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일 것을 당부하였다 실제 여러 대학에서 대학의 실정에 맞는 성과진

단도구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 도구는 각 대학에서 그 과정에서 유용한 기초자료

Page 84: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67 -

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지적하였다

또한 전체 대학교육의 발전 차원에서 여러 대학에서 개발되고 있는 성과진단도

구나 역량진단도구가 공개되고 공유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성과가 대학에 배포될 때 성과진단 도구 뿐만 아니라 도구

의 활용방안에 대한 자세한 안내도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도구 활용상 유의점

위의 논의를 바탕으로 연구진이 논의한 도구 활용의 유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도구를 통해 파악된 결과는 교수자의 수업개선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

용되어야 한다 수업의 질을 사정하여 어떤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

되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 교수자가 설정한 교육목표를 학생들이 어느 정도 달성

하였는가를 확인함으로써 수업의 계획과 운영에서 향후 보다 집중적으로 개선해야

할 영역이 무엇인가를 알 수 있도록 하는데 도구의 주된 목적이 있다 학습성과가

예상과 다를 경우 교수자는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업의 개선 방향을 모색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예상과 일치하는 학습 성과가 나타났을 경우 학생들의 진솔

한 인식을 바탕으로 해당 강의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다

둘째 해당 도구에서 설정한 영역의 목적과 활용방법에 대해 교양교과목의 담당

교수자에게 인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도구의 활용방안에 대해 교수자가 제대로

인식하지 않으면 너무 많은 문항을 측정 대상으로 선정하거나 분석결과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수업개선 용도로 활용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교양교과목

교수자에게 진단의 필요성과 함께 진단도구의 활용방안을 안내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수자와 학습자의 응답을 비교할 때 교수자의 목표점수와 학생의 학습

성과 인식 점수의 차이가 아니라 응답의 패턴을 비교하는데 주목해야 한다 총 세

명의 교수에게 수업의 학습성과를 예측하도록 한 결과 교수들은 학습성과를 높게

예측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모든 문항에서 최고점을 주는 경우도 있었다 반면 학

생의 답변은 여러 명의 응답을 산술적으로 계산하여 평균을 내기 때문에 교수자가

Page 85: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68 -

예상한 것처럼 최고점이 나오기 어렵다 또한 지표가 변화없음 조금향상 향상

매우향상 등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점이 아닌 이상 해당 목표에 조금이라도 다

가섰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교수자가 예상한 목표 점수와 학생의 응답 점수

를 비교할 것이 아니라 문항별로 교수자의 예상과 학생의 인식 간의 점수들의 분

포 패턴이 일관적인지를 비교하는 것이 적절하다

넷째 교수자로 하여금 수업에 적절한 문항을 선택하도록 할 경우 대체로 여러

개의 문항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 실제 세 명의 교수는 개에서 개의 많은

문항을 선택하였는데 이는 개발된 문항이 교양교육의 보편적 목표를 지향하고 있

기 때문에 수업과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지만 관련이 없다고 말하기도 어려운 문항

들로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학생들이 무리없이 조사에 응답하도록 하기

위해서 설문문항의 개수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이에 지식 및 경험

영역을 중심으로 대학에서 활용되기를 제안한다 다른 영역의 경우 선택적으로 사

용하기를 권장하며 교과목 당 선택된 총 문항 수가 문항을 넘지 않을 것을 제

안한다

다섯째 수업단위로 분석결과를 해석하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을 제안할

수 있다 먼저 교수자가 강조하는 성과영역을 확인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논리란 무엇인가 의 경우 교수는 다섯 가지 영역 중에서 사고 영역의

성과목표를 가장 높게 설정하여 학생의 고차적 사고력 향상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는 통합 영역을 중시하고 있으며 기초학습역량 지식 및 경

험 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경우에도 사고 영역의 성과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고 통합 지식 및 경험 기초학습역량 의 순으로 향상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대체적으로 교수가 강조하고자 하는 영역에서 학생의 성과가 더 많이 향상된 것으

로 나타났기 때문에 대체로 해당 수업에서 추구하는 교육 방향에 맞는 학습 성과

가 도출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교수자가 설정한 영역별 목표치를 로 변환하여 영역별 목표달성도를 비교

해 볼 수도 있다 그 결과 지식 및 경험 영역에서의 목표달성도가 로 가장

높았으며 기초학습역량 통합 영역의 목표도 이상의 달성도를 보였다 해

당 강의에서 가장 강조되었던 사고 영역의 경우 목표치가 높았기 때문에 상대적

인 달성도는 다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영역별 목표치가 동일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상대적인 비율로 목표달성도를 해석함에 있어서 달성도가 높은 영

Page 86: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69 -

그림 성과영역별 평균과 달성도 논리란 무엇인가

역의 성과가 가장 높다는 것이 아니라 교수자가 의도한 수준에 어느 정도 도달한

것인지를 나타낸다는 점을 주의하여 해석할 필요가 있다

위에 제시된 강의의 경우 전반적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달성도를 보여주고 있

지만 교수자가 강조한 영역에서의 목표달성도가 가장 높아질 수 있도록 해당 영

역에 대한 학생역량 향상에 보다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어 보인다

여섯째 대학의 교양교육과정에서 제공하는 성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교양교과목

별로 측정한 교육목적 문항을 활용할 수 있다 교양교육의 목적을 총 여덟 개

로 정리한 이 문항들에 대한 학생의 응답을 비교하여 학교에서 전체에서 제공하고

있는 교양교과목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지 어떤 영역에 편중되어 있는지 분석할

수 있다 이것은 이후 균형잡힌 교양교육과정의 편성하기 위한 방향을 설정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Page 87: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70 -

결론

요약 및 결론

대학 교육의 성과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육의 질을 개선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양교육 성과진단도구는

해당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인식한 교육적 향상 정도를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 즉 한 학기 수업이 종료되는 시점의 학습 성과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측

정할 수 있다

이 진단도구는 한국교양기초교육원에서 분류한 교양교육영역 기초교육영역 교

양교육영역 소양교육영역 중 세계와 인간에 대한 균형 잡힌 안목과 통찰 을 위

한 영역인 두 번째 영역 즉 교양교육영역 을 대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양교육

의 특성과 목적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유사 도구를 분석하였으며 미국

의 교양교육 핵심성과와 개 영역 루브릭을 검토하였다 이론적으로 도출된

도구 초안은 두 차례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정련되었다 최종 도구를 세 개

교과목에 시범 적용하고 활용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개발된 최종 도구는 기초학습역량 영역 지식 및 경험 영역 사고 영역 가치 영

역 통합 영역 등 다섯 영역과 개 하위영역 개의 성과지표 개의 목표진술

개의 측정문항 등으로 구성되었다 세 개의 교양 수업에 시범 적용해 본 결과

교수자들은 도구가 수업개선에 유용하다는 것은 인정했으나 적합한 문항 선택의

어려움 온라인 설문으로 인한 저조한 응답률 학생이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의 사

용 등울 문제로 지적하였다

연구진은 시범 적용 과정을 통해 진단 결과가 교과목의 평가가 아닌 수업 개

선의 목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며 도구의 각 영역의 특성과 활용방법을 이 도구

를 활용하는 교수자가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교수자의 예상점수와 학생의 학

습성과 인식점수 간에 차이보다는 문항별 점수 변화의 패턴을 비교해야 하며

교수자가 진단 문항을 선택할 때 지식 및 경험 영역 을 중심으로 문항 수를 적절

히 유지해야 함을 적용의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개별 교수 차원에서 수업

개선을 위해 분석결과를 활용하는 방안과 대학차원에서 분석결과를 활용하는 방안

등을 추가적으로 제안하였다

대학의 교육적 성과를 증명하라는 사회적 요구는 앞으로 더 거세질 것이다 또

Page 88: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71 -

한 대학과 교수 역시 교육의 발전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합리적 판단의 근거를

마련할 필요성이 높아질 것이다 연구진은 이 도구가 각 대학에서 교양교육의 학

습성과를 진단하고자 시도하거나 유사한 도구를 개발하고자 계획할 때 유용한 참

고자료로 활용됨으로써 대학교육의 질 개선과 교육적 책무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길

희망한다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측정학적으로 도구의 타당성을 검토하지 못한 것은 연구의 제한점이라 할 수 있

다. 또한, 개발된 진단문항이 모든 수업에 활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각

수업별로 적합한 문항을 선별하여 설문을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여 교수자에

게 전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각 대학마다 실행을 담당할 추가적인

인력이 요구된다. 이에 이 진단도구의 정합성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도구를 측

정학적으로 검토하는 후속 연구와 온라인으로 이 도구의 활용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 진단도구는 다양한 선행연구 분석과 델파이 조사라는 과학적 연구방법

에 기초하여 개발되었으나 도구의 타당성을 통계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를 적용해 본 후 측정학적으로 검증하는 과정이 추가로 이루

어져야 한다 또한 다양한 수준과 전공의 학생을 대상으로 문항 내용의 이해도를

검토하고 수정함으로써 도구의 완성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이는 연구의 한계로

밝히고 추후 후속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해 본다

다음으로 각 대학이 이 도구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시스

템적 지원이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 이 진단도구는 교수자가 문항을 선별하여 학

생의 성취도를 예상하고 이를 다시 학생 설문 결과와 비교하는 과정으로 구안되

었다 이러한 과정은 단순하지만 각 단계별로 지원 인력이 투입되어야 한다 이를

지원해 줄 수 있는 별도의 조직이나 기반을 가진 대학은 상관이 없지만 그렇지

않은 대학에서는 부족한 지원으로 인해 진단을 수행하기가 쉽지 않다 만약 이러

한 과정을 온라인 화하여 개별 교수자가 수업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

는 방안을 마련한다면 보다 쉽게 교수들의 참여가 가능할 것이라 생각한다 교수

자의 문항선택 학생의 온라인 설문 결과의 자동 제공 등이 온라인 상에서 자동화

된 시스템으로 구축되는 것도 도구의 활용과 관련하여 제안으로 남긴다

Page 89: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72 -

참고문헌

김현우 김기원 부산여대 교양교육과정 개선 방안

박인우 고등교육 교육과정 관련 요인 관계분석 서울 교육과학

기술부 지정 고등교육정책연구소

손동현 박주호 유기웅 정종원 대학교양기초교육에 대한 종합적 분석연구

서울 한국 교양기초교육원

박주호 손동현 유기웅 정종원 교양교육 내용분석과 내실화 방안 연구 서

울 한국 교양기초교육원

최정윤 채재은 박소영 김경성 고등교육 학습성과 평가사업 연구

사업 참여를 위한 실천 전략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연

구보고

최정윤 채재은 고등교육 학습성과 평가사업 연구 실

행가능성 평가 종합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홍성연 대학생 핵심역량진단평가 중복응시자의 인식과 교육경험

대학사례를 중심으로 한국 연구

Page 90: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73 -

Page 91: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 74 -

Page 92: 연구책임자 : 홍성연(아주대학교) 공동연구자 : …konige.kr/files/sub0201/thekyowoo20170112134212.pdf이 연구는 2016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

연 구 과 제 명

2016년 11월 30일 인쇄

2016년 11월 30일 발행교양교육 영역별 성과진단 방안 연구: 교양교육 전반영역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0 8 5 0 4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606 대성디폴리스A-23층

전화 02) 6919-3914

인 쇄 처 (주)프린트미디어텍

전화 031) 222-7255

※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