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182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A study on Strategic Environment Assessment Method Concerning Energy Master Plan 사업보고서 2014-02-02 김지영 외 에너지자원의 환경관리전략

Upload: others

Post on 26-Feb-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지속가능한 사회를 구현하는 세계 일류의 환경정책연구기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은 환경정책 및 기술의 연구개발과 환경영향평가의 전문성, 공정성 제고를 통하여 환경문제의 예방과 해결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된 국책연구기관으로서 21세기 환경선진국 실현을 선도하는 세계 속의 환경전문연구 기관으로 발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본 책자는 친환경 용지를 사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

사업

보고

서 20

14-02-

02

339-007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B동(과학·인프라동) Tel 044.415.7777 Fax 044.415.7799 http://www.kei.re.kr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A study on Strategic Environment Assessment Method Concerning Energy Master Plan

김지

영 외

사업

보고

서 20

14-02-

02

국가

에너

지 계

획에

대한

전략

환경

평가

방안

연구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A study on Strategic Environment Assessment Method Concerning Energy Master Plan

김지영한국 서울대학교 지질학 박사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현)E-mail : [email protected]

주요 논문 및 보고서「전략환경평가제도의 실효적 운용 방안 연구(2)」 (2014,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육상풍력 개발사업 지형변화지수 연구」 (2014,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지형장애물 분석을 통한 환경현황자료 작성 방안」 (2013,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권영한미국 코넬대학교 식물병리학 박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현)E-mail : [email protected]

유헌석일본 큐슈대학 공학 박사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현)E-mail : [email protected]

이영준미국 Texas A&M 지질학 박사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현)E-mail : [email protected]

문난경한국 부산대학교 공학박사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현)E-mail : [email protected]

안소은미국 노스케롤라이나주립대학 자원경제학 박사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현)E-mail : [email protected]

이창훈독일 Universitat Bremen 경제학 박사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현)E-mail : [email protected]

전동준러시아과학원 동물학연구소 계통진화학 박사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현)E-mail : [email protected]

은 정한국 인하대학교 공학석사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현)E-mail : [email protected]

이영숙한국 단국대학교 농학석사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현)E-mail : [email protected]

조아미한국 연세대학교 공학사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현)E-mail : [email protected]

사업

보고

서 20

14-02-

02

김지영 외

ISBN 978-89-8464-905-7

에너지자원의 환경관리전략

Page 2: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연구진

연구책임자 김지영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참여연구원 권영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유헌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영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문난경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안소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이창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전동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은 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

이영숙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

조아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

자문위원

외부 안병옥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소장)

유상희 (동의대학교 교수)

정종선 (환경부 자원재활용과장)

조병옥 (환경부 국토환경정책과장)

내부 강광규 (기후대기연구실 선임연구위원)

이희선 (자원순환연구실 선임연구위원)

ⓒ 2014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발행인 박광국

발행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B동(과학․인프라동) (우편번호) 339-007

전화 044)415-7777 팩스 044)415-7799

http://www.kei.re.kr

인쇄 2014년 12월 26일

발행 2014년 12월 31일

출판등록 제17-254호

ISBN 978-89-8464-905-7 93530

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표시해 주십시오.

김지영 외. 2014.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한국환

경정책․평가연구원.

값 7,000원

Page 3: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서 언

각종 개발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가 해당 사업과 그 주변지역의 환경적 문제에 초점

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환경 전반 및 국가 전반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고려하거나

예방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전략환경평가는 이러한 환경영향평가의 문제를 해결하

기 위해서 상위계획 단계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환경적인 문제를 검토하고 정책이나 계획

들을 결정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전략환경평가는 환경을 고려하는 정책, 계획

등을 수립하기 위한 계획 수립 과정의 한 부분입니다.

국가 에너지계획의 수립 시 많은 국가들이 정책결정 과정에서 에너지정책의 전략환경

평가를 시행하여 환경적으로 적정한 에너지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아직

에너지계획을 전략환경평가에 포함하고 있지 않고 있어서 에너지의 공급 및 이용으로

인한 환경적 문제 그리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활용과 관련된 논의가 필요한 상태입니다.

이에 우리원에서 자체적으로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를 예비적으로 시행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고자 합니다. 다양한 에너지원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가능성

및 환경적 측면에서 검토하고 이를 에너지 관련 계획에서 반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몇 가지 권고사항을 제안하였습니다.

이후 에너지계획 수립과정에서 본격적인 전략환경평가가 시행되어 환경적으로 더욱

수용 가능한 에너지계획이 수립될 것을 희망합니다.

2014년 12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원장 박광국

Page 4: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Page 5: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국문 요약

국가 에너지관련 최상위계획은 에너지 기본계획이며 20년을 계획기간으로 하고 5년

마다 수립 ․시행한다. 이를 근거로 전력수급기본계획이 수립되어 전력수급을 위한 국가

정책을 구현한다.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은 2014.1월 발표되어 이를 반영한 전력수급기

본계획이 준비 중이다.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이 발표되기

이전인 2013.2월에 발표된 것이다. 전력수급기본계획은 2년 단위로 수립 ․ 시행한다.

전력수급기본계획에는 발전과 관련된 구체적인 발전시설의 건설 및 운영계획이 포함되

어 있다. 위에서 언급한 두 개의 에너지 관련 최상위 계획들에 대해서는 전략환경평가가

시행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계획을 대상으로 전략환경평가를 모의 실시하

여 제시하였다.

전략환경평가의 적용 현황을 검토하였고 국내 전력에너지의 에너지계획에 대한 특성

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각국의 에너지 관련 전략환경평가 사례를 검토하여 국가별

전략환경평가 수행절차 및 수행과정의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국가별 평가 요소들로부터

국내에 적용할 수 있는 환경, 경제, 사회분야 평가요소들을 추출하여 본 연구에 적용하였

다. 전력생산과 관련된 주요 에너지원인 원자력, 석탄화력, LNG, 신재생에너지의 적정

구성을 위하여 네 가지 전원구성 대안을 수립하여 제시하였다. 이들 전원구성 대안에

대한 분야별 평가요소에 대해 전문가 그룹 및 일반인 그룹의 의견을 청취하여 대안 및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원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제2차 에너지계획 및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제시된 전력수요 예측결과와 발전

시설 건립계획을 대비하여 전력수요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계획이 이미 준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추가적인 발전시설계획에 대해서는 충분히 시간을 갖고 검토할 것을

제안하였다. 미래의 불확실성 및 다양한 에너지원의 가능성 등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국가 에너지계획 중 전력부분에 대해 본 연구에서 모의적으로 시행한 전략환경평가 결과

를 정리하여 권고사항으로 제시하였다.

Page 6: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2년 주기로 수립되는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이번 전략환경평가의 결과가 고려될 경우

환경적으로 적정한 에너지계획이 될 것이다. 향후 이 연구에서 모의적으로 시행된 에너

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는 에너지관련 계획의 수립과정에서 실제로 전략환경평가가 수행

되어 환경적으로 충분히 고려된 적정한 에너지계획을 수립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핵심어 : 전략환경평가, 에너지기본계획, 전력수급기본계획, 에너지믹스

Page 7: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차 례∣제1장 ․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방법 및 방향 ···················································································· 2

3. 주요 연구내용 ···························································································· 3

제2장 ․ 전략환경평가····························································································· 4

1. 전략환경평가의 개요 ················································································· 4

2. 국내에서의 전략환경평가 적용 현황 ······················································ 5

가. 국내 환경영향평가 제도 ···································································· 5

나. 전략환경영향평가 ··············································································· 11

3. 에너지기본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13

4. 선행연구 ···································································································· 14

5. 연구의 제한점 ·························································································· 16

제3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사례················································ 17

1. 우리나라 전력 에너지의 특성 ······························································ 17

가. 발전원별 발전량 및 발전단가 ························································· 20

나.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특성 ··························································· 20

다. 신재생에너지 자원의 시간종속성 ··················································· 22

라. 용량크레딧 ························································································· 23

마. 신재생에너지와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연계 ·························· 24

2. 에너지 정책 전략환경평가 ····································································· 25

가. 캐나다 ································································································· 25

나. 스웨덴 ································································································· 33

다. 스코틀랜드 ························································································· 36

Page 8: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라. 네덜란드 ····························································································· 42

마. 아이슬란드 ························································································· 43

바. 영국 ···································································································· 47

제4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반적 검토·························································· 49

1.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의 개요 ································································ 49

2. 제2차 에너지계획에 대한 검토 결과 ···················································· 52

3. 에너지 관련 주요계획들 ········································································· 54

4.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개요 ··························································· 55

5.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대한 기존 검토 결과 ······························· 58

6. 전원구성 계획 ·························································································· 60

7. 전력수급기본계획과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 65

8.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대한 전망 ·················································· 69

9. 에너지계획 관련 기타 고려사항 ···························································· 70

가. 전력 가격체계의 문제점 ·································································· 70

나. 예비전력관리의 개선방안 ································································· 71

다. 신재생에너지의 확대와 송전계통간의 충돌 ·································· 72

라. LNG 발전의 확대 ············································································· 74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75

1. 대상계획의 개요 ······················································································· 75

가.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의 개요 ························································· 75

나.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개요 ····················································· 82

2. 에너지계획 관련 국내․외 여건 및 현황분석 ······································ 85

가. 경제분야 ····························································································· 85

나. 사회분야 ····························································································· 92

3. 주요 평가요소 설정(스코핑) ·································································· 92

가. 스코핑 방법 ······················································································· 93

Page 9: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나. 스코핑 결과 : 평가요소 설정 ························································· 93

4. 대안 검토 ·································································································· 98

가. 대안 선정 방법 ················································································· 98

나. 다양한 에너지원과 주요 이슈와의 관계 ······································ 112

다. 전력요금과 대기 환경 개선 효과 간의 관계 ······························· 115

5. 불확실성 및 미래전망 ··········································································· 116

가. 발전시설의 건설계획 잠정 유보 가능성과 관련한 불확실성 ···· 116

나. 기승인된 원자력 발전소 건설계획의 미래전망 ··························· 119

다. 전력수요의 추이 변화에 따른 미래 수요의 불확실성 ··············· 120

라. 대기질 변화와 관련된 불확실성 ··················································· 120

마. 동아시아 전력망 연계의 불확실성 ··············································· 123

바. CCS와의 관계 ·················································································· 124

사. 가스화발전의 전망(플라즈마 석탄가스화 발전) ························· 124

아. 수소연료전지 발전의 전망 ····························································· 125

자. 기타 소규모 발전의 확장 ······························································· 126

차. 신재생에너지 활용 잠재성 ····························································· 126

6. 공중참여 ·································································································· 127

7. 전략환경평가 권고사항 ········································································· 128

제6장 ․ 결론········································································································· 136

부록(별책 참조)

참고문헌················································································································ 143

Abstract ··············································································································· 149

Page 10: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표차례∣<표 2-1> 전략환경평가의 내용적 비교 검토 ······················································· 7

<표 2-2> 전략환경영향평가 대상 정책계획의 종류 ········································· 11

<표 2-3> 에너지원 관련 KEI 선행 연구 분석 ················································· 14

<표 3-1> 발전설비 용량 종합 ·············································································· 19

<표 3-2> 발전원별 발전량 및 발전단가 ···························································· 20

<표 3-3> 연도별 풍력발전 용량과 발전량 및 발전효율 ································· 21

<표 3-4> 연도별 태양광발전 용량과 발전량 및 발전효율 ····························· 21

<표 3-5> 태양광 및 풍력발전 설비용량 ··························································· 22

<표 3-6> 신재생에너지 자원의 시간 종속성 ·················································· 22

<표 3-7> 신재생에너지의 용량크레딧 ································································ 23

<표 3-8> 신재생에너지의 환경 관련 특징 ······················································ 25

<표 3-9> 캐나다 에너지 정책의 전략환경평가 절차 ····································· 26

<표 3-10> 사스케치완 지역의 에너지믹스 대안 ············································ 28

<표 3-11> 전력부문 전략환경평가에 적용하기 위한 지속가능성 기준 ········· 28

<표 3-12> 평가 요소 및 평가 기준 ·································································· 29

<표 3-13> 선호도 척도 ························································································ 30

<표 3-14> 매트릭스 평가 결과 ·········································································· 31

<표 3-15> 평가기준의 가중치, 영향 중요도 점수 ············································ 31

<표 3-16> 대안에 대한 다기준 분석결과 ·························································· 32

<표 3-17> 에너지믹스 대안에 대한 이해당사자 그룹별 선호도 ···················· 33

<표 3-18> 스웨덴 전략환경평가 이행 절차 ···················································· 34

<표 3-19> 스웨덴 전략환경평가에 적용할 11가지 지표 ································ 35

<표 3-20> 스코틀랜드 신재생에너지 전략환경평가 구성 ······························· 36

<표 3-21> 환경평가 부문 평가기준 ···································································· 37

<표 3-22> 스코틀랜드 전략환경평가에서 고려한 주요 평가 이슈와 대안들 39

Page 11: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표 3-23> 발전부지 선정을 위한 환경적 기준 및 연료 선정 기준 ·············· 43

<표 3-24> 아이슬란드 기본계획 수립 시 Work Group 1의 접근방법 ······ 44

<표 3-25> 아이슬란드의 에너지원 구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분야와 속성 구분 ··· 46

<표 4-1>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의 주요 내용 ················································ 49

<표 4-2> 환경, 경제, 사회적 측면에서의 주요 고려사항 ···························· 50

<표 4-3>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에 대한 일반적 의견 ··································· 53

<표 4-4> 에너지 개발 분야의 주요계획과 관련 위계 ····································· 54

<표 4-5>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주요 내용 ················································ 55

<표 4-6> 환경, 경제, 사회적 측면에서의 주요 고려사항 ···························· 56

<표 4-7>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주요 내용(목차) ······································ 57

<표 4-8> 전력 생산 주요 에너지원의 장단점 ·················································· 60

<표 4-9> 각국별 전력생산 에너지원의 분포(2011년) ····································· 62

<표 4-10> 주요 국가의 에너지원별 전력 생산 비중 현황 및 전망 ·············· 62

<표 4-11> 전원구성 전망(정격용량 기준) ·························································· 63

<표 4-12> 전원구성 전망(피크기여도 기준) ····················································· 64

<표 4-13>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로드맵(2014) 상의 전력부문

감축방안과 감축량 ············································································· 65

<표 4-14> 2020년 최대전력 및 목표수요(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66

<표 4-15> 2012년과 2020년 전원구성계획(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67

<표 4-16> 2012년 전원별 용량과 2020년의 전원별 용량계획의 비교.

정격용량기준 및 피크기여도 기준 ················································ 68

<표 4-17> 설비예비율 변화 ················································································· 72

<표 5-1> 각 워킹그룹(WG)의 주요역할 ····························································· 77

<표 5-2>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이후 후속 조치가 필요한 계획 및 주요 내용 ····· 81

<표 5-3> 제1차 및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의 전력 수요전망 비교 ················ 86

<표 5-4> 수도권과 전국권 발전용량 비교 ························································ 90

<표 5-5> 수도권의 전력소비 집중 ····································································· 91

<표 5-6> 인천 영흥 및 충청권 화력발전소 집중 정도 ································· 92

Page 12: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표 5-7> 에너지계획 관련 전략환경평가의 평가 요소 ··································· 94

<표 5-8> 지표 평가를 위한 점수 척도 ··························································· 95

<표 5-9> 다양한 전력생산 방식에 대한 환경적 지표 ··································· 96

<표 5-10> 다양한 전력생산 방식에 대한 경제적 지표 ································· 96

<표 5-11> 다양한 전력생산 방식에 대한 사회적 지표 ·································· 97

<표 5-12> 환경, 경제, 사회 분야에 대한 지표별 가중치 ······························ 98

<표 5-13> 에너지계획의 대안 선정 ·································································· 99

<표 5-14> 원자력 발전 환경영향평가 협의 여부에 따른 용량과 비중 ····· 100

<표 5-15> 환경영향평가 협의 완료 여부에 따른 건설 계획 용량(MW) ·········· 102

<표 5-16> 전원구성 비율에 대한 대안 ···························································· 105

<표 5-17> 환경, 경제, 사회 분야 각 지표별 가중치 ···································· 106

<표 5-18> 수요․공급 대안(전원구성비율)에 대한 평가 결과 비교(예시) ··········· 107

<표 5-19> 대안의 선호도 ················································································· 108

<표 5-20> 요소별 영향 정도의 평가 방법(예시) ··········································· 109

<표 5-21> 정보 공유 전 신재생에너지의 그룹별 선호도 ···························· 110

<표 5-22> 정보 공유 후 신재생에너지의 그룹별 선호도 ···························· 110

<표 5-23> 신재생에너지 기술적 잠재량의 예측 ············································· 111

<표 5-24> 에너지원별 장․단점 ·········································································· 112

<표 5-25> 현재기준으로 본 에너지원별 특성 ················································ 112

<표 5-26> 신재생에너지원별 장․단점 ······························································· 113

<표 5-27> 현재 기준으로 본 신재생에너지원의 특성 ··································· 114

<표 5-28> 전력요금인상과 대기오염물질 발생량의 관계. ·························· 115

<표 5-29> 전력용량과 최대전략 간의 관계(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 118

<표 5-30> 정책계획의 적정성 작성 방법 및 내용 ········································ 128

<표 6-1> 에너지 관련 계획과 본 연구(국가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간의 상호

반영관계 ······························································································· 140

Page 13: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그림차례∣<그림 2-1> 전략환경평가와 이행수단 ·································································· 5

<그림 2-2> 정책계획의 검토 및 협의 절차도 ···················································· 9

<그림 2-3> 국외 전략환경평가 시행절차 ·························································· 10

<그림 2-4> 해상풍력단지의 단계화 된 전략환경평가 과정의 사례 ·············· 13

<그림 3-1> 전력수요의 특성과 발전량(2012) ··················································· 17

<그림 3-2> 국내 총전력 사용량(2011~2012) ·················································· 18

<그림 3-3> 전력수요의 시간대별 변화 ······························································ 19

<그림 3-4> 2024년 분기별 예측 단기 변동성 증가분 ···································· 24

<그림 4-1> 제7차 전력수급계획의 원자력 반영 예상도 ································· 69

<그림 4-2> 국내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계통연계 불가 내지 제한 지역 ······ 73

<그림 5-1> 원자력 발전소 및 송전망(765kV) ················································ 87

<그림 5-2> 운영중인 화력발전소 현황(2012년 현재) ··································· 88

<그림 5-3>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된 화력발전소 건설계획 현황 89

<그림 5-4> 운영 및 계획중인 화력발전소 현황(지역별 집중도) ··················· 91

<그림 5-5> 원자력 발전 환경영향평가 협의 완료 여부에 따른 용량 ········· 101

<그림 5-6> 화력발전의 환경영향평가 승인 여부에 따른 연도별 누적 용량 · 101

<그림 5-7> 환경영향평가 검토 완료 여부에 따른 건설계획 용량(MW) ····· 103

<그림 5-8> 연말기준 원별 발전설비 및 발전량 기준 ································· 105

<그림 5-9> 전원구성 시나리오(안) ·································································· 106

<그림 5-10>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상의 필요 전력 공급을 위한 발전 시설 용량 추산 117

<그림 5-11> 전력용량과 최대전력(MW) ··························································· 119

<그림 5-12> 제6차 전력수요에 따른 2027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전망

(CAPSS (2010) (국가 전체) ························································ 121

<그림 5-13> 전력수급 기본계획이 반영된 2027년 모의결과 ····················· 121

<그림 5-14> 전력수급 기본계획이 반영된 2027년 모의결과 ····················· 122

Page 14: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그림 5-15>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의한 PEWI 변화량

(ΔPWEI 2010 vs 2027) ···························································· 122

<그림 6-1> 전략환경평가와 의사결정 과정 간의 연결을 위한 네 가지 모델 ··· 136

<그림 6-2> 정책의 위계별로 적정한 환경친화적 계획이 도출되는 과정 ··········· 138

Page 15: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1장 ․ 서론 ∣ 1

∣제1장 ․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에너지를 공급하는 방법은 원자력, 화력, 수력, 신재생에너지 등 다양하며 새로운

생산 방식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되고 있어 기저부하를 담당하던 에너지원의 역할도

상당 부분 바뀌며 환경과의 관계, 환경에 미치는 영향 역시 다양한 고려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국가에너지계획의 이행을 위한 다양한 에너지원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전략적

인 환경성검토가 요구된다.

에너지계획은 국토를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하게 이용하기 위한 계획을 포함한다. 에너

지계획의 수립 및 시행에는 한반도 전역에 걸친 대기영향, 지역 규모의 대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략적 검토가 필요하다.

대규모 발전단지에 의한 에너지생산 방식은 기술적 한계에 도달하여 신규 부지의 확보

가 필요한 시점이다. 에너지 공급시설과 송전선로의 건설 등은 에너지 공급시설의 위치

와 수요자 간의 거리와 관련이 있으며 이로 인해 송전계통에 미치는 영향, 지역에 미치는

영향 등이 존재하고 이것은 사회적 갈등을 일으키고 있어서 에너지계획의 수행을 위해서

는 이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신재생에너지 생산 확대 계획은 기술적 보완을 위해서도 급속한 확대가 어려운 실정이

며 국토 환경 입장에서도 수용성에 대한 전반적인 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다양

한 신재생에너지의 공급시설 설치와 관련한 환경적 수용성과 효율성에 대한 검토를 필요

로 하며 사회적 수용성도 검토되어야 한다.

에너지믹스의 변화는 토지 및 주변 환경, 기술적인 문제, 사회적 문제, 경제적 문제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어서 단순한 에너지 생산의 증가로 검토될 수 없고

접근 방법이 복잡해졌다. 지속가능한 에너지 정책은 환경정책과 함께 고려되어야 하며

화석연료의 비중을 줄이고 저탄소 에너지의 비중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구현해야 한다.

에너지 공급의 경제성과 환경성을 동시에 추구하여야 하지만 탄소발생 저감을 목표로

Page 16: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2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하면서 기저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계획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과제이다. 최근의

저탄소 에너지계획과 부합되지 않는 대규모 석탄화력 증설 계획들이 이러한 현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상과 같이 에너지계획은 환경, 사회 및 경제적 여건에 대한 종합적 고려를 통해서

수립되고 이행되어야 할 사항으로 전략환경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에너지

계획과 관련된 전략환경평가 방안을 수립·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 방법 및 방향

본 연구는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사례를 분석하고 현 제도하에서 전략환경

평가가 시행되고 있지 않은 국내의 전력생산과 관련된 상위계획인 에너지 기본계획과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대하여 전략환경평가를 모의적으로 시행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이 전략환경평가의 주요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으로서의 기능을

다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며 현행 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를 모의적으로 실시함

으로써 향후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주 연구 방향으로 삼고

있다.

이영준 외(2014)1)는 전략환경평가 제도를 실효성 있게 운영하기 위한 운용방안을

연구하여 다양한 정책계획에 대해서 몇 개의 분야로 나눠서 전략환경평가 방법을 제시하

였다. 여기에는 대안의 선정, 계획과 대안의 비교 및 환경적인 부분의 검토 등이 포함된

다. 또한 시범사례로 도시․군기본계획, 수자원장기종합계획,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선정

하여 연구 전반부에서 정리된 전략환경평가의 틀을 이용하여 해당계획에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실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연구에서 제시된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전략환경평가 실시 가이드라인을 따랐고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을

함께 고려하였으며 해외 사례로부터 적정한 부분을 추출하여 우리 실정에 맞도록 수정하

여 적용하였다. 에너지계획에 대해 전략환경평가에서 무엇을 평가할 것이고, 어떤 프로

1) 이영준 외(2014), 152p.

Page 17: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1장 ․ 서론 ∣ 3

세스를 따를 것인지, 전략환경평가의 결과를 에너지계획에 반영하는 방안 등은 이영준

외(2014)를 참조할 수 있다.

3. 주요 연구내용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에너지원별 환경영향의 특성 및 규모 등에 대한 분석

- 국내·외 다양한 에너지생산 방식 활용에 따른 환경적 문제 및 정책 검토

- 에너지원별 환경영향의 특성 및 규모 등에 대한 검토

- 에너지원별 환경성 및 경제성을 고려한 에너지 믹스의 검토 등

◦ 국가에너지계획을 고려한 종합적 환경영향의 검토방안 수립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를 모의적으로 실시

제5장의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부분은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과 6차 전력수급기

본계획을 대상으로 모의적으로 수행한 전략환경평가 내용이다. 그 형식은 이영준 외

(2014)에 제시된 형식을 따랐다.

Page 18: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4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제2장 ․ 전략환경평가 ∣1. 전략환경평가의 개요

전략환경평가(SEA,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란 전략적인 의사결정

과정에서 환경적인 영향 요소를 체계적으로 고려하도록 촉진하기 위한 절차로서 의사결

정과정의 한 부분이다. 즉, 기존의 의사결정 시 사업 목적 달성을 위한 경제성 분석과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한 사회영향평가에 환경성을 고려한 통합적인 평가라고 할 수 있다

(그림 2-1).2) 따라서, 환경영향과 경제적·사회적 영향을 함께 고려하는 체계적 의사결

정과정이며 지속가능한 계획 수립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 수단이라 할 수 있다. EU

directive(2001/42/EC)에서는 계획과 프로그램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를 ‘환경보고서를

작성하는 것, 협의과정을 수행하는 것, 환경보고서와 협의결과를 의사결정에 고려하고 그

결정내용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3) 여기에는 환경평가(Environmental

Assessment)라고 기술되어 있으나 이후 설명되는 자료들은 모두 전략환경평가라고

부른다(CEC, 2009).

2) 환경부(2007), 3p.

3) EU directive 2001/42/EC 2장 정의 EU(2001), DIRECTIVE 2001/42/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7 June 2001 on the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certain plans and programmes

on the environment, Article 2, Definitions (b) ‘environmental assessment’ shall mean the

preparation of an environmental report, the carrying out of consultations, the taking into account

of the environmental report and the results of the consultations in decision-making and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on the decision in accordance with Articles 4 to 9;

Page 19: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2장 ․ 전략환경평가∣ 5

자료: 환경부(2007)에서 재인용.

<그림 2-1> 전략환경평가와 이행수단

전략환경평가(SEA)는 정책, 계획 및 프로그램의 잠재적인 환경영향을 주의 깊게 살펴

보고 사회적, 경제적 맥락까지를 고려하여 더 넓게 살펴보는 절차이다. 전략환경평가는

환경영향평가의 기법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지속가능성 평가 및 정책 평가에 사용되는

방법도 사용한다.4)

2. 국내에서의 전략환경평가 적용 현황

가. 국내 환경영향평가 제도

국내에서 운용하고 있는 전략환경평가와 유사한 제도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 <표 2-1>

과 같다. 두 제도는 환경평가서를 ‘누가’, ‘언제’ 작성하며, 평가를 ‘누가’ 하는가에 대한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5)

계획이 수립된 이후 작성되는 전략환경영향평가서와는 달리 국토계획평가서는 계획

4) UK Ministry of Defence(2000).

5) 유헌석 외(2013), 107p.

Page 20: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6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수립과 연계하여 평가요청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절차가 구성되어 있다. 특히 최종 의사

결정과정이라 할 수 있는 평가협의 또는 심의는 전략환경영향평가가 환경부인 반면 국토

계획평가는 국토교통부장관으로 정해져 있어 상위 행정계획이 객관적이면서 친환경성을

확보한 계획이라 보기는 어려운 실정이다.6) 또한, 평가대상 계획 중 전략환경평가가

필요한 주요 상위 행정계획의 대부분 제외되어 있어 환경적 합의를 이루면서 계획을

수립하여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개발을 유도하고자 하는 전략환경평가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7)

6) 유헌석 외(2013).

7) 이영준 외(2014).

Page 21: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2장 ․ 전략환경평가∣ 7

구분 전략환경영향평가 국토계획평가

주관부처 환경부 국토교통부

정의

○ 환경에 미치는 상위계획을 수립할 때 환

경보전계획과의 부합 여부 확인 및 대안

의 설정·분석 등을 통하여 환경적 측면

에서 해당 계획의 적정성 및 입지의 타당

성 등을 검토하여 국토의 지속가능한 발

전을 도모하는 것(환경영향평가법 제1장

제2조 정의)

○ 중·장기적·지침적 성격의 국토계획을

대상으로 국토균형발전, 경쟁력 있는 국토

여건의 조성 및 환경친화적인 국토관리 측

면에서 국토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

는지 여부와 국토 관련 최상위계획인 국토

종합계획과 부합하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국토기본법 제19조의 2)

대상행정

계획

○ 행정계획의 성격별 정책계획과 개발기

본계획으로 구분

- 정책계획: 관광개발기본계획 등 지역

적 범위가 넓고 기본 방향이나 지침적

성격의 계획

- 개발기본계획: 재정비 촉진계획 등 구

체적인 개발구역의 지정 계획

○ 101개 행정계획

- 소관기관 : 국토부(51), 지식경제부

(15), 농식품부(8), 문화관광부(5),

기타(22)

○ 중·장기 계획 및 지침적 성격의 29개 국토

계획

- 분야 : 종합·지역계획(6), 기간시설계

획(11), 기타 부문계획(12)

- 소관기관 : 국토부(24), 타 부처(5)

작성주체

및 협의

○ 작성주체 : 관계 행정기관의 장

○ 협의기관 : 환경부장관

○ 검토기관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평가본부

○ 작성주체 : 국토계획 수립권자

○ 협의기관 : 국토교통부 장관은 환경부 장관

에게 검토의견 요청

○ 검토기관 : 국토연구원 국토계획평가센터

<표 2-1> 전략환경평가의 내용적 비교 검토

Page 22: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8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구분 전략환경영향평가 국토계획평가

시행절차

○ 정책계획 - 정책계획 구상→평가준비서 작성(환경영

향평가협의회 심의)→평가항목 결정 공개 의견수렴→평가서 작성 및 협의요청→검토 및 협의(환경부, 지방환경관서)→협의 의견통보→협의 의견 반영 또는 필요 조치(관계 행정기관)→조치 결과 또는 조치계획통보

○ 개발기본계획 - 정책계획 절차와 유사하나 평가서 작성

및 협의 요청 전 단계에서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 작성(주민 및 관계 기관 의견수렴) 단계를 거친 후, 평가서 작성 및 협의요청 진행

○ 요청단계와 평가단계 거쳐 계획승인 - (요청단계) 국토계획평가 요청서 작성계

획 수립→세부평가기준 및 평가방법 설정→국토계획평가 요청을 위한 분석→국토계획평가 요청서 작성 및 국토계획평가 요청→(평가단계) 국토계획평가 실시→국토계획평가 심의

평가서 또는

검토서 작성사항

○ 평가서 작성의 주요 내용 - 개발기본계획의 개요 - 개발기본계획 및 입지(구체적인 입지가

있는 경우만 해당)에 대한 대안 - 전략환경영향평가 대상 지역 - 개발기본계획의 적정성 - 입지의 타당성(구체적 입지가 있는 경우) - 환경영향평가심의회 심의 내용 - 주민 등의 제출 의견에 대한 검토 내용 등

○ 국토계획 수립권자는 평가대상계획을 수립하는 과정과 연계하여 주도적으로 평가요청서를 작성

- 평가대상 계획내용, 세부 평가기준을 결합한 매트릭스나 체크리스트 형태의 평가표 작성

- 세부 평가기준별로 적합한 정성적 또는 정량적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도출된 자체 평가 결과를 등급, 점수, 순위 등으로 평가표에 기입, 판단 근거 제시

- 자체 평가를 통해 해당 계획의 내용을 보완한 경우, 보완 내역과 절차 등을 평가요청서에 포함하여 제시

위원회(협의회)

○ 환경영향평가협의회 ○ 국토정책위원회 국토계획평가분과위원회 - 성격 : 심의 - 구성 : 위원장 1명, 위원장이 지명하는

20명 이내의 위원회 위원, 3인의 전문 위원(임기 3년)

○ 위원회 기능 - 국토계획평가에 관한 사항 및 그 밖의

사항 중 위원장이 정하는 사항 심의

의견수렴

○ 정책계획은 주민의견수렴 대신 전문가 의견수렴으로 대체

○ 개발기본계획은 환경영향평가수준으로 주민의견수렴 절차 및 방법 강화

○ 주민요구 시 공청회 개최 의무화, 협의전 주요사항 변경시 주민의견 재수렴 실시

자료: 유헌석 외(2013)에서 재인용.

<표 2-1> 전략환경평가의 내용적 비교 검토 (계속)

Page 23: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2장 ․ 전략환경평가∣ 9

2) 전략환경평가 추진 절차

환경평가 제도의 체계성 및 효율성 제고를 위해 「환경정책기본법」이 개정(2012년

7월)되면서 정책계획과 개발기본계획으로 평가대상 계획을 구분하여 상위 행정계획 단

계부터 개발의 시행 단계까지 일련의 절차에 따라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도록 하였

다. 전략환경영향평가의 정책계획 검토 및 협의절차는 개발기본계획의 협의 절차와 같으

나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 작성, 주민의견 수렴 및 반영여부 공개 절차가 없다(그림

2-2).

자료: 환경부(2014).

<그림 2-2> 정책계획의 검토 및 협의 절차도

Page 24: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0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3) 국외 전략환경평가 추진 절차

국외 전략환경평가의 기본적인 절차는 각 국가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스크리닝,

스코핑, 영향예측, 영향평가 및 대안비교, 평가서 작성, 의견수렴, 모니터링의 과정을

통해 시행되고 있다(그림 2-3).

자료: 환경부(2000)에서 재정리.

<그림 2-3> 국외 전략환경평가 시행절차

Page 25: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2장 ․ 전략환경평가∣ 11

나. 전략환경영향평가

1) 전략환경영향평가대상

환경영향평가법에 명시된 전략환경영향평가 대상(법 제9조 2항, 시행령 별표 2)은

아래와 같다.

구분 정책계획의 종류 협의 요청시기

가. 도시의 개발 1) 유통산업발전기본계획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는 때

2) 유통산업발전시행계획

나. 도로의 건설 1) 도로정비기본계획 관계 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는 때

다. 수자원의 개발 1) 댐건설장기계획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는 때

라. 철도의 건설 1) 국가철도망구축계획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는 때

마. 관광단지의 개발 1) 관광개발기본계획 관계 부처의 장과 협의하는 때

2) 권역별관광개발계획 관계 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는 때

3) 온천발전종합계획

바. 산지의개발 1) 사방사업기본계획 관계 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는 때

2) 산림기본계획 관계 행정기관의 장의 의견을 듣는 때

3) 산림문화·휴양기본계획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는 때

4) 산촌진흥기본계획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는 때

사. 특정지역의 개발 1) 농어촌정비종합계획 관계부처의 장과 협의하는 때

2) 농업생산기반정비계획 계획의 확정 전

아. 폐기물·분뇨·가축분

뇨처리시설의 설치

1) 폐기물처리기본계획 환경부 장관에게 그 승인을 요청하는 때

자료: 환경영향평가법 시행령 별표2 재정리.

<표 2-2> 전략환경영향평가 대상 정책계획의 종류

Page 26: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2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2) 전략환경영향평가서 구성

환경영향평가법(법 제12조, 시행령 제11조)에 명시된 전략환경영향평가 보고서의 형

식은 아래와 같다.

1. 요약문

2. 정책계획의 개요

3. 정책계획 및 입지(구체적인 입지가 있는 경우만 해당한다)에 대한 대안

4. 전략환경영향평가 대상지역

5. 지역개황

6. 환경영향평가협의회 심의내용

7. 전략환경영향평가 항목 등의 결정 내용 및 조치내용

8. 공개된 전략환경영향평가 항목 등에 대하여 주민 등이 의견을 제출한 경우

이를 검토한 내용

9. 정책계획의 적정성

가) 환경보전계획과의 부합성

- 국가 환경정책

- 국제 환경 동향 ․ 협약 ․ 규범

나) 계획의 연계성 ․ 일관성

- 상위계획 및 관련 계획과의 연계성

- 계획 목표와 내용과의 일관성

다) 계획의 적정성 ․ 지속성

- 공간 계획의 적정성

- 수요 ․ 공급의 적정성

- 환경 용량의 지속성

10. 입지의 타당성(구체적인 입지가 있는 경우만 해당)

11. 종합평가 및 결론

12. 부록

- 전략환경영향평가 시 인용한 문헌 및 참고한 자료

- 전략환경영향평가에 참여한 사람의 인적사항

- 용어 해설 등

자료: 환경부(2014), pp.26-27.

Page 27: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2장 ․ 전략환경평가∣ 13

3. 에너지기본계획의 전략환경평가

2014년 현재 에너지기본계획 및 전력수급기본계획은 환경영향평가법에 명시된 전략

환경영향평가 대상이 아니다. 그러나 많은 나라에서 에너지 정책에 대한 전략환경평가를

일반적으로 실시하고 있다.8) 주요 정책들 중에서 전략환경평가를 실시하여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관련 부처가 합동으로 연구가 진행 중이다.9)

김지영 외(2008)는 해상풍력단지를 예로 들어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시 정책

위계별로 중점적으로 보아야 할 환경적인 내용들이 다르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신재생에

너지를 활용하기 위한 국가 에너지기본계획에서는 기후변화, CO2, 에너지공급 안정성

등이 주안점이 될 것이며, 하위계획(예를 들어, 신재생에너지관련 계획)에서 이 계획에

따라 해상풍력발전을 시행하기로 하면 해상풍력 단지를 조성하기 위한 방안을 결정하기

위해 소규모 다수 지역 분산 방식이 효과적일지, 대규모, 소수 지역 집중 입지가 환경적

으로 적정할지에 대하여 검토하게 되는 것이다.

자료: 김지영 외(2008), p.106.

<그림 2-4> 해상풍력단지의 단계화 된 전략환경평가 과정의 사례

8) 에너지 정책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사례는 2장 참조

9) 권영한(2015, 예정), 전략환경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 이 연구는 기획재정부가 주관이 되어 산업통상자원부, 국토해양부, 환경부의 유관 연구기관이 합동으로 참여하여 수행되는 중이며, 주요 정책 중 전략환경평가가 필요한 정책들을 제안하게 될 것이다.

Page 28: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4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4. 선행연구

다양한 발전원과 관련하여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KEI)에서 수행한 환경관련 연

구들은 아래와 같다(표 2-3).

구분 연구과제 연구목적 및 방법 주요 연구 내용

원자력 관련

․ 화석연료 대체에너지원

의 환경경제성평가(I) -

원자력을 중심으로

(이창훈 외, 2013)

․ 원자력 발전이 갖는 경제성

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화석연료대체에너지원의

적정성검토

․ 원자력 발전소 건설 및 처

분까지의 전과정에 소요

되는 비용분석

․ 경제성 분석

․ 사용 후 핵연료 및 방사성

폐기물 처분 부지를 포함

한 비용 산정

․ 중대사고위험에 대한 비

용추정

소수력 관련

․ 소수력 발전소 개발사업

의 환경적 고찰

(권영한 외, 2006)

․ 국내에서 적용가능한 친환

경적 소수력발전을 위한

정책적인 대안 제시

․ 국가하천의 본류에 댐을 설

치하려는 사업이 하천의

전반적인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 검토

․ 소수력발전사업의 개황과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

고찰

화력 관련

․ 영흥화력 7, 8호기 증설

환경영향 및 경제성 분석

(강광규, 김종원. 2012)

․ 증설에 대한 경제성 평가

로 복합화력 및 석탄화력

등 연료 변경에 따른 경제

성 비교

․ 영흥화력 7,8호기 연료 변경

허용에 따른 환경성 평가

․ LNG 복합화력 대비 석탄

화력 경제성 평가

․ 동북아 대기오염 전망을

고려한 국내 석탄화력발

전 증설의 대기질 영향

분석

(심창섭, 서지현, 2013)

․ 석탄화력의 증설이 동북아

에서의 대기오염 배출량

고려 시 타당성 조사

․ 국내 석탄화력 사용 전망과

환경비용

․ 대기오염물질 장거리 수송

에 의한 미래 국내 대기질

영향 분석

신재생

에너지관련

․ 신재생에너지 전력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이창훈 외, 2005)

․ RPS 등 기존 보급정책들

이 갖는 문제점

․ 외국의 에너지가격 제도

분석

․ 전력 계통연결과 비용 문

제 분석

․ 신재생에너지 전력현황과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 녹색전력 정보제공과 녹색

가격제

․ 계통연결에 대한 비용 지불

․ 신재생에너지의 수요 및 계

통연계에 대한 분석 및 대

안 제시

<표 2-3> 에너지원 관련 KEI 선행 연구 분석

Page 29: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2장 ․ 전략환경평가∣ 15

구분 연구과제 연구목적 및 방법 주요 연구 내용

전력요금

관련

․ 자원 환경위기 시대에

대비한 에너지가격

개편 추진 전략 연구

–전력요금 개편 중심

(강만옥 외, 2012)

․ 전력부문 현황 및 문제점

분석

․ 전력시장 및 전력요금 구

조 분석

․ 전력요금 개편 시나리오

설정

․ 사회적 수용성 제고 방안

․ 6개의 전력요금시나리오 제시

․ 각 시나리오 별 파급효과 분석

․ 전력 요금체제 개편 원칙 제시

․ 단계별 전력요금체계개편방안 제시

․ 에너지 수요관리를 위한 에너지가격

구조 정비를 통해 합리적 에너지 및

전력소비를 유도

재생에너지

관련

․ 재생에너지의 환경성

평가 및 환경 친화적

개발 I - 태양광 및 풍

력에너지를 중심으로

(이희선, 2009)

․ 해외갈등사례분석

․ 문헌 및 현장조사, 전문

가, 사업자, 환경단체 자

문을 통한 갈등사례분석

․ 선진국 성공적 도입사례

분석

․ 각국의 재생에너지 현황 및 정책

동향

․ 태양광풍력발전에 따른 환경적,사

회적 영향 분석

․ 환경적 사회적 문제 저감방안

․ 태양광, 풍력발전의 입지문제, 건설

운영시 문제를 분석하여 보급 활성

지열에너지

관련

․ 지열에너지의 환경성

평가 및 환경친화적

이용방안

(이희선 외, 2012)

․ 지열에너지의 활용가능

성과 활용을 위한 준비방

안 제시

․ 지열 에너지 잠재량 검토

및 지열 활용 방안 검토

․ 지열 이용현황과 문제점

검토

․ 지열 이용으로 인한 환경

적 영향검토

․ 지열 에너지 잠재량과 활용 가능성

․ 지열 이용방법에 대한 검토 및 문제

점 지적

․ 천부지열의 환경친화적 이용을 위

한 활성화 제안

․ 심부 지열자원 보급 활성화 제안

폐자원 관련

․ 재생에너지의 환경성

평가 및 활성화 방안-

폐자원을 중심으로

(이희선 외, 2010)

․ 폐자원 발생 및 처리 현황

분석

․ 가용 잠재량 산정

․ 폐자원 에너지화 정책 및

기술, 환경, 정책적 문제

점분석

․ 폐자원 에너지 가용 잠재량 분석

․ RPS제도의 보완, CDM사업연계 등

을 통한 활성화 방안 제안

․ 폐자원 원료특성을 고려한 에너지

의 환경 친화적 개발 방안 및 확대

보급 활성화를 위한 방안

태양광 및

풍력발전소

입지 관련

․ 환경성을 고려한 태양

광, 풍력발전소 입지

선정 가이드라인

(권영한 외, 2008)

․ 자료 및 해외사례 조사

태양광발전 및 풍력발전

특성 현황 및 특성 검토

․ 친환경적 입지선정 방안 제

․ 태양광 및 풍력에너지의 탄소저감

효과

․ 국내․외 입지 현황 분석

․ 입지와 환경 문제 종합

․ 태양광발전 및 풍력발전 입지선정

을 위한 가이드라인

․ 환경을 고려한 입지방향에 대한 제

<표 2-3> 에너지원 관련 KEI 선행 연구 분석 (계속)

Page 30: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6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5. 연구의 제한점

에너지기본계획 및 전력수급기본계획 등 국가에너지 관련 상위 계획의 수립과정에서

전략환경평가가 시행되어 그 결과가 계획 수립 시 반영되도록 하는 것이 정상적인 전략환

경평가의 절차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에너지기본계획과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수립

시에는 전략환경평가 대상으로 확정되지 않은 상태이어서 전략환경평가가 실시되지 않

았다.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수립과정에서는 워크그룹(Work Group)을 형성하여 기본

계획의 틀을 만들어 갔으나 그 내용이 적절히 에너지기본계획에 반영되었다고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전략환경평가는 정책 또는 계획수립 과정의 한 부분으로 정책 또는 계획에 그 결과가

반영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해당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

를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가 에너지기본계획 및 전력수급기본계획이 이미 확정

된 상태에서 시행되었기 때문에 계획과정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이후 후속으로 2015년에 확정될 예정인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이전 시점에서 연구

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연구결과가 전략환경평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아도 될

것이다. 현재 준비중인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수립과정에서 전략환경평가가 실시되

도록 제도가 정비되어 확정될 경우, 환경이 적절히 고려된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이 될 수 있을 것이다.

Page 31: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3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사례∣ 17

∣제3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사례∣1. 우리나라 전력 에너지의 특성

우리나라의 전력 수요 특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면 아래 <그림 3-1>과 같다. 7월,

8월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에너지 수요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 가동하지는 않지만 전력

생산시설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연료비용이 저렴한 원자력 석탄 화력이 기저

에너지 부하를 담당하고, 소비량이 증가하는 여름철, 겨울철 전력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연료비용은 비싸지만 건설이 용이한 LNG 연료를 사용하여 전력을 공급하게 되어 있다.

Nuclear : 29.6%, Thermal(coal): 39.4%, LNG : 25%자료: 1) 김지영(2014)에서 재인용.

2)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3).

<그림 3-1> 전력수요의 특성과 발전량(2012년)

∣제3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사례∣

Page 32: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8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아래 <그림 3-2>는 2011년, 2012년 월별 전력소비 패턴을 보여 주는 것이다.

여름과 겨울에 소비가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가로축의 숫자는 월 단위를 나타내

며 총 24개월의 통계이다. 2년간의 전력 사용 패턴을 보면 앞의 <그림 3-1>의 패턴

과 유사하게 여름철, 겨울철에 전력 사용량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력거래소 통계자료] 이용

자료: 김지영(2013), pp.1-16.

<그림 3-2> 국내 총전력 사용량(2011~2012)

특히, 여름 전력 수요가 많은데 7~8월 중 오전 9시~오후 11시까지의 전력수요가

크며, 여름철 열대야 등으로 인해 야간에도 전력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그림 3-3).

Page 33: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3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사례∣ 19

[2011년 7~8월 시간대별 평균 수요 분석]

자료: 1) 한국수력원자력 내부자료(신재생 및 집단 에너지 전력수급 피크용량 기여도 평가 검토 보고). 2) 김지영(2013), pp.1-16.

<그림 3-3> 전력수요의 시간대별 변화

2013년 현재 발전설비는 총 87GW(설비 용량)에 이르며 원자력은 20.7GW, 석탄화력

등 기력은 29.4GW, LNG 복합화력 등은 19.8GW, 집단에너지는 2.8GW, 양수발전

4.7GW, 수력 포함 신재생 발전설비는 총 4GW이다(표 3-1).

(단위:kW)

구분 원자력기력 복합화력 내연력

석탄 국내탄 중유 LNG 소계 경유 LNG 소계 중유 경유 소계

합계 20,715,683 23,408,600 1,125,000 3,950,000 887,500 29,371,100 570,800 19,228,561 19,799,361 120,000 247,340 367,340

구분집단

양수신재생(수력포함)

석탄 유류 LNG 소계 수력 태양광 풍력 기타 소계

합계 594,510 404,500 1,769,002 2,768,012 4,700,000 1,746,030 690,273 476,743 1,171,0344,084,080

발전설비 총 합계 : 86,943,853 kW

자료: 전력거래소(KPX)(2013).

<표 3-1> 발전설비 용량 종합

Page 34: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20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가. 발전원별 발전량 및 발전단가

아래 <표 3-2>는 발전설비 용량과 총 발전량 및 발전단가를 보여준다. 원자력이 가장

발전단가가 싸고, 석탄화력, LNG발전 순으로 비싸진다. LNG 발전은 석탄화력보다

약 2.5배 비싸다.

발전원 발전원별 발전량(%)발전단가(원/kWh)

2012년 정산분발전설비용량

유연탄, 무연탄 40.83 67.8 28.2%

원자력 30.43 39.5 23.8%

LNG 22.29 168.1 23.1%

중유 ․ 등유 3.08 253 5.6%

신재생 2.67 - 4.7%

(풍력) 0.19 174.6 0.5%

(태양광) 0.11 170.6 0.8%

(수력) 0.71 - 2.0%

주: 1) 발전단가는 2012년 정산분10)(전력거래소, 2012), 총 발전량 471,794,756 MWh 2) 신재생에너지는 바이오, 부생가스, 소수력, 양수, 매립가스, 태양광, 폐기물, 풍력, 연료전지,

해양에너지를 말한다. 3) 총발전량은 (471,794,756MWh) /(365일*24시간) = 58,858MW 4) 발전 설비용량은 발전설비 총합계 86,943,853 kW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5) LNG발전(기력+복합화력), 중유등유(기력+내연력)

<표 3-2> 발전원별 발전량 및 발전단가

나.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특성

육상 풍력발전은 발전 효율이 향상되면서 2011년 현재 24.3%에 이르렀다. 기술발전

으로 발전 효율은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10) 전력거래소(2012), 전력통계 2012.1.1~2012.12.31.

Page 35: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3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사례∣ 21

연도풍력발전용량

(MW)

풍력발전량

(MWh)발전효율

2006 170 240,000 16.1%

2007 190 400,000 24.0%

2008 190 400,000 24.0%

2009 350 700,000 22.8%

2010 370 800,000 24.7%

2011 400 850,000 24.3%

자료: 1) 전력거래소 2007~2011 자료 이용.

2) 김지영(2013).

<표 3-3> 연도별 풍력발전 용량과 발전량 및 발전효율

태양광발전 역시 발전 효율이 증가하였고, 2011년 28.0%까지 도달하였다.

연도태양광발전용량

(MW)

태양광발전량

(MWh)발전효율

2007 40 25,000 7.1%

2008 420 250,000 6.8%

2009 420 600,000 16.3%

2010 510 1,100,000 24.6%

2011 550 1,350,000 28.0%

자료: 1) 전력거래소 2007~2011 자료 이용.

2) 김지영(2013).

<표 3-4> 연도별 태양광발전 용량과 발전량 및 발전효율

Page 36: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22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태양광 및 풍력 설비 용량은 아래 <표 3-5>와 같다.

2013. 04 기준 발전설비용량 83,465 MW

공급능력 63,511 MW

2011년태양광(설비)용량 0.66%

풍력발전설비용량 0.48%

총합 1.14%

<표 3-5> 태양광 및 풍력발전 설비용량

다. 신재생에너지 자원의 시간종속성

신재생에너지 중 기상 조건에 종속되어 발전하는 태양광 및 풍력은 부하와의 상관관계

가 매우 낮다(표 3-6).

기술

예측가능한 변동 기상종속 예측 불가능한 변동

고정 계절 시간 년 계절 시간 1시간 내부하와의

상관관계

바이오매스 ○ ○

소비자

단신재생○ ○ ○ ○

지열 ○수력 ○ ○ ○ ○

MSW* ○태양광 ○ ○ ○ ○ ○태양열 ○ ○ ○ ○ ○풍력 ○ ○ ○ ○ ○

* MSW : Municipal Solid Waste

자료: 전력거래소 전력계획처(2011), p.90.

<표 3-6> 신재생에너지 자원의 시간 종속성

Page 37: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3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사례∣ 23

라. 용량크레딧

전력시스템의 신뢰도를 유지하면서 기존의 비 신재생에너지 자원을 대치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자원의 실질적인 용량을 말한다.

용량크레딧 = 설비용량(Installed Capacity) × 부하율 (Load Factor)

용량크레딧은 계산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아래 제시된 <표 3-7>은 피크시에

해당 전원이 기여하는 정도를 보여 준다(해당 전원의 용량 대비 피크시에 발전될 확률로

도 볼 수 있음).

구분 소수력 풍력 태양광 바이오가스(LFG)

피크

기여도

최대부하시 65.6 0.6 42.8 47.8

상위10%부하 58.5 10.4 34.5 51.6

상위30%부하 59.1 9.6 21.0 52.3

상위50%부하 59.0 9.7 20.82 52.4주: 1) 신재생에너지 3개년 실적 분석결과 : 특정일의 전력생산 기록을 분석하여 잠정적으로 정한 값임.

2) 하계 7월, 8월 피크발생일의 기여도 평균을 적용3) 상위 10%와 상위 30%의 평균값을 적용4) 최대부하시는 3개년 피크일 피크 1시간에 대한 평균5) 최대부하는 전력수요 전체의 최대부하를 말함

자료: 한국수력원자력 내부자료.

<표 3-7> 신재생에너지의 용량크레딧

풍력발전의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풍력발전의 양이 커지면 전체 전력이 불안정해 질

수 있다. 전력거래소(2011)는 풍력발전의 전력공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풍력발전

변동성의 영향이 커짐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풍력발전량 전체가 미미하여 전체 전력량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

Page 38: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24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주: 1) 전체 전력공급에 미치는 영향 증대 ․ 2024년 분기별 예측 단기 변동성 증가분 : 300MW ․ 연간 단기변동성 증가분 : 시간별 평균 약 300MW, 2010년에 비해 매우 크게 증가 ․ 최대수요 대비 풍력발전설비용량비율 - 2010년 0.0066, 2024년 0.0085로 12배 증가 - 풍력의 발전변동성이 전체 전력공급에 미치는 영향이 커짐 2) 제5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기초로 작성 ․ 2024년 풍력발전설비용량 8,974MW로 설정 ․ 설비용량은 2010년 기준 약 20배 증가(계획기준, 2010년 계획 462MW) - 1.2MW(2012년) → 300MW(2024년)자료: 전력거래소 전력계획처(2011).

<그림 3-4> 2024년 분기별 예측 단기 변동성 증가분

마. 신재생에너지와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연계

신재생에너지의 확대 사용시에는 에너지 생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보조 발전 시스

템이 필요하다. 전기에너지에 효율적인 빈배터리, 디젤발전기, 양수발전시설 등을 고려

해 볼 수 있다. 에너지저장시스템(Electronic Storage System, ESS)의 발달이 신재생

에너지의 불안정성을 보완해 줄 수 있으나 현재로는 비싼 가격과 성능 미진으로 실용화

단계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11) 전세계적으로 현재 실증 및 사업화 모델을 개발 중이다.

11) 자료: 윤용범(2013); 전력산업연구회(2013), pp.69-76.

Page 39: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3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사례∣ 25

아래 <표 3-8>은 주요 신재생에너지의 특징을 보여준다.

구분 주요 내용

풍력․ 입지, 진입로 자연환경 영향

․ 송배전선로와 전력기여도 한계

태양광․ 입지, 점유면적, 자연환경영향

․ 송배전선로와 전력기여도 한계

소수력․ 수환경변화

․ 생산규모 제한

Biomass․ 연료공급 및 후처리 한계(액비 등 생산물 처리)

․ 생산규모 제한

플라즈마

소규모 발전

․ 연료공급                                   ․ 입지영향

․ 대기영향                                    ․ 지속생산 가능성

․ 후처리                                  

<표 3-8> 신재생에너지의 환경 관련 특징

2. 에너지 정책 전략환경평가

여기서는 각국의 에너지 정책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각국

및 지역 특성에 따라 전략환경평가의 접근 방식과 주요 관점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가. 캐나다12)

서부 캐나다의 사스케치완 지역은 인구 백만 정도의 지역으로 이전에 없었던 경제발전

및 인구증가를 겪고 있다. 2009년에 공급된 전체 전력용량은 3,840MW이며 4,100MW

전력시설이 2030년까지 요구되는 상황이라고 한다. Lise and Noble(2012)은 캐나다

사스케치완 지역의 전력수급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

다.

12) Lise White and Bram Noble(2012), p.7.

Page 40: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26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1) 전략환경평가 절차 제시

Noble(2002)은 캐나다의 에너지 정책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과정 및 평가방법을 소개

하고 있다. 그에 의하면 전략환경평가 절차는 아래 표와 같다.

단계 내용

1이슈 스코핑

Scoping the issues

2대안 서술

Describing the alternatives

3평가요소 및 이해당사자에 대한 적절성/ 범위평가

Scoping the assessment components and actors

4잠재적 영향에 대한 평가

Evaluating the potential impacts

5영향의 중요 정도 결정

Determining impact significance

6대안 비교

Comparing the alternatives

7최선의 환경적 대안 선택

Identifying the 'best practicable environmental option'

<표 3-9> 캐나다 에너지 정책의 전략환경평가 절차

2) 정책대안

사스케치완의 에너지공급 현황을 고려하여 다섯 개의 에너지믹스 대안을 설정하였다.

다섯 가지 에너지믹스 대안은 아래와 같다.

◦ A1 : 현재의 전력생산 에너지믹스를 향후 30년간 지속하는 방법

- 석탄화력 약 42%, 수력 약 20%, 풍력 약 9%, 천연가스 약 29%로 구성하는

방안이다.

- 석탄화력 약 5%, 수력 약 20%, 풍력 약 5%, 원자력 약 45%, 천연가스 2009년의

에너지믹스는 석탄 화력이 약 43%, 수력 약 22%정도, 풍력 약 6%, 천연가스

약 29% 정도이다.

Page 41: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3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사례∣ 27

◦ A2 : 원자력 발전을 주로 하는 방안

- 석탄화력 약 5%, 수력 약 20%, 풍력 약 5%, 천연가스 약 30% 구성

◦ A3 : 재생에너지를 주로 사용하는 방안

- 소수력(run-of-river hydro), 대수력(reservoir hydro), 바이오매스, 풍력,

소규모 on-site 신재생에너지를 최대한 사용하는 것으로 계획하였다. 풍력에

대해서는 전력 믹스 중 천연가스 비중을 10% 더 높게, 즉 에너지 믹스의 총합을

110%가 되도록 설정하여 풍력의 신뢰도를 높였다.

- 석탄화력 약 20%, 수력 약 25%, 풍력 약 20%, biomass dir 5%, 천연가스

약 40%, 그리고 소규모 풍력, 풍력의 신뢰성을 고려하여 천연가스 비중을 10%

늘리고 총 110%로 구성

- 수력을 제외한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약 22% 정도 되는 것이다. 수력을 포함시킬

경우 47%로 거의 절반에 가까운 에너지를 자연으로부터 얻는 방법이다.

◦ A4 : 대규모 탄소흡착저장(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을 시행하는

방안으로 전통적인 석탄화력의 생산 부분을 대체하는 것으로 하는 대안

- 석탄화력 약 15%, 수력 약 20%, 풍력 약 10%, CCS 석탄 약 30%, 천연가스

약 25%로 구성

◦ A5 : 천연가스발전의 비중을 늘리는 방안

- 석탄화력 약 30%, 수력 약 20%, 풍력 약 5%, 천연가스 약 45% 구성

Page 42: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28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구분 에너지보전원자력

에너지

LNG 및

석유의 사용수력 석탄화력

신재생에

너지

대안1크게증가

+++변동없음 변동없음 변동없음 변동없음 변동없음

대안2 변동없음크게증가

+++

크게증가

+++

약간증가

+

약간증가

+변동없음

대안3 변동없음약간증가

+

중간규모증가

++

약간증가

+

중간규모

증가

++

중간규모

증가

++

대안4 변동없음감소

-

크게증가

+++변동없음

매우

크게증가

++++

변동없음

대안5 변동없음감소

-

크게증가

+++

중간규모

증가

+

중간규모

증가

++

약간증가

<표 3-10> 사스케치완 지역의 에너지믹스 대안

3) 평가부문(factors)과 평가요소(assessment criteria)

사스케치완 지역 전력부문 전략환경평가에 적용하기 위한 지속가능성 기준은 아래

표와 같다(표 3-11).

구분 지표 내용

1 적응능력예측 또는 예상치 못한 미래수요증가에 대한 소화할 수 있는

능력 최대화

2 대기오염물질 배출관리시스템 생애주기 동안의 전력생산, 분배, 소비과정 동안 대기

/물로의 오염물질 최소화3 고용/소득 충족 단기/장기 소득 및 고용기회 최대화

4 생태적 온전성토지/물자원의 교란 및 이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생물다양성

보전과 생태계 회복탄력성 유지 5 공급안전성 현재/미래세대에 전력공급안전성 및 가격안정성 담보

6 에너지생산 및 분배의 효율성

전력생산과정에서 에너지사용, 원료사용, 폐기물생산을 최

소화 하는 동시에 전력수요를 충족하고, 전력분배과정에서

에너지손실 최소화

7 원주민 권리원주민의 문화나 전통적 토지이용 패턴 또는 조약에 근거한

권리(Treaty Rights)에 대한 침해를 최소화

8 공중보건/안전전력생산과 분배과정에서 공중보건/안전의 유해/위협을 최

소화 자료: Lise and Noble(2012)에서 재인용.

<표 3-11> 전력부문 전략환경평가에 적용하기 위한 지속가능성 기준

Page 43: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3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사례∣ 29

사스케치완 지역 전력부문 전략환경평가에 적용하기 위한 평가요소 및 평가기준은

아래 표와 같다(표 3-12).

평가 부문 및 평가 요소 평가 기준

환경요소

Environmental

factors

C1

대기오염배출

Atmospheric

emissions

전력(에너지)생산, 배분(distribution) 및 활용시

의 GHG, 대기오염물질의 방출의 최소화

C2

독성폐기물물질발생

Hazardous waste

generation

생산, 배분, 사용 시의 독성폐기물의 발생의 최소화

C3서식지 파괴

Habitat destruction생산과 분배 시의 땅 및 수자원이 교한의 최소화

C4자원효율성

Resource efficiency

재생에너지원의 입력이 최소화되는 상태로 전력생

산이 최대화되어야 함

경제적 요소

Economic

factors

C5경제적 효율성

Economic efficiency

에너지 개발에 소요되는 비용은 최소화되면서 최대

한의 전력을 생산하여 전력소비자에게 경쟁력 있는

전력가격으로 공급되도록 하여야 함

C6

시장경쟁성

Market

competitiveness

에너지 시장 수출기회에 국가의 에너지 경쟁력을

강화하여야 함

사회적 요소

Social factors

C7공급의 안정성

Security of supply

현재 세대 및 미래 세대에게 확실하고(secure) 신

뢰할 만한(reliable) 에너지 공급원에의 접근이 보

장되어야 함

C8

배분의 형평성

Distribution of

equity

전력망에 연결되지 않거나 원거리지역의 에너지 사

용자들 최대다수의 수요를 만족시켜야 함

C9

공중건강 및 안전

Public health and

safety

배출, 소음 등등으로 인한 공중 건강과 안전 위험을

최소화하여야 함

C10

유산의 보존

Heritage

preservation

문화적 자원과 역사적/고고학적 자원에 대한 위협

이 최소화되도록 하여야 함

C11수용성

Acceptability

다양한 폭넓은 대중의 지지를 받아야 하며 토지소유

자들과의 마찰가능성이 최소화되어야 함

<표 3-12> 평가 요소 및 평가 기준

Page 44: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30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4) 평가방법

정책대안에 대한 환경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고 다기준분석

(Delpi-survey)을 이용하여 대안 조합에 대한 상대적인 중요성을 평가하였다.

평가에 참여한 전문가 그룹은 모두 44명으로 사스케치완 전력입안과 관련된 이해당사

자들, 에너지 개발 및 환경평가절차 전문가들로 구성되었고 정부측 17인, 민간부문 15인

ENGO 및 NGO에서 15인이 거의 동수로 참여하도록 하였다. 다섯 개의 대안과 8개의

지속가능성 기준을 사용하여 44명의 패널(사스케치원의 stakeholder, 전기계획가, 에너

지개발 및 환경영향평가 절차 전문가 등)은 AHP 기법을 활용하여 영향평가를 시행하였

다. 평가기준 c를 근거로 한 정책대안 I 와 J 사이의 상대적인 선호도를 조사하였으며

선호도 척도는 아래와 같다(표 3-13).

선호도 척도 비고

1/9 지극히 선호 Extremely preferred

I 보다 J를 선호

1/8

1/7 매우 강력히 선호 Very strongly preferred

1/6

1/5 강력히 선호 Strongly preferred

1/4

1/3 적당히 선호 Moderately prferred

1/2

1 동등하게 선호 Equally preferred

J 보다 I를 선호

2

3 적당히 선호 Moderately preferred

4

5 강력히 선호 Moderately preferred

6

7 매우 강력히 선호 Very strongly preferred

8

9 지극히 선호 Extremely preferredA3

<표 3-13> 선호도 척도

Page 45: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3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사례∣ 31

기준 요소

Criterion factor

중요도 점수

Significance score

1.대기방출 0.1620

2.독성폐기물물질발생 0.1380

3.서식지 파괴 0.1194

4.자원효율성 0.0671

5.경제적효율성 0.0366

6.시장경쟁성 0.0286

7.공급의 안정성 0.0687

8.배분의 형평성 0.0351

9.공중건강 및 안전 0.1676

10.유산의보존 0.0460

11.수용성 0.0414

<표 3-15> 평가기준의 가중치, 영향 중요도 점수

쌍으로 비교한 매트릭스 결과의 일부는 아래와 같다(예시, 숫자는 강도를 나타냄).

대안 1 A1- 대안2 A2 대안 1-대안3 대안2-대안3

C1

대기오염물질배출A1 7 A1 2 A3 3

C2

유해폐기물물질발생A1 7 A3 9 A3 5

<표 3-14> 매트릭스 평가 결과

11가지 기준요소에 대한 영향의 중요도는 아래 <표 3-15>와 같이 결정되었다.

Page 46: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32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대안1 대안2 대안3 대안4 대안5 순위

1.대기방출 2

2.독성 폐기물질 발생 3

3.서식지 파괴 11

4.자원효율성 5

5.경제적 효율성 8

6.시장경쟁성 10

7.공급의 안정성 4

8.배분의 형평성 9

9.공중건강 및 안전 1

10.유산의 보존 6

11.수용성 7

<표 3-16> 대안에 대한 다기준 분석 결과

5) 결과

대안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정부측, 민간부문, NGO 모든 부문의 참여

자가 대안 A3을 최우선 안으로 선정하였다.

대안1-대안2-대안5-대안-4-대안3 (가장선호)

대안 A3은 석탄화력 약 21%, 수력 약 25%, 풍력 약 20%, 소규모 신재생을 약 2%,

원자력을 약 5%, 천연가스를 약 37%로 구성하였다. 이것은 수력을 제외한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약 22% 정도 되는 대안이며 수력을 포함시킬 경우 47%로 거의 절반에 가까운

에너지를 자연으로부터 얻는 방법이다.

Page 47: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3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사례∣ 33

참여그룹 선호안의 순서

전체 A3>A2≅A4≅A5>A1 신재생최대>원자력≅CCS≅천연가스>석탄화력(현재)

정부 A3>A5≅A2≅A4>A1 신재생최대>천연가스≅원자력≅CCS>석탄화력(현재)

민간부문 A3>A2≅A5≅A4>A1 신재생최대>원자력≅천연가스≅CCS>석탄화력(현재)

NGO 부문 A3>A2≅A4≅A5>A1 신재생최대>원자력≅천연가스≅CCS>석탄화력(현재)

주: 캐나다 사스케치완 지역의 경우. 참여그룹별 참여인원은 거의 동수에 가깝게 배분되었다.자료: Lise and Noble(2012)에서 재인용.

<표 3-17> 에너지믹스 대안에 대한 이해당사자 그룹별 선호도

나. 스웨덴13)

스웨덴의 지자체의 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는 아래와 같은 절차로 구성하여

시행하였다(표 3-18).

13) Martensson et al.,(2005).

Page 48: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34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단계 내용 참여자/책임자

0목적의 명확화로 평가 시작

start of process including definition of objective연구원, 행정가, 정치인

1현황/여건 파악(현재 에너지시스템 평가)

situation assessment연구원, 행정가

2워크샵: 미래비전 개발

workshop: development of a visionary image of the future연구원, 행정가, 시민

3

선택: 정치적 또는 정보에 근거한 미래비전 결정

choice: decision on vision by politicians or

information only

행정가(정치인)

4워크샵: 외부 시나리오 개발

workshop: development of external scenarios연구원, 행정가, 시민

5워크샵: 행동과 전략 제시

workshop: suggestions of actions and strategies연구원, 행정가, 시민

6강건한 대안전략 선택

choice of robust alternative strategies연구원, 행정가

7환경평가

environmental assessment연구원, 행정가

8미래의 에너지 시스템 대안 평가

evaluation of future alternative energy systems행정가

9패널에 피드백

feedback to the panel행정가, 시민

10에너지계획의 이행안 개발

development of implementation part I energy plan

행정가(연구원

advisory)

11에너지계획의 취합

compilation of energy plan행정가

12에너지계획 (지방정부에게) 전달

remittance of energy plan행정가

13

지방정부의 에너지계획 수용에 대한 결정

decision on acceptance of energy by the local

government

정치인

14에너지계획의 평가 및 사후관리

follow-up and evaluation of the plan연구원, 행정가

<표 3-18> 스웨덴 전략환경평가 이행 절차

Page 49: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3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사례∣ 35

1) 환경평가 방법론

전략환경평가에 적용할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11가지의 지표를 설정하였다(표 3-19).

구분 지표

1 생물다양성

2 인구(population)

3 보건(human health)

4 동물군/식물군(fauna/flora)

5 토양

6 물

7 대기

8 기후요소

9 물질자산(material assets)

10 문화유산(cultural heritage)

11 경관(landscape)

<표 3-19> 스웨덴 전략환경평가에 적용할 11가지 지표

2) 대안 설정 및 평가

- 무대응 시나리오(no-action scenario): 현재 상태/계획 유지

- 대안 설정 후 무대응 시나리오와 각각 비교한 후 환경적 개선여부 결정

Page 50: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36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다. 스코틀랜드14)

스코틀랜드는 재생에너지 루트맵을 작성하고 전력 생산 정책에 대한 전략환경평가를

실시하였다15)(표 3-20 참조).

목차 구성 주요 내용

서론- 주 요소들

- 전략환경평가 절차

전략환경평가에서

제기된 주요 이슈와 반응 -

협의과정에서 제기된

의견들에 대한 반응들

- 정책에 대한 코멘트

- 전반적인 사항

- 소비, 에너지효율, 에너지수요

저감필요

- 소비자 가격

- 신재생에너지

- 화력

- CCS

- 화력-원자력

- 화력-바이오에너지, 폐기물연

료, 폐열

- 저장

- 송전망

- 전력시장개선 EMR(Electricity

Market Reform)

- 모델링

전략환경평가

환경보고서에 대한

코멘트

- 분석수준, 목표, 전략환경평가 내에서의 증거

- 합리적 대안들

- 정책의 영향에 대한 관점

- 환경기초정보

- 바이오에너지와 환경영향

- 저감 및 모니터링

전력생산정책서(EGPS)

와 2020 루트맵을 선택한

근거

- 최종 결정된 정책 내에서의 저감방안

- 최종 결정된 정책으로부터 발생하는 영향에 대한 저감방안

모니터링과 연구

(a) 용량과 생산량

(b) 개발의 공간적 분포

(c) 개발로 인한 영향

<표 3-20> 스코틀랜드 신재생에너지 전략환경평가 구성

스코틀랜드의 에너지부문 전략환경평가에서는 다른 계획(계획, 프로그램, 프로젝트,

PPP)과의 연관성, 현재 및 미래 환경 기준선, 기후변화 및 에너지, 인구 및 공중보건에

14) The Scottish Government(2012).

15) The Scottish Government(2013).

Page 51: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3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사례∣ 37

대한 것이 고려되었고, 이에 대한 환경평가 부문의 평가 기준은 다음 <표 3-21>과 같다.

구분 평가 지표

1 대기

2 경관

3 토양

4 물/해양환경

5 물질자산(material assets)

6 문화유산(cultural heritage)

7 생물다양성; 동물군/식물군(fauna/flora)

8 전력생산 정책과 신재생 에너지 루트맵이 없는 상태에서의 환경변화

주: The scottish government(2012), p.73.

<표 3-21> 환경평가 부문 평가기준

GHG 배출 정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한 결과, 신재생에너지 사용으로 GHG

감소 효과가 크다는 것을 지적하였고, GHG 배출 감소 목표를 맞출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신재생에너지 기술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평가결과, 신재생에너지 개발이

기후변화 목표에 맞춰 가는 데 주 역할을 하지만 개발로 인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해결해야 하는 지속적인 필요가 발생한다.

관련 주요 이슈는 경관적 변화이다. 스코틀랜드 계통 정책 초안(The Draft Scottish

Planning Policy)이 공표되고 협의가 시작되었다. 국립 풍광 보전지역(National

Scenic Area)과 국립공원 그리고 야생지역 핵심부 경관 보호 의견이 다수 제시되었다

(2013. 4). 제안된 정책의 변경으로 국가 규모에서 신재생에너지의 개발로 인한 주요

잠재영향을 기술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상 신재생에너지 개발 작업이 진행되고 있고

더욱 관심이 집중되는 전략환경평가를 하게 되었다.

정책은 GHG 배출을 줄이는 특정한 기술들의 기여 정도를 최대화하는 데 목표를 두어야

하며, 반면 에너지 부문의 다른 목표도 충족시켜야 한다. 대규모 화력발전에서 나오는

폐열이 에너지 분야에서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최종적인 전력

Page 52: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38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생산정책서 내에 포함된 몇 가지 정책들은 신재생열(지열)의 활용을 지원하고 있다. 지열에

너지의 환경적 영향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어서 더 많은 검토 작업이 필요하다.

모델링 결과 100% 신재생에너지 사용의 경우에도 화력 발전이 필요하다는 것이 밝혀

졌다. 탄소포획 및 저장(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도 전력생산정책서의

중요 부분이 된다. 에너지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송전선로의 개량이 필요하며

이와 관련한 환경영향이 검토되어야 한다. 기존의 인프라를 이용하면 환경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송전망의 개선이 이 정책의 주요 부분이 된다.

최종적으로 결정된 정책에는 새로 결정된 중간목표인 2015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수요

를 50%까지 올리는 것으로 하였다. 이는 50g CO2/kWh의 목표를 이뤄가기 위한 것이

다. 전략환경평가에서 고려되었던 주요 이슈와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3-22).

Page 53: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3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사례∣ 39

주요 이슈 대안

1100퍼센트 재생에너지로 전력을 생산하는 목표

가 갖는 환경적인 영향은 무엇인가?재생에너지 생산의 축소

211% 재생에너지 열생산으로 인한 환경적인 영향

은 무엇인가?

전기에 사용되는 높은 열 재생 대상의 대규모

바이오매스 대안

3 신기술로 인한 환경적 영향은 무엇인가? 적정한 대안 없음

4

재생에너지 생산을 지역 커뮤니티가 소유하도

록 촉진하는 방안이 환경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은 없는가?

적정한 대안 없음

5에너지 효율화 목표 및 이와 관련된 방안들이

환경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없는가?

고효율 목표 달성을 위한 환경적 영향을 확인하

고 평가 속에 포함

6 화력발전 정책으로 인한 환경영향은 무엇인가?

화석연료에 의한 전력생산을 중단하는 방안,

기존 원자력 전력생산을 계속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

7

화력발전에서 나오는 탄소포획 및 저장(CCS)에

대한 요구조건으로 인한 환경적 영향은 무엇인

가?

CCS 배치를 위한 다양한 요건으로 인한 환경적

영향을 누적평가 입장에서 검토

8송전계통의 개선이 요구되는데 이로 인한 환경

적 영향은 무엇인가?

전략환경평가에서 지역화된 전기저장방식의

사용을 확대하고 송전망 용량확장을 제한적으

로 시행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

<표 3-22> 스코틀랜드 전략환경평가에서 고려한 주요 평가 이슈와 대안들

최종 결정된 정책으로부터 발생하는 영향에 대한 저감방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전략환경평가 권고 1:

- EGPS(Electricity Generation Policy Statement 전력생산정책, 스코틀

랜드)와 이행 계획(Action Plan, 루트맵을 말함)의 결과로 나타나는 에너

지믹스의 모니터링

◦ 조치 : 스코틀랜드 정부는 UK DECC(에너지와 기후변화부)와 함께 용량과

발전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야 한다.

◦ 협의권고 : 기후변화 목표에 이 정책의 수행가능성과 효과성이 있는지 더욱

Page 54: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40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명확히 해야 한다.

◦ 조치 : 정책과 제안에 대한 보고서에 제공하기 위한 정보로서 지속적인 모니

터링을 실시한다.

2) 전략환경평가 권고 2 :

- 바이오매스로 인한 대기질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작업이 수행되어야 한

다. EGPS는 소규모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열의 생산과 화력발전을 선호하

는 정책기조로 유지한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바이오매스로 인한 대기질

위험은 발전소의 품질을 충분히 높여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 조치 : 지속적인 대기질 모니터링이 수행되어 스코틀랜드 정부가 이를 적절히

고려하도록 해야 한다.

3) 전략환경평가 권고 3 :

- 대규모 화력발전의 폐열을 사용하기 위한 시도가 우선순위로 계속되어야

한다.

◦ 조치 : 스코틀랜드 정부는 열생산 시나리오의 연구를 통해 열생산 계획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4) 전략환경평가 권고 4 :

- 개발계획과 정책결정에는 페기물로부터의 에너지생산과 관련한 지역적 영

향이 명시되어야 한다.

5) 전략환경평가 권고 5 :

- 소규모발전(micro generation)을 위한 미래 전략이 중요하게 다뤄져야

한다. 이는 신재생열(지열) 목표를 성취해 가는데 중요한 부분이다.

Page 55: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3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사례∣ 41

6) 전략환경평가 권고 6:

- 장기간에 걸친 전력생산을 위한 최선의 환경적 해법을 확보하기 위해서

에너지 저장 방법의 기술개발과 기타 기술들의 개발이 주요 우선순위가

되어야 한다.

◦ 조치 : 스코틀랜드 정부와 관련부서는 에너지 저장 기술의 역할이 중요함을

인식하여 이에 초점을 맞춘 연구 및 정책개발을 계속해야 한다.

7) 전략환경평가 권고 7 :

- 화력발전이 에너지 믹스의 한 파트로 역할을 지속하면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CCS 역할이 중요하므로 스코틀랜드 정

부는 CCS에 대해 지속적으로 지원하여야 한다.

◦ 조치 : 스코틀랜드 정부는 CCS 분야의 개발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야 한다.

◦ 협의권고 : 연안풍력(onshore wind)발전의 영향으로는 경관과 커뮤니티가

포함되는데 이에 대해 인지하고 고려하여야 한다.

◦ 조치 : 입안부서는 풍력발전의 공간적 배치와 관련된 전략환경평가에서 관련

환경적 영향을 파악하여야 한다.

8) 전략환경평가 권고 8 :

- 스코틀랜드 정부와 개발자들은 전력망의 확장과 업그레이드에 따른 누적영

향을 적절한 계획과 평가 과정을 통해 최대한 조기에 인식하도록 해야 한

다.

◦ 전력망의 확장과 병행하여 대안적인 저장장치, 수요조절(사용량축소), 스마

트그리드 등이 진행되어 가장 최대한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목표를 성취하도

록 하여야 한다.

Page 56: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42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라. 네덜란드16)

네덜란드의 제2차 국가 전력공급체계에 대한 전략환경평가를 살펴보았다. 이 계획은

네덜란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기적인 부문 계획이다. 전략환경평가의 목적은 대규

모 발전소의 위치 선정, 발전연료 선정, 최대 발전용량 선정, 분산된 발전설비 체계,

전력공급선(송전선로)의 경로 결정 등이며 이를 위해 24개의 잠정 발전소 후보지가 검토

․평가되었다. 2010년을 목표로 전력 수요에 대한 두 개의 시나리오(긍정적, 부정적)가

설정되었다.

긍정적(high) 시나리오는 경제성장과 에너지 절약을 이루는 정책 목표이다. 부정적

(low) 시나리오는 위의 가정보다 비관적인 가정을 설정한 시나리오이다.

전략환경평가에서 검토된 발전원 방식은 ① 천연가스 50%, 석탄 50%, ② 석탄 33%,

천연가스 또는 원유의 가스화는 67%이며, 또 다른 측면의 대안은 석탄 관련 기술에

대한 것으로 전통적인 화력과 가스화발전 방식 대안이 비교되었다.

친환경적인 대안은 ① 저유황 석탄의 사용, ② 가스를 사용한 화력 또는 석탄화력

발전, ③ 가스화력에 열 재사용(복합화력을 말함), ④ 제거되는 NOX와 CO2의 양 으로

설정하였다.

발전 부지 선정을 위해 환경적 기준과 연료 선정을 위한 기준(표 3-23)을 마련하고,

문헌상의 기존 데이터를 근거로 한 전문가의 판단을 통해 평가하여 석탄 가스화로 SO2

국가 기준을 맞출 수 있고, 친환경적인 대안일 때에만 NOX 국가 기준을 맞출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CO2 국가 기준은 CO2 제거 기술로 가능하나 기술이 입증되지 않은

상태이다.

16) 자료: 1) Verheem(1992); DHV(1994); Sadler & Verheem(1996).

2) Maria Rasario Partidario(2012), p.69.

3) 환경부(2007)에서 재인용.

Page 57: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3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사례∣ 43

환경적 기준 연료 선정 기준

- 열로 인한 영향(냉각수)

- 기타 지표수에 미치는 영향(폐수의 특성 등)

- 연료 수송의 효율

- 공간적 영향(조경, 서식처)

- 소음

- 안전

- 방사선 노출

- 배출 오염 물질(SO2, NOX, CO2, 염화물, 불화물,

붕소화물, 셀레늄, 수은 및 분진

- 폐기물과 잔류물(석탄회)

- 방사선(폐기물과 방출물)

- 자연자원의 이용

<표 3-23> 발전부지 선정을 위한 환경적 기준 및 연료 선정 기준

마. 아이슬란드

아이슬란드는 면적은 비교적 크지만(103,000㎢)17) 인구는 매우 적어 33만 명이 조금

못되는18) 북극권에 가까이 있는 나라이며 전체 면적 중 25%만 주거가 가능한 지역이다.

아이슬란드의 에너지 생산수요와 규모는 매우 작아 2011년에 17,085GWh를 생산했고19)

수력과 지열이 주가 되는 독특한 에너지원을 사용한다.20)

Thórhallsdóttir(2007a, b)는 아이슬란드의 에너지원 구성을 위해 환경적인 영향에

따라 에너지 프로젝트의 순위를 매긴 전략적인 계획을 소개하였다. 아이슬란드의 에너지

계획 틀 안에서 19개의 수력에너지 개발계획과 22개의 지열에너지 개발계획에 대한

환경가치와 영향을 다기준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Work Group을

4개 구성하여 수행되었다. Work Group 1은 환경과 문화유산을 고려해 대안을 만들고

평가를 위한 틀을 개발하였다. Work Group 2는 레크리에이션과 토지이용에 미치는

17) 아이슬란드의 면적은 103,000㎢로 남한면적(100,210km²)과 거의 같다.

18) 아이슬란드의 2014년 총 인구는 32만 6천명

19) 한국은 2012년 총 전기생산량이 509,574GWh이었으며(국가통계포털자료: 2013년에는 534,700GWh를 생산한 세계 10위 전력생산국이다.) 반면 아이슬란드 전기생산량은 17,085GWh(2011년)로 세계 76위이다. 2012년 한국 전력생산량과 2011년 아이슬란드 전력생산량을 비교하면 한국이 약 30배 정도이다.

20) 아이슬란드의 전기에너지 생산은 수력이 72.7%, 기타 신재생에너지가 27.3%를 담당한다. 일반적인 전력생산 연료를 사용하지 않는 독특한 전원구성을 갖는다(2011년 통계).

Page 58: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44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영향을 검토하였다. Work Group 3는 광역적인 영향, 지역에 미치는 영향, 경제에 미치

는 영향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Work Group 4는 용량, 비용을 고려한 에너지 대안을

설정, 정의하였다. 전문분야에 따라 Work Group을 구성하고 절차에 따라 평가를 수행

한, 위와 같은 아이슬란드의 에너지원 구성을 위한 전략환경평가는 그 접근방식에 있어

서 본받을 만한 하나의 표본이 될 수 있다.

Work Group 1은 아이슬란드 기본계획(Icelandic Framework Plan) 내에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전략환경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그룹은 자연환경과 문화유산의 가치 및

에너지 생산대안들이 이들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우선순위를 매기는 방법으로 접근

하였다(표 3-24).

구조

(Structure) 1. 전제조건을 결정하고 접근방법을 정의함

경계

(Boundaries)2. 공간적 경계를 정의함

평가매트릭스와 평가의

정밀도

(Matrix and resolution)

3. 관련 현상의 타입을 정의하고 정밀도 수준을 결정함(분야의 수를

정함)

4. 각각의 다른 분야에 대한 상대적인 중요도를 결정함

가치와 영향

(Values and impact)

5. 가치의 속성과 각각의 가중치를 정의함

6. 영향을 결정하기 위해 기준을 설정함

7. 가치와 영향에 대한 점수를 매기기 위한 척도를 설정함특별히 고려할 사항

(Special

considerations)

8. 특별한 중요성을 갖는 특성들을 확인함

9. 위험요소와 불확실성을 평가함

순위 매기기

(Ranking)

10. 영향, 가치, 특별한 중요 고려사항들을 기초로 대안들의 순위를

결정함

자료: Thórhallsdóttir(2007b)의 그림1. Work Group 1의 접근방법을 나타낸 도표 재정리.

<표 3-24> 아이슬란드 기본계획 수립 시 Work Group 1의 접근방법

에너지원 구성의 환경적 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네 개의 환경 분야와 하나의 문화

유산 분야로 분류하고 정의하였다. 네 개의 환경 분야는 지질+수리, 종, 생태계+토양,

경관+야생(wilderness)으로 구분하였고, 다섯 번째는 문화유산분야를 더하였다. 이러

한 분류는 빙하와 활성화산, 급류를 이루는 강들이 분포하는 아이슬란드의 자연환경의

Page 59: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3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사례∣ 45

독특성을 반영한 것이다. 이들 다섯 분야에 대해서 풍부도/다양성, 희귀성, 크기/연속성

/원시성, 정보가치/상징적 가치, 국제적 의무, 시각적가치의 6개로 구분한 속성군

(agglomerated attributes)을 통해 가치와 영향을 평가하였다(표 3-25). 다섯 개의

분야에 대한 6개의 속성군에는 각각 가중치가 부여되었다.

Page 60: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46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분야 세부분야

속성

풍부도

다양성희귀성

크기,

연속성,

원시성

정보

가치,

상징적

가치

국제적

의무

시각적

가치

지질학적

다양성과

수문학적 특성

기반암지질

미고결 퇴적층

지하수

지표수

종 식물 및 조류

생물학적

다양성과 토양

생태계,

서식지, 토양

경관 및 야생성

경관 및

주요특징

야생성

문화유산

고고학적,

역사적,

민간전승

주: 속성별로 제시된 가중치는 생략하였음.

자료: Thórhallsdóttir(2007b)에서 재인용.

<표 3-25> 아이슬란드의 에너지원 구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분야와 속성 구분

Page 61: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3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사례∣ 47

바. 영국

영국의 신재생에너지 전략 및 재생에너지 목표를 이행하기 위한 `주 시나리오 구성의

고려 요소는 비용과 소비자 가격, 공급의 안정성, 탄소저감, 확대의 위험, 미래 보장,

지속가능성에 대한 영향, 투자 신뢰 등이다.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비용과 소비자가격   - 우리의 분석에서는 소비자 청구서에 미치는 영향 외에도 전반적인 자원과 부차적

인 비용들을 예상하여 포함하였다.

2. 공급의 안전성    - 풍력과 같은 간헐성 신재생 생산 에너지 기술이 전력망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였

다. 풍력은 화석연료의 지원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고려하였고 그리고 투자신호

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하였다.

- 에너지 공급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청정석탄(탄소포집, CCS) 및 원자

력과 같은 다른 종류의 전력생산 방식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하였다.

3. 탄소저감   - 신재생에너지 전략에 따른 추가적인 탄소저감은 일차적으로는 열과 수송분야에서

발생한다.

  - 대규모 전력분야는 이미 탄소시장에서 거래되고 있고 EU의 배출권거래제 하에서

상한선이 결정되어있기 때문이다.

4. 확대의 위험

   - 각 분야를 넘나드는 다른 확대속도를 얻기 위해 따르는 위험 및 극복해야 할

장벽들을 고려하였고 새롭게 형성되어야 할 공급체계를 고려하였다.

  - 어떤 분야는 매우 낮은 수준에서 시작하고 있고 미래의 역할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Page 62: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48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검증되지 않은 위험에 직면하고 있다.

5. 미래 보장

   - 우리는 가능한 한, 주 시나리오가 에너지믹스와 긴밀히 연결될 수 있도록 보장하

고자 하였고 더 장기적인 저탄소 목표를 맞추기 위해서 필요한 공동체의 참여수

준을 확실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였다.

6.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 목표를 공유하기 위해 이행하여야 하는 수송가능성을 제한하는 바이오연료를

둘러싼 환경적인 사항들을 고려하였다.

  - 지속가능성은 열과 전력을 얻기 위한 고형 바이오매스의 획득가능성을 역시 고려

한다.

7. 투자 신뢰

  - 우리는 이 시나리오가 투자자들에게 주는 신호들이 신뢰할 만하며 투명하다는

것을 확인시키려고 하였고 투자자들이 더 장기적인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목표하

였다.

Page 63: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4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반적 검토∣ 49

∣제4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반적 검토∣1.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의 개요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은 2014년 1월 공표되었고, 그 내용은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5장의 대상계획의 개요에서도 언급된다.21) 계획의 목표는 중장기 에너지정책의

기본철학과 비전 제시22)이며 아래와 같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표 4-1).

- 국내외 에너지 수요와 공급의 추이 및 전망

- 에너지의 안정적 확보, 도입, 공급 및 관리를 위한 대책

- 에너지수요목표, 에너지원의 구성, 절약 및 에너지이용효율향상

- 신재생에너지 등 환경친화적 에너지의 공급사용을 위한 대책

- 에너지안전관리를 위한 대책

- 기술개발, 전문인력 양성, 국제협력, 자원개발, 에너지복지 등(저탄소녹색성장

기본법 제41조 제3항)

- 5년마다 수립시행, 20년 계획

<표 4-1>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의 주요 내용

에너지기본계획은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제41조, 에너지법 제10조제1항을 근거로 한

기간시설분야, 수요 ․공급분야의 계획이다. 계획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분산형 발전을

위한 발전소 입지분산, 송전망계획,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와 관련된 발전소 입지 등

공간계획의 비중을 30% 정도로 볼 수 있다. 에너지 수요 전망과 같은 수요 예측과 관련된

21) 에너지계획은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라 할 수 있는 5장에서도 언급된다.

22) 산업통상자원부(2014).

Page 64: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50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내용은 30% 비중을 차지한다.

빗물적 계획 내용으로 볼 수 있는 에너지 수요관리 중심, 분산형 발전시스템, 지속가능

성 제고, 에너지 안보 강화, 원별 안정적 공급체계 등 정책목표 및 비전의 내용은 30%의

비중을 차지하고, 부문별 추진 방향과 계획을 제시하는 시행방안 관련 내용은 10%를

차지하고 있다.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에 대하여 주요하게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표 4-2).

분야 주요 고려사항

환경적 측면

- 환경, 안전과의 조화를 모색하는가

- 온실가스감축기술을 적용하는가

- 기후변화대응을 제고하는가

경제적 측면

- 수요관리 중심의 에너지 정책으로 전환하는가

- 분산형 발전시스템을 구축하는가

- 에너지안보를 강화하고 안정적인 공급을 하는가

- 원별 안정적 공급체계를 구축하는가

사회적측면 - 국민과 함께 하는 에너지정책을 추진하는가

<표 4-2> 환경, 경제, 사회적 측면에서의 주요 고려사항

계획 간 위계를 살펴보면 에너지계획은 에너지원별, 부문별 등 다른 에너지 관련 계획에

대해 원칙과 방향을 제시하는 성격을 가진 최상위 계획으로 에너지기본계획이 공급측

기본계획이며 수요관리 등은 저탄소기본계획이다. 하위계획으로는 지역에너지계획, 비상

시에너지수급계획, 전력수급기본계획, 에너지기술개발계획이 있다.23)

23) 지속가능발전위원회(2008), p.355.

Page 65: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4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반적 검토∣ 51

2014년 공표된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24)의 개요는 아래와 같다.

가) 기본방향

1. 수요관리 중심의 에너지 정책전환

- 2035년 전력수요의 15% 감축

2. 분산형 발전시스템의 구축

- 2035년 발전량의 15%를 분산형으로 공급

3.환경, 안전과의 조화를 모색

- 신규발전소에 대한 최신 온실가스 감축기술 적용

4.에너지 안보의 강화와 안정적 공급

- 해외자원개발 역량강화, 신재생에너지 보급 11%

5.원별 안정적 공급체계구축

- 석유, 가스 등 전통에너지의 안정적 공급

6. 국민과 함께 하는 에너지 정책 추진

- 2015년부터 에너지 바우처 제도 도입

나) 에너지수요전망

1. 에너지 수요전망 BAU

- 총 에너지 연평균 1.3% 증가(2011~2035)

2. 석탄, 천연가스, 수력, 원자력, 신재생 증가

- 신재생 기타 증가가 가장 크고 4.44%, 다음으로 원자력 증가 3.28%

다) 석유 부분 감소

- 2035년 전력수요전망 BAU

24) 산업통상자원부(2014), p.141.

Page 66: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52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라) 에너지 목표

1. 2035년 에너지 목표 수요

- 에너지소비 13% 감축, 전력수요는 15% 수준으로 감축

2. 2035년 원자력 비중

- 현시점에서 29% 수준으로 결정(워킹 그룹 권고안 : 22~29% 범위에서

결정할 것을 권고)

-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른 2024년까지의 36GW 원전건설 운영에 추가

로 7GW 신규건설 필요

- 에너지믹스

2. 제2차 에너지계획에 대한 검토 결과

산업자원부의 공청회 자료25)에 의하면 제2차 에너지 기본계획의 수립을 위해 민간

워킹그룹을 운영하여 개선된 프로세스를 적용하였다. 업계, 학계, 시민 사회 등 60여

명의 이해관계자가 참여하여 계획 수립 초기부터 민관 ․워킹그룹의 공론화를 통해 의견

수렴을 추진하였고, 2014.10.11일에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권고안을 발표하였다. 권고

안의 주요 내용은 ① 가격체계 개편 등에 에너지 수요관리, ② 지속가능한 전원 믹스,

③ 전원시스템 분산화 추진, ④ 온실가스 감축 등 환경정책과의 조화 모색이었다. 워킹그

룹 권고안 이후 국회 산업통상자원 위원회의 공청회(2013.11.7), 이해관계자 간담회,

토론회(2013. 10~11월 6회), 전문가 간담회(2013.11~12월, 3회), 관계부처 협의(2013.

11~12월) 등을 거쳐 의견수렴 절차를 마쳤다(산업통상자원부, 2013).26)

제2차 에너지계획의 수립과정 및 최종계획에 대해서 아래와 같은 의견들이 일반적으

로 제시되었다.

25) 산업통상자원부(2013).

26) 여기서는 LPG 사업자의 세율인하 요청, 석유가스 등 전통 에너지원의 강조, KT활용 스마트그리드에 의한 수요관리 대책, 신재생에너지 비중 등이 논의됨.

Page 67: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4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반적 검토∣ 53

구 분 에너지기본계획의 수립 과정 및 최종 계획에 대한 일반적 의견

녹색당27)

1. 산업계 전기요금 인상으로 전력화 중단

2. 765kV 송전망 건설 백지화, 지역자립도 개념 도입, 분산전원 활성화

3. 신규원전 건설 중단, 수명 완료 원전 폐쇄, 원전비리척결, 안전성 강화

4. 신규 석탄화력 발전 건설 중단

5. 발전차액지원제도 재도입, 수용성 강화방안 마련, 재생가능에너지 산업 육성

- 원자력 비중에 대한 의견 제시 : 설비비중 26.4% (2012년 25.3%)

- 중앙 집중 전력시스템에서 지역 분산형 시스템으로의 변환

- 에너지 자립 마을과 자립 도시 ․ 국민은 탈핵과 분산 에너지로의 전환을 위한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을 원한다!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에 대한 녹색당 입장문]28)

가천대

김창섭 교수29)

․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이제는 실천이다.

․ 이번 계획의 핵심은 원전비중의 합의나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아니다.

․ 가격세제의 조정을 통한 전기화의 최대한 억제이다.

․ 신규 원전 건설 물량을 포함하는 실질적 논의는 이제 시작이다.핵없는 사회

공동행동30)

․ 원전비중을 워크그룹 권고안의 최대치(29%)로 한 것은 수요관리 중심의 에너지정

책 전환과 분산형 전원시스템 구축의 정책목표에 위배되는 것이다.환경운동연합

양이원영31)․ 원전이용률보다 안전성이 우선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워킹그룹 참여

시민단체

위원들32)

․ 에너지수요 전망과 전력수요전망이 높이 제시되었다.

․ 최종 에너지에서 전력의 비중을 2011년 19%에서 28%로 높이는 것은 불합리하고

특정 업체의 이익과 관련 있다고 의심된다.

․ 원전비중은 줄었지만 원전설비는 늘어나는 계획이다.

․ 향후 에너지기본계획 수립 시에는 충분한 시간과 개방 전 논의가 보장되어야

한다.

서울경제33)

․ 국가에너지기본계획 3대 숙제는

①동해안 송전망 '제2밀양' 우려

②수명 끝난 원전 모두 재가동 힘들어 논란 예상

③도시 인근 분산형 발전 확대도 가스 값이 변수

<표 4-3>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에 대한 일반적 의견

27) 녹색당(2013).

28) http://kgreens.org/85522

29) 전기신문(2014.1.16).

30) 핵 없는 사회 공동행동(2013.12.11), 기자회견자료.

31) 양이원영(2013.11.).

32) 환경연합(2013.10.13).

33) http://economy.hankooki.com/lpage/industry/201312/e2013121117382347430.htm

Page 68: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54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3. 에너지 관련 주요계획들

에너지관련 주요 계획의 위계는 아래와 같다(표 4-4).

계획명 근거법령 상위계획 관련하위계획

에너지기본계획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41조-

에너지이용합리화기본계획

지역에너지계획

에너지기술개발계획

전력수급기본계획

에너지기술개발계획 에너지법 제11조 에너지기본계획 -

원자력진흥종합계획원자력진흥법

제9조에너지기본계획

에너지이용합리화기본계획

에너지기술개발계획

대체에너지개발및이용보전계획

전력수급기본계획

원자력진흥시행계획

에너지이용 합리화

기본계획

에너지이용합리

화법 제4조에너지기본계획 에너지이용합리화실시계획

신재생에너지의 기술

개발 ․ 이용 ․ 보급을

촉진하기 위한

기본계획

신에너지및재생

에너지개발 ․이용 ․

보급촉진법

제5조

에너지기본계획 -

핵융합에너지개발

진흥기본계획

핵융합에너지개

발진흥법 제4조-

핵융합에너지개발진흥

시행계획

전력수급기본계획

전기사업법

제25조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42조

에너지기본계획

원자력진흥종합계획

에너지이용합리화기본계획

에너지기술개발계획

전기공급계획

전력산업기반조성계획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관련

장기송배전설비계획

(2013~2027)

- 전력수급기본계획

2013년. 한국전력공사

자체계획으로 전기위원회

심의를 거침(2013.8)

온실가스감축로드맵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42조34) - 각 부처별 이행계획

<표 4-4> 에너지 개발 분야의 주요계획과 관련 위계

34)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42조 (기후변화대응 및 에너지의 목표관리) 정부는 온실가스 감축, 저탄소 녹색성장 추진을 위하여 중장기 및 단계별 목표를 설정하고 그 달성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강구

Page 69: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4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반적 검토∣ 55

4.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개요

전력수급의 안정을 목표로 하는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35)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표 4-5).

∙ 전력수급의 기본방향에 관한 사항

∙ 전력수급의 장기전망에 관한 사항

∙ 전기설비 시설계획에 관한 사항

∙ 전력수요의 관리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전력수급에 관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2년 단위로 수립, 기본계획 수립 변경 시 전력정책심의회에서 심의(전기사업

법 시행령 제15조)

<표 4-5>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주요 내용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전기사업법 제25조,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제42조-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수립 근거로 한 수요 ․ 공급분야의 계획이다.

물적 유형의 내용으로 공간적으로는 발전 설비 계획 및 송변전 설비계획이 50%의

비중을 차지하며, 발전사업자가 기본계획상 수급전망 및 설비계획을 바탕으로 발전소

건설 사업을 추진하는 실행계획으로 발전소의 입지와 관련된 공간계획의 성격을 가진다.

수요 ․예측적 측면에서는 기본계획상 수요전망과 목표수요전망의 제시가 20%의 비중을

차지하며, 전력수요전망, 수요관리목표, 적정예비율, 전원믹스, 신재생에너지 비중, 발

전소 건설계획 등 정책방향을 제시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빗물적 계획 유형으로는 전력수요전망, 수요관리목표, 적정예비율, 전원믹스, 신재생

비중, 발전소 건설계획 등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정책목표 및 비전 요소가 20%의 비중을

차지한다. 수급전망 및 설비계획을 바탕으로 신재생, 집단, 도서지역 등을 포함한 발전설

35) 지식경제부(2013), p.84.

Page 70: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56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비 건설사업 추진 등과 같은 시행방안에 대한 요소는 1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과 연계된 상위계획은 에너지 기본계획이다. 그러나 시기적으로

제2차 에너지계획의 내용을 반영하지는 못하였으며, 2015년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반영될 것이다.

전략환경평가에서 평가되어야 할 사항들로는 아래와 같은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분야 주요 고려사항

환경적 측면

․ 적극적 수요관리를 통한 신규발전설비 건설 최소화

․ 화력발전의 비중에 따른 대기환경의 변화

․ 발전설비 건설의향을 고려한 지역환경의 변화

․ 전원구성 계획에 따른 환경변화

․ 신재생에너지 발전으로 인한 환경변화

․ 송전선로 계획으로 인한 환경영향

경제적 측면 ․ 경제규모에 맞는 안정적 예비율 확보

사회적 측면

․ 지역수용성, 계통여건을 고려한 발전시설 확충

․ 전력수급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가

- 도서지역 등의 전기공급의 형평성을 강화하는가

․ 전력계통의 신뢰도를 향상하고 안정성을 강화하는가

․ 경제적,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한 전원구성인가

<표 4-6> 환경, 경제, 사회적 측면에서의 주요 고려사항

Page 71: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4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반적 검토∣ 57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표 4-7).

목 차 내 용

전력수급기본계획 개요 -

전력수급 현황

1. 전력수요

2. 전력공급

3. 최근 전력수급 불안요인 분석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기본방향1. 대내외 환경변화

2. 전력수급기본계획 기본방향

기준수요 전망1. 모형 및 주요전제

2. 예측 결과

수요관리 계획 및 목표수요 전망1. 수요관리 계획

2. 목표수요 전망

발전설비 계획

1. 수립 절차

2. 적정 설비규모

3. 전원 구성

4. 사업자 건설의향

5. 건설의향 반영결과

6. 발전설비 투자비 전망

7. 전력수급 및 전원구성 전망

송변전 설비계획 추진방향

1. 기본 방향

2. 송변전설비 확충 기준

3. 송변전설비계획 추진방향

사후 관리계획 -

<표 4-7>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주요 내용(목차)

Page 72: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58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5.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대한 기존 검토 결과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대하여 기존의 검토36)된 사항은 아래와 같다.

허가형(2013)은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문제점을 아래와 같이 지적하였다.

◦ 에너지부문 상위계획과 불일치하다.

- 제1차 에너지기본계획(2008~2030)의 전력수요 전망보다 12.3% 높은

전망을 제시하였다.

◦ 송배전 설비계획을 두고 있지 않다.

- 송배전 설비투자가 발전설비투자보다 크다(최근 5년간 투자비).

- 허가형(2013)은 최근 5년(2012년까지로 추정됨) 송배전설비투자가 22조

5,167억 원이어서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상의 발전설비 투자비 15조

6,381억 원보다 큰 액수임을 지적하였다.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2027년까지의 계획으로 향후 15년간의 계획이다. 즉, 지난 5년간의 송

전선로 설비 투자가 향후 15년간 발전 설비 투자의 약 140%에 해당한다.

-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검토 결과 송배전망의 건설 운영비용도 발

전원가에 반영하여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 연간 설비예비율의 편차가 크다.

- 제6차 계획에서는 설비 예비율이 5.5%에서 30.5%까지 변동된다.

- 건설계획이 적정하게 분산 배치되어야 한다.

- 과거 설비 예비율은 10-12%가 적정해 보이나 6차 계획은 22%로

상향 조정되었다.

◦ 발전설비의 과투자의 우려가 있다.

◦ 유휴 발전설비로 인한 기회비용 손실이 유발된다.

- 2019년 이후 발전단가가 높은 LNG 발전기의 대부분이 가동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음

36) 자료: 허가형(2013), p.75; 지식경제부(2013.2.), p.84.

Page 73: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4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반적 검토∣ 59

◦ 국제유가 상승 시 유가보다 저렴한 전기수요를 부추길 우려가 있다.

- 물가상승률을 근거로 한 전기요금 전망이 전시수요를 부추긴다.

◦ 전기요금 정상화 및 인상이 필요하다.

- 발전 소요 모든 비용을 발전원가에 반영하고, 송배전망의 건설 운용 비용

도 포함하여야 한다.

◦ 평가 결과의 환류 부족

- 전력수급기본계획은 2년마다 갱신되는 연동계획(rolling plan)이다.

- 그러나 제6차 계획이 제5차 계획의 이행실적 점검 및 평가결과를 구체적

으로 설명하지 않아 연동계획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였다.

◦ 전기요금 인상계획이 반영되지 않았음

◦ 전력수급 개선전망을 밝히지 않았음

- 제5차 계획이 이행되면 전력수급상황이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을 밝히지

않고 전력수급 불안요인만 제시하였다.

송배전 건설비용은 시설의 길이에 비례하여 비용이 증가하고, 송배전 건설은 원자력,

화력 등의 발전원 특성과는 무관하나 수도권에의 전력공급을 목적으로 할 경우 원자력

발전원으로부터 거리가 멀기 때문에 송배전 건설비용의 상당부분은 원자력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경인지방을 기준으로 할 때 원자력은 가장 먼 발전원에 해당된다.

반면, 화력, LNG 등은 경인지방에 공급할 목적으로 건설될 경우 서해안, 당진 정도의

경인, 충청지역에 입지하여 송전선로 비용이 상대적으로 작다.

원전 기준 주요 송전선로는 울진-신태백-신가평, 고리-북경남 등이 포함되며, 화력

기준 주요 송전선로는 당진-신서산-신안성-신가평이 포함된다.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

획상의 발전소 설립 계획 중에는 동해안지역의 화력 발전소 계획도 포함되어 있어서

송전선로의 신설을 포함하게 된다.

기선로 건설비는 구간별 km당 건설비가 42.3억 원~56.4억 원/km으로 평균 46.9억

Page 74: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60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원/km, 총 458km, 총 21,480억 원이 소요되며, 계획선로 구간별 km당 건설비는

57.2~57.8억 원/km, 평균 57.5억 원/km, 총 18,40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37)

6. 전원구성 계획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는 전력부문의 전원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안을 제시하지

않았다. 다만 원자력 발전의 비중을 민간합동 워크그룹의 권고안 중에서 가장 큰 29%를

채택하였다. 민관합동 워크그룹은 전력생산 주요 에너지원의 장단점을 아래와 같이 비교

하였다(표 4-8).

전원 자립도 경제성 온실가스 수용성 계통연결

원자력 우위 우위 우위 열위 열위

석탄 열위 우위 열위 열위 열위

LNG 열위 열위 - 우위 우위

신재생 우위 열위 우위 우위 우위

자료: 부록2 에너지기본계획에 대한 정책제안, 민관합동 워킹그룹에서 인용.

<표 4-8> 전력 생산 주요 에너지원의 장단점

주요 국가의 발전원별 전력 생산 비중은 아래와 같다(아래 표 4-9, 표 4-10, 제2차

에너지 기본계획 p.16 표 참조).

2011년 기준으로 미국은 석탄 43%, 가스 24%, 원자력 19%, 신재생 5%, 수력 7%,

석유 1%의 순으로 화력의 비중이 67%에 이른다. 독일은 석탄 45%, 신재생 19%, 원자력

18%, 가스 14%, 수력 3%, 석유 1%로 화력의 비중이 59%이다. 프랑스는 원자력 79%,

수력 8%, 가스 5%, 신재생 4%, 석탄 3%, 석유 0.6%의 순으로 원자력 중심의 전원구성

37) 송전선로(765kV 송전선로) 건설비용(보고서 자료를 이용하여 본 연구에서 계산한 것임).

Page 75: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4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반적 검토∣ 61

을 갖고 있고 화력은 8%이다. 일본은 가스 36%, 석탄 27%, 석유 15%, 원자력 10%,

수력 8%, 신재생 5%의 순으로 화력의 비중이 78%이다. 중국은 석탄 79%, 수력 15%,

가스 2%, 원자력 2%, 신재생 2%, 석유 0.2%로 석탄화력 중심의 전원구성을 갖고 있다.

화력의 비중은 81%이다. 반면 2035년 각국의 발전원별 전력생상비중에 대한 계획은

아래와 같다. 우리나라는 2012년 기준으로 석탄 31%, 원자력 26%, 가스 26%, 석유

6%, 수력 6%, 신재생 5%의 순이다. 화력의 비중이 63%이다.38)

프랑스는 주 에너지원으로 원자력을 사용하는 나라이며 그 외의 대부분의 국가는 화력

이 주 에너지원이다. 그중에서도 석탄의 비중이 대부분의 나라에서 가장 높다. 중국의

경우는 2011년 79%의 전력을 석탄화력에서 생산한다.

<표 4-11>, <표 4-12>는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상의 연도별 전원구성 전망으로

정격용량기준 및 피크기여도 기준으로 계획한 것이다. 정격용량기준으로 2027년 원자력

발전의 비중은 22.7%로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의 원자력 비중, 2035년 기준 29%와는

차이를 보인다. 신재생에너지는 2012년 5.0%에서 2027년 20.2%(용량기준)으로 증가

하나 피크기여도 기준으로는 2012년 1.6%에서 2027년 4.5%로, 신재생에너지의 피크기

여도를 2012년 32%로 2027년 22%로 추산하고 있다. 이는 신재생에너지 중 풍력, 태양

광의 비중이 커질 것으로 예상하는 것이라고 추정된다.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11%로 목표를 설정하였다.

38) 우리나라 집단에너지 비중을 제외하고 재계산한 값이기 때문에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전원구성비보다는 크게 나타나 있다. 예를 들면 원자력이 22.7%이나 여기서는 26.2%로 제시되어 있다. 한국의 경우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 구체화된 전원구성이 결정되지 않은 상태이며 2015년 제7차 전력수급계획에서 구체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Page 76: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62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전력생산

에너지원제1에너지원 화력 제2에너지원 제3에너지원

미국 화력(석탄+가스+석유) 67% 원자력 19% 신재생 5%

독일 화력(석탄+가스+석유) 59% 신재생 19% 원자력 18%

프랑스 원자력 79% 화력 8% 수력 8%

일본 화력(가스+석탄+석유) 78% 원자력 10% 수력 8%

중국 화력(석탄+가스+석유) 81% 수력 15% 원자력 2%

한국(2012) 화력(석탄+가스+석유) - 원자력 26% 수력 6%

주: 화력발전 중에서 밑줄친 것이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을 표시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2012년 자료를 사용하였음.

자료: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표 4-9> 각국별 전력생산 에너지원의 분포(2011년)

(단위: %)

구 분 미국 독일 프랑스 일본 중국한국

(집단 제외 후 재계산)

원자력 19.0 17.9 79.4 9.8 1.8 26.2

석탄 43.3 45.1 3.1 27.0 78.9 31.1

가스 24.2 13.9 4.8 35.9 2.0 25.5

석유 0.9 1.1 0.6 14.7 0.2 6.2

수력 7.4 2.9 8.0 8.0 14.7 5.9

신재생 5.2 19.1 4.0 4.7 2.4 5.2

총계 100.0 100.0 99.9 100.1 100.0 100.0

주: 1) 한국은 집단에너지를 제외하고 재계산하였음. 집단에너지의 비율은 2012년 3.4% - 한국 데이터의 집단에너지는 2012년 실적 기준, 정격용량기준 총 78,483MW 중

2,768MW로 3.4%에 해당2) 현재의 에너지원별 전력생산비중(주요국 자료는 2011년, 국내자료는 2012년)3) 2011년 기준,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16쪽 내용과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79쪽의 정격용량 기준을

근거로 함4) 수력은 별도의 분류가 없어 국내의 경우 양수발전 4,700MW로 대체

자료: 산업통상자원부(2014); 지식경제부(2013)에서 전원구성전망의 내용(p.79)을 토대로 분석하였음.

<표 4-10> 주요 국가의 에너지원별 전력 생산 비중 현황 및 전망

Page 77: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4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반적 검토∣ 63

연도 원자력 유연탄 무연탄 LNG 석유 양수 신재생 집단 계

201220,716 23,409 1,125 20,116 4,888 4,700 4,084 2,768 81,806

25.3 28.6 1.4 24.6 6.0 5.7 5.0 3.4 100

201323,116 23,409 1,125 23,574 4,890 4,700 5,142 4,406 90,362

25.6 25.9 1.2 26.1 5.4 5.2 5.7 4.9 100

201424,516 25,149 1,125 28,690 3,893 4,700 7,028 5,496 100,597

24.4 25.0 1.1 28.5 3.9 4.7 7.0 5.5 100

201524,516 27,169 1,125 31,372 3,901 4,700 9,277 6,373 108,433

22.6 25.1 1.0 28.9 3.6 4.3 8.6 5.9 100

201624,516 34,929 1,125 33,124 3,902 4,700 10,572 6,690 119,558

20.5 29.2 0.9 27.7 3.3 3.9 8.8 5.6 100

201725,916 35,929 725 34,074 3,904 4,700 11,644 6,690 123,582

21.0 29.1 0.6 27.6 3.2 3.8 9.4 5.4 100

201827,316 38,299 725 33,594 3,849 4,700 14,274 6,690 129,448

21.1 29.6 0.6 26.0 3.0 3.6 11.0 5.2 100

201928,716 43,669 725 33,594 3,849 4,700 17,295 7,434 139,983

20.5 31.2 0.5 24.0 2.7 3.4 12.4 5.3 100

202030,116 43,669 725 33,594 3,849 4,700 20,066 7,434 144,154

20.9 30.3 0.5 23.3 2.7 3.3 13.9 5.2 100

202131,516 44,669 725 33,594 3,849 4,700 22,972 7,434 149,460

21.1 29.9 0.5 22.5 2.6 3.1 15.4 5.0 100

202232,916 44,669 725 33,594 2,649 4,700 25,211 7,434 151,899

21.7 29.4 0.5 22.1 1.7 3.1 16.6 4.9 100

202334,416 44,669 725 31,794 2,649 4,700 26,694 7,434 153,082

22.5 29.2 0.5 20.8 1.7 3.1 17.4 4.9 100

202435,916 44,669 725 31,794 1,249 4,700 27,774 7,434 154,262

23.3 29.0 0.5 20.6 0.8 3.0 18.0 4.8 100

202535,916 44,669 725 31,794 1,249 4,700 29,178 7,434 155,666

23.1 28.7 0.5 20.4 0.8 3.0 18.7 4.8 100

202635,916 44,669 725 31,794 1,249 4,700 30,054 7,434 156,542

22.9 28.5 0.5 20.3 0.8 3.0 19.2 4.7 100

202735,916 44,669 725 31,794 1,249 4,700 32,014 7,434 158,502

22.7 28.2 0.5 20.1 0.8 3.0 20.2 4.7 100

주: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원자력 증설계획이 포함되지 않았음.자료: 지식경제부(2013), p.79 표 참고.

<표 4-11> 전원구성 전망(정격용량 기준)

Page 78: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64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연도 원자력 유연탄 무연탄 LNG 석유 양수 신재생 집단 계

201220,716 23,409 1,125 20,116 4,778 4,700 1,277 2,362 78,483

26.4 29.8 1.4 25.6 6.1 6.0 1.6 3.0 100

201323,116 23,409 1,125 23,574 4,780 4,700 1,595 3,306 85,605

27.0 27.3 1.3 27.5 5.6 5.5 1.9 3.9 100

201424,516 25,149 1,125 28,690 3,783 4,700 1,872 4,356 94,192

26.0 26.7 1.2 30.5 4.0 5.0 2.0 4.6 100

201524,516 27,169 1,125 31,372 3,791 4,700 2,317 5,186 100,177

24.5 27.1 1.1 31.3 3.8 4.7 2.3 5.2 100

201624,516 34,929 1,125 33,124 3,792 4,700 2,404 5,477 110,067

22.3 31.7 1.0 30.1 3.4 4.3 2.2 5.0 100

201725,916 35,929 725 34,074 3,794 4,700 2,717 5,477 113,332

22.9 31.7 0.6 30.1 3.3 4.1 2.4 4.8 100

201827,316 38,299 725 33,594 3,739 4,700 2,771 5,477 116,621

23.4 32.8 0.6 28.8 3.2 4.0 2.4 4.7 100

201928,716 43,669 725 33,594 3,739 4,700 3,190 6,071 124,404

23.1 35.1 0.6 27.0 3.0 3.8 2.6 4.9 100

202030,116 43,669 725 33,594 3,739 4,700 3,262 6,071 125,875

23.9 34.7 0.6 26.7 3.0 3.7 2.6 4.8 100

202131,516 44,669 725 33,594 3,739 4,700 3,325 6,071 128,339

24.6 34.8 0.6 26.2 2.9 3.7 2.6 4.7 100

202232,916 44,669 725 33,594 2,539 4,700 3,387 6,071 128,602

25.6 34.7 0.6 26.1 2.0 3.7 2.6 4.7 100

202334,416 44,669 725 31,794 2,539 4,700 3,724 6,071 128,639

26.8 34.7 0.6 24.7 2.0 3.7 2.9 4.7 100

202435,916 44,669 725 31,794 1,139 4,700 4,061 6,071 129,077

27.8 34.6 0.6 24.6 0.9 3.6 3.1 4.7 100

202535,916 44,669 725 31,794 1,139 4,700 4,703 6,071 129,719

27.7 34.4 0.6 24.5 0.9 3.6 3.6 4.7 100

202635,916 44,669 725 31,794 1,139 4,700 5,479 6,071 130,495

27.5 34.2 0.6 24.4 0.9 3.6 4.2 4.7 100

202735,916 44,669 725 31,794 1,139 4,700 5,837 6,071 130,853

27.4 34.1 0.6 24.3 0.9 3.6 4.5 4.6 100

주: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원자력 증설계획이 포함되지 않았음.자료: 지식경제부(2013), p.82 표 참고.

<표 4-12> 전원구성 전망(피크기여도 기준)

Page 79: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4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반적 검토∣ 65

7. 전력수급기본계획과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3) 수립 이후, 각 부처별 합동으로 작성된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로드맵(국무조정실외, 2014)에서는 2020년 온실가스배출전망

(BAU) 대비 30% 감축목표를 수립하였다. 이 로드맵에서는 산업, 건물, 수송, 농림어업,

공공기타, 폐기물, 전환(발전) 7대 부문별 감축량을 설정하고 세부 이행수단을 마련하였

다. 부문별 감축률은 수송(34.3%), 건물(26.9%), 전환 ․ 발전(26.7%), 공공(25.0%), 산

업(18.5%), 폐기물(12.3%), 농․어업(5.2%) 순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중에서 2020년 전력(발전)부문 CO 감축량은 총감축량 233,084천 톤

COe의 27.9%인 64,925천 톤 COe을 차지하며 이는 전력부문 2020 BAU 242.2백

만 톤 COe에 대해서는 (64.9백만 톤 COe 감축으로) 26.7% 감축 목표에 해당한

다. 이 중 직접적인 에너지원과 관련된 주요 감축방안 18.9%에 해당하는 것은 전력

수요절감을 통해 도달하도록 계획하였고 신재생에너지비율 7.2% 확대를 3.1%로

감축하도록 계획하였다. CCS 도입에 의한 감축 달성 목표는 0.8%로 잡고 있다(표

4-13).

구분 감축방안방안별

감축률2017년 감축량 2020년 감축량

전력부문

(발전,

도시가스,

지역난방)

1. 전력수요절감으로

전력 MIX 개선 효과18.9 % 21,723천 톤 COe 46,026천 톤 COe

2.신재생에너지비율

7.2%로 확대3.1 % 3,015천 톤 COe 7,473천 톤 COe

3.CCS 도입

(2백만 톤 감축)0.8 % - 1,900천 톤 COe

4.스마트그리드

(1백만 톤 감축)3.9 % - 9,600천 톤 COe

11,426 천 톤 COe

(감축방안 3+4 합계)자료: 1) 국무조정실 외(2014), pp.80-86. 붙임2. 부문․업종별 감축방안 및 수단별 감축률. 2) 국무조정실 외(2014), pp.87-89. 붙임3. 부문별 감축이행으로 달성 가능한 감축량.

<표 4-13>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로드맵(2014) 상의

전력부문감축방안과 감축량

Page 80: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66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즉,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에 따르면 2020년까지 전력수요를 줄여 CO2 발생을 BAU

대비 18.9%를 달성하는 계획인 것이다. 그러나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2020

년의 전력소비량의 예측 값과 수요관리를 통한 목표수요 간의 차이가 6.4%(최대전력

기준 6.7%)이어서 감축 목표를 6.4%(최대전력기준 6.7%)로 설정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국가 온실가스감축 로드맵에서 제시한 18.9% CO2 감축목표와는 큰 차이가 있다(표

4-14). 전력수급계획이 공급중심의 목표를 갖는 계획이기 때문에 감축의 폭이 작게

설정될 수도 있으나, 그러한 점을 고려해도 두 목표 사이의 차이가 세배에 달하여 상호

계획간의 정합성이 확보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원구성계획을 비교해도 2012

년에 비해 2020년에 화력의 구성비가 54.6%에서 54.1%(정격용량기준), 56.8%에서

62.0%로(피크기여도 기준) 증가하거나 같은 수준의 비율을 유지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표 4-15).39)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제시된 2020년 최대전력 예측값과 목표수요 및 전력소비

감축 정도는 아래 <표 4-14>와 같다.

구분 전력소비량 최대전력

A. 2020 예측

(전력수요전망)630,964 GWh 102,205 MW

B. 2020 목표수요예측

(전력소비량목표수요)590,565 GWh 95,316 MW

감축정도 (A-B)/A 6.4% 6.7%

주: 1) A. 2020년 예측은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19쪽, 전력소비량 및 최대전력 예측결과2) B. 2020년 목표수요예측은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23쪽, 목표수요 최대전력 예측결과

<표 4-14> 2020년 최대전력 및 목표수요(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39) 발전량은 발전용량보다는 발전기 가동률과 관련이 있는 것이므로 피크기여도 기준으로 참조하는 것이 발전기의 실제 운용량과 유사한 결과를 보여줄 수 있다.

Page 81: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4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반적 검토∣ 67

구분 원자력 석탄 LNG 석유 양수 신재생 집단2012

(정격용량기준)25.3%

30.0% 24.6%6.0% 5.7% 5.0% 3.4%

54.6%

2020

(정격용량기준)20.9%

30.8% 23.3%2.7% 3.3% 13.9% 5.2%

54.1%

2012

(피크기여도기준)26.4%

31.2% 25.6%6.1% 6.0% 1.6% 3.0%

56.8%

2020

(피크기여도기준)23.9%

35.3% 26.7%3.0% 3.7% 2.6% 4.8%

62.0%

자료: 1)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79쪽, 정격용량기준. 2)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82쪽, 피크기여도기준.

<표 4-15> 2012년과 2020년 전원구성계획(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제시된 전원구성전망에 따르면 2012년 대비 2020년 전력

용량이 78,483MW에서 125,875MW(피크기여도기준)로 37.7% 증가하였는데 동기간에

석탄화력 발전의 용량은 24,534MW에서 44,394MW로 44.7% 증가하여 평균증가율을

넘는다(표 4-16). 석탄화력과 LNG를 합하면 42.7%의 증가율을 보인다. 이는 전력용량

전체가 수요를 고려하여 증가한다는 것을 고려하더라도 화력발전의 용량증가 비율이

다른 전원의 증가율에 비해서 크다는 것을 알려준다. 따라서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발전설비용량이 증가하면 전력 부문에서는 온실가스 감축로드맵에서 설정한 목표

달성이 불가능하며 오히려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Page 82: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68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구분 원자력 석탄 LNG 석유 양수 신재생 집단 계A.2012

(정격용량

기준)

MW

20,716 24,534 20,116 4,888 4,700 4.084 2,768 81,806

B.2020

(정격용량

기준)

MW

30,116 44,394 33,594 3,849 4,700 20,066 7,434 144,154

(B-A)/B 31.2% 44.7% 40.1% -27.0% 0.0% 79.6% 62.8% 43.3%

C.2012

(피크기여도

기준)

MW

20,716 24,534 20,116 4,778 4,700 1,277 2,362 78,483

D.2020

(피크기여도

기준)

MW

30,116 44,394 33,594 3,739 4,700 3,262 6,071125,875M

W

(D-C)/D 31.2% 44.7% 40.1% -27.8% 0.0% 60.9% 61.1% 37.7%

주: 1)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79쪽 전원구성전망, 정격용량기준. 2)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82쪽, 전원구성전망, 피크기여도기준.

<표 4-16> 2012년 전원별 용량과 2020년의 전원별 용량계획의 비교.

정격용량기준 및 피크기여도기준(MW)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2013~2020년까지 화력발전소가 36,053MW 증

가하여 2012년 말 총발전 설비 대비 화력발전용량이 44% 증가될 예정이다.40) 이와

같은 화력발전소 증설계획은 발전수요의 증가율보다 크고 CO2 발생 저감계획과도 맞지

않는다. 따라서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에 따라 2020년까지 발전수요를 줄여 CO2 발생을

BAU 대비 18.9%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화력발전의 증설이 억제되어야 한다. 2015년

확정될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수립 시에는 이러한 사항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40) 1) 2013~2020년 화력발전소(복합화력포함) 9기 폐지, 55기 증설, 총용량 36,053MW 증가(원자력, 신재생 제외).

2) 2012년 말 기준 총발전설비 81,806MW(원자력 포함) 설비, 2012년말 대비 2020년에 화력발전용량 44% 증가(원자력 증가분 제외).

Page 83: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4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반적 검토∣ 69

8.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대한 전망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 제시된 원자력 비중 29%에 따라 2015년 확정될 제7차 전력수급

계획이나 원자력 발전소의 추가 건설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삼척·영덕에

1,500MW급 각 2기 건설을 추진하고 하반기 7차 전력수급계획 수립 시 이 계획을 반영할

예정이다. 또한 계획 설비 신고리 7,8호기를 천지 원전으로 대체할 계획이다. 제2차 에너지기

본계획에 따라 2035년까지 원전비중을 29%로 높이려면 건설·계획 설비(11기) 외에 7GW를

추가 건설하여야 하고 그를 위한 부지가 필요하다(그림 4-1).

자료: 이투뉴스(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4873) 근거로 재작성.

<그림 4-1> 제7차 전력수급계획의 원자력 반영 예상도

Page 84: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70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9. 에너지계획 관련 기타 고려사항

가. 전력 가격체계의 문제점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이행과 관련하여 전력가격체계가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의 이행 방향과 다르다는 것이 지적되었다.41) 천수연(2013)은 가격체계가 상위 정책과의

온실가스 저감 방향과 부정합적이라고 지적하였다. 그의 지적에 의하면 현행 가격체계는

민간 발전사업자가 화력발전을 촉진토록 조장하며, 그 결과 CO2 발생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앞에서 말한 상위계획과의 부정합성에 대해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민간발전사업자의 화력발전 사업을 촉진하는 가격체계

◦ 정산조정계수42)의 적용으로 인한 문제점

가) 발전정산단가 관련(2012)

- 발전자회사의 유연탄 발전정산단가: 64.48원/kWh (정산조정계수적용)

- 민간기업의 유연탄 발전정산단가: 157.94원/kWh 발전자회사의 2.5배

수준

나) 영업이익률(2012)

- 한국전력공사는 5.5% 영업 손실

- 발전자회사는 4.3% 영업 이익률

- 민간발전사 17.5% 영업 이익률(포스코 에너지, SK E&S 등 5개 민간발전사)

41) 천수연(2013), p.96.

42) 정산조정계수: 전력거래소가 예측한 시간대별 전력수요에 맞게 발전변동비가 저렴한 순서대로 투입되고 이때 최종적으로 투입된 발전기의 변동비인 계통한계가격(SMP: System Marginal Price)이 해당 시간대의 시장가격을 결정함. 한국전력공사와 발전자회사간의 재무균형을 위해 발전자회사가 생산한 전력은 시장가격에 계수를 적용하여 정산되는데, 이 계수를 정산조정계수라고 함(천수연, 2013).

Page 85: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4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반적 검토∣ 71

2) CO2 발생을 유도하는 정책적 부정합성

가) 민간발전사에 유리한 발전정산단가 적용(정산조성계수적용)은 CO2 발생을

유도함

나) 유연탄/화력발전소의 증가를 유발

나. 예비전력관리의 개선방안

허가형(2012)은 2007년부터 전력공급 예비율이 10% 이하로 떨어지고 2010년부터

전력예비율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것이 구조적인 요인에 따른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예비전력 관리를 위해 아래와 같은 사항을 제안하였다. 여기에는 전력가격, 피크요금제,

분산형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의 방안이 포함된다.43)

◦ 단기전략 :

- 동계 피크부하 요금제 실시

- 예비전력 확보를 위한 규제도입(규제를 통한 직접적인 전기수급조설)

◦ 중장기전략 :

- 전력가격 정상화

- 분산형 신재생에너지 확대

* 전력사용량이 많은 가정의 경우에는 태양광발전 단가도 경제성이 확보

될 수 있음

반면, 김영산(2014)은 전력공급 부족에 대응한 공격적인 투자로 2014년 이후 예비율

이 급상승할 것으로 전망하였다(표 4-17).

43) 허가형(2012), p.52; 국회예산정책처(2012), p.7.

Page 86: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72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2012 2014 2016 2018 2020 2022 2024 2026

6% 16% 26% 25% 31% 29% 25% 20%

자료: 김영산(2014), pp.19-28.

<표 4-17> 설비예비율 변화

조영탁(2013)은 전력수급 위기의 구조적 문제로 원격지 발전설비 집중과 장거리 송전

의 문제를 지적했으며 설비의 분산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그는 2015년 확정될 7차 전력

수급기본계획에 원전이 추가됨으로 인해 동해지역에 제3의 765kV 노선이 필요하게

됨을 지적44)하였고 전력수급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수급안정을 위해 원전 권고안

(22~29%) 중 하한방향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원격지 집중형의 발전설비

구조를 보완하기 위해 산업단지 등에 상용자가 발전을 추진하는 등 설비 분산을 추진할

것을 제안하였다.

다. 신재생에너지의 확대와 송전계통간의 충돌

신재생에너지 보급증가로 CO2 발생을 저감하는 계획과 반대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정책이 에너지기본계획 및 전력수급기본계획 내에서 환경적 고려 없이 병행되어 수행

중45)이며, 신재생에너지 도입 확대와 함께 도매 전력 가격제도도 조정이 필요하다. 신재

생에너지 발전설비가 송전계통에 접속이 어려워 설비 확산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투

뉴스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 계통난(難)이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다(그림 4-2).46)

전국적으로 18곳 접속불가 등 계통연계의 어려움이 심화된 것을 알 수 있다. 신재생에

너지 발전설비 접속이 갈수록 힘들어지는 것은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RPS) 시행

44) 전력산업연구회(2013), p.82.

45) 국회예산정책처(2013), p.7.

46) 이투뉴스(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4880).

Page 87: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4장 ․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반적 검토∣ 73

이후 태양광발전소 등 분산 전원 성격의 소규모 발전시설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더불어 발전시설의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향후 보급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태양광발전만 해도 지난해까지 누적용량이 727MW에 불과했으나 올해

신규 설치 물량만 RPS 의무량 480MW 등 500MW를 넘어설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등 설치속도가 점차 빨라지고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자료: 이투뉴스(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4880) 근거로 재작성

<그림 4-2> 국내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계통연계 불가 내지 제한 지역

Page 88: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74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라. LNG 발전의 확대

대기오염 물질 및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해서는 석탄화력 발전보다 LNG 발전이

유리한데 발전 비용에 차이가 있어 전원구성상 석탄화력 다음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조영탁(2013)은 LNG 가스 복합 발전의 경제성이 낮은 것이 불공정한 세제와 요금정책에

기인한 것이라고 지적하고 이를 개선하고 송전비용을 차등화하는 등 송전시설과 설비

입지를 고려하게 되면 LNG 발전이 크게 개선될 것이라 제안하였다.

Page 89: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75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1. 대상계획의 개요

이 장에서는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과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중심으로 하여 전력

생산 관련 전략환경평가를 모의적으로 실시하여 제시하였다. 전체적인 틀은 이영준 외

(2014)에서 제시된 틀을 따르며 필요한 부분에서 내용을 추가하였다. 본 모의 실시에서

다루지 않는 사항은 별도로 표시하거나 생략하였다. 대상계획의 개요는 4장에서 서술한

부분과 중복될 수 있다. 끝부분에 제시된 전략환경평가 권고사항은 본 연구의 전력 관련

에너지계획에 대해 모의적으로 수행한 전략환경평가의 결론 부분이며 본 연구에서 기존

의 자료를 참고, 분석한 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향후 전력 관련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

가 시행 시에 보완,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및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가.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의 개요

1) 계획의 개요

가) 계획의 수립배경

◦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 제시된 계획수립 여건을 보면 아래와 같다.

◦ 에너지 소비현황과 관련하여 2000~2012년 최종 에너지 소비증가율이 연평

균 2.8%

◦ 산업부문 에너지 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3년 현재 60%를 초과

◦ 타국가에 비해 에너지다소비 산업 비중이 높음

◦ 대외환경의 변화와 관련하여, 전세계 에너지 소비가 빠르게 증가, 특히

Non-OECD 국가들의 빠른 소비증가와 고유가 지속 및 셰일가스 등 비전통

에너지원 개발이 확대됨

Page 90: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76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전정책 변화

◦ Post-2020 신기후협상체제로 우리나라의 기후변화감축압력 예상

◦ 전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구조 조정이 진행 중임

◦ 국내 여건과 관련하여, 대내적으로 전력수급 여건 악화, 원전 안정 강화

요구, 송전여건 악화, 온실가스 감축 여건 악화

나) 계획의 실시(법적근거)

◦ 정부는 에너지정책의 기본원칙에 따라 20년을 계획기간으로 하는 에너지기

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시행하여야 한다(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제41조

제1항).

◦ 에너지기본계획을 수립·변경할 경우 에너지위원회 → 녹색성장위원회 →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동법 제41조 제2항).

다) 계획의 성격

◦ 에너지 분야 최상위 법정계획

◦ 중장기(20년 이상) 에너지 정책방향과 비전을 제시

◦ 타 계획들과 체계적으로 연계하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조정하는 종합계획

라) 계획의 추진경위

◦ 민관워킹그룹의 운영(표 5-1 및 부록 참조)

◦ 초기부터 민관워킹그룹의 공론화를 통한 진정성 있는 의견수렴을 추진

◦ 업계, 학계, 시민사회 등 60여명의 이해관계자가 참여하여 50여 차례 회의

를 거쳐 합의한 도출

◦ 워킹그룹 권고안 작성(2013.10.11) (부록: 에너지기본계획에 대한 정책

제안)

◦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공청회(2013.11.7)

Page 91: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77

◦ 이해관계자 토론회 (2013.10~11월 6회)

◦ 전문가 간담회(2013.11~12, 3회)

◦ 관계부처협의(2013.11~12)

WG 분과 주요 역할

총괄WG

․ 수요/전력/원전/신재생 4개 분과 WG의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에너지원별

비중(에너지믹스) 도출

․ 믹스와 관계없는 주제들도 자유롭게 토의

수요WG ․ 수요전망, 수요관리後 목표수요, 에너지 가격정책 등

전력WG ․ 송전 제약요건 검토, 분산형 전원 활성화 대책, 온실가스 감축 방안 마련 등

원전WG․ 원전 경제성 분석, 원전비중 결정을 위한 시나리오 검토, 안전 강화 대책 등

중장기 원전정책 논의

신재생WG ․ 중장기 신재생 보급목표 재산정, 보급정책 개선 등

주: 자세한 사항은 부록1 참조.

<표 5-1> 각 워킹그룹(WG)의 주요역할

◦ 워킹그룹 권고안의 주요 내용

① 수요관리 중심의 에너지 정책 전환

(가격체계 개편 등 에너지 수요관리강화에 대한 사항)

- 통합적 에너지 가격정책 수립 및 상대가격 조정

- 전기요금 체계 개편

- ICT 활용 에어지 수요관리 시장의 창출

② 분산형 발전시스템의 구축

(전원시스템 분산화 추진과 관련된 사항)

- 발전소 입지 분산을 통한 전력계통 안정화

Page 92: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78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분산형 전원의 확대

- 합리적인 송전망 계획 ․ 운영

③ 에너지정책 지속가능성 제고(환경보호, 안전강화 등)

(온실가스 감축 등 환경정책과의 조화 모색 등에 관한 사항)

- 기후변화 대응

- 원전산업 혁신과 안전성 강화

- 원전 사후관리 기반조성

④ 에너지 안보 강화

- 해외자원개발의 내실화

-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

- 에너지 국제공조 체계강화

⑤ 국민과 함께 하는 에너지 정책

- 에너지 복지제도 개편

- 지자체의 참여 확대

- 에너지 갈등관리의 선제적 대응

⑥ '35년의 원전비중

- 워크그룹은 원전비중(전력설비기준)을 22~29% 범위에서 정부가 의

견을 수렴하여 결정할 것을 건의함

마) 계획의 주요 내용

◦ 에너지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은 아래와 같음(저탄소녹색성장기

본법 제41조 제3항)

Page 93: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79

- 국내 ․ 외 에너지 수요와 공급의 추이 및 전망에 관한 사항

- 에너지의 안정적 확보, 도입·공급 및 관리를 위한 대책에 관한 사항

- 에너지 수요 목표, 에너지원 구성, 에너지 절약 및 에너지 이용효율 향상에

관한 사항

- 신재생에너지 등 환경친화적 에너지의 공급 및 사용을 위한 대책에 관한

사항

- 에너지 안전관리를 위한 대책에 관한 사항

- 에너지 관련 기술 개발 및 보급, 전문 인력 양성, 국제협력, 부존 에너지자원

개발 및 이용, 에너지 복지 등에 관한 사항

2)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의 주요내용

가)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의 6대 중점과제

(1) 수요관리 중심의 에너지 정책 전환

- 에너지 상대가격의 조정

- 전기요금 체계 개선

- ICT 활용 에너지 수요관리 시장의 창출

- 부문별 수요관리 강화 대책

- 에너지 정보관리 시스템 혁신

(2) 분산형 발전 시스템 구축

- 발전소 입지 분산을 통한 전력계통 안정화

- 분산형 전원의 확대

- 합리적인 송전망 계획 ․ 운영

(3) 에너지 정책의 지속가능성 제고(환경보호, 안전강화, 에너지기술 등)

- 기후변화 대응

Page 94: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80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원전산업 혁신과 안전성 강화

- 원전 사후관리 기반조성

- 에너지시설 안전관리 강화

- 미래 에너지 기술 경쟁력 확보

(4) 에너지 안보강화

- 자원개발 역량 제고를 위한 해외 자원개발 내실화

-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 에너지 국제공조 체계 강화

(5) 원별 안정적 공급체계 구축

- 석유

- 가스

- 전력

- 집단에너지

(6) 국민과 함께하는 에너지 정책

- 에너지 복지제도 개편

- 지자체의 참여 확대

- 에너지 갈등관리의 선제적 대응

3) 제2차 에너지계획의 후속조치(이후 실행계획수립)

◦ 제2차 에너지계획의 확정 후 에너지공급, 수요관리 측면에서 하부계획 10개

에 대한 구체적 대책마련이 필요함. 이 계획들은 선탄산업장기계획(2015년)

을 제외하고 모두 2014년 수립예정임

Page 95: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81

계획명 시기 주요 내용

에너지이용합리화

계획2014

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한 부문별 정책, 관련기술개발방안, 온실

가스 저감대책

온실가스감축

로드맵2014 국가 목표와의 정합성 확보

신재생에너지기본

계획2014

신재생에너지 보급전망, 보급확대를 위한 제도개선, 기술개발,

인력양성대책

전력수급기본계획 2014 전력수요장기전망, 수요관리대책, 전력설비계획

장기천연가스

수급계획2014 장기 천연가스 수요전망 및 수급방안

집단에너지공급

기본계획2014

중장기 공급방향, 공급대상과 기준제시, 에너지 소비, 오염물질

감축목표

지역에너지계획 2014지역에너지 수급전망, 수요관리․분산전원 활성화 방안, 기타

지역별 공급대책

석유비축계획 2014 석유비축목표와 비축석유 종료, 물량제시, 비축시설계획

해외자원개발

기본계획2014

자원개발 목표제시, 공기업 내실화 ․민간 투자 활성화, RND,

인력양성, 국제협력 촉진

에너지기술개발

계획2014

효율향상, 청정에너지, 수요관리 등 주요 분야 기술개발, 인력,

시설지원, 기술 상용화 촉진

석탄산업장기계획 2015장기수급전망, 석탄산업 육성 및 관련기술개발 방안, 광산보안,

광해방지, 탄광지역 진흥책

주: 온실가스감축로드맵은 제2차 에너지계획과 거의 동일 시기에 발표되어 에너지계획의 내용을 반영했다고 보기에는 어려움.

자료: 산업통상자원부(2014),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표 5-2>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이후 후속 조치가 필요한 계획 및 주요 내용

Page 96: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82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나.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개요

1) 계획의 개요

가) 계획의 수립 배경

◦ 전력수급 안정을 목적으로 환경성, 수용성, 계통여건, 국민경제 영향 등

다양한 가치를 고려하여 전력수급에 대한 정책방향 및 이에 따른 실시계획

의 수립이 필요

나) 계획의 실시(법적 근거)

◦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전력수급 안정을 위하여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수립하

여 공고(전기사업법 제25조)

◦ 기본계획은 2년 단위로 수립 ․시행하며, 기본계획 수립 ․변경시 전력정책심

의회에서 심의(전기사업법 시행령 제15조)

다) 계획의 성격

◦ 에너지 기본계획의 구체적 실현을 위한 전력부분의 이행계획

◦ 전력수요전망, 수요관리목표, 적정예비율, 전원믹스, 신재생비중, 발전소

건설계획 등 정책방향 제시 ⇒ 목표계획

◦ 발전사업자는 기본계획상 수급전망 및 설비계획을 바탕으로 발전소 건설사

업 추진 ⇒ 실행계획

라) 계획의 추진 경위

◦ 수급분과위원회 개최(’12.5.25)→ 건설의향 접수(’12.5.31~10.25)→ 평가

기준 공개(’12.08.24)→ 전력수요 예측 설비계획 수립(’12.9~12월)→ 건설

의향 평가(’13.1.16~25)→ 전력정책심의회 심의․공고(’13.2.22)

Page 97: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83

마) 계획의 주요 내용

(1) 전력수급의 기본방향

◦ 대내 ․ 외 환경변화

- 이상기온, 20년 이상 노후 발전기 고장 건수의 증가, 발전소 및 송변전

설비 건설에 대한 지역 민원 증가 등의 수급 불확실성 확대

- 안정적 수급관리 및 안정적인 예비력의 필요성, 수급계획의 실효성 확보에

대한 요구의 확대 등 수급안정에 대한 사회적 요구 증가

- 후쿠시마 원전사고, 석탄 화력 발전에 대한 부정적 인식, 고비용으로 인한

LNG 도입에의 한계성, 환경여건, 발전 비용 등 신재생에너지 도입에 있어

서의 현실적 한계 등 전원별 제약 요인 존재

◦ 적극적 수요 관리를 통해 신규 발전 설비 건설 소요 최소화

◦ 경제 규모에 걸맞은 안정적 예비율의 확보

(2) 전력수급의 장기전망에 관한 사항

◦ 수요관리 계획(최대전력 12%↓, 전력소비량 15%↓)

- 기존 고효율기기 보급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 시스템적인 전력 효율 관리

체계 구축, 전기․전자 제품의 전력소비효율을 획기적인 제고를 통한 효율

향상

- 부하관리 기기별 최대 전력 저감 성과 평가를 바탕으로 부하관리 기기

보급 사업의 내실화를 통한 부하관리

- 원가 기반 요금체계를 통해 가격 기능에 의한 합리적 소비를 유도하는

등 전기요금 제도 개선

- 스마트 계량기를 조기에 보급, 전력저장시스템(ESS) 및 지능형 수요 관리

확대 등 스마트그리드 조기 확산

◦ 목표 수요 전망

- 전력소비량의 연평균 증가율(6차 계획 시 ’13 ~ ’27년 연평균 증가율 2.2%)

Page 98: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84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및 최대 전력의 연평균 증가율(6차 계획 시 ’13 ~ ’27년 연평균 증가율

2.4%) 전망하여 작성

(3) 전기설비 시설계획에 관한 사항

▪ 발전설비 건설계획

◦ 경제규모에 걸맞은 예비 설비 확보, 경제적․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한 전원구

성, 발전시설 확충 등 계획의 기본방향 및 목표 수립

◦ 수립절차

- 목표 수요를 기반으로 적정 설비 규모 도출, 신규 필요 물량에 대해 전원

구성하고 사업자의 건설의향을 조사하고 평가를 거쳐 선별적 반영

◦ 적정 설비 규모

- 최소 설비 예비율 외에 수요 불확실성을 감안한 예비율 목표(6차 계획

시 ’27년 예비율 22%)를 설정하고, 발전소 건설 지연에 대비하여 별도의

발전설비 고려(6차 계획 시 3,900MW 반영)

◦ 전원구성

- 원전, 신재생, 집단에너지 등 정책성 전원의 발전량 및 발전설비 비중

전망

- 화력발전의 설비규모, 전원구성 전제, 전원구성 결과(6차 계획시 ’27년까

지 석탄 10,500MW, LNG 4,800MW 도출) 작성

- 사업자 건설의향, 건설의향 반영 결과, 발전설비 투자비 전망

- 최종년도 정격용량 및 피크기여도를 기준으로 한 전원구성 전망

(제6차 계획 시 정격용량 기준 : 유연탄(28.2%), 원전(22.7%), 신재생(20.2%) 순,

피크기여도 기준 : 유연탄(34.1%), 원전(27.4%), LNG(24.3%) 순)

Page 99: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85

▪ 송변전 설비 추진방향

◦ 송변전 설비 확충기준에 따라 추후 장기 송변전 계획을 수립

◦ 발전소 계통 연계 원칙을 수립하고, 발전소 접속설비 구성 기준 마련

◦ 송변전설비의 신증설 기준 마련

(4) 전력수요의 관리에 관한 사항

◦ 신뢰도 및 설비운영 관리계획, 송변전 설비계획의 별도 수립 ․시행, 수요관

리 강화, 온실가스 감축계획 이행 상황의 주기적 점검, 설비건설 현황 점검

의 정례화 및 전기설비 건설 현황 관리시스템의 구축 등 사후관리 계획

수립

(5) 그 밖의 전력수급에 관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2. 에너지계획 관련 국내 ․ 외 여건 및 현황분석

가. 경제분야

1) 전력소비 현황 및 추이

◦ 전력소비량

- 국내 최대 총 전력소비량 현황, 산업용, 상업용, 주택용 등 부문별 전력수

요 비중 현황, 연평균증가율, 부문별 증가율 현황 자료

(제6차 계획에서는 ’11년말 기준 국내 총 전력소비량 455,070GWh, ’02 ~

’11년간 연평균 5.6% 증가, 부문별 비중 현황은 산업용 전력수요가 절반이

상을 차지하는 가운데 상업용 30%, 주택용 20% 수준이며 상업용 전력소

비 증가율이 6.4%로 가장 크며 산업용 6.0%, 주택용 4.6% 순이었음)

◦ 최대전력

- 최대 전력 수요 규모 현황, 부문별 수요 비중 현황, 전력소비량, 최대전력

Page 100: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86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연평균 증가율 및 증가 추이, 최대 전력의 발생시점 현황, 평균전력의

최대 전력에 대한 비율인 부하율 현황 자료

(제6차 계획에서 ’12년 하계 기준 최대전력 수요는 74,291MW, 연평균 5.3%

증가, 산업용 수요 비중이 감소하고 일반용 수요 비중이 크게 증가하는 패턴을

보이고 있었으며, 최대전력은 연평균 5.3% 증가, 최대 전력 발생은 ’09년

이후 동계에 발생, 부하율은 다른 나라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었음)

- GDP, 인구, 산업구조에 따른 소비 패턴 현황

◦ 전력의 경우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수요전망 결과는 1차의 기준 수요와

비교하여 볼 때 ’20년 19.5%, ’30년 30.2% 증가한 수치임

TWh 2006 2010 2020 2030 2035

1차 (TWh) 348.7 404.3 510.4 585.3 -

2차 (TWh) 348.7 434.2 610.1 761.8 816.1

1차 대비 제2차 증가율(%) 0 7.4 19.5 30.2 -

자료: 부록 1. 워킹그룹의 역할 참조.

<표 5-3> 제1차 및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의 전력 수요전망 비교

2) 전력공급 현황 및 추이

발전소 입지에 대한 현황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래 <그림 5-1>은 원자력 발전소

및 고압 송전망(765kV)을 표시한 것이다. 계획 중인 765kV 송전선로는 동해안의 신규

발전소의 전력을 수도권 지역으로 송전하기 위한 것이다. 점선은 계획 중인 HVDC 송전

선로이다. 345kV 송전망은 수도권 및 경기충청권에 밀집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송전선

로 밀도가 높고,47) 서해안과 수도권에 전원이 밀집되어 있고, 보령, 태안, 당진 등 충청

서해안 지역에서 수도권으로 전력이 집중 공급되며(그림 5-2, 5-3, 5-4) 영광(한빛),

47) 송전선로 밀도는 미국대비 2.51배, 일본은 미국대비 2.15배이다. 송전선로 밀도가 크면 고장전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전영환, 2013에서 인용).

Page 101: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87

고리, 월성, 울진에 집중되어 있는 원자력 발전소로부터 대규모 발전 후 장거리 송전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발전소 운영, 건설중, 계획중 포함)

주: 345kV 송전망은 표시하지 않았으나 수도권 및 경기충청권에 밀집되어 있음.

<그림 5-1> 원자력 발전소 및 송전망(765kV)

Page 102: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88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화력발전소의 경우 인천영흥도 지역, 서산당진 지역, 순천광양사천 지역, 울산 지역에

서 화력발전소가 운영 중이다(그림 5-2). 인천충남지역에 화력발전소의 65%가 집중되

어 있다.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이전부터 운영 중인 화력발전소)

주: 퍼센트는 그림상에 나타낸 집중된 인천충남, 남동해안, 동해안권의 화력발전소만을 비교한 비중임.

<그림 5-3> 운영 중인 화력발전소 현황(2012년 현재)

Page 103: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89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는 인천, 당진, 순천광양, 울산, 강릉 삼척 주변에서 발전

소 건설이 계획되어 있다(그림 5-3). 운영 중인 것과 계획 중인 것을 모두 합하면 <그림

5-4>와 같다. 인천영흥 지역과 경인북부 지역 및 당진 지역에 집중도가 높아지고, 사천,

울산 외에 강릉삼척 지역에 신규 대형 화력발전소의 증가가 뚜렷하다.

(운영, 건설중, 계획중 포함/운영중인 화력발전소 현황 그림 참조)

<그림 5-5>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된 화력발전소 건설계획 현황

Page 104: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90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제시된 표에 따르면 수도권의 발전용량이 전국권의 발전용

량의 35~4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5-4). 수도권과 전국의 전력수요를 비교

해 보면 수도권이 30~36%의 전력을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5-5). 반면 본 연구

에서 검토해본 결과 경기도, 충청권 모두를 합칠 경우 경인지역 및 충남 서해안 지역에

61~70%의 화력발전소가 집중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표 5-5와 그림 5-4).

[피크기여도 기준 전국권 발전 용량과 수도권 발전 용량의 비교]

년도 전국권(MW) 수도권(MW) 비율

2012(실적) 78483 33480 42.7%

2017 113332 50152 44.3%

2022 128602 54393 42.3%

2027 130853 51626 39.5%

[정격용량기준 전국권 발전용량과 수도권 발전용량의 비교]

년도 전국권(MW) 수도권(MW) 비율

2012(실적) 81806 34138 41.7%

2017 123582 51548 41.7%

2022 151899 57740 38.0%

2027 158502 54973 34.7%

자료: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표 5-4> 수도권과 전국권 발전용량 비교

Page 105: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91

(운영중인 화력발전소 및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된 화력발전소)

주: <표 5-4> 참조.

<그림 5-7> 운영 및 계획중인 화력발전소 현황(지역별 집중도)

수도권 전력 소비최대 전력

(동계) (하계)

2012 실적 36.3% 39.7% 40.7%

2027 전망 30.9% 31.9% 34.9%

자료: 송배전 설비계획(2014), pp.2-3.

<표 5-5> 수도권의 전력소비 집중

Page 106: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92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수록된 모든 발전소를 대상으로 계산한 것과 건설이 확정된

(EIA 협의를 마친 계획 포함) 발전소만을 대상으로 한 것을 별도로 계산하였다.

연도 운영중+건설중+EIA완료+계획중(%) 운영중+건설중+EIA완료(%)

2014 66% 66%

2015 65% 68%

2016 60% 64%

2017 63% 69%

2018 63% 70%

2019 61% 69%

주: 2020년 이후 인천 당진지역에는 계획된 발전소가 없음(본 연구 분석 결과).

<표 5-6> 인천 영흥 및 충청권 화력발전소 집중 정도

나. 사회분야

◦ 송전계통의 사회적 수용성(여기서는 다루지 않음)

- 송전탑 건설 등 발전설비 입지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

◦ <그림 5-4>와 <표 5-5>에 의하면 수도권과 당진 지역까지 화력발전소가

집중되어 있고 그 비율이 60~70%까지임을 알 수 있다.

3. 주요 평가요소 설정(스코핑)48)

계획의 적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내용적 범위와 주요 평가요소를 설정하는 스코핑은

스코핑 위원회를 구성하거나 주민의견 수렴 등을 통하여 결정하고 관련 조치사항을 평가

서에 기술하도록 한다.49)

48) 이영준 외(2014)를 기초로 하였으나 구체적 내용은 본 연구에서 조정, 추가, 수정하였음.

49) 이번 모의 전략환경평가에서는 스코핑 위원회를 별도 구성하지 않고 이영준 외(2014) 연구진과 합동으로 연구진 내에서 토의를 거쳐 해외사례를 참조하여 주요 평가요소를 설정하였다. 대부분의 해외 전략환경평가에서 이 스코핑 부분을 매우 중시하며 이 과정에 노력을 많이 기울인다. 우리나라에 적용할 때에도 스코핑과 주요 이슈를 정의하고 평가하는 과정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Page 107: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93

가. 스코핑 방법

1) 스코핑 주체

◦ 협의회의 구성(여기서는 다루지 않음)

- 스코핑의 주체는 산업통상자원부이며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의 이해 당사

자인 관련부처(환경부, 국토부 등), 환경 NGO, 관련분야 전문가, 사업자

(계획가) 등이 포함

2) 스코핑 과정(여기서는 다루지 않음)

◦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수립 과정에 대한 기록

- 스코핑 방법(회의, 서면, 공청회 등)과 시기, 과정, 방법 등에 대해 작성

나. 스코핑 결과 : 평가요소 설정

이영준 외(2014) 및 본 연구의 연구진은 합동으로 전원구성 비율을 마련하기 위해

에너지원별 환경, 경제, 사회적 요소를 평가하여 에너지계획 관련 전략환경평가의 요소

를 추출하였다. 다음 <표 5-7>은 이영준 외(2014)에서 인용하여 부분적으로 수정한

것이다. 환경분야의 어메니티를 둘로 나누어 세분화 했고, 경제분야를 건설비용 중심의

사적비용과 건설 외의 외부적인 비용 중심의 외부비용, 경제성으로 통합 구분하였다.

사회분야에서는 사회적 수용성을 일반적인 수용성과 해당 지역에서의 수용성으로 세분

하였다.

Page 108: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94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분 류 정 의

환경적 요소

Environmental

factors

대기오염 배출

(Atmospheric emission)- 대기오염물질의 방출

유해물질 발생

(Hazardous material

generation)

- 생산, 배분, 사용 시의 건강 유해물질의 발생

서식지 훼손

(Habitat destruction)- 서식지 및 생태축 등의 훼손

기후변화

(Climate change)- 온실가스 발생

어메니티 쾌적성

(Amenity)

- 정주환경에 대한 영향

- 시설물로 인한 이질감, 경관 영향

경제적 요소

Economic

factors

경제적 효율성(사적비용)

(Economic efficiency)

- 최소 비용으로 에너지 생산의 극대화

- 사적 비용(송전선로 건설 운영 비용, 발전소

건설 비용 및 유지비용의 효율성)

경제적 효율성(외부비용)

(Economic efficiency

with regard to

environmental costs)

- 환경 파괴로 인한 비용

(전력 관련 지역 지원금(부담금) 등의 지불로

인한 비용, 유해물질, 생태계 파괴, 대기오염

등으로 인한 피해 및 저감 비용)

전력생산의 안정성

(Stability of electricity

production)

- 전력에너지 공급의 안정성

사회적 요소

Social factors

자원 공급의 안정성

(Security of energy

supply)

- 현재 세대 및 미래세대에게 확실하고 신뢰할

만한 공급원에의 접근 보장

공중건강 및 안전

(Public health and

safety)

- 공중 건강과 안전 위험

- 폐기물 처분으로 인한 영향

문화유산의 보존

(Culture heritage

preservation)

- 문화적 자원과 역사적/고고학적 자원에 대한

위협의 최소화

- 오염 가중으로 인한 훼손, 입지로 인한 경관

훼손, 입지로 인한 문화유산에의 영향 등

사회적 수용성

(Public acceptability)

- 다양한 폭넓은 사회적 지지 획득

- 지역 주민과의 협의

주: 1) 분류는 캐나다(Bram F Noble, 2002,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of Canadian energy policy. Impact Assessment and Project Appraisal. 20:3, 177-188)의 사례를 참고하여 우리 실정에 맞게 수정하였음.

2) 이영준 외(2014)에서 전제하고 부분적으로 수정하였음. 3) 사적비용 및 외부비용은 <표 5-10>의 ‘주’ 참조.

<표 5-7> 에너지계획 관련 전략환경평가의 평가 요소

Page 109: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95

앞에서 설정한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평가요소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

로 다양한 몇 개 그룹의 의견을 청취하였다.

각각의 에너지원별로 각 평가요소에 대한 판단 점수(표 5-7)를 부여토록 하여 그룹별

로 평가하였다. 환경분야 전문가 및 환경분야 언론인, 지역발전연구원 전문가, 일반인

(개인)50) 그리고 일반인(그룹의 대표의견) 그룹의 의견51)을 수렴하였다. 평가 점수는

에너지원별로 환경, 경제, 사회 요소에 대한 환경적 영향이 매우 높을 경우 7점부터

영향이 미미한 경우 1점까지로 점수 척도를 정하였다.52)

1 2 3 4 5 6 7

영향이 미미함 낮음 조금 낮음 보통 조금 높음 높음영향이 매우

높음

<표 5-8> 지표 평가를 위한 점수 척도

<표 5-9>, <표 5-10>, <표 5-11>은 다양한 전력생산 방식에 대한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지표이다. 이 세 개의 표를 사용하여 대상 그룹의 의견을 청취하였다.

50) 일반인(개인)은 환경관련 분야 전공 대학생의 의견을 청취하였다.

51) 일반인(그룹의 대표의견) 그룹 의견은 6~8명의 일반 개인이 토의를 통해 하나의 의견을 낸 것을 말함.

52) 예를 들어 원자력 발전은 유해물질 발생으로 인해 환경적 영향이 매우 높고 사회적 요소 중 공중건강 및 안전 부분에서도 방사능 누출에 대한 환경적 영향이 높다고 생각하면 ‘7점’을 부여하도록 하였다.

풍력발전의 경우에는 서식지 및 생태축의 훼손 부분에서 환경적 영향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면 ‘6점’을 부여하거나 조력발전의 경우는 방조제 건설로 인한 해양 생태계의 영향이 클 것으로 판단하여 ‘7점’을 부여할 수 있다. 태양광발전은 환경요소의 시설물로 인한 이질감 및 경관에 대한 환경적 영향에 대해 석탄, LNG 발전보다 그 영향이 낮을 것으로 판단하여 ‘2점’을 부여하고, 폐기물 및 Biomass 발전은 고형폐기물 연료(RDF)를 사용하여 발전하기 때문에 지역 주민의 정주환경에 대한 영향이 높다고 판단할 경우 ‘7점’을 부여하는 식으로 점수를 줄 수 있도록 하였다.

Page 110: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96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구 분 원자력 석탄 LNG 풍력 태양광 조력 폐기물Bio

mass소수력

집단 및

기타

EN1대기오염

배출

- 대기오염물질의

방출4

EN2유해물질

발생

- 생산, 배분, 사용

시의 건강 유해

물질의 발생

4

EN3서식지

훼손

- 서식지 및 생태축

등의 훼손4

EN4 기후변화 - 온실가스 발생 4

EN5어메니티

쾌적성

- 정주환경에 대한

영향4

- 시설물로 인한 이

질감, 경관 영향4

합평균

주: 집단 및 기타는 고려에서 제외.

<표 5-9> 다양한 전력생산 방식에 대한 환경적 지표

구 분 원자력 석탄 LNG 풍력 태양광 조력 폐기물Bio

mass소수력

집단

기타

EC1

경제적

효율성

(사적비용)

- 최소 비용으로

에너지 생산의

극대화(건설

비, 운영비 등)

4

EC2

경제적

효율성

(외부비용)

- 환경 파괴로 인

한 비용(위험성)4

EC3전력생산

의 안정성

- 전력에너지 공

급의 안정성4

 합

 평균주: 1) 사적비용(Private cost) : 생산자 또는 공급자가 물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드는 비용, 외부의

사회적비용(social cost)과 대비됨. 2) 외부비용 : 환경비용/사회적 비용: - 에너지생산에 예상되는 환경비용(대기오염물질 배출, 유해물질발생, 서식지훼손, 어메니티 쾌적

성 저하 등)과 지역갈등 심화 등으로 인한 갈등조정비용 등을 포함한 사회적 비용. 즉, 사적비용을 제외한 모든 비용을 외부비용이라고 할 수 있다.

3) 집단 및 기타는 고려에서 제외.

<표 5-10> 다양한 전력생산 방식에 대한 경제적 지표

Page 111: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97

구 분 원자력 석탄 LNG 풍력 태양광 조력 폐기물Bio

mass소수력

집단

기타

SO1

자원

공급의

지속

가능성

- 현재 세대 및

미래세대에게

확실하고 신

뢰할 만한 공

급원에의 접

근 보장

4

SO2 공중

건강 및

안전

- 공중 건강과 안

전 위험4

SO3- 폐기물 처분으

로 인한 영향4

SO4

문화

유산의

보존

- 문화적 자원과

역사적/고고

학 적 자 원 에

대한 위협의

최소화

- 오염가중으로

인한 훼손, 입

지로 인한 문

화 유 산 에 의

영향 등

4

SO5사회적

수용성

- 다양한 폭넓은

사회적 지지

획득

4

SO6- 지역 주민과의

협의4

평균

주: 집단 및 기타는 고려에서 제외.

<표 5-11> 다양한 전력생산 방식에 대한 사회적 지표

각각의 평가 그룹의 멤버들은 위의 표에 각각의 의견에 따라 평가한 1에서 7사이의

점수를 기록하도록 하였다.

주요 요소간의 상대적 중요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환경, 경제 사회적 요소 간의 중요도

를 가중치로 부여하였고 세 분야의 가중치에 대한 각 분야의 의견을 청취하여 분석 반영

하였다(표 5-12).

Page 112: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98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구 분 환경 경제 사회

지역발전연구원 전문가

환경분야 언론 그룹

환경분야 전문가

일반인(개인)

일반인 그룹(대표의견)

<표 5-12> 환경, 경제, 사회 분야에 대한 지표별 가중치

4. 대안 검토53)

가. 대안 선정 방법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이영준 외(2014)에서 제안한 정책계획 분석을 위한 네 가지

요소(공간, 수요예측, 정책목표 및 비전, 시행방안)를 본 대안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표 5-13).54)

53) 「4. 대안 검토」 부분의 기본틀은 이영준 외(2014)를 활용하여 작성하였음.

54) 전력수급기본계획의 경우 검토 가능한 대안으로 수요․공급, 입지, 시기순서 등 복수의 대안을 마련하고 환경적 영향, 신재생에너지 확대 시 경제성, 시행순서나 시기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대안을 선정한다.

Page 113: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99

요소별

대안의 적용구분 선정여부 대안 선정 방법

정책목표 및

비전 대안계획비교 × -

시행방안

대안

수단․방법 × -

시기․순서 ○

∙ (단계별 계획) 원자력, 화력 및 신재생에너지 확대

시 경제성, 시행순서나 시기 등을 고려한 방안을

검토55)

∙ (건설시기 조정) 화력 및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시기

를 고려한 방안 검토

수요예측

대안수요․공급 ○

∙ (전원 구성) 환경요소, 경제요소, 사회요소를 고려

한 원자력, 석탄, LNG, 신재생에너지 등의 전원구

성 비율

∙ (최대 발전 용량) 연료종류 및 최대 발전용량 등을

고려한 대안 검토56)

∙ (건설의향) 건설의향 및 폐지의향 수요에 대해 계통

여건, 발전소 지연 또는 취소 가능성에 대한 대안

검토57)

공간 대안 입지 ○

∙ (송전선로 입지) 공간적 대안 : 복수의 대안으로

하여 자연환경, 개별입지 적정성, 생산지와 소비지

와의 관계(송전선로) 등에 대해 검토58)

∙ (입지에 따른 환경영향) 발전시설 집중으로 인한

누적 영향을 고려하여 검토59)

<표 5-13> 에너지계획의 대안 선정

55)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원의 시기․순서 대안은 검토하지 않았음.

56) 본 연구에서는 연료 대안을 고려하지 않았음.

57) 본 연구에서는 환경영향 평가의 검토 여부를 고려하였음.

58) 본 연구에서는 송전선로 입지 대안을 검토하지 않았음.

59) 본 연구에서는 대기질의 영향을 검토할 것을 제안하였고, 구체적인 모델링 및 분석은 별도의 연구 또는 작업이 필요한 부분임.

Page 114: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00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구 분 대 수 용량(MW) 비중(%)

기승인운영중+건설중+

건설준비중(EIA협의완료)

30

(23+5+2)

30,115.7

(20,715.7+6,600+2,800) 83.9

계 획 건설준비중(EIA 준비) 4 5,800.0 16.1

계 34 35,915.7 100.0

주: 1) 건설 중인 원자력 발전은 공사완료시점을 기준으로 발전량에 포함(기준: 2014.1~6월=>2014년/

2014.7~12월=>2015년).

2) 건설 준비 중인 원자력 발전은 준공예정을 기준으로 발전량에 포함.

3) 건설 준비 중인 신고리 7,8호기는 준공예정일이 정해지지 않아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건설계획표에 따름.

<표 5-14> 원자력 발전 환경영향평가 협의 여부에 따른 용량과 비중

1) 시행방안(시기 ․ 순서) 대안의 선정

전력공급과 관련한 시기, 순서 등을 고려한 대안을 검토하였다.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상의 원자력 발전소의 건립 계획을 보면 운영 중인 23기

20,175MW외에 건설 중인 5기, 6,600MW까지 그리고 환경영향평가협의가 완료된 사업

2기를 포함하면 총 30기, 30,115.7MW가 2020년까지 운전을 시작할 예정이며 또한

6기 8,600MW가 계획 중이다. 이 계획 중인 6기에는 환경영향평가 본안의 협의가 완료

된 2기(2,800MW)와 평가 협의가 준비 중인 4기(5,800MW)가 있어 총 35,915.7MW가

2024년까지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이 중에서 용량기준 83.9%(30,115.7MW)는 운영, 건설이

확정된 것이고 16.1%(5,800MW)는 미확정 상태이다(그림 5-5, 표 5-14).

Page 115: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101

<그림 5-9> 원자력 발전 환경영향평가 협의 완료 여부에 따른 용량

화력발전소의 경우 2019년까지 건설 완료되어 발전 예정인 확정된 발전 시설의 총

발전 용량의 증가는 10,640MW이다. 그리고 2016~2021년까지 환경영향평가가 완료되

지 않았거나 계획 중인 발전소는 총 6,060MW이다(그림 5-6).

<그림 5-10> 화력발전의 환경영향평가 승인 여부에 따른 연도별 누적 용량

Page 116: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02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원자력 발전과 화력발전소 및 신재생 발전의 건설이 미확정된 발전소의 총용량은 아래

<표 5-15>와 <그림 5-7>과 같다.

연도 총 용량(MW)EIA 승인완료 준비중

용량(MW) (%) 용량(MW) (%)

2014 81,404 81,404 100% 0 0%

2015 98,983 98,983 100% 0 0%

2016 109,348 108,948 100% 400 0%

2017 117,040 115,720 99% 1,320 1%

2018 124,840 122,150 98% 2,690 2%

2019 134,631 129,571 96% 5,060 4%

2020 139,802 133,742 96% 6,060 4%

2021 145,108 136,648 94% 8,460 6%

2022 148,747 138,887 93% 9,860 7%

2023 151,730 140,370 93% 11,360 7%

2024 154,310 141,450 92% 12,860 8%

2025 155,714 142,854 92% 12,860 8%

2026 156,590 143,730 92% 12,860 8%

2027 158,550 145,690 92% 12,860 8%

주: 1) 원자력, 화력, 신재생 발전용량의 합 2) 신재생 발전은 연도별 건설계획용량을 EIA 승인된 것으로 봄.

3) 부록(전력소비 패턴을 이용한 연도별 발전가능량) 추정 시 총용량을 사용함.

<표 5-15> 환경영향평가 협의 완료 여부에 따른 건설 계획 용량(MW)

Page 117: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103

주: 2016년부터 건설허가가 승인되지 않은 발전소 건설 계획이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허가 승인 여부를 환경영향평가의 협의완료 여부를 기준으로 하였다. 환경적 검토가 완료된 이후에 건설 허가 승인이 이루어진다.

<그림 5-11> 환경영향평가 검토 완료 여부에 따른 건설계획 용량(MW)

2027년까지 총용량의 8%, 12,860MW의 미확정 계획이 있어 이 발전소의 건설 계획

시기를 조정하여 적절히 대응하며 유발되는 환경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을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는 이러한 대안의 검토 가능성 만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5장 5절 불확실성 및 미래 전망에서 시기 조정 가능성을 환경측면에서 고려할

수 있음을 이번 모의 시행하는 본 연구에서는 간단히 언급할 예정이다. 실제로는 이와

관련한 환경적 문제를 더 깊이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2) 수요예측(수요 ․ 공급) 대안의 선정60)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주요 전원구성안을 기초로 하여 수요 ․ 공급 대안 중 네

가지의 전원구성 대안을 설정하였다. 주요 특징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61)

60) 본 연구에서 분야별 여론 수렴을 통해 대안별 선호도를 분석하였으나, 본 연구가 에너지 계획에 대한 모의적인 전략환경평가여서 4개의 대안 중에 어떤 것이 최적의 대안인지에 대한 의견은 제시하지 않았다.

61) 집단에너지 등은 본 연구의 전원구성 대안에서 고려하지 않았고 집단 및 기타로 분류하여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비율과 동일(유사)한 비율을 적용하였다.

Page 118: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04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전력 생산 에너지원별로 네 개의 대안을 설정하여 비교하였다(표 5-16과 그림 5-9

참조).

◦ 대안 162): 현 수준에서 대기질 오염 최소화를 위해 석탄 화력 발전 양을

줄이고 원자력 에너지의 비율을 늘리는 대안으로 원자력 (40%), 석탄(25%),

LNG(30%), 신재생에너지(15%)

◦ 대안 2 : 비용을 최소화하고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으로 석탄 및 LNG

의 비율을 높여 원자력 (20%), 석탄(30%), LNG(30%), 신재생에너지(20%)

◦ 대안 363) : 현 기술이 낙후함에도 불구하고 미래 기술 개발로 인한 발전을

감안하여 신재생에너지의 비율을 30%64)로 높이고, 원자력, 석탄의 비율을

각 20%로 줄이는 대안

◦ 대안 4: 현 원자력 구성 비율 유지의 전원구성 대안으로 현재까지 승인된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은 포함하여 현재 건설 중인 발전소는 포함하되 향후

새로운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은 승인하지 않는 대안

62) 원전비중 40%로 한 시나리오는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의 워크그룹에서 논의된 원전관련 대안 중 원전설비비중 41%안과 유사한 것이며 이는 1차 에너지기본계획상에 제시된 원전비중이다. 이 경우 장점으로 경제적인 전력수급 시스템 구현 가능, 전기요금 인하 가능,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발전용 연료 수급 및 가격 불안 대처 용이하다는 것을 들었고 반면 단점으로는 신규부지 추가 확보가 필요하고, 원전 안전성에 대한 수용성 확보가 곤란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부록1. 워킹그룹의 역할, 안병욱 참조).

63) 대안 3은 국무조정실의 관계부처 합동으로 계획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신재생 발전 설비 증가 계획과 유사하다. 이 루트맵에 의하면 2020년 신재생 발전목표치 7.2%는 용량크레딧을 25% 적용하면 설비용량 28.8%를 의미하게 됨. 국무조정실 외(2014.1.).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루트맵.

p.87 붙임 3 참조.

64) 신재생 확대 30%가 의미하는 전기요금 상승은 2010년 기준 약 60%가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 문영석 외(2011)이 전원구성 중에서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2030년에 15.4%까지 증가시켰을 때 전기요금은 2010년 기준 31.4% 상승하는 것으로 예측하였다(부록 참조).

- 신재생에너지 설비 30%는 발전비중(발전량)으로 대략 7~8%를 고려한 것으로 이는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목표(공급비중)으로 제시된 2030년 7.7%와 비슷한 값이다. 2012 신재생에너지 백서, p.110.

Page 119: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105

 구 분 원자력 석탄 LNG 신재생집단 및

기타

평가 요소별 평균 3 3.8 3.1 2.7 4

2027년 예측 기준 시나리오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발전설비용량기준)

23 % 29 % 20 % 20 % 8 %

대안 1 (원자력 중심) 40 % 20 % 20 % 12 % 8 %

대안 2 (석탄 및 LNG 중심) 20 % 25 % 30 % 15 % 10 %

대안 3 (신재생에너지의 최대한 활용) 22 % 25 % 15 % 30 % 8 %

대안 4 (원자력을 현재 수준에서 동결) 17 % 25 % 30 % 20 % 8 %

주: 대안 1,2,3,4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대안으로 기존에 논의된 다양한 대안들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다.

<표 5-16> 전원구성 비율에 대한 대안

연말기준 원별 발전설비 비중(2012년말 기준) 연말기준 원별 발전량 비중(2012년말 기준)

<그림 5-12> 연말기준 원별 발전설비 및 발전량 기준

Page 120: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06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그림 5-13> 전원구성 시나리오(안)

구 분 환경 경제 사회

지역발전관련 전문가 1.00 1.39 0.90

환경분야 언론 그룹 1.00 1.12 0.96

환경분야 전문가 1.00 1.40 0.95

일반인(개인) 1.00 1.72 1.25

일반인 그룹(대표의견) 1.00 1.69 1.25

주: 설문조사 및 가중치의 평균값 계산 등은 부록 7. 참조. 전문가 그룹 중 일부는 기타분야 가중치의 평균값을 부분 적용하였다.

<표 5-17> 환경, 경제, 사회 분야 각 지표별 가중치

Page 121: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107

평가항목

대안1

(원자력

중심)

대안2

(화력중심)

대안3

(신재생

최대 활용)

대안 4

(원자력 현

수준에서

고정)

 

대기오염

배출- 대기오염물질의 배출 - - +

유해물질

발생

- 생산, 배분, 사용 시의 건강

유해물질의 발생- - +

서식지

훼손

- 서식지 및 생태축 등의

훼손- - -

기후변화 - 온실가스 발생 - - +

어메니티

쾌적성

- 정주환경에 대한 영향 △ △ △

- 시설물로 인한 이질감, 경

관 영향- - -

 

 

 

경제적

효율성

(사적비용)

- 최소 비용으로 에너지 생

산의 극대화

(건설비, 운영비 등)- - -

경제적

효율성

(외부비용)

- 환경 파괴로 인한 비용

(위험성)- - △

전력생산의

안정성- 전력에너지 공급의 안정성 + + -

 

자원공급의

지속가능성

- 현재 세대 및 미래세대에

게 확실하고 신뢰할 만한

공급원에의 접근 보장+ + -

분배의

형평성

- 사용자들에 대한 최대다수

의 수요 충족

- 에너지 복지 사각지대 해소

공중건강

및 안전

- 공중 건강과 안전 위험 - - +

- 폐기물 처분으로 인한 영향 - - +

문화유산의

보존

- 문화적 자원과 역사적/고

고학적 자원에 대한 위협

의 최소화

△ △ △

- 오염가중으로 인한 훼손,

입지로 인한 문화유산에

의 영향 등

- △ △

사회적

수용성

- 다양한 폭넓은 사회적 지

지 획득- △ △

- 지역 주민과의 협의 - △ △

+ : 긍정적 영향, △ : 미미한 영향, - : 부정적 영향

* 본 평가 결과 비교는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이며 전문가의 평가에 따라 변경이 가능함.

주: 이영준 외(2014)의 표를 따랐으며, 대안 1,2,3,4는 본 연구에서 제시함.

<표 5-18> 수요․공급 대안(전원구성비율)에 대한 평가 결과 비교(예시)

Page 122: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08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네 가지 전원구성 대안에 대하여 환경분야 전문가 그룹, 관련 언론 그룹, 지역발전관련

전문가 그룹, 일반인 그룹에게 의견을 청취․분석하였다. 지역발전관련 전문가그룹은 각

지방의 지역발전 연구원 전문가로 구성하였고, 일반인 그룹은 환경에 관련된 전공자를

중심으로 한 대학생 그룹으로 설정하였다. 일반인 그룹 대표의견은 개별적인 의견이

아닌 6~8명 그룹 하나의 대표 의견을 내도록 하여 결과를 얻은 것이다. 한 그룹의 크기는

7인~105인까지 다양하였다.

이영준 외(2014)는 각각의 대안에 대해서 환경, 경제, 사회적 요소의 세부 항목들의

영향범위, 영향정도, 영향의 기간, 중요도 등을 설정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계획

에 적용하면서 영향범위와 기간, 중요도를 모두 영향의 정도 하나의 척도로 나타내도록

단순화하여 구성하였다(표 5-20).

아래 <표 5-19>의 결과는 그룹별 대안의 선호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중 <A 시나리오

선호도>는 네 개의 전원구성 대안의 선호도 순서를 정하도록 하여 분석한 것이다. <B

최종 시나리오 선호도>는 각각의 에너지원에 대해 6개의 환경적 지표(표 5-9), 3개의

경제적 지표(표 5-10), 6개의 사회적 지표(표 5-11)에 대한 선호도와 환경, 경제, 사회

지표에 대한 가중치(표 5-17)를 곱하여 최종적으로 계산된 선호도이다(부록 7. 에너지원

별 전원구성 대안 설문 분석 자료 참조).

구분 A 시나리오선호도 B 최종 시나리오선호도

지역발전

관련

전문가

원전

유지

신재생/

원전 유지화력 원자력 신재생 원자력

화력/

원전

유지

화력

환경분야

언론 그룹신재생

신재생/

원전 유지화력 원자력 신재생 원자력

원전

유지화력

환경분야

전문가신재생 원전 유지

원전

유지원자력 원자력 신재생

원전

유지화력

일반인

(개인)신재생 원전 유지 화력 화력 원자력 신재생

원전

유지화력

일반인

그룹

(대표의견)

신재생

/원전

유지

신재생 원자력 화력 원자력 신재생

화력/

원전

유지

원전

유지

주: 설문에 응한 응답자는 지역발전 7명, 언론 그룹 8명, 환경분야 전문가 10명, 일반인(학생) 105명임.

<표 5-19> 대안의 선호도

Page 123: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109

평가 요소 영향범위 영향 기간 중요도

대기오염

배출

- 전력(에너지)생산, 배분 및 활용 시 대기오

염물질의 방출을 최소화광역적 3 긺 보통

유해물질

발생

- 생산, 배분, 사용 시의 건강 유해물질의 발생

- 방사성 폐기물의 발생국지적 짧음

서식지 훼손 - 서식지 및 생태축 등의 훼손 국지적 긺

기후변화 - 온실가스 발생 및 감축 광역적 긺

어메니티

쾌적성

- 정주환경에 대한 영향

- 시설물로 인한 이질감, 경관 영향국지적

자원 효율성- 자연 자원의 효율적 개발, 화석 연료 사용의

효율화광역적

경제적

효율성

- 최소 비용으로 에너지 생산의 극대화

- 사적 비용(송전선로 건설 운영 비용, 발전소

건설 비용 및 유지비용의 효율성)

광역적

환경비용을

고려한

경제적

효율성

- 환경 파괴로 인한 비용

(전력 관련 지역 지원금(부담금) 등의 지불

로 인한 비용, 유해물질, 생태계 파괴, 대기

오염 등으로 인한 피해 및 저감 비용)

- 발전소 건설 비용, 송전선로 건설 운영으로

인한 비용

지역적 4 긺 높음

에너지

효율성- 에너지 원별 생산 비용

수요관리의

효과성

- 수요관리에 대한 세부 정책의 효과

- 에너지 가격체계 개선, 과수요 방지

공급의

안정성

- 현재 세대 및 미래세대에게 확실하고 신뢰할

만한 공급원에의 접근 보장

분배의

형평성

- 사용자들에 대한 최대다수의 수요 충족

- 에너지 복지 사각지대 해소

공중건강 및

안전

- 공중 건강과 안전 위험의 최소화

- 폐기물 처분으로 인한 영향광역적 4 긺 보통

문화유산의

보존

- 문화적 자원과 역사적/고고학적 자원에 대

한 위협의 최소화

- 오염 가중으로 인한 훼손, 입지로 인한 경관

훼손, 입지로 인한 문화유산에의 영향 등

사회적

수용성

- 다양한 폭넓은 사회적 지지 획득

- 지역 주민과의 협의

- 지역 주민과의 마찰 최소화

자료: 이영준 외(2014)에서 재인용.

<표 5-20> 요소별 영향 정도의 평가 방법(예시)

Page 124: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10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신재생에너지 중에서 풍력, 태양광, 조력, 폐기물, Biomass, 소수력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각각의 비중은 환경분야 언론 그룹, 환경분야 전문가 그룹, 일반인 개인

및 그룹에서는 태양광을 선호하였고, 지역발전 연구원 전문가는 폐기물을 선호하는 것으

로 조사되었다(표 5-21).

(단위: %)

정보공유(전) 풍력 태양광 조력 폐기물 Biomass 소수력

지역발전 관련

전문가4 14 12 35 28 7

환경분야 언론

그룹13 38 12 14 17 6

환경분야

전문가7 21 20 19 16 17

일반인(개인) 4 30 16 17 20 13일반인 그룹

(대표의견)8 29 14 16 15 18

<표 5-21> 정보 공유 전 신재생에너지의 그룹별 선호도

신재생에너지 각각의 발전량, 환경과의 관계 등에 대한 몇 가지 정보를 제공한 후

다시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는 이전의 것과 달리 환경분야 언론 그룹에서는 조력발전을

선호하였고, 지역발전 전문가는 Biomass 발전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반인

개인 및 그룹은 폐기물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표 5-22).

(단위: %)

정보공유(후) 풍력 태양광 조력 폐기물 Biomass 소수력

지역발전 관련

전문가5 23 21 14 24 13

환경분야 언론

그룹4 20 25 17 21 13

환경분야

전문가14 34 15 12 17 8

일반인(개인) 4 8 17 46 16 9

일반인 그룹

(대표의견)6 19 20 22 16 17

<표 5-22> 정보 공유 후 신재생에너지의 그룹별 선호도

Page 125: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111

녹색성장위원회(2011)의 조사에 의하면 신재생에너지의 선호도가 태양광, 연료전지,

태양열, 풍력, IGCC, 수력, 바이오매스, 해양에너지, 폐기물, 지열의 순이었다.65)

신재생에너지 잠재량의 예측은 아직 불완전한 부분이 있다. 기술적인 진전과 전력가격

에 따른 변동이 있을 수 있다. 아래 표는 신재생에너지 잠재량예측 결과를 보여준다.

육상풍력발전의 경우 2011년 예상보다 2012년 예상이 66%로 줄었다.

녹색성장위원회(2011)과 2012신재생에너지백서(2012)를 비교하였다.

구 분

2012신재생에너지

백서

(2012) GWh

녹색성장위원회

(2011) GWh

신재생백서/녹색

성장보고서

추정설비 용량

(GW)

태양광 6,807,213 6,807,213 동일 3108

육상풍력 94,168 143,490 66% 65

해상풍력 258,930 256,104동일(미소한

차이)97

수력 242,683 242,683 동일 55

바이오매스 71,768 71,768 동일 5

지열 2,719,012 2,719,012 동일 310

해양(조력) 29,761 40,705 73% 21

주: 1) 용량크레딧 : 태양광, 육상풍력 25%, 해상풍력 30%, 수력 50%, 바이오매스, 지열 100%, 해양(조력)

22% 적용자료: 1) 녹색성장위원회(2011), 신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목표의 적정성에 대한 연구, 181쪽, 96쪽 표.

2) 지식경제부,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2012), 2012 신재생에너지 백서, 486쪽, 51쪽 표.

<표 5-23> 신재생에너지 기술적 잠재량의 예측

65) 본 연구에서는 연료전지는 제외하고, 태양열은 전력생산과 무관하여 제외하였다.

Page 126: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12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나. 다양한 에너지원과 주요 이슈와의 관계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다양한 에너지원의 장단점을 아래표로 요약하였다(표 5-24,

5-25, 5-26, 5-27).

구 분 장   점 단   점

원자력66)

- 이산화탄소, 아황산가스, 질소산화물 등 유

해물질이 방출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임

- 24시간 가동 가능

- 연료비가 싸고 발전소의 수명이 길어 발전비

용이 가장 적게 듦

-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높은 나라에 필수적인

대체에너지임

- 초기 건설비용 높음

- 방사선 및 방사성폐기물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처리 ․ 처분하기 위한 추가비용이 발생함

- 독성이 강하고 수명이 긴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사용 후 핵연료)을 장기간 안전하게 관리해

야 하는 부담이 있음

- 다른 발전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지만

한번의 실수로 대규모 피해가 발생함

화 력67)

- 단기간에 설치가능(발전설비 용이)

- 수요가 많은 대도시 근처에 발전소를 만들

수 있어 송전비용과 전력 손실이 적음

- 대량의 전기를 한꺼번에 생산함(총 발전량의

절반을 공급)

- 건설비가 적게 듦

- 연료 자원이 고갈되어 있음

- 소음을 일으키고 지속적인 연료 공급이 필요

- 효율이 많이 떨어짐(열효율이 30~35%)

- 연료 수입으로 인한 무역 적자의 주요원인임

- 대기 및 수질 오염을 일으킬 수 있음

<표 5-24> 에너지원별 장 ․ 단점

아래 표는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준비과정의 워크그룹에서 분석한 원자력과 화력의

특성이다.

구 분 자립도 경제성 온실가스 수용성 계통여건

원 전 우위 우위 우위 열위 열위

화 력석탄 열위 우위 열위 열위 열위

LNG 열위 열위 - 우위 우위

주: 부록 2. 에너지기본계획에 대한 정책제안(민관합동워킹그룹) 중에서 검토된 결과인 모든 장점을 갖는 에너지원은 없음.

<표 5-25> 현재기준으로 본 에너지원별 특성

66) 부록 17. 원자력 발전의 운영현황.

67) 부록 19. 화력발전 건설추진 현황.

Page 127: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113

구 분 장   점 단   점

태양광68)

- 에너지원이 청정 ․ 무제한

- 필요한 장소에서 필요량 발전가능

- 유지보수가 용이, 무인화 가능

- 긴수명(20년 이상)

- 전력생산량이 지역별 일사량에 의존

- 에너지밀도가 낮아 큰 설치면적 필요

- 설치장소가 한정적, 시스템 비용이 고가

- 초기투자비와 발전단가 높음

․ 1MW 용량의 태양광설치에는 대략 10,000㎡의 면적이 필요

․ 전력거래가격 316~436원/kWh

․ 태양광의 비용편익비는 장소 비용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 9.1이다(부록: 신재생에너지

경제성 분석 참조).

풍 력

- 무한한 자원(고갈되지 않음)

- 환경오염이 발생하지 않음

- 전력 생산 단가가 저렴

- 산간, 해안, 오지, 방조제 등의 부지를

활용하여 국토 이용 효율 높일 수 있음

- 지속적으로 바람이 부는 곳에만 설치 가능

- 지속적인 에너지 이용을 위해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저장할 수 있는 장치 필요

- 건설비용이 많이 듦

- 소음이 발생할 수 있음

․ 육상풍력발전이 유리한 지역은 대부분 능선부에 위치하며 풍력밀도가 풍력발전에 적합한

지역의 면적 중 70%이상이 보존이 필요한 국토환경성평가 1등급 지역이다.

․ 전력거래가격 107원/kWh

․ 육상 풍력의 비용편익비는 태양광에 비해 5.8배 높다(부록: 신재생에너지 경제성 분석

참조).

바이오

- 풍부한 자원과 큰 파급효과

- 환경친화적 생산시스템

- 환경오염의 저감(온실가스 등)

- 생성에너지의 형태가 다양함(연료, 전력,

천연화학물 등)

- 자원의 수집 및 수송이 불편함

- 다양한 자원에 따른 이용기술의 다양성과

개발의 어려움

- 과도 이용시 환경파괴 가능성

- 단위 공정의 대규모 설비투자

BioMass를 이용한 발전의 경제성에 대해서는 일반화할 만한 적절한 자료가 제시되지

않았다. 10MW BioMass발전소는 경제성이 없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2013년 건설을 시작한 당진의 GS EPS 바이오매스 발전소는 친환경적인 바이오

에너지(목질계, 팜열매 껍질 등)를 주연료로 사용하는 100MW급 발전설비로 아시아

에서는 가장 큰 용량을 가진 바이오매스 발전소다. 발전단가는 풍력발전보다 약간

작다. 전력거래가격은 167원/kWh (SMP+15원, 2013년 SMP=152원/kWh 대)

<표 5-26> 신재생에너지원별 장 ․ 단점

68) 부록: 태양광 및 풍력의 사회적 환경적 가치 추정 및 활용가능성 참조.

Page 128: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14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구분 자립도 경제성 온실가스 수용성 계통여건

신재생 우위 열위 우위 우위 우위

주: 부록2 에너지기본계획에 대한 정책제안(민관합동워킹그룹) 중에서 검토된 결과인 모든 장점을 갖는 에너지원은 없음.

<표 5-27> 현재 기준으로 본 신재생에너지원의 특성

구 분 장   점 단   점

조력

․ 전 세계 조력 발전은 2012년 527MW로 증가 없이 멈춰 있는 상태이다. 현재 계획 중인

가로림만 조력발전의 전력생산용량은 520MW로 계획되었으나 2014년 10월 건설 계획이

환경적 이유로 취소되었다.

․ 운영 중인 시화조력발전소는 254MW 크기이며 연간이용률은 22%이다.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고 발전 비용이 풍력발전보다 10% 정도 싸다.

․ 전력거래가격 63~91원/kWh69)

폐기물

- 매립․소각 대신 에너지화하여 환경적

측면의 장점

- 발전차액지원제도에서 불리

- 기술상용화 실적 미약

- 혐오시설로 인식하여 주민수용성 문제

- 대기오염 물질 방출과 온실가스 발생

영향

- 액상 오염물 방출로 인한 수질오염,

잔류고형물 처리 등 문제

․ 폐기물(MSW : Municipal Solid Waste)을 원료로 하는 발전에 대한 경제성에 대해서는

적절한 자료가 제시되지 않았다. 전력거래가격 157~167원/kWh(SMP+5, RDF는

SMP+15원의 가격을 적용한다(2013년 SMP=152원/kWh 대).

소수력

․ 소수력 발전은 하천을 단절하며 만들어진 소규모 댐에서 발전하는 것으로 1MW~10MW

규모의 발전댐이며 소수력 발전의 연간 이용율은 40% 정도이다.

․ 157원~167원 (SMP+5~15)

주: SMP는 거래시간별로 원자력이나 석탄화력을 제외한 일반 발전기에 대해 적용하는 전력시장가격 (원/㎾h)이다.자료: 발전단가는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 센터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차액 지원 자료 사용 (http://www.knrec.or.kr/knrec/12/KNREC120600.asp).

<표 5-26> 신재생에너지원별 장 ․ 단점 (계속)

아래 표는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준비과정의 워크그룹에서 분석한 신재생에너지의

특성이다.

69) 이준행, 노용환(2010), pp.43-82.

Page 129: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115

다. 전력요금과 대기 환경 개선 효과 간의 관계

전력요금 개편(인상)으로 대기환경이 개선되는 정도는 작다. 강만옥 외(2012)은 자

원·환경위기 시대에 대비한 적정 에너지 믹스 및 전원구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지적하였

다.70) 그는 OECD 국가와 비교할 때 한국의 CO 배출량은 2000년 이후 OECD

국가 평균을 넘어섰음을 지적하였고71) 전력요금의 인상 시 전력부문으로 인한 대기

오염물질 배출량이 줄어드는 정도를 예측하여 제시하였다. 제시된 자료를 이용하여

전력요금의 인상으로 인한 대기오염물질의 감축비율을 추정해보면 아래의 <표

5-28>과 같다.

구 분 CO NOx SOx PM10 VOC

33285 128891 70602 5797 5212

10%인상 2.2% 2.2% 2.2% 1.5% 2.1%

30%인상 6.7% 6.7% 6.7% 4.6% 6.1%

100%인상 22.3% 22.3 22.4% 15.2% 2.1%

주: %로 표시된 값은 감축된 비율을 나타냄. 단위: 톤. 자료: 강만옥 외(2012)에 인용된 자료를 활용하여 계산. 인용된 자료는 <표 3-7> 전력부문 대기오염물

질 배출량(2009기준, 국립환경과학원 자료 인용, 26쪽) 그리고 <표 4-28> 가정·상업부문 전력요금 인상에 따른 대기오염 배출 감축량 추정(2009년, 97쪽).

<표 5-28> 전력요금인상과 대기오염물질 발생량의 관계

전력요금 인상을 30% 이상 높이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고 할 때 위의 표에서와

같이 전력요금 인상은 대기환경의 변화를 개선하는 데는 큰 도움이 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전력사용이 줄어들면 다른 에너지원으로 화석연료를 사용할 가능성이 있으므

로 전반적인 대기개선 효과는 위에서 추정한 것보다 낮아질 것이다.

송배전망의 건설로 인한 환경영향이 고려되어야 한다.

강만옥 외(2012)는 우리나라 발전소가 경상남북도에 대부분 배치되어 있고, 전력수요

70) 강만옥 외(2012), pp.15.

71) 강만옥 외(2012), pp.24.

Page 130: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16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의 40%는 경기지역에 집중되어 있어 송배전비용이 막대하게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하였

고 송배전 비용을 반영한 지역별 차등요금제의 실시가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72) 송배

전망은 현재 한수원의 자체 계획에 의해 수립되는 것으로 국가의 에너지계획이나 전력수

급기본계획에 구체적으로 반영되어 있지는 않다. 한수원의 송배전선로 건설 및 운영계획

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협의에 의해 결정 시행되기 때문에 상호 무관하지는 않으나 국가

전체의 전력수급계획을 고려할 때 송배전망에 대한 계획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5. 불확실성 및 미래전망

가. 발전시설의 건설계획 잠정 유보 가능성과 관련한 불확실성

본 연구에서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상의 필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필요 발전시설

용량을 추산해본 결과는 아래의 <그림 5-10>, <표 5-29>와 같다. 본 연구의 추정에

의하면 현재 건설 승인이 확정된 발전소만을 운영할 경우에도 2027년까지의 목표수요를

충분히 채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그림의 아래 그래프의 -*- 로 표시된 전력수요

곡선 참조). 특히 발전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충분한 여유가 있어 발전총량을 담당하기에

는 부족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충분히 안정된 발전율을 적용하여

추산하였다.73) 또한 최대 전력수요가 발생할 경우(피크수요시)에도 현재 계획 승인된

발전소만으로도 충분히 발전 여력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그림 5-11).

전력수급기본계획상의 신재생에너지의 생산효율을 고려할 경우에도 2025년까지는

충분히 수요를 채워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환경에 추가적인 영향을 주는

발전시설의 증설을 최소화하는 방안의 검토가 가능하다. 이것은 현재 건설승인이 되지

않은 8%의 12,860MW에 해당하는 발전시설의 건설 시기를 잠정 유보하면서 전력수요의

변화를 재검증할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가 있다고 보인다. 그 과정에서 수요관리가 효율

적으로 될 경우에는 추가 발전시설의 건설을 유보하되 전력수요가 증가할 경우에는 발전

72) 강만옥 외(2012), pp.110.

73) 부록24: 전력소비패턴을 이용한 연도별 발전 가능량의 추정 참조.

Page 131: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117

시설을 계획대로 시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단위: GWh)

주: 1) 본 연구의 전력소비량과 공급가능성 추정방법은 부록(전력소비패턴을 이용한 연도별 발전 가능량의 추정) 참조.

2) 네모 표시한 2016년부터 건설계획이 미승인된 발전소가 포함됨.

<그림 5-14>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상의 필요 전력 공급을 위한 발전 시설 용량 추산

Page 132: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18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단위: MW)

년도

계획용량 확정계획

용량주1) (C)(EIA승인완

료,

미승인제외:

원자력, 화력)

최대전

력예측

(D)

목표수

최대전

력예측

(E)

최대전력 비중(%)

(제6차전력

수급기본계

획 상에

제시된

내용)(A)

피크

기여도

기준

(B)

계획용량

대비

(F)

확정용량

대비

(G)

2013 90,362 85,605 - 80,374 79,712 88.2% -

2014 100,597 94,192 86,680 82,309 80,969 80.5% 95.0%

2015 108,433 100,177 103,563 84,658 82,677 76.2% 81.7%

2016 119,558 110,067 112,938 86,919 84,576 70.7% 77.0%

2017 123,582 113,332 118,960 91,031 88,218 71.4% 76.5%

2018 129,448 116,621 123,549 94,694 91,509 70.7% 76.6%

2019 139,983 124,404 129,599 98,621 93,683 66.9% 76.1%

2020 144,154 125,875 131,830 102,205 95,316 66.1% 77.5%

2021 149,460 128,339 132,702 105,852 97,510 65.2% 79.8%

2022 151,899 128,602 133,374 109,476 99,363 65.4% 82.1%

2023 153,082 128,639 133,819 113,065 100,807 65.9% 84.5%

2024 154,262 129,077 134,143 116,602 102,839 66.7% 86.9%

2025 155,666 129,719 134,564 120,078 105,056 67.5% 89.2%

2026 156,542 130,495 134,827 123,450 108,037 69.0% 91.6%

2027 158,502 130,853 135,415 126,740 110,886 70.0% 93.6%

주: 1)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 재계산하였음.2) 신재생 및 기타에너지는 6차계획과 동일.

자료: 지식경제부(2013.2.), p.19, 23, 79, 82 참조하여 재구성.

<표 5-29> 전력용량과 최대전략 간의 관계(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Page 133: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119

주: 예측된 최대전력수요(표 5-29의 (D)최대전력예측)는 확정된 발전소 건설계획만으로(표 5-29의 (C)확정계획용량) 충분히 공급가능함을 보여줌.

자료: 6차전력수급기본계획상의 자료를 토대로 재구성.

<그림 5-15> 전력용량과 최대전력(MW)

나. 기승인된 원자력 발전소 건설계획의 미래전망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상의 전력예비율은 현재의 전력예비율보다 매우 높게 확보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전력예비율은 지나치게 크다는 지적이 있었다. 제2차 에너지기본

계획은 전력수요의 관리, 즉 전력수요를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추가적

인 발전소의 건설은 최대한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상에

반영된 발전소 건설계획도 최대한 시기를 늦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력수급기본계획이

2년 단위임을 고려할 때 전력에너지 생산 증가보다는 전력수요관리 중심으로 정책을

수행하여 발전소의 증설을 자제할 필요가 있다. 그중에서 가장 논란이 많은 원자력 발전

소에 대하여는 발전계획을 현재 확정된 것 중에서도 가능한 한 건설시기를 늦추고 신규

Page 134: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20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원전계획은 일단 유보해도 전력공급에는 차질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원자력 발전소는

원자력 자체에 대한 문제뿐 아니라 장거리 초고압 송전선로의 건설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전력계통의 안정성 입장에서도 추가건설은 신중할 필요가 있다.

다. 전력수요의 추이 변화에 따른 미래 수요의 불확실성

전력의 미래수요 증가에 따라 발전량이 충분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발전용량과 전력생

산량이 다른 특성을 갖고 있어서 일반적으로는 상호 대비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수록된 발전소 건립계획을 토대로 발전량을 추정했고 이를 토대로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수요(기준수요 및 목표수요)와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도 전원구성전망을 전국권과 수급전력의 미래수요에 대한 추정은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예상을 따랐다.

라. 대기질 변화와 관련된 불확실성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의하면 2027년까지 석탄화력 발전소가 총 12기

(10,740MW)가 증설될 계획이다. 심창섭 외(2013)는 중국의 석탄에너지 사용으로 인해

다량의 대기오염물질(CO, NOx, SOx, CO)이 배출되고 있고 전세계적으로 대기환

경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으나 국내 석탄화력 발전의 증설계획과 관련하여서는

이러한 중국부터의 대기오염의 장거리 이동에 대한 영향이 고려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중국의 대기오염 배출로 인해 국내 오존농도가 상승하고 이러한

영향으로 향후 국내에 미칠 건강영향이 우려된다고 지적하였다. 아래 <그림 5-12>

는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른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 증가전망을 보여주는 것

으로 대체로 2 내지 2.5배의 배출량 증가가 있음을 알 수 있다.

Page 135: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121

자료: 심창섭(2014).

<그림 5-16> 6차 전력수요에 따른 2027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전망(CAPSS (2010) (국가 전체)

<그림 5-13>은 전력수급기본계획의 발전시설 증설로 인해 서수도권에서는 CO, NO2

에 대한 환경기준 초과일수가 70일이 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그림 5-14>는 중국의

배출량 증가가 국내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자료: 심창섭(2014).

<그림 5-17> 전력수급 기본계획이 반영된 2027년 모의결과

Page 136: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22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자료: 심창섭(2014).

<그림 5-18> 전력수급 기본계획이 반영된 2027년 모의결과

이 연구에서는 석탄화력에 대한 환경비용에 NOx, SOx, PM, CO2 외에도 중금속,

PAHs 등 독성 미량기체들이 포함되어야 하며 이러한 독성물질 관련 국내 환경비용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밝혀져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석탄화력으로 인한 환경피해의 주요

원인인 SO2, NOx, PM10 및 CO2의 배출이 인체에 광범위한 건강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림 5-15>는 인구를 고려한 건강영향의 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인구를

고려할 때 화력발전소의 배출오염물질이 경기도, 충청도 및 강원도 지방에 미치는 영향

이 큼을 보여주고 있다.

* PWEI : Population Weighted Environmental Index자료: 심창섭(2014).

<그림 5-19>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의한 PEWI 변화량(ΔPWEI 2010 vs 2027)

Page 137: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123

화력발전으로 인한 대기질 변화에는 중국의 대기오염물질로 인한 영향, 중금속 및

독성물질로 인한 대기 및 건강영향도 고려되어야 하며 이러한 영향은 단순한 수치적

증가로 예측할 수 없는 대기질 모델링이 필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화력발전소 건설 계획

의 환경적 적정성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전략환경평가 단계에서 해당 계획으로 인한 대기

질 영향이 사전검토될 필요가 있다.

마. 동아시아 전력망 연계의 불확실성

동아시아전력망 연계 필요성에 대해서는 향후 검증이 필요하다. 동아시아 전력망 연계

가 고립되어있는 국내 전력계통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면 전력망 연계가 상호

국가의 전력 공급에 도움이 될 것인지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이익과 상호 이익이 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송전계통이 연결되는 인접국(북,중,러,일)들이

한국으로부터 생산되는 전력을 구매할 의사가 있을 것인지 불투명하다. 해당국들은 자체

발전시설, 풍부한 석탄자원과 수력자원을 상당 수준 보유한 국가들이어서 전력계통의

연결이 그 반대로 우리에게 전력을 안정적으로 싼값에 공급할 수 있는지에 더 관심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인접국과의 현재 정치적인 관계로 보아 전력자립, 전력안보, 안정

적 전력공급이 위협을 받거나 종속될 가능성은 없는지에 대해서도 진지하게 검토해보아

야 한다. 이러한 전력수입은 전 지구적인 문제로 상대국의 원자력산업을 활성화 해 주거

나, 상대국의 화력발전소 건설을 촉진하여 온실가스 배출을 증가시키는 화력이 증가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국내에 과다하게 발전소를 건설한 후 중국, 러시아 등으로 전력을 판매 송전하는 것은

고비용 전력을 생산해서 인접국에 저비용으로 판매하는 것과 같아서 합리적인 계획이라

고 보기 어려우며 국내 전력가격에 부담을 가중시키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인접국

과의 전력망 연결을 위해 HVDC로 연결하는 전력망 구성을 위해서는 양국간의 초고압

HCDC 설비를 건설 유지할 수 있는 기술적인 준비도 필요하며 유지에 들어가는 비용의

경제성에 대한 검토도 필요할 것이다. HVDC로 인접국과 연결하는 전력망구성에 대해서

Page 138: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24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국가전력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장거리 전력망 연계시

스템을 갖추는 것이 한반도의 입장에서 적정한지는 향후 검증이 필요하다.

바. CCS와의 관계

현재 발전소 부지내에 CCS 실증시설을 운영 중인 곳도 있으나 아직은 기술 초기단계

이다. 포집기술 뿐만 아니라, 이송, 영구저장까지의 전체과정이 완료되어야 하기 때문에

CO2 포집의 효과성이 높다고 보이나 한국에서는 아직 비용과 기술이 실용단계에 이르지

는 못한 상태이다. CCS 상용화를 위한 실증사업은 2020년 100MW 이상 포집 실증

사업(2개 완료), CCS 상용화 추진 정도의 계획이 시행되고 있는 중이다.74)

사. 가스화발전의 전망(플라즈마 석탄가스화 발전)

석탄 가스화발전(IGCC)산업은 현재 발전이 정지된 상태이다. 2012 신재생에너지백

서75)에서는 IGCC(석탄가스화)에 의한 전력생산을 신재생에너지공급비중에서 잠정적으

로 제외하였다. 그러나 PE-IGCC는 플라즈마상태로 석탄을 가스화하여 발전하는 것으

로 독성물질의 발생이 거의 없으며 운영이 쉬운 발전이다.76) 기술특허를 국가핵융합연

구소가 갖고 있는 우리 고유의 석탄가스화 발전설비이다. 이 설비는 기존의 IGCC처럼

고압의 조건이 필요 없어 설비의 운영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연료의 사용범위가

넓다. 특히 저품위 석탄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77) 원료로 우드펠릿, 팜스킨

등의 사용도 가능하여 CO 저감에도 유리하며 MSW 중 RDF로 가공이전의 flake

상태로도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등 연료의 장점이 크고 유지보수비가 매우 작게

74) 국무조정실 외(2014.1),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114p 중 20쪽, ‘부처별 온실가스 감축 핵심 R&D 현황‘에서 인용).

75) 지식경제부,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2012), p.110 표 2-49 및 본문 참조.

76) PE-IGCC(Plasma Enhanced Integrated Gasification Combustion Cycle) 플라즈마 석탄 가스화 복합 발전: IGCC 기술은 석탄 등 저급 연료를 가스화 시켜 H2와 CO가 주성분인 합성가스를 생성하여 이를 연료로 연소시켜 가스터빈 또는 증기 터빈을 구동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IGCC는 고압 조건에서 운전하여 기계 장치에 부담이 되나 PE-IGCC는 대기압에서 운전하고 10MW 발전기를 여러 대 가동시킬 경우 안정되고 연속적인 발전이 가능한 장점을 갖고 있다.

77) 김종민 외(2012); 그린 사이언스 파워-태백(2014).

Page 139: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125

든다. 우리나라의 분산전력의 주설비로 사용할 수 있는 잠재가능성이 매우 높은

전력생산방식이다.78)

분산에너지로서의 PE-IGCC와 풍력발전 또는 태양광발전과 조합하면 지역단위 분산

전력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분산전원으로서의 장점 때문

에 지자체에서도 관심을 갖고 있는 발전 방식이다.79)

아. 수소연료전지 발전의 전망

수소연료전지는 수송분야(수소연료전지 자동차)에서 장점이 있고 유럽의 경우 공공적

인 인센티브 전제하에 2020년경 비용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80) 수소연료전지

는 2012년 기준 19개소, 시설용량 60MW가 설치 보급되어 있다.81) 산업통상자원부(당

시 산업자원부) 수소․연료전지사업단의 연구개발 로드맵에 의하면 발전용 연료전지는

2009년 국산지 실증을 거쳐 2011년 국산지 보급 및 5MW/년의 생산기반 확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수소연료전지사업단, 2007). 현재 기술수준 및 관련 자료들을 검토해본 결과

수소연료전지는 2020년 이후에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고려될 수 있는 미래 불확실성을

갖는 에너지원으로 생각된다. 수소연료전지가 활용될 경우 소규모, 분산전력으로서의

역할이 기대되며 풍력, 태양광발전과 연계한 복합적인 분산형 전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신재생에너지백서(2012)에서는 연료전지에 의한 전력생산을

신재생에너지공급비중에서 잠정적으로 제외하였다.

78) 부록 19. 화력발전 운영현황 및 건설 현황 중 일반 석탄화력 발전과 IGCC 및 PE-IGCC의 경제성 비교표 참조.

79) 김종민 외(2012).

8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2012).

81) 수소연료전지 발전시설 운영현황(2013).

Page 140: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26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자. 기타 소규모 발전의 확장

가정용 소풍력발전기의 도입 확산 등을 통한 가정 전력의 자급 활성화 방법 등 미래

지향적인 지속가능한 발전 방식이 확대되도록 하는 것이 전력수급계획의 안정화를 위해

필요하다.

차. 신재생에너지 활용 잠재성

신재생에너지의 잠재량은 전기수요를 충족하는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82) 그 중에서

태양광발전 및 풍력발전이 가장 접근 가능한 대안이다. 그러나 이들 신재생에너지는

전기부하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며 기상에 종속되어 발전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한

보조발전방식이 동일한 규모로 준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높이면

전력불안정성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계획들이 보완되어야하는 것이다. 육상풍력의 개발

잠재성이 있는 지역의 70%가 생태적으로 보존이 필요한 지역과 중첩된다. 풍력발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환경정책에 변화가 필요하다. 육상풍력은 현재 기술수준에서

최대한 개발하면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목표의 70% 이상을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위해서는 환경분야와 산업분야가 함께 합의하는 지속

가능한 정책방향이 설정되어야 한다.83)

태양광발전의 경우에는 육상풍력발전에 비해 비용편익비가 20% 수준이어서 현저한

경제성의 차이를 보이며 1MW 발전기 설치에 소요되는 면적이 10,000㎡에 이르러 태양

광발전의 확대는 생태적으로도 토지이용 측면에서도 뚜렷한 한계를 보인다.84) 태양광발

전 기술의 발달로 발전효율이 크게 높아진다 해도 이러한 경제성과 환경적 영향 규모를

고려할 때 확대범위는 제한될 것으로 예상된다.

신재생에너지의 출력변동성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스마트그리드, 분산전력으로서의

82) 부록 22.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잠재량 참조.

83) 부록 9. 육상풍력 관련 주요 환경문제와 풍력잠재량 참조.

84) 부록 20. 신재생에너지의 경제성분석 참조.

Page 141: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127

보조발전 방식, ESS 등의 조합을 통한 기술발전과 운영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상태이

다.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것으로 보이는 지열발전의 경우에는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이 가능해보이나 현재는 경제성 측면에서 전력수급계획 속에 포함하여 구체

화하기에는 먼 미래에너지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6. 공중참여

본 연구에서는 생략하였으며 아래 내용은 이영준 외(2014)에 제시된 것이다.

◦ 공중참여 부분은 본 연구에서 시행한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에서는 생

략하였으나 스코핑 부분에서 상당한 정도의 의견수렴이 있었던 것으로 가정

하였다. 공중참여 부분은 전략환경평가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 공식적 의견수렴(자료 공개 등)

- 단계별로 참여한 이해당사자의 실질적 참여 방식 작성

◦ 공중참여의 각 단계별 참여 이해 당사자와 참여 방식에 대한 실질적 참여

방식

Page 142: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28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단계참여한

이해당사자참여의 방식 참여에 따른 성과 및 결과

스코핑

중앙정부,

전문가,

사업자 등

서면 또는

인터넷‧ 초안에 대해 서면으로 의견 제출

대안설정전문가,

사업자 등워크숍

‧ 초기 대안설정

‧ 공중참여에 따른 최종 대안설정 안 등을 제시

평가 전문가 전문가 토론,

서면

‧ 평가결과에 대한 명시

예: 에너지 믹스 비율 조정, 환경적으로 우수한 지역

보존을 위해 송전선로 변경

공중참여 전국민자료공개

의견접수

‧ 인쇄물 및 인터넷을 통해 자료 공개 및 의견수렴 내용

제시주: 이영준 외(2014)를 부분적으로 수정하였음.

<표 5-30> 정책계획의 적정성 작성 방법 및 내용

7. 전략환경평가 권고사항

전략환경평가(SEA)는 정책 및 계획의 수립과정에 내재되어 시행되어야 하는 것이므

로 본 연구에서 실시한 모의적인 전략환경평가의 내용은 해당 계획인 제2차 에너지기본

계획 및 향후 수립될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수립과정 중에 도출되고 환경적인 측면

이 검토되어 계획입안 과정에서 제시된 내용이라고 간주되어야 한다. 현재 본 연구의

전략환경평가와 그 권고사항은 따라서 이후에 해당 계획들이 수립될 때에 환경적 측면에

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시한 것이다. 전략환경평가의 검토 및 권고사항은 의사결정에

서 반영되어 고려될 수도 있고 또는 환경적인 영향이 지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

정책의 목적을 따라서 반영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에의 반영여부는

의사기록(Record of Decision)으로 기록화되어 남는다. 이렇게 검토된 사항은 정책적인

결정이 된 사항이므로 다음의 하위계획의 시행 시에는 다시 반복되지 않는다.85)

85) 상위 결정이 하위로 단계적으로 반영되는 것을 tiering 이라고 부른다. 정책 위계의 정합성이 유지되는 일련의 의사결정과정이라고 설명할 수도 있을 것이다.

Page 143: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129

1) SEA 권고사항 1

환경적으로 수용가능한 적정한 전원구성이 되도록 전원구성계획을 조정할 것을 권고

한다. 또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가 고려된 전원구성이 되도록 조정할 것을 권고한다.

전력수급을 위한 에너지원별 전원구성 비율의 여러 가지 대안을 검토한 결과 원자력,

화력(석탄, LNG),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적정 전원구성 안이 제시되었다. 이를 고려하여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전원구성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각종 에너지원에 대한 환경적

측면을 고려한 전원구성이 되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86)

SEA 권고사항 1은 현재 제도상 에너지관련 에너지 기본계획, 전력수급기본계획의

환경영향평가가 전략환경평가를 시행토록 되어있지 않은 상태이고 국가 온실가스 감축

계획 로드맵이 위의 두 계획 확정 이후에 공표된 것이므로 이후 제도화 되었을 때에

할 것을 권고하는 것이다. 또한 CO2 감축 목표가 고려된 전원 구성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2) SEA 권고사항 2

화력발전시설 중 건설 계획이 확정되지 않은 계획은 환경적 영향을 고려하여 건설

계획을 잠시 유보할 것을 권고한다.

화력발전 시설의 증가는 전력수요에 쉽게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상의 발전소 건설계획 대로 건설할 경우 전력예비율이 높다는 지적이

있었고(4장 참조), 본 연구에서 검토한 결과 건설이 확정된 발전소만 건설하여도 2027년

까지 충분히 여유 있게 전력공급이 가능하고 피크수요에도 대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86) 본 연구의 전문가 그룹 참여는 제한적이었음. 에너지, 환경, 정부 전문가의 참여를 통한 적정 에너지 믹스의 결정이 필요함.

Page 144: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30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또한 전력수요 관리가 이루어질 경우 발전 여유분은 더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환경에

영향을 가중시키는 발전소의 추가 건설 계획은 향후 전력수요의 증가 정도로 이를 검토하

여 필요 시에 반영하여도 될 것으로 보인다.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상에 미확정된 건설

계획은 2016년부터 시작되어 2027년까지 용량 8,060MW이며 전체 계획의 8.8%에 해당

한다.87)

3) SEA 권고사항 3

원자력 발전시설의 증설 시 765kV 송전선로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계획에 있어 신중

한 검토가 필요하다.

원자력 발선시설의 집중은 현재 8기까지 동일 부지 내에 집중되어 있으며 발전효율과

안전성 등을 고려할 때 부지의 입지선정이 제한되어 있어서 현재까지 수준이 신규 부지의

확보 없이 수용 가능한 최대 수준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재 상태에서도 발전소

집중도가 매우 높아서 송전 계통에서 계통의 불안정성을 우려하고 있으며 더욱이 추가적

인 계통집중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추가 원자력 발전시설의 건설이 필요할 경우에는 수도권 지역으로의 송전을 위한 송전

시설을 추가로 건설하여야 되므로 송전계통 불안정 및 송전시설로 인한 환경적 영향에

대한 주민의 반대 등이 예상된다. 따라서 향후 원자력 발전시설의 추가 건설을 계획에

포함하고자 할 경우 송전시설의 추가가 발생하지 않도록 전력소비처 주변에 원자력 발전

시설을 건설하거나 원자력 발전 신규 시설 입지지역 주변에 전력 수요를 집중시켜 산업단

지를 개발함으로써 산업시설의 수도권 집중방지와 송전선로 건설의 필요저감 및 지방발

전을 동시에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을 제안한다.

87) 5장 5. 불확실성 및 미래전망 및 부록 19. 화력발전 운영현황 및 건설 현황 참조.

Page 145: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131

4) SEA 권고사항 4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계획을 에너지기본계획에 반영하고 후속 계획을 수립 시행할

것을 권고한다.

지속가능한 에너지 정책의 구현을 위해서 원자력 발전소 해체 계획을 수립 ․시행할

필요가 있다. 독일의 원전 폐쇄 결정과 후쿠시마 원전 사고 등으로 인해 각 나라는 원자력

의 이용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지고 있고 그 결정은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다. 전 세계의 가동원전 435기 중에서 149기가 폐로가 결정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150기는 수명 연장을 승인받아 여전히 가동되고 있다.88) 그러나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원자력 발전의 확대를 계획하고 있다.

원자력 발전을 주요 기저 발전 방식으로 사용한다 할지라도 미래의 어느 시점에는

개별 발전소의 수명이 다하게 되어 폐쇄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폐쇄 시 고리1호기의

경우 원전수명을 10년 연장하여 2017년까지 운전할 예정이므로 2017년이 되면 폐쇄될

수 있는 원자력 발전소이다. 월성1호기는 2012년까지 원전수명 30년을 채운 상태이며

현재 가동을 중지한 채로 연장 재가동 가능성을 검증하고 있는 단계로 계속 운전을 위한

심사가 진행 중이다.89)

이미 수명을 다한 원전이 있고 곧 수명이 끝나는 원전이 존재하므로 월성1호기와 고리1

호기에 대한 가동 중지 및 폐쇄를 위한 준비 작업이 필요한 시점이다. 원전을 주 전력원으

로 사용하는 정책을 계속 유지할 경우에도 또는 그 반대로 원전의 사용을 중지하는 정책

을 적용할 경우에도 원전의 폐쇄 및 관리를 위한 기술은 준비되어있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현재 월성1호기의 678MW는 가동 중지 상태이므로 전력공급에 영향이 없고

고리1호기 587MW도 전체 전력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작다. 2014년 현재 운영 중인

원전 23기의 총 용량이 20,717MW인 것을 고려하면 고리1호기의 가동 중지 시에도

안정적인 전력 공급에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볼 수 있다.

88) 이투뉴스(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6472[2014.06.23]) 인용.

89) 한국수력원자력 홈페이지(http://www.khnp.co.kr); 월성1호기 계속 운전 심사 홈페이지(http:www.kins.re.kr);

부록 18. 월성 원자력 발전소 1호기 점검 내용 참조.

Page 146: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32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원전 해체를 위해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및 현재 준비 중인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원전 2기의 폐쇄 계획을 포함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폐쇄를 통해 향후 원전의 폐쇄

기술을 확보할 수 있고 정부의 원전 정책의 유연성에 대한 국민신뢰도도 향상될 것이다.

고리1호기가 있는 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원전 해체센터를 유치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90) 원전 해체를 위한 해체준비, 제염, 절단, 폐기물처리, 환경복원 및 평가 관련

핵심기술의 개발계획과 핵연료보관, 폐로, 허가종료까지의 규제 절차 수립 및 해체 실행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91)

5) SEA 권고사항 5

석탄화력 건설을 촉진하는 현재 발전비용 지원체계를 수정할 것을 권고한다.

민간 석탄화력 발전소의 건설을 촉진하는 정책이 CO2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고 대기오염물질의 발생을 증가시키므로 정책의 조정이 필요하다.

6) SEA 권고사항 6

LNG 발전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수립할 것을 권고한다.

LNG 발전사업자의 자체 LNG 수급이 가능하도록 LNG 수급정책을 조정하여 발전사

업자가 자체적으로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 LNG 발전에 의한 전력 공급

안정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전력 가격 체계 수정을 통해 송전선로 개설비용 또는 송전비용을 포함하도록 하여

전력수요가 많은 지역 인근에 LNG 발전의 입지 운영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90) 부록 24. 원전해체센터 유치관련 신문기사 참조.

91) 원전폐로 계획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부록 25, 부록 26, 부록 27 참조.

Page 147: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133

7) SEA 권고사항 7

소규모 분산전원을 장려하는 계획을 수립할 것을 권고한다. 미니그리드와 마이크로

발전을 활성화하는 계획을 수립할 것을 권고한다.

PE-IGCC, MSW 발전, Biomass 발전 등 소규모, 분산전력화가 가능한 전원의 개발

을 장려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다양한 분산전력이 송배전 시설에 충분히 연계되

도록 송배전 시설 계획에 반영하여 지역적인 연결 지연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미소수력(micro hydropower), 소규모 풍력발전 등 생태계와 공존할 수 있고 개별

가옥 등 소규모 시설에 대한 보조전원으로 활용가능한 발전방식이 장려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92)

8) SEA 권고사항 8

전기 수요와 발전소의 입지를 가까운 곳에 배치하여 송전수요를 최소화하는 계획을

수립할 것을 권고한다.

화력발전 시설의 집중은 주변 지역에 광역적인 대기영향을 미치므로 수요지 인근에

집중시켜 송전선로망의 추가 건설을 피하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며 전력요금 또는 발전

소 입지 선정 시 송전선로 건설수요 및 비용을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92) REN21(2013)은 전통적 전기 공급 방식이 적용되기 어려운 고립된 지역에서의 소형전력망 (mini-grid)

의 이용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소형전력망은 주로 저개발국가나 개발도상국에서 적용되는 방법이지만 IT 기반으로 우리나라 전력공급체계 속에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소형 전력망들이 분산전력화의 역할에 크게 기여할 것이며 전체 전력망의 부담을 경감해주는 역할도 가능할 것으로 보이고 신재생에너지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REN21(2013)은 태양광발전, 풍력, 디젤, 배터리 뱅크를 통합한 인버터 연결형 소형 전력망이 2KW에서 300KW 이상까지 있고 급속히 발달하고 있는 분야라고 소개하고 있다. 그 외의 소수력 소형 전력망, 농업폐기물 바이오 가스발전 및 소형전력망에서 현재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디젤발전 등이 있다. 소형전력망의 발전된 형태는 소규모, 마을단위 전력공급의 대안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Page 148: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34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9) SEA 권고사항 9

화력발전소 건설계획은 송전선로 신규 건설이 필요하지 않은 것부터 먼저 수행하고

송전선로 건설이 필요한 발전소 계획은 송전망 건설과 함께 재검토할 것을 권고한다.

화력발전소를 소비지에서 먼 거리에 입지하도록 하여 환경피해지역과 전력 수혜지역

이 상이하게 되는 방법을 지양하고 화력발전소를 전력 소비처 인근에 건설하도록 하고

환경에 미치는 광역적인 영향에 대해서는 주변지역 지원, 보상적 성격의 지원 사업을

시행하는 방안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화력발전소 신설 시 해당지역에 신규 전력소비지역(예: 산업단지)을 함께 개발하

는 방법으로 송전수요를 줄이고 동시에 지역 활성화를 꾀하는 방법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10) SEA 권고사항 10

화력발전소의 증설 계획은 대기질 영향검토를 통해 결정하도록 권고한다.

석탄화력 발전이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만 그 영향은 간단히 예측하기 어렵다.

석탄화력 발전소 1기의 증설을 결정하기 전에 광역수준의 대기질 모델링이 필요하다.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사전에 화력발전소 입지를 결정한 후 후속조치로 환경영향

평가를 시행하게 되면 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을 최대한 저감한다

하더라도 한반도 전체의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 또는 광역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제어가 어려우므로 사전에 전략환경평가 수준에서 그 영향의 수용여부가 검토되어야

한다.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은 대기환경기준이 아닌 광역적인 지역 대기환경에 누적되는

환경영향의 정도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93)

93) 심창섭(2014) 참조.

Page 149: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5장 ․ 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 ∣ 135

11) SEA 권고사항 11

신재생에너지의 확대를 위한 환경, 에너지 분야와 정책적인 협력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도모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할 것을 권고한다.

신재생에너지의 확대로 환경보전 측면에서 많은 충돌을 빚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

보급이 빠른 속도로 확산되지 않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확대는 환경을 훼손시키는 역할

도 함께 하기 때문에 신재생에너지의 일방적 확대보다는 적정한 규모, 환경적으로 수용

가능한 지역에서 전력에너지 생산이 될 수 있도록 정책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분산 전력

으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신에너지와의 조합도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12) SEA 권고사항 12

분산 전력 확대를 위한 지자체의 참여 확대가 가능하도록 계획을 수립할 것을 권고한

다.

분산 전력을 확대하기 위해서 소규모 신재생에너지 및 신에너지의 복합적인 조합이

가능하도록 촉진하되 그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는 자율성이 부여되어야 한다. 강원도의

경우 지자체에서 승인 가능한 3MW 규모 이내에서의 분산발전의 활용성을 검토하였으며

그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지자체가 승인 가능한 전력규모를 10MW 또는 그 이상으로

확대하여 분산 전력의 생산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방안의 수립이 필요하다.

Page 150: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36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제6장 ․ 결론∣Partidário(2012)는 전략환경평가 과정과 계획 수립과정을 연결하는 방법을 결정할

때 몇 가지 고려할 사항들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그는 전략환경평가와 계획 수립과정의

상호 연결성이 계획 수립을 성공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요하기 때문에 계획

수립과정과 전략환경평가 과정은 각각 분리되어 시행되면서 정교하게 협조하도록 하는

것이 완전히 하나로 통합적으로 하는 것보다 더 낫다고 설명하였다.

아래 <그림 6-1> 중 4번의 의사결정 중심 모델이 해당 계획의 수립과정과 전략환경평

가가 상호 분리되어 있으며 계획 수립과 전략환경평가가 서로 협력적으로 연결하며 진행

하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1. 일회성 연결모델 2. 병행모델

3. 통합적 모델 4. 의사결정 중심모델자료: Partidário(2012)에서 인용.

<그림 6-1> 전략환경평가와 의사결정 과정간의 연결을 위한 네 가지 모델

Page 151: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6장 ․ 결론 ∣ 137

우리나라의 경우 정책계획 등이 위의 네 모델을 따르지 않고 전략환경평가를 수행하지

않은 채 계획이 수립되어 있고 <그림 6-1> 1의 모델(1회성 연결모델)을 따르는 경우도

많지 않다. 김지영 외(2008)에서도 강조하였듯이 전략환경평가가 계획 수립과정에서

다중적, 상호반응적(feedback), 내재적인 절차가 되어야 한다. 이번 연구의 대상이 되는

에너지기본계획과 전력수급기본계획도 이와 같이 정책의사결정 과정과 전략환경평가

과정이 서로 협력적으로 연결되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가 에너지관련 최상위 계획은 에너지기본계획이며 20년을 계획 기간으로 하고 5년

마다 수립․시행한다. 이를 근거로 전력수급기본계획이 수립되어 전력수급을 위한 국가정

책을 구현한다.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은 2014.1월 발표되어 이를 반영한 전력수급기본

계획이 준비 중이다. 반면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이 발표되기

이전인 2013.2월에 발표된 것이다. 전력수급기본계획은 2년 단위로 수립 ․ 시행한다.

전력수급기본계획에는 발전과 관련된 구체적인 발전시설의 건설 및 운영계획이 포함되

어 있다.

전력수급기본계획은 2년 단위로 갱신되는 계획이며 구체적인 입지가 포함된다. 그리

고 개별적인 환경영향평가가 검토된 사업들이 포함되어 발전소 운영 시기를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5장과 같이 에너지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를 별도로 시행하여 이전의 전력

수급기본계획에 대한 문제점 및 환경적인 제안들이 제시되면 차후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

획에서 이를 반영하여 수정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순환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점진적인 전략환경평가를 포함한 전력계획의 의사결정과정의 사이클을 형성할 수 있다.

현재와 같은 이러한 방법은 에너지 계획의 수립자와 환경 전문가의 독립적 활동으로

장기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거버넌스가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전력수급기본계획

의 수립과정에서 전략환경평가를 실시하여 계획에 반영하는 것이 더욱 적극적이며 효율

적인 방법이다.

아래 <그림 6-2>는 정책 위계별로 맞추어 전략환경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에너지계획에 적용하면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를

실시하여(SEA Level 1) 환경을 고려한 에너지기본계획을 수립94)하고 이 계획을 따라

Page 152: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38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수립하되 역시 전략환경평가를 실시(SEA Level 2)하는 방법

으로 에너지계획을 수립하면 환경적으로 충분히 고려된 적정한 에너지계획이 수립 ․시행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국가에너지계획에 대하여 전략환경평가를 모의적으로 시행한 결과는 다

른 검토결과들95)과 함께 지금 준비 중인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이를 고려하여 계획

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 김지영 외(2008)에서 재인용.

<그림 6-2> 정책의 위계별로 적정한 환경친화적 계획이 도출되는 과정

이렇게 할 경우 2년 주기로 시행되는 전력수급기본계획과 본 연구의 전략환경평가가

국가정책을 환경적으로 수용 가능한 계획으로 만드는 적절한 정책결정과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시기적으로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이후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이 수립되었고, 이후

본 연구(에너지계획의 전략환경평가)가 수행되고 난 후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수립

94) 현재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은 전략환경평가를 거치지 않은 계획이지만 이후의 계획 수립 시에는 전략환경평가가 포함되어야 한다.

95) 허가형(2013); 심창섭(2013); 천수연(2013).

Page 153: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제6장 ․ 결론 ∣ 139

될 것이므로 아래의 표와 같이 에너지계획의 정책적 방향과 전략환경평가의 환경적인

제안들이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될 것으로 기대한다.

위에 언급한 내용을 표로 만들어 제시하였다(표 6-1). 이 표는 에너지기본계획, 전력

수급기본계획 및 전력관련 전략환경평가에 의한 정책의 의사결정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

다. 세로의 내용분류는 최상위계획인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을 기준으로 하였다. 이외에

이와 연계된 계획으로 한국전력공사의 장기송배전설비계획(2013~2027)(2013) 및 관계

부처 합동으로 제정된,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달성을 위한 루트맵(2014)이 있다. 이

표에서는 전력에너지에 대해서만 검토하였다. 향후 에너지 관련 계획뿐 아니라 상위

계획 및 정책의 결정 과정과 전략환경평가가 독립적이면서도 상호 협력적으로 수행되어

지속가능한 계획이 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Page 154: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40

140∣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Page 155: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41

제6장 ․결론∣ 141

Page 156: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Page 157: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참고 문헌 ∣ 143

∣참고 문헌∣<국내 자료>

국무조정실 외. 2014.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로드맵」. pp.80-89, p.114.국회예산정책처. 2012.10.5. NABO 보도자료, “예비전력 관리의 문제점 및 개선과제 지적”. p.7.

______. 2013.6.11. NABO 보도자료. “발전기 고장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규제계약 도입,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제 완화 등 전력가격체계 개편필요”. p.7.

강광규, 김종원. 2012. 「영흥화력 7, 8호기 증설 환경영향 및 경제성 분석」. KEI.강만옥 외. 2012. 「자원 환경위기 시대에 대비한 에너지가격 개편 추진 전략 연구 –전력요금

개편 중심」. KEI.권영한 외. 2006. 「소수력 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 KEI._____. 2008. 「환경성을 고려한 태양광, 풍력발전소 입지선정 가이드라인」. KEI.권영한. 2015(예정). 「전략환경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김수덕, 김영산. 2006. “신․재생에너지 전원의 피크타임 전력공급에 미치는 영향”. 「자원․환경경제

연구」 15(2): 269-296.김수덕, 하정우, 박종배. 2007. “풍력발전의 첨두부하시의 발전가능량에 대한 확률분석”. 「응용경

제」 9(3): 39-59.김영산. 2014. “전력산업의 현황과 지속가능성”. 「2014 전력산업연구회 세미나」 발표자료,

pp.19-28.

김종민 외. 2012. 「에너지 자급모델-3MW를 위하여」. 정책메모 제210호 2012-97. 강원발전연구

원. 11p.

김지영 외. 2008. 「2008 전략환경영향평가포럼」. KEI 2008 FR-08, 정책자료집, 111쪽 중 pp.

91-111.

김지영. 2013. “육상풍력의 환경문제 및 지속가능한 발전방안”. 「지속가능한 풍력발전 세미나」, pp.1-16.

______. 2014. 「풍력 규제의 합리적 개선을 위한 토론회, 생태계 보전과 재생에너지 자원이용의

조화」. 국회신재생에너지 정책 토론회. 2014.3.26. 국회자료집 67P 중 pp.1-32.

녹색당. 2013. 「녹색당 제2차 에너지 기본계획 집담회 자료」. 2013.08.녹색성장위원회. 2011. 「신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목표의 적정성에 대한 연구」.

Page 158: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44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그린사이언스파워-태백. 2014. 「PE-IGCC 발전사업의 타당성 검토보고서, 태백시 3MW급

PE-IGCC 발전소」, 43p.산업자원부 수소연료전지 사업단. 2007.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형 기술개발사업, 수소․연료전지

사업단 연구개발 프로그램 II」. 163p.산업통상자원부. 2013.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안)」. 공청회(2013.12.11) 자료.

______. 2014.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141p.송배전 설비계획. 2014. pp.2-3.

수소연료전지 발전시설 운영현황. 2013. 2p.

심창섭, 서지현. 2013. 「동북아 대기오염 전망을 고려한 국내 석탄화력발전 증설의 대기질 영향분

석」. KEI 정책보고서 2013-14, 61p. KEI.

심창섭. 2014.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른 미래 대기질 영향과 대응을 위한 국제 공동 연구(Ⅰ)”.

최종자문회의 발표자료.

양이원영. 2013.11. “2차 에너지기본계획 원전비중과 전기요금”. 발표자료.

유헌석 외. 2013. 「전략환경평가제도의 실효적 운용 방안 연구(Ⅰ), 정책계획의 수립절차 및 특성

을 중심으로」. 107p. KEI.윤용범. 2013. 「ESS와 Micro Grid」.이영준 외. 2014. 「전략환경평가제도의 실효적 운용 방안 연구(II), 정책계획의 평가 실무가이드라

인을 중심으로」. 152p. KEI.이준행, 노용환. 2010. “인천만 조력발전 경제성평가 : CVM 및 IO 분석”.「에너지경제연구」9(2):

43-82.

이창훈 외. 2005. 「신재생에너지 전력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KEI._____. 2013. 「화석연료 대체에너지원의 환경․경제성 평가(I), 원자력을 중심으로」. KEI 기후환경

정책연구 2013-06, 132p. KEI.

이희선. 2009. 「재생에너지의 환경성 평가 및 환경 친화적 개발 I - 태양광 및 풍력에너지를

중심으로」. KEI.이희선 외. 2010. 「재생에너지의 환경성 평가 및 활성화 방안-폐자원을 중심으로」. KEI._____. 2012. 「지열에너지의 환경성 평가 및 환경친화적 이용방안」. KEI.전력거래소 전력계획처. 2011.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 도입이 전력수급기본계획에

Page 159: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참고 문헌 ∣ 145

미치는 영향 분석」. 271p._____. 2012. 「전력통계 2012.1.1~2012.12.31」.전력산업연구회. 2013. "분산화, 전력수급체계의 마지막 대안". 「2013 전력산업연구회 세미나」.

2013.10.28. COEX. 82p.

전영환. 2013.10.28. “전력공급의 안정성과 송전망”. 「2013 전력산업연구회 세미나, 분산화 전력수

급체계의 마지막 대안 자료집」. COEX. pp.23-35. 조영탁. 2013. “전력수급 위기의 성격과 설비분산 문제”. 「2013 전력산업연구회 세미나」 발표자료,

pp.5-19.

지속가능발전위원회. 2008. 「중장기계획의 지속가능성 검토 방안 연구」. 355p.지식경제부. 2013.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3-2027)」. 지식경제부,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2012. 「2012 신재생 에너지 백서」. p.486.천수연. 2013. 「전력가격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사업평가현안분석 제48호. 국회예산정책처,

96p.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에너지사업단. 2012. 「유럽의 수소연료전지 동향-2014~2020, 예산

및 기술전망을 중심으로」. 수소에너지정보 제40호, 2012.7., pp.1-9.

한국수력원자력. 2006. 「신재생 및 집단에너지 전력수급 피크용량기여도 평가검토보고」.기획홍보

전력기획처. 신재생에너지팀.

허가형. 2012. 「예비전력 관리의 문제점 및 개선과제」. 사업평가현안분석 제43호. 국회예산정책처,

52p.

. 2013.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문제점 및 개선과제」. 사업평가현안분석 제46호. 국회예

산정책처, 75p.

환경부. 2000. 「전략환경평가 기법개발 및 중점평가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pp.16-27. . 2007. 「전략환경평가제도의 효율적 운영기법 마련을 위한 연구」. p.3. . 2014. 「전략환경영향평가 업무 매뉴얼」.환경연합. 2013.10.13. (보도자료) “에너지기본계획 워킹 그룹 참여 시민단체 위원들의 입장”.

Page 160: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46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국외 자료>

ARL. 2007. Umweltpruefung in der Regional palnung, Arbeitshilfe zur Umsetzung des

§ 7 Abs. 5 bis 10 ROG.

Berlin. 2006. Umweltpruefungen, Berliner Leitfaden fuer die Stadt- und

Landschaftsplanung.

Bremen. 2007. Arbeitshilfe Umweltpruefung in der Bauleitplanung der Freien Hansestadt

Bremen nach dem BauGB 2007.

Bundesministerium fuer Verkehr, Bau und Stadtentwicklung(독일 교통, 건설 도시계획부).

2006. Leitfadeb Strategische Umweltpuefung(SUP) in der kommunalen

Verkehrsentwicklungsplanung-Umweltbundesamt 2009, Leitfaden zur Strategischen

Umweltprüfung (SUP).

Bundesministerium fuer Verkehr, Bau und Stadtentwicklung(독일 교통, 건설 도시계획부).

2010. Erarbeitung eines Konzepts zur „Integration einer Strategischen Umweltprüfungin

die Bundesverkehrswegeplanung".

Maria do Rosário Partidário. 2012.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Better practice

Guide, Methological guidance for strategic thinking in SEA. 48p. p.20.

Maria Rasario Partidario. 2012.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SEA) current

practices, future demands and capacity-building needs, IAIA Training Course Manual,

69p.

Martensson, A. et al. 2005. Energy planning using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 exploring new tools in a Swedish municipality.

Noble, B F. 2002.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of Canadian energy policy. Impact

Assessment and Project Appraisal. pp.177~188. volume 20, number 3.

Sadler, B. and R. Verheem. 1996.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 Status,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Ministerie van Volkshuisvesting, Ruimtelijke

Ordening en Milieubeheer(VROM), Den Haag. 188p.

The Scottish Government. 2012. Scotland's renewable energy routemap and electircity

generation policy statement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73p. p.4-5.

Page 161: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참고 문헌 ∣ 147

The Scottish Government. 2013. Elcetricity generation policy statement 2020 renewable

energy routemap,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post adoption SEA statement,

25p.

Thórhallsdóttir TE. 2007a. Environment and energy in Iceland: a comparative analysis

of values and impact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27: 522–44._____. 2007b. Strategic planning at the national level: Evaluating and ranking energy

projects by environmental impac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27: 545–568.

Verheem, 1992; DHV, 1994; Sadler & Verheem, 1996.

White, Lise and Bram Noble. 2012.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of Electricity

Futures, IAIA12 Conference Proceedings, Energy Future The Rold of Impact

Assessment, 27 May-1 June 2012, Centrd de Congresso da Alfandega, Porto-Portugal,

7p.

<온라인 자료>

녹색당. http://kgreens.org/85522

서울경제. 2013.12.11. “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 3대 숙제는”.

http://economy.hankooki.com/lpage/industry/201312/e2013121117382347430.htm

에너지경제. http://www.ekn.kr/news/article.html?no=101927

이투뉴스.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6472

______.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4880

______.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6472

전기신문. 2014.1.16.

http://www.electimes.com/home/news/main/viewmain.jsp?news_uid=110011

전력거래소. http://www.kpx.or.kr

핵 없는 사회 공동행동. 2013.12.11. 기자회견자료.

http://www.peoplepower21.org/index.php?module=document&act=dispDocumentPrint

&document_srl=1113357

Page 162: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48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http://www.kins.re.kr

한국수력원자력. http://www.khnp.co.kr

Erarbeitung eines Konzepts zur „Integration einer Strategischen Umweltprüfung

in die Bundesverkehrswegeplanung“.

https://www.bmvi.de/SharedDocs/DE/Anlage/VerkehrUndMobilitaet/bvwp-2015-sup

-endbericht.pdf?__blob=publicationFile

Statistics Iceland.

http://www.statice.is/?PageID=1170&src=https://rannsokn.hagstofa.is/pxen/Dialog/va

rval.asp?ma=MAN00000%26ti=Population+-+key+figures+1703-2014++++++++++%26p

ath=../Database/mannfjold

The National Archives. Open Government Licence for public sector information.

http://www.nationalarchives.gov.uk/doc/open-government-licence/

The Scottish Government. http://www.scotland.gov.uk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electricity_production#cite_note-r4-5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electricity_production

Page 163: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Abstract∣ 149

Abstract

A Study on Strategic Environment Assessment Method Concerning Energy Master Plan

The Energy Master Plan (EMP), which is a top level plan of national energy in Korea, has a life span of 20 years and is reviewed every 5 years. Based on this plan, the Electric Energy Supply Master Plan (EESMP) is produced, and it implements the national policy on electric energy production. The EESMP is reviewed and updated every 2 years and the current 6th EESMP was published in February 2013. The second edition of Energy Master Plan was published in January 2014, and the 7th edition of Electric Energy Supply Master Plan(EESMP) is being prepared. The EESMP includes a list of detailed construction schedules of electric power plants and their operation plans.

These two top level plans of national energy in Korea do not yet have the legal requirements of preparing a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SEA). This study aims to prepare a hypothetical SEA document for both of these two plans related to electricity production in Korea.

The application status of a SEA and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electric energy consumption were reviewed. The SEAs on electric energy supply of other countries were reviewed. Their processes and specific characters of each process were analyzed.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assessment factors applied to each of the SEA were modified for adoption in this study, for the Korean SEA for electricity production. Four energy mix alternatives are suggested, consisting mainly of four major energy sources to produce

Page 164: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150 ∣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electricity; nuclear, coal, Liquefied Natural Gas (LNG) and renewable. The opinions from the specialist groups and the general public on these four energy mix alternativ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General preferences on various renewable energy sources were also surveyed.

By comparing the energy demand estimations presented in the second EMP and the 6th EESMP with the energy supply plans which include new power plant constructions, it is concluded that within the designated period, e.g. until 2027, there will be sufficient energy supply. It is secured by the construction plans which have already received the construction permits, suggesting that it is time to modify the pre-existing energy supply plan by additional construction of conventional coal and nuclear power plants. The future uncertainties and probabilities of various energy sources were also reviewed.

The SEA on the electric sector of national energy plan was hypothetically accomplished in this study, and the derived opinions are listed as SEA recommendations. It is certain that if the results of this SEA are considered in the next edition of EESMP, which will be reviewed and published next year, the plan will be a more environmentally suitable 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is an informal and hypothetical SEA, will be useful base references when a formal SEA on the electric energy master plan is eventually carried out.

Keywords: SEA(Strategic Environment Assessment), EMP(Energy Master

Plan), EESMP(Electric Energy Supply Master Plan), Energy Mix

Page 165: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 저자 약력 |

김지영

한국 서울대학교 지질학 박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현)

E-mail : [email protected]

주요 논문 및 보고서

「전략환경평가제도의 실효적 운용 방안 연구(2)」 (2014,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육상풍력 개발사업 지형변화지수 연구」 (2014,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지형장애물 분석을 통한 환경현황자료 작성 방안」 (2013,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권영한

미국 코넬대학교 식물병리학 박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현)

E-mail : [email protected]

유헌석

일본 큐슈대학 공학 박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현)

E-mail : [email protected]

이영준

미국 Texas A&M 지질학 박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현)

E-mail : [email protected]

문난경

한국 부산대학교 공학박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현)

E-mail : [email protected]

Page 166: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안소은

미국 노스케롤라이나주립대학 자원경제학 박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현)

E-mail : [email protected]

이창훈

독일 Universitat Bremen 경제학 박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현)

E-mail : [email protected]

전동준

러시아과학원 동물학연구소 계통진화학 박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현)

E-mail : [email protected]

은 정

한국 인하대학교 공학석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현)

E-mail : [email protected]

이영숙

한국 단국대학교 농학석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현)

E-mail : [email protected]

조아미

한국 연세대학교 공학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현)

E-mail : [email protected]

Page 167: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2009~2014

Page 168: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Page 169: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Page 170: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Page 171: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 ’

Page 172: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Page 173: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Page 174: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Page 175: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Page 176: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Page 177: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Page 178: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Page 179: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Page 180: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Page 181: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Page 182: 국가에너지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4414.pdf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